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kimcharger Channel on Telegram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kimcharger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을 저장하는 채널입니다.

기관에서 수년간 프랍트레이더로 있었고 지금은 육아를 하며 주식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종목과 사랑에 빠지는것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은 트레이딩의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블로그
https://m.blog.naver.com/kimcharger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Korean)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채널은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이 채널은 프랍트레이더로 수 년간 활동하신 김찰저님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하는 곳으로, 지금은 육아와 함께 주식투자를 이어가고 계십니다. 김찰저님은 종목에 사랑에 빠지는 것이 주식투자에서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며, 주식은 트레이딩의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채널에 게시되는 내용은 김찰저님의 의견과 기록을 담고 있으며, 어떠한 매수-매도 행위나 투자 권유를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김찰저님의 블로그도 방문하고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https://m.blog.
aver.com/kimcharger 를 참고해보세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6 Feb, 06:09


[에이비엘바이오] Nextlevel로 가기 위해서!
https://blog.naver.com/stoner0328/22375853175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5 Feb, 07:17


[통신]올 수밖에 없는 미래 : 데이터센터 위치의 분산화는 RU와 Fronthaul 등 수요를 증가시킨다.
https://m.blog.naver.com/whrbtjr91/22376159253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7:37


2025.02.14 16:36:56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21조 76억)
보고서명: 기업설명회(IR)개최

개최일자 : 2025-02-17
개최시각 : 09:00

*IR 목적
해외투자자 대상 회사의 주요 연구개발 및 사업현황 소개

*IR 내용
- 라이선스 체결품목 진행현황 소개 - 중장기 성장전략 소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90115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6:40


이번주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5:28


알테오젠

알테오젠도 슬슬 시나리오 세워야 하는 구간
무슨계약 나오면 비중 얼마까지 올릴지
아니면 미리 들어가 있을지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3:10


ㄴ네트워크 (400G→800G) + 오픈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3:05


-AI 훈련을 위한 워크로드에는 대규모 그래픽 처리 장치(GPU) 클러스터에 걸친 대규모 데이터 흐름과 과중한 컴퓨팅이 포함됩니다. 높은 대역폭이 필요하며 패킷 손실에 매우 민감합니다.

-예를 들어, 노키아(Nokia)를 포함한 UEC 회원사들은 AI 및 HPC 워크로드의 네트워킹 요구 사항을 대규모로 충족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상호 운용 가능한 고성능 풀 커뮤니케이션 스택 아키텍처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 상호 연결성
분산된 AI 인프라의 배포를 통해 조직은 사용자와 가까운 네트워크 엣지에서 AI 교육 및 추론 워크로드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최대한의 가치를 얻으려면 AI 네트워크 도메인 전반에 걸쳐 신뢰할 수 있는 고성능 상호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https://www.datacenterdynamics.com/en/opinions/optimize-data-center-networking-for-ai-workloads/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1:16


통신장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1:14


-이수페타시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MLB를 생산하고 있다. MLB는 미세 패턴과 홀(구멍)을 형성해 층과 층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층의 PCB 기판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 'AI 핵심 기판'으로 꼽힌다. 현재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에 MLB를 납품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연결 기준)은 전년보다 30.5% 증가한 2261억원, 영업이익은 163% 뛴 278억원을 기록했다.

-양승수 연구원은 "이번 실적 발표의 핵심은 증설 규모 확대를 통해 MLB 업황의 쇼티지(공급 부족)가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수준임을 암시했다는 점"이라면서 "이수페타시스를 포함한 MLB 업체들의 적극적인 투자 확대에도 이수페타시스는 업황의 쇼티지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는 고객사들이 신모델에 요구하는 다중적층 기술 적용 시 도금, 적층, 드릴 공정의 필요량이 기존 대비 약 세 배 증가하면서 공정 부하가 가중되고 이에 따라 실질적인 생산 CAPA(생산능력)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며 "동시에 AI용 GPU(그래픽처리장치) 외 ASIC(주문형반도체), AI 네트워크용 스위치 등 전반적인 AI 관련 수요가 견조하게 지속됨에 따라 업황 쇼티지가 해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https://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3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0:41


ㄴAI 기술의 상용화와 트럼프의 중국 배제 정책과 관련해서 오픈랜 이야기가 계속 나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0:41


[매경춘추] AI 물밑 격전장, 네트워크

-미국은 중국의 빠른 기술 추격으로부터 자국의 기술 우위와 경제·군사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2018년 화웨이의 통신장비 제한을 시작으로 네트워크 규제 및 공급망 위험 관리를 단계적으로 강화했다. 2018년 이전까지는 통신장비 제조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지만 기술패권 경쟁 심화와 통신 주도권 선점을 위해 그들의 강점인 소프트웨어(SW)·클라우드 기술을 네트워크 기술력으로 혁신해 자국 주도의 차세대 통신장비 확보로 입장을 선회했다.

-그 첫 단계로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을 하드웨어(HW)와 SW로 분리해 다양한 기업의 장비 호환이 가능한 개방화된 '오픈랜' 체계 전환을 2018년부터 추진해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지난해에는 차세대 네트워크인 6G 준비가 본격화되면서 AI와 네트워크의 결합을 가속하는 AI-RAN(Radio Access Network)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했다. AI-RAN은 기지국에 AI 기술을 내재해 유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서 고도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43481?sid=11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Feb, 00:14


이수페타시스

-OP는 추가적인 성과급 반영(25억원)과 신제품에 대한 테스트 비용 때문에 기대치 하회

-동사 월 수주금액은 지난 3Q24까지 5백억원 대에서 4Q24에는 756억원, 올해
1월은 793억원으로 급증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최대 고객사로부터 스위치 수주
가 급증하면서 수익성면에서 제품 믹스가 호전되고 있다. 북미 GPU 고객사향으로 신제품도 곧 공급될 예정으로 올해 매출도 4~50%YoY 성장할 전망이다.

-동사는 당초 올해 설비투자액을 8백억원에서 1천 5백억원으로 상향하며 Capa 증가 계획을 앞당기기로 했다. 올해 페타시스 본사 매출은 8,524억원 (19%YoY)으로 이전 예상(14%YoY) 보다 성장이 커질 것이며, 800G 스위치 물량 증가로 수익성도 호전될 전망이다.

(BNK)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Feb, 23:44


전력회사들, 데이터센터 확장에 ‘전속력 진행 중’

미국의 주요 전력회사 두 곳은 중국 인공지능(AI) 기업 DeepSeek이 전력 수요 성장의 미래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센터 고객들이 여전히 "전속력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Duke Energy Corp.와 American Electric Power(AEP) 경영진에게 지난달 DeepSeek 관련 뉴스가 데이터센터 개발업체들의 대규모 전력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쳤는지 질문했다.

듀크 에너지(Duke Energy) 차기 CEO인 해리 사이더리스(Harry Sideris)는 “하이퍼스케일러들과의 논의에서 그들은 이미 효율성 향상을 예상하고 있었기 때문에 DeepSeek의 등장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술 기업들은 DeepSeek의 효율성이 AI 수요 증가로 이어질지를 검토하고 있으며, 오히려 그들의 연구 개발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려는 논의가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AEP CEO인 빌 페어먼(Bill Fehrman)도 이와 비슷한 입장을 보였다.
“DeepSeek이 등장한 후 여러 고객사와 논의를 가졌지만, 그 누구도 전력 수요 전망이 변할 것이라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AI의 높은 전력 소비량은 OpenAI, Alphabet Inc.(구글 모기업), Microsoft Corp.(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들이 폐쇄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원 확보를 모색하게 만들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2-13/utilities-are-full-speed-on-data-centers-even-after-deepseek?srnd=telecom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Feb, 23:24


오픈랜 & 재건

-키예프스타(Kyivstar)는 우크라이나의 디지털 인프라 재건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라쿠텐 심포니(Rakuten Symphony)와 협력하여 우크라이나에서 실험실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하면서 개방형 RAN 야망에 진전을 이뤘습니다.

-이번 개발은 베온(Veon)과 라쿠텐 심포니(Rakuten Symphony)가 2023년 러시아와의 진행 중인 전쟁의 여파로 우크라이나의 통신 인프라를 공동으로 재건하기로 합의한 후 이뤄졌다. 양사는 디지털 서비스에 투자하고 RAN을 개방하여 국내 네트워크 인프라를 재건하겠다는 약속을 했습니다.

https://www.mobileworldlive.com/europe/kyivstar-rakuten-gain-ground-on-open-ran/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Feb, 23:21


-데이터볼트(DataVolt)와 네옴(NEO)은 옥사곤(Oxagon)에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지속 가능한 AI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1단계 완공을 위해 5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https://datacentremagazine.com/data-centres/neom-and-datavolt-to-build-us-5bn-net-zero-ai-factory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Feb, 22:58


1월 미국 변압기 PPI
Specialty: 433.246 (MoM +0.14%)
Distribution: 345.28 (MoM +0.13%)
Switchgear and switchboard: 330.586 (Flat)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Feb, 22:26


http://m.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2131950345652fbbec65dfb_1/article.html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Feb, 22:24


(이수페타시스) New 이수페타시스 IR BOOK 해설서 (ft. 하이퍼스케일러)
https://m.blog.naver.com/lepain-/22375988018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9 Feb, 01:46


SK바이오팜 : GPM 96%? "Yep, it's true!"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5383197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12:52


UAE, 프랑스에 새로운 AI 데이터 센터 건설에 수십억 달러 투자

프랑스와 에미리트 투자자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새로운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지원할 예정이다. AFP 보도에 따르면 AI를 전문으로 하는 UAE 투자회사 MGX가 300억∼500억 유로를 투자했다고 한다.

첫 번째 투자 트랜치는 글로벌 다국적 기업의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연례 행사인 'Choose France' 서밋에서 5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데이터 센터는 최대 기가와트의 컴퓨팅 파워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캠퍼스"의 일부가 될 것이며, 이 프로젝트는 Google 또는 Microsoft와 같은 하이퍼스케일러가 건설한 일부 데이터 센터와 연계될 것입니다.

https://sifted.eu/articles/uae-france-ai-data-center-news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07:47


빅테크 및 AI 관련 기업들 어닝콜 주요멘트 정리
https://m.blog.naver.com/gkdldy2004/22375295265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05:57


»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4분기 클라우드 부문 매출 둔화

- 구글: 119.6억달러
(예상치: 121.9억달러)
- 마이크로소프트: 255.4억달러
(예상치: 258.3억달러)
- 아마존: 287.9억달러
(예상치: 288.7억달러)

» 각 기업들은 클라우딩 컴퓨팅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이들을 뒷받침해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에너지 수급 불균형에 따른 용량 부족 지적

» DeepSeek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빅테크 기업들이 CAPEX 투자를 늘려가겠다고 밝힌 이유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05:23


#알테오젠 #리써처티비

면역항암제 2가지 종류
PD-1 = 키트루다와 옵디보(할로자임)
PD-L1 = 임핀지와 티센트릭(할로자임)
임핀지 대안이 알테오젠 밖에 없다.

sc가 iv 보다 좋은건 다 안다. 근데 왜 다 안하냐?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매출액이 일정 부분 이상 나와야 한다)

ADC가 지금 가장 핫하다 -> 빅파마 다 뛰어듬 - 면역항암제 + ADC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매출액 6조 1500억 23년)는 엔허투와 + TROP2 가지고 있다.
아스트라제니카는 임핀지를 무조건 살려야 한다.
엔허투는 알테오젠 sc와 계약 나옴.
그래서 임핀지도 sc를 해야 한다.

TROP2 ADC에서 제일 앞서는게 트로델비 -> 유방암 기대매출액이 49억달러

임핀지 트로델비 계약 2개다 나올거다.

임핀지 23년 매출액 6조 1500억
트로델비 매출액 1조 3000억

지금 당장 돈 측면에서는 임핀지가 좋아보이지만 미래 성장성을 보면 트로델비가 더 메리트가 있다.

TROP2 ADC는 HER2 ADC 이후로 가장 핫한 임상이 이뤄지고 있음

트로델비 TROP2 ADC SC 계약이 나오면 TROP2 ADC 후발주자들한테 SC 안하면 안돼!! 라는 압박이 생긴다.

임핀지 + 트로델비 계약이 나오면 + 듀피젠트 => 고점 뚫을것 50만원 이상

꿈의 100만원 PD-1*VEGF 이중항체 기술수출 나오면 게임끝 넘사벽

이중항체 PD-1*VEGF vs PD-L1*VEGF = 둘 다 알테오젠만 가능하다.
이중항체 계약이 나오는 시점은 이중항체 3상 끝나고 시판되는 그때부터 기대가능함 27년 쯤
그런데 박순재 대표는 임상단계부터 우리꺼 쓰면 좋다 -> 이렇게 계약이 나와도 새로운 역사를 쓰는거다.

알테오젠 은행예금 할바엔 알테오젠을 사는게 낫다.

할로자임 27년도 특허 끝 -> 앞으로 2~3년은 알테오젠 쇼타임이다.

https://www.youtube.com/live/Gfg3BcPi-hc?si=WKp5sRT0f_y-apG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05:03


오늘 아들이 휴대폰에 제미나이 라이브 켜놓고
하루종일 궁금한것 물어보면서 놀고 있는데

(1) 2시간 동안 궁금한것 계속 물어봐도
한결같이 친절하고 정확한 답변 해줌
(부모에게 이런식으로 계속 질문하면
아마 30분 정도만에 부모님들 탈진할듯)

(2) 답변의 퀄리티는 아동도서 베스트셀러
정도만큼이고 매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줌

(3) 현재 수준 정도에서 더 발전하면 정말로
개인비서 옆에 두고 있는 느낌 들것같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04:04


-트럼프는 다음주 다른 국가에 대해 동등한(reciprocal)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발표
-일례로 미국산 자동차에 대해 EU는 10% 관세를 부과하지만 미국은 EU 자동차에 2.5% 부과하는데이를 10%로 맞추겠다는 의미
-EU는 선제적으로 자동차 관세를 2.5%로 내리는 오퍼를 준비중(FT)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무부, 무역대표부 지명자들은 인도, 브라질, 베트남을 언급
-해당 국가들은 미국보다 높은 평균 관세율을 부과
-발표 전까지 관세 불확실성 지속. Reciprocal 형태가 부과될 경우 평균 관세율이 높은 EM 국가에 타격이 집중될 전망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Feb, 03:28


고민과 포트폴리오 (25.02.08)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5269954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23:17


구리가격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23:09


📌 에이비엘바이오(시가총액: 1조 9,047억)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02.07 17:22:30 (현재가 : 39,450원, +3.68%)

보고자 : 이상훈(63년생)/등기임원/대표이사
보고전 : 28.54%
보고후 : 23.47%
변동률 : -5.07%

날짜/사유/변동/주식종류/비고
2025-02-05/ 증여(-)/ -10,000주/ 보통주/자녀에게 증여
2023-01-05/ 증여(-)/ -25,000주/ 보통주/배우자에게 증여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700089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38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7:28


ㄴ 일라이릴리가 RNAi 센터도 만들고.. RNAi 관련 기업들 하나 둘 사거나 라이선스 인 해오더니 k-바이오 까지 ㄷㄷ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7:26


📌 올릭스(시가총액: 3,793억)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2025.02.07 16:17:31 (현재가 : 20,550원, +18.17%)

제목 :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 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상대방 : Eli lilly and company (이하 릴리)
- 국적 : 미국
- 설립일자 : 1876.05.10
- 최근사업연도(2023) 매출액 : USD 34,124M

2) 계약의 내용
- 올릭스는 OLX75016에 대한 임상 1상 활동을 계속하여 완료하고 릴리는 기타 연구, 개발, 상업화를 수행함.
- 계약체결 후 올릭스는 릴리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2월 7일

4)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제품 로열티 기간 만료일

5) 계약지역 : 전 세계

6) 계약금액 : 총 USD 630,000,000 (911,673,000,000원)
- 계약체결로 인해 받는 선급금 및 이후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과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한 금액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79009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2695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6:43


다이나믹한 한주였네요. 주말 편히 쉬세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6:00


AI 수혜가 광트랜시버까지...코히런트 주가급등(feat. 루멘텀홀딩스)
https://m.blog.naver.com/hardark/22375125098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5:34


오늘 에이비엘바이오 중요한 자리인데 내용은 알파카님 자료에 잘 정리 된듯 하네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artale0517/startale/contents/250129181248183hm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5:14


UAE·프랑스, AI 데이터센터 공동개발 합의…'72조원' 투자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298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2:27


의사가 인정한 세노바메이트, 3400억 韓 시장 장악 유력...문제는 약가

4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뇌전증치료제 시장 규모는 34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2세대 뇌전증치료제 프레가발린, 레비티라세탐, 가바펜틴 제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오리지널 약과 제네릭이 난립해 있는데, 모두 해외 제약사 오리지널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데일리가 확보한 유비스트 자료(원외처방액 기준)에 따르면 △비아트리스 리리카(성분명 프레가발린) 794억원 △UBC제약 케프라(성분명 레비티라세탐) 295억원 △비아트리스코리아 뉴론틴(성분명 가바펜틴) 215억원 △GSK 라믹탈(성분명 라모트리진) 160억원으로 성분별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38602?sid=10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Feb, 01:53


이수페타시스

일본 FICT가 어떤 회사인지 검색해도 잘 안나오는데 MBK가 이 회사를 9500억 밸류에 인수하는것에 대한 의미는

(1) MLB시장 확실히 돈될것 같고
(2) MLB에서 빅테크향 레퍼런스가 불분명한 회사임에도(순위권에 없음) 이 가격에 인수할만한 가치가 있다 (향후 기술을 키워서라도 이 시장에 진입하겠다는)
(3) 결국 빅테크향 MLB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는 이수페타시스의 밸류가 더욱 싸보이는 상황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9:38


https://m.blog.naver.com/hardark/223740892036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9:21


https://naver.me/5qDd8nqn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6:50


[SK바이오팜] 슥팜은 월드클래스 맞습니다.(250128)
https://blog.naver.com/july3003/22374078112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6:47


태광
https://blog.naver.com/sohocarice/22374086969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4:20


트럼프가 deepseek에 대한 언급을!

