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kisemicon Channel on Telegram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Korean)

한투증권 채민숙 Telegram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한투증권의 주식 전문가인 채민숙이 직접 운영하는 채널으로, 주로 반도체 관련 주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채민숙은 한투증권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라는 주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산업 중 하나로, 투자자들에게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채민숙은 이러한 반도체 시장의 동향과 주요 기업들의 분석을 통해 투자자들이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채민숙은 다양한 시장 조언과 전략을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자신의 투자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채널은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와 가치를 제공합니다. 채민숙의 전문적이고 신뢰할 만한 분석을 통해 투자자들은 보다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Telegram 채널을 통해 주식 시장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9 Feb, 22:1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10 2025)

● Daily News Clipping


TSMC, 승인된 OSAT으로 패키징되지 않는 한 중국 IC 기업에 14/16nm 칩 출하 중단 (Trendforce) < https://vo.la/sMuZAm >

미디어텍 CEO, AI ASIC 칩 부문 매출이 2026년부터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 (Digitimes) < https://vo.la/QAJdRt >

인텔 구조조정 지속. 2년간 23,000개의 일자리 감축 진행 (Trendforce) < https://vo.la/WARuJB >

디램 재고 문제가 지속되며 대만 메모리 업체들은 1월 부진에 직면 (Digitimes) < https://vo.la/rgOrNd >

OpenAI의 알트먼, 유럽을 대상으로 한 스타게이트와 유사한 프로그램 구상 (Reuters) < https://vo.la/WsrzGF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6 Feb, 22:0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퀄컴(QCOM US): 잠재된 다운사이드를 고려할 수밖에


● 실적은 가이던스 상단과 컨센서스를 상회
- F1Q25 실적은 매출액 116.7억달러(13.9% QoQ, 17.5% YoY), EPS 3.41달러(26.8% QoQ, 24.0% YoY)로 EPS 컨센서스 2.97달러를 15% 상회
- 매출과 EPS 모두 기 제시한 가이던스 상단 수준. 칩셋 부문(QCT) 매출액은 101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
- 이 중 핸드셋 매출은 76억달러로 전분기대비 24.2%, 전년동기대비 13.3% 성장.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매출액 102억달러~110억달러, EPS 2.70달러~2.90달러를 제시

● 계절성 요인 제거하면 실적 내용은 복붙
- 1분기는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을 출시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동사의 분기 실적이 높아짐
- 스마트폰 칩셋에 AI 등 추가되는 기능이 증가하면서 ASP가 상승하고, 삼성전자 내 점유율이 확대돼 출하량이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요소
- 그러나 이는 플래그십 출시 분기가 지난 뒤의 매출 감소를 상쇄할 만큼은 아님
- 결국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라는 계절성을 제외하면 추가적인 업사이드는 제한적일 것
- 중국 내 하이엔드 스마트폰 수요 확대 트렌드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며, 동사 실적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언급
- 다만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효과는 아직 초기이기 때문에 다음 분기에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 PC용 SoC 관련 2029년까지 윈도우PC 매출 40억달러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지만, 24년 실적이나 25년 가이던스는 미제공
- 이 역시 동사 실적의 업사이드를 계산하거나 기대하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일 것

● 성수기를 지나 다시 비수기 진입 예정
- 동사의 주력 사업은 스마트폰향 SoC판매이고, 신성장동력은 PC 및 오토모티브향 SoC 판매
- 그러나 스마트폰과 PC는 이미 성숙한 시장이며, 오토모티브는 시장 TAM 확장이 단기적으로 정체된 상태
- 아직까지는 스마트폰 계절성에 따른 분기별 실적의 증감만 있을 뿐, 신성장동력의 실적 기여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추정
- 스마트폰 계절적 비수기를 앞둔 상태에서 동사 주가의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것. 보수적 접근 추천


리포트: https://vo.la/ElqoFr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6 Feb, 21: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7 2025)

● Daily News Clipping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 (전자신문) < https://vo.la/zDEifm >

'HBM 검사 속도 5배 UP' SK하이닉스, 코비스와 신장비 적용 (전자신문) < https://vo.la/OJyLfN >

인텔과 AMD가 신규 노트북 프로세서 공개. 성능을 위한 실제 테스트는 2월 중순~하순에 미디어를 통해 리뷰될 것이며, 더 우수한 성능과 전력효율을 제공하는 기업이 노트북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 (Trendforce) < https://vo.la/iEoJfc >

애플, 1월부터 M5 양산 시작. TSMC N3P 공정을 활용. 패키징은 대만의 ASE, 미국의 Amkor, 중국의 JCET가 담당 (Trendforce) < https://vo.la/ynOwNz >

구글, 中 딥시크 겨냥 초경량 AI모델 공개했다 (파이낸셜뉴스) < https://vo.la/jbFOuc >

구글 "5년 내 양자컴퓨팅 앱 내놓을 것" (디지털타임스) < https://vo.la/AYvCLo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Feb, 22:3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5 2025)

● Daily News Clipping


퀄컴, 스마트폰 수요 강세에 힘입어 FY1Q25(CY4Q24) 분기 실적 매출 예상치 상회 (CNBC) < https://vo.la/AYuYWB >

ARM 예상치를 상회하는 분기 매출 실적 기록. 다만, 연간 매출/EPS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 (Reuters) < https://vo.la/VWigtf >

딥시크가 AI 훈련 비용을 절감한 가운데, 데이터센터 상호 현결의 핵심 구성 요소인 광 트랜시버가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수혜를 입을 것 (Trendforce) < https://vo.la/jbPeua >

딥시크, 화웨이의 Ascend 910C가 엔비디아 H100의 추론 성능의 60%에 도달했다 언급 (Trendforce) < https://vo.la/QakDXA >

DDR4 현물 가격은 CXMT의 대량 공급으로 인해 하락세. 소비자 수요 역시 약세인 상황. 낸드플래시의 경우, 공급업체의 감산 효과가 아직 시장에 반영되지 않고 있음 (Trendforce) < https://vo.la/NOVkqR >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은 2024년 22%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예상. 이러한 성장은 데이터센터와 엣지 컴퓨팅에서 AI 어플리케이션이 빠르게 채택되며 첨단 노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 (Digitimes) < https://vo.la/FNmqyI >

인피니언,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1Q25 전망 상향 조정. AI를 통해 도전 과제 해결 (Digitimes) < https://vo.la/xEMbWC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Feb, 21:2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Qualcomm FY1Q25 실적 요약

FY1Q25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116.7억달러 (+13.9% QoQ / +17.5% YoY)
[vs. 컨센서스 109.3억달러]

※ EBT: 44.3억달러 (+26.8% QoQ / +23.5% YoY)
[vs. 컨센서스 39.0억달러]

※ EPS: 3.41달러 (+26.8% QoQ / +24.0% YoY)
[vs. 컨센서스 2.97달러]


사업부별 실적
※ QCT: 100.8억달러 (+16.2% QoQ / +19.7% YoY)
[vs. 컨센서스 93.4억달러]

- Handsets: 75.7억달러 (+24.2% QoQ / +13.3% YoY)
[vs. 컨센서스 70.1억달러]

- Automotive: 9.6억달러 (+6.9% QoQ / +60.7% YoY)
[vs. 컨센서스 9.0억달러]

- IoT: 15.5억달러 (-8.0% QoQ / +36.1% YoY)
[vs. 컨센서스 13.9억달러]

※ QTL: 15.4억달러 (+0.9% QoQ / +5.1% YoY)
[vs. 컨센서스 15.5억달러]


FY2Q25 가이던스
※ 매출액: 102~110억달러 (vs. 컨센서스 103.5억달러)
- QCT: 89~95억달러 (vs. 컨센서스 89.2억달러)
- QTL: 12.5~14.5억달러 (vs. 컨센서스 14.0억달러)
※ EPS: 2.70~2.90달러 (vs. 컨센서스 2.69달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Feb, 07:4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AMD(AMD US): 애매합니다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 매출액 76.6억달러(12.3% QoQ, 24.2% YoY), EPS 1.09 달러(18.5% QoQ, 41.6% YoY)로 EPS는 컨센서스 1.09달러에 부합
- 매출총이익률은 3분기와 유사한 54.1%로 역시 컨센서스에 부합
- 데이터센터 매출은 38.6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9.1% 증가했지만, 컨센서스 41억달러에는 미치지 못했음
- 3분기 122%의 YoY 성장률과 비교해 성장률 기울기도 낮아진 모습. 25년 1분기 가이던스는 중간값 기준 매출액 71억달러와 매출총이익률 54.0% 제시

● 50억달러에서는 더 못 올라간 AI 매출
- 3분기 실적발표 당시 24년 연간 AI 매출액이 50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최종 50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힘
- 24년 AI 매출 관련, 연초 20억달러에서 7월 45억달러로, 10월에는 50억 달러 초과로 지속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으나 추가 상향이 없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시장 기대치를 하회한 것
- 고객사들이 AI 투자에 집중함에 따라 데이터센터 CPU 시장은 제한적으로 성장
- 동사의 데이터센터 CPU 점유율은 20년~21년 사이 크게 증가한 후 24% 수준에서 점유율 확장이 정체되고 있음
- AI 가속기 시장에서 GPU 매출을 늘려가며 엔비디아와 강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것이 실적과 주가 측면에서의 상승 요건인데, 이런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음
- AI 가속기 매출은 25년에도 성장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상반기보다는 MI350 시리즈가 본격 양산되는 25년 하반기 성장이 더 클 것이라고 밝힘

● 애매한 포지션, 보수적인 시각 유지
- 데이터센터 매출 비중이 전체의 50%로 증가했지만, 이는 데이터센터 부문의 성장에만 기인한다기보다는 PC와 임베디드, 게이밍 등 다른 부문의 매출이 줄어든 영향
-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로 시장 환경이 좋지 않고, AI 가속기 매출은 하반기까지 기다려야 할 것
- 단기적으로는 호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시점. AMD에 대해 보수적인 시각을 유지


본문: https://vo.la/vjIzUZ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Feb, 03:23


원문은 아래 참고 부탁 드립니다.

Q - Vivek Arya

Thank you, Lisa. And for my follow-up, I would love your perspective on the news from DeepSeek recently, right? And there are kind of two parts to that. One is, once you heard the news, do you think that should make us more confident or more conservative about the semiconductor opportunity going forward? Like is there something so disruptive in what they have done that reduces the overall market opportunity?

And then within that, have your views about GPU versus ASIC? How that share develops over the next few years? Have those evolved in any way at all? Thank you.

A - Lisa Su

Yeah, great. Thanks for the question, Vivek. Yeah, I think it’s been a pretty exciting first few weeks of the year. I think the DeepSeek announcements, Allen Institute, as well as some of the Stargate announcements, talk about just how much the rate and pace of innovation is happening in the AI world.

So specifically relative to DeepSeek, look, we think that innovation on the models and the algorithms is good for AI adoption. The fact that there are new ways to bring about training and inference capabilities with less infrastructure actually is a good thing because it allows us to continue to deploy AI compute in a broader application space and drive more adoption.

I think from our standpoint, we also very much like the fact that we’re big believers in open source. And from that standpoint, having open source models and looking at the rate and pace of adoption there is pretty amazing. That is how we expect things to go.

So to the overall question of how we should feel about it? I mean, we feel bullish about the overall cycle. Similarly, some of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s that were announced with OpenAI and Stargate, and the efforts to build massive infrastructure for next-generation AI, all indicate that AI is certainly on the very steep part of the curve. As a result, we should expect a lot more innovation.

And then on the ASIC point, let me address that because I think that is also a place where there’s a good amount of discussion. I have always been a believer that you need the right compute for the right workload. With AI, given the diversity of workloads—large models, media models, small models, training, inference—whether you’re talking about broad foundational models or very specific models, you’re going to need all types of compute. That includes CPUs, GPUs, ASICs, and FPGAs.

Relative to our $500 billion-plus TAM in the long term, we’ve always considered ASICs as a part of that market. But my belief is that, given how much change is still happening in AI algorithms, ASICs will remain a smaller part of that TAM because they are more workload-optimized for specific tasks. In contrast, GPUs will enable significant programmability and adjustments to all of these evolving algorithm changes.

When I look at the AMD portfolio, it really covers all of these areas—CPUs, GPUs—and we’re also involved in a number of ASIC conversations as well, as customers want a comprehensive compute partne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Feb, 03:22


금일 AMD 실적발표 Q&A에서도 흥미로운 내용이 있었습니다.

물론 AI가속기를 GPU형태로 제공하는 AMD CEO(Lisa Su)의 답변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Q. DeekSeek 발표 이후 반도체 시장 전망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보아야 하는지, 아니면 보수적으로 보아야 하는지? DeepSeek이 발표한 내용이 시장의 전체적인 성장을 줄일만큼 파괴적인(disruptive)한 기술이라고 보시는지?
A. (전략)...DeepSeek 관련, 모델과 알고리즘 혁신이 AI 도입을 촉진하는 데 매우 긍정적이라고 판단. 더 적은 인프라로 AI 훈련과 추론을 구현하는 새로운 방식이 등장하는 것은 오히려 좋은 일. (중략)...전체적인 AI 시장 흐름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Q. 향후 몇 년 간 GPU와 ASIC의 점유율 전망은? 이에 대한 견해가 이전과 달라진 부분이 있는지?
A. 우리가 예상하는 28년까지 AI 가속기 시장(TAM) 5,000억 달러 규모 중 ASIC은 항상 일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ASIC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음. 그러나 AI 알고리즘이 지속 변화하는 상황에서 ASIC은 여전히 시장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음. ASIC은 특정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반면, GPU는 높은 프로그래머빌리티(Programmability)를 제공하며, AI 알고리즘이 변화할 때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Feb, 03:10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13495_SF431CR7LRNSOW4UQE7MG&wpidx=4

영문판으로는 찾을 수가 없어 원문으로 올립니다.

대만 디지타임스 보도인데요, 글로벌 정치, 경제 불안 속에서도 TSMC CoWoS capa 계획은 큰 수정 없다는 내용입니다.

최근 일부 생산 조정 소식이 있었으나, 이는 H200 및 블랙웰 믹스에 따른 CoWoS-S 및 CoWoS-L 사이의 일정 조정이며, 전체적인 생산 계획에는 변동 없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CoWoS capa는 24년 월 평균 35ksls 수준에서 25년 말 75~80ksls까지 증가하며 28년에는 월 평균 150ksls로 확장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4 Feb, 22:52


[한투증권 조수헌] 테크윙(089030): 본업 회복 확인

● 4분기 실적 발표, 30% 이상 변동 공시
- 4분기 연결 잠정실적은 매출액 477억원(+2% QoQ, +16% YoY), 영업이익 42억원(-32% QoQ, +38% YoY)을 기록
- 재고자산 연말평가로 인한 4분기 재고자산평가충당금 설정으로 영업이익이 감소
- 2024년 연간 매출액은 1,855억원(+39% YoY), 영업이익 231억원(+631% YoY)을 기록
- 메모리 업황 회복에 메모리 핸들러향 매출액은 전년대비 31% 증가

● Cube Prober, 계획대로 진행 중
- 지난 1월 8일 고객사로부터 HBM 테스트 장비 Cube Prober에 대한 첫 PO를 수령했다고 밝혀
- 1분기 실적부터 Cube Probe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
- 현재 두번째 고객사와의 퀄 테스트는 다음주 진입 예정. 결과는 1달 내외로 소요될 것. 세번째 고객사와도 4월 퀄 테스트 진행 예정
- 3월에는 두번째 고객사, 5~6월에는 세번째 고객사까지 퀄 테스트를 마무리 짓고 PO를 받을 것으로 전망
- 2025년 연간 Cube Prober 판매대수는 135대로 기존 추정치를 유지

● 실적 성장은 지금부터. 긍정적인 의견 유지
- 당사는 Cube Prober가 2025년 메모리 3사에 모두 납품할 것으로 전망
- 적용제품으로 첫번째 고객사는 HBM3E 12단, 두번째와 세번째 고객사는 HBM4 제품으로 예상
- 상반기 실적에는 Cube Prober 납품 대수가 적지만,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전망
- 테크윙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

본문: https://vo.la/FSsyVp

★ 위 내용은 내부검수인의 결재가 완료된 것 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4 Feb, 22:1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5 2025)

● Daily News Clipping


AMD, 매출 및 순이익 예상치 상회. 다만,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예상치 하회 (CNBC) < https://vo.la/rPFWTu >

최태원·샘 올트먼, 전방위 AI 협력 논의…회동 소감은 “원더풀” (전자신문) < https://vo.la/FgnHbk >

삼성-소뱅-오픈AI '스타게이트' 논의 촉각…SK 등 재계에 전방위 협력 요청 (전자신문) < https://vo.la/ksfQKD >

딥시크가 증명한 ‘가성비 AI’…글로벌 업계 판도 바꿀까 (Techworld) < https://vo.la/fRTyFV >

로봇·양자컴 … 신사업 구상 밝힌 오픈AI (매일경제) < https://vo.la/YSDDLS >

Arm, 처음으로 칩렛 시스템 아키텍처 공개 사양 발표 (디일렉) < https://vo.la/UQNvja >

애플, 스마트폰 출하량 삼성 또 제쳐…2년 연속 세계 1위 (뉴시스) < https://vo.la/oddBnQ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4 Feb, 21:2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AMD 4Q24 실적 요약


4Q24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76.6억달러 (+12.3% QoQ / +24.2% YoY)
[vs. 컨센서스 75.4억달러]

※ GPM: 54.1% (+0.1%p QoQ / +3.1%p YoY)
[vs. 컨센서스 54.0%]

※ 영업이익: 20.3억달러 (+18.1% QoQ / +43.5% YoY)
[vs. 컨센서스 20.2억달러], OPM 26.5%

※ EPS: 1.09달러 (+18.5% QoQ / +41.6% YoY)
[vs. 컨센서스 1.09달러]


부문별 매출
※ Data Center: 38.6억달러 (+8.7% QoQ / +69.1% YoY)
[vs. 컨센서스 41.0억달러]

※ Client: 23.1억달러 (+23.0% QoQ / +58.3% YoY)
[vs. 컨센서스 19.9억달러]

※ Gaming: 5.6억달러 (+21.9% QoQ / -58.8% YoY)
[vs. 컨센서스 4.9억달러]

※ Embedded: 9.2억달러 (-0.4% QoQ / -12.7% YoY)
[vs. 컨센서스 9.6억달러]


1Q25 가이던스
※ 매출액: 71억달러±3억달러 (vs. 컨센서스 70.4억달러)
※ GPM: 54% (vs. 컨센서스 54.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Feb, 22:3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반도체 산업 Note: GPU와 HBM은 침몰하는가

● 딥시크 발표 이후 반도체주 주가 하락 지속
- 딥시크 모델이 빅테크들의 1/10 비용으로 동일 성능을 구현했다는 점이 엔비디아 GPU를 비롯한 반도체 하드웨어 수요를 줄일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음

● 메모리 활용도가 높아지면 사용량은 증가할 것
- 딥시크는 특히 AI 메모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아키텍처와 알고리즘을 제시했는데, 이 부분이 GPU와 이에 포함된 HBM 수요를 줄일 것이라는 우려를 증폭
- 그러나 딥시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려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메모리 자원으로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을 최적화하는 방향을 찾기 위함이었을 것
- 딥시크는 엔비디아 GPU 중 중국 수출이 허용된 H800, H20 등의 저가형 모델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 칩의 특징은 AI연산에 주로 사용되는 H100, H200 보다 메모리 용량과 밴드위스가 현저히 낮다는 점
- 메모리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가진 자원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은 것
- GPU의 연산 성능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반면, 메모리 접근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발전하는 ‘메모리 월(Memory Wall)’ 문제가 그 동안 AI 성능을 제한
- 메모리 비용을 투자한 만큼 메모리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다면 AI 고도화를 위한 메모리 사용량은 오히려 증가할 것

