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rbarian 해외주식 @barbarianglobal Channel on Telegram

The Barbarian 해외주식

@barbarianglobal


The Barbarian 해외주식 (Korean)

여행을 사랑하고 세계 각지의 주식 시장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한 텔레그램 채널 'The Barbarian 해외주식'을 소개합니다. 여기는 현지 시장 동향, 투자 전략, 그리고 최신 금융 소식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곳입니다. 바바리안은 이 채널을 통해 세계 각 지역의 주식 시장을 살펴보고 다양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바바리안은 주식 시장에 대한 폭넓은 경험과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구독자들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채널을 통해 세계 각지의 경제 동향을 익히고 효율적인 투자를 위한 팁을 얻어보세요. 지금바로 구독하여 성공적인 투자의 시작을 해보세요!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Feb, 12:42


전일 부진한 실적가이던스를 발표한 아마존(AMZN) 실적리뷰 자료입니다.

실적 이후 반응에도 크게 걱정할 필요 없는 종목이 아마존 아닐까 싶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7171848178tz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Feb, 00:57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딥식 사태 이후 테크 기업들이 실적 발표 후 위아래로 극심한 변동성을 겪고 있습니다

딥식 사태로 IT 업황 전망에 대한 의견이 갈리고 있는 점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럴 수록 실적 발표로부터 테크 업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비덴, 코히런트, 니토 보시케 를 통해 현재 IT 업황 및 산업에 관해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7095510722ia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Feb, 23:48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faces-pressure-us-industry-over-china-tariff-medicines-2025-02-06/

관세 또한 헬스케어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싶은데.. .

멕시코 관세는 의료기기
중국 관세는 항암제 등 의약품에 치명적입니다

개인적으로 생물보안법이 25년도에 다시 논의되기는 어려울 거라고 보고 있으며, 중국 의약품 뿐 아니라 글로벌 의약품에 대해서 보편관세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아보이는데요.

RFK 인준이 마무리 단계에 있기 때문에 슬슬 관련한 논의들이 공개적으로 진행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Feb, 23:48


특히 유심히 봐야할건 트럼프가 생각보다 희토류의 관점으로 그린란드에 진심이라는 점.

그로 인해 이를 명븐으로 노보 노디스크를 정밀타격할 수 있다는 점.

개인적으로 릴리는 이제 맥점이라고 보입니다, 4분기 쇼크 우려가 심해서 주가가 반등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적당히 선방하는 수준이었고... 이제 남은건 곧 발표될 Orforglipron 임상 결과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노보가 Rybelsus 비만제를 50mg 에서 25mg로 감축한 이유는 API 소싱 때문입니다.

앞으로의 병목은 후공정 펜이 아니라 전방 원재료 API 에서 더욱 거세게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구요.

API 소싱에서 비교적 크게 자유로운 Orforglipron 경구용이 저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비만 치료제 시장은

효과 中 부작용 大 생산 大 = 경구용 치료제
효과 大 부작용 小 생산 中 = 주사제 치료제

로 양분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주사제는 1달 제형이, 경구용은 부작용 관리가 핵심 알파오메가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Feb, 07:24


닛토 방직 (Nitto Boseki) 2024년 3분기 실적 및 가이던스 요약

1. 실적 개요 (2024년 3분기, 2024년 4월~12월)
- 매출: 815억 엔 (+19.8% YoY)
- 영업이익: 118억 엔 (+107.1% YoY)
- 경상이익: 132억 엔 (+94.8% YoY)
- 순이익: 94억 엔 (+75.6% YoY)
- ROE (자기자본이익률): 57.5% (전년 대비 +1.8%)

>> 닛토 방직은 전년 대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전자재료(특수유리) 및 의료 사업이 실적 개선을 견인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이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 유리 판매 호조로 실적 급등.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 복합재료 및 소재 솔루션 부문은 원가 상승과 설비 유지보수 영향으로 수익성 악화.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단열재 판매 증가로 선방.

2. 가이던스 상향 (2025년 3월 기준 연간 전망)
- 매출 목표: 1,090억 엔 (+16.9% YoY)
- 영업이익 목표: 160억 엔 (+90.8% YoY) (기존 150억 엔 → 160억 엔 상향)
- 경상이익 목표: 170억 엔 (+74.3% YoY) (기존 160억 엔 → 170억 엔 상향)
- 순이익 목표: 115억 엔 (+57.6% YoY) (기존 105억 엔 → 115억 엔 상향)
- 주당순이익 (EPS) 전망: 315.87엔 (기존 288.40엔 → 315.87엔 상향)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에서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유리 판매 지속 증가 전망.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매출 유지하며 연구개발 및 인력 확충 계획.
- 복합재료 부문은 하반기 회복 예상되나 원가 부담 지속.
- 소재 솔루션 부문은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는 준비 단계.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제품 수요 증가 예상.

3. 주주환원 정책
- 기본 배당 정책: 연간 87엔 (전년 55엔 → 증가)
- 중간 배당 27.5엔 → 기말 배당 59.5엔
- 배당성향: 30% 유지 목표

📌 핵심 포인트:
- 안정적인 배당정책 유지 및 전년 대비 배당 확대.
- 수익 증가에 따라 주주환원 강화 기조 유지.

4. 종합 요약

- 2024년 3분기 실적 호조, 특히 전자재료 (특수유리) 부문이 강한 성장을 보이며 매출 및 이익이 크게 증가.
- 2025년 3월 연간 가이던스 상향,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이 상향 조정됨.
- AI 서버, 반도체 기판 시장의 특수유리 수요가 지속 증가, 이에 따라 전자재료 부문이 향후 실적을 견인할 전망.
- 배당도 증가하며 주주 환원 정책 강화.

📌 결론: 닛토 방직은 반도체 및 AI 서버 시장 성장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

바바리안 이전 니토 보세키 글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5103430341bz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Feb, 00:32


[ Ibiden 3QFY25 실적 발표 이후 하락 지속중 (전일 -15%, 금일 : -3%) : 레거시 노출 높은 섹터와 플레이어 많은 경쟁 산업은 피해야 ]

주요 재무 실적 (2025년 3분기)

- 매출 (Revenue, ¥bn) : 88.8 (컨센서스 : 95.7)
-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bn) : 6.3 (컨센서스 : 8.9)
- 순이익 (Net Income, ¥bn) : 4.3 (컨센서스 : 6.1)
- 연간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40bn 유지

GPU & CPU 패키징 영향

🔹 GPU 패키징
- 3Q 매출 감소 이유: 프리미엄 가격 → 대량 생산 가격 전환으로 전환되며 P 하락
- 2H(하반기) 동안 생산 능력 30% 증가
- 그러나 매출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기대 이하

🔹 CPU 패키징
- 최대 CPU 고객(40% 비중)의 주문 선택적으로 수락
- 가격 압박이 심해 이익이 감소
- 가동률: 2Q(70~75%) → 3Q(60% 이하) → 4Q(60% 후반 예상)
- 수익성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

📌 4Q 전망:
- 가동률 상승 전망이지만, 이익률은 보수적으로 유지

결론
- CPU 향 수요가 예상보다 더 안 좋음 > 레거시 비중 높은 하드웨어 밸류체인들 조심해야
- AI 밸류체인이어도 플레이어 많은 세부 섹터는 조심해야 함 > 가격 협상력이 없고 엔비디아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P 하락 가능성
- CCL 기업들이 월별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것과 PCB 기업들이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은 AI 비중과 과점 시장 여부가 올해 하드웨어 투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됨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Feb, 06:07


구글의 실적 발표에서 선명하게 나온 투자 아이디어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5133057215rd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Feb, 01:36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작년 10월부터 AI 사이클에서 CCL 의 중요성을 말씀드렸었습니다

최근 Elite Materials 를 보면 CCL 생산에서 유리 섬유 재료의 고사양화와 숏티지가 눈에 띄고 있습니다

유리 섬유의 경우 천을 만드는 기업들은 다수 있지만 핵심인 실을 만드는 기업들은 미국의 AGY와 일본의 Nitto Boseki가 거의 장악하고 있습니다

CCL 기업들의 호실적이 계속되는 가운데 유리 섬유 기업인 Nitto Boseki 도 주목하셔야할 때라고 생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5103430341bz

The Barbarian 해외주식

04 Feb, 12:08


AI산업의 타임라인을 점검하면서 수혜주들을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25년에 꼭 부각될 것으로 보이는 인플레이션 트레이딩 아이디어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4132101205qq

The Barbarian 해외주식

03 Feb, 21:16


[ Palantir,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15% 넘게 상승 ]

CEO 발언:
“AI 혁명의 중심에서 우리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Alexander C. Karp, CEO

📈 Q4 2024 하이라이트

- 매출: $828M (+36% YoY, +14% QoQ, 46.28M 컨센서스 상회)
- 미국 매출: $558M (+52% YoY, +12% QoQ)
- 🇺🇸 미국 상업 매출: $214M (+64% YoY, +20% QoQ)
- 🇺🇸 미국 정부 매출: $343M (+45% YoY, +7% QoQ)

🔹 주요 실적 지표:
- 129건($1M+), 58건($5M+), 32건($10M+) 계약 성사
- 미국 상업 TCV: $803M (+134% YoY, +170% QoQ)
- 미국 상업 RDV: $1.79B (+99% YoY, +47% QoQ)
- 고객 수 증가: +43% YoY, +13% QoQ

🔹 재무 성과:
- 영업이익 (GAAP): $11M (1% 마진) / $142M (17% 마진, SAR 비용 제외)
- 조정 영업이익: $373M (45% 마진)
- 현금 창출: $460M (56% 마진)
- 조정 자유 현금 흐름: $517M (63% 마진)
- GAAP 순이익: $79M (10% 마진) / $165M (20% 마진, SAR 비용 제외)
- Rule of 40 점수: 81%
- GAAP EPS: $0.03 / 조정 EPS: $0.14

가이던스

1) 2025년 1분기

- 매출 : 8억 5,800만~8억 6,200만 달러 (컨센서스 : 7.99억을 크게 상회)
- 조정 영업이익 : 3억 5,400만~3억 5,800만 달러

2) 2025년 전체 연도

- 매출 : 37억 4,100만~37억 5,700만 달러 (컨센서스 35.3억을 크게 상회)
- 미국 상업 매출 : 10억 7,900만 달러 이상, 54% 이상의 성장률
- 조정 영업 이익 : 15억 5,100만~15억 6,700만 달러
- 조정 잉여현금흐름 : 15억~17억 달러

- 지금까지 AI 수익화를 제대로 보여준 소프트웨어 기업은 애드 테크 밖에 없었음

- 하지만, 팔란티어는 지난 분기부터 확실히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들을 계속 발표하며 AI 소프트웨어 대장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The Barbarian 해외주식

03 Feb, 11:05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2185131222iq

오늘은 AI산업 타임라인을 재점검해보고, 지금의 변동성 이후 기회 영역에 있는 종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02 Feb, 12:42


이번 미국주식 위클리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eckers Outdoors의 주가 급락에서 찾는 기회

2. 흐름을 바꾼 테슬라

3. 지난주보다 오히려 더 볼게 많은 실적주간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2182403529jv

The Barbarian 해외주식

01 Feb, 09:52


‘짧지만 중요한 아이디어’ 두 번째 업데이트입니다.

지금까지 빅테크 기업들의 설비투자 전망의 의미를 생각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1141927432wr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Jan, 12:07


AI산업 성장의 수혜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언제 제대로 확산될지에 대한 짧은 아이디어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31182753262rh

The Barbarian 해외주식

30 Jan, 14:18


바바리안 블로그에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플랫폼즈 실적컨콜 보기 편하게 번역본 업데이트했습니다.

단기 실적성과를 떠나서 '읽고, 안 읽고의 차이'가 큰 실적 컨콜 내용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https://blog.naver.com/barbarian_research/223742527528

메타 플랫폼즈(META):
https://blog.naver.com/barbarian_research/223742527528

The Barbarian 해외주식

30 Jan, 11:16


테슬라(TSLA) 분석

숫자는 아쉬웠지만, 설레임을 더 해줬던 이번 분기 실적발표를 분석했습니다.

새로운 테슬라를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30143255914rf

The Barbarian 해외주식

30 Jan, 06:00


테슬라 컨콜 번역자료는 바바리안 블로그에 올려뒀습니다^^ AI에 힘을 빌렸는데, 정말 좋네요!

https://blog.naver.com/barbarian_research/223742299286

The Barbarian 해외주식

29 Jan, 08:50


AI산업 성장의 흐름과 트렌드를 제일 잘보여주는 반도체 장비 기업 ASML과 Advantest가 금일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BK팀장이 핵심 내용 정리했고, 시사점 살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9170131235ph

The Barbarian 해외주식

28 Jan, 11:38


어제 급락 이후 미국 AI밸류체인 종목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번 업데이트했습니다.

현 상황을 점검했고, 대응전략을 정리했고, 주요 종목 밸류에이션을 체크했습니다.

