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 선진국] 최보원 @globalbobo Channel on Telegram

[한투 선진국] 최보원

@globalbobo


*주의* 새벽에도 알림이 울릴 수 있습니다.

[한투 선진국] 최보원 (Korean)

한투 선진국 채널은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전문 채널입니다. 최보원님은 주식 시장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쌓은 전문가로, 그의 투자 전략과 분석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채널을 통해 최보원님의 최신 투자 소식과 분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핫이슈와 트렌드도 업데이트됩니다

최보원님의 투자 전략과 분석은 매우 신뢰성이 높고, 그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새로운 투자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새벽에도 알림이 울릴 수 있는 주의 사항이 있으니,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투 선진국 채널을 통해 주식 시장을 더 깊이 이해하고, 투자에 대한 지식을 쌓아보세요.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Feb, 22:01


트럼프 "4월 2일쯤 자동차에 관세 부과 시작"…상호관세와 별개(종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계획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대한 관세도 곧 발표할 것이라며 "자동차 인증과 같은 세금 이외의 무역장벽에도 대응하겠다"고 발표. 상호관세와는 별개로 앞서 발표한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 25% 관세와 같은 품목별 관세 부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지난해 미국 내에서 판매된 차량의 16.8%가 한국과 일본이 생산한 자동차다. 이 중 한국은 8.6%, 일본은 8.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에 2.5%, 버스에 2%,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690824#_enliple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Feb, 09:30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2/14(금)
- 1월 소매판매 (22:30)
- 1월 광공업생산 (23:15)

*2/17(월)
- 대통령의 날 (Presidents' Day)

*2/18(화)
- 2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22:30)

*2/19(수)
- 2월 NAHB 주택시장지수 (00:00)
- 1월 주택착공건수/건축허가건수 (22:30)

*2/20(목)
- FOMC 회의록 (04:00)
- 2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22: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2/21(금)
- 2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 PMI (23:45)

*2/22(토)
- 1월 기존주택 판매 (00:00)
-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00:00)

-----------------
★ 유로존

*2/17(월)
- 12월 무역수지 (19:00)

*2/18(화)
- 2월 ZEW 경기전망지수 (19:00)

*2/21(금)
- 2월 소비자신뢰지수 (00:00)
- 2월 HCOB 제조업/서비스업 PMI (18:00)

-----------------
★ 영국

*2/18(화)
- 12월 실업률 (16:00)

*2/19(수)
- 1월 CPI/근원 CPI (16:00)

*2/21(금)
- 2월 GfK 소비자 기대지수 (09:01)
- 1월 소매판매 (16:00)
- 2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 PMI (18:30)

-----------------
★ 일본

*2/17(월)
- 4분기 GDP 예비치 (08:50)
- 12월 광공업생산 확정치 (13:30)
- 12월 설비가동률 (13:30)

*2/19(수)
- 1월 무역수지 (08:50)
- 12월 핵심기계수주 (08:50)
- 1월 수출 (08:50)

*2/21(금)
- 1월 전국 CPI (8:30)
- 2월 au 지분 제조업/서비스업PMI (09: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2/18(화)
- 개장 전: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옥시덴털 페트롤리움(OXY), EQT(EQT) 등
- 장마감 후: 메드트로닉(MDT), 불칸 머티리얼스(VMC) 등

*2/19(수)
- 장마감 후: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가민(GRMN) 등

*2/20(목)
- 개장 전: 부킹 홀딩스(BKNG), 뉴몬트(NEM) 등
- 장마감 후: 월마트(WMT), 서던 컴퍼니(SO) 등

*2/21(금)
- 장마감 후: 코파트(CPRT), 라이브 네이션 엔터테인먼트(LYV)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2/17(월)
- 브리지스톤(5108) 등

*2/19(수)
- 요코하마고무(5101)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Feb, 07:46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0.5%, 0.8% 상승. 예상치를 상회하는 CPI, PPI에도 대형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 반영되며 주 후반 반발 매수세 유입.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담에도 친기업 정책 기대감 반영된 점이 지수 반등 동력으로 작용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2.7%, 1.6% 상승. 우-러 전쟁 마무리 기대감 반영되며 경기 민감주 중심의 반발 매수세 유입. 미국 관세 정책이 우려보다 제한적인 점도 지수 상승세 지속 요인

- 일본: 닛케이(Nikkei225),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1.0%, 0.5% 상승. 추가 정책금리 인상 부담에도 미국 강달러-고금리 기조 장기화 및 친기업 정책 기대감 반영됐기 때문

● 차주 전망

- 차주 미국 주요 지수는 가파른 반등세 지속되기 보다 등락 반복 이어질 전망

- CPI, PPI 등 주요 물가 지표 발표 마무리된 만큼 국채금리 및 환율 불확실성은 완화 예상

-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일부 구체화된 점도 일시적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단기 조정 컸던 기업 중심의 기술적 반등 예상되나 공격적 추격 매수에는 여전히 유의 필요 구간

- 양호한 실적, 정책 기대감 반영 업체 중에서도 국채금리를 이유로 반등 제한적이었던 업체 중심 선별적 대응 필요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제조업 지표 - 엠파이어스테이트, 필라델피아
② 미국 주택 지표 - 주택 착공건수, NAHB 주택 지수,
기존주택 판매 등
③ 미국 FOMC 의사록
④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서비스업 PMI
⑤ 미국 실적 발표 - 월마트, 부킹 홀딩스 등
⑥ 일본 실적 발표 - 브리지스톤, 요코하마 고무 등
⑦ 미국 소매판매(금일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Feb, 21:23


기대치 상회하는 물가 지표에도 CPI, PPI 등 주요 지표 발표 마무리됐고 관세 정책도 일부 공개. 정책/지표 불확실성 마무리되며 달러인덱스는 107pt 초반까지 하락.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도 동반 하락.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모두 강세 전환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Feb, 21:20


PPI는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 3.5%, 0.4% 상승해 예상치를 상회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3만건으로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발표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Feb, 21:17


미국 주요 지수는 예상보다 높은 PPI가 발표됐고, 상호 무역 조치 공개됐음에도 일제히 상승. 기대보다 낮은 실업수당 청구건수, 트럼프 대통령의 국채금리 하락 필요성 강조, 친기업적 정책도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양호한 실적에도 CPI, 정책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조정컸던 기업 중심으로 반발 매수세 유입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Feb, 21:10


트럼프, 각국에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 “비관세 장벽도 감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예고한 대로 13일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

트럼프는 “무역과 관련해 공정함이란 목적을 위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며 “미국은 다른 국가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만큼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 상무부는 4월 1일까지 국가별 검토를 거쳐 차등 부과할 예정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돼 있어 대부분의 상품에 관세가 철폐된 상태지만, 트럼프가 비(非)관세 장벽과 환율 등도 두루 검토한다고 밝혀 한국도 무차별 상호 관세의 대상국에 포함될 가능성 부각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이날 상대국의 관세 장벽과 비관세 장벽을 두루 검토해 국가별로 차등화된 관세율을 도출할 것임을 시사

백악관 측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관련 각서 서명에 앞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관세·비관세 장벽, 보조금과 부담스러운 규제 요건을 포함해 불공정하거나 해로운 조처, 정책이나 관행 때문에 미국 기업·노동자·소비자에 초래하는 비용도 평가 대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환율 정책,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불공정하다고 판단한 다른 기타 관행 등도 포함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5/02/14/XED64RUBFRA7BAPTHA6PINGX3Q/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Feb, 21:05


"백악관,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추진…일부 지급 유예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법에 따라 미국 내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에 지급하기로 했던 보조금 재협상을 추진할 예정

기존에 지급하기로 했던 일부 보조금 집행이 유예될 가능성도 시사

트럼프 정부가 2022년 발효된 반도체법으로 보조금을 지급한 사업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

미국 정부는 해당 요건을 평가하고 변경한 후 일부 계약에 대해 재협상을 진행할 계획. 트럼프 정부가 보조금을 받은 후 상당한 규모로 중국 등 해외 확장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에 불만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4000016

[한투 선진국] 최보원

12 Feb, 23:18


파월 청문회 시작 전 금리 낮춰…노골적 메시지 남긴 트럼프

물가를 잡으려는 중앙은행과 경기를 부양하려는 행정부 간의 갈등이 본격화하는 양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전 트루스소셜에 "금리를 더 낮춰야 한다"면서 "관세 정책과 함께 진행될 것"이라고 언급

파월 의장은 지금 금리를 낮출 때가 아니라는 뜻을 강조.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치를 웃돌고 있다는 점을 언급

지금은 물가를 낮출 때가 아니라 기껏 내려온 물가지수가 도로 튀어오르는 것을 대비해야 한다는 취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32011i

[한투 선진국] 최보원

12 Feb, 21:57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통화…우크라종전협상 즉각 시작 합의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우크라이나 대통령 등 우크라이나 전쟁 당사국 정상들과 연달아 통화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이뤄진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고, 이어 이어진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도 "평화를 이루길 원한다"는 입장 공개

트럼프는 "나는 막 푸틴과 길고도 고도로 생산적인 전화 통화를 했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 중동, 에너지, 인공지능(AI), 달러의 위력, 그리고 다른 주제들에 대해 논의했다"는 점 강조

유럽을 방문 중인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이날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에 반대한다고 밝혔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2014년(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병합한 해) 이전의 영토 구획으로 돌아가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입장 시사

향후 뮌헨안보회의에는 JD 밴스 부통령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미국 대표단을 이끌고 참석 예정. 미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시나리오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어 주목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3003853071

[한투 선진국] 최보원

12 Feb, 21:54


기준금리는 2025년 연중 1회 인하 기대감 여전히 반영되고 있으나, CPI 지표 공개 후 그 시기가 4분기로 지연될 것으로 예상(FedWatch)

2026년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도 후퇴

금일 오후 예정된 PPI, 이후 공개될 소매 판매 지표 발표 앞두고 고금리 장기화 경계 심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12 Feb, 21:50


전일 미국 주요 지수는 일제히 하락 출발 했으나, 장후반 낙폭을 축소하며 혼조세 마감. S&P500 지수가 전일대비 0.3% 하락했으나, 나스닥 지수는 강보합세 마감

예상보다 높은 CPI 발표 직후 미국 내 고금리 장기화 우려 확산됐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료 기대감 반영되며 위험자산 투자심리가 일부 회복됐기 때문

필수소비재, 커뮤니케이션이 전일대비 상승했으나, 에너지, 리츠, 소재 업종이 부진. CPI 발표 이후 고금리 장기화 우려 확산됐기 때문

[한투 선진국] 최보원

12 Feb, 16:14


"美 철강관세, 다른 관세에 추가 개념…加·멕 50%로 오를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2일부터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키로 한 가운데 캐나다 및 멕시코의 경우 이들 국가에 대한 보편 관세가 시행되면 해당 관세율이 50%로 오른다고 로이터통신, AFP통신 등이 12일(현지시간) 보도

백악관 관계자는 이들 매체에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는 다른 관세 위에 부과되는 개념이라고 설명

보편 관세 부과가 추가로 유예되지 않을 경우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는 25%의 관세가 전면적으로 부과

캐나다와 멕시코는 대(對)미국 철강 수출 1~2위 국가. 캐나다산 알루미늄은 지난해 미국 수입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3000500071

[한투 선진국] 최보원

29 Jan, 20:25


"트럼프 정부, 엔비디아 칩 대중 수출 추가 제한 검토"…H20 포함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엔비디아 반도체의 중국 수출에 추가 제한을 검토 중

대중 수출 제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설계된 저사양 칩까지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이 논의

트럼프 정부 관료들이 엔비디아의 H20 칩을 수출 제한 대상에 포함할 가능성에 초점. H20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미국의 대중 수출 제한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된 저사양 제품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30000013

[한투 선진국] 최보원

29 Jan, 20:22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 모두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발표 직후 낙폭 확대됐으나, 장후반 낙폭 축소 중

[한투 선진국] 최보원

29 Jan, 20:20


연준의 기준금리 발표 직후 달러인덱스,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모두 반등 후 상승 폭 축소

[한투 선진국] 최보원

29 Jan, 20:16


연준은 1월 FOMC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

지난 9월, 11월, 12월 3회 연속 인하한 이후 동결을 결정한 만큼 인플레이션에 대해 관망세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

실업률은 최근 몇 달간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고 고용 환경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표현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기준금리 인하 압력 에도 동결을 결정. 기자회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성에 어떤식으로 대응할 지에 대한 문답들이 다수 진행

[한투 선진국] 최보원

28 Jan, 01:50


S&P500 IT 업종 내에서도 하드웨어/장비 업종은 0.7% 상승했으나, 반도체/장비 업종이 14.0%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하루 만에 9.2% 하락

딥시크의 AI 모델 출시 영향 반영되며 반도체 관련주가 동반 하락했기 때문. 엔비디아, 브로드컴, TSMC는 하루 만에 17.0%, 17.4%, 13.3% 하락. ARM, AMD, ASML도 하루 만에 10.2%, 6.4%, 5.8% 하락

딥시크는 AI 모델인 R1을 출시. 딥시크의 AI 모델 훈련에는 H800이 활용. R1은 챗 GPT를 넘어서며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 1위에 올라섰고, 저사양칩을 통해 고성능 AI 제품을 개발한 것으로 평가되며 경쟁 심화 및 개발 비용 축소 가능성이 부각

인프라 기업들의 가격 상승세 둔화, 경쟁 심화 가능성 높아진 점도 투자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

딥시크의 V3 모델에 투입된 개발 비용이 557.6만달러에 그친 점도 관련 기업들의 주가 하락으로 연결. 메타의 최신 AI 모델인 라마3의 1/10에 불과했기 때문

[한투 선진국] 최보원

28 Jan, 01:46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5%, 3.1% 하락. 다우 지수는 0.7% 상승했으나,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하루 만에 9.2% 하락

S&P500 업종 내에서도 필수소비재(+2.9%), 헬스케어(+2.2%) 등 대표 내수주가 상승했고, 금융(+1.1%), 부동산(리츠, +1.0%) 업종이 동반 반등

반면 딥시크의 AI 모델 출시 여파로 대표 반도체 관련주가 부진. IT(-5.6%) 업종의 낙폭이 컸고, 위험자산 선호심리 위축되며 유틸리티(-2.3%), 산업재(-1.3%) 등 단기 반등 컸던 기업 중심으로도 차익실현 매물 출회. AI 모델 개발 위한 비용 축소 가능성 높아진 점도 투자심리 위축 요인으로 낙용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Jan, 12:23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1/27(월)
- 화낙(6954), 니토덴코(6988), 히타치건설기계(6305) 등

*1/28(화)
- 닛신제분그룹(2002) 등

*1/29(수)
- 스미토모 미쓰이 파이낸셜그룹(8316), 신에츠화학(4063), 어드반테스트(6857), 사이버에이전트(4751) 등

*1/30(목)
- 주가이제약(4519), 캐논(7751), 다케다 제약(4502), 오리엔탈랜드(4661), NEC(6701), 노무라종합연구소(4307) 등

*1/31(금)
- 히타치(6501), 키엔스(6861), 다이이찌산쿄(4568), 덴소(6902), 후지쯔(6702), 도요타쯔우쇼(8015), 리소나홀딩스(8308)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Jan, 12:21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24(금)
-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 PMI (22:45)

*1/27(월)
- 12월 건축허가건수 (22:00)

*1/28(화)
- 12월 신규주택 판매 (00:00)
- 2년물 국채 입찰 (03:00)
- 5년물 국채 입찰 (03:00)
- 12월 내구재 수주 (22:30)
- 11월 주택가격 지수 (23:00)

*1/29(수)
- 1월 CB 소비자신뢰지수 (00:00)
- 7년물 국채 입찰 (03:00)
- 30년물 모기지금리 (21:00)

*1/30(목)
- FOMC 회의 (04:00)
- 파월 의장 기자 회견 (04:30)
- 4분기 GDP (22: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GDP]
(QoQ) 예상치 2.6%, 이전치 3.1%

*1/31(금)
- 12월 잠정주택 판매 (00:00)
- 12월 PCE 물가지수 (22:30)
- 1월 시카고 PMI (22:30)

-----------------
★ 유로존

*1/24(금)
- 1월 HCOB 제조업/서비스업 PMI (18:00)
-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 연설 (19:00)

*1/30(목)
- 4분기 GDP (19:00)
- ECB 회의 (22:15)
- ECB 기자회견 (22:45)

-----------------
★ 영국

*1/24(금)
- 1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 PMI (18:30)

-----------------
★ 일본

*1/29(수)
- BOJ 의사록 (08:30)

*1/31(금)
- 1월 도쿄 CPI (08:30)
- 12월 실업률 (08:30)
- 12월 산업생산 (08:5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28(화)
- 개장 전: 스타벅스(SBUX), 스트라이커(SYK) 등
- 장마감 후: 보잉(BA), 록히드 마틴(LMT), 로얄 캐리비안 크루지스(RCL), 제너럴 모터스(GM), 시스코(SYY) 등

*1/29(수)
- 개장 전: 마이크로소프트(MSFT), 메타 플랫폼스(META), 테슬라(TSLA), 서비스나우(NOW), 램리서치(LRCX) 등
- 장마감 후: MSCI(MSCI), 나스닥(NDAQ), T-모바일 US(TMUS), 제너럴 다이내믹스(GD) 등

*1/30(목)
- 개장 전: 애플(AAPL), 비자(V), 인텔(INTC), 덱커스 아웃도어(DECK) 등
- 장마감 후: 마스터카드(MA), 블랙스톤(BX), UPS(UPS), 캐터필러(CAT),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MO), 마시 앤 맥레넌 컴퍼니(MMC) 등

