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kwusa Channel on Telegram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kwusa


키움 미국주식 관련 주요 소식 및 공표된 리서치 자료 공유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Korean)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여기는 키움증권에서 운영하는 미국주식에 관련된 다양한 소식과 리서치 자료를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저희 채널은 미국주식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투자자분들을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은 다년간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주식 시장의 동향을 예측하고 의견을 제시합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채널은 언제든지 열려 있으며, 주식 시장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소중한 정보원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미국주식 시장에 대한 최신 소식과 유용한 리서치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저희 채널을 구독하시어 함께 공부하고 토론해보세요! 투자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도와줄 것을 약속드립니다. 지금 바로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채널을 방문해보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Feb, 07:50


[키움증권 US Strategy 김승혁, US Equity 조민주]

미국 주식 Weekly: 큠틴 아메리카

2월 10일~2월 14일 Review
2월 3주차 미국 증시는 예상을 상회한 CPI 반영하며 주 초반 부진한 모습 보였지만 반도체 중심 상승 흐름이 재개되며 상승 마감했다. 주요 지수 중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동일기간 3.0% 상승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나스닥 100이 두번째로 높은 2.9% 수익률을 기록했다. 세부 산업별 기준으로 볼 경우 하드웨어, 통신, 반도체 및 장비 순으로 견고한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금융 및 제약 파트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나아가 2월 2주차까지 강세를 보이던 다우 지수와 러셀 2000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연초 리밸런싱을 목적으로 밸류에이션이 높은 기술주 매도가 2월 2주차까지 이어졌지만, 2월 3주차에 접어들며 해당 흐름이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매크로 관점에서는 혼재된 경제지표가 발표되었다. CPI/PPI는 식품 물가 급등을 반영하며 예상을 웃도는 결과를 보였으나, 소매판매 지수는 예상을 크게 하회한 결과를 보였다. 엇갈린 방향성을 반영하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역시 4.6% 레벨까지 급등한 뒤 4.4%로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금리 레벨이 낮아지자 증시 역시 상승 반전하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예고 관련해서는 즉각적 관세 부과 방향 보다는 대화 가능성이 높아졌고 증시 역시 크게 반응하지 않았다.

2월 17일~2월 21일 Preview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가 큰 무리없이 마무리 되었고, 관세 정책 관련 우려도 약화되면서 금주 증시는 재차 우상향 흐름 보일것으로 전망한다. 엔비디아의 블랙웰이 곧 출하를 시작하고 테슬라의 그록3가 공개되는 등 AI 관련 기대감을 자극할 이벤트가 금주 집중되어 있다. 나아가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 대비 부진한 모습을 보인 것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약화시켜 금리 부담을 낮출 수 있기에 증시 상승 탄력에 우호적으로 작용 가능하다. 연초 헬스케어와 금융섹터로 잠시 몰렸던 자금이 빅테크 업종으로 다시 모여드는 상황이고, 성장주 중심의 자금 집중은 증시 전체 분위기를 위쪽으로 이끌 수 있다. 이에 금주 S&P500은 6,150pt 레벨을 터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더해 추론형 AI 발전과 컴퓨팅 자원 투입의 선형관계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되고 있다. 딥시크 사태에 의한 여진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 및 장비 섹터와 하드웨어 섹터가 전주 상승 분위기를 이어받을 것으로 판단한다.

금주 주목할 이벤트
2/17 - 미국 대통령의 날 휴장 / 유로존 12월 무역 수지 / BHP그룹, 트랜스오션, 뉴로진, 2/18 - 미국 뉴욕 제조업지수, NAHB 주택시장지수 / 아리스타 네트웍스, 케이던스 디자인, 2/19 - 미국 1월 주택착공 /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카르바나, 2/20 - 미국 2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 월마트, 알리바바, 부킹 홀딩스, 2/21 - 미국 2월 미시간대 소비자기대지수, 2월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셀룰러, 텔레폰 앤드 데이터 시스템스

자료 링크: https://bbn.kiwoom.com/rfCC822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Feb, 06:08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02/17)

"관세/종전/이해충돌.. 트럼프와 머스크의 움직임에 주목"

- 지난 주 : 불확실성 완화 속 3주만에 반등
*다우 +0.55%, 나스닥 +2.58%, S&P500 +1.47%
*러셀2000 +0.01%, 반도체지수 +3.03%
*11개 섹터 중 9개 상승.. IT +3.76%

- BIG7 : 3개 상승.. META 20일 연속 상승
*AAPL +7.46%.. 5일 연속 상승, 연간 -2.32%
*NVDA +6.94%.. 2일 연속 상승, 연간+3.40%

- TOP3 : S&P 500 및 키움전사 기준
*수익률 : SMCI INTC CVS
*순매수 : TSLL TSLA PLTR

- 이번 주 전망 : 관세와 종전 그리고 이해충돌
*월요일 ‘대통령의 날 휴장’
*트럼프와 머스크의 움직임에 주목
*AI 붐&쇼크 지수 0(-).. 견조한 지표에 강보합 전망

- 주요 이벤트
*경제 지표 : PMI 예비치, 소비자 지표, 주택 지표
*산업/기업 : 애플 신제품 발표, 각종 컨퍼런스

- 기업 실적
*WMT ANET CVNA BABA BIDU OXY 등

- 배당 일정 : 요일별 주요 배당주
*JNJ UPS ED AMAT MSFT YUM EFX SWKS

https://www.youtube.com/live/EaRixz-7pnY?si=uJNLRZkl4mxUaqIp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Feb, 02:03


[키움 글로벌 ETF 김진영]
🌏KIWOOM ETF Weekly (2/17)

주간 ETF 수익률 상위
* 주식: KWEB +10.0%, ARKG +9.0%, CQQQ +8.9%, MCHI +7.5%, PGJ +7.2%
* 채권: XOVR +2.4%, IBND +1.7%, EBND +1.3%, IGOV +1.2%, ICVT +1.2%
* 대체: UNG +12.4%, UNL +7.7%, KCCA +4.8%, WEAT +3.5%, BTF +3.4%

주간 ETF 자금유입 상위 자금유입($mln): JPST(1,304), DFUS(1,017), JAAA(864), DIA(821), TLT(793)

KEY ISSUE
1) 지난 주 美 3대 지수/ETF는 상승 마감 (SPY 1.5%, QQQ +2.9%, DIA +0.6%, IWM 0.0%). 주 중 美 CPI 상승과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 주 후반 트럼프의 러-우 전쟁 종전 협상 발언과 소매판매 둔화, 트럼프 상호관세 관련한 협상 여지 확인 등에 국채금리 하락하며 나스닥 중심 상승폭 확대. CPI의 경우 추세적이기보다 계절적 요인에 의한 상승일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 실리며 주가 하락은 제한적. 이번 주에도 트럼프 관세를 둘러싼 뉴스 플로우와 1월 FOMC 의사록 및 연준 위원들 발언, 독일 조기총선 등 이벤트에 주목. 상호관세 시행이 4월로 지연 예고된 점은 긍정적이나 트럼프 발언 때마다 변동성을 재차 높아질 수 있음. 또한 종전 기대감으로 지난주 강세 나타낸 유럽 증시의 흐름에도 주목
2) GICS 기준 헬스케어를 제외한 전 업종 강세 마감한 가운데 IT(XLK +3.1%), 커뮤니케이션서비스(XLC +2.5%), 원자재(XLB +1.8%), 에너지(XLE 1.7%) 등 상승 두드러짐. 테마 ETF 중에서는 천연가스(UNG +12.4%), 중국 IT/플랫폼(KWEB +10.0%, CQQQ +8.9%), 중국 주식(MCHI +7.5%, PGJ +7.2%), 혁신기술(ARKK +6.8%), 데이터센터(DTCR +6.2%), 유럽 주식(EWN +6.1%, EPOL +6.1%), 핀테크(ARKF +5.7%, FEZ +4.9%), 탄소배출권(KCCA +4.8%), 사이버보안(BUG +4.8%), 인공지능(AIQ +3.9%), 인터넷(ARKW +3.8%), 메타버스(METV +3.7%) 등 강세

3) 신규 상장 ETF
- 12일(현지시간) Direxion, AMD를 기초자산으로 한 신규 단일종목(Single-Stock) ETF 2종 출시. Direxion Daily AMD Bull 2X Shares(AMUU)는 AMD 일일 수익률의 200%를 목표로 하는 레버리지 ETF. Direxion Daily AMD Bear 1X Shares(AMDD)는 AMD 일일 수익률의 -100%를 추종하는 인버스 ETF
- 13일(현지시간) Defiance ETFs에서 Battleshares TSLA vs F ETF출시. 테슬라(TSLA.O)에 대한 레버리지 롱 포지션과 포드(F.N)에 대한 숏 포지션을 결합. '페어 트레이드'라고도 불리는, 두 종목을 조합하여 상반된 방향성에 베팅하는 최초의 ETF로서 기존 레버리지 단일 종목 ETF와 차별화
- 18일 국내 증시에 KB, 한국, 신한, 미래자산이 발행한5종 ETF 출시 예정. 'RISE 미국은행TOP10' ETF는 미국 상업·투자은행 관련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 투자. 'RISE 테슬라미국채타겟커버드콜혼합(합성)'는 테슬라 주식과 미국 장기국채를 30:70 비율로 혼합하고, 테슬라 콜옵션과 미국채 ETF 콜옵션을 각각 매도해 프리미엄을 얻는 월분배형 상품. 'TIGER 미국소비트렌드액티브'는 미국 소비재 관련 기업 주식에 투자. 액티브 운용 전략으로서 브랜드 결제액, 웹사이트 방문율, 검색량 등 여러 데이터를 활용해 미국 소비 트렌드를 파악한 뒤 종목 편출입 및 비중을 조정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TP609

감사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검 필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6 Feb, 23:17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2/17)
(2/14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6,114.63 / -0.01%
NASDAQ 종합 20,026.77 / 0.41%
다우산업 44,546.08 / -0.37%
러셀2000 2,279.98 / -0.10%
필라델피아 반도체 5,160.94 / 0.09%

- 섹터별 수익률
High 3: 반도체 및 장비 (1.20%), 자동차 및 부품 (-0.35%), 엔터/미디어 (0.36%)
Low 3: 식료품 (-0.54%), 음식료 및 담배 (0.89%), 소프트웨어 (-0.40%)

- 세부 업종별 수익률
반도체 및 장비 1.20%
자동차 및 부품 -0.35%
엔터/미디어 0.36%
제약 1.05%
에너지 0.16%
운송 -1.44%
헬스케어 -0.66%
부동산 -0.39%
유틸리티 -0.70%
하드웨어 0.13%
금융 0.82%
통신 -0.37%
보험 -0.51%
은행 -0.33%
유통 -1.09%
내구소비재/의류 -0.51%
가정용품 0.65%
소재 -0.71%
자본재 0.21%
호텔/레저 0.10%
상업 및 전문서비스 -3.49%
소프트웨어 -0.40%
음식료 및 담배 0.89%
식료품 -0.54%

- 종목별 수익률
High 3: ABNB (14.45%), SMCI (13.32%), WYNN (10.38%)
Low 3: GDDY (-14.28%), DVA (-11.09%), AMAT (-8.18%)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18%
Growth 0.19%
Quality -0.41%
High Dividend -0.32%
Low Votality -0.83%
Enhanced value 0.39%
Value -0.22%
High Beta 0.82%

- 주요 뉴스
US retail sales post biggest drop in nearly two years amid winter freeze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retail-sales-fall-sharply-january-2025-02-14/

Taiwan pledges chip talks and investment to mollify Trump
https://www.reuters.com/world/taiwan-president-meet-senior-officials-us-tariffs-sources-say-2025-02-14/

Nearly 10,000 fired as Trump and Musk step up government purge
https://www.reuters.com/world/us/thousands-fired-trump-musk-take-ax-us-government-offices-2025-02-14/

Fed's Logan calls for caution on rate cuts, even if inflation cools
https://www.reuters.com/markets/us/feds-logan-calls-caution-rate-cuts-even-if-inflation-cools-2025-02-14/

Fund managers boost exposure to bitcoin ETFs, quarterly US filings show
https://www.reuters.com/business/finance/fund-managers-boost-exposure-bitcoin-etfs-quarterly-us-filings-show-2025-02-15/

Trump may not support foreign firm operating Intel's US factories -White House official say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tsmc-considering-running-intels-us-factories-after-trump-team-request-bloomberg-2025-02-14/

Uber accuses DoorDash of anticompetitive practices in lawsuit
https://www.reuters.com/legal/uber-accuses-doordash-anticompetitive-practices-lawsuit-2025-02-15/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Feb, 23:38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유튜브에서 만나는 주간 뉴욕증시 정리 (02/16)

"불확실성 완화 속 반등.. 팰런티어, 최근1개월간 +75%"
https://youtu.be/1bUbjpUxbyQ?si=qNqqIarTiyhFXgB8

#뉴욕증시 #주간정리 #관세 #금리 #물가 #애플 #메타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Feb, 23:29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02/15)

“소매판매 부진에 약세 흐름 속 종목별 차별화 양상”

- 지수 : 상승 출발 후 반락해 오후들어 반등 시도
*다우 -0.37%, 나스닥 +0.41%
*S&P500 -0.01%, 러셀2000 -0.10%
*반도체지수 +0.09%, 비트코인 +1.75%

- 섹터 : 11개 중 4개 상승
*IT +0.60%, 커뮤니케이션 +0.41%
*필수소비재 -1.16%, 헬스케어 -1.14%

- BIG7 : 3개 상승
*META +1.11%.. 20일 연속 상승, 누적 +20.5%
*AAPL +1.27%.. 5일 연속 상승
*NVDA +2.57%.. 델, xAI와 서버 계약 조율중중

- 종목과 ETF : 실적과 가이던스, 투자의견
*종목 : ABNB GDDY DKNG TWLO CARR
*ETF : EWZ PSP TAN

https://youtu.be/Jyn9IOmHu0o?si=I1z1C8qiKIVJdaCb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Feb, 12:30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블로그에서 만나는 뉴욕증시 프리뷰 (02/14)

"월요일 휴장 앞두고 숨고르기.. 에어비앤비 +14%"
https://blog.naver.com/101ancha/223760941309

#뉴욕증시 #장전시황 #소매판매 #ABNB #AMAT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Feb, 07:35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키차트(키움 차주 트렌드) 2월 3주차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CA256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Feb, 00:08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2/14)

(2/13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1.44%, SPY 1.06%, DIA 0.82%, IWM 1.13%

*미국 상승 업종 : XLB 1.74%, XLY 1.50%, XLK 1.42%, XLC 1.15%

*1M Highs : FFTY 5.10%(美 성장주), NERD 4.41%(美 비디오 게임주), ADPV 3.88%(美 대형주), PTH 3.73%(美 헬스케어주)
*1M Lows : DIPS -2.93%(엔비디아 숏), SHRT -0.85%(주식 롱/숏), AIRR -0.57%(美 지역은행, 산업재), XTN -0.48%(美 운송)

(Daily News)
Tuttle Capital files for ‘alien tech’ ETF
- Tuttle Capital은 외계 기술 역공학 (reverse-engineered alien technology)에 투자하기 위해 Tuttle Capital UFO Disclosure AI Powered ETF를 등록
- 티커명 UFOD로 CBOE BZX 거래소 상장 예정, 순자산의 최소 80% 이상을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기업, UFO·외계 기술 관련 정부 발표로 수혜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투자할 계획임을 명시
- 외계 기술로 인해 경쟁력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은 공매도 예정, 다만 정부의 기술 정보 공개 여부에 따라 출시 불확실한 상태
https://buly.kr/7mB3rU7

Defiance ETF pairs Tesla and Ford, more match-ups to come
- 13일(현지 시간) Defiance ETFs는 Battleshares TSLA vs F ETF라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
- 새로운 ETF는 전기차 제조업체인 테슬라(TSLA.O)에 대한 레버리지 롱 포지션(주가 상승 시 200% 수익 제공)과 포드(F.N) 주가가 하락할 경우 100% 수익을 제공하는 포지션을 결합
- '페어 트레이드'라고도 불리는 위의 상품이 ETF로 출시된 것은 처음이며, 2개의 종목을 조합하여 상반된 방향성에 베팅하는 최초의 ETF로서 기존 레버리지 단일 종목 ETF와 차별화
https://buly.kr/90aMjJv

증권사도 연기금투자풀 운용…달러MMF·ETF에도 투자
- 12일 발표된 연기금투자풀 제도 개편 방안에 따라 ‘연기금 투자풀’ 주간 운용사에 증권사도 참여할 수 있게 됨, 기존 자산운용사에서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 증권사로 확대
- 투자대상은 달러 머니마켓펀드(MMF)와 국내 주식·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로 확대됨
- 달러 MMF의 경우 기금·공공기관의 달러 여유자금 운용을 위한 환전 비용 절감 목적
https://buly.kr/CWtWM2L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22:53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2/14)
(2/13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6,115.07 / 1.04%
NASDAQ 종합 19,945.64 / 1.50%
다우산업 44,711.43 / 0.77%
러셀2000 2,282.19 / 1.17%
필라델피아 반도체 5,156.39 / 1.29%

- 섹터별 수익률
High 3: 반도체 및 장비 (2.17%), 자동차 및 부품 (0.76%), 엔터/미디어 (1.00%)
Low 3: 식료품 (1.00%), 음식료 및 담배 (1.86%), 소프트웨어 (0.57%)

- 세부 업종별 수익률
반도체 및 장비 2.17%
자동차 및 부품 0.76%
엔터/미디어 1.00%
제약 1.70%
에너지 0.84%
운송 -0.13%
헬스케어 0.80%
부동산 -0.13%
유틸리티 1.07%
하드웨어 0.77%
금융 0.18%
통신 0.75%
보험 0.14%
은행 1.71%
유통 1.20%
내구소비재/의류 0.81%
가정용품 0.53%
소재 1.16%
자본재 0.56%
호텔/레저 5.26%
상업 및 전문서비스 1.05%
소프트웨어 0.57%
음식료 및 담배 1.86%
식료품 1.00%

- 종목별 수익률
High 3: MGM (17.46%), TAP (9.52%), CZR (9.19%)
Low 3: WST (-38.22%), ZBRA (-8.36%), IRM (-7.28%)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40%
Growth -0.18%
Quality -0.19%
High Dividend -0.55%
Low Votality -0.27%
Enhanced value -0.60%
Value -0.38%
High Beta -0.13%

- 주요 뉴스
Trump outlines reciprocal tariff plan in latest bid to reshape trade on his terms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ays-reciprocal-tariffs-coming-thursday-2025-02-13/

US SEC case against crypto exchange Binance put on hold
https://www.reuters.com/legal/us-sec-case-against-crypto-exchange-binance-put-hold-2025-02-13/

US producer inflation trends higher; labor market remains stable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producer-prices-rise-slightly-above-expectations-january-2025-02-13/

US weekly jobless claims decline amid stable labor market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weekly-jobless-claims-decline-amid-stable-labor-market-2025-02-13/

Trump promises Kyiv involvement in peace talks with Russia
https://www.reuters.com/world/eu-warns-against-dirty-deal-ukraine-after-trump-putin-phone-call-2025-02-13/

India's Modi talks space and 'good governance' with Musk in Washington
https://www.reuters.com/world/indias-modi-holds-meeting-with-billionaire-tesla-ceo-musk-2025-02-13/

Trump prepares to change US CHIPS Act conditions,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technology/trump-prepares-change-us-chips-act-conditions-sources-say-2025-02-13/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22:52


[키움증권 보험/증권 안영준]

로빈훗 마케츠 (HOOD.US) - 암호화폐 거래량 호조로 전년동기대비 순이익 29배 증가

4Q24 영업수익 115% (YoY), 순이익 2,953% (YoY) 증가
- 4Q24 영업수익/순이익 115%/2,953% (YoY) 증가한 $10.1억/$9.16억 기록, 기대치를 8%/129% 상회
- 4Q 암호화폐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여 수수료수익이 급증한 것과 법인세 환입 효과 등의 영향
- 실적이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며 발표 이후 주가는 시간외 10% 이상 상승

거래관련수익 급성장, 견조한 이자수익
- 거래관련수익 236% YoY 증가한 $6.72억 기록, 주식/암호화폐/옵션 144%/733%/83% 증가
- 특히 암호화폐 거래량이 전년동기대비 455% 증가한 710억달러를 기록하며 실적 호조를 견인
- 연말 수탁자산은 $1,929억으로 27% (QoQ), 88% (YoY) 증가
- 이자수익은 25% YoY 증가한 $2.96억. 영업수익 중 이자수익 비중은 21%p YoY 감소한 29%
- 순이익은 2,953% YoY 증가한 $9.16억, 법인세 환입과 규제 변경 효과 등이 $4.24억 반영
-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순이익은 154% YoY 증가한 $4.92억

높은 실적 성장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
- 4Q 실적은 암호화폐 거래량 급증 및 일회성 수익 인식 등의 영향으로 매우 높은 성장 기록
- 동시에 펀더멘털 개선세도 지속 중
- 암호화폐 시장 활성화에 따른 실적 성장 예상
- 최근 선물 거래 서비스를 개시함에 따라 추가 수익성 개선도 기대

링크: https://bbn.kiwoom.com/rfCC820
채널: https://t.me/yj_financial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22:49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앱플로빈 (APP.US): 광고 시장에 ALL IN

FY4Q24 실적 Review
- FY4Q24(12월말) 실적: 매출액 13.7억달러(YoY +44.0%, QoQ +14.6%, 컨센서스 대비 +8.8%), EBITDA 8.5억 달러(YoY +78.1%, QoQ +17.5%, 컨센서스 대비 +11.2%), EBITDA(Adj.) 마진율 61.8%(YoY +11.8%p, QoQ 1.6%p, 컨센서스 대비 +1.3%p)

실적 서프라이즈 이후 급등한 주가
- 1)실적과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고, 2)광고 사업 중심의 경영 전략이 긍정적으로 평가
- 광고 사업부 매출은 YoY +73% 상승, 광고 사업부 조정 EBITDA는 YoY +85% 상승했으며, EBITDA 마진은 YoY +5%p 오른 78%
- FY1Q25 가이던스: 매출 가이던스는 13.6~13.9억 달러(컨센서스 13.2억 달러), 이중 광고 매출이 차지하는 금액은 10.3~10.5억 달러

광고 사업에 ALL IN
- 게임 스튜디오를 포함한 전체 앱 사업부를 9억 달러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 -> 모든 역량을 광고 플랫폼(AdTech)에 집중하려는 전략

광고 사업 전략 살펴보기(Feat, 작은 고추가 맵다)
- 1)다양한 산업으로의 광고 확장: 게임 광고 중심 -> 금융, 자동차, 여행, 소비재 브랜드로 광고 확장. 특히 중소형 업체들의 제품 홍보 니즈를 충족해 나가는 과정에서 산업 확장 가속 가능
- 2)셀프 서비스(Self-Service) 광고 플랫폼 구축: 가상 환경에서 광고주가 자사 맞춤 광고를 직접 설정하고 운영하는 방식
- 3)AI 기반 운영 최적화: 광고 운영 분야뿐 아니라, 비즈니스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 리소스 관리 등의 내부 운영을 AI를 통해 최적화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821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22:18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버티브 홀딩스 (VRT.US): 어닝 서프라이즈, 하지만 과도하게 높았던 기대감

FY4Q24 실적 Review
- FY4Q24(12월말) 실적: 매출액 23.5억 달러(YoY +25.8%, QoQ +13.2%, 컨센서스 대비 +8.9%), 영업이익 5.0억 달러(YoY +52.6%, QoQ +21.0%, 컨센서스 대비 +15.4%), 영업이익률 21.5%(YoY +3.8%p, QoQ +1.4%p, 컨센서스 대비 +1.2%p), EPS 0.99달러(YoY +76.8%, QoQ +30.3%, 컨센서스 대비 +20.9%)로 어닝 서프라이즈
- 강한 실적 성장세에도 주가는 큰 폭 하락. 작년 11월 발표한 FY2025 가이던스에 추가 상향에 대한 기대감이 있던 시장에 경영진이 기존 가이던스 유지 및 하향함에 따른 결과
- FY4Q24 실적이 예상치 크게 상회하며 FY2025 성장률 보수적으로 수정되었을 가능성, 연초 통상적으로 보수적인 가이던스 제시된다는 점, 여전히 견고한 대차대조표, 데이터센터 시장 내 선도적인 위치를 감안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여전히 긍정적인 의견 유지

디지털인프라 수요 증가로 강한 성장세 시현
- 지역별 매출: 아메리카(YoY +23.2%, QoQ +4.8%, 컨센서스 대비 +2.1%), APAC(YoY +26.4%, QoQ +25.8%, 컨센서스 대비 +15.9%), EMEA(YoY +31.6%, QoQ +23.5%, 컨센서스 대비 +21.1%)
- 코로케이션 및 하이퍼스케일러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아메리카 지역 누적 12개월 주문 YoY +50%

높아진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한 가이던스
- FY1Q25 가이던스: 매출액 19~19.5억 달러(YoY +17~21%), 영업이익 3.15~3.35억달러(YoY +16.7~17.1%), EPS 0.57~0.63달러로 컨센서스(19.2억달러, 3.39억달러, 0.62달러)를 대체로 부합 혹은 하회
- FY2025 가이던스: 매출액 91.25~92.75억 달러(YoY +15~17%), 영업이익 19.1~19.6억달러(YoY +20.8~21.2%), EPS 3.5~3.6달러로 시장의 기대감(컨센서스: 91.39억달러, 19.3억달러, 3.55달러)
-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여전히 AI發 데이터센터 확장이 저해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디지털인프라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는 훼손되기 어렵다고 판단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81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22:14


제목 : [실적공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FY 1Q 호실적, 가이던스 저조…시 *연합인포맥스*
현지시각 14일(목)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는 FY25 1분기(’24.11~’25.01) 영업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71.7억 달러(+7% 이하 YoY), 이는 (이하 FactSet 집계) 컨센서스를 0.2억 달러 상회한다.<br /> ▲ 비GAAP EPS 2.38달러(+12%), 이는 컨센서스를 0.10달러 상회한다.<br /> 동사 주가는 애프터 마켓에서 5.20% 급락 중이다. FY25 1분기 사업부문별 매출은 ▲ 반도체 시스템 53.56억 달러 ▲ 어플라이드 글로벌 서비스 15.94억 달러 ▲ 디스플레이 1.84억 달러를 기록했다. FY25 1분기 지역별 매출(괄호 안 매출비중)은 ▲ 중국 22.43억 달러(31%) ▲ 한국 16.67억 달러(23%) ▲ 대만 11.83억 달러(17%) ▲ 미국 9.17억 달러(13%) ▲ 일본 5.40억 달러(8%) ▲ 유럽 3.30억 달러(4%) ▲ 동남아 2.86억 달러(4%)를 기록했다. 어플라이드는 FY25 2분기 가이던스로 ▲ 매출 71.0억 달러&plusmn;4억 달러(vs 컨센서스 72.1억 달러) ▲ 비GAAP EPS 2.30달러&plusmn;0.18달러(vs 컨센서스 2.29달러) ▲ 비GAAP 매출총이익률 48.4%를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14:04


제목 : 2월 13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넷플릭스(NFLX): 제이피모간체이스는 ‘25~’26년에도 두자릿수(%) 매출 성장 모멘텀이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영업이익률 확대도계속될 것이라고 보았다.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월마트(WMT): 모간스탠리는 실적발표를 앞두고 전자상거래 관련 적자가 축소되면서 주가 상승세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106달러에서 11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브로드컴(AVGO): 모간스탠리는 인공지능 프로세서 모멘텀이 커스텀 실리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일라이 릴리(LLY): 제이피모간체이스는 마운자로(Mounjaro), 젭바운드(Zepbound)의 생산능력 개선이 실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다수의 상승촉매제를 예상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 및 top pick 의견을 유지했다. ▲ CVS 헬스(CVS): Leerink는 성공적인 턴어라운드가 진행 중이라고 평가하면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62달러에서 71달러로 상향했다. ▲ 트레이드 데스크(TTD): 에버코어는 실망스러운 매출 가이던스 이후 동사에 대한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으며, 이에 따라 투자의견을 outperform에서 in-line으로, 목표주가를 135달러에서 90달러로 하향한다고 밝혔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13:26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더치 브로스, 앱플로빈 등 호실적에 급등 *연합인포맥스*
▲ 더치 브로스(BROS):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동일매장매출 증가세를 바탕으로 가이던스도 높은 수준으로 제시했다. 프리마켓에서 24.08% 급등 중이다. ▲ 앱플로빈(APP):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27.43% 급등하고 있다. ▲ 레딧(RDDT): 4분기 사용자 수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프리마켓에서 8.26% 하락하고 있다. ▲ 크래프트 하인즈(KHC): 뱅크오브아메리카와 씨티가 각각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1.50% 하락 중이다. ▲ 트레이드 데스크(TTD): 매출 및 가이던스가 실망스럽게 나타나면서 프리마켓에서 29.23% 급락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13:06


제목 : [실적 속보] 크록스(CROX), HEYDUDE 턴어라운드 신호에 급등 *연합인포맥스*
크록스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9억 9,000만 달러(+3.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890만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2.52달러(-2.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26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7.87% 급등하고 있다. Crocs 브랜드 매출은 7.6억 달러(+4%) / HEYDUDE 브랜드 매출은 2.3억 달러(전년 동기 동등)로 나타났다. HEYDUDE 브랜드의 경우, 경영진 가이던스에서는 매출이 6%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되었던 바 있다. 이에 따라 경영진은 HEYDUDE 브랜드의 회복신호가 나타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경영진은 ‘25년 1분기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3.5%로 제시했고 / EPS 가이던스를 2.38~2.52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 2.65달러를 하회한다. ‘25년 전체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는 +2.0~2.5%로 제시되었으며 / EPS 가이던스는 12.70~13.15달러로 제시되었다. 이는 컨센서스 12.58달러를 상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13:02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블로그에서 만나는 뉴욕증시 프리뷰 (02/13)

"상호관세와 PPI 대기.. 로빈후드 마켓츠 +12%"
https://blog.naver.com/101ancha/223759722324

#뉴욕증시 #장전시황 #PPI #상호관세 #TSLA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3 Feb, 12:51


제목 : [실적 속보] 듀크 에너지(DUK), 가이던스 기대 못 미쳐 *연합인포맥스*
듀크 에너지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73.6억 달러(+2.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9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1.66달러(+9.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0.03%를 기록 중이다. 전기 유틸리티 및 인프라 부문 조정 이익은 12.4억 달러(+11%) / 가스 유틸리티 및 인프라 부문은 2.3억 달러(+20%)를 기록했다. 요금 인상등이 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를 6.17~6.42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6.33달러를 하회한다. 또한 ‘29년까지의 장기적인 EPS 증가율 가이던스를 5~7%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2:59


제목 : 아마존(AMZN), 가이던스 실망에도 상승세 이어질 것 BofA 외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Justin Post 애널리스트는 아마존닷컴 가이던스가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아마존의 ‘24년 4분기 실적은 견고했고, ‘25년 1분기 가이던스는 컨센서스를 하회했지만 이익률 개선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기에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AWS는 인공지능 상품을 도입함에 따라 가장 수익화 기회가 큰 시스템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으며, “아마존은 3 단계로 형성된 인공지능 스택을 보유하고 있고, Trainium 칩을 통해 효율적인 인공지능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55달러에서 257달러로 상향했다. Benchmark의 애널리스트는 “아마존 주가는 환손실로 인한 가이던스 실망 속에 하락했지만 이는 매수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고 언급했다. “아마존의 AWS 공급 문제는 ‘25년 하반기에 완화될 것으로 보이며,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와 함께 이익률을 방어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65달러에서 27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2:34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블로그에서 만나는 뉴욕증시 프리뷰 (02/07)

"고용 지표 주시하며 보합권.. 아마존 -3%"
https://blog.naver.com/101ancha/223751925373
#뉴욕증시 #장전시황 #AMZN #비농업고용 #실업률 #EXPE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2:28


제목 : [실적 속보] 캐노피 그로스(CGC), 손실 축소에도 주가 급락 *연합인포맥스*
캐노피 그로스는 FY25 3분기(10~12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7,476만 캐나다달러(-4.8% YoY)를 기록했다. ▲ GAAP EPS -1.11캐나다달러(전년 동기 -2.62달러)를 기록했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6.91% 급락하고 있다. 분사 등의 영향을 조정한 자체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캐나다 매출 +1% / 해외 매출 +14% / Storz & Bickel 매출 +19% 등을 기록했다. Storz & Bickel 부문은 특히 연말성수기 판매 호조가 언급되었다. 매출총이익률은 32%로 전년 동기 대비 4%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 EBITDA는 -300만 달러를, 잉여현금흐름은 -2,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비용절감 노력의 성과가 강조되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1:51


제목 : 일루미나(ILMN), 성장 불안 요소 남아있어 씨티 외 *연합인포맥스*
씨티의 Patrick Donnelly 애널리스트는 일루미나 실적발표에서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 요인이 나타났다고 발언했다. “일루미나의 시퀀싱 소모품 매출은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며 전분기 대비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루미나의 매출 성장 펀더멘털에대한 우려로 연결되고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165달러에서 13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Canaccord Genutiy의 Kyle Mikson 애널리스트는 “당사는 중국 시장 등에서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일루미나의 매출 및 이익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경영진은 중국에서의 악재 확대를 언급하면서도 매출 가이던스를 유지했지만, 당사는 이러한 가이던스를 지지하는 요소가 추가로 확인될 때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45달러에서 135달러로 하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1:07


제목 : 로빈훗 마케츠(HOOD), 스포츠베팅 사업기회 관심 - Mizuho *연합인포맥스*
Mizuho의 Dan Dolev 애널리스트는 로빈훗 마케츠의 스포츠베팅 사업기회와 가상화폐 호재를 언급하면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로빈훗 마케츠 거래 플랫폼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로빈훗 마케츠 사용자들 중 2/3이 ▲ 드래프트킹스(DKNG) ▲ FanDuel 등의 스포츠베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로빈훗 마케츠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응답자의 78%는 로빈훗 마케츠 플랫폼 상에서 스포츠베팅이 가능하다면, 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응답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은 로빈훗 마케츠가 사용량, 거래량 증가를 누리면서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임을 가리키고 있다”고전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60달러에서 65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1:00


제목 : 테슬라(TSLA), 중국 인도대수 4개월 연속 감소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테슬라 중국 인도대수가 1월에도 감소하면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China Passenger Car Association(CPAC)에 따르면, 테슬라의 1월 중국 인도대수는 63,238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1.5% 감소한 것으로, 중국 전기차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되면서 테슬라가 점유율을 상실하고 있는 것이다”고 전했다. “이는 또한 4개월 연속 인도대수 감소세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이 전기차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보조금 정책 확대에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인도대수는 감소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국 최대의 전기차 기업인 ▲ BYD의 경우, 1월에 전기 승용차 296,446대를 인도하면서 인도대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 니오(NIO) ▲ 샤오펑(XPEV) 등도 모두 인도대수가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는 테슬라 주가가 프리마켓에서 1.5% 하락하는 것으로 연결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10:28


제목 : 나이키(NKE), 실적 회복 FY26까지도 기대하기 어려워 씨티 *연합인포맥스*
씨티의 애널리스트는 나이키 실적 회복세가 근시일 내 나타나기 어렵다고 보았다. “나이키의 신임 Hill CEO와의 회담에서는 나이키가 FY26(‘26년 5월 결산)에 변곡점을 지나며 성장세가 가속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지지하는 요소가 나타나지 못했다. 나이키는 매출과 EBIT 이익률 모두 회복세를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다”고 발언했다. “주요 프랜차이즈 제품들은 FY26까지도 저조한 판매 추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수요를 공략할 수 있는 강력한 신제품은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나이키는 재고 관리 등으로 인한 이익률 압박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시에 수요를 자극하기 위한 투자지출이 요구되면서 이익률 부담이 커지고 있다. 나이키의 FY26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102달러에서 72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9:47


제목 : 로블록스(RBLX), 이번 주가 하락은 매수기회 제공 Benchmar *연합인포맥스*
Benchmark의 Mike Hickey 애널리스트는 로블록스의 성장기회를 고려했을 때, 실적발표 이후 주가 하락이 매수기회라고 주장했다. “로블록스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결제액(bookings)가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등 부정적 요인이 주목받으면서 6일 10% 이상 하락했다. 하지만이러한 주가 하락은 로블록스에 대한 매수기회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로블록스 경영진은 ‘25년에 20%의 결제액 증가와 1.5%p의 이익률 확대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사용자 및 사용량 증가세를 상회하는 결제액 증가세는 로블록스가 한층 더 향상된 수익화 모델을 제공하면서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60달러에서 71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BTIG의 애널리스트는 “로블록스의 4분기 실적은 만족스럽지 못했지만, 앞으로의 실적 가이던스는 투자자들의 자신감을 지지할 것이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경영진이 제시한 매출, 이익률 가이던스 대비 상승여력이 충분히 있다고 보며, 이것이 ‘26년까지의 실적 성장세를 지지하면서 주가배수가 확대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66달러에서 73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9:42


