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_heart_of_the_beast @doubledigit100 Channel on Telegram

The_heart_of_the_beast

@doubledigit100


야수의 심장. News. Opinion. etc.

https://m.blog.naver.com/double_digit

투자판단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매수/매도 추천 아닙니다.

중요 포스팅은 상단에 고정시켜놓겠습니다.

제가 공부 및 작성한 내용을 공유드리는 채널입니다.

채널에 언급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보유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기매도하였거나 추후 매도할 수 있습니다.

The Heart of the Beast (Korean)

더블디지트100 채널은 '야수의 심장'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은 다양한 뉴스와 의견을 다루며, 블로그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블디지트100은 투자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 매수나 매도를 권장하는 채널이 아닙니다. 중요한 정보는 상단에 고정되어 있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채널은 운영자가 공부하고 작성한 내용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채널에서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보유 중인 경우에도 기매도하거나 추후 매도할 수 있습니다. 더블디지트100 채널을 통해 투자 및 금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21 Feb, 13:28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22119415957507

The_heart_of_the_beast

21 Feb, 01:01


*할로자임 컨퍼런스 콜 Comments
(=알테오젠을 바라보는 시각, 시밀러 시장진입에 대한 시각)

한국 바이오텍에서 SC제형에, 그리고 알테오젠 주가를 이해하는데 다른 시각이 필요할 것 같아 남김. 논쟁거리 화두를 시장에 던질 수 있으나, 어쩔티비.

큰 기회를 다양하게 찾길 권하는 마음에 작성해봄.

여러 애널리스트들의 코멘트를 비바이오 관심자들이 Price에 집중하여 소화하다보니 특허와 비지니스 구조를 구분하지 못한체 시장접근을 한다 보임.

1. 할로자임 VS 알테오젠의 MDASE 특허전쟁

특허에만 집중하다보니 그 차이를 구분짓는데 혼동이 있음. 두 회사의 특허 분쟁의 근간은 물질특허로 국한됨. 물질특허란 화학반응에 의해 새로이 제조된, 유용성을 가진 제품이나 물질을 의미함.

할로자임의 물질특허는 이미 유럽 만료된 상황, 27년 하반기 미국 만료를 앞두는 상황에서 할로자임의 컨퍼런스 콜의 특허연장은 물질특허가 아닌 제조특허로 이해하면 됨. 이미 특허가 만료된 물질에 대해서 만료 연장 기대를 언급하며 설왕설래 하는 것 자체가 특허 구분이 안된체 시장 가격이 밈으로 형성된다고 판단할 수 있음.

할로자임 입장에서 변이체에 대한 물질특허를 새로이 확장하려고 함.문제는 여기서 시작. 알테오젠은 오리진 물질제품(할로자임)의 물질특허 만료를 회피하여 자신들만의 단백질 변이체 제품을 만듦. 그런데 할로자임이 물질특허 연장 일환으로 변이체 접근을 하기에 알테오젠과의 충돌 여기서 생김.

변이체라는 것의 탄생기원을 생각해보자. 기존 오리진 물질특허(유용성을 가진 제조특허) 가 있다면 동일 물질로는 SC 신규 진입자는 사용하지 못함. 할로자임이 특허로 막아둔 비지니스에서 알테오젠이 DNA, 단백질 등을 일부 변이체로 만든게 알테오젠의 변이체 물질특허임.

이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오리진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수준의 단백질 변경 물질을 개발한 것으로 쉽게 이해하면 됨. 월등히 뛰어난 제품이라는 의미가 아닌, 오리진과 유사 혹은 동등한 제품이라는 의미임.

할로자임은 특허 만료를 앞두고 변이체로 새로운 물질특허 연장을 시도하다 알테오젠과의 특허 이슈가 부각되는 것. 이 이슈로 인하여 알테오젠의 변이체가 특별하고 압도적인 성과를 내는 새로운 신기술로 볼 수 잇으나, 결국에는 특허를 회피한 오리진 제품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제품으로 이해하면 됨.

알테오젠과 할로자임의 특허전쟁에서 MDASE든 뭐든, 할로자임의 물질특허를 새롭게 재창출하는데 있어 이를 방지하는게 목적임. MDASE(modified hyaluronidase) 논쟁은, 할로자임이 물질특허를 재생산하는 것에 대해 알테오젠이 변이체에 대한 물질특허를 사전 통제한다는 의미임.


2. 할로자임 컨콜 복기

할로자임이 유럽과 미국 특허 연장 가능성을 언급. 알테오젠 분석가들이 변이체 특허를 강조하다보니 특허가 언급되는 순간 시밀러 시장진출이 막히거나 알테오젠의 경쟁격화를 우려하게 됨. 이는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림.

앞서 언급한대로 우리는 물질특허란 제조된 유용성 제품을 뜻한다고 했음.

SC제형에서 물질을 기본으로 볼 때 변이체라 하여 특별히 수율 높은 소스라는 개념이 아닌, 안정적이고 더 뛰어나다는 것이 아닌, 오리진과 유사 혹은 동등한 인간유래 hyaluronidase 물질 그 자체로 물질특허로 이해하면 됨. 복잡한가?

할로자임이 강조하고 싶던 것은, 만료된 물질특허가 아닌 , 제조 특허의 연장을 의미함.


3.그래서 제법특허가 무엇임?(꼭 읽어보길)

[발명의 결과 탄생한 물질이면 '물질특허', 만드는 방법이면 '제법특허']

생산 수율이 높게 , 즉 생산성이 우수한 제법특허를 제법특허라고 하는 것. 앞서 물질특허라 함은 화학적 반응에 의해 만들어진, 제조 용이성을 가진 물질 그 자체라 했음. 제법특허는 생산성을 가진 제품임.

쉽게 말해 그래핀을 생각해보자. 그래핀이 상용화되지 못한 이유는 제품을 만드는 문제가 아닌, 제품의 생산 수율 문제 때문에 상용화 되지 못한 것.

삼성 전자 비메모리도 보자. 삼성전자는 HBM4를 만들 수 있음. 문제는 생산수율이 나오지 않아 불량률이 높고, 결과적으로 단가나 마진이 낮아 상용화에 실패하는 것.

결국 각 업체별 물질특허는 오리진에 기대어 만들어지는 제품일 뿐이고, 누가 이를 상용화활 정도의 제법 특허를 가졌는지가 중요한 비지니스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음.

4.그래서 뭐? 제법이 중요하다고

할로자임과 알테오젠의 다툼 핵심이 뭐라고 생각함? 누가누가 파트너를 정하느냐의 다툼임. 할로자임은 SC제형 시장 형성 초기 불합리한 계약구조로 확장성이 부족한데 반해, 알테오젠의 경우 할로자임이 발목이 잡힌 상황에서 할로자임 회피한 물질특허와, 그들만의 제법특허를 바탕으로 머크와의 계약을 이루어 낸 것. 머크와의 계약은 알테오젠 물질의 특출남 보다는 오리진 수준의 유용성 물질 확보, 제법특허를 보유, 그리고 할로자임의 확정성 문제로 이루어진 '사업적' 성과로 이해할 수 있음.

'사업적' 성과로 바라볼 때, 현대나 삼성같은 업체에서 특정 기술을 생산할 수 있는 제법특허를 유의미하게 보유하고 있다면, 멀티밴더로 확장하는데 있어 거부감이 없을 수밖에 없음.

시밀러를 뒤쳐진 약, 효능 없는 약으로 평가하나, 시밀러 자체가 변이체가 타겟하던 오리진 물질이기에 그 차등을 구분할 이유가 하등 없음. 중요한 것은 그것을 생산성 높게 제조하는 제법특허가 핵심임.

5.SC를 어떻게 봐야하는데?

SC제형은 우리가 생각하는 특별한 바이오 신약이라는 접근보다는, 사업적인 전략 측면에서 바라봐야할 것. 할로자임의 제한된 확장성은 알테오젠에게 비지니스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시밀러 업체중에서도 유의미한 제법특허를 가진 파트너들도 진입가능하다는 것을 부정할 필요도 없음.

또한 발주를 하는 입장에서 멀티밴더에 대한 수요도 있겠지만, 유사한 약 업체가 세개가 있다 할 경우, 두 업체가 SC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다른 한 업체가 SC로 전환하지 않을 이유가 없음. SC 제형변경이 늦어짐에 따라 시장 경쟁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

SC제형이 신약이고 특별함을 제시 할 수 있는 분야였다면 복제약의 전문가인 셀트리온이 자체 보유한 제법특허를 바탕으로 SC제형 경쟁에 뛰어들지 않을 이유가 하등없음. SC제형 비지니스의 핵식은 사업적 이해관계라고 단정짓고 싶음

6.마무리하며...

할로자임을 바라보는 시각은 오리진 제품으로 수많은 레퍼런스를 갖고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함

알테오젠을 바라보는 시각은 운좋게 머크 잭팟을 터트렸고, 레퍼런스를 확보했기에 파트너를 확장할 수 있다고 이해해야함. 쉽게말해 투자기관들 레퍼런스보고 블라인드 돈 받는 것과 같은 이해

시밀러 및 후속 업체들

누가 유의미한 제법특허를 가졌는지는 모르겠음. 제법특허와 생산 능력이 매우 중요할 것. 생산능력이 증빙된다면, 빅파마 입장에서는 특정업체에만 제형변경할 이유가 하등 없음.
후보군을 구분짓는다면 제법특허와 함께 생산설비까지 확보된 곳이 유력할 수 잇음.

누구든...대기업이든 아니든...독점을 꺼려하는 것을 알아야함. 할로자임이 독점했기에 알테오젠이 탄생했다는 것을 왜 부정하지?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시장에서 제형변경할 약들이 부족하다함. 아직도 수많은 빅파마들 중에서 제형변경할 약들이 있고, 수많은 신규파이프라인도 존재함. 결국 제법특허를 중심으로 사업적 역량과, 레퍼런스,발주처(빅파마)의 독점을 회피하려는 이해관계가 맞는 것이 사업 성공의 핵심으로 봄.

데헷♥️

The_heart_of_the_beast

14 Feb, 00:40


[단독] 현대차, 배터리 직접 생산 착수…NCM 기반 '소규모 양산' 추진


https://naver.me/F9NCLQ7U

The_heart_of_the_beast

11 Feb, 13:42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38407

The_heart_of_the_beast

10 Feb, 10:24


[단독] 광고 매출 부풀려...‘숲(SOOP)’ 수백억 분식회계 의혹으로 금감원 회계 감리(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87155?sid=105

The_heart_of_the_beast

05 Feb, 12:20


https://m.yna.co.kr/view/AKR20250205160300003

The_heart_of_the_beast

29 Jan, 14:27


리캡 배경으로는 지속적으로 호실적을 달성해온 점이 꼽힌다. 2023년 설빙의 매출액과 순이익은 261억원, 101억원이다. 전년 255억원, 81억원 대비 소폭 늘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도 2022년 105억원에서 2023년 114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도 전년 대비 10%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미국과 호주, 일본,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5개국에 진출한 상황인데, 미국의 경우 최근 현지 법인 설립에 드라이브를 거는 상황으로 현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161036162720106271

The_heart_of_the_beast

28 Jan, 11:14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9785?sid=101

The_heart_of_the_beast

28 Jan, 11:01


DeepSeek과 원전

-DeepSeek이 저사양 GPU로 고사양을 사용한 미국 빅테크들의 AI 플랫폼과 동일한 성능을 구현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

-DeepSeek이 사용한 NVIDIA H800의 최대 파워 소비는 350w인 반면 OpenAI 등이 사용 중인 NVIDIA H100은 700w로 두 배에 달해

-DeepSeek의 기술이 표준이 된다면, 동일한 AI 데이터센터 건설시 최대 전력 소비 규모가 기존 전망치 대비 절반으로 낮아질 수 있어

-글로벌 데이터센터 수요의 약 60%를 차지하는 미국에서는 그동안 AI용 데이터센터 확대를 위한 대규모 전력 공급 증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상존

-태양광, 풍력 위주로 신규 발전설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해서 원전과 가스발전까지도 확대해야된다는 컨센서스 형성

-DeepSeek의 성과가 과장된 것이 아니라면 미국의 원전 확대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질 수 있어

-전일 미 주식시장에서 원전 발전 업체들인 Constellation, Vistra, Talen과 SMR 개발업체인 Oklo, Nuscale, Nano Nuclear Energy는 물론 Cameco 등 우라늄 공급 업체들의 주가도 급락

DeepSeek의 성공을 액면그대로 믿을수있고, 검증가능한지에 따라 원전에 대한 기대치가 정해지겠습니다

https://markets.businessinsider.com/news/stocks/deepseek-ai-nuclear-energy-stocks-artificial-intelligence-constellation-nuscale-vistra-2025-1

The_heart_of_the_beast

28 Jan, 03:20


https://m.fmkorea.com/best/7969928319

The_heart_of_the_beast

28 Jan, 03:20


» DeepSeek와 주요 AI들의 성능 비교 [연합뉴스]

The_heart_of_the_beast

27 Jan, 05:21


https://v.daum.net/v/20250127141723796

The_heart_of_the_beast

21 Jan, 14:47


VIP자산운용_2025년 투자 아이디어

The_heart_of_the_beast

14 Jan, 09:30


☆비만치료제, B만 몸매를 A+로 요약(성균관대 S.T.A.R / 정승호, 이현서, 이동재님)

비만치료제의 흐름.