*1/31(금)
- 장마감 후: 아마존 닷컴(AMZN), 엑손 모빌(XOM), 애브비(ABBV), 퀄컴(QCOM), 쉐브론(CVX)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Jan, 09:59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3.1%, 3.7% 상승. 트럼프 행정부의 우려보다 양호한 정책 발표로 위험자산 투자심리 개선. IT, 커뮤니케이션 등 대형 성장주 반등. 산업재, 경기소비재 등 정책 기대감 크게 반영되는 업체 강세 국면 지속

- 유럽: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주대비 2.2% 상승.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제한적 정책 발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 일본: 닛케이(Nikkei225) 지수는 전주대비 3.6% 상승.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상대적으로 부진했으나, 미국 IT/산업재 기업과 동조화 기조 이어지며 반발 매수세 유입

● 차주 전망

- 차주는 미국 FOMC 회의에 더해 GDP, PCE 지표도 공개 예정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등의 대형 성장주 실적 발표도 밀집

- 단기적으로는 추세적인 흐름보다 실적/정책 발표에 따른 등락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국면

- 공격적 비중 확대 및 추매보다는 일시적 조정 이후 재진입하는 전략 필요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FOMC 회의(1/30, 오전 4시)
② 미국 GDP
③ 미국 PCE
④ 유로존 ECB 회의(1/30, 오후 10시 15분)
⑤ 미국 실적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스, 애플, 테슬라 등
⑥ 일본 실적 발표 - 스미토모 파이낸셜그룹, 히타치, 키엔스 등
⑦ 미국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 PMI(금일 저녁)

즐거운 설날 연휴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Jan, 06:24


[한투증권 최보원] 일본 BOJ 회의 코멘트

● 1월 BOJ 회의 결과 요약

- BOJ는 정책금리를 기존의 0.25%에서 0.50%로 인상

-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1%로 유지

- 반면 2025년 CPI(신선식품 제외) 상승률 전망치는 2.4%로 상향

- 지속적인 임금 인상을 기반으로 목표로 했던 2.0% 물가 상승률 도달 가능성 높게 평가

- 엔화 약세 기조 장기화로 수입 물가 상승세 이어지고 있는 점도 물가 전망치 상향 요인으로 평가

● BOJ 회의 영향

- 엔달러환율은 155엔까지 하락. 장기 국채금리는 1.22%를 상회

- 장초반 상승했던 닛케이 지수는 BOJ 회의 이후 일시적으로 하락세 전환

- 반면 국채금리 상승하며 대형 금융주와 엔화 강세 수혜주 반등. 토픽스 지수는 상승 폭 확대

● 시사점/향후 대응 전략

- BOJ는 정책금리 인상에도 완화적 금융환경 이어지고 있으며, 경제활동 지원 계획 강조 → 정책금리 인상 영향 상쇄할 수 있는 정책 발표 가능성 높게 평가

- BOJ의 전망치에 부합하는 환경 이어지는 국면에서는 정책금리 인상을 지속하고 금융완화 기조도 조정할 가능성도 함께 시사 → 추가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한 것으로 평가

- 1월 BOJ 회의 전부터 정책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높게 평가된 만큼 인상 결정에도 금융 시장 영향은 제한적

-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 둔화되며 엔달러환율 하락 속도가 우려보다 더디게 진행되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

- 일본은 7월 참의원 선거 앞두고 정책금리 부담 상쇄할 수 있는 대응 정책 함께 공개될 가능성 높음

- 전체 닛케이 지수의 상승 속도는 2024년 대비 더딜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 IT/산업재 기업과 동조화 기조 이어지는 점은 상반기 지수 상승 동력 될 것으로 예상

- 2025년 일본 투자 시에는 환율, 미국/일본 정책 방향성 등을 고려할 경우 전체 지수 대비 정책 부담 제한적인 업종 중심의 선별적 대응 필요

- 일본 금융주(은행, 보험 등), 엔화강세 수혜주(음식료 등), 글로벌 수요 개선 기업(장비 등) 선호 입장 유지

* 3시 반부터 진행될 기자회견에서는 향후 일본 정책금리 인상 속도, 미국 연준 정책에 대한 BOJ의 대응 방향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후 자료를 통해 추가 내용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Jan, 04:30


일본은행(BOJ)은 기준금리를 0.25%에서 0.50%로 인상. 2008년 10월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Jan, 23:04


트럼프, 다보스연설서 "미국에서 제품 만들지 않으면 관세 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제무대에서 미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세계 각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피력

트럼프 대통령은 또 "유가가 떨어지면서 난 금리를 즉시 내리라고 요구하겠다. 마찬가지로 전 세계에서 금리가 내려야 한다. 우리를 따라 내려야 한다"고 발언

또 EU가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미국의 빅테크를 규제하면서 과징금을 부과하는 것을 언급하고서 "여러분이 이들 기업을 좋아하든 말든 이들은 미국 기업이고, EU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내가 보기에는 일종의 세금이다. 우리는 EU에 매우 불만이 크다"는 입장

그는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유럽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겠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변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4002751071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22:59


[한투 선진국] 최보원 pinned «[한투증권 최보원] 미국 전략: 트럼프 2기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안녕하세요, 곧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합니다. 이번 자료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표 정책과 수혜/피해 업종을 점검하고 투자 아이디어(기업, ETF)를 담았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2025년 미국 투자 시에는 정책 이외에도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이 다양합니다. 연초인 만큼 해당 요인들을 고려해 단기, 중기,…»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22:59


[한투 최보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Golden age of America"

미국 황금기의 시작이라는 표현과 함께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했습니다.

구체적인 행정명령에 앞서 연설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정책에 대해 점검했습니다.

[외교/무역/경제]

● 미국 우선주의 강조

- 미국을 최우선시 할 것이라는 점을 모토로 제시

● 물가

- 기록적인 인플레이션 감축 계획
-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미공개

● 관세

- 무역 정책을 연구하고, 미국과 중국과의 무역 관계 평가 지시
- 보편 관세 부과 가능성 여전히 높게 평가
- 다만 첫날 추가 과세를 구체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달러 강세 압력 완화

[이민/국경]

● 국경강화/신고립주의
- 세계에서 본 적 없는 강력한 군대 형성 계획 시사
- 평화중재자이자 통합자가 될 것이라는 점 강조

● 남부 국경
- 남부 국경에 대해 국가 비상사태 선포
- 이민법 집행 위해 국가군 배치 계획

● 파나마 운하/멕시코만
- 파나마 운하 통제권 되찾을 계획 시사
- 멕시코만의 이름을 미국만으로 수정 계획

● 출생권
- 미국 이민자 자녀 대상 출생 시민권 거부 계획

● 난민
- 최소 4개월 동안 미국 난민 입국 중단 계획

[기후 에너지]

● 파리협정

- 파리 기후협정 탈퇴 시사

● 국가 에너지 비상 사태

- 드릴, 베이비, 드릴 정책 재차 강조
- 천연 자원, 일자리 강화 추구

● 그린 뉴딜 종식

- 녹색 일자리 창출, 화석 연료 산업 규제 등을 야기했던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방향석 종식 계획
- 전기 자동차 의무화 종식 가능성 시사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자세한 내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미국 전략: 트럼프 2기 준비하기(https://vo.la/eACgEf)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20:56


돌아온 트럼프, 47대 美대통령 취임…"미국우선주의" 재선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년만에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 대통령직에 복귀하며 '미국 우선주의 시대 2.0'을 선포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고 선언한 뒤 "나는 매우 단순히, 미국을 최우선시할 것"이라며 집권 1기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국정의 모토로 제시

아울러 "우리는 세계에서 본 적 없는 가장 강력한 군대를 건설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우리의 성공을 우리가 승리한 전투뿐 아니라 우리가 끝낸 전쟁,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는 우리가 시작하지 않은 전쟁에 의해 평가할 것"이라고 강조

이는 대외 군사개입을 자제하는 '트럼프판 신고립주의'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

트럼프는 "내 가장 자랑스러운 유산은 피스메이커(평화중재자)이자 통합자일 것"이라고 강조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정부에서는 단 하루도 우리가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우리의 주권을 되찾을 것이며 안전을 회복할 것"이라고 강조

이와 관련, 멕시코만의 명칭을 미국만으로 변경하고,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되찾아 오겠다고 밝혀 파장을 예고

통상 및 국내 정책 면에서도 '미국 우선주의'를 선명하게 제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시스템 재점검 및 외국에 대한 관세 부과(확대) 방침을 밝히고, 전기차 우대정책을 포함한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산업정책인 '그린 뉴딜'의 종료를 선언

남부 국경에 대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남부 국경에 군대를 배치하는 한편, 서류없이 입국한 사람들의 심사 대기기간 중 미국내 체류를 불허하기로 하는 등 강경한 불법 이민자 차단책을 발표

또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석유 등에 대한 시추를 확대하겠다고 공언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 정부의 공식 정책은 남녀 2개의 성별만 있게 될 것"이라며 과거 민주당 정부 때 강화된 성소수자 권익 증진 정책을 대대적으로 폐기할 것임을 시사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0159751071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14:14


"트럼프, 푸틴과 며칠 내 통화 조율 지시"…3월 이후 회담 전망(종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뒤 수일 내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 일정을 잡으라고 참모들에게 지시

CNN에 따르면 트럼프 측 국가안보팀은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의 통화를 위한 조율 작업을 몇 주 전 시작한 것으로 파악

조만간 이뤄질 통화의 주요 목적은 우크라이나 상황의 출구전략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정상회담 조율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0106551009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14:10


바이든, 밀리·체니·파우치 등 트럼프 '보복1호'들에 사전 사면령(종합)

조 바이든 대통령은 퇴임 5시간 전인 20일 오전 7시(한국시간 오후9시)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 재입성 즉시 보복을 위협해온 트럼프 비판 인사들인 마크 밀리 전 합참의장, 리즈 체니 전 공화당의원 포함의 의회난입폭도 특별조사위원회 소속 의원 10명 그리고 코로나19 특별자문역 안토니 파우치 전 감염병연구소장에 대해 '사전' 사면을 결정

이들의 이전 직무와 관련해 어떤 법적 보복도 불가능하게 하는 '선제적' 사면의 보호벽을 쳐준 것이다. 사면 대상에는 의회난입 사건 의회조사 때 증언에 나선 경찰관 등도 포함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50120_0003039437#_PA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04:39


[한투증권 최보원]
미국 전략: 트럼프 2기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안녕하세요, 곧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합니다. 이번 자료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표 정책과 수혜/피해 업종을 점검하고 투자 아이디어(기업, ETF)를 담았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2025년 미국 투자 시에는 정책 이외에도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이 다양합니다. 연초인 만큼 해당 요인들을 고려해 단기, 중기, 장기 투자 아이디어를 함께 제시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eACgEf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Jan, 04:39


[한투증권 최보원]
유나이티드헬스그룹(UNH US): 실적보다 정책 확인이 필요한 시점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담당 최보원입니다.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의 4분기 실적이 발표됐습니다. 4분기에도 보험, 서비스 부문의 매출은 모두 증가했으나, 예상보다 부진했고, 비용 부담 확대 우려가 확산되며 실적 발표 직후 주가가 6.0% 하락했습니다. 2025년에도 기존 사업부문의 매출 증가는 기대되나, 대표 사업 부문의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점이 구조적 주가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kyGRTm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9 Jan, 23:09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러셀2000 +4.0%
다우 +3.7%
유로스톡스50 +3.4%
영국 +3.1%
S&P500 +2.9%
MSCI 선진국 +2.7%
나스닥 +2.4%
닛케이 -1.9%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에너지 +6.1%
금융 +6.1%
소재 +6.0%
부동산 +4.8%
산업재 +4.8%
유틸리티 +4.3%
경기소비재 +4.0%
IT +1.6%
커뮤니케이션 +1.3%
필수소비재 +1.3%
헬스케어 +0.3%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빌더스 퍼스트소스(+17.3%), 유나이티드 렌털스(+14.9%), 슐럼버거(+12.8%), 앨버말(+12.7%), 인텔(+12.2%)

Bottom5: 모더나(-19.4%), 찰스 리버 래버러토리스 인터내셔널(-12.2%), 일라이 릴리(-9.3%), 라스베이거스 샌즈(-6.0%), 타겟(-5.7%)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제이피모간체이스(JPM), 시스코 시스템스(CSCO), 모간스탠리(MS), 아메리칸 엑스프레스(AXP),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등

52주 신저가 종목: AMD(AMD), 어도비(ADBE), 컴캐스트(CMCSA), UPS(UPS), 나이키(NKE)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 1/20(월): 마틴루터킹 데이 휴장, 미국 제47대 대통령 취임식 등

* 1/22(수): MBA 모기지 신청건수 등

* 1/23(목): 12월 경기선행지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등

* 1/24(금): 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등

* 1/25(토):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12월 기존주택판매 (00:0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 1/21(화): 찰스 슈왑(SCHW), 노스롭 그루만(NOC), 넷플릭스(NFLX) 등

* 1/22(수): 프록터 앤 갬블(PG), 존슨앤드존슨(JNJ), 애보트 래버러토리(ABT), CME 그룹(CME) 등

* 1/23(목): GE(GE), 퀄컴(QCOM), RTX(RTX),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로얄 캐리비안 크루지스(RCL) 등

* 1/24(금): 비자(V), 서비스나우(NOW), 블랙스톤(BX), 아메리칸 엑스프레스(AXP), 다나허(DHR),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암젠(AMGN), 엘러밴스 헬스(ELV), 인텔(INTC), D.R. 호턴(DHI)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9 Jan, 23:06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트럼프 2기 시작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주말/주간 review

- 주말 증시: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0%, 1.5% 상승. 물가상승 압력 부담 완화, 미-중 갈등 경계 일시적 약화 영향 반영되며 위험자산 투자심리 개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8% 상승

- 주간 증시: S&P500, 나스닥 지수는 2.9%, 2.4% 상승. 주후반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4% 상승

- 이슈 #1: 트럼프 당선인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가 진행.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후 100일 안에 중국 방문 가능성도 부각. 미-중 갈등 심화 경계로 조정 컸던 기업 반등

- 이슈 #2: S&P500 기업 중 42개 업체가 실적을 발표. 81%의 업체가 예상보다 양호한 EPS 발표. 4분기 EPS는 10.7% 증가 예상(전주대비 +1.2%p)

- 이슈 #3: 건축허가건수는 148.3만건으로 예상치 상회. 주택착공건수도 149.9만건으로 기대보다 양호. 산업생산 지표도 기대치 상회. 고금리-강달러 기조 장기화에도 양호한 지표 발표 지속

★ 금주 preview

- 금주는 트럼프 당선인 취임식에 주목 필요. 새롭게 공개될 행정명령과 상하원의 대응 방향성 확인 가능한 시기

- S&P500 기업 중 40개 이상의 업체의 실적 발표 예정

- 전체 지수는 정책/실적 발표에 따른 등락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정책 수혜 업체 중심의 대응은 가능할 전망

- 트럼프 2.0 행정부 수혜 업종과 일시적 국채금리 및 환율 변동 확대 시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업종/기업 주목될 것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미국 리쇼어링, RSHO - 미국 리쇼어링, 산업 자동화, 인프라 관련 기업 비중 높고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시에도 주목 가능

② 미국 리테일, RTH - 산불 영향/미국 재건 관련 기업 비중 높고, 국채금리, 환율,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부담도 제한적

③ 미국 금융(Broker-Dealer&Securities Exch), IAI -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시에도 영향 제한적인 금융 기업 포함. 위험자산 투자심리 개선 시에도 대응 가능하며 트럼프 행정부 규제 완화 기대감도 지속

④ 일본 금융, 1615 - 일본 BOJ 회의 앞두고 단기 트레이딩 매매 차원의 대응 가능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9 Jan, 22:17


● 금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트럼프 당선인 취임식(1/20)
② 일본 BOJ 회의(1/24)
③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서비스업 PMI
④ 미국 실적 발표 - P&G, CEG, GE, RTX, 비자, D.R. 호튼 등

[한투 선진국] 최보원

19 Jan, 22:16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0%, 1.5% 상승. 물가상승 압력 부담 완화, 미-중 갈등 경계 일시적 약화 영향 반영되며 위험자산 투자심리 개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8% 상승

[한투 선진국] 최보원

19 Jan, 22:15


건축허가건수는 148.3만건으로 예상치였던 146.0만건 상회. 주택착공건수도 149.9만건으로 예상치였던 133.0만건 상회. 산업생산도 전월대비 0.9% 늘며 예상치였던 0.3%를 상회. 우려보다 양호한 지표 공개되며 고금리-강달러 및 정책 부담 일시적으로 완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18 Jan, 12:59


성대한 취임식 예고 트럼프, 시진핑과 매우 좋은 통화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전화통화 이후 “매우 좋은 통화가 되었다”며 관세와 무역 갈등이 커질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완화

오는 주말부터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일정에 돌입. 20일 취임식은 당초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당일 미 전역을 덮친 북극한파로 낮 최고 기온이 영하 10도에 근접할 것으로 예보되면서 1985년 이후 처음 실내로 옮겨 진행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뒤집어 이민 강경 노선으로 복귀하는 차원에서 미국과 멕시코간 장벽 건설을 재개하고 보안 강화가 이뤄질 예정. 또한 해상과 내륙의 에너지 시추를 촉진하고 백신 의무화 폐지, 암호화폐에 대한 국가 필수 자산 지정 등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

