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stephenlee_meritz Channel on Telegram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stephenlee_meritz


메리츠 매크로 이승훈(경제분석 총괄), 박수연(FX/원자재) Economist 입니다.

주요국 매크로와 가격변수에 대한 저희 보고서를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업무에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Korean)

메리츠 매크로 이승훈과 FX 전문가인 박수연이 함께 하는 텔레그램 채널, stephenlee_meritz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메리츠 증권의 경제분석 총괄인 이승훈과 FX/원자재 전문가인 박수연이 운영하는 채널은 주요국의 매크로 경제와 가격변수에 대한 보고서를 공유하는 곳입니다. 여러분의 업무 및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이승훈과 박수연의 전문적인 시각과 분석을 통해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 드릴 것입니다. 매일 업데이트되는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놓치지 마세요. 메리츠 매크로 이승훈과 FX 박수연의 텔레그램 채널은 귀하의 경제적인 지식과 통찰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금 채널을 구독하고 가치 있는 정보를 받아보세요!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3 Jan, 22:54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월 4주 환전소: 트럼프 허풍에는 쫄지 않는다_2025.01.24(금)

[리뷰] 금융시장은 예상대로 트럼프 손아귀 안. 보편관세가 미뤄진 것만으로도 안도의 약달러

[프리뷰] 잠시 돌아온 매크로 주간. 국가별 경기/금리 차별화 부각될 것

[예상밴드] 달러/원 1,430~1,45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mryys8wb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3 Jan, 08:19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5.1.23(목)

<한국 4Q GDP: 올해 상저하고가 더욱 뚜렷해질 것>

- 한국 4Q24 GDP는 0.1% QoQ/1.2% YoY 성장하며 컨센서스(1.4%) 하회

- 2025~26년 GDP성장률 전망 1.5%와 2.0% 유지. 상저하고 궤적 더욱 뚜렷해질 것

- 심리개선 미약과 일평균 수출 부진은 우려 요인

- 한국은행 2월 이후 분기별 1회 꼴로 연내 총 75bp 인하 전망 유지

(자료) https://tinyurl.com/2ey2wwz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2 Jan, 22:36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1.23(목)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유럽과 일본 인플레이션 점검: 여기도 임금이 중요하다

- 유로존 임금 상승률 둔화에 힘입은 물가안정은 예정된 수순: ECB 적극적 인하 부담은 제한적

- 일본은 24.3월 춘투 영향이 지금 물가에 반영되는 중. FY25 신선식품 제외 CPI 2.3% 전망

- 25.3월 춘투 임금 결정은 ‘26년 물가 결정변수. 춘투에서 5% 이상 임금상승 용인=’26년 BOJ 콜금리 종착점 상향 조정 요인

(자료) https://tinyurl.com/yc823anv

[글로벌 투자전략 RA 박보경] 오늘의 차트: 첫번째 행정명령 수혜주, 전력 인프라

[금융 조아해] 칼럼의 재해석: 미국 신용카드 디폴트 증가세 지속

(자료) https://tinyurl.com/ycy7ar6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1 Jan, 22:33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1.22(수)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BOJ 1월 프리뷰: 땜질식 25bp 인상

- BOJ 1월 금정위에서 1) 25bp 인상과 2) 물가전망치 상향조정 예상

- 일본 경제는 인상 뒷받침. 1) ‘실질금리 < 0’의 완화적 금융환경과 2) 임금-물가 선순환 때문

- 문제는 BOJ의 낮은 신뢰도. 7월 추가 인상 전망하나 확인 후 대응적 엔화 매수 추천

(보고서) https://tinyurl.com/3x2vk32k

[통신/우주/미디어 RA 박건영] 칼럼의 재해석: 가속하는 우주산업, 다음 목적지는?

(보고서) https://tinyurl.com/3fuksrv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6 Jan, 23:15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월 3주 환전소: 폭풍 전 소요_2025.01.17(금)

[리뷰] 트럼프 취임 전에는 연준이 왕. 미국 고용과 물가에 울고 웃은 한 주

[프리뷰] 드디어 트럼프 취임식 주간. 외환시장 추세는 공식 발표될 관세 정책이 결정할 것

[예상밴드] 달러/원 1,445~1,48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bdcckcbu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2 Jan, 22:32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5.1.13(월)

<미국 12월 고용: 노동시장이 다시 뜨거워지나?>

- 미국 12월 비농업 고용(+25.6만 명), 실업률(4.09%) 서프라이즈

- 노동시장이 호황일 때 관찰되는 모든 특징들이 나타남

- 임금상승률에 선행하는 구인/실업자 배율은 12월 1.15배까지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

- 이런 그림이 계속 이어지면 올해 하반기 내내 임금발 인플레 재현 위험 부각

(자료) https://tinyurl.com/yhbxnjnj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9 Jan, 22:50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월 2주 환전소: 달러, 좋은 건 알겠는데 비싸다_2025.01.10(금)

[리뷰] 알 수 없는 트럼프 때문에 방향을 잃은 외환시장. 비싸면 팔고 싸면 사는 움직임만 반복돼

[프리뷰] 트럼프 불확실성에 더해지는 고물가 우려. 달러가 비싸도 당장은 다른 대안이 없어

[예상밴드] 달러/원 1,450~1,48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2s482pne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8 Jan, 22:55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1.9(목)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美 인플레이션 점검: 의외의 변수는 노동시장

- 2025년에는 재화물가 완만한 상승, 주거비 인플레 둔화 흐름이 예상됨

- 현재 노동시장 호전에 시차를 두고 올해 2~3분기 중 서비스 물가압력이 부각될 것

- 올해 4분기 Core PCE 물가상승률은 2.4% 예상. 노동시장이 완만히 냉각됨을 전제로 함

- 노동수급이 더 타이트해지면 문제: 임금상승-서비스 물가상승-연준 인하 지연 요인

(자료) https://tinyurl.com/t9nc4s4x

[투자전략/시황 RA 이상현] 오늘의 차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데드크로스 발생

[반도체/디스플레이 RA 우서현] 칼럼의 재해석: ‘관세맨’은 계획대로 밀어붙일 수 있을까?

