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strategy_views Channel on Telegram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strategy_views


Chart of the day, market comment, and views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Korean)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텔레그램 채널은 시장에 대한 전략적인 시각을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투자자들에게 매일 변하는 시장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차트를 통해 시장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박소연이 전하는 전략적 시장 코멘트와 견해를 통해 투자자들은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 채널을 통해 전문가들의 전략적인 시각을 받아보고, 투자 포트폴리오를 향상시키세요.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채널을 구독하여 매일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당신의 투자를 더욱 현명하게 이끌어보세요.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3 Jan, 23:0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1.2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트럼프 다보스포럼 연설에서 유가 및 금리 인하 요구 언급 등 위험 자산 선호 심리 강화 속 전업종 강세

- WTI, 트럼프 OPEC에게 유가 인하 촉구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34.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트럼프 관세 위협 지속되는 가운데 TIPS 10년물 발행 소화 속 중장기구간 중심 상승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4.2bp 확대된 35.4bp

=================

◆ 미국 증시
-DOW 44,565.07p (+0.92%)
-NASDAQ 20,053.68p (+0.22%)
-S&P500 6,118.71p (+0.53%)
-Russell 2000 2,314.60p (+0.4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GENERAL ELECTRIC       (+6.60%)
-UNION PACIFIC         (+5.20%)
-ABBOTT LABORATORIES     (+4.62%)

Top Losers 3
-MICRON TECHNOLOGY INC (-4.02%)
-APPLIED MATERIALS INC (-2.46%)
-LAM RESEARCH CORP (-2.4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17%)
-테슬라 (-0.66%)
-코카콜라 (-0.40%)
-NVIDIA (+0.10%)
-Apple (-0.08%)
-Ford (+1.30%)
-Microsoft (+0.11%)
-메타 플랫폼스 (+2.08%)
-유니티 소프트웨어 (+0.30%)
-ASML Holding (-2.67%)
-AT&T (+0.94%)
-로블록스 (+1.68%)
-Airbnb (+0.56%)
-디즈니 (+2.05%)
-리얼티 인컴 (+0.32%)
-화이자 (+1.65%)
-머크 (+0.99%)
-길리어드 (-0.13%)
-IBM (+1.25%)
-에스티로더 (+0.51%)
-사이먼 프라퍼티 (+1.13%)
-보스턴 프라퍼티 (-1.20%)
-구글 c (-0.22%)
-Star Bulk (+3.41%)
-Waste Management (-0.63%)

◆ 디지털자산
- BITCOIN $103,131.11 (-0.9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13 (-0.03%)
-유로/달러 1.04 (+0.06%)
-달러/엔 156.05 (-0.3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91% (-0.9bp)
-10년물 4.645% (+3.3bp)
-30년물 4.868% (+4.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78% (+0.1bp)
-10년물 2.837% (+1.0bp)

◆ 상품시장
-WTI (bbl) $74.62 (-1.09%)
-금 (t oz) $2,765.00 (-0.21%)
-구리 (lb) $4.33 (+0.64%)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3 Jan, 13:07


(아래) 마이크로소프트와 OpenAI : 예전같지 않다

머스크가 OpenAI 돈 없다며 공개 비난한 것이 큰 화제가 됐는데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도 OpenAI와의 관계가 삐걱거린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다보스 포럼의 세일즈포스 CEO 발언을 정리한 기사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CEO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의 관계는 무스타파 술레이만 CEO의 영입으로 깨졌다고 비웃었다.

오픈AI가 소프트뱅크와 오라클과 함께 5000억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추진하며, MS가 오픈AI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잃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또 “MS가 무스타파 술레이만을 고용한 이유가 여기있다"라며 "게다가 술레이만과 샘 알트먼은 친한 사이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다보스 포럼에서 두 사람은 같은 토론에 패널에 참석했지만, 서로 잘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이 보였다고 밝혔다.

술레이만 CEO는 인공일반지능(AGI)와 관련한 알트먼 CEO의 비전을 무시해온 것으로 알려졌으며, 얼마 전 인터뷰에서는 오픈AI와의 파트너십에 대해 "말다툼도 하지만, 대체로 같은 편"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 양사가 경쟁 제품을 서비스하며 긴장이 고조됐다는 이야기는 자주 들려왔다. 일부 오픈AI 직원들은 MS 직원들을 얕보는 경향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41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2 Jan, 23:03


(아래) 심통난 머스크

푹 주무셨습니까.

트럼프가 AI 헤게모니까지 거머쥐려고 하는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발표됐죠.

여기에 참여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오라클은 급등세를 보였구요.

그런데 머스크 입장에선 반갑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머스크는 원래 OpenAI 설립 멤버였지만 샘 올트만과 관계가 틀어지면서 독자적으로 xAI를 설립했었는데

트럼프가 OpenAI 손을 들어준 셈이 되어버린거니까요.

토사구팽까진 아니겠지만 트럼프 캠프 내에서 머스크를 견제하는 분위기가 있다더니 영향이 있나보네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34369i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2 Jan, 22:3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1.23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넷플릭스 호실적, 트럼프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기대로 기술/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관련주 중심 강세

- WTI,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등 정책적 행보 주시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34.7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트럼프 관세 관련 불확실성 지속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1.0bp 확대된 31.2bp

=================

◆ 미국 증시
-DOW 44,156.73p (+0.30%)
-NASDAQ 20,009.34p (+1.28%)
-S&P500 6,086.37p (+0.61%)
-Russell 2000 2,303.72p (-0.61%)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NETFLIX            (+9.69%)
-ARISTA NETWORKS INC (+6.85%)
-ORACLE            (+6.75%)

Top Losers 3
-SCHLUMBERGER NV      (-4.82%)
-FORD MOTOR         (-3.84%)
-NEXTERA ENERGY        (-3.3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86%)
-테슬라 (-2.11%)
-코카콜라 (-1.03%)
-NVIDIA (+4.43%)
-Apple (+0.53%)
-Ford (-3.84%)
-Microsoft (+4.13%)
-메타 플랫폼스 (+1.14%)
-유니티 소프트웨어 (+3.97%)
-ASML Holding (+0.49%)
-AT&T (-0.76%)
-로블록스 (-0.15%)
-Airbnb (-0.43%)
-디즈니 (+0.10%)
-리얼티 인컴 (-2.35%)
-화이자 (-2.36%)
-머크 (-0.58%)
-길리어드 (+0.09%)
-IBM (-0.45%)
-에스티로더 (+1.12%)
-사이먼 프라퍼티 (-1.74%)
-보스턴 프라퍼티 (-1.77%)
-구글 c (+0.20%)
-Star Bulk (-2.25%)
-Waste Management (-0.70%)

◆ 디지털자산
- BITCOIN $104,071.36 (-2.54%)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25 (+0.17%)
-유로/달러 1.05 (+0.94%)
-달러/엔 155.77 (-0.1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00% (+2.5bp)
-10년물 4.612% (+3.5bp)
-30년물 4.826% (+1.6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77% (-0.2bp)
-10년물 2.827% (+0.9bp)

◆ 상품시장
-WTI (bbl) $75.44 (-0.59%)
-금 (t oz) $2,770.90 (+0.42%)
-구리 (lb) $4.30 (-0.9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0 Jan, 22:3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21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및 채권시장 마틴 루터 킹 데이로 휴장. 전거래일 데이터 첨부

- 유럽증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시행이 즉각적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 속 상승 마감

- WTI,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내 석유 및 천연가스 증산 예고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40원 호가

=================

◆ 미국 증시
-DOW 43,487.83p (+0.78%)
-NASDAQ 19,630.20p (+1.51%)
-S&P500 5,996.66p (+1.00%)
-Russell 2000 2,275.88p (+0.4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INTEL              (+9.25%)
-SCHLUMBERGER NV      (+6.06%)
-DEERE & CO (+3.72%)

Top Losers 3
-ELI LILLY            (-4.21%)
-WALGREEN BOOTS ALLIANCE (-3.17%)
-MERCK & CO         (-2.76%)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39%)
-테슬라 (+3.06%)
-코카콜라 (+0.74%)
-NVIDIA (+3.10%)
-Apple (+0.75%)
-Ford (+1.70%)
-Microsoft (+1.05%)
-메타 플랫폼스 (+0.24%)
-유니티 소프트웨어 (+0.09%)
-ASML Holding (+0.81%)
-AT&T (+1.23%)
-로블록스 (+0.41%)
-Airbnb (+2.24%)
-디즈니 (+0.53%)
-리얼티 인컴 (+0.07%)
-화이자 (-0.72%)
-머크 (-2.76%)
-길리어드 (+0.21%)
-IBM (+0.96%)
-에스티로더 (-0.27%)
-사이먼 프라퍼티 (+0.83%)
-보스턴 프라퍼티 (+1.04%)
-구글 c (+1.62%)
-Star Bulk (-0.27%)
-Waste Management (+0.33%)

◆ 디지털자산
- BITCOIN $102,959.79 (-0.5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10 (-1.14%)
-유로/달러 1.04 (+1.36%)
-달러/엔 155.66 (-0.4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85% (+5.4bp)
-10년물 4.628% (+1.4bp)
-30년물 4.858% (+0.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23% (+3.5bp)
-10년물 2.868% (+5.5bp)

◆ 상품시장
-WTI (bbl) $76.89 (-1.27%)
-금 (t oz) $2,731.80 (-0.61%)
-구리 (lb) $4.32 (-1.1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9 Jan, 13:07


[신영증권 박소연] 1월 넷째주 증시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시장은 우려 반 기대 반인 듯 합니다.

보편관세 부과, 인플레이션, IRA 보조금 감축 등은 분명 걱정스럽긴 하지만

1) 규제 완화 및 공급망 재편 : 조선/원전/바이오
2)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 : 시진핑 정상회담
3) 우크라이나/이스라엘 휴전 : 유가 안정

등 기대감이 커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과 기회 요인을 분리하여 대응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4주 연속 상승. 그러나 외국인 매도로 전체적으로는 관망. 한은 기준금리 동결로 국고 3년물 금리 2.57%로 보합세. 원/달러 환율은 14원 하락한 1,458원

▲ 업종/종목 : 트럼프 수혜 기대로 조선주 연일 신고가. 대한전선(+14.5%) 등 전력 관련주는 LA 산불복구 수혜로 연일 급등. LS일렉트릭(+24.2%)은 일론 머스크의 xAI 배전반 납품 호재도 일조. 코웨이(+14.5%)는 얼라인의 주주행동주의로 강세

▲ 주말 해외동향 : 미국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트럼프 2기 출범 기대, 중동 휴전에 따른 국제유가 및 물가 안정 기대감도 확산. Citigroup(+1.9%), Goldman Sachs(+2.1%), JP모건(+1.9%) 등 금융주 다수 신고 경신. Tapestry(+2.5%) 등 소비재도 강세

- 트럼프, 취임 100일 이내 중국 방문해 시진핑 만날 생각 : 17일 시주석과 전화통화로 무역/펜타닐/틱톡 등에 대한 이슈 대화

▲ 종합판단 : 트럼프 취임 보편관세 시행, IRA 보조금 축소 등 각종 행정명령 등 이행 여부 관찰 필요. 변동성 크겠지만 한국은 3월 주주총회와 배당기산일 앞두고 하방경직 기대. 중국 경기부양도 긍정적

- 20일(월) 마틴루터킹 데이로 미국 주식/채권시장 모두 휴장, 23일(목) BOJ 기준금리 결정 등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6 Jan, 23:31


(위) IAG 항공사 비상의 이유 : 장거리 노선 전략 적중 (FT)

런던 갈 때 영국 국적기인 British Airways 이용하는 경우 많으시죠. BA를 보유한 항공그룹이 IAG인데요.

작년 유럽 항공사 주가는 다 빠지는데 IAG만 오른 이유가 수익성 높은 장거리 노선전략에 집중했기 때문이라네요. 아울러 코로나 이후 LCC들의 구조조정도 영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시사하는 바가 많은 기사라 한 번 읽어보시라고 올려드립니다.

=========================

- IAG는 브리티시항공(BA), 이베리아항공(Iberia), 저가항공인 에어링구스(Aer Lingus) 등을 보유한 거대 항공그룹

- 흥미로운 것은 루프트한자, 에어프랑스 등 여타 항공사 주가가 지속 하락 중인 반면, 최근 IAG 주가는 2020년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해 부활했다는 점

- 2024년에 2배 이상 올랐고 FTSE100 종목 중 수익률도 가장 높았음

- 이는 장거리 노선 때문임. 코로나 이후 미국-유럽 대서양 횡단 항공편 여객수요가 급증했고, 여기에 집중한 것이 주효 (IAG 사업모델은 장거리 여행, 비즈니스석과 일등석 객실을 겨냥)

- IAG는 수익성 회복을 발판삼아 부채도 상환하고, 배당금도 다시 지급하기 시작. 작년 말에는 3.5억달러의 자사주 매수도 발표

- 런던 소재 헷지펀드인 ATKA Capital은 작년에 저가항공인 Ryanair를 매각하고 IAG 지분을 인수했는데, 프리미엄 여객 노선에 대한 익스포져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 IAG가 많이 올랐지만 여전히 PER은 6.5배에 불과하고 저가항공인 Ryanair와 eayJet 밸류에이션보다 낮음. British Airways는 유럽 여행의 출발점 중 하나인 히드로 공항을 허브 로 둔 항공사다보니 상당한 잇점

- 게다가 러우전쟁 이후 러시아 영공을 피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동쪽(대륙) 비행보다는 서쪽(북미/남미) 비행이 더 수익성이 높을 수밖에 없는데 IAG는 아시아쪽 항공편을 감축한 대신 북미/남미 노선을 대폭 증대한 것이 Key

- IAG 대서양 노선은 북미/남미 노선 비중이 무려 75%. 반면 루프트한자와 에어프랑스는 50% 정도밖에 안됨. 게다가 IAG 주요 허브는 런던/더블린/마드리드 등 유럽의 서쪽 끝이다보니 대서양 노선에 더 유리

- 구조조정도 한몫. 2020년 노르웨이안 항공 파산 등 코로나로 저가 LCC들이 위축되면서 미국-유럽 장거리 노선은 판데믹 이전보다 수익성이 높아짐

- 물론 앞으로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지정학적 긴장, 유가, 반독점, CAPEX 부담 등 고려해야 할 이슈가 많긴 하지만 아직은 긍정적 전망이 많음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6 Jan, 22:35


(위) 굴러떨어진 사과…애플,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 주가 4% 하락

애플 스마트폰의 주요 시장인 중국에서의 판매 실적이 부진하면서 애플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인 카날리스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은 2024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비보와 화웨이에 이어 3위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애플의 지난해 중국 시장 점유율은 15%로, 연간 기준으로 17% 감소했다. 반면 비보와 화웨이는 강력한 성장을 보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26779?sid=101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6 Jan, 22:3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17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IT/경기소비재/커뮤니케이션 업종 중심 하락

- WTI,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정 발효(현지시간 19일)를 앞두고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6.4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크리스토퍼 윌러의 비둘기파적 발언 소화하며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0.5bp 축소된 38.3bp

=================

◆ 미국 증시
-DOW 43,153.13p (-0.16%)
-NASDAQ 19,338.29p (-0.89%)
-S&P500 5,937.34p (-0.21%)
-Russell 2000 2,266.79p (+0.15%)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MERICAN TOWER REIT     (+5.41%)
-APPLIED MATERIALS INC (+4.54%)
-LAM RESEARCH CORP (+4.03%)

Top Losers 3
-UNITEDHEALTH GROUP     (-6.04%)
-US BANCORP         (-5.64%)
-TEXAS INSTRUMENT       (-5.1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20%)
-테슬라 (-3.36%)
-코카콜라 (+0.78%)
-NVIDIA (-1.96%)
-Apple (-4.04%)
-Ford (+0.60%)
-Microsoft (-0.41%)
-메타 플랫폼스 (-0.94%)
-유니티 소프트웨어 (-1.32%)
-ASML Holding (+3.30%)
-AT&T (+0.50%)
-로블록스 (+2.38%)
-Airbnb (-0.27%)
-디즈니 (-1.59%)
-리얼티 인컴 (+2.65%)
-화이자 (+1.03%)
-머크 (+0.61%)
-길리어드 (-0.79%)
-IBM (+1.20%)
-에스티로더 (+4.76%)
-사이먼 프라퍼티 (+0.56%)
-보스턴 프라퍼티 (+0.61%)
-구글 c (-1.30%)
-Star Bulk (-3.29%)
-Waste Management (+1.45%)

◆ 디지털자산
- BITCOIN $100,135.59 (+0.46%)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96 (-0.12%)
-유로/달러 1.03 (+0.12%)
-달러/엔 155.16 (-0.84%)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31% (-3.5bp)
-10년물 4.614% (-4.0bp)
-30년물 4.856% (-2.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26% (-4.9bp)
-10년물 2.802% (-5.8bp)

◆ 상품시장
-WTI (bbl) $78.68 (-1.70%)
-금 (t oz) $2,750.90 (+1.22%)
-구리 (lb) $4.44 (+1.1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Jan, 22:3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16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12월 근원 CPI 예상치 부합 속 필수소비재 제외 전 업종 강세

- WTI, 러시아 석유산업 제재 및 조지아주 일부 송유관 폐쇄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에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4.1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2월 CPI 확인 이후 인플레이션 재가속 우려 완화되며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3.7bp 축소된 38.8bp

==================

◆ 미국 증시
-DOW 43,221.55p (+1.65%)
-NASDAQ 19,511.23p (+2.45%)
-S&P500 5,949.91p (+1.83%)
-Russell 2000 2,263.29p (+1.99%)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8.04%)
-BANK OF NEW YORK MELLON (+8.03%)
-INTUITIVE SURGICAL INC (+7.65%)

Top Losers 3
-ABBVIE             (-2.39%)
-ABBOTT LABORATORIES     (-1.70%)
-BIOGEN            (-1.44%)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57%)
-테슬라 (+8.04%)
-코카콜라 (-0.44%)
-NVIDIA (+3.40%)
-Apple (+1.97%)
-Ford (+1.74%)
-Microsoft (+2.56%)
-메타 플랫폼스 (+3.85%)
-유니티 소프트웨어 (+0.36%)
-ASML Holding (-1.36%)
-AT&T (+0.50%)
-로블록스 (+2.38%)
-Airbnb (+3.86%)
-디즈니 (+0.06%)
-리얼티 인컴 (+0.04%)
-화이자 (-0.72%)
-머크 (+0.44%)
-길리어드 (+1.52%)
-IBM (+1.05%)
-에스티로더 (+0.88%)
-사이먼 프라퍼티 (-1.05%)
-보스턴 프라퍼티 (+2.43%)
-구글 c (+3.10%)
-Star Bulk (+0.59%)
-Waste Management (+0.40%)

◆ 디지털자산
- BITCOIN $99,678.90 (+3.36%)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9.09 (-0.17%)
-유로/달러 1.03 (-0.18%)
-달러/엔 156.47 (-0.94%)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66% (-10.2bp)
-10년물 4.654% (-13.9bp)
-30년물 4.880% (-9.6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75% (+2.9bp)
-10년물 2.860% (+1.9bp)

◆ 상품시장
-WTI (bbl) $80.04 (+3.28%)
-금 (t oz) $2,717.80 (+1.32%)
-구리 (lb) $4.39 (+1.0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4 Jan, 22:44


(아래) 월가 "美 PPI, 고무적이지만…일회성 의구심"

앤드류브레너 전략가는 "PPI 수치는 예상보다 훨씬 좋았지만, 이는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데 따른 일회성 이유가 배경인 것 같다"며

"그런 흐름은 12월 중순 이후부터 이미 반전됐다"고 지적했다. (유가가 이미 12월 중순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9757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4 Jan, 22:4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15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12월 PPI 예상치 하회에도 불구하고 CPI 발표 경계심리 강화. 유틸리티/금융 업종 중심 강세 및 헬스케어/커뮤니케이션 업종 중심 약세

- 한편, 트럼프 경제팀이 관세를 단계적으로 올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었음. 관세를 월 2~5%씩 점진적으로 올리면서 이를 지렛대 삼아 협상력을 높이고, 물가 급등은 최소화한다는 전략

- WTI,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임박 전망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9.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차일 예정인 12월 CPI 발표에 주목하는 가운데 중장기 구간 중심 상승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2.6bp 확대된 42.5bp

=================

◆ 미국 증시
-DOW 42,518.28p (+0.52%)
-NASDAQ 19,044.39p (-0.23%)
-S&P500 5,842.91p (+0.11%)
-Russell 2000 2,219.24p (+1.1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MEDTRONIC PLC        (+4.23%)
-PAYPAL HOLDINGS        (+3.80%)
-GENERAL ELECTRIC       (+3.08%)

Top Losers 3
-ELI LILLY            (-6.59%)
-BIOGEN            (-4.74%)
-META (-2.3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32%)
-테슬라 (-1.72%)
-코카콜라 (+0.63%)
-NVIDIA (-1.10%)
-Apple (-0.48%)
-Ford (+0.72%)
-Microsoft (-0.36%)
-메타 플랫폼스 (-2.31%)
-유니티 소프트웨어 (+1.20%)
-ASML Holding (+1.22%)
-AT&T (+1.11%)
-로블록스 (+1.45%)
-Airbnb (-0.97%)
-디즈니 (+0.04%)
-리얼티 인컴 (+1.30%)
-화이자 (-1.46%)
-머크 (-1.32%)
-길리어드 (+1.18%)
-IBM (+0.16%)
-에스티로더 (-1.51%)
-사이먼 프라퍼티 (+0.45%)
-보스턴 프라퍼티 (+1.40%)
-구글 c (-0.64%)
-Star Bulk (-0.33%)
-Waste Management (-0.17%)

◆ 디지털자산
- BITCOIN $96,434.37 (+2.4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9.19 (-0.70%)
-유로/달러 1.03 (+0.61%)
-달러/엔 157.96 (+0.3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68% (-1.3bp)
-10년물 4.793% (+1.3bp)
-30년물 4.976% (+1.3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46% (-1.8bp)
-10년물 2.841% (-3.0bp)

◆ 상품시장
-WTI (bbl) $77.50 (-1.67%)
-금 (t oz) $2,682.30 (+0.14%)
-구리 (lb) $4.34 (+0.39%)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3 Jan, 22:4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1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채권 금리 상승 지속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 제한되며 소재/에너지 중심 강세 및 유틸리티/IT 중심 약세

- WTI, 미 정부의 러시아 석유산업 제재 확대 영향 소화하며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64.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2월 고용 서프라이즈 여파 지속되는 가운데 국제유가 급등세 반영하며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2.0bp 확대된 39.9bp

==================

◆ 미국 증시
-DOW 42,297.12p (+0.86%)
-NASDAQ 19,088.10p (-0.38%)
-S&P500 5,836.22p (+0.16%)
-Russell 2000 2,194.40p (+0.2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CVS HEALTH          (+7.31%)
-DEERE & CO (+5.22%)
-UNITEDHEALTH GROUP     (+3.93%)

Top Losers 3
-MICRON TECHNOLOGY INC (-4.31%)
-PALANTIR TECHNOLOGIES INC-A (-3.39%)
-PALO ALTO NETWORKS INC (-3.2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22%)
-테슬라 (+2.17%)
-코카콜라 (+0.95%)
-NVIDIA (-1.97%)
-Apple (-1.03%)
-Ford (+0.62%)
-Microsoft (-0.42%)
-메타 플랫폼스 (-1.22%)
-유니티 소프트웨어 (+3.83%)
-ASML Holding (-1.57%)
-AT&T (-0.60%)
-로블록스 (-0.73%)
-Airbnb (-0.60%)
-디즈니 (-0.52%)
-리얼티 인컴 (+1.55%)
-화이자 (+0.30%)
-머크 (+1.74%)
-길리어드 (+0.07%)
-IBM (-1.07%)
-에스티로더 (+2.11%)
-사이먼 프라퍼티 (+1.08%)
-보스턴 프라퍼티 (+1.72%)
-구글 c (-0.46%)
-Star Bulk (-0.46%)
-Waste Management (+0.14%)

◆ 디지털자산
- BITCOIN $94,171.43 (-0.15%)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9.63 (-0.02%)
-유로/달러 1.02 (+0.01%)
-달러/엔 157.48 (-0.16%)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81% (+0.0bp)
-10년물 4.780% (+2.0bp)
-30년물 4.963% (+1.6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64% (+10.3bp)
-10년물 2.871% (+3.4bp)

◆ 상품시장
-WTI (bbl) $78.82 (+2.94%)
-금 (t oz) $2,678.60 (-1.34%)
-구리 (lb) $4.33 (+0.5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2 Jan, 15:08


[신영증권 박소연] 1월 셋째주 증시전망

OECD에서 측정하는 G20 국가의 경기선행지수는 2022년 10월이 저점이었습니다. 2025년 1월까지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27개월째 확장을 이어가고 있는거죠.

