[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samsungpe Channel on Telegram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Korean)

이제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가 시작됩니다! 삼성의 비상장 채널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는 당신을 혁신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안내해드립니다. 이 채널은 삼성의 혁신적인 기술과 이창희의 전문 지식이 만나 만들어진 곳입니다. 삼성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업으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는 삼성의 모빌리티 업계에서의 역량을 보여주는 곳입니다. 여기에서는 새로운 기술 동향, 모빌리티 산업의 전망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창희의 탁월한 노하우와 전문성을 만나볼 수 있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삼성/이창희와 함께라면 모빌리티 산업의 선도적인 위치에 서 있는 기업이 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비전과 혁신을 추구하는 당신을 위해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을 방문해보세요!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2 Feb, 23:58


전고체 배터리 소재 기업, '솔리비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24억원 투자 유치 완료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전고체 배터리 소재 기업 '솔리비스'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솔리비스' 기업개요

- 2020년 신동욱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창업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 전문 기업. 고체 전해질 양산 원천기술 및 국내외 관련 특허 100여개 보유
- 전해액과 음극재 등의 소재를 고체화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훼손되어도 형태 유지가 가능해 폭발, 화재 위험이 현저히 적은 것이 특징. 또한, 활물질 용량을 늘려 배터리 용량 확대로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것이 장점
- 1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 투입해 개발한 '3세대 습식합성 양산플랫폼' 생산 공정으로 고체 전해질 생산 예정. 동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알려진 학술 연구 중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이며, 자체 개발한 합성 방법으로 원가 경쟁력에서도 우위 확보 가능. 또한, 제품의 입도 사이즈 및 분포 등을 고객사의 니즈에 맞게 대응 가능한 것이 장점
- 현재 강원도 횡성에 200억원 투자 통해 대규모 고체 전해질 양산 공장 건설 중. 준공 시 연간 40t 규모의 생산능력 확보 예정

■ 시리즈 B 브릿지 124억원 투자 유치

- '24년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유치 이후 기존 투자자와 신규 투자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투자에 참여해 총 124억원 시리즈 B 브릿지 투자 유치 완료. 누적 투자금액 422억원 달성
- 투자 유치 자금은 '25년 2분기 완공 예정인 강원도 횡성 소재 고체 전해질 양산 공장 설비 설치 및 운영 기금에 사용할 계획.

(2025년 2월 1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2 Feb, 03:52


[롯데렌탈 4Q24 실적 Review]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체질 개선 마무리 단계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롯데렌탈 4Q24 Review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ㆍ 4분기 매출액 7,313억원(YoY +11.6%), 영업이익 716억원(YoY +34.6%) 기록
ㆍ 렌탈 본업 확대로 실적 개선 중. 다만 가이던스에 못 미치는 부진한 실적 발표
ㆍ 목표주가 38,000원으로 유지 (경쟁사 EV/EBITDA 3.8배), 투자의견 BUY 유지


■ 4분기 실적 Review

롯데렌탈은 4분기 매출액 7,313억원(YoY +11.6%), 영업이익 716억원(YoY +34.6%) 기록하며, 영업이익은 가이던스 800억원 중반 하회. 오토렌탈 장기는 연 평균 순증 대수 증가 ('23년 819대 감소, '24년 556대 증가)하며 렌탈 본업은 안정적인 실적 개선 진행 중

현재 카셰어링을 제외한 모든 사업부에서 안정적인 성장과 원가 절감을 계획대로 진행 중이나, 카셰어링 부문의 실적 개선이 예상보다 지연. 이에 따라 동사는 '24년 11월 카셰어링 부문 신임 대표이사로 강현빈(전 라인 대만 대표)를 선임한 만큼, 향후 카셰어링 신규 전략 수립 기대

■ 중고차 B2C 매매 사업 개시 예정

'25년 3월 온라인 중고차 소매 플랫폼 런칭 계획으로, 상반기 내 신규 브랜드 리브랜딩 및 단독 앱 출시 계획. 또한 오프라인 거점 마련하며, '25년 B2C 중고차 거래대수 9,000대, 매출액 1,550억원 달성 목표

■ 목표주가 38,000원 유지

목표주가 38,000원(경쟁사 EV/EBITDA 3.8배 적용, Blooberg), 투자 의견 유지


자세한 사항은 당사 리서치센터에서 발간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이창희)롯데렌탈(089860/BUY) - 체질 개선 마무리 단계

(2025년 2월 1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2 Feb, 01:28


4050 남성 패션 플랫폼, '애슬러'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40억원 시리즈 A 시리즈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중년 남성을 위한 패션 플랫폼, '애슬러'가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애슬러' 기업 개요

- 2022년 유니스트 출신 김시화 대표가 설립한 중년 남성 전용 패션 플랫폼 운영 기업
- 동사는 온라인 전환 속도가 느린 중년 남성 소비자를 고려해, 고객 데이터 기반 추천 시스템으로 소비자의 구매 전환율 개선
- 또한 소비자의 주 관심사인 골프, 아웃도어, 스포츠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 내 약 600여개의 브랜드 확보하며, 24년 연간 거래액 60배 이상 성장
- 향후 동사는 전자기기 등으로 상품군 다양화 및 플랫폼 내 기존 오프라인 기반 브랜드 확보에 집중할 계획

■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40억원 규모로 카카오벤처스, 패스트벤처스, 베이스벤처스, 디캠프, 다성벤처스가 참여.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고객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와 플랫폼 상품군 다각화에 사용할 계획

(2025년 2월 1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1 Feb, 07:56


롯데렌탈 24년 4분기 실적 Q&A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롯데렌탈 2024년 4분기 실적 Q&A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오토단기 중 G카(카셰어링) 실적

- 4분기 매출액 245억원 및 영업이익 -30억원 기록
- 24년 연간으로 영업이익 -175억원 기록하며,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되지는 못함. 하지만 25년은 50억원 정도는 개선 가능하다고 판단

2. 중고차 장기렌탈 대수 전망

- 24년 장기렌탈 매출액 약 1조 5천억원 기록. 이중 중고차 렌탈 매출액은 약 1,650억원 정도
- 중고차 렌탈 대수는 24년 분기별 800~900대를 유지했으며, 25년에는 1,000대 이상 유지 가능할 것으로 판단. (25년 가이던스 1,176대 제시)

3. 24년 4분기 중고차 매각 매출이 2,000억원 이상 기록. 25년에도 2,000억원 이상의 매각 매출 흐름 이어갈 수 있는지?

- 1분기는 중고차 판매 비수기로 2,000억원 기록은 어려울 것. 하지만 2분기 이후에는 만기 도래하는 반납 물량을 기반으로 2,000억원 이상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5년 2분기 중고차 매각(B2B, B2C 등 포함) 매출 2,200억원, 3분기에는 2,300억원 매출 전망

4. 중고차 판매 수익성 전망

- 자차 물량에 대한 매각은 20%대의 마진 달성이 가능하나, 향후 매입해서 파는 중고차 물량 확대시 마진은 소폭 감소할 수 있음

5. 사모펀드 매각 관련 스케줄

- 매각 스케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2월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봄
- 사모펀드가 인수 시 투자 부분에 대해서 제약 없이 사업을 확장 가능한 부분이 있어, 해당 부분에서 시너지 있을 것으로 판단

(2025년 2월 11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1 Feb, 00:48


글로벌로 향하는 K-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이스턴에디션'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36억원 시리즈 A 시리즈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한국 전통 미학을 재해석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이스턴에디션'이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이스턴에디션' 기업 개요

- 22년 디자이너 출신 양태오 대표와 가구 사업 경험을 쌓은 임대선, 홍혁진 대표가 공동 설립
- '오리엔탈 에스테틱' 기반의 가구 브랜드사로 동양적인 요소와 한국 전통 미학을 재해석한 제품으로 차별화
- 현재 주거공간을 포함한 사무실, 고급호텔, 리조트(제주 파르나스, 양양 설해원, 일본 무와)에서 사용 중
- 또한 프랑스 파리, 미국 LA, 홍콩 등 국내외 5개의 쇼룸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수요 대응을 위한 뉴욕 쇼룸 개설 준비 중

■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36억원 규모로 한국투자파트너스,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슈미트, BM벤처스가 참여했으며, 누적 투자 47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사용할 계획 (회사 발표상 '24년 해외 매출은 '23년 대비 5배 이상 증가)

(2025년 2월 11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7 Feb, 00:10


AI 기반 3D 영상 제작 기업, '시나몬'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10억원 투자 유치 완료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AI 기반 3D 영상 제작 기업 '시나몬'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시나몬' 기업개요

- 시나몬은 2019년 창업 이후 인터랙티브 게임 분야의 기술 고도화에 집중. 현재 AI 기반 3D 영상 솔루션 '시네브이(CINEV)' 개발 중
- 개발 중인 신규 솔루션 시네브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3D 공간에서 AI 기술로 영상을 구현. 프롬프트 입력에 따라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형 AI 영상 서비스와는 달리 이용자가 직접 배우의 연기, 카메라 연출, 조명, 배경 등을 편집 가능한 것이
큰 특징(3D 공간을 구축한 뒤 캐릭터, 액션, 조명, 카메라 등을 개별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채택)
- 모든 사용자가 영화 감독이자 1인 제작사가 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비즈니스로 성장 기대

■ 110억원 투자 유치

- 기존 투자자 알토스벤처스와 신규 투자자 새한창업투자가 투자에 참여해 총 110억원 투자 유치 완료. 투자 유치 자금은 '25년 상반기 서비스 출시에 사용할 계획

(2025년 2월 7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Feb, 06:08


케이카 24년 4분기 실적 Q&A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케이카 4분기 실적 Q&A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4분기 실적 Q&A

1. 올해 외형 성장을 위한 성장 동력?
수요 맞춤형 매입전략을 통해 적절한 재고를 적시에 확보할 예정. 단기적으로 평균 단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나, 가격 경쟁력 있는 차량 재고 확보를 통해서 판매 대수는 증가할 수 있을 것

2. 4분기 소매 대당 마진이 전분기 대비 하락했는데, 25년에는 어떠한 흐름을 보일지?
- 24년 4분기 소매 대당 마진은 153만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2만원 소폭 감소한 수준
- 소매 평균 판매 단가가 낮았던 것이 원인이나, 24년 전체 마진은 156만원으로 23년의 151만원 대비 상승
- 25년은 비대면 매입 채널 확대 및 AI 기반 수요 예측, 평균 판매 단가 설정 시스템으로 마진 개선할 계획

3. 경기 성장 둔화로 인해 구입 차종 믹스에 대한 변화가 있었는지?
- 내수 경기 둔화로 신차 대비 중고차에 대한 관심 확대
- 차종 믹스 또한 소형차, 연비 효율이 높은 차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고가 대형, 프리미엄 차량에 대한 수요는 둔화

4. 25년 영업이익 두자리 수 성장을 위한 전략과 비용 절감을 위해 집중하는 부분?
- 이익 개선을 위해 경매 판매에 집중할 계획. 경매는 규모의 경제 달성이 가능하고, 낙찰수수료와 판매 마진이 안정적이라 영업이익 제고에 기여 가능 (4분기 경매 판매 대수 약 1만대 기록)
-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매출 대비 효율이 낮은 지점의 자원을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집중 배치,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등을 통해 생산성 높일 계획