● 빠르게 변하는 AI 모델 대응을 위해 엔비디아 GPU가 유리
- ASIC은 특정 목적의 연산에 한정해 맞춤형으로 설계된 칩으로, 수행하는 연산의 내용이 변하지 않는다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하드웨어를 운영 가능
- 그러나 물리적으로 웨이퍼에 로직이 새겨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칩의 출시 이후 하드웨어 변경이 사실상 불가능
- 딥시크는 모델 구조 및 알고리즘 혁신으로 하드웨어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했는데, 이처럼 LLM의 표준, 형식, 그리고 알고리즘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는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춘 GPU가 ASIC보다 유리할 수 있음
- GPU는 모델이 바뀌더라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이를 지원할 수 있지만, ASIC은 하드웨어를 직접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모델이 크게 변화한다면 이를 지원하기 위한 칩을 다시 만들어야 함
- AI 연구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발전과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엔비디아 GPU가 범용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

● Top Picks: SK하이닉스, Nvidia
- 단기적으로 반도체 하드웨어 기업들에 대한 투자 심리 위축과 주가 하락은 불가피할 것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이슈도 부정적으로 작용. 그러나 우리는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전후로 투자 심리가 서서히 회복될 것이라고 판단하며, 반도체 섹터 내 탑픽은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로 유지
- 엔비디아 블랙웰 GPU 출시를 앞두고 HBM3e 12hi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으며, 현재 12hi 제품 공급이 가능한 곳은 SK하이닉스 뿐
- 기존 제품이 빠르게 도태되는 가운데 신제품을 가장 먼저 양산 공급함으로써 점유율과 함께 신제품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음
- AI 반도체 중에서는 GPU 우위가 계속될 것으로 판단해 엔비디아를 탑픽으로 유지
- ASIC의 성장성도 높지만, ASIC은 데이터센터 이외의 기업들은 채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용 가능한 TAM은 엔비디아보다 작을 수밖에 없음. 단기적인 주가 변동 구간이 지나면 AI 주도주가 가장 먼저 반응할 것으로 판단

본문: https://vo.la/vzbUXj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Feb, 21:5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4 2025)

● Daily News Clipping


TSMC, 미국에서 2nm 공정 도입할 것. 이와 별개로 대만 타이난에 1nm 팹을 건설할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qZONzd >

미국, 엔비디아의 싱가포르 매출 급증함에 따라 싱가포르를 통한 DeepSeek의 불법적 AI 칩 입수를 더욱 면밀히 조사 (Trendforce) < https://vo.la/BhyOpr >

중국의 통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HBM2의 시험 생산을 시작했다는 루머 보도 (Digitimes) < https://vo.la/BTFZge >

해외 파운드리사들, 첨단 패키징 투자 확 늘린다 (디일렉) < https://vo.la/DMqCBG >

딥시크 겨냥?, 샘 울트먼 “AI 전용 단말기‧반도체 직접 개발” (Techworld) < https://vo.la/izdNKa >

AWS, 딥시크-R1 모델 제공 시작…”생성형 AI 활용 확장 지원” (Techworld) < https://vo.la/MtLqIT >

딥시크에 한방 먹은 오픈AI, ‘딥 리서치’로 맞불… “실시간 웹 탐색 강화” (조선비즈) < https://vo.la/seUQss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Feb, 03:38


[한투 전략/시황 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3.0% 하락한 2,442p, 코스닥은 3.6% 내린 702p로 확인(12시 30분 기준)

- 설 연휴에 발생한 딥시크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트럼프 고관세 부과 현실화로 투자심리 경색

- 코스피 상장사 중 90% 이상 하락한 가운데 반도체, 2차전지, 가전, 자동차 등 수출주 급락

- 캐나다, 멕시코, 중국 관세 부과로 한국 기업 역시 고관세 리스크에 노출될 것이란 우려 심화

- 캐나다(LG엔솔, 포스코퓨처엠), 멕시코(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기아) 주재 기업 불안 확산

- 미국발 무역분쟁이 재개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1,470원 선까지 급등. 국내 수급 환경에 부정적

-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관세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 한국 관세 노출 전까지 불안심리 유지

- 대응 측면에서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산업에 집중할 것. 방어 성향이 강한 내수 업종이 대안

- 또한 캐나다 원유와 중국 관세율 제한에서 보듯이 미국에 필요한 산업은 저가 매수 가능할 것

- 기존 트럼프 수혜주로 볼 수 있는 조선, 방산, 원전, 전력, 바이오 등은 낙폭 확대 시 비중 확대

- 금일 코스피 낙폭은 커졌으나 2,400p 이하는 절대적 저평가 영역. 추후 방어가 시도될 수 있음

- 당사는 코스피 연간 하단으로 2,300p(12MF PER 8배, 12MT PBR 0.8배) 제시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Feb, 23:2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인텔(INTC US): 아직은 Deep Sick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
- 매출액 143억달러(7.6 % QoQ, -7.2% YoY), EPS 0.13달러(흑자전환 QoQ, -75.9% YoY)로 EPS 컨센서스 0.123달러를 5.7% 상회
- 매출총이익률은 42.1%로 역시 컨센서스 39.5%를 2.6%p 상회
- 25년 1분기 가이던스는 중간값 기준 매출액 122억달러, 매출총이익률 36%와 EPS 0.00달러를 제시했는데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수준

● 선택과 집중 전략 제시
-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25년 중 가장 낮을 것으로 언급했는데, 주 원인은 매출 감소라고 밝힘
- 계절적 비수기인데다 관세 이슈로 4분기 일부 매출이 앞당겨져 기저가 높아진 점도 1분기 매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언급
- 25년 주력 제품인 Lunar Lake 제품군은 TSMC 파운드리를 사용하고 메모리 통합 패키지를 적용해 원가가 높음. 연내 매출총이익률이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언급한 것은 이 때문
- IFS(인텔 파운드리 서비스)에서 EUV 웨이퍼 비중이 증가하고, IFS 생산인 Panther Lake가 26년 출시됨에 따라 25년 하반기로 갈수록 매출총이익률은 개선될 것이라 밝힘
- 새로운 IFS의 전략을 “미리 앞서 투자하지 않는다”로 제시, 24년에 이어 Capex 조정과 비핵심 부문 매각을 통해 현금 확보를 최우선 하겠다 언급
- Panther Lake부터 인텔 18A 공정을 적용하고, 2027년에는 IFS 자체적으로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목표 제시

● 굳이 급하게 살 필요는 없을 듯, 보수적 접근 추천
- “빠른 해결책”은 없으며, 신뢰도를 회복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언급
- 24년에 이어 25년에도 인텔은 비용 절감을 통해 투자를 위한 현금을 확보하고 재무 구조를 안정화하는 데 주력할 것
- 1분기를 기점으로 실적이 바닥을 지날 것으로 추정하지만, 단기간에 급격하게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 주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임을 고려해 보수적 접근을 추천


본문: https://vo.la/JnxEQb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Feb, 22: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삼성전자 4Q24 Review: 말잇못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
- 4분기 매출액은 75.8조원(-4.2% QoQ, 11.8% YoY), 영업이익은 6.5조원(-29.3% QoQ, 129.9% YoY)으로 컨센서스를 18.5% 하회
- 4분기 HBM3e 판매 확대로 인한 제품 믹스 효과로, 디램 ASP는 전분기대비 20% 초반 상승
- 그러나 HBM 판매 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매출이 전분기대비 1.9배 증가했음에도, 모바일과 PC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인해 전체 디램 bit growth는 전분기대비 10% 초반 하락

● 아직 첩첩산중
- 4분기 HBM 매출 전분기대비 1.9배 증가했다고 밝혔으나,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로 인해 1분기 HBM 매출이 다시 감소할 수 있음 언급
- 딥시크 충격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 반도체의 대중 수출 제재를 강화할 것으로 추정
- 중국으로의 HBM 판매 비중이 높고, 미국 고객 향 HBM 판매는 대부분 재설계 제품 출시 이후를 기약해야 하는 삼성전자에게 더 불리한 상황일 것
- 디램 blended ASP가 전분기대비 20% 초반 상승해 메모리는 4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지만, 수익성은 오히려 전분기대비 악화
- 1b nm, 1c nm 등 선단 공정으로의 전환 및 양산 ramp up 비용과 연구개발비 등이 증가하면서 매출 상승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
- 파운드리에서도 수율 개선과 연구 개발 목적의 추가 웨이퍼 투입이 계속되며 비용이 상승해, 조 단위의 적자는 1분기에도 이어질 전망

● 목표주가를 71,000원으로 8% 하향
- 목표주가를 71,000원(12MF BPS, 목표PBR 1.2배)으로 8% 하향하지만, 낮아진 주가 수준을 고려해 매수 의견 유지
-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와 파운드리 적자 영향으로 실적이 다시 한 번 낮아질 것
- 실적의 바닥을 지지한 이후 주가는 반등의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
- 다만 현재 주가는 12MF PBR 기준 0.9배 수준으로,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해 매수 의견 유지


본문: https://vo.la/Iqekjb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Feb, 22:0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3 2025)

● Daily News Clipping


삼성전자, HBM 공급량 2배 확대...'AI 반도체'에 사활 (Zdnet) < https://vo.la/fLityT >

캐나다·멕시코·中에 관세부과…트럼프, 무역전쟁 개시 (전자신문) < https://vo.la/GkBneo >

2025년까지 13개 어드밴스드 패키징 팹에서 Capa 대폭 확대 예정 (Trendforce) < https://vo.la/EDmRCa >

DeepSeek의 혁신에도 미국은 AI분야에서 앞으로도 계속 강세를 보일 것. 미국도 오픈소스 모델을 따라가는 기업이 나올 가능성이 높음. TSMC의 경우 대체 불가능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5년 내 크게 성장할 전망 (Digitimes) < https://vo.la/kpBBCo >

딥시크 충격 속 소프트뱅크·오픈AI '밀착 행보' 가속화 (Bloter) < https://vo.la/bHenjn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31 Jan, 09:19


<주성엔지니어링 4Q24 실적 리뷰>
* 매출액: 1,083억원(-26.4% QoQ, 10.2% YoY / 컨센 1.4% 상회)
* 영업이익: -20억원(적자전환% QoQ, 적자전환% YoY / 컨센 하회)
* OPM: -1.8% (-37.2%p QoQ, -22%p YoY / 컨센 하회)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3 Jan, 22:4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HPSP 4Q24 Preview: 50% 이상 이익률 지켜낼 예정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전망
- 4분기 실적은 매출액 646억원(30% QoQ, 112% YoY), 영업이익 330억원(26% QoQ, 172% YoY)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319억원에 부합할 전망
- 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매출. 영업이익률은 4분기와 연간 모두 51%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추정
- 대부분의 매출이 수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 상승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것
- 상대적으로 이익률이 높은 신규 고객사향 위주의 장비 판매도 이익률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 메모리와 로직의 매출 비중은 4:6 정도 수준으로 유지

● 신규 고객사향 매출 확대 진행 중
- 낸드 투자 축소로 국내 고객사 낸드향 장비 판매 비중은 줄었지만, 해외 디램 고객사향 매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
- 로직 대형 고객사 두 곳도 24년 상반기에는 주문을 큰 규모로 축소했으나, 3분기부터 다시 구매를 재개한 것으로 추정
- 고객사 다변화 및 신규 장비 인증은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중
- 이미 2nd tier 로직 고객사들을 다수 확보해 판매를 시작했는데, 기존 대형 고객사 대비 ASP가 높기 때문에 탑라인 성장은 물론 이익률 증가에도 긍정적
- 동사의 주력 고객사인 TSMC는 최근 실적발표에서 Capex 상향을 언급
- Capex 중 전공정 비중이 70%일 것으로 언급했기 때문에 25년 하반기 동사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음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1,000원 유지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1,000원(12MF EPS, 목표PER 30배)을 유지
- Capex 사이클이 본격적으로 도래하기 전이지만, 신규 고객사향 매출을 통해 기존 고객사들의 매출 공백을 충분히 메우고 있음
- 하반기로 갈수록 선단 고객들의 Capex 톤업과 그린필드 투자 재개의 수혜를 반영할 수 있을 것
- 고객사들의 투자가 선단 공정용 전환 투자에 집중되는 만큼 동사로의 직접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음. 매수 추천

본문: https://vo.la/gkhxOl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3 Jan, 22:4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유진테크 4Q24 Preview: 가장 편안한 디램 밸류체인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상회 전망
-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123억원(45% QoQ, 59% YoY), 영업이익 202억원(28% QoQ, 280% YoY)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10% 상회할 전망
- 해외 디램 고객사향 매출이 3분기부터 이어지면서 영업이익률이 상반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
- 2017년 인수 이후 계속해서 적자를 기록한 해외 자회사인 유지너스가 이번 분기 흑자 전환한 것도 영업이익률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

● 디램 투자 수혜주
- 고객사들의 그린필드 투자는 아직 재개되지 않았지만, 디램 선단 공정으로의 전환 투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모두 적극적으로 진행 중
- 특히 동사는 최근 장비 효율과 반도체 수율을 높이고, 고객사 Opex를 낮출 수 있는 “In-Situ” 장비 판매를 적극 확대 중
- 이는 장비를 클러스터화함으로써 여러 단계의 공정을 한 장비 안에서 처리해, 웨이퍼가 장비 밖으로 나가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식
- 웨이퍼가 한 장비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여러 장비를 거치는 기존의 “Ex-Situ” 방식 대비 웨이퍼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추가적인 클리닝 공정 등을 줄임으로써 수율 개선과 원가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음
- 클러스터 장비는 기존 장비 대비 ASP가 높기 때문에, 매출과 함께 이익 증가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 선단 공정으로 갈수록 In-Situ 장비에 대한 고객 선호도가 증가해, 앞으로도 동 장비의 적용 범위는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

● 목표주가를 63,000원으로 5% 상향
-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63,000원(12MF EPS, 목표PER 20배)으로 기존 대비 5% 상향
- 고객사들의 디램 선단 공정 위주의 투자 기조가 동사 실적에 지속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 - 주가는 역사적 밴드 하단인 PER 12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 밸류에이션 부담도 낮음. 전공정 커버리지 중 탑픽으로 추천

본문: https://vo.la/fHgDQT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3 Jan, 22:0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24 2025)

● Daily News Clipping


SK하이닉스, 'HBM4' 상용화 자신…16단도 내년 하반기 공급 예상 (Zdnet) < https://vo.la/QwHyzC >

마이크론, 2025년 1beta 공정 Capa를 계속 늘리면서 HBM3E의 전체 Capa를 증가시킬 예정. 또한 EUV 장비를 처음으로 이용하는 1gamma 공정은 2025년 타이중 팹에서 대량 생산에 들어갈 것 (Digitimes) < https://vo.la/bDzZLA >

"TSMC, 지진으로 웨이퍼 2만장 손상…버려야 할 듯" (Zdnet) < https://vo.la/ZNKmVK >

퀄컴, 갤럭시용 스냅드래곤8 엘리트 모바일 플랫폼 발표 (디일렉) < https://vo.la/rkKCmS >

중국 주요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AMEC, 나우라, ACM 리서치 세 곳에서 2024년 연간 재무 전망과 신규 장비 개발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표 (Trendforce) < https://vo.la/VLiqHv >

미국이 AI 성장을 주도하면서 향후 4년간 HPC 칩 수요 급증할 전망 (Digitimes) < https://vo.la/PFrJOW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3 Jan, 08:1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SK하이닉스 4Q24 Review: 우등생이 더 힘들다

●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 4분기 매출액은 19.8조원(12.5% QoQ, 74.8% YoY), 영업이익 8.1조원(15% QoQ, 2,235.8% YoY)으로 컨센서스 8조원에 부합
- 지난 3분기 이미 사상 최대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는데, 이를 한 분기 만에 다시 경신
- 디램 bit growth는 전분기대비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모바일, PC용 레거시 메모리 위주로 판매를 줄인 덕분에 ASP는 전분기대비 10% 상승

● 업황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 기조 유지
- 1분기 bit growth 가이던스를 전분기대비 디램은 10% 초반 하락, 낸드는 10% 후반 하락으로 제시
- 1분기는 전통적인 IT하드웨어 비수기인데다, HBM과 eSSD 등 AI 수요를 제외한 레거시 메모리 재고 조정이 상반기까지 이어지기 때문일 것
- 투자와 공급에 대해 계속해서 보수적인 톤을 유지한 점은 긍정적. HBM을 포함해 수요 가시성과 수익성이 높은 제품 외에는 제한적인 공급을 이어갈 것임을 강조
- M15X와 용인 클러스터를 위한 투자로 25년 Capex는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지만, 상당 부분 인프라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언급했기 때문에, 실제 생산 Capa 증가는 신중할 것임을 시사
- HBM4 12단은 연내 개발과 양산 준비를 완료해 고객 요청 시점에 맞춰 적기 공급할 것이라고 언급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유지, 섹터 내 탑픽으로 추천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70,000원(12MF BPS, 목표PBR 2배)을 유지
- 1분기 업황은 보수적으로 전망했지만, HBM 수요와 동사의 기술 리더십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음
- 가장 중요한 점은 HBM의 연간 계약으로 전사 매출액의 진폭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
- 1분기는 IT 하드웨어 계절적 비수기로 4분기 대비 감익이 불가피, 이로 인해 주가가 박스권에서 횡보할 수 있을 것. 그러나 2분기 이후부터는 증익 기대감과 HBM4 등 신제품 효과가 주가에 반영될 것으로 판단

본문: https://vo.la/XGfvhC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3 Jan, 01:44


SK하이닉스 4분기 컨퍼런스콜 요약자료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2 Jan, 22:52


4분기 매출액은 19.8조원(+12.5% QoQ, +74.8% YoY), 영업이익 8.1조원(+15.0% QoQ, +2,235.9% YoY)으로 컨센서스를 1% 상회했습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2 Jan, 22:49


SK하이닉스 4분기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2 Jan, 22:35


SK하이닉스 연간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2 Jan,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23 2025)

● Daily News Clipping


Trendforce, 낸드플래시 제조업체들은 수급 불균형 완화 및 가격 안정화를 위해 감산 재개할 것 (Trendforce) < https://vo.la/AMSnHO >

“TSMC, 지진으로 웨이퍼 1만∼2만장 손상 예상” (전자신문) < https://vo.la/YaycHK >

화웨이, '추론 특화' AI 칩 개발…엔비디아에 도전 (Zdnet) < https://vo.la/uCdPTG >

트럼프 "700조원 데이터센터 투자"... 韓 배제에도 간접 수혜 기대 (디일렉) < https://vo.la/HgbSGO >

중국 GPU 제조업체인 MetaX가 기업 구조조정을 완료하고 IPO 준비 중이라는 보도 (Digitimes) < https://vo.la/llTTZb >

