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nje2e Channel on Telegram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nje2e


매일의 공부를 공유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Korean)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채널은 매일의 공부를 공유하는 곳입니다. 이 채널을 통해 투자 및 금융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인공인 '너쟁이'는 투자에 대한 열정과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어, 채널 구독자들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일의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투자 전략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채널을 통해 투자에 대한 실력을 키우고 재미있는 경제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보세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14:38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15204912520rz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의 MJ입니다.

최근 릴리의 주가가 어느정도 방향을 잡은 상황입니다.


비만치료제 시장에서의 경쟁은 릴리와 노보의 MS 양분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요.

릴리는 오차 없이 정교하고 치밀하게 잘해나가고 있는 반면, 노보는 카그리세마 이후 당분간 모멘텀 부재 구간에 이르렀습니다.

처방 데이터 또한 릴리는 4분기 우려를 잠재우며 양호한 실적을 보여주었는데요. 1분기부터는 다시 재빠르게 증가하는 처방데이터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릴리는 더더욱 관세에서부터 자유로운 상황입니다. 물론 미국 외에도 공장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상대적으로 그린란드 이슈에 의해 반사 피해를 볼 수 있는 노보와는 견줄 수 없이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이 외에도 릴리가 정말 긍정적인 부분들이 많지만 저는 올해 릴리를 가장 좋게 보는 이유 중 하나로 경구용 치료제인 Orforglipron 을 뽑고 싶습니다.

저분자 GLP-1 약물이지만 Best in class 수준의 부작용 관리 능력과, 우월한 효능, 그리고 오히려 저분자기 때문에 압도적인 공급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간으로 릴리가 발표할 경구용 임상이 9개인 상황에서, 주사제인 Tirzepatide 또한 공급이 60%가 연간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번 글에선 릴리의 경구용 약물과 유사한 AZD 5003 과 PFE 의 Danuglipron 등과 비교해 DDI 부작용과 off target 부작용, 그리고 제가 생각하는 구체적인 경구용 약물에 대한 생각을 적어보았습니다.

지금은 꼭 봐야할 때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9:57


🔅2025년 휴젤 톡신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1월 휴젤 톡신
수출 금액 $5,679,487, yoy+68.1%, mom-7.9%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공유된 휴젤의 중장기 성장 전략
1️⃣2028년까지 톡신/필러 진출 국가 수 확대
(톡신 67개국→80개국, 필러 52개국→70개국)
2️⃣2025년 브라질 톡신 신규 파트너십 확보, 1H25 중 신규 선적 발생 전망
3️⃣대형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수요 대응을 위한 톡신 생산 능력 확대
· 현재 capa 570만 vial→1H25 1,300만 vial, 일반적으로 unit 보다 vial을 늘렸을 때 판가에서 유리하므로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될 전망 : 250116 키움증권
· 2025년 초 3공장 첫 상업생산 시작, 1공장 셧다운 예정 : 250117 DB금투
4️⃣1H25 UAE/사우디아라비아 톡신 허가 목표로 MENA향 신규 매출 또한 기대
5️⃣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 리도카인 포함 액상형 톡신 HG102 3상 및 지방 제거 주사 HG301 2상 진행 중

*참고 : 250120 삼성증권 , 250116 키움증권, 250117 DB금투 등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9:39


올해 내 발표되는 릴리 Orforglipron 예상 임상 약 9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9:39


(출처 : Jefferies)

지속적으로 릴리에 대해 긍정적인 뷰를 유지했고, 주가는 어느덧 바닥에서 꽤나 방향성을 다시 틀어준 모습입니다.

릴리의 올 해는 경구용 치료제인 Orforglipron 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득한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사제 공급 또한 전년 50% 증가 대비 올해 60% 수준의 증가를 언급했고, 미국 관세에서도 상당히 자유로운 상황입니다.

노보의 카그리세마가 다시 경쟁자로 들어올 여지가 있지만 이는 26년으로 남아있으며 노보는 당분간 모멘텀 부재 구간이기도 하죠.

경구용 치료제는 릴리가 꽤나 선두하는 #1 기업으로 굳혀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릴리가 이번 Orforglipron 임상을 성공한다면, 조금 넓혀서 저분자 경구용 후속 주자인 화이자와 AZ 까지도 봐볼만하지 않을까 하는 의견은 있지만... 개인적으론 여전히 릴리가 비만치료제 기업 중 압도적 원픽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9:20


일라이릴리 터제파타이드 경구용 비만치료제 밸류체인 추정

일라이릴리 터제파타이드 당뇨/비만치료제 - 삼천당제약(에스패스) - SK팜테코(CDMO) - 덕산테코피아(펩터이드 중간체)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9:10


얼마전, 트럼프 대통령은 '나토 방위비 5% 증액' 요구를 다보스포럼 공식 석상에서 또! 언급하며 유럽을 압박했는데요, 이번 뮌헨 안보회의에서 부통령까지 지속적으로 압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미 유럽 주요국은 눈치를 보며 슬금슬금 방위비를 늘리고 있는데, 현실적(보수적)으로 3~3.5%까지는 방위비를 증액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슥 러프하게 계산해봤을떄 약 220~250조가 늘어나는 셈입니다. 유.럽.만.

미국 밴스 부통령, 뮌헨안보회의에서 나토 사무총장 만나 유럽 나토 동맹국들의 국방비 지출 증액 거듭 촉구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5000752071

美국방 “나토 방위비 , GDP 2%서 5%로 올려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8802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33


라면 (전국_글로벌)
관련종목 : 삼양식품 / 농심 등

2025년 1월 확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33


라면 (전국)
관련종목 : 삼양식품 / 농심 / 오뚜기 등

2025년 1월 확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32


가정용 미용기기 (전국)
관련종목 : 에이피알 / 파마리서치 / 하이로닉 / 동국제약 / 레이저옵텍

2025년 1월 확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32


가정용 미용기기 (전국_미국+홍콩+중국+일본+싱가포르+태국)
관련종목 : 에이피알 / 파마리서치 / 하이로닉 / 동국제약 / 레이저옵텍

2025년 1월 확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31


창상피복재 (전국)
관련종목 : 티앤엘

2025년 1월 확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31


티앤엘 : 창상피복재 (경기 안성_미국+영국+캐나다+독일)

2025년 1월 확정치 수출데이터 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24


#삼양식품
- 1월 수출액 기준 YoY +39%, MoM -5%
- 1월 수출단가 $4.39/KG (24년 2월 $4.41/KG이후 최고단가)
- 환율 차이 고려하면 사실상 최고단가
- 미국, 유럽 MIX 좋아짐에 따라 단가도 우호적인 상황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5 Feb, 08:13


#수출데이터 1월 확정치
- 파마리서치: YoY+330%, MoM-11%. 영업일이 15% 감소한 것을 고려할 시 우수한 수준이며 수출단가는 개선.
- 삼양식품: YoY+39%, MoM-5%. 수출단가는 환율 고려 시 ATH. 지속적으로 글로벌 및 품목 Mix가 좋아지면서 단가 및 물량 확대 중.
- 일진전기: 전체 데이터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변압기는 ATH 기록.
- 대웅제약: 전체 데이터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수출단가도 최고 수준 유지 중.
- 리노공업: 소켓 데이터 24.10월 이후 지속적으로 우상향 중.
- 티앤엘: 잠정치에서도 이미 나왔지만 높은 ATH 기록.
-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 잠정치에서도 이미 나왔지만 폴란드향 수출 중심으로 견조한 수출데이터.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5:56


* 변동요인
ESS 매출 증대 및 수익성 개선에 따른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실현(흑자전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5:56


📌 한중엔시에스(시가총액: 2,341억)
📁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2025.02.12 13:45:04 (현재가 : 25,850원, -0.58%)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554억(예상치 : -)
영업익 : 58억(예상치 : -)
순이익 : 147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4.4Q 554억/ 58억/ 147억
2024.3Q 476억/ 16억/ 9억
2024.2Q 436억/ 24억/ 11억
2024.1Q 306억/ -3억/ -14억
2023.4Q -/ -/ -

* 변동요인
ESS 매출 증대 및 수익성 개선에 따른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실현(흑자전환)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290033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0764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4:06


테슬라 2025년 예정

- 새로운 모델 Y 출시

- 테슬라의 차세대 플랫폼 일부를 활용한 보다 저렴한 모델이 올해 상반기 출시

- 신규 공장에서 테슬라 세미(Tesla Semi) 첫 생산

- 옵티머스(Optimus) 파일럿 생산 시작: 차세대 손 포함 (22 자유도, 인간 손은 27 자유도, 2세대 옵티머스는 11 자유도)

- 사이버트럭(Cybertruck) 후륜구동(RWD) 모델 출시

- 기가 텍사스(Giga Texas)에서 사이버캡(Cybercab) 생산 라인 준비 중

- 완전 자율주행(FSD, Unsupervised) 출시 및 오스틴(Austin, TX)에서 최초 로보택시 시범 운행

- 중국 상하이에 새로운 메가팩(Megapack) 공장 가동 시작 → 테슬라의 글로벌 생산 능력 2배 증가

- 텍사스에서 테슬라 리튬 정제소(Tesla Lithium Refinery) 가동 시작

- 파워월3(Powerwall 3) 생산 확대

- 사이버트럭 500kW 충전 지원, 테슬라 세미는 V4 슈퍼차저에서 1.2MW(1,200kW) 충전 가능 (V4 캐비닛 적용, 3분기 예정)

- 기가 텍사스에서 테슬라의 "코텍스(Cortex)" 슈퍼컴퓨터 GPU 트레이닝 클러스터 확장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3:29


SOOP. AI 더빙.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2:33


SOOP

IR 한줄요약 : 멀티플 업사이드가 확실히 열리는 구간


-1분기 내에 한국 스트리머의 동시송출이 의미있게 증가할것. 원하는 스트리머도 많고 최대한 지원하려고 하고 있음.
- 자동동시통역 자막, 채팅번역, 쉬운동시송출 지원 등 서비스 고도화 진행중
-숲 뿐만아니라 타 플랫폼 크리에이터가 원할경우 동시송출 지원할 계획
-글로벌 숲은 여전히 초기 단계. 다만 현재 굉장히 만족해 할만한 결과를 얻고 있음
-해외 유저들 크리에이터 모두 재밌어하고 만족해 하고 있음. 한국 크리에이터가 창의적인데 그런것들을 재밌어함. 이미 한국을 따라하는 현지 스트리머 확인되고 있음
-한국 스트리머분들을 해외로 확장시켜 주고 해외 스트리머와의 교류를 통해 해외 스트리머의 지원도 하고 싶음
-숲 이커머스 라이브스토어 비즈니스 확장중
-진성유저 데이터 긍정적임. DAU 17%상승, 페잉유저 25% 상승. 우리의 커뮤니티는 매우 잘 돌아가고 있음
-글로벌 플랫폼 기부는 젬인데 한 국가에서 쏘면 다른국가에서 경쟁적으로 쏘는 재밌는 모습 관찰
-글로벌 숲의 페잉유저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 보다 상당히 적극적이다. 해외 유저는 구독비즈니스에 익숙하기 때문에 구독 많이 진행해 주고 계신다. 기부경제 시스템이 매우 잘 돌아가고 있다.
-AI비즈니스 모델은 고도화 하고 있다. 스트리머와의 피드백을 통해 단계를 구체화 하고 있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2:27


https://youtu.be/unxvbTFYs8M?si=HSoZOOtfKpePLXLk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2:18


자율주행은 새로운 국면이 부각 되는 중이고.

중국-테슬라(미국)의 대결 국면에서의 특징과 트랜드를 통해 관련주를 재정리 해야 할 거 같네요.

저잋적 포지셔으로인해 테슬라 목표주가하향 및 실제 주가 조정 등 부침을 겪고 있는데.

그러한 정치적 리스크 외 본사업의 리스크가 더 중하니 그런 부분에 대해 중간체크. 점검을 스스로 하는게 필요한 시기입니다.

#테슬라
#자율주행
#중국 대다나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2:17


살 빼준다는 GLP-1 약물, 정말 시력 상실 유발할까?

체중감량제로 각광받는 글루카곤 유사펩티드-1(GLP-1) 약물이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 GLP-1 약물 복용 도중 시력 문제가 발생한 9명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직접적 연관성은 찾지 못했지만 조사가 계속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의학협회저널 안과학(JAMA Ophthalmology)》에 발표된 미국 내 6명 기관 안과전문의 10명의 공동 보고서를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1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https://kormedi.com/179506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2:17


릴리(IR 및 컨콜) 내용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구(GLP-1) 제제의 장점
• 주사제(GLP-1)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 경구(GLP-1) 제제를 선호.
• 주사 공포(needle fear)를 가진 환자가 미국에서 20~25%로 추정되며, 이들을 위한 대안 가능.
2. 차별화된 환자 타겟
•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 수준의 체중 감량 또는 혈당(HbA1c) 감소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군에게 적절할 가능성.
• 유지 치료(maintenance space) 시장에서의 기회 존재.
3. 미국 외 시장 확장 기회
• 냉장 보관이 필요 없다는 점이 해외 시장 확대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

즉, 릴리는 경구형 GLP-1이 주사 공포 환자나 유지 치료 시장에서 기회가 있으며, 냉장 보관 필요성이 없는 점을 활용해 미국 외 시장에서도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2:05


https://youtu.be/geotWARFNd4?si=F21-nJH2edLyVsKl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Feb, 01:54


https://naver.me/G1wl2Zyw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Feb, 23:50


편입: 없음
편출 11종목: 엔켐, GS, 한미약품, 금호석유, 엘앤에프, LG화학우, 롯데케미칼, 넷마블, 포스코DX, 삼성E&A, SK바이오사이언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Feb, 23:50


[한투증권 염동찬] MSCI 2월 분기 리뷰 결과
 
■ 신규 편입 없이 11개 종목 편출
 
- MSCI가 기준 2025년 2월 12일 오전 7시(한국 시간 기준)에 2월 정기 리뷰를 발표
 
- 넷마블(A251270), SK바이오사이언스(A302440), GS(A078930), 삼성E&A(A028050), 한미약품(A128940), 금호석유(A011780), 엘앤에프(A066970), 포스코DX(A022100), 롯데케미칼(A011170), 엔켐(A348370), LG화학우(A051915) 11개 종목이 대거 편출되었고, 신규 편입은 없었음
 
- 신규 편입 종목은 아니지만 에코프로머티(A450080)와 NH투자증권(A005940)은 유동비율이 각각 10%p, 5%p 상향 조정
 
- 다음 6개 종목은 유동비율이 하향 조정되었는데, LG(A003550), HMM(A011200), 고려아연(A010130), KT&G(A033780), 엔씨소프트(A036570)는 5%p 하향 조정되고 SK이노베이션(A096770)은 20%p 하향 조정
 
- MSCI EM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자금 규모는 4,320억 달러인데(2024년 6월 말 기준), 전일 원/달러 환율 1,452원을 적용할 경우 627.2조원에 해당
 
- 이에 기반하여 편입/편출되는 종목의 인덱스 매수/매도 수요 계산 가능
 
편출 종목)
1) 넷마블(A251270) 현재비중: 0.013%, 인덱스 수요: 798억원
2) SK바이오사이언스(A302440) 현재비중: 0.012%, 인덱스 수요: 751억원
3) GS(A078930) 현재비중: 0.016%, 인덱스 수요: 1,009억원
4) 삼성E&A(A028050) 현재비중: 0.026%, 인덱스 수요: 1,645억원
5) 한미약품(A128940) 현재비중: 0.015%, 인덱스 수요: 923억원
6) 금호석유(A011780) 현재비중: 0.013%, 인덱스 수요: 798억원
7) 엘앤에프(A066970) 현재비중: 0.020%, 인덱스 수요: 1,230억원
8) 포스코DX(A022100) 현재비중: 0.009%, 인덱스 수요: 586억원
9) 롯데케미칼(A011170) 현재비중: 0.010%, 인덱스 수요: 624억원
10) 엔켐(A348370) 현재비중: 0.019%, 인덱스 수요: 1,223억원
11) LG화학우(A051915) 현재비중: 0.011%, 인덱스 수요: 671억원
 
- 인덱스 변경은 2월 28일(금) 종가에 이루어져 3월 3일(월)부터 변경된 종목이 반영될 예정. 인덱스 펀드 매수/매도 수요 역시 2월 28일에 발생할 예정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LTE8EU3QIsyMzM1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Feb, 23:18


📮[메리츠증권 이차전지/석유화학 노우호]

2025.2.12 (수)

<SKC: 25년 연중 완만한 턴어라운드 기대>

URL: https://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WorkFlow/20250211173046807K_02.pdf

4Q24P 영업적자 -826억원, 24년 연간 영업적자 -2,768억원을 기록
- 동사는 전일 4Q24P 매출액 4,250억원/영업적자 -826억원의 영업실적을 공시. 영업적자 확대 배경은 이차전지부문(동박)의 사업부진: 매출액 873억원/영업적자 -423억원

- 당분기 동박 판매량은 4,300톤, 연간 누적 판매량은 1.0만톤(총 생산설비 대비 가동률 34%). 지난 2년간 말레이 생산법인 신규 생산라인 구축 이후, 고객사 품질 인증 마무리되며 중화권 고객사 판매 개시 등 고객사 Mix 개선 중

- 화학부문은 SM 판매물량/단가 약세에 매출액 2,836억원/영업적자 -163억원을 기록하며 5개분기 연속 영업적자 시현

- 반도체부문은 매출액 530억원/영업이익 81억원 기여. 자회사 ISC의 AI 테스트 소켓 판매량 증가(+70% QoQ), 반면 범용 소켓의 수요 비수기 영향에 이익 규모 축소

2025년 BM 혁신 마무리 단계, 동시에 손익/재무 건전성 개선 중
- 동사는 2024년 반도체부문의 파인세라믹스 및 CMP패드 사업부를 각각 3,303억원, 3,410억원으로 매각을 확정함. 지난 2020년부터 동사가 추진한 BM 혁신이 2025년 연간 마무리 단계에 진입함

- 2025년 성장성은 반도체부문이 견인할 점. 계열사 SK하이닉스의 AI용 반도체 기술 리더쉽에 동사 역시 유리기판과 ISC의 테스트용 소켓 고부가화 전략을 강화

- 유리기판부문은 2024년 미국 조지아주 생산라인 구축 이후, 미국 반도체 생산자 보조금/유리기판 분야 연구개발 보조금 수령을 확정, 2025년 하반기 제2차 라인 증설 의사결정이 이뤄질 점에 주목. 품질 테스트 과정에 기존 고객사 외에 신규 고객사들이 추가되는 점은 고무적

- 수익성은 이차전지의 동박부문이 좌우할 전망. 지난 3년간 동박부문은 전기료 등 제조원가 상승, 말레이 신규 생산라인의 초기 가동 비용 등에 연속된 영업적자 발생

- 2025년 수익성 개선의 핵심은 판매량 극대화. 현재 동박 생산규모는 말레이 5만톤, 국내 정읍 5만톤. 원가 경쟁력 열위의 정읍 생산규모는 점진적 축소, 반면 원가 우위 말레이 생산라인 기반으로 고객사향 판매량 극대화 전략.

- 4Q24 가동률 34%를 저점으로 25년 연말 가동률 70% 이상, 판매량 3.5만톤 이상으로 반등 예상. 당사의 기존 추정치 3Q25E 동박부문 흑자전환을 예상

- 신규 사업 부진/투자기조 지속에 재무건전성 훼손의 시장 우려에도 불구, 동사는 꾸준한 비주력 사업 매각 등의 자산유동화, 25년 기점으로 Capex 축소 등으로 현금 유동성은 건전한 수준

- 2025년 연중 이차전지부문 수익성 개선과 유리기판의 성장 모멘텀 부각은 동사의 기업가치 정상화 및 적정 멀티플 상향이 마련될 계기가 될 점


업무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Feb, 23:17


MSCI 스몰캡 지수 편입/편출 리스트

신규편입은 산일전기, 시프트업, SK바이오사이언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Feb, 14:08


25.2현재 복수사업이 최종단계(확정건 포함) 진입
=> 확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보아 기다리고 있던 복수의 고객사(I사, J사)가 확보된 것 같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Feb, 13:58


아일리아시밀러
1) 올해 안에 프랑스, 동유럽, 러시아 등 추가 계약 추진
2) 상반기 : 캐나다, 국내 판매 시작
3) 하반기 : 유럽, 일본 판매 계획
4) 미국 : 2026년 하반기 진입 목표 (미국의 경우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의 63% 차지)

에스패스 (경구용 플랫폼)
1) 세마글루타이드 기반 당뇨약 2월부터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진행 중
2) 2026년 세마글루타이드 경구 제너릭 출시 계획
3) 2027년 경구용 비만 치료제 계약 체결 및 판매 본격화
- 티르제파이드/리라글루타이드 기반 당뇨, 비만 치료제 협의 진행 중
(티르제파이드 기반 당뇨, 비만 치료제 누가 만들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6:03


빼지마 ㅠ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6:02


[컨콜노트] 에스오에스랩, "현대차와 엔비디아의 자율주행은 당사에 호재"

라이다 설계 회사로 자동차, 로봇, 인프라 쪽에 많이 쓰이고 있음

세계 4대 라이다 기업 선정된 바 있고 국내 최대 수준 라이다 기술 특허 갖고 있음. 주요 고객사는 로봇, 오토모티브 등

올해 턴어라운드 예상하며 현대차와 엔비디아의 자율주행 협업은 당사에 호재

👉 전문보기
https://me2.do/F9NZysq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6:00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화장품 압도적인 성장 기록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57


블프가 있었기에 당연히 4Q 역대 최대 분기실적 달성을 했습니다.

시장에서 우려하던게 4Q에 비용이 발생많이하는거 아니냐 했는데 그만큼 나오지 않았고 매출액 OP 모두 컨센 비트 했습니다.

이제 실적 컨펄런스콜 들어보시죠!ㅎㅎ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55


2025.02.10 14:54:49
기업명: 에이피알(시가총액: 1조 9,03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2,442억(예상치 : 2,146억)
영업익 : 396억(예상치 : 389억)
순이익 : 419억(예상치 : 33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442억/ 396억/ 419억
2024.3Q 1,741억/ 272억/ 160억
2024.2Q 1,555억/ 280억/ 241억
2024.1Q 1,489억/ 278억/ 241억
2023.4Q 1,520억/ 344억/ 241억

* 변동요인
화장품, 홈뷰티디바이스 판매 증가 및 판매 지역 확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80061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847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54


하... 쾌감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52


에이피알(278470)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연결)

[영업이익] 397 억원
(최근 4분기 중 최대)
QoQ(%) 45.8
YoY(%) 15.3
컨센대비(%) 0.4
[PER(연율)] 10.7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80061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40


스페이스X 스타쉽 플라이트 8번째 업데이트

Starship Flight 8 : Booster 15가 정적 발사를 완료

📌33개의 Raptor 엔진을 MegaBay에서 토요일 발사함

부스터와 상단 단계 우주선을 발사할 준비를 하는 최종 시리즈의 첫 번째 테스트

📌스타쉽 8번째 발사는 아직 스케쥴이 없는상태

아직 7번째 발사에서 비행중에 고장 원인에 대한 사고조사 결과 기다리고 있음.

FAA는 스타쉽 지정된 위험구역 밖으로 떨어진 파편도 조사중

7번째 발사에서 케이커스 제도 위로 떨어진 파편으로 차량 손상되었다고 보고

📌아마 8번째 발사 전까지 몇주 안남았을 가능성 높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39


※ 미국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 2024년 12월 미국 대형 ESS 설치


EIA에 따르면, 2024년 12월 미국 대형 ESS 신규 설치량은 2.13GW로 전월대비 56%, 전년동월대비 286% 증가하였음.
2024년 누적 미국 대용량 ESS 신규 설치량은 10.43GW로 전년대비 63.8% 증가하였음.


● 미국 태양광 모듈 생산능력 50GW 돌파

미국 태양광 산업 협회(SEIA)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생산능력이 50GW를 돌파하였음.
이는 이들 공장들이 가동률을 100%로 가정하였을 때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규모임.

자료인용 PingAn Securities 발간 “주간 신재생에너지 산업 보고서” (2025. 02. 1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5:20


에이피알은 조금 뒤 15시에 실적 컨퍼런스를 오디오 웹캐스팅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 https://www.apr-in.com

상기의 에이피알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신 뒤 "오디오 웹캐스팅 청취하기"를 누르시고 개인정보를 입력후에 청취하시면 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4:10


모임 홍보)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vilab/articles/261958?useCafeId=false&tc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3:59


https://youtu.be/VSAYjHKGQ7I?si=jzrEsg5MtZ4VCNnV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3:20


테슬라 메가팩 xAI로 40개의 메가팩 배송

40개의 메가팩 약 3,800만달러(550억) 규모

xAI 멤피스 슈퍼컴퓨터 클러스터는

📍엔비디아 GPU 약 20만개정도로 가동중임.

메가팩으로 인해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함.

사진 : Brent Mayo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3:17


#에이피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0 Feb, 03:16


https://naver.me/xa5b8lXn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12:25


일라이 릴리 Eli Lilly 2024년 4분기 실적(프리장 +2.25%)

조정 EPS: $5.32 (전년 동기 대비 $2.49), 예상치 $5.06 상회
매출: $135.3억 달러, 예상치 $134.5억 달러 상회

Mounjaro 매출: $35.3억 달러
Zepbound 매출: $19.1억 달러, 전 분기 대비 +52% 증가
Trulicity 매출: $12.5억 달러, 예상치 $13.6억 달러 하회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조정 EPS: $22.50~$24.00, 예상치 $23.17
매출: $580억~$610억 달러, 예상치 $594.1억 달러

주요 제품 4분기 성과
Zepbound: $19.1억 달러
Mounjaro: $35.3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
Verzenio: $15.6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
Jardiance: $1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
Trulicity: $12.5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
Taltz: $9.5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
Humalog: $6.19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

운영 지표
매출원가(COGS): $24억 달러 (예상: $25.1억 달러)
매출 총이익: $111.3억 달러 (예상: $111.3억 달러)
연구개발비(R&D): $30.2억 달러 (예상: $29.9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판매관리비(SG&A): $24.2억 달러 (예상: $24.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
운영비(R&D + SG&A): $54.4억 달러 (예상: $54.1억 달러)

전략 및 사업 개발
FDA, Zepbound를 비만 성인 중등도~중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제로 승인
FDA, Omvoh를 중등도~중증 크론병 치료제로 승인
SURMOUNT-5 임상시험에서 긍정적 결과: Zepbound가 Wegovy 대비 47% 높은 체중 감소 효과
Scorpion Therapeutics의 PI3Kα 억제제 프로그램 인수 발표
위스콘신주 케노샤 카운티 제조 시설 확장을 위한 30억 달러 투자
분기 배당금 15% 인상과 함께 15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발표

CEO David A. Ricks의 코멘트
"2024년은 주요 데이터 발표, 제조 확장, 핵심 제품 출시 등으로 매우 성공적인 해였습니다. 2025년에도 지속적인 재무 성과와 중요한 3상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강력한 모멘텀을 유지할 것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12:14


[에이피알의 마케팅 능력 - 스레드에서 본글과 관련된 생각]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상기 스레드 글쓴이분의 의견에 동의하며 에이피알은 마케팅 측면에서 국내에서 탑기업중 하나라고 생각함

특히 수요자들이 어떤 시각적인걸 좋아하고 틱톡, 릴스, 숏츠등 숏폼 플랫폼을 가장 잘 활용하는 기업임
(제로모공패드와 에이지알 디바이스도 유튜브에서 짧은 광고를 보고 뭔가에 홀린듯이 사게됬었음)

PDRN 핑크 콜라겐 엑소좀 샷 앰플 제품부터는 제품 상세페이지에 피부과에서 리쥬란 힐러 시술을 받았을 때 생기게 되는 엠보를 연상케 하는 방식의 제품사진들이 올라옴.

PDRN 핑크 펩타이드 앰플때는 그렇지 않았음.
이때는 단순히 기존 화장품처럼 바르는 제품이였기 때문으로 보임.

PDRN과 엑소좀샷이 콜라보 됬을 때가 피부장벽을 뚫고 들어가는 제품이기에 주사로 진피층에 찔러넣었을 때 생기는 엠보를 연상케 하는 방식이기 때문인것으로 생각됨
(이 떄문인지 사용후기를 보면 실제로 저렇게 앰플을 엠보모양으로 떨어트린 후에 바르고 흡수를 시킴)

뛰어난 마케팅이 가능한 이유는 에이피알 본사를 가보면 확실히 알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 느낀점은 하기와 같음

⭕️ 젊은 CEO, CFO분의 유능한 역량
트렌드를 읽는 힘, 빠른 의사결정과 상장직 후 얼마되지 않아 주주친화적인 자사주 매입 및 소각과 같은 결정은 젊은 두분의 역량

⭕️ 직원들이 20~30대 분들이 많음
직원들 또한 연령대가 어려서 트렌드가 뭔지 아주 빠르게 케치하고 이를 어떻게 마케팅에 녹일지를 아주 잘 알고 있음

⭕️ 직원들의 여성비율
화장품과 홈디바이스 제품의 수요는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데 여기에 맞춰서 본사직원들중 여성분들의 비율이 높음

⭕️ 정기적인 임원회의
이건 회사의 임원분들과 소통을 하게되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에이피알은 격주로 임원회의를 하고있음
트렌드가 빠른 뷰티업종의 특성상 의사결정이 빨라야하는데 에이피알이 다른 회사 대비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요소종 하나라고 생각함


#에이피알, #APR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11:34


닛산, 혼다에 합병 협상 종료 의사 통보…폭스콘 인수 가능성도

교도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목요일에 닛산 자동차 사장이 혼다 자동차에 합병 협상을 종료하겠다는 의향을 전달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로써 세계 3위의 자동차 그룹을 탄생시킬 수 있었던 이니셔티브가 종식되었습니다.