5. 25년 마케팅 계획?
- 브랜드 신뢰 광고, 디지털 마케팅, 데이터 기반 마케팅에 집중할 계획
- 비용 측면에서는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

6. 25년 1분기 중고차 판매 상황?
- 1분기 전방 시장은 부진한 모습이나, 케이카는 전분기 대비 시장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
- 특히 2월부터는 역대 최대 1일 차량 판매 대수 기록하며, 긍정적인 흐름 지속
- 또한 중고차 수출 증가세에 따라, 수출 경매도 매주 상승 추세. 향후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지속적인 성장세 이어가기 위해 노력

[추천] (이창희)케이카(381970/BUY) - 판매 대수 성장이 중요한 시점

(2025년 2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Feb, 06:08


[케이카 4Q24 실적 Review]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판매 대수 성장이 중요한 시점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케이카 4Q24 Review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ㆍ 4분기 매출액 5,284억원(YoY +6.6%), 매출총이익 558억원(YoY +12.3%)
ㆍ '25년 중고차 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구간으로 타사 대비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시점
ㆍ 목표주가 17,000원 유지 (목표 PSR 0.34배), 투자의견 BUY 유지


■ 4분기 실적 Review

케이카는 4분기 매출액 5,284억원(YoY +6.6%), 매출총이익 558억원(YoY +12.3%) 기록. '24년 4분기 중고차 실거래 대수는 총 56만 2,825대로 전년 대비 약 0.5% 증가. 4분기는 중고차 시장 비수기임에도 경기 둔화로 인한 중고차 선호 현상으로 거래량 증가한 것으로 판단

케이카의 4분기 중고차 판매대수는 36,401대(YoY +9.4%, 소매 26,076대, 경매 10,325대)로 전체 시장 대비 양호한 실적 기록. 특히 수익성 높은 경매채널 판매대수 증가하며, 향후 이익 개선을 위해 경매 판매 확대할 계획

한편 '25년은 경쟁사의 중고차 사업 개시 등에 따라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상황. 케이카는 AI 기반 수요예측, 평균판매단가 책정 시스템 등 노하우를 통해 중고차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해갈 계획


■ 목표주가 17,000원, 투자의견 BUY 유지

중고차 시장 둔화에도 자체 AI 기반 판매 단가 설정, 수요예측 시스템으로 타사 대비 차별화 이루며 안정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추세. 목표주가 17,000원, 투자의견 BUY 유지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이창희)케이카(381970/BUY) - 판매 대수 성장이 중요한 시점

(2025년 2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Feb, 01:20


AI 기반 커머스 콘텐츠 제작 기업, '스튜디오랩'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33억원 Pre A 시리즈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멀티모달 AI 기반 커머스 콘텐츠 제작 기업 '스튜디오랩'이 Pre A 시리즈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스튜디오랩' 기업개요

- 생성형 AI 기술 활용 상세페이지 자동 제작 서비스 '젠시(GENCY)' 및 지능형 로봇 기반 사진촬영 자동화 솔루션 '젠시PB' 개발해 커머스 콘텐츠 제작 분야 서비스 제공 중
- 젠시는 사진을 업로드하면 상업용 상세 페이지를 약 15초만에 생성해주는 기술
- 젠시PB는 상업용 사진, 인물 사진 등 전체 촬영 과정을 자동화한 서비스로 AI가 실시간으로 피사체를 분석해 최적의 촬영 구도를 잡아주고 피사체의 특징을 부각하는 사진을 스스로 촬영. 제품의 특징, 배경 정보 등을 분석해 기업이 원하는 감도의 촬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
- 현재 LF, W컨셉, GS리테일 등과 협업해 스튜디오랩이 개발한 서비스 도입 진행 중

■ Pre A 시리즈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SBI인베스트먼트, 네이버D2SF, 디캠프, 서울경제진흥원 등이 투자자로 참여해 총 투자금액 33억원 달성
-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딥테크 팁스 프로그램에 선정, 3년간 15억원의 정부 지원금 확보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통해 AI 기술 고도화 진행해 패션 이외의 분야에도 진출 계획. 또한, 아마존 입점사를 위한 솔루션 개발로 글로벌 시장 진출 목표

(2025년 2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5 Feb, 00:23


AI기반 약물 부작용 감지 솔루션, '셀타스퀘어'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92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의약품 전주기 부작용 감시 솔루션 개발 기업, '셀타스퀘어'가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셀타스퀘어' 기업개요

- 2021년 연세대학교 약대 교수 출신 신민경 대표가 설립한 전주기 약물 감시 솔루션 개발 기업
- 약물 감시 절차는 다양한 출처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 해석, 규정 적용 등 복잡한 구조로 인해 많은 인력과 비용이 요구
- 문제 해결을 위해 동사는 (1) 안정성 데이터 입력 자동화, '셀타 웨이브', (2) 약물 관련 문헌 검색, '셀타 리투스', (3) 국제의약용어(MedDRA) 코딩 솔루션, '셀타 옥토', (4) 품목 갱신을 위한 분석 및 테이블 자동화 솔루션, '셀타 튜브' 제공
- 약물 검사 수행을 위해 체계적 솔루션 개발에 성공하며, 현재 유한양행, 한미약품, 대웅제약 등 국내 주요 제약사와 협력 진행

■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92억원 규모로 KB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유안타인베스트먼트, SJ투자파트너스, 젠엑시스가 참여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기술 고도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사용할 계획

(2025년 2월 5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4 Feb, 06:19


1인분도 무료배달, '두잇'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306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1인 가구를 위한 모바일 배달 앱 기업 '두잇(Doeat)'이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두잇' 기업개요

- 두잇은 2022년 2월 출시된 1인 가구 모바일 배달 앱. 1인 가구에 특화된 앱으로 음식 배달 최소 주문 금액 9,000원으로 타 배달 플랫폼 대비 최소 주문 금액도 낮으며 배달비도 무료로 제공.
- 근처 이웃 배달음식 수요 실시간으로 묶어 배달 동선 최적화해 배달 비용을 무료로 제공하는 구조.
- 또한, 7,900원에 7개의 1인분 음식을 배달비 없이 매일 큐레이션 해주는 '두잇 777' 서비스 제공

■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굿워터캐피탈이 리드했으며 SBVA, 베이스벤처스, 해시드, 비디씨랩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 누적 투자금액 306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통해 배달 음식 외 다양한 1인 소비 영역으로 카테고리를 다각화하고 서울, 수도권 이외 지역까지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

(2025년 2월 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3 Feb, 07:13


[1월 IPO Market Monthly]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여전히 부진한 IPO 시장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1월 IPO market monthly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삼성 코멘트

- 아스테라시스 제외 모든 종목이 공모가 밴드 하단에서 결정. 상장 후에도 부진한 주가 흐름 지속
- '24년 하반기부터 부진했던 시장 분위기가 '25년 1월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 증시 회복이 선행되어야 하는 상황
- 2월은 대형 IPO 기업, LG CNS(공모규모 약 1.2조원)의 흥행 여부가 향후 IPO 시장 분위기 반등에 중요한 기점이 될 것

■ 1월 IPO 실적

- 1월 IPO는 총 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건 감소, 공모 금액은 687억원으로 554억원 감소
- 기관 수요 예측 평균 경쟁률은 568:1, 일반 경쟁률은 598:1 기록했으며, 공모가 밴드 1개 기업 상단 외 나머지 하단 혹은 하단 미달 기록

■ 2월 IPO 전망

- 2월은 LG CNS, 아이지넷, 피아이이, 아이에스티이, 동방메디컬, 오름테라퓨틱, 동국생명과학 등 약 8개사 상장 예정
- 공모금액은 LG CNS의 영향으로 1.3~1.4조원 전망됨에 따라, 전년 1,914억원 대비 큰 폭으로 증가 전망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 링크된 리포트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1월 IPO Market Monthly - 여전히 부진한 IPO 시장

(2025년 2월 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Feb, 23:47


AI 기반 자율주행 서빙 로봇 개발기업, '베어로보틱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베어보로틱스, LG전자로부터 인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LG전자가 자율주행 서빙 로봇 개발 기업, '베어로보틱스' 지분 51%를 확보하며, M&A에 성공했습니다.

■ '베어로보틱스' 기업 개요

- 2017년 구글 엔지니어 출신인 하정우 대표가 설립한 AI 기반 자율주행 서빙 로봇 개발 기업
- 동사는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다수의 로봇 제어 기술 등 로봇 SW 분야의 글로벌 기술력 확보했으며, 서빙 로봇은 출시 이후, 5년 만에 글로벌 시장에 1만 대 이상 판매량 달성
- 한편 이번 M&A를 통해 베어로보틱스는 상업용, LG전자는 가정용과 산업용 로봇 개발에 나설 계획
- 25년 자율주행 기술과, 음성, 음향 인식 기술을 적용한 가정용 로봇 출시 예정

■ LG전자 지분 51% 확보

- LG전자는 24년 3월 동사의 지분 21%를 6,000만 달러(약 860억원) 확보했으며, 이번 30% 추가 인수를 통해 총 51% 지분과 경영권 확보
- 이번 인수는 약 1억 8,000만 달러(2,580억원) 규모 투자로, LG전자 측은 향후 베어로보틱스의 로봇 SW 기술력과 LG전자의 제조 역량을 통한 로봇 사업 시너지 기대

(2025년 2월 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3 Jan, 23:28


일본 애니메이션과 K-pop의 만남, '비비던트'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5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생성 AI 기반 가상 캐릭터 플랫폼, '모에라이브'를 운영하는 '비비던트'가 시드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비비던트' 기업 개요

- 2023년 엔픽셀, 크래프톤, 언오픈드 등에서 게임 개발 및 스튜디오 투자 경험을 쌓은 김규대 대표가 설립
- 대표 서비스인 '모에라이브'는 생성 AI 기반 가상 캐릭터 생성 및 육성 플랫픔으로, 기존 실제 사람이 필요했던 서비스와 달리 완전 가상 캐릭터로 차별화
- 실시간 라이브, 다수의 사용자 참여 서비스 등 제공하며, 일본 애니메이션과 K-pop 문화를 결합한 새로운 엔터테인먼트로 확장할 계획으로 25년 상반기 내 베타 서비스 출시 예정

■ 150만 달러 시드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150만 달러(약 20억원) 규모로 더벤처스, 해시드, 매쉬업벤처스, 모드하우스, 스페르미온(미국), 제트벤처패피탈(일본), 타이탄 펀드(홍콩)가 참여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서비스 개발 및 25년 내 한국, 일본, 미국 시장 내 서비스 런칭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생성 AI를 기반으로 버추얼 캐릭터 시장 내 새로운 솔루션을 선보이는 '비비던트'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2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3 Jan, 00:06


항공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 기업, '에어빌리티'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25억원 Pre A 시리즈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항공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 기업 '에어빌리티'가 Pre A 시리즈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에어빌리티' 기업 개요