제목 : 허니웰(HON) 기업 분할, 주가에 상승여력 제공 - DB *연합인포맥스*
Deutsche Bank의 애널리스트는 허니웰의 기업 분할이 주가에 상승여력을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허니웰은 3개 기업으로의 분할을 발표했다. 현재의 복합기업 구조는 허니웰이 충분히 강력한 성장세를 누리지 못하는 악재로 작용해왔으며, 부문별합산(SOTP) 가치는 현재 허니웰 평가 가치를 30% 가량 상회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발언했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허니웰은 산업자동화 부문, 항공우주 기술 부문, 첨단소재 부문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어 “현재 허니웰 경영진이 제시한 가이던스는 보수적인 수준으로, ‘25년에 걸쳐 호실적을 발표하고 추가로 가이던스를 상향할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기업 분할이 이루어질 때까지 투자심리가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236달러에서 26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9:20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일라이 릴리(LLY.US): 물 들어올 때 노를 젓자

FY4Q24 실적 Review
- FY4Q24(12월말) 실적은 매출액 135.3억달러(YoY +44.7%, QoQ +18.3%, 컨센서스 대비 +0.6%), 영업이익률 41.6%(YoY +14.0%p, QoQ 26.3%p, 컨센서스 대비 +0.8%p), Non-GAAP EPS 5.32달러(YoY +113.7%, QoQ +350.8%, 컨센서스 대비 +4.6%)

긍정적 실적을 보일 수 있었던 4가지 이유
1)마운자로/젭바운드의 판매량 증가: 4Q24 글로벌 마운자로 매출 35.3억 달러(YoY +60%), 젭바운드 매출 19.1억 달러 (YoY +987%)
2)매출총이익률(GPM) 개선: 4Q24 GPM 82.2% (QoQ 1.3%p). 마운자로/젭바운드 등 특허 보호 받은 혁신 신약의 높은 약가
3)글로벌 확장: 미국 지역 매출 성장률 대비 미국 외 지역 매출 성장률 YoY 기준 +11%p 차이. 해외 매출액 45억 달러(YoY +56%)
4)제조 및 공급 능력 확충: 제조시설 확충에 230억 달러 이상 이미 투자. '25년 1H 대사질환 치료제 생산능력은 '24년 1H 대비 1.6배 증가 예상

걱정스러운 부분도 짚어본다면?
1)가격 하락 가능성: 트럼프 대통령, 물가 안정화 위해 PBM 영향력 줄이고, 약값 인하하려는 움직임
2)경쟁 심화 및 제품 간 갈등: 노보노디스크, 머크, 화이자 등 경구 GLP/GLP-1 후보물질 개발 중. 이후 약품 별 경쟁 심화 본격화 우려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80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8:22


제목 : 테슬라(TSLA), Model X 가격인상 발표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테슬라가 Model X 차량의 가격인상에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가 지난 12월 Model S 가격 인상을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에는 Model X 가격을 인상했다. 미국에서 판매하는 Model X 차량의 가격이 5,000달러 인상되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Model X AWD 차량은 약 8.5만 달러, Model X Plaid 차량은 약 10.0만 달러 가격에 판매되게 된다. “이러한 Model S/X 가격인상은 캐나다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캐나다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는 점유율이 점차 축소되고 있지만, 판매량 자체는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테슬라의 ‘24년 4분기 인도대수에서, Model S/X 차량의 비중은 5%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8:00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키차트(키움 차주 트렌드) 2월 2주차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CA255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55


제목 : 퀄컴, 화웨이 로열티 수익 제외 이슈 재부각 TD 외 *연합인포맥스*
퀄컴(QCOM)이 FY25 1분기(’24년 10~12월)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TD 코웬: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80달러에서 195달러로 상향. “퀄컴이 또 한번 견조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했으며, 사상 최대의 휴대폰 부문 매출이 이를 뒷받침했다”고 발언했다. 다만 “투자자들은 FY25 퀄컴 라이선싱(QTL) 부문의 연간 실적 전망이 전년 대비 정체 상태인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는 화웨이 로열티 수익이 제외된 영향으로, 수년간 잠잠했던 이슈가 다시 부각된 것이다”고 분석했다. ▲ 파이퍼 샌들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205달러에서 190달러로 하향. “퀄컴의 FY 1분기 실적 및 2분기 가이던스는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다만 연간 휴대폰 출하량 전망은 ‘보합~한 자릿수 초반 성장 수준으로 발표되었으며, 애플(AAPL)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3월 분기 가이던스가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애플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3월 분기 휴대폰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10% 감소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44


엘프 뷰티 (ELF.US)

3Q25(실제 24/10-12) 실적 발표 후 장외 주가 -24.85% 하락 중

실적
- 매출 3.5억 달러 (+31% YoY, 예상치 상회), 전 지역 내 소매 채널과 이커머스 판매 호조 덕분
(지역별: 해외 +66%, 미국 +25%)
- 영업이익 0.35억 달러 (+10% YoY, OPM 9.9%, 예상치 하회)

가이던스 하향조정
- FY 25년 매출 +27~28% (기존 +28~30%): 25년 봄 런칭한 신제품 반응이 예상보다 슬로우하기 때문
- FY25 하반기 (실제 25년 1-6월) 매출 +14~16% 성장 전망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44


태피스트리 (TPR.US)

전일 2Q25 (24/10-12) 실적 발표 이후 주가 +12% 상승

실적
매출 21.9억 달러(+5%, 예상치 상회), 영업이익 4.9억 (+10%, OPM 22.4%, 예상치 부합)
- 브랜드 코치가 성장을 견인

지역별
- 북미 +4%: 브랜드 코치가 성장을 견인
- 유럽 +42%: 전 채널 성장
- 중국 +2%: 전통채널 회복 적분. 온라인도 긍정적
- 일본 -5%: 수요 부진
- 기타 아시아 +11%: 호주/뉴질랜드/한국/말레이 성장 견인

가이던스 상향조정
- FY25 가이던스 매출 +3% 성장 (기존 +1~2% 성장)
- OPM +100bp 개선 (기존 +50bp)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44


컬럼비아 스포츠웨어 (COLM.US)

4Q24 실적 발표 이후 주가 -5% 하락

실적
매출 10.97억 달러 (+3% YoY), 영업이익 1.37억 달러 (+21% YoY , OPM 10.7%), 시장 컨센서스 부합

지역별 매출
- 미국 -1%: 도소매 둘 다 한 자리 수 감소, 도매 오더북은 감소 (판매 실적은 좋았지만, 도매 업체들이 재고 투자를 안하려함)
- LAAP +7%: 한국을 제외하고 대체로 성장. 특히 중국은 프리미엄 아웃도어 시장 성장 덕분에 +HT% 성장. 한국은 도매 채널은 판매 좋았으나 소매 채널 일부 폐쇄 영향으로 감소. 25SS 제품 한 자리수 매입 증가
- EMEA +24%: 유럽 DTC 강세를 보이고 있고, FW 시즌 제품 반응 좋은 듯. 25 SS 시즌 재고 매입 증가
- 캐나다 플랫

가이던스
- 1분기 가이던스 매출 7.9억~7.64억 달러 (-1%~-3% 감소), 영업이익은 0.41억~0.47억 달러 (-8%~+5% YoY)
- 2분기 가이던스 매출 5.6억~6.1억 달러 (플랫~+7% 성장), 영업손실 0.17~0.20억 예상 (적자 축소)
- 25년 매출 34-34.7억 달러 (+1~+3%) 성장, OPM은 7.7%~8.3% 전망.
(LAAP +MSD%, EMEA +LSD%, US+LSD%, Canada -LSD%)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44


랄프로렌 (RL.US)
3Q25 (24년 10-12월) 실적


전일 실적 발표 이후 주가 +9.69% 상승

실적
매출 +11% (기대치 상회), 전지역 매출 성장 우수했음
영업이익 (기대치 상회): 정상가 판매 증가, 비용 통제 덕분

채널별
글로벌 D2C +12%: 전 지역 성장
글로벌 도매 +HSD%: 북미 도매도 턴어라운드

지역별
북미 +7%: 동일점 기준 소매 +8% (오프라인 +10%, 디지털 +3%), 도매 +6%
유럽 +16%: 동일점 기준 소매 +17% (오프라인 +18%, 디지털 +14%), 도매 +15%
아시아 +14%: 동일점 소매 +14% (오프라인 +14%, 디지털 +29%)

가이던스
다음분기 (4Q) 매출 성장 +6~7% 예상
FY25 매출 성장 +6~7% 가이던스로 상향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40


제목 : 바이킹, 주요 파이프라인 업데이트…PT 하향 파이퍼 샌들러 *연합인포맥스*
파이퍼 샌들러는 바이킹 테라퓨틱스(VKTK)에 대한 목표주가를 74달러에서 71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비렌 아민 애널리스트는 “바이킹은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주요 파이프라인 업데이트를 제공했다”고 발언했다. “GLP-1 유사체 후보물질 VK2735의 3상 임상시험 시작 시점이 기존 <’25년 상반기>에서 <’25년 2분기>로 구체화되었다”고 설명했다. “이 두 개의 52주 3상 임상은 미국 내 규제 승인 신청을 위한 핵심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후보물질에 대한 사용 승인 신청은 ’27년 말, 잠재적 승인 가능 시점은 ’28년 말~2029년 초가 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7 Feb, 06:22


제목 : 포드, ’25년 기대 요소 많지 않아 웰스파고 외 *연합인포맥스*
포드 모터(F)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웰스파고: 투자의견 비중축소 유지, 목표주가 9달러에서 8달러로 하향. “포드 주가는 ’25년 가이던스가 부진하게 발표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하락했다. ’25년 실적에서 기대할 만한 요소가 많지 않다”고 분석했다. “연간 영업이익이 하반기에 집중될 예정이며, 이는 보증 및 원자재 비용 절감과 관련된 10억 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에 의존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25년 잉여현금흐름 전망이 현저히 약하다는 점도 부담 요인이다”고 덧붙였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9.0달러에서 15.5달러로 하향. 존 머피 애널리스트는 “포드의 4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했지만, ’25년 가이던스가 기대보다 부진했다. 당사는 이를 반영해 실적 전망치과 목표주가를 조정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4:20


제목 : 2월 4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엔비디아(NVDA):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엔비디아 실적발표에서 매출총이익률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하면서도, 매수 의견 및 top pick 지위를 유지했다.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 모간스탠리는 매출 성장세가 계속해서 가속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밸류에이션 외에는 하락리스크가 크지않다고 보았다. 투자의견을 비중축소에서 시장비중으로 상향 조정했다. ▲ 넷플릭스(NFLX): Redburn Atlantic은 넷플릭스의 광고 포맷 규모에 비해 게재되고 있는 광고들의 수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넷플릭스의 성장여력이 매우 크다고 평가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아마존닷컴(AMZN): 씨티는 실적발표를 앞두고 연말성수기 판매 호조와 광고 사업 기회 등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가리키고 있다고전했다.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 그랩(GRAB): HSBC는 차량공유 및 식품배달 시장에서 혁신적인 상품들을 바탕으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 매리어트(MAR): 에버코어는 여행 수요 전망을 낙관하면서, 수수료 수입 증가세가 나타나며 잉여현금흐름 창출능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in-line에서 outperform으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3:40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팔란티어, 강력한 실적과 가이던스에 주가 급등 *연합인포맥스*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 우수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면서 프리마켓에서 24.85% 급등하고 있다. ▲ 제너럴 모터스(GM) ▲ 포드 모터(F):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유예한다고 발표하면서 낙폭을 회복하고 있다. 양사는 특히 멕시코에 다수의 생산설비가 갖춰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리마켓에서 GM +0.92%, F +1.01%를 기록 중이다. ▲ 클로락스(CLX):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매출 감소세가 예고되면서 프리마켓에서 2.70% 하락 중이다. ▲ 디아지오(DEO):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매크로 불확실성을 경고하면서 중기 가이던스를 철회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2:35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블로그에서 만나는 뉴욕증시 프리뷰 (02/04)

"미중 관세전쟁 개시 속 관망세.. 팰런티어 +21%"
https://blog.naver.com/101ancha/223747780771

#뉴욕증시 #장전시황 #관세전쟁 #PLTR #EL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2:22


제목 : [실적 속보] 페이팔(PYPL),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 실망에 하락 *연합인포맥스*
페이팔은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84억 달러(+5.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2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19달러(+5%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9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6.16% 하락하고 있다. 4분기 총 거래량은 66억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다. 하지만 총결제액(TPV)은 4,378억 달러로 7% 증가했다. 활성계정은 4.34억 개로 2.1% 증가했으며, 지난 12개월간 활성계정 1개당 평균 거래량은 60.6건으로 3% 증가했다. 비GAAP 영업이익률은 18%로 전년 동기 대비 0.34%p 하락했다. 경영진은 ‘25년 1분기 EPS 가이던스를 1.15~1.17달러로 제시했고, ‘25년 전체 가이던스를 4.95~5.10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모두 컨센서스 1.13달러 및 4.90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다만 ‘25년 전체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는 60억~70억 달러로 제시되면서, 중앙값 기준 컨센서스 66.1억 달러를 하회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2:09


제목 : [실적 속보] 페라리(RACE), 가이던스 실망에도 판매량 증가 속에 상 *연합인포맥스*
페라리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7.4억 유로(+14.5% YoY)를 기록했다. ▲ 비GAAP EPS 2.14유로(+32% YoY)를 기록했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3.38% 상승 중이다. 4분기에 3,325대(+2%)를 인도했다. ‘24년 전체 인도대수는 13,752대(+1%)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중국과 홍콩, 타이완에서만 판매량이 감소했고 이외 지역에서는 모두 판매량이 증가했다. EBITDA 이익률은 37%로 전년 동기 대비 0.3%p 상승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7% 이상으로 제시했고 / EPS 가이던스를 8.60유로 이상으로 제시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 8.88유로를 하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2:05


제목 : [실적 속보] 화이자(PFE), 호실적에도 가이던스 기대 못미쳐 *연합인포맥스*
화이자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78억 달러(+24.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5.4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63달러(+53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선스를 0.17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0.88%를 기록 중이다. 코로나19 의약품인 Paxlovid와 Comirnaty를 조정할 경우, 화이자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610억~640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2.80~3.00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630억 달러 / 2.93달러를 하회한다. ‘25년 말까지 45억 달러 규모의 비용절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2:00


제목 : [실적 속보] 머크(MRK), 가이던스 기대 못 미치며 하락 *연합인포맥스*
머크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56.2억 달러(+7.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1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72달러(전년 동기 0.03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4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6.94% 하락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제약 매출 +7% / 동물의료 매출 +13% 등을 기록했다. 머크의 핵심의약품인 Keytruda는 매출이 78.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으며, 특히 해외 사용량 증가가 기여했다. 이외에는 Winrevair가 출시 이후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언급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641억~656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8.88~9.03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 673.6억 달러 / 9.23달러를 하회하는 것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1:42


제목 : [실적 속보] 펩시코(PEP), 매출 부진 이어지며 하락 *연합인포맥스*
펩시코는 FY24 4분기(9월 8일부터 12월 28일까지 17주간)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77.8억 달러(-0.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1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1.96달러(-1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2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30% 하락 중이다. 북미 지역 부문별로는 Frito-Lay 판매량 -3%, 매출 -2%, 영업이익 -5% / Quaker Foods 판매량 -6%, 매출 -2%, 영업이익 +7% / PepsiCo 음료판매량 -3%, 매출 동등, 영업이익 -15% 등을 기록했다. 해외 지역별로는 중남미 매출 +4%, 영업이익 +21% / 유럽 매출 +7%, 영업이익 +41% /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매출 +14%, 영업이익 +57% / 아시아태평양, 중국 매출 +1%, 영업이익 +14% 등을 기록했다. 펩시코는 3개 분기 연속으로 매출이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경영진은 FY25 전체 자체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한자릿수 초반대(%)로 제시했고 / EPS 증가율 가이던스를 한자릿수 중반대(%)로 제시했다.월가의 EPS 컨센서스는 8.53달러(+4.5%)에 형성되어 있다. 분기배당 5% 인상이 승인되었다. 동사는 53개년 연속으로 배당을 인상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1:26


제목 : (수정) [실적 속보] 에스티 로더(EL), 실망스러운 EPS 가이던스에 *연합인포맥스*
에스티 로더는 FY25 2분기(10~12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40.2억 달러(-6.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4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62달러(-2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30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5.50% 하락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Skin Care 매출 19.2억 달러(-12%), 영업이익 3.1억 달러(-26%) / Makeup 매출 11.5억 달러(-1%), 영업손실 -2.1억 달러(적자전환) / Fragrance 매출 7.4억 달러(+1%), 영업손실 -4.5억 달러(적자전환) / Hair Care 매출 1.6억 달러(-8%), 영업손실 -300만 달러(전년 동기동등) 등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GAAP EPS는 -1.64달러로, 전년 동기 0.87달러에서 적자전환했다. 조정 매출총이익률은 76.1%로 전년 동기 대비 3.1%p 상승했지만 / 영업이익률은 11.5%로 2%p 하락했다.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5,800~7,000명 가량의 인력감축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경영진은 FY25 3분기 고정환율 기준 EPS 가이던스를 0.24~0.34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0.97달러에서 감소하는 것이며 / 컨센서스 2.87달러를 대폭 하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1:24


제목 : [실적 속보] 에스티 로더(EL), 실망스러운 EPS 가이던스에 하락 *연합인포맥스*
에스티 로더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40.2억 달러(-6.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4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62달러(-2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30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5.50% 하락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Skin Care 매출 19.2억 달러(-12%), 영업이익 3.1억 달러(-26%) / Makeup 매출 11.5억 달러(-1%), 영업손실 -2.1억 달러(적자전환) / Fragrance 매출 7.4억 달러(+1%), 영업손실 -4.5억 달러(적자전환) / Hair Care 매출 1.6억 달러(-8%), 영업손실 -300만 달러(전년 동기동등) 등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GAAP EPS는 -1.64달러로, 전년 동기 0.87달러에서 적자전환했다. 조정 매출총이익률은 76.1%로 전년 동기 대비 3.1%p 상승했지만 / 영업이익률은 11.5%로 2%p 하락했다.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5,800~7,000명 가량의 인력감축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경영진은 ‘25년 1분기 고정환율 기준 EPS 가이던스를 0.24~0.34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0.97달러에서 감소하는 것이며 / 컨센서스2.87달러를 대폭 하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0:48


제목 : 부킹과 에어비앤비, 가이던스 실망스러울 수 있어 - BofA *연합인포맥스*
부킹은 오는 2월 20일에, 에어비앤비는 2월 13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애널리스트는 온라인여행사(OTA) 부킹과 에어비앤비의 실적발표를 앞두고, 1분기 가이던스가 강력하지 못할 수 있다고 보았다. ▲ 부킹(BKNG). "’24년 4분기 여행량 자료와 역사적 패턴을 분석했을 때, 부킹의 4분기 예약건수(bookings) 및 숙박일수(room nights)는 월가 컨센서스를 1~2%p 상회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하지만 ‘25년 1분기 예약건수 가이던스는 월가가 8% 증가율을 예상하고 있는 것에 미달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으며, "환손실 등의 영향을 반영하여, 당사는 부킹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5,522달러에서 5,462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에어비앤비(ABNB). "서드파티 자료는 에어비앤비 4분기 숙박일수 증가율이 완만하게 가속되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당사는 4분기 숙박일수가 컨센서스를 1%p 정도 상회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고, EBITDA 또한 컨센서스보다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에어비앤비 주가는 ‘25년 1분기 예약건수 및 숙박일수 가이던스일 것이다. 월가는 예약건수와 숙박일수 모두 9%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하고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159달러에서 151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10:27


제목 : 팔란티어(PLTR), 방대한 시장기회가 성장 전망 지지 - Morning *연합인포맥스*
Morningstar의 Mark Giarelli 애널리스트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의 방대한 시장기회를 강조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에 부합하는 성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팔란티어의 총유효시장(TAM)이 얼마나 방대한지를 가늠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팔란티어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실상 모든 기업들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사는 팔란티어의 미래 성장기회를 낙관하고 있다. 기본 시나리오에서, 팔란티어는 ▲ 세일스포스(CRM)가 2010년대 후반대에 누렸던 것과유사한 성장세를 누릴 것이다"고 기대했으며, "시장참가자 또한 이와 같은 성장 기대감을 주가에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잘못된 판단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세일스포스는 지난 20년간 연평균 34% 성장했던 바 있다. "팔란티어의 선행 PER 주가배수는 173배에 달하고 이러한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가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팔란티어는 지난 4년간 이러한 우려가 옳지 않았음을 증명해왔다. 상장 이후 17번의 분기 실적발표에서, 팔란티어는 16회에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매출을 기록하며 강력한 성장 펀더멘털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9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8:51


제목 : 테슬라(TSLA), 중국 의존도로 인해 트럼프 관세 피해 커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테슬라가 3일 자동차 기업 중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언급하면서, 트럼프 관세 정책의 피해자로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3일 미국 증시는 관세 리스크에 하락 출발한 이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유예가 발표되면서 회복했다. 하지만 테슬라의 경우에는 3 일 -5.2%로 마감하는 등 회복이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는 자동차 섹터에서도 특히 큰 낙폭이었다. "이는 미국 정부의 대중국 관세 정책의 향방이 불확실하고, 중국 정부가 미국에 대해 보복관세를 추진하면서 무역전쟁 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전기차 시장은 테슬라에게 중요한 시장이며, 또한 테슬라는 상당수의 제품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부품 또한 중국에서 조달하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했다. "테슬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특히 이로 인해 유발되는 미-중 무역마찰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종목이다. 관세 부담 속에 테슬라는 이익률 하락을 감내하거나, 차량 판매가를 인상하여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전가해야 한다"고 정리했다. 또한 "유럽의 1월 자료에서, 테슬라가 영국과 프랑스, 네덜란드 등에서 점유율을 상실하고 있다는 점도 테슬라 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했을 것이다"고 보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8:42


[키움증권/김진구] 팔란티어 테크놀로지 (PLTR.US) 기업리포트: AI 솔루션 경쟁력을 수치로 입증
◆ 동사는 존재 의미를 함의하는 철학적 용어인 온톨리지를 기반으로 고객 데이터와 LLM 을 강 결합해 고객에게 실질적인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AI 솔루션 회사, 4Q24 실적치는 매출액, 고객 수, RPO 등의 주요 핵심 지표에서 컨센서스를 가볍게 상회했으며, 특히 전체 고객수의 전분기대비 증가율이 13%로 직전 분기대비 해당 수준이 올라가면서 향후 성장성의 가속도에 대한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
◆ 동사의 가장 큰 경쟁력은 다양한 빅테크 기반 LLM 을 연계 및 결합하여 고객의 라이브 데이터와 컴비네이션을 통해 실시간 의사결정을 지원할 솔루션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 있으며 현재 AGI 도달을 위한 주요 글로벌 빅테크의 첨예한 경쟁이 발생하는 국면에서 동사의 협상력은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종국에 AGI 경쟁력을 확보할 업체를 중심으로 한 에코시스템 내에서도 핵심 B2B 업체의 위상을 가져갈 것으로 판단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798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8:10


제목 : 탈런 에너지(TLN), 여러 계약 통해 실적 안정성 확보 - BofA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Ross Fowler 애널리스트는 탈런 에너지가 체결한 계약들이 안정적인 수익 창출 전망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 "탈런 에너지는 ▲ 아마존닷컴(AMZN) AWS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10년간 960MW 규모이다. 탈런 에너지의 EBITDA는 ‘27년부터 1.1억 달러 증가하게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탈런 에너지가 메릴랜드 주 전력망에 전력공급을 유지하도록 하는 RMR(Reliability Must Run) 계약 또한 탈런 에너지의 안정적인 매출원이다. 해당 계약은 ‘29년 5월을 만기로 하며, 마찬가지로 ‘25년부터 1.1억 달러의 매출 증가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같은 안정성,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증가를 공략하기 유리한 여건과 이를 통한 가격 상승 효과 등은 탈런 에너지에 투자하는 근거가 된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53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8:03


제목 : 애브비, 휴미라 특허만료 이후에도 성장 프로파일 확고 BMO 외 *연합인포맥스*
애브비(ABBV)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BMO 캐피탈: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208달러에서 215달러로 상향. 에반 시거맨 애널리스트는 “스카이리지와 린보크의 40억 달러 매출 증가 전망이 휴미라 특허만료 이후에도 확고한 성장 프로파일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 구겐하임: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12달러에서 214달러로 상향. “AbbVie는 최소 20년대 말까지 견고한 성장 전망을 지니고 있어, 현재 주가 수준에서도 매력적이다”고 분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7:37


제목 : 애브비, ‘29년까지 성장 여력 낙관 트루이스트 외 *연합인포맥스*
애브비(ABBV)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트루이스트: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11달러에서 217달러로 상향. “애브비의 ’24년 실적은 경영진이 최근에 제시한 가이던스를 상회했다. 동사는 ’29년까지 뚜렷한 성장 궤적을 보여줄 것이다”고 진단했다. ▲ 레이몬드 제임스: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218달러에서 220달러로 상향. 게리 내크먼 애널리스트는 “애브비의 4분기 매출 및 EPS가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했고, ‘25년 가이던스와 스카이리지 및 린보크의 장기 가이던스가 개선된 성장 스토리를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동사의 견고한 파이프라인이 향후 주가배수 확장을 견인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6:58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02/04)

“시작 직전 연기한 관세전쟁.. 트럼프 협상력 풀충전?”

- 지수 : 급락 출발.. 낙폭 크게 줄이며 마감
*다우 -0.28%, 나스닥 -1.20%
*S&P500 -0.76%, 러셀2000 -0.86%
*반도체지수 -1.82%, 비트코인 +3.45%

- 섹터 : 5개 상승
*필수소비재 +0.68%, 유틸리티 +0.46%
*IT -1.80%, 경기소비재 -1.35%

- BIG7 : 1개 상승
*META +1.20%.. 11일 연속 상승
*AAPL -3.39%.. 중국 관세14일 우려
*TSLA -5.17%.. 캐나다 100% 관세 부과

- 종목과 ETF : 실적과 가이던스, 투자의견
*종목 : IDXX MRNA BDX GM SHOP
*ETF : EWW IGF GDX

https://www.youtube.com/live/OnowCW09lWY?si=k7b7SId6D90nAs2U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4:40


제목 : 오픈AI, AI 에이전트 신기능 '딥 리서치' 출시 *연합인포맥스*
시킹알파는 “오픈AI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신기능인 ‘딥 리서치’를 출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에이전트 기능은 복잡한 작업을 위해 인터넷에서 다단계 연구를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딥 리서치는 웹 브라우징 및 데이터 분석 최적화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오픈AI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소한 형식 오류 문제가 개선되고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한편 매체는 “지난달 동사는 사용자가 다양한 쇼핑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첫번째 AI 에이전트인 오퍼레이터를 출시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4 Feb, 02:57


제목 : 메타 CTO "다수의 AI 웨어러블 기기 계획 중" *연합인포맥스*
메타 플랫폼스(META)의 앤드류 보스워스 CTO는 “다수의 인공지능(AI) 웨어러블 기기를 계획 중이다”고 언급했다. “당사는 전반적으로 판매 및 참여를 촉진해야 하지만, 특히 혼합 현실(MR) 분야에서 장기적인 기회를 얻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사는 올해 AI 기반 웨어러블 기기를 6개 더 출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올해 당사의 모든 노력이 전설적인 모험으로 기록될지 혹은 비전 있는 지도자의 노력으로 기록될지 판가름날 예정이다”고 전했다. 한편 3일(월) 메타 플랫폼스 주가는 전일 대비 1.20% 상승한 697.46달러를 기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23:52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02/01)

“물가지표 안정에 상승 후 관세부과 소식에 하락”

- 지수 : 강세 출발.. 오후 들어 급락세세
*다우 -0.75%, 나스닥 -0.28%
*S&P500 -0.50%, 러셀2000 -0.86%
*반도체지수 -0.29%, 비트코인 -3.10%

- 섹터 : 2개 상승
*커뮤니케이션 +0.74%, 필수소비재 +0.26%
*에너지 -2.74%, IT -0.79%

- BIG7 : 5개 상승
*META +0.32%.. 10일 연속 상승
*AAPL -0.67%.. 추가관세 소식에 +4% 반납
*NVDA -3.67%.. 추가관세 소식으로 반락


- 종목과 ETF : 실적과 가이던스, 투자의견
*종목 : BEN DECK TEAM HIG OXY
*ETF : INDA PSP UUP

https://youtu.be/Ty25YkTQrzA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4:26


제목 : 1월 31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애플(AAPL): 씨티는 Apple Intelligence 출시 이후 iPhone 16 시리즈의 판매 성적이 개선되었다고 분석하면서, ‘25년에도 하드웨어 기업중 가장 선호하는 기업으로 언급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255달러에서 2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아마존닷컴(AMZN): Telsey Advisory는 실적발표를 앞두고 연말성수기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우수한 실적을 예상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다. ▲ 엔비디아(NVDA): 씨티는 DeepSeek의 등장이 엔비디아의 시장 확대임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고 발언하면서, 인공지능 컨퍼런스가 중요한상승촉매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치폴레 멕시칸 그릴(CMG): Bernstein은 우수한 동일매장매출 추이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25년 top pick 종목으로 선정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다. ▲ 허쉬(HSY): 파이퍼샌들러는 코코아 가격이 장기간 높게 유지될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허쉬의 수익성 악화를 예상해야 한다고 언급했다.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축소로 하향 조정했다. ▲ 일렉트로닉 아츠(EA): MoffettNathanson은 테이크 투(TTWO)와 비교했을 때 가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3:52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월그린스, 배당 중단 발표에 급락 *연합인포맥스*
▲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WBA): 분기배당 지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하면서 프리마켓에서 11.95% 급락하고 있다. ▲ 애플(AAPL): 서비스 매출 증가세를 바탕으로 호실적을 발표했다. 다만 iPhone 매출은 기대에 못 미쳤다. 프리마켓에서 4.22% 상승하고 있다. ▲ 인텔(INTC):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1.35% 상승 중이다. ▲ KLA(KLAC):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3.85%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2:52


제목 : [실적 속보] 애브비(ABBV), EPS 가이던스 높게 발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애브비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51억 달러(+5.6%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7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2.16달러(-22.6%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0달러 하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79% 상승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Immunology 매출 72.9억 달러(+4.9%) / Oncology 16.9억 달러(+12%) / Neuroscience 25.1억 달러(+19.8%) / Aesthetics 12.9억 달러(-5.2%) 등을 기록했다. 핵심 의약품 Humira 매출은 16.8억 달러로, 독점적판매권 상실 속에 전년 동기 대비 49.1% 감소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를 12.12~12.32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 10.39달러를 상회한다. 또한 경영진은 2029년까지 한자릿수 후반대(%)의 연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2:15


2025년 1월 31일(금) #뉴욕증시 #장전시황
https://blog.naver.com/101ancha/223743614762
#애플 #PCE물가지수 #애틀래시안 #덱커스아웃도어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2:13


제목 : [실적 속보] 엑슨 모빌(XOM), 매출 실망스러웠지만 EPS는 호조 *연합인포맥스*
엑슨 모빌은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834.3억 달러(-1.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37.7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1.6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2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0.34%를 기록 중이다. 부문별로는 업스트림 순이익 64.9억 달러 / 에너지 제품 4.0억 달러 / 화학제품 1.2억 달러 / 특수제품 7.5억 달러 등을 기록했다. 영업현금흐름은 122억 달러를 기록했다. 원유와 천연가스 등의 총 생산량은 일일 321만 배럴(+26%)을 기록했다. 가솔린 생산량은 일일 230만 배럴(+2%)로 나타났다. Permian basin과가이아나 유전에서의 생산량이 역대 최대치로 증가하면서, ‘24년에 걸쳐 16%의 생산량 증가가 달성되었다. 경영진은 ‘19~’24년 동안 누적 121억 달러의 비용절감이 이루어졌다고 강조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1:36


제목 : [실적 속보] 셰브론(CVX), EPS 기대 못 미치며 하락 *연합인포맥스*
셰브론은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522.3억 달러(+10.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38.2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2.06달러(-40.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5달러 하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05% 하락 중이다. 부문별로는 업스트림 순이익 43.0억 달러 / 다운스트림 순손실 -2.5억 달러 / 기타 -8.2억 달러 등을 기록했다. 영업현금흐름은 87억 달러를기록했으며, 운전자본을 제외한 영업현금흐름은 53억 달러를 기록했다. 순이익 감소의 원인으로는 정유마진 하락, 자본지출 확대 등이 언급되었다. ‘24년에 걸쳐 미국 생산량이 19%, 글로벌 생산량이 7%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생산량을 기록했다. 총 생산량은 33.5억 원유환산배럴로 나타났다. 또한 이사진은 5%의 분기배당 인상을 발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1:03


제목 : [실적 공시] 덱커 아웃도어(DECK), 매출 가이던스 상향에도 기대 못 *연합인포맥스*
덱커 아웃도어는 지난 30일에 FY25 3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18.3억 달러(+17.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3.00달러(+1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39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5.4% 하락하고 있다. DTC 채널 매출은 10.1억 달러(+17.9%), 도매 채널 매출은 8.2억 달러(+16.2%)를 기록했다. 매출총이익률은 60.3%로 전년 동기 대비 1.6%p 상승했다. 브랜드별로는 UGG 매출 +16.1% / HOKA +23.7% / Teva -6.0% / 기타 브랜드 -16.6% 등을 기록했다. 경영진은 FY25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48억 달러에서 49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5.15~5.25달러에서 5.75~5.8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매출가이던스는 월가 컨센서스 49.3억 달러를 하회하지만 / EPS 가이던스는 컨센서스 5.66달러를 상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0:56


제목 : [실적 공시] 서비스나우(NOW), 구독 매출 가이던스 실망스러워 *연합인포맥스*
서비스나우는 지난 29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29.6억 달러(+21.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에 부합한다. ▲ 비GAAP EPS 3.67달러(+18.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상회한다. 구독 매출은 28.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수주잔고에 해당하는 현재 잔여계약의무(cRPO)는 102.7억 달러로 19% 증가했다. 연간계약액(ACV) 500만 달러 이상의 대형고객은 21% 증가하여 500개 가까이에 달하고 있다. 경영진은 ‘25년 1분기 구독 매출 가이던스를 29.9억~30.0억 달러로 제시했으며 / cRPO 증가율 가이던스를 19.5%로 제시했다. 이는 월가의 구독 매출 컨센서스 30.3억 달러를 하회한다. 또한 ‘25년 전체 구독 매출 가이던스는 126.4억~126.8억 달러로 제시되었는데, 이 또한 컨센서스 128.6억 달러를 하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0:46


제목 : [실적 공시] 라스베이거스 샌즈(LVS), 싱가포르 리조트 호조 강조돼 *연합인포맥스*
라스베이거스 샌즈는 지난 29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29억 달러(-0.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5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54달러(-0.5%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4달러 하회한다. 카지노 매출은 21억 달러(-0.4%) / 객실숙박 매출은 3.2억 달러(-1.8%)를 기록했다. 부동산 조정 EBITDA는 11.1억 달러로 컨센서스에 부합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다. 마카오의 경우에는 5.7억 달러로 EBITDA가 0.8억 달러 감소했고 / 싱가포르의 경우 5.4억 달러로 0.1억 달러 감소하는 데 그쳤다. 경영진은 마카오 시장 회복세를 언급했지만, 여전히 판데믹 이전의 방문객 수준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싱가포르의 Marina Bay Sands 리조트는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고 평가했으며, 효과적인 자본지출 전략을 통해 두 시장 모두에서 카지노 산업을 선도하는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발언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0:26


제목 : [실적 공시] 램 리서치(LRCX), 기술 투자 성과 나타나며 점유율 확 *연합인포맥스*
램 리서치는 지난 29일에 FY25 2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43.8억 달러(+16.5%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7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9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3달러 상회한다. Systems 매출 26억 달러(+14%) / 고객지원 및 기타 매출 17.5억 달러(+20%) 등을 기록했다. 비GAAP 매출총이익률은 47.5%로 나타났다. 경영진은 핵심기술에 대한 투자가 성과를 거두면서 시장기회가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고성능 반도체 장비에 대한 수요가 실적 성장세를 지지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특히 첨단 증착(deposition) 기술과 식각(etch) 어플리케이션을 바탕으로 웨이퍼 팹 장비(WFE)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FY25 3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43.5억~49.5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0.90~1.10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인 43.3억 달러 / 0.87달러를 상회한다. 또한 비GAAP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는 47.9% 전후로 예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0:17