-비만치료제 시장은 24년 140억 달러(20조)에서 30년 1280억 달러(187조)달러로 연평균 44% 고성장 할 것으로 예상.

-1차 성장 국면에서는 21년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출시를 시작으로 높은 효능을 가진 3세대 비만치료제의 출시 및 파이프라인, 글로벌 출시 범위, 생산능력 확대가 성장 주도.

-2차 성장 국면에서는 보험 적용의 확대, 적응증 범위의 증가, 제형의 편리성 향상으로 비만 치료제의 접근성이 높아져 시장을 견인할것.

-세계비만협회는 과체중(BMI 25이상)인 성인 비율이 20년 42%에서 30년 50%, 35년 54%까지 등가할 것으로 전망.

-글로벌 죽음 중 54%가 암, 관상동맥 심장병, 뇌졸증, 당뇨병에 의해 발생. 높은 BMI가 5~42%의 연관성을 보여 직간접적 비용은 글로벌 GDP의 2.19%에 달하며 지속 증가중.

-BMI가 40 이상이거나 BMI 35이상이면서 합병증이 동반된 성인 환자는 수술이 권장되나 합병증 및 부작용 위험이 높은 배경에서 비만치료 신약이 수술 목표 체중 감소율에 근접하며 시장확대.

-하버드 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2H23에서 2H24까지 비만 수술을 받은 환자는 25.6% 줄어든 반면, GLP-1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는 132.6% 늘어남.

비만약과 보험

-미국 설문조사에 따르면, 연 소득 $250,000 이상인 상위 7% 인구 중 37%만이 비만 치료제에 월 $750 이상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었으며, 그 이하 소득층에서는 해당 금액을 지불할 의향이 거의 없었음. 약가가 낮아지면 더 다양한 소득분위의 사람들이 비만치료제를 찾고 평균 약 복용기간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대부분의 국가들은 약이 비싸고 치료 대상군이 넓어 비만을 공보험으로 커버하고 있지 않음.

-제약사들은 전략적으로 비만외에 보험 대상에 포함 될 수 있는 적응증으로 타겟해 보험 대상에 들어가려고 시도중. 이에따라 공보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될 전망. (EX 위고비의 심장약 공보험 승인)

-글로벌 사보험 시장은 비만치료 수요 증가에 보험 적용 범위 확대중.

-특히 고용보험이 적용 비율을 확대중. 9amHealth가 1,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7%는 체중 감량 약물의 보험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선호하지 않는 직장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20%는 보험 혜 택을 얻기 위해 직장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

-보험적용 여부가 직장 선택의 중요요소로 자리잡으며 비만치료제에 대한 보험 커버리지는 지속 확대 예상. GLP-1 보험 적용 기업 비율은 23년 23% / 24년 34%로 증가 릴리와 노보는 50% 수준의 상업보험 커버리지 확대 목표.

이중/삼중 작용제

-GIP는 GLP-1과 마찬가지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인크레틴 호르몬으로 GLP1과 함께 쓰일 경우 글루카곤 분비가 억제되고 추가 혈당 개선효과. 기존 약제를 뛰어넘는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이며 주목.

-삼중작용제는 상기 이중작용제에 글루카곤의 효능을 더해 체중감량을 극대화한 비만약.

GLP-1의 생산공정

-GLP-1 수용체 작용제 생산공정은 크게 [펩타이드 합성] → [정제 및 테스트] → [충전 및 마감] 하는 공정으로 나뉨.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 조각인 펩타이드를 재조합/ 화학적 변형으로 API 제조. 정제 과정에서 고순도 GLP-1 유사체 생성 / 주사기와 주사 펜에 약제를 충전하고 포장해서 완제의약품을 만듬.

-경구형 제형은 충전 및 마감 공정 대신 병목에 덜 취약한 태블릿 제조 공정을 거치게됨.

경구형

-체중감량은 최대 25% 수준으로 성능은 이미 충분 향후는 투약 편리성이 점유율 확보에 효과적.

-경구제는 주사제 대비 복용이 편리하고 주사제 공정의 병목에서 벗어나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체중 감량 효과가 적음.

-체중 감량 효과가 적음에도(경구제5~15% / 주사제 15%~25%) 경구형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중 (42%>24%)이 현격히 높음.

-경구용은 생체이용율이 매우 낮아 주사제에 비해 API가 3~25배 투여. API가 고농도일수록 메스꺼움과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나 경구용에서의 부작용 관리는 더욱 중요.

-비만치료제는 장기투여가 필요해 감량효과가 좋아도 부작용이 심할 시 치료중단비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경구용에서 부작용은 더욱 심함.

-상대적으로 높은 부작용에도 선호도 측면에서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며 당뇨/비만 환자 수를 고려할 시 주사제만으로는 공급 대응 불가능.

-일주일 제제로 약 5억명의 비만환자에게 투여 시 연간 약 250억개의 주사제가 필요하다는 점(Catalent full CAPA 연간 약 6억개 추정)에서 경구용 치료제의 개발과 양산은 필수적.

-경구제는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고용량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한 제약사가 경구제 시장의 승기를 잡을것.

적응증 확대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의 적응증 임상은 적응증을 확대하여 보험 처리가 가능하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시장 전체 파이 확장 목적. 주요 적응증 확대로는 심혈관/ MASH/ 심부전/ 수면무호흡증이 있음.

-2024년 글로벌 심혈관질환 시장은 901억 3,000만 달러로 추정. Semaglutide와 Tirzepatide 모두 체중관리와 함께 직접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사망위험을 감소시켰다는 점에서 적응증 확대가 기대. Wegovy의 경우 2024년 최초로 미국 공보험 메디케어 D와 메디케이드에 적용.

-2026년 글로벌 MASH 시장은 253억 달러로 추정. MASH는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으로 대사에 문제가 생겨 간에 지방과 염증이 발생하며 합병증으로 당뇨병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비만치료 제와 관련. 미국 성인의 5%인 약 1,600만명이 MASH를 앓고 있으며 글로벌적으로 약 4억 4,000만명의 환자가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잠재력도 클 것으로 기대.

-2025년 글로벌 심부전 시장은 129억 달러로 추정. 심부전 환자의 절반이 HFpEF(박출률 보전 심부전)이며 이 중 대다수가 과체중 혹은 비만(미국 인구 1억 1,000만명 중 600만명이 HFpEF이며 이중 80%가 비만)이라는 점에서 심부전은 비만치료제와 연관성이 높음.

-2025년 글로벌 수면무호흡증 시장은 88억 5,000만 달러로 추정된다. 비만환자의 약 40%가 수면 무호흡증이며,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약 70%가 비만환자라는 점에서 수면무호흡증과 비만치료제의 관련도는 매우 높음. 또한 체중이 20% 감소하면 AHI(시간당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지수의 중증도 가 절반으로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


*이하 요약이 길어져 생략

#비만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725743027

The_heart_of_the_beast

08 Jan, 00:48


상속 시 주가 눌러봐야 소용없다… PBR 1배 상한법 발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5686

The_heart_of_the_beast

08 Jan, 00:23


[속보] 당정 "1월 27일 설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8037500001?input=1195m

The_heart_of_the_beast

07 Jan, 03:38


CES 젠슨황 -AI 기술 발전 단계

초기의 "지각 AI"에서 시작하여 "생성 AI," "에이전트 AI," 그리고 궁극적으로 "물리적 AI"로 발전

지각 AI (Perception AI)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추천 시스템 (Deep RecSys)
의료 영상 (Medical Imaging)


생성 AI (Generative AI)
디지털 마케팅 (Digital Marketing)
콘텐츠 생성 (Content Creation)


에이전트 AI (Agentic AI)
코딩 보조 (Coding Assistant)
고객 서비스 (Customer Service)
환자 관리 (Patient Care)


물리적 AI (Physical AI)
자율 주행 자동차 (Self-Driving Cars)
범용 로봇 (General Robotics)

The_heart_of_the_beast

04 Jan, 01:07


UBS - AI랠리 끝나지 않은 이유 3가지

투자자 일부는 지난해 높은 수익률과 잠재적인 헤드라인 위험을 고려해 지금 차익을 실현할지를 고민하고 있다. AI의 손쉬운 상승세는 끝났을 수 있지만, 이 랠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 빅테크의 AI 지출 증가
지난해 빅테크 4개사는 계속 AI 지출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며, AI 랠리가 지속할 수 있었다. 우리는 이런 지출 상향 조정이 단기적으로 계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들의 총지출이 2024년 전년 대비 51% 증가한 2240억 달러에서 2025년 25% 늘어난 28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본다. 이는 특히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더 큰 투자 계획이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2. AI 투자의 수익화 진전
2025년 AI 매출은 여전히 자본 지출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가능성이 있지만, AI 수익화는 올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위 3개 클라우드 플랫폼의 성장이 가속하고 있으며, 밀려있는 많은 백로그가 이런 기대를 뒷받침. AI 채택은 산업계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유용한 AI 에이전트의 등장으로 ROI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

3. AI 밸류에이션의 건전성
지난 2년간 AI 주식의 상승은 대부분 인상적 실적 개선에서 기반했으며, P/E의 확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실제 많은 AI 주식은 주가 급등에도 P/E 비율이 하락했다. 이는 비교적 건강한 시장 역학을 나타낸다. 2025년에도 약 25% 견고한 실적 성장률을 예상하며, 실적 중심의 랠리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AI 테마에 대한 긍정적 전망 유지. 특히 AI 반도체와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갖고 있다. 앞으로 수출 통제 등 지정학,규제 위험을 감시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이로 인한 조정은 매력적 매수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The_heart_of_the_beast

02 Jan, 13:56


국무위원들이
창드래곤 반만큼이라도
나라경제를 걱정했으면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38635?sid=101

The_heart_of_the_beast

01 Jan, 12:16


(강희진)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최대주주 된다

오늘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의 최대주주 지위를 얻게 되었음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의 14.7% 지분 투자(2.85백만 주)에 더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하며(3.94백만 주, 2,675억원) 총 지분 35.0%를 확보하게 된 것인데요. 이를 위한 주식양수도 거래가 완료되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는 대표이사 직속 조직인 '미래로봇추친단'을 신설하면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메시지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자사의 AI·소프트웨어 기술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하면서,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에 속도를 낼 예정임을 밝혔습니다.

한편 OpenAI가 휴머노이드 사업에 다시 관심을 갖는다는 12월 24일 외신 보도의 영향으로, 국내 로봇 종목들의 주가도 연말에 탄력을 받았습니다. (12월 30일 종가 기준, 1주일 간 클로봇 +38.4%, 뉴로메카 +26.1%, 하이젠알앤엠 +22.6%, 에스피지 +15.8%, 씨메스 +15.4%, 로보티즈 +15.1%, 유일로보틱스 +12.8% 등) 국내 종목들이 올해 글로벌 AI Hype에서 대체로 소외되었던 점을 생각하면 이는 반가운 움직임이었습니다.