그러나 과거 사례를 되짚어보면 별다른 굴곡 없이 30개월 이상 경기가 계속 확장한 사례는 많지 않습니다. 트럼프 2기에서 보편관세 시행을 계획하고 있어 더 걱정스럽습니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 보면 채권금리가 현 수준에서 오래 머무르긴 어렵다고 봅니다.

보편관세 부과는 인플레를 유발해 채권금리 상승 요인이 되지만, 이로 인해 불거질 보복관세와 경기둔화는 분명 채권금리 하락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달러 강세가 시장의 최대 화두이나 1971년 닉슨 행정부의 스미소니언 협정, 1985년 플라자 합의의 결과물은 달러 약세와 상대국 통화 평가절상이었습니다.

추세 추종이 언제나 정답이 아닌 이유입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3주 연속 상승. 과매도에 따른 자율반등 기대로 연초 이후 외국인 순매수 1.5조원. 다만 달러 강세 압력은 지속. 국고 3년 금리 8bp 오른 2.56%, 원/달러 환율은 3원 상승한 1,472원 기록

▲ 업종/종목 : CES 모멘텀에 SKC(+34.0%), SK하이닉스(+11.9%) 강세. 한화오션(+20.5%), HD현대중공업(+10.0%) 등 조선주 52주 신고 다수. 반면 금리인하 기대감 퇴색에 제이알글로벌리츠, 맥쿼리인프라 등 신저가 경신

▲ 주말 해외동향 : 미국증시 3대 지수 일제 약세. 고용지표 호조로 금리인하 기대감 퇴색. 바이든 행정부의 러시아 가즈프롬 제재로 원유/천연가스 3~7% 상승. 엔비디아(-3.0%) 등 기술주 조정 심화

▲ 종합판단 : 1월 20일 트럼프 취임 앞두고 강달러 등 시장 경계감 지속될 것. 그러나 3월 주주총회와 1분기 배당기산일 앞두고 고배당, 가치주 컬러 지속 전망. 중국 경기부양책도 하방경직 요인

- 금주 일정 : 14일(화) 미국 PPI, 15일(수) 미국 CPI 발표 / 16일(목) 한국은행 금통위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9 Jan, 23:07


(아래) 보먼 연준 이사, 추가금리 인하 반대…"12월이 최종단계여야"

보먼 이사는 지난 9월 연준이 '빅컷'을 단행할 때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인물이기도 하다. 보먼 이사는 최근 공석이 된 연준의 금융감독 부의장으로 오를 가능성이 큰 인물로 평가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9273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9 Jan, 22:33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1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서거 국가 애도일로 휴장. 전 거래일 데이터 첨부

- WTI, 계속되는 미 한파에 겨울 난방유 수요가 증가하며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9.6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국채 입찰 및 회사채 발행이 한산해지며 물량 압박 일부 해소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1.9bp 확대된 42.5bp

==================

◆ 미국 증시
-DOW 42,635.20p (+0.25%)
-NASDAQ 19,478.88p (-0.06%)
-S&P500 5,918.25p (+0.16%)
-Russell 2000 2,238.96p (-0.4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BOSTON SCIENTIFIC CORP (+4.30%)
-MEDTRONIC PLC        (+3.52%)
-ALLSTATE           (+3.10%)

Top Los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4.65%)
-ADVANCED MICRO DEVICES (-4.31%)
-JOHNSON & JOHNSON    (-2.7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01%)
-테슬라 (+0.15%)
-코카콜라 (+1.43%)
-NVIDIA (-0.02%)
-Apple (+0.20%)
-Ford (-0.20%)
-Microsoft (+0.52%)
-메타 플랫폼스 (-1.16%)
-유니티 소프트웨어 (-0.56%)
-ASML Holding (-1.80%)
-AT&T (-0.09%)
-로블록스 (+1.22%)
-Airbnb (-0.37%)
-디즈니 (-1.46%)
-리얼티 인컴 (+0.00%)
-화이자 (-1.00%)
-머크 (-1.16%)
-길리어드 (-1.64%)
-IBM (-0.35%)
-에스티로더 (-0.69%)
-사이먼 프라퍼티 (+0.30%)
-보스턴 프라퍼티 (-0.57%)
-구글 c (-0.67%)
-Star Bulk (+0.27%)
-Waste Management (+1.57%)

◆ 디지털자산
- BITCOIN $92,106.90 (-2.4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9.17 (+0.07%)
-유로/달러 1.03 (-0.17%)
-달러/엔 158.14 (-0.1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65% (-2.0bp)
-10년물 4.690% (-0.1bp)
-30년물 4.930% (-0.3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00% (-0.5bp)
-10년물 2.778% (-1.8bp)

◆ 상품시장
-WTI (bbl) $73.92 (+0.82%)
-금 (t oz) $2,690.80 (+0.69%)
-구리 (lb) $4.31 (+1.2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7 Jan, 22:5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08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ISM 서비스업 PMI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채권금리 상승세 지속, 투자심리 악화. 기술/경기소비재/커뮤니케이션 업종 약세

- WTI, 미 한파에 따른 수요 증가 전망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3.1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경제지표 호조 이어지며 인플레이션 우려 재점화 속 전구간 상승 마감. 30년물 4.91%로 2022년 이후 최고.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3.9bp 확대된 39.3bp

=================

◆ 미국 증시
-DOW 42,528.36p (-0.42%)
-NASDAQ 19,489.68p (-1.89%)
-S&P500 5,909.03p (-1.11%)
-Russell 2000 2,249.80p (-0.7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MICRON TECHNOLOGY INC (+2.67%)
-WALGREEN BOOTS ALLIANCE (+2.11%)
-3M              (+1.90%)

Top Losers 3
-PALANTIR TECHNOLOGIES INC-A (-7.81%)
-NVIDIA             (-6.22%)
-TESLA            (-4.06%)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42%)
-테슬라 (-4.06%)
-코카콜라 (+0.05%)
-NVIDIA (-6.22%)
-Apple (-1.14%)
-Ford (-1.61%)
-Microsoft (-1.28%)
-메타 플랫폼스 (-1.95%)
-유니티 소프트웨어 (-7.46%)
-ASML Holding (-1.42%)
-AT&T (-1.77%)
-로블록스 (-1.02%)
-Airbnb (-2.89%)
-디즈니 (+0.31%)
-리얼티 인컴 (-0.42%)
-화이자 (+0.89%)
-머크 (+1.30%)
-길리어드 (-0.66%)
-IBM (+0.58%)
-에스티로더 (+0.82%)
-사이먼 프라퍼티 (-0.14%)
-보스턴 프라퍼티 (-2.31%)
-구글 c (-0.63%)
-Star Bulk (+0.95%)
-Waste Management (+0.81%)

◆ 디지털자산
- BITCOIN $96,478.53 (-5.1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70 (+0.41%)
-유로/달러 1.03 (-0.48%)
-달러/엔 158.05 (+0.27%)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93% (+1.6bp)
-10년물 4.686% (+5.5bp)
-30년물 4.914% (+6.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08% (-1.6bp)
-10년물 2.794% (-2.3bp)

◆ 상품시장
-WTI (bbl) $74.25 (+0.94%)
-금 (t oz) $2,665.40 (+0.68%)
-구리 (lb) $4.20 (+0.8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7 Jan, 00:07


(위) 미국 사모시장에 부는 새바람 : Private market의 민주화, 개인시장이 열린다 (FT)

미국 private market에 개인/연금 등 리테일 투자자들이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큰 화두가 되는 것 같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다는데. 이렇게 되면 비상장기업, 사모대출 등 기관들 전유물이었던 시장에 개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되는거죠.

ETF, 인덱스 펀드 등도 큰 바람이 불 수 있겠네요. 한국에도 여러가지 시사점을 주는 칼럼입니다.

(제가 이해를 돕기 위해 기사 내용을 다소 각색/번역을 했습니다)

===================

- 트럼프 행정부에서 여러 분야 규제 완화를 계획하고 있지만, Blackstone과 KKR 등 사모펀드 업계에서는 pension fund 시장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음

- 사모펀드 저변 확대를 불러일으킬 "투자 적합성 기준(invest­ment suit­ab­il­ity stand­ards)"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 일각에서는 채권금리가 높아지면서 기관 투자자들이 대체자산을 외면하다보니 사모운영사들이 새로운 먹잇감(?)으로 개인시장으로 눈을 돌린 것 아니냐는 비판을 하고 있음

- 그러나 "대체자산 접근성을 민주화(demo­crat­ising access to altern­at­ive assets)"한다는 차원의 규제 완화는 설득력이 있음. 사실 Private asset은 국부펀드 등 특정 기관투자자들의 전유물이다시피 했기 때문

- 규제 완화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10년간 개인투자자들은 사모시장에 매우 깊숙히 침투하게 될 것

- 2022년 기준 사모시장의 AUM 비중은 국부펀드가 24%, 리테일은 16%에 불과했으나 2032년까지 리테일 비중이 약 22%까지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특히 ETF 등 저렴한 Index 펀드들이 사모시장을 구조화할 수 있다면 개인 연금자산의 접근성은 더욱 개선될 것

- 사모운용사들은 지금까지의 화려했던 수익률은 저금리 시절에 이루어졌던 환상일 뿐이라며, 앞으로도 이런 수익률을 내려면 더 심도깊은 전문가 접근이 필요하다며 항변

- 이는 높은 수수료를 정당화시키는 논리였음. 실제로 Blackstone의 대표 부동산 펀드인 BREIT의 경우 운용보수가 1.25%, 성과보수는 운용실적의 12.5%를 수취

- 사실 사모시장의 높은 수익률은 오랫동안 돈이 묶이는 "저유동성(iliquidity)"에 대한 보상이라는 시각이 상당했음. 이는 언제든 원할 때 환매할 수 있는 public market의 시장 특성과 상충하는 부분이 있음

- 게다가 사모시장은 니치 마켓일 때 초과수익을 내는 전략인데, 401k 자금과 개인 퇴직연금 계좌는 25조달러가 되는 어마어마한 규모임. 과연 이러한 규모의 자금이 사모시장에 접근 가능해졌을 때도 높은 수익률이 나올지는 의문

- 방법은 Van­guard나 Fidel­ity 등 메이저 운용사들이 좋은 게이트피커 역할을 하는 것임. 수많은 엄마와 아빠들에게 억만장자들만 접근했던 고수익 사모시장에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야할 것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6 Jan, 22:5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07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AI 서버 특수로 폭스콘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8% 강세

- 장 초반 워싱턴포스트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보편관세'가 아니라 '일부 품목 선별 관세'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하며 일시 반색하는 분위기 있었으나 트럼프가 이에 대해 '가짜 뉴스'라고 발언하며 다우지수 약보합으로 반락

- 12월 ISM 서비스업 지수 33개월래 최고치 기록하며 국채금리 여전히 고공행진. IT/커뮤니케이션 강세. 부동산/유틸리티 약세

- WTI,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에 하락. NDF 원/달러 환율 1,462.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향후 발행 물량 부담으로 중장기 구간 중심 상승.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3.6bp 확대된 35.4bp

==================

◆ 미국 증시
-DOW 42,706.56p (-0.06%)
-NASDAQ 19,864.98p (+1.24%)
-S&P500 5,975.38p (+0.55%)
-Russell 2000 2,266.65p (-0.0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MICRON TECHNOLOGY INC (+10.45%)
-APPLIED MATERIALS INC (+4.36%)
-META (+4.23%)

Top Losers 3
-PALANTIR TECHNOLOGIES INC-A (-4.97%)
-INTEL              (-3.36%)
-LOCKHEED MARTIN      (-3.28%)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53%)
-테슬라 (+0.15%)
-코카콜라 (-1.52%)
-NVIDIA (+3.43%)
-Apple (+0.67%)
-Ford (+0.40%)
-Microsoft (+1.06%)
-메타 플랫폼스 (+4.23%)
-유니티 소프트웨어 (+3.53%)
-ASML Holding (+7.58%)
-AT&T (-0.31%)
-로블록스 (+2.41%)
-Airbnb (-0.38%)
-디즈니 (-0.10%)
-리얼티 인컴 (-1.03%)
-화이자 (+1.13%)
-머크 (+0.59%)
-길리어드 (-0.20%)
-IBM (+0.01%)
-에스티로더 (+1.95%)
-사이먼 프라퍼티 (-0.94%)
-보스턴 프라퍼티 (-3.90%)
-구글 c (+2.50%)
-Star Bulk (-3.55%)
-Waste Management (+0.05%)

◆ 디지털자산
- BITCOIN $101,661.87 (+3.2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24 (-0.66%)
-유로/달러 1.04 (+0.80%)
-달러/엔 157.62 (+0.2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77% (-0.4bp)
-10년물 4.631% (+3.2bp)
-30년물 4.850% (+3.8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24% (+4.2bp)
-10년물 2.817% (+6.3bp)

◆ 상품시장
-WTI (bbl) $73.56 (-0.54%)
-금 (t oz) $2,647.40 (-0.27%)
-구리 (lb) $4.16 (+2.16%)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6 Jan, 02:00


골드만삭스: 중국 정부, 이전 경기 부양 사이클보다 소비 진작에 더 집중할까?

- 최근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 정책 당국은 “소비를 강력히 촉진”(특히 가계 소비), “투자 수익성 개선”, “내수 전면 확대”라는 주요 목표를 구체화한 실행 방안을 발표함. 이를 위해 소비 촉진 특별 행동 계획을 도입하고,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를 지원하며, 기본 연금과 의료 보험 보조금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함. 또한, 소비재 교체 및 설비 업그레이드 프로그램도 강화 및 확대할 방침임.

- 2024년과 달리 2025년에는 소비가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자리 잡았으며(2023년 CEWC에서는 두 번째 과제), 첨단 제조업보다도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함.

- 분석가들은 2025년 공식 재정적자 목표치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일부 언론에서는 GDP 대비 비율이 2024년 3%에서 4%로 증가할 수 있다고 언급함. 다만, 이는 재정 정책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신호일 뿐이며, 실제 재정 집행의 상당 부분은 예산 외 영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 골드만삭스 추산에 따르면, 2025년 확장된 재정적자는 GDP 대비 13%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더 강력한 재정 부양 조치가 시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함(Exhibit 5 참조). 이러한 재정 지출은 여전히 지방 정부와 주요 투자 프로젝트에 상당 부분 집중될 가능성이 높지만, 과거에 비해 가계를 위한 지출 비중(예: 소비재 교체 프로그램 확대 등)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은행 자본 확충이나 지방 정부의 미개발 토지 환매와 같은 항목을 제외하더라도, 소비재 교체, 다자녀 가구 지원 보조금, 연금 및 의료 보험 증액 등 소비를 직접 겨냥한 지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큼. 이는 "신형 인프라"와 같은 전통적인 투자 항목에 비해 소비 진작을 목표로 한 재정 완화 비중이 더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6 Jan, 00:16


[Tesla 주가 +8.2% 상승 코멘트]
신영증권 문용권 연구위원

- 4Q24 고객 인도가 시장 컨센서를 하회하며 Tesla 주가가 목요일 -6.0% 하락했으나 FSD, 로봇, 트럼프 취임 수혜 기대감에 힘입어 금요일 +8.2% 반등

- 4Q24 고객 인도는 49.6만대(YoY +2%, QoQ +7%)로 분기 최대치를 경신했으나 시장 기대치는 약 2% 하회하며 지난 10월 Musk가 제시한 '25년 판매 +20~30% 증가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옴

- 그러나 금요일에는 판매량 보다는 FSD, 로봇, 등이 더 중요한 포인트라는 기사, 보고서가 나옴

- 특히 '23년 당시 Tesla FSD 주행 성능에 대해 혹평했던 Barrons는 최근 FSD 테스트로 보여준 기술 발전이 놀랍다고 평가

- 과거 문제가 되었던 좌회전과 교차로에서도 FSD 주행이 가능해졌으며, 주행 중 운전 개입이 상당히 감소했다며 매우 좋게 평가

- 미국 시간 1/29 예정인 실적발표에서 Tesla가 '25년 판매 성장률 가이던스를 기존과 같은 +20~30% 수준으로 유지하느냐가 중요한 변수임. 현재 시장은 +10~20%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Jan, 22:55


(아래) 거래소, '불법 공매도' 감시 시스템 개발…"3월 말 공매도 재개 대비"

거래소는 이달 6일부터 주요 기관 투자자와 연계테스트를 진행하고 3월31일 공매도 재개 전까지 시스템을 안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6월 무차입 공매도 적발을 위해 공매도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시스템이 마련되는 올해 3월 말 공매도를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866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Jan, 22:43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1.06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12월 ISM 제조업 PMI 예상치 상회 속 경기소비재/IT/부동산 업종 중심 강세

- WTI, 중국 경기 부양책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66.8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제조업 PMI 세부 지표 중 신규주문 상승 및 고용지수 하락 반영하며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31.8bp

==================

◆ 미국 증시
-DOW 42,732.13p (+0.80%)
-NASDAQ 19,621.68p (+1.77%)
-S&P500 5,942.47p (+1.26%)
-Russell 2000 2,268.47p (+1.65%)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8.22%)
-PALANTIR TECHNOLOGIES INC-A (+6.25%)
-NVIDIA             (+4.45%)

Top Losers 3
-ADOBE             (-2.37%)
-BOEING            (-1.15%)
-TARGET            (-1.0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80%)
-테슬라 (+8.22%)
-코카콜라 (-0.15%)
-NVIDIA (+4.45%)
-Apple (-0.20%)
-Ford (+2.38%)
-Microsoft (+1.14%)
-메타 플랫폼스 (+0.90%)
-유니티 소프트웨어 (-1.71%)
-ASML Holding (+1.99%)
-AT&T (-0.70%)
-로블록스 (+2.77%)
-Airbnb (+3.22%)
-디즈니 (+0.31%)
-리얼티 인컴 (+1.29%)
-화이자 (-0.08%)
-머크 (-0.03%)
-길리어드 (-0.51%)
-IBM (+1.23%)
-에스티로더 (-2.46%)
-사이먼 프라퍼티 (+1.46%)
-보스턴 프라퍼티 (+1.64%)
-구글 c (+1.31%)
-Star Bulk (-1.81%)
-Waste Management (+0.55%)

◆ 디지털자산
- BITCOIN $98,482.42 (+0.1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95 (-0.40%)
-유로/달러 1.03 (+0.42%)
-달러/엔 157.26 (-0.1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81% (+3.9bp)
-10년물 4.599% (+3.9bp)
-30년물 4.812% (+3.3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482% (-2.5bp)
-10년물 2.754% (+0.5bp)

◆ 상품시장
-WTI (bbl) $73.96 (+1.13%)
-금 (t oz) $2,654.70 (-0.54%)
-구리 (lb) $4.07 (+1.1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Jan, 06:06


[신영증권 박소연] 1월 첫째주 증시전망

금요일 미국 주식시장이 오랜만에 강한 반등세를 보였지만, 미국채 금리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라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그러다보니 로봇, 양자컴퓨터, 자율주행 등 테마주들로만 순환매가 도는 양상인데

이번 주 10일(금) 발표 예정인 미국 고용지표, 20일(월) 시작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까지 감안하면 단기간에 시원스레 방향이 나오긴 어려워 보입니다.

당분간 달러 인덱스와 원/달러, 엔/달러 환율 방향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할 것 같습니다.

================

▲ 전주 동향 : 새해 첫주 저가 매수 유입에 KOSPI 2,440선 회복. 연기금 환헤지 확대에 원/달러 환율 1,469원선 안정. 국고 3년 금리는 GDP 전망치 하향, 한은 대응 기대로 15bp 급락한 2.48% 기록

▲ 업종/종목 : 외국인 반도체 순매수로 지수 전체 견인.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자회사 편입에 두산로보틱스(+29.2%) 상승. LIG넥스원(+25.9%),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5%) 등 방산주도 강세

- 52주 신고/근접 : 두산, HDC, SK가스, 레인보우로보틱스, 파크시스템스, 비츠로셀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상승 마감. 12월 ISM PMI 지수 49.3으로 전망치 상회. 테슬라(+8.2%), 엔비디아(+4.5%), MicroStrategy(+13.2%) 등 Tech 반등 성공. 의류주(Amer Sports, Tapestry, Urban Outfitters) 52주 신고가 다수

▲ 종합판단 : 1월 20일 트럼프 취임 앞두고 강달러 등 시장 경계감 지속될 것. 그러나 3월 주주총회와 1분기 배당기산일 앞두고 고배당, 가치주 컬러 지속 전망. 중국 경기부양책도 하방경직 요인

- 금주 일정 : 9일(목) 미국증시 지미 카터 애도의 날로 휴장(채권시장 오후 2시 조기 폐장), 10일(금) 미국 고용지표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Jan, 04:57


(아래) 한화의 '딜레마'...집중투표제 찬성시 돌아올 '부메랑'

고려아연은 이달 23일 임시주총을 개최한다. 가장 큰 화두는 집중투표제 도입을 위한 정관 변경 건이다. 한화는 최 회장 우군으로 분류된다.

다만 한화로서도 집중투표제 찬성 여부는 고민이 큰 지점이다. 재계 지배구조를 직격하는 이슈이기 때문이다.

한화가 집중투표제에 찬성표를 던진다면 한화 역시 집중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외부 압박에 처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평가다. 집중투표제 도입 필요성을 인정하는 명분이 될 수 있어서다.

외부 상황을 고려하면 한화가 감내해야 할 부메랑도 만만찮다는 평가가 나온다. 재계가 상법 개정을 통한 집중투표제 의무화에 반대하는 와중에 엇박자를 내는 행보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1020930302520109650&lcode=0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2 Jan, 22:4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1.3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마감. 테슬라 작년 차량 인도실적 예상치 하회 속 경기소비재/소재/부동산 관련주 중심 약세

- 테슬라는 6% 하락. 2024년 연간 인도량이 178.9만대로 시장 예상치 하회, 전년대비 1.9만대 감소. 연간 인도량이 YoY 감소한 것은 2011년 이후 처음.