제목 : [실적 공시] AT&T(T), 견고한 가입자 증가세가 호실적 지지 *연합인포맥스*
AT&T는 지난 27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323억 달러(+0.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3.6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5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3달러 상회한다. 모바일 후불요금제 가입자는 48.2만 명 순증가하면서 컨센서스 44.3만 명을 상회했다. 모바일 후불요금제의 가입자 1인당 평균 매출(ARPU)은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했다. AT&T Fiber 부문 가입자는 30.7만 명 순증가했으며, 20개 분기 연속으로 20만 명 이상의 가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부문별 매출은 Mobility 231억 달러(+3.3%) / Business Wireline 45억 달러(-10%) / Consumer Wireline 35억 달러(+3.4%) 등을 기록했다. 또한 4분기 잉여현금흐름은 48억 달러로 컨센서스 46억 달러를 상회했다. 경영진은 ‘25년에 걸쳐 한자릿수 초반대(%) 매출 증가율 / 3%의 조정 EBITDA 증가율을 예상했다. DirecTV를 제외한 조정 EPS 가이던스는 1.97~2.07달러로 제시했는데, 이는 컨센서스 2.18달러를 하회한다. DirecTV를 제외했을 때, ‘25년 전체 잉여현금흐름은 160억 달러 이상으로 예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10:00


제목 : 엔비디아(NVDA), 인공지능 수혜 축소 우려 시기상조 HSBC 외 *연합인포맥스*
엔비디아는 오는 2월 26일에 FY25 4분기(11월~1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Barron’s는 엔비디아 주가에 하방압력이 발생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엔비디아 전망을 낙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DeepSeek가 등장하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큰 충격을 받았다. DeepSeek를 구축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분석했을 때, 인공지능 프로세서 시장의 규모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엔비디아 시장기회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회복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수출을 위해 성능을 제한한 H20 칩을 포함한 반도체에 대해서도 수출 제재를 적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확대되면서 다시 한 번 하방압력이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HSBC의 Frank Lee 애널리스트는 “인공지능 투자자들은 DeepSeek 구축 비용을 바탕으로, 하이퍼스케일 기업들의 인공지능 관련 자본지출이 대폭 축소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본지출 축소가 나타나는 것은 적어도 단기 내로는 예상되지 않는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85달러를 유지했다. 한편 Tigress Financial의 애널리스트는 “DeepSeek 등장으로 인해 엔비디아 주가는 큰 충격을 받았지만, 이것이 엔비디아의 시장지위를 약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엔비디아는 인공지능 테마의 핵심 종목이며, 모든 산업과 기업들이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그 자본지출이 집중되는 기업이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인공지능 인프라 프로젝트인 Stargate나 더욱 발달된 인공지능 GPU의 등장 전망, 그리고 헬스케어 등으로의 시장확대 기회 등이 엔비디아의 전망을 지지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엔비디아가 이번에 경험한 막대한 낙폭이 분명한 저가매수기회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강력매수로 상향 조정했으며, 목표주가도 220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9:48


제목 : ASML(ASML), 수주 상황 바탕으로 실적 낙관할 수 있어 GS *연합인포맥스*
ASML은 지난 29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인공지능 산업의 성장 전망에 대한 자신감을 강조했다. 골드만삭스의 Alexander Duval 애널리스트는 “ASML은 EUV 등 핵심적인 반도체 장비의 수주가 컨센서스를 대폭 상회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로직, 메모리 부문에서도 수주 추이가 강력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가격 상승여력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지난 3개월간 ASML 주가는 유럽의 주요 IT 기업들 대비 저조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이 outperform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010유로를 유지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Didier Scemama 애널리스트 또한 “ASML의 ‘25년 1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컨센서스를 유의미하게 상회했고, ▲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 TSMC(TSM) 등으로부터의 수주 상황을 종합했을 때 시장 회복 및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03유로를 유지했다. “한편 인공지능 관련 수요에 대해 ASML 경영진은 주요 고객사들의 인공지능 수혜 규모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언급했다. UBS의 Francois-Xavier Bouvignies 애널리스트는 “중국 DeepSeek의 등장으로 인공지능 관련 종목들이 충격을 받았지만, ASML은 이것이 인공지능 기술이 창출하는 방대한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수요가 강력하게 나타나는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ASML의 반도체 장비 수주 추이는 우수하며, 이를 바탕으로 주가 상승세가 더 이어질 것이다”고 전했다. 다만 투자의견 중립과 목표주가 710유로는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8:58


제목 : 스타벅스(SBUX), 턴어라운드 긍정적이나 주가 매력 떨어져 - JPM *연합인포맥스*
스타벅스는 지난 28일에 FY25 1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했지만, 경영진이 턴어라운드 전략을 강조하면서 가이던스는 제시하지 않았다. 제이피모간체이스의 John Ivankoe 애널리스트는 “스타벅스의 FY25 1분기 EPS는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이는 분명한 경영 집중 없이 표류하던 스타벅스를 재편하기 위한 과정의 일부이다. 니콜 CEO는 스타벅스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것이 고객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자신감을 지지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나아가 “스타벅스는 상당히 높은 관리비용 지출 등을 안고 있는데, 이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면서 이익률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모간스탠리의 Brian Harbour 애널리스트 또한 “니콜 CEO가 스타벅스의 미래 비전에 대해 분명한 태도를 보여주었고, 이러한 차이는 투자전략을 좌우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스타벅스 주가는 ‘25년 들어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는 동력들은 아직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William Blair의 Sharon Zackfia 애널리스트는 “스타벅스 전체적인 동일매장매출은 감소세를 보였지만, 핵심 시장인 미국과 중국의 동일매장매출 추이는 전분기 대비 개선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광범위한 마케팅을 전개하고, Starbucks Rewards 회원이 아닌 일반 회원들을 유인하기위한 전략들이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스타벅스 미국 사업부는 머지않아 매출이 다시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다만 “이러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 스타벅스 밸류에이션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marketperform 의견을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8:56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애플(AAPL.US): Edge AI, 성장 스토리의 변곡점을 기다리며

FY1Q25 실적 Review
- FY1Q25(12월말) 실적: 매출액 1,243억달러(YoY +4.0%, QoQ +30.9%, 컨센서스 대비 +0.2%), OPM 34.5%(YoY +0.7%p, QoQ +3.3%p, 컨센서스 대비 +0.3%p), GPM 46.9%(YoY +1.0%p, QoQ +0.7%p, 컨센서스 대비 +0.3%p), GAAP EPS 2.40달러(YoY +10.1%, QoQ +147.4%, 컨센서스 대비 +2.1%)
- 모두 컨센서스 상회하는 호실적. 매출액과 매출총이익률, EPS 모두 분기 사상 최고치 달성하며 중국 매출 부진에 대한 시장 불안감 해소

중국 판매 부진 우려를 불식시킨 실적과 가이던스
- 상품 매출: 아이폰 중국 매출 부진 영향으로 YoY 역성장. 반면 아이패드와 맥은 신규 M4 기반 라인업에 수요 증가에 힘입어 각각 YoY 15.2%, 15.5% 성장
- 서비스 매출: 새로운 기능과 유료 구독 건수 증가에 따라 YoY 성장률 12%->14%로 확대 및 역대 최고 매출액 경신
- 중국 제외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사상 최고 매출 기록
- 중국 판매 부진 원인: 1)유통 채널 재고 조정, 2)이구환신 보조금 정책, 3)중국 현지 업체들과의 경쟁 심화, 4)Apple Intelligence 미출시로 교체 수요 부재 등 종합적으로 작용
- 중국 외 신흥국 인도에서 분기 최대 실적 기록. 인도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스마트폰 시장 + 낮은 아이폰 점유율로 향후 업사이드 기대
- 강달러 여파로 부정적인 환율 역풍 예상에도 FY2Q25 매출액, GPM 등 가이던스 시장 컨센서스와 부합하거나 상회하게 제시하며 중국 시장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 완화

딥시크가 촉발한 Edge AI 시장의 성장은 동사에게 긍정적
- 저비용·고성능을 내세운 딥시크로 인한 경량 모델 확산 -> AI 추론 비용 절감 -> Edge AI 시장 성장 가속화 가능
- 올해 1,2 분기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 가능한 이벤트 다수 포진 (3월/4월 iPhone SE4 출시, 4월 iOS 18.4 출시, 6월 WWDC)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788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8:45


제목 : 머스크 CEO의 X, 다시 광고주들 유입되고 있어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아마존닷컴, 애플 등이 X 광고를 다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지난 ‘22년, ▲ 테슬라(TSLA)의 머스크 CEO가 Twitter를 인수하고 플랫폼 이름을 X로 교체한 이후, 많은 광고주들이 X에서 이탈했던 바 있다. 그러나 광고주들이 다시 X로 유입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Wall Street Journal 보도에 따르면, ▲ 아마존(AMZN)은 Jassy CEO 주도 하에 X에서의 광고지출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년말에 X 광고를 중단했던 ▲ 애플(AAPL) 또한 지난 수 주간 X 광고를 재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정리했다. “다만 X에서의 광고를 중단했다가 최근 다시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광고 예산은 Twitter 시절에 비해 소규모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8:40


제목 : 메타(META), 인공지능 성장 펀더멘털 자신감 MS 외 *연합인포맥스*
지난 29일 메타 플랫폼스 실적발표 이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모간스탠리의 애널리스트는 “메타는 Gen-AI 기술을 광고 포맷에 접목시키면서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기업이다. 메타 산하 플랫폼들에광고를 게재하고 있는 광고주 중 Gen-AI 도구를 사용하는 광고주는 6개월 전 100만 곳에서, 현재 400만 곳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메타를 고성능 GPU를 바탕으로 유의미한 실적 창출을 누리고 있는 희소한 기업으로 만든다. 더욱 더 강력한 Gen-AI 광고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메타의 실적 성장세는 더 가속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660달러를 유지했으며, 강세 시나리오 목표주가를 900달러로 제시했다. RBC Capital의 애널리스트는 “메타의 실적발표에서는 여러 신규 상품들이 분명한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서버 수명 연장이 이루어지면서 영업지출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Reality Labs 부문은 ‘25년에 다시 투자지출을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25년 손실 발생과 성장세 둔화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하면서도, “중국 DeepSeek 등장으로 인공지능 산업 전반이 동요했던 것을 고려하면, 적극적인 투자지출은 충분히 받아들여질 수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700달러에서 8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Loop Capital의 애널리스트는 “메타의 ‘25년 1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중앙값 약 407억 달러로, 컨센서스 417억 달러를 하회했다. 하지만 여기에는 환손실에 따른 영향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으로는 가이던스로 나타나고 있는 것 이상의 매출 성장세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655달러에서 676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8:06


안녕하세요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NVIDIA (NVDA.US)

: 딥시크, 규모의 법칙을 뒤흔들다

투자 포인트

1) 딥시크-R1은 딥시크-V3 모델 기반으로 강화 학습된 저비용 고성능 추론 모델

딥시크-V3는 NVIDIA H800으로 훈련됐고, 훈련 비용도 라마3.1의 1/115 수준 불과

그럼에도 일부 분야에서 라마3.1과 GPT-4o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 지난 연말 공개된 후 업계 내 화두가 되었는데, 이를 base로 하는 딥시크-R1이 오픈AI-o1의 성능을 넘어서면서, 앱 다운로드 급증, 시장에 충격을 줬음

2) 최근 1년 반 동안 GPT-4 수준의 모델 비용이 1/1000배 급감한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비용 차이가 오픈AI의 생태계를 위협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움

3) 다만 굳게 믿어져 왔던 규모의 법칙이 흔들렸기 때문에, 그 동안 컴퓨팅 파워 키우기에 집중됐던 미국 CSPs의 투자 우선 순위가 '알고리즘과 강화학습 개발'로 바뀌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무료로 풀린 딥시크-R1은 오픈AI 생태계 전반에 대한 수익성 우려 야기할 수 있음

급락했던 주가의 단기 반등이 있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보수적 접근 바람직하다고 판단함.

리포트: https://bit.ly/40TlAvH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31 Jan, 08:03


[키움 화장품/섬유의복 조소정]

덱커 아웃도어 (DECK.US): 요즘 유행하는 신발이 궁금해?

💥UGG, HOKA의 브랜드사
- UGG는 재작년부터 유행을 선도 중, 그 덕분에 수요(Q)와 정상가판매율(P)이 함께 증가.
- HOKA의 활약도 두드러짐. 기존 러닝 매니아 고객 뿐 아니라 신규 초보 러너들도 찾기 시작하면서 성장세가 지속됨.

💥3Q25 (24년 10-12월) 실적 발표
- 매출 18.3억 +17%, 영업이익 5.7억 +16%, OPM 31%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
- HOKA (+24%), UGG(+16%) 브랜드 모멘텀이 견조하게 이어진 덕분.
- 미국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판매 호조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도소매 성장도 고르게 나타남.

💥FY25 가이던스 상향 조정
- FY25 가이던스로 매출 49억 달러 (+15%), 영업이익 10.8억 달러 (+16%), OPM 22% 제시

💥 생각보다 약했던 가이던스
- 최근 섬유의복/신발 업체들의 멀티플은 천차만별. 그 이유는 전방 시장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비우호적인 가운데,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일부 브랜드에만 기대감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
- 동사도 마찬가지로 최근들어 주가가 멀티플 확장으로 상승 동력을 얻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음. (현 주가 선행 PER 39배) 이 경우 결과/전망치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기에, 유의 필요.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CDetailView?sqno=787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4:29


제목 : 1월 21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엔비디아(NVDA): UBS는 Blackwell 제품 공급 불확실성 등이 언급되고 있지만, 여전히 강력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면서 일각에서 제기되는 불안을 해소시켜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 델 테크놀로지스(DELL): 에버코어는 인공지능 서버 등 주목받고 있는 시장 외에도 자체적으로 성장세가 가속될 수 있는 기회가 여럿 있다고 평가했다. ‘25년 하드웨어 top pick으로 선정했다. ▲ 테슬라(TSLA): 파이퍼샌들러는 top idea 종목으로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315달러에서 5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제너럴 모터스(GM): Deutsche Bank는 전략적 결정 등을 통해 포트폴리오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우수한 실행력이 계속해서 확인되고있기 때문에, 실적발표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 워너 브로스 디스커버리(WBD): MoffettNathanson은 매력적인 자산들을 보유하고 있어, M&A 기회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 로쿠(ROKU): JMP Securities는 커넥티드 TV 산업에 대한 광고 지출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95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3:41


제목 : [실적 속보] 프로로지스(PLD), FFO 가이던스 기대 못 미쳐 *연합인포맥스*
프로로지스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2억 달러(+16.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6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1.37달러(+101.5%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2달러 하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0.47%를 기록 중이다. 주당 영업활동 현금흐름(FFO)은 1.50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프로로지스 직영 및 관리 부동산들의 평균 임대율은 95.6%를 기록했다. 계약 갱신율은 78.4%로 나타났다. 분기 말 시점에서 74억 달러의 유동성을 보유했다. 부채/EBITDA 비율은 4.6배로 나타났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를 3.45~3.70달러로 제시했고 / 주당 FFO 가이던스는 5.65~5.81달러로 제시했다. 주당 FFO 가이던스는 중앙값 기준 컨센서스 5.79달러를 하회한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3:22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비스트라 에너지, 화재 진화 발표되면서 상승 *연합인포맥스*
▲ 비스트라 에너지(VST): 소방 당국은 20일에 지난 16일 발생했던 설비 화재가 완전히 진화되었음을 확인했다. 프리마켓에서 4.42% 상승 중이다. ▲ 애플(AAPL): 제프리스가 인공지능 기능이 충분한 판매량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투자의견을 underperform으로 하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1.99% 하락하고 있다. ▲ 코보(QRVO): 행동주의 투자자 Starboard Value 개입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한 이후, 모간스탠리가 이를 반영하여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3.49% 상승 중이다. ▲ 모더나(MRNA): 미국 보건사회복지부(HHS)로부터 조류독감 백신 개발을 위해 9.5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프리마켓에서 4.08% 상승 중이다. ▲ 중국 전기차 종목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 시행이 당장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임이 언급되면서, 샤오펑(XPEV) +5.94%, 리 오토(LI) +5.40% 등을 기록 중이다. ▲ 제너럴 모터스(GM): Deutsche Bank는 현재 주가가 충분한 하락리스크를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고, 자사주매입 확대 전망 등을 기대하면서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1.31% 상승 중이다. ▲ 트럼프 미디어(DJT):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이후 프리마켓에서 6.12% 하락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3:15


제목 : 코보(QRVO), 행동주의 투자자 개입으로 이익률 개선 기대 MS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의 Joseph Moore 애널리스트는 코보에 대한 행동주의 투자자 개입을 언급하면서, 이익률 개선이 기대된다고 정리했다. “행동주의 투자자 Starboard Value가 코보 지분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당사는 Starboard Value의 경영 개입이 코보의 실적 추이가 회복하는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전했다. “코보는 성장동력을 다각화하려 했지만 이는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행동주의 투자자 개입을 통해, 이러한 전략을 포기하고 핵심 RF 부문에 다시 집중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이에 따라 코보의 EPS가 9.63달러로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 애플(AAPL)이 자체개발 모뎀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RF 칩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을 언급하고 있지만, 당사는 이러한매출기회에 기대하는 것보다는 전반적인 이익률 향상을 목적으로 최적화를 진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을 시장비중에서 비중확대로, 목표주가를 90달러에서 106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2:23


제목 : [실적 속보] 닥터 호턴(DHI), 호실적과 높은 매출 가이던스에 상승 *연합인포맥스*
닥터 호턴은 FY25 1분기(10~12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76억 달러(-1.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5.2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2.61달러(-7.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24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95% 상승 중이다. 주택 약 1.9만 채가 판매되어 매출 71억 달러를 창출했다. 또한 약 1.8만 채 수주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67억 달러 규모이다. FY25 1분기 주택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다. 또한 단독주택 311채와 다가구주택 504채 렌털을 통해 매출 2.2억 달러를 창출했다. 경영진은 FY25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360억~375억 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 370.9억 달러를 상회한다. 연간 주택 판매량은 9.0만~9.2 만 채로 예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2:10


제목 : [실적 속보] 3M(MMM), 호실적 발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3M은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60.1억 달러(+0.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3억 달러 상회하다. ▲ 비GAAP EPS 1.68달러(-1.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2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59% 상승하고 있다. 4분기 조정 매출은 58억 달러로 2.2% 증가했고 / 조정 자체매출은 2.1%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9.7%로, 전년 동기 대비 0.2%p 하락했다. 영업현금흐름 18억 달러, 잉여현금흐름 13억 달러를 기록했다. 경영진은 헬스케어 부문 Solventum 스핀오프 등을 조정한 ‘25년 전체 조정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0.5~1.5%로 / 조정 자체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2~3%로 제시했으며 / EPS 가이던스를 7.60~7.90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7.78달러를 하회한다. 경영진은 달러 강세로 인한 환손실이 ‘25년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1:32


제목 : 애플(AAPL), 4분기에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 상실하며 3위 *연합인포맥스*
애플은 오는 1월 30일에 FY25 1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Counterpoint Research는 ‘24년 4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이 점유율을 상실했다고 발표했다. “애플의 FY25 1분기에 해당하는 ‘24년 4분기에,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 iPhone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점유율은 17.1%를 기록하면서 3위가 되었다. 전년 동기에는 20.2% 점유율을 차지했던 것에서 3%p 축소된 것이다”고 밝혔다. “▲ Huawei는 4분기에 점유율 18.1%로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미국 정부가 Huawei에 대한 반도체 수출 제재를 시행한 이후 처음으로 1위로복귀한 것이다. Huawei 스마트폰은 4분기 중국 시장에서 판매량 15.5% 증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Huawei는 중간가격대 Nova 13 스마트폰은 물론, 하이엔드 제품으로 iPhone 등과 경쟁하는 Mate 70 스마트폰에서도 성공적인 판매량 추이를경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점유율 2위는 ▲ Xiaomi (17.2%), 4위는 ▲ Vivo (16.3%), 5위는 ▲ Honor (13.6%) 등을 기록했다. “’24년 4분기에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전체적으로는 판매량이 3.2% 감소했는데, 1~3분기에는 판매량이 증가했던 것에서 반전한 것이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0:40


제목 : 애플(AAPL), 실적과 가이던스 실망스러울 것 - 제프리스 *연합인포맥스*
애플은 오는 1월 30일에 FY25 1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제프리스의 애널리스트는 iPhone 판매 추이를 분석했을 때, 애플의 실적 및 가이던스가 시장을 실망시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당사는 소비자용 전자제품 시장 전반이 위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iPhone 또한 판매량이 저조할 것이라고 경계하고 있다. iPhone 16 시리즈 판매 상황을 분석해보면, 인공지능 기능인 Apple Intelligence가 기대만큼 판매량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고, 또 수익화를 견인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애플의 iPhone 17 시리즈나 iPhone 18 시리즈에 대한 전망치도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FY25 1분기 실적발표에서 애플의 매출 성장세는 가이던스를 하회할 것이며, FY25 2분기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는 한자릿수 초반대(%)에 그치면서 시장을 실망시킬 것이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underperform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목표주가는 211.84달러에서 200.75달러로 하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10:09


제목 : 엔비디아(NVDA), AI 투자 느려지면서 타격 예상 - Mornings *연합인포맥스*
엔비디아는 오는 2월 26일에 FY25 4분기(11월~1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Morningstar의 Brian Colello 애널리스트는 인공지능 투자지출 확대가 주춤하면서,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세를 낙관할 수는 없다고 정리했다. "넷플릭스는 ‘23년 240% 가까이 상승했고, ‘24년에도 170% 이상 상승했다. 이와 같은 막대한 랠리를 연속으로 경험한 이후, ‘25년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세는 그렇게 강력하지 못할 것이며 이는 연초 주가 상승세가 소폭으로만 나타나고 있는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인공지능 관련 투자지출 증가세가 전에 비해 둔화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세는 투자자들을 실망시킬 수 있다. IT 기업들은 이미 막대한 투자지출 확대를 경험한 상태로, 재차 투자지출을 대폭 확대할 경우 수익성 악화와 이에 따른 주가 하락을 피할 수 없는 단계이다"고 지적했다. "IT 메가캡인 ▲ 마이크로소프트(MSFT) ▲ 알파벳(GOOGL) ▲ 아마존닷컴(AMZN) ▲ 테슬라(TSLA)와 머스크 CEO 산하 기업들 중 누구도 전과 같이 투자지출을 대폭 확대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IT 기업들은 인공지능 투자지출 규모를 신중하게 결정하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중요한 성장동력은 둔화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나아가 "이와 같이 투자지출 규모가 관리되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그간의 인공지능 랠리가 버블일 수 있음을 경고하는 분석도 늘어나고 있다. 당사는 버블 붕괴를 우려하고 있지는 않지만, 투자지출이 늘어나지 않으면서 낙관적 전망을 반영했던 랠리들은 조정받을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중립적 의견을 제시했으며, 적정 주가는 130달러라고 보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9:45


제목 : 넷플릭스(NFLX), 라이브 이벤트 확대 언급 기대돼 - 오펜하이머 *연합인포맥스*
넷플릭스는 금일 폐장 후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오펜하이머의 Jason Helfstein 애널리스트는 넷플릭스 실적발표를 앞두고, 우수한 실적과 라이브 이벤트 확대를 통한 성장동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월가는 넷플릭스의 4분기 실적이 강력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2월에 공개된 ‘오징어게임 2’가 시청자 및 신규 가입자를 유인하는 데성공했으며, 타이슨-폴 복싱매치나 NFL 크리스마스 중계 등 스포츠 이벤트는 넷플릭스가 스포츠 컨텐츠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자극했다"고 전했다. "스트리밍 시장의 경쟁이 완화되면서 넷플릭스의 가입자 해지율은 낮아질 것이며, 강력한 컨텐츠 레버리지는 앞으로도 넷플릭스의 실적 성장세를 지지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이어 "당사는 넷플릭스 경영진이 광고 요금제 수입 상황을 공개하고, 새로운 라이브 이벤트 일정을 공개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라이브 이벤트는 앞으로 넷플릭스가 성장세를 가속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컨텐츠로 자리잡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6:34


제목 : TSMC, 대만 강진으로 일부 공장 일시 중단 후 재개 *연합인포맥스*
더 레지스터는 “대만에서 규모 6.4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TSMC(TSM)가 일부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대만 중앙기상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현지시간 21일(화) 오전 0시 17분에 발생했으며, 강력한 진동으로 인해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준이었다”고 발언했다. 이어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TSMC는 직원 안전을 고려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직원들을 대피시켰다. 닛케이에서는 TSMC의 공장이 완전한 생산 능력을 회복하기까지 수일이 걸릴 수도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TSMC는 공식 성명을 통해 “대만 남부에서 발생한 강진 이후 모든 공장이 정상 운영 중이다. 지진 후 모든 사업장에서 구조 점검을 완료했으며, 시설 안전이 확인됨에 따라 운영이 점진적으로 재개되고 있다”고 밝혔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6:25


제목 : 드러켄밀러 “트럼프 재선, 시장의 투기적 열기 되살려” *연합인포맥스*
CNBC는 “억만장자 투자자 스탠리 드러켄밀러는 도널드 트럼프 재선이 시장의 투기적 열기를 되살리고, 기업들 사이에서도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드러켄밀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투자 업계에 몸담은 지 49년이 됐지만, 우리는 아마도 반기업적이었던 행정부에서 그 정반대의 행정부로 이동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CEO와 기업들과 직접 소통을 많이 하는데, CEO들의 반응은 안도감에서 흥분감까지 다양하다. 그래서 당사는 시장의 동물적 감각이살아나고 있다고 믿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 상황이 복잡하다. 강한 경제 흐름과 이에 따른 국채 금리 상승이 충돌하고 있어 어느 쪽으로 강하게 베팅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한편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오히려 미국 재정 문제 완화에 기여할 수도 있다. 당사는 관세를 단순한 소비세 정도로 인식한다. 보복 관세는위험 요인이지만, 관세율이 10% 이내에서 유지된다면 관련 우려는 과장됐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6:18


제목 : US 뱅코프, ’25년 가이던스 보수적… 과매도 상태 MS *연합인포맥스*
US 뱅코프(USB)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모간 스탠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60달러에서 59달러로 하향. 베시 그라섹 애널리스트는 “US 뱅코프 경영진은 투자자 설명회 이후 강세 전망을 유지했지만, ’25년 매출 성장 가이던스는 약 +4%에 그쳤다. 이는 보수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주식은 과매도 상태이다”고 평가했다. ▲ 파이퍼 샌들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58달러에서 55달러로 하향.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가 하락은 시장이 여전히 ‘결과로 증명하라’ 태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동사는 현재 할인된 밸류에이션을 고려할 때 향후 개선 가능성이 높아 주가 회복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6:08


제목 : US 뱅코프, 운영 레버리지 개선 낙관…매수 기회 형성 아거스 외 *연합인포맥스*
US 뱅코프(USB)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아거스: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52달러에서 56달러로 상향. “US 뱅코프의 4분기 영업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동사가 수익 성장과 비용 관리 측면에서 변곡점에 도달하면서 운영 레버리지가 개선될 것이다”고 낙관했다. ▲ 오펜하이머: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62달러에서 63달러로 상향. “US 뱅코프의 4분기 실적은 대체로 양호했지만, 자동 매도 알고리즘이 작동하면서 지역은행 주가가 1~3% 하락했다. 이러한 주가 약세를 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으로 권장한다”고 밝혔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5:42


제목 : 모간 스탠리, 4분기 실적 컨센 상회 바클레이즈 *연합인포맥스*
모간 스탠리(MS)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바클레이즈: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155달러에서 156달러로 상향. “모간 스탠리의 4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며, 이는 전반적인 매출 증가에서 기인한 것이다”고 평가했다. ▲ 골드만삭스: 투자의견 중립 유지, 목표주가 128달러에서 138달러로 상향. “’24년 4분기에 모간 스탠리가 예상보다 높은 수수료 기반 자급 유입을 기록했으며, ’25년 전망도 긍정적이다”고 설명했다. “예금 재가격 조정 및 자금 유입 증가, 자산 관리 대출 성장 가속화, ’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리테일 트레이딩 활동이 실적을 견인할것이다”고 예상했다. 또한 “동사는 기관 증권 부문에서 장기적인 시장점유율 확장 가능성을 기대하며, 이는 주요 주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5:37


제목 : 모간 스탠리, 4분기 EPS 컨센 큰폭 상회 BofA 외 *연합인포맥스*
모간 스탠리(MS)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46달러에서 153달러로 상향. 이브라힘 푸나왈라 애널리스트는 “모간 스탠리의 4분기 EPS는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 이는 강력한 트레이딩 부문 실적과 투자은행(IB)부문의 견조한 성과에 힘입은 결과이다”고 발언했다. 이에 “동사의 ’25년 및 ’26년 EPS 전망치를 각각 약 7% 상향한 9.02달러, 9.95달러로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 키프 브루예트: 투자의견 마켓퍼폼 유지, 목표주가 145달러에서 138달러로 상향. 데이비드 콘래드 애널리스트는 “모간 스탠리가 4분기에 호실적을 달성했으며, 이는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제기했다. “동사는 여러 사업 부문에서 강력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리 환경과 고객 참여 증가가 트레이딩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5:27


제목 : 뱅크오브아메리카, ’26년 영업레버리지 개선 기대 트루이스트 외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BAC)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트루이스트: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52달러에서 53달러로 상향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실적 개선 요인은 영업 레버리지 개선이었다. 매출 및 비용 증가율이 각각 +5%, +2.5%로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26년에는 영업 레버리지가 370bp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기했다. ▲ 오펜하이머: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54달러에서 55달러로 상향. “뱅크오브아메리카의 4분기 실적이 견고했으며, ’25년 가이던스가 대부분의 영역에서 개선되었다. 특히 투자자들은 긍정적인 서프라이즈가언제 나올지 주목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투자은행(IB) 부문 회복, 대출 성장세 재가속, 트레이딩 부문의 변동성 확대 등을 동사 기대 요인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5:12


제목 : 뱅크오브아메리카, 예상보다 높은 비용으로 EPS 전망 하향 에버코어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BAC)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에버코어 ISI: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53달러에서 51달러로 하향. “뱅크오브아메리카가 ’24년을 무난한 분기 실적과 강력한 ’25년 가이던스로 마무리했다. 그러나 예상보다 높은 비용 증가가 주가에 부담을 주었다”고 발언했다. “비용 증가를 반영해 동사의 ’25년 EPS 전망치를 기존의 3.81달러에서 3.60달러로 하향으며, ’26년 EPS 전망치는 4.78달러에서 4.52달러로 각각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 아거스: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48달러에서 53달러로 상향. “뱅크오브아메리카의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평균 대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으며, 순이자이익(NII)도 지속적으로개선되는 흐름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어 “동사는 ‘책임 있는 성장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도한 신용 위험 없이 대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동시에, 변동성이 높은트레이딩 및 투자은행(IB) 부문이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조절하는 전략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4:50


제목 : 퍼플렉시티 AI, 틱톡 모회사에 공식적으로 합병 제안 *연합인포맥스*
CNBC는 “퍼플렉시티 AI가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에 공식적으로 합병을 제안했다. 이번 제안은 퍼플렉시티 AI, 틱톡 미국 사업부, 신규 투자 파트너가 포함된 새로운 합병 법인 설립을 목표로 한다”고 보도했다. “익명의 관계자에 따르면 바이트댄스의 기존 투자자 대부분이 합병 후에도 지분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전망이며, 이를 통해 퍼플렉시티 AI는 동영상 콘텐츠를 더욱 강화할 기회를 얻게 된다”고 발언했다. 한편 “틱톡과 바이트댄스의 미래는 미 정부의 규제 결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바이트댄스는 틱톡 미국 사업부를 매각할 의사가 없음을 여러 차례 시사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퍼플렉시티 AI는 ‘매각’이 아닌 ‘합병’ 방식으로 틱톡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퍼플렉시티 AI는 오픈AI와 알파벳(GOOGL)에 도전하는 AI 기반 검색 스타트업으로, ’24년 초 약 5억 달러였던 기업 가치가 1년 만에약 90억 달러로 성장했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1 Jan, 04:30


제목 : 모더나, 美 정부 $5.9억 추가 지원…조류독감 백신개발 가속 일환 *연합인포맥스*
바론스는 “미 연방정부가 모더나(MRNA)의 mRNA 기반 독감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추가로 5.9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조바이든 행정부가 임기 말에 H5N1 조류 인플루엔자 판데믹 대비를 강화하는 조치의 일환이다”고 보도했다. “이번 지원은 미 보건복지부(HHS) 산하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의 예산 중에서도 상당한 규모다. BARDA는 지난해 모더나에 1억 7,600만 달러를 지원한 바 있으며, 일반적으로 1.5억 달러를 초과하는 계약을 발표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추가 지원으로 미 정부가 모더나의 mRNA 기반 조류독감 백신 개발을 위한 지원금이 7억 6,600만 달러에 달하게 되었다. 이는 ’20년 초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투입된 9억 9,500만 달러와 맞먹는 수준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결정은 HHS가 조류독감 판데믹 가능성을 매우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HHS는 이번 지원이 미국 내 소와 조류에서 감염이 보고된 H5N1 바이러스 변종에 적합한 mRNA 백신 개발을 앞당기는 데 사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22:54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01/18)

“#바이든 바이~ #트럼프트레이드 재개? BIG7 모두 상승”

- 지수 : 강세 출발 후 상승폭 확대.. 오후들어 차익실현
*다우 +0.78%, 나스닥 +1.51%
*S&P500 +1.00%, 러셀2000 +0.40%
*반도체지수 +2.84%, 비트코인 +4.43%

- 섹터 : 9개 상승
*경기소비재 +1.71%, IT +1.65%%
*커뮤니케이션 +1.10% VS 헬스케어어 -0.67%

- BIG7 : 모두 상승
*AAPL +0.75%..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NVDA +3.10%.. 바클레이스, 목표주가 $175로 상향

- 종목과 ETF : 지분인수, 실적, 투자의견
*종목 : INTC JBHT QRVO STT HOOD
*ETF : FXI BLOK URA

https://youtu.be/aipgGqWgXWQ?si=hxP8dC4q6M96JuQK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4:26


제목 : 노보 노디스크(NVO), 메디케어 가격 협상 예고되며 하락 *연합인포맥스*
CNBC는 노보 노디스크의 다이어트약들이 메디케어 가격 협상 대상 의약품으로 결정되면서, 가격 하락이 예상되며 노보 노디스크 주가도 하방압력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 치료제 오젬픽(Ozempioc), 그리고 비만 치료제 위고비(Wegovy) 등의 성분인 semaglutide 의약품들을 메디케어 가격 협상 대상 의약품으로 발표되었다. semaglutide 등의 다이어트약은 그 성장기회가 매우 주목받고 있지만, 높은 비용과 공급부족문제 등으로 아직 충분히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메디케어는 약 60년만에 처음으로 의약품 제조사들과 직접 가격을 협상할 수 있는 지위를 갖게 되었다. 이번에 가격 협상이 대상이 되는 15종의 의약품은 ‘25년 내 가격 협상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조정된 가격으로 ‘27년부터 판매될 예정이다”고 언급했다. 노보 노디스크의 주가는 이러한 가격 협상이 미국 내 가격 하락을 촉발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프리마켓에서 4.3% 하락했다. 이에 대해 노보 노디스크 대변인은 “오젬픽과 위고비 등이 같은 성분인 semaglutide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같은 제품으로 분류된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곧 취임하게 된다.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여기 포함된 메디케어 의약품 가격 협상 법안등이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만약 의약품 제조사가 가격 협상을 거부한다면, 대상이 되는 의약품은 미국 내 매출의 최대 95%에 달하는 소비세를 납부하거나,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3:30


제목 : 아마존(AMZN), TikTok 매각 결정될 경우 관심 가질 것 - MS *연합인포맥스*
아마존은 오는 1월 30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모간스탠리의 애널리스트는 아마존닷컴이 TikTok을 인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 ▲ ByteDance가 운영하는 소셜 플랫폼 TikTok의 미국 서비스 금지와 이에 따른 처분이 어떻게 될지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곧 시작되는 가운데, TikTok의 미국 서비스는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매각에 대한 압박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중국 내에서도 TikTok 매각을 허용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TikTok 미국 서비스 매각이 결정된다면, 여러 후보자가 있겠지만 당사는 특히 아마존이 TikTok에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아마존은 TikTok을 인수하여 광고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고, 제품 구매까지의 전환율이 우수한 플랫폼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이를 결정할 수있는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280달러를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3:25


제목 : TSMC(TSM), ‘25년에도 성장 전망 낙관적 바클레이즈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의 Simon Coles 애널리스트는 TSMC가 ‘25년에도 인공지능 랠리를 중심으로 한 견고한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라고 낙관했다. “TSMC는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가이던스도 컨센서스보다 높은 수준으로 제시했다. TSMC는 ‘25년에도 견고한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다”고 기대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TSMC는 매우 강력한 성장동력을 보유하고 있다. 인공지능용 프로세서 외 시장 또한 점진적인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어, TSMC의 주가 상승 전망을 지지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240달러에서 25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2:57


