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mk81_koreainvestment Channel on Telegram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mk81_koreainvestment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Korean)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텔레그램 채널은 한국 투자증권의 기관 영업부 이민근이 운영하는 공식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금융 시장에 대한 최신 정보와 전문적인 분석을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민근은 채널을 통해 시장 동향, 기업 분석, 주식 추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그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공유합니다. 또한, 채널 구독자들에게는 특별한 혜택과 이벤트도 제공되어 효율적인 투자 활동을 지원합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채널은 금융 시장에 관심이 있는 모든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3 Feb, 00:38


딥시크 먼데이 이후 AI 관련주 주가 추이
AI 인프라 주식은 급락이후 점진적 회복 중(대표주: 엔비디아)
AI로 매출 증가가 기대되는 기업은 상승 후 횡보(대표주: 메타, 구글)
AI 생산성 향상 기업들은 급등 후 상승 추세 유지(대표주: 팔란티어, 세일즈포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2 Feb, 22:42


뉴욕증시는 예상을 상회한 물가지수에 나스닥만 소폭 오른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1월 CPI는 전월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며 2023년 8월 0.5% 상승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며 예상치 0.3% 상승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근원 CPI도 전월비 0.4% 올라 지난해 3월 이후 최대폭을 기록하며 예상치 0.3% 상승을 상회했습니다. 이렇게 물가 지표가 뜨겁게 나오자 1월 CPI 발표된 직후 3월 FOMC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은 97.5%까지 뛰었고 9월은 되야 연준이 25BP 금리인하에 나서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해졌습니다.

이에 미국채 금리는 2년물이 6.7bp 오른 4.357%, 10년물은 9bp 상승한 4.627%를 기록했고 달러인덱스도 급등세를 보였으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서두르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하면서 상승폭을 줄이며 달러인덱스 기준 0.011% 오른 107.937을 기록했습니다.
이 뉴스에 최근 상승세를 지속했던 국제유가도 급락하며 WTI 기준으로 2.66% 급락한 배럴당 71.37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필수소비재와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한 9개 섹터가 모두 내린 가운데 유가 하락에 에너지 섹터가 2.69% 급락하며 낙폭이 가장 컸습니다. CPI 충격에 전반적인 조정세를 겪는 흐름에서도 AI 소프트웨어 대장주들의 기세는 대단했는데요. 메타는 이날도 0.78% 올라 18거래일 연속 상승을 이어갔고 팔란티어는 4.24% 상승하며 신고가 경신을 시도했습니다.
M7 가운데서는 메타와 함께 애플(+1.83%), 테슬라(+2.44%)가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애플은 알리바바와 중국에서 AI를 개발하고 있고 진전도 있다는 소식이 아이폰 중국 판매 반등 기대감을 높인 영향이 컸고 테슬라는 특별한 뉴스는 없었지만 최근 급락에 따른 반등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2 Feb, 21:18


Dow closes 200 points lower, S&P 500 falls after hot consumer inflation report: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5/02/11/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2 Feb, 07:35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XW9GFUQ


※ 대체거래소 거래종목
※ 최초(3월 4일) → 10개 종목
※ 3주차 → 110개 종목
※ 4주차 → 410개 종목
※ 5주차 → 800개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2 Feb, 06:06


제조업은 압도적 중국의 성장에 글로벌이 다 털림
이젠 소프트웨어까지??

하드웨어는 몰라도 소프트웨어까지 미국이 당하고 있진 않을거라는게 또 우리의 생각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2 Feb, 05:55


인플레 우려로 금리 인하 기대가 기존보다 많이 약화된 상황임에도 미국의 금융 여건은 상당히 완화적인 구간

VIX 지수가 꿈틀대는건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지만 글로벌 위험 지수가 여전히 0 이하라 아직 물컵에 물이 반 밖에 차지 않았다고 긍정회로 한번 돌려봄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2 Feb, 00:34


올해도 유럽은 에너지 가격에 고통을 받고 있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1 Feb, 23:10


본토는 부진하지만 홍콩도 뜨거운 2025년을 시작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1 Feb, 23:07


유럽의 과잉 유동성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도 유럽의 올해초 스타트는 산뜻한 상황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1 Feb, 23:00


기업 이익이 GDP에서 기록적인 비중으로 올라온거 대비 임금은 사상 최저치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1 Feb, 22:57


미국 정부의 지출이 커지면서 기업 이익이 증가한걸 확인할 수 있음
미국 정부가 빚을 내서 가계와 기업의 재정은 건강해졌는데 일론이 정부 지출을 줄이게 되면 미국 기업의 이익 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 궁금해 지는 포인트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1 Feb, 22:20


뉴욕증시는 나스닥만 소폭 내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의회 증언에 나서 기존대로 신중한 입장을 내비치면서 매파적인 색채를 유지했으나 시장에 하방 압력을 가하진 않았습니다. 이보다는 다음날부터 줄줄이 나오는 CPI, PPI, 소매판매 데이터를 보고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임의소비재,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은 하락, 나머지 8개 섹터는 상승했습니다. 특히 임의소비재는 테슬라와 글로벌 호텔체인 메리어트의 급락으로 1.23% 내리며 가장 낙폭이 컸습니다.
테슬라는 머스크의 오픈AI 인수 시도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발표한 철강, 알루미늄 관세에 따른 비용 상승 우려, BYD가 저가 모델을 포함한 거의 모든 차종에 자사의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눈'을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6.33% 급락했습니다.

M7 가운데서는 애플이 중국 아이폰 사용자를 위해 알리바바와 손잡고 AI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에 2.18% 올랐고 메타는 이날도 0.34% 상승해 17거래일 연속 오르며 역대 나스닥100 지수에 속한 기업 중 최장 연속 상승 기록을 세웠습니다. 나스닥 100 지수는 1985년 1월31일부터 산출됐다고 하네요. 이외 나머지 M7 종목들은 약보합권에서 거래됐습니다.
인텔은 JD 밴스 미 부통령이 미국 반도체 기술을 보호하겠다고 공언한 영향으로 6% 급등한 반면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장 마감 후 지난 회계연도 재무보고서 제출과 관련해 '비지니스 업데이트'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9.47% 급락했습니다. 현재 장외로는 4% 이상 상승중입니다.

달러는 유로가 천연가스 재고 우려에 독일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ECB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에 상승하면서 달러인덱스 기준 0.363% 내린 107.925를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미국 제재를 받는 러시아 이란산 원유의 공굽 위축 우려에 WTI 기준으로 1.38% 오른 배럴당 73.3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Feb, 13:33


U.S. economy added 143,000 jobs in January, fewer than expected

https://www.cnbc.com/2025/02/07/jobs-report-january-2025.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Feb, 02:09


삼성바이오로직스, +5.3%. 시총 3위 등극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6 Feb, 22:29


뉴욕증시는 다우는 하락했지만 S&P500과 나스닥은 오르며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날 실적발표에 따라 개별 기업 주가는 엇갈렸는데요. 허니웰은 예상에 미치지 못한 가이던스 발표 후 5.64% 내리며 다우지수의 상대적 약세를 이끌었습니다. 포드도 올해 실적에 대해 암울한 전망을 내 놓으면서 7% 이상 급락했습니다.
반면 필립모리스는 4분기 호실적에 11% 급등하며 역사적 신고가를 경신했고 랄르 로렌도 매출과 순이익 모두 예상치를 뛰어넘으며 9.69% 올라 역시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태피스트리도 호실적에 12% 급등하며 S&P500 수익률 최상단에 위치했는데요. 정말 미국의 탄탄한소비가 얼마나 대단한지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M7 가운데서는 무역전쟁 희생양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은 테슬라만 1.02% 내렸습니다. 반면 엔비디아는 딥시크 쇼크에서 벗어나며 3.08% 올라 사흘동안 10.3% 급등했습니다. 메타는 지난달 17일부터 14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이 기간동안 16.47% 상승했습니다. 이날 장 종료 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은 정규장에선 1.13% 올랐으나 24년 4분기 호실적에도 25년 매출 가이던스가 예상치에 미치지 못 하며 시간외로 4% 이상 하락중입니다.

이날 발표된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증가세를 이어가며 직전주 대비 1만1천명 증가한 21만9천명으로 집계돼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영국 중앙은행 BOE가 4.5%로 25bp 인하했고 빅컷 의견이 2명 있었다는 뉴스에 국채 금리가 내리기도 했으나 베일리 BOE 총재가 표결 결과에 과도한 해석을 하지 말라며 신중론에 무게를 실으면서 길트 수익률이 빠르게 반등한 영향에 미국채 2년물도 3.1bp 오른 4.216%, 10년물은 1.6bp 상승한 4.436%를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가를 낮추겠다고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WTI 기준 0.59% 내린 배럴당 70.61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6 Feb, 21:04


Amazon earnings are out – here are the numbers

https://www.cnbc.com/2025/02/06/amazon-amzn-q4-earnings-report-2024.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6 Feb, 21:04


S&P 500 posts modest gain, notching third straight winning session

https://www.cnbc.com/2025/02/05/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6 Feb, 08:02


https://youtu.be/iyUgOkVqvvk?si=xHRIOqR0_y8e5L8J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23:29


Companies generating a significant share of revenue from government sales have been outperforming.

