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stockninvest Channel on Telegram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stockninvest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Korean)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채널은 주식 및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최적의 정보 공유 플랫폼입니다. 이 채널은 경제, 금융, 주식 시장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전문가들의 리서치와 분석을 통해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stockninvest는 투자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고 신중한 투자 결정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채널을 통해 최신 주식 시장 동향, 투자 전략, 새로운 기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머니스토리 채널을 팔로우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길을 열어보세요!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Feb, 06:15


2/17 다음주 월요일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전자로 대주주변경과 함께 KODEX 삼성그룹주 ETF (시총1조) 등 추가 수급 들어올 가능성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Feb, 03:30


삼익THK, 삼성전자 협력으로 6축 다관절 로봇 개발 가속화

-> 얜 어제는 테슬라 오늘은 삼성전자,,,


https://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70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Feb, 07:57


WSJ "中, 우크라전 종식 위한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개최 제안"(종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211659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Feb, 04:28


삼익THK 보다는 일단 테슬라 로봇 공급망이 하나도 밝혀진곳이 없다는데에서 첫 테마 움직임이 나왔다는정도로 의미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Feb, 04:27


테슬라 로봇 공급망 등장? 일본 THK CEO, 첫 대만 방문 강연 예정

테슬라의 Optimus 휴머노이드 AI 로봇의 양산 일정은 시장의 큰 관심을 받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공급망이 공개된 적은 없다. 다만 업계에서는 일본의 3대 구동 부품 제조업체 중 하나인 THK가 핵심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50&id=0000714055_ZZILQ86A6F6FC341HIYRT

일본THK가 테슬라 옵티머스봇 핵심 공급업체 될 가능성 있다해서 연계될만한 한국 기업 좀 찾아봤는데 그나마 삼익THK가 가능성이 있을거 같네요

삼익 THK - 한국에서는, THK의 파트너 기업인 삼익 THK (주)가 「LM가이드」의 제조, 판매 및 THK 제품을 수입 판매 하고 있습니다. 삼익 THK는 “국내산업 설비의 자동화 촉진에 기여한다”라는 슬로건 아래, 한국내에서 유일한 종합 LM시스템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일본 THK와 함께 LM시스템 분야의 기술제휴를 통하여, 기술적 혁신에 노력하겠습니다.
( THK 사이트 (https://www.thk.com/ ) )

LM(Linear Motion) 가이드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비롯한 다양한 로봇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M가이드는 선형 운동(Linear Motion)을 부드럽고 정밀하게 제어하는 부품으로, 정확한 위치 제어와 고하중 지지가 필요한 로봇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Feb, 00:19


LS일렉트릭, 미 4대 빅테크 납품 임박? '벤더 심사 중'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2120804505660109587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Feb, 23:02


[현대차증권 기계/방산/우주/로봇 곽민정]
아이쓰리시스템(214430): BUY/97,000원 (유지/상향)
<6 Stars를 완성하기 위한 마지막 별>

투자포인트 및 결론
- 미국의 New 방산 6 Stars 업체들인 Shield AI, Anduril, HawkEye 360 등이 최근 AI, 자율주행, 드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국방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에 주목해야 할 것. 미 육군은 2025년 미 의회에 3,162개의 IVAS 1.2 구매를 위한 예산을 요청. IVAS는 궁극적으로 야간 투시, 열상 감시, 증강 현실을 통한 전장 상황 인식 능력 향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동사의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가 가지는 적용 확장성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함
- 전자전 해킹 재머 시스템 발전으로 적외선을 통한 종말 단계 표적 추적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됨
- 동사가 현재 양산중인 12㎛ 제품은 NETD(열화상 선명도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 항목)을 55mK에서 35mK로 개선함으로써 시장점유율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방산 + 드론 + 우주 + 자율주행 등 다재다능 적용처
- 동사는 2025년 미국 SPIE 학회에서 640x512 T2SL 듀얼밴드 적외선 감지기에 대한 성능을 발표할 예정, 동사의 640x512 T2SL 듀얼밴드 적외선 감지기는 고해상도 및 주야간 구분없이 정찰 가능한 성능을 보여 드론, UAV, 유도 무기 및 군 감시 정찰 위성시스템에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새로운 게임 체인저가 될 것
- 듀얼밴드 적외선 감지기는 단일 대역 감지기보다 더 많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야간 작전 수행시 뛰어난 검출, 인식 및 식별 기능을 가짐. 그에 따라 A사가 2월 12일 언론에서 밝힌 대로 기존의 지원 장비 없이 전투하던 상황 대비 더 효율적인 전투 작전 수행이 가능함
- 최근 국내 방산 수출 모멘텀 확대 추세와 더불어 동사 역시 수출 비중 지속 확대에 따른 이익률 개선 기대

주가전망 및 Valuation
- 2024년 실적은 매출액 1,219억원(+0.3% yoy), 영업이익 144억원(+18.2% yoy)으로 전망되며,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가 본격적으로 양산되는 2026년에는 매출액 1,983억원(+46.5% yoy), 영업이익 453억원(+108.4% yoy)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됨
- 실적 추정치 상향에 따른 밸류에이션 변경으로 2025년과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가 본격적으로 양산되는 2026년의 평균 EPS에 글로벌 Peer인 NEC, BAE Systems의 12M Forward P/E 10% 할인 적용한 21.5x를 적용, 목표주가 97,000원로 상향

* URL: https://bit.ly/4195rCx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Feb, 23:00


이수페타시스 [BUY, 52,000원(상향)]

   : 5공장 증설 가속화. 중장기 실적 눈높이 상향

1) 4Q24 영업이익 278억원, 시장 컨센서스 하회

   4Q24 연결 매출액 2,261억원(+10% QoQ, +30% YoY), 영업이익 278억원(+7% QoQ, +163% YoY), opm 12.3%로, 시장 기대치(298억원) 하회

   매출액은 AI 가속기와 네트워크 스위치 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페타시스의 G사향 매출액은 전 분기와 유사했으나,

   G사향 매출액 중 스위치 물량 비중이 1Q24 19% → 4Q24 63%까지 확대되며 제품 믹스 개선 지속. 한편 N사향 매출액은 점유율 확대 및 제품 다변화에 힘입어 +40% QoQ 증가

   4Q24 영업이익률은 12.3%로,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에도 불구하고 예상치를 하회. 이는 연말 일회성 성과급 비용과 800G용 신규 제품의 초기 수율이 예상 대비 부진한 영향. 일회성 요인 제외 시 영업이익은 300억원을 상회했을 것으로 추정

2) 2025년 영업이익 1,614억원(+55% YoY) 전망

   1Q25 연결 매출액 2,382억원(+5% QoQ, +19% YoY), 영업이익 353억원(+27% QoQ, +54% YoY), opm 14.8%로, 시장 기대치(346억원) 부합할 전망

   G사향 스위치 및 N사향 신규 물량 중심의 믹스 개선과 800G 신규 제품의 수율 안정화에 힘입어 수익성 개선이 나타나고, 중국 후난 법인 또한 고부가 제품 중심의 수주 확대 중

   2025년은 매출액 1조 351억원(+24% YoY), 영업이익 1,614억원(+55% YoY)으로, N사, M사, A사 중심의 성장 예상. 특히 800G 중심의 고부가 네트워크 제품 공급을 확대하며 수익성 확대가 지속될 전망

   더불어 동사는 페타시스 5공장 증설을 앞당기며 올해 Capex 규모를 기존 800억원에서 1,500억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 이를 반영한 2026년 페타시스의 연간 Capa는 약 1.1조원으로, 기존 계획(9,000억원)을 20% 상회할 전망

3) 2025년 증설 가속화로 중장기 실적 눈높이 상향

   AI발 MLB 수요가 공급을 크게 상회하는 가운데 다중적층 공정의 적용 확대가 Capa loss를 유발하며 공급 부족을 심화

   동사의 5공장 증설 가속화는 내년 및 중장기 실적 눈높이를 상향하는 요인으로 판단

   더불어 동사는 지난달 제이오 인수를 철회했으며, 유상증자 규모도 기존 5,500억원에서 2,500억원으로 축소

   이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52,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36.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Feb, 05:20


https://m.blog.naver.com/ranto28/223757596628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Feb, 02:24


도마 오른 5년치 게임 콘텐츠 광고 매출, SOOP "분식회계 동기 없다"

문제는 총액법과 순액법 적용이 애매모호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SOOP의 이번 금감원 감리가 미징계로 일단락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는 게 중론이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2111657079440107711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Feb, 02:11


SOOP, 4Q24 실적관련방송

https://m.blog.naver.com/pivotinve/223757712573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Feb, 00:36


[단독] 테크윙 '큐브프로버' SK하이닉스 들어간다
테크윙의 HBM(고대역폭메모리) 신규 검사장비 '큐브프로버(Cube Prober)'가 SK하이닉스 HBM 라인에 진입한다. 테크윙은 메모리 테스트 핸들러 부문 글로벌 1위 제조사다.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23169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1 Feb, 23:04


MSCI 편입종목 없음 (편출만 있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1 Feb, 05:04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총 주식수 19,399,858주


현재 삼성전자 총 보유 지분: 6,789,950주 (지분율 34.9999%) <= 최대주주로 등극함

삼성전자 콜옵션 미행사 지분: 4,614,625주 (지분율 23.7869%) <= 2029년 2월까지 행사 가능

◆ 따라서, 위 두 숫자를 합한 삼성전자 최대 가능 지분: 11,404,575주 (지분율 58.7869%)

◆ 현재 외인 지분: 약 1,400,000주 (지분율 7.2%)


상장된 삼성 계열사들의 외인 지분율이 기본적으로 20~30%를 훌쩍 넘음
(삼성전자는 50.3%, 삼성화재는 53.7%에 달함)


최고의 성장 산업인 로봇 삼성 계열사의 향후 외인 지분율을 보수적으로 30%로만 감안하더라도

◆ 외인의 추가 확보 필요 지분: 4,423,000만주 (22.8%)

즉, 위 ◆ 표시된 3개 지분을 모두 합하면 삼성전자와 외인 지분만으로 88.79%에 달하게 됨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나머지 11.21% 지분(약 21...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1 Feb, 03:28


안녕하십니까, DS증권 반도체 담당 이수림입니다. 이번 저희 하우스에서 반도체/자동차/신재생 콜라보 인뎁스 자료, '죽느냐 사느냐: 2025 Ver. 배틀로얄'을 발간하였습니다. 반도체 부분 발췌하여 공유드립니다.