“중국 기업의 AI인 딥시크 출시는 우리 업계가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집중해야한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32904?sid=101

#스푸트니크_모먼트

이후 S&P 주가는 1년반동안 +56% 상승했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0:37


VIX 지수
:윗꼬리 음봉으로 딥시크에 대한 우려는 전일 시장에 상당부분 반영됐을 가능성. 시외 움직임과 국장 개장 전까지 움직임을 보면 진짜 해석을 알수 있을듯. 지금까지의 생각은 이번 사안으로 시장이 놀란건 맞다. 다만 AI패권에 효율성이 중요한지는 다른문제라고 생각함. 오히려 이번 이벤트로 미국의 AI 의지는 더 강해지지 않았을까? 당연히 투자도 더 늘릴것이고-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0:31


🔅DeepSeek는 AI Super Cycle을 가속화 시킬 뿐
(250127 NH투자증권 Analyst 임지용 해외기업팀장/글로벌IT)

· DeepSeek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오픈 소스 모델이 독점 모델보다 더 발전 가능성이 높으며, 오픈 리서치와 오픈 소스 시스템이 채택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의미.
또한 AI 타임라인이 가속화되고 중소 후발주자들도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추가 수요를 더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
: LLM은 결국 커머디티화 될 가능성이 높았고, 메타가 오픈 소스 전략을 취했을 때부터 어느 정도 예견됐던 방향

❗️DeepSeek 모델로 인해 미국 빅테크의 AI 투자가 과도하다는 주장은 어불성설.
AGI가 중요함. LLM은 여러 AI 모델 중 하나일 뿐이며, OpenAI의 미션 변경과 초지능을 향한 Next Step 등을 감안하면 AI Super Cycle에 대한 회의는 사치.

· AI 기술 스택에서 하부구조, 반도체, 클라우드 컴퓨팅을 미국이 장악하고 있음. 정부 차원에서 AI 경쟁이 치열해지는 국면으로 판단⚡️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중국 금융사들의 AI 밸류체인 1조 위안 지원 계획, 인도의 대규모 AI 투자 등이 이를 증명.

🗣AI Super Cycle의 파동은 더욱 진폭을 키우며 전개될 것.
보다 큰 변동성을 내포한 채로 AI Core Infra 기업들의 주가 우상향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
Color는 변할 수 있으나 Core는 변하지 않음
🔜

t.me/stockDaram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Jan, 00:28


[반.전] 중국 딥시크의 공포, 엔비디아 팔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지난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모델이 주말 사이 큰 주목을 받으며, 반도체 주도로 나스닥 시장의 급락을 야기했습니다 (나스닥 -3%, SOX -9%, 엔비디아 -17%, 브로드컴 -17%)

미국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 더 적은 자원(=GPU)과 비용으로 미국에 버금가는 AI 모델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조정의 로직은,

1) 딥시크의 추론 모델 R1은 오픈AI o1과 유사하는 수준의 성능을 기록하면서도 가격은 95% 이상 저렴. 더구나 오픈 소스로 공개

2) 그러나 막대한 엔비디아 최신 GPU로 개발해 온 오픈AI와 달리, 이전부터 딥시크는 더 적은 리소스와 비용으로 개발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짐

2-1) 이전 공개된 딥시크 V3 모델의 경우, 메타 Llama 대비 파라미터가 1.5배 크면서도, 훈련 비용은 1/10인 600만달러 미만 (그것도 저사양의 엔비디아 H800 사용)

3) 그렇다면 스케일링 법칙 (더 많은 하드웨어와 더 많은 훈련=성능 개선)이 무효한 것 아닐까?

4) 반도체를 비롯한 범 AI 인프라 수요를 다시 생각해봐야 하나?

물론 딥시크의 훈련 비용과 방법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H100을 썼을 거라는 의심의 시각도 있고요.

다만 중요한 것은 잠시 하드웨어 수요를 떠나, 중국의 AI 기술이 미국과 맞먹는 것처럼 보여진다는 겁니다. 미국이 가장 견제하는 분야에서요.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마침 지난 주 발표된 것도 우연이 아닐 지 모릅니다 (딥시크 R1 공개 이후 발표).

위와 같은 이유로의 시장 급락이 이해는 가지만, 오히려 중국의 빠른 추격을 고려하면 미국은 격차를 더 벌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오히려 투자를 더 늘려야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최적화 방안을 연구할 시간이 없습니다. 스케일링 법칙이 아직 유효하다면, 투자는 계속되어야 합니다.

저희가 지난 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발표 이후, AI 인프라 사이클 기대감이 유효함을 말씀 드렸던 배경이기도 합니다.

갑자게 크게 훼손된 투자 심리가 한 번에 돌아서기는 어렵지만, 우선 이번주부터 예정된 클라우드 실적 발표를 살펴야 겠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들의 CAPEX 코멘트 (투자 계획, 효율성 등)에 더욱 주목할 것입니다. 작년 여름 피크아웃 논란도 거셌지만, 결국 클라우드 업체들의 한 마디로 정리된 바 있습니다.

AI 투자를 견인하고 있는 클라우드의 의지가 꺾이기 전까진 사이클의 끝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2024/1/28 공표자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Jan, 12:27


Cantor Fitzgerald, 엔비디아 비중 확대(Overweight) 등급과 목표 주가 $200를 제시

DeepSeek의 V3 대규모 언어 모델은 NVIDIA($NVDA)와 컴퓨팅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며, GPU 수요에 대한 우려와 정점 투자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낙관적이라는 의견을 Cantor Fitzgerald가 투자자들에게 전했습니다.

이 회사는 DeepSeek의 발전이 범용 인공지능(AGI)의 실현에 더 가까워졌음을 의미하며, 사전 훈련, 사후 훈련, 시간 기반 추론/추론 작업이 계속 진행될 것이며, 대규모 클러스터에 대한 향후 투자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모든 요소는 AI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됩니다.

Cantor Fitzgerald는 NVIDIA 주식의 약세가 발생할 경우 이를 매수 기회로 삼을 것을 권고하며, NVIDIA 주식에 대해 비중 확대(Overweight) 등급과 목표 주가 $200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Jan, 05:29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본격적인 AI인프라 투자가 시작될것 같다. 그것도 매우 크게 우리가 상상하는것 이상으로 많~이. 딥시크 마케팅이 여럿 피딩되면서 좀 먹히는것 같지만 일반 대중들의 관심을 위한 컨텐츠와 미국, 중국 핵심 의사결정자들의 생각이 같을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Jan, 04:55


🇨🇳 DeepSeek를 보는 두 가지 관점

출처: BIZTREND | 비즈트렌드
https://t.me/biztrend365

두 가지 관점 중 하나가 가능하겠다.

1)
미국의 AI CAPEX는 비용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므로 줄어들 것이다
2)
군비경쟁이 가속화되며 미중 양측에서 CAPEX가 더 늘어날 것이다

시장이 1)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2)의 가능성이 더 높지 않나 싶다.

이유:
-AI 개발은 무슨 유용한 챗봇 만드는 귀여운 프로젝트가 아니다. AI 개발의 목적은 AGI이고, AGI의 목적은 기술적 특이점이고, 특이점의 결과는 ASI이고, ASI의 결과는 현재 우리가 아는 인류문명의 끝이다. (진화든 멸종이든)
-다시 말해 AI 개발은 핵무기 이상의 파괴력을 가진 방산 프로젝트다. 방산은 효율을 따질 수 없음. 다 굶어죽더라도 핵은 포기 못하는 김정은을 봐야 한다. 미국은 다를까? 중국이 ASI에 먼저 도달하는 시나리오보다는 의료보험을 없애고 경찰과 교사를 절반으로 줄여서라도 ASI에 도달할 것. 어차피 지면 나머지도 다 없어지니까.
-이 사단 며칠 전이 Stargate 프로젝트 발표였다. 트럼프가 무슨 모지리여서 deepseek을 모르고 발표한 걸까? 당연히 먼저 알았을 것이고, 그 대응으로 나온 건 CAPEX 축소가 아닌 확대였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Jan, 00:45


래리하이트 부의원칙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6 Jan, 08:24


중국의 Deepseek 모델에 대한 생각 (stocktalk)

중국은 딥씨크가 오픈소스 AI 모델의 비용에 대해 거짓말을 할 만한 충분한 유인이 있다고 봅니다. 딥씨크가 해당 모델 개발에 단지 600만 달러만 소요됐다고 주장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1. 미국 정책 입안자들에게 GPU 수출 통제가 중국 AI 발전을 저해하지 못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2. 외국인 투자자와 국제적인 관심을 끌어내어 중국 AI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국의 기술 관련 사기 역사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아래 사례들을 참고하세요:

- "뇌 읽기" AI
- "3초 배터리"
- 양자 위성 "묵자호(Micius)"
- 광속 통신
- 홍신반도체(HSMC)
- 자오룽(蛟龙) 심해 잠수정
- 토카막 원자로
- "횡단 버스" 사기
- 시속 1000km 자기부상열차
- "한신(Hanxin)" 마이크로칩 스캔들

그리고 국제 사회를 놀라게 하고 중국의 과학 및 기술 발전을 과장하려는 목적으로 추진된 많은 사례들이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딥씨크가 주장하는 최신 모델 개발비 600만 달러에 대해 국제적 또는 독립적인 감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그들의 말을 믿는 것에 불과합니다.

더욱 중요한 점은, AI 투자에 대한 의미가 왜곡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ChatGPT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앞선 LLM(대규모 언어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이 제품만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ChatGPT에서 발생하는 총수익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매출에 비하면 거의 무의미한 수준입니다.

마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이라 불리는 미국 빅테크 및 하이퍼스케일러 경영진들은 이를 잘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LLM이 벌어들이는 돈과 오픈소스 모델(딥씨크뿐 아니라 메타와 같은 미국 대기업이 개발한 모델 포함)의 성장 속도를 잘 알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수익 창출과 이들 기업이 투자하고 있는 막대한 금액 사이의 격차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의 계획은 무엇일까요?

LLM은 우리가 아는 현재 상태로는 궁극적인 목표가 아닐 것이라는 점을 가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이 수천억 달러를 투입하고 있는 이유는 어딘가에 변혁적인 AGI(범용 인공지능) 제품이 존재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직 그 단계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그러한 모델이 경제, 노동시장, 생산성에 미칠 실제 영향도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딥씨크가 주장한 모델 개발 비용을 믿든 믿지 않든, LLM은 어차피 점차 일반화(commoditization)
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는 메타가 오픈소스 Llama 모델을 공개했을 때부터 이미 분명했던 사실입니다.

딥씨크 모델의 API 가격은 오픈AI 등 다른 기업들에 비해 상당히 저렴합니다. 그러나 중국의 기술 대안이 미국 기술보다 더 저렴하지 않았던 적이 있었나요? 이것이 미국 기업이 최고 수준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막습니까? 더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 미국 기업이 가장 큰 미국 및 유럽 고객을 확보하는 것을 막습니까?

사람들이 딥씨크 모델을 빌미 삼아 미국 하이퍼스케일러들의 투자가 과도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 논리의 기본 전제는 LLM이 이들 투자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이 점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질문은, 중국이 미국보다 먼저 AGI라는 최종 게임에 도달할 것인가, 그렇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이것이 핵심이지, 오픈소스 LLM은 아닙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6 Jan, 04:37


딥시크?

딥시크가 주장하는 금액은 사실상 과소발표 되었을 것이라 생각. 효율적인 AI훈련이 가능했으면 왜 빅테크가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려고 할까? 아마 딥시크도 중국 정부가 가용 가능한 대부분의 GPU를 활용했을 것이라 생각. 따라서 5.57m 이라는 딥시크의 마케팅에 속으면 안되고 실제로는 최고급 성능 gpu 확보를 위한 비용+ 시간당 전력과 인프라비용+토지비용 등 일반적인 계산 하에서는 미국 빅테크와 큰차이 없을것이라고 봄.

그리고 이러한 뉴스 플로 자체는 데이터센터 케펙스 수혜주에겐 상당한 호재인게 AI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GPU스케일 투자와 필연적인 데이터센터 케펙스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 때문임.

해당 내용 관련해서 미국과 중국의 AI케펙스 투자 경쟁을 보고 있으면 마치 미국과 소련의 냉전시기 군비경쟁을 보고있는것 같음 ㅎㅎ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6 Jan, 04:32


연구 비용 제외, 다양한 설계, 알고리즘, 아키텍처 및 데이터의 반복 테스트 비용 제외. 마치 EBITDA 가정 회계 같은 느낌이네요.

그런데도 여전히 모든 사람들이 이것이 560만 달러로 이루어졌다고 떠들고 있죠. 정말 누군가 DeepSeek 논문을 제대로 읽기는 했나요? 게다가 훈련이나 사전 훈련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는 전혀 검증된 게 아니잖아요.

인터넷은 좋은 이야기를 위해 사실 따위는 절대 방해받지 않죠.

560만 달러라는 숫자를 적절한 비용 제외 및 경비 제외 주석 없이 인용하는 매체는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게 실제 비용인지, 아니면 깨끗한 GPU 대여 훈련 실행에 대한 가상의 비용인지조차 명확하지 않습니다.

논문에서는 "렌탈 가격을 가정하여"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DeepSeek이 이 모델을 만드는 데 단지 560만 달러가 들었다는 인상을 독자에게 남긴다면, 이는 독자를 오도하는 것입니다. 딱 잘라 말해서, 그렇습니다.

THE NVIDIA WAY 책 저자, Barron’s - Tae kim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6:42


행복한 설 연휴 보내세요 ~ ^^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5:47


이수페타시스
-미국 AI데이터센터 직수혜 두산, 이수페타
-거버넌스 문제로 두산은 신고가, 이수빠따 땅굴
-두산 시총 5.4조. 두산 전자부분 NAV 평가 3.5조 (전자사업부 25년 매출액 1조 OP 1000억)
-이수빠따 25년 매출액 1조 OP 1600억
-이수빠따는 복합기업도 아닌데 시총 3조 이상부터 시작하는게 맞는거 아닌가 생각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5:20


스타게이트
-전력기기
-HBM
-이수빠따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5:19


갓진전기 신고가 축!!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4:30


2025.01.24 13:30:02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16조 2,70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2,532억(예상치 : 30,059억)
영업익 : 1,690억(예상치 : 1,161억)
순이익 : 5,764억(예상치 : 1,41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32,532억/ 1,690억/ 5,76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2024.2Q 25,361억/ -97억/ -274억
2024.1Q 22,836억/ 529억/ 510억
2023.4Q 22,309억/ -488억/ 2,86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48002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3:52


이수페타시스

미국 스타게이트 최대 수혜주 가능?
-AI가속기 +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매출이 AI, 데이터센터향 집중
-글로벌 독과점
-26년 1500억X35배=5.2조 (업사이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3:29


일본은행이 24일 기준금리를 기존 0.25%에서 0.5%로 인상했다. 지난해 7월 이후 첫 금리 인상으로, 0.5%의 금리는 2008년 10월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2:12


조선,LNG 기자재 밸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1:59


이수페타시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1:25


에너지 생산을 대폭 늘려 AI 대전환을 하려는 미국. 전통에너지 석유, 가스, 원자력이 AI띰에 편입되고 있는데 LNG 밸류체인 또한 AI띰에 편입 될 것으로 생각
→ LNG가 확장될수록 선박과 선박 기자재도 필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0:36


미국의 선박 제조 능력은 제로
함선 보유 수 중국>미국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있을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0:11


이수페타시스
-네트워크 마진이 더 좋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0:08


이연된 매출 다시 보정하면 컨센 부합이었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Jan, 00:00


HD현대일렉트릭 전고 트라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Jan, 23:14


ㅠㅠㅠㅠ
https://stock.mk.co.kr/news/view/64879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Jan, 22:33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3737?sid=10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Jan, 08:11


장르를 개척하는 모습이 멋있네요
https://youtu.be/Zbo7UY8dxh8?si=heKgOqGvd3Pg4RwJ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23:53


[속보] 尹대통령, 곧 관저 밖으로 나올 예정…김성훈 경호차장은 체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23:42


알테오젠 컨센서스 (신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22:56


『알테오젠(196170.KQ) – JP모건-DS는 ADC SC 더 확장, 머크는 연내 출시』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2578

