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eadingr Channel on Telegram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Korean)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투자자들에게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리서치 센터입니다. 이 채널은 최신 투자 동향, 시장 분석, 기업 리포트 등 다양한 투자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최상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리서치 센터의 전문가들이 신중하게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제시되는 자료들은 신속하고 정확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채널의 회원들은 투자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쉽게 얻을 수 있어서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투자에 관심이 있거나 전문적인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최적의 채널입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4 Feb, 01:00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트럼프 관세 충격 긴급점검: 트럼프 2기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 영향 점검

▷ 1기보다 신속한 관세 부과: 트럼프 무역공세로 인한 변동성 불가피

▷ 트럼프는 왜 이럴까? → 과거와 달리 ‘대선 민의’를 초반부터 강력하게 반영

▷ 다만 ‘죄수의 딜레마’ 중 최악을 선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이번 관세 부과도 1기와 유사하게 자본재-중간재에 집중

▷트럼프 2.0, 핵심 교역국(멕시코, 한국 등)은 근린궁핍화 할인 불가피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fd1pVa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 Jan, 23:36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트럼프 2.0 시대 전망: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시장 영향과 수혜주 점검

▷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정책 불확실성 완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 미 신정부 출범 이후: 민간투자 정상화 → 제조업 심리 및 국내수출의 변곡점

▷ 트럼프 2.0 허니문 국면 진입 → 이전 경기낙관에서 점차적인 정상화

▷ 트럼프 2.0 허니문 국면 진입(2) → 지정학적 위험 완화로 원자재가격 안정 기대

▷ 트럼프 2.0 정강정책에서 드러난 구체적인 산업 정책은?

▷ 트럼프 2.0 시대, 반드시 살펴봐야 할 수혜 기대 업종은?

▷ 트럼프 2.0 수혜업종 중 펀더멘털 개선 종목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1xxuoFd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3 Jan, 23:34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미국 금리변수 긴급 점검: 미국 시장금리 오버슈팅의 원인과 향후 전망

▷ 미국 시장금리 → 과거 통화완화 국면과 비교하면 상당한 오버슈팅

▷ 미국채 기간프리미엄의 급등 → 기대인플레이션 수준보다 과잉반응

▷ 미국 물가변수는 완만한 둔화 → 모기지금리 부담에 따른 서비스물가 안정화

▷ 미국 고용지표 → 선행지표 상 뚜렷한 회복시그널은 아직 불충분

▷ 트럼프 정부의 허니문 국면 감안한 투자 전략 → 선 경기낙관, 후 정상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FLXSoqn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Jan, 23:17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콘텐트리중앙(036420) - 2025년은 개선되는 한 해!!!



투자포인트

1. 기대되는 2025년 드라마 라인업과 방송편성 증가: 올해는 ‘굿보이’, ‘마이유스’, ‘넉오프’ 등의 텐트폴 기대작들이 캡티브 채널 편성 및 OTT향 오리지널 작품으로 예정되어 있다. 또한 캡티브 채널인 JTBC의 채널 slot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월화 및 수목 드라마 slot이 추가된다면, 동사의 캡티브향 납품이 24년 대비 약 3~6편 정도 증편이 가능하다. 올해 2분기(25년 4월)부터 글로벌 OTT와 재계약 요건이 변경되는데, 리쿱율(전체 제작비의 회수율)이 이전보다 개선되어 동사의 수익성이 개선된다. Wipp은 올해 2편 이상의 미국 현지 고객사 납품(예: 아마존프라임 향 ‘The Summer I turned Pretty S3’)으로 적자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요근래 인수했던 다수의 레이블 관련 영업권 PPA상각비도 25년부터는 기존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점도 동사에게는 긍정적인 상황이다.

2. 주요 자회사들의 흑자전환 노력 지속: 메가박스는 올해 3분기에 영화 ‘탈주’의 투자 및 배급 매출 및 ‘서울의 봄’ 관련 부가매출이 반영되면서, 약 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하였다. 메가박스는 국내 극장 방문객 둔화에도 불구하고 ‘플러스엠(메가박스 산하 투자배급사)’의 역량 강화를 통한 투자 및 배급 수익 증가와 인력 효율화 등에 따른 비용감소로 주요 자회사 메가박스의 수익성을 개선시켜 나갈 것이다. 플레이타임은 프로모션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 약 15억원을 기록하면서, 수익성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기존 고객의 재방문율 증가 및 지점 리뉴얼 그리고 적극적인 해외점포 확장(예: 몽골,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노력으로 동사의 Cashcow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3. 투자의견 매수(BUY)유지 및 목표주가 12,000원으로 하향: 24년도 예상 매출액은 9,067억원(YoY -8.7%), 영업손실 421억원(YoY 적자지속)으로 23년도 대비 적자폭은 줄어들 전망이다. 올해는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 1조 397억원(YoY +14.7%), 영업이익 182억원(YoY 흑자전환)으로 드라마 제작편수 증가 및 OTT향 리쿱율 개선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Valuation방식은 SOTP Valuation을 사용하였고, 기존의 목표주가를 12,000원으로 하향한다. 전반적인 실적의 회복세가 진행되는 시점인 것을 고려하여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한다. 여기에 중국 본토가 다시 열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동사의 경쟁력 있는 IP보유와 제작역량을 감안한다면, 올해는 실적과 모멘텀 모든 면에서 전년도 대비 성장이 기대되는 시기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dhc3lw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8 Jan, 00:13


[리딩투자증권 곽병열/유성만]

■ 리딩 리서치의 2025년 시장 트렌드 1: 수출 둔화기의 돌파구, 소프트웨어 & 미디어엔터

▷ 국내 수출경기 둔화 → 추가적인 감익 가능성을 감안해야

▷ 수출둔화기의 감익을 버텨낼 업종 찾기

▷ 수출 사이클과는 차별화된 지식재산생산물 → 소프트웨어 & 미디어 주가↑

▷ FY25 미국의 업종별 매출-이익 추정 → 글로벌 소프트웨어, 미디어 긍정적

▷ AI 가치사슬 & 기술혁신 S커브: 소프트웨어 우호적 국면

▷ 소프트웨어 & 미디어(엔터) 대응전략 → 저PER 비중확대 유효

▷ 2025년 트렌드 1 관련주 10
1) NAVER
2) 카카오
3) 하이브
4) 에스엠
5) JYP Ent.
6) 와이지엔터테인먼트
7) 디어유
8) 스튜디오드래곤
9) 콘텐트리중앙
10) 카페24


■ 보고서 링크: https://url.kr/tjb2ax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3 Dec, 23:35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카페24(042000) - 라이브커머스의 신흥강호


기업개요

동사는 1999년 5월에 설립, 2018 년 2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본업은
인터넷비즈니스 솔루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영위한다. 매출비중은 인터넷 비즈니스 솔루션 77.6%, 의류 7.6%, 운송 14.8% 이다(24 년 3분기 기준).

투자포인트

1. 유튜브쇼핑과 연동된 ‘라이브커머스’ 시장에 거는 기대감: 카페24는 24년 6월에 전세계 최초로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을 출시하였고, 현재 ‘Google Interantional LLC’가 동사 지분 7.24%를 보유하고 있다. 라이브커머스 구조는1) 판매자가 자사몰이 있는 경우: 소비자가 유튜브에서 해당 제품을 클릭하면, 판매자의 자사몰로 이동 2) 판매자가 자사몰이 없는 경우: 카페24의 유튜브쇼핑 전용스토어를 활용하여 판매하며, 카페24의 자체 페이먼츠 시스템을 사용한다. 자사몰을 활용한 라이브커머스는 국내에서 동사가 유일하며, 유튜브를 연동한 쇼핑도 카페24가 국내에서는 유일하다. 유튜브 연동 사업을 런칭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인력과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 지출도 별로 없는 상황이다. 국내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25년도에 약 6~7조원 규모로 예상되며, 유튜브쇼핑 시장의 침투율은 25년에는 약 8~9%수준이며 2030년에는 약 3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2. 쉽지 않은 외부환경에서도 비용절감 노력으로 수익성 개선 중: 동사는 수년간 인력재배치 및 비용절감 노력을 통해,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올해 3분기 EC플랫폼은 비즈니스솔루션을 제외한 모든 사업영역(결제솔루션, EC솔루션, 공급망 서비스, 마케팅솔루션)이 성장하며 YoY 약 20%의 외형성장을 기록하였다.