제목 : 유나이티드헬스(UNH), 우수한 실적 가시성 긍정적 - MS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의 Erin Wright 애널리스트는 유나이티드헬스의 실적 가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25년 투자매력이 충분하다고 발언했다. “유나이티드헬스는 ‘24년 4분기에 의료손실률(medical loss ratio)이 상승했으며 이는 주가 하방압력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영진은 컨센서스를 하회하기는 하지만 가이던스를 유지하면서, 실적 가시성이 밝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또한 유나이티드헬스는 ‘25년 가격결정력에 자신감을 보였는데, 이는 기존에 가격결정력을 제한하던 요인인 고비용 특수의약품 사용 증가등의 문제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보험약제관리(PBM) 투명성을 향상시키겠다는 입장 등은 미국 정계에서 PBM 산업에 대한 압박이 나타나고 있음에도 유나이티드헬스의포트폴리오가 훼손되지 않고 ‘25년 성장 펀더멘털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10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2:04


제목 : [실적 속보] SLB(SLB), 호실적 발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SLB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92.8억 달러(+3.2%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92달러(+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2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36% 상승 중이다. 부문별로는 Digital & Integration 매출 11.6억 달러(+10% YoY), 영업이익 4.4억 달러(+24%) / Reservoir Performance 매출 18.1억 달러(+4%), 영업이익 3.7억 달러(전년 동기 동등) / Well Construction 매출 32.7억 달러(-5%), 영업이익 6.8억 달러(-12%) / Production Systems 32억 달러(+9%), 영업이익 5.1억 달러(+14%) 등을 기록했다. 조정 EBITDA는 23.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자본지출이 약 23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24년에는 26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이사진은 분기 배당을 3.6% 인상한 주당 0.285달러로 발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1:40


제목 : 애플(AAPL), 중국발 우려에 충분히 하락, 단기 상승기회 에버코어 *연합인포맥스*
애플은 오는 1월 30일에 FY25 1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에버코어의 애널리스트는 중국발 악재가 애플 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한 가운데, 애플의 실적발표와 가이던스가 단기 상승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애플은 신흥국 시장에서 성장세를 누리고 있고, 서비스와 웨어러블 사업들의 호조가 나타나고 있다. 애플의 단기 실적은 예상에 부합하는모습을 보여줄 것이다”고 전망했다. “FY25 2분기의 경우, 최근 중국 시장에서 부진을 가리키는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신호들로 인해 월가의기대감은 충분히 낮아진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애플의 실적발표와 가이던스 내용이 오히려 주가에 상승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Tactical Outerform 종목으로 선정했다. 한편 “당사는 중국 시장에서의 성적이 우려되는 것보다는 양호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5년에 걸쳐 다시 iPhone 17 시리즈 출시기대감이 나타나면서 애플 주가가 상승세를 재개할 것이라고 본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250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1:26


제목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AAL), 기업 출장 회복하면서 수혜 예상 - Bof *연합인포맥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는 오는 1월 23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애널리스트는 기업 출장 수요 회복 등이 항공 섹터, 특히 아메리칸 에어라인스의 실적을 낙관하는 배경이 된다고 밝혔다. “앞서 실적을 발표한 ▲ 델타 에어라인스(DAL)의 실적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유럽 노선의 성장세, 기업 출장 수요의 회복, 프리미엄 좌석전략의 성공적인 정착 등이 언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역시 수혜를 누릴 수 있는 요소이다”고 분석했다. “’24년 상반기에 아메리칸 에어라인스는 15억 달러에 해당하는 점유율을 상실했던 바 있는데, 기업 출장 수요가 회복하며 점유율이 정상화되고 이 과정에서 큰 폭의 순이익 창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underperform에서 중립으로 상향했고 목표주가도 12달러에서 2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1:09


제목 : TSMC(TSM), 타이완 설비가 미국 설비보다 첨단기술 사용할 것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TSMC가 미국에 반도체 제조 설비를 건설하고 있지만, 타이완 설비가 더 적극적으로 첨단기술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TSMC는 미국 애리조나 주에 반도체 제조 설비를 건설하고 있다. 이는 미국이 반도체 공급체인을 자국 내 유치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이다. 다만 TSMC의 C.C. Wei 회장은 인사는 이번에 미국 애리조나 주에 건설되는 설비가 타이완 설비과 동등한 첨단기술을 사용하지는 못할 것임을시사했다”고 전했다. “Wei 회장은 타이완 국립대학교 발언에서 반도체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별로 당국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미국에서의 승인과정이 타이완보다 두 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도체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첨단기술이 도입되어도, 타이완 설비에 먼저 해당 기술이 도입될 것임을 가리킨다”고 언급했다. “TSMC는 CHIPS Act를 통해 미국 정부 보조금을 받고 애리조나 주에 3개의 설비를 건설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가 창출하는 고용은 10년 뒤에는 수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고 밝혔다. 한편 “Wei 회장은 TSMC 실적발표에서는 애리조나 주 설비가 타이완 설비와 동등한 퀄리티와 신뢰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미국 내 공급망이 구축되지 않은 점, 화학제품 조달 비용이 훨씬 높을 것이라는 점 등 애리조나 주 설비에 대한 부정적 언급도 있었다”고 정리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10:36


제목 : 시스코(CSCO), 캠퍼스 스위치 호조가 실적 지지할 것 씨티 *연합인포맥스*
씨티의 애널리스트는 시스코 시스템스의 캠퍼스 스위치 시장이 핵심적인 성장동력으로 실적을 지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스코가 영위하고 있는 200억 달러 규모의 캠퍼스 스위치 시장은 시스코의 FY25 2분기(11월~1월) 실적을 지지했을 것이다. 또한 FY25 전반에 걸친 매출 전망을 지지하는 요소이기도 하다”고 언급했다. “캠퍼스 스위치 시장은 재고가 충분히 소진되었고 시장이 회복하고 있다. FY25 4분기에는 시스코 전반적인 실적 성장세가 해당 시장을 중심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다가오는 FY25 2분기 실적발표에서는 시스코 경영진이 가이던스를 상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시스코를 30일간 Positive Catalyst Watch 종목으로 선정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64달러에서 68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9:49


제목 : 테슬라(TSLA) Cybertruck, 할인에도 수요 저조할 것 Gl *연합인포맥스*
테슬라는 오는 1월 29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Global Equities의 Trip Chowdhry 애널리스트는 테슬라의 Cybertruck 할인이 충분한 수요를 자극하지 못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테슬라가 재고로 남아있는 Cybertruck에 대해 최대 1,600달러의 할인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난 수 주간 오스틴 기가팩토리에서 Cybertruck 생산이 느리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알려지면서 재고 문제가 주목받았던 바 있다”고 전했다. “’19년 최초 출시 당시, Cybertruck은 4만 달러대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24년 실질적인 판매가는 8만 달러에 육박했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캘리포니아 주 보험 자료에 따르면, 전기 픽업트럭 시장에서는 Cybertruck보다 ▲ 리비안 오토모티브(RIVN) 차량이 선호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이번에 발표된 할인 정책만으로는 Cybertruck 수요가 충분히 강력하지 못할 것이라고 본다”고 판단하면서, “테슬라는 Cybertruck의 크기를 20% 가량 축소하고, 가격을 4만~6만 달러대로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실질적인 수요를 자극해야 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9:29


제목 : 테슬라(TSLA), 자율주행 아직 불충분, 로보택시 확장 느릴 것 - G *연합인포맥스*
테슬라는 오는 1월 29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자율주행 기술 발달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로보택시 사업의 성장세가 빠르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당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인 FSD 개발 상황을 바탕으로 ‘27년까지의 실적 전망치를 조정했다. 여기에는 또한 테슬라가 이러한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하여 운영할 로보택시 사업에 대한 전망도 반영되어 있다”고 밝혔다. “FSD 13 버전은 그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고, 당사는 여러 시험운행과 사용자들의 평가, 서드파티 조사 자료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FSD는 여전히 운전자가 주의할 것을 요구한다. 그 이상의 자율주행 기술을 달성하기까지는 상당한 진전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사는 테슬라가 ‘26년 하반기부터 로보택시 사업을 전개할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자율주행 기술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원격 보조 및 Geofencing 기술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타사와 유사한 바탕으로 FSD 단독 이용보다 효과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제공하지만, 서비스지역을 확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자들은 로보택시 사업을 테슬라의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보고 있지만, 이로 인해 로보택시 사업의 확대는 느리게 진행될 것이다. 당사는 ‘27년에 로보택시 사업이 1.15억 달러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고 보며, EPS 기여는 미미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중립과 목표주가 345달러를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8:51


제목 : 인페이즈 에너지(ENPH), 성장에 대한 불안 신호 늘어나 트루이스트 *연합인포맥스*
트루이스트의 애널리스트는 ‘25년 초 인페이즈 에너지의 성장 전망을 낙관하기 어려운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정리했다. “인페이즈 에너지는 태양광 섹터 내 우수한 매출총이익을 누리면서 시장을 선도해왔지만, 유럽 시장에서 약세가 나타나고 있고 미국 시장에서는 ▲ 테슬라(TSLA) 에너지 사업과의 경쟁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25년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보았다. “유럽 판매량에 대한 보수적인 가이던스와 미국 재고 정상화를 예상했을 때, 인페이즈 에너지의 ‘24년 4분기 실적은 기존 가이던스에 부합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며, 경영진의 ‘25년 1분기 가이던스와 ‘25년 전반에 대한 평가는 시장을 실망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유럽에서의 신제품 출시, 4세대 배터리 제품 출시 등이 다시 한 번 실적 성장세를 견인할 수 있겠지만, 이는 수 개월 내 예상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으며, “특히 트럼프 2기 정부에서의 태양광 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하면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이 매력적이라고 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나아가 “인페이즈 에너지는 이미 동종기업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에 거래되고 있어,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65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7:44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키차트(키움 차주 트렌드) 1월 4주차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CA251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6:35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01/17)

“지수를 끌어내린 애플과 테슬라 그리고 엔비디아”

- 지수 : 상승 출발 직후 하락세.. 등락 속 하락 마감
*다우 -0.16%, 나스닥 -0.89%
*S&P500 -0.21%, 러셀2000 +0.29%
*반도체지수 +0.18%, 비트코인 +3.41%

- 섹터 : 8개 상승.. 3개 +1% 이상
*유틸리티 +2.58%, 부동산 +2.23%
*IT -1.30%, 커뮤니케이션 -0.95%

- BIG7 : 모두 하락
*AAPL -4.04%.. '24년 중국 시장점유율 3위로 추락
*TSLA -3.36%.. 싸이버트럭 가격인하

- 종목과 ETF : 실적, 투자의견
*종목 : DXCM UNH TSM FSLR AMD
*ETF : EWU VNQ TAN

https://www.youtube.com/live/aO7PGxlLujo?si=YoJdr34XlLnDkDxB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5:29


제목 : 웰스파고, ’25년 자사주 매입 기대 RBC *연합인포맥스*
웰스파고(WFC)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RBC 캐피털: 투자의견 섹터퍼폼 유지, 목표주가 72달러에서 80달러로 상향. “웰스파고의 순이자수익(NII) 및 순이자마진(NIM) 개선과 함께, 자본시장 부문의 강한 성장으로 인해 4분기 매출 및 EPS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발언했다. “동사 신용 품질은 안정적이며, 자본 수준이 규제 요구치를 크게 초과하고 있어 ’25년에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에버코어ISI: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83달러에서 88달러로 상향. “웰스파고의 4분기 실적을 반영해 ’25년 및 ’26년 EPS 전망치를 각각 5% 상향한 5.97달러, 7% 상향한 7.15달러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정의 주요 원인은 순이자수익 및 순이자마진의 강세이며, 전반적인 전망도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5:23


제목 : 웰스파고, 고금리 장기화 시 수혜 기대 MS 외 *연합인포맥스*
웰스파고(WFC)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모간 스탠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84달러에서 88달러로 상향. “웰스파고의 ’24년 순이자수익이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25년 가이던스에서는 연간 1~3% 성장 전망을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약 6% 상회하는 수준이다”고 발언했다. 또한 “웰스파고는 자산에 대한 금리 민감도가 높지 않지만, 금리가 예상보다 오래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이에 따라 ’25년 EPS 전망치를 기존 대비 7.4% 상향한 6.26달러로, ’26년 전망치는 7.9% 상향한 7.36달러로 조정했다”고 전했다. ▲ 트루이스트: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82달러에서 85달러로 상향. “웰스파고 목표주가 상향 조정의 주요 요인은 ’25년 및 ’26년 순이자수익(NII) 전망에 기인한다. 그러나 비이자비용이 기존보다 높게 예상되는 점은 일부 상쇄 요인이다”고 분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5:18


제목 : JP모간, ’25년 EPS 컨센 상향될 것 MS 외 *연합인포맥스*
JP모간 체이스(JPM)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모간 스탠리: 투자의견 시장비중 유지, 목표주가 265달러에서 273달러로 상향. “JP모간의 ’24년 4분기 EPS가 컨센서스를 18% 상회했으며, ’25년 가이던스 또한 월가 예상을 웃돌았다. 이번 가이던스는 ’25년 EPS 컨센서스가 약 5% 상향 조정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또한 “경영진은 마리안 레이크가 차기 CEO 유력 후보임을 시사했다”고 언급했다. ▲ RBC 캐피털: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248달러에서 260달러로 상향. 제라드 캐시디 애널리스트는 “JP모간의 순이자수익(NII) 및 순이자마진(NIM) 확대와 함께, 자본시장 부문의 강한 성장이 예상보다 높은 매출 및 EPS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발언했다. “JP모간의 신용 품질이 안정적이며, 자본 수준도 규제 요구치를 충분히 초과하고 있다. ’25년에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이 지속될 가능성이높다”고 평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7 Jan, 05:11


제목 : JP모간, ’25년 가이던스로 선도지위 재확인 에버코어 외 *연합인포맥스*
JP모간 체이스(JPM)가 ’24년 4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에버코어 ISI: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264달러에서 273달러로 상향. 글렌 쇼어 애널리스트는 “JP모간은 ’25년 가이던스를 상세하게 제공하며 동사가 시장을 선도하는 은행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실적 발표 후 동사 주가는 다른 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했는데, 이는 이미 ‘최고의 은행’이라는 평가가 주가에 반영되어 있었기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 UBS: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76달러에서 287달러로 상향. 에리카 나자리안 애널리스트는 “JP모간이 실적을 발표할 때마다 ‘비트 앤드 레이즈’가 당연한 기대치가 되고 있다”고 발언했다. “동사는 동종 은행 대비 프리미엄에 거래되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동 섹터에서 최고 수준의 자기자본이익률(ROTCE)을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3:30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손해보험사들, LA 산불로 타격 예상되며 하락 *연합인포맥스*
▲ 올스테이트(ALL) ▲ 트래블러스(TRV) ▲ 처브(CB): 대규모 산불 사태로 인해 손해보험사들의 실적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ALL -4.88%, TRV -1.96%, CB -3.96%를 기록 중이다. ▲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칼파인(Calpine) 인수를 발표했다. 또한 이로 인한 실적 향상 효과를 월가가 예상하던 것보다 높은 수준으로제시했다. 프리마켓에서 11.75% 급등하고 있다. ▲ 에디슨 인터내셔널(EIX): 로스앤젤레스 대규모 산불 사태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지목되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2.23% 하락 중이다. ▲ 온 세미컨덕터(ON): 트루이스트는 월가 컨센서스가 조정될 때까지 투자매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2.58% 하락하고 있다. ▲ 아처 에비에이션(ACHR) ▲ 조비 에비에이션(JOBY): 제이피모간체이스는 리스크 선호 성향이 두드러질 때도 eVTOL 기업들이 underperform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하면서 각각의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ACHR -4.01%, JOBY -5.27%를 기록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3:23


제목 : (수정) 엔비디아, FY25 4분기에도 호퍼 & 블랙웰 성장 확인 씨 *연합인포맥스*
7일(화)부터 10일까지 CES 2025가 진행되는 가운데, 엔비디아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씨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75달러를 각각 유지. “CES 2025 특별 연설에서 엔비디아(NVDA)가 하이브리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추가로 설명했다. 이 플랫폼은 클라우드에서 동사 GPU를 사용해 대형언어모델(LLM)을 실행할 예정이다”고 발언했다. 이어 “경영진은 블랙웰이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기존 가이던스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동사는 호퍼와 블랙웰을 결합한 성과가FY25 4분기(’24년 11월~’25년 1월)에 성장할 것임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성장이 지속 가능하다고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 오펜하이머: 투자의견 아웃퍼폼, 목표주가 175달러 유지. 릭 샤퍼는 “이번주 CES에서 엔비디아 경영진과 대화를 나눈 후 기업, 로봇공학, 자동차 분야에서 생성형 AI 기회가 강력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로봇공학과 자동차 분야는 AI 시장의 주요 성장 기회이다”고 평가했다. 또한 “엔비디아 블랙웰 AI 가속기는 여전히 공급이 제한적지만, H200 AI 칩이 올해에도 의미 있는 매출 증가를 견인할 것이다. 풀스택 AI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갖춘 동사는 AI 시장에서 가장 우수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2:52


제목 : [실적 속보]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실적 부진에도 맥주 사업 호 *연합인포맥스*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FY25 3분기(9~11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4.6억 달러(-0.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7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3.25달러(+0.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6달러 하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25% 상승 중이다. 맥주 사업부는 59개 분기 연속으로 출고량이(depletion) 증가했으며, 동종기업 대비 우수한 성장세가 이어졌다. 맥주 매출은 3%, 출하량은(shipment) 1.6% 증가했다. 이에 따라 경영진은 FY25에 걸쳐 맥주 부문의 매출이 4~7%, 영업이익이 9~12%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와인, 스피릿 부문은 매출 -14%, 출하량 -16.4%를 기록하는 등 수요 위축 속에 저조한 실적을 발표했다. 경영진은 FY25 매출 증가율 -8~-5%, 영업이익 -19~-17%를 예상했다. FY25 전체 EPS 가이던스를 13.40~13.80달러로 제시했다. 또한 FY25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를 16억~18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2:37


제목 : [실적 속보] 틸레이(TLRY), 실적 혼조 속에 주가 하락 *연합인포맥스*
틸레이는 FY25 2분기(9~11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11억 달러(+8.8%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533만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0달러(전년 동기 동등)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0.22% 급락하고 있다. 부문 매출은 Beverage 부문 +36% / International Cannabis +25% / Distribution +1% / Wellness +13% 등을 기록했다. 또한 매출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6,1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상기 4개 사업부 전부에서 매출총이익률이 상승하면서 매출총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경영진은 FY25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9.5억~10억 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 7.4억 달러를 상회한다. 또한 FY25에 걸쳐, Beverage 부문에서 2,500만 달러 규모의 시너지효과를 확대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를 강조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2:26


제목 :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칼파인 인수 발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컨스텔레이션 에너지가 칼파인 인수를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컨스텔레이션 에너지가 칼파인(Calpine, 비상장)을 인수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현금 및 주식 거래를 통해 총 266억 달러 규모이다”고 전했다. 이는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주식 5,000만 주, 그리고 현금 45억 달러, 그리고 칼파인 부채 127억 달러로 구성된다. 인수 합의가 발표된 이후,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8.87% 상승하고 있다. “칼파인은 미국 최대의 저탄소배출 천연가스 발전업체이며, 다방면에서 청정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컨스텔레이션 에너지는 칼파인 인수를 통해 미국 최대의 청정에너지 공급업체로 규모를 확대하게 되며, 250만 개 고객사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업체로 경쟁지위를 강화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또한 컨스텔레이션 에너지측은 칼파인 인수를 통해 ‘26년에만 조정 영업 EPS가 20% 이상 증가하고, 향후 수 년간 2달러 이상의 EPS 증진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연간 비GAAP 잉여현금흐름도 20억 달러 이상 증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컨스텔레이션 에너지는 이번 M&A로 인한 부담이 S&P 및 Moody’s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밝혔다. 합병은 12개월 내로 완료될 예정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2:16


제목 : [실적 속보] 월그린스(WBA), 호실적 발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는 FY25 1분기(9~11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394.6억 달러(+7.5%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0.4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51달러(-22.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3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0.30% 급등하고 있다. 고정환율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으며, 모든 사업부에서 매출 증가가 이루어졌다. 한편 영업이익이 감소한 데에는 미국 의약품 소매업 부문에서의 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경영진은 FY25 전체 EPS 가이던스를 1.40~1.80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컨센서스 1.53달러를 상회한다. 또한 FY25에 걸쳐 영업비용 관리 등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턴어라운드에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자신감이 강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1:43


제목 : [실적 속보] 델타 에어라인스(DAL), 높은 가이던스 제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델타 에어라인스는 ‘24년 4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55.6억 달러(+9.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0.8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85달러(+44.5%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1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53% 상승하고 있다. 4분기 단위매출(TRASM)은 20.04센트(+0.4%)를 / 단위비용(CASM)은 13.72센트(+3.2%)를 기록했다. 비GAAP 영업이익률은 12%로, 전년 동기 9.7%에서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여객 매출 128.2억 달러(+5.3%) / 화물 2.49억 달러(+32.4%) / 기타 25.0억 달러(+34.1%) 등을 기록했다. 경영진은 ‘25년 1분기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7~9%로 / EPS 가이던스를 0.70~1.00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 0.77달러를 상회한다. ‘24년 전체 EPS 가이던스는 7.35달러 이상으로 예상했고, 잉여현금흐름이 4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1:19


제목 : NXP 세미(NXPI), ‘25년에 회복 사이클 누릴 전망 - GS *연합인포맥스*
NXP 세미는 오는 2월 3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는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 사이클을 분석했을 때, NXP 세미컨덕터스의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NXP 세미의 자동차용 반도체 및 산업재용 반도체 사업은 그 가시성이 밝다고 하기 어렵다. 하지만 근시일 내 NXP 세미가 실적 가이던스를하향 조정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발언했다. “저조했던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은 저점을 지나 회복세가 시작되는 단계에 가까워지고 있다. 투자자들은 NXP 세미의 ‘25년 사이클 회복을예상하고 투자 포지션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사는 NXP 세미의 효과적인 전략이 중장기적으로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본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목표주가는 260달러에서 257달러로 하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1:00


제목 : 테슬라(TSLA) 기술적 분석들, 당분간 하방압력 소화 시사 *연합인포맥스*
테슬라는 오는 1월 29일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Barron’s는 테슬라 주가에 대한 기술적 분석들에서 주가 하락리스크를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Fairlead Strategies의 Katie Stockton 테크니션은 “테슬라 주가는 지난 11월 대선 이후부터 큰 폭으로 상승했고, 지금은 그러한 상승폭을반납하면서 소화하는 단계에 있다. 테슬라 주가가 다시 상승 모멘텀을 회복하는 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390달러대에 있는 테슬라 주가가 앞으로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350달러와 300달러에서 지지선을 맞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CappThesis의 Frank Cappelleri 테크니션 또한 “테슬라 주가는 지금보다 더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당사는 350달러를 다소 상회하는 수준에서 지지선이 형성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ChartSmarter의 Douglas Busch 테크니션은 “지금 나타나고 있는 하방압력이 소화된 이후, 테슬라 주가는 상승세를 재개할 것이며 당사는 480~500달러까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으며, “당사는 ‘25년 상반기 중에 테슬라 주가가 500달러에 육박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10:15


제목 : 엔비디아(NVDA), 장기 TAM 수 조 달러 달할 것 - Melius *연합인포맥스*
엔비디아는 오는 2월 26일에 FY25 4분기(11월~1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Melius Research의 Ben Reitzes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가 CES 2025에서 소개한 제품들을 열거하면서, 동사의 장기 시장기회가 막대하다고 정리했다. “Huang CEO의 CES 2025 기조연설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하락했는데, 여기에는 FY25 2분기까지의 성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장기 성장기회를 고려하면, 이는 사소한 문제에 불과하다”고 판단했다. “1조 달러 규모의 전통적 데이터센터 인프라 시장은 엔비디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맞춰 변화하고 있고, 이는 엔비디아에 막대한 시장을 제공한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역시 엔비디아에게 기회가 있고, 이는 2조~3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했다. “Cosmos 플랫폼이 보여준 로보틱스 기술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인간보다 로봇의 비중이 커지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전망했다. “엔비디아의 총유효시장(TAM)은 앞으로 수 조 달러 이상인 것으로 확인될 것이다”고 정리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9:47


제목 : AMD(AMD), 상승여력 있지만 전망 불투명한 상태 New Stre *연합인포맥스*
New Street Research의 Pierre Ferragu 애널리스트는 AMD 주가 상승여력이 있지만 상승세를 확신할 수는 없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25년에 AMD가 주가 상승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주가 상승 전망을 낙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공급체인에서는 AMD가 인공지능 칩 시장에서 충분한 견인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엔비디아(NVDA)의 구형 Hopper GPU는 공급부족을 벗어나고 있고, 이는 AMD 제품에 대한 수요에 하방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AMD가 도전자로서 지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 AMD 제품들의 공급능력이 향상되고 생태계가 구축됨에 따라, ‘27년에는 인공지능 GPU 시장에서 10% 가량의 점유율을 달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목표주가를 210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9:30


제목 : 마이크론(MU), DRAM 성장세 시장 예상보다 빠를 것 New St *연합인포맥스*
New Street Research의 Pierre Ferragu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DRAM 사업이 ‘25년에 시장 예상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마이크론 주가는 ‘25년 초 상승세가 뚜렷하며 이러한 랠리가 ‘25년에 걸쳐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론 DRAM 사업의 성장세는 강력할 것이며, 월가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데이터센터 산업이 이제 DRAM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그럼에도 45%에 달하는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이외의 DRAM 시장들은저점을 지나 회복하기 시작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어 “마이크론의 강력한 레버리지를 고려했을 때, ‘26년에는 DRAM 부문의 매출원가(COGS)가 컨센서스를 10%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는 ‘26년 마이크론의 순이익이 현재 컨센서스를 40% 가까이 상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DRAM 생산능력은 타이트하며 이는 이익률확대를 지지한다”고 분석했다. “인공지능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는 인공지능 컴퓨팅 시장의 성장세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다.특히 ASI 기업들에의 납품이 HBM 성장세를 견인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25년 top pick 종목으로 꼽았으며, 목표주가를 145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9:08


제목 : 블록, 티커 SQ에서 XYZ로 변경 발표 *연합인포맥스*
블록은 오는 2월 20일에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핀테크 기업 블록은 NYSE에서 거래되고 있는 주식의 티커를 기존 SQ/SQ2에서 XYZ로 변경한다. 티커 변경은 1월 21일에 이루어진다. 블록측은 “당사가 매장 결제 서비스인 Square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앱인 Cash App 등으로 사업을 확대함에 따라, Square 당시에 등록한 티커를 변경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블록은 Square와 Cash App 외에도 BNPL 서비스인 Afterpay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TIDAL 등을 보유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8:47


제목 : 코스트코(COST), Y/Z 세대 중심으로 동일매장매출 호조 이어져 *연합인포맥스*
제프리스의 Corey Tarlowe 애널리스트는 코스트코 홀세일의 동일매장매출 성장세를 분석하면서, Y 세대 및 Z 세대 소비자 공략이 효과적이라고 언급했다. “제프리스의 12월 미국 부문 핵심 동일매장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간 누적으로는 23.6% 증가이다. 당사는이러한 판매 호조의 배경 중 하나로, 코스트코가 Y 세대 및 Z 세대 소비자들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고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백화점이나 전문점, 전통적 식료품점에서 이탈한 소비자들이 코스트코로 유입되고 있으며, 또한 Y 세대 및 Z 세대 소비자들은 코스트코 등클럽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인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코스트코는 앞으로도 역사적 평균보다 1~2%p 높은 동일매장매출 증가세를 이어갈것이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선호 성향은 코스트코 매출에서 식품 외 카테고리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에버코어의 Greg Melich 애널리스트는 “식료품 및 소비재 인플레이션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코스트코는 로열티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이 점유율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8:26


제목 : 월그린스(WBA) 실적발표, 기업 매각 진행되는지 주목 *연합인포맥스*
월그린스는 금일 개장 전 FY25 1분기(9~11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Seeking Alpha는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의 실적발표에서, 실적보다도 기업 매각 여부가 중요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월그린스 실적발표에서 투자자들은 실적내용보다도 기업 매각 가능성에 주목할 것이다. 월그린스 주가는 ‘24년에 걸쳐 65% 가까이 하락하면서 S&P 500 지수 내 가장 저조한 종목 중 하나였으며, 이에 따라 전략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고 전했다. 월그린스 시가총액은 ‘15년에는 1,000억 달러를 상회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80억 달러를 하회하고 있다. “지난 12월 상순에 언론들은 동사가 사모업체 Sycamore Partners에 기업을 매각하는 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고 언급했다. 한편 모간스탠리의 Erin Wright 애널리스트는 “’25년 초 인플루엔자 유행은 평년 대비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월그린스의 실적 전망에 대한 압박을 확대시킬 것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8:03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미국은 지금 - 양자 컴퓨터를 사이에 둔 공방전

젠슨 황의 한마디에 무너진 양자 컴퓨터
- 구글의 '윌로우(Willow)' 양자 칩 공개 이후 시장의 관심을 받았던 양자 컴퓨터 관련 주식은 1/8(현지시간) 젠슨 황이 상용화에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자 크게 하락
- 퀀텀 (-43.3%), 아이온큐 (-39.0%), 리제티(-45.1%), 디웨이브(-36.1%), QTUM ETF (-4.6%)

양자 컴퓨터가 뭐길래
- 기존 컴퓨터와 양자 컴퓨터의 차이는 간단하게 'or' 과 '&'
- 클래식 컴퓨터는 2진법 기반으로 0 or 1 중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면, 양자 컴퓨터는 0 & 1, 두가지 상태가 동시에 존재 가능
- 따라서 병렬 연산 기능이 가능해지고 큐비트(Qbit)를 단위로 가짐. -> 연산 능력 기준 훨씬 빠른 성능

젠슨 황의 의견을 반박한 다른 한명의 CEO
- D-Wave 퀀텀 CEO 알란 바라츠 '게이트 모델 양자 컴퓨터 기준에서 타당할 수 있지만 어닐링 모델 양자 컴퓨터에 대해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 게이트 모델: 큐비트 상태를 조작해 어떠한 문제든 해결할 수 있는 범용성을 지닌 모델
- 어닐링 모델: 양자 상태의 에너지를 가장 적게 소요하는 솔루션을 찾는 모델로 물류 경로, 네트워크 디자인 등 최적화 문제 해결에 특화
- 실제 사례: 폭스바겐(교통 흐름 최적화 시스템 구축), BBVA(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 및 리스크 관리 모델 테스트), 멘턴 AI(단백질 구조 및 배열 조합을 찾는 최적화 문제 해결 및 신약 연구 영역에 활용)

양자 컴퓨터에 대한 시장의 선택과 이유
- D-Wave CEO의 반박에도 주가가 급락했던 이유
1) 어닐링 모델 양자 컴퓨터의 제한적인 활용도
2) 구글의 윌로우(Willow) 칩은 게이트 기반 양자 프로세서
3) 아직 실적으로 증명되고 있지 않은 양자 컴퓨터 관련 기업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762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8:03


제목 : TSMC(TSM) 4분기 매출 40% 가까이 증가 *연합인포맥스*
CNBC는 TSMC의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0% 가까이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TSMC의 ‘24년 4분기 매출은 8,685억 신타이완달러(약 263억 미국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8.8% 증가한 것이며, 컨센서스 8,501억 신타이완달러를 상회한다”고 전했다. “’24년 전체 매출은 2.9조 신타이완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1994년 상장 이후 역대 최고 매출이다”고 정리했다. Counterpoint Research는 “인공지능 기술이 각광받으면서 인공지능 칩 수요가 폭증했고, TSMC는 이로부터 강력한 수요를 누렸다. 첨단 정밀공정인 3nm, 5nm 설비의 가동률은 계속해서 100%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외신은 “TSMC의 강력한 매출 증가세는 ‘25년 인공지능 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고 보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7:57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키차트(키움 차주 트렌드) 1월 3주차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CA250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0 Jan, 06:14


제목 : 월마트, 올해 회복 수준의 성장 기대 않아 바클레이즈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는 월마트(WMT)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90달러에서 98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25년 소매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회복 수준의 성장은 기대하지 않는다”고 발언했다. 이어 “경기소비재는 부정적 수요와 GDP 대비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나타낸 기간을 벗어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소매업이 최악의 상황을 지났고 올해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경기적 및 구조적 제약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4:18


제목 : 테슬라(TSLA), 4분기 인도대수 49.6만 대로 기대 못 미쳐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테슬라의 4분기 생산 및 인도대수가 다음과 같았다고 정리했다. ▲ 4분기 생산대수: 459,445대 ▲ 4분기 인도대수: 495,570대 (vs. 컨센서스 50.7만 대) ▲ ‘24년 전체 생산대수: 177.3만 대 ▲ ‘24년 전체 인도대수: 178.9만 대 4분기 인도대수는 전년 동기 484,507대 및 전분기 462,890대에서 증가했지만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이에 따라 ‘24년 전체 인도대수도 목표에 미치지 못했다. 4분기 인도대수 중 Model 3/Y 차량은 47.2만 대를 차지했다. 이는 2일 프리마켓에서 테슬라 주가가 3.1%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3:57


제목 : 1월 2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애플(AAPL): 제이피모간체이스는 인공지능 기능의 소비자 기기 도입이 아직 진행 중인 단계이기 때문에, 동사 밸류에이션이 높다고 하더라도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웰스파고(WFC):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자산한도 규정 완화와 같은 외적 호재, 그리고 효율성 개선 및 수수료 수입 증가 등 내적 호재가 웰스파고 주가 상승 전망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 1분기 Top Idea 종목으로 선정했다. ▲ 테슬라(TSLA): 트루이스트는 자율주행을 중심으로 한 테슬라 인공지능 시장기회에 대한 투자는 충분한 검토 이후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시사했다. 투자의견을 보유로 유지했다. ▲ 우버 테크놀로지스(UBER): JMP Securities는 로보택시 사업이 상용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전망이 불확실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을 outperform에서 marketperform으로 하향 조정했다. ▲ 맥도날드(MCD): 웰스파고는 미국 방문객 추이가 회복되고 있으며, 기고효과가 해소되면서 성장 자신감이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1분기 Top Idea 종목으로 선정했다. ▲ 스타벅스(SBUX): BTIG는 경영진 교체 이후 영업 모델 개편과 투자지출 집행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턴어라운드가 나타날 수있다고 기대했다. 상반기 Top Idea 종목으로 선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3:24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시냅틱스, 알파벳 협력 발표되면서 상승 *연합인포맥스*
▲ 시냅틱스(SYNA): 알파벳(GOOGL) Edge AI와의 협력을 발표했다. 알파벳의 머신러닝 기술이 시냅틱스 Astra 하드웨어에 통합될 예정이다. 프리마켓에서 4.36% 상승하고 있다. ▲ 중국 기업들: PMI 지수가 실망스럽게 나타나면서 중국 증시가 하락했으며, 이와 함께 샤오펑(XPEV) -1.69%, JD.com(JD) -1.44% 등도 하락중이다. ▲ 가상화폐 종목들: 비트코인 가격이 9.6만 달러를 회복했다. 코인베이스(COIN) +3.91%, 마이크로스트래터지(MSTR) +3.76% 등을 기록 중이다. ▲ 클라우드플레어(NET): 골드만삭스는 ‘25년 다수의 상승촉매제를 언급하면서 투자의견을 매도에서 매수로 2단계 상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6.54% 상승하고 있다. ▲ RTX(RTX): Deutsche Bank는 동종기업 대비 실적 성장기회가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했다. 프리마켓에서 1.47%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2:50


제목 : 엔비디아(NVDA), CES 2025 상승촉매제 기대돼 - BofA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Vivek Arya 애널리스트는 다음 주 CES 2025가 엔비디아 주가 상승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오는 1월 8일부터 시작되는 CES 2025에서 엔비디아는 Blackwell GPU 생산 및 판매 상황 등을 공유할 것이며, 이는 주가 상승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Huang CEO는 CES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고 기대했다. “현재 생산 및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는 Blackwell GPU 외에도, 엔비디아는 로보틱스 기술이나 비디오 게임용 RTX 5000 시리즈 개발 상황, 차세대 인공지능 가속장치가 될 Rubin GPU에 대한 정보 등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Top pick 지위, 그리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90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1:30


