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탐색대 @pathfinderofbio Channel on Telegram

바이오 탐색대

@pathfinderofbio


견실한 바이오를 탐색해보자

바이오 탐색대 (Korean)

바이오 탐색대는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보와 소식을 제공하는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사용자명이 pathfinderofbio로 알려진 이 채널은 견실한 바이오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바이오 기술은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로, 이 채널을 통해 최신 동향과 연구 결과를 손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 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유용한 정보와 팁도 공유되고 있습니다. 바이오 탐색대는 전문가부터 일반인까지 누구나 바이오 관련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을 통해 바이오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고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

바이오 탐색대

27 Jan, 16:20


약 1억 주 x 15-17$ = 1.5-1.7bn (2.2-4조 가량)

바이오 탐색대

27 Jan, 16:10


Metsera eyes $289M IPO to fund phase 3 weight loss trial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metsera-eyes-289m-ipo-fund-phase-3-weight-loss-trial

바이오 탐색대

13 Jan, 13:09


[미래에셋 김승민] JNJ의 Intra-Cellular Therapies 인수 발표

- 오늘아침 Bloomberg 보도는 사실이었음
- J&J는 Intra-Cellular를 주당 $132, 토탈 $14.6bn(약 20조원) 에 인수한다고 발표(전일 종가 대비 약 40% 프리미엄)
- J&J Intra-Cellular의 CAPLYTA의 Peak Sales는 $5bn이상 될 것으로 기대

* 일단 JPM 시작은 JNJ 뉴스부터 시작. 오랜만에 $10bn 규모 이상의 빅딜

https://www.investor.jnj.com/news/news-details/2025/Johnson--Johnson-Strengthens-Neuroscience-Leadership-with-Acquisition-of-Intra-Cellular-Therapies-Inc/default.aspx

바이오 탐색대

13 Jan, 13:08


Immunovant Announces $450 Million Private Placement
https://www.immunovant.com/investors/news-events/press-releases/detail/68/immunovant-announces-450-million-private-placement

이뮤노반트는 3자배정 유증

바이오 탐색대

13 Jan, 13:06


ORIC-114 + 아미반타맙 병용계약 발표

향후 18개월 동안 ORIC-114와 944 데이터 7가지 영역을 오픈할 수 있으며, 피봇임상(허가 목표 임상)을 2H25~26년 초에 시작할 예정.

캐쉬번은 26년 말로 예상.

바이오 탐색대

13 Jan, 13:05


ORIC Pharmaceuticals Announces Clinical Supply Agreement to Evaluate ORIC-114 in Combination with Amivantamab for the First-Line Treatment of NSCLC with EGFR Exon 20 Insertion Mutations
https://investors.oricpharma.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oric-pharmaceuticals-announces-clinical-supply-agreement
ORIC® Pharmaceuticals Provides Early Phase 1b Combination Data for ORIC-944, Operational Highlights for 2024, and Anticipated Upcoming Milestones
https://investors.oricpharma.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oricr-pharmaceuticals-provides-early-phase-1b-combination-data

바이오 탐색대

08 Jan, 01:3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318800i

바이오 탐색대

07 Jan, 14:30


Metsera links GLP-1 drug to 11% weight loss after 12 weeks, teeing up trial of monthly dosing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metsera-links-glp-1-drug-11-weight-loss-after-12-weeks-teeing-trial-monthly-dosing

바이오 탐색대

25 Dec, 03:01


https://naver.me/513NV7Rb

바이오 탐색대

24 Dec, 05:46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이 23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시장(KOSDAQ)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다시 제출하면서, 리드 프로그램인 GSPT1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ORM-5029’와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SAE)에 대한 세부 내용이 업데이트됐습니다.

이에 따르면 해당 환자는 지난달 2일 ORM-5029 임상1상에 등록했고 이후 4일 약물을 투여받았고, 다음날인 5일 SAE가 발생했습니다. 이어 25일 FDA로부터 ORM-5029의 임상 부분보류(partial clinical hold) 조치를 통보받았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은 부작용 우려에 대해 “ORM-5029의 SAE가 프로젝트 특성에 국한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네요.

또한 오름테라퓨틱은 이번에 재제출한 증권신고서에서 희망공모가액인 2만4000~3만원으로 제시했고, 지난달 제시한 것보다 20% 낮아진 수준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16

바이오 탐색대

21 Dec, 02:43


삼천당제약 SCD411 미국 파트너

Fresenius, through its operating company Fresenius Kabi, is broadening its growing biopharma portfolio through a new licensing agreement with South Korea’s SamChunDang Pharm (SCD). 
Under the agreement, Fresenius Kabi will exclusively commercialize SCD’s aflibercept biosimilar candidate in the U.S. and several countries in Latin America. 
Aflibercept is used to treat a range of ophthalmic disorders, including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https://www.fresenius-kabi.com/news/fresenius-expand-biopharma-portfolio-with-new-licensing-agreement

바이오 탐색대

20 Dec, 08:01


2024.12.20 16:58:27
기업명: 차바이오텍(시가총액: 8,368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증자방식 : 주주배정후실권주일반공모
증자비율 : 0.41주/1주당

발표일자 : 2024.12.20
기준일자 : 2025-01-24
청약일자 : 2025-03-06
납입일자 : 2025-03-13
상장일자 : 2025-03-25

시설자금 : 200억
영업양수 :
운영자금 : 1,200억
채무상환 :
타법인 : 1,100억
기타자금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2000057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5660

바이오 탐색대

20 Dec, 07:36


2024.12.20 16:31:36
기업명: 지아이이노베이션(시가총액: 4,085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무상증자결정)

*유상증자
증자비율 : 0.26주/1주당
증자방식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보통주 : 11,644,800주

발표일 : 2024.12.20
기준일 : 2025-02-12
청약일 : 2025-03-20
납입일 : 2025-03-27
상장일 : 2025-04-10

시설자금 :
영업양수 :
운영자금 : 800억
채무상환 :
타법인 :
기타자금 :

*무상증자
증자비 : 0.1
기준일 : 2025-04-01
상장일 : 2025-04-18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200005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58570

바이오 탐색대

20 Dec, 00:19


네네..