애플, 中 스마트폰 3위로 추락…4분기 아이폰 판매량 최대폭 감소 (Bloter) < https://vo.la/XCWPXk >

서버 ODM 업체들,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기지 빠르게 개설 중. 텍사스가 최우선 선택지로 고려 (Digitimes) < https://vo.la/QCJDX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1 Jan, 22:1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주성엔지니어링 4Q24 Preview: 달리기 전, 숨 고르기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 예상
- 매출액 1,030억원(-30% QoQ, 5% YoY), 영업이익 144억원(-72% QoQ, -28% YoY)으로 컨센서스 297억원 52% 하회 예상
-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는 원인은 일회성 비용 반영 때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잔금 회수가 늦어진 태양광 장비 매출에 대한 충당금 설정, 신규 고객향 파일럿 장비 출하로 판관비가 늘었을 것으로 추정

● 드디어, 드디어 장비 출하
- TGV 장비와 해외 메모리사향 파일럿 장비는 1분기 초 출하 예정
- 실리콘 인터포저향 비메모리 장비 역시 출하를 위한 PO를 논의 중
- 글라스기판은 데이터센터들의 니즈가 상승함에 따라, 양산 시점이 점차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
- 23년 9월 인텔이 글라스기판 시제품을 공개했을 당시 양산 시점으로 29년을 언급, 지금은 빠르면 27년 양산 가능을 이야기
- 이 같은 타임라인을 고려할 때 글라스기판용 장비는 26년부터는 본격 양산 라인 구축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 동사 매출은 그간 응용 분야로는 디램, 고객사로는 국내와 중국 디램 고객사에 한정됐으나, 올해부터는 글라스기판, 실리콘 인터포저 등 응용처가 확대되는 동시에 고객사 역시 해외 고객사와 비메모리 고객사 등으로 확장될 전망

● 목표 주가 하향, 매수와 비중 확대 의견은 유지
- 25년 추정치 하향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47,000원(12MF EPS, 목표PER 20배)으로 10% 하향하지만 매수와 비중 확대 의견 유지
- 25년 추정치 하향은 장비 수주와 매출 인식 사이의 리드타임으로 인해 발생한 것, 글라스기판 TGV 증착용 신규 장비 및 해외 메모리사향 신규 장비는 1분기 초 예정대로 출하를 앞두고 있음
- 25년은 고객사 다변화와 장비 응용처 확대가 동시에 발생하는 원년. 영업이익률 역시 일회성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 1분기부터는 다시 회복할 전망
- 여전히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해 매수 추천

본문: https://vo.la/zYFrfK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1 Jan,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22 2025)

● Daily News Clipping


IDC, “2025년 반도체 시장, 16% 성장한 1124조원 예상” (디일렉) < https://vo.la/tPmNSr >

트럼프, 최대 5,000억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발표 (Reuters) < https://vo.la/dRnGJN >

초기 평과 결과, 21일 발생한 대만 지진으로 인한 웨이퍼 팹의 영향은 미미. 다만 TV 패널 공급 차질을 발생할 수 있음 (Trendforce) < https://vo.la/AjzyYJ >

美, 첨단 반도체 20% 생산?…“2030년까지 역부족” (전자신문) < https://vo.la/XozNpQ >

인텔 파운드리, RAMP-C 프로젝트에 신규 고객사 추가 (Techworld) < https://vo.la/rGWYiA >

ARM이 가격을 최대 300% 인상할 것으로 알려짐. 삼성은 ARM의 코어를 구매하기 때문에 주력 엑시노스 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Trendforce) < https://vo.la/ShipOh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0 Jan,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21 2025)

● Daily News Clipping


TSMC, 2,000억대만달러를 투자하여 2개의 신규 CoWoS 시설을 건설할 계획. 2026년 4월 완공될 예정이며, 해당 시점 직후 장비 설치가 시작될 것 (Trendforce) < https://vo.la/RzwZlZ >

옴디아, 2025년 CXMT의 웨이퍼 투입량이 2,370K에 달해 전년대비 54% 증가할 것으로 전망 (Digitimes) < https://vo.la/lfZojB >

TSMC "트럼프 2기에도 반도체 보조금 지원 확신" (Zdnet) < https://vo.la/BohUhL >

글로벌파운드리, 미국 첨단 패키징 센터 5.75억달러 투자 계획 발표 (Digitimes) < https://vo.la/UlSgGI >

샘 알트먼 “o3 미니, 2주 안에 챗GPT 탑재해 선보일 것” (Techworld) < https://vo.la/naISnN >

갤S25, 고가의 퀄컴칩 탑재에도 가격 동결…115만5000원부터 (머니투데이) < https://vo.la/MGbSHL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9 Jan, 22:0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20 2025)

● Daily News Clipping


TSMC, 삼성과 성장 격차 6배 벌린다··· 4가지 먹거리 근간 (디일렉) < https://vo.la/hKseEa >

"인텔 통으로 살까"검토 중인 돈 많은 회사 있다 (Zdnet) < https://vo.la/GWdlKF >

미국 상무부, 첨단 패키징 분야에서 리더십 강화를 위해 14억달러의 지원금을 확정했다고 발표 (Digitimes) < https://vo.la/zhMRtk >

전 세계 반도체 투자, 올해도 '첨단 패키징' 뜬다 (Zdnet) < https://vo.la/xxMgjJ >

미국, 인도를 AI 칩에 무제한 접근 가능한 18개국에서 제외. 인도-러시아 관계와 상대적으로 낙후된 기술 규제 프레임워크로 인해 제외된 것으로 추정 (Trendforce) < https://vo.la/ecETWr >

중국 상무부, 미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반덤핑 및 반보조금 조사 실시할 것 (Trendforce) < https://vo.la/JCPCnw >

하나마이크론, 투자회사·사업회사로 인적분할… “지주회사 체제 전환 위한 첫걸음” (디일렉) < https://vo.la/Buwnrt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7 Jan, 05:12


<TSMC and Nvidia confirm no order cuts; continue to thrive in AI boom>
- TSMC의 웨이 CEO, 엔비디아 CoWoS 패키징 Capa 수요 감소 우려를 일축

- 젠슨 황은 블랙웰 제조를 CoWoS-S에서 고급 공정인 CoWoS-L 공정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언급
- 2024년말 TSMC의 월간 CoWoS Capa는 S의 경우 20K 이상, L의 경우 10~15K로 구성됐었음
- 2025년에는 월간 CoWoS Capa 용량이 75K까지 증가하여 CoWoS-S와 CoWoS-L이 각각 35K에 근접하고 CoWoS-R도 10K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

관련 링크: https://vo.la/Hashwi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7 Jan, 05:06


[한투증권 조수헌] 테크윙(089030): 스토리는 시작되었다

● HBM 테스트 장비 Cube Prober 첫 양산 수주
- 테크윙은 삼성전자로부터 HBM 테스트 장비 Cube Prober 첫 양산을 수주했다고 1월 17일 밝혀
- 그동안 SK하이닉스, 마이크론과 계약을 했었지만 삼성전자는 이번이 처음
- 구체적인 금액과 수량은 장비 단가 등 정보 때문에 밝히지 않음
- 퀄 테스트 기간이 시장 예상보다 오래 걸렸지만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은 고무적
- 이번 고객사 퀄 테스트 통과 및 수주로 주가는 추세적인 상승이 가능할 전망

● 이번 양산 수주가 주는 시사점
- 이번 수주를 통해 두 가지 긍정적인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음
- 우선 기술력. 퀄 테스트 통과 예상 시기가 2달 넘게 지연 됐었지만, 가장 큰 지연 사유는 신규 장비인 만큼 테스트 과정이 복잡했기 때문
- 그만큼 기술적 진입 장벽이 높다는 것을 반증. 독점 구도는 1년 이상은 유지될 전망
- 신규 고객사 퀄 테스트 통과 가시성이 높아진 점도 긍정적
- 이번 수주를 바탕으로 나머지 국내 메모리사와의 퀄 테스트도 2월 초에 시작해 빠르면 3월 양산 수주를 받을 것. 핵심적인 부분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테스트 기간이 이전 대비 짧을 전망

● 2025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2025년 매출액 5,244억원(+173% YoY), 영업이익 1,549억원(+466% YoY)을 기록할 전망
- 연간 Cube Prober 판매대수는 기존 전망치인 135대를 유지
- 보수적인 수치인 만큼 향후 추가 상향 조정이 가능
- 현재 12개월 선행 PER 기준 15배 수준이며 밸류에이션 부담도 낮은 상황. 테크윙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

본문: https://alie.kr/CoJdLJ

★ 위 내용은 내부검수인의 결재가 완료된 것 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6 Jan, 22:0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17 2025)

● Daily News Clipping


TSMC, 기록적인 순이익을 기록. AI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1분기 매출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Reuters) < https://vo.la/YwnqRQ >

바이든 행정부, 14/16nm 칩 수출 통제 강화. 중국 Sophogo를 포함하여 블랙리스트를 중국 소재 25개 기업으로 확대 (Trendforce) < https://vo.la/ygswaB >

바이든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통제로 인해 엔비디아의 GPU를 구하기 어려워져, 수입이 쉽지 않은 나라의 ASIC 수요가 늘어날 수 있는 의견이 제기 (Digitimes) < https://vo.la/vvLpyW >

ASML 반도체 장비 수출 정부 허가받아야…中 반발 (Zdnet) < https://vo.la/SOqrqE >

GUC·인텔, 韓 AI 반도체 수주 경쟁 활발 (Zdnet) < https://vo.la/DSLdKZ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6 Jan, 06:23


[한투증권 문승환] TSMC 4Q24 실적 Quick Comment

4Q24 실적
※ 매출액: 269억달러 (4% 상회 vs 컨센서스 258억달러) +14% QoQ / +37% YoY
※ GPM: 59.0% (0.5%p 상회 vs 컨센서스 58.5%) +1.2%p QoQ / +7.4%p YoY
※ OPM 49.0% +1.5%p QoQ / +5.8%p YoY

공정별 매출 비중
※ 3nm: 26% (+6%p QoQ)
※ 5nm: 34% (+2%p QoQ)
※ 7nm: 14% (-3%p QoQ)
-7nm 이하 선단 공정 비중은 74%(+5%p QoQ)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매출액 성장률
※ HPC: 53% (+19% QoQ)
※ Smartphone: 35% (+17% QoQ)
※ IoT: 5% (-15% QoQ)
※ Automotive: 4% (+6% QoQ)
※ DCE: 1% (-6% QoQ)
※ Others: 2% (+2% QoQ)

지역별 매출
※ 북미: 75% (+4%p QoQ)
※ 중국: 9% (-2%p QoQ)
※ 아시아태평양: 9% (-1%p QoQ)
※ 일본: 4% (-1%p QoQ)
※ EMEA: 3% (+0%p QoQ)

1Q25 가이던스
※ 매출액 250~258억달러(중간값 4%% 상회 vs 컨센서스 244억달러)
※ GPM 57~59%(중간값 1%p 상회 vs 컨센서스 56.9%)
※ OPM 46.5~48.5%(중간값 0.9%p 상회 vs 컨센서스 46.6%)
※ 2025 연간 Capex 380~420억달러 (컨센서스 352억달러)

Comment: 모든 4Q24 실적지표와 1Q25 가이던스, 2025 연간 Capex까지 시장 기대치를 상회. 트럼프 취임 후 관세 정책과 중국 파운드리 할인 이슈 등 외부 불확실성은 존재하지만, 일단은 폭발적인 AI 수요로 이를 상쇄하는 모습인 것으로 판단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5 Jan, 22:0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16 2025)

● Daily News Clipping


EU, 바이든의 AI 칩 수출 규제를 전세계로 확대하는 것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하며 트럼프에게 수출 금지 철회를 촉구 (Digitimes) < https://vo.la/vPuDjX >

미국 AI 칩 금지 조치로 출시 전인 엔비디아의 RTX 5090 GPU에 대한 수요와 가격 급등 (Digitimes) < https://vo.la/onROoT >

美, 中 첨단 반도체 유입 더 옥죈다…삼성·TSMC 등 영향권 (Zdnet) < https://vo.la/qhiqnt >

퀄컴, 스마트폰·PC 이어 서버용 칩 재도전 (Zdnet) < https://vo.la/enQvTM >

TSMC는 AMD, 브로드컴, 엔비디아가 CoWoS-S 수요를 줄인다는 보도에 주문 감축 우려 직면 (Trendforce) < https://vo.la/fxUKwe >

美 SIA, 트럼프에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 확대해야" (아이뉴스 24) < https://vo.la/lexAUh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Jan, 22:5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CES 2025: AI is here

● 더 이상 가전 전시회라고 부르기 어려워진 CES
- 하드웨어보다 초연결, 다양한 산업과 브랜드의 융합을 부각
- On-device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 기술의 승자는 아직 확정되지 않음

● Nvidia Key note/ Analyst Q&A
- Test-time scaling: AI 추론 성능이 향상되며 하드웨어 리소스 요구는 지속 증가
- Physical AI: Generative AI에서 Agentic AI, Physical AI로 발전. 자율주행과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AI는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

● 자동차, 첨단 기술의 격전지
- 완성차가 아닌 기업들이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시 부스를 오픈
- 자동차는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재발견

● 로보틱스, 로봇의 ChatGPT 순간
- 자율주행 다음으로 언급되는 로보틱스. 휴머노이드를 비롯, 다양한 로봇들이 전시
- 로봇 생태계는 테슬라와 엔비디아로 양분되어 있음. 로봇 하드웨어 제작 기업들은 이 두 기업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

● 국내 NPU/IP Start-up
- AI칩 시장은 빅테크들이 점령, 그러나 IoT의 디지털화에서 국산 NPU의 미래를 찾을 수 있을 것
- DeepX, Mobilint, AiM Future

본문: https://vo.la/UZvLoB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Jan, 22:0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15 2025)

● Daily News Clipping

美, AI칩 수출 통제…中 "세계 무역 방해" 반발 (Zdnet) < https://vo.la/Vlyesg >

TSMC, 엔비디아 CoWoS 패키징 수요 감소에 대한 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장비 주문을 유지. 보도에 따르면, 2025년 주문량을 오히려 늘린 것으로 확인 (Digitimes) < https://vo.la/FosjYP >

美 마이크론 HBM3E 16단 양산 준비…차세대 HBM '韓 위협' (전자신문) < https://vo.la/WQrVDO >

애플의 A16 아이폰 프로세서, 애리조나에 있는 TSMC 4nm 노드에서 제조되는 첫번째 칩이 될 것. 현재 대량 생산 가능 여부에 대한 퀄테스트를 완료한 것으로 알려짐 (Trendforce) < https://vo.la/UHeVvE >

라피더스, 25년 6월까지 2nm 칩 시제품을 납품하기 위해 Broadcom으로부터 주문을 확보. 27년을 2nm 로직 반도체 양산을 위해서는 고객 확보, 약 4조엔 규모의 자본 조달, 양산 기술 개발이라는 3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함 (Digitimes) < https://vo.la/VUqJCT >

대만 디램 메모리 업체인 Nanya, 25년 2분기 이후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며 수요가 저점에 이르렀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Digitimes) < https://vo.la/KwgOKp >

애플 아이폰, AI 실망감·中 경쟁 심화에 출하량 감소 (Bloter) < https://vo.la/gfCrvE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Jan, 21:5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14 2025)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최대 고객사 최신 AI 서버랙 주문 지연 (Reuters) < https://vo.la/uHyIct >

SK하이닉스, 상반기 중 낸드 10% 감산...국내도 감산 대열 동참 (디일렉) < https://vo.la/oPbMIz >

팹 투자 앞당긴 日 키오시아, 삼성·SK와 첨단 낸드 전면전 선언 (Zdnet) < https://vo.la/HZsBqJ >

Trendforce, TSMC 선단 공정 및 CoWoS 확장 진행상황 정리 (Trendforce) < https://vo.la/cOfzyx >

대규모 파운드리사, 2025년 이후 캐파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이러한 추세는 선단 노드에서 가장 두드러질 것 (Trendforce) < https://vo.la/pMKUfs >

Trendforce, 바이든의 AI 칩 3-tier 수출 제한 조치 정리 (Trendforce) < https://vo.la/URsoFk >

MPI, WinWay, Keyston과 같은 대만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제공업체들은 AI와 HPC에 대한 수요 급증에 힘입어 2024년에 사상 최고 매출 달성 (Digitimes) < https://vo.la/eijaxj >

HPE, 일론 머스크의 X를 위한 10억달러 규모의 AI 서버 계약 체결 (Digitimes) < https://vo.la/HHREAl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2 Jan, 23:27


[한투증권 채민숙/박상현/황준태/홍예림]
IT H/W – 1월 대만 IT: AI 서버가 다했다

● 여전히 AI 서버만이 대만 벨류체인 실적을 견인
- 11월에 이어 12월에도 AI 서버 벨류체인과 그 외 기업들의 실적 차별화 이어짐
- AI 서버 벨류체인에 동참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실적은 상당 기간 차별화된 모습으로 나타날 전망

● 반도체: 멈출 줄 모르는 AI Server 성장
- 대만의 대표적인 SV 벨류체인인 Aspeed, Wiwynn, Nuvoton 3개사의 12월 합산매출액은 461억불로 전년동기대비 97.5% 성장
- 서버용 BMC칩을 생산하는 Aspeed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31% 성장해, 다시 세 자리 수% 성장세 회복
- AI 서버 벨류체인에 포함된 Quanta, Wistron, Inventec의 12월 매출액은 YoY 각각 49%, 41%, 66% 성장한 반면, SV 벨류체인에 속하지 못한 Compal은 YoY 7.9% 매출이 감소
- Wistron은 자회사인 Wiwynn이 AI 서버 수혜로 매출이 성장함과 동시에 Wistron 자체적으로도 Nvidia NVL72 모델의 서버 랙 조립을 시작함에 따라 매출이 증가
- 대만 기관사인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4년 대비 25년 전체 서버 출하량이 6% 성장하는 가운데 AI 서버 출하량은 29% 성장할 것으로 전망. 대만 서버 벨류체인들의 매출 성장세가 단기간에 그치지 않을 것
- 대만 메모리 모듈하우스인 A-DATA와 Phison의 12월 매출액은 YoY 각각 8.2%, 12.7% 감소해 4개월 연속 YoY 감소세. 채널을 중심으로 DDR4 등 레거시 메모리 재고가 쌓이면서 판매 수량 감소와 ASP 하락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
- ODM, 부품 등 벨류체인에서 AI와 서버를 제외한 일반 IT 하드웨어용 수요는 지속 약세가 예상되고, 재고 조정이 당분간 이어질 예정으로, AI 모멘텀 참여 여부에 따라 기업들의 실적이 차별화되는 양상은 상당 기간 이어질 전망

● 전기전자: 제 2의 황금기에 들어선 Foxconn
- Foxconn 12월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42.3% YoY 증가. 월매출액 기준으로는 역대 2번째로 높은 수준. 아이폰 성장 둔화와 데이터센터 내 AI 데이터 트래픽 급증 등이 맞물리면서 Cloud and Network 사업부 매출 비중이 지속 상승세
- 1월 내 Ramp-up이 시작될 GB200, 3월에 공개 예정인 GB300 등을 고려할 때 위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GPU/가속기 기판으로 사용되는 FC-BGA 공급사 Unimicron과 Kinsus 12월 매출액은 각각 13.8%, 20.2% YoY 증가
- CCL 공급사인 EMC, Union Tech, ITEQ 매출액도 48.8%, 40.8%, 13.1% YoY 증가했는데 이 또한 M7, M8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가 컸기 때문으로 분석
- 대조적으로 카메라 렌즈 제조사 GSEO, FPCB 제조사인 Career Technology, Flexium Interconnect 등 대부분의 스마트폰 벨류체인 기업은 역성장 이어감
- 다만, 한가지 눈에 띄는 포인트는 Flat YoY를 보인 Nanya PCB의 12월 매출액
- BGA 매출 비중이 큰 Nanya PCB는 지난 22년 12월 이후 지속적인 월매출 역성장 YoY를 보여왔는데 그 추세가 24개월만에 깨진 것
- 스마트폰 업황 및 패키지 기판 업황 분석에 있어 앞으로의 Nanya PCB 월매출액은 좋은 참고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