제목 : 알파벳(GOOGL), ‘25년 반독점 제재 위험 커 JMP *연합인포맥스*
JMP Securities의 애널리스트는 알파벳의 ‘25년 투자전략에 있어서, 반독점 제재에 대한 위험이 크다고 판단했다. “’25년 IT 섹터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보급과 상용화가 주목받을 것이다. 다만 알파벳의 경우, 검색엔진 사업 관행 관련 반독점 소송이 더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최종 판결은 8월로 예상된다”고 발언했다. “반독점 소송의 결과에 따라 알파벳의 미국 내 Google 검색엔진 영업 전략은 큰 조정을 거쳐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검색 매출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러한 리스크는 ‘25년에 걸쳐 알파벳의 주가배수 확대를 제한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또한 “유럽 당국의 알파벳 반독점 제재 노력은 검색엔진 시장을 크게 변화시키지 못했으며, 따라서 미국 법원에서는 강도높은 조치를 명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종합했을 때, 당사는 알파벳의 현재 주가가 적정 수준에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을 outperform에서 marketperform으로 하향한다고 밝혔다.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1:19


제목 : 바이오젠(BIIB), 근시일 내 주가 견인할 요소 결여 파이퍼샌들러 *연합인포맥스*
파이퍼샌들러의 애널리스트는 바이오젠 알츠하이머 의약품 전략이 성공적이지 못하면서, 향후 수 년간 주가 전망도 어둡다고 발언했다. “바이오젠 경영진은 알츠하이머 의약품 개발을 선도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 의약품이 기대되는 것만큼 강력한 성장세를 주도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면역학에 집중된 R&D 전략은 분명히 장기적으로 가치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파이프라인이 성과를 거두면서 바이오젠 실적과 주가를 견인하는 것이 근시일 내에는 어려워 보인다”고 정리했다. “현재 바이오젠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다발성경화증(MS) 포트폴리오는 앞으로 축소될 것이며, 이는 향후 수 년간 바이오젠 실적과 주가가 저조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젠의 현재 주가는 적정 수준에 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315달러에서 138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1:07


제목 : 노르웨이지언 크루즈 라인(NCLH), ‘25년 성장기회 매력적 - GS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는 노르웨이지언 크루즈 라인의 ‘25년 성장세 가속을 기대하면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노르웨이지언 크루즈 라인을 US Conviction List 종목으로 선정한다. 노르웨이지언 크루즈 라인이 ‘25년 누릴 것으로 예상되는 강력한 성장기회가 이러한 의견의 배경이다”고 언급했다. “HundredX 자료에서는 소비자들의 크루즈선 이용 의사가 뚜렷하게 개선되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난 ‘23년 경영진 교체 이후 꾸준한 비용절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5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11:02


제목 : 우버(UBER), 자율주행 경쟁에도 펀더멘털 매력적 - GS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는 우버 테크놀로지스의 펀더멘털이 자율주행 자동차 보급에도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발언했다. “당사는 우버를 US Conviction List 종목으로 선정한다. 우버는 지난 ‘24년 2월 투자자 간담회에서 제시한 목표들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펀더멘털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자율주행 차량들의 상업화가 확대되면서 경쟁위협이 언급되고 있지만, 우버의 엔드마켓이 성장하고 있으며 수익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점은우버 전망을 낙관하는 근거가 된다. 특히 차량공유-식품배달 두 부문의 플랫폼 내 크로스셀 확대가 이루어지고, 플라이휠 효과를 누리면서 성장세가 가속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종합적으로, 당사는 우버가 앞으로 매력적인 이익률과 견고한 잉여현금흐름을 누릴 것이라고 본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96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9:53


제목 : 테슬라(TSLA) Cybertruck 폭발, 차내 폭발물이 원인 *연합인포맥스*
Barron’s는 라스베이거스에서 발생한 테슬라 Cybertruck 폭발 사건이 차량이 아니라 차내 폭발물에서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일 테슬라의 Cybertruck 차량 1대가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앞에서 폭발했고, 이로 인해 1명이 사망하는 등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다만 테슬라는 자체적인 조사 결과, 정확히는 Cybertruck 차량이 폭발한 것이 아니라 Cybertruck 차내에 실려있던 폭발물이 폭발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테슬라 차량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 테슬라가 계기판 등 주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머스크 CEO는 X 게시글을 통해 폭발 시점까지도 해당 차량이 정상 상태였다고 강조했다”고 정리했다. “연말 테슬라 주가는 연일 하락했으며 이번 사건으로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2일 프리마켓에서 테슬라 주가는 1.4%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8:26


제목 : 염! 브랜즈(YUM), ‘25년 마케팅 성과 나타날 전망 아거스 *연합인포맥스*
아거스의 John Staszak 애널리스트는 ‘25년에 염! 브랜즈의 마케팅 성과와 수익화 확대 기회가 나타날 것이라고 발언했다. “염! 브랜즈는 KFC, Taco Bell 브랜드에서의 동일매장매출 추이가 견고하며, 이것이 ‘25년까지도 실적 성장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면서 마케팅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염! 브랜즈는 메일과 소셜 미디어, 모바일 앱 등에서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고, 이를 통해 고객을 유치하고 참여도를 향상시키면서 매출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염! 브랜즈는 풍부한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이러한 마케팅 지출을 수익화할 기회가 충분하다”고 보았다. “로열티 프로그램 확대와 메뉴 혁신, 마케팅 효과, 자사주매입 정책 등을 종합했을 때, 당사는 염! 브랜즈의 ‘25년 EPS 전망치를 6.32달러로 제시하며 장기적으로 10%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155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5:18


제목 : 일라이릴리 &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 ‘31년까지 성장 가능 UBS *연합인포맥스*
CNBC는 “지난 2년간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는 GLP-1 약물의 인기로 인해 바이오제약 부문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아왔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UBS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백신 회의론자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를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지명한 점을 이유로 들어 ‘25년에 바이오제약 섹터가 부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UBS는 “바이오제약 부문에서는 GLP-1 테마가 계속해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것이지만, 거시적 측면에서 케네디의 리더십이 GLP-1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확실하다”고 분석했다. “케네디는 재정적 우려로 인해 정부 건강보험이 GLP-1 약물 비용을 부담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혀왔다”고 지적하면서도“그럼에도 GLP-1 시장이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시장은 GLP-1 약물 매출의 지속 가능한 정점을 약 900억~1,100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를 고려했을 때 잠재적 결과의 범위는 넓으며, 일라이 릴리(LLY)와 노보 노디스크(NVO)의 GLP-1 약물 프랜차이즈는 성공적인 파이프라인 개발을 통해 ‘31년 이후까지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5:11


제목 : 아마존, ‘25년 IT 최선호주…넷플릭스, 트레이데스크, 알파벳도 추천 *연합인포맥스*
BMO 캐피탈 마케츠의 브라이언 피츠 애널리스트는 “’25년에도 IT주가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당사는 아마존(AMZN)을 ‘25년 최선호주로 선정하며, 넷플릭스(NFLX), 트레이드 데스크(TTD), 알파벳(GOOGL)도 인터넷 및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좋은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아마존은 AWS의 AI/IT 워크로드로의 다년간 전환이 예상되며, 전체 스택에서 선두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소매 부문에서의 잉여현금흐름 개선이 지속될 것이며, 물류 센터에 대한 자본 지출이 완화될 것이다”고 기대했다. 또한 “아마존의 당일 및 익일 배송 서비스가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리더십을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경쟁사인 테무의 압박이 점차 완화되는것으로 보인다. AWS의 AI 역량도 주요 주가 상승 촉매제이다”고 덧붙였다. “알파벳의 경우 ‘25년에 AI를 통한 광고 수익화 개선을 수혜가 예상된다. 동사는 논란이 많았던 한 해를 보내면서 다른 대형 기술주보다 부진했지만, 검색 광고와 클라우드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달성했다. 알파벳의 검색 부문은 기대 이상으로 안정화되었고, 제미나이 AI 모델도입도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규제 리스크도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트레이드 데스크는 ‘25년에도 광고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며, 현 시점 최고의 투자 기회는 테이크-투 인터랙티브 소프트웨어(TTWO)이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5:01


제목 : 테이크-투, ‘25년 비디오 게임 분야 내 최고 투자 기회 BMO *연합인포맥스*
BMO 캐피탈 마케츠의 브라이언 피츠 애널리스트는 “GTA VI는 역사상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비디오게임 타이틀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출시 첫해에 4,500만 장 판매가 예상된다. 이는 GTA V 출시 초기 판매량 대비 36% 증가한 수치이다”고 발언했다. “테이크-투는 ‘25년 가을 출시 예정인 GTA VI를 중심으로 강력한 출시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마피아 및 보더랜드와 같은 검증된 프랜차이즈의 후속작이 준비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테이크-투는 ‘25년에도 업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콘텐츠 라인업을 제공할 것이며, 투자자 기대치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한편 BMO는 테이크-투를 비디오 게임 분야 내 최고의 투자 기회로 꼽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4:44


제목 : 테슬라, 실제 4분기 인도대수 기대치는 50만 대 웨드부시 외 *연합인포맥스*
바론스는 “테슬라(TSLA)는 오는 5일(일)에 ‘24년 4분기 인도대수를 발표할 예정이며, 투자자들은 ‘24년에 ‘23년보다 많은 차량을 판매했는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는 4분기에 51.5만 대를 인도해야 ‘23년 인도량인 181만 대를 넘어설 수 있다. ‘23년 4분기 당시 동사는 48만 4,507대를 인도하며역대 최고 분기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긍정적인 점은 ‘24년 10월에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하면서 경영진이 <4분기 판매량 증가>를 예측했다는 점이다. 이후 4분기 인도대수 컨센서스는 50.5만 대로 소폭 상향 조정되었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퓨처 펀드 액티브 ETF의 공동 설립자이자 테슬라 주주인 게리 블랙은 “투자자들은 4분기 인도대수가 꼭 51.5만 대를 넘어야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 50만 대만 상회해도 투자자들은 충분히 만족할 것이다”고 평가했다. 또한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 역시 “투자자들이 실제로 기대하는 4분기 테슬라 인도대수는 약 50만 대이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4:38


제목 : 바이트댄스 “’25년에 엔비디아칩 $70억 구매” vs 사실무근 *연합인포맥스*
테크크런치는 “바이트댄스가 ‘25년에 엔비디아(NVDA) 칩 구매에 70억 달러를 지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고 더 인포메이션을 인용해보도했다. “이 계획이 실현될 경우, 바이트댄스는 미국이 중국 기업의 인공지능(AI) 칩 구매를 제한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대 엔비디아 칩보유 기업 중 하나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22년에 중국을 포함한 특정 국가로의 AI 칩 수출을 제한한다고 발표했으며, 바이트댄스의 본사는 중국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동사는 기술적으로 이러한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허점을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AI 칩을 중국으로 직접 반입하지 않고 동남아시아와 같은 다른 지역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보관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규제를 위반하지 않는다”고 발언했다. 한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중국 내 가장 인기 있는 AI챗봇인 <더우바우>를 운영 중이며, 월간활성사용자수는 5,100명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바이트댄스는 관련 질의에 미 규제를 모두 준수했다고 주장하며, 미국 수출 통제 규정이 시행된 이후로 미 외부 데이터센터를 위해 H100 칩을 구매하지 않았다고 반박한 상태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4:29


제목 : 애플, 12월에도 아이폰 판매 부진…FY 1분기 추정치 하향 UBS *연합인포맥스*
UBS는 애플(AAPL)에 대한 투자의견 중립, 목표주가 236달러를 유지했다. 데이비드 보그트 애널리스트는 “’24년 12월에도 부진했던 아이폰 판매 데이터를 반영해 이미 컨센서스보다 낮았던 아이폰 판매량 및 매출추정치를 추가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10월과 11월은 일반적으로 FY 1분기(10~12월) 아이폰 판매량의 66%를 차지하는데,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11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대비 8% 감소했다. 이에 당사는 FY25 1분기 아이폰 판매량 추정치를 기존의 7,700만 대에서 7,400만 대로, 매출 추정치는 69.7억 달러에서 67.2억 달러로 각각 하향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데이트된 FY 1분기 매출 추정치는 전년 대비 4% 감소로, 이전 추정치였던 <전년 동기 대비 변화 없음>과 컨센서스인 2% 증가를 각각 하회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앱스토어 성과 개선을 기반으로 애플 서비스 부문의 FY 1분기 매출 추정치는 1% 상향했다”고 언급하면서도 “FY 1분기 매출 추정치는 1,233억 달러에서 1,208억 달러로 2% 하향했으며(vs 컨센서스 1,249억 달러), EPS 추정치는 2.31달러에서 2.25달러로 하향했다(vs 컨센서스2.36달러)”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4:10


제목 : 테슬라, 중국에서 차량 7.7만 대 리콜 *연합인포맥스*
테슬라라티는 “테슬라(TSLA)는 중국에서 차량 7만 7천 대를 리콜했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모델 3과 모델 Y 7만 7천 대를 리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하이에서 생산된 총 7만 7,650대의 모델 3과 모델 Y가 리콜되었다”고 밝혔다. “해당 차량은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국(SAMR)에 따라 ‘21년 9월 28일부터 ‘24년 11월 22일까지 생산되었다”고 전했다. 한편 “대부분의 테슬라 리콜과 마찬가지로 TPMS 문제는 무료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된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4:05


제목 :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2, 공개 첫주에 시청자 6,800만 명 기록 *연합인포맥스*
더플라이는 “넷플릭스(NFLX)의 <오징어게임 2>는 공개 첫 주에 시청자 6,800만 명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오징어 게임 2는 비영어권 TV 시청률 1위를 차지했으며, 92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징어 게임 시즌 1과 2는 조회수 1억 6,520만 회로 1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멀티플레이어 비디오 게임인 <오징어 게임: 모바일 서바이벌> 역시 57개국에서 앱스토어 액션 게임 1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한편 “오징어 게임 시즌 3은 ‘25년에 공개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3:56


제목 : 알파벳 웨이모, 배달 로봇과 충돌 사고 *연합인포맥스*
테크크런치는 “알파벳(GOOGL) 산하 웨이모의 자율주행 택시는 배달 로봇과 충돌 사고를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12월 27일(화) 로스앤젤레스 교차로에서 웨이모 로보택시와 서브 로보틱스 보도 배달 로봇이 충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웨스트 할리우드의 한 거리에서 우회전하던 웨이모가 움직이던 배달 로봇을 들이받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웨이모의 대변인은 “웨이모 드라이버 시스템이 배달 로봇을 무생물로 인식했다”고 언급했다. 한편 “사고 발생 당시 웨이모는 시속 4마일로 주행 주잉었으며, 배달 로봇과 접촉하기 전에 강력한 제동을 걸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2 Jan, 03:09


제목 : 리게티 주가 폭등으로 전 내부인, 우리사주 예상과 초과 매도 *연합인포맥스*
바론스는 “리게티 컴퓨팅(RGTI) 주가가 폭등함에 따라 동사의 전 법률 고문이자 기업 비서였던 릭 다니스가 12월 26일(목) 동사 주식 25만주를 370만 달러에 매각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4일(화) 종가 11.35달러 기준 예상 매각 가격인 284만 달러 대비 약 30% 높은 수치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주당 평균 매각 가격은 14.78달러였다”고 밝혔다. “다니스는 11월 30일 리게티에서 사임했으며, 현재 워싱턴주 커클랜드에 본사를 둔 비영리 단체인 블루투스 스페셜 인터레스트의 법률 고문으로 근무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31일(화) 리게티 컴퓨팅 주가는 전일 대비 10.24% 급락한 15.26달러를 기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4:29


제목 : 넷플릭스(NFLX), NFL 중계 통해 스포츠 컨텐츠 기회 재확인 *연합인포맥스*
Barron’s는 넷플릭스가 크리스마스 당일 치러진 NFL 경기를 성공적으로 중계하면서, 스포츠 컨텐츠를 통한 성장기회가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크리스마스 당일 NFL은 두 경기가 치러졌다. 캔자스시티 치프스 &ndash; 피츠버그 스틸러스 경기의 평균 시청자는 2,410만 명이었고 / 볼티모어 레이븐스 &ndash; 휴스턴 텍슨스 경기는 2,430만 명이었다. 그리고 그 시청자 대부분이 넷플릭스를 통해 경기를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는 NFL 스트리밍 시청자 최고치 기록이기도 하다. 기존 기록은 지난 1월, Peacock에서 중계된 캔자스시티 치프스 &ndash; 마이애미 돌핀스 2,300만 명이었다”고 언급했다. “Nielsen 자료에 따르면, 특히 볼티모어 레이븐스 &ndash; 휴스턴 텍슨스 경기 중간에 있었던 비욘세 공연 동안은 시청자가 2,700만 명에 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넷플릭스는 타이슨-폴 복싱 매치 당시에 기술적 문제로 스트리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번NFL 중계에서는 그러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다만 “넷플릭스 주가는 연초 대비 90% 상승한 상태로, NFL 경기에서 확인된 스포츠 컨텐츠 호조가 단기 주가 상승압력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고 보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3:45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KULR 테크놀로지, 비트코인 매입 발표하며 급등 *연합인포맥스*
▲ KULR 테크놀로지(KULR): 비트코인 217.18개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동사는 지난 12월 4일에 처음으로 비트코인 매입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프리마켓에서 11.25% 급등하고 있다. ▲ 양자 컴퓨팅 종목들: 연말 랠리가 심화되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리게티 컴퓨팅(RGTI) +11.78%, 퀀텀 컴퓨팅(QUBT) +7.71%, 디 웨이브 퀀텀(QBTS) +7.17% 등을 기록 중이다. ▲ 토요타 모터스(TM): 일본 언론을 통해,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이 ROE를 확대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프리마켓에서 2.10% 상승 중이다. ▲ 마이크로스트래터지(MSTR): 비트코인 가격이 최근의 하락세를 일부 회복하면서 프리마켓에서 +0.78%를 기록 중이다. ▲ 레드 캣(RCAT): 연초 대비 1,400% 이상 상승했으며 추가적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4.40%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3:09


제목 : 팔란티어(PLTR), 성장기회 고려해도 주가 지나치게 높아 *연합인포맥스*
TipRank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성장 전망을 낙관하면서도, 지나친 밸류에이션을 경고했다. “팔란티어는 선도적인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으로, 미국 국방부 등 정부기관과 기업들을 고객으로 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과 함께강력한 성장세가 주목받고 있다. Wedbush의 Dan Ives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성장세를 강조하며 팔란티어를 ‘인공지능 산업의 메시’라고 평가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Wedbush는 팔란티어에 대해 목표주가를 75달러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Wedbush가 제시한 목표주가조차도, 현재 팔란티어의 주가를 하회한다는 점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팔란티어는 그간의 인공지능 랠리 속에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높아진 기업이다”고 경고했다. “Mizuho의 Gregg Moskowitz 애널리스트 또한 팔란티어가 새로운 고객을 유인하며 강력한 실행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현재 주가가 지나치게 높다고 경고하면서 매도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고 전했다. “팔란티어는 현재 PSR 주가배수가 69배, PER 주가배수가 417배에 달한다. 이는 대표적인 인공지능 기업인 ▲ 엔비디아(NVDA)가 PSR 주가배수 29배, PER 주가배수 55배인 것과 비교해도 지나친 밸류에이션이다”고 지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3:01


제목 : TSMC(TSM) 성장 모멘텀 고려하면 밸류에이션 높지 않아 *연합인포맥스*
TipRanks는 TSMC의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강조하면서, 밸류에이션이 높은 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TSMC는 지난 1년간 100% 가까이 상승하면서 ‘24년에 가장 주목받았던 기업 중 하나이다. 이러한 랠리 이후 TSMC의 밸류에이션을 우려하는목소리가 나타나고 있지만, 인공지능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이 과정에서 TSMC 파운드리로 집중되는 수요를 고려하면 여전히 상승여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고성능 반도체를 공급하는 희소한 입지를 바탕으로 TSMC는 1분기에 매출 증가율 +17%, 2분기에 +40%, 3분기에 +39% 등을 기록하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10월에 +29%, 11월에 +34% 등 4분기에도 이러한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월가는 TSMC가 ‘24년에 걸쳐 매출이 29% 증가하고 EPS가 34%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는 강력한 수요는 물론, TSMC 생산 설비들의 효율성 개선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컨센서스이기도 하다”고 평가했다. “현재 TSMC의 PER 주가배수는 29배로 높은 편이지만, 강력한 성장 사이클을 누리고 있는 반도체 기업임을 고려하면 충분히 투자기회가 있는밸류에이션이다. 인공지능 산업의 성장 모멘텀에 따라서는 지금 나타나고 있는 것 이상으로 매력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1:42


제목 : 마이크로소프트(MSFT), 인공지능 투자에서 핵심 지위 여전 *연합인포맥스*
TipRanks는 DT Invest의 평가를 인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가 인공지능 투자에서 핵심적인 기업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공지능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지만, 인공지능 관련 투자지출 확대 속에 이익률 부담이 언급되고 있으며 이것이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하고 있다. 하지만 ‘25년에도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투자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 25%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고 수익화하는 데 선도적인 기업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방대한 규모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솔루션 공급체인이나 제휴사들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입지를 가지며 앞으로실적 성장세가 더욱 가속될 것이다”고 기대했다. “인공지능 혁신의 선두인 OpenAI가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직접적으로 투자를 받고 있다는 것은, 인공지능 테마에 대한 투자에서 마이크로소프트를 빼놓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발언했다. 이어 “나델라 CEO 취임 이후 10년간,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10배 이상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경영진은 신기술의 수익화에 매우 효과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DT Invest는 “당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현재 주가가 앞으로도 기대되는 성장세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다고 본다”고 언급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강력매수를 권고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1:35


제목 :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수술 시스템 이용 확대 낙관 - MS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의 Andrew Ranieri 애널리스트는 da Vinci 시스템 이용의 확대를 낙관하면서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견고한 성장세를 기대했다.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da Vinci 5 시스템을 통해 기존에 접근하지 못했던 수술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연초에 미국 식약국(FDA)으로부터승인받은 da Vinci 5 시스템은 특히 정밀도와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앞으로 판매대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3분기에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da Vinci 시스템 신규 설치가 379대였다고 밝혔고, 이에 따라 설치기반은 총 9,539대로 확대되었다. 또한 da Vinic 시스템을 사용하는 글로벌 수술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향후 10년간, 미국 외과의들의 평균 연령대는 6세 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따라 정밀도와 정확성이 우수한 da Vinci 5 시스템의 이용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650달러를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0:56


제목 : 더치 브로스(BROS), 계속되는 성장세 기대할 수 있는 카페 체인 *연합인포맥스*
Barron’s는 더치 브로스가 미국 3위의 카페 체인으로 성장했으며, 앞으로도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보도했다. “더치 브로스는 ‘24년에 걸쳐 매장을 두 배로 확대하면서 미국 내 1,000개 가량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대표적인 카페 체인인 ▲ 스타벅스(SBUX) 1.6만 개 ▲ 던킨 브랜즈(DNKN) 9,000개를 대폭 하회하는 것이지만, 미국 3위 규모의 체인으로 성장한 것이다”고 전했다. “’24년에 레스토랑 섹터는 전반적으로 소비 둔화와 방문객 감소세 속에 동일매장매출이 감소했지만, 더치 브로스는 전분기 실적발표 당시동일매장매출 약 3% 증가를 달성했다. 또한 매장당 연간 매출은 200만 달러에 달하면서, 스타벅스 평균을 상회했다”고 강조했다. “월가는 더치 브로스가 ‘25~’26년에도 연 20%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26년 EPS 컨센서스를 0.71달러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 기대감은 더치 브로스의 높은 밸류에이션으로도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더치 브로스의 선행 EV/EBITDA 주가배수는 27배이다. 한편 UBS의 Dennis Geiger 애널리스트는 “더치 브로스의 성장세에는 스타벅스와 다른 방법으로 고객들과의 접촉을 확대하는 전략도 유효하다. 스타벅스는 카페 내 좌석을 늘리고 있지만, 더치 브로스는 드라이브스루를 중심으로 하며, 직원들이 고객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경험을향상시키는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TD Cowen의 Adnrew Charles 애널리스트는 “더치 브로스의 성장세에는 모바일 주문의 증가세도 기여하고 있다. 이미 판매량의 7%가 모바일 주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0:42


제목 : 우버(UBER), foodpanda 인수 차단, 큰 문제는 아냐 - Be *연합인포맥스*
Bernstein의 애널리스트는 우버 테크놀로지스의 foodpanda 인수 실패가 중요한 문제는 아니라고 정리했다. “타이완 당국이 우버의 foodpanda 인수를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것이 우버 투자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다”고 전했다. “우버측은 M&A 차단에 대해 실망했다고 언급하면서도, 항소 계획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번 인수 시도는 이전에도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는전망이 많았다”고 평가했다. “우버와 foodpanda의 타이완 내 시장점유율 상황을 고려했을 때, 우버가 항소하더라도 이것이 승인될 가능성은 낮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95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10:25


제목 : 온 홀딩(ONON), 향후 5년간 강력한 성장세 예상 - UBS *연합인포맥스*
UBS의 Jay Sole 애널리스트는 온 홀딩의 향후 5년간 성장세가 강력하여 밸류에이션을 지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글로벌 스포츠웨어 소비 설문조사에서, 온 홀딩의 성장 잠재력을 낙관할 수 있는 신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 홀딩 브랜드 인지도는 여전히 상승여력이 컸고, 인지도가 확대되는 추세가 뚜렷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향후 5년간 온 홀딩이 연평균 22%의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고, 43%의 EPS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는 스포츠웨어 시장에서도 손꼽히는 성장세이며, 이러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이 책정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3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9:58


제목 : 애플(AAPL) 기술적 패턴은 1월 변동성 가리켜 - BTIG *연합인포맥스*
BTIG의 Jonathan Krinsky 애널리스트는 애플 주식의 1월 변동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애플의 주가는 5주 연속으로 주간 2% 이상 상승하는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이러한 상승세가 나타난 이후 애플주가는 저조한 패턴을 보였다”고 발언했다. “1990년 이후 애플이 5주 연속 주간 2% 상승하는 패턴은 7회 나타났다. 그리고 이로부터 4주 뒤의 주가 수익률은, 6회에 걸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평균 -5.97% 하락폭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애플 투자자들은 1월 변동성 확대에 주의해야 한다”고 정리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8:51


제목 : 퍼스트 솔라(FSLR), ‘25년 앞두고 저렴한 밸류에이션 매력적 - T *연합인포맥스*
Trivariate Research의 애널리스트는 퍼스트 솔라의 밸류에이션이 저렴하여 ‘25년 투자기회가 있다고 평가했다. “투자자들은 ‘25년 미국 증시 투자전략을 구성하면서, 특히 밸류에이션이 저렴한 종목들을 물색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당사는 퍼스트솔라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퍼스트 솔라의 선행 PER 주가배수는 지난 수 년간 평균에 비해 뚜렷하게 할인되어 있는 상태로, 매력저인 투자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퍼스트 솔라의 선행 PER 주가배수는 10배를 하회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5년간 최저이다. 동사 주가는 연초 대비 8% 상승하는 데 그쳤다.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청정에너지 세제혜택이 축소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퍼스트 솔라를 비롯한 태양광 종목들의 주가를 압박했다. 그러나퍼스트 솔라의 미국 중심 공급망은 청정에너지 섹터 에서 유리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5:58


제목 : 엔비디아·브로드컴·마블, 공매도 수요 증가 *연합인포맥스*
바론스는 “지난 1년간 엔비디아(NVDA), 브로드컴(AVGO), 마블 테크놀로지(MRVL)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최근 투자자들이 이들의 하락 가능성에 베팅하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올해 생성형 인공지능(AI) 관련주들은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그 결과 엔비디아는 182%, 브로드컴은 119%, 마블은 92% 랠리하며 S&P 500의27%를 대폭 상회했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더 많은 투자자들이 상기 세 종목의 하락에 베팅하고 있다. 12월 중순 기준 이들 주식의 공매도 잔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엔비디아: 12월 중순 공매도 잔액, 11월 말 대비 5.9% 증가&hellip;지난 8월 16일 이후 최고 수준 ▲ 마블: 공매도 잔액 25% 급증&hellip;지난 8월 이후 최고 수준 ▲ 브로드컴: 공매도 잔액 3.3% 증가&hellip;’23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 한편 “공매도 수요가 증가한 원인으로는 1) 높은 밸류에이션 2) 높은 컨센서스 3)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꼽힌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이들 세 종목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은 여전히 낙관적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5:43


제목 : 뉴타닉스 등, ‘25년 유망 통신 & 네트워킹 장비주 MS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는 ‘25년 유망 통신 및 네트워킹 장비주를 다음과 같이 선정했다. ▲ 누타닉스(NTNX) ▲ 시스코 시스템즈(CSCO) ▲ 휴럿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 ▲ 키사이트 테크놀로지(KEYS) 메타 마셜 애널리스트는 “올해 통신 및 네트워킹 장비 업종이 시장을 웃도는 성과를 보였지만, 업종 내에서도 격차가 존재했다.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25년에는 AI 시장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있는 기업과, 기업용 비즈니스에 집중하는 종목들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서비스제공업체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입장을 유지한다. 동 섹터는 이미 경기 회복을 상당 부분 주가에 반영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당사는 누타닉스를 ‘25년 최선호주로 선정한다. 동사는 기업용 비즈니스 트렌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전망을뒷받침하는 요소다”고 평가하며 목표주가를 78달러에서 8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어 “AI 관련주 중 하나인 아리스타는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목표주가를 102.5달러에서 117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4:34


제목 : 애플 등, ‘25년에 주가 상승여력이 제한적 *연합인포맥스*
CNBC는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25년에 주가가 하락하거나, 5% 미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종목을 다음과 같이 나열했다. 이들 종목 중 ‘다우의 개’로도 알려진 고배당주는 포함되지 않았다. ▲ IBM(IBM): 목표주가 증감률 -5.1% ▲ 애플(AAPL): -3.3%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XP): -2.7% ▲ 보잉(BA): +2.7% ▲ 골드만삭스(GS): +2.9% ▲ 비자(V): +4.1% ▲ 캐터필러(CAT): +4.6% “대다수 애널리스트들은 애플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혹은 강력 매수를 제시하고 있기는 하나, ‘24년에 34% 랠리한 만큼 ‘25년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기 명단에 포함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와 골드만삭스의 경우 YTD 수익률이 각각 +62%, +51%에 달한다. 양사는 11월 대통령 선거 이후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급등했으나, 애널리스트들은 선거로 인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상기 종목들에 대한 목표주가를 상향하면서 평균치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최근 웨드부시는 애플에 대한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325달러로 상향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4:01


제목 : 암젠 등, ‘25년 주가 상승 여력 존재 *연합인포맥스*
CNBC는 “24년 들어 다우지수가 15% 상승한 가운데,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주가를 기준으로 ‘25년에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 종목들은 다음과 같다”고 나열했다. ▲ 암젠(AMGN): 평균 목표주가 기준 상승 여력 +21.8% ▲ 쉐브론(CVX): +23.6% ▲ 존슨앤존슨(JNJ): +21.7% ▲ 머크(MRK): +32.0% ▲ 엔비디아(NVDA): +27.9% ▲ 유나이티드헬스(UNH): +28.9% “머크는 상기 목록에서 가장 높은 상승 여력을 보이는데, 올해는 주가가 8% 하락했다. 10월 말 동사가 연간 매출 및 EPS 가이던스를 하향한점이 주가 부진의 원인이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머크의 후기 단계 개발 약물 파이프라인은 여전히 탄탄하며, 주력 항암제인 키트루드의 강력한 매출로 긍정적인 평가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암젠의 경우 ‘비만치료제 프리미엄’이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지만, 추가 상승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다. 또한 동사는 존슨앤존슨 및 유나이티드헬스와 더불어 배당 수익률이 3% 이상이다”고 발언했다. 한편 “’24년 인공지능(AI) 열풍의 대표 주자였던 엔비디아는 ‘25년에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조정 구간은 차익 실현의 결과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3:36


제목 : 유나이티드 헬스, 선호 목록에 추가…굿알엑스는 제외 레이몬드 제임스 *연합인포맥스*
레이몬드 제임스는 유나이티드 헬스(UNH)를 선호 종목 목록에 추가하고, 굿알엑스(GDRX)는 제외했다. “유나이티드의 펀더멘털과 헤드라인이 ‘25년에는 모두 개선될 것이다. ‘25년 1월 말에 발표가 예정된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요율 공지가 주가 상승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기했다. 이어 “차기 행정부가 메디케어 어드밴티지에 대해 이전 행정부보다 적대적일 가능성은 낮다. 동사의 ‘25년 전망은 특히 의료손실비율(MLR) 가정과 관련해 보수적이다”고 평가했다. 반면 “굿알엑스의 경우 긍정적인 입장을 여전히 유지하지만, 구조조정 이니셔티브가 재무 실적에 나타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당사가 커버리지를 개시한 다른 종목들의 위험 대비 보상 비율이 더욱 매력적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3:28


제목 : 세일스포스 에이전트포스 2.0, 디지털 노동 시대 개척 가능 웨드부시 *연합인포맥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세일스포스(CRM)는 에이전트포스를 통해 인공지능(AI) 수익화로 인한 수혜를 누릴 여력이 있다”고발언했다. 이어 “동사 주가는 향후 12~18개월 내로 80달러 상승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에이전트포스 2.0은 고객 정보 기반 생성형 AI 도입 속도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는 <디지털 노동>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할가능성이 있다”고 제기했다. “’25년에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수익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최대 수혜주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와 세일스포스가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3:22


제목 : 테슬라, 상하이 메가팩토리 건설 마무리 단계 *연합인포맥스*
CNEV포스트는 “테슬라(TSLA)의 상하이 메가팩토리 건설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25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고 보도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상하이 가팩토리 건설은 착공에서 완공까지 약 7개월 소요될 예정이며, 이는 상하이 기가팩토리보다 더 빠른 건설 속도이다”고 발언했다. 이어 “테슬라는 ‘24년 5월 23일에 미국 외 지역에서 최초의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인 상하이 메가팩토리 기공식을 진행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상하이 메가팩토리의 첫 번째 고객사는 링강 경제개발그룹이며, 기공식에서 테슬라와 첫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3:17


제목 : 오픈AI-마이크로소프트, 10월부터 수익전환 후 조항 논의 *연합인포맥스*
씨킹알파는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24년 10월부터 수익전환과 관련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 간의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고 나열했다 1) 수익전환 시 지분을 어떻게 할지 2)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의 독점 클라우드 제공업체로 유지될지 3) 마이크로소프트가 언제까지 오픈AI 제품의 지적재산권(IP)에 대한 사용권한이 있을지 4) 앞으로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의 매출의 20%를 가져갈지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에 약 140억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전해지며, 오픈AI의 가장 최근 펀딩 라운드에도 참여했다. 오픈AI의 기업가치는 1,570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고 발언했다. 또한 “양측은 관련 질의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7 Dec, 03:09


제목 : 팔란티어, 기업의 AI 지출 증가 최대 수혜주 웨드부시 *연합인포맥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인공지능(AI)에 대한 기업 지출이 ‘25년에 증가하면서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가 최대 수혜주가 될 것이다”고 발언했다. “팔란티어는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사는 기업 고객을 더욱 많이 확보하면서 차기의 오라클(ORCL)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웨드부시는 팔란티어에 대해 투자의견 아웃퍼폼, 목표주가 75달러를 제시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22:43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11/23)

“트럼프 트레이드 이즈 백? 러셀2000 초강세”

- 지수 :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른 기대감
*다우 +0.97%, 나스닥 +0.16%
*S&P500 +0.35%, 러셀2000 +1.80%
*반도체지수 -0.15%, 비트코인 +0.67%

- 섹터 : 11개 중 8개 상승
*산업재 +1.36%, 경기소비재 +1.18%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69%, 유틸리티 -0.66%

- BIG7 : 3개 상승
*TSLA +3.80%.. 전기차 세액공제 유지 기대감
*NVDA -3.22%.. 필립캐피탈, 투자의견 하향

- 종목과 ETF : 실적
*종목 : SMCI INTU TPL ESTC NKE
*ETF : EWZ BLOK SLV

https://youtu.be/fNfKADH2qFI?si=0P4Y9xNpPh6iuOUs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4:23


제목 : 11월 22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애플(AAPL): 씨티는 연말성수기 소비 성향과 iPhone 선호도를 분석했을 때, iPhone 판매량이 강력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 마이크로소프트(MSFT): Redburn Atlantic은 데이터/분석 수요가 수익화 기회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Azure 플랫폼 성장세가 ‘25년 하반기에 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주가 하락이 매수기회가 된다고 분석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나이키(NKE): Needham은 Hill CEO로의 경영진 교체 이후 효율성 개선 등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매수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 선런(RUN): 파이퍼샌들러는 현금창출능력 등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매력이 떨어진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하향 조정했다. ▲ 로쿠(ROKU): UBS는 커넥티드 TV 시장에서의 지배적인 입지가 유지되고 있지만,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은 균형잡힌 수준이라고 평가했다.중립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 애브비(ABBV): Leerink는 강력한 퀄리티를 강조하면서, 대선 이후 주가가 하락한 것을 매수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을 marketperform에서 outperform으로 상향하고 목표주가 206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3:36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갭, 재차 가이던스 상향하면서 주가 급등 *연합인포맥스*
▲ 갭(GAP): ‘24년 들어 3번째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는 등 성장 자신감이 강력하게 나타나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21.60% 급등하고 있다. ▲ 인튜이트(INTU): 가이던스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프리마켓에서 2.53% 하락 중이다. ▲ 플러터 엔터테인먼트(FLUT): 골드만삭스는 미국 사업부의 높은 이익률과 자사주매입 확대를 언급하면서 투자의견 매수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프리마켓에서 1.80% 상승 중이다. ▲ 로스 스토어스(ROST): 매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EPS는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프리마켓에서 7.18% 상승하고 있다. ▲ 넷앱(NTAP): 호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7.36% 상승 중이다. ▲ 엘라스틱(ESTC):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24.30% 급등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3:20