한편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식에 초청하겠다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에서 양국 무역과 펜타닐, 틱톡 등 현안을 논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841215

[한투 선진국] 최보원

17 Jan, 23:57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17(금)
- 12월 주택착공건수 (22:30)
- 12월 건축허가건수 예비치 (22:30)
- 12월 광공업생산 (23:15)

*1/20(월)
- 마틴루터킹 데이 휴장
- 미국 제47대 대통령 취임식

*1/22(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1:00)

*1/23(목)
- 12월 경기선행지수 (00:0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1/24(금)
- 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23:45)

*1/25(토)
-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00:00)
- 12월 기존주택판매 (00:00)

-----------------
★ 유로존

*1/17(금)
- 11월 경상수지 (18:00)
- 12월 CPI/근원 CPI 확정치 (19:00)

*1/20(월)
- 11월 건설생산 (19:00)

*1/24(금)
- 1월 HCOB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8:00)

-----------------
★ 영국

*1/17(금)
- 12월 소매판매 (16:00)

*1/20(월)
- 1월 라이트무브 주택가격지수 (09:01)

*1/21(화)
- 11월 실업률 (16:00)

*1/24(금)
- 1월 GfK 소비자 기대지수 (09:01)
- 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8:30)

-----------------
★ 일본

*1/20(월)
- 11월 핵심기계수주 (08:50)
- 11월 광공업생산 확정치 (13:30)
- 11월 설비가동률 (13:30)

*1/23(목)
- 12월 무역수지 (08:50)
- 12월 수출 (08:50)

*1/24(금)
- 12월 전국 CPI (08:30)
- 1월 au지분은행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09:30)
- BOJ 통화정책회의 (12:0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21(화)
- 개장 전: 찰스 슈왑(SCHW), 노스롭 그루만(NOC) 등
- 장마감 후: 넷플릭스(NFLX) 등

*1/22(수)
- 개장 전: 프록터 앤 갬블(PG), 존슨앤드존슨(JNJ), 애보트 래버러토리(ABT), CME 그룹(CME) 등

*1/23(목)
- 개장 전: 제너럴 일렉트릭(GE), 퀄컴(QCOM), RTX(RTX),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로얄 캐리비안 크루지스(RCL) 등

*1/24(금)
- 개장 전: 비자(V), 서비스나우(NOW), 블랙스톤(BX), 아메리칸 엑스프레스(AXP), 다나허(DHR),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암젠(AMGN), 엘러밴스 헬스(ELV), 인텔(INTC), D.R. 호튼(DHI)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7 Jan, 23:57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는 전주대비 0.3% 상승. 나스닥 지수는 0.7% 하락. PPI, CPI 발표 이후 물가 상승 압력 경계 완화됐고,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하락했으나, 정책 경계 지속되며 등락 반복 구간 지속

- 유럽: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주대비 1.8% 상승. 미국, 아시아 대비 정책 부담 제한적인 지역인 만큼 상대적으로 양호

- 일본: 닛케이(Nikkei225) 지수는 전주대비 1.9% 하락. 엔달러환율 하락, 미국발 정책 부담 지속되며 상대적으로도 부진

● 차주 전망

- 차주는 트럼프 당선인 취임과 함께 공개될 행정명령 경계 심화 예상

- S&P500 기업 중 42개의 실적 발표도 진행될 예정

- 국채금리 상승 및 취임식 경계 확산되며 하락했던 업체 중심으로 반발 매수세 유입은 기대

- 다만 적어도 2월 초까지는 실적/정책 경계가 추세적 상승 제한 예상

- 등락 반복 구간 지속될 수 있는 국면인 만큼 공격적 비중확대 보다 저점 분할매수 전략 지속 필요하다고 판단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트럼프 당선인 취임식(1/20)
② 일본 BOJ 회의(1/24)
③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서비스업 PMI
④ 미국 실적 발표 - P&G, CEG, GE, RTX, 비자, D.R. 호튼 등
⑤ 미국 주택착공건수, 건축허가건수 등(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9 Jan, 10:07


[미국 S&P500 기업 실적 발표 일정 요약]

[한투 선진국] 최보원

09 Jan, 09:30


[한투증권 최보원]
미국 4분기 어닝 Preview: 우리에게 필요한 건 부지런함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다음 주부터는 미국의 1~2월 어닝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4분기 S&P500 기업의 매출과 EPS는 전년동기대비 4.1%, 9.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대형 기업들의 실적은 여전히 견조하나, 지난 분기와 마찬가지로 어닝 시즌 돌입 전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습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4분기 어닝 시즌에 유의해야 하는 사항과 GICS 레벨 1 기준의 업종별 투자 매력도를 비교했습니다.

2025년은 2024년과 달리 스타일별 대응보다 세부 업종/기업별 대응이 필요해 질 시기입니다. 1~2월 어닝 시즌에는 실적과 함께 정책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프리뷰 자료에서는 해당 내용들을 감안해 동일 업종 내에서도 투자 매력이 높은 기업/ETF를 점검했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pqdgQc

------------------
★ S&P500 4분기 어닝 시즌 프리뷰
- 4분기 기업 실적 점검
- 업종/스타일별 실적 점검
- 연간/향후 실적 점검

★ 업종별 투자 매력도 비교
- 투자 매력도 및 주목 포인트
- 동일 업종 내 펀더멘털 개선 기대감 높은 업체

★ 업종별 대표 기업 실적
1. IT
2. 커뮤니케이션
3. 금융
4. 경기소비재
5. 헬스케어
6. 산업재
7. 필수소비재
8. 에너지
9. 유틸리티
10. 부동산
11. 소재

★ Appendix
- 미국, 일본, 유럽 실적 캘린더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9 Jan, 04:43


[한투증권 최보원] 양자 컴퓨터 관련주 급락 코멘트

양자 컴퓨터 관련주 vs. 대형 IT

● 전일 미국 특징주 점검: 미국 양자 컴퓨터

- 전일(1/8, 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대표 양자 컴퓨터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 아이온큐(-39%), 리제티(-45%), 디웨이브(-36%), 실스크(-26%) 등

-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양자컴퓨터와 관련된 기술에 대해 보수적인 발언 시사했기 때문. 양자 컴퓨터와 관련한 유용한 제품까지는 15년~30년이 걸릴 수 있다는 측면을 언급한 점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반면 마이크로소프트(+0.5%), 애플(+0.2%) 등 대형 IT 기업들은 나스닥 지수가 약보합세로 마감됐음에도 상승했고, 엔비디아도 0.02%의 하락에 그침

-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직후 단기 반등 컸던 양자 컴퓨터 관련주 대비 상승 제한적이었기 때문. IT 기업 내에서도 대표 제품/서비스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중장기 투자 매력은 여전히 높다고 판단

- 젠슨 황 CEO 발언의 해석에 대해서도 의견 나뉘는 중인 만큼 양자 컴퓨터 관련주는 단기적인 급등락 반복 구간 지속될 가능성에 유의 필요

-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등 대표 IT 기업들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나서고 있는 상황. 1월 후반~2월 초에는 해당 기업들을 포함해 빅테크 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밀집

- 양자 컴퓨터 관련주의 경우, 상용화되는 대표 제품/서비스들이 구체화되기 전까지 가파른 상승/하락세 지속되기 보다 대형 IT 업체들의 실적 발표 및 행사에서의 발언 등에 따른 급등락세 반복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

● 향후 미국 투자 유의 사항

- ADP 민간 고용은 12.2만건으로 예상치였던 13.9만건을 하회했으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20.1만건에 그치며 혼조된 고용 지표가 공개. 주 후반에도 미국 고용 지표 연이어 발표될 예정

- 다음 주부터는 어닝 시즌에 본격적으로 돌입. 1월 중~후반 미국 증시는 추세적인 상승/하락 보다 전일과 같이 단기 등락 컸던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발언과 매크로 지표에 대한 민감도 높아질 시기

- 공격적 비중 확대보다 단기 트레이딩 매매 차원의 대응 필요. 기존 대비 부지런한 대응 필요해 지는 시점이라고 판단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7 Jan, 23:14


미국 주요지수는 일제히 하락 마감. 기대보다 양호한 매크로 지표가 강달러/고금리 부담을 심화시켰기 때문. 연준 정책에 더해 차기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불확실성 이어지는 점도 연초 지수 상승 제한 요인

업종별로도 에너지와 헬스케어를 제외한 전 업종이 하락. 전 거래일 반등 컸던 IT/경기 민감주 중심의 차익실현 매물 출회

1월은 넘어야 할 산이 많은 만큼 추세적인 상승/하락세 이어지기 보다 방향성 구축 위한 등락 반복 구간 지속

[한투 선진국] 최보원

07 Jan, 23:09


우려보다 양호한 서비스업, 고용 지표 공개됐으나, 연준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부담은 심화

2025년 추가 기준금리 인하 횟수는 1회에 그칠 것으로 예상(FedWatch)

[한투 선진국] 최보원

07 Jan, 23:06


미국 JOLTS 구인건수는 809.8만건으로 예상치였던 773.0만건을 상회

ISM 비제조업 PMI는 54.1pt로 예상치와 이전치를 모두 상회

기대보다 양호한 고용환경에 더해 비제조업 PMI가 우려보다 양호. 미국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모두 상승. 달러 강세 압력도 지속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Jan, 21:51


‘애플 최대 협력사’ 대만 폭스콘, AI 서버 수요에 역대 최고 매출

애플의 최대 위탁생산 협력사인 대만 폭스콘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10∼12월) 역대 최고 매출 기록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106/130801267/2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Jan, 19:27


"15년 내 세계 어디서든 英 타격 가능"…나토, 방공망 강화 촉구

영국 방공망의 잠재적 취약성이 영국과 유럽,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을 적국의 탄도 미사일 위험에 노출되게 할 수 있다는 경고가 공개

나토는 '2025 역량 목표' 보고서에서 영국 미사일 방공망의 잠재적인 취약성을 매우 우려. 집단 방위 역량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방위비 증액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영국 더타임스가 5일(현지시각) 보도

나토 회원국 일부도 영국이 장거리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유럽을 보호하는데 충분히 기여하지 않는다고 실망감을 표명

이에 나토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에게 영국의 원자력발전소와 군사 기지 등 핵심 인프라를 방어하기 위해 지상기반방공체계(SBAD)에 대한 지출을 크게 늘릴 것을 요구하기로 결정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06_0003022526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Jan, 19:24


쿡 연준 이사 "금리 더 내리겠지만, 더욱 신중히 진행해야"

그는 연준이 지난 9월부터 12월까지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하(현재 금리 4.25~4.50%)한 사실을 상기하며 "통화정책의 제약성은 현저히 낮아진 상태"라고 부연

쿡 이사는 "한동안 인플레이션 수치는 매월 변동이 심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을 연준 목표치 2%로 돌리는 과정은 당분간 계속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고 예상

그는 인플레이션 외에 사모신용, 암호화폐, 사이버공격, 인공지능(AI) 등이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과 새로운 충격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는 입장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8799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Jan, 19:21


WP “트럼프, 보편 관세 부과 일부 품목으로 제한할 듯”...트럼프 “가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6일(현지시각) 자신의 대선 공약이었던 보편 관세 인상 정책이 일부 핵심 수입 품목으로 제한해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가짜 뉴스(Fake News)”라는 입장을 강조

트럼프는 대선 기간 내내 중국에 대해 60%의 관세, 나머지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서는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음

앞서 WP는 익명의 소식통 3명을 인용해 “트럼프 측이 ‘핵심 수입품’에만 보편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

10~20%의 보편 관세를 일단 모든 국가에 부과하지만, 모든 수입 품목에 매기는 것보다는 미국의 국가·경제 안보에 핵심적이라고 여겨지는 특정 분야와 관련된 품목에만 제한적으로 부과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는 내용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07/6V2QMQGX6BCLVGB2V6QTADYFPU/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Jan, 11:43


올트먼 “트럼프 임기중 인간 맞먹는 AI 나올것”

챗GPT 개발사인 오픈 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임기 중 인간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가진 ‘범용 인공 지능(AGI)’이 개발될 수 있다고 전망

특히 “AGI가 이번 대통령 임기 중에 개발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제대로 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는 어떤 정치적 문제도 초월해야 하는 거대한 순간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

https://m.sedaily.com/NewsView/2GNL7W1CBN#cb

[한투 선진국] 최보원

05 Jan, 23:02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러셀2000 +1.1%
영국 +0.9%
S&P500 -0.5%
MSCI 선진국 -0.5%
나스닥 -0.5%
유로스톡스50 -0.6%
다우 -0.6%
닛케이 -1.0%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에너지 +3.2%
유틸리티 +1.3%
부동산 +0.6%
헬스케어 +0.0%
금융 -0.3%
커뮤니케이션 -0.3%
산업재 -0.4%
IT -0.7%
필수소비재 -1.4%
경기소비재 -1.5%
소재 -2.1%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비스트라(+16.2%), 컨스텔레이션 에너지(+11.4%), 데번 에너지(+8.8%), 다이아몬드백 에너지(+8.0%), NRG 에너지(+7.1%)

Bottom5: 브라운-포맨(-6.6%), 윈 리조츠(-6.0%), 보잉(-6.0%), PPG(-5.1%), 워크데이(-5.0%)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EQT(EQT), 베리사인(VRSN), 태피스트리(TPR) 등

52주 신저가 종목: 펩시코(PEP), 어도비(ADBE),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크라운 캐슬(CCI), 레나(LEN)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 1/6(월): 12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 등

* 1/7(화): 11월 공장수주, 내구재수주, 11월 무역수지 등

* 1/8(수): 11월 JOLTs 구인이직건수, 12월 ISM 비제조업 PMI, MBA 모기지 신청건수, 12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등

* 1/9(목): 국가 애도의 날 휴장, FOMC 의사록,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등

* 1/10(금): 12월 비농업고용,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 등

* 1/11(토):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예비치 등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 1/9(목):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등

* 1/10(금): 델타 에어라인스(DAL)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5 Jan, 23:02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방향성 구축을 위한 준비 단계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주말 review

- 주말 증시: S&P500 지수는 전일대비 1.3% 상승. 5일 연속 하락했던 S&P500 지수는 산타 랠리 기간 마지막 날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마감. 전주대비로는 0.5% 하락

- 이슈 #1: ISM 제조업 PMI가 49.3pt로 예상치였던 48.2pt 상회. 50pt선은 하회했으나, 5월 초 발표 이후 처음으로 49.0pt선을 상회

- 이슈 #2: 경기 침체 우려 완화, 규제 부담 완화 기대감 반영되며 대형 성장주 반등. 테슬라(+8.2%), 엔비디아(+4.5%), 아마존(+1.8%), 마이크로소프트(+1.1%) 등

- 이슈 #3: 주요 주정부들과 계약 체결로 에너지 공급량 확대 기대. 전력 에너지 기업 반등. 비스트라(+8.5%), 콘스텔레이션(+4.0%) 등

★ 금주 preview

- 이번 주는 미국 고용 지표에 이어 연은 총재 발언 밀집. FOMC 의사록도 공개 예정. 추가 기준금리 인하 속도 불확실성 확대 예상

- 트럼프 당선인이 세금감면, 국경 차단 법안 단일화를 추진. 하원의장으로 마이크 존슨이 재선임되며 공화당 내 트럼프 영향력 확대. 20일 취임식 앞두고 정책 경계 심화 예상

- 1월 중순 어닝 시즌 앞두고 보수적인 컨센서스 발표에도 유의 필요

- 1월 20일 취임식, 1월 말 대형 기업 실적 발표 및 FOMC 회의 앞두고 뚜렷한 상승/하락세 지속되기 보다 방향성 확인을 위한 등락 반복 구간 이어질 전망

- 공격적 비중확대 보다 퀄리티주 중에서도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부담 제한적인 기업 중심으로 선별적 접근하는 전략 유효할 전망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미국 대형 퀄리티주, QUAL - 어닝 시즌 돌입 앞두고 상대적으로 실적 훼손 제한적이며 규제 완화 기대감 반영 시 추가 상승 기대

② 미국 의료 장비, IHI - 대형 헬스케어 기업과 함께 동반 하락 했으나, 비중 높은 기업의 매출 성장 기대감 유효하고 정책 부담 제한적

③ 미국 전력 인프라, PAVE - 단기 조정 컸던 만큼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에너지 공급량 확대 수혜 기대. 국채금리 등락에 따른 트레이딩 매매차원의 대응도 가능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5 Jan, 22:19


● 금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고용 지표 - 비농업고용, 임금 상승률 등
② 미국 연은 총재 발언 밀집, FOMC 의사록
③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서비스업 PMI
④ 미국 실적 발표 - 델타 에어라인스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패스트 리테일링, 세븐&아이 홀딩스 등

[한투 선진국] 최보원

05 Jan, 20:23


美 공화당, 트럼프 공약 ‘세금 감면·국경 차단’ 법안 단일화 추진

미국 공화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핵심 공약인 세금 감면과 불법 입국 차단을 하나의 법안으로 묶어 처리하는 방안을 논의 중

공화당은 국경 장벽 건설과 이민 당국 자금 지원을 포함한 국경 문제를 먼저 해결해 트럼프 임기 초반 성과를 내자는 의견과, 두 공약을 결합해 정치 동력이 있는 초기 단계에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립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06/VSYPZLLVTZE5RDATRIRZG3NGOA/

[한투 선진국] 최보원

05 Jan, 20:20


이탈리아 총리, 트럼프 자택 날아가 깜짝 회동(종합)

