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econostudy Channel on Telegra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econostudy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Korean)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은 경제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한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최신 경제 이슈, 트렌드, 그리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경제학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경제학은 우리 일상 생활과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주제이며, 많은 사람들이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싶어하는데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은 이를 위해 경제학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해 경제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자신의 경제 상식을 향상시키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즉, 이 채널은 경제 공부를 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분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만약 경제학에 대해 더 알고 싶거나 최신 경제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면, econostudy 채널을 방문해보세요. 경제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Jan, 22:47


https://naver.me/xbA3JGK2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Jan, 22:24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12100003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Jan, 21:55


2025년 1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 취임 첫날 보편적 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역외 원/달러가 1,434원까지 내렸습니다.

(2) 트럼프가 중국과 인접국가들의 교역 정책 및 관계를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3) 트럼프가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되돌린다고 밝혔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34.89원 (-5.36원)
원/달러 Risk-Reversal 25delta 1개월 옵션, 0.625(-0.160)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Jan, 03:17


CES2025 중 관심이 집중된 분야는 유리기판과 휴먼노이드이다. SKC가 유리 기판을 공개, 최태원회장의 미국 고객사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공급, 양산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관련 기업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생성형 AI를 넘어선 물리적AI(피지컬AI) 시대에 데이타 분석이 중요한 영역을 차지한다. 반도체 고 집적화, 고용량화 될 수록 기판의 코어가 두꺼워지는 동시에 발열에 취약해지 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체 가능한 기술로 유리기판이 거론된다.

물리적인 AI의 대표분야는 휴먼노이드이다. AI로 초연결 및 인프라가 구축된 생 태계에서 로보틱스 및 휴먼노이드에 관심이 높아질 전망이다. 전기전자 분야에 서 카메라모듈 업체의 연관성, 수혜 가능성이 언급된다.

휴먼노이드의 두뇌는 AI이나 외부의 움직임을 인식, 반응의 결과를 카메라로 대응한다. 삼성전기가 미국 전기차 업체, 국내 자동차 업체와 제휴를 진행, 추진하고 있다. KH바텍은 레인보우 로보틱스와 협동로봇 관련한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 LG이노텍 은 신성장 사업의 하나로 휴먼노이드를 추진하고 있다. 카메라는 기조의 스마트폰 중심에서 자율주행, 휴먼노이드 분야로 다각화하고 있다. 2025년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대신 박강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Jan, 03:12


2025년 이익 증가율 전망치도 높고, 이익 추정치도 상향 조정되고 있지만, 최근 미국 10 년물 국채금리 상승 과정에서 주가 낙폭이 컸고, 이익 기반으로 주가 낙폭 회복이 가능 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제약/바이오, 자본재 업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국내 증시는 미국과는 달리 2025년 이익 추정치가 하향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 다른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 오히려 국내 증시에서는 2025년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 폭 이 가장 큰 대신 2024년 4분기 또는 25년 1분기에 이익 저점 형성 후 개선 싸이클을 기 대할 수 있는 업종이 나아 보인다. 대표적으로 반도체다.

한편 가격 메리트 고려 시 현재 PBR이 2020년 당시 저점보다 낮거나 비슷한 업종 중 ROE가 꾸준히 상승하면서 당시보다 높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제약/바이오 업종에 관 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9 Jan, 22:38


성대한 취임식 예고 트럼프, 시진핑과 "매우 좋은 통화" [글로벌마켓 A/S]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84121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9 Jan, 22:28


트럼프 취임, 주식시장의 승자와 패자가 갈린다[이번주 美 증시는]

https://naver.me/FdCXeCZa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9 Jan, 22:26


https://naver.me/xUwQkEKQ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9 Jan, 21:51


증시 분위기 180도 달라졌다…한달새 1조원 '급증'
https://naver.me/GWecezCl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9 Jan, 21:49


[신영증권 박소연] 1월 넷째주 증시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시장은 우려 반 기대 반인 듯 합니다.

보편관세 부과, 인플레이션, IRA 보조금 감축 등은 분명 걱정스럽긴 하지만

1) 규제 완화 및 공급망 재편 : 조선/원전/바이오
2)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 : 시진핑 정상회담
3) 우크라이나/이스라엘 휴전 : 유가 안정

등 기대감이 커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과 기회 요인을 분리하여 대응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4주 연속 상승. 그러나 외국인 매도로 전체적으로는 관망. 한은 기준금리 동결로 국고 3년물 금리 2.57%로 보합세. 원/달러 환율은 14원 하락한 1,458원

▲ 업종/종목 : 트럼프 수혜 기대로 조선주 연일 신고가. 대한전선(+14.5%) 등 전력 관련주는 LA 산불복구 수혜로 연일 급등. LS일렉트릭(+24.2%)은 일론 머스크의 xAI 배전반 납품 호재도 일조. 코웨이(+14.5%)는 얼라인의 주주행동주의로 강세

▲ 주말 해외동향 : 미국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트럼프 2기 출범 기대, 중동 휴전에 따른 국제유가 및 물가 안정 기대감도 확산. Citigroup(+1.9%), Goldman Sachs(+2.1%), JP모건(+1.9%) 등 금융주 다수 신고 경신. Tapestry(+2.5%) 등 소비재도 강세

- 트럼프, 취임 100일 이내 중국 방문해 시진핑 만날 생각 : 17일 시주석과 전화통화로 무역/펜타닐/틱톡 등에 대한 이슈 대화

▲ 종합판단 : 트럼프 취임 보편관세 시행, IRA 보조금 축소 등 각종 행정명령 등 이행 여부 관찰 필요. 변동성 크겠지만 한국은 3월 주주총회와 배당기산일 앞두고 하방경직 기대. 중국 경기부양도 긍정적

- 20일(월) 마틴루터킹 데이로 미국 주식/채권시장 모두 휴장, 23일(목) BOJ 기준금리 결정 등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3:49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 첫날 100개 이상의 행정명령 발표 준비 중

[트럼프 행정명령 맛보기 9]

1. 이민 정책
- 불법 이민자 추방 강화
- '멕시코 잔류' 정책 복원
- 출생 시민권 부여 제도 폐지 검토

2. 관세 및 무역
-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에 대한 관세 부과
- 보편 관세 제도 도입

3. 에너지 및 환경 정책
- 파리기후협정 탈퇴
-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

4. 규제 완화
- 연방 규제 동결 또는 철폐
- 경제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5. 사회 및 보건 정책
- 오바마케어 폐지 또는 개정
- 낙태 관련 단체에 대한 연방 지원 중단

6. 국경 및 안보
- 국경 장벽 건설 재개
- 국경 보안 강화 및 국가 비상사태 선포 가능성

7. 경제 및 재정
- 연방 공무원 고용 동결
- 세금 정책 변경

8. 외교 정책
- 동맹국과의 방위비 재협상
-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수교 촉진 등 중동 정책 강화

9. 기술 및 가상화폐
- 가상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 개혁
-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변화

이 외에도 트럼프는 그의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행정명령을 발표할 예정

출처 : 𝕏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3:48


경쟁력을 가진 엔터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3:47


한국이 압도적인 가성비를 가진 미용?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3:47


트럼프가 대놓고 도와달라고하는 조선, 트럼프가 협업하자고 하는 원전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3:47


이러나 저러나 제가 생각해본
트럼프 보편 관세에서 승자는

- 앞도적 경쟁력 있는 기술 리딩 기업
- 가성비 넘치는 섹터 및 기업
- 중국이 잘못하고 미국에 없는 제품을 하는 섹터 기업
- 중국 제제로 미국에 시장 확대할 수 있는 기업
- 미국 삽질(삽질에서 전력까지) 쇼티지에 잘 대응하는 기업
- 공급망 혼란으로 새로운 무역 질서 기회를 움켜지는 기업
- 중국 기술테크 제제에 예외로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테크 기업

요정도가 정리됩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2:42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7163800071?input=1195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2:4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42812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2:3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2142419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Jan, 22:3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42817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0 Jan, 03:27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플로리다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공화당 소속 주지사들과의 회의 전 발언에서 "그가 만나기를 바라고 있고, 우리는 그것(회담)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회담과 관련한 구체적인 일정은 언급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0059200009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0 Jan, 03:2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09131

트럼프 2기 행정부 시작을 앞두고 미국 산업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위상이 트럼프 1기(2017∼2020년)와 비교할 때 크게 높아진 것도 향후 양국 경제 협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미국이 중국 견제에 나서면서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품목에서 한국의 지원을 요구할 것이란 얘기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9 Jan, 23:00


현재 S&P500은 24년(FY0)대비 25년(FY1)과 26년(FY2)에 각각 14.6%. 13.6%의 상당히 양호한실적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는 지난 3년간 FY0 회계연도말 기준FY1와 FY2의 EPS GrowthEPS 전망 평균치(8.7%,11.0%)를 크게 웃도는 수치.

경기, 정책등 산재된 불확실성에도 실적에 대한 눈높이가 이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는 점은 컨센서스 조정이 제대로 이뤄져 있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

향후 전개되는 미국 실적시즌에 어닝 결과보다 중요한 가이던스 결과에 따라 미국 기업들의 25년~26년 실적 전망이 큰 폭으로 하향 조정 될 경우 견고했던 S&P50012M/F EPS 방향성의 훼손 가능성이 대두될 수 있음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9 Jan, 22:47


01/10 미국 고용보고서에 대하여

최근 국채 금리가 트럼프 정책을 반영하며 상승세가 확대돼 10년물 기준 4.7%를 상회하기도 했음. 이런 가운데 10일(금) 발표되는 고용보고서의 중요도가 확대. 현재 옵션 시장에서 S&P500 지수가 내재 변동성을 감안하면 상승/하락 변화율이 1.2%를 기록하고 있어 지표 결과에 1%대 지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

이 수준은 지난 8월 발표된 고용보고서 결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며 나스닥이 2.43% 하락했기에 9월 6일 고용보고서 결과에 대한 우려가 부각된 당시 이후 가장 높은 수준. 결국 1월 10일 발표되는 고용보고서 결과가 채권 시장은 물론 주식시장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주시해야 할 듯.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 구인구직보고서 JOLTs에서는 구인건수가 783.9만 건에서 809.8만 건으로 증가했지만, 구직자와 이직자가 오히려 감소한 가운데 ADP 민간고용보고서에서 고용변화가 14.6만 건에서 12.2만 건으로 감소. 또한 ISM 제조업지수에서 고용지수가 2.8p 감소한 45.3으로, 서비스업지수에서도 0.1p 하락한 51.4로 발표돼 제조업 중심으로 고용 둔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줌. 여기에 강력한 선행지표 중 하나인 컨퍼런스 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세부 항목 중 풍부한 일자리와 구직 어려움 비율 차이가 3.8p% 증가해 고용시장의 부진 우려가 부각.

