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클래스 투자 @yhbesttopclass Channel on Telegram

탑클래스 투자

@yhbesttopclass


혼자 생각.괜찮은 뉴스.세상이야기

탑클래스 투자 (Korean)

탑클래스 투자 채널은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완벽한 소통 공간입니다. 채널에 가입하시면 혼자 생각하고 있는 다양한 투자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괜찮은 뉴스 소식을 받아보며 세상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yhbesttopclass'라는 사용자명으로 활동 중인 이 채널은 탑클래스 투자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며, 회원들 간의 정보 교류를 촉진합니다. 투자에 대한 근거 있는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해 다양한 시장 동향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채널은 당신이 미래를 위해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지금 바로 가입하여 최상의 투자 경험을 시작해보세요!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5


제목: 세미콘코리아에서 파악한 반도체의 새로운 4가지 흐름

안녕하세요. 강용운 대표입니다. 세미콘 코리아가 성황리에 마감했습니다. 사흘간 많은 업체를 방문했습니다. 리노공업, 한미반도체, 티에스이, 세메스, ISC, 수스, 디스코, 어드반테스트, 에바라, 제너셈, 디아이, 에프에스티, 미코, TRUMPF, KI 그리고 CAMTEK과 큐알티... 많은 박사님들도 오가다 만났고 한화세미텍 인사와도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기술에 관심이 있는 오덕으로서 매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서민석 전 SK하이닉스 팀장도 CAMTEK에서 뵐수 있었는데 유리기판과 하이브리드 본딩에 대해 많은 말씀을 들었습니다.

젊었을 때는 하이엔드 오디오에 빠져서 15년을 스피커와 앰프에 파묻혀 살았던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오덕들과 모여서 매일 앰프 품평회, 스피커 구조 토론, 스피커 케이블 및 인터커넥터 케이블 비교시청회를 열었었습니다. 9n 구리 케이블이 좋냐 아니면 은선이 좋냐, 골드문트의 미케니컬 그라운딩은 사기냐 아니냐, 디지털 앰프에서 저음의 깊이가 왜 안나오냐, SACD는 섬세하지만 중역대의 에너지 밀도감이 왜 이렇게 떨어지냐... 이런 사소한 것을 가지고 매일 싸우다시피 토론했습니다. 오덕들만 이해할 수 있는 사소한 주제이죠. (ㅎㅎ)

다시 그때로 돌아가고 싶군요.

이제 나이가 드니 관심은 반도체 AI이런데로 옮아오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매일 첨예하지만 다른 류의 토론이 이뤄어지죠. 오디오 취미하고는 달리 바로 돈하고직결되는 그런 토론 말입니다. 그래도 사흘간은 정말 무언가에 취한 마냥 정보를 서로가 격의 없이 교환할 수 있었습니다. 다들 기술에 대한 열망이 엄청났던 것 같습니다. 사흘간은 오픈마인드 였던 것이죠.

각설하고 이번 세미콘코리아에서 확인했던 4가지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이브리드 본딩에 대한 관심이 굉장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파티클 컨트롤임은 다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에서는 베시와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장비를 써서 플라즈마 절단을 하고 있다고 업계에서는 추정하고 있었습니다. 외국계 장비회사들도 그리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비용이 엄청 비싼데 수율과 가능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에서 다루겠습니다.

2. 유리기판의 공정에 대한 갑론을박이 엄청납니다.
레이저로 구멍을 뚫을때 얼마나 섬세하게 뚫을수 있나. 그리고 필름과 동박 등을 얼마나 정합성 있게 적층할 수 있나 등등 을 둘러싸고 비관론과 긍정론이 첨예하게 대립했습니다.
지금 언론 플레이를 하는 많은 유리기판 업체에 대해 많은 박사 분들이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시더군요. 실제 단면이 매끄럽지 않다는 겁니다.
저는 펄스레이저의 지속시간에 따라 펨토 피코 레이저로 나눌수 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더한 제품도 궁리중임을 TRUMPF에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3. 드디어 국내 업체의 프로브 카드 (D램용) 양산이 임박했습니다.
KI, 티에스이는 최근 국내 업체보다는 외국으로 프로브카드를 납품해왔습니다. 이제 이 회사의 제품력이 엄청나게 올라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와함께 다이캐리어 소켓의 발전도 엄청나서 리노공업 ISC의 기술력을 확인할 수있었습니다. 곧 엄청난 뉴스들이 나올 것 같습니다.

4. 새로운 국내 장비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효율화 투자 전략으로 인해 디아이가 어드반테스트의 ATE장비를 대체할 수 있게 물꼬를 튼 것 같습니다. 관련 공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에프에스티도 삼성에 펠리클 진입을 노리고 있습니다. 테크윙과 티에스이가 다이캐리어(다이캐리어 소켓과는 다른 장비)를 생산 중입니다.
다이캐리어 소켓에 관련해서는 리노공업과 ISC가 굉장한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말씀드릴 것은 너무나 많고 다양하지만 짧은 글로는 이정도가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AI발전과 함께 한국 반도체 업계도 급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5


물론 전쟁전에 미국 등의 경고를 젤렌스키가 무시했던 바가 있습니다

아래는 2022년 1월 29일 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136874?sid=104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4


러브너가 다시 맞기 시작햇다면, 다음주는 더 위험할수도 있겠네요

====================
- 이제 주식시장 조정 나오기 시작할 것, 월요일부터 플로우의 역학관계가 극적으로 변화할 것

2. 인덱스 딜러들의 롱감마(+$ 9.7B) 포지션이 절반 이상 롤오프 가능성이 높아, 변동성 확대와 단기적 가격 움직임 활성화 가능성 높음.

3. 낮은 실현 변동성(10일 기준 8.8%)으로 인해 Vol Control 전략이 빠르게 확대. 이는 단기적으로 시장 상승 속도를 억제, 상승 랠리 속도를 제한 요인으로 작용


6. 리테일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3월 세금 시즌으로 인해 자본 이득세 납부키 위한 매도 압력이 증가할 것.

7. Nvidia 실적 2/26일 발표 예정. 옵션시장에서는 약 9% 주가 변동성을 반영하고 있음.


10. CTA 모델은 시장 하락시 더욱 큰 규모의 매도 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위치에 놓여있음. 1개월내 예상 플로우는 Flat Tape: +$9.91B, Up Tape: +$17.71B, Down Tape: -$173.12B로, 시장 하락 시 자금 유출이 급격히 증가 가능.
==================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4


•국무원 리창 총리 : 국제 사례를 참고해 통신, 교육, 컨텐츠, 의료, 금융 분야 새로운 개방 조치를 발표할것

>国务院总理李强:主动对接国际高标准经贸规则,在电信、教育、文化、医疗、金融等领域研究推出一批新的开放举措。积极促进服务出口,提升我国服务企业国际市场开拓和国际化服务能力。打造一批服务贸易综合改革开放平台,拓展服务贸易、数字贸易多双边和区域合作。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4


전 종목 공매도 가능성 던진 금감원… 이복현 “한국 시장 신뢰 위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55374?sid=101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3


JPY 강세는 온다

-최근 한달동안 USD/JPY 강세
-BOJ의 매파적 발언과 일본의 강한성장 및 인플레데이터가 원인
-일본 전략가들은 장기적으로 JPY 강세 전망.

-개인적으로 일본이 추가 금리인상을 하면서 30년동안 '금리의 벽'이었던 0.50%을 넘어 0.75%로 가는 모습의 세계는 궁금.

-3월 금정위부터 ETF 매각에 대한 논의도 시작되는만큼 BOJ는 통화정책의 비정상화를 완전히 끝내는듯.

-기시다 후미오/이시바 시게루 같이 보수본류와 온건파 총리가 2번 연속으로 탄생한것이 일본에는 긍정적.

-JPY의 강세는 140 벽이 무너지고 130후반대까지 갈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올해말과 내년초까지 봐야할듯.

사진 출처: BofA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3


미증시를 끌어내린 미시간 인플레 예상

미시간 대학교 소비자 조사 2025년 2월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동향
- 보고서는 2024년 10월 발표된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보고서를 업데이트

- 새로운 데이터가 2024년 10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추가

-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최근 몇 달 동안 상승했으며, 팬데믹 이전 2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하지만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이 정점이었을 때보다는 낮은 수준.

- 현재 기대치는 정책 변화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

📌1번 사진 차트
2017년부터 2025년까지의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변화

2024년까지 하락했으나, 2025년 초 다시 상승하는 추세.

📌2024년 10월~2025년 1월까지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3.0~3.2% 사이에서 움직이다가

>> 2025년 2월 3.5%로 상승.

📌평균값도 2024년 10월 이후 횡보하다가 2025년 2월 상승.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정점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까지 하락하지 않음.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3


테슬라의 미래 = 뉴럴링크 × 그록 × 옵티머스 × 스타십 × 다행성 사이보그 인간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2


테슬라 '모델3' , 美 판매차량 37만6000대 리콜…주가 5% '뚝'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208042485509

탑클래스 투자

22 Feb, 05:22


트럼프 관세'에 물가 공포…월가 단기 조정 경고[글로벌마켓 A/S]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219225

탑클래스 투자

22 Feb, 01:5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11792

탑클래스 투자

22 Feb, 01:54


트럼프 "애플 CEO, 멕시코 대신 美에 공장 짓기로 약속...수억 달러 투자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2000005

탑클래스 투자

21 Feb, 22:35


스티브 코헨(저명 투자자 & 뉴욕 메츠 구단주):
- 처음으로
#미국 경제 전반에 상당히 부정적
-
#관세, 이민 둔화 및 '도지 부' 모두가 부정적이다
- 하반기 성장률 1.5%에 불과할 것


#미국 트럼프 대통령:
4/2일 #자동차 #관세 25% 재강조


1) 해당 두 뉴스 속 시장 전반에 디플레이션 #침체 내러티브 확산, 10년물 #국채 #금리 하락 및 #주식 전반 급락

2) 스티브 코헨이 구단주라는 점과 직전 트럼프 행정부의 구단주 #증세 를 고려하면, 이러한 코멘트가 과연 '중립적'인지는 의문이긴 합니다.

3) 다만, 딥시크 때도 말씀드렸듯 내러티브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어차피 하락할 핑계를 찾고 있던 시장.

탑클래스 투자

21 Feb, 22:35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지수 ETF는 1.49% 하락한 가운데 MSCI 신흥지수 ETF는 0.29% 하락에 그침.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28%, 러셀2000지수는 2.94%, 다우 운송지수는 2.62% 하락. KOSPI 야간 선물은 1.25% 하락. 지난 금요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34.3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시장에서는 1,433.70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33.60워을 기록.


*FICC: 달러, 엔화 강세, 채권 상승 등 안전자산 강세

국제유가는 미국 서비스업지수가 기준선인 50을 하회하는 등 소비 둔화를 가리키는 지표들이 나오자 향후 수요 둔화 우려를 자극하며 하락. 이런 가운데 오후 들어 신종 코로나 발견 소식이 전해지자 낙폭이 점차 확대되며 3% 하락. 미국 천연가스는 시추공 동결로 인한 생산 감소, 추운 날씨로 인한 수요 증가가 겹치며 최근 상승세가 지속. 유럽 천연가스는 독일등이 가격 안정을 우해 저장 요건을 완화한다는 소식에 하락

달러화는 미국 서비스업지수 둔화 등 미국 경기 위축 우려가 높아졌음에도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 대체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점이 달러화 강세를 자극. 엔화는 높은 물가에도 우에다 총재가 장기 국채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할 경우 국채 매입을 늘리겠다고 발표하자 달러 대비 약세를 기록하기도 했음. 그렇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달러 대비 강세. 유로, 파운드화를 비롯해 역외 위안화, 멕시코 페소 등 대부분 환율은 달러 대비 약세

국채금리는 서비스업지수 둔화로 경기 위축을 반영하며 하락한 가운데 소비자 심리지수 위축도 하락 지속 요인. 그런 가운데 오후들어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소식이 부각되자 경기에 대한 불안 심리를 더욱 자극하며 하락폭 확대. 한편, 최근 미국 재무장관 등이 장기 국채 발행이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금리 상승에 대한 불안이 완화된 점도 금리 하락 요인 중 하나. 물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이는 이미 월초에 반영돼 채권시장에 영향은 제한.

금은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지며 한 때 상승하기도 했지만 달러 강세를 반영하며 최근 상승에 따른 매물 소화하며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LME 시장에서 재고가 소폭 감소했지만, 중국에서 재고가 증가했다는 소식, 그리고 경기에 대한 불안과 그에 따른 달러 강세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다만, 주석과 납은 반등에 성공. 농작물은 밀이 숏포지션 청산에 힘입어 상승한 반면, 옥수수는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했고 대두는 중국과 신규 무역 협상 타결 기대로 상승 후 매물 출회되며 하락. 브라질에서 수확 확대 가능성이 부각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탑클래스 투자

21 Feb, 14:40


탑클래스 투자 pinned «https://youtu.be/_HkU-pUV7hk?si=snKxgPGxntkSJTnx»

탑클래스 투자

21 Feb, 14:39


https://youtu.be/_HkU-pUV7hk?si=snKxgPGxntkSJTnx

탑클래스 투자

21 Feb, 12:59


#싱가폴, #주식 시장 #부양책 발표:
1) 싱가폴 상장 주식에 상당 규모 투자하는 펀드가 벌어들이는 소득에 대한 세금 면제
2) 50억 싱달러 규모의 주식 시장 개발 프로그램 출범
3) 신규 상장에 20%, 신규 2차 상장(유상증자 등?)에 10% #감세(환급) 제공
- 신규 펀드매니저 등록세 -5% 감면

이거 주식 시장 부양책이 아니라 펀드매니저 빼내기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저뿐인가요? ㅋㅋ

탑클래스 투자

21 Feb, 12:17


[단독] 엔비디아, '블랙웰' 발열 한국서 잡는다···국내 액체냉각 업체와 협력 모색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58482

엔비디아가 차세대 인공지능(AI)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의 액체 냉각 시스템을

🔥한국에서 공급받기 위해 파트너 물색

엔비디아가 고대역폭메모리(HBM)에 이어 액체 냉각 시스템까지 한국에서 공급받게 되면 AI 솔루션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질 것

"수랭식 냉각방식의 핵심 장비는 냉각분배장치(Cooling Distribution Unit·CDU)인데, 엔비디아는 CDU 기술을 확보하고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국내 기업을 찾고 있다"

🔥엔비디아는 블랙웰의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

직접액체냉각(다이렉트 리퀴드 쿨링·DLC) 방식의 수랭식 시스템을 개발·공급하는 한국 기업을 물색 중

📍국내 액침냉각 관련주 : GST / 케이엔솔 / 워트

탑클래스 투자

21 Feb, 12:17


http://www.sedaily.com/NewsView/2GP227K96T?OutLink=telegram

탑클래스 투자

21 Feb, 12:12


※ 포르쉐 마칸EV와 현대 아이오닉5N 비교를 통해 본 CATL NCM배터리의 문제점.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매우 많은 도움이 되는 영상으로 시청을 추천합니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NCM배터리가 주식시장 및 언론 등에 의해 중국제 배터리(특히 LFP)와 비교되면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는데, 증권가 애널리스트나 투자자들의 소리가 아닌 엔지니어들의 소리도 귀담아 들어보는 것이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마칸EV 사양

플랫폼 : PPE / 모터출력(최대) : 300kw(Macan 4) & 470Kw(Turbo) / 토크(최대) : 833Nm / 회생제동 : 0.4G (240Kw) / 변속기 : Single Speed / 배터리 : CATL NCM811 / 배터리용량 : 100Kwh / 공차중량 : 2,330kg(Macan 4) & 2,405kg(Turbo) / 충전(최대) : 400V charger 150Kw, 800V Charger 270Kw


● 현대 아이오닉5N 사양

플랫폼 : E-GMP / 모터출력(최대) : 478Kw / 토크(최대) : 740Nm / 회생제동 : 0.6G / 변속기 : Single Speed / 배터리 : SK온 NCM9.x / 배터리용량 : 84Kwh / 공차중량 : 2,200kg / 충전(최대) : 400V charger 150Kw, 800V Charger 350Kw


● 마칸 EV와 아이오닉5N 성능 비교

제로백의 의미 : 차가 가속이 빠르고, 잘 선다는 것은 위기상황에 더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독일차들이 제로백을 강조하였음.

마칸EV의 토크가 강한 이유 : 인덕턴스가 큰 모터를 채용하였음.
인덕턴스가 크면 전류를 줄일 수 있는 구간이 길어져 회전속도(RPM)를 올리기에 좋음.
대신 인덕턴스가 크면 전력효율이 떨어짐. 즉, 주행가능거리가 감소하게 됨.
현대가 two-stage 인버터를 사용한 이유는 최적의 밸런스를 원했기 때문.
마칸EV는 큰 인덕턴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음.

또한 마칸 EV는 CATL 배터리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고출력(고 C-rate)을 내기 위해서 배터리 용량(100kw)을 높여야 했음.
배터리 용량 증가는 공차중량 증가로 이어졌으며, 전비 및 내구도에 있어 아이오닉5N보다 좋지 못한 특성을 가지게 됨. (Turbo기준 5N보다 205kg 이상이 더 무거움)



● CATL, NCM배터리의 문제점 (마칸EV용 NCM811)

○ 충전온도


CATL 811배터리의 충전온도 범위가 0도에서 45도임.
LG엔솔과 SK온의 NCM811배터리의 충전온도는 영하 10 - 20도에서 시작.



○ CATL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 열화

CATL의 NCM배터리는 4-5만km 주행 시, SOH가 81%였음.
SK온 NCM811 배터리는 4-5만km 주행 시, SOH가 99.5% 이상임.


CATL의 NCM811은 SOH의 열화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음.
NCM811 RT Cycling 1C-rate : 500사이클에서 SOH 93%, SOH 80% 지점은 약 1,800사이클 / 45도 Cycling 1c-rate : 500사이클에서 SOH 92%, SOH 80% 지점은 약 1,250 사이클

SK온이나 LG엔솔의 NCM811은 SOH 80%시점이 2000사이클 이상이 나옴.

CATL의 NCM811이 낮은 C-rate에서도 수명(사이클)이 매우 낮게 나오는 등, 중국 측 자료를 인용하면 NCM811의 성능이 LFP보다 낮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됨.
중국 업체의 자료로 인해 NCM의 성능이 LFP보다 못하다는 근거자료가 되기도 하면서, 삼원계 배터리에 대한 오해가 생기게 함.

참고로 C-rate가 줄어들면 배터리의 열화속도를 억제할 수 있음.
CATL NCM배터리를 채택한 기아 니로EV, 코나EV는 실사용 구간에서 최대출력을 낼 수 없는 구조로 설계하여, C-rate를 억제하여 CATL배터리의 수명단축 문제를 완화하였음.


○ 이전 CATL, NCM 811배터리의 화재

CATL의 NCM811배터리를 채택하였던 GAC Aion S는 빈번한 화재사고가 발생하였음.
코발트, 망간의 비율이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안정성의 문제를 분리막이 보완해줘야 함.
양극재의 순도 문제, 분리막 기술이 배터리의 화재원인 뿐만 아니라, 화재가 나지 않더라도 배터리 열화의 원인(배터리 수명이 짧아짐)이 됨.


GAC Aion S의 화재 사건 이후, 중국 내에서 CATL의 NCM811을 채택하고 있는 전기차는 없는 상황임.

마칸EV가 불안한 이유는 출력(C-rate)가 4.7C로 매우 높음.
배터리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C-rate가 낮게 유지되어야 함. (저 출력)
화재가 빈번했던 GAC Aion S는 출력 250kw(3 C-rate), 충전 160Kw (2 C-rate)로 마칸 EV보다 매우 낮았음.
포르쉐의 EV전용 플랫폼인 PPE로 인해 배터리 냉각 및 제어가 GAC Aion S보다는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화재가 나는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 다만 배터리의 열화속도는 빠를 수 있음.


○ 회생제동 비교 (마칸EV Vs 아이오닉5N)

마칸 EV의 회생제동은 0.4G(240Kw)인 반면, 아이오닉 5N의 회생제동은 0.6G임. (내부적으로는 0.8G까지 가능하다고 함)
마칸 EV의 회생제동이 0.4G밖에 되지 않는 이유는 CATL의 배터리 때문임.
마칸 EV의 최대 충전전력이 270Kw(2.4C)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마칸 EV의 회생제동도 0.4G(240Kw)에 불과함.

배터리 차이에서 회생제동의 차이가 생겼음.


● SK온 NCM9.x 배터리

SK온 NCM9.x는 현대차그룹과 초기 단계에서부터 공동 개발한 배터리임.
배터리는 자체 성능 뿐 아니라 전기차(실제 주행에서의 퍼포먼스와 각종 데이터 등)와의 궁합이 매우 중요함.

현대차 외에는 볼보 폴스타 5에 NCM9.x가 채택될 예정.


● 겨울철 충전문제

이번에 발생한 미국에서 테슬라 모델3, Y의 겨울철 충전문제는 배터리 차이에서 발생하였음.

SK온이나 LG엔솔의 NCM배터리는 테슬라나 중국 LFP 전기차와는 달리 겨울철 충전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현대차의 신뢰성 테스트 기준은 영하 40도임.
현대차에 납품하는 모든 부품(배터리 포함)은 영하 40도에서 1주일 넘게 버텨야 통과할 수 있음.


실제로 현대 아이오닉 전기차는 배터리 온도가 영하 9도에서도 전비 5.4km를 보여줌.

영하 15도 이하에서는 내연차량도 움직이지 않음.
내연차의 점화는 점화플러그와 동시에 스타트 모터가 함께 작동해야 하고, 이를 작동시키는 것은 12V 납축전지임.
영하 15도 이하에서 납축전지는 작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음.



https://www.youtube.com/watch?v=ugDGRSwzriY&t=1295s

탑클래스 투자

11 Feb, 07:41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부정선거 시스템 확산 ‘사실무근’

https://www.fnnews.com/news/202502111627369738;jsessionid=E8ECE60D305278B09DE557002328613C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52


아일리아시밀러
1) 올해 안에 프랑스, 동유럽, 러시아 등 추가 계약 추진
2) 상반기 : 캐나다, 국내 판매 시작
3) 하반기 : 유럽, 일본 판매 계획
4) 미국 : 2026년 하반기 진입 목표 (미국의 경우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의 63% 차지)

에스패스 (경구용 플랫폼)
1) 세마글루타이드 기반 당뇨약 2월부터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진행 중
2) 2026년 세마글루타이드 경구 제너릭 출시 계획
3) 2027년 경구용 비만 치료제 계약 체결 및 판매 본격화
- 티르제파이드/리라글루타이드 기반 당뇨, 비만 치료제 협의 진행 중
(티르제파이드 기반 당뇨, 비만 치료제 누가 만들게?)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8


[에코프로그룹 4Q24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 - 하나증권 2차전지 김현수, 홍지원]

실적발표자료 : https://www.ecopro.co.kr/sub020403/view/id/1743

<실적 리뷰 및 사업 전망>
1. 에코프로
- 4Q24: 매출액 6,313억원(YoY -57%, QoQ +6%), 영업이익 -1,213억원(YoY 적자전환, QoQ 적자지속)
- 4Q24: 전지재료사업 외판 증가 및 환경사업 호조로 매출액 증가했으나, 비상장 자회사의 재고자산평가충당금 826억원 인식으로 영업손실 증가
- 1Q25: 전지재료 사업부문 판매량 회복 및 수익선 개선 전망
- 2025: 원가혁신, 경영효율화, 인니 진출 통해 IRA 등 외부 리스크 최소화

2. 에코프로BM
- 4Q24: 매출액 4,649억원(YoY -60%, QoQ -11%), 영업이익 -96억원(YoY 적자지속, QoQ 적자지속)
- 4Q24: ESS용 양극재 출하량 감소,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판가 하락으로 매출 감소, 환율 상승으로 재고자산평가충당금 129억원 환입
- 1Q25: 고객사 재고소진 및 신규 EV 출시 등으로 매출 및 이익 개선 전망
- 2025: 주요 고객사향 판매 증가, 신규 OEM향 물량 수주, 가동률 상승 등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 전망

3. 에코프로HN
- 4Q24: 매출액 800억원(YoY +2%, QoQ +43%), 영업이익 76억원(YoY -42%, QoQ +34%)
- 4Q24: 공사성 사업(온실가스, 미세먼지 부문)과 수처리 사업 매출 증가,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전분기 수준 영업이익률 유지
- 1Q25: 계절적 영향으로 일시적 매출 둔화 예상
- 2025: 초평산업단지 가동 시작으로 고정비 부담 늘어나 영업이익률 소폭 감소 예상되나, 하반기부터 수익성 점진 개선 전망

4. 에코프로Materials
- 4Q24: 매출액 881억원(YoY -69%, QoQ +34%), 영업이익 -78억원(YoY 적자지속, QoQ 적자지속)
- 4Q24: 판매량 전분기 수준 유지됐으나,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량 증가로 매출 확대, 재고평가손실 41억원 환입
- 1Q25: 외부 고객사향 전구체 판매량 확대로 매출 증가 전망
- 2025: PT. Green Eco Nickel 인수 및 양산가동을 통해 연결손익 큰 폭 개선 전망

<에코프로 2025년 전망>
- 연초부터 트럼프 취임하며 외부환경 급변
- '25년은 메탈가 안정화되며, 재고자산평가손실 더 이상 수익에 중요한 영향 주지 않을 것
- '25년 현재 재고자산평가충당금 2,340억원 중 70%(1,700억원 수준) 환입 가능성
- 자회사 판매량 증가 전망하며, QMB(인니 제련소) 지분법이익 등으로 수익성 크게 개선 전망

<에코BM 2025년 전망>
- 시장조사기관 EV 성장률 전망치 20% 중반
- 신차출시효과, 고객사 재고소진 영향 등으로 판매량 YoY +40% 예상
- 상당한 수준의 영업이익 개선 전망

<에코Materials 2025년 전망>
- 고객사 다변화 통한 전구체 판매 확대 목표
- 작년 고객사 2곳 확보했으며, 올해 추가 신규 고객사 확보 추진
- BM향 전구체 판매량 회복 전망
- 총 판매량 YoY 큰 폭 성장 예상
- 인니공장 올해 중순까지 인수 완료 목표, 인수 통해 연결손익 반영 되면서 원가경쟁력 강화, 수익성 개선, 탈중국 공급망 확보할 것
- 황산메탈 제련 사업 확대 중으로, 올해 의미 있는 매출 발생 전망

<에코HN 2025년 전망>
- 캡티브향 도가니, 도펀트 물량 출하 시작
- Non-캡티브향 물량은 하반기부터 공급
- 반도체 공정용 출하량 YoY 2-3배 증가 중, 올해 하반기 본격적 매출 상승 전망
- 전공정용 패터닝 소재(2개) 개발 완료, 상반기 중 고객사 평가 완료 및 4Q25 매출 본격 발생 전망
- 환경필터 사업부문 전년 대비 매출 증가 예상(온실가스 부분 상반기 신규 수주 예상)

<Q&A>
1. [미국] IRA 영향
- 당사 직접 영향은 아직 없으나, 정확한 예측 어려운 상황
- 공화당 반대 의견 있어 IRA 전면 폐지는 어려우나, 보조금 축소나 행정명령 변경 불가피해 보임
- 대중국 견제 기조 유지로 전구체 사업 등에서 미국 시장에서 상대적 우위 가질 전망
- 인도네시아 파트너십 등 통해 탈중국 공급망 강화할 것