📍[반도체] 커스텀 HBM으로 미중 AI 전쟁 돌파

이번 자료에서는 추론 AI 시장의 성장이 실제 메모리 업체 수혜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서버용 추론 ASIC 칩 시장 추정을 통해 점검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추론 비용의 절감에 따라 추론 ASIC 칩의 폭발적인 Q 증가를 전망하며 요구 HBM 성능 향상이 지속되어 커스텀 HBM의 개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는 선두 메모리 업체들의 이익 변동성을 줄여나가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수요 양극화와 중국 경쟁사들의 범용 메모리 시장 위협 속 생존 전략이 될 것입니다.

Top-picks로는 ASIC 칩 설계 수요 증가로 실적 증가가 전망되는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리노공업을 제시합니다. 업무에 도움되시기를 바랍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p-picks
SK하이닉스(매수/290,000원) - 사이클 너머로
이수페타시스(매수/50,000원) - AI 인프라를 그대로 압축시킨 기업
리노공업(매수/290,000원) - ASIC 개발 수요와 이구환신 효과 모두 기대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1 Feb, 02:35


리노공업 주식분할 결정

분할 전: 500원
분할 후: 100원
주식분할 목적: 유통주식수 확대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303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0 Feb, 05:37


삼성전자 +3.17% 상승중
중국 등 레거시 수요 YoY 데이터 회복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춘절 기간 동안 자동차, 가전·가구,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의 교체 판매액 310억 위안 초과】

춘절 기간(2025년 1월 28일~2월 4일) 동안 중국 전역에서 소비재 교체(이전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 가전·가구,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의 교체 판매량은 860만 대(세트)에 달했으며, 총 판매액은 310억 위안을 넘어섰다.

특히 가전 및 휴대폰 판매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 166%, 182%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중 휴대폰을 비롯한 디지털 제품은 올해 춘절의 ‘신년 필수품’으로 자리 잡으며, 소비 시장의 활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역할을 했다.

https://wallstreetcn.com/livenews/2860466?ivk=1#from=ios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0 Feb, 00:21


한화정밀기계, '한화세미텍'으로 사명 변경…반도체 장비 회사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065346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0 Feb, 00:08


👉최태원 SK그룹 회장, SiC 웨이퍼 및 로봇 사업 새 먹거리 강조

1. SiC 테마 주도주(7일 급등)

에이엘티_ SK하이닉스 후공정 테스트 서비스 담당 및 SiC 후공정 특허 출원
어보브반도체_ 삼성전자, SK실트론과 국책사업으로 'SiC-GaN 전력반도체' 공동개발 참여

2. 그외 SiC 테마 중소형주

케이엔제이_ SiC 포커스링 생산
에스티아이_ SiC 잉곳 파우더 국산화
KEC_ 트렌치 구조 SiC 전력 반도체 개발
나노씨엠에스_ SiC 전력 반도체용 재료 개발 및 공급
와이엠씨_ 반도체용 SiC Ring 재생 제품 생산
디아이티_ SiC 관련 장비 국산화 이력
유니온머티리얼_ 초고순도 SiC 단결정 웨이퍼 제조기술을 보유
코스텍시스_ SiC, GaN 사용 전력 반도체 고방열 스페이서 개발

3. SK 관련 로봇주

유일로보틱스_ SK온 자회사 SKBA(SK배터리아메리카), 동사 지분 13.47% 보유 2대주주
티로보틱스_ SK와 2차전지 생산 공정 물류자동화 시스템 공급 이력
에스엠코어_ 최대주주 SK, SK 그룹사
씨메스_ SK텔레콤, 동사 지분 6.58% 보유 2대주주

지엘리서치🔺 https://t.me/valjuman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0 Feb, 00:06


오늘도 로봇, SK그룹 관련주

[단독] 최태원의 AI 특명 "휴머노이드 키워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48058?sid=105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6 Feb, 08:00


유리기판 산업보고서 공정별 밸류체인 정리

오늘 오전에 발간한 산업보고서에 공정별 밸류체인 정리가 포함되어 있으니, 해당 자료를 스크랩해 두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TGV
: 필옵틱스, LPFK, 에프엔에스테크, 켐트로닉스

2) 구리도금: 와이엠티, 씨앤지하이테크

3) 회로형성: Ajinomoto, 필옵틱스, 이오테크닉스

4) 싱귤레이션: 필옵틱스, 로체시스템즈

5) 테스트: 기가비스, HB테크놀로지, ISC

🔥 유리기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보고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유리기판] AI 반도체의 필수 요소, 유리기판이 바꿀 미래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206074942485zv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6 Feb, 05:01


엔비디아 GTC 2025, 폭스콘 AI 스마트 제조·로봇 기술 대거 공개

NVIDIA의 연례 GTC(Global Technology Conference) 대회가 미국 시간 3월 17일부터 개막하며, 폭스콘은 이번 행사에서 대규모 참가를 계획하고 있다. 주요 전시 주제는 인공지능(AI) 응용, 스마트 제조, 디지털 트윈 기술, AI 서버 GB200 발전, 간호 로봇 등이다.


NVIDIA GTC 2025 개요 및 주요 이슈

GTC 2025는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열리며, NVIDIA의 CEO 젠슨 황은 3월 18일 오전(미국 시간) 기조연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그가 최근 논란이 된 DeepSeek 이슈, 미·중 관세 전쟁, NVIDIA GB300 서버 신제품 등의 내용을 다룰지 주목하고 있다.


폭스콘, 대규모 참가… '다이아몬드 스폰서' 등극

NVIDIA GB200 서버의 핵심 파트너인 폭스콘은 올해 GTC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할 예정이다. NVIDIA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폭스콘은 이번 행사에서 다이아몬드급(Diamond Level) 스폰서로 등록되었으며, 이는 그룹 차원에서 처음으로 GTC 대회에서 최고 수준의 후원사로 참여하는 것이다. 폭스콘 내부 관계자는 "이번 전시 규모는 2024년 대비 수배 이상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폭스콘, AI·디지털 트윈·GB200 서버·로봇 전시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에서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폭스콘은 이번 GTC 행사에서 첨단 인공지능(Frontier AI), 스마트 제조, 디지털 트윈, GB200 서버, 간호 로봇 등의 주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NVIDIA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번 대회에서 폭스콘 고위 임원진이 여러 포럼에 참석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표한다.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 AI 기반 노동력 구축 성과 공유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성 및 교차로 안전 설계 강화
AI 간호 로봇 개발 사례 및 응용 방안
또한, 폭스콘 연구원(Foxconn Research Institute)은 오픈 소스 AI 시스템을 활용한 첨단 AI 모델 개발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폭스콘 계열사인 공업부련(FII, 인더스트리얼 퓨처 링크)도 참가하여,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GB200 서버 생산라인 구축 사례를 공개한다. GTC 기간 동안, FII 회장 정홍멍이 직접 참석하여 AI 산업 디지털화 포럼에 참여할 예정이다.

https://www.ctee.com.tw/news/20250206700836-430502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Feb, 08:00


https://zdnet.co.kr/view/?no=20250204154514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Feb, 03:07


https://www.mk.co.kr/news/it/11231924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Feb, 02:53


[단독] 샘 올트먼 “한국 기업과 로봇 협력 원해…한국 온 이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23579?sid=001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Feb, 02:44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경우 하나금융 퀀트 이경수 위원님 추정 MSCI 편입 가능성 있는 시총 추정치가 6.7조 수준 (현재 6.46조)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Feb, 01:43


[단독]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검토…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논의 원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51065?rc=N&ntype=RANKING&sid=001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Feb, 01:26


* 카페24 급등, 투자아이디어 점검

- 저번주 금요일 딥시크 이후 공유드린 AI SW 투자아이디어가 조금은 급하게 PRICING 중
- 특히 카페24가 급등.
- 주가를 떠나 왜 개인적으로 국내엔 카페24가 손에 꼽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

1) 미국장에서도 단순 AI 기업보다, AI SW를 이용해 매출을 일으키는 실체있는 기업들이 주목받고있음

- 카페24는 2024년 가입약관이 변경됨. 아예 항목에 " AI를 통한 기능 제공, 각종 정보가 AI 활용에 쓰인다 " 도입
- 비용 절감을 하려고 하는 카페24 입장에서 작년 채용했던 포지션이 "AI 활용 경력자"


2) AI + 데이터 = 무한대

- 카페24는 이미 국내 1위 자사몰 비오픈업체로 가장 효율성있고 방대한 데이터를 가진 기업

- 또 유튜브까지 진출하면서 단순히 카페24를 이용하는 사업자의 데이터뿐만아니라 고객 데이터의 방대한 수집도 가능해짐.

- 이를 다루는 인력들을 채용했고, 약관까지 변경한것으로 보임

3) Rule of 40에 도달할 수 있는 국내 AI SW 기업

- 주로 소프트웨어 회사 (최근은 팔란티어가 주목), AI 기반 회사들의 밸류에이션 계산방법

- 이익성장률 + 영업이익률(EBITDA 마진) 이 40% 이상

- 3Q24 기준 약 37% 도달

- 아직 카페는 PER 단순 밸류로도 AI SW 기업에선 밸류가 나오는 상황에서 Rule of 40도 25년도 분기/연간 실적부터는 돌파 가능하다고 보임.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3 Feb, 00:35


■ 카페24 유튜브 제휴 프로그램 제품 수 및 브랜드/셀러 수 업데이트

브랜드/셀러 수 재차 상승폭 확대하기 시작. 전체 파이로 볼 때 제품 수 자체보다는 브랜드/셀러 수 확대가 더욱 중요

최근 유튜브 영상에서 제휴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튜버들의 추가 수익 사례 늘어나는 중. 조회 수를 통한 수익이 점점 더 힘들어지는 국면이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수익 파이프 라인에 대한 니즈는 점점 커지는 중

카페24의 제휴 프로그램은 쿠팡 제휴 대비 전반적으로 훨씬 높은 수수료율을 가져갈 수 있음. 직접 스토어를 열고 쇼핑몰 관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1인 유튜버들의 참여가 더욱 빨라지는 중

소속사가 있거나 다수의 직원이 있는 대규모의 유튜버의 경우 전용몰이나 자체 카페24 쇼핑몰을 통한 유튜브 쇼핑 연결 사례가 여전히 더 많음. 제휴 프로그램은 대형 유튜버가 아닌 중소형 유튜버들의 커머스 참여도를 높이며 파이를 넓혀갈 수 있는 도구로 보임

지속적인 브랜드/셀러 수 증가 추이를 업데이트할 예정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3 Feb, 00:28


OpenAI 딥리서치 기능 정리

- o3의 모델을 파인튜닝해서 제작이 된 모델.