팔란티어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23:27


글로벌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 주가 퍼포먼스가 좋았던 기간이 장기간 이어지다 팬데믹 이후부터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흐름이 좋은 상황
그만큼 경기 회복이 미국에 국한되서 나온 영향일 듯
거기에 관세 이슈까지 겹치다 보니 미국 매출이 높을수록 호재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23:22


S&P 500 지수 변동성과 평균 주식 변동성 간의 차이가 2020년 1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됨.
지수 투자자는 하품 하는 사이 종목 투자자는 환호성을 지르거나 등골이 서늘한 구간이였음

딥시크, 관세, 개별 종목 실발이 혼재된 결과
야수의 심장을 가진 이들에겐 도파민이 넘치는 시기
그래서 역대급 개별 종목 매수세가 이어진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22:23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알파벳(-6.94%)과 AMD(-6.27%)의 실적 실망감에 약세로 시작한 시장은 엔비디아(+5.21%), 브로드컴(+4.3%)이 크게 상승하며 지수를 이끌어 상승 전환했습니다.

이날 나온 경제지표는 엇갈렸는데요. 12월 ADP 민간고용은 18만3천건 증가해 월가 기대치를 상회했지만 ISM 1월 서비스 PMI는 52.8로 지난해 12월 54보다 하락하며 월가 예상치 54.3을 하회했습니다. 채권 금리는 경제지표보단 이날 오전에 재무부가 4월까지 국채 발행 계획을 종전대로 유지하겠다는 발표에 물량 부담을 덜어내며 2년물이 2.5bp 내린 4.189%, 10년물은 8.9bp 크게 내린 4.424%를 기록했습니다.

장기채 금리 하락도 시장 상승에 촉매가 되어준 덕분에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커뮤니케이션, 임의소비재, 소재를 제외한 8개 섹터가 강세를 보였고 금리 하락에 부동산이 가장 강했습니다. 특히 구글의 AI 투자에 대한 확고한 의지는 AI 관련주 전반에 훈풍을 불어 넣으며 테크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정작 구글은...
AMD도 AI반도체에서 엔비디아한테 멀었다는게 확인되면서 엔비디아 주가 상승 촉매만 제공하고...

JP모건에 따르면 최근 개인투자자들이 지난 화요일 기록한 순매수 금액이 32억 달러로 2020년 3월에 세웠던 기록보다 10억 달러가량 많았다고 하는데요. 순매수 금액의 약70%가 M7이였고 그 중 엔비디아와 테슬라에 특히나 집중된 가운데 엔비디아에 13억달러가 몰렸다고 합니다. 일단 엔비디아는 오늘 급등으로 성공이지만 테슬라(-3.58%)는...
애플은 중국 정부가 앱스토어 수수료와 관행에 대한 조사에 나선다는 보도에 0.14% 내렸고 아마존도 중국 배송 관련 미국 정부의 규제에 2.43% 하락했습니다.

트럼프발 무역전쟁 우려 완화에 달러인덱스는 0.296% 내린 107.616을 기록했고 유가도 WTI 기준으로 2.3% 내린 배럴당 71.03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21:04


Dow closes 300 points higher for back-to-back gains as investors look past tariff tumult: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5/02/04/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00:50


주요 관세·정책 발표 시점: 그래프 상단에 미국(파란색 텍스트)과 중국(빨간색 텍스트)의 발표가 적혀 있으며, 각각의 타이밍에 맞춰 변동성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예: 2018년 3월 스틸·알루미늄 관세 → 변동성 급등

2018년 6월 500억 달러 관세 발표, 7~9월 추가 관세 시행(160억 달러·2000억 달러 등) → 변동성 추가 상승

2019년 5월 화웨이 제재, 600억 달러 관세 등 → 다시 변동성 급등

S&P 500의 추세: 무역전쟁 기간에도 지수는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즉, 장기적으로는 상승을 지속했으나, 무역전쟁 관련 주요 이슈 발표 때마다 단기 조정(하락) → 반등의 패턴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트럼프 1기 때 경험으로 보면 관세 자체가 중장기 추세를 바꿀만한 이벤트는 아닐 가능성이 높고 한번 학습한 내용이라 이전만큼의 충격은 주지 않을 것 같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5 Feb, 00:38


Crypto funds saw softer inflows last week

여기도 열기가 살짝 식는 중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4 Feb, 22:22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보복관세를 단행했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하방 지지력을 제공했고 12월 구인/이직 보고서에서 고용 둔화 신호가 나타나면서 시장은 탄력을 받았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날 미국 정부가 자국에 부과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에 대해 보복 관세로 대응해 아시아 시장에서 주가 지수 선물은 한때 급락하기도 했었는데요. 하지만 멕시코, 캐나다 사례를 볼 때 중국과도 협상을 위한 관세라는 인식이 커졌습니다.

이에 관세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던 애플(+2.1%), 엔비디아(+1.71%), 테슬라(+2.22%)가 강세를 보였고 전일 AI 방위산업 업체 팔란티어가 굉장한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24% 급등하면서 구글(+2.5%), 메타(+0.96%), 아마존(+1.95), 마이크로소프트(+0.35%)도 강세를 보이며 M7 모두 올라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제약사 머크는 4분기 매출 호조에도 주력 의약품인 HPV 백신의 매출 감소 실망에 9% 넘게 급락했고 펩시코도 연간 순익이 월가 기대치를 못 미칠 것으로 전망하며 4.51%, 페이팔도 지난 4분기 마진 악화에 13.17% 내렸습니다.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구글도 EPS는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지만 매출이 하회하면서 시간외로 8%대 급락 중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매출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면서 실망감을 줬습니다.

이날 발표된 12월 JOLTs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 구인 건수는 760만건으로 집계되며 예상치 800만건에 한참 못 미치며 14개월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며 2년물은 4.9bp 내린 4.216%, 10년물은 2.8bp 하락한 4.515%를 기록했습니다. 달러도 3거래일 만에 하락하며 달러인덱스 기준 0.87% 급락한 107.936을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WTI 기준으로 0.63% 내린 배럴당 72.7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Feb, 05:42


미국은 22년 금리 상승기에 박살나긴 했지만성장주가 압도적으로 아웃퍼폼
유럽은 거꾸러진 성장주가 여전히 힘을 내지 못 하는 상황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Feb, 05:34


유럽은 여전히 은행이 핵심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Feb, 05:33


영국, 독일, 유럽 다 힘들다고 하는데 주가는 역사상 최고치 부근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Feb, 05:21


Here is a look at Bitcoin price performance from prior cycle lows

비트코인 저점 대비 상승률은 재탕 삼탕을 지날수록 크게 줄어드는 상황
레버리지 없이 비트코인 사서 큰 부자가 될 확률은 그만큼 낮아졌다고 볼 수 있을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Feb, 05:07


Household wealth has grown since the financial crisis, while debt relative to net worth has declined.

나라 빚은 증가했지만 미국의 가계는 금융 위기 이후 매우 건전해짐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Feb, 03:46


[한투 전략/시황 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3.0% 하락한 2,442p, 코스닥은 3.6% 내린 702p로 확인(12시 30분 기준)

- 설 연휴에 발생한 딥시크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트럼프 고관세 부과 현실화로 투자심리 경색

- 코스피 상장사 중 90% 이상 하락한 가운데 반도체, 2차전지, 가전, 자동차 등 수출주 급락

- 캐나다, 멕시코, 중국 관세 부과로 한국 기업 역시 고관세 리스크에 노출될 것이란 우려 심화

- 캐나다(LG엔솔, 포스코퓨처엠), 멕시코(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기아) 주재 기업 불안 확산

- 미국발 무역분쟁이 재개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1,470원 선까지 급등. 국내 수급 환경에 부정적

-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관세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 한국 관세 노출 전까지 불안심리 유지

- 대응 측면에서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산업에 집중할 것. 방어 성향이 강한 내수 업종이 대안

- 또한 캐나다 원유와 중국 관세율 제한에서 보듯이 미국에 필요한 산업은 저가 매수 가능할 것

- 기존 트럼프 수혜주로 볼 수 있는 조선, 방산, 원전, 전력, 바이오 등은 낙폭 확대 시 비중 확대

- 금일 코스피 낙폭은 커졌으나 2,400p 이하는 절대적 저평가 영역. 추후 방어가 시도될 수 있음

- 당사는 코스피 연간 하단으로 2,300p(12MF PER 8배, 12MT PBR 0.8배) 제시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Feb, 23:45


매크로 헤지 펀드는 한발 먼저 시장에서 발을 뺌
딥시크로 AI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연준의 정책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에 대한 대응인 듯
관세 부과는 모두가 예상한 악재였지만 역시나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Feb, 23:43


지난주 개인투자자들은 역대급 "바이더딥"으로 대응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Feb, 22:26


지난 금요일 뉴욕증시는 12월 PCE 물가지수를 무난하게 소화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언에 3대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은 1.46%까지 오름폭을 확대했다 -0.54%까지 떨어질 정도로 변동성이 큰 하루였습니다. 하지만 1월 월간으로는 다우가 4.7%, S&P500은 2.7%, 나스닥은 1.6% 상승하며 올해도 미 증시는 무난한 출발을 보였습니다. 우리도 코스피가 4.91%, 코스닥이 7.39% 오르며 일단 시작은 괜찮습니다.

