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지의 투자이야기 @jgrowthinv Channel on Telegram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jgrowthinv


제이그로스투자자문 구성원들이 운영하는
투자 인사이트 소통 채널입니다.

운용 철학 공유와 소통, 그에 맞는 인사이트의 제공을 통해 제이그로스투자자문의 성장과 투자자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모든 컨텐츠는 매수/매도 권유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음을 밝힙니다.

투자판단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에 따른 결과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해시태그를 통한 검색활용이 가능합니다
ex) #리포트요약, #실적, #탐방후기, #변기시리즈 등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Korean)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채널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jgrowthinv'라는 유저명으로 운영되며, 제이그로스투자자문의 구성원들이 직접 운영하는 투자 인사이트 소통 채널입니다. 여기서는 운용 철학의 공유와 소통, 그리고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제이그로스투자자문의 성장과 함께 투자자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이 채널의 모든 컨텐츠는 매수/매도 권유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습니다. 투자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또한, 해시태그를 통해 다양한 내용을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포트요약, #실적, #탐방후기, #변기시리즈 등의 해시태그를 활용하여 보다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채널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투자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며, 함께 성장하는 투자자로 거듭나는 여정을 함께 나누어보세요!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Feb, 02:47


soop IR 요약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5772532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3:35


테슬라 2025년 예정

- 새로운 모델 Y 출시

- 테슬라의 차세대 플랫폼 일부를 활용한 보다 저렴한 모델이 올해 상반기 출시

- 신규 공장에서 테슬라 세미(Tesla Semi) 첫 생산

- 옵티머스(Optimus) 파일럿 생산 시작: 차세대 손 포함 (22 자유도, 인간 손은 27 자유도, 2세대 옵티머스는 11 자유도)

- 사이버트럭(Cybertruck) 후륜구동(RWD) 모델 출시

- 기가 텍사스(Giga Texas)에서 사이버캡(Cybercab) 생산 라인 준비 중

- 완전 자율주행(FSD, Unsupervised) 출시 및 오스틴(Austin, TX)에서 최초 로보택시 시범 운행

- 중국 상하이에 새로운 메가팩(Megapack) 공장 가동 시작 → 테슬라의 글로벌 생산 능력 2배 증가

- 텍사스에서 테슬라 리튬 정제소(Tesla Lithium Refinery) 가동 시작

- 파워월3(Powerwall 3) 생산 확대

- 사이버트럭 500kW 충전 지원, 테슬라 세미는 V4 슈퍼차저에서 1.2MW(1,200kW) 충전 가능 (V4 캐비닛 적용, 3분기 예정)

- 기가 텍사스에서 테슬라의 "코텍스(Cortex)" 슈퍼컴퓨터 GPU 트레이닝 클러스터 확장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3:14


(2/12) Tesla 주가 6.3% 하락 코멘트
신영증권 문용권 연구워원

- Tesla 주가는 2월 12일(화요일) 6.3% 하락하며 5 거래일 연속 하락

- Tesla의 최대 해외 판매 시장인 중국을 필두로, 유럽, 호주 판매가 1월 부진한 것과, BYD가 촉발한 스마트카, 자율주행 기술 가격 경쟁 우려, 샘 알트만과 머스크의 불화 등이 주가 하락에 복합적으로 작용

- 지난 1월 4Q24 실적 발표에서 머스크는 지난해 10월 밝혔던 25년 +20%~+30% 판매 증가" 가이던스를 언급하지 않았으며, 중국, 미국, 독일 공장의 Model Y Juniper 출시 작업으로 1Q25 판매가 부진할 수 있음을 시사. 이에 25년 Tesla EPS 컨센서스는 실적 발표 이후 $2.94까지 11% 하향 됨.

- 아울러 Tesla 글로벌 판매의 37%(추정)를 차지하는 중국 신차 시장은 춘절 연휴 및 24년 선수요 발생 영향으로 1월 YoY-12% 감소하며 9월 이후 첫 역성장을 기록했으며, Tesla 중국 판매도 -11.5% 감소

- 이러한 와중에 월요일 BYD가 $9,555 가격대의 EV를 포함하여 모든 라인업에 스마트 주행기술을 무료로 탑재한다고 밝혔고, 화요일에는 Leap Motor가 $2만 달러 EV에 유사 기술을 무료로 탑재한다고 밝히자 시장에서 자율주행 가격 경쟁 우려가 대두

- 이에 Tesla와 더불어 화요일 주요 신생 EV & 스마트카 업체 주가가 급락 (Nio -6.7%, Li Auto -4.9%, Rivlan 4.2%, Xpeng-6.8%, Geely- 10.3%)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2:56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675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2:27


편입: 없음
편출 11종목: 엔켐, GS, 한미약품, 금호석유, 엘앤에프, LG화학우, 롯데케미칼, 넷마블, 포스코DX, 삼성E&A, SK바이오사이언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1:13


추가

1. 화이자의 이전 Mevro + Xtandi의 rPFS는 17.1개월 정도였는데 14.3개월로 짧아짐.
2. HR가 0.51 정도 나온건 나쁘지 않은데 n 값이 41명 정도라서 그런지, 신뢰구간이 0.28~0.95로 매우 들쑥날쑥함.
3. 그래서 보통 CI 값을 95%를 활용하는데, HR이 1이 넘어가면 곤란해지니 90%로 의도적으로 활용한 것이 좀 안 좋게 보였던 듯...
4. 화이자의 꼼수 발표에 944 들고있던 ORIC이 날벼락...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1:12


배당 서프라이즈 때문에 놀라서(?) 잠정실적 공시를 꼼꼼히 안봤는데,
4분기 매출 인식 후 수주잔고는 4524억
(2024년 12월 31일기준 매출인식 후 수주잔고는 452,394백만원 입니다.)

올해 매출 3,020억에 영익 211억, 순이익 265억으로 영업이익률 7%, 순이익률은 대략 8.9% 정도되는데,
가장 최근 IR에서 올해 2025년에 타겟하는 이익률은 10% 초반대라고 하였음.

4분기 수주잔고가 올해 대부분 인식된다고 가정하면,
매출은 4,500억에 이익은 450억 ~ 540억정도가 되지 않을지?
(이익률 10% ~ 12% 범위를 가정)

올해 신규수주 규모는 고객사들의 사업계획이 어느정도 수립되고 협력사들에게 공유되는 2월말~3월초쯤이 되어야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중화권 디스플레이에서 BOE때만큼 혹은 그 이상 발생할 수 있을 것 같고,
추가적으로 PCB/유리기판 장비와 반도체 장비쪽, 그리고 이차전지는 애리조나향을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음.

여튼, 밸류에이션을 위한 매출/이익 기준치는 4,500억/500억 이 통밥계산값을 참고하는게 맞지 않을까 싶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0:57


FED의 기준금리에는 개입할 수 없으니, 시장금리를 조절하여 물가를 잡겠다. -->
미10년물 국채를 살 구매자를 늘려서 미10년물 국채금리를 내리겠다.
1. 미국 은행들의 규제를 완화하여 미국채를 살 수 있게 유도
2. 중국이 금대신 미국채 10년물을 사도록 협박?
3. 미10년물 국채랑 연동하는 스테이블 코인을 활성화하여 미국채 10년물 구매 유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0:56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디아이(003160.KS): HBM3에서 HBM4로 이어지는 성장 스토리 기대 ★

원문링크: https://bit.ly/41ezPKP

1. 대한민국 대표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 기업
- 디아이는 1961년 설립된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 기업으로, 웨이퍼 검사 및 번인 검사 장비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
- 별도 기준 삼성전자 벤더로서 메모리용 번인 검사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연결 자회사인 디지털프론티어(DF)는 웨이퍼 검사 장비 국산화에 성공해 SK하이닉스에 HBM 및 DDR5 등 차세대 메모리 검사 장비를 공급 중


2. HBM3 웨이퍼 검사 장비 납품 시작, 실적 성장 본격화
- HBM은 생산 과정에서의 수율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검사 장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며, 이에 따른 수요 확대가 예상
- 2024년 상반기 HBM3/3E향 웨이퍼 검사 장비 검증을 완료했으며, 10월 자회사 DF를 통해 SK하이닉스와 1,237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
- 이는 창사 이래 최대 규모 수주로, 전체 수주의 95% 이상이 HBM 및 DDR5 웨이퍼 검사 장비로 구성
- 디아이는 대규모 수주에 대비해 제조 인력 확충 및 생산 설비 증설을 완료했으며, 매월 최소 10대 이상의 웨이퍼 검사 장비를 안정적으로 납품할 계획
- 현재 약 70대 규모의 공급이 확정된 가운데, 추가 50대 이상의 수주 가능성이 열려 있어 향후 실적 가시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


3. HBM4 신규 장비 퀄리피케이션 진행, 장비사 선정 기대
- 디아이는 HBM4향 웨이퍼 검사 장비 샘플을 고객사에 납품하고 장비 검증을 진행할 예정
- HBM4는 적층 증가(8~12단 → 16~20단), 전력 효율 개선, I/O 대역폭 확장 등의 기술적 변화로 인해 검사 장비의 정밀성과 성능 향상이 필수적
- 이에 따라 번인 테스트 시간이 길어지고, 검사 공정 내 병목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시장 확대가 기대
- 2월 중 HBM4향 샘플 장비를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며, 일본 및 국내 경쟁업체들도 납품을 준비하고 있음
- 과거 HBM3 장비 선정 당시, 디아이는 일본 장비사와 함께 SK하이닉스향 DDR5/HBM3 웨이퍼 검사 장비 공급사로 확정된 이력 존재
- 이번 HBM4 신규 장비사 선정에서도 기술력과 신뢰도를 앞세워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


4. 2025년 SK하이닉스향 실적 기여 본격화
- 20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4,506억원(+114% YoY), 영업이익 540억원(+1,836% YoY)으로, DF의 매출이 전년 대비 230%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할 전망
- SK하이닉스는 청주 M15X를 4Q25 오픈 예정이며, 용인 공장은 2Q27 Fab 가동을 목표로 본격적인 건설이 진행 중
- 또한, 미국 인디애나주 첨단 패키징 협약이 최종 확정 단계에 있음
- 전반적으로 동사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
- 다만, 전방 산업 부진에 따른 수주 감소 및 신규 장비 검증 지연 가능성이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벤더 협력 강화로 변동성은 제한적일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0:51


#TSLA #테슬라 20250212

기록을 위한 공개 포스팅입니다.

※ 이번 종목의 가격 흐름에 대한 코멘트는 비공개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20:51


파트너사 관계, LO는 LO를 물고...

알테오젠 ALT-B4는 크게 두개의 라인으로 설명할수 있겠다. 파트너사들이 많기 때문에 연결지어 설명해본다. 1.머크라인 2. 1차사 라인 1.머크라인 머크(MSD)의 키트루다SC는 알테오젠 ALT-B4 파이프라인중 상업화에 가장 가깝게 다가서 있다. 세계최고의 제품인 키트루다가(2024년 매출 42조) 알테오젠의 기술을 통해 제형변경을 시도하니 나머지 글로벌 제약사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했다. 👇 머크(MSD)와 다이찌산쿄는 신규 ADC를 공동개발 중이다. 머크가 알테오젠의 계약에 영향을 끼친건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다이찌산쿄와 알테오젠은 엔허투를 피하주사 제형변경 하려한다. 다이찌산쿄는.......

#검색왕 #alteking

📜📜📜본문보기📜📜📜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11:45


#알테오젠

리제네론, 고농도 피하주사제형을 복합제 포함하여 준비중!
결국 알테오젠으로 오게 되어있음!
아마도 우선순위는 리브타요, 피안리맙 복합제일듯?

펩타이드, 단일클론 항체(mAb), 항체-약물 접합체(ADC), 고정 용량 조합 및 조합 제품 개발에서 입증된 실적.
피하 투여를 위한 고농도 제형이나 전달 기술을 개발한 경험이 있으면 좋습니다.

https://m.blog.naver.com/alteking/22375701110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11:4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BUY, TP 625,000원(상향) - 하나증권 방산/조선 위경재]

"Show and Prove"

자료 링크 : https://bit.ly/3CIFxfC


4Q24 Re : 세번째 증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4Q24 실적은 매출 4조8,311억원(YoY +56.0%, QoQ +83.6%), 영업이익 8,925억원(YoY +222.1%, QoQ +87.0%, OPM 18.5%)으로 컨센서스(매출 3조6,405억원, 영업이익 5,309억원) 크게 상회했다. 지상방산 부문 실적 크게 성장하며 전사 실적 동반 성장했다.

지상방산 부문은 매출 3조3,647억원(YoY +74.5%, QoQ +103.2%), 영업이익 8,698억원(YoY +172.0%, QoQ +97.7%, OPM 25.9%)을 기록했고, 수출 물량이 부문 매출의 55.0% 차지했다(수출 비중 1Q24 46.3%, 2Q24 57.0%, 3Q24 58.8%). 폴란드向 K9 자주포, 천무가 각각 40문, 12대 인도되며 부문 실적 성장 견인했다(하나증권 기존 예상 각각 35문, 11대). 수출 수익성은 지난 2분기 26.7%, 3분기 38.2%에 이어 4분기도 38.8% 수준 기록한 것으로 추정, 높은 마진 레벨 이어갔다.

두번의 증명에도 수출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 다소 존재했으나, 세번의 증명 앞에서는 방산 수출 사업이 高수익 구조를 갖췄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즉 향후 실적 추정 논리를 구성함에 있어 높은 이익률 어느 정도 반영 필요하다.

한편, 항공우주 부문은 2개 분기 연속 적자 이어갔고(OP -460억원, RSP OP -240억원), 쎄트렉아이는 2개 분기 연속 흑자 기록했다(OP 12억원). 또한, 방산 부문 수주잔고는 2024년 말 기준 32.4조원(국내 10.4조원, 해외 21.9조원)이다.


2025년, 성장 지속 전망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2025년 연간 실적으로 매출 12조7,625억원(YoY +15.8%), 영업이익 1조9,610억원(YoY +11.7%, OPM 15.4%)을 전망한다. 방산 부문 내 수출 비중이 60% 전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출 수익성 30% 초반 유지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제시된 가이던스(폴란드 K9 자주포 70문, 천무 50대 이상 인도)에 기반할 때 폴란드 물량에서 발생하는 실적은 2024년과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하며, 이집트 K9 물량 매출 인식 확대되는 과정에서 수출 성장 지속될 전망이다. 호주 K9, 레드백 등의 매출 반영 역시 고려했다.

다만, 다수의 K9 자주포 인도되는 과정에서 폴란드 1차 물량은 2026년에 약 6문 정도 남을 것으로 예상되나, 2차 물량이 1~2개 분기 선제적으로 인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바, 장기 실적 역시 안정적 흐름 이어갈 것으로 판단한다.


낮추고 줄였지만 결과는 625,000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625,000원으로 재차 상향한다. 3가지 요소를 낮추고 줄였으나, 목표주가는 되려 상향된다.

1) 2025년 방산 실적을 가이던스(방산 매출 YoY +20% 이상 성장) 대비 보수적으로 추정(YoY +13%), 2) 방산 Multiple을 Peer의 하단치 17배로 하향 적용(기존 20배), 3) 한화시스템, 한화오션에 대한 지분 가치 반영률을 30%로 줄였음에도(기존 49%), 목표주가는 625,000원이 도출된다.

고속 성장하는 실적을 주가가 미처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으로 해석되며, 현 시점에서도 지속 매수 접근 권고한다.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 채널 링크 : https://t.me/smdrgo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10:18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74129

아 ㅅㅅ하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09:33


DB하이텍 부천 공장이 풀캐파로 돌아가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이구환신 정책 영향으로 1월 주문량이 폭발했다는 해석이 중론입니다.
가전, 자동차용 반도체 할 것 없이 폭증해서 고객사들이 주문표 뽑으며 대기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최근 DB하이텍 관련 Si Capacitor, SiC 사업 등에 대한 다양한 기사가 나왔는데, 이런 내용도 참고부탁드리겠습니다. 아, SK키파운드리도 가동률 80% 넘은 것으로 취재됩니다.

#DB하이텍 #8인치파운드리 #SK키파운드리 #가동률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9187?type=journalist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08:10


SOOP CLSA

제도권 요약
(1) 매출 과대 계상? 있었다고 해도 회사 전체 매출의 3% 수준으로 고의성 및 동기부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움
(2) 2021년 감사인으로부터 해당 매출 처리에 대해서 회계법상 적법한 처리방식임을 확인 받았음 (감사보고서 적정의견 수취)

결론 : 오바 좀 하지마라, 서수길 형이 내일 썰 풀어준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03:22


리노공업은 장기투자하는 해외펀드들에서 주식수 늘려다고 몇 년 전부터 계속 요구했던 상황에 최대주주는 사위에게 물려줄 생각은 없고 자녀 이경민씨는 사내이사로 근무중. PEF에 팔려고 준비하는 것인가.......암튼 지켜봐야겠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Feb, 03:12


리노공업 일평균수출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Feb, 04:48


https://m.blog.naver.com/long_sight/223752343597

#보로노이 #바이buy오
파이프 라인 중 가장 큰 의미있는 변화는

1. VRN11 1b에 1차 치료제 임상 고호트 추가임. VRN07 처럼 2차 치료제 임상과 1차 치료제 임상을 동시 진행.

2. VRN13, VRN16, VRN19 후보물질 도출 후 전임상 중.

3. VRN07 1차 치료제를 위한 나이브 환자 단독, SC 아미 병용 임상 1b진입.

==> VRN11 1a 용량증량 임상에서 타그리소 포함 1차 표준치료(SOC) 후에도 PD(종양이 다시 커지는) 환자 (획득내성, 뇌전이, 원발암 D/L이 PD되는 경우 등) 대상으로 임상 중인데, 1b에서 1차 치료제 및 희귀변이 임상 진행 고호트가 새로 추가된 것은, 1a 용량증량 중 데이터에서 어떤 확실한 증거를 확인했기 때문이라 추측 됨.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Feb, 03:56


삼양식품 불닭팀, 팔란티어 솔루션 사용 위한 인력 채용. 마케팅도 단순 바이럴에서 AI로 전환하는 중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Feb, 03:35


🔅엔터 요약 및 한한령 해제 관련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 섹터 전체 25년 증익~26년까지 이어짐
- 빅IP들의 귀환과 투어로 증명하는 파워

: "BTS의 기록을 깬 SKZ, 돌아올 BLACKPINK가 이 기록을 깨고, 이후 돌아올 BTS가 역대급 투어 규모를 보여준다"🔥

🍭
BTS Love:Speak Yourself 2018/2019 62회 193만명 $246,512,484
블랙핑크 BORN PINK 2022/2023 66회 181.5만명 $331,818,122
트와이스 Ready to Be 2023/2024 51회 150만명 $170,446,636
⚡️SKZ dominATE 2024/2025 투어 확정 55회 195만명 정도이며 추가&앵콜 투어로 200만명 상회 전망

1) HYBE
- 다른 K팝 아이돌과는 또 다른 단계에 있는 천상계 그룹 BTS 컴백, 투어 규모는 Top 팝스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K팝 역대 규모 예상
: 6월 말 나머지 멤버 제대 후 4Q 컴백 전망
- K팝에서 '팝'을 떼는 현지화 성공적인 안착 및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확장(미국 캣츠아이 순항중, 일본 앤팀 성공, 라틴아메리카 확장 ing)
- 성공한 그룹들과(세븐틴, 투바투) 성장중인 쥬니어 그룹들(엔하이픈 post SKZ 기대, 보넥도 엄청난 성장, 앤팀 일본 top 진입 기대, 르세라핌 순항 중) 그리고 25년 데뷔할 신규 세 그룹

- 위버스 수익화 올해부터 본격화 전망이며, 자회사 AI 오디오 기업 수퍼톤 등 활용하여 AI도 이미 잘 활용중(https://t.me/stockDaram2/369, https://www.sr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70234)
- 뉴진스 이슈는 어느 정도 거의 반영 되었다고 판단(240422 하락 만회), 다만 재판 결과에 따라 어느 정도 출렁임은 있을수도 있음
- 아쉬운 점 : 게임 사업, 아일릿과 투어스의 성공적 데뷔에 비한 컴백의 다소 부진함

2) YG
참고 : https://t.me/stockDaram2/690
- 블핑 컴백+베몬 폭풍 성장+활동 가능성 보이는 old IP의 중국 인기+연말 신규 남돌 데뷔
- 명실상부 국내 TOP 걸그룹 블랙핑크의 월드투어 기대, 개인 활동들의 성공으로 ASP, RS 부분 기대↑
- 작년 데뷔한 베이비몬스터의 폭풍 성장, 공연형 아이돌로 자라나고 있음
- QQ뮤직 팔로워 수 상위 그룹인 빅뱅, 블랙핑크, 2NE1 등의 소속 회사
⚡️K팝 아이돌로서 한한령 시행 전 중국 본토에서 투어를 돌았던 빅뱅은 15년 MADE 투어와 16년 MADE(V.I.P) 투어를 통해 본토에서 46.2만명 모객
→ 만약 빅뱅의 투어가 가능해진다면 상당한 파급력 기대

3) JYP
- K팝 역대 투어 규모 경신한 스트레이키즈🔥와 트와이스가 주축이 되어 잡아주는 실적
- 신규 남돌 킥플립의 데뷔 지표는 괜찮은 편이나, 팬덤이 붙는지는 계속 f-up 필요함, 아쉬운 점은 쥬니어 그룹들의 성과이나 엔믹스 공연형 아이돌로 성장 기대
- 스키즈 투어 소식에 따라 주가 호조 반응 계속 기대 가능
- 현지화일본은 최상의 성과, 다른 지역들은 계속 시도하는 데 의의.
올해 라틴아메리카와 유럽에서 L2K, E2K 통해 신규 그룹 데뷔 전망

4) SM
- 2월 24일 신규 걸그룹 하츠투하츠 데뷔 예정, 에스파 이후 5년 만에 데뷔하는 걸그룹(https://t.me/stockDaram2/744)
- 비주얼은 기대보다는 무난하나, 빅4 최초 인도네시아 멤버가 있다는 점에서 초반 동남아 트래픽 상당할 것으로 예상
(ex.블핑 리사의 태국 파워,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 대국, 태국 인구의 4배 이상)
- SM은 국내 내리사랑이 있는 팬덤이라 초반 이슈 몰이도 어느 정도는 보장된듯
- 에스파를 필두로 라이즈, NCT WISH 등 쥬니어 그룹들이 잘 성장해나가고 있음
- 자회사 매각 등 턴어라운드 기대
- 아쉬운 점 : 사내 역량 부족으로 기존 old IP와 삐걱대는, 관리 부재(?)

5) 기타
디어유, 큐브, 노머스도 함께 살펴볼만
https://t.me/stockDaram2/654

☘️한한령(2016년 7월~) 해제는 로또같은 느낌, 되면 엔터 섹터에 매우매우 큰 호재☘️
https://www.news1.kr/world/northeast-asia/5683304

❗️참고) K팝 가수 QQ뮤직 팔로워 수(250208기준)

1. 빅뱅, 14.57M
2. 지드래곤, 8.25M
3. 블랙핑크, 8.2M
4. EXO, 7.07M
5. IU, 4.6M
6. 소녀시대, 3.09M
7. 티아라, 2.71M
8. BTS, 2.65M
9. 여자아이들, 2.629M
10. 로제, 2.62M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22:03


이번 L/O는 GLP-1 RA 병용으로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이구요.

릴리도 그렇고 노보노도 그렇고 글로벌 빅파마들은 체중 감량쪽으로는 더이상 이제 더 나갈 방향이 없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려고 하죠. 그에 대한 대안 중 MASH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이번에 올릭스 RNA치료제가 선택 되었구요.

RNA치료제가 생산 비용이 높다보니 약가가 비싼 단점도 있긴 합니다.

PCSK-9 실제 처방 중인 CV 교수들과 이야기해보면 특히 이 부분을 주로 이야기하구요.

그래서 현재 경구용으로 PCSK-9을 개발 중인 글로벌 회사들이 있죠.

일라이 릴리라는 글로벌 빅파마한테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이 L/O 성공했다는 것만으로도 기념적인 사건이다.

특히 RNA치료제는 노보노,릴리가 다음 먹거리로 생각한 만큼 진심인 회사들인데 이번에 다시 L/O로 증명 되었다 정도로 보시면 될거 같네요.

비만치료제가 아닌 MASH치료제도 엄청난 시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정도로만 해석해도 될거 같네요 ㅎ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18:08


https://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052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 익명을 요구한 A사, 애경산업, 브이티코스메틱, 아누아, 마녀공장을 대상으로 미국이 K뷰티에 대해 보편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치는 영향을 질문했고, 이들은 ‘큰 영향이 없을 것 같다’고 응답했다.

A사는 “미국 현지 벤더와 지난해말부터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지만 부과가 될 경우 다시 논의하자며 특별한 응답이 없다. 미국에서 가장 선호하는 가격이 2-3만원대이므로 10%를 부과하더라도 큰 가격 저항력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브이티는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10%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최종 소비자가 체감하는 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관세율은 타 국가(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 대비해서도 낮은 편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현재 K-컬쳐가 미국에서 트렌드로 유행하고 있는 만큼 한국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잘 활용하여 매출로 연결시키는 부분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브이티는 올해 주요한 미션으로 매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목표하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중국, 유럽, 동남아 등 해외시장 개척을 통한 탑라인의 성장을 만들어갈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18:06


■ 카페24_NAVER 커머스 부문 4Q24 GMV 13.2조 원(YoY +6.5%), 온라인쇼핑 거래액 YoY +1.4% 성장 대비 아웃포펌 했으며 카페24도 성장 기대

​- NAVER 커머스 4Q24 GMV YoY +6.5% 상승하며 전체 온라이쇼핑 거래액 성장률 아웃퍼폼
- 티몬/위메프 이슈로 NAVER 반사 수혜 보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
- 2월 말 실적 발표 예정 카페24 GMV 성장 기대, 다만 유튜브쇼핑 GMV 성장 실적 아니 멀티플 상승 요소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관심섹터 포스팅 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온라인쇼핑 거래액 약 20%를 차지하는 NAVER 커머스 부문 GMV 13.2조 원으로 YoY +6.5% 성장합니다. 동 기간 온라인쇼핑 거래액 62.6조 원으로 YoY +1.4% 성장하였습니다. ​

NAVER 커머스 부문 GMV 실적 잘 나왔습니다. IR 자료 따르면 1)24.10월 플러스스토어 출시 효과 2)넷플릭스등 멤버십 경쟁력 제로 인한 쇼핑 생태계 강화가 포인트 입니다.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 초개인화 쇼핑 검색 서비스, 기존 <네이버 쇼핑>을 <네이버 가격 비교>로 리브랜딩​

4Q24 우리나라 온라인쇼핑 전체가 +1.4% 성장하였는데 NAVER 커머스 성장률 아웃퍼폼 합니다. 개인적으로 티몬/위메프 이슈로 인한 반사수혜를 NAVER가 가져가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나라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드라마틱 하게 성장하지 않는다면 결국 경쟁사 물량 뺏어와야 하는 건데 시장점유율 1위 업체가 유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결국 스마트스토어라고 보면 되는 NAVER 커머스 부문은 우리나라 온라인쇼핑몰 거래액의 약 20% 차지합니다. 카페24는 GMV 3조 원 전후이니 약 5% 비중 차지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추측한 것처럼 티몬/위메프 이슈로 다른 기업이 수혜를 본다면 카페 24도 GMV Growth 좋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2월 말 실적 발표 예정인 카페24 GMV 어떻게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

참고로 냉정하게 보면 카페24 분기 GMV 약 3조 원 중 유튜브쇼핑으로 인한 GMV 증가분은 비중 크진 않을 것 같습니다. 카페24 많은 기대감도 좋지만 유튜브쇼핑으로 인한 효과는 실적이 아닌 멀티플에 계산된다 봐야 할 것 같아 의사결정 시 분명하게 구분하여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75300861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17:58


현대로템 교보증권 TP 15만원 콜 하기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17:57


만약 중국 시장이 열린다면

SM > CUBE > HYBE > JYP > YG 순서로 수혜 판단

SM, CUBE - 두 회사의 특징은 서양에서 약하고 아시아 시장에서 강하다는 특징 존재
서양에서의 콘서트 규모는 작을지언정 중국이 열린다면 급이 바로 올라가는 케이스
(SM 선호도가 더 높은 이유는 그룹 수가 많음)

HYBE - 현 중국 탑티어 그룹 세븐틴, BTS 보유한 회사이자 그룹 수 자체가 많아서 지역 하나 열리는거에 수혜를 받을 그룹이 많고
세븐틴은 중국으로 넘어가면 급이 달라짐.