MoneyDJ 가 닛케이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닛산이 혼다와의 합병 협상을 종료한다는 결정이 확정되면 폭스콘이 닛산 인수를 추진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

TrendForce 에 따르면 EV는 2024년 글로벌 신차 판매량의 약 2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EV 시장의 성장률은 둔화되었지만 전반적인 상승 추세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EV 판매량은 2025년까지 2,600만 대에 도달하여 전체 신차 판매량의 약 3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2/06/news-nissan-reportedly-notifies-honda-of-intent-to-end-merger-talks-potentially-paving-way-for-foxconn-deal/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11:29


리제네롱의 10-k 보고서가 올라왔네요.
https://newsroom.regeneron.com/node/30681/html

실적은 다들 잘 아실테니 패스하고,
여기서 볼건 소송 진행상황입니다.
뭐 이 또한 이젠 큰 의미가 없긴 합니다만,
트랙하는 입장에서는 계속 볼게요.

미국은 '865 특허가 중요한 부분이네요.
모든 회사가 이 부분에 걸려있고,
얼마전 삼바,셀트,포미콘 기사 생각하시는 그 상황입니다.

암젠만 특이 상황이구요.
An expedited oral hearing concerning the Company's appeal of the court's preliminary injunction decision was held on January 14, 2025.
250114. 오럴 히어링 했다는데,

https://lilys.ai/digest/2500697/596557?s=1&nid=596557

lilys로 요약했읍니다만, 원문으로 들어보실 분은 같이 첨부 되어 있으니 들어보십쇼.

암젠은 다른 지역에서도 고생입니다.

일단 유럽에서도
Various parties, including Amgen and other anonymous parties, are seeking revocation of the Company's European Patent Nos. 2,944,306 (the "'306 Patent"), 3,716,992 (the "'992 Patent"), and 3,384,049 (the "'049 Patent") before the Opposition Division of the EPO. On November 26, 2024, following an oral hearing, the Opposition Division ("OD") of the EPO announced its decision to revoke the '306 Patent. The Company plans to appeal the OD's decision. Oral proceedings concerning the '992 Patent are scheduled for October 2025.

카나다 지역에서도
A trial for the lawsuits concerning the '510 Patent and the '276 Patent has been scheduled for May–June 2025; and a trial for the lawsuits concerning the '315 Patent and the '193 Patent has been scheduled for August–September 2025.

재판 이슈로 인해 좀 뭣하죠.
(미국은 암젠이 좀 유리해보입니다만.. 시밀러 업계에는 발등에 횃불 떨어지는 소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소송이 걸려있지만.. 뭐 큰 의미 없는 거 같읍니다.
이미 두 회사가 잘 팔고 있어요.(삼바, 셀트)


삼천당 관련해서는..

캐나다 지역에서는 언급이 1도 없습니다.
왜냐면 이미 합의가 끝난 부분이거든요.

미국은 아직 허가 단계가 아니고,

한국에 걸려있는건.. 아이고, 의미없습니다.

유럽은..별 이야기가 없네요. ㅎㅎ.
파트너가 소송 걸려있겠죠 아마?

글만 길어보이지..
알은 차있지 않은것 같읍니다..

따뜻한 밤 보내십쇼. 🙂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10:53


머스크 야심작 '스타링크' 韓 상륙 임박…통신시장 판도 바뀌나

이르면 4월부터 서비스 도입 전망
비행기서도 통신연결 가능할 수도
중장기적 경쟁력 강화 "국내 가입자 증가 예상"
국내 통신망 촘촘…단기 사업성은 떨어질 수도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20650060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10:35


https://youtu.be/3_sqWsjdyMU?si=s8DFQCpN824u_aRU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8:58


인터배터리 사전등록 하셔요.

InterBattery 2025
행사기간 2025.03.05 (수) ~ 03.07 (금)

https://tickgo.kr/exhibition/126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8:57


[Panasonic - 하나증권 2차전지 김현수, 홍지원]

'ESS 사업 성장 지속'

자료링크 : https://bit.ly/4hrXdv2

FY3Q25 Review : ESS 사업 호조에 따른 배터리 부문 이익 증가

- Panasonic의 FY3Q25('24.10-'24.12, 3월 결산 기준) 전사 연결 실적은 매출액 2조 1,526억엔(YoY -1.3%, QoQ +1.1%), 영업이익 1,323억엔(YoY +3.8%, QoQ +0.1%) 기록했다.
- 배터리 사업 영위하는 Energy 사업 부문(매출 비중 10%) 실적은 매출액 2,149억엔(YoY -6.1%, QoQ -1.6%), 영업이익 420억엔(YoY +39.1%, QoQ +28.4%)으로 매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이익은 데이터센터향 ESS 배터리 판매 확대, 환율 변동 효과 등으로 증가했다. 부문 영업이익률은 19.5%(QoQ +4.6%p)이며, AMPC 제외 시에는 5.4%(QoQ +0.8%p)다.
- Energy 부문 內 차량용 배터리(In-vehicle) 사업은 Nevada 공장 판매 증가 불구, 메탈 가격 하락에 따른 배터리 판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매출 감소했다. 수익성의 경우, 신규고객사를 위한 초기 개발비 증가 불구, AMPC 보조금(303억엔, 출하량: 10.0GWh) 효과 확대되며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이익 증가했다.
- 한편, Energy 부문 內 산업/소비재용(Industrial/ Consumer) 배터리 사업은 생성형 AI 시장 성장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ESS 배터리 판매 증가와 함께 판가 역시 상승하며,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매출과 이익 모두 증가했다.

AMPC 폐지 어렵다고 언급

- Panasonic이 제시한 FY2025('24.04~'25.03) 전사 매출 가이던스는 ’24년 10월 제시했던 8.6조엔에서 8.3조엔(YoY -2.3%)으로 소폭 하향 조정됐는데, 이는 Automotive 사업부 일부가 De-consolidation된데 따른 것으로 업황의 변화를 반영한 것은 아니다.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3,800억엔(YoY +5%)으로 유지됐다.
- 사업부별로 살펴보면, Energy 사업 부문의 경우 매출 가이던스가 기존 8,640억엔에서 8,730억엔(YoY +2.7%)으로 상향됐고, 영업이익은 기존 1,090억엔에서 1,240억엔으로(YoY +39.6%) 상향됐다. 이익 가이던스가 크게 상향 조정된 이유는 두 가지다.
- 1) 북미 공장 생산성 향상에 따른 AMPC 보조금 증가: Nevada 공장의 생산성 증대와 함께 Kansas 공장이 2025년 초 신규 가동되면서, IRA Tax Credit 대상 배터리 생산 용량이 Full-Capa 기준 연간 69GWh로 확대 예정이다. FY2025('24.3-'25.3)의 AMPC 보조금 대상 출하량 전망치는 38.2GWh(YoY +2.7%)로 제시됐다. 2) ESS 배터리 판매 증가: FY2025의 데이터센터향 ESS 배터리 판매량은 생성형 AI 시장 확대로 전 회계연도 대비 +190% 증가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IRA 법안 변경 가능성에 대해 Panasonic은 현재 폐지 논의되고 있는 법안은 AMPC 부문(IRA 45X)이 아닌, 전기차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세액공제(IRA 30D, 7,500달러)와 관련된 것이고, IRA 45X의 경우 미국 고용과 밀접한 영향이 있기에 실질적으로 폐지되기 어려울 것이라 밝혔다. 만약 폐지가 된다고 하더라도 주요 투자는 이미 FY2024에 대부분 진행했기에,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 언급했다.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사업 확장 지속

- 한편, 신규 고객과의 사업 진행 상황도 언급되었는데, Mazda와의 2030년까지 총 10GWh 규모 CAPA 증설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 중이며, 2027년 6.5GWh 생산 예정이다. SUBARU와는 2028년까지 20GWh CAPA 증설 계획을 언급했다(기존 대비 4GWh 증가).
- 전방 수요 둔화 불구 보수적인 증설 전략 덕분에 배터리 공장 가동률 높게 유지되고 있는 점, 이 과정에서 ESS 수혜 확대되고 있는 점 감안할 때, Panasonic 배터리 부문 실적 개선세는 올해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전사 실적 대비 배터리 매출 비중 10% 수준이라는 점에서 투자 매력도는 여전히 낮다고 판단한다.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8:21


삼성은 로봇에이어 유리기판에도 직접 참전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7:32


여기는 계속

#유리기판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7:32


1. 삼성전자는 유리기판을 생산하기 위해 복수의 소재·부품·장비사들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2.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사업 추진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3. 삼성 반도체 사업부(DS) 내 구매팀 주도로 논의가 진행 중이며, 삼성만의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을 계획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4. 그동안 유리기판은 반도체 업체 중에선 인텔, 앱솔릭스, 삼성전기, LG이노텍 등이 준비하고 있었다.

5. 오늘 뉴스에 가장 큰반응은 와이씨켐(상), 램테크놀로지(상), 필옵틱스, 켐트로닉스, HB테크놀로지 등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7:31


유리기판 벨류체인

Intel은 2030년 내 유리기판을 적용한 칩을 양산하겠다고 발표했으며 Ibiden, Unimicron 등 글로벌 패키지기판 업체들이 유리 기판 개발에 착수했다.

국내에서는 SKC가 자회사 SK앱 솔릭스(absolics)를 통해서 개발하고 있으며 4Q24 출하를 목표로 가장 앞선 로드맵을 갖추고 있다. 현재 SK앱솔릭스는 미국 코빙턴 공장에 $240Mil을 투자하여 연 1.2만 제곱미터 규모의 유리 기판 공장을 계획 중이며 2025년까지 연 7.2만 제곱미터까지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현재 유리기판 산업에서 SK앱솔릭스가 가장 앞서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제품 상용화 및 양산에 성공하게 된다면 SKC에 인수된 ISC와 유리 기판 관련 장비 (DI 노광기, TGV 장비)를 납품하는 필옵틱스의 수혜를 예상한다

(이베스트 24.1.2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6:02


https://www.etnews.com/2025020600031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6:00


가운데 립틴트와 가까울수록, 선이 진할수록 틱톡 해시태그와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6:00


(라이언K님 컨텐츠 재인용)
틱톡 해시태그(#juicylastingtint, #romand) 컨텐츠 수, 뷰어수 추이
암튼 올타임 하이 추세. 그리고 틱톡 립틴트(#liptint) 해시태그와 롬앤은 한몸 느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5:25


테슬라 상하이 메가팩토리

테슬라 중국에서 상하이 메가팩토리 2월 11일 대량생산 시작

📌캘리포니아 라쓰럽 CAPA : 연 40GWh
📌상하이 메가팩토리 CAPA : 연 40GWh

메가팩 이익률 30% 잡으면

풀 캐파 돌릴시

연 매출 : $21B
연 이익 : $6.3B

보수적으로 이익률 25% 잡으면
연 매출 : $21B (연 30조)
연 이익 : $5.25B (연 7.7조)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6 Feb, 04:24


더존비즈온 4000억 매출 돌파...전 사업 영역 고른 성장

1. 실적

- 2024년 연간 연결기준 매출 4023억 원, 영업이익 881억 원을 달성했다.
- 전년 대비 매출은 13.5%, 영업이익은 21.7% 상승했다.
- 4분기 실적은 매출 1115억 원, 영업이익 295억 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 4분기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18.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26.4%에 달했다.

2. 성장 요인

- WEHAGO, Amaranth 10, OmniEsol 등 핵심 솔루션에 통합된 AI 서비스 경쟁력이 주효했다.
- ONE AI는 출시 6개월 만에 2,000개 기업과 도입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냈다.
- AI가 비즈니스 환경에 성공적으로 통합, 내재화되며 전체 모듈 도입이 증가했다.

3. 제품별 실적

- Amaranth 10이 전년 대비 168% 성장했다.
- WEHAGO는 24% 성장률을 기록했다.
- OmniEsol은 새로운 파트너십 정책으로 대기업, 그룹사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다졌다.

4. 향후 전망

- 기업의 AI 도입 수요 증가로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 AI 서비스 효용을 확인한 기존 고객들의 클라우드 전환으로 장기적인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 AI를 활용해 핵심 솔루션들의 완성도를 높이고 영업이익률 증가를 지속할 전망이다.

5. 회사 입장

-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AI 기술 경쟁력이 조화를 이룬 결과라고 평가했다.
- 클라우드와 AI 관련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산업분야로 실적 기반을 넓힐 계획이다.
- 글로벌 시장 진출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 출처: 여기저기 보도자료 몇 개 취합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23:14


2025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계획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4:29


#ESS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4:27


☆AI데이터센터에서 ESS의 역할 (엔지니어TV)

- 데이터센터는 1년 365일 24시간 가동을 목표.

-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고, 이 때문에 전력 사용량이 클 수밖에 없는 구조.

- 데이터 서버는 향후 LLM 같은 AI 서버와 연결에도 엄청난 전력이 사용.

- 데이터 서버에는 필수적으로 PS 장치(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장치)가 필요하고, 이는 배터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

- 특히 도시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 외에는 방법이 없을 걸로 보임.

- 완벽한 AI 구현을 위해서는 전력의 공급이 충분해야 하고, 전력의 품질도 중요.

- GPU가 동시에 대규모 연산을 시작할 때 순간적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 급격한 전력 수요 변화가 전압의 불안정성을 유발.

- 순간 전압 변화는 AI 연산 오류 발생 유발, 틀린 결과가 나올 수 있음.

- 테슬라는 메가팩을 사용하여 전원 변동을 완충, 불안정한 요소들로부터 AI를 격리, 훈련의 안정성을 극대화, 재현 가능한 결과를 보정, 훈련 시간을 최적화하는 등의 효과 획득.

- AI 데이터 센터 용도별 전력 사용량 중 40%가 연산으로 연산에서 전력 최적화 또한 데이터센터의 중요요소.

#ESS #서진시스템 #한중엔시에스 #신성에스티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73954004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3:46


「2025 유럽 전력 리뷰」

유럽연합, 지난해 전력 생산량 중 재생에너지 비율 사상 최대


□ 기후 관련 싱크탱크인 엠버(Ember)는 1월 23일(현지 시간) 「2025 유럽 전력 리뷰(European Electricity Review 2025)」 보고서를 발표하고, 지난해 유럽연합 역내 태양광·풍력·수력 등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1천300TWh로 전체 전력량 중 47.4%를 차지했다고 언급함
-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 발전(23.7%)까지 합치면 청정에너지 비율은 71.1% 수준임

□ 특히 태양광 발전이 전력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9.3%에서 11.1%로 높아지면서 석탄발전 비율(9.8%)을 처음으로 앞지름
- 반면 유럽연합 전력 생산량에서 석탄·가스 등 화석연료 비중은 28.9%로, 4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함

□ 엠버의 크리스 로슬로에 연구원은 “화석연료가 EU 에너지에서 비중을 잃어가고 있다”며 “그린딜이 나왔을 당시(2019년)에는 화석 연료가 유럽 전력 생산의 39%를 차지했지만 현재는 그 비율이 29%밖에 안 된다”고 언급함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3:00


https://youtu.be/PN7m8Qex_RM?si=RUK1RWCm9CVKfNGw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2:03


더 심플하게 생각해볼까요?

1. 미국은 중국의 AI+반도체 발전을 틀어 막고 있습니다.
2. 칩 규제부터 이것저것 통제하면서 중국의 발전을 막고 더디게 하는데
3. 그런데 중국이 안죽네요?
4. 이와중에 중국이 딥시크라는 뭐하나를 띄웠는데
5. 어라.. 미국 꺼 보다 낫네? 그런데 투입된 자본이 미국에 비해 적다네?

이런 로직에서.. 미국이

야야... 투자금액 재검토하고.. 효율성을 따져봐... 이럴까요?

당근 아닐겁니다..

미국은 반도체와 AI를 안보의 문제로 다루기 때문에.. 저런 투자금 재검토 등의 로직은 나올 수가 없어요..

반대로 중국에 대한 반도체든 AI관련 무엇이든 더 통제 하고
AI관련 미국내 투자는 더 늘릴겁니다. 더 스피드하게 진행 하려고 할것이고..

그게 안보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0:55


[ Canaccord Genuity 수석 애널리스트 조지 지아나리카스, CNBC 인터뷰에서 에너지 슈퍼사이클의 시작 코멘트 ]

- Canaccord Genuity 수석 애널리스트 조지 지아나리카스가 CNBC 인터뷰에서 에너지 슈퍼사이클이 시작했다고 코멘트

현재 상황에 대한 코멘트
- 에너지 투자는 수십 년 전 통신 혁명과 유사한 혁신적 시대를 맞이하고 있음

에너지 투자에 대한 전망
- AI의 빠른 도입과 전력 소비 증가로 인해 원자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특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할 전망

예상 에너지 산업의 수혜주 언급
1) 원자력 기업:
- NuScale Power(SMR): 1년간 주가 1,112% 상승.
- Oklo(OKLO):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술 주도.

2) 청정 에너지 관련 기업:
- GE Vernova(GEV)
- Siemens Energy(SMEGF)

전력 소비 상황
- 과거 20년간 미국 전력 소비 연평균 증가율: 0.5%.
- AI와 스마트폰 등의 기술 확산으로 전력 소비 증가 가속화.
- 2024년 시작: 전력 소비 급증이 이미 시작되었으며, 현재 그리드는 준비가 부족

결론
- 전력 소비 급증 속에서 원자력과 많은 청정 에너지 투자 예상
- 또한 배터리 측면에서 혁신 기업들도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10:50


창원 효성중공업 공장 가봤더니
변압기·차단기 등 전력기기 수요 폭증
"4~5년치 일감 수주한 K-전력"
다음 타자 유력한 ESS용 PCS

https://naver.me/FsRX5mJM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21010011262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9:51


https://youtu.be/598wOaCCLOo?si=RPL1-P26pjXmHcPE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6:58


AI가 촉발한 미국 빅테크 25년 CapEX 투자 3,500억 달러 이상?
https://blog.naver.com/hardark/223738051272?fromRss=true&trackingCode=rss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6:00


#조선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4:59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는 훨씬 더 빨리 설치할 수 있다. 최근의 추정치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소의 평균 완공 기간은 약 18개월이다. 태양광이 스타게이트의 첫 번째 데이터 센터에 가장 유력한 전력원 후보가 될 수 있다고 테크크런치는 덧붙였다.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96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3:52


데이터 센터의 전력 사용량이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2030년까지 2023년 수준 대비 16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센터 부지에 설치되는 육상 풍력의 평균 에너지 비용은 미국에서 메가와트시당 25달러인 반면, 태양광 에너지는 26달러/MWh, 복합화력 천연가스(가장 연료 효율적인 가스 화력발전소 유형)는 탄소 포집 비용을 고려하기 전에 37달러/MWh에 달합니다.

실제로 유틸리티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는 하루 평균 6시간 정도만 가동되는 반면, 풍력 발전소는 하루 평균 9시간 정도만 가동됩니다. 또한 태양의 광량과 바람의 세기에 따라 이러한 에너지원의 용량에는 매일 변동성이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운영자는 송전 비용도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재생 에너지원은 천연가스나 원자력보다 훨씬 더 많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에너지가 사용되는 대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생산된 에너지가 사용되기까지 더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탄소 배출을 의미 있게 줄이는 24시간 전력 솔루션에는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미국에서 저탄소 옵션은 메가와트시당 기준 천연가스 복합 사이클보다 19~72달러 더 비쌉니다.

https://blog.naver.com/opushk/22373742333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1:07


영국, 유럽 최대 AI 데이터센터 승인
https://m.blog.naver.com/cybermw/223738513469

유럽도 그리드 많이 찾겠어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0:06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동성 시험 시작

삼천당제약은 주사제를 경구제로 전환하는 플랫폼 기술인 S-PASS를 기반으로 개발한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BE Study(생물학적 동등성 시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22일 밝힘

해당 제품은 노보노디스크에서 개발해 판매중인 '리벨서스(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제네릭 제품이다. 오리지널이 세마글루타이드를 경구용으로 전환하는데 사용한 SNAC 물질 대신 S-PASS 기술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물질(SNAC Free)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제형 특허를 회피한 제품으로 조사됨

현재 세마글루타이드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560억 달러(약 80조원)에 달하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급성장중

회사 관계자는 "자사의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제네릭은 제형 특허 회피로 인해 2026년부터 판매가 가능해 경쟁사보다 최소 5년 이상 시장에 빨리 진입할 수 있어 매출 등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구체적인 개발 일정 및 국가별 계약 협의 내용 등은 NDR을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BE Study 결과를 통해서 미국 및 일본과 같이 이미 Term Sheet을 체결한 국가들과의 계약 협의가 가속화 될 것이고, 유럽, 인도, 중동, 중국 등 기타 지역의 계약 및 허가 신청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삼천당제약은 S-PASS를 이용한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비만 및 당뇨 치료제를 개발 중. 예정대로 내년 물질특허가 완료되는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판매를 개시할 계획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33682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0:05


삼천당제약 리벨서스 제네릭 임상 앞둬… 성장 기대

삼천당제약의 올해 리벨서스(경구형 세마글루타이드) 제네릭 임상 결과 전망, S-PASS의 기술수출 가능성,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개발코드명)의 북미 성과 등을 바탕으로 기업 성장이 기대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사제를 경구제로 바꿔주는 삼천당제약의 S-PASS 플랫폼으로 경구형 인크레틴(위장관 호르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리벨서스 제네릭 개발부터 시작해 현재 임상시험계획승인을 앞두고 있다"

"삼천당제약은 리벨서스와 S-PASS가 적용된 세마글루타이드와의 임상 생동성을 입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6개월 정도라고 언급했다"
"연말 리벨서스 제네릭 임상 결과를 전망한다"

하반기부터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개발코드명)의 북미 판매에 의한 매출 증가를 전망. "캐나다 파트너는 오리지널 개발사와의 바이얼, 프리필드시린지(PFS) 형태의 아일리아 시밀러 판매 협상을 마친 것으로 추정하고 미국 파트너사도 선정 완료된 상태"
"연내 미국 품목허가신청서 제출 등 이벤트가 있을 것"으로 전망

삼천당제약은 지난해 12월에 프레지니우스 카비와 SCD411의 미국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4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Jan, 00:05


EU, 중국 전기차와 '생존 전쟁'... 유럽 전역에 '보조금'

- 중국 전기차, 저렴한 가격으로 EU 시장 잠식...
- EU 회원국 간 보조금 조건도 상이해
- EU 보조금 정책, WTO 규정 준수 가능할까...
- 중국 기업들에게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숙제


유럽연합(EU)이 급성장 중인 중국 전기차 시장을 견제하기 위해 EU 전역에서 통합적인 전기차(EV) 구매 보조금 지급 방안을 검토 중

23일(현지시각) 테레사 리베라(Teresa Ribera) EU 집행위원회 청정·공정·경쟁 담당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세계경제포럼(WEF)이 열린 스위스 다보스에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범유럽 차원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밝힘

중국 전기차, 저렴한 가격으로 EU 시장 잠식...
EU 회원국 간 보조금 조건도 상이해


이러한 논의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EU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며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촉발됨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현재 EU 회원국들 간 전기차 보조금 제도는 조건이 크게 달라 통합적인 대응이 부족한 상태. 일부 회원국은 보조금을 전혀 지급하지 않아 시장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음

올라프 숄츠(Olaf Scholz) 독일 총리가 12월 포드(Ford) 쾰른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유럽 보너스나 독일산 전기차에 대한 직접 지원 형태로 구매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됨. 숄츠 독일 총리는 이번 세계경제포럼에서도 EU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기차 인센티브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EU 보조금 정책, WTO 규정 준수 가능할까...
중국 기업들에게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숙제


리베라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회원국들이 서로 경쟁하는 상황은 피해야 하며, 유럽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EU는 통합된 보조금 제도를 통해 각국 간 경쟁을 줄이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자 함
그러나 가장 큰 과제는 보조금이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로 흘러가지 않도록 설계하는 동시에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처럼 자국 및 역내 기업에만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통상 분쟁을 피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이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친환경차 지원 정책을 폐지하겠다고 밝힌 점도 유럽 자동차 업계에 추가적인 도전 과제로 작용하고 있음

EU의 통합 보조금 정책은 단순히 전기차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넘어, 유럽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평가됨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84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5 Jan, 14:23


#ESS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4 Jan, 00:16


오픈AI 샘 올트먼, 스타게이트 첫 번째 데이터센터 공개 (자료: sama)

- ✍️ 클립에 보이는 데이터센터는 텍사스 애빌린에 있는 데이터센터, 작년 하반기에 OpenAI-Oracle-Crusoe 딜을 통해 짓기 시작했던 $100B 규모 데이터센터. 오라클이 실적발표 당시 3Q에 말했던 데이터센터임. 여기 단일부지에만 전체 캠퍼스 완공 시 $100B 가까운 컴퓨팅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 현재 200MW 1개동 온라인, 올해 내 1000MW 전력 온라인 예정

트럼프 2.0 첫 작품 "스타게이트" : 오픈AI, 오라클,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시사점 정리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4 Jan, 00:16


퀸의 마인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23:12


🇺🇸트럼프 대통령, 세계경제포럼 2025 연설 주요 내용 정리

https://www.whitehouse.gov/remarks/2025/01/remarks-by-president-trump-at-the-world-economic-forum/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4:11


출처: https://blog.naver.com/cybermw/223735552145

데이터센터 오프그리드는 구조적인 흐름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미 빅테크들은 직접 에너지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요.

여기에도 많은 기회가 있을 것 같아요. 그냥 에너지단은 이미 주가가 반영했으니, 오프그리드에 제격이면서 주가 반영이 약한...ESS?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4:10


미국 백악관, '대규모 통신망 투자 프로그램은 안전하다'

- 백악관에서 발송한 메모를 통해,
"IRA에 관련된 지출 삭감에는 그린 에너지 관련만 해당된다."고 명확히 함
- 425억달러 규모의 미국 전역 대규모 통신망 투자 프로그램 "BEAD"에 대한 투자 지속여부 혼선이 있자, 백악관 예산 및 관리 부서가 직접 공식 발표

BREAKING: BEAD Spending Safe from Energy Executive Order, White House Says
https://broadbandbreakfast.com/breaking-bead-spending-safe-from-energy-executive-order-white-house-says/

백악관 발송 메모 전문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s-statements/2025/01/omb-memo-m-25-11/?ref=broadbandbreakfast.com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4:04


https://m.blog.naver.com/tyrant_invest/22373617105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4:03


https://m.blog.naver.com/tyrant_invest/22373329112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3:28


https://m.blog.naver.com/hodolry/22373625416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2:18


이번 글에는 중요한 내용들이 많아서 많은 분들이 읽어보셨으면 좋을 것 같은데, 혹시 내용이 너무 많아서 미처 다 못 읽어보신 분들은 이 영상으로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려고 노력해봤는데 많은 분들께 도움 되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시장도 화이팅입니다!🔥

https://youtu.be/bEysSHvJc5A?si=5U_YvepqyOo8tND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10:23


피부미용 섹터 이것만은 알자 https://m.blog.naver.com/kinvestors/22371134786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8:50


https://youtu.be/MzQQOldcC0E?si=62yqhigEBT2g0Cpf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7:40


제이오 인수 철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7:21


[미국 전력 인프라 선봉장 GE Vernova, 4Q24 실적 리뷰]

- 출처: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475070)

- 이슈코멘트 링크: https://blog.naver.com/koactetf/223735752009

*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GE Vernova 실적 관련 데이터들을 시각적 차트들로 확인 가능



안녕하세요, 삼성액티브 김효식입니다.