어려운 환경이지만, 우상향 하는 선을 만들어내는 종목에 집중하려 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8181050727wt

The Barbarian 해외주식

27 Jan, 12:08


즐거운 연휴인데, 미국시장 환경은 요동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및 건강 관리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7181243635ot

The Barbarian 해외주식

26 Jan, 10:54


다소 혼란스러운 AI산업 투자 환경에 대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이번주 미국주식 위클리에서 다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뚜렷한 AI인프라 투자 수요 확대

2. DeepSeek 이슈에 대한 생각

3. 운명의 29일, 실적발표 핵심 종목 포인트 점검

4. 전력산업의 판이 바뀌었음을 이야기 한 NextEra Energy

5. 한주를 시작하며(현재 상황 및 전략 정리)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6190041926cu

The Barbarian 해외주식

24 Jan, 01:22


개인적으로 헬스케어 시장에 큰 변화가 오리라 생각하고, 의료 AI의 미래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Stargate 프로젝트 발표 영상을 수차례 돌려보면서 느낀 점은

‘게놈프로젝트를 모든 인류에 적용할 계획이구나‘

라는 생각이고, 유전자 분석을 넘어선 개개인의 유전체 분석을 의료 AI의 미래로 봐야하지 싶습니다

언급된 mRNA 백신은 그 활용처 중 하나이구요

이미징 AI 등은 일차원적인 인간 주도하에 발전된 도구였다면, 그 뒤를 생각해봐야 하지 싶습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24 Jan, 01:22


https://www.youtube.com/live/zDo_RrzdRoQ?si=NwOpH-xdG1R3ZXJ1

AGI가 도착지가 아닙니다

AGI를 통해 무얼 할 수 있는냐가 핵심이고, 제시된 방향성 중 첫 단추가 바로 헬스케어라는 점이 매우 중요해보입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23 Jan, 21:09


[ Canaccord Genuity 수석 애널리스트 조지 지아나리카스, CNBC 인터뷰에서 에너지 슈퍼사이클의 시작 코멘트 ]

- Canaccord Genuity 수석 애널리스트 조지 지아나리카스가 CNBC 인터뷰에서 에너지 슈퍼사이클이 시작했다고 코멘트

현재 상황에 대한 코멘트
- 에너지 투자는 수십 년 전 통신 혁명과 유사한 혁신적 시대를 맞이하고 있음

에너지 투자에 대한 전망
- AI의 빠른 도입과 전력 소비 증가로 인해 원자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특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할 전망

예상 에너지 산업의 수혜주 언급
1) 원자력 기업:
- NuScale Power(SMR): 1년간 주가 1,112% 상승.
- Oklo(OKLO):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술 주도.

2) 청정 에너지 관련 기업:
- GE Vernova(GEV)
- Siemens Energy(SMEGF)

전력 소비 상황
- 과거 20년간 미국 전력 소비 연평균 증가율: 0.5%.
- AI와 스마트폰 등의 기술 확산으로 전력 소비 증가 가속화.
- 2024년 시작: 전력 소비 급증이 이미 시작되었으며, 현재 그리드는 준비가 부족

결론
- 전력 소비 급증 속에서 원자력과 많은 청정 에너지 투자 예상
- 또한 배터리 측면에서 혁신 기업들도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

The Barbarian 해외주식

23 Jan, 13:06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전일 GE Vernova의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숫자가 발표된 이후 장 전 6% 가량 하락했다가, 컨퍼런스 콜이 진행된 이후 2% 정도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좋은 주가 흐름을 보이고도 있고, 무엇보다 최근 가스 발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이제는 많은 투자자분들께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 컨퍼런스 콜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전력 부문의 수주 모멘텀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 다소 서프라이즈였고, 발전 부문에서는 12월 10일 애널리스트 데이에서 언급된 내용을 뛰어넘는 뉴스(가스 터빈의 추가 가격 인상 소식이나, 2025년 연간 가이던스 상향)가 있지는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가스 터빈 업황에 대한 긍정적인 코멘트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의 높은 기대치에도 불구, 실적 발표 이후 계속해서 신고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시장의 기대치를 만족시킨 컨퍼런스 콜이었던 것 같습니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약간의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본 부분은 크게

1) GEV의 가스 터빈 부문이 수주 산업이다보니 2-3년 전 업황이 부진한 시점에 수주한 부분이 매출로 인식되는 과정에서 과거 저마진 수주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과,
2) 투자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진 상황에서 경영진이 업황에 대해 보수적으로 나오면 주가가 한번씩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이 부분은 모두 잘 해결된 것 같습니다.

실제로 숫자가 공개된 직후 주가가 하락하다가 결국 상승 마감한 점이 이런 의문들이 해소되는 흐름을 반영한 움직임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4년이 10년만에 가스 투자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는 첫 해였다면, 올해는 본격적인 가스 투자의 시대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핵심 플레이어인 GE Vernova의 수혜를 계속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3220452221al

The Barbarian 해외주식

22 Jan, 12:05


실적 서프라이즈 발표 이후 급등한 넷플릭스(NFLX)의 향후 주가 방향성에 대해 전망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2190545207or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Jan, 11:06


최근 주가적으로도 느껴지는 미국 AI산업의 흐름 변화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9202421249hs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Jan, 10:31


ISRG의 리스 모델은 단순한 렌탈을 넘어, 장기적인 현금 창출과 높은 마진 구조를 가능케 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다빈치 Xi를 통해 이미 검증된 리스 전략은 다빈치 5의 본격적인 확산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58%에 달하는 리스 비중은 ISRG의 강력한 락인 효과를 보여주며, 이 과정에서 병원은 더욱 경제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ISRG의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현재 ISRG가 높은 멀티플을 부여받는 이유는 단순히 과거 성과가 아닙니다. 미래 성장성과 리스 기반의 수익성이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입니다. 다빈치 5의 확산과 함께 소모품 매출 및 사용량 기반 리스 수익이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된다면, 현재의 멀티플조차 저렴해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중국의 수술 로봇 기업들과 J&J의 Ottava 같은 신제품 출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SRG는 오랜 기간 수술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신뢰와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조정 시마다 매수 기회를 노리는 것이 현명한 전략일 것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1193019072yv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Jan, 08:33


기술적으로 브레이킹아웃하고 있고, 피봇에 근접하는 미국주식의 수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습니다(브레이킹 종목 42개, 브레이크아웃 근접 71개).

종목 테마들도 늘어나고, 좋은 산업 트렌드를 타고 있는 기업들이 많이 잡히고 있습니다. 엑셀파일 한번 꼭 보셨으면 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1171217893lv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Jan, 06:45


개인적으로 ISRG의 다빈치5를 수술 로봇에서의 게임체인저로 보고 있습니다.

그 핵심 기술은 '포스 피드백' 이라고 불리는 햅틱 기술이구요.

엑스박스나 PS5 에서 느껴지는 진동 타격감(?)과 감각을 수술 로봇에 구현을 한 것인데, 지금까지 로봇 수술을 하지 않던 의사들까지 충분히 유인할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엔 수술 중 외과의가 직접 촉각을 만져보아야 할 경우, 개복수술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던 만큼... 수술 시 촉각과 손의 감각은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4분기 서프라이즈를 보여줬던 ISRG도 관심 가져보시길 추천드립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20 Jan, 06:13


트럼프 2기를 맞아 구조적으로 주목도를 높일 미국의 천연가스 밸류체인 기업들을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20130659420aa

The Barbarian 해외주식

19 Jan, 09:33


지난주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였던 빅테크들의 AI 수익화 전략 변화에 대한 분석 및 실적 기여도 추정 작업을 했습니다.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모멘텀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9172409420ls

The Barbarian 해외주식

17 Jan, 14:13


[ Intel, 아직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 인수하려고 한다는 소식에 8% 넘게 상승 ]

- Intel 이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 인수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확도가 90% 가 넘는다는 소식이 나오면 8% 넘게 상승중

The Barbarian 해외주식

17 Jan, 06:13


반도체 투자 방향성 설정에 매우 중요했던 TSMC 실적발표가 잘 마무리됐습니다.

이번 실적발표를 통해서 사야할 미국 반도체 종목에 대한 윤곽이 더욱 뚜렷해지는 느낌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7130951404yk

The Barbarian 해외주식

16 Jan, 07:45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다음주 22일로 예정된 GEV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주목할 포인트를 점검해보았습니다.

GEV의 이번 실적 발표는 최근 계속해서 좋은 소식이 들려오는 가스 시장의 업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벤트가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벤트로 보는 추가 증설 발표를 기대하기는 이르지만, 북미 지역의 가스 발전소 투자 분위기나, 수주 상황에 대해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실적 자체는 큰 기대가 없는 듯 합니다. 올해 발전 부문을 보더라도 매출 컨센서스는 아직 전년 대비 플랫한 수준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1-2년전 업황이 부진했던 시기의 수주 물량이 매출로 인식되는 시기이다 보니 아무래도 상반기에 발전 부문 매출의 눈높이 자체는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결국 GEV의 올해 주가 흐름을 결정짓는 요인은 가스 터빈의 신규 수주 속도와 ASP 추이가 될 것입니다. 지난 12월 10일 인베스터 데이에서도 가스 터빈 시장이 호황 사이클로 들어서고 있다는 언급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업황은 이미 높아진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넘어서 계속해서 좋아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이번 컨퍼런스 콜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6164425033xx

The Barbarian 해외주식

16 Jan, 05:49


[ 미국 해군, 중형 상륙함 프로그램이 생산 비용 문제로 계속 연기되자 값싼 상업용 선박으로 생산한뒤 군용으로 개조하는 방안을 찾고 있음 ]

- 중국과의 갈등에서 중요한 해군 자산 중 하나는 상륙함

- 대만이나 태평양 섬들에 많은 군용 장비 및 사람들을 운반해야하기 때문

- 이 때문에 최근 태평양 국가들은 중국과의 갈등에 대비해 상륙함 전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음

- 중국도 당연하게 민간, 군용 상륙함 / 수송선을 크게 확충중

- 미국도 이러한 트렌드 속에서 3~4억 달러 수준의 중형 상륙함을 20~38척 발주하려고 하지만 생산비용이 미국 조선소에서 생산할 경우 계속 증가하고 있어 작년 12월 중단

- 미국 해군은 상륙함 건조 지연 문제를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민간 수송 선박을 저렴하게 생산해오고 이를 개조하는 방안까지 고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출처 : https://www.twz.com/news-features/navy-now-seeking-commercial-ship-design-to-propel-its-long-delayed-medium-landing-ship-program-forward

The Barbarian 해외주식

16 Jan, 05:37


[ TSMC 4분기 실적 발표 ]

미화 기준

- 4분기 매출은 268억8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7.0% 증가했으며 전 분기 대비 14.4% 늘었습니다.

- 분기 매출 총이익률은 59.0%, 영업이익률은 49.0%, 순이익률은 43.1%를 기록

4분기에는 전체 웨이퍼 수익의

- 26%를 3나노미터가 차지

- 34%는 5나노미터

- 14%는 7나노미터가 차지

- 7나노미터 이상의 고급 기술로 정의되는 첨단 기술이 전체 웨이퍼 매출의 74%를 차지

// 이익률은 증권사 컨센서스에서 최상단 수준으로 나왔습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16 Jan, 00:12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엔비디아의 오더컷 노이즈와 tsmc 의 cowos 캐파 확장 여부로 반도체 업계에 노이즈가 많은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이번 tsmc 실적 발표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는데요!

지금 상황에 대해 나오고 있는 의견들은 무엇인지 이들의 말들과 상황을 종합해보면 어떤 시나리오가 가능성 높은지를 점검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6083406266nj

The Barbarian 해외주식

15 Jan, 08:03


미국시장의 스타일 변화가 눈에 띄는 요즘입니다.

다수가 좋아하던 종목들이 잠시 쉬는 와중에도, 새로운 기회도 함께 보이기도 합니다. 흥미로운 종목들이 꽤 관찰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5161935706xr

The Barbarian 해외주식

14 Jan, 15:15


https://finance.yahoo.com/news/lilly-forecasts-weak-sales-weight-143315521.html

4분기 매출에 대한 우려가 릴리 급락의 원인입니다. 그러나 이는 어느정도 주가에 반영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4분기엔 지속적으로 릴리의 처방 데이터와 관련해서 우려가 있어왔습니다. 11월 TRx 데이터가 문제였고, 이로 인해 노보의 CagriSema 임상 실패에도 주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 릴리의 주가는 용기를 내어봐도 되지 않을까 하는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1월 말 이후부터 RFK 에 대한 우려가 청문회 이후 사그라들면서 2월 초 실적발표 단기 변동성을 지나간다면, 상반기 릴리의 주가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일 여지가 많습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14 Jan, 11:56


가장 미국주식다운 미국주식 Axon Enterprise(AXON)에 대한 업데이트 자료입니다.

무섭게 오르던 주가가 최근 조정 흐름이 나왔는데요. ‘이보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와 같은 느낌입니다.

이 ‘이보’의 단서가 무엇인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4165115282hy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Jan, 23:57


[ 연초 미국 의회 예산국에서 발표된 미해군 향후 30년 장기 계획이 크게 상향 ]

- 연초 미국 의회 예산국에서 미해군의 장기 30년 계획에 대해서 발표

- 해당 발표에서 미국이 향후 30년 간 1조달러 (1500조) 의 군함 건조가 필요하다고 발표

- 이러한 수치가 나온 이유는 상당히 구체적인데 목표로 하는 함대의 총 척수와 교체할 노후 선박의 수가 모두 상향 되었기 때문

- 위 그래프를 보면 첫번째 그래프는 2054 년까지 목표로 하는 총 군함의 대수

- 두번째는 2054년까지 연도별 목표로 하는 노후 선박 교체 톤수

- 그래프들은 작년에 제시된 3가지 시나리오와 올해 새롭게 발표된 장기 계획

- 작년에 가장 공격적이었던 계획보다도 올해 초 발표된 장기계획이 모든 면에서 더 공격적

- 위 그래프들은 140척 이상 건설할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 함정의 수는 포함하고 있지 않음

- 따라서 향후 30년 간 미해군의 목표는 위 그래프보다도 더 공격적으로 되었음

- 미국 조선소들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지만 당장 인력 / 인프라 문제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동맹국 협조를 지속 구하는 중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Jan, 14:26


☁️ Nvidia Blackwell GB200 랙 공급 지연 문제 발생(The Information)

- The Information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최신 칩인 Blackwell이 장착된 랙의 첫 번째 출하가 칩간 연결 방식과 관련된 과열과 결함으로 인해 납품에 어려움을 겪는 중.