2. [Materials] 인도네시아 사업(PT. Green Eco Nickel) 전망
- 니켈 생산규모 총 2만톤
- 올해 안 인수 완료 및 니켈 MHP 대량양산 목표
- 연간 매출액 3-4천억, 영업이익 1천억 전망
- 니켈 판매의 50%는 내부거래(일정 부분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해 가격 경쟁력 갖출 것)

3. [Materials] '25년 전구체 판매 가이던스
- 외판 비중 확대 증가 등으로 총 판매량 YoY 2-3배 증가 예상
- '25년 외판 비중: 50% 예상
- 여러 고객사 차이나 리스크 우려하고 있어, 미국/일본/유럽 고객사 샘플 공급 및 사업협력 논의 중
- 신규 고객사 확보 통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

5. [BM] 코스피 이전상장 진행 상황
- '24년 11월 거래소 예비심사 신청
- 현재 실사 진행했고, 거래소에서 상장 심사 중
- 심사 일정 다소 지연 가능성 있음
- 다만, 이전상장에 결격사유 없어, 1분기 말 전후로 승인 전망

6. [BM] 신규 수주 현황
- 업황 둔화 및 고객사 편중 리스크 축소 위해, 기존 고객사의 신규 프로젝트 및 신규 고객 영업활동 강화 중
- 배터리 제조사, OEM과 퀄테스트 진행 중
- NDA에 따라 상세 내용 밝히기 어려우나, 올해 상반기 신규 수주 발생 예상

7. [BM] 헝가리 공장
- 현재 설비 입고 완료/건축물 사용승인 절차 및 설비 시운전 중
- 규모: 총 3라인, 연산 5.4만톤
- 가동시점: 4Q25(1개라인)

9. [BM] '25년 CAPEX
- 총 5천억원(국내설비 및 경상투자 1,500억원, 해외투자(헝가리 등) 3,500억)
- 자금조달: ECA 자금(2,000억), 기보유 현금(5,000억) 등으로 효율적 사용할 것

9. [BM] LFP 사업 현황
- LFP 전구체/무전구체 합성화 방법 동시 개발 중
- 중국 비교해 퀄리티 최고 수준 달성
- 연 3,000톤 규모의 파일럿 라인 통해 2Q25부터 수백톤 단위의 샘플 고객사 납품할 것
- LFP 소재 국산화 위한 국책과제 '24년 10월부터 킥오프 미팅 시작 및 현재 개발 진행 중

10. [지주] 재무 안정성
- '24년 6,200억 규모 자본 조달 성공하며, 부채비율 및 순차입금 의존도 낮췄음
- 헝가리 ECA 통해 한도금융 확보했고, 현금성자산(4분기 말 기준) 9,800억원 있어 재무리스크 없음
- 올해 업황 회복되며, 재무안정성 더욱 강화될 전망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Q24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 - 하나증권 방산/조선 위경재]

<4Q24 실적>
- 매출액 4조8,311억원(YoY +56.0%, QoQ +83.6%)
- 영업이익 8,925억원(YoY +222.1%, QoQ +87.0%)

<주요 내용 및 실적 상세>

i) 지상방산
- 매출 3조3,647억원(수출 1조8,500억원), 영업이익 8,698억원
- 국내사업은 양산 물량 증가, 생산성 향상으로 실적 성장
- 수출 물량 증가, 지역 다변화, 환율 효과 더해지며 실적 성장
- 4분기 폴란드向 K9 자주포 40문, 천무 12대 인도
- 2025년에도 부문 실적 YoY +20% 이상 성장 전망
- 2025년 폴란드 K9 자주포 70문, 천무 50대 이상 인도 예상

ii) 항공우주
- 매출 5,952억원, 영업이익 -460억원(RSP -240억원)
- 군수 사업 관련 충당금, 성과급 등으로 수익성 훼손
- 4분기 GTF 엔진 판매 대수 264대(연간 990대)
- Boeing/Airbus 항공기 인도 대수 2024년 1,114대 (2022년 1,141대, 2023년 1,263대)

- 쎄트렉아이 매출 484억원, 영업이익 12억원으로 2개 분기 연속 흑자 기조 유지
- 한화오션 지분 인수(연결 기준 지분 34.7% -> 42.0%) 통해 한화오션 방산 부문 시너지 확대 계획

<Q&A>
# 방산 수익성
- 2025년에 폴란드 등의 수출 물량 지속 인도되는 과정에서 2024년과 유사한 수익성 예상
- 환효과는 전사 기준 그 효과가 10% 이하

# 한화오션 지분 인수, 자금 조달 필요성
- 한화오션 잔여 지분 1/3 인수 계획 현재는 없음
- 자금 조달 필요성 낮음

# 시너지 효과
- 미 해군 사업 진출 시, 에어로/시스템/오션 각 사 역할/수혜 있을 것

# 비공개 수주
- 계약 상대방의 의지, 거래소 요건에 따라 공시 유보는 어려웠음

# 수출 파이프라인
- 유럽/중동/아태 지역 중심으로 수출 마케팅 중
- 글로벌 국방비 증가 기조 유지되는 한 수주 가능성 계속 열려 있음

# 가이던스
- 지상방산 부문 매출 YoY +20%대 성장 예상(국내/수출 포괄)
- 수출 역시 YoY 성장 전망
- 폴란드 K9 자주포 70문, 천무 50대 이상 인도 전망

# 환효과, 인도 시기
- 10,11월 대비 12월에 소폭 더 인도되긴 했으나 그 차이가 크진 않음
- 환율 효과 제한적. 영업이익 기준 10% 이하 수준 기여

# 지상방산 일회성
- 성과급은 분기별로 충당하기 때문에 4분기 일회성 큰 영향 없음
- 4분기 일회성 크게 없었음

# 지상방산 CAPEX
- 자금 조달 문제 없음
- 2025년 CAPEX 연간 5,000~6,000억원 예상

# 밸류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배당 증가 추세일 것
- 지분 변동 계획은 현재 없음

# 폴란드 K9 자주포 인도
- 폴란드 측이 정한 스케줄에 따라 인도 중
- 2차 계약 물량 인도를 앞당기는 계획은 아직 없음

# 수출 관련
- 납기 이슈 없음
- 종전보다는 국방비 지출이 방산 수주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판단

# 영업외
- 관계기업 투자주식 처분이익 약 1.1조원

# 폴란드 1차 잔여 물량
- 약 70여대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4


#온디바이스AI

반도체 업계가 올해 10월 예정된 '윈도10' 기술 지원 종료에 따른 PC 교체 수요를 기대 중이다. 특히 고성능 메모리칩이 필요한 AI(인공지능) PC도 1억대 이상 출하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고부가 반도체의 수요 증가도 예상된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21014365320155&NTR_P#_enliple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4


방산 : 유럽 방산 현황 + MRO
https://blog.naver.com/dkim0210/223756562386?fromRss=true&trackingCode=rss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3


[유진 IT 임소정] 반도체 소부장 Weekly: 글로벌 실적 기간(2)

✪위클리 소부장 주가 코멘트

국내 소부장 기업들의 주가는 삼성전자의 유리 기판 시장 진출 소식에 관련 서플라이 체인 기업들 중심으로 주가 급등. 관련주들 종합적으로 13% 상승한 가운데 소재사(+28%)와 장비사(+22%) 상승세가 두각. 또한 삼성 파운드리의 미국 고객사 수주 확보 기대감에 OSAT와 팹리스 주가 강세. 다양한 키워드들이 섹터를 주도하는 가운데 발표되고 있는 4분기 실적이 부진함에도 기술 주도 기대감에 주가 움직임 지속될 전망.

✪유리 기판: 필옵틱스, SKC,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솔브레인, 삼성전기
✪삼성 파운드리 chain: 두산테스나, 에이엘티, 네패스, 가온칩스

✪금주의 KEY CHART: 글로벌 소부장 기업들의 실적 발표

실적 발표 기업: Daikin, AMD, Arm Holdings, TEL, Air Products, Qualcomm, Renesas, Linde, Sharp, Air Water, Mediatek

자료 링크: https://buly.kr/G3Cesyj

감사합니다.

임소정 드림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2


https://news.nate.com/view/20250211n00615?mid=n0100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2


안녕하십니까, DS증권 반도체 담당 이수림입니다. 이번 저희 하우스에서 반도체/자동차/신재생 콜라보 인뎁스 자료, '죽느냐 사느냐: 2025 Ver. 배틀로얄'을 발간하였습니다. 반도체 부분 발췌하여 공유드립니다.

📍[반도체] 커스텀 HBM으로 미중 AI 전쟁 돌파

이번 자료에서는 추론 AI 시장의 성장이 실제 메모리 업체 수혜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서버용 추론 ASIC 칩 시장 추정을 통해 점검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추론 비용의 절감에 따라 추론 ASIC 칩의 폭발적인 Q 증가를 전망하며 요구 HBM 성능 향상이 지속되어 커스텀 HBM의 개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는 선두 메모리 업체들의 이익 변동성을 줄여나가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수요 양극화와 중국 경쟁사들의 범용 메모리 시장 위협 속 생존 전략이 될 것입니다.

Top-picks로는 ASIC 칩 설계 수요 증가로 실적 증가가 전망되는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리노공업을 제시합니다. 업무에 도움되시기를 바랍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p-picks
SK하이닉스(매수/290,000원) - 사이클 너머로
이수페타시스(매수/50,000원) - AI 인프라를 그대로 압축시킨 기업
리노공업(매수/290,000원) - ASIC 개발 수요와 이구환신 효과 모두 기대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0


[속보] 반도체기업 세액공제율 5%p 상향…'K칩스법' 기재위 소위 통과

https://m.yna.co.kr/view/AKR20250211110600001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0


2025.02.11 15:37:46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45조 3,821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대표보고 : 더 캐피탈 그룹 컴퍼니스, 인크./미국
보유목적 : 단순투자

보고전 : 5.09%
보고후 : 6.70%
보고사유 : 특별관계자 및 보유비율 변동

* American Funds Developing World Growth and Income Fund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3,352주/-

* American Funds Insurance Series International Fund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30,239주/-

* American Funds Insurance Series International Growth and Income Fund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44주/-

* American Funds Insurance Series New World Fund
2025-01-22/장내매수(+)/보통주/ 16,204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1,040주/-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2,043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0,428주/-
2025-01-31/장내매도(-)/보통주/ -749주/-

* Capital Group American Balanced Fund (LUX)
2025-01-14/장내매수(+)/보통주/ 200주/-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197주/-
2025-01-22/장내매수(+)/보통주/ 435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182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376주/-

* Capital Group American Balanced Trust (US)
2025-01-14/장내매수(+)/보통주/ 1,751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0,333주/-

* Capital Group Emerging Markets Growth Collective Trust (US)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132주/-
2025-01-16/장내매도(-)/보통주/ -4,880주/-

* Capital Group Emerging Markets Growth Fund (LUX)
2025-01-14/장내매수(+)/보통주/ 385주/-
2025-01-16/장내매도(-)/보통주/ -5,368주/-
2025-01-20/장내매수(+)/보통주/ 449주/-

* Capital Group Emerging Markets Restricted Equity Common Trust (US)
2025-01-16/장내매도(-)/보통주/ -9,957주/-

* Capital Group EuroPacific Growth Trust (US)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53,124주/-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65,551주/-
2025-01-17/장내매수(+)/보통주/ 1,396주/-
2025-01-22/장내매수(+)/보통주/ 24,559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8,185주/-

* Capital Group Fundamental Investors Trust (US)
2025-01-14/장내매수(+)/보통주/ 2,135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654주/-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8,515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2,532주/-

* Capital Group Future Generations Global Balanced Fund (LUX)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16주/-
2025-01-20/장내매수(+)/보통주/ 436주/-
2025-01-21/장내매수(+)/보통주/ 16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26주/-

* Capital Group Future Generations Global Opportunities Fund (LUX)
2025-01-20/장내매수(+)/보통주/ 5,864주/-

* Capital Group Global Equity Fund (Canada)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47,564주/-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58,685주/-
2025-01-17/장내매수(+)/보통주/ 1,251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50,000주/-

* Capital Group Global Equity Select ETF (Canada)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29주/-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29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37주/-

* Capital Group Global New Perspective Fund (LUX)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4,401주/-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5,431주/-
2025-01-17/장내매수(+)/보통주/ 116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3,819주/-

* Capital Group Growth ETF
2025-01-21/장내매수(+)/보통주/ 435주/-
2025-01-22/장내매수(+)/보통주/ 990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525주/-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930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9,928주/-

* Capital Group Growth Fund of America Trust (US)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235주/-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12,533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1,101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6,701주/-

* Capital Group International Core Equity ETF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933주/-

* Capital Group International Equity Fund Canada
2025-01-21/장내매수(+)/보통주/ 348주/-
2025-01-23/장내매도(-)/보통주/ -327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335주/-

* Capital Group International Equity Select ETF (Canada)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415주/-
2025-01-22/장내매수(+)/보통주/ 18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32주/-

* Capital Group International Focus Equity ETF
2025-01-13/장내매수(+)/보통주/ 16,121주/-
2025-01-15/장내매수(+)/보통주/ 1,230주/-
2025-01-22/장내매수(+)/보통주/ 2,952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2,091주/-

* Capital Group International Growth and Income Trust (US)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99주/-
2025-01-24/장내매수(+)/보통주/ 254주/-
2025-01-31/장내매수(+)/보통주/ 112주/-

* Capital Group New Economy Fund (LUX)
2025-01-16/장내매수(+)/보통주/ 2,276주/-
2025-01-16/장내매도(-)/보통주/ -314주/-
2025-01-17/장내매수(+)/보통주/ 49주/-
2025-01-23/장내매수(+)/보통주/ 285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000533
주요 지분공시(최근1년) : https://www.awakeplus.co.kr/board/notice/00066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40


●삼성전자 파운드리에 대하여

t.me/triple_stock

1. 삼성전자 파운드리 현황
• 2024년 3분기 기준 시장점유율은 9.3%로 1위인 TSMC의 64.9%와 큰 격차를 보임
• 2024년 누적 영업손실은 5.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됨
• 3나노 공정에서 세계 최초로 GAA(Gate-All-Around) 기술을 도입했으나 수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2. 변화와 희망
• 2025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통해 파운드리 사업부장을 한진만 사장으로 교체
• 한진만 사장은 미국 현지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 대응력 강화에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됨
• 파운드리 사업부에 처음으로 사장급 CTO 보직을 신설하고 남석우 사장을 선임함
• 최근 4나노 공정의 수율이 70%를 넘어섰고 3나노 공정의 수율도 40%를 넘어선 것으로 들리고 있음. 최근 기사에 따르면 2나노 공정의 초기 수율이 30%를 달성했다고 함
• 수율 30%가 중요한 이유는 BEP를 넘어서는 구간이기 때문. 삼성 입장에서는 수율 40% 이상부터 고객 마케팅을 할 수 있고, 고객 입장에서는 수율 70% 정도면 계약 가능한 수준
• 2나노 공정에 후면전력공급 기술인 BSPDN을 적용한 'SF2Z' 공정을 2027년까지 도입할 계획
• 2나노 공정은 2025년 양산 시작 계획이며, 미국 테일러에 신규 파운드리 공장은 2026년부터 가동 시작 예상

3. 고객 영업 현황
• 일본 AI 반도체 스타트업 프리퍼드네트웍스(PFN)로부터 2나노 기반 AI 가속기 수주에 성공
• 국내 한 AI 반도체 기업의 차세대 NPU를 2나노 공정으로 생산하기로 확정함
• 최근 엔비디아와 퀄컴이 TSMC의 2나노 웨이퍼 가격이 너무 높다는 이유로 삼성전자의 2나노 공정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음
• 삼성 파운드리 선단 공정을 활용하는 국내 기업에는 리벨리온, 비전넥스트, 딥엑스가 있음

4. 삼성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파트너사
• 국내 – 가온칩스, 에이디테크놀로지, 코아시아세미, 세미파이브, 알파홀딩스, 위더맥스(신규)
• 중국 – 베리실리콘, 이노실리콘(신규), 조인실리콘(신규)
• 유럽 – 손드렐, 캡제미니(신규)
• 인도 - HCL테크(신규)
• 대만 – 패러데이

4. 국내 수혜 기업
• DSP - 가온칩스, 에이디테크놀로지, 코아시아, 세미파이브(비상장)
• IP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칩스앤미디어
• 부품 - 에프에스티(EUV 펠리클), 에스앤에스텍(EUV 블랭크마스크)
• 기판 - 삼성전기, 대덕전자
• 테스트 - 두산테스나(CIS, SoC 테스트), 네패스아크(PMIC, DDI, SoC 테스트), 리노공업(소켓)
• 소재 - 동진쎄미켐(EUV PR), 솔브레인(초산 에천트)
• AVP 장비 - 이오테크닉스, 피에스케이홀딩스, 와이씨, 파크시스템스, 테크윙
• EUV 장비 - HPSP(고압수소 어닐링), 오로스테크놀로지(오버레이 계측장비), 에프에스티(마스크 패턴 검사장비, 펠리클 탈부착장비)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8


[미래에셋 최유진]
에코프로머티 4Q24 실적 컨콜 요약

4Q24 및 24년 실적

- 24년 연간 매출액 2,998.65억원(-68.5% YoY), 영업이익 -630억원(적자전환)

- 4Q24 매출액 880.95억원(+33.7% QoQ, -53.2% YoY), 영업이익 -78.29억원(+79.7% QoQ, 적자전환 YoY)

- 판매량은 전분기 수준 유지되었으나 산화전구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량 증가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으로 매출 확대

- 낮은 가동률로 인한 고정비 부담은 지속되었으나 니켈 국제 시세 하락폭 축소 및 환율 상승으로 인해 재고평가손실 일부 41억 환입되며 분기 수익성 개선

부문별 매출 비중


- 4Q24 NCA 83%(+71%p QoQ), NCM(-65%p QoQ), 황산메탈(+5% QoQ), 기타(-11%p)

- 24년 연간 NCA 29%(+28%p YoY), NCM 55%(-30%p YoY), 황산메탈(+28%p YoY), 기타 14%(Flat YoY)

- 달러 강세 및 고단가 제품 판매비중 확대로 전구체 판매단가는 전분기 대비 38% 상승

- 황산메탈 판매량 확대를 통한 제련사업 매출비중 확대

1Q25 및 25년 연간 전망

- 외부고객사향 전구체 판매량 확대로 1분기 매출 증가 전망

- PT. Green Eco Nickel 인수완료 및 양산가동을 통해 연결 손익 큰 폭 개선 전망

2025년 영업 전망


- 체질 개선에 중점, 고객사 다변화를 통해 전구체 판매 확대하여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 전망

- 작년에 확보한 2곳의 외국 고객사 대상으로 판매량 확대, 에코프로비엠향 전구체 판매 또한 회복 전망

-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수익성 개선 전망, 올해 중순까지 인도네시아 Green Eco Nickel 지분 인수 완료하여 해당 법인의 최고주주 지위 확보할 것

- RMP 공정 기반 황산메탈 공정 확대, 국내외 고객사 대상으로 판매 예상, 올해 유의미한 매출 성장 전망

Q&A


Q) 인도네시아 프로젝트 매출 현황?

A) 니켈 2만톤 캐파를 보유하고 있는 그린에코니켈 올해 중순까지 인수 예정, 인수 이후 양산 가동 시 연결손익 연간 매출액 3,000~4,000억원, 영업이익 1,000억원 인식 가능할 것. 50%는 내부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그대로 인식 예정, 니켈 NHP는 국제 시세 대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하여 가격 경쟁력 보유할 것.

Q) 25년 전구체 판매량 가이던스?

A) 내부 판매 비중 확대로 작년 대비 증가 전망. 외부 판매 비중 50% 수준 차지 전망, 전년 대비 2~3배 증가 전망. 추가 신규 고객 확보 중, 미국 일본 유럽 파트너스들과 샘플 테스트 및 사업 협력 논의 중.

Q) 전구체 판매 단가 상승 요인?

A) 고단가 산화전구체 비중 확대 영향, 여러 고객사의 수요가 많은 상황. 산화전구체는 기존 수산화전구체 대비 중량이 20% 적어 kg당 판매단가 일부 왜곡 발생. 즉, 판매 단가 상승분 38%의 20%가 이러한 영향이며, 나머지가 환율 및 제품 믹스 영향. 판매량은 20% 증가.


t.me/miraecyj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8


[미래에셋 김철중] 에코프로비엠 4Q24 실적 컨콜 요약

경역 실적


- 24년 연간 매출액 2조 7,668.37억원(-59.9% YoY), 영업이익 -402.05억원(적자전환)

- 4Q24 매출액 4,649.25억원(-10.9% QoQ, -60.6% YoY), 영업이익 -95.52억원(-76.8% QoQ, -91.5% YoY)

실적 분석


- EV, PT 판매물량 반등하였으나 ESS 양극재 출하량의 일시적 감소 및 판가하락으로 매출액 전분기 대비 감소

- 주요 메탈가격은 하락하였으나 분기말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재고자산평가충당금 129억원 환입

부문별 매출 비중

- 4Q24 EV용 62%(+8.8%p QoQ), ESS등 23%(-9.7%p QoQ), 파워툴 15%(-1%p QoQ)

- 24년 연간 EV용 69%(-15%p YoY), ESS등 17%(+14%p YoY), 파워툴 14%(+1%p YoY)

1Q25 및 25년 연간 전망

- 25년 1분기 고객사 재고소진 및 신규 EV 출시 등의 영향으로 4분기 대비 매출 증가 및 이익 추선 개선 기대

- 25년 주요 고객사향 판매 물량 증가 및 신규 OEM향 물량 수주를 통한 연간 매출증가 예상되며, 가동률 상승 및 생산성 향상 효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 전망

2025년 영업 전망


- 25년 EV 시장 성장률 20%중반대로 전망, 기저효과 및 신차 출시 효과로 연간 판매 물량 전년 대비 40% 증가 전망

- 고정비 분산효과 및 원가절감 효과로 연간 상당 수준의 손익 개선 기대

Q&A

Q) 코스피 이전상황 진행 현황
A) 11월 예비 심사 신청 완료, 사업장 실사 이후 현재 거래소의 상장 심사 진행 중. 심사 일정은 다소 지연될 가능성 있으나, 1분기 말 전후 승인 완료 기대.

Q) 양극재 수주 현황
A) 기존 고객사의 신규 프로젝트 진입 및 신규 고객사 영업활동 강화 중, 다수의 셀사와 계약 관련 논의 중이며 상반기 중 유의미한 성과 도출 전망.

Q) 헝가리 공장 가동 시점 및 생산 계획
A) 헝가리 공장은 3개 라인, 연산 5.4만톤 생산능력을 보유하며, 건축 및 설비 입고를 완료하여 건축물 사용 승인 절차 진행 중, 설비 시운전 준비 및 건축물 승인 절차 이후 양산 샘플 생산 예정, 4분기 양산 목표.

Q) 2025년 Capex 집행 계획
A) 총 5,000억원, 국내 설비 개선 및 경상 투자 1,500억원, 헝가리를 포함한 해외 투자 3,500억원 집행. 기확보한 ECA 정책 자금 2,000억원 및 내부 현금 5,000억원 등으로 안정적인 유동성 확보 완료.

Q) LFP 사업 진행 현황
A) LFP 전구체 및 무전구체 합성화 개발 동시 진행 중, 중국 제품과 비교 시에도 최고 수준의 성능 달성, 현재 연산 3,000톤 규모의 파일럿 라인을 가동하여 2분기부터 수백톤 규모의 샘플 공급 예정.
현대제철 및 현대자동차와 협력 중인 건에 관련하여 대학교, 연구소, 기업과의 역할분담을 통하여 LFP 소재 개발 진행 중이며 현지 공급망 구축 노력 중.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8


BYD, 스마트 주행 시스템 무료 제공으로 전기차 가격 경쟁 심화

1. BYD의 스마트 주행 시스템 도입
- BYD가 ‘God’s Eye’ 주행 보조 시스템을 대부분의 모델에 추가 비용 없이 기본 탑재하기로 했다
- 해당 시스템은 10만 위안(약 1만 3,700달러) 이상 차량에 적용되며, Seagull 등 저가 모델에도 포함된다
- Tesla 및 경쟁사들은 유사한 기능을 탑재한 차량을 15만 위안 이상에 판매하며, 별도 활성화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

2. 주가 급등 및 시장 반응
- BYD의 홍콩 주가는 4.5%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시가총액은 1,320억 달러로 Ford, GM, Stellantis를 합친 것보다 커졌다
- BYD의 발표 전 주가가 21% 급등하며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되었다
- Morgan Stanley와 Jefferies는 이번 조치가 BYD에 경쟁 우위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3. 전기차 시장 내 경쟁 구도 변화
- BYD의 이번 결정으로 Tesla, Xpeng, Xiaomi 등 경쟁사들의 대응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 Wang Chuanfu 회장은 스마트 주행 기능이 향후 2~3년 내에 차량의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BYD는 중국 최초로 레벨 3 주행 보조 테스트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4. BYD의 기술 혁신 및 AI 통합 계획
- BYD는 DeepSeek의 AI 소프트웨어를 자사 차량에 통합할 계획이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 2023년 첫 공개된 ‘God’s Eye’ 시스템은 발렛 주차,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자동 제동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중국은 레벨 2~3 수준의 주행 보조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며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5. BYD의 향후 전략
- 2022년부터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에 집중하며 파워트레인 기술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 2023년에는 2,000km 이상 주행 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을 공개했고, 올해 새로운 리튬인산철(Blade) 배터리를 출시할 계획이다
- 새로운 배터리는 더 긴 주행거리, 빠른 충전 속도,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finance.yahoo.com/news/byd-puts-driver-assistance-features-134646052.html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7


GLP-1 계열 약물(오젬픽, 위고비 등)이
낮은 확률이지만 실명 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연구 검토 결과, 오젬픽과 같은 GLP-1 약물이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3가지 안과 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review-3-potentially-blinding-eye-conditions-glp-1-drugs-ozempic-mounjaro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7


중국 열리면 무조건 대박인 이유..

( 2024. 12. 23)
https://youtu.be/lnrhJRFOivk?si=cAkp0E8gQU8gOKYa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7


엔터
더욱 강력해진 삼 박자
신한 지인해

실적+모멘텀+외부변수가 이렇게 조화로웠던 적이…

엔터업종에 대 한 섹터콜/비중확대 유지. 25~26F까지 펀더멘털/실적 + 美/日/中 매크로 외부변수 + IP 모멘텀 + 정부 지원(콘텐츠)까지 가세

현재 신성장 IP들은 제대로 중국을 경험해본 바 없어 중국이 열릴 시, 가장 강력한 수혜가 누구일지는 열어봐야할 것 ⇒ 무차별 수혜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6


우 의장은 “문화 개장을 통해 청년들이 서로 소통하고 우호감정을 갖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며 “한국에서는 중국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문화 콘텐츠를 자유롭게 누리고 있는데 중국에서는 한국 관련 문화 콘텐츠를 찾기 어렵다”고 했다.