바이오 탐색대

20 Dec, 00:1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09062i

바이오 탐색대

19 Dec, 23:02


https://www.fda.gov/drugs/news-events-human-drugs/fda-approves-drug-reduce-triglycerides-adult-patients-familial-chylomicronemia-syndrome

바이오 탐색대

19 Dec, 01:57


정작 다른 MSC는 FDA 승인을…

바이오 탐색대

19 Dec, 01:53


https://www.pharms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35287

바이오 탐색대

17 Dec, 00:22


ㅎㅎ

바이오 탐색대

17 Dec, 00:22


*급등 사유

국내 바이오기업 인벤티지랩이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 기반의 '세마글루타이드 장기지속형 주사제 원천 특허'를 등록했습니다.

세마글루타이드는 비만 치료제로 잘 알려진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수용체 작용제인 '위고비(Wegovy®)'의 주성분입니다.

세마글루타이드 개발사인 노보노디스크제약은 제네릭 시장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다수의 특허권을 이미 취득했는데요. 이에 다수의 기업들이 제형 변경 등을 통한 특허 회피 전략으로 비만 치료제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인벤티지랩은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 1월 유한양행과 계약을 체결해 GLP-1 성분의 비만 치료제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공동연구 및 사업화를 진행 중입니다.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습니. 최근에는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Ingelheim)과 펩타이드 신약에 대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486

바이오 탐색대

16 Dec, 02:07


되긴 되는건..가?

바이오 탐색대

16 Dec, 02:06


http://kpenews.com/View.aspx?No=3481834

바이오 탐색대

11 Dec, 10:0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107821

바이오 탐색대

27 Nov, 01:31


참 어떻게 이렇게 한결같을까

바이오 탐색대

27 Nov, 01:3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17126639089984&mediaCodeNo=257&OutLnkChk=Y

바이오 탐색대

27 Nov, 01:03


미국 머크(MSD)가 이제는 폐동맥고혈압(PAH) 분야에서 치료 기준을 높이고, 시장내 입지 확대에 촉매가 될 수 있는 임상3상 데이터를 1년일찍 손에 쥐었습니다.

이에 따라 임상은 조기 종료되며,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위원회는 임상을 조기에 종료하고, 모든 환자가 오픈라벨 확장연구를 통해 윈리베어를 투여받을 기회를 제공하도록 권고했네요.

윈리베어는 오는 2028년 다가오는 PD-1 블록버스터 ‘키트루다’의 특허만료를 방어하기 위해 엑셀러론(Acceleron)을 115억달러에 인수하면서 확보한 핵심 에셋으로, 미국에서 첫 시판허가를 받은 지 불과 8개월만에 증거를 추가하며, 라벨 확장에 힘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번 라벨 확대의 의미는 남다르며
머크는 “지금까지 PAH 분야에 이러한 임상연구는 없었으며, 시판된 모든 약은 증상이나 질병진행을 개선했다“고 했습니다. 또한 딘리 회장도 “미국 라벨에는 없는, 사망률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넣을 수 있다”고 강조할 만큼 중요한 마일스톤이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76

바이오 탐색대

26 Nov, 14:27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embecta&logNo=22338185564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바이오 탐색대

26 Nov, 14:27


241126 아이센스 주주간담회

[Q&A만 진행]

Q. CGM PL브랜드 계약 발표?
- 현재 상대방 회사가 공개를 꺼려하는 상태. 상대방도 CGM을 출시하기 위해 다른 회사와 협업하다가 실패했는데, 아직 관계정리가 다 되지 않았기 때문
- 하지만 무보정 제품의 CE 변경승인이 25년 2월말이고, 고속승인 절차를 밟으면 파트너사는 PL 브랜드를 7월 1일, 빠르면 6월 1일 이전에 출시하게 됨. 그때는 공개할 수 밖에 없음
- 중간에 우리도 발표하려고 노력은 하겠지만, 확실한건 일단 25년에 제품 출시될때는 무조건 공개된다 정도 말씀 드릴 수 있음
- 유럽에서 CGM을 보험에 탑재하려면 무보정이어야해서(Non-adjunctive; BGM 없이 CGM만으로 혈당 측정/치료 판단이 가능한 제품) CE 변경승인 받고, PL 브랜드가 CE 서류 제출 하는 것
- Non-adjunctive CGM으로 승인 받을때, 4억 정도를 더 내면 3배 빠르게 승인 절차를 해준다고 해서 7월 1일 전에 승인 날 것으로 보는것