- 이로 인해 Microsoft, Amazon, Google, Meta 등이 최근 Nvidia의 Blackwell GB200 랙에 대한 일부 주문을 줄였으며, 이에 따라 Nvidia의 최대 고객사들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이 지연되고 있는 중.

- Microsoft의 직원에 따르면, 고객들 중 일부는 하반기에 출시될 후속 버전의 랙을 기다리거나 이전 AI 칩을 구매할 계획이라 코멘트.

https://www.theinformation.com/articles/nvidias-top-customers-face-delays-from-glitchy-ai-chip-racks?rc=kinzjq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Jan, 09:36


[ 블루 인광, 마침내 파나소닉, LG TV에서 사용 확인 ]

- OLED 산업에서 몇 가지 기술적 숙원 사업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블루 인광 소재

- 적색, 녹색 소재들은 형광에서 발광 효율이 높은 인광으로 발전하였지만 블루 만큼은 물리적 화학적 한계로 형광 소재에 머물러 있었음

- Universal Display 와 같은 소재 회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을 추구했지만 낮은 수명 문제 블루와는 좀 다른 색감 등으로 개발 실패하였음

- 작년 Universal Display 는 블루 인광 상용화를 말했지만 실패하였고 연기하며 주가는 폭락

- 하지만, 이번 CES 에서 LG G5 OLED TV 와 파나소닉 Z95B TV 에서 블루 인광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음

- 특이한 점은 양사 모두 도판트를 여러 층 쌓는 탠덤 방식을 채택했는데 블루는 두 개 층으로 구성

- 모두 인광 블루가 아니라 하나는 인광 블루 하나는 형광 블루로 구성

-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지만 고가 라인업에서만 이렇게 구성했다는 것은 아직 블루 인광이 형광 블루를 완전히 대체하기에 수명, 가격, 생산성 문제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루 인광이 시작된 것은 분명하며 올해를 거쳐 내년에 기술적 완성도가 높아지며 블루 소재 시장 침투하는지가 Universal Display 에게 굉장히 중요

출처 : https://www.avpasion.com/panasonic-televisor-z95b-oled-deep-blue-pholed/
출처 : https://www.avcesar.com/ces-25-lg-g5-evo-m5-evo-nouvelle-dalle-tandem-oled-rvb-luminosite-40-pour-un-apl-100-43725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Jan, 07:22


[ Exclusive: 미국이 중국 조선업이 불공정하게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조사중이며 처벌을 준비중 ]

-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최근 조사에서 중국이 조선업 분야에서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통해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을 확인

- 미국은 중국의 이러한 관행에 대응하기 위한 제재 조치를 고려중

조사 배경 : 노동조합 및 정치권의 압력

- 전미철강노조(USW)를 포함한 5개 미국 노동조합은 중국의 조선, 해운 산업에서의 불공정한 행동과 정책에 대한 조사를 요청

- 중국 정부가 보조금 등 다양한 특혜를 통해 자국의 조선업을 지원함으로써 미국 조선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

미국 조선업의 쇠퇴

-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세계 상선 건조를 주도했으나, 현재는 세계 상선의 1% 미만을 생산

국가 안보 우려

- 조선업은 전함 건조와 수리 역량과 직결되므로,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으로부터 미국 조선업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 안보를 지키는 데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

향후 전망:

- 미국의 이러한 조치는 미중 간의 무역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

- 특히, 조선업 분야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

- 미국의 제재가 한국과 일본의 조선업체들에게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

출처 : https://www.reuters.com/world/us-probe-finds-china-unfairly-dominates-shipbuilding-paving-way-penalties-2025-01-13/

개인적인 의견

- 최근 미국 군비 편성과 트럼프 코멘트 들을 보면 트럼프 취임 전후로 중국 조사와 미국 조선 / 함대 재건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책들이 나올 가능성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음

- 최근 향후 30년 도안 1조달러 (1500조)를 투입해서 함대를 재건하는 방안도 나오고 있는 만큼 미국 / 국내 밸류체인들에 대한 지속 관찰 필요

미국 조선의 유일한 상장사인 HII 에 관한 바바리안 글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바바리안 HII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0163048905lu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Jan, 06:52


쉽지 않은 시장환경 속에서 기회를 찾아볼만한 미국주식 아이디어를 오늘 저녁(9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2163239732vc

The Barbarian 해외주식

12 Jan, 09:10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이번주 미국주식 아이디어 위클리 자료입니다.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금리 급등기에 필요한 미국주식 대응전략

2. 전기차 볼륨 모멘텀 기대되는 테슬라

3. 낮아진 엔비디아 밸류에이션

4. CEG와 천연가스가 이끌고 있는 전력 테마 강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2161418465lw

The Barbarian 해외주식

11 Jan, 06:55


안녕하세요. AI ASIC 시장의 경쟁구도에 대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브로드컴과 마벨의 수혜 가시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두 회사 간의 경쟁 환경 및 향후 예상 매출 규모 등을 분석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1132542924vu

The Barbarian 해외주식

10 Jan, 07:32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국내 조선업의 상승세가 무섭습니다

반면 미국에서 거의 유일한 조선업 상장 기업인 HII 의 주가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II 도 미국의 조선업 부활을 위해 좋아질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데요

관련된 내용들 자세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10163048905lu

The Barbarian 해외주식

08 Jan, 12:56


한때 국내에서도 많은 분들의 관심 미국 종목이었던 Celsius(CELH)에 대한 분석자료입니다.

건강 지향 에너지 드링크를 컨셉으로 음료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올리며, 기업가치가 급격히 끌어올렸던 적이 있는데요.

이후 시장수요 둔화, 펩시 채널 이슈
등을 겪으면서 주가가 급락해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이제는 사업, 그리고 주가의 반등 포인트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봐도 괜찮을 것 같은데요.

회사의 주가를 다시 우상향으로 이끌어낼 조건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분석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8182222540jf

The Barbarian 해외주식

08 Jan, 12:22


The Barbarian 해외주식 pinned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작년 9월부터 진행중인 미국주식 스터디 대학생 멤버를 충원하게 되어 공고를 드립니다. 현재 다양한 학교에서 재학 중인 분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스터디에 조인하시면 열정 넘치고 실력적으로도 뛰어난 멤버들과 교류하며 성장하실 수 있으리라 자부합니다. —- 진행 : 2주 간격 - 평일 저녁(수 or 목) 장소 : 여의도(오프라인 참석) 개인당 기업 분석 발표는 6주-8주 간격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The Barbarian 해외주식

08 Jan, 12:22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작년 9월부터 진행중인 미국주식 스터디 대학생 멤버를 충원하게 되어 공고를 드립니다.

현재 다양한 학교에서 재학 중인 분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스터디에 조인하시면 열정 넘치고 실력적으로도 뛰어난 멤버들과 교류하며 성장하실 수 있으리라 자부합니다.

—-

진행 : 2주 간격 - 평일 저녁(수 or 목)
장소 : 여의도(오프라인 참석)

개인당 기업 분석 발표는 6주-8주 간격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매 세션은 각자 분석한 기업에 대해 15분 내외로 발표 후, 함께 토론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스터디에 참여하시면 우선, 보다 체계적인 미국주식 리서치를 경험해보실 수 있습니다.

함께 스터디하는 과정에서 내부적인 리서치 노하우를 공유드릴 예정이고, 대학생 수준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퀄리티의 자료들도 접할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매 세션 현업에 계신 국내 및 해외주식 담당 운용역/애널리스트 분들이 오셔서 멘토로 함께해주고 있으며,
올해는 더 다양한 분들을 모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식 리서치 / 운용 쪽으로 취업을 생각하는 분들께는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불과 몇 달 사이 멤버들 모두 함께 성장하고 있고, 실제로 스터디 경험을 토대로 최근에 다들 커리어적으로도 좋은 자리로 많이 진출하고 있다는 점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 주식 투자는 국내와 다르게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끈질긴 리서치 과정과 좀 더 긴 투자 시계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잦은 정보성 매매에 의존한 투자보다는 인뎁스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투자에 접목해보고 싶은신 분들이 지원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주식투자 / 리서치 경험 보다는, 끈질기게 분석하고 알파를 찾으실 의지가 있으신 분이면 적극 환영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아래 이메일로 간단한 자기소개서, 스터디에 참여하고 싶으신 이유, 직접 작성해본 미국 기업 분석 자료를 보내주시면 연락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청 마감 기한 : 1/26 (일) 자정

이메일 : [email protected]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Jan, 11:31


30분후에 주간 세미나 시작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6115952663go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Jan, 08:16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오늘은 구글에 대한 업데이트 자료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현재 성장 잠재력에 비해 가장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소외받고 있는 빅테크가 구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난 1년간 주가를 돌이켜보면, 구글의 쥬가는 40% 가량 상승하며 빅테크 중 중위권에 해당하는 퍼포먼스를 보이며 무난한 상승세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는 다른 빅테크들이 계속해서 높은 멀티플을 받으며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여전히 구글의 NTM 기준 PER 밸류에이션은 22배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EU와 미국의 반독점 소송이라는 리스크와 함께, 아직까지 AI를 수익화할 뚜렷한 모멘텀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이 계속해서 구글에 대한 평가가 시장에서 디레이팅되고 있는 요인이 아닐까 싶은데요,

본업인 검색 시장에서 AI 검색 경쟁 심화라는 새로운 위협을 마주하고 있지만, 내부적인 위기감을 느끼고 변화하려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무엇보다 지난 2-3개월간 구글의 발표 내용들을 살펴보면 어느 정도 반전의 시그널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글이 12월 한 달 동안 발표한 Gemini 2.0, Veo 2, 새로운 TPU와 Willow 양자 컴퓨팅 칩 등 AI 관련 뉴스들은 당장의 실적 기여도를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중장기적으로 구글이 AI 핵심 플레이어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되살릴 수 있는 발표들이었습니다.

이런 변화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면서 올해는 구글에 대한 리서치를 강화할 예정이며,

오늘은 그 첫 내용으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글의 검색 부문에 대한 업데이트 및 실적기여도를 숫자적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7142746831wk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Jan, 06:44


1월 7일 미국주식 시그널 데일리 업데이트입니다.

브레이크아웃 시그널 근접 종목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NVDA, VST, DBX, WIX, TSM, GEV, AR 등이 주가 흐름적으로, 산업적으로 눈에 띕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7152805187nu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23:25


바바리안 데일리는 테마/종목을 더 강화해서 리뉴얼 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7081438705ys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23:21


🗺 Comments

- 전일 미 증시는 금요일 장에 이어 Micro 모멘텀이 강력한 상승 촉매로 작용하면서 장 시작 전 선물지수에서부터 단단한 상승흐름을 보여주는 모습. 특히 전일에는 MSFT의 신규 AI CapEx 가이던스 제시, Foxconn의 매출 서프라이즈, CES 기대감 등으로 인해 테크 섹터로 수급이 집중적으로 유입되면서 오랜만에 테크 섹터가 주도하는 시장 강세흐름 시현.

- 이에 따라 전일 나스닥 지수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는 주요 저항선을 돌파하면서 Risk-On 전환을 꾀하는 모습. 다만 시장은 금주 내내 이어질 고용지표 발표 이벤트를 앞두고 경계감을 표출하면서 오후 장에서 상승폭 일부를 반납해 선물지수 기준으로 정확히 저항선(빨간선) 부근에서 마감하는 모습.

- 이제 시장은 2025년 첫 매크로 이벤트인 고용지표 발표CES 셀온이라는 두 가지 불확실성을 마주해야 하는데, 물론 두 가지 이슈가 모두 논이벤트로 끝난다면 신고가로 직행하며 Risk-On 장세가 시작될 수 있겠지만, 화요일 장에서 이 이슈들이 조정의 빌미로 작용한다면 랠리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월요일에 돌파한 기존 저항선 지지 여부가 중요할 것.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23:21


📤 전일 신고가($10B 이상)

1. 개수 = 23개(DoD +19개)

2. 주요 섹터 = 테크

3. 종목

1) NEW

- TSMC(+5.5%), Arista Network(+3.3%), Astera Labs(+1.9%), Celestica(+1.9%):
전일 Microsoft의 CapEx 서프라이즈 및 CES 기대감에 따른 테크 섹터 강세흐름 속에 TSMC를 필두로 기존 테크 주도주들 역사적 신고가 경신

- GE Vernova(+4.9%): AI Infra 대장주, MSFT CapEx 서프라이즈에 강력한 상승흐름 시현, 신고가 재경신.

- Reddit(+1.0%), Roblox(+2.4%): 장이 다시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기존 주도주들 강세흐름 재현.

- Rocket Lab(+0.2%): 대표적인 트럼프 트레이딩 종목으로 금요일 급등 이후 장 초반 강한 흐름 보이다가 수급이 테크 섹터로 이동하면서 강보합 마감.

2) 기존

- Amer Sports(+1.3%), Tapestry(+1.3%):
트렌드 좋은 개별소비재 신고가 흐름 지속.

✍️ 전일 주요종목 뉴스

1. 워싱턴포스트발 트럼프 관세축소 가짜 뉴스 소동

- 전일 장 시작 전, 트럼프 행정부가 2024년 대선 기간동안 주창했던 것보다 더욱 범위가 좁아진 관세 계획을 검토할 수도 있다는 워싱턴 포스트 보도에 달러인덱스가 하락하면서 나스닥 선물이 약세 전환.
- 그러나 곧바로 트럼프 당선인이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Truth Social에 해당 뉴스가 가짜뉴스라고 언급하면서 사태는 일축되는 모습.
- 트럼프는 선거 승리 후 몇 주 뒤에 Truth Social에서 "1월 20일, 제 첫 행정 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가 미국과 터무니없이 개방된 국경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데 필요한 모든 문서에 서명할 것입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음.