- WTI, 중국 원유 수요 회복 기대 및 미 원유재고 감소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68.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ISM 제조업PMI 발표 경계(현지시간 3일) 속 중기구간 중심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1.1bp 축소된 31.8bp

=================

◆ 미국 증시
-DOW 42,392.27p (-0.36%)
-NASDAQ 19,280.79p (-0.16%)
-S&P500 5,868.55p (-0.22%)
-Russell 2000 2,231.67p (+0.0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UBER TECHNOLOGIES INC (+4.72%)
-MICRON TECHNOLOGY INC (+3.77%)
-NVIDIA             (+2.99%)

Top Losers 3
-TESLA            (-6.08%)
-GENERAL MOTORS       (-3.57%)
-BOEING            (-2.9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38%)
-테슬라 (-6.08%)
-코카콜라 (-0.67%)
-NVIDIA (+2.99%)
-Apple (-2.62%)
-Ford (-2.53%)
-Microsoft (-0.69%)
-메타 플랫폼스 (+2.34%)
-유니티 소프트웨어 (+9.08%)
-ASML Holding (+1.06%)
-AT&T (+0.26%)
-로블록스 (+1.69%)
-Airbnb (+0.05%)
-디즈니 (-0.48%)
-리얼티 인컴 (-1.52%)
-화이자 (+0.30%)
-머크 (-0.31%)
-길리어드 (-0.53%)
-IBM (+0.05%)
-에스티로더 (-1.33%)
-사이먼 프라퍼티 (+0.77%)
-보스턴 프라퍼티 (-0.89%)
-구글 c (+0.10%)
-Star Bulk (+3.68%)
-Waste Management (-0.62%)

◆ 디지털자산
- BITCOIN $97,123.78 (+2.4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9.28 (+0.73%)
-유로/달러 1.03 (-0.88%)
-달러/엔 157.50 (+0.17%)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42% (-0.1bp)
-10년물 4.560% (-1.2bp)
-30년물 4.779% (-0.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07% (-8.9bp)
-10년물 2.749% (-10.6bp)

◆ 상품시장
-WTI (bbl) $73.13 (+1.97%)
-금 (t oz) $2,669.00 (+1.06%)
-구리 (lb) $4.03 (-0.01%)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1 Jan, 22:4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1.2 모닝 브리프

(오늘 새해 첫 거래일은 오전 10시 개장입니다 // 뉴욕증시 및 채권시장 신년휴장으로 전거래일 데이터 첨부)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마감. 연말결산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 속 경기소비재/기술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중국 수요 회복 기대감 및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75.9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연준 매파적 스탠스 및 트럼프 취임 경계감 이어지며 중장기물 중심 상승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3.9bp 확대된 32.9bp

=================

◆ 미국 증시
-DOW 42,544.22p (-0.07%)
-NASDAQ 19,310.79p (-0.90%)
-S&P500 5,881.63p (-0.43%)
-Russell 2000 2,230.16p (+0.11%)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CVS HEALTH          (+2.16%)
-CONOCOPHILLIPS        (+2.14%)
-BIOGEN            (+1.82%)

Top Losers 3
-TESLA            (-3.25%)
-NVIDIA             (-2.33%)
-PALANTIR TECHNOLOGIES INC-A (-2.0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86%)
-테슬라 (-3.25%)
-코카콜라 (+0.37%)
-NVIDIA (-2.33%)
-Apple (-0.71%)
-Ford (+0.20%)
-Microsoft (-0.78%)
-메타 플랫폼스 (-0.97%)
-유니티 소프트웨어 (-0.18%)
-ASML Holding (-0.44%)
-AT&T (+0.71%)
-로블록스 (-1.06%)
-Airbnb (-0.30%)
-디즈니 (+0.50%)
-리얼티 인컴 (+1.29%)
-화이자 (+0.42%)
-머크 (+1.13%)
-길리어드 (+0.39%)
-IBM (-0.19%)
-에스티로더 (+1.06%)
-사이먼 프라퍼티 (+0.78%)
-보스턴 프라퍼티 (+0.26%)
-구글 c (-1.17%)
-Star Bulk (+1.70%)
-Waste Management (-0.24%)

◆ 디지털자산
- BITCOIN $94,771.56 (+1.1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49 (+0.33%)
-유로/달러 1.04 (-0.51%)
-달러/엔 157.24 (+0.2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43% (-0.1bp)
-10년물 4.572% (+3.8bp)
-30년물 4.783% (+3.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96% (-0.1bp)
-10년물 2.855% (-2.1bp)

◆ 상품시장
-WTI (bbl) $71.72 (+1.03%)
-금 (t oz) $2,641.00 (+0.87%)
-구리 (lb) $4.03 (-1.6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1 Jan, 09:50


(위) 12월 수출입 동향 : 반도체 제외하면 여전히 둔탁, 무역수지는 흑자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오늘 아침 발표된 12월 수출 동향 시사점을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

- 12월 수출 전년대비 6.6% 증가 : 반도체 수출은 기저효과 소멸에도 불구하고 31.5% 증가

- 그러나 반도체 제외하면 둔탁 : 전체 수출의 30%를 차지하는 반도체, 인도 기준으로 수출 반영되는 조선 제외하면 수출 증가율 4개월째 마이너스

- 그래도 고무적인 것은 무역흑자 :
12월 무역흑자는 65억달러, 2024년 연간으로는 518억달러 흑자. 이는 최근의 원/달러 환율 상승이 과거와 달리 달러 숏티지 때문이 아니라는 뜻

=> 이는 미국채 금리가 하락 반전할 경우 2025년 원/달러 환율이 의외로 빠르게 안정화될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 (대외 금리차가 환율 방향성에 가장 중요한 핵심 Key)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31 Dec, 00:02


(아래) 롯데그룹, '롯데하이마트' 매각 검토

롯데그룹이 유동성 위기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롯데하이마트 매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롯데쇼핑이 롯데하이마트를 인수한 건 2012년이다. 당시 하이마트 지분 65.25%를 약 1조2480억원에 인수했다.

관건은 눈높이 차이다. 롯데쇼핑 입장에서는 과거 인수 가격을 고려할 때 매각가를 지나치게 낮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롯데 측이 제시한 6000억원대 거래액은 과도한 수준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현재 롯데하이마트 시가총액은 1728억원에 불과했다.

롯데하이마트 매각과 관련해 롯데쇼핑 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12301418147520107413&lcode=0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30 Dec, 23:14


(아래) '영리법인' 속도 내는 오픈AI… 내부 고발자 죽음 불렀나

지난달 2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아파트에서 인도 출신의 인공지능(AI) 개발자 수치르 발라지(26)가 숨진 채 발견됐다. 현재 가장 앞선 AI 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오픈AI에서 4년간 일하며 챗GPT 개발에 참여한 젊은 엔지니어였다.

당초 자살로 종결된 이 사건이 유가족의 재수사 요청, 사인에 대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의문 제기를 계기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2/31/ELDEUYQFVZHEPHPR22MSBG7X3I/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30 Dec, 01:16


(위) 2024년 나의 실수 : 1972년 기업공개촉진법을 되돌아보며

신영증권 리서치센터는 매년 연말 '나의 실수'라는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투자는 좋은 선택을 해야 이기는 게임이지만, 잘못된 행위를 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승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저희의 철학입니다.

저는 올해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해 '1972년 기업공개촉진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중복상장, 순환출자 등 여러 거버넌스 문제의 출발점이 된 사건인데요.

50년 이상 누적된 문제가 단기적 정책만으로 해결될리 만무하나, 이제 막 엉킨 매듭을 푸는 작업을 시작했으니 너무 빨리 실망할 필요도 없지 않나 생각합니다.

따뜻한 연말 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소원합니다.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227/efc8d28d74699.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9 Dec, 22:37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3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미 국채 수익률 상승세 지속 및 차익실현 매물 출회 속 전업종 약세

- WTI, 미 원유 재고 감소 및 이스라엘의 후티 공습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73.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인플레이션 반등 우려 및 기준금리 인하 속도 둔화 반영하며 중장기 구간 중심 상승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4.3bp 확대된 29.7bp

=================

◆ 미국 증시
-DOW 42,992.21p (-0.77%)
-NASDAQ 19,722.03p (-1.49%)
-S&P500 5,970.84p (-1.11%)
-Russell 2000 2,244.59p (-1.56%)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BIOGEN            (+0.94%)
-FEDEX CORP         (+0.61%)
-MONDELEZ INTERNATIONAL  (+0.60%)

Top Losers 3
-TESLA            (-4.95%)
-PALANTIR TECHNOLOGIES INC-A (-3.73%)
-NVIDIA             (-2.09%)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45%)
-테슬라 (-4.95%)
-코카콜라 (-0.19%)
-NVIDIA (-2.09%)
-Apple (-1.32%)
-Ford (-0.40%)
-Microsoft (-1.73%)
-메타 플랫폼스 (-0.59%)
-유니티 소프트웨어 (-5.50%)
-ASML Holding (-0.32%)
-AT&T (-0.44%)
-로블록스 (-0.80%)
-Airbnb (-1.43%)
-디즈니 (-0.89%)
-리얼티 인컴 (-0.77%)
-화이자 (+0.23%)
-머크 (-0.17%)
-길리어드 (-0.32%)
-IBM (-0.94%)
-에스티로더 (-0.51%)
-사이먼 프라퍼티 (-1.03%)
-보스턴 프라퍼티 (-2.13%)
-구글 c (-1.55%)
-Star Bulk (-1.13%)
-Waste Management (-0.49%)

◆ 디지털자산
- BITCOIN $93,204.92 (-1.8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00 (-0.12%)
-유로/달러 1.04 (+0.04%)
-달러/엔 157.87 (-0.08%)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29% (-0.1bp)
-10년물 4.626% (+4.2bp)
-30년물 4.819% (+4.7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34% (-1.4bp)
-10년물 2.876% (-2.8bp)

◆ 상품시장
-WTI (bbl) $70.60 (+1.41%)
-금 (t oz) $2,631.90 (-0.83%)
-구리 (lb) $4.12 (-0.13%)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9 Dec, 02:16


(아래) 181명 탑승한 제주항공, 무안공항서 추락...28명 사망 추정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288256?sid=102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7 Dec, 01:12


(위) 원/달러 환율 1,476원 돌파

작년 말 원/달러 환율이 1,288원이었는데 오늘 1,475원에 호가되고 있네요. 1년만에 무려 187원이나 상승했습니다.

특이점을 정리해봤습니다.

==============

1) 정치적 불확실성이 주된 요인이라고만 보기 힘든 이유

- 원/달러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CDS프리미엄 큰 변화 없어 : 2008년(단기 외채 이슈)과 2022년(레고랜드발 채권시장 자금경색)은 CDS 프리미엄 동반 상승했으나 현재는 상대적으로 잠잠

2) 2024년은 순수하게 대내외 금리차 요인

- 원/달러 환율 상승 추세와 한미 10년물 국채 스프레드 궤적 동일. 12월 FOMC 이후 금리 상승세가 환율 상승의 주된 요인

3) 12/20 관세청 수출입 동향으로 보면 무역수지도 흑자

- 12월에도 20일까지 누적으로 13.5억달러 무역흑자 기록, 달러 숏티지 등 조짐 없어

- 원/달러 3m, 6m 스왑레이트도 -150bp 수준에서 큰 변화 없어. 스팟시장 조달환경도 과거에 비해 안정적

4) 결론 : 내년 1월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 경기둔화 여부 모니터링

- 긍정적으로 보면 2008년, 2022년과 같은 건전성 이슈가 없다는 의미. 그러나 반대로 생각하면 지금 환율 상승은 정책 당국이 컨트롤할 수 없음. 단기적으로 환율이 빠르게 가라앉을 가능성도 낮아

-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취임 이후가 변곡점 될 것 : 보편관세 현실화 여부, 미국 경기둔화 여부 등이 Key indicator 될 것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6 Dec, 22:28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27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필수소비재/금융 상승, 유틸리티/커뮤니케이션 하락

- WTI, 주간 실업지표 예상치 하회에 따른 달러 강세 영향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67.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7년물 입찰에서 견조한 수요 확인한 가운데 중단기 구간 중심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0.2bp 축소된 25.3bp

=================

◆ 미국 증시
-DOW 43,325.80p (+0.07%)
-NASDAQ 20,020.36p (-0.05%)
-S&P500 6,037.59p (-0.04%)
-Russell 2000 2,280.19p (+0.9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5.33%)
-TARGET            (+3.01%)
-FEDEX CORP         (+2.51%)

Top Losers 3
-TESLA            (-1.76%)
-ALTRIA GROUP        (-1.63%)
-PHILIP MORRIS INTERNATIONAL (-0.98%)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87%)
-테슬라 (-1.76%)
-코카콜라 (-0.43%)
-NVIDIA (-0.21%)
-Apple (+0.32%)
-Ford (+0.50%)
-Microsoft (-0.28%)
-메타 플랫폼스 (-0.72%)
-유니티 소프트웨어 (+6.01%)
-ASML Holding (-0.53%)
-AT&T (+0.04%)
-로블록스 (+0.62%)
-Airbnb (+0.24%)
-디즈니 (-0.01%)
-리얼티 인컴 (-0.32%)
-화이자 (-0.67%)
-머크 (+0.42%)
-길리어드 (+0.49%)
-IBM (+0.21%)
-에스티로더 (-0.11%)
-사이먼 프라퍼티 (+0.26%)
-보스턴 프라퍼티 (+0.13%)
-구글 c (-0.24%)
-Star Bulk (-0.66%)
-Waste Management (-0.18%)

◆ 디지털자산
- BITCOIN $95,582.89 (-2.8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10 (-0.15%)
-유로/달러 1.04 (+0.15%)
-달러/엔 158.02 (+0.44%)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31% (-0.4bp)
-10년물 4.584% (-0.6bp)
-30년물 4.771% (+0.8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48% (+2.2bp)
-10년물 2.904% (+2.8bp)

◆ 상품시장
-WTI (bbl) $69.62 (-0.68%)
-금 (t oz) $2,653.90 (+0.70%)
-구리 (lb) $4.13 (+0.43%)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6 Dec, 01:34


(위) 원/달러 환율 1,464원,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

원화 약세 압력이 더 거세지고 있네요.

정치적 불확실성도 문제긴 하지만, 옆나라 일본도 엔/달러 환율이 157엔을 재돌파한 것을 보면 전방위 달러 강세가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듯 합니다.

환율이 1,460원을 넘어선 것은 2008년 리만 파산 이후로는 처음입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5 Dec, 22:52


(아래) 트럼프 이어 모디도 K조선에 'SOS'… "상업용 1000척 필요"

지난 3일 울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특별한 손님이 찾아왔다.

인도 항만해운수로부 알 락슈마난 차관보, 최대 국영 조선사 코친조선소의 마두 나이르 CEO, 최대 국영 선사 인도해운공사(SCI)의 비네시 쿠마르 티아기 CEO 등 ‘인도 조선업 대표단’이었다. HD현대중공업 조민수 조선사업대표 부사장이 이들을 안내했다.

인도 조선 업계 관계자들이 HD현대중공업 조선소를 직접 찾은 건 2015년 나렌드라 모디 총리 방한 이후 약 10년 만이었다.

이들은 독(Dock)과 육상 야드에서 대형 선박을 연간 최대 50여 척 건조할 수 있는 조선소의 운영 체계와 친환경 선박 기술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인도에선 모든 종류의 선박이 대규모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고 한다.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4/12/26/EKV444BWI5HHPBMADD37N4KLQ4/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5 Dec, 22:2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26 모닝 브리프

- 24일(화)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산타 랠리 기대 지속에 테슬라 7% 상승하는 등 전업종 강세 (25일은 휴장)

- 25일(수) 중국 본토증시는 휴장없이 정상거래 약보합. 그러나 특별국채 발행 기대감 지속되며 낙폭 제한. WTI도 강세. 일본/대만증시도 (+) 마감

- NDF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57.30원 호가되기도 했으나 현재 1,448원 전후 거래중. 권한대행 대행 탄핵 여부가 원화 약세 기폭제 될 수 있다는 우려 잔존

- 미 국채금리, 5년물 국채입찰에서 견조한 수요가 확인됐으나 인플레 반등 우려 잔존 속 구간별 혼조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0.9bp 확대된 25.5bp

==================

◆ 미국 증시
-DOW 43,297.03p (+0.91%)
-NASDAQ 20,031.13p (+1.35%)
-S&P500 6,040.04p (+1.10%)
-Russell 2000 2,259.85p (+1.0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7.36%)
-BROADCOM INC (+3.15%)
-STARBUCKS          (+2.82%)

Top Los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1.18%)
-PHILIP MORRIS INTERNATIONAL (-0.70%)
-MICRON TECHNOLOGY INC (-0.49%)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77%)
-테슬라 (+7.36%)
-코카콜라 (+0.74%)
-NVIDIA (+0.39%)
-Apple (+1.15%)
-Ford (+1.21%)
-Microsoft (+0.94%)
-메타 플랫폼스 (+1.32%)
-유니티 소프트웨어 (+1.97%)
-ASML Holding (-0.18%)
-AT&T (+0.48%)
-로블록스 (+0.49%)
-Airbnb (+0.35%)
-디즈니 (+1.04%)
-리얼티 인컴 (+0.45%)
-화이자 (+0.11%)
-머크 (+0.08%)
-길리어드 (+0.59%)
-IBM (+1.12%)
-에스티로더 (+0.44%)
-사이먼 프라퍼티 (+1.15%)
-보스턴 프라퍼티 (+0.69%)
-구글 c (+0.81%)
-Star Bulk (-0.85%)
-Waste Management (+0.78%)

◆ 디지털자산
- BITCOIN $98,428.03 (+0.11%)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26 (+0.20%)
-유로/달러 1.04 (-0.06%)
-달러/엔 157.19 (+0.0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35% (-0.7bp)
-10년물 4.590% (+0.2bp)
-30년물 4.763% (-1.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26% (+1.0bp)
-10년물 2.876% (+3.2bp)

◆ 상품시장
-WTI (bbl) $70.10 (+1.24%)
-금 (t oz) $2,635.50 (+0.28%)
-구리 (lb) $4.11 (+0.61%)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4 Dec, 01:20


(아래) '자사주 마법' 사라진다…31일부터 인적분할시 신주배정 금지

금융위원회는 상장법인 자사주 제도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오는 31일부터 시행된다고 24일 밝혔다.

개정안은 자사주 보유/처분 공시도 대폭 강화하도록 했다.

상장사의 자사주 보유비중이 발행주식총수의 5% 이상인 경우 자사주 보유현황과 보유목적, 향후 처리계획(추가취득/소각) 보고서를 작성해 이사회 승인을 받아 공시해야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224039200002?input=1195m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4 Dec, 00:02


(위) 'AI 무장' 팔란티어 시총, 록히드마틴 제쳤다… 美 방산 카르텔 붕괴 위기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기업 중 하나가 아마 팔란티어일텐데요. 관련하여 잘 정리된 기사가 있어 공유해드립니다.

Anduril 등은 비상장이라 exposure 구축하기 어렵지만, 어쨌거나 AI가 industry-targeted 되어 진화 중이라는 증거네요.

반도체 자체보다는 software와 sector-specific 한 방향으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

수십 년간 과점 체제로 유지돼 온 미국 방산 시장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인공지능(AI)과 드론, 무인 전함 등을 생산하는 미국의 대표적 방산 테크 기업 12곳이 연간 8500억달러에 달하는 미 국방 예산을 공략하기 위해 컨소시엄을 구성한다.

팔란티어는 AI로 방대한 양의 군사 데이터를 분석, 이에 맞는 전략 수립을 돕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창업 7년 된 안두릴은 적의 무인 항공기를 탐지·추적하는 방어 체계와 AI로 실시간 지형·지물을 분석하며 비행하는 드론을 만든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2/24/D72DY4OXPBHPJC5OR62WWFCLQ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3 Dec, 22:3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2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연말 랠리 기대감 속 기술주 투자심리 회복되며 커뮤니케이션/IT/헬스케어 업종 중심 강세

- WTI, 달러 강세 지속되는 가운데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1.35원 호가

- 미 국채금리는 전구간 상승, 커브는 스팁. 컨퍼러스보드 12월 소비자신뢰지수와 11월 내구재 주문 모두 예상치를 크게 하회했지만 11월 신규 주택판매는 되려 호조를 나타내는 등 경제지표는 뒤섞여 발표. 10y2y 금리차는 3.5bp 확대된 24.6bp

==================

◆ 미국 증시
-DOW 42,906.95p (+0.16%)
-NASDAQ 19,764.88p (+0.98%)
-S&P500 5,974.07p (+0.73%)
-Russell 2000 2,237.44p (-0.22%)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BROADCOM INC (+5.24%)
-ADVANCED MICRO DEVICES (+4.52%)
-ELI LILLY            (+3.71%)

Top Los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2.62%)
-FEDEX CORP         (-2.44%)
-ACCENTURE PLC        (-2.07%)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06%)
-테슬라 (+2.27%)
-코카콜라 (-0.27%)
-NVIDIA (+3.69%)
-Apple (+0.31%)
-Ford (+0.20%)
-Microsoft (-0.31%)
-메타 플랫폼스 (+2.49%)
-유니티 소프트웨어 (-0.67%)
-ASML Holding (+2.18%)
-AT&T (+0.40%)
-로블록스 (-1.40%)
-Airbnb (+0.23%)
-디즈니 (-0.56%)
-리얼티 인컴 (+0.40%)
-화이자 (+1.33%)
-머크 (+1.35%)
-길리어드 (+0.90%)
-IBM (-0.64%)
-에스티로더 (+0.52%)
-사이먼 프라퍼티 (-0.13%)
-보스턴 프라퍼티 (+1.30%)
-구글 c (+1.57%)
-Star Bulk (+3.04%)
-Waste Management (-0.99%)

◆ 디지털자산
- BITCOIN $93,847.37 (-1.3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09 (+0.43%)
-유로/달러 1.04 (-0.24%)
-달러/엔 157.17 (+0.5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42% (+3.0bp)
-10년물 4.588% (+6.5bp)
-30년물 4.775% (+5.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16% (-1.3bp)
-10년물 2.844% (-2.9bp)

◆ 상품시장
-WTI (bbl) $69.24 (-0.32%)
-금 (t oz) $2,628.20 (-0.64%)
-구리 (lb) $4.09 (-0.3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2 Dec, 13:32


[신영증권 박소연] 12월 셋째주 증시전망

KOSPI가 6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올해 외국인 순매매 동향을 집계해보면 특이한 현상이 하나 있는데요.

삼성전자 한 종목을 제외하면 외국인은 실제로 한국시장을 12조원 가까이 순매수했다는 점입니다.

또 하나의 특징은 12월 들어 탄핵 정국, 달러 강세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는데도 고배당과 가치주가 여전히 상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밸류업 기대가 퇴색되긴 했지만 배당기산일이 내년 초로 변경된 회사가 많아졌고, 3월 주주총회도 하나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겠죠.

투자에는 변하는 것보다는 변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한국시장을 둘러싼 비관론이 상당하지만 오히려 가장 좋은 투자 기회는 이럴 때 찾아오기도 합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연준 점도표 쇼크에 3% 넘게 급락해 2,400선 간신히 지지. 강달러 심화에 원/달러 환율 22년 레고랜드 당시 고점 돌파, 장중 1,452원 기록. 국고 3년 금리 8bp 오른 2.62%

▲ 업종/종목 : 반도체/이차전지 약세 불구 미국과 협력 기대감에 HD현대중공업(+8.1%) 등 조선주 호조. 고려아연(-19.1%)은 주주명부 폐쇄로 매집 일단락되며 급락. SBS(+27.8%) 넷플릭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급등

- 52주 신고/근접 :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현대엘리베이터, 한일시멘트, DI동일, 한일홀딩스 등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PCE 물가지표 예상 하회로 반등에 성공했으나 주간 단위로는 하락세. Apple(+1.9%) 신고가 경신 불구 Tesla(-3.5%)는 차익실현에 반락.