이에 시 주석은 “문화 교류는 양국 교류에 매력적인 부분”이라며 “(교류)과정에서 문제가 불거지는 일을 피해야 한다”며 “우리는 좋은 문화교류에 대해 열려 있고 각계각층 한중간 교류가 더 잘 이뤄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는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 방한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고 한한령 해제 또한 유력해진 상황”이라며 “우호적 환경이 조성된 만큼 엔터 업종 수혜가 확실하다”고 했다.

https://sports.khan.co.kr/article/202502101100003

탑클래스 투자

11 Feb, 06:36


2025.02.11 15:27:30
기업명: 피에스케이홀딩스(시가총액: 1조 35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978억(예상치 : 769억)
영업익 : 431억(예상치 : 296억)
순이익 : 421억(예상치 : 28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978억/ 431억/ 421억
2024.3Q 391억/ 143억/ 198억
2024.2Q 405억/ 156억/ 152억
2024.1Q 381억/ 154억/ 190억
2023.4Q 395억/ 140억/ 206억

* 변동요인
HBM 수요 확대 및 Advanced Packaging 시장 성장에 따른 매출 증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64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1980

탑클래스 투자

07 Feb, 12:06


#알리바바 프리마켓 +7% 가까이 급등. 딥시크에 10억달러 투자 한다는 소식. 양사 공식 입장은 부재

阿里巴巴美股盘前突然拉升,现涨超7%。市场传言称,阿里拟10亿美元投资DeepSeek。有媒体向阿里和DeepSeek方面求证,暂未获回应。

탑클래스 투자

07 Feb, 10:12


https://youtu.be/34OMPxlk7wc?si=Q6BGPJK6pnMiXA-R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37


현실에 점점 가까워 지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아틀라스 최초 양산적용은 "2025년 말 싱가포르 공장" 에서 입니다.

Boston Dynamics joins forces with its former CEO to speed the learning of its Atlas humanoid robot | TechCrunch
https://techcrunch.com/2025/02/05/boston-dynamics-joins-forces-with-its-former-ceo-to-speed-the-learning-of-its-atlas-humanoid-robot/?guccounter=1&guce_referrer=aHR0cHM6Ly93d3cuZ29vZ2xlLmNvbS8&guce_referrer_sig=AQAAAIv-YlF9CWhGbENzEZXt6YtKnSD4bn4cbXeV15vSMukfOYZat-4LBauHWU5OJCrAW0juDo_TOFVlHabi9RCCri-ssnt2fz1qdvN-GCWoMYWfWOamHRE8F03tHYmAMs1WjN05HlpZNTFjosLivlEYzR7YfQuOnbq8j5OR8rRqKRx8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32


탑클래스 투자 pinned «https://youtu.be/9ysGKmK5jkA?si=HE7bFoe8L7Tj2H7H»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32


https://youtu.be/9ysGKmK5jkA?si=HE7bFoe8L7Tj2H7H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18


https://v.daum.net/v/20250207175133901?t=m&x_mn=67a5caab037f4a7f19cc9a72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9


한화정밀기계, SK하이닉스에 HBM용 TC본더 이르면 이달 공급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2746

한화정밀기계가 공급할 장비는 HBM3E 16단에까지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TC본더 한 대의 가격은 약 20~25억원으로 추정된다. 한화정밀기계는 이번 계약 수주로 약 400억~500억원 규모의 신규 매출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올해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현재 HBM 생산 라인을 최대치로 가동, 올해 총 60~80대의 TC본더 장비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한화정밀기계의 TC본더 공급량은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8


[iM증권 전유진(정유/화학/에너지)]
[정유화학/기름뿜뿜 Weekly]
★트럼프의 이란 제재, 중국 정유사들에게 가장 부담 될 듯(2/7)

▶️정유: 트럼프의 이란 제재, 중국 정유사들에게 가장 부담 될 듯
- 트럼프, 이란 제재 강화 및 원유 수출량 제로로 만들겠다는 각서에 서명
- 집권 1기에 JCPOA 탈퇴 및 제재 부활시켜 이란 산유량 20년 평균 200만b/d 미만까지 급감(18년 고점 381만b/d)
- 21년 바이든 정부에서 협상 재개 및 제재 완화되며 현재는 330만b/d 내외까지 증가. 양국 협상 가능성은 낮아 이란의 제재 복원 및 산유량 감소 염두에 둬야 할 듯
- 이란 원유 최대 구매처는 중국, teapot에서 주로 소화. 미국 제재선박 입항 금지에 이어, 이란 산유량 감소로 중국 정유사 원가 부담 불가피

▶️에너지: 중국의 미국산 원유/LNG 관세 부과 영향은 제한적
- 미국, 캐나다/멕시코산 25% 관세 부과는 30일 유예했으나, 중국산에는 10% 관세 고수 중
- 그 보복으로 중국도 2/10 이후 미국산 수입품 전반에 10%, 석탄/LNG는 15% 관세 부과 발표
- 그러나 중국은 미국 원유와 LNG 수출에서 5% 남짓 비중에 그치고, 중국 원유 수입에서도 미국산은 2% 불과. 양국 의존도 미미한 만큼 실질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듯
- 현재 미국 내 건설 중인 LNG 터미널도 대부분 유럽 수출 대상이라, 금번 중국의 관세 부과가 미국 LNG 프로젝트에 미칠 영향도 제한적일 전망

<보고서: https://lrl.kr/cWce2>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고 기발간된 자료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7


**인민은행장 : 땡큐..

https://v.daum.net/v/20250207175703054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6


[단독] 테슬라 '옵티머스 양병' 매년 10배씩 늘려…휴머노이드도 치고나간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48036?sid=101

[단독] 최태원의 AI 특명 "휴머노이드 키워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VLYEI8N

로보트로보트🤖🤖🤖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6


[단독] 최태원의 AI 특명 "휴머노이드 키워라"

SK 그룹이 SK텔레콤을 주축으로 한 인공지능(AI) 로봇 사업을 본격화한다. 그룹 계열사의 ‘인텔리전트 팩토리(지능형 공장)’ 구축에 투입될 로봇 기술을 상용화하고, 나아가 향후 범용인공지능(AGI) 기반의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사업에 진출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그동안 여러 차례 AI 로봇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낸 만큼 앞으로 그룹 내 정보통신기술(ICT) 계열사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련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올해 1월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ICT기술센터 내 AI 로봇 연구 조직을 서울 을지로 본사 사업부로 이전했다. 연구 조직의 사업부 편입 조치는 AI 로봇 관련 상용 서비스 출시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해당 조직은 10명 안팎으로 구성된 팀 단위급인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사업 진행 속도에 따라 인력이 추가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VLYEI8N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5


“국산 전기차 보조금 확대” 요구한 현대차…보조금 국수주의 커지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415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5


https://naver.me/GBF2VF5R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4


https://m.yna.co.kr/view/AKR20250207147400083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4


📌 에이비엘바이오(시가총액: 1조 9,047억)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02.07 17:22:30 (현재가 : 39,450원, +3.68%)

보고자 : 이상훈(63년생)/등기임원/대표이사
보고전 : 28.54%
보고후 : 23.47%
변동률 : -5.07%

날짜/사유/변동/주식종류/비고
2025-02-05/ 증여(-)/ -10,000주/ 보통주/자녀에게 증여
2023-01-05/ 증여(-)/ -25,000주/ 보통주/배우자에게 증여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700089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380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4


왜 일라이릴리는 올릭스(Olix)와 계약했을까?

📌이번 올릭스 일라이릴리 계약은 MASH/비만 치료제 OLX75016(OLX702A 물질)입니다.

위 사진을 보면

📌노보노디스크 GLP-1 유사체가 사용하는 Semaglutide(세마글루타이드)와 병용투여 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점이 핵심입니다.

GLP-1 계열 약물이 이미 비만,당뇨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올릭스 OLX75016이 해당 계열과 병용 투여 하게 되면 추가적인 체중 감량,

대사 개선 효과를 기대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속 올릭스 데이터는

1. 단독 투여군에서 OLX702A 2주 1회 투여만으로도 최대 26% 체중 감소 확인(마우스 모델 기준).

2. 노보노디스크 계열 Semaglutide와의 병용 투여 시 단독 투여 대비 체중 감소율이 추가로 높아짐(마우스 10%, 원숭이 5% 수준 추가 감소).

3. 즉, OLX702A가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고, GLP-1 계열 약물(semaglutide)은 식욕 억제와 인슐린 분비 조절을 통해 시너지를 발휘

4. Semaglutide의 가장 큰 효과는 주로 식욕 및 섭취량 억제인데 비해, OLX702A 단독군에서는 에너지 대사가 약 8% 증가

5. 병용 투여 시 섭취량 억제 + 에너지 대사 증가를 동시에 노릴 수 있어 단독 투여보다 효과가 더 큼.

6. 일라이릴리는 세마글루타이드쪽보다 티얼제파타이드(Tirzepatide)쪽을 쓰고 있음.

7. 노보노쪽 세마글루타이드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릴리의 GLP-1/GIP 이중작용 약물 티얼제파타이드(Tirzepatide)와의 병용에서도 유사하거나 더 큰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할 가능성이 있음.

8. GLP-1 단독으로도 시장성을 충분히 확인하였지만 기술발전 진행하면서 병용 요법도 발전하고 있음.

9. RNAi 기반 신약(OLX702A) + 단백질 기반 호르몬제(GLP-1/GIP)는 작용 기전이 달라 부작용 최소화와 효과 가능할수도 있음.

10. 즉, 일라이릴리 입장에서 커져가는 GLP-1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파이프라인을 더 강화하고 차별화 할수 있는 OLX702A를 사용하려는 전략임.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3


작년 이맘때 3나노 수율 거의 제로였는데 2나노 수율이 러프하지만 30%로까지 올랐습니다.

수율 좀 더 올라가고 CNT펠리클 도입되면 더 좋아질거라 생각합니다.

삼파 화이팅!!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3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2061542014040107638

삼성전자가 최근 진행된 SF2(2nm) 테스트 생산에서 예상보다 높은 초기 수율을 거두는데 성공했다. 회사는 올해 하반기 엑시노스 2600 양산을 위해 공정 안정화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와 파운드리사업부는 엑시노스 2600 적기 양산을 위해 관련 리소스를 쏟아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엑시노스 2500 양산이 지연된 상황에서 엑시노스 2600까지 양산이 지연되면 회사의 비메모리 사업이 대규모 영업적자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GAA 3세대 SF2, SF3 대비 공정 안정화 성공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엑시노스 2600 테스트 생산에서 30%대 수율을 확보했다. SF2 공정 안정화를 진행 중인 것을 감안하면 기대치보다 높은 수율이다.

SF2는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가 올해 하반기부터 양산 예정인 공정이다. 3세대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이 적용되는 공정으로 SF3 대비 성능이 12%, 전력효율은 25% 향상되며 면적은 5% 감소한다.

탑클래스 투자

07 Feb, 09:03


2025.02.07 16:17:33
기업명: 올릭스(시가총액: 3,793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제목 :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 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상대방 : Eli lilly and company (이하 릴리)
- 국적 : 미국
- 설립일자 : 1876.05.10
- 최근사업연도(2023) 매출액 : USD 34,124M

2) 계약의 내용
- 올릭스는 OLX75016에 대한 임상 1상 활동을 계속하여 완료하고 릴리는 기타 연구, 개발, 상업화를 수행함.
- 계약체결 후 올릭스는 릴리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2월 7일

4)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제품 로열티 기간 만료일

5) 계약지역 : 전 세계

6) 계약금액 : 총 USD 630,000,000 (911,673,000,000원)
- 계약체결로 인해 받는 선급금 및 이후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과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한 금액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79009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26950

탑클래스 투자

07 Feb, 07:46


(1보)국내 바이오텍 올릭스가 대사이상 지방간염(MASH)과 비만(Obesity) 약으로 개발 중인 화학합성 후보물질 'OLX75016'에 대해 다국적제약사 일라이 릴리에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번 거래 규모는 6억3000만달러(약 9117억원)이며, 이는 선급금과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친 규모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23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7


* 생각보다 커지네요

=========================

~ 이 소식통은 타이난에서 12인치 웨이퍼 제품을 생산하는 14 팹(fab·반도체 생산공장)과 18 팹에서 각각 웨이퍼 약 3만장의 손상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어 첨단 3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와 5나노 공정 제품을 생산하는 18 팹보다는 성숙 공정 반도체을 생산하는 14 팹의 웨이퍼 손상이 더 심각해 향후 전체 손상 물량이 6만장을 넘어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 앞서 대만 공상시보는 이번 지진으로 TSMC의 웨이퍼 손상 규모가 1~2만장 수준일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보다 피해 규모가 커질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난커의 3나노와 5나노 공정 관련 웨이퍼 제품은 엔비디아와 AMD, 인텔 등에 공급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9503?sid=105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5


트럼프가 선전하는 AI의 1000억 달러 스타게이트 벤처, 태양광 발전 활용 예정

1. 개요

-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1000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는 태양광과 배터리 등 청정에너지를 활용할 예정이다.
- SoftBank Group Corp., OpenAI, Oracle Corp.이 참여하는 합작 벤처다.
- 초기 100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내 OpenAI용 데이터 센터 등 인프라를 구축한다.
- 향후 최소 5000억 달러까지 투자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2. 에너지 공급 계획

- SoftBank의 자회사인 SB Energy가 태양광 및 배터리 프로젝트를 개발해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 SB Energy는 디지털 인프라와 발전 설비 구축을 담당한다.
- OpenAI는 원자력부터 배터리까지 다양한 기술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3. AI 산업과 에너지 수요

- AI 붐으로 인해 미국의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천연가스, 원자력, 풍력, 태양광, 배터리 등 다양한 에너지원이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
- 대형 기술 기업들은 비용 절감과 이미지 개선을 위해 오래전부터 청정에너지 사용을 선호해왔다.

4. SB Energy의 실적

- SB Energy는 데이터 센터용 태양광 발전소 건설 경험이 있다.
- 작년 텍사스에 Google을 전력 구매자로 하는 대규모 태양광 단지를 완공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1-23/ai-s-100-billion-stargate-venture-touted-by-trump-will-tap-solar-power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5


BOJ, 2025년 1월 경제 및 물가 전망

1. 경제 현황
- 일본 경제는 완만히 회복 중이며 일부 약세가 관찰되었다.
- 해외 경제는 전체적으로 완만히 성장하고 있으며, 일본의 수출과 산업 생산은 대체로 정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기업 수익은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 투자도 완만히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화, 공급망 강화, 탈탄소화 관련 투자 등이 주요 증가 요인이다.
- 고용 및 소득 상황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민간 소비는 물가 상승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완만히 증가하고 있다.
- 주택 투자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공공 투자는 대체로 정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 물가 현황
- CPI(신선식품 제외)의 연간 상승률은 최근 약 3% 수준으로, 임금 상승과 서비스 가격 상승이 주요 요인이다.
- 과거 수입 가격 상승의 소비자 가격 전이 효과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에너지 가격 상승을 억제하려는 정부의 조치는 축소되고 있다.
- 물가 상승 기대치는 점진적으로 상승했으며, 기업의 가격 설정 행동과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3. 경제 및 물가 전망
- 일본 경제는 잠재 성장률을 웃도는 속도로 성장할 전망이다.
- 실질 GDP 성장률은 2024년 0.5%, 2025년 1.1%, 2026년 1.0%로 예상되며, 이는 전 전망치와 유사하다.
- CPI(신선식품 제외) 상승률은 2024년 2.5~3.0%, 2025년 약 2.5%, 2026년 약 2%로 전망된다.
- 수입 가격 상승 전이 효과가 줄어들지만, 노동 부족과 임금-물가 선순환으로 인해 기초 CPI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정부의 물가 억제 조치가 축소되고, 쌀 가격 상승 등이 물가 상승률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4. 리스크 요인
- 글로벌 경제 및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본 경제와 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 우크라이나 및 중동 상황,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 기업의 임금 및 가격 설정 행동, 환율 변동 또한 물가 전망에 변동성을 줄 수 있다.
-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면서 일부 산업에서는 공급 제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5. 통화정책 운영
- 일본은행은 물가 안정 목표인 2%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조정할 것이다.
- 실질 금리가 현저히 낮은 수준에 있는 상황에서, 경제 및 물가 전망이 실현된다면 정책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예정이다.
- 금융 시스템은 대체로 안정적이나, 장기적으로 저금리에 따른 금융 중개 기능 약화 가능성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것이다.
- 금융 환경과 물가 및 경제 활동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적절히 대응할 계획이다.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5


미국 대통령 3선 허용을 위한 헌법 개정안 하원 발의

1. 헌법 개정안 발의 배경
- 테네시주의 앤디 오글스 의원이 대통령 3선 허용을 위한 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도널드 트럼프가 비연속적으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지 며칠 만에 제안되었다.
- 트럼프가 미국을 재건하기 위해 추가 임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오글스는 바이든 행정부의 실수를 바로잡기 위해 트럼프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기존 22차 헌법 개정안은 대통령의 2선 제한을 명시하고 있다.

2. 헌법 개정안의 내용
- 개정안은 대통령 임기를 세 번째까지 허용하도록 수정하려는 것이다.
- 기존 헌법에 따르면 선거를 통해 두 번 이상 대통령에 당선될 수 없다.
- 개정안은 대통령에 세 번째로 선출될 수 있도록 조항을 수정하려는 것이다.
- 오글스는 이를 통해 트럼프가 필요한 리더십을 발휘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 1947년에 제안되고 1951년에 비준된 기존 22차 개정안은 루즈벨트의 4선 기록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3. 트럼프의 입장
- 트럼프는 3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 이전 발언에서 필요하다면 3선도 고려할 수 있다고 암시했다.
- 트럼프는 헌법 개정을 통해 추가 임기를 가질 가능성에 대해 열린 태도를 유지했다.

4. 추가적인 가능성
- 전문가들은 헌법 개정 외에 다른 방법으로 트럼프가 추가 임기를 가질 가능성을 제안했다.
- 트럼프가 부통령으로 출마한 뒤, 대통령의 사임으로 권력을 이양받는 시나리오가 제안되었다.
- 가족 구성원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 실질적 권한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 헌법 25차 개정안에 따라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부통령이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

5. 정치적 반응
- 헌법 개정안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야당에서는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트럼프와 그의 지지자들은 이를 통해 강력한 리더십을 지속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헌법 개정의 현실적 가능성과 정치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https://www.cnbc.com/2025/01/23/trump-third-term-amendment-constitution-ogles.html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2


“미 해군서 MRO 지속 문의…신규 함정 수주도 도전”-한화오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31822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2


美국무·나토 사무총장 첫 통화…'실질적인 방위비 분담' 논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79017

“트럼프 말이 옳다” 방위비 늘린다는 EU…사우디는 “860조원 투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16982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52


UAE 원전 건설비용 상승 부담 놓고 한전과 한수원 소송전

https://www.mk.co.kr/news/economy/11226439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49


01/23 트럼프, 중국에 관세 부과하고 싶지 않아 언급, 일본 금리인상

폭스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가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고 싶지 않다고 언급. 더불어 시진핑과 '우호적'인 회담을 진행 중이며 관련 회담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발표. 전일 중국은 이미 자신의 1기 때 이후 관세 부과가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하는 완화적인 표현을 해왔던 점에서 시장에서는 관련 기대가 있었던 것은 사실. 그런데 이러한 발언 자체가 시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특히 위안화가 달러 대비 강세를 확대했으며 한국의 달러/원 환율도 관련해서 1,430원을 하회하는 등 원화 강세도 진행. 중국 증시, 특히 홍콩 증시의 강세가 뚜렷해 한국 증시도 우호적인 모습. 그 외 러시아가 전쟁을 지속할 경우 대규모 관세 및 제재를 언급했으며, 북한의 김정은과 접촉 했다고 발표.

이런 가운데 일본의 BOJ가 예상과 부합된 25bp 금리를 인상한다고 발표. 위원들 중 8명이 인상, 1명이 금리 동결을 주장. 더불어 올해 근원 CPI가 1.9%에서 2.4%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일본 잠재 성장률은 약 0.5% 추산, 올해 성장률은 1.1% 유지. 엔화는 변동성을 확대. 이에 달러화의 약세폭이 축소됐으며, 관련 영향을 일부 받아 한국과 중국, 미국 시간외 선물 등도 상승폭을 일부 반납.

탑클래스 투자

24 Jan, 06:48


[삼성SDI 4Q24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 요약]

매출액: 37,545억 원 -4.6% QoQ, -28.8% YoY
영업이익: -2,567억 원 적자전환
중단사업손익(편광필름): 93억 원 +155.0% QoQ, -30.4% YoY
당기순이익: -2,427억 원 적자전환
EBITDA: 2,222억 원 -62.3% QoQ, -70.3% YoY

유동자산: 103,589억 원 +2,288억 원 QoQ, +11,719억 원 YoY
부채: 190,210억 원 +20,113억 원 QoQ, +48,894억 원 YoY
현금및현금성자산: 18,851억 원 +2,633억 원 QoQ, +3,606억 원 YoY
차입금: 116,025억 원 +25,878억 원 QoQ, +58,847억 원 YoY
CapEx: 6.6조 원 +2.3조 원 YoY

배터리 부문 매출액은 수요 약세와 EV 구매 보조금 축소 등으로 성장세 둔화. 주요 고객의 재고 조정으로 매출액 감소. 전동공구 및 마이크로 모빌리티 향 제품은 주택경기 침체 및 소비자 구매력 감소로 매출액 둔화.

주지하듯 ESS의 경우 데이터센터 전략 수요 증가에 따른 미주 전력용 UPS 판매 확대로 최대 분기 실적 기록

전자재료 부문은 메모리 반도체 웨이퍼 투입량 증가해 견조한 반도체 소재 매출액을 기록했으나 디스플레이 소재는 계절적 비수기로 매출액 감소

2024년 주요 성과는 SPE 조기 가동과 GM 과의 JV 계약 체결, 美 에너지부 Loan 승인 등이 있음. 전고체 배터리 샘플 단계 상향했으며 납품 고객사는 5곳으로 확대하며 핵심 소재 내재화 성공. 46파이 배터리 수주 협력을 강화했고 미국 3대 ESS IPP 업체와의 파트너십 확대 및 IT 고객사 플래그십 전기종 First-In 진입하는 등 성과 달성

2025년 시장 전망은 대체로 부정적. 미국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21% YoY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 내 전기차 관련 혜택 축소, 유럽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완화 리스크 및 소비자 수요 감소하며 시장 회복 지연 가능성 존재. Volume/Entry 급 차량 판매량이 증가하며 중국 업체들과의 가격 경쟁은 심화될 것

ESS 제품은 AI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라 전력용/UPS 수요 증가에 북미 중심으로 +14% YoY 성장 기대. 미중 갈등으로 한국 업체들의 ESS 배터리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
소형 배터리(E-Scooter 등)는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 예상되나 전동공구 및 E-bike 제품은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수요 회복 지연 전망

전자재료의 경우 반도체 소재의 안정된 성장이 전망되며 디스플레이 소재는 IT/모바일 OLED 패널 기반으로 소폭 성장할 것

2024년 배당 정책은 보통주와 우선주 각 0.4%, 0.7%. 기본 배당 1천 원에 더해 당해 연도 FCF 5~10% 추가 배당할 것이나 2027년까지 FCF의 적자 지속이 전망되어 2025년부터 2027년 3년간은 현금 배당 미실시 예정

[삼성SDI 4Q24 Q&A]

Q1) 4분기 1회성 비용 수준
A1) 일부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감과 품질 관련 충당금이 해당. 상세한 내용 공개 어려우며 1회성 비용 제외 시 자동차 전지 기준 Low-Single 수준

Q2) 2025년 예상 실적
A2) 자동차 전지뿐만 아니라 전동공구용 수요 약세 지속 예상. 고객사들은 재고조정 우선 진행해 단기간 실적 회복 어려울 것. 전사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 점진적 개선세 나타낼 것

Q3) CapEx 계획
A3) 시장 상황 고려해 재점검할 것. 보수적인 기조 하에 기존 라인 활용해 신규 증설 비용을 축소하거나 일부 투자는 지연하는 등 효율화 작업 진행 중. 결론적으로 2024년 대비 투자 금액은 감소할 것. 다만 GM JV, 전고체, LFP, 46파이 등 중장기 사업에 대한 개발 및 투자는 지속할 것

Q4) 2025년 AMPC 예상 금액
A4) Stellantis JV는 작년 12월 조기 가동 실행. 기존 양산 라인과 동일한 품질을 갖춰 Full 가동 진행 중. 연내 구체적인 AMPC 가이던스는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고객사와의 물량 협의 등 논의 이후 전달 예정

Q5) ESS 증설
A5) 현재 ESS CAPA의 90% 수준에 달하는 수주 확보한 상황. 미주 지역의 ESS 수요는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여 생산 라인 효율화 및 전기차용 라인을 전환해 전년 대비 생산 능력 20% 증량할 것. 대용량 LFP 셀 탑재된 SBB2.0 제품 출시해 수주 확대에 집중할 계획. 중장기 수요 대응을 위해 현지 생산 거점 검토 중이며 구체화 시점에 공유 예정

Q6) 원형배터리 실적 개선 대응
A6) 미국 주택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수요 부진한 상황. 고출력 신제품 출시해 확판 목표 및 E2W 시장 진입 예정. OPE(Outdoor Power Equipment) 공급과 함께 하이브리드 모델 향 수주 확보와 더불어 연내 1분기 46파이 양산 예정

Q7) 전자재료 사업부의 제품별 전망
A7) 반도체 소재 시장은 AI 수요 견조해 안정된 성장 전망. 중국 반도체 업체로 인해 공급 과잉 리스크 존재하며 이에 따른 생산량 감축 영향이 있을 수 있음. 디스플레이 시장은 OLED 패널사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소폭 성장할 것

감사합니다!

t.me/EvAtZchuno

탑클래스 투자

24 Jan, 01:43


<오늘의 실적발표>

[한화오션]
2pm, 오픈컨콜

홈페이지 링크: https://www.hanwhaocean.com/

컨센서스 매출액 2조 9,821억원, 영업이익 1,152억원

탑클래스 투자

24 Jan, 01:41


LG전자의 로봇 관련 자회사
 
 • 로보스타: 산업용 로봇 제조 기업으로, 로보스타를 인수하여 지분 33.4%를 보유
 • 로보티즈: 로봇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지분 10.12%를 보유
 • 베어로보틱스: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스타트업으로,  지분 21% > 51%를 보유
 • 엔젤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 전문 기업으로, 지분 7.22%를 보유

탑클래스 투자

24 Jan, 01:41


LG전자,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로봇 사업 혁신 가속

LG전자가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의 경영권 확보를 통해 미래 먹거리인 로봇 사업의 경쟁력 제고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美 실리콘벨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이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축, 다수 로봇을 최적화한 경로로 움직이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등 분야에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2024년 3월 6천만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하고,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하며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한다. 하정우 CEO를 비롯한 베어로보틱스 주요 경영진은 유임해 기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한편, LG전자에서도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상업용 로봇 사업 시너지 창출에 매진한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통해 상업용 로봇 시장을 공략하는 동시에, 고객을 이해하는 공감지능과 가전사업을 영위하며 축적한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가정용∙산업용 로봇 사업도 강화한다.

먼저 가정용 로봇 분야는 업계 최고 수준의 생활가전 기술력을 갖춘 HS사업본부에서 총괄한다. 가정용 로봇이 공감지능을 통해 가족 구성원의 상태를 정교하게 인식하고, 이에 맞춰 가전제품과 서비스를 매끄럽게 연결하는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연내 출시 예정인 이동형 AI홈 허브가 대표적이다. Q9은 두 다리에 달린 바퀴와 자율 주행 기술과 음성∙음향∙이미지 인식 등을 접목한 멀티모달(Multi Modal) 센싱을 통해 집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자와 소통하고 집안의 가전과 IoT 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제어한다. 카펫이나 바닥의 장애물을 자연스럽게 넘는 섬세한 움직임, 디스플레이로 표정을 표출해 풍부한 감정표현도 가능하다.