2. Disney, FuboTV 인수 발표

- Disney가 FuboTV를 인수하여 기존의 Hulu+ Live TV 사업을 FuboTV와 합병해서 북미에서 6.2M 이상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JV를 만들 것이라 발표하며 FuboTV 주가 +250% 상승.
- 기존 FuboTV 경영진이 새로운 비즈니스를 운영할 것이며, 이 거래의 일환으로 FuboTV는 기존에 진행 중이던 Disney 및 ESPN과의 모든 소송을 중단하기로 합의.
- 디즈니는 26년 Fubo에 $145M의 단기 대출 제공 예정, 회사는 합병회사가 "자본이 충분하고 +의 FCF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코멘트.

3. Foxconn 4분기 매출 서프라이즈 발표

- 대만의 Foxconn이 AI 수요 급증에 힘입어 4분기 사상 최대 매출액을 발표한 이후 TSMC가 +5%대 상승하면서 역사적 신고가 경신하며 테크 랠리에 모멘텀 강화.
- 회사는 "AI 서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매출 증가의 원인이라 밝히면서 2025년 1분기에도 상당한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코멘트.
- 해당 뉴스가 금요일 MSFT의 신규 AI CapEx 가이던스 제시, 2025 CES 기대감 등과 겹치면서 테크섹터 전반에 걸친 랠리 견인.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23:21


Daily 250107

🛫 요약

1) 장세 = Micro(유지)
2) 매크로환경 = Bad is Good(유지)
3) Catalyst = Foxconn 서프라이즈, MSFT CapEx, CES 기대감
4) DATA = S&P 글로벌 서비스 PMI - 하회

🧾 전일 미국장

- 전일 미 증시는 금요일 Microsoft의 AI CapEx 가이던스 서프라이즈 및 주말간 Foxconn의 매출 서프라이즈 뉴스, 그리고 현지시간 기준 월요일 저녁부터 시작될 CES 2025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테크 섹터 중심으로 큰 폭의 상승흐름을 보여주는 모습.

- 다만 금주 내내 이어질 고용데이터 발표를 앞두고 시장은 경계감을 보이면서 오후장에서 상승분의 일부를 되돌리는 흐름, 나스닥 기준 +1.24% 상승 마감.

🌎 전일 미국 특징 섹터

🐂 상승 = 방송 +12.5%, 반도체장비 +5.7%, 신재생유틸리티 +4.0%, 전자장비 +3.8%, 반도체 +3.3%, 컴퓨터하드웨어 +3.2%, 인터넷플랫폼 +3.0%, 와이너리 +2.9%, 철강 +2.8%, 우라늄 +2.1%

1) 전일 Disney가 FuvoTV를 인수하여 기존에 보유중이던 Hulu+ Live TV와 합병할 것이라 발표하면서 FuboTV 주가 +250% 급등, 방송 섹터 강세흐름 견인.

2) 금요일에 나왔던 Microsoft의 FY25 AI CapEx 가이던스 $80B에 대해 캐피털리스 포함 여부에 따른 논쟁의 여지는 존재하지만 어찌됐든 캐피털리스 포함 여부와 무관하게 컨센서스를 상회했다는 점이 모멘텀으로 작용하면서 테크 섹터 강세. 특히 CES 2025 기조연설을 맡은 젠슨 황이 이끄는 Nvidia가 이번 테크 모멘텀의 대장격으로 움직이면서 종가기준 역사적 신고가 경신, 테크 섹터 강세흐름 견인. 또햔, AI CapEx가 전력 및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에 보다 큰 베타로 수혜를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감에 AI Infra 주식들도 강세.

3) 시장이 긍정적인 모습을 보임에 따라 최근 주춤하던 빅테크 업체들이 강하게 반등, 이에 따라 전일에는 Alphabet이 +2.7%, Meta가 +4.2%반등하면서 인터넷 섹터가 강력한 상승흐름 시현.

🐻 하락 = 주택리츠 -3.1%, 스낵 -2.4%, 석탄 -2.4%, 가공식품 -2.3%, 가정용품 -2.3%, 해운 -1.9%, 가스유틸리티 -1.9%, 백화점 -1.7%, 음료 -1.6%, 광고대행사 -1.5%, 금 -1.5%

1) 전일 지수가 전방위적인 강세흐름을 나타내고, 특히 작년 7월 이후 꽤나 오랫동안 쉬어가면서 비어있던 테크 섹터 포지션 구축을 위해 방어주에 대한 순환 매도가 나오면서 스낵, 가공식품, 가정용품, 음료, 금 등 주요 경기방어컨셉의 섹터들이 언더퍼폼.

2) 이외 다른 섹터들도 섹터 개별 이슈로 인한 이유있는 하락보다는, 테크 섹터 매수를 위한 순환매적 성격이 강하게 작용.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20:33


[ 미국 로켓 발사장 혼잡 문제 by WSJ ]

- 미국의 로켓 발사 수요가 급증하며 기존 발사장이 혼잡해지고 있음

1. 문제 상황

- 발사 수요 증가: 2023년 미국은 145회 궤도 발사를 기록하며, 2017년 대비 5배 증가. 이 중 134회는 SpaceX가 담당.
- 주요 발사장 집중: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의 3곳 발사장이 대부분의 로켓 발사를 처리하며, 혼잡도가 높아짐.
- 리스크: 기상 이변이나 사고로 주요 발사장이 폐쇄될 경우, 우주 의존도가 높은 미국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2. 해결 방안 및 새로운 시도

대체 발사장 개발:
- 알래스카 코디악섬의 태평양 우주항만 단지: 소규모 로켓 사업자를 위한 연간 25회 발사 허가 확보.
- 메인주와 미시간: 데이터 센터 및 연구개발 허브 포함한 새로운 복합 단지 제안.

해상 발사:
- Spaceport Company는 부유식 석유 굴착 장치를 활용해 바다에서 발사하는 방안을 실험 중.

내륙 발사장:
- 오클라호마 우주항공국은 육상에서 로켓을 안전하게 발사하는 연구 진행.

// 간단한 생각

- 미국 우주 산업에서 숏티지 부분에서 발사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 지금 미국 우주 발사장은 크게 정부, 스페이스엑스, 블루오리진, 로켓랩 소유가 있는데요

-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것은 블루오리진과 로켓랩입니다

- 올해 이러한 숏티지 상황에서 얼마나 많은 우주 수요가 로켓랩으로 갈 수 있을지도 중요한 포인트 같습니다

출처 : https://www.wsj.com/science/space-astronomy/rocket-launch-pads-texas-california-c180c7e5?mod=Searchresults_pos1&page=1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09:05


1월 6일 미국주식 시그널 데일리 업데이트입니다.

지난 금요일 시장 상승으로 브레이크아웃 근접종목이 늘어났는데요.

TSM, GEV 등이 주가 흐름적으로, 산업적으로 눈에 띕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6180356288tx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Jan, 05:23


일라이 릴리 (LLY) 2025년 전망 : 대부분의 악재는 반영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6141809379jl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주가가 최근 정책 불확실성 및 처방 둔화로 인해 조정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지금 주가는 과도한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트럼프가 지명한 CMS 수장 Dr. Mehmet Oz의 입장을 고려할 때, 비만 치료제의 공보험 적용 가능성이 점차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릴리의 처방 부진? 시장이 놓친 부분이 있다
릴리의 4분기 처방 데이터는 11월 부진으로 인해 아쉬운 모습입니다. 이로 인해 컨센 대비 하회할 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죠. 그러나 이는 IQVIA 기준 처방 데이터에만 의존한 분석일 가능성이 큽니다.

릴리는 자사 판매처인 Lilly Direct와 헬스케어 플랫폼 Ro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판매 채널을 확대 중이며, 해당 처방 데이터는 기존 통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현재 약 6~8%의 처방이 미집계된 상황으로, 이는 릴리의 4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성을 높입니다.

Orforglipron, 이제 곧이다
노보의 카그리세마가 실패한 지금 상황에서, 공급 이슈로 주가가 지지부진 하던 릴리에게 기회가 왔습니다. 저분자 경구용 치료제인 Orforglipron이 게임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머크를 포함한 경쟁사들이 대부분 화이자의 Danuglipron 구조를 바탕으로 경구용 저분자 약물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번 임상 발표를 통해 더 orfor의 긴 반감기와 우월한 부작용 관리 능력을 보여줄 것을 기대해봅니다.

현재 릴리의 주가는 대부분의 악재가 반영된 상황에서, 경구용이라는 게임 체인저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노보는 카그리세마 임상이 어긋나며 캐털런트 인수 시너지가 부재해보이구요. 릴리가 확실한 리드 포지션을 잡을 수 있는 기회로 보입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Jan, 23:13


🗺 Comments

- 금요일 나스닥 선물 지수는 주요 기업들의 Micro모멘텀에 힘입어 최근 5일간 이어진 하락세에서 벗어나면서 가파른 상승세 시현. 이를 통해 목요일 60일선을 지지하는 데 이어 금요일에는 주요 저항선까지 돌파해서 마감하는 데 성공.

- 특히 전일의 상승이 의미있었던 이유는, 최근 언와인딩을 연상시키며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던 주요 트럼프 트레이딩 관련주들의 큰 폭의 상승을 동반하면서 나온 반등이기 때문(Tesla +8.2%, Microstrategy +13.2%, Rocket Lab +15.1%).

- 무엇보다도 전일의 상승이 Macro 변수에 따른 기계적 반응이 아니라, Nvidia의 ASIC 진출 소식, Microsoft의 CapEx 가이던스 신규 제시, 이번 주부터 시작될 CES 2025, 바이든 행정부의 전력 유틸리티 관련 규제 완화 등 주요 Micro 모멘텀에 기반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 판단됨.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Jan, 23:13


📤 전일 신고가($10B 이상)

1. 개수 =
4개(DoD +1개)

2. 주요 섹터 = 없음

3. 종목

1) NEW

- 없음

2) 기존

- Tapestry(+1.7%), Amer Sports(+2.2%): 트렌드 좋은 소비재는 시장의 Risk On/Off 여부와 무관하게 신고가 랠리를 이어가는 흐름.
- EQT(-0.7%), Expand Energy Corp(-1.2%): 최근 천연가스 가격 급등 영향으로 신고가 흐름 지속.

✍️ 전일 주요종목 뉴스

1. Microsoft, FY25 CapEx $80B 규모로 발표

- Microsoft는 금요일 '미국 AI의 황금기회(The Golden Opportunity of American AI)'라는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향후 4년간의 비전을 발표.
- 여기서 Microsoft는 FY25에 AI 모델을 훈련하고, 전 세계에 AI 및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 AI 지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데 약 $80B을 투자할 것이라 코멘트.
- 회사에 따르면, 이 총 투자액의 절반 이상이 미국에 투자될 것이며, 이는 이 나라에 대한 회사의 헌신과 미국 경제에 대한 확신을 반영한다고 코멘트.
- Microsoft의 FY25는 2024년 7월 ~ 2025년 6월까지로, 현재 FY1Q25까지 글로벌리 $20B에 달하는 CapEx를 지출한 바 있음. 이 중 $14.9B이 부동산 및 장비에 지출.

2. Nvidia, ASIC 사업부 신설

- Commercial Times에 따르면, Nvidia가 맞춤형 칩을 개발하기 위해 ASIC 부서를 신설할 계획을 발표했다고 코멘트.
- 또한 보고서는 엔비디아가 대만을 자사 ASIC R&D 센터의 거점으로 선택함에 따라 현지 주요 IC 설계 기업들에서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어 대만 테크 부문의 인력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져 있다고 언급.
- 그간 대만의 ASIC 회사들은 Microsoft의 Cobalt와 Maia, Google의 TPU, AWS의 맞춤형 칩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이로 인해 NVIDIA의 ASIC 사업에 완벽한 타겟이 됨.

3. 바이든 행정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수소 보조금 규정 완화

- 금요일 재무부의 발표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표적인 기후 법안에 따라 만들어진 세액 공제 관련 최종 규칙에는 Constellation Energy(CEG) 등의 회사가 요구한 예외 조항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23년 12월 초안 형태로 공개된 이 규칙은 또한 탄소 포집 시스템을 갖춘 천연가스에서 생산된 수소, 메탄 및 재생가능 천연가스에 대한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로를 제공.
- 해당 소식에 전력 유틸리티 업체들 주가 급등. Constellation Energy +4.0%, Vistra Energy +8.5%, Nuscale +17.7%, Oklo +24.7% 등.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Jan, 23:13


Daily 250106

🛫 요약

1) 장세 = Micro(전환)
2) 매크로환경 = Bad is Good(유지)
3) Catalyst = Nvidia, Tesla
4) DATA = ISM 제조업 PMI, 제조업 물가지수 - 상회, ISM 제조업 고용지수 - 하회

🧾 전일 미국장

- 최근 5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미 증시는 그 기간 중 특히 낙폭이 컸던 Tesla 등 주요 트럼프 트레이딩 종목들에 대한 반발 매수세 유입과 전일 Nvidia의 긍정적인 이슈들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하는 모습, 장중 내내 상승폭을 확대하다가 장 마감 직전 높아진 국채금리에 일부 매물 소화하면서 나스닥 기준 +1.8% 상승 마감.

🌎 전일 미국 특징 섹터

🐂 상승 = IPP +6.2%, 완성차 +6.1%, 전자장비 +4.1%, 신재생유티리티 +3.4%, 반도체 +3.4%, 트럭운송 +3.3%, 의약품유통 +3.3%, 컴퓨터하드웨어 +3.2%, 반도체장비 +2.8%, 엔지니어링 +2.8%, 헬스정보서비스 +2.3%, 전자부품 +2.1%, RV +2.1%

1) 전일 바이든 행정부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수소 보조금 규정을 완화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주요 전력 유틸리티 관련주들이 목요일에 이어 한 번 더 강력한 상승 모멘텀을 받으면서 큰 폭으로 상승. 이에 따라 IPP, 신재생유틸리티 등 섹터 상승세 견인.