- 유저가 질문을 하면 말 그대로 '딥' 하게 리서치 하는 기능으로 단순 웹서치를 넘어서 다양한 소스를 찾아보는 웹 서치의 Advanced Mode (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유저가 원하는 포멧 (테이블 추가 같은) 도 정리를 다 해주며 단순한 CoT가 아닌 5분 + 이상 까지도 찾아보며, 데모영상에서는 무려 29+개 소스를 찾아가며 정리된 리서치 리포트를 보여줌.

- 각종 벤치마크에서 o3-high (o3의 최고 성능 모델) 보다 높은 점수 기록.

- 오늘 저녁시간대에 (아시아 기준인지 미국 시간 기준인지 정확하게 말 안함) Pro 플랜부터 해당 기능 공개. 추후 일반 모델도 공개할 예정.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2 Feb, 23:56


오픈AI, 오전 9시 日서 깜짝 생방송…새 AI 기능 공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042549?rc=N&ntype=RANKING&sid=105

링크 -> https://openai.com/live/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2 Feb, 22:56


불 붙은 관세전쟁

왜 멕시코/캐나다인가?


트럼프 1기에 미국은 압도적인 무역적자국이 "중국"이었습니다. 2018년 이후 6년이 지나면서 중국의 대미국 흑자폭이 크게 감소하면서 미국의 무역적자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으로 떨어지고 그 자리는 멕시코, 베트남, 캐나다, 대만, 한국이 차지했습니다.

그 비중의 상승분만큼 트럼프의 관세전쟁 대상이 되는 것인데요, 방법은 관세+안보(불법이민, 군사방위)입니다.

t.me/jkc123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31 Jan, 00:44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Figure가 두 번째 상업 고객과 계약을 체결

향후 10만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 가능성을 전망

📌사업 방향
- Figure는 상업 시장(Commercial Market)과 가정(Home) 분야를 주요 목표로 설정.

- 초기에 소수의 대형 고객과 협력하여 수직적으로 성장하는 전략을 추진.

📌기존 및 신규 고객
첫 번째 고객: BMW
1년 전 계약 체결.
현재 BMW 공장에서 로봇이 엔드 투 엔드(End-to-End) 운영 수행 중.

📌두 번째 고객: 미국 대기업 (비공개)
- 구체적인 회사명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미국 내 최대 기업 중 하나.

- 대량 출하 가능성이 커져 비용 절감 및 AI 데이터 수집이 기대됨.


- 두 고객을 기반으로 향후 4년간 10만 대 로봇 공급 가능성 제시.

📌기술 개발 및 향후 계획
- 새로운 고객의 업무 환경에서 AI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운영 시작.

- 기존 방식(휴리스틱 접근)으로는 불가능한 작업이므로, AI를 통한 학습이 필수적.

- 현재 로봇의 고속·고성능 작업 수행 훈련 진행 중.

휴머노이드 로봇 전쟁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30 Jan, 13:47


다시 4.5% 하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30 Jan, 13:47


🇺🇸 작년 4분기 성장률 컨센 하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8 Jan, 02:48


[반.전] 중국 딥시크의 공포, 엔비디아 팔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지난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모델이 주말 사이 큰 주목을 받으며, 반도체 주도로 나스닥 시장의 급락을 야기했습니다 (나스닥 -3%, SOX -9%, 엔비디아 -17%, 브로드컴 -17%)

미국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 더 적은 자원(=GPU)과 비용으로 미국에 버금가는 AI 모델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조정의 로직은,

1) 딥시크의 추론 모델 R1은 오픈AI o1과 유사하는 수준의 성능을 기록하면서도 가격은 95% 이상 저렴. 더구나 오픈 소스로 공개

2) 그러나 막대한 엔비디아 최신 GPU로 개발해 온 오픈AI와 달리, 이전부터 딥시크는 더 적은 리소스와 비용으로 개발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짐

2-1) 이전 공개된 딥시크 V3 모델의 경우, 메타 Llama 대비 파라미터가 1.5배 크면서도, 훈련 비용은 1/10인 600만달러 미만 (그것도 저사양의 엔비디아 H800 사용)

3) 그렇다면 스케일링 법칙 (더 많은 하드웨어와 더 많은 훈련=성능 개선)이 무효한 것 아닐까?

4) 반도체를 비롯한 범 AI 인프라 수요를 다시 생각해봐야 하나?

물론 딥시크의 훈련 비용과 방법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H100을 썼을 거라는 의심의 시각도 있고요.

다만 중요한 것은 잠시 하드웨어 수요를 떠나, 중국의 AI 기술이 미국과 맞먹는 것처럼 보여진다는 겁니다. 미국이 가장 견제하는 분야에서요.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마침 지난 주 발표된 것도 우연이 아닐 지 모릅니다 (딥시크 R1 공개 이후 발표).

위와 같은 이유로의 시장 급락이 이해는 가지만, 오히려 중국의 빠른 추격을 고려하면 미국은 격차를 더 벌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오히려 투자를 더 늘려야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최적화 방안을 연구할 시간이 없습니다. 스케일링 법칙이 아직 유효하다면, 투자는 계속되어야 합니다.

저희가 지난 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발표 이후, AI 인프라 사이클 기대감이 유효함을 말씀 드렸던 배경이기도 합니다.

갑자게 크게 훼손된 투자 심리가 한 번에 돌아서기는 어렵지만, 우선 이번주부터 예정된 클라우드 실적 발표를 살펴야 겠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들의 CAPEX 코멘트 (투자 계획, 효율성 등)에 더욱 주목할 것입니다. 작년 여름 피크아웃 논란도 거셌지만, 결국 클라우드 업체들의 한 마디로 정리된 바 있습니다.

AI 투자를 견인하고 있는 클라우드의 의지가 꺾이기 전까진 사이클의 끝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2025/1/28 공표자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4 Jan, 01:26


로봇(액츄에이터) 대장은 하이젠알앤엠 굳히기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3 Jan, 00:11


테슬라 Optimus 공급망 세부 사항:

1. 공동 액추에이터 (Tier-1):
- Tesla: 가장 큰 비중, 자체 생산.
- Sanhua Holding, Tuopu Group: 소규모, 동등한 비중.
- 신규 공급업체: Zhenyu Technology (스크류 자동화 라인과 모터 매칭에 강점, 2025년 1분기 샘플 제출).
- 잠재적 공급업체: Schaeffler, Bosch (공동 연구개발 진행 중, 대량 생산 계획 없음).

2. 감속기:
- Harmonic Drive Systems (HDS): Tesla와 연구개발 및 대량 생산 협력; 2024년 9월 280억 엔 규모의 증설 계획 발표, 생산 능력 2배 확대.
- FORE Intelligent: Sanhua 및 Bosch에 공급.

3. 행성 롤러 스크류:
- Seenpin Precision Products: Tesla에 직접 공급, 가장 큰 비중; Wuzhou New Spring과 전략적 협력.
- Schaeffler Group: Tesla에 직접 공급, 일부 비중; Wuzhou New Spring과 전략적 협력.
- Sanhua Holding: 자체 사용 목적으로 소량 생산.
- 신규 공급업체: Zhenyu Technology (Tesla에 직접 공급).

4. 정교한 손:
- Tesla: 자체 개발.
- Shenzhen ZHAOWEI Machinery & Electronics Co., Ltd: 마이크로 기어박스 및 모터, Tesla에 직접 공급, 지속적인 샘플링 진행 중.
- Seenpin Precision Products: 현재 마이크로 리드 스크류의 유일한 공급업체로 Tesla에 직접 공급.
- 신규 공급업체: Zhenyu Technology (마이크로 리드 스크류, 웜 기어, Tesla에 직접 공급, 2025년 1분기 샘플 제출).

5. 프레임리스 토크 모터:
- JL MAG Rare-Earth: 자석 강판, Tesla에 직접 공급.
- 잠재적 공급업체: Kinco Automation.

6. 경량화:
- Zhejiang Rongtai: Tesla에 직접 공급.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2 Jan, 23:07


SK하이닉스_영업이익 8.08조, OPM41%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7 Jan, 07:57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 2025) 마지막 날인 16일(현지시간), 컨퍼런스 현장에서 만난 알테오젠 전태연 부사장은 “현재 계약서가 오가는 회사가 있고, 구정 전에 빨리 진행하고 싶어한다”고 전했다.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5122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Jan, 05:24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1608664203772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Jan, 23:25


2025.01.14 08:15:33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2조 28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유럽소재제약사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의약품 위탁생산계약
공급지역 : -
계약금액 : 20,747억

계약시작 : 2024-12-13
계약종료 : 2030-12-31
계약기간 : 6년
매출대비 : 56.1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14800022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079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7 Jan, 06:13


엔비디아 CES 키노트 첫인상
[삼성증권/이종욱, 문준호]


안녕하세요. 이종욱, 문준호입니다.
키노트의 메시지와 의미가 한 번의 짧은 메시지로 다루기에 너무 무겁습니다.
우선은 첫인상을 공유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1. 3개의 추가적인 블랙웰 제품 출시

- 현재 양산 중인 GB200나 NVL-72이외에 세 개의 블랙웰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 RTX 블랙웰(PC GPU), 젯슨 토르(로봇)에 들어가는 토르 블랙웰 프로세서, GB10(수퍼컴퓨터)가 그것입니다.

- RTX시리즈는 예상된 범위에서 전작 대비 훌륭한 성능개선으로 1월부터 출시합니다.

- 젯슨 토르는 휴머노이드에 들어가는 두뇌 플랫폼입니다. 내년 상반기 중 출시를 기대합니다.

- GB10이 탑재된 Project DIGITS이라는 개인용 수퍼 컴퓨터는 5월 출시 예정입니다.


2. 휴머노이드 로봇: 젯슨 토르와 Isaac GR00T 모델

-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알고리즘의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 Physics AI는 옴니버스와 새로 발표한 코스모스를 결합한 것인데요, 코스모스는 인간의 행동 데이터 몇백개를 바탕으로 학습용 합성데이터 수백만 개를 찍어 주는 모델입니다. 기존 옴니버스 모델이 합성 데이터의 물리법칙 근거를 보강할 것입니다.

- 로봇의 움직임을 데이터센터에서 학습 → Physics AI에서 합성 데이터 무한 증식 → 디바이스에서 행동의 세 가지 컴퓨터로 나눠 계산합니다.