보다 자연스럽게 고객과 대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 기술도 탑재했다. 다양한 억양, 발음, 구어체적 표현까지 알아듣는 탁월한 소통 능력으로 CES 2025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지난해 말 덴마크 오덴세에서 열린 세계 최대규모 로봇 콘퍼런스 ‘로스콘 2024’에서는 Q9 개발자를 위해 SW 개발 키트를 공개하며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생산기술원의 스마트팩토리 사업 주축인 산업용 로봇은 인공지능∙디지털전환 등과 접목해 본 사업의 조 단위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수직다관절로봇’은 카메라∙레이더∙라이다 등 센서로 주변 환경을 인식, 효과적으로 움직이며 자재를 공급하는 동시에 로봇 팔을 활용한 조립, 불량검사 등이 가능해 다양한 작업을 끊김 없이 자동화 할 수 있다.

LG전자 로봇사업의 방향성과 관련해 조주완 CEO는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 기자간담회에서 “로봇은 명확한 미래”라며 “현재 집중하고 있는 F&B∙물류 배송로봇을 넘어 이동형 AI홈 허브 등 가정용 로봇도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 CSO 이삼수 부사장은 “이번 추가 투자는 ‘명확한 미래’인 로봇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LG전자의 확고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등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https://www.point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246

탑클래스 투자

24 Jan, 01:40


증권사들은 올해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이 삼성전자 전체 사업 부문 영업이익 규모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외 36개 증권사의 전망치를 보면 SK하이닉스의 올해 영업이익으로 평균 34조6900억원을 제시했다. 삼성전자 전사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37조2460억원이다. 두 회사의 영업이익 격차가 지난해 9조2600억원에서 올해 2조3000억원으로 좁혀질 것으로 봤다. NH투자증권 등 일부 증권사는 SK하이닉스의 올해 영업이익이 삼성전자 전사 영업이익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9396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탑클래스 투자

24 Jan, 00:54


GM의 다음 상업용 EV는 현대의 리브랜딩이 될 수 있다
https://vo.la/wKmXOM

탑클래스 투자

24 Jan, 00:54


https://naver.me/Fjb9hfDa

탑클래스 투자

24 Jan, 00:54


[현대차증권 자동차/모빌리티 장문수]
현대차(005380)
BUY/TP 330,000(유지/유지)
Make the Automobile Great Again

□ 투자포인트 및 결론
- 4Q24 영업이익은 2.82조원(-18.8% yoy, OPM 6.1%) 기록하며 당사 예상 2.9조원 부합, 컨센서스 17.6% 하회. 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판매보증충당금 7,700억원 증가가 주요 사유
- 미국 정책 불확실성에도 사업목표 가정환율 1,300원/달러 중반 고려 시 추가 이익 개선 여력 높고,상반기 중 GM 협업 계약(공동구매, 상용 리벳징 등) 완료 시 주가 할증 요인 가중 전망.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30,000원 유지

□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4Q24 Review: 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판매보증충당금 상승 효과 제거 시 시장 기대 부합
1) 매출액 46.6조원(+12.0% yoy, +8.6% qoq), 영업이익 2.82조원(-18.8% yoy, -21.2% qoq, OPM 6.1%), 지배순이익 2.28조원(+2.5% yoy, -25.1% qoq) 기록, 영업이익기준 당사 추정치 2.96조원(OPM 6.9%)에 부합했으나 컨센서스 3.424조원(OPM 7.6%)를 17.6% 하회
2) 요인: 환율 효과의 역풍, 판매보증충당금 급증
- 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판매보증충당금 7,700억원 증가로 전년동기비 17.2% 감소. 물량 360억원, 금융1,650억원 증익, 환율 3,200억원, 믹스/인센티브 4,250억원, 기타 420억원 감익 영향. 충당금 증가 7,700억원 제외 시 3.592조원으로 증익
- Key Takeaways: 더욱 강력해지는 경쟁 우위와 수익성 방어 지속
1) 경쟁 우위 기업간 협력 강화 수혜: 유연한 생산 능력, 全 친환경차 구동기술 보유, 정치/지정학적 리스크 완화할 거점/상품 다변화, GM, Waymo, 도요타 등 경쟁력 있는 업체와 상호 보완적 협력 관계 구축으로 전략적 경쟁 우위 강화. 상반기 GM과의 바인딩 계약 완료 기대
2) 수익성 방어 역량 지속: 경쟁사 대비 유연한 전략과 경쟁 우위가 수익성 창출 능력 지속. 믹스 개선과CAPA 확대로 볼륨 증가, 시장 수요 편승 포트폴리오, 원가 절감으로 수익성 개선세 지지, 차별화된 이익 창출능력이 지지 전망. 환율 수준 고려 시 관세 등 부정 요인 상쇄

□ 주가전망 및 Valuation
- 2024년 확정 실적 하 주주환원(TSR 35%, 배당성향 25%, 3년간 4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으로 수급환경 개선. 경쟁환경 고려 시 양호한 가이던스(매출액 3~4% 증가, OPM 7~8%), 영업이익 환산 시12.6조원~14.6조원으로 -11.3%~+2.4% 증가 목표. 1,300원/달러 중반 가정 감안 시 저평가 지지
- 2025년 펠리세이드 등 HEV 신차, 신규 공장 확대가 주가 상승 지속 지지. 美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완화, GM 협업을 통한 시너지로 미국 내 협상력 강화 가능성도 주가 상승 요인

* URL: https://buly.kr/15O8zGA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24 Jan, 00:54


모듈부분 영업이익률이 1.8%로 서프라이즈 주요 사유.
비용 회수, 원가 절감 등 손익활동 개선에 근거
A/S부문은 환율 영향으로 수익성 강세 지속

탑클래스 투자

24 Jan, 00:54


현디니모비스

탑클래스 투자

23 Jan, 23:46


[한화투자증권 반도체 김광진]

★ SK하이닉스(000660/Buy) - 전통 수요처 부진보다 AI 시장 성장세에 집중
-link: https://vo.la/VJvgTa

4Q24 Review : HBM의 진가가 또 한 번 확인된 분기
-4Q24 실적은 매출액 19.8조원(+12% QoQ), 영업이익 8.1조원(+15% QoQ)으로 당사 추정치와 시장 기대치에 부합. PC, 스마트폰 등 전통 수요처 수요 둔화 영향이 있었으나 HBM을 중심으로 한 AI 서버향 디램 판매가 호실적의 기반이 된 것으로 평가. 실제 전통 수요처의 영향이 큰 낸드 출하량과 가격은 전분기 대비 각각 -5%, -7% 하락했으나, 디램은 전통 수요처 부진에도 불구 출하량과 가격이 각각 +7%, +10% 상승한 것으로 추정. AI 서버 시장에서의 높은 점유율 효과에 기인하며,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한 실적 달성의 주 요인. HBM3E 8단 제품 판매 증가와 12단 제품 판매 개시로 HBM 매출 비중은 전체 디램 매출의 약 40%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파악

전통 수요처 부진보다 AI 시장 성장세에 집중
-다소 낮은 1Q25 출하량 가이던스에서도 확인되었듯 전통 수요처 수요 부진 영향은 불가피. 향후 2~3개 분기동안 동일한 기조 지속될 전망. 4Q24 재고 조정에도 불구 PC, 스마트폰 주요 고객들의 메모리 보유 재고 레벨은 여전히 정상 수준 대비 1.5~2배 가량 높은 수준이기 때문
그러나 시장은 전통 수요처 부진보다 AI 시장의 성장세에 좀 더 집중하기 시작. AI서버 수요는 여전히 강세이며 주요 CSP들의 투자기조도당초 예상대비 오히려 상향 추세. AI 시장에서의 성과가 올해 실적과 주가의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것이며 결국 HBM 주도권이 핵심. 후발주자들의 노력에도 불구 여전히 HBM 시장에서의 동사 독주는 지속되고 있으며, 올해부터 기존 주요 고객 엔비디아 외 주요 ASIC 고객들로도 본격적인 매출 확대 예상되는 점은 고무적

목표주가 28만원으로 상향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5만원에서 28만원으로 상향. Target P/B를 2.0배에서 2.2배로 상향한 데 기인. 전통 수요처 수요 부진은 이제 알려진 악재가 되어가고 있으며, AI 서버 수요가 지속 상향되는 점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수요 양극화 심화 구간에서 시장은 동사의 HBM 시장 주도권에 대한 프리미엄을 더욱 높게 반영할 것으로 판단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탑클래스 투자

23 Jan, 23:46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6295

#SK하이닉스 #데이터센터

SK하이닉스의 실적 랠리를 이끈 또 다른 주인공은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주로 들어가는 ‘낸드플래시 시장의 AI반도체’로 불리는 바로 그 제품이다.

SK하이닉스는 23일 콘퍼런스콜에서 “지난해 eSSD 매출이 전년 대비 30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eSSD는 낸드플래시 기반의 대용량 저장장치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탑클래스 투자

22 Jan, 07:04


현대차, 2030년까지 수소전기 통근버스 2천대 공급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234115

탑클래스 투자

22 Jan, 06:38


1월 22일 장 마감 전 뉴스

'트럼프 시대, 태양광은 영향 없어…해상풍력·그린수소 타격'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SJ654AO/GA10

위고비, 당뇨병 동반 비만 관련 심부전 환자 혈당에 상관없이 증상 개선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44969

"트럼프, 美기업 차별국가에 '2배과세' 엄포…글로벌 최저한세도 탈퇴"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22_0003041701

포스코DX, 산업용 AI·로봇으로 '인텔리전트 팩토리' 집중
https://www.fnnews.com/news/202501221333190545

HD현대일렉트릭, 튀르키예 이스탄불 '상수도 프로젝트' 참여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2428

2조 규모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공모…2027년 개소
https://www.etnews.com/20250122000279

강스템바이오텍, 글로벌 톱 제약사와 사업화 논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209455647271


[자료 출처]

https://t.me/TNBfolio

탑클래스 투자

22 Jan, 03:05


트럼프의 EV 규제 완화, 필수 광물에 대한 수요 억제 없을 것으로 예상
https://vo.la/hSwTij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53


<트럼프의 첫 행정명령: 인플레이션 경계>
 
보고서 링크: https://han.gl/oaL9R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트럼프의 첫 행정명령이 집중된 분야는 이민, 관세, 에너지
 
보편적 관세 우려 완화: 시장이 우려했던 10% 관세 부과는 발표되지 않았음. 2/1일부로 멕시코, 캐나다에 25%, 중국에 10% 관세 부과 발표됐지만, 영향력은 제한적
 
1) 지난 11월 트럼프가 언급한 수준이고, 2) 상대국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이 분명하기 때문. 캐나다, 멕시코(이민, 마약), 중국(틱톡)
 
보편적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배경에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작용한 모습. 에너지 생산 증진 정책도 미국 소비자들의 에너지 가격 부담을 낮추려는 목적도 함유
 
이런 우려를 감안하면 보편적 관세 부과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판단. 다만 얻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한 국가들에 대한 관세 위협은 더 이어질 가능성
 
이민 정책 강화: 남부 국경에 군사력을 동원하는 한편, 미국의 난민 신청 프로세스를 전면 중단. 불법 이민 노동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농업, 건설, 서비스 분야에 일부 타격 예상
 
에너지 생산량 증진: 미국내 생산량을 늘려 소비자들의 에너지 가격 부담을 낮추고, 에너지 수출을 촉진하는 정책 발표.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추 개발을 불허한 구역을 풀어주고, LNG 수출 허가를 재개
 
주식 시장 영향: 주식 시장은 트럼프의 정책 방향을 긍정적으로 받아드린 모습. 관세 우려 완화되며 달러도 소폭 하락
 
앞으로도 강한 정책 드라이브를 예상. 첫날 발표된 26개의 행정명령은 역대 대통령들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많은 양. 원하는 정책을 빠른 시일내에 추진하고 싶다는 의지 반영
 
정책 드라이브에 따른 변동성에 유의. 트럼프 에너지 정책 수혜 분야인 전력기기, 원자력, 천연가스에 주목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8


4대 K팝 기업의 2025년 전략

### 하이브 (HYBE)
- 방탄소년단 (BTS): 2024년 중 모든 멤버가 군 복무를 마치고, 2025년 컴백이 예상됨. 2026년 투어 등 활동을 위해 2025년 앨범 발매 예정. 완전체 컴백 시 상당한 매출 기대되지만, 타 아티스트들의 성장으로 매출 비중은 과거보다 낮아질 전망.
- 다양한 아티스트 활동: 세븐틴, 엔하이픈,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르세라핌, 아일릿, 보이넥스트도어, 투어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활동 전개 예정.
- 신인 걸그룹 론칭: 쏘스뮤직과 플레디스에서 신인 걸그룹 데뷔 예정.

### SM 엔터테인먼트
- 창립 30주년: 2024년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며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
- 에스파 (aespa): 멜론 역대 최장 1위 기록으로 그룹의 스토리와 매력 증명.
- 신인 그룹: 라이즈, NCT 위시 등 신인 남자 아이돌 그룹 성공적 데뷔. 2025년 신인 걸그룹 데뷔 예정.
- 30주년 프로젝트: 50여 팀이 출연하는 SM타운 라이브 개최 및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악 발매 예정.

### JYP
- 3분기 실적: 매출 1705억 원, 영업이익 484억 원 기록. 스트레이 키즈, 트와이스, 있지, 엔믹스, 데이식스 등 아티스트들의 국내외 활동 증가로 성과 달성.
- 스트레이 키즈: 여섯 번째 앨범 HOP 빌보드 200 1위 데뷔, 역대 최초 여섯 앨범 연속 1위 기록.
- 신인 그룹 데뷔: 킥플립 1월 20일 첫 앨범 발표 예정.
- 중국 시장 진출: 2025년 중 중국 시장 본격 진출 예정. 텐센트 뮤직과 협력해 중국 서비스 시작.

### YG
- 블랙핑크: 완전체 컴백 및 월드투어 확정. 이전 투어 BORN PINK가 180만 명 관객 동원, K팝 걸그룹 사상 최대 규모 기록.
- 트레저: 최근 컴백 및 월드투어 예고.
- 베이비몬스터: 초동 68만 장 기록으로 팬덤 강화.
- 신인 그룹 데뷔: 한국, 일본, 태국에서 신인 그룹 데뷔 예정.
- IP 사업: YG 플러스를 통한 음원 유통 사업 강화로 매출 기여.

https://billboard.co.kr/editorial/music/article/2025-k-pop-hybe-sm-yg-jyp-entertainment/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7


●트럼프와 우주산업 (feat. 일론 머스크)

t.me/triple_stock

• 트럼프와 우주 산업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중심에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있음. 스페이스X의 중요성은 우주 개발이 공공에서 민간으로 넘어오는 일명 ‘New Space’ 시대로의 전환에서 큰 기회를 잡았으며, 수많은 스타트업을 탄생시키게 하여 우주산업 생태계를 크게 확장시킨 역할을 했다는 점

• 오바마 정부에서 2011년 NASA의 우주왕복 사업을 폐지하고 2010년 NASA의 컨스털레이션 프로그램이란 유인 화성 계획을 폐지하고, 민간업체를 통해 국제우주정거장에 이르는 편이 전망이 있겠다고 판단함

• 트럼프 정부 1기동안 우주 정책은 미국의 우주 탐사와 국방 우주력 강화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됨. 2017년 6월, 미국의 민간, 상업, 국방 우주 정책을 조율하기 위해 1993년 이후 중단되었던 국가 우주 위원회(NSC)를 부활시킴. 2019년 12월, 미국 국방부는 ‘우주군’을 창설하여 우주에서의 국방 역량을 강화함(1947년 공군 설립 이후 처음으로 독립 군종 창설). 2017년 12월, 우주정책지침(SPD)을 발표하고, 2019년 3월, 유명한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발표함. 그리고 2020년 10월, 임기 마지막에 아르테미스 협정(미국과 7개 국가)을 발표하고 NASA가 주도하여 국제 파트너들과 함께 달 탐사와 관련된 행동 지침 및 협력 원칙을 정리함

• 트럼프 취임식에서 미국의 ‘운명적 사명’으로 화성에 성조기를 꽂겠다고 언급.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 NASA는 화성이라는 공동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게 됨. 그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정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DOGE(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를 설립함. 트럼프는 1기에서 뿌려놓은 우주 정책의 씨앗을 회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칠 가능성인 높으며, 그 중심에는 일론 머스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

• 트럼프 정부의 목표는 안정적인 미국 경제의 성장에 있는데, 문제는 2016년 1기 때와 달리 높아져 있는 정부부채에 있음. 2016년 당선 당시는 정부지출의 부담이 지금보다 크지 않았기 때문에 재정정책을 편하게 펼칠 수 있었음. 하지만 지금은 이미 높아져 있는 정부부채와 금리로 인해 무리한 재정정책을 펼치기 어렵기 때문에 정권 초반에는 효율화 작업에 집중할 것. 일론 머스크의 역할은 DOGE의 수장으로서 행정을 효율적으로 축소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 우주 산업에서 NASA의 기존 원가가산 방식을 민간 중심의 성과 보상 방식으로 전환, 기술 혁신을 통해서 비용을 줄이고, 수익화를 앞당겨 민간으로의 낙수효과를 유도해 산업 전반적인 비용효율화를 추구할 것

• 여기서 투자 아이디어는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는 민간으로의 New Space 시대를 본격 앞당길 것이며, 이의 낙수효과가 다른 국가로도 확산되며 민간 우주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가 확대될 것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7


[반.전] 스타게이트의 기술 파트너 Arm과 엔비디아, 그리고 또 어디?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오픈 AI, 오라클, 소프트뱅크 주도하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AI 인프라에 4년 간 5천억 달러 투자) 발표로, 상승 마감했던 반도체 주들이 시간외로도 상승 중입니다.

무려 2024년 전 세계 상위 7개 hyperscaler들의 CAPEX 소계 (2.3천억 달러; FactSet)의 두 배가 넘는 금액입니다.

우선 '기술 파트너'로 언급된 Arm과 엔비디아에는 당연히 긍정적 뉴스입니다.

상위 클라우드업체들은 모두 커스텀 AI 반도체를 설계한 반면, 오라클은 엔비디아 GPU를 대체할 커스텀 반도체를 안하고 있습니다.

Arm은 이의 동반 수혜입니다. 엔비디아가 Blackwell 부터는 Grace CPU를 결합한 GB200 보드, 그리고 GB200 보드들로 구성된 서버와 서버 랙을 주력으로 하는데요,

Grace CPU는 Arm IP를 기반으로 하기에, Arm의 침투율도 같이 상승하겠습니다. 5년 전 엔비디아의 Arm 인수 시도가 돌이켜 보면 정말 아찔하네요...

딱히 언급된 업체들은 아니지만 1) 브로드컴, 2) DRAM 3사, 3) TSMC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1) 브로드컴: 현재 오픈AI와 커스텀 AI 반도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기정사실화된 상태입니다. 신규 설계-테이프아웃-양산-출하까지 족히 1년 반에서 2년 이라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번 4년짜리 프로젝트의 잠재 수혜주로 볼 수 있습니다.

2) DRAM 3사: GPU 수요 = HBM 수요입니다. 오픈 AI가 향후 커스텀 반도체로 갈아타도 HBM은 탑재될 겁니다. 엔비디아 외로도, 대형 고객사가 생길 예정이니, 협상력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겠고, 또 엔비디아 점유율이 높지 않은 업체들에게는 새로운 기회입니다.

3) TSMC: 엔비디아 GPU와 엔비디아 GPU의 경쟁 제품들 모두 TSMC가 만듭니다. 현재 개발 중인 커스텀 AI 반도체의 파트너사들로는 브로드컴, 마벨과 대만의 Alchip, GUC가 있는데, 모두 TSMC에만 서버 제품을 위탁해 왔습니다. 여전히 가장 편안한 선택지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1/22 공표자료)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7


‘바다 위 원전’ 속도 내는 조선사들…삼성重 SMR 개념설계 진행


https://naver.me/FzSuFbVv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7


대중 관세 발표됐지만 시장은 크게 우려하지 않는 모습. 원화 환율도 안정적. 10%는 지난 11월에 예고한 수준이고, 중국도 최근 유화적인 모습 보이는 중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7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953636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37


[반.전] 스타게이트의 기술 파트너 Arm과 엔비디아, 그리고 또 어디?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오픈 AI, 오라클, 소프트뱅크 주도하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AI 인프라에 4년 간 5천억 달러 투자) 발표로, 상승 마감했던 반도체 주들이 시간외로도 상승 중입니다.

무려 2024년 전 세계 상위 7개 hyperscaler들의 CAPEX 소계 (2.3천억 달러; FactSet)의 두 배가 넘는 금액입니다.

우선 '기술 파트너'로 언급된 Arm과 엔비디아에는 당연히 긍정적 뉴스입니다.

상위 클라우드업체들은 모두 커스텀 AI 반도체를 설계한 반면, 오라클은 엔비디아 GPU를 대체할 커스텀 반도체를 안하고 있습니다.

Arm은 이의 동반 수혜입니다. 엔비디아가 Blackwell 부터는 Grace CPU를 결합한 GB200 보드, 그리고 GB200 보드들로 구성된 서버와 서버 랙을 주력으로 하는데요,

Grace CPU는 Arm IP를 기반으로 하기에, Arm의 침투율도 같이 상승하겠습니다. 5년 전 엔비디아의 Arm 인수 시도가 돌이켜 보면 정말 아찔하네요...

딱히 언급된 업체들은 아니지만 1) 브로드컴, 2) DRAM 3사, 3) TSMC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1) 브로드컴: 현재 오픈AI와 커스텀 AI 반도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기정사실화된 상태입니다. 신규 설계-테이프아웃-양산-출하까지 족히 1년 반에서 2년 이라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번 4년짜리 프로젝트의 잠재 수혜주로 볼 수 있습니다.

2) DRAM 3사: GPU 수요 = HBM 수요입니다. 오픈 AI가 향후 커스텀 반도체로 갈아타도 HBM은 탑재될 겁니다. 엔비디아 외로도, 대형 고객사가 생길 예정이니, 협상력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겠고, 또 엔비디아 점유율이 높지 않은 업체들에게는 새로운 기회입니다.

3) TSMC: 엔비디아 GPU와 엔비디아 GPU의 경쟁 제품들 모두 TSMC가 만듭니다. 현재 개발 중인 커스텀 AI 반도체의 파트너사들로는 브로드컴, 마벨과 대만의 Alchip, GUC가 있는데, 모두 TSMC에만 서버 제품을 위탁해 왔습니다. 여전히 가장 편안한 선택지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1/22 공표자료)

탑클래스 투자

22 Jan, 02:29


4대 K팝 기업의 2025년 전략

### 하이브 (HYBE)
- 방탄소년단 (BTS): 2024년 중 모든 멤버가 군 복무를 마치고, 2025년 컴백이 예상됨. 2026년 투어 등 활동을 위해 2025년 앨범 발매 예정. 완전체 컴백 시 상당한 매출 기대되지만, 타 아티스트들의 성장으로 매출 비중은 과거보다 낮아질 전망.
- 다양한 아티스트 활동: 세븐틴, 엔하이픈,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르세라핌, 아일릿, 보이넥스트도어, 투어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활동 전개 예정.
- 신인 걸그룹 론칭: 쏘스뮤직과 플레디스에서 신인 걸그룹 데뷔 예정.

### SM 엔터테인먼트
- 창립 30주년: 2024년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며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
- 에스파 (aespa): 멜론 역대 최장 1위 기록으로 그룹의 스토리와 매력 증명.
- 신인 그룹: 라이즈, NCT 위시 등 신인 남자 아이돌 그룹 성공적 데뷔. 2025년 신인 걸그룹 데뷔 예정.
- 30주년 프로젝트: 50여 팀이 출연하는 SM타운 라이브 개최 및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악 발매 예정.

### JYP
- 3분기 실적: 매출 1705억 원, 영업이익 484억 원 기록. 스트레이 키즈, 트와이스, 있지, 엔믹스, 데이식스 등 아티스트들의 국내외 활동 증가로 성과 달성.
- 스트레이 키즈: 여섯 번째 앨범 HOP 빌보드 200 1위 데뷔, 역대 최초 여섯 앨범 연속 1위 기록.
- 신인 그룹 데뷔: 킥플립 1월 20일 첫 앨범 발표 예정.
- 중국 시장 진출: 2025년 중 중국 시장 본격 진출 예정. 텐센트 뮤직과 협력해 중국 서비스 시작.

### YG
- 블랙핑크: 완전체 컴백 및 월드투어 확정. 이전 투어 BORN PINK가 180만 명 관객 동원, K팝 걸그룹 사상 최대 규모 기록.
- 트레저: 최근 컴백 및 월드투어 예고.
- 베이비몬스터: 초동 68만 장 기록으로 팬덤 강화.
- 신인 그룹 데뷔: 한국, 일본, 태국에서 신인 그룹 데뷔 예정.
- IP 사업: YG 플러스를 통한 음원 유통 사업 강화로 매출 기여.

https://billboard.co.kr/editorial/music/article/2025-k-pop-hybe-sm-yg-jyp-entertainment/

탑클래스 투자

22 Jan, 01:25


[NH/조연주] 미국 이슈 코멘트
[Web발신]
[NH/조연주] 미국 이슈 코멘트

■ 트럼프 행정명령: 실제 서명한 것과 말로 한 것

대내정책 행정명령 서명이 대부분, 외교정책은 아직은 말말말

- 트럼프가 1월 20일 취임식날부터 21일까지 이틀동안 서명한 행정명령은 26개, 메모는 12개, 선포는 총 4개

(실제 행정명령 서명한 것)

1) 에너지 정책: 알래스카 등 환경규제 완화를 통한 원유/가스 생산 확대 서명. 미국산 원유 생산량은 크게 증가 전망. 청정에너지의 경우 IRA 지원금을 일시 중단시키고 재검토를 명령. 실제 IRA 법안 폐지는 아님. 다만, 대규모 지원금에 있어서는 공화당 내 지출 축소 의지 높아 해외기업에 대한 지원금 폐지 및 대폭 축소 전망

2) 친기업 정책: DOJ(법무부), SEC(증권거래소), FTC(연방거래위원회) 수사 종료 행정명령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독점 수사 리스크 완화

3) 지출 축소: 90일간 우크라이나 지원금 등 해외 지원 중단 명령하고 WHO 탈퇴 명령으로 국제기구 지출 축소. 또한, 공무원 해고 요건 완화 행정명령, DOGE(정부효율부처) 설립 명령을 통한 정부 지출 축소 예상

4) 관세 정책: 중국과 불공정 무역 관행 검토 명령

5) 이민 정책: 국경벽 재설치 및 남부국경에 군입 투입 명령. 미국령 태생 시민권 부여 중단

(실제 행정명령 서명하지 않은 것)

1) 관세 정책: 2월 1일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부과 및 중국에 추가 10% 관세 부과 ‘고려’. External Revenue Service(수입관세청) 설립을 통한 무역 시스템 개편. 중국에 60% 고율 관세 부과 및 경제비상사태 선포를 통한 보편관세 10~20% 부과

2) 영토 확장: 파나마 운하 군사 개입을 통한 미국령 편입. 그린란드 관세 부과 및 군사 개입을 통한 점령. 화성 탐사 통한 미국 성조기 게양

본문보기: https://m.nhqv.com/c/fhrr9

[NH/조연주(미국전략), 02-768-7598]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탑클래스 투자

22 Jan, 00:56


SK하이닉스, CXL에 칩렛 기술 적용한다 "차세대 반도체 기술 속도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9401

탑클래스 투자

28 Dec, 12:06


휴머노이드 로봇의 전쟁! 일론 머스크와 젠슨 황이 AI의 끝에서 본 것은 무엇인가?