이날 발표된 12월 PCE 가격지수는 근원이 전월비 0.2%, 헤드라인이 0.3% 상승하며 작년 11월 수치보다 상승 각도가 가팔라졌지만 시장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오전장은 무난한 출발을 했습니다. 다만 매파 미셸 보먼 이사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상승 위험은 계속 보인다"고 평가한 반면 비둘기파 굴스비 총재는 연준의 2% 목표치를 향해 전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12~18개월 후에는 현재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의 기준금리가 가능할 것이라며 연준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모습이였습니다.

하지만 오후 장 들어 백안관이 오는 2월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종전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매도세가 촉발됐습니다.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되며 미국채 금리는 2년물이 1bp 오른 4.027%, 10년물은 3.1bp 상승한 4.543%를 기록했습고 달러도 관세 부과 대상이 된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의 통화가치는 일제히 약세를 보인 가운데 달러 인덱스가 108대 중반까지 급등한 채 마무리 했습니다.

S&P500 11개 섹터 중 구글 메타가 이끈 커뮤니케이션, 아마존 테슬라의 임의소비재만 소폭 오르고 나머지 섹터는 모두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전일 실발 이후 4% 이상 급등세를 보였던 애플이 관세 뉴스에 -0.67%로 하락 전환했고 엔비디아도 -3.67%로 급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유가는 WTI 기준으로 0.275% 내린 배럴당 72.53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Feb, 22:50


Trump slaps tariffs on Mexico, Canada and China

https://www.cnbc.com/2025/02/01/tariffs-trump-mexico-canada-china-imports-white-house.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Jan, 05:36


여전히 절대치로는 독일의 GDP가 스페인보다 3배 정도 크지만 팬데믹 이후 회복이 독일은 처참한 수준
제조업 강국의 몰락... 남의 일이 아님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Jan, 01:38


Surging demand for AI data centers outpaces capacity growth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Jan, 01:22


The average lifespan of companies in the S&P 500 has been declining, dropping from nearly 35 years in the late 1960s to just over 18 years projected for the 2020s. This trend underscores the accelerating pace of disruption and turnover among market leaders

버핏형이 이래서 그냥 지수 사라고 하는건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Jan, 01:09


서비스기반 비지니스가 인력이 AI로 대체되면서 SaaS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을 듯
일자리는 줄어들고 소수의 플레이어가 더 큰 이익을 과점할 가능성이 높음
어설픈 화이트칼라보다 몸을 쓰는 블루칼라가 경쟁력이 높아질지도...
물론 블루칼라의 상당 부분은 로봇으로 또 대체
로봇으로 하기엔 애매한 그레이 영역의 블루칼라가 진정 블루오션이 될지도...
일단 몸이 재산이 될지 모르니 열심히 운동하는걸루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Jan, 00:56


일단 올해 투자까진 다들 변동 없다고 했지만 그 후부터는 효율성을 고려하겠다는게 빅테크 실발에서 나온 방향성
무지성 물량확보에서 투자 대비 리턴을 고려하겠다인데...
일단 메타는 합격점을 받았고 테슬라는 보여준건 없지만 계속 냄새를 강하게 풍기면서 투자자들을 묶어놓은 상태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Jan, 00:50


Hedge funds have been selling tech megacaps.

독사들은 한발 먼저 빠져 있었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22:28


S&P 500 slides on Friday as rally pauses, but stocks notch back-to-back weekly gains: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5/01/23/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5:08


Retail sentiment on Treasuries is extremely gloomy.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5:07


지난 2년 증시는 엄청난 불 마켓
채권은 엄청난 베어 마켓
장기 금리는 역사적 평균 레벨까지 올라왔는데...
그레이트플레이션의 시대가 재현되는게 아니라면 올만큼 온것 같기도 하지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5:02


금리 인하를 시작했는데 10년물이 이렇게 오르는건 통상적인 흐름은 아님
인플레이션 우려가 쉽게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증시가 오를 수 있는건 성장에 대한 가격 반영이 들어가 있다고 봐야 할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4:51


일본은행(BOJ)은 기준금리를 0.25%에서 0.50%로 인상. 2008년 10월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4:36


한화오션 4Q24 잠정 실적

컨센서스 대비

@ 매출액: 9.1% 상회
@ 영업이익: 46.7% 상회

눈을 씻고 다시 보게 되는
숫자입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1:28


시간이 지날수록 순 부 창출이 더욱 소수의 기업에게 집중되고 있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1:25


1926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 주식 시장에서 순 부의 대부분을 창출한 기업은 상위 3%에 해당하며, 이는 소수의 기업이 전체 시장 성과에 크게 기여했음을 나타냅니다

저 확률을 찍을 자신이 없으면 그냥 지수 투자가 답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1:12


유가가 낮은 상황에서 미국의 에너지 기업들이 생산량을 더 늘릴 수 있을지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1:11


US oil and gas production has reached record highs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Jan, 01:08


미국이 인도를 중국을 대신할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인도의 대중국 수입은 급격히 늘어나는 먼가 아이러니한 그림이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Jan, 22:35


뉴욕증시는 3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인 가운데 S&P500은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습니다.

트럼프는 이날 스위스 다보스포럼에 화상으로 송출한 기조연설에서 연준과 파월 연준 의장을 직접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금리인하를 요구함으로써 연준과 파월을 향한 압박이 시작된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석유 가스 생산을 장려하는 한편 OPEC+에는 유가를 더 낮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금리와 유가에 동반 하락 압력을 가했습니다.
이에 시장은 반색하며 S&P500 11개 섹터 모두 상승하며 전일의 집중된 상승에서 시장 전반적인 상승으로 전환되는 흐름이였습니다.

M7 대형 기술주 중에서는 메타만 2%대 상승을 기록했고 나머지는 보합권에서 혼조된 움직임을 보인 가운데 전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반도체 종목들은 이날 대부분 약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전일 SK하이닉스의 비관적 수요 전망이 악재로 작용하며 마이크론은 4.02% 급락했습니다.
GE 자회사인 항공기 엔진 제조사 GE에어로스페이스는 예상치를 웃돈 4분기 실적과 함께 70억 달러 상당의 자사주 매입 계획, 배당금 30% 인상 방침을 밝히면서 6% 이상 올랐습니다. 반면 세계 최대 규모 비디오 게임 개발 유통업체 EA는 축구 게임 부진 등을 이유로 올해 연간 예약 가이던스를 낮춰잡자 17%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국채금리는 트럼프의 금리 인하 압박에 2년물은 소폭 약세인 4.293%에 거래됐지만 10년물은 4.7bp 오른 4.646%를 기록했습니다. 다보스 포럼에서 래리 핑크 블랙록 CEO가 10년물 국채 금리가 5% 레벨을 다시 시험할 가능성이 있고 그럴 경우 증시에 충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요. 미 증시의 높은 밸류와 인플레가 현 시점의 가장 큰 리스크라 볼 수 있겠네요.

유가는 트럼프의 압박에 WTI 기준으로 1.09% 내린 배럴당 74.6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유가를 잡아서 인플레 압박을 낮추겠단 트럼프의 의도가 일단은 먹히고 있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Jan, 21:04


S&P 500 closes at a new record, Dow jumps 400 points as Trump pushes for low rates, oil: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5/01/22/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Jan, 01:23


하도 M7만 가니 매번 M7을 대체할 아이디어를 시장이 고민함 하지만 여전히 M7에 대한 믿음이 가장 강함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Jan, 01:19


Only 29% of S&P 500 companies have outperformed the index over the past two years, one of the lowest levels since 1990.

최근 2년 미국 시장 상승률이 역대급이였죠 시장을 이긴 종목을 찍을 확률은 솔직히 그렇게 높지 않음
우리나라 서학 개미들 수익률이 좋은건 대장주랑 지수 레버리지를 사랑해서인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Jan, 06:22


US market concentration is not extreme compared to global peers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Jan, 06:20


프랑스 없었음 어쩔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Jan, 06:09


Here are the contributions to the Bloomberg Economic Surprise Index, with recent declines driven mostly by survey data.