저희는 이전 발간 자료를 통해서도 '국내 업체들의 로봇 사업 전략 구체화'가 절실한 상황임을 강조해 왔습니다. 삼성전자의 행보가 내년 국내 로봇 시장에 훈풍을 불어줄 수 있을지에 주목합니다.

(2024/12/31 공표자료)

The_heart_of_the_beast

01 Jan, 06:28


최근 반도체가 바닥인지 아닌지를 놓고 서로 간의 논리가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양쪽의 입장을 정리한다면 본인만의 반도체 투자 논리를 정립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반도체 주가가 바닥이란 논리를 ① 가격 조정의 완성, ②HBM이라는 구조적 변화, ③ 확정적인 25년도 HBM 수요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반대로 반도체 주가의 바닥을 논하기엔 시기상조란 논리를 ① 기간조정의 미완성, ②EPS 감익은 내년이 시작, ③ 글로벌 경기침체도 내년이 시작이라고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번 싸이클이 이전 싸이클보다도 어려운 점은 생각치도 못한 HBM이라는 신규 수요처의 등장으로 촉발된 업싸이클이자, 생각치도 못한 중국 레거시 반도체의 역습과 HBM 피크아웃 논란으로 인해 시작된 다운싸이클이라는 점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판단하건데 아직 미국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조정이 본격적으로 발생하지 않았고, OECD 경기선행지수가 오랜 기간 상승해온만큼 반도체 저점을 논하기에는 이른 시점이 아닐까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논란은 결국 개개인마다 판단이 상이할 수 있으니, 아래 포스팅에서의 논리를 각자 취합해 본인만의 논리를 형성해나가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m.blog.naver.com/foreconomy/223709403628

* 본 포스팅은 스타테일 리서치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에 선기고된 글입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01 Jan, 05:01


24년 손실 결산글 모음(추가 예정) https://m.blog.naver.com/kinvestors/223711474719

The_heart_of_the_beast

01 Jan, 02:02


http://m.g-enews.com/article/Global-Biz/2024/12/2024122519095468374a01bf698f_1

The_heart_of_the_beast

01 Jan, 01:11


.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5

The_heart_of_the_beast

31 Dec, 02:31


[단독] 돈줄 말라가는 K배터리…삼성SDI 유상증자 추진했다 철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24267

금융당국과 협의 뒤 철회
LG엔솔·SK온도 자금사정 악화

The_heart_of_the_beast

31 Dec, 01:10


https://m.seoul.co.kr/news/politics/president/2024/12/31/20241231500038?wlog_tag3=naver

The_heart_of_the_beast

31 Dec, 01:10


https://www.fnnews.com/news/202412310926399245

The_heart_of_the_beast

29 Dec, 12:30


사모펀드 투자방식과 M&A 사례

https://m.blog.naver.com/arystal/223708657915

The_heart_of_the_beast

29 Dec, 01:28


https://www.inews24.com/view/1798753

The_heart_of_the_beast

28 Dec, 07:24


뭐 굳이 결산같은거 안 하는데 한국경제 비관론 망무새 새끼들이 지가 못버니까 저런소리 하는거 아니냐. 난 잘먹는데? 니가 병신이라 그런거 아니냐?고 해서 나도 결산.

9월까지 +143.7% 국내주식 하다가 국내주식은 다 토꼈고 8~11월 파생으로 숏만 침.
해외는 10월 이후 +8%인데 그냥 이건 딱히 뭐 컨빅션 있는게 없어서 뿌려놓고 있음. 두나무는 +51%.

요즘 텔레로 조심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면 비관적 망무새니 뭐니 하는데 조심해야 한다, 리스크 있다는 이야기를 아무 논리없이 왜 저렇게 폄하하는지 모르겠다.

그냥 텔레그램으로 종목 세일즈 하다가 한국을 떠나는 사람이 많아지면 세일즈해서 해먹을게 없어지니까 그러는구나 싶다.

나라고 국내주식으로 못 먹어서 그런 소리 하는게 아니다. 주식을 떠나서 뭔가 잘못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https://blog.naver.com/darksun1998/223707757603

The_heart_of_the_beast

25 Dec, 22:54


■ 오늘(26일)은 1.배당과 2.대주주양도세 주식수가 확정 되는날!!

1. 배당기준일이 12/31일(주주명부 페쇄)인 기업들에 투자해 배당을 받으려면 오늘까지 주식을 매수해야합니다

* 배당기준일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기업의 공시를 통해 배당기준일 확인 필수

2. 대주주 양도세 50억 계산을 위한 수량(Q)이 정해지는 날입니다

50억을 계산할때 오늘 장마감 후 보유한 주식수(Q)와 12/30일 해당 주식의 종가(P)를 곱해 50억 이상이 되면 대주주 양도세 부과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 50억 계산식
12/26일 주식수(Q) x 12/30일 종가(P) >= 50억


텔레그램 링크: t.me/CTTResearch

The_heart_of_the_beast

25 Dec, 10:22


1대100 ㅋㅋㅋㅋ 🥲🤣

The_heart_of_the_beast

25 Dec, 10:22


https://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452180

The_heart_of_the_beast

25 Dec, 02:5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24492

The_heart_of_the_beast

24 Dec, 02:19


휴온스글로벌에 대한 좋은 의견 남겨주신 블로거이십니다.

저 역시 알테 주주로서 어느정도 편향이 있지만, 알테오젠의 사업 경쟁자로 올라올 수 있는 기업에 대해서도 충분히 공부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https://blog.naver.com/double_digit/223701606290

반대로는 특허 전문 기업으로 볼 수 있는 산도즈가 알테오젠과 신규 히알 개발을 위한 LO를 체결한 배경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shryankim/223703886268

휴온스글로벌의 SC제형 진출은 경쟁자 하나가 늘어난다는 점에서 악재로 볼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SC제형이 바이오 빅트렌드로서 자리잡고 있음을 명확하게 알려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타 기업의 SC 진출 가능성을 차치하고, 바이오 빅트렌드로서의 SC 제형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기업은 알테오젠이라는 기존 뷰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할로자임은 독점 계약으로 발목 잡혔고, 휴온스글로벌(+셀트리온)은 검증되지 않은 신생사업이기 때문입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24 Dec, 02:14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02044

The_heart_of_the_beast

24 Dec, 01:40


금융위원회는 상장법인 자사주 제도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오는 31일부터 시행된다고 24일 밝혔다.

상장사의 자사주 보유비중이 발행주식총수의 5% 이상인 경우 자사주 보유현황과 보유목적, 향후 처리계획(추가취득 또는 소각 등) 등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해 이사회 승인을 받아 공시해야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224039200002?input=1195m

The_heart_of_the_beast

24 Dec, 00:18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1796

The_heart_of_the_beast

23 Dec, 23:28


*Comment

바이오라는 섹터가 돈을 벌거나, 혹은 벌 수 있다는 가능성 높은 추측을 언제 했을까?

- 불과 몇년전 기억을 되짚으면, 유망 바이오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측정할 때 파이파라인별 성공확률, 약의 시장, 침투율등 수많은 가정들이 반영됨

- DCF에 대해서 몇몇 보고서에서 언급을 하면 해당 애널리스트도 스스로를 속이는 최면상태에서 보고서를 작성해야했을 것

- 알테오젠이 25조 가까이 시가총액을 기록한 뒤, 최근들어 15조정도로 조정이 됨. 바이오는 알테오젠이 SC제형 시장을 열기전과 후로 나뉜다고 보임

- 처음으로 바이오 기업들 중에서, DCF 모델의 각 요소별 가정치에 대한 갑론을 박이 생겼음. 그 기업이 알테오젠임.

- 이제는 신빙성 높은, 돈을 벌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는 바이오 기업이 탄생한 것.

- 앞으로 독점적일 것이란 기대감으로, 회사측 설명을 받아적은 라이터들의 논리가, 그들이 일궈낸 SC제형 시장에서 신규플레이어가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논리적 공격을 받고 있음

- 논쟁은 차치하더라도, 한가지 분명한 것은. 돈을 벌어 내는 바이오섹터가 생겼고, 그 섹터의 플레이어는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평가되어야 할 것. 그런데 시장을 개척한 SC제형 선구자인 알테오젠도 1등 프리미엄을 인정받아야 할 것. 특정기업을 깍아내리면서 볼 필요 없이, SC시장을 제3자 진입에 따른 적응증 전체를 재평가하고 이에 대한 기업들 가치를 평가하면 그만인 것임

- 예를든다면, 작년 로봇 붐 당시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숏치면서 뉴로메카를 빅롱치는 어리석은 짓과 같다해야할까?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시장을 개척했기에 뉴로메카와 티로보틱스 같은 업체들이 저점대비 4,5배 상승할 수 있었던 것 아닐까?

어제 재미삼아 공유했던 알파카님과 야수의 심장님의 글은, 기존의 논리가 독점적이었다면, 이제는 독과점 시장으로 되었을 뿐, SC제형 섹터는 매우 고성장, 고평가되어야할 시장임은 분명하다는 생각임. 두분이 댓글 통해서 생각과 논리 공유하는 것도 우리가 스터디해야할 부분이고.

*알파카VS야수의심장

https://t.me/hanagae/9302


/참고글

1.(마지막에 화장실 일보고 잘 닦지않은 마무리지만 포인트가 매우훌륭)SC제형 제3자 진입 가능성1
https://m.blog.naver.com/windalpha/223703456755


2. SC제형 제3자 진입 가능성2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virtuous184&logNo=223695712151&navType=by

The_heart_of_the_beast

23 Dec, 05:52


금융위, '내년부터 법인 가상자산 계좌 허용' 보도에…"사실 아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34454g

The_heart_of_the_beast

23 Dec, 05:44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일 '프레제니우스'에 이전
https://www.news1.kr/bio/pharmaceutical-bio/5640113

삼천당제약이 자체 개발한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 'SCD411'을 독일계 글로벌 제약사 프레제니우스에 기술이전해 상업화에 나선다.

프레제니우스는 최근 바이오의약품 등 의약품 전문 자회사 프레제니우스 카비를 통해 삼천당제약과 SCD411을 기술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프레제니우스 카비는 삼천당제약의 SCD411을 미국과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파라과이, 콜롬비아, 멕시코 등 남미에서 독점적으로 상업화할 예정이다. 개발과 제조, 공급은 삼천당제약이 담당한다.

프레제니우스 카비는 중증·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의약품과 주사제, 수액, 의료기기 등을 공급하는 기업이다. 바이오시밀러와 정맥영양주사 등을 주요 제품으로 보유 중이다. 이번 기술도입 계약은 바이오의약품 분야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이뤄졌다.

아일리아는 리제네론이 개발한 연령관련 습성황반변성(wAMD) 치료제다. 이외에 망막정맥폐쇄(RVO) 후 황반부종, 당뇨성 황반부종(DME), 당뇨병성 망막병증(DR) 등 안과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항VEGF 의약품이다.