본문: https://vo.la/UtVeFA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2 Jan, 21:5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13 2025)

● Daily News Clipping

모바일 낸드 '新표준' 제정…삼성·SK, AI 스마트폰 공략 속도 (Zdnet) < https://vo.la/PtbzuZ >

엔비디아, 미국 수출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AI 성능을 29% 낮춘 중국 전용 RTX 5090 D 출시 (Trendforce) < https://vo.la/AFSEWn >

TSMC, 2024년 12월 매출이 2,781억대만달러로 기존 가이던스와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수치 기록 (Digitimes) < https://vo.la/TlDdXK >

TSMC는 25년 말까지 5/4nm , 3nm 팹의 Capa 풀가동할 것으로 전망.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의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 상존 (Digitimes) < https://vo.la/eHyEhZ >

엔비디아의 GB10 슈퍼칩 프로젝트 DIGITS, TSMC의 3nm 노드로 제작될 것이란 보도 (Trendforce) < https://vo.la/xqfONG >

TSMC 애리조나 팹 21은 이미 4nm 칩을 생산. 수율과 품질이 대만 팹과 동등하다는 보도 (Tom’s hardware) < https://vo.la/IuqZdJ >

Inventec, 2024년 12월에 노트북과 서버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일반적인 계절적 영향을 극복하고 사상 최대 월 매출 달성. 이는 최근 무역 관세 부과를 우려한 기업들의 주문이 급증한 것이 영향 (Digitimes) < https://vo.la/BDNmhQ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0 Jan, 05:32


TSMC 12월 매출: 278,163NTD mn
(+0.8 %MoM, +57.8 %YoY)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0 Jan, 03:41


K-Startup mobilint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9 Jan,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10 2025)

● Daily News Clipping

HBM 자신감 최태원 “SK 기술력, 엔비디아 요구보다 빠르다” (전자신문) < https://vo.la/BVEuKL >

美, 3개 그룹별로 AI칩 수출 통제…韓 예외 (Zdnet) < https://vo.la/FWdZFf >

SEMI 2025년에 18개(8인치 팹 3개, 12인치 팹 15개)의 새로운 반도체 팹이 건설될 것이라 전망 (Digitimes) < https://vo.la/SpPlJE >

중국 파운드리 업체, 수주 경쟁을 위해 가격 인하에 돌입. SMIC는 가격을 40%까지 대폭 인하했다는 보도가 있으며, 대만 파운드리에 상당한 가격 압박을 가할 가능성 있음 (Digitimes) < https://vo.la/ixtFaN >

라피더스, 2nm 칩 시험 생산 2025년 4월 시작할 예정. 향후 투자금 조달을 위해서는 성공 여부가 중요 (Trendforce) < https://vo.la/txEUqP >

2028년까지 전세계 로봇 LLM 시장, 1,000억달러를 돌파할 것. 엔비디아의 코스모스 플랫폼이 성장을 주도할 것 (Trendforce) < https://vo.la/dyDMvS >

퀄리타스반도체, 美 베리실리콘에 PCIe 6.0·CXL 3.0용 IP 공급 (Zdnet) < https://vo.la/fvtFtF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9 Jan, 20:32


WAYMO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9 Jan, 20:32


BOE의 차량용 폴더블 디스플레이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23:5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엔비디아(NVDA US): Analyst Q&A Session 후기

● Financial Analyst Q&A
- 엔비디아는 전일 Financial Analyst Q&A 세션을 진행
- 재미있었던 점은 애널리스트들의 질문은 엔비디아의 비전이 어떻게 실적 기반의 숫자로 환산되는지에 집중되었고, CEO인 젠슨 황은 이에 다소 실망한 듯 보였다는 것
- 그는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 그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General purpose computing”의 시대가 끝났기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

● AI Factory로서의 엔비디아
- 젠슨 황은 어떠한 기업이든지 앞으로는 기존의 본업, 그리고 이를 위한 AI 혁신 두 가지를 동시에 추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
- 그러나 기업이 이 두 가지 영역에서 동시에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 때문에 엔비디아는 ‘AI Factory’가 되어 AI 혁신 영역에서 기업들을 지원하겠다는 것
- 이 과정은 반도체칩의 생산 과정과 유사. 예를 들어 엔비디아는 칩을 설계하고 메모리 협력사로부터 HBM을 구매해 TSMC를 통해 최종적으로 GPU를 생산
- 웨이모도 비슷한 사례로 생각할 수 있음. 웨이모는 차량 자체를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
- 다양한 자동차 회사와 협력해 기반 차량을 공급받고, 엔비디아의 고성능 컴퓨팅과 AI 학습 환경을 통해 자사의 자율 주행 시스템을 고도화

● 생태계에 빨리 순응하는 기업이 승자
- 좋거나 싫거나 관계없이 AI 생태계는 이미 엔비디아 종속적
- 자율주행차든 로봇이든, 어떤 모양새로 만들어진 응용 제품이든 두뇌와 심장은 엔비디아 칩을 사용하고, AI 연산은 CUDA 기반의 엔비디아 소프트웨어 스택을 기반으로 설계되며, 데이터들은 엔비디아 GPU 중심의 데이터센터에서 처리
- 젠슨 황이 ASIC과 GPU의 대결 구도에 대한 질문에 늘 같은 답을 하는 것은 이것이 더 이상 개별 칩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
- 테슬라처럼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했거나, 할 수 있는 극소수의 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에게는 AI 영역에서 하루라도 빨리 엔비디아 생태계에 속하는 것이 생존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법이 될 수밖에 없을 것

리포트: https://vo.la/rVrFmZ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삼성전자 4Q24 Review: 바닥만 지켜준다면

● 4분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16% 하회
- 4분기 매출액 75조원(-5.2% QoQ, +10.7% YoY), 영업이익 6.5조원(-29.2% QoQ, +130.1% YoY)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 7.7조원을 16% 하회
- 당사 추정치인 매출 74.4조원 부합, 영업이익 7.3조원 대비 영업이익 11% 하회
- 부문별 영업이익은 DS 2.7조원(DRAM 4.6조, NAND 0.5조, 파운드리/LSI -2.4조), SDC 0.9조원, MX 2.2조원, CE 0.4조원, Harman 0.3조원으로 추정함
- 메모리는 컨벤셔널 디램, 낸드 수요 약세 및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3분기 실적발표 당시 제시한 bit growth 가이던스 하회 추정함
- 파운드리는 3분기에 이어 일회성 비용 발생한 것으로 추정. 여기에 가동률 하락 및 연구개발비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이 더해지며 적자폭 확대된 것으로 추정함

● 바닥 잡기 목적으로 접근 가능할 것
- 회사 자체적으로 단기간 내 주가 상승의 트리거를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나, 12M 선행 PBR 기준 0.9배의 주가 수준을 고려할 때 주가의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판단
- 파운드리 일회성 비용 등 재무적 악재 중 상당 부분은 기 반영됨. 일회성 비용은 최소 25년 상반기까지 추가적으로 발생하겠지만 그 영향도는 점차 줄어들 것. 현 시점에서 연간 실적 전망치의 하향 조정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함.
- 목표주가 77,000원(12MF BPS에 목표PBR 1.3배 적용) 및 매수 의견 유지

본문: https://vo.la/EvKqfH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9 2025)

● Daily News Clipping

SK하이닉스, CES서 HBM3E 16단 실물 공개...엔비디아와 협력 뽐내 (Zdnet) < https://vo.la/luNPCO >

마이크론, 싱가포르에서 HBM3E 제품을 위한 어드밴스드 패키징 시설 건설 시작 (Trendforce) < https://vo.la/kawapy >

젠슨 황 야심작 '엔비디아 코스모스', 산업용 로봇 확장 속도 높인다 (Bloter) < https://vo.la/fDGWuP >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유의미한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데 20년 소요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BiZfXx >

바이든 행정부, 엔비디아 및 AMD AI 칩 수출 제한 추가 추진 (Bloomberg) < https://vo.la/QqzBYp >

유럽과 일본 차량용 반도체 업체, 중국의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 정책에 맞춰 중국 파운드리사와의 파트너십 모색 (Trendforce) < https://vo.la/chzuCs >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가운데 2025년 엔비디아의 AI 서버 출시로 수요 낙관론 고조 (Digitimes) < https://vo.la/ZCmvul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21:32


NVIDIA, @Fontain Bleau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21:21


이동 중 편집했더니 자막이 날아가 버렸군요. LVCC Central SK 그룹관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21:17


SK Group, @LVCC Central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10:01


[한투증권 이동연] AI 에이전트 핵심 기업에 대한 생각

- 엔비디아 CEO 젠슨황은 CES 2025 기조연설에서 RTX50 시리즈와 Project Digits(개인용 AI 슈퍼컴퓨터) 등의 신제품을 공개. 또한 물리적 AI 개발 플랫폼(로봇, 자율주행에 적용)을 개발할 수 있는 코스모스 플랫폼도 소개. 젠슨황은 기조연설에서 신규 RTX 시리즈의 메모리 공급자가 마이크론이고, 블랙웰 생산이 풀 가동되고 있다는 주식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코멘트도 남김

- 단, 엔비디아 주가는 1월 7일에 -6.2% 급락. 장기적 관점에서 젠슨황이 의미 있는 코멘트(코스모스, AI 에이전트)를 다수 남겼지만, 단기 실적에 영향을 주는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이 주가에 반영됨. 또한, 기조연설 기대감을 주가가 선반영하며 올랐던 점도 조정의 이유라고 판단. 블랙웰 이후의 AI 칩 루빈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점도 센티먼트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

- 반면, 물리 AI 플랫폼과 함께 젠슨황이 강조한 AI 에이전트 관련 소프트웨어 종목 주가는 상대적으로 선방. 특히 액센츄어(+1.4%), SAP(+1.0%), 크라우드스트라이크(-1.8%) 주가는 나스닥(-1.9%) 대비 outperform

- 우리는 젠슨황이 AI 에이전트에 대해 언급한 점에 특히 주목. 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단에서의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 중요. 이런 상황에서 젠슨황이 AI 에이전트가 향후 수조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고 언급한 점이 고무적. 젠슨황의 발언처럼 AI 에이전트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혁신을 가져올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 엔비디아와 협력 관계가 형성된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보유한 상장사는 서비스나우, 어도비, 크라우드스트라이크, SAP, 케이던스, 시먼즈, 액센츄어, 오라클

- 이중에서 2025년에 AI 에이전트 관련 성과가 조금이나마 나타날 수 있는 기업은 서비스나우라고 판단. 젠슨황이 언급하지 않았지만 세일즈포스 또한 AI 에이전트 선두 업체. CRM이 AI 에이전트가 적용되는 첫 분야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세일즈포스에 대한 관심도 필요

*보고서: https://vo.la/xRFHaM
*텔레그램: https://t.me/chinaitev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Jan, 00:51


전자 CY4Q24 잠정실적

영업이익 6.5조
부문별 breakdown 한투추정치

DS 2.7조
DRAM 4.6조, NAND 0.5조 LSI/파운드리 -2.4조
SDC 0.9조
MX 2.2조
CE 0.4조
Harman 0.3조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7 Jan, 23:52


<삼성전자 CY4Q24 잠정실적>

매출액 75조원 (-5.2% QoQ, +10.7% YoY)
(한투추정치 74.4조 부합, 컨센 77.0조 3% 하회)

영업이익 6.5조원 (-29.2% QoQ, +130.1% YoY)
(한투추정치 7.3조 하회, 컨센 7.7조 16% 하회)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7 Jan, 23:37


삼성전자 4분기 잠정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7 Jan, 22:0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8 2025)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프로젝트 디지츠' 공개 (Zdnet) < https://vo.la/frcqHm >

엔비디아, ‘프로젝트 디지츠’를 위한 엔비디아 GB10 그레이스 블랙웰 프로세서 개발을 위해 미디어텍과 협력 (Trendforce) < https://vo.la/bnrPLg >

AMD 라이젠 AI 프로를 첫 탑재한 델의 기업용 PC 발표 (Techworld) < https://vo.la/jaEPaI >

인텔, 18A 노드를 활용한 팬서레이크 프로세서가 2025년 하반기에 출시될 것이라 발표 (Trendforce) < https://vo.la/DcxcUl >

미 국방부, 중국군 연계 기업 리스트에 CXMT 추가. 즉각적인 금지 조치는 없으나 향후 잠재적인 비즈니스 리스크 발생 (Trendforce) < https://vo.la/vpwNkK >

2025 日 반도체 부활은 가능한가. 한국, 일본과의 경쟁보다는 협력이 중요 (Techworld) < https://vo.la/RToCtb >

SKC, 데이터센터에 유리기판 적용한 모습 공개 (디일렉) < https://vo.la/UNNfmt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7 Jan, 21:59


가보로 남겨야겠습니다. 애널리스트 하기 잘했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7 Jan, 06:12


경영대 출신 문돌이가 소화할 시간을 주지 않고 너무 많은 것을 쏟아내버린 엔비디아 키노트였습니다.

신제품과 새로운 플랫폼을 끊임없이 언급했지만,
이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Digital Twin" 그리고 "Physical AI"인 것 같습니다.

어제 CES 주최 기관인 CTA가 준비한 사전 미디어 행사 중, 엔비디아가 “Digital Twin" 키워드 아래 분류된 이유가 흥미로울 것이라는 언급이 있었는데요, 오늘 그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Digital Twin이란 실제 세계의 사물 또는 환경 등을 가상으로 디지털 공간에 사실적으로 복제 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여러 문제를 수많은 시나리오를 가지고 다양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Digital Twin을 통해 학습한 AI는 Physical AI 시스템(자율주행, 로봇 등)으로 배포돼 AI 학습과 최적화를 돕습니다. 또한 Physical AI가 수집한 실제 환경의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Digital Twin을 학습,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구체적으로 언급된 RTX blackwell 시리즈와 이를 PC에 결합한 AI PC, GB200, Digital Twin을 위한 플랫폼인 Universe와 Cosmos, Robotics OS인 Thor와 Robotics Platform인 Issac GROOT까지 숨 돌릴 틈 없는 발표가 이어졌는데요. 이 부분은 별도 정리 후 CES 보고서 통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젠슨 황 CEO가 키노트 초반 RTX50 시리즈 발표 도중 GD7 메모리 파트너로 마이크론을 언급하면서 마이크론 주가가 시간외로 급등하고 있는데요. 메모리 경쟁 구도를 의식한, 다분히 의도적인 언급으로 보입니다.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GD7 메모리는 마이크론 뿐 아니라 디램 3사가 모두 공급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HBM3e 12hi는 여전히 1개 회사가 엔비디아의 sole source로 공급하고 있다는 점이 오히려 중요하겠습니다. GB200 NVL72 랙당 576개의 HBM 메모리가 사용된다는 언급도 있었습니다. (Blackwell GPU 1개당 8개의 HBM)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5 Jan, 22:0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6 2025)

● Daily News Clipping

[CES 2025] SK하이닉스,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 청사진 제시 (Techworld) < https://vo.la/jYwAbG >

마이크론, 새해에도 D램 설비투자 활발…삼성·SK '추격' (Zdnet) < https://vo.la/wyoxgP >

미디어텍, 차기 플래그십 SoC인 Dimensity 9500에 2nm 공정이 아닌 TSMC N3P 공정을 이용할 것 (Trendforce) < https://vo.la/pFjgzS >

중국의 Capa 확장이 2025년 제너릭 메모리 침체 전망의 주요 요인이 될 것 (Digitimes) < https://vo.la/RLeRdt >

반도체 장비도 '서비스 구독' (전자신문) < https://vo.la/KBMVHi >

폭스콘, AI 서버에 대한 강력한 수요로 4분기 역대 최고 매출 달성하며 예상치 상회 (Reuters) < https://vo.la/bjbbtc >

마이크로소프트, FY2025에 AI 데이터 센터 투자로 800억달러 집행할 계획 (Reuters) < https://vo.la/pgFYFx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Jan, 07:23


1/4~1/11일 CES2025 출장으로 자리를 비웁니다. 이메일, 전화 등 응답이 어려울 수 있으니 양해 바라며, 긴급 연락은 황준태 연구원에게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말 잘 보내십시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Jan, 22: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SK하이닉스 4Q24 Preview: 이 판을 바꿀 Changer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
-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0조원, 영업이익 8.3조원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 8조원을 3% 상회할 것
- 통상 연말에는 연간 계획 수량 달성을 위해 가격을 낮춰 수량 판매를 늘리는 "밀어내기” 관행이 있었음
- 그러나 24년 중 동사는 수량보다는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통한 수익성 위주 전략을 고수
- 4분기 HBM의 디램 내 매출 비중은 40%를 상회해, 회사가 제시한 가이던스에 부합할 것
- 구성원들의 PS 충당은 매 분기 진행해 왔지만, 사상 최대 실적 달성으로 인한 추가 PS 지급 가능성을 고려해 3천억 수준의 추가 충당금 가정

● HBM 대장주는 2025년에도 바뀌지 않을 것
- 동사의 HBM 시장 우위는 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추정
-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HBM의 주력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아직 본격적으로 진입하지 못함
- 마이크론이 SK하이닉스에 이어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고 있으나, SK하이닉스보다 Capa와 공급 수량이 작음
-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외 ASIC 고객향으로 HBM 판매를 확대해, 24년 20% 수준이었던 ASIC 고객 비중을 25년 30% 가까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전망
- HBM 매출 비중이 디램 내 4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공급사 중 동사의 실적 안정성이 가장 높을 것
- 시클리컬한 메모리 반도체의 산업 특성이 아예 달라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동사는 HBM 판매 확대를 통해 시클리컬의 진폭을 줄이고 있으며 매 분기 실적으로 이를 증명

● 매수의견 유지, 섹터 내 Top pick으로 추천
- 목표주가 270,000원(12MF BPS, 목표PBR 2배)과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섹터 내 Top pick 의견을 유지
- 24년 동사는 HBM 판매 목표를 초과 달성했고, 25년에도 두 배 가까운 공급 증가를 계획
- HBM 12단 신제품 출시로 인해 ASP도 상승할 것. 25년 판매 수량과 ASP는 이미 확정되었기 때문에, 과거 사이클과 달리 전체 매출의 30% 수준을 미리 확보한 셈
- 이 점이 동사 외 메모리 경쟁사들과의 차별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

본문: https://vo.la/BWFEaS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Jan, 21:5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3 2025)

● Daily News Clipping

마이크론, 버지니아에 반도체 제조 시설 확장에 21.7억달러를 투자할 계획 (Digitimes) < https://vo.la/vDUKQu >

TSMC, 2025년 CoWoS Capa 월 75K로 확대. 2024년 Capa 대비 2배로 늘릴 예정 (Trendforce) < https://vo.la/XoBbHr >