▶️ JPMHC 2025서 '목숨걸었다' 시즌 2 공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 첫 날 파트너사 머크와 다이이찌 산쿄로부터 SC관련 엄청난 내용들이 공개 1) 머크는 키트루다SC 연내 런칭 및 빠르면 1년 내 30~40% SC 전환 발표 2) 다이이찌 산쿄는 부작용 개선을 목적, 엔허투와 함께 차세대 ADC까지 SC 확장 계획 발표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1일차 핵심 내용 정리

파트너사 머크와 다이이찌 산쿄 모두 이번 JP모건에서 향후 계획 발표. 머크는 키트루다SC 연내 런칭 및 12~18개월 내 전체 매출액의 30-40%를SC 전환 발표. 약가도 IV보다 이점 가지게 해 공격적 전환 전략가져갈 것

연내 출시 위해서 최소 1~2월 중 키트루다SC 허가신청 필요. BMS 옵디보SC가 허가신청 후 8개월만 승인. 키트루다 연매출 40조원 가정 시2028년 중 SC 매출 50% 전환 충분히 가능, 3-5% 로열티 수령 시 연간 6,000억원~1조원 수준도 가능

다이이찌 산쿄도 최초로 공개한 3가지 1) 부작용 및 유효성 개선 위한 SC개발임을 공개 2) 엔허투 외 추가 SC 개발 예정 3) 환자 직접 투여 가능성. 부작용 및 유효성 개선 시 엔허투IV 2030년 160억 달러 추정치 이상 매출 가능. 로열티 6-7% 합리적. 새 ADC 기업과 L/O도 기대

▶️ Valuation & Risk
이번 JP모건에서 파트너사들이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기대 이상의 계획들을 공개. 상반기 중 신규 빅파마 L/O 2건 목표 및 변경 계약 공시될 경우 할로자임 특허 이슈 및 저평가 구간 완전 해소 예상. 섹터 내 최선호주 추천 및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30,000원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73
위 내용은 2025년 1월 13일 07시 3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22:34


LA전력청 '산불 피해' 전력망 긴급 발주에 K전선 잰걸음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965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22:33


[JPM2025] 존슨앤드존슨 CEO “렉라자, 연 매출 7조원 넘을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729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22:32


[JP모건]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SK그룹, AI에 진심…5년 후 신약 개발 프로세스 완전히 달라질 것”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11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7:01


“엔허투는 시작일 뿐...차세대 ADC도 피하주사 제형 도입 기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엔허투’의 피하주사(SC) 제형 개발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향후 준비 중인 차세대 ADC 파이프라인들도 필연적으로 SC 제형 도입을 검토하게 될 것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28740?sid=10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6:39


오늘 줬다가 뺏은 종목이 많아보이네유...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뜨겠지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4:05


산일전기
: 이정도면 거의 한국에 있는 미국회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2:22


JPMHC에서 머크가 2025년 연내 주요 품목 승인 제품으로 키트루다SC 발표

곧 허가신청이 들어가야 연내 승인이 가능합니다. BMS/할로자임의 옵디보SC는 승인신청 후 8개월만에 허가되었습니다.

그리고 곧 각 애널리스트들에게 2026년 키트루다SC 전환율에 대한 가이던스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7-2028년 중 50% 전환 시 키트루다SC 매출은 연 20조원에 달합니다. 마일스톤 1.4조원은 2-3년 내 모두 인식될 것이고

50% 전환 시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 3-5% 라면 연간 6,000억원에서 1조원 최소 인식될 것입니다. 이제는 확정적 매출과 로열티라는 점을 다시 강조 드립니다.

그리고 2028년이 넘어가면 점유율은 50% 이상입니다. 로슈 티쎈트릭SC는 영국 출시 3분기만에 32%를 IV에서 SC로 전환해 2-3년 내 50% 전환은 공격적 목표가 아닙니다.

https://s21.q4cdn.com/488056881/files/doc_events/2025/Jan/13/MRK-JP-Morgan-Presentation-FINAL-1-13-25.pdf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2:20


이건뭐냐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2:20


유한양행 - 자사주 신탁 관련 허위사실에 대한 안내문

https://www.yuhan.co.kr/Main/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1:42


머크 @ JPM Healthcare Conference
https://blog.naver.com/innocent_man/22372524288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1:17


시장생각 (25.01.14)

역시 1월은 어려운 시장같음. 꿈주식 퍼포먼스가 좋기도 하고, 게다가 위아래 변동성도 큼.

지수가 반등을 했지만 반도체등 대형섹터가 허를 찌르는 상승을 해서 실제로 돈번사람 얼마나 될까 싶기도 하고-

포모 온다고 따라가면 물리기 딱 좋은 시장같음. 내종목이 좋다면 그냥 기다려보자-
(스스로의 다짐과도 같음 ㅋ)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4 Jan, 00:57


J&J "폐암 환자 1년 더 산다…리브리반트SC 나오면 표준치료 확신"

만약 올해 2월경 리브리반트 피하주사(SC) 제형이 FDA 허가를 받게 되면 블록버스터 신약에 한층 더 가까워질 예정이다. J&J는 기존 정맥주사(IV)가 아닌 피하주사로 리브리반트를 투여할 수 있도록 FDA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는 5시간 이상 걸리는 항암제 투약 시간을 5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지난해 5월 J&J는 SC 제형의 리브리반트가 기존 IV 제형보다 환자의 생존율을 높였다는 예상밖 성과를 공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J&J는 향후 다른 암종을 대상으로 추가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두아토 CEO는 "리브리반트의 SC제형이 나오면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위한 표준치료가 될 것으로 굳게 믿고 있다"며 "EGFR 변이를 가진 두경부암 및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3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31917i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Jan, 23:18


대박이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Jan, 23:17


2025.01.14 08:15:33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2조 28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유럽소재제약사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의약품 위탁생산계약
공급지역 : -
계약금액 : 20,747억

계약시작 : 2024-12-13
계약종료 : 2030-12-31
계약기간 : 6년
매출대비 : 56.1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14800022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079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Jan, 22:2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51345?sid=10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3 Jan, 13:31


코리아 금융 빅뱅 (KB 25.01.06) : 미국 리쇼어링과 전력기기 사이클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2486799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9 Jan, 03:45


일진전기, 2026년 신공장 풀 가동 목표… 변압기·HVDC 영업이익률 제고 핵심
https://www.finance-scope.com/article/view/scp20241227001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9 Jan, 01:13


아 제발 올해에도 알테, 리가켐 L/O나올때 모니터 앞에 앉아있는 상태이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9 Jan, 00:28


미국 10년물 금리

어제 트럼프가 경제 비상사태 선포인가 뭔가 한다고 해서 금리가 4.7%까지 발작 했었는데요. 그러다가 다시 평소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이제 트럼프가 뭘 한다고 해도 저정도 수준은 고점이라는 생각이네요.

따라서 금리에 의해 주가가 가장 많이 눌려있는 바이오섹터의 되돌림을 기대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23:03


렉라자 새역사 쓰나...리브리반트 병용 표준요법 등재 초읽기

연세암병원 조병철 교수는 "전례가 없던 데이터로 사실 개인적으로 표준 치료법보다 mOS가 7개월 이상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이를 훨씬 상회하는 결과“라며 ”1차 치료에서 1년 생존기간 연장 혜택을 제공하는데 어떤 의료진이 단독요법을 선택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62009&ref=naverpc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22:28


가스보일러...!

트럼프 "연안 시추금지 뒤집을 것…멕시코만→미국만으로 개칭"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47344

트럼프 당선인은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비판하는 과정에 가스보일러 및 가전제품의 절수 문제 등도 거론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그(바이든 대통령)는 가스보일러(gas heater)를 여러분의 집에서 없애고 그것을 전기보일러로 교체하길 원한다"면서 "이 사람은 전기를 사랑한다. 그러나 가스보일러가 저렴하고 더 낫다"라고 밝혔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11:41


엔코스, 제닉 스토리 (하나증권 코멘트)

-2500억에 매물로 나온 엔코스
-시총 2000억 제닉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11:31


몸값 높이는 K뷰티…M&A 관심 뜨겁다
https://m.blog.naver.com/royvalue/22371906576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8:12


K-보일러 북미 안방 '뜨끈'…한파에 주가 최고가 '후끈'

주가 10만원 고지…두달만에 '역대 최고가'
신제품, 주력시장 북미에 본격 판매 시작

경동나비엔의 매출구조를 보면 전형적인 수출기업이다. 전체 매출의 72%가 해외에서 나온다. DS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지역별 매출은 미국 61%, 한국 28%, 러시아 5%, 유럽과 인도가 4%, 중국 2%였다. 특히 북미 콘덴싱 온수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다. 점유율은 약 30~40%대로 추정된다. 이 시장에서 둘 중의 하나는 경동나비엔 제품을 쓴다는 얘기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매년 성장 중이다. 2007년 이후 단 한 차례도 매출이 역성장한 적이 없다. 올해 매출은 1조6800억, 영업이익은 1650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실적 추정치와 비교하면 각각 10% 이상 오른 수치다. 또한 예상 영업이익률 9.8%는 동종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47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경동나비엔은 북미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중남미에서도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에선 보일러 점유율 1위이다. 2022년 멕시코를 시작으로 중남미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국내시장이 정체된 사이 해외 비중 확대가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 올해부터 본격화

경동나비엔은 올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전망이다.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라는 신제품이 주력시장인 북미에서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퍼네스 시장 규모는 콘덴싱 온수기 시장의 5배 규모이며, 향후 연간 최대 매출 가능 규모는 5000억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는 경동나비엔의 '현지화 전략'이 반영된 대표적인 제품이다. 경동나비엔이 해외에서 성공한 원인이 바로 현지 수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제품' 생산이다. 미국의 경우 직원 대부분을 현지인으로 채용하고 핵심 전문가만 현지에 파견했고, 구로 고척동 연구소를 중심으로 현지에 맞는 제품을 개발했다.

'트럼프 리스크' 제로…환차익 기대

국내의 많은 수출기업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관세 리스크'를 우려하고 있다. 경동나비엔은 예외다. 온수기와 보일러는 생존에 필요한 기본 필수재로 분류되어 북미 지역과 기타 지역 내의 관세와 수출 규제가 없기 때문이다.

건설경기 불황으로 내수는 우려

국내 보일러 시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연간 120만~130만대 판매량에 머물러있다. 중앙난방의 보급과 대형단지의 등장으로 성장이 정체됐다. 앞으로도 갑자기 성장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경동나비엔이 10여년 전부터 수출기업으로 탈바꿈한 가장 큰 배경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277/0005529697?cid=200181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7:36


제닉

엔코스의 기업가치는 2500억원 수준이 거론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62463?sid=10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7:34


유한양행
-사모, 연기금, 투신 각각 100억 이상 매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4:34


유한양행 : 레이저티닙 mOS 개선 1년 이상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1868334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3:18


https://youtu.be/hggIthv3jUk?si=yAEUf2nOVP1jWIIr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1:05


유한양행

삼성증권 레이저티닙 추정치


-29년 피크 유한양행 수익 5030억 추정
-전일 데이터 발표로 이 추정치도 상향될 가능성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Jan, 00:09


유한양행

과거 미래에셋 레이저티닙 추정치


-피크 40% 가정시 29년 로열티 4800억 추정
-전일 생존율 데이터 발표로 추정치 올라갈 가능성
-피크 70% ~ 80%로 상향될시, 로열티 + 본업 포함 영업이익 7000~8000억대 바이오텍 등극 가능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23:20


알테오젠 (상상인)

특허는 믿고 가자, 추가 수요를 기대

키트루다SC의 성공적인 임상 3상 데이터 공개와 함께 MSD는 키트루다SC 사업에 방해가 될 가능성이 높은 할로자임의 특허를 하나씩 지르밟기 시작했다. 상용화를 앞두고 본격적인 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알테오젠의 확신과 다르지 않게, 지적된 할로자임의 특허들은 무효되거나 ALT-B4의 실시에 위협이 되지 않는 수준까지 권리범위가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PGR 결과 확인 예상 시기는 ‘26년 5월이나 할로자임의 조치에 따라 더 빨라질 수도 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22:34


CES 셀온으로 전반적인 테크조정이 나왔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22:30


* 양자컴퓨터 관련주 장중 급락 후 시간외 추가 5~9% 하락

- 젠슨황, "양자컴퓨터 기업들과 협업하고 있지만 타임라인은 빨라야 15년, 늦어도 30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22:29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13388?sid=10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13:46


[미래애셋 김승민]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MARIPOSA OS 탑라인 발표

- 타그리소(osimertinib) 대비 전체생존기간 mOS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 mOS의 개선은 ’1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

- 성숙한 데이터가 있는 시험에서 전반적으로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강력하며, RYBREVANT와 LAZCLUZE를 사용한 1차 치료가 더 나은 환자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 확인

- 화학 요법 없는 치료방법으로 전 세계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게 미칠 수 있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강화하며, 현재 표준 치료법에 비해 전반적인 생존율 이점을 처음으로 나타냄

https://www.jnj.com/media-center/press-releases/rybrevant-amivantamab-vmjw-plus-lazcluze-lazertinib-shows-statistically-significant-and-clinically-meaningful-improvement-in-overall-survival-versus-osimertinib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9:18


미래 영업이익 대비 밸류에이션 하락폭이 과도한 상태.
업황을 고려하면 많이 디스카운트된 가격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4:45


[서환] 연금 환헤지 추정에 1,450원선 무너져…한때 1,449.70원(상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3:07


일진전기
-전일 연기금 8.46% 지분신고
-금일 뚜따각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2:55


전력기기 기관수급 (25.01.02 ~ 25.01.06)
: 새해에는 효성중공업, ls electric 수급좋음
-이번 CES에서는 너도나도 AI 호소중(안마기 등등) 방향이 명확하다면 전력기기가 그나마 안전한 선택지 아닐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1:49


biodance, reedle shot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1:19


[Deep Dive][알테오젠]②허셉틴, SC제형 출시에도 매출 75% 하락...키트루다는 다를까

SC제형의 바이오시밀러 경쟁 방어 효과 물음표
키트루다SC 매출 기대치 낮춰야

https://www.press9.kr/news/articleView.html?idxno=61489

이런 분석력 떨어지는 일부 사례만 들어놓은 기사는 무시하시기 바랍니다.

1)
유방암 시장은 엔허투 때문에 허셉틴IV와 SC 동반 매출 하락으로 봐야해서 허셉틴SC로 매출 방어가 어려웠다는 것은 틀린 분석이고

2)
허셉틴의 특허가 끝나고 낮은 약가의 IV시밀러가 출시된 상태에서 늦게 출시된 SC제형은 전환율이 낮고 매출도 낮을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특허만료 전 SC 출시로 시장 미리 방어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특허만료 전 SC출시 대표적 3가지 사례를 보면

1) J&J 다잘렉스SC는 전체 IV 매출액 93%까지 SC전환 성공했고

2) 로슈 티쎈트릭SC는 영국 출시 3분기만에 전체 IV 시장 32% SC 전환 성공

3) J&J은 아미반타맙SC를 유효성과 부작용 개선 목적으로 상업화 초기 단계부터 SC 전환 목표

키트루다SC도 2028-2030년 특허만료 시점 전에 2026년 미리 출시되는 것이고

엔허투SC 또한 2033년 특허만료 전에 알테오젠과 미리 SC 전환 전략 가져감

그리고 산도즈는 할로자임의 SC제품 특허만료될 때 SC 시밀러까지 출시 예정

알테오젠은 오리지날SC와 시밀러SC로 양쪽 시장를 다 먹을 수 있는 사업구조입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0:48


루닛
: 블럭딜 이슈 이후 다시 20선 터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7 Jan, 00:17


금일 바이오 강세인데

어제 워싱턴포스트 트럼프 관세 기사 이후 달러와 금리가 반응했습니다. 이후 트럼프가 바로 부인을 하면서 되돌림이 있었지만 달러와 금리가 정확히 그전 수준으로 간건 아니조?

시장에 트럼프 우려는 이미 프라이싱이 될만큼 되어 있습니다. 또한 그런 이야기가 나오는것 자체가 트럼프 정부 내에서도 논쟁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올해 초에는 트럼프 이슈로 인해 피해를 받았던 섹터의 되돌림을 기대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22:59


할로자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22:59


버티브 홀딩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22:54


2025.01.07 07:46:36
기업명: 휴젤(시가총액: 3조 3,212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최종심결에 대한 상대방 항소에 이해관계자로 참가 결정)

제목 :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최종심결에 대한 상대방 항소에 이해관계자로 참가 결정

* 주요내용
당사는 메디톡스사가 2022년 5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보툴리눔 균주와 제조공정 등 영업비밀 도용을 이유로 당사 제품의 미국내 수입 및 판매금지를 신청한 건과 관련하여 2024년 10월 11일 '개정된 1930년 관세법 제337조를 위반한 사실이 없다'는 내용의 ITC 최종심결을 받았습니다.