이에 시장에서는 금요일 발표되는 고용보고서 결과 비농업고용자수는 지난달 발표된 22.7만 건에서 15.3만 건으로 감소했을 것으로 전망. 참고로 골드만삭스는 12.5만 건, 모건스탠리는 15만 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소매업에서의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추정. 실업률은 시장 예상보다 높은 4.3%로 임금은 둔화된 것으로 전망. 결과에 따라 달러와 금리는 물론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기에 주목해야 할 듯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9 Jan, 22:46


[대신증권 이경민] [다음주 시장은?] 이보전진을 위한 일보후퇴

3줄 요약

- KOSPI는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와 미국 증시 조정으로 인한 투자심리 개선에 힘입어 반등세를 보임.
- 다음주 미국 CPI, PPI 발표를 앞두고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계심리가 높지만, 12월 물가 상승은 일시적 요인이 강하고 정점 통과 가능성이 높음.
- 중국 4분기 GDP가 5%를 상회할 경우 경기 회복 기대감 상승 및 경기 부양 정책에 대한 신뢰도 강화 예상.


간략 요약

KOSPI는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 및 미국 증시 조정으로 인한 투자심리 개선으로 빠른 반등세를 나타냄. 특히 삼성전자의 강한 반등이 분위기 반전에 기여했고, 저평가된 밸류에이션도 긍정적 요인임. 다음 주 발표될 미국 12월 CPI와 PPI는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지만, 일시적 요인과 시장의 선반영으로 인해 경계심리의 정점 통과 가능성이 높음. 중국 4분기 경제 지표 호조는 KOSPI 반등에 추가적인 힘을 실어줄 전망이며, 단기 조정은 비중 확대 기회로 판단됨.


각 부분별 요약
[대신증권 이경민] [다음주 시장은?

미국 12월 CPI와 PPI 발표를 앞두고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존재함. 하지만 3개월 연속 물가 반등은 이미 시장에 반영되었고, 파업 및 조류독감 등 일시적 요인의 영향도 고려해야 함. 따라서 물가 경계심리는 12월 지표 발표와 함께 정점을 찍고 완화될 가능성이 높음.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소폭 둔화 예상. 달러화와 채권 금리 하향 안정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 미국 물가에 대한 경계심리 완화 전망.


중국 경제 상황:

중국은 17일에 4분기 GDP, 소매판매, 광공업 생산 등 실물 지표를 발표할 예정임. 4분기 GDP가 5%를 상회하면 경기 회복 기대감과 경기 부양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 소매판매는 기저효과로 인해 예상치를 상회할 가능성도 존재. 중국 경제지표 호조 전망.


KOSPI 전망:

미국 물가 경계심리로 인한 단기 과열 해소 및 매물 소화는 감안해야 하지만,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임. KOSPI의 밸류에이션은 여전히 매력적이며,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 지속은 수급 개선을 시사함. 미국 달러와 채권 금리 하향 안정, 중국 경제 지표 호조가 맞물릴 경우 단기 조정 이후 KOSPI 반등 탄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 KOSPI 반등 탄력 강화 전망.


주요 종목 동향:

LG에너지솔루션은 분기 적자로 급락, 삼성SDI 등 2차전지 업종 약세를 보임. 반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HBM 개발 속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상승, SKC는 엔비디아향 유리기판 공급 가능성 시사하며 급등. 2차전지 업종 약세와 SK그룹 계열사 강세 대비.


https://tinyurl.com/2bev9lly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9 Jan, 03:15


중소형주의 꿈: 2025년 양봉 마감(feat. 상승편향)-sk증권 박한솔


* AI(로보틱스+소프트웨어+에너지 인프라) - 레인보우로보틱스(휴머노이드)/로보티즈/씨메스/루닛/더존비즈온/일진전기/서진시스템

*RFK Jr.(바이오테크) – 리가켐바이오/에이비엘바이오/보령/블루엠텍

* 자주국방(방산테크 – 항공 및 해상 드론/ROBO-DOG 등) – 한화시스템/한화오션/LIG넥스원/코난테크놀로지

*저출산 + AI 알고리즘 강화로 인한 소비의 파편화(니치 덕후 마켓) - 레뷰코퍼레이션/플랜티넷(모아진)/밀리의서재/넵튠
Cyclical

*미국 제조업 PMI 반등(AI 반도체+원통형 2차전지+자율주행차 부품) –
파크시스템스/리노공업/ISC/이오테크닉스/TCC스틸/신흥에스이씨/상신이디피/피엔티/에스오에스랩/퓨런티어

*홀수해 K-엔터 관련 수혜업종(정치/스포츠 이벤트 감소) - SAMG엔터/디어유/JYP Ent./와이지엔터테인먼트/교촌에프앤비/삼양식품

*크립토 시장 성장(4년 Boom and Bust Cycle)과 소비 패턴 – 현대백화점/지누스/노브랜드/네오팜/서울옥션/그리티/고스트스튜디오

*우크라이나 재건(건설, 기계, 송변전, 위성통신, 철도 등 인프라 섹터) - SG/HD현대인프라코어/전진건설로봇/대동/에스와이스틸텍

*트럼프 취임 후 첫 100일[금융/IT(AI 핀테크/크립토/자율주행 등)/에너지 산업 규제완화] – 경동나비엔/쏘카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 내수 업종 및 인물 테마주 부각 예상

*독일 조기 선거 CDU(여당) vs. AfD(원전 재가동, 자주국방, EU 탈퇴 등 주장) – 비에이치아이/현대로템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23:47


SKC 유리기판 엔비디아에 공급되나…최태원의 의미심장한 미소 [CES 2025]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7537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CES 2025’에서 SKC(011790) 유리기판의 엔비디아향 공급을 시사했다. SK는 CES에서 유리기판의 실물을 전시하며 자신감을 드러낸 데 이어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유리기판을 본격적으로 공급하기로 하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밸류체인을 공고히 하는 모습이다.

SKC가 글로벌 경쟁력 우위를 점하고 있는 유리기판은 반도체 산업에서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제품이다. 유리기판은 기존 플라스틱 반도체 기판보다 표면이 더 매끄러워 노광장비를 활용해 더 많은 초미세 선폭 회로를 그려넣을 수 있다. 유리기판을 사용하면 반도체 속도는 기존 대비 40% 빨라지고 전력 소비량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또 실리콘을 중간 기판으로 끼워넣지 않아도 돼 패키지의 두께를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23:45


'최하위' K증시의 반전…"올해 전세계 수익률 1등" 뭘 샀지?

https://naver.me/FpxRoi7G

연초 이후 수익률은 코스닥 6.11%, 코스피가 5.07%로 전세계 주요국 증시 중 각각 1,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코스피가 9.63%, 코스닥이 21.74% 하락하며 최하위권 성적을 기록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지난해 강세였던 미국과 일본은 올해 현재까지 보합권을 유지 중이고 중국은 3%대 하락했다.

올해 한국 증시 강세의 배경으로는 각종 악재의 완화와 저평가 매력 등이 꼽힌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로 악화한 투자심리는 점차 회복 단계에 있고 상장사들의 감익 우려나 트럼프의 보편관세 정책 등으로 인한 우려 역시 지수에 대부분 선반영된 상태다.

한국투자증권은 증시의 추세적 상승을 위해 3가지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변화와 시장금리 하락, 각국의 부양책 강화 가능성이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23:44


https://naver.me/xjg5z8HX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CES 2025에서 촉발한 그래픽메모리(GDDR)7 논란에 “삼성전자(005930)가 초도 공급을 맡는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발표 현장에서 마이크론이 공급한다 언급한 것이 ‘실언’이었던 셈이다.

8일(현지 시간) 황 CEO는 공식 성명을 통해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여러 파트너가 제조한 GDDR7 메모리를 탑재했으며, 그 시작은 삼성”이라고 밝혔다. 앞서 황 CEO는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신형 그래픽카드(GPU) RTX 50시리즈를 공개하며 “마이크론 GDDR을 사용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어 다음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는 특별히 마이크론을 택한 이유가 있느냐는 서울경제의 질문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그래픽메모리를 안 하는 걸로 안다”고 답했다 급히 정정하기도 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23:42


[1/9, 장 시작 전 생각: 국장 답지않은 vs 국장스러운 ,키움 한지영]

- 다우 +0.2%, S&P500 +0.2%, S&P500 -0.1%
- 엔비디아 -0.02%, 테슬라 +0.2%, 아이온큐 -39.0%
- 미 10년물 금리 4.68%, 달러 인덱스 108.9pt, 달러/원 1459.8원

1.

미국 증시는 변동성은 높았지만, 마감은 보합 부근에서 이루어졌네요.

CNN이 트럼프가 보편적 관세 부과를 위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이라고 보도하면서,

달러 인덱스는 한 때 109pt를 돌파, 미 10년물 금리는 4.73%에 도달하는 등 그 여파로 증시도 불안한 출발을 하긴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입을 통해서가 나온 이야기가 아니었고, 무슨 명분으로 비상사태를 선포할 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되면서 시장 불안도 장중 진정을 찾아가는 모습이었습니다.

얼마전에 워싱턴포스트의 선별적 관세 해프닝도 그렇고, 곳곳 언론에서 카더라 식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네요.

1월 20일 취임식이 가까워 질수록 이런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겠네요.

2.

그러나 주식시장이 한두번 당한것(?)도 아니고 실제 가격 반영 작업도 이루어진 측면도 있는 만큼,

이제는 일희일비 하지말고 노이즈로 받아들이면서 견디고 가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어제 공개된 FOMC 의사록도 궤를 같이 합니다.

트럼프 2기 불확실성이 12월 FOMC 의사결정을 매파적으로 하게 만들었다고 밝히긴 했습니다.

이 같은 연준의 생각은 지난 FOMC 직후 시장의 해석과 크게 어긋나는 부분이 없었던 만큼,

연준도, 시장도 트럼프 취임 이후의 실제 행보를 지켜보면서 전망을 덜 부정적인 쪽으로 미세조정 해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최근 시장의 꿈을 먹으면서 급등해왔던 양자컴퓨터 관련 주식들이 동반 폭락을 연출했습니다.

젠슨황이 양자컴퓨팅 상용화는 20년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발언이 이 주식들에 큰 파장을 불러왔네요,

이익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먼 미래의 기대감만 가지고 높은 주가를 지속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였네요.

동시에 앞으로 시장은 여러 불확실성과 조우하는 과정 속에서도 실적 저점 통과 기대감, 혹은 가까운 미래의 성장 가시성을 확보내나갈 수 있는 주식들에 더 붙어서 가야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4.