제목 : 디어(DE), 실적 회복 빠르지 못할 것 - JPM *연합인포맥스*
제이피모간체이스의 애널리스트는 디어의 밸류에이션 확대 전망이 개선되었지만, 실적 회복이 충분히 빠르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디어 실적내용을 정리해보면, 성장세 저점 가시성이 높아졌으며 앞으로 실적이 회복함에 따라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디어 경영진이 제시한 가이던스를 분석해보면 FY25(‘25년 10월 결산) 하반기에 실적 회복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회복세가 지연되는 것은 가이던스 달성 가능성을 낮추는 리스크 요인이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420달러에서 4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3:06


제목 : 페이팔(PYPL), 충분한 실행력 보여줄지 지켜봐야 파이퍼 *연합인포맥스*
파이퍼샌들러의 Arvind Ramnani 애널리스트는 페이팔 성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언급하면서도, 경영진 실행력 확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페이팔은 디지털 결제 산업의 선두주자로, 소비자간 거래나 중소기업 또는 대형기업의 자금 결제를 안전하고 쾌적하게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페이팔의 성장 전략 전환과 이러한 전략 조정 이후 초기 성과 등은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페이팔에 대해 본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기에 앞서, 당사는 경영진이 지속적인 실행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중립과 목표주가 88달러를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2:28


제목 : 핀터레스트(PINS), 낮은 가이던스의 전략의 일부 에버코어 *연합인포맥스*
에버코어의 Mark Mahaney 애널리스트는 핀터레스트의 낮은 가이던스가 전략의 일부라고 보았으며, 특히 ARPU 증가세를 바탕으로 실적 성장세가 강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3분기 실적발표 이후 핀터레스트 주가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낮은 가이던스가 이러한 주가 하방압력의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이는 핀터레스트 경영진이 가이던스를 보수적으로 제시하면서, 앞으로의 실적발표에서 강력한 실적을 발표하며 투자심리를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의 일부이다”고 강조했다. “핀터레스트는 지난 20개 분기 중에 18개 분기에 매출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번 가이던스 또한 이를 위한 밑작업이다”고 보았다. “식품/음료 부문의 성장세 둔화가 광고 예산 축소 등 핀터레스트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는 장기화되지 않을 것이다. 해당 기업들의 성장세가 개선되고 나면 광고 예산도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핀터레스트는 사용자 1인당 평균 매출(ARPU) 증가세를 달성할 수 있는 기업이다. 핀터레스트 ARPU는 ‘26년까지 연 9% 성장세가 예상되고있으며, 여기에 가입자 증가세를 고려하면 연 15%의 매출 성장을 보이면서 실적을 견인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45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1:11


제목 : 바이킹 테라퓨틱스(VKTX), 중요한 다이어트약 시장교란자 B. Ri *연합인포맥스*
B. Riley의 Mayank Mamtani 애널리스트는 바이킹 테라퓨틱스가 당뇨, 비만 의약품 시장교란자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바이킹 테라퓨틱스의 VK2735는 2형 당뇨 및 비만으로 인한 대사기능장애 관련 지방간염 의약품 후보물질이며, 효용 유도 및 유지 패러다임을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유일한 GIP 작용제이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VK2735가 당뇨, 비만 의약품 시장에 장기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시장교란자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특히 “’24년 들어 진행된 연구 내용들을 살펴봤을 때, 바이킹 테라퓨틱스는 경구 투약이 가능하다는 자료를 충분히 수집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109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0:41


제목 : 리프트(LYFT), TaaS 성장하면서 수혜 누릴 전망 - Tigress *연합인포맥스*
Tigress Financial의 애널리스트는 TaaS 시장의 성장과 리프트의 수혜 가능성을 낙관적으로 언급했다. “차량공유 사업과 같은 Transportation-as-a-Service(TaaS)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제품, 서비스 혁신이 이루어지면서 TaaS 시장기회는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리프트는 이를 수익화할 수 있는 중요한 수혜주이다”고 발언했다. “리프트의 현재 주가는 이와 같이 시장 성장과 함께 리프트가 누릴 수 있는 수혜 규모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4달러에서 26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10:18


제목 : 알파벳(GOOGL) Chrome 분사는 최악, 트럼프 인사 기다려야 *연합인포맥스*
웰스파고의 Ken Gawrelski 애널리스트는 DoJ가 알파벳에 요구한 Chrome 분사가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보았지만, 앞으로의 전개를 지켜봐야 한다고 발언했다. “미국 법무부(DoJ)가 알파벳의 Google 검색엔진 독점 상황에 대해 제기한 소송과 이 과정에서 요구한 독점해소 방안은 알파벳에게 있어서는최악의 시나리오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Chrome 웹 브라우저 부문 분사 등의 방안이 실제로 시행될 경우, 알파벳의 Google 검색엔진 사업은 15% 가까운 매출 리스크를 안게 된다. 알파벳의 경쟁지위는 상당히 약화될 것이다”고 발언했다. 다만 “트럼프 2기 정부가 시작되면서 DoJ 인사들도 대거 교체될 것이며, 인사 교체 이후 알파벳이 당국과 어떻게 협상하냐에 따라서 이번 반독점 소송의 결과는 크게 달라질 것이다”고 전했다. 투자의견을 시장비중으로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9:56


제목 : 월마트(WMT), 경쟁지위 강화 등 성장 전망 밝아 - 바클레이즈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의 Seth Sigman 애널리스트는 월마트 실적발표를 통해 성장세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월마트의 우수한 실적발표를 바탕으로 실적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다. 월마트는 매출 모멘텀이 향상되고 있고,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경쟁지위가 강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월마트는 고정환율 기준으로 그 성장세가 더욱 가속되고 있으며, 앞으로 예상되는 환율 변동도 월마트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고전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78달러에서 8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트루이스트의 Scot Ciccarelli 애널리스트는 “월마트의 호실적을 견인한 것은 거래건수(transactions), 그리고 거래당 평균 결제액(ticket) 개선이었다”고 분석했다. 또한 “전자상거래 사업이 미국 동일매장매출 증가의 60%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89달러에서 98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9:47


제목 : 팰로 앨토 네트웍스(PANW), 견고한 성장지표에 주목 바클레이즈 외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의 Saket Kalia 애널리스트는 팰로 앨토 네트웍스의 주요 성장지표들이 견고하게 나타나면서 투자전략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 “팰로 앨토 실적발표에서는 잔여계약의무(RPO), 연간반복매출(ARR) 등의 주요 성장지표가 컨센서스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잉여현금흐름 수익률에 있어서도 기존 가이던스가 유지되었다”고 전했다. “다만 수주액(billings)이 실망스럽게 나타났는데, 이는 팰로 앨토가 상품 판매에서 플랫폼 구독 모델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그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425달러를 유지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Tal Liani 애널리스트 역시 “RPO, ARR, 제품 매출 성장세, 잉여현금흐름 창출능력 등 다방면에서 팰로 앨토의 성장 펀더멘털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를 400달러에서 430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9:17


제목 : HP(HPQ), 단기 실적 우수해도 상승세 기대 어려워 - MS *연합인포맥스*
HP는 오는 11월 26일에 FY24 4분기(8~10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모간스탠리의 Erik Woodring 애널리스트는 HP 실적발표에서 단기 실적이 우수하더라도, 상승촉매제가 나타나지는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PC, 프린터 부문의 호조를 바탕으로 FY24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사는 FY24 4분기 매출, EPS가 컨센서스를 2% 가량 상회하는 것을 예상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하지만 이것이 실적발표를 앞두고 HP에 대한 매수세를 전개하는 근거가 되기는 어렵다. FY25 1분기 실적의 경우, 계절적으로 PC 수요가 약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랩탑 생산량도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FY25 1분기에는 오히려 컨센서스를 2% 가량 하회하는 실적이 예상된다”고 발언했다. “HP 경영진이 제시한 FY25 실적 가이던스는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일 것이며, 특별히 상승촉매제를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시장비중과 목표주가 36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9:01


제목 : 맥도날드(MCD), 대장균 사태 예상보다 타격 클 것 Clevelan *연합인포맥스*
Cleveland Research의 애널리스트는 맥도날드 버거 대장균 오염 사태가 예상보다 4분기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맥도날드는 지난 10월 하순에 콜로라도 주, 네브래스카 주에서 쿼터파운더 버거 장출혈성 대장균 오염 사태를 겪으면서 일시적으로 제품 판매를 중단해야 했다. 약 일주일 뒤에 쿼터파운더 버거 판매가 재개되었는데, 그 여파는 11월까지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대장균 사태 보도 직후 4일간, 맥도날드 방문객은 미국 전역에서 10% 감소했고 콜로라도 주에서는 33% 감소했다. “당사는 맥도날드의 4분기 동일매장매출 증가율 전망치를 대장균 사태 발생 전 +2%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또한 에스프레소 기계 관련문제들을 고려하면 이보다 더 낮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맥도날드는 대장균 사태를 해결하고 방문객을 회복하기 위해 마케팅 지출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것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발언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8:43


제목 : 로쿠(ROKU), 트레이드 데스크발 경쟁위협 크지 않아 - BofA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애널리스트는 트레이드 데스크의 Ventura가 로쿠에 대한 경쟁위협으로 언급되고 있으나,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트레이드 데스크(TTD)가 커넥티드 TV OS인 Ventura를 공개했다. 이는 커넥티드 TV 시장의 비중이 큰 로쿠에게 경쟁위협으로 인식되었으며 이것이 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트레이드 데스크 Ventura가 TV 제조업체들과의 관계를 구축하면서 유의미한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로쿠는 장기간 TV 제조업체들과 협력해왔고, TV 제조업체들은 로쿠와의 거래를 통해 실질적인 이득을 누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로쿠는 미디어 채널이나 DSP 등과의 제휴를 통해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광고주를 유인할 수 있을 것이며, 해외 사업을 확대하는 것도 또한성장세를 가속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기대했다. 로쿠에 대한 목표주가를 90달러로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7:49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키차트(키움 차주 트렌드) 11월 4주차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CA242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4:11


제목 : 메루스, 주요 암 치료제 덕분에 70% 상승할 수 있어 - GS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는 메루스(MRUS)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목표주가는 73달러로 각각 제시했다. 리처드 로 애널리스트는 “동사 주가는 암 치료제 덕분에 70% 상승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동사의 재발성 및 전이성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치료제인 페토셈타맙이 좋은 임상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페토셈타맙은 앞으로 동사 주가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또한 “해당 약물은 동급 최고의 효능 및 안전성을 입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기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4:06


제목 : 올해 30% 이상 상승한 VIP 리스트 15선 - GS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는 올해 30% 이상 상승한 종목으로 아마존닷컴(AMZN), 엔비디아(NVDA), 넷플릭스(NFLX), 비스트라(VST), 마스터카드(MA), 세일즈포스(CRM), 켈라노바(K), GE 베르노바(GEV), 프로그레시브(PGR), 일라이 릴리(LLY), 카바나(CVNA), 페이팔(PYPL), 앱러빈(APP), 피저브(FI)를꼽았다. 벤 스나이더 스트래티지스트는 “상기 종목들은 ‘24년에 24% 상승한 S&P 500을 능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이어 “전체 헤지펀드 그룹은 ‘24년에 14% 상승했는데, 경기 순환 업종으로 다소 전환하면서 미국 대선 이후 랠리의 수혜를 입었다”고 분석했다. 한편 “헤지펀드의 금융 관련 종목들은 포트폴리오 내 비중이 확대되었지만, 의료, 필수소비재, 부동산 관련 종목들은 비중이 축소되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4:01


제목 : 스노우플레이크, 아직 상승 여력 남아 - GS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는 스노우플레이크(SNOW)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목표주가는 220달러로 각각 제시했다. 카시 란간 애널리스트는 “동사 주가는 아직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동사는 클라우드 채택, 빅데이터, 보안 데이터 공유 등 강력한 순풍을 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사는 클라우드 데이터 및 분석의 세대교체를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21일(목) 스노우플레이크 주가는 전일 대비 32.71% 급등한 171.35달러를 기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2 Nov, 03:36


제목 : 로우스, 실적 컨센 상회 및 가이던스 상향 조정에도 올해 매출 여전히 하 *연합인포맥스*
CNBC는 “로우스(LOW)의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보도했다. “동사 FY 3분기(‘24년 8~10월) EPS는 2.89달러로, 컨센서스인 2.82달러를 웃돌았다”고 밝혔다. 이어 “동사 FY 3분기 매출은 201억 7천만 달러로, 컨센서스인 199억 5천만 달러를 상회했다. 다만 이는 전년 동기의 204억 7천만 달러 대비감소한 수치이다”고 설명했다. “동사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830억~835억 달러 사이로 예상했는데, 이는 컨센서스인 827억~832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마빈 엘리슨 CEO는 “당사는 여전히 주택 개량 시장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 주택 소유자가 더 많이 주방이나 욕실을 개조할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22:35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11/17)

“트럼프 트레이드 가고 트럼프 리스크 오다.. 테슬라 +3%”

- 지수 : 하락 출발 후 낙폭 확대, 장 후반 일부 매수세
*다우 -0.70%, 나스닥 -2.24%
*S&P500 -1.32%, 러셀2000 -1.42%
*반도체지수 -3.42%, 비트코인 +4.32%

- 섹터 : 11개 중 3개 상승
*유틸리티 +1.47%, 금융 +0.53%
*IT -2.49%, 헬스케어어 -1.88%

- BIG7 : 1개 상승
*AAPL -1.41%.. 트럼프 당선으로 마진 타격 예상
*TSLA +3.07%.. 보조금 폐지 시 경쟁우위 확보

- 종목과 ETF : 시장이동, 실적, 워런버핏, 투자의견
*종목 : PLTR AMAT DPZ GM BE
*ETF : EWY BLOK FXY

https://youtu.be/BOO_HKpyz5Y?si=nbst2KMq_dsNeq3C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4:54


제목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섹터 outperform 시기 지나 *연합인포맥스*
Needham의 애널리스트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의 가이던스를 고려했을 때, 섹터 대비 outperform이 이어지기 어려워보인다고 발언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경영진이 제시한 가이던스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며, 이는 주가 하락으로 나타났다. 또한 ‘25년 웨이퍼 팹 장비(WFE) 수요 가이던스도 제시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23년에 중국에서의 강력한 WFE 수요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누렸으나, 중국발 수요는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종합적으로, 당사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반도체 섹터 전반을 뚜렷하게 outperform하던 시기가 지나갔다고 본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240달러에서 225달러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3:19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도미노 피자와 풀,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에 상승 *연합인포맥스*
▲ 도미노 피자(DPZ) ▲ 풀(POOL): 버크셔 해서웨이(BRK)가 양사 주식을 매입하면서 지분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리마켓에서 DPZ +6.20%, POOL +5.45% 등을 기록 중이다.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매출 가이던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프리마켓에서 8.17% 하락하고 있다. ▲ 알리바바(BABA):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며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매출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프리마켓에서 1.09% 상승 중이다. ▲ 모더나(MRNA):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보건사회복지부(DHHS) 장관으로 백신 회의론자인 Robert F. Kennedy Jr.를 임명했다. 프리마켓에서 1.91% 하락 중이다. ▲ 울타 뷰티(ULTA): 반대로 버크셔 해서웨이가 보유했던 동사 지분을 매각했다. 프리마켓에서 4.77% 하락하고 있다.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 NYSE에서 Nasdaq으로 상장을 이전한다. 프리마켓에서 2.45%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2:48


제목 : 테슬라(TSLA), 전기차 혜택 폐지 우려에 주가 하락했지만 경쟁 유리 *연합인포맥스*
Barron’s는 전기차 세금 공제 혜택 폐지 전망에 전기차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했지만, 테슬라의 경우에는 경쟁우위가 강화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14일 테슬라 주가는 5.8% 하락했으며, ▲ 리비안 오토모티브(RIVN) 주가도 14.3% 급락했다. 이와 같은 미국 주요 전기차 기업의 주가 하락을 촉발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전기차 구매 시 7,500달러의 세금 공제 혜택을 폐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언론 보도였다”고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유세 기간 중에도 여러 차례 전기차에 대한 혜택 폐지를 주장해왔다. 월가는 트럼프 2기 정부 중에 전기차세금 공제가 폐지되는 것을 이미 기정사실로 보고 투자전략을 구성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그리고 월가는 리비안과 같이 많은 전기차 기업들이 세금 공제 폐지로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테슬라의 경우에는 피해가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테슬라가 이미 세금 공제가 없어도 순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펀더멘털을 확보했기 때문이다”고 언급했다. “여러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세금 공제 폐지로 인해 영업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으로 내몰릴 경우, 테슬라는 오히려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테슬라는 ‘24년 전체 28억 달러, ‘25년 54억 달러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2:26


제목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투자심리 견인할 동력 결여 DB *연합인포맥스*
Deutsche Bank의 애널리스트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실적발표에서 투자심리를 견인할 만큼 강력한 성장지표를 찾을 수 없었다고 판단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의 실적과 가이던스는 견고한 성장세를 가리키고 있었다. 하지만 고객사들의 웨이퍼 팹 장비(WFE) 투자지출이 혼조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이 제시했던 높은 기대치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워 보인다”고 언급했다. 또한 “매출총이익률 상승세가 전보다 개선된 것 외에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에 대한 투자를 유인할 만한 강력한 지표가 나타나지 못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220달러에서 20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모간스탠리의 Joseph Moore 애널리스트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의 가이던스는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는데, 중요한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일시적인 혼조에 그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이것이 투자전략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재가 강화되면서 성장 불확실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사 실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존엣지 제품들은 고객사의 영업 여건이 악화되면서 장기 수요에 대한 불안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시장비중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185달러에서 179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2:05


제목 : 항공 섹터, 파산 위기 스피릿 외에는 주가 상승여력 커 *연합인포맥스*
Barron’s는 스피릿 에어라인스를 제외한 항공사들의 주가 상승세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항공 섹터의 상승세가 더해지고 있다. 지난 수 년간 경쟁위협으로 자리잡으면서 항공사들의 주가 상승세를 제한했던 ▲ 스피릿 에어라인스(SAVE)는 파산 직전이며, 이에 따라 스피릿 에어라인스가 시장에서 밀려나고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예상되는 정책 수혜를 누리게 될 많은 항공사들의 주가 상승여력은 매력적이다”고 발언했다. “감세 정책으로 인해 소비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항공기 여객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각종 규제가 완화되면서 항공사들의 M&A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M&A가 확대되면서 항공사들은 특히 수익성이 높은 노선들에 집중할 것이며, 가격인상이 이루어질 여건을 확보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Melius Research의 Conor Cunningham 애널리스트는 “항공 섹터 여건은 약 10년만에 가장 유리하게 나타나고 있다. 당사는 항공 섹터의 주가가 두 배로 뛰어오를 여력이 충분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특히 스피릿 에어라인스가 파산하면서, 시장교란이 해소될 것이다. 이는 항공 섹터 탑승인원을 축소시키면서 가격결정력 강화로 연결될 수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가 하방압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항공 섹터 투자에 유리하다. 항공사들의 이익률은 대개 유가가 저렴할 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발언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1:40


제목 : 엔비디아(NVDA), 강력한 수요가 매출 성장세 견인 Wedbush *연합인포맥스*
엔비디아는 오는 11월 20일에 FY25 3분기(8~10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Wedbush의 Dan Ives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가 강력한 수요 바탕으로 컨센서스보다 강력한 매출을 발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이퍼스케일 기업들의 인공지능 관련 지출 규모, 그리고 하이퍼스케일 외 기업들의 꾸준한 수요 증가 등을 분석했을 때, 엔비디아의 FY25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매출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다”고 언급했다. “월가는 330.9억 달러 매출을 기록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는데, 당사는 이보다 20억 달러 이상 큰 매출이 달성되었을 것이라고 본다”고전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최근 하락했으나 여전히 역대 최고치에 근접한 상태이다. Outperform 의견을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138달러에서 16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0:21


제목 : 시스코(CSCO), 우수한 실적 바탕으로 투자 매력적 제프리스 *연합인포맥스*
제프리스의 George Notter 애널리스트는 시스코 시스템즈의 실적내용이 우수하다고 판단했으며, 현재 주가가 매력적이라고 보았다. “시스코 실적발표에서는 유통채널에서의 재고 소진, 인공지능 인프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긍정적 언급 등이 주목받았다. 또한 시스코의 실적과 가이던스도 견고했다”고 전했다. “Splunk 부문의 경우에도 예상보다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으며, 주문 추이나 이익률 등이 모두 우수했다. 시스코의 비용절감 노력은 앞으로더욱 강력한 이익률 상승세로 연결될 것이다”고 기대했다. “이러한 실적내용을 종합했을 때, 시스코의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은 여전히 긍정적이며 투자기회가 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53달러에서 66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10:08


제목 : 탈런 에너지(TLN), 아마존 제휴 통해 성장 가시성 개선 오펜하이머 *연합인포맥스*
오펜하이머의 Ian Zaffino 애널리스트는 탈런 에너지가 아마존닷컴과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보고, 우수한 가시성을 강조했다.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는 탈런 에너지가 ▲ 아마존닷컴(AMZN)과 체결한 전력 공급 계약이 일대 전력망 신뢰성을 훼손시키고 소비자들의 요금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거래를 승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하지만 탈런 에너지 경영진은 최근 실적발표에서 아마존과의 협력을 재차 강조했으며, 아마존 또한 탈런 에너지를 중요한 협력사로 언급하고 있다. 추후 조건을 조정하여 아마존 데이터센터에 대한 전력 공급 계약이 성사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강력한 전력 수요 공급 속에, 탈런 에너지의 부문별합산(SOTP) 가치는 크게 상승했으며, 아마존이 데이터센터를 증설하면서 성장 가시성은향상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180달러에서 22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9:39


제목 : 존슨 앤드 존슨(JNJ), ‘25년 성장 포트폴리오 강력 - Wolfe *연합인포맥스*
Wolfe Research의 Alexandria Hammond 애널리스트는 존슨 앤드 존슨을 일라이 릴리 다음으로 강력한 성장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종목이라고 평가했다. “존슨 앤드 존슨의 포트폴리오는 다이어트약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 일라이 릴리(LLY) 마운자로(Mounjaro), 젭바운드(Zepbound)만큼 강력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일라이 릴리 다음으로 성장동력이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투자자들이 제약 섹터에서 ’25년 성장세가 강력한 기업들을 물색할 때, 존슨 앤드 존슨의 포트폴리오는 반드시 주목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Stelara가 독점적 판매권을 상실하게 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슨 앤드 존슨이 ‘25년에 3% 이상의 매출 성장세를 달성할 가능성이높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190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9:13


제목 : 힘스 앤드 허스(HIMS), 아마존 경쟁으로 전망 대폭 악화 - BofA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애널리스트는 힘스 앤드 허스 헬스가 아마존닷컴과의 경쟁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 아마존닷컴(AMZN)이 의약품 유통 사업을 확대하면서 탈모, 발기부전 치료제 판매를 시작한다. 그리고 이는 이러한 의약품이 매출총이익의 80% 이상을 차지했던 힘스 앤드 허스가 심각한 경쟁위협에 내몰리게 됨을 가리킨다”고 발언했다. “아마존과의 경쟁으로 인해 힘스 앤드 허스는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질 것이며, 시장을 유지하기 위해 의약품 가격을 인하시켜야 할 것이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힘스 앤드 허스의 ‘25~’27년 매출 성장률 전망치를 10%p 하향 조정했으며, 영업 레버리지 전망치도 하향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underperform으로, 목표주가를 32달러에서 18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8:37


제목 : 마이크로소프트(MSFT) 인공지능 투자, 장기 수익성 기대 제프리스 *연합인포맥스*
제프리스의 Brent Thill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 투자지출이 장기적인 수익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자들은 IT 메가캡의 인공지능 기술 관련 투자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서도 이러한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기에는 ▲ 아마존닷컴(AMZN)보다 뒤쳐졌는데, 이에 따라 아마존 등의 경쟁을 뿌리치기 위해 인공지능 산업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이것이 성과를 보여줄 것이나, 단기적으로는 실적 부담을 피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인공지능 기술 활용이 보급되고 확대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자본지출을 더욱 늘릴 것이라는 점도 투자자들이 인식해야 한다”고언급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 경영진은 인공지능 수익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Microsoft 365 Copilot의 기업 사용량 증가세 등을 고려했을 때 장기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50달러를 유지했다. 이어 “인공지능 기술의 수익화가 실패한다고 가정해도,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과정에서 340개에 달하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게 된다. 이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사업들을 전개하는 기반이 된다”고 보았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7:52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키차트(키움 차주 트렌드) 11월 3주차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CA241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5:31


제목 : 시스코,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 긍정적 Jefferies *연합인포맥스*
더플라이는 “제프리스의 조지 노터 애널리스트가 시스코 시스템스(CSCO)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53달러에서 66달러로상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노터 애널리스트는 “시스코가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고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는데 이는 고객 재고 감소와 긍정적인 AI 관련 언급에 힘입은것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스플렁크 부문의 실적은 예상보다 좋았고, 주문 추세도 강했다. 그리고 비용을 철저히 관리하면서 마진도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고설명했다. 또한 “시스코의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이 여전히 긍정적이다”고 덧붙였다. 에버코어는 “시스코의 네트워킹과 스플렁크 부문에서 더 강한 실적을 보고 싶었지만 여전히 굉장한 실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에버코어는 시스코에 대한 투자의견 아웃퍼폼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60달러에서 6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5:10


제목 : 캠벨수프, 소스 브랜드 ‘라오스’ 긍정적 - Piper Sandler *연합인포맥스*
CNBC는 “파이퍼 샌들러가 인기 소스 브랜드인 라오스(Rao’s) 덕분에 캠벨 수프(CPB)의 장기 성장 전망이 밝다고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파이퍼 샌들러의 마이클 라베리 애널리스트는 “올해 초 캠벨수프는 라오스의 모기업인 소보스 브랜즈(Sovos Brands)를 약 27억 달러에 인수했다. ‘24년 1분기 라오스의 소매 판매 성장률이 +18.7%로 전 분기의 +23.9%에서 다소 둔화되었지만, 새로운 시장 진출과 화이트 소스 제품군 확대로 추가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3개월간 캠벨 수프의 주가가 10% 이상 하락한 것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매수 기회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행정부의 철강에 대한 관세로 인해 캔에 철강을 사용하는 캠벨수프에 역풍이 될 수도 있다. 철강은 캠벨 수프의 상품 및 서비스 비용에서 약 4%를 차지한다. 그러나 동사는 이미 ‘25년 철강 계약을 확보했으며, 철강 가격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에서 사용되는 철강의 약 75%는 자국 생산이기 때문에 수입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라베리 애널리스트는 캠벨 수프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목표주가를 47달러에서 56달러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4:39


제목 : "BWX 테크놀로지, 숨겨진 원자력 에너지 기업... 매수 추천 - Bo *연합인포맥스*
CNBC는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원자력 연료 기업 BWX 테크놀로지스(BWXT)를 향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아우르는 원자력 기업이라고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로널드 엡스타인 애널리스트는 “BWX의 주요 사업은 미국 잠수함과 항공모함에 원자로, 핵연료 및 기타 부품을 공급하는것이다. 소형모듈원전(SMR) 시장의 희소성 프리미엄으로 인해 올해 들어 동사 주가는 72.1%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SMR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BWX는 여전히 시장의 핵심 공급업체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BWX는 잠수함과 항공모함용 원자력 발전소의 유일한 공급업체로서 미 해군력 증강에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BWX를 미 국방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양당적 지원의 순수 수혜 기업으로도 보고 있다”고 밝혔다. 엡스타인 애널리스트는 BWX 테크놀로지스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15달러에서 16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4:34


제목 : 아마존, 테무 대항마 긍정적 - BofA *연합인포맥스*
CNBC는 “뱅크오브아메리카에 의하면 아마존의 할인 스토어가 테무(Temu)와 쉬인(Shein)에 대항할 것이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20달러 미만의 상품만 취급하는 하울(Haul) 플랫폼을 아마존 앱에서 출시했다. 25달러 이상 주문 시 무료 배송이며, 그 미만은 3.99달러의 배송비가 부과된다”고 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저스틴 포스트 애널리스트는 “’23년 테무와 쉬인이 성장하자 아마존의 매출은 1%p 타격을 입었다. 하울이 테무 및 쉬인과 비슷한 가격대의 상품을 제공하기 때문에 두 기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당사 관점에서 하울의 경쟁력 있는 제품과 견인력은 앞으로 이러한 역풍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수입품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아마존, 테무, 쉬인과 같은 기업이 도전적 환경에 직면할 수도 있지만 하울은 제3자 판매자를 활용하기 때문에 위험이 낮은 사업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최악의 경우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이 모델이 경제성을 잃게 된다면 아마존은 공급업체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거나 스토어프론트를 폐쇄할 수 있다”고 밝혔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4:26


제목 : 아마존, 탈모 등 치료제에 정액제 도입... 힘스앤허스 24% 급락 *연합인포맥스*
CNBC는 “14일(목) 아마존(AMZN)이 프라임(Prime) 회원들을 향해 발기부전 및 남성 탈모 등의 치료제에 대해 새롭게 고정된 가격으로 구매할수 있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힘스앤허스 헬스(HIMS)와 로(Ro) 같은 DTC 마켓플레이스와 경쟁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힘스앤허스의 주가는 전일 대비 24.46% 급락 마감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아마존은 “5가지의 일반적인 질환에 대해 프라임 회원들은 원격 진료 비용과 원하는 치료제 비용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환자들은 프라임 Rx 할인 혜택을 통해 노화방지 스킨케어는 월 10달러, 멀미 치료는 사용당 2달러, 발기부전은 월 19달러, 속눈썹 연장은 월 43달러, 남성 탈모는 월 16달러에 이용할 수 있다”고 블로그를 통해 설명했다. 한편 매체는 “지난 ‘22년 7월 아마존은 약 39억 달러에 1차 의료 제공업체인 원 메디컬(One Medical)을 인수한 바 있다. 이번 아마존의 발표는 기존 원 메디컬의 원격진료 서비스를 확대하여 출시한 것이다”고 언급했다. “아마존 약국을 통해 조제되는 약품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며, 일반적인 아마존 포장 방식으로 환자의 집까지 배송된다. 프라임 회원들은 상담과 약품 비용만 지불하면 되며, 추가 비용은 없다”고 밝혔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들은 아마존의 탈모와 발기부전 시장 진출을 이유로 힘스앤허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언더퍼폼으로 하향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5 Nov, 04:21


제목 : 아마존, 틱톡과의 파트너십에 대해 하원 의회로부터 질의 받아 *연합인포맥스*
CNBC는 “최근 아마존(AMZN)이 틱톡(TikTok)과의 파트너십에 의원들이 우려를 표명한 것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미 하원 중국위원회(House China committee)와 만났다”고 보도했다. “하원 중국위원회 대변인은 8월에 발표된 아마존과 틱톡 간의 쇼핑 거래를 중심으로 한 미팅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동 계약으로 틱톡사용자들은 자신의 계정을 아마존과 연동하여 틱톡을 벗어나지 않고도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하원 중국위원회 대변인은 “틱톡으로 인한 심각한 국가 안보 위협을 고려했을 때 아마존이 틱톡과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 위험하고 현명하지 못하다는 점을 아마존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편 매체는 “미국 내 틱톡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지난 4월 조 바이든 대통령은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1월 19일까지 틱톡을 매각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만약 틱톡이 모회사와의 관계를 단절하지 않으면 앱스토어와 인터넷 호스팅 서비스는 틱톡 앱을 제공할 수없게 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운동 기간 동안 틱톡을 구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며, 틱톡에는 좋은 점과 나쁜 점 둘 다 많다고 발언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20:50


제목 : 윈 리조츠, 억만장자 퍼티타 지분 확대, 주가 급등 *연합인포맥스*
현지시각 14일(목) 벤징가는 “억만장자 투자가 틸먼 퍼티타가 윈 리조츠(WYNN) 지분 9.9%를 확보했음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퍼티타는 랜드리 및 휴스턴 로케츠의 CEO이다. 상기 소식이 전해지자 동사 주가는 9.25% 급등 중이다. 애덤 에커트 기자는 “퍼티타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13G 양식에 따르면, 퍼티타의 윈 리조츠 지분은 6.2%에서 9.9%로 늘어났다”고 전했다. 또한 CNBC의 David Faber 기자는 “퍼티타의 지분이 10% 미만의 수동적 지분(Passive stake)로 오랫동안 유지되지는 않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4:30


제목 : 11월 14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엔비디아(NVDA): 오펜하이머는 다음 주 실적발표를 앞두고 지배적인 인공지능 인프라를 재차 강조하면서 우수한 성장세를 기대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50달러에서 1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테슬라(TSLA): 제프리스는 현재의 경쟁 여건에서 규제 완화가 이루어지면서 성장세가 견고하겠지만, 자율주행 기술이나 로보틱스 기술 등의 수익화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다. 목표주가는 195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했다. ▲ 넷플릭스(NFLX): 제이피모간체이스는 4분기 신규 컨텐츠를 바탕으로 강력한 투자심리가 유지될 것이라고 보았으며, ‘25년 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주가 상승세를 지지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AAL): 바클레이즈는 재무상태가 정상화되고 출장 여행 시장을 공략할 기회가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투자의견을 비중축소에서 시장비중으로 상향 조정했다. ▲ 파파존스(PZZA): KeyBanc는 채널조사 결과 매출 및 수익성 회복이 예상보다 긴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분석했으며, 재투자 소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섹터비중으로 하향 조정했다. ▲ 길리어드 사이언시스(GILD): 씨티는 HIV 프랜차이즈가 성장세를 견인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25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3:43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태피스트리, 카프리와의 M&A 포기 발표에 상승 *연합인포맥스*
▲ 카프리(CPRI) ▲ 태피스트리(TPR): 규제 당국의 반발로 인해 M&A 논의를 포기한다고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CPRI -5.29%, TPR +8.29%를기록하고 있다. ▲ 시스코 시스템즈(CSCO): 4개 분기 연속 매출 감소세로 인해 가이던스 상향에도 불구하고 프리마켓에서 -0.19%를 기록 중이다. ▲ 캠벨 수프(CPB): 파이퍼샌들러는 Rao’s 브랜드 성장세를 강조하면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프리마켓에서 1.20% 상승 중이다. ▲ ASML(ASML): 2030년 실적 목표를 동결하면서 4.10%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2:46


제목 : [실적 속보] 탈런 에너지(TLN), 흑자 전환 이루어지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탈런 에너지는 ‘24년 3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6.5억 달러(+26% YoY)를 기록했다. ▲ GAAP EPS 3.16달러(전년 동기 -1.30달러)를 기록했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6.79% 상승하고 있다. 3분기 총 발전량은 10.8TWh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조정 EBITDA는 2.3억 달러 / 조정 잉여현금흐름은 0.97억 달러를 기록했다. ‘24년 전체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7.5억~7.8억 달러로 기존 7.2억~7.8억 달러에서 하단을 상향했으며 / 조정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를 2.65억~2.85억 달러로 제시했다. 또한 ‘25년 전체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9.25억~11.75억 달러로 / 조정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를 3.95억~5.95억 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2:36


제목 : [실적 속보] 어드밴스 오토 파츠(AAP), 적자와 가이던스 하향에 하락 *연합인포맥스*
어드밴스 오토 파츠는 ‘24년 3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1.5억 달러(-3.2%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5.2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0.04달러(전년 동기 -1.19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58달러 하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5.47% 하락하고 있다. 동일매장매출은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컨센서스 -1.7%를 하회했다. 매출총이익률은 42.3%로 전년 동기 36.9%에서 상승했다. 경영진은 ‘24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111.5억~112.5억 달러에서 90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2.00~2.50달러에서 -0.60~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또한 동일매장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1~0%에서 -1%로 하향했다. 또한 매장 500개 이상과 유통센터 4개를 폐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2:10