JYP, YG - 중국 탑티어 그룹인 스트레이키즈와 블랙핑크를 보유한 회사로 이미 서양에서 탑 클래스인 그룹으로 중국이라는 지역 하나가 추가된 느낌으로, 좋은 상황이 더 좋아짐.
(JYP 선호도가 더 높은 이유는 그룹 수가 많음)

막혀있던 콘서트가 열리면 수요는 굉장히 많을것으로 보이기에 초반에는 KPOP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모든 그룹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지만 향후 차별화 예상
(코로나 이후 서양도 그랬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17:55


https://m.blog.naver.com/uncastle0426/223753525023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12:20


[테슬라에 대한 생각]

테슬라 조정이 꽤나 길군요. 사실 다음 제품들이 워낙 큼직해서 현시점 밸류에이션보다는 인간지표를 적극 활용하는 편입니다. 모두가 테슬라 샀다는 이야기를 했을때 저는 매도를 했었는데, 300불 중반이 되면 다시 살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370불이 왔네요. 아직까지는 비중있게 담을 가격은 아니라고 보지만, 시계열이 얼마 안남은 것은 사실입니다.

현재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이 미국관세 정책 보복으로 중국에 진출한 미국기업에 대한 규제
» 비중있게 매수

2. 로봇, FSD 지연 중에 2분기 성장폭 하락
» 비중있게 매수

3. 동네 미용실에서 테슬라 개잡주소리 나오며 한탄
» 비중있게 매수

4. 3가지 다 오지 않는다
» 360불~320불까지 분할 매수 (비중은 좀 적을지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8:31


가치투자자의 영역에서 차트투자자의 영역으로 넘어간 한화비전

https://blog.naver.com/omniknight41/223753007603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7:51


Gpt의 후속픽 #에이비엘바이오 #알테오젠 #펩트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5:28


#알테오젠 #리써처티비

면역항암제 2가지 종류
PD-1 = 키트루다와 옵디보(할로자임)
PD-L1 = 임핀지와 티센트릭(할로자임)
임핀지 대안이 알테오젠 밖에 없다.

sc가 iv 보다 좋은건 다 안다. 근데 왜 다 안하냐?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매출액이 일정 부분 이상 나와야 한다)

ADC가 지금 가장 핫하다 -> 빅파마 다 뛰어듬 - 면역항암제 + ADC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매출액 6조 1500억 23년)는 엔허투와 + TROP2 가지고 있다.
아스트라제니카는 임핀지를 무조건 살려야 한다.
엔허투는 알테오젠 sc와 계약 나옴.
그래서 임핀지도 sc를 해야 한다.

TROP2 ADC에서 제일 앞서는게 트로델비 -> 유방암 기대매출액이 49억달러

임핀지 트로델비 계약 2개다 나올거다.

임핀지 23년 매출액 6조 1500억
트로델비 매출액 1조 3000억

지금 당장 돈 측면에서는 임핀지가 좋아보이지만 미래 성장성을 보면 트로델비가 더 메리트가 있다.

TROP2 ADC는 HER2 ADC 이후로 가장 핫한 임상이 이뤄지고 있음

트로델비 TROP2 ADC SC 계약이 나오면 TROP2 ADC 후발주자들한테 SC 안하면 안돼!! 라는 압박이 생긴다.

임핀지 + 트로델비 계약이 나오면 + 듀피젠트 => 고점 뚫을것 50만원 이상

꿈의 100만원 PD-1*VEGF 이중항체 기술수출 나오면 게임끝 넘사벽

이중항체 PD-1*VEGF vs PD-L1*VEGF = 둘 다 알테오젠만 가능하다.
이중항체 계약이 나오는 시점은 이중항체 3상 끝나고 시판되는 그때부터 기대가능함 27년 쯤
그런데 박순재 대표는 임상단계부터 우리꺼 쓰면 좋다 -> 이렇게 계약이 나와도 새로운 역사를 쓰는거다.

알테오젠 은행예금 할바엔 알테오젠을 사는게 낫다.

할로자임 27년도 특허 끝 -> 앞으로 2~3년은 알테오젠 쇼타임이다.

https://www.youtube.com/live/Gfg3BcPi-hc?si=WKp5sRT0f_y-apG8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5:26


고민과 포트폴리오 (25.02.08)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5269954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4:43


DOGE가 폐지한 미국의 쓸모없는 프로그램
첫주(2025.1.28~2.3) 폐지된 프로그램

1.전국 다람쥐 조사 프로젝트 연간 230만 달러 (다람쥐 개체 수 조사)
2.연방 샌드위치 기준 위원회 연간 500만 달러 (샌드위치의 법적 정의 연구)
3.울퉁불퉁한 보도 인식국 연간 180만 달러 (보도의 불균형 경고)
4.전국 비누 조각 챔피언십 보조금 연간 70만 달러 (비누 조각 예술 보존)
5.왼손잡이 가위 연구소 연간 25만 달러
6.전국 나방 감상의 날 연간 25만 달러
7.연방 치즈 굴리기 행사 연간 120만 달러
8.공기 주입식 수영장 규제 사무소 연간 50만 달러
9.오리 꽥꽥 소리 연구 기금 연간 400만 달러 (오리 소리가 메아리치는지 연구)
10.국가 대통령 헤어스타일 데이터베이스 연간 80만 달러 (대통령 헤어스타일 분류)
11.국가 호텔 베개 푹신함 검사 사업 연간 150만 달러 (호텔 베개가 적절히 푹신한지 검사)
12.엘리베이터 음악 표준 프로그램 연간 210만 달러 (엘리베이터에서 듣기 좋은 음악 연구)
13.연방 교통 콘 개수 조사국 연간 130만 달러 (도로에 배치된 교통 콘 개수 확인)
14.계절별 호박 관리 사무소 연간 80만 달러 (펌킨 스파이스 트렌드 조사)
15.국가 회전 의자 안전 위원회 연간 40만 달러
16.연방 카주 오케스트라 보조금 연간 200만 달러
17.미국 구름 감상 기금 연간 110만 달러
18.남은 음식 라벨링 부서 연간 60만 달러
19.얼음 조각 균일성 연구국 연간 250만 달러
20.벨크로 소리 연구 연간 170만 달러 (벨크로 소리 중 가장 만족스러운 소리 찾기)
21.국가 뽁뽁이 스트레스 해소 연구 연간 140만 달러
22.우체통 풍수지리 사무국 연간 90만 달러
23.연방 풍선 동물 제작 아카데미 연간 230만 달러 (광대들에게 풍선 동물 만드는 법 교육)
24.국가 프레첼 풀기 프로젝트 연간 60만 달러 (프레첼을 풀어보는 연구)
25.양말 짝 맞추기 부서 연간 180만 달러
26.연방 하이파이브 조정국 연간 120만 달러
27.국가 아이스크림 콘 구조 연구소 연간 70만 달러 (아이스크림 콘이 왜 새는지 연구)
28.물웅덩이 깊이 측정 사무소 연간 300만 달러 (도로의 빗물 고임 연구)
29.알람 시계 테스트국 연간 150만 달러
30.연방 반짝이(글리터) 청소 대응팀 연간 200만 달러
31.연방 고급 스테이플러 공학국 연간 170만 달러
32.국가 메모 서식 표준 연구소 연간 120만 달러
33.책상용 화분 배치 최적화국 연간 80만 달러
34.회의실 의자 동기화 위원회 연간 150만 달러
35.국가 문장부호 정확성 프로젝트 연간 200만 달러
36.연방 바인더 클립 내구성 테스트 보조금 연간 90만 달러
37.형광펜 색상 조정 사무소 연간 130만 달러
38.연필 깎기 효율성 연구 이니셔티브 연간 240만 달러
39.전략적 문진(종이 누름) 개발 프로젝트 연간 160만 달러
40.중복 문서 감소 사무소 연간 300만 달러
41.비어 있는 연방 건물 유지비 연간 100억 달러
42.라스베이거스 피클볼 단지 1200만 달러
43.우크라이나 인플루언서 지원 연간 480만 달러
44.빙상 드래그 쇼 1만 달러
45.고양이의 코로나19 연구 연간 224만 달러
46.쥐의 코카인 사용 연구 연간 42만 달러
47.브라질 소녀 중심 기후 행동 프로젝트 연간 300만 달러
48.멕시코 오리 습지 보전 사업 연간 42만 달러
49.브레이크댄싱 연구 연간 3만 3천 달러
50.파라과이 국경 보안 지원 연간 210만 달러
51.2003년 해외관계 인가법 연간 380억 달러
52.21세기 치료법 연간 480억 달러
53.1998년 주택 및 노동 책임법 연간 370억 달러
54.2017년 NASA 전환 인가법 연간 250억 달러
55.2005년 에너지 정책법 연간 70억 달러
56.2014년 노동력 혁신 및 기회법 연간 90억 달러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2:07


미국의 부채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

FT에 아주 흥미로운 기사가!!

또 금(Gold) 이야기인데요.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부채비율을 낮추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지출을 줄여도 되고, 수입을 늘려도 되죠. 그런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방법중 하나가 Monetize 입니다.

실제로 베센트 장관은 이렇게 이야기했는데,

"We're going to monetize the asset side of the U.S. Balance sheet for the American people"

역모기지 대출 이런거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지고 있는 자산을 팔지 않고, 현금화 하는 거죠; 그럼 미국에 무슨 자산이 있지?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딱!! 떠오른게 금(Gold)이라는 겁니다.

찾아보니, 미국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금의 온스당 $42으로 장부가 평가를 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ㅎㅎㅎ 그런데, 요걸 최근 가격인 $2800으로 반영하면, 8,000억불 수준의 자금을 창출할 수 있다고!! 개꿀 아닌가요? ㅎㅎㅎ

실제로 이게 가능한지 어쩐지 모르겠지만, 디지털금인 비트코인의 시총이 트럼프 임기내에 금의 시총의 20%까지는 충분히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제 입장에서는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참고로 최근 금 가격이 올라서 금의 시총은 $19.4조 이구요. 비트코인은 $1.9조입니다. 딱 1/10이네요~! 금 가격도 오르면 더 땡큐구요~

[금냥효] https://youtu.be/byFQE6OlMok?si=lk7Q27zPumBTwowc

[모닝효] https://naver.me/5z5KJHNy
* 팔란티어/DOGE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초대형 국가개조 프로젝트인데, 당연히 쉽게 되진 않겠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1:47


[SK증권 조선 한승한] ([email protected]/3773-9992)

▶️HD현대중공업(A329180) 매수/370,000원


미 7함대 MRO가 다가온다

- 4Q24 Re: 연결매출액 4조 56억원(+17.4% YoY, +11.0% QoQ), 영업이익 2,822억원(+103.5% YoY, +36.9% QoQ) 기록하며 시장예상치(2,657억원) 상회

- 조업일수 증가, 선종믹스 개선, 공정개선 효과 지속, 원자재 가격 하락 및 환율 상승 요인들이 일제히 실적 개선 효과로 작용한 결과

- 다만 해양 부문에서 쉐난도 FPS 공사 조기 출항에 따른 기반영 LD 환입과 트리온 FPU C/O에 따른 환입 요인 발생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CFP 공사 관련 LD 반영으로 인해 총 50억원 정도의 일회성 비용 발생. 추가로 특별 성과급 지급으로 100억원 비용 추가 발생

- 일회성 요인 제거한 경상이익은 2,917억원, 경상 OPM 7.4%로, 동사의 선종 믹스 및 공정 개선 효과에 따른 실적 개선세는 지속되는 중을 확인

- 동사 올해 수주 공백 우려가 큰 선종인 컨선에서 CMA-CGM으로부터 18K-TEU급 LNG DF 컨선 12척 수주를 통해 이미 25.8억불 실적을 달성. 따라서 나머지 선종에서 선별수주 전략을 통한 백로그 및 수익성 유지 충분히 가능

- 올해 2월 2척 정도의 미 7함대 MRO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예상 대비 많은 물량 발주가 나올 시 4, 5도크 활용 및 국내 중소 조선소와의 협력을 통해 추가 물량 확보할 계획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기존 37만원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Aweez4L

SK증권 소재/산업재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1:27


부자의 조언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Feb, 01:13


구리가격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10:39


#수출데이터

#필러
- 높은 기저와 적은 영업일수에도 YoY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 수출 단가의 경우 수출데이터가 급증하기 시작했던 10~12월 수준과 유사하게 유지.

#톡신
- 수출금액이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 특히 미국향 톡신은 적은 영업일수에도 역대 Top3 내 수준에 해당.
- 휴젤의 재선적이 2Q25E 수준에 예상된다는 점과 에볼루스의 어닝콜을 볼 때 대웅제약의 톡신 미국 수출이 유의미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

#초고압 변압기
- 전체 수출 YoY+25%, 미국향 수출 YoY+80% 기록. 지속적으로 높은 금액 및 수출 단가를 유지.
- 북미향 주요 수출국이 예정대로 2월부터 높은 관세가 진행됨에 따라 다음 수출국인 한국 내 쇼티지 제품에 대한 물량 확대를 기대.

#전선
- 미국향 기준 영업일수 고려시 지속적으로 높은 수출금액을 유지.

#라면
- 높은 기저와 적은 영업일수에도 YoY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특히 미국 수출의 경우 YoY+50%를 성장.
- 삼양식품의 경우 2H25 밀양 2공장 가동에 따른 업사이드 기대.

#CCL
- 적은 영업일수에도 높은 수출금액이 지속되고 있으며 수출단가는 ATH 기록.

#TC본더
- 전체 수출데이터 압도적 ATH 기록.
- 월별로 수출금액 증가하는 추이가 매우 인상적(YoY+7376%, MoM+37%)

#RF미용기기
- 태국향 수출데이터가 급격하게 증가함.

#창상피복재
- 10일치 데이터 급증한 이후에도 증가세는 나름 꾸준하게 유지되며 1월 ATH 수출 기록.
- 미국향 데이터 역시 ATH를 기록했고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거점 국가향 수출데이터 역시 ATH 수준을 기록.

#전차 #장갑차
- 전차 및 장갑차 수출데이터 역시 우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폴란드향 수출데이터가 튀면서 폴란드 수출이 25년에도 양호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지혈제
- 전체 수출데이터 최고 수준 유지.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9:32


#선익시스템
https://www.chinabidding.com/en/detail/260987506-BidNoticeEn.html
- 최근 비전옥스가 8.6G OLED에 대한 입찰을 드디어 시작.
- 최근 입찰 공고가 올라온 장비는 일본이 독점한 장비이기에 한국 이슈는 크게 없을 것.
- 다만, 장비 입찰이 시작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며 1개 분기 정도 내에는 증착기 발주까지 기대해볼 수 있음.
- FMM과 ViP 방식 중 비율에 대한 관심 역시 지속.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9:3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 #미국
- 2월 중순 1단계 제안 요청서 발표를 시작으로 시작. 이후 업체들이 미군으로 제안저 제출.
- 7~9월 1단계 입찰에 대한 계약을 진행. 이후 계약에 따라 26 회계연도까지 경쟁력 평가 테스트에 참여하게 됨.
- 평가 테스트를 진행한 이후 27년 최종 수주계약을 체결하게 됨.
- 미군은 BAE, 한화, GD, 엘빗 등 다양한 기업을 방문하는 등 국제 로드쇼 등을 진행.

- 일반적으로 1단계 제안 요청서 수령(2월 중순~) 후 최종의 몇배수로 압축(7~9월)하고 26 회계연도까지 평가 후 최종 업체를 선정하는 구조.
- 경쟁평가 입찰이 따로 발주를 주는 계약이라기보다는 경쟁 테스트에 참여하는 것 정도.
https://breakingdefense.com/2025/01/army-launching-self-propelled-howitzer-competition-in-mid-february-after-globetrotting-evalution-tour/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6:50


🔅2025년 1월 라면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1902301010
$107,503,493

참고)
12월 전체 $110,280,156
11월 전체 $117,556,318
10월 전체 $116,963,977
9월 전체 $103,679,800
8월 전체 $100,621,511
7월 전체 $109,132,838
6월 전체 $104,081,666
5월 전체 $107,349,275
4월 전체 $108,537,851
3월 전체 $ 91,609,313
2월 전체 $ 92,905,406
1월 전체 $ 85,749,76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6:39


#라면
- 1월 수출 여전히 견조. 24년 대비 YoY +25% 로 한 단계 더 레벨업한 모습, 특히 미국 수출은 YoY +50% 성장했음
- 삼양식품은 올해 하반기부터 밀양 2공장 가동 예정. CAPA 기준 +40%가 더해짐
- 삼양식품의 현재 분기 미국 매출은 1,000억 정도 » 연 4,000억
- 아래 도요수산의 실적을 보면 미국에 아직도 룸이 꽤 많이 남아있어 보이기도 함

250131 도요수산 실적발표(9개월 결산)
- 매출액 395,214M 엔 (YoY +10.3%), 영업이익 62,298M 엔 (YoY +29.8%) 기록

실적발표 中
- In the Overseas Instant Noodles Segment, sales in the U.S. market saw a reactionary boost from a decline in sales caused by inventory adjustments by some customers in the nine months ended December 31, 2023, along with steady sales of the Ramen series, one of our signature products, and our Instant Lunch series in the current nine months.
- In Mexico, sales of cup-type noodles, our signature products, were steady following the price revisions implemented in April, and sales of bag-type noodles performed well as a result of efforts to expand sales. Furthermore, the impact of foreign exchange rates also contributed to the results, and sales increased.
- As a result, segment sales were ¥182,306 million (up 18.4% year on year). Segment profit was ¥44,516 million (up 41.8% year on year) mainly due to a decrease in raw material costs and an increase in sales despite increases in transportation costs and personnel expenses, among other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4:40


고민과 포트폴리오 (25.02.01)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44193388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4:06


■ AI 소프트웨어 관련주 분류별 정리용 (by 고잉)

-업무용 ai소프트웨어

한글과컴퓨터, 폴라리스오피스, 더존비즈온

-LLM(언어모델)
솔트룩스, 코난테크놀로지

-보안ai
샌즈랩, 모니터랩, 한싹,

-휴먼인간ai
이스트소프트, 마음ai, 솔트룩스

-소프트웨어솔루션
에스피소프트, 사이냅소프트

-언어번역ai
플리토

-ai공급망 솔루션
엠로

-음성인식ai
브리지텍, 셀바스ai, 플리토, 마음ai, 미디어젠

-의료ai
루닛, 뷰노, 딥노이드, 토마토시스템, 쓰리빌리언, 씨어스테크놀로지, 온코크로스, 제이엘케이, 셀바스헬스케어, 라이프시멘틱스, 노을 등

-ai신약개발
신테카바이오, 보로노이, 파로스아이바이오

-마이크로소프트 협업
에스피소프트, KT

-얼굴인식ai
씨유박스, 알체라

-ai데이터
크라우드웍스, 데이타솔루션, 비플라이소프트

-클라우드ai
폴라리스오피스, 솔트웨어

-교육ai
비상교육, ne능률, 아이스크림에듀, 웅진싱크빅, 유비온

-ai 마케팅솔루션
오브젠

-ai콘택트센터
Ktcs, Ktis

-딥페이크ai 방지
한빛소프트, 크라우드웍스, 씨유박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2:33


부품 국산화율 높아지고 환율 높고… 수익성 좋아지는 韓 방산

https://vo.la/IuffsJ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0:17


https://www.ema.europa.eu/en/news/meeting-highlights-committee-medicinal-products-human-use-chmp-27-30-january-2025

유럽 CHMP 결과는 기대했던 바와 달리 암젠의 몫이었네요.
삼천당의 차례는 아직은 아닌 듯 싶습니다. 다만, 이번에 승인되도 11월 이후에나 유럽에는 판매 가능하기에 큰 이슈는 아니라 생각하는데 금일 수급이 유럽 기대감으로 들어온 것이라면 단기 부침이 있을 수 있지만 큰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단기간 수급 잘 모름)

주가상승 트리거의 경우 큰 틀에서 아일리아 시밀러와 에스패스인데, 아일리아 시밀러의 경우 시밀러 최대 시장인 미국 계약이 체결 되었으며, 유럽의 경우 품목 허가가 나더라도 판매 가능 시기는 11월 이후이기에 아직 여유 시간이 충분한 상황입니다.

유럽 이외에도 국내 품목허가, 캐나다, 일본, 기타 지역 아일리아 시밀러 계약 / 에스패스 등 굵직한 모멘텀이 많이 남아 있기에 그 부분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삼천당의 경우 애초에 단기간의 타임라인으로 매수하지 않아 계속 홀딩하고 있는데, 회사가 언급한 큰 틀에서의 이벤트는 (아일리아시밀러 퍼스트무버, 에스패스)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며, 타임라인이 늦어진 점에 대해서는 다소 아쉽지만 비즈니스 본질에 있어서 차질이 빚어진 것은 아니기에 큰 우려는 하지 않습니다. (타임라인 늦어진 것에 대해 소통을 하지 않는 것에 화가 날 뿐)

특히, 아일리아 시밀러 미국 계약은 하반기 우려를 단번에 불식시키는 계약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전세계 시밀러 시장의 핵심인 미국 계약을 체결했다는 점은 대단히 큰 의미가 있으며, 미국 (+중남미)이라는 전세계 최대시장의 파트너로 삼천당을 선택한데는 삼천당의 특허회피가능성, 우수한 원가, 안정적인 생산체계 등 이 모든 것을 고려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금일 삼바의 소송 패소 소식을 보면서, 아일리아 시밀러 관련 특허 회피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으며 회사에서도 왜 그렇게 퍼스트무버를 자신하는지는 그 동안의 계약을 통해 입증해왔다고 생각합니다.
아일리아 시밀러 관련하여 국내 품목허가도 나오지 않고, 생각보다 지지 부진한 상황은 아쉬울 수 있지만 잘 되고 있다는 점에선 여전히 그렇다고 봅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에스패스인데, 아일리아 ‘시밀러’와 에스패스를 통한 리벨서스 ‘제너릭’이라는 아이템을 보며 회사가 추구하는 방향이 현재 미국의 기조와도 부합된다는 점에서 올해는 삼천당에게 운이 많이 따른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 미국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은 진심이며, 약가 인하를 위해 시밀러를 적극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약품 부족으로 인해 제너릭 도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선 요인 중 하나가 물가 안정에 대한 바람이기에 물가 안정은 트럼프 정권에서 계속해서 이어질 정책이며, 물가 안정의 일환으로 시밀러 및 제너릭 유도 정책은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용이 다소 장황했는데, 올해 삼천당은 본격적으로 아일리아 시밀러 관련 실적이 찍히면서 에스패스 관련 윤곽이 드러나는 해입니다. 80년 전통의 제약사가 최초로 시밀러 회사로 트랜지션하는 해이기에 회사입장에서도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됩니다.

단기간에 부침은 있겠지만, 전통제약사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변화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굉장히 기대되는 한해이며, 주주로서 회사가 목표하던 바를 상당수 이뤄내고 진전시키는 한해가 되길 바랍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Feb, 00:15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 정리

1️⃣ 2/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 그리고 중국, 멕시코, 캐나다는 지금 당장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우리는 어떠한 양보와 타협을 바라지 않는다고 발언 (Nothing can be done by CHINA, MEXICO and CANADA right now to forestall TARIFFS. We’re not looking for concession)

➡️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을 철회할 의사가 없으며, 협상보다는 일방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

2️⃣ 결국 칩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 (We will eventually put TARIFFS on CHIPS)

3️⃣ 석유와 가스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TARIFFS on OIL and GAS), 철강, 알루미늄, 구리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 (TARIFFS on STEEL, ALUMINIUM, and COPPER)

➡️ 석유, 가스 관세 부과 시점은 2/18일 경으로 예고한 반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이번달이나 다음달 정도로만 언급 (TARIFFS on STEEL and ALUMINIUM this month or next). 단, 철강에 많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강조

4️⃣ 관세를 부과해 제약 산업을 미국으로 다시 돌아오게 하고 싶다 (I want to bring PHARMACEUTICALS back to AMERICA with TARIFFS)

5️⃣ 2/1일 캐나다 석유에 대한 관세는 10%로 낮추겠다 (I'm bringing tomorrow’s TARIFFS DOWN to 10% on CANADIAN OIL)

6️⃣ 유럽연합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 (I will impose TARIFFS on the EUROPEAN UNION)

7️⃣ 관세 비용은 때때로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TARIFF COSTS are sometimes PASSED along to CONSUMERS), 단기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TARIFFS may cause Short-Term DISRUPTION). 하지만 관세에 대한 시장 반응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 (I'm NOT CONCERNED about MARKET REACTIONS to TARIFFS)

➡️ 인플레이션과 금융시장 조정 가능성을 인정하되 중장기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강행하겠단 의지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Jan, 19:22


»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3월1일부터 시행될 것이라는 로이터 보도가 있었으나 백악관에서 이를 부인

» 캐롤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은 금요일 기자 브리핑에서 "그 보도를 봤지만 사실이 아니다"라며, "방금 대통령과 만났고, 내일(2월 1일)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시행 일정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언급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Jan, 06:01


"시장이 가장 크게 오해하고 있는 것은 기업들이 DeepSeek의 방법을 사용하면 GPU를 덜 사용해도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사실, DeepSeek의 저비용 훈련은 확장가능('scalable')하다. 기본적으로 GPU를 더 추가하면 성능이 개선된다. 이것은 스케일링 법칙의 진보이다. (위 그림) DeepSeek 출현 이전, 스케일링 법칙은 둔화되고 있었다. 하지만 DeepSeek는 스케일링 법칙을 다시 되돌려놓았다"

by @JundeMorsenWu, 옥스포드 공학박사, 이전 바이두 수석 과학자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Jan, 04:41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710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Jan, 04:10


DeepSeek이 엔비디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세 가지 이유

국태증권기연구부는 DeepSeek-R1이 클라우드 및 엣지 AI 보급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지만, NVIDIA엔비디아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고 밝혔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 세 가지입니다:

2025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자본 지출(CapEx)이 지속적으로 신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며, DeepSeek의 등장으로 인해 즉각적으로 하향 조정되지 않을 것입니다.

NVIDIA는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완벽한 생태계를 이미 구축했으며, AI Agent CoT(Chain of Thought) 사고방식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NVIDIA는 여전히 시장에서 최고의 GPU 제품 제공자로, 알고리즘 효율성 향상을 통해 더 많은 AI 응용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여전히 강력한 연산 성능 기반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국태증권기연구부는 DeepSeek이 두 가지 대형 AI 모델(V3/R1)을 출시하며, 저비용 및 완전 오픈소스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이 성능이 OpenAI의 ChatGPT와 비교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AI 첨단 모델의 개발 과정에서 Scaling Law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가정 하에, 전 세계 AI 연구 개발팀은 더 강력한 AI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자원을 사용해 고급 GPU를 대량 구매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더 강력한 AI 모델은 AI 응용 시장의 단말 비용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AI 보급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따라서 글로벌 AI 군비 경쟁은 여전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의 장기적 발전 추세는 첨단 반도체 패키징에 유리할 것입니다.

현재 NVIDIA의 CoWoS(Chip-on-Wafer-on-Substrate) 기술에 대한 주문 삭감 신호는 보이지 않습니다.

또한, DeepSeek의 등장은 OpenAI의 구독 기반 비즈니스 모델에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프라이버시 문제와 부족한 파라미터 수로 인해 대형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및 고급 맞춤형 고객층에는 여전히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됩니다.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518736?from=edn_subcatelist_cate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Jan, 03:12


기관이 받는 유일한 전력기업

오전장 외인들은 전력섹터 익스포져도 줄이는 모습입니다.

#hd현대일렉트릭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Jan, 02:01


[키움 허혜민] 디앤디파마텍 파트너사, Metsera 공모가($15~$17) 상단 뚫고 $18 확정

https://firstwordpharma.com/story/5931788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10:47


https://n.news.naver.com/article/024/0000094536?sid=10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10:47


https://youtu.be/Ab38R4P0jiw?si=o2OadYDxip_sY6dM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10:46


파마리서치는 씨티씨바이오 최대주주다. 향후 경영권을 인수할 경우 씨티씨바이오 공장도 흡수할 수 있다.

파마리서치는 강원도 소재 1공장과 2공장에서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을 생산하고 있다. 보툴리눔톡신 리엔톡스도 강원도 파마리서치바이오 보툴리눔톡신 전용 생산시설에서 생산하고 있다. 모두 GMP 인증공장이다.

씨티씨바이오는 화성공장, 김해공장, 홍천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화성공장은 건강기능식품과 동물약품 첨가제를 생산한다. 홍천공장은 백신제조 시설을 완비했다. 동물용 주사제 및 액상제 제조 라인이 있다. CTCZYME 주원료 β-Mannanase 발효 생산을 맡는다. 안산공장은 내용고형제 전용으로 ODF 특화 완제품을 담당한다. SK케미칼로부터 인수한 시설이다.