유럽 내 트럼프 인맥으로 주목받는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4일(현지시간) 예고없이 미국으로 날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회동

이탈리아 사상 첫 여성 총리이자 강경우파 정당 지도자인 멜로니 총리는 유럽 정상들 가운데 트럼프와 결이 가장 맞는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 또한 트럼프의 핵심 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돈독한 관계

이번 회동에서 두 사람이 나눈 대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무역 관세 문제, 중동 문제, 그리고 이란에 구금된 이탈리아 언론인 체칠리아 살라 등 다양한 사안이 논의된 것으로 파악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5022951009

[한투 선진국] 최보원

05 Jan, 20:16


트럼프의 힘 재확인...美하원의장 마이크 존슨 재선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미 연방의회 장악력을 증명. ‘트럼프 충성파’인 마이크 존슨 현 하원의장과 대립하던 강경파 공화당 의원들의 막판 전향을 전격 이끌어내면서 존슨의 하원의장 연임에 결정적 역할

하원의장이 되기 위해서는 과반인 218표 이상이 필요. 다수당인 공화당은 219석을 차지하고 있어 자체 선출이 가능했지만, 존슨은 이탈표가 2표만 나와도 승리할 수 없던 상황. 특히 10여 명의 당내 초강경파가 존슨에 유보적인 입장을 표명해 왔기에 존슨의 재선출 여부는 불투명했던바 있음


https://www.ajunews.com/view/20250105133648091

[한투 선진국] 최보원

03 Jan, 07:14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4(토)
- 12월 ISM 제조업 PMI (00:00)

*1/6(월)
- 12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 (23:45)

*1/7(화)
- 11월 공장수주, 내구재수주 (00:00)
- 11월 무역수지 (22:30)

*1/8(수)
- 11월 JOLTs 구인이직건수 (00:00)
- 12월 ISM 비제조업 PMI (00:00)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1:00)
- 12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22:15)

*1/9(목)
- 국가 애도의 날 휴장
- FOMC 의사록 (04:0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1/10(금)
- 12월 비농업고용,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 (22:30)

*1/11(토)
-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예비치 (00:00)

--------------
★ 유로존

*1/6(월)
- 12월 HCOB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 (18:00)

*1/7(화)
- 12월 CPI/근원CPI 예비치 (19:00)
- 11월 실업률 (19:00)

*1/8(수)
- 12월 소비자기대지수 확정치 (19:00)
- 11월 PPI (19:00)

*1/9(목)
- 11월 소매판매 (19:00)

--------------
★ 영국

*1/6(월)
- 12월 자동차 신규 등록 (18:00)
- 12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 (18:30)

--------------
★ 일본

*1/6(월)
- 12월 au지분은행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 (09:30)

*1/8(수)
- 12월 소비자기대지수 (14:00)

*1/9(목)
- 11월 실질임금 (08:30)

*1/10(금)
- 11월 가계지출 (08:30)
- 11월 경기선행지수 예비치 (14:0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9(목)
- 개장 전: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등

*1/10(금)
- 개장 전: 델타 에어라인스(DAL)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9(목)
- 패스트 리테일링(9983), 세븐 & 아이 홀딩스(3382) 등

*1/10(금)
- 이온(8267), 야스카와 전기(6506), 양품계획(7453)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3 Jan, 07:14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2.8%, 2.2% 하락. 달러 강세-고금리 장기화 경계 지속. 단기 반등 컸던 기업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미국 주요 지수 일제히 하락

- 유럽: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주대비 1.2% 상승. 미국 대비로는 상대적으로 양호하나, 미국/중국발 정책 경계 이어지며 등락 반복 지속

- 일본: 닛케이(Nikkei225),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0.8%, 0.7% 상승.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확대. 내각 차원의 친기업/내수 개선 위한 정책 구체화된 점이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 차주 전망

- 차주는 미국 고용 지표 발표가 연이어 진행. 연은 총재들의 발언도 이어질 예정

- 연초에는 FedWatch 상에서도 추가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 심화되는 양상

- 차주는 연준 정책 불확실성 높일 일정이 연이어 예정된 만큼 단기 조정 컸던 기업 중심으로 기술적 반등 나타나는 구간에서도 신중한 접근 필요

- 델타 등의 항공주를 시작으로 1월 중순부터는 본격적인 어닝 시즌 돌입 예정

- 보수적 컨센서스/가이던스 발표 가능성 높다는 점도 1월 초~중순 미국 지수 반등을 제한하는 요인

- 단기적으로는 퀄리티주 중에서도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부담 제한적인 기업 중심으로 선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 유효할 전망(규제 완화 수혜주 등)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고용 지표 - 비농업고용, 임금 상승률 등
② 미국 연은 총재 발언 밀집, FOMC 의사록
③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서비스업 PMI
④ 미국 실적 발표 - 델타 에어라인스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패스트 리테일링, 세븐&아이 홀딩스 등
⑥ 미국 ISM 제조업 PMI(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2 Jan, 22:56


우크라 통한 러 가스공급 중단에 유럽 가스값 상승세(종합)

우크라이나 가스관을 경유한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1일(현지시간) 중단되면서 유럽 가스 가격이 연일 상승

우크라이나 가스관을 통한 러시아 천연가스 운송 협정 계약이 지난달 31일로 만료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 러시아산 운송 중단이 EU의 전체 가스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은 5% 정도

최근 몇 주 새 유럽 곳곳의 기온이 급강하하면서 난방 수요가 늘어난 것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지목

https://m.yna.co.kr/amp/view/AKR20250102152951098#amp_tf=%EC%B6%9C%EC%B2%98%3A%20%251%24s&aoh=17358585050204&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m

[한투 선진국] 최보원

02 Jan, 10:44


전일과 오늘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변화)

2025년 1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은 여전히 높게 평가. 다만 2025년 연중 추가 기준금리 인하가 1회가 아닌 2회에 걸쳐 진행될 가능성 확산

매크로 지표 및 이슈 발표가 추가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크게 영향 미치는 중. 해당요인에 따른 증시 민감도도 확대

[한투 선진국] 최보원

01 Jan, 23:08


[2024년 말 기준 수익률]

[한투 선진국] 최보원

01 Jan, 23:06


[2024년 말 기준 수익률]

[한투 선진국] 최보원

01 Jan, 06:17


2024년 한 해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많은 분들 덕분에 보람찬 한 해를 보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2025년에는 더욱 건강하시고 행복한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올해도 정진해서 더 도움되는 자료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올 한 해도 잘 부탁드립니다. 함께 화이팅입니다!

[한투 선진국] 최보원

30 Dec, 01:43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닛케이 +4.1%
MSCI 선진국 +0.9%
영국 +0.8%
나스닥 +0.8%
유로스톡스50 +0.8%
S&P500 +0.7%
다우 +0.4%
러셀2000 +0.1%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에너지 +1.2%
헬스케어 +1.1%
커뮤니케이션 +0.9%
금융 +0.9%
IT +0.9%
경기소비재 +0.4%
유틸리티 +0.4%
부동산 +0.4%
산업재 +0.0%
소재 -0.3%
필수소비재 -0.3%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브로드컴(+9.5%), 램 웨스턴 홀딩스(+7.9%), 마이크로칩 테크놀러지(+5.1%),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5.0%), APA Corp(+5.0%)

Bottom5: 카니발(-6.4%), 브라운-포맨(-6.0%), 노르웨이지안 크루즈 라인 홀딩스(-4.3%), EPAM 시스템스(-3.9%), 빌더스 퍼스트소스(-3.6%)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애플(AAPL), 마스터카드(MA),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 다든 레스토랑(DRI), 태피스트리(TPR) 등

52주 신저가 종목: 펩시코(PEP), 몬덜리즈 인터내셔널(MDLZ), CVS 헬스(CVS), 필립스 66(PSX),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 12/30(월): 12월 시카고 PMI 등

* 12/31(화): 10월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등

* 1/1(수): 새해 휴장 등

* 1/2(목): MBA 모기지 신청건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12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등

* 1/4(토): 12월 ISM 제조업 PMI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30 Dec, 00:21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연말 연초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주말 review

- 주말 증시: S&P500 지수는 전일대비 1.1% 하락. 연말 앞두고 단기 반등 컸던 IT, 경기 소비재 기업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 나스닥 지수는 1.5% 하락

- 이슈 #1: 2024년 반등 컸던 대형 성장주 일제히 하락. 테슬라(-5.0%), 엔비디아(-2.1%), 마이크로소프트(-1.7%) 등

- 이슈 #2: 미국 원유 재고가 전주대비 423.7만 배럴 감소하며 WTI 가격이 1.4% 상승. 70달러선 회복

- 이슈 #3: 일본은 2025 회계연도 예산안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편성. 기업 실적 개선에 따른 세수 규모도 사상 최고치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며 닛케이 지수는 전주대비 4.1% 상승. 아시아 주요 지수는 정책 기대감에 따른 탈동조화 심화

★ 금주 preview

- 연말~연초에는 추세적 상승 지속되기 보다 테슬라의 4분기 차량 인도량, ISM 제조업 지표, 주택 지표 발표에 따른 등락 반복될 것으로 예상

- 단기 반등 컸던 만큼 1월 어닝시즌 마무리 전까지는 지표, 정책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이어질 전망

- 공격적 비중 확대 보다 트레이딩 매매 차원의 대응 필요. 적어도 1월 중순까지는 정책, 규제, 실적 경계 지속되며 일시적 되돌림 여러 번에 걸쳐 나타날 가능성 높기 때문

- 1월 20일 트럼프 당선인 취임 앞두고 규제 완화 정책 구체화 수혜 기대되는 업종 중심의 대응 유효할 것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글로벌 금융, IXG - 차기 트럼프 행정부 규제 완화 기대감 및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 기대감 반영 예상

② 글로벌 방산, SHLD - 나토, 아시아 국가 방위비 증대 수혜 기대. 차기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부담도 제한적

③ 미국 경기소비재, XLY - 추세적 상승보다 테슬라 인도량 발표 및 매크로 지표 공개 시 트레이딩 매매 차원의 대응 가능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9 Dec, 16:03


[한투 선진국] 최보원 pinned «[한투증권 최보원] 1월 선진국 전략: 넘어야 할 산이 다수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2025년 1월 선진국 전략 자료를 발간합니다. 1월 선진국 증시는 추세적 상승이 지속되기보다 단기 조정 후 반등하는 흐름을 예상합니다. 지역별 투자 매력도는 유럽>미국=일본 순으로 제시합니다. 1월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이 예정돼있고, 연준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되며 매크로 지표 민감도가 높아질 시기입니다. 1월 중순부터는 미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한투 선진국] 최보원

29 Dec, 11:41


● 차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새해 휴장
② 미국 ISM 제조업 PMI
③ 미국 주택지표 - 주택가격 지수 등
④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PMI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Dec, 04:00


日, 채권 발행 축소로 115.5조엔 예산 승인...역대급 규모 예산안 '통과'

일본 내각이 2025 회계연도 일반회계 예산으로 115조5400억 엔(7312억8000만 달러)을 승인할 예정. 이 중 약 4분의 1이 부채로 충당

또한 사상 최대 규모의 세수가 예상됨에 따라 채권 발행은 당초 2024 회계연도 예산보다 6조8000억 엔 줄어들어 약 28조6500억 엔으로 감소

자민당과 연립여당인 공명당이 합의한 이번 일본 예산안은 인구 고령화와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보장 및 국방 지출 증가를 반영해 당초 2024 회계연도 예산안보다 더 큰 규모로 편성된 것

일본 내각이 신규 채권 발행으로 지출의 약 25%를 조달할 예정. 이는 2024 회계연도보다 6% 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1998 회계연도 이후 처음으로 30% 아래로 떨어진 것

https://m.g-enews.com/article/Global-Biz/2024/12/20241227071129280e7e8286d56_1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Dec, 01:32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2/30(월)
- 12월 시카고 PMI (23:45)

*12/31(화)
- 10월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23:00)

*1/1(수)
- 새해 휴장

*1/2(목)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1:0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 12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23:45)

*1/4(토)
- 12월 ISM 제조업 PMI (00:00)

-----------------
★ 유로존

*1/1(수)
- 새해 휴장

*1/2(목)
- 12월 HCOB 제조업 PMI 확정치 (18:00)

-----------------
★ 영국

*12/31(화)
- 새해전야 조기폐장

*1/1(수)
- 새해 휴장

*1/2(목)
- 12월 전국주택가격지수 (16:00)
- 12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18:30)

-----------------
★ 일본

*12/30(월)
- 12월 au지분은행 제조업 PMI 확정치 (09:30)

*12/31(화)
- 마켓 홀리데이 휴장

*1/1(수)
- 새해 휴장

*1/2(목)
- 마켓 홀리데이 휴장

*1/3(금)
- 마켓 홀리데이 휴장

즐거운 금요일&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Dec, 01:32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2.9%, 3.3% 상승. IT, 경기소비재 기업 중심의 상승세 지속.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유틸리티 업체 반등

- 유럽: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주대비 0.4% 하락. 미국, 중국발 정책 불확실성 지속되는 가운데 크리스마스 휴장 이어지며 거래량 감소한 영향 반영

- 일본: 닛케이(Nikkei225),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1.9%, 2.0% 상승. 내년 상반기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높게 평가되나, 일본 경기 개선 위한 예산안 확대 기대감 높아지며 주후반 반발 매수세 유입

● 차주 전망

- 연말~연초에는 주요 선진 주식시장에서 휴장 이어지는 만큼 일시적 유동성 위축 예상

- 단기 반등 컸던 만큼 리밸런싱 위한 차익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에도 유의 필요

- 공격적 비중 확대 보다 연초에는 트레이딩 매매 차원의 대응 유효할 전망

- 11~12월은 IT/경기민감주 중심의 반등 컸던 만큼 연초에는 매크로 지표 및 정책 발표에 대한 민감도 높아질 것

- 1월은 월중 진행될 일정들이 증시 등락 반복시킬 것으로 예상. 추세적 상승 보다 일시적 되돌림 이후 반등 여러 번에 걸쳐 나타날 가능성 높게 평가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새해 휴장
② 미국 ISM 제조업 PMI
③ 미국 주택지표 - 주택가격 지수 등
④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PMI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Dec, 09:33


즐거운 크리스마스 되시길 바랍니다🎄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Dec, 09:26


[한투증권 최보원] 1월 선진국 전략: 넘어야 할 산이 다수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2025년 1월 선진국 전략 자료를 발간합니다. 1월 선진국 증시는 추세적 상승이 지속되기보다 단기 조정 후 반등하는 흐름을 예상합니다. 지역별 투자 매력도는 유럽>미국=일본 순으로 제시합니다.

1월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이 예정돼있고, 연준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되며 매크로 지표 민감도가 높아질 시기입니다. 1월 중순부터는 미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어닝시즌도 진행됩니다. 고려해야하는 요인이 다양해지는 가운데 국가별 투자 전략을 점검했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STrPYC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Dec, 11:33


[한투증권 최보원]
미국 전략: 트럼프가 셧다운과 예산안에 미친 영향/대응 전략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지난 주말에는 미국의 임시 예산안이 최종 통과됐습니다. 금번 통과 과정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셧다운이 재차 논의됐고, 최종 통과 단계에서도 트럼프 당선인과 머스크 CEO의 영향력이 확인됐습니다. 2025년 초에도 정부 부채 확대 필요성과 예산안 논의는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과거 셧다운이 미국 금융 시장에 미친 영향과 예산 집행 방향성 등을 점검했고, 향후 투자 아이디어를 담았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예산 집행 방향성은 모순이 있다고 평가되나, 현 시점에 주목해야 하는 점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지출을 늘릴 부문과 줄일 부문을 구분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sbLXpm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Dec, 03:30


"혼다-닛산, 내년 6월 경영통합 목표 합의"

일본 2, 3대 완성차 제조사인 혼다와 닛산자동차가 23일 기본합의서를 체결하고 경영통합을 위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갈 전망

양사는 지주회사를 설립한 뒤 각 사를 산하에 두는 형태로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 이를 실현하게 되면 판매량 기준 세계 3위 그룹으로 도약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2125446639121472&mediaCodeNo=257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Dec, 23:06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나스닥 -1.8%
닛케이 -1.9%
S&P500 -2.0%
유로스톡스50 -2.1%
다우 -2.3%
MSCI 선진국 -2.5%
영국 -2.6%
러셀2000 -4.5%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IT -0.7%
유틸리티 -1.6%
금융 -2.0%
커뮤니케이션 -2.2%
헬스케어 -2.2%
필수소비재 -2.5%
경기소비재 -2.6%
산업재 -2.6%
소재 -4.2%
부동산 -5.0%
에너지 -5.6%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다든 레스토랑(+12.5%), 매치 그룹(+7.3%), 자빌(+7.3%),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5.9%), 폭스(+5.2%)

Bottom5: 램 웨스턴 홀딩스(-21.7%), 버텍스 파마수티컬스(-14.3%), 슈퍼마이크로컴퓨터(-13.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2.1%), 페이콤 소프트웨어(-11.6%)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애플(AAPL), 아마존 닷컴(AMZN), 알파벳(GOOGL), 알파벳(GOOG), 테슬라(TSLA) 등

52주 신저가 종목: 존슨앤드존슨(JNJ), 펩시코(PEP), 어도비(ADBE),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 암젠(AMGN)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 12/24(화): 크리스마스 조기폐장, 12월 CB 소비자신뢰지수, 11월 내구재수주 예비치 등