The_heart_of_the_beast

23 Dec, 02:57


https://alphabiz.co.kr/news/view/1065580662779988

The_heart_of_the_beast

22 Dec, 07:43


[ 휴온스글로벌 ] 올해 마지막 글로서, 회사를 바라보는 뷰에 관해 제기된 몇가지 의견들에 대해 개인적으로 답변하는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휴온스글로벌

https://m.blog.naver.com/double_digit/223701606290

The_heart_of_the_beast

21 Dec, 06:25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12/21/2024122100019.html

The_heart_of_the_beast

20 Dec, 08:48


이석우 두나무 대표 "韓 가상자산 시장, 100년에 올까 말까 한 기회···금융 허브로 거듭나야"
https://decenter.kr/NewsView/2DI70TLJCV?OutLink=telegram

이 대표는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주요 문제 중 하나로 국내 자금 유출을 꼽았다. 현재 한국에선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와 파생상품 거래가 금지돼 해외 거래소를 찾는 국내 투자자가 많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해외로 유출된 가상자산 관련 자금은 신고된 액수만 130조 원”이라며 “신고되지 않은 자금을 포함하면 200조 원이 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거래소를 이용하도록 허용하고 한국이 금융 허브로 도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대표는 “(트럼프 당선 이후 가상자산 업계에) 100년마다 올까 말까 한 기회가 왔다”며 “가상자산 거래량이 많은 한국은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투자자가 국내 거래소를 이용하면 정부의 세수가 증가하고 다양한 연관 산업이 생길 것”이라며 “고객확인절차(KYC),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만 잘 구축하면 5~10년 안에 금융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The_heart_of_the_beast

20 Dec, 06:39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20900416&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20 Dec, 03:08


https://m.blog.naver.com/ranto28/223699795891

The_heart_of_the_beast

20 Dec, 00:41


#휴온스글로벌
휴온스글로벌

The_heart_of_the_beast

20 Dec, 00:33


토막큐브

혹시 인버스인지

The_heart_of_the_beast

19 Dec, 14:35


25년 바이오 행사 일정

The_heart_of_the_beast

19 Dec, 07:59


광고 빗장 풀린 조각투자업체…STO 시장 활성화 '기지개'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121915514643973?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15:51


💥[속보] 트럼프 "파월 연준 의장 교체 않을 것"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12:32


다음주도 변동성 높은 장이 될 텐데, 계엄 이후에도 양봉 나와주고 흐름 좋은 개별주들에 집중 필요.
위기에 강한건 이유가 있을 테니.

시장 베타나 업종 베타보다는, 개별적 이슈에 집중해야 할 때가 아닌지..

https://blog.naver.com/double_digit/223686361510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12:31


민주당도 아는 미래핵심산업 - 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12:0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828735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7:58


여당으로서는 지금 탄핵 동의하면 고스란히 정권이 넘어가는 꼴이니 일단 정국 수습 시간을 벌어야하고, 야당은 여당 표가 없으면 대통령 탄핵도 못시키고 임기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상황에서,

양쪽 다 내년 중반기까지 대통령이 자진 하야하고 수사받는걸 전제조건으로 조기대선 실시하는 방향으로 합의한다면,

여당은 정국 일부 수습하여 다음 대선이나 당 지지율 회복 준비를 할 수 있고, 야당은 여당 표 없으면 불가능한 대통령 조기퇴진을 가능하게 하며 윤대통령 임기를 단축해 이재명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조기 해소 할수 있지 않을까 싶음.

이렇게 합의해버리면 나머지 조국당이나 개혁당은 노발대발하겠지만 뭐, 빅2만 합의하면 되는거니..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7:5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697076?sid=100&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6:55


#금투세폐지
할 일은 할 수 있게 해야합니다

https://naver.me/FlZvANvz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6:18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241208.99099002726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6:16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0815104019574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5:25


Forbes 한국 디스카운트 기사에 대한 코멘트가 많은데, 해당 기사 작성자인 William Pesek의 지난 기사들을 보면 원래 비판적인 시각을 많이 담는 기자임.

잘못되었다기보다는 균형 잡힌 시각을 위해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리려는 의도.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하루 이틀 이슈도 아니고

The_heart_of_the_beast

08 Dec, 05:12


1.주식풀+레버리지는 반드시 리스크 관리.
2.현금으로 주식풀은 존버.
3.현금여력 있으면 좋은기회. 매수시점 대비 1년 기대수익률 생각하시면 될것 같아요.

저는 2차계엄만 아니면 폭락 나오고 그럴것 같지는 않아요. 이미 상당히 반영됐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이 언제 반등할지는 전혀 모르겠습니다. 어려운 시기 잘버텨보아요♡

The_heart_of_the_beast

07 Dec, 15:25


😛

The_heart_of_the_beast

07 Dec, 14:11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4120723062359714&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07 Dec, 08:50


안철수만 ‘안’철수했네요

The_heart_of_the_beast

07 Dec, 08:5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83256?sid=101&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06 Dec, 14:36


12월 금리인하 89.3%까지 올라왔네요

The_heart_of_the_beast

06 Dec, 14:36


후 (안도의 한숨)

The_heart_of_the_beast

06 Dec, 09:15


Big3 신용평가사 한국 신용등급/코멘트 정리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Fitch
- 등급 AA-/전망 안정적 유지
- 제목: '정치적 변동성에도 한국의 신용 펀더멘탈은 견고하다'
- 여러 문제들은 헌법에 부합되는 절차를 통해 해결될 것
- 다만, 일시적으로라도 투자자 인식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 정치적 리스크가 향후 몇달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장기화되면 신용도 하락할 수도


ㅁ Moody's
- 등급 Aa2/전망 안정적 유지
- 주요 요약: "정치적 갈등이 장기화해 경제활동에 영향을 끼치면 신용에 부정적일 것"
- 예산안을 둘러싼 교착 상태 해결되지 않고 있음
- 이번 사태가 빠르게, 적시에 해소되지 않으면 다양한 위기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ㅁ S&P
- 등급 AA/전망 안정적 유지
- "장기 관점에서 신용등급 유지하나, 이례적인 계엄령에 투자자 신뢰 회복에 상당한 시간 걸릴수도"
- AA등급 국가가 계엄령 맞은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투자자들의 인식이 훼손됐을 가능성
- 충격의 강도를 완전히 평가하고, 투자자 심리를 정상화하는 데 많은 시간 걸릴수도
- 다만, 심각한 폭력 없이 계엄 신속 해제한 것은 한국 정치 시스템 정상이라는 신호
- 향후 1~2년 내에 한국 신용등급 변경될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


ㅁ 참고자료
https://www.donga.com/en/article/all/20241206/5336938/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697546
https://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015

The_heart_of_the_beast

06 Dec, 06:06


저는 시장 낙관론자도 아니고, 비관론자도 아닙니다.

주어진 시장에서 지극히 객관적으로 볼려고 하는데,

아시다시피,
지난주 시장 스탠스는 보수적,부정적으로 이미 보고있었고, 매매하더라도 평소보다 금액 대폭 낮춰서 해야한다고 언급도 드린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저점을 한번 찍고, 반등시도+개인투매도 한번나왔고, 기관/외국인도 물량 싹쓰리해갔기때문에

오늘 오전11시이후부터
개인적으로 시장 긍정적으로 앞으로 전개될 가능성 높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정치적으로도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도 있는 시점이 다가왔고, 금융시장에서 그게 가장 먼저 포착(원래 돈의 흐름에서 가장먼저 반응옴)

지금까지는 많이 침체되어있지만,
지금부터는 기대해야할 시점입니다. 국장하시는분들 힘내시길


다음주 반등이 전개되면, 아마 정치테마주가 반대로 차익실현나오고 전체적 정상섹터들은 반등시도 전반적으로 전개될것이라고 보고있구요,

그다음부터 시장반등에 찐 상승섹터가 슬슬 윤곽나올듯합니다.

추후에 모든가능성 열어두고, 실시간으로 돈의흐름이 붙는섹터가 있으면 공유드리겠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06 Dec, 04:28


[국방부 대변인실에서 알려드립니다]

※ 엠바고 유의, 13:30 실제 발표내용 확인 후 보도 ※

<비상계엄 관련 국방부 입장>

ㅇ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차관 김선호입니다.
지난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하여 국민 여러분께 우려와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며,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ㅇ 최근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하여 국방부는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할 것이며, 군검찰 인원도 파견하여 합동수사가 이루어지도록 조치할 것입니다.

ㅇ 오늘 오전, 일각에서 제기된 "2차 계엄 정황"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ㅇ 만약, 계엄 발령에 관한 요구가 있더라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이를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ㅇ 현재 군은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본연의 임무에 매진하면서 국민의 안전과 평온한 일상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끝//

The_heart_of_the_beast

03 Dec, 08:2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98020

The_heart_of_the_beast

03 Dec, 06:56


[KB시황 하인환] The Elon Effect: 일론 머스크가 만들 미국과 non-US로서의 한국에 대한 고민

자료 링크: https://bit.ly/3VmD14J

안녕하세요,
KB증권 주식시황 하인환니다.

찰리 멍거는 일론 머스크에 대해 이렇게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Never underestimate the man who overestimates himself"

그의 경영전략을 통해 그가 어떻게 미국 정부를 바꿀 것인지, 그리고 그 변화를 자신의 사업에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 최근 시장의 고민인 'US vs. non-US'에 대한 생각을 담아봤습니다.
특히 한국 시장과 관련해서는, 이번 자료에서는 특정 업종이나 종목에 대한 의견은 일부러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025년에 봐야 할 테마가 어떤 것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한국 주식시장 관점에서는 '기업지배구조 개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기업지배구조 개선 관련해서는 조만간 훨씬 구체화된 자료로 찾아 뵙겠습니다.

■ 일론 머스크: 미국 경영사 100년의 후계자
■ The 1st Elon Effect: 채권시장에서 봐야 할 일론 머스크
■ The 2nd Elon Effect: 주식시장에서 봐야 할 일론 머스크
■ The Elon Effect: 일론 머스크가 만들 미국의 미래
■ non-US로서의 한국에 대한 고민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습니다.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03 Dec, 04:40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4/11/28/RXXYNYBTH5GEVGZKCME6OHAFBE/

The_heart_of_the_beast

03 Dec, 03:41


ㅋㄴㅋㅋㅋㅋㅋㅋㅋㅋㅌ

[속보] 조국 "금투세 폐지에도 주식장 대폭락…이게 포퓰리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918290?sid=100&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03 Dec, 00:56


지난 10년간 12월달의 제약/바이오 섹터 주가 상승 확률은

코스피의약품 60%
코스닥제약 80%

The_heart_of_the_beast

03 Dec, 00:29


다이이찌샨쿄가 특허문제있는 기업에게 계약금을 줬겠습니까? 신빙성 없는 카더라를 믿지말고, 빅파마와의 돈계약을 믿으세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937275?sid=102

The_heart_of_the_beast

02 Dec, 09:40


ETF에 가상자산 기업 우회 편입…금융당국 용인

- 금감원, 가상자산 ETF 투자 사실상 허용
- 국내 ETF 13개에 코인 관련 종목 편입
- "우회로 뚫려…금융당국 자가당착 빠져"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90036?sid=004

The_heart_of_the_beast

02 Dec, 02:21


새 법인명 '리벨리온', 기업가치 1조3천억.
합병법인 CEO 맡은 박성현 대표는 MIT 출신으로 인텔·스페이스엑스·모건스탠리 경력 보유.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지원받아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사업 협력 예정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4321

The_heart_of_the_beast

01 Dec, 11:25


505억 ‘대왕고래’ 예산 8억으로 싹둑… 시추 앞두고 날벼락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41202010000356

The_heart_of_the_beast

01 Dec, 03:35


[속보]비트코인, 세금 안내도 된다...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

https://n.news.naver.com/article/050/0000082730?type=breakingnews&cds=news_edit

The_heart_of_the_beast

29 Nov, 18:27


4.20% 하향 돌파

The_heart_of_the_beast

29 Nov, 07:00


美 차기 대통령 트럼프, 토큰화 증권 시장 혁신 예고

https://www.tokenpost.kr/article-207966

The_heart_of_the_beast

29 Nov, 01:59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007&id=news

The_heart_of_the_beast

29 Nov, 00:41


장초반 지수 하락 이유. 시황맨

초반 시장 하락은 대외 변수 보다 국내 경기 둔화 우려가 이유로 보입니다.

어제 한국은행 금리 인하 결정 이 후 주요 외신들은 예상 밖의 결정이라고 일제히 보도를 했는데.

한국은행이 올해와 내년 성장 전망을 각 0.2%p 낮춘 점을 중점으로 보도했습니다.

또 오늘 발표된 10월 산업 동향을 보면 산업생산, 소비, 투자가 5개월만에 동반 감소한 점도 경기 둔화 우려를 더욱 자극한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다음주에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대상에 창신 반도체가 제외될 것으로 알려졌는데

외신 표현 그대로 인용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잠재적 경쟁사인 창신 반도체는 이번 제재 대상이 아닌듯하다.

초반 SK하이닉스 보다 삼성전자가 더 부진한 것은 이 재료 영향도 있는 듯하네요.