파마리서치가 기존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보툴리눔 톡신 시설에 더해 건기식과 동물약품 등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다. 의약품 역시 케파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양쪽 모두 3개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일명 '3+3'이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8:59


https://blog.naver.com/cr2875/223737808196

이 의견에는 반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천 번이 산다고 치고 아무런 지식이 없을 때 본업이 중요하다라는 말은 당연히 시드머니가 확보되기 떄문이라는 말인데, 어떨 때는 돈을 못버는 직업을 얻을 수도 있고, 운이 안좋을 수도 있고, 환경의 제약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1,000번이나 살기 때문에 본업에서의 변수는 항상 잘될리가 만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 건 투자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아무리 적은 본업 소득이라도, 꾸준히 쌓다보면 부자는 아니더라도 먹고 살만한 정도는 도달할 수 있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7:50


다음주 일정

27일 : 소파이 실적(장전)

28일: 보잉, GM, 록히드마틴, RTX 실적(장전), 스타벅스 실적(장후)

28-29일 FOMC (기준금리는 4.25~4.5%로 동결 예상)

29일: 캐나다 통화정책회의, ASML 실적(장전), 테슬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IBM, 램리서치, 서비스나우, 울프스피드, 웨스턴디지털 실적(장후)

30일: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 미국 4분기 GDP 속보치, 마스터카드, 캐터필러 실적(장전), 애플, 인텔, 비자, 덱커스 실적(장후)

31일 : 12월 PCE, 엑슨모빌 실적(장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7:50


미국 1위 통신사 버라이즌, AI 인프라 신사업 "Verizon AI Connect" 런칭

- 전일 4Q24 실적 발표 컨퍼런스 중 새로운 수익원이 될 신사업 "AI Connect" 발표

- Connect는 통신 + 공간/전력/냉각 솔루션 추가해 판매하는 AI 인프라 서비스 (IaaS)
- Nvidia, Vultr 같은 파트너들과 함께 데이터센터/부지/전력 인프라 구축 중
- 이미 구글/메타를 포함한 메이저 고객들이 서비스를 구매했다고 밝힘

- 4Q24부터 이미 매출 반영 중
- 2025년에 더 많은 매출 기대. 현재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 파이프라인이 존재
- 2030년까지 통신사 AI 시장 TAM은 400억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7:15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현재 46만1000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대략 68조원을 넘는다. 그러나 2022년 도입된 인플레이션 억제법에 의해 법인 대체 최저한세(CAMT)가 적용돼 27조원 이상의 미실현 이익에 대해 15%의 세율이 부과될 수도 있다. 약 4조원이 넘는 세금을 내야할 수도 있다는 얘기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112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7:15


ㄴ 비트코인은 키워주지만 미실현 이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재정 부채를 줄이겠다는 의지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7:13


폭스콘 연말 축제, 젠슨 황 "폭스콘 GB 200 생산, 기대 이상"

폭스콘 그룹의 연말 축제가 어제(24일) 타이베이 대거돔에서 열렸다. 올해 처음으로 스포츠 행사의 형태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NVIDIA CEO 젠슨 황은 화상 연결을 통해 폭스콘의 Blackwell(GB 200 서버) 양산 성과가 기대 이상이라고 극찬하며 "불가능한 미션(mission impossible)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폭스콘의 류양웨이 회장은 젠슨 황을 내년 행사에 초대했으며, 젠슨 황은 이를 흔쾌히 수락했다.

젠슨 황의 극찬, "폭스콘 덕분에 성공"

젠슨 황은 화상 연결에서 "폭스콘의 Blackwell이 성공적으로 양산되어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언급했다. 류양웨이 회장은 "이는 팀의 노력 덕분이며, NVIDIA가 요구하면 폭스콘은 반드시 해낸다"고 답했다.

폭스콘 연말 행사와 GB 200 생산 성과

올해 폭스콘의 연말 행사는 "Team 폭스콘 Let's Run!"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자회사인 공업부련, 폭텅정밀, 폭화선진, 푸즈캉 등이 참여하는 팀 경기로 구성되었다. 전 세계에서 온 3만 5천여 명의 직원과 가족들이 행사에 참여했다.

비록 1분기가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공급망에 따르면 폭스콘의 GB 200 서버는 이달 하순부터 대량 출하를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상반기 실적이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GB 300 개발과 향후 전망

공급망 관계자에 따르면 폭스콘은 이미 GB 300 개발 단계에 진입했으며, 초기 NVIDIA의 GB 300 주문을 폭스콘이 주도적으로 확보했다. 폭스콘은 글로벌 경쟁사들보다 앞서 나가고 있다.

류양웨이 회장은 현재 타이완 신주 후커우 공장과 베트남 박장 공장에 5,000명 이상의 직원이 Blackwell 서버 생산에 매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젠슨 황은 폭스콘 직원들의 노고에 감사 인사를 전하며 "그들의 노력 덕분에 NVIDIA의 Blackwell 제품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젠슨 황, "Blackwell은 역사상 가장 복잡한 컴퓨터 제품"

젠슨 황은 Blackwell이 "역사상 가장 복잡한 컴퓨터 제품"이자 "컴퓨터 산업에서 가장 빠른 양산 속도를 자랑하는 제품"이라고 강조하며, 폭스콘의 성과에 감탄을 표했다. 그는 "제 기대가 매우 높았지만, 폭스콘은 이를 뛰어넘었다"고 덧붙였다.

행사 말미에 젠슨 황은 폭스콘 직원들과 함께 "Go Foxconn! Go Blackwell!"을 외치며 연대감을 보였다. 그는 "폭스콘 제조팀에 감사하며, 연말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전하며, 초과 근무 중인 직원들에게 붉은 봉투(보너스)를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류양웨이 회장은 젠슨 황을 내년 폭스콘 연말 행사에 초대했으며, 젠슨 황은 "정말 멋지다"며 이를 흔쾌히 수락했다.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513603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3:54



저희 하나증권에서 이번에 신규고객+기존고객(6개월이상 신용대출 미사용)에 한해 주식, 신용대출 프로모션 진행중입니다.

기간은 1월2일부터 3월31일까지이며
미국주식 대출 금리는 a,b,c등급 연4.5%입니다.

(1억당 월45만원) (수수료 및 환율 우대 적용!!)
국내주식 대출 신용금리는 연 4.99%입니다.

미국 및 국내주식 금리 타증권사 대비 최저로 생각합니다.

https://m.hanaw.com:444/main/wts/main/WT_010601_P.cmd

신용/대출 가능종목 조회


문의사항은 010-2413-7850으로 문자주세요 바로 연락드리겠습니다.

최대한 고객의 입장으로 맞추겠습니다.


하나증권은

1.프리장 거래됩니다

2.신규상장주들 상장당일 거래 가능합니다

3.cfd가능합니다(절세효과 22%에서 11% 전문투자자만
가능,롤오버비용발생(연4.3%)

4.커뮤니티 개설 예정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3:41


(치열해지는 비만치료제 분야: 노보의 아미크레틴, 36주차에 22%(!) 체중감량 효과)

=============
노보 노디스크의 차세대 비만치료제, 아미크레틴(amycretin)이 36주차에 22% 체중 감량 효과를 보여주며, 노보의 주가는 8% 이상 급등하였다.

Amycretin은 GLP-1/amylin(아밀린) 수용체 이중 작용제이고, 주 1회 피하주사제이다. 이번 임상은 125명 규모의 임상 1b/2a 상이고, 대상 환자의 치료 전 체중(Mean)은 92.7kg이었다.

일라이 릴리의 젭바운드의 경우 36주차 체중 감량율이 20.9%였고, 88주차에는 25.8%이었다. 아미크레틴도 시간이 지나면 체중 감량 효과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노보의 위고비는 주 1회 투여 GLP-1수용체 작용제이고, 일라이 릴리의 젭바운드는 GLP-1/GIP1 수용체 이중 작용제이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1/24/3014774/0/en/Novo-Nordisk-successfully-completes-phase-1b-2a-trial-with-subcutaneous-amycretin-in-people-with-overweight-or-obesity.html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1:04


*특징 종목: 엔비디아, 테슬라 하락 Vs. 알파벳, 메타, 일라이릴리 상승

엔비디아(-3.12%)는 메타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 발표에 상승 출발 후 매물 출회되며 하락. 특히 텍사스 인스트루먼트(-7.52%)가 실적 발표에서 향후 전망과 관련된 부정적인 내용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 여기에 중국 스타트업 기업인 딥시크가 GPU 적은 사용량으로도 원하는 결과를 내놓는 기술을 발표한 점도 부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가이던스 부진은 마이크론(-1.57%), 아나로그디바이스(-4.81%), 인텔(-3.43%),NXP세미(-2.93%), AMAT(-2.09%), 램리서치(-1.91%), ASML(-1.87%)등 대부분이 하락. 반면, 브로드컴(+1.84%)이 메타의 발표에 상승한 가운데 AMD(-0.16%)도 견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9% 하락.

테슬라(-1.41%)는 월초에 중국에서 차량을 공개한 후 미국과 유럽에서 새로운 모델Y를 출시했다는 소식에 상승 출발. 그러나 일론 머스크 리스크를 이유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더불어 전일 장 마감 직전 반등도 되돌림 유입 여파도 부담. 핸즈프리로 운전이 기능이 추가된 리비안(+2.24%)그리고 루시드(+2.57%)등은 달러 약세 및 금리 하락 영향 등으로 반등. 니오(+3.87%), 샤오펑(+3.09%), 리오토(+1.84%)등 중국 전기차 업종은 트럼프의 대 중국 관세 부과에 회의적이라는 언급에 상승. 알리바바(+3.53%), 핀둬둬(+7.05%), 바이두(+4.64%), 트립닷컴(+5.18%)등 중국 기업들 대부분 트럼프 발언에 힘입어 상승

메타플랫폼(+1.73%)은 뉴욕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한 점을 반영하며 상승. 이와 함께 애플과 구글이 여전히 틱톡앱을 스토어에서 삭제후 재등록을 미루고 있다는 소식도 영향. 스냅(+2.93%)도 상승. 알파벳(+1.16%)은 엔비디아 제품과 경쟁하는 자체 칩 사업을 진행 중이며 수천억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는 보도에 상승. 특히 현재 가격에는 관련 가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 그외 애플(-0.39%), MS(-0.59%), 아마존(-0.24%)등 여타 대형 기술주는 전일 장 마감 직전 0.5~1.0% 내외 상승한 점을 뒤로하고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한편, 유명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시장이 빅테크 실적에 너무 '과소 평가' 하고 있다고 주장 했지만 오늘은 영향이 크지 않음

노보노디스크(+8.47%)는 임상 1b/2상에서 36주차에 체중 감량이 최대 22%를 기록했다는 소식에 큰 폭으로 상승. 지난 12얼 후보물질 카그리세미가 3상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한 체중 감소로 발표하자 큰 폭 하락했는데 이번 새로운 물질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추정. 경쟁업체인 일라이릴리(+2.45%)는 장 시작전 하락 출발 후 결국 상승 전환했지만, 바이킹 테라퓨틱스(-1.26%)는 하락. 한편, 의료기술 회사인 얼루리언 테크(+134.86%)는 자사의 체중감량 기술을 비만 약물과 병용하여 시험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큰 폭으로 급등.

인튜이티브 머신(+4.06%)은 달 물류 등을 위해 NASA와의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그러나 로켓랩(-3.83%), 레드와이어(-3.67%)는 부진을, 새텔로직(+4.17%), 플래닛랩(+14.77%)은 상승하는 등 우주개발 관련 기업들은 차별화가 진행. 팔라다인 AI(+6.59%), 조비(+1.04%), 아처(+0.81%)등 드론, 비행택시 관련 기업은 강세. 틸레이 브랜드(+1.79%)등 대마초 관련 종목군은 워런 상원의원이 머스크의 정부효율성부에 대마초 규제 관련 비용 축소를 요구했다는 소식에 상승.

마이크로스트레티지(-5.21%)는 비트코인이 트럼프의 행정명령으로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락. 미실현 수익에 대한 과세 이슈가 보도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그 외 코인베이스(+0.67%), 라이엇플랫폼(+4.23%), 허트8(+2.40%)등 비트코인 관련 종목군은 대부분 상승. 비료업체인 CF인더스트리스(-7.50%)는 JP모건이 질소 비료 원재료인 천연가스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이로 인한 수익 추정치가 감소할 것이라며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하향 조정하자 부진. 모자이크(-2.05%)도 동반 하락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5 Jan, 00:22


*ZUCKERBERG SAYS META 2025 CAPEX $60B TO $65B, EST. $51.31B

*ZUCKERBERG PLANNING TO GROW META'S AI TEAMS 'SIGNIFICANTLY'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4 Jan, 19:57


2025.01.24 16:27:42
기업명: 두산에너빌리티(시가총액: 15조 8,219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45,890억(예상치 : 39,453억)
영업익 : 2,349억(예상치 : 2,182억)
순이익 : -743억(예상치 : 1,60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45,890억/ 2,349억/ -743억
2024.3Q 33,956억/ 1,148억/ -265억
2024.2Q 41,505억/ 3,098억/ 2,208억
2024.1Q 40,979억/ 3,581억/ 2,611억
2023.4Q 48,545억/ 2,967억/ -363억

* 변동요인
당사 및 자회사들의 매출/영업이익의 감소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480084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402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4 Jan, 19:56


"방사선으로 암세포 사멸"⋯SK바이오팜, RPT에 '진심'

노바티스 '플루빅토' 호조에 RPT 시장 급성장⋯대규모 투자 잇달아
내년까지 임상1상 진입 목표⋯저분자 단백질 기반 RPT 연구도 진행

#SK바이오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0439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4 Jan, 06:44


1. 한화오션 컨콜
- 올해 미국 해군 MRO 5~6척 추가 수주 기대.
- 트럼프 당선으로 한국 조선소에 유리한 환경 전망.

2. 삼성SDI 컨콜

가) 출하 및 생산
- ESS 생산능력 90% 상당 수주 확보.
- GM 합작법인 지난해 12월 조기 가동 시작.
- LFP 배터리 2027년 양산 계획.
- ESS 현지 생산 거점 진출 검토 중.

나) 시설 및 인프라
- 올해 시설투자 규모 전년 대비 감소 예상.
- 설비 투자 보수적으로 조정 계획.
- 상저하고 업황 예상, 운영 효율화로 대응.

다) 매출 및 수익성
- 지난해 4분기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전사 손익 흑자 수준.
-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 전망.
- 투자 대부분 ESS 및 전지 사업에 집중 계획.

3. 삼성전기 컨콜

가) 출하 및 생산
- 지난해 4분기 전장용 MLCC 출하량 증가.
- AI 가속기용 기판 시장 본격 진입, 매출 확대 전망.

나) 시설 및 인프라
- 해외 전장 생산 기지 확대해 공급 안정성 확보 계획.
- 올해 설비 투자 작년 대비 확대 예정.

다) 매출 및 수익성
- 전장용 MLCC 두 자릿수 매출 성장 예상.
- 패키지 사업부 베트남 생산라인 가동으로 매출 확대.

4. LG에너지솔루션 컨콜

가) 출하 및 생산
- 1분기 매출 성장은 다소 어려울 전망.
- LFP 북미 생산 올해 상반기 준비 완료.
- 하반기 JV 양산 준비 진행 중.

나) 시설 및 인프라
- 올해 시설투자 20~30% 축소 계획.
- 3조 원 규모의 자금 조달은 외부 차입으로 진행.

다) 매출 및 수익성
-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물량 회복 예상.
- GM 재고 1분기까지 타이트할 전망.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4 Jan, 06:27


#티앤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3149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4 Jan, 05:50


이수페타시스
-미국 AI데이터센터 직수혜 두산, 이수페타
-거버넌스 문제로 두산은 신고가, 이수빠따 땅굴
-두산 시총 5.4조. 두산 전자부분 NAV 평가 3.5조 (전자사업부 25년 매출액 1조 OP 1000억)
-이수빠따 25년 매출액 1조 OP 1600억
-이수빠따는 복합기업도 아닌데 시총 3조 이상부터 시작하는게 맞는거 아닌가 생각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14:09


#대만 #테크
- TSMC 무난하게 잘 성장.
- Wiwynn은 글로벌 빅테크향 비중이 높고 현재 생산라인 최대로 가동 중. 4Q26부터 오픈AI ASIC AI서버 출하 시작 가능.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10:32


#수출데이터(10일치 기준)
- 초고압: 10일치 기준 미국향 데이터가 특이하게 튀었던 4Q24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수출데이터를 상회하는 데이터.
- 창상피복재: 데이터가 크게 튀면서 일평균 ATH. 미국과 독일 등 데이터도 같이 튀는 모습.
- 톡신: 10일치 기준 전체 및 미국향 일평균 기준 수출데이터 최고 수준.
- 엔진: 10일치 기준 기존 월별 대비 절반 이상 기록.
- 쿼츠: 일평균 데이터 크게 증가해서 ATH 수준.
- CCL: 일평균 기준 수출데이터 최고 수준 유지.
- 지혈제: 데이터 준수하게 나옴.
- 기초화장: 일본향 및 일평균 수출데이터 크게 튀는 모습.
- 열교환기: 역대급으로 튀었던 12월 이후에도 일평균, 10일치 데이터 모두 높은 수준 유지 중.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10:31


MRO의 접근이 달라지는 두 조선사.

https://t.me/daegurr

한화오션
필리조선소 인수 등을 통해 미국내 생산거점도 마련함과 동시에 MRO + 미 상선까지 가져가는 공격적인 포석

HD현대중공업
좋게 말하면 아웃소싱을 주고 적절하게 마진을 각자 분할하면서 중소 조선사와 협업하는 포석

이러한 접근은 미래 어느 순간에 극명한 마진에 영향을 주겠죠.

어느쪽의 베팅이 효과적일지? 판단은 각자 해보시죠. 장단점이 있으니.

https://m.inews24.com/v/mnrd/1802909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6:00


https://youtu.be/NpJGdSFN_xU?si=loPs-BM3rFLYr-AY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3:41


고민과 포트폴리오 (25.01.11)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2244822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3:27


피곤하게 됐는데요. 이렇게 될수록 저는 트럼프가 어떻게 정책변경을 할지 궁금해 집니다. MAGA를 하기위해 질러놓은 정책들의 실현과 본인 지지 기반 유지를 위해선 모두 금리하락과 달러안정이 필요한데, 실제 시장지표는 다르게 가고 있으니까요. 정치인의 최우선 목표는 정권유지 이기 때문에 바이든에게서 표를 이탈시켰던 물가불안을 잠재우고 싶을것 같고, 따라서 뭔가 말을 바꾸거나 충격요법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드네요.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3:11


다음주 일정

14일: 미국 12월 PPI

15일: 미국 12월 CPI,
JP모건,CITI,웰스파고,블랙락 실적(장전)

16일: 미국 12월 소매판매,
유나이티드헬스, 골드만삭스,뱅크오므아메리카,모건스탠리, TSMC 실적(장전)

17일: 중국 12월 소매판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3:11


🔅2025년 1월 10일치 라면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1902301010
$38,462,849

참고)
12월 10일치 $35,615,846
11월 10일치 $32,001,530
10월 10일치 $33,239,773
9월 10일치 $39,017,413
8월 10일치 $25,868,234
7월 10일치 $38,669,321
6월 10일치 $26,482,959
5월 10일치 $32,318,604
4월 10일치 $37,694,238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3:10


🔅2025년 1월 10일치 보툴리눔 톡신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3002491000
$16,322,736

참고)
12월 10일치 $10,128,693
11월 10일치 $11,057,900
10월 10일치 $11,227,825
9월 10일치 $13,637,780
8월 10일치 $7,275,647
7월 10일치 $11,467,608
6월 10일치 $10,724,172
5월 10일치 $10,758,081
4월 10일치 $9,107,88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1 Jan, 03:10


🔅2025년 1월 10일치 초고압 변압기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8504230000
$19,908,425

참고)
12월 10일치 $29,759,492
11월 10일치 $7,151,383
10월 10일치 $15,689,506
9월 10일치 $71,881,715
8월 10일치 $5,349,750
7월 10일치 $19,080,066
6월 10일치 $11,457,488
5월 10일치 $8,650,434
4월 10일치 $11,851,21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22:15


🖋ITK 오늘의 한마디

연준의 통화정책을 좌우할 키 데이터로 인식되던 노동부의 고용 보고서가 12월 예상을 뒤엎고 무려 25만 6000명의 신규고용을 발표하면서 시장이 발칵 뒤집어졌습니다.

예상보다 훨씬 더 강했던 데이터 탓에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정당성이 무너졌기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완고하게 버티고 있는데 고용은 강하고 실업률은 4.1%로 떨어지면서 사실상 연준이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평입니다.

이제 월가는 1분기 금리인하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모습입니다. 고금리의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그렇지 않아도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가 있는 주식시장은 당연히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다시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는 당장은 상황이 괜찮지만 향후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비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S&P500은 기술적으로 작년 8월 이후의 상승 추세를 무너뜨렸다는 점에서 8%이상 하락하는 조정장의 시작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제 시장은 다음주부터 본격적인 거래를 시작합니다. 4분기 어닝시즌이 시작되고 잇따른 휴장으로 거래량이 말랐던 만큼 반등의 시작이 될지 혹은 조정의 시작이 될지 여부가 갈릴것으로 보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3f740671?u=3e083717&t=a198b57d3&from=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11:25


#브이티 #리들샷 신제품
#블랙트러플 #pure24kgold
#레드부스터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9:36


◾️카페24 사례로 본 S/W 기업들의 AI를 통한 수혜

카페24의 GMV와 인원규모를 살펴보면 특이점이 존재합니다. 기업들은 규모가 커질수록 당연히 인원도 늘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제조업 기반 산업이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는 당연한 변화이기도 합니다. 다만 S/W 기업들은 다를 수 있고 특히 AI와 결합한다면 그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습니다.

카페24의 경우에는 인원수가 23년 초부터 최근까지 약 200여명이 줄어들었는데 비율로 보면 -18% 수준의 감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회사 전반의 규모인 4개 분기 합산 GMV(계절성 감안)는 약 +14% 수준 증가했습니다. 인원이 -13% 줄어드는 동안 회사 외형이 +14% 증가한 것입니다.

AI와 별개로 카페24의 노력도 있었지만 AI가 이를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실제로 카페24의 직원 평가인 KPI 항목은 대부분 AI와 관련된 항목으로 채워져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회사 외형이 늘어나는데 인원이 줄어들 경우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고 실제 카페24의 실적에도 이러한 것들이 빠르게 반영되는 모습입니다.

꼭 카페24가 아니더라도, S/W 산업 전반에 적용이 가능한 스토리이며 게임 산업에도 적용될 기업들이 분명 존재할 것입니다. AI라는 큰 방향성 속에서 꾸준히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는 기업을 팔로우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9:35


시안 공장은 V6(128단) 생산량이 많은 레거시 위주 공장이라 지금처럼 세트 수요가 안좋으면 빠르게 감산할 수 밖에 없죠. 작년에 NAND가 약간 살아날때? 전환투자 미루고 바로 풀가동 한 결과(이때 키옥시아도 같이 가동율 끌어 올림)로 인해 수급 균형이 깨지면서 DRAM보다 빠른 낙폭으로 가격 하락했으니 이제 또 감산해서 수급 균형 맞춰야죠.
마이크론과 하이닉스는 계속 전환투자 꾸준히 해서 레거시 비중이 높지 않으니 eSSD만 수요 좋아도 어떻게든 버티겠지만, 레거시 비중 높은 삼전, 키옥시아는 세트 수요가 안 좋으면 감산해서 물량 조절하는 카드 밖에 꺼낼게 없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9:34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9:33


하이브

BTS 제이홉, 15개 도시 첫 솔로 월드투어
(지난해 10월 군 전역 후 공식 활동)


첫 콘서트 서울
25.01.14 선예매
25.01.16 정식 티켓오픈


북미·아시아 돌며 총 31회 콘서트
https://ibighit.com/bts/kor/tour/hope_on_the_stage/

https://www.reddit.com/r/bangtan/wiki/schedule/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4:54


[하이브] 제이홉(BTS) 월드투어 오피셜

BTS의 제이홉, 첫 솔로 월드투어 '호프 온 더 스테이지'(HOPE ON THE STAGE)를 시작

- 2월 28일~ 3월 2일 @서울 올림픽공원 KSPO돔(체조경기장)
* 3회 모두 라이브 스트리밍 병행

- 총 15개 도시, 31회 예정

서울을 시작으로 미국 로스앤젤레스·시카고, 멕시코 멕시코시티, 필리핀 마닐라, 일본 사이타마·오사카, 싱가포르, 태국 방콕, 마카오, 대만 타이베이 등

https://weverse.io/bts/notice/24616?hl=ko

출처: 위버스 공지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4:24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브이티 주가 하락 코멘트

- 계엄 이슈 이후 소비 위축으로 12월 내수 전반 수요 약세, H&B 채널 Sell in 축소 예상
- 면세의 경우 달러 상승 영향으로 전분기비 부진 가능성 존재

- 이와 관련해서 주가는 고점 대비 18% 하락 하며 반영 중으로 판단함

- 한편 일본/비중국 수요 견조함에 따라 전체 실적 변동성은 크지 않을 것

- 오히려 2025년의 해외 확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것
1) 25년 1월 리들샷 중국 위생허가
2) 25년 1월 미국 얼타 온라인 판매 시작
3) 25년 2분기 미국 코스트코 오프라인 입점
4) 25년 1H 유럽 지역 확장
5) 25년 3Q 미국 얼타 오프라인 전점 입점 예상

- 금일 주요 주주 강승곤 큐브엔터 대표(브이티 지분 5.4%, 큐브엔터의 브이티 지분율 12%)의 '스캠 코인' 관련 의혹 및 법적 대응 가능성의 기사 공유. 이후 후속 기사 확인 필요하나, 강승곤 대표는 공식적으로 이와 관련해서 사실 무근이라 언급하고 있음. 추가적으로 이 내용과 '브이티'는 관련 없음


***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2:55


보로노이 IR팀 답변 공유

질문1) 1월8일 VRN11에 대한 임상변경의 의미는?
: 기존에는 160mg까지 투약하는 내용이었다면, 현재는 320mg 혹은 그 이상까지도 투약할 수 있도록 식약처가 승인하여 업데이트되었습니다.
80mg씩 증량된다는 점과 Backfill 코호트가 진행된다는 점으로 임상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진행된 임상 내용을 바탕으로 식약처에서 다방면 검토한 이후 결정된 변경 사항인 점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2) 과거에 VRN11의 1b단계는 1a상의 80mg 용량 종료 혹은 MTD 결정 이후 중간분석을 실시하여 진행하겠다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을 포함한 1b는 언제쯤 그리고 얼마의 용량으로 신청할 걸로 보시나요?
: 임상 1b상은 세분화된 코호트 전략으로, VRN11이 진입 가능한 구체적인 환자군을 타겟으로 확대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전 메일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임상 투약 일정, 진행 상황 및 계획 등 보다 구체적인 임상 사항에 대해 외부와 커뮤니케이션하고 있지 않은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질문3) NDR 등의 계획이 있으신가요?
: NDR, 기업설명회와 같은 공식적인 IR일정은 현재 계획 중에 있습니다.
향후 계획이 확정될 시에는 공시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0 Jan, 01:19


오늘은 대장도 없는데 바이오?

유한양행 : mOS 1년이상 개선 (시한부 환자 입장에서 선택을 안할수가 있을까요?)
리가켐바이오 : 얀센 단독옵션 + 추가 L/O
알테오젠 : 듀피젠트, 산도즈, 키트루다데이터
SK바이오팜 : 추가드럭 + 적응증 확대
셀트리온 : 미국 짐펜트라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Jan, 22:52


[단독] 韓美 원전동맹... K원전 ‘웨스팅하우스 족쇄’ 풀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8153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Jan, 22:26


현대자동차그룹, 엔비디아 AI 및 Omniverse로 차세대 모빌리티 혁신

글로벌 자동차 그룹이 NVIDIA 기술을 활용하여 더 안전하고 스마트한 차량을 개발하고, 제조를 혁신하며 첨단 로봇 기술을 구현합니다.