(자료) https://tinyurl.com/yc9nkn7k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8 Jan, 02:06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pinned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1.8(수)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2025년 FX 전망 업데이트: 트럼프가 바꾸는 것은 없다 - DXY 100.0~107.5 박스권 상향돌파. 미국 경기/금리 우위와 트럼프 경계감이 센티먼트 자극 -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 표방. 미국 우위라는 현 매크로 상황을 강화하지, 변화시키지 않음 - 트럼츠 취임 전후 센티먼트 소멸하며 기존 박스권으로 회귀 예상.…»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7 Jan, 22:51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1.8(수)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2025년 FX 전망 업데이트: 트럼프가 바꾸는 것은 없다

- DXY 100.0~107.5 박스권 상향돌파. 미국 경기/금리 우위와 트럼프 경계감이 센티먼트 자극

-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 표방. 미국 우위라는 현 매크로 상황을 강화하지, 변화시키지 않음

- 트럼츠 취임 전후 센티먼트 소멸하며 기존 박스권으로 회귀 예상. 달러/원 연말 1,360원 전망

(보고서) https://tinyurl.com/8kb3bnwv

[글로벌 투자전략 RA 박보경] 칼럼의 재해석: 청정수소 세액공제로 수소 시장이 개화할 수 있을까

(보고서) https://tinyurl.com/2tycmy6d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2 Jan, 23:18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월 1주 환전소: 걱정하는 일의 90%는 일어나지 않는다_2025.01.03(금)

[리뷰] 새로운 재료 없이 얇아진 수급에 등락. 강달러는 2024년 마지막 거래일까지 유효

[프리뷰] 연초 환율 방향성 탐색 주간. (중장기) 미국 경기/금리 우위 vs. (단기) 레벨 부담 사이 줄다리기

[예상밴드] 달러/원 1,460~1,485원

(보고서) https://tinyurl.com/3xn7vrz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1 Jan, 22:55


안녕하세요! 주인장 이승훈입니다.
지난 한해 저희 매크로ㆍFX에 주신 관심과 응원에 감사드리며, 올해도 한번 잘 해보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가정과 일터에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1 Jan, 22:55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5.1.2(목)

<2025년 국내 경제전망 업데이트>

- Review: 12월 수출은 서프라이즈, 내수 부진은 심화

- 2024~25년 GDP성장률 전망 하향조정: 올해 상저하고의 형태 더욱 뚜렷해질 것

- 하반기 경기회복 견인 요인: 재정과 통화정책의 policy mix

- 한국은행 연내 75bp 인하 전망 유지. 단, 다음 인하는 1월일 가능성 높아

(자료) https://tinyurl.com/269ac7sv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9 Dec, 08:00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BOJ 12월 Review: 일단은 동결로 물러나기_2024.12.19(목)

- BOJ 정책금리 0.25% 동결. 달러/엔은 성명문 후 155엔, 기자회견 중 156엔 돌파

- 성명문은 1) 임금-물가 선순환과 2) (+) Output Gap을 언급하여 추가 인상을 지지

- 그러나 기자회견이 완화적. 트럼프 불확실성 때문에 1월 인상 시그널 또한 부재

- 정상화는 시기의 문제. 내년 1월, 7월 총 2회 인상 전망 (vs. 기존 12월, 7월)

(보고서) https://tinyurl.com/5a6j894d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8 Dec, 22:47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2.19(목)

<12월 FOMC: 안개 속에서는 천천히>

- 12월 FOMC에서 예상대로 25bp 인하. 2025년 점도표 통해 적정 인하폭 50bp 제시

- 노동시장 하방 위험이 줄었고, 인플레이션 전망의 상방 위험이 부상했기 때문

- 당사는 2025년 75bp 인하로 전망을 변경. 1) 국채, 회사채 rollover risk와 더불어 2) 연준보다 낮은 4Q25 인플레를 보기 때문. 26년 Terminal rate 3.25% 전망은 유지

(자료) https://tinyurl.com/4mkt5r26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6 Dec, 22:54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2.17(화)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경제와 정치

- 경제와 정치는 분리할 수 없음: 정치적 합의의 산물인 ‘제도’ 가 경제활동을 규율하기 때문

-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 경제정책 불확실성 확대. 심리위축은 경기회복을 제약함

- 불확실성이 줄어드는 국가는 미국, 반면 불확실성이 커지는 대표적인 국가는 프랑스임

(자료) https://tinyurl.com/4jfpez86

[글로벌 투자전략 RA 박보경] 오늘의 차트: AI 하드웨어, 부활할 수 있을까

[금융 조아해] 칼럼의 재해석: 미국 자본시장에 대한 기대감

(자료) https://tinyurl.com/257rc87u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2 Dec, 23:50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2.13(금)