현재 소비자 지출로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경기에 대한 신뢰가 부족과 기업들의 투자 부진이 경제 서프라이즈 지수 하방의 원인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Jan, 06:00


씨티 경제 서프라이즈 지수 방향성으로 보면 미국채 10년물은 살만한 자리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Jan, 01:28


둘다 엄청 찍어내는데 국채 금리 흐름은 이렇게 엇갈림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3 Jan, 01:25


중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이 미국을 넘어섬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22:13


뉴욕증시는 새해 첫 거래를 3대지수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장 초반 3대지수가 상승 출발했지만 사상 첫 연간 인도 감소를 기록한 테슬라를 중심으로 한 기술주 약세와 미 달러화 초강세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테슬라의 4분기 판매량은 49만5천570대로 시장 컨센 50만4천770대를 하회하면서 지난해 총 인도량도 179만대로 1년전보다 1.1% 감소했습니다. 이에 테슬라 주가는 6.08% 급락하며 지난달 17일 기록한 사상 최고치 대비 20.96% 폭락해 약세장에 진입했습니다.
여기에 애플이 중국에서 가격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는 소식에 2.62% 내리면서 전체 지수에 부담을 줬습니다.
반면에 엔비디아(+2.99%), 메타(+2.34%)가 상승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폭 자체는 크지 않았습니다.
이날 발표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만1천건으로 감소해 미국 고용시장의 지지력을 확인한 반면 S&P글로벌이 발표한 12월 제조업 PMI 확정치는 49.4로 시장 예상치 48.3은 웃돌았지만 확장 기준치 50은 하회했습니다.
혼조된 경제지표 발표 속에 미국채 금리는 2년물이 소폭 내린 4.248%, 10년물은 1.2bp 하락한 4.565%를 기록했습니다.
채권금리 안정세에도 달러화 강세는 멈추질 않았는데요. 우크라이나 경유 천연가스 유입 중단에 유로존 성장 우려로 유로가 급락하면서 달러인덱스는 2022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109선을 넘어선 109.294를 기록했습니다.
달러 강세에도 유가는 중국 경기부양책에 대한 낙관론으로 WTI 기준 1.97% 뛴 배럴당 73.13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21:02


Stocks close lower in volatile start to 2025 as S&P 500 losing streak grows: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5/01/01/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07:44


카테고리별 구분
해외 자본의 미국 포트폴리오 투자와 직접 투자 모두 급격히 증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07:38


미국의 해외 투자는 늘어나지 않는 반면 미국 자산에 집중적인 투자가 들어오면서 미국의 순 국제투자 위치는 악화됨
달러가 강할 수 밖에 없는 흐름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07:30


The Global Financial Crisis led to significant deleveraging in the private sector, particularly within households and financial institutions, while the government increased borrowing substantially to support the economy through fiscal stimulus

금융 위기 이후 민간, 가계의 디레버리징 이후 정부가 팬데믹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차입을 크게 늘림
미국 가계의 부의 증가분은 미정부의 부채 증가분이라고 볼 수도 있을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00:53


Here is a look at concentration drivers by sector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2 Jan, 00:53


The S&P 500 has grown increasingly concentrated recently, not only in terms of member weights but also across economic metrics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21:32


S&P 500 posts 23% gain for 2024 as stocks close slightly lower in final session of year

https://www.cnbc.com/2024/12/30/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8:54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3:57


미국과 반대로 우리나라 국채는 플러스 수익률...
코스피는 -9.63% 코스닥은 -21.74%
그만큼 우리나라 경제를 안 좋게 본다는건데... 서글프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1:49


Political uncertainty in South Korea boosted the local bitcoin premium to global markets (Kimchi premium)

아... 우리나라 관련 기사나 데이터가 요즘처럼 많은걸 본적이 없는데 하나도 좋은게 없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1:46


프랑스가 원자력으로 먹고 사네...
원전이 참 어려운 옵션이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1:45


유럽 제조업의 심장 독일은 전력 수입국
사실상 얼마나 전력을 싸게 생산할 수 있냐가 향후 글로벌 패권의 키 포인트가 될텐데...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1:41


China’s automakers are reducing prices on European exports to offset new EU tariffs and preserve market share.

관세 때리든 말든 그냥 가격 인하로 대응
중국 전기차가 내연 자동차 본진에 드랍 중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1:16


The market now expects less than 40 bps of Fed rate cuts in 2025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1:13


경기 침체가 없는 경우 금리 인하 후 6개월 뒤부터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
과거 평균과 유사한 패턴이 진행되면 2025년 1분기 말이후 인플레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이로 인해 연준이 금리 인하 사이클을 멈추거나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이 높음
이정도는 이미 시장에 꽤 반영이 됐지만 문제는 인상까지 고려해야 되는 상황이 되면 그 파장이 상당할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Dec, 00:50


증권회사 다니면서 12월31일이 가장 여유로운 출근일인데 전일 미 증시는 그러질 못 했네요.
3대지수 모두 1% 가까이 밀리면서 연말 조정세를 이어갔습니다.
S&P500 11개 섹터 모두 내렸고 M7 빅테크 중 엔비디아만 0.35% 소폭 오르고 모두 내리면서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습니다.
이날 하락에도 S&P500이 23.8%, 나스닥이 29.8%, 다우가 약 13% 오른 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한 상황이다 보니 연말 리밸런싱 수요가 꽤 있지 않았나 하는 분위기입니다.
연일 고점을 높이던 미 국채 금리는 이런 저가 매수세와 부진한 지역 제조업 지수 발표에 2년물이 8.6bp 내린 4.244%, 10년물도 9.8bp 하락한 4.533%를 기록했습니다. 금리가 이렇게 내리면 통상 성장주에 호재로 작용하는데 이날은 그런 매커니즘보단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넘어가는 로테이션 흐름이 강했다고 봐야겠네요.
달러는 연말 자산 리밸런싱 수요와 BOE의 내년 금리 인하 속도가 더 빨라질 수도 있다는 전망에 파운드가 약세를 보이면서 강세를 이어가며 달러인덱스 기준으로 0.07% 오른 108.090을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달러 강세에도 미국 동부 지역 강추위 예상과 우크라이나발 공급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자 동반 강세를 보이며 WTI 기준으로 0.55% 오른 배럴당 70.99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9 Dec, 22:30


현재까지 국토부 브리핑과 언론 보도들을 종합해 보면 1차 착륙 과정에서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후 2차 착륙에서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아 동체착륙을 시도했지만 결국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를 이탈해 콘크리트 구조물/외벽과 충돌했습니다.

08:54 착륙 허가 → 08:57 관제탑, 조류이동 주의 조언 → 08:58 조종사, 메이데이 선언 → 09:00 1차 착륙실패 → 09:03 2차 동체착륙 시도 → 09:05 활주로 이탈 후 외부 구조물 충돌

이번 참사는 어느 한 가지 요인만으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비극적입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문제가 최근 이슈화되고 있지만, 이 정도 인명피해로 이어진 적은 없었습니다. 정부 브리핑에서는 엔진 고장 때문에 랜딩기어가 아예 작동하지 않은 경우는 통상적이지 않다고 언급했습니다.

조류 충돌로 한 쪽 엔진이 폭발한 영상이 있지만 반대쪽 엔진 고장까지 이어졌는지, 유압계통에 문제가 생겼다고해도 속도를 줄여줄 다른 안전장치 모두 작동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이 동체착륙의 위험성을 줄여줄 여러 조치들을 할 시간도 없이 바로 착륙해야 할 만큼 급박했는지, 확률적으로 희박한 여러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의심되는 상황입니다. 한편으로 무안공항 역시 활주로 길이가 인천/김포만큼 길었다면 또는 활주로 밖 시설물이 조금 더 멀리 있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지 안타까움이 남습니다.

정부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고원인을 규명하려면 최소 6개월, 현실적으로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때까지는 이번 참사를 어느 한 쪽의 잘못으로만 몰아가기보단, 피해자와 유가족 분들을 진심으로 위로하고 다시는 이런 비극이 없도록 관련 시스템을 강화하는데 집중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9 Dec, 22:01


지난 금요일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별한 재료가 부재한 가운데 차익실현성 매도세가 쏟아지며 대표 기술주 M7 모두 내렸는데요.
테슬라는 5% 가까이 엔비디아가 2% 넘게 떨어졌으며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플랫폼스, 알파벳 모두 1% 안팎의 하락하며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습니다.
최근 시총 1조달러를 돌파하며 인공지능(AI) 수혜주로 주목받는 브로드컴도 1.5% 내리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1% 하락했습니다. 넷플릭스가 성탄절 연휴 기간 NFL의 흥행 성공에도 2% 가까이 내렸고 일라이릴리, 월마트, JP모건체이스도 1% 안팎으로 떨어져 S&P500 11개 섹터 모두 조정을 받았습니다.
미국채 금리는 2년물은 소폭 내려 4.33%를 기록한데 반해 10년물은 5.2bp 올라 4.631%를 기록해 증시 특히 성장주에 상당히 부담스러운 레벨까지 상승했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장 중 한때 107대 후반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나,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4.6% 선을 다시 넘어서자 108선을 되찾아 전일 대비 0.1% 내린 108.015를 기록했습니다.
우크라이나가 자국 영토를 통한 러시아산 천연가스의 유럽 공급을 이달 31일부터 중단하기로 하면서 유럽 천연가스 가격이 들썩이고 있어 이 부분이 향후 유로화 약세에 따른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리스크가 있어 체크해 볼 부분일 것 같습니다.
유가는 미국의 원유 재고가 시장 예상보다 크게 줄어든 가운데 이스라엘이 친이란 예멘 반군 후티의 주요 시설을 타격하며 전선을 확대하고 있는 것도 지정학적 우려를 자극하며 WTI 기준으로 1.41% 높아진 배럴당 70.6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전일 무안 참사 희생자 여러분의 명복을 빕니다.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합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7 Dec, 23:58


Dow falls more than 300 points Friday but breaks 3-week losing streak

https://www.cnbc.com/2024/12/26/stock-market-today-live-update.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7 Dec, 01:59


*중국 제조업 이익은 11월에도 감소세 지속(9월 -27% YoY, 10월 -10%, 11월 -7% YoY)