Q. CGM PL브랜드 매출 규모?
- 전 세계에서 CGM 많이 판 회사가 Abbott, Dexcom 다음에 우리임
- 작년에 국내 시장에서는 점유율 12% 달성
- 그래서 우리 마케팅팀 직원들에게 말하는게, 우리가 더 많이 팔아봐서 우리가 더 많이 안다 이런 것임
- 카카오헬스케어도 30만개 판다고 해놓고 3만개 밖에 못 팔았음
- 이렇게 큰 회사들도 가이던스 못 맞추기 때문에, 계약 할때도

1) PL 독점으로는 못 준다
2) 예상치 대비 판매가 저조하면 바로 추가 PL 브랜드를 가질 권한을 갖는다
3) PL과 무관하게 케어센스 에어는 판매 가능하다


는 내용을 계약서에 넣은 것임. 그래서 이것때문에 계약이 좀 지연되기도 했고…
- 결론적으로 우리가 제일 많이 팔아봐서 우리가 제일 잘 알고 있고, 오히려 마케팅을 우리가 선도해야 하는것 아니냐 하는 생각임


Q. CGM PL 파트너사와 향후 전략? 미국도 같이 나가나?
- 파트너사가 자신있다고 하는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등 유럽 7개국 + 캐나다 까지는 달라고 해서 줬음. 파트너사가 잘하면 정말 좋긴 하겠지만, 그건 가봐야 알듯
- FDA 파트너사는 아직 정해진 바 없음.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 엄청난 공장 CapEx와 마케팅비 지출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입장
- 아직 미국 진출까지는 2년반~3년 정도의 시간이 있어, 시간을 두고 판단해보고자 함


Q. 기존에는 보정을 해도 상관 없다는 톤으로 얘기 하더니 무보정이 좋다는 식으로 말이 바뀐이유?
- 회사가 1형당뇨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로 사업을 하다보니, 보정여부와 무관하게 무조건 BGM을 사용하는 1형 환자를 중심으로 생각했었음
- 실제로 사업을 해보니, 무보정이 생각보다 더 중요했고, 그렇기 때문에 무보정에 집중
- 무보정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양산을 잘하는 것과 데이터를 학습시키는게 중요한데, 이미 아이센스는 BGM에서 97% 이상의 수율이 나올만큼 양산은 잘하고, 케어센스 국내 출시 이후 30만쌍 이상의 데이터로 학습시켜서 무보정 제품을 개발함
- 무보정 제품이 시장에 풀리는 것은 25년 1분기와 2분기 사이 정도
로 보고 있음. 무보정 제품은 HW 개선 없이 SW 만 개선 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제품들도 전부 무보정으로 바뀜


Q. 특허 이슈?
- 당사에는 변리사 2명, 변리사 보조 직원 3명, 미국변호사 1명, 국내변호사 1명, ESG 변호사 1명 재직중. 회사 규모 대비 법무/변리팀은 매우 강력함
- 변리사 중 한명은 현재 Abbott, Dexcom 소송을 방청하기 위해 영국 출장까지 나가있는 상태
- Abbott, Dexcom 소송 관련 자료를 보면서 많이 스터디하고 있음. 사실 둘이 싸우면서 특허도 서로 많이 무효화 시켜놔서 훨씬 상황은 좋아짐
- 실제 소송을 보면, 90% 이상이 기구물에 관한 소송이고, 실제 효소에 관한 소송은 거의 없음. 원고가 입증 책임을 지는데, 효소 관련 내용은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 대부분 소송은 기구물이나 UI/UX 관련
- 그리고, 서로 공개된 자료를 기반으로 대부분 소송을 걸기 때문에, 우리가 나서서 책잡힐일만 하지 않으면 크게 문제 없을 것으로 봄
- 현재 무보정 대신 선택보정이라고 쓰는것도, 소송중이기 때문. 무보정이라는 단어는 Dexcom 특허
- CB 발행할때 특허 관련 비용 150억 이미 따로 빼놨음
- 유럽 기관에 Protective letter를 제출한 상태라, 판매중지 가처분 신청도 쉽게 당하지 않을 것


Q. BGM 시장이 어려운데, 신규 파트너사가 우리랑 BGM 계약 맺은 이유?
- 엠벡타가 BD에서 스핀오프해서 나왔는데 제품이 없었음
- 제품 만들어줄 OEM을 찾는데, 대량생산 & 가격 맞춰주는 회사는 당사뿐이라 당사와 계약


Q. 엠벡타와 CGM PL계약?
- 처음에 엠벡타랑 같이 하려고 했는데, 현재 진행중인 계약도 아직 마무리가 안돼서, 그냥 Plan B 정도로 생각하고 있음

바이오 탐색대

26 Nov, 07:31


(코스닥)바이넥스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보고자:김우겸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26000608

2024.11.26

바이오 탐색대

25 Nov, 22:56


#녹십자
- 모건스탠리에서 189,000원으로 이닛

바이오 탐색대

25 Nov, 22:56


[키움 신민수] Tempus AI, Medtronic과 TAVR(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적합 환자 진단 임상 시험 협업

- 심각한 대동맥판 협착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미국에서만 매년 250,000명 수준