中 CXMT DDR5, 삼성전자 동급제품보다 40% 커..."4~5년 전 기술 수준" (글로벌이코노믹) < https://vo.la/QlDbRQ >

중국 파운드리 기업 화홍반도체, 인텔 전 글로벌 부사장을 신임 사장으로 임명 (Trendforce) < https://vo.la/KnJyvm >

에스티아이, EUV POD CLEANER 수주 (Techworld) < https://vo.la/ItIWeo >

中환리, 올해 삼성 갤Z플립7용 힌지 퍼스트벤더로 납품 (디일렉) < https://vo.la/DAsZpL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1 Jan, 22:0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Jan 2 2025)

● Daily News Clipping

삼성전자, 비보 플래그십 폰 'X200 프로'에 이미지센서 2종 공급 (Zdnet) < https://vo.la/CRNWGr >

엔비디아, 이스라엘 스타트업 런ai 인수 (Zdnet) < https://vo.la/LqcLUN >

TSMC, 2nm 파일럿 라인 구축 시작. 2026년 말까지 월 120K~130K에 도달할 것 (Trendforce) < https://vo.la/XucGUd >

Trendforce, 재고 증가와 계절적 수요 약세로 1Q25 낸드플래시 가격이 10% 이상 하락할 가능성 있음 (Trendforce) < https://vo.la/KQTZHq >

Digitimes, 2025년에도 AI 서버 시장은 계속 유망할 것으로 예상. GB200 서버가 2025년 출시가 주된 영향 (Digitimes) < https://vo.la/KVbwfb >

中, 전기차 반도체 자립 추진…美 규제 강화 영향 (Bloter) < https://vo.la/YpbPUf >

"새해 AI 수요 준비"…반도체 기판업계 라인 증설 속도 (Zdnet) < https://vo.la/mFensz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31 Dec, 04: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삼성전자 4Q24 Preview: 동상이몽은 그만할 때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 전망
- 4분기 추정치는 매출액 74.5조, 영업이익 7.3조원으로 컨센서스 매출액 77.9조, 영업이익 8.9조원을 각각 4%, 18% 하회할 것
- 모바일, PC 고객사를 중심으로 다시금 재고 조정이 시작돼 컨벤셔널 메모리 수요가 예상보다 낮은 것으로 추정
- HBM의 경우 N사 외 고객 판매로 전분기 대비 HBM 판매 수량은 70% 이상 증가하겠지만, 전체 디램 bit growth는 저조한 컨벤셔널 디램 수요로 인해 가이던스 하회할 것
- 파운드리 역시 가동률 회복 지연과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적자 지속할 전망

● 삼성을 위해서도 삼성의 공급 조절이 중요
- 24년에 이어 25년에도 IT 하드웨어 세트 수요는 YoY 한 자리 수 초중반%의 미약한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 메모리 반도체 측면에서는 24년과 마찬가지로 수량 기반의 성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에 맞춰 공급을 제한하고 ASP 하락을 방지하는 전략이 필수적일 것
-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Capa가 가장 큰 삼성전자의 공급 조절. 공급 과잉으로 인한 ASP 하락 위험은 HBM과 같은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보다 컨벤셔널 메모리에 더 악영향
- 컨벤셔널 메모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사 비즈니스 구조를 고려할 때 25년 공급 조절을 통한 수익성 위주 경영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일 것

● 목표주가는 하향, 매수 의견은 유지
- 실적 추정치 변경과 N사향 HBM 진입 시점 지연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83,000원(12MF BPS, 목표PBR 1.4배)에서 7% 하향한 77,000원(12M BPS, 목표PBR 1.3배)로 조정
- AI와 HBM 중심의 업사이클에서 소외된 것이 동사 주가 하락의 주 요인임을 고려할 때, 하반기 이후 N사 진입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이 같은 디스카운트 요인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
- 4분기 부진한 실적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주가가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 있으나 전 저점 부근에서 바닥을 지지할 수 있을 것

본문: https://vo.la/CADYEH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30 Dec,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31 2024)

● Daily News Clipping

Trendforce, 계절적 비수기와 IT 제품 수요 침체가 맞물리며 1Q25에 DRAM 가격 하방 압력 직면할 것 (Trendforce) < https://vo.la/YKOahA >

B200의 테스트를 담당하던 KYEC의 Capex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병목이 해소되면서 GB200 NVL 출하량이 늘어날 것 (Digitimes) < https://vo.la/nDUqMB >

내년 2나노 격전 발발…삼성전자, '첨단·레거시' 투 트랙 짠 이유는 (디지털데일리) < https://vo.la/KgTnxk >

중국 정부가 공무 시 AMD, Intel 등 미국산 칩을 사용하는 것을 차단한 이후 중국 칩 제조업체인 Phytium은 자사 프로세서가 1,000만개 이상 판매되었다고 주장 (Trendforce) < https://vo.la/aiOQuf >

올해 반도체 수출 1400억달러 돌파...산업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총력 지원” (전자신문) < https://vo.la/kSBkF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30 Dec, 08:09


다사다난했던 2024년 한 해 고생 많으셨습니다. 그리고 올 한 해도 정말 감사했습니다. 2025년에 뵙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Dec, 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30 2024)

● Daily News Clipping

삼성전자-TSMC, 25년 2나노 시대 개막…수율이 핵심 (Zdnet) < https://vo.la/CZjpvl >

日 '반도체 르네상스' 개막…TSMC 구마모토 팹 양산 돌입 (Zdnet) < https://vo.la/LtTquH >

2025년 출시 예정인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는 TSMC 3nm(N3P) 공정을 사용하여 생산될 예정 (Trendforce) < https://vo.la/KgawIn >

브로드컴 CEO, 테크 기업들의 AI 지출이 2029년까지 지속될 것이라 예상. 현재 고객들이 3~5년 단위 AI 인프라 투자를 집중적으로 계획하고 있다 언급 (Digitimes) < https://vo.la/ZclwAy >

CXMT는 EUV 장비에 접근이 불가능해 DDR5 수율이 10~20% 정도로 낮게 형성되어 있을 것이라는 의견 대두 (Digitimes) < https://vo.la/gjXxHp >

中 BOE, 8.6세대 OLED 라인…스마트폰도 대응토록 설계 (전자신문) < https://vo.la/TrDGGX >

넥스틴, SK하이닉스에 ‘아이리스II’ 본격 공급 (디일렉) < https://vo.la/NmmGAa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6 Dec, 21:5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27 2024)

● Daily News Clipping

2025 반도체 시장, 삼성·TSMC·인텔 3사의 2나노 경쟁 돌입 (Techworld) < https://vo.la/fOapTn >

낸드플래시 기업인 실리콘 모션, 마이크론과 유사하게 낸드와 디램 수요가 1, 2분기 동안 낮을 것이라 우려 (Trendforce) < https://vo.la/BlPAVo >

일본 경제산업성, 2025 회계연도 예산안에서 라피더스를 지원하기 위해 약 6.4억달러를 배정 (Digitimes) < https://vo.la/oHjiYM >

OMDIA, 북미 CSP사 모두 AI에 최적화된 서버를 찾는 가운데 폭스콘이 세계 최대 서버 공급업체가 될 것 (Digitimes) < https://vo.la/MGkzve >

중국 렌즈 제조 산업은 치열한 내부 경쟁이 나타나고 있음. 화웨이 자회사도 렌즈 가격 하락에 OPPO와 Vivo와 같은 스마트폰 브랜드에 렌즈 공급 중단 (Trendforce) < https://vo.la/zZLQcl >

600℃ 버티는 메모리…우주·양자컴용 반도체 개발 ‘속도’ (서울경제) < https://vo.la/HjVVEY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5 Dec, 22:1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26 2024)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대만에 해외본부 세운다…두번째 본사" (Zdnet) < https://vo.la/IeeGqA >

인텔, CES 2025에서 신규 애로우 레이크 구성을 공개할 예정. 18A 업데이트도 예상 (Trendforce) < https://vo.la/Ptfstv >

미디어텍, TSMC 4nm 공정을 이용한 Dimensity 8400 공개. 2025년 초에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나올 것 (Trendforce) < https://vo.la/dHUzks >

TEL, 2026년 3월 결산인 회계연도까지 AI 관련 반도체 장비의 매출 점유율을 현재 30% 수준에서 약 40% 수준으로 늘릴 것을 목표. 이는 중국 시장의 감소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SoXVNv >

中 "美도 보조금 주면서 중국 반도체 위협 과장" (Zdnet) < https://vo.la/hFHgDL >

GPU → ASIC 이어 LLM → SLM... '저비용 AI'가 대세 (디일렉) < https://vo.la/rRbMbx >

삼성, 첨단 패키징 공급망 재편 예고…'소부장 원점 재검토' (전자신문) < https://vo.la/XAKkce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3 Dec,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24 2024)

● Daily News Clipping

바이든 행정부, 중국 레거시 칩에 대한 무역 조사 착수. 조사 결과는 1월 트럼프에게 인계될 것 (Reuters) < https://vo.la/Ijtsud >

폭스콘, 엔비디아 GB300 점유율 1위 확보. 2025년 상반기에 엔비디아 GB300이 탑재된 신제품 출시 예정. GB200의 경우 GPU와 CPU를 제외한 약 80~90%의 부품을 공급 (Trendforce) < https://vo.la/BFcQzL >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TSMC는 대만과 해외에서 생산 Capa 확장을 가속화. 2nm 공정에서의 생산은 바오산 F20 팹과 난지 F22팹이 주도할 것 (Digitimes) < https://vo.la/nsOZtG >

마이크론, 2026년 HBM4 양산할 계획. 커스텀 HBM4E는 2027~2028년 출시 예정 (Trendforce) < https://vo.la/vpaoMg >

Nanya, AI 메모리 솔루션을 위해 DRAM 설계 회사인 PieceMakers에 66억대만달러를 투자. 표준 HBM 솔루션과 구별되는 고부가가치 저전력 메모리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 (Digitimes) < https://vo.la/RerlpK >

"美, 中 소프고 제재…화웨이 대신 TSMC 거래". 소프고는 화웨이 연관설 부인 (Zdnet) < https://vo.la/VJebcC >

美 상무장관 "中 반도체 수출 통제는 '과속방지턱'에 불과해" 효과적이지 못했다고 자평 (Zdnet) < https://vo.la/PovCMf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2 Dec, 22:1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23 2024)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중국이 입수한 AI 칩에 대한 미국의 경로 확인 요청에 따라 슈퍼마이크로에 조사 요청 (Trendforce) < https://vo.la/cbJKbO >

어드밴스드 패키징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TSMC는 FOPLP용 미니 생산 라인 개발하고 있으며 이르면 2026년에 구축 완료될 것 (Trendforce) < https://vo.la/URhTuU >

퀄컴-암 소송 무효 판결... 퀄컴의 '최후변론'에 배심원단 만장일치 (디일렉) < https://vo.la/GNBJzC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보조금 수령 윤곽...미국 투자 속도낼까 (Bloter) < https://vo.la/btYATf >

비(非) 엔비디아 고객사 뜬다…내년 HBM 시장 변화 예고 (Zdnet) < https://vo.la/WjiPlU >

TSMC CoWoS Capa는 2026년 월간 생산 목표를 135K로 낮추었으나, AI 칩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조만간 목표를 상향 조정할 수도 있음. 25년 CoWoS Capa 중 엔비디아는 60%를 확보 (Digitimes) < https://vo.la/wvhxKh >

"학습 데이터 부족" AI개발에 닥친 난관… 차세대 모델 개발 지연 (중앙일보) < https://vo.la/PRDkPr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9 Dec, 22:0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20 2024)

● Daily News Clipping

미 상무부, 엔비디아에 AI 칩 중국 유입 경로에 대한 조사를 요청 (Reuters) < https://vo.la/rblUuW >

中 CXMT 'DDR5' 개발 파급력은…전문가 "수율 80% 수준 가능". 최정동 테크인사이츠 박사, CXMT DDR5에 'G3' 공정 적용 예상 (Zdnet) < https://vo.la/qKhMHA >

마이크로소프트, 올해 엔비디아 Hopper의 최대 고객으로 약 50만대를 구매한 것으로 추산. 2위 고객 구매량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 (Trendforce) < https://vo.la/euRsUl >

퀄컴 "오라이온 CPU서 Arm IP 기여도는 1% 이하". Arm "라이선스 재계약 필요"...해지 통보 시한까지 2주 남아 (Zdnet) < https://vo.la/llGdUF >

라피더스, EUV 장비 다수 설치 시작. 회사는 1~2대로는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 언급 (Digitimes) < https://vo.la/kXXbxc >

美 제재서 빠진 中 반도체 장비사 AMEC… 첨단 장비 개발 속도 (조선비즈) < https://vo.la/kyYtcu >

한미-한화 정면 충돌…HBM 장비 소송전 발발 (전자신문) < https://vo.la/QgjXkS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9 Dec, 07:5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Bad is Good

● FY1Q25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
- 매출액 87.1억달러(+12.4% QoQ, +84.3% YoY)로 컨센서스에 부합
- EPS 1.79달러(+51.7% QoQ, 흑자전환 YoY)로 컨센서스 1.76달러를 1.7% 상회
- 다만 FY2Q25 가이던스는 시장 기대치 하회하는 수준으로 제시. 매출액 79억달러, EPS 1.43달러로 각각 컨센서스를 12%, 26% 하회

● CY2025에도 HBM은 성장을 지속
- CY2025 디램과 낸드의 수요 bit growth 10% 중반대 제시
- FY2Q25는 IT 하드웨어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과 모바일 고객사 중심의 재고 조정으로 수요 약세 전망. 그러나 25년 하반기부터 공급 제한 영향으로 업황 회복 기대
- CY2025 HBM TAM을 FY4Q24 때 제시한 200억달러에서 20% 상향한 300억달러로 상향 제시한 점 긍정적. 단, 이는 한투 추정치인 400억달러보다 25% 낮은 수준
- 채널 체크에 따르면 마이크론이 예상하는 수량 기준 CY2025 HBM TAM은 200억Gb. 한투 HBM 최신 모델에서 제시한 207억Gb와 유사
- 결국 금액 기준 TAM을 우리 추정치보다 보수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
- 그러나 짧은 기간 내 TAM을 상향 조정한 점을 고려했을 때, HBM 시장에 대해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HBM TAM은 2028년 640억달러, 2030년에는 1,000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라고 언급. 중장기로 HBM 성장 지속할 것

● 주가 하락 시 매수 추천
- 실적발표 후 주가는 시간외로 16% 하락
- 하지만 컨벤셔널 디램과 낸드 시장의 하락은 이미 알려진 악재
- 동사의 HBM 실적의 본격적 상승은 이제 시작. 계절적 비수기인 다음 분기가 지나면서부터 시황과 동사 실적이 상승세 되찾을 것으로 예상. 주가 하락 시 저점 매수 추천

본문: https://vo.la/catrRm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8 Dec, 22:0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19 2024)

● Daily News Clipping

마이크론, 핸드셋과 PC에 사용되는 메모리 칩 가격 약세로 예상치 하회하는 차분기 가이던스 제시 (Reuters) < https://vo.la/edVyFs >

SK하이닉스, AI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SSD ‘PS1012 U.2’ 개발 완료 (Techworld) < https://vo.la/WEvqmO >

바이든 행정부, 향후 몇 주 안에 중국 레거시 칩 생산을 대상으로 무역 조사 시작할 계획 (Trendforce) < https://vo.la/xQHTky >

日 반도체 키옥시아, 상장 첫날 10% 상승 (Zdnet) < https://vo.la/QOfEhf >

내년에도 기약 없는 낸드플래시 증설 투자… 日 키옥시아로 눈돌리는 韓 장비업계 (조선비즈) < https://vo.la/iQXQpM >

'같은 패키징, 다른 패널'…삼성 vs TSMC, FO-PLP 승부 (전자신문) < https://vo.la/JJTquN >

美, 대만 글로벌웨이퍼스 반도체 보조금 확정...삼성·SK는? (Zdnet) < https://vo.la/EAeiSj >

中, 첨단 D램도 양산… 삼성·하이닉스 턱밑 추격 (조선일보) < https://vo.la/LrWVts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8 Dec, 21:1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마이크론(MU US) FY1Q25 실적 요약

FY1Q25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 87.1억달러(vs. 컨센서스 87.1억달러) +12.4% QoQ / +84.3% YoY
※ GPM: +39.5%(vs. 컨센서스 39.5%) +3.0%p QoQ / +38.7%p YoY
※ 영업이익: 23.9억달러(vs. 컨센서스 23.4억달러) +37.2% QoQ / +흑자전환 YoY
※ EPS: 1.79달러(vs. 컨센서스 1.76달러) +51.7% QoQ / +흑자전환 YoY

DRAM/NAND 실적 관련
※ DRAM: 64억달러(vs. 컨센서스 61.0억달러)
※ NAND: 22억달러(vs. 컨센서스 25.3억달러)
※ DRAM bit shipment +low double digit% QoQ, ASP +high single digit% QoQ
※ NAND bit shipment -low single digit% QoQ, ASP -low single digit% QoQ

사업부별 매출
※ Compute and Networking: 44억달러(vs. 컨센서스 33.8억달러)
※ Mobile: 15억달러(vs. 컨센서스 19.5억달러)
※ Storage: 17억달러(vs. 컨센서스 17.9억달러)
※ Embedded: 11억달러(vs. 컨센서스 14.2억달러)

FY2Q25 가이던스 (Non-GAAP 기준)
※ 매출: 중간값 기준 79억달러(vs. 컨센서스 89.9억달러)
※ GPM: 중간값 기준 38.5%(vs. 컨센서스 41.3%)
※ EPS: 중간값 기준 1.43달러(vs. 컨센서스 1.92달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7 Dec, 22:0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18 2024)

● Daily News Clipping

SEMI “올해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 161조원…역대 최대 규모” (전자신문) < https://vo.la/DFkTtn >

"올해 반도체 시장 규모 900조원…메모리가 동력" (Zdnet) < https://vo.la/huQNmf >

미디어텍은 꾸준한 주문을 확보하며 2025년 성장 지속할 것. 5G 모뎀 칩이 애플 워치 공급망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으며, 이 칩이 구글의 차세대 스마트폰에도 탑재될 수 있다는 보도 (Digitimes) < https://vo.la/xyacxu >

GB200 서버 랙 공급망에 추가적인 최적화 필요. 25년 2분기에서 3분기 사이에 최대 출하량 달성 할 것 (Trendforce) < https://vo.la/dEMlSv >

독일 정부, TSMC 드레스덴 팹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을 공식 승인 (Digitimes) < https://vo.la/jrtaZH >

UMC, 퀄컴으로부터 어드밴스드 패키징 거래를 따내며 TSMC가 지배하던 시장에 침투 (Trnedforce) < https://vo.la/OpYYDL >

韓 스마트폰 시장 10.7% 역성장…“출고가 인상 부담 여파” (전자신문) < https://vo.la/qeCbl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6 Dec, 21:5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17 2024)

● Daily News Clipping

TSMC의 구마모토 팹은 2024년 내에 양산 시작할 예정. 소니와 Denso에 로직 반도체를 공급할 것 (Digitimes) < https://vo.la/tibKuN >

TSMC, 2nm급 노드 양산 2025년 하반기에 시작. 2nm 기술은 현재의 3nm 공정에 비해 최대 15% 빠른 성능, 최대 35% 높은 에너지 효율 제공, 트랜지스터 집적도 15% 향상 (Trendforce) < https://vo.la/aSTTKP >