2) Tesla가 목요일 인도량 데이터 미스를 명분으로 작년 연말까지 일어났던 쏠림을 다소 거칠게 소화한 뒤, 다시 한 번 강력한 상승을 통해 추세 전환을 꾀하는 모습. Tesla 전일 주가 +8.2% 상승하면서 상승 채널로 복귀하는 데 성공.

3) 전일 Microsoft가 FY25 CapEx로 $80B을 쓸 것이라 발표한 데 이어, Nvidia가 ASIC 산업에 진출할 것이라 공언하면서 Nvidia를 필두로 테크 섹터가 커다란 상승 모멘텀을 받는 모습, Nvidia는 +4.5% 상승하면서 주요 저항선 돌파.

🐻 하락 = 알루미늄 -4.4%, 와이너리 -3.5%, 오토트럭딜러십 -2.7%, 은 -2.6%, 맥주 -2.3%, 기타귀금속 -1.8%, 화학 -1.2%, 해운 -0.9%, 석탄 -0.9%, 금 -0.8%, 기타귀금속 -0.7%, 패키징 -0.5%, 비즈니스 장비 -0.4%, 철강 -0.3%, 가정용품 -0.3%

1) 보건복지부 장관이 알코올 음료에 경고 라벨을 추가하려는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와이너리, 맥주 등 주요 주류 판매업체들 주가 급락. 미 외과의무감은 방대한 데이터 풀을 기반으로 알코올 소비와 암 위험을 연관시키는 자문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음. 현재까지 알코올 제품에 암 경고를 요하는 국가는 한국밖에 없음.

2) Hindenburg에서 Carvana에 대한 숏레포트를 발간하면서 Carvana 주가는 최근 급락세 이후에도 전일에만 -11.2% 하락하며 오토트럭딜러십 섹터 하락세 견인. Hindenburg는 회사의 턴어라운드가 '신기루'이며, 의심되는 자에게 매각한 $800M의 대출 및 회계조작 등이 의심된다고 코멘트. 회사는 이를 전면 부정.

3) 금요일 중국 경기 우려가 다시 한 번 불거지면서 중국 지수들도 조정받는 흐름을 보이자, 알루미늄을 비롯한 중국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 주요 중후장대 산업들 일제히 하락하는 모습. 이에 따라 이들의 비중이 높은 Dow Index는 나스닥 대비 크게 언더퍼폼.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Jan, 22:44


RFK Jr. 와 관련해서 시장의 우려가 조금 과한듯 싶은데... 릴리와 노보 같은 GLP-1 기업의 경우 지금이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RFK Jr. 가 추구하는 보건 정책 방향은 강력한 규제와 소비자들의 자유 확대인데, GLP-1 의 경우엔 강력한 규제는 오히려 Compounded Drugs 에 관한 규제로 이어져 경쟁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전 보건부 장관 지명 전 그가 GLP-1 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던 부분은, 저번달 들어서 GLP-1 를 오히려 용인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선회했구요. 저는 이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현재 GLP-1 과 관련한 미국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비만의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적용 여부입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11월 논의를 시작했고, 이를 트럼프 행정부에서 결정 지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

그러한 이유에서 저는 지금은 Mehmet Oz. 라는 인물에 조금 주목을 해보심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차기 CMS 수장입니다.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등의 미 보험 시스템을 총괄하죠.

그는 강력한 GLP-1의 지지자입니다. 그는 개인 사업을 통해 노보의 위고비를 대신 광고해주기도 했으며, 글로벌 건기식 회사인 iHerb의 고문입니다. iHerb 에선 오젬픽 페이스와 관련한 건기식/보충제 등을 판매하구요.

그가 진행했던 Dr. Oz 쇼에서도 수도 없이 GLP-1 에 대해 언급을 해왔습니다.

머스크 또한 지속적으로 GLP-1 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내보내는 지금... 그의 CMS 수장 지명은 GLP-1에 관한 트럼프 행정부의 방향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비만 그 자체가 질병으로 보험 적용이 된다면, 정말 어마무시한 시장의 확장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릴리는 현재 시장의 오해성 수급 꼬임이 있는데, 주가는 4분기 실적발표 이후 돌아설 것으로 보입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Jan, 09:07


안녕하세요, 연수르입니다.

벌써 올해로 3년째 매주 주말마다 지난 주 미국 증시를 되돌아보면서 Weekly를 작성해서 송부드리고 있습니다. Weekly는 크게 Macro Review, Micro Review, 주간 일정으로 구성되는데, 대략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acro Review: 한 주간 증시에 있었던 Macro 이벤트들을 정리하고, 해당 내용들을 기반으로 현재 증시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기술적 분석 제시

2. Micro Review: 주간으로 상승 상위 섹터, 하락 상위 섹터, 신고가, 신저가, 특징주를 정리하고 해당 모멘텀을 만들었던 주요 Micro 이슈들을 간략하게 분석

3. 주간 주요 일정: 이번 주 주요 일정들에 대해 매크로/산업/기업/실적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간략한 코멘트 제시

Weekly는 매주 일요일마다 작성하여 송부드리고 있습니다. 주말을 마무리하시면서 읽어보시고 이번 주 증시에 대응하시는 데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

https://lace-lemongrass-d50.notion.site/Weekly-25-Week-1-241230-250103-1729e403cb6280d48ad4d458e9ed332d?pvs=4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Jan, 07:16


안녕하세요.

'정이사의 미국주식 위클리' 업데이트 드립니다.

본 위클리 자료에서는 최근 미국시장에서 트렌딩한 테마/종목 내용을 다루고, 시사점 및 투자 아이디어를 전달드립니다.

이번주에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800억달러 설비투자 발표의 의미는?

2. 금요일 테슬라 주가 급등의 배경 및 향후 주가향방

3. 움직임이 심상치 않은 천연가스

4. 미국전력발전사업자 주가 급등 배경(CEG-GSA 계약 시사점 분석)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5102745739me

The Barbarian 해외주식

04 Jan, 03:28


고성장 핀테크 기업 Lemonade(LMND)에 대한 인뎁스 자료입니다.

성장잠재력 높은 고성장 미국주식을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를 제대로 보여주는 글인데요.

초반 사업용어 정리를 하고, 쭉 읽어보시면 기업분석의 희열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잠재력 높은 미국주식 스터디 한번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4120210000om

The Barbarian 해외주식

03 Jan, 07:55


전일 4분기 인도량 발표 이후 주가 낙폭이 확대된 테슬라(TSLA)에 대한 분석자료입니다.

이번 인도량 발표 이후 대응전략을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3164128432mo

The Barbarian 해외주식

02 Jan, 23:33


Brigham Buhler
https://x.com/elonmusk/status/1873972860106268740

"처방 비용의 30%가 리베이트"

"모두가 오젬픽의 높은 가격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사실 모든 처방약 비용의 30% 정도가 약국 혜택 관리자에게 리베이트가 지급되고 있습니다. 오젬픽이 한 달에 1,000달러라면 300달러는 중개인에게 돌아갑니다. "

일론 머스크가 미국 보험 체계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에 동의하였습니다.

약품 판매를 위해 보험사와 연계된 PBM (Pharmacy benefit manager) 에 리베이트가 지급되는 구조에 의문을 던진 것인데요.

머스크 본인도 위고비와 젭바운드의 열렬한 사용자긴 하지만, 비만약을 비롯한 현재 미국의 보험체계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듯 싶습니다.

DOGE 부서가 PBM 제도에 칼을 드는 날이 올까요?

The Barbarian 해외주식

02 Jan, 12:01


신년 미국시장에서 가장 먼저 트렌드를 만들고 있는 테마 중 하나는 천연가스 입니다.

최근 이슈, 산업 흐름, 투자전략 등을 알아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2092601801zv

The Barbarian 해외주식

02 Jan, 05:51


1월 2일 미국주식 시그널 데일리 업데이트입니다.

단기 조정 환경 속에서 새로운 브레이크아웃 기업들이 많지는 않은데요.

그래도 AVO, BSX의 주가 흐름은 흥미롭네요(관심종목 의미 아님).

AVO는 미국 상장 아보카도 생산/판매 마이크로캡, BSX는 미국 최대 의료기기 사업자이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102142938193gz

The Barbarian 해외주식

01 Jan, 06:42


Happy New Year!

25년 새해를 맞아 1월달에 꼭 정리(복습)해 놓아야 하는 산업 인뎁스들입니다.

올해 연간 시장의 메가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높은 테마들입니다.

1. 25년 미국주식에 대한 생각, 그리고 유망종목: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30174743917lw

2. 25년 테크 미리보기 2-1 : AI ASIC 시대는 AI서비스의 시대_Apple 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31154023877ik

3. 미국 반도체 주식 투자에 대한 생각: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0182348525rn

4. 천연가스 디벨로퍼를 봐야하는 이유를 숫자로 알아보자(유망종목은 EQT):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9140256059ed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Dec, 06:43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지난 번 2025년 테크 미리보기에서는 ASIC 전환 흐름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ASIC 전환 흐름 속에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것은 AI 서비스 기업이라고 생각됩니다

낮아진 하드웨어 비용의 이점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닷컴버블 시절에도 결국 초반에는 하드웨어 기업들이 초과 수익을 얻었지만

결국 아마존 구글과 같은 서비스 기업들이 초과 수익을 가져갔습니다

AI 도 ASIC 시대로 접어든다는 것은 서비스 기업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시기로 전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AI 서비스는 이전보다 더 빅테크로의 쏠림이 심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에 AI 서비스 라는 투자 포인트 관점에서 빅테크의 2025, 2026년을 다시 봐보려고 합니다

첫번째는 Apple 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31154023877ik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Dec, 06:43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지난 번 2025년 테크 미리보기에서는 ASIC 전환 흐름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ASIC 전환 흐름 속에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것은 AI 서비스 기업이라고 생각됩니다

낮아진 하드웨어 비용의 이점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닷컴버블 시절에도 결국 초반에는 하드웨어 기업들이 초과 수익을 얻었지만

결국 아마존 구글과 같은 서비스 기업들이 초과 수익을 가져갔습니다

AI 도 ASIC 시대로 접어든다는 것은 서비스 기업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시기로 전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AI 서비스는 이전보다 더 빅테크로의 쏠림이 심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에 AI 서비스 라는 투자 포인트 관점에서 빅테크의 2025, 2026년을 다시 봐보려고 합니다

첫번째는 Apple 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31154023877ik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Dec, 05:16


어제는 미국시장은 지수 하락 가운데 에너지 섹터만 훈풍이 불었던 하루였습니다. 단기적으로 기상 모델 영향으로 미국 천연가스 가격이 하루만에 +20%까지 슈팅이 나왔습니다.

구조적으로 천연가스 가격은 상승 압박응 받을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25년은 1) 우크라이나를 경유해 유럽으로 이어지는 할 러시아 가스 파이프라인이 시장에서 없어질 수 있으며, 2) 미국 LNG 수출 용량이 급증하며, 3) AI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AI발 전력 부족 현상이 시작될 한 해 입니다.

또한, 기상으로 인해 유럽 내 가스 재고가 급속도로 하락하고 있으며 각 국 역시 21년의 에너지 대란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에너지원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위 상황이 지속된다면 1) 미국 내 천연가스 Upstream 업체, 2) 미국 LNG 터미널 및 기자재 업체, 3) FSRU 및 수입 터미널 관련 업체들에게 수혜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는데요.

이러한 흐름은 아래 글을 통해 정리 한번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9140256059ed

The Barbarian 해외주식

30 Dec, 11:58


25년을 맞아 미국주식 시장에 대한 접근법 및 유망종목을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30174743917lw

The Barbarian 해외주식

28 Dec, 07:09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이번주 발간한 The Trade Desk(TTD) 분석에 대한 보충 자료를 작성했습니다.

애드테크(ad tech) 산업 자체가 다소 생소하고, 회사의 사업구조 및 내용이 익숙하지 않으실 수도 있을 것 같아, 조금 더 선명한 내용으로 결론을 내기 위함입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간단히 이전 자료에서 제시한 저희 실적 추정치가 시장 컨센서스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정리했습니다. 추정치가 도출되는 과정, 그리고 추정치가 가지는 의미도 적어봤습니다.

이 글을 읽고 이번주에 업로드한 분석자료를 보시면 보다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8160647867sf

The Barbarian 해외주식

26 Dec, 13:14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즐거운 연말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내년에도 변화를 주도할 The Trade Desk에 대한 업데이트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올해도 The Trade Desk가 애드테크 업종에서 Applovin과 함께 시장을 아웃퍼폼한 종목이었지만, 내년부터 본격적인 CTV 사이클이 도래하는 시점이기에 계속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일단 높아진 주가 레벨만큼이나 올해 초에 비해 주변에서 광고, 그리고 애드테크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아진 것 같습니다. 미디어나 플랫폼 기업들 입장에서 광고 사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주목 받는 패러다임 변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큰 흐름에서는 팬데믹 이후 온라인 플랫폼의 비약적인 트래픽 증가 이후 2023년부터 Monetization 전환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위한 시도들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작년이 비용 통제를 통한 수익성 개선으로 보여준 기업들이 주목받았다면, 올해는 실제 수익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회사들에 높은 프리미엄이 붙기 시작하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하반기 들어 애드테크 업체들에게서 부각되고 있는 이슈들과 더불어, 내년에 어떤 포인트들을 기대하면 좋을지 한번 점검해보았습니다.

특히 The Trade Desk는 지난 실적 발표 당시 4분기 실적에 대한 다소 보수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주가가 보합권에 머물러 있는데, 어떤 포인트에 주목해서 보면 좋을지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6221241030jv

The Barbarian 해외주식

26 Dec, 04:42


오늘 오후에 모두가 기다리는 '오징어게임2'가 공개되는데요.