*정책 완화 지속되지만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는 의미

China's industrial profits extend decline to a fourth straight month, dropping 7.3%

https://www.cnbc.com/2024/12/27/chinas-industrial-profits-extend-decline-to-a-fourth-straight-month-dropping-7point3percent.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Dec, 22:18


뉴욕증시는 거래량이 많지 않은 가운데 다우만 소폭 오른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날 특별한 뉴스는 없었던 가운데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1만9천건으로 전주대비 천건 줄면서 시장 예상치 22만3천명을 하회해 10년물 미국채 금리가 4.6%를 돌파하면서 장 초반 기술주 및 시장 전반에 부담을 줬습니다.
하지만 연속 실업보험을 청구한 사람들의 수는 191만명으로 전주대비 4만6천명 늘어나며 3년여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 188만명을 웃돌면서 아직 해고가 늘고 있지는 않지만 한번 실업 상태가 되면 다시 일자리 찾기는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10년물 금리가 4.5%대로 복귀하면서 3대지수는 장 초반 약세를 어느정도 만회했습니다.
여기에 미 국채 7년물 입찰 호조 영향으로 미국채 2년물은 0.2bp 오른 4.332%, 10년물은 0.2bp 내린 4.583%로 큰 변동 없이 마감했습니다.
달러도 채권 금리 움직임에 연동되며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초반 상승세를 어느정도 반납한 0.024% 오른 108.114를 기록했습니다.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금융, 헬스케어를 포함한 6개 섹터가 오르고 임의소비재, 커뮤니케이션 등 5개 섹터가 내린 혼조 양상이였습니다. 시총 상위 빅테크 7 중에서는 애플만 0.32%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고 전일 급등한 테슬라가 1.76% 내리긴 했지만 나머지 5개 종목은 1%내 하락세로 전반적으로 큰 움직임은 없는 하루였습니다.
이런 가운데서도 브로드컴은 2.37% 오르며 홀로 랠리를 이어갔고 명품 브랜드 코치 모기업 태피스트리도 1.38% 올라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중국 부양책 기대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달러 강세에 하락 반전하며 WTI 기준으로 0.68% 내린 배럴당 69.6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Dec, 21:08


Dow ekes out small gain in thin holiday trading, rising 5 days in a row

https://www.cnbc.com/2024/12/26/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Dec, 01:54


It’s highly unusual for Treasury yields to increase this much after the Fed has begun an easing cycle

근데 먼가 이전과는 흐름이 좀 다름...
뉴노멀인건지 괴리가 벌어지는건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Dec, 01:51


장단기 금리역전 해소 이후 리세션이 발생했었는데...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51


승자 독식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51


The top ten stocks in the S&P 500 now account for 40% of the index’s market cap, reflecting worsening concentration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50


16년이랑은 완전히 다른 트럼프 트레이딩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16


중국도 많이 힘든 상황이지만 자기만의 영역은 확실히 만들어 가는 느낌...
역시나 우리가 걱정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14


South Korea’s consumer confidence tumbled this month amid rising political uncertainty.

우리는 완전 반대 상황
이 역순환이 선순환으로 돌면 내년엔 좀 살만해 질려나...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10


미국의 탄탄한 소비가 미국 시장 랠리의 한 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반대로 증시 조정이 나오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고 그에 따른 주가 하락 순의 역순환도 가능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3:06


Big tech capital expenditures are projected to continue rising over the next couple of years.

미국 빅테크 밸류에이션이 많이 비싼건 사실
다만 AI 무한 경쟁으로 들어가면서 승자 독식 양상이 심해지는 가운데 막대한 투자가 있어야 앞서갈 수 있는 국면이라는걸 감안하면 적정 밸류라는게 참 어려운 계산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Dec, 21:48


뉴욕증시는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이해 3대지수 모두 3거래일 연속 동반 상승했습니다.
성탄절을 하루 앞두고 조기 폐장한 가운데 특별한 이벤트는 없었지만, '산타 랠리'에 편승하며 얇아진 거래에도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는 양상이었습니다. 이날 상승으로 S&P500은 6000선, 나스닥은 2만선을 탈환했습니다.
거대 기술주 M7은 모두 강세를 보인 가운데 테슬라는 이날도 7% 넘게 뛰면서 시가총액이 1조4천억달러에 육박하며 메타플랫폼스의 시총을 앞질렀습니다. 테슬라는 올해 86% 넘게 폭등해 183% 폭등한 엔비디아를 제외하면 M7에서 두 번째로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중입니다.
애플도 1% 이상 오르며 어느새 시총이 4조달러에 가까워졌고 아마존과 메타도 1% 이상 올랐습니다.
최근 인공지능(AI) 관련주 중 각광을 받는 팔란티어는 이날 주가가 4% 이상 뛰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올초 대비 주가가 390% 이상 급등했습니다.
국채가격은 한산한 거래 끝에 소폭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10년물 수익률은 한때 4.6290%까지 오르기도 했으나 5년물 입찰이 호조를 보이면서 상승폭을 반납하며 소폭 하락한 4.591%를 기록했습니다. 10년물 수익률이 4.60% 선을 웃돈 것은 지난 5월 30일 이후 처음입니다. 장기채 금리 상승은 긴장감을 가지고 계속 체크해야 되는 부분 같습니다.
달러는 미 국채 수익률을 따라 오르다가 미 국채 수익률이 오후 장으로 가면서 뒷걸음질치자 오름폭을 축소해 달러인덱스 기준 0.006% 상승한 108.088를 기록했습니다. 국채 금리가 반락한게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
국제유가는 중국의 내년 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WTI 기준으로 1.24% 오른 배럴당 70.1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앞서 중국 정부가 내년에 사상 최대인 3조위안 규모의 특별국채를 발행할 것이라는 소식이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한 외신 보도를 통해 전해졌는데요. 이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2.4%에 달하는 수준으로, 올해 발행액 1조위안에서 크게 증액된 규모입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21:10


S&P 500 rises 1% on Christmas Eve, tech stocks lift the market again: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4/12/23/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6:13


Comparing historical asset price booms to the Magnificent 7 tech stocks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6:12


What do fund managers see as the best performing asset class next year?

여전히 대안을 못 찾고 있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6:09


지난주 미국이 재채기 살짝 했더니 글로벌 독감 수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5:41


More S&P 500 stocks have reached new one-year lows, with the index near its high, which typically precedes a period of market weakness.

미국도 다 와 가는건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5:39


Here is a look at US LNG exports by destination.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5:36


Here are the drivers of China’s disinflationary pressures.

여기도 쉽지 않음... 근데 남일 같지 않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1:00


음... 크리스마스는 조용히 가족들과 집밥 먹으면서 보내라고 국장이 이야기 하는거 같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4 Dec, 00:03


https://www.wsj.com/business/energy-oil/chinas-ev-boom-is-starting-to-pinch-oil-producers-649eee50?st=rDmeF8&reflink=mobilewebshare_permalink

중국의 전기차(EV)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세계 최대의 원유 소비국인 중국의 석유 수요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원유 소비는 하루 1,640만 배럴로 증가했지만, 2024년과 2025년의 연간 증가율은 각각 0.8%와 1.3%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전기차 판매의 급증입니다. 최근 몇 달 동안 중국에서 판매된 승용차의 절반 이상이 전기차를 포함한 신에너지 차량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2025년 중국의 휘발유 수요는 2021년 대비 6.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대형 트럭의 경우 디젤 대신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디젤 수요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휘발유와 디젤이 중국 전체 석유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1%에서 2024년 44%로 감소했습니다.

한편,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나프타, 에탄, 액화석유가스(LPG)의 소비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59%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만으로는 휘발유와 디젤 수요 감소를 완전히 상쇄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011년부터 2023년까지 42% 증가한 중국의 정제 능력은 현재 경제 둔화로 인해 과잉 상태에 있으며, 비효율적인 소규모 정유소를 폐쇄하기 위한 정제 능력 상한선이 설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대형 석유 기업들에게 이중의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구조적인 석유 수요 감소는 원유 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해 상류 부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과잉 정제 능력은 이들 기업의 하류 부문 마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중국이 들어오면 다 죽는거임...
대신 원유 가격은 계속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겠네요
그러면 중동 오일머니에 대한 기대감도 같이 낮춰야 할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Dec, 23:50


https://www.wsj.com/tech/china-usa-chip-manufacturing-race-52419ca5?st=8mnR6L&reflink=mobilewebshare_permalink

미국과 중국 간의 반도체 경쟁에서 미국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은 자동차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구형 칩 생산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4년 중국은 웨이퍼 제조에 410억 달러를 투자하며, SMIC와 Hua Hong Semiconductor와 같은 기업들이 생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중국 기업들은 성숙한 공정 기술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국내 고객들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중국의 반도체 자급 노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미국의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와 같은 기업들에게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국내 생산자들에 대한 국가 지원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더 걱정...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Dec, 23:47