NVIDIA CEO 젠슨 황과 Tesla CEO 일론 머스크, 이 두 억만장자가 동시에 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 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젠슨 황은 “다음 기술 혁명은 로봇 기술이며, 로봇 기술은 대만에 있어 천재일우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 이후, 최근 대만 증시에서 로봇 관련 주식이 급등하며 시장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렇다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상업적 기회는 얼마나 클까? 그리고 진정한 수혜주는 누구일까?


휴머노이드 로봇이 부상한 이유와 상업적 기회
AI 열풍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ChatGPT의 등장 이후, AI 산업은 끊임없이 주목받고 있으며, 산업계의 시선도 AI를 중심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최근 기술 거물인 젠슨 황과 머스크가 동시에 주목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과 그 상업적 가능성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인간의 형태를 모방한 로봇을 뜻한다. 사실 로봇 산업은 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아버지"로 불리는 일본의 가토 이치로는 1970년 WABOT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WABOT-1을 개발했다.

오늘날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WABOT-1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다. 생성형 AI의 가속화된 발전 덕분에, AI가 결합된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히 걷거나 대화를 하는 것을 넘어, 병뚜껑을 열고 방대한 세계 지식을 보유하며 수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사고 판단, 의사소통 능력도 계속 발전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현실 세계에 도입되는 것은 더 이상 공상이 아니다.

카이기 증권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은 2025년에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하고, 2026년에는 기업(B2B) 현장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9년에서 2032년 사이에는 개인 소비자(B2C) 시장에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2025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규모가 처음으로 1,280억 대만 달러(약 5조 원)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로봇 시대의 본격적인 도래를 상징한다. 해당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87.9%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1.64조 대만 달러(약 64조 원)를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TrendForce는 2027년까지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가 20억 달러(약 6,450억 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며, 2024년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154%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장기적으로, 업계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산업 전반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일상 생활 일부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젠슨 황과 머스크의 비전과 전략
NVIDIA의 젠슨 황은 “AI의 본질 자체가 로봇”이라고 말하며, 향후 2~3년 안에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서 중요한 기술적 돌파구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100년 후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어디에나 존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NVIDIA는 이를 위해 12월 17일 새로운 생성형 AI 슈퍼컴퓨터 Jetson Orin Nano Super 개발자 키트를 공개했다. 이 키트는 AI 하드웨어의 접근성을 낮추고, AI 및 로봇 기술이 더 많은 응용 분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돕는다.

Tesla의 일론 머스크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Tesla의 미래 전략이 전기차에서 점진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Tesla가 개발 중인 Optimus 로봇(또는 Tesla Bot)은 2025년에 소량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Tesla 공장에 1,000대 이상 배치되어 생산 활동을 지원할 전망이다.

머스크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수가 인간을 초과하여 100억~200억 대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Tesla가 연간 10억 대의 로봇을 생산할 계획이며, 로봇 한 대당 약 2만 달러의 가격으로 25~30조 달러의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산업용 컴퓨터, 광학 센서, 모터 드라이브, 베어링 등 다양한 핵심 부품이 필요하며, 이는 로봇의 움직임, 시야, 관절 작동 등을 가능하게 한다.


로봇 관련 주식이 급등하는 가운데, 많은 애널리스트들은 내년 1월에도 로봇 주식이 또 한 번의 상승 국면을 맞이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화관투자자문의 애널리스트 라이셩카이는 젠슨 황이 CES에서 연설한 후 대만으로 와서 NVIDIA의 연말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라며, 로봇 관련 산업군에 추가적인 호재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모얼투자자문의 애널리스트 장궈중은 CES 전시회의 가장 큰 하이라이트가 바로 로봇이라고 지적하며, 대만의 공급망이 NVIDIA와 Tesla의 주요 협력 파트너이기 때문에 향후 한동안 로봇 관련 테마의 상승 모멘텀이 매우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www.ctee.com.tw/news/20241226700767-430704

탑클래스 투자

28 Dec, 12:06


•CATL : 최근 시장에 당사 1월 리튬 인산철 배터리 감산 소식은 사실이 아님

>宁德时代:“公司明年1月计划减少磷酸铁锂生产”传闻不属实 :
宁德时代12月27日在互动平台表示,“公司2025年1月计划减少磷酸铁锂生产”的相关传闻不属实。目前新能源市场发展良好,需求较为旺盛,公司一直与供应商良好互动合作,共同推进行业发展。同时,公司还致力于携手供应商伙伴共同推进技术进步与创新,共享行业发展红利。

탑클래스 투자

28 Dec, 12:06


시진핑 숙청

부정부패와의 전쟁?

2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25일(현지시간) 유하이타오 전 육군 부사령관과 리펑청 남부전구 해군사령관의 대의원 자격을 박탈했다. 전인대는 이번 조치에 대해 어떤 혐의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법률과 규율을 위반 혐의가 있다”고 해 부정부패 혐의임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앞서 작년 로켓군 지도부의 비리를 적발된 뒤 군에 대한 반부패 숙청이 거세지고 있다. 리위차오와 저우야닝 전 로켓군 사령관 등 전현직 로켓군 고위 장성 수십 명이 조사를 받고 낙마했다. 올해 7월에는 웨이펑허와 리상푸 전 국방부장에 대해 당적 제명 처분을 결정하기도 했다. 인사 특혜와 뇌물수수 등 혐의가 이유였다. 지난달에는 시 주석의 측근이자 군서열 5위인 먀오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겸 정치사업부 주임이 부패 혐의로 숙청됐다.
이같은 숙청 움직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3일 시 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천후이 육군 정치위원 임명 및 상장(대장) 진급식에 현역 상장 4명이 불참해 이들의 숙청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날 불참한 인사는 친수퉁 전 육군 정치위원, 리차오밍 육군 사령관, 위안화즈 해군 정치위원, 왕춘닝 무장경찰부대 사령관이다.

◆中, 군 부정부패 문제 심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군 고위 인사들을 연달아 숙청하며 군 조직 개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이같은 거센 숙청 분위기는 2010년대 중반과 외관상 닮아있다. 시 주석은 전략지원군을 창설했던 2015년 전후로 군 실세들을 숙청하면서 전례 없는 군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2014년에는 쉬차이허우 전 최고위 장교를 구금하고, 2015년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던 또다른 군부 실세 궈박슝을 구금해 2016년 뇌물 수수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했다. 이어 여세를 몰아 2018년 중국 헌법을 개정했고, 중국 주석의 5년 임기 제한을 폐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번 숙청은 당시와는 전혀 다른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구자선 인천대 중국학술원 연구원은 “2010년대 숙청된 인물들은 장쩌민 전 주석이 발탁한 인물들로, 시 주석이 군권을 장악하기 위해 행했던 조치였지만, 이번에 숙청한 인물들은 시 주석이 발탁한 인사들”이라며 “권력과 관련된 정치적인 요인보다는, 실제로 군 내 비리 문제가 심각하다는 인식에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 국방부 역시 중국군의 부패가 군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미 국방부는 ‘2024년 중국 군사력 보고서’를 통해 “중국 공군은 무인항공체계의 현대화와 현지화 측면에서 미국의 수준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면서도 “중국군 고위 지도부의 만연한 부패는 군 현대화를 방해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구 연구원은 “특히 숙청 타겟이 된 로켓군의 경우 최근 군 개혁을 위해 사일로를 300개 이상 건설하고, 군사 규모와 미사일 등 군사 자원도 증강하는 과정에서 자금이 흐르면서 그 안에서 부패가 적발돼 본격적으로 과거 부패 사건까지 조사에 들어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적으로도 중국 군 내 부패 문제가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연구소(CSIS)의 브라이언 하트 연구원은 “인민해방군 내부에 승진을 노린 뇌물 수수가 횡행한다"면서 "군 부정부패를 척결하려면 몇 차례 숙청만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며 지속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궈광 아시아사회정책연구소 중국정치 선임연구원은 “아직 알지 못하는 많은 군 인사들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진핑-군부 충돌 가능성도

다만 중국 군 내에서는 반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 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군보는 이달 9일자 지면에 ‘집단지도를 솔선해 견지하라’라는 제목의 기사를 싣고 “집단지도는 중국공산당이 영도하는 최고 원칙 중 하나이자 과학적이고 민주적인 정책 결정의 중요한 보증”이라고 주장했다. 매체는 “이 중요한 원칙은 중국공산당의 규칙이며, 반드시 굳게 관철하고 오래 견지해야 한다”라고 썼다. 시 주석은 2018년 국가주석 3연임을 금지하는 헌법을 개정하면서 사실상 집단지도 체제를 무너뜨렸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한편 시 주석의 ‘숙청 리스트’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군을 향했던 숙청 작업이 최근 항공우주 분야까지 확대되는 모양새다. 중국 공산당 최고 사정 기구 중앙기율위원회는 항공우주 전문가로 꼽히는 주즈숭 상하이시 푸둥신구 서기를 기율 위반 혐의로 조사한다고 발표했다.

이혜인 기자 [email protected]

t.me/jkc123

탑클래스 투자

28 Dec, 11:39


구글 CEO 피차이, 직원들에게 "2025년을 준비하라. 중대한 순간이다'"

주요 내용
-구글 경영진은 2025년 전략 회의를 열어 AI 발전, 경쟁 심화, 규제 과제를 포함한 한 해를 준비했다.
-CEO 순다 피차이는 2025년 상반기에 여러 AI 기능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차이는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감시를 받고 있다"며 2025년이 도전적인 해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글 CEO 순다 피차이(Sundar Pichai)는 직원들에게 2025년이 회사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대한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경쟁 심화와 규제 장벽, 그리고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에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피차이는 2025년 전략 회의에서 "2025년은 매우 중요한 해가 될 것이다"라며 "우리는 이 순간의 긴급성을 받아들이고, 회사로서 더 빠르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 이는 파괴적인 변화의 순간이다. 2025년에는 이 기술의 혜택을 최대한 실현하고, 사용자들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는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본사에서 열렸으며, 일부 직원들은 가상으로 참여했다. 피차이의 발언은 CNBC가 입수한 음성 자료에서 확인되었다.

경쟁과 규제의 압박
구글은 최근 몇 년간 상장 이후 가장 큰 압박에 직면했다. 검색 광고와 클라우드는 강력한 매출 성장을 보였지만, 주요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었으며, 기업 내부적으로도 문화적 충돌과 피차이의 비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또한, 규제의 압박도 더욱 커지고 있다.

2024년 8월, 연방 판사는 구글이 검색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불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판결했다.
11월, 미국 법무부(DOJ)는 구글이 Chrome 인터넷 브라우저 사업부를 매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온라인 광고 기술 분야에서도 구글이 시장을 불법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소송이 제기되었으며, 9월에 종료된 재판은 현재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같은 달, 영국 경쟁감독기구는 구글의 광고 기술 관행이 경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
피차이는 "우리가 전 세계적으로 감시를 받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이는 우리의 규모와 성공에서 비롯된 것이며,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지금 이 순간, 산만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와 Gemini: 주요 초점

구글은 현재 AI 경쟁에서도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Gemini는 구글의 AI 모델로, 회사가 이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주요 투자 대상으로 삼고 있다.

피차이는 "새로운 대규모 비즈니스를 구축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Gemini 앱이 구글의 다음 5억 명 사용자를 확보할 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몇 달 동안 Gemini 앱은 강력한 모멘텀을 보여주었으며, 2025년에는 격차를 줄이고 이 분야에서 리더십을 확립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Gemini를 통해 소비자 측면에서의 확장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경쟁과 구글의 전략: "항상 처음일 필요는 없다"
회의 중 피차이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 차트를 보여주며, Gemini 1.5가 OpenAI의 GPT 및 기타 경쟁 모델을 앞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025년에는 경쟁이 치열할 것이며, 우리는 최첨단 기술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피차이는 구글이 경쟁자들에 비해 뒤처졌던 점을 인정하면서도, "역사적으로 항상 처음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제품으로서 최고 수준의 품질을 제공해야 한다. 이것이 2025년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직원 질문과 Hassabis의 응답
직원들은 내부 시스템을 통해 질문을 제출했다. 한 질문에서는 ChatGPT가 "Google이 검색과 동의어인 것처럼 AI와 동의어로 여겨지고 있다"는 우려를 표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계획이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피차이는 DeepMind의 공동 창립자인 Demis Hassabis에게 답변을 맡겼다. Hassabis는 Gemini 앱의 사용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 자체가 앞으로 1~2년 동안 크게 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모든 도메인, 모든 모달리티, 모든 기기에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는 범용 비서(Universal Assistant)"라는 비전을 설명했다.

구글은 2025년 상반기에 Project Astra(범용 비서의 실험적 버전)를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효율성과 회사 문화

피차이는 회의 말미에 구글 창립자인 래리 페이지(Larry Page)와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을 언급하며, "초기 구글 시절, 창립자들이 데이터 센터를 구축했던 방식을 보면 모든 결정을 매우 신중하고 창의적으로 내렸다. 종종 제약은 창의성을 이끌어낸다"고 말했다.

구글은 최근 몇 년간 비용 절감과 효율성에 초점을 맞춰 왔으며, 2023년에는 직원의 약 6%를 감원했다. 2024년 3분기 말 기준, Alphabet의 직원 수는 약 181,269명으로, 2022년 말에 비해 약 5% 감소했다.

피차이는 "모든 문제가 반드시 인력 증대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효율성과 집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회의를 마무리했다.

https://www.cnbc.com/2024/12/27/google-ceo-pichai-tells-employees-the-stakes-are-high-for-2025.html

탑클래스 투자

28 Dec, 11:39


-24년 세계 의약품 매출 1위의 키트루다 글로벌 매출은 42조
내년 키트루다 매출 전망치는 45조8073억원이다

-한편 비만치료제 성장세는 25년에도 꾸준할 전망이다.
2025년 오젬픽과 마운자로 매출 전망치는 각각 32조와 27조로 2위와 3위에.
또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는 19조,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는 16조로 각각 8·10위를 기록해
25년 글로벌 톱10 의약품 중 4개가 비만치료제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25년에도 비만치료제는 잘봐야될거 같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28 Dec, 09:26


자본시장의 관심도 중요하다. 휴머노이드의 시장성을 인정받지 못해 투자를 받기 전까지 생존을 위해 미디어 아트 사업을 했다는 엄윤설 대표나, 휴머노이드 보단 관련 응용 기술로 매출을 냈다는 오준호 레인보우로보틱스 창업자의 이야기가 지금은 더 안타깝게 들린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4241?ntype=RANKING

탑클래스 투자

28 Dec, 07:42


코스닥 신용잔고

탑클래스 투자

28 Dec, 07:42


코스피 신용잔고

탑클래스 투자

28 Dec, 07:39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1월 1주차)

★ Summary ★

[글로벌] 신흥국 이익모멘텀 둔화. 한국/중국↓

[한국] 실적 하향 지속. IT하드웨어/반도체/철강/화학↓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0.0%(DM: +0.1% > EM: -0.4%)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대만(+0.9%), 홍콩(+0.2%), 미국(+0.2%)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한국(-1.9%), 유럽(-0.4%), 중국(-0.3%)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IT(+0.7%), 금융(+0.5%)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소재(-1.4%), 경기소비재(-0.6%), 에너지(-0.6%), 필수소비재(-0.5%)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4Q24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3%(1W), -1.4%(1M)

* 20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2%(1W), -1.1%(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8.1배, 0.84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5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 운송, 미디어, 건설

① 운송(+0.6%, 25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대한항공(+1.6%)는 국제여객 Yield 부진, 일회성 비용 발생 등으로 4Q24 컨센서스 하회하는 실적 예상. 아시아나 인수를 통해 수익성 개선 지속 전망

② 미디어(+0.2%)
*SBS(+8.9%)는 지난 20일 넷플릭스와 콘텐츠 공급과 관련한 전략적 파트너쉽 체결을 발표(6년). 매출, 영업이익 상향 및 밸류에이션 상승 기대
*하이브(+0.1%)는 25년 BTS 활동 재개, 저연차 아티스트 수익화 기대로 이익전망치↑
*스튜디오드래곤(+0.1%)은 상각비 부담 완화, 편성 확대 기대

③ 건설(+0.2%)
*아이에스동서(+10.2%)의 25년 컨센서스↑. 4Q24 실적은 분양 축소, 콘트리트 적자전환으로 전년동기대비 크게 부진할 전망
*반면, 코오롱글로벌(-22.9%)은 건설 원가 상승 영향 지속으로 부진한 실적 예상

컨센서스 하향 업종: IT하드웨어, 반도체, 철강, 화학, 게임

① IT하드웨어(-1.7%, 25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심텍(-30.2%)은 매출 감소, 고정비 부담으로 4Q24 영업적자 전망. 래거시 업황 회복 지연으로 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크게 하향 조정
*고영(-4.5%)의 이익전망치↓. 내년 1분기 뇌수술용 의료로봇 미국 판매 승인 기대
*LG이노텍(-1.1%)은 광학솔루션 비용 상승, 반도체 기판 및 전장 매출 부진 반영

② 반도체(-1.5%)
*삼성전자(-1.1%)는 스마트폰 출하 부진, 파운드리 매출 감소로 4Q24 실적 부진 전망. 메모리 가격 하락에 따른 25년 실적 컨센서스 하향 조정 지속

③ 철강(-0.4%)
*현대제철(-3.4%)의 4Q24 실적은 판매량 증가, 고정비 부담 완화에도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수준 전망. 수요 부진 지속으로 철강 가격 상승이 제한적인 상황

* 화학(-0.3%, TKG휴켐스), 게임(-0.1%, 펄어비스) 하향 조정

Earnings Revision(1월 1주차)
https://han.gl/WSOg5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탑클래스 투자

28 Dec, 03:31


2024년 12월 27일 기준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189.16pt로
전주 대비 0.06pt(0.03%)
상승했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28 Dec, 02:21


같이 보면 좋을 메르님 글

https://m.blog.naver.com/ranto28/223706058039?referrerCode=1

탑클래스 투자

28 Dec, 01:15


윤정권이 잘해서가 아니라 올해 용따라서 출산율이 높은것임. 용띠해에 출산율이 높은것은 중국도 마찬가지임. 당장 내년 출산율이 보면 알게될듯

중국 상반기 출산율 '깜짝 반등'... "용띠 아기 운세 좋다" 속설 덕?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4090911210004907

탑클래스 투자

28 Dec, 01:15


테슬라, AMD와 엔비디아의 경쟁자로 부상: AI와 슈퍼컴퓨터용 차세대 HBM4 메모리 확보 경쟁

1. HBM4 칩의 중요성

- HBM4 칩은 테슬라의 AI 야망을 실현할 핵심 기술이다.
- 도조 슈퍼컴퓨터에 테슬라의 고성능 HBM4 칩을 통합할 예정이다.
- 삼성과 SK하이닉스가 테슬라의 AI 메모리 칩 주문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

2. 시장 동향

-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은 2027년까지 33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 삼성과 SK하이닉스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테슬라는 두 기업에 차세대 HBM4 칩 샘플을 요청했다.

3. 테슬라의 AI 전략

- 도조 슈퍼컴퓨터는 테슬라의 자체 D1 AI 칩으로 구동된다.
- 완전 자율주행(FSD) 기능을 위한 신경망 훈련에 활용된다.
- 기존 HBM2e 칩을 더 발전된 HBM4로 교체할 계획이다.
- AI 데이터 센터와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도 HBM4 칩을 도입할 예정이다.

4. 삼성과 SK하이닉스의 대응

- 두 기업 모두 테슬라를 위한 HBM4 칩 프로토타입을 준비 중이다.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구글 등 주요 미국 기업을 위한 맞춤형 HBM4 솔루션도 개발하고 있다.
-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시장 선두주자로, 엔비디아에 HBM3e 칩을 공급하고 있다.
- 삼성은 TSMC와 협력하여 HBM4 칩 핵심 부품 생산에 나섰다.

5. HBM4 기술 발전

- SK하이닉스의 HBM4 칩은 HBM3e 대비 1.4배 높은 대역폭과 30% 낮은 전력 소비를 자랑한다.
- 초당 1.65테라바이트 이상의 대역폭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칩 스택 기반에 로직 다이를 도입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개선했다.

6. 향후 전망

- SK하이닉스는 2025년 말 고객사에 HBM4 칩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삼성은 4나노미터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생산 계획을 앞당기고 있다.
- 글로벌 HBM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두 기업의 노력이 계속될 전망이다.

https://www.techradar.com/pro/tesla-emerges-as-surprising-rival-to-amd-and-nvidia-in-quest-to-grab-next-gen-hbm4-memory-for-ai-and-supercomputers

탑클래스 투자

28 Dec, 00:27


윤석열 정권이 제일 잘한일

탑클래스 투자

28 Dec, 00:27


2025년 1월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 수석연구위원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윤재홍 선임연구위원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은지 연구위원

트럼프 2.0: 기회와 위기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41227112424440_3431

# 1월 주요 일정
7-10 CES 2025(미국 라스베가스)
13-16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16 한국 금통위
20 미국 제47대 대통령 취임식
20-24 세계경제포럼(스위스 다보스)
23-24 일본 BOJ 통화정책회의
28-29 미국 FOMC 회의
30 ECB통화정책회의
(월중) 한국 대통령 탄핵 헌재 심리
(월중) 미국 4Q24 실적 발표

※ 해당 일정은 발표 기관의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

탑클래스 투자

27 Dec, 23:53


내년 동결 기조 길어지나…미 10년물 4.6% 돌파 [글로벌마켓 A/S]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836385

탑클래스 투자

27 Dec, 23:40


https://v.daum.net/v/20241228074200883?t=m&x_mn=676f373a0dd7ba0944704190

탑클래스 투자

27 Dec, 23:24


옐런 (Yellen): “The Treasury expect to reach new limit between JANUARY 14 and JANUARY 23, at which time it will be necessary for Treasury to start taking extraordinary measures”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29645?sid=104

탑클래스 투자

27 Dec, 14:41


< The Fed Is Trying—Again—to Size Up Trump >

파월은 2025년을 맞아 과거의 어려운 줄타기를 다시 시도 중. 그는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다시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동료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대립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으려 하고 있기 때문

이 어려운 균형은 지난 두 달 동안 분명히 드러났음. 11월 초, 트럼프 재선이 확정되고 며칠 후, 파월은 연준이 차기 행정부의 정책, 특히 무역 및 이민 정책과 같은 잠재적 변화에 대한 가정이나 추측에 근거하여 금리를 설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음

11월 7일 기자회견에서 파월은 이와 관련해 “우리는 추측하지 않고, 추측하지 않으며, 추측하지도 않습니다 (We don’t guess, we don’t speculate, and we don’t assume)” 라고 답변한 바 있음

하지만 연준은 금리 정책이 “선제적”이어야 한다고 자주 언급했음. 이는 차입 비용의 변화가 경제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 결국 12월 FOMC에서는 정책금리를 25bp 인하하면서 내년 인하 폭을 축소시켰음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가펜은 “최근 회의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매파적이었다. 그들이 하지 않겠다고 말했던 정책 추측을 한 달 만에 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고 말했음

또한, 가펜은 "파월은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았지만 위원회가 보내는 신호가 분명하다" 라면서 이번 12월 경제전망으로 인해 모두가 애써 무시하고 있는 문제를 더 이상 무시하기 어려워졌다고 평가했음

**트럼프의 경제 정책 변화가 연준에 미치는 영향

18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은 공급망 회복과 노동력 증가 (특히 이민 증가) 행운 덕분에 완화되었음. 하지만 트럼프는 관세 부과와 이민 규제 강화를 통해 단기적으로 물가와 임금 상승을 촉발할 수 있음

트럼프 측근들은 규제 완화와 에너지 생산 증가를 위한 조치가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을 상쇄해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할 수 있다고 주장.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지명자도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한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받지 않는 한 다른 품목에 대한 지출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말했음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려는 연준의 노력

파월은 12월 기자회견에서 일부 위원들이 새로운 예측에 잠재적인 정책 변화를 고려했으며, 다른 위원들은 그렇지 않았다고 밝혔음. 그는 이번 인플레이션 전망의 변화가 11월 선거 결과 때문이 아니라 최근 더 강한 인플레이션 수치 때문이라고 반박

연준 내부적으로는 새로운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모델링하려는 시도와 함께 신중하고 비정치적인 분석 문화를 유지하려는 파월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

파월은 동료들에게 새로운 정책 변화를 중앙은행의 반응과 직접적으로 연결 짓는 것을 삼가야 한다고 조언. 이는 연준의 독립성을 강조하려는 그의 오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함

그럼에도 쿠글러 등 일부 연준 위원들은 더 급격한 전환을 암시 중이며, 쿠글러는 노동력 성장이 둔화되거나 멈추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을 수 있다고 발언하였음

**연준의 향후 전망

트럼프 1기 때 무역전쟁은 연준의 금리 인하로 연결된 바 있음. 하지만 이번에는 기저 환경이 다르기에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지 확실하지 않음. 트럼프 첫 임기 때는 인플레이션이 낮았고, 소비자와 기업들도 유의미한 가격 인상을 받아들이라는 요구에 직면하지 않았기 때문

파월은 12월 FOMC에서 2018년 연준은 관세 부과 영향을 모델링했고, 1) 가계와 기업의 기대인플레이션이 낮게 유지되거나, 2) 물가 상승이 경제 전반에 걸쳐 빠르게 진행된다는 2가지 조건이 충족되는 한 물가가 상승하는 동안 연준은 금리를 검토하거나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고 답변했음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및 이민 정책 변화가 긍정적인 공급측 개선을 되돌릴 경우,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지 않고 현재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 이는 현재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다는 점과, 인플레이션 목표를 이미 초과한 최근 몇 년간의 상황에 기인함

분석가들은 기업이 비용 상승을 한 번에 고객에게 전가하는지 아니면 점진적으로 전가하는지도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점진적으로 가격이 반영될 경우, 대중은 시간이 지나면서 인플레이션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

https://www.wsj.com/economy/central-banking/the-fed-is-tryingagainto-size-up-trump-77c8fc9b?st=XyuazA&reflink=article_copyURL_share

탑클래스 투자

08 Dec, 09:42


https://v.daum.net/v/20241208173405620

탑클래스 투자

08 Dec, 09:03


바이오시큐어 법안(첨생법), 국방 법안에서 제외로 중국 바이오텍에 유리한 결과

- 미국 의회가 논의 중인 국방 법안에서 Biosecure Act를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 해당 법안은 중국과 관련된 5개 바이오텍 기업의 미국 연방 연구와 계약 참여를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 Jim McGovern과 Jamie Raskin 등 민주당 의원들은 특정 기업을 명시하는 방식에 반대했다.
- Biosecure Act는 BGI Group, MGI Tech Co., Complete Genomics Inc., WuXi AppTec Co., WuXi Biologics에 영향을 줄 예정이었다.
- 법안 지지자들은 중국이 생물학 데이터를 활용해 생물무기 개발이나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12-08/biosecure-act-out-of-key-defense-bill-in-win-for-chinese-biotech/

탑클래스 투자

08 Dec, 09:0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826516

탑클래스 투자

08 Dec, 08:26


노무라증권) 25년 상반기 아시아 외환 트레이딩 전략으로 달러롱-위안화/원화숏 추천

컨빅션정도는 1~5중 4로 상당히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USDKRW페어의 목표는 1500입니다.

USD/KRW 롱 포지션 전략: 2025년 5월 말까지 1,500 타겟 (확신 수준 4/5, 손절매 2%)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원화(KRW)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USD/KRW 롱 포지션을 추천합니다. 다음은 우리의 주요 논거입니다:
1. 대외 환경 변화로 KRW 하락 압력 증가
2025년 초 공화당 정부(트럼프 대통령) 출범 이후, 시장은 관세 및 경기부양책 가능성(특히 중국 관세 부과)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미국 금리 상승 및 강달러(USD)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대중(對中) 교역 및 금융 의존도가 높아 원화는 강달러/위안화(CNH) 약세 환경에서 큰 약세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USD/CNH 환율이 7.6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KRW에 추가적인 하락 요인이 될 것입니다.