- 2023년 설립된 에어빌리티는 전기 추진 시스템을 활용한 고속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개발 기업. 긴급 물류, 감시 정찰, 재난 대응 솔루션 등 미래 항공 모빌리티 관련 사업 추진.
- 2024년 감시 정찰 및 긴급 물류 운송용 전기 추진 고속 수직 이착륙 항공기인 AB-0 시제기 개발. AB-0는 산불 감시, 안티 드론 솔루션, 선박 보급 등 맞춤형 활용 가능한 것이 특징. 또한, 전기 추진 및 하이브리드 에너지 결합해 고속 비행(최대 200km/h)과 장시간 체공이 가능하도록 설계.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사업 추진 중
- 향후 북미, 일본, 동남아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예정

■ 25억원 Pre A 시리즈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베이스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매쉬업벤처스가 후속 투자로 참여했으며,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 총 규모 25억원으로 누적 투자금액 37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고정익 기반 전기 수직 이착륙(eVTOL) 기술과 분산형 전기 팬제트(저소음 설계) 추진 시스템 기술 개발을 위한 인력 충원, 사업 확장 등에 사용할 계획

(2025년 1월 2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1 Jan, 23:54


한국거래소 'IPO/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 발표

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한국거래소에서 최근 공모가 산정 방식 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IPO/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 IPO 제도 개선 주요 방안

-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 합동 세미나 개최
- 시장 신뢰 회복 및 기업가치 중심 투자 환경 조성 목표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 제시

1) 기관 투자가 의무보유 확대: 의무보유 확약 투자자에 물량 40% 우선 배정, 확약 기간에 따라 가점 차등 부여(25년 7월부터 30% 물량 우선 배정, 내년부터 40%로 확대. 확약 물량 40% 미달할 경우 상장 주관사가 전체 공모 물량 1% 취득 후 6개월 의무 보유). 또한, 일정 기간 보유 약속 특정 기관에 사전 배정 허용하는 코너스톤 제도 등 입법화 재추진
2) 기관 수요예측 참여 문턱 강화: 펀드, 일임 재산에도 자격요건 적용. 기존에는 사모, 일임이 고유 재산으로 참여 시 자격 요건(등록 후 2년과 총 위탁재산 규모 50억원 혹은 총 위탁 300억원)을 고려했지만, 7월부터는 펀드, 일임 재산 참여에도 동일하게 자격 요건 적용 예정
3) 상장 주관사 책임 강화: 사전 취득 지분 의무 보유 강화. 기존에는 공모가 대비 취득가 괴리율 50% 이상 시 6개월 의무보유 기간 부여했으나, 7월부터 적용 괴리율 30% 이상으로 축소 계획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

- 저성과 기업의 신속한 퇴출을 목표로 개편

(1) 시가총액, 매출액 기준 강화: 시가총액 기준 코스피 50억원에서 500억원, 코스닥 4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2028년까지 단계적 상향. 매출액 요건 코스피 50억원 에서 300억원, 코스닥 75억원에서 300억원으로 강화(단, 성장 잠재력 높은 기업은 최소 시가총액 요건 충족시 매출액 요건 면제)
(2) 상장폐지 절차 효율선 개선: 심의 단계, 개선 기간 단축해 효율성 개선. 코스피는 개선 기간 최대 4년에서 2년으로, 코스닥은 최대 2년에서 1년 6개월로 단축. 형식적 상장폐지 사유 및 실질적 상장폐지 사유 동시 발생 경우 심사 병행해 효율적 진행. 속개 제도 통해 개선기간 추가 부여 없이 1심 심의 결과 명확한 경우 2심에서 추가 개선기간 부여하지 않음. 또한, 2회 연속 감사 의견 미달 발생 시 즉시 상장폐지.
(3) 투자자 보호 거래 장치 마련: K-OTC에 상장폐지 기업부 신설해 상장폐지 이후 6개월간 주식 거래 보장. 상장폐지 심사 중 기업 제출 개선 계획 주요 내용 공시 의무화 통해 투자자 알권리 강화 및 투자자 보호 지원

■ 개선방안 향후 추진 일정

- IPO 제도 개선 방안은 25년 4월부터 단계적 시행 예정
- 내부시스템 개편, 투자자 안내 등 준비기간 필요 내용은 7월부터 시행
- 법률개정사항인 코너스톤투자자, 사전 수요예측 제도는 1분기내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의 추진 예정

(2025년 1월 2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1 Jan, 01:09


초고밀도 배터리 개발 기업, '유뱃'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9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항공, 방산 산업을 위한 고밀도 배터리 개발 기업, '유뱃'이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유뱃' 기업개요

- 2016년 카이스트 화학공학 출신 이창규 대표가 설립한 균일 후막 전극(TEP, Thick Electrode Platform) 기술 개발 기업
- 이는 이차전지 부품인 전극을 균일하게 제조하는 기술로 전지의 효율을 높이며, 같은 전극재를 사용해도 빠른 전기 흐름과 높은 수명 제공
- 에너지 밀도 20~30% 향상과 부자재 첨가 감소 등을 통해 생산 단가 1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장점 보유하며, 적은 무게와 고밀도 에너지가 필요한 항공 분야 등에 적합
- 현재 국내 주요 항공, 방산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 및 공급 계약 체결하며 상용화에 나설 계획

■ 90억원 시리즈 B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KDB산업은행,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포스코기술투자, 비엠벤처스가 참여. 누적 투자 110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배터리 테스트라인 설비 확충 및 연구개발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차별화된 전극 기술로 배터리 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유뱃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21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6 Jan, 23:56


스마트한 공정 관리 솔루션, '시즐'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237억원 규모 Pre IPO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공정 모니터링을 통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즐'이 Pre IPO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시즐' 기업 개요

- 2016년 산업공학을 전공한 이지현 대표가 설립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공 기업
- 고가의 설비 도입 없이, 공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생산 횟수, 가동 시간, 부하율 등의 데이터를 수집해 불량률을 줄이고 효율성 개선
- 현재 약 140여곳의 고객사 확보했으며, 상장 후 해외 시장 진출에 나설 계획
- 한편 투자사인 크라우드웍스와 AI 솔루션 공동 개발 진행 중으로, 혁신적인 제조업 디지털화에 나설 계획

■ Pre IPO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아주IB투자,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스탤리온파트너스, 크라우드웍스, 이앤인베스트먼트, CJ인베스트먼트, 다날투자파트너스, 수인베스트먼트캐피탈 등이 참여. 누적 투자 약 292억원 달성
- 이번 라운드의 투자 전 기업가치는 550억원(언론 보도상)으로, 25년 하반기 코스닥 시장 상장 목표 (상장 주관사: KB증권)

(2025년 1월 17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6 Jan, 00:50


Korea STARTUP SCALEUP DAY-LIVE - https://youtube.com/live/Hnr8BmyqaYs?si=_r22oU-ZpuYV8jo6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6 Jan, 00:50


25년 1월 Korea Startup Scaleup Day 행사 안내
- 1월 17일(금) 13:00~16:00
- 주제 : CES 2025 혁신상 수상 기업
- 참여기업 : 아래 참조
- 장소 : 서초 삼성금융캠퍼스
- 진행 : 대면+비대면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5 Jan, 23:23


올인원 AI 비즈니스 메신저, '채널톡'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10억원 규모 시리즈 D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AI 기반 올인원 고객 관리 솔루션, '채널톡'을 운영하는 '채널코퍼레이션'이 11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채널코퍼레이션' 기업 개요

- 2014년 인하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최시원 대표가 설립한 '채널톡' 운영 기업
- 대표 제품인 채널톡은 고객 관리 솔루션으로 웹 채팅, 카톡, 네이버 톡톡, 인스타그램 등을 연동해 고객 문의를 한 곳에서 관리 가능
- 또한 최근 AI 기반 챗봇, '알프' 출시 등 토탈 서비스로 문의 처리량 2배 이상 증가 및 구매전환율 상승
- 현재 글로벌 패션, 뷰티, 여행 등 다양한 산업내 18만여 개의 고객사 확보했으며, 전체 매출의 25%가 글로벌에서 발생
- 향후 동사는 '알프'의 보이스 버전 개발할 예정으로 향후 AI 도입율 높이며 솔루션 고도화활 계획

■ 110억원 시리즈 D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110억원 규모로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라구나인베스트먼트, 알토스벤처스가 참여. 누적 투자 510억원 이상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보이스 알프' 개발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AI 기반 올인원 고객 관리 솔루션으로 국내를 넘어 글로벌 고객과 수익성까지 확보한 채널코퍼레이션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1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3 Jan, 23:24


창업 교육 선도 기업, '언더독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Pre IPO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국내 창업 교육을 선도하고 있는 '언더독스'가 Pre IPO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언더독스' 기업 개요

- 2015년 설립된 언더독스는 국내 창업 교육을 선도하고 있는 교육 회사로 설립 이후 1만 2,000명의 창업가 양성, 2,611개 창업팀 배출에 성공.
- 또한, ESG 전략 수립부터 실행, 가치 측정 및 평가까지 원스톱 솔루션 제공. 기업 및 정부 기관 대상 지역 활성화, MICE 운영, 소상공인 마케팅 지원, ESG 측정 평가 및 리포트 등 다양한 맞춤형 ESG 서비스 제공.
- SK그룹, 하나금융그룹, 네이버, 서울시 등 국내 400여 개 기업, 기관, 대학과 협력해 ESG 성과 측정 및 실행 주도하며 시장 경쟁력 구축
- 23년 12월 미래에셋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 26년 1분기 코스닥시장 상장 목표.

■ Pre IPO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SV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포지티브인베스트먼트, TKG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으며,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일본, 인도 등 현지법인 설립 통한 해외 진출, 생성형 AI 기반 글로벌 창업 교육 솔루션 강화 등에 사용할 계획

(2025년 1월 1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3 Jan, 00:22


안면 인식으로 건강상태 10초 내 파악, '지비소프트'

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8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안면인식을 통한 생체신호 인식 기술 개발 기업, '지비소프트'가 8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지비소프트' 기업개요

- 2017년 박기범 대표가 설립한 안면인식 기반 생체신호 측정 솔루션 기업
- 카메라가 얼굴색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발열, 혈압, 졸음도, 컨디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생체 신호 파악 가능
- 기존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은 1분 이상이 소요됐으나, 동사는 측정 속도를 10초 내외와 93% 이상의 높은 정확도로 단축하며 차별화
- 건설현장에서의 임직원 건강 상태 측정과 운전자의 졸음도 측정 등 의료, 제조, 모빌리티와 같은 다양한 산업 내 활용 중
-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 내 7개 국가에 수출 진행 중이며, 향후 B2B에서 B2C로 사업 확대할 계획

■ 80억원 시리즈 B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80억원 규모로 솔리더스인베스트가 참여. 누적 투자 123억원 달성
- 투자 전 기업가치는 약 500억원으로 직전 투자 라운드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향후 '27년내 상장 목표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비접촉 생체 인식 분야의 높은 기술력으로 다양한 산업 내 고객사를 확대해갈 지비소프트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1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2 Jan, 23:36


쏘카 BMW와 BEV Membership Experience Program 2024- 2027 체결.