3. 올해는 흑자전환 예상 및 내년에도 증익이 계속될 전망: 23년 매출액은 2,781억원(YoY +4.5%), 영업적자 31억원(YoY 적지)을 기록하며, 적자폭을 축소하였다. 올해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은 2,994억원(YoY +7.7%), 영업이익 247억원(YoY 흑전)으로 전반적인 사업부의 실적 성장과 그동안 진행했던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나면서 의미 있는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25년 예상 매출액은 3,314억원(YoY +10.7%), 영업이익 375억원(YoY +51.8%)으로 본업과 라이브커머스의 실적 성장에 따른 본격적인 증익구간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내수경기가 불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동사의 유튜브를 활용한 라이브커머스는 향후 동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rv54nn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6 Dec, 23:38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2025년 점검 (5): 미국 통화정책 예상경로 중심으로

▷ 미국 경기방향성 → 완만한 둔화국면(slow down) 추정

▷ 미국 실질GDP → 현재 양호하지만 경기낙관 선반영 가능성

▷ 미국 고용지표 → 선행지표 흐름을 감안하면 완만한 둔화 유력

▷ 미국 물가지표 → 굴곡 있으나 점차적인 안정화 시도

▷ 미국 주택가격도 안정세 → 물가변수(주거비)의 안정화 기여 예상

▷ 미국 금리변수 → 당초 예상보다 1회 축소되나 여전히 금리인하 지속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BTOd5fE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6 Dec, 23:28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 내년부터는 다시 화이팅!!!



투자포인트

1. 베이비몬스터의 성장과 블랙핑크 완전체 활동 개시: 베이비몬스터가 11월에 정규 1집 앨범을 발매, 초동 물량 68만장을 기록하면서 코어 팬덤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재까지 총 판매량에 100만장에 육박하여 밀리언 셀러급으로 성장하고 있다. 25년부터는 데뷔 2년차로 접어들면서, 본격적인 글로벌 투어에 돌입하는데 약 8만명 규모의 팬 미팅을 진행한 점을 고려하면 25년도에 베이비몬스터의 성장세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블랙핑크는 내년 하반기부터 완전체 활동을 통해 글로벌 투어에 나서는데 최근 멤버 로제의 ‘아파트’가 글로벌 히트를 기록한 것까지 고려한다면, 예상보다 큰 규모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블랙핑크의 높은 ATP와 MD매출을 감안한다면 재계약에 따른 분배비율 재조정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2. 트레저의 글로벌 확장 및 위너의 완전체 컴백 예정: 올해 컴백이 지연된 트레져는 내년 상반기 컴백(앨범 발매)을 통해 25년에는 본격적인 활동 증가(내년 하반기는 월드투어 예정) 및 위너의 경우 멤버들의 군 복무 완료(올해 12월 말) 후, 25년 상반기에는 완전체 컴백이 예상된다. 내년에는 트레저와 위너의 본격적인 컴백으로 동사 실적에 대한 기여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3. 내년에는 최소1개의 신인그룹 데뷔 계획: 아티스트 라인업이 다소 아쉬웠던 YG에 내년부터 본격적인 신인데뷔가 시작된다. 한국, 일본, 태국에서 각각의 신인그룹이 준비 중이며, 완성도가 높은 신인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데뷔를 하여 25년도에는 최소 1개의 신인그룹을 데뷔시킬
계획이다.

4.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 70,000원으로 하향 조정: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25억원(YoY -36.3%), 영업적자 247억원(YoY 적전)을 예상한다. 블랙핑크의 부재와 다른 그룹들의 성장이 예상보다 속도가 더디면서, 전반적인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25년)는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 5,187억원(YoY +43.1%), 영업이익 506억원(YoY 흑전)로 블랙핑크 완전체 활동 재개(글로벌 투어)와 베이비몬스터의 본격적인 성장 및 트레저의 활동 증가와 위너의 완전체 컴백으로 실적의 회복세가 예상된다. 2025F EPS 2,568원에 Target Multiple 27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를 70,000원(상승여력 45.1%)으로 소폭 하향조정하였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동사의 실적은 올해 4분기가 바닥이며, 본격적인 실적의 상승과 엔터 업종 모멘텀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lrl.kr/HbAO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9 Dec, 23:50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탄핵 정국 긴급 점검: 사례분석 및 경제 펀더멘털 요인 중심으로

▷ [사례분석] 2004년(3개월) → 채권강세, 주식-원화 소폭 약세, 펀더멘탈 양호

▷ [사례분석] 2016~17년(5개월) → 채권약세, 주식강세, 원화등락, 펀더멘털 양호

▷ [현 상황] 정치 불확실성으로 외국인 이탈하고, 펀더멘털 약점도 포착

▷ 그렇다면 한국 경제의 리스크 지표는? → 최악으로 볼 수는 없다

▷ 국내증시 밸류에이션, 펀더멘털 악화 우려 상당 반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4bh2Igv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9 Dec, 23:42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카카오(035720) - 내년에는 AI포텐셜만 터지자!!!


투자포인트

1. ‘카나나’는 맛보기, 내년에 AI&카카오톡이 연동된 본격적인 서비스 출시 준비: 카카오는 멀티모달(텍스트,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양식을 동시에 처리 가능) 언어모델(MLLM) ‘카나나-v(Kanana-v)’를 공개했다. 한국어 및 한국 문화적 맥락(context)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특화되어 있으며, ‘음성과 영상’까지도 동시 처리가 가능한 ‘카나나-o(Kanana-o)’와 온디바이스(On-Device, 기존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해당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직접 처리)환경에서도 카나나 서비스가 원활한 구현이 가능하도록 개발 중이다. 한국어 음성 요약 및 번역에 최적화 된 오디오 언어모델 ‘카나나-a(Kanana-a)’까지 3개의 멀티모달 언어모델 라인업을 구축했다. 동사의 카나나 AI모델은 기본적으로 ‘FLAG(최고성능)-ESSENCE(중소형)-NANO(초경량)’언어모델 기반에, ‘KOLLAGE(고품질 이미지 생성)’, ‘KINEAM(비디오 콘텐츠 생성)’와 같은 비주얼 생성모델과 ‘KARVE(음성인식)’, ‘KAST(음성합성)’과 같은 음성모델로 구성된다. 카나나는 카카오 AI서비스의 첫 번째 단계이며, 내년(25년)에 본격적으로 카카오톡과 연동된 AI서비스 공개를 준비하고 있다. 글로벌 LLM모델과 자체 모델을 혼합하여 출시하는 새로운 AI서비스가 카카오톡과 연동되어, 기존사업들과 연동된 높은 트래픽이 발생될 경우 동사의 실적과 주가에 새로운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

2. 사업포트폴리오 조정 및 비용효율화: 동사는 비핵심 사업군에 대한 매각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존 엔터/미디어/게임/웹툰과 같은 우량 사업군 및 주력사업에 대한 집중과 비용효율화로 수익성 개선을 진행 중이다.

3.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54,000원을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카카오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54,000원을 제시하며,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Valuation방식은 P/E Valuation을 사용하였다. 2025F EPS 1,192원에 Target Multiple 45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54,000원(상승여력 27.7%)을 산출하였다. 24년 예상 매출액은 8조 201억원(YoY +6.1%), 영업이익은 5,764억원(YoY +25.1%)이다. 25년 예상 매출액은 8조 4,167억원(YoY +4.9%), 영업이익 6,314억원(YoY +9.5%)이다. 카나나 서비스를 시작으로 AI와 카카오톡을 연동하는 AI생태계가 구축되고 있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AI서비스를 공개할 예정이며, 그동안 카카오 관련 모든 Risk가 발생하여 추가적인 Risk발생 부담도 적은 상황이다. 카카오의 자체적인 비용효율화 노력 및 거시적인 환경측면에서도 중장기적인 금리 인하기인 점을 고려하면, 새롭게 변화하는 시기에 주가와 모멘텀의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5hop46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3 Dec, 00:00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2025년 점검 (4): 수출 둔화를 감안한 업종 대응 중심으로

▷ 국내 수출경기 둔화 → 시장 예상보다 더 빠르게 진행 중

▷ 수출둔화 폭이 현 수준을 유지한다면? → 적정 PBR은 0.95~1.0배 수준

▷ 그렇다면 수출둔화기의 품목별 반응은? → 직전 2번의 사례 연구

▷ 미국 대선 전후 국내 업종별 이익추정 반응 → 직전 사례와의 유사성 발견

▷ 미국 대선 전후 미국 업종별 매출추정 반응 → 경기소비재, 유틸리티↑

▷업종별 대응전략 → 수출 둔화기의 감익 리스크가 제한적인 업종 중심으로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DEY7pPz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2 Dec, 23:52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에스엠(041510) - 에스파&RIIZE&NCT + 신인 데뷔&중국 기대감



투자포인트

1. 에스파&RIIZE&NCT+신인 걸그룹 데뷔 예정: 에스파는 TOP-Tier 수준의 K-POP걸그룹으로 거듭나고 있다. 매번 발표하는 신곡이 국내 음원 정상을 기록하고, 글로벌 음원 차트 순위에도 차트인을 하고 있으며 공연이 진행될수록 코어팬덤과 모객가능 인원수도 증가하고 있다. RIIZE는 데뷔 1년이 조금 넘었는데 내년부터 월드투어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익 창출이 기대되며, 미국&일본 등에서 팬미팅&공연 등을 통하여 과거 EXO의 빈자리를 빠르게 대체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NCT위시(일본)가 성공적으로 데뷔하면서, 내년 상반기에 공개 예정인 에스엠의 신인 걸그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영국 현지 보이그룹 ‘디어앨리스(dearALICE)’는 올해 8월 영국BBC에서 데뷔과정을 소재로 한 총6부작의 다큐멘터리를 방영하였고, 최근 미국 음악레이블 ‘감마(Gamma)’와 협력하여 본격적으로 미주&유럽 지역 등에서 글로벌 활동을 준비 중이다.