<12월 ECB: 중립까지는 빠르게 갈 것>

- ECB는 당사와 시장의 예상대로 3대 정책금리를 25bp 인하

- 물가가 아직은 마음에 걸려: Domestic inflation과 서비스 물가 4% 전후임을 우려

- 하향 조정된 물가전망의 상하방 위험이 모두 존재: 중립 이하까지 인하 기대 어려워

- 예치금리(DFR)는 2%까지 인하될 전망. 단, 그 시점은 기존 25.9월에서 6월로 변경

(자료) https://tinyurl.com/bddtbwh5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2 Dec, 22:51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2월 2주 환전소: 따로 노는 세상_2024.12.13(금)

[리뷰] 경기 우려 국가들의 인하 속도전 vs. 물가 우려 국가들의 인상 속도전

[프리뷰] 미국이 조용해지니 눈에 들어오는 다른 국가들. 특히 BOJ가 요주의 대상

[예상밴드] 달러/원 1,420~1,445원

(보고서) https://tinyurl.com/yu2nc46s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0 Dec, 22:55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2.11(수)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비트코인이 달러를 지킨다

- 트럼프 1기 반(反)암호화폐 → 트럼프 2기 친(親)암호화폐로 스탠스 변화

- 비트코인은 가치저장의 수단. 화폐로써의 기능을 논하는 것은 무의미

- 비트코인의 전략자산화는 달러 발권량을 줄임으로써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공고히 할 것

(보고서) https://tinyurl.com/3dpcrb3p

[생활소비재 박종대] 칼럼의 재해석: 러닝화의 선두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나이키와 아디다스

(보고서) https://tinyurl.com/5hyu2dts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8 Dec, 22:49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2.9(월)

<미국 11월 고용: 재확인된 견고함; 12월 연준 인하는 유효>

- 11월 비농업 고용 +22.7만 명, 실업률 4.246%, 시간당 임금 +0.36%

- 20만 명 상회하는 비농업 고용증가는 일시적 영향에서 노동시장 벗어났음을 시사

- 다만, 실업률 상승 및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은 취약성 드러나고 있을 가능성 시사

- 12월 FOMC에서 연준은 연방기금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예상

(자료) https://tinyurl.com/4tbbs7sd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5 Dec, 23:09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2월 1주 환전소: 한 겨울밤의 계엄령_2024.12.6(금)

[리뷰] 정치의 시간. 프랑스부터 한국까지, 내년 예산안 협상에서 촉발된 정치 불확실성

[프리뷰] 경제의 시간. ECB부터 시작하는 주요국 통화정책회의 결과에 주목할 시기

[예상밴드] 달러/원 1,400~1,425원

(보고서) https://tinyurl.com/4977daza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1 Dec, 22:50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2.2(월)

<한국 11월 수출: 앞으로는 미국 제조업 회복 여부가 중요>

- 11월 수출 +1.4%, 반도체, 컴퓨터, 선박이 여전히 주도

- 반도체/선박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10~11월 역성장; 경제전망 하방 위험

- 반도체/선박 제외 수출 개선 위해서는 미국 제조업이 살아나야 함

- 불확실성 완화되고 금리인하 시차 작용하는 2Q25가 회복 시점. 트럼프 정책은 변수

(자료) https://tinyurl.com/mt8d6v3j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8 Nov, 23:22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1월 4주 환전소: 일단 아는 것을 잘 풀자_2024.11.29(금)

[리뷰] 강달러와 미국 정치 불확실성에 익숙해지는 시장. DXY 상단 107.5 확인 후 약달러로 단기 추세 전환

[프리뷰] 12월 FOMC 전 발표될 마지막 고용. 시장 민감도가 크나 추세 전환 요인은 아님

[예상밴드] 달러/원 1,385~1,41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4wv85hkj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1 Nov, 22:53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1월 3주 환전소: 조용해도 존재감 확실한 트럼프_2024.11.22(금)

[리뷰] 조용해진 트럼프와 조용해진 강달러 vs. 트럼프가 가져올 경기하강을 우려하는 여타국

[프리뷰] 지정학적 리스크를 제외하면 정치도 경제도 조용할 한 주. 외환시장도 쉬어가는 장세 전망

[예상밴드] 달러/원 1,385~1,41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4d5nfe3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9 Nov, 12:34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pinned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1.19(화)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2025년 전망 시리즈 5 FX(해설판): No Game Changer - 2023년부터 달러인덱스 박스권. 금리 인하와 별개로 중장기 매크로 패러다임은 변하지 않았음 - 주된 매크로 패러다임은 1) 서비스 교역화와 2) 생산주의. 해당 변화의 중심에 미국이 자리 - 반면, 달러대비 절상될 만큼 1) 서비스업과 2)…»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8 Nov, 22:25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1.19(화)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2025년 전망 시리즈 5 FX(해설판): No Game Changer

- 2023년부터 달러인덱스 박스권. 금리 인하와 별개로 중장기 매크로 패러다임은 변하지 않았음

- 주된 매크로 패러다임은 1) 서비스 교역화와 2) 생산주의. 해당 변화의 중심에 미국이 자리

- 반면, 달러대비 절상될 만큼 1) 서비스업과 2) 재정 건전성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국가 부재