이후, 메디톡스사는 미국 현지시간 2024년 12월 6일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CAFC,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에 ITC를 상대로 항소를 제기하였고, 미국 현지시간 2025년 1월 6일 당사는 해당 항소에 이해관계자로 참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790000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502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22:33


[미래에셋 김승민] Wuxi Biologics, 아일랜드 백신제조시설 Merck & Co.에 매각

- 1/6 Wuxi Biologics는 아일랜드 던독에 있는 백신 제조 시설을 Merck에 약 5억달러에 매각한다고 발표
- Wuxi는 19년 Merck 백신 생산에 전념하는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 밝힌바 있는데, 현재 아일랜드 규제 기관의 GMP 인증을 추진중이며 25년에 인증을 받을 예정
- 이 매각은 중국 CDMO가 생물보안법의 잠재적 파장에 대해 고심하는 가운데 이루어짐

* 생물보안법은 9월 미국 하원에서 통과되었지만 최근 연말 국방지출법안에서 누락되었음. 24년말까지 통과되지는 않았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서 제정될 가능성. 이에 대한 대비로 해석
* 한편, 지난 12월 Wuxi AppTec도 미국/영국의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사업을 사모펀드에 매각한 바 있음
* Wuxi vaccine은 쑤저우에 있는 CDMO 사이트에 집중할 계획
* 오늘 아침에도 생보법 어떻게 되는거냐 물어보시는 분이 있었는데 좋은 답변 예시

t.me/bioksm
https://firstwordpharma.com/story/592516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14:25


ㅋㅋㅋ 다시 블러핑
어쨌든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것 부터가 저는 냄새가 나는데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14:24


워싱턴포스트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는 사실이 아니며, 이들 익명 소식통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보도는 나의 관세 정책이 축소될 것이라고 잘못 보도했다. 이는 완전히 잘못된 내용이다. 워싱턴포스트도 이것이 틀렸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는 또 다른 가짜 뉴스의 사례다.

https://truthsocial.com/@realDonaldTrump/posts/11378182867065994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12:08


바이오, 관세노이즈 수출주

금리나 관세우려로 눌려있던 섹터에 당장 호재가 될것같습니다. 특히 바이오는 트럼프 인플레 우려로 11월부터 금리상승 피해를 받은 대표적인 섹터입니다. 때문에 지금 미국채 금리 하락하는것 보면 내일 시세가 기대 되구요. 또한 관세우려로 미국 수출주도 적지 않게 우려스러운 노이즈가 있었습니다. (전력기기, 뷰티 등)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12:00


트럼프가 취임하거나 취임이 다가오면 환율, 금리 발작 되돌릴거라 생각했는데 관세 블러핑도 완화되는 분위기네요. 국장에 나이스 굿입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11:58


트럼프 당선인의 보좌진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되 특정 핵심 수입품에만 관세를 적용하는 계획을 검토 중

1. 관세 계획 수정
- 트럼프 당선인의 보좌진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되 특정 핵심 수입품에만 관세를 적용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 방위산업, 의료 용품, 에너지 생산 관련 수입품이 주요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 기존 선거 공약보다 범위는 축소되었으나 글로벌 무역 질서를 뒤흔들 가능성이 있다.

2. 기존 공약과의 차이
- 2024년 선거 캠페인 중 모든 수입품에 10~2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과 달리 특정 산업에만 관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 급격한 물가 상승과 정치적 반발을 고려한 수정된 방안으로 보인다.
- 관세 대상 산업은 국가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분야로 좁혀질 가능성이 있다.

3. 글로벌 반발 및 경제적 영향
- 새로운 관세 정책은 세계 각국의 보복을 초래할 수 있으며, 소비자와 기업의 비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 일부 경제학자는 관세가 수입 원자재 비용을 증가시켜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관세 부과는 제조업 일자리 회복을 목표로 하지만 실제로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4. 관세 정책 주도 인사
- 백악관 국내 정책위원회를 이끌 예정인 빈스 헤일리와 재무부 장관으로 내정된 스콧 베센트 등이 정책 수립을 주도하고 있다.
- 상무장관으로 지명된 하워드 러트닉도 관세 정책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5.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전망
- 트럼프는 관세를 통해 제조업을 미국으로 회귀시키고 국가 부채를 갚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과거 1기 행정부에서 중국산 제품 3600억 달러에 관세를 부과한 사례를 들어 관세 효과를 강조했다.
- 멕시코 및 캐나다와의 무역 갈등도 관세 정책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25/01/06/trump-tariff-economy-trade/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6:53


외국인 오랜만에 전기전자 대량매수 해줬네요. 연초부터 계좌 산뜻하게 출발시켜 주시는 미스터 마켓님 감사합니다.
한국장 절대 안망합니다. 코스피 코스닥 전고점 돌파 기원 고고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6:32


#연기금 #지분
금일 공시 기준 연기금 최근 1% 이상 지분 확대 목록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2:14


경동나비엔 #6. Biden Bans Scores of Natural Gas Water Heaters
https://blog.naver.com/dkim0210/22371597868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1:43


화장품 기관 수급 (24.12.26 ~ 25.01.03)
: 실리콘투, 에이피알, 브이티, 한국콜마
-매번 비슷한 정답, 오늘같은날 리밸런싱 해야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1:21


브이티

국내가 투포 인사람은 뭐 그럴수도
나는 해외가 투포인데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1:20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브이티 주가 하락 코멘트
- 금일 장중 8% 하락 중
- 종목 개별 이슈 없음. 소비재 12월 내수 전반 수요 약세 예상(계엄 이슈 이후 소비 위축 영향)
- 해당 이슈 감안 현재 컨센 부합 수준으로 추정
- 향후 주목할 부분은 4분기 미국/기타 지역 강세, 1분기 리들샷 중국 위생허가 획득
- 현재 12m P/E 11x, 지난해 말 중국 부양책에 따른 모멘텀으로 급등한 부분 반납 수준, 현재 주가 수준 이하에서는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함
- 타섹터 강한 반등(IT 등)의 수급 영향도 더해진 것으로 판단


***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0:45


SK바이오팜

위 블로그 글에 동의합니다. SK바이오팜은 국내 바이오 투자자들이 염원하는 바로 그런 기업입니다. 물질 발굴해서 FDA승인에 직판까지 이미 이뤄 냈으니까요. (파랑새가 이미 앞마당에 있다니까요?)

시가총액은 10조 언더인데 셀트리온, 삼바가 영업이익 3000~4000억 일때 이미 시가총액은 40~50조원을 넘나들었습니다. 그런데 SK바이오팜은 위 두 기업보다 프리미엄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SK바이오팜이 컨센이 26년 영업이익 3100억인데 적응증이 추가 + 세컨드럭 도입되면 컨센 상향 될겁니다.

SK바이오팜은 국내 정치 경제 아무런 상관없이 뇌전증 베스트인 클래스로 미국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약 잘 팔고 있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6 Jan, 00:39


SK바이오팜 - 초저평가된 국내 유일 혁신신약주권 100% 보유 기업
https://m.blog.naver.com/aumamoga/22371451342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5 Jan, 23:15


파마리서치

첫째, 의료기기에서 리쥬란의 수출/내수가 고 성장할 전망이다. 2025년 의료기기 내수 매출은 20.8% 증가한 1,609억원으로 고 성장할 전망이다. 의료기기 수출은 2025년에 25.1% 증가한 646억원으로 전망된다.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 기 진출 국가 향 수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2024년에 신규로 허가받은 대만, 유럽에서 체코,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아랍에미리트로 등에서 2025년에는 수출이 증가할 것이다. 2025년 하반기쯤에는 유럽향 수출도 기대된다. 2025년 의료기기 수출 전망은 여전히 좋다.
둘째, 화장품 매출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화장품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5.6% 증가한 852억원으로 전망된다. 리쥬란 브랜드 후광으로 2025년에도 안정적인 수준의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셋째, GP 마진 70%의 고수익성이 유지될 전망이다. GP 마진이 70%초에서 유지되는 가운데 판관비율이 35% 내외로 떨어졌다. 향후 동사는 국내외 리쥬란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마케팅 관련 비용이 증가하더라도 규모의 경제로, 영업이익률은 35% 이상으로 소폭 개선될 전망이다.

(상상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5 Jan, 23:00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7118?sid=10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5 Jan, 08:08


[파마리서치] 미국 진출 업데이트
https://blog.naver.com/ryankim1106/223715352302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5 Jan, 05:25


(제닉) 바이오던스 원툴, 리스크 or 프리미엄?
https://blog.naver.com/lepain-/22371522741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5 Jan, 05:19


고민과 포트폴리오 (25.01.05)
https://m.blog.naver.com/kimcharger/22371516683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5 Jan, 01:25


(화장품) 잘되는 브랜드의 특징 (ft. 트렌드)
https://m.blog.naver.com/lepain-/22371511538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Jan, 11:38


일진전기
https://m.blog.naver.com/hellowheesun/22371402103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5:49


ㅈㅅ합니다.
미포는 별도 기준입니다.
그래서 미포 연결 매출 성장폭은 나쁘지 않습니다(땡큐 초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4:49


윤의 공수처 영장 집행 중지 결정인데 이것으로 여론은 더 윤에 안좋은 방향으로 흘러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치리스크는 점차 해소될 것으로 봅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4:29


시장생각 (25.01.03)

저번주부터 반도체 매수의견 드리면서 좀 이른것 아닌가 생각하기도 했는데 역시 시장은 빠르네요. 작년에도 화장품 다음 음식료가 될것으로 생각하고 화장품 시세 끝나길 기다렸는데 거의 동시에 음식료 시세도 같이 출발했습니다. 올해도 별반 다를것 같지 않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늘 시세에 참여 못했다고 하더라도 분명히 또 기회는 줄것이라 보고 있네요. 시장이 반등하면 자금의 상대작용이 발생할것이기 때문에 좋은종목 들고 있다면 조바심 낼 필요도 없을것 같습니다. 2025년 성투 하시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3:26


휴메딕스

전일 배준규 상무이사의 -2947주 매도공시 (금액 1억2천)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12월 필러 수출 데이터 보면 올타임 하이기록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2:00


지수 상방에 배팅한다면 반도체, 바이오 유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1:59


외국인 선물 1조 매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1:53


반도체 기관 수급 (24.12.26 ~ 25.01.02)
:한화인더, 에스앤에스텍, ISC, 피에스케이홀딩스, 디아이, 테크윙, 에스티아이, 주성엔지니어링, 이오테크닉스, 한미반도체 등 (대부분 HBM 위주 수급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1:31


✔️MSCI (25년 2월) 편입 후보 순위 업데이트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현재 시총 허들 6.69조원 추정, 1월 20일 ~ 31일 기간 동안 허들을 넘어야 함

1.3일 9:30분 현재 기준(가능성은 시총 평가일 기한과 허들 갭을 기반)
<1위> 삼양식품 5.57조원 (편입에 +15.9% 추가 상승 필요, 가능성 중상)
<2위> LIG넥스원 5.56조원 (편입에 +17.2% 추가 상승 필요, 가능성 중상)
<3위> HD현대미포 5.22조원 (편입에 +19.5% 추가 상승 필요, 가능성 중)
그 밖에 한화시스템, 두산, 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리가켐바이오 역시 적게는 +30%~+40% 추가 상승 필요(가능성 하)

1월 20일부터의 시총 평가일이 근접하는 가운데, 편입과 편출 종목의 허들 근접 및 편입 후보 순위에 따른 시총 변동성 확대 예상

위 후보군(특히 3위까지) 중 1월 중순에 편입이 불발되는 종목이더라도 특별한 버텀업 악재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5월 MSCI 기대감을 이연 유지하는 전략이 오히려 유효(MSCI 베팅 타이밍이 빨라지는 트렌드)

편출 가능성이 높은 종목은 확률 순으로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엘앤에프, 엔켐, 포스코DX, 에코프로머티, SK바이오사이언스 등(지난 분기에 이어 MSCI KOREA 구성 종목수 감소 가능성 높음을 유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0:58


바이오

바이오섹터도 마찬가지. 코스닥이 작년에 전세계 최하위를 기록했는데, 지수 상승을 위해서는 바이오섹터의 반등도 필요합니다.

작년 11월 이후 가격 조정이 컸는데 근본 바이오 종목들은 여전히 펀더멘털 변화가 없고 시계열만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올해 계좌를 크게 늘려줄 종목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눌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0:51


https://blog.naver.com/alteking/22371302942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0:39


그리고 금일은 반도체, 바이오, 2차전지 강세인데 전일 소외되었던 섹터
=강한 순환매 장 시작 국장 대반격 강세 가즈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0:20


반도체

HBM 대장주 위주로 20선 위에서
장대양봉 계속 만드는중

업황에 대한 확신은 모르겠으나
(1) 지수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섹터의 반등이 필요하고
(2) 악재가 섹터 전반적으로 반영 되었으나 HBM 성장은 여전히 확실 하다는점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Jan, 00:07


한미반도체 !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23:13


[속보] 공수처, 윤대통령 관저 진입…체포영장 집행 시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22:54


[1/3, 장 시작 전 생각: 교체와 되돌림, 키움 한지영]

- 다우 -0.4%, S&P500 -0.2%, 나스닥 -0.2%
- 테슬라 -6.1%, 애플 -2.6%, 엔비디아 +3.0%, 마이크론 +3.8%
- 달러 인덱스 109.1pt, 달러/원 1,469원, 미 10년물 금리 4.56%

1.

미국 증시는 4거래일 연속 조정을 받고 있네요.

어제의 하락폭은 크지 않았지만, 테슬라, 애플 등 대장주들이 동반 급락하면서 전체 지수를 끌어내린 모습입니다.

테슬라가 6% 밀렸는데, 4분기 인도량(49.5만, 컨센 50.5만)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게 원인이었습니다.

주가도 어느새 12월 17일 고점 대비 21% 급락하는 등 대장주로서도 힘이 부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물론 이제 테슬라를 오로지 전기차 주로 인식하지는 않고, 트럼프 수혜주, 우주, 자율주행 관련주로 보는 시각이 짙어지고 있는 만큼,

작년말의 엄청난 주가 퍼포먼스를 다시 보여줄 수 있을지는 1월 말 트럼프 취임, 4분기 실적 등을 지켜봐야겠네요.

다른 한편으로는 엔비디아, 마이크론, TSMC 모두 2~3%대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의 하방을 막아준걸 보면,

트럼프 트레이드가 잡았던 주도권을 다시급 AI, 반도체쪽이 가져올 수 있는지도 단기적인 관전포인트가 될거 같습니다.

2.

1월 중순 이후 미 정부 부채한도 도달 우려, 유로화, 파운드 화등 상대 통화 약세 등으로 달러 인덱스가 드디어(?) 109pt대에 진입했네요.

2022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해당 레벨을 돌파한 것인 만큼, 새해부터 킹 달러의 위용을 드러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래도 어제 한은 발언, 오버슈팅 인식으로 인해 달러/원 환율이 1,470원 내외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미 10년물 금리도 4.5%대 레벨에서 머물러 있다는 점이 다행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같은 맥락에서 데이터가 움직이는 장세(Data-driven market), 그 안에서의 색깔은 “Bad is good”으로 칠해진 상태이기에,

오늘 밤 미국 ISM, 다음주 고용, 그다음주 CPI 등 주요 지표 이벤트의 민감도는 한층 높아질 듯합니다.

3.

어제 국내 증시도 새해 첫날부터 장중 변동성이 상당한 흐름을 보이기는 했습니다.

트럼프, 연준, 환율, 실적, 반도체 등 어느 하나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문제들이 없다보니, 이게 주가 변동성으로 이어지는거 같네요.

그렇지만 국내 증시의 여기서 파생되고 있는 부정적인 주가 충격은 12월 중 밸류에이션 조정을 통해 선제적으로 반영된 측면이 강합니다.

Sell-on이라는 것은 호재성 재료 뿐만 아니라 악재성 재료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국내 증시는 관련 악재들로 인해 받았던 가격 충격을 되돌림 해나가는 노선을 탈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1월의 주가 흐름은 1월 전략 자료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 기온이 많이 떨어졌고 바람도 많이 불어서 체감온도가 훅 내려간다고 합니다.

독감 환자들도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 다들 옷 따뜻하게 잘 챙겨 입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하시길 바랍니다.

키움 한지영



1월 월간 전략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EMDetailView?sqno=34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06:13


1) 중국 전염병 루머가 돈다
2) GPT에 코로나때 중국에서
많이오른 바이오 기업 뭔지 물어본다
3) 주가 확인한다
4) 전염병 루머가 거짓임을 확인한다
→확인시간 3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05:03


시장생각 (25.01.02)

새해 첫 거래일 로봇, 우주 등 꿈 주식도 강세이지만, 기존에도 강했던 에스테틱, 화장품, 조선, 전력, 방산 역시 강세.

아침에 국장은 퓨어하게 K가 잘하는것 하자고 말씀드렸는데, 그에맞게 제 포트폴리오 관리 엑셀파일도 형식을 변경하였음.

기존에는 탑다운으로 섹터별 비중치를 정해두고 종목을 채우는 스타일 이었는데, 올해부터는 섹터별 비중치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 K-특산품 컨셉의 현재 가장 경쟁력 있어 보이는 종목들로 7~10 종목을 편입해 스윙해가며 투자할 예정.

따라서 포트폴리오도 섹터구분이 없는
K-특산품으로 100% 들고있음.