- 문제는 엔비디아의 로봇 모델을 구현하는 휴머노이드의 두뇌에 젯슨 토르 외 대안이 없다는 점입니다.

- 젯슨 토르는 Nvidia Physics AI에 가장 최적화된 로봇 반도체일 것입니다. 마치 딥러닝 초창기에 엔비디아 GPGPU가 쿠다의 가장 최적화된 AI반도체로 독점적 지위를 얻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로봇 시대에서 다른 프로세서와의 경쟁의 문이 열려 있는지가 앞으로 최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Project Digit: PC CPU의 첫발자국

- 그동안 루머가 돌았던 미디어텍과의 협업을 최초 공개했습니다. 그것은 개인용 AI 컴퓨터의 CPU+GPU 통합 SOC를 만든 것입니다.

- 마치 ARM SOC와 LPDDR Unified memory를 사용했다는 측면에서 M1반도체와 구조가 흡사합니다.

- 이 구조의 비즈니스상 큰 특징은 마치 스마트폰처럼 CPU+GPU+DRAM가 단단히 묶여서 소비자의 선택권이 없다는 것입니다. CPU와 GPU, 네트워크의 최적화 솔루션을 세트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NVL-72의 PC버전과 다를 바 없는 묶어 팔기 구조입니다.


4. 단상

- 반도체 업체지만 소프트웨어가 항상 비즈니스의 시작입니다. 새로운 접근법입니다. 예를 들면 펜티엄 만드는 업체가 윈도까지는 몰라도 MS-DOS 정도는 같이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CUDA에서의 성공 사례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계속 적용 시도하고 있습니다.

- 세 개의 스케일링 법칙이 돌고 있다는 이야기를 이번에 다시 설명해 주었습니다. Capex 사이클은 언제까지갈까요? 가까이에서 보면 데이터센터의 capex 성장률이 24년 52%에서 25년 26%로 둔화되는데, MS를 필두로 25년 성장률이 50%까지 상향될 수 있는지를 지켜보는 것입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이것이야 말로 초유의 수퍼사이클입니다. 일단 이것을 보려면 1월 중 빅테크의 발언에 귀를 기울여야겠습니다.

- 파트너 업체들 중에 한국 업체가 없습니다. 심각한 위기입니다. 젠슨황과 나란히 서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를 선보인 14개의 로봇 중 중국 업체가 7곳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1/07 공표자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7 Jan, 04:46


CES 젠슨황 -AI 기술 발전 단계

초기의 "지각 AI"에서 시작하여 "생성 AI," "에이전트 AI," 그리고 궁극적으로 "물리적 AI"로 발전

지각 AI (Perception AI)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추천 시스템 (Deep RecSys)
의료 영상 (Medical Imaging)


생성 AI (Generative AI)
디지털 마케팅 (Digital Marketing)
콘텐츠 생성 (Content Creation)


에이전트 AI (Agentic AI)
코딩 보조 (Coding Assistant)
고객 서비스 (Customer Service)
환자 관리 (Patient Care)


물리적 AI (Physical AI)
자율 주행 자동차 (Self-Driving Cars)
범용 로봇 (General Robotics)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7 Jan, 04:40


https://www.youtube.com/watch?v=fnf5WEspa6Q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7 Jan, 04:40


CES 현장 리포트: Day 1.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맞이한 CES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삼성전자, LG전자, 하이센스, TCL 등 대표적인 TV, 가전 업체들의 미디어데이 행사를 들었습니다. 이들은 AI의 커다란 격변기를 맞아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요?

- 행사 분위기: 삼성전자와 LG전자 행사는 여전히 인기 있습니다. 그러나 예전처럼 호기심과 흥분감이 느껴지는 분위기라기보다는 지나치기 힘든 존재감에 가깝습니다. TCL과 하이센스는 펜데믹 이전에 비해 인기가 급격하게 떨어졌습니다. 미국에서의 성적은 너무 좋지만, 미디어는 더 이상 TV 기술에 관심이 없어 보입니다.

- 기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연결, 공간, 개인화, 보안 등 스마트홈의 기치를 내세웠습니다. 반면 TCL과 하이센스는 미국에서의 성공과 TV 기술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AI를 대하는 태도: 아직까지 AI는 개인 소비자들의 삶의 방식을 바꾸기에 충분한 수준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빅테크들은 스마트홈에 우선 순위가 없습니다. 가전 업체들에게 AI는 고민의 대상이지만 생존을 위한 필요조건까지는 아닙니다. 이 셋은 관점만 다를 뿐 같은 이야기입니다.

- 무엇이 더 필요할까?: 스마트홈의 핵심은 자동화를 통한 가사노동의 해방입니다. 이젠 로봇이 할수 있는 일 빼고는 거의 다 자동화되었습니다. 왜 TV는 100만원도 아까우면서 로봇청소기에는 200만원을 쓸까요? 왜 휴머노이드는 공장에 먼저 갈까요? 왜 LG전자는 2025년을 앞두고 로봇 사업을 가전사업부로 이관했을까요? 결국 가정 로봇 혁명은 언제일까요? 가전의 화두는 수년 내 Comsumer robot에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025/01/07 공표자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1 Jan, 23:39


TSMC, 니가 그렇게 2나노를 잘해? 1

TSMC, 니가 그렇게 2나노를 잘해? 2


1. 기본 성능 향상과 전력 효율
- 28나노 대비 140배 성능 개선 (2011년~2025년, 14년간의 발전)
- 3나노 공정 대비 주요 개선사항
* 동일 전력 조건에서 최대 15% 속도 향상
* 최대 35% 성능 격차 달성
* 저전압 상태에서도 3나노 대비 우수한 와트당 성능 발휘
* 전력 효율과 속도 모두 개선 (트레이드오프 극복)

2.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
- 나노시트 구조 최초 도입
* 전류가 흐르는 채널을 게이트가 완전히 감싸는 구조
* 회로 축소 시에도 데이터 이동 원활성 확보
- 소자 최적화
* 숏 소자와 톨 소자의 조합 설계
* 용도별 최적화 배치로 15% 성능 개선
* 순수 숏 소자 대비 우수한 성능 실현

3. 전압 제어 및 누설 전류 관리
- 정밀한 전압 제어 구현
* 200mV 범위 내 6개 문턱전압 배치
* 약 40mV 간격으로 초정밀 제어 (일반 50~70mV 대비 개선)
- 누설 전류 관리
* DIBL 현상 최소화
* 드레인 전압 변화에 따른 누설 전류 변동 최소화
* 68mV/dec의 이상적인 S·S(Subthreshold Swing) 달성
- 데이터 전송 속도
* 누설 전류 증가 없이 70% 속도 향상

4.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SoIC)
- 배선 간격 혁신
* 칩-칩 간격: 9μm → 4.5μm
* 칩-기판 간격: 6μm → 4.5μm 이하
* 기존 범프 방식(50μm) 대비 획기적 감소
- 적용 사례
* AMD의 SRAM과 SoC 결합
* 엔비디아 GPU와 HBM 연결
* 2.5D 패키징 기술 주도

5. 배선 공정 혁신
- EUV 싱글 패터닝 적용
* 중간배선(MoL) 정밀도 향상
* M1 영역 정전용량 47% 개선
* 회로 간격 편차 최소화
- 배선 소재 혁신
* TiN 보호막 제거
* 100% 텅스텐 채움 공정 도입
* 게이트 저항값 55% 감소
* 정보 이동 속도 6.2% 향상

6. SRAM 성능 강화
- 집적도 향상
* 7나노: ㎟당 25Mb
* 2나노: ㎟당 38Mb (52% 증가)
- 256Mb 고용량 SRAM
* 평균 수율 80% 달성
* 최대 수율 90% 달성
- 신뢰성 검증
* 1000시간 고온·저온 테스트 통과
* GAA 공정 적용으로 안정성 확보

7. 호환성 및 확장성
- 차세대 메모리 호환
* HBM3E (5세대 HBM)
* LPDDR6 모바일 DRAM
- 주요 고객사 적용 예정
* 애플 A20 프로세서
* 엔비디아 차세대 AI GPU

8. 양산 로드맵
- 2025년 하반기: 초기 양산 개시
- 2025년 말: 고객사 양산 검증 완료
- 2026년: 본격 대량양산 시작
- 주요 타겟
* 모바일 AP
* 서버용 프로세서
* AI 가속기

9. 특이사항
- 성능 개선 수치는 상세 공개
- 구체적 구현 방법은 비공개 (영업 비밀)
- 삼성전자 대비 기술 우위 암시
- 업계 최고 수준의 미세공정 기술력 과시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0 Dec, 03:53


[SBS] 넷플릭스 x LICENSE AGREEMENT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SBS는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이하 넷플릭스)와 콘텐츠 공급과 관련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였습니다.

동 계약은 넷플릭스에게 SBS 신작드라마, 신작 예능/교양, 구작 라이브러리를 공급하는 파트너십 체결계약입니다.

전략적 파트너십 세부내용

1. 계약 체결일: 2024년 12월 20일

2. 계약 주체: (주)SBS,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

3. 계약 기간: 2025년 1월 1일부터 6년

4. 계약 내용:
1) 신작드라마
- 계약 시작일부터 신규 방영 콘텐츠 일부 국내 공급
- 2025년 하반기 신규 방영 콘텐츠 일부 해외 공급

2) 신작 예능/교양
- 계약 시작일부터 신규 방영 콘텐츠 국내 공급

3) 구작 라이브러리
- 계약 시작일부터 계약 이전 방영 콘텐츠 국내 공급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2080019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8 Dec, 03:49


<루닛, 임원·주요주주 일부 보유주식 블록딜 매각 공시 및 백승욱 의장·서범석 대표 주식 장내매수 공시 설명>

● 루닛은 회사 임원 및 주요주주 7인이 보유한 주식 중 일부(총 380,334주)를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미국계 롱펀드(Long Fund) 운용사에 매각했다고 18일 공시했습니다.

● 해당 임원 중 일부는 지난 2023년 11월 회사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단행한 2,002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 참여 과정에서 청약자금 마련을 위한 고금리 대출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이번 주식 매도는 이같은 대출금 상환 등을 위한 것이며, 특히 공동창업자의 경우 각각 보유 지분의 10% 미만의 주식만 매도하였습니다.