* 12/25(수): 크리스마스 휴장, 11월 신규주택매매, MBA 모기지 신청건수 등

* 12/26(목):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Dec, 23:00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크리스마스 전후에도 이어질 국채금리 경계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주말 review

- 주말 증시: S&P500 지수는 전일대비 1.1% 상승.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가 동반 하락하며 부동산(리츠) 업종이 1.8% 상승. 대형 기업의 양호한 실적에도 국채금리 및 정책 불확실성 부담 지속되며 부진했던 유틸리티 업종도 1.5% 상승

- 이슈 #1: 근원 PCE 물가지수 상승률이 기대보다 낮은 수준에 그치며 고물가 장기화 우려 일부 완화

- 이슈 #2: 개인 지출과 개인 소득도 증가세 지속됐으나, 예상치는 하회해 과열된 매크로 환경 부담 완화

- 이슈 #3: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도 기대치 하회

- 이슈 #4: GDPNow의 4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도 3.1%에 그치며 FOMC 회의 이후 확산된 기준금리 인하 속도 경계 일부 완화

- 이슈 #5: 임시 예산안 통과하며 셧다운 우려 해소. 부채한도 상향, 대중국 투자 제한 등이 제외되며 공화당 내부에서도 의견 충돌되는 양상 확인. 레드 스윕 이후 확산된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부담 일부 완화

★ 금주 preview

- 연말은 미국, 유럽 등 주요국 휴장으로 유동성 축소되는 흐름 예상

- 일시적 반발 매수세 유입에도 연말~연초 공격적 비중 확대에는 유의 필요. 단기 반등 컸던 기업 보다 밸류에이션 부담 낮은 업체 중심 대응 유효할 전망

- 주말에는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시키는 지표 연이어 공개. 양호한 실적 및 규제 완화 기대감에도 고금리 장기화 우려로 부진했던 업체 주목 가능

- 1월 트럼프 당선인 취임 앞두고 공화당 내부 정책 방향성 논의 지속 예상. 임시 예산안 통과에도 트럼프발 정책 리스크 확대될 수 있는 업체에는 여전히 신중한 접근 필요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글로벌 방산, SHLD - 트럼프 당선인이 나토 회원국을 대상으로 방위비를 늘려야 한다는 점 강조. 미국 뿐 아니라 글로벌 주요 방산 기업 포함된 ETF 주목 가능

② 미국 홈빌더, ITB - 단기 조정 컸으나, 주택난 해소 위한 정책 구체화,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시 재부각 예상

③ 미국 소프트웨어, IGV - 단기 되돌림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일부 완화. 상위 기업 실적 발표 마무리되며 연초 어닝 시즌 돌입 앞두고도 재주목 가능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Dec, 09:32


"나토, 방위비 5% 내라"…취임 앞두고 동맹 압박 나선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향해 대대적인 방위비 증액 압박에 돌입. 내년 1월 취임을 앞두고 초강경 관세 정책과 방위비를 무기로 동맹 압박을 본격화

트럼프 당선인이 나토 회원국에 방위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5%로 증액하라고 요구할 것. 트럼프의 최측근 외교정책 보좌관들이 이달 유럽 고위 관리들과의 회담에서 이미 트럼프의 의중을 전달

현재 나토 회원국 32개국의 방위비 지출은 GDP 대비 평균 2.71%. 아직 2%에도 미치지 못하는 나라는 캐나다·벨기에·스페인 등 8개국. 3%를 넘긴 나라는 미국을 제외하면 폴란드·에스토니아·라트비아·그리스 4개국뿐

https://news.koreadaily.com/2024/12/21/society/international/20241221232641848.html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Dec, 09:08


● 차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내구재 수주, 신규주택 판매
② 일본: BOJ 회의록, 고용 지표, 도쿄 CPI
③ 영국: GDP
④ 미국, 유로존, 영국: 크리스마스 휴장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Dec, 09:07


미국 주요 지수는 일제히 상승. 다우, 나스닥, S&P500 지수가 전일대비 1.2%, 1.0%, 1.1%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1.5% 상승. 상승세 지속되던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동반 하락하며 부동산(리츠) 업종이 1.8% 상승. 대형 기업의 양호한 실적에도 국채금리 및 정책 불확실성 부담 지속되며 반등 제한적이었던 유틸리티 업종도 1.5% 상승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Nov, 08:57


日 이시바 내각, 총 39조엔 규모 경제 부양책 승인(상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에너지 비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보조금과 저소득층에 대한 현금 지급을 포함한 총 39조엔(약 354조원) 규모의 경제 부양책을 확정

이번 대책을 위해 재정 지출 규모를 약 21조9천억 엔으로 설정. 민간자금을 포함한 총사업 규모는 39조엔

일본 내각부는 이번 경기 부양책으로 소비자 물가를 약 0.3%포인트 낮추고 인플레이션 조정 국내총생산(GDP)이 연간 1.2%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

약 12조7천억엔은 전기, 가스, 휘발유 가격 인상에 대한 구제책으로 사용될 예정. 경기 부양 대책에는 약 19조1천억엔이 배정되며,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에 10조엔이 넘는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

또한, 자연재해와 공공 안전을 위해서도 약 7조2천억엔을 배정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news.einfomax.co.kr%2Fnews%2FarticleView.html%3Fidxno%3D4333353&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Nov, 08:55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1/22(금)
-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23:45)

*11/23(토)
-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00:00)

*11/26(화)
- 9월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23:00)

*11/27(수)
- 11월 CB 소비자신뢰지수 (00:00)
- 10월 신규주택매매 (00:00)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1:00)
- 10월 개인소득 (22:30)
- 10월 내구재수주 예비치 (22: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 3분기 GDP 잠정치 (22:30)

[3분기 GDP]
(QoQ) 예상치 2.8%, 이전치 2.8%

*11/28(목)
- 추수감사절 휴장
- 10월 PCE/근원 PCE (00:00)

[헤드라인 PCE]
(YoY) 예상치 2.3%, 이전치 2.1%
(MoM) 예상치 0.2%, 이전치 0.2%

[근원 PCE]
(YoY) 예상치 2.8%, 이전치 2.7%
(MoM) 예상치 0.3%, 이전치 0.3%

*11/29(금)
- 추수감사절 익일 조기폐장
- 11월 시카고 PMI (23:45)

-----------------
★ 유로존

*11/22(금)
- 11월 HCOB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8:00)

*11/28(목)
- 11월 소비자기대지수 확정치 (19:00)

*11/29(금)
- 11월 CPI/근원 CPI 예비치 (19:00)

-----------------
★ 영국

*11/22(금)
-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8:30)

*11/29(금)
- M3 통화공급 (18:30)

-----------------
★ 일본

*11/25(월)
- 9월 경기선행지수 확정치 (14:00)

*11/29(금)
- 10월 실업률 (08:30)
- 10월 유효구인배율 (08:30)
- 11월 도쿄 CPI (08:30)
- 10월 소매판매 (08:50)
- 10월 광공업생산 예비치 (08:50)
- 10월 주택착공건수 (14:00)
- 11월 소비자기대지수 (14:0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1/25(월)
- 장마감 후: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A) 등

*11/26(화)
- 개장 전: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등
- 장마감 후: 델 테크놀로지스(DELL),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홀딩스(CRWD), 오토데스크(ADSK), HP(HPQ) 등

즐거운 금요일&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Nov, 08:42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는 약보합세 마감. 유틸리티 업종 지수는 전주대비 4.8% 상승. 경기소비재, IT는 1.0%, 0.8% 하락. 단기 반등 컸던 대선 마무리 수혜 기업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 양호한 실적, 정책 기대감에도 상승 제한적이었던 기업 반등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1.6%, 0.9% 하락. 경기 불확실성 지속되며 경기 민감주, IT 기업 부진

- 일본: 닛케이,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0.9%, 0.6% 하락. 정책 불확실성 경계 이어지며 보합권 등락 반복

● 차주 전망

- 차주에도 트럼프 행정부 정책 경계 이어질 것

- 추세적 상승/하락 보다 등락 반복 구간 이어질 전망

- 대형 기업 실적 대부분 마무리된 점 긍정적이나, 미국 GDP, PCE 지표 등 월말~월초 지표 발표가 가파른 지수 상승 제한 예상

- 성장주 위주의 공격적 비중확대 보다 단기 반등 제한적이었던 기업 중심 대응 유효할 전망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GDP
② 미국 PCE
③ 유로존, 일본 CPI
④ 일본 고용 지표, 소매판매
⑤ 미국 실적 발표 -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홀딩스, 델 테크놀로지스 등
⑥ 미국 미시간대 지표, S&P 글로벌 제조업 PMI(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Nov, 01:38


[한투증권 최보원]
불칸 머티리얼즈(VMC US): 건설/재건 수요 확대 수혜주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3분기 실적 기대감은 낮으나, 2025년 주목할 수 있는 기업으로 제시했던 불칸 머티리얼즈는 3분기에도 허리케인 영향이 반영되며 기대보다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2025년 기대감으로 실적 발표 이후에도 주가는 상승했으나, 대선 이후 국채금리가 반등하며 일시적 조정이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불칸 머티리얼즈는 국채금리 및 기후 재해 부담을 골재 가격 상승으로 상쇄하고 있고, 미국 공공/민간 건설 및 재건 수요 확대 시 주목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인프라 정책 구체화 시 주목할 수 있는 대표 기업 중 하나라고 판단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IcCYAH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Nov, 01:37


[한투증권 최보원]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T US): 안정적 전력 공급 수요 확대 수혜주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트레인 테크놀로지스는 기대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고, 가이던스도 상향하며 상승세가 이어졌으나, 고금리 기조 장기화 우려가 확산되며 단기적으로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습니다. 단기적인 국채금리 상승 및 탈탄소 규제 완화 가능성이 부각되며 일시적 조정이 나타나는 경우 재진입이 가능한 기업이라고 판단합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친환경 기업에게 무조건적으로 부정적이었던 과거와 달리 에너지 공급량 증대를 위한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양당 인사들과 기업들이 안정적인 전력 공급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시에도 주목 가능한 기업입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huUyJY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Nov, 01:36


[한투증권 최보원]
홈 디포(HD US): 트럼프 당선에도 허리케인에도 주목 가능 기업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홈 디포는 가파른 국채, 모기지 금리 반등의 피해주로 구분되나, 허리케인 영향에도 수요가 개선되는 대표적인 기업이기도 합니다. 국채 및 모기지 금리 상승세 둔화 시에는 주택 개량 수요 회복에 따른 매출 증가도 기대됩니다. 미국 매출 비중이 높아 외교 불확실성 확대 시에도 주목 가능한 업체입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rZUdGv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Nov, 01:06


[한투증권 최보원]
D.R.호튼(DHI US): 금리 부담에도 트럼프 정책 기대감은 여전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D.R.호튼은 대표적인 국채금리 상승 피해주로 최근 한 달간 주가가 17.0% 하락했습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단독주택 수요 개선 및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수혜가 기대되는 업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낮은 모기지 금리와 주택 공급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는 점도 주목 가능합니다. 대선 마무리 후 조정으로 밸류에이션 부담도 완화됐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XQqNav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Nov, 01:06


[한투증권 최보원]
이튼(ETN US): 지속되는 전력 솔루션 수요, 개선되는 수익성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이튼은 기후 재해 영향과 고금리 기조 장기화 피해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투자 매력을 보유한 업체라고 판단합니다. 전력 솔루션 수요 증가에 대응 가능한 대표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2025년에도 데이터센터향 투자와 산업 시설 인프라 확충 수혜가 예상됩니다.

국채금리 하락 속도가 더딘 점은 부담이나, 모기지금리 상승세 둔화 시에는 주거시설향 수요 개선도 기대됩니다. 대형 기업과 제휴를 체결하는 등 동일 업종 내에서도 솔루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며, 중장기적으로는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수혜도 기대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WLELjo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Nov, 01:06


[한투증권 최보원]
캐터필라(CAT US): 트럼프 정책 수혜 기대되는 대표 인프라주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캐터필라는 미국 인프라 투자 및 국내외 재건 수요 확대 시 주목할 수 있는 대표 기업입니다. 더딘 국채금리 하락 속도는 부담이나, 트럼프 당선인이 강조하는 대표 정책 수혜가 기대되고, 점진적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시에도 주목 가능한 업체입니다. 미국 내에서 에너지 공급량 증가 필요성이 시사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운송 부문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 주주환원 매력도 높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LDGyGz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Nov, 02:19


[한투증권 최보원]
미국 전략: 국채금리 상승 피해주이나, 중장기 트럼프 정책 수혜주 6選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11월에는 미국 대선 마무리 수혜 업체들의 반등이 컸습니다. 반면 트럼프 정책 수혜주이나, 국채금리 반등으로 주가 상승이 제한되거나, 오히려 하락한 업체들이 있습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국채금리 상승 피해주이나, 중장기 트럼프 정책 수혜 기업을 점검했습니다.

주목 정책은 1) 에너지와 2) 주택/건설입니다. 에너지와 주택/건설 부문은 트럼프 당선인이 규제 완화를 통해 공급을 확대해야 하는 점을 강조했던 부문이기도 합니다. 에너지 정책은 단순히 전통/신재생 부문으로 구분하기 보다 전체 에너지 공급 확대 및 관련 인프라 강화 방향성에 초점을 맞춘 대응이 필요합니다.

주목 업종으로는 1) 주택(홈빌더), 2) 전통 인프라, 3) 전력 인프라를 제시합니다. 해당 업종 내에서 6개 기업을 선별했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yDkefi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9 Nov, 23:45


[한투증권 최보원]
미국 전략: 3분기 어닝 시즌 리뷰: 이번에도 양호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미국 3분기 어닝시즌 리뷰 자료를 발간합니다. S&P500 기업 중 92%의 업체가 실적을 발표했고, 그 중 76%가 기대보다 양호한 EPS를 기록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실적이 견조했던 업종은 커뮤니케이션과 유틸리티 업종이었습니다. 부진했던 업종은 에너지, 소재로 기후 영향이 크게 반영됐습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향후 가이던스가 보수적으로 제시된 공통적인 이유들과 그에 따른 투자 아이디어를 함께 담았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pwiVFK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7 Nov, 23:42


美 매체 “엔비디아 AI칩 '블랙웰' 서버 과열 문제”…공급 지연 가능성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가속기 신제품 '블랙웰'이 서버 과열 문제를 겪고 있다는 우려 확산

미국의 정보기술(IT)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소식통을 인용, 엔비디아 블랙웰이 맞춤형 서버 랙에 연결됐을 때 과열 문제가 발생한다고 발표. 또 엔비디아 직원 말을 인용해 엔비디아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랙 설계 변경을 공급업체에 여러 차례 요구했다고 보도

이번 블랙웰 서버 과열 문제가 현실화할 경우 주요 고객사 데이터센터 적용이 더 늦어질 수 있는 상황. 현재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다수 글로벌 데이터센터 사업자들이 블랙웰을 주문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m.etnews.com%2F20241118000010%3Fobj%3D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zOjIzOiJodHRwczovL3d3dy5nb29nbGUuY29tLyI7czo3OiJmb3J3YXJkIjtzOjEzOiJ3ZWIgdG8gbW9iaWxlIjt9&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17 Nov, 23:38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영국 -0.1%
유로스톡스50 -0.2%
다우 -1.2%
S&P500 -2.1%
MSCI 선진국 -2.1%
닛케이 -2.2%
나스닥 -3.1%
러셀2000 -4.0%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금융 +1.4%
에너지 +0.6%
유틸리티 0.0%
경기소비재 -1.1%
필수소비재 -1.2%
커뮤니케이션 -2.1%
부동산 -2.1%
산업재 -2.1%
IT -3.2%
소재 -3.3%
헬스케어 -5.5%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월트디즈니(+16.2%), 팔란티어 테크놀로지(+12.6%), 태피스트리(+9.6%), 찰스 슈왑(+9.1%), 덱스컴(+8.5%)

Bottom5: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스(-24.7%), 아멘텀 홀딩스(-24.6%), 슈퍼마이크로컴퓨터(-24.2%), 모더나(-21.3%), 레이도스 홀딩스(-19.0%)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아마존 닷컴(AMZN), 테슬라(TSLA), 월마트(WMT), 비자(V),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 등

52주 신저가 종목: 머크(MRK), 화이자(PFE), 보잉(BA), 몬덜리즈 인터내셔널(MDLZ), 리제네론 파마수티컬스(REGN)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 11/19(화): 11월 NAHB 주택시장지수, 10월 주택착공건수, 10월 건축허가건수 등

* 11/20(수): MBA 모기지 신청건수 등

* 11/21(목): 11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등

* 11/22(금): 10월 경기선행지수, 10월 기존주택판매,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등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 11/19(화): 월마트(WMT), 로우스 컴퍼니스(LOW), 메드트로닉(MDT) 등

* 11/20(수): 엔비디아(NVDA), 팔로 알토 네트웍스(PANW), TJX 컴퍼니스(TJX), 타겟(TGT) 등

* 11/21(목): 디어(DE), 인튜이트(INTU), 코파트(CPRT), 로스스토어(ROST)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7 Nov, 23:16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트럼프 2기 정책 구체화 및 엔비디아 실적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주말 review

- 주말 증시: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3%, 2.2% 하락. 전주대비로는 2.1%, 3.1% 하락. 단기 반등 컸던 기업들의 상승분 반납, 더딘 기준금리 인하 속도 경계 커지며 투자 심리 위축

- 이슈 #1: 미국 소매판매는 기대보다 양호.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4% 증가. 예상치였던 0.3%를 상회