연초 이후 코스피 +5.1%, 코스닥 +6.1%로 주요국 증시 사이에서 수익률 1위네요.

국내 증시에 뭔가 어울리지 않는 타이틀 같기도 한데, 그간 소외현상에 대한 보상, 되돌림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어제 삼성전자, LG전자 모두 동반 어닝 쇼크를 기록했음에도 주가는 상승한 것을 보면,

국내 증시에 대한 시장의 인식은 “여기서 얼마나 더 나빠지겠냐” 쪽으로 무게 중심이 형성된거 같습니다.

제대로된 추세 반등 혹은 강세장으로 가려면, “앞으로 얼마나 더 좋아질까”로 바뀌어야 하는데,

수출나 이익성장률 둔화를 종료하고 재차 업사이클로 가는 구간에서 나올 수 있기에, 시간은 좀 더 필요할 듯 합니다.

그래도 지금의 반등을 너무 부담스러워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고(후행 PBR은 아직도 0.88배),

오늘 증시가 밀리더라도, 국장은 그럼 그렇지 식의 비관적인 수용은 지양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하루종일 영하권의 초 강추위가 계속된다고 합니다.

다들 옷 따뜻하게 잘 챙겨 입으시고, 감기도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키움 한지영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03:18


'간보던' 외국인, 드디어 결단…삼성전자 대거 '매집'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94463?type=breakingnews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01:03


버핏 친구의 경고 "美 증시 너무 올라…장기 부진 또는 단기 급락 불가피"

https://naver.me/5ZJpE5I0

막스는 최근 고객들에게 보낸 투자 메모에서 S&P500지수가 1998년 이후 가장 수익률이 좋은 2년을 보낸 뒤 미국 주식시장에 몇 가지 경고 신호가 떴다고 알렸다.

막스는 자신이 최근 신용에 전문성을 두고 있어 미국 증시가 버블 상태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자신의 이번 메모는 시장에 나타난 거품의 징조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S&P500지수의 PER 22배는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에 속하며 S&P500지수에 지금 투자했을 때 향후 10년간 연평균 2%에서 마이너스 2%의 저조한 수익률을 얻을 것임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또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이처럼 높을 때는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부진할 수도 있지만 2000년 초 인터넷 버블이 터졌을 때처럼 증시가 급락해 멀티플(PER 배수)이 단기간에 낮아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Jan, 00:22


[속보] 당정 "1월 27일 설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8037500001?input=1195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Jan, 23:55


저평가주 베팅한 국민연금…게임·내수株 담았다

https://naver.me/FafEP09V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이달들어 보유 비중을 조정했다고 공시한 84개 종목(분할기업 및 인프라펀드 제외) 중 49개 종목의 보유 비중을 늘렸으며, 35개 종목은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기 침체 우려 속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관세 부과 가능성 등으로 국내 증시의 낙폭이 심화하자 저평가된 종목 위주로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게임주가 대표적이다. 국민연금은 엔씨소프트(036570)의 보유 비중을 6.3%에서 7.31%로 1.01%포인트 상향했다. 더블유게임즈(192080)와 시프트업(462870)도 각각 1%포인트 이상 지분율을 늘렸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Jan, 23:55


2025.01.08 08:36:20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30조 7,26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50,000억(예상치 : 772,407억)
영업익 : 65,000억(예상치 : 81,694억)
순이익 : -(예상치 : 76,78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750,000억/ 65,000억/ -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2023.4Q 677,799억/ 28,247억/ 63,4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88000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Jan, 22:47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31593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Jan, 22:44


젠슨 황 "삼성전자 HBM 새로 설계해야…개발 성공 의심치 않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을 새로 설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개발과 납품 성공을 믿어 의심치 않지만 현재로서는 갈 길이 멀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701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Jan, 22:31


트럼프, “인플레와 금리 너무 높다…경제 빠르게 회복시키겠다”–비트코인 등 언급 없어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38963?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1 Dec, 21:06


새해복 많으세요. 25년에는 더 건강하시고 성투하시는 한해가 되시길 바랍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1 Dec, 00:30


그리고 가입자 절반 이상이 손실로 마무리 했다는 전설의 펀드 ㅎ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1 Dec, 00:30


연평균 29% 수익률이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1 Dec, 00:29


제가 마젤란 펀드를 운영하고 있을 때
그 13년 동안 주식시장이 10%이상
하락한 적이 9번이나 있었습니다.
저는 흠잡을 때 없는 기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9차례 모두에서 제 펀드도
하락을 겪었습니다. -피터린치 https://blog.naver.com/gmyhhj/223710201312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23:06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342342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22:57


AI, 감세, 규제 완화…폭발적 상승?
월가에서 내년 말 S&P500지수 목표치를 가장 높게 제시한 오펜하이머 자산운용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존 스톨츠푸스는 낙관의 근거 중 하나로 AI 기술의 발달을 꼽았다. AI는 1920년대에 자동차가 등장해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이다.

그는 "우리는 지상 낙원이나 인플레이션 없이 경제 성장이 지속되는 골디락스를 제안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사회 전반에 걸쳐 도전적인 문제를 겪고 있는 핵심 분야에서 더 큰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AI의 진정한 잠재력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는 1990년대 중후반 닷컴 버블 때에는 없었던 규제 완화와 세금 감면도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규제 하나를 도입할 때마다 10개의 규제를 없애겠다고 공약할 정도로 규제 완화를 강조해왔다.

AI와 규제 완화는 기업들의 이익률을 확대시켜 이익 규모를 늘리고 주가를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대로 법인세율이 현재 23%에서 15%로 대폭 인하되면 기업들의 EPS가 현재보다 2.3~3%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22:57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507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22:54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98934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22:5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2561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22:51


美 3대지수 일제히 하락…나스닥·S&P 1%대↓
애플·MS 등 M7 지수 하락 주도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강세…美 경제지표 부진 영향
내년 국제 무역상황 경계감 속 낙관론 여전
바이든, 내년 1월9일 국가애도의 날 선포…증시 휴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15899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11:10


손꼽히게 힘든 한해였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04:34


금감원 "내년 3월 공매도 재개…적발 프로세스 시연 예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5988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02:06


외국인투자자 코스피,코스닥 양시장 합쳐서 제약바이오섹터를 가장 많이 매수하는 중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Dec, 02: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5938?sid=101

오전 10시10분 기준 KRX 바이오 TOP 10 지수는 4.03% 상승세다. 전 업종 지수 가운데 가장 큰 오름폭이다. KRX 300 헬스케어(3.88%)와 KRX 헬스케어(3.79%) 등이 다음으로 상승세가 크다.

개별주 호재가 업황 전반의 투자심리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셀트리온은 1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소식에 4.55% 오르고 있다. 앞서 직전 거래일인 지난 27일 장 마감 이후 셀트리온은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올 들어 여섯 번재 자사주 매입으로 누적으로는 그 규모가 5360억원에 달한다.

경보제약의 경우 거래 재개 후 14%대 급등세다. 회사는 현직 임원 등의 68억원 규모 횡령 혐의로 거래 정지가 됐다가 조회공시 답변 이후 이날 매매거래 정지됐다.

그밖에 유가증권시장에서는 한올바이오파마(13.71%)와 유한양행(8.99%), 대웅(7.09%), SK바이오팜(4.91%), 셀트리온(4.66%), 녹십자홀딩스(4.44%) 등이 강세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Dec, 01:01


[다음 주 증시 전망] 환율에 발목 잡힌 韓증시…“하방 지지력 확인 후 반등 시도”

www.sedaily.com/NewsView/2DIAP6Z0PC?OutLink=telegra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7 Dec, 06:25


올해 장중 2,400p 이탈 일지. 시황맨

올해 장중 2,400p를 이탈한 경우는 오늘 포함 총 7회입니다.

이 중 12월 9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종가는 2,400p 위에서 마감했습니다.

특이한 것은 외국인의 움직임입니다.

외국인은 2,400p를 장중 이탈한 다음 날에는 매도 규모가 축소되거나 순매수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400p 이하는 PBR 바닥으로 인식되는 0.83배에 근접하기 때문에 매도를 자제하고 관망 모드로 바뀌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일단 오늘도 다시 2,400p를 장중 내 준 상태고. 오후 총리 탄핵 표결이라는 변수가 있어 증시 변동성이 다시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

외국인이 현재의 스탠스를 유지하는지 여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저항이 아니라 지지선을 자주 언급하게 되는 것이 많이 지겹긴 하네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7 Dec, 02:23


"증시 '숙취현상' 경계해야"…커지는 '조정' 경고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720905

웰스파고는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대통령 선거 이후 미국 경제와 주식 시장의 괴리감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웰스파고는 "대통령 선거 이후 주식 시장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경제지표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투자자들이 실망스러운 데이터를 무시하고 밝은 미래만 기대하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주식 시장이 최근 과매수 영역에 근접했음을 지적하며 "파티가 끝나면 숙취에 시달리듯이 미국 증시도 대통령 선거라는 급등세에 따른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7 Dec, 01:34


원화가치 불안에 대한 이유 중 하나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제기되고 있다. 분명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는 요인이지만, 상관관계가 높은 한중일 환율과 함께 비교하면 원화가치 약세가 그리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은 달러의 강세가 심화되면서 원화와 엔화를 비롯한 다른 국가들의 통화가치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반전의 계기도 미국의 경기가 쉬어가는 시점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시점에서 대응을 생각해보면 과거 금융위기 이후 원/달러 환율은 저점 대비 약14.3%가량 상승했고, 이를 현재 52주 저가에 적용하면 약 1475원 전후로 산출된다.

내년 연초 저점이 상향되는 점 감안하면 1497원 수준으로 계산된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구분 가능하다.

실적과 수급이다. 실적은 수출과 관련되어 있는 요인이다. 원화 약세라는 환율효과로 수혜를 볼 수 있는 업종을 찾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은 좀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컨대 수출액과 원/달러 환율의 전년동기비 변화율을 함께 그려보면 원/달러 환율이 약 6~7분기가량 선행한다는 점을 알 수있다.