투자의 국가간 경계가 허물어졌기 때문에 이제는 정말 세계 다른나라의 기업과 경쟁해도 해자가 있는 퀄리티 기업에 더욱더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함.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04:23


한미반도체
다이부착기 12월 수출데이터 역대 최대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04:22


한미반도체

다이부착기
대만 + 중국 + 미국 합산

24년 12월 1일 ~ 31일 잠정치 수출데이터는 역대 최대 수출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중국 수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국을 포함한 합산 그래프를 첨부합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01:12


일진전기 CAGR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Jan, 00:38


국민의힘이 반도체특별법 등 '미래먹거리 4법'을 1월 국회에서 일괄 처리하자고 야당에 제안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2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반도체 산업 특별법, 국가기간전력망 확충법, 고준위 방폐장법, 해상풍력법 등 국가 미래 먹거리 4법을 이번 1월 국회에서 일괄 처리하자는 제안을 드린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특히 반도체 특별법의 경우 업계가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반도체 연구개발(R&D) 종사자에 대한 주 52시간 근로 시간 완화에대해서는 야당이 전향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23:34


공감
(1) 미국 주도주는 미국에서 하자
(2) 국장은 퓨어하게 K가 잘하는것 하자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23:30


2025년을 맞이하며

https://m.blog.naver.com/68083015/22371218495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13:08


https://youtu.be/qlaee_smeXY?si=j3nLnBxC3EQjGRfI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12:20


SK바이오팜 최근 리포트 팔로업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1183647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11:08


[경동나비엔] 4Q 수출실적은 여전히 좋음
https://blog.naver.com/i0178704/223711725706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06:44


제닉 - 한화제보다 더 나은 기출문제
https://m.blog.naver.com/emp930204/22371153501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06:31


🔅2024년 12월 초고압 변압기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8504230000
$119,648,693

참고)
11월 전체 $49,101,785
10월 전체 $107,056,258
9월 전체 $102,480,781
8월 전체 $54,659,351
7월 전체 $39,068,630
6월 전체 $81,100,887
5월 전체 $61,338,041
4월 전체 $59,935,958
3월 전체 $117,571,553
2월 전체 $87,737,235
1월 전체 $68,412,84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06:29


🔅2024년 12월 필러(화장품류 기타)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3304999000
$242,887,474

참고)
11월 전체 $238,296,132
10월 전체 $206,291,988
9월 전체 $225,040,524
8월 전체 $185,395,307
7월 전체 $189,476,700
6월 전체 $196,317,626
5월 전체 $202,160,858
4월 전체 $192,188,213
3월 전체 $188,095,484
2월 전체 $178,364,214
1월 전체 $186,083,74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05:06


* 12월 수출입 간단 요약(빠르게 본거라 놓친게 있을 수 있음)


1. 반도체가 생각보다 안나쁨

- 디램(물량 +27%mom), 낸드(물량 -8%mom), SSD(물량 +11.9%)
- 금액 기준으로는 달러강세 효과로 모두 증가
- 특히 두산의 CCL 일평균 수출 +54%yoy / ISC 소켓 +40%yoy / 한미반도체, 파크시스템즈의 장비 수출 급증 / MR MUF 수입물량 급증 등을 감안시 AI쪽 모멘텀이 매우 강함을 암시(엔비디아 or ASIC 향)

2. 기초화장품의 미국향 수출이 4개월째 둔화

3. 변압기는 초강세 유지

4. ESS수출 급증

5. 지혈제(넥스트바이오메디컬) 수출 급증(물량 +198%mom)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1 Jan, 02:09


제닉 바이오던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재고 확충뒤 아마존 뷰티 전체 2위로 진입

물량부족과 캐파확장 관련하여
하나 박은정 위원 코멘트 (10.21)

캐파만 확보되면? 이라는 상상을 할수 밖에 없는 이유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1 Dec, 23:57


AMAZON Beauty & Personal Care
BSR Update (12/30)

전체/세럼/토너/클렌징오일/선크림 부문
BSR 제품수 각각 +3/-5/+2/-2/+1 (전주 대비)

- 히어로코스메틱 1위 유지
- 바이오던스 판매 정상화 되며 바로 전제 2위 진입
- 바이오던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아누아 클렌징폼/메디큐브 제로모공패드 B&P 전체 100위권 내 순위 재진입
- 성분에디터 순위 상승(#61→#28),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수요 호조 지속
- 전체 9%, 세럼 32%, 토너 36%, 클렌징오일 39%, 선크림 18% 기여
- 마스크팩 수요 호조, 토너/선크림 중심 점유율 상승


1) B&P 전체
- 100위권 내에 9개 품목 K-뷰티(+3)
- 히어로코스메틱 1위 회복
- 바이오던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정상화, 4개입 재고 확충 등 바로 전체 2위로 진입
- 라네즈 립 제품 견고, 라네즈 제품 2개 순위권
- 아누아 클렌징 관련 제품(오일, 폼) 2개 순위권, 클렌징폼 재진입
- 메디큐브 제로모공패드 #90위로 순위 재진입


2) 세럼
- 100위권 내에 32개 품목 K-뷰티(-5)
- 뮤신 에센스 1위 여전
- COSRX 5개 품목 순위권(-1), 뮤신 에센스 외 대부분 RX라인
- 조선미녀 품목 2개 순위권(-4)
- 굿몰레큘(Good Molecules) 6개 품목 순위권
- 아누아(ANUA) 품목 3개 순위권, 순위 대체로 견고
- 메디큐브(Medicube) 품목 3개 순위권, 엑소좀/PDRN 에센스 대부분 순위 상승
- 신규 진입 브랜드: Cetaphil Vitamin C serum


3) 토너
- 100위권 내에 36개 품목 K-뷰티(+2)
- 메디큐브 제로모공 패드 1위 달성
- 상위권 제품 대체로 유사, 티르티르 밀크 스킨 토너 순위 재진입
- COSRX 브랜드 제품 5개 품목 순위권, 대체로 견고, RX라인 수요 안착 중
- 아누아 4개 품목 순위권, 라이스 밀키 토너 순위 #10 유지
- 에이피알의 메디큐브 제품 3개(+1) 품목 순위권 유지


4) 클렌징오일
- 100위권 내에 39개 품목 K-뷰티(-2), 카테고리 중 가장 탄탄함
- 아누아 클렌징오일 부동의 1위
- 아누아/스킨1004/마녀공장/조선미녀/하루하루원더/더페이스샵 등 클렌징 오일은 순위권 내 브랜드 리스트 크게 변화되지 않음. K뷰티 순위 견고함


5) 선크림
- 18개 K-뷰티 제품 순위권(+1)
- 조선미녀 선크림 순위 상승 추세 지속 #11→#8
- 달바/Abib/ISNTREE 제품 순위권 내 2개 제품 보유
- 하루하루원더 순위 유지
- 제조사 한국콜마가 높은 비중 차지
- 신규 진입 브랜드: Scinic Enjoy Super Mild Sun Essence

6) 색조

- 전반적으로 순위권내 유지
- 티르티르 레드 쿠션 색조-베이스에서 순위 소폭 하락
- 제조사는 코스맥스, 씨앤씨인터 제품이 대부분


*** 생소한 브랜드 대다수 실리콘투 유통 브랜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4:49


개발 선언은 누구나 다 하는거고 그게 바이오텍 본연의 임무가 맞는데... 내재화 되어있다 언제 출시할거다 뻥카는 치지 말자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4:39


ㅋㅋㅋ 아오 피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4:36


PH20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대한 당사의 의견

http://www.alteogen.com/ir_1/?uid=2285&mod=document&pageid=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4:36


<진양곤 인터뷰>
기자 : 집에 황금송아지가 있다는게 사실입니까?
양곤 : 네. 두마리 있습니다.
직원 : (작은 목소리로) 회장님, 없잖아요?
양곤 : (작은 목소리로) 확인하러 안올 거야~

<서정진 인터뷰>
기자 : 집에 황금송아지가 있다는게 사실입니까?
정진 : 네. 한마리 있습니다.
직원 : (작은 목소리로) 회장님, 없잖아요?
정진 : (화 내며)이 새끼야! 지금부터 만들어!

<박순재 인터뷰>
기자 : 집에 황금송아지가 있다는게 사실입니까?
순재 : 아뇨. 없습니다
직원 : (작은 목소리로) 대표님, 있잖아요?
순재 : 누가 훔쳐가면 어떡해?!

<전인석 인터뷰>. 삼천당~~
기자: 집에 황금 송아지가 있다는게 사실입니까?
인석: 2분기 이내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직원: (작은 목소리로) 대표님, 너무 빠르잖아요?
인석: 몇년도 2분기인지 말 안했잖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1:21


SK바이오팜
: 주가와 무관하게 엑스코프리 데이터 올타임 하이 + 컨센 상향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0:54


한국은행이 28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3.00%로 깜짝 인하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0:49


(종목추천 아닙니다. 진짜 대박? 신기의 영역인것 같아서.)

최근 유튜버 보겸님이 50일만에 구독자를 500만에서 1500만으로 늘렸습니다.
무려 1000만명이 늘어난 것인데 AI의 힘을 빌려 제작한 영상을 다국어로 번역해서
올린것 때문입니다. 언어는 물론이고 입모양까지 자연스러움...이걸 보고 진짜 대박이다 생각하고 그냥 넘겼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이것과 똑같은 비즈니스를 하는 국내 상장사가 있었음 이스트소프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0:22


금리 하향 안정
: 바이오, AI (말랑말랑 강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8 Nov, 00:21


게임체인저와'AI 특산품', 이스트소프트의 New Proposition
https://blog.naver.com/r123k120/22367549931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23:50


최근 한달간 바이오 액티브 ETF 비중 증감

코액트는 전체적으로 종목 유지
타임폴리오는 비중 변화가 컸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22:35


XBI ETF
: 금리 안정 국면 바이오 다시 주도주 기대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12:33


NAVER POR 밴드 (버틀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12:30


NAVER (버틀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12:28


NAVER 4개분기 누적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07:40


알테오젠/바이오 변동성을 보며 (ft. 다니엘 카네만 vs 워렌버핏)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67480677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06:43


소프트웨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05:21


https://youtu.be/mrZK-8TPQX4?si=Nl56GnB_hh6i0sdK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Nov, 05:01


리쥬란 리들샷 굳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Nov, 10:19


다음주 불반등 생각하면서 분노의 질주를 했더니 기록 경신했네요. 하 XX
제 주변에 최근 몇달간 시장에서 돈 번사람 없습니다. 다같이 힘든 구간 맞고 또 이러다 좋은시절 반드시 옵니다. 어려운 시장이지만 좋은회사 미리 공부하고 너무 디프레스 되어있지 않았음 좋겠습니다. (저도 힘듭니다) 어려운 시기 모두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Nov, 08:22


알테오젠 현 상황 진단 - 호재가 악재로 둔갑
https://blog.naver.com/joyful_2nd_act/22367129082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Nov, 08:09


알테오젠 : 성장통 없는 성장은 없다
https://m.blog.naver.com/foreconomy/22367121779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Nov, 07:19


피팅 : 성광벤드, 태광 키차트와 밸류에이션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7125910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Nov, 02:37


[브이티] 지속적인 성공 DNA 와 오리지널리티를 가진 회사
https://blog.naver.com/cutlet2024/22367103867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12:26


머크가 할로자임 MDASE 무효 근거로 제시한

암젠 vs 사노피 2023년 판례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9:24


일론머스크 테슬라 CEO "자사 AI에 의료영상 올리면 질병 판단 가능"[AI헬스케어]

23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는 최근 자사 xAI의 인공지능(AI) 챗봇 ‘그록(Grok)’을 통해 X-레이나 MRI, CT 스캔 등의 의료 영상을 업로드하고 질병 진단을 받아보라고 권장했다. 해당 의료 영상을 그록에 업로드해 자신에게 어떤 질병이 있는지 진단을 받아보라는 취지다. 그록은 일관된 정확도로 의료 영상을 해석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https://naver.me/xyTsfXRd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2:43


고민과 포트폴리오 (24.11.23)​ : 바이오, 뷰티, 피팅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7034134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1:29


https://blog.naver.com/goodoranc/22366999516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1:29


인구형 알테오젠 매도 의견
https://contents.premium.naver.com/moneydo/juningu/contents/241122134746478td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0:36


피팅 호황기 밸류에이션 P/B 2 ~ 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0:35


성광벤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Nov, 00:32


성광벤드 미국 비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23:1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16일(현지시간) 에너지부 장관에 크리스 라이트 리버티에너지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를 지명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라이트는 셰일가스 관련 업계에서 일하다 1992년 셰일가스 개발·생산 기업인 피너클 테크놀러지를 설립해 2006년까지 CEO를 지냈다. 이후 2011년 리버티에너지를 설립해 지금까지 경영해오고 있다.

콜로라도주 덴버에 본사를 둔 리버티에너지는 셰일가스 추출을 위한 수압 파쇄법인 '프래킹'(Fracking)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23:08


계획중인 LNG 프로젝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23:06


글로벌 LNG 액화프로젝트 규모 & 미국 비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09:13


예상되는 흐름

주주 입장에서 짜증나는 일이 많을것 같다. (1)일단 사실확인 되지 않은 내용으로 기자들이 기사를 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확대 재생산 될 것이다. (2)겁을 먹은 개인들은 걱정거리를 온라인상에 쏟아낼 것이고 그걸 보고 스터디가 부족한 개인들은 또 투심이 약화될 것이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08:52


전 부사장은 “MSD, 다이이찌산쿄 등과 기술이전 계약을 맺기 전에 ALT-B4의 특허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문제가 없다는 확인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전 부사장은 “미국의 유명 특허 소송 로펌 세 곳에서 특허 분석을 거친 결과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받았다”고 말했다. 알테오젠 ALT-B4의 미국 특허 만료 시기는 2043년이다.

알테오젠은 MSD와 맺은 기존 계약이 견고하다고 강조했다. 전 부사장은 “MSD가 할로자임의 기술로 키트루다 피하주사 제형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한다”며 “2028년 키트루다 정맥주사 제형 특허가 만료되는 걸 감안하면 MSD가 다른 선택을 하기 어렵다”고 했다. 지난해 매출 35조원을 올린 세계 1위 항암제 키트루다의 특허 절벽을 피하기 위해 키트루다 피하주사 제형을 개발 중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0413?sid=10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08:24


루닛 시간외 거래량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Nov, 07:42


[속보] 중국, 무비자 기간 15→30일로 연장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29042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9:52


알테오젠은 솔직히 이정도로 빠질 일이 뭐가 있을까 잘 모르겠네요. 많이 오른 종목이기도 하지만 업사이드도 많이 남아있는 종목입니다. 다만 제가 걱정했던건 시장 유동성이 마른 상황인데 알테오젠 홀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고 결과적으로는 질투하는 시선이 많아진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회사는 달라진것 없지만 바이오 회사 특성상 내러티브에 취약하기 때문에 또 영향을 받는것 아닌가 생각드네요. 당장 내일의 주식을 예측하는건 불가능 하지만 6개월 뒤 1년 뒤를 보면 지금 가격에서 충분히 좋은 주식이라 생각하네요. 어려운 시기 주주분들 잘 극복 하시길 응원드립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6:37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298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6:0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9700?sid=10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4:1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70599?sid=10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1:21


엔터
- 미국으로 수출은 증가하고 있는데, 트럼프가 딱히 관심 없는 분야 (트럼프의 관심은 제조업에 집중). 관심이 없으므로, 딱히 괴롭히지 않을 분야
- 혹시 괴롭히더라도...어떻게 괴롭혀야 할지 애매한 섹터.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0:10


일론이 디아블로 하면서 알려준 미래의 AI

솔직히 로봇이나 AI영역에서는 그냥 믿고 보면 된다는 생각이 드는데, 역시 일론은 디아블로를 하면서도 인사이트를 나눠주는 대단한 사람이네요😉

운이 좋게도 한글로 자막을 달아주신 영상을 찾아서 정리해봅니다🙏🙏

게임하며 들려주는 세계 최고 부자의 인사이트
1️⃣ 25년은 힘들것 같지만 늦어도 2026년에는 AGI가 현실화 될 것
2️⃣ 옵티머스는 Next Level로 넘어갈 것
- 원하는 색을 입히고 꾸미기 가능
- 커스터마이징 가능
- 아이들을 학교에서 픽업하는 역할 가능
- 학교에서 선생님 역할도 가능(모든 언어 지원)
- 보디가드 역할 가능
- 모두가 옵티머스를 갖게되지 않을까
- 가격은 2~3만 달러 수준 (대량 생산하면 자동차보다 저렴해질수도)
3️⃣ AGI는 어떤 인간보다 똑똑함
- 24개월도 안남았음
4️⃣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을 풍요롭게 만들어줄 것
- 인구 1명당 1대 수준의 비율 만큼 많아질 수 있음
- 많아진다면 한명에게 두 개 이상, 많으면 10개 까지도 (100억 개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지구에 존재할수도)
- 즉, 어디에든 있을 것임
5️⃣ 강대국끼리는 드론으로 군사비교가 될 것
- 인간은 드론과 싸우는것을 원하지 않을 수준
6️⃣ 테슬라 폰은 계획에 없다
7️⃣ 테슬라 자율주행 중에 게임을 할 수 있음. 합법화 될 예정
- 당연히 화면에서 영상을 보거나 인터랙티브 게임하는 것은 불법이며 뒷 화면에서만 가능
- 합법화 된다면 차에 앉아서 전화하거나 영화 보는것이 가능해질 것
- 사람들은 '예전에는 스스로 운전했었다고?' 라며 놀라게 될 것
8️⃣ 모든 차는 스타링크에 연결 된다