- 이슈 #2: 제조업 지표도 양호.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는 31.2pt로 예상치였던 -0.3pt를 상회

- 이슈 #3: 산업생산은 허리케인 및 항공기 제조업체 파업 영향 반영되며 감소세 지속됐으나, 예상치에는 부합

- 이슈 #4: 연이은 매크로 지표 공개 후 12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61.9%로 낮아졌고, 보스턴, 시카고 연은 총재도 추가 인하에 신중한 입장임을 강조

★ 금주 preview

- 트럼프 당선인의 대표 정책 구체화 앞두고 반도체 기업 조정 컸던 만큼 금주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 강해질 것

- 우려보다 양호한 소매판매 지표 공개된 가운데 대형 리테일 업체의 실적 발표와 주택 지표 공개 예정.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 지표 공개 시 기준금리 인하 속도 경계 심화될 것

- 견조한 수요에도 단기 국채금리 상승, 트럼프 당선 등으로 반등 제한적이었던 기업 선호 입장 유지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미국 유틸리티, XLU - 트럼프 당선인발 외교 불확실성 부담 제한적. 미국 내 전력 수요 확대 관련 정책 구체화 시에도 주목 가능. 단기 조정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② 미국 산업재, XLI - 미국 국채금리 상승 및 기후 영향 반영되며 반등 제한적이었던 기업 비중 높음.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 및 인프라 정책 구체화 시 주목 가능

③ 미국 리테일, RTH - 대형 리테일 업체들의 실적 발표 및 연말 쇼핑 시즌 앞두고 재부각 예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7 Nov, 14:03


● 차주 주목 일정 요약

① 미국 주택지표 - 기존주택판매, 건축허가건수 등
② 미국 제조업 PMI
③ 유로존, 영국, 일본 CPI
④ 미국 실적 발표 - 엔비디아, 월마트, 타겟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동경해상 홀딩스, MS&AD 인슈런스 그룹 등

[한투 선진국] 최보원

16 Nov, 22:38


트럼프 에너지부 장관에 '석유 재벌' 크리스 라이트 지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16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에너지부 장관에 ‘석유 재벌’ 크리스 라이트 리버티 에너지 최고경영자(CEO)를 지명. 트럼프는 전날엔 에너지 정책을 총괄할 국가에너지회의(National Energy Council)를 신설

국가에너지회의 및 담당 장관들을 필두로 석유·가스·석탄 등 미국이 보유한 전통 에너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외국 의존을 줄이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겠다는 ‘드릴 베이비 드릴(석유 시추를 늘리자는 구호)’ 정책을 본격 추진할 전망

트럼프는 화석연료 산업 부흥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바이든이 환경 문제로 중단했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프로젝트를 즉각 승인하겠다고 강조해온 바 있음. 파이낸셜 타임스는 “(라이트 지명은) 미국 LNG 수출을 늘리려는 트럼프 계획을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

트럼프가 전날 신설한 국가에너지회의의 의장인 버검은 국가안보회의(NSC)에도 참석할 계획. 에너지 정책을 안보 사안과 연계하겠다는 취지로 분석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www.chosun.com%2Finternational%2Fus%2F2024%2F11%2F17%2FRVH5BY7BONEXTJGNHFCGSPTMKY%2F&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16 Nov, 06:52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3%, 2.2% 하락. 전주대비로는 2.1%, 3.1% 하락. 단기 반등 컸던 기업들의 상승분 반납, 더딘 기준금리 인하 속도 경계 커지며 투자 심리 위축

반면 2년물 국채금리 상승세 둔화로 단기 반등 제한적이었던 대형 유틸리티, 부동산(리츠) 업종은 전일대비 상승. 규제 완화 기대감 지속되며 금융 업종도 추가 상승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및 대형 기업의 실적 불확실성 지속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일대비 3.4% 하락. 전주대비로는 8.6% 하락

[한투 선진국] 최보원

16 Nov, 06:47


연이은 매크로 지표 공개 후 12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61.9%로 낮아졌고, 동결 확률은 38.1%까지 상승. 보스턴, 시카고 연은 총재도 추가 인하에 신중한 입장임을 강조하며 기준금리 인하 속도 둔화 우려 심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16 Nov, 06:20


★소매판매

미국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4% 증가. 예상치였던 0.3% 대비로는 양호. 9월 증가율도 기존의 0.4%에서 0.8%로 상향 수정

근원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1% 증가에 그치며 예상치였던 0.3%를 하회

★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는 31.2pt로 예상치였던 -0.3pt를 상회. 이전치였던 -11.9pt 대비로도 크게 개선

★ 산업생산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0.29% 감소. 전월대비로도 0.30% 감소하며 예상치에 부합. 허리케인 및 항공기 제조업체 파업 영향 반영되며 감소세 지속됐으나, 9월 대비 감소세 둔화

제조업 생산은 전월대비 0.5% 감소. 세부적으로는 광산업과 유틸리티 지수는 전월대비 0.3%, 0.7% 상승

[한투 선진국] 최보원

15 Nov, 05:48


일본 3분기 GDP는 0.9% 증가(연율 기준). 2분기 연속 증가세 지속. 우려와 달리 민간소비 지출 증가. 쌀 부족 가능성 제기되며 쌀, 통조림, 컵라면 등의 매출이 증가. 자동차 구입 회복 및 스마트폰 판매 호조

[한투 선진국] 최보원

15 Nov, 05:34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1/15(금)
- 11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22:30)
- 10월 소매판매 (22:30)
- 10월 광공업생산 (23:15)

*11/19(화)
- 11월 NAHB 주택시장지수 (00:00)
- 10월 주택착공건수 (22:30)
- 10월 건축허가건수 (22:30)

*11/20(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1:00)

*11/21(목)
- 11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22: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11/22(금)
- 10월 경기선행지수 (00:00)
- 10월 기존주택판매 (00:00)
-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23:45)

-----------------
★ 유로존

*11/18(월)
- 9월 무역수지 (19:00)

*11/19(화)
- 9월 경상수지 (18:00)
- 10월 CPI/근원 CPI 확정치 (19:00)

*11/20(수)
- 9월 건설생산 (19:00)

*11/22(금)
- 11월 소비자기대지수 예비치 (00:00)
- 11월 HCOB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8:00)

-----------------
★ 영국

*11/18(월)
- 11월 라이트무브 주택가격지수 (09:01)

*11/20(수)
- 10월 CPI/근원 CPI (16:00)

*11/22(금)
- 11월 GfK 소비자 기대지수 (09:01)
- 10월 소매판매 (16:00)
-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8:30)

-----------------
★ 일본

*11/18(월)
- 9월 핵심기계수주 (08:50)

*11/20(수)
- 10월 무역수지 (08:50)
- 10월 수출 (08:50)

*11/22(금)
- 10월 전국 CPI (08:30)
- 11월 au지분은행 종합, 제조업, 서비스업 PMI 예비치 (09: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1/19(화)
- 개장 전: 월마트(WMT), 로우스 컴퍼니스(LOW), 메드트로닉(MDT) 등

*11/20(수)
- 개장 전: TJX 컴퍼니스(TJX), 타겟(TGT) 등
- 장마감 후: 엔비디아(NVDA), 팔로 알토 네트웍스(PANW) 등

*11/21(목)
- 개장 전: 디어(DE) 등
- 장마감 후: 인튜이트(INTU), 코파트(CPRT), 로스 스토어스(ROST)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1/19(화)
- 동경해상 홀딩스(8766), MS&AD 인슈어런스 그룹 홀딩스(8725), 솜포 홀딩스(8630) 등

*11/20(수)
- 카시오 컴퓨터(6952) 등

즐거운 금요일&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5 Nov, 05:34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는 전주대비 0.4% 하락. 금융, 경기소비재, 에너지 등 경기민감주 강세 지속되고 있으나, 국채금리 상승세 이어지며 관련주 부진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0.4%, 0.6% 하락. 미국발 외교 불확실성 심화되며 단기 조정 컸으나, 주후반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낙폭 축소

- 일본: 닛케이,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2.1%, 1.5% 하락. 엔화 약세 기조 심화에도 부진한 실적 발표한 대표 수출주 하락. 국채금리 상승 수혜 업체인 대형 은행은 상승세 지속

● 차주 전망

- 금주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인사 구체화. 차주에는 우크라이나, 중동 등을 대상으로 정책 보다 구체화 예상

- 최근에는 대선 마무리 수혜 업체 반등 컸으나, 차주에는 차기 행정부 정책 영향 크게 반영될 주택 지표 공개 예정. 소비재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연이어 공개될 것

- 가파른 지수 상승 지속되기 보다 엔비디아, 소비재 기업의 실적 발표에 따른 등락 반복 예상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주택지표 - 기존주택판매, 건축허가건수 등
② 미국 제조업 PMI
③ 유로존, 영국, 일본 CPI
④ 미국 실적 발표 - 엔비디아, 월마트, 타겟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동경해상 홀딩스, MS&AD 인슈런스 그룹 등
⑥ 미국 소매판매(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5 Nov, 01:31


"트럼프 정권 인수팀, IRA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계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인수팀이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한 전기차 세액공제의 폐지를 계획

석유·가스회사 '콘티넨털 리소스즈' 창립자인 해럴드 햄과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가 이끄는 에너지정책팀이 IRA 세액공제 폐지를 논의

미국의 최대 전기차 판매업체인 테슬라 측은 정권인수팀에 보조금 폐지를 지지한다는 입장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www.yna.co.kr%2Fview%2FAKR20241115004651071&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Nov, 08:47


트럼프 랠리라는 단어로 표현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대선 마무리 수혜 업체들(대표적으로 경기민감주) 중심의 상승세 지속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구체화 앞두고 빠른 인선 진행되고 있는 점 주목 필요. 향후 외교/국방/환경/에너지 관련 정책 방향성 확인 가능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Nov, 08:44


“이스라엘만 웃었다”… 트럼프 중동 인선 살펴보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동 지역의 외교 인선을 마무리

트럼프는 차기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에 마이크 허커비 전 아칸소 주지사(69)를, 중동 특사엔 유대계 사업가인 스티브 위트코프(67)를 지명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biz.chosun.com%2Finternational%2Finternational_general%2F2024%2F11%2F14%2FJPEI7GICOZCUPGU44P2I4LWMKY%2F&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Nov, 08:41


美 정치 확 바꾼 트럼프...대선 압승이 들춰낸 세 가지 진실 [송의달 LIVE]

2024 대선의 가장 큰 특징은 미국 국민들이 트럼프에게 몰표를 주었다는 사실. 그는 7개 경합주와 전국 득표율, 연방 상원 및 하원의원 선거, 주(州) 지사, 주 의회 선거까지 싹쓸이. 공화당 후보의 전국 득표율 과반 획득은 2004년 이후 20년 만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www.chosun.com%2Finternational%2Finternational_general%2F2024%2F11%2F14%2FEW2LFQKUQNF3DKGVS343EBXBOU%2F&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14 Nov, 08:38


미국,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3배로…트럼프도 원전 '지지'

인공지능(AI) 붐 등으로 전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청정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해 원자력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3배로 늘리겠다는 계획 발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역시 대선 기간 신규 원전 건설 등에 대해 발언한 만큼, 차기 행정부에서도 이러한 기조가 계승될 가능성 부각

https://search.app?link=https%3A%2F%2Fwww.yna.co.kr%2Fview%2FAKR20241113105500009&utm_campaign=aga&utm_source=agsadl2%2Csh%2Fx%2Fgs%2Fm2%2F4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Nov, 22:25


예상치에 부합하는 CPI 발표 후 12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80%를 넘어섰으나, 트럼프 당선 후 2025년 추가 인하 속도는 둔화될 가능성 높게 평가

[한투 선진국] 최보원

13 Nov, 22:21


미국 30년물 모기지금리는 6.86%로 상승세 지속. 다만 6주 연속 감소했던 모기지신청건수는 7주 만에 증가세 전환

CPI는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발표. 헤드라인 CPI 상승률이 전월대비 높았으나, 영향 제한적

[한투 선진국] 최보원

08 Nov, 07:25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1/9(토)
-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예비치 (00:00)

*11/13(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1:00)
- 10월 CPI/근원 CPI (22:30)

[헤드라인 CPI]
(YoY) 예상치 2.6%, 이전치 2.4%
(MoM) 예상치 0.2%, 이전치 0.2%

[근원 CPI]
(YoY) 예상치 3.3%, 이전치 3.3%
(MoM) 예상치 0.3%, 이전치 0.3%

*11/14(목)
- 10월 PPI/근원 PPI (22: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11/15(금)
- 11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22:30)
- 10월 소매판매 (22:30)
- 10월 광공업생산 (23:15)

-----------
★ 유로존

*11/13(수)
- 9월 산업생산 (19:00)

*11/14(목)
- 3분기 GDP 예비치 (19:00)

-----------
★ 영국

*11/12(화)
- 9월 실업률 (16:00)

*11/15(금)
- 9월 광공업, 제조업, 건설생산 (16:00)
- 3분기 GDP 예비치 (16:00)
- 9월 무역수지 (16:00)

-----------
★ 일본

*11/11(월)
- 9월 경상수지 (08:50)

*11/13(수)
- 10월 PPI (08:50)
- 10월 공작기계수주 예비치 (15:00)

*11/15(금)
- 3분기 GDP 예비치 (08:50)
- 9월 설비가동률 (13:30)
- 9월 광공업생산 확정치 (13: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1/12(화)
- 개장 전: 홈디포(HD) 등

*11/13(수)
- 개장 후: 옥시덴털 페트롤리움(OXY), 시스코 시스템스(CSCO) 등

*11/14(목)
- 개장 전: 월트디즈니(DIS) 등
- 장마감 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등

*11/15(금)
- 개장 전: 코파트(CPRT), 로스 스토어스(ROST)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1/11(월)
- 리쿠르트 홀딩스(6098), 이스즈자동차(7202), 닛산화학공업(4021) 등

*11/12(화)
- 소프트뱅크 그룹(9984), 도쿄일렉트론(8035), INPEX(1605), 넥슨(3659) 등

*11/13(수)
- ENEOS 홀딩스(5020), 라쿠텐 그룹(4755), 이세탄 미쓰코시(3099), 쿠라레(3405) 등

*11/14(목)
-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8306), 스미토모 미쓰이 파이낸셜그룹(8316), 일본우정(6178), 아사히 그룹 홀딩스(2502) 등

즐거운 금요일&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8 Nov, 06:08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4.7%, 6.5% 상승. 정치 불확실성 완화되며 반발 매수세 유입. S&P500 경기소비재, IT, 산업재, 에너지 업종 지수는 8.9%, 6.5%, 5.0%, 4.9% 상승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0.5%, 0.9% 상승. 트럼프 당선 후 하락했으나, 주 후반 경기 민감주 중심 반발 매수세 유입

- 일본: 닛케이,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0.8%, 1.8% 상승. 달러강세-엔화약세 기조 심화에도 실적 발표에 따른 주가 차별화 심화. 미국 IT 기업과 동조화 기조 지속

● 차주 전망

- 미국 대선 마무리되며 정치 불확실성 완화된 점 긍정적

- 차주는 관세, 세금 감면, 중동 정책 등 트럼프 행정부의 대표 정책 구체화 여부에 주목될 것

- 단기적으로 국채금리 반등했으나, FOMC 회의 결과 발표 후 하락. 연준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초점 맞춰진 가운데 차주는 CPI, PPI 발표 경계 심화 예상

- 차주에는 견조한 수요에도 단기적인 국채금리 상승, 트럼프 당선 등으로 전주 조정 컸던 기업 중심 대응 가능할 전망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CPI, PPI
② 미국 소매판매
③ 유로존, 영국, 일본 GDP
④ 미국 실적 발표 - 홈디포, 월트디즈니, 코파트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도쿄일렉트론, 소프트뱅크 그룹, 아사히 그룹 등
⑥ 미국 미시간대 지표(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23:51


[한투증권 최보원]
트럼프 시즌 2: 미국 대선이 자산시장에 미치는 시사점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트럼프 당선이 경제, 주식 시장, 개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했습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jIZYYW
-----------------
★ 매크로

- 미국 경제
- 환율
- 채권
- 크레딧

★ 주식 시장

- 미국 주식
- 한국 주식
- 퀀트
- 중국 주식

★ 산업별 영향

- 자동차
- 반도체
- 전기전자
- 금융
- 인터넷
- 방위산업
- 조선
- 철강/비철/전선/전력기기
- 제약/바이오
- 석유화학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14:50


원유가격 하락에도 정책 기대감 반영되며 전통에너지 ETF 상승. 글로벌 방산주 등 대표 트럼프 수혜 업체도 상승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14:47


달러인덱스는 105pt선을 상회. 미국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동반 상승. 원유, 금, 은 가격은 동반 하락

정치 불확실성 완화되며 VIX 지수 하락세 지속. 미국 대표 지수 동반 상승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14:30


11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99%를 넘어섰으나, 12월 추가 인하 확률은 66.8%까지 낮아지며 속도조절 가능성 부각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14:29


트럼프 당선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06:44


[한투증권 최보원] 일본 증시 급등 코멘트(미국 대선 및 실적 영향)

● 일본 증시 코멘트

- 닛케이, 토픽스 지수는 전일대비 2.0%, 1.5% 상승(오후 2시 40분 기준)

-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공개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전 대통령 승리 확률 높아지며 달러 강세-엔화 약세 기조 심화. 엔달러환율은 153.5엔까지 상승