6개분기(18개월) 기준 원화 약세 효과는 내년 2분기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환율효과에 따른 볼륨 기대는 내년하반기에 보다 본격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전까지는 마진이라는 키워드에 대한 관심이 수출 회복, 성장과 같은 키워드에 우선할 것으로 예상한다. (유안타 강대석)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7 Dec, 01:12


환율만 놓고 보면 시장이 이정도로 버텨주는게 감사하네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7 Dec, 00:16


[대신증권 이경민] [다음주 시장은?] 연초 효과와 함께, 24 년 또한 지나가리라

1년 포트폴리오 청사진을 그리는 시기, KOSPI 손익비에 주목
- KOSPI 2000년 이후 연초 5거래일까지 평균수익률 +1.14%, 첫 거래일은 평균 +0.6%
- 2025년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KOSPI 밸류에이션 매력이 손익비 관점에서 부각 가능
- 12월 한국 수출 증가율동향 견조할 것으로 예상, 12월 YoY +3.1%로 예상되며 11월 +1.4% 대비 반등(블룸버그 컨센서스)

https://tinyurl.com/ms53wfa9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36


'혁신 풍향계' CES 이번 키워드는 AI…헬스케어·모빌리티 양날개

https://naver.me/5MV7lpVT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 개막까지 약 2주를 남겨두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미래 기술을 망라하는 CES를 관통할 키워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공지능(AI)이다.

생성형 AI가 핵심 트렌드로 제시된 CES 2024에서는 소비자가 체감할 제품·서비스는 부족했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CES 2025는 IT·전자기기뿐 아니라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 통신, 푸드테크 등 다양한 산업에서 실제 적용된 AI 기술을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27일 CES를 주최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내년 1월 7~10일 개최되는 CES 2025의 주제는 '몰두하다'는 뜻의 '다이브 인'(DIVE IN)이다. AI 기술로 연결하고(Connect) 문제를 해결하고(Solve) 가능성을 발견(Discover)해 나가자는 메시지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19


환율 어디까지 오를까…”1500원대도 열어놔야”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33838?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18


'바다 위 테슬라'...자율운항선박 시대 준비하는 K-조선

https://naver.me/xf5MOt7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15


https://naver.me/FsRi5lej

재계 숙원 법안인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및 혁신성장을 위한 특별법'(반도체 특별법)의 연내 처리가 사실상 불발됐다.

고소득 연구개발(R&D) 직군에 대한 52시간 규제 완화를 놓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한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탄핵안 소추까지 겹치며 법안 심사가 중단된 탓이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11


"양자컴퓨터는 인공지능(AI) 이어 다시한번 모든 산업을 바꿀 혁신적인 기술이다. 2026년 은 대중화가 본격화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기업들은 이에 앞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변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28일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만난 IBM 퀀텀 아태지역 총괄사업본부장 표창희 상무는 이와 같이 말하며 IBM의 양자컴퓨터 역량과 내년 전략을 소개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57791?sid=10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09


"날카로움 잃었다"…싸늘하다, '오징어게임2' 외신 평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5093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08


새벽 2시 달러-원 환율은 전장 서울 환시 종가 대비 13.20원 급등한 1469.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간거래(9시~3시 반) 종가 1464.80원 대비로는 4.80원 높아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509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23:08


산타랠리' 시동 꺼지며 혼조…애플만 최고가 행진 [뉴욕증시 브리핑]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5104?sid=10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01:22


원화 16년만에 최저치 기록 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6 Dec, 00:55


다가오는 실적 발표 시즌 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총 194개 기업 중 121개 기업이 시장컨센서스에 부합하거나 더 높은 실적을, 73개 기업이 예상보다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수가 많은 업종은 자본재,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이다.

어닝 서프라이즈가 기대되는 기업 비율이 높은 업종은 음식료 및 담배, 증권, 유틸리티, 디스플레이 등이다. 생활용품, 소재, 하드웨어 등은 시장기대치보다 낮은 실적을 발표하는 기업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비율 상위 기업에는 GS건설, 더존비즈온, 제주항공 등이, 하위 기업에는 엔씨소프트, SKC,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이 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Dec, 02:44


이웃나라 잘 나가는데…韓 증시 '최악의 해'
-대만 29% 오를 때 코스피 8% 내려
-블룸버그 집계 아태 주가지수 87개 중 76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461955

내년에도 매크로모멘텀이 만만치 않겠지만 지독했던 짝수해를 보내고 희망의 홀수해를 기대해보겠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Dec, 01:44


https://www.yna.co.kr/view/AKR20241224039200002?input=1195m

자사주는 통상 의결권·배당권·신주인수권 등 거의 모든 주주권이 인정되지 않지만, 인적분할의 경우 법령이나 판례가 명확하지 않아서 자사주에도 신주배정이 이뤄져왔다.

이 때문에 자사주가 주주 가치 제고가 아니라 대주주의 지배력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는 비판이 있었다.

개정안은 자사주 보유·처분 과정과 관련한 공시도 대폭 강화하도록 했다.

임의적인 자사주 보유·처분에 대한 시장 감시와 견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장사의 자사주 보유비중이 발행주식총수의 5% 이상인 경우 자사주 보유현황과 보유목적, 향후 처리계획(추가취득 또는 소각 등) 등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해 이사회 승인을 받아 공시해야 한다.

자사주 처분 시 처분목적, 처분상대방 및 선정 사유, 예상되는 주식가치 희석효과 등도 구체적으로 공시하도록 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Dec, 00:58


원/달러 환율, 달러 강세에 상승…나흘째 1,450원대

https://naver.me/G8s99ygs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22:09


https://naver.me/FjbntuSK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21:53


서학개미, 이달 美 주식 1.8조 순매수…증권사들은 현지 진출 속도

www.sedaily.com/NewsView/2DI8UC7QE3서학개미, 이달 美 주식 1.8조 순매수…증권사들은 현지 진출 속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서학 개미들의 미국 주식 순매수액이 무려 전달 대비 15배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코스피 시장의 거래 대금은 약 1조 원 가까이 증발했다.

올해 들어 미국 주식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증권사들은 현지에 법인을 설립하는 등 앞다퉈 시장 선점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21:49


미 12월 소비자신뢰지수 104.7…예상 밖 급락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7446

12월 기대지수는 전월대비 12.6포인트 급락한 81.1을 기록했다. 침체 기준선인 80을 겨우 지켰다.
기대지수가 80을 밑돌 경우 1년 안에 침체가 올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기대지수는 소득과 비즈니스, 고용 상황에 대한 단기 전망을 보여준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21:48


뉴욕증시, 대형 기술주 강세에 일제히 상승 마감…성탄절 이틀 앞두고 거래량은 줄어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32711?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6:25


"외국인, 올해 삼성전자 빼면 韓 증시서 12조 순매수"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11610

올해 외국인 누적 순매도 금액의 약 96%가 삼성전자에 집중됐다. 외국인 투자자는 8월까지 누적으로 코스피 시장에서 25조원 순매수를 기록했으나 9월부터 대대적인 순매도로 돌아서기 시작했고, 20일 현재까지 2024년 누적 순매수는 1조5000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특히 9월 이후 외국인의 순매도 금액은 19조8115억원 중 삼성전자 보통주에 대한 외국인 순매도가 18조9767억원(약 96%)였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다른 종목에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 박 연구원의 해석이다.

또 고배당주와 가치주가 시장에서 아웃퍼폼하고 있는 이유도 주목했다. 그는 “밸류업 기대감이 꺾이긴했지만 기업가치 제고 계획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배당기산일을 내년 초 이사회 결의 이후로 바꾼 기업들은 내년 1분기까지 배당 기대감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표적 가치주인 조선주는 트럼프 정부 2기 모멘텀도 부각되고 있다. 박 연구원은 “특히 조선업계는 미국의 정책 변화로 인해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4:28


8월부터 연기금 매수상위종목순,
연말까지 윈도우드레싱 가능한 종목도 있겠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4:25


연기금 수급동향
-24년 코스피 4조매수, 8월1일 부터 6조원 매수중
-24년 코스닥 6.5천억매도, 11월말부터 2천억 매수중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4:20


코스피,코스닥,선물시장까지 외국인 매수가 꾸준히 들어오면서 지난주 금요일 하락을 만회시키고 있네요.

이제 5거래 남은 24년 증시지만 마무리가 잘 되길 바래봅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1:48


미국채 10년물 4.5% 이상의 구간은 길지 않기 때문에 미국 장기채 투자에 관심 갖자는 이야기인데, 채권금리가 꺾여야 위험자산인 주식시장도 좋아집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1:46


트럼프 당선인은 1/20일 취임 첫날, 이민부터 관세까지 25건 이상의 행정명령을 발표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경계감은 다소 이어질 수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경제 책사 역할을 했던 피터 나바로(2기에서는 무역수석보좌관)는 트럼프의 관세 및 세금 감면이 인플레이션이나 재정적자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 주장한다.

1기에도 그랬고 2기에도 다르지 않을 것이란 주장인데, 정책간 영향이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는 점은 사실이므로 감안하고 볼 일 이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현재까지 2년 이상 주로 3.5~4.5%의 박스권 내에 있었다('22년 9월~현재: 미국 10년물 평균 4.04%,1표준편차 범위는3.68~4.40%). 차기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과 영향 정도가 불확실한 것은 맞지만, 미국채 10년물 4.5%는 해당 범위의 상단이다.

4.5%를 넘는 구간은 작년 35일, 올해 26일에 불과하다. 미국채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라면 현 시점을 장기채 투자기회로 관심을 가져도 좋을 듯 하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Dec, 00:47


IMF, 우크라전 내년 말 또는 내후년 중반 종전 예상

https://www.yna.co.kr/view/AKR20241223025400009?id=news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Dec, 23:21


코스피, 산타는 없지만…"다 팔고 도망가기보단 더 사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331746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Dec, 13:2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3316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Dec, 05:00


되살아난 인플레 공포…미국·영국·일본 중앙은행 신중한 금리인하

새로운 인플레이션 공포가 전세계 중앙은행들을 뒤흔들며 금융시장이 떨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진단했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진정을 위한 '마지막 고비'를 넘기는 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내년 점진적 금리인하를 예고했다고 F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 최대 경제국 미국의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는 금리를 인하했지만 내년 금리전망을 상향조정한 데에 이어 영국과 일본의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동결했다.
·
영란은행은 금리를 1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동결하면서 인플레이션 지속위험을 경고했다. 영란은행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계획을 언급하며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이 "실질적으로" 짙어졌다고 우려했다.


https://naver.me/5eUckfDT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9 Dec, 22:09


실적 좋고 밸류 싼 종목으로 모아가야죠.

https://naver.me/GHvSbQSJ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1 Dec, 03:30


수출은 잘되는데.. 가격은 떨어지고..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201_0002979127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5:06


https://youtu.be/-0EMa81eKX4?si=qYvbl_bNE3kdH2Uo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4:49


https://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172463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3:1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933306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3:1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3618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3: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08748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3:09


이와중에 7천명 넘게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칠천 생각나네요.. ㅋ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3:08


최악이 아니라니... 아직 한방 더 남아있다니....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Nov, 00:43


국장의 위험한 요일은?
- 설마했는데 말이죠.

https://youtube.com/shorts/92nKsJG5Us8?si=InU5zF8HpFeOQcvP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9 Nov, 01:12


https://www.youtube.com/watch?v=CTQvBWPTwUk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9 Nov, 00:09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2103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3:29


좋은 의도를 가지고 독립리서치를 운영하는 회사들도 많은데.. 다같이 유사투자자문업으로 묶어서 싸그리 욕을 먹으니..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3:28


제대로좀 했으면 좋겠네요.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20991?sid=10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3:25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기업이 네카오인데.. 카카오는 ai 소프트웨어에서는 힘을 거의 못쓰고 있구요. 그나마 네이버가 클로버x 도 내놓고.. 연간 ai가속기만 1500억 정도씩 구매할정도로 투자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이번에 네이버에서 네이버 멤버십 가입하면 넷플리스 광고형을 공짜로 제공하는데요. 여러가지 계산이 깔려있는거겠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3:23


대세 흐름이 ai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넘어오는 느낌이 드네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3: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62662?sid=101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 주가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최근 미국 증시 주요 지수에 편입된 데다 내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AI 소프트웨어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커진 영향이다. 국내 서학개미들도 팔란티어를 집중 매수하고 있다.