- 2025년 박스권, 중장기 강달러 전망 유지. 2025년 달러/원 평균 1,360원, 기말 1,350원 전망

(자료) https://tinyurl.com/aefn2ajk

[채권전략 윤여삼] 오늘의 차트: 독일의 경제, 점차 멀어지는 회복의 기미

[이차전지/석유화학 노우호] 칼럼의 재해석: SAF(지속가능항공유)는 항공산업 탈탄소화의 핵심요소가 될 수 있을까

(자료) https://tinyurl.com/2cbjabwm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4 Nov, 22:41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1월 2주 환전소: 연고점 경신_2024.11.15(금)

[리뷰] 계속되는 트럼프 트레이드. 달러인덱스와 달러/원 나란히 연고점 경신

[프리뷰] 소진되는 강달러 재료 vs. 부재한 약달러 재료. 달러인덱스 고점을 탐색해 나갈 주간

[예상밴드] 달러/원 1,395~1,42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fbjp5xd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1 Nov, 23:36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1.12(화)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2025년 전망 시리즈 3 경제전망(해설판): 미국이니까 괜찮아

- 판데믹 재정대응 이후 유럽/일본/한국은 속도조절 vs 미국은 지속적 확장재정 강행

- 미국이니까 나홀로 확장재정 해도 되는 명분은 있음. 하지만 미래에 건전화는 필수

- 이러한 과정에서 장기금리 하락이 장기간 제약받을 가능성 주목

- 2025년은 확장재정 배제하더라도 미국 우위의 경제환경 지속되는 그림

(자료) https://tinyurl.com/3rnd7hn7

[투자전략/시황 RA 이상현] 오늘의 차트: 3Q24 실적 발표 점검_어닝 시즌 수익률 검토

[유틸리티/건설 RA 윤동준] 칼럼의 재해석: 미국도 요즘은 아파트, 아파트

(자료) https://tinyurl.com/5nefp7bs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7 Nov, 22:26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1.8(금)

<11월 FOMC: 급할 것 없다>

- 11월 FOMC -25bp: 노동시장 정상화 및 물가안정 반영한 통화정책 recalibration

- 빠르게 중립으로 갈 필요가 없고, 중립 근접할수록 인하 감속 검토를 시사

- 당사는 12월 25bp 인하 이후 내년에는 분기별 1회로 인하 감속한다는 견해 유지

-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의 경기/인플레 영향은 2025년보다 2026년의 이야기

(자료) https://tinyurl.com/2p8pa5ck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6 Nov, 09:09


📮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Issue Comment_2024.11.6
트럼프 당선 대응 전략

[매크로]
- 트럼프 당선으로 TCJA 법안 영구화 등 확장재정 심화 가능성이 커졌음. 확장재정 자체는 경기에 긍정적이나 임기 말 전후 건전성 제고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임. 실제 법안 영구화 논의는 하반기이며 효과는 2026년부터 발현되는 그림. 상반기에는 채무한도 협상에 임해야 할 것

- 한편, 공약으로 내건 이민자 추방이나 보편관세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는 모두에게 부정적. 특히 후자는 미국뿐 아니라 USMCA회원국 및 제조업 영위 국가에 심각한 타격줄 수 있음. 따라서 당장 10%가 현실화되기 보다는 온쇼어링 압박 카드일 가능성에 무게. 단, 사안 거론될 때마다 해당국 자산변동성 확대 불가피

- 연준은 일단 기존의 기조를 올해까지는 유지할 가능성. 2025년중 100bp 인하 견해 유지하나, 연중에 데이터가 인플레 압력 확대를 시사할 경우 hawkish해질 가능성은 예의주시 필요할 것임

[채권전략]
- 트럼프 재정확대 및 관세 등 인플레이션 확대에 따른 채권약세 우려 현실화. 그렇지만 세부 공약 확인후에 높은 불확실성 해소되어야 정책 공약에 따르는 금리상승 부분과 성장률 하락 충격의 상쇄 효과 가늠할 수 있을 것

- 트럼프 트레이드 관점 TCJA 재정적자 GDP의 2%p 충격 구축효과로 미국채10년 50bp 상승 부담 추정. 1년내 미국 통화완화 경로 크게 위축 되지 않는다면 3.75%까지 완화 가능. 미국채 10년 3.8% 적정 수준에 재정리스크 50bp 감안한 4.3%가 key line. 트럼프 당선 확정 후 4.5%까지 상단이 열리면서 쏠림구간 연출되고 있으나 일각에서 우려하는 5%대 상승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 연내 4%대에서 머물다가 관세부과 및 이민자 정책으로 인해 성장전망 둔화되면 다시 3%대 미국금리 하락 예상

- 국내 채권시장은 경기위험이 높아진 만큼 미국금리대비 상승압력 높지 않을 것. 현재 기준금리 3.25% 수준에서 장기금리 상단 예상. 국내경제 미치는 충격 감안 안전자산으로 국내 채권시장 역할 유효

[주식전략] 트럼프 당선 관련(한국시장 영향)
- 트럼프 정책은 산업 육성 정책 지원보다 관세와 분쟁에 초점이 맞춰질 것. 내년 초(연두교서) 정책 윤곽 나오기 전까지 Anti - IRA(미국 공급망 수혜: 자동차, 2차전지, 친환경) 연장

- 부임 전까지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에서 자유롭거나(바이오, 조선, 방산, 기계), 국내 고유 이슈(밸류업)로 움직이는 섹터 선전 예상. 트럼프 2.0 시대 수혜주 여부는 대중국 정책에 따른 반사이익 유무에 따라 결정될 것