2. 디어유의 최대 주주로서 중국본토 공략에 유리한 위치: 동사의 자회사 ‘에스엠스튜디오스(지분 100%)’가 디어유의 최대주주(지분 31.16%)인데, 내년 1분기 말~2분기 초부터 텐센트 뮤직과 함께 중국 본토에서 ‘버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장해 나간다. 동사의 다양한 아티스트 라인업은 중국의 한한령 이전에도 인지도가 높았던 아티스트들과 한한령 이후에 새롭게 떠오른 아티스트들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특히 ‘Way V’(NCT China) 및 에스파의 중국인 멤버 ‘닝닝’ 등 중국 본토출신 아티스트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본토가 다시 열리면 중국 현지에서 활동이 가능한 아티스트 라인업이 다양하기 때문에 중국향 익스포져가 매우 크며, 내년부터는 ‘디어유 버블’을 통해 중국 본토에서 강력한 마케팅 효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된다.

3.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 120,000원으로 상향 조정: 에스엠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120,000원으로 상향한다. Valuation방식은 P/E Valuation을 사용하였다. 2025F EPS 3,298원에 Target Multiple 35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120,000원(상승여력 41.8%)을 산출하였다. 올해는 예상 매출액9,757억원(YoY +1.5%), 영업이익 762억원(YoY -32.8%)를 전망한다. 자회사들의 부진으로 인해, 전반적인 실적이 다소 아쉽지만 실적이 바닥을 잡는 모습이다. 2025년은 예상 매출액 1조 1,064억원(YoY +13.4%) & 영업이익 1,210억원(YoY +58.7%)으로 본격적인 실적 회복세가 예상된다. 본업에서 주요 아티스트들의 성장으로 실적이 증가하며, 신인 데뷔 모멘텀 및 중국에서의 긍정적인 분위기로 인해 기대가 높아지는 시점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lrl.kr/Pr15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Nov, 23:49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JYP Ent.(035900) - 실적도 양호~ 중국도 열릴 듯~!!!


투자포인트

1. 스트레이키즈 & TWICE 의 견조한 실적은 지속 + 신인 보이그룹 기대: JYP 는
올해 3 분기에 연결기준 매출액 1,705 억원(YoY +22.1%), 영업이익 484 억원(YoY
+10.4%)를 기록하면서,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하였다.
스트레이키즈&데이식스 및 쯔위(트와이스) 솔로 앨범과 스트레이키즈&
트와이스& NiziU 와 NEXZ 의 일본 공연&팬미팅 그리고 ITZY 와 데이식스의
월드투어 등이 반영되었다. 내년(25 년) 1 월 1 일 0 시에 7 인조 보인 신인그룹
‘킥플립(KickFlip)’이 데뷔하며, NEXZ 에 이어서 새로운 신인 모멘텀이 기대된다.
올해 4 분기에도 일본에서 스트레이키즈&트와이스 (미니&미사모) 투어가 있지만
실적은 내년 1 분기로 이연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스트레이키즈와
데이식스의 월드투어가 예정되어 있으며, 특히 내년(25 년)에 스트레이키즈의
아메리카 대륙(북미+중남미) 및 유럽 투어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이라 내년도
실적 기대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데이식스는 밴드그룹임에도 국내 MZ 세대에서
높은 호응을 보이면서 음원 매출에 있어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2. 중국 시장이 K-POP 에게 다시 열린다면???: 최근 한중 관계가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K-POP 이 다시 중국 본토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동사가 2 대 주주로 있는 ‘디어유 버블 플랫폼’도 중국 텐센트 뮤직과 함께
내년 1 분기 말~2 분기 초부터 중국 본토에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개시한다.
한국인의 중국 관광시 무비자의 전격적 시행 및 해당기간도 기존 15 일에서
30 일로 확대하면서, 양국간의 본격적인 문화교류 재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3. 투자의견 매수(BUY)유지 및 목표주가 10 만원으로 하향 조정: JYP Ent.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100,000 원으로 현재 주가 수준을
반영하여 하향 조정한다. Valuation 방식은 P/E Valuation 을 사용하였다. 2025F EPS
2,869 원에 Target Multiple 35 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100,000 원(상승여력
48.1%)을 산출하였다. 올해는 예상 매출액 6,207 억원(YoY +8.5%), 영업이익
1,303 억원(YoY -23.1%)를 전망한다. 수익성의 역성장은 다소 아쉽지만 고연차
아티스트들의 꾸준한 실적이 지속되고 있다. 2025 년은 예상 매출액
6,699 억원(YoY +7.9%) & 영업이익 1,461 억원(YoY +12.1%)으로 지속적인
실적성장이 예상되며, 신인그룹의 데뷔 및 중국 시장이 다시 열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기이다. 내년에 데뷔할 신인그룹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저연차 아티스트(ITZY, 엔믹스)가 성장을 보여주고 여기에 중국 시장마저 다시
열리게 된다면 동사의 실적과 주가 모두 기대가 되는 시점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lrl.kr/qdof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Nov, 23:35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2025년 점검 (3): 트럼프 2.0의 허니문 전후를 중심으로

▷ 트럼프 정부의 허니문(취임 100일) 전후 반응? → 선 경기낙관, 후 정상화

▷ 대선 이후 경기낙관은 이미 반영 → 허니문 이후 방향성도 감안해야

▷ 선행지수와 동행지수? → No Landing 보다는 Soft Landing

▷ 트럼플레이션(Trumplation)? → 말보다 행동은 덜 과격할수도

▷ 한국 수출의 대외 선행지표 추이 → 낙관보다는 보수적인 시각

▷ 연말연초 미국 고용 및 물가 확인 과정 → 통화완화 지속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9XKAgbk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 Nov, 00:25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2025년 점검 (2): 한국 매크로(수출) 변수를 중심으로

▷ Korea Big Picture: 수출-선행지수 Peak out → 동행지수 부진 여전

▷ 2025년 국내경기, 상저하고 → 상반기 중 교역조건 둔화 경계

▷ 엇갈리는 대중국-대미국 수출 → 높아진 미국 의존도 부담

▷ 폭은 완만하나 한-미-중 모두 성장률 둔화 → 수출에는 부정적

▷ 한국 수출의 대외 선행지표 추이 → 낙관보다는 보수적인 시각

▷ 수출 낙수효과도 없는데, → 수출 Peak out 우려까지 커진다면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YdU7la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 Nov, 00:21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NAVER(035420) - AI를 활용한 Level-up 전략


투자포인트

1. ‘On-Service AI’를 통한 AI생태계 확장: NAVER는 올해 11월 11~12일에 ‘Dan24 컨퍼런스’에서, AI개인화 추천 및 출처까지 표시된 ‘AI브리핑’이라는 생성형AI 검색을 내년 상반기에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NAVER의 주요 서비스(검색, 쇼핑, 광고, 플레이스 등)에 AI를 접목, 유저들의 체류시간과 컨텐츠 노출 확대 및 젊은 유저 유입을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네이버 지도도 기존 ‘거리뷰 3D’기능에 공간지능기술(AR네비게이션, VR실내투어, 실내지도 등)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3차원 공간정보를 제공한다. ‘NAVER Twin XR 플랫폼’은 동사의 공간지능기술을 통합 구현하였으며, 현재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해외(예: 일본 등)에서 다양한 AR가이드 적용 프로젝트(예: 로봇 어플리케이션 R&D)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네이버 광고도 AI 광고 플랫폼인 ‘AD Voost’로 거듭나게 된다.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광고주는 광고비 절감과 조회수 증가 & 소비자에게는 정보의 질적 향상을 통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것이다.

2. 별도의 ‘AI 쇼핑App: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출시: 동사는 AI기반 쇼핑App인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내년 상반기에 출시 한다. 생성형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네비게이터’로 상품검색 시간과 속도를 단축해 주고, 유저의 쇼핑이력, 검색의도 및 맥락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품 검색을 도와준다. 여기에 ‘네이버 배송’을 도입하여 1) 지금배송: 3시간 내외 배송 가능 2) 새벽 배송: 익일 아침 배송 3) 희망일 배송: 지정 날짜에 배송 4) 무료배송 및 무료반품 확대 등으로 다양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네이버 멤버쉽’의 본격적인 혜택 강화를 위해, ‘넷플릭스’를 비롯한 각종 제휴 혜택(영화관, 편의점 등) 및 추가 적립(생필품 구매시 10% 추가 적립)와 멤버쉽 전용특가(가구,레저,패션 아이템)을 통해, 본격적인 네이버 멤버쉽(현재 약 300만명) 가입자를 증가시켜 나갈 것이다.