2. 한국은행(BOK)의 외환보유고 대응 여력 부족
2-A.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적정성 비율은 IMF 모델 기준 평균 93%로 낮은 편이며, 고정환율 모델 기준으로는 73%까지 떨어집니다.
2-B.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있으며, 2024년 상반기에만 94억 달러(현물 및 선물) 순매도한 상황입니다.
2-C. 이러한 점에서 BOK가 원화 약세를 억제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3. USD/KRW 1,400 돌파 이후 정책 당국의 관점 변화
3-A. USD/KRW 1,400 수준의 “뉴노멀”
2024년 10월 23일, 한국 재무부 장관은 원/달러 환율 1,400이 정상적인 수준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당국이 환율 상승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3-B. KRW의 과대평가 가능성
당사 FEER(균형환율) 모델에 따르면, KRW는 현재 약간 과대평가된 상태입니다. 과거 USD/KRW가 1,400 수준이었을 때(2009년 및 2022년), FEER 모델 기준 평균 7.4%~21.9% 저평가되었습니다. 이는 현재 수준에서 추가 약세가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3-C. 서비스업을 통한 경제 성장 기대
약세 원화는 관광업 회복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국민연금(NPS)의 해외 투자 헤지 유인 감소
국민연금은 약 4,430억 달러 규모의 해외 투자 중 최대 10%를 환헤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달러 환경에서는 USD 매도 헤지로 인한 손실 우려가 커져 헤지 유인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KRW 약세를 더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5. 포트폴리오 유입 약화 및 개인 자산 해외 유출 위험
5-A. 한국 주식 시장의 구조적 부담
AI 투자로 긍정적 효과가 일부 기대되지만, 중국 메모리 제품 공급 증가, 삼성 경쟁력 약화, “기업가치 제고 정책” 부진 등으로 주식 시장은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5-B. 외국인 채권 투자 지연
한국 국채(KTB)의 WGBI(세계국채지수) 편입은 2025년 11월부터 시작되며, 단계적으로 진행(총 유입 예상: 555억 달러)되므로 즉각적인 유입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5-C. 개인 해외 투자 증가
2024년 강달러 및 미국 금리 상승 환경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은 253억 달러 규모의 해외 자산 투자를 기록했습니다(2023년: 75억 달러). 이러한 추세는 2025년 상반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약화된 거시경제 펀더멘털
반도체 AI 투자 수혜가 일부 기대되지만, 레거시 칩 수요 약화는 한국 전체 수출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한국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1.7%(2024년: 2.2%)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반기에는 더 큰 둔화가 예상됩니다.

7.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
20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후 철회 사건으로 인해, 윤 대통령의 사임 또는 탄핵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투자자 신뢰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KRW 약세를 지지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R-1. 한국은행의 KRW 방어 조치 강화(예: BOK-NPS 스왑 라인 확대)
R-2. 정치적 불확실성의 조기 해소
미국경제 지표 약화 또는 2024년 12월 18일 R-3. 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

탑클래스 투자

08 Dec, 08:23


현대차그룹, 미국 판매 비중 36년 만에 23% 돌파

올해 현대차와 기아가 판매한 자동차 4대 중 1대는 미국에서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판매 차량은 대체로 고가 차량이 많은 터라 현대차그룹의 수익성 확보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판매 비중이 23%를 웃돈 건 1988년(28.8%, 26만2천대) 이후 처음이다. 1990년대 초중반에는 미국 판매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렀으며, 2000년대 초반 20%대 초중반까지 상승한 바 있다. 이후 10% 대로 하락한 뒤 2021년(22.3%)에 20% 선을 회복했다. 지난해 미국 판매 비중은 22.6%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720428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38


🛳 암모니아를 준비하는 조선업
☞ http://bit.ly/DOS750

⚓️ 주시 뉴스

▶️ 선가, 실적, 캐파
▷ 신조선가지수 189p 보합. VLGC는 2주 연속 하락해서 122백만달러를 기록

▶️ 그린쉽
△ MOL은 Newcastlemax 벌크선 4척을 LNG에서 암모니아 D/F로 전환

▶️ LNG
△ Adnoc L&S, LNG 스팀터빈 12개월 단기용선 모색
△ Gail (India), K Line과 첫 LNG선 장기 용선 계약 체결

▶️ 가스선/암모니아운반선: N/A

▶️ 탱커
△ International Seaways와 장금상선 간 VLCC와 MR 탱커 스왑 거래

▶️ 컨테이너
▲ Hapag-Lloyd CEO, 컨테이너선 잔고는 충분히 시장이 흡수 가능

▶️ 해양/디펜스/바람
▲ 삼성중공업, LR과 협력해 그린 암모니아-FPSO 설계 착수

-----------------------------------------------------------
🎴 조선/기계/방산 | 최광식 | DAOL투자증권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한 보고서입니다.
-----------------------------------------------------------

⚓️ 코멘터리: 보고서 참고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38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412082460b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06


지랄도 참....한놈은 난파선에서 뛰어내리겠다고 하고 한놈은 여전히 대통행세하고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06


[뉴스핌] [속보] 민주 "이상민 장관 사의에 尹이 재가...尹 인사권 행사 방증"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08000187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04


https://www.fmkorea.com/index.php?mid=stock&sort_index=pop&order_type=desc&document_srl=7791932215&listStyle=webzine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04


출처 - 신한증권

이번 디스인플레의 핵심중 하나 - 기름값 하향안정
그림에서 보듯, 과거처럼 감산으로 기름값 상승반전 시도하기 힘든 상황
원전및 신재생, 전기차, 셰일, 비opec ...
저기서 점유율 더 잃을수있는 배팅은 하기 힘듬

탑클래스 투자

08 Dec, 07:03


대출소비 대신 BNPL(Buy now pay later)이 가능한 이유

탑클래스 투자

08 Dec, 06:52


[전략의 샘] 2025년 찾아올 두 번의 승부 구간

- 한국의 정치 문제 및 대외 환경 등에 따라 향후 수개월간 주식시장 추가 변동성 확대 불가피

- 그러나 투자 시계를 넓혀 보면 수익률 제고시킬 수 있는 2025년 두 번의 승부 구간이 존재

- 2025년 상반기 동안 중소형주의 개별 움직임, 2025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주도주의 태동 주목

탑클래스 투자

08 Dec, 05:17


https://naver.me/xQevwS6V

탑클래스 투자

08 Dec, 05:17


노무라증권) 25년 상반기 아시아 외환 트레이딩 전략으로 달러롱-위안화/원화숏 추천

컨빅션정도는 1~5중 4로 상당히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USDKRW페어의 목표는 1500입니다.

USD/KRW 롱 포지션 전략: 2025년 5월 말까지 1,500 타겟 (확신 수준 4/5, 손절매 2%)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원화(KRW)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USD/KRW 롱 포지션을 추천합니다. 다음은 우리의 주요 논거입니다:
1. 대외 환경 변화로 KRW 하락 압력 증가
2025년 초 공화당 정부(트럼프 대통령) 출범 이후, 시장은 관세 및 경기부양책 가능성(특히 중국 관세 부과)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미국 금리 상승 및 강달러(USD)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대중(對中) 교역 및 금융 의존도가 높아 원화는 강달러/위안화(CNH) 약세 환경에서 큰 약세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는 2025년 2분기에 USD/CNH 환율이 7.6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KRW에 추가적인 하락 요인이 될 것입니다.

2. 한국은행(BOK)의 외환보유고 대응 여력 부족
2-A.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적정성 비율은 IMF 모델 기준 평균 93%로 낮은 편이며, 고정환율 모델 기준으로는 73%까지 떨어집니다.
2-B.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있으며, 2024년 상반기에만 94억 달러(현물 및 선물) 순매도한 상황입니다.
2-C. 이러한 점에서 BOK가 원화 약세를 억제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3. USD/KRW 1,400 돌파 이후 정책 당국의 관점 변화
3-A. USD/KRW 1,400 수준의 “뉴노멀”
2024년 10월 23일, 한국 재무부 장관은 원/달러 환율 1,400이 정상적인 수준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당국이 환율 상승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3-B. KRW의 과대평가 가능성
당사 FEER(균형환율) 모델에 따르면, KRW는 현재 약간 과대평가된 상태입니다. 과거 USD/KRW가 1,400 수준이었을 때(2009년 및 2022년), FEER 모델 기준 평균 7.4%~21.9% 저평가되었습니다. 이는 현재 수준에서 추가 약세가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3-C. 서비스업을 통한 경제 성장 기대
약세 원화는 관광업 회복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국민연금(NPS)의 해외 투자 헤지 유인 감소
국민연금은 약 4,430억 달러 규모의 해외 투자 중 최대 10%를 환헤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달러 환경에서는 USD 매도 헤지로 인한 손실 우려가 커져 헤지 유인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KRW 약세를 더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5. 포트폴리오 유입 약화 및 개인 자산 해외 유출 위험
5-A. 한국 주식 시장의 구조적 부담
AI 투자로 긍정적 효과가 일부 기대되지만, 중국 메모리 제품 공급 증가, 삼성 경쟁력 약화, “기업가치 제고 정책” 부진 등으로 주식 시장은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5-B. 외국인 채권 투자 지연
한국 국채(KTB)의 WGBI(세계국채지수) 편입은 2025년 11월부터 시작되며, 단계적으로 진행(총 유입 예상: 555억 달러)되므로 즉각적인 유입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5-C. 개인 해외 투자 증가
2024년 강달러 및 미국 금리 상승 환경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은 253억 달러 규모의 해외 자산 투자를 기록했습니다(2023년: 75억 달러). 이러한 추세는 2025년 상반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약화된 거시경제 펀더멘털
반도체 AI 투자 수혜가 일부 기대되지만, 레거시 칩 수요 약화는 한국 전체 수출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한국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1.7%(2024년: 2.2%)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반기에는 더 큰 둔화가 예상됩니다.

7.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
20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후 철회 사건으로 인해, 윤 대통령의 사임 또는 탄핵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투자자 신뢰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KRW 약세를 지지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R-1. 한국은행의 KRW 방어 조치 강화(예: BOK-NPS 스왑 라인 확대)
R-2. 정치적 불확실성의 조기 해소
미국경제 지표 약화 또는 2024년 12월 18일 R-3. 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

탑클래스 투자

08 Dec, 05:16


2024년 12월 6일 기준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189.14pt로
전주 대비 0.04pt(0.02%)
하락했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08 Dec, 05:16


평균적으로 #Bitcoin 반감기 이후 480일 후에 정점에 도달합니다.

현재 $BTC 반감기로부터 231일이 지났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08 Dec, 04:54


미국 ETF 역사상 처음으로 연간 1조 달러 유입

탑클래스 투자

08 Dec, 04:54


[JYP] VCHA 멤버 KG, 학대 폭로 후 계약해지 소송 제기 (공식)

글로벌 걸그룹 VCHA 멤버 케이지, 탈퇴 결정 후 계약 해지 소송

- KG는 개인 채널을 통해 어제 특정 스태프로부터 학대 사건을 겪은 후 계약을 해지하고 VCHA를 탈퇴하기로 결정하여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힘

- 정신 건강에 좋지 않은 환경이었다고 생각하며, 퇴사로 인해 실망하신 분들께 사과드린다라는 장문의 입장문 게재

- 한 멤버가 자살을 시도하게 된 근로 및 생활 환경을 지지하지 않으며 섭식 장애를 조장하고 자해를 초래하는 환경을 지지하지도 않는다라고 밝히며 지난 5월에 결정을 내리고 계약 해제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고 전함

- 자신의 탈퇴를 계기로 K-팝 시스템이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해 남은 아이돌과 연습생들을 보호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

비춰 (VCHA)는?

- JYP와 리퍼블릭 레코드의 합작 서바이벌 오디션 ‘A2K’를 통해 발탁된 KG, 렉시, 카밀라, 켄달, 사바나, 케일리로 구성된 6인조 걸그룹

- K-POP 트레이닝 시스템과 미국 글로벌 멤버들의 장점을 결합해 새로운 시너지를 기대하며 24년 1월 데뷔

- 3월 케일리건강상의 이유로 활동을 중단한 데 이어 KG가 탈퇴를 선언

JYP 공식 입장

- KG의 전속계약 해지 소송 관련해 아직 내용을 직접 송부받은 게 없어 확인 중이며,

- 해당 상황에 대해서는 대리인 등을 통해 의견을 나눠왔는데 이견이 있었던 측면이 있어 향후 절차에 따라 진행하겠다고 밝힘

https://www.instagram.com/iamkgcrown?igsh=NHZpdG44ZXk1dTg5

탑클래스 투자

24 Nov, 11:55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로켓 발사 횟수를 대폭 늘리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스페이스X가 발사 빈도를 늘리는 데는 지금껏 정부 안전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했는데 머스크가 이를 간소화하면 발사 확대에 힘을 받을 수 있다.

스페이스X의 전직 고위 관계자는 로이터를 통해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우주사업 규제를 없애는 도구로 여긴다”라고 평가.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3966

탑클래스 투자

24 Nov, 11:37


[Battery Weekly 이배속 - 하나증권 2차전지 김현수, 홍지원]

'작은 기회를 활용'

자료링크 : https://bit.ly/3OptOoy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12월 초 GM 데이터 활용

- 당분간은 추세적인 방향성을 잡지 못한 주가 흐름이 전개될 것으로 판단한다. 내년 초 4분기 실적 시즌 및 연간 가이던스 제시 전까지 실적 눈높이 하향 조정을 소화해야 하고, 트럼프 인수팀의 파리협약, 전기차 세액 공제, AMPC, 연비 규제 관련 노이즈가 계속 흘러나오는 상황에서 추세적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반면, 메탈 가격이 하방 경직을 확보(리튬 월 평균 가격 4개월째 추가 하락 없이 횡보)했고 2025년부터는 유럽 전기차 시장이 전년도 기저효과를 바탕으로 완만한 회복 국면을 보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소화해야 하는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폭이 지난 6개월과 비교했을 때 많이 줄어들어 있으므로, 현 시점에서 주가 다운사이드 리스크 역시 그리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

- 전기차 판매량과 메탈 가격으로 대표되는 실적 factor는 과거보다 리스크가 줄어들었고, 친환경 정책의 강도가 결정해온 valuation factor는 반대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상호간의 상하방 압력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당분간은 단기적 이벤트 플레이에 집중하길 권고한다.

- 12월 2일경 미국 11월 전기차 판매 데이터가 발표되는데, GM이 저가 Equinox(IRA 세액 공제 혜택 적용시 27,500달러 판매 모델) 판매 효과 힘입어 큰 폭의 판매 증가가 확인된다면 또 한번 GM 체인(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포스코퓨처엠 등) 트레이딩 기회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2025년 IRA 세액공제 폐지 리스크로 인해 자동차 기업들이 연말 프로모션을 확대하고 소비자들 역시 전기차 구매 의사 있는 소비자들의 연말 구매가 집중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데이트 포인트를 활용한 매수 기회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그러나, 결국 이러한 연말 pull-in 효과는 2025년 초 전기차 판매량을 먼저 끌어다 쓰는 것에 불과한데다, 기본적으로 배터리 주요 기업들의 12M Fwd P/E는 여전히 2023년 초보다 비싸다라는 점에서 Buy&Hold 전략을 취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섹터에 대한 보수적 관점을 유지한다.

Car : 친환경 정책 변화 리스크 지속

- Tesla 주가는 자율주행 규제 완화 기대감에 +9.9% 상승했고,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주가 또한 상승했다(Lucid +4.5%, Rivian +1.8%). 중국 전기차 기업 주가는 상이했다(Xpeng -6.5%, Li Auto -1.9%, Nio +7.8%).

- 미국 트럼프 정권 인수팀은 자율주행 완전 상용화를 위한 연방 프레임워크를 교통부의 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 고문단은 바이든 행정부의 연비 요건 및 환경보호청의 온실가스 배출 기준 등을 재검토 중이다.

- GM, Volkswagen, Toyota 등 자동차 OEM들은 트럼프 당선인에게 EV 구매 보조금 유지와 자율주행 규제 완화를 촉구했다.

- Ford는 전기차 사업 부진을 이유로 유럽 공장 인력의 14%인 약 4천명을 감원할 예정이다.

- ACEA에 따르면 2024년 10월 유럽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BEV 17.0만대(YoY +6.9%), PHEV 8.3만대(YoY -7.2%)를 기록했고, 1-10월 누적 판매대수는 BEV 160.3만대(YoY -1.7%), PHEV 77.7만대(YoY -4.1%)를 기록했다.

- Stellantis, Nissan 등 자동차 OEM들은 영국 정부의 2024년 BEV 보급 목표(신차 판매의 22%) 완화를 요청했다.

- 현대차 신임 CEO는 미국 전기차 관련 정책 변화 리스크에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PHEV, EREV, FCEV 등)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 Honda는 2025년 1분기 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가동할 예정이며, 2020년대 후반 내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통해 EV 주행거리를 현재 대비 2배 개선하고, 2040년까지 2.5배 개선한다고 밝혔다. 한편, Honda는 2040년 전동화 100% 목표한다.

- Xiaomi CEO는 2024년 3월 출시한 'SU7'의 인도대수가 10만대를 돌파했다고 언급하며, 연말까지 13만대 인도 목표한다고 밝혔다.


Cell : Northvolt, 미국 파산 보호 신청

- 배터리 대형주 3사 합산 유니버스(LGES,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주가는 한 주간 +16.0% 상승했고, SK이노베이션 합병 신주 추가 발행 기대감에 +22.4% 상승했으며, 이외 기업 주가 또한 상승하며(삼성SDI +9.1%, LGES +9.2%), 코스피 대비 +12.2%p Out-perform했다.

- Northvolt는 2024년 9월부터 스웨덴 북부 배터리 셀 공장 출하량 목표를 지속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면서, 감산에 돌입했다. 한편, Northvolt는 자금 유동성 문제로 미국에 파산 보호 신청했으며, 파산 기간 동안에도 정상적 운영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 베어로보틱스와 원통형 배터리 셀 공급 계약 및 기술 협력 MOU를 체결했다.

- CATL은 2세대 나트륨 배터리의 개발 상황을 공개하며, 2025년 해당 배터리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한편, CATL은 유럽에서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논의 중이다.


Material/Equipment : LG화학·ExxonMobil, 탄산리튬 공급 업무협약

- 2차전지 소재 합산 유니버스는 한 주간 +6.6% 상승했다. 국내 주요 양극재 기업 주가는 상승했다(포스코퓨처엠 +6.4%, 에코프로비엠 8.8%, 엘앤에프 +7.4%). 중국 소재 기업 주가는 상이했다(Beijing Easpring -1.5%, Guangzhou Tinci +9.3%, Yunnan Energy +3.3%).

- SNE Research는 글로벌 배터리 전해액 수요가 2024년 142만톤에서 2035년 446만톤으로 연평균 +11% 성장할 것이라 분석했다.

- 미국 Entek은 배터리 분리막 공장 설립에 필요한 13억달러의 자금 대출을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승인받았으며, 해당 공장 완공 시 Capa는 17.2억㎡이다.

- 한국 정부는 고려아연의 전구체 제조 기술이 국가 핵심 기술에 해당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고려아연의 향후 외국 기업에 의한 인수합병 시 승인 권한을 갖게 됐다.

-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페루와 핵심광물 협력 MOU를 체결했다.

- LG화학은 미국 ExxonMobil과 탄산리튬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2030년부터 ExxonMobil에서 최대 10년 동안 10만톤의 탄산리튬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 일본 화학 기업 Asehi kasei는 Honda와의 캐나다 합작 공장에서 2027년부터 7억㎡ 규모의 분리막을 생산할 예정이다.

- 광물별 전주 대비 가격 증감률은 리튬(+2.6%), 니켈(-0.1%), 코발트(+0.0%), 망간(+0.0%), 알루미늄(-1.9%), 구리(-0.8%), LiPF6(+0.9%)이며, 전분기 대비 증감률은 리튬(-4.8%), 니켈(+0.8%), 코발트(-4.1%), 망간(-7.7%), 알루미늄(+8.8%), 구리(+1.9%), LiPF6(-2.4%)다.

- 11월 3주 유럽 주요 3국(영국, 독일, 프랑스) 전력 가격은 평균 104.2유로/MWh로 WoW +3.4% 상승했다. 11월 전력 가격 평균은 92.3유로/MWh로 MoM +7.5% 상승했다.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탑클래스 투자

24 Nov, 11:37


특히 스타트업과 민간 투자 활성화가 성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스페이스X와 같은 기업의 성공 사례는 우주 산업 생태계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혁신을 촉진하며 글로벌 항공우주 시장의 성장을 견인해 시장 전반적으로 긍정적 투심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72138

탑클래스 투자

24 Nov, 11:26


트럼프 2기 내각의 핵심 코드

"복수"

https://youtu.be/axRO3Rr1RIM?feature=shared

탑클래스 투자

24 Nov, 10:48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392260?sid=104

탑클래스 투자

24 Nov, 10:30


🤩11월 4주차 증시일정

[작성] 👔도PB의 생존투자

24.11.25(월)
- MSCI 리밸런싱
- 미국 11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 활동
-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
- 실적발표 → 줌비디오(ZM), 선파워(SPWRQ), 플루언스에너지(FLNC)

24.11.26(화)
- FOMC 의사록 공개
- 미국 9월 주택가격지수
- 미국 11월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지수
- 미국 11월 소비자신뢰지수
- 팔란티어(PLTR) 나스닥 이전 상장
- 실적발표 → 아날로그디바이스(ADI), 델(DELL),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워크데이(WDAY), 오토데스크(ADSK), 휴렛팩커드(HPQ), 아베크롬비&피치(ANF), 메이시스(M), 3D시스템즈(DDD)

24.11.27(수)
- 미국 10월 개인소득 및 개인소비지출
- 미국 3분기 GDP 수정치

- 미국 10월 잠정주택판매지수
- 미국 10월 내구재 주문
- 미국 11월 시카고 PMI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산업부, 대왕고래 첫 시추계획 최종승인
- 윙입푸드, 미국 나스닥 상장


24.11.28(목)
- 미국 증시 휴장(Thanksgiving)
-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면담
- 국민의 힘, STO 포럼 간담회
- 한국은행 경제전망 수정
- 실적발표 → 커클랜드(KIRK)

24.11.29(금)
- 미국 증시 조기 폐장(Day After Thanksgiving)
- 미국 블랙 프라이데이
- 케이비발해인프라투융자회사 신규 상장
- 10월 산업활동동향 및 관광통계
실적발표 → 미니소(MNSO)

[작성] 👔도PB의 생존투자

탑클래스 투자

24 Nov, 10:30


■ 조선, 조선기자재 밸류체인 분류 (by 고잉)

-제조사 :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HD현대미포,

-엔진 : 한화엔진, STX엔진,

-피팅 벨브 : 성광밴드, 태광, 화성밸브, 디케이락, 비엠티, 하이록코리아,

-보냉재 :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엔진부품 : 인화정공, 케이프, 케이에스피, 태웅, 삼영엠텍

-해상크레인 : 오리엔탈정공

-선박기자재 : 현대힘스

-탱크 : 세진중공업

-스틸배관 : 동방선기

-스크러버 : 일승

탑클래스 투자

24 Nov, 08:59


알테오젠 현 상황 진단 - 호재가 악재로 둔갑
https://blog.naver.com/joyful_2nd_act/223671290829

탑클래스 투자

24 Nov, 07:23


엔비디아 HSBC

작성: 탐방왕(https://t.me/tambangwang)

3분기 매출 351억 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에 부합했고, 가이던스 325억 달러와 컨센서스 333억 달러를 초과함. 4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375억 달러로 컨센서스 369억 달러를 상회했으나, 당사 예상치에는 미치지 못함. 매출총이익률은 3분기와 4분기 모두 75%로 컨센서스 부합

블랙웰 플랫폼의 공급망 문제는 대부분 해결되었으며, 4분기 매출은 이전 가이던스를 초과할 전망임. 블랙웰 플랫폼은 1분기부터 호퍼 매출을 넘어설 것으로 보이며, 데이터센터 매출은 388억 달러로 컨센서스 368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초기 램프업으로 인해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70% 초반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나, 2025년 하반기부터 다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

2026년에도 CSP 설비투자 확대와 엔터프라이즈 TAM 확장이 예상됨. NVIDIA의 데이터센터 매출 전망치는 2530억 달러로 컨센서스 1760억 달러 대비 44% 높은 수준임. 이는 NVL72 랙 서버와 CoWoS 용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됨

목표 주가는 PER 32배를 적용해 195달러로 하향 조정. 매수 의견 유지

탑클래스 투자

24 Nov, 06:08


[Auto-EV Update - 다올투자증권 자동차 유지웅]

★주간 업종 리뷰: 자동차는 밸류업에 대한 기대감 지속

한주간 자동차 업종 주가는 완성차 위주로 코스피 상회. 현대차, 기아는 밸류업 관련 추가 예고사항들이 존재하고 있어, 주주환원 기대감 상존

현대모비스의 CID가 11월 19일 개최. 향후 3년간 TSR 가이던스로 30%+ 제시하며 총 주주환원 금액은 2025년에는 전년동기 대비 두배가량 증가

스텔란티스는 3세대 전동화 플랫폼인 STLA 공개. 국내 부품사 중에서는 현대모비스가 기존 플랫폼에 BMS와 BSA등을 공급

해외 유수 언론들은 지난주 일론머스크의 친중 스탠스가 반영되며 트럼프 정권의 중국 소통에 있어서 강경기조 보다는 유화적인 접근이 시도될 것을 시사

한주간 LG/삼성/SK 배터리 3사 주가는 테슬라 주가가 강세를 보이며 업종 전반적으로 반등흐름 시현

★보고서 및 컴플라이언스 노티스 ☞ https://url.kr/7e6ufg

탑클래스 투자

24 Nov, 03:51


※ 노스볼트 파산신청 : 삼성SDI 및 각형 밸류체인 업체들 수혜

지난 22일 유럽 최대 로컬 배터리 업체인 노스볼트가 미국에서 연방파산법 제 11조에 따른 파산보호신청을 하였습니다.
향후 노스볼트의 회생절차가 진행 될 예정이지만, 노스볼트가 정상화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노스볼트의 파산신청은 신생배터리 업체들이 배터리 메인스트림 시장에 진입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일례이며, 노스볼트 외 ACC, 파워코, 베르코어 등 많은 신생업체들의 앞날도 장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성장이 시장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수영장에 물이 빠지면 누가 벌거벗고 수영했는지 알 수 있다”라는 워렌 버핏의 말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노스볼트의 파산은 배터리업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단면이지만, 동시에 배터리시장의 재편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들 신생업체들의 시장 퇴출이 기존 상위 업체들에게는 향후 시장의 지배력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셀 업체 뿐 아니라, 소재, 장비, 부품 업체들도 마찬가지일 것
입니다.