지난 9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공식 편입됐으며 이달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시장에 이전 상장한 점도 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 이들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이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가가 강세를 보이자 최근 서학개미들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한 달(10월28일~11월27일) 사이 팔란티어는 전체 해외 주식 순매수 1위(1억9902만달러) 종목으로 집계됐다.

해외 투자업계는 줄줄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정부 기관에 이어 민간 시장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최근 목표주가를 55달러에서 75달러로 36.36% 올렸다. 웨드부시도 "점점 더 많은 기업들로부터 AI 플랫폼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종전 57달러에서 75달러로 올려잡았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2:02


[이코노뉴스=조희제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28일(현지시간) 추수감사절 연휴로 휴장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 Nov, 21:56


2024년 11월 2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가 초안대비 약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 푸틴이 탄도미사일로 키이우를 타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3) 프랑스 10년 국채금리가 스페인, 그리스보다 높아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36%p (0.000%p)
한국 고객예탁금, 50.8조원 -1.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4.30원 (-0.2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23:5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63369?sid=10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22:45


- 정부, 27일 시추계획 최종검토
- 시추선 내달 10일 부산 도착

https://naver.me/FioQImgN

대한민국 ‘산유국의 꿈’을 실현할 대왕고래 프로젝트 시추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정부는 27일 개발전략회의에서 석유공사의 시추계획을 최종 검토한다. 동해 심해 가스전에는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석유공사는 1차 탐사시추 작업이 두달 가량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시료분석 등을 거치면 상반기 중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1차 시추는 석유공사 홀로 수행하지만 이후부터는 해외 투자를 유치할 방침이다. 2차 시추부터는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해 공동 개발에 나선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22:43


삼성전자 HBM 엔비디아 납품 임박?…젠슨 황 "최대한 빨리 작업"

24일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황 CEO는 23일(현지시간) 홍콩 과학기술대 명예박사 학위 수여식에서

블룸버그TV와 만나 삼성전자로부터 5세대 HBM인 HBM3E 8단과 12단 모두 납품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63566?sid=10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22:03


2024년 11월 2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소로스펀드 이력의 베센트가 미 재무장관에 지명됐습니다. 시장은 악달러를 기대했습니다.

(2) 아마존이 생성형 AI기업 앤트로픽에 추가로 40억달러를 투자합니다.

(3) 유로존 제조업 PMI가 45.2, 독일 프랑스가 43.2까지 떨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27%p (-0.046%p)
한국 고객예탁금, 50.3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02.36원 (-3.6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02:18


AI가 생산성이 없는것이 문제라고 했는데.. AI 가 할수있는것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02:18


https://m.blog.naver.com/noruda11/223670328442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02:13


자율주행 기술이 정말 ㅎㄷㄷ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X3gLA52Neg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02:03


정말 앨런머스크는 대단한 사람 같아요 ㅎ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02:02


SpaceX, 2026년까지 무인 우주선 5대를 화성으로 보낼 계획

SpaceX는 향후 몇 년 동안 승무원이 탑승하지 않은 우주선 5대를 화성에 보낼 계획이라고 엘론 머스크 CEO가 자신의 소셜 미디어 사이트인 X에서 밝혔습니다. 머스크에 따르면 SpaceX는 임무를 보내기 전에 다음 지구-화성 발사 기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 기간은 화성과 지구 사이를 비행하는 데 가장 적은 에너지와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으로 화성과 지구가 나란히 있을 때 발생합니다.

다음 발사 기간은 2026년이며, SpaceX가 이 기한을 놓치면 다음 발사 기간은 2028년 말에서 2029년 초입니다.

무인 우주선이 화성에 안전하게 착륙하면 머스크는 2028~29년 발사 기간에 승무원이 탑승한 우주선을 보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테스트가 성공하지 못하면 2028년 발사 기간에 다시 무인 임무를 시도하고 그 이후에는 유인 임무를 다시 발사 기간으로 미룰 것입니다.

머스크는 X에서 “착륙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SpaceX는 화성으로 가는 우주선의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머스크에 따르면 궁극적인 목표는 “약 20년 안에” 자급자족하는 화성 도시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https://www.cnet.com/science/space/spacex-plans-5-missions-to-mars-by-2026-elon-musk-says/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4 Nov, 00:16


https://v.daum.net/v/2024112408030680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Nov, 01:50


#양동신님
페북 양동신님의 글
https://www.facebook.com/dongshin.yang/posts/pfbid02tQMSGUiR13CXiZZZCcZVoe8WEkbhG4fXc7iJWM8AT3GMLZETqkJ8YPpWPX4gzBrml

개인투자에 대한 생각 : 출근길 잡상
1. 본업에 집중하고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본업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꾸준한 현금흐름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본업에 경쟁력이 있어 잉여소득이 나올 수 있어야 투자시드가 마련된다. 아울러 시장은 언제나 사이클에 따라 등락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개인투자는 어디까지나 잉여현금흐름의 누적을 통한 노후보장 차원에서 접근해야지, 이걸 가지고 대박나서 파이어를 한다느니 하는 생각은 애초에 접는 편이 낫다. 나의 궁극적인 투자목적은 은퇴 후 배당소득이라는 꾸준한 캐시플로우를 만들어 편안한 노후를 살기 위함이다.
2. 본업에 시간을 쏟는다는 것이 꼭 투자와 배치되는 일은 아니다. 만약 당신이 전자회사에 다니면 누구보다 반도체시장을 잘 알 수 있고, 병원에 다닌다면 의약품에 대한 더 높은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게임회사에 다니면 어떤 게임이 히트하고 있는지, 어떤 게임엔진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하다못해 편의점에서 일을 한다 하더라도 잘 보면 소매트렌드가 보일 수 있다. 주식시장을 잘 보다보면 본업 마켓트렌드에 대한 객관적인 뷰도 가질 수 있게 된다.
3. 몰빵은 위험하다.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신뢰해서는 안된다. 전설적인 투자자인 피터린치 역시 본인이 선택한 10개 종목 중 6개만 성공을 하더라도 투자에서는 성공할 수 있다고 말을 한다. 실패한 4개 종목은 -20%, -50%, 심지어 상장폐지가 되어 -100%도 될 수 있지만, 성공한 6개 종목 중에 더블, 따따블, 텐베거가 나오면 궁극적으로 계좌는 플러스가 된다. 주식격언 중 “한 종목과 사랑에 빠지면 안 된다”라는 말이 있다. 워렌버핏도 특정기업에 대한 지나친 애정을 경계해야 한다고 했고, 피터린치 역시 투자자는 주식과 개인적 감정을 섞으면 안된다고 경고했다.
4. 잦은 매매를 하면 안된다. 한국인이 미국주식을 자주 매매하면 매매수수료, 환전수수료,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등 다양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가령 1억원을 가지고 미국주식을 투자해서 연 20% 수익이 났다고 가정을 해보자. 만약 매매가 없는 사람이라면 양도세 385만원(250만원 공제 후 22% 적용)만 발생하여 투자수익은 1615만원이 될 것이다. 하지만 만약 10회 가량 매매와 환전을 같이 한 사람은 이 투자수익이 1300만원대로 떨어지게 된다. 1회 매매 및 환전 시 1-2% 가량의 거래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한국 개인투자자가 미국주식에 투자한다면 이는 장기투자가 원칙이어야 한다.
5. 세상이 돌아가는 트렌드를 읽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애플이 아이폰을 처음 출시 했을 때, 출장가서 테슬라 자동차를 보고 놀랐을 때, 멍청하던 인공지능이 갑자기 자연스러운 번역을 하고 이미지는 제대로 인식하고 자율주행을 하기 시작할 때, 이를 허투루 보면 곤란하다. 이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세기 후반 GE, GM, 모토로라, IBM과 같은 기업들이 그러한 혁신과 주가상승을 이끌어냈다. 다만 이러한 기업들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는 사실은, 시대를 주도하는 테크기업들은 어디까지나 수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 수명은 몇 달, 몇 년이 아니라, 수십년일 수 있다.
6. 재무제표를 읽어야 한다. 아무리 잘 팔리는 물건이더라도, 아무리 유명한 주식이라도, 기본적인 재무상태가 갖춰지지 않으면 언제든 무너질 수 있다. 워렌버핏은 종종 “썰물이 빠져야 누가 벌거벗고 헤엄쳤는지 알 수 있다“는 말을 한다. 과도한 부채를 사용하거나, 큰 손익계산서 대비 작은 재무상태표를 가진 기업은 장기투자 관점에서 늘 조심스럽다. 스타벅스나 맥도널드는 자본이 (-)인 상태인데, 이런 기업들은 개인적으로 장기투자하기 조심스럽다. 물론 이런 글로벌기업들에 나의 고리타분한 재무제표 상식을 들이밀기는 조심스럽고, 나의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다. 하지만 시장엔 이들보다 좋은 회사들도 많은데, 굳이 리스키한 선택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7.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궁극적으로 배당을 하고 성장을 하는 회사가 개인투자자 입장에서는 바람직한 선택이지 싶다. 회사이름+dividend를 구글에 입력하면 과거 이 회사가 준 배당금 히스토리가 나오게 된다. 수 년에 걸쳐 꾸준히 배당금을 올려온 회사는 기본적으로 이 조건에 충족된다고 볼 수 있다. 본업이 튼튼하고 신뢰가 가기 때문이다. 이를 배당성장률(Dividend Growth Rate)이라 한다. 이와 함께 들여다봐야 할 것은 1)적정한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2)적정한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이다. 제대로 된 배당주를 찾는 것은 워렌버핏이 시즈캔디나 코카콜라를 찾았을 때와 같이, 영원히 자가발전을 할 수 있는 회사를 찾기 위함이다.
8. 물론 한국에서는 배당금이 2천만원 넘어가면 종합과세로 편입되어 세율이 펄쩍 뛰게 된다. 오해를 피하기 위해 첨언하자면, 본인 소득이 연 5천 미만이거나 소득이 없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는 연봉이 1억 넘어가는 사람들이나 고민할 일이다. 설령 연봉이 1억 넘어간다 하더라도, 노후를 생각하면 그 정도 캐시플로우는 만들어 놓는 편이 마음이 편하다. 현업에서 돈 많이 벌 때는 배당세금 많이 내다가, 은퇴 후에는 그 현금흐름으로 먹고 살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같은 이상한 세제는 개편되어야 할 것이고, 조만간 단일세율로 개편되지 않을까 싶다. 국장도 글로벌스탠다드로 가서 좀 살려야 할 것 아닌가 말이다.
더 쓸 말은 많지만, 일단 회사에 도착하느라 이만 출근길 잡상을 줄인다. 어찌되었건 우리네 근로소득은 언젠가 종료되고, 부동산으로 현금흐름을 창출하기도 쉽지는 않은 때가 다가오고 있다. 얼마 전부터 세입자께서 자꾸 배관 고쳐달라, 벽지 갈아달라, 실리콘 갈아달라 하면서 골치아프게 연락이 오는데, 배당주는 이런 연락도 없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배당을 준다. 아무래도 나도 점점 골치아픈 부동산보다는 배당성장주로 자산포트폴리오를 옮겨야 할것만 같다. 아, 물론 여전히 편안한 노후를 위해 1세대1주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생각은 한다.
기관은 장기투자를 할 수 없지만, 개인은 장기투자를 할 수 있다. 이 점을 잘 이용하도록 하자.
끝!
2024.11.20 출근하는 지하철 안에서 아이폰으로 작성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Nov, 01:48