>> 주요 증세로는 가슴 통증, 숨가쁨, 피로, 어지러움 등


- Tempus AI의 'Next' 플랫폼을 통해 심각한 대동맥판 협착 또는 중등도~중증 승모판 역류 환자를 찾아내는 협력 진행 예정

>> 임상 시험 관련 자금은 Medtronic에서 부담


- 루닛의 'Lunit SCOPE'가 바이오마커 분석 후 특정 약이 해당 환자에게 효능이 잘 나타날 수 있는지 동반진단하는 것과 비슷함

>> AI 진단을 통해 의사 결정을 약 처방 관련해서 하느냐, 수술 관련해서 하느냐의 차이


- Tempus AI 11/25 종가 전 거래일 대비 +9.0% 상승한 $63.9로 마감


https://www.medtechdive.com/news/medtronic-tempus-ai-trial-tavr/733845/

https://news.medtronic.com/Medtronic-begins-multicenter-study-to-address-health-disparities-in-structural-heart-disease-care

바이오 탐색대

22 Nov, 02:29


https://www.merck.com/news/merck-enters-into-exclusive-global-license-for-lm-299-an-investigational-anti-pd-1-vegf-bispecific-antibody-from-lanova-medicines-ltd/

PD-1xVEGF 타깃 이중항체에 대한 인기가 엄청남...

Merck가 LaNova Medicines와 PD-1xVEGF 타깃 이중항체 'LM-299'에 대한 라이선스인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규모는 계약금 $588M을 포함해 최대 $2.7B 규모였음.

Crescent Biopharma가 개발중인 PD-1xVEGF 타깃 이중항체 'CR-001'도 다음 인수 타깃일듯...

텔레그램 링크: https://t.me/biomoment
작성자: 박동영

바이오 탐색대

22 Nov, 00:52


2024.11.22 09:50:25
기업명: 디앤디파마텍(시가총액: 3,616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DD02S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제목 : DD02S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2023.04.25 Metsera, Inc.에게 기술이전된 DD02S(경구용 GLP-1 비만 치료제)의 단계별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수령 예정임

2) 상기 내용은 세부 마일스톤 중 하나인 "임상1상 첫환자 투약"의 달성으로 확정된 마일스톤임

3) 수령 금액 : USD 2,000,000 (약 28억원)

4) 상기 마일스톤 기술료 금액은 당사의 2023년 말 연결기준 영업수익(약 187억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229000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7850

바이오 탐색대

19 Nov, 22:28


『알테오젠(196170.KQ) – 키트루다SC 3상 성공 발표, 전세계 허가신청』
신한
제약바이오 엄민용 ☎️02-3772-2578

▶️ 우리나라 최초의 글로벌 바이오텍 탄생
머크와 개발한 키트루다SC가 성공적인 임상 3상 Top line 결과를 발표. 머크 홈페이지에 게시되었으며 Alteogen Inc.가 처음으로 머크로부터 공식 언급한 것도 의미. 1차 지표였던 약동학(pk) 및 2차 지표였던 효능과 안정성도 종점을 모두 충족. 동사는 이제 상업화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제약사

▶️ 전세계가 알테오젠 기술을 처방하는 시대 도래
키트루다는 올해 처음으로 3분기 매출만 10조원 달성. 머크는 이번 3상 결과로 승인받은 모든 적응증을 승인 가능(로슈 티쎈트릭SC도 3상 한 번으로 모든 적응증 승인). 50% 이상의 SC전환 추정 확실시되었다고 판단

기존 키트루다 IV(혈관주사)는 짧게는 30분에서 2시간 투약이나 SC는 평균 2-3분내 투약 가능해 의료진과 환자의 편의성 개선뿐 아니라 입원비용 감소로 각국의 의료보험 재정지출 감소 효과까지 기대. 자세한 데이터는 곧 학회로 발표될 예정이며 1월 중으로 전세계 허가신청 추정

피하주사 원료 생산 위한 공장증설도 머크 요청으로 추정. 국내 바이오텍 중 상업화에 성공한 최초의 기술플랫폼 보유 기업이자 공장까지 갖추는 첫 회사 될 것. 기술이전 논의 중인 6개의 빅파마도 의사결정 쉬워질 것

▶️ Valuation & Risk
머크가 키트루다SC를 2028년까지 50% 시장을 전환을 목표로 발표했고 2030년까지 전환율은 지속 증가하여 연간 20~30조원 수준 매출 추정. 오늘 3상 성공 발표로 단계별 마일스톤 1.4조원은 출시 후 2년내 모두 인식 가능할 것. 판매 로열티 4~5% 가정 시 연간 1조원 이상 인식도 기대. 업종 내 최선호주 및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1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07시 2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바이오 탐색대

19 Nov, 08:57


2024.11.19 17:57:02
기업명: 보로노이(시가총액: 1조 6,943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VRN101099의 제1상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 임상명칭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1상 시험
(A Phase 1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Tolerability, Pharmacokinetics, and Efficacy of VRN101099 in Patients with HER2-Positive Solid Tumors)
* 대상질환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
* 임상단계 : 임상시험 제 1상 임상시험

* 승인기관 :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 임상국가 : 호주, 한국

* 시험목적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및 내약성, 약동학 그리고 항종양 효과(약효)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약물의 최대내약용량 및 용량제한 독성을 확인하고 제2상 권장용량(RP2D, Recommended Phase 2 Dose)을 확립하고자 함
* 임상방법 : 72명 내외의 HER2 양성 고형암 환자에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약력학 및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제 1상, 다국가, 다기관, 공개, 용량 증량 임상시험으로 해당 용량에 배정된 시험대상자에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안전성을 확인하여 다음 용량으로 증량하는 단계적 증량 방법으로 진행됨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 상기 사실발생(확인)일은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에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을 한 날짜입니다.
- 추후 임상시험계획 승인 시 관련 공시를 즉시 제출하겠습니다.
- 추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시 관련 공시를 즉시 제출하겠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990049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10210