스마트 모빌리티의 미래를 주도하기 위해 현대자동차그룹(이하 그룹)은 NVIDIA와 협력하여 AI 및 산업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차세대 안전하고 혁신적인 모빌리티를 개발합니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에서 발표된 이번 협력은 NVIDIA의 가속 컴퓨팅, 생성 AI, 디지털 트윈 및 물리적 AI 기술을 통해 현대자동차그룹의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을 한층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AI 기반 차세대 모빌리티

현대자동차그룹은 AI 기술을 차량, 로봇, 제조라인 최적화에 도입하며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및 로봇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 전략본부장 김흥수 부사장은 “현대자동차그룹은 AI 기술을 활용한 로봇공학, 자율주행 및 스마트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탐구하고 있다”며 “이번 파트너십은 그룹의 AI 기반 모빌리티 혁신을 더욱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NVIDIA의 데이터센터급 컴퓨팅 및 인프라를 활용해 현대자동차그룹은 방대한 데이터 처리 능력을 확보하고, 자율주행 차량(AV) 소프트웨어 스택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제조 혁신: 시뮬레이션 및 디지털 트윈

NVIDIA Omniverse 플랫폼과 OVX 시스템을 기반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은 소프트웨어 도구를 통합하여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제품 설계 및 프로토타이핑을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제품 출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기존 및 미래 제조 라인의 품질 개선, 비용 절감, 전반적인 효율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Omniverse 기술을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및 애플리케이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도 조성합니다.


로봇 공학 및 AI 기반 제조 혁신

NVIDIA의 Isaac Sim 로봇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현대자동차그룹은 가상 환경에서 산업용 로봇을 훈련하고, 제조 품질과 효율성을 최적화합니다. 이를 통해 로봇과 인간 간 상호작용을 더욱 직관적이고 안전하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NVIDIA 기술을 통해 현대자동차그룹은 더 안전하고 지능적인 차량을 개발하며,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제조 공정을 구현하고, 첨단 로봇 기술을 도입하여 더 스마트하고 연결된 디지털 작업 환경을 구축합니다.


CES 2025에서 발표된 혁신

이번 협력은 CES 2025에서 정식으로 발표되었으며, NVIDIA와 현대자동차그룹의 파트너십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미래를 여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blogs.nvidia.com/blog/hyundai-motor-group-ce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Jan, 21:28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바이오, 화장품/미용, 전력, 밸류업, 방산, 자동차, 유리기판, 로봇, 테크
- 상대강도: 바이오, 2차전지, 화장품/미용, 음식료, 전력, 조선/LNG, 우주항공, 유리기판, 로봇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LNG, 전력, 유리기판, 로봇, 바이오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조선/LNG, 화장품/미용, 전력, 유리기판, 로봇
- 특이적인 유동성: 에스오에스랩, 감성코퍼레이션

#제닉
- 자료참고: https://t.me/WoosanXNNN/95
- 바이오던스 미국 선적 데이터가 놀라울 정도의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음.
- 트래픽 ATH 유지하는 가운데, 코스트코 오프라인을 시작으로 얼타, 타겟, 세포라 등으로 입점 확대되고 있는 Phase 2 단계.
- 의외로 마스크팩에서 겔패드 등으로 제품이 확장되고 있음(출시 당일 올영 전체 1위).

#SNT에너지
- 12.23일 BECHTEL과 약 719억 규모의 에어쿨러 공급계약 공시. 트럼프 2기를 맞아 미국 내 기존 펜딩되었던 LNG 프로젝트들이 재개되기 시작한 후 첫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25년 본격화될 미국 내 LNG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가능.
- 23년 말부터 증가하고 있는 중동 LNG 프로젝트 지속과 더불어 신규 시장인 미국에서 급증하는 AI발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LNG 수요 가속화 기대. 미국에서 EU LNG 수입 압박을 지속하는 점 역시 추가 기대 요소.
- 최근 투경 지정으로 주가 변동성이 높지만 변동성을 조금씩 좁히고 있는 상황. 투경 해제 여부 최초판단일이 16일로 거래일 기준 5일 남음. 최근 AI와 관련한 인프라 및 에너지 등이 지속적으로 부각받고 있다는 점에서 투경 해제 전후 움직임 관심. 또한 20일이 트럼프 취임.

#HD현대일렉트릭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external/2025/01/09/000596/20250109001481/68809.htm
- 투경지정. AI 인프라 관련 및 실적시즌 도래에 따라 전력쪽 관심이 지속된다면 이외 종목들로 온기가 퍼질 수 있을지 관심.

#유한양행
- 렉라자 병용요법의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이 1년 이산 개선이 예상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 진행.
-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이라는 표현이 상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국산 신약을 도입한 다국적 제약사가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번이 최초.
- SC제형 CRL은 약효 이슈가 아닌 제조시설 점검 등의 이슈이며 주가에 어느정도 반영된 상황. 또한 24.12.31일 유럽 승인에 따른 마일스톤 440억 유입 등으로 호실적 가능.
- 지속 관심 가져볼 수 있는 제약/바이오 기업.

#방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38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40
- 코멘트 드린 바와 같이 현실성이 높지 않은 노이즈 기사라고 생각했고 방위사업청에서 엄중한 문구로 경고하는 보도 정정자료를 게시함. 이슈는 일단락.
- 업체들별로 실적 예상치 상회 및 수출 파이프라인 훼손 일단락 등의 이슈로 TP 레이즈 혹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일부 업체들의 경우 영업외 이슈로 손익 훼손이 발생 가능한 상황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매력도는 유지되는 상황.

#로봇
- 미국, 한국, 일본, 중국 등 글로벌리 시세가 나오고 있어서 띰 자체는 엄중한 건 맞는 듯.
- 한국에서 로봇 시세를 촉발시킨 대장주 레인보우로보틱스, 2~3등주로 인식될 수 있으나 휴머노이드 액츄에이터 관련해서 엣지를 보여주고 있는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 정도 관심.
- 레인보우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Jan, 17:32


할로자임 Vs 셀트리온 Vs 알테오젠

할로자임의 가이던스가 상향되었다. 컨센선스 는 여러 증권사 애널리스트 기반의 미래 예측이며 가이던스는 회사 내부의 시각을 보여준다. 가이던스는 회사 신뢰도와 직결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미국 기업들은 보수적 예측을 하는 편이다. 할로자임은 매번 가이던스를 지키거나 상회하는 실적을 보여 왔었는데 2024년 결산실적 또한 예측범위 안에 있음을 암시 하였다. 그리고 2025년 예상 실적을 상향하였는데 매출 상단 12억 2,500만 달러 로열티 상단 7억 5,000만 달러다. 2025년 예상 로열티 7억 5천만달려 약 1조 1천억 원 그리고 2027년은 로열티 수입 10억 달러를 예상하였는데 구.......

#검색왕 #alteking

📜📜📜본문보기📜📜📜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Jan, 09:25


•CPCA : 테슬라 12월 판매량 82,927대 최고 경신

•12월 중국 제조 차량 10,839대 수출

>乘联分会:特斯拉公司在12月份出口了10,839辆中国制造的汽车。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9 Jan, 09:21


올해 5조·내년 6조…삼성바이오의 질주, 'ADC+신공장'으로 가속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고 실적 경신 행진이 멈출 줄 모른다. 아직 실적 발표 전이지만 국내 증권가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4조5000억원 수준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더 나아가 연간 매출액이 올해는 5조원, 내년엔 6조원을 돌파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4공장 가동률 상승과 앞으로 나타날 5공장 가동, 6공장 착공 등 호재에 대한 기대도 유효하다. 최근 착공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시설도 또 하나의 성장동력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3912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Jan, 07:55


삼성전자 요약:

1. 외국인 순매수 2760억 (23년 8월 16일 이후 최대. 이날 +5200억 순매수 종가 80,200원)

2. 실질 롱머니 + 헤지펀드 수요. 대만 TSMC 매도하면서 교체 매매 수요가 주요 배경 (오늘 TSMC -2.2%) 삼전 실적발표 후 순차적 저점 뷰 +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회복 뷰에 더해 때마침 CES 셀온뉴스와 겹치면서 트리거가 됨. TSMC 포지션 차 있는것도 일조

3. 한국 YTD 달러 기준 +6.7%. 글로벌 수익률 1등 (글로벌 2위가 SOX +4.7%; 아시아 2위 호주 +3%) 아시아 펀드 입장에서는 한국을 가만히 지켜볼 수 없는 입장 (가격 모멘텀이 관심을 유발하는)

4.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EM 신흥국 아시아 펀드들은 작년 4분기에 삼성전자를 언더웨잇 해놓은 상황 (차트 참조)

5. 기술적으로는 부담없는 위치: 어제 50일선 저항이 지지선으로 바뀌고 오늘 양음양 패턴까지 시연 한 상황 - 다음 주요 저항선은 심리적 6만원, 100일선 61300원

> 현재로서는 포지셔닝 (positioning) 플레이 .. 모멘텀 플레이를 위해선 AI쪽 사업 진전 또는 상법 개정 필요할듯 DFIU!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Jan, 03:44


http://hankookilbo.com/News/Read/A2025010806560004978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Jan, 02:42


한 헤지펀드 매니저의 대담한 내러티브: SMIC가 TSMC를 장기적으로 따라잡을 것

1️⃣ 싱가포르 헤지펀드 APS Asset Management의 Wong은 지난 3년 간 peer group 97%보다 성과가 높은 헤지펀드 매니저: SMIC가 TSMC의 시총을 장기적으로 따라잡을 거라고 전망 - TSMC는 약 9,000억 달러 (약 1,400조 원)이며 SMIC는 460억 달러 (약 50조 원) - x20배 차이

2️⃣ 근거
1) 반도체 제조: 현재 자본적 지출 중심의 산업
- 단일 공장이 100억 달러에 달하는 비용이 소요: SMIC는 필요한 자본을 보유 + 중국 정부 지원
2) 충분한 엔지니어링 인재" 매년 500만 명의 졸업생 배출
3)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 SMIC가 서방 시장을 공략하지 않고도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
4) 극자외선 (EUV) 리소그래피 기계 접근성 부족에 대한 대처 가능성
- SMIC가 현재 최첨단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ASML의 EUV 리소그래피 기계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는 기술적 병목 현상을 인정하나 中 기업 중 하나가 자체적으로 EUV 리소그래피 기계를 개발하기만 하면, '칩 전쟁은 끝날 것'"

* 그러나 SMIC는 최소한 2026년까지는 구식이 되어가는 7nm 공정에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최근 몇 년 간 미국의 수출 규제가 심화된 결과 (+그 밖에 TSMC와의 기술력 차이 등)

#NARRATIVE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23:32


알테오젠의 JPMHC 정식 초청은 최초입니다. 키트루다SC 3상 성공, DS와 엔허투 ADC SC 최초 개발로 위상이 달라졌습니다.

이번 JPMHC에서도 사실상 참가기업 중 가장 많은 딜 논의를 할 것으로 봅니다. 작년 3건, 올해도 상반기부터 많은 딜 성과가 기대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23:21


[현대차증권 스몰캡/방산 곽민정]
성광벤드(014620): BUY/27,000원 (유지/유지)
<4Q24 Preview 및 탐방노트 : 우호적인 환경 지속>

■ 투자포인트 및 결론
- 동사의 4Q24 실적은 우호적인 환율영향과 주요 프로젝트들의 매출 인식 반영에 따라 매출액 703억원(+54.8% qoq, +10.9% yoy), 영업이익 208억원(+165.9% qoq, +191.2% yoy)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24년 신규수주는 2,55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며, 고마진 STS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어 수익성 증가에 기여할 것

■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2025년에도 북미 LNG 프로젝트 재개에 따른 수주가 클 것으로 보이며, 총 17개 프로젝트가 재개될 것으로 동사에게 신규 수주 기회가 될 전망. 동사는 4Q24 미국 수출 비중 51%를 기록하였으며, 미국 내 시장점유율 1위업체로서 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 2025년 신한울 3,4호기 원전 수주가 1Q25에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2022년에 수주한 3조규모의 이집트 원전이 본격적으로 착공됨에 따른 원전 수주가 2025년 동사의 신규 수주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엑손모빌, 옥시덴탈페트롤리움이 탄소포집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Wood Mackenzie에 따르면 CCS가 향후 10년간 전세계적으로 1,960억달러 (약 270조원)의 투자가 CCUS(탄소포집기술)에서 이루어질 것이며, 미국, 영국, 캐나다 순으로 큰 규모의 정부 자금이 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그에 따라 동사의 피팅 수요도 지속 확대될 것

■ 주가전망 및 Valuation
- 조선/해양 플랜트 부문의 수요 증가와 더불어 북미 기존 연기되었던 LNG 프로젝트 재개, 원전 수주 등 피팅에 대한 글로벌 수요 확대 등으로 북미에 높은 매출 비중을 확보하고 있는 피팅 업체로서 경쟁력 지속 전망

* URL: https://buly.kr/jYXDy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23:04


🗺 Comments

- 전일 나스닥 선물 지수(왼쪽 차트)는 정확히 저항선(빨간색 선)에 맞고 하락하면서 전일 CES 2025 행사가 투심을 Risk-On으로 전환시켜줄 만큼의 Micro 모멘텀이 되어주지는 못했음을 시사.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선물 지수는 5일, 10일, 20일 이평선과 전고점 지지선을 모두 한 번에 이탈하는 급락세를 시현.

- 전일 데일리 코멘트에서 랠리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화요일에 조정이 나오더라도 주요 지지선(=기존 저항선)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의 조정으로 그쳐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음. 그러나 전일의 급락으로 인해 모든 지지선이 한 번에 이탈되었으며, 이에 따라 Risk-On 전환을 위해 넘어야 할 산들이 더 많아지게 되었음. 아직까지 이번 주에 고용데이터 발표들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해당 이슈를 소화하면서 국채금리가 다시 안정될 수 있기를 기대.

- 한편, 최근 트럼프 트레이딩의 횡보 속에서 급등세를 시현하며 테크섹터의 부활을 이끌었던 Nvidia(오른쪽 차트)는 기술적으로 제일 좋지 않은 하락장악형 패턴을 만들면서 전고점 라인에서 큰 폭으로 하락하는 모습. 작년 3월과 7월에 엔비디아가 동일한 패턴을 만들면서 고점에서 크게 조정받았던 점을 감안할 때 수요일 장에서 유의미한 되돌림이 나와주지 못한다면 주가적으로 어려운 국면이 다시 이어질 수 있음에 유의.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22:53


https://insiderpaper.com/trump-says-nato-members-should-raise-defense-spending-to-5-of-gdp/
#방산
트럼프는 NATO 회원국이 GDP의 5%로 방어 지출을 인상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주장.
NATO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이 증가할수록 다양한 방위전력 준비가 진행될 것. 이 과정 속에서 한국 기업의 모습도 주목해볼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22:19


남조선 탈출 대작전 진행중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9096?cds=news_edit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16:3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엔터, AI SW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전력, 조선/LNG, 방산, 엔터
- 신고가(60일 기준): 테크, 조선/LNG, 로봇, 바이오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조선/LNG, 바이오, 미용, 방산, 엔터

#브이티
- 중국 위생허가 관련 노이즈에 대해 금일 IR에서 사실무근으로 반박. 일정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임.
- 미국은 코스트코 2차 리오더 및 2Q25 오프라인, 얼타뷰티 온라인 및 3Q25 오프라인 전점 입점 예정 등의 일정. 일반적으로 유통채널에서 전점 입점 사례가 크게 없다는 점에서 긍정적.
- 이앤씨는 24년 말 2차례 증설 진행. 이앤씨 지분 취득은 추후 해외 시장이 잘되면 증설을 해야할 때 외부자금으로 진행 시 지분 희석 우려를 선제적으로 제거하기 위함.

#제닉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external/2025/01/07/000452/20250107001337/70820.htm
- 투경 지정해제 공시.
- 트래픽 ATH 유지하는 가운데, 코스트코 오프라인을 시작으로 얼타, 타겟, 세포라 등으로 입점 확대되고 있는 Phase 2 단계.
- 의외로 마스크팩에서 겔패드 등으로 제품이 확장되고 있음(출시 당일 올영 전체 1위).

#한화엔진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7800441
- 25년 수주 가이던스를 1조원 이상 수준으로 제시했는데, 6,300억 공시를 진행하며 1월 2주차에 60%를 달성해버림. 기존에는 캡티브 물량 이외에 대부분 1,000억 언더로 공시했던 점을 고려할 때 매우 큰 수주로 보임. 또한 회사에서 소통을 할 때 국내와 고른 비중을 언급했던 바, 국내 물량 역시 연간으로 이와 유사한 수준만 나오더라도 가이던스 초과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 아시아 선주는 중국쪽으로 추정됨. 중국쪽 수주 물량을 매우 큰 건으로 받아온 것을 보면 중국의 Q가 한화엔진 없이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음. 한국과 중국 조선의 Q를 모두 받을 수 있다는 강점이 이번 공시로 부각.

#현대로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426
- 1) 실적 서프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2) P/E는 매력적인 것 대비 K2PL 2차, K2 4차양산, 루마니아 등 향후 실적 가시성을 보여줄 수 있는 수주 흐름 등.

#효성중공업
- 과징금 및 채무인수 등의 비용과 별개로 영업이익 기준 현재 추정치는 1,200억 수준으로 보이며, 이는 컨센 대비 부합 혹은 약상회를 기록하는 수치. 중공업 부문이 9,000억 후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중공업 마진이 생각보다 준수한 수준으로 예상됨.
- 초고압변압기 쇼티지가 지속되면서 최근 리드타임이 2년보다 길어지는 추세. 1H25 내 창원공장 증설 완료 시 국내 생산량 10%가 증가하며 즉시 반영 가능할 것으로 기대. 건설도 손실반영 이후 25년부터 정상적으로 이익 회복하면 긍정적 흐름 가능.

#코웨이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6800265
- 24~27년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공시. 24~27년 총 주주환원 규모 연결순이익 40% 수준으로 하며, 24년은 기말 배당과 기취득 자사주 2.6% 전략 소각, 25년부터는 기말 배당, 자사주 취득 및 소각으로 진행하는 것. 해당 공시는 기존 주주환원 정책 대비 2배 가량 확대되는 수준.
- 최근 M/S 확대 및 해외법인 턴어라운드로 성장률이 반등했고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과 함께 우호적인 상황. 증익 가능한 상화에서 생각보다 강한 주주환원 발표.

#유한양행
- 자료참고: https://t.me/bioksm/3291
- 이전 데이터에서 전체생존기간 데이터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것으로 보임. mOS값의 개선이 1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현재 표준요법 대비 생존율 이점을 처음으로 나타냄. Best-in-class에 대한 기대감.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16:28


#브이티
SKTG님 블로그 보고 생각 정리
- 2025년은 미국, 중국으로 확장
- 일본에서 브랜드력은 확실함, 한국은 살짝 불안함 있음
- 아직 4분기 실적 발표 안 났지만 24년 온기로 매출/영익/순이익을 4300/1150/920 억 정도로 가정하면 현재 주가에서 LTM POR 11.8, PER 14.7 수준
- 미국과 중국 둘 중 하나에서만 터져도 멀티플 리레이팅 + EPS 계단식 상승
- 파마리서치는 멀티플 리레이팅이 주요 팩터였고 제품 특성상 허가 받기 전에는 EPS의 계단식 상승이 없음을 생각해보면 브이티는 생각보다 업사이드가 매우 클 수 있음

https://m.blog.naver.com/st-kg/22371562630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10:20


#브이티

브이티 시기별 진출 내용 정리.

2024년 3Q : CJ/롯데홈쇼핑 시작, 현대백화점 판교점 진출
2024년 11월 : 말레이시아 Watsons 매장(100여 개), Guardian 매장(300여 개), 싱가포르 Watsons 매장(30여 개) 진출
2024년 12월~1월 : 미국 Costco 재입고
2024년 4Q : 일본 Costco 오프라인 납품
2025년 1월 : 중국 위생허가
2025년 1월 : 미국 Ulta 온라인 판매 본격화
2025년 1Q : 중국 판매 본격화
2025년 2Q : 미국 Costco 오프라인 납품
2025년 1H : 유럽 전 지역 판매 본격화
2025년 3Q : 미국 Ulta 오프라인 런칭 (1,400개 매장)
2025년 2H : 태국 판매 본격화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8:04


2025.01.07 16:54:49
기업명: 한화엔진(시가총액: 1조 6,097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선박용 엔진
공급지역 : 아시아 지역
계약금액 : 6,292억

계약시작 : 2025-01-07
계약종료 : 2028-11-08
계약기간 : 3년 10개월
매출대비 : 73.6%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7800441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827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274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3:42


CES 젠슨황 -AI 기술 발전 단계

초기의 "지각 AI"에서 시작하여 "생성 AI," "에이전트 AI," 그리고 궁극적으로 "물리적 AI"로 발전

지각 AI (Perception AI)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추천 시스템 (Deep RecSys)
의료 영상 (Medical Imaging)


생성 AI (Generative AI)
디지털 마케팅 (Digital Marketing)
콘텐츠 생성 (Content Creation)


에이전트 AI (Agentic AI)
코딩 보조 (Coding Assistant)
고객 서비스 (Customer Service)
환자 관리 (Patient Care)


물리적 AI (Physical AI)
자율 주행 자동차 (Self-Driving Cars)
범용 로봇 (General Robotic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2:06


biodance, reedle shot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2:02


#브이티

- IR에서 중국 위생허가 1월내 스케쥴 문제 없다고 소통
- 근데 원래 알던거 아니였나? 4.5% 오르넹 ㅜㅜ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1:08


[Deep Dive][알테오젠]②허셉틴, SC제형 출시에도 매출 75% 하락...키트루다는 다를까

SC제형의 바이오시밀러 경쟁 방어 효과 물음표
키트루다SC 매출 기대치 낮춰야

https://www.press9.kr/news/articleView.html?idxno=61489

이런 분석력 떨어지는 일부 사례만 들어놓은 기사는 무시하시기 바랍니다.

1)
유방암 시장은 엔허투 때문에 허셉틴IV와 SC 동반 매출 하락으로 봐야해서 허셉틴SC로 매출 방어가 어려웠다는 것은 틀린 분석이고

2)
허셉틴의 특허가 끝나고 낮은 약가의 IV시밀러가 출시된 상태에서 늦게 출시된 SC제형은 전환율이 낮고 매출도 낮을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특허만료 전 SC 출시로 시장 미리 방어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특허만료 전 SC출시 대표적 3가지 사례를 보면

1) J&J 다잘렉스SC는 전체 IV 매출액 93%까지 SC전환 성공했고

2) 로슈 티쎈트릭SC는 영국 출시 3분기만에 전체 IV 시장 32% SC 전환 성공

3) J&J은 아미반타맙SC를 유효성과 부작용 개선 목적으로 상업화 초기 단계부터 SC 전환 목표

키트루다SC도 2028-2030년 특허만료 시점 전에 2026년 미리 출시되는 것이고

엔허투SC 또한 2033년 특허만료 전에 알테오젠과 미리 SC 전환 전략 가져감

그리고 산도즈는 할로자임의 SC제품 특허만료될 때 SC 시밀러까지 출시 예정

알테오젠은 오리지날SC와 시밀러SC로 양쪽 시장를 다 먹을 수 있는 사업구조입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0:58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Givastomig(CLDN18.2x4-1BB) 를 포트폴리오 우선순위로 지정 발표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mab-announces-portfolio-prioritization-of-givastomig-cldn18-2-x-4-1bb-bispecific-antibody-as-lead-clinical-program-302342671.html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7 Jan, 00:58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1070927561646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12:30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23396?sid=10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12:28


2024 Global pharma/bio Top 30

* 릴리 or Not 릴리(YTD 릴리 +33%, 추가이 +31%vs. 노보 -11%, 암젠 -10%)

* 특허만료 상쇄 성공적 or 우려 (YTD 애브비 +14% vs. 리제네론 -20%)

* 중국 or 중국 외 CDMO (YTD 스위스 론자 +52%, 인도 선파마 +50%, 한국 삼바 +2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11:55


일진전기
https://m.blog.naver.com/hellowheesun/22371402103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6:0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SK하이닉스 4Q24 Preview: 이 판을 바꿀 Changer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
-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0조원, 영업이익 8.3조원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 8조원을 3% 상회할 것
- 통상 연말에는 연간 계획 수량 달성을 위해 가격을 낮춰 수량 판매를 늘리는 "밀어내기” 관행이 있었음
- 그러나 24년 중 동사는 수량보다는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통한 수익성 위주 전략을 고수
- 4분기 HBM의 디램 내 매출 비중은 40%를 상회해, 회사가 제시한 가이던스에 부합할 것
- 구성원들의 PS 충당은 매 분기 진행해 왔지만, 사상 최대 실적 달성으로 인한 추가 PS 지급 가능성을 고려해 3천억 수준의 추가 충당금 가정

● HBM 대장주는 2025년에도 바뀌지 않을 것
- 동사의 HBM 시장 우위는 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추정
-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HBM의 주력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아직 본격적으로 진입하지 못함
- 마이크론이 SK하이닉스에 이어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고 있으나, SK하이닉스보다 Capa와 공급 수량이 작음
-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외 ASIC 고객향으로 HBM 판매를 확대해, 24년 20% 수준이었던 ASIC 고객 비중을 25년 30% 가까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전망
- HBM 매출 비중이 디램 내 4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공급사 중 동사의 실적 안정성이 가장 높을 것
- 시클리컬한 메모리 반도체의 산업 특성이 아예 달라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동사는 HBM 판매 확대를 통해 시클리컬의 진폭을 줄이고 있으며 매 분기 실적으로 이를 증명

● 매수의견 유지, 섹터 내 Top pick으로 추천
- 목표주가 270,000원(12MF BPS, 목표PBR 2배)과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섹터 내 Top pick 의견을 유지
- 24년 동사는 HBM 판매 목표를 초과 달성했고, 25년에도 두 배 가까운 공급 증가를 계획
- HBM 12단 신제품 출시로 인해 ASP도 상승할 것. 25년 판매 수량과 ASP는 이미 확정되었기 때문에, 과거 사이클과 달리 전체 매출의 30% 수준을 미리 확보한 셈
- 이 점이 동사 외 메모리 경쟁사들과의 차별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

본문: https://vo.la/BWFEaS

#SK하이닉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6:07


.
■(#보령)이 투자한 "#인튜이티브머신스".

■ 전일도 +13% 상승하며 신고가 마감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6:07


전력사이클은 끊임없이 성장을 열망중. 끊성열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6:07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AI투자를 위해 전력기기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지속적인 어필중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5:39


https://blogs.microsoft.com/on-the-issues/2025/01/03/the-golden-opportunity-for-american-ai/
#AI #빅테크
MSFT가 올해 CAPEX $80bn으로 제시.
기존에 빅테크의 CAPEX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 1) 실제 매출액 대비 CAPEX가 20% 전후에서 움직이는데, 일반 제조업체들이 매출액 대비 30~40%를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담스러운 수준이 아닐 것으로 생각했고, 2) Net Cash를 고려하면 현재 매출액 대비 20% 수준은 더 상향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함.

즉, 빅테크들의 CAPEX 우려에 대해 과장된 면이 그동안 있었다고 생각했고 이번 MSFT의 CAPEX 제시가 이를 해소하는 단적인 장면이 될 것으로 보임.

국내 HBM을 포함해 AI 빅테크들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내 주식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할 수 있을 것.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5:21


MSFT : 올해 CAPEX $80b

마소 부사장 Brad Smith의 금일 공식 블로그 포스팅에 따르면 FY25 동안 AI 모델 학습과 AI 서버를 구축하는데 약 $80b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현재 시장 컨센서스는 $60.69b이며 이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을 제시한 셈. 전년 대비 무려 약 80%나 높은 수준

무튼 이중 절반 이상이 미국에 투자될 예정.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는 건설사 / 철강사 / 전력장치 / 액체냉각 업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

특히 차기 트럼프 정권에서 AI 산업이 강화될 수 있다고 언급. 19년 트럼프 1기 당시 AI 분야의 미국 리더십 강화 위해 행정명령을 승인한 바 있음

https://blogs.microsoft.com/on-the-issues/2025/01/03/the-golden-opportunity-for-american-ai/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4:58


소문에 따르면 Nvidia와 Qualcomm은 TSMC에서 삼성 파운드리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높은 비용과 제한된 용량이 이러한 움직임의 두 가지 이유입니다. TSMC는 올해 고급 칩의 가격을 5%에서 10%까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파운드리는 2nm용 실리콘 웨이퍼의 가격을 50% 인상하여 3만 달러로 인상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일부 TSMC 고객은 삼성 파운드리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율이 낮은 파운드리를 사용하면 필요한 칩 수를 만드는 데 더 많은 실리콘 웨이퍼가 필요하므로 삼성 파운드리 고객사의 비용도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phonearena.com/news/rumor-has-tsmc-losing-2nm-business-to-samsung-foundry_id166292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1/02/news-tsmc-to-lose-2nm-orders-nvidia-and-qualcomm-reportedly-mull-to-team-up-with-samsung/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4 Jan, 03:56


<케어젠 CG-P5>

1. 최대 교정시력(BCVA) 변화

가) BCVA란?
최대 교정시력(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은 환자가 안경 또는 렌즈를 착용했을 때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선명한 시력이다.

나) 주요 결과
- Placebo(위약): 시력이 -15.63 감소(악화).
- Treatment (CG-P5): 시력이 +1.29 증가(개선).
- Positive Control (Eylea): 시력이 -0.22 소폭 감소.