다만 주요 재료들이 대부분 어느 정도 현재 지수에 반영된 재료로 새로운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는 점도 고려는 해야하지 않나 싶네요.

The_heart_of_the_beast

28 Nov, 09:26


히알루로니다제 시밀러 시장은 누가 먼저 진입할까? (feat. 휴온스글로벌 )

세 줄 요약

• 현재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시장에 제 3자가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접근 방법은 물질 특허 만료가 임박한 할로자임 PH20 시밀러에 대한 자체 '제법'특허를 개발하는 것 뿐. 이것마저도 없으면 할로자임 PH20의 제법특허가 만료되는 2029-30년이나, 알테오젠의 물질특허가 만료되는 2040년까지 기다려야함.

• 오늘 올라온 셀트리온의 기사는 내용이 모호. 셀트리온은 PH20 시밀러에 대한 자체 제법특허가 없기 때문에, 빨라야 시장에 2029 - 2030년 진입 가능.

• '하이디퓨즈(HLB3-002)'를 통해 자체 제법특허 등록 완료 및 임상까지 돌입한 상태로 늦어도 2027년 시장 진입 가능한 휴온스랩 ( 휴온스글로벌 )은 명백한 PH20 시밀러시장의 퍼스트무버임.

» 퍼스트무버이기에 당장의 LO 매력이 가장 높은 것!

https://blog.naver.com/double_digit/223675931076

The_heart_of_the_beast

28 Nov, 05:40


이거보고 히알루로니다제 시장에 아무나 다 들어오는거 아닌가 우려하는 분들이 계신데,

- 셀트리온은 알테처럼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에 대한 자체 물질 특허가 없음.

- 그래서 ph20 시밀러로 진입한다는건데, 아직 관련 제법특허 또한 없음,

- 셀트가 가장 빨리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를 상업화할 수 있는 시기는 할로자임 ph20 제법특허가 만료되는 2030년임.

- 그렇기에 할로자임 물질특허가 만료되는 시기부터 '동일'물질 '동일'제법을 가지고 시장 진입한다는 의미.

- 휴온스는 이미 2019년부터 ph20 시밀러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기술 개발 시작했고, 팬젠으로부터 기술개발 위탁계약도 해왔음.

- 그렇기에 가장 먼저 ph20 시밀러의 자체 '제법'특허를 출원할 수 있었던 것이며, 저 자체 제조 기술 확보가 쉽지 않은 것으로 보임.

- 시장에 2030년보다 일찍 진입하려면 이미 슬슬 '제법'특허를 가지고 시장에 들어가야 할 상황인건데, 이게 가능한 기업은 휴온스랩 ( 휴온스글로벌 )밖에 없음.

- 즉 2030년 이전 할로자임ph20의 시밀러로 시장 진입 가능한 곳은 휴온스랩 ( 휴온스글로벌 ) 이 유일.

The_heart_of_the_beast

28 Nov, 05:31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할로자임(Halozyme)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기반 피하투여(SC) 제형변경 플랫폼의 개발을 공식화했습니다.

서 회장은 지난 27일 홍콩에서 열린 투자설명회에서 회사의 사업현황 및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면서 내년에 출범하는 CDMO 사업의 하나로 SC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 회장은 “오는 2027년 할로자임이 갖고 있는 히알루로니다제 플랫폼의 물질특허가 끝난다”며 “셀트리온 자체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내재화가 끝났다. 물질특허가 끝나면 문제가 안 되게끔 플랫폼을 갖춰놨다”고 말했습니다.

셀트리온은 TNF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인플릭시맙(infliximab)’의 첫 SC 제형인 ‘램시마SC’를 미국에서 신약으로 출시한 회사로, 셀트리온은 내부적으로 SC제형기술 인수 등에 대해 다년간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차세대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습니다. 서 회장은 “대개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버전업을 시킨다”며 “그런데 히알루로니다제는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도와주는 물질이기 때문에 버전업(업그레이드한) 효소를 만든다고 해도 별 차이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95

The_heart_of_the_beast

27 Nov, 05:39


.
정 연구소장은 "바이오 벤처로부터 도입하는 기술이 1~2개에서 끝날 수 없다"며 "한 타깃(항체)에 한 개의 적응증만 장악한다면 걱정이 없겠지만, HER2에서 보여지듯이 ADC는 여러 적응증으로 타깃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소장은 이러한 글로벌 흐름이 기존 ADC 개발기업들에는 기회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ADC 개발에 나선 빅파마는 추가적으로 새로운 링커와 페이로드를 도입하기 위해 아시아계 바이오 벤처를 대상으로 M&A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24

#ADC
#리가켐바이오

The_heart_of_the_beast

27 Nov, 03:59


..?

The_heart_of_the_beast

27 Nov, 03:59


그나저나 한동안 퍼부었던 바요 섹터 기계매도가 오늘 현재까지 선수촌 눈에는 거의 안보인다

The_heart_of_the_beast

26 Nov, 16:29


12월의 바이오가 제일 중요한 3가지 이유와 트럼프의 바이오

https://www.youtube.com/watch?v=89ynPf88g-M

The_heart_of_the_beast

26 Nov, 03:11


[전체공개 재전송]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51717i

The_heart_of_the_beast

26 Nov, 02:17


"테슬라 30% 급락 가능성"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648795

The_heart_of_the_beast

25 Nov, 13:30


[속보]네타냐후, 레바논 휴전 원칙 승인…CNN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25_0002972214

The_heart_of_the_beast

25 Nov, 04:59


HD현대重, 한화오션 고소 취하... “조선업계 협력 기대”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11/25/TRIDBDXEEJAURD5MGPC53NPGME/

The_heart_of_the_beast

25 Nov, 04:50


삼일회계법인
에서 발간한 K-뷰티 산업 현황 및 회계세무 Guide Book 입니다.

화장품 투자에 관심이 많은 구독자님께서는 꼭 전문을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https://www.pwc.com/kr/ko/insights/industry-focus/samilpwc_K-beauty-guidebook2024.html

The_heart_of_the_beast

25 Nov, 00:31


출시 후 3년 이내에 현재 공개된 마일스톤을 모두 수령할 수 있을 것.

알테오젠 주주서한
http://www.alteogen.com/ir_1/?uid=2429&mod=document

1. ALT-B4(히알루로니다제)의 특허 이슈는 키트루다SC의 임상 3상 탑라인 발표에 맞춰 발표된 외국계 리포트로 촉발되었다고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 실제 내용은 경쟁사가 지난 컨퍼런스콜에서 발표하였던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내용을 기반으로 키트루다SC가 해당 플랫폼의 특허를 침해할 경우, 플랫폼을 가지고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을 설명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다시 말하여 키트루다SC가 특허를 침해하였다는 내용이 아닌, 키트루다SC 3상 탑라인 발표에 따라 이러한 시나리오도 가능하다는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주주 여러분들이 잘 아시다시피 당사의 ALT-B4는 당사 및 각 파트너사들의 심도 깊은 특허 분석 및 복수의 특허 전문 로펌을 고용하여 독립적인 물질이자, 알테오젠이 오롯이 특허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물질입니다.특히, 이번에 이슈가 점화된 키트루다SC 제형특허의 경우, 당사의 기본적인 특허 전략인 '주요국 특허 확보'가 아닌 백 개국 이상의 개별국에 특허 출원 및 등록이 이어지고 있으며, 인구 10만 명이 안되는 국가에도 당사의 이름으로 이를 진행하여 확고한 특허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파트너사인 MSD의 요청과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키트루다SC의 성공을 위한 조금의 리스크도 허용하지 않는 태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ALT-B4가 사용된 첫 피하주사제형 제품의 출시가 가시화되면서, 전세계 제약회사들에게 ALT-B4가 피하주사제 보조제로써 필수 불가결한 물질임을 다시 한 번 각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확보가 중요한 제약 바이오 산업에서 최고의 역량을 가진 기업들과 특허 이슈를 클리어하고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드리며, 당사와 주주 여러분의 성장을 위해 쉬지 않고 정진하겠습니다.

2. 당사의 수익 예측과 관련하여, 지난 2월 체결한 키트루다SC에 대한 계약 변경 후 로열티는 양사간의 합의로 인하여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알테오젠은 파트너사와의 합의를 준수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기업가치 증대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파트너사와의 계약을 준수하며, 해당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이에 대한 추측치에 대해서도 일체의 답변 및 평가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출시 후 3년 이내에 현재 공개된 마일스톤을 모두 수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21 Nov, 13:25


알테오젠 주가변동을 지켜보며 (feat. 제2의 알테오젠?)


• 현재 유전자재조합'인간'히알루로니다제 시장은 할로자임과 알테오젠이 양분하고 있음. 변이체에도 집중하여 특허 내서 신규 변이로는 특허방어 돌파 어려울 듯.

• 알테오젠의 특허 이슈는 노이즈로 판단되며, 알테오젠보다는 오히려 특허만료 앞두어 시밀러에 더 취약한 할로자임으로부터 발생할 기회에 집중해봐야할 것 같음.

• 그 기회는 유전자재조합'인간'히알루로니다제 개발 시장에서 가장 선두주자이자 알테오젠과 할로자임의 유일하다시피 한 경쟁자인 휴온스글로벌이 받지 않을까 하는 생각. 올해부터 본격적인 그룹내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덤.

결론 : 중장기적그림으로의 알테오젠 + 단기적그림으로의 휴온스글로벌 플레이. 시점상으로 앞닿아있는 휴온스글로벌 먼저 하고 그다음 알테오젠 하는거. 특허방어를 뚫을 수 있는 휴온스랩 파이프라인 주목 필요.

https://m.blog.naver.com/double_digit/223668746765
(아마 블로그에 쓰는 마지막 주식 종목 글이 아닐까 싶네요, 내년부턴 다른 주제로!)

The_heart_of_the_beast

21 Nov, 13:08


머크 Jefferies London 헬스케어 컨퍼런스 (24.11.21)

키트루다 SC 관련 내용



Unknown Analyst

알겠습니다. 이번 주 초 브리스톨 팀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Subcu(피하 주사) KEYTRUDA와 Subcu Opdivo에 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 점들이 보였습니다. 런던에서 브리스톨 팀의 논의 톤이 약간 변화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저는 Subcu 치료의 한 측면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50%가 Subcu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으며, 이것은 환자가 경구 요법을 받고 있는 적응증에서 아마도 보조적(adjuvant) 환경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KEYTRUDA의 제품 구성은 Opdivo와 매우 다르다는 점이 분명합니다. Opdivo는 많은 전이성 환경에서 승인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브리스톨의 입장에서 보면, 단지 보조적 치료(adjuvant)에 국한되지 않고, 병원에서의 주입(infusion) 용량을 줄이고, 의료 시스템에 가치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또한, 유럽에서의 Tencentric Subcu 출시와 관련해 우리가 본 내용으로 판단하건대, 이것이 미국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제품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가 보입니다.

Subcu KEYTRUDA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분명히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셨습니다.

KEYTRUDA가 승인된 고형암(solid tumor)의 모든 적응증에서, 단순히 보조적 경구 환경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

Marjorie C. Green

YES). 네. 임상적으로, 환자들이 반드시 전이성 여정(metastatic journey)의 전체 기간 동안 항암 화학요법(chemotherapeutics)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환자가 병원에서 주입센터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주입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며, 병원을 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환자와 임상의 모두에게 매우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치료로 인해 환자가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면, 자주 병원을 방문할 필요가 없다는 유연성은 전이성 환경뿐만 아니라 치료적(curative) 환경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종종 전이성 환경에서 KEYTRUDA 유지 요법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옵션은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합니다.