제목 : [실적 속보] 디즈니(DIS), 향후 EPS 증가율 낙관하면서 상승 *연합인포맥스*
월트 디즈니는 FY24 4분기(7~9월)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25.7억 달러(+6.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8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14달러(+39.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3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6.47% 상승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Entertainment 매출 +14%, 영업이익 +352% / Sports 매출 횡보, 영업이익 -5% / Experiences 매출 +1%, 영업이익 -6% 등을 기록했다. Entertainment 부문은 유선 TV 사업 매출이 감소한 반면 DTC 사업, 컨텐츠 판매/라이선싱 사업 성장세가 강력했다. 또한 DTC 및 컨텐츠사업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Disney+ 핵심 가입자는 1억 2,270만 명으로 4% 증가했으며, 컨센서스를 280만 명 상회했다. 또한 Disney+ 핵심 가입자 1명당 월간 평균 매출은 7.30달러로 1% 증가했다. Disney+ Hostar 가입자는 1%, Hulu 가입자는 2% 증가했다. FY25 전체 EPS 증가율 가이던스는 한자릿수 후반대(%)로 제시되었는데, 이는 컨센서스 +4.1%를 상회한다. 다만 FY25 1분기에 Disney+ 핵심 가입자는 FY24 4분기보다 다소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FY26~FY27에는 두자릿수(%) EPS 증가율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1:22


제목 : 타겟(TGT), 실적발표에서 단기 하락리스크 나타날 것 에버코어 *연합인포맥스*
타겟은 오는 11월 20일에 FY24 3분기(8~10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에버코어의 Greg Melich 애널리스트는 타겟 실적발표에서 성장세 둔화가 주목받으며 단기 주가가 하락할 위험이 있다고 전했다. “타겟의 FY24 3분기 실적에서는 매출 성장세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이는 EPS가 컨센서스를 하회할 위험을 가리킨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FY24 4분기까지도 타겟의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환경이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본다”고 발언하면서, “이러한 성장세 둔화가 시사되면서, 타겟 주가는 단기적으로 140달러까지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타겟은 13일 155달러에 마감했다. 이에 따라 Tactical Underperform 종목으로 선정했다. 이와 같은 단기 주가 하락리스크와는 별개로, 투자의견 in-line과 목표주가 165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0:55


제목 : 로빈훗 마케츠(HOOD), 가상화폐 외 성장 정책도 관심 - DB *연합인포맥스*
Deutsche Bank의 Brian Bedell 애널리스트는 가상화폐 호황 외에도 로빈훗 마케츠가 전개하는 다수의 성장 정책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발언했다. “로빈훗 마케츠는 가상화폐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수혜를 누리고 있으며, 이번 컨퍼런스에서 동사 경영진 또한 이와 같은 가상화폐 호황을 수익화할 수 있는 정책들을 전개할 것임을 언급했다”고 정리했다. “당사는 가상화폐 트레이딩 외에도 로빈훗 마케츠가 추진하는 다양한 성장 정책들이 거두고 있는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컨퍼런스에서는 또한 영업 레버리지나 자본 관리 상황 등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요소들이 있었다”고 전했다. “로빈훗 마케츠 경영진이 언급한 사항들은 대부분 이전 컨퍼런스에서도 언급된 사항들이나, 당시보다 전망을 더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요소들이 확인되었다”고 발언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34달러에서 35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0:45


제목 : 시스코(CSCO), 주가 견인할 성장세 나타나기 어려워 바클레이즈 외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는 시스코 시스템즈의 실적을 분석했을 때, 강력한 성장세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정리했다. “시스코의 FY25 1분기(8~10월) 실적내용을 종합해보면, 매출은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었지만 이익률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컨센서스를상회하는 순이익을 발표했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Splunk를 제외한 수주 증가세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성장 모멘텀은 안정적인 수준으로 강력한 성장세를 구가하기 어려워 보인다. 기저효과를 고려하더라도 시스코의 FY25 실적 성장세는 제한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시장비중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49달러에서 56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는 “시스코는 매출총이익이 개선됨에 따라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특히 인공지능 관련 수주가 강력했던 것이 그 배경이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시스코의 공공기관 사업 부문은 저조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립 의견을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51달러에서 56달러로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0:27


제목 : 메타(META), Thread 광고 게재 검토하고 있어 *연합인포맥스*
Benzigna는 메타 플랫폼스의 Thread가 광고 게재를 통한 수익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이었던 Twitter는 ▲ 테슬라(TSLA) 머스크 CEO가 인수한 이후 이름을 X.com으로 교체했다. 그리고 머스크 CEO의 X.com에 대한 정책들은 여러 브랜드들이 X.com에 대한 광고 예산을 재고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메타는 X.com과 유사한 플랫폼인 Thread를 출시했고,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24년 6월 말 기준 월간 활성사용자(MAU) 1.75억 명을 달성했는데, 이러한 사용자층을 바탕으로 Thread에 광고를 게재하면서 수익화를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정리했다. “Thread는 우선 한정된 숫자의 브랜드만이 광고를 게재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광고 게시글은 Sponsored 표시가 포함될 것이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0:13


제목 : ASML(ASML), 수요 부진 우려에도 2030년 성장 목표 유지 *연합인포맥스*
MarketWatch는 실적발표에서 수요 부진이 우려되기도 했으나, ASML이 2030년 성장 목표를 유지하면서 자신감을 보여주었다고 보도했다. “ASML 경영진이 2030년 연간 매출 목표치를 440억~600억 유로로, 매출총이익률 목표치를 56~60%로 유지했다. 지난 10월 실적발표에서 예상보다 수요가 강력하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는 등, 동사 실적 성장세에 대한 우려가 커졌던 바 있지만, 이번 발표를 통해 그러한 우려는 불식될것이다”고 예상했다. ASML의 Fouquet CEO는 “당사는 향후 10년간 EUV 기술을 개량하고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보급은 당사가 성장세를 가속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매출과 수익성 성장세가 강력하게 나타날 것이다”고 발언했다. 제프리스의 애널리스트는 ASML 2030년 실적 목표를 평가하면서, “ASML은 지난 ‘22년에 현재 제시된 것과 같은 목표를 언급했는데, 목표 제시 이후의 실적 성장세는 당시 언급된 것만큼 강력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에 2030년 목표가 유지된 것은 ‘25~’30년에 걸쳐 성장세가 가속될 것임을 가리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전에 ASML이 언급했던 수요 부진 등의 요인이 ‘25년 실적을 압박할 것으로 보이나, 이는 구조적인 문제가 아니라 일시적 변동에 불과하다는 점이 2030년 성장 목표를 통해 재확인되었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10:01


제목 : 마스타카드(MA) 투자자 간담회, 성장세 자신감 보여줘 바클레이즈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의 Ramsey El-Assal 애널리스트는 마스타카드 투자자 간담회를 통해 성장세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고 발언했다. “마스타카드 경영진은 이번 투자자 간담회에서 ‘25~’27년에 걸쳐 연환산 매출 증가율이 두자릿수 초반대(%) 범위의 상단에 가까울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이러한 성장세를 지지하는 성장동력들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러한 성장 목표가 월가의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월가에서 마스타카드의 성장세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졌던 가운데, 성장동력에 대한 설명은 이러한 우려를 해소시켜 주었다. 마스타카드는 앞으로도 시장침투율을 높이며 구조적인 성장세를 누릴 전망이다”고 기대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576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9:41


제목 : 아마존(AMZN), Haul 서비스, 경쟁지위에 기여 - BofA *연합인포맥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Jsutin Post 애널리스트는 아마존닷컴의 저가상품 유통 서비스 Amazon Haul이 특별한 리스크 없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수단이 되었다고 발언했다. “아마존이 저가상품 유통을 강점으로 삼고 있는 중국의 Temu, Shein 등에 대한 경쟁 수단으로 Amazn Haul 서비스를 개시했다. 해당 서비스는 아직 베타 기간으로, 35개 이상의 제품군에서 가격 20달러 미만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Temu의 성장세는 이미 상당히 둔화되었고,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전개하는 관세 정책이 미국에서의 영업을 더욱 압박할 것으로 보이므로, Temu와 Shein 등에게 아마존이 점유율을 잠식당할 것이라는 우려는 대부분 해소된 상태이다”고 언급했다. “당사는 아마존이 서드파티 판매업체들과 협력하여 Amazon Haul을 개시한 것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증명이라고 보고 있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30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9:35


제목 : 플러그 파워(PLUG), 수소연료 시장 둔화에 성장여력 제한 - BTIG *연합인포맥스*
BTIG의 Gregory Lewis 애널리스트는 수소연료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플러그 파워의 성장여력도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플러그 파워는 수소연료 수주를 확보하며 성장세를 추구하고 있는 동시에,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다만 글로벌 수소연료 수요는 둔화되고 있으며, 플러그 파워 경영진이 우수한 전략을 전개하더라도 전반적인 성장세가 실망스러울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당사는 이러한 수요 성장세 둔화를 예상하면서 플러그 파워에 대한 투자의견을 하향한다”고 밝혔다. 이어 “플러그 파워가 이익률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제품 판매량을 확대해야 하는데, 앞으로의 수요 여건에서 이것이 달성되기는 어려워보인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8:54


제목 : 인스타카트(CART), ‘25년 성장 불확실성 주의해야 MS 외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의 Brian Nowak 애널리스트는 인스타카트가 ‘25년에도 충분히 강력한 성장세를 누릴지 불분명하다고 발언했다. “인스타카트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성장세 가속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식료품점이라는 시장이 자리를 잡는 데에는 시간이걸릴 것이며, 인스타카트의 성장세가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고 지적했다. “’25년에도 지금 누리고 있는 것과 유사한 성장세가 유지될 수 있을지가 인스타카트의 향후 전망을 좌우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투자의견 시장비중과 목표주가 41달러를 유지했다. Needham의 Bernie McTernan 애널리스트는 “인스타카트의 총거래액(GTV) 성장세는 앞으로도 두자릿수(%)로 유지되겠지만, 경쟁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익률 문제도 인스타카트 주가에 악영향을 줄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8:38


제목 : 캐터필러(CAT), ‘25년 성장세 주가 견인하지 못할 것 에버코어 *연합인포맥스*
에버코어의 David Raso 애널리스트는 캐터필러의 ‘25년 성장세가 강력하지 못할 것이라고 보고, 주가 상승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캐터필러의 3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25년에 걸쳐 성장세가 저조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캐터필러는 ‘25 년까지는 건설용 기계의 재고를 최적화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관세 정책 등은 신흥국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사업의 비중이 큰 캐터필러에 악재가 된다”고 분석했다. 또한 “유가 하방압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석유/가스 관련 투자도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발언했다. “이미 캐터필러의 선행 PER 주가배수는 19배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중단기적으로 캐터필러가 동종기업만큼의 주가 상승세를 보여주지 못할것임을 가리킨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을 in-line에서 underperform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목표주가는 365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6:15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11/14)

“CPI 부합에 상방, 금리 상승에 하방.. 테슬라 변동폭 6.85%”

- 지수 : 상승 출발했지만 반락 후 혼조 마감
*다우 +0.11%, 나스닥 -0.26%
*S&P500 +0.02%, 러셀2000 -0.94%
*반도체지수 -2.00%, 비트코인 -0.98%

- 섹터 : 11개 중 7개 상승
*경기소비재 +1.14%, 에너지 +0.84%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57%, IT -0.31%

- BIG7 : 4개 상승
*TSLA +0.53%.. 급등락, 하루 변동폭 6.85%
*NVDA -1.36%.. 소프트뱅크 AI 슈퍼컴에 블랙웰 탑재

- 종목과 ETF : 실적, 투자의견
*종목 : WBD MPWR RIVN RKLB CART
*ETF : DIA VNQ LIT

https://www.youtube.com/live/X_BHKaSzAig?si=48zkvRG62Cl6t3vD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5:08


제목 : 카바, 동일매장매출 및 이익 가이던스 상향 긍정적 - Stifel 외 *연합인포맥스*
더플라이는 “스티펠의 크리스 오컬 애널리스트가 카바 그룹(CAVA)에 대한 목표주가를 118달러에서 1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오컬 애널리스트는 “카바가 ‘24년 동일매장매출 성장률과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고, ‘25년에 대한 초기 전망도 제시했다. 신규 매장 파이프라인과 수익성에 대해 충분한 자신감을 기반으로 장기 성장률 전망치인 +15% 이상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알게 되어 기쁘다. 그리고 카바가 개선된 레버리지를 직원들과 고객들에게 재투자하려는 계획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오컬 애널리스트는 카바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TD 코웬의 앤드류 찰스 애널리스트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카바의 3분기 실적과 상향된 ‘24년 가이던스, 그리고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만족도 개선이 긍정적이다”고 전했다. 찰스 애널리스트는 카바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30달러에서 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5:02


제목 : CCC 인텔리전트 솔루션, 보험 섹터 내 AI 기업으로 시장 선도중 *연합인포맥스*
CNBC는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잘 알려지지 않은 소프트웨어 기업인 CCC 인텔리전트 솔루션(CCCS)의 주식을 매수할 시기가 왔다”고 보도했다. 모건스탠리의 조시 베어 애널리스트는 CCC 인텔리전트 솔루션의 투자의견을 동일비중에서 비중확대로, 목표주가를 14달러에서 15달러로 각각상향 조정했다 “CCC는 손해보험 부문을 전문으로 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제공업체로 보험사 및 수리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동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사고 조사, 수리 관리 등이 포함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베어 애널리스트는 “월가가 CCC의 포트폴리오 내 AI 제품 가치를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CCC는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손해보험 섹터의 디지털화와 자동화 가치를 포착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기존 및 신흥 솔루션의 확대와 AI가 동사의 높은 한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CCC의 매력적인 AI 제품군, 매우 견고한 핵심 제품, 마진 성장을 뒷받침할 최고 수준의 영업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동사 주식에 대한 심리가 지나치게 부정적이다. ‘25~’26년에 동사 EBITDA 마진이 100bp 확대되어50%를 초과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4 Nov, 04:37


제목 : CNH 인더스트리얼, 저렴해보여 신규 매수 Greenlight *연합인포맥스*
CNBC는 “13일(수) 그린라이트 캐피탈의 데이비드 아인혼 CEO가 농기계 기업인 CNH 인더스트리얼(CNH)의 지분을 적정량 매입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아인혼 CEO는 “농업 섹터의 하락 사이클의 끝에 다가오면서 CNH가 당사의 가치주 레이더에 포착됐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 CNH의 뉴스는 좋지 않을 것이고, 현재 동사 주가는 낮기 때문에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현재 농산물 가격은 낮다. 그리고 농업 장비의 하락 사이클은 끝나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CNH의 배당수익률은 4%를 웃돌고 있으며, 자사주 매입도 적극적이다”고 언급했다. “CNH의 재무 레버리지가 매우 낮다. 이에 ‘25~’26년 초 상승 사이클에서 사람들은 EPS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한편 “농기구 판매가 호황을 누렸던 시기가 있었고, 지금은 그것이 사이클 상 침체로 전환됐다. 이런 일은 반복된다”고 설명했다. 장 마감 후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애프터마켓에서 CNH의 주가는 8.36% 급등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59


제목 : 유니티, 광고 부문 성장률 제한적 바클레이즈 외 *연합인포맥스*
유니티 소프트웨어(U)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바클레이즈: 투자의견 시장비중 유지, 목표주가 16달러에서 18달러로 상향. “유니티의 3분기 실적이 긍정적이었지만, 광고 부문의 성장률은 여전히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 모간 스탠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22달러에서 24달러로 상향. “새로운 경영진 하에 유니티는 기대 이상의 3분기 실적과 4분기 가이던스를 달성했다”고 호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45


제목 : 유니티, 저점 지난 것으로 보여 맥쿼리 *연합인포맥스*
유니티 소프트웨어(U)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맥쿼리: 투자의견 언더퍼폼 유지, 목표주가 16달러에서 15달러로 하향. “유니티의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며, 동사가 저점을 지났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매출 증가 및 마진 확장 여력이 한정적이며, ’25년에 게임 성장이 한 자릿수 중반대에 그칠 것이다”고 분석했다. “동사가 앱러빈(APP)과의 격차를 좁히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고 전했다. ▲ 스티펄: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5달러에서 28달러로 상향. “신임 CEO가 취임한 이후로 동사 실적이 기대보다 개선되었다. ‘25년에 동사 크레이트와 그로우 부문이 회복될 여지가 있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41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글로벌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11/12)

“4일째 사상최고치.. 테슬라 5거래일간 +44% 급등”

- 지수 : 상승 출발 후 차익매물 출회로 하락세
*다우 +0.59%, 나스닥 +0.09%
*S&P500 +0.38%, 러셀2000 +0.71%
*반도체지수 -2.54%, 비트코인 +10.12%

- 섹터 : 11개 중 6개 상승
*경기소비재 +1.75%, 금융 +1.41%
*IT -0.89%, 부동산 -0.80%

- BIG7 : 2개 상승
*TSLA +8.96%.. 나흘째 52주 신고가, 5일간 +44%
*NVDA -1.61%.. 20일 실적 앞두고 IB 목표주가 상향

- 종목과 ETF : 임상 실패, 상폐 우려, 실적, 투자의견
*종목 : BMY MPWR SMCI MNDY AFRM
*ETF : IWM BLOK LIT

https://youtube.com/live/ytRFgqy4bv8?feature=share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39


제목 : 트레이드 데스크,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 파이퍼 샌들러 *연합인포맥스*
트레이드 데스크(TTD)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파이퍼 샌들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110달러에서 140달러로 상향. “트레이드 데스크의 3분기 실적이 기대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동사 주가가 하락했다. 이는 매수 기회이다”고 주장했다. ▲ 맥쿼리: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130달러에서 133달러로 상향. “트레이드 데스크의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고, EBITDA 마진은 41%에 달했다. 그러나 4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25%로 다소낮게 제시됐다”고 지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33


제목 : 트레이드 데스크, ’26년 전망 낙관 룹 캐피탈 *연합인포맥스*
트레이드 데스크(TTD)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룹 캐피탈: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20달러에서 145달러로 상향. “트레이드 데스크의 3분기 실적은 강력했지만, 4분기 가이던스는 다소 보수적으로 제시됐다”고 평가했다. “‘25년에는 대선 효과가 없어 성장이 둔화될 수도 있으나, ‘26년부터는 넷플릭스(NFLX), 스포티파이 테크놀로지스(SPOT) 월트 디즈니(DIS), 월마트(WMT) 등과의 협력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 DA 데이비드슨: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08달러에서 134달러로 상향. “트레이드 데스크의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커넥티드 TV 지출, 코카이 출시, 리테일 미디어, 국제 사업 성장이 주요 동력이었다”고 평가했다. “단기적으로 커텍티드 TV로의 광고 예산 이동, 리테일 미디어, 해외 확장이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23


제목 : 핀터레스트, 수익화 잠재력 높아 BMO 외 *연합인포맥스*
핀터레스트(PINS)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BMO 캐피탈: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46달러에서 40달러로 하향. “핀터레스트의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며, 사용자 및 참여도 개선이 수익화 잠재력을 높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기술 인재 투자 및 영업 마케팅 비용 증가로 ’25년 EBITDA 전망은 하향했다”고 밝혔다. ▲ 시포트 리서치: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45달러에서 43달러로 하향. “핀터레스트의 3분기 실적이 양호했으나, 4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다소 낮았다. 그러나 동사는 고의도 사용자층과 강력한 참여도를 보유한 독보적인 플랫폼으로, 중장기 매출 성장 여력이 낙관적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17


제목 : 핀터레스트, 향후 3년 EBITDA 성장 전망 낙관 웨드부시 외 *연합인포맥스*
핀터레스트(PINS)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웨드부시: 투자의견 중립에서 아웃퍼폼으로 상향, 목표주가 38달러 제시. “핀터레스트는 사용자 참여 및 수익화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 중이며, 향후 몇 년간 성장과 수익 목표에 맞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3분기 실적 발표 후 동사 주가가 하락한 것은 과도한 반응이며, 향후 3년간 동사는 연평균 27%의 조정 EBITDA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 키뱅크: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45달러에서 39달러로 하향. “핀터레스트의 4분기 가이던스가 컨센서스를 하회한 점이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동사 ’25년 1분기 성장이 둔화될 수도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문제일 뿐이다”고 주장했다. “장기적으로 동사는 참여도 개선, 파트너쉽 체결, 신규 제품 출시를 통해 성장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12


제목 : 포티넷, 3분기 실적 엇갈려…’25년 사업 개선 낙관 BMO 외 *연합인포맥스*
포티넷(FTNT)이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BMO: 투자의견 마켓퍼폼 유지, 목표주가 76달러에서 88달러 상향. “포티넷의 3분기 실적은 엇갈렸다. 그러나 ’25년에는 보안 시장 여건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으며, 잉여현금흐름 창출 여력도 낙관적이다”고 평가했다. ▲ 스코시아뱅크: 투자의견 아웃퍼폼 유지, 목표주가 75달러에서 85달러로 상향. “포티넷의 3분기 청구 성장률이 양호했으며, 마진이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동사는 핵심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고품질 기업이다”고 분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6:07


제목 : 포티넷, 3분기 실적 반영해 ’25~28년 EPS 전망 상향 HSBC *연합인포맥스*
포티넷(FTNT)이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HSBC: 투자의견 보유에서 매수로, 목표주가 83달러에서 111달러로 상향. “포티넷의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며, 4분기 및 장기 가이던스도 낙관적이었다. 이를 반영해 동사 ’25~28년 비GAAP EPS 전망치를 13~31% 상향했다”고 밝혔다. ▲ 서스퀘하나: 투자의견 중립 유지, 목표주가 70달러에서 90달러로 상향. “포티넷의 3분기 매출과 EPS가 각각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그러나 4분기 청구액에 대한 가이던스는 보수적으로 제시되었는데, 이는 대형 거래와 관련한 신중한 접근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5:46


제목 : 어펌, 시장점유율 확장 중 웰스파고 외 *연합인포맥스*
어펌(AFRM)이 FY25 1분기(’24년 7~9월)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웰스파고: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목표주가 52달러에서 53달러로 상향. “어펌의 FY 1분기 실적은 높은 기대치를 충족시켰고, 가이던스 또한 낙관적으로 제시되었다. 동사 전자상거래 부문 시장점유율이 확장되고있는 점이 특히 긍정적이다”고 평가했다. ▲ 서스퀘하나: 투자의견 긍정적 유지, 목표주가 52달러에서 57달러로 상향. “FY 1분기 실적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어펌 카드의 빠른 확산, 시장점유율 확대, 영국 시장 진출 등이다. 또한 경영진은 FY25 가이던스를상향했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5:40


제목 : 마이크로소프트, FY 하반기에 애주어 성장 가속 낙관 RBC *연합인포맥스*
RBC 캐피탈 마케츠의 리시 잘루리아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FY25 1분기(’24년 7~9월) 영업실적과 FY 2분기 가이던스는 많은 투자자들을 실망시켰다”고 발언했다. “당사가 투자자들과 대화를 나눠본 결과, 많은 이들이 FY 2분기 실적이 발표될 때까지 관망 혹은 비중축소 전략을 취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 주에 동사 마이크로소프트의 연례 개발자 회의가 예정돼 있지만 주가 상승 촉매제가 될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 다만 “당사는 애주어의 FY 3분기 및 4분기 성장률이 각각 직전 분기 대비 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애주어의 FY 하반기 성장률이 34~35%를 기록할 것임을 의미한다”고 제기했다. 이어 “FY 하반기에 애주어 부문의 성장세가 가속되면서, FY26 전망 또한 개선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5:14


제목 : 마블, 엔비디아보다 프리미엄 높아 룹 캐피탈 *연합인포맥스*
룹 캐피탈은 마블 테크놀로지스(MRVL)에 대한 투자의견 보유, 목표주가 95달러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자들이 AI 학습 및 추론을 위한 고성능 범용 컴퓨터와 가속 컴퓨팅에 투자함으로써 마블이 수혜를 누리고 있다”고발언했다. 그러나 “마블의 선행 PER는 약 45배로, 엔비디아(NVDA)보다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 주가는 적정 수준에 형성돼 있는 듯하다”고 평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5:02


제목 : 퀄컴, 수익원 다양화 필요…보유 커버리지 개시 룹 캐피탈 *연합인포맥스*
룹 캐피탈은 퀄컴(QCOM)에 대한 투자의견 보유, 목표주가 180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퀄컴은 수익원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애플(AAPL)은 자체 통신모뎀으로 전환하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스마트폰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든 상태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AI 업그레이드 사이클이 혼재된 실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양한 요인을 검토한 결과, 동사에 대한 중립적인 투자의견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평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4:53


제목 : 아마존, 직원 정보 유출 발표 *연합인포맥스*
더버지는 “아마존(AMZN)이 데이터 유출로 인해 직원들에게 연결된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건물 위치 정보가 노출되었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사이버 범죄 기업 허드슨 락의 보고서에 따르면 해킹 포럼에 아마존을 비롯해 25개 이상 기관의 데이터가 게재되었으며, 아마존 데이터세트에는 280만 줄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발언했다. 이어 “이번 정보 유출은 ’23년 5월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작년에 발생한 MOVEit 파일 전송 시스템의 주요 보안 취약점과 관련돼 있다”고덧붙였다. 한편 아마존 대변인인 아담 몽고메리는 “아마존과 AWS 시스템은 안전하며, 이번 사건에서 보안 침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유출된 당사 정보는 직원들의 업무용 연락처였다”고 강조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4:46


제목 : 테슬라, 트럼프 지지는 ‘세기의 베팅’…PT 상향 웨드부시 *연합인포맥스*
웨드부시는 테슬라(TSLA)에 대한 투자의견을 아웃퍼폼으로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300달러에서 4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이 이번 목표주가 상향의 주요 배경이었다. 트럼프의 재선은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CEO에 있어 자율주행 및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테슬라의 AI 전략은 단순한 자동차 제조사를 넘어 선도적인 글로벌 기술 혁신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의자를 보여준다. 트럼프 당선은 테슬라가 지난 몇 년간 겪어온 규제 압박을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더욱 광범위하고 전략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자율주행과 AI 시대를 통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할 것이다. 현재 동사는 AI 종목 중 가장 저평가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머스크 CEO가 트럼프 당선인을 전폭적으로 지지한 것은 ‘세기의 베팅’으로 평가될 것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테슬라의 AI와 자율주행 사업 기회 가치는 1조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동사 향후 12~18개월 내로 시가총액 1.5조~2조 달러에 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고 제기했다. “동사는 전기차 업계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사업 규모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25년부터 전기차 보조금이 없는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는 BYD, 니오 등과 같은 저가 업체가 미국 시장에 대거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고 전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4:38


제목 : 에어비앤비, 3분기 실적 무난…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 서스퀘하나 외 *연합인포맥스*
에어비앤비(ABNB)가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서스퀘하나: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30달러에서 160달러로 상향. “에어비앤비의 3분기 실적은 대체로 무난했으며, 경영진은 동 기간에 사업이 개선되었다고 시사했다”고 발언했다. 다만 “4분기 EBITDA 가이던스가 실망스럽게 제시되면서 ‘25년 마진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 씨티: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35달러에서 158달러로 상향. “에어비앤비의 3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좋았다. 동사의 사업 투자가 예약 성장 재가속화와 여행 시장 점유율 확대를 이끌 것이다”고 보았다. 이어 “동사는 핵심 사업을 잘 운영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을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4:33


제목 : Cboe 글로벌 마켓, 美 대선 이후 변동성으로 수혜 예상 - DB *연합인포맥스*
CNBC는 “도이치방크가 대선 후 변동성 급증의 수혜주로 Cboe 글로벌 마켓(CBOE)을 선정했다”고 보도했다. 도이치방크의 브라이언 베델 애널리스트는 “Cboe가 최소 ‘25년까지는 견고한 매출 성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미 대선 이후 확대된 증시 변동성으로 인해 지수 및 변동성 옵션과 선물 거래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중기적 또는 단기적이라도 유지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로빈후드 마켓(HOOD)과 같은 중개 플랫폼에서의 추가적인 상품 혁신과 옵션 사용 증가도 Cboe의 유기적 매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고 덧붙였다. “Cboe의 경영진은 올해 7%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중기적으로 7~10%의 연간 성장률을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는 시장 데이터와 접근 수수료의 지속적인 시너지 성장이 포함된다”고 발언했다. 이어 “동사는 현재 S&P 500 지수 옵션 거래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제로데이 옵션(0DTE)의 성공적인 성장을 기반으로 다양한 만기일, 더 작은거래 단위, 지수, 변동성 거래 방식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Cboe가 ‘25년에는 8%, ‘26년에는 6%의 매출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전 전망치인 6%와 3%에서 상향 조정된 것이다”고 언급했다. 한편 베델 애널리스트는 Cboe 글로벌 마켓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211달러에서 222달러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4:12


제목 : 워너브라더스, 해외 시장 성장 가속 등 낙관 - 울프리서치 *연합인포맥스*
울프리서치는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에 대한 투자의견을 언더퍼폼에서 중립으로 상향 조정했다. 애널리스트는 “동사의 총부채가 400억 달러에 달하더라도 동사 주가는 균형 잡힌 위험 대비 보상 비율을 보인다”고 언급했다. “동사는 맥스의 재결합 및 파트너십 추세가 안정적인 펀더먼털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맥스의 국제적 확장과 의미 있는 수익성에 대한 변곡점은 워너가 부채를 갚고 더 건전한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잉여현금흐름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한편 11일(월)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주가는 전일 대비 1.63% 상승한 9.33달러를 기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2:53


제목 : 세일즈포스, 1,000명 이상 신규 채용 예정...AI 사업 강화 일환 *연합인포맥스*
BW피플은 “세일즈포스(CRM)가 1,000명 이상의 직원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인 에이전트포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1,000명 이상의 신규 직원을 추가할 방침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에이전트포스는 기업이 복잡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마크 베니오프 CEO는 “이번 채용은 에이전트포스가 상장 이래 창출한 놀라운 모멘텀과 고객 피드백 활용을 목표로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매체는 “이번 채용 이니셔티브는 AI 기반 솔루션 확장을 통해 사업 프로세스 자동화에 대한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려는 동사의 노력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12 Nov, 02:42


제목 : 오픈AI, 새로운 기법으로 AI 훈련 중 *연합인포맥스*
시킹알파는 “오픈AI는 새로운 기법으로 인공지능(AI)을 훈련 중이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오리온이라는 대형언어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적용 중이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전 모델과 동일한 정도의 개선을 보이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오리온은 작업을 완료하고 질문에 답하는 능력 면에서는 챗GPT-4를 능가하고 있지만, GPT-3에서 GPT-4로 개선된 것보다 훨씬 적게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이는 대규모 언어 모델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가 부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23:18


[키움 글로벌 ETF 김진영]

오늘은 어떤 ETF를 볼까? - ETF를 통해 본 인기 상위 종목은?


▶️ ETF의 또 다른 기능? 종목 발굴 아이디어 얻기
- ETF 투자 자체뿐만 아니라, ETF의 포트폴리오 변화에 따라 개별 종목에 대한 투자 아이디어 획득 가능

▶️ 사례1) Qraft AI-Enhanced U.S. Large Cap Momentum ETF (AMOM)

- Qraft AI 모델이 모멘텀 팩터를 최적화해 100~200개 종목 유니버스를 구성. 매크로 및 펀더멘털 데이터를 학습해 월간 주기로 편입 종목과 비중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ETF
- 환율, 뉴스 등 비정형 정보 분석, 팩터를 비선형적 방식으로 결합, 모델 성과 실시간 평가 결과를 지속적으로 팩터 값에 반영하여 업데이트
- 최근 애플과 아마존 비중 확대, 엔비디아와 테슬라 모멘텀 활용하여 투자 성과 증가

▶️ 사례2) Amplify Thematic All-Star ETF (MVPS)

- ETFAction이 분류한 테마형 ETF 유니버스 中 가장 높은 비중과 인기를 가진 종목(해당 종목에 투자하는 ETF 수)을 선별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ETF
- 월 1회 리밸런싱 진행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ETF 환경 및 투자자들의 심리를 빠르게 반영 가능
- 현재는 엔비디아가 비중 1위로 테마형 ETF 中 엔비디아의 영향력이 가장 높다고 해석 가능

▶️ 사례3) Strategas Macro Thematic Opportunities ETF (SAMT)
- Macro Thematic Trends 수혜를 받는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매크로 트렌드 변화에 따라 3~5개 테마를 선정, 이에 부합하는 종목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ETF
- Macro란 경제, 정부 정책, 팬데믹, 전쟁 등 개별 기업들이 통제하기 힘든 요소들에 초점을 맞춘 Top-down 방식의 접근. Thematic은 시장에서 유행하고 있거나 그럴 것으로 판단되는 주제나 견해를 의미
- 현재 선정된 매크로 테마는 총 4개로 1) 탈세계화(De-Globalization), 2) 캐시카우(Cash Flow Aristocrats), 3)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4) 전력공급원(Industrial Power Renaissance)

리포트: https://buly.kr/7FQ8KVB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23:17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10/25)

(10/24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81%, SPY 0.22%, DIA -0.32%, IWM 0.22%

*미국 상승 업종 : XLY 3.15%, XLC 0.34%, XLK 0.29%, XLRE 0.23%
*미국 하락 업종 : XLB -1.22%, XLI -0.69%, XLV -0.66%, XLU -0.65%

*1M Highs : MSTX 17.67%(마이크로스트레티지 x1.75레버리지), PALL 9.02%(팔라듐), CRPT 4.42%(암호화폐), SPPP 3.58%(백금&팔라듐)
*1M Lows : CRSH -15.18%(테슬라 인버스 커버드콜), EIRL -3.45%(아일랜드 주식), LBAY -2.22%(주식 롱숏), BBH -1.59%(美바이오테크)

(Daily News)
Citigroup unveils plan to power active ETF surge in Europe
- 미국 3대 은행인 Citigroup, 2025년 1분기 내 유럽 ETF 시장 내 화이트라벨 플랫폼 Citi Velocity ETF 런칭 예정
- 대형은행으로써는 지난해 골드만삭스가 ETF Accelerator라는 화이트라벨 서비스를 오픈한 데 이어 두 번째
- Citi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액티브 매니저들이 유럽 ETF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도울 것이라 언급. 모닝스타에 따르면, 3분기 유럽 상장 ETF 순유입 자금의 8.4%를 액티브 ETF가 차지
https://buly.kr/7bFeHfg

Nvidia Is Dominating Single-Stock ETFs
- 엔비디아의 독자적인 랠리의 여파가 니치 마켓인 Single-stock ETF 영역으로 확산되는 중
- Single-stock ETF 유형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엔비디아 단일종목에 투자하는 ETF가 차지. Single-stock ETF의 선구주자인 GraniteShares는 엔비디아는 투자자들이 가장 확신을 가지고 매매하는 전세계 유일한 주식이라고 평가
https://buly.kr/DwCvb2i

KB자산운용 ETF 활용해 디딤펀드 비용 절감 등
- 23일 KB자산운용은 투자 위험이 다른 다양한 자산에 탄력적으로 투자하는 'KB 디딤다이나믹 자산배분펀드'를 출시
- 'KB 디딤다이나믹 자산배분펀드'는 글로벌 채권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추구하며, 시황에 따라 글로벌 주식 비중을 30~50% 범위 내에서 조정하며 초과수익 추구. 다양한 국내외 대표시장 지수를 추종해 광범위한 분산투자 효과 기대 가능
- 급변하는 시장에 빠르게 대응함과 동시에 유동성 제고와 비용 절감을 위해 국내외 상장지수펀드(ETF)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
https://buly.kr/1c7svwJ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22:56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10/25)
(10/24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809.86 / 0.21%
NASDAQ 종합 18,415.49 / 0.76%
다우산업 42,374.36 / -0.33%
러셀2000 2,218.92 / 0.23%
필라델피아 반도체 5,157.61 / 0.51%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자동차 및 부품 (18.00%), 유통 (0.63%), 은행 (0.63%)
Low 3: 소재 (-1.42%), 제약 (-0.96%), 자본재 (-0.72%)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자동차 및 부품 18.00%
유통 0.63%
은행 0.63%
호텔/레저 0.57%
반도체 및 장비 0.52%
내구소비재/의류 0.44%
엔터/미디어 0.27%
가정용품 0.21%
소프트웨어 0.07%
하드웨어 0.00%
통신 -0.02%
금융 -0.08%
부동산 -0.11%
에너지 -0.19%
보험 -0.20%
헬스케어 -0.28%
식료품 -0.33%
음식료 및 담배 -0.35%
상업 및 전문서비스 -0.66%
운송 -0.69%
유틸리티 -0.71%
자본재 -0.72%
제약 -0.96%
소재 -1.42%

- 종목별 수익률
High 3: TSLA (21.92%), MOH (17.67%), WST (15.43%)
Low 3: NEM (-14.70%), TER (-11.02%), CARR (-8.82%)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07%
Growth 0.63%
Quality -0.21%
High Dividend -0.15%
Low Votality -0.26%
Enhanced value 0.09%
Value -0.33%
High Beta 0.70%

- 주요 뉴스
Tesla rallies most in over a decade on Musk's bold EV forecast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allays-investor-fears-with-crucial-ev-growth-forecast-shares-jump-2024-10-24/

US labor market plodding along, but jobs becoming more scarce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weekly-jobless-claims-unexpectedly-fall-2024-10-24/

US business activity rises in October; price pressures easing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business-activity-rises-october-price-pressures-easing-2024-10-24/