오징어게임을 즐기는것과 동시에 넷플릭스(NFLX) 주식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볼만한 시점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4150454003qt

The Barbarian 해외주식

24 Dec, 12:51


연말/연초에 관심을 가져봐도 좋을 종목으로는 넷플릭스(NFLX)가 있을 것입니다.

오는 26일 오징어게임2를 시작으로 콘텐츠 라인업이 다시 강화되고, 광고사업이 25년부터 규모감을 키워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로벌 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다른 혁신의 대장주로서 주목이 필요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4150454003qt

The Barbarian 해외주식

24 Dec, 06:13


FOMC 이후 한층 높아진 금리 환경 속에서의 미국시장 투자전략 및 유망종목을 전망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4131603081lf

The Barbarian 해외주식

23 Dec, 00:12


이번 카그리세마 임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았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3064042857lh


왜 노보의 신규 비만약이 기대 이하였을까요?

답은 바로 최대 용량 도달 비율에 있습니다.

카그리세마의 경우 시장과 노보 경영진 모두 25~27% 이상의 감량을 기대하였으나, placebo와 비교시 약 20% 수준의 감량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쳤습니다. 그로 인해 주가는 17% 이상 하락하여 고점 대비 거의 절반 가까이 하락을 했죠.

사실 CagriSema의 경우 부작용 관리만 잘 된다면 매우 훌륭한 약물입니다. 살을 매우 잘 빼주는 약물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최대 용량에 도달한 환자들 중 70% 이상이 25%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본 사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이에 비해 경쟁사인 릴리의 젭바운드는, 최대 용량 도달 환자 중 40% 만이 25%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는 것에 그칩니다.

그러나 최대 용량까지 도달하는 환자수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카그리세마는 57%의 환자만이 최대 용량에 도달했지만, 릴리의 젭바운드는 약 85%의 환자가 최대 용량에 도달했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요?

이는 임상 프로토콜이 기존과 크게 다른 점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환자가 용량을 일방적으로 늘리는게 아닌, 감량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하였습니다. 노보의 경영진은 카그리세마의 효능보단 부작용을 더 크게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비만 치료제 시장은 내년 상반기까지 매우 거친 변곡 구간을 맞이할 예정입니다. 그 초입이 이제 시작된 것 같습니다.

이제는 릴리의 경구용 약물을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20 Dec, 12:31


https://www.novonordisk.com/news-and-media/news-and-ir-materials/news-details.html?id=915082

Novo Nordisk, CagriSema 임상 결과 발표

Novo Nordisk가 비만 치료제 CagriSema의 임상 3상(REDEFINE 1)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약물은 카그릴린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 복합제로, 비만 또는 과체중 성인을 대상으로 68주간 진행된 시험인데요.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체중 감소 효과

CagriSema: 최대 22.7% 감소

세마글루타이드: 16.1% 감소
카그릴린타이드: 11.8% 감소
위약: 2.3% 감소


25% 이상 체중 감소 비율

CagriSema: 40.4%

세마글루타이드: 16.2%
카그릴린타이드: 6.0%


체중 감소 효과는 이전 세마글루타이드 (위고비) 에 비해 개선되었지만, 일라이릴리의 Tirzepatide(마운자로)의 평균 감량치인 약 25% 수준에 비하면 아쉬운 수준입니다.

또한 CagriSema 자체의 생산 복잡성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CagriSema는 두 성분(카그릴린타이드 + 세마글루타이드)을 합친 복합제로, 기존 glp-1 주사제와는 다른 형식의 주사제 구조가 필요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부작용 데이터는 확인을 해봐야겠지만, Tirzepatide보다 우월한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했던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일라이릴리는 내년 상반기 경구용 약물에서의 3상 탑라인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인데요. 해당 약물의 체중 감소 효과는 위고비 수준의 약 15%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노보&릴리 구도에서 시장 판도를 크게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노보는 릴리의 경구용 약물에 대응하기 위해서 Cagrisema > Tirzepatide 같은 그림이 그려졌으면 참 좋았을 것 같은데...


이번 임상 결과가 개인적으론 조금 섭섭하긴 하네요 ㅎㅎ...

The Barbarian 해외주식

20 Dec, 12:26


최근 어려워진 시장환경 속에서 미국 반도체 기업 투자전략을 다시 점검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20182348525rn

The Barbarian 해외주식

18 Dec, 12:05


남미의 고성장 핀테크 기업 Nu에 대한 인뎁스 업데이트 자료입니다.

브라질의 매크로 환경 변화로 주가 하락 흐름이 나타났지만, 바뀌지 않는 펀더멘털과 경쟁력 역시 주목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저희 Hanni의 글은 미국주식의 양적, 질적 폭을 넓히고 싶으신 분들은 꼭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8132754065pw

The Barbarian 해외주식

17 Dec, 06:36


지금 AI사이클의 어느 구간에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주목해야 하는 미국주식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7130428538ci

The Barbarian 해외주식

17 Dec, 01:49


브레이크아웃(pivot 지점 근접) 및 신고가 종목들을 살펴봐도, 어떠한 테마와 종목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매일 업데이트 드리는 '미국주식 시그널 데일리' 꼭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좋은 종목군들이 많이 보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7104641401ee

The Barbarian 해외주식

16 Dec, 07:28


AI산업의 메가 트렌드가 변곡점을 맞는 듯한 모습입니다.

이 중요한 시점에 AI산업의 타임라인 점검 및 유망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5145232036tj

The Barbarian 해외주식

15 Dec, 11:30


연수르의 미국주식 위클리는 미국시장의 주요 테마와 색깔, 지금 중요한 투자전략 등을 단번에 이해시켜줍니다.

미국주식 투자에 있어 읽고, 안 읽고 차이가 많이 날 것 같은 위클리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5160310283or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Dec, 11:06


브로드컴 실적발표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내가 왕이 될 상인가?" 입니다.

AI반도체 산업 내 변곡점이 기대되는 25년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3192034325fs

The Barbarian 해외주식

12 Dec, 13:08


12월 미국주식 관심 종목 업데이트 드립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2172134053py

The Barbarian 해외주식

12 Dec, 02:04


애플의 AI반도체 개발 이슈를 점검했습니다. 내년의 반도체 산업의 명확한 트렌드가 반복적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2105857960ci

The Barbarian 해외주식

11 Dec, 11:07


어제 세미나 영상 업로드합니다.

내년 AI반도체 산업에서 제일 중요한 트렌드를 BK팀장이 분석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11172011412js

The Barbarian 해외주식

10 Dec, 08:06


금일 저녁 25년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가장 강력한 메가트렌드, 그리고 유망종목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08200855593hy

The Barbarian 해외주식

09 Dec, 06:54


Agent AI는 소프트웨어 업종에서 앞으로 있을 AI수익화의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가 될 것입니다.

Agent AI 무엇인지, 주요 플레이어들이 이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이들의 향후 방향성을 잘 담은 글이네요.

주가모멘텀이 갈수록 강해지는 소프트웨어 기업 투자에 큰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09130147506je

The Barbarian 해외주식

08 Dec, 08:30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마벨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브로드컴의 주가도 다시 반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마벨의 호실적은 아마존이 본격적으로 AI ASIC을 내재화 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 뿐만 아니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도 AI ASIC 비중을 내년부터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AI 모델이 과점화되면서 AI 모델들에 맞는 ASIC 설계가 점점 더 용이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과거 반도체 삼국지였던 Nvidia, AMD, Intel의 구도가 내년부터는 Nvidia, Broadcom, Marvell로 바뀔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AI ASIC 시장이 어떻게 될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08172803486ky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Dec, 12:23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내년 AI로 돈을 벌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제가 컨텐츠 산업에서 올 한해 동안 가장 주목한 산업은 애드테크였습니다. The Trade Desk와 Applovin가 대표적으로 주요 기업들의 광고 모델 도입에 따른 채택률이 높아지며 수혜를 보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이제 내년에는 어떤 테마에 집중해야 할까 고민 중인데요.

올해가 이런 애드테크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채택하는 구간이었다면, 내년에는 이런 솔루션을 바탕으로, 실제로 이 툴을 활용해 의미 있는 실적 개선을 보여주는 기업들이 생겨날 것으로 판단합니다.

대표적으로 기대감이 높은 기업은 넷플릭스입니다. 광고 요금제로의 BM 확장뿐만 아니라 컨텐츠 경쟁력까지 챙겨가며 주가는 계속 신고가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네요. 최근에 많이 오른 기업들 말고도 아직 내년 수익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 않은 유망한 플랫폼 중에서 기회를 찾아보고 있는데요. 일단 로블록스를 챙겨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넷플릭스와 달리, 로블록스는 상반기 트래픽 성장세가 가속화되는 그림을 보여주진 않았고, 이에 따라 주가가 다소 쉬어가는 그림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지난 실적 발표 이후 트래픽이나 예약매출 추이가 모두 다시 반등을 시작하면서 다시 투자자들이 주목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로블록스는 지난 1년간 내부적으로 도약을 준비하는 과도기를 거쳐 이제는 실적으로 주목할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205212208444tk

The Barbarian 해외주식

25 Nov, 11:07


잠시 후 9시에 미국주식 주간 세미나 진행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24152947506gx

The Barbarian 해외주식

24 Nov, 23:42


[바바리안]

SC 시장에 대체 무슨 일이? : 할로자임과 알테오젠의 특허 분쟁 정리

할로자임의 SC 플랫폼에 대한 특허 이슈가 많은 변동성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MDASE 플랫폼의 경우 10월 말 처음 공개되었으나 여전히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가득한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특허 이슈를 촉발한 외사 코멘트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타임라인 순으로의 할로자임 이슈를 따라가 보았을 때, MDASE를 더욱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MDASE 이슈는 할로자임의 계획된 훼방으로 보여집니다.

할로자임은 잃을 게 없고, 알테오젠은 그 반대기 때문에 이번 이슈가 더욱 부각되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최근 알테오젠의 하락은 과도하다고 보여집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25083655824ns

The Barbarian 해외주식

22 Nov, 07:30


동남아 이커머스 선두 기업 Sea(SE)의 업데이트 자료입니다!

최근 동향과 향후 기업가치 핵심 포인트을 아주 인뎁스 있게 다뤘습니다.

Sea는 글로벌 주요 지역 선두 이커머스 기업들의 사업상황이 대부분이 좋아지는 흐름(큰 맥락이 있는듯) 속에서 꼭 관심이 필요한 기업인데요.

최근에는 핀테크와 광고 사업에서의 포텐이 확인되고 있어, 특히 주목이 필요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22153203972dg

The Barbarian 해외주식

22 Nov, 02:59


https://www.mk.co.kr/news/it/11175155

1. 할로자임의 계약 방식은 국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독점/비독점 두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2. 대표적인 독점 품목은 ARGX의 Vyvgart Hytrulo와 로슈의 Phesgo 등이 존재합니다.

3. 독점 품목의 경우, 할로자임의 특허 만료와 연관되어 로열티가 측정됩니다.

4. 할로자임의 ENHANZE 특허가 유지되는 와중엔 5%의 고정 로열티지만, 특허가 종료되면 로열티는 2.5% 로 변경됩니다.

5. 따라서 할로자임의 경우 이런 로열티를 보존하기 위해 특허 연장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6. 그래서 MDASE 특허를 통해 이를 OUS 2032년, US 2034년까지 연장하고자 하는 듯 보입니다.

7. 그러나 해당 특허 이슈가 알테오젠에게 끼칠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입니다.

8.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들로만은 알테오젠의 특허가 할로자임에 비해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9. 머크 또한 수십조 수준의 파이프라인을 이러한 고려 없이 알테오젠과 협업하진 않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언급되는 할로자임의 특허 등에 대한 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할로자임은 특허 만료 이후로 전사 매출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렇기에 추가적인 BM을 창출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용량 자가 Auto Injector와, 최근 집행한 2조 규모의 M&A도 그 노력 중 일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에서 가시적인 성과는 크게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할로자임이 창출하는 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싼 이유도 이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할로자임의 주가를 올해 상방으로 움직였던 유일한 팩터는 유럽 특허 연장이었습니다. 그런 만큼 할로자임 입장에서는 특허와 관련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MDASE가 그러한 노력으로 보입니다.

할로자임을 지속적으로 보며 느낀 점은, MDASE 플랫폼은 상대적으로 기대감이 크게 없던 상황입니다. 회사에서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아왔습니다. 비교적 최근에야 언급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MDASE로 인해 할로자임의 주가가 오른 적이 없으므로, 이로 인한 알테오젠의 주가 하방 압력은 과도한 우려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오늘 기사를 통해 공개된 머크의 액션은 상방보단 하방을 제한적으로 닫아두는 이슈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Nov, 12:01


네프콘 신규 구독자 할인 이벤트 진행 중이오니 이것도 놓치지 마세요!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Nov, 12:01


신규 구독자 대상 네프콘 할인 쿠폰 이벤트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입니다.

네이버에서 남은 11월 기간동안 네프콘 신규 구독자 할인행사를 진행합니다.

쿠폰대상 : 채널 신규 구독자(
할인규모 : 구독 첫달 월구독료 1만원 할인
발행기간 : 11월 18일~11월 30일

할인방법: 쿠폰은 프리미엄콘텐츠 내 개별 채널 홈에서 다운로드 받으셔야 하며, 2024년 11월 18일~2024년 11월 30일까지 다운로드 및 사용 가능합니다. (쿠폰 확인 위치 : 개별 채널 홈 상단 > 메뉴탭 하단 롤링 배너)

바바리안리서치 네프콘 채널: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Nov, 12:00


엔비디아의 실적을 분석했습니다.

아쉬운 숫자 속애서도 좋은 내용들이 많아 긍정적이라는 평가인데요.