미국 시간 1월 22일 개장 전 미국 전력 인프라 대표주 GE Vernova의 4Q24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GE Vernova는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핵심 종목으로 포트의 1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25년 1월 22일 기준)

이에 이슈 코멘트를 발간하였으니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타고 들어가셔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주요 내용

- 4Q24 매출액 $10.6bn(YoY +5%, 컨센대비 -1%), 희석 EPS $1.73(YoY +140%, 컨센대비 -32%)

- 4Q24의 표면적인 숫자는 컨센서스 대비 다소 밋밋해보였으나 부문별로 자세히 뜯어보면 긍정적인 부분이 많음

- 24년 연간으로는 3개 사업부의 고른 개선에 힘입어 희석 EPS가 2023년 -1.60달러에서 2024년 5.58달러로 흑자전환


# Power(가스터빈) 사업부: 25년보다 26년 실적이 더 기대

- 3Q24 실적 발표에서 예고했듯이 4분기 신규수주량은 6.1GW로 전년동기 2.1GW 대비 +190%, 전분기 5.1GW 대비 +20% 급증

- 2025년 가스터빈 수주잔고가 의미 있게 증가할 것이라 언급

- 아울러 대형 가스터빈 생산능력이 25년 기준 연산 48대 → 26년 하반기부터 연산 70~80대 목표


# Electrification(전력기기) 사업부: 피크아웃 우려는 시기상조

- 4Q24 신규수주액 4,786백만달러(YoY +118%, QoQ +91%), 수주잔고액 23,453백만달러(YoY +44%, QoQ +7%)

- EBITDA 마진율 23년 3.7% → 24년 9.0% → 25년 10%대 전망 → 26년 마진 추가 확대 전망

- 생산능력 확대와 관련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언급은 없으나 공정 효율화를 통해 생산량을 극대화시킨다는 방침

- 최근 기업가치 약 8.7조원으로 매각에 나선 버지니아 트랜스포머의 인수 후보군으로 동사와 히타치 등이 꼽히는 상황


# Wind(풍력) 사업부: 해상풍력이 발목 잡아도 적자 축소

- 3Q24부터 육상풍력 매출액 전년대비 성장률이 플러스 전환

- 25년에도 해상풍력은 적자가 지속되겠으나, 육상풍력은 꾸준한 매출액과 흑자 전망

- Wind 부문의 연간 EBITDA는 24년 -588백만달러 적자에서 25년에는 -200~400백만달러로 적자 규모가 축소될 전망


* 며칠 후에는 이효석 아카데미 유튜브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Constellation Energy, Vistra 관련 내용들과 함께 GE Vernova의 더 자세한 설명을 들으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7:21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브이티 주가 하락 관련 코멘트

- 미국 진출에 있어 팝업 진행, 인플루언서 시딩 확대 등의 비용 투자는 필수적이며 계획된 부분
-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매출 포텐셜에 대해서 보수적으로 소통할 수 밖에 없음
- 이것이 매출에 대해 자신감이 없다 또는, 부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또한 중국에 대해서도 위생허가 받은 것은 너무나 긍정적
- 중국 소비가 아무리 부진하긴 하나, 국내 시장보다 5배 이상은 큰 시장

- 동사는 전세계 1위, 2위 시장을 계획대로 진출 준비에 한창, 또한 그외 국가로의 벤더 확보도 다양하게 확충해놓음

- 당사가 2025년 수익성 추정치를 소폭 하향한 것은 미국/중국에 대해 투자가 들어가는 것은 예정된 바이며,
- 이에 따른 효과(외형 증가)는 아직 미정, 이후 해외 성과가 가늠되는 시점에 유기적으로 반영할 것이기 때문


***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7:18


[탐방노트] LS마린솔루션, 해저케이블과 해상풍력

25년 실적은 24년 대비 빠지는 흐름

신규 선박 관련 의사결정은 빠르면 24년 5월 중

LS빌드윈 인수 했지만(현물출자) 관련해서 당장 매출 붙을 건 제한적

👉 전문보기
https://me2.do/G2EoGktw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4:24


☘️ 24년 11월 25일 미국으로 전자담배기기 10,000개가 반출되었습니다
(121-5243A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DEVICE )

북미 지역의 신규고객사로 추정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Jan, 04:23


☘️ 24년 11월 22일에 IMS(이엠텍 베트남 전자담배공장)에서 국내로 신규기기가 반입되었습니다. HS코드 85434000는 전자담배 완제품에 해당하며 I사로 추정되는 기기외에 다른모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8:28


☆비만치료제, B만 몸매를 A+로 요약(성균관대 S.T.A.R / 정승호, 이현서, 이동재님)

비만치료제의 흐름.

-비만치료제 시장은 24년 140억 달러(20조)에서 30년 1280억 달러(187조)달러로 연평균 44% 고성장 할 것으로 예상.

-1차 성장 국면에서는 21년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출시를 시작으로 높은 효능을 가진 3세대 비만치료제의 출시 및 파이프라인, 글로벌 출시 범위, 생산능력 확대가 성장 주도.

-2차 성장 국면에서는 보험 적용의 확대, 적응증 범위의 증가, 제형의 편리성 향상으로 비만 치료제의 접근성이 높아져 시장을 견인할것.

-세계비만협회는 과체중(BMI 25이상)인 성인 비율이 20년 42%에서 30년 50%, 35년 54%까지 등가할 것으로 전망.

-글로벌 죽음 중 54%가 암, 관상동맥 심장병, 뇌졸증, 당뇨병에 의해 발생. 높은 BMI가 5~42%의 연관성을 보여 직간접적 비용은 글로벌 GDP의 2.19%에 달하며 지속 증가중.

-BMI가 40 이상이거나 BMI 35이상이면서 합병증이 동반된 성인 환자는 수술이 권장되나 합병증 및 부작용 위험이 높은 배경에서 비만치료 신약이 수술 목표 체중 감소율에 근접하며 시장확대.

-하버드 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2H23에서 2H24까지 비만 수술을 받은 환자는 25.6% 줄어든 반면, GLP-1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는 132.6% 늘어남.

비만약과 보험

-미국 설문조사에 따르면, 연 소득 $250,000 이상인 상위 7% 인구 중 37%만이 비만 치료제에 월 $750 이상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었으며, 그 이하 소득층에서는 해당 금액을 지불할 의향이 거의 없었음. 약가가 낮아지면 더 다양한 소득분위의 사람들이 비만치료제를 찾고 평균 약 복용기간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대부분의 국가들은 약이 비싸고 치료 대상군이 넓어 비만을 공보험으로 커버하고 있지 않음.

-제약사들은 전략적으로 비만외에 보험 대상에 포함 될 수 있는 적응증으로 타겟해 보험 대상에 들어가려고 시도중. 이에따라 공보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될 전망. (EX 위고비의 심장약 공보험 승인)

-글로벌 사보험 시장은 비만치료 수요 증가에 보험 적용 범위 확대중.

-특히 고용보험이 적용 비율을 확대중. 9amHealth가 1,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7%는 체중 감량 약물의 보험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선호하지 않는 직장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20%는 보험 혜 택을 얻기 위해 직장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

-보험적용 여부가 직장 선택의 중요요소로 자리잡으며 비만치료제에 대한 보험 커버리지는 지속 확대 예상. GLP-1 보험 적용 기업 비율은 23년 23% / 24년 34%로 증가 릴리와 노보는 50% 수준의 상업보험 커버리지 확대 목표.

이중/삼중 작용제

-GIP는 GLP-1과 마찬가지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인크레틴 호르몬으로 GLP1과 함께 쓰일 경우 글루카곤 분비가 억제되고 추가 혈당 개선효과. 기존 약제를 뛰어넘는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이며 주목.

-삼중작용제는 상기 이중작용제에 글루카곤의 효능을 더해 체중감량을 극대화한 비만약.

GLP-1의 생산공정

-GLP-1 수용체 작용제 생산공정은 크게 [펩타이드 합성] → [정제 및 테스트] → [충전 및 마감] 하는 공정으로 나뉨.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 조각인 펩타이드를 재조합/ 화학적 변형으로 API 제조. 정제 과정에서 고순도 GLP-1 유사체 생성 / 주사기와 주사 펜에 약제를 충전하고 포장해서 완제의약품을 만듬.

-경구형 제형은 충전 및 마감 공정 대신 병목에 덜 취약한 태블릿 제조 공정을 거치게됨.

경구형

-체중감량은 최대 25% 수준으로 성능은 이미 충분 향후는 투약 편리성이 점유율 확보에 효과적.

-경구제는 주사제 대비 복용이 편리하고 주사제 공정의 병목에서 벗어나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체중 감량 효과가 적음.

-체중 감량 효과가 적음에도(경구제5~15% / 주사제 15%~25%) 경구형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중 (42%>24%)이 현격히 높음.

-경구용은 생체이용율이 매우 낮아 주사제에 비해 API가 3~25배 투여. API가 고농도일수록 메스꺼움과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나 경구용에서의 부작용 관리는 더욱 중요.

-비만치료제는 장기투여가 필요해 감량효과가 좋아도 부작용이 심할 시 치료중단비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경구용에서 부작용은 더욱 심함.

-상대적으로 높은 부작용에도 선호도 측면에서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며 당뇨/비만 환자 수를 고려할 시 주사제만으로는 공급 대응 불가능.

-일주일 제제로 약 5억명의 비만환자에게 투여 시 연간 약 250억개의 주사제가 필요하다는 점(Catalent full CAPA 연간 약 6억개 추정)에서 경구용 치료제의 개발과 양산은 필수적.

-경구제는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고용량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한 제약사가 경구제 시장의 승기를 잡을것.

적응증 확대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의 적응증 임상은 적응증을 확대하여 보험 처리가 가능하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시장 전체 파이 확장 목적. 주요 적응증 확대로는 심혈관/ MASH/ 심부전/ 수면무호흡증이 있음.

-2024년 글로벌 심혈관질환 시장은 901억 3,000만 달러로 추정. Semaglutide와 Tirzepatide 모두 체중관리와 함께 직접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사망위험을 감소시켰다는 점에서 적응증 확대가 기대. Wegovy의 경우 2024년 최초로 미국 공보험 메디케어 D와 메디케이드에 적용.

-2026년 글로벌 MASH 시장은 253억 달러로 추정. MASH는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으로 대사에 문제가 생겨 간에 지방과 염증이 발생하며 합병증으로 당뇨병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비만치료 제와 관련. 미국 성인의 5%인 약 1,600만명이 MASH를 앓고 있으며 글로벌적으로 약 4억 4,000만명의 환자가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잠재력도 클 것으로 기대.

-2025년 글로벌 심부전 시장은 129억 달러로 추정. 심부전 환자의 절반이 HFpEF(박출률 보전 심부전)이며 이 중 대다수가 과체중 혹은 비만(미국 인구 1억 1,000만명 중 600만명이 HFpEF이며 이중 80%가 비만)이라는 점에서 심부전은 비만치료제와 연관성이 높음.

-2025년 글로벌 수면무호흡증 시장은 88억 5,000만 달러로 추정된다. 비만환자의 약 40%가 수면 무호흡증이며,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약 70%가 비만환자라는 점에서 수면무호흡증과 비만치료제의 관련도는 매우 높음. 또한 체중이 20% 감소하면 AHI(시간당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지수의 중증도 가 절반으로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


*이하 요약이 길어져 생략

#비만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72574302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7:23


[(삼성/조현렬) 2차전지 주가 코멘트]

보고서: <bit.ly/4fVQE2q>


■ 2차전지, 주가 2~11%대 강세

금일 2차전지 관련 주가가 2~11%대 강세 기록.
이는 신형 Tesla Model Y 출시 후,
수요 호조세 영향
에 기인.
이에 따라 Tesla 관련 배터리 셀/소재/
자동차 부품업체 주가가 상대적 강세.


■ Tesla Model Y, 1/10일 출시

1/10일 Model Y Juniper가
글로벌 공개 후 판매 접수 개시
.
중국에선 출시 당일 5만대 예약 접수
7월까지 예약대수 매진 루머가 금일 보도.
금일 Giga Berlin에서도 임직원에게
Juniper 양상 준비를 요청
.
이는 Model 3 Highland가
중국 생산 후 유럽에서 후속 생산했던 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 개시.


■ View, Model Y 신차 효과는 뚜렷할 것

2024년 Tesla 판매 역성장은
Juniper 출시를 기대한 잠재 소비자 구매 지연에 기인.
이에 따라 Facelift 모델일지라도
Juniper의 신차 효과는
경쟁업체 대비 뚜렷할 전망
.
배터리 밸류체인에선
LGES 및 엘앤에프 수혜가 예상되나,
46시리즈 및 2170 신제품에 대한
선도 공급업체이자
해당 제품 레버리지 높은
엘앤에프 투자 심리 개선
이 보다 클 것.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7:21


[미래에셋 김철중]

국가별 24년 연간 및 12월 월간 전기차 판매량

24년 연간 판매량
- 글로벌 BEV+PHEV 1,710만 대(+25% YoY)
- 북미(미국&캐나다) 180만 대(+9% YoY)
- 유럽 300만 대(-3% YoY)
- 중국 1,100만 대(+40% YoY)

12월 판매량
- 글로벌 BEV+PHEV 190만 대(+25.6% YoY, +3.8% MoM)
- 북미(미국&캐나다) 19만 대(+8.8% YoY, +11.8% MoM)
- 유럽 31만 대(+0.7% YoY, +10.7% MoM)
- 중국 130만 대(+36.5% YoY, +2.4% MoM)

자료: Rho motion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6:38


[NH/백준기] 스몰캡 - 세방전지

[NH/스몰캡(심의섭)]

[세방전지]

★활짝 열린 실적 업사이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변모중인 차량용 연(鉛)축전지

'로케트 배터리' 브랜드로 대표되는 자동차 및 산업용 연축전지 기업

차량용 연축전지 국내 1위 사업자로 글로벌 시장 내 지위는 5~8위

주요 자회사로 배터리팩 및 배터리 모듈 생산기업 세방리튬배터리, 폐배터리 납 재활용 기업 상신금속 보유

'Stop&Go'로 대표되는 스마트 발전 제어 시스템 도입 및 전장화로 배터리 사용량 및 사용 범위 지속 증가

이에 대응해 차량에 고성능 AGM 배터리(이하 AGM)가 탑재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AGM이 기본으로 장착된 하이브리드 차량 및 AGM을 보조로 사용하는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며 수요 증가 추세 지속

■중장기 실적 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따른 기업 가치 재평가 전망

동사 또한 AGM 시장 성장과 더불어 실적 고성장 지속 중

기존 연축전지 매출이 견조한 가운데 AGM 판매 증가로 ASP 및 수익성 개선 추세

AGM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자 공정 개선 및 증설을 지속하고 있으나 고객사들 수요에 전부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파악

이에 수익성 중심 영업으로 이익 개선세 두드러질 전망.친환경차에 탑재된 AGM 또한 점차 교체 주기에 접어들며 높은 수익성이 기대되는 RE 시장 중심으로 재차 성장 전망. 이에 장기 성장 사이클 지속 기대

원재료 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납 가격 하락 추세 및 지속 상승하는 원/달러 환율 또한 동사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작용 전망

우호적인 사업환경까지 더해져 중장기 실적 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따른 기업가치 재평가 전망

자회사 세방리튬배터리 및 상신금속의 성장성 또한 높다 판단되어 동사 기업가치 재평가에 기여 전망


☞리포트: https://m.nhqv.com/c/p9em5


NH리서치(전체):

https://t.me/joinchat/AAAAAFHbdMrZ7R4DN-MJqw

NH리서치[Mid/Small Cap] 텔레그램 :

https://t.me/joinchat/AAAAAFTqzkXE9DLGV28byw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5:51


2025년부터 클린에너지 투자액 화석연료 추월 by S&P Global

-재생에너지, 그린수소, ESS, CCUS 등 합산 투자액 약 6,700억달러로 석유/가스 등 업스트림 투자액 약 6,200억달러 추월

-2030년에는 클린에너지 투자액이 화석연료 업스트림 투자액 대비 2,700억달러 이상 상회할 것

-핵심 트렌드: 1) ESS가 그리드 안정과 재생에너지 경쟁력 확대를 견인 2) AI가 재생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최적화 3) AI 데이터센터용 클린에너지 수요 급증

트럼프의 4년이 대세를 꺽을수는 없습니다

https://electrek.co/2025/01/13/cleantech-investments-to-top-fossil-fuels-for-the-first-time-in-202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5:51


2024년 Global EV 판매량 +25% YoY 기록

BEV 및 PHEV 합계 판매량은 1,700만 대를 상회하며 역대 최고치 기록. 중국의 EV 판매 촉진과 영국의 판매량 증가가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파악

12월 판매량은 전년 대비 +25.6% 증가해 190만 대를 기록. 중국은 동기간 +36.5% YoY,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8.8% YoY. 다만 유럽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0.7% YoY에 그쳐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global-electric-vehicle-sales-up-25-record-2024-2025-01-1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5:36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yochonchick&logNo=223640371889&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5:35


Lifescan, 아이센스와 CGM 계약 추정

### Lifescan
- 세계 BGM(혈당 측정기) 시장 점유율: 20% (로슈 25%로 2위).
- CGM(연속 혈당 모니터링) 계약 추정: 아이센스와의 협력 가능성 있음.
- Sanvita Medical와의 관계: 2019년 Lifescan은 Sanvita Medical와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 Sanvita Medical
- Nova Biomedical과의 관계: Sanvita Medical는 Nova Biomedical의 모회사입니다.
- GlucoMen Day CGM 개발: Nova Biomedical은 Menarini와 협력해 GlucoMen Day CGM을 개발했습니다.

---

### Menarini
- GlucoMen Day CGM 제조사: Menarini는 GlucoMen Day CGM의 제조사입니다.
- 이오플로우와의 협력: Menarini는 이오플로우의 이오패치를 유럽에서 유통하고 있습니다.
- 시노케어와의 계약: 2024년 12월까지 시노케어의 iCan CGM과의 계약을 맺었습니다.

---

### 이오플로우
- 이오패치 유럽 소송: 현재 유럽 시장에서 소송 중입니다.
- 시노케어와의 협력: 시노케어의 iCan CGM과 계약을 맺었습니다.

---

### 시노케어 (중국)
- iCan CGM: 시노케어는 iCan CGM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습니다.
- 유럽 소송: 현재 유럽 시장에서 특허 관련 소송 중입니다.

---

### 종합 정리
- **Lifescan**은 세계 BGM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센스와의 CGM 계약 가능성이 있습니다.
- **Nova Biomedical**은 Sanvita Medical를 통해 Menarini와 협력해 GlucoMen Day CGM을 개발했습니다.
- **Menarini**는 GlucoMen Day CGM의 제조사이자 이오플로우의 이오패치 유럽 유통사이며, 시노케어와도 협력 중입니다.
- **이오플로우**는 시노케어의 iCan CGM과 계약을 맺었지만, 유럽 시장에서 소송 중입니다.
- **시노케어**는 iCan CGM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 중이지만, 유럽에서의 특허 소송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와 협력은 글로벌 CGM 시장의 경쟁 구도를 보여주며, 각사의 전략적 움직임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4:50


루머: 중국에서 올해 7월까지 테슬라 Model Y 이미 매진 , 누적 주문량 20만 대 초과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3:53


여기는 계속

#유리기판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3:52


ESS+머스크라 일단 최근 딥에 담았는데 관심을 받을지는 잘 모르겠네요.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42670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3:50


1월에 가장 주목해야 할 트레이딩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트럼프 +머스크 트레이딩입니다.

지금 이거 그닥 신경 안쓰죠? 대부분은
ⓐ CES
ⓑ 모간 컨퍼런스
여기에 더하면 갤럭시 언팩 정도

이제부터 본게임입니다.

TRUMP WAS RIGHT ABOUT EVERYTHING!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2:07


LG에너지솔루션은 파우치형이 전고체의 특성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통로인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꾸는 게 핵심이다. 전고체에 기대하는 ‘기존 배터리 대비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달성하려면 전기이온이 고체 내에서도 빠르게 이동해야 한다. 이온이 활발히 움직이려면 고체 전해질 저항을 낮추기 위해 높은 압력을 가하는 ‘가압’이 필요한데 LG에너지솔루션은 파우치 형태가 가압 기술을 적용하기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각형은 가압 공정이 어렵고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에너지 효율성과 시장성을 살리려면 파우치형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13755?sid=101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1:40


이엠텍이 전자담배 히터 특허를 PCT등록(전세계 출시 목적)하였습니다.

공개일 : 25년 1월 9일

-특허설명-
본 발명은 일반 연초 담배를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접목하여 일반 연초 담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일반 연초 담배의 맛과 향에 더욱 가까운 맛과 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일반 연초 담배의 연초 부분을 통과하지 않게 설계함으로써 연무량(무화량)을 극대화시켜,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이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반 연초 담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하방향을 향하여 열려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몸체의 하부의 삽입공에 삽입된 일반 연초 담배가 사용 후 하방으로 빠질 수 있게 되어 청소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 연초형 하이브리드기기는 다양한 컨셉의 기기가 출시 예정이라고 하며 북미 및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4 Jan, 01:39


(ESS) ESS 하나당 K배터리팩 192개 필요, 전기차 대체할 먹거리
LG에너지솔루션은 태양광 발전소와 함께 설치되는 ESS 수요가 도널드 트럼프 2기에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며, 공급 부족이 쉽게 해결되기 힘든 점을 감안해 미국 내 ESS 생산을 대폭 늘리기로 결정. 동사는 ESS 투자금의 40%를 환급해주는 투자세액공제(ITC) 정책이 ESS 시장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1월 13일/한국경제]
https://han.gl/5ReOz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12:35


[Battery Weekly 이배속 - 하나증권 2차전지 김현수, 홍지원]

'배터리 산업에도 긍정적이었던 CES의 메시지'

자료링크 : https://bit.ly/40uy9xy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Things have to get worse before they get better"

- 자율 주행은 장기적으로 전동화 속도를 가속화 시킬 것이다. CES 2025의 핵심 메시지는 "Physical AI" 였고, Physical AI 시대가 도래했음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자율 주행이 재차 부각됐다. Waymo가 전시한 자율 주행 자동차는 모두 현대차, 재규어, 랜드로버의 전기차였다. 분산형 ECU(Electonic Control Unit)형태인 내연기관차보다 중압 집중형 ECU 기반의 전기차가 자율 주행 구현에 효율적이다. 자율 주행 레벨 상승 과정에서 크게 증가하는 전력 소모량 소화를 위해서는 고용량 배터리가 필요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율 주행 및 SDV를 구현하려면 내연기관차 보다 전기차가 적합하다.

- 다만, 이것을 당장의 한국 배터리 기업 실적 개선 및 주가 반등 논리로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자율 주행으로 인해 10년 후 미래가 밝다 하더라도, 가파른 실적 성장을 보여주며 10년 후 실적 기준 Valuation을 할 수 있었던 2018년-2023년과 달리, 지금은 당장의 실적이 매우 부진하다. 10년후 실적을 당겨와 Valuation에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먼 미래 실적을 당겨 오려면 지금 당장의 실적 개선이 중요하다.

- CES 2025 에서는 전기차 관련한 비공개 토론 세션이 다수 있었다. "Trends in Electric Car Consumption : Who, What, Where"를 주제로 한 세션에서 Bosch의 'Global Battery Business' 부문 Director인 Sabrina Rathgeber는, 자율 주행이 전기차 수요 성장을 견인할 수 있겠냐는 질문에, '지금은 자율주행 보다 환경 규제가 더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자동차 기업들이 미래 자율 주행을 위해 달려가고 있으나, 현재 진행 중인 처절한 생존 경쟁에서 살아 남으려면 환경 규제 패널티를 최소화 하는 정도의 전동화 전략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맥락이다. 유럽에서 진행 중인 두 가지 논의(CO2 규제 완화 및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여부)가 매우 중요한 이유다.

- 독일의 2년 연속 GDP 역성장 이후 벌어지는 조기 총선(2월 23일 예정)과 현재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독일 보수 정당들의 지지율, 탄소세의 아이콘이었던 캐나다 트뤼도 총리의 사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시작으로 연결되는 흐름 속에서 유럽과 북미의 친환경 정책 속도조절이 불가피하다. 전기차 시장의 연평균 +30% 이상 성장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한다.

- CES를 통해서 배터리 산업의 미래가 밝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2025년은 북미, 유럽의 Green Backlash 흐름 속에서 실적 및 Valuation factor의 부정적 요소를 소화해야 한다. 섹터에 대한 보수적 관점을 유지한다. 다만, 4Q24 실적 발표 이후에는 분기 실적 기준으로 1Q25부터 QoQ 증익 기대된다는 점에서 2025년 연간 매출 성장률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트레이딩 접근 가능하다고 판단한다(관련 종목 :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등).


Car : 현대차그룹·Nvidia, 개발 협력 파트너십 체결

-Tesla 주가는 한 주간 -3.8% 하락했고,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주가 또한 하락했다(Rivian -16.0%, Lucid -8.2%). 중국 전기차 기업 주가는 상이했다(Xpeng +4.4%, Li Auto -10.1%, Nio -9.9%).

- Cox Automotive는 2025년 미국 BEV 신차 판매 비중을 10%(YoY +2.5%p)로 전망했다.

- Lucid는 2024년 총 생산대수 9,029대(YoY +7.1%), 총 인도대수 10,241대(YoY +70.7%)를 기록했으며, 현재 두번째 모델인 ‘Gravity SUV’를 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하기 시작했다.

- 현대자동차그룹은 Nvidia와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Toyota는 차세대 차량에 Nvidia의 반도체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Toyota는 멕시코에 14.5억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 Honda 수석 부사장은 CES 2025에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불확실성 고려해, 전기차 생산 계획과 캐나다 공장 계획을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Xiaomi는 2025년 30만대 판매 목표 달성 위해 2025년 6월에 2단계 공장(생산능력: 15만대) 건설을 완료하고, 신규 모델 'YU7'을 출시할 예정이다.

- BYD는 신규 하이브리드 MPV 'Xia'를 출시했으며, 판매 가격은 기본 모델 기준 3.4만달러다.

Cell : 일본 정부, 전고체 배터리 보조금 투입

- 배터리 대형주 3사 합산 유니버스(LGES,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주가는 -1.5% 하락했고(삼성SDI -5.3%, LGES -2.1%, SK이노베이션 +4.8%), 코스피 대비 -4.6%p Under-perform했다.

- 미국 국방부는 국방수권법(NDAA)에 따라 중국군 지원 기업 명단에 CATL을 추가했다.

- Volvo CEO는 CES 2025에서 스웨덴 배터리 공장의 생산이 기존 목표인 2029년-2030년보다 몇 년 지연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Aptera 및 국내 2차전지 기업 CTNS와 4.4GWh 규모의 태양광 전기차용 2170 원통형 배터리 셀 공급 3자간 계약(기간: 2025년-2031년)을 체결했다.

- 일본 정부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해 약 6.6억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 Panasonic은 인도 정유사 Indian Oil과 JV 설립 계약을 체결하고 투자 논의를 시작했다. 한편, Panasonic 북미 지사장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에 대비하기 위해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출 것이라고 언급했다.

- CATL은 2025년까지 1,000개의 전기차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건설할 예정이며, 배터리 구독 시스템 '초코 스왑(Choco-Swap)'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Material/Equipment : 인도네시아, 니켈 생산 감축 계획

- 2차전지 소재 합산 유니버스는 한 주간 +7.7% 상승했다. 국내 주요 양극재 기업 주가는 상승했다(포스코퓨처엠 +3.1%, 에코프로비엠 +6.4%, 엘앤에프 +0.7%). 중국 소재 기업 주가는 하락했다(Beijing Easpring -2.2%, Guangzhou Tinci -1.4%, Yunnan Energy -3.2%).

- Macquarie Group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2025년 니켈 생산량을 1.5억톤(YoY - 44.9%)으로 감축함에 따라, 글로벌 공급량이 35% 이상 줄어들어 올해 니켈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 광물별 전주 대비 가격 증감률은 리튬(-0.5%), 니켈(+0.6%), 코발트(-2.3%), 망간(+0.0%), 알루미늄(-1.2%), 구리(+1.9%), LiPF6(+0.0%)이며, 전분기 대비 증감률은 리튬(-1.2%), 니켈(-6.1%), 코발트(-4.2%), 망간(-3.5%), 알루미늄(-3.2%), 구리(-4.0%), LiPF6(+7.9%)다.

- 1월 2주 유럽 주요 3국(영국, 독일, 프랑스) 전력 가격은 평균 99.5유로/MWh로 WoW -3.0% 하락했다. 1월 전력 가격 평균은 100.4유로/MWh로 MoM +1.9% 상승했다.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11:44


https://m.blog.naver.com/dnpqghfflr/223723549271

Y6기분들의 해외주식스터디 모집글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11:44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27713?event_id=009_173667537590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10:06


💡 의외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미국 + EV 침투율도 낮은 미국

글로벌 전기차 기업을 떠올리면 당연히 미국의 테슬라가 떠오를텐데, 의외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가 미국입니다. 2025 CES에서는 많이 묻히긴 했지만, 미국 EV 충전 인프라 지원 정책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

미국은 중국이나 유럽 대비 EV 침투율이 낮아 시장 성장 초입 국면으로 충전 인프라 또한 그 보급이 충분하지 않은 지역이다. 미국의 차충비는 17~22년 누적기준 21.5 수준이다(중국 2.3, 유럽 11.2).

NEVI는 22년부터 26년까지 5년간 50억달러를 배정하여 주요 고속도로 50마일마다 충전소를 구축하여 50만개 설치를 목표로 지원한다. 충전 인프라 설치 비용의 최대 80%까지 지원한다. 지원조건은 충전소 1곳당 최소 150kW 이상의 충전기 4기 설치가 필요하다.