1. 계약기간: 2024.12.26 - 2027.12.25
2. 계약금액: 약 297억원
3. 내용: 약 300대 규모의 BMW 전기차 시승 프로그램 운영 계획. 올 상반기내 해당 프로그램 개시 예정
4. 계약체결일 기준 예상 매출액으로 가동횟수 및 운영대수 변동 가능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2 Jan, 23:21


(유가)쏘카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13800010

2025.01.13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0 Jan, 00:12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업, '플랫포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폰기프트를 운영하고 있는 '플랫포스'가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플랫포스' 기업개요

-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폰기프트 운영사.
- 누구나 쉽게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고 유통,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가능한 솔루션 제공. 면세점, 동물병원, 호텔, 자동차 애프터마켓 등에 적용.
- '양자 난수'를 적용해 상품권 발행의 안정성을 확보한 모바일 상품권으로 260종의 API 확보해, 연동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초경량 SDK(99KB) 용량으로 기술적 우수성이 특징

■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인포뱅크, 효성벤처스, IBK기업은행이 참여했으며,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대형 클라이언트 유치 및 글로벌 시장 확대(해외 통화 및 다국어 지원 등 국가 제한 없는 모바일 상품권 발행, 시스템 고도화)에 사용할 계획

(2025년 1월 10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8 Jan, 23:48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보안 솔루션 기업, '잉카엔트웍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11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콘텐츠 보안 솔루션 기업, '잉카엔트웍스'가 111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잉카엔트웍스' 기업개요

- 2000년 안성민 대표가 설립한 클라우드 기반 보안 SaaS 솔루션 제공 기업
- 대표 서비스인 모바일 앱 보안, '앱실링'과 미디어 콘텐츠 보안, '팰리컨' 개발
- 앱실링은 모바일 게임 해킹과 OTT앱 무료 접근 등 사이버 공격에 대한 보안 솔루션과 팰리컨은 포렌식 워터마킹(디지털 워터마크의 한 종류로 콘텐츠 소유자를 넘어 구매자 정보까지 포함) 솔루션 제공
- 현재 네이버, CJ E&M, 티빙, 데브시스터즈 등 국내 고객사와 AMC네트워크,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도국영은행 등 글로벌 포함 약 400개의 고객사 확보 및 ARR(연간반복매출) 100억원 이상 기록
- 특히 해외 매출액이 최근 3년간 CAGR +43% 기록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아시아 지역을 넘어 북미, 유럽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할 계획

■ 111억원 시리즈 C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SV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이노폴리스파트너스, IBK기업은행이 참여. 누적 투자 약 165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AI 기술을 활용하며 제품을 고도화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콘텐츠 보안 솔루션 기업으로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의 확장성이 기대되는 잉카엔트웍스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9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7 Jan, 23:36


의료 AI 솔루션 플랫폼 기업, '마이허브'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43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의료 AI 통합 플랫폼 기업 '마이허브'가 43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마이허브' 기업개요

- 의료 AI 통합 플랫폼 '마이링크(mailink)'를 개발해 병원들에게 AI 솔루션 도입을 지원. 마이링크는 AI 영상 정규화 처리 기술(의료 영상을 AI가 분석하기 쉽게 표준화) 및 병원 시스템과 AI 연동 기술, 의료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 등이 통합되어 의료 기관의 효율성 고도화에 기여
- 현재 약 300개 이상의 의료 기관에서 활용 중이며, 특히 중소규모 병원에도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1,2차 병원에서 도입하기 어려웠던 의료AI 기술의 접근성을 높임.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의료기기청 인증 완료) 등 해외 국가 서비스 도입 논의 중
- 환자들에게 질병 예측부터 진단, 관리까지 통합 서비스 제공 가능한 건강검진 패키지 및 리포트 시스템 개발 중

■ 43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한국투자파트너스, 하나벤처스, 빅베이슨, 슈미트,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DHP)가 참여했으며 누적 투자금액 50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의료 서비스 품질이 제한적인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사용할 계획

(2025년 1월 8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Jan, 23:21


의료용 마이크로니들 개발 기업, '쿼드메디슨'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70억원 규모 Pre-IPO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붙이는 주사, '마이크로니들' 개발 기업, '쿼드메디슨'이 7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쿼드메디슨' 기업개요

- 2016년 의공학을 전공한 백승기 대표가 설립한 마이크로니들 개발 기업
- 마이크로니들은 미세한 바늘로 구성된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는 형태로 약물 전달이 가능한 차세대 의료 제품. 일반 주사 대비 숙련된 의료진이 필요 없으며, 낮은 단가와 통증이 적은 장점 보유
- 국내 최초 백신용 마이크로니들에 대해 국내 식약처 임상 1상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골다공증 치료용에 대한 글로벌 임상 1상도 진행 중
- 또한 동사는 GMP(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를 충족한 무균 공정까지 자체 개발하며, 장비 부터 생산 관리까지 토탈 시스템 구축
- 향후 대량 생산 구축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의료기기까지 마이크로니들 기술력을 도입할 계획

■ 70억원 Pre-IPO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신한벤처투자, 호라이즌인베스트먼트, 에이온인베스트먼트, 카익투벤처스, 엠엠에스벤처스, 연세대학교 바이오헬스기술지주가 참여. 누적 투자 350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추가 임상 진입을 위한 파이프라인 개발에 사용할 계획이며, 연내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마이크로니들 기술력을 기반으로 토탈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하는 쿼드메디슨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7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Jan, 00:55


글로벌 최대 권선 기업, '에식스솔루션즈'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2억 달러 규모 Pre-IPO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글로벌 최대 권선 기업, 에식스솔루션즈가 2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에식스솔루션즈' 기업개요

- 에식스솔루션즈는 2008년 LS가 인수한 에식스(1930년 설립된 미국 전선 기업)를 기반으로 권선 사업 영위. 당시 LS그룹은 에식스를 약 1조원에 인수했으며, 권선과 통신선 제품 다양화하며 포트폴리오 확장
- 권선은 변압기, 모터 등 전자 장치에 감는 피복 구리선이며, 동사는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특수 권선과 대용량 변압기용 권선에 특화
- 또한 지난 3월 일본 후루카와 전기와 설립한 합작 법인의 지분 전량 인수하며, 글로벌 권선 산업 내 영향력 확대

■ 2억 달러 Pre-IPO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미래에셋-KCGI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에식스솔루션즈 지분 20% 확보
- 동사는 '25년 내 본격적인 상장 추진 계획으로,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상장 전 시가총액 약 10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 (출처: 언론보도)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글로벌 1위 권선 기업으로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해갈 에식스솔루션즈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5년 1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3 Jan, 03:30


실감형 디지털 트윈 기술, '모빌테크'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30억원 추가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실감형 디지털 트윈 및 라이다 기술 기업 '모빌테크'가 30억원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모빌테크' 기업개요

- 모빌테크는 라이다와 카메라를 융합한 고정밀 지도 구축 시스템 보유. 해당 시스템 기반 초실감형 디지털 트윈 플랫폼 '레플리카 시티' 제공
- 특히, MMS(모바일 매핑 시스템), SLAM(자율주행위치인식), 데이터 처리 분야 등에 높은 기술력 보유
- 동사의 디지털 트윈 데이터는 엔비디아 옴니버스, 언리얼 엔진 등과 호환 가능해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
- 국내 완성차 OEM 기업, 글로벌 라이다 기업 등과 파트너십 구축하며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국방 분야로 확대 적용 중

■ 30억원 추가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지난 13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 이후 추가 30억원 투자 유치. CJ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으며 누적 투자금액 200억원 이상 달성(네이버 D2SF, 현대자동차그룹 제로원, 한국투자증권, 삼성벤처투자, SJ투자파트너스, 위벤처스, 우리은행 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코스닥 상장 추진에 사용할 계획

(2025년 1월 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Jan, 08:26


출처:더벨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Jan, 04:04


12월 IPO Market Monthly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움추린 IPO 시장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12월 IPO market monthly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삼성 코멘트

- 12월 대부분의 상장 종목 공모가 밴드 하회하며 공모 가격 결정. 따라서 상장 기업의 상장 당일 종가 평균은 약 27% 상승하며 최근 수개월간 부진했던 수익률 대비 양호한 주가 흐름
- 다만 대형 IPO로 기대감 높았던 '엠앤씨솔루션'이 상장 당일 하락하며 '24년 IPO 시장 부진하게 마무리
- 향후 유가증권 상장 예정인 LG CNS의 흥행 여부가 IPO 시장 반등에 중요한 기점이 될 것


■ 12월 IPO 실적

- 12월 IPO는 총 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건 증가했으며, 공모 금액은 2,459억원으로 329억원 감소
- 12월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718:1, 일반 청약 경쟁률 579:1 기록했으며, 공모가 밴드 상단 2개, 하단 미달 5개 기업 기록


■ '25년 1월 IPO 전망

- 1월은 미트박스글로벌, 와이즈넛, 아스테라시스, 데이원컴퍼니 등 약 7개사 상장 예정
- 공모금액은 1,243~1,468억원으로 전망되며, 전년 동월 5개사, 공모금액 1,241억원 대비 소폭 증가 전망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12월 IPO Market Monthly - 움추린 IPO 시장

(2025년 1월 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Jan, 01:39


https://www.samsungpop.com/streamdocs/mail/sd;streamdocsId=-8XI7RtEaCJyHvBpGrt09tSZs1XrmD-34I04JcuNi5I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Jan, 01:39


23년 2월에 작성한 이마고웍스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Jan, 01:35


디지털 덴티스트리 솔루션 기업, '이마고웍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23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AI 디지털 덴티스트리 솔루션 기업, '이마고웍스'가 23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이마고웍스' 기업개요

- 이마고웍스는 AI 기반 치과용 웹 CAD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의공학연구소 메디컬 IT팀에서 연구한 김영준 대표가 2019년 11월 설립
- 2022년 치아 보철물 디자인 솔루션 'Dentbird Solutions' 출시. 글로벌 치과의사, 치과 기공사 등에게 디지털 치료에 최적화된 웹기반 AI 솔루션 제공(미국, 일본 등 전 세계 110여개 국가의 치과의사, 치과기공사 고객 확보)
- 기존 방식은 구강 모양에 맞게 재료 가공 및 보철물 제작에 7~10일 소요. 이마고웍스 솔루션은 환자 치아 3D 스캔 데이터 AI가 분석, 치료 치아를 찾아 보철물을 스스로 디자인. 환자는 보철물 치료를 위해 최소 1회 방문으로 치료 시간 크게 단축 가능한 장점

■ 230억원 시리즈 C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230억원 규모로 스틱벤처스, K2인베스트먼트가 리드, TS인베스트먼트, IBK기업은행, TCG(대만 헬스케어 전문 PE)가 참여. 누적 투자금액 380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글로벌 시장 확대 및 마케팅 영업에 사용할 계획

(2025년 1월 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7 Dec, 00:08


저희 비상장솔루션팀 이혜인 연구원이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상장 주관사 의무발간보고서로 Not rated로 작성했습니다. 혹시 세미나 원하시는 고객분은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7 Dec, 00:06


노브랜드(145170/Not Rated)

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디자인 플랫폼으로 경쟁력 확보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노브랜드(145170)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ㆍ 기획-디자인-제조까지 담당하는 디자인 플랫폼으로 기존 OEM 대비 경쟁력 확보
ㆍ 자체 디자인 기반 빠른 생산으로 고객사의 추가 오더 물량에 대응 가능
ㆍ 아웃도어 OEM 인수 및 기존 고객사 GAP 추가 수주 가능성 기대