🤔 진짜 일론 형은 대단한것 같네요. 게임하면서 이런 인사이트를 아무렇지 않게 풀어내버리네🤡🤡 근데 이 사람이 얘기하는거는 그냥 지나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원본 보기 👈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0 Nov, 00:09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3:44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3:39


파마리서치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3:12


2025년 제약바이오 (현대차)

Top picks로 SK바이오팜과 한미약품, 리가켐바이오를 제시한다. SK바이오팜은 신약 엑스코프리의 기대 이상의 성장과 방사성리간드치료제에 집중한 새로운 연구개발까지 BEP를 넘은 확장성을 기대한다. 한미약품은 기존의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의 선두기업으로 자체개발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국내 임상과 응용 기술들과 삼중 작용제 LA-GLP/GIP/GCG의 임상 데이터 공개, 그리고 기술 이전을 기대할 수 있다. 리가켐바이오는 지난 기술계약을 통해 소규모 계약도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24년에도 신규 파이프라인들의 기술계약과 전임상 결과를 기대한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2:47


2025년 의료기기 (다올)

최선호주는 클래시스(BUY, T P 7 만원)과 휴젤(BUY, TP 47만원)은 미국을 중심으로 매출 확대가 기대됨에 따라 유지한다. 관심 종목으로는 대웅제약(BUY, TP 21만원)과 파마리서치(BUY, TP27만원)을 제시한다. 중소형 종목으로는 아이센스(BUY, TP 3만원)와 엠아이텍(BUY, TP 1.3만원), 넥스트바이오메디컬(Not Rated)을 제시한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2:44


https://blog.naver.com/cutlet2024/223666556673

현재 시가총액 2조 588억원 정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애널리스트들은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을 1,600억 수준으로 상향.
Fwd POR 12.5배 수준이며, 회사의 최근 퍼포먼스를 고려하면 확신의 저평가 구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2:31


『알테오젠(196170.KQ) – 키트루다SC 3상 성공 발표, 전세계 허가신청』
신한
제약바이오 엄민용 ☎️02-3772-2578

▶️ 우리나라 최초의 글로벌 바이오텍 탄생
머크와 개발한 키트루다SC가 성공적인 임상 3상 Top line 결과를 발표. 머크 홈페이지에 게시되었으며 Alteogen Inc.가 처음으로 머크로부터 공식 언급한 것도 의미. 1차 지표였던 약동학(pk) 및 2차 지표였던 효능과 안정성도 종점을 모두 충족. 동사는 이제 상업화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제약사

▶️ 전세계가 알테오젠 기술을 처방하는 시대 도래
키트루다는 올해 처음으로 3분기 매출만 10조원 달성. 머크는 이번 3상 결과로 승인받은 모든 적응증을 승인 가능(로슈 티쎈트릭SC도 3상 한 번으로 모든 적응증 승인). 50% 이상의 SC전환 추정 확실시되었다고 판단

기존 키트루다 IV(혈관주사)는 짧게는 30분에서 2시간 투약이나 SC는 평균 2-3분내 투약 가능해 의료진과 환자의 편의성 개선뿐 아니라 입원비용 감소로 각국의 의료보험 재정지출 감소 효과까지 기대. 자세한 데이터는 곧 학회로 발표될 예정이며 1월 중으로 전세계 허가신청 추정

피하주사 원료 생산 위한 공장증설도 머크 요청으로 추정. 국내 바이오텍 중 상업화에 성공한 최초의 기술플랫폼 보유 기업이자 공장까지 갖추는 첫 회사 될 것. 기술이전 논의 중인 6개의 빅파마도 의사결정 쉬워질 것

▶️ Valuation & Risk
머크가 키트루다SC를 2028년까지 50% 시장을 전환을 목표로 발표했고 2030년까지 전환율은 지속 증가하여 연간 20~30조원 수준 매출 추정. 오늘 3상 성공 발표로 단계별 마일스톤 1.4조원은 출시 후 2년내 모두 인식 가능할 것. 판매 로열티 4~5% 가정 시 연간 1조원 이상 인식도 기대. 업종 내 최선호주 및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1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07시 2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22:24


피하주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13:56


이제 외사에서 커버할 날도 얼마 남지 않은듯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13:54


키트루다는 이미 현재 IV만의 효능으로도 연간 40조원 매출을 일으키는 제품입니다. 내년 1월 허가신청 시 빠르면 2025년 9월, 늦어도 11월 SC승인입니다.

이제 피하주사로 2-3분내 투약이 가능해졌습니다. 그것만으로도 매출액은 더욱 늘어날겁니다.

의료진과 환자 투약 편의 및 입원비용 감소로 트럼프 정부효율부에도 보험환급에 따른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는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되네요.

머크가 언급한 유효성 또는 부작용이 개선된 결과는 곧 학회를 통해 발표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키트루다는 미국 2029년 11월, 유럽 2031년까지 혈관주사 시밀러의 방해없이 자유롭게 피하주사로 충분히 50% 이상의 시장 전환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한국의 바이오가 전세계 1등 제품의 임상 3상을 성공했고, 알테오젠을 통해 키트루다SC는 역대 매출액을 또 경신할것입니다. 지켜보는 일만 남았습니다.

Far Niente!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13:09


알테오젠

임상 3상리스크가 사실상 완전히 사라졌네요. 이렇게 되면 키트루다 SC 출시하고 투자자들이 생각하는 로열티가 실제로 유입되는건 거의 확정이고,
이제 남은 부분은 비열등성 말고 SC가 얼마나 더 우위가 있었는지 데이터가 궁금해 집니다.

만약 실제로 SC 우위성 데이터가 공개되면 알테오젠은 엄청난 기업가치 상승이 있겠조. 왜냐하면 이제 SC가 시간, 비용, 효과 측면에서 모두 좋기 때문에 당연히 SC전환 수요 늘어날 것이고 + 부작용 때문에 신약개발에서 좌절된 후보약물도 SC로 다시 도전 할수도 있겠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9 Nov, 12:26


머크, 키트루다 주사제(SC)가 승인된 IV 버전과 동등한 효과를 입증

머크(MRK.N)는 화요일 발표한 연구에서 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의 주사제가 현재 승인된 정맥주사(IV) 형태와 효과 면에서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키트루다가 더 쉽게 접근 가능하고 투여가 용이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머크의 주가는 프리마켓 거래에서 1.8% 상승했습니다.

머크는 폐암의 한 유형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키트루다 주사제에 대한 후기 단계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키트루다 주사제는 정맥주사 버전이 이십 년대 후반에 독점권을 상실했을 때 경쟁에 대비해 약물을 보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머크의 연구부서에서 글로벌 임상개발 부문 암 치료 책임자인 마저리 그린 박사는 이 결과를 가능한 한 빨리 전 세계 규제 당국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시험에서 키트루다는 피부 아래(subcutaneous)에 2~3분 동안 주사로 투여되었으며, 현재의 방식은 환자가 3주 또는 6주에 한 번씩 약 30분 동안 의료기관에서 정맥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머크는 짧은 투여 시간에도 불구하고, 주사제가 환자 몸에 약물이 노출되는 정도나 다음 투여 직전 약물 농도 측면에서 비열등성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이 주사제는 키트루다와 함께 사용되는 고정 용량 조합으로, 정맥주사로 투여되던 약물을 피부 아래로 대량 투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소인 베라하이알루로니다아제 알파(berahyaluronidase alfa)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merck-says-keytruda-injection-par-with-approved-iv-version-trial-2024-11-1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6:46


기관 화장품
제닉, 브이티, 실리콘투, 코스메카코리아, 펌텍코리아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6:41


거래대금좀 올라 오는듯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6:01


> 한국 테크 투자에 대한 회의론

1) 금일 모건 스탠리 리포트에서 메모리 다운사이클을 한 번 더 강조하는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내용보다 더 임팩트가 컸던 부분은 '중국 CXMT가 2026년 마이크론을 제치고 DRAM 점유율 3위(생산기준)로 올라설 수 있다(심지어 높은 수율로)'는 내용과 '이로인해 메모리 업체들의 생산 캐파가 DDR5로 집중되면서 DDR5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부분이었습니다.

2) 물론 아직 메모리 경쟁력 격차가 한국과 중국업체들 사이에 굉장히 큰 편입니다. 다만, 트럼프 시대에 있어 중국의 반도체 생산 자국화 의지가 그 어느때보다 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SMIC, CXMT, YMTC와 같은 반도체 생산업체들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그 어느때보다 강하게 실시할 것입니다. (주가는 이를 선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이는 결코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닙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쟁력 약화가 그 어느때보다 강해진 상황에서, 미국에 지은 공장들은 유명무실해져가고 있고 중국으로의 수출은 어려워진 상황에서 중국에서의 자체 반도체 개발 역량 및 생산 능력까지 올라오게 된다면 한국 메모리의 과거와 같은 경쟁우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전히 1~2위는 하겠지만, 그 격차가 축소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4) 삼성전자의 위기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컨트롤타워에서의 제대로된 방향 설정이 이뤄지지 못했고, 실무진단에서는 주52시간 등의 영향으로 과거와 같은 위기극복능력이 나오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5) 정말 단적으로, 엔비디아/TSMC보다 절대적인 업무시간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현재 구조상에서 경쟁력 회복이 단기간에 이뤄지긴 어려울 것입니다. 나아가, 우리나라 특성상 뛰어난 인재에 의존해왔던 성장 구도가 인재유출, 구조조정(효율화) 등의 이유로 인해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6) AI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더욱 심각합니다. HBM은 AI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인건 맞지만, HBM = AI라고 할 수 없습니다. HBM은 말 그대로 고대역폭메모리이고 철저하게 메모리 '제조기술 역량'이 발휘된 제품입니다. 즉, HBM만 잘만들어서는 국가적으로/기업단에서 AI 역량을 키우는건 애초에 불가능합니다.

7) 향후 5년간이 AI 발전이 궁극적으로 가장 압축되어 진행되는 시기입니다
. 생성형 AI를 통한 LLM과 AI 비서, 그리고 인간지능수준의 AI의 등장. 그리고 이러한 AI 성능을 탑재한 인간형 로봇과 자율주행, 우주/항공 등의 기술 발전이 향후 5년간 가장 빠르게 이뤄질 것입니다.

8) 특히 이런 향후 5년간의 발전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변화가 아닙니다. 철저하게 '미국 중심으로' 진행될 변화라는게 핵심입니다. 즉, 미국이 주도하는 거대한 테크 변화 트렌드에서, 테크 투자자일수록 이제는 한국이 아닌 미국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현실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9) 최근 발생한 이수페타시스의 문제라던지, 그 외 HPSP/예스티간의 특허분쟁, 한미반도체/한화인더간의 점유율 문제 등 국내 소부장들은 글로벌로 뻗어나가는 기술력 경쟁보다는 오히려 소모적이고 노이즈만 가득하거나 투자자들에게 불합리한 요소들만이 가득한 이슈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즉, 펀더멘털 관점에서 투자할만한 대상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10) '향후 5년 내지는 10년은 미국 주도의 AI 테크 발전 사이클' 입니다. 그리고 테크 투자자라면, 이 기회를 반드시 놓쳐서는 안됩니다. 단순히 국장 수익률이 안좋아서, 정치가 문제라서 등의 외부적 요인은 전부 배제하고 - 철저하게 테크 펀더멘털만 놓고 분석해보아도 미국 주도의 테크 사이클을 놓쳐서는 안된다는 판단입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5:30


리가켐바이오

신고가입니다. 축축축. 주말간 여러 좋은 뉴스가 있었지만 알테에 묻힌 감이 있었고요. 이렇게 되면 차기 MSCI 내러티브는 리가켐이 유리해지겠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5:15


바이오 맏형님들 2시까지 묵묵히 자리 지키다가 이제 출발 하시나 보내용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4:48


저 목표가는 다이찌산쿄 목표가 6700엔 이라고 합니다.. 저걸 방송에서 알테 목표가 67만원이라고 말해버렸네요 ㅎㅎㅎ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4:47


2024.11.11 13:46:08
기업명: 제룡전기(시가총액: 9,605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694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266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204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694억/ 266억/ 204억
2024.2Q 776억/ 328억/ 272억
2024.1Q 650억/ 258억/ 217억
2023.4Q 658억/ 248억/ 189억
2023.3Q 418억/ 171억/ 14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100014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4:26


엣지있는 글로벌 소비재 곧 플전할듯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4:20


이제 소송 걸대도 없을것 같은데... 왜 실적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4:19


📌 메디톡스(시가총액: 1조 1,364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4.11.11 13:10:30 (현재가 : 155,700원, -3.35%)

매출액 : 539억(예상치 : 693억/ -22%)
영업익 : 60억(예상치 : 169억/ -64%)
순이익 : 13억(예상치 : 126억/ -90%)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4.3Q 539억/ 60억/ 13억/ -64%
2024.2Q 650억/ 143억/ 113억/ +105%
2024.1Q 546억/ -9억/ -15억
2023.4Q 680억/ 24억/ -21억/ -80%
2023.3Q 587억/ 36억/ -22억/ -6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19002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690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2:32


시장생각 (24.11.11)

자꾸 관세 관세 하는데 -
트럼프 1기때의 관세 트라우마 때문에 시장이 과민반응 하는것 아닌가 생각함.

트럼프 임기가 당장 내일 시작하는것도 아니고, 관세를 계획하고 적용하는 시기도 25년 하반기나 26년 초로 예상되는데 이렇게나 먼저 빨리 주가가 반응한다면 충분히 기회로 보임.

또한 트럼프의 말은 언제든 많이 바뀌어 왔음. 일단 극단적으로 내뱆고 나중에 협상카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관세 노이즈도 그렇게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함.

관세를 도입하면 당장에야 트럼프니까 그럴수도 있지라고 수긍이 가지만 인플레 상승을 비롯 여러 부작용이 있을것인데. 트럼프는 이번이 임기 마지막으로 당 내에서 그렇게 막가파로 정책을 주도할 수가 없음. 당에서도 차기를 생각해야 하기 때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1:35


10일치 화장품 수출실적 보고 뷰티섹터 전반적으로 하락하는데
보톡스, 필러는 견조한 상황이고
화장품 중에서도 엣지있는 종목은 기회 아닌가 생각드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1:29


🔅2024년 11월 10일치 보툴리눔 톡신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3002491000
$11,057,900

참고)
10월 10일치 $11,227,825
9월 10일치 $13,637,780
8월 10일치 $7,275,647
7월 10일치 $11,467,608
6월 10일치 $10,724,172
5월 10일치 $10,758,081
4월 10일치 $9,107,88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1:06


주식이 어려운 이유

어제밤 : 아 많이 못샀는데 내일 급등하겠네
당일 : 오? 많이 안오르네 좀 기다려 봐야겠다. 저가매수 해야지.
내일 : 아 급등하네 어제 살껄 ㅠㅠ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1 Nov, 00:47


AI내러티브는 전력기기가 다 가져가는 분위기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0 Nov, 23:28


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은 엑스코프리의 매출성장 확인되면서 거의 모든 하우스에서 목표가 상향 이어지고 있네요.
영업이익 성장 기준으로 바이오헬스케어 섹터에서 SK바이오팜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회사 없을듯 합니다. 직판과 영업 레버리지 효과 때문이구요, 목표가 상향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듯 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0 Nov, 23:22


[SK바이오팜(326030)/BUY(유지)/TP 15만원(상향)/ 다올 제약/바이오 이지수2184-2363]

★ 3Q24 Review: 확실해진 미국 직판 효과

3Q24 연결 매출액 1,366억원(+51.2% YoY, +1.9% QoQ), 영업이익 193억원(흑전 YoY, -25.7% QoQ; OPM 14.2%) 기록

허리케인 영향으로 일부 매출 이연 됐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장세 시현. 다만 저마진 DP/API 매출 비중 증가와 2Q 성장 견인했던 용역 수익 감소로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미국 XCopri의 처방 확대와 임상 진행에 따른 마일스톤 발생으로 안정적인 실적 이어질 전망. 2025년 Second product 도입, 방사성의약품 SKL35501 임상1상 IND 신청 및 개시 예상. Second product는 바로 판매가 가능한 CNS 치료제로 XCopri와 시너지 효과 기대. 파이프라인 임상 진전에 따른 신약가치 반영 가능할 것. 투자의견 BUY 유지. XCopri 직판 효과로 고마진 이어지는 중. 기존 DCF에서 EV/EBITDA 방식으로 변경해 적정주가 15만원으로 상향

★ 보고서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uly.kr/3j74rsx>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0 Nov, 23:06


[한투증권 위해주] SK바이오팜 3Q24 Review: 영향 받았는데 이정도

https://vo.la/Zomhae

매출 1,366억원(+51.2% YoY, 이하 모두 YoY), 영업이익 193억원(흑전, OPM 14.1%)을 기록했습니다. 컨센서스에는 부합했으며 당사 추정치 대비로는 영업이익 기준으로 4.9% 하회했습니다. 9월말 미국 남동부 허리케인 영향 등으로 영업일수가 줄었음에도 미국 엑스코프리 매출은 양호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4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입니다. 파트너의 해당국가 진출 액티비티로 마일스톤 수령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3분기 이연된 엑스코프리 매출이 4분기 매출로 추가 인식될 전망입니다. 한편 2025년부터는 마케팅 임상 비용을 지출할 예정이라 개발비는 증가하겠지만 투자는 결국 엑스코프리 매출 증가로 돌아올 전망이라서 오히려 긍정 요인입니다. 2027년 엑스코프리 매출을 4% 상향 조정하며 목표주가는 14.5만원으로 11.5% 상향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0 Nov, 23:00


금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8:37


https://youtu.be/PF67w8qt3qs?si=s4G8OAnYsibT-ovY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8:11


<알테오젠>다이찌산쿄 계약 등 오늘 정리
https://m.blog.naver.com/alteking/22365234571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6:46


별도랑 연결 차이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6:45


2024.11.08 15:43:17
기업명: 셀트리온(시가총액: 39조 3,89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8,819억(예상치 : 9,388억)
영업익 : 2,077억(예상치 : 2,195억)
순이익 : 856억(예상치 : 1,954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8,819억/ 2,077억/ 856억
2024.2Q 8,747억/ 725억/ 785억
2024.1Q 7,370억/ 154억/ 208억
2023.4Q 3,826억/ 184억/ 5억
2023.3Q 6,723억/ 2,676억/ 2,21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80042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827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6:38


2024.11.08 15:36:59
기업명: 휴젤(시가총액: 3조 7,308억)
보고서명: 풍문또는보도에대한해명(미확정)

보도내용 : [블룸버그] CBC그룹, 휴젤 상장폐지 고려
발생일자 : 2022-07-12
해명내용 :

- 본 공시는 2022년 7월 12일 블룸버그에서 보도한 "CBC그룹, 휴젤 상장폐지 고려"에 대한 해명(미확정)의 재공시입니다.