CFI는 22년부터 26년까지 5년간 25억달러를 배정하여 전기, 수소, 프로판, 천연가스의 충전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보조금의 최소 50%가 농촌 등 소외지역에 사용된다.

출처: 대신증권 산업분석보고서(전기차 캐즘 돌파구는 충전 인프라, 전창현 연구위원)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8:46


2025 재테크박람회 이상우 대표 강의 요약

1. 절대 본업을 그만두지 말자.

2. 앞으로도 다주택자가 유리할 일은 없을 것 같다.

3. 집 3개 이상 사지 말자. 사도 (좋은 거) 2개만.

4. 25년은 평당 5천 사이언스가 될 것. 😮

5. 학군지는 갈수록 더 주거지 선택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6. 어떻게든 소득을 늘려라.

7. 재테크의 시작은 "결혼"부터다.

8. 목표 설정이 전부다.

9. 강한 놈 되지 말고 오래가는 놈이 돼라.

10. 설날 오기 전이 기회다. 사라. 😳

11. 눈을 좀 낮추자. 낮취야 결혼. 내집 마련이 가능.

12. 지방에 시간 쓰지 말고 서울에서 찾아라.

13. 25년 대한민국 경제 어렵다 > 잘 사는 사람들이 사는 아파트는 멀쩡할 것 > 양극화 심해진다

14. 대단지 옆 소규모 아파트 눈길도 주지 마라
- 대단지 입주장에 관심조차 못 받는다.

➡️ 본업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하는 이상우 대표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8:45


●율촌화학의 수출데이터가 의미있는 이유

• 율촌화학은 기존의 일본 DNP(다이니폰프린팅)와 쇼와덴코가 80% 이상 과점하고 있던 배터리 파우치 필름 시장에 새롭게 독점을 할 수 있는 기술력으로 나가고 있음

• 일본 두 곳에서 공급 중인 파우치 필름은 153μm이고, 율촌화학은 183μm 파우치 필름을 개발하여 공급함. 183μm에서는 DNP와 쇼와덴코의 기술력이 율촌화학에 뒤떨어지는 모습을 보임

• 쇼와덴코는 파우치 필름 개발팀을 철수하고 생산팀만 남아 있는 상태라 사실상 선단 기술 개발이 어려워졌고, DNP는 183μm 파우치 필름 퀄테스트를 계속 미루고 있어 사실상 2026년까지 공급은 어려워지고 있음

• LGES가 내세우는 셀투팩(CTP) 방식을 위해서는 필름의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음. 이 때문에 성형성이 높아 더 폼을 깊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배리어층이 두터워 안정적인 183μm은 차세대 파우치형 배터리의 핵심 요소가 됨

• 율촌화학은 2022년 9월 LGES와 GM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와 6년간 1조 5천억원의 공급계약을 체결해 놀라게 했지만 2024년 들어서도 매출인식이 지연되어 우려를 낳다가, 결국 2024년 10월 LGES의 공급계약 해지가 발생함

• 주가는 이미 이러한 상황을 선반영했으며, 얼티엄셀즈가 아니더라도 2025년은 2024년 대비 양산되는 프로젝트의 CAPA만 비교해도 10배 가깝게 늘어나기 때문에 수출데이터의 증가가 매월, 매분기 지속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 시장은 얼티엄셀즈의 계약 해지로 2025년에 양산을 시작하는 LGES의 배터리에 율촌화학이 파우치 필름을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지 아직 의문점이 있지만, 앞으로 수출데이터를 통해 우려를 불식시키며 주가는 우상향할 가능성

• LGES와 현기차의 인도네시아 합작법인은 2024년 2분기부터 가동을 시작했음. 따라서 율촌화학의 인도네시아향 파우치 필름 수출데이터도 2024년 4월부터 올라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2025년 들어 1월부터 인도네시아향 수출데이터는 일평균 기준으로 2024년 4분기 평균대비 약 +59% 급증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이건 2가지 요인으로 인도네시아 배터리 공장이 램프업 기간을 지나 본격적인 양산이 올라오는 시점이 된 것과 율촌화학의 새로운 생산라인인 포승공장의 가동이 시작되었기 때문

• 결론적으로 이번 율촌화학의 수출데이터는 지난 우려를 불식시켜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출데이터의 본격적인 서막이라 할 수 있음

• 2025년은 여전히 2차전지 섹터에서 캐즘과 싸우게 되겠지만, 확실히 yoy로 매출이 급증할 수 있는 업체에 대한 주가 반응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업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7:55


■ 2025 JP모건 헬스케어 요약 (1/13.월.~1/16.목)

*이번행사 키워드 : 1)항체약물접합체(ADC), 2)GLP-1 비만치료제, 3)트럼프2기 헬스케어정책


-삼성바이오로직스 : 존림 사장은 14일 올해 사업계획과 중장기 비전 발표

-셀트리온 : 서정진 회장은 14일 신약 파이프라인의 개발 타임라인 공개

-리가켐바이오 : ADC플랫폼 '컨쥬올' 기반 신약 후보물질 소개

-알테오젠 : 첫정식 초정, 부사장 참석, 추가 파트너십 기대

-휴젤 : 16일에 레티보(상반기 미국 제품출시) 브랜드를 알리며 시장전략 공유

-온코닉테라퓨틱스 : 항암 신약 '네수파립'의 해외시장 진출모색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BBT-877' 등 연구개발 과제 소개

-클래시스 : 사업계획 발표

-SK바이오팜 : 기자간담회에서 사업전략 발표

-유한양행 : R&D총괄사장이 참가해 파트너미팅

-파로스아이바이오 : 급성골수성 백혈병치료제 최신연구 성과 공유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와 관련된 파트너십 논의

-일동제약 : GLP-1 비만치료제로 파트너링

-DXVX : 경구용 GLP-1계열 비만치료제 글로벌 진출을 위한 미팅

-디앤디파마텍 : 경구용 GLP-1계열 비만치료제 글로벌 진출을 위한 미팅

등 40여곳 참석하며 관전 포인트는 국내 기업들의 해외 파트너십 확대와 기술이전 타진 여부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7:38


https://m.blog.naver.com/centum_tiger/22372329809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7:37


테슬라 FSD 경험담-Amit(일론 머스크가 재게시한 글)

이 글은 FSD(Full Self-Driving) 경험에 대해 제가 느낀 감정을 공유하는 긴 이야기입니다. 오늘 저는 제 생애에서 가장 놀라운 경험 중 하나를 했습니다.

FSD v13을 사용해 뉴저지 주 저지시티로 40분 동안 운전을 했습니다.
이 사진은 운전 중에 찍은 뉴욕시 스카이라인입니다.

저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감격스러웠습니다.
제 Tesla Model Y는 복잡한 고속도로, 회전 구간, 주택가, 뉴저지 턴파이크(NJ Turnpike)를 한 번도 개입하지 않고 완벽하게 주행했습니다.

단 한 번의 개입도 없었습니다.

차선 변경, 보행자 대기, 진입로 합류 등 모든 과정을 제어할 필요 없이 자동차가 스스로 해냈습니다.

AI가 미래라고 말할 때, 바로 이 경험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오늘 미래를 직접 체험했습니다.
Tesla의 데이터 우위로 구축된 인공지능이 저를 걱정 없이 목적지로 데려다 주었습니다.

물론 LLMs(대규모 언어 모델)는 훌륭합니다. 저도 매일 사용합니다.
하지만 FSD야말로 현실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진정한 마진 확대(margin expansion)의 사례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오늘 운전하면서 실질적으로 더 생산적이라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아직 FSD 상태에서는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지만, 저는 40분 동안 생각할 자유를 얻었습니다.
운전 중 페달을 밟거나 핸들을 조작할 필요 없이 사업, 인생, 목표에 대해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주행 거리가 많지 않아서 그동안 FSD의 $8,000 가격을 정당화하지 못했는데, 이번 경험을 통해 장거리 운전 시 FSD 없이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행복하고 생산적이라고 느꼈습니다.

저 개인의 생산성 향상도 크지만, FSD의 완전 자율 모드가 구현된다면 주행 중 실제로 업무를 볼 수 있는 날이 올 것입니다.

지금도 집에 도착했지만, 오늘 경험했던 주행이 믿기지 않을 정도입니다. FSD는 저보다 더 잘 운전했고, 모든 사람보다 더 잘 운전할 날이 올 것이라 확신합니다. 2년 전만 해도 자율주행 자동차를 타겠다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제가 이런 말을 하고 있다니 놀랍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Tesla 광고에 대한 논란이 우스울 정도로 느껴졌습니다.

이 경험 자체가 광고입니다!
40분의 FSD 주행 경험만으로도 광고보다 더 강렬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FSD뿐만 아니라 테슬라는 몇 년 안에 50만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하니(2027년 목표), 이를 통해 GPU로 구축된 AI의 실질적인 활용 사례를 또 한 번 보여줄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미래로 나아가고 있으며, 테슬라가 최고의 제품을 가지고 있다면 수백만 명이 FSD에 $8,000을 기꺼이 지불할 것입니다. 90% 이상의 마진을 가진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제품인 만큼, Tesla는 언젠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단 한 번의 주행 경험이 이 세상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오늘 경험한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여전히 감동받은 상태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4:13


https://www.thebusinessresearchcompany.com/report/hot-tobacco-global-market-report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벌 시장 보고서 2025
[시장규모, 동향 및 글로벌 예측 2025-2034]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규모 2025년부터의 성장률
2024년 187억5000만달러에서 2029년에는 22.9%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549억 7,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입니다. 신제품 출시를 통해 궐련형 전자 담배 시장에서 비즈니스 운영을 강화하고 전략적 파트너십 및 협업을 통해 비즈니스 운영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포함됩니다.

공공 장소에서의 흡연에 대한 엄격한 규정
공공 장소에서의 흡연에 대한 엄격한 법률은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을 재정의하는 제품 혁신
주요 기업들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첨단 가열 기술로 신제품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가열식 담배 기술은 연소 없이 담배를 가열하여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제품 및 장치 범주를 나타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3:17


스터디 마감 이번주 금요일입니다. 마감 전에만 홍보글 올리고 마무리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omniknight41/22371364375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3:14


2025 10대 트렌드
-교집합이 되는 국내외 2~3종목 정도는 포트폴리오에 장기간 보유할 필요가 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3:14


CES 2025로 본 미래 산업 트렌드_150쪽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Jan, 03:11


AI 데이터 센터 수요 상승으로 우라늄 가격 급등

핵발전소 연료인 우라늄의 가격이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수요 증가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우라늄 농축 가격은 최근 기준 $190로, 3년 전 $56에서 크게 상승했습니다.

우라늄에 대한 관심 증가는 탄소 배출이 없는 대규모 에너지원이 필요해지는 상황과 맞물려 있습니다. 특히 Microsoft, Amazon과 같은 대형 IT 기업들은 AI 데이터 센터 운영에 사용될 막대한 에너지를 감당하기 위해 핵연료 활용을 검토 중입니다.

러시아는 우라늄을 농축 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미국의 제재와 러시아의 수출 금지로 인해 공급이 제한되면서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특히, 서방에서는 충분한 농축과 전환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며, 새로운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2027년 러시아산 우라늄 수입에 대한 면제 종료를 앞두고 있으며, 이는 서방 국가들이 자체 공급망을 확보해야 할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미국의 농축 우라늄 수입량 중 27%가 러시아산이었습니다. 분석가들은 미국이 올해부터 우라늄 계약을 체결해 공급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카자흐스탄의 국영 광산 회사 Kazatomprom은 예상보다 생산량이 낮아질 수 있다고 밝혔으며, 이는 중국과 러시아로의 공급이 늘어나는 반면 서방으로의 공급은 줄어드는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프로젝트가 단기간 내 가동되지 못한다면 중기적으로 공급 부족 사태가 올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우라늄 대부분은 장기 계약에 의해 거래되지만,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로 단기 시장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https://www.ft.com/content/8182ae01-c512-451d-b9a6-64023cac7467

#우라늄 #원자력 #AI #데이터센터 #전력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Jan, 13:58


• 노보노디스크 경구용 GLP-1RA 중국 공식 출시

2025年1月11日,诺和诺德宣布其创新药物诺和忻®(司美格鲁肽片)在中国全面上市。作为首个口服GLP-1RA,诺和忻®突破性地结合SNAC技术,实现显著的降糖、减重、降压与调脂等多重代谢获益。一日一次口服方式将提高患者依从性,为2型糖尿病治疗开创新局,助力血糖优质达标与代谢综合管理,为中国1.4亿糖尿病患者带来新希望。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Jan, 13:39


트럼프 취임날 100개 행정명령 서명…反이민 '타이틀 42조' 부활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829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1 Jan, 04:23


■1월 국내증시 주요일정 (by 고잉)

1월 3주차)
-LA산불 진화중, 90조원 손실추정
-베이조스 우주기업 블루오리진 뉴글렌 발사 (1/12)
-JP모건헬스케어 컨퍼런스 (1/13~1/16)
-윤석열 2차체포 시도 (미정) 정테주

-스페이스X, 스타십 7차발사 (1/14.한국시간07시)
-미 CPI 소비자물가지수 (1/15. 22:30)
-한국은행 금리발표 (1/16) 인하 예상 우위
-TSMC 실적발표 (1/16.오후) 반도체주, 에이직랜드
-국내 독감환자수 정점 전망 (1월3주~4주)


1월 4주차)
-트럼프 취임 (1/20) 키워드: 관세, 재건, 조선, 대북, 시추, 코인, 탄소포집, 중국, 취임식 등
-일론머스크 정부효율부 수장 취임 (1/20) 키워드 : 테슬라, 자율주행, 우주, 로봇, 드론 등

-다보스 세계경제포럼 (1/20~1/24) 재건주
-미국 휴장_ 마틴루터킹 데이(1/20)
-LG CNS 청약(1/21~1/22) 2월상장, 예상시총5조, LG 49.9% 보유
-갤럭시 S25 언팩 (1/22) XR헤드셋 티저공개
-북한 최고인민회의 (1/22)
-SK하이닉스 실적발표 (1/23.09시) 반도체주
-현대차 실적발표 (1/23)
-고려아연 임시주총 (1/23)
-이재명 선거법 항소심 재판시작 (1/23~)
-위메이드, '레전드 오브 이미르' 쇼케이스 (1/23)
-일본은행 금리발표 (1/24.12시) 금리인상 전망우위


1월 5주차)
-한국 설연휴 (1/25~1/30)
-중국 지급준비율 인하 가능성(춘절전) 국내증시에 긍정적
-중국 춘절 (1/28~2/4)
-산일전기 의무보유해제_지분72% (1/29)
-오픈AI, o3 미니 출시(1월말) 곧이어 ‘o3′출시
-테슬라 실적발표 (1/29)
-미 4분기 GDP, PCE 물가지수 (1/30)
-MSCI 2월 편입 시가총액 기준일 (1/20~1/31중 하루) 삼양식품, 현대미포 여부
-애플 실적발표 (1/30)
-미 FOMC 금리결정 (1/30. 04시) 동결전망


*중요한건 대충 다 드가있습니다. 평온하고 알록달록한 휴일 되십쇼.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11:08


https://seatca.org/belgium-will-ban-sales-of-disposable-e-cigarettes-in-a-first-for-the-eu/

벨기에, EU 최초로 일회용 전자담배 판매 금지

벨기에는 1월 1일부터 건강 및 환경적 이유로 일회용 전자 담배 판매를 금지할 예정이며, 이는 유럽 연합 국가로서는 획기적인 조치입니다.

일회용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배터리 및 회로는 환경에 부담이 됩니다. 게다가 "그들은 사람들이 버리는 것에 여전히 존재하는 유해 폐기물을 생성합니다"

호주는 올해 초 전자 담배에 대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규제를 통해 약국 밖에서 "베이프" 판매를 불법화했습니다. 현재 벨기에는 유럽연합(EU)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

☘️ 전세계가 가열담배에서 무연담배(NGP)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액상담배(Vapor)는 배제되는 분위기입니다. 궐련형 전자담배가 주력인 이엠텍에 유리한 시장환경이 조성되는 것 같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9:41


[CES 2025] 1일차 관람기_LVCC West Hall
https://blog.naver.com/pivotinve/223718841679?fromRss=true&trackingCode=rss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9:34


세계 최초 AI 로봇 의수 Esper Hand

2022년 타임지 선정 최고의 발명품이자 CES2024에서 혁신상을 받았다고 하네요👍

Esper Hand는?
- 380g의 가벼운 무게
- 5개의 손가락을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
- 손을 움직이려는 생각을 뇌에 신호를 보내 특정 근육을 사용
- AI가 사용자의 행동을 기억하고 활용
- 사용하면 할수록 내 손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됨

😅 Body is not a Limit라는 슬로건이 참 멋지지만 마케팅을 안하는건지 최신 소식 업데이트가 너무 없어 아쉬운 제품입니다😅

👉 원문 보기 👈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9:28


📮[메리츠증권 이차전지/석유화학 노우호]

2025.01.08 (수)

<이차전지-미국 시장: 공급망 재편 압박강도 상향>

URL: http://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WorkFlow/20250108111204447K_02.pdf

미국 트럼프 2.0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탈중국의 공급망 압박 강도 상향
- 미국 현지시간 1/20 트럼프 2.0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공급망 재편의 압박 강도는 상향 중. 금주 언론보도된 (1) 주요 수입품에 관세 부과, (2) 미국 국방부의 CATL 블랙 리스트 지정. 미국 시장 CATL 배터리를 공급받는 OEM은 Tesla, VW 등
- 현재 GM, Ford는 CATL과의 미국 or 멕시코에 합작법인을 추진한바 있음. 미국 정부의 CATL향 정책 규제로 중국 배터리 기업들 견제. 저가형 Segment로 확장을 시도하는 OEM들과 배터리 제조기업들의 저가형 배터리 사업 추진에 시간을 벌어준 셈

중국 상무부의 배터리 기술수출 제한조치의 중장기 나비효과
- 전주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배터리 기술수출 제한 정책은 중국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후 내용 조정의 여지가 있음. 그럼에도 2025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주요 품목별 탈중국의 압박 강도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LFP 등의 저가형 배터리 공급망 및 가격 경쟁력을 구축하는 배터리 생산기업들에 기회로 작용

CES 2025, Panasonic의 미국 배터리 공급망에 중국 기업 배제 발표
- 트럼프 행정부 2.0 출범을 앞두고 기업들의 탈중국/직접투자 움직임은 여전함. CES 2025에 참석한 Panasonic은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를 배제한다는 장기 목표를 제시함. 미국의 공급망 재편 및 관세 정책에 맞춰 비-중국산 배터리 광물/소재 조달규모를 증가시키고자 함.
- Panasonic은 Tesla향 원통형 전지 생산설비를 투자 중(네바다, 캔사스). IRA 정책 대응으로 국내 배터리 소재기업들과의 파트너쉽 체결(양극재: 포스코퓨처엠, 동박: SKC, 롯데에너지머티), 향후 추진(전구체/양극재 등). 또한 Redwood Materials과 배터리 재활용 분야를 협력.

25.1월 국내 이차전지 섹터는 정책 수혜 가능성에 주가 반응 중
- 25.1월 현재 국내 이차전지 섹터 주가의 상승 변동성 확대 중. 펀더멘털 훼손우려로 낮아진 투자 매력도는 기존 주가 낙폭으로 선반영되었을 점. 반면, 거점 시장별 발표되는 정책 요인의 중장기 수혜 가능성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반영
- 1월 월간 LG에너지솔루션 4Q24E 잠정실적,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Tesla 실적 설명회 등의 다수의 이벤트 대기 중. 2024~25년 대비 점차 개선될 영업실적, 정책 수혜 가시성, Tesla EV 가이던스/배터리 조달(신규 2170, 4680) 등이 연중 투자심리 개선의 촉매제가 될 점


업무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7:56


[Deep Dive][삼천당제약]④중소 제약사 새 모델 가능성, 수익으로 입증해야

SCD411 판매 시 매출 '폭발적 증가' 기대…연구개발비 다시 증가 전망
자사주 처분 등 재원 확보 총력…재투자 통한 선순환 구조 확립해야

[프레스나인] 삼천당제약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SCD411을 통해 중소 제약사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는 새로운 모델을 보여주게 됐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SCD411을 통해 충분한 수익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후속 제품을 통해 입지를 다져가야 하는 상황으로, 수익 실현과 이를 기반으로 한 재투자라는 선순환구조를 확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삼천당제약은 현재 세계 각국에서 SCD411의 허가를 신청한 상태로 지역별로 파트너사와 판권 계약을 체결했으며, 올해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예상 매출은 약 900억 원이며, 오는 2028년에는 5000억 원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천당제약의 매출액은 지난 2023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1927억 원,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1557억 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와 비교하면 SCD411 한 품목의 올해 예상 매출액이 2023년 전체 매출의 절반 수준에 달하고, 2028년에는 2023년 매출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중소 제약사이지만 연구개발을 통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이러한 예상이 현실화되면 국내 제약업계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 이후 상황을 감안하면 SCD411의 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은 반드시 발생해야 하는 상황이다.

삼천당제약은 SCD411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S-Pass 플랫폼 기반의 경구용 GLP-1 및 인슐린 제제를 개발 중이다. 해당 플랫폼들은 아직까지 연구개발을 이어가는 중으로, 올해를 지나면서 연구개발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임상 단계가 진행될수록 큰 규모의 연구개발비가 필요한 만큼, 삼천당제약은 당분간 더 큰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지출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삼천당제약은 SCD411을 개발하는 동안 한 차례 연구개발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지난 2021년의 경우 별도재무제표 기준 약 1200억 원의 매출액 중 3분의 1이 넘는 444억 원을 지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경구용 GLP-1 및 인슐린의 경우 임상시험에 더 많은 환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구개발비는 그만큼 더 큰 폭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삼천당제약이 진행 중인 연구를 살펴보면 경구용 GLP-1 및 인슐린과 관련해 5개의 트랙으로 나눠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경구용 세마글루티드와 리라글루티드는 각각 비만과 당뇨 트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여기에 경구용 인슐린도 하나의 트랙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동시에 5개의 트랙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연구개발비도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삼천당제약은 지난해 자사주를 처분해 약 700억 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했다. 과거 지출한 연구개발비 규모를 감안하면 당분간 연구를 이어갈 수 있겠지만, 연구개발을 완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삼천당제약이 이들 S-Pass 기반 파이프라인의 연구를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SCD411을 통해 이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수익은 반드시 확보해야만 하는 것이다.

만약 삼천당제약이 이 같은 구조를 갖추는 데 성공하면 중소 제약사에서 상위 제약사로 단숨에 발돋움하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 삼천당제약의 도약은 일회성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성공을 위한 총력전에 나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ttp://www.press9.kr/news/articleView.html?idxno=6154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7:47


☆2025 Global Biopharma Time for Innovation (유진투자증권) 바이오 산업 및 당뇨/비만/황반변성 관련 요약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 현황


- 22년 바이든 IRA 서명후 23년 약가 협상 대상 선정 발표. 모든 빅파마가 미 정부에 소송제기 했으나 대부분 기각. 의약품 가격통제 기조 지속.

- 26년 IRA 실행으로 약가인하 대상 품목은 점차 증가 전망.

- 트럼프 정권 2기 출범시 바이오산업 규제 강화 우려 부각.

- 22년 하반기 부터 시작된 주력제품들의 특허 만료와 26년 시작되는 약가 인하는 30년 까지 지속 예정으로 부정적 영향.

- 빅파마들은 25년 주력제품들의 특허 만료에 따른 매출 감소와 26년 IRA 약가 인하시작. R&D 성과는 무르익지 않으며 성장둔화 30년 까지 블록버스터 만료로 의약품 시장 2~7% 성장감소 추정.

- 빅파마 저성장의 가장 큰 요인은 약가인하 정책 외에도 이미 20년 이후 다양한 기전의 치료제 환자 맞춤형 치료가 발달하며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에 한계가 왔기 때문.

- 빅파마들은 주력 제품들의 특허만료와 정책 이슈에 따른 저성장 해소를 위해 공격적인 R&D집행. 이는 유망한 신약 후보 물질을 연구중인 소규모 제약사 및 바이오텍에 성장 기회.

- 20년 전후로 신기전 치료제 개발 확대/상업화 본격화로 모든 분야에서 빅파마들이 경쟁력을 가지기 어려워짐.

- 또한 안정성과 효능을 높이기 위해 단독용법에서 병용요법이 표준으로 확장. 다양한 기전의 의약품이 시장에 출시 될 수밖에.

- 빅파마는 저성장 극복을 위해 혁식/협업 강화 소규모 제약사 및 바이오텍과 경쟁과 협력에 따른 오픈 이노베이션정책으로 산업을 다이나믹 하게 만들것.

- 24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세 번째 성장 국면 진입. 국내 개발 신약인 레이저티닙이 FDA로부터 신약 승인을 받으며 블록버스터 성공 기대감. 이외에도 다수 기업의 연구 개발 성과가 확산 지속.

- 기술 경쟁력이 우수한 바이오텍 기업들의 기술이전 기대감 (알테오젠,리가켐바이오, ABL바이오, 바이오다인), 생물보안법 반사이익 국내 CDMO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바이넥스) FDA 신약 승인(유한양행, HK이노엔) 메디컬 에스테틱 (휴젤, 대웅제약)

- 25년 하반기 부터 국내 연구개발력이 적용된 신약의 글로벌 상업화 국면 진입, 임상 진전에 따른 대규모 마일스톤이 유입되며 바이오 산업 리레이팅 전망.

당뇨/비만 성장

- 코로나 이후 호황을 맞이한 글로벌 제약 바이오 산업은 22년 정점으로 성장정체 21년 이후는 GLP-1 RA 계열이 성장 주도.

-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제외 빅파마의 성장은 5% 내외의 저성장 지속.

당뇨/비만 24년

- 24년에는 당뇨병 치료제인 마운자로가 10위 권 안으로 신규진입.

- 오젬픽은 당뇨병 치료제로 170억 달러 매출. 동일 성분인 비만 치료제 위고비,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리벨서스 합산 286억 달러로 키트루다 매출 상회, 25년에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합산 매출이 1위 전망.

- 24년 매출 순증가액 기준 상위 의약품은 모두 GLP-1 당뇨/비만 치료제인 마운자로, 젭바운드로 순증가액이 50억 달러 상회. 위고비, 오젬픽 순증가액도 30억 달러 상회.

당뇨/비만 25년 전망

- 오젬픽, 마운자로에 이어 위고비, 젭바운드도 25년 글로벌 매출상위 10위 안에 진입. 릴리의 마운자로, 젭바운드가 노보노 디스크의 오젬픽, 마운자로 보다 출시가 늦었지만 25년 매출 격차를 줄일것.

- 25년 Top selling 약품은 키트루다. 2위는 오젬픽 예상. 오젬픽과 동일 성분인 위고비, 리벨서스 합산할 경우 1위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차지.

- 이미 24년 3분기 부터 키트루다 상회. 25년 오젬픽, 마운자로, 위고비, 젭바운드가 글로벌 상위 10% 내 진입, 상위 10개 매출 40%를 차지하는 수준 입지 확보 전망.

- 25년 10억달러 상회 신규매출 의약품은 위고비, 오젬픽, 마운자로, 젭바운드가 상위 기록 전망. 합산 200억 달러 순증 예상.

당뇨/비만 30년 전망

- Evaluate Pharma는 30년 글로벌 Top Selling 의약품은 노보 노디스크의 오젬픽 전망. 그외 위고비, 마운자로, 젭바운드가 10위권 예측.

- 대사질환 인구비중 상승. 관련 치료제들의 적응증 확장 감안 30년 대사질환 치료제 비중은 매우 높을것.

- 터제파타이드 성분 치료제들(마운자로, 젭바운드) 은 보다 높은 체중 감량 효과로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치료제들(오젬픽, 위고비)의 매출을 뛰어넘을 전망.

- 30년 글로벌 매출 1위 빅파마는 23년 13위였던 일라이릴리가 될 전망. 23년 말부터 확고.

기대 사항

- 25년 기대되는 유망 파이프라인은 임상3상 결과가 기대되는 일라이릴리의 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오포글리프론.

- 오포글리프론은 1일 1회 제형의 저분자 화합물로 기존 SC제형 대비 복용 편의 증가로 상업성이 높아 2분기 임상 3상 결과가 좋다면 게임체인져가 될것.

- 일라이릴리는 삼중작용제인 리타트루타이드를 비만/ 2형 당뇨 치료제로 개발중으로 임상3상 결과는 26년 중기 공개 예상. 25% 수준(72주) 감량효과 기대.

- 노보 노디스크는 세마글루타이드와 카그릴린타이드 복합제인 카그리세마 임상 3상을 진행중. 32주차 체중 감소율 15% 상회 기존 제품들 대비 단기 우수한 효과. 단 3상에서 68주는 기대치 25%에 미치지 못한 22.7% 발표.