- 일본 장기국채금리는 0.941%까지 상승하며 대표 금융주 상승. 미쓰이스미토모 파이낸셜 +5.5%, 미쓰비시UFJ 파이낸셜 +4.3% 등

- 대형 기업의 양호한 실적 발표까지 이어지며 일본 대표 장비주, 내수주 상승. 이세탄미쓰코시 +4.4%, J프론트 리테일링 +3.9% 등

- 엔화 약세 기조 심화에도 토요타자동차가 부진한 실적 발표하며 대표 수출주는 시장 수익률 하회. 토요타자동차 +0.8%, 스바루 -3.1%, 마쓰다 -3.5% 등

● 시사점/향후 투자전략

- 일본은 대형 기업들이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 발표하고 있고, 미국 정치 불확실성 완화 및 강달러 기조 장기화 수혜는 기대

- 닛케이 지수의 연간 예상밴드 상단은 40,000pt 유지

- 다만 연말에는 대표 수출주 중심의 상승세 이어졌던 상반기와 달리 점진적으로 엔화 강세 수혜 업체 및 내부 정책 수혜 업체 중심의 대응 필요

- 트럼프 전 대통령 최종 당선 시 수요 개선 기대되는 장비 기업도 주목 가능할 전망

- 일본은 전체 시장 보다 세부 업종/기업별 대응 유효할 전망.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했고, 차주에는 일본 총리 선거도 진행되기 때문. 일본 내부 정책 수혜 업체 중심의 선별적 대응 필요

- 엔화 강세 수혜 업체(내수주), 일본 여야 공통 정책 수혜 기대 기업(배당주), BOJ 정책 수혜 업체(금융주) 선호 입장 유지.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수요 개선 기대되는 장비 업체도 주목 가능할 전망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05:33


대통령 선거과 함께 주목해야 하는 상하원 선거. 레드 스윕 가능성 높아지는 중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05:29


연한 빨간색 부분만 더해도 270표는 상회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04:15


공화당 vs. 민주당

위스콘신(10표): 50.6% vs. 47.9%
조지아(16표): 51.1% vs. 48.2%
펜실베니아(19표): 51.4% vs. 47.8%
미시간(15표): 51.4% vs. 46.8%
노스캐롤라이나(16표): 50.8% vs. 48.1%
애리조나(11표): 49.7% vs. 49.5%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02:43


상원도 하원도 공화당이 앞서는 중

[한투 선진국] 최보원

06 Nov, 02:40


개표 진행되며 트럼프 당선 확률 76.9% 까지 높아진 반면 해리스 당선 기대감은 큰 폭 하락. 당선 확률은 23.3%에 불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8 Oct, 00:12


[한투증권 최보원]
버티브 홀딩스(VRT US): 전력 수요 확대가 이끄는 성장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버티브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됐습니다. 3분기 실적은 기대보다 양호했으나, 일부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으면서 주가는 일시적으로 하락했습니다. 반면 버티브의 투자 매력도는 여전히 높다고 판단합니다. 미국 내 전력 수요 확대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적인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서는 EMEA 지역에서도 수요가 확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버티브는 전력 인프라 관련 업체 중에서도 대형 기업들과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고, 하이퍼스케일 및 코로케이션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에 따른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AI 산업 성장과 함께 TAM이 커질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액체 냉각 산업 내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bXRnnn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Oct, 23:10


● 금주 주목 포인트(요약)

① 미국 3분기 GDP
② 미국 고용 지표 - 비농업고용, 실업률, 임금 상승률 등
③ 일본 BOJ 회의(10/31)
④ 미국 PCE
⑤ 미국 실적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스, 애플, 캐터필라, 스타벅스, 이튼 등
⑥ 일본 실적 발표 - 히타치, 일본 거래소그룹, 어드반테스트 등
----------------
- 차주는 실적에 더해 매크로/정치 불확실성 심화될 시기

- 다음 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애플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을 포함해 S&P500 기업 중 176개, 닛케이225 기업 중 78개 업체의 실적 발표 진행 예정

- 미국 GDP, 고용, PCE 등 미국 대선 직후 진행될 FOMC 회의 경계 높이는 발표도 이어질 것

- 추세적 상승보다 개별 기업, 매크로 지표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지속될 것. 월말~월초는 공격적 비중확대 보다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된 기업 중심 재진입하는 전략 유효할 전망

- 일본도 중의원 선거 마무리 및 BOJ 경계 지속되며 환율, 증시 모두 변동성 높은 국면 이어질 전망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Oct, 23:10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나스닥 +0.2%
유로스톡스50 -0.9%
S&P500 -1.0%
MSCI 선진국 -1.3%
영국 -1.3%
다우 -2.7%
닛케이 -2.7%
러셀2000 -3.0%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경기소비재 +0.9%
IT +0.2%
커뮤니케이션 -0.1%
에너지 -0.6%
필수소비재 -1.0%
부동산 -1.5%
유틸리티 -1.9%
금융 -2.1%
산업재 -2.8%
헬스케어 -3.0%
소재 -4.0%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테슬라(+22.0%), 몰리나 헬스케어(+12.4%), 태피스트리(+11.8%), 디지털 리얼티 트러스트(+9.5%), 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8.0%)

Bottom5: 제뉴인 파츠(-20.2%), 모호크 인더스트리스(-18.7%), 뉴몬트(-16.0%), 유니버설 헬스 서비시스(-14.3%),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14.2%)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엔비디아(NVDA), 월마트(WMT), 마스터카드(MA), 넷플릭스(NFLX), T-모바일(TMUS) 등

52주 신저가 종목: 센틴(CNC), 코스타 그룹(CSGP), 라이온델바젤(LYB), 바이오젠(BIIB), 할리버튼(HAL) 등

--------
★ 지표 발표 일정(한국시간)

[미국]

* 10/29(화): 8월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9월 JOLTs 구인이직건수, 10월 CB 소비자신뢰지수 등

* 10/30(수): MBA 모기지 신청건수, 10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3분기 GDP 속보치 등

* 10/31(목): 9월 개인소득,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9월 PCE/근원 PCE, 10월 시카고 PMI 등

* 11/1(금): 10월 비농업고용,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10월 ISM 제조업 PMI 등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현지시간)

* 10/28(월): ON 세미콘덕터(ON), 웨이스트 매니지먼트(WM) 등

* 10/29(화): 알파벳(GOOGL), 비자(V), AMD(AMD), 리퍼블릭 서비시스(RSG), 맥도날드(MCD), 화이자(PFE), 에코랩(ECL), D.R. 호튼(DHI) 등

* 10/30(수): 마이크로소프트(MSFT), 메타 플랫폼스(META), 스타벅스(SBUX), 일라이 릴리(LLY), 캐터필라(CAT),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T), 불칸 머티리얼스(VMC) 등

* 10/31(목): 애플(AAPL), 아마존 닷컴(AMZN), 인텔(INTC), 마스터카드(MA), 머크(MRK), 이튼(ETN) 등

* 11/1(금): 엑손 모빌(XOM), 쉐브론(CVX)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Oct, 23:00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변동성 높을 월말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주말 review

- 주말 증시: S&P500는 약보합세 마감. 나스닥 지수는 0.6% 상승

☆ 이슈 #1: 미시간대 지표

-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2.7%로 이전치(2.9%)와 예상치(2.9%)를 모두 하회. 미시간대 소비자 기대지수 및 경제상황지수도 기대보다 모두 양호

- 물가 부담 완화시키는 지표에 더해 경기침체 우려도 완화시키는 지표 공개

☆ 이슈 #2: GDP 전망치

-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나우를 통해 3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는 3.3%로 기존(3.4%) 대비 0.1%p 낮아졌으나, 여전히 3%를 상회할 것으로 기대

☆ 이슈 #3: 어닝시즌

-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 181개 중 79%가 예상보다 양호한 EPS 발표

☆ 이슈 #4: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 이스라엘이 이란 군사 시설 공격 단행. 미국 선 긋는 모습 보이며 영향은 우려보다 제한적

★ 금주 preview

- 이번 주는 S&P500 기업 중 176개, 닛케이225 기업 중 78개 업체의 실적 발표에 더해 미국 GDP, PCE, 고용 지표 등이 공개될 예정

- 미국 대선 앞두고 정치/실적/경기 불확실성 심화 예상.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 일시적으로 위축될 가능성 높은 시기

- 전체 지수는 변동성 높은 국면 불가피하나,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애플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실적 공개되는 만큼 개별 기업별 주가 차별화도 심화 예상

- 스타일별 대응보다 월말, 월초, 대선 이후 장기적 실적 개선 기대감 유효한 기업 선별 가능한 시기될 것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금, GDX - 월말, 월초, 대선 전 증시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대응 가능 예상

② 미국 대형, MGK - 금주 실적 발표 예정된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비중 높음

③ 미국 인프라, PAVE - 실적 발표 앞둔 전력 인프라 기업들이 상위에 위치. 미국 내 전력 수요 확대 기대감 부각 시 주목 예상

④ 일본 은행, 1615 - BOJ 회의 앞두고 재부각 예상. 단기 조정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Oct, 11:53


개표 진행 상황
빨간색이 여당, 파란색이 야당

[한투 선진국] 최보원

27 Oct, 11:50


"자민·공명당 과반 의석 확보 불확실"…日총선 출구조사(종합)

27일 치러진 일본 중의원 선거(총선)에서 연립 여당인 자민·공명당이 과반 의석(233석 이상) 확보가 불확실한 것으로 예측

NHK는 이날 오후 8시 투표 종료 직후 출구조사 결과 "자민당과 공명당이 174∼254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측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은 153∼219석, 연정 파트너인 공명당은 21∼35석을 각각 얻을 것으로 전망

출구 조사에서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선거 공시전 98석)은 128∼191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

출구조사 예측대로라면 자민당이 12년간 이어온 과반 의석은 붕괴. 이뿐만 아니라 이시바 총리가 이번 총선의 승패 기준으로 제시한 여당 과반 확보도 불확실한 상황
---------------------
선거 공시 전 자민당은 247석, 공명당은 32석 등 여당이 279석을 차지

https://www.yna.co.kr/view/AKR20241027051152073

[한투 선진국] 최보원

26 Oct, 05:07


미국 내구재 수주는 전월대비 0.8% 감소했으나, 기대보다는 양호. 근원 내구재 수주는 0.4% 증가해 예상과 달리 오히려 증가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2.7%로 이전치(2.9%)와 예상치(2.9%)를 모두 하회. 장기 기대인플레이션도 3.0%에 그침

물가상승 압력 약화 기대감 높이는 지표에 더해 경기침체 우려도 완화시키는 지표 공개

미시간대 소비자 기대지수는 74.1pt, 경제상황지수는 64.9pt로 기대보다 모두 양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나우를 통해 3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는 3.3%로 기존(3.4%) 대비 0.1%p 낮아졌으나, 여전히 3%를 상회할 것으로 기대

[한투 선진국] 최보원

26 Oct, 05:01


美 "이스라엘 보복, 이란 공격에 비례하는 선별된 대응(종합)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의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은 앞서 이뤄진 이란의 공격에 비례하는 것이었으며, 미국은 보복 공격 과정에서 어떤 관여도 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음

총 3차례에 걸친 이스라엘의 공격이 종료된 후 바이든 행정부 당국자는 이스라엘의 이번 공격은 앞서 이뤄진 이란의 공격에 비례하는 '선별된(targeted)' 대응이었으며 민간인 피해 위험은 낮았다고 평가

https://www.fnnews.com/news/202410261314310435

[한투 선진국] 최보원

26 Oct, 04:58


이스라엘, 이란에 보복 공격 감행…군사시설 정밀타격

이스라엘이 이란의 군사 시설에 대한 연쇄 보복 공격을 감행. 총 3차에 걸친 타격 대상은 주로 이란 내 미사일 및 드론 기지, 생산 시설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

거침없는 무력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이스라엘은 중동 확전을 원치 않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만류에도 이란의 핵 시설 혹은 석유 시설에 대한 공격까지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번에는 군 시설로 대상을 한정

정면 충돌로 인한 갈등 확산까지는 피하기 위한 선택으로 해석

https://www.yna.co.kr/view/AKR20241026030500009

[한투 선진국] 최보원

26 Oct, 04:55


위와 같은 정치적 요인들이 반영되며 엔화약세 기조 심화에도 닛케이 지수는 부진. 본격적 실적 발표 기간 돌입 앞두고 기업 실적 경계도 심화

일본은 미국을 포함한 타국가의 외교 정책 영향 크게 받는 국가라는 점에서도 투자심리 일시적으로 위축되는 국면 확인

[한투 선진국] 최보원

26 Oct, 04:02


중의원 해산 직전과는 상이

[한투 선진국] 최보원

26 Oct, 04:01


일본에서는 27일, 중의원 선거가 진행
이시바 정권 이후 첫 국정선거
465 의석을 모두 정하는 만큼 총선거로도 불림
소선거구에서 289명, 비례대표로 176명을 선출

과반수 이상 차지하고 있던 자민당의 의석수 축소 가능성 부각되며 일본 내부에서는 정치 불확실성 심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25 Oct, 11:45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실적 발표 요약

마지막으로 차주까지 진행되는 미국, 일본 실적 발표 일정을 공유 드립니다.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0/28(월)
- 개장 전: ON 세미콘덕터(ON) 등
- 장마감 후: 웨이스트 매니지먼트(WM), 웰타워(WELL),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CDNS), 포드(F) 등

*10/29(화)
- 개장 전: 맥도날드(MCD), 화이자(PFE), 아메리칸 타워(AMT), 페이팔 홀딩스(PYPL), 에코랩(ECL), D.R. 호튼(DHI), 로얄 캐리비안 크루지스(RCL) 등
- 장마감 후: 알파벳(GOOGL), 비자(V), AMD(AMD), 치폴리 멕시칸 그릴(CMG), 리퍼블릭 서비시스(RSG) 등

*10/30(수)
- 개장 전: 일라이 릴리(LLY), 애브비(ABBV), 캐터필라(CAT), ADP(ADP),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T), 불칸 머티리얼스(VMC) 등
- 장마감 후: 마이크로소프트(MSFT), 메타 플랫폼스(META), 암젠(AMGN), 부킹 홀딩스(BKNG), 스타벅스(SBUX), KLA(KLAC), 이퀴닉스(EQIX) 등

*10/31(목)
- 개장 전: 마스터카드(MA), 머크(MRK), 린데(LIN), 우버 테크놀로지스(UBER), 컴캐스트(CMCSA), 이튼(ETN) 등
- 장마감 후: 애플(AAPL), 아마존 닷컴(AMZN), 인텔(INTC) 등

*11/1(금)
- 개장 전: 엑손 모빌(XOM), 쉐브론(CVX), 에어비앤비(ABNB), 몬스터 베버리지(MNST), 도미니언 에너지(D)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0/28(월)
- 시오노기제약(4507) 등

*10/29(화)
- 키엔스(6861), 코마츠(6301), NEC(6701), 도카이여객철도(9022), 일본 거래소 그룹(8697), 다이와증권그룹(8601) 등

*10/30(수)
- 히타치(6501), 오리엔탈랜드(4661), 어드반테스트(6857), 간사이전력(9503), 도쿄가스(9531) 등

*10/31(목)
- 다이이찌산쿄(4568), 재팬토바코(2914), 호야(7741), 다케다 제약(4502), 덴소(6902), 후지쯔(6702), 오츠카 홀딩스(4578), 미쓰비시전기(6503), 스미토모상사(8053),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6723), 레이저테크(6920) 등

*11/1(금)
- 미쓰비시상사(8058), KDDI(9433), 미쓰이물산(8031), 무라타 매뉴팩처링(6981), 마루베니(8002), TDK(6762), 노무라 홀딩스(8604), 스바루(7270) 등

즐거운 금요일&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5 Oct, 08:37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0/25(금)
- 9월 내구재수주 예비치 (21:30)
-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23:00)

*10/29(화)
- 8월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22:00)
- 9월 JOLTs 구인이직건수 (23:00)
- 10월 CB 소비자신뢰지수 (23:00)

*10/30(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0:00)
- 10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21:15)
- 3분기 GDP 속보치 (21:30)

*10/31(목)
- 9월 개인소득 (21: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30)
- 9월 PCE/근원 PCE (21:30)

[헤드라인 PCE]
(YoY) 예상치 2.1%, 이전치 2.2%
(MoM) 예상치 0.2%, 이전치 0.1%

[근원 PCE]
(YoY) 예상치 2.6%, 이전치 2.7%
(MoM) 예상치 0.3%, 이전치 0.1%

- 10월 시카고 PMI (22:45)

*11/1(금)
- 10월 비농업고용,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 (21:30)
-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22:45)
- 10월 ISM 제조업 PMI (23:00)

-----------------
★ 유로존

*10/30(수)
- 10월 소비자기대지수 확정치 (19:00)
- 3분기 GDP 속보치 (19:00)

*10/31(목)
- 10월 CPI/근원 CPI 예비치 (19:00)
- 9월 실업률 (19:00)

-----------------
★ 영국

*11/1(금)
- 10월 전국주택가격지수 (16:00)
-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18:30)

-----------------
★ 일본

*10/29(화)
- 9월 실업률 (08:30)
- 9월 유효구인배율 (08:30)

*10/30(수)
- 10월 소비자기대지수 (14:00)

*10/31(목)
- 9월 광공업생산 예비치 (08:50)
- 9월 소매판매 (08:50)
- BOJ 통화정책회의(12:00) (10/30-31)
- 9월 주택착공건수 (14:00)

*11/1(금)
- 10월 au지분은행 제조업 PMI 확정치 (09:30)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5 Oct, 08:36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는 전주대비 0.5% 하락. 나스닥 지수는 0.2% 상승. 정치 불확실성은 지속. 국채금리 영향은 약화. 스타일별 등락 보다 실적 발표에 따른 주가 차별화 심화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0.2%, 0.9% 하락. 미국, 중국 정책 경계 이어지며 지지부진한 모습 지속

- 일본: 닛케이, 토픽스 지수는 전주대비 2.7%, 2.6% 하락. 강달러 기조 이어지며 엔화 약세 심화됐으나, 중의원 선거 불확실성 지속되며 부진. 대표 수출주 보다 엔화 강세 수혜주 및 양호한 실적 발표 기업이 부각

● 차주 전망

- 차주는 실적에 더해 매크로/정치 불확실성 심화될 시기

- 다음 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애플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을 포함해 S&P500 기업 중 176개, 닛케이225 기업 중 78개 업체의 실적 발표 진행 예정

- 미국 GDP, 고용, PCE 등 미국 대선 직후 진행될 FOMC 회의 경계 높이는 발표도 이어질 것

- 추세적 상승보다 개별 기업, 매크로 지표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지속될 것. 월말~월초는 공격적 비중확대 보다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된 기업 중심 재진입하는 전략 유효할 전망

- 일본도 중의원 선거 마무리 및 BOJ 경계 지속되며 환율, 증시 모두 변동성 높은 국면 이어질 전망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3분기 GDP
② 미국 고용 지표 - 비농업고용, 실업률, 임금 상승률 등
③ 일본 BOJ 회의(10/31)
④ 미국 PCE
⑤ 미국 실적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스, 애플, 캐터필라, 스타벅스, 이튼 등
⑥ 일본 실적 발표 - 히타치, 일본 거래소그룹, 어드반테스트 등
⑦ 미국 미시간대 지표(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4 Oct, 08:44


[한투증권 최보원]
코카콜라(KO US): 경쟁사의 흔들림에도 굳건한 기업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대표 음료 기업이자 배당주인 코카콜라의 실적이 발표됐습니다. 경쟁사와 달리 코카콜라는 3분기 실적도 기대보다 양호했습니다.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가격 상승에도 견조한 수요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음료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안정적인 매출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프리미엄 음료의 수요가 이어지며 수익성 개선 기대감도 높은 업체입니다.