다) 의미
- CG-P5 치료군은 위약군 대비 시력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 Eylea와 비교했을 때, CG-P5는 시력 개선 효과가 약간 더 좋은 경향이 있다.

2. 망막 중심 두께(CRT) 변화

가) CRT란?
망막 중심 두께(Central Retinal Thickness, CRT)는 망막의 두께를 측정한 값으로, 부종(염증) 또는 시력 손실과 관련이 있다.

나) 주요 결과
- Placebo(위약): 망막 두께가 +34.96μm 증가(악화).
- Treatment (CG-P5): 망막 두께가 -41.14μm 감소(개선).
- Positive Control (Eylea): 망막 두께가 -81.11μm 감소(더 큰 개선).

다) 의미
- CG-P5 치료군은 위약군 대비 망막 두께를 유의미하게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 하지만 Eylea가 CG-P5보다 망막 두께 감소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이 확인된다.

<종합 해석>

가) 효능 평가
CG-P5는 Placebo(위약)와 비교해 시력을 개선하고 망막 부종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Eylea와 비교하면 망막 부종 감소에서는 다소 뒤처지지만, 시력 개선에서는 유사하거나 약간 더 나은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나) 임상적 의의
CG-P5는 새로운 치료제로서 기존 치료제(Eylea)와 경쟁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시력 개선 효과에서 강점을 가질 수 있다.

- 추가 연구 필요:
CG-P5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안구 내압(IOP)

가) IOP란?
안구 내압은 눈 내부의 액체(방수)로 인해 생성되는 압력으로, 높은 안구 내압은 녹내장 같은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나) 주요 결과
- Placebo(위약): 변화 없음 (16.13mmHg → 16.13mmHg).
- Treatment (CG-P5): 감소 (15.86mmHg → 13.57mmHg, -2.29mmHg).
- Positive Control (Eylea): 소폭 증가 (15.89mmHg → 16.00mmHg, +0.11mmHg).

다) 의미
- CG-P5는 안구 내압을 유의미하게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 Eylea는 안구 내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소폭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 CG-P5는 안구 내압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4. 신생혈관 병변 크기(CNV lesion size)

가) CNV란?
- 신생혈관 병변(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은 맥락막에서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성되는 상태로, 이는 시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나) 주요 결과
- Placebo(위약): 소폭 감소 (3.57 disc areas → 3.48 disc areas, -0.09 disc areas).
- Treatment (CG-P5): 유의미한 감소 (2.68 disc areas → 1.92 disc areas, -0.77 disc areas).
- Positive Control (Eylea): 증가 (2.59 disc areas → 2.86 disc areas, +0.27 disc areas).

다) 의미
- CG-P5는 신생혈관 병변 크기를 유의미하게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 Eylea는 병변 크기를 오히려 약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 CG-P5는 CNV 병변 감소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종합 해석>
1. IOP에 대한 효과
- CG-P5는 안구 내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며, 이는 안구 내압이 높은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CNV 병변 크기에 대한 효과
- CG-P5는 신생혈관 병변 크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며, 병변을 줄이는 측면에서 위약 및 Eylea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인다.

3. 임상적 의의
- CG-P5는 안구 내압 감소와 병변 크기 감소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 이는 CG-P5가 특정 안과 질환의 치료제로 유망한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4. 추가 연구 필요성
-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3 Jan, 20:44


"올 수주 목표액 5년來 최고"…HD한국조선해양의 자신감

HD한국조선해양이 올해 상선, 해양플랜트, 특수선 등의 수주 목표액을 180억5000만달러로 잡았다고 3일 공시했다. 조선업 호황이 시작된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올해 글로벌 상선 발주량이 작년보다 25.7% 줄어들 것이란 전망에도 수주를 낙관적으로 내다본 것이다.

#HD한국조선해양 #조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771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3 Jan, 20:36


올해 폭스콘 매출 7조 대만달러 돌파, 엔비디아와 함께 가오슝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추진

폭스콘 그룹의 회장인 류양웨이는 올해 그룹의 연간 매출 목표가 7조 대만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폭스콘이 NVIDIA와 협력하여 가오슝에서 서비스형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오늘 오후 류양웨이는 "가오슝 스마트시티 추진 위원회 연례회의"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짧은 인터뷰를 가졌다. 그는 폭스콘 그룹의 연말 보너스 계획에 대해 질문을 받자, 그룹의 연말 보너스가 항상 매우 좋았으며 올해는 작년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의 그룹 경영 전망에 대해 그는 매출 규모 목표가 7조 대만달러를 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관련 계획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에 대해 류양웨이는, 폭스콘이 NVIDIA의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과 하드웨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가오슝에서 서비스형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마트시티 응용 계획
스마트시티 관련 계획에 대해 그는, 폭스콘은 가오슝과 협력하여 스마트시티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넘어, 올해는 타이베이시와 지룽시와도 협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스마트폰 응용 소프트웨어(App) 분야에서 협력 진전을 볼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다음 단계에서 구축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류양웨이는 "충분한 시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App)를 먼저 구축한 후,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을 개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하드웨어와 스마트시티 연계
그는 폭스콘 그룹이 스마트시티 플랫폼 솔루션을 다른 도시에 이식하려면 주권 AI 하드웨어가 필요하며,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통합하여 더 많은 지역 응용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주권 AI 환경을 촉진하고, 이는 폭스콘 그룹의 상업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폭스콘이 설계한 컴퓨팅 센터의 용량은 스마트시티의 사용에도 공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46712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3 Jan, 07:00


[단독] 보스턴 다이내믹스·고스트 로보틱스, 특허소송 3년 만에 합의

보스턴 다이내믹스, 고스트 로보틱스 상대 소송 기각 요청
작년 추가 소송도 제기…'고스트 로보틱스 新주인' LIG넥스원 중재했나

https://vo.la/CyWXLa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3 Jan, 02:01


에이직랜드 상승 이유

https://www.financial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44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3 Jan, 01:05


> 수주목표
현대중공업의 수주목표는 높습니다
미포와 삼호는 낮지만
작년의 목표보다 높고, 작년에 목표를 크게 넘긴 점...

> 매출 가이던스
성장인데, 미포가 조금 그로쓰가 약해보입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3 Jan, 01:02


바이오

바이오섹터도 마찬가지. 코스닥이 작년에 전세계 최하위를 기록했는데, 지수 상승을 위해서는 바이오섹터의 반등도 필요합니다.

작년 11월 이후 가격 조정이 컸는데 근본 바이오 종목들은 여전히 펀더멘털 변화가 없고 시계열만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올해 계좌를 크게 늘려줄 종목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눌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23:22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매출은 현재 컨센서스 대비 유사하거나 소폭 낮은 수준으로, 보수적으로 잡은 것 대비해서는 양호함

수주는 전망치 기준
HD현대중공업 24년 95억불=>25년 125억불
HD현대미포 24년 31억불=>25년 38억불

이전부터 HD현대그룹은 수주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였는데, 우선 양사 모두 수주 전망치가 성장하는 그림. HD현대중공업은 예상보다 잘 나온 수준으로 보이고 HD현대미포도 양호한 수준으로 보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22:31


https://blog.naver.com/alteking/223713029429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04:46


2월 MSCI 편입가능 후보군

-레인보우도 이렇게되면 모를일이다 싶네여.

-편입 최종 결정은 1월 20일~31일 사이 종목 시가총액으로 결정.
5.5조원 넘으면 가능성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02:07


[IR통화] 브이티, 오버행 우려 완화.. 화장품 위주로 갈 예정

🎤'ggg'님 질문 요청하신 기업입니다!!

[Q&A]

Q. 최근 브이티 에코플랜트 유형자산 승계 공시가 나왔습니다. 저희 엔터, 화장품, 바이오 사업을 주력 사업부로 가고 나머지 사업부들은 정리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런 기조는 변함없을까요?
화장품 위주로 갈 예정
이러한 기조는 변함없음

Q. 컨콜에서 4분기 중으로 큐브재팬 잔여 지분 인수 마무리할 예정으로 들었는데, 계획이 취소되었을까요? 향후 계획도 미정이라고 보면 될까요?
계획이 취소되거나 그런 부분은 아님
아직 확정된 내용이 없고 원래 말씀드렸던 일정대로 진행되지 못했음
이 부분은 죄송하다고 말씀드림
추후 좀 더 정확한 내용이나 일정 나오면 소통하겠음

—— 그 밖의 질문 ——

Q. 그럼 내부 검토 중이나 논의 중 정도로만 이해하면 될지?

Q. 온라인은 유통, 수수료 등 사측이 부담하고 오프라인은 벤더가 해서 오프라인 쪽 마진이 더 좋다고 알고 있는데 현재도 그런가요?

Q. 온 오프 유무보다는 제품별로 차이가 더 크다고 보면 될지?

Q. 리들샷 제품 확장을 강하게 보여주고 계신데 다양한 리들샷 제품군의 판매 성과는 대략 어떤가요? 회사 기대치만큼 실적이 나오는 부분으로 이해하면 될지?

Q. 여쭤봤던 이유가 리들샷 유니버스에 대한 니즈가 얼마나 있는지? 반응 같은 부분은?

👉 전문보기
https://me2.do/xP89jpvo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02:03


BMS의 피하주사(SC) 제형의 ‘옵디보(Opdivo)’도 마침내 미국에서 시판허가를 받으며 PD-(L)1 SC제형 시장에 본격 진출하게 됐습니다.

BMS에 앞서 로슈(Roche)의 PD-L1 항체 ‘티쎈트릭(Tecentriq)’의 SC제형이 지난해 9월 미국에서 승인되며 본격적인 SC제형 시장경쟁이 시작됐습니다.

PD-(L)1 시장 선두인 미국 머크(MSD)도 국내 알테오젠(Alteogen)의 히알루로니다제 기술을 적용한 SC제형 ‘키트루다(Keytruda)’의 시장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머크는 지난해 11월 키트루다SC의 임상3상에 성공하며 가능한 빨리 허가절차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01:12


일진전기 CAGR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2 Jan, 00:08


젠슨 황, 대량생산 가능한 로봇은 세가지 뿐.
-자율주행차, 드론, 휴머노이드 로봇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23:31


[1/2, 장 시작 전 생각: 첫 단추, 키움 한지영]

1.

2025년 첫 거래일이 시작됩니다(오늘 국장은 10시 개장)

한국이나 미국 작년 마지막 거래일은 아쉬운 하락세로 종결되긴 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첫 출발을 둘러싼 불안감이 상존하고 있는데, CNN Fear & Greed index의 경우 지난 12월 FOMC 이후 계속해서 Fear 영역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네요.

심리는 주가에 의해 좌우되고, 최근 미국 증시 조정은 연말 포트폴리오 재조정, 절세 전략, 차익실현 등 일시적인 수급 영향이 개입된 측면이 있는 만큼, 조정의 지속력은 오늘부터 검증을 받는 시기가 될거 같네요.

참,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2025년 S&P500 전망치 컨센서스가 6600pt 정도 나오는데, 작년말 종가가 5880pt였으니 대략 기대수익률이 12%정도 나오네요.

2년 연속 20%대 상승한 이후 10%대 상승을 실현할 수 있을지도 지켜봐야 겠습니다.

2.

올해 코스피 전망을 보니 하단 컨센서스는 2,300pt 부근, 상단 컨센서스는 2,900pt 부근으로 사실상 지금 레벨이 하단 영역에 도달해있는 셈입니다.

“미국은 뭘 해도 올라가니까 그렇다치고, 국장은 너무 낙관적인 것 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들 수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낙관적이라기보다는 여기서 얼마나 더 나빠질 수 있을까의 시각으로 보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또 컨센대로 결코 가지 않는 게 주식시장이라고는 하지만,

어차피 시장참여자들이 컨센을 보고 각자의 전망을 수정하고,

데이터를 보고 예측을 바꾸는 과정에서 연초의 컨센서스가 크게 의미없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

컨센서스는 참고만 하는 것이고, 각 증권사들이 어떤 데이터와 논리로 전망을 하는지에 주안점을 두는게 적절합니다.

3.

그리고 다행히도(?) 새해 첫 단추는 잘 꿴거 같습니다.

12월 한국 수출이 6.6%(YoY)로 컨센(4.0%), 11월(1.4%)에 비해 높게 나왔네요.

반도체 수출이 캐리한 측면도 있지만, 자동차, 화학, 가전, 기계, 디스플레이 등 다른 품목들도 선방한 모습이었습니다.

원화 표시로 환산한 수출이 17.3%로 11월 7.8%에 비해 크게 늘어 났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환율 효과도 나오고 있는 듯 합니다.

물론 이렇게 데이터가 잘 나와도 국내 증시는 순탄치 않은 비포장도로 위에 놓여 있기 때문에, 변동성은 계속 출현할거 같긴 합니다.

하지만 그 길의 각도는 내리막이 아닌 오르막으로 상정하고 1월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게 맞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달도 거를 타선이 없는 이벤트들이 많은데, 위에 공유한 <그림>도 같이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2025년 첫 거래일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키움 한지영

——

오늘자 시황 이성훈 위원의 데일리 코멘트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645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10:29


#수출데이터
- 개인적으로는 성장하는 주식들이라면 YoY 성장은 '일반적으로는' 나와야 주가가 합당히 부여된다고 생각하기에 QoQ 중심으로 정리.

#변압기
- 미국향 소형 변압기 약 QoQ+10%, 미국향 초고압 변압기 약 QoQ 3배(분기/월별 ATH)

#라면
- 라면 약 QoQ+9%(미국향 QoQ Flat)

#방산
- 전차 및 장갑차 약 QoQ+130%

#미용
- 필러 약 QoQ+14%(분기/월별 ATH), 브라질향 필러 약 QoQ 2배(분기/월별 ATH)

#헬스케어
- 올리고 약 QoQ+80%, 혈액제제 약 QoQ+53%(분기 ATH), 지혈제 약 QoQ+38%

#테크
- SSD 검사장비 약 QoQ+43%, 미국향 SSD 약 QoQ+15%(분기 ATH), 산업용원자현미경 약 QoQ+60%(분기 ATH), 프로브카드 약 QoQ+11%(분기 ATH), DRAM 약 QoQ+11%, DRAM모듈 약 QoQ+31%, CCL 약 QoQ+23%(분기 ATH), MR-MUF 수입 약 QoQ+2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7:46


개인적으로 어제 헌법재판관 2명 임명으로

정치적 리스크는 사실상 끝났다고 봅니다.

18년부터 24년까지 한국증시를 이야기할때

상반기 기준으로

하락장이었을때는 6월부터 12월까지 안좋았고(18년 22년)

상승장이었을 경우에는 8-10월 or 9월 10월이 안좋았습니다.(23년 20년)

그 외에는 새로운 글로벌한 악재가 뜨지 않는 이상

1월에만 무사히 잘 넘기면

2월부터 5월까지는 할만한 시장이었습니다.

1월이 제일 중요한데

코스피 증시 85년부터 23년 39년의 세월동안

11월 12월 1월

3개월 중에 한달은 월봉이 양봉이 나왔습니다. IMF 리먼브라더스 IT버블 등 다 포함해서..

너무 걱정하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국내주식 상반기는 할만합니다.

하반기는 근데 때려치우십쇼.

못해먹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7:11


🔅2024년 12월 소형 변압기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8504219010, 8504219020
$64,912,619

참고)
11월 전체 $43,306,625
10월 전체 $46,762,112
9월 전체 $44,269,507
8월 전체 $37,216,351
7월 전체 $51,084,417
6월 전체 $56,476,672
5월 전체 $45,276,602
4월 전체 $47,230,672
3월 전체 $31,087,263
2월 전체 $35,049,578
1월 전체 $28,148,28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6:58


🔅2024년 12월 필러(화장품류 기타)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3304999000
$242,887,474

참고)
11월 전체 $238,296,132
10월 전체 $206,291,988
9월 전체 $225,040,524
8월 전체 $185,395,307
7월 전체 $189,476,700
6월 전체 $196,317,626
5월 전체 $202,160,858
4월 전체 $192,188,213
3월 전체 $188,095,484
2월 전체 $178,364,214
1월 전체 $186,083,74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6:50


푸른 뱀의 해인데 치유, 재탄생, 다산을 상징한다네요. 니 계좌 치유+ 다산 앙망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6:47


* 12월 수출입 간단 요약(빠르게 본거라 놓친게 있을 수 있음)


1. 반도체가 생각보다 안나쁨

- 디램(물량 +27%mom), 낸드(물량 -8%mom), SSD(물량 +11.9%)
- 금액 기준으로는 달러강세 효과로 모두 증가
- 특히 두산의 CCL 일평균 수출 +54%yoy / ISC 소켓 +40%yoy / 한미반도체, 파크시스템즈의 장비 수출 급증 / MR MUF 수입물량 급증 등을 감안시 AI쪽 모멘텀이 매우 강함을 암시(엔비디아 or ASIC 향)

2. 기초화장품의 미국향 수출이 4개월째 둔화

3. 변압기는 초강세 유지

4. ESS수출 급증

5. 지혈제(넥스트바이오메디컬) 수출 급증(물량 +198%mom)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4:27


📌 [토브스탁 USA] 돈나무 언니, 캐시우드 Top Pick 어떤 종목?


원본자료보기: https://blog.naver.com/tove_stock/223709493705

< 결론 >
1. 누적 379%, 8년간 연 평균 22.0% 수익률​

​2. 하이 리스크 - 하이 리턴의 포트폴리오

3. 테슬라를 운용자산의 11.0%인 12억 달러, 로쿠 7.7%(8억 달러), 코인베이스 5.3%(6억 달러를) 가장 많이 보유

4. 2분기 대비 3분기에 테슬라 투자금액 및 비중이 각각 1.5억 달러, 1.7%, 템푸스 1.2억 달러, 1.1%, AMD 0.9억 달러 0.8% 비중 증가

5. 반면, 코인베이스는 투자금액 및 비중이 각각 2.1억 달러, -1.7%, 줌 1.5억 달러, -1.3%, UiPath 1.1억 달러 -0.9% 비중 감소



< 세부 자료 >
■ 2017년 2월 이후 SEC 공시 자료 분석
포트폴리오 Top 10 종목
투자비중 증가 Top 10 종목
투자비중 감소 Top 10 종목
포트폴리오 수익률 백테스팅
주식, ETF 등 투자 자산 비중
주식 내 투자 섹터 비율 등

■ 캐시 우드, ARK 인베스트먼트
투자 원칙, 철학, 전략
운용 스타일
리스크 관리
성공 요인 및 사례 등



- 투자 판단의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표나 그림 등은 원본자료보기를 참고해 주세요.



■ 토브스탁 USA 텔레그램 !!
https://t.me/tovstock_usa
■ 토브스탁 KOREA 텔레그램 !!
https://t.me/tovstock_korea1
■ 토브스탁 실시간 종목 공시 텔레그램 !!
https://t.me/tovstock_korea
■ 토브스탁 연금, 연금술사 텔레그램 !!
https://t.me/iamrobo1
■ 토브스탁 KOREA, AI 주식 플랫폼 !!
https://kr.tovstock.com
■ 토브스탁 USA, 요즘 미장이 대세 플랫폼 !!
https://us.tovstock.com
■ 네이버, 연금술사 퇴직연금 정보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finlit/wfpm
■ 한경유레카, 친절한미정씨 종목 추천 !
https://eureka.hankyung.com/cp/aistoc-k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3:39


“올해는 무조건 로봇이다” 젠슨황·머스크 이어 삼성도 참전…로봇 시대 개막
-전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323억2000만 달러(47조6000억원)에서 2030년에는 885억5000만 달러(130조3000억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2030년 25만6000대, 2035년 138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38044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1 Jan, 02:23


#브이티
- 4Q는 아마존/블프 등 이벤트 있었고 신규 진출 등 이슈가 있었음.
- 25년에는 진출 국가 서구권 본격 확대 및 중국 진출에 따라 생산능력 증가는 필수적이며 이앤씨의 증설 가능성.
- 최근 이앤씨 물량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증설이 될 경우 돈이 들어올텐데 최근 12월 초 이앤씨 지분을 확대한 동사의 공시를 연결지어서 생각해볼 필요 있음.
- 동사에서 면세점 구매 제한을 늘렸더니 그만큼 매출이 증가했다는 점이 25년 신규 진출 시 업사이드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요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Dec, 10:11


24년 투자 오답노트: "과거 내 실수에서 배우고, 그래서 내 펀더멘탈은 우상향인지"


ㅁ 나와 정반대되는 투자성향/의견을 가진 사람에게도 열려있어야 한다.

- 잘못된 대표적인 예가 ‘최근 다수 투자자들이 해외/미국 주식 투자하러 유행따라 갔다’는 폄하 논리인데,
- 나처럼 오랫동안 국주 위주로 투자한 사람일수록 수급 상 늘 시소논리에 위협받기 때문, 본인의 포트 색깔 외의 테마가 상승하면 보통은 본인 주식들이 빠지고 ⇒ 이런 국주의 순환매 수급 논리가 타 섹터/테마 투자자에 대한 비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을수도 있을 듯

- 하지만 일단 이런 논리는 그 자체로 (1) 본인 생각을 수급 뺏기 경쟁에만 집중하게 만들고, (2) 잘하는 남들로부터 배울 기회를 박탈함
- 당연하게도 일부는 별 생각없이 유행이라 미국주식 하러간 사람 있을 수 있으나, 제대로 긴 호흡으로 몇배짜리를 발굴하고 투자하시는 수많은 분들이 증명하듯 전혀 틀린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의 전형임
- 다행히 나 역시 운좋게 올해 좋은 분들을 새로 만나 “단지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 미국 주식을 하는게 아니라, 그냥 내가 봤을 때 현재 전세계에서 제일 매력적인 주식이 일본/미국에 있어 그걸 많이 사는” 경험을 하게 됨
- 이렇게 그냥 바텀업 관점에서 성장/지속성이 매우 좋고 퀄리티 높은 주식을 사려고 하는 분들은 오히려 ‘국주에 대한 일반론적 폄하’가 거의 없고, 데이터를 잘 팔로업하면서 상반기에 삼양식품, 실리콘투/화장품 랠리를 싹 다 발라먹은 분들이 많음
- 최근에 이런 분들과의 교점을 늘리고 다양한 성장 소비재에 대한 접근 방법론을 빠르게 흡수한데는, 기본적으로 내가 후배가 되서 겸손하게 이쪽에서 잘하는 분들 방법론을 배우겠다는 생각이 큰 도움을 준 듯

- 앞으로도 내가 어떤 투자 색깔 변화를 꾀할 때, 해당 분야에서 잘 하시는 분들이 계실 듯. 그분들과 더 좋은 관계를 위해서라도 평소에 이런 오픈마인드로 다양하게 많은 아이디어와 방식이 존재한다는 유연함은 필수적. 최소한 모르면 까지는 말자는 생각
⇒ 남의 주식의 상승을 의식하고, 시기하고, 안티할 시간에 그냥 훨씬 더 매력적인 주식을 한국이든 미국이든 찾는다는 마인드로 접근하는 게 장기적인 기대 수익률에서도 훨씬 좋거니와, 일단 나라는 사람이 되고 싶은 더 멋진 투자자라는 생각임


ㅁ 트리거보다는 제품과 BM의 퀄리티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항상 먼저여야 한다.
- 현재 시점에서 본인은:
기업이 엄청나게 빠르게 성장하고, 그것이 지속가능한지, 성장 대비해서 가격이 저평가인지가 각각 1/2/3위로 중요하다는 생각임
- 이런 기업 자체가 매우 드물게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 조건으로 찾아진 기회들은 쉽게 놓쳐서도/팔아서도/팔로업을 포기해서도 안된다
- 지난 1년간 글로벌리 소위 잘나가는 소비재들은 명확했고, 이중 대부분은 아직도 각 분야에서 왕좌를 지키고 있음:
ex) ON, Asics, Garmin, 산리오/팝마트/미니소, 삼양식품, 실리콘투
- 어떤 ‘트리거’나 소위 재료, 정보로 이 주가가 단기에 더 가파르게 튈지를 고민하는 것은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나 이 게임의 가장 중요한 본질적 부분에 대한 고민의 중요성을 흐릴 위험이 있음
- 시장이 죽지만 않는다면, 이렇게 이익이 빨리 성장하는 기업들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국면이 상수라고 보는 것이 맞으며
⇒ 트리거/재료/정보를 찾는 것은 일종의 논지이탈



ㅁ 버프리얼 모집 안내
- 저희 팀의 성장기와 투자 아이디어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버프리얼" 신규 회원 모집 마감이 바로 내일 마감됩니다.
- 마감 후에는 6개월간 신규가입이 불가능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모집 안내 글: https://t.me/bufkr/12951
바로 구독 신청: https://forms.gle/uwBWWA1yVZ2oqazT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31 Dec, 02:25


#브이티

브이티 시기별 진출 내용 정리.

2024년 3Q : CJ/롯데홈쇼핑 시작, 현대백화점 판교점 진출
2024년 11월 : 말레이시아 Watsons 매장(100여 개), Guardian 매장(300여 개), 싱가포르 Watsons 매장(30여 개) 진출
2024년 12월~1월 : 미국 Costco 재입고
2024년 4Q : 일본 Costco 오프라인 납품
2025년 1월 : 중국 위생허가
2025년 1월 : 미국 Ulta 온라인 판매 본격화
2025년 1Q : 중국 판매 본격화
2025년 2Q : 미국 Costco 오프라인 납품
2025년 1H : 유럽 전 지역 판매 본격화
2025년 3Q : 미국 Ulta 오프라인 런칭 (1,400개 매장)
2025년 2H : 태국 판매 본격화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7:19


#브이티
일본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에서 리들샷이 미용액 1위, 뷰티 전체 14위.
시카 마스크는 뷰티 전체 2위. 참고로 1위는 손세정제라 실질적 1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6:03


🐺StrayKids 월드투어 추가발표
규모 206만석/47회 (실모객156만명)
총모객 +162% 회당모객+151%
(55만명/42회 > 143만명/44회)

✔️ 1차 발표 21회
https://t.me/gaoshoukorea/46647

✔️ 2차 발표 20회
https://t.me/gaoshoukorea/50041

✔️ 1차 추가공연 발표
https://t.me/gaoshoukorea/50187

✔️ 2차 추가공연 발표 (조기매진)
* 좌석수 ≠ 실모객수 (규모만 봅시다)
[2025] (하루씩 추가되며 2일 연속공연)
03-28🇨🇱Estadio Bicentenario 17,000석x2일
07-18🏴󠁧󠁢󠁥󠁮󠁧󠁿Tottenham Hotspur 62,850석x2일
07-26🇫🇷Stade De France 80,698석x2일

✔️K-POP 월드투어 모객수
BTS 2018-2019 : 193만명/62회
BlackPink 2022-2023 : 181만명/66회
StrayKids 2024-2025 : 156만명/47회
TWICE 2023-2024 : 150만명/51회
Bigbang 2015-2016 : 131만명/66회

#엔터 #하이브 #SM #YG #JYP #콘서트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5:52


https://m.blog.naver.com/alteking/22367515054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5:51


#알테오젠

<알테오젠 향후 이벤트>

1.
◈머크 Evercore ISI HealthCONx 컨퍼런스 / 12월 4일 오전 3:20
- 키트루다 피하주사 언급 기대

2.
◈머크 Citi 2024 Global Healthcare 컨퍼런스 / 12월 5일 오후10시
- 키트루다 피하주사 언급 기대

3.
◈다이찌 산쿄 라이선스아웃 계약금 약 280억원 수령 (2024년 12월 08일 이전)
- 별도 공시가 없다면 입금 된 것
- 특허에 문제가 없음을 재증명 받을 수 있음
- 2024년 결산 흑자 가능

4.
◈다이찌산쿄 R&D데이 / 12월 17일
- 엔허투 SC언급 기대
- 히알루로니다제 피하주사 추가 품목 개발 등 장기 전략

5.
◈인타스 첫 제품(허셉틴SC) 품목허가 신청
- 허셉틴SC로 추정
- 단회 '피보탈임상으로 허가 신청'이라는 '임상개발 시간 단축'의 의미

6.
◈알테오젠 임시주주총회 / 12월 26일
- 정관 변경
- 공장관련 언급, SI투자 합작법인 등 추가 설명 기대

7.
◈알테오젠 자금조달 확정
- 발행가, 상세 조건 등 확인
- 불확실성 해소

8.
◈테르가제 판매 개시 & 해외 판권 계약
- 동아에스티에서 생산, 파마리서치 공동프로모션
- 우선 국내 시판 후 해외 협력 모색할 듯.