- 미국 의회, 초당적 ‘조선업 강화법’ 발의 : 미국 조선소 투자시 세액공제, 선박 수리 동맹국 개방 등

▲ 종합판단 : 1월 20일 트럼프 취임 앞두고 강달러 등 시장 경계감 지속될 것. 그러나 3월 주주총회와 1분기 배당기산일 앞두고 고배당, 가치주 컬러 지속 전망. 중국 경기부양책도 하방경직 요인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9 Dec, 22:3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2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위험자산 회피 심리 강화 속 유틸리티/금융 업종 중심 강세 및 부동산/소재 업종 중심 약세

- 마이크론테크놀로지(-16.2%), 전일 제시한 시장 가이던스 실망감에 주가 부진 지속

- WTI, 달러 강세 지속 및 기준금리 인하폭 축소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45.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견조한 3분기 GDP 확정치(3.1%) 및 12월 FOMC 점도표에 따른 기준금리 전망을 반영하며 구간별 혼조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8.7bp 확대된 24.5bp

=================

◆ 미국 증시
-DOW 42,342.24p (+0.04%)
-NASDAQ 19,372.77p (-0.10%)
-S&P500 5,867.08p (-0.09%)
-Russell 2000 2,221.50p (-0.45%)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CCENTURE PLC        (+7.06%)
-PALANTIR TECHNOLOGIES INC-A (+3.78%)
-GENERAL ELECTRIC       (+3.03%)

Top Losers 3
-MICRON TECHNOLOGY INC (-16.18%)
-VERTEX PHARMACEUTICALS INC (-11.37%)
-LAM RESEARCH CORP (-5.3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26%)
-테슬라 (-0.90%)
-코카콜라 (-0.64%)
-NVIDIA (+1.37%)
-Apple (+0.70%)
-Ford (+0.52%)
-Microsoft (-0.08%)
-메타 플랫폼스 (-0.27%)
-유니티 소프트웨어 (-0.36%)
-ASML Holding (-1.28%)
-AT&T (+0.40%)
-로블록스 (+0.19%)
-Airbnb (+1.42%)
-디즈니 (+0.02%)
-리얼티 인컴 (-1.99%)
-화이자 (-0.46%)
-머크 (+1.20%)
-길리어드 (+0.44%)
-IBM (+1.70%)
-에스티로더 (-0.35%)
-사이먼 프라퍼티 (-1.31%)
-보스턴 프라퍼티 (-1.21%)
-구글 c (-0.24%)
-Star Bulk (-1.67%)
-Waste Management (+0.05%)

◆ 디지털자산
- BITCOIN $97,327.84 (-3.5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42 (+0.36%)
-유로/달러 1.04 (+0.10%)
-달러/엔 157.44 (+1.7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19% (-3.9bp)
-10년물 4.564% (+4.8bp)
-30년물 4.736% (+5.9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03% (+6.7bp)
-10년물 2.814% (+7.6bp)

◆ 상품시장
-WTI (bbl) $69.91 (-0.95%)
-금 (t oz) $2,608.10 (-1.70%)
-구리 (lb) $4.08 (-1.9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9 Dec, 00:38


GLJ Research: 테슬라 주가 상승, 옵션 감마 스퀴즈가 원인인가?
- 테슬라 주가는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116.7% 급등했음. 트럼프 당선과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영향력도 상승에 기여했지만, 핵심 원인은 옵션 시장의 감마 스퀴즈로 보임.

- 옵션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이후 테슬라의 풋옵션 거래량은 콜옵션 거래량을 약 4:1로 초과했음. 그러나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이 비율은 -0.23%로 전환되었고, 트럼프 당선 직후에는 -3.91%까지 확대됨. 이는 콜옵션 수요 급증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시장 메이커들이 델타 헤징을 위해 테슬라 주식을 대량 매수했음을 시사함.

- 이러한 과도한 콜옵션 수요로 테슬라 주가는 급등했지만, 이는 펀더멘털 개선보다는 옵션 시장의 비정상적 수급에 의한 것임. 옵션 거래 과열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콜옵션 수요가 감소하면 시장 메이커들의 델타 헤지 포지션 청산이 주가에 하락 압력을 가할 수 있음.

- 실제로 테슬라의 1개월 25-델타 콜옵션 암시적 변동성은 71.5%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과거 세 번의 고점(73%~76%)과 유사함. 과거 이러한 변동성 고점 이후 테슬라 주가는 모두 하락했음.

- 암시적 변동성이 높아지면 옵션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단기 콜옵션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짐. 예를 들어, 최근 거래된 12월 20일 만기 $500 콜옵션의 가격은 $3.95였는데 수익을 내려면 이번 주 금요일까지 테슬라 주가가 $503.95(+8.8%)에 도달해야 함. 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116,483 계약의 콜옵션은 전부 가치가 소멸될 수 있음.

- 엔비디아 역시 유사한 패턴을 보였음. 2023년 2분기, NVDA의 옵션 거래량이 급증하며 2024년 6월 18일~8월 5일 사이 1개월 25-델타 콜옵션 암시적 변동성은 46.35%에서 82.40로 상승했고, 풋옵션 대비 콜옵션 수요는 -1.18%에서 +14.78%로 전환됨. 이 기간 동안 NVDA 주가는 $135.58에서 $100.45로 25.9% 하락했음.

- 역사적으로 암시적 변동성이 70%~75%에 도달하면 주가가 반전되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최근 테슬라의 주가 상승은 옵션 시장의 투기적 수급에 의한 것이며, 단기적으로 하락 반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8 Dec, 22:4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19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급락 마감.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가 결정되었으나 내년도 인하폭 2회로 축소 시사하며 전 업종 약세

- Tesla 8% 하락했고 전방위 달러 강세로 비트코인 등 Crypto까지 조정세. NDF 원/달러 환율 1,452원 호가

- 다만 조정장 와중에도 양자컴퓨터 테마주인 Quantum(QUBT)는 53% 급등하는 기염을 토해

- WTI, 미국 주간 원유 수출 증가에 따른 수요 낙관론 확산 속 상승 마감

- 미 국채금리, 12월 FOMC 회의에서 발표된 점도표가 매파적으로 해석(내년 총 50bp 추가 인하 시사)되며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0.5bp 확대된 15.8bp

=================

◆ 미국 증시
-DOW 42,326.87p (-2.58%)
-NASDAQ 19,392.69p (-3.56%)
-S&P500 5,872.16p (-2.95%)
-Russell 2000 2,231.51p (-4.39%)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UNITEDHEALTH GROUP     (+2.92%)
-CVS HEALTH          (+2.82%)
-UBER TECHNOLOGIES INC (+0.33%)

Top Losers 3
-TESLA            (-8.28%)
-BROADCOM INC (-6.91%)
-BLACKSTONE INC (-6.2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4.60%)
-테슬라 (-8.28%)
-코카콜라 (-0.87%)
-NVIDIA (-1.14%)
-Apple (-2.14%)
-Ford (-2.81%)
-Microsoft (-3.76%)
-메타 플랫폼스 (-3.59%)
-유니티 소프트웨어 (-9.41%)
-ASML Holding (-2.14%)
-AT&T (-1.53%)
-로블록스 (-4.00%)
-Airbnb (-3.55%)
-디즈니 (-1.48%)
-리얼티 인컴 (-3.14%)
-화이자 (-2.04%)
-머크 (-1.72%)
-길리어드 (-2.27%)
-IBM (-3.84%)
-에스티로더 (-4.12%)
-사이먼 프라퍼티 (-4.70%)
-보스턴 프라퍼티 (-7.63%)
-구글 c (-3.54%)
-Star Bulk (+0.20%)
-Waste Management (-1.71%)

◆ 디지털자산
- BITCOIN $100,950.47 (-5.1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25 (+1.21%)
-유로/달러 1.04 (-1.32%)
-달러/엔 154.80 (+0.87%)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58% (+11.1bp)
-10년물 4.516% (+11.6bp)
-30년물 4.677% (+8.7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36% (-8.5bp)
-10년물 2.738% (-5.2bp)

◆ 상품시장
-WTI (bbl) $70.58 (+0.71%)
-금 (t oz) $2,653.30 (-0.33%)
-구리 (lb) $4.16 (+0.25%)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Dec, 22:4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16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브로드컴 실적 호조 등 개별 기업 실적 소화 속 기술/경기소비재 관련주 중심 강세, 커뮤니케이션서비스/소재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아랍에미리트 감산 목표 준수 강화 위해 내년 초 수출 물량 축소 소식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34.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되며 12월 점도표 내년 인하 폭 축소 우려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1.5bp 확대된 15.1bp
==================
◆ 미국 증시
-DOW 43,828.06p (-0.20%)
-NASDAQ 19,926.72p (+0.12%)
-S&P500 6,051.09p (-0.00%)
-Russell 2000 2,346.90p (-0.6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6.78%)
-TESLA            (+4.34%)
-ALLSTATE           (+2.06%)

Top Losers 3
-BIOGEN            (-3.41%)
-NVIDIA             (-2.25%)
-CHARTER COMMUNICATIONS  (-2.2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66%)
-테슬라 (+4.34%)
-코카콜라 (-1.13%)
-NVIDIA (-2.25%)
-Apple (+0.07%)
-Ford (+0.00%)
-Microsoft (-0.51%)
-메타 플랫폼스 (-1.66%)
-유니티 소프트웨어 (-6.43%)
-ASML Holding (+0.77%)
-AT&T (+1.16%)
-로블록스 (-0.02%)
-Airbnb (-4.74%)
-디즈니 (-1.36%)
-리얼티 인컴 (+0.36%)
-화이자 (+0.83%)
-머크 (+0.74%)
-길리어드 (-0.57%)
-IBM (-0.62%)
-에스티로더 (-1.21%)
-사이먼 프라퍼티 (+1.35%)
-보스턴 프라퍼티 (-0.01%)
-구글 c (-1.16%)
-Star Bulk (-1.94%)
-Waste Management (-0.58%)

◆ 디지털자산
- BITCOIN $102,836.82 (+1.74%)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7.00 (+0.04%)
-유로/달러 1.05 (+0.32%)
-달러/엔 153.65 (+0.67%)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47% (+5.4bp)
-10년물 4.398% (+6.9bp)
-30년물 4.602% (+5.7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41% (-0.8bp)
-10년물 2.676% (-2.4bp)

◆ 상품시장
-WTI (bbl) $71.29 (+1.81%)
-금 (t oz) $2,675.80 (-1.24%)
-구리 (lb) $4.20 (-1.1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Dec, 09:03


(아래) 이재명 "추경 신속하게 논의할 필요 있다"

이 대표는 15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지금 당장 해야될 일은 내수 부족과 정부의 재정 역할 축소에 따른 소비 침체"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신속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추경을 한다면 정부가 심각하게 줄여버린, 또는 없애버린 골목상권이나 서민경제 지원을 위한 지역화폐 예산이라든지 AI 관련 예산, 또는 대한민국이 조만간 대규모 전력 부족을 겪게 될 텐데 전력 확보를 위한 기반 시설 투자 예산 등 이런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대표는 또 "국회·정부가 함께하는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통해서 금융, 경제, 민생에 관한 정책적 협의를 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6324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Dec, 07:01


(아래) 테크노 퓨달리즘 : 콘텐츠 소유권, 빅테크 아닌 개인에게 있어야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는 마치 봉건시대 영주가 영지를 제공하는 대가로 지대를 받는 것처럼 이 디지털 시스템에서 나오는 이익을 챙긴다.

이 같은 현상을 두고 ‘테크노(기술)’와 ‘퓨달리즘(봉건주의)’의 합성어인 ‘테크노 퓨달리즘’이란 말이 탄생했다.”

어떤 사람이 인플루언서가 되고 싶어 한다고 치자. 그는 ‘좋아요’도 받고, 팔로어도 늘리고 싶어 하기 때문에 다양한 영상과 게시글을 꾸준히 올릴 것이다.

물론 자발적인 행위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본인의 동기와 상관없이 빅테크 주인들의 자산 증식을 위해 무료 노동을 한 꼴이 된다.

휴대전화가 세상에 처음 나왔을 때를 생각해봐라. 당시 사람들은 전화번호를 바꾸고 싶으면 통신사를 바꿔야 했다. 내가 돈 주고 이용하지만, 그 번호는 통신사의 소유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번호에 대한 개인의 소유권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자유롭게 번호를 갖고 통신사를 옮길 수 있게 됐다. 이처럼 플랫폼 생태계에서도 콘텐츠와 데이터에 대한 개인의 소유권을 인정해야 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4/12/12/YCZLEKZ7MZBPVMOCDIYRJNGOMI/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2 Dec, 22:4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13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마감. 주간 고용지표 둔화 및 11월 PPI 예상치 상회 속 경기소비재/에너지/헬스케어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국제에너지기구 OPEC+ 증산 연기에도 내년 초과 공급 전망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30.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1월 PPI 예상치 상회로 내년 금리 인하 폭 축소 우려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1.8bp 확대된 13.6bp

===================

◆ 미국 증시
-DOW 43,914.12p (-0.53%)
-NASDAQ 19,902.84p (-0.66%)
-S&P500 6,051.25p (-0.54%)
-Russell 2000 2,361.08p (-1.3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METLIFE            (+3.60%)
-INTEL              (+3.28%)
-CHARTER COMMUNICATIONS  (+2.63%)

Top Losers 3
-ADOBE             (-13.69%)
-CVS HEALTH          (-4.21%)
-UNITEDHEALTH GROUP     (-3.3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56%)
-테슬라 (-1.57%)
-코카콜라 (+1.92%)
-NVIDIA (-1.41%)
-Apple (+0.60%)
-Ford (-0.19%)
-Microsoft (+0.13%)
-메타 플랫폼스 (-0.30%)
-유니티 소프트웨어 (-1.62%)
-ASML Holding (-0.19%)
-AT&T (-0.51%)
-로블록스 (-0.47%)
-Airbnb (-0.99%)
-디즈니 (+0.25%)
-리얼티 인컴 (-0.33%)
-화이자 (+0.55%)
-머크 (+1.50%)
-길리어드 (+0.00%)
-IBM (+0.93%)
-에스티로더 (-0.25%)
-사이먼 프라퍼티 (+0.32%)
-보스턴 프라퍼티 (-0.06%)
-구글 c (-1.57%)
-Star Bulk (-0.39%)
-Waste Management (-0.03%)

◆ 디지털자산
- BITCOIN $99,787.04 (-1.8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98 (+0.26%)
-유로/달러 1.05 (-0.27%)
-달러/엔 152.63 (+0.12%)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93% (+3.9bp)
-10년물 4.329% (+5.7bp)
-30년물 4.545% (+6.1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49% (+1.3bp)
-10년물 2.700% (+0.8bp)

◆ 상품시장
-WTI (bbl) $70.02 (-0.38%)
-금 (t oz) $2,709.40 (-1.72%)
-구리 (lb) $4.24 (-0.45%)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1 Dec, 22:48


도이치뱅크: Curveballs for 2025
2025년이 다가오면서, 예상대로 흘러가는 해는 거의 없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3년에는 시장은 미국의 경기 침체를 잘못 예측했으며, 2024년에는 누구도 S&P 500이 연초 대비 30% 상승할 것이라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돌아보면, 우리는 내년에 글로벌 전망을 다시 바꿀 수 있는 잠재적 변수들을 고민해 보았습니다.
==========

1) 강세장의 끝자락이 다가온 걸까?
닷컴 버블을 제외하면, 현재 주식 시장의 밸류에이션은 역사상 최고점에 근접해 있습니다. S&P 500의 CAPE 비율(주기 조정 PER)은 닷컴 버블과 2021년에만 더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두 시기 모두 큰 폭의 조정이 뒤따랐습니다. 이번 랠리 역시 닷컴 버블을 연상시키며, 특히 소수의 기술주들이 시장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것이 특징적입니다.
이러한 고평가 현상은 주식 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산군에서도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미국 하이일드(US HY) 스프레드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수준까지 좁아졌으며, 미국 투자등급(US IG) 스프레드 역시 1998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를 잘 보여줍니다.

2)PBR이 2000년 버블 당시의 고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기술주가 지배적인 현재 지수의 특성상, 전통 산업에 비해 무형자산 비중이 높아 PBR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반론이 있습니다. 하지만 PSR 역시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했으며, 기술 기업의 가치평가에서는 이 지표가 더욱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 기준으로 보면, 시장은 이미 2000년 버블 고점을 크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3)소비자들의 주식 시장 상승 기대감은 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이는 1998~2000년 버블 시기조차 뛰어넘는 낙관적 심리입니다. 이러한 괴리는 소득 증가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더욱 두드러집니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낙관론은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는 강세장의 마지막 국면에서 뒤늦게 진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1 Dec, 22:47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12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11월 CPI 예상치 부합한 가운데 12월 인하 기대 강화 속 경기소비재/에너지 관련주 중심 강세, 필수소비재/헬스케어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미 행정부 러시아산 원유 해외 구매자 제재 대상 포함 검토 소식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28.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더딘 물가 둔화 경로로 내년 인하 폭 축소 우려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3.6bp 확대된 11.8bp
==================
◆ 미국 증시
-DOW 44,148.56p (-0.22%)
-NASDAQ 20,034.89p (+1.77%)
-S&P500 6,084.19p (+0.82%)
-Russell 2000 2,394.16p (+0.4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5.93%)
-ALPHABET A         (+5.52%)
-ALPHABET C         (+5.46%)

Top Losers 3
-CVS HEALTH          (-6.15%)
-UNITEDHEALTH GROUP     (-5.60%)
-WALGREEN BOOTS ALLIANCE (-5.57%)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32%)
-테슬라 (+5.93%)
-코카콜라 (-0.43%)
-NVIDIA (+3.14%)
-Apple (-0.52%)
-Ford (-1.42%)
-Microsoft (+1.28%)
-메타 플랫폼스 (+2.16%)
-유니티 소프트웨어 (+0.57%)
-ASML Holding (+1.30%)
-AT&T (-0.13%)
-로블록스 (+6.45%)
-Airbnb (+0.39%)
-디즈니 (-0.10%)
-리얼티 인컴 (-0.82%)
-화이자 (-1.33%)
-머크 (-1.24%)
-길리어드 (+0.04%)
-IBM (-0.69%)
-에스티로더 (-1.65%)
-사이먼 프라퍼티 (-1.45%)
-보스턴 프라퍼티 (-1.48%)
-구글 c (+5.46%)
-Star Bulk (-3.54%)
-Waste Management (-0.72%)

◆ 디지털자산
- BITCOIN $101,612.51 (+4.85%)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66 (+0.24%)
-유로/달러 1.05 (-0.29%)
-달러/엔 152.45 (+0.3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54% (+0.9bp)
-10년물 4.272% (+4.5bp)
-30년물 4.484% (+6.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36% (+1.2bp)
-10년물 2.692% (+4.7bp)

◆ 상품시장
-WTI (bbl) $70.29 (+2.48%)
-금 (t oz) $2,756.70 (+1.41%)
-구리 (lb) $4.26 (-0.2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0 Dec, 22:2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11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마감. TSMC 실적 소화 및 11월 CPI 경계 속 에너지/금융/헬스케어 관련주 중심 약세

- 반도체/클라우드 약세 두드러져 : Oracle(-6.67%), Broadcom(-3.98%), Micron(-4.59%), NVIDIA(-2.69%), Palantir(-2.17%), AMD(-2.39%) 등

- WTI,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 및 미 에너지정보청 내년 원유 초과 수요 전망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34.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1월 CPI 경계감(현지시간 11일 발표) 이어지며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0.6bp 확대된 8.2bp

==================

◆ 미국 증시
-DOW 44,247.83p (-0.35%)
-NASDAQ 19,687.24p (-0.25%)
-S&P500 6,034.91p (-0.30%)
-Russell 2000 2,382.77p (-0.42%)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17.74%)
-ALPHABET A         (+5.59%)
-ALPHABET C         (+5.32%)

Top Losers 3
-ORACLE            (-6.67%)
-AMERICAN TOWER REIT     (-4.55%)
-INTEL              (-3.1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46%)
-테슬라 (+2.87%)
-코카콜라 (+0.50%)
-NVIDIA (-2.69%)
-Apple (+0.41%)
-Ford (-0.38%)
-Microsoft (-0.60%)
-메타 플랫폼스 (+0.94%)
-유니티 소프트웨어 (-3.58%)
-ASML Holding (-0.18%)
-AT&T (+0.60%)
-로블록스 (-1.18%)
-Airbnb (+0.75%)
-디즈니 (+0.10%)
-리얼티 인컴 (-1.24%)
-화이자 (-2.03%)
-머크 (-2.69%)
-길리어드 (+1.93%)
-IBM (+0.75%)
-에스티로더 (+1.10%)
-사이먼 프라퍼티 (-1.58%)
-보스턴 프라퍼티 (-2.19%)
-구글 c (+5.32%)
-Star Bulk (-1.35%)
-Waste Management (-0.64%)

◆ 디지털자산
- BITCOIN $96,911.36 (-0.02%)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41 (+0.25%)
-유로/달러 1.05 (-0.26%)
-달러/엔 151.95 (+0.49%)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45% (+1.9bp)
-10년물 4.227% (+2.5bp)
-30년물 4.420% (+3.3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24% (-5.5bp)
-10년물 2.645% (-3.2bp)

◆ 상품시장
-WTI (bbl) $68.59 (+0.32%)
-금 (t oz) $2,718.40 (+1.21%)
-구리 (lb) $4.27 (-0.0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0 Dec, 06:48


(아래) 금투세 폐지 확정,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소득세법 국회 통과

금융투자소득세가 폐지된다.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가상자산 과세는 2년 미뤄졌다.