Joseph Romanelli

저는 이것이 세계 각 지역의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첫 출시를 살펴보고 여러 시장을 고려했을 때, 미국에서는 비교적 낮은 도입률을 보였습니다. 영국과 독일을 비교해 보면, 영국의 경우 NHS(국민건강서비스) 때문에 병원 밖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더 많은 환자를 Subcu(피하 주사) 환경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반면에 독일은 SIC(Social Insurance Contributions) 자금을 통해 더 많은 환자를 병원으로 유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의료 시스템에 크게 의존합니다. 초기 단계 또는 치료적(curative) 환경에서 우리가 9개의 적응증 중 4개에서 생존율(OS)을 포함한 데이터를 구축한 상황을 고려하면, 처음에는 그 부분이 주요 목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향후 다른 적응증으로 확장할 가능성도 있느냐고 물으신다면, 물론 가능합니다. 하지만 결국, 얼마나 많은 환자 도입이나 전환이 이루어질지는 의료 시스템의 목표와 방향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21 Nov, 06:10


2024.11.21 15:07:50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18조 5,016억)
보고서명: 풍문또는보도에대한해명(미확정)

보도내용 : [서울파이낸스]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 RCPS 2000억 발행 주관사 신한證
발생일자 : 2024-11-21
해명내용 :

본 공시는 2024년 11월 21일 서울파이낸스(seoulfn)에서 보도한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 RCPS 2000억 발행...주관사 신한證"에 대한 해명공시입니다.

- 당사와 관련된 2,000억 RCPS 발행 등 관련 보도자료의 내용은 추진 중이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습니다.

- 본 추진건 관련하여 신한투자증권과 주관사 계약을 체결한 바가 없습니다.

- 이와 관련하여 추후 구체적인 사항이 결정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 재공시 하겠습니다. (공시책임자) 김항연 부사장


재공시 예정일 : 2024-12-2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219002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The_heart_of_the_beast

21 Nov, 02:53


#알테오젠

[단독]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 2000억원 RCPS 발행···주관사 신한證

코스닥 시가총액 바이오 기업인 알테오젠에 2000억원 규모의 상환전한우선주(RCPS)를 발행한다. 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이 맡았다.

2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알테오젠은 내년 1월 초 2000억원 규모의 RCPS를 제 3자 배정을 통해 발행한다. 존속기간은 5년이며, 발행 목적은 윤영자금과 시설자금이다.

상환가능기간은 발행 후 3년이 지난 후로, 청구일로부터 1달 내 발행가액의 연 복리 1%를 적용한 금액으로 상환할 수 있다. 전환권의 경우 발행일로부터 1년 뒤 가능하며, 전환비율은 보통주와 1대1이다.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409

The_heart_of_the_beast

20 Nov, 07:26


개인에게도 기업에게도 국가에게도
결국 마이너스인 상속세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59045?date=20241120

The_heart_of_the_beast

20 Nov, 06:34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 기업' 투자 ETF도 불허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037775

The_heart_of_the_beast

20 Nov, 03:31


세계는 상속세 완화-폐지 추세

The_heart_of_the_beast

20 Nov, 01:54


기업 밸류업 펀드 투자개시…3000억 규모 추가 조성 [투자360]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01729?ref=naver

증권 유관기관이 1500억원, 민간 매칭자금 1500억원을 더해 당초 예정액(2000억원)을 포함하면 기업 밸류업 펀드는 총 5000억원 이상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 밸류업 투자문화가 조기 정착하도록 연내 조성을 목표로 한다.

The_heart_of_the_beast

20 Nov, 01:53


거래소, 21일 2000억 밸류업 투자 개시…연내 3000억 규모 추가 조성

https://naver.me/GG76zOdd

The_heart_of_the_beast

20 Nov, 00:32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56318?sid=104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14:28


https://blog.naver.com/dohui3/223664997000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요즘 프로젝트성으로 일하는 것 때문에 너무 듬성듬성 올리게 되네요... 최근에 K-조선 스터디에서 나온 내용인데, 조선에 관련되어서 아예 처음부터 공부해보고 싶은 분들에게는 정리 내용 및 현재 상황에 대해 정말 잘 되어있는 내용이니 도움 많이 되실 겁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14:23


<미국 조선업의 몰락과 한국 조선업의 전략적 역할>


조선업 관련해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당선 되자마자 한국 조선업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사실 입니다.

스무트 홀리법 (Smoot-Hawley Tariff Act. 공식 영문명 Tariff Act of 1930)과 함께 보호무역의 폐해 중 하나가 바로 존스법인데,, 그걸 잘 알고 있는 듯한 (?) 트럼프가 보호무역을 확장 하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 합니다만,, 왜 트럼프가 한국 조선업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 봤습니다.


1. 존스법(Jones Act. 공식적으로는 Merchant Marine Act of 1920)과 미국 조선업의 몰락

가) Jones Act 개요
- 1920년에 제정된 법으로, 미국 내 항행 선박은 미국에서 제조되고 미국 선원이 운영해야 한다는 내용.

나) 역사적 배경
- 미국 제조업이 성장하던 시기, 미국 내 해운산업을 외국 선박과의 경쟁으로부터 보호
- 국가 비상시 미국의 상업 해운 선박이 군사적, 전략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조선업 및 선원 고용을 장려하여 국내 일자리를 창출

다) 긍정적 효과
- 미국 해운업과 조선업 유지에 기여했으며, 대공황 이후 고용 안정을 도모

다) 부정적 영향
- 운송 비용 증가: 연안 운송이 외국 선박에 비해 비효율적이고 비싸다는 비판
- 상품 가격 상승: 높은 운송비가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어 부담을 증가
- 국제 경쟁력 저하: 외국 선박에 비해 기술 및 운영 효율성이 낮아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이 떨어짐
- 미국 제조업 역량이 감소했음에도 존스법은 유지됨.
- 조선업 구조조정 실패
- 미국 정부가 조선업의 주요 고객으로 전락함.
- 경쟁 부재로 기술 보존과 숙련 노동자 양성 실패.
- 숙련 노동자 은퇴로 인해 산업 쇠퇴가 가속화.

2. 미국 해군력에 대한 부정적 영향

- 존스법(Jones Act, Merchant Marine Act of 1920)은 미국 해운업 보호와 국가 안보 강화를 목적으로 제정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미국 해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가) 상업용 선박 감소와 해군 지원 약화
- 존스법의 규제로 인해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만 연안 운송에 사용될 수 있었고, 이는 선박 건조 비용 상승과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미국 상업용 선박 수가 감소하면서 평시 해군 보조 역할을 할 상업 선박이 부족해졌다. 해군은 상업 선박을 동원해 물자 수송 및 전시 지원을 받아야 하지만, 선박 부족으로 이러한 기능이 약화되었다.

나) 선박 노후화 문제
- 존스법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비용이 매우 높아지면서, 해운업체들이 기존 선박을 오래 사용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결과적으로 미국 상업 선박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비상시 동원 가능한 선박의 품질과 효율성이 떨어졌다.

다) 해운업 종사자 감소
- 존스법은 미국 선원만을 사용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고임금 구조로 인해 해운업체들이 선원을 고용하기 어려워졌다. 이는 선박 운영에 필요한 인력 부족으로 이어졌고, 비상시 해군의 상업 선박 활용에도 장애가 되었다.

라) 전략적 유연성 저하
- 존스법은 외국 선박이 미국 연안 운송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제한했기 때문에, 해군이 필요시 외국 선박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였다. 이는 전시 상황에서 국제적으로 해운 자원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했다.

마) 국제 경쟁력 상실로 인한 간접적인 해군력 약화
- 존스법으로 인해 미국 해운업체들은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었다. 이는 미국의 해운 산업 기반이 약화되면서 해군력의 지원을 받는 경제적·산업적 인프라가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 결론적으로, 존스법은 국가 안보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제정되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해운 산업과 상업 선박 수 감소로 인해 해군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 들어서는 이 법의 개정 또는 폐지를 통해 해운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군의 지원 역량을 높이려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3. 트럼프 당선인의 한국 조선업에 대한 협력 발언

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최근 한국 조선업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은 미국 조선업의 쇠퇴와 중국 해군력의 급속한 성장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나) 미국 조선업은 20세기 중반까지 중요한 산업이었으나, 이후 높은 생산 비용과 낮은 기술력 등으로 쇠퇴하였다. 현재 미국은 해군 선박을 자국 내에서 건조하고 있지만, 상업용 선박 건조는 한국, 일본 등 다른 나라로 이전된 상태다.

다) 반면, 중국은 해군 함정 수에서 이미 미국을 능가하며 군사력을 빠르게 증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의 선진 조선 기술을 활용하여 미국의 해군력과 조선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라) 또한,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과 선박 건조 능력을 높이 평가하며,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정비(MRO) 분야에서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따라서, 트럼프 당선인의 이러한 발언은 미국 조선업의 부흥과 해군력 강화를 위해 한국의 기술력과 협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한국의 위치
- 한국은 트럼프 취임이후 통상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
- 한국 조선업이 글로벌 안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6. 결론
- 존스법은 스무트-홀리법과 함께 보호무역 정책 실패의 대표적 사례로, 미국 조선업과 해군력을 악화 시켰다.
- 한국 조선업은 글로벌 안보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기회가 있다는 판단.


아래는 최근 미 해군력 저하와 그 문제점과 그에 관한 뉴스.


미 해군은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음

1. 정비 지연
- 2011년 평균 5일에서 2021년 19일로 증가

나) 인력 부족
- 약 14,000명의 선원이 부족하며 정비 인력도 부족

다) 부품 공급 문제
- 부품 부족으로 정비 지연 발생

라) 준비태세 영향
- 전함이 바다에 머무는 시간 감소, 정비로 인한 가동 중단

마) 비용 증가
- 정비 비용과 운영 비용이 크게 상승


선원 부족이 해상에서 선박 정비에 미치는 영향

https://www.navytimes.com/news/your-navy/2024/09/11/how-a-sailor-shortage-is-crippling-ship-maintenance-at-sea/

미 해군, 지속적인 정비 지연으로 항해 시간 감소
- 정비 지연으로 해군 전함이 바다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음
- 정비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전투 준비 상태가 저하되고 있음
- 정비 시설의 용량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
- 해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장기적인 정비 계획 수립 필요
- 결과적으로 함대의 전력 유지가 어려워짐

https://www.stripes.com/branches/navy/2023-01-31/navy-warships-maintenance-delays-report-9003989.html


7. 주식쟁이로서 대트럼프 시대에 한국 조선업의 멀티플은 과연 얼마나 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을 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 2024년 1월, 바이든 대통령은 신규 LNG 수출시설 건설 승인을 일시 중단 하였음.
- 이는 LNG 수출이 에너지 비용, 미국의 에너지 안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기 위한 조치였음
- 이 결정에 대해 텍사스주와 루이지애나주 등 16개 주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의 LNG 수출시설 면허 중단 조치에 반발하여 집단 소송을 제기함

- 11월 16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에너지부 장관으로 Chris Wright가 지명 됐으며 그는 셰일가스 추출 전문 기업인 Liberty Energy의 설립자 겸 CEO로 화석연료 생산 확대를 주장하는 인물임.
- 그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신규 LNG 수출시설 건설 승인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한 LNG 수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도 염두해 두어야함.



[자료 출처]

https://t.me/TNBfolio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13:45


키트루다는 이미 현재 IV만의 효능으로도 연간 40조원 매출을 일으키는 제품입니다. 내년 1월 허가신청 시 빠르면 2025년 9월, 늦어도 11월 SC승인입니다.

이제 피하주사로 2-3분내 투약이 가능해졌습니다. 그것만으로도 매출액은 더욱 늘어날겁니다.

의료진과 환자 투약 편의 및 입원비용 감소로 트럼프 정부효율부에도 보험환급에 따른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는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되네요.

머크가 언급한 유효성 또는 부작용이 개선된 결과는 곧 학회를 통해 발표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키트루다는 미국 2029년 11월, 유럽 2031년까지 혈관주사 시밀러의 방해없이 자유롭게 피하주사로 충분히 50% 이상의 시장 전환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한국의 바이오가 전세계 1등 제품의 임상 3상을 성공했고, 알테오젠을 통해 키트루다SC는 역대 매출액을 또 경신할것입니다. 지켜보는 일만 남았습니다.