■ 디자인 플랫폼으로 OEM 대비 차별화

노브랜드는 기존 OEM과 달리 단순 제조를 넘어 선제적으로 제품을 기획-디자인하고 바이어에게 제시하는 디자인 플랫폼 구축. 약 70여개의 다양한 고객사를 통해 패션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고, 높은 비중의 R&D 인력으로 자체 디자인 플랫폼 경쟁력 강화. 디자인 플랫폼은 고객 락인 비중을 높이고 수익성 개선 효과가 있어, 디자인 플랫폼 제품은 기존 OEM 제품 대비 약 15~20% 높은 매출 총이익률 달성 가능

■ 자체 디자인 기반 빠른 생산으로 추가 오더 대응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디자인은 바이어가 요청하는 디자인 대비 빠른 생산이 가능한 장점 보유. 이는 바이어의 추가 오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추가 수주 확보 가능. 미국 대형 유통 업체는 인기 상품의 초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연간 구매 예산의 20%를 별도로 할당. 동사는 디자인 플랫폼 기반의 자체 디자인과 인증된 생산 라인을 통해 '높은 품질-빠른 제조'로 경쟁력 확보

■ 아웃도어 OEM 인수 및 GAP 추가 수주 가능성

지난 10월 아웃도어 OEM, '유니코글로벌아이앤씨'를 260억원에 인수하며, 제품 카테고리 확대. 기존 니트와 우븐 외 아웃도어 생산 공정까지 확보하며, 신규 아웃도어 고객 발굴에 나설 계획. 또한 최대 고객사인 GAP이 재고 확보에 나서고 있는 만큼 추가 수주 확보가 기대되는 상황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이창희)노브랜드(145170/Not Rated) - 디자인 플랫폼으로 경쟁력 확보

(2024년 12월 17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9 Dec, 07:10


[아이에스티이 철회신고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9000294

* 당사는 보통주에 대한 공모를 진행하여 최종 공모가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나 회사의 가치를 적절히 평가 받기 어려운 측면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의 동의 하에 잔여 일정을 취소하고 철회신고서를 제출합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Dec, 08:43


[롯데렌탈 매각 관련 Comment]

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롯데렌탈 최대 주주 호텔롯데, 부산롯데호텔은 Affinity와 MOU 체결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롯데렌탈 매각 관련 코멘트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각 개요)

- 12월 6일 롯데렌탈의 최대 주주 (주)호텔롯데와 주요 주주인 (주)부산롯데호텔등은 Affinity Equity Partners (S) Pte Ltd와 MOU(양해각서)를 체결
- 매매 대상 주식은(지분율) 보통주식 20,396,594주(56.2%)
- (주)호텔롯데 : 12,715,083주
- (주)부산롯데호텔 : 7,681,511주
※ 매매 대상 주식 제외 잔여 주식(총 1,815,469주, 5%)은 최대 주주 등이 계속 보유
- 매매 대금은 15,729억원(1주당 77,115원)(단, 실사 결과 및 가격 조정 절차에 따라 최종 매매 대금은 변동될 수 있음)
- 향후 일정은 본 양해각서 체결 후, 실사 및 구체적인 거래 조건에 대한 협상을 통해 주식 매매 계약의 최종 내용이 결정될 예정이며, 주식 매매 계약의 체결 여부는 추후 진행 과정에 따라 공시할 예정.

(참고 사항)

- Affinity Equity Partners는 지난 8월 렌터카 2위 업체인 SK렌터카 8,200억원에 인수. 향후 렌터카 1위 기업인 롯데렌탈 인수에 성공한다면, 시장 점유율 36%로 통합 1위 기업으로 도약 가능(롯데렌탈 M/S 21%, SK렌터카 M/S 15%)
- 롯데렌탈 23년 기준 매출액 2.77조원, 영업이익 3,052억원. SK렌터카 23년 기준 매출액 1.4조원, 영업이익 1,219억원
- 롯데렌탈은 향후 3년간 SK렌터카와 별도법인으로 운영되며, 해당 기간에는 롯데 브랜드를 사용할 예정

(2024년 12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Dec, 08:09


롯데렌탈 매각 관련해 최대주주인 호텔롯데, 부산롯데호텔은 어피니티 pe와 MOU 체결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Dec, 08:08


(유가)롯데렌탈 - 조회공시요구(풍문또는보도)에대한답변(미확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06800560

2024.12.06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Dec, 07:20


11월 IPO Market Monthly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수요예측 시장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11월 IPO market monthly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삼성 코멘트

- 11월 상장 기업 또한 지난 9, 10월에 이어 상장 당일 큰 폭의 주가 하락 지속
- 투자자들의 수요 예측 경쟁률은 높아지고 있으나,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낮은 상황
- 공모주를 우선적으로 배정받기 위해 밴드 가격 대비 높은 가격을 제출하는 기관이 많아, 기업의 적정 가격을 왜곡하는 등 수요예측 시장 내 구조적 문제 존재

■ 11월 IPO 실적

- 11월 IPO는 총 13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4건 감소, 공모 금액은 3,917억원으로 5,313억원 감소
- 이는 '23년 11월 에코프로머티 상장(공모금액 4,192억원)과 올해 11월 대형 IPO 기업 없었던 것이 원인
- 11월 상장 기업 중 약 80%가 공모가 밴드 상단 및 상단 초과 달성했음에도, 3종목(더본코리아, 쓰리빌리언, 위츠)외 월말 기준 주가는 공모가 하회하며 부진 지속

■ 12월 IPO 전망

- 12월은 약 8개사 상장 예정으로 전년 동월 6개사 대비 증가할 전망
- 또한 그 중 유가증권 상장 예정인 방위산업 기업, '엠앤씨솔루션'의 공모금액은 2,400~2,799억원 수준으로 전년 동월 공모금액 2,788억원 대비 증가 전망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11월 IPO Market Monthly - 수요예측 시장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

(2024년 12월 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Dec, 07:20


비상장 콥데이 Takeaways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제 1회 비상장 콥데이 개최: 11개의 유망 스타트업 초청

- 지난 11월 20일 세컨더리 시장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제 1회 스타트업 콥데이 개최
- 성장성이 높고 혁신성이 뛰어난 비상장 기업에 대한 기관 투자자 관심도 증가
- 향후에도 트렌드에 맞는 유망한 비상장 기업을 발굴하고 소개할 예정

[Summary]

저희 비상장솔루션팀에서는 2024년 11월 20일, 전도 유망한 스타트업을 초청해 비상장 콥데이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콥데이는 성장성이 높은 비상장 기업에 대한 세컨더리 시장 투자자의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공모주 및 상장 주식 펀드매니저 등 기관 투자자에게 초점을 맞춰 진행했습니다.

처음으로 펀드매니저를 대상으로 비상장 콥데이를 개최한 만큼 투자자분들의 높은 관심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대표님들도 상장 시장의 시점 및 가치관에 대해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가능했던 부분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이 많았습니다.

향후에도 트렌드에 맞는 테마를 정해 업계 최고의 비상장 기업들을 초청하고 콥데이를 진행해 투자자들의 풀을 넓히고 기업들에게도 투자자들과 의사소통 가능한 장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저희 1회 비상장 콥데이에 참여한 기업을 소개하는 리포트를 작성했습니다. 대한민국을 혁신하고 성장을 주도할 비상장 기업들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8개 기업 리포트>

1. 고피자 - '피자계의 맥도날드'를 목표로 하는 1인 피자 제조 푸드테크 기업

2. 퍼스트캔버스 - 남성 짐웨어 브랜드, 'HDEX' 운영사

3. 콘스탄트 - 여성 탈모 고민 해결, 탈모 헬스케어 브랜드, '리필드' 운영

4. 엔벤트릭 - 차세대 혈관 질환 치료 의료기기 개발

5. 세탁특공대 - 비대면 모바일 세탁 서비스 1위 기업

6. 콜리 - IP 비즈니스에 관한 토탈 솔루션 제공 기업

7. 엔도로보틱스 - 비침습 내시경 치료 수술 로봇 개발

8. 엘디카본 - 폐타이어 활용 친환경 카본블랙 생산

[추천] 비상장 콥데이 Takeaways - 유망 스타트업 초대

(2024년 12월 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1 Nov, 10:16


-롯데렌탈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1 Nov, 10:16


기업측에 입장은 사실무근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1 Nov, 10:15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00857?sid=101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9 Nov, 22:04


기관명+ 성함 기재 해주시면 webex 접속 허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9 Nov, 22:03


오늘 9시부터 비상장 콥데이 개최 예정입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9 Nov, 22:03


<비상장 콥데이 개최>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솔루션팀 이창희입니다.

11월 20일 수요일 총 10개의 유망 비상장 기업의 콥데이가 개최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당일 아래 링크로 접속 부탁드립니다.

비상장 콥데이 링크:

https://samsungsecurities.webex.com/samsungsecurities-ko/j.php?MTID=mb1624ddb5066bd34d5f5c64783a8b4f4

이번 콥데이는 삼성증권 고객에 한정해 제공 예정입니다. 기관명과 성함을 기재 후 접속 요청해주시면, 저희 법인영업팀에서 링크 접속을 도와주실 예정이십니다.

이외에도 관심 있으신분들은 삼성증권 법인영업팀이나 저에게 개별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창희 드림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9 Nov, 07:29


[비상장리포트] 슈퍼센트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하이퍼 캐주얼 게임사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하이퍼캐주얼 게임 개발 및 퍼블리셔 기업, '슈퍼센트' 비상장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 슈퍼센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1) '21년 3월 법인 설립 이후, 다운로드 1,000만 건 이상의 흥행작 13개(Pizza Ready 누적 1.5억건 이상, Burger Please 누적 1억건 이상 등)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
- (2) 하이퍼캐주얼 게임 매출의 대부분이 광고 매출 기반으로 현재 모바일 매체 중심으로 변화하는 광고 시장에 따른 추가 성장이 기대

■ 슈퍼센트의 경쟁력

(1) 흥행 게임 개발 노하우 확보

- 하이퍼캐주얼 게임 시장의 경쟁 강도 및 유저들의 난이도가 상승하는 가운데 슈퍼센트는 설립 3년 만에 1,000만 다운로드 게임 13개를 출시 및 누적 다운로드 7억 건 달성
- 이러한 높은 트래픽을 기반으로 현재 약 30개의 게임에서 월 평균 60억건의 글로벌 광고 물량 소화, 시장 평균 대비 2배 높은 광고 수익 실현
- 동사는 향후 하이퍼캐주얼의 낮은 LTV(Life Time Value)를 보완하기 위해, 더 높은 LTV를 창출하는 하이브리드(광고+인앱 과금 결제)게임과 Deep Hyper 게임 개발에 집중할 계획

(2) 글로벌 No.1 퍼블리셔 목표

- Pizza Ready, Burger Please 등 연속 히트작을 기반으로 슈퍼센트는 '23년 한국 전체 앱 퍼블리셔 1위, '24년 글로벌 게임 퍼블리셔 10위 기록
- 현재 글로벌 15개 국가, 50개의 파트너 개발사를 확보했으며, 향후 퍼블리싱 자동화 플랫폼 구축을 통해 파트너사의 생산성 개선 나설 계획


■ 리스크 요인: 흥행 게임 지속 출시가 관건

- 하이퍼캐주얼 게임은 트렌드에 민감한 만큼 시장에 대응해 새롭게 게임을 출시해야하는 어려움 존재
- 하지만 동사는 히트작 출시 경험에 기반한 노하우로 다양한 테마의 게임 개발을 통해 대응할 계획


■ 경쟁사

- Voodoo, ABI Game Studio, Zynga, 모비릭스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에서 작성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비상장리포트] 슈퍼센트 -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하이퍼 캐주얼 게임회사

(2024년 11월 19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4 Nov, 00:53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pinned «<비상장 콥데이 개최>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솔루션팀 이창희입니다. 11월 20일 수요일 총 10개의 유망 비상장 기업의 콥데이가 개최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당일 아래 링크로 접속 부탁드립니다. 비상장 콥데이 링크: https://samsungsecurities.webex.com/samsungsecurities-ko/j.php?MTID=mb1624ddb5066bd34d5f5c64783a8b4f4 이번 콥데이는 삼성증권 고객에…»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4 Nov, 00:53


<비상장 콥데이 개최>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솔루션팀 이창희입니다.