국회는 10일 본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소득세법 개정안을 재석 275명 중 찬성 204명, 반대 33명, 기권 38명으로 의결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210118900001?input=1195m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9 Dec, 22:38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1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중국 당국의 엔비디아 반독점법 혐의 조사 및 각국 정치적 불안정성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 악화. 금융/커뮤니케이션/유틸리티 업종 중심 약세

- WTI, 시리아 정권 붕괴 및 중국 경기 부양 기대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99.4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중국 정부의 완화적 통화 정책 예상 및 11월 CPI 발표 경계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2.7bp 확대된 7.6bp

==================

◆ 미국 증시
-DOW 44,401.93p (-0.54%)
-NASDAQ 19,736.69p (-0.62%)
-S&P500 6,052.85p (-0.61%)
-Russell 2000 2,392.84p (-0.6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3.39%)
-KRAFT HEINZ         (+2.95%)
-DANAHER           (+2.52%)

Top Losers 3
-COMCAST            (-9.50%)
-CHARTER COMMUNICATIONS  (-9.20%)
-METLIFE            (-3.45%)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41%)
-테슬라 (+0.15%)
-코카콜라 (+0.11%)
-NVIDIA (-2.55%)
-Apple (+1.61%)
-Ford (+0.86%)
-Microsoft (+0.55%)
-메타 플랫폼스 (-1.64%)
-유니티 소프트웨어 (-1.23%)
-ASML Holding (-0.35%)
-AT&T (-2.14%)
-로블록스 (-4.01%)
-Airbnb (+0.26%)
-디즈니 (-1.82%)
-리얼티 인컴 (+0.55%)
-화이자 (+1.44%)
-머크 (+0.68%)
-길리어드 (-1.67%)
-IBM (-3.38%)
-에스티로더 (+2.98%)
-사이먼 프라퍼티 (-0.94%)
-보스턴 프라퍼티 (+3.32%)
-구글 c (+0.35%)
-Star Bulk (+2.00%)
-Waste Management (-2.12%)

◆ 디지털자산
- BITCOIN $96,935.04 (-3.15%)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14 (+0.08%)
-유로/달러 1.06 (-0.13%)
-달러/엔 151.21 (+0.8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26% (+2.1bp)
-10년물 4.202% (+4.8bp)
-30년물 4.387% (+5.0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79% (-4.1bp)
-10년물 2.677% (-6.7bp)

◆ 상품시장
-WTI (bbl) $68.37 (+1.74%)
-금 (t oz) $2,685.80 (+0.99%)
-구리 (lb) $4.28 (+1.8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8 Dec, 22:5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09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12월 FOMC 인하 기대 강화 및 기업별 실적 소화 속 경기소비재/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관련주 중심 강세, 에너지/유틸리티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25년 초과공급 우려 지속되며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22.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1월 실업률 상승 및 민간고용 부진 속 중단기구간 중심 하락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1.7bp 확대된 4.9bp
==================
◆ 미국 증시
-DOW 44,642.52p (-0.28%)
-NASDAQ 19,859.77p (+0.81%)
-S&P500 6,090.27p (+0.25%)
-Russell 2000 2,409.00p (+0.5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5.34%)
-AMAZON COM        (+2.94%)
-ORACLE            (+2.93%)

Top Losers 3
-UNITEDHEALTH GROUP     (-5.07%)
-CVS HEALTH          (-2.76%)
-CHEVRON           (-2.57%)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94%)
-테슬라 (+5.34%)
-코카콜라 (-0.62%)
-NVIDIA (-1.81%)
-Apple (-0.08%)
-Ford (+0.67%)
-Microsoft (+0.21%)
-메타 플랫폼스 (+2.44%)
-유니티 소프트웨어 (+0.33%)
-ASML Holding (-0.35%)
-AT&T (+0.21%)
-로블록스 (+0.63%)
-Airbnb (+0.44%)
-디즈니 (+0.20%)
-리얼티 인컴 (+0.20%)
-화이자 (+0.12%)
-머크 (-0.44%)
-길리어드 (-1.35%)
-IBM (+1.40%)
-에스티로더 (+1.47%)
-사이먼 프라퍼티 (+1.08%)
-보스턴 프라퍼티 (+1.40%)
-구글 c (+1.25%)
-Star Bulk (-3.03%)
-Waste Management (-0.83%)

◆ 디지털자산
- BITCOIN $100,091.92 (+0.12%)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06 (+0.32%)
-유로/달러 1.06 (-0.17%)
-달러/엔 150.00 (-0.07%)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05% (-4.0bp)
-10년물 4.154% (-2.3bp)
-30년물 4.337% (+0.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20% (+1.7bp)
-10년물 2.744% (+0.6bp)

◆ 상품시장
-WTI (bbl) $67.20 (-1.61%)
-금 (t oz) $2,659.60 (+0.42%)
-구리 (lb) $4.20 (+0.1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7 Dec, 08:52


(아래) 與, 대통령 2선 후퇴·임기단축 개헌 나설듯

- 특검 198대 102표 : 부결

- 탄핵안, 여당 의원 대다수 퇴장으로 사실상 부결

============

국민의힘이 '비상계엄 사태'의 수습 방안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가 아닌, 윤 대통령의 2선 후퇴와 임기 단축 개헌 카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할 전망이다.

윤 대통령이 2선으로 물러나고 책임 총리가 여당과 함께 국정을 운영하는 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 5년 단임제를 4년 중임제로 바꾸는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한 윤 대통령의 자연스러운 퇴진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90763?sid=10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7 Dec, 00:07


(아래) 계엄령 여파, 불씨 약한 부동산 시장에 ‘찬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2016년 12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사태가 마무리될 즈음 다시 제자리를 찾았다.

지금 상황은 다르다. 2017년 당시와 달리 집값과 분양가격이 너무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집권 시 보유세가 오를 가능성에 대비해 다주택자들이 몇몇 주택을 처분하고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현상 또한 심화할 거란 이야기도 나온다.

관계자는 “금리인하 흐름에 따라 전반적인 국내 부동산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현재의 상황이 그런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것은 맞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0/0000083146?sid=101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6 Dec, 08:07


(아래) 내년 초 '反워크' ETF 출시…첫 타깃은 스타벅스

벌써 시작됐네요. anti-Woke 움직임

=============

미국에서 이른바 '워크'(woke)에 반대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내년 초 출시될 전망이라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조리아 파트너스가 내놓을 'S&P 능력주의'(티커 SPXM) ETF는 채용 과정에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를 고려하는 기업들을 S&P500 지수에서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s://m.yna.co.kr/view/AKR20241206115200009?site=popup_share_copy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Dec, 04:30


BCA: 일본을 주시하세요

2025년 금융 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지만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에게 간과되고 있는 주제는 일본입니다. 일본은 현재 글로벌 금융 시장 유동성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주식시장 밸류에이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나스닥의 밸류에이션은(역수익률 기준)는 미국 실질 국채 수익률과 밀접하게 연동되어 움직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 말부터 나스닥은 미국 실질 수익률과의 상관관계에서 벗어나, 세계에서 유일하게 음의 실질 국채 수익률을 제공하는 일본과 긴밀히 연계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2023년부터 2024년 동안 나스닥 밸류에이션은 일본 실질 국채 수익률과 거의 완벽히 동조하여 움직였으며, 이는 미국 기술주 밸류에이션에 가장 큰 위험 요인이 미국 실질 국채 수익률 상승이 아니라 일본 실질 국채 수익률 상승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일본 실질 국채 수익률 상승의 리스크는 결코 간과할 수 없으며, 현재 미국 기술주의 높은 밸류는 일본의 음의 실질 국채 수익률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본의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2% 목표치에 가까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은행(BOJ)의 제로금리정책(ZIRP)과 음의 실질 국채 수익률을 유지하는 정책 기조는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5년에는 일본 실질 국채 수익률의 변동이 글로벌 금융 시장과 기술주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며, 엔화 비중 확대와 같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할 것입니다.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Dec, 03:23


(위) 비트코인, 사상 첫 10만 달러 돌파…'트럼프 효과'

트럼프 2기에서는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 통해 미국채 물량부담도 덜고, 달러 패권도 강화시켜 일석이조를 노린다는 해석이 많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86361?sid=104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4 Dec, 22:38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05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주요 기술기업 3분기 실적 호조 속 기술/경기소비재 관련주 중심 강세

- WTI, 미 경기 지표 예상치 하회 및 휘발유 재고 예상치 상회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11.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1월 ADP 민간 고용 및 ISM 서비스업PMI 예상치 하회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0.9bp 확대된 5.3bp
==================
◆ 미국 증시
-DOW 45,014.04p (+0.69%)
-NASDAQ 19,735.12p (+1.30%)
-S&P500 6,086.49p (+0.61%)
-Russell 2000 2,426.56p (+0.42%)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SALESFORCE.COM        (+10.99%)
-PAYPAL HOLDINGS        (+4.92%)
-ADOBE             (+3.92%)

Top Losers 3
-VERIZON COMMUNICATIONS   (-2.99%)
-EXXON MOBIL         (-2.88%)
-ABBVIE             (-2.78%)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21%)
-테슬라 (+1.85%)
-코카콜라 (-2.06%)
-NVIDIA (+3.48%)
-Apple (+0.15%)
-Ford (-0.74%)
-Microsoft (+1.44%)
-메타 플랫폼스 (+0.02%)
-유니티 소프트웨어 (+7.73%)
-ASML Holding (+0.26%)
-AT&T (-0.88%)
-로블록스 (+1.89%)
-Airbnb (+1.17%)
-디즈니 (+0.46%)
-리얼티 인컴 (+0.25%)
-화이자 (-1.29%)
-머크 (-0.47%)
-길리어드 (-0.97%)
-IBM (+1.96%)
-에스티로더 (+2.34%)
-사이먼 프라퍼티 (+0.49%)
-보스턴 프라퍼티 (-0.47%)
-구글 c (+1.77%)
-Star Bulk (-2.09%)
-Waste Management (+0.12%)

◆ 디지털자산
- BITCOIN $97,876.14 (+1.86%)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35 (-0.01%)
-유로/달러 1.05 (+0.02%)
-달러/엔 150.59 (+0.66%)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28% (-5.3bp)
-10년물 4.181% (-4.4bp)
-30년물 4.346% (-5.7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26% (+4.1bp)
-10년물 2.765% (+5.2bp)

◆ 상품시장
-WTI (bbl) $68.54 (-2.00%)
-금 (t oz) $2,676.20 (+0.31%)
-구리 (lb) $4.20 (-0.01%)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Dec, 22:37


(아래) 4일 주식시장 정상 개장 결정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492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Dec, 22:2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2.0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JOLTs 구인건수 예상치 상회에 따른 경기 낙관론 속 커뮤니케이션/IT 중심 강세 및 유틸리티/금융 중심 약세

- WTI, OPEC+ 증산 연기 가능성 상승 및 이스라엘-헤즈볼라 충돌 지속에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간밤 1,430원까지 급등했으나 다시 1,414원으로 안정

- 미 국채금리, 연준 주요 인사들의 원론적인 입장 재확인 및 프랑스, 대한민국의 정치적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강화 속 구간별 혼조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3.4bp 확대된 4.4bp

==================
◆ 미국 증시
-DOW 44,705.53p (-0.17%)
-NASDAQ 19,480.91p (+0.40%)
-S&P500 6,049.88p (+0.05%)
-Russell 2000 2,416.35p (-0.7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T&T             (+4.58%)
-META (+3.51%)
-BLACKROCK          (+1.85%)

Top Losers 3
-INTEL              (-6.10%)
-FEDEX CORP         (-4.66%)
-UNITED PARCEL SERVICE    (-3.2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30%)
-테슬라 (-1.59%)
-코카콜라 (-0.20%)
-NVIDIA (+1.18%)
-Apple (+1.28%)
-Ford (-1.46%)
-Microsoft (+0.05%)
-메타 플랫폼스 (+3.51%)
-유니티 소프트웨어 (+0.82%)
-ASML Holding (+0.93%)
-AT&T (+4.58%)
-로블록스 (+2.63%)
-Airbnb (-0.02%)
-디즈니 (-0.61%)
-리얼티 인컴 (-1.16%)
-화이자 (-1.01%)
-머크 (+1.23%)
-길리어드 (-1.63%)
-IBM (+0.71%)
-에스티로더 (+1.97%)
-사이먼 프라퍼티 (-0.41%)
-보스턴 프라퍼티 (-0.90%)
-구글 c (+0.02%)
-Star Bulk (+1.06%)
-Waste Management (-0.05%)

◆ 디지털자산
- BITCOIN $96,082.00 (+0.6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34 (-0.10%)
-유로/달러 1.05 (+0.10%)
-달러/엔 149.59 (-0.0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81% (-0.1bp)
-10년물 4.225% (+3.3bp)
-30년물 4.403% (+4.0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85% (+1.8bp)
-10년물 2.713% (+1.6bp)

◆ 상품시장
-WTI (bbl) $69.94 (+2.70%)
-금 (t oz) $2,667.90 (+0.35%)
-구리 (lb) $4.20 (+1.73%)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Dec, 15:24


(아래) 한국거래소 “증시 운영 미정…논의 중”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850587?sid=101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Dec, 14:23


(아래) 금융시장 동향 요약 (12월 3일 오후 11시 20분 기준)

한국거래소 "내일 증시 운영 여부 미정"으로 재차 수정했습니다. 개장 여부는 다시 공지한다고 합니다.

======================

1) 외환시장

- NDF 원/달러 환율 1,427원 호가 중 (서울외환 종가 1,403원 대비 20원 이상 급등, 장중 1,430원까지 터치)

-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에도 일부 영향 : 엔화 강세, 엔/달러 환율 149엔 하향 돌파, 원/엔 환율은 957원까지 급등

2) 주식시장/야간선물옵션

- iShares MSCI Korea ETF인 EWY는 pre-market에서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현 시간 기준 4.4% 급락 중. 야간 선물옵션 시장에서는 12월 만기 OTM 풋옵션 500~1500% 상당 급등

- 원/달러 환율 변동폭(1.6%) 감안하면 내일 Kospi 시초가는 약 70pt 하락한 2,430선에서 형성될 가능성 (새벽 미국시장 종가 추가 확인 필요)

3) 가상자산시장

- 해외 비트코인/이더리움 등은 소폭 하락에 그치고 있으나 업비트 등 국내 시세 기준으로는 장중 50% 일시 급락하는 등 김치 역프리미엄 극심. 그러나 현재는 상당부분 회복하였음. 비트코인은 1.3억원에서 0.88억원까지 하락했다가 현재 1.3억원까지 회복

https://www.sedaily.com/NewsView/2DHZA1F14P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2 Dec, 22:3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2.03 모닝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미 상무부 HBM 중국 수출 통제 조치 및 ISM 제조업 지수 위축 국면 지속되며 기술/경기소비재 관련주 중심 강세, 유틸리티/부동산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11월 중국 제조업PMI 예상치 상회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03.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제조업 및 건설업 지표 예상치 상회 속 중단기 구간 중심 상승 마감. 커브 베어-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0.7bp 축소된 1.0bp
==================
◆ 미국 증시
-DOW 44,782.00p (-0.29%)
-NASDAQ 19,403.95p (+0.97%)
-S&P500 6,047.15p (+0.24%)
-Russell 2000 2,434.14p (-0.02%)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3.46%)
-META (+3.22%)
-QUALCOMM          (+2.84%)

Top Losers 3
-EXELON            (-3.01%)
-KINDER MORGAN       (-2.94%)
-GENERAL DYNAMICS      (-2.67%)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36%)
-테슬라 (+3.46%)
-코카콜라 (-0.67%)
-NVIDIA (+0.27%)
-Apple (+0.95%)
-Ford (-1.35%)
-Microsoft (+1.78%)
-메타 플랫폼스 (+3.22%)
-유니티 소프트웨어 (+0.58%)
-ASML Holding (+3.62%)
-AT&T (-1.99%)
-로블록스 (+4.05%)
-Airbnb (+1.01%)
-디즈니 (-0.26%)
-리얼티 인컴 (-2.07%)
-화이자 (-1.49%)
-머크 (-1.01%)
-길리어드 (+1.56%)
-IBM (-0.01%)
-에스티로더 (+5.35%)
-사이먼 프라퍼티 (-1.21%)
-보스턴 프라퍼티 (-1.35%)
-구글 c (+1.46%)
-Star Bulk (-1.62%)
-Waste Management (-1.36%)

◆ 디지털자산
- BITCOIN $95,419.96 (-2.46%)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40 (+0.62%)
-유로/달러 1.05 (-0.75%)
-달러/엔 149.60 (-0.1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82% (+2.9bp)
-10년물 4.192% (+2.2bp)
-30년물 4.363% (+0.1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67% (-4.0bp)
-10년물 2.697% (-5.4bp)

◆ 상품시장
-WTI (bbl) $68.10 (+0.15%)
-금 (t oz) $2,658.50 (-0.84%)
-구리 (lb) $4.13 (-0.23%)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1 Dec, 09:58


[신영증권 박소연] 12월 첫째주 증시전망

11월 수출 증가율이 전년동월비 +1.4%에 그쳤습니다.

무역수지의 경우 56억 달러 흑자를 유지했지만 수입도 동반 감소하면서 나온 결과라 그다지 고무적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미국(-5.1%), 중국(-0.6%), 인도(-4.1%) 등 주요국도 전부 마이너스였구요.

반도체/조선 제외한 수출 증가율은 이미 3개월째 마이너스입니다.

반도체는 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하다보니 착시를 줄 수 있어, 제외하고 봐야 전체 경기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조선의 경우 수주 기준이 아니라 인도 기준으로 반영되다보니 역시 제외하는게 맞구요.

지난 주 한국은행이 예상과 달리 빠른 금리인하 결정을 내렸는데, 경기둔화에 대해 진지하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경기둔화 우려 속 5개월 연속 하락. 한국은행 깜짝 금리인하로 국고채 3년물 21bp 급락한 2.60% 기록.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은 전주대비 10원 하락한 1,396원 기록

▲ 업종/종목 : 고배당 통신주 일제히 신고가. NAVER(+8.7%), 카카오(+11.2%), 엔씨소프트(+9.7%) 등 낙폭과대 S/W 업종도 순환매.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17.7%), LIG넥스원(-14.1%) 등 방산주 차익실현

- 52주 신고/근접 : SK텔레콤, KT, 대한항공, 삼성화재,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지역난방공사, 방림, 에이플러스에셋, 현대그린푸드, 대한제강

▲ 주말 해외동향 : 미국 주식시장 상승 마감. Black Friday로 조기 폐장해 거래 한산했으나 Tesla(+3.7%) 강세 연장 속 전반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1,394원 호가

- 52주 신고 : Citigroup, BoA, JP모건, Northern Trust, Truist Financial 등 대형/지역 금융주 다수

- 11월 수출 증가율 1.4% 그쳐. 무역수지는 56억달러 흑자 유지했으나 수입도 동반 감소한 탓. 미국/중국/인도 등 주요국 수출 증가율 일제 (-). 반도체/선박/바이오 정도만 (+) 유지

▲ 종합판단 : 컬러 변화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 경계. 다만 규제완화 테마주와 중국 부양책, 밸류업 기대감 작용할 고배당주 중심 하방경직 강할 것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1 Dec, 03:01


(위) 책 추천 : 할말하는 주주 (강추)

2025년 3월 주총 시즌을 앞두고 상법 개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한창입니다. 행동주의 흐름도 더 거세지겠죠.

관련하여 인상깊게 읽은 책 하나를 추천드립니다. 나온지 며칠 안된 책인데, 한국거버넌스포럼 2대 회장이신 김규식 변호사의 저작입니다.

2001년 민영화 이후 KT&G와 행동주의 펀드 관련 비화인데요. 이야기 형식으로 써서 그런지 아주 술술 읽힙니다.

칼라일 출신 이상현 대표가 설립한 플래시 라이트 캐피탈(FCP)의 관점에서 주로 서술되다보니 이견을 제시하시는 분도 있겠으나

한국시장이 주주자본주의를 재정의하는 중요한 분기점에 서있는만큼,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작이라 생각됩니다. 저에게도 많은 울림을 주네요.

개인 및 기관투자자 분들 뿐만 아니라 기업과 관가에 계신 분들도 꼭 한 번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편안한 주말 되세요.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9 Nov, 01:45


(위) 시장 장초반 급락 원인

일본 11월 도쿄 core CPI 예상치 상회로 BOJ 금리인상 가능성이 부각되며 엔/달러 환율이 150엔 아래로 급전 직하했습니다.

(10월 1.8%, 예상 2.0%, 발표치는 2.2%로 서프라이즈입니다)

엔화 강세로 엔캐리 트레이딩 언와인딩 가능성이 재차 부각되는 상황입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8 Nov, 22:31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29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및 채권시장은 추수감사절로 인해 휴장. 전거래일 데이터 첨부

- 유럽증시, 트럼프 유럽 추가 관세 부과 우려 일부 후퇴 및 프랑스 정치적 교착 상태 완화 조짐 속 상승 마감

- 전일 한국 국고채 금리, 한은 10월에 이어 11월 전격 인하 단행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스티프닝

===================

◆ 미국 증시
-DOW 44,722.06p (-0.31%)
-NASDAQ 19,060.48p (-0.60%)
-S&P500 5,998.74p (-0.38%)
-Russell 2000 2,426.19p (+0.0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3.78%)
-TARGET            (+2.80%)
-WALT DISNEY          (+1.86%)

Top Losers 3
-ORACLE            (-4.03%)
-SALESFORCE.COM        (-3.84%)
-ADOBE             (-2.2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02%)
-테슬라 (-1.58%)
-코카콜라 (-0.19%)
-NVIDIA (-1.15%)
-Apple (-0.06%)
-Ford (+0.00%)
-Microsoft (-1.17%)
-메타 플랫폼스 (-0.76%)
-유니티 소프트웨어 (+0.47%)
-ASML Holding (-0.22%)
-AT&T (+0.78%)
-로블록스 (+0.63%)
-Airbnb (-1.00%)
-디즈니 (+1.86%)
-리얼티 인컴 (+0.99%)
-화이자 (+0.23%)
-머크 (+1.48%)
-길리어드 (+1.16%)
-IBM (-0.83%)
-에스티로더 (+1.07%)
-사이먼 프라퍼티 (+0.16%)
-보스턴 프라퍼티 (-0.43%)
-구글 c (+0.12%)
-Star Bulk (-2.66%)
-Waste Management (+0.44%)

◆ 디지털자산
- BITCOIN $95,132.86 (-1.31%)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18 (+0.09%)
-유로/달러 1.06 (-0.13%)
-달러/엔 151.55 (+0.3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29% (-2.8bp)
-10년물 4.264% (-4.3bp)
-30년물 4.439% (-4.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38% (-10.3bp)
-10년물 2.788% (-9.2bp)

◆ 상품시장
-WTI (bbl) $68.72 (-0.07%)
-금 (t oz) $2,664.80 (+0.70%)
-구리 (lb) $4.14 (+0.5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8 Nov, 08:30


(위) 홍콩, 면세 통해 가상자산 허브 노린다 (FT)

규제를 완화하면 돈이 몰리는 법이죠. 아래 기사는 홍콩이 패밀리오피스, 사모펀드, 헷지펀드를 겨냥해 가상자산 양도차익 비과세를 추진한다는 내용입니다.