Far Niente!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12:44


지려버렸다 25말 키트루다sc출시
이러면 시계열이 굉장히 앞당겨지네. 3년뒤에 들어오는 돈 너무 빨리 땡겨 왔다고(드럽게 까던데)하던 사람들 머쓱해지겠네..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12:20


안녕하세요, 알테오젠입니다

 

당사의 ALT-B4(베라히알루로니다제)가 사용된 MSD의 키트루다 SC 임상시험 3상 탑라인이 발표되어

IV제형과 비열등성이 입증된 것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공유합니다

특히 당사가 처음으로 MSD에서 공식화 되었다는 점에서 주주 여러분께도 중요한 뉴스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링크 : Merck Announces Phase 3 Trial of Subcutaneous Pembrolizumab With Berahyaluronidase Alfa Met Primary Endpoints - Merck.com


http://www.alteogen.com/ir_1/?uid=2422&mod=document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09:12


미국채 10년물 금리 4.4% 하회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09:11


2024.11.19 17:57:02
기업명: 보로노이(시가총액: 1조 6,943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VRN101099의 제1상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 임상명칭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1상 시험
(A Phase 1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Tolerability, Pharmacokinetics, and Efficacy of VRN101099 in Patients with HER2-Positive Solid Tumors)
* 대상질환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
* 임상단계 : 임상시험 제 1상 임상시험

* 승인기관 :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 임상국가 : 호주, 한국

* 시험목적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및 내약성, 약동학 그리고 항종양 효과(약효)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약물의 최대내약용량 및 용량제한 독성을 확인하고 제2상 권장용량(RP2D, Recommended Phase 2 Dose)을 확립하고자 함
* 임상방법 : 72명 내외의 HER2 양성 고형암 환자에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약력학 및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제 1상, 다국가, 다기관, 공개, 용량 증량 임상시험으로 해당 용량에 배정된 시험대상자에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안전성을 확인하여 다음 용량으로 증량하는 단계적 증량 방법으로 진행됨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 상기 사실발생(확인)일은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에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을 한 날짜입니다.
- 추후 임상시험계획 승인 시 관련 공시를 즉시 제출하겠습니다.
- 추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시 관련 공시를 즉시 제출하겠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990049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10210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07:49


셀트리온이 허셉틴(성분 트라스투주맙) 바이오시밀러인 ‘허쥬마’의 피하주사(SC) 제형 개발에 나섭니다.

19일 미국 임상 정보 공개 사이트인 ‘클리니컬트라이얼즈’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최근 허쥬마(개발코드명 CT-P6)의 SC 제형 개발을 위한 글로벌 임상1상 진행을 보고했습니다. 해당 임상은 건강한 성인(19~55세 남성) 총 200명을 대상으로 CT-P6 SC와 허셉틴 SC 간 약동학, 안전성, 면역원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허쥬마의 오리지널의약품인 ‘허셉틴’은 미국 제넨텍이 개발하고 다국적 제약사 로슈가 판권을 보유한 블록버스터 유방암 치료제입니다. 지난해 글로벌 매출 16억2600만스위스프랑(약 2조564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허셉틴 SC는 바이오시밀러가 공략하지 못한 영역입니다. 로슈는 할로자임의 엔자임을 기반으로 허셉틴 SC를 개발해 지난 2013년 유럽 시장에 출시했는데, 엔자임이 보유한 촘촘한 특허 장벽 때문에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이 SC 제형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에서 허가받은 허셉틴 SC 바이오시밀러는 전무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674

The_heart_of_the_beast

19 Nov, 00:38


ADC 매출 1위 엔허투 SC제형 만드는 알테오젠...로열티 전망은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888635?sid=101

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키트루다 만큼은 아니지만 대형 계약인 것은 맞다. 중요한 것은 세계 1위 의약품인 키트루다 플러스 ADC 엔허투까지 장착해서 매출을 다각화했다는 것“이라며 “2029년부터 엔허투는 위암이나 유방암 쪽에 가장 많이 팔릴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는 부분이고 적게는 5000억원에서 많게는 1조 이상까지도 매출을 바라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The_heart_of_the_beast

18 Nov, 14:07


코스닥 신용잔고

The_heart_of_the_beast

18 Nov, 05:01


2024.11.18 13:56:32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4조 1,296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LCB97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제목 : 'LCB97'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 주요내용
1)오노 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 CO., LTD.)에 기술 수출한 'LCB97(L1CAM-ADC)의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2)수령금액 : 비공개

3)단기 마일스톤 기술료의 금액은 당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전년도 매출액 34,145,640,069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의무공시에 해당함.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890015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The_heart_of_the_beast

18 Nov, 00:35


https://m.sedaily.com/NewsView/2DGW4NS11J?OutLink=telegram

The_heart_of_the_beast

18 Nov, 00:34


#STO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95526639087032

The_heart_of_the_beast

18 Nov, 00:23


흔들리는 韓증시에 김병환 금융위원장 “시장 안정 조치 가동 준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32936

대응을 위해 먼저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 변동성이 큰 만큼 기관 투자자가 중·장기적 관점에 따라 투자 관련 판단을 내리고 국내 증시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적극적 역할을 할 필요

한국거래소를 비롯한 유관기관은 2000억원 규모의 밸류업 펀드 자금을 이번 주부터 집행하고, 30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도 조성

The_heart_of_the_beast

05 Nov, 17:4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3061?sid=100

The_heart_of_the_beast

05 Nov, 09:19


[속보]미국 대선 경합주 사전 투표자 결과 데이터

지역 데이터 : 애리조나, 조지아, 미시간, 네바다, 노스캐롤라이나, 펜실베니아, 위스콘신

🔴애리조나 : 공화당 우세
🔴조지아 : 공화당 우세
🔴미시간 : 공화당 우세 (접전)
🔴네바다 : 공화당 우세 (접전)
🔴노스캐롤라이나 : 공화당우세 (접전)
🔵펜실베니아 : 민주당 우세 (42만표 차이)
🔴위스콘신 : 공화당 우세 (초접전)

현재 민주당 조기투표에서 좋지않은 모습

민주당 최고 전략가 짐 메시나 조기투표 수치에 대해서 무섭다고 표현함.

대선 속보는 계속 전달드리겠습니다.

데이터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05 Nov, 07:21


(아래) 중국 증시 강세 이유 : 중국 전인대 상무위, '지방정부 부채한도 상향' 심의

오늘 중국 주식시장이 미국 대선 앞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유달리 강합니다. 심천 차이넥스트의 경우 3% 넘는 상승을 구가하고 있는데요.

전인대 상무위원회에서 지방정부 부채한도 상향을 고려하고 있다는 뉴스 때문입니다.

지방정부 부채 문제 해결 및 부동산 디레버리징을 유도하기 위한 부양책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미국에서 누가 대통령이 되든 대중 압박 강도는 더 세질테니 더 강하게 내수 부양하겠다는 의도로 읽혀지네요.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5062800009?input=1195m

The_heart_of_the_beast

05 Nov, 01:27


[KB시황 하인환] KB KOSDAQ Weekly: 코스닥 반등의 시작과 순서

자료 링크: https://bit.ly/48zvbdw

안녕하세요,
KB증권 하인환입니다.

금투세 폐지와 함께 연말연초 코스닥 시장의 반등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좀더 세부적인 투자 아이디어를 전달드리기 위해 한시적으로 코스닥 위클리를 작성하고자 합니다.
투자자들이 고민하는 순서에 맞게, 자료의 내용을 조금씩 변형시켜 갈 계획입니다.

이번 자료는 코스닥 시장의 반등 지속 근거 및 계절적 특징, 그리고 업종을 바라보는 순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 코스닥 반등의 근거: 하락 원인들의 점진적 해소
■ 코스닥 시장 특이점: 10월은 거래대금과 수익률 모두 최악의 시기 → 11월은 역습의 시작
■ 코스닥 시장 회복의 순서: ① [탑다운: 금투세 → 시장금리 안정], ② [바텀업: 산업 이슈]

KB시황 텔레그램 채널: http://bit.ly/KB_Market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습니다.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04 Nov, 12:49


#조각투자 #K팝 #STO?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0496011

The_heart_of_the_beast

04 Nov, 06:55


금투세 폐지 언급날 가장 강했던건 바이오,
그다음 전력, 화장품, 2차전지 순이었네요.
이동네들 연속성 봐야겠습니다.

바이오 11월 학회일정
-월드 ADC_샌디에이고 (11/4~11/7)
-SITC 미국면역항암학회 (11/6~11/10)

The_heart_of_the_beast

04 Nov, 02:28


상황종료 - 진성준피셜

The_heart_of_the_beast

04 Nov, 01:05


코스닥: 2년 연속 부진했던 사례는 없습니다.
금투세만 유예/폐지된다면, 연말연초는 코스닥입니다.

자료는 연간전망 참고 (https://bit.ly/4fmM9hi)

The_heart_of_the_beast

04 Nov, 00:55


오피셜 금투세 폐지 동의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690609?cds=news_media_pc&type=breakingnews

The_heart_of_the_beast

01 Nov, 03:43


[단독] ‘레깅스 탑2′ 젝시믹스·안다르, 나란히 M&A 매물로 나왔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4/11/01/BN6ZXZLXDZCUHD7Y5XIP6VKRRY/?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사실무근 가능성 有

#브랜드 #소비재

The_heart_of_the_beast

31 Oct, 05:12


[2025년 주식전망(시황)] 혁신의 계승자가 만들 미래와 한국 주식시장의 생존전략

KB증권 시황 하인환

자료 링크: https://bit.ly/4fmM9hi

안녕하세요, 2025년 주식전망 자료를 발간했습니다.
지난 2년간 강조해온 '투자의 시대'부터 시작하지만, 투자의 시대가 장기화하면서 고착화되는 현상과 변화의 흐름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기술 혁신의 역사에서 혁신의 미래 방향성을 가늠해 봤습니다.
기술 혁신의 정부측 계승자인 DARPA와 민간측 계승자인 일론 머스크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했습니다.

그리고 7가지 투자전략입니다.

■ 코스닥과 중소형주: 금투세가 유예/폐지된다면 [최선호 테마: 우주항공]
■ 금융주: 단기적으로는 속도 둔화, 장기적 관심 지속
■ 항공사: 비용 우려의 Peak-Out
■ 원전+변압기.송전망: CAPEX 흐름 변화 [제조업 → 전력]
■ 우주항공: 미국은 지금 Space Boom
■ 바이오: 종목의 확산 가능성
■ 이차전지: TESLA의 세 번째 성장 역사와 이차전지의 회복 가능성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참고해주시고, 세미나 필요하시면 담당 브로커 또는 저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B시황 텔레그램 채널: http://bit.ly/KB_Market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습니다.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30 Oct, 06:18


금융위 가상자산위원회 출범…6일 첫 회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030_0002939730

The_heart_of_the_beast

29 Oct, 06:03


당정, 반도체법·전력망확충법·금투세폐지법 등 28건 정기국회 처리 추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380532

The_heart_of_the_beast

26 Oct, 02:58


'토큰증권 제도화 법안’ 대표 발의

의안번호[2204919]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김재섭의원 등 11인)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Q2X4Y0X9V0V5T1U0Q1R1P3P8O5M4N6

*토큰증권 관련 기업
갤럭시아머니트리(갤럭시아에스엠은 아님), 아이티센, 핑거, 헥토파이낸셜, 서울옥션, 케이옥션 등


🍀토큰증권 법제화 step by step
http://www.growthresearch.co.kr/report/1200/482

The_heart_of_the_beast

25 Oct, 07:56


힘든 시장 상황에서 펀드 운용 산업은 대개 전문 종목 투자자stock picker의 도움을 받으라고 조언합니다. 정말 쓰레기 같은 조언입니다.

힘든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2010년 상반기에 제가 가장 열심히 한 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유의미한 규모의 거래 활동은 앞서 언급한 신규 기업 하나를 매수한 것 뿐이었습니다.

비즈니스 오너 펀드의 핵심 우위는 제가 투자자들에게 빈번한 거래 활동을 보여줘야 할 필요가 없고, 포트폴리오 분산 목적으로 미미한 투자 수익이 예상되는 투자 기회를 편입할 필요도 없다는 점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우위가 만족스러운 투자 실적을 낳으리라고 낙관합니다.