- 지난 12월 20일 카그리세카의 임상 3상 Top line 결과 체중 감량 효과 기다치 하회하며 향후 20억 달러 매출 가능할지는 상업화 이후 관망.

- 기존 터제파타이드 성분과 유사한 정도로 25년 8월경 테제파타이드와 감량효과를 직접 비교해 REDEFINE-3 임상 완료 예정.

황반변성 치료제

- 아일리아(8주 간격 투여)는 경쟁약 바이스모(16주 간격 투여)로 매출 성장 정체. 아일리아는 고용량 HD(16주 간격 투여) 출시. 매출 소폭 반등.

- 리제네론이 암젠에 제기한 특허 침해 소송이 기각되면서 25년 암젠의 바이오시밀러 출시 가능 예상.

#삼천당제약 #비만 #황반변성 #바이오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71891488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7:13


GREED: 전일 대비 1.0 상승한 63.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6:34


# 글로벌 에너지 기업 4Q24 실적 컨센

이번 실적은 유틸리티 회사들의 2025년 CapEx 내용이 가장 중요. 돈이 흘러들어가는 곳이 주가 수익률이 좋음. 정책 리스크가 가장 적은 가스에 투자가 집중된 뒤 2026년부터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흐름 예상 전망

* 천연가스 밸류체인 추가. 음영 처리된 기업은 4분기 실적 혹은 25년 가이던스가 기대되는 종목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5:50


ESS 설치 의무화한 나라들, 국내기업의 ESS 사업 전망은?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301

📌 글로벌 ESS 정책 동향

- 미국: 캘리포니아·뉴욕 등 일부 주 ESS 설치 의무화(2020년까지 1325MW 확보).
- 중국: ESS 설비 30GW 목표(2025년까지),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ESS 연계 의무화.
- 일본: ESS 설치에 보조금 지원(kWh당 1~2만 엔), 2030년까지 150GWh 제조능력 확대 목표.

📌 국내 기업 ESS 전략

- LG에너지솔루션: LFP 대용량 셀 개발,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과 계약(약 2조 원 규모).
- 삼성SDI: 울산에 ESS용 LFP 배터리 공장 구축.
- SK온: ESS 사업부를 대표이사 직속으로 재편.

📌 ESS 사업 기회 요인

-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확대 시행.
- 미국 관세 정책: 중국산 배터리 관세 부과 시 국내 기업 반사이익 기대.

국내 기업들은 ESS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설정,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8 Jan, 05:26


※ SK온 고객사 및 생산시설 리밸런싱 (디일렉, 2025. 01. 07)

○ SK온 주요 고객사 : 포드, 현대차, 닛산, 중국 지리


핵심 고객사였던 포드의 비중이 줄어들고, 현대차를 중심으로 닛산과 중국 지리로 고객사들이 재편될 것.
지리자동차는 볼보의 모회사임.


○ SK온 해외 생산시설 근황

1. 유럽 생산시설 (코마롬, 이반차)


헝가리 코마롬 공장(17.5GWh) 생산시설의 전면 재조정이 있을 예정이며, 이반차(30GWh)로 메인으로 유럽 생산시설이 재편될 것으로 예상.
코마롬 공장 주요 고객사 : 다임러(트럭 등 상용차), 일부 벤츠 전기차 모델용 배터리 등을 생산
코마롬 공장은 수율을 일정 수치 이상으로 올리기 어려운 상황이며 시설적으로도 낙후되어 있음.

생산라인을 전면 재조정(각형 배터리 라인)한 코마롬 공장을 지리자동차 물량 대응으로 활용할 방안. 지리자동차의 자회사인 볼보의 유럽생산 폴스타와 신모델인 EX30 모델용 배터리(각형배터리)를 SK온으로부터 조달 할 수도 있음.

2. 중국 생산시설 (옌청, 후이저우, 창저우 등)

중국 파트너사인 EVE(옌청 등)나 지방정부(베이징 창저우)와의 협력을 통해 생산시설이 운영되고 있음.

3. 한국 생산시설 (서산)

현대차를 대응하기 위한 서산 3동 프로젝트는 현재 홀딩 된 상태임. 건물은 완공된 상태이나 장비 입고는 안되어 있는 상태임.
서산 3동의 홀딩은 현대차의 생산계획 재조정에 따른 것으로 서산에서 생산될 물량이 미국 조지아로 이전되었음. 이는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보조금을 받기 유리하기 때문임.

4. 미국 생산시설 (조지아, 테네시, 켄터키)

테네시와 켄터키에 위치해 있는 포드와의 합작사인 Blue Oval 생산시설은 기존 계획대로라면 2025년부터 순차 가동될 예정이었으나, 포드의 전기차 부진으로 계획이 조정되어 있는 상황임.

당초 닛산과 미국에서 JV를 설립할 예정이었으나, LG엔솔과 도요타 같은 단순 공급이 유력한 상황임. 닛산에 대한 물량을 Blue Oval 켄터키 1공장에서 대응하는 방안을 고려 중.
테네시 공장은 계획대로 포드 물량을 대응

조지아 공장은 현재 1공장은 포드 대응이고, 2공장은 현대차 대응. 2공장은 이제 생산을 시작하는 단계.


○ SK온 각형배터리 생산계획

유럽 코마롬 공장의 생산라인을 전면 재조정하여 각형 배터리 라인으로 전환을 계획 중.

이 곳에서 생산된 각형 배터리는 중국 지리자동차의 자회사인 볼보 현지 전기차용으로 납품을 고려 중.

https://www.youtube.com/watch?v=zPCPZkbzLjI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7:49


미국에서 돈벌어서 중국에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요즘 빅파마-중국 딜이 많음

이미 한국 일본 유럽 제친지 오래인듯하고 미국 턱밑까지 따라간 듯한 중국 바이오 산업
Clarivate의 지난 10년간 중국 바이오 산업은 어떻게 변화했나? 보고서

혁신의 10년, 앞으로의 10년
 
1. 정책 이니셔티브와 전략적 초점: 중국제조 2025, 건강중국 2030, 14차 5개년 계획과 같은 주요 이니셔티브가 중국의 생물 의약 혁신을 촉진. 이는 혁신 허브 설립, 약물 심사 과정 개선,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데 기여

2. 규제 개혁: 2015 이후 도입된 MAH 시스템 및 약물 승인 시간 단축 정책. 승인 절차가 상당히 간소화되면서 혁신적인 약물의 시장 접근성 향상

3. 글로벌 통합: 중국은 전 세계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의 23%를 차지. 미국 다음 글로벌 2위. 국제 임상시험 및 혁신 약물의 초기 출시 허브로 성장 중

4. 의료 보험 발전: 국가약가협상목록(NRDL) 확대를 통해 혁신적인 치료제 접근성을 개선하고 비용 효율성 유지. 가치 기반 가격 정책 및 상업 보헙 협력 등 혁신적인 지불 모델 도입

5. 연구개발(R&D): 중국의 R&D 투자 규모는 유럽 연합(EU)를 넘어섰으며 미국 수준에 근접. 특히나 유전자 편집, 합성 생물학, 종양학 분야에서는 연구 논문 성과에서는 미국 수준

6. 혁신 산업 클러스터: 장강 삼각주(상하이, 쑤저우, 항저우), 베이징-텐진-허베이 지역,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 중심으로 주요 클러스터 성장. 서부 및 중부지역에서도 혁신 생태계 확장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5:39


#비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5:37


#제약 #바이오 #KB증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4:11


2025년에
HS아카데미와
함께하실
인턴분을 모십니다~!

[email protected] 으로 연락주세욧!

p.s 저희와 함께 인턴으로 함께 일하셨던
4분이 모두 은행/증권/운용사 취업에 성공했다고 ^^!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3:16


[미국 12월 소매판매 종합]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전체: 152.3만대(+4.0% YoY)
 영업일 25일, 전년비 1일 감소
영업일 조정 기준 +8.1%
SAAR(연간조정) 17.2백만대
(+7.3%YoY, +3.1%MoM)

(이하 %YoY)
  HEV: 17.1만대(+44.0%)
    침투율 11.2%
  BEV: 13.5만대(+16.9%)
   침투율 8.9%
  PHEV: 3.2만대(+7.2%)
   침투율 2.1%

▪️현대차그룹 종합
  점유율: 10.5%
(-0.7%pMoM, +0.8%pYoY)

  현대차: 86,657대(+5.7%)
    점유율: 5.7%
(-0.4%pMoM, +0.1%pYoY)
    HEV: 13,807대(+85.0%)
    BEV: 6,839대(+11.8%)

  기아: 73,303대(+21.6%)
    점유율: 4.8%
(-0.3%pMoM, +0.7%pYoY)
    HEV: 7,888대(+81.0%)
    BEV: 4,456대(+26.2%)

▪️인센티브 종합
산업 $3,952(+1%M, +46%Y)
현대차 $2,839(-3%M, +13%Y)
기아 $3,683(-4%M, +103%Y)
// EV 리스 보조금 포함되어
실제 지급분과 차이 있음

▪️주요 업체별 BEV 판매량:
  (*는 그룹 기준)

GM*: 16,351대(+153%)
Nissan: 3,159대(+73%)
Toyota*: 2,296대(+41%)
Ford: 13,091대(+29%)
기아: 4,456대(+26%)
Subaru: 1,165대(+22%)
현대기아*: 11,295대(+17%)
산업평균: 134,805대(+17%)
현대차: 6,839대(+12%)
Tesla: 57,700대(+2%)
Geely*: 1,395대(-22%)
Rivian: 3,795대(-22%)
BMW*: 5,419대(-26%)
VW*: 4,698대(-37%)
Benz: 2,338대(-53%)
VW: 1,363대(-67%)
Honda: 9,733대
Stellantis*: 319대
Lucid: 780대
VinFast: 750대
Tata*: 521대

t.me/automirae
Source: Autodata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3:16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336131&sch_cate=D

삼천당제약이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애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해외 진출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3년 캐나다 공급을 시작으로 유럽 10여개국, 미국, 라틴 아메리카까지 판매 확대에 성공했다.

국내에선 삼천당제약 뿐만 아니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알테오젠이 아일리아 시밀러 시장에 이미 진출해 K-시밀러 간에 치열한 경쟁도 예상된다.

3일 회사 및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천당제약은 독일 제약사 프레제니우스카비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SCD411)에 대한 20년 독점 공급계약을 맺었다. 미국과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 파라과이, 콜롬비아 등 라틴 아메리카 6개국에서 보건당국 승인을 거쳐 판매하게 된다.

아일리아는 지난해 전세계 매출 13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망막정맥폐쇄에 따른 황반부종, 당뇨병성 황반부종, 당뇨병성 망막증 등 다양한 안과질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오리지널 제품은 글로벌 제약사 리제네론이 개발했다.

삼천당제약은 아일리아 시밀러 개발을 위해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등 14개 국가에서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했으며, 2023년 3월 오리지널 제품과 동등성을 입증한 3상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 1) 캐나다 아포텍스와 약 200억원 규모의 아일리아 시밀러 캐나다 독점 공급 및 판매권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2) 독일, 스페인, 이태리,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유럽 5개국에 대한 독점 판매권과 공급계약을 맺었다. 계약 상대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약 280억원 규모다.

지난해에는 3) 영국, 벨기에 등 유럽 9개국에 대한 독점 판매권 및 공급 계약도 체결한 상태다. 회사는 총 매출의 55%를 수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삼천당제약은 미국을 포함해 20개 가까운 국가에 아일리아 시밀러 판매를 확보했다. 국내에선 2023년 11월 식약처에 아일리아 시밀러 제품의 품목허가를 신청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 측은 공시를 통해 "SCD411 개발과 관련해 임상 최종 보고서를 수령했으며,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셀트리온은 자체 개발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CT-P42)'에 대한 미국, 유럽 품목허가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에서 판매승인 권고를 획득한 상태다. 조만간 최종 판매 허가를 획득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국내 품목허가는 지난해 5월 승인 받았다. 셀트리온은 국제약품과 아이덴젤트 국내 독점 판권 계약을 맺어, 국내에서는 국제약품이 유통 및 판매 등을 맡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과 유럽, 한국에서 아일리아 시밀러 '오퓨비즈(SB15)'에 대한 보건당국 허가를 모두 완료했다. 현재 시장진출 속도가 가장 빠르다. 미국 FDA와 유럽 EMA로부터 각각 지난해 5월과 11월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국내 식약처 품목허가도 지난해 2월 획득 완료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삼일제약과 아일리아 시밀러 '아필리부(SB15)'에 대한 국내 판권 계약을 맺었다. 삼일제약이 지난해 5월부터 국내에서 시밀러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알테오젠도 자체 개발한 아일리아 시밀러 'ALT-9'를 보유하고 있다. 자회사 알토스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지난해 5월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해외에서 오리지널 아일리아의 일부 특허기간은 아직 남아있다. 이 때문에 특허기간 만료를 앞두고 오리지널 개발사 리제네론이 특허권 방어를 위해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 시밀러 개발사에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소송 결과에 따라 해외 시장에서 아일리아 시밀러 출시가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3:13


모두가 아는 사실을 굳이 첨언하자면
마델Y와 마델3는 같은 샤시을 쓴다

즉 당장 내년부터 단일샤시로 무려 2백만대를 쏟아낼 수 있다는 사실 👀

테-맨🫡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Jan, 01:20


리비안 주가 급등

-4분기 생산과 인도 물량 가이던스 충족하며 24.5% 급등

-지난 1년간 지속되던 일부 부품 수급난 해소

트럼프 정책리스크를 너무 극단적으로 비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까요?

https://www.google.co.kr/amp/s/www.hankyung.com/amp/202501045143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3 Jan, 15:53


#삼천당제약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3 Jan, 15:52


https://m.blog.naver.com/jygood224/22371392835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3 Jan, 14:51


[기아 미국 12월 판매]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 전체: 73,303대(+21.6%YoY)
SUV: 55,753대, 비중: 76.1%
(+2.2%P YoY, +0.9%P MoM)

※ 모델별 데이터 (이하 %YoY)

EV9: 1,951대(+75%)
EV6: 2,111대(+69%)
K4/Forte: 11,911대(+24%)
K5: 5,639대(+16%)
Soul: 3,650대(+7%)
Niro: 1,792대(-27%)
Seltos: 3,737대(-16%)
Sportage: 15,427대(+39%)
Sorento: 9,432대(+22%)
Telluride: 12,488대(+32%)
Carnival: 5,165대(+43%)

※ 참고로 미국 주요 시장조사기관 3곳(JD, Cox, S&P)의 전망을 종합하면, 12월 미국 자동차 전체 소매판매는 flat~+3%YoY로 예상됨. 영업일수가 25일로 전년비 1일 감소함. 영업일 조정 기준은 +4~7%YoY, SAAR(연간계절조정)은 +4~7%YoY, flat~+4%MoM으로 양호함

※ 12월 자동차/전기차 판매량 및 인센티브 실제 수치는 한국시각 1월 4일 새벽에 발표될 예정.

자료출처: Kia America
채널링크: t.me/automirae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3 Jan, 14:04


#CES202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3 Jan, 14:02


CES 2025 미리보기
(kotra)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3 Jan, 13:57


리비안 4Q 실적 양호/시외 상승

Rivian’s Q4 2024 $RIVN

12,727 Vehicles Produced
14,183 Vehicles Delivered

* 테슬라4분기 50만대수준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21:44


https://youtu.be/ZF02ml0KI48?si=GEPykkelSoobIdPh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17:30


https://m.blog.naver.com/jhlimidea/22370713476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17:27


안녕하세요. 다가오는 2025년을 맞아 새로운 투자 스터디원을 모집합니다.

저희 PGR 광주 스터디는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투자가치가 있는 기업을 찾기 위해 함께 고민하고 공부하는 모임입니다.

저희 스터디원들은 각자 다양한 투자 철학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의 관점을 존중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있습니다. 특히, 서로 다른 생각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배우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각을 접하며 한층 더 깊이 있는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텔레그램을 통해 자주 소통하며 기업 이슈, 뉴스, 관심 종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고, 오프라인 모임에서는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통해 더욱 풍부한 인사이트를 얻고 있습니다.

모임은 매달 한 번, 화요일 저녁 7시에 광주 상무지구에서 진행되며, 발표는 2개월에 한 번씩 돌아가며 준비합니다.
(시간과 장소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번 모집에서는 1~3명의 새로운 스터디원을 맞이하고자 합니다. 지원을 원하시는 분께서는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간단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주세요^^

1. 본인의 이름, 나이, 성별, 직업, 연락처, 업무 내용 등 간략한 자기소개
2. 본인의 투자 철학이나 강점, 주력으로 다루는 섹터
3. 이전 스터디 경험이나 최근 관심 종목에 대한 분석 자료 (최대 3개)

자료가 없으시더라도, 최근 투자 시 고려했던 아이디어를 간략히 작성해 주시면 충분합니다.
지원서는 [email protected] 으로 보내주시면 되며, 모집은 2025년 1월 5일까지 진행됩니다.
합격자 분들께는 1월 중순에 개별적으로 연락드릴 예정입니다.

변화무쌍한 시장 속에서도 함께 투자 가치가 있는 기업을 발굴하며 성장해 나가고 싶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을 기다리겠습니다. 추가적인 문의 사항은 위 이메일로 편하게 보내주세요.

올 한 해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뜻깊은 연말 되시기를 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vilab/26021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8:52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535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8:38


#삼천당제약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8:16


[컨콜노트] 에이피알, 3분기 실적의 의미는?

3분기는 화장품과 디바이스 중심 고성장했고 4분기가 제일 성수기인데 3분기도 좋았던 것이 의미가 있음

4분기는 성수기로 이번에도 좋은 성적을 기대하고 있음

내년에도 미국, 일본, B2B 중심으로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신제품 출시 등도 있을 것

👉 전문보기
https://me2.do/GL8JYwqe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8:16


[속보] 한덕수 "국회 결정 존중, 직무정지하고 헌재 결정 기다릴 것"

https://www.dailian.co.kr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6:32


형들 지원사격해줘
좌우를 떠나서 같은 편이야

https://youtu.be/I6b6mi8JouY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6:31


[주주연대 공지] [회사 답변]삼천당제약핵심사업진행현황공유및소통강화요청 https://conduit.page.link/Ws97QZ3XuYjrigvw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6:30


일본 Zepbound 생산 & 판매

https://www.mt-pharma.co.jp/e/news/assets/pdf/e_MTPC241227.pdf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5:28


오우 환율 진짜 피크아웃..?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4:59


FEAR: 전일 대비 3.7 하락한 39.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4:53


지금 환율이 주식시장에 더 치명적인 이유


한국 기업부채
- 2,743조원 (가계부채 2,248조원)
- 2018년 이후 기업부채는 1,036조원 증가.
- EU 국가들을 제외하면 경제규모 대비 기업부채 1위는 중국, 2위 한국

* 이미지 클릭해서 보세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Dec, 04:53


메이저 지지와 저항구간 네 편이 내 편이 되는 순간인데, 미국 고용량까지 뚫는다가 합리적 바비스모 최근 올라온다는데 아일리아 고용량 시밀러 침투가 가능하다면?
이미 보편적이고 황반변성 데이터 우위인 아일리아 1-2개월 바비스모 4개월 아일리아 고용량 5개월 합리적인 추정을 믿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6:08


인버스 사랄 때 샀으면 이득이었는데 이제는 롱콜인가?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5:57


이재명 더민주 대표 블룸버그 TV 인터뷰 속보 간단 요약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 이번주에 탄핵안을 통과시키기 어려울 것 같다
- 윤대통령은 결국 탄핵될 것

- 상법개정안은 이번에 통과될 것
- 투자자들은 한국 경제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한국 주식들을 저가에 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 공매도는 필요한 시스템이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5:57


선물을 한방에 2500계약을 매도한다? 흔한경우가 아닌데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5:57


위클리 옵션 만기일에 가짜찌라시 뿌리고~ 지수를 급락시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5:02


[컨콜노트] 에코프로비엠, 캐즘 구간을 벗어나는 중

3분기 실적은 안 좋았고 4분기도 플랫할 것으로 보이며 긍정적인 것은 재고자산평가이익 가능성 있음

25년은 Q 측면에서 보면 23년 수준 물량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중장기 방향으로 인도네시아 법인을 준비하고 있으며 절감 효과로 신규 고객사 확보에 용이할 것

👉 전문보기
https://me2.do/GkRttXM2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5:02


https://www.thearmchairtrader.com/uk-equities/imperial-brands-share-price-forecast-analysis-2025-ftse/

In addition to that Imperial Brands’ reliance on Chinese manufacturers for NGPs reflects its lack of R&D capabilities and urgency to launch products quickly. This shortcut approach leaves Imperial at a disadvantage compared to PMI and BAT [LON: BATS] which have invested heavily in building R&D and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s,” said Orwa Mohamad, an analyst with independent research house Third Bridge.

그 외에도 Imperial Brands가 NGP를 위해 중국 제조업체에 의존하는 것은 R&D 역량이 부족하고 제품을 신속하게 출시해야 하는 시급성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지름길은 R&D 구축과 경쟁 우위 확보에 막대한 투자를 해온 PMI와 BAT에 비해 임페리얼을 불리하게 만든다"고 독립 리서치 회사인 Third Bridge의 애널리스트 Orwa Mohamad는 말했다.

해외 리서치기관에서 IMB(임페리얼 브랜드)가 중국외 제조업체가 없는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JTI(재팬토바코)도 같은 상황입니다. 글로벌 담배회사에 진입이 가능한 제조사는 SMOORE, CFU, BYD, 이엠텍 전세계 4개회사이며 탈중국이 가능한 제조사는 이엠텍뿐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4:31


--요약--

이엠텍의 설명에 의하면 2년전부터 odm(이엠텍제품)을 논의하고 있는 글로벌사가 있고 그보다 먼저 oem제품을 먼저 시작하려는 담배회사가 있다고 합니다. 그 고객사는 JTI 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JTI로 추정하는 근거는 이렇습니다

JTI는 현재 시판중인 ploom x 의 출시국가를 확대중(26년까지 16개국 출시국가 확대, 현재 24개국->40개국)

JTI의 신제품 출시주기는 2~3년이고 ploom x 의 출시일이 21년 이므로 25년엔 새로운 제품이 나올 시기

JTI가 글로벌 3위 기업이긴 하지만 NGP사업전환에 대한 의지는 2위 기업인 BAT보다 훨씬 높아 보입니다. 이엠텍이 JTI를 고객사로 확보하는 것은 의미가 클것으로 생각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4:02


[컨콜노트] 삼성SDI, 내년은 수요와 수익성 모두 개선

4분기는 중대형 전지 중심으로 매출이 플랫할 것으로 보고 있음

ESS는 3분기도 좋지만 4분기에도 좋을 것으로 보이며 내년에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임

46파이는 모빌리티 공급을 내년초 할 예정이며 유럽 CO2 규제로 인해 내년 당사 수혜가 예상됨

👉 전문보기
https://me2.do/xLW77ouR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3:58


경구용 GLP-1 비만약 경쟁…시장 판도 바꿀 '게임체인저'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page=1&idx=25562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3:4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55780i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3:47


[한국일보] 비상계엄 끝내 옳았다는 尹 "자유민주 파괴 세력에 대한 결단"
http://hankookilbo.com/News/Read/A2024120509130003632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0:56


https://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2/05/2024120590041.html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0:36


삼성 조현렬


2차전지 (NEUTRAL)

(EV Pulse) 11월 미국 전기차 판매 - 연말 프로모션 효과


• 11월 미국 전기차 판매는 14.2만 대(+12%YoY)를 기록. 영업일 수가 전년 대비 1일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영업일 수 1일당 판매는 +7%YoY 수준.

• 시장 점유율 관점에선 전년 대비 신차 라인업이 두터운 GM과 Honda의 상승이 지속되었으며 Ford도 일부 회복. 반면 Tesla 및 VW Group은 감소세 지속.

• 연말 재고 소진 위한 완성차업체의 프로모션 확대 기조는 12월까지 이어질 것. 그럼에도 신차 출시를 통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제고는 다소 제한적인 상황.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0:36


유안타 이안나


[2차전지]

2차전지 섹터 바닥 찾기


2025도 甲甲하다 – 1) EV 신차 출시 모델 수 감소

2025도 甲甲하다 – 2) 높은 정책 불확실성

2025도 甲甲하다 – 3) 원자재 가격 반등 제한적

그러나 포기하기 어려운 섹터, 바닥 잡기 필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0:35


EXTREME FEAR: 전일 대비 28.2 하락한 17.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0:35


[흥국 2차전지/신흥국 정진수] 12/5 (목)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더딘 수요 회복 속도

■ 4Q24 Preview: 더딘 수요 회복으로 고정비 부담
-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2,171억원(QoQ +2.7%, YoY -5.4%), 영업손실 52억 원(QoQ 적자축소, YoY 적자전환)을 예상
- 구리 가격 안정화로 인해 전분기 일회성 비용 요인이 제거됨에 따라 당기 영업손실은 큰 폭 축소될 전망
- 다만, 말레이시아 5공장 가동에도 불구 삼성SDI의 북미 JV 공장이 램프업 기간인 점을 감안 시 당기 매출 기여는 제한적이며, 가동률 하락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이 다소 반영될 것으로 판단

■ 유상증자는 불확실성 요인 제거 측면 긍정적으로 평가
- 11월 25일 동사는 1,790억 원 규모의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결정을 공시하였고, 이를 통해 스틱인베스트먼트(이하 스틱)가 보유한 LEMG 지분 전량(16.7%)을 확보하고 스틱에게 신주를 배정
- 사실상 지분 스왑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지분 희석 효과는 실질적으로 상쇄될 전망이며, 약 5% 할증된 프리미엄 증자였다는 점과 스틱의 LEMG 엑시트 불확실성이 해소되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
- 스틱은 동사와 오랜 시간을 함께 해온 투자자로 재무적 관계 이상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으며, 향후 이차전지 산업 및 회사의 성장성을 고려하면 엑시트 이슈를 논하기에 비교적 이른 시점으로 판단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0,000원 하향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30,000원으로 하향
- 25년 EBITDA 전망을 종전 대비 21.8% 하향하였으며, Target multiple을 최근 1년 평균 대비 20% 할인 적용
- 저평가 국면이 지속되고 있으나, 향후 하이엔드 동박 중심의 제품 믹스 개선을 통해 저평가 해소 기대감을 높일 전망

참조: https://vo.la/krXigl

흥국증권 2차전지/신흥국 담당 정진수 (02-6742-3577)

●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5 Dec, 00:34


'경구용' GLP-1 비만약 시장 선점 경쟁…임상3상 진입 후보 4개 주목
- 글로벌데이터, "경구용 GLP-1 시장 2030년까지 1260억달러 전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14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5:32


에코프로비엠 30년 71만톤 케파 목표, 코스모신소재 30년 30만톤 케파 목표.
케파차이에 비해 시총차이는 13조와 2조로 6배 이상의 차이가 벌어짐.

이쯤되면 코스모신소재는 트럼프 리스크를 반영한 정도를 넘어 북한이 미사일 쏴서 공장 박살낸 리스크를 반영한거 아닐지.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5:19


https://m.blog.naver.com/gomanwin/223616282351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4:24


트럼프의 IRA 개정 내년 하반기 후반에나 가능할 것

트럼프정부가 가장 시급하게 처리할 법안은 IRA가 아닙니다. 2017년 1기때 통과시킨 Tax Cut Jobs Act(TCJA)입니다. 세금감면이 2025년말부터 종료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이 법안은 예산조정 절차로 통과시킨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인수팀에서 나오는 얘기로는 TCJA와 IRA 수정을 묶어서 예산조정 절차로 처리하겠다는 움직임입니다. 법안 개별로는 처리 못합니다. 다수당만 되면 통과시킬수 있는 예산조정 제도는 세입, 세출, 부채한도 각 1항목당 1년에 한번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TCJA와 IRA는 세입, 세출에 다 해당되죠. 결국 행정부보다 공화당 상하원이 얼마나 빨리 움직여주냐의 문제입니다

공화당 하원의장은 트럼프 딸랑이지만 IRA 전면 폐지에 반대한다고 서명한바 있고, 상원의장은 친트럼프도 아니고 풍력 등 재생에너지 옹호론자입니다

IRA의 수정이 된다해도 2025년 한 해를 거의 다 소진할수 있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4:2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391190?sid=10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4:22


4대그룹 사장단 "상법 개정안 반대 긴급 성명 전문
https://m.blog.naver.com/cy2863/223668129961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0:35


FEAR: 전일 대비 3.5 상승한 31.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0:35


엔터
- 미국으로 수출은 증가하고 있는데, 트럼프가 딱히 관심 없는 분야 (트럼프의 관심은 제조업에 집중). 관심이 없으므로, 딱히 괴롭히지 않을 분야
- 혹시 괴롭히더라도...어떻게 괴롭혀야 할지 애매한 섹터.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0:35


CATL은 2025년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출시할 예정이나, 대량 생산은 2027년 이전에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 미디어 플랫폼 카뉴스차이나(Car News China)는 "이 배터리의 첫 번째 셀이 잠재 고객의 테스트 및 벤치마킹 용도로 제공될 것"이라고 전했다.

http://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16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0:10


https://news.dealsit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989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0:02


구리, 리튬, 배터리 중국발 가격 하방 다지기

https://vo.la/wmSkKM

중국 재활용 구리 및 알루미늄 수입범위 확대: 중국 생태환경부 등은 지난 10월 <재활용 구리 및 알루미늄 원료 수입 관리 표준화 고시>를 발표, 11월 15일부터 시행됨. 일정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재활용 구리 및 알루미늄 원료는 고형 폐기물로 취급되지 않으며 자유롭게 수입 가능해짐, 대신 함량 검사 강도 및 수입 관세 적용이 세분화 됨.