3.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및 목표주가 280,000원으로 상향조정: NAVER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를 280,000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Valuation방식은 P/E Valuation을 사용하였다. 2025F EPS 13,780원에 Target Multiple 20.0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280,000원(상승여력 46.8%)을 산출하였다. 24년 예상 매출액은 10조 6,6233억원(YoY +9.9%), 영업이익 1조 9,694억원(YoY +19.9%)이다. 25년 예상 매출액은 11조 5,071억원(YoY +8.3%), 영업이익 2조 3,622억원(YoY +15.5%)이다. 지속적인 실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슈들 때문에 주가가 큰 조정을 받았지만 AI를 활용한 본격적 Level-Up전략과 중장기적 금리 인하시기와 맞물려 실적과 주가 모두 성장이 기대된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e4i3rn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1 Nov, 23:37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2025년 점검 (1): 한국 기업 실적 변수를 중심으로

▷ 국내 경기선행지수-수출, Peak-out 가능성 → FY25 기업이익 전망, 흐림

▷ FY25 추가적인 감익 가능성 → 평균 20.8% 감익되는데, 아직 1/3 수준 진행

▷ FY25 국내 기업이익 → 평균적인 감익 폭 적용 시 FY24 수준

▷ 관건은 국내 수출의 방향성 → 미국 민간투자 정상화 여부

▷ 미국우선의 시대 → 핵심 교역국(멕시코, 한국 등), 근린궁핍화 할인 국면

▷ 업종별 대응전략 → 감익 우려가 제한적인 업종 중심으로

▷ 종목별 대응전략 → 저 이익변동성, 고 이익조정비율 종목 중심으로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31S3Jmm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1 Nov, 23:33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엔젤로보틱스(455900) - 해외로 뻗어 나갈 웨어러블 로봇



기업개요

동사는 2017년 2월에 설립, 2024 년 3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본업은
지능형 웨어러블 로봇을 제작 및 판매한다. 사업부별 매출비중은 제품매출 91.5%, 용역매출 8.5%이다(24 년 상반기 기준).

투자포인트

1. 다양한 곳에 적용되는 웨어러블 로봇: 엔젤로보틱스는 ‘웨어러블(사람의 능력을 보완하고 보조하는 로봇 기술) 로봇’ 분야에서 재활의료, 산업안전, 일상생활 보조, 부품/모듈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외 웨어러블 시장은 CAGR 약 40% 이상의 높은 성장을 해나가고 있으며, 국내외 모두 2023년 대비 2030년에는 약 10배 이상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현재 동사의 주력제품은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인 ‘Angel MEDI’인데, 국내 최초(22년 12월)로 ‘3등급 의료기기 인증을 통한 로봇보행재활의 의료보험 수가 적용’으로 인해, 정형외과&재활센터&장애인 특수학교향 매출이 성장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GEAR’도 주요 공단 및 대기업향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2. 해외시장 공략에 주력: 동사는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각 지역별 인증절차를 진행 중이다. 우선 ‘아시아태평양’ 지역부터 공략한다. 현재 국내에서 임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 상반기 주요 아시아태평양 국가(예: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들의 현지 인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다음은 26년에는 유럽(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CE인증 및 그 이후에 미국 FDA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미국에서는 핵심 기술 2건에 대한 특허를 확보하였고, ReWalk Robotics와의 상호국가 영업을 협의 중이다.

3. 올해도 투자확대로 적자지속 흑자전환은 2026년부터 가능할 전망: 23년 매출액은 51억원(YoY +135.6%), 영업적자 65억원(YoY 적지)을 기록하였다. 올해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은 63억원(YoY +22.4%), 영업적자 79억원(YoY 적지)으로 병원 파업으로 주력제품의 매출이 지연되는 반면에 경기도 하남에 생산설비 추가와 대전에R&D연구소 확장 등으로 전반적인 비용이 증가하며, 매출 성장 대비 적자폭이 증가하였다. 내년부터는 지연 되었던 병원용 제품의 매출이 회복되면서 매출이 성장하고 적자폭을 줄여나갈 것이며, 2026년부터는 해외 시장 확대로 인한 매출 증가와 주요 부품의 80% 수준까지 내재화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로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zzwc3n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4 Nov, 23:46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미국 대선 이후 대응전략(7): 대선 이후 G2 경제 변수를 중심으로

▷ 대선 이후 미국 민간투자 정상화 → 미국 기업심리 및 국내수출의 관전포인트

▷ 다만 대선 이후 경기낙관은 이미 반영 → 오히려 기대 이하 가능성도 감안해야

▷ 미국 고용 및 물가 둔화 확인 → 11월 FOMC, 통화완화 지속 예상

▷ 미국의 연말특수 → 그냥 나쁘지 않은 정도 예상

▷ 중국 전인대 상무위(11/4~8일) → 미 대선결과에 따라 대응 수위 조절

▷ 트럼프 1기의 무역분쟁 국면 vs. 현재 → 부양정책 절실함은 지금이 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9iEo3ap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4 Nov, 23:35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디어유(376300) - 중국 모멘텀 본격시작


투자포인트

1. 2025 년부터 중국 텐센트 뮤직과 중국 본토에서 버블 비즈니스 시작: 디어유는
중국 텐센트뮤직엔터테인먼트 그룹(TME)과 중국 본토에서의 ‘디어유 버블’
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제휴 및 서비스 계약을 내년(25 년)부터 ‘QQ 뮤직’내에 버블
서비스를 오픈 할 계획이며, 실제 서비스 런칭은 내년 1 분기 말~2 분기 초로
예상된다. TME 는 QQ 뮤직 외에도 ‘쿠우 뮤직(Kuwo Music)’과 ‘쿠거우 뮤직(KuGou
Music)’의 음악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어서, 추가적인 플랫폼 확장이 기대된다.
위의 3 개의 음악 플랫폼의 총 유료 가입자 수는 약 1.2 억명(총 유저는 약
8 억명)이며, QQ 뮤직만의 MAU 는 약 3.4 억명이다. 보수적으로 내년 2 분기부터
‘QQ 뮤직-버블’의 유료가입자가 집계된다는 가정(25 년도는 약 9 개월 정도의
실적만 반영)하에, 평균 ASP 를 월 4,500 원 수준에서 25 년도에 약 2.2 백만명의
신규 유료가입자가 유치되면 로열티 수취 방식으로 약 80 억원의 영업이익이
증가하게 된다. 중국 현지 마케팅 및 IP 확보는 TME 가 하기 때문에, 기존 TME
음악 플랫폼 유료가입자들의 가입자 수는 우상향 할 것으로 전망한다.

2. 중국 본토 비즈니스를 하려면 ‘TME-디어유 버블’과 해야만 한다: 앞으로 한국
아티스트들이 중국 본토에서 비즈니스를 하려면 당분간은 ‘디어유 버블’ 플랫폼
입점을 통해서, TME 의 네트워크를 활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아직 버블에
미가입한 IP 들의 중국 본토 진출을 위해 디어유 버블에 가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 현지 주요 C-POP 및 배우들의 ‘TME-디어유’ 플랫폼 가입도 증가할
전망되어, 중국 본토에서 대표적인 ‘K-Culture & C-Culture IP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또한 현재 중국 본토에서는 ‘구글 스토어’ 사용이 불가하여,
안드로이드 기반 유저들은 ‘디어유 버블 APP’ 사용에 제한이 있는데, 앞으로는
Tencent 의 ‘My App’에서 버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접근성도 향상 되었다.

3.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및 목표주가 56,000 원으로 상향: 24 년 예상
매출액은 775 억원(YoY +2.3%), 영업이익 277 억원(YoY -3.3%)이다. 올해는
국내에서 가입자 둔화 및 비용 증가로 실적이 다소 아쉽다. 25 년 예상 매출액은
1,021 억원(YoY +31.8%), 영업이익 456 억원(YoY +64.7%)이며, 중국 본토에서
TME 와의 본격적인 협업으로 인한 구독자와 실적의 상승으로 인한 전반적인
성장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디어유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를
56,000 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Valuation 방식은 P/E Valuation 을 사용하였다. 2025F
EPS 1,841 원에 Target Multiple 30.5 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56,000 원을
산출하였다. 중국 본토 모멘텀으로 실적과 주가 모든 면에서 기대되는 시기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dlc4dj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8 Oct, 23:54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미국 대선정국 대응전략(6): 트럼프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트럼프 집권하면 재정 건전성 악화? → 트럼프 1기, Not Bad

▷ 트럼프 집권하면 무역분쟁 격화? → 미-중 경제적 디커플링, 이미 상당히 지속

▷ 트럼프 집권하면 인플레이션 재발? → 전통에너지의 생산제한 완화로 공급↑

▷ Back to the 2016: 대선 이후 채권 횡보 & 주가 강세

▷ 미국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대한 금융시장 반응

▷ 트럼프 정강정책 중 경제정책 내용 정리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H6gaiWj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8 Oct, 23:35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농심(004370) - K-Food: 미국 다음에는 유럽시장!!!