====================

- 홍콩이 사모펀드, 헷지펀드, 패밀리오피스 등에 가상자산 양도차익을 비과세하는 방안을 추진

- 이번주 FT가 입수한 20페이지 짜리 문건에 따르면, 홍콩 정부가 "자산 운용기관들이 가상자산의 오퍼레이션 HQ를 결정할 때 최우선순위로 고려하는 요소 중 하나가 taxation이며, 우호적 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표명

- 홍콩은 지속적으로 "가상자산 허브"로서의 포지션 구축을 노리고 있는데, 트럼프 당선 이후 비트코인 급등으로 이를 더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음. 싱가폴과의 경쟁구도에서 확실하게 선점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보는 듯. 홍콩을 싱가포르나 룩셈부르크처럼 만들려는 복안

- 가상자산 이외에도 사모채권, 해외부동산, 탄소배출권 등 비과세(tax-exempt) 투자상품 범위를 확대할 계획

- 홍콩의 패밀리오피스들은 이미 포트폴리오의 20%를 가상자산에 투자해 운용하는 경우 상당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8 Nov, 07:45


(아래) '깜짝' 금리인하 놀란 증권가…내년 기준금리 전망 2.0~2.5%로 하향

시장 예상과 달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으로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증권가에서는 일제히 내년 말 기준금리 예상치를 낮추는 등 전망 수정 작업에 들어갔다. 추가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2월로 예상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405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7 Nov, 22:3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28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마감. 휴일을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 및 경제지표 예상치 부합 속 기술/필수소비재/산업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미 휘발유 재고 예상치 상회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89.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3분기 GDP 예상치 부합 및 7년물 입찰 양호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1.5bp 축소된 3.5bp

==================

◆ 미국 증시
-DOW 44,722.06p (-0.31%)
-NASDAQ 19,060.48p (-0.60%)
-S&P500 5,998.74p (-0.38%)
-Russell 2000 2,426.19p (+0.0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3.78%)
-TARGET            (+2.80%)
-WALT DISNEY          (+1.86%)

Top Losers 3
-ORACLE            (-4.03%)
-SALESFORCE.COM        (-3.84%)
-ADOBE             (-2.2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02%)
-테슬라 (-1.58%)
-코카콜라 (-0.19%)
-NVIDIA (-1.15%)
-Apple (-0.06%)
-Ford (+0.00%)
-Microsoft (-1.17%)
-메타 플랫폼스 (-0.76%)
-유니티 소프트웨어 (+0.47%)
-ASML Holding (-0.22%)
-AT&T (+0.78%)
-로블록스 (+0.63%)
-Airbnb (-1.00%)
-디즈니 (+1.86%)
-리얼티 인컴 (+0.99%)
-화이자 (+0.23%)
-머크 (+1.48%)
-길리어드 (+1.16%)
-IBM (-0.83%)
-에스티로더 (+1.07%)
-사이먼 프라퍼티 (+0.16%)
-보스턴 프라퍼티 (-0.43%)
-구글 c (+0.12%)
-Star Bulk (-2.66%)
-Waste Management (+0.44%)

◆ 디지털자산
- BITCOIN $96,400.51 (+5.1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07 (-0.88%)
-유로/달러 1.06 (+0.73%)
-달러/엔 151.09 (-1.3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29% (-2.8bp)
-10년물 4.264% (-4.3bp)
-30년물 4.439% (-4.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741% (-3.2bp)
-10년물 2.880% (-2.3bp)

◆ 상품시장
-WTI (bbl) $68.72 (-0.07%)
-금 (t oz) $2,664.80 (+0.70%)
-구리 (lb) $4.14 (+0.5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6 Nov, 22:3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27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트럼프 관세 부과 엄포에도 일부 조정 가능성 및 반사이익 기대 속 유틸리티/헬스케어/기술 관련주 중심 강세

- WTI,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발표 경계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96.4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1월 FOMC 의사록 내 점진적 인하에 대한 전반적인 공감대 확인 속 단기구간 중심 하락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4.7bp 확대된 5.0bp

==================

◆ 미국 증시
-DOW 44,860.31p (+0.28%)
-NASDAQ 19,174.30p (+0.63%)
-S&P500 6,021.63p (+0.57%)
-Russell 2000 2,424.31p (-0.7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ELI LILLY            (+4.55%)
-AMAZON COM        (+3.18%)
-ALLSTATE           (+2.89%)

Top Losers 3
-GENERAL MOTORS       (-8.99%)
-AMGEN            (-4.76%)
-WALGREEN BOOTS ALLIANCE (-3.64%)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3.18%)
-테슬라 (-0.11%)
-코카콜라 (+0.26%)
-NVIDIA (+0.66%)
-Apple (+0.94%)
-Ford (-2.63%)
-Microsoft (+2.20%)
-메타 플랫폼스 (+1.49%)
-유니티 소프트웨어 (-2.75%)
-ASML Holding (-1.83%)
-AT&T (-0.04%)
-로블록스 (-0.20%)
-Airbnb (-0.89%)
-디즈니 (-0.47%)
-리얼티 인컴 (+0.52%)
-화이자 (-1.53%)
-머크 (+0.45%)
-길리어드 (+0.95%)
-IBM (+1.19%)
-에스티로더 (+0.29%)
-사이먼 프라퍼티 (+1.86%)
-보스턴 프라퍼티 (+1.34%)
-구글 c (+0.70%)
-Star Bulk (-3.32%)
-Waste Management (+0.80%)

◆ 디지털자산
- BITCOIN $91,651.14 (-2.2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89 (+0.07%)
-유로/달러 1.05 (-0.06%)
-달러/엔 153.08 (-0.7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57% (-1.5bp)
-10년물 4.307% (+3.2bp)
-30년물 4.483% (+1.6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773% (-4.3bp)
-10년물 2.903% (-1.7bp)

◆ 상품시장
-WTI (bbl) $68.77 (-0.25%)
-금 (t oz) $2,646.30 (+0.14%)
-구리 (lb) $4.12 (-0.9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6 Nov, 03:54


(아래) 트럼프 시대를 헤쳐갈 대한민국 필살기, 조선업 (칼럼)

지난해 미 해군 측이 우리나라 조선소를 샅샅이 둘러보고 갔다고 한다. 트럼프 발언이 돌발적인 게 아니라는 뜻이다.

중국이 군함을 척척 만드는데 미국의 군함 건조 능력은 급격히 쇠퇴해 위기감이 상당하다. 트럼프 2기에 조선업 분야에서 미국과 기술 협력 방안을 주도적으로 제안해 나간다면 한미 동맹의 새로운 물꼬를 터나갈 수 있다고 본다.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4/11/26/W4MN75GHUZEBHL7MF4TLRIRVGA/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5 Nov, 22:3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26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베센트 재무장관 임명으로 정책적 불확실성 완화 속 부동산/소재/경기소비재 관련주 중심 강세

- WTI,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합의 근접 소식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98.3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베센트 재무장관 임명으로 재정적자 관련 우려 완화 및 2년물 입찰 호조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2.2bp 축소된 0.3bp

==================

◆ 미국 증시
-DOW 44,736.57p (+0.99%)
-NASDAQ 19,054.84p (+0.27%)
-S&P500 5,987.37p (+0.30%)
-Russell 2000 2,442.03p (+1.4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GREEN BOOTS ALLIANCE (+4.62%)
-TARGET            (+4.42%)
-LOWES COMPANIES      (+4.02%)

Top Losers 3
-CONOCOPHILLIPS        (-5.06%)
-NVIDIA             (-4.18%)
-TESLA            (-3.96%)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20%)
-테슬라 (-3.96%)
-코카콜라 (+0.72%)
-NVIDIA (-4.18%)
-Apple (+1.31%)
-Ford (+1.97%)
-Microsoft (+0.43%)
-메타 플랫폼스 (+1.07%)
-유니티 소프트웨어 (+2.08%)
-ASML Holding (+1.72%)
-AT&T (-0.35%)
-로블록스 (-0.45%)
-Airbnb (+2.61%)
-디즈니 (+0.30%)
-리얼티 인컴 (+0.00%)
-화이자 (+2.03%)
-머크 (+2.00%)
-길리어드 (+0.33%)
-IBM (+1.42%)
-에스티로더 (+4.35%)
-사이먼 프라퍼티 (-0.57%)
-보스턴 프라퍼티 (+1.81%)
-구글 c (+1.72%)
-Star Bulk (+0.11%)
-Waste Management (+0.55%)

◆ 디지털자산
- BITCOIN $93,714.51 (-3.4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90 (-0.61%)
-유로/달러 1.05 (+0.74%)
-달러/엔 154.23 (-0.36%)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72% (-10.4bp)
-10년물 4.275% (-12.6bp)
-30년물 4.467% (-12.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773% (-4.3bp)
-10년물 2.920% (-5.6bp)

◆ 상품시장
-WTI (bbl) $68.94 (-3.23%)
-금 (t oz) $2,642.60 (-3.46%)
-구리 (lb) $4.16 (+0.63%)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5 Nov, 04:29


IFC 애플 스토어에서 점심시간을 이용해 Vision Pro 체험을 하고 왔습니다.

10분 정도는 안경 도수와 머리 크기에 맞춰 기기를 셋팅하고, 10분 정도는 클릭/드래그/스크롤 배우고, 10분 정도 사진과 영상 감상하는 코스인데요. (총 30분, 게임 체험도 가능)

무거워서 오래 쓰진 못하겠다 싶긴 하지만

휴가철 비치에 누워있는 것처럼 모래알이 하나하나 눈에 다 보이고 아이들 생일파티가 3D로 눈 앞에 펼쳐지는 걸 보니 증강현실과 컨텐츠 시장 개화가 머지 않았구나 싶었습니다.

저는 14프로 보유자라 3D 촬영기능이 없다는게 아쉬운데, 지속적으로 생태계 락업을 강화해나가는 애플이 놀랍습니다.

아직 체험 안해보신 분들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으니 꼭 한 번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사전 예약 필수)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1 Nov, 11:15


(아래) 어제부터 화제가 되고 있는 BMW 공장의 휴머노이드 조립 로봇(Figure)입니다.

단순 생산직의 종말 + 저임금 노동의 비교우위 상실이 더 가속화되는 흐름이네요.

https://youtu.be/nQoOKyA4Wj0?si=SGYOQ7nn9C_-kb2R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0 Nov, 22:3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21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러시아 대대적 공습 우려 및 엔비디아 실적 발표 경계 속 헬스케어/에너지 관련주 중심 강세, 필수소비재/금융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미 주간 원유재고 예상치 상회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98.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보우먼 이사 추가 인하 신중 등 매파적 발언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2.0bp 축소된 9.5bp

==================

◆ 미국 증시
-DOW 43,408.47p (+0.32%)
-NASDAQ 18,966.14p (-0.11%)
-S&P500 5,917.11p (+0.00%)
-Russell 2000 2,325.53p (+0.0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UNITEDHEALTH GROUP     (+4.07%)
-ELI LILLY            (+3.25%)
-AMGEN            (+2.83%)

Top Losers 3
-TARGET            (-21.97%)
-QUALCOMM          (-6.34%)
-FORD MOTOR         (-2.9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85%)
-테슬라 (-1.15%)
-코카콜라 (+0.64%)
-NVIDIA (-0.76%)
-Apple (+0.32%)
-Ford (-2.90%)
-Microsoft (-0.55%)
-메타 플랫폼스 (+0.79%)
-유니티 소프트웨어 (+9.24%)
-ASML Holding (-0.56%)
-AT&T (+0.44%)
-로블록스 (-1.38%)
-Airbnb (+2.90%)
-디즈니 (+1.64%)
-리얼티 인컴 (-0.52%)
-화이자 (-0.64%)
-머크 (+0.93%)
-길리어드 (+1.00%)
-IBM (+2.07%)
-에스티로더 (+0.83%)
-사이먼 프라퍼티 (-0.17%)
-보스턴 프라퍼티 (+0.18%)
-구글 c (-1.25%)
-Star Bulk (-5.29%)
-Waste Management (-0.12%)

◆ 디지털자산
- BITCOIN $94,463.65 (+2.34%)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65 (+0.42%)
-유로/달러 1.05 (-0.49%)
-달러/엔 155.44 (+0.5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17% (+3.5bp)
-10년물 4.412% (+1.5bp)
-30년물 4.598% (+1.5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873% (-1.6bp)
-10년물 3.017% (-1.9bp)

◆ 상품시장
-WTI (bbl) $68.87 (-0.75%)
-금 (t oz) $2,675.60 (+0.79%)
-구리 (lb) $4.19 (+0.19%)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9 Nov, 22:3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2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러-우 지정학적 리스크 재부각된 가운데 핵심 기업 실적 발표 기대 속 Tech 강세, 금융/에너지 약세

- WTI, 노르웨이 유전 부분 생산 재개에도 러시아 핵무기 사용 조건 완화 소식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92.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러시아 핵전쟁 위협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속 중장기 구간 중심 하락 마감. 커브 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1.9bp 축소된 11.5bp

==================

◆ 미국 증시
-DOW 43,268.94p (-0.28%)
-NASDAQ 18,987.47p (+1.04%)
-S&P500 5,916.98p (+0.40%)
-Russell 2000 2,324.83p (+0.8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NVIDIA             (+4.89%)
-WALMART           (+3.00%)
-NETFLIX            (+2.87%)

Top Losers 3
-LOWES COMPANIES      (-4.60%)
-WALGREEN BOOTS ALLIANCE (-4.27%)
-MEDTRONIC PLC        (-2.96%)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44%)
-테슬라 (+2.14%)
-코카콜라 (+1.18%)
-NVIDIA (+4.89%)
-Apple (+0.11%)
-Ford (-1.43%)
-Microsoft (+0.49%)
-메타 플랫폼스 (+1.21%)
-유니티 소프트웨어 (+10.06%)
-ASML Holding (-0.46%)
-AT&T (-1.13%)
-로블록스 (+2.37%)
-Airbnb (-0.57%)
-디즈니 (-0.99%)
-리얼티 인컴 (+0.72%)
-화이자 (+0.97%)
-머크 (-0.02%)
-길리어드 (-0.80%)
-IBM (+1.04%)
-에스티로더 (+0.34%)
-사이먼 프라퍼티 (+0.20%)
-보스턴 프라퍼티 (+1.29%)
-구글 c (+1.57%)
-Star Bulk (-2.01%)
-Waste Management (+0.34%)

◆ 디지털자산
- BITCOIN $92,306.20 (+1.02%)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19 (-0.08%)
-유로/달러 1.06 (-0.02%)
-달러/엔 154.66 (+0.0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82% (+0.1bp)
-10년물 4.397% (-1.8bp)
-30년물 4.583% (-2.8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889% (-2.6bp)
-10년물 3.036% (-2.7bp)

◆ 상품시장
-WTI (bbl) $69.39 (+0.33%)
-금 (t oz) $2,631.00 (+0.63%)
-구리 (lb) $4.18 (+0.4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8 Nov, 23:0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4.11.19 모닝브리핑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마감. 차기 정부 내각 구성 경계 및 엔비디아 실적 발표 기대 속 산업재 제외 전업종 강세

- WTI, 러-우 지정학적 리스크 재부각 및 노르웨이 최대 유전 정전으로 생산 일시 중단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90.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금리 인하 기대 일부 후퇴로 약세 출발 이후 저가 매수세 유입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0.1bp 축소된 13.4bp

==================

◆ 미국 증시
-DOW 43,389.60p (-0.13%)
-NASDAQ 18,791.81p (+0.60%)
-S&P500 5,893.62p (+0.39%)
-Russell 2000 2,306.34p (+0.11%)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SLA            (+5.62%)
-CVS HEALTH          (+5.38%)
-TEXAS INSTRUMENT       (+3.01%)

Top Losers 3
-ELI LILLY            (-2.55%)
-NIKE              (-2.31%)
-THERMO FISHER SCIENTIFIC   (-2.3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45%)
-테슬라 (+5.62%)
-코카콜라 (+0.19%)
-NVIDIA (-1.29%)
-Apple (+1.34%)
-Ford (+1.82%)
-Microsoft (+0.18%)
-메타 플랫폼스 (+0.06%)
-유니티 소프트웨어 (+3.75%)
-ASML Holding (+1.00%)
-AT&T (+1.37%)
-로블록스 (+0.59%)
-Airbnb (-0.23%)
-디즈니 (-1.34%)
-리얼티 인컴 (+0.41%)
-화이자 (+0.24%)
-머크 (+0.26%)
-길리어드 (+0.07%)
-IBM (+1.51%)
-에스티로더 (+1.29%)
-사이먼 프라퍼티 (+0.32%)
-보스턴 프라퍼티 (-0.15%)
-구글 c (+1.67%)
-Star Bulk (+0.74%)
-Waste Management (+0.19%)

◆ 디지털자산
- BITCOIN $91,370.51 (+2.4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21 (-0.45%)
-유로/달러 1.06 (+0.55%)
-달러/엔 154.66 (+0.2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81% (-2.4bp)
-10년물 4.415% (-2.5bp)
-30년물 4.611% (-0.8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15% (-2.6bp)
-10년물 3.063% (-2.1bp)

◆ 상품시장
-WTI (bbl) $69.16 (+3.19%)
-금 (t oz) $2,614.60 (+1.73%)
-구리 (lb) $4.17 (+1.3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8 Nov, 08:06


(위) 9월 24일 이후 신규 밸류업 공시한 기업

밸류업 지수가 발표된 이후 신규로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를 한 기업은 32개입니다.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등 금융주들이 많이 보이고 // 지난 번 지수에 편입되지 않아 논란(?)이 있었던 SK텔레콤, KT 등 고배당 통신주들도 밸류업 공시를 마쳤네요.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8 Nov, 07:57


(아래) 12월 20일 밸류업 지수 특별변경

거래소는 지수 발표 후 12월 6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이행한 기업을 대상으로 신규편입 심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특별 리밸런싱에선 특별 편입만 실시된다. 기존 구성종목이 조기에 편출될 경우 해당 기업과 투자자에게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한 조치다.

특별 편입종목 수는 아직 미정이며 향후 심사대상 규모 등을 고려해 확정할 예정이다. 구성종목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겠지만 내년 6월 정기변경 시 편출을 통해 100종목으로 복귀한다는 방침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2726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7 Nov, 22:2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1.1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불확실성 우려 속 경기소비재/에너지 강세 및 커뮤니케이션/IT 약세

- WTI, 최근 낙폭확대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0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CPI 예상치 부합에도 불구하고 향후 금리 경로 불확실성 반영하며 구간별 혼조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7.7bp 확대된 16.4bp

==================

◆ 미국 증시
-DOW 43,958.19p (+0.11%)
-NASDAQ 19,230.72p (-0.26%)
-S&P500 5,985.38p (+0.02%)
-Russell 2000 2,369.37p (-0.9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CHARTER COMMUNICATIONS  (+3.63%)
-INTEL              (+3.15%)
-UNITED PARCEL SERVICE    (+2.72%)

Top Losers 3
-BOEING            (-3.58%)
-TEXAS INSTRUMENT       (-3.32%)
-QUALCOMM          (-1.8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48%)
-테슬라 (+0.53%)
-코카콜라 (-0.32%)
-NVIDIA (-1.36%)
-Apple (+0.40%)
-Ford (+0.00%)
-Microsoft (+0.51%)
-메타 플랫폼스 (-0.82%)
-유니티 소프트웨어 (-0.47%)
-ASML Holding (+0.63%)
-AT&T (+0.68%)
-로블록스 (-2.28%)
-Airbnb (-0.33%)
-디즈니 (+1.71%)
-리얼티 인컴 (-0.21%)
-화이자 (+2.02%)
-머크 (-0.08%)
-길리어드 (-1.82%)
-IBM (+0.03%)
-에스티로더 (+0.19%)
-사이먼 프라퍼티 (+0.53%)
-보스턴 프라퍼티 (+0.46%)
-구글 c (-1.54%)
-Star Bulk (+0.90%)
-Waste Management (+0.40%)

◆ 디지털자산
- BITCOIN $88,633.92 (+0.36%)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51 (+0.45%)
-유로/달러 1.06 (-0.56%)
-달러/엔 155.46 (+0.5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88% (-5.4bp)
-10년물 4.452% (+2.3bp)
-30년물 4.637% (+6.9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9% (+3.9bp)
-10년물 3.067% (+5.3bp)

◆ 상품시장
-WTI (bbl) $68.43 (+0.46%)
-금 (t oz) $2,586.50 (-0.76%)
-구리 (lb) $4.08 (-1.29%)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6 Nov, 22:30


(아래) 정치력 얻은 머스크, 오픈AI 때리는데 MS까지 함께 친다

1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머스크는 전날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에 수정된 소장을 제출하며, 기존에 오픈AI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를 대상으로 했던 소송에 마이크로소프트(MS)를 피고로 추가했다.

수정된 소장의 핵심 주장은 오픈AI와 MS가 담합으로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것이다. 그 동안 오픈AI가 ‘비영리 재단’이라는 설립 계약을 위반했다는 다소 약한 주장을 해온 머스크는 법정 싸움을 반독점으로 확장하고 나선 것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1/17/7QVGBNJFVFHV5NNJEOQ5HNRBSQ/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Nov, 09:08


(아래) 삼성전자, 1년 내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삼성전자는 향후 1년 내 분할매입 방식으로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 등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11518060040946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Nov, 09:01


(위)일본 주주행동주의 사례와 교훈(강추)

당사 글로벌전략 이상연 연구원이 "일본 행동주의 사례연구" In-depth 자료를 발간했습니다.

일본에서 행동주의가 많았다는데…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이 있었고,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많이 궁금하실텐데요.

- 묘조식품(明星食品)
- 닌텐도(Nintendo, 7974 JP)
- 삿포로 홀딩스(サッポロホルディングス, 2501 JP)
- 후지텍(フジテック, 6406 JP)
- 도시바(東芝, 6502 JP)

등의 케이스를 실었습니다. 주가는 어땠는지, 실제 기업들이 어떤 식으로 방어를 했고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너무 재미있어서 저도 단숨에 읽었네요^^

한국도 내년 3월 주주총회가 얼마 안남은 시점이라, 사전적으로 교과서적 역할을 할 스터디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일독을 권유드립니다.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115/afd424cd8a588.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Nov, 07:38


13F 보유지분 공시: Berkshire Hathaway Inc. 24.09.30

Market Value:
$266b, 이전: $280b

매수
상위
- Dominos Pizza Inc (+0.21%)
- Pool Corp (+0.06%)
- Heico Corp. Class A (+0.01%)

매도 상위
- Apple Inc (-3.85%)
- Bank Of America Corp (-2.79%)
- Liberty Sirius XM Group, Series C (-0.55%)
- Liberty Sirius XM Group, Series A (-0.28%)
- Floor & Decor Holdings Inc (-0.14%)

신규 편입 종목
- Dominos Pizza Inc
- Pool Corp

편출 종목
- Liberty Sirius XM Group, Series A
- Liberty Sirius XM Group, Series C
- Floor & Decor Holdings Inc

- 참고: (%)는 포트폴리오 비중 변동.
자세한 포트폴리오 구성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부탁드립니다.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Nov, 01:11


(위) 80년대생이 온다 …'충성파 투사' 내각 꾸린 트럼프

트럼프 2기 행정부 인사가 속속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1980년대생이 대거 기용되고 있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날 지명된 게이츠 내정자는 1982년생, 개버드 내정자는 1981년생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1946년생, 올해 78세로 역대 최고령 대통령 당선인인 점을 감안하면 그의 도전적 정책을 실행할 '투사'로 그보다 한 세대 이상 어린 인물들을 '기수'로 내세운 셈이다.

'러닝메이트'인 J D 밴스 부통령 당선인부터가 1984년생으로 올해 40세다. 밴스 당선인은 1857년 존 브레킨리지 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어린 부통령 당선인이다.

관련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기사에서 입각이 유력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1963년생)과 니키 헤일리 전 유엔 대사(1972년생)가 배제된 것 역시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1984년생인 밴스 등 4년 뒤 '포스트 트럼프' 시대의 후계 구도를 고려해 1960~1970년대생 출신들을 솎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나이가 많은 장관들이 입각 후 인지도를 키워 4년 뒤 밴스의 '대항마'가 될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미다.

https://www.mk.co.kr/news/world/1116859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5 Nov, 01:03


BCA: 비트코인의 궁극적 목표가는 20만 달러+

2021년, BCA 리서치에서 비트코인이 $100,000 이상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을 발표했고, 이는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많은 회의론자들은 비트코인을 '폰지 사기' 또는 '위험한 거품'이라고 주장했지만, 3년이 지난 지금 이 예측은 실제로 입증되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100,000에 근접했으며, 이제 일부 투자자들은 이 시점에서 수익을 실현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투자자가 단기 트레이더인지 장기 보유자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은 항상 두 걸음 전진하고 한 걸음 후퇴하는 패턴을 보여왔습니다. 최근 급등 역시 미국 대선에서 '비트코인 친화적' 후보가 당선될 것이라는 기대에 기반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비트코인의 구조적 상승 추세가 여전히 견고하며, 궁극적인 목표가는 $200,000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의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금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금은 주로 보석으로 사용되지만, 그 진정한 가치는 '압류 불가능성'에 있습니다. 금융 자산이나 현금과 달리, 금은 법정 통화 인플레이션이나 정부의 몰수로부터 보호되며, 이러한 이유로 중앙은행들도 외화 대신 금을 보유합니다. 금의 시장 가치는 대략 19조 달러인데, 이 중 17조 달러가 금의 압류 불가능성에 기반한 네트워크 효과에서 발생합니다.

- 비트코인 역시 금과 유사하게 법정 화폐 시스템에서 '안전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초인플레이션, 은행 시스템 붕괴, 국가의 자산 몰수에 대비하는 보험 역할을 합니다. 비트코인은 법정 화폐 시스템에서 안전한 자산으로서 금의 시장을 잠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시장 가치는 금에 비해 매우 낮지만, 네트워크 효과와 시장 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 여력이 크다고 평가됩니다.