테슬라를 초라하게 만드는 주식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Dec, 22:31


뉴욕증시는 한산한 거래 속에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가 일단락 되면서 3대지수 모두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 흐름이 이어진 가운데 M7 중 마이크로소프트(-0.31%)를 제외한 6종목이 상승하며 지수를 이끌었습니다. 시총 1위 애플은 이날도 0.31% 오르며 최고가를 경신했고 엔비디아도 3.69% 오르며 조정 영역까지 떨어졌던 주가가 139.67달러까지 회복했습니다. 최근 엔비디아의 대항마로 급부상 중인 브로드컴이 5.518% 오르며 이날 S&P500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AMD(+4.521%), 마이크론(+4.25%), TSMC(5.15%)가 동반 상승을 기록한 덕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3.1% 올랐습니다.
대형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FDA가 비만치료제 젭바운드를 비만 성인의 수면 무호훕증 치료제도로 승인한 소식에 3.71% 올랐습니다. 반면에 비트코인이 조정을 받으면서 비트코인 최다 보유 기업으로 유명한 소프트웨어업체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는 8.78% 하락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12월 미국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104.7을 기록해 수정된 전월치 112.8에서 8.1포인트나 둔화된 수치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 112.9도 크게 밑돌았지만 채권 금리는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미국채 2년물은 3bp 오른 4.342%, 10년물은 6.5bp 상승한 4.589%에서 거래되며 장기물의 약세가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미국채 금리 상승에 달러도 다시 상승추세를 타며 달러인덱스는 전일 대비 0.262% 상승한 108.082를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달러 강세에 WTI 기준 0.32% 내린 배럴당 69.24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올해 내내 미장 상승이 국장 상승으로 잘 연결되지 않아 괴로웠지만 오늘은 좀 기대를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다만 계속되는 미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흐름이 먼가 개운하지 않은 느낌을 주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Dec, 21:02


S&P 500 closes higher to begin holiday week, tech stocks lead the advance: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4/12/22/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Dec, 00:18


• A survey by Alpine Macro shows resurging inflation as the greatest downside risk next year.

신세계에서 민식이형의 명대사 "아 이러면 완전히 나라린데..."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Nov, 00:39


꼴찌의 반란
근데 왜 영 체감이 안 되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Nov, 00:37


내년 예상 금리인하 폭을 축소하면서 국채 손절매 중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6 Nov, 00:34


Here is a look at the post-election fund flows by sector.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23:54


독일, 프랑스... 유럽은 매우 암울한 상황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23:47


Economists have significantly raised their estimates for US consumer spending growth in 2025.

내년에도 다들 미국만 쳐다봐야하나...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22:48


https://www.wsj.com/business/autos/elon-musk-tesla-environment-1263cd60?st=SgiTc4&reflink=mobilewebshare_permalink

월스트리트저널(WSJ)의 기사에 따르면, 엘론 머스크는 환경 보호를 위한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져 있지만, 테슬라의 공장들은 여러 환경 규제를 위반하여 오히려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테슬라의 대규모 공장은 유독성 배출물과 처리되지 않은 유해 폐수를 하수도로 방출하여 주 규정을 위반했습니다. 또한,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도 다수의 대기 오염 위반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전직 직원들은 테슬라가 환경 규제를 준수하는 데 소홀했으며, 생산 지연을 피하기 위해 검사 중에 속임수를 사용하기도 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전기차 생산 목표를 높게 설정하고 있으나, 반복되는 환경 문제로 인해 회사의 환경적 평판이 손상되고 있습니다.

이것도 어제 나온 악재 중에 하나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22:31


뉴욕증시는 트럼프가 베센트를 재무장관에 지명한데 따른 화답으로 3대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다우와 러셀2000이 상대적 강세를 보이며 시장 무게 중심이 대형 기술주에서 중소형주로 이동하는 순환매 흐름이 강화됐습니다.
증시도 증시지만 채권시장에서 베센트 지명과 이날 있었던 미국채 2년물 입찰에서 강한 수요가 확인 되면서 안도 랠리가 강하게 나왔는데요. 미국채 2년물은 9.4bp 내린 4.275%, 10년물은 13.5bp 급락한 4.275%를 기록했습니다. 2년물과 10년물 금리가 다시금 붙었네요. 다시금 장단기 역전 흐름이 나올려나...
여기에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 간 휴전 합의가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지정학적 우려를 덜어주며 연일 강세를 보이던 달러도 약세 전환하며 위험자산 랠리에 힘을 보탰습니다. 달러인덱스는 0.574% 내린 106.910을 기록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에 유가는 WTI 기준으로 3.23% 급락한 배럴당 68.94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유가 급락에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에너지가 가장 약했고 엔비디아 급락에 테크가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나머지 9개 섹터는 모두 강세를 보였습니다.
엔비디아는 다음 주 초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수출 추가 규제 조치를 내놓을 것이란 우려 속에 4.18% 급락했고 트럼프 랠리 대표주인 테슬라도 UBS에서 나온 부정적 보고서와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이 테슬라에 보조금을 주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3.96% 하락했습니다. M7 가운데 엔비디아와 테슬라를 제외한 5개 종목은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날 엇갈린 주가 흐름으로 시총 1위는 다시 애플로 변경됐네요.
출근길 비가 많이 오네요. 오후부터는 추워지면서 눈으로 바뀔 수 있다고 하니 대비 잘 하시기 바랍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21:06


Dow jumps 400 points to new record close, Russell 2000 hits all-time high as investors cheer Trump’s Treasury pick

https://www.cnbc.com/2024/11/24/stock-futures-are-flat-sunday-ahead-of-shortened-trading-week-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04:06


https://youtu.be/Gl80Z7s83wQ?si=PDypqDSsSomBDqJs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00:55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대선 이후 달러 베이스로 오른 자산은 미국 자산 이외에는 비트코인 밖에 없음
이길 수 있는 곳에서만 전투를 벌여서 백전백승한 이순신 장군이 이래서 명장이네요
코스피 투자는 매일매일이 명량해전인 듯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5 Nov, 00:44


헤지펀드는 더 집중적인 포트를 가져가고 있는데 매그니피센트7 노출은 줄인 상황
최근 빅테크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슬로우 한 흐름이랑 맞아떨어지는 추세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0 Nov, 22:36


[Review] 자유무역이라는 환상
출처 : 이것 또한 .. | 블로그

https://naver.me/FLyDSUOh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0 Nov, 22:36


트럼프 전 대통령이 '무역 매파' 진영의 대표급 인물로 통하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에게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다시 맡아달라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가 쓴 책을 또 미래를 내다본 농구천재 형님이 8월에 또 공유를 해 주셨네요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10 Nov, 22:22


지난 금요일 뉴욕 증시는 공화당이 상원에 이어 하원까지 가져갈 수 있다는 관측 속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친기업 정책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지속되며 3대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간 상승률은 다우는 4.61%, S&P500은 4.66%, 나스닥은 5.74%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장기채 금리는 이틀째 하락세를 이어가며 10년물 금리는 3.7bp 내린 4.306%를 기록했습니다. 반면에 2년물은 3.2bp 오른 4.252%를 기록해 엇갈리는 방향성을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기대감에 장기채 금리 안정화에 S&P500 11개 섹터 중 유틸리티, 부동산을 필두로 8개 섹터가 올랐고 테크, 커뮤니케이션, 소재가 하락 마감했습니다.
반도체가 관세 인상으로 인한 무역전쟁 피해가 클 것이라는 우려가 엔비디아(-0.84%)를 포함해서 약세를 보였고 중국이 지방정부 부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놓은 대책이 실망감을 촉발하면서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주가도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중국의 부양책이 실망스럽다보니 소재도 자연스럽게 약세를 보였습니다.
M7 가운데서는 테슬라만 강세를 보였는데요. 트럼프 행정부의 가장 큰 수혜 기업으로 꼽히는 테슬라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가 통화할 때 일론 머스크가 함께 있었다는 뉴스에 8% 넘게 폭등하며 3년만에 시총 1조달러를 탈환했습니다.
달러는 중국 위안화 약세에 재상승하며 달러인덱스 기준으로 장중 105선을 잠시 웃돌았습니다.
중국 부양책 실망과 달러 강세에 유가는 WTI 기준으로 2.74% 하락한 배럴당 70.38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연말까지 증시 랠리가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시장은 이번주 나오는 10월 CPI, PPI가 중요한 포인트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정책에서 인플레가 가장 큰 리스크인데 여기서 부담스런 숫자가 나오면 연준의 완화정책에도 변화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우려죠.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8 Nov, 23:25


Dow tops 44,000 for first time, S&P 500 closes at record high to cap election week rally: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4/11/07/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8 Nov, 05:49


TSMC 10월 매출 +25% MoM, +29% YoY 증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21:45


S&P 500, Nasdaq close at records and extend postelection rally as Fed cuts rates: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4/11/06/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01:38


중국이 미국채를 파는데 일본이 못 받아준다고 걱정이 많았는데... 역시 미국 걱정은 할 필요가 없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01:17


싸면 명품이 아님
하지만 구매할 때 꼭 가품을 잘 구별해 낼 줄 알아야 함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01:14


Higher VIX levels typically indicate stronger stock performance over the following 12 months.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공포에 사라가 확률적으로도 맞는 말
아 죄송합니다 미국장 기준입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01:10


이 그래프는 비금융 기업의 현금 및 금융 자산 보유 수준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두 개의 주요 지표가 있습니다:

1. 파란색 선: 현금 및 비주식형 증권(미국 국채 포함) 보유 수준을 GDP 대비 비율로 나타냅니다.