기업 개요

동사는 1965년 9월에 설립되었고, 1976년 6월에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었다. 라면&스낵 및 음료류 등을 생산 및 판매 하며, 매출비중은 라면류 약 76.5%, 스낵류 약 10.2%, 기타 약 13.3%이다(24년 상반기 기준).

투자포인트

1. K-Food의 새로운 개척지인 유럽으로 진출 모색!!!: 농심은 미국에 이어서K-Food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는 유럽지역 공략에 본격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기존 부산 녹산공단에 수출용 신공장 건립을 올해 8월에 발표했다. 26년 4월부터 가동 예정이며, 1,910억원을 투자하여 약 1.5만평 규모로 건설된다. 신공장이 가동되면 기존 국내 라면 생산량이 약 2배로 증가하게 되며, 유럽을 비롯하여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까지도 고려한 중장기적 Capa확충이 기대된다. 최근 K-Contents의 영향으로 유럽향 라면 수출량은 올해 1~9월까지 YoY로 약 50%가 증가하였다(금액기준 총 수출액 약 2천억원). 또한 해외에서의 라면 ASP는 국내 대비 2배 이상이며, 그에 따른 이익기여도 또한 매우 높다. 동사는 내년에 유럽 현지 판매법인을 설립 예정이며, 기존 신라면을 비롯한 국물류 라면에 볶음면과 같은 건면류 제품 및 짜파케티 등으로 주력 라인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2. 3분기 실적은 견조한 실적 전망: 이번 3분기는 예상 매출액8,633억원(YoY +0.9%), 영업이익 518억원(YoY -7.0%)으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올해 4분기부터는 미국 월마트에서 기존 아시안푸트 코너에서 메인 코너로 확장 이동하면서, 미국에서의 매출이 증가할 것이다.

3.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530,000원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농심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를 530,000원을 제시하며,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Valuation방식은 P/E Valuation을 사용하였고, 12M FWD EPS 34,982원에 Target Multiple 15.0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530,000원(상승여력 46.4%)을 산출하였다. 올해는 예상 매출액3조4,800억원(YoY +2.0%), 영업이익 2,090억원(YoY -1.5%)를 전망한다. 내년도는 예상 매출액 3조 7,008억원(YoY +6.3%) & 영업이익 2,360억원(YoY +12.9%)으로 유럽 지역으로의 본격적인 확장 및 부산 녹산공장 수출용 신공장 Capa 증설로 중장기적인 글로벌 사업확장을 대비하는 역량이 갖추어가는 시기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ko.fm/dCw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1 Oct, 23:35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미국 대선정국 대응전략(5): 대선 이후, 2025년을 바라보며

▷ 미국 대선 전후 정책불확실성 지수와 금융시장 반응

▷ 미 대선변수 + 미 금리인하 → 금융시장 불안정 해소

▷ 다만 누가 되더라도 미국우선의 시대 → 핵심 교역국은 근린궁핍화 할인

▷ 미 대선 이후 기대 업종 → IT, 금융, 경기소비재, 산업재

▷ 미 대선 이후 기대 업종에서 찾는 이익전망 상향조정 기업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FsHFJK7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1 Oct, 23:35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 바닥을 지나고 내년부터 회복 전망


투자포인트

1. 내년(25년)부터 매출원 다각화 + 비용감소 본격화: 스튜디오드래곤은 실적의 회복을 위해서 1) 매출원의 다각화: 국내 제작편수 10편 이상 증가, 글로벌(미국, 일본 등) 제작편수 연 6편 이상 증가 및 부가사업이라는 신규 BM 추가 2) 제작비 효율화: 제작비 DB화와 투명화, 공개입찰과 실비정산 등의 시스템으로 비효율의 제거, 인건비 현실화와 신인배우 발굴 및 육성 프로세스 형성으로 크리에이터 가치 극대화 그리고 AI 및 VFX기술의 내재화로 기존 대비 약 20%의 비용 절감효과 3) 압도적 경쟁 우위 확보 전략: 원천IP(드라마, 웹툰, 소설, 영화 등) 다각화, 개별 작품 시청 성과 강화, 크리에이터 풀 확대 및 퀄리티 확대 등 4) 기업&주주가치 동반 성장: 중장기적으로 주주환원 성향 30% 이상을 목표로 하는 4가지 전략을 통해 내년(25년)도 부탁 재도약을 준비 중이다. 우선적으로 플랫폼 최적화 라인업 확장 전략으로 1) tvN의 수목라인업 재개 2) KBS와 MOU체결 3) 글로벌 프로젝트: 미국에서 파트너쉽 다각화와 기존 파트너들과의 협업 강화로 연 3편 이상의 작품을 제작하며, 일본에서는 현지 크리에이터와 주요 플랫폼 확보 및 리메이크 작품을 포함한 본격적인 현지 드라마 제작을 통해 국내외 총 16편 이상의 제작편수 증가를 통한 매출액 성장을 본격화 한다.

2. 3분기는 다소 아쉬운 실적 전망 & 4분기부터는 회복세 기대: 이번 3분기는 예상 매출액1,366억원(YoY -37.2%), 영업이익 29억원(YoY -86.9%)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방영회차가 59회로 전년 동기 대비 부진하였으며, OTT 오리지널도 3편이 인식(트렁크, 나의 해리에게, 경성크리처2) 되었지만 ‘눈물의 여왕’의 높은 상각비 부담이 이번 3분기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수익성을 크게 부진할 전망이다.

3.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및 목표주가는 53,000원으로 하향 조정: 스튜디오드래곤에 대해서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를 53,000원으로 하향 조정한다. Valuation방식은 P/E Valuation을 사용하였고, 12M FWD EPS 1,552원에 Target Multiple 34.0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53,000원(상승여력 42.3%)을 산출하였다. 올해는 예상 매출액5,896억원(YoY -21.7%), 영업이익 441억원(YoY -21.0%)를 전망한다. 내년도는 예상 매출액 7,033억원(YoY +19.3%) & 영업이익 612억원(YoY +38.6%)으로 동사의 매출과 수익성 모든 측면에서 개선되는 시기로 접어들 것이다. 모든 부진을 털어내고 실적과 주가가 바닥을 통과하며, 향후 본격적인 회복을 앞둔 스튜디오드래곤을 주목하자!!!


■ 보고서 링크: https://url.kr/66xejh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4 Oct, 23:52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한국증시 디커플링 긴급 점검(2): 한-미 기업이익 전망을 중심으로

▷ 한-미 기업이익 사이클의 특징: Peak out 주기 & 진폭의 차별성

▷ 이번 이익사이클은 M7과 동조화 → 그럼에도 밸류에이션 갭, 과도한 상황

▷ FY25 이익성장 기대 업종 → 한-미 공통적으로 소재, 헬스케어, IT

▷ FY25 이익성장 업종에서 찾는 이익전망 상향조정 기업

▷ [참고] 시총상위 종목군의 FY24~FY25 영업이익 전망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DlI70RT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4 Oct, 23:48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에코아이(448280) - ETS(탄소배출권 거래제)가 본격화 되는 시기


기업 개요

동사는 2005 년 4 월에 설립, 2023 년 11 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본업은
온실가스 감축 투자사업으로 발행 받은 배출권을 판매한다. 사업별 매출 비중은
온실가스 감축사업 매출 93.2%, 환경컨설팅 매출 6.8%이다(24 년 1H 기준).

투자포인트

1. ETS(탄소배출권 거래제) 시장의 성장이 예상됨: ‘탄소배출권’은 일정기간 동안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인데, 거래소 및 장외 시장에서 기업간
매매가 가능하다. ‘ETS(Emissions Trading System, 배출권 거래제)’은 기업들이
탄소배출권의 잉여분과 부족분을 매매 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일단 유럽에서는
2026 년부터 EU CBAM(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며, EU 에 수출할 경우
수출국과 EU 배출권의 가격 차이를 EU 에 국경세로 지불하는 제도이다. CBAM 이
시행될 경우, 유럽 대비 매우 저평가(국내 ETS 가격은 유럽의 약 10% 수준)된
국내 ETS 가격도 EU ETS 가격에 수렴해 나갈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ETS 관련
수요가 높은 국내 ‘발전, 수소 제품,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비료 업체 등’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며, 국내 ETS 물량을 대량으로 보유한 동사의 큰 수혜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내년부터 국내 자산운용사 및 증권사들을 통해서
ETS 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융상품(ETF, ETN)이 상장될 계획이라서, ETS 관련
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해 나갈 것이다.

2. 지속적인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ETS 발급실적 증가: 에코아이는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사업’ 프로젝트를 통하여, ETS 발급 실적을 증가시켜 나가고 있다.
기존에는 ‘맹그로브 조림, 태양광에너지, LED 교체, 쿡스토브 보급, PNG 누출방지’
을 통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신규로 ‘바이오매스 발전, 바이오차 생산, 폐냉매
회수 및 재생, 수력발전, N20 저감, 쓰레기 매립장’ 프로젝트를 추가하여 ETS 발급
실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나갈 계획이다.