● 삼성SDI 및 그 밸류체인 업체들의 수혜

직접적으로 이번 노스볼트의 파산신청의 가장 큰 수혜업체는 삼성SDI와 CATL과 같은 각형업체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노스볼트의 최대주주이며 전력적 파트너사인 폭스바겐과 또 다른 투자자인 BMW는 모두 각형을 메인 폼팩터로 사용하는 업체들입니다.
포스바겐과 BMW는 모두 노스볼트와 대규모의 각형 배터리 공급계약을 맺어 놓은 상황이며 향후 이들 공급계약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미 BMW는 지난 7월 약 20억 달러 규모의 노스볼트와의 계약을 취소하고 삼성SDI로 공급사를 변경한 사례가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폭스바겐도 당시 노스볼트와의 배터리 협력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기 때문에 BMW와 마찬가지로 폭스바겐도 배터리사 변경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가장 유력한 업체들은 각형 폼팩터를 만들고 있는 삼성SDI나 CATL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특히 노스볼트가 폭스바겐 향으로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북미(캐나다) 공장의 물량은 삼성SDI와 같은 한국업체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삼성SDI는 노스볼트의 메인 고객사인 폭스바겐, BMW의 기존 및 신규물량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업체이기 때문에 삼성SDI와 밸류체인들이 이번 노스볼트 파산의 가장 직접적 수혜업체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직 파일럿 라인 단계이기는 하지만,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도 각형 배터리를 양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도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럽 신생배터리업체들의 대부분이 각형 폼팩터이기 때문에 삼성SDI외 각형 밸류체인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 삼성SDI 밸류체인

1. 셀 : 삼성SDI

2. 소재
1) 양극재 : 에코프로비엠(EM), 포스코퓨처엠 / 전구체 : 에코프로머티
2) 음극재 : 포스코퓨처엠
3) 분리막 : 더블유씨피
4) 전해액 : 솔브레인홀딩스


3. 부품
1) 각형 Can, Cap Ass’y : 신흥에스이씨, 상신이디피, 상아프론테크, 동양피스톤


4. 장비
1) 전극공정 : 한화정밀기계, 피엔티, 씨아이에스, 제일엠엔에스
2) 조립공정 & 활성화공정 : 필에너지, 엠오티, 하나기술

탑클래스 투자

24 Nov, 03:42


https://v.daum.net/v/20241124104454785?t=m&x_mn=674294580dd7ba09446fee42

탑클래스 투자

24 Nov, 02:54


https://www.economist.com/culture/2024/11/21/what-to-read-to-understand-elon-musk

Elon Musk. By Walter Isaacson. Simon & Schuster; 688 pages; $35 and £28

Walter Isaacson spent two years shadowing his subject; this authorised biography covers Mr Musk’s unhappy early years in South Africa, move to America and early success in the dotcom bubble, right up to his impulsive $44bn buy-out of Twitter (as it then was) in 2022. Mr Musk is described as brilliant and as a taker of huge, calculated risks—as well as an aggressive, impossibly demanding figure.

Foundation. By Isaac Asimov. Bantam Spectra; 296 pages; $8.99. HarperCollins; £9.99

To get a sense of why Mr Musk is fond of pronouncements about “turning-points” and the “fate of civilisation”, try one of his science-fiction favourites. Inspired by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Foundation” revolves around the invention of a statistical theory of history that predicts the imminent fall of the Galactic Empire, which will usher in a 30,000-year dark age. A visionary historian and mathematician conceives a plan to ensure the dark age will last a mere 1,000 years instead.

Liftoff: Elon Musk and the Desperate Early Days That Launched SpaceX. By Eric Berger. HarperCollins; 288 pages; $27.99. William Collins; £20. Reentry: SpaceX, Elon Musk and the Reusable Rockets that Launched a Second Space Age. By Eric Berger. BenBella Books; 400 pages; $31.95 and £26.99

This pair of books chronicles SpaceX’s transformation from a cash-strapped insurgent scrabbling to launch small rockets to the world’s dominant space power, without losing its pell-mell startup culture. Both contain entertaining vignettes and insights into Mr Musk’s restless, chafing management style, the role played by vital lieutenants such as Gwynne Shotwell and Mark Juncosa, and Mr Musk’s desire to have humans settle on Mars.

Surface Detail. By Iain Banks. Orbit; 656 pages; $19.99 and £10.99

Mr Musk once described himself as a “utopian anarchist of the kind best described by Iain Banks”. Of Banks’s “Culture” novels—which describe a society whose citizens enjoy hyper-abundant luxury thanks to the godlike AIs, called Minds, that run things—“Surface Detail” is one of his favourites. (SpaceX’s drone ships are named after Minds.) “Surface Detail” concerns a conflict with another civilisation that has built a virtual-reality hell into which sinners can be thrown. The villain is a rich industrialist.

Power Play: Tesla, Elon Musk, and the Bet of the Century. By Tim Higgins. Doubleday; 400 pages; $30. Ebury; £20

Unlike SpaceX, Tesla was not Mr Musk’s idea. But he put in most of the early money and came to control the firm, the first mass-market carmaker to be founded in America since 1925. Tesla’s vital insight was that technology had advanced to the point where electric cars could be fun and desirable, yet turning that idea into a working company proved almost impossibly hard. Once again Mr Musk comes across as focused, demanding, relentless—and frequently self-sabotaging.

Zero to One: Notes on Start-Ups or How to Build the Future. By Peter Thiel with Blake Masters. Crown Business; 210 pages; $27. Virgin Books; £16.99

Mr Musk cites this book as one of his favourites. Like Mr Musk, Peter Thiel is part of the “Paypal Mafia”, an influential group of Silicon Valley veterans involved in the payments startup in the 1990s. Mr Thiel’s book offers blunt advice for budding entrepreneurs. The best way to build a successful company, he writes, is not to compete in existing markets but to establish entirely new ones—in re-usable rockets, say, or luxury electric cars. ■

탑클래스 투자

24 Nov, 02:54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761133&code=61131111&sid1=int

탑클래스 투자

24 Nov, 02:53


k방산의 최강 스터디셀러!! (사회주의 국가 제외) 글로벌 점유율 35%라구~~~!!! 쏴리질렁~~ 🫡

탑클래스 투자

16 Nov, 05:59


'극단주의 문신' 도배…미 국방장관 지명자, 자질 논란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4111612435316866&NFM

탑클래스 투자

16 Nov, 04:09


https://v.daum.net/v/20241114162249914

탑클래스 투자

16 Nov, 04:08


<트럼포비아(Trumphobia)>

1. 관세 공포는 과장됐다
2. 보편적 관세가 아닌 전략적 관세
3. 재정적자 괴담
4. 강달러 전망의 리스크
5. 위기에서 찾는 기회

트럼프 공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상당부분 과장됐다고 생각합니다. 관세의 영향은 예상보다 미미할 것이고, 재정적자 급증 가능성도 낮습니다. 국내 증시 부진의 본질은 트럼프 당선이 아니라 주력산업 경쟁 심화입니다. 트럼프 2기의 제조업 강화 및 공급망 재편에 적극 참여해야 합니다.

탑클래스 투자

16 Nov, 04:08


#박종훈 #지식한방
https://youtu.be/VRU3HqxOavM?si=nPVyMjTD5zAkW7je

탑클래스 투자

16 Nov, 04:07


🗽 2024-11-16 미국증시 이야기


[제약주]
🎯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에게 보건부를 맡기기로 한 탓에 제약주가 폭락하면서 더욱 시장을 끌어내렸습니다.
    🗣 도이치뱅크 :
      우리는 백신을 공중 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위대한 과학적 업적 중 하나로 생각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보건부 장관 후보자는 이 견해를 공유하지 않는다.
    🗣 RBC 캐피털 마켓츠 :
      케네디는 생명공학 부문에 광범위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상당한 불확실성을 더하고 투자 가능성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금리]
🎯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증시는 압박을 받았습니다.
    🗣 제롬 파월 :
      경제는 우리가 서둘러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데이터가 조금 더 느리게 가라고 말한다면, 더 느리게 가는 것이 현명한 일인 듯하다.
    🗣 에버코어 ISI :
      파월이 금리 인하를 건너뛰겠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12월 인하가 확정된 것은 아니며, 신중히 접근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한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
      우리는 여전히 Fed가 12월에 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 이후의 전망은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다.
    🗣 보스턴 연방은행의 수전 콜린스 총재 :
      12월 또 다른 금리 인하가 고려되고 있지만 확정된 것은 아니다. 12월까지 더 많은 데이터가 나올 것이고, 우리는 무엇이 합리적인지 계속 따져봐야 할 것.
    🗣 시카고 연은의 오스탄 굴스비 총재 :
      중립금리 수준은 현재 정책 금리보다 상당히 낮다. 점도표에 나타난 선을 따라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 댈러스 연은의 로버트 캐플란 전 총재 :
      트럼프 정책이 어떤 모습일지 아직 모르기 때문에 조심할 것 같다. 우리는 내년 봄까지 이런 정책 중 일부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얻지 못할 것인 만큼 속도를 늦춰야 한다.


[소매판매]
🎯 10월 소매판매 등 경제 데이터가 나쁘지 않게 나왔지만, 시장을 살려내지는 못했습니다.
    🗣 TD뱅크 :
      10월 소매판매는 예상보다 높았는데, 자동차 판매가 크게 증가한 덕분이다. 자동차를 빼면 0.1% 증가에 불과했다. 그렇지만 3개월 평균은 9월 0.2%에서 10월 0.6%로 상승했는데, 이는 전월 데이터가 크게 상향 수정되어서다. 소비는 안정적 노동 시장과 견고한 실질 소득 증가에 힘입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산업생산]
🎯 10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3% 하락하며 두 달 연속 감소했습니다. 보잉 파업과 허리케인 효과가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 BMO :
      10월 일회성 요인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추세를 살펴보면, 산업생산은 지난 2년 동안 모멘텀을 얻지 못했다. 전체 경제가 회복력을 유지하는 반면, 높은 금리와 강달러는 공장 부문에 큰 역풍을 일으키고 있다.


[제조업]
🎯 뉴욕 연은이 발표한 엠파이어 제조업 지수는 11월 들어 43포인트 상승하여 31.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거의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 뉴욕 연은 :
      응답 기업의 절반은 향후 6개월 동안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고용은 적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고, 자본지출 계획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골드만삭스 :
      선거 이후의 심리 개선과 항만 파업 종료가 11월 엠파이어 제조업 지수 급증에 이바지한 주요 요인이다.


[수입수출물가]
🎯 10월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으며, 수출물가는 0.8% 상승했습니다. 이는 예상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 노동부 :
      비연료와 연료 품목의 물가가 모두 올랐다.
    🗣 골드만삭스 :
      수입물가 데이터가 나온 뒤 10월 근원 및 헤드라인 PCE 추정치를 각각 0.27%와 0.25%로 1bp씩 상향 조정했다. 전년 대비로는 각각 2.79%와 2.32%에 해당한다.

탑클래스 투자

16 Nov, 00:57


**미미한 수준은 아니죠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9874

탑클래스 투자

15 Nov, 23:42


다음주 일정

18일: G20 정상회의

19일: 월마트 실적(장전)

20일: 중국LPR금리 결정, 타겟 실적(장전), 스노우플레이크, 팔로알토, 엔비디아 실적(장후)

21일: 바이두, 존디어 실적(장전)

탑클래스 투자

15 Nov, 23:42


일론 머스크의 xAI는 멤피스 데이터 센터용 엔비디아 칩 100,000개를 구매하기 위해 최대 60억 달러를 조달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AI) 회사 xAI가 CNBC의 데이비드 페이버에 따르면 최대 60억 달러를 조달하며, 기업 가치는 500억 달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페이버가 인용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자금 조달은 중동 주권펀드에서 예상되는 50억 달러와 추가 투자자들로부터의 10억 달러로 이루어지며, 일부 기존 투자자들도 재투자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자금은 10만 개의 엔비디아(Nvidia) 칩을 구매하는 데 사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테슬라(Tesla)의 풀 셀프 드라이빙(Full Self Driving)은 새로운 멤피스(Memphis) 슈퍼컴퓨터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머스크가 2023년 7월 발표한 AI 스타트업 xAI는 “우주의 진정한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자사 웹사이트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xAI는 'Grok'이라는 채팅봇을 출시했으며, 이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채팅봇은 두 달간의 학습 과정을 거쳤으며, 실시간으로 인터넷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주장했습니다.

xAI는 Grok을 통해 OpenAI(머스크가 공동 창립했다가 2018년 샘 올트먼과의 갈등으로 프로젝트를 떠난 회사), Google의 Bard 기술, Anthropic의 Claude 채팅봇 등과 직접 경쟁할 계획입니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 당선인으로 확정되면서, 머스크는 최근 몇 주간 트럼프의 핵심 그룹에 합류해 AI와 기술 전반에 대한 새 행정부의 접근 방식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대통령 선거 캠페인 플랫폼에 따라 조 바이든 대통령의 AI 행정명령을 폐지할 계획이며, 이를 “AI 혁신을 저해하고, 기술 개발에 급진적 좌파 사상을 도입하려는 시도”라고 표현했습니다. 대신 공화당은 “자유로운 표현과 인간 번영에 뿌리를 둔 AI 개발”을 지지한다고 명시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4/11/15/elon-musks-xai-raising-up-to-6-billion-to-purchase-100000-nvidia-chips-for-memphis-data-center.html

탑클래스 투자

15 Nov, 23:41


https://www.fnnews.com/news/202411160540022130

탑클래스 투자

15 Nov, 23:40


https://www.fnnews.com/news/202411160201331925

탑클래스 투자

15 Nov, 23:39


https://naver.me/GXAYD0cI

탑클래스 투자

15 Nov, 23:38


굴스비 형님도 이렇게 이야기했다는 건
12월 금리인하는 없다는 걸 의미합니다.

이런 늬앙스거든요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12~18개월 후에는 금리가 한~참 낮아지긴 할거에요"

탑클래스 투자

15 Nov, 14:49


한국에서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대놓고 불법선행매매를 저질렀는데도 아무도 안잡혀간다면,

앞으로는 뭔 밸류업이니 외국인 투자자들이 믿고 투자할 환경을 조성한다느니 하는 말은 하지 않는것이 좋겠다.

김제동을 그만 분노하게 하라.

탑클래스 투자

15 Nov, 14:49


스페이스X, 2,500억 달러 평가 예상, xAI는 450억 달러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12월에 주당 약 135달러, 회사 가치를 2,50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올해 초 2,100억 달러에서 상승한 수치입니다.

한편,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는 최근 50억 달러를 조달하며 몇 달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45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기록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https://www.ft.com/content/342e304b-4c09-4951-8bba-bc9a27ddb726

탑클래스 투자

15 Nov, 14:48


EPA 규정의 최대 수헤자는 테슬라입니다. 이 규정만 없애지 못하면 완성차 기업들이 전기화로의 전환을 하지 못했을 경우 기업 도산밖에 남지 않습니다. 트럼프 정부가 EPA 규정을 취소하려는 것을 일론머스크가 막으려고 할겁니다.
—————————————-

최근 Tesla는 바이든 행정부의 연방 고속도로 EV 충전 네트워크 구축 노력의 주요 자금 수혜자였습니다. 2월 현재 이 회사의 수퍼차저 스테이션 네트워크는 2021년 초당적 인프라법으로부터 1,700만 달러 이상의 보조금을 받았습니다. 공개 기록에 따르면 당시 Tesla는 법의 자금으로 다른 어떤 회사보다 더 많은 충전 광장을 설치했습니다.

그의 새로운 역할에서 머스크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체 배출 규칙을 만들기 위해 캘리포니아의 EPA 면제를 취소하려고 할 경우 트럼프 행정부와 의견 충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캘리포니아 규정은 Tesla에 대한 정부 지원의 수익성 있는 원천이지만, 트럼프가 EPA를 운영하기 위해 선택한 전 뉴욕 하원의원인 Lee Zeldin에게는 이를 제거하는 것이 우선 순위일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기 자원 위원회(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는 제한된 수의 무공해 차량 크레딧을 발행하여 자동차 제조업체가 EV를 생산하도록 장려합니다. 무공해 차량만 생산하는 Tesla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에 배출권을 판매합니다. 지난 분기에만 Tesla는 이 크레딧을 통해 7억 3,900만 달러를 벌어들였습니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캘리포니아의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권한을 취소한다면, 테슬라의 수입 중 그 부분은 사라질 것이다.

https://www.politico.com/news/2024/11/14/elon-musk-gains-power-electric-vehicle-policy-00189326

탑클래스 투자

15 Nov, 14:48


10월 물가상승률 예상치 부합

탑클래스 투자

15 Nov, 14:48


10월 소매판매

헤드라인 예상치 상회 but…

채권은 액세로 반응 중

탑클래스 투자

15 Nov, 14:47


트럼프, 암호화폐 자본이득세 폐지 선언

▶️ 비트코인, 다시 9만 달러 돌파

탑클래스 투자

03 Nov, 10:35


트럼프의 두번째 임기에는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이 따릅니다!

이코노미스트에 투표권이 있다면,
우리는 해리스에게 투표할 겁니다.

트럼프 2기 집권 시 우려사항
1) 경제적 위험
- 20% 수입관세 부과 가능성
- 멕시코산 자동차에 200-500% 관세 부과 언급
- 재정적자 심화 우려
- 인플레이션 위험

2) 대외 정책 리스크
- NATO 등 동맹 관계 약화 가능성
-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대한 단순한 접근
- 중동 문제에 대한 불확실한 대응
- 중국-대만 관계에서의 불안정성

3) 국내 정치적 위험
- 사법부 독립성 약화 가능성
- 정치적 반대세력 탄압 우려
- 사회 분열 심화 가능성

If The Economist had a vote, we would cast it for Ms Harris.

탑클래스 투자

03 Nov, 10:00


하지만 공멸의 시나리오를 제거하면서 또 한 단계 진전을 이루지 않을까요

https://www.khan.co.kr/economy/industry-trade/article/202410301710001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8


“연준 11‧12월 각각 0.25%p 기준금리 인하 전망”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67113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8


https://v.daum.net/v/20241012070044515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8


"사업의 성공은 그 자체로 파멸의 씨앗을 품고 있다. 성공과 현실에 안주하면 실패가 돌아온다. 편집증 환자만이 살아남는다."

하지만 그에 대한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엔지니어'라기보다 '조직 관리자'에 가까웠다는 게 실리콘밸리의 평가입니다. 전문 엔지니어라고 보기 어려웠던 잡스가 빅테크 제국을 일궈낸 것처럼 그로브 역시 기술에 대한 이해보다 조직과 일하는 문화 개선에 대한 맹렬한 열정이 회사를 키우는 원동력이 됐다는 이야기입니다.

실제 과거 인텔 이사회 멤버로 일했던 데이비드 요피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는 뉴욕타임스(NYT)에 "그가 남긴 일하는 문화와 조직관행이 여러 세대에 걸쳐 실리콘밸리에 이어졌으며, 이런 면에서 그로브야말로 진정한 실리콘밸리의 아버지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https://v.daum.net/v/20241102070027884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6


수요 증가로 TSMC, 내년 CoWoS 생산 능력 다시 두 배 증가 – NVIDIA가 절반 차지,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경쟁

TSMC의 CoWoS 첨단 패키징 기술을 겨냥하여 반도체 설계 및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들이 인공지능(AI) 칩 분야에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TSMC는 내년에도 생산 능력이 지속적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NVIDIA가 그 중 약 50%의 생산 능력을 차지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주요 대기업들도 TSMC의 CoWoS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첨단 패키징 시장을 전망하며, 산업기술연구원(ITRI) 산업기술 국제전략개발소는 2025년까지 글로벌 첨단 패키징 시장 비중이 51%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패키징을 처음으로 초과하는 것입니다. 이후 매년 비중이 증가하여 2028년에는 연평균 성장률이 10.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의 마크 리우 회장은 최근 투자자 설명회에서 고객들의 첨단 패키징 수요가 공급을 크게 초과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TSMC는 올해 2023년에 비해 CoWoS 첨단 패키징 생산 능력을 2배 이상 확대했지만 여전히 공급 부족 상태에 있으며, 2025년까지 CoWoS 생산 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는 대만 내 생산뿐만 아니라, 10월 초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패키징 대기업 앰코(Amkor)와 협력해 InFO(집적 팬아웃) 및 CoWoS 첨단 패키징을 확장해 AI 등 주요 고객의 수요를 충족하고 있습니다.

미국계 투자기관에 따르면 AI 칩 주요 기업으로는 NVIDIA, 브로드컴(Broadcom), AMD, 인텔(Intel)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CSP)들이 AI 특수 애플리케이션 칩(ASIC)을 자체 개발하며 TSMC의 CoWoS 생산 능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산 능력 발전과 관련하여 투자기관들은 올해 말까지 TSMC의 CoWoS 월간 생산 능력이 3만 2천 장을 초과할 수 있으며, 앰코 및 ASE 그룹 등을 포함할 경우 전체 CoWoS 월간 생산 능력은 약 4만 장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NVIDIA의 CoWoS 생산 능력 수요는 전체 공급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브로드컴과 AMD는 합산하여 약 27.7%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2025년 전망에 따르면, 미국계 투자기관들은 CoWoS 월간 생산 능력이 약 9만 2천 장까지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TSMC의 CoWoS 월간 생산 능력은 2025년 말까지 8만 장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부 국내 투자기관은 내년 CoWoS 월간 생산 능력이 10만 장에 이를 것으로 낙관하고 있습니다.

미국계 투자기관의 평가에 따르면 NVIDIA의 생산 능력 수요는 2025년에도 전체 CoWoS 공급량의 50%를 차지할 것이며, AMD의 TSMC CoWoS 패키징 주문량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 조사 기관 TrendForce는 NVIDIA가 CoWoS의 주요 수요 기업으로, 2025년 Blackwell 칩 시리즈의 양산이 증가함에 따라 CoWoS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가격 동향 전망에서는 미국계 투자기관이 2025년 TSMC CoWoS 가격 인상률이 10%를 초과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TSMC는 첨단 패키징이 TSMC 전체 매출의 약 7~9%를 차지한다고 밝히며, 관련 마진율도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투자기관은 TSMC의 올해 첨단 패키징 매출이 70억 달러를 초과하여 80억 달러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https://www.ctee.com.tw/news/20241103700285-430501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6


미 당국, 원전의 데이터센터 공급 불허

-전력망 최종 결정자인 FERC는

-Talen Energy가 요청한 Susquehanna 원전과 아마존 데이터센터의 전력망 연결 불허

-지난 3월 Talen은 원전부지 옆에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를 AWS에 6.5억달러에 매각한 상태. 이번 결정으로 매각 취소될 가능성

-FERC가 망 연결 불허 결정 내린 이유는 AWS가 대규모 원전 공급을 온싸이트에서 가져감으로써 1) 일반구매자들에게 전력 공급 불안을 유발하고 2) 망 사용료를 내지 않아(온싸이트 사용이어서) 비용 부담을 일반구매자들에게 전가하기 때문

-미국 빅테크들이 원전 싸이트 인근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계약을 하는 사례가 최근 있었는데, 이에 대한 제동이 걸린 것

https://www.usnews.com/news/technology/articles/2024-11-01/us-regulators-reject-amended-interconnect-agreement-for-amazon-data-center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5


**전일 예상치 못한 미국 장기채 금리 상승에 대한 생각

1️⃣ 10월 고용보고서 부진
- 10월 seasonal factor는 1940년대 초반 이후 최고치를 기록. 작년 수치를 적용하면 +12k가 아닌 -46k로 산출
- 지난달 9월 고용 발표 때 seasonal factor는 9월 기준 사상 최고치를 적용해 서프라이즈를 주도한 바 있음. 지난달에도 작년 9월 seasonal factor를 적용했다면 +254k가 아닌 +145k에 그쳤을 것
- 단, 이번 10월 고용 발표 때 8~9월 seasonal factor를 하향조정하면서 총 -112k 하향조정. 반대로 생각하면 10월 고용 역성장을 제한하기 위해 조정이 불가피 했다고 판단

2️⃣ 10월 ISM 제조업 부진
- ISM 제조업은 전월대비 0.7p 하락한 46.5를 기록. 이는 팬데믹 이후 최저치였던 작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 이에 7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이어갔고, 최근 24개월 중 23개월이 위축 국면

3️⃣ GDPNow 4분기 성장률 추정치 여전히 높지만 2.7%에서 2.3%로 하향조정

4️⃣ 베팅사이트에서 해리스 약진

➡️ 즉, 전일 발표된 경제지표와 대선 재료는 통상 금리 하락으로 연결되어 왔음. 하지만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제가 제시한 오버슈팅 1차 상단인 4.35%를 넘어 4.4%에 근접. 그 이유를 굳이 찾아보면 유동성?