- 당사의 최대주주는 Aphrodite Acquisition Holdings LLC 이며, CBC그룹은 Dione Limited와 함께 최대주주의 공동최대주주입니다.

- 당사는 블룸버그의 보도내용과 관련하여 최대주주에게 확인한 결과, 최대주주는 당사의 지배구조 등과 관련하여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며, 중대한 사안에 대해 고려해야 할 많은 이해관계가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의사결정을 내리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한 바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 이와 관련하여 향후 구체적인 사항이 결정되거나 확정되는 시점 또는 3개월 이내에 재공시하도록 하겠습니다.

(공시책임자) 이사 허재원


재공시 예정일 : 2025-02-0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90040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502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5:49


알테오젠 현재 시총 22조인데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시총을 넘겨야 하는 이유가 오늘 계약으로 나온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5:22


키트루다 계약때는 시장에서 알테오젠에 대한 스터디가 부족한 상황이었는데 현재는 스터디가 좀 되어있고 계약 내용도 너무 좋아서 주가도 제대로 반응해 주고 있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46


알테오젠이 레벨업 하고 바이오섹터 전반적인 센티개선 예상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43


여기에 다른것들도 추가되면서 지금까지 나온걸로만 현금흐름이 3조입니다. 멀티플 40배 하면 알테오젠 시총 100조 못넘어 갈까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42


알테오젠 키트루다SC 가치 = 28년 키트루다 예상 매출 5~60조 x SC전환율 50% x 로열티율 5% = 1.25조~1.5조

엔허투 29년 예상매출 100억달러(한화 약 15조) x SC전환율 80% x 로열티율 10% = 알테오젠 영업이익 1.2조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36


ADC라는 새로운 모달리티가 열렸다는 것은 이제 앞으로 또다른 ADC 의약품인 캐싸일라, 애드세트리스, DATO-DXd등 ADC 전반으로 SC계약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새로운 시장 규모를 개척하게 되는 것이며, 항체의약품을 타겟으로 하고 있었던 기존의 영역에 더해 이제 매우 각광받는 ADC까지로 확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절대 놓쳐선 안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36


총 7개의 MTA를 빅파마와 진행중이라고 했었죠..보통 1년 내에 본계약이 나오니까 오늘을 기준으로 해도 25년 11월 안에는 저 중에 최소 2~3개의 계약이 더 나올수도 있겠죠?? (도무지 팔 기회를 안주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27


그리고 앞으로 이런식의 계약이 계속 나올수밖에 없음. SC로 제형변경만 해도 효과가 좋아지는데요? 현제 이슈화가 되어있지 않지만 앞으로 특허 끝날 혹은 제형변경 니즈가 있을만한 약물들의 알테오젠행은 앞으로 쭉~~~ 계속 나옴. 줄줄이사탕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24


양손에 키트루다와 엔허투를 가지게된 알테오젠 시총 20조는 너무 싼 가격이라고 생각하네요. 현시점 전세계 가장 많이 팔리는 항암제와 미래에 가장 많이 팔릴 항암제에서 로열티 받아가는 회사가 국장에 있다니요 ㅎ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17


2. 계약의 내용: 알테오젠의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반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를 적용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Enhertu®의 피하주사제형 개발 및 판매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4:16


2024.11.08 13:12:06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20조 6,610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

제목 :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본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미국 FDA, 한국 식약처 등) 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 상대방: Daiichi Sankyo (Japan, 2007 Sankyo Co., Ltd.와 Daiichi Pharmaecutical Co., Ltd 합병을 통한 설립, 최근사업연도 매출액 1,601,688M JPY)

2. 계약의 내용: 알테오젠의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반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를 적용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Enhertu®의 피하주사제형 개발 및 판매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3. 계약체결일 : 2024년 11월 08일

4. 계약 기간: 2024.11.08 - 로열티 기간 만료일까지

5. 계약조건
1) 계약금: US$ 20,000,000 (27,982,000,000원)
- 전년도 매출액(연결 기준) 96,523백만원 대비 28.99% 해당

2) 마일스톤: US$ 280,000,000 (391,748,000,000원)
- ALT-B4를 적용한 제품의 임상을 진행하고, 각 국가별 품목 허가 및 판매 목표를 달성하면 마일스톤 수취 예정

3) 판매 로열티: ALT-B4를 적용한 제품의 첫 상업 판매 시작 이후 판매 목표를 달성하면 계약 지역에서 발생한 순매출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 로열티로 수취 예정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90020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0:51


제 생각엔 SK바이오팜 좋은회사 같습니다. 2개분기 연속 엑스코프리에 의한 실적성장 증명해 주고 있고 연말에 적응증 확대되면 매출성장이 더 가팔라질수 있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0:45


엑스코프리 허리케인 영향으로 일부 매출 이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8 Nov, 00:42


SK바이오팜 IR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7:31


금투세 폐지 + 코스닥 연말 연초 랠리 기대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4646896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6:48


화장품 기관 수급 (24.11.04)

사모 : 브이티, 한국화장품제조
연기금 : 아모레퍼시픽
투신 : 씨앤씨인터내셔널, 실리콘투, 코스맥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6:46


헬스케어 기관 수급 (24.11.04)

시총대비 순위도 중요하지만, 요즘처럼 마른 시장에서 매수금액을 키운 종목도 의미있게 보셔야 할듯

사모 : 리가켐바이오, SK바이오팜
연기금 : 에이비엘바이오, 한미약품, 유한양행
투신 : 올릭스, 보로노이, 에이비엘바이오, 한올바이오파마, 휴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2:05


시장생각 (24.11.04)

오후장을 봐야겠지만 금투세 폐지 오피셜 이후 1시간여가 지났는데

(1) 가장 크게 반등하고
(2) 윗꼬리 없이 강세
유지 섹터는

바이오, 에스테틱, 화장품

이쪽 섹터를 계속 좋게 보고 있던 이유는 펀더멘털이 근본적으로 개선되고 있고 EPS와 멀티플이 동시에 확장되는 국면이기 때문.

타 섹터를 보더라도 내년에 EPS와 펀더멘털이 동시에 개선되는 섹터를 찾기가 힘듬. 따라서 시장의 수급적인 이유로 최근 기간동안 눌려 있었으나 앞으로 유동성 측면에서도 좋아진다면 시장을 가장 크게 주도할 것이라고 생각.

특히 바이오는 11월 ~ 1월까지 학회와 기술수출이 가장 활발한 시즌으로 모멘텀으로도 가장 좋아보이며

+ 에스테틱, 화장품 섹터는 미국 대선 이후 연말 소비시즌과 중국향 소비 내러티브가 함께있어 매우 좋다고 생각됨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1:10


금투세 오피셜 뉴스 이후 시장반응은
바이오 헬스케어, 배터리, 뷰티 화장품 순인걸로 보이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0:53


오피셜 금투세 폐지 동의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690609?cds=news_media_pc&type=breakingnews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0:47


이제 정신차리시고 어떤 종목 섹터가 가장 크게 오를지 생각하는 시간 -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0:45


금투세에 시장이 얼마나 눌려있는지 지수로 확인이 되고있고, 다시 동의한다는 타이틀의 뉴스가 나온 뒤부터 급반등 하고 있습니다. 공식적으로 금투세 폐지가 되면 시장의 단기 급등 예상합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0:43


다시 반등 ㅋ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0:42


이 속보 이후 지수 폭락중 ㅋ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4 Nov, 00:18


중국의 한국 비자 면제 조치 관련해선
시장에서 반응이 오는데, 생각보다 좋은 테마일수는 있겠다는 생각.
지금 막 올라오는 직접적인 수혜주를 따라갈
생각은 없고 여러가지 환경적인 이유로 아직 중국에서 터지지 못한 K뷰티, K컬쳐 아이템중 가능성을 보여주고있는 것들이 있는데 이제 환경적으로도 좋아진것 아닌가 생각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Nov, 22:56


제약/바이오 11월 일정 (키움)

Bio-Europe (4~6일)
World ADC (4~7일)
면역항암학회SITC (6~10일)
휴젤 실적 (6일)
SK바이오팜, 셀트리온 실적 (8일)
파마리서치 실적 (13일)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Nov, 10:53


미국 대선 일 전후 VIX 지수 등락 추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Nov, 10:34


[SK바이오팜] 이번 엑스코프리 투자계약의 의미
https://blog.naver.com/cutlet2024/22364505046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Nov, 09:24


https://youtu.be/G6uqjb8mhoY?si=rqZFT-CUv9T8OD1U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3 Nov, 06:06


https://n.news.naver.com/article/654/0000091995?type=breakingnews&cds=news_edit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 Nov, 04:17


병어조림, 서산강굴😀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8:14


2024.10.30 17:10:23
기업명: 대웅제약(시가총액: 1조 7,310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59억(예상치 : 3,610억)
영업익 : 411억(예상치 : 366억)
순이익 : 319억(예상치 : 241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3,159억/ 411억/ 319억
2024.2Q 3,605억/ 423억/ -13억
2024.1Q 3,358억/ 297억/ 79억
2023.4Q 3,618억/ 287억/ 622억
2023.3Q 3,409억/ 294억/ 15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3080069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962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6:41


흠... 요즘 매니저들은 뭐할까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 느낌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5:52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1124억 공급공시인데요. 미국 현지 법인인 SK Life Science,Inc. 에 제품을 공급하는 계약입니다.

그런데 재밌는게 오늘 공시 2건 나왔는데
첫번째 : 5개월동안 900억 공급 완료
두번째 : 4개월동안 1123억 공급입니다.

뭔가 느낌 오는데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5:47


2024.10.30 14:46:46
기업명: 에스케이바이오팜(시가총액: 9조 2,880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SK Life Science,Inc.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의약품 공급계약
공급지역 : SK Life Science,Inc.가 지정하는 장소
계약금액 : 1,124억

계약시작 : 2024-10-30
계약종료 : 2025-03-15
계약기간 : 4개월
매출대비 : 31.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30800286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3260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603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4:55


시장생각 (24.10.30)

오늘 민주당의 금투세 개정안 나오고
조국당도 금투세 시행을 당론으로 결정하고 흠... 그냥 뭐라 할말이 없네요.
그래도 크리티컬한 이슈는 아니라고 보는게
뭐 한쪽은 개정안 내는게 당연한 거였고
다른한쪽은 그냥 어그로꾼이라 멘트생략,,,
어차피 민주당 지도부에 위임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분의 의사결정만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이미 시장이 많이 눌린 상황이라 언제 어떤 뉴스로 시장이 급등 하여도 이상하지 않다고 보고있고, 트럼프트레이드 관련해선 시장이 이미 많이 반영했다고 봅니다.

당장 트럼프가 당선되면 관련 포지션 수익실현이 쌔게 나올거라 보고있고 (혹은 그 전부터 나올거로 봅니다.)
그것엔 최근 강했던 트럼프 수혜주 섹터 이외에 금리도 포함됩니다.

트럼프가 힐러리와 붙었을 때에는 시장에서 트럼프가 이길거라 전혀 예상하지 못했었는데, 그래서 그 이후 시장 혼란이
좀 있었조. 하지만 지금은 트럼프 승리를 많이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불확실이 확실로 바뀌는 순간 미국 컬러도
많이 바뀔걸로 보고있습니다.

갠적으로 포지션 변화는 없고 이럴때 내년에 좋을종목 스터디 하는 시간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성투 하시길 !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2:30


투기자본에 회사를 지켜내겠다 !
이번 한번만 믿어달라 !
주주운동으로 회사의 구조를 바꾸겠다 !
대주주 말고 나를 믿어달라 !
= 다 본인들 돈벌기 위한 구호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2:27


고려아연 일반공모 유증 채무상환 2.3조 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30 Oct, 01:39


짐펜트라로 미국시장 진출 시작한 셀트리온에 대한 스터디 입니다.

셀트리온 : 짐펜트라가 케리해 줄까?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39423118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22:19


#휴젤
- 맥쿼리에서 목표주가 36만원 (+36% 업사이드)로 이닛

### 1. 미국 시장 진출과 규제 허가
- FDA 승인과 상업 출하: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제품 ‘레티보(Letybo)’가 2024년 2월 미국 FDA 승인을 받고, 7월에 첫 상업 배치를 출하함으로써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함. 현재 미국 내 판매 준비를 마치고 본격적인 영업 확장 단계에 돌입.

### 2. 시장 성장 배경과 경쟁 요인
- 미용 시장 성장 요인: 비수술적 미용 시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기존 보톡스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어 병원과 소비자들은 새로운 대안을 모색 중. 이로 인해 더 저렴하고 효과적인 레티보가 주목받고 있음.
- 레티보의 가격 경쟁력: 레티보는 경쟁 제품인 보톡스와 유사한 효능 및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20-30% 저렴한 가격으로 경쟁력을 확보. 미국 내 병원과 클리닉들이 비용 대비 높은 효율성 때문에 레티보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짐.

### 3. 미국 시장 매출 전망
- 매출 성장 예상치: 2026년에 약 980억 원, 2027년에는 약 1,560억 원의 매출이 예상되며, 이는 시장 기대치를 각각 20%와 56% 초과할 것으로 전망.
- 파트너십을 통한 유통망 구축: 휴젤의 미국 유통 파트너인 Benev는 미국 내 다양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레티보의 빠른 시장 확대를 지원할 수 있는 강력한 파트너로 평가됨.

### 4. 글로벌 확장과 추가 시장 확보
- 중국 및 유럽 시장 진출: 휴젤은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유럽에서도 레티보 제품 승인을 얻어 판매 중.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현지화된 마케팅 전략을 통해 중국 내 입지를 확대 중.
-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중국 내 시환제약과의 협력으로 현지 유통과 마케팅을 강화하여, 제품 인지도와 수요를 지속적으로 확대.

### 5. 포트폴리오 시너지 효과
- 다양한 제품군과의 시너지: 휴젤은 보툴리눔 톡신뿐만 아니라 필러와 스킨케어 제품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통합적인 미용 솔루션 제공. 필러가 2023년 매출의 37%를 차지하며, 톡신과 필러의 결합 시술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음.
- 결합 시술의 인기: 보툴리눔 톡신이 주름 완화에 효과적이고 필러가 볼륨 보충에 탁월하여 결합 시술 시 더욱 완벽한 안면 재생 효과를 제공, 소비자 선호도가 높음.

### 6. 투자 리스크 요인
- 제네릭 제품의 가격 인하: 국내에서 제네릭 보툴리눔 톡신 제품 가격이 인하될 경우, 휴젤의 국내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경쟁사의 소송 가능성: 과거 특허 소송에서 승리했으나, 향후 추가적인 소송이 발생할 수 있어 리스크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 경제 불황과 구매력 저하: 경기 침체로 소비자의 구매력이 저하되면 미용 시술 수요가 감소할 위험이 존재.

### 7. 미래 성장 잠재력
-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 경쟁력 있는 가격과 품질을 앞세워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음.
- 미국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 레티보의 미국 시장 확장이 향후 휴젤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글로벌 매출 증가에 큰 기여를 할 전망.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22:16


노바티스 2024.3Q 실적 발표 중 렉비오

미국: 선진 지질 저하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

- Leqvio®는 4,600개의 시설에서 주문되었으며, 이는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합니다. (전 분기 대비 +7%, 전년 대비 +50%)

- 모든 유통 채널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처방량: 전 분기 대비 +10%, 전년 대비 +94%)

- 타깃 전략을 통해 심혈관 사건(CAD) 후 환자들 사이에서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외 지역: 모든 시장에서 성장 중
- 현재 39개국에서 보험 적용이 가능하며, 73개국에서 상용화되었습니다.