수산화리튬 반등: 중국에서 수산화리튬 가격 반등세 관찰됨. 주된 요인은 ① 연초 이미 생산원가 수준까지 내려온 가격으로 공급자들이 생산을 조금씩 줄여왔고, 주요 생산기업들의 점유율이 올라와 공급자 협상력이 커짐. ② 현물가격 반등으로 업스트림 공급자들의 장기계약 파기 움직임이 나타남. 리튬 재고도 다운스트림보다 업스트림에 분포되어 있는 상황이라 협상력 우위. ③ 현 스프레드 수준에서는 공정이 더 복잡한 수산화리튬보다 탄산리튬 마진이 더 높아 리튬 생산자들이 수산화리튬보다 탄산리튬 생산 선호.

중국 알루미늄/구리 반제품 수출세 환급 취소 & 배터리 수출세 환급 축소: 11월 15일, 중국 재무부 및 세무총국은 12월 1일부터 수출세 환급 취소 또는 축소에 해당 되는 품목을 발표함. 구리 반제품(구리 합금, 판, 선, 시트, 박) 및 알루미늄 반제품은 수출세 환급이 취소됨. 일차전지(망간, 알칼리 배터리 등), 리튬이온전지, 태양광전지 등은 수출세 환급률이 13% → 9%로 인하됨.

중국의 구리 확보 노력: 11월 중국이 민간 기업들에게도 구리 제련 사업을 개방할 것이라는 소식이 있음. 10월에는 재활용 국유기업을 공식 출범하고 재활용 구리 캐파 확대 목표를 밝힘. 글로벌 구리 정광 쇼티지가 지속되고 TC도 급락한 상황, 중국의 구리 자원 확보 노력 일환으로 해석됨.

수출세 환급 축소에 따른 중국 수출 감소 기대: 중국 구리제품은 주로 동남아시아로 수출되는데, 가공수수료도 생산비용 수준까지 내려온 상황에서 환급세 취소로 기업들의 부담 더욱 증가함. 한국, 대만 구리 가공 기업들의 반사 수혜 기대. 배터리 역시 중국 내 과잉 용량 문제가 제기 되어 온지 오래. 환급 낮춤으로써 보조금 재정 부담 축소 & 기술력 위주의 건전한 발전 촉진 의도.

구리, 리튬, 배터리 P 하방 다지기 기대: 구리, 리튬, 배터리 모두 수요 우려는 계속되는 중. 다만, 적어도 P의 하방은 다져지고 있다는 기대가 생겨나고 있음. 1) 풍산: 11/20 +2.12% 상승 마감. 4Q24 낮은 컨센서스 형성되어 있으나 방산 부문 수출 납기 집중으로 환율 수혜 & 신동 부문 가공수수료 중국발 수혜 기대 가능. 2) 이차전지 및 리튬: 11/20 LG에너지솔루션 +1.78%, POSCO홀딩스 +1.37% 상승 마감. 4Q24 컨센서스도 추가 조정 가능성 높지만 이후 P 하락세 일단락, Q 가이던스 제시로 불확실성 해소 가능.

⭐️https://t.me/steelhoesoo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1 Nov, 00:02


노보노디스크가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해 한국을 찾았습니다.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 이하 노보)는 초기부터 3상까지 임상 단계를 구별하지 않고, 당뇨병·비만·심혈관계질환 영역에서 추가적인 파트너십을 찾고 있습니다."

칼빈 첸(Calvin Chen) 노보 글로벌 발굴·평가(Global Search·Evaluation) 총괄은 20일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 제약바이오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위크'에서 '노보노디스크와의 파트너십(Partnering with Novo Nordisk)'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첸 총괄은 각 질환에서 노보가 주목하고 있는 애셋(Asset)에 대해 공유했는데요. 비만의 경우 에너지 섭취를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애셋에 집중하고 있는데요. 특히 '위고비(Wegovy, 성분 세마글루타이드)'는 '체지방'뿐만 아니라 '제지방'도 감소하는데, 근육량을 보존하거나 더 나아가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첸 총괄은 "노보는 자사의 파이프라인 50% 이상을 외부 파트너십에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작년에만 100개 이상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27개의 글로벌 거래를 진행했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73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23:2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34409?sid=101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13:57


Ford, 전기차 전환에 대한 어려움과 경쟁 심화를 이유로 유럽 일자리의 14% 감원 예정. 14%는 약 4천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

올해 9월까지 Ford의 유럽 내 판매량은 17.9% 감소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ford-cut-14-european-jobs-blaming-ev-shift-rising-competition-2024-11-2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12:48


"테슬라 게섰거라"…현대차, 대형 전기SUV 북미 공략
출처 : 매일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Gwpy1pCd


- 아이오닉9 최초공개

- EV3, 타스만, EV9GT 도 공개

- 북미 투입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타스만을 공개하네요. 최근 현대차는 GM과 픽업트럭 공동개발이 진행되는 분위기입니다.

- 현대차그룹은 미국 M/S 12%를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에, 픽업 라인업이 앞으로는 계속 언급될 수 있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11:12


미국채금리가 10월부터 계속 올라와서 바이오섹터가 좀 주춤하긴했지만

그래도 바이오는 금리인하구간에선 언제든 다시 주도섹터로 복귀가능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08:25


[미래에셋 김철중] 2차전지 2025년 연간 전망
 
[위기회(危機會)]
 
■ 2차전지 투자 요약: 위기회(危機會)

- 미국 대선 결과는 한국 2차전지 섹터에 부정적임은 분명하나, 당사는이미 섹터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는 제한적이라고 판단. ‘예산안 조정’을 통한 EV 보조금 및 AMPC 축소도 상/하원의 동의가 필요한 시스템이므로 오랜 기간의 합의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 단기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주가 변동은 유효하나, 실제로 업황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확인이 필요. 특히, AMPC의 폐지는 공화당 내부 뿐만아니라 기 투자된 글로벌/미국 업체들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
 
- Tesla(4680), LFP 사업 확장 여부, 대 중국 관세 수혜 여부 등 감안하여 Top Pick을 선정. Top picks는 LG에너지솔루션(목표주가 51만원), 엘앤에프(목표주가 15만원), CATL(목표주가 380위안).

- 차세대 소재(최유진 연구위원)에서는 대주전자재료, 배터리 장비(박준서 연구위원)에서는 피엔티를 추천.

- 어려운 구간이 지속되고 있지만, 25년 중적자생존 구간이 마무리되며 선발업체 중심의 시장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판단.
 
■ 수요 전망: EV/ESS

- 당사는 최근의 극단적인 우려에도 25년 긍정적인 글로벌 EV 수요 전망을 제시. 25년 글로벌 EV 판매량은 2,017만대(+19% YoY), 시장 별로 중국 +13% YoY, 유럽 +26% YoY, 북미 +30% YoY, 기타 +32%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당사는 1)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 변화 통과되더라도 25년 중 시작되기 어렵다고 판단하며, 보조금 불확실성은 오히려 수요의 Pull-in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2) 금리 민감도가 높은 미국 시장 특성상오토론 금리 하락도 수요에 긍정적 요인이며, 3) Tesla의 신규 세그먼트EV 출시도 기대.

- 글로벌 EV 배터리 수요는 1,088Gwh(+28%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산업 평균 성장률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영역은 1) 유럽LFP(+63%), 2) 기타 시장 LFP(+50% YoY), 3) 북미 하이니켈(+45% YoY).
 
- 글로벌 하이니켈 배터리는 24년 성장이 없었던 유럽 시장의 25년 수요회복(유럽 하이니켈 +33% YoY)에 따라 +31%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LFP 배터리의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는 중, 25년은 하이니켈 배터리의 반격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
 
■ 판가 전망: 25년 상반기 바닥
 
- 25년 상반기 판가는 안정화될 것으로 판단. 지난 2년 정책 불확실성 확대로 리튬 등 공급과잉이 심했던 영역에서부터의 후발주자 중심 공급축소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배터리 셀을 포함한 주요 소재 제품군의 판가는 1H25 바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
 
- 25년 핵심 Keyword는 Tesla. 25년 Tesla의 EV 수요 증가율은 +26%로 시장 전체 성장률(+19%)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25년부터 Tesla 내하이니켈 배터리 수요 증가율(+65%)이 LFP 배터리 수요 증가율(+24%)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 대당 배터리 탑재량 100Kwh 수준의 사이버트럭 판매량이 Key Factor.
 
■ 보호무역주의: 역내 생산
 
- 보호무역주의라는 Keyword에서는 1) 미국의 대 중국 관세 인상 여부(동박/분리막 수혜 예상), 2) 인도 정부의 Tesla 투자 유치에 주목. 보호무역주의 확대는 한국 배터리 밸류체인에 중립 이상의 긍정적인 영향을줄 것으로 판단.
 
보고서: https://han.gl/rYbxT
t.me/cjdbj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06:25


★ GM과의 픽업트럭 협력, 올 것이 왔다

지난 9월에 현대차와 GM은 전 사업 영역에서 포괄적 협업 MOU를 체결했으며, 픽업트럭 공동개발은 여기서 한단계 구체화된 상태

픽업트럭은 수입의 경우 약 25%의 관세가 부과대상인데, 현지 양산을 하게 될 경우 이를 피해갈 수 있고, Full-Size 픽업트럭 양산 및 개발경험이 없는 현대차 입장에서는 GM과 공동 개발시 기회비용 측면에서 큰 이득을 보게 됨

금번을 계기로 협업사례가 커질 수 있다는 판단. 특히 엔진 및 변속기를 제외한 자동차 부품 대부분의 영역에서 공급이 가능한 현대모비스의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현재 대부분의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들은 EV사업 자체가 대부분 적자상태. 반대로 현대차/기아의 경우 이미 전기차 생산/판매 마진이 미드싱글~하이싱글을 기록하고 있어, 밸류체인의 핵심인 현대모비스의 사업가치가 크게 돋보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됨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https://url.kr/bv7q5d>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0 Nov, 06:25


SNE리서치 "이차전지 전해액 수요, 2035년 446만톤까지 증가"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에서 전해액 수요가 올해 약 142만톤에서 2035년 446 톤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20일 이차전지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해액 기술동향과 시장전망' 리포트에 따르면, 배터리 생산에 사용되는 전해액 수요는 올해 142만톤에서 2035년 446만톤으로 약 300만톤 이상의 추가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약 11%에 해당하는 수치다.

.....

국내는 전해액을 양산 공급하고 있는 동화일렉트로라이트와 솔브레인, 엔켐 등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과 동반해 전해액 공급업체로써 같이 성장했다. 일본은 Misubishi Chemical과 UBE의 전해액 사업부문을 통합한 MU Ionic Solutions(MUIS)가 주로 파나소닉과 같은 일본 이차전지 업체를 고객으로 납품량을 늘리고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현재 전기차 캐즘 등 전방산업 악화와 미국 등 대외정책의 영향,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과잉공급 등 현재 시장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소가 존재하지만 전동화 전환의 흐름과 에너지저장장치 등 어플리케이션의 확대에 따라 전해액 시장 역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1705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13:10


📩현대차 美 조지아 공장, 세제 혜택 못 받는다

내년 초 준공을 앞둔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인 메타플랜트(HMGMA)가 미 정부로부터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 데 최종 실패했다.

현대차 측은 미 정부로부터 부정적인 의견을 받은 후 내부적으로 세액공제가 어렵다고 판단해 신청을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는 7조 원 이상을 현지에 투자하고도 조 바이든 정부에서 수혜 대상이 되지 못한 채 관세 폭탄과 각종 보조금 축소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트럼프 2기’를 맞이하게 됐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이 받지 못한 인센티브 규모를 4600억~4800억 원 정도로 추산한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DGTDWO6HH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13:09


🇰🇷🇺🇸 한국 트레이더들은 현재 미국 주식을 1,000억 달러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13:07


테슬라와 LG엔솔 소재별 진짜 공급망 분석 및 개별기업 코멘트 요약 (선대인 TV)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65790020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10:12


📩[단독] 삼성SDI·스텔란티스 美 합작공장서 유물이?

삼성SDI와 스텔란티스가 두 번째 합작공장인 스타플러스에너지 2공장을 짓던 중 현장에서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 측은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막아놓은 것 뿐이라고 했으나, 유물이 나왔다면 공장 건설 일정에 일정 수준 차질이 불가피하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111202109932049002&ref=naver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9:56


https://www.youtube.com/live/Rx2N0ccYS4I?si=69FFFV8TrxX9zS9n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9:28


[신뢰 - 실적컨퍼런스콜 기반 에이피알 리포트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금일 외사 증권사와 다수의 국내증권사에서 에이피알에 대한 긍정적인 리포트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만약 이번 분기 실적발표를 기존처럼 비공개IR로 진행하고 어제 IR진행중 주가가 상승하였다면 일반 개인들은 "리포트 쓰기전에 비공개 IR들은 기관들이나 일부 네트웍 좋은 개인들이 먼저 사서 올리고 리포트 작성했네!" , "공평하게 오픈되어야 할 기업의 분기실적 내용을 왜 발표날에 못사고 주가가 오른뒤에 다음날 뒤늦게 살 수 밖에 없나?"등의 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았을겁니다.

보통 그래서 다른기업들도 비공개 IR이후 좋은 리포트에도 불구하고 저러한 심리로 셀온이 나오는 케이스가 많았는데 이번 에이피알의 경우는 회사에 관심과 애정이 있었다면 일반 개인도 "전혀 눈치보지 않고" 직접 실적 컨퍼런스콜을 참여하여 들을 수 있었고 내용을 들으면서 좋았다고 판단이 되었다면 장중에 충분히 매수를 할 수 있는 상황이였습니다.

신뢰라는 측면에서 어제 에이피알은 투자자들에게 많은 신뢰를 심어주었고 이러한 점은 실적발표후나 긍정적인 이슈가 생겼을 때 단순히 셀온등으로 단기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작용할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모쪼록 금일도 좋은 결과 있으면 하는게 가장 큰 바램이며, 블프가 포함된 4Q가 1년중 최성수기인 만큼 앞으로도 쭈욱 화이팅입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9:28


[에이피알 3Q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오디오 웹캐스팅 후기]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금일 1시간을 알차게 꽉 채운 공개IR로 진행된 에이피알 3Q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방금 다 들었습니다.

✔️ 우선 금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약속대로 공개로 직접 진행해주신 CFO 신재하 부대표님과 IR팀장님, 팀원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일개 보잘것 없는 개인투자자가 회사에 조심스레 건의했던 부분을 무시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귀기울여주신 에이피알이 기존 국내 상장사들과는 확실히 다르고 혁신적인 기업이라는 반증이라 생각하며 개인적으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중에 하나가 해소되는 날이라 정말 감격스러운 하루입니다.

금투세처럼 불평 불만만하는게 아니라 개인도 행동하면 결국 조금씩이라도 긍정적으로 바뀝니다.

✔️ 오늘 시장이 쉽지않았고 단순 잠정실적 공시만으론 주가에 긍정적이지 않았을거 같은데 회사의 적극적인 시장소통의 결과로 오늘 주가에도 즉각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을거라 생각합니다.

✔️ 주가와는 별개로 다른 기업들도 이제 에이피알의 모범적인 사례를 보고 자극을 많이 받아서 최소한 실적발표 만큼은 비공개IR말고 공개IR을 진행하는 회사들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제품을 정말 잘쓰고 있는 소비자로써 또한 에이피알을 좋게보는 투자자로써도 항상 감사드리며 에이피알의 성장뿐만 정보비대칭성을 금일처럼 없애주고 주주환원을 하며 모범적인 기업의 선두주자로써 지금처럼 지속성장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보기에도 매력적인 테크를 품은 글로벌 뷰티기업이 되기를 간절히 기원하겠습니다!🙏🏻

+
3Q 비용은 역시나 블프 물량을 위해 재고를 미리 현지에 쌓기 위해 수출물량이 많이 늘어나서 늘어난 운임비 영향이 크네요.
더불어 블프 스케쥴을 맞추기 위해 일부 물량은 배보다는 운임이 비싼 항공 운반을 한 부분도(대충 항공운임으로 인해 20억정도 증가) 있다고 소통하였습니다.
(스케쥴을 맞추기 위해서 일부 물량은 배보다 운임이 비싼 항공 운반을 했다는 내용은 기존 에이피알 탐방 영상에서도 부대표님께서 직접 언급을 해주셨던 부분입니다.)

이부분은 3Q에 반영이 선제적으로 되었고 4Q에서는 그 부담이 적기때문에 op도 양호하게 나올걸로 기대됩니다.
(블프때 판매되는 물량은 3Q에 이미 상당부분 운임비를 지불하고 수출이 되었으므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8:39


LG에너지솔루션 모건스탠리

탑픽 유지

작성: 탐방왕(https://t.me/tambangwang)

미국 대선 결과가 정책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단기 이벤트가 될 것으로 전망.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의 CO2 배출 규제와 미국 IRA 관련 정책 리스크로 주가 변동성을 겪었으나, 주요 IRA 폐지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으며, 대선이 단기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요 배터리 업체들이 투자 감축과 생산 연기 계획을 발표하며 공급 조정이 진행되고 있음. 특히 여러 경쟁사들의 재정 악화 속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주요 계약에서 우선권을 얻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LG에너지솔루션의 보수적 가이던스로 인해 최근 컨센서스가 하향 조정되었으며, 이는 3-6개월 전보다 합리적인 시장 기대치로 평가됨. 업계의 변곡점에서 추가적인 하향 조정 가능성은 있지만, 하방 리스크는 많이 축소된 상태임

추가로, 미국의 중국산 ESS 배터리에 대한 관세 강화 가능성도 ESS 사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7:30


회사에 확인해본 결과 IMS베트남 공장에 9월 반입된 ELECTRIC HEATING RESISTOR 39.3만개 / silicon heater top 28.5만개는 새로운 전자담배제품 대량양산의 초도물량 인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7:28


[최종 결과]미국 공화당 하원까지

219석 (과반수 218석)으로

대통령 당선 + 상원 과반수 확보 + 하원 과반수 확보

트리플 크라운 달성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7:26


FEAR: 전일 대비 7.7 하락한 21.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7:26


📩 [단독] 대주전자재료, 印 최대 배터리소재 기업과 흑연 실리콘 음극재 개발·공급계약

11일 EAM에 따르면 EAM과 대주전자재료는 최근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에 쓰이는 흑연이 풍부한 실리콘 음극재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일본 화학 전문 종합상사 '나가세산업'도 양사를 지원키로 했다.
 
EAM과 대주전자재료는 450~600mAh/g 용량 수준의 실리콘산화물(SiOx) 방식 기반 흑연-실리콘 복합 음극재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새로운 실리콘 음극재를 통해 방전 용량이 50% 증가하고 배터리 수명이 수천 번 더 충전할 수 있을 만큼 늘어날 것이라고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961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6:35


코스닥 역대 하락 종목수 2위. 시황맨

현재 코스닥 하락 종목수는 1,500개 정도되는데.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기록입니다.

1위는 지난 8월 5일. 1,609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6:31


레드 스윕이면 IRA 폐지?

그럴 가능성 매우 낮습니다

대통령이 바뀌는 선거에서는 통상 레드, 블루 스윕이 일어납니다. 만약 상하원 다수당의 집권당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다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입니다

스윕을 해도 독단으로 법안을 처리하려면 상원 60석 이상을 차지해야합니다. 반대당이 필리버스터로 상정을 막을수 있으니까요

필리버스트의 부작용이 심해서 1974년 예산조정권이라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다수당만 되면 법안을 통과시킬수 있습니다. 다만 이 제도는 세입, 세출, 부채한도 각 한 항목당 1년에 한번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IRA도 예산조정권으로 통과되었습니다. 근데 대부분의 경제관련법안들이 위 세 항목에 복수이상으로 해당됩니다. 따라서 스윕을 한 집권당이 1년에 자의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세입, 세출 관련 법안은 1개입니다

트럼프가 IRA를 무력화 시키려면 일단 공화당 찬성이 민주당 반대표를 상회하고, 다른 법안들을 뒷전으로 해야 합니다. 아시다시피, 이미 공화당 18명과 하원의장까지 IRA 폐지에 반대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의 가장 시급한 법은 그가 2017년 예산조정권으로 통과시킨 TAX Cut and American Jobs Act입니다. 감면 만기년도가 2026년이기 때문입니다. 국경, 무역 등 그 외에도 통과시키고 싶은 법들이 많겠죠

오바마가 첫 대통령이 되었을때 블루 스윕이었고, 친민주당 무소속 포함해서 민주당 상원이 60석이었습니다. 기세등등한 오바마정부는 연방 정부 탄소배출거래제도 입법화를 시도했습니다. 물론 실패했죠. 탄소다배출 산업을 보유한 민주당 일부 주의원들이 반대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2년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에 참패했습니다

미국 집권당은 첫 대선 이후 2년 뒤 열리는 중간선거에서 어김없이 패배했습니다. 911 후 테러와의 전쟁구간이던 부시의 2002년만 예외였습니다

트럼프 우려가 한국증시 전체에 지나치게 과도합니다

미국의 균형 잡힌 사회, 법적, 경제 시스템보다 트럼프의 입에만 귀를 기울이기 때문입니다

오바마부터 바이든까지. 신임 정부에 대한 우려와 기대는 항상 주가에 반대로 반영되어 왔습니다. 초기의 변동성만 잘 견디면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4:45


셀트리온 "트럼프 정부, 바이오시밀러·CDMO 기회 확대될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13044

트럼프 정부가 바이오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 사용을 장려하고, 약가 인하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긍정적 영향

'생물보안법'이 특정 국가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할 것으로 보여, 한국 등 다른 국가에서 CDMO 공급 다변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4:43


전세계 사람들은 이제 약을 맞으려면 한국에게 로열티를 지불해야하는 시대가 올거라네요.

키트루다, 엔허투, 젭바운드의 매출 로열티를 알테오젠과 펩트론이 받게 되는 날이 올테니까요.

또한 최대 바이오 생산기지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역할을 하겠습니다. 한국 바이오는 이제 변방이 아닙니다.

변방에서 중심으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12 Nov, 03:59


[키움 허혜민] 위고비 얼마나 맞았나?

노보의 본사가 있는 덴마크.

덴마크 인구의 1.64%가 위고비 투약

덴마크 수치를 미국에 적용하면, 위고비 투약 미국인은 549만 명 되지만 실제 수치는 100만 명에 약간 못 미침

출처: Kim Nielsen

1.64%면 생각보다 아직 적은 듯..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12:55


코스닥: 2년 연속 부진했던 사례는 없습니다.
금투세만 유예/폐지된다면, 연말연초는 코스닥입니다.

자료는 연간전망 참고 (https://bit.ly/4fmM9hi)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12:54


[컨콜노트-전체공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25년부터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 기대"

24년 3분기 매출액 유럽 시장 판매 부진으로 매출액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함. 당기순이익은 해외 자회사 환율 변동에 따른 차익금 환산으로 흑자 유지했음

24년 4분기까지 유럽 시장 판매는 크게 늘지 않겠으나, 북미 조인트 벤처 공장 양산 시작으로 신규 공급 시작될 것임. 25년부터는 양산 본격화 및 글로벌 OEM향 직납도 추가로 될 예정임

4680 원통형 셀의 경우 업계에서 유일하게 하이엔드 동박으로 고객사 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일부는 퀄 테스트는 이미 통과, 나머지는 25년 상반기에 모든 퀄 테스트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전문보기
https://me2.do/IgJzbUj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10:37


[미래에셋 김철중] SK아이이테크놀로지 3Q24 실적 컨콜 요약
 
t.me/cjdbj
 
■ 3Q24 Review
 
- 매출액 507.62억원(-17.72% QoQ, -72.15% YoY), 영업이익-730.03억원(-24.42% QoQ, 적자전환 YoY)
 
1. 3Q 실적 분석 및 향후 전망
1) 사업별 매출 분석
- IT: 주요 고객사 수요 침체로 판매량 감소
- EV: 전방 수요 회복 지속 지연 중이나 북미 고객사 출하 개시 이후 판매량 확대
 
3) 향후 전망
- 신규 고객향 장기 공급 계약 체결, 기존 고객의 신규 프로젝트 진입을 통하여 25년 유의미한 판매 성장 달성 목표
- 신규 프로젝트 출하에 따른 가동률 일부 상승에도 재고 감축 전략 유지로 수익성 회복 제한적
- 재고 자산 평년 수준 회복시 낮은 가동률 유지 예정
 
■ Q&A
 
Q) 고객사 다변화 진행 현황
A) 포텐셜 고객 위주로 접근 중, 각각 유럽 및 중국 고객사. 최근 중국 셀 업체들은 중국 외 분리막 업체를 모색하고 있는 추세로 당사와 곧 협력의향서를 발표할 수 있을 것.
또한 국내 배터리 셀사와 유럽 및 북미향 물량 사전점검 완료하여 내년에 공급 관련 계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
 
Q) 25년 북미 고객사 판매 전망
A) 북미 핵심고객사와의 25년 물량 관련하여 7월부터 출하 중, 고객사에서 순조롭게 램프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물량 관련 논의를 진행했고 26년부터 타 차종으로도 공급을 확대하는 논의도 진행함.
 
Q) 사이트별 가동률
A) 상반기 대비 가동률은 다소 하락, 전반적으로 20~30% 수준 유지 중.
 
Q) 주요 고객 수요 전망
A) 캡티브 고객향: 내년 물량은 올해 대비 확대될 것으로 전망
국내 메이저향: 핵심 고객사 2곳과 공급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며, 그중 한 곳은 폴란드 공장 현장 생산 검증이 완료된 상태로 내년 하반기에 공급과 연결될 수 있을 것.
 
Q) 현재 재고 수준 현황
A) 적정 재고 수준 대비 2~3배 보유 중, 고객사들 재고 수준과 연동하여 관리 중이며 연말까지 점차적으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올해 말 또는 내년 상반기부터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Q) 재고 관련 일회성 비용 발생 가능성 여부
A) 연말에는 재고 뿐만 아니라 기타 자산에 대해서도 건전성 평가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일회성 비용이 상당량 발생할 것.
 
Q) 판가 전망
A) 최근 바닥을 지나는 중으로 판단되며 하방 압력은 적을 것. 지역별로 유럽은 공급과잉에 따른 판가 압력 잔존, 북미는 대선 영향에 따라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Q) 폴란드 페이즈2 가동 시점
A) 미국 고객사와 협의한 결과 고객사측은 유럽 물량을 미국에 공급하기를 요청하고 있어 내년 중반 정도 가동 시작할 것으로 전망.
 
Q) 올해 및 내년 Capex 전망
A) 폴란드 3, 4공장 투자금 약 2,000억대 중반 정도 집행 예정이며, 연간 정기적으로 100~200억 투자비 발생 예정, 25년은 24년 대비 40~45% 정도 집행될 것.
 
Q) 미국 진출 타임라인
A) 유럽 전략 투자 2,000억 중반, 25년 1,000억 집행 이후 추가 집행 예정인  없음. 이후에 북미 진출을 위한 투자 진행할 수 있을 것. 다만 정책 리스크 등 불확실성이 커 내년 상반기 이후 의사결정 가능할 것.
 
Q) 미국 대선 관련 대응 시나리오
A) 해리스 당선 경우, 북미 수요에 따라서 코팅 설비 건설을 준비 중이며, 유럽과 한국의 원단을 활용할 수 있을 것. 트럼프 당선 경우, IRA 유지가 어느정도 유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폐지가 되더라도 유럽과 한국 물량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9:05


※ 2024년 9월 미국 ESS 설치량

미국의 ESS설치 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2024년 9월 기준 YoY 43% 증가)이며 이러한 증가세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태양광 모듈이 그러했던 것과 같이, 미국의 ESS 수입규모는 관세(2026년부터 25% 예정)가 부과되기 전인 2025년 말까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025년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2026년 전까지 중국산 ESS 수입 증가는 수익을 추구하는 미국업체들 입장에서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로 인해 중국산 배터리를 구매하여 ESS시스템을 만드는 업체들이 물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 업체로는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여 베트남에서 ESS시스템을 만드는 서진시스템이 이러한 상황의 수혜를 가장 크게 볼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4년 9월 미국의 신규 ESS 설치량은 862MW로 전년동월대비 43%증가하였으며, 전월대비로는 -10%감소하였음.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의 누적 설치량은 6.8GW로 전년동기대비 59% 증가하였음.