- 최근 분석에 따르면 금은 260일 가격 상승 복잡성 지표가 임계점에 도달하여 단기 조정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비트코인은 장기 상승 추세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크립토 겨울'이라 불리는 하락세를 경험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따라서 비트코인은 단기적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구조적 상승세는 유지되어 장기적으로 $200,000 이상의 목표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4 Nov, 22:43


(위) 12월 연준 동결 확률 상승

아직은 인하 확률이 더 높긴 하지만,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12월 FOMC 금리동결 확률이 40%까지 올라갔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4 Nov, 22:38


(아래) 테슬라 주가 힘 빠졌나…월가선 유상증자 권고도

트럼프 당선인은 머스크 CEO에게 차기 행정부의 정부 효율부 수장 자리를 맡겼다. 다만, NBC 방송은 트럼프 당선인의 측근 사이에서 그의 행동이 위험 수위에 올라왔다는 시각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 CEO가 연방 정부 효율성 제고와 예산 절감 외의 모든 현안에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정권 인수작업에도 참견하는 등 영역을 침범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월가에서는 테슬라의 이번 주가 폭등을 회사의 자금조달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권고가 나왔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2417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14 Nov, 22:31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1.15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파월 의장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시사 발언에 투자심리 위축되며 IT/에너지 제외 전업종 약세

- WTI, 반발 매수세 유입 지속되며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04.5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주목 필요성 발언을 소화하며 구간별 혼조 마감. 커브 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7.4bp 축소된 9.0bp

==================

◆ 미국 증시
-DOW 43,750.86p (-0.47%)
-NASDAQ 19,107.65p (-0.64%)
-S&P500 5,949.17p (-0.60%)
-Russell 2000 2,336.94p (-1.3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WALT DISNEY          (+6.23%)
-PHILIP MORRIS INTERNATIONAL (+2.36%)
-QUALCOMM          (+2.21%)

Top Losers 3
-GENERAL DYNAMICS      (-6.88%)
-TESLA            (-5.77%)
-RAYTHEON TECHNOLOGIES   (-3.9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22%)
-테슬라 (-5.77%)
-코카콜라 (-0.71%)
-NVIDIA (+0.33%)
-Apple (+1.38%)
-Ford (-0.27%)
-Microsoft (+0.40%)
-메타 플랫폼스 (-0.49%)
-유니티 소프트웨어 (-1.52%)
-ASML Holding (+2.90%)
-AT&T (-0.22%)
-로블록스 (-0.77%)
-Airbnb (+1.36%)
-디즈니 (+6.23%)
-리얼티 인컴 (-1.46%)
-화이자 (-2.62%)
-머크 (-0.14%)
-길리어드 (-0.56%)
-IBM (-0.92%)
-에스티로더 (+3.13%)
-사이먼 프라퍼티 (-0.48%)
-보스턴 프라퍼티 (+0.10%)
-구글 c (-1.74%)
-Star Bulk (+0.55%)
-Waste Management (-1.75%)

◆ 디지털자산
- BITCOIN $88,213.60 (-0.47%)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6.87 (+0.37%)
-유로/달러 1.05 (-0.32%)
-달러/엔 156.27 (+0.52%)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47% (+5.9bp)
-10년물 4.437% (-1.5bp)
-30년물 4.588% (-4.9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45% (+0.6bp)
-10년물 3.091% (+2.4bp)

◆ 상품시장
-WTI (bbl) $68.70 (+0.39%)
-금 (t oz) $2,572.90 (-0.53%)
-구리 (lb) $4.14 (+0.06%)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Nov, 07:43


JPM: US ELECTION OPPORTUNITIES IN ASIA (MATT SEE)

결국 미국 대선은 두 가지 선택으로 압축됨. 유권자들이 경제 정책의 연속성과 제도적 안정성, 자유 민주주의(해리스)를 선택할지, 아니면 급진적인 무역 정책과 강력한 리더십(트럼프)을 선택할지에 대한 결정임. 한마디로, 안정성을 선택할지 변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투표임. 미국 경합주에서 수백만 명의 유권자들이 어떻게 투표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아시아 시장에서 대선 결과에 따라 주목할 만한 몇 가지 "결과 의존적" 트레이드를 소개함.
- - - - -

트럼프 당선 시 = 홍콩/싱가포르/한국 은행주 매수
트럼프의 관세 및 재정 적자 확대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장기 금리 상승 기대를 높일 전망임. JP모간의 미국 금리 전략가 제이 배리에 따르면, 공화당 승리가 10년물 금리를 40bp 올리고, 최근 선거 기대 변화로 추가 21bp 상승이 나타났다고 평가함. 추가로 20bp 상승 가능성도 있다고 봄. 이런 금리 상승은 아시아 경상수지 흑자 경제권에 위치한 은행들에게 긍정적이며, 특히 단기 금리는 연준의 금리 인하에 고정되어 있어서 은행 순이자마진(NIM) 기대치에 도움이 될 거임. 가파른 금리 곡선은 아시아 은행에 좋은 시기를 의미하며, 아직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상승 여력이 충분하기에 은행 매수 전략을 추천함.

트럼프 당선 시 = 베트남 매수
베트남은 장기적인 트럼프 테마에 부합하는 투자처임. 중국에 대한 60% 관세는 다국적 기업(MNC)들이 공급망을 다변화하게 만들고, 다른 국가들에 대한 10% 관세는 저비용 제조업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킴. 이 두 가지 요인은 모두 베트남에 유리하게 작용함. 게다가 베트남은 매력적인 요소가 많음. VNINDEX는 P/E 12배 미만으로 평가되고, 강력한 경제 성장과 FTSE 지수 편입 가능성이라는 잠재적 촉매제를 가지고 있음. 섹터별로 보면, 베트남 전략가 Khoi Vu는 은행, 기술, 필수 소비재를 추천함.

해리스 당선 시 = 달러 약세 = 한국 매수

글로벌 외환 전략가 Meera Chandan에 따르면, 해리스 당선과 의회 분리 시나리오는 달러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큼. 단기적으로 미달러는 3-4%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역사적으로 달러 약세는 중국, 한국, 홍콩/싱가포르에 긍정적으로 작용해왔으며, 만약 해리스가 승리한다면 이 네 시장 모두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짐. 중국은 미·중 관계의 지속적인 민감성 때문에 자연스럽게 주목을 받고 있지만, 한국에 더 주목하는 이유는 민주당 승리에 따른 "더 확실한 수혜자"로 평가되기 때문임. 최근 3개월간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동안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부진한 시장이었으며(-12.4% 하락),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편(약 25%)이라 달러 약세 전환 시 그만큼 수혜가 클 것으로 기대됨.
한국에서 대형주 외에 집중할 곳으로 방위산업, 전력 장비, 조선업을 꼽음. 이 섹터들은 "저평가, 저보유, 저커버"된 분야로, 구조적으로 향후 몇 년간 성장 가능성이 크고 밸류에이션 매력도 높다고 판단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5 Nov, 03:18


(아래) 중국 증시 강세 이유 : 중국 전인대 상무위, '지방정부 부채한도 상향' 심의

오늘 중국 주식시장이 미국 대선 앞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유달리 강합니다. 심천 차이넥스트의 경우 3% 넘는 상승을 구가하고 있는데요.

전인대 상무위원회에서 지방정부 부채한도 상향을 고려하고 있다는 뉴스 때문입니다.

지방정부 부채 문제 해결 및 부동산 디레버리징을 유도하기 위한 부양책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미국에서 누가 대통령이 되든 대중 압박 강도는 더 세질테니 더 강하게 내수 부양하겠다는 의도로 읽혀지네요.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5062800009?input=1195m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4 Nov, 22:4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1.05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미 대선 불확실성을 반영하며 유틸리티/커뮤니케이션/금융 약세

- WTI, OPEC+ 증산 시점 연기 발표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72.7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최근 트럼프 트레이딩 흐름이 되돌려지며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5.2bp 축소된 12.4bp

==================
◆ 미국 증시
-DOW 41,794.60p (-0.61%)
-NASDAQ 18,179.98p (-0.33%)
-S&P500 5,712.69p (-0.28%)
-Russell 2000 2,219.03p (+0.4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EXXON MOBIL         (+3.18%)
-SIMON PROPERTY GROUP REIT (+2.66%)
-CHARTER COMMUNICATIONS  (+2.55%)

Top Losers 3
-INTEL              (-2.93%)
-TESLA            (-2.47%)
-COMCAST            (-2.36%)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09%)
-테슬라 (-2.47%)
-코카콜라 (+0.15%)
-NVIDIA (+0.48%)
-Apple (-0.40%)
-Ford (+1.37%)
-Microsoft (-0.47%)
-메타 플랫폼스 (-1.14%)
-유니티 소프트웨어 (-2.50%)
-ASML Holding (-0.53%)
-AT&T (-0.90%)
-로블록스 (-2.80%)
-Airbnb (+0.30%)
-디즈니 (-0.02%)
-리얼티 인컴 (+0.70%)
-화이자 (-1.17%)
-머크 (-0.01%)
-길리어드 (+0.37%)
-IBM (-0.93%)
-에스티로더 (-0.20%)
-사이먼 프라퍼티 (+2.66%)
-보스턴 프라퍼티 (+1.48%)
-구글 c (-1.14%)
-Star Bulk (+0.05%)
-Waste Management (+0.12%)

◆ 디지털자산
- BITCOIN $67,086.01 (-2.9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3.90 (-0.37%)
-유로/달러 1.09 (+0.41%)
-달러/엔 152.13 (-0.58%)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62% (-4.7bp)
-10년물 4.286% (-9.9bp)
-30년물 4.468% (-11.2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5% (-0.4bp)
-10년물 3.096% (+0.6bp)

◆ 상품시장
-WTI (bbl) $71.47 (+2.85%)
-금 (t oz) $2,746.20 (-0.11%)
-구리 (lb) $4.43 (+1.3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4 Nov, 09:24


(아래) 테슬라 상장 허들 높인다…IPO 하우스 '긴장모드'

지금까지는 '모험자본' 측면에서 IPO 엑싯을 독려했지만, 지금은 풍향계가 유통시장 밸류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죠.

IPO, SPAC 상장 기준이 계속 까다로워지고 있습니다. 밸류업이 중요한 정책 당국 입장에선 굳이 상장을 많이 해 희석을 시킬 이유가 없겠죠. 비상장 투자가 여전히 어려운 이유입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10311633235120104815&lcode=0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4 Nov, 09:11


(아래) 민주, '금투세 폐지' 주고 '상법개정안' 당론 추진

이미 이사의 주주충실 관련하여 "노력 의무"로 양당 절충안이 제시되기도 했었죠.

내년 3월 주주총회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이라 예의 주시하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주식시장에도 영향이 클 것 같습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금투세 폐지를 발표하면서 '상법개정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이 수용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인다.

민주당이 당론 추진할 상법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뿐만 아니라 일반 주주까지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행 상법 382조3항에 따르면, 기업의 이사는 '회사를 위해 직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돼있는데, 회사 외에 '주주'를 위해야 한다는 규정을 추가해 일반 주주들을 보호하겠다는 것이다.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지적되는데 이를 해소하겠다는 의미도 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4110415232871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4 Nov, 01:25


(아래) 이재명 “금투세 폐지 동의하기로... 주식시장 너무 어려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4일 “정부·여당이 밀어붙이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에 동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지난달 4일 금투세 시행 여부 결정을 이 대표 등 당 지도부에게 위임한 지 한 달 만이다. 금투세 시행은 내년 1월로 예정돼 있는데, 민주당이 그간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아 시장 혼란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왔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원칙과 가치에 따르면, 고통이 수반되더라도 강행하는 게 맞겠습니다만, 현재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너무 어렵고 여기에 투자하고 기대고 있는 1500만 주식 투자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68101?sid=100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Nov, 12:34


[신영증권 박소연] 11월 첫째주 증시전망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라더니 미국 대선도 결과를 쉽사리 예측하기 어렵네요.

일주일 전만 해도 트럼프와 공화당이 대통령과 상하원까지 싹쓸이하는 Red Sweep 이야기가 나왔는데

갑자기 사전투표와 경합주에서 해리스 지지율이 치고 올라온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Predicit 등 일부 베팅 사이트에서는 해리스가 1위를 하고 있습니다.

해리스가 승리한다면 단기적으로 이차전지/반도체 등 보조금 의존도가 높았던 섹터의 반등이 나타나겠지만

치솟고 있는 채권금리의 향방과 재정적자 문제, 그리고 증세가 이슈화 될 수 있습니다.

몇년 전 채권금리 발작을 경험한 영국도 지난 주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대대적 증세를 발표했습니다. 건강보험에서부터 주식에 매기는 자본이득세까지 전방위 증세에 해당합니다.

어쨌거나 증시에 부담을 주는 방향입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3주 연속 하락. 미국 대선 앞둔 관망세, 미국채 금리 급등에 따른 외인 이탈, 고객예탁금 50조 붕괴 등 약세 요인 다수. 원/달러 환율 10원 하락한 1,378원, 국고 3년 6bp 상승한 2.94%

▲ 업종/종목 : 고려아연(-19.9%) 자사주 매입용 유상증자 논란에 급락. KB금융(-9.1%) 등 은행주도 차익실현에 약세. SK하이닉스(-9.4%)는 미국 반도체 업종 급락 속 동반 하락

- 52주 신고/근접 : KT, 에스원, 더블유게임즈, 오리오홀딩스, 코리안리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반등 성공. 10월 미국 신규고용 1.2만명로 쇼크였으나 허리케인 등 일회성 요인 때문이라는 분석에 미국채 10년물 4.38%로 5개월래 최고. NDF 원/달러 환율 1,380원 기록

- 버크셔 해서웨이 3분기 13F 보고서 공개 : 애플지분 3분기 중 25% 추가 매도. 현금보유 사상 최대

▲ 종합판단 : 미국 대선 종료 후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 경계. 중국 부양책과 밸류업 기대감 작용하는 업종과 테마는 하방경직 유지할 것. 고배당/가치주 상대 강세 전망 유지

- 금주 일정 : 4일(월) 5천억 규모 밸류업 ETF/ETF 12곳 출시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03 Nov, 12:00


(아래) 워런 버핏의 버크셔, 현금 보유 449조원…애플 지분 더 줄여

3분기에 버크셔가 보유한 대규모 주식 중 애플과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지분을 추가로 매각하면서 현금 보유액이 더 늘었다. 특히 보유 중이던 애플 지분의 약 25%를 매각했다.

이를 포함해 버크셔는 3분기에 총 340억달러 넘는 주식을 순매도해 전반적인 주식 매도 기조를 이어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3001300075?input=1195m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31 Oct, 22:3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1.01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Tech 호실적 불구 AI Capex가 과도해지고 있는 것 아니냐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짓누름.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4% 추가 하락했고 유틸리티/에너지 제외 전 업종 약세

- 애플은 호실적 발표 불구하고 시간외에서 1.5% 하락 중. 회계조작 이슈로 급락한 Super Micro Computer 14% 추가 급락

- WTI, 중국 제조업 활동 반등 및 차주 OPEC+ 증산 시점 연기 발표 기대 지속에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72.1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차주 FOMC 및 대선을 앞둔 경계감 속 전구간 하락세.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0.4bp 축소된 11.3bp

==================

◆ 미국 증시
-DOW 41,763.46p (-0.90%)
-NASDAQ 18,095.15p (-2.76%)
-S&P500 5,705.45p (-1.86%)
-Russell 2000 2,196.65p (-1.6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LTRIA GROUP        (+7.84%)
-CONOCOPHILLIPS        (+6.37%)
-BRISTOL MYERS SQUIBB     (+5.91%)

Top Losers 3
-MICROSOFT         (-6.05%)
-METLIFE            (-5.72%)
-NVIDIA             (-4.7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3.28%)
-테슬라 (-2.99%)
-코카콜라 (-0.93%)
-NVIDIA (-4.72%)
-Apple (-1.82%)
-Ford (-1.72%)
-Microsoft (-6.05%)
-메타 플랫폼스 (-4.09%)
-유니티 소프트웨어 (-3.00%)
-ASML Holding (-1.65%)
-AT&T (+2.36%)
-로블록스 (+19.89%)
-Airbnb (-1.25%)
-디즈니 (+1.18%)
-리얼티 인컴 (-1.84%)
-화이자 (-0.77%)
-머크 (-2.39%)
-길리어드 (+0.60%)
-IBM (+0.89%)
-에스티로더 (-20.90%)
-사이먼 프라퍼티 (-1.72%)
-보스턴 프라퍼티 (-2.65%)
-구글 c (-1.96%)
-Star Bulk (-0.31%)
-Waste Management (+0.48%)

◆ 디지털자산
- BITCOIN $69,937.51 (-3.9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3.90 (-0.09%)
-유로/달러 1.09 (+0.26%)
-달러/엔 152.03 (-0.9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72% (-1.2bp)
-10년물 4.285% (-1.6bp)
-30년물 4.476% (-2.8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6% (-0.1bp)
-10년물 3.100% (-0.5bp)

◆ 상품시장
-WTI (bbl) $69.26 (+0.95%)
-금 (t oz) $2,749.30 (-1.84%)
-구리 (lb) $4.34 (-0.26%)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30 Oct, 22:36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0.31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하락 마감. AMD(-10.6%), Super Micro Computer(-32.7%) 급락했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 넘게 하락. IT/필수소비재/유틸리티 약세

- 일라이 릴리는 3분기 실적쇼크에 6%대 약세. 비만치료제 Zepbound와 Mounjaro 판매량이 예상보다 저조한 영향

- WTI, 미 원유 재고 감소 및 OPEC+의 산유량 증가 계획 연기 가능성 제기 속 상승. NDF 원/달러 환율 1,377.6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견조한 3분기 개인소비지출 및 ADP 민간고용 데이터 영향 속 전구간 상승. 2년물 금리는 연내 금리인하 1회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까지 등장하며 8bp 상승. 커브 베어-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4.0bp 축소된 11.7bp

==================

◆ 미국 증시
-DOW 42,141.54p (-0.22%)
-NASDAQ 18,607.93p (-0.56%)
-S&P500 5,813.67p (-0.33%)
-Russell 2000 2,233.04p (-0.2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BBVIE             (+6.36%)
-VISA             (+2.94%)
-ALPHABET C         (+2.92%)

Top Losers 3
-ELI LILLY            (-6.28%)
-QUALCOMM          (-4.76%)
-ACCENTURE PLC        (-4.54%)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00%)
-테슬라 (-0.76%)
-코카콜라 (+0.55%)
-NVIDIA (-1.36%)
-Apple (-1.53%)
-Ford (+0.58%)
-Microsoft (+0.13%)
-메타 플랫폼스 (-0.25%)
-유니티 소프트웨어 (-0.14%)
-ASML Holding (-4.38%)
-AT&T (-0.72%)
-로블록스 (+1.24%)
-Airbnb (-0.93%)
-디즈니 (-1.09%)
-리얼티 인컴 (+0.12%)
-화이자 (+0.21%)
-머크 (+1.06%)
-길리어드 (+0.24%)
-IBM (-2.63%)
-에스티로더 (-1.80%)
-사이먼 프라퍼티 (+0.06%)
-보스턴 프라퍼티 (-3.99%)
-구글 c (+2.92%)
-Star Bulk (-1.03%)
-Waste Management (-1.96%)

◆ 디지털자산
- BITCOIN $72,834.60 (+0.72%)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4.10 (-0.21%)
-유로/달러 1.09 (+0.34%)
-달러/엔 153.42 (+0.04%)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84% (+8.6bp)
-10년물 4.301% (+4.6bp)
-30년물 4.504% (+0.5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7% (+0.1bp)
-10년물 3.105% (-1.3bp)

◆ 상품시장
-WTI (bbl) $68.61 (+2.08%)
-금 (t oz) $2,800.80 (+0.71%)
-구리 (lb) $4.35 (-0.21%)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9 Oct, 22:3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0.3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빅테크 실적 기대감 지속되며 Tech 강세, 유틸리티/에너지 약세

- 그러나 장 마감 후 발표된 AMD는 향후 전망이 애널리스트 예상을 하회하면서 실망감에 7% 급락중. 공급망 제약, PC 수요 둔화 등을 언급. 반면 Google은 클라우드 부문 호조에 5% 상승

- 비트코인은 Trump trade 반영하며 장중 7만 3천달러 안착하며 1년간의 박스권 돌파 가시화되는 중

- WTI,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외교 협상 진전 기대 속 하락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83.2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양호한 7년물 입찰 결과 및 콘퍼런스보드 10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예상치 상회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스티프닝. 10y2y 역전폭은 1.5bp 확대된 15.7bp

==================

◆ 미국 증시
-DOW 42,233.05p (-0.36%)
-NASDAQ 18,712.75p (+0.78%)
-S&P500 5,832.92p (+0.16%)
-Russell 2000 2,238.09p (-0.2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TEXAS INSTRUMENT       (+2.68%)
-META (+2.62%)
-QUALCOMM          (+2.19%)

Top Losers 3
-FORD MOTOR         (-8.44%)
-AMERICAN TOWER REIT     (-4.19%)
-NEXTERA ENERGY        (-3.99%)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30%)
-테슬라 (-1.14%)
-코카콜라 (-1.66%)
-NVIDIA (+0.52%)
-Apple (+0.12%)
-Ford (-8.44%)
-Microsoft (+1.26%)
-메타 플랫폼스 (+2.62%)
-유니티 소프트웨어 (+1.02%)
-ASML Holding (+0.92%)
-AT&T (+0.32%)
-로블록스 (+0.73%)
-Airbnb (+1.47%)
-디즈니 (-0.07%)
-리얼티 인컴 (-1.44%)
-화이자 (-1.39%)
-머크 (-0.48%)
-길리어드 (-0.77%)
-IBM (-1.16%)
-에스티로더 (+0.03%)
-사이먼 프라퍼티 (-0.31%)
-보스턴 프라퍼티 (-1.37%)
-구글 c (+1.66%)
-Star Bulk (+1.79%)
-Waste Management (+5.21%)

◆ 디지털자산
- BITCOIN $72,310.41 (+3.8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4.27 (-0.05%)
-유로/달러 1.08 (-0.10%)
-달러/엔 153.34 (+0.52%)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98% (-4.3bp)
-10년물 4.255% (-2.8bp)
-30년물 4.499% (-3.1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6% (+0.4bp)
-10년물 3.118% (+0.1bp)

◆ 상품시장
-WTI (bbl) $67.21 (-0.25%)
-금 (t oz) $2,768.40 (+0.93%)
-구리 (lb) $4.36 (-0.05%)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8 Oct, 23:27


(위)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21% 급등

트럼프 당선 베팅에 어제 Trump Media & Technology (DJT)가 장중 21% 급등하는 기염으 토했습니다. (After-market에서도 3% 추가 상승)

트럼프는 보조금 대신 "관세"를 부과해 투자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라 ("단 10%의 보조금도 줄 필요 없다. 높은 관세 부과하면 그들이 알아서 반도체 공장 설립한다")

IRA, Chips Act 등 보조금 관련 정책에 대한 우려가 계속 나오고 있네요.