● 이번 매도에 따라 해당 임원 및 주요주주 7인이 보유한 루닛 지분은 11.56%에서 10.24%로 감소했으나, 이는 회사의 대규모 자금 조달 계획에 임원 및 관계자들이 적극 동참한 데 따른 대출금 상환 등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것일 뿐, 회사의 성장성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 해당 임원들은 현재 회사의 사업부별 책임자로서 성실히 근무하고 있으며, 임직원 육성·관리와 매출 향상, 사업영역 확대 등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임원을 필두로 한 사업부별 연구개발(R&D) 강화, 차세대 신제품 개발, 글로벌 진출 확장도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회사의 성장성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히 이번 매각 주식은 회사의 주가 상승을 기대한 미국계 롱펀드에서 전량 인수한 만큼, 장기적인 투자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어 루닛은 백승욱 이사회 의장과 서범석 대표이사가 총 6억원 규모의 회사 주식 7,747주를 장내 매수했다고 공시했습니다.

● 백 의장은 지난 2013년 루닛을 창업한 설립자이고, 서 대표는 지난 2016년 루닛에 합류한 이후 2018년부터 대표이사직을 맡아 회사를 성장시킨 주역이란 점에서, 이번 주식 매수는 회사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란 강한 믿음에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이번 주식 매수는 최근 일부 임원이 보유한 주식의 일부를 미국계 롱펀드(Long Fund) 운용사에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한 것에 대해, 주주분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혹여나 있을 수 있는 주가 하락에 적극 대응하는 차원에서 장내 매수를 결정한 것입니다.

●앞으로도 루닛은 회사를 믿고 투자해주신 주주님들의 지지와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Dec, 23:35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브이티(018290.KQ/매수):
[NDR 후기] 글로벌 점유율 확대 본격화

■ [NDR 후기] 글로벌 점유율 확대 본격화

당사는 브이티와 지난 3~4일 양일간 38개 국내 투자사 대상 NDR을 진행했으며, 목적은 주요 공시 사항 전달 및 사업 방향성을 공유하고자 함이다. 아래는 NDR에서 공유되었던 내용을 정리했다. 우선적으로 시기상 오버행 이슈가 해소된 것이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이번 미팅을 통해 리들샷이라는 히트 제품을 바탕으로 영업 상황 순항 중이며, 글로벌 확장이 보다 가속화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4분기 또한 분기 최대 실적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2025년은 미국, 중국, 동남아, 유럽 등 글로벌 진출 효과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2025년에 가장 주목해야 할 기업이다.

▶️대주주 오버행 관련해서 지난 11월 1일 브이티는 최대주주이자 공동대표이사 정철 지분 일부를 시간외 처분할 것을 공시했으며, 결제일 기준 거래개시일인 12월 2일 총 160만주(4.47%)가 27,100원(11/29 종가의 7% 할인)에 거래 완료되며 오버행 요소가 해소되었다. 처분의 주 목적은 세금 납부 및 주식 담보 대출 상환 등이며, 이에 정철 대표이사 지분은 16.55%가 되었다. 총 160만주 중 85만주는 관계사인 큐브엔터가 취득했으며, 지분은 12.00%까지 상승했다. 참고로 큐브엔터 주요주주 구성은 최대주주 강승곤 대표이사가 36.77% 보유하고 있으며 정철 대표이사는 8.15% 보유 중이다.

▶️이앤씨 지분 추가 취득 관련해서 브이티는 지난 7월 22일 화장품 ODM사인 이앤씨(리들샷, 수딩 마스크팩 등 동사의 핵심 제품 제조)를 기업가치 1.2천억 원에 50.27%의 지분 확보하며 3분기부터 연결 인식했다. 지난 12월 2일 동일 기업가치로 5.40%를 추가 취득, 55.67%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목적은 지배력 확대에 있다. 지난 3분기 라인 증설 했으며(종전 대비 마스크팩 및 리들샷 생산능력 50% 상승), 2025년에 추가 CAPA 투자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3분기 누적 매출 805억원, 영업이익 130억원 기록).

사업 방향성 측면에서 NDR 통해서 공유한 부분은 ‘일본/국내/글로벌/신규사업’ 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래 정리했다.

▶️일본: 동사 매출 최대 지역으로 분기 400억원 기록 중이다. 온/오프라인 두루 기여하며, 3분기 누적 기준 1.8만개 오프라인 채널(버라이어티/드럭 등) 입점 되어 있다. 2021년부터 강화된 인지도 바탕으로 현재 로컬 브랜드로 안착하는 과정이다. 보다 오프라인 집중하며, 채널 믹스를 높이고(리들샷 전용 매장 확대 등), 신규 채널 진출 등을 진행 중이다.

▶️국내: 3분기 매출 363억원 기록하며, 일본 매출 수준으로 도달했다. 여전히 확장 여력이 높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주요 채널은 다이소/올리브영/약국 등이며, 올리브영 채널의 경우 리들샷 100/300샷 중심으로 유통되며, 전용 매대 입점 등의 확장 여력이 존재한다. 다이소의 경우 여전히 강하다. 면세 매출은 분기마다 증가되고 있는데, 해외 진출(특히 중국) 성공 기대감을 높여주는 부분이다. 홈쇼핑도 진출했는데, 탈모증상완화 헤어 앰플을 출시했으며, 완판 기록했다.

▶️글로벌: 미국: 현재 대부분 아마존에서 창출되고 있다. 아마존 주요 이벤트 성과는 프라임 데이(7월) < 프라임 데이 빅딜(10월) < 블랙 프라이 데이(11월)로 판매액이 지속 확대되며 우상향 중이다. 그 외 새롭게 3분기 코스트코 온라인(8월)에 입점했으며, 판매 호조로 1주일 만에 완판, 재발주 진행되었다. 추후 확장 기대된다. 또한 얼타 진출이 확정되었으며, 우선 온라인부터 시작한다. 물량 확보가 보다 중요해 보인다.

중국: 기존 파트너사와 우호적 관계 지속 중이며, 파트너사는 라이브 방송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최근 파트너사는 중국 왓슨 3.8천개 매장에 동사의 수딩 제품(폼클렌저/마스크팩) 입점 시키며 판로 확대하며, 중국에서의 사업성이 다시 회복 중이다. 리들샷 위생허가의 경우 내년 초에 득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와 함께 영업이 본격 확대될 것이다. 역직구에서 리들샷 본품 수요 테스트를 이미 진행했으며, 빠르게 완판했다.

동남아: 일본과 국내에서 리들샷이 입소문나며 매출 확대될 때, 동남아 쇼피 등의 플랫폼에서 자연스럽게 판매량이 상승했고, 현재 상위 랭크 브랜드이다. 현재 상장 유통사와 협업 본격화 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진출이 시작되었다. 태국 또한 라이브커머스 셀러 경연 프로그램 참여 등을 통해 진출 시작하며, 베트남, 인도네시아도 진출 준비 중이다.

유럽: 북유럽 지역으로 입점이 시작되었으며, 동시에 CPNP(Cosmetic Product Notification Portal, 유럽 화장품 온라인 등록 사이트 이며, 인허가 절차를 지칭)에 등록 제품 수를 늘리고 있다. 등록 수 증가와 함께 유럽 확장은 내년 보다 확대될 것이다.

기타: 러시아(대표 드럭 채널 입점 확정), 그 외 중앙아시아/중동/오세아니아 등 입점 협의 확대 중이다.

▶️신규 사업: 리들 부스터라는 제품 개발을 통해 에스테틱 시장도 관심 갖기 시작했으며, 현재 주요 라인업 제품화 완료, 사업 방향성 구체화 중이다. 리들샷의 피부 운동성 증진 기능을 확장하여 리들샷 유니버스를 에스테틱 영역까지 확대했다. 당사는 스킨케어 시장이, 특히 고가 기능성 시장이 시술/관리 영역과 궁극적인 경쟁 구도라 판단하는데, 이러한 방향성에 동사는 선점하고 있다. 추후 해외 진출까지 목표한다.


■ 2025년에 주목해야 할 기업
브이티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4.8천억원(YoY+11%), 영업이익 1.6천억원(YoY+37%) 전망한다. 2025년 글로벌 확장이 집중될 예정이다. 일본은 보다 큰 시장인 오프라인 침투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는 여전히 확장 여력이 높다. 일본과 국내의 성과로 이제 ‘미국/중국/동남아/유럽’ 등 글로벌 확장이 시작되었다. 2024년에도 동사는 매 분기 외형이 확대되며 업종 내 압도적 성장 모멘텀을 이끌었으며, 2025년은 보다 큰 시장인 미국/중국을 필두로 동남아, 유럽까지 확장되며 성장 모멘텀 확대 기대된다. 당사의 추정치는 주요 지역으로의 신규 진출 및 신규 사업 진출과 관련하여 실적에 미반영 했으며, 실제 진출하는 시점에 반영하고자 한다. 앞으로 보폭이 확대되는 동사의 글로벌 확장이 기대된다. 브이티에 대한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5만원 유지한다.

전문: https://vo.la/uGziFe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h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4 Dec, 23:35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유진투자증권 허재환입니다.

=계엄사태 이후=

* 어제 계엄사태 이후 대응 방안에 대한 문의가 많았습니다.

* 보통은 과거 사례(노무현, 박근혜)에서 답을 찾는데, 지금은 과거와 너무 달라 답을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 1) 노무현 당시(2004/3~5월) 주식시장은 하락했지만, 탄핵 영향이기 보다 주로 2004/4월 중국 긴축에 따른 차이나쇼크 영향이 컸습니다(KOSPI -23%).

* 화학/철강/운송 등 중국관련주가 급락했습니다. 반면 소프트웨어, 보험, 필수소비 등 방어적 내수 업종이 상대적으로 괜찮았습니다.

* 2) 박근혜 당시(2016/12~17/3월) 주식시장은 거의 영향이 없었습니다. 수출이 2006년 하반기 이후 개선되었고, 내수(투자와 건설) 싸이클이 양호했습니다.

* 당시 반도체/IT하드웨어, 은행, 증권 등 내수와 주로 IT 수출 중심으로 좋았습니다.

* 3) 현재 경제 상황은 다릅니다. 수출이 본격적으로 둔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내수도 장기 불황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습니다.

* 어제 주식시장에서는 현 정부가 추진하던 밸류업(은행), 대왕고래(유틸리티,에너지), 원전, 방산 등 주가가 부진했습니다.

* 반면 해상풍력, 태양광 등 그동안 소외되었던 업종과 경제 영향을 덜 받는 일부 바이오 정도가 좋았습니다.