ASCVD(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 관련 Leqvio®의 임상 증거 강화

- Phase III V-MONO 시험에서 Leqvio 단독 요법이 위약 및 에제티미브에 비해 LDL-C 감소 효과에서 우수성을 입증하며 주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해당 데이터는 보건 당국에 공유되고, 다가오는 의료 학회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렉비오 1.2분기에 이어 3분기도 yoy 세자리인 +119% 놀라운 성장을 기록했네요.

특히 미국을 제외한 ex-US의 성장이 가파르며 ex-US 원료를 공급하는 에스티팜의 경우 숫자가 가시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네요.

이런 트렌드로 4분기까지 성장한다면 올해 8억 7천달러 정도 예상되며 다시 한번 연 매출 1조가 넘는 RNA 블록버스트 약물이 탄생했네요.

에제티미브와 비교 임상에서 ASCVD 우수성을 입증한 만큼 향 후 적응증 추가 여부도 주목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8:40


rejuran 구글트렌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7:27


열심히 주식 할 준비 - 24. 10. 29

거래대금과 지수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표.

지난 3년간 코스닥 거래대금이 5조를 하회했던 거래일수는 단 20일이었고 그 중 17일이 하락장의 피날레였던 10~12월에 집중되고 나머지 3회는 2023년 1월과 10월 말, 그리고 어제였는데 모두 하락장의 임계점 근처였음. 거래대금 / 지수라는 부분에서는 이제 더 빠질 구석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는 의미.

이제는 11월에 예정된 미 대선 / 유명 정치인의 재판 선고와 끽해봐야 2개월 남은 금투세 이슈까지 하나하나 불확실성을 지워나가는 구간이라고 생각함. 불확실성이 사라질 수록 투자자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시장을 바라보고 조금 더 적극적으로 시장에 뛰어들 수밖에 없음.

이제는 비관론에 사로잡히기보단 "어디에 뛰어들까?" 를 고민하며 다가올 미래를 준비해야 할 시기라고 판단됨.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7:24


금투세 뉴스 이후로 종목들 반등이 좋았는데 현재 투심이 얼마나 눌려있는지 알수 있었습니다.
코스닥 월봉 보시면 120월봉 깨고 내려와있는 상황인데 이것은 금융위기, 코로나, 미국 금리인상 충격파 정도 에서나 발생했던 일입니다. 현재가 그정도 수준이구요, 이유는 미국대선, 반도체, 금투세 이슈 등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저는 현재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코스닥이 단기로 800포인트 이상까지 급등해 주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는데요.
지금 이런 아수라같은 시장에서도 이평선 정배열에 5일선까지도 지키고 있는 괴물같은 종목들이 주인공이 될것 같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5:53


금투세 때문에 시장이 얼마나 눌려있는지 실감이 오네요. 이것은 민주당이 국민들에게 자산의 기회손실을 제공하고 있는것 아닌가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5:39


이 뉴스 이후 갑자기 지수 급등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3:24


사기가 판치는 코인시장

저는 알트코인을 투자 대상으로 보지 않는 이유를 이미 말씀 드렸는데요, 사실 비트코인도 저는 현재 투자하고 있지 않고 앞으로도 없을것인데 그 이유는,

비트코인의 가장 큰 리스크가 뭘까요?
저는 비트코인 창시자라고 불리우는 '나카모토 사토시'가 현존으로 등장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뭔소리냐 하실것인데 저는 이 사람이 나타나서 "아- 비트코인 재미로 만들어 본건데 너희들이 이렇게 의미부여 할줄 몰랐어... 그리고 사실 나 비트코인 몇만개 보유중이야..." 라고 하는순간 비트코인의 가치는 0으로 수렴할것 같습니다. 참 아이러니 하지 않은가요? 어떤 자산의 창시자가 등장하는것이 가장큰 리스크라니...

금과 비유되는 비트코인이지만 현시점 사용가치는 0이고 교환가치만 있습니다. 사람들이 가치에 동의해 주지 않는이상 결과는 예정되어 있습니다. 각국들이 현재 제도권으로 가상자산을 편입하려는 이유는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아 자본유출과 피해자가 생기고 있기 때문이조. 물론 더큰 이유는 세금을 걷을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가상자산 투자는 신중에 신중을 가해서 부디 사기당하는 일 없길 바랍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9 Oct, 02:52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08119?cds=news_edit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Oct, 23:54


MSD(미국 머크)는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가 자사의 항PD-1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Keytruda, 성분 펨브롤리주맙)’에 대해 자궁내막암과 자궁경부암 등 총 2개의 부인암을 적응증으로 확대 승인하며, 유럽에서 30번째 적응증을 획득했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9월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가 키트루다에 대해 승인을 권고한 지 약 1개월 만입니다.

키트루다의 유럽 적응증 30개 중 5개가 부인암으로, 자궁내막암과 자궁경부암에서 각각 3개, 2개의 적응증을 확보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86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Oct, 23:10


🇯🇵 집권 자민당의 참패로 달러엔은 153엔을 상회하기도 하며 약세 시현. 자민당과 공명당 연정은 중의원 215석을 얻는데 그쳐 과반인 233석을 확보에 실패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Oct, 12:22


한국에서 의미있는 ADC 기업은 알테오젠과 리가켐바이오. 어떤 이유로 방한 하신지는 모르겠으나 좋은 협력 소식이었으면 좋겠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Oct, 12:02


"암세포만 따라가 없애는 '마법의 탄환'…항암제 역사 바꿨죠"

차세대 항암제 기술로 꼽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의 글로벌 1위 기업 일본 다이이찌산쿄가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기존 약물보다 복잡한 ADC 구조와 부족한 생산 역량 등을 고려하면 한국 기업과의 협력 기회는 늘어날 전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9414?lfrom=kakao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7 Oct, 11:36


https://v.daum.net/v/20241027171210029?from=newsbot&botref=KN&botevent=e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6 Oct, 05:35


고민과 포트폴리오 (24.10.26)​ : 바이오 바이콜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34301585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6 Oct, 03:53


* (중국 주식) 기록적 유입 직후, 지난주에는 9년만에 가장 큰 자금유출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7:45


다들 힘내십쇼 또 좋은날 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7:44


코스닥은 이주째 내렸고, 코스피는 이주째 횡보중입니다.
마이 지치기는 하네요 ㅎ 한주 그래도 애쓰셨습니다~😢

오늘은 지옥2 넷플 나오고, 토욜 9시는 월드시리즈 LA다저스, 뉴욕양키스 경기 있습니돠~~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6:44


SK바이오팜

오늘도 외국인 매수...유통주식 계속 말라가는 느낌..주가가 빠지든 말든...트럼프가 되든 헤리스가 되든.. 금리가 오르든 말든 엑스코프리는 그냥 계속 잘 팔리는중이고 앞으로도 잘 팔릴 예정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6:15


[리가켐바이오] 결정적 약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https://m.blog.naver.com/onejejuwave/22363315771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2:28


유한양행 ‘제2의 렉라자’ 추진…연내 성과도 기대

2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올해 안으로 신약후보물질을 기술수출하기 위해 해외 제약사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면역항암제와 알레르기 치료제를 중심으로 해외 제약사와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기술수출 가능성이 큰 후보물질은 면역항암제 ‘YH32367′과 알레르기 치료제 ‘YH35324′가 꼽힌다. YH32367은 2018년 국내 기업 에이비엘바이오(37,450원 ▼ 800 -2.09%)에서 도입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고형암에서 나타나는 인간상피성장인자수용체(HER)2를 겨냥해 암세포를 없앤다. 또 면역세포인 T세포를 작동시키는 4-1BB 단백질을 활성화해 항암 면역을 일으킨다. YH32367은 현재 한국과 호주에서 글로벌 임상 1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알레르기 치료 신약후보물질인 YH35324는 현재 임상 1b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유한양행은 2020년 지아이이노베이션(14,520원 ▼ 240 -1.63%)으로부터 YH35324를 도입했다. 이 물질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반응하는 항체 면역글로불린(lg)E의 양을 줄여 가려움과 콧물, 재채기 같은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한다.

유한양행에 따르면 YH35324는 임상 1상 과정에서 기존 알레르기 치료제인 스위스 노바티스의 졸레어(오말리주맙)보다 효과가 강하고 약효 지속 시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오말리주맙은 지난해 21억7600만 스위스프랑(약 3조3000억원)의 매출액을 올린 블록버스터 치료제다.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bio/2024/10/25/ISFL4NLRVBHIJMZTGSVKLUXFPM/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1:35


치료지수가 좋은건 링커가 좋기 때문이고 바이오 투자자들에겐 가슴 뛰는 워딩이조...치료지수가 경쟁약물보다 높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1:18


리가켐바이오

목표주가 상향 170,000


리가켐바이오의 투자포인트

① 리가켐바이오는 더 이상 단순 플랫폼 기업이 아니다. 아직 상업화 아이템이 없으나 오노약품, J&J, 암젠 등 글로벌 빅파마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탄탄한 트랙 레코드를 쌓고 있다. 타 ADC 기업들과 차별화될 수 있는 포인트이다. 만약 2025년 LCB14(HER2 ADC) 중국 조건부승인으로 상업화 아이템까지 등장한다면 이뮤노젠 (101억 달러로 인수)과 같은 기준으로 기업가치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② 앞선 ADC 파이프라인의 실패가 리가켐바이오에게 기회가 되고 있다. Trop2 ADC 경쟁약물이 계속해서 임상에서 실패하면서 리가켐바이오의 Trop2 ADC에 대 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얀센의 행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된 다. 얀센의 옵션 행사 시점은 2025년으로 추정하였으며, 옵션행사로 2억 달러의 마 일스톤이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③ 빅파마들은 ADC 파이프라인들 더 도입하기를 원하고 있으나 라이선스가 가능한 ADC 파이프라인의 수는 적어졌다. 이 또한 리가켐바이오에 기회가 되고 있다. 글로 벌 제약사가 M&A를 통해 ADC 기업을 인수하면서 국내외 단독으로 존재하는 ADC 기업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상장된 기업을 기준으로 다이이찌산쿄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리가켐바이오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꾸준이 ADC 후보물질을 찾고 있으나, 대형 제약사들이 M&A를 통해 ADC 기업을 내재화하면서 살 수 있는 ADC 후보물질이 부족한 상황이다. ADC 치료제 개발을 원하는 수요는 여전히 존재 하지만 공급이 부족해진 상황에서 기술력을 검증받은 리가켐바이오는 딜의 기회가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셋)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0:53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5 Oct, 00:43


T세포에 존재하는 면역항암 타겟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4 Oct, 23:48


리가켐바이오

엔허투 성공 이전까진 ADC가 현실화 될수 있는 개념인가? 라는 물음이 있을 정도로 ADC 임상들은 다 별로였습니다.
그런데 엔허투가 성공하면서 ADC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고 현재 항암에서 가장 핫한 분야가 되었조.

그리고 이전에는 ADC에 대한 주제가 링커였다면 현재는 링커 뿐만 아니라 페이로드에 대한 연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미 링커는 리가켐바이오 콘주올이 전세계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플랫폼 이구요, 페이로드 관련해선 얼마전 김용주 대표님이 "리가켐바이오가 '월드 ADC 서밋(World ADC Summit)'에서 5회 연속 수상할 수 있었던 것은 링커가 아닌 'PBD(Pyrrolobenzodiazepine) 프로드럭(prodrug)' 덕분"이라며 "면역조절항체결합체(antibody-immune modulator conjugate, AIC)와 ADC를 결합한 시장이 미래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PBD 프로드럭은 리가켐바이오가 개발한 페이로드 이구요, 이미 리가켐바이오는 다양한 페이로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7:00


2024.10.23 15:53:08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3,73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1,871억(예상치 : 10,953억)
영업익 : 3,386억(예상치 : 3,081억)
순이익 : 2,645억(예상치 : 2,43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2023.4Q 10,735억/ 3,500억/ 2,907억
2023.3Q 10,340억/ 3,185억/ 2,40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27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5:31


바이오

금투세 관련 긍정적인 뉴스가 나왔는데
그동안 바이오가 한정적인 수급에서도 주도주 역할을 했다면 이제 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되는 상황이라 더 좋은 모습이지 않을까 생각드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5:21


해당 뉴스 이후 종목들 반등하는게 눈에 보이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5:15


이날 회의에선 민주당 지도부가 고민하고 있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시행이 없을 것이라는 발언도 나왔다. 김병욱 총괄부본부장은 “무엇보다 국민 개개인 부의 증대에 초점을 맞추겠다. 부의 증대를 혐오하지 않고, 적극 장려하겠다”며 "금투세를 시행하지 않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상법 개정 등 법적 환경을 정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1023050463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4:24


지아이이노베이션
https://youtu.be/p6irlD03Wq8?si=qXhheW6G0x-g268u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2:12


안녕하십니까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지난 해 9월 Synaffix 사와의 ADC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도입에 이어, 금일 IntoCell 사와 ADC 플랫폼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작년 Synaffix 사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이중항체 ADC 개발을 시작했으며,
도입한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당사의 이중항체와 접목하여 3개의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파이프라인들은 내년 말까지 최소 2개 이상의 미국식약처(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신청을 목표하고 있으며,
신속한 임상 진입을 통해 아직은 경쟁물질이 많지 않은 초기 이중항체 ADC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확보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우수한 ADC 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경쟁력과 Novel함을 갖춘 ADC 파이프라인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1:59


오... 에이비엘바이오가 인투셀이랑 손을 잡았네요. 인투셀은 국내 ADC 플랫폼 탑2 기업입니다. 리가켐바이오 창업자가 나와서 차린 회사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1:58


2024.10.23 10:55:37
기업명: 에이비엘바이오(시가총액: 1조 8,522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 상대방 : 인투셀(IntoCell, Inc., 대한민국)

2) 계약의 내용 : 인투셀의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플랫폼 기술을 당사 항체에 접목하여 ADC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권 도입 계약 체결

3) 계약체결일 : 2024-10-23

4) 기술의 내용 : ADC는 항체를 통해 암을 표적하여 치료 약물인 페이로드를 전달함으로써 종양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작용기전의 기술임

5) 계약기간 : 계약일 ~ 시판된 의약품의 로열티 만료일 (국가별, 제품별 상이)

6) 계약금액

- 계약금액에 해당하는 재무조건은 경영상 비밀과 영업상의 기밀에 따라 비공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380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1:34


바이오 프로그램 매수세 들어오는중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0:45


지아이이노베이션 스터디 입니다.
면역항암제 부스터 + 알레르기 신약 기대감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2994587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0:2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02300014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3 Oct, 00:19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로드리고 루이스 소토(Rodrigo Ruiz Soto)를 최고의학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 CMO)로 영입했네요.

루이스 소토 박사는 리가켐바이오의 임상개발 전략을 주도하고, 후속 임상 후보물질의 개발을 주도하게 됩니다. 그는 미국 보스톤에 위치한 리가켐바이오의 자회사인 ACB(AntibodyChem Biosciences)에서 근무하며 CMO 역할을 맡을 예정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4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Oct, 13:39


리가켐바이오의 파이프라인인 LCB14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유방암 시장에서 어떻게 ADC 약품(엔허투)가 로슈의 HER2 프랜차이즈를 대체하고 있는지 거시적인 관점을 위주로 설명드려볼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LCB14가 지켜야만 하는 로슈와 빼앗아야만 하는 아스트라제네카 사이에서 큰 기회를 얻을 수 있는 ADC 파이프라인이 되리라 생각하는데요. 아래 포스팅에서는 그 이유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방암 시장에서 두 글로벌 빅파마가 격돌하고 있고, 그 가운데에서 ADC 약품이 적극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트렌드를 쭉 살펴보시면 LCB14가 왜 유방암 시장에서 큰 기회를 얻을 수 있을지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쪄면 알테오젠의 엔허투SC와 리가켐바이오의 LCB14가 격돌하는 꿈의 시간이 곧 현실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오늘 장중 내내 얻어맞아서 정신이 어지럽지만, 힘내시며 함께 공부해보시죠..!!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629484509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Oct, 12:56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1018/130244183/1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Oct, 11:47


에이비엘바이오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4/10/17/0027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Oct, 06:25


목표가 1350,000
목표시총 100조가 얼마 남지 않았네요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22 Oct, 04:41


삼성전자 (에 대한 독백)

참 안타까운 마음이지만, 한국 지수가 빠지는건 금투세로 인한 거래대금 감소, 유동성 부족 문제도 있지만,
국내 지수의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그 밸류체인들의 경쟁력
위기와도 관련이 크다고 본다.

그리고 나는 이 경쟁력 위기를 한국 정치인들이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그 시발점은 이재용회장으로 하여금 삼성전자의 자녀승계를 포기시키게 한 뒤부터 였다고 생각한다.

이재용 회장도 한 인간이고 이미 자녀에게
물려줄것이 없게 된 회사에 인생과 열정을
바칠수 있겠는가? 하물며 회사에 소속된
임원과 부하직원들은 더하면 더했을 것이다.

반도체산업은 국력을 결정하는 전쟁과 같은데 옆나라 TSMC는 국민들이 TSMC에 전기 몰아주자고 운동도 하는 마당에,
한국은 정치인들이 나서서 삼성전자 경쟁력을 깎아먹었다고 본다.

그리고 이미 평생동안 쓰고 죽어도 남아도는 돈을 벌어놨는데 이재용 회장은 무슨 호국정신이 남아서 한국을 위해 미국, 대만 반도체 회사들과 피를 팔아가며 경쟁을 할수 있었을까? 참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