- 2016년 11월 트럼프 당선 당시 구리 가격 강세, 금리 상승으로 은행과 산업재 주식 우세. 학습 효과에 따라 금융시장 색깔도 단기적으로 2016년 당시의 경험을 답습할 것

- 트럼프 2기 역시 재정적자 확대가 예상되며 상하원을 공화당이 모두 장악할 경우 이러한 정책 방향성은 더욱 명확해질 것. 관세 우려가 있는 일반 소비재보다는 미국의 취약한 제조업 빈자리를 메울 수 있는 방산, 조선, 기계 선호

[선진국 전략]
- 트럼프 당선은 미국주식 추세에 변수는 되지 못함. 미국 주식시장 주도산업에 대해 우호적이기 때문. 금리인하 압박이라든가, 법인세 인하 기조 유지 등 미국 기업에게는 유리한 공약들을 가지고 있음

- 섹터 전략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초당적인 어젠다로 분류되는 AI, 반도체 등 첨단기술, 우주항공, 산업재(전력 인프라)는 좋고 차별적으로 볼 수 있는 섹터는 금융

- 한편 트럼프 당선으로 신재생 에너지 관련 주가가 연말까지 추가 하락한다면 하락 이후에는 역발상 전략으로 접근해 볼 수 있다고 생각

- 증시 리스크 요인은 연말~연초 고금리+재정적자 우려 가운데 진행될 예산안 합의는 일시적 노이즈 될 수 있다는 견해

[중국 전략]
- 중국장은 단기 하락 후 정부의 강력한 부양 기대에 상승으로 전환 예상

- 트럼프 당선은 중국에 가장 큰 악재. 이에 정책당국은 더 강력한 경기 부양으로 대외 악영향을 상쇄(trade off)하려고 노력 예상. 단 코로나19 이후부터 진행되어온 수년간의 부양책으로 정책 여력은 제한적이어서, 경기 둔화 흐름 지속 예상

- 기업이익 둔화 국면에서 1) 자사주 매입 중심의 주주환원이 강화되는 국영기업과 2) 대외압박에 국산화가 더 가속화 될 IT 섹터로 대응 필요

[FX]
- 트럼프 재임은 강달러라는 추세변수가 아닌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 미국 우선주의를 바라는 한편, 약달러도 원하기 때문에 발표되는 정책에 따라 단기 추세 형성될 것. 따라서 이벤트마다 해석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

- 대통령 당선의 경우 단기적으로 가장 우려되는 급진적인 관세 및 무역 정책 우려가 부각될 가능성 큼. 따라서 달러/원 1,420원까지 추가 상승 룸 열어둘 필요. 다만 단기 오버슈팅 이후에는 대선 직전 레벨인 1,370원 내외까지 진정 예상

(자료) https://tinyurl.com/ye8p676p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3 Nov, 22:37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1.4(월)

<미국 10월 고용: 다양한 왜곡, 유보된 판단>

- 10월 비농업 고용 +1.2만 명, 실업률 4.15%, 시간당 임금상승률 4.0% YoY

- 일시적 요인들인 보잉 파업과 허리케인 헬린/밀튼의 영향 다수 관찰

- 11월 고용은 10월 대비 호전, 응답비율 낮은 점 고려시 10월 고용 상향 조정에 무게

- 연준은 11월 FOMC에서 FFR 25bp 인하할 전망

(자료) https://tinyurl.com/ypj4kjbk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31 Oct, 22:46


📮[메리츠증권 FX 박수연] 2024.11.1(금)

[2025년 전망시리즈 5] FX

'No Game Changer'


(요약본) https://tinyurl.com/3zzmtf3s

Part 1. 연준 인하 ≠ 약달러

- 2023년부터 달러인덱스는 100~107 박스권 등락 반복. 그간 글로벌 매크로 패러다임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

- 달러인덱스의 박스권 하향돌파 조건: 1) 연준의 인하와 2) 미국 경기 우위 해소 동시 충족

- [연준 인하 ≠ 약달러 이유 1] 과거 연준 나홀로 인하 때 약달러 경험. 게다가 이번 인하폭은 연준 < ECB

- [연준 인하 ≠ 약달러 이유 2] 늘어난 유동성 만큼 늘어난 리스크. 실물-시장 괴리가 장기화되며 안전자산 수요 확대

Part 2. 생산주의(Productivism)

- 2010년대부터 미국 자금 순유입 vs. 비미국 자금 순유출. 금리 인하와는 별개로 진행되는 움직임

- [변화 1] 서비스 교역화: 기술 발전으로 서비스 교역이 가능해짐. 창출되는 부가가치 또한 제조업 < 서비스업

- [변화 2] 생산주의: 성장보다 재분배를 중시하는 제조업 부양책. 미국 정부가 안정적인 자금 유입을 보장

- 비(非)달러 절상 조건: 1) 제조업 < 서비스업 비중, 2) 재정 건전성 동시 충족

Part 3. 변동성 요인

- 2025년 국가별 성장률/물가상승률 수렴. 환율 박스권 유지되는 한편, 변동성 요인에 등락할 전망

- [변동성 1] 재정 건전성 우려: 2024년 집권당 교체 사례 多. 새로운 정부의 예산안이 공개되며 환율 변동성 확대

- [변동성 2] 무역정책: 트럼프 보편관세 및 중국 고율 관세 부과 공약. 위험회피 심리를 자극하여 단기 강달러 불가피

- [변동성 3] BOJ: 금리 인상 기조는 유효. 그러나 총재와 외환당국 발언에 엔화가 변동폭이 큰 경향

- 2025년 FX 전망: [달러인덱스] 밴드 99~107, 평균 104; [달러/원] 밴드 1,300~1,400원, 평균 1,360원; [방향] 상고하저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31 Oct, 08:21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BOJ 10월 Review: 양극단 이후 이제는 중립_2024.10.31(목)