포토레지스트 산업은 주로 일본과 미국 기업이 핵심 기술을 보유. 단, 중국의 포토레지스트 산업도 빠르게 성장 (Trendforce) < https://vo.la/gdRXLX >

美, 中 첨단 반도체 전·후공정 옥죈다…"韓, 수출 요건 면밀히 봐야" (Zdnet) < https://vo.la/AuYMeM >

SK하이닉스, HBM 공급부족에 정예인력 청주 신공장에 전진배치. HBM 핵심 인력 배치, M15X 공장 셋업 본격화 (조선비즈) < https://vo.la/eaaRuO >

딥엑스, 2025 CES 참가… “AI 반도체 양산 검증 성과 선보일 것” (디일렉) < https://vo.la/OiGXrS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5 Dec, 22:1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16 2024)

● Daily News Clipping

TSMC, 대만 전역에서 CoWoS Capa 확대, 2026년까지 약 3배 증가 예상 (Trendforce) < https://vo.la/IPAKmt >

미국, 올해 말까지 싱가포르/말레이시아/중동과 같은 제3국을 이용한 중국의 AI 칩 확보를 막기 위한 신규 조치 도입할 것 (Trendforce) < https://vo.la/CfjRmP >

미국, 주요 CSP가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의 AI 칩 접근에 대한 게이트키퍼 역할 부여할 것 (Reuters) < https://vo.la/apShel >

브로드컴, 인텔/AMD에 이어 반도체 유리기판 도입 추진 (전자신문) < https://vo.la/pBwcdC >

인텔 임시 CEO "파운드리 사업 분사 여부 미정", "내년 가동될 '인텔 18A' 공정 성공 여부가 관건" (Zdnet) < https://vo.la/TbOUQY >

구글, Gemini 2.0과 차세대 TPU Trillium 공개. 본격적인 AI 에이전트 시대 개막 (Digitimes) < https://vo.la/epITXO >

일본 기업 Nidec, NVL72 냉각 효율성 향상을 위해 서버용 냉각수 분배 장치(CDU)에 대해 Supermicro와 협력한다고 발표 (Digitimes) < https://vo.la/DRXEwX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2 Dec, 22:15


[한투증권 조수헌] 테크윙(089030): 내 스토리는 이제 시작

●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전문업체
- 테크윙은 반도체 칩을 정렬하고 검사장비로 이동시키는 핸들러 검사장비 제조업체
- 글로벌 메모리 핸들러 시장 내 점유율 70%의 1위 기업이며, 비메모리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부문 5%의 점유율 차지
- 부품 매출은 전체 매출에서 45%로 COK (Change over kit) 비중이 부품 매출에서 70%를 차지하며 향후 공정 전환에 따른 교체 수요 증가로 실적 개선 기대

● 투자포인트 1: HBM 테스트 장비 Cube Prober
- HBM 테스터 Cube Prober 장비를 개발해 고객사 퀄 테스트 진행 중
- 이외 메모리 2개사와의 퀄 테스트도 준비중이며, 각각 25년 1월, 4월로 예정

● 투자포인트 2: 다이 레벨 테스트 장비 DLP
- 비메모리 테스트 장비로 패키징 이전 칩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DLP 장비 개발 중
- 테스트 대상의 칩 크기가 비교적 크기에 기술적 측면에서 Cube Porber 대비 낮은 것으로 파악돼 개발 시기가 크게 지연될 가능성은 낮을 것
- 연내 개발 완료를 목표로 현재 주요 글로벌 비메모리 고객사의 호응이 상당히 좋은 편으로, 25년 하반기부터 매출에 기여할 전망

● 실적 전망: 2024년보다 2025년에 주목
- 24년 연간 매출액은 1,919억원(+44% YoY), 영업이익 274억원(+766% YoY)을 기록할 전망
- 메모리 업황 회복 및 공정 전환에 따른 부품 교체 수요 증가가 실적 성장을 이끌 것
- Cube Prober가 메모리 3사 모두 퀄을 통과하면 25년 장비 수요는 135대 수준일 것으로 추정
- 이에 따르면 25년 연간 매출액은 5,244억원(+173% YoY), 영업이익 1,549억원(+466% YoY)을 달성할 전망이며, 특히 OPM의 경우 29.5%로 2024년대비 15.2%p 상승할 전망
- 후공정 장비 업체들의 평균 PER은 20배 이상이라는 점에서 테크윙에 대한 긍정적 의견 제시

본문: https://vo.la/hJvuMb

★ 위 내용은 내부검수인의 결재가 완료된 것 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2 Dec, 22:1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13 2024)

● Daily News Clipping

브로드컴 AI 칩 수요 강세로 예상치를 상회하는 가이던스 제시 (Reuters) < https://vo.la/wtKtSI >

HBM 제외한 범용 메모리 부진으로 반도체 소재 업체 매각 및 폐업 위기 (전자신문) < https://vo.la/JlPJrd >

미디어텍, 프리미엄 시장으로 진격… “차세대 애플워치 통신 칩 납품” (조선비즈) < https://vo.la/YEgNbG >

화웨이 최신 폰 뜯어봤더니...구식 7나노 칩 탑재. "5나노로 진보하리란 기대 엇나가…TSMC·삼성전자와 격차 벌어져" (Zdnet) < https://vo.la/xhMMBv >

애플, 브로드컴과 협력해 TSMC의 N3P 공정을 사용한 AI 칩 개발 보도 (Trendforce) < https://vo.la/BOOUNJ >

마벨, 삼성과 SK하이닉스, 마이크론과 협력하여 XPU가 더 높은 성능 및 집적도를 달성 가능케하는 커스텀 HBM 아키텍쳐 개발 (Trendforce) < https://vo.la/EEIaFR >

라피더스, 2025년 4월에 2nm 칩 생산 시작할 것. 생산을 위한 장비 설치는 3월까지 마무리될 것이며 양산 목표는 2027년 (Digitimes) < https://vo.la/laTWrx >

AI 사업화 속도내는 애플…아이폰 시리 챗GPT 품고 AI칩 자체 개발 추진 (디지털타임스) < https://vo.la/CZOTIy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1 Dec, 22:1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12 2024)

● Daily News Clipping


SK하이닉스, 'AI 반도체 패키징' 신사업 추진 (전자신문) < https://vo.la/hdnEhV >

구글, 최신 양자 칩인 Willow를 발표. 더 많은 큐비트를 이용함에 따라 기하급수적인 오류 감소 가능 (Digitimes) < https://vo.la/HeCTVt >

애플, 자체 AI 칩 개발하나…"브로드컴과 협력" (Bloter) < https://vo.la/XLasso >

중국, 엔비디아에 대한 반독점 조사 개시. 50억달러가 넘는 벌금 부과 받을 수 있음 (Trendforce) < https://vo.la/RORkzR >

램리서치, 반도체 업계 최초 팹 유지 보수 협동로봇 도입 (Techworld) < https://vo.la/ZerLmJ >

구글, AI 모델 '제미나이 2.0' 출시…“AI 에이전트 최적화” (전자신문) < https://vo.la/UObny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0 Dec, 05:58


TSMC 11월 매출 +34% YoY, -12% MoM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9 Dec, 22:06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02582?sid=101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8 Dec, 21:26


미국이 중국에 대한 24개의 칩 제조 장비 수출을 제한하는 새로운 조치를 도입하고 140개의 칩 관련 국내 기관을 미국 무역 블랙리스트에 추가한 후 중국의 반도체 개발이 더 큰 역풍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이 여러 희토류 광물의 미국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한 후, 중국은 화학 물질 수출을 억제하고 특정 미국 기업에 대한 안전 검토를 실시해 보복 조치를 강화할 수도 있다고 분석가들이 경고했다.

베이징에 있는 공공정책 컨설팅회사 안바운드의 천리 애널리스트는 "최근 미국의 통제로 중국의 반도체 개발은 확실히 위축될 것"이라며 "이는 단기적인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공급 부족이 3~5년 내에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 장비의 35%만이 국내에서 생산되지만, 내년에는 50%에 도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최근 미국의 통제는 에칭, 웨이퍼 세정, 이온 주입, 검사 및 계측을 위한 24가지 유형의 장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중국이 여전히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분야다. 인공지능(AI) 칩의 필수 구성 요소인 고대역폭 메모리도 미국의 수출통제 타깃이 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947468?sid=104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Dec, 22:1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4 2024)

● Daily News Clipping


미국의 중국 수출 대규모 규제, 영향을 받는 기업의 수는 당초 예상했던 200개에서 140개로 줄었으나, HBM 메모리가 이번 조치의 주요 타깃으로 지정 (Digitimes) < https://vo.la/uPXJuh >

TSMC, 7nm 이하 미국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계약 검토를 맡을 미국 법률 전문가 영업 (Trendforce) < https://vo.la/cZxGLB >

인텔, 팻 겔싱어 전격 사임. 진스너와 홀타우스 공동 CEO 임명 (Techworld) < https://vo.la/JpJayD >

중국 OSAT 업체, AI 어플리케이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자국 반도체 자급자족을 위한 어드밴스드 패키징 Capa 확장을 강화 (Digitimes) < https://vo.la/YHsWxG >

HBM 中 수출길 막힌다…韓 반도체 타격 (전자신문) < https://vo.la/aUURAF >

갤럭시 S24, 프랑스서 베스트셀러…'올림픽·언팩' 덕 봤나 (머니투데이) < https://vo.la/yRkaNt >

中, 갈륨 등 반도체 원자재 美 수출 금지 (Zdnet) < https://vo.la/iiGNwI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Dec, 14:49


...?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3 Dec, 14:49


https://naver.me/FA2oMQLa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Dec, 21:5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3 2024)

● Daily News Clipping


일론머스크, 10.8억달러로 1월 엔비디아 GB200 우선 공급 확보 (Digitimes) < https://vo.la/FOVUTe >

TSMC CoWoS 기술 발전을 지속하며 2027년 9x 레티클 크기에 돌입. 이는 HBM4 12단 제품을 수용할 것 (Digitimes) < https://vo.la/mgbSyO >

엔비디아의 자동차용 칩, 2025년 폭발적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TSMC와 미디어텍의 수혜로 이어질 것 (Trendforce) < https://vo.la/IMgNtE >

트럼프의 멕시코 수입품 관세 부과에 따라 Foxconn, Quanta와 같은 주요 대만 서버 ODM 미국 투자를 늘리려 함 (Trendforce) < https://vo.la/UIlTQD >

“美, 반도체 장비 대중 수출 제한 강화…HBM 포함” (전자신문) < https://vo.la/RtElrL >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후 2년...국산화율 높이며 공급망 확대 (Techworld) < https://vo.la/xyNpKZ >

리벨리온-사피온 합병법인 공식 출범 (디일렉) < https://vo.la/GFEQox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2 Dec, 15:34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04795?sid=104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1 Dec, 22:0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Dec 2 2024)

● Daily News Clipping


낸드 불황 심각...삼성전자·키옥시아 감산 전망 (Zdnet) < https://vo.la/DACLfL >

반도체 세액공제 '3년' 늘린다지만…"美·日 등은 최대 10년" (Zdnet) < https://vo.la/lXFGjA >

인텔이 독일 공장 건설 프로젝트 연기한 가운데, 독일 정부는 반도체 관련 약 20억 유로 규모의 신규 투자를 추진 (Trendforce) < https://vo.la/xnEDiq >

일본 정부,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1.6조엔 규모의 예산안을 준비 중이며, 이를 통해 라피더스 자금 지원할 예정. 라피더스는 이 중 0.8조엔을 배정받을 것 (Digitimes) < https://vo.la/XcRWMC >

TSMC, 미 상무부의 정보에 따르면 이르면 2028년에 2nm 칩 미국에서 생산 시작할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QlsFzc >

퀄컴, 인텔과의 거래를 추진하지 않을 가능성 높음 (Digitimes) < https://vo.la/QRurnE >

아이에스시, 코스닥 반도체 소부장 기업 최초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Techworld) < https://vo.la/EhyHPz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Nov, 03:19


https://www.ctee.com.tw/news/20241129700080-430501

대만 공상시보에서 키옥시아 감산 가능성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최근 좋지 않은 낸드 업황을 감안한 조치인 것 같은데요. IPO를 앞두고 키옥시아가 공급을 늘릴 것에 대한 시장 우려가 큰 상황이었는데 감산을 한다면 낸드 가격 방어에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GPT로 번역한 내용을 첨부 드립니다.


NAND Flash 시장의 최근 수급 상황이 악화되면서, 메모리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키오시아(鎧俠)**가 2024년 12월에 감산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가격 하락을 멈추거나 반등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서버 수요는 여전히 NAND 제조업체들의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TrendForce에 따르면, NAND Flash 시장은 2024년 4분기에 더 큰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용(enterprise) SSD의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른 제품군의 계약 가격은 이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에 소비자 브랜드 업체들이 연말까지 재고를 줄일 계획이어서 주문 동력이 크게 약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업계에서는 NAND Flash 주요 공급업체인 **키오시아(Kioxia)**가 2024년 12월에 감산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이는 가격 하락을 멈추거나 반등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AI 서버, ASIC, 고급 네트워크 통신 제품들이 데이터 센터에 구축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가 기업용 SSD로 자본 지출을 전환하고 있으며, 16TB 이상의 기업용 SSD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시장의 전망이 비관적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범용 서버(SERVER)의 재고 보충 수요 증가에 따라, 2025년에는 4TB 및 8TB 기업용 SSD 수요도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입니다.

공급 측면에서는, 최근 NAND Flash 제조사의 설비 가동률이 거의 최대 수준에 도달했으며, 2025년 자본 지출 역시 과거 평균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방향은 비트 구조를 TLC NAND에서 QLC NAND로 전환하고, 공정을 1YY-L에서 2XX-L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제조사들의 재고 회전일 수는 이미 10~12주라는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키오시아 외에도 삼성 등이 감산을 통해 NAND Flash 가격의 안정화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장은 중국 메모리 제조업체인 창장 메모리(長江存儲)가 2025년까지 월 13.5만 장 규모로 생산 능력을 확장할 계획이라는 점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업계 분석에 따르면 중국 업체의 증산은 시장 투입량의 8~10%에 불과하여 단기적으로 NAND Flash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NAND Flash 시장은 단기적으로 중국 모듈 업체들이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제품을 현물 시장에 매각하는 영향으로 인해 현물가와 계약가가 분기별로 5~1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2025년에는 제조사들의 감산 효과와 AI 서버 및 범용 서버의 고용량 eSSD 수요가 강세를 유지하며, 최종 소비자용 제품의 수요가 회복될 경우, NAND Flash 시장은 전반적으로 수급 균형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Nov, 02:10


[한투 전략/시황 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1.7% 하락한 2,463p, 코스닥은 1.8% 내린 682p로 확인(10시 35분 기준)

- 미 증시 영향력은 휴무로 제한. 그러나 한국 증시는 외국인 현선물 순매도 급증 여파로 하락

- 반도체, 2차전지 등 시총 상위주 전반 부진. 코스피 하락 종목은 전체 기업의 87%인 780사 기록

-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우려 확산

- 전일 금통위 금리 인하 이후 발표된 성장률 하향 조정도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부정적

- 금일 발표된 10월 산업활동에서도 생산, 소비, 투자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온 점도 악재

- 원/달러 환율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우려 요인

- 대외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이 겹친 상황에서 한국 증시의 빠른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움

- 시장 대응은 방어 업종 위주로만 접근할 것. 은행, 보험, 통신, 유틸, 담배 등으로 포지션 구축

- 코스피는 12MF PER 10년 평균 - 2표준편차인 8배인 2,360p가 하단. 2,400p 아래에선 반발 매수 유입 가능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Nov, 22:5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반도체 산업 Note: 미국의, 미국에 의한, 미국을 위한

● 블룸버그, 대중 제재 강화 검토 보도
-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장비와 AI 메모리 칩의 중국 판매에 대한 추가 제한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 보도
- SMIC와 화웨이 공급 업체 일부는 Entity list(수출 제한 업체 명단)에 추가될 예정이지만, 디램 공급업체인 CXMT는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언급
- 일본은 TEL, 스크린 등 반도체 장비주 위주로 주가가 상승했고, 한국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밸류체인을 중심으로 주가가 하락
- CXMT가 Entity list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점이 메모리 공급 과잉 우려로 연결되면서 관련주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추정
- HBM에 대한 제한 조치가 포함될 것이라는 점 역시 시장은 메모리 관련주에 대한 악재로 판단

● 미국의, 미국에 의한, 미국을 위한 대중 제재
- 블룸버그 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대중 제재를 강화함과 동시에 미국과 미국 기업의 이익 침해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보임
- 100개 이상의 추가 Entity list는 제조 시설이 아닌 장비를 생산하는 중국 기업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
- 이는 미국의 장비 기업들이 계속해서 중국 칩 생산자들에게 장비를 공급할 수 있다는 이야기
- CXMT를 Entity list에서 제외한 것은, 국내 메모리 기업들로서는 아쉽지만, 미국 기업 입장에서는 당연한 조치일 것
- CXMT의 시장 진입으로 디램 경쟁이 치열해지고 이로 인해 디램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디램 구매자인 미국 기업 입장에서는 이익이기 때문

● 트럼프 2기 출범 전까지 불확실성 지속 예상
- 트럼프 당선 이후 반도체주 주가는 기업의 펀더멘털보다 외생 변수를 크게 반영하면서 하락세를 지속
-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구체적인 정책들을 발표하는 것이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와 투자 심리 개선에 도움이 될 것
- 그 전까지는 블룸버그 보도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국내 반도체주 주가가 흔들릴 가능성 높음
- 25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이익은 24년 보다 증가할 전망. 주가는 결국 기업 이익의 방향성을 따라가기 때문에 25년 증익 구간에서 반도체주 주가는 반등 시점을 모색할 것으로 판단
- 기업 실적과 펀더멘탈에 주목해 옥석 가려내야 할 시기

본문: https://vo.la/xNZbWu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Nov, 21: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9 2024)

● Daily News Clipping


인텔, 78.6억달러를 CHIPS 법에 따라 보조 받는 대신 파운드리 지분 매각 제한 될 것 (Trendforce) < https://vo.la/iQossV >

루나 레이크 실패로 인텔 제품 계획의 문제가 드러나다 (Trendforce) < https://vo.la/uHxerQ >

대만 서버 ODM 업체 Wistron, 2024년 AI 서버 판매 세자릿수% 증가할 것. 강력한 시장 수요 이어지며 2025년에도 세자릿수 성장률 기록할 전망 (Digitimes) < https://vo.la/CocNIW >

퀄컴과 미디어텍, 향후 전략적 방향성이 달라지기 시작. 퀄컴은 AI, PC, 자동차 등의 새로운 분야를 우선하여 집중. 반면, 미디어텍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올리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중점 (Digitimes) < https://vo.la/YmsvxK >

美, 中 반도체 수출 규제 '장비 중심' 선회… HBM 제한 우려 (서울경제) < https://vo.la/wUJXeC >

세계 최고 권위 반도체 학회서도 中 굴기… 3년 연속 최다 논문 채택 (조선비즈) < https://vo.la/FttNpy >

돈되는 건 AI 인프라.. 엔비디아 대체 당장은 NO, 틈새 노려라 (이데일리) < https://vo.la/znrIcO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7 Nov, 21:5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8 2024)