3. 2026 년부터 본격적인 ETS 증서 전환으로 실적 레벨업 가능: 동사의 2024 년
예상 매출액은 217 억원(YoY -66.5%), 영업이익 47 억원(YoY -74.2%)이다. 올해와
내년까지는 신규 프로젝트 확장에 주력을 통해 ETS 발급 실적을 확대해 나갈
것이며, 2026 년부터 UN 으로부터 발급받은 ‘온실가스 감축증서’를 환경부에서
‘탄소배출권’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본격화 될 것이며, 국내외 탄소감축 노력이
가속화 되는 만큼 동사의 의미 있는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297wob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8 Oct, 00:07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토모큐브(475960, IPO예정) - 3D 생물학&재생의학과 유리기판 확장의 수혜


투자포인트

1. 3D 생물학&재생의학에 필수적인 ‘홀로토모그래피(Holotomography)’ 기술: 토모큐브의 ‘홀로토모그래피(Holotomography, 이하 HT) 기술’은 ‘살아 있는 세포를 염색 없이 3차원 고해상도로 실시간 분석하는 기술’이다. 현재 바이오 산업에서 1) 오가노이드(Organoids): 복잡한 3D 구조로 실제 장기와 유사한 기능 모사 2) 세포치료제(Cell Therapies): 살아 있는 세포를 이용하여 질병 치료&조직 재생 3) 신약 개발(Drug Development): 세포의 3D 구조 변화와 반응 분석으로 효능 및 독성 평가 4) 줄기세포(Stem Cell):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 및 손상된 조직 재생에 사용 등과 같은 ‘3D생물학&재생의학’에서 살아 있는 세포를 3D로 측정&분석하는 기술이 핵심인데, 여기서 동사의 HT기술이 글로벌 최고 수준이다. HT 기술은 ‘3차원 비표지 이미징 기술’을 통해 ‘세포 손실과 변형 없이 세포를 분석 및 장기간으로 관찰 가능’하게 하여, 기존 첨단 바이오/의료 산업의 Unmet Needs(미충족 수요)를 충족시켜 줄 것이다. 동사의 HT 기술은 다양한 각도의 2D홀로그램을 조합하여 세포 3D 구조를 재구성하는 최신 2세대 HT 기술이며, ‘Hardware+Software+AI’까지 통합한 ‘HT 플랫폼’을 통해 고객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반 HT영상 분석과 Biomarker발굴 그리고 AI 데이터까지 제공한다. 특히 글로벌 빅파마(Top 15 제약사)가 모두 ‘오가노이드’ 실험법을 준비하는 중이며, 향후 바이오 산업 내에서 오가노이드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동사의 HT플랫폼에 대한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2. 미국 ‘캔서문샷(Cancer Moonshot)’프로젝트에 토모큐브의 기술 활용: 미국 정부가 암을 정복하기 위한 ‘캔서문샷(Cancer Moonshot)’프로젝트에 동사의 HT 기술을 사용하여 종양 내의 단백질 네트워크를 분석한다. HT기술을 통해 3차원 형태로 암을 관찰하게 되며, 캔서문샷 프로젝트 연구진은 토모큐브의 HT 기술로 초기 결과를 얻은 후에 정식 구매 절차를 통해 본격적인 기술활용을 할 예정이다.

3. 반도체 차세대 기술 ‘유리기판’ 검사장비가 내년부터 본격 출시 예정: 동사의 HT 기술은 반도체 차세대 기술인 ‘유리기판’ 검사에서도 유용하다. 기존 검사는 웨이퍼 절단을 통해 내부를 측정하였는데, 토모큐브의 HT 기술을 활용하면 ‘TGV(Through Glass Via)’ 생성 후에 ‘비파괴 방식’으로 고해상도 3차원 검사 및 측정이 가능하다. 내년부터 동사의 HT 기술을 활용한 ‘비파괴식 유리기판 검사장비’가 국내외 고객사들에게 판매가 시작되면, 기존 유리기판 검사장비 대비 1) TGV 구조의 손상 없이 3D측정이 가능 2) 전체 구조와 내벽 조도가 측정 가능하여 동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4. 공모 희망가 10,900~13,400원 & 예상 시가총액 1,388~1,706억원: 동사의 총 공모예정금액은 218~268억원(공모주식수 200만주&액면가 500원)이며, 공모 희망가는 10,900~13,400원(예상 시가총액 1,388~1,706억원)이다. 수요 예측일은 올해 10월17~23일, 청약예정일은 10월 28~29일이다(상장예정일: 24년 11월). 앞으로도 토모큐브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기반 HT 플랫폼을 바탕으로 ‘오가노이드&세포치료제&신약개발&줄기세포’ 등의 3D생물학&재생의학 시장의 성장과 글로벌 빅파마들의 HT플랫폼에 대한 수요 증가 및 ‘유리기판’ 시장 개화에 따른 관련 검사장비 사업 추가로 동사의 실적과 주가의 동반 상승이 기대된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m92csj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7 Oct, 23:33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한국증시 디커플링 긴급 점검

▷ 한국 증시 디커플링: (전세계 및 신흥국 대비) 과도한 PER 할인 영역 진입

▷ 선행지수 및 수출 사이클의 고점 논란 감안해도 과도한 반영

▷ 다만 약점은 기업이익 → 글로벌 대비 국내 이익사이클의 둔화세 포착

▷ 국내 주요 업종의 3개월 대비 실적전망 변동 추이

▷ 시가총액 1, 2위 기업의 탈동조화? → 1위는 역사적 저점 PBR 진입

▷ 선조정에 따른 국내 주식의 기대수익률↑ → 점차적으로 디커플링 완화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74VHBoe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1 Oct, 23:19


[리딩투자증권 곽병열/유성만]

■ 리딩 리서치의 미국 대선정국 대응전략 (4) : 수혜 산업-종목 중심으로

▷ 미 대선변수 점검 : 변동성 국면 통과, 점차 안정화 가능성

▷ 박빙 속 해리스의 미세한 우세 → 해리스 테마주↑

▷ ESG 프리미엄 & 신재생에너지 주가 → 바닥탈출(Bottom out) 가능성

▷ 해리스 vs. 트럼프 정강정책 → 트럼프의 가상자산-AI 정책들, 전력 수요↑

▷ 해리스 vs. 트럼프 정강정책 → 헬스케어 정책은 사실상 유사

▷ 신재생에너지, 헬스케어 업종 중 외국인 선호 종목은?

▷ 미국 대선 관련주 5
1) LG 에너지솔루션
2) 한화솔루션
3) 삼성바이오로직스
4) HD현대일렉트릭
5) 씨에스윈드


■ 보고서 링크: https://url.kr/nc3xzf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3 Sep, 23:36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4Q24 매크로 점검: 9월 FOMC 이후 미 경기 판단 중심으로

▷ 미 경기 방향성: 3Q24~1Q25 둔화 진입

▷ 다만 미국 실질GDP 2% 유지 → 진폭 제한적인 연착륙 국면 예상

▷ 미 기업심리와 소비심리의 반응? → 빠르면 연말부터 간헐적인 반응 예상

▷ 정책 시차가 짧아지려면? → 금융스트레스가 적어 신용창출 원활해야

▷ 이번 금리인하, 선행지수 고점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다

▷ 금리인하 초중반 Defensive Rotation: 방어적 성격의 ‘가치주’ 유리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1xxDfTJ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3 Sep, 00:00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감성코퍼레이션(036620) - 일본 본토로 역진출하는 ‘Snow Peak 어패럴’


투자포인트

1. 일본 본토로 역진출하는 스노우피크(Snow Peak) 어패럴: 스노우피크는
한국에서의 어패럴 사업의 성공에 힘입어, 본고장인 일본으로 어패럴 사업을
진출한다. 올해 말부터 소규모 물량의 공급이 시작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스노우피크 Japan(일본 본사)’의 직영점 43 개를 비롯한 일본 전국 약 100 여개
매장에 우선적으로 동사의 ‘스노우피크 어패럴’이 판매되며 향후 일본 전역에
‘스노우피크 어패럴 전용매장’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25 년)부터 향후
3 개년도까지는 일본 본토에서 본격적인 ‘어패럴’ 매출 확장이 진행되는 시기이다.