- BOJ 정책금리 0.25% 동결. 경제가 전망에 부합하면 추가 인상할 것이라 언급

- 대외 불확실성은 우려되나 임금-소비 선순환이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

- 기자회견에서도 인상 의지 확인됨. 다만 구체적인 시점에 대한 언급은 피함

- 중장기적으로 미일 금리차가 축소되며 엔화 절상 전망. 문제는 변동성

(보고서) https://tinyurl.com/bddwnxk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31 Oct, 00:29


📮[메리츠증권 이승훈] 2024.10.31(목)

[2025년 전망시리즈 3] 경제전망: 미국이니까 괜찮아

“미국 좋은 건 다 알 잖아요? 이미 구조화된 것 아닌가요?”

그렇다. 금융위기 이후로는 미국의 쇠락과 중국의 부상. 즉, G-2 구도 확립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코로나19 이후로 미국은 명백한 G-1이 되고 있다.
계속되는 인구유입, 생산성 향상, 혁신을 가능하게 만드는 제도와 문화. 그리고 기축통화국의 이점까지. 과연 오늘날 미국을 대적할 자 누가 있겠는가.

코로나19 이후 리세션을 방어하고자, 혹은 보호무역주의에서 전략 산업을 육성하고자 각국은 재정을 많이 썼고, 이는 채무 급증으로 연결되었다.
지금 빚을 내면 이를 갚는 것은 미래 세대라서 필연적으로 재정건전화가 뒤따른다. 지금 유럽, 일본이 그걸 한다.
그런데 미국은 여기서 빚을 더 내겠다고 한다. 여유가 있으니까. 다른 나라처럼 고령화가 심하지도 않을 테고 기축 통화국이니까.
미국이니까 괜찮다는 것이다.
대선후보들의 공약이 현실화되면 장기에는 부정적이지만 단기에는 경기에 좋으니 확장 재정은 강행될 수 있다.
우리 전망의 시계에서 미국 우위 구도가 바뀔 이유는 없다. 사실 2025년 재정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민간 자생력 만으로 미국의 outperform은 설명된다.

계속 갈 수 있을까? 미래에는 브레이크를 잡아야 한다.
재정긴축보다는 인플레 유발을 통해 부채를 태우는 금융억압(financial repression)이 선택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커 보인다. 60~70년대처럼 말이다.
재정적자가 유지되는 가운데 중앙은행이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기에 이는 약한 형태의 fiscal dominance이다. 미국은 여기로 향하는 듯 보인다.

금리를 보는 입장에서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장기금리가 잘 안 떨어질까봐 고민이다.
펀더멘털 우위는 성장에 대한 pricing을 통해 장기금리를 지탱할 수 있다. 반면 부채를 지우는 금융억압은 인플레를 자극한다. 명목금리 하락에는 부담이다.
다른 나라는? 미국과 금리가 동조화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화가치가 절하될 소지가 있지 않을까?
내년에는 연준이 금리인하를 계속 해 줄 테니 이러한 걱정은 수면 아래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기 시계에서 짚어야 할 문제임에는 분명하다.

====================================================

Part I. 중장기 고민: Rethinking Fiscal Policy

Part II. 미국 – 민간 자생력이 강점

Part III. 유럽 – ECB가 나서야 할 때

Part IV. 일본/중국 – 내수 복원 vs 위험 방어

Part V. 한국 – 내수부진과 수출 모멘텀 약화

(요약본) https://tinyurl.com/ms4hkt4n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4 Oct, 22:46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0월 4주 환전소: 트럼프 맛보기_2024.10.25(금)

[리뷰] 트럼프 트레이드가 넘겨받은 강달러 바톤. 달러/원 1,380원대에 레벨 부담이 커짐

[프리뷰] 미국 대선 D-11. 매크로 지표보다는 차기 미국 대통령 베팅이 좌우할 한 주

[예상밴드] 달러/원 1,368~1,390원

(보고서) https://tinyurl.com/38jfdjmx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4 Oct, 06:18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0.24(목)

<한국 3Q GDP: 경기부진 반영한 전망 하향 조정>

- 3Q24 GDP +0.1% QoQ / 1.5% YoY로 컨센서스 (+0.5% QoQ) 크게 하회

- 2024~25년 한국 GDP전망 기존 2.4%, 2.0%에서 2.2%, 1.8%로 조정

- 2024~25년 한국 CPI전망 기존 2.4%, 2.2%에서 2.3%, 2.0%로 조정

- 2025년 말 기준금리 전망도 2.75%에서 2.50%으로 조정. 3Q25까지 인하 지속

(자료) https://tinyurl.com/48mkz2w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7 Oct, 22:55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0.18(금)

<10월 ECB: 계단 말고 엘리베이터>

- ECB는 당사와 시장의 예상대로 10월 회의에서 DFR을 25bp 인하

- 2% 물가 목표 달성 시점이 기존 예상한 것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거론됨