● Daily News Clipping


CXMT, 중국 메모리 제조업체 중 가장 빠르게 HBM2 개발 중. 다만 HBM 3로의 진행은 미국의 칩 규제로 인해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 (Digitimes) < https://vo.la/bdPzsz >

트럼프 관세, 대만 AI 서버 공급망 타격할 가능성... 폭스콘도 영향권 내 (Trendforce) < https://vo.la/LHtpMW >

트럼프 측 "반도체 보조금은 낭비" (Zdnet) < https://vo.la/lHuhYd >

인텔, 美 반도체 보조금 78.6억달러 확정 (전자신문) < https://vo.la/iUMmQp >

화웨이 Mate 70 칩 세부사항 여전히 비공개 유지. SMIC 7nm 공정을 이용한 것으로 알려진 Mate 60 프로세서를 뛰어넘을 수 있을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 (Trendforce) < https://vo.la/UGGESN >

퓨리오사AI, 모빌린트 “내년 매출 가시화 약속” (디일렉) < https://vo.la/IxnasC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7 Nov, 00:25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35229?sid=105

전영현 DS부문장 메모리사업부장 겸직
한진만 신임 파운드리사업부장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6 Nov, 22:0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7 2024)

● Daily News Clipping


3분기 DRAM 매출 +13.6% QoQ 증가. 데이터센터용 HBM과 DDR5 수요 성장이 매출 견인 (Trendforce) < https://vo.la/GtJrVL >

미국의 중국에 대한 칩 규제가 대만 IC 설계 부문을 강화할 수 있음. 규제는 이번주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VjNGbb >

가오슝에 위치한 TSMC 2nm 팹 장비 설치 완료. Apple과 AMD가 첫 고객이 될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XHJCXd >

대만 TSMC, 트럼프 취임 맞춰 美서 첫 이사회 연다 (조선일보) < https://vo.la/vXGFbV >

한국 칩 생산, DDR4를 줄이고 DDR5 및 LPDDR5에 대한 생산을 확대하는데 집중될 것. 단, HBM으로 인한 제약으로 소폭 증가할 것 (Digitimes) < https://vo.la/ZrDKgR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첨단패키징시장 2029년 695억달러 규모 전망 (Techworld) < https://vo.la/AYpvHz >

SAS, ‘2025년 인공지능(AI) 트렌드 전망’ 발표. “내년 생성형 AI 더욱 전문화되고 지속가능해질 것” (Techworld) < https://vo.la/YWkCfO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5 Nov, 22:0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6 2024)

● Daily News Clipping


Techinsights, “中 반도체 설비 투자, 내년 꺾인다…韓 소부장도 영향권” (전자신문) < https://vo.la/QqLxmx >

중국에 대한 7nm 칩 제재: 대면적 칩, CoWoS 공정에 미치는 영향. 검증 과정에서 고객이 미국 상무부가 정한 레드라인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지면, TSMC와 삼성이 해당 고객으로부터 7nm 이하의 칩 주문을 받을 수 없음 (Digitimes) < https://vo.la/LPvTLz >

Trendforce, 글로벌 노트북 출하량 2025년 4.9%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비즈니스 수요가 핵심 드라이버로 작용할 것 (Trendforce) < https://vo.la/oqGzI >

Digitimes, 글로벌 웨이퍼 파운드리 산업의 2024-2029년 CAGR +10% 이상 달성할 것으로 전망 (Digitimes) < https://vo.la/qUKuOB >

딥엑스, AI 반도체 'DX-M1' 내달 양산…삼성 5나노 사용 (전자신문) < https://vo.la/AISaXh >

ISC, 세계 최초 유리기판 테스트 소켓 공개 (디일렉) < https://vo.la/NbehqM >

"AI 인재 빼오자"… 실리콘밸리 덮친 中 빅테크 (한국경제) < https://vo.la/oDjnn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4 Nov, 22:1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5 2024)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2025년까지 TSMC의 2배로 늘어난 CoWoS capa 60%를 확보 (Digitimes) < https://vo.la/CnOuUm >

엔비디아, 성장세 둔화에 투자자 실망…월가는 호평 (Bloter) < https://vo.la/BMmXEl >

AI서버 수요가 2025년 HBM 생산 성장을 견인할 것. 12단 HBM3E는 2025년초에 생산 시작 될 것 (Digitimes) < https://vo.la/hDdvfd >

"삼성전자, 美 반도체 기업 넷리스트에 '1660억' 배상해야" (Zdnet) < https://vo.la/pThGdr >

낸드 불황 심화 우려에…삼성·SK 투자 '신중론' (Zdnet) < https://vo.la/gdnGBO >

TSMC, 2026년 CoWoS capa 확장 속도 늦출 것이란 보도. 최근 장비 공급 업체에 2026년 예정 계획을 일시 중단한다 통보 (Trendforce) < https://vo.la/PFeHoK >

화웨이, 20%의 낮은 수율에도 불구하고 2025년 초까지 Ascend 910C AI 칩 양산 예정 (Trendforce) < https://vo.la/sWHHwi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1 Nov, 21: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2 2024)

● Daily News Clipping


SK하이닉스 투자한 日 키옥시아, 내달 도쿄증시 상장 (Zdnet) < https://vo.la/CxelnA >

SK하이닉스, 24년에 처음으로 낸드 시장점유율 20%를 넘어설 것 (Digitimes) < https://vo.la/JEwTgp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321단 낸드 양산 돌입 (디일렉) < https://vo.la/Nuloex >

AI 서버, 2025년 출하량 28% 이상 증가 및 전체 서버 시장 내 15% 차지할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VCHLRv >

2024년 SSD 판매량이 DRAM 모듈 판매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 SSD 판매는 사양 업그레이드로 판매 호조가 나타났으나 DRAM 모듈 판매는 약세를 보였기 때문 (Digitimes) < https://vo.la/EYOyRi >

반도체 장비 매출 1위 두고 'ASML VS 어플라이드' 격돌 (전자신문) < https://vo.la/mayUdb >

슈퍼마이크로 컴퓨터, 신규 감사인 선임에도 상장폐지 리스크 심화 (Trendforce) < https://vo.la/YVSvtT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1 Nov, 07:4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엔비디아(NVDA US): 매 분기 신기록 달성

● FY3Q25 실적은 컨센서스를 다시 한 번 상회
- 매출액 350.8억달러(+16.8% QoQ, +93.6% YoY), EPS 0.81달러(+19.1% QoQ, +102.5% YoY)로 각각 컨센서스를 6%, 9% 상회
- 데이터센터 매출은 307.7억달러(+17% QoQ, +112% YoY)로 다시 한 번 최고치 경신
-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매출액 375억달러, 매출총이익률 73.5% 제시

● 블랙웰이든 하퍼든 관계 없이 수요가 공급을 초과
- 블랙웰 이번 분기에 기대치 상회하는 매출 달성. 이후에도 공급 초과하는 수요 지속될 것
- 블랙웰이 이미 양산 중이라는 점 강조. 블랙웰으로의 전환이 매출총이익률을 70% 초반대로 낮추겠지만, 블랙웰 전면 양산에 들어가는 CY2025년 하반기에는 다시 70% 중반대 달성할 것
- 엔비디아는 TSMC에 블랙웰과 하퍼 모두를 긴급 생산, 즉 hot run 생산 중
- 이 경우 원래 웨이퍼 가격보다 1.5배의 비용 지불. 그럼에도 매출총이익률과 EPS가 가이던스 이상을 달성한 것은 여전히 공급자 우위에 놓여있다는 것을 입증

● 엔비디아에 대해 긍정적 의견 유지
- 엔비디아에 대해 긍정적 의견 유지. 젠슨 황은 엔비디아 성장 지속 가능 이유를 두 가지로 설명
- 1) 기존 CPU 기반의 데이터 센터가 GPU 기반의 머신 러닝 체제로 전환, 2) Gen AI는 일부 영역이 아닌 산업 전반의 변화
- 단축된 신제품 주기로 인해 이익률 감소할 수 있으나, 회사는 곧바로 회복될 것을 자신
- 확장되는 AI 생태계 내에서 엔비디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 변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리포트: https://vo.la/fLVaLJ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0 Nov, 22:0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1 2024)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4분기 가이던스 제시했으나 투자자들의 높은 기대치에는 미달 (Reuters) < https://vo.la/DlcXfi >

"화웨이, 7나노 칩 설계…2026년까지 첨단 기술 못 써" (Zdnet) < https://vo.la/hAYgaI >

TSMC, 3nm 공정에 대한 압도적 수요에 이어 2nm 공정 주문도 예상을 상회 (Trendforce) < https://vo.la/cSOUZF >

퀄컴 “2029년까지 스마트폰 外 사업 연매출 30조원 목표” (전자신문) < https://vo.la/vdjxVP >

SEMI “3분기 반도체 제조 지표, 2년 만에 모두 성장” (전자신문) < https://vo.la/hfKzlI >

삼성전자, 내년까지 MLC NAND 생산을 중단하고 고용량 NAND 생산에 주력할 것이란 보도 (Digitimes) < https://vo.la/OYnRjj >

AI 서버, AI PC, 자동차 전장 제품이 2025년 대만 ODM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 (Digitimes) < https://vo.la/BbGtnB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0 Nov, 21:2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Nvidia FY3Q25 실적 요약

FY3Q25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350.8억달러 (vs. 컨센서스 332.5억달러) +16.8% QoQ / +93.6% YoY
※ 영업이익: 232.8억달러 (vs. 컨센서스 219.2억달러) +16.7% QoQ / +101.4% YoY
※ EPS: 0.81달러 (vs. 컨센서스 0.74달러) +19.1% QoQ / +102.5% YoY

사업부별 분기 실적
※ Data Center: 307.7억달러 (vs. 컨센서스 291.4억달러) +17.1% QoQ / +112.0% YoY
※ Gaming: 32.8억달러 (vs. 컨센서스 30.6억달러) +13.9% QoQ / +14.8% YoY
※ Professional Visualization: 4.9억달러 (vs. 컨센서스 4.8억달러) +7.0% QoQ / +16.8% YoY
※ Automotive and Embedded: 4.5억달러 (vs. 컨센서스 3.6억달러) +29.8% QoQ / +72.0% YoY

FY4Q25 가이던스
※ 매출액: 375억달러 (+/- 2%) (vs. 컨센서스 370.8억달러)
※ 매출총이익률: 73.5% (+/- 50bp) (vs. 컨센서스 73.5%)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9 Nov, 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20 2024)

● Daily News Clipping


엔비디아, SC24서 H200 NVL PCle GPU 출시 발표 (Techworld) < https://vo.la/VSDYKt >

Dell, 엔비디아 GB200 출시. 36개의 그레이스 CPU와 72개의 블랙웰 GPU를 통합 (Digitimes) < https://vo.la/hROFyI >

AMD, 24년 3분기 서버 시장 점유율 기록 경신. 서버 CPU 성장에서 모멘텀 지속 (Digitimes) < https://vo.la/djOyKf >

Trendforce, 수요 전망 약세와 재고 및 공급 압력 증가로 2025년 DRAM 가격 하락할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hpeJHJ >

구글, 엔비디아 슈퍼컴으로 양자컴퓨팅 개발한다 (Zdnet) < https://vo.la/vbdCez >

슈퍼마이크로 컴퓨터, 상장 폐지를 피하기 위한 조치로 신규 감사인 임명 (Trendforce) < https://vo.la/nvOeZk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8 Nov, 22:0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19 2024)

● Daily News Clipping


TSMC, 트럼프 2기 불확실성 속 CoWoS 생산 Capa 축소 조정. 5K/month 정도가 하향 조정 (Digitimes) < https://vo.la/yrQlvz >

TSMC, 2025년까지 10개의 글로벌 시설 건설할 것. Capex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 (Trendforce) < https://vo.la/XFzdav >

AMAT, 중국 시장 안정화되면서 반도체 매출 대비 장비에 투자되는 비율인 WFE 집약도가 소폭 감소할 것. 그러나 10% 중반은 유지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teuBWG >

엔비디아, 차세대 AI 가속기 ‘블랙웰’의 서버 과열 문제 발생 (Reuters) < https://vo.la/QlRnMn >

중국, 성숙 노드를 제공하는 팹에 수십억달러 지출. 46억달려 규모의 시설 운영을 위해 YDME 설립 (Tom’s Hardware) < https://vo.la/mRYacS >

인텔, 새로운 메모리 MRDIMM 지원으로 데이터센터 성능 향상 (Techworld) < https://vo.la/YXPKgc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7 Nov, 22:0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18 2024)

● Daily News Clipping


삼성전자,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Techworld) < https://vo.la/SCxFSx >

TSMC, 美 애리조나 공장 완공식 연기. 트럼프 취임 후 반도체 정책 나오면 열 듯 (Zdnet) < https://vo.la/tCHtWX >

메모리 모듈 제조 업체 Adata, 2024년 4분기 메모리 계약 가격 안정세 유지하거나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 연말까지 재고 지속 축소해갈 계획 (Digitimes) < https://vo.la/xmFGRd >

SK하이닉스, 인디애나주 법인 신설...HBM 美 생산 본격화 (Zdnet) < https://vo.la/wDoMJG >

중국 AI가속기 유니콘 Moore Treads, IPO 절차 개시. Moore Treads의 S4000GPU는 엔비디아 A100의 약 60%에 해당하는 성능 제공 (Trendforce) < https://vo.la/aUfdZR >

주52시간 예외·직접 보조금...韓·日, 반도체법 재추진. 韓, 반도체 세액공제만으로 안돼...日, 라피더스에 추가 지원 (Zdnet) < https://vo.la/oMRkwc >

폭스콘, 미국·멕시코·베트남서 AI 투자 확대 (Zdnet) < https://vo.la/uqfUmo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5 Nov, 10:04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15000375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23:03


[한투증권 위해주] AI 신약개발: AI 신약 후보 임상 결과가 이렇게 좋다고?!

https://bit.ly/3Obq2yI

- 진짜 AI 신약 후보 ISM001-055의 긍정적인 임상 2a상 결과 발표
- 중국 특발성폐섬유증(IPF) 환자 12주 투약 결과 강제폐활량 98.4mL 개선
- 현재 표준치료제로는 기대할 수 없는 치료 또는 예방 효능을 보였다는 의의
- AI 신약개발 영역에서 가장 긍정적인 데이터가 공개된 만큼 AI 신약개발사에 대한 투자와 빅파마의 AI 신약개발 접목 시도는 늘어날 것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23:03


올해 5월 박사님과 함께 작성한 AI 신약개발 관련 보고서 중 언급 드린 인실리코 메디신의 임상2상 결과가 발표됐는데,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다만 아직 상세한 결과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검증은 필요한 상황이나, ”진짜“ AI 신약개발에 대한 최초의 임상 결과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겠습니다. 관련 위해주 박사님 보고서를 첨부했습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22:0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15 2024)

● Daily News Clipping


솔리다임, 세계 최대 용량 AI 낸드 솔루션 공개… “내년 1분기 공급” (디일렉) < https://vo.la/SNtdXK >

TSMC, 애리조나 주 직원들이 미국 직원 차별에 대한 이유로 소송 제기 (Trendforce) < https://vo.la/gdBaNj >

ASML, “2030년까지 상당한 매출 및 수익성 성장 위한 입지 구축” (Techworld) < https://vo.la/rsMJwF >

소프트뱅크, 엔비디아 '블랙웰' 탑재 슈퍼컴 만든다 (Zdnet) < https://vo.la/cnQjgs >

AMD, 직원 1000명 줄인다…엔비디아와 경쟁 집중 (Zdnet) < https://vo.la/nQooeF >

Trendforce, SK하이닉스 메모리 용량을 높이는 HBM3E 16단 제품 발표. 해당 제품은 CSP의 커스텀 ASIC과 범용 GPU를 겨냥 (Trendforce) < https://vo.la/ojxIor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07:31


현금 9조
분기 영업이익 7조
매출채권 10조

그런데 주가는 6% 가까이 하락하는군요.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07:15


HPSP 3분기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00:27


피에스케이홀딩스 3분기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4 Nov, 00:24


피에스케이 3분기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23:4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유진테크 3Q24 Review: 계속 좋아요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24% 상회
- 3분기 매출액은 774억원(Flat QoQ, 54% YoY), 영업이익 157억원(59% QoQ, 2,092% YoY)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24% 상회
- 매출액은 2분기와 유사했으나, 국내 대비 ASP가 높은 해외 고객사 매출 비중이 일부 상승하면서 이익률이 개선됨
- 매출총이익률은 2분기 47.1%, 3분기 51.1%로 4%p 증가. 영업이익률은 2분기 12.7%, 3분기 20.3%로 7.6% 증가

● 디램 공정 전환 최대 수혜주, 탑라인과 마진이 동시에 증가
- 25년 고객사들의 Capex는 디램 공정 전환에 집중될 것. 증설이 제한되므로 특정 고객사에 편중된 기업보다 디램 Top3 모두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는 유진테크가 유리
- 25년은 영업이익률이 동시에 개선될 전망. 해외 고객사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미국 유지너스(Eugenus Inc.) 흑자 전환이 기대되고 있음
- 장비보다 상대적으로 마진률이 높은 머티리얼 부문 자회사 EGTM 매출도 25년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 역시 탑라인과 이익률 개선에 모두 긍정적으로 작용
- 대 중국 수출이 없어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 이슈에서 자유로운 점 또한 긍정적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0,000원(12MF EPS, 목표 PER 20배)을 유지하고 전공정 커버리지 내 탑픽으로 추천

본문: https://vo.la/AAJdxH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23:37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pinned «[한투 전략/시황 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1.6% 하락한 2,441p, 코스닥은 2.3% 내린 693p로 확인(12시 20분 기준) - 코스피는 4거래일, 코스닥은 3거래일 연속 하락. 외국인 대량 순매도가 나오면서 낙폭 확대 - 미국채 10년 금리가 4.4%를 상회한 가운데 강달러 여파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10원선 돌파 - 2000년 초부터 전일까지 6,134거래일 동안 환율이 1,400원선을 돌파한 비율은…»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21:5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14 2024)

● Daily News Clipping


SEMI "3분기 세계 웨이퍼 출하량 전분기比 6% 상승" (Zdnet) < https://vo.la/BaVFkK >

Trendforce, DRAM 가격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DDR4 큰 폭으로 하락 (Trendforce) < https://vo.la/BUsTib >

요동치는 中 첨단 반도체 공급망…삼성 파운드리 득실은? (Zdnet) < https://vo.la/KxPCAV >

중국, TSMC 칩 규제는 대만 기업의 이익을 훼손한다고 주장 (Reuters) < https://vo.la/ysHoUc >

AMD, 글로벌 인력 중 4% 해고 확정. AMD 직원은 대략 26,000명 정도로 해고 인원은 1,000명 가량이 될 것 (wccftech) < https://vo.la/CnbTnz >

AI발 전력부족 심화... "3년후 AI데이터센터 40% 전력난" (머니투데이) < https://vo.la/UXQuyY >

'슈퍼을' 日 미쓰이금속, 동박 가격 10% 인상…국내 CCL·PCB 연쇄 타격 우려 (전자신문) < https://vo.la/zOfaFk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08:10


유진테크 3분기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07:5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반도체 산업 Note: 소나기는 그치기 마련

● 환율 상승은 메모리 반도체 기업 실적에는 긍정적
- 달러 가치 상승은 메모리 반도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
- 반도체는 내수 대비 수출 비중이 높고 본사와 해외 법인, 고객간 거래 시 모두 달러로 결제하기 때문
- 23년 사업보고서 기준 삼성전자 매출 중 수출 비중은 88%, SK하이닉스 94%
- 환율 변동에 따른 민감도는 매출액보다 영업이익이 더 낮음
-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수입산 원재료를 달러로 거래하므로 원재료비 상승분이 영업이익의 증가를 일부 상쇄하기 때문
- 다만 메모리 반도체 특성 상 매출원가에서 고정비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 원재료비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아 환율 상승에 따른 재료비 증가분 이상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

● 달러 상승기 메모리 반도체 기업 주가는 약세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는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기에 약세
- 강달러 시기 외국인은 국내 주식을 매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 KOSPI 지수 전체가 하락하면서 두 기업의 주가 또한 약세였음
- 다만 환율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가 절대적인 역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없음
- 환율 상승의 속도와 정도, 거시 경제 환경과 두 기업의 실적 등 주가에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기 때문

● 환율은 전체 그림의 일부분으로 보자
- 일반적으로 단기 급등한 환율은 메모리 반도체 기업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
-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 기업의 주가는 매출액, 영업이익 등 실적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왔기 때문에, 환율 하나만으로 주가 방향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어려움
- 24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 추정치는 매 분기 상승 추세, 연초 예상치 대비 ASP 상승률 또한 추가로 상향 조정
- 1분기 호실적 발표와 2분기 이후 우호적인 업황 코멘트 예상되는 실적 발표 시즌 앞둔 시점
- 환율이 단기적으로 오버슈팅한 것이라면 매크로 불확실성이 걷힐 때 섹터 내 긍정적 요인들이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본문: https://zrr.kr/eSo7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07:57


[한투증권 테크팀] 강달러 영향: 부품이 세트보다 유리

● 환율이 오르면 실적은 좋지만 주가는 별로였다
- IT H/W의 실적은 환율 변동에 큰 영향을 받고,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대부분의 IT H/W 회사는 실적 측면에서 수혜임

-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하면서 기업들의 매출 및 영업이익 추정치는 상향 조정되고 있음

- 그러나 환율이 오르면 외국인들의 국내 주식 시장 이탈 현상이 나타남.