Bank of Japan cautiously upbeat on US outlook, warns of jittery markets
https://www.reuters.com/markets/japan-urges-g20-be-vigilant-excessive-fx-volatility-2024-10-24/

IMF chief says world economy at risk of low-growth malaise, rising dissatisfaction
https://www.reuters.com/world/imf-chief-says-world-economy-risk-low-growth-malaise-rising-dissatisfaction-2024-10-24/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22:24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미국 주식 조민주]

"넥스트에라 에너지(NEE.US): 배당 매력 보유한 신재생 에너지 기업

FY3Q24(9월말) 실적은 매출액 75.7억달러(YoY +5.5%, QoQ +24.7%, 컨센서스 대비 -4.3%), 영업이익 28.6억달러(YoY +55.6%, QoQ +71.0%, 컨센서스 대비 +3.7%), 영업이익률 37.7%(YoY +12.1%p, QoQ +10.2%p, 컨센서스 대비 +2.9%p), 조정 순이익21.3달러(YoY +10.8%, QoQ +8.1%, 컨센서스 대비 +4.9%), 조정 EPS 1.03달러(YoY +9.6%, QoQ +7.3%, 컨센서스 대비 +5.0%)를 기록

사업부별로 FPL(Florida Power&Light Company)는 기존 투자 확대 영향으로 rate base(유틸리티 기업의 요금 부과를 위한 자산 가치)가 YoY +9.5% 증가하면서 EPS 0.63달러(YoY +8.6%)로 개선. NEER(NextEra Energy Resources) 사업부는 포트폴리오 확대에 힘입어 조정 EPS가 0.47달러로 YoY +9.3% 증가

최근 2분기 연속 수주잔고에 3GW 규모 신재생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가 추가. 2030년까지 Fortune 50 기업 2곳과 10.5GW 규모의 신재생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계약 체결 발표

미국 전력 수요 확대와 신재생 에너지 관련 설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환경은 동사에게 우호적


보고서 링크: https://buly.kr/H6gZFMb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20:46


제목 : 테슬라, 매출총이익 개선 등 긍정적 평가 - BofA *연합인포맥스*
야후 파이낸스는 “23일(수) 테슬라(TLSA)가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다수의 긍정적인 성과를 발표하자, 24일(목) 21.92% 급등 마감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Bank of America는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매수로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255달러에서 265달러로 상향조정했다. John Murphy 애널리스트는 “당사가 테슬라의 EPS 전망치를 소폭 상향조정했다. 이는 (원가 절감으로 인한) 3분기 매출총이익 개선, 사이버트럭 양산, 경영진 실행력 및 비용 절감, 정부 보조금 등에 힘입은 것이다”고 평가했다. Murphy 애널리스트는 “동사 자동차 부문 매출 총이익률의 견고함을 목격했고, 에너지 및 서비스 부문 실적도 당사 추정치를 상회했다(테슬라는 2025년 이들 두 부문의 매출 증가를 예상했다)”고 설명했다. 동 애널리스트는 “테슬라의 긍정적인 어닝스 콜 이후 당사가 내린 결론은, 동사가 다음 성장세를 맞이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영진은 2025년판매량 20~30% 증가를 전망했으며, 이러한 큰 변화는 2025년 상반기 보급형 전기차 생산 개시 및 사이버캡에 의해 촉발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로보택시 이벤트 이후 테슬라 FSD 보급 확대를 목격했다. 그리고 4680 배터리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도 전해졌으며, 동 배터리는비용 측면에 있어 미국 내 가장 경쟁력이 우위인 상품이다”고 평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4:30


제목 : 테슬라(TSLA), 호실적 유지하기 어렵고 밸류에이션 높아 JPM 외 *연합인포맥스*
제이피모간체이스의 Ryan Brinkman 애널리스트는 테슬라의 강력한 실적이 장기적으로 유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테슬라 3분기 실적에서는 예상보다 강력한 이익률, 그리고 ‘25년에 걸쳐 20~30%의 판매량 증가세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경영진 발언 등이 주목받았고 이것이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테슬라의 이러한 호실적이 장기적인 주가 상승세를 지지할지는 불확실하다. 테슬라 이익률이 우수하게 나타난 데에는 여전히 규제크레딧 판매가 매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3분기 달성된 테슬라의 수익성과 현금흐름 등은 장기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것이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비중축소를 유지했다. 목표주가는 130달러에서 13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한편 웰스파고의 Colin Langan 애널리스트는 “테슬라는 3분기에 강력한 실적을 발표했으나, 이것이 테슬라에 대한 투자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테슬라의 주가는 ‘25년 실적 전망치 기준 90배를 상회하는 밸류에이션에 거래되고 있다. 로보택시 기대감,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 등이이러한 밸류에이션의 배경이 되었으나, 이러한 기회들은 여전히 구체적인 사업 모델이 불투명하다”고 분석했다. 비중축소 의견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125달러로 제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4:21


제목 : 10월 24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메타 플랫폼스(META): Bernstein은 핵심 사업들의 성장세가 매우 견고하며, 인공지능 시장기회도 막대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장기간 보유할 수 있는 매력적인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outperform 의견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600달러에서 6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마이크로소프트(MSFT): TD Cowen은 실적발표를 앞두고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하는 실적이 발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매수 의견 및 목표주가 495달러를 유지했다. ▲ 아마존닷컴(AMZN):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지만, 4분기 가이던스에 대해 월가의 컨센서스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경계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 애플(AAPL): Rosenblatt은 iPhone이 아직 슈퍼사이클에 진입하지 못했다고 평가했으나, 투자 여전히 견고한 매출 성장세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 IBM(IBM):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매크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동사 소프트웨어 부문의 성장 전망이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매수의견을 유지했다. ▲ AMD(AMD): Susquehanna는 실적발표를 앞두고 경영진의 우수한 실행력이 투자 전망을 지지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긍정적 전망 의견을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2:42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테슬라, 판매량 증가세 자신감에 14% 급등 *연합인포맥스*
▲ 테슬라(TSLA): 실적발표에서 순이익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25년에 걸쳐 20~30%의 판매량 증가세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되면서프리마켓에서 14.10% 급등하고 있다. ▲ 램 리서치(LRCX):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6.00% 상승하고 있다. ▲ 시드릴(SDRL): 경쟁사 트랜스오션(RIG)과의 M&A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9.41% 급등하고 있다. ▲ 뉴몬트(NEM):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4.42% 급락하고 있다. ▲ T 모바일(TMUS): 컨센서스 대비 우수한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2.08% 상승하고 있다. ▲ 보잉(BA): 파업 중인 보잉 노조가 이번에 제시된 합의안을 거부했고, 파업이 더 연장될 전망이다. 프리마켓에서 2.09% 하락하고 있다. ▲ 마텔(MAT): EPS는 컨센서스를 상회했지만, 매출이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다. 프리마켓에서 3.66% 상승 중이다. ▲ 허니웰(HON): EPS는 컨센서스보다 우수했으나,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프리마켓에서 2.42% 하락하고 있다. ▲ 노스롭 그루먼(NOC): 매출은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EPS는 예상보다 견고하게 나타났다. 프리마켓에서 1.67% 상승 중이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2:22


제목 : 테슬라(TSLA), 자동차 사업 성장세 자신감 확산 MS 외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의 Adam Jonas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자동차 사업부 성장세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적발표였다고 평가했다. “3분기 호실적과 ‘25년 생산량 및 판매량 목표치는 테슬라에 대한 투자심리를 지지할 것이다. 그간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테슬라 자동차 사업의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타났지만, 이러한 실적을 통해 자동차 사업이 저점을 지나 회복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나타날 것이다”고 기대했다. “’25년 출시될 신제품과 이를 통한 매출 성장 전망 또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해소시킬 전망이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310달러로 제시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John Murphy 애널리스트는 “테슬라는 다시 한 번 성장세가 가속되는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테슬라 경영진은 현재의 성장 펀더멘털과 미래 성장기회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특히 ‘25년에 20~30%에 달하는 판매량 증가가 예상된다는 점은 테슬라 투자에 대한자신감을 대폭 향상시켜준다”고 발언했다. “Cybercab 생산이 시작되고, 텍사스 주와 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로보택시 사업이 확대될 것이다. 또한 상하이 설비에서는 배터리 생산이 증가하면서 에너지 저장장치 사업 성장세가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Semi 전기트럭은 ‘25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26년에 본격적으로 양산될 전망이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55달러에서 26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1:36


제목 : [실적 속보] 아메리칸(AAL), 호실적 발표에도 주가 하락 *연합인포맥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는 ‘24년 3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36.5억 달러(+1.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8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30달러(-21.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3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3.66% 하락하고 있다. 여객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했고, 항공화물 매출은 5.0% 증가했다. 단위매출(RASM)은 2.0% 감소했으며 연료를 제외한 단위비용(CASM-x)은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말 시점에서 118억 달러의 유동성을 보유했으며, ‘25년 말까지 150억 달러의 부채 상환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계획을 언급했다. 경영진은 ‘24년 전체 EPS 가이던스를 1.35~1.60달러로 제시했는데, 이는 컨센서스 1.31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한편 CASM-x 전망치는 기존1~3% 증가에서 2~3% 증가로 하단을 상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1:20


제목 : [실적 속보] 사우스웨스트(LUV), 호실적과 자사주매입 전략에 상승 *연합인포맥스*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스는 ‘24년 3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68.7억 달러(+5.2%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8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15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1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15% 상승 중이다. 3분기 매출은 역대 최고치였다. 단위매출(RASM)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고, 이는 가이던스에 부합한다. 다만 연료 제외 단위비용(CASM-x)은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유동성은 104억 달러를 보유했는데, 이는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스가 보유한 부채 80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또한 25억 달러의 자사주매입 계획 중, 2.5억 달러를 가속매입절차(ASR)에 따라 매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24년 4분기 RASM은 3.5~5.5%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 CASM-x는 11~13%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1:15


제목 : [실적 속보] UPS(UPS), 매출 호조 발표하며 주가 급등 *연합인포맥스*
UPS는 ‘24년 3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22억 달러(+5.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7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76달러(+12.1%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4달러 상회한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8.64% 급등하고 있다. 미국 부문은 일일 평균 물류량 6.5% 증가를 중심으로 매출이 5.8% 증가했고 / 해외 부문은 물류 1건당 평균 매출이 2.5% 증가하는 것을 중심으로 매출이 3.4% 증가했다. / 한편 공급체인 솔루션 부문의 매출은 8.0% 증가했는데, 항공/해운 포워딩 증가세가 견고했다. 3분기 매출은 2년만에 처음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한편 영업이익률은 8.9%로 나타났다. 경영진은 ‘24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930억 달러에서 911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는 컨센서스 918.7억 달러를 하회한다. 영업이익률은 9.6%로 예상했다. 이사진은 배당 예산으로 54억 달러를 승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10:09


제목 : 서비스나우(NOW), 장기 펀더멘털 자신감 견고 - 바클레이즈 *연합인포맥스*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는 서비스나우의 장기적인 성장 펀더멘털에 대한 자신감을 강조했다. “서비스나우는 잔여계약의무(RPO) 195억 달러(+36%)와 같이 견고한 실적 펀더멘털을 발표했다. 서비스나우에 대한 투자전략은 전과 같이 유효하다”고 보았다. “단기 실적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지만, 장기적인 성장세에 대한 자신감이 강화됨에 따라 주가 상승세가 시작될 것이다. 경쟁사보다 우수한매출 추이를 기대할 수 있다”고 낙관했다. 이어 “서비스나우의 인공지능 솔루션은 우수하며, 당사는 이것이 향후 서비스나우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고 본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목표주가는 980달러에서 1,0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9:52


제목 : 코카콜라(KO), 환손실 심화되며 실적 실망 - MS *연합인포맥스*
모간스탠리의 애널리스트는 코카콜라 실적내용이 실망스러웠다고 정리하면서, 환손실 등의 문제를 언급했다. “코카콜라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판매량이 다소 저조했음을 밝혔으며, 이는 EPS 부진과 주가 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경영진은 환손실이 상당한 규모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가가 예상했던 것보다 큰 폭의 환손실이 실적 악화를 경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자체매출 성장세는 강력했으며, 특히 동종기업 대비 판매량 증가세가 양호했다. 가격경쟁이 해소되고 있는 것이 코카콜라 판매량을 지지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를 78달러에서 76달러로 하향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9:25


제목 : 버라이존(VZ), 성장 기대감 약화, 자본배분 재검토해야 - KeyBan *연합인포맥스*
KeyBanc의 애널리스트는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의 성장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투자매력도 떨어졌다고 전했다. “버라이존이 발표한 실적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특히 ‘25년에 EBITDA 성장세가 가속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이투자전략에 부정적이다”고 발언했다. “버라이존의 잉여현금흐름 증가세는 앞으로 더욱 둔화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 프런티어 커뮤니케이션스(FYBR) 인수 검토는 효과적이지 않은 자본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여유자본을 자사주매입에 투입하는것이 더 효과적이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섹터비중으로 하향 조정했다. “버라이존에 대한 투자는 밸류에이션이 축소되거나, 성장 전망이 개선되었을 때 검토되어야 한다”고 정리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9:15


제목 : KLA(KLAC), 수요 우려로 주가 하락했지만 낙폭 과도 - DB *연합인포맥스*
KLA는 오는 10월 30일에 FY25 1분기(7~9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Deutsche Bank의 애널리스트는 최근 반도체 장비 섹터에서 나타난 주가 하락을 정리하면서, KLA의 낙폭이 과도했다고 판단했다. “지난 ▲ ASML(ASML) 실적발표에서 수주 감소와 매출 가이던스 하향이 이루어진 이후, KLA는 반도체 장비 섹터 전반적인 하락과 함께 주가가 20% 하락했다. 하지만 이는 과도한 낙폭인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글로벌 2위, 3위 파운드리 업체들의 투자지출이 둔화되고 있고, 이는 반도체 장비 섹터의 전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고려해도 KLA의 주가 하락은 지나쳤다”고 분석했다. 이어 “당사는 동종기업에 비해서는 KLA의 실적 성장 펀더멘털이 더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고 정리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90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9:14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미국 주식 조민주]

"테슬라(TSLA.US): 성장에 성장을 더하여

▶️ FY3Q24(9월말) 실적은 매출액 251.8억 달러(YoY +7.8%, QoQ -1.2%, 컨센서스 대비 -1.0%), 영업이익 27.2 억 달러(YoY +54.0%, QoQ +69.3%, 컨센서스 대비 +38.5%), 영업이익률 10.8%(YoY +3.2%p, QoQ +4.5%p, 컨센서스 대비 +3.1%p), 조정 순이익 25.1억 달러(YoY +8.2%, QoQ +38.2%, 컨센서스 대비 +21.4%), 조정 EPS 0.72 달러(YoY +9.1%, QoQ +38.5%, 컨센서스 대비 +20.8%) 기록

▶️ 영업이익, EPS 서프라이즈 배경으로는 1)차량당 매출원가가 35,100 달러로 역대 최저치 기록, 2)배출권 규제 크레딧 판매 예상치 상회

▶️ FSD 매출은 고객 락인(Lock-In)을 위한 전략이 일부 성공하며 30.3억 달러(QoQ +8.5%, YoY +37.4%) 기록, ESS사업부는 Powerwall이 3분기 연속 기록적 판매량 달성하며 GPM 30.5%(QoQ +5.9%p YoY +11.8%p) 달성

▶️ FSD를 위한 AI 모델 학습 환경은 1)Gigafactory Texas에서 29,000개의 H100 클러스터 이미 구축 완료. 2)'24년 10월까지 50,000개의 H100 용량을 확보할 계획

보고서 링크: https://buly.kr/FhMVCZ2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9:14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미국 주식 조민주]

"프리모트 맥모란(FCX.US): 기대와 우려의 공존

FY3Q24(9월말) 실적은 매출액 67.9억 달러(YoY +16.6%, QoQ +2.5%, 컨센서스 대비 +5.3%), 영업이익률 28.5%(YoY +16.5%p, QoQ -5.4%p, 컨센서스 대비 -3.8%p), 조정 EPS 0.38 달러(YoY -2.6%, QoQ -17.4%, 컨센서스 대비 +4.1%)

미국의 파워케이블 및 와이어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구리, 금 판매량 예상치 상회; 판매량: 구리 10.4억 파운드(YoY -6.7%, QoQ +11.2%, 컨센서스 대비 +1.8%), 금 55.8 만 온스(YoY +39.8%, QoQ +54.6%, 컨센서스 대비 +18.1%), 몰리브덴 1,900 만 파운드(YoY -5%, QoQ -9.5%, 컨센서스 대비 -4.8%)를 기록

순수 구리 생산 비용인 구리 단위당 순현금 비용(Unit net cash costs per pound)은 FY3Q24 기준 파운드당 1.39$를 기록하며 지난 분기(3.48$) 대비 50% 가까이 하락

광산 노후화로 인한 생산성 하락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확장적 시도 적극적으로 진행 중

보고서 링크: https://buly.kr/4mbWNmA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9:05


제목 : 테슬라(TSLA), 이익률 개선된 점이 투자심리에 긍정적 GS 외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의 Mark Delaney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실적발표에서 이익률이 상승한 점이 투자 전망을 개선시켜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테슬라 실적발표에서는 예상보다 우수한 매출총이익률이 확인되었다. 또한 ‘24년에 걸친 판매량 증가세와 ‘25년 20~30%에 달하는 판매량증가 전망이 강조되었다. 당사는 특히 영업이익률이 10.8%로 전년 동기 대비 3.2%p 상승하는 등 이익률 개선이 확인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테슬라에 대한 투자전략은 ‘25년 자율주행 기술의 발달 수준 그리고 차량 판매량 목표치 달성 여부에 달려있다. 현재의 이익률이 유지될 수 있을지도 주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230달러에서 2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한편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는 “이번 실적발표가 테슬라의 ‘25년 생산 및 판매량, 자율주행 개발 상황, Model 2.5 출시 가능성 등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켜주는 것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테슬라 이익률이 저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투자자들이 과도한 기대치를 조정하면서 투자 전망은 개선될 것이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시장비중과 목표주가 220달러를 유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 Oct, 08:44


제목 : 퀄컴(QCOM), Arm과의 분쟁은 합의로 귀결될 것 - Bernstei *연합인포맥스*
퀄컴은 오는 11월 6일에 FY24 4분기(7~9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Bernstein의 Stacy Rasgon 애널리스트는 Arm과 퀄컴의 분쟁이 결국 합의로 귀결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Arm(ARM)이 퀄컴의 라이선스를 60일 후 취소하겠다고 통보했다. 이는 퀄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품들의 판매를 중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퀄컴과 Arm의 관계가 이렇게 단절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언급했다. “지난 ‘19년에 퀄컴이 ▲ 애플(AAPL)과 법적분쟁을 경험한 바 있다. 당시 본격적인 재판에 들어서자마자 양사는 합의점을 도출하는 데 성공했다. 퀄컴은 이러한 기록을 다수 가지고 있으며, Arm과의 분쟁 또한 같은 결과로 이어질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퀄컴과 Arm은 상호 상당한 규모의 매출을 의존하고 있는 기업이며, 라이선스 취소는 양측 모두 피해만을 입게 된다”고 강조했다. “단기적으로는 마찰에 대한 우려가 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하겠지만, 최종적으로는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Arm과 퀄컴의 주가가 회복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8:04


제목 : 제너럴 모터스(GM) 강력한 펀더멘털, 자동차 섹터 투자심리에도 기여 *연합인포맥스*
Seeking Alpha는 제너럴 모터스 3분기 실적에 대한 긍정적 의견을 열거하면서, 이것이 동시에 자동차 산업 투자심리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제너럴 모터스의 우수한 실적에 크게 기여한 사업부는 북미 내연기관 자동차 차량 부문이었으나, 전기차 사업부의 경우에도 판매량이 우수했다. 이제 제너럴 모터스는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10%에 육박하고 있으며, 이는 2분기 7.1%에서 크게 확대된 것이다"고 언급했다. "앞으로 Silverado EV, Equinox Ev, Blazer EV 등이 출시될 전망이며, 이는 제너럴 모터스가 전기 픽업트럭 및 SUV 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임을 가리킨다"고 분석했다. 모간스탠리의 Adam Jonas 애널리스트는 "제너럴 모터스가 북미 내연기관 차량 부문의 높은 이익률을 방어하는 한편,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술 관련 손실을 차츰 줄여가는 형태로 수익성 개선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 시장에서는 점유율 하락이 나타나고 있었다. Wedbush의 Dan Ives 애널리스트는 "순이익 가이던스가 상향 조정되는 등, 제너럴 모터스가 우수한 수익성을 바탕으로 주주환원을 확대할 여건이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호실적을 바탕으로, 22일 ▲ 제너럴 모터스 주가는 9.8% 급등했고 ▲ 포드 모터(F) +2.1% ▲ 스텔란티스(STLA) +1.6% 등을 기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6:44


제목 : 스타벅스(SBUX) 예비실적, 매출 감소 등 실망 나타나 *연합인포맥스*
스타벅스는 오는 10월 30일에 FY24 4분기(7~9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스타벅스는 실적발표를 앞두고, 예비실적 내용을 다음과 같이 공개했다. ▲ 글로벌 동일매장매출 -7% YoY ▲ 순매출 91억 달러(-3%). (vs. 컨센서스 94억 달러) ▲ 비GAAP EPS 0.80달러(-24.5%). (vs. 컨센서스 1.03달러) ▲ 스타벅스의 이러한 예비실적 내용은 22일 애프터마켓에서 주가가 4.16%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북미 동일매장매출이 6% 감소한 점이 이러한 실적 부진의 배경으로 언급되었다. 북미 시장에서 스타벅스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10%p 매출 감소 영향이 발생했고, 평균 거래가격(ticket)이 상승하면서 4%p 매출 증가 효과가 있었다. 중국의 경우에도 동일매장매출이 14%나 감소했는데, 거래량 감소가 -6%p, 평균 거래가격 하락이 -8%p 영향을 미쳤다. 최근 경영진 교체가 이루어진 스타벅스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FY25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사진은 분기배당을 0.57달러에서 0.61달러로 인상하는 것을 승인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6:28


제목 : 루시드 CEO, 자본조달 해명…IB 의견은 부정적 MS 외 *연합인포맥스*
CNBC는 “최근 루시드 그룹(LCID)가 17.5억 달러의 외부 자금을 조달한 가운데, 피터 롤리슨 CEO는 투자자들이 이를 오해하고 있다고 발언했다”고 보도했다. “자금 조달 소식이 전해진 후 루시드 주가는 3년래 최악의 일일 낙폭을 기록했는데, 롤린 CEO는 이번 조치가 성장을 위한 충분한 자본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결정이었다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롤린 CEO는 ’25년 4분기까지 루시드의 현금 보유량이 충분하다고 밝혔다”고 덧붙였다. 한편 모간 스탠리의 아담 조나스 애널리스트는 “루시드의 이번 자금 조달은 예상보다 대규모로 빠르게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RBC 캐피털 마켓의 톰 나라얀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이미 낮은 주가 수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이유에 의문을 가질 것이다”고 지적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6:11


제목 : 행동주의 투자자, 화이자 CEO 겨냥 *연합인포맥스*
바론스는 “행동주의 투자자인 스타보드 밸류가 화이자(PFE)를 겨냥한 캠페인을 본격화하면서 앨버트 불라 CEO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고보도했다. “22일(화)에 스타보드 밸류의 제프 스미스 CEO는 13D 액티브-패시브 컨퍼런스에서 불라 CEO의 해임을 명시적으로 요구하지는 않았지만, 화이자 경영진이 중요한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으며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또한 “코로나19 판데믹이 상당한 가치를 창출했어야 맞다고 주장하면서, 불라 CEO가 취임한 이후로 동사가 동종업체 대비 크게 뒤처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고 덧붙였다. “화이자의 경우 코로나19 판데믹 동안 백신 개발로 인한 수혜를 누렸지만, 블록버스터 약의 특허 만기를 앞두고 있어 주가에 하방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19년에 불라가 CEO로 취임한 이후로 동사 주가는 30% 하락한 상태이다”고 발언했다. 한편 22일(화) 화이자 주가는 전일 대비 0.31% 하락한 28.84달러에 마감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5:53


제목 : 마이크로소프트, FY25 말까지 성장 가속 낙관 룹 캐피탈 *연합인포맥스*
룹 캐피탈은 마이크로소프트(MSFT)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00달러를 유지했다. “FY25 1분기(’24년 7~9월)에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유한 주요 성장 동력 중 많은 부분에서 완만한 가속이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성장세는 FY25 말까지 지속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최근 IT 업계의 지출 환경이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으며, 연초부터 새로운 클라우드 이니셔티브의 워크로드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오는 30일에 마이크로소프트의 FY 1분기 영업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5:45


제목 : Arm, 퀄컴 칩설계 명령어 사용권한 취소 *연합인포맥스*
나인투파이브구글은 “퀄컴(QCOM)과 Arm(ARM) 간의 분댕이 심화되면서 Arm이 퀄컴의 칩 설계에 필요한 명령어 사용 권한을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주요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Arm은 퀄컴이 칩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Arm의 지적재산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한 라이선스를 취소했다. 양측 간의 분쟁이 60일의 통지 기간 내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퀄컴은 제품 판매를 중단하거나, 막대한 손해배상 청구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Arm이 라이선스 취소를 강행한다면 퀄컴은 더 이상 Arm의 명령어 집합을 사용해 자체 설계를 할 수 없게 된다. 라이선스 취소 후에도퀄컴은 Arm의 설계도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별도의 제품 계약을 필요로 해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수반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퀄컴이 ’22년에 누비아를 인수한 이후로 Arm와의 법정 분쟁이 불거졌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5:38


제목 : 넷플릭스, 블록버스터급 비디오게임 개발 중단 WSJ *연합인포맥스*
월스트릿저널은 “넷플릭스(NFLX)가 블록버스터급 비디오게임 대신 캐주얼 게임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월초 동사는 기존에 개발 중이었던 AAA급 게임 개발 프로젝트를 1년 미만 만에 중단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 과정에서 약 30명으로 구성된팀이 해고되었다”고 발언했다. “AAA급 게임은 일반적으로 콘솔과 게임용 컴퓨터를 위해 개발되며, 개발 비용이 수억 달러에 이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동사는 넷플릭스 임 컨트롤러>라는 새로운 앱을 개발 중이다. 동 앱은 스마트폰을 컨트롤러로 변환하여 TV나 컴퓨터에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현재 미국, 독일, 멕시코 등 6개 국가에서 시험 중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넷플릭스는 제3자가 개발한 AAA급 게임을 여전히 자사 플랫폼에 추가할 가능성이 있다. 연초 동사는 테이크투 인터랙티브(TTWO)의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중 세 가지 게임을 추가한 바 있다. 동 게임들은 2000년대 초에 처음 출시됐다”고 언급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5:21


제목 : 메타, 두자릿수 매출 성장률 유지 가능 제프리스 *연합인포맥스*
제프리스는 메타 플랫폼스(META)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600달러에서 6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24년 2분기 영업실적 발표 이후로 메타 주가는 21% 상승했다. 그러나 채널 점검 결과,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메타의 ’24년 3분기 실적은 경영진이 당초 제시한 가이던스 범위의 중간값을 상회했을 것이며, 경영진은 4분기 가이던스를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제시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이어 “당사는 메타의 ’25년 EPS 전망치로 26달러, ’26년 전망치로는 30달러를 제시한다. 동사는 두 자릿수의 매출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낙관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5:01


제목 : 코스트코, 강력한 성장세 유지 가능 번스타인 *연합인포맥스*
번스타인 리서치는 코스트코 홀세일(COST)에 대해 투자의견 아웃퍼폼, 목표주가 1,016달러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지한 마 애널리스트는 “오늘날의 미국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다. 이는 소비자들이 일상적인 식료품에서 매력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소매업체를 점점 더 찾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고 발언했다. “코스트코의 경우 특유의 비즈니스 모델로 인해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다.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한 셀프서비스 창고형 사업 모델은 코스트코가 대형 소매업체들보다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했다. 또한 커클랜드 자체 브랜드나 금괴 판매 등의 제품 구성은 고객 충성도를 강화하는 요인이다”고 설명했다. “코스트코의 선행 PER는 약 50배로, 업계 평균인 14배보다 훨씬 높다. 그러나 이는 단 한 해의 수익을 반영하는 것으로, 동사의 장기 수익성을 대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코스트코는 기존 매장의 꾸준한 트래픽과 미국 및 해외에서의 신규 매장 개점을 통해 강력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4:49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채널K로 만나는 뉴욕증시 브리핑 (10/23)

“금리와 대선 우려에 약세.. 반면 나스닥은 예외?”

- 지수 : 하락 출발 후 반등.. 막판 매물 출회
*다우 +0.30%, 나스닥 +1.45%
*S&P500 +0.97%, 러셀2000 +0.09%
*반도체지수 +1.33%, 비트코인 -1.68%

- 섹터 : 11개 중 5개 상승
*필수소비재 +0.92%, 커뮤니케이션 +0.35%
*산업재 -1.19%, 소재 -0.86%

- BIG7 : 4개 상승
*MSFT +2.08%.. 완만한 성장세 유지 전망
*META +1.19%.. AI 활용한 광고 수입 증가세

- 종목과 ETF : 실적, 투자의견
*종목 : PM GPC ZION SHW FSLR
*ETF : FXI MJ SIL

https://www.youtube.com/live/wXDodS3K3iM?si=3rIwrDKB3qX-lZKB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4:12


제목 : 애플, 아이폰16 인도대기시간 길어져 JPM *연합인포맥스*
22일(화)에 애플(AAPL) 주가가 전일 대비 0.26% 하락 마감한 가운데, 동사에 대한 일부 IB 의견은 다음과 같다. ▲ JP모간: 투자의견 비중확대, 목표주가 265달러 유지. 사믹 차터지 애널리스트는 “아이폰 16의 평균 인도대기시간은 아이폰 15와 동일한 수준이다. 아이폰 16 시리즈의 평균 인도대기시간은 출시후 다섯째 주까지는 아이폰 15보다 짧았으나, 여섯째 주에 들어서면서 동일한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발언했다. ▲ 씨티그룹 “아이폰 16의 생산대수 전망치로 ’24년 하반기 8,900만 대, ’25년 상반기 6,300만 대로 제시한다. 이는 ’24년 상반기의 5,900만 대 대비높은 것이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4:05


제목 : 퍼스트 솔라, 美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수혜 낙관 - 씨티 *연합인포맥스*
씨티는 퍼스트 솔라(FSLR)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는 200달러에서 254달러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비크람 바그리 애널리스트는 “동사는 미국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수혜를 입을 것이다”고 낙관했다. “해당 낙관론의 일부는 태양 에너지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대규모 세금 혜택을 제공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했다. 이어 “민주당의 승리는 동사 주가의 급격한 회복을 이끌 수 있으며, 공화당의 승리는 관세 인상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회복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동사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독특한 차별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3:54


제목 : 필립모리스, 주가 신고점 경신 *연합인포맥스*
CNBC는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은 주가 신고점을 경신했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경구용 니코틴 파우치인 <진>의 성공으로 인해 다시 한번 성장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사 주가는 131.97달러까지 치솟아 장중 신기록을 세웠다”고 밝혔다. “해당 주가는 사상 최고치이며, ‘08년 10월 이후 하루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전했다. 한편 “’13년부터 ‘23년까지 동사 주가는 거의 변동이 없었으며, 투자자들은 동사를 정체된 업계의 배당주로 보았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2:52


제목 : [실적 공시] 로지텍 인터내셔널, FY 2분기 실적 발표…시간 외 강보합 *연합인포맥스*
로지텍 인터내셔널(LOGI)은 FY25 2분기(’24년 7~9월) 영업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1.2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5.7%)를 기록했다. ▲ 비GAAP EPS 1.20달러(전년 동기 대비 +10.1%)를 기록했다. ▲ 동사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0.61% 상승 중이다. GAAP 매출총이익률은 43.6%로 전년 동기 대비 210bp 상승한 것이다. 영업현금흐름은 1.66억 달러였다. 경영진은 FY25 가이던스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매출 기존 43.4억~44.3억 달러에서 43.9~44.7억 달러로 상향 ▲ 비GAAP 영업이익 기존 7.0억~7.3억 달러에서 7.2억~7.5억 달러로 상향.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2:43


제목 : [ETF 투자전략]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호실적으로 시간 외 상승 *연합인포맥스*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XN)는 ’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41.5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8.4%)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3억 달러 상회한 것이다. ▲ GAAP EPS 1.47달러(전년 동기 대비 -20.5%)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0달러 상회한 것이다. ▲ 동사 ’24년 3분기 실적 및 4분기 가이던스가 각각 컨센서스를 상회하자,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3.83% 상승 중이다. 부문별 매출은 아날로그 32.2억 달러(-4% 이하 YoY), 내장형 프로세싱 6.53억 달러(-27%), 기타 2.75억 달러(-5%)였다. 지난 12개월 기준 영업현금흐름 및 잉여현금흐름은 각각 62억 달러, 15억 달러였다. 경영진은 ’24년 4분기 가이던스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매출 37.0억~40.0억 달러(vs 컨센서스 40.8억 달러) ▲ EPS 1.07~1.29달러(vs 컨센서스 1.41달러)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2:23


제목 : [실적 공시]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호실적에도 시간 외 하락 *연합인포맥스*
시게이트 테크놀로지(STX)는 FY25 1분기(’24년 7~9월) 영업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1.7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49.7%)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4억 달러 상회한 것이다. ▲ 비GAAP EPS 1.58달러(전년 동기 대비)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12달러 상회한 것이다. ▲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FY 1분기 실적 및 FY 2분기 가이던스에도 불구하고 동사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4.61% 하락 중이다. 비GAAP 매출총이익률은 33.3%로 전년 동기 대비 13.5%p 상승했고, 영업이익률은 20.4%로 17.6%p 올랐다. 분기 말 기준 영업현금흐름은 9,500만 달러, 잉여현금흐름은 2,700만 달러이다. FY 2분기 가이던스는 매출 22.85억~24.50억 달러(vs 컨센서스 22.8억 달러), 비GAAP EPS 1.65~2.05달러(vs 컨센서스 1.70달러)로 제시됐다. 한편 경영진은 분기 배당을 기존 대비 3% 상향한 주당 0.72달러로 발표했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2:09


제목 : 스타링크, 카타르 항공과 제휴...고속 와이파이 제공 예정 *연합인포맥스*
CNBC는 “스타링크는 카타르 항공과 제휴하여 항공기 전반에 걸쳐 고속 와이파이를 제공할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카타르 항공은 내년까지 모든 항공기에 기내 와이파이를 제공할 방침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쟁 항공사는 저속 유료 와이파이 또는 제한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비교했다. 이와 관련해 일론 머스크는 “당사의 와이파이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질 것이다”고 언급했다. 또한 “당사는 새로운 위성을 발사하고 소프트웨어를 계속 개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2:04


제목 : 펠로튼, 코스트코와 제휴해 바이크+ 판매 예정 *연합인포맥스*
CNBC는 “펠로튼 인터랙티브(PTON)는 코스트코 홀세일(COST)과 제휴해 바이크+를 판매할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상기 기업들은 제휴를 통해 11월 1일부터 2월 15일까지 매장과 온라인에서 바이크+를 판매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스트코는 미국 내 300개 매장에서 펠로튼의 바이크+를 1,999달러에, 웹사이트에서는 2,199달러에 판매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는 일반적인 가격인 2,495달러에 비해 낮은 가격이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파트너십은 펠로튼이 신규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새롭고 수익성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2:00


제목 : 월마트, 처방약 배송 서비스 개시 *연합인포맥스*
CNBC는 “월마트(WMT)는 처방약 배송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고객의 집 앞까지 처방약을 배송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서비스는 6개 주부터 시작되지만, 1월 말까지 49개 주로 확대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해당 6개 주에는 아칸소, 미주리, 뉴욕, 네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위스콘신이 포함된다. 노스다코타에서는 주법과 관련해 처방약을 배송받을 수 없을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경쟁업체인 월그린 얼라이언스 부츠(WBA)와 CVS 헬스(CVS)가 매장을 폐쇄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이러한 움직임은 사업을 반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부이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 Oct, 01:44


제목 : 맥도날드, 옐프에서 리뷰 게재 기능 중단...트럼프 영향 *연합인포맥스*
CNBC는 “맥도날드(MCD)는 옐프(YELP)에서 리뷰 게재 기능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옐프는 이례적인 리뷰가 쇄도하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방문한 펜실베이니아주 피스터빌의 맥도날드에 대한 리뷰 게시 기능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사람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범죄 유죄 판결, 태도, 고객 서비스 기술을 설명하는 이례적인 댓글 및 별점 1점을 남겼다”고 밝혔다. “일부 사람들은 트럼프 캠페인을 주최한 프랜차이즈 소유주를 비판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한편 “옐프가 비정상적인 활동 알림과 관련하여 댓글을 일시 중단하기 전에 이미 145개 이상의 리뷰가 게시되어 있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