* 국내 정치 불안은 정책 공백에 따른 내수 경기에 좀더 직접적인 부담을 주게 됩니다.

* 2016~17년 대외여건이 개선되기 시작했던 박근혜 당시와는 현재 대외여건도 좋지 않습니다.

* 여기에 탄핵을 통한 새로운 정부 기대가 높아지기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헌재 구성, 여당의 탄핵 참여 여부 등).

* 덜 다치는 쪽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기에 덜 민감한 통신, 인터넷/게임, 수출 중에서는 조선/기계 등 트럼프 정책과 함께 갈 수 있는 업종들이 상대적으로 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강 유의 하십시오.
https://t.me/huhjae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3 Dec, 14:2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22883?rc=N&ntype=RANKING&sid=001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3 Dec, 01:07


4만원대 위 부터 이 이슈때문에 흘러내렸으니.. 어디까지 반등할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3 Dec, 01:06


이수페타시스, 제이오 인수 포기...김상범 이수 회장 결단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1472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3 Dec, 00:01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4/12/02/LWNX6NEBHJCG7HOAPLUAL7BRWU/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2 Dec, 00:03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할로자임 특허 잘못됐다는 데이터 갖고 있다”

[이데일리 유진희 기자] 박순재 알테오젠 회장은 최근 불거진 글로벌 제약·바이오사 할로자임 테라퓨틱스와 특허 분쟁 이슈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최근 이로 인해 주가의 변동 폭이 커졌으나, 크게 확대될 사안이 아니라며 1월 반등 가능성도 언급했다.

“키트루다 상용화 막바지 시점 기다려왔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한 연말 모임에서 기자와 만나 “(엠다제의) 특허가 잘못됐다는 확실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계적으로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기반 피하주사(SC) 제형 변경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할로자임과 알테오젠뿐이다. 할로자임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기반 SC 약물 전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곳이다.

할로자임의 SC 약물 전달 기술로는 생체 효소 기반의 인간 히알루니다제인 ‘rHuPH20’을 활용한 SC 약물 전달 기술 ‘인핸즈’가 있다. 할로자임의 관련 기술에 대한 최초 출원은 2003년, 원천 특허로 추정되는 특허의 존속기간은 2027년에 만료된다. 이 때문에 할로자임은 변이체 엠다제(MDASE)에 대한 특허도 냈으며, 이 특허는 2034년에 만료될 예정이다.

박 대표는 “엠다제의 특허 무효화를 위해 관련 제품의 상용화 막바지 시점까지 기다려왔다”며 “몇 년 전에 할 수도 있었지만, 할로자임이 광범위한 특허를 갖고 있어 전략적으로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실제 글로벌 제약·바이오사 머크(MSD)는 최근 엠다제 특허에 대해 ‘등록 후 특허취소심판’(Post Grant Review, PGR)을 미국 특허청(USPTO)에 제기했다. PGR은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의 유·무효성을 특허심판원(PTAB)에서 다시 검토하는 특허 심판 제도 중 하나다.

앞서 알테오젠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기반 SC 제형 변경 기술 ALT-B4에 대한 최초 출원은 2018년에 했다. ALT-B4의 미국 물질특허를 출원해 2043년까지다. 머크는 이를 2020년 알테오젠으로부터 기술이전받았다. 지난 2월에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에 한해 독점권을 요구하는 수정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 간 총 기술이전 계약 규모는 43억 달러(약 6조원)에 이른다.

머크는 최근 키트루다를 SC 제형으로 개발한 약물의 임상 3상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이 약물을 투여한 결과, 기존 정맥주사(IV) 제형과 비교해 약효나 안전성이 뒤처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표의 말처럼 관련 제품의 상용화가 임박해, 불확실성을 제거하려고 소송에 나섰다는 방증이다. 키트루다는 지난 2014년 정맥주사제형으로 미국에서 처음 허가 받았으며 다양한 암종에 걸쳐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내면서 지난해 글로벌 매출(250억 달러) 1위 의약품에 등극했다.

그는 “최근 불거진 이슈들은 키트루다의 상업화 시점이 임박하면서 불필요하게 나온 것도 많다”면서 “여러 특허 관련 소송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한 만큼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할로자임과 특허권을 둔 분쟁에 대리자로 나선 머크는 특허 무효를 요청한 이유로 △지나치게 특허 청구 범위가 넓음 △특허 명세서에 기재한 요건과 실시 가능성이 부족함 △기존 특허와 기술로 명백성이 인정됨 등을 제시했다. 특허 범위가 광범위해 기술적인 구체성과 합리성이 결여됐다는 주장이다. 엠다제는 물질이 개발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당장 개발에 착수하더라도 곧 만료 기한이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머크는 엠다제 특허를 기반으로 단백질 조합을 제작하거나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으로 봤다.

“1월 좋은 소식 많다”

박 대표는 최근 큰 폭의 주가 하락에 대해서도 크게 문제없을 것이라고 봤다. 한때 알테오젠의 주가는 45만원을 넘어섰으나, 최근 특허 분쟁 이슈로 인해 지난달 29일 종가 기준 28만원까지 떨어졌다. 같은달 19일 발간된 미국 골드만삭스의 보고서가 가장 큰 영향을 줬다. 해당 보고서에는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에 사용된 제형 변경기술이 할로자임의 특허를 침해할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이 담겼다. 이로 인해 국내 시장에서는 할로자임이 SC 제형 전환 기술 관련 특허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내용의 지라시가 돌았다. 알테오젠이 소송에서 패소하거나 합의할 경우 회사가 수취할 로열티가 줄어둘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알테오젠은 즉각 대응해 지난달 20일 자사의 홈페이지에 설명문을 게시한 데 이어 25일 주주서한을 통해 시장에서 우려하는 특허침해 소지가 없다고 밝혔다. 이날 서한에서 알테오젠은 “당사의 히알루로니다제는 파트너사들의 심도 깊은 특허 분석과 복수의 특허 전문 로펌을 고용해 독립적인 물질이자 알테오젠이 오롯이 특허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적재산권 확보가 중요한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최고의 역량을 가진 기업들과 특허 이슈를 클리어하고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드린다”고 전했다.

박 대표는 “미국 골드만삭스의 보고서는 현지에서는 오히려 큰 반응이 없을 정도로 별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일부 내용이 국내 시장에 왜곡돼 들어오면서 주가에 영향을 줬다”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우 연말을 앞두고 한번 정리하는 차원에서 빠지는 것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1월에는 여러 좋은 일도 많고 해서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올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크게 염려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미국 골드만삭스의 보고서는 현지에서는 오히려 큰 반응이 없을 정도로 별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일부 내용이 국내 시장에 왜곡돼 들어오면서 주가에 영향을 줬다”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우 연말을 앞두고 한번 정리하는 차원에서 빠지는 것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1월에는 여러 좋은 일도 많고 해서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올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크게 염려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7 Nov, 22:44


< 비둘기 동결이 합리적이라 판단하는 이유 >

현재 국고 금리는 이미 인하를 기정사실화한 레벨까지 하락. 단순히 여기서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으려면 인하하는 것이 무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음. 하지만 시장이 너무 앞서가는 점과 환율을 우려한다면 포워드가이던스는 닫아야 함. 단, 이 시나리오는 타당성이 다소 결여될 수 있음

한은이 금리를 깜짝 인하하려면 내년 성장률이 2%보다 낮아야 할 것. 근데 이 상황에서 포워드가이던스를 10월처럼 닫으면 behind the curve 비난을 받을 가능성. 또한, 총 50bp 금리인하만으로 성장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신호를 주게 됨. “깜짝 인하”는 현 시점에서 한은이 바라본 성장 경로가 우려스럽구나 라고 시장이 해석할 소지가 충분한데 포워드가이던스를 닫으면 인하의 타당성이 떨어질 수 있음

결국 만약 깜짝 인하를 단행하려면 포워드가이던스까지 열어 내년 1분기 연속 인하를 시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 이 경우 국고 3년물은 2.6% 초반, 10년물은 2.8% 초반까지 하락 예상. 단, 그 이상은 시간이 필요할 것

아시는 바와 같이 저는 Keep Calm and Buy Bond를 통해 기준금리 2.25%와 국고 3년, 10년 금리 하단을 각각 2.4%, 2.6%로 제시. 그럼에도 위 시나리오는 너무 빠르다는 입장

따라서 비둘기 동결이 가장 무난하면서 합리적이라 판단

물론 저도 내년 성장률을 1.8%로 제시드렸지만 정책당국의 최근 스탠스를 감안하면 소수점 반올림을 고려한 2.0% 고수에 무게. 단, 인하 소수의견 1~2인 개진과 함께 포워드가이던스를 열면 향후 인하 여지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다고 사료됨

만약 위 시나리오대로 금통위가 흘러간다면 차익실현 매물 출회가 나타날 가능성. 단, 7~9월 외인의 선물 매수 패턴과 국내 기관들의 수요 등을 감안하면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매파적으로 인식될 경우 국고 3년 금리는 최대 2.85%까지 상승할 수 있겠지만 2.80%부터는 저가 매수 유입이 예상됨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6 Nov, 09:02


알테오젠에게도 특허 관련 의견주시는 변리사 분이 작성한 코멘트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2 Nov, 08:53


알테오젠 "SC제형 변경기술…특허 침해의 소지 전혀 없다"

기술 수출한 머크에 사전 확인
"ALT-B4 상업화 문제 없어"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0413?sid=105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2 Nov, 01:45


ㄴ할로자임이 머크에게 특허 무효소송을 낸게 아니라 오히려 머크가 할로자임에 특허무효소송 제기!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2 Nov, 01:45


[단독]美제약사 MSD, 알테오젠 경쟁사 할로자임에 특허 무효소송 냈다 https://www.mk.co.kr/news/it/11175155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2 Nov, 00:18


어제 회의실 거의 풀방으로 가득차있었는데 당장 뭘 듣고싶어하는 사람들이 듣고싶은말을 전혀 해주지 않았습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2 Nov, 00:18


펩트론 : 어제 도대체 뭔 얘기를 한거야. 당장 뭐 없지 느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1 Nov, 03:52


신한 엄민용위원 채널 코멘트입니다. _ rcps 발행에 사용된 로열티 추정치의 수치가 다른점이 엄위원님 추정치가 바뀐게 아닙니다. IB부서에서 리서치부서의 내부 수치를 사용하는게 컴플라이언스 상 이해충돌 우려가 있어서 타 애널리스트의 수치가 사용된 점.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1 Nov, 03:18