바이오 탐색대

18 Nov, 04:57


[리가켐바이오, 오노약품공업으로부터 마일스톤 수령 공시]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조금 전 오노약품공업으로의 첫 번째 단기 마일스톤 수령을 위한 인보이스 발행 건으로 공시가 이뤄졌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8900152

- 주요 내용:
1) 해당 마일스톤은 지난 10월 10일 오노약품공업과 체결한 LCB97(L1CAM-ADC) 기술이전에 따른 첫 번째 단기 마일스톤(near term milestone) 수령을 위한 인보이스(invoice) 발행 건으로 기수령한 계약금(upfront)과는 별개
2) 단기 마일스톤은 약 1년간 전부 수령될 예정으로 이번 첫 번째 단기 마일스톤 수령 시와 마찬가지로 인보이스 발행 시점에 공시될 예정
3) 기수령한 계약금은 지난 2023년 말 얀센과 체결한 LCB84(TROP2-ADC) 기술이전 당시와 마찬가지로 기간인식되어 실적에 반영될 예정

감사합니다.

바이오 탐색대

17 Nov, 23:31


한편 그는 동물 구충제로 코로나19를 완치할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을 내놓기도 했는데, 동물용 구충제 이버멕틴과 말라리아약 클로로퀸의 유사 약물인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사용했다면 코로나19 사망자가 적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바이오 탐색대

17 Nov, 23:30


케네디 주니어는 작년 7월 언론 인터뷰에서는 “코로나19는 백인과 흑인을 공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가장 면역이 강한 사람은 아시케나지 유대인과 중국인”이라며 코로나19가 인종을 표적으로 퍼졌다고 말해, 인종차별적이라는 비난을 들었다.

바이오 탐색대

17 Nov, 23:30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332850?sid=104

바이오 탐색대

15 Nov, 01:10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300232i

4세대 EGFR 표적 저해제 개발의 필요성
조 교수는 2023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렉라자와 리브리반트의 임상 결과(MARIPOSA3)를 직접 발표하기도 한 만큼 렉라자 임상개발의 ‘아버지’로도 불린다. 렉라자와 리브리반트의 권리를 갖고 있는 얀센은 최근 유한양행과의 4세대 EGFR 표적 저해제 개발을 종료하며 차세대 치료제의 필요성이 적음을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vs

그런 그에게 4세대 EGFR 표적저해제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물어봤다. 다소 언급하기 곤란한 입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조 교수는 차세대 치료제에 대해 “필요하다”고 단호하게 답했다.

..?

바이오 탐색대

15 Nov, 00:4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300226i

보로노이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은 VRN07과 VRN11로 2개다. 오릭은 개발명 ORIC-114라는 이름으로 VRN07의 임상 및 사업개발 바통을 넘겨받았다. 임상 1b상에서 용량증량시험을 마친 오릭은 임상 2상에 들어갈 약물 권장용량 2가지를 최근 선정했다.

김 대표는 “VRN11의 임상을 수행하는 의료기관과 VRN07의 임상 의료기관 중 겹치는 곳이 꽤 있다”며 “오릭에 기술이전한 VRN07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VRN11 임상에도 긍정적인 레퍼런스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VRN07의 대부분 권리와 판권을 오릭에 이전하긴 했지만 아직 중국과 대만을 포함한 중화권에 대한 권리는 보로노이에 남아 있다. 오릭의 임상개발이 순항할수록 VRN07의 중화권 판권의 가치도 높아지고 있다. 김 대표는 “항암제를 다루는 중국 최상위권 제약사와 판권에 대한 이전 논의를 최근 시작했다”고 말했다.

타그리소 임상 벤치마킹한 VRN11 임상 디자인

4세대 EGFR 표적 저해제로 개발 중인 VRN11은 임상이 진행 중인 한국과 대만 중 대만에서 더 가속도가 붙었다. 김 대표는 “임상 등록 대기 환자 수가 국내보다 대만에서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PFS 20개월은 부족하다”
김 대표는 “전임상에서 확인한 약효와 내약성을 고려했을 때 타그리소에서 2배 이상 늘어난 40~50개월께의 PFS를 VRN11로부터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타그리소는 부작용 때문에 80mg에서 임상을 멈췄는데 VRN11은 안전성이 더 우수해 더 많은 용량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PFS도 따라서 더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VRN11에 이은 보로노이의 후속 후보물질은 HER2 표적 저해제 VRN10이다. 연내 식약처와 호주 허가기관을 대상으로 IND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기존 HER2 표적 저해제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mdr1, bcrp가 뇌전이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VRN10은 여기에 관련이 없어 내성 환자에게 효과가 우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탐색대

13 Nov, 14:24


Metsera follows phase 1 weight loss data with $215M series B raise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metsera-follows-phase-1-weight-loss-data-215m-series-b

바이오 탐색대

13 Nov, 08:13


“알레르기 치료제 미래가치 높아…고셔병 신약은 독자개발 가능성”

www.sedaily.com/NewsView/2DGTVKVW1Y?OutLink=telegram
프리미엄 컨버전스 미디어, 시그널(Signal)
투자의 바른 길을 함께 합니다! https://signal.sedaily.com

바이오 탐색대

12 Nov, 11:17


T-DXd 철회가 아니라, Dato-DXd에 관한 이야기(TROP2)

바이오 탐색대

12 Nov, 10:48


AstraZeneca, Daiichi withdraw lung cancer approval application for Enhertu follow-up and try again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astrazeneca-daiichi-withdraw-lung-cancer-bla-enhertu-follow-and-try-again

바이오 탐색대

12 Nov, 06:30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14051i

코호트당 3명 → 15명 확대.