2. 회색 선: 기타 금융 자산의 보유 수준을 GDP 대비 비율로 나타냅니다

주요 해석:

1. 장기적 증가 추세:

1985년부터 2020년대 초까지 현금 및 비주식형 증권 보유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특히 200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상승했으며, 이는 금융 위기 이후 기업들이 안전 자산(현금 및 국채 등)에 대한 선호를 강화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2. 2020년 이후 급등:

COVID-19 팬데믹 시기에는 현금 및 비주식형 증권의 보유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이는 기업들이 불확실성 속에서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과 관련이 있습니다. 동시에 기타 금융 자산의 보유도 이 시기에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3. 최근 감소:

2022년 이후, 두 지표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 인상과 함께 기업들이 현금 및 금융 자산을 줄이고 투자나 배당, 자사주 매입 등에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미국 내 투자가 늘어나면서 미국 예외주의가 나오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듯, 규제 줄여주고 법인세 덜 내는 만큼 투자 더 하라고 하는 트럼프 행정부 집권기 동안 미국 경제가 더 독주하리라는 기대감에 투자 자금이 미국으로 더 쏠리는 상황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01:02


1. 대선 이후 초기 상승:

대선이 끝난 후, 약 20~40일 동안 시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선거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나타나는 투자 심리 개선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취임식 이후 하락세:

취임식 이후(약 70일~150일 사이)에는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는 새 정부의 정책에 대한 현실화와 기대 조정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워낙 결정이 빨리 되면서 초반 랠리가 불을 뿜음

근데 국장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7 Nov, 00:38


[한투증권 김대준] 트럼프 시즌II: 미국 대선이 자산시장에 미치는 시사점

2024년 미국 대선이 레드 스윕으로 종료됐습니다. 금융시장도 트럼프 재집권을 대비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동 자료에는 국내외 주식을 비롯해 경제, 채권에 대한 뷰를 담았습니다.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한국 주식 요약: 자료 16p>

- 코스피는 약세를 나타낼 전망. 미국 금리 상승과 원화 약세 전환이 수급에 불리

- 지수는 부진하나 업종 차별화는 지속. 트럼프 수혜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 필요

- 인프라, 방산, 제약/바이오, 조선, 금융 강세. 반면 전기차, 2차전지, 반도체는 경계

보고서 링크: https://bit.ly/4hvQEbn

------------------------------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6 Nov, 22:24


뉴욕증시는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에 기록적 상승 흐름을 보이며 3대 주요 지수 모두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차기 트럼프 정부의 감세 및 규제 완화, 친기업 정책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반영되면서 증시를 밀어올렸습니다.
S&P500 11개 업종 가운데 금융업이 가장 크게 올랐는데요. 트럼프 2기 하에서 규제가 완화되면 은행들이 혜택을 볼 것이란 기대에 금융 섹터는 6.16% 급등했습니다. 에너지 산업, 임의소비재 섹터도 3%가량 상승한 반면 이자율에 민감한 부동산과 유틸리티 섹터는 트럼프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연준의 금리 정책 경로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반영하며 하락했습니다.
M7 가운데서는 트럼프 수혜주로 규제 완화가 기대되는 테슬라가 14.75% 급등하며 가장 강했습니다. 엔비디아도 4.07% 급등하며 145.61달러로 마감하며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며 시총 1위를 공고히 했습니다.
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이날 5.7% 급등하며 역대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는데요. 수입 관세에 대한 노출도가 낮고 트럼프의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이 내수 중심의 주식들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된 영향입니다.
미 국채 수익률은 2년물이 6.3bp 오른 4.266%, 10년물은 14.5bp 급등한 4.433%에 거래됐습니다.
달러도 약 4개월만에 처음으로 105선을 넘어선 가운데 시장 일각에서는 유로화가 패리티 수준까지 밀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고 달러/엔은 한때 154.715엔까지 올라 지난 7월 하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엔화 가치가 급속히 약해지자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아시아 오후 시간대에 "투기 세력을 포함한 외환 움직임을 긴박감 있게 주시하고 있다"는 개입성 발언을 내놨습니다. 원/달러도 야간 거래에서 심리적 저항선인 1,400원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유가는 달러 강세에 WTI 기준으로 0.42% 내린 배럴당 71.69달러에 마감했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20:48


Dow closes nearly 300 points higher to begin November as investors shake off weak jobs report

https://www.cnbc.com/2024/10/31/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12:36


U.S. economy added 12,000 jobs in October, far less than expected; unemployment rate at 4.1%

https://www.cnbc.com/2024/11/01/us-jobs-report-october-2024.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7:07


이번 분기 실적발표 이후 빅테크 움직임은 자본 지출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기업들이 수익성 우려로 급락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6:57


노령화가 되면서 헬스케어, 연금 및 보험, 주거 순으로 지출이 늘어나고 교육, 교통, 음식순으로 소비가 줄어드네요
헬스케어는 항상 노령화 관련 최고 수혜 섹터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5:38


Chat GPT4가 위처럼 정리해 주길래 제가 "왜 한국 시장은 별로야?"라고 물었더니...
아래와 같은 답을...

한국 시장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덜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 경제적, 구조적, 정책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환 리스크

한국 원화(KRW)는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큰 통화로, 환율 리스크가 큽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환차손을 우려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환율이 안정적인 일본 엔화나 달러화로 투자를 선호하게 됩니다.


2. 지배구조와 투명성 문제

한국 기업들은 일부 대기업들이 대주주의 강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경영 투명성이나 소액주주의 이익 보호 측면에서 우려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특히 대주주와의 거래나 지배구조가 불투명한 사례들이 종종 보고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접근하게 됩니다.


3.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 규모

한국 시장의 투자 가능 시가총액은 일본, 중국, 인도 등에 비해 작습니다. 이러한 시장 규모의 한계로 인해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보다는 더 큰 시장에 우선적으로 자금을 투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자본시장 규제와 외국인 제한

한국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으며, 특정 산업(예: 방송, 금융 등)에 대해서는 외국인 지분 한도를 설정해 놓았습니다. 이러한 규제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시장은 외환 통제, 세금 문제 등 외국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5. 높은 상장사 배당 성향

한국 상장사들의 배당 성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배당 매력이 떨어지는 한국 시장에 대한 관심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6. 주식시장의 변동성

한국 증시는 외부 요인(특히 미국 금리 정책, 중국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변동성은 위험 회피 성향이 강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7. 경기 의존성

한국 경제는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와 같은 특정 산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런 집중성은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따라 시장 전체의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을 만듭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다양한 산업에 분산된 시장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 점이 매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결론

한국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많은 매력적인 기업들이 존재하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환율 리스크, 지배구조 문제, 규제 등의 요인으로 인해 매력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한국 시장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더 매력적인 시장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배당 성향 강화, 규제 완화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5:37


일본이 아시아에서 가장 큰 투자 가능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과 인도도 큰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면, ASEAN-5 국가들은 개별 시장은 작지만 통합된 시장으로 보면 의미 있는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아시아 시장에 접근할 때 일본과 중국, 인도를 주요 시장으로 보고, ASEAN-5 국가들을 신흥 시장으로 고려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5:28


The share of US consumers planning a foreign vacation hit a record high.

웰컴 투 코리아~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5:01


미국에서도 내집마련이 쉽지 않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01 Nov, 04:52


미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G7 내에서의 비중은 되려 증가하는 추세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의 경제 성장과 대비되는 미국 이외의 G7 국가들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의 상대적 부진이 요인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Oct, 22:21


뉴욕증시가 10월 마지막 거래일을 급락세로 마감했습니다.
전일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의 실적 발표 이후 빅테크의 지속적인 AI 투자 확대에 따른 단기 실적 둔화 우려가 조정의 트리거를 제공해 주면서 3대지수는 10월 전체로도 다우는 1.3%, S&P500 1%, 나스닥 0.5% 하락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6.05%), 메타(-4.09%) 급락에 이날 실적 발표 예정이던 애플(-1.82%), 아마존(-3.28%)도 동반 약세를 보였습니다. 아마존은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고 시간외로 5%대 급등하면서 정규장 하락분을 만회한 반면 애플은 실망스런 실적으로 시간외로도 2%대 추가 하락중입니다.
AI 대장주 엔비디아도 AI 서버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휘청거리면 AI 반도체 수요에도 일부 지장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4.72% 급락했습니다. 전날 33% 폭락했던 SMCI는 이날도 11.97% 내리며 급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도체 섹터 모두 약세를 보인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4.01% 급락했습니다. 그나마 인텔이 장 종료 후 시장 기대를 상회하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시간외로 9.25% 상승중입니다.
이날 발표된 9월 PCE 가격지수는 대체로 월가의 예상치에 부합하며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진 못했는데요. 전년비로 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며 연준 목표치 2%에 근접했습니다.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직전 주보다 1만2천명 줄어든 21만6천명으로 집계되며 5월 이후 최저치까지 내려갔습니다. 미국 채권금리는 경제지표보다는 영국채 금리 상승에 영향을 받으며 2년물이 1.6bp 오른 4.17%, 10년물은 1.8bp 상승한 4.282%를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이틀째 상승을 이어가며 정규장에선 WTI 기준으로 0.84% 오른 배럴당 69.26달러를 기록했는데요. 이란이 이스라엘에 보복 공격을 준비주이라는 보도에 시간외로 3.13% 급등한 배럴당 70.76달러를 기록중입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Oct, 20:31