향후 엔비디아 주가 방향성 및 업사이드를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21175310819be

The Barbarian 해외주식

21 Nov, 01:01


[ 홈페이지 / 이커머스 솔루션 기업 Wix.com 호실적 발표로 14% 상승 ]

< 이번 분기 3분기 실적 요약 >

매출 및 예약 증가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 예약은 16% 증가하며 예상치를 초과.

자유 현금 흐름(FCF):

FCF 마진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여 3분기 29%에 도달.

2024년 FCF 가이던스는 27~28%로 상향 조정됨.

< 긍정적 포인트 >

AI 기반 제품 혁신

- AI 를 활용하여 이커머스 구축과 운영을 쉽고 효율화하며 이커머스 구축의 허들과 난이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Wix.com 고객이 증가

- 연말과 내년 초 AI를 활용한 직접 수익화 제품 출시 예정 (지금은 제작 운영 지원 솔루션)

Studio (제작툴) 플랫폼 채택 증가:

새 파트너 예약의 75%가 Studio에서 발생.

가격 인상 효과

- AI 도입으로 가격 인상에도 고객들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갱신 및 유지율이 예상치를 초과.

< 향후 전망 >

2025년에는 매출 성장과 마진 확대로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

새로운 AI 기반 제품이 전자상거래, CRM, 콘텐츠 제작 부문에서 수익 증대에 기여할 전망

< 소결론 >

- 과거 웹사이트 제작 도구 였던 Wix.com 이 AI 를 통해 지속 상승중

- AI 도구를 도입해 이커머스 사이트 구축 및 운영의 허들을 낮추고 효율화 하여 계속해서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고객 확보 중

- 들어온 고객들은 새롭게 추가된 결제 솔루션까지 사용하며 핀테크 수입도 덩달아 증가중

- 애드 테크 만큼 큰 산업은 아니지만 이커머스 / 홈페이지 제작 부문이 AI 로 허들이 낮아지고 효율화되며 또 하나의 AI 수혜 산업으로 보임

The Barbarian 해외주식

20 Nov, 23:50


[바바리안]

키트루다 SC 3상 발표 : 효능도 개선될 수 있을까요?


현지 시각 기준 11월 19일, 머크의 키트루다 SC 전환 3상 임상이 성공했습니다. 기존 17 종류의 고형암 모두에서 SC 전환이 가능해졌습니다.

물론 편의성도 있겠지만, 이러한 SC 전환의 큰 동력 중 하나는 효능 개선이라고 생각됩니다.

J&J가 아미반타맙을 SC로 전환하여 유의미한 mPFS 및 OS 개선을 보여준 이후로 시장은 IV 대비하여 더 우월한 효능을 기대하는 듯 합니다.

이번 글에선 아미반타맙의 사례를 통해 SC의 효능 개선 가능성을 접근해보았으며, 이를 키트루다로 확장하여 다뤄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론 SC 효능 우위의 '가능성이 그렇게 크지 않다' 는 의견인데, 만약 유의한 결과가 나오면 SC는 정말 게임체인저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21083113958sd

The Barbarian 해외주식

20 Nov, 21:45


엔비디아 3분기 실적 및 4분기 가이던스 정리표

요약: 역시 기대 이상의 3분기 실적, 다만, 다소 아쉬운 4분기 가이던스

The Barbarian 해외주식

19 Nov, 08:19


1)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대응전략, 2) 경쟁 이슈가 불거지고 있는 AI네트워크 밸류체인의 현 상황을 점검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9084604908mj

The Barbarian 해외주식

19 Nov, 05:58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입니다.

가스 터빈 업체 GEV, 가스 운송을 주로하는 미드스트림 업체 모두 신고가를 돌파하며 미국 천연가스 밸류체인 전체가 좋은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존 AI데이터센터발 전력 부족 가능성 이슈와 트럼프 2기를 맞이하여 LNG 수출 아이디어를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가스를 봐야하는 이유
2) 트럼프의 생각
3) 미국 천연가스 시장 개요
4) Supply & Demand 분석
5) 천연가스 업스트림 업체인 EQT 소개


미드스트림 주가가 부담스러울 때 좋은 대안으로 제시드리며 주식적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업스트림 업체들에게 기회가 남아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9140256059ed

The Barbarian 해외주식

18 Nov, 22:07


[ Nvidia, CUDA-Q 플랫폼으로 구글 퀀텀 AI 프로세서 설계 가속화 ]

발표내용

- Nvidia 는 구글 퀀텀 AI 와 협력하여 양자 컴퓨팅 디바스의 설계를 가속화 한다고 발표

- 구글 퀀텀 AI는 하이브리드 양자-클래식 컴퓨팅 플랫폼과 엔비디아 Eos 슈퍼컴퓨터를 사용해 양자 프로세서의 물리학을 시뮬레이션

- 연구자들이 "노이즈"라고 부르는 현상 때문에 현재 양자 컴퓨팅 하드웨어의 한계를 갖음

- 엔비디아의 CUDA-Q 플랫폼은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예정

해석

- 현재 양자 컴퓨팅은 양자 컴퓨팅의 기본 단위인 큐비트가 증가할 수록 노이즈가 발생하여 큐비트 수를 쉽게 증가시키지 못하고 있음

- 엔비디아는 아직 한계가 있는 양자 컴퓨팅을 자사 CUDA-Q 라는 플랫폼을 통해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지원함

- CUDA-Q 는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는 CUDA 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양자 컴퓨팅 버전 플랫폼

- CUDA-Q 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양자 컴퓨팅의 물리적인 환경을 CPU, GPU (주로 GPU) 가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해줌

그를 통한 효과는 크게 두 가지

1. 그를 통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양자 컴퓨팅 하드웨어를 계속해서 시뮬레이션 하며 양자 컴퓨터 하드웨어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음

2. 아직 양자 컴퓨팅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GPU에서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양자컴퓨팅 환경을 이용하여 양자 컴퓨터에서 사용할 소프트웨어를 미리 개발

Nvidia의 의도

- 즉, Nvidia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양자컴퓨터 하드웨어의 개발을 현재 GPU 기반의 슈퍼컴퓨터를 통해 도움

- 또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양자 컴퓨터를 GPU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한 뒤 향후 양자 컴퓨터가 개발되었을때 사용할 양자 컴퓨터 소프트웨어들을 선제적으로 개발 지원

- CUDA 가 AI 프로그래밍의 포석이 된 것처럼 향후 양자 소프트웨어들도 CUDA-Q 기반으로 선제적으로 개발되어 향후 양자 컴퓨터 생태계가 개발되어도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함

- 또한, 향후 양자컴퓨터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CPU, GPU와 함께 쓰이는 하이브리드 형태가 될 것이기 떄문에 양자 컴퓨터 하드웨어가 나오더라도 CUDA 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여전히 핵심으로 남아있기 위한 포석

The Barbarian 해외주식

18 Nov, 08:56


신규 구독자 대상 네프콘 할인 쿠폰 이벤트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입니다.

네이버에서 남은 11월 기간동안 네프콘 신규 구독자 할인행사를 진행합니다.

쿠폰대상 : 채널 신규 구독자(
할인규모 : 구독 첫달 월구독료 1만원 할인
발행기간 : 11월 18일~11월 30일

할인방법: 쿠폰은 프리미엄콘텐츠 내 개별 채널 홈에서 다운로드 받으셔야 하며, 2024년 11월 18일~2024년 11월 30일까지 다운로드 및 사용 가능합니다. (쿠폰 확인 위치 : 개별 채널 홈 상단 > 메뉴탭 하단 롤링 배너)

바바리안리서치 네프콘 채널: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The Barbarian 해외주식

18 Nov, 08:54


금일 저녁 9시에 미국주식 주간세미나 진행합니다.

엔비디아를 둘러싼 여러 이슈가 단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요. 큰 틀에서 엔비디아 실적발표에 대한 대응전략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7185653954ef

The Barbarian 해외주식

18 Nov, 07:48


[ Barclays, Nvidia 의 Blackwell 초기 생산 가동률. 50% 추정 ]

- Blackwell의 초기 가동률은 50% 미만으로 추정

- 향후 80% 까지 상승 예상

- 50% 가동률 가정시 내년 1월 결산 분기 Blackwell 매출은 60억 달러 수준 예상

- 내년 4월 분기 블랙웰 할당 캐파 증가와 가동률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생산 피크를 찍은 Hopper는 이번 분기(11월~1월)부터 생산량 감소 예상

- Blackwell Ultra 는 아직 생산 단계는 아니고 내년 3분기 생산 예상

- 내년 상반기는 B200 중심의 생산 / 내년 하반기는 B300 중심의 생산 예상

The Barbarian 해외주식

18 Nov, 07:33


[ Nvidia GB200 NVL72 과열 논란 속, 마이클 델 GB200 NVL72 서버랙 출시 트윗 ]

- The Information 발 GB200 NVL72 과열 이슈가 시장에서 뜨거웠습니다

- GB200 NVL72 의 발열 이슈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Blackwell 수요의 1/4에 달하는 NVL72 출하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이 주요 내용이었습니다

- 공교롭게 Michael Dell 은 6시간 전 GB200 NVL72 서버랙 출시를 트윗을 통해 알렸습니다

- 첫 고객은 CoreWeave.AI 입니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17 Nov, 09:03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이번 3분기 실적발표에서 가장 눈에 들어온 업종 중 하나가 가스 터빈 제조사들인데요. 회사들이 제시한 밝은 전망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오늘은 점점 호황 사이클로 진입하는 가스터빈 사업의 업사이드를 어디까지 볼 수 있는지, 조금 더 디테일하게 부문별로 2027년까지 어떻게 추정을 하면 좋을지와 이 부분이 현재 주가에 얼마나 반영이 된 건지 점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유틸리티 섹터에서 기존 회사들에 대해 높아지는 규제 리스크와, 대선 이후 트럼프 시대의 방향성 모두 가스 발전 산업의 부흥을 가르키고 있습니다. 현재 가스 산업은 구조적으로 Q와 P 모두 우상향할 수밖에 없는 매력적인 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변에서 GEV가 단기간에 너무 많이 오른 것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주시는데, 그만큼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막연한 기대감으로 오르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하반기로 넘어오면서 가시화되고 있는 부분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하이퍼스케일러들의 데이터센터 규모가 커지면서, 이를 충당하기 위한 발전설비로 가스터빈 또한 대형화되고 있습니다.

2) 높아지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투자비 지출에 보수적이던 제조사들이 처음으로 캐파 확장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9월 GEV의 대형터빈 확장 발표에 이어, 이번주 11월 실적발표에서는 Siemens Energy가 비슷한 규모의 확장을 발표했습니다.

3) 9월까지 수주 증가 강세가 두드러집니다. 올해도 좋지만, 회사들은 내년 북미 수요가 더 좋아질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일단 이번 분기 실적발표 이후 생각은 심플합니다. "가스 발전 산업의 부흥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는 점입니다.
무엇보다 3분기에 가장 주목할 변화는 가스 터빈 제조업체들이 본격적인 캐파 확장을 시작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싶은데요.

GEV의 가스터빈 사업의 업사이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사의 캐파 확장이 의미하는 바와 향후 가스 발전 수요가 얼마나 늘어날 수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캐파 확장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내년에도 증설이 계속될 수 있을지 분석해 보았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7175650680aa

The Barbarian 해외주식

14 Nov, 23:47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AI 하드웨어 사이클이 여전히 우리의 생각보다 더 강하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기술적 해자가 있지 않아 과점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들의 경우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이 눈에 띄었습니다

반면 과점 시장의 AI 플레이어들은 여전히 아웃퍼폼했습니다

그리고 기대했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사이클이 시작되었고 그로 인한 기판 업체들의 수혜도 확인되었습니다

AI 하드웨어 업데이트 2탄 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5084234761ly

The Barbarian 해외주식

14 Nov, 01:09


[ 씨티, 두산 매수 등급으로 커버리지 시작, 목표 주가 33만원 ]

- 한국에서 블랙웰 직수혜 기업

- 블랙웰에 사용되는 CCL의 Sole 벤더로 두산의 수혜 기대

- 두산 전자의 엔비디아향 매출이 3630억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

- 해당 수치는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는데 블랙웰의 CCL TAM이 5830억~9330억 원으로 예상됨

- 두산 전자의 25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6% YoY, 90% YoY 증가할 것으로 기대

블랙웰 시대에서 가장 병목 현상이 예상되는 CCL 산업이 궁금하시면 아래 바바리안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오늘 2편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011134012807mp

The Barbarian 해외주식

13 Nov, 12:36


한국에서도 인기가 가면 갈수록 올라가고 있는 러닝화 브랜드 기업 온홀딩스(ONON)의 실적 리뷰입니다.

간단히, 놓치면 안되는 글로벌 소비재 기업이라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됐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3173218772ys

The Barbarian 해외주식

12 Nov, 00:57


테슬라(TSLA) 주가의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시 스물스물 FOMO를 일으키며, 어디까지 갈까에 궁금증이 커져가는 요즘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럴때일수록 본질적인 부분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지난 주말에 작성한 테슬라 주가 전망 자료 공유해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0144130737sv

The Barbarian 해외주식

11 Nov, 11:46


미국 주식의 정석이자 시대의 주식이라 할 수 있는 Axon이 호실적을 발표하고 또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미국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둬야하는 종목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1175352795wy

The Barbarian 해외주식

11 Nov, 11:16


잠시 후 9시에 미국주식 주간 세미나 진행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0181618796sb

The Barbarian 해외주식

11 Nov, 07:09


이번 3분기 미국 실적시즌을 탑다운 관점으로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1102232776gm

The Barbarian 해외주식

10 Nov, 11:01


새로운 한주, '연수르의 주간 미국주식' 위클리와 함께 준비하시죠.