기존 160㎎로 설정한 용량 증량안을 더 높이는 계획도 내부검토 중.

타그리소가 부작용이 더 적고 안전한 약이었다면 더 높은 용량을 권장했을 것.

더 높은 용량에서 더 긴 무진행생존기간(PFS)을 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만 없다면 고용량도 도전해봄직함.

보로노이가 보는 VRN11 임상 1a상 최종종료 시점은 내년 하반기.

내년 6월에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VRN11의 임상 1a상 중간결과를 발표하는 것을 목표.

바이오 탐색대

11 Nov, 23:28


[키움 허혜민] J&J의 항FcRN 니포칼리맙 혁신치료제(BTD) 지정

니포칼리맙 중증 쇼그렌질환 치료제로는 첫 BTD 지정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nipocalimab-is-the-first-and-only-investigational-therapy-granted-us-fda-breakthrough-therapy-designation-for-the-treatment-of-adults-living-with-moderate-to-severe-sjogrens-disease-302301655.html

바이오 탐색대

11 Nov, 09:17


[Jefferies, 주목해야할 Non-Incretin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으로 한미약품의 HM-17321 제시]

-Next gen. 비만 치료제로 WLQ (Weight Loss Quality) 개선이 중요한 키포인트로 부각됨

-CRFR2 선택적 UCN2 유사체인 HM17321은 효과적으로 Fat mass의 감소와 Lean Mass (제지방량) 증가를 동시에 나타냄

- 단독 투여의 경우 노보의 Sema. 와 비슷한 체중 감소 효과와 더욱 효율적인 제지방량 증가

- HM17321 (GGG 파이프라인) 의 병용으로는 더욱 더 효과적인 체중 감소와 제지방량 보존이 가능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개인적으로 한미의 파이프라인 가치가 덜 부각되고 있다는 의견인데, 해외에서 조망해주길 기다려왔습니다.

이번 OW 데이터들이 고무적인 것을 보고 좀 이제 시장의 관심을 받으려나 했는데...

해외 쪽에서 슬슬 가치를 알아봐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바이오 탐색대

10 Nov, 23:12


흠..

바이오 탐색대

10 Nov, 23:12


https://v.daum.net/v/20241111080054332

바이오 탐색대

10 Nov, 09:27


https://m.mk.co.kr/news/it/11164437

바이오 탐색대

10 Nov, 09:1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4103

바이오 탐색대

07 Nov, 03:32


리가켐바이오가 다이이찌산쿄 등 경쟁자들을 제치고 또 한번 월드 ADC에서 ADC 플랫폼 기술 '최고상'을 받았습니다.

2018년부터 해당 부문에서 6회 연속 수상을 하는 것이면서, 2021년과 2023년에 이어 3회 연속 '최고상'에 선정된 전무후무한 기록입니다.

이번 최고상 부문에는 리가켐바이오의 ‘ConjuAll’을 비롯해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의 ‘DXd ADC Technology’, WuXi XDC의 ‘WuXiDAR4 Platform’ 등 글로벌 유수 기업들의 ADC 플랫폼들이 후보에 올랐습니다.

ADC 글로벌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투표를 통해 최고상을 선정하였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269

바이오 탐색대

07 Nov, 00:4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4209

바이오 탐색대

06 Nov, 22:59


쥐돌이는 괴롭다

바이오 탐색대

06 Nov, 22:59


문의 전체 답변) 생쥐와 쥐는 다릅니다

바이오 탐색대

06 Nov, 22:59


DS투자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김민정, RA 강태호

[제약/바이오] 한미약품 - 생쥐의 수난시대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40,000원(상향)
현재주가 : 346,000원(11/06)
Upside : 27.2%

1. Obesity Week에서 공개한 3가지 Poster
- Obesity Week2024에서 신규 파이프라인 HM17321의 전임상 데이터 2건과 HM15275 전임상 1건 공개
-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비만치료 시장에서 타겟하는 시장을 확인 가능
- 목표주가 기존 40만원에서 44만원으로 상향 조정. 영업가치 산정을 기존 '24년 기준에서 ‘25년 기준으로 변경에 따름. Target multiple은 경영권 분쟁 이슈로 인하여 15% 할인하여 12.1배를 적용하였으나 해소될 경우 상향 조정될 예정
- 거버넌스 이슈가 잔존하나 비만 R&D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한미약품을 추천

2. HM17321, GLP-1의 Good Partner
- HM17321은 GLP-1과 경쟁하는 대신 GLP-1의 근감소 부작용을 막아주는 좋은 파트너가 될 것
- 단독 투여에서도 위고비와 유사한 수준의 체중감소 효능과 더불어 근육 증가를 확인. 위고비와 병용 투여할 경우 체중감소효능은 더욱 두드러졌으며 오히려 근육은 증가(제지방 단독 -5%에서 병용 +7%로 변화) 확인

3. HM15275, GLP-1 투여 이후 체중 정체기 돌파
- GLP-1은 투여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체중 정체기 돌입
- HM15275는 마운자로(성분명 Tirzepatide) 투여 후 Plateu(체중정체기)에 도달한 생쥐에 투여하였을 때 추가적인 체중감소 효능 확인(HM15275 switching 후 추가 체중감소 약 20%)
- 이러한 효과가 안전성 입증 + 임상에서 이어진다면 마운자로 투여 후 더 이상 체중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환자에게 HM15275가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바이오 탐색대

27 Oct, 10:19


10월중 아니었나 11월이었구나

바이오 탐색대

27 Oct, 10:19


http://www.hankyung.com/amp/202410259473i

바이오 탐색대

27 Oct, 10:00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719871

바이오 탐색대

24 Oct, 23:08


.