2024.11.21 12:09:09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17조 4,886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대표보고 : 형인우(72년생)/대한민국
보유목적 : 단순투자

보고전 : 4.99%
보고후 : 5.11%
보고사유 : 장내 매수로 인한 지분율 변동

* 염혜윤
2024-11-21/장내매수(+)/보통주/ 12,000주/-

* 형인우
2024-11-21/장내매수(+)/보통주/ 50,000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21000172
주요 지분공시(최근1년) : https://www.awakeplus.co.kr/board/notice/19617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1 Nov, 02:47


[단독]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 2000억원 RCPS 발행···주관사 신한證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409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0 Nov, 21:59


엔비디아 (NVIDIA), 3분기(FY24) 실적 발표

* 시간 외 -3%

▶️ Earnings
EPS: $0.81 (FactSet 예상치 $0.75 대비 +$0.06)
매출: $35.08B (FactSet 예상치 $33.15B 대비 초과, 전년 대비 +93.6%)

▶️ FY25 Q4 가이던스

매출: $37.5B (±2%)
예상 범위: $36.75B ~ $38.25B (FactSet 예상치 $37.09B와 대체로 일치)

총 마진:
GAAP: 73.0% (±50bps)
Non-GAAP: 73.5% (±50bps)

▶️ 세그멘트별 하이라이트
[DATA CENTER]
매출: 전년 대비 +112%, 전분기 대비 +17%
원인: Hopper 플랫폼 수요 증가 (대형 언어 모델, 추천 엔진,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Blackwell 아키텍처: 생산 수율 개선 및 Q4 FY25부터 생산 출하 예정.
❗️FY26 동안 Blackwell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


[GAMING]
매출: 전년 대비 +15%, 전분기 대비 +14%
원인: GeForce RTX 40 시리즈 GPU 및 게임 콘솔 SoC 판매 증가

[PROFESSIONAL VISIUALIZATION]
매출: 전년 대비 +17%, 전분기 대비 +7%
원인: Ada 아키텍처 기반 RTX GPU 워크스테이션의 지속적인 판매 확대

[AUTOMOTIVE]
매출: 전년 대비 +72%, 전분기 대비 +30%
원인: 자율주행 플랫폼 매출 증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9 Nov, 23:14


『알테오젠(196170.KQ) – 키트루다SC 3상 성공 발표, 전세계 허가신청』
신한
제약바이오 엄민용 ☎️02-3772-2578

▶️ 우리나라 최초의 글로벌 바이오텍 탄생
머크와 개발한 키트루다SC가 성공적인 임상 3상 Top line 결과를 발표. 머크 홈페이지에 게시되었으며 Alteogen Inc.가 처음으로 머크로부터 공식 언급한 것도 의미. 1차 지표였던 약동학(pk) 및 2차 지표였던 효능과 안정성도 종점을 모두 충족. 동사는 이제 상업화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제약사

▶️ 전세계가 알테오젠 기술을 처방하는 시대 도래
키트루다는 올해 처음으로 3분기 매출만 10조원 달성. 머크는 이번 3상 결과로 승인받은 모든 적응증을 승인 가능(로슈 티쎈트릭SC도 3상 한 번으로 모든 적응증 승인). 50% 이상의 SC전환 추정 확실시되었다고 판단

기존 키트루다 IV(혈관주사)는 짧게는 30분에서 2시간 투약이나 SC는 평균 2-3분내 투약 가능해 의료진과 환자의 편의성 개선뿐 아니라 입원비용 감소로 각국의 의료보험 재정지출 감소 효과까지 기대. 자세한 데이터는 곧 학회로 발표될 예정이며 1월 중으로 전세계 허가신청 추정

피하주사 원료 생산 위한 공장증설도 머크 요청으로 추정. 국내 바이오텍 중 상업화에 성공한 최초의 기술플랫폼 보유 기업이자 공장까지 갖추는 첫 회사 될 것. 기술이전 논의 중인 6개의 빅파마도 의사결정 쉬워질 것

▶️ Valuation & Risk
머크가 키트루다SC를 2028년까지 50% 시장을 전환을 목표로 발표했고 2030년까지 전환율은 지속 증가하여 연간 20~30조원 수준 매출 추정. 오늘 3상 성공 발표로 단계별 마일스톤 1.4조원은 출시 후 2년내 모두 인식 가능할 것. 판매 로열티 4~5% 가정 시 연간 1조원 이상 인식도 기대. 업종 내 최선호주 및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1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07시 2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9 Nov, 05:14


알테오젠) 일부 카더라로 주주배정 유증 우려로 금일 매도가 나오는 상황으로 추정

다만, 애널리스트 간담회에서 박대표님께서 직접 언급하신바에 따르면
알테오젠 공장관련 자금 조달은 정관 변경 후
1. RCPS 등으로 진행할 예정
2. 일부 SI를 통한 제3자배정 유증일 것이며 락업도 길게 가져갈 것이므로 걱정 없는 상황

총 발행 물량도 1~2000억 수준으로 시총대비 1%가 안되는 수준이므로 희석도 크게 걱정할 상황이 아님

따라서 이번 급락은 과도하다고 보며
일부 창구에서 개인매도물량으로 나오는 부분은 연말 대주주 과세 대비 물량 아닐까 추정되는데 그분들도 결국 돌아올 수급으로 보면 크게 영향은 없을것이라 판단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8 Nov, 04:05


유럽 배터리 대항마 ‘노스볼트’...구조 패키지 결렬에 파산 고려 중

전기차 수요 감소로 경영 악화
“다음주 지급불능 가능성 커”


국내 배터리 셀3사에게는 호재..? 치킨게임의 시작
https://www.reuters.com/legal/northvolt-has-considered-us-bankruptcy-protection-sources-say-2024-11-1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8364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8 Nov, 02:07


'1천일' 우크라전 휴전협상 급물살 타나…유럽도 "전쟁 끝내자"

당장은 아니더라도 재건주는 테마로 지속 관심
에스와이스틸텍, SG, 전진건설로봇, 현대에버다임 (테마는 테마일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52439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7 Nov, 22:56


지난 금요일 미국시장에서 바이오 섹터 위주로 시장 급락
한국시장의 경우 삼성전자의 4만원대 터치 이후 외국인 위주의 수급으로 바텀 후 급반등을 하였는데 장 종료후 10조원 자사주 매입 발표로 시간외 +3.18%로 추가 상승 후 마감.

미국 바이오섹터 급락에는 트럼프가 임명한 보건복지부 장관이 대표적인 백신반대론자라는 우려 때문에 노이즈 발생.

다만 국내 바이오섹터의 최근 급등은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펩트론 등 LO 기술수출에 기반한 펀더멘털 상승이었다는점을 생각하면 동반 급락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는 상황. 단기 매크로 흐름에 따른 불확실성은 감안하더라도 펀더멘털리 무너지는 흐름은 아니라고 판단.

다만, 삼성전자의 반등은 오늘까지 외인/기관 수급을 잘 봐야할 필요가 있는데 금요일 상승에서 초반부터 강하게 수급이 유입된 외인들은 판단이 안되나, 기관들의 움직임은 미리 자사주 매입 소각을 알았다기보다는 그간 BM대비 삼성전자를 언더웨잇 해놨던 상황에서 4-6%상승을 하자 급하게 채워넣는 뒤늦은 수급이 +8%까지 상승시켰다고 판단하고 있음. 이에 장 종료후 추가로 공시를 봤기 때문에 일부 BM을 채웠던 기관 및 채우지 못했던 기관이 급하게 BM을 채우는 수급이 들어올 경우 삼성전자의 단기 반등이 가능한 상황.

그러면 코스피 레버리지를 사면 되는거 아니냐? 라는 질문에는 오히려 이런 경우 삼성전자 본주로 대응하는게 맞는 상황. 코스피 비중을 늘리는게 아니라 코스피 안에서 다른 종목을 오버웨잇해놓은 부분을 매도하고 삼성전자를 BM대비 중립으로 만드는 상황이기 때문. 지수대비 삼성전자가 아웃퍼폼하는걸 우려해야 하는 상황.

삼성전자의 의미있는 펀더멘털 회복에 따른 주가 반등을 예상하는 상황은 전혀 아니지만 그간 눌려왔던 삼성전자 주가가 기술적으로 반등할 수 있는 트리거를 만들어 줬다는데 의미를 부여.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7 Nov, 22:47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유진투자증권 허재환입니다.

=RFK=

* 지난 주말 주요국 백신 및 제약 업체들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습니다(모더나 -7.3%, 파이자 -4.7%).

* 트럼프 당선인이 반백신주의자로 유명한 RFK(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를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로 지명했기 때문입니다.

* RFK는 그동안 아동 예방주사가 너무 많다고 반대했고, 코로나 백신에 대해서도 회의적입니다.

* 지난달 X에서 그는 FDA 부서 대부분을 없애야 한다고 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작은 정부와 연방정부 축소라는 공약과 맞닿습니다.

* 그러나 트럼프의 제악바이오 업종에 대한 영향에 어두운 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이번에 일론 머스크와 함께 정부 효율위원회를 이끌게 된 비벡 라마스웨이는 신약승인을 위한 장애물과 규제를 줄이겠다고 했습니다.

* 제약업종과 바이오주들이 대부분 하락했지만, 그렇지 않은 기업들도 있었습니다.

* 우울증 치료제를 만드는 Compass Pathways 주가는 3% 올랐습니다. 정신의약품을 개발하는 Atai Life Sciences 주가는 17% 상승했습니다.

* 트럼프 정책의 핵심은 어떤 산업이 더 유리하거나 불리하다기 보다, 기존 구도, 즉 정부나 대형업체들 중심의 구조를 흔드는데 있습니다.