Apple earnings are out — here are the numbers

https://www.cnbc.com/2024/10/31/apple-aapl-q4-earnings-report-2024.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Oct, 20:03


Amazon earnings are out — here are the numbers

https://www.cnbc.com/2024/10/31/amazon-amzn-q3-earnings-report-2024.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1 Oct, 20:01


S&P 500 and Nasdaq suffer their worst day in over a month, led lower by tech: Live updates

https://www.cnbc.com/2024/10/30/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0 Oct, 22:40


가민이 어닝 서프라이즈로 S&P500 상승 종목 탑을 전일 차지했는데요 저도 나름 러닝을 즐기는 편이라 주변 지인들이 달리기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추천하는게 가민 시계였는데 왜 가민 주식은 안 샀을까하는 자기 반성으로 또 하루를 시작합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30 Oct, 22:33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전일 알파벳(+2.92%)의 호실적과 국채금리 조정에 장 초반 흐름은 괜찮았으나 AMD(-10.62%)와 슈퍼마이크로컴퓨터(-32.68%)의 급락이 반도체 섹터 전반의 약세를 불러왔고 금리도 재상승하며 시장을 압박했습니다.
이날은 마이크로소프트(+0.13%)와 메타(-0.25%) 두 빅테크 실적 발표가 장 마감 후 있었는데요. 양호한 실적에도 양사 다 시간외로 3% 이상 하락중입니다.
전일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밋밋한 가이던스에 호되게 혼이 난 AMD 그리고 회계 부정 이슈로 시끄러웠던 슈마컴이 감사를 맡았던 언스트 앤 영의 사임 소식에 분식에 대한 의혹이 강해지며 급락한 여파로 테크가 1.34% 내리며 지수에 부담을 줬습니다. 글로벌 시총 1위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실적 가이던스 하향 조정에 6.28% 내렸습니다.
이날 발표된 미국 3분기 GDP 성장률은 속보치 기준 전기 대비 연율 2.8%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이자 전분기 성장률 확정치인 3%에 미치지 못 하면서 채권 금리가 하락했었지만 3분기 개인소비지출이 전분기 대비 3.7% 증가해 전분기 2.8% 대비 개선되며 탄탄한 소비 확인에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10월 ADP 민간 고용은 23만3천명 증가하며 예상치 11만명을 대폭 상회한 동시에 9월 수치 15만9천명도 웃도는 수치를 발표했는데요. 사실 이정도면 금리가 크게 튈 포인트였지만 그 시점의 금리 흐름을 보면 역시나 시장에서 별로 신뢰를 얻지 못하는 지표인것 같네요.
여튼 미국채 2년물은 5.5bp 오른 4.174%, 10년물은 2.6bp 상승한 4.3% 상승했는데요. 미국의 강한 경제와 트럼프 트레이드가 금리의 무게추를 위로 잡고 있는 느낌이네요.
유가는 OPEC+가 석유 수요 감소를 우려해 증산 시점을 한달 이상 연기하는 것을 검토중이라는 보도에 WTI 기준으로 2.08% 오른 배럴당 68.61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Oct, 01:38


블룸버그 올해 우리나라 수출 성장률 추정치는 계속 상향... 근데 지수는...
둘 중에 하나는 문제가 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Oct, 01:13


2023년 미국 산업별로 중국이 가장 저렴한 원천국가인 제품의 비율의 비중입니다
신발 및 모자류의 비율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참고로 나이키 생산 비중은 베트남이 50%가 넘고 중국은 20% 이하네요
아식스, 데커스나 온도 베트남이 가장 큰 생산 국가라고 하네요
런닝화 브랜드들의 최근 주가 흐름이 좋아서 런닝화 브랜드 위주로 좀 알아봤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Oct, 01:00


2023년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 국가들 중 가장 저렴한 제품을 공급하는 국가들의 비율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
트럼프가 관세를 강하게 때릴수록 인플레 압력도 강해질 수 밖에 없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3 Oct, 00:39


달러 강세와 채권 수익률 상승은 금융 여건을 타이트하게 만드는 요인
그럼에도 미장은 잘 버티는데...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22:23


뉴욕증시는 채권 금리 상승세 속에 나스닥만 소폭 오른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전일 트럼프 트레이드로 크게 튀었던 채권금리는 저가 매수세에 조정세를 보였으나 국제유가가 이틀 연속 급등세를 이어가자 소폭이지만 상승 전환하며 미국채 2년물은 0.7bp 오른 4.032%, 10년물은 0.26bp 상승한 4.208%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달러도 ECB 정책위원들의 비둘기파적인 발언이 연속으로 전해지며 유로화 약세에 달러화 가치가 2거래일 연속 오르며 달러인덱스는 104.106을 기록하며 종가 기준으로 104선을 8월1일 이후로 처음 돌파했습니다.
채권 금리와 달러 강세가 시장 전반적으로 부담이 되긴 했으나 양호한 기업 실적이 뒷받힘이 되며 변동성이 크진 않았습니다.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필수소비재, 에너지, 부동산, 테크, 통신서비스 5개 업종이 상승, 임의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산업재, 소재, 유틸리티 6개 업종이 하락했습니다.
종목별로는 GM이 예상치를 상회한 EPS와 밝은 전망을 제시하며 9.85% 글로벌 담배 제조사 필립 모리스도 양호한 실적과 실적 가이던스에 10.74% 급등했습니다.
반면에 GE에어로스페이스는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에도 시장의 기대가 너무 컸던 탓인지 9.05% 급락했습니다. 세계 1위 군수업체 록히드 마틴도 시장 예상을 밑돈 실적에 6.12% 하락했습니다.
시총 1,2위인 애플과 엔비디아가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이날은 시총 3위 마이크로소프트가 2.08% 상승하며 테크 섹터와 나스닥을 지지했습니다. 테슬라는 4거래일 연속 하락해지만 낙폭은 1.52%로 크지 않은데요. 내일 장 마감 후 발표되는 실적 발표 후에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겠네요.
유가는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감이 지속되며 WTI 기준으로 2.17% 상승한 배럴당 72.09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틀 동안의 급등으로 지난주 낙폭의 거의 절반을 만회했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20:03


Dow wipes out 200-point loss and turns positive as stocks try to regain momentum

https://www.cnbc.com/2024/10/21/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__source=androidappshare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02:07


꾸준하다 진짜...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02:03


골드만 이야기대로라면 향후 10년 미국도 재미읍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01:38


금은방 아저씨가 제일 부러움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01:12


이제 김치 프리미엄 없습니다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2 Oct, 00:05


TCJA (Tax Cuts and Jobs Act)는 2017년에 도입된 미국의 세제 개혁 법안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인세율 인하: 35%에서 21%로 감소.

개인 소득세율 조정: 세율 인하 및 구간 재조정.

표준 공제 증가: 공제 금액 두 배로 확대.

자녀 세액공제 확대: 자녀당 최대 $2,000 세액 공제.

국제 조세 개혁: 해외 수익 과세 구조 변경.


이 법안은 경제 성장을 촉진했지만, 정부 재정 적자가 증가했습니다. 개인 소득세 관련 규정은 2025년에 만료될 예정입니다.

트럼프 재선 시 당연히 연장되겠죠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21 Oct, 22:17


지난주까지 주간 기준 6주 연속으로 상승하던 뉴욕증시는 이날 국채 금리 상승에 발목을 잡히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S&P500 11개 업종 가운데 10개가 약세를 보인 광범위한 조정장세 가운데 엔비디아가 4.14% 급등하며 테크(0.93%)와 나스닥(+0.27%)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M7 가운데 테슬라와 메타를 제외한 5개 종목이 오르며 쏠림이 완회되던 시장을 다시 되돌린 하루였는데요. 마치 장판교에 홀로 선 장비처럼 하락장을 막은 엔비디아는 4거래일 연속 오르며 시총 1위 애플에 바짝 다가섰습니다.
미국 정치 전문매체 더힐과 선거 전문 사이트 디시전데스크HQ의 자체 예측 결과에 따르면 이날 기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52%로 해리스 부통령(48%)을 앞섰습니다.트럼프가 해당 분석에서 해리스를 제친 것은 지난 8월 이후 처음이라고 하네요. 이에 트럼프 트레이드 흐름이 강하게 나오며 채권 금리는 폭등 달러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채 2년물은 8.1bp 오른 4.036%, 10년물은 12.9bp 급등한 4.204%를 기록했습니다. 감세+관세가 트럼프의 정책이다 보니 안 그래도 심한 미국의 재정 적자와 인플레이션 대한 우려가 커진 영향인데요. 달러인덱스도 오후 장 들어 104.016까지 오르기도 하며 지난 8월2일 이후 처음으로 104선을 넘어섰습니다. 달러/엔도 BOJ가 엔화 약세 방어선으로 생각하던 150엔을 넘어선 150.7을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중국의 금리인하와 지난 주말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자택이 무인기 공격을 받으면서 중동의 군사적 긴장감 재상승에 WTI 기준으로 1.94% 상승한 배럴당 70.56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미국채 10년물 기준으로 5%까지도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인데요. 이러면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던 채권과 주식이 다시금 동행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