2. 중국 본토에서 ‘스노우피크 China’ 지분 관계 정리되면서 내년부터 본격 확장:
작년(23 년)말 중국 상하이 ‘첸탄타이구리’에 중국 1 호점을 오픈 하였지만, 현지
‘스노우피크 China’와의 불협화음으로 확장이 지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스노우피크 China 의 지분이 올해 연말까지 동사에 우호적인 환경으로 정리될
것으로 전망되어, 내년(25 년)부터는 원래 계획대로 본격적인 중국 본토에서
스노우피크 어패럴 매장의 확장이 예상된다. 또한 대만에서는 현재 약 4 개의
‘스노우피크 타이완’ 매장에서 어패럴이 같이 판매되고 있는데, 올해부터 대만
주요 유통사 ‘스타라이크(Starlike)’와 함께, 올해 약 9 개의 신규 어패럴 매장을
대만 전역에 오픈 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에는 홍콩에도 진출할 계획이라서
‘중국+홍콩+대만’으로 이어지는 중화권 시장 공략이 본격화 될 것이다.

3. 한국+중화권(중국&대만&홍콩)+일본+α(동남아)으로 성장 커넥션 확보 완료:
동사의 2024 년 예상 매출액은 2,312 억원(YoY +29.9%), 영업이익 408 억원(YoY
+26.5%)로 국내 스노우피크 매장이 올해 연말 기준 약 188 여개로 증가 및 제품
라인업의 확대 및 수출증가로 실적의 고른 성장이 기대된다. 내년부터는 일본
본토로의 진출과 중화권(중국&대만&홍콩)의 본격적인 확장 그리고 신규로
동남아(예: 태국) 시장으로 진출이 예상되어 ‘국내+글로벌’의 성장 커넥션이
완성되었다. 현재 스노우피크 어패럴 매출의 약 7% 비중이 면세점에서 발생하고,
주요 고객군이 중화권 및 동남아 고객인 점을 감안한다면, 향후 중화권과 동남아
시장에서 스노우피크 어패럴의 확장은 동사의 실적과 주가의 새로운 Level-up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올해 10 월 동사의 일본 스노우피크 본사와의
라이센스 갱신 이슈도, 기존의 조건과 동일한 금액 조건에 라인센스 허용국가만
늘어날 것(예: 기존 한&중&대만+홍콩, 동남아 국가들 및 인도)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련 Risk 도 없다고 판단한다. 차별화된 경쟁력과 실적 성장 및 모멘텀을
모두 보유한 감성코퍼레이션을 중장기 관점으로 바라보자!.

■ 보고서 링크: https://url.kr/ydqpsq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Sep, 00:32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긴급 점검: R공포의 습격, 제대로 보자

▷ US Big Picture: 의도된 ‘Slow Down’, 관리 가능한 경기진폭

▷ 미 경기 판단: 보험성 금리 인하로 진폭 제어되는, (Small) Recession

▷ 경기순환 상 하강(cyclical downturn)’ vs. 구조적 충격(structural shock) 시장 반응

▷ 미 대선 & 금리인하 동시 사례 : 변동성 유의해야

▷ 경기침체 진폭은 제한적 → 동행-후행 울퉁불퉁(Bumpy), 선행 바닥탈출 시도

▷ 고용 및 물가의 동반 하강 → 연착륙 시도 중

▷ 미국 GDP의 연착륙 가능성

▷ [국내] 과연 수출 낙수효과는?


■ 보고서 링크: https://lrl.kr/Gqmy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9 Sep, 23:41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케이엠더블유(032500) - 조금 더 기다려 보자


투자포인트

1. 지속되는 전방산업의 투자 부진으로 본업이 어려운 상황: 아직도 국내외 주요
통신업체들의 신규 투자는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올해 2 분기에도 매출액
177 억원(YoY -5.4%), 영업적자 134 억원(YoY 적지)를 기록하면서, 아쉬운 실적이
지속되고 있다. 전방산업의 투자 부진으로 전반적인 통신장비 매출이 둔화되었고,
LED 관련 매출액도 부진한 상황이다. 국내보다도, 해외에서의 신규 매출에
기대감을 갖고 있지만 올해 보다는 내년에 좋은 소식이 있기를 기대한다.

2. 구조조정 및 중장기적 비용절감 노력: 동사는 지속적인 적자기조를 탈피하기
위해 비용절감 차원에서, 사업 재편에 필요한 최소 인력을 제외한 큰 폭의 인력
감소가 예상된다. 향후 실질적인 생산은 베트남에서 하고, 국내는 필수적인 R&D
및 영업인력만 유지할 계획이다. 따라서 R&D 비용과 인건비의 감소로 동사의
의미 있는 비용절감이 예상된다.

3. 투자의견 중립(HOLD) 유지 및 목표주가 7,500 원으로 하향: 케이엠더블유에
대해서 투자의견 중립 유지 및 목표주가 7,500 원으로 목표주가를 하향한다.
Valuation 방식은 P/B Valuation 을 사용하였다. 2024F BPS 2,418 원에 Target
Multiple 3.0 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7,500 원(상승여력 9.2%)을 산출하였다.
올해는 예상 매출액 784 억원(YoY -21.6%), 영업적자 442 억원(YoY 적지)를
전망한다. 올해도 전방산업의 소극적인 투자로 통신장비 매출의 부진할 것으로
전망한다. 내년 예상 매출액 940 억원(YoY +19.9%) & 영업적자 372 억원(YoY
적지)으로 매출액 성장과 비용절감으로 적자폭의 감소가 예상된다. 동사는 실적
개선을 위해 생산라인을 베트남으로 집중하고 고강도의 인력 감축 및 R&D 비용
효율화를 통해, 필사적인 체질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국내외 통신산업의 투자가
개시되면 동사의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에 관련하여 좋은 소식이 있으면 추후에
코멘트 할 계획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tuney.kr/iXOSjN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2 Sep, 23:27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미국 금리인하 대응전략 (2): 금리인하 국면의 이익 반응을 중심으로

▷ 미 금리인하 이후 이익 반응 :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경기방어주↑ → 미 금리인하 이후(2000년 이후 사례), 필수소비재와 헬스케어 업종의 이익상향 조정 발견

▷ 미 금리인하 이후 주가 반응: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경기방어주↑ → 미 금리인하 이후 이익 사이클에 따른 주가 차별화

▷ 미 금리인하 이후 국내 주가 반응: 필수소비재, 경기소비재, IT, 에너지↑→ 미 금리인하 이후 주가 반응은 소비재(경기 및 필수) 및 수출주의 강세 현상

▷ 미 금리인하 이후 스타일 반응 : 성장주 & 모멘텀주 보다 ‘가치주 & 쏠림완화’

▷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업종 중 펀더멘털 상 주목할 종목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7zcNx5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1 Sep, 23:28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뉴로메카(348340) - 협동로봇의 수요 증가


기업 개요

동사는 2013년 2월에 설립, 2022년 11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본업은
로봇의 개발&생산&판매 및 자동화 설비 제작 및 판매를 영위한다. 매출 비중은 제품 68.1%, 용역 30.7%, 상품 1.2% 이다(24 년 상반기 기준).

투자포인트

1. 확대되는 협동로봇 수요: 동사는 올해부터 교촌치킨에 ‘튀김&조리 로봇’을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국내 약 1천여개의 매장을 보유한 교촌치킨 네트워크로의 침투율이 높아질수록 동사의 실적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교촌F&B를 통해 해외(예: 미국) 직영 점포에도 ‘튀김&조리 로봇’이 도입 될 예정이라서 해외 진출의 의미도 있다. 교촌치킨에서 성공적 퍼포먼스를 보여준다면, 향후 기다 F&B(예: 피자, 햄버거 등)으로 협동로봇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뉴로메카는 올해 6월 말에 ‘판넬슬릿 용접로봇’ (약 16억원 규모)에 대한 공급계약을 HD현대로보틱스와 체결하였다. 동사의 용접로봇이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조선업까지 확장되는 점에 의미가 있으며, 여타 조선업체 및 타 제조업(에: 기계, 자동차, 화학 등)으로의 확장까지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2차전지 배터리팩을 제조하는 CTNS에도 약 20억원 규모의 ‘2차전지 배터리팩 유연생산 시스템’을 수주한 것을 보면 동사의 기술력과 사업확장 가능성을 볼 수 있다.

2. POSCO그룹과의 협력 강화: 뉴로메카는 올해 4월에 POSCO홀딩스의 미래기술연구원과 차세대 로봇산업 육성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실(코랩)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동사와 POSCO홀딩스가 각각 15억원씩 총 30억원을 투자하여, 2026년까지 ‘포스코-뉴로메카 로봇공동연구실’을 설립한다. 뉴로메카는 로봇 공동연구실 설립, 로봇플랫폼과 솔루션을 개발(공동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향후 포스코와의 본격적인 AI로봇 자동화 생태계 조성을 시작하며, 향후 POSCO그룹과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철강 자동화 및 2차전지 생산공정 로봇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계획이다.