최근 미국시장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10195843184gs

The Barbarian 해외주식

08 Nov, 13:41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TTD가 전일 발표된 실적발표 이후 장전 주가가 -10% 가량 하락 중입니다.

주가는 지난 6개월간 50% 이상 상승하며 이번 실적 발표 이전 주가 $132 기준 NTM PER 70배 수준까지 올라왔기 때문에, 이번에 실적 추정치 상향을 이끌만한 트리거가 필요했던 상황입니다.

3분기 실적과 4분기 가이던스는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했으나, 이번 컨퍼런스 콜에서 내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새로운 포인트는 없었습니다. 아쉽게도 멀티플의 추가 리레이팅까지 이어질 실적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이번 실적발표 이후 주가 하락은 투자자들의 높아진 기대감을 소폭 하회한 것에서 나온 일부 조정 수준에 그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실적이나 컨퍼런스 콜 내용에서 실적 방향성을 뒤집을만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이제 관건은 올해 상반기 발표된 주요 파트너십이 언제쯤 실제 실적으로 반영되는지가 될 것 같습니다. TTD는 지난 몇 년간 밸류에이션이 계속해서 NTM PER 50-60배 수준에서 거래되어 왔는데, 이제 이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실적 추정치 상향을 이끌만한 분기 실적 서프라이즈가 필요해 보입니다. 추가 랠리를 위해서는 이제 단순 기대감보다는 실적으로 보여줘야 할 시기라고 생각하는데, 다음 분기를 기대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8223815458ut

The Barbarian 해외주식

08 Nov, 13:35


어제 실적발표 이후 네트워크 장비 선두 기업 아리스타네트웍스(ANET)의 주가가 5% 가까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리스타는 25년 전개될 AI사이클의 핵심 기업인데요. 이번 실적의 내용과 향후 주가 전망을 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8175053816wf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Nov, 21:57


[ Lumentum,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에 장후 시장에서 20% 넘게 상승 ]

- 매출 : 3.369억 달러 (YoY 6.1%, 컨센서스를 0.12억 달러 상회)

- Non-GAAP EPS : 0.18 달러 (컨센서스를 0.06 달러 상회)

2분기 가이던스

- 매출 : 3.8억~4.0억 달러 (컨센서스 : 3.56억 달러)

- Non-GAAP 영업이익률 : 5.5~7.5%

- Non-GAAP EPS : 0.30~0.40 달러 (컨센서스 : 0.28달러)


- 분기 실적과 다음 분기 가이던스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 하였음

- Coherent 와 마찬가지로 AI 인프라 향 수요가 강력함

- 200G EML 주문을 포함한 데이터 통신 레이저 칩 주문이 새로운 기록을 세움

- 클라우드 수요 확대와 광범위한 네트워킹 시장 개선 추세로 2분기에도 두 자릿수 성장 예상

- 이번에 새로운 하이퍼스케일 트랜시버 고객도 추가 확보

- 2025년 상반기에 이러한 신규 주문에 대한 대량 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내내 관련 매출은 증가할 것

// 광트랜시버 시장에 관한 간략한 생각

- 지난 분기에 이어 이번 분기에도 본격적인 AI 데이터 센터향 고사양 광트랜시버의 수요가 굉장히 강하며 Coherent, Lumentum 과 같은 기업들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끌어 내고 있음

- 이번 분기 특징은 AI 데이터 센터향 이외에도 생각보다 수요가 견조한 모습. 다만, 일반 통신 투자가 바닥을 쳤는지에 대해서는 보수적 스탠스

- AI 발 광트랜시버 수요 증가는 내년이 본격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 초입이라고 생각됨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Nov, 21:38


[ 네이버 웹툰,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20% 급등 ]

- 네이버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20% 넘게 급등중

- 매출 : 3.479억 달러 (YoY 9.5% 증가, 컨센서스를 0.11억 달러 상회)

- 유료 콘텐츠, 광고, IP 각색 등 모든 수익원 및 지역 성장에 힘입어 환효과 제외시 13.5% 성장

- 희석 EPS : 0.15 달러 (전년 주당 순손실 0.1달러, 컨센서스 -0.39 달러 보다 크게 개선)

- 매출총이익 개선과 현금 자산에 대한 이자 수익 확대, 소득세 혜택 덕분

다음 분기 가이던스

- 매출 : 3.75억 달러~3.85억 달러 (컨센서스 : 3.76억 달러)

- 조정 EBITDA : 900만~1,400만 달러

대표님 코멘트

- 상장사로서 첫 분기에 웹툰은 신고 기준 9.5%의 매출 성장, 고정환율 기준 두 자릿수 매출 성장, 견고한 수익성을 달성하며 견고한 재무 성과를 달성했다. 우리는 사용자 기반의 참여를 강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규모를 더욱 확장하는 동시에 운영을 성숙시키고 효율화하는 데 지속적으로 집중했습니다

- 앞으로 놀라운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탄탄한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흥미로운 제품 개선에 힘입어 웹툰 전반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글로벌 플라이휠에 힘을 실어주고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실행함으로써 4분기 재무 목표를 달성하고 주주들에게 장기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Nov, 21:32


[ Upstart,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20% 넘게 급등 ]

- Upstart 는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제공하며 급등

- 매출 : 1.62억 달러 (YoY 20.5%, 컨센서스 0.12억 달러 상회)

- Non-GAAP EPS : -0.06 달러 (컨센서스 0.09달러 상회)

다음 분기 가이던스

- 매출 : 1.8억 달러 (컨센서스 0.12억 달러 상회)

- 기여 마진 59%

- 조정 EBITDA : 500만 달러

CEO 코멘트

- 대출 규모가 전 분기 대비 43% 성장
- 조정 EBITDA 도 흑자로 전환
- 거시 경제가 크게 개선되지 않았음에도 AI 핀테크 선두주자로서 동사의 입지가 계속 강화되며 다시 성장 모드로 진입하였음

The Barbarian 해외주식

07 Nov, 13:36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앱러빈이 전일 장 마감 후 호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28% 가량 상승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실적과 내년 전망에 대한 톤 모두 굉장히 긍정적이었습니다.

작년 구글과 메타에 이어 올해는 연초부터 애드테크에 주목하자고 지속적으로 강조를 드리고 있습니다. AI 도입으로 가장 먼저 의미 있는 실적 변화가 나타나는 부분이 디지털 광고이기 때문이었는데, 이번 실적 발표를 체크해봐도 피크아웃을 우려하기보다는 그 수혜 범위가 오히려 확장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포인트는 하반기로 넘어오면서 작년부터 이어진 구글과 메타의 AI 최적화로 인한 광고 매출 순증 효과가 어느 정도 안정권에 접어든 반면, 이제는 오히려 중소형 플랫폼으로 기업들의 광고 예산 지출이 분산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구글과 메타의 광고 CPM 상승으로 기존 빅테크가 주도하던 디지털 광고 방식의 광고 단가가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실험적인 영역의 다른 플랫폼까지 지출이 확대되는 구간으로 보입니다.

이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광고 본업에서 서프라이즈를 보인 Reddit과, 게임 도메인에서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Applovin을 보면 보다 명확해지는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체감하기 어려운 부분이지만, 미국에서는 AI 도입 이후 주요 광고 성과 지표인 ROAS가 전반적으로 향상되면서 디지털 광고 시장 자체가 굉장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업종 내 변화로 그치지 않고, 주요 플랫폼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까지 광고 도입에 속도를 내는 변화로 이어지는 분위기입니다. 미국 시장에 투자한다면, 다소 생소하더라도 계속해서 관심 가지셔야 하는 업종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3Q 매출 및 마진 서프라이즈는 모두 본업인 게임 광고 호조 덕분
2) 이커머스로의 확장 초기 반응 굉장히 긍정적


특히 이커머스 부문의 매출 기여 시점에 대해 다소 모호한 표현을 해왔는데, 이번 분기에는 당장 2025년부터 어느 정도 매출 기여가 가능할 것이라고 톤이 바뀐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7223319726ni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Nov, 21:54


[ Coherent,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였으나 장후 시장에서는 변동성 큰 모습 ]

- Coherent 는 높아진 기대감에도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였으나 높아진 기대감 탓에 장후 시장에서는 변동성이 큰 모습

- 매출 : 13.5억 달러 (YoY +28.6%, 컨센서스 0.3억 달러 상회)

- Non-GAAP EPS : 0.74 달러 (컨센서스 0.13 달러 상회)

- 매출 총이익률 : 34.1% (YoY 499bps 증가 )

다음 분기 가이던스

- 13.3~14.1 억 달러 (컨센서스 13.5억 달러)

- Non-GAAP GPM : 36~38%

- Non-GAAP EPS : 0.61~0.77 달러

- 이번 실적에서도 데이터 센터 향 광트랜시버 수요를 제외한 사업부문의 실적은 여전히 부진하였음

- 하지만 데이터 센터향 (특히, AI 향) 광트랜시버 매출이 포함된 Communication 매출은 지난 분기 6.78억 달러에서 이번 분기 7.74억 달러로 고성장 지속

- AI GPU 클러스터의 병목을 해소하기 위한 고사양 광트랜시버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

- 다른 사업부의 부진으로 전체 실적은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지 못했지만 AI GPU 클러스터 향 고사양 광트랜시버는 수요는 기대했던 것처럼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

- 뿐만 아니라 800G에 그치지 않고 1.6T 차세대 제품도 공식 발표

- 내년 말부터 800G > 1.6T 로의 다시 한 번 업그레이드 사이클이 기대되는 부분

The Barbarian 해외주식

06 Nov, 08:57


미국 반도체 기업들의 현 시점 밸류에이션을 분석했습니다.

이와 업황을 바탕으로 사야되는 반도체 종목이 무엇인지도 생각해봤는데요.

대선 불확실성도 마무리됐고, 바텀업 리서치를 강화해야할 시점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6174806338tg

The Barbarian 해외주식

05 Nov, 14:21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이슈로 미국 유틸리티 업종 주가가 급락해서 업데이트 드립니다.

전일 발표된 CEG의 실적 발표에서는 일단 9월에 발표된 MS-CEG의 코로케이션 계약 이후 새로운 발표는 없었고, 가이던스를 상향하면서 내부적으로는 계속해서 좋은 흐름 이어가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5년초 진행되는 4Q24 실적발표에서 연간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내부적인 업데이트 사항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실적발표보다도 지난주 금요일 발표된 FERC의 AMZN-TLN 이슈로 주가 하락이 컸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제 있었던 CEG의 실적발표에서도 서두에서 실적에 대한 언급에 앞서 이번 FERC의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할 정도로 규제에 관한 내용이 핵심이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해당 이슈에 집중해서 설명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5231805166up

The Barbarian 해외주식

04 Nov, 11:40


잠시 후 9시에 미국주식 세미나 진행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3200114324gv

The Barbarian 해외주식

03 Nov, 11:02


국채금리 상승, FOMC 이벤트, 미국대선, 실적시즌 등 중요한 변곡점에 있는 미국시장!

연수르의 미국주식 위클리로 정리하시고, 대비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3195105678vw

The Barbarian 해외주식

01 Nov, 11:59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이번 아마존의 3Q24 실적발표에서 주목할 핵심포인트는 효율성입니다. 리테일과 클라우드 부문 모두 마진에서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주가는 장전 6% 가량 상승하고 있습니다.

일단 저는 이번 실적 발표를 계기로 아마존은 투자자 입장에서 다시 관심을 가져봐야 하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제가 내년 초까지 기대하는 포인트는 아마존이 작년에 이어, 이번 연말 쇼핑 시즌에도 또다시 이커머스 부문에서 아웃퍼폼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점입니다.

아마존은 22년 전사적으로 물류 시스템을 한 차례 혁신한 이후, 배송 시간 단축에 집중해왔습니다. 이러한 물류 혁신은 특히 작년 연말 쇼핑 시즌에 빠른 배송 처리를 바탕으로 아마존의 미국 내 이커머스 점유율을 확대하는 결과로 이어져 크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작년 말과 올해 초 자료에서 아마존의 물류 혁신과 로봇 자동화를 통한 모멘텀을 강조드린 바 있는데요.

1년이 지난 지금, 아마존 내부적인 효율성 개선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는 시그널들이 계속해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특히 오늘 실적 발표는 이로 인한 변화가 미국 이외 해외 국가들에도 확장되고 있다는 점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1205808543lq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Oct, 23:35


오늘 새벽 아마존을 끝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설비투자의 QoQ 증가 트렌드가 모두 확인됐네요.

단, 아마존의 경우 뉴스 등에서 이야기되는 설비투자(현금흐름표 기준)와 실적 컨콜에서 소통되는 설비투자 규모가 조금 차이가 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요

(이걸 구분 안하면 설비투자 추세가 왜곡되네요 ㅠ)

그 이유와 회사가 소통하는 금액 기준 설비투자 흐름을 정리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101082912014xv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Oct, 11:12


[바바리안]

Eli Lilly 3Q 업데이트 - buy the dip 하기엔 단기 변동성 확대 구간

릴리가 3분기 실적 쇼크로 인해 10%가 넘는 하락을 했다가 이를 축소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회사는 4분기 기대감을 지핌과 동시에, 3분기 실적이 기고로 인한 효과라는 언급을 하면서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는데요.

이런 분기별 실적 변동성은 좋아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공급은 안정되었으나, 재고 측면에서 두 분기 연속으로 도매상들에게 통제권을 잃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주 obesity week와 더불어 catalent 이슈로 인해 릴리의 주가는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조금 더 지켜보아도 나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031201121912ep

The Barbarian 해외주식

31 Oct, 06:59


마이크로소프트 실적 리뷰 자료입니다.

주가 반응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단기 모멘텀은 다소 부족해 보였는데요.

결론적인 생각은 '25년은 AI 소프트웨어에서 돈을 벌어야 겠구나' 였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031153444638nm

The Barbarian 해외주식

30 Oct, 23:35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발표에서 설비투자(Capex) 내용 업데이트 했습니다.

앞으로 AI산업의 돈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져 있네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031083211119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