AI 로봇 투입한 BMW…작업속도 '4배' 증가

최근 미국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Figure)가 공개한 영상입니다.

'피규어 현황 업데이트, BMW 이용 사례'란 제목인데요.

이 회사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 02'가 조립 작업을 수행합니다.

해당 로봇은 전작보다 발전했다는데요.

하루에 1000건의 작업을 처리하고, 작업 속도는 4배 증가, 작업 신뢰도는 7배 향상됐다고 합니다.

사람처럼 걷고, 사람처럼 손을 쓰고, 사람 말도 이해합니다.

게다가 주 7일, 거의 24시간 내내 일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BMW는 앞으로도 차량 생산 공정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적극 투입할 계획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30/0003260270?type=series&cid=2001288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Nov, 00:44


ai가 발전하고 ai가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hbm도 발전해야하고.. ai가 발전하면서 양자컴퓨터와 함께 성장하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Nov, 00:43


두가지 영상 같이 보면 좋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 Nov, 00:43


https://www.youtube.com/watch?v=z8elzCucKLk

https://www.youtube.com/watch?v=_0PLIJhXKk8&t=2224s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22:45


우크라이나 내륙국 될판이네요..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21_000296833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22:42


더이상 미국으로 수출해서 GDP 올리긴 힘들거고.. 내수 살려야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22:4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0150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22:40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366/0001034398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22:18


https://naver.me/GNWNO4xr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00:50


오늘까지만 광고 띄울게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2 Nov, 00:50


안녕하세요. 제이론입니다.

(주)와이즈리서치에서 운영하는 실전방 24년4기(~25년2월)에 대한 안내드리겠습니다. (주)와이즈리서치는 현재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24년12월 중 '투자자문회사'로 변경됩니다. 이에 24년4기 회원님들께는 '투자자문사' 전환에 동의하는 동의서 겸 계약서를 별로도 작성하게 됩니다.

'투자자문회사' 로 변경됨에 따라 기존에 '일방향 대화 전송 방식'에서 '양방양 대화 전송 방식'이 가능하게 되며, 정기적인 온라인 소통 및 자유로운 오프라인 소통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에 앞으로 회원님들께 좀 더 많은 편의를 제공할수 있을 예정입니다.

자세한 안내는 11월 22일(금) 오후 8시에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로 입장해주세요.

(주)와이즈리서치 실전방 안내 링크 : https://t.me/+P4v2t1vAeeRmOWZl

감사합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22:13


https://naver.me/G9r3Ngb6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22:12


https://naver.me/5RhWyjmQ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22:11


https://naver.me/5N1o0h4g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21:30


2024년 11월 2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사임을 발표하며 비트코인이 10만달러에 근접했습니다.

(2) 스웨덴 배터리기업 노스볼트가 CH11 파산을 신청했습니다.

(3) 퀀트펀드 투시그마가 인력 10%를 줄입니다. 운용역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75%p (-0.020%p)
한국 고객예탁금, 49.8조원 -0.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8.89원 (+0.2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11:41


한국 증시에는 이제 비관과 조롱만 남아있는 것 같은데요.
이럴 때가 시장의 바닥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71764?sid=10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10:20


"희귀병 사랑이에게 기적을" 오늘도 아빠는 걷는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915270?sid=102

시장은 어렵고 답답하지만 만원의 기적으로 따뜻한 손길이 이어지는 챌린지가 되길 바래봅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05: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1761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02:20


안녕하세요. 제이론입니다.

(주)와이즈리서치에서 운영하는 실전방 24년4기(~25년2월)에 대한 안내드리겠습니다. (주)와이즈리서치는 현재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24년12월 중 '투자자문회사'로 변경됩니다. 이에 24년4기 회원님들께는 '투자자문사' 전환에 동의하는 동의서 겸 계약서를 별로도 작성하게 됩니다.

'투자자문회사' 로 변경됨에 따라 기존에 '일방향 대화 전송 방식'에서 '양방양 대화 전송 방식'이 가능하게 되며, 정기적인 온라인 소통 및 자유로운 오프라인 소통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에 앞으로 회원님들께 좀 더 많은 편의를 제공할수 있을 예정입니다.

자세한 안내는 11월 22일(금) 오후 8시에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로 입장해주세요.

(주)와이즈리서치 실전방 안내 링크 : https://t.me/+P4v2t1vAeeRmOWZl

감사합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1 Nov, 01:13


알테오젠의 급락
- 대주주 양도세 회피 물량
https://www.youtube.com/watch?v=gTMIu3ZJ_-o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13


엔비디아 걱정은 하지 말자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13


* 블랙웰 수요 좋다
* 블랙웰 다음분기부터 출하 시작
* 회계연 26년부터 램프업
* 블랙웰 공급상 제한(constraint) 있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08


그렇게 되면 한국산에 대해서 보편적 관세 크게 때리기는 어려울거 같구요. 보편적 관세 때린다고 해서.. 이익을 좀 줄어들수 있겠으나 한국의 화장품이나 미용관련 제품들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거 같진 않습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것들이 워낙 비싸기도 하구요. 가성비로 승부하는 우리 미용관련 제품들이 관세 좀 올린다고 크게 경쟁력을 잃지도 않을거구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06


어쨋든 우리가 미국에게 무언가 좀더 퍼줘야하는 상황은 있겠지만.. 제조업이 강국인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협상카드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인게 조선쪽이구요. 그 외에도 방산, 반도체 등도 있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05


목적은 지난 바이든 정부와 전혀 차이가 없습니다. 바이든 때도 중국에게는 제재를 강화했고 미국에 많은 기업을 유치하려고 했죠. 바이든은 보조금이라는 채찍을 제시했으나 트럼프는 관세라는 채찍을 휘두르는것의 차이일뿐 목적은 같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04


그리고 트럼프는 공약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거잖아요. 미국이 경제적 군사적 패권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건데.. 그것을 위해서는 언제든지 말을 바꾸는 사람입니다. 결국 협상용으로 저렇게 미리 질러 놓는다는 가정이 가장 합리적이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02


그런데 트럼프가 그걸 모를까요? 트럼프 똑똑한 사람입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0 Nov, 23:02


관세 올리면 수입물가 올라가고 수입물가 올라가면 미국 물가도 올라가고 그럼 금리 인상해야하고. 금리 인상하면 달러가치 올라가고.. 달러가치 올라가면 다른 국가의 통화 가치는 떨어지고.. 그럼 관세 올린 효과가 상쇄되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Nov, 16:0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8064?sid=10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Nov, 07:08


크리티컬한 수준까지 내려온 PBR😱

▶️ 코스피 선행 P/B 0.8배
어제(12일) 기준으로 코스피 12개월 선행 P/B가 0.82배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몇 개월 전에 'P/B 0.8배'의 의미에 대해서 정리해드린 적이 있었는데, 아래 '링크'를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t.me/globalmktinsight/1609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Nov, 02:52


많은 투자자분들이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리스크를 걱정하고 계신데.. 트럼프는 미국의 경제를 살리겠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고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동안 발언을 보면 금리 인하, 관세 인상, 불법이민자 추방, 보조금 지급 중단 등등 오히려 미국의 경제를 악화시키는 정책들이 많아요.

관세 인상만 봐도.. 모든걸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는다면 원재료 가격이 폭등할것이고.. 그렇다면 미국내 물가상승은 불보듯 뻔합니다. 그럼 또다시 인플레가 일어나고 미국의 수출경쟁력은 사라지겠죠.

안그래도 미국에 대한 투자를 고민하는 회사들도 많은데.. 보조금도 다 짤라버리면 많은 기업들도 미국에 공장을 짓는것을 고민하게 될것이고..

미국의 우방국가들에게 국방비 부담 금액을 크게 올리고 그렇지 않으면 미군 철수해버리겠다 하면.. 직접적인 대상이 아니더라도 미국의 우방국가들이 미국에 대해 등을 돌릴 가능성도 높습니다. 미군의 배치는 미국의 동맹국만을 위한것이 아니죠. 미국도 이익이 있으니 배치를 하는겁니다.

즉, 지난 1기와 마찬가지로.. 협상용으로 지르는것일 가능성이 높고.. 또 트위터나 하면서 아가리 파이터라는 명성을 얻는데 그칠 가능성도 있는거죠.

물론 트럼프 재임기간 투자는 쉽지 않을겁니다. 지난 트럼프 1기에도 그랬으니까요. 그런데 트럼프 1기동안에도 오르는 종목들도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지금 상황은 트럼프에 대한 우려가 강하게 반영되어 증시가 발작을 일으켰다고 생각하고.. 트럼프 취임하고 안정화되면 증시도 좀 올라오지 않을까 싶고.. 트럼프가 되도 결국 돈 잘벌고 밸류가 싼 기업들은 주가도 제자리 찾아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7 Nov, 02:45


주말에 한번 읽어보면 좋은 자료입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6 Nov, 00:01


https://naver.me/5D85xWUN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6 Nov, 00:00


https://naver.me/xcnsc7Xp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23:59


https://naver.me/GL8s6vMX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23:59


https://naver.me/GmbsD1F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23:58


https://naver.me/IGJQL4P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09:17


오늘 갑자기 급하게 오르는 이유가 있었구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7824?sid=10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06:17


https://www.mk.co.kr/news/society/11169301

공직선거법 상 벌금형 100만원 이상을 받을 경우 이 대표는 선거권·피선거권을 향후 5년간 박탈당해 정치생명이 당분간 중단된다.