11월 20일 수요일 총 10개의 유망 비상장 기업의 콥데이가 개최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당일 아래 링크로 접속 부탁드립니다.

비상장 콥데이 링크:

https://samsungsecurities.webex.com/samsungsecurities-ko/j.php?MTID=mb1624ddb5066bd34d5f5c64783a8b4f4

이번 콥데이는 삼성증권 고객에 한정해 제공 예정입니다. 기관명과 성함을 기재 후 접속 요청해주시면, 저희 법인영업팀에서 링크 접속을 도와주실 예정이십니다.

이외에도 관심 있으신분들은 삼성증권 법인영업팀이나 저에게 개별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창희 드림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2 Nov, 23:53


중고 명품시계 거래 플랫폼, '바이버'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5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중고 명품시계 거래 플랫폼, '바이버'가 1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바이버' 기업개요

- 2021년 두나무의 자회사로 편입됐으며, 컬리 CSO 출신 문제연 부사장을 대표로 선임
- 바이버는 중고 명품시계 플랫폼으로 온라인 서비스로 100% 정품 인증, 시계 시세 서비스 제공
- 이외 솔루션 차별화를 위해 압구정 내 오프라인 쇼룸과 롤렉스, 오데마 피게 출신의 엔지니어를 통한 진단, 수리 서비스 제공
- 현재 등록된 물량은 약 1만 6,000개로, 시계 단일 카테고리로 누적 거래액 1,000억원 기록

■ 150억원 시리즈 B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150억원 규모로 모회사인 두나무가 투자 유치. 누적 투자 295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핸 플랫폼 고도화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한 실물자산 거래 플랫폼, 바이버와 두나무의 디지털자산 거래 노하우의 향후 시너지가 주목됩니다.

(2024년 11월 1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1 Nov, 23:17


미트박스글로벌 수요예측 부진으로 상장 철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1 Nov, 23:17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1000241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7 Nov, 22:44


동방메디컬 수요예측 부진으로 상장 철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7 Nov, 22:44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7000337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Nov, 00:54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상장]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상장 흥행 성공, 단기 IPO 시장 반등 기대감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오늘 상장한 더본코리아 코멘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Samsung's Comment

- 11월 6일 더본코리아(커피, 중식, 피자 등 외식 분야 25개 브랜드 보유) 코스피 시장 상장
- 공모가 34,000원,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4,918억원(백종원 대표 지분 76.69%, 2년 6개월 락업)
- 공모금액은 1,020억원으로 신메뉴 개발 등 운영자금, 도소매전문 식품기업과 푸드테크 관련 기업 인수에 사용 예정
- 상장 시초가 46,350원, 36.3% 상승, 장중 64,500원, 89.7%까지 상승. 현재 9시 30분 기준 55,800원 64.1% 상승 증
- 주요 투자 포인트는 1) 프랜차이즈 글로벌 확대, 2) HMR, 간편 소스 등 유통 매출 확대, 3) 지역개발사업 확대. 향후 '25년 매출액 컨센서스(FnGuide)는 약 10% 내외의 성장 전망
- 최근 IPO 시장은 리스크는 커지고 수익률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더본코리아 흥행에 성공하며, 단기 IPO 시장 반등 기대감 조성. 다만, 음식료 평균 PER 및 국내 대표 프랜차이즈 교촌치킨 PER 고려시 다소 높은 밸류에이션 구간으로 주가 변동성에 대한 주의는 필요.

■ 향후 IPO 예정 기업

- 노머스, 닷밀 등 10개사 상장 예정으로 '23년 11월 공모금액 9,230억원 대비 공모금액은 감소할 전망
- 서울보증보험이 10월 21일 상장 예비심사 결과, 상장 요건 충족해 4분기 내 상장 가능성 존재

<향후 IPO 일정>

11/7 토모큐브
11/8 에어레인
11/12 노머스
11/13 닷밀
11/14 쓰리빌리언
11/18 엠오티, 에스켐
11/19 사이냅소프트
11/20 위츠
11/21 동방메디칼
11/22 미트박스글로벌

[추천] (이창희) 10월 IPO monthly letter - 케이뱅크 상장 철회로 투자 심리 위축

(2024년 11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6 Nov, 00:39


[롯데렌탈 3Q24 실적 Review]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사업모델 전환에 따른 단기 손익 감소 마무리 단계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롯데렌탈 3Q24 Review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ㆍ 3분기 매출액 7,185억원(YoY +4.5%), 영업이익 805억원(YoY -1.1%) 기록
ㆍ 카셰어링 사업 적자 및 사업모델 전환에 따른 비용 증가로 컨센서스(FnGuide) 하회하는 실적
ㆍ 목표주가 38,000원으로 유지 (경쟁사 EV/EBITDA 4.3배), 투자의견 BUY 유지

■ 3분기 실적 Review

롯데렌탈은 3분기 매출액 7,185억원(YoY +4.5%), 영업이익 805억원(YoY -1.1%) 기록하며,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FnGuide) 840억원 하회. 이는 카셰어링 사업 부문(G Car)의 실적 개선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 또한 사업모델 전환에 따른 중고차 매각 이익 감소 및 중고차 렌탈 상품화 비용 증가가 원인

긍정적인 점은 사업모델 전환에 따른 단기 손익 감소 마무리 단계. 우선 카셰어링 부분에 구체적인 실적 개선 계획 (1) 장기렌터카-카셰어링 번들 상품 출시 (2) 코레일, 따릉이 등 교통수단 제휴 및 공유 오피스 등 법인 제휴 확대, (3) 보험료 개인화, (4) AI도입 등 제시하며, '25년 흑자전환 달성 목표

■ 중고차 B2C 매매 사업 개시 예정
'24년 11월 중고차 B2C 온라인 플랫폼과 소매 전시장(가양동) 런칭하고, '25년 상반기 단독 App 출시를 계획. '25년 B2C 거래대수 2만대, 매출액 3,000억원, 시장 점유율 1.9% 달성 목표

■ 목표주가 38,000원 유지

목표주가 38,000원(경쟁사 EV/EBITDA 4.3배 적용, Blooberg), 투자 의견 유지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이창희)롯데렌탈(089860/BUY) - 사업모델 전환에 따른 단기 손익 감소 마무리 단계

(2024년 11월 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5 Nov, 09:06


롯데렌탈 '24년 3분기 실적 Q&A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롯데렌탈 2024년 3분기 실적 Q&A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3분기 컨센서스 하회한 이유

- 렌탈 사업 강화는 잘 이루어 지고 있으나, 카셰어링 회복 늦어지는 모습
- 연초 3분기 내에 카셰어링 BEP 달성 전망했으나, 이번 분기 30~40억원 손실
- 카셰어링 수익 하락이 영업이익 가이던스 차이의 원인

2. B2C 중고차 매매 플랫폼 마진율 전망
- 초기에는 신규 매물을 직접 매입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중고 차량을 매물로 사용. 향후 매입해서 판매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할 계획
- 자사 물량의 경우, 수익률이 높을 것이나 소매 유통 개시할 시, 전체 수익률은 하락할 전망
- 수익률 방어를 위해 렌탈 본업의 매출 성장에 집중할 계획

3. 금리에 따른 당사 이자비용 변동
- 금리 0.5% 인하 시, 3년간 감소하는 이자비용은 330억원 수준 (연평균 108억원, 차액금 평균 만기 3년, 분할상환 방식)
- 만기에 가까워질 수록 이자 비용 절감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구조

4. 중고차 렌탈은 '24년 1월 월 1,000대 돌파 이후, 가파르게 상승하지는 못하는 모습
- 1,000대 수치는 플랫폼에 등재되는 중고차 렌탈 물량과 비슷한 수준
- 1달 안에 1,000대의 차량을 중고차 렌탈로 판매하고 있는 상황
- 물량 확대를 위해 9월, 10월 부터는 9~10만km 주행 차량에 대해서도 중고차 렌탈 상품 전환을 위한 테스트 진행 중
- '25년부터는 10만km 주행 차량까지 상품화할 계획
- 하지만 대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자사 차량만으로는 중고차 렌탈을 급격하게 늘리기는 어려운 상황
- 물량 확대는 향후 중고차 플랫폼 소매 사업을 통해 차량 매입을 확대해갈 계획
- 매입한 중고 차량을 중고차 렌탈 혹은 소매로 나누어서 판매 예정

5. 중고차 매입 실시 후의 변화
- 매입 개시 시, 현재 중고차 렌탈 차량 등재 대수 및 매각 대수 2배 이상 성장 전망
- 현재 등재되는 현재의 월 1,000대 물량은 선별적으로 차량을 등재한 것으로 향후 물량 늘어날 업사이드 존재

6. 4분기 가이던스가 공격적인 것으로 생각. 어떻게 달성 가능한지?
- 장기 렌터카 순증 진행 중. '23년에는 순증 규모가 (-) 였으나, '24년부터 (+) 전환 후, 지속적으로 증가
- '24년 10월에는 순증 기준 최고 규모 기록하며, 오토렌탈이 큰 폭으로 성장 가능할 것

7. Gcar 흑자 전환 시점
- Gcar는 30대 이상을 타겟으로 새로운 차종, 새로운 브랜드로 리브랜딩 진행 중
- 분기 기준으로는 '25년 2~3분기 내 흑자전환 목표

8. 싱가폴 NDR 후기
- 해외 투자자들은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 실적에 관심을 갖는 모습 ('25,'26년의 변화에 주목)
- 주주환원 및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국내 투자자들 대비 관심이 높음
- 또한 렌탈 사업을 처음 접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동사의 중고차 B2C 사업에 대한 관심도 높은편

(2024년 11월 5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5 Nov, 00:19


투자 한파 극복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26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라이드플럭스'가 26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라이드플럭스' 기업 개요