================

지난 30년 가까이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변수다. 반도체는 글로벌 IT 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1997년 발효된 WTO의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무관세로 수출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당선되더라도 ‘반도체 관세’ 추진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WTO의 정보기술협정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무력화해야 하는 만큼, 그에 따른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0/29/K6BOK5IEXNG27FUM2UF6VQEJJU/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8 Oct, 22:50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0.29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유가하락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 및 빅테크 실적 기대감 유입 속 에너지/IT 제외 전 업종 강세

- WTI, 이스라엘-이란 군사적 긴장 완화 속 5% 급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80.7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2년물 및 5년물 입찰 부진 및 대선 경계감 지속에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역전폭은 0.8bp 확대된 14.2bp

==================

◆ 미국 증시
-DOW 42,387.57p (+0.65%)
-NASDAQ 18,567.19p (+0.26%)
-S&P500 5,823.52p (+0.27%)
-Russell 2000 2,244.07p (+1.63%)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3M              (+4.44%)
-CITIGROUP          (+3.89%)
-FORD MOTOR         (+2.71%)

Top Losers 3
-BOEING            (-2.79%)
-TESLA            (-2.48%)
-GENERAL ELECTRIC       (-2.09%)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30%)
-테슬라 (-2.48%)
-코카콜라 (-0.37%)
-NVIDIA (-0.72%)
-Apple (+0.86%)
-Ford (+2.71%)
-Microsoft (-0.36%)
-메타 플랫폼스 (+0.86%)
-유니티 소프트웨어 (+4.06%)
-ASML Holding (-0.43%)
-AT&T (+1.28%)
-로블록스 (+0.38%)
-Airbnb (+0.89%)
-디즈니 (+1.23%)
-리얼티 인컴 (-0.03%)
-화이자 (+1.44%)
-머크 (+0.24%)
-길리어드 (-0.27%)
-IBM (-0.82%)
-에스티로더 (+1.68%)
-사이먼 프라퍼티 (+1.17%)
-보스턴 프라퍼티 (+0.46%)
-구글 c (+0.81%)
-Star Bulk (-1.65%)
-Waste Management (+0.71%)

◆ 디지털자산
- BITCOIN $69,610.57 (+2.84%)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4.30 (+0.04%)
-유로/달러 1.08 (+0.15%)
-달러/엔 153.29 (+0.64%)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41% (+3.4bp)
-10년물 4.283% (+4.2bp)
-30년물 4.530% (+3.0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2% (+5.0bp)
-10년물 3.117% (+6.3bp)

◆ 상품시장
-WTI (bbl) $67.38 (-6.13%)
-금 (t oz) $2,755.90 (+0.05%)
-구리 (lb) $4.36 (-0.1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7 Oct, 22:56


(아래) 日 자민·공명 연립여당 과반 실패… 이시바, 한달만에 위기

일본 선거에 관심을 별로 가져본 적 없는 이유가 "어차피 자민당"이었기 때문인데요.

앞으로는 좀 봐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자민당이 단독 과반 확보에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향후 일본 정치구도 변화는 자민당의 대표 정책인 "아베노믹스" 지속 여부와 엔/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민당 입장에서 다행인 것은 그래도 1당을 유지했다는 것인데요.

일본은 중의원(상원에 해당)에서 과반수 투표로 선출된 총리가 내각을 구성하는데, 중의원 456석 중 자민당이 191석이고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은 148석입니다. 아마도 자민당이 여타 정당과 연계해 과반을 만들겠죠.

당분간 경제정책에 큰 변동은 없겠지만, 입헌민주당은 대표 경제정책이 "중산층 살리기"라 최저임금 인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참의원(하원에 해당) 선거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일본 정치권 동향도 면밀하게 살피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4/10/28/LXPQAVNDF5DKBGSIUAZUHS7CNU/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7 Oct, 12:33


[신영증권 박소연] 10월 넷째주 증시전망

컨센서스가 존재하는 280개 상장사 기준으로 2025년 이익 증가율 전망치를 집계해 보았습니다.

영업이익 기준으로 작년보다 23% 증가하고,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17% 증가한다는 전망인데

트럼프발 불확실성, 경기둔화 등을 감안하면 낙관 편향이 완화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지수에 대한 기대가 높지 않은만큼 가치주와 배당주, 밸류업 등의 컬러가 더욱 짙어질 것 같습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2주 연속 하락. 원/달러 환율 20원 급등한 1,389원, 국고 3년 2bp 하락한 2.88%

▲ 업종/종목 : KB금융(+6.99%) 실적 호조와 역대급 주주환원 호평에 사상 최고치. SK하이닉스(+7.3%) 실적 호조에 20만원대 회복. 반면 삼성전자(-5.57%) 4주 연속 급락해 7월 고점대비 37% 급락

- 52주 신고/근접 : KB금융, 우리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KT, 한국금융지주, 코리안리, JB금융지주, 오리온홀딩스, 남양유업, NH프라임리츠 / 파크시스템스, 파마리서치 등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미국 대선 앞둔 혼조세. 빅테크 강세 불구 은행주 약세, WTI 유가 중동 불확실성에 2% 상승. NDF 원/달러 환율 1,388원으로 보합

▲ 종합판단 : 11월 미국 대선까지 변동성 국면. 다만 한국 KOSPI는 12M Trailing PBR 1배 2,700선 위치. 중국 부양책과 밸류업 기대감도 하방경직 요인될 것. 고배당/가치주 강세 전망

- 금주 일정 : 28일(월) LG에너지솔루션, 30일(수) 삼성SDI/Alphabet/AMD, 31일(목) 삼성전자/네이버/Microsoft, 1일(금) Apple 실적발표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4 Oct, 01:43


(위)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주가 130만원으로 상향

당사 제약/바이오 정유경 위원 코멘트 올려드립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TP 상향되었습니다.

============

- 로직스 3Q 실적 매출/영업이익 모두 두 자리수 증가 : 1~3공장 풀가동에 4공장 기여도 증가, 고환율도 영향

- 에피스는 마일스톤 부재 불구 20%대 영업이익률 시현 : h스텔라라 7월 유럽 출시 등

- 4분기 일시적 생산원가 상승 및 일회성 비용 예상되나 10/22 아시아 제약사와 2037년까지 1.7조원 규모 대형 수주계약 추가 체결하는 등 5공장 모멘텀 가속화되고 있어 긍정적

- 2025년 중 6공장 증설 가시화 기대. 생물보안법 제정에 따른 우방국 CDMO 선호 더욱 확고해지는 중. 목표주가 130만원으로 상향. 바이오 대형주 Top pick 유지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024/f35fc9f32d241.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3 Oct, 23:42


(위) 중국, 뷰티풀 디레버리징 시작

이번에 발표된 중국 부양책을 보면서 일본 BOJ가 주식 ETF 사준 것과 얼추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SFISF 스왑기구 통해 기관이 보유한 CSI300 주식을 국채로 바꿔주는거니, 사실상 대놓고 유동성 공급인거죠.

오늘은 당사 중국담당 성연주 의원 review 업데이트 올려드립니다.

2025년 상반기까지 상승 예상되며, CSI300 지수 기준 추가적으로 10~15% upside potential 있다는 의견입니다.


=====================

- 중국증시 10년 주기 상승장 초기로 판단. 2006년, 2014년에 이어 2024년이 세 번째

- 특히 이번에는 지준율과 금리인하와 함께 1) 신'국9조', 2) 금융기관 주식채권 스왑정책(SFISF), 3) 역대급 부동산 부양책과 재고조정 정책이 동시적으로 나온 것이 흥미로움

- 부동산쪽 재정정책의 경우 특별채권 발행 허용(지방정부 유휴토지/미분양 주택 매입 및 국유은행 자본확충용)이 핵심. 2~3조위안 상당 재정확대 예상됨

- CSI300 기준 주간수익률이 10% 기록한 경우는 대부분 2006년, 2009년, 2014년, 2020년 등 대대적 재정정책이 나온 케이스. 이번 2024년도 마찬가지로 판단

- 그간 부양에 소극적이었던 것은 위안화 약세 우려 때문이었으나, 미국 50bp 빅컷 시작으로 부담 완화. 이번 부양책이 과거와 달리 "진심"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

- 이번 증시 반등은 단기에 그치지 않을 것. 2주 전부터 외국인 자금도 다시 유입되기 시작. 개인 투자자 오프라인 계좌 개설도 일평균 3~10배 증가. 과거에 문제됐던 신용거래 과열도 규제 중이라 안정적 흐름 예상

- 특히, 채권/주식ETF/CSI300 편입종목을 담보로 국채로 스왑해주는 기관(SFISF)을 설립한 것은 의미가 큼. 증권/펀드/보험회사가 2%대 비용의 담보대출을 통해 레버리지를 키울 수 있기 때문 (1차 운영규모 5천억 위안) => 기관 투자자 주식매입 유도

- 중국은 보험기관 유동성 규모가 30조 위안 정도로 가장 크고, 그 중 주식형 비중은 11%에 불과. 향후 자금유입 확대될 것. 증권회사도 유동성 규모는 6조위안 정도이나 주식 비중이 7~8%에 불과했기 때문에 주식시장 투입 규모 증가할 것

- 화룽, 신다, 동방, 장성 등 중국의 4대 자산관리공사(AMC)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미분양 아파트를 직접 매입하고 보장성 주택 판매에 필요한 3천억 위안 규모의 재대출 진행(기한 1년, 금리 1.75%)

- 트럼프 대통령 당선시 일시적 변동성 확대될 수 있겠으나, 구조적 변화에 더욱 초점 맞춰야. CSI 300 지수 기준 2025년 상반기까지 상승세 유효. CSI300 및 배당 ETF, 커촹50 및 항셍테크 ETF 선호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023/f051980c84e63.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3 Oct, 22:5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0.24 모닝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미 국채 금리 상승세 지속에 고금리 장기화 우려 속 부동산/유틸리티 제외 전업종 약세

- 테슬라, 마진율 예상치 상회 및 저가형 모델과 로보택시 생산 일정 언급에 시간외 거래에서 +12% 상승 중

- WTI, 미 원유 재고 증가분 예상치 상회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78.4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대선 불확실성 확대 및 20년물 국채 입찰 부진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플래트닝. 10y2y 역전폭은 0.9bp 축소된 16.7bp

==================

◆ 미국 증시
-DOW 42,514.95p (-0.96%)
-NASDAQ 18,276.65p (-1.60%)
-S&P500 5,797.42p (-0.92%)
-Russell 2000 2,213.84p (-0.79%)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T&T             (+4.60%)
-TEXAS INSTRUMENT       (+4.01%)
-VERIZON COMMUNICATIONS   (+3.28%)

Top Losers 3
-MCDONALDS          (-5.12%)
-WALGREEN BOOTS ALLIANCE (-3.91%)
-QUALCOMM          (-3.8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63%)
-테슬라 (-1.98%)
-코카콜라 (-2.07%)
-NVIDIA (-2.81%)
-Apple (-2.16%)
-Ford (-0.45%)
-Microsoft (-0.68%)
-메타 플랫폼스 (-3.15%)
-유니티 소프트웨어 (-4.53%)
-ASML Holding (-1.70%)
-AT&T (+4.60%)
-로블록스 (-0.31%)
-Airbnb (-2.71%)
-디즈니 (-0.52%)
-리얼티 인컴 (+0.86%)
-화이자 (+0.07%)
-머크 (-0.24%)
-길리어드 (-1.05%)
-IBM (+0.22%)
-에스티로더 (+0.23%)
-사이먼 프라퍼티 (-0.59%)
-보스턴 프라퍼티 (+0.16%)
-구글 c (-1.40%)
-Star Bulk (-3.57%)
-Waste Management (+0.36%)

◆ 디지털자산
- BITCOIN $66,586.37 (-1.35%)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4.43 (+0.34%)
-유로/달러 1.08 (-0.48%)
-달러/엔 152.83 (+1.3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80% (+4.7bp)
-10년물 4.247% (+3.8bp)
-30년물 4.520% (+2.3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36% (-0.7bp)
-10년물 3.128% (-0.2bp)

◆ 상품시장
-WTI (bbl) $70.77 (-1.83%)
-금 (t oz) $2,714.40 (-1.09%)
-구리 (lb) $4.34 (-1.00%)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3 Oct, 13:10


(아래) "보통의 선거 해와 다른 2024년…美 증시엔 불안 신호"

보통 9월과 10월은 주식 시장에 어려운 시기지만, 올해는 예상 밖의 선전을 보여줬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상승장이 반갑지만은 않은 듯하다. “선거 후 랠리 앞당겨 썼다”, 선거 후 '뉴스에 팔자'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9391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2 Oct, 22:4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0.23 모닝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진행되며 종목별 차별화 흐름 강화. 필수소비재/커뮤니케이션 중심 강세 및 산업재/소재 약세

- WTI, 최근 낙폭 확대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및 중동 지역 긴장 지속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77.8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유가 반등 및 트럼프 트레이딩 반영하며 구간별 혼조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역전폭은 1.2bp 확대된 17.6bp

==================

◆ 미국 증시
-DOW 42,924.89p (-0.02%)
-NASDAQ 18,573.13p (+0.18%)
-S&P500 5,851.20p (-0.50%)
-Russell 2000 2,231.53p (-0.3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PHILIP MORRIS INTERNATIONAL (+10.47%)
-GENERAL MOTORS       (+9.81%)
-CHARTER COMMUNICATIONS  (+4.57%)

Top Losers 3
-GENERAL ELECTRIC       (-9.05%)
-WALGREEN BOOTS ALLIANCE (-6.89%)
-LOCKHEED MARTIN      (-6.1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33%)
-테슬라 (-0.40%)
-코카콜라 (+0.00%)
-NVIDIA (-0.08%)
-Apple (-0.26%)
-Ford (+2.11%)
-Microsoft (+2.08%)
-메타 플랫폼스 (+1.19%)
-유니티 소프트웨어 (-3.02%)
-ASML Holding (+0.95%)
-AT&T (-0.74%)
-로블록스 (+2.43%)
-Airbnb (-1.17%)
-디즈니 (+0.12%)
-리얼티 인컴 (-0.16%)
-화이자 (-0.31%)
-머크 (+0.28%)
-길리어드 (+2.17%)
-IBM (+0.22%)
-에스티로더 (-1.87%)
-사이먼 프라퍼티 (+0.37%)
-보스턴 프라퍼티 (-0.13%)
-구글 c (+0.62%)
-Star Bulk (-1.04%)
-Waste Management (-0.36%)

◆ 디지털자산
- BITCOIN $67,498.07 (-0.33%)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4.07 (+0.06%)
-유로/달러 1.08 (-0.15%)
-달러/엔 151.08 (+0.16%)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33% (+0.0bp)
-10년물 4.209% (+1.2bp)
-30년물 4.497% (-0.3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43% (+4.1bp)
-10년물 3.130% (+7.6bp)

◆ 상품시장
-WTI (bbl) $72.09 (+2.17%)
-금 (t oz) $2,759.80 (+0.76%)
-구리 (lb) $4.38 (+0.4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2 Oct, 12:11


*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일 -7.16% 하락
* Bloomberg에 따르면 2024년 인도 증시에 상장된 기업은 첫 거래일 평균 39% 상승, $5억 이상 기업은 평균 66% 상승
* 이에 상장일에 현대차 인도법인이 상장일에 -7.16% 하락한 것은 다소 이례적이라는 반응

< 하락 배경>


1. 밸류에이션 부담:
* PER 약 26배가 적용되었는데 이는 인도 산업 평균(22배) 대비 높아 고평가 논란이 있었음

2. 리테일 투자자 관심 저조:
* 리테일 투자자 청약률은 배정물량의 50%에 그쳤으며, 청약기간 중 비상장 거래 프리미엄(GMP)이 +560루피에서 +14루피까지 급락하기도 했었음

3. 경쟁 심화 & 점유율 하락 추세:

* 현대차 인도 소매 승용 시장 점유율은 21년 17%~19% 수준에서 최근에는 14% 수준까지 하락. 여전히 인도 시장 2위를 수성중이나
* 동기간 Mahindra 점유율이 약 +7%p 가량 급증했으며 주가도 올해 +60% 상승.
* 인도 HEV 점유율 85%를 갖고 있는 Toyota 인도 승용차 소매 점유율은 동기간 +4%p 상승했으며며 기아를 제치고 9월에는 5위에 등극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1 Oct, 23:19


(위) 11월 퀀트 : EPS와 저PBR

당사 계량분석 강기훈 위원 리포트입니다.

딥러닝 알고리즘 통한 퀀트 모델을 매달 업데이트하고 있는데 지금이 "2016년 말 트럼프 플레이션" 국면과 매우 유사하다고 하네요.

경기둔화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는 국면이며, 이를 이겨낼 팩터들에 주목하자는 리포트입니다.

==============

- 신영 딥러닝 멀티팩터 모델은 9, 10월부터 경기둔화와 증시하강 시그널을 포착

- 팩터별로는 NI EPS 변화율에 61.5%, 저PBR 팩터에 30%의 비중을 부여하고 있음 : 경기방어 포트폴리오로 판단

- EPS 변화율 (제약/바이오, IT부품) : 바이넥스, 성일하이텍, 나노신소재, 에이비엘바이오, 일진하이솔루스 등

- 저PBR (유통, 일반지주, 금융업종) : 현대홈쇼핑, 한화손해보험, 한화, DGB금융지주, 한화생명 등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022/932504ed8b4da.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1 Oct, 22:49


(아래) 달러-원, '트럼프 트레이드'에 결국 1,380원 터치

달러-원 환율이 급등한 것은 '트럼프 트레이드'에 따라 미국 국고채 금리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치 전문매체 더힐과 선거 전문 사이트 디시전데스크HQ의 자체 예측 결과, 트럼프 후보가 이번 선거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52%로 해리스 부통령(48%)을 앞섰다.

트럼프 후보가 해당 분석에서 해리스 부통령을 제친 것은 지난 8월 말 이후 처음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대규모 국채 발행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또 교역 상대국에 대한 대규모 관세 부과는 '인플레이션 재심화→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9163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1 Oct, 22:3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4.10.22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국채금리 급등 및 고금리 고물가 장기화 우려에 위험자산 투자심리 악화. 부동산/헬스케어/금융 업종 중심 약세 및 IT 강세

- WTI, 중동 지역 군사적 충돌 우려 지속되며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77.9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트럼프 트레이딩 강화 흐름 속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역전폭은 2.9bp 확대된 16.4bp

==================

◆ 미국 증시
-DOW 42,931.60p (-0.80%)
-NASDAQ 18,540.01p (+0.27%)
-S&P500 5,853.98p (-0.18%)
-Russell 2000 2,239.71p (-1.60%)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NVIDIA             (+4.14%)
-BOEING            (+3.11%)
-SCHLUMBERGER NV      (+1.22%)

Top Losers 3
-TARGET            (-3.78%)
-CVS HEALTH          (-3.60%)
-UNITED PARCEL SERVICE    (-3.38%)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04%)
-테슬라 (-0.84%)
-코카콜라 (-1.41%)
-NVIDIA (+4.14%)
-Apple (+0.63%)
-Ford (-1.98%)
-Microsoft (+0.15%)
-메타 플랫폼스 (-0.23%)
-유니티 소프트웨어 (-1.09%)
-ASML Holding (-1.27%)
-AT&T (-0.87%)
-로블록스 (+0.95%)
-Airbnb (+0.54%)
-디즈니 (-0.68%)
-리얼티 인컴 (-1.42%)
-화이자 (-0.99%)
-머크 (-2.17%)
-길리어드 (-0.50%)
-IBM (-0.19%)
-에스티로더 (-0.87%)
-사이먼 프라퍼티 (-1.53%)
-보스턴 프라퍼티 (-3.11%)
-구글 c (+0.45%)
-Star Bulk (-1.37%)
-Waste Management (-0.44%)

◆ 디지털자산
- BITCOIN $67,721.20 (-1.51%)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4.01 (+0.50%)
-유로/달러 1.08 (-0.48%)
-달러/엔 150.84 (+0.88%)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33% (+8.4bp)
-10년물 4.197% (+11.3bp)
-30년물 4.500% (+10.7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902% (-0.6bp)
-10년물 3.054% (-1.8bp)

◆ 상품시장
-WTI (bbl) $70.56 (+1.94%)
-금 (t oz) $2,738.90 (+0.33%)
-구리 (lb) $4.36 (-0.5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1 Oct, 00:34


(위) 보조금의 남자 : 시험대에 오른 CAPEX

바이든 대통령에게 별명을 붙인다면 '보조금의 남자(Mr. Subsidy)'가 어떨까 생각해본적이 있습니다.

2021년 취임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각종 보조금을 통해 경기를 진작해 왔기 때문입니다. ARPA, BIL, IRA, Chips Act 등 무려 4조달러에 육박합니다.

이것이 미국발 CAPEX 장세의 본질이었죠. 변압기에 전선, 이차전지와 전기차, 반도체 강세를 이끌었던....

그런데 문제는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 확률이 높다는 뉴스 보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공화당 sweep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죠.

트럼프와 공화당은 Tax 부담을 높이는 재정지출에 대해선 질색하는 쪽이라 미국 경제가 향후에도 지금과 같은 초호황을 지속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US CAPEX 장세가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입니다.


앞으로는 새로운 자산군과 주도주, 새로운 스타일의 부상을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경기 둔화는 위험자산에 부정적 시그널이지만 1) 오랜만에 달러 약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2) 중국 등 'Non-US 베팅'에는 기회요인이라 살펴봐야 합니다.

또한 그간 고금리로 고통받았던 섹터들(리츠, 바이오, 소비재)이 기지개를 펼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국도 수출주보다는 주주환원과 밸류업, 3월 주총을 앞둔 행동주의 흐름 등 경기 연관도가 낮은 테마들이 2025년 시장을 견인할 것 같습니다.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021/c9baff648caab.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0 Oct, 23:18


(위) SMR과 건설업종

당사 건설/부동산 담당 박세라 위원 weekly 공유해드립니다.

Trump 당선 수혜업종으로 원전과 SMR이 언급되고 있는데, 한국 건설사들 협력 내용을 자세하게 정리해주셨네요.

=================

- 국내 건설사들은 대형 원전 시공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SMR 시장 진출이 어렵지 않고, SMR은 향후 수소 생산 설비로도 활용 가능해 추후 수소 사업으로 확장할 여지가 있어 매력적

- 2021년 삼성물산은 Nuscale 지분투자를, 현대건설은 Holtec사와 독점계약을, DL이앤씨는 X-energy의 전환사채 인수 등 해외 주요 SMR 개발 업체와 전략적 제휴

- 주가 반응은 단기적일 수도 있으나, 내수 의존도가 높아진 건설사들의 성장성을 위한 신사업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1018/636d6bac692a4.pdf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0 Oct, 11:04


[신영증권 박소연] 10월 셋째주 증시전망

미국 대선이 2주 남았습니다.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와 트럼프가 초박빙으로 나오고 있지만, 경합주에서 우위를 점한 트럼프가 더 유리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트럼프는 바이든의 재정지출에 매우 비판적이었던터라, 당선된다면 IRA 등 각종 보조금 축소를 추진하겠죠.

이는 지난 4년간의 US CAPEX 장세에 큰 전환점이 올 가능성이 있으며, 앞으로는 새로운 주도주와 스타일의 부상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미국 경기가 둔화된다는 것은 위험자산에 그리 긍정적 시그널은 아니지만

1) 오랜만에 달러 약세 국면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고, 2) 'US-only' 국면에서 'Non-US' 국면으로 전환된다는 의미라 기회 요인도 있습니다.

이런 타이밍에 시작된 중국의 경기부양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한국도 수출주보다는 경기 연관도가 낮은 테마들이 2025년 시장을 견인할 것 같습니다. 제약/바이오, 밸류업/행동주의 테마 강세도 이런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미국 대선 앞둔 관망세로 약보합. 반도체/이차전지 약세로 일부 밸류업/행동주의 테마와 헬스케어 로테이션. 국고 3년물 4bp 하락한 2.90%, 원/달러 환율 18원 상승한 1,369원

▲ 업종/종목 : 얼라인 파트너스 주주제안에 두산(+12.6%), 두산밥캣(+6.6%) 강세. 한미사이언스(+10.5%)도 경영권 분쟁 지속에 강세. 반면 Tesla 로보택시 실망감에 삼성SDI(-11.5%), 엘앤에프(-11.3%) 등 2차전지 밸류체인 약세 지속

- 52주 신고/근접 : 메리츠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고려아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JB금융지주, 오리온홀딩스, 녹십자 / 파마리서치, 보로노이, 알테오젠, 클래시스 등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상승 마감. 넷플릭스(+11.1%) 호실적에 급등. 트럼프 당선확률 확대로 비트코인 6만9천달러 근접, Microstrategy(+11.6%) 신고 경신. NDF 원/달러 환율 1,370원 호가

▲ 종합판단 : 11월 미국 대선까지 변동성 국면. 다만 한국 KOSPI는 12M Trailing PBR 1배 2,700선 위치. 중국 부양책과 밸류업 기대감도 하방경직 요인될 것. 고배당/가치주 강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