다음 대선은 2027년으로 예정돼 있다는 점에서 대선 도전이 불발되는 것이다.

또 정당법상 선거권을 상실할 경우 당원 자격도 동일하게 상실돼 당 대표직까지 내려놓을 리스크에 직면했다.

특히 이번 혐의가 공직선거법 위반인 까닭에 민주당 역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보전받은 지난 대선 선거비용 434억원을 반납해야할 위기에 처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02:53


한국 주식시장이 트럼프 리스크를 반영하며 크게 조정받은 상황.

레거시 반도체에 대한 수요 둔화 우려도 외국인수급에 부정적으로작용.

단기간에주식시장의낙폭이컸고,최근미국에서트럼프트레이드가주춤해지는모습을보이고있어기술적반등이나올 가능성은있어 보임.

다만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이 실제로 줄어들 수있는 시기는 2025년1월20일 취임식이후라고 생각됨.

관세 적용시점이 정해지고, 이와 관련한 무역협상을 진행하는 등 실질적인 조치가 구체화되면 오히려 극단적인 불안감을 줄어들 수 있음.

취임식까지는아직시간이남아있는만큼현재로서는리스크관리가중요한시점이라고판단.

업종/종목선별측면에서는트럼프리스크를 회피할수있는업종위주의대응을권고.

방산,조선등미국신정부정책수혜관련분야와엔터,제약/바이오등 실적전망이 양호한 업종에 주목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02:45


IRA투자액 3460억달러(약 480조 5940억원) 중 공화당 의원 지역구에 78%가량이 배정되어 있는데, 공화당 소속이 많은 이 지역구를 트럼프 맘대로 무조건 진행할 수 있을까 의문입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15 Nov, 02:17


IRA 존폐위기·환율관찰대상국…산업계에 미국발 충격파

https://naver.me/GBFKCmRu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8 Nov, 03:1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48/0000030513?sid=101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수혜종목에 관심이 쏠린다. 시장에서는 일론 머스크의 영향력을 크게 평가하며 테슬라와 우주항공산업 관련 ETF에 주목하고 있다.

대표적인 우주항공방산 ETF에는 △TIGER 우주방산 △TIGER 미국방산TOP10 △PLUS K방산 △SOL K방산 △PLUS 우주항공&UAM △WON 미국우주항공방산 △TIMEFOLIO 글로벌우주테크&방산액티브 등이 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Nov, 21:43


https://naver.me/Fk7Xrnc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Nov, 21:43


https://naver.me/5Kb1vUQi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Nov, 21:26


파월, 트럼프가 요구해도 “사퇴 안 한다”...추가 금리 인하 예고

https://naver.me/F3TH9d0B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Nov, 21:26


車·철강엔 타격…반도체·조선엔 기회 올 수도

https://naver.me/F0zUtWNZ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Nov, 21:25


돌아온 ‘트럼프 트레이드’에 수혜주 찾기 시작…조선·방산↑

https://naver.me/Fcmqghzo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7 Nov, 21:23


2024년 11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금리가 내렸습니다.

(2) 푸틴이 트럼프의 제안을 들어볼 가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3) 미 기업들이 관세인상에 대비해 가격인상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22%p (-0.048%p)
한국 고객예탁금, 50.0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2.10원 (-4.2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22:34


[11/7, 이슈분석 : 미국 대선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키움 투자전략팀]

<요약>


1. 미국 대선 결과

- ‘24년 미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당선이 확정됨. 또한, 공화당이 4년만에 상원 다수당을 탈환한 가운데 하원도 다수당이 유력한 상황. 양원을 장악할 경우 향후 트럼프 신행정부는 법 제정을 통해 공격적인 정책 추진이 가능해질 전망

2. 주식

- 내년 초 트럼프 2기 내각 구성 후 실제 정책 윤곽이 드러나기 전까지 국내 증시는 관련 불확실성으로 박스권 흐름을 보일 전망. 트럼프 공약을 기준으로 봤을 시 개별 업종마다 유불리 요인은 존재하기 때문에, 취사 선택이 필요

- 대선 이후 정책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업종 혹은 대선 이슈와 무관하게 성장을 할 수 있는 업종을 중심으로 대응해 나가는 전략이 적절하며, HBM, 전력기기 등 AI주, 방산주, 금융주를 대응 업종으로 제시

3.채권

- 트럼프 당선으로 단기적으로는 추가 상승 압력이 상존하겠으나, 미국채 10년물은 4.5% 내외에서 고점을 형성 후 완만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대선 전부터 재정 확대, 인플레 등에 대한 우려는 선반영

- 향후에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 등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과 미 연준의 금리 인하 등을 거치면서 상승세를 되돌릴 전망. 한편 한국 국고채 금리는 트럼프 관세 정책 등이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하방 압력 높아질 전망. 미국채 10년물 4.50%, 국고 3.15% 상회 구간에서 매수 전략 유효

4. FX

- 트럼프 당선 직후 일시적으로 달러의 상승 압력이 높아질 수 있으나 트럼프 공약에 따른 우려를 일정부분 선반영, 추가 상승폭 확대는 제한될 전망. 트럼프 공약이 달러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 정책 현실화를 확인하는 과정 필요

- 내년 상반기 중 미 달러는 연준 통화정책과 펀더멘털 흐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며 현 수준보다 하락한 이후 하반기 중 반등 전망. 달러/원 환율은 1,400원 상회 가능하나 일시적, 미 달러화 흐름 고려할 때 내년도에는 주로1,300∼1,400원 범위에서 등락 예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IDetailView?sqno=111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21:55


2024년 11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 당선에 따른 규제완화 기대로 은행들이 폭등했습니다.

(2) 미 공정위로부터 반독점으로 피소된 아마존과 알파벳이 올랐습니다.

(3) 비트코인이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했고 배터리 태양광 주식들은 내렸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4%p (+0.069%p)
한국 고객예탁금, 50.0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4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8.97원 (-1.7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21:41


https://naver.me/GzEZuHme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10:55


투자자라면 누가 대통령이 되는가? 트럼프 수혜주는 무엇인가.. 해리스 수혜주는 무엇인가를 고민하기 보다는.. 누가 되든 장사가 잘될 기업은 어디인가를 파악해서.. 주가 크게 빠지는날 그런 기업들 주식을 모아가면 됩니다. 누가 대통령이 되던간에 잘나가는 한국의 미용기기나 화장품 업체들은 장사 잘될거고.. hbm도 모자라다는데 계속 잘팔리지 않을까요? 2차전지 규제하네 어쩌네 해도 테슬라도 그렇고 벤츠도 4680 원통형 쓴다고 하고 고객이 확보된 이상 엘엔솔 같이 미국에 부지 확보된 기업들은 공장 지을거고.. 그럼 그안에 장비 넣는 기업들은 돈을 벌겠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10:53


트럼프가 되니.. 빅테크 규제가 약해진다.. 그럼 반도체 기업들 호재 아녀요? 반도체 기업들, 2차전지 기업들 지원금 규모 축소해서 손해라면서요.. 해리스가 됐으면 법인세 늘리고.. 그럼 빅테크 투자 줄이고.. 그럼 또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 타격이라고 하겠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10:51


트럼프가 되든 해리스가 되든.. 어차피 세상은 돌아가고.. 다같이 망하지도 않고.. 트럼프 됐다고 당장 러우전쟁 종식되고, 중국이랑 대만이랑 싸우고, 주한미군 철수하고 그런일은 벌어지지 않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10:50


그럼 빅테크 기업들 투자 늘리는거 아녀요? » 반도체 » ??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91403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06:55


[속보] 폭스뉴스 "트럼프, 미 대선 승리" [2024 美대선]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53811?sid=10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04:2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10703?sid=10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6 Nov, 04:10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4110605101760523bc914ac71_1/article.html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3:29


민주당에 반감이 있었는데.. 이제 국힘에 반감이 생기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3061?sid=10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2:20


생산은 한국에서 하고 판매는 유럽에서만 되는 화장품 브랜드도 있네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2:19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2022년 한국 화장품 시장은 50억달러(약 6조8천75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032년에는 126억달러(약 17조3천25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매체는 한국 화장품의 지속적인 성장을 알 수 있는 사례로 최근 밀라노 중앙역에 팝업 스토어를 연 '예쁘다'(Yepoda)를 꼽았다.

이 브랜드는 한국 기업이 만든 브랜드가 아니라 K-뷰티의 성공을 예견한 독일의 화장품 브랜드다.

K-뷰티로 승부를 건 '예쁘다'의 전략은 적중해 독일에서 시작된 '예쁘다'는 유럽 전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5000400109?input=1195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2:14


인공지능(AI) 붐 속에 엔비디아의 AI 칩이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수요가 커지자 미국 월가 금융기관들이 이를 담보로 15조원에 이르는 대출을 해주고 있다. AI 붐이 새로운 채권시장을 만들고 있는 가운데 담보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들은 생성형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수만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담보로 받은 대출 규모만 총 110억 달러(약 15조1000억원)로 해당 자금은 엔비디아 칩 추가 구매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엔비디아 칩의 담보 가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 헤지펀드 오르소파트너스의 네이트 코피카는 "칩은 가치가 오르지 않고 내리는 자산"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몇달간 GPU 서비스 가격은 하락하고 있고 GPU 컴퓨팅의 시간당 가격도 연초 8달러에서 현재 2달러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11250?rc=N&ntype=RANKING&sid=00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1:30


팬데믹이 끝나서.. 핸드백이 잘 팔렸나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1:30


2024.11.05 09:56:49
기업명: 제이에스코퍼레이션(시가총액: 2,35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616억(예상치 : 3,642억)
영업익 : 428억(예상치 : 411억)
순이익 : 1,092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3Q 3,616억/ 428억/ 1,092억
2024.2Q 2,287억/ 261억/ 380억
2024.1Q 2,074억/ 193억/ 109억
2023.4Q 2,193억/ 235억/ 6억
2023.3Q 2,685억/ 323억/ 27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580008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437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0:22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050135i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0:00


이제 시작입니다. 원상복구 해야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0:00


금투세 폐지 이슈로 시장이 반전했지만 여전히...
https://t.me/jumpstep/48505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0:00


감사합니다.