- 2018년 MIT 기계공학 박사 출신으로 LG전자에서 ADAS 책임연구원을 맡았던 박중희 대표가 설립
- 제주공항과 쏘카스테이션을 잇는 자율주행 서비스 론칭 후, 설립 2년 만에 제주도 실시간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진행
- 이외 정부세종청사 순환형 셔트 서비스, 왕복 116km 최장 거리에 달하는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제주시청-서귀포제1청사) 개시하며, 기술력 입증
- 동사는 향후 제주 외 서울 상암, 부산 오시리아 등으로 서비스 확대와 화물 운송 시장에 진출할 계획
- 현재 25톤 자율주행 트럭 개발 진행 중으로, 군산항-전주물류센터 구간에서 운행될 예정

■ 260억원 시리즈 B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260억원 규모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뮤렉스파트너스, IBK기업은행, 아이엠투자파트너스, 프렌드투자파트너스, 한국투자증권, 엔베스터가 참여. 누적 투자 552억원 달성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인재 확보 및 화물 시장 등 사업 확장에 사용할 계획

최근의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완전자율주행 기술의 시장성을 입증하고 국내 최고 자율주행 기업으로 성장하는 '라이드플럭스'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1월 5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4 Nov, 07:43


[10월 IPO monthly letter]

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케이뱅크 상장 철회로 투자 심리 위축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9월, 10월 IPO monthly letter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삼성 코멘트

- 최근 IPO 시장은 리스크는 커지고 수익률 달성은 어려워지는 모습
- 투자자들의 수요 예측 경쟁률은 높으나,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낮으며, 공모가 대비 큰 폭의 주가 하락 지속
- 11월 6일 상장 예정인 더본코리아 흥행 여부에 따라, 단기 반등 가능성 존재. 하지만 더본코리아 마저 흥행 실패 시, 국내 IPO 시장에 대한 변동성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

■ 10월 IPO 실적

- 10월 IPO는 총 1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건 증가, 공모 금액은 2,516억원 감소한 4,023억원 수준
- 올해 10월 대형 IPO로 주목받던 케이뱅크 상장 철회함에 따라, 공모규모 감소
- 상장 당일 공모가 대비 종가 10개사 평균 9.4%, 10월 31일 기준으로는 주가 수익률 공모가 대비 -19.7% 기록

■ 시초가 상승 뒤 주가하락 이어져

- 10월 시장은 전체 상장 기업 중 80%가 공모가 밴드 상단 초과에도 불구, 10월 31일까지 주가 하락 이어지며 투자 심리 위축
- 이는 상장 기업가치가 다소 높게 측정되고, 투자자들의 의무보유 확약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투자 형태가 단기 투자에 집중됐기 때문

■ 11월 IPO 전망

- HEM파마, 노머스, 닷밀, 더본코리아 등 약 9개사 상장 예정으로 '23년 11월 공모금액 9,230억원 대비 감소할 전망
- 서울보증보험이 10월 21일 상장 예비심사 결과, 상장 요건을 충족해 4분기 내 상장 가능성 존재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이창희) 10월 IPO monthly letter - 케이뱅크 상장 철회로 투자 심리 위축

(2024년 11월 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4 Nov, 05:52


[비상장리포트] 데크카본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국내 유일 초고온 경량 탄소 복합재 기업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국내 유일 초고온 경량 탄소 복합재 전문 기업, '데크카본' 비상장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 데크카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1) 국내 유일 초고온 경량 탄소 복합재 전문 기업으로 동사의 제품은 높은 내열성과 초경량성이 장점
- (2) 동사가 개발한 탄소 복합재는 현재 방산, 항공, 우주, 자동차, 전략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외 민간 항공기, 반도체, 에너지 분야 등으로의 높은 확장 가능성까지 갖춤

■ 데크카본의 경쟁력

(1) 자체 개발 탄소 복합재의 경쟁력

- 3,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높은 내열성과 주철계에 비해 무게가 1/4 수준으로 경량성 또한 갖춘 소재
- 기존 공정 대비 비용이 낮고, 초고온 환경에 우수한 특성을 갖춘 신공정 개발을 통해 제조 시간 단축 및 소재의 내열성, 내충격성, 내산화성, 내침식성 개선

(2)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탄소 복합재

- 방위산업: 유도무기 노즐/첨두 생산업체로 지정. 국내 생산되는 유도무기에 복합재 공급 중
- 항공산업: F-16 Block32/52, T/TA/FA-50 등 전투기용 탄소 브레이크 디스크를 한국 공군 및 인도네시아, 칠레, 태국 등 해외 공군에 수출 중
- 자동차산업: 기존 브레이크 디스크의 한계점을 해결한 탄소-세라믹 복합재 개발. 1,300도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어, 출력이 높은 자동차에서도 안정적 제동 가능

(3) 산업 확장 가능성
- 향후 탄소 브레이크 디스크를 글로벌 대형 항공기 제조 기업(보잉, 에어버스 등)에 납품 목표. 민항기 시장은 전투기 시장 대비 규모가 큰 만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
- 또한 복합재의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바탕으로 반도체 장비, 에너지 분야 등으로 적용 범위 확대될 것으로 예상

■ 리스크 요인: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향 사업 확대가 관건

- 항공산업용 탄소 브레이크 디스크 매출 확대를 위해서, 해외 항공기 제조사를 고객사로 확보해야 하나, 네트워크 및 높은 기술력이 요구돼 사업 난이도가 높은 상황
- 하지만 동사의 제품은 글로벌 제품과 성능이 비슷함에도, 가격 경쟁력과 신속한 납품이 가능한 만큼 주목해볼 필요 있을 듯

■ 경쟁사

- 다윈프릭션, Honeywell, Safran, Parker-Hannifin, Crane, Brembo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에서 작성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비상장리포트] 데크카본 - 국내 유일 초고온 경량 탄소 복합재 기업

(2024년 11월 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1 Nov, 04:11


[우버 3Q24 실적 Review]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너무 높아진 시장 기대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우버 3Q24 Review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해당 내용 공유해드리겠습니다.

ㆍ 3분기 거래액 409.7억 달러, 매출액 111억 달러, 조정 EBITDA 16.9억 달러, 순이익 26.1억 달러 기록. 거래액 시장 컨센서스 하회하며, 주가 하락 마감
ㆍ 모빌리티 및 딜리버리 부문 실적 안정적으로 성장 중이나 높아진 시장 기대치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

■ 모빌리티

- 총 거래액 210.0억 달러(YoY +24%), 매출액 64.0억 달러 (YoY +29%) 기록
- 팬데믹으로 수요가 감소했던 23년 대비 안정적으로 성장 중
- Take rate(수수료율)은 30.5%로 전년 동기 28.3% 대비 상승. 조정 EBITDA는 16.8억 달러 기록

■ 딜리버리

- 총 거래액 186.6억 달러(YoY +17%), 매출액 34.7억 달러(YoY +19%) 기록
- 수수료율은 18.6%로 23년 3분기 18.2% 대비 소폭 상승
- 조정 EBITDA 6.2억 달러로 광고 수입 증가와 매출 규모 확대에 따른 레버지로 효과로 개선세 지속

■ 화물

- 매출액 13.0억 달러 (YoY +2%), 조정 EBITDA는 0.19억 달러 손실
- 화물 시장 수요 둔화 지속

■ 24년 4분기 가이던스

- 총 거래액 427.5억~442.5억 달러
- 조정 EBITDA 17.8억 ~18.8억 달러 제시 (중앙값 기준 시장 컨센서스 437억 달러, 18.4억 달러를 하회하는 가이던스 제시)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행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이창희) 우버 테크놀로지스 (UBER US) - 너무 높아진 시장 기대치

(2024년 11월 1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31 Oct, 23:59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도시장에 관한 자료. 출처: Kotra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31 Oct, 00:31


쏘카 자회사 자율주행기업 라이드 플럭스 260억원 시리즈 B 투자유치 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31 Oct, 00:21


디지털 신원 인증 솔루션, '호패'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60억원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DID(탈중앙화신원인증) 기반 신원 인증 스타트업, '호패'가 6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호패' 기업 개요

- 2022년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디지털 포렌식을 전공했고, 코로나19 디지털 예방접종증명서, '쿠브(COOV)'의 디렉터 출신인 심재훈 대표가 설립
- 쿠브 개발을 통해 확보한 *DID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신원 인증 솔루션, '호패 월렛' 개발 중 (*탈중앙화신원인증: 탈중앙화 신원 인증 솔루션으로 위변조가 불가해 개인 정보 침해 리스크 절감)
- 동사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참여하는 '오픈월렛재단'의 최초 아시아 회원으로 기술력 인정받으며, 오픈소스 제공 중
- 한편 24년 5월 유럽 내 elDAS 2.0 법안 발효로 26년까지 유럽 지역의 디지털 월렛 인프라 구축할 전망 (향후 유럽 신원 인증 시장 600조원 전망, 출처: 가트너)

■ 60억원 시드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60억원 규모로 SV인베스트먼트, 제트벤처캐피탈,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가 참여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인력 확보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새롭게 열리는 디지털 신원 인증 시장에서 글로벌 점유율을 확보해가는 '호패'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31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30 Oct, 02:17


해외에서도 비대면 진료, '룰루메딕'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55억원 규모 Pre-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해외 원격 진료 및 여행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룰루메딕'이 55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룰루메딕' 기업개요

- 2021년 보험 산업에서의 경험을 쌓은 김영웅, 우성한 대표가 공동 설립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 '22년 9월 베트남 내 재외국민을 위한 비대면 진료 서비스 출시했으며, '23년 9월 여행자 의료 케어 서비스, 어시스트카드코리아 인수 (*어시스트코리아는 현지 병원 예약, 의료 통역, 의료비 지불 보증 등 서비스 제공)
- 동사는 해외 의료 지원을 플랫폼 내 도입하면서, '24년 매출액 100억원 달성 전망(출처: 언론보도)

■ 55억원 Pre-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55억원 규모로 산은캐피탈, 퀀텀벤처스코리아가 참여. 누적 투자 105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의료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개발 및 플랫폼 연계 서비스 고도화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종합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하는 '룰루메딕'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30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8 Oct, 07:36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비상장솔루션팀 이창희입니다.

11월 20일 ‘산업 트렌드를 선도하는 비상장 기업’ 콥데이를 개최합니다.