- 비즈니스 오너 펀드 2010년 반기 서한 중 발췌 -

The_heart_of_the_beast

25 Oct, 07:48


다들 힘내십쇼 또 좋은날 옵니다

The_heart_of_the_beast

24 Oct, 06:18


https://decenter.kr/NewsView/2DFOYQYRPH

The_heart_of_the_beast

23 Oct, 03:43


[10월 7일 자료] 10~11월에 다시 금융주를 주목하는 이유 2가지
■ 다시 금융주를 주목하는 이유 ①: 첫 번째 금리 인하 때와는 다른 두 번째 금리 인하
■ 다시 금융주를 주목하는 이유 ②: 10월 말 ~ 11월 초 실적발표와 밸류업 계획 발표 가능성


자료 링크: https://bit.ly/4eJr1Sa

- 금리는 이미 상승 중 (미 국채 10년물 금리 4.2%)
- 금융주 실적발표 본격화 (밸류업 계획 발표 가능성)

The_heart_of_the_beast

19 Oct, 06:29


"트럼프 승, 폴리마켓"의 수상한 베팅 by WSJ

-지난 2주간 트럼프 승리 확률이 급상승한 폴리마켓에서

-4개의 동일한 패턴을 보인 계좌를 통해 3천만달러 베팅

The accounts betting big on Trump—Fredi9999, Theo4, PrincessCaro and Michie—were all funded by deposits from Kraken, a U.S.-based crypto exchange, according to Arkham. They behave in a similar fashion, systematically placing frequent bets on Trump and stepping up the size of their bets at the same time, Arkham found. The oldest of the accounts was created in June, while the newest was created this month.

-폴리마켓은 외부전문가 도움으로 이번 사례 자체 조사 중

-이와 같은 사례는 2012년 대선에서도 발생한 바 있어. Intrade라는 베팅싸이트에서 고래투자자가 공화당 주자였던 밋 롬니에 대해 집중 투자하면서 승리 확률을 올린 바 있어. 결론적으로 롬니는 졌고, 이 투자자는 700만달러의 손실

조작이던 아니던 폴리마켓의 고래투자자가 선거 판의 분위기를 트럼프에 유리하게 만든 것은 사실이네요. 3천만달러면 가성비갑입니다

하지만, 일부가 바꾼 선거판의 분위기가 최종 결과를 담보할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https://www.msn.com/en-us/news/politics/a-mystery-30-million-wave-of-pro-trump-bets-has-moved-a-popular-prediction-market/ar-AA1suneh

The_heart_of_the_beast

17 Oct, 00:00


https://naver.me/GMmcY5eP

The_heart_of_the_beast

16 Oct, 15:21


지금은 금융주 시대

The_heart_of_the_beast

16 Oct, 08:09


[한투증권 문승환] ASML Holding(ASML US) 3Q24 실적 Review: 2026년 수요가 중요해지는 시점

● 3분기 실적은 좋았지만, 2025년 가이던스는 기대치를 하회
- 3Q24 매출액은 74.7억유로(+19.6% QoQ, +11.9% YoY)로 컨센서스를 3.7% 상회, EPS는 5.28유로로 시장 예상치를 8.3% 상회
- 2025년 연간 가이던스는 매출액 300~350억유로(기존 350억유로, 컨센서스 360억유로), 매출총이익률 51~53%(컨센서스 53.9%)로 하향 조정

● 시장의 관심은 2026년 수요에 집중될 것
- 3Q24 신규 장비 수주액은 26.3억유로(EUV 14억유로, Non-EUV 12억유로)로 시장 예상치를 50% 이상 하회
- 로직 비중은 46%(-27%p QoQ, -34%p YoY)로 대폭 감소했으며, 주요 원인은 삼성전자와 인텔인 것으로 추정
- Non-EUV 신규 주문은 대폭 하락(-61.3% QoQ)했고, 미국 대선을 앞두고 대중국 반도체 규제는 심화되고 있음
- 2025년에는 ASML 또한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등과 마찬가지로 중국 매출 비중이 줄어들 것
- EUV와 Non-EUV 모두 2025년 수요 지연이 확인된 상황에서, 시장의 관심은 2026년 수요에 집중될 것

● High-NA EUV의 공정 채택 시점에 주목
- High-NA EUV는 향후 초미세공정 구현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TSMC는 1.6nm(2H26 양산 예정)에서도 기존 EUV를 사용할 것
- TSMC가 7nm 공정에서 DUV 사용을 고수했던 과거를 고려하면, 당분간 줄다리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 파운드리 3사의 High-NA EUV 주문은 이미 이뤄졌지만, 압도적인 선단 공정 Capa를 보유한 TSMC의 실제 공정 채택 시점에 주목

● 당분간 보수적인 접근을 추천
- AI 투자 사이클은 여전히 빠르게 진행 중이며, AI반도체 공급망의 최종 고객사인 빅테크들의 목표는 AGI 모델에 가장 먼저 도달하는 것
- 제한된 시간, 제한된 공간(데이터센터), 제한된 전력 등 Resource에서 앞서 나가려면 최상의 칩이 필수
- TSMC는 GAA, BSPDN, 저전력 노드 개발 등에 집중하고 있고, 글로벌 반도체 장비사들의 AI용 장비 교체 수요는 여전함
- ASML은 포토 공정 시장 내 EUV 장비 독점 지위를 통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10/14 기준 12MF PER 30배 vs AMAT 22배)이 정당화 되어 왔음
- 현재 파운드리 투자 지연과 High-NA EUV 교체 수요 등으로 EUV 수요 공백이 발생했으며, 2026년 수요가 확인될 때까지 ASML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을 추천

보고서 링크: https://bit.ly/4f1GRaO

The_heart_of_the_beast

16 Oct, 05:10


ASML발 충격, 어떻게 봐야할까?
[삼성증권 반도체 소부장/류형근]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조정

- ASML이 계획 대비 이른 시점에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신규 수주가 시장 전망 대비 부진했고, 2025년 가이던스를 하향했습니다. 해당 영향으로 반도체 위기론이 재차 붉어지는 모습입니다.

■ ASML은 왜 가이던스를 하향했을까?

- 중국 매출의 정상화, EUV 의존도 축소 등이 주요 배경입니다.

- 중국 매출: 미국의 반도체 제재에 대비해 중국 업체들의 Rush Order가 이어졌고, 중국향 매출 비중은 올해 40% 중후반까지 상승했습니다. 제재의 범위가 EUV에서 DUV로 확대되고 있는 만큼 내년에는 중국향 매출의 정상화 (하락)가 예상됩니다.

- EUV 의존도 축소: DRAM에서의 EUV 의존도가 줄고 있고, 로직/파운드리의 경우, 삼성파운드리와 인텔의 수요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High-NA는 생태계의 추가 발전이 필요합니다. 장비에 대한 구매는 모두가 하려고 하겠지만, 장비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관련 소재/부품의 개발도 필요합니다.

■ 반도체 Capex 축소가 미칠 영향은?

- 기업들의 투자는 보다 보수적으로 변모하고 있고, Capex의 조정은 메모리 공급과잉 리스크를 줄이는 매개체로 작용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급 관점에서 보면, 긍정적 변화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료: https://bit.ly/4dOx3Qk

(2024/10/16 공표자료)

The_heart_of_the_beast

16 Oct, 00:41


[한투증권 문승환] ASML 3Q24 실적 Quick Comment

3Q24 실적
※ 매출액: 74.7억유로 (+3.7% 상회 vs 컨센서스 72.0억유로) +19.6% QoQ / +11.9% YoY
※ Net system 59.3억유로, Installed Base Management 15.4억유로
※ EPS: 5.28유로 (+8.3% 상회 vs 컨센서스 4.88유로)
※ GPM: 50.8% (+0.1%p 상회 vs 컨센서스 50.7%) -0.7%p QoQ / -1.1%p YoY
※ OPM 32.7% +3.3%p QoQ / +0.0%p YoY

장비별 매출 비중 및 판매 대수
※ EUV: 35% (+4%p QoQ) / 11대
※ ArFi: 48% (-2%p QoQ) / 38대
※ ArFdry: 3% (-4%p QoQ) / 7대
※ KrF: 10% (+1%p QoQ) / 42대
※ I-Line: 2% (+0%p QoQ) / 18대

신규 장비 수주액
※ 26.3억유로 (-51% 하회 vs 컨센서스 53.9십억유로) -53% QoQ / +1% YoY
- 메모리 비중 54%(+27%p QoQ), 로직 비중 46%(-27%p QoQ)

국가별 매출 비중
※ 중국: 47% (-2%p QoQ)
※ 한국: 15% (-13%p QoQ)
※ 대만: 15% (+4%p QoQ)
※ 미국: 21% (+18%p QoQ)
※ EMEA: 0% (-4%p QoQ)

4Q24 가이던스
※ 매출액: 88~92억유로 (컨센서스 90억유로)
※ GPM: 49~50% (컨센서스 50.5%)

2025 가이던스
※ 매출액: 30~35십억유로 (기존 30~40십억유로 / 컨센서스 36.0십억유로)
※ GPM: 51~53% (컨센서스 53.9%)

The_heart_of_the_beast

14 Oct, 05:57


금융주는 ‘아직 밸류업 공시 안한 종목 중심으로’

The_heart_of_the_beast

14 Oct, 05:56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35153

The_heart_of_the_beast

14 Oct, 05:17


https://youtu.be/sqTATWlOAaQ?si=VyJVAXSJncWoV05t

The_heart_of_the_beast

12 Oct, 02:31


가상자산위 이달 출범…ETF승인 논의

https://naver.me/5A3VzKBv

The_heart_of_the_beast

11 Oct, 11:32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4101120271227170&sn=123

The_heart_of_the_beast

11 Oct, 02:26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7900

The_heart_of_the_beast

11 Oct, 01:5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01108240003671?did=NA

The_heart_of_the_beast

10 Oct, 14:23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6572

생각:
1. 입법 2단계는 자본시장 규제 완전 편입. 가상자산 시장이 제도권 궤도에 공식적으로 들어오는 계기

2. 비트코인ETF. 발족을 곧 하겠다고 국감에서 밝혔는데, 동시에 업비트의 가상자산 시장의 독과점이 언급. 비트코인에는 김치 자금 공급이 된다는 의의, 업비트 입장에서는 기존 가상자산 시장외의 신규 사업 확대 니즈가 크고 , 앞으로 자산운용 업계에서는 새로이 파생되는 비트코인ETF 시장을 어떻게 대처할지 과제가 생김.

3.업비트에서는 사모운용사를 토대로 사전에 ETF시대를 대비했다고 생각되며, 두나무 입장에서는 ETF 개화= 본인들의 사업확대의 좋은 기회가 될 것.

4.제도권화+ETF는 두나무에게 상장이 될 명분도 제시한다고 생각됨

The_heart_of_the_beast

10 Oct, 11:17


[속보] 소설가 한강, 한국인 첫 노벨 문학상 수상

2024년 노벨 문학상의 영예가 우리나라 소설가 한강에게 돌아갔다. 한국인이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지난 2000년 평화상을 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다.

스웨덴 한림원은 10일(현지시간)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3억4000만 원)와 메달, 증서가 수여된다. 이날 문학상에 이어 오는 11일엔 평화상, 14일엔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될 예정이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4101001039910021004

The_heart_of_the_beast

10 Oct, 06:34


https://www.news1.kr/finance/financial-policy/5564086

The_heart_of_the_beast

09 Oct, 10:22


김 위원장은 지난달 이 계획을 구체화해 9월 중 가상자산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이곳에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등을 논의하겠다고도 했다.
다만 아직 출범됐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상자산위원회와 관련해 "이달 중 출범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짧게 답했다. 이번 국감에서는 출범 준비 상황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https://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906

The_heart_of_the_beast

09 Oct, 05:12


https://youtu.be/zOVHfZWCuGc?si=tbyczayO6w1l88oL

The_heart_of_the_beast

07 Oct, 06:10


야금야금 올라오는 금리 vs. 9월에는 하락했던 금융주

The_heart_of_the_beast

07 Oct, 06:10


- 첫 번째 금리 인하 전후의 미 국채 10년물 금리
- 두 번째 금리 인하 전후의 미 국채 10년물 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