- 내년 3월까지 매 회의 때마다 인하하고, 내년 9월 DFR 2.0% 도달한다는 전망 유지

- 디스인플레가 더 빠르게 진행시 '25.6월까지 연쇄 인하 및 DFR 2% 하회 가능

(자료) https://tinyurl.com/2seb55zf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7 Oct, 22:36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0월 3주 환전소: 골이 깊더니 산이 높다_2024.10.18(금)

[리뷰] 끝나지 않은 강달러. 달러/원은 어느새 1,370원에 가까워져

[프리뷰] 국가별 3Q GDP 발표 시작. 다 함께 인하할 때는 경기 모멘텀이 중요해

[예상밴드] 달러/원 1,355~1,375원

(보고서) https://tinyurl.com/bdfs5wu6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0 Oct, 22:59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10월 2주 환전소: 고용으로 레벨업_2024.10.11(금)

[리뷰] 미국 9월 고용 서프라이즈로 급변한 시장 내러티브. 금리와 손 잡고 외환시장도 강달러 베팅 on

[프리뷰] ECB 25bp 인하 전망. 미국과의 경기체력 차이가 부각되면서 강달러 유지될 것

[예상밴드] 달러/원 1,335~1,363원

(보고서) https://tinyurl.com/b6snwrf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9 Oct, 22:46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0.10(목)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유럽 경제: 순환적, 구조적 요인의 공존

- 금리인하 사이클 이어지면 순환적 악재 완화되며 경기 회복될 수 있음

- 단, 제조업 경쟁력 약화, 노동생산성 부진, 인구구조 등이 회복 강도/장기 성장 제약할 것

- 재정/구조개혁 정책이 답이나 당장 사용하기 어려움. 결국 ECB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

- 24년 10월~25년 3월까지 연속 인하, ’25.9월 DFR 2.0% 도달할 때까지 내릴 것으로 예상

(자료) https://tinyurl.com/498jzz77

[경제분석 이승훈] 오늘의 차트: 소비하지 않고 저축하는 유럽

[자동차 김준성] 칼럼의 재해석: 자동차 산업, END-TO-END 혁신과 SW 전환 과제

(자료) https://tinyurl.com/ykv7jyc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6 Oct, 22:29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0.7(월)

<미국 9월 고용의 정책 함의: 계속 서두를 명분이 줄어들 연준>

- 9월 비농업 고용 +25.4만 명, 7~8월 실적 +7.2만 명. 7월은 +14.4만 명으로 수정

- 9월 실업률이 4.05%로 크게 하락; Sahm Rule 기준을 다시 하회

- 10월 고용 파열음 있어도 9~10만 명 내외 충격. 비농업 고용 10만 명 넘을 전망

- 연준은 11~12월 인하 이후 내년 분기 1회로 감속 예상. 실업률이 걱정했던 것보다는 안정적일 수 있음

(자료) https://tinyurl.com/mpj7rpk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1 Oct, 22:50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10.2(목)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방향은 알고 속도는 모를 때

- 매크로 패러다임이 변화할 때는 기존 경제 법칙이 잘 맞지 않아 → 유연한 정책 집행이 필수

- 경기/물가 방향에는 이견이 없는 채 인하 속도 기대만 변화 → 변동성 확대 & 박스권 지속

- 매크로 추세 변화 부재 시 외환시장 박스권 유지될 전망

(보고서) https://tinyurl.com/669cmz8c

[조선/기계 배기연] 칼럼의 재해석: 2024년 내로 구체화될 IMO 규제, 수취할 자금 잘 사용하는게 중요

(보고서) https://tinyurl.com/3emnbxem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1 Oct, 22:21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10.2(수)

<한국 9월 수출: 반도체가 peak-out 하고 나면?>

- 9월 수출이 한 자리 수 증가율(7.5%)로 둔화된 것은 조업일수 때문

- 반도체 peak-out 에도 불구하고 일평균 수출 12.9% 늘며 2개월 째 double digit

- 컴퓨터 및 부속품(SSD), 무선통신기기, 의약품/바이오/화장품 등이 고르게 일조

- 향후 미국 주도 제조업 개선(범용IT/산업재) + 자동차 등으로 회복 확산 예상

(자료) https://tinyurl.com/4zhzka8a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6 Sep, 22:43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9월 4주 환전소: 연준이 데려온 중국 부양책_2024.9.27(금)

[리뷰] 연준 금리 인하 + 중국 부양책 발표 = EM 호재. 주중 USD/CNH 7.0위안 하향돌파

[프리뷰] 또다시 돌아온 고용지표 발표 주간. 기대는 자극하겠으나 박스권 탈피는 추가 확신이 필요해

[예상밴드] 달러/원 1,300~1,335원

(보고서) https://tinyurl.com/yyudu8u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0 Sep, 08:08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BOJ 9월 Review: 예상한 동결_2024.9.20(금)

- BOJ 정책금리 0.25% 동결. 시장에서는 12월 혹은 1월 추가 인상 전망

- 동결 이유는 1) 대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 2) 당장의 엔저 대응 필요성 감소

- 기자회견은 완화적. 물가 상방 리스크 감소 및 정책 변화 고려할 ‘여지’ 언급돼

- BOJ의 점진적 인상으로 단기적으로는 달러인덱스 연동, 중장기 절상 전망

(보고서) https://tinyurl.com/3fd5tcc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9 Sep, 22:42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9월 3주 환전소: 조사모삼 인하_2024.9.20(금)