또 한명, 뒤에서 몸으로 뛰어주신 소형주투자자 형님 고생많으셨고 감사합니다 (아직 도장은 안찍혔지만...)

https://t.me/small_stock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5 Nov, 00:00


금투세 폐지를 위해 정말 큰 고생 해주신 정의정 한투연 의장님께 감사의 인사를...

위의 글 조회수도 올리고, 감사댓글도 달아서 마음을 표현합시다.

https://naver.me/FLyWp2tp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23:49


나한테도 관심좀.. 꿀꿀...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5016652504?input=1195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23:47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823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22:56


초박빙 여론조사 계속 이어지자 불확실성↑
"당선자 발표 오래 걸릴 경우, 투심 악화불가피"
트럼프 미디어 앤 테크놀로지그룹 주가 12.4%↓
해리스 선전에 국채금리는 급락…10년물 4.3% 하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7721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21:55


2024년 11월 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대선 하루전날 538에 따르면 트럼프가 해리스에 4%p 우세합니다.

(2) 미 에너지 규제위가 아마존의 데이터센터 인근 원전 인수를 불허했습니다.

(3) 중국 전인대가 지방정부의 부채한도를 높여 숨은 부채와 교환을 검토중입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31%p (-0.048%p)
한국 고객예탁금, 50.5조원 +1.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73.36원 (-2.5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17:27


https://naver.me/F3T3idLq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17:26


https://youtu.be/iOSd6OJ2Xk0?si=9dbeEhqfWNRAAZiP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11:14


개인투자자 귀환에 수급 개선

연말 산타랠리 청신호 켜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6292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11:09


오늘부터 미장개장 시간은 한국시간 기준 23시30분 입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11:08


달러하락은 분명 국장에 긍정적이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11:08


美대선 여론조사서 해리스 우세에 달러화 하락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049809i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4:04


https://m.blog.naver.com/theminjoohotjjoon/22364599465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3:37


금투세 폐지에 개미들 '환호'…전문가들 "기업 펀더멘털이 관건"(종합)

https://naver.me/GSDFyFwQ

금투세의 과세 대상인 개인 투자자는 이번 결정을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이번 소식 직후 온라인 증권 게시판에서는 "늦었지만 잘한 결정", "애초부터 말도 안 되는 법안이었다", "1천400만 개미의 승리"라는 등 반응이 줄을 이었다.

이제는 불법 공매도 근절과 과세 체계의 선진화 등에 나서야 할 때라는 제언도 나왔다.

전문가들도 이번 결정이 정책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증시로의 자급 유입에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불확실성 해소의 계기가 될 것은 분명하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그동안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금투세 때문에 '투자이민'을 간다고 할 정도로 해외 증시로 자금이 유출됐다"며 "이번 결정을 계기로 이런 분위기가 진정되고 국내 증시에 중장기적 투자 유인이 생겼다고 본다"고 말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3:36


"금투세 폐지에 급등" 장중 코스피, 1.13%↑·코스닥 2.89%↑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88251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2:2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09483

윤석열 대통령이 "내년 예산안을 통해 맞춤형 약자복지 확충, 경제활력 확산, 미래 준비를 위한 경제 체질 개선, 안전한 사회와 글로벌 중추 외교 등 4대 분야를 중점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R&D(연구개발) 투자를 선도형으로 전면 개편하고 AI, 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와 12대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역대 최대인 29조70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강조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1:46


금투세 폐지론 이소영 "폐지 결정 환영…이제 상법 개정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885299


금투세 폐지 찬성 입장에 서 온 이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 상법 개정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는) 지난 정책의총 이후, 공개 발언을 아끼는 대신 내부 설득에 주력해 왔다"며 "특히 이재명 대표께서는 이 문제에 각별한 고민을 하시며, 긴 시간을 내어 제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해 주셨다"고 전했다.

이어 "금투세 문제를 결정하는 이번 과정은 특별하고 의미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하나의 정책에 대한 당내 구성원의 견해 차이를 확인하고 그 차이를 좁히기 위해 논리와 근거로써 서로를 설득하고 의견을 모아가는 과정을 보면서, 우리 당이 얼마든지 지금보다 더 좋은 정당이 될 수 있을거란 믿음을 갖게 됐다"고 주장했다.

또 "금투세 폐지는 상황을 고려한 불가피한 결정일 뿐이다. 금투세를 시행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밸류업이 되지 않는다"며 상법 개정을 촉구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0:46


[속보]이재명 "금투세, 시행하는 게 맞지만 폐지에 동의하기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1040937479347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0:42


짜증나네요 정말..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0:42


https://m.ajunews.com/view/20241104093503284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0:26


https://www.youtube.com/watch?v=iJsWRpSetq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4 Nov, 00:26


무비자로 중국 입국…국내 여행업계 "중국여행 활성화 기대"
- "비자 발급 비용과 시간 절약…엔데믹 이전으로 회복 전망"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300950003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3 Nov, 22:51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3025300003?input=1195m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03 Nov, 22:33


https://naver.me/xWTW8y3E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11:20


"법안 발의에 동의는 했지만, 여전히 제 입장은 폐지"라면서

https://naver.me/xbAy341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6:59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4/10/30/RU3YI5MB4NAH7DBKFNMS7UULXE/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3:43


오늘 하한가를 갔음에도 지금 시가총액이 22조원이 넘는데요. 이번 유상증자 신규발행 주식수를 더해주면 지금 시가총액은 26조원이 넘어요.

지분 출혈경쟁 과정에서 회사의 체력도 많이 약해졌는데요. 지금 회사의 체력으로는 10월 2일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지키기 많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23년 에스엠의 케이스가 떠오르는데요. 에스엠은 23년 2월 영업실적에 대한 전망을 공시하면서 25년 1조 2,000억원 매출과 4,300억원 영업이익을 전망했지만 올해 2월에 정정공시를 통해 매출액 7,800억원, 영업이익 1,700억원으로 크게 하향조정했습니다.

회사의 말을 들을 때는 회사의 발언의도가 무엇인지, 현재 상황이 어떠한지 등을 같이 따져보시면 좋습니다.

이런게 너무 어렵다고 생각하시면 쉽게 밸류에이션을 보셔도 좋은데요. 신주까지 감안한 현재 시가총액이 26조, 첫 공개매수가와 이번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격인 66만원으로 계산한 시가총액은 16조원입니다. 올해와 내년 고려아연의 예상 영업이익은 1조원, 순이익은 7,000억원 안팎인데요. 신사업 진행이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20~30배를 넘나드는 밸류에이션 하에서는 관심가질 이유가 전혀 없어보입니다.

그럼에도 MBK가 지분경쟁에서 이긴다면 고려아연에서 취할 수 있는 이득이 없지는 않은데요. 글이 너무 길어져서 다음 기회에 비슷한 케이스가 생긴다면 다뤄보겠습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3:15


방금 나온 증권신고서상 자금의 사용목적에서도 차입약정 사용액 전부를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상환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네요.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3:14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30000113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3:03


2조 3,000억원이 채무상환자금인데요. 공개매수 과정에서 2조 6,000억원 이상을 고금리로 차입한 바가 있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3:00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08900?sid=101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2:49


그래도 그분은 국민을 위해서 금투세를 시행해야한다고 외치시려나요? 상법 개정 하고 선진국처럼 제도 정비하고 금투세를 해도 하던가..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2:36


다들 와~ 하시네요 ㅎ.. 진짜 어이없긴 하쥬.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2:36


2024.10.30 11:21:47
기업명: 고려아연(시가총액: 29조 7,920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증자방식 : 일반공모증자
증자비율 : 0.18주/1주당

발표일자 : 2024.10.30
기준일자 :
청약일자 : 2024-12-04
납입일자 : 2024-12-06
상장일자 : 2024-12-18

시설자금 : 1,351억
영업양수 :
운영자금 :
채무상환 : 23,000억
타법인 : 658억
기타자금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3000009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0130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2:10


오늘날 AI와 자율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대기업들이 직면하는 보안 리스크도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 내 주요 데이터나 기밀 정보가 IP카메라와 같은 자율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되지만, 이들 시스템이 해킹에 노출될 경우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전략, 연구 데이터, 고객 정보까지 유출되는 상황이라면 단순한 사생활 침해가 아니라 기업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셈입니다.

예를 들어, 많은 대기업들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죠. 그런데, 중국산 카메라와 같은 보안이 취약한 장비가 들어가면서 해커들의 주요 타겟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사례들을 보면, 일부 대기업의 IP카메라 시스템이 해킹당해 내부 영상이 해외 불법 사이트에서 거래되는 심각한 상황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 신뢰도 하락과 함께 막대한 금전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AI 자율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하는 특성 때문인데요, 이 과정에서 보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해커들에게 중요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됩니다. AI 자율 시스템은 편리하지만 그만큼 기업들의 데이터를 손쉽게 외부로 빼내기 좋은 타겟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보안 강화는 더 이상 옵션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가고 있어요.

기업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단 인증된 제품과 정기적인 보안 점검은 기본입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게 좋고요. 하지만 이런 개별적인 조치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해요. 정부와 제조사도 나서서 보안 체계를 표준화하고, 규제를 강화할 필요성이 큽니다.

AI와 자율 시스템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기업 보안은 이제 경영 전략의 핵심 요소가 되어야 합니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환경에서 보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기업은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죠.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2:02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7982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1:55


https://naver.me/F9N7JoPh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30 Oct, 01:36


https://m.globalepic.co.kr/view.php?ud=202410301024072424abe7dc9896_29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9 Oct, 23:5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14702?rc=N&ntype=RANKING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침투했다는 서방 정보 당국의 전언이 나왔다.

CNN 방송은 29일(현지시간) 2명의 서방 정보 당국자를 인용, "소수의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내부에 침투했다"면서 "당국자들은 북한군이 러시아 동부에서 훈련을 마치고 최전선으로 이동하게 되면 침투 병력 규모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9 Oct, 23:4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12181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의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었다. 특히 구글의 클라우드 부문은 1년 전보다 35% 가깝게 매출이 뛰었다. 인공지능(AI) 기반 수요 등이 증가한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금은 약해졌지만 이른바 'AI 거품론'은 더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9 Oct, 23:46


https://biz.sbs.co.kr/article/20000198845?division=NAVER

오픈AI가 브로드컴·TSMC와 손잡고 자체 인공지능(AI) 칩 설계에 나섰습니다. 지난해부터 추진하던 '글로벌 AI칩 네트워크' 구축 대신, 직접 생산에 들어가겠다는 의도입니다.

현지시간 2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자체 AI 칩 개발을 위해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세계 파운드리 선두 TSMC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