9.
◈산도즈 첫번째 마일스톤 수령(25년 1월 이내)

10.
◈2025년 1월 13일~16일
- JP모건 헬스케어 참가
- 추가계약 가시화 가능성

11.
◈머크 키트루다SC 추가데이터 공개
- 학회에서 발표 예정

12.
◈머크(MSD) 키트루다SC 품목허가 신청 (25년 1월 추정)
- 허가신청(BLA) 마일스톤일지 최종 취득 마일스톤일지 여부는 확인해야함.
- 미국/유럽/일본 등 신청 or 허가시 마다 지열별로 분할 수령.
- 알테오젠은 500억원 이상의 마일스톤이 기대 됨.

13.
◈아일리아 추가 판권 계약
- 유럽 판권 계약
- 한국, 중동 등 기존 계약 내용과 함께 발표 기대

14.
◈머크 2024년 결산 실적발표 / 25년 2월 4일
-키트루다 연간매출 300억 달러달성여부(약 40조원)

15.
◈1차 계약사 임상 진입 / 25년 1H
- 품목독점 계약 변경 가능성
- 그 회사(?)맞는지 확인 가능
- 연구/임상시료 공급 완료 상태
- 첫환자 투여 마일스톤 발생

16.
◈머크 키트루다SC 오토인젝터 추가 임상
- 편의성 극대화
- 머크의 키트루다SC에 대한 중요성/ 상업화 /마케팅 의지 확인

17.
◈다이찌산교 엔허투SC 임상 진입/ 25년 1H
- 알테오젠 계약 후 최 단기간 임상 진입
- 첫환자 투여 마일스톤 발생

18.
◈머크 두번째 품목 임상 진입
- 품목 확정 / 품목 독점계약 여부

19.
◈신규 계약 체결
- MTA 회사들의 결과 도출
- 존슨&존슨 니포칼리맙SC 계약 체결 여부
- 국내 벤처와 협업 기대

20.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ALT-L9 유럽 품목허가 승인
- 유럽 물질특허만료 2025년 11월
- 임상을 빨리 끝내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출시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해 왔음

[출처] <알테오젠>다시 한번 몰려오는 이벤트 20개|작성자 검색왕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1:36


⭐️[컨콜노트] 대한전선 ⭐️

https://naver.me/xpr6YqV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1:36


⭐️[탐방노트] LS ⭐️

https://naver.me/xpr6YqV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10:56


#마감시황 #영리한황소
- 하루가 3일(오전 증시, 오후 증시, 장후)로 느껴질만큼 순환매가 빠르고 강하게 이뤄지는 중
- 오늘 주목할만한 부분은 오후 2시 이후 기존 주도 섹터인 AI SW가 소폭 하락하며 큰 낙폭을 보였던 소비재, 바이오 섹터에서 반등이 포착되었는데, 이게 데드캣 바운스인지 아니면 과대낙폭의 되돌림인지 유심히 지켜봐야할 것 같음
- 시황을 보면 곧 주도섹터 & 주도주가 나타날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단타 물량을 거두고 현금 보유량을 늘려나가는 중
- 오늘 폭설이 왔는데, 오늘을 기점으로 한국 증시에도 겨울이 마무리되고 봄이 찾아오는 기점이 아닐까 생각 중

#AI-SW
#NAVER #더존비즈온 #이스트소프트 #카페24 #솔트룩스 #루닛 #인스피언(12,8110) #뷰노
- 대장 섹터라 생각한 AI SW에서 상한가가 돌아가면서 나오는 중
- 바이오 AI에서 시세가 나오다 산업용 AI에서 시세가 나오다 Youtube 테마를 타고 이스트소프트가 상한가를 닫았다가 장 마감할 때 풀리는 모습
- 전형적인 주도섹터의 순환매 장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AI SW 섹터의 강세는 유지되지 않을까 생각 중
- 여기에 오늘 루닛의 IR이 있었는데 지금까지 IR만 하면 하락하는 징크스가 있었는데 이번에 루닛이 그 징크스를 깨고 종가 상승 마감한 점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었음
- 신규 상장주 중 SW가 엮인 인스피언이 공모가 12,000원을 하회하던 중 8,110원에서 수급이 포착되는 모습을 보이며 상승의 불씨를 보여줬음

#로봇
#엔젤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 머스크의 로봇 발언도 있으며 로봇 섹터에도 훈풍이 부는 중
- 결국 미국의 리쇼어링은 AI SW를 통한 생산성 극대화와 로봇을 활용한 인건비 절감이 핵심
- 이 내용을 머스크도 알고 있기에 AI SW & 로봇을 계속해서 언급하는 것이라 생각
- 트럼프의 호위에 로봇개가 사용된 것만 봐도 미국은 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는 와중에 트리거가 하나씩 나올 수 있다고 생각

#드론
#에이럭스
- 전투기를 드론으로 대체하자는 머스크의 발언 이후 강세
- 이번 러우 전쟁에서 드론의 효용과 가성비는 충분히 증명되었다고 생각
- 오늘 기타 법인에서 60만주의 물량이 나오면서 상한가까지 올랐던 주가를 눌렀는데, 단일 법인의 물량일지 아니면 락업이 풀린 물량이 계속해서 나올지 유심히 관찰하며 트레이딩할 계획
- 12월 1일 약 15%의 지분이 추가로 락업 해제되는데 이 부분도 고려해서 트레이딩해야 함

#중국
#하나투어 #JYP
- 중국 개방 관련 여행 & 엔터주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는 중
- 단순히 개방을 통한 Multiple Rerating이 아니라 EPS 상승까지 동시에 기대가 되는 시기
- 앞으로도 좋은 시세를 보여줄 수 있는 섹터라 생각

#재건
#전진건설로봇 #에스와이스틸텍
- 재건 섹터가 수급은 좋았으나 음봉으로 마감하는 모습
- 중동 재건 테마주인 한미글로벌은 오늘도 하락하는 모습으로 재건 섹터는 셀온더뉴스가 워킹하는 섹터라는 생각이 점차 강해지는 중
- 다만 러우 전쟁이 종료되었다는 공식 발표전까지는 시세를 계속 주지 않을까

#비만
#올릭스 #디앤디파마텍
- 펩트론이 IR이후 힘을 못 쓰는 와중에 개별 호재가 있는 비만 섹터 주식들이 상승 중
- 올릭스, 디앤디파마텍 모두 긍정적인 뉴스가 연이어 들리고 있으며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주식
- 비만은 전세계인들의 건강 관련 핵심 토픽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세가 기대되는 섹터

#배당
#SK텔레콤 #KT #KB금융
- 수급에는 포착되지 않았지만 LGU+까지 배당 관련 섹터들의 강세가 확인되는 중
- 배당 수익 & 시세까지 포함하면 안정적으로 2~30%의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니였나 싶지만 지금 자리에서 매수를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자리

#케이블
#가온전선
- 중국 해저 케이블을 사용하지 말라는 뉴스가 25일 발표된 이후 시세가 유지되는 중
- 안티 중국 테마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섹터

출처 : 영리한 동물원(t.me/stockinvcowcow)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07:53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현대차: 관세 우려를 이길 수급 효과]

- 인도 IPO로 유입된 3조원에 대해 1조의 자사주 매입 발표. 7천억원은 주주가치 제고목적으로 소각, 3천억원은 성과급 대비. 3달간 동일 금액 매입 시, 일 거래량의 6%

- 경쟁심화로 실적 Peak out, 관세우려가 반영되어, 주가는 PBR 0.5배 / PER 4.3배까지 하락. 주주환원 수익률 8.4 %로
하방 경직성 확보

- 미국 M/S 확장과, 
GM, Waymo, 도요타와의 얼라이언스 강화가 주가 회복 모멘텀

*리포트 링크

https://is.gd/xzvJSl

(2024/11/27일 공표자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06:53


24.11.27(수)_밀리길래 아또 뭔악재냐 싶었는데 그냥 일상이었음.

- 지수가 또 밀리길래 아또뭔 악재냐 싶었는데, 돌아보니 일상이더라..

- 코스닥 외인 매수하긴 했음. 46억 순매수함.. 싸다매...

- 중간에 바이오가 돌리길래 바이오쪽으로 돈쏠림으로인해 버티는데 비해 하락종목이 많은 줄 알았는데, 걍 바이오가 아니라 시장자체에 돈이 없는듯. 코스닥 7.1조, 코스피 8.4조..;;

- 아침에 방향성이 AI를 향하고있댔는데, 운좋게 금일 AI 섹터들이 힘이 좋았던것같음.

참고로 말하자면 오전에 AI종목 한개도없었고 보유하고 유도할 생각 1도 추호도 없음.

- 금일 강했던 섹터는 AI SW, AI, 로봇, 드론, 대북관련 정도.

- AI로봇은 거의 확정된 미래라 생각해야할듯하고, AI는 의료용이 좀 죽었고, 대신 업무용 AI 카페24한글과컴퓨터, 더존비즈온 등이 강했음.

- AI섹터와 대북 섹터가 강하게 올랐는데, 특히 AI는 폴라리스, 셀바스, 과거 대장이었던 에스피솦트, 이스트솦트, 코난텤놀로지 뭐 다 오르면서 섹터가 그냥 죽진 않을거란 예고를 했음.

- 재건은 눌릴때 담아야할것같고, 조선도 좋은자리에 눌림주는건 좋다고 생각함.

- 금일 대왕고래 섹터가 막창나면서 오전에 좀 어지러웠는데, 셀온일거 뻔이 알면서도 왜 매도안쳤을까-.. 반성 피드백 오지게했음. 아마 오늘내내 좀 나와 대화할 반성의 시간이 필요할듯.

- 금일 대북은 쫏기 쉽지 않았을테고, AI에서 매매안했다면 좀 지루했을 하루라고 생각. 최근들어 코스피/닥 둘다 지수가 상방을 못가고 또 휘적이는 모양샌데, 또 그림은 하방쪽에 더 기운듯한 모습.

- 시장에서 할것들은 많다고 생각함. 테마가 쉬지않고 나와주고있으니..

- 쉽지않은 시장의 연속임. (언제즘 시장 좋다는 말이 나올까😂)잘해도 잘하고 싶고, 못할땐 더 잘하고싶음. 목표에 닿고나면 또 목표를 상향하니, 목표없이 계속 위를 향하는 기분.

- 다들 고생많으셨고.. 이럴때일수록 더 잘챙겨먹고, 충분한 공부후에 푹주무시길 바랍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7 Nov, 00:42


ㅁ 개인생각

트럼프 당선 이후 장 변동성이 3~4배정도는 더 커진 것 같네요. 지수만 본다면 큰 변동이 없어보이지만 8/5일 이후 3개월 조금 지났는데 이런 흐름이 나오는 것은 이례적으로 봅니다.
지수는 모르겠지만 국내 시장에 대한 센티는 이제 바닥이 아닐까라 생각하며, 더 나갈 사람은 없고 들어올 사람밖에 없다 생각하여 주식비중 많이 올렸고 매매도 테마주를 하기보다 근본 종목들로 좀 채워놓았습니다. 반등좀 가즈아..😕😕😕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23:33


https://m.blog.naver.com/combat123456/22367133589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23:22


[한투증권 위해주] HK이노엔: 미국에서 제기된 P-CAB cost-effectiveness 이슈

보고서: https://vo.la/ApwXsB

HK이노엔의 최근 주가 하락은 패썸 파마 영향으로 추정합니다. 패썸의 주가는 표면적인 이슈없이 급락했습니다.

최근 발간된 논평과 미국 위장병학회(AGA) 가이드라인 업데이트를 확인한 결과, 미국 P-CAB 제제(현재로서는 보노프라잔)에 대한 가성비(Cost-effectiveness) 이슈가 제기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P-CAB 시장 축소 가능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물론 AGA도 P-CAB 만이 보여줄 수 있는(이 경우 보노프라잔) 1) 중증 미란성 식도염에서 비교 우위 효능, 2) On-demand treatment의 유용성, 3)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에서의 비교 우위 유용성, 4) 출혈성 십이지장 궤양에서의 유용성은 인정하지만, 장기 안전성 및 head to head comparison 결과 부족으로 비미란성/초기 미란성 식도염 환자 처방은 대체로 PPI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케이캡 미국 가치를 5천억원으로 하향 조정하면서 HK이노엔의 목표주가를 7만원으로 28.6% 하향합니다. 다만 미국과는 별개로 국내 P-CAB 시장은 약가 논란 없이 커지고 있어 케이캡 및 HK이노엔 영업가치에는 변화가 없다는 측면에서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23:07


# 최근 가장 강한 테마는 AI소프트웨어

#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팔란티어 등 신고가흐름
# 오라클도 5일선 회복하며 전고점수준까지 반등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23:05


머크 일정

2024년 12월 03일

Merck :제7회 Evercore ISI HealthCONx 컨퍼런스에 참석

Merck Research Laboratories의 수석 부사장, 글로벌 임상 개발 책임자, 최고의료책임자인 Eliav Barr 박사가 제7회 Evercore ISI HealthCONx Conference 참여할 것


2024년 12월 05일

Merck- Citi 2024 글로벌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석


회장 겸 최고 경영자인 Robert M. Davis와 Merck Research Laboratories의 수석 부사장, 글로벌 임상 개발 책임자, 최고의료책임자인 Eliav Barr 박사가 2024년 12월 5일 목요일 오전 8시(동부 표준시)에 열리는 Citi 2024 Global Healthcare Conference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발표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22:52


꽤나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한번 더 강조

드론? 유인기에서 무인기로 바꿔 (ai)

업무? 인간에서 컴퓨터로 바꿔 (ai)
병원치료? 의사한테 받지말고 ai sw 써봐 (ai)
...

- 일론머스크

모든 방향성이 A.I.를 가리키고있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19:12


24.11.26(화)_장마감, 국장 못하겠다고 투덜거려도 무죄.

- 고무적인것계속해서 시장에 테마가 생겨난다는 것이고, 일론의 마우스가 이젠 트럼프보다 더하단 생각이 들정도.

- 반해서 시장은 계속해서 좀 험난하고 매매하기에 좋은 환경은 아닌듯함. 그리고 시장의 기울기가 확실히 AI쪽으로 기울고있단 느낌을 받음.

- 주 섹터는 드론, AI, AI SW+자율주행, 재건 정도 볼수 있을듯함. 물론 좀더 넓게보면 더있음.

- 시총 1조 이내, 대금 1천억 이상 터진건 단 5종목
(대동, DS단석, 셀바스ai, 쓰리빌리언, 위츠)

이중 신규주가 2개고, 대동, 단석 차트 별로면 그나마 셀바스ai..

그리고 금일 코스닥 대금은 6.6조로 또 며칠사이 8조 살짝 넘기고, 오~그래도 대금 들어오나? 싶더니 바로 고꾸라지는 국장-

- 코인 하시는분들은 숫자가 잘못된줄 알지도.. 코스피닥 시장에서 물론 시총 1조 이하지만.. 천억 대금 터지는게 고작 5종목...

어짜피 시장에 계속 머무를거면 투덜거릴필욘없지만 그만큼 물이 말라가고 있단건 인지할 필요.

- 상한가 간것들도 전부 일론에서 시작된 것들.
1) 제이씨현시스템-> 드론
2) 쓰리빌리언-> AWSW
3)링크제니시스-> 뉴럴링크
(더있지만 유의미한것들만 뽑음)

- 섹터당 쏠림이 좀 심해보이고, 11월 정말 쉽지않았는데, 남은 한주간 좀 사리면서 매매해도 괜찮을지도.?

- 드론쪽은 건강한 종목들이 없어서 좀 주의할 필요는있고(손이 잘안감그래서) 나머지 종목들도 신규주 제외하고서는 그리 건강하지않은 종목군들이 대부분.

그래도 테마가 형성되었다는데 의의를두고 매매는 해볼법한.

- 금일 바이오의 파괴적 하락이 또한번 있었는데, 앞으로의 계약이나, 멀티플이나 다 제하고 그냥 결과적인 차트만 봤을때, 상방 하방 중 당연히 후자임..

- 인내심이 없다면 손실나기 정말 좋은 시장인것같고, 지금은 위에서 매매 잘하거나, 밑에서 받으려면 시간을 좀 줘야할듯함.

- 다들 고생많으셨고, 이럴때일수록 잘챙겨먹고, 푹주무시길 바랍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19:07


근데 이거 진짜 수혜임 무려 전쟁중에도 철수 안하고 현지 생산법인 운영중 표창도 받고 러시아 폭격도 맞음 ㅋㅋㅋ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6331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5980

https://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6343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899731?sid=101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3652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19:02


[신한투자증권 IT부품/전기전자 오강호, 서지범]
 
티에스이: 업그레이드 완료
 
▶️ 제품 다변화를 통한 성장 스토리 입증 2025년 실적 기대
- 3분기 호실적 발표 → 중장기 성장 모멘텀 긍정적 전망 유지
- 2025년 디램용 프로브카드 및 인터페이스보드 매출 성장에 주목
 
▶️ 3Q24 Review: 서프라이즈 배경, 2025년 전망은 긍정적
- 3분기 영업이익 206억원(+204% YoY) 호실적 기록
① 프로브카드: 매출액 284억원(+135% YoY) 서프라이즈 기록
- 낸드 → 디램 제품군으로 포트폴리오 확장이 긍정적
② 자회사: 연결 매출액 386억원(+22% QoQ) → 실적 개선
 
▶️ 목표주가 62,000원, 투자의견 ‘매수’
- 2025년 EPS 3,515원에 Target P/E 18.0배 적용
- 제품 다변화로 밸류에이션 상향도 기대
 
▶️ URL: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95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6일 07시 3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6 Nov, 18:41


#시황분석 #영리한황소
- 플리토, 지누스 사례를 보면 호재가 보이면 급하게 올리고 반대로 악재가 보이면 급하게 내리는 시장인 것 같고, 전형적인 고인물 시장
- 호재가 보였을 때 그 강도와 과거 사례를 빠르게 비교해 움직일 수 있는 기민함이 필요한 시장이라 생각하며, 만약 그런 움직임이 어렵다면 그냥 매매를 쉬는게 맞다고 생각
-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매매를 안하고 있는 중
- 겨울이 가면 봄이 오듯 한국 증시도 지금은 겨울이지만 언젠가 봄이 올 것이라 확신하고 있으며 그 봄이 올 때 누구보다 많은 꽃(좋은 주식)을 보기 위해 매일매일 공부를 해두는 것이 중요한 시기

#AI-SW
#NAVER #루닛 #더존비즈온 #솔트룩스 #셀바스AI
- 가장 강한 섹터라고 생각하며 주도섹터의 정석인 순환매가 워킹하는 모습
- 전일 수급 특징주였던 플리토가 상한가에 안착하며 관련된 언어 AI 주식들의 상승
- 이후 오르지 루닛이 잠시 쉬며 오르지 못했던 다른 AI SW 섹터들의 상승
- 돈이 갈만한 섹터가 AI SW 뿐이라 당분간은 이 섹터에서만 매매를 진행할 듯

#재건
#전진건설로봇 #HD현대건설기계
- 중동쪽 전쟁이 사실상 종료
- 관련하여 #한미글로벌 의 시세를 유의깊게 보고 있었는데 생각대로 시초 고가 음봉 마감
- 시세를 좀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중동쪽 재건 시세는 끝났고 러우쪽을 봐야할듯
- 중동 시세를 바탕으로 생각해봤을 때 러우쪽은 종전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시세가 나올 것이라 생각하며 눌리는 기회를 준다면 매수 후 이벤트 때 매도할 전략 고민 중

#디스플레이
#피엔에이치테크 #비에이치
- 최근 비에이치, 디케이티 등 애플 디스플레이 관련 회사들이 상승하는 모습인데 오늘은 피엔에이치테크가 여기에 더해진 상황
- 디스플레이 섹터 자체는 너무 안 좋았던 시기를 오래 지나오며 빈 집이 된 섹터
- 섹터의 투심은 안 좋지만 밸류 자체로만 보면 매력적인 섹터

#정부
#한국전력 #지역난방공사
- 장이 안 좋으니 안전하게 실적이 우상향할 것으로 보이는 공기업에 수급이 몰리는 모습
- 두 회사 모두 단가를 꾸준히 올리며 이익이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의 요구에 따라 주주환원책도 적극적으로 내놓지 않을까 생각

#신규상장주
#에이럭스 #쓰리빌리언
- 신규 상장주가 공모가를 크게 하회하다 시세를 보여주는 모습
- 주도 섹터 & 신규 상장주 & 공모가 하회 이 3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신규 상장주라면 관종에 추가하고 매매에 활용하는 것도 좋아보임

#중국 #여행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하나투어
- 중국 개방 이슈로 여행, 항공 주식들의 꾸준항 강세

#통신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 시장이 안 좋으니 안전한 배당주에 몰리는 건지 통신주들의 동반 상승 및 수급 포착

출처 : 영리한 동물원(t.me/stockinvcowcow)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Nov, 02:16


5000억 유증 찌라시 > 아님. 해봤자 2000억임

RCPS 안하고 주주배정 > 아님. RCPS임

형인우님 매도설 > 아님. 오늘 매수함

알테오젠이 할로자임의 특허침해 > 아님. 애초에 할로자임의 MDASE가 이번 3Q에 등장했는데, 어떻게 알테오젠의 특허가 침해한거냐... 할로자임의 MDASE가 알테 특허를 침해했는지 여부를 검토해도 모자랄판에..

뭐 하나 맞는게 없네 에라이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Nov, 00:06


#전력 #미국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23:39


#엄

엄민용 코멘트

외신 배런스지에서 키트루다SC의 약가인하 회피의 장점을 명확하게 짚어주는 심층 보도가 나옵니다. 이런게 진짜 핵심인데 잘 썼네요.
머크가 미국 특허만료 2029년 11월전까지만 미국에서 IV를 아예 없애버린다면 (SC로 모두 대체) 약가인하될 제품이 없기때문에 매출 유지가 가능할거란 얘기입니다.

그래서 SC 전환속도가 빠르고 높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는 것이고, 보고서에 이러한 내용들을 강조드려왔습니다. 외신에서도 다루기 시작하네요.


Merck’s Cancer Shot Works. Its Post-Keytruda Plans Are Shaping Up Again.
https://www.barrons.com/amp/articles/merck-stock-keytruda-cancer-shot-04b5abad

The new subcutaneous version also will most likely be exempted from the new Medicare price negotiation program when original Keytruda begins to be subjected to the lower prices in 2028.

Though the federal government’s position on whether a new subcutaneous version would be exempt from the lower prices seemed to be in flux over the summer, new guidance from October suggests the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will consider a new subcutaneous version that includes a new ingredient will be considered a distinct medicine.

That means that even as Keytruda’s price drops for Medicare patients in 2028, Merck can continue to set its own prices for subcutaneous Keytruda, which includes an ingredient called berahyalurinodase alfa to help disperse the drug through the body.

새로운 피하 버전은 또한 2028년에 오리지널 키트루다가 더 낮은 가격에 노출되기 시작할 때 새로운 메디케어 가격 협상 프로그램에서 면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로운 피하 버전이 낮은 가격에서 면제될지 여부에 대한 연방 정부의 입장은 여름 동안 변동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10월의 새로운 지침은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가 새로운 성분을 포함하는 새로운 피하 버전을 별개의 약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이는 2028년 메디케어 환자를 위한 키트루다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머크는 몸에 약물을 분산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베라히알루리노다제 알파라는 성분을 포함하는 피하 키트루다의 자체 가격을 계속 책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ttps://m.blog.naver.com/shryankim/22366915492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23:34


자사주 매입 11/22

[신규]
리가켐바이오 85,000주
OCI홀딩스 5,300주
셀트리온 50,000주

[지속]
KB금융, KT&G, 강원랜드, 삼성전자, 신한지주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23:11


24.11.22(금)_장전

- 역시 미장 강했습니다. 약하락으로 시작하던게 다우 1%, 나스닥 보합을 만들어냈네요,

- 미장에서 오클로가 20% 폭등을 했습니다. 국장 원전 재료안나온다고 안볼수가 없는 이유구요,

- 천연가스가 오르고 있습니다. 젤렌스키가 기존 우크라이나 통해서 유럽으로 퍼지는 가스관을 봉쇄이 하려고해서 그 여판가 싶기도 합니다.

- 비트코인은 역사적 신고가 10만불 한번찍으로 갈것 같고, 주변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코인에 뛰어드는것같아서 우려되는데 사실 우려는 저 한 6만불즘부터 했던터라 사실 FOMO 오지는 중입니다.

우리기술투자 같은 종목에서 10만불 전 마지막 불꽃 시세를 주려나 싶기도하고요..

- 어제 러샤에서 발사한 ICBM은 장거리 아니고 중거리 미사일이란 말 나오면서 아마 방산은 보합 또는 하락으로 시작하지 않을까 싶구요. 요즘은 시장 '예측'하려고 하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일단 주면 넙죽하고 받고 봐야지..

- 아무래도 전쟁 vs 종전 봤을땐 종전쪽에 훨씬 치우쳐있죠. 이쪽에 매매할 종목들도 대거 포진해있고요, 눌림주면 눌림에서, 치고나가면 치고나가는데서 매매할 필요있어보입니다.

- 어제 긴 아랫꼬리 달았던 바이오들의 행보를 봐야할것같고

- 밤에 들었던 생각은 '우주 이거 그냥 죽을까..?'란 생각. 분명 12월엔 뭘 붙여서라도 한번은 보내도 보내야하지 않을까 란 생각입니다. 참고로 우주 1도 없고 지금 살생각도 없으나 좋은 가격오면야..

물론 위에서 말했듯 되도 안한 예측 이런거말고, 제대로 된 모멘텀을 측정하고 드가야겠져

- 앞으로 우주, 재건, 다음 타자는 로봇? 생각도 들고, 조선은 언제나 밀리면 들고가기 좋은 섹터라 생각됩니다.(뭐 바이오도 마찬가지구요)

어제 대규모 아랫꼬리 사태로 12월 대주주 50억도 한번 되새겨 볼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네요😂

어제 이것저것 많이 깨졌는데, 머리속 클리어하게 만들고 다시 파이팅 해봐야죠.

자, 오늘도 최고의 하루 만들어 봅시닷!🫡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22:14


미국증시 상승 마감

-S&P500 +0.7%, Nasdaq +0.3%, DJIA +1.3%
-Russell2000 +1.6%

-어제 장 마감후 실적 발표한 Nvidia가 시간외 움직임은 하락했지만 정기장에서는 +0.5% 상승 마감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1.6%
-다른 빅테크들은 하락: Amazon -2%, Meta -0.4%, Alphabet -4.7%(반독점 우려), Tesla -0.7%

-은행과 시클리컬이 상승 주도: Caterpillar +2%, Deere +8%
-비트코인 강세 지속

-Snowflake +32%, 데이터분석 SW업체 지난분기 실적 컨센 큰폭 상회 및 가이던스 3개뤌만에 상향 조정
-MongoDB +12%, 데이터관리 및 분석 깅업 MS와 파트너십 체결 호조 발표 및 12/9실적 발표 기대감


-Rocket Lab +11%
-전력/원전 급등: Constellation, Vistra, Talen 각각 +7% / SMR +7%, OKLO +20%
-Nvidia 상승 반전에 AI IT 상승 마감

-Baidu -5.7%, 지난분기 매출 하락

-US2YT +4bps 4.351%
-US10YT +1bp 4.423%

-US 10월 기존주택판매 396만 vs. consensus 395만
-US 지난주 신규 실업슈당청구 건수 21.3만 vs. consensus 22만
-US 11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 지수 -5.5 vs. consensus 7.0

🎉🎉🎉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19:15


속보🚨 트럼프 미디어 앤 테크놀로지 그룹은 월요일에 TRUTHFI라는 서비스에 대한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이를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으로 설명했습니다. -NYT - RTR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13:34


오늘자 상승으로 인해 비트코인이 대만달러(TWD)를 제치고 세계에서 12번째로 큰 통화가 되었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11:50


한국 증시에는 이제 비관과 조롱만 남아있는 것 같은데요.
이럴 때가 시장의 바닥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71764?sid=10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11:24


https://m.blog.naver.com/uncastle0426/22366874568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10:24


[일주일간 코스피 시총 1위, 코스닥 시총 1위 기업에서 벌어진 일]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코스피 시총 1위 - 삼성전자
5만원을 깨고 더 밑으로 내려가면 오너일가의 반대매매 가능성이 올라가는 상황이였음.

지난 금요일 외국인과 기관이 대량의 순매수를 하며 장중 8%넘게 시총1위기업이 급등을 함.

그날 오전부터 삼전관련 호재 찌라시(?)들이 돌아다님.

외국인과 기관의 대량의 순매수 이후 아주 신기하게도(?) 장마치고 삼전의 3개월내 3조, 1년간 10조원 자사주 매수 공시가나옴

월요일날 시총 1위 기업이 갭뜨고 금요일 순매수했던 외국인과 기관은 수익실현하고 엑싯함.