- 국내 주요 IT 기업들은 외국인 지분율이 높아 수급이 불리해 주가에는 부정적일 때가 많았음

● 강달러는 세트보다 부품에 더 긍정적
- 원달러 환율 상승은 세트보다는 부품 회사에 더 긍정적

- 개인 소비향 세트는 현지 통화로 매출액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

- 반대로 부품은 달러 매출이 주를 이룸

- 달러 혼자 강세를 이어가는 상황에서는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은 부품업체들이 수혜가 큼

-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이 대표적으로 부품 산업이고 환율 상승에 따라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

● LG에너지솔루션, LG이노텍, SK하이닉스 등이 강달러에 수혜
-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10% 상승하면 추정 영업이익이 LG에너지솔루션은 46%, LG이노텍은 36.1%, SK하이닉스는 35.9% 증가

- 이밖에 삼성SDI는 영업이익이 24.6%, 삼성전기는 24.4% 늘어나는 효과가 있음

-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은 수혜이나 세트(MX)부문은 중립적

- LG전자는 매출액이 주로 세트(H&A/HE)에서 발생해 달러의 움직임에 따른 실적 영향은 제한적

리포트: https://bit.ly/3dDsC25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07:57


수출주인 반도체 입장에서 달러 가치 상승은 실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단기간 내 달러 가치가 급상승할 경우 주가 측면에서는 부정적입니다. 섹터 단 이슈보다는 단기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부작용으로 보고 있습니다.

달러화가 1400원을 뚫고 급등했었던 당시 관련 보고서 작성했었는데요, (22년 9월 테크팀/ 24년 4월 반도체)

과거 보고서이기는 하나 실적과 주가 관련 내용은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되어 재 공유 드립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3 Nov, 07:51


[한투 전략/시황 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1.6% 하락한 2,441p, 코스닥은 2.3% 내린 693p로 확인(12시 20분 기준)

- 코스피는 4거래일, 코스닥은 3거래일 연속 하락. 외국인 대량 순매도가 나오면서 낙폭 확대

- 미국채 10년 금리가 4.4%를 상회한 가운데 강달러 여파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10원선 돌파

- 2000년 초부터 전일까지 6,134거래일 동안 환율이 1,400원선을 돌파한 비율은 1.3%에 불과

- 환율 1,400~1,500원 국면은 66일(1.1%), 1,500원 이상은 14일(0.2%)에 그칠 정도로 매우 희소

- 1,400원대에서 환율 하락 시 외국인은 일평균 1,199억 원 순매수. 환율 상승 시 499억 원 순매도

- 문제는 강달러 압력이 유지되는 가운데 한국 경제 악화로 원화 약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 팽배

- 한국 내부에선 환율 해결 선택지가 제한적인 가운데 해외 변수에만 의존하는 불리한 환경이 지속될 것

- 실적 모멘텀 약화에 외환 변동성과 해외 유동성 이슈까지 불거지면서 지수 하락은 이어질 전망

- 코스피는 2,400p(12MF PER 8.1배, 12MF PBR 0.76배)를 하회할 수 있음. 당사는 내년 연간 전망 하단으로 12MF PBR 0.75배인 2,300p 제시

- 트럼프 수혜주와 밸류업 관련주 중심의 수동적 대응 정도만 가능. 방산, 조선, 기계, 유틸, 은행, 보험, 통신 주목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23:3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주성엔지니어링 3Q24 Review: 순리대로

●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상회
- 매출액 1,472억원(+51% QoQ, +71% YoY), 영업이익 522억원(+35% QoQ, +744% YoY)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18% 상회
- 매출액 가이던스 상단에 가까운 수준을 달성, 디스플레이용 대형 장비 매출 인식 영향
- 매출 내 반도체 장비 비중은 65%, 디스플레이는 35% 수준. 반도체 내 해외 고객사 비중이 높아져 이익률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추정

● 분할 철회, 가장 큰 불확실성 해소
- 실적과 함께 분할 철회 결정 공시. 분할 결정 당시 대비 주가 하락폭이 컸고, 이로 인해 주식매수청구권 금액이 당초 계획한 500억원을 크게 초과한 것으로 추정
- 특히 분할 비율에 대한 투자자 피드백이 좋지 않았는데, 이익률이 높은 신설 반도체 회사의 상장 가치가 오히려 존속 회사보다 낮게 산정됐기 때문
- 주요 고객사 디램 투자가 재개되면서 2분기 이후 호실적을 기록했음에도 주가가 상승 탄력을 받지 못했던 이유
- 하반기 반도체주 전반의 주가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거래 정지에 대한 투자자들의 부담 또한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
- 분할이라는 가장 큰 불확실성이 해소됐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주가 상승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 목표주가 7% 하향, 매수와 비중 확대 의견 유지
- 25년 추정치 하향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52,000원(12MF EPS, 목표 PER 20배, 목표 PER은 역사적 상단)으로 7% 하향하지만 매수와 비중 확대 의견 유지
- 새로 진입하는 메모리, 비메모리향 신규 장비 매출 인식의 리드 타임이 12개월 이상이기 때문에 일부 매출이 26년으로 이연될 것으로 판단. 25년 추정치 하향조정
- 그러나 디램 공정 전환 투자의 수혜와 고객사 다변화는 현재 진행형. 중장기 성장 동력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판단. 매수 추천

본문: https://vo.la/VPetbh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22:26


AMD QnA session 중

24년 연간 DC GPU 매출은 $5 billion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언급해 기존 가이던스인 $4bil, $4.5bil에서 지속 상향 제시

4Q24 DC향 GPU의 메인스트림은 여전히 MI300, 신제품 MI325 시리즈는 Q4 후반부터 ramp up 예정이라고 언급

AMD에 대한 시장 기대는 CPU보다GPU에 방점이 찍혀 있었을 텐데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주가는 시간외로 8% 가까이 하락 중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21:4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Oct 30 2024)

● Daily News Clipping


AMD, 3분기 매출 컨센 소폭 상회, 4분기 가이던스 예상치에 부합. 생각보다 강하지 않은 가이던스에 주가 하락 (CNBC) < https://vo.la/IZFLks >

TSMC, 연말까지 CoWoS capa 두배로 늘리고 2025년에 추가 확장할 계획. TSMC 핵심 파트너인 ASE의 SPIL은 CoWoS capa 확장에 1,300만달러 투자 (Digitimes) < https://vo.la/yxOMAo >

삼성, 하이 NA EUV 도입…1나노 초미세 공정 도전 (전자신문) < https://vo.la/EuzLjV >

주성엔지니어링, 주식매수청구권 부담에 '분할 철회' (Bloter) < https://vo.la/pveSlM >

美, 내년부터 반도체·AI·양자 등 첨단산업 對中 투자 통제 (Zdnet) < https://vo.la/SCmHLj >

세계는 보조금 전쟁 중...10년 새 10배↑ 반도체 집중 (Zdnet) < https://vo.la/TlAfeE >

케이던스, AI 특수 누렸다...3분기 순익 31% 상승 (디일렉) < https://vo.la/YEYnXa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20:3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AMD 3Q24 실적 요약

3Q24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68.2억달러 (vs. 컨센서스 67.1억달러) +16.9% QoQ / +17.6% YoY
※ 영업이익: 17.2억달러 (vs. 컨센서스 17.1억달러) +35.7% QoQ / +34.0% YoY, OPM 25.2%
※ EPS: 0.92달러 (vs. 컨센서스 0.92달러) +33.3% QoQ / +31.4% YoY
※ GPM: 54.0% (vs. 컨센서스 53.5%)

부문별 매출
※ Data Center: 35.5억달러 (vs. 컨센서스 34.6억달러) +25.2% QoQ / +122.1% YoY
※ Client: 18.8억달러 (vs. 컨센서스 17.1억달러) +26.1% QoQ / +29.5% YoY
※ Gaming: 4.6억달러 (vs. 컨센서스 5.7억달러) -28.7% QoQ / -69.3% YoY
※ Embedded: 9.3억달러 (vs. 컨센서스 9.1억달러) +7.7% QoQ / -25.4% YoY

4Q24 가이던스
※ 매출액: 75억달러±3억달러 (vs. 컨센서스 75.5억달러)
※ GPM: ~54.0% (vs. 컨센서스 54.2%)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20:05


Alphabet earnings are out — here are the numbers https://www.cnbc.com/2024/10/29/alphabet-to-report-q3-earnings-after-the-bell.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Google parent Alphabet reported earnings after the bell. Here are the results.
Earnings per share: $2.12 vs $1.85 expected by LSEG
Revenue: $88.27 billion vs $86.30 billion expected by LSEG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06:18


자기주식취득 계약 체결 결정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06:11


주성엔지니어링 회사분할결정 철회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9 Oct, 05:18


주성엔지니어링 3분기 실적입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Oct, 22:26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08694?sid=104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장중머우(張忠謀·모리스 창) 창업자는 이날 대만 신주현에서 열린 TSMC 연례 체육대회에 참석해 "반도체, 특히 최신 반도체 부문의 자유무역은 죽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어떻게 계속 성장할지가 우리의 도전"이라고 말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Oct, 22:22


https://home.treasury.gov/policy-issues/international/outbound-investment-program

원문은 여기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Oct, 22:17


https://home.treasury.gov/news/press-releases/jy2690

관련 미 재무부 홈페이지입니다.

아래 부분은 chat gpt로 번역했습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Oct, 22:08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28일 인공지능(AI)과 양자 기술 및 첨단 반도체 등에 대한 미국 기업들의 대중(對中) 투자 제한 규칙을 발표했다.

대선을 8일 앞두고 미국의 첨단 기술 보호 명목으로 대중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중도·부동층 표심(票心)을 공략하려는 전략이란 분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66921?sid=104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Oct, 21:5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Oct 29 2024)

● Daily News Clipping


삼성·SK, 차세대 D램서 '극저온' 신기술 경쟁 본격화 (Zdnet) < https://vo.la/lWEgZM >

인텔, “내년 AI PC 1억대 출하 목표”...올해보다 150% 성장 (디일렉) < https://vo.la/wSfazw >

인텔 CEO 팻 겔싱어, CHIPS Act에 대한 불만 표시. 바이든 행정부의 자금 집행 지연을 지적 (wccftech) < https://vo.la/LgyQjA >

라피더스, 2nm 양산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두번째 공장에서 1.4nm 양산할 계획 (Trendforce) < https://vo.la/RAQGGk >

트럼프, 대만과 CHIPS 법안 비판하며 추가 관세를 제안 (Digitimes) < https://vo.la/SWqBZN >

구글, PC 전용 AI 올해 내 공개할 듯 (조선일보) < https://vo.la/RtTwAG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8 Oct, 01:40


[한투증권 조수헌] 에이직랜드 10/28일 주가 급등 코멘트

- 에이직랜드는 지난 10월 25일(+20.4%)에 이어 금일(+13%)에도 주가 크게 상승 중. 급등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1) SK하이닉스 낸드 컨트롤러 이슈 작용. 지난 25일 SK하이닉스와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와 1조원 규모의 eSSD 공급 논의 뉴스가 긍정적으로 작용. 현재 SK하이닉스의 컨트롤러 개발은 내부적으로 하고 있지만 모든 인력이 HBM에 초점을 둔 상황에서 이전처럼 외주 가능성 상승. 에이직랜드는 SK하이닉스의 eSSD 컨트롤러 물량을 받기 위해 협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2) SK하이닉스향 첫 개발과제 수주 기대감. eSSD 개발과제를 받기 위해 현재 CXL 관련 개발과제를 협의하고 있음. 해당 과제의 계약 규모는 시장 컨센서스 대비 더 큰 규모일 것으로 추정. SK하이닉스와의 첫 계약인 만큼 수주공시가 있을 시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

3) 국내 유일한 TSMC 디자인하우스 업체 부각. 에이직랜드는 10월 17일 TSMC 호실적 발표 직후 주가 상한가 기록. TSMC의 호실적과 에이직랜드의 실적과는 실질적인 연관은 없음. 다만 디자인하우스의 영업력은 파운드리 기술력이 뒷받침 되어야함. 국내 디자인하우스 중 유일한 TSMC 디자인하우스라는 점은 향후 최대 장점으로 활용될 것

결론: 에이직랜드 주가는 최근 저점(28,000원) 대비 50% 급등. 하지만 2분기 실적 부진 여파로 주가가 8월 한 달 동안 40% 급락 했었기에 상승 여력 충분하다고 판단. 과거 SK하이닉스에 낸드 컨트롤러 개발과제 및 양산까지 이어간 디자인하우스의 경우 매출액 3,000억원 기록(에이직랜드 2023년 연간 매출액 742억원의 4배 수준).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부진한 만큼 국내 디자인하우스 중 삼성보다 TSMC 디자인하우스를 선호. 에이직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 유지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7 Oct, 21:4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Oct 28 2024)

● Daily News Clipping


TSMC, 화웨이 프로세서 내 칩 발견된 후 중국 회사에 선적 중단했다는 보도 (Reuters) < https://vo.la/AXHhtU >

TSMC "美 팹 수율, 대만 팹보다 4%p 높다" (Zdnet) < https://vo.la/CqDupJ >

고성능 D램시장 좌우할 '1c'에 초집중 (뉴시스) < https://vo.la/rktulo >

파운드리 분리 두고 의견 엇갈린 인텔 전 임원들 (Zdnet) < https://vo.la/BzfBks >

파운드리 성숙 공정 Capa는 2025년 6% 증가할 전망. 중국 파운드리 업체가 성장의 대부분을 주도할 것 (Trendforce) < https://vo.la/wKaWCb >

삼성∙SK∙인텔, SEDEX서 “패키지가 반도체 패권 좌우” (디일렉) < https://vo.la/bqfabx >

TI, 질화갈륨 전력 반도체 자체 제조 역량 4배로 강화 (Techworld) < https://vo.la/TPeGNW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4 Oct, 22:1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SK하이닉스 3Q24 Review: 꽉 찬 육각형 기업

●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 3분기 매출액 17.6조원(+7% QoQ, +94% YoY), 영업이익 7조원(+29% QoQ, 흑자전환 YoY)으로 컨센서스 4% 상회
-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달성. 영업이익 역대 최고치였던 2018년 3분기 6.5조를 초과
- 호실적 일등 공신은 단연 HBM. 3분기 DRAM 매출 내 HBM 비중은 30%로 2분기 20%에서 10%p 증가
- 전사 영업이익률은 40%이며, 이 중 DRAM 영업이익률은 50%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

● 전략은 명확하고 실행은 유연하고
- DRAM과 NAND 모두 3분기 bit growth가 가이던스 대비 낮아진 것은 수익성 위주의 전략을 유지한 결과
- 수요 약하고 공급 많은 PC와 모바일향 판매를 줄이고,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과 엔터프라이즈 SSD는 늘림
- 범용 제품을 줄여 수량이 줄어든 대신 ASP는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
- 엔터프라이즈 SSD 비중은 NAND 매출 내 60%까지 증가. ASP가 높고 수익성이 좋은 엔터프라이즈 SSD 비중 확대로 NAND 영업이익률 20% 수준 도달
- 투자는 미래를 위한 인프라 투자 위주로 집행. 수요가 확실한 영역에만 투자하려는 의도. 일각에서 제기되는 투자 재개에 따른 공급 과잉 우려를 불식
-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을 충분히 제공한 컨퍼런스콜이라 판단

● 섹터 내 Top pick 의견 유지, 매수 추천
- SK하이닉스 목표 주가 250,000원(12MF BPS, 목표PBR 2배)과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섹터 내 Top pick으로 추천
- 25년에도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AI 수요가 성장하는 가운데 서버와 HBM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서 동사의 시장 지배력 강화될 것
- HBM은 HBM3e 12단으로의 빠른 전환으로 25년에도 수량과 가격 성장이 동시에 나타날 것
- DRAM 경쟁력과 더불어 오랜 기간 실적에 부정적 요인이었던 NAND도 흑자를 유지해 25년 다시 한 번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추정. 주가 상승 여력 충분

본문: https://vo.la/muWqks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4 Oct, 21:4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Oct 25 2024)

● Daily News Clipping


'AI 메모리 선점' SK하이닉스, 영업익 7조 역대 최대실적 (전자신문) < https://vo.la/gnZWBg >

삼성, 2세대 2nm 공정을 통해 ‘율리시스’라 불리는 엑시노스 SoC 개발 중. 갤럭시S27 시리즈에 탑재 될 수 있다는 보도 (wccftech) < https://vo.la/XXMAWZ >

마이크론, 2025년 EUV 기반 DRAM 생산 시작에 따른 AI 수요 증가 예상 (Digitimes) < https://vo.la/JqnxsS >

젠슨 황 “블랙웰 설계 결함, TSMC 도움으로 해결… 불화설 ‘가짜뉴스’” (조선비즈) < https://vo.la/AlktYQ >

“TSMC, 中 화웨이에 칩 전달한 고객사와 거래 중지” (조선비즈) < https://vo.la/WGKYDX >

미디어텍, Arm과 퀄컴간의 라이선스 분쟁으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OVQrzg >

구글, Tensor G6에 TSMC의 “N3P” 공정을 활용할 것이란 추측 (Trendforce) < https://vo.la/pAHWze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4 Oct, 02:15


3분기 하이닉스 실적발표 요약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