바이오 탐색대

24 Oct, 23:08


#Viking therapeutics

[향후 발표]
-. Obesity Week (주목)
; VK2735 SC VENTURE 연구결과 (11/3, Poster section)
; VK2735 PO Phase 1 연구결과 (11/3, Poster section)
여기서 용량증량(최대 100mg)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
(내약성 좋대용)


-. AASLD
; VK2809 VOYAGE 연구결과 발표 (11/9, Oral)

[임상시험 계획]
-. VK2735 SC Phase 3 시작 (연말?)
; 현재 Type C 미팅 요청, FDA 피드백 시 이를 바탕으로 Phase 3 개발
4분기 말 기관과 Phase 2 회의 종료

-. 올해 말 VK2735 PO Phase 2 시작

-. VK2809 Phase 3 시작
; 이번주 초 Phase 2 종료 답변, Phase 3 검토 중

[주목할만한 부분]
-. VENTURE poster PK data는 월 1회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Phase 3는 중간에 투여 간격을 수정하기 어려우며, 독립적인 월 1회 투여 임상을 시작할 것
이러한 월간 요법은 유도 보다는 유지요법에 더 가까울 것으로 전망
-. VK2735 SC는 자동주입기 사용
-. VK2735 PO 역시 4wk 연구활성을 감안할 때 13wk 설계 공개할 예정
-. 아밀린 agoinist 역시 VK2735와 동일한 방식으로 경구제화 가능
-. 현재 peptide CMO와 계속 논의 중, 올해 말까지 윤곽을 잡을 것
-. 허거덩.. Viking은 시장의 크기를 PO 20%, SC 80%로 보는 중

바이오 탐색대

24 Oct, 23:08


한국 바이오에서는 익숙한 일이거늘

바이오 탐색대

24 Oct, 23:08


헐..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917719

바이오 탐색대

24 Oct, 22:54


바이킹테라퓨틱스 +21%
받고 다다음주 당뇨학회 데이터 발표


https://seekingalpha.com/news/4200535-viking-therapeutics-stock-jumps-post-q-3-beat

바이오 탐색대

24 Oct, 07:0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47057P

바이오 탐색대

23 Oct, 11:04


ORIC® Pharmaceuticals Presents Data Further Supporting Potential Best-In-Class Profile of ORIC-114 to Treat EGFR Exon 20 Insertions and Other Atypical Mutations at the EORTC-NCI-AACR Symposium on Molecular Targets and Cancer Therapeutics

https://investors.oricpharma.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oricr-pharmaceuticals-presents-data-further-supporting-potential

바이오 탐색대

23 Oct, 05:27


오스코텍 들고있던 사람중에 제노스코 상장안하는거 모르는사람이 있었을까 싶긴하네ㅋㅋ

바이오 탐색대

23 Oct, 00:22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로드리고 루이스 소토(Rodrigo Ruiz Soto)를 최고의학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 CMO)로 영입했네요.

루이스 소토 박사는 리가켐바이오의 임상개발 전략을 주도하고, 후속 임상 후보물질의 개발을 주도하게 됩니다. 그는 미국 보스톤에 위치한 리가켐바이오의 자회사인 ACB(AntibodyChem Biosciences)에서 근무하며 CMO 역할을 맡을 예정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4

바이오 탐색대

22 Oct, 12:02


[단독] 레이저티닙 원개발사 '제노스코', 코스닥 상장 예심 청구

'레이저티닙'의 원개발사 제노스코(Genosco)가 오늘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해 예비심사를 청구했습니다.

제노스코는 공모 예정 주식 630만주를 포함해 4922만8386주를 상장할 계획입니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입니다.

제노스코는 레이저티닙을 통해 주기적인 수익발생 기반을 마련한 상태입니다.

제노스코와 모기업 오스코텍는 레이저티닙이 미국 허가를 받으면서 유한양행이 수령한 약 804억원 규모의 마일스톤 중 321억원을 받았은데요, 앞으로 J&J가 레이저티닙의 상업화에 따른 판매 로열티를 유한양행에 지급하면, 해당 로열티의 40%가 제노스코와 오스코텍에 각각 절반씩 지급될 예정입니다.

고종성 제노스코 연구대표는 지난 4월 기술성평가 통과 이후 "앞으로 10년간 레이저티닙을 포함해 총 5개의 상업화된 신약을 확보하고 1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의 지역 판권 소유를 통해 직접 상업화하는 것이 회사의 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3

바이오 탐색대

17 Oct, 23:00


(사노피(!)도 방사성의약품 분야 진출: Orano Med와 한달 내 딜 2건 체결)

==============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가 Orano Med와 한달 내 방사성의약품 딜 2건을 체결하였다.

지난 9월에는 Orano Med와 RadioMedix 로부터 신경내분비종양(neuroendocrine tumors) 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권리를 확보하였다. 딜규모는 30mil. euros ($350mil.) 이고, 업프론트로 100mil. euros($110mil.)를 지급하였다.