ESS 산업적 측면에서 봤을 때, 미국은 2026년부터 ESS용 배터리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어, 관세 이전 미리 설치하고자 하는 수요가 강할 것이며, 이러한 기조는 2025년 3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임.

현재 Tesla의 Megapack 가격은 0.27달러/Wh이며, 중국업체들의 미국 수출가격 평균은 약 0.2달러/Wh로 중국산 ESS의 가격 메리트가 높음.

자료인용 : Soochow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산업 주간보고서” (2024. 11. 0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9:05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eunkim&logNo=223645297336&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7


LG엔솔이 벤츠에 공급한다는 46시리즈란 무엇?

이번 계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벤츠에 50.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으로, 공급 기간은 2028년부터 2038년까지 10년에 걸쳐 진행된다.

배터리의 셀 개수가 줄어들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부품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배터리의 제조 방식은 음극과 양극 소재를 긴 극판 형태로 만들어 원통형 구조에 말아 넣는 방식인데, 길고 복잡한 극판을 말아 넣는 과정에서 작은 오차라도 발생하면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제조의 어려움으로 인해 46 시리즈 배터리는 양산화 초기 단계에서 수율 관리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46 시리즈 배터리에는 ‘건식 전극’ 기술이 적용된다. 건식 전극은 기존의 습식 공정 대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양극재, 음극재 분말을 극판에 도포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상용화 초기 단계에서는 수율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출시를 지연했으며, 현재 일부 기업들에서도 음극에만 제한적으로 건식 전극을 적용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충북 오창에 위치한 공장에서 46시리즈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먼저 테슬라에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창 공장은 ‘마더 팩토리’ 역할을 수행하여 초기 생산성과 품질을 확보한 후, 기술과 설비를 미국 애리조나 공장으로 이식해 대규모 생산 체계를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벤츠와의 대규모 공급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애리조나 공장이 향후 46 시리즈 배터리의 글로벌 공급 거점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494259?sid=101&type=journalists&cds=news_edit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6


FEAR: 전일 대비 0.5 상승한 25.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5


노보노디스크가 GLP-1 블록버스터로, 이제는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영역으로 손을 뻗습니다. 2-3단계 간섬유화 MASH 환자에게서 주1회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가 간섬유화와 지방간염을 개선했네요.

이러한 소식은 바로 전날, 마드리갈 테라퓨틱스(Madrigal Pharmaceuticals)가 최초이자 유일한 MASH 치료제인 ‘레즈디프라(Rezdiffra)’의 깜짝 매출로 들뜬 분위기 속에서 전해졌습니다. 레즈디프라는 회사의 추정치나 시장의 예상치를 훨씬 넘어서, 올해 3분기 622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 소식 이후로 마드리가의 주가는 50% 이상 급등했네요.

한편으로 이번 세마글루타이드 임상3상 데이터 발표는 GLP-1이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오히려 시장에 먼저 출시된 레즈디프라에 대한 기대감을 강화하는 측면도 있어 보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7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4


감사합니다.

또 한명, 뒤에서 몸으로 뛰어주신 소형주투자자 형님 고생많으셨고 감사합니다 (아직 도장은 안찍혔지만...)

https://t.me/small_stock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4


금투세 폐지 언급날 가장 강했던건 바이오,
그다음 전력, 화장품, 2차전지 순이었네요.
이동네들 연속성 봐야겠습니다.

바이오 11월 학회일정
-월드 ADC_샌디에이고 (11/4~11/7)
-SITC 미국면역항암학회 (11/6~11/1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3


금일 섹터들 간단 생각 기록

강한 섹터

바이오&화장품
: 큰손, 선수형님들 주요 투자처

이차전지
: 금리인하 & 해리스 기대감?

AI 반도체
: AI 위주로만 강하게 오름

엔터&중국여행주
: 중국 무비자 허용으로 장초부터 상승

약한 섹터

방산&원전
: 탄핵정국 동력 상실 우려

금융/보험주
: 애초에 금투세 시행시 영향없는 섹터로 올랐었음.

증권
: 거래세 인하 오히려 주혜주였음.

조선
: 잘 모르겠음.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7:43


CLSA, 한국 화장품 부문 전망

잠재적 피크아웃 조짐 없음

높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한국 화장품 수출은 지속됩니다.

한국 화장품 수출은 2024년 10월에 전년 대비 +39% 증가하며 매우 강력한 성장을 보였습니다(중국 제외 시 전년 대비 +41%). 이는 2024년 1분기~3분기 동안 높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더욱 강력한 성과입니다. 시장의 둔화 우려와는 달리, 브랜드 특이 문제(COSRX 및 IFAMILYSC 등)일 수 있으나, 모든 상류 공급 업체는 전반적인 주문 흐름이 매우 강력하며 둔화 조짐이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코스맥스를 주요 추천 종목으로 유지합니다.

2024년 10월 한국 화장품 수출은 다시 한 번 강력한 성장(+39% YoY)

- 2024년 10월, 한국 화장품 수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38.7%로 강세를 보였으며, 이는 2024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한국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8% 증가하여 2021년 12월(2024년 1월 제외)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중국 외 시장으로의 한국 화장품 수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40.9%였습니다.
- 글로벌 시장에서의 K-뷰티 붐의 잠재적 둔화나 최고점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10월의 성장률은 2024년 1분기~3분기 동안의 33~34% 전년 동기 대비 성장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시장은 여전히 주요 성장 동력; 중국은 강력하게 반등

- 한국 화장품의 미국 수출은 2024년 10월에 전년 동기 대비 +59.1% 증가한 13억 3,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024년 1분기~3분기의 55~62%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과 유사했습니다. 한국 화장품 수출 둔화에 대한 시장의 가장 큰 우려는 미국 시장의 둔화 가능성이었습니다. 그러나 시장 컨센서스와 달리, 미국으로의 한국 화장품 수출은 여전히 강력했습니다.
- 한국 화장품의 중국 수출은 2024년 10월 전년 대비 +34.8% 성장하며, 낮은 기저로 인해 둔화된 성장에도 불구하고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중국의 약한 소비, 낮은 화장품 소비 및 다운 트레이딩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성장은 10월에 +34.8%의 전년 대비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중국 내 시장 환경이 약세이기 때문에 이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 신호인지 여부는 불확실합니다. 관련 기업의 가이던스를 기반으로 이 추세는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본, 유럽 및 동남아시아로의 한국 화장품 수출도 다시 강력해짐

- 2024년 10월, 일본, 유럽 및 동남아시아로의 한국 화장품 수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1%, +39%, +18%로 다시 강력한 성장을 보였습니다. 이는 2024년 1분기~3분기의 전년 동기 대비 17~27% 성장률에서 가속화된 것입니다. 일본, 유럽 및 동남아시아는 한국 화장품의 세 번째로 큰 시장이 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61% 성장했습니다.

코스맥스는 우리의 최우선 추천 종목이며, 콜마는 주요 추천 종목 중 하나입니다

- 2023년 하반기부터 K-뷰티 붐이 둔화하거나 최고점에 도달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 특이 문제를 제외하고(COSRX 및 IFAMILYSC 등) 상류 공급업체는 전반적인 주문 흐름이 매우 강력하다고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코스맥스를 주요 소비재 섹터 추천 종목으로 유지하며, 콜마도 선호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4:36


미국 중부에서 역사적인 송전망 확장 계획이 진행 중

76억 8천만 달러 규모의 송전 계획을 압도적 다수로 승인했습니다 .

https://blog.naver.com/cazet1/22364590652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2:47


Q6) 캐나다 원유 수입 비중과 중동산 원유 가격 경쟁력
A6) SK에너지가 원유 가격, 운임, 제품, 수율 등 경제성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했을 때 중동산 대비 미국과 캐나다산 원유의 경제성이 소폭 우위에 있는 상황으로 전체 도입 원유 중 2~30% 수준의 미국산 원유 도입하고 있는 상황. 중동산 중심의 장기계약 원유를 안정적 도입하는 한편 중동 리스크 상존하는 상황에서 최대 마진 확보를 위한 최적의 방식 채택할 것.

Q7) EREV 시장 전망 및 고객사 논의 현황
A7) 현대차 그룹의 하이브리드 확대 BEV PHEV EREV HEV 협력 전반에 걸쳐 EREV 향 공급 또한 적극 추진 중에 있음. EREV 자체가 전체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거나 순수 전기차를 대체한다고 보기는 어려움. EREV는 과도기적 기술로 BEV보다는 PHEV를 대체한다고 평가. PHEV를 상회하는 배터리 탑재하고 있어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다소 제한적일 것.

Q8) 미국 대선 관련 리스크 및 대응 방안
A8)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연비 규제 완호를 통해 성장 제한 불가피. 공화당 하원 의원 및 의장 IRA 폐기 반대 의사 존재. 물론 공화당 내 젊은 당원 또한 친환경 정책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파악. 위와 같은 상황에 있어 공화당 지지세력 내부에서도 IRA에 대한 의견이 각기 다른 상황이며 IRA 전면 폐지 불가할 것으로 판단. 물론 보조금 예산 제한 혹은 대상 모델 축소 등의 영향은 존재할 수 있을 것. 대선 결과 관계없이 탈중국 보호무역주의 지속될 것.

채널 링크: https://t.me/EvAtZchuno

감사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2:47


[SK이노베이션 3Q24 실적 발표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김희제입니다. SK이노베이션 3분기 실적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연결 실적 요약]
매출액 176,570억 원 -6.08% QoQ
영업이익 -4,233억 원 적자확대, 영업이익률 -2.4%, -2%p QoQ
EBITDA 1,596억 원 -70.7% QoQ
세전이익 -7,296억 원 적자확대

[사업부별 경영 실적 및 전망]

11월 1일 기준 SKE&S와의 합병을 마친 상황. 청구권의 경우 3,350억 원 규모. 에너지 포트폴리오 강화 및 사업 역량 강화해 일류 회사를 목표로 도전할 것.

수혜 확대 지연에도 불구 수익성 개선 노력 및 고객사와의 정산 활동 힘입어 BEP 달성. 4분기 자동차 OEM 제조사들의 EV 신모델 출시 등 기반으로 출하량 확대 예상.

배터리 사업 수익성 개선에도 불구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관련 손실 및 주요 화학제품 스프레드 축소로 전분기 대비 감소.

환 관련 이익, 상품파생손익, 순이자비용, 지분법손실, 기타비용으로 영업외손익 적자폭 축소.

자산총액은 전년 말 대비 배터리 사업 해외 자산 취득 등으로 인해 4.3조 원 증가. 차입금은 CAPEX 등 투자 지속으로 3.3조 원 증가한 32.2조 원. 부채비율은 -3%p 기록한 166%.

석유 사업은 3분기 중국 경기 침체 우려, 중국 석유 수요 감소로 유가와 정제마진 하락. 이에 따른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 9월 미국 제조업 및 고용지표 둔화로 두바이 기준 연중 최저치인 71불까지 하락하는 등 약세 지속. 3분기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상승 폭 제한적. 4분기 유가의 경우 글로벌 경기 침체 리스크 상존하나 미국 견조한 성장 지속,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으로 유가 하단 지지 전망. 제품 수요 측면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개시 효과, 중국 경기부양, 난방용 비축 수요 등 계절적 영향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 10월 우호적 수급환경 이어지며 유가 하단 지지 및 견조한 정제마진 전망하며 4분기 회복세 나타낼 것으로 전망.

화학 사업은 판매물량 효과 증가에도 불구 스프레드 하락 및 납사 가격 하락에 따라 영업이익은 감소하며 적자전환. 4분기 시황 전망은 아로마틱 계열 중 가솔린 블렌딩 수요 감소 영향으로 중국 경기 둔화 우려에 따라 9월 스프레드 급락. 4분기 동절기 의류 수요 개선에 따른 9월 스프레드 대비 상승 전망. 벤젠의 경우 중국 신증설 영향 및 연말 역내외 약세 전망하나 전년 동기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 올레핀 계열 역내 수급 상황 개선 유의미하지 않은 상황. 다만 중국 주도 내수 경제 활성화로 인해 수요 개선 기대 전망.

윤활유 사업은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부정적 재고 효과에도 불구 판매량 및 마진 개선으로 영업이익 상승. 3분기 판가 약세 불구 유가 하락 및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스프레드 개선. 판매량은 중국 침체 영향으로 아시아 수요 일시적 약세. 다만 미국과 유럽에서 판매량 증가하며 견조한 실적 달성. 4분기는 계절적 비수기 돌입 시기이나 중국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내수 시장 개선 기대감으로 수요 약세 점진적 회복하며 아시아 판매량 일부 회복 기대. 4분기는 3분기와 유사한 실적 전망. 스프레드 역시 보합세 유지하며 윤활유 사업은 4분기에도 긍정적 수익성 유지할 전망.

석유 개발 사업은 유가 하락 및 판매 물량 감소로 인해 복합판매단가 하락하며 수익성 감소. 베트남 광부 시추 및 중국 1703광구 생산량 증산 추진하며 경쟁력 강화 매진할 것. 24년 7월 말레이시아 광구 신규 확보. 운영권 보유한 인근 광구와의 탐사 성공 가능성 높이고 광구 개발 시너지 창출 예정. 동남아시아 역내 유망 광구 확보를 통해 성장 모멘텀 확보해 나갈 것.

배터리 사업은 메탈가 하락에 따른 판가 하락 추이 지속되며 전분기 대비 매출액 감소 시현. 3분기 영업이익은 고단가 재고 소진, 전분기 헝가리 초기 Ramp-up 비용 기저효과, 비용 개선, 고객사와의 정산 활동 등으로 분기 영업흑자 기록. 미국 내 생산 판매되는 AMPC 경우 고객사의 리콜 및 일시 생산 중단으로 인해 북미 판매량 감소. 이에 따른 3분기 AMPC 수혜 금액은 608억 원 기록. 24년 수요 회복 지연되고 있으나 4분기 고객사 향 북미 역내 신규 완성 차 출시로 판매량 증가할 것.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통한 원소재 조달 강화 예정. 25년 2월 1일부로 SK엔텀과의 합병까지 차질 없이 완료할 것.

소재 사업은 주요 고객사향 수요 부진 영향으로 영업손실 소폭 확대됐으나 4분기 신규 고객 향 판매량 점진적 상승 기대.

[3Q24 SK이노베이션 Q&A]
Q1) 4분기 및 25년 사업 전망
A1) 4분기 실적 발표부터 SKE&S 실적 포함 예정. SKE&S는 이익재고 노력 통해 견조한 실적 지속 예정. 전력 및 LNG 사업은 8월 폭염과 9월 늦더위 지속 전력 시장 역대 최대 기록. LNG 공급 통해 안정적인 발전소 가동 수행 진행 중. 도시가스 사업은 판매량 감소 불구 연료전지 등 신규 수요 발굴 통해 견조한 실적 예상.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라니냐 발생 가능성에 따라 동절기 발전기 가동을 통해 LNG 재고관리 및 최적화 운영 예정. 25년 글로벌 LNG 시장은 신규 프로젝트 지연으로 수급 타이트할 것. 러시아 우크라이나 가스 재공급 가능성 및 중국 경제 회복 상황 등에 따라 변동성 클 것. 25년 전력 시장은 전력 수요 크게 증가하지 않으나 24년 및 25년 신규 진입 예정인 프로젝트 기반 기저 발전 영향으로 LNG 발전소 내에서 경쟁 심화 예상. 비우호적 경영 상황에도 불구 호주 바로사 가스전 내 저가 LNG 통해 원가경쟁력 갖출 것. 도시가스 재생에너지 사업또한 의미 있는 영업이익 창출 가능할 것.

Q2) SK온 CAPEX 전망
A2) 전방 수요 둔화로 기존 계획 CAPEX 절반과 이연 등으로 조절. 25년 CAPEX 수요 집계 중에 있으나 24년 보스크와 현대 JV 주요 투자 연내 집행됨에 따라 25년 이후 CAPEX 대폭 축소될 것. 조달 측면에서 금융 차입 외 국내외 정책금융, 국내외 파트너사 JV 등을 통한 조달 비용 최소화. 보스크 프로젝트 3개의 공장 중 켄터키 1공장 및 테네시 1공장은 기존 계획대로 건설 진행 중이나 켄터키 2공장은 SOP 연기. 현대차그룹과 함께 진행 중인 조지아 프로젝트 역시 기존 계획대로 건설 중에 있으나 현대자동차 신차 출시 당사 라인 관점에서 최종 양산 변동될 수 있음.

Q3) SKE&S 성장 전망
A3) 공급 신규 LNG 프로젝트 수출 지연 가능성 높아. 신규 공급 가능성 제한적. 수요는 유럽 동절기 이후 재고 수준,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 완전 중단 예정으로 대체 공급 파이프라인 모색 가능성, 중국 수요 회복 여부 등이 단기적 LNG 시장 변동 요인이 될 것. 중장기적으로 미국과 중동(카타르 중심) 기반 신규 프로젝트 가동 준비 중에 있으며 신규 가동에 따른 수급 균형 맞춰질 것으로 전망.

Q4) SKE&S 합병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
A4) LNG 밸류체인 통합 운영 중에 있어 해당 경쟁력 기반 22년 이후 매년 1조 이상 영업이익 창출. 24년은 23년과 유사한 수익성 달성할 것.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집단에너지 사업 사업권 확보와 CCS 기술 적용 추진을 통해 경쟁력 강화할 것. 업/미드스트림 자산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수급과 공급 지속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다변화 지속 추진할 것.

Q5) 글로벌 정제 설비 순 증가 규모
A5) 향후 5년간 글로벌 정제 설비 순증설 규모는 29년까지 연평균 25만B/D수준으로 예상. 25년 26년 53만B/D 순증설 예상되나 이후 글로벌 신증설 규모는 지속 감소 전망. 환경 규제 강화 설비 노화 등으로 폐쇄되는 정제 설비 증가로 27년 이후 신규 설치 규모는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24~26년 연평균 순증설 규모는 글로벌 석유 수요의 약 0.5%. 인도 중심 글로벌 석유 수요가 연평균 1% 전후로 증가할 것으로 감안할 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 27년 이후 확정된 것보다 폐쇄된 정제 설비 규모가 더 커 양호한 수익성 확보할 수 있을 것.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2:45


금투세 폐지론 이소영 "폐지 결정 환영…이제 상법 개정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885299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2:45


최종보스까지 완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04 Nov, 02:44


상황종료 - 진성준피셜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22:50


https://naver.me/FEUYaUVz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22:50


GM, 美 보급형 전기차 시장 가세…쉐보레 이쿼녹스 EV LT 출시
https://me2.kr/68nTr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12:58


https://m.blog.naver.com/avantchoi3332/223635463547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12:58


https://m.blog.naver.com/avantchoi3332/22363488746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11:5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51437?sid=10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11:58


[Battery Weekly 이배속 - 하나증권 2차전지 김현수, 홍지원]

'전기차는 계속 성장한다. 하지만'

자료링크 : https://bit.ly/3NNEEnH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Nobody is betting on an EV crash, but..

- 9월 유럽 BEV 판매는 YoY +14% 증가하며 5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특히, 7월 -30%, 8월 -60%대의 감소를 보여줬던 독일도 +5% 성장했다. 독일은 ‘24년도 기저효과를 바탕으로 ‘25년에는 연중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 트럼프가 돌아와도 미국 전기차 판매는 지속 성장할 것이다. 트럼프의 스탠스는 전기차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논리에 맡기자는 것이므로, 자동차 기업들의 전동화 전환 과정에서 올해 보여주고 있는 8% 수준의 시장 성장률은 충분히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 문제는, 그래서 실적 추정치를 올릴 수 있느냐는 것이다. ‘19~’22년은 전기차 판매 증가율의 확대(미국 ‘21년 +55% 성장, ’22년 +100% 성장)와 한국 기업들의 M/S 상승, 메탈 가격 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 상승이 모두 맞물리며 실적 추정치 지속 상향 조정되고 실적 서프라이즈가 시현되던 시기였다. 전기차 판매가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하고, 한국 기업들의 유럽 시장 점유율이 40%에서 70%까지 상승하였으며, 리튬 가격은 kg당 6달러에서 88달러까지 상승함에 따라 실적 추정치가 지속 상승했다.

- ‘25년에도 전기차 판매는 늘어날 것이다. 여기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올해 미국과 유럽의 한 자릿수대 성장률 감안할 때, ‘25년에 20%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유럽 내 한국 기업들의 합산 시장점유율이 ’21년 71%에서 ‘24년 현재 39%까지 하락한 점, 메탈 가격은 대규모 감산 및 인수 합병 이후 하락폭이 둔화됐으나 여전히 최근 3년 내 최저점에 머물고 있고 ’22년과 같은 공급 제약 요인(팬데믹 및 호주와 중국간의 외교 마찰)이 없다는 점 고려할 때, ‘25년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을 가져올 상황 아니다.

- 현재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의 ’25년 실적 증가율 컨센서스는 매출 각각 +55%/+38%, 영업이익 +2,215%/+169%에 달해 상기한 전기차 시장 성장률 및 시장 점유율 추이, 메탈 가격 수준 감안할 때, 추정치 대폭 하향 조정을 거쳐야 한다.

-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을 소화해야 하는 시기라면 멀티플 리레이팅 역시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양극재 기업들의 ‘25년 P/E는 평균 120배 수준으로 유럽 내 점유율 높여가고 있는 중국 기업들의 20배 수준 대비 여전히 높다. 미국 시장 내에서의 한국 기업 비교우위는 여전히 확고하므로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방어할 수 있다고 판단하나, 현재 가격대에서 추가 리레이팅을 기대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

- 지난 16개월간의 대폭락은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고 있다고 판단하며, 이에 따라 ’25년 실적 반등 국면에서의 일부 기회요인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실적 반등폭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과도하게 높게 형성되어 있어 이번 실적 시즌과 ‘25년 1월 실적 시즌을 통해 추정치 하향 조정을 소화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회는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

Car : 현대자동차,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 개발 착수

- Tesla 주가는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보다 상회하면서 한 주간 +22.0% 상승했고,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주가는 상이했다(Lucid -4.9%, Rivian +4.1%). 중국 전기차 기업 Li Auto 주가는 퀄컴과의 협업 기대감에 +14.0% 상승했고, 그 외 기업의 주가도 상승했다(Nio +0.8%, Xpeng +6.1).

- 미국 국가안보 보좌관은 USMCA를 활용한 중국 기업의 멕시코 산 자동차에 대해 향후 관세 부과 논의의 가능성 있다고 언급했다.

- ACEA에 따르면, 9월 유럽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BEV 21.3만대(YoY +13.9%), PHEV 8.1만대(YoY -11.7%), 1-9월 누적 판매대수는 BEV 143.3만대(YoY -2.6%), PHEV 69.4만대(YoY -3.8%)를 기록했다.

- GM의 3Q24 미국 전기차 판매대수 3.2만대(YoY +59.7%), 1-3분기 누적 판매대수 7만대를 기록했다.

- Ford는 ‘25년식 '머스탱 마하-E'의 미국 판매가격을 36,495달러로 인하했다.

- Tesla는 상하이에서 'Model Y(Juniper)'의 시험 생산 시작했으며, 1Q25 출시 전망이다. 한편, Tesla는 3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25년 인도대수 20~30% 증가 전망한다고 밝혔다.

- Rivian은 일리노이 공장 확장 시의회 승인받았다.

- Mercedes-Benz는 쿠펜하임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운영 개시했고, 해당 공장은 연간 2,500만톤의 폐배터리를 처리해, 5만개의 모듈 생산할 수 있다.

- Stellantis는 ‘25년 EU CO2 배출 목표 달성 위해 11월부터 내연기관차 감산한다.

- 현대차는 중국 시장 타게팅한 EV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다. 한편, 3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GM과의 협업은 공동 연구소를 운영하지만 독자적 차종 개발 형태이며, GM과 Waymo가 협업해 얻는 부가수익 등은 기아가 아닌 현대차에 귀속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 Honda와 Sony는 공동개발 중인 '아필라'에 AI 자율주행 기능 탑재해 ‘26년 미국, 일본에서 출시한다.

- 체리자동차는 현재 개발 중인 전고체 배터리를 ’27년 대량 생산한다고 밝혔다.

- Nio는 CYVN 홀딩스와 합작회사 'Nio MENA'를 설립했으며, 향후 중동과 북아프리카 시장에 EV 판매한다.

Cell : 미국, AMPC 세액공제안 최종 확정

- 배터리 대형주 3사 합산 유니버스(LGES,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주가는 한 주간 +3.2% 상승했고(삼성SDI -2.4%, LGES +4.8%, SK이노베이션 +2.1%), 코스피 대비 3.6%p Out-perform했다.

- 미국 정부는 AMPC 최종 가이던스 발표했으며, 12월 27일부터 시행 예정이다. 이에, 셀은 35달러/kWh, 모듈은 10달러/kWh, 소재는 생산 비용의 10%의 세액공제를 받게 될 예정이다.

- LGES와 Stellantis는 캐나다 합작 공장에서 모듈 양산 시작했다.

- CATL은 독일공장 생산능력 지속 확대, 헝가리공장 ‘25년 생산 개시한다. 한편, CATL은 ‘24년 BEP 달성 목표 유지했다.

- SVOLT는 2개의 독일 공장 건설 잠정 중단했으며, 재개 시점은 미정이다.

Material/Equipment : 미국, 아칸소주 리튬 발견

- 2차전지 소재 합산 유니버스는 한 주간 -2.8% 하락했다. 국내 주요 양극재 기업 주가 상이했다(포스코퓨처엠 -1.5%, 에코프로비엠 -3.4%, 엘앤에프 +2.4%). 중국 소재 기업 주가는 상승했다(Beijing Easpring +5.9%, Guangzhou Tinci +13.8%, Yunnan Energy +11.4%).

- 미국 지질조사국은 아칸소주 남서부 최대 1,900만톤의 리튬 매장 발표했다.

- LG화학은 Ronbay 자회사 재세능원을 상대로 NCM 양극재 기술 관련 특허 침해 금지 소송 제기했다.

- 에코프로비엠은 포항 CAM9 공장 준공 시기를 ‘24년 12월에서 ’26년 12월로 연기했다.

- CIS는 유럽 자동차사와 전고체 배터리 소재 및 장비 사업 관련 NDA 체결했다.

- 인니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은 웨다베이 산단에서 생산되는 전구체가 11월부터 Tesla에 공급 예정이라고 밝혔다.

- 광물별 전주 대비 가격 증감률은 리튬(-1.7%), 니켈(-4.5%), 코발트(+0.1%), 망간(+0.0%), 알루미늄(+2.8%), 구리(+0.1%), LiPF6(+0.0%)이며, 전분기 대비 증감률은 리튬(-6.4%), 니켈(+5.2%), 코발트(-4.3%), 망간(-7.1%), 알루미늄(+8.9%), 구리(+4.0%), LiPF6(-2.9%)다.

- 10월 4주 유럽 주요 3국(영국, 독일, 프랑스) 전력 가격은 평균 85.8유로/MWh로 WoW +1.7% 상승했다. 10월 전력 가격 평균은 84.9유로/MWh로 MoM +3.9% 상승했다.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9:21


로제 APT는 몇위로 진입할까요???

1) 빌보드 핫100 발표시간 : 한국시간 10/29 화요일 새벽 (보통 2시30분에서 3시 30분 사이 발표)

2) 현재 예측순위는 빌보드 8위 차트인 전망
(빌보드 예측 https://x.com/talkofthecharts)

3) 로제 APT는 유튜브조회수 9일만에 1.6억회,
스포티파이 글로벌1위, 미국1위 유지중, 스포티파이 1억 스트리밍

4) 영국 오피셜 톱100에 4위로 진입 (K팝 여성가수로 최고순위)

5) K팝 걸그룹 미국 빌보드 최고순위는 블랙핑크와 셀레나고메스 협업곡 ‘아이스크림’ 13위

6) 로제 정규앨범은 12월6일 발매. 총12곡에 로제는 전곡 작사 작곡에 참여

*로제 너무 멋집니다 ㅎ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8:17


국내 제약사, 위고비 '미충족 수요' 공략한다

비만약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위고비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부작용이다.

삭센다와 같이 위고비는 위 내용물의 배출 속도를 늦춰 오랜 시간 포만감을 유지하는 원리로 체중감소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두 약물은 모두 임상시험에서 구역질, 설사, 구토와 같은 소화기 부작용 비율이 높게 보고됐다. 삭센다는 지난해 경희대 약대 등이 시행한 연구에서 비만치료제 중 '펜터민' 다음 두 번째로 부작용 사례 보고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약물설명서를 보면 2116명의 비만환자를 대상으로 위고비의 체중감소 효과를 평가한 임상에서 주요 증상별로 부작용 발생비율은 △메스꺼움 44% △설사 30% △구토 24% △변비 24%로 나타났다. 삭센다의 경우 환자 3384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동일한 부작용 발생비율이 △메스꺼움 39% △설사 20% △변비 19% △구토 15%로 모두 위고비보다 낮게 보고됐다.