총 11개 기업의 대표님들이 콥데이에 참여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소개해주실 예정입니다.
유망한 스타트업들을 통해 향후 산업의 방향성에 대해 공부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삼성증권 법인영업팀에게 문의 부탁드립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5 Oct, 01:19


프리미엄 감성숙소 플랫폼, '파인스테이'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60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프리미엄 숙소 예약 플랫폼, '파인스테이'를 운영하는 '바카티오'가 6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바카티오' 기업개요

- 2022년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출신 지현준 대표가 설립
- 대표 서비스인 '파인스테이'는 고급 펜션, 풀빌라, 프라이빗 숙소 중심의 플랫폼으로 숙소 예약 플랫폼의 틈새 시장 공략
- 현재 제주도 고급펜션의 약 40%가 파인스테이에 입점해 있으며, '24년 상반기 기준 거래액 40억원 기록 및 흑자 전환 성공
- 또한 호스트를 위한 펜션 관리 솔루션, '파인호스트' 출시했으며, 홈페이지 제작, 인플루언서 협업, 숙박업주 커뮤니티 등의 기능 제공

■ 60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60억원 규모로 라구나인베스트먼트, 프라이머사제파트너스, 베이스벤처스가 참여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하와이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 진출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5성급 프리미엄 독채 숙소를 타겟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해가는 '바카티오'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25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4 Oct, 23:35


지난 5월 작성한 한국정밀소재산업 105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마무리. 언론보도에 따르면 포스트 밸류에이션 440억원 수준. 총 누적 투자금액 117억원 달성.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2 Oct, 23:38


부동산 단기임대 플랫폼, '삼삼엠투'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25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부동산 단기임대 플랫폼, '삼삼엠투'를 운영하는 '스페이스브이'가 25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스페이스브이' 기업 개요

- 2018년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출신으로 부동산 중개업 경험을 쌓은 박형준 대표가 설립
- 대표 서비스인 삼삼엠투는 단기 임대 플랫폼으로 주 단위의 임대 계약을 앱에서 직접 체결 가능
- 현재 누적 거래액 500억원, 계약 건수 5만 건 이상 기록했으며, 23년 12월 월BEP 달성하며 수익성 개선 추세 (23년 연 거래액 260억원 및 계약 건수 2만 건)
- 또한 24년 임대차 배상 보험 서비스 도입하며, 임차인과 임대인의 안전한 거래를 위해 서비스 개발 진행 중

■ 25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25억원 규모로 대교인베스트먼트, 위벤처스가 참여. 누적 투자 35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플랫폼 서비스 고도화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전월세로만 이루어진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 단기 임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가는 '삼삼엠투'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23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22 Oct, 00:08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비상장솔루션팀 이창희입니다.

11월 20일 ‘산업 트렌드를 선도하는 비상장 기업’ 콥데이를 개최합니다.

총 11개 기업의 대표님들이 콥데이에 참여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소개해주실 예정입니다.
유망한 스타트업들을 통해 향후 산업의 방향성에 대해 공부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삼성증권 법인영업팀에게 문의 부탁드립니다.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7 Oct, 00:37


주사전자현미경(SEM)의 국산화, '엠크래프츠'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70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주사전자현미경 개발 기업, '엠크래프츠'가 7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엠크래프츠' 기업개요

- 2011년 카이스트 박사 출신 전정범 대표가 설립한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개발 기업
- 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 현미경 중 하나로 전자빔을 통해 대상물을 관찰하며, 나노급 입자까지 관찰 가능한 첨단 장비
- 영자역학, 전자공학 등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만큼 미국, 독일, 일본 등 글로벌 6개국에서만 생산 가능했으나, 동사는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해 현미경 국산화 성공
- 30만 배 확대가 가능한 탁상용 SEM 개발로 기술력 입증 했으며, 국내 LG전자, SK매직, 서울대 등과 미국 원자력연구소, 엑슨모빌, MIT 등에 SEM 공급 중
- 또한 최근 중국 안광학 의료기기 기업, '모틱'과 OEM 계약 체결하며 중국 진출 예정
- 향후 기존 열방사 방식이 아닌 전계방사 방식의 주사전자현미경(열방사 대비 높은 해상도가 특징)개발에 집중할 계획

■ 70억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70억원 규모로 신한벤처투자, KDB산업은행, 코메스인베스트먼트, SL인베스트먼트가 참여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SEM의 하이엔드 라인 제품 개발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글로벌 2조원 규모의 SEM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해가는 '엠크래프츠'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17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6 Oct, 01:52


랩오토메이션 바이오 소부장, '큐리오시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30억원 규모 Pre-IPO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신약개발, 진단검사, 세포이미징 등 다양한 바이오 분야의 자동화 장비 개발 기업, '큐리오시스'가 13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큐리오시스' 기업개요

- 2015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 박사 출신 윤호영 대표가 설립한 바이오 장비 자동화 기업
- 대표 제품인 'Celloger'은 세포 연구를 위한 라이브 셀 이미징 장비로 세포 내 대사과정 및 생체분자 추적에 활용
-특히 자체 기술을 적용해 세포가 물리적, 화학적 변화 등 외부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장기 배양 및 관찰 가능
- Celloger은 국내 최고 기술상인 '장영실상' 및 글로벌 어워드인 'R&D100 award'에서 수상하며, 기술력 입증 및 글로벌 33개국에 자동화 장비 수출 달성
- 한편 다중모드 광영상 기술(세포 조직의 염색 없이 빛의 파장으로만 세포 분석)을 적용한 국내 최초 조직검사 장비를 개발하며, 암 세포의 조직검사 시간을 3배 이상 단축
- '24년 말 본격적인 출시 예정으로 국내 고객사 확보를 위한 마케팅 진행할 계획

■ 130억원 Pre-IPO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130억원 규모로 스틱벤처스, 타임폴리오캐피탈, 신한캐피탈, 키움인베스트먼트가 참여. 누적 투자 240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생산 캐파 확보를 위한 공정 설립 및 연구개발비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외사 제품 위주의 랩 오토메이션 분야에서 국산화를 이끄는 '큐리오시스'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16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5 Oct, 04:08


스마트한 공정 관리 솔루션, '시즐'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112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공정 모니터링을 통한 공정 개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즐'이 112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시즐' 기업개요

- 2016년 산업공학을 전공한 이지현 대표가 설립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공 기업
- 기존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설비 교체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했으나, 동사는 추가 설비 없이 솔루션 제공해 비용 절감
- 특히 기존 노후화된 기기에 컨트롤러를 부착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효율화 솔루션 제공
- 주로 프레스, 용접, 절삭, 사출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생산 횟수, 가동 시간, 부하율 등 다양한 데이터 수집해 불량률을 줄이고 효율성 개선
- 현재 약 140개의 고객사 확보했으며, 향후 글로벌 기업을 위한 솔루션 개발할 계획

■ 112억원 시리즈 C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112억원 규모로 스텔리온파트너스, 크라우드웍스, 이앤인베스트먼트, 파이오니어인베스트먼트, CJ인베스트먼트, KD인베스트먼트, KB증권, 수성자산운용이 참여. 누적 투자 167억원 기록
- 동사는 IPO를 위한 상장 주관 계약 체결을 완료하고, 25년 프리 IPO 투자 유치에 나설 계획(대표 주관사: KB증권, 언론보도)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토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조기업의 디지털화에 앞장서는 '시즐'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15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4 Oct, 01:25


한국과 미국의 스타트업 중 유니콘 기업 수는 얼마나 될까?

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한국 유니콘 기업은 전체 상위 0.1%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최근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추세가 어느정도 안정화 되면서,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도 조금씩 되살아 나고 있습니다. 저희 비상장솔루션팀에서는 최근 수년간 한국과 미국의 스타트업 개수의 추이 그리고 이 중 기업가치 10억달러(약 1조원) 달성을 의미하는 유니콘 기업의 개수를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한국과 미국의 스타트업 개수는 코로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유니콘 탄생 기업도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확실히 금리 인상에 따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감소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는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스타트업 투자 유치 환경이 다소 완화되는 분위기입니다. 많은 대기업들도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사업적으로 협력을 도모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몇년간 감소했던 스타트업 및 유니콘 기업 수가 감소세를 멈추고 증가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24년 10월 1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13 Oct, 22:19


https://scceioi.kr/2024/deeptech/index.php?utm_source=fb&utm_medium=display&utm_campaign=deeptech&utm_content=basic_field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4 Oct, 01:01


AI 폐암 진단 솔루션, '모니터코퍼레이션'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7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흉부 CT 영상의 AI 분석을 통해 폐암 조기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모니터코퍼레이션'이 7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 '모니터코퍼레이션' 기업개요

- 2018년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의 이경준 대표와 김지항 대표가 공동 설립
- 대표 제품인 'LuCAS-Plus'는 AI 기반 흉부 CT 영상 보조 솔루션. 폐결절 위치, 크기, 유형, 위험도 등 폐암으로 발전 가능한 위험 요소 조기 진단
- 폐결절 검출을 넘어 위험도까지 파악 가능해, 국내 최초 흉부 CT 대상 폐암 검진 분야 3등급(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 의료기기로 인정
- 또한 미국 내 임상결과, 조기 폐암 검출 민감도 95% 이상 기록 및 국내 임상연구에서 전이암 조기 병변을 의료진 대비 76.5% 추가로 검출하며 기술력 입증
- 현재 100여개의 국내 병원에 솔루션 공급 중으로, 향후 일본, 미국, 유럽, 싱가포르 등 해외 시장 진출에 나설 계획

■ 70억원 시리즈 B 투자 유치

- 이번 투자는 70억원 규모로 UTC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 HB인베스트먼트가 참여. 누적 투자 100억원 기록
- 동사는 이번 투자금을 글로벌 의료기기 벤더사와의 협력을 통한 해외 시장 진출에 사용할 계획

최근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국내 최초 3등급 의료영상진단 솔루션을 기반으로 환자의 암 조기 진단을 돕는 ‘모니터코퍼레이션’의 향후 행보가 주목됩니다.

(2024년 10월 4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02 Oct, 05:37


[비상장리포트] 큐티스바이오

이창희비상장/모빌리티

미생물로 염색, 화장품, 의약품까지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비상장 & 모빌리티 담당 이창희입니다. 다양한 산업 내 바이오 소재를 개발하는 '큐티스바이오' 비상장 리포트 작성했습니다.

■ 큐티스바이오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1) 바이오 소재 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내 70여 종의 바이오 소재 개발 가능
- (2) 그 중 패션 산업 내 바이오 염료인 '아쿠아인디고'는 상용화 단계로 본격적인 매출 발생이 기대되는 상황

■ 큐티스바이오의 경쟁력

(1) 균주 공장 개발 플랫폼(KeySS)과 공정 개발 플랫폼(MtoM) 제공

- KeySS 플랫폼은 크게 4종(A,T,M,S)의 아미노산으로 분류되며, 미생물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다양한 산업 내 70여 종의 소재 개발 가능
- 특히 제작 과정 내 유전자 핵심 조작 기술을 적용해, 미생물의 수율 개선 및 생산성 향상했으며, MtoM 플랫폼을 통해 대량생산까지 가능한 솔루션 구축

(2) 바이오 인디고 염료, '아쿠아인디고' 상용화 개시

- 바이오 기반 인디고 염료인, '아쿠아인디고' 개발 성공. 아쿠아인디고는 기존 합성인디고와 달리 환경 오염 문제에서 자유롭고, 실크, 캐시미어 등 기존 염색이 불가능했던 원단에 적용 가능
- 현재 실증 완료한 단계로 본격적인 상용화를 통해 매출 발생에 나설 계획

■ 리스크 요인: 대규모 생산 역량은 확보, 원가 절감에 집중

- 대량 생산 능력은 확보했으나, 향후 천연 바이오 염료로의 수요 전환을 위해서 원가 절감이 필요한 상황

■ 경쟁사

- Colorifix, Pili-bio, huue, Ginko bioworks, Antheia

자세한 사항은 삼성증권에서 작성한 리포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천] [비상장리포트] 큐티스바이오 - 미생물로 염색, 화장품, 의약품까지

(2024년 10월 2일 공표완료)

[삼성/이창희] 비상장/모빌리티

채널링크
https://t.me/samsung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