✔️ 코스닥 시총 1위 - 알테오젠
몇일전부터 정체불명의 유증썰과 특허 관련 이슈로 하락하다가 오늘 장 중 CFD 반대매매로 추정되는 물량으로 -20.40%급락을 함.
(알테의 경우 최근 CFD 증거금률이 100%였는데 기존에 증거금률이 낮을 때 들어간 물량 or 알주식으로 이미 50억근처라서 대주주 요건을 피하기 위해 증거금률 100%라도 CFD 이자를 지불하고 알테를 더 채운 물량으로 추정)

장중에 유증이 아닌 RCPS 2,000억 발행 "단독" 기사가 나왔고, 이마저도 알테오젠이 장중 공시를 통해 해당내용 추진중이나 기사에 나온 신한투자증권과 주관사 계약을 체결한 바가 없다고 함.

늘 그러하듯 딜이 진행중이던 주관사측 관계자들의 내부정보가 전혀 통제되지 못했기에 이번 일이 발생한걸로 보여짐.
(시장에 알테 유증썰을 풀었던 사람의 출처를 조사하면 밝혀질 듯)

✔️ 결론
코스피 시총 1위, 코스닥 시총 1위 기업 모두에서 불과 일주일만에 기업본질과는 다른 요소와 수급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졌는데 국내기업과 증시가 진심으로 잘 되길 바라는 입장으로써 이런 문제점들을 금감원에서 제대로 들여다보고 조사하고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더불어 오늘 장끝나고 여러채널이나 블로그글을 보니 장중에 바이오주식이 알테를 비롯해서 급락하자 바이오 이제 끝이다, 바이오가 다 그렇지 등 그럴줄 알았다는식의 비아냥 거리는 얘기들을 하는사람들이 많이 있었나봅니다.

바이오주식을 많이 들고있거나 투자중인 사람들에게 굳이 힘든 시점에 그런 얘기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특정섹터가 급락하거나 시장이 급락할 때 그 사람의 본성을 가장 잘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 주변에 이런 샤덴프로이데 성향을 가진 사람은 다 정리를 했고 앞으로도 금일 같은날 그런 성향을 드러내는 사람은 정리할 생각입니다.
(이런 사람들의 특징은 축하할 일이 있을땐 그 쉬운 축하한마디 해주지 않고 시기만 하다가 상대방이 힘든 상황이 생겼을 때 오히려 좋아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

개인적으로 국내 바이오 회사들 중 몇몇 회사를 좋게 보고 포트 일부를 투자중이고 오늘 변동성으로 인해 굉장히 피로도가 쌓이는 하루였습니다.

가까운 지인중에 바이오회사들을 비중있게 투자하신 분들이 있는데 금일 지인분들의 스트레스는 저와는 비교도 되지않을 정도로 많고 정말 힘든 하루를 보내셨을거 같습니다.

제 지인분들과 국내 바이오기업들을 좋게 보고 투자하신 투자자분들 또한 정말 고생 많은 하루셨을 텐데 맛있는거 챙겨드시고 모두 편안한 밤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9:40


코리아 밸류업 etf 설정 꾸준히 증가 중(21일부로 7천억 돌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8:11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21_0002968212
코스피200에는 효성중공업, 에이피알, 미원상사, OCI 등 4개 종목이 편입됐다. 효성, 롯데관광개발, 명신산업, 영풍, KG스틸 등 5개 종목은 편출됐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6:35


모건스탠리에서 우리나라 시장 매도로 포지션 바꾸고, 12월 선물옵션 동시만기일까지 누르려고 하고 있는데, 삼성전자 10조원 자사주 매수라는 돌발 변수가 생기면서, 삼성전자가 아닌 그동안 많이 올라갔던 섹터를 돌아가면서 급락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정.
많이 빠진 종목 팔아서 그동안 하락하지 않는 섹터로 이동하는 것을 절대로 하지 말아야할 한다고 판단. 많이 올라간 종목들은 적당히 차익실현하시면서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5:10


https://blog.naver.com/spearine/223668342438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4:09


#엄

엄민용

저의 알테오젠 추정치는 보고서 작성된 그대로이며 보수적 가정입니다. 애널리스트들마다 다양한 의견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두 존중 받아야하구요.

당사 chinese wall 때문에 rCPS 발행 중 타증권사 로열티 추정치가 적용된 것으로 보이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제 추정치는 변함없습니다.

보수적 가정인 만큼 키트루다SC 승인 뒤 마일스톤과 로열티 인식이 제 추정치 보다 서프를 발표하길 바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3:34


오늘 털리신 분들은 이제 알테 안티가 되실테고 그동안 욕하다 오늘 사신 분들은 이제 알테 너무 싸다 이러겠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3:24


알테오젠

그리고ㅋㅋ 무슨 특허 소송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뇌피셜도 귀여운게. 만약 알테오젠이 더 광범위한 특허범위로 역공격 하면 어쩌려고? 그럼 할로자임은 그동안 먹었던 로열티 수익 뱆어내야 하는데요ㅋㅋ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3:15


형인우, 염혜윤 추가매수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1 Nov, 03:01


#알테오젠

[단독]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 2000억원 RCPS 발행···주관사 신한證

코스닥 시가총액 바이오 기업인 알테오젠에 2000억원 규모의 상환전한우선주(RCPS)를 발행한다. 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이 맡았다.

2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알테오젠은 내년 1월 초 2000억원 규모의 RCPS를 제 3자 배정을 통해 발행한다. 존속기간은 5년이며, 발행 목적은 윤영자금과 시설자금이다.

상환가능기간은 발행 후 3년이 지난 후로, 청구일로부터 1달 내 발행가액의 연 복리 1%를 적용한 금액으로 상환할 수 있다. 전환권의 경우 발행일로부터 1년 뒤 가능하며, 전환비율은 보통주와 1대1이다.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409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21:49


https://amp.theguardian.com/world/2024/nov/16/ukraine-war-briefing-zelenskyy-says-war-will-end-sooner-once-trump-enters-white-house

"나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서, 모든 측근, 모든 국민에 대한 모든 존경심을 가지고, 미합중국 대통령과의 대화만 진지하게 받아들일 것이다.

젤렌스키는 "우리 입장에서는 이 전쟁이 외교적 수단을 통해 내년에 끝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젤렌스키는 금요일에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후 전화 통화 중에 "건설적인 대화"를 했다고 말했다. "나는 우리의 입장에 어긋나는 어떤 것도 듣지 못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금요일에 플로리다에 있는 그의 Mar-a-Lago 리조트에서 연설하면서, 트럼프는 말했다: "우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위해 매우 열심히 일할 것이다. 멈춰야 해."
—————-
생각보다 재건테마가 한동안 이어질수 있을수도?

지금 국장은 투심이 매우 약하고 개별주 장세인데 섹터가 다같이 움직일게(물론 대장은 있겠지만) 딱히 없는듯함.

시장은 계속돌고도는데
수출데이터 등으로 성장데이터 보여주는곳들의 기대감이 빠진 상황.
그럼..다시 반대로 쏠릴 확률이 높지 않을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21:41


시장의 기대가 가격을 만들고, 기업의 실력이 하방을 만든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11:01


신한 화장품/의류 담당 박현진 입니다. 전일(11/14일) 실리콘투를 끝으로 3Q24 실적발표가 끝났습니다. 미국 수출 성장 스토리의 대장주인 실리콘투가 실적이 좀만 더 잘나오기를 다같이 바란 한주였던거 같습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 85%, 영업이익 182% 성장한거면 제 기대치엔 부합했는데, 시장 컨센서스 매출 대비로 약 200억원 부족해 주가는 23% 급락해버리고 말았네요... (ㅠㅠ)

1Q24, 2Q24 매출 성장률이 158%, 132%에 달했다보니 3Q24 매출 85% 성장도 절대적으론 훌륭하지만, 상대적으로는 다소 아쉽다고 느낄수 있다 봅니다. 여기에 앞서 실적 발표했던 다수의 브랜드사들의 3분기 실적이 대체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던 것도 화장품 센티멘트를 악화 시키는 이유가 되었죠.

실리콘투 실적 성장 둔화(아니 하향 안정화)이 이유로는 크게 3가지로 추정합니다. 1)new hero brand 부재, 2) 기존 고객사들의 b2c 전환 조짐, 3) 미국 내 인디뷰티 시장 경쟁 강화 입니다.

실리콘투 주요 고객사 아누아, 코스알엑스, 조선미녀 등을 대체할만한 규모의 브랜드가 부족했을 가능성이 대두되는데 최근 티르티르, 바이오던스, 메디큐브(에이피알) 등이 빠르게 수출 증가 중으로 조만간 대체 가능할거라 보구요. 기존 고객사들의 b2c 전환은 사실 연초부터 예견 가능한 리스크 요인이었지요. 이 또한 new hero brand가 발굴된다면 1)과 같이 해소 가능합니다.

문제는 미국 시장 경쟁 강화! 중국 저가 화장품사들의 2~3분기 수출 밀어넣기(보호무역 기조 강화 대비)와 미국 내 K뷰티 컨셉의 로컬 브랜드가 생기면서 미국 시장 내 경쟁 구도가 복잡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보입니다.

그러면 우린... 뭘할수 있을까요.. 브랜드사들은 미국향 매출 확보에 속도나 확장 강도에 편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이 어떻든 되는 브랜드는 되고, 안되는 브랜드는 안되지요. 브랜드사들에 대해 바스켓 매수 전략이 선호되지 않는 이유입니다. 3분기 감안했을때 그나마 아이패밀리에스씨, 브이티 정도가 현재로선 선방했지 싶습니다.

의류는 특이점이 없네요, 화승엔터프라이즈,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정도가 컨센 부합! 볼만한 기업은 화승엔터, 휠라홀딩스 정도 선호 의견 드렸습니다. 화장품 내용은 금일 레포트 “실리콘투로 본 섹터 방향” 참고해주세요! 어려웠던 한주간 한국 증시, 오늘 하루만 더 힘내세요..!

화장품 산업 코멘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615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07:36


이번에 트럼프가 임명한 보건복지부 장관이 코로나19 백신반대론자라서 미국 바이오 섹터에 노이즈가 끼는 모양새인데, 제 개인적인 의견은 이렇습니다.

Q. 미국 바이오 섹터가 급락했으니, 우리나라 바이오 섹터도 망할 것이다?

A. 미국 바이오 섹터와 우리나라 바이오 섹터의 연관성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미국 바이오 ETF와 우리나라 바이오 ETF를 좀만 살펴보면 그 답이 간단명료하게 나옵니다.

미국 바이오섹터를 대표하는 ETF인 XBI나 IBB 모두 신고가를 기록했다가 최근 추세를 이탈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바이오 ETF는 신고가는 커녕 바닥에서 조금 상승했을 뿐입니다.

미국 바이오 섹터가 상승할땐 아무말 없다가, 미국 바이오 섹터가 하락할때 급락을 이야기하는 것은 지나친 부정론이라 생각합니다.

Q. 뭐가 됐든 단기적으론 바이오 흐름에 부정적이지 않겠느냐.

A. 동의합니다. 다만 이번 우리나라 바이오 싸이클이 빅파마 LO로 인한 펀더 상승으로부터 기인했느냐, 혹은 단순히 금리인하로 인한 매크로 상승으로부터 촉발됐느냐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알테/리가/에이비엘의 LO, SK바이오팜/삼바의 실적 개선세, 펩트론/보로노이의 임상진척 등 철저히 펀더에 기반한 상승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매크로적 요인 때문이라면 LO 가능성 희박한 바이오 기업들도 모두 다 올랐어야 하는데, 국장은 미장과 다르게 철저히 차별화된 주가흐름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미국 바이오 섹터가 무너진다고 해서 이들 기업의 펀더가 없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런 시기야말로 단순히 남의 말을 듣고 바이오에 투자한 사람들과 자기 확신을 갖고 투자한 사람들이 구분된다고 생각합니다. 일시적인 하락은 충분히 가능하겠으나, 미국장보다 먼저 그로기 상태가 된 국장을 너무 부정적이게 볼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제는 미장이 바이오나 테크 소비재 모두를 가리지 않고 모두 급락한 장이었습니다. 그리고 국장과 미장이 서로 디커플링된 지도 이미 한참 전입니다. 바이오 기업의 펀더멘탈에 집중하다보면, 이러한 불필요한 노이즈에서 너무 극심한 공포를 느낄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의견이 100% 맞는 것도 아니고, 바요 급락을 주장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충분히 합리적이라 생각합니다. 의견을 나누는 과정에서 더 성숙한 아이디어가 생겨나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07:34


#실적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실적시즌이 마무리됨에 따라 마지막 위클리 실적 서프/쇼크 공유드립니다.

해당 시트는 회사의 개별적인 내용을 고려하지 않은 정량적 시트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서프섹터
- 조선, 금융, 제약/바이오, 금융, 자동차

쇼크섹터
- 자동차, IT, 반도체, 2차전지, 화장품/미용, 엔터/미디어, 게임, SW, 음식료, 의류, 관광, 화학 등

기타사항
- 서프/쇼크 비율은 높을수록 좋음 그러나 최근 분기 중 가장 좋지 않은 수준까지 떨어져있음. 최근 지수 하락에 실적 영향이 이전보다 높았을 수 있음. 또한 추가 하향이 예상되거나 진행된 곳이 존재하여 향후 실적 추정치의 전반적인 하향이 나타날 수 있음.
- IT, 반도체, 화장품/미용 등은 2Q 서프=>3Q 쇼크 섹터 전환. 반도체 중 서프 섹터들은 중국 비중이 높거나 AI관련인 곳. 화장품/미용은 대장주 등극&서프섹터로 다같이 오르다가 대부분이 탈락한 상태이며, 차별화를 보여주는 기업들은 주가 차별화가 나타나는 중.
- 전력기기/방산/조선 전반적으로 2Q&3Q 연속 서프 발생.
- 3Q 제약/바이오가 전반적으로 좋은 실적을 보여주며 서프 섹터에 해당.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07:33


https://v.daum.net/v/20241116082744213?from=newsbot&botref=MN&botevent=q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6 Nov, 06:05


한중 2차 FTA 협상

한중회담

- 내년은 한중 FTA 10주년입니다. 상품무역에 대한 1차합의인데요, FTA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중 FTA

한중 FTA가 발효되는 2015년 12월 20일을 기해 고주파 의료기기, 변압기, 항공등유 등 958개 품목(연간 87억 달러 규모)에 대한 관세가 즉시 철폐되었다. 또한, 2016년 1월 1일에는 5,779개 품목에 대한 2년차 관세 인하가 이뤄졌다.

한중 FTA에는 해마다 단계적으로 관세가 내려가며 10년 내에 5,846개의 품목(LCD패널, 스테인리스냉연강판, 에어컨, 전기밥솥 등)에 대한 중국 측 관세가 철폐된다는 내용과, 발효 20년차가 되는 2034년까지 품목 수 기준으로 중국은 전체 90.7%인 7,428개, 한국은 전체 92.2%인 1만 1,272개 제품의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없애겠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 관건은 서비스 부문 2차 협상입니다. 제조부문은 중국이 우위에 있는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수 있지만 의료, 법률, 컨텐츠 서비스 부문은 한국 업계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t.me/jkc123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23:49


“트럼프, 의회 승인 없이 비트코인 비축 가능”–데이비드 베일리
#BTC #비트코인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779415?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20:04


https://blog.naver.com/park10_30/223661006304 #박과장 #브이티

오잉 자료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ㅋㅋ
같이 트래킹해요 ㅋㅋ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20:01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2025 전망포럼] 화장품(Overweight)
: 글로벌 점유율 확대 이상무


■ 화장품 업종은 ‘수출 둔화 우려 +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우려’ 등이 맞물리며 업종 최악의 분위기를 지나는 중

■ K-뷰티 수출은 최근까지 역사적 최고치 기록. 내재한 경쟁력 바탕으로 미국, 동남아, 유럽 등 다양한 국가로 확장되며 점유율 확대 불변

■ 업종 모멘텀 불변 → 업태별 핵심 종목 제안하며 브랜드사/아모레퍼시픽, 브이티, 유통사/실리콘투, 대형 ODM사 선호

전문: https://vo.la/ggIJjC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19:43


스페이스X, 2,500억 달러 평가 예상, xAI는 450억 달러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12월에 주당 약 135달러, 회사 가치를 2,50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올해 초 2,100억 달러에서 상승한 수치입니다.

한편,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는 최근 50억 달러를 조달하며 몇 달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45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기록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https://www.ft.com/content/342e304b-4c09-4951-8bba-bc9a27ddb72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19:42


K뷰티 시즌2 끝났나?
https://blog.naver.com/mynameisdj/223661819402?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19:38


Jefferies) 테슬라 중립, 목표가 $300(이전 $195에서 상향)
테슬라: 지금은 자본을 조달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테슬라는 트럼프 당선 이후 주가가 30% 상승하여 시가총액이 다시 1조 달러를 넘은 현재 상황을 활용해 자본을 조달해야 합니다. 시장이 여전히 경쟁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규제 완화는 테슬라와 경쟁사(자율주행차, 로봇 등)에게 성장 경로를 높이는 동시에 투자 요구 사항도 증가시킬 것입니다. 우리는 소프트웨어, ZEV(무배출차량) 및 에너지 저장 관련 매출 전망을 자동차 부문보다 더 높게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목표 주가를 더 높은 수익과 성장, 그리고 낮은 할인율을 반영하여 $300으로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지금이 자본 조달의 적기인가?
최근 테슬라 주가는 엘론 머스크의 다양한 사업 이익과 관련된 대리 지표로 보였으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여러 사업부문에서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했습니다. 테슬라는 2019년 이후 성공적으로 자체 자금을 조달해 왔지만, 그동안 누적된 자유현금흐름(FCF)의 42%에 해당하는 93억 달러는 ZEV 수익에서 나왔으며, 이는 배출 규제가 변경될 경우 불확실한 자금원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테슬라의 260억 달러 순현금 포지션에는 2019-20년에 조달된 131억 달러의 자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환경에서 자본 조달은 2020년과 같이 "시장 가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러 사업부문에서 투자 필요성과 경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테슬라가 저위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크고 유망하지만 갈등이 있는 벤처캐피털 펀드
테슬라는 "마지못해 OEM"이 되었습니다. 머스크는 자유현금흐름(FCF)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부문에 대한 투자를 최소화하려고 하지만, 더 높은 성장 및 높은 배수를 기록할 수 있는 벤처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습니다. 메가팩(Megapack) 에너지 저장 사업은 점점 더 중요한 FCF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는 테슬라뿐만 아니라 경쟁사들에게도 더 빠른 성장 경로를 열어주었습니다. 특히 우리는 배터리 분야에서 다시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시도(4680 배터리, 드라이 일렉트로드, IRA 세액 공제, CATL과의 협력)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로보택시 및 완전 자율주행(FSD) 기술 준비 상태는 여전히 논의 중이며, 비즈니스 모델은 모호하고 자본 집약적이며 경쟁이 치열합니다. 최근 Waymo, Pony AI, WeRide, Wayve에서의 자본 조달이 그 예입니다. 테슬라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여러 회사 중 하나로, 수익을 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머스크와 테슬라는 중국과 트럼프 행정부 간의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테슬라가 글로벌 시장과 공급망에 노출된 상황에서 관세에 대해 완화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치적 책임에서 기업 지배구조, 보상 문제에 이르기까지 잠재적인 이해 충돌을 시장이 얼마나 오랫동안 무시할지는 불확실합니다.

추정치 업데이트
우리는 올해 차량 판매량을 약 180만 대로 유지하고, 2025-26년에는 신차 출시(잠재적 내부 경쟁을 제외한)로 인해 10-12% 성장을 예상합니다. 주행 범위 연장은 낮은 우선순위를 차지할 것이며, 초기 로보택시 생산은 자본화될 것으로 가정합니다. 소프트웨어 매출(FSD/LLM 포함)은 단가 하락을 완화하고 마진 개선에 기여할 것이지만, 저장 사업이 향후 2년 동안 주요 매출 성장 동력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ZEV, 에너지 저장 및 배터리 세액 공제를 반영해 영업이익(EBIT)과 자유현금흐름(FCF)을 18-20%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차량 부문에서의 기여도는 변동이 없을 것입니다.

밸류에이션
목표 주가는 더 높은 수익과 터미널 가치(종말 가치) +50bps(5.5%)와 할인율 -50bps(7.5%)를 반영해 $300(기존 $195)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주가는 매출 기준 9.4-8배, 영업이익(EBIT) 기준 109-84배, 순이익 기준 113-87배(2025/26년 예상치)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19:36


10조원을 바이백보단 R&D나 M&A에 사용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향후 수년내로 닥칠 중국과의 치킨게임에서 실탄도 넉넉해야하고 파운드리부터 디램까지 근본적인 문제들을 개선하려면 역시 많은 자금이 필요한데 위기의 상황에서 내놓은 최선의 자본배치가 바이백인 것은 아쉽긴 합니다.

하지만 아무것도 안하는 것 보다는 수백번 환영할 일입니다. 정부가 나서서 뭘 하겠다는 것 보다는 훨씬 잘하는 일입니다.

대주주 담보보호를 위한 결정이라는 부분은 매우 동의하지 않고요. 담보계약은 다시 설정하면 그만입니다. 기업공시를 제대로 읽어본 분이라면 그리 큰 문제가 아님을 알 것입니다. 굳이 재벌이 아니더라도 스몰캡 대주주들도 주식담보대출한 후 주가가 담보가격을 하회해도 연장하면서 잘 삽니다. (물론 간혹 제3금융권 대부업체에 맡겼다가 반대매매가 나오는 경우가 있긴 하죠)


바이백을 위한 10조원이 아쉽지 않은 결정이 되는 경우의 수가 존재는 합니다.

전자가 채권발행을 앞두고 주가안정을 시도하는게 아닌가란 추측을 해봅니다. 대외적으로 회사가 건재하고 안정적이어야 채권발행이 용이합니다. 아직까지는 전자 신용등급이 AA-로 한국정부와 같습니다.

삼성전자가 연결재무가 아닌 별도로 놓고보면 현금이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은데, CXMT와의 치킨게임, 반세계화로 인한 대외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한 실탄확보와 천문학적인 시설투자를 위한 자금을 위해서는 조달계획이 다각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채권발행을 위해 선제적으로 주가안정을 의도하고 투입하는 10조원이라면 쓸 수 있다고 봅니다.

아무쪼록 10조원 투입이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지길 기원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10:51


그냥 추가 담보 설정하면 될듯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10:26


상속세용 주담보부족을 자사주 취득으로 막아라? 뜬금 오르는데는 다 이유가 있었고, 그 이유는 오른 다음에야 나왔고, 누군가는 또 이미 알고 있었다??? 역시 국장스럽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5 Nov, 09:58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49482?sid=10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3:49


받)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3:02


2024.11.13 10:50:58
기업명: 에스앤에스텍(시가총액: 4,322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465억(예상치 : 451억/ +3%)
영업익 : 95억(예상치 : 82억/ +16%)
순이익 : 81억(예상치 : 83억/ -2%)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65억/ 95억/ 81억
2024.2Q 424억/ 85억/ 78억
2024.1Q 418억/ 74억/ 77억
2023.4Q 404억/ 61억/ 58억
2023.3Q 385억/ 57억/ 6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3000127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2:18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11/13/2024111300101.html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2:05


2023년 보로노이 노트
- 4세대는 초기 용량에서 효과가 나올수 잇음
- 우리거는 낮은 용량에서 효과 가능
- 우리는 타그리소 내약성 극복
- 우리가 제일 안전할수 잇음
- 우리 설계는 1a 10, 30, 60, 120, 180, 240, 360, 480, 600; 1b는 60, 120, 180, 240 중 120, 240에서 1b 시작? 우리는 30mg에서 첫 orr 예상.
30에서 나오면 환우회에서 환호할 것으로 예상. 우리 임상에 줄 설 것으로 예상.
RP2D 예상하는 농도는 480(40mpk) 정도. 그 위 농도로 MTD 예상.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2:03


최대 우려였던 금투세와 거래대금 - 미 대선 관련 이슈 모두 해결되었거나 해결되고 있는 상황.
거래대금이 아래로 터지고 있다는 게 문제이긴 하나 실적이 아니라 유동성 따라 움직이는 코스닥에게 가장 무서운 건 무관심이라고 생각.

알테오젠 급락을 필두로 한 오늘의 지수 급락은 어제의 급락까지 겹쳐 상당히 뼈아프지만, 일단 무관심 구간에서는 탈출했으니 조만간 어느 쪽으로던 방향은 나오지 않을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2:03


#파마리서치

- 3Q24 의료기기 내수 360억, 2Q24 314억 대비 QoQ +14.7% 성장
- 3Q24 의료기기 수출 147억, 2Q24 116억 대비 27% 성장, 의료기기 수출 역사상 최대 매출 달성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3 Nov, 00:43


지엔씨에너지의 시간, 해외 전력 발전과 IDC의 폭발적인 성장 ('24.3Q 실적 Review)
https://blog.naver.com/r123k120/22365841876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23:41


2024.11.13 08:40:24
기업명: 나무가(시가총액: 1,849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1,182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55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36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182억/ 55억/ 36억
2024.2Q 1,117억/ 36억/ 44억
2024.1Q 1,162억/ 75억/ 97억
2023.4Q 957억/ 63억/ 35억
2023.3Q 723억/ 40억/ 5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3000013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23:22


현 시장 유일한 해결책
https://blog.naver.com/cr2875/223658342784?fromRss=true&trackingCode=rs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23:14


ADC 독점 계약, SC 전환율, 로열티 다 좋은데 6개 빅파마와 MTA 체결 후 L/O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네요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23:14


#알테오젠
- 11/08 글로벌 ADC 1위 다이찌산쿄와 엔허투ADC를 전세계 최초로 SC로 전환하는 독점 계약 체결. 30년 기준 20조 매출액 기대되는데, 유효성/부작용 개선되어 매출액 더 높아진다면 5% 이상 로열티 수령 가능. 엔허투SC 로열티는 7~8%가 합리적이나 보수적으로 6% 가정
- 애널리스트간담회에서 중요했던 것은 키트루다 SC FDA 허가신청을 위한 사전미팅. 허가 신청이 25/01 예정. 25년 승인이 기대되며 임상 3상 성공 발표 임박.
- 다이찌 산쿄와 ADC SC 계약을 머크 딜 대비 로열티가 더 높은 것으로 추정. 이는 1) 낮은 마일스톤으로 상업화 시 수익 더욱 높인 것으로 보이며, 2) 유효성/부작용 개선으로 엔허투IV 대비 매출 증가로 프리미엄 로열티 필요.
- 머크 키트루다는 특허가 기존보다 연장된 미국 29/11, 유럽 31/01 만료로, 엔허투 SC는 80% 이상의 전환을 추정함. 또한 추가적으로 6개 빅파마와 MTA 체결 후 L/O를 진행하고 있어 가치 상승이 지속될 것. 25년 추가 다수L/O가 진행될 것인데, 이중항체 ADC 다수 계약 체결될 수 있고 TPD로 확장될 수 있음.
- 이제는 바이오텍이 아닌 '파마'로 변화하는 중.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23:13


야하죠

오늘 국장은 불반등인걸로 치면 되겠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23:10


『알테오젠(196170.KQ) – 전세계 최초 ADC SC, 다이이찌 산쿄와 간다』
제약바이오 엄민용 ☎️02-3772-2578


▶️ 엔허투SC는 반영되지 않은 주가. 이제 시작일 뿐
- 11월 8일 글로벌 ADC 1등 기업 다이이찌 산쿄와 엔허투 ADC를 전세계 최초로 SC로 전환하는 독점 계약을 체결, 엔허투는 2030년 20조원 매출액을 기대. 유효성 및 부작용 개선되어 매출액 더욱 높아진다면 5% 이상 로열티 수령 가능. ADC SC기술의 가치는 미반영 판단

▶️ 키트루다SC 승인 신청 확정으로 이제 Biotech 아닌 Pharma
- 애널리스트 간담회에서 가장 중요했던 내용은 키트루다SC의 FDA 허가신청을 위한 사전미팅 진행. 허가 신청이 내년 1월 예정 소식. 2025년 승인이 기대되며 임상 3상 성공 발표가 임박. 성공했을 것으로 추정 가능

- 다이이찌 산쿄와 ADC SC 계약은 머크 딜보다 높은 로열티 추정. 이유는 2가지 1) 낮은 마일스톤으로 상업화 시 수익 더욱 높인 것으로 추정 2) 유효성과 부작용 개선으로 엔허투 IV 대비 매출 증가. 프리미엄 로열티 필요

- 엔허투는 2025년 DESTINY-Breast09 임상 통해 유방암 1차 치료제 여부 결과 확인 예정이며, 1차 치료제 이전 보조요법에도 모두 승인되어 초기 유방암 시장 엔허투로 재편. 2030년 목표 160억 달러인데 SC로 유효성, 부작용 개선될 경우 IV 매출액 대부분 SC 전환될 것으로 추정

▶️ 목표주가 730,000원으로 상향, 업종 내 최선호주 및 강력매수 의견
- 머크 키트루다는 특허가 기존보다 연장된 미국 2029년 11월, 유럽 2031년 1월 만료로 매출 전망치 상향. 엔허투SC는 80% 이상 시장 전환 추정. 추가 6개 빅파마와 L/O 진행 중으로 가치 상승 지속될 것. 목표주가 730,000원으로 상향하며 업종 내 최선호주 및 강력 매수 의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2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3일 07시 5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9:07


- 12월에 여러분이 약간 조심해야 하는 게 뭐냐면 앨런 재무부장관이 일 안 하기로 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그동안 장기 국채를 중국이 안 사줘요. 금을 산다잖아요. 장기 국채를 팔 때가 없는 거죠. 단기 국채 위주로 엄청난 유동성을 뽑아왔는데 문제가 단기 국채에서 패닉이 발생할 경우... 10년물 국채 금리가 4.5% 임계점을 넘어가면 조심하시는 게 좋아요. 12월 초 정도에 약간 깔딱고개처럼.