이밖에 위고비는 임상에서 복용 시 지방과 함께 근육이 감소하고, 약물을 끊으면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요요현상'이 발생하는 한계도 보였다.

이러한 미충족 의료수요(언맷니즈)는 노보노디스크보다 뒤늦게 비만약을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에게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 국내 제약사들은 소화기 부작용이나, 근손실 감소 등 위고비가 가진 단점을 극복한 비만약 개발에 나서고 있다.

한미약품은 현재 비만 치료후보물질인 '에페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시험을 국내에서 진행 중이다. 한국은 미국, 유럽 등 서구권과 비교해 비만 기준(체질량지수)이 낮은데, 이 기준에 맞춘 이른바 한국형 비만치료제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미국에서 비만 후보물질 'DA-1726'의 임상 1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 약물은 위고비의 주요 성분인 GLP-1(글루카곤유사수용체-1) 뿐만 아니라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근육손실을 최소화한 체중감소 효과를 구현하도록 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위고비의 경우 투약 후 감소한 체중의 40% 정도가 제지방량(체중에서 지방 제외한 부분) 감소에서 오기 때문에 약을 끊었을 때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한계가 있다"며 "국내 제약사들이 이러한 언맷니즈를 공략하면 후발주자라도 충분한 시장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3009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8:15


https://youtu.be/hBMoPUAeLnY?si=s5Ml9bA5DOCxMYu7

오늘 유투브에서 가장 바이럴한 영상인 조로건 팟캐스트의 트럼프 인터뷰 (8시간만에 8백만뷰 이상 기록중)

경제 정책에 대한 인터뷰는 아니라 투자 관련 모든 분야에 대한 커버는 안하고 있지만 세시간동안 편집없이 트럼프를 클로즈업으로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

카말라 해리스가 출연하면 더 비교를 잘 할 수 있겠지만 (조로건이 섭외하려고 노력중) 일단 이번 영상 시청하면서 요약 해봤음

선거가 얼마 남지 않는 시점에서 타이밍은 좋은듯 (댓글들이 긍정적 반응으로 참)

-------------------------------

이전 정권에서 존 볼튼과 같은 신보수주의 보좌관들 뽑은거 후회 (이 부분은 위 블로그 '트럼프 2.0 관점' 글 링크 참조)

관세는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고 지칭

29대 미국 대통령이었던 윌리엄 맥킨리를 언급. 맥킨리 대통령은 1890년대 '관세 킹' 이라고 불리던 인물. 관세 정책을 이분 한테 영감 받은듯한 느낌. 1890년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시대를 한번 참고해도 좋을듯

1900년대초 외부 국가들 압력으로 관세를 인하하고 대신 소득세를 인상하은걸로 미국의 국가 세수 확보를 변경했다고 설명

일론 머스크 찬양. 우주 산업에 힘 실어줄 듯 + 스타링크 찬양. 인터넷 전선 깔려고 천조원 쓰고 있다고 문제라고 언급

세금인하 + 관세 인상 정책 펼칠
미국에서 생산하면 법인세 21%>15% 로 인하

규제완화 적극적으로 나설 것. 모든 대기업 경영자들이 규제완화가 법인세율 인하보다 더 중요하다고 설문

환경규제완화 시사

픙력 매우 싫어함. 전력비 비싸고 새들 많이 죽임. 풍력 블레이드 쓰레기 처리도 너무 불편. 풍력 기기들이 바다에서 발생시키는 진동 때문에 고래들이 해안에 많이 나타는 현상 지칭하며 해양 생태계 위협한다고 언급

원자력은 뉴트럴한 입장

오바마에게 인수인계 받을때 오바마의 가장 큰 걱정이 북한과의 전쟁이었다고 함. 자기가 김정은과 처음 대면시 김정은이 자기 책상에 원자폭탄 발사 버튼이 있다고 위협했다고 함 (트럼프는 자기도 있고 횔씬 큰 발사 버튼이 있다고 & 실제로 워킹한다고 반박함 😂)

오일 및 가스 산업에 대해 매우 우호적. 오일 가스 업체들 멀티플 상승할 수 있는 캐털리스트일듯

현재 일어나고 있는 전쟁들을 해당 국가 수장들과 딜을 쳐서 (무역 관련 딜을 힌트) 종료시킬 것이라고 단언

미국에 생산공장을 짓지 않는 반도체/자동차 업체에게는 반도체 및 자동차 수입 관세 올릴 것 (수입 자동차는 100% 이상 관세 매길 것이라고 언급) 반도체 관련해서는 대만을 언급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8:14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7365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6:50


https://youtube.com/shorts/hcBroGyDGkk?si=OUM6HGXk4jPJxKO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3:49


https://blog.naver.com/onion_asset/223631058746
지난 분기까지만 해도 자신감을 갖게 됐다는 CEO가 이번 컨콜을 열면서 '투자 슈퍼 사이클의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라고 언급했다면...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7 Oct, 00:01


[24년 10월 IRA Final rule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김희제입니다. 24년 10월 발표된 IRA 최종안 주요 원문 요약 드리겠습니다.

크레딧 금액은 일반적으로 섹션 45X(b)(3)에 따른 단계적 폐지 규정의 적용을 받지만 Critical Mineral(핵심 광물)은 적용되지 않음. 29년 12월 31일 이후에 판매되는 eligible component(핵심 광물 제외)의 경우 단계적 폐지 비율을 곱한 값과 동일할 것.

2030년, 2031년 및 2032년에 판매되는 적격 구성품의 경우 단계적 폐지 비율은 각각 75%, 50% 및 25%. 2032년 12월 31일 이후에 판매되는 eligible component 경우 단계적 폐지 비율에 따라 0%로 45X 크레딧이 적용되지 않음.

섹션 45X(c)(1)(A)는 eligible component를 태양 에너지 구성 요소, 풍력 에너지 구성 요소, 섹 션 45X(c)(2)(B)부터 (G)까지에 설명된 인버터, 적격 배터리 구성 요소 및 해당 중요 광물을 의미. 섹션 45X(c)(5)(A)에서는 적격 배터리 구성 요소(eligible component)를 전극 활물질, 배터리 셀 및 배터리 모듈로 정의.

섹션 45X(c)(6)에서는 적용 가능한 중요 광물을 정의. 다음 광물은 지정된 순도 또는 형태로 전환 또는 정제된 경우 섹션 45X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음. 이에 포함되는 광물은 알루미늄, 안티몬, 비 소, 중정석, 베릴륨, 비스무트, 세륨, 세슘, 크롬, 코발트, 디스프로슘, 에르븀, 유로퓸, 형석, 가돌 리늄, 갈륨, 게르마늄, 흑연, 하프늄, 홀뮴, 인듐, 이리듐, 란탄, 리튬, 루테튬, 마그네슘, 망간, 네 오디뮴, 니켈, 니오븀, 팔라듐, 백금, 프라세오디뮴, 로듐, 루비듐, 루테늄, 사마륨, 스칸듐, 탄탈륨 , 텔루륨, 테르븀, 툴륨, 주석, 티타늄, 텅스텐, 바나듐, 이테르븀, 이트리움, 아연 및 지르코늄이 포함.

해당 중요 광물 또는 전극 활성 물질에 대한 섹션 45X 세액 공제는 섹션 45X(b)(1)(M) 및 (J)에 따라 납세자가 생산과 관련하여 발생한 비용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각각 공제. 생산과 가공 시 모두 10%에 대한 공제 발생 가능. 섹션 45X(b)(1)(M)은 적용 가능한 중요 광물의 경우, 세액공제 금액은 납세자가 해당 광물의 생산과 관련하여 발생한 비용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라고 규정. 원재료의 추출 또는 취득과 관련된 비용은 생산 비용으로 간주되지 않음. 제안된 규정은 인건비, 해당 중요 광물 생산에 사용된 전기, 보관 비용, 감가상각 또는 상각(D&A), 재활용 및 재활용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광범위한 비용을 해당 중요 광물의 생산에 발생한 비용으로 간주함. 그러나 해당 중요 광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원자재 구입 비용, 원자재의 전환 비용, 정제 또는 재활용에 사용되는 재료 비용, 기타 해당 중요 광물 생산과 관련된 재료 비용은 고려되지 않음.

"납세자가 생산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변형을 거친 부품은 최종(약간의) 조립만 남은 상태에서 제3자에게 생산 및 판매할 가능성이 존재. 이러한 경우, 섹션 45X의 다른 모든 요건이 충족되더라도 45X 세액 공제를 청구할 수 없음. 부수적인 최종 조립을 수행하여 적격 부품을 완성하는 제3자는 적격 부품을 생산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섹션 45X 세액 공제를 받을 자격이 없음. 명확성 및 일관성을 위해 최종 규정에서는 제안된 규정에서 "단순 조립"의 각 사례를 "부수적 조립”으로 대체.

일부 의견 제출자는 배터리 분리막의 코팅이 "표면적인 수정(superficial modification)"인지 "실질적인 변형(substantial transformation)"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청. 적격 구성 요소에 대한 특정 생산 공정을 나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이외 수정 혹은 변형된 생산 공정은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음.

코드 섹션 638(1)에 정의된 대로 미국 또는 미국 영토 내에서 생산되는 적격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섹션 45X 공제의 목적상 매출을 고려하도록 규정. 따라서 적격 구성 요소는 국내에서 생산되어야 하지만 이외 구성 요소, 재료 및 하위 구성 요소는 역외 생산이 가능. 원자재 및 중간 제품은 일반적으로 구성 요소, 재료 또는 하위 구성 요소에 해당.

제안된 §1.45X-3(e)(2)(i)(A)는 에너지 저장에 필요한 전기화학 공정에 기여하는 음극 전극 재료, 양극 전극 재료 및 전기화학 활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극 활성 물질로 정의. 일반적으로 전극 활성 물질은 에너지 저장을 위해 배터리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

배터리 관리 시스템, 단자 어셈블리, 셀 컨테이너, 가스 방출 밸브, 모듈 컨테이너, 모듈 커넥터, 압축 플레이트, 스트랩, 팩 단자, 버스 바, 열 관리 시스템, 팩 재킷 등 전극 활성 재료로서 섹션 45X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음.

제안된 §1.45X-3(e)(2)(i)(B)는 "음극 전극 재료"를 상용 배터리 기술의 음극을 구성하는 재료, 즉 바인더 및 집전체(음극 포일)를 의미한다고 정의. "양극 전극 재료"를 양극 포일을 포함하여 상용 배터리 기술의 양극을 구성하는 재료를 의미한다고 정의.

한 논평자는 제안된 §1.45-3(e)(2)(i)(B)의 음극 전극 재료와 제안된 §1.45 3(e)(2)(i)(C)의 양극 전극 재료의 정의를 명확히 하여 해당 재료가 "배터리 등급"임을 명시함으로써 전구체 재료가 섹션 45X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을 권고. 다만 이는 해당 물질이 상업용 배터리 기술의 음극 또는 양극을 구성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재무부와 국세청은 이러한 물질이 "배터리 등급"임을 명시하는 것이 중복될 수 있다고 결론.

재무부와 IRS는 일반적으로 전극 활성 재료가 에너지 저장을 위해 배터리 내에서 사용될 수 있어야 하지만 수소 연료 전지와 같은 다른 용도 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여전히 섹션 45X 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음.

45X(c)(5)(B)(i)항에 규정된 전기화학 활성 물질 목록(즉, 용매, 첨가제 및 전해질염)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전해질(electrolytes), 양극액(Catholytes), 음극액(anolytes), 분리막(Separators), 금속염 및 산화물이 포함. 제안된 §1.45X 3(e)(2)(i)(D)에 특별한 형태가 요구되지 않는 "전해질"이 포함되므로 고체 전해질은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의 정의에 포함.

"모든 유형의 배터리(예: 리튬 이온, 바나듐 흐름, 황산나트륨, 납산 등)"가 적격 구성 요소라고 명시.

감사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Oct, 14:15


[(삼성/조현렬) IRA AMPC 최종안 영향]

보고서: bit.ly/3YerIfA


■ IRA AMPC, 최종안 발표

지난 24일 미국 재무부에서
IRA AMPC 최종안을 발표.
작년 12월 잠정 가이던스 발표 이후
의견 수렴 통해 최종 가이던스 확정.
가장 큰 변화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인식 기준 변화.


■ 배터리 모듈, 한국업체 신청 용이

배터리 셀/모듈에 각각 kWh당
35달러/10달러의 AMPC 지급이 원안.
다만 작년 잠정 가이던스를 통해
배터리 모듈 수취 대상 정의에서
‘최종 사용구성(End-Use Configuration)’ 기준을
배터리 모듈보단 팩으로 해석가능하게 변경.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에 대한 AMPC 수취
불확실성 확대되었으나,
최종 사용구성에 대한 정의가
구체화/확대되면서
모듈 AMPC 수취 가능성 크게 상승.



■ 한국업체, 배터리 모듈 수취현황

현재 LG에너지솔루션
미시건 공장 내 일부 물량이
배터리 모듈 또는 팩으로 공급(GM JV는 제외).
현재 팩 형태만 인식 중이나,
모듈 인식 가능해질 경우 일부 추가 가능.
당사 추정 기준 배터리 모듈 추가 Capa는
연간 3GWh미만 추정.
다만 IRA 연계하여 보조금 수취할
넥스트스타 50GWh까지 포함 시
53GWh까지 확대 가능.
SK온은 미국 공장에 대해
배터리 셀/모듈 전량 인식 중이며,
Capa 기준 22GWh.
잠정 가이던스로 인해 23년 이후
누적 인식분의 소급 수정 우려 있었으나,
금번 확정안으로 해당 우려 불식 가능성 증가.


■ View, 한국업체에게 긍정적 소식

잠정 가이던스 대비 변화는
AMPC 추가 수취 또는 감소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긍정적 뉴스.
다만 확정안으로 미국 정부에
증빙 후 인정절차 상존.
2025년말 연결 Capa 대비
모듈 추가 인식 가능 Capa는
LG에너지솔루션 11%,
삼성SDI 19%,
SK온 45% 수준.
즉, SK온>삼성SDI>LGES 순의 수혜 기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Oct, 13:17


11월은 중요 일정들이 많습니다. 미리 체킹해두시고 시나리오 그려두시면 좋겠지요.

내용은 블로그로 올려둡니다. 빠진거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1월 주요일정
1) 미국대선
2) 실적발표 시즌
3) 코리아 밸류업지수 ETF 상장
4) 북한 추가파병 및 참전여부
5) 이재명 1심 선고
6) 여러 바이오학회들 (월드ADC, 미국비만학회, SITC면역항암학회 등)
7) 엔비디아 실적발표
8) 기타 (중국 전인대, 양자과학기술법 시행, 토큰증권법 국회통과, 그린벨트 해제지역 발표, 지스타 등)
9) 금투세 폐지 결론여부

https://blog.naver.com/going_tothe_moon/22363461740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Oct, 13:15


사이버트럭 흑자전환 이야기 확인을 못하다가 x에서 찾았네요. GPM단에서 흑자전환인거 같고, 엄밀하게 이야기해서 테슬라는 판관비가 약 10% 내외 인 기업이므로 사트 단독 흑자전환이라고 하긴 좀 이른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바꿔말하면 아직 마진개선폭이 꽤나 남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현재 생산댓수에서 흑전인 부분이 이해가 안되서 꽤나 서칭했네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Oct, 11:22


경합주 예상 선거인단수

해리스 25 (총 259)
트럼프 68 (총 279)

네바다도 트럼프한테 넘어감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Oct, 11:22


※ 미국 IRA 최종 가이던스 세금공제 대상 및 금액 (1. 배터리 구성요소 및 핵심광물)

미국 재무부는 2024년 10월 24일, 미국 내 적격 부품(구성요소)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IRA에 근거한 첨단 제조업 생산 세금공제에 관한 최종 규정을 발표하였습니다.
적격 구성요소에는 태양광 에너지 부품, 풍력 에너지 부품, 인버터, 배터리 부품 및 핵심 광물이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적격 구성요소들의 세금공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적격 배터리 구성요소 (Qualifying battery component)

Qualifying battery component—
(1) In general. Qualifying battery component means electrode active materials, battery cells, or battery modules, each as defined in this paragraph.
적격 배터리 구성요소는 전극활물질,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을 의미함.

○ 배터리 전극활물질 (Electrode Active Materials) : 양극, 음극 재료 및 활성화 물질

Cathode electrode materials. Cathode electrode materials means the materials that comprise the cathode of a commercial battery technology, such as binders, and current collectors (for example, cathode foils).
양극 재료 : 바인더, 집전체(알박) 등

Anode electrode materials. Anode electrode materials means the materials that comprise the anode of a commercial battery technology, including anode foils.
음극 재료 : 집전체(동박) 등

Electrochemically active materials. Electrochemically active materials that contribute to the electrochemical processes necessary for energy storage means battery-grade materials that enable the electrochemical storage within a commercial battery technology. In addition to solvents, additives, and electrolyte salts, electrochemically active materials that contribute to the electrochemical processes necessary for energy storage may include electrolytes, catholytes, anolytes, separators, and metal salts and oxides.
활성화 물질 : 전해질염, 용매, 첨가제, 전해질(액체, 고체), 분리막, 금속염, 산화물 등

▶️ 배터리 전극활 물질 세금공제(Credit) 액수 : 해당 물질 생산과 관련된 비용의 10%

○ 배터리 모듈, 셀

▶️ 배터리 구성요소 세금공제(Credit) 액수
1. 배터리 셀 : kwh 당 35달러
2. 배터리 모듈 (총 용량 7Kwh 이상인 모듈을 의미) : kwh 당 10달러



● 핵심광물 (Critical Minerals)

Section 45X(c)(6) defines applicable critical minerals. The following minerals are eligible for the section 45X credit if converted or purified to specified purities or forms: aluminum, antimony, arsenic, barite, beryllium, bismuth, cerium, cesium, chromium, cobalt, dysprosium, erbium, europium, fluorspar, gadolinium, gallium, germanium, graphite, hafnium, holmium, indium, iridium, lanthanum, lithium, lutetium, magnesium, manganese, neodymium, nickel, niobium, palladium, platinum, praseodymium, rhodium, rubidium, ruthenium, samarium, scandium, tantalum, tellurium, terbium, thulium, tin, titanium, tungsten, vanadium, ytterbium, yttrium, zinc, and zirconium.
주요 핵심광물 : 알루미늄, 코발트, 디스프로슘, 갈륨, 흑연, 리튬, 마그네슘, 망간, 네오디뮴, 니켈, 프라세오디뮴, 사마륨, 터븀, 티타늄, 텅스텐 등

▶️ 핵심광물 구성요소 세금공제(Credit) 액수 : 해당 핵심광물 생산비용의 10%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6 Oct, 09:43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410261017427878fbbec65dfb_1/article.html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9:17


📩전고체·46파이 원통형 삼성SDI 배터리 총집합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와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등 신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제품과 리튬인산철 플러스(LFP+)와 코발트프리(NMX) 배터리를 이날 공개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지난해 말 고객사에 샘플 공급을 시작했다.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는 내년 초부터 양산할 예정이다. P6(6세대 각형 배터리), 21700 원통형 배터리 등 양산 중인 다양한 모빌리티용 배터리 제품도 전시했다.

https://www.mk.co.kr/article/1114842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9:08


📩LG엔솔·스텔란티스 합작 '넥스트스타 에너지' 배터리 모듈 공식 양산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넥스트스타 에너지(이하 넥스트스타)'가 캐나다 공장 양산을 개시했다. 배터리 모듈 제조를 시작으로 내년 셀 생산에 돌입, 북미 핵심 공급망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내년에는 셀 공장을 준공하고 생산을 개시한다. 셀 공장 건물 외관 공사 공정률은 약 90% 수준이다. 현재 시설 내부 공사와 장비 반입·설치를 진행 중이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875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9:02


https://m.blog.naver.com/avantchoi3332/22363031674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9:01


https://m.blog.naver.com/avantchoi3332/223630606114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8:29


말끝마다 1400만 개미투자자 운운하며 금투세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진성준

전우여러분 돌격합시다!!

https://blog.naver.com/theminjoohotjjoon/223630354318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8:26


[(삼성/조현렬) 솔루스첨단소재 3Q24 실적발표]

보고서: bit.ly/3UkeSet


1. 3Q24 경영실적 및 계획

■ 3Q24 실적
: 매출액 1,347억원(-9.8%QoQ). 영업이익 -186억원(-81억원QoQ).
- 전지박: 매출액 550억원(-17.7%QoQ). 주요 고객사 일시적 재고 조정에 따른 판매량 감소로 하락.
- 동박: 매출액 493억원(-1.8%QoQ). 유럽 경기 불안에 따른 수요 감소로 유럽향 공급물량 소폭 감소하며 하락.
- 전자소재: 매출액 304억원(-5.9%QoQ). 해외 주요 고객사 내부 승인 일정 이연에 따른 일시적 수요 감소로 하락.

■ 4Q24 계획

- 전지박: EV 수요 증가에 따른 유럽/북미 고객의 가동률 증가 기대.
: 기존 공급제품의 출하량 증가 및 고부가가치 제품 채택 추진을 통한 공급 확대 계획.
- 동박: 내년부터 AI 시장 타겟 빅테크 고객사향 하이엔드 동박 공급 확대에 따른 매출 증대 및 수익성 개선 전망.
- 전자소재: 해외 주요 고객사 내부 승인 완료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고객사 채택 추진.

■ 사업부별 향후 전망 및 계획

- 전지박: (계획) 유럽 및 북미 EV 정책 변화에 따른 글로벌 주요 OEM 및 배터리셀 고객 다변화 기대.
: 주요 핵심 고객사들과 중장기 계약 통해 공급물량 확보 지속 진행.
: 수익성 확대를 위한 하이엔드 전지박 기술 차별화 및 물량 비중 확대.
: (생산 Capa) 10월 초 캐나다 퀘벡 정부와 1,5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 확보 완료.
: 26년 양산 들어갈 예정으로 총 6.3만톤 전지박 양산 계획.

- 동박: AI 수요 지속 강세 전망에 따라 차세대 동박 제품 승인 확보에 집중.
: 하이엔드 동박 수요 증가 대응 위한 생산/제조 설비 확충.
: 고부가가치 제품 R&D 지속 통한 선행시장 선점.

- 전자소재 사업: 디스플레이 시장 회복세 전망되는데, AI 성장에 따른 고사양 IT 제품 OLED 패널 채택 증가 전망.
: 주요 고객사향 기존 제품 외 신규 제품 양산 승인 획득.
: 차세대 Display 기술 선제 대응 위한 미래 기술 제품 개발.


2. Q&A

(전지박)
Q. 전지박 10월 증가량 규모 및 원인?

A. 2분기 월 매출 대비 대폭 상회하는 물량으로 트랙레코드 달성.
: 주요 고객사 모두 3분기 대비 오더 대폭 증가.
: 재고조정에 따른 물량 감소를 훨씬 상회하는 오더 진행 중.

Q. 4분기 전지박 레코드 하이라면 수익성 전망?
A. 4분기는 분기 최대 매출 달성.
: PH2에 대한 준비를 하며 나가는 고정비가 있어 4분기 플러스 전환 쉽지 않지만, 1H25 흑전 전망.

Q. 캐나다 공장 PH1 연기 배경?
A. 캐나다 증설 측면에서는 메이저 업체 중 가장 먼저 진행 중.
: 프로모션 시기에도 캐나다 고객사 반응 긍정적.
: 수요 보면서 속도조절 중인데, 26년 양산에는 맞출 수 있도록 증설 진행 중.

(동박)
Q. 동박 차세대 제품 준비 진행 현황?

A. 동사는 경쟁사 대비 HVLP3를 이미 양산하고 있는 레퍼런스 보유.
: HVLP4를 고객과 개발하고 있음.
: 아직 양산은 1~2년 후 이야기 이지만, 신제품 들어가기 위해 고객과 준비 중.
: AI 가속기 등 네트워크용과 반도체용 극박 등 2가지 트랙으로 개발 중이며 고수익 기대.

Q. 현재 공급 중인 AI가속기 일부는 두산 단독 공급인데, 경쟁사에서 퀄 테스트 완료하며 듀얼 벤더 가능성?
A. 현재 해당 제품 생산 가능한 업체는 3~4개 업체 뿐.
: 물량 급증 예상되기에 단독 벤더로는 리스크 있어서 고객사에서 듀얼 벤더 전략 선택한 것.

Q. 동박 전망에서 언급한 증설은 기존 계획한 26년 스토리?
A. 기존 스탠다드 동박의 전환을 검토 및 진행 중.
: 향후 수요 증가 추세 확인하며 추가 증설 검토할 것.

Q. 동박 사업부는 하이엔드 믹스 개선되며 OPM low-double digit 달성 가능성?
A. 21년~23년 초반까지는 코로나 및 아시아 물량 줄며 마진 감소했으나, 이후로 현재까지는 마진 성장 중.
: AI 가속기용 동박 마진 10% 이상 수준이며, 반도체용 극박은 마진 20% 이상 수준 예상.
: 해당 물량이 꾸준히 증가한다면 수익성 확보 가능 기대.

Q. 동박 내 AI 가속기향 Capa 수준 및 확대 계획?
A. 전체 Capa 10% 정도 확보한 상황.
: 내년 수요까지 예측 후 증설 진행 중이며, 고객 수요 보며 스탠다드 전환 또는 추가 증설 등 검토 중.

Q. 동박 최근 수익률 현황 및 전망?
A. 동박 수익성은 팬데믹 내외 지속 흑자 유지 중.
: 현재 10% 미만 수준 흑자.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6:07


중국 태양광 관련주 급등

미 상무부, 중국 태양광 전지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 일부 철회 검토

재련사 10월 23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0월 21일부터 상황 변경 검토(CCR)를 시작하여 중국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전지에 대한 반덤핑 세와 반보조금 세(AD/CVD)의 일부 철회를 검토 중.
이번 검토 대상 제품은 일부 소형, 저출력, 오프그리드용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CSPV) 전지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6:02


민주당이 다시 금투세 시행하지 않겠다는 뉴스에 대해서 반박했다고 합니다. 해당 뉴스는 아직 찾지 못했지만~ 그 시점에서 코스닥 반등은 멈췄습니다
너무 금투세 이슈에 민감한듯 싶은데~ 과한듯 합니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6:01


이런거 좋아하시는 분 많은듯 싶어서요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5:23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1023050463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2:57


여전히 성장중인 미국 태양광 산업 현황 및 전망
달라스무역관 이재인

#미국 #태양광 #발전 #재생에너지

태양광, 올해 미국 상반기 미국 전력망에 추가된 신규 발전 용량의 67% 차지
’29년 미국 태양광 발전 용량, 현재의 두 배 수준인 440GW에 달할 전망
미국, 관세정책 및 자체 제조 기반 구축을 통해 태양광 공급망 안정성 강화 중


지난 2022년 미국은 에너지 안보와 탄소 감축을 목표로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이하 ‘IRA’)을 통과시키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지원에 힘입어 미국은 IRA 통과 이후 불과 2년 동안 태양광 발전 산업에서 무려 75GW에 달하는 신규 용량을 추가했는데, 이는 미국 전체 태양광 발전 용량의 36%에 해당하는 수치다. 미국 태양광 시장은 산업 전반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노력과 최근 AI 데이터센터발 전력 수요 급증에 따라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이 전망되며, 미국 정부 또한 관세정책 및 자국 내 태양광 제조 기반 구축 지원 등 지원책을 통해 태양광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 할 전망이다.

미국 태양광 발전 동향

미국 태양광산업협회(SEIA)와 글로벌 컨설팅기업 우드맥킨지(Wood Mackenzie)의 미국 태양광 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미국에서 추가된 신규 태양광 발전 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9.4GW로, 그 중 유틸리티 부문에서만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한 7.6GW가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미국 전력망에 새로 추가된 태양광 발전 용량은 21.2GW로 전체 신규 추가된 발전 용량 중 가장 높은 67% 비중을 차지했다. 이외에는 배터리 저장장치 15%, 풍력발전 12% 순이었다. 주별로는 텍사스가 작년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5.5GW의 가장 많은 용량을 추가했으며, 이어 플로리다 2.9GW, 캘리포니아 2.3GW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미국 정부의 중국 신장 위구르지역 강제 노동 관련 태양광 모듈 수입 제한 조치에 따른 수급 차질로 일시적인 정체를 겪은 미국 태양광 산업은 최근 모듈 수급 개선에 따라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태양광 발전 용량은 향후 5년간 연 평균 4%씩 확대돼 2029년에는 현재의 두 배 수준인 440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달 초 발표된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단기 에너지전망(STEO)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믹스에서의 태양광 발전 비중은 2023년 4%에서 2024년 5%, 2025년 7%로 견조한 성장을 지속 할 전망으로, 2025년에는 미국에서 태양광 발전 용량이 석탄 화력발전 용량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me2.do/GALIehfd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2: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88506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1:51


결국 10월도 통계를 따라가게 되는걸까요? 그럼 진짜 올해 마지막 기회네!

너쟁이의 성실한 투자생활⚡️

23 Oct, 00:48


GM의 미국 EV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