3. 올해는 매출 확대에 주력, 내년부터 BEP 도전: 23년 매출액은 137억원(YoY +40.9%), 영업적자 148억원(YoY 적지)으로 매출액이 확대됨에도 인건비 및 R&D비용 증가로 적자폭이 확대되었다. 올해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은 314억원(YoY +128.5%), 영업적자 51억원(YoY 적지)으로 매출액 확대에 주력할 것이며, 내년(25년)도부터 BEP에 근접할 실적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yoa25w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6 Aug, 23:49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미국 대선정국 대응전략(3): 해리스 정강정책 중 산업정책 중심으로

▷ 해리스 정강정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업종 영향 → 청정 에너지 생산 및 기술 관여 기업들에게 여전히 우호적임. 집권 시 신재생 에너지 부문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반면, 전통적인 에너지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성 재확인

▷ 해리스 정강정책에 따른 소비재(음식료, 유통) 업종 영향 → 소비자에게 더 낮은 가격과 더 나은 제품 가용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산업 내 기업에 새로운 규제를 부과할 가능성 큼. 음식료 및 유통 업종의 마진 축소 우려됨

▷ 해리스 정강정책에 따른 산업재(주택건설) 업종 영향 → 주택건설 관련 밸류체인에는 긍정적인 영향 예상. 특히 도로, 교량, 항만, 공항, 수도 시스템, 전력망, 브로드밴드를 재건하고 현대화하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강조하고 있어서 산업재 업종은 우호적

▷ 해리스 정강정책에 따른 헬스케어 업종 영향 → 처방약 가격인하 정책으로 일부 빅파마의 수익성 약화 가능성. 반면 바이오시밀러 등 복제약 업체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음

▷ 해리스 정강정책에 따른 IT 업종 영향 → AI 안전성 기준의 강화와 프라이버시 보호 등으로 사이버 보안 산업의 성장 가능성. 또한 미국내 생산기지 보유 IT 기업군의 긍정적인 환경 예상

▷ 박빙 속 해리스의 미세한 우세 → 해리스 테마주↑

▷ 해리스 정강정책 업종 중 외국인 선호 종목은?

▷ 미 대선변수 사례분석 : 변동성 국면 통과 후 점차적인 안정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fc5Rfv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5 Aug, 23:26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마이크로디지탈(305090) - 인도와 북미에서 불어오는 대박의 징조!!!


투자포인트

1. 인도 CMO 기업SII와 공급 논의 중: 최근 미국 외 지역에서 미국에 유일하게 백신을 공급하는 인도의 ‘SII(Serum Institute of India)’가 마이크로디지탈의 생산시설(경기도 성남 소재)의 실사(Audit)을 진행하였다. SII는 Covid-19백신을 제외한 전세계에서 최대량의 백신을 생산 및 공급하는 CMO(글로벌 6위 수준)기업이며, Covid-19때에는 ‘코비쉴드(Covisheild: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으로 개발한 Covid-19백신)’을 생산&공급하였다. 마이크로디지탈은 작년 4월에 SII와 미국 뉴욕에서 첫 만남을 가진 이후로, 미국 FDA의 규제 및 인증을 준수하고 전세계 유일한 미국에 다양한 백신을 공급하는 인도 SII 에 동사의 1) 1회용 바이오리액터 ‘셀빅’ 2) 1회용백 ‘더백(THE BAG)’을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본격적인 Asia Pacific 시장 확장의 계기가 될 것이다. 향후 글로벌 2위 시장인 유럽시장 진출에 있어서도 좋은 레퍼런스로 작용할 것이며, 인도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본격적인 인도시장 진출이 기대된다.

2. 북미 글로벌 업체와 공급계약도 임박: 동사는 북미 소재 글로벌 업체와 대규모 Private Label 및 기술이전 관련 계약이 임박한 것으로 파악된다. 동사의 글로벌 독보적인 1회용 바이오리액터 기술을 기반으로 북미 소재 글로벌 기업의 Needs를 충족시키면서, 마이크로디지탈이 글로벌 1위 세포배양기&바이오리액터 시장인 북미 시장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부터 Private Label 형태로 북미 고객사에게 납품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며, 추후에 기술이전까지 확장될 것이다. 북미향 대규모 매출로 인하여 동사의 실적 및 레퍼런스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 동사의 우수한 기술력과 뛰어난 제조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1회용 바이오리액터 시장 선점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3. 올해도 흑자기조 유지 및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성장기대: 23년 매출액은 108억원(YoY +106.4%), 영업이익 9억원(YoY 흑전)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하였다. 올해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은 119억원(YoY +9.8%), 영업이익 13억원(YoY +47.7%)으로 ASP상승과 원가 절감효과로 인하여 지속적인 실적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내년부터는 인도와 북미향 대규모 공급이 시작되면서 예상 매출액은 264억원(YoY +121.8%), 영업이익 70억원(YoY +438.5%)으로 본격적인 실적 성장시기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동사는 독보적인 1회용 바이오리액터 기술과 품질 및 원가우위의 생산력을 기반으로 미국&유럽&Asia-Pacific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진출을 통한 성장과 더불어 실적과 모멘텀 모든 면에서 본격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시기이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qyp7yn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 Aug, 23:51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잭슨홀~9월 FOMC’ 대응전략

▷ 잭슨홀 미팅 영향력: 기본 시나리오는 9월 금리인하 시그널링 (2019년 사례)

▷ 잭슨홀 미팅 이후 주식시장 반응 → 완화적 스탠스(금리인하 시그널링) 시 긍정적

▷ 통화정책 목표는 물가 & 고용 안정, 9월 금리인하의 명분↑

▷ 다만 경기둔화 진폭은 제한적 → 견조한 동행-후행, 서비스업 지수

▷ ‘잭슨홀~9월 FOMC’ 국면의 선호 업종 → 산업재, 경기소비재, 헬스케어

▷ ‘잭슨홀~9월 FOMC’ 국면의 종목 대응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ESwocyq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 Aug, 23:42


[리딩투자증권 유성만]

■ 상아프론테크(089980) - 멤브레인과 캡어세이


기업개요

동사는 1986년 3월에 설립, 2011 년 7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본업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핵심기반 원천기술을 통해, 불소수지 및 고 기능성 플라스틱 원료에 대한 혼합&중합&합성 등 핵심기술을 통해 부품사업, 소재사업, 장비사업을 영위한다. 사업부별 매출비중은 부품사업 45.6%, 소재사업 39.7%, 장비사업 6.1%, 기타 매출 8.6%이다(24 년 상반기 기준).

투자포인트

1. 수소 멤브레인(고분자 전해질막)의 본격적인 확장: 상아프론테크가 생산하는 ‘멤브레인(고분자 전해질막)’은 액체&기체 혼합물에서 불순물과 미세입자를 제거하는데, 수소산업과 재생&친환경 에너지 산업 관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사의 고분자 전해질막은 기존 멤브레인에 전해질을 코팅해서 제조되며, 전자는 여과되고 수소이온만 통과된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수소차 상용화 지연으로 그동안 아쉬운 상황이었지만 올해부터 ‘수전해용 멤브레인’ 공급 관련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올해 미국 친환경 스타트업 업체와 멤브레인 관련 공급계약을 진행 중이며, 유럽의 메이저급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제조사향 멤브레인 공급 논의도 진행 중이다. 북미와 유럽향 멤브레인 공급이 본격화 될 경우, 현재 2개의 멤브레인 생산라인의 가동률이 대폭 증가하여 실적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2. 2차전지용 배터리 캡어세이 완제품 사업: 동사는 2차전지용 배터리에서 안정성(예: 전해액 누수 방지 등)과 밀폐성 그리고 성능 보완을 위해 사용되는 ‘캡어세이’의 부품을 생산하는데, 국내외(중국&헝가리) 생산법인에서 캡어세이에 들어가는 Insulator와 Gasket을 제조하여 신흥에스이씨를 통해 삼성SDI에 납품하고 있다. 동사는 삼성SDI와 스텔란티스 JV 대응을 위하여 미국 인디애나에 신규 공장을 추진 중이며, 캡어세이 부품 및 완성모듈을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삼성SDI와 GM의 JV에도 대응할 계획이어서 중장기적으로 글로벌향 캡어세이 매출의 성장이 예상된다.

3. 올해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의 실적 전망: 올해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은 1,861억원(YoY +1.4%), 영업이익 91억원(YoY +1.6%)으로 상반기 전기차 판매량 둔화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의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동사의 본격적인 실적 성장은 내후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 보고서 링크: https://url.kr/ypyhjj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lrl.kr/ta33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3 Aug, 00:03


[리딩투자증권 곽병열]

■ 리딩 리서치의 엔 캐리 트레이드 위험 점검

▷ 미-일 금리 차 vs. 경기선행지수 차 : 변곡점 출현했으나, 속도조절 예상

▷ 3분기 GDP, 통화정책은 일정부분 엔화강세 지지 → 다만 예상경로 상 완만

▷ 엔 캐리 트레이드는 여전히 여타 통화대비 매력적

▷ 다만 원화 & 대만달러, 엔 캐리 트레이드 매력↓

▷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의 영향력은 불규칙성

▷ 결국 외국인 선호 대형주에 주목, 그 특성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GE6Lu24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았습니다)

리딩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https://t.me/leadingR

3,654

subscribers

23

photos

658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