도입한 제품은 somatostatin receptor 타겟 펩타이드에 알파입자를 방출하는 납 212(212Pb)을 결합한 형태이다.

그리고 한달도 채 지나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사노피가 Orano Med에 300 mill. euros ($330 mil.)을 투자하기로 하였다. 사노피와 Orano Med와 납 212 (212 Pb) 기반 차세대 방사선의약품을 공동개발하게 되고, 사노피는 Orano Med의 지분 16%를 확보한다.

Orano Med는 프랑스와 미국에 연구소와 방사성의약품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과 북미에서 제조시설을 확장할 예정이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4/10/17/2964591/0/en/Press-Release-Sanofi-and-Orano-join-forces-to-develop-next-generation-radioligand-medicines.html

바이오 탐색대

17 Oct, 05:30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되는 EORTC/NCI/AACR 2024에서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파트너사인 IKSUDA가 Folate Receptor Alpha(FRa) ADC ‘IKS012’의 전임상 성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IKSUDA는 2021년 6월 리가켐바이오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에 대한 수정계약을 통해 최대 6개 타겟에 대한 ADC 개발 플랫폼 권리를 확보했으며, 앞서 공개된 CanAg ADC에 이어 두 번째 지정된 타겟인 FRa에 대한 전임상 성과를 이번 ENA 2024를 통해 발표하는 것으로 당사의 플랫폼 기술이전 성과들이 지속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참고로 FRa는 난소암, 삼중음성유방암, 폐암 등 다수의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이 제한돼 ADC 개발에 있어 매력적인 타겟들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재 상업화된 FRa 타겟 ADC는 1개로 2023년 약 13조원 규모로 AbbVie로 인수된 Immunogen이 2022년 11월 FDA 허가를 획득한 Elahere(mirvetuximab soravtansine)가 있습니다. GlobalData에 따르면 2030년 Elahere 매출액은 약 2.6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써 현재까지 확인된 2024년 말까지의 리가켐바이오 관련 학회 발표 일정은 총 4건으로,

1) 10월 EORTC/NCI/AACR에서 IKSUDA의 FRa ADC ‘IKS012’ 전임상 결과 발표, 2) 11월 SITC에서 NextCure과 공동개발 중인 B7-H4 ADC ‘LNCB74’의 전임상 결과 발표, 3) SITC에서 당사 자체 개발 중인 STING Agonist ‘LCB39’ 전임상 결과 발표, 4) 12월 ASH에서 CStone으로 기술이전 된 ROR1 ADC ‘CS5001(LCB71)’ 임상 1a상 후속 결과 발표입니다.

감사합니다.

바이오 탐색대

14 Oct, 05:10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3612

바이오 탐색대

13 Oct, 23:12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348

바이오 탐색대

10 Oct, 05:15


고래밥바이오 앞으로도 매년 하나씩 부탁해

바이오 탐색대

10 Oct, 05:13


[리가켐바이오]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LCB97(L1CAM-ADC,항체-약물 결합체)대상 기술이전계약 체결)
제목 : LCB97(L1CAM-ADC,항체-약물 결합체)대상 기술이전계약 체결

바이오 탐색대

10 Oct, 05:13


[리가켐바이오]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항체-약물 복합체(ADC) 멀티타겟 대상 공동연구 및 원천기술 기술이전계약 체결)
제목 : 항체-약물 복합체(ADC) 멀티타겟 대상 공동연구 및 원천기술 기술이전계약 체결

바이오 탐색대

10 Oct, 05:13


금일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프로덕트와 ADC플랫폼(멀티타겟)에 대한 2건의 패키지딜을 체결하여 보도자료 송부드립니다. 

내용중 파트너사와의 요청에 따라 LCB97(L1CAM-ADC)의 계약 총규모 $700M만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이점 양해부탁드리며, 계약관련 세부내용은 아래 공시링크 참조하시길 부탁드립니다. 
-LCB97(L1CAM-ADC): 총 계약규모만 공개($700M) -> L1CAM을 타겟하는 추가 ADC(페이로드 변경버전)를 동시에 개발할 경우 계약규모는 더 증가될 수 있습니다. 
-멀티타겟 ADC플랫폼 기술이전: 리가켐의 요청으로 재무조건 비공개됨 -> 후속 ADC플랫폼 기술이전 계약 협상전략의 일환으로 비공개

바이오 탐색대

10 Oct, 05:13


NDR 당일에 공시라

바이오 탐색대

09 Oct, 11:27


«올해 노벨 화학상은 '단백질 설계 예측'에 기여한 미국 생화학자 데이비드 베이커와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한 구글의 AI 기업 딥마인드의 존 점퍼, 데미스 허사비스 돌아갔다.»

→ 노벨 물리학상에 이어 화학상까지 AI.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73634

바이오 탐색대

08 Oct, 04:29


오름테라퓨틱 “세계 최초 TPD+ADC, 2026년 매출 930억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41579?rc=N&ntype=RANKING

바이오 탐색대

07 Oct, 13:20


https://m.blog.naver.com/uncastle0426/223551128127

바이오 탐색대

07 Oct, 13:20


ENA2024 (10/23~25) 초록 발표

VRN-07 (ORIC-114)
VRN-10

https://cm.eortc.org/cmPortal/Searchable/ena2024/config/Normal#!abstractlist

#보로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