미국 내에서 보수적인 가이던스가 발표되는 가운데 코카콜라는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도 상향했습니다. 단기 되돌림으로 진입 부담이 낮아졌고, 안정적인 주주환원을 지속하고 있는 기업이라는 점도 매력적입니다. 미국 내 정치/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시기에도 주목 가능한 기업이라고 판단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rLbmep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23:54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상승에도 국채금리 하락 수혜 업체 반등. 국채금리 상승 수혜 업체 부진

국채금리 경계는 이어지고 있으나 상반기 대비 국채금리 영향 약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23:51


엔화 약세 기조 심화에도 대표 엔화 강세 수혜주 동반 상승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23:50


추세적 상승/하락세 나타나기 보다 실적 발표에 따른 차별화 심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14:19


미국 기존주택 판매건수는 384만건으로 예상치였던 388만건을 하회. 전월대비 1.0% 감소했으나, 지난 발표 대비 감소 폭은 축소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14:18


캐나다 중앙은행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3.75%로 인하 결정

4회 연속 인하한 것으로 3회 연속 25bp 인하 단행했으나, 10월에는 50bp 인하 결정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12:59


국채금리와 함께 3주 연속 상승했던 30년물 모기지금리는 6.52%로 전주와 동일한 수준에 그침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12:56


11월, 12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여전히 높게 평가되나, 전일 및 전주 대비로는 낮은 수준에 그침

미국의 우려보다 양호한 매크로 지표 발표 및 양당 정책 기대감까지 반영되며 대선 앞두고 국채금리 반등. 달러 강세 기조 심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23 Oct, 12:51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모두 상승하며 달러 강세 기조 심화. VIX 지수와 함께 금 가격도 상승

실적/정치 불확실성 경계 이어지며 달러 강세,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약세 기조 심화

기타 통화 대비 민감도 높은 엔화는 달러 대비 153엔 선을 회복. 신임 총리의 완화적 발언 이어진 점도 엔화 약세 압력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Oct, 14:07


After 2025, lower taxes enacted by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will sunset without action from Congress. If the provision expires, the tax brackets will revert to 2017 levels, shifting to 10%, 15%, 25%, 28%, 33%, 35% and 39.6%.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Oct, 14:06


IRS announces new federal income tax brackets for 2025

The IRS has announced new federal income tax brackets and standard deductions for 2025.

The agency raised the income thresholds for each bracket, which applies to tax year 2025 for returns filed in 2026.

The top rate of 37% applies to individuals with taxable income above $626,350 and married couples filing jointly earning $751,600 or more for 2025.

The IRS also boosted figures for dozens of other provisions, including long-term capital gains brackets, estate and gift tax exemption and eligibility for the child tax credit, among others.

https://www.cnbc.com/2024/10/22/irs-2025-federal-income-tax-bracket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Oct, 10:42


함께 보셔야 하는건 트럼프 당선확률과 함께 공화당의 상원다수당 확보 가능성도 높아지는 중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Oct, 10:41


트럼프 당선 확률은 64.3% 까지 상승. 해리스의 35.6% 대비 약 30%p 높은 수준. 격차 확대되며 트럼프 트레이드 기대감 확산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Oct, 10:39


“트럼프 승리 확률 54%” 이코노미스트 예측모델서 역전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해리스’ 맞대결 성사 이후 처음으로 자사 예측모델에서 트럼프의 승리 확률이 해리스를 제쳤다고 발표.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오는 11월 대선 승리확률은 이날 현재 54%로, 일주일 전보다 6% 포인트 급상승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63726.html#cb

[한투 선진국] 최보원

22 Oct, 07:31


[한투증권 최보원]
인포그래픽스: 국채금리 하락 및 대선 정책 대표 수혜주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이번 인포그래픽스 자료에서는 미국 주택 시장과 홈빌딩 업체에 대해 다뤘습니다. 미국 연준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및 점진적 국채금리 하락 시 수혜가 기대되는 산업/기업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대선 후보들이 공통적으로 주택 지원에 대한 정책 발표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해야 하는 업종이라고 판단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mPEtwI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Oct, 19:08


바이든, 블링컨 등 중동에 특파…대선 앞두고 종전 협상 압박

조 바이든 대통령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아모스 호치스타인 백악관 선임고문을 중동에 특파. 다음 달 5일 미국 대선이 15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수장 사망을 계기로 인질 석방과 가자 전쟁 종전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

https://cm.asiae.co.kr/article/2024102200374802980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Oct, 19:05


트럼프의 뒷심, 모든 경합주서 해리스에 우세

미국 대선이 1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화당 후보로 나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결과를 좌우할 7개 경합주(州) 모두에서 상승세를 보이는 중

그간 펜실베이니아·미시간·위스콘신 등 북부 러스트벨트(제조업 쇠락 지역)에선 해리스가, 조지아·네바다 등 선벨트(일조량이 많은 남부)에선 트럼프가 우위를 보이는 구도. 그러나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트럼프가 두 지역 모두에서 우세를 보인다는 조사가 공개

더 힐과 디시전 데스크 HQ가 20일 여론조사들을 종합해 자체적으로 내놓은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가 당선될 확률은 52%로 해리스(48%)를 4%포인트 앞섬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4/10/21/TJ6ILF5IGRDQTA26TENJU5IS54/

[한투 선진국] 최보원

21 Oct, 05:29


[한투증권 최보원]
인튜이티브서지컬(ISRG US): 기존 것도, 새로운 것도, 환경도 좋다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주식 담당 최보원입니다.

프리뷰 자료에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은 업체로 제시했던 인튜이티브서지컬의 실적이 발표됐습니다. 3분기 실적은 기대보다도 양호했습니다. 기존의 다빈치 SP와 Ion 수요가 지속되고 있고, 다빈치 5의 출하가 늘며 견조한 매출 증가가 지속되고 있고, 수익성도 개선됐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이외 국가에서의 출하량 증가와 가속화되는 고령화가 인튜이티브서지컬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 양당의 정책 부담도 제한적인 만큼 11~12월 증시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도 주목 가능한 기업이라고 판단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CpLKsv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Oct, 22:56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러셀2000 +1.9%
영국 +1.3%
다우 +1.0%
S&P500 +0.9%
나스닥 +0.8%
MSCI 선진국 +0.6%
유로스톡스50 -0.4%
닛케이 -1.6%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유틸리티 +3.4%
부동산 +3.0%
금융 +2.4%
소재 +1.9%
경기소비재 +1.2%
IT +0.8%
필수소비재 +0.6%
산업재 +0.6%
커뮤니케이션 +0.3%
헬스케어 -0.6%
에너지 -2.6%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스 홀딩스(+20.0%),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17.2%), 블랙스톤(+12.6%), 트래블러스 컴퍼니스(+12.2%), 스냅온(+11.7%)

Bottom5: KLA(-15.6%), 센틴(-14.4%), 엘러밴스 헬스(-14.2%), 몰리나 헬스케어(-12.2%), 램리서치(-12.1%)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애플(AAPL), 엔비디아(NVDA), 월마트(WMT), 제이피모간체이스(JPM),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 등

52주 신저가 종목: 엘러밴스 헬스(ELV), 보잉(BA), 센틴(CNC), 모더나(MRNA)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 10/22(화): 9월 경기선행지수 등

* 10/23(수): MBA 모기지 신청건수, 9월 기존주택판매 등

* 10/24(목):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9월 신규주택판매 등

* 10/25(금): 9월 내구재수주 예비치,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등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 10/21(월): 뉴코(NUE) 등

* 10/22(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 GE(GE), 다나허(DHR), 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PM),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VZ), RTX(RTX), 록히드 마틴(LMT) 등

* 10/23(수): 테슬라(TSLA), T-모바일 US(TMUS), IBM(IBM), 서비스나우(NOW), 램리서치(LRCX), 뉴몬트(NEM), 코카콜라(KO),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MO),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AT&T(T) 등

* 10/24(목): S&P 글로벌(SPGI), 유니온 퍼시픽(UNP), 허니웰 인터내셔널(HON), UPS(UPS), 노스롭 그루만(NOC), L3해리스 테크놀로지스(LHX) 등

* 10/25(금): 아마존 닷컴(AMZN), 마스터카드(MA), HCA 헬스케어(HCA), 알트리아그룹(MO)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Oct, 22:48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실적 발표 속에서 찾는 기회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최보원입니다.

★ 주말 review

- 주말 증시: S&P500 지수는 전일대비 0.4%, 전주대비 0.9% 상승. 실적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지속. S&P500 지수 내 반등 컸던 업종은 유틸리티, 부동산으로 전주대비 3.4%, 3.0% 상승

☆ 이슈 #1: 혼재된 주택 지표

- 주택 착공건수는 135.4만건으로 기대치(135.0만건) 상회했으나, 건축허가건수는 142.8만건으로 예상치(145.0만건) 하회

☆ 이슈 #2: 미국 대선

-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확률은 58.7%, 해리스 부통령은 40.9%(Polymarket). 지지율 격차도 축소되며 정치 불확실성 확대

☆ 이슈 #3: 어닝시즌

-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 71개 중 83%가 예상보다 양호한 EPS 발표. 과거 8개 분기 평균(76.4%) 대비로도 높은 수준

★ 금주 preview

- 이번 주는 S&P500 기업 중 100개 이상 업체의 실적 발표 진행 예정

- 시가총액 상위 기업 실적 밀집되어 있는 만큼 매크로 지표 보다 대형 경기 민감주 실적 발표에 연동되는 모습 이어질 것

- 보수적인 가이던스/컨센서스에도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 발표 진행되고 있는 점 긍정적

- 주 후반에는 대선 불확실성 심화 및 공격적 정책 발표에도 유의 필요. 월말~월초 일시적 위험자산 투자심리 위축 시에는 단기 차익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에 대응 필요

- 양호한 실적에도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된 업체와 양당 정책 수혜 기대되는 업체 중심의 선별적 접근 필요할 전망

----------------
★ 금주 투자 아이디어

① 미국 퀄리티주, QUAL - 어닝 시즌 밀집, 정치 불확실성 심화 시 대응 가능한 업체 비중 높음

② 글로벌 인프라, IGF - 미국의 주요 유틸리티, 인프라 업체들에 더해 유럽, 아시아 인프라 업체들이 함께 포함. 미국, 유럽 추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및 정책 발표 수혜 기대

③ 의료 장비, IHI - 헬스케어 기업 중에서도 실적 양호하고 밸류에이션 부담 낮은 업체 포함

④ 글로벌 방산, SHLD -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트럼프 전 대통령 경합주 내 지지율 개선 시 주목 가능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Oct, 04:39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확률은 58.5%, 해리스 부통령은 41.3%(Polymarket). 지지율 격차도 축소되며 정치 불확실성 심화

양당의 대표 정치인들의 공격적 발언 지속. 사전 투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양당의 정책 발언에 관심 높아지는 국면

미국 대선 준비 중 타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가능성에 대한 경계도 심화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Oct, 04:35


● 차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경기선행지수
② 미국 기존/신규주택판매
③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PMI
④ 미국 실적 발표 - 테슬라, 아마존, 코카콜라, 넥스트에라에너지, HCA 헬스케어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신에츠화학, 화낙, 히타치건설기계 등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Oct, 04:35


S&P500 지수는 전일대비 0.4%, 전주대비 0.9% 상승. 실적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지속. S&P500 지수 내 반등 컸던 업종은 유틸리티, 부동산으로 전주대비 3.4%, 3.0% 상승

업종/스타일별 등락보다 실적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지속

[한투 선진국] 최보원

20 Oct, 04:34


주택 착공건수는 135.4만건으로 기대치(135.0만건) 상회했으나, 건축허가건수는 142.8만건으로 예상치(145.0만건) 하회

혼재된 주택 지표 공개

[한투 선진국] 최보원

18 Oct, 09:46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실적 발표 요약

마지막으로 차주까지 진행되는 미국, 일본 실적 발표 일정을 공유 드립니다.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0/21(월)
- 장마감 후: 뉴코(NUE) 등

*10/22(화)
- 개장 전: 제너럴 일렉트릭(GE), 다나허(DHR), 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PM),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VZ), RTX(RTX), 록히드 마틴(LMT), 파이서브(FI), 셔윈-윌리엄즈(SHW), 무디스(MCO), 쓰리엠(MMM), 프리포트 맥모란(FCX), 제너럴 모터스(GM), NVR(NVR), 풀티 그룹(PHM) 등
- 장마감 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 등

*10/23(수)
- 개장 전: 코카콜라(KO),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MO),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AT&T(T), 보스턴 사이언티픽(BSX), 보잉(BA), 제너럴 다이내믹스(GD), GE 베르노바(GEV) 등
- 장마감 후: 테슬라(TSLA), T-모바일 US(TMUS), IBM(IBM), 서비스나우(NOW), 램리서치(LRCX), 뉴몬트(NEM), 유나이티드 렌털스(URI), 아메리프라이즈 파이낸셜(AMP) 등

*10/24(목)
- 개장 전: S&P 글로벌(SPGI), 유니온 퍼시픽(UNP), 허니웰 인터내셔널(HON), UPS(UPS), 노스롭 그루만(NOC), 발레로 에너지(VLO), 나스닥(NDAQ), 다우(DOW) 등
- 장마감 후: 디지털 리얼티 트러스트(DLR), L3해리스 테크놀로지스(LHX) 등

*10/25(금)
- 개장 전: 아마존 닷컴(AMZN), 마스터카드(MA), HCA 헬스케어(HCA), 알트리아그룹(MO)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10/23(수)
- 니덱(6594) 등

*10/24(목)
- 캐논(7751) 등

*10/25(금)
- 신에츠화학(4063), 주가이제약(4519), 화낙(6954), 히타치건설기계(6305) 등

즐거운 금요일&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 선진국] 최보원

18 Oct, 08:21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10/18(금)
- 9월 주택착공건수 (21:30)
- 9월 건축허가건수 (21:30)

*10/21(월)
- 9월 경기선행지수 (23:00)

*10/23(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 (20:00)
- 9월 기존주택판매 (23:00)

*10/24(목)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30)
-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22:45)
- 9월 신규주택판매 (23:00)

*10/25(금)
- 9월 내구재수주 예비치 (21:30)
-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23:00)

-----------------
★ 유로존

*10/18(금)
- 8월 경상수지 (17:00)
- 8월 건설생산 (18:00)

*10/23(수)
- 10월 소비자기대지수 예비치 (23:00)

*10/24(목)
- 10월 HCOB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7:00)

-----------------
★ 영국

*10/24(목)
-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종합 PMI 예비치 (17:30)

*10/25(금)
- 10월 GfK 소비자 기대지수 (08:01)

-----------------
★ 일본

*10/24(목)
- 10월 au지분은행 종합, 제조업, 서비스업 PMI 예비치 (09:30)

*10/25(금)
- 10월 도쿄 CPI (08:30)
- 8월 경기선행지수 확정치 (14:00)

-----------------

● 연준 의장/연은 총재 연설 일정 (한국시간)

* 10/18: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22:30)
* 10/18: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23:00)
* 10/19: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이사 (01:10)
* 10/19: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01:30)
* 10/21: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21:55)
* 10/22: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02:00)
* 10/22: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06:05)
* 10/22: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23:00)
* 10/23: 미셸 보우먼 연준이사 (22:00)
* 10/24: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21:45)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