SOFR는 미국채를 담보로 한 익일물 레포거래를 기반으로 함. 즉, SOFR 급등은 하루짜리 레포 금리가 상승압력을 받고 있음을 의미

근데 전일 월말 SOFR 금리는 IORB랑 같은 수준인 4.90%까지 급등했고 75 퍼센타일과 99퍼센타일 금리는 4.98~5.03%를 기록

또한, EFFR과 SRF (스탠딩레포) 관련 뉴욕 연은 사이트는 계속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있음

나아가 역레포 잔고는 2천억달러를 하회. 재무부가 부채한도 적용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TGA 현금잔고를 채우기 위해 재정증권을 대거 발행하면서 시장금리가 오르고, MMF 자금이 4.8%를 주는 역레포에서 이탈했기 때문

그럼에도 2019년 레포 발작 때처럼 유동성 문제가 불거진다면 국채 금리 상승은 오히려 QT 조기 종료와 금리인하를 동반하게 됨. 바로 금리인하를 단행하지 않더라도 2019년처럼 IORB 기술적 조정을 선제적으로 단행할 수도 있음

➡️ 종합하면 전일 금리 급등을 트럼프 트레이드 또는 노랜딩 내러티브 강화로 치부하기에는 납득이 가지 않음. 개인적으로는 8월 금통위와 10월 금통위 간극을 봤을 때 느낌과 유사. 향후 유동성 관련 지표들을 꾸준히 모니터링 할 필요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5


2024년 Warren Buffett의 주요 활동:

1. 애플($AAPL) 주식 1,000억 달러 이상 매도

2. 버크셔 해서웨이($BRK) 자사주 매입 중단

3. 회사 역사상 최대 현금 잔액인 3,250억 달러 보유

4. 미국 국채 2,880억 달러 보유, 기록적인 수준

5. 연준보다 930억 달러 더 많은 미국 국채 보유

6. 버크셔의 내재 가치보다 가격이 낮아질 때까지 자사주 매입 중단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4


🛳 신조선가지수 하락은 벌크선 때문. 한국 조선업과 무관
☞ http://bit.ly/DOS746

⚓️ 주시 뉴스

▶️ 선가, 실적, 캐파
▽ 신조선가지수 3주 연속 소수점 하락, 190p->189p

▶️ 그린쉽
△ TotalEnergies, AP Moller 등과 함께 모로코에서 녹색 연료 프로젝트 착수
△ ABS, LNG선에 원자로 탑재 가능성 검토

▶️ LNG
△ 일본 MOL과 중국 CSET가 QC-Max 6척 소유하기로 결정. 한국의 카타르 계약은 2025년

▶️ 가스선/암모니아운반선: N/A

▶️ 탱커
△ Dynacom은 삼성중공업에 수에즈막스 탱커 4척 발주
△ 인도 Great Eastern Shipping의 노후선 매각 및 선대교체 S&P

▶️ 컨테이너
▲ Wan Hai Lines, 메탄올 D/F 16,000-TEU를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에 4척씩 발주
▽ SITC, 중국에 Huanghai Shipbuilding에 1,800-TEU 2척 추가 발주

▶️ 해양/디펜스/바람
△ 한화오션 자체개발 표준 FPSO 디자인 공개
▷ New Fortress Energy, 멕시코 해상에서 Fast LNG 생산 시설 전면 가동

▶️ 기타
△ Wartsila, 실적 호조. 노후 선대 교체 수요 등으로 신조시장 강세 전망

-----------------------------------------------------------
🎴 조선/기계/방산 | 최광식 | DAOL투자증권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한 보고서입니다.
-----------------------------------------------------------

⚓️ 코멘터리: 보고서 참

탑클래스 투자

03 Nov, 08:54


🛳 신조선가지수 하락은 벌크선 때문. 한국 조선업과 무관
☞ http://bit.ly/DOS746

⚓️ 주시 뉴스

▶️ 선가, 실적, 캐파
▽ 신조선가지수 3주 연속 소수점 하락, 190p->189p

▶️ 그린쉽
△ TotalEnergies, AP Moller 등과 함께 모로코에서 녹색 연료 프로젝트 착수
△ ABS, LNG선에 원자로 탑재 가능성 검토

▶️ LNG
△ 일본 MOL과 중국 CSET가 QC-Max 6척 소유하기로 결정. 한국의 카타르 계약은 2025년

▶️ 가스선/암모니아운반선: N/A

▶️ 탱커
△ Dynacom은 삼성중공업에 수에즈막스 탱커 4척 발주
△ 인도 Great Eastern Shipping의 노후선 매각 및 선대교체 S&P

▶️ 컨테이너
▲ Wan Hai Lines, 메탄올 D/F 16,000-TEU를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에 4척씩 발주
▽ SITC, 중국에 Huanghai Shipbuilding에 1,800-TEU 2척 추가 발주

▶️ 해양/디펜스/바람
△ 한화오션 자체개발 표준 FPSO 디자인 공개
▷ New Fortress Energy, 멕시코 해상에서 Fast LNG 생산 시설 전면 가동

▶️ 기타
△ Wartsila, 실적 호조. 노후 선대 교체 수요 등으로 신조시장 강세 전망

-----------------------------------------------------------
🎴 조선/기계/방산 | 최광식 | DAOL투자증권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한 보고서입니다.
-----------------------------------------------------------

⚓️ 코멘터리: 보고서 참

탑클래스 투자

03 Nov, 02:42


버핏의 미국채 보유량이 연준을 추월

1. ​(국채 보유 현황)​
- 버크셔 해서웨이의 미국 국채(T-bills) 보유액: 2,880억 달러
- 연방준비제도(Fed)의 국채 보유액: 1,953억 달러
- 작년 말 1,300억 달러에서 81% 증가[1]

새로운 미국의 주인이 탄생

https://gall.dcinside.com/nasdaq/843863

탑클래스 투자

03 Nov, 02:42


『우주 - 우리는 돈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기업분석부 명지운, 허성규, 이동헌, 이지한

1. 사업성 검토: 우주, 그게 돈이 됩니까
- 우주 시장이 성장하려면 전방의 위성 사업자들의 경제성 필요
- 통신 위성, 관측 위성의 경제성 가늠
- 스타링크는 BEP 달성할 것 같음. 자체 발사체를 사용, 매우 낮은 발사 원가 때문
- 막사는 위성 영상 판매 부문 이미 흑자. 정부의 방산 수요로 큰 매출 발생

2. 글로벌 동향: 자본의 힘
- 막대한 자본과 강력한 정부 지원이 뒷받침되는 미국이 중심
- 우주 기업들이 여러 밸류체인에 걸쳐있는 이유: 정부 프로젝트 대응, 원가 절감, 불명확하고 분산된 수요 모으기
- 재사용 발사체로 우주 접근성을 압도적으로 높인 미국 중심 양극화 심화될 것

3. 국내 밸류체인: 애국에서 수출로
- 국내 우주 산업: 매출 10억원 미만의 회사가 70% 이상, 수출액 1조원 미만
- 한국 우주 업체들은 우주가 아닌 분야에서 본업을 영위, 일부는 적자를 감내하고 우주 부품 생산
- 위성과 발사체 기업 역시 민간 수요를 창출하지 못해 대부분 상업화 단계에 도달 X
- 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 정부의 지원 필수적

4. 우주 투자 공략법
- 발사체 비용 감축이 시장의 성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
- 단기적으로는 정부 수주로 돈을 벌며 외형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
- 장기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기업 (1)발사체 업체, (2)방산 목적의 관측 위성 제조사/데이터 판매사, (3)위성 통신 납품 업체
- 국내 업체가 성장하는 최상의 시나리오는 정부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력, 레퍼런스를 쌓고 수출까지 가는 것

- 우주 섹터 Top Picks: 쎄트렉아이, 에이치브이엠, 관심주: 인텔리안테크
- [쎄트렉아이] 2026년 수익성 향상. 수출 증가 및 자회사 수익성 개선
SpaceEye-T로 인해 2025년말부터 영상 데이터 수출, 2026년에 위성 완제품 수출 전망
- [에이치브이엠] 미국 최대 고객사 주문 대응위해, 상장 후 두 차례의 추가 CapEx 지출 완료
2025년 공동개발 품목 HVM5091 외에도 다수 고객사에게 판매가능한 제품 두 가지를 개발하며 추가 동력 확보
- [인텔리안테크] 원웹이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2025년 지상용 안테나 매출 2배 이상 성장
매출 성장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및 연구 인력 효율화로 수익성이 개선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652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6일 07시 4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03 Nov, 02:20


⚡️⚡️⚡️⚡️⚡️⚡️
미국 대선 D-2 🇺🇸

오랜만에 폴리마켓, Kalshi, PredictIt 들어가봤는데 폴리마켓과 Kalshi는 해리스가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고 PredictIt은 해리스가 7점 높게 치고올라왔습니다.

마지막 사진은 미국 대선 예언가로 유명한 두사람에 대한 뉴스기사인데 구독자님들이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트 실버: 2008~2020년 선거중에서 2016년 빼고 정확하게 다 맞췄고 이번 선거에서는 미세한 차이로 트럼프가 이길 것 같다고 이야기하지만 X에 올리는 글 보면 너무 자기 믿지말라고 커버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앨런 리히트먼: 1984년도부터 2020년까지 총 10번의 선거중에서 9번을 맞춘 사람입니다. 유일하게 못맞춘게 2000년 부시-앨고어 매치인데, 이때 연방 대법원까지 개입한 복잡했던 선거입니다.

대신 놀라운것은, 2016년 다들 힐러리가 이긴다고 희망회로 다 돌리고있을때 트럼프 100% 이긴다고 포지션 잡았던분입니다.

참고로 이분 구글 검색해보니 민주당 지지하지만 대선 분석할때는 무조건 중립 포지션잡는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https://t.me/insidertracking

탑클래스 투자

03 Nov, 00:38


🇺🇸 美증시 Summary

아마존과 인텔의 강세에 힘입어 11월 첫 거래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10월 BLS 비농업 고용이 12K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예상치(113K 증가)를 크게 하회했고 실업률은 4.1%로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국채금리가 잠시 급락세를 보였지만 투자자들은 허리케인과 보잉 파업 영향으로 간주하면서 크게 의미를 두지 않았습니다/ 국채금리는 다시 상승했고 증시는 상승세를 유지한 체 거래를 마쳤습니다

✔️10월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6.5으로 예상치 (47.6)를 하회하며 여전히 위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지불 물가 구성요소가 5월 이후 최고치로 상승한 것은 유가 하락을 고려할 때 특이한 점입니다/ 다음주 연준의 금리인하(25bp) 확률은 더 높아졌습니다

미국 어닝 시즌이 3주차를 지나고 있습니다/ 금융, 유틸리티, 소재 부문의 실적 발표가 대부분 완료되었고/ S&P 500 종목의 약 87%가 다음주까지 실적 발표를 마무리합니다

매그니피센트 7은 미국 전체 시가총액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지난주, 매그니피센트 7 종목 중 5개 종목이 엇갈린 가이던스를 발표한 가운데/ 주요 관심사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AWS, Google, Meta, Microsoft의 설비투자 증가에 따른 국내 및 글로벌 혜택이 얼마나 광범위할지/ 언제부터 ROI(투자대비 수익률)가 나타날지/ 미국과 유럽의 반독점 규제에 따른 훼손은 없을지 입니다

컨콜에서 경영진은 인공지능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AI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비즈니스 생산성이 향상되어 운영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유틸리티 섹터에서는 전기 유틸리티 이 외에도 📍'물'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핵심 테마이자 잠재적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만 합니다

산업섹터의 건설업은 허리케인 피해를 받은 남부 지역의 재건 이슈가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보잉 노조 파업은 오늘로 8주째에 접어들었습니다/ 양측은 엊그제 새로운 협상안을 마련했고 다음주 월요일에 투표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석유 메이저인 셰브론과 엑손은 금요일 견조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생산량은 분기 중 최고치를 기록했고 기술 개선으로 효율성이 높아져 마진이 높아졌습니다

아시아 동향을 살펴보면 🇯🇵일본은행은 데이터 살피며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당국자들은 급격한 엔화 변동 우려에 대해 유연한 환율정책을 약속했습니다/ 🇨🇳중국 차이신 제조업 PMI는 확장세로 전환했고 신규 주문은 증가했지만 수출과 고용은 감소했습니다

🗞기타이슈로는 엔비디아가 다우지수에 새롭게 편입되고 인텔은 퇴출됩니다(송구영신)/ 버크셔해서웨이는 3분기에도 애플 주식을 매도했다고 밝혔고/ 전체적으로 9개월 간 주식 매입보다 매도 비중을 높여 3,253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렸습니다

NEXT👉
미국 대선(화)과 이틀 뒤 연준 FOMC 회의가 이어집니다/ 파월 연준의장이의 기자회견에 관심이 쏠릴 예정입니다/ 3분기 실적 발표가 정점에 달할 것이며/ 주요국 산업 생산과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이어집니다/ ⏰️오늘(3일) 미국 섬머타임이 종료됩니다

🌲이차장 Live

탑클래스 투자

22 Oct, 20:18


박용직 전 삼성SDI 미주 영업총괄님 필요내용 요약 (선대인 TV)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629306128

탑클래스 투자

22 Oct, 20:18


이는 36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 국가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액입니다.

이제 부채에 대한 이자로 연간 거의 1조 2천억 달러를 지불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가 징수한 모든 세금, 관세 및 수수료의 약 23%가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탑클래스 투자

22 Oct, 20:18


*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일 -7.16% 하락
* Bloomberg에 따르면 2024년 인도 증시에 상장된 기업은 첫 거래일 평균 39% 상승, $5억 이상 기업은 평균 66% 상승
* 이에 상장일에 현대차 인도법인이 상장일에 -7.16% 하락한 것은 다소 이례적이라는 반응

< 하락 배경>


1. 밸류에이션 부담:
* PER 약 26배가 적용되었는데 이는 인도 산업 평균(22배) 대비 높아 고평가 논란이 있었음

2. 리테일 투자자 관심 저조:
* 리테일 투자자 청약률은 배정물량의 50%에 그쳤으며, 청약기간 중 비상장 거래 프리미엄(GMP)이 +560루피에서 +14루피까지 급락하기도 했었음

3. 경쟁 심화 & 점유율 하락 추세:

* 현대차 인도 소매 승용 시장 점유율은 21년 17%~19% 수준에서 최근에는 14% 수준까지 하락. 여전히 인도 시장 2위를 수성중이나
* 동기간 Mahindra 점유율이 약 +7%p 가량 급증했으며 주가도 올해 +60% 상승.
* 인도 HEV 점유율 85%를 갖고 있는 Toyota 인도 승용차 소매 점유율은 동기간 +4%p 상승했으며며 기아를 제치고 9월에는 5위에 등극

탑클래스 투자

22 Oct, 11:50


RTX 2024년 3분기 실적 (프리장 +2%)

- 조정 EPS: $1.45 (예상: $1.34); 전년 대비 16% 상승
- 매출: $201억 (예상: $198.5억); 전년 대비 6% 상승

2024 회계연도 전망 상향:

- 조정 EPS 가이던스: $5.50–$5.58 (이전: $5.35–$5.45; 예상: $5.47)
- 조정 매출 가이던스: $792.5억–$797.5억 (이전: $787.5억–$795억; 예상: $795억)
- 잉여 현금 흐름 가이던스: 약 $47억

기타 주요 지표:

- 영업 현금 흐름: $25억; 전년 대비 24% 감소
- 잉여 현금 흐름: $20억; 전년 대비 28% 감소
- 회사 수주잔고: $2,210억 (상업 부문 $1,310억, 방위 부문 $900억 포함)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
- 보고된 매출: $70.75억; 전년 대비 7% 상승
- 조정 영업 이익: $10.96억; 전년 대비 5% 상승

프랫 앤 휘트니:
- 보고된 매출: $72.39억; 전년 대비 14% 상승
- 조정 영업 이익: $5.97억; 전년 대비 45% 상승

레이시온:
- 보고된 매출: $63.86억; 전년 대비 1% 감소
- 조정 영업 이익: $6.61억; 전년 대비 16% 상승

주요 하이라이트:
- 주주에게 $11억의 자본을 반환하며, 합병 이후 총 $320억 이상 반환.
- RTX는 $9,000만의 추가 비용 시너지를 실현하며, 합병 후 목표인 $20억을 달성.
- 수주잔고가 사상 최대인 $2,210억을 기록하며, 상업 및 방위 부문에서 강한 수요.

CEO 크리스 칼리오:
- "RTX는 이번 분기에도 유기적 매출 성장, 조정 부문 마진 확대 및 잉여 현금 흐름을 통해 강력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상업 애프터마켓 및 방위 부문에서의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우리는 조정 매출과 조정 EPS에 대한 연간 전망을 다시 상향 조정하게 되었습니다."

탑클래스 투자

22 Oct, 11:25


PLUS K방산 구성 종목

탑클래스 투자

22 Oct, 11:22


메가터치
현재가 4035원
시총 838억

정남진 상무
코스닥 지수 -11.30% 폭락했던 8월5일부터 매수 강도를 올리고 있는데요.
최근 급등 후 음봉 매수.16,18일 1300만원.

7월~ 5400만원 매수. 평단 4500원

배터리,반도체 Test Pin 비중 5:5

탑클래스 투자

22 Oct, 10:51


* 해리스, 최근 로이터/입소스 여론조사에서 미국 등록 유권자 대상 46% 대 43%로 트럼프를 앞서

탑클래스 투자

22 Oct, 10:51


General Motors

- 3분기 실적에서 주당 $2.96의 이익을 기록, 애널리스트 예상치 $2.40보다 $0.56 상회.
- 3분기 매출은 $487.6억으로 예상치 $447.4억을 상회함.
- 2024년 연간 EPS 전망을 $10.00~$10.50로 상향, 애널리스트 예상치 $9.97보다 높음.
- 2024년 예상 자본 지출은 $105억~$115억이며, 배터리 셀 제조 합작 투자에 대한 투자가 포함.
- 회사는 향후 전기차 및 배터리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며, 장기적으로 강력한 성장을 기대

https://finance.yahoo.com/news/gm-beats-on-q3-earnings-raises-profit-forecast-for-3rd-time-this-year-170843279.html

탑클래스 투자

22 Oct, 10:51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한중엔시에스(107640.KQ): ESS 시장 내 독보적인 플레이어 ★

원문링크: https://bit.ly/3BQYVX5

1. 국내 최초, 유일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생산 기업
- 한중엔시에스는 1995년 설립되었으며, 자동차 부품 및 ESS 냉각시스템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
- 자동차 부품은 EV 전용 부품 생산을 주력으로 공조 장치인 CFM(Cooling Fan Module), AAF(Active Air Flap) 등과 Bus-bar, BEV Pack 등 배터리 Module을 생산
- 동사의 핵심 성장 동력은 ESS 부문. 2015년 Portable ESS인 ‘큐브젠’ 개발을 통해 화재, 안정성, 냉각, 제어 등 기술적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R&D를 진행해 왔음
- 또한, 2018년 3, 4세대 공랭식 ESS 개발 및 수주를 시작으로 2022년 국내에서 최초로 5세대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상용화 및 양산 공급에 성공
- 수냉식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은 Cooling Plate, Chiller, HVAC 등을 주력으로 생산 중이며, 삼성SDI와의 협업을 통해 고성장을 지속 중
- ESS 부문 2020~2023년 매출액 CAGR은 172%이며, 매출 비중은 2020년 3.5%에서 2023년 40.9%, 1H24에는 48.3%까지 증가한 상황
- 3Q24는 50%를 상회할 전망. 가동률은 2020년 64.1% → 1H24 87.5%로 전방 수요 확대의 수혜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중
- 신재생에너지 및 데이터 센터 등 ESS 수요 중가에 따라 추세적인 성장 가속화가 전망

2. ESS 공랭식 대비 수냉식이 가지는 압도적인 이점
- ESS는 기본적으로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충방전 과정에서 상당한 열을 발생시킨다.
-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배터리는 결국 열 관리가 수명, 성능, 안정성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냉각 기술 적용이 필수적이며, ESS 냉각 기술은 공랭식 대비 수냉식이 지닌 이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전방 볼륨 확대가 예상
- 수냉식은 1) 액체를 냉각 유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아 냉각 효율이 높으며(전력 소모량 감소), 2) 부품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해주기 때문에 온도 편차가 낮고,
- 3)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4) 일정 부분에 열이 발생하는 핫스팟의 위험을 최소화 시킴
- 그리고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 수급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전력망, 데이터센터, 공장 등 다양한 설치 환경에 맞춰 대형화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중요
- 5) 공랭식은 공기의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해 운영 및 설계에 다소 제약을 받고, 대형화가 진행 될수록 냉각 하는 과정에서 팬의 기계적 소음이 발생
- 반면, 수냉식은 보다 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열을 제거하며, 상대적으로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에 적합

3. 본격적인 Capa 증설 진행 중, 신규 고객사 추가 전망
- 한중엔시에스의 ESS 수냉식 냉각시스템은 주로 ‘SBB 1.0’ 3.8Mwh 용량 제품에 탑재되는데, 최근 차세대 ‘SBB 1.5’ 5.3Mwh 용량 제품 개발 완료로 본격 양산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
- 기존 제품 대비 많은 양의 배터리를 적재함과 동시에 에너지 밀도는 약 37% 향상
- 늘어나고 있는 물량에 대비해 현재 Line 증설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며, 2025년은 연간 매출액 기준 약 3천억원까지 Capa를 확대할 계획
- 동사는 ESS 냉각시스템에 대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메이저 고객사 외에 추가적인 글로벌 셀메이커 고객사 확보가 가능하며 설계, 조달, 시공을 담당하는 EPC 기업들도 잠재적 고객사로 분류
- 현재 독일의 EPC 기업 ‘SMA’社와 샘플 및 제품 품질 검증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며, 내년부터는 추가적인 셀메이커 고객사 확보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탑클래스 투자

22 Oct, 10:41


* GM 서프 & 주요 타겟 상향조정

=========================

~ General Motors is raising several key financial targets for 2024 after easily beating Wall Street’s earnings expectations for the second quarter, while it restructures money-losing operation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and its China business

https://www.cnbc.com/2024/07/23/general-motors-gm-earnings-q2-2024.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탑클래스 투자

22 Oct, 09:14


[단독] 'K방산 ETF' 美증시 상장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은 지난 9일 ‘PLUS 코리아 디펜스 인더스트리’ ETF 상장 신청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다. 약 두 달간의 심사 과정을 통과하면 내년 초 상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ETF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PLUS K방산’을 벤치마킹했다. 구성 종목과 종목별 비중을 비슷하게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PLUS K방산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한화오션, LIG넥스원 등을 담고 있다.

올 들어 이달 18일까지 67.61% 급등해 세계 주요국 주식형 ETF 가운데 수익률 1위를 달리는 중이다.

한화그룹은 ETF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자본시장에 K방산의 경쟁력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세계 최대 방산 시장인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 8월 연 20조원에 달하는 미국 해군 함정 유지보수(MRO) 사업을 수주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221451

탑클래스 투자

22 Oct, 09:11


미 대선과 IRA

Disclaimer: 사실에 기반하여 제작하였으며 필자는 직접적인 신재생 노출도가 0에 해당합니다. 아래 내용이 맞더라도 1) 주가는 별개일 수 있으며, 2) 트럼프의 변동성을 고려해야 함을 고지드립니다.

#트럼프 당선 1
- 국회 입법 절차를 통해 IRA 무력화 시도가 가능하나, 어렵다고 판단.
- 현재 공화당/민주당 지지자들의 높은 비중이 IRA 폐지에 반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유가 업체들도 그동안 IRA 영향으로 CCUS 등에 투자함으로 인해 IRA 폐지에 반대하고 있음.
- 트럼프 1기 당시에도 신재생 축소 시도 법안이 진행되었으나, 결과적으로 트럼프측이 제시한 금액 대비 4배 증액된 금액으로 예산이 편성된 바가 있음.

#트럼프 당선 2
- 트럼프 당선 이후 공화당이 다수당이 되더라도 IRA 폐지는 현실화 어렵다고 판단.
- 트럼프 캠프가 1기와 2기 유사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1기 대비 더욱 강조하는 것은 미국 기업의 이익보다 미국인들의 더 많은 고용. 이에 IRA 수혜를 통해 고용이 많이 될 수 있는 지역의 의원들은 폐지에 반대할 것으로 전망.
- 대표적으로 공화당 강세 지역이 제조업, 에너지 의존 산업, 중소도시 등에 해당하여 IRA에 따른 수혜를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실제 과거 IRA 무력화 법안을 공화당에서 발의한 적 있으나 지역구 공화당 의원에 반대에 의해 무산된 바 있음.

탑클래스 투자

22 Oct, 09:10


[DB금융투자 전기전자 조현지]

LG전자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Ⅰ. 중장기 목표: 2030 미래비전
- 목표
. 2030년 매출 100조 달성
. 2030년 Triple7 달성
(매년 매출성장률 7%, 영업이익률 7%, EV/EBITDA 7×)
. 2027년 ROE 10% 이상 목표
- 중장기 사업 추진 전략 및 이행 계획
①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
: 하드웨어 기반 사업에서 webOS 사업,
스마트홈 사업 등 플랫폼 기반 사업으로 확대
② B2B 사업의 확대
: 공조(HVAC), 자동차 전장, 스마트 팩토리 사업 등
기업고객에게 차별화된 솔루션 제공
③ 신사업 발굴 (New-to-LGE)
: 미래 사업 전략과 align된 기술 개발을 통해
자사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신사업 발굴
- 이행계획에 따른 중장기 매출·영업이익 비중 예상
.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으로 상기 사업의
매출 비중은 2024년 39% → 2030년 52%,
영업이익 비중은 2024년 55% → 2030년 76%로 확대

Ⅱ. FY2024 ~ FY2026 주주환원
- 1차 주주환원정책 (FY2021 ~ FY2023)
. 배당성향 20%, 연 1회 결산배당 실시
- 2차 주주환원정책 (FY2024 ~ FY2026)
. 배당성향 25%, 반기배당실시,
연 1,000원의 최소배당금 설정
- 향후 추진계획
. 기보유 자사주 소각 검토, 추가 자사주 매입 검토,
분기배당 검토
(향후 추진계획은 수시 업데이트 예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022800424

탑클래스 투자

22 Oct, 09:08


트럼프 당선되면 다 맘대로 할 수 있다?

아닙니다. 전혀

상,하원을 다 장악해야하고, 특히 상원의 경우 60석이상을 차지해야합니다. 필리버스터를 무력화시킬수 있는 의석수입니다

현재 구도에서는 어떤 당도 상원 60석을 가져가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미 의회는 법안 통과를 위해, 필리버스터의 제한을 받지 않는 예산조정이라는 도구를 사용합니다. 이 규정은 1974년에 법제화되었고, 세입, 세출, 부채한도 관련법에 대해 연간 각 1회씩 적용할수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법이 이 세 항목에 대해 복수로 적용되기 때문에 미국의 집권당은 통상 1년에 1개 정도의 법안을 예산조정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바이든의 IRA도 예산조정 제도를 통해 입법화되었습니다. 트럼프때는 Tax Cuts and Jobs Act가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트럼프가 상하원을 다 장악한다해도 2026년 중간선거 이전까지 맘대로 할 수 있는 법안 통과는 기껏해야 2가지 정도입니다. 근데 1가지 반드시 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2017년 통과시킨 Tax Cuts and Jobs Acts의 효력이 2026년에 만료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제일 먼저 입법화하는 절차를 진행할테니, 단 하나의 입법안 정도만 여유가 있습니다

트럼프가 한 번의 기회를 IRA 무력화시키는데 사용할까요? 실익이 있을까요? 공화당내에서도 이미 반대하는 의원들이 많은 상태인데요

트럼프가 당선되었을때 상하원을 다 장악했지만, 오바마가 입법화한 5년간의 풍력, 태양광 보조금에 대해 반대 입법을 시도조차 않은 이유가 이런 시스템 때문입니다

오바마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심지어 그의 첫 당선시기에는 상원을 60석 차지했을 정도로 돌풍이었지만, 미 전역의 탄소배출시스템 입법화에 실패했습니다. 하원에서 일부 민주당의 이탈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정치 시스템을 너무 쉽게 보면 안됩니다

아무리 트럼프라도 맘대로 할 수 없습니다. 더군다나 그는 이제 4년짜리에 불과하고 2년뒤부터는 레임덕세션에 들어갑니다

트럼프에 의해 그린산업 모두가 붕괴될 것 같이 느껴지는 것은 착시고 착오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의 잘못된 쏠림현상은 언제쯤 정상화될까요?

탑클래스 투자

22 Oct, 09:08


[미래에셋 김철중]

유럽 9월 판매
BEV 213,443대 (+13.9% YoY)
PHEV 81,321대 (-11.7% YoY)
HEV 377,168대 (+12.3% YoY)
가솔린 329,207대 (-18.8% YoY)
디젤 93,304대 (-23.8% YoY)

1~9월 누적
BEV 1,433,225대 (-2.6% YoY)
PHEV 694,215대 (-3.8% YoY)
HEV 3,008,233대 (+19.2% YoY)
가솔린 3,337,265대 (-5.6% YoY)
디젤 1,058,545대 (-11.5% YoY)

Source: ACEA

t.me/cjdbj

탑클래스 투자

22 Oct, 07:43


현대건설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CJ 가양동 연구소 부지의
본PF 조달이 마무리됐습니다.

2024년 상반기 말 기준
브릿지론+토지담보대출 보증잔액
4.4조원 중
가양동 부지 보증 잔액
1.7조원이 사라집니다.
연말 기준 보증잔액은
2.0조원으로 전망하며,
우발채무 부담을 큰 폭으로 덜어내고
새해를 시작하게 되네요.

탑클래스 투자

22 Oct, 07:43


유럽 자동차 9월
- EU 전체 6.1% 감소.
- EU+EFTA+UK 4.2% 감소
- BEV는 +13.9%, PHEV -11.7%
- HEV는 +12.3%

In September 2024, new EU car registrations continued their downward trajectory (-6.1%) with negative results across three of the region’s four major markets: France (-11.1%) and Italy (-10.7%), with the German market declining by 7%. On the other hand, Spain experienced a healthy rebound (+6.3%).

Registrations of battery-electric cars rose by 9.8% to 139,702 units in September 2024. However, year-to-date market volume was still 5.8% lower than the same period last year, with the total market share falling to 13.1% from 14%, driven by a substantial decrease in Germany (-28.6%).

탑클래스 투자

22 Oct, 07:15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03894?sid=101

탑클래스 투자

22 Oct, 06:05


📩프랑스 정부 25년 전기차 보조금 감축 계획

2025년 예산 초안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내년 전기 자동차 구매에 대한 지원을 3분의 1로 줄일 계획

연내 할당된 최대 보조금은 15억 유로로 25년부로 10억 유로까지 축소될 것

https://www.electrive.com/2024/10/21/french-government-plans-to-reduce-ev-subsidies-in-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