- 그러나 연말은 괜찮을 것 같아요. 왜냐하면 투자를 계속 하기로 이미 결정이 되어 있어요. 열심히 한다잖아요...빅테크는 투자를 계속 하기로 마음을 먹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께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AI는 계속 가게 될 꺼예요.

- 데이터센터를 겁나게 많이 지어야 되는데 원래 여기 송전 배전을 해줘야 되는데 돈이 많이 들어요. 어떻게 하면 되냐면 데이터센터 옆에 SMR 짓고 바로 전력을 넣어주면 된다는거죠. 텍사스 쪽 관련된 에너지라든가 미드스트림 특히 천연가스 쪽 미국은 천연가스가 되게 커요. 이 쪽 관련해서 에너지 쪽에 계속 관심을 둬야 되고 SMR하고 에너지하고 데이터센터 하고는 하나의 묶음이예요.

-IRA나 칩스액트 보조금은 이제 잊어버리셔야 돼요. 왜냐하면 그건 없어질 확률이 큰 것이고, 자기 돈으로 가야되고 TSMC도 자기 돈으로 만들어야 될 확률이 높아요.

- 트럼프가 바라보는 세상은 기준 금리 내려라는 거예요. 그럼 인플레이션은 어떡할꺼냐. 트럼프가 하려는 정책들이 인플레이션 유발 효과가 크죠. 그럼 트럼프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마르지 않게 해결을 해줘야 되는데 그 중에 하나 생각할 께 코인하시는 분들은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게 있어요. 미국채 같은 안전자산을 기반으로 코인의 가치를 정하는 게 있는데 이게 잠재적으로 봤을 떄 국채를 대리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고 또 하나는 미 연준이 역레포계좌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가 있죠.

https://youtu.be/3uwldNSMQ5U?si=xjCh89davejGtIjH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8:56


삼양식품: 불닭소스 수출데이터 트래킹
https://blog.naver.com/somewhaterror/223658057246?fromRss=true&trackingCode=rs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8:5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유동성: 바이오 방산 전력기기 조선 미용
상대강도: 전력기기 방산 2차전지 바이오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전력기기 방산
- 지속적으로 고가 레벨에 위치한(속칭 주도주/섹터)는 어제/오늘 많이 빠졌어도 최고가 대비 -10% 전후에 불과하며 그곳에서 탈락한 곳(주식/섹터)는 어제도 맞고 오늘도 맞는 하루. 1) 지금 당장 큰 돈이 들어온다면, 2) 유동성의 지속가능성 등을 계속해서 생각.
- 전일 많이 맞아도 4% 정도라고 했는데, 전 거래일 기준 4%면 2400~2430 수준. 이 정도 레벨은 지켜주길 기대. 지금 레벨이라면 내일 상황을 보면서 더 생각해보겠지만 팔 때는 이미 늦지 않았나 생각함. 핵심 포트.

#지엔씨에너지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12
- 본업으로도 연간 250억 이상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25년에는 더 많은 데이터센터가 들어오면서 성장이 더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특히 유의미한 건 OPM이 급격하게 성장했다는 점. 회사에서 소통하던 바가 마진으로 나타나는 중.
- AI인프라 관련 주가가 계속 좋은 상황인데, AI인프라로 성장하는 회사의 P/E가 3.x~4배

#경동나비엔
- 매출액 3,227억, 영업이익 368억 기록하며 컨센 대비 37%라는 매우 큰 서프라이즈 기록. 2Q도 67% 상회에 이어서 3Q도 성수기에 준하는 실적을 기록하며 인상적. 회사에서 물류비 및 운임비 등을 최대한 잘 방어하고 있다고 소통한 바 있는데, 마진이 2Q 대비 QoQ+2%p가 증가하면서 이를 시현하고 있는 느낌.
- 북미향 콘덴싱 순간식 온수기 M/S 1위 달성 이후 실적이 본격적으로 크게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며 4Q가 성수기라는 점을 고려할 시 8월에 언급했던 1,300억 이익 체력(https://t.me/mstaryun/6728)의 달성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것으로 보임. DOE에 의한 장기 교체수요로 인해 장기 성장에 의문이 없는 상황. 특히, HVAC이 4Q24 첫 성수기를 맞는 시즌이며 25년에 출시한 HVAC 제품들은 시즈널리티가 크게 없는 제품들이기 때문에 25년 실적 업사이드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을 열어줄 수 있는 상황.
- 참고로 10월 초 DS에서 발간한 리포트에 따르면 HVAC 마케팅 현지 반응은 양호한 상황이라고 함. 당시 DS 추정 이익 1370억 부합 가능성이 매우 높아짐. 당시 기준 TP는 13만원.

#케이티앤지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92
- 최근 장이 좋지 않으니 1) 실적 우호적인데 밸류업 모멘텀으로 뒷받침해줄 수 있는 주식, 2) 지수변경에 따른 긍정적인 수급이 있을 수 있는 것, 3) 퀄리티 있는 내수주의 상대적 아웃퍼폼이 나오는거 같음. KT&G는 1번에 해당.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3:13


미국 주식 컨콜 자료 얻는 곳

1) 구글링 예
Tsla 3q ir

2) 모틀리 풀
https://www.fool.com

종목 검색 후 transcript 확보

컨콜 pdf파일이나 링크를 챗gpt 같은데 넣고 돌리면 요약해 줌.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3:01


직장인 추천 AI도구 10가지

각자 하는 업무는 다르겠지만 이제 AI도구 없이 일하는건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세상이 왔습니다🙏🙏

가능하다면 AI라는 훌륭한 조수를 늘 곁에 두고 잘 써보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보고 써보는 사람과 안 써보는 사람은 분명 나중에 정말 큰 차이가 날거에요🙃🙃

👉 원문 보기 👈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2:59


저를 만나는 분들은 죄다 "미장까지 볼 시간이 있어?" 라고 물어보시곤 합니다.

해답은 AI에 있습니다.

1. GPT에 컨콜 전문을 넣으면 하이라이트 요약 및 질의응답 요약

2. 전문 번역은 Deep L

3. 위 사진처럼 도식화는 Mapify

4. 기업에 대한 사실 수집은 Perplexity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것들을 통해 나오는 정보들을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입니다.

AI는 정보들을 보기 좋게 혹은 정리하기 좋게 해주지만 내 머리에 넣어주지는 않습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도구들을 활용하냐 vs 안 하냐에 따라 업무 효율성에 있어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 같습니다.

업무에 참고 바랍니다.
(구독료가 좀 비싸긴 합니다 ㅠ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12 Nov, 12:25


"전력 인프라株 장기호황 온다"…국내 상장 ETF, 연일 고공행진

인공지능(AI) 전력 인프라 상장지수펀드(ETF)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에 따른 수혜를 누리며 고공행진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빅테크의 전력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어 전력 인프라업계가 장기 호황을 맞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전력인프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628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8:37


#알테오젠

갓민용님 1차 코멘트라네요

오히려 엔허투SC가 IV대비 독성이 감소되는 내부 결과가 있으니 저런 언급을 하셨겠죠. 그래서 딜이 나온 것이고…

엔허투SC는 더 고농도로 투약 가능
▶️ 유효성 증가, 부작용 감소
▶️ 엔허투 매출 증가
▶️ 전체 ADC가 SC로 확장

https://m.blog.naver.com/shryankim/22365225568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7:47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alteking&logNo=223652345713&navType=by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6:58


https://m.blog.naver.com/shryankim/22365225568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6:05


#갓테오젠 #알테오젠

(1) 다음주부터 알테오젠 본격 IR 시작 -> 한국투자증건 글로벌 컨퍼런스, 애널리스트 간담회등 예정. 여기서 ADC SC 설명, 그리고 산도즈까지 설명해주시길 (개인적인 희망사항..)
(2) 관심있는 주주들은 다음을 공부해 두길. 오늘 LO 가 나온 엔허투의 HER2 단백질 타겟보다 더 큰 시장은 TROP2 이고 이 시장은 현재 길리어드의 트로델비 외에는 딱히 상용화된 ADC 가 없는 상황.
(3) 이제 성장을 갓 시작한 ADC 시장에서 선두업체 다이치가 전략을 SC로 틀었기 때문에, 후발업체들은 흉내라도 내야함.
(4) 지난번 올린 글 다시한번 링크하니, 꼭 읽어보시고 알테오젠 포지션 잘 지키시길 ^^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615960890
(5) 개인적으론 ADC SC 의 밸류는 키트루다 보다 크다고 봄. 키트루다로 10-15조 시총이 설명된다면, ADC SC 가 더해지면서 최소한 15조는 추가로 시총이 더해져야함. 보수적으로 봐도 30조원 (55만원 내외) 아니면 40조원 (75만원 내외) 봐야함. 아직 산도즈 가치는 1도 반영 안됨.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652137656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5:51


알테오젠 현재 시총 22조인데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시총을 넘겨야 하는 이유가 오늘 계약으로 나온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5:51


"선크림 덕에 날았다"...'한국콜마' 3분기 매출액·영업이익 최대

화장품 제조업체인 한국콜마가 국내 인디 브랜드들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3분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외 경쟁사 대비 뛰어난 자외선 차단 기술력으로 기존 고객사들에서 새로운 제형의 제품 출시가 지속해서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대표적인 곳이 조선미녀다. 한국콜마가 생산하는 조선미녀의 '맑은쌀 선크림'은 미국 아마존과 올리브영 글로벌몰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콜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1193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5:44


TSMC 10월 매출

약 3,142억 4,000만 대만 달러

Qoq + 24.8%, Yoy + 29.2%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매출은 2,3400억 9,000만 대만 달러로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31.5% 증가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5:31


2024.11.08 14:30:22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23조 3,803억)
보고서명: 기업설명회(IR)개최

개최일자 : 2024-11-12
개최시각 : 16:00

*IR 목적
애널리스트 대상 회사 이해도 제고 및 정확한 정보 전달

*IR 내용
- 기업소개 - FAQ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9003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5:13


내용을 추가해 나가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65217287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5:03


알테오젠 파트너사

머크, 다이찌산쿄.. 그리고 파ㅁ....

한잔해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4:43


알테오젠 키트루다SC 가치 = 28년 키트루다 예상 매출 5~60조 x SC전환율 50% x 로열티율 5% = 1.25조~1.5조

엔허투 29년 예상매출 100억달러(한화 약 15조) x SC전환율 80% x 로열티율 10% = 알테오젠 영업이익 1.2조

알테오젠 28~30년 예상 영업이익 2.5조~3조

키트루다SC와 엔허투SC 두 품목만으로 위의 영업이익이 기대되는 것이며, 여기다가 테르가제, 히알루로디나제 공급을 비롯한 기타 의약품의 매출이 추가된다면 30년에는 영업이익 3.5조를 충분히 노려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POR 40배를 적용하면 140조의 기업가치가 산출됩니다. 엄청난 딜이라는 것을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4:41


대단하네요 한국에 이런 회사가 ~~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4:41


알테오젠 28년 키트루다 예상 매출60조 x SC전환율 70% x 로열티율 5% = 영업이익 2.1조
+
엔허투 29년 예상매출 한화 20조 x SC전환율 90% x 로열티율 10% = 알테오젠 영업이익 1.8조

= 영업이익 4조짜리 회사가 되어버립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4:10


저도 그런 느낌인에요~~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4:10


국장 지수를 보면 집을 짓다 말거나 짓던거 다 박살내버리던가 둘 중 하나 같단 말이지..이 굴레를 벗어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되는지 도무지 감도 안오는 국장의 상황..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2:09


지수는 외인 선물의 오후 향방을 좀 살펴 보시죠.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1:45


이뻐질려면 어쩔 수 없죠
https://blog.naver.com/iceberg3020/223651765529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08 Nov, 01:39


냉각 솔루션(버티브)이 국장은 약한 편인데. 이쪽은 미장을 보시는게 모멘텀 빨을 더 받지 싶고. 지난번 가이던스는 좀 둔화 되는 쪽으로 공유 드린바 있으니 검색해서 찾아 보시고..

원자력도 국장도 좋긴 하나 미장쪽을 보시는게 스트레스 덜 받을 수 있다정도의 생각. 우라늄 좀 더 선호.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7:08


■ 정치쪽 이슈 체킹

1) 제2차 여야대표 회담
-시기 : 10월말이나 11월초에 성사 전망
-안건 : 김건희 여사 특검법, 금투세 폐지

2) 이재명 재판일정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_1심 선고 (11/15) 검찰은 징역2년 구형
-이재명 위증교사 혐의_1심 선고 (11/25) 검찰은 징역3년 구형

*이재명은 유죄가 선고되더라도, 대선일인 2027년 3월 전까지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되지 않는다면 대선에 출마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기로는 흔들릴수 있는 이슈.

*김동연 관련주(PN풍년, SG글로벌)는 올라서 리스크가 있고, 한동훈 관련주쪽은 차트구간 좀 봐도 괜찮지 않나싶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6:58


📌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3,733억)
📁 [기재정정]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실적등에대한전망(공정공시)
2024.10.23 15:50:27 (현재가 : 1,059,000원, 0.0%)

*2024년 (단위 : 억원)
시작일 : 2024-01-01
종료일 : 2024-12-31(1년 )

매출액 : 43,411억
영업익 :
순이익 :


*2023년
매출액 : 36,946억
영업익 : 11,137억
순이익 : 8,577억

전망근거 : 시장전망 및 경영계획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27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6:57


2024.10.23 15:53:08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3,73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1,871억(예상치 : 10,953억)
영업익 : 3,386억(예상치 : 3,081억)
순이익 : 2,645억(예상치 : 2,43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2023.4Q 10,735억/ 3,500억/ 2,907억
2023.3Q 10,340억/ 3,185억/ 2,40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27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6:09


[기업 이모저모] 한화 김승연 회장 입에서 나온 '반도체'

"반도체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첨단기술 혁신을 견인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산업입니다. 국격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자부심으로 최선을 다해주길 바랍니다."

국내 대표 반도체기업인 삼성전자[005930]나 SK하이닉스[000660] 최고경영진이 임직원을 격려하며 했을 법한 당부다. 하지만 실제 이 말을 한 사람은 따로 있다. 바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다. 22일 한화의 미래 기술 연구개발(R&D) 전진기지인 '판교 R&D 캠퍼스'를 찾은 자리에서다. 김 회장의 반도체 관련 언급이 외부에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발언은 김 회장이 한화정밀기계의 고대역폭메모리(HBM)용 TC본더 장비 시연을 지켜보던 도중 나왔다.

최근 한화정밀기계는 SK하이닉스에 TC본더를 공급하기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 중이다. SK하이닉스는 현재 HBM을 만드는 3개사 중 기술력과 양산 경험 측면에서 가장 앞서 있는 회사다. 한화정밀기계 입장에선 글로벌 'AI 붐'에 올라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생긴 셈이다.

이 과정에서 일종의 해프닝이 있었다. 지난 16일 한화정밀기계의 TC본더가 SK하이닉스의 퀄 테스트에서 탈락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것이다. 모회사인 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주가가 하루 만에 10.8% 빠질 정도로 시장에 미친 여파가 컸다.

그러자 한화정밀기계는 즉시 반박자료를 내고 "현재 테스트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검증이 완료되는 대로 납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진화에 나섰다. 회사 홈페이지 첫 화면에도 해당 내용을 걸었다. 업계에선 기업간 거래(B2B) 장비 사업을 하는 회사가 언론 보도에 이처럼 적극 대응하는 건 이례적이란 얘기가 나왔다.

한화정밀기계가 얼마나 오류 수정을 중요하고 긴급한 사안으로 판단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결과론적인 얘기지만 회사의 미래 경쟁력은 물론, 김 회장의 현장 방문 성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오보 반박'과 김 회장의 '현장 방문' 사이에는 '엿새'란 물리적 시차가 있었다.

무엇보다 시장에 분명한 '시그널'을 줬다. 김 회장이 직접 시연을 지켜보고 담당 임직원을 격려했다는 건 사실상 납품 성사가 임박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조금이라도 의심의 여지가 있다면 김 회장 입에서 '반도체'란 단어가 절대 나오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9404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4:46


컨센 600개 초반에 834억원 완전 서프라이즈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4:37


2024.10.23 13:34:56
기업명: HD현대마린솔루션(시가총액: 5조 6,31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613억(예상치 : 3,769억)
영업익 : 834억(예상치 : 577억)
순이익 : 58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613억/ 834억/ 585억
2024.2Q 4,379억/ 710억/ 567억
2024.1Q 29억/ 1억/ 1억
2023.4Q -/ -/ -
2023.3Q -/ -/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16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43060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2:43


당정, 반도체 특별법안 합의…'직접 보조금' 길 열었다

정부와 여당이 반도체 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담은 반도체 특별법안 마련에 잠정 합의했다. 당정은 조율 끝에 직접 보조금 지원을 명시하지는 않기로 했지만, 반도체 산업을 보조하기 위해 정부의 재정을 지원할 수 있다는 포괄적인 규정을 담기로 했다. 이는 정부가 다양한 방식의 예산 투입을 통해 직접 보조금 성격의 지원까지 할 수 있도록 여지를 마련한 것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88603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2:15


안녕하십니까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지난 해 9월 Synaffix 사와의 ADC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도입에 이어, 금일 IntoCell 사와 ADC 플랫폼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작년 Synaffix 사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이중항체 ADC 개발을 시작했으며,
도입한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당사의 이중항체와 접목하여 3개의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파이프라인들은 내년 말까지 최소 2개 이상의 미국식약처(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신청을 목표하고 있으며,
신속한 임상 진입을 통해 아직은 경쟁물질이 많지 않은 초기 이중항체 ADC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확보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우수한 ADC 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경쟁력과 Novel함을 갖춘 ADC 파이프라인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2:11


#시황

1. 국내 시장의 경우 방산주가 동시에 튀어서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지수 자체는 반도체 덕분에 소폭이나마 반등 중.
다만 북한의 러우 전쟁 참전은 확전으로 번질 수 있는 진짜 위험한 리스크는 맞음.
블랙 코끼리(블랙스완+방안의 코끼리)가 될 수 있음.

2. 미국에서 나스닥이 최근 단독 강세를 보이고 있고
그에따라 국내 일부 반도체주(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테크윙, 로체시스템즈 등)로 수급 쏠림이 나오고 있고

3.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기사 표면상으로는 TC본딩장비 퀄테스트 탈락이 사실 무근이라고 하지만 맥락을 보면 탈락이 아니라고 확신을 갖는 것이 더 위험해 보임.
TC본더 탈락을 가정하고 봐야함. 희망회로 잘못 돌리면 죽기 딱 좋은 자리.

4. 방산주 전일 미국 ETF 상장 추진 소식이 있었는데 꽤 놀라웠음. 패시브 수급 유입 기대로 버블 낄 수 있음. 지금 신고가 내고 있는 종목들 시황과 수급 쏠림이 동시에 나오면 크게 움직일 여지가 높아보임. 관찰 필요.

5.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약세는 그 동안 주가가 강했던 만큼 쉬어가며 차익매물이 나오는 것으로 추정 + 전일 미국채 금리 상승으로 통화 완화 정책의 강도와 속도가 하향될 수 있다는 우려.
제약바이오들 아직 추세가 꺽인 것은 아니고 얼마든지 딛고 올라올 수 있는 자리지만 여기서 한 번 더 밀릴땐 위험하다.

6. 며칠 전 부터 한국 증시 전반적으로 거래대금과 예탁금이 동시에 하락하며 한국증시 이탈 움직임에 속도가 붙는 모습도 관찰됨. 국내증시 참담함.

7. 코스피는 수렴하며 위나 아래로 방향성이 나올 수 있는 타이밍이었고 코스닥은 아래로 계속 흐르는 모습이었는데 전일 기준 코스피 방향성이 아래로 나왔음.
단기간에 회복이 안될 경우 코스피 기준 2500pt 지지 안될 수 있음. 한국증시에서 자금이탈이 더 가속화될 수 있음.

8. 전반적으로 버티다가 죽기 딱 좋은 타이밍.
컨빅션 있거나 추세 좋거나, 재료나 일정 있는것들 아니면 버티지 말고 지금이라도 털고 다시 보는게 좋을 것 같음.


[작성] 낭만PB | https://t.me/Romanticist_PB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0:56


미국 에너지부에 올라온 내용을 보니
SK온-코스모신소재-코스모화학-클라리오스 서큘러 솔루션
미 정부의 지원금을 받아서 북미에 JV설립중으로 보임
배터리 원료 공급-배터리 제조-리사이클링에 이르는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을 구축하기로 함

코스모 그룹이 가장 큰 수혜가 되겠지만 SK온 밸류체인(SKC 등)도 수혜가 될 것으로 보임

———————————————-
초당적 인프라법: 배터리 재료 가공 및 배터리 제조 재활용 선택
미국 에너지부(DOE)는 제조 및 에너지 공급망 사무국(Office of Manufacturing and Energy Supply Chains)을 통해 미국 국민에게 내구성 있고 안전한 배터리 제조 공급망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재료 가공 및 배터리 제조 및 재활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DOE는 배터리 제조, 가공 및 재활용을 위해 총 16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에너지 안보와 경제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국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전국적으로 6,000개 이상의 운영 일자리와 13,000개 이상의 건설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청정 에너지 산업 전략에 필수적입니다.

2024년 9월, DOE는 전국적으로 첨단 배터리 및 배터리 재료의 국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14개 주에서 선정된 25개 프로젝트에 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DOE가 14개 프로젝트에 총 18억 2천만 달러를 지원한 이전 프로그램 자금 조달을 기반으로 합니다. 1차 수상자는 리튬, 흑연 및 기타 배터리 재료를 추출하고 배터리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상업 규모의 시설을 건설 및 확장하게 됩니다. 첫 번째 자금 조달은 또한 재활용 재료로 부품을 제조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의 시연을 지원합니다. 많은 시설이 이미 건설 중이며 하나는 현재 운영 중입니다.
——————————————————————-
클라리오스 서큘러 솔루션 LLC
프로젝트 이름: 국내 EV 배터리
용 통합 폐쇄 루프 양극
활물질 제조 신청자: Clarios Circular Solutions, LLC
위치: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피렌체 상태: 2라운드 선발자
연방 비용 분담금: $150,000,000
공급망 부문: 재활용

프로젝트 설명:
Clarios Circular Solutions는 진정한 폐쇄 루프 공급망을 통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플로렌스 재활용 센터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 생산 스크랩을 음극 활성 물질(CAM)로 재활용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전기 자동차(EV)를 위한 국내 공급망을 강화할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Clarios 시설을 개조하여 연간 20,000톤의 생산량을 자랑하는 스크랩-CAM 생산을 연계하여 연간 약 200,000대의 EV의 배터리 요구 사항을 지원합니다.

클라리오스는 글로벌 셀 제조업체인 SK On과 소재 생산업체인 Cosmo Chemical 및 Cosmo AM&T와 같은 신뢰할 수 있는 무역 파트너 국가의 선도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함께 대규모로 개발 및 입증된 기술을 국내에 선보일 것입니다.

SK온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 소재를 확보해 배터리급 소재로 전환하고, 국내 SK On 시설에서 셀 제조를 위한 CAM을 회수하는 프로젝트로, 미래 미국 핵심 광물 재활용을 위한 혁신적인 청사진을 제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미국 생산 스크랩은 재료 거래자에 의해 수출되어 대부분 중국에서 가공된 다음 공개 시장에서 거래됩니다. Clarios의 스크랩-투-캠(scrap-to-cam) 폐쇄 루프 재활용 공정은 미국에서 새로 채굴되거나 외국에서 조달되는 배터리 재료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귀중한 재료가 미국에 남아 국내 리튬 이온 전지 생산에 사용되도록 할 것입니다.

커뮤니티 혜택 플랜
Clarios Circular Solutions는 이 프로젝트가 배터리 제조의 순환 경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며, 증기 배관공, 배관공, 전기 기술자와 같은 고도로 전문화된 근로자를 포함하여 375개 이상의 영구 운영 일자리와 800개에서 1,200개 사이의 건설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플로렌스의 Justice40 커뮤니티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Justice40 Initiatives와 연계하여 주변 커뮤니티에서 커뮤니티 거버넌스, 기후 회복력, 청정 에너지 및 STEM 교육을 촉진합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미래 청정 제조 인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는 불우한 지역 학교의 STEM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확대에 자금을 지원할 것입니다.

Clarios는 이 최첨단 시설을 건설하고 운영할 수 있는 숙련되고 자격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지 인력 개발 그룹과 협력할 것입니다. Clarios는 수십 년 동안 현지에서 운영되어 왔으며 해당 지역의 기존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커뮤니티에서 모집할 것입니다.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혜택 계획은 구속력 있는 커뮤니티 혜택 계약에 의해 관리되는 커뮤니티 자문 패널에 의해 고정됩니다.

초당적 인프라법: 배터리 재료 가공 및 배터리 제조 재활용 선택
Office of Manufacturing and Energy Supply Chains (제조 및 에너지 공급망 사무소)

https://www.energy.gov/mesc/bipartisan-infrastructure-law-battery-materials-processing-and-battery-manufacturing-recycling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0:48


[퓨쳐켐 near CR 추가 확인]
유럽핵의학회에서 퓨쳐켐 FC705 임상 2상 추가 결과 중 PSA50 환자 1명이 추가되어 65% 확인

기존 CR 3명(15%)에서 near CR 환자도 1명 더 추가되어 총 4명도 가능한 상태입니다.

노바티스 플루빅토 9.2% 대비 절반 용량으로도 최대 CR 20%로 2배 이상…!

10월 28일에 하화이에서 열리는 Asian Pacific Prostate Society (APPS)라는 학회에서도 705 2상 결과를 추가 발표 예정입니다.

ORR(객관적 반응률) DCR(질병통제율)은 자료를 정리중이라고 합니다.
28일 공개될 ORR 수치도 기대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3 Oct, 00:18


9/30 초록 공개된 것보다 유효성이 증가되었습니다. FC705의 PSA 50% 드랍 환자가 초록 12명이었는데 학회 본발표 시 13명으로 1명 더 추가된 것으로 보이네요.

평균 3회 투약 결과가 아닌 6회 투여결과로 60% -> 65% 입니다. 노바티스 플루빅토 PSA50 46%보다 약 20% 높은 수치입니다.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Oct, 23:09


🌎 [빅테크] 휴머노이드 로봇, SF 아니에요 우리 코앞에

1. 진짜 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 테슬라 옵티머스 : 스스로 무선충전
- 피규어 AI 피규어 : BMW 공장 투입
2. 공장에도, 가정에도 SOON
- 어질리티 디짓 : 최초 장기계약 로봇
- 가정용 : 1X, 유니트리, 뉴라
3. 엔비디아도 중국도 무섭다
- 엔비디아 Groot : 휴머노이드 AI 모델
- 중국 회사들 : 포리에, 아스트리봇

#미국주식 #빅테크News #로봇 #테슬라 #TSLA #아마존 #AMZN #엔비디아 #NVDA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Oct, 22:32


미국 국채 근황 프리뷰
https://blog.naver.com/ranto28/223629286241?fromRss=true&trackingCode=rss

볼커의 실수가 반복되나? (feat 미국국채10년물, 금, TIPS)
https://blog.naver.com/ranto28/223627656424?fromRss=true&trackingCode=rss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Oct, 22:30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25449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Oct, 16:55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488915?ntype=RANKING

제이지의 투자이야기

22 Oct, 16:43


"누가 닭은 날지 못 한다 했나"…삼양식품 '불닭' 날았다
출처 : 비즈워치 | 네이버

https://naver.me/xQe76Nl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