[리뷰] 연준 빅컷 현실화. 그러나 점진적 인하를 시사한 점도표에 달러인덱스 보합 움직임

[프리뷰] 점진적 인하 = 달러인덱스 상승 되돌림. 달러를 대체할 만한 통화 또한 부재

[예상밴드] 달러/원 1,315~1,348원

(보고서) https://tinyurl.com/5xxzvzju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8 Sep, 22:30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9.19(목)

<9월 FOMC: 뒤쳐지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의 Big cut>

- 당사와 시장의 예상과 달리 9월 FOMC에서 전격적인 50bp 인하 결정

- 인플레이션의 상방 위험은 줄고 노동시장 하방 위험 증가: 정책 recalibration

- 2024~25년 실업률 전망 4.4%: 노동시장 안정에 대한 연준의 강한 의지 시사

- 점진주의로 복귀 예상: 11~12월 추가 25bp, 2025년 중 추가 100bp 인하 전망

(자료) https://tinyurl.com/3k6wk6n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2 Sep, 22:55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9.13(금)

<9월 ECB: 물가안정 경로를 따라 점진적 인하>

- ECB는 당사와 시장의 예상대로 3대 정책금리를 25bp 인하

- 2025년 말에 물가목표 도달한다는 ECB 시각에 변화 없으나, 서비스 중심의 경직적 인플레는 우려. 현재 통화긴축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구간이나, 그 효과가 나타난다 하여 스탠스 바꿀 이유 없다며 공격적 인하 기대와는 거리를 둠

- ECB가 2025년 말까지 매 분기말 25bp씩 인하하는 것이 당사의 기본 시나리오

(자료) https://tinyurl.com/2s35nt4a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2 Sep, 22:51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9월 2주 환전소: 폭풍전야_2024.9.13(금)

[리뷰] 길 잃은 외환시장. 엔화는 밸류에이션 매력과 추가 인상 기대가 두드러져 절상

[프리뷰] 드디어 9월 FOMC. 다음날 BOJ까지 확인하고 대응해도 늦지 않아

[예상밴드] 달러/원 1,318~1,353원

(보고서) https://tinyurl.com/4mumc5tx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10 Sep, 23:28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9.11(수)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경기가 안 좋다고요? 미국이요?

- 미국은 낮은 저축률이 소비를 견고히 지탱, 노동시장 연착륙. 제조업은 추후 회복

- 유럽은 더딘 소비 회복, 중국은 민간 자생력 부재가 문제. 이들이 걱정할 지역

- 오히려 보수적이었던 당사 미국 전망을 상향 조정. 2024~25E GDP 2.6% & 1.7% 전망

(자료) https://tinyurl.com/2p3smsu4

[음식료/유통 RA 황홍진] 칼럼의 재해석: 설탕과의 전쟁 속 성장하는 저칼로리 감미료 시장

(자료) https://tinyurl.com/577bnryb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8 Sep, 22:49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9.9(월)

<미국 8월 고용: 좋은 것, 나쁜 것, 확실한 것>

- 7월 허리케인과 자동차 업계 retooling 영향에서 벗어나며 비농업 고용 +14.2만 명

- 안 좋은 해석은 1) 과거 숫자 하향조정, 2) Sahm Rule 충족, 3) 광의실업률 상승

- 확실한 것은 미국 노동시장이 급랭이 아닌 과열→정상화로 가고 있다는 점. 우리는 미국 노동시장 점진적 cooldown 예상. 점진적이면 구인/실업자 1배 하회도 문제X

- 9월 FOMC에서는 25bp cut + 연말까지 75bp cut (중위수) 제시를 예상

(자료) https://tinyurl.com/4ucfnsmh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4 Sep, 23:02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9.5(목)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통화정책 < 재정정책

- 재정 건전성에 따라 정부부채 체제 구분: 안전(Safe) vs. 위험(Risky)

- 팬데믹 이후 재정적자 증가 가속화  위험(Risky)한 체제 확립

- 금융시장 영향력은 통화정책 < 재정정책. 연준 인하 이후 추세적 약달러 가능성 낮아

(보고서) https://tinyurl.com/29u797hu

[투자전략/시황 RA 이상현] 오늘의 차트: 독일 DAX 지수 신고가 경신: 재보험 기업 강세

[조선/기계 배기연] 칼럼의 재해석: 기대되는 FuelEU Maritime, EU ETS와 더불어 친환경 전환 이끌어낼지

(보고서) https://tinyurl.com/ydcf4an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01 Sep, 22:37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9.2(월)

<한국 8월 수출: 미국과 Tech 빼면 없어요?>

- 8월 수출 11.4% 증가, 일평균 수출 13.7% (연초 이후 최고치)

-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주변기기 등 IT주도의 수출 신장세 지속

- 하반기 주요국 금리인하에 시차를 두고 향후 산업재 수요 개선 예상: 미국, EU

- 대중 수출은 내수 향방보다는 Tech cycle의 함수로 보는 것이 합리적

(자료) https://tinyurl.com/4bbvbja6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 Macro 이승훈/FX 박수연]

29 Aug, 23:01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8월 5주 환전소: 변동성 해치웠나?_2024.8.30(금)

[리뷰] 약달러는 그대로, 변동성만 줄어들어. 과도한 인하 기대 선반영에 대한 자기반성

[프리뷰] 다시 돌아온 경제지표 발표 주간. 9월 FOMC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는 변동성 장세

[예상밴드] 달러/원 1,320~1,348원

(보고서) https://tinyurl.com/ms4kkdp9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