* 금리가 잘 안 떨어진다는 점이 흠이긴 하나, 적어도 미국 증시에서는 다국적 기업보다 중형주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강 유의 하십시오.
https://t.me/huhjae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5 Nov, 08:57


삼성전자 자사주 취득계획 : 10조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5 Nov, 03:58


코스피 지수 +0.24% = 전자 +8% VS 2차전지 쇼크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5 Nov, 02:08


미친 국장의 변동성.TXT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6:01


실리콘투 분기별 실적 추이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6:01


스트릿컨센이 얼만진 모르겠는데.. 심하긴하네요. 역대 최대고, 잘 벌고 있는데 성장성 기울기가 좀 꺽인 모습.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6:00


2024.11.14 14:55:14
기업명: 실리콘투(시가총액: 2조 1,427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1,866억(예상치 : 2,073억/ -10%)
영업익 : 425억(예상치 : 451억/ -6%)
순이익 : 298억(예상치 : 354억/ -16%)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866억/ 425억/ 298억
2024.2Q 1,814억/ 389억/ 333억
2024.1Q 1,499억/ 294억/ 255억
2023.4Q 1,057억/ 149억/ 100억
2023.3Q 1,010억/ 151억/ 13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0973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4:43


^^; 서프라이즈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4:43


2024.11.14 13:29:48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23조 9,402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48억(예상치 : 61억/ -21%)
영업익 : -81억(예상치 : -137억/ +41%)
순이익 : -94억(예상치 : -120억/ +22%)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8억/ -81억/ -94억
2024.2Q 122억/ -67억/ -32억
2024.1Q 349억/ 173억/ 209억
2023.4Q 224억/ -81억/ -133억
2023.3Q 213억/ -106억/ -8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0558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2:23


알테오젠 52주 신고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0:58


하반기 외국인 순매도 18.9조 중, 삼성전자의 순매도가 18조를 차지, 삼성전자 제외시 코스피 약 2710pt 수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0:22


『파마리서치 – 믿음의 종목』
의료기기 정희령 ☎️02-3772-3735


▶️ 리쥬란 수출의 또 한 번 레벨업이 예상되는 2025년
- 이익 기준 컨센서스 6% 상회. 추정치 대비 의약품 및 화장품 사업부 하회했음에도 핵심 사업부 리쥬란의 높은 수요가 전사 외형 성장을 견인. CVC보유의 동남아 에스테틱샵 내 침투 시작된 것으로 파악. 현재 리쥬란 기진출국 내 높은 비중이 동남아인 점 고려 시 25년 의료기기 사업부 성장세 크게 레벨업 가능.

연초 진출 시작한 호주 등 신규국 성장세도 시작. 3분기 대만, 유럽, 중동 등 신규 승인 허가를 득한 국가 7곳으로4Q~1H25 내 순차적 진출 예정. 수출비중 크게 증가할 구간의 초입을 판단

▶️ 3Q24 Re: 리쥬란이 예상보다 더 잘 팔린다
3분기 매출액 892억원 기록하며 컨센서스 부합. 의료기기 실적 506억원으로 당사 추정치 약 10% 상회. 리쥬란 및 콘쥬란 전분기 대비 각각 10억원, 76억원 성장. 화장품 사업부는 면세점 채널 둔화로 전분기 대비 21.6%
감소. 의약품 사업부는 전분기 대비11% 감소. 다만 이는 3분기 주문이100유닛에 집중됨에 기인하며 여전히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

3분기 영업이익 349억원, 영업이익률 39.1% 기록하며 신한 추정치 및 시장 컨센서스 부합. 판관비 통제 및 수익성 좋은 의료기기 사업부의 성장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률 개선

▶️ 목표주가 300,000으로 상향
- 기진출국 내 CVC 유통망 활용해 외형 성장 예정, 연초 진입한 신규국의 수요 확대, 승인 획득 국가 수 크게 증가. 2025년은 파마리서치 밸류에이션의 핵심인 수출 비중 증폭의 구간. 25F 순이익 1254억원, 25F Target PER 24배로 목표주가를 300,000원으로 상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5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4일 08시 5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Nov, 00:21


엠로
/ NDR 후기: 글로벌 시장의 문이 열렸다
미래에셋증권 김수진

보고서 링크: https://han.gl/3KLLN

■ 영업이익 +238% YoY 서프라이즈: 이익 턴어라운드 시작
- 3Q24 매출 232억원(+41% YoY), 영업이익 43.9억원(+238.4% YoY), 영업이익률 18.9%
- 삼성전자 차세대 SCM 프로젝트(2025년 10월까지 490억원 규모)에서 80억원 가량의 매출이 인식되며 매출 성장률 급증
- 삼성전자 프로젝트 상당 부분이 새로운 모듈이다 보니 마진이 올라가는 효과 발생
- 향후에도 기술료로 연간 공급계약액의 10% 이상의 매출이 인식될 예정
- 클라우드 전환 수혜의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미국 첫 계약 성공 – 파이프라인은 계속 확대될 것
- 10월 말 엠로 미국 제품 Caidentia의 첫 계약 성사
- 계약업체는 매출 6조원 규모의 EMS(전자제조서비스) 기업
- 논의 중인 글로벌 기업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진행되는 계약 규모도 점점 커질 것

■ 트럼프 정권, 우호적인 환경은 틀림없다
- B2B SW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시점은 공급망 대란으로 기업들의 SCM 솔루션 니즈가 커진 트럼프 1기
- 밴더사에 대한 국가 규제 등이 강화될 시, 현재 177억달러 규모의 SCM 시장 성장 가속화 예상

■ 4Q 매출 240.6억원(+38.3% YoY), 영업이익 44.8억원(OPM 18.6%) 전망
- 4Q는 기업 결산 분기로 소프트웨어 성수기
- 따라서, 3Q와 같은 호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 25년 매출 1,090억원(+26.4% YoY), 영업이익 172억원(OPM 15.7%) 달성할 것으로 추정
- 인건비 등 고정비 확대 국면이 지났고, 마진이 높은 클라우드 매출 비중이 내년 10%를 돌파할 것
- AI 제품 내재화로 높은 단가의 고마진 제품 증가 중
- 대형 수주에 기인한 호실적이 내년 하반기 본격화되는 글로벌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Nov, 06:06


주가는 이제 끌어올릴 유인이 없으니 아웃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Nov, 06:06


게임 끝.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Nov, 06:06


[속보]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 내려놓겠다" [시그널]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Nov, 02:49


그사이 MBK측 물량은 더 늘어남 = 유통물량 더 없어진 상태 _ 이 싸움의 끝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Nov, 02:49


유증발표 전 전고점은 154만원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Nov, 02:48


유증 철회

(유가)고려아연 -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13000148
2024-11-13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Nov, 23:18


『알테오젠(196170.KQ) – 전세계 최초 ADC SC, 다이이찌 산쿄와 간다』
제약바이오 엄민용 ☎️02-3772-2578


▶️ 엔허투SC는 반영되지 않은 주가. 이제 시작일 뿐
- 11월 8일 글로벌 ADC 1등 기업 다이이찌 산쿄와 엔허투 ADC를 전세계 최초로 SC로 전환하는 독점 계약을 체결, 엔허투는 2030년 20조원 매출액을 기대. 유효성 및 부작용 개선되어 매출액 더욱 높아진다면 5% 이상 로열티 수령 가능. ADC SC기술의 가치는 미반영 판단

▶️ 키트루다SC 승인 신청 확정으로 이제 Biotech 아닌 Pharma
- 애널리스트 간담회에서 가장 중요했던 내용은 키트루다SC의 FDA 허가신청을 위한 사전미팅 진행. 허가 신청이 내년 1월 예정 소식. 2025년 승인이 기대되며 임상 3상 성공 발표가 임박. 성공했을 것으로 추정 가능

- 다이이찌 산쿄와 ADC SC 계약은 머크 딜보다 높은 로열티 추정. 이유는 2가지 1) 낮은 마일스톤으로 상업화 시 수익 더욱 높인 것으로 추정 2) 유효성과 부작용 개선으로 엔허투 IV 대비 매출 증가. 프리미엄 로열티 필요

- 엔허투는 2025년 DESTINY-Breast09 임상 통해 유방암 1차 치료제 여부 결과 확인 예정이며, 1차 치료제 이전 보조요법에도 모두 승인되어 초기 유방암 시장 엔허투로 재편. 2030년 목표 160억 달러인데 SC로 유효성, 부작용 개선될 경우 IV 매출액 대부분 SC 전환될 것으로 추정

▶️ 목표주가 730,000원으로 상향, 업종 내 최선호주 및 강력매수 의견
- 머크 키트루다는 특허가 기존보다 연장된 미국 2029년 11월, 유럽 2031년 1월 만료로 매출 전망치 상향. 엔허투SC는 80% 이상 시장 전환 추정. 추가 6개 빅파마와 L/O 진행 중으로 가치 상승 지속될 것. 목표주가 730,000원으로 상향하며 업종 내 최선호주 및 강력 매수 의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2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3일 07시 5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2 Nov, 23:08


리포트 내용을 보면 키트루다SC 및 엔허투 SC의 로열티 가정을 보수적으로 4%, 6%로 했을때 73만원이고, 실제 시장에서 예상하는 5%, 7%로 가정했을 경우가 Base case고 밸류에이션은 83만원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Sep, 22:48


2024.09.09 07:30:28
기업명: 동화약품(시가총액: 2,134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수결정)

양수회사 : 주식회사 하이로닉
주요사업 : 피부미용기기 제조, 판매 및 수출
양수금액 : 1,607억
자본대비 : 39.48%

거래상대 : 이진우 외 1명
양수목적 : 미용 의료기기 시장진출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양수후 지분 : 57.80%
양수 예정일 : 2024-12-13

* 대금지급
1) 대금지급 형태 : 현금 지급
2) 대금지급시기(구주 보통주) :
- 총 금액 : 120,719,188,800원
- 양수주식수 : 8,383,277주
- 계약금 : 12,000,000,000원 (주식매매계약체결일 이후 도래하는 최초 영업일에 지급)
- 잔금 : 108,719,188,800원 (12월 13일 예정)
3) 대금지급시기(신주 전환상환우선주) :
- 취득예정 주식수 : 5,588,154주
- 유상증자 주금납입금 : 40,000,006,332원 (12월 13일 예정)
4) 자금조달 방법: 보유자금 및 신규 조달자금
5) 지급시기 등 세부사항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90600066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02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0 Aug, 04:39


[이그전] ‘하락 갭’을 메운 주식시장, ‘갭 저항’을 뚫기 위해 필요한 것들

안녕하세요. KB증권 주식전략 이은택입니다.

1) 기술적 갭 저항선 (2,700pt 중반)을 추세적으로 뚫기 위해선 ‘경기침체’ 우려가 완전히 지워져야 합니다.

2) 그런 측면에서 ‘엔비디아 실적 (8/28)’과 ‘고용지표 (신규고용)’이 중요합니다.

3) 경기 확인시점이 생각보다 늦어질 수도 있지만, 고비가 크면 클수록 이후 연준의 과잉완화와 버블 크기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URL: https://bit.ly/3X9kHgF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20 Aug, 01:23


4가지 美 대선 시나리오와 주식에 미칠 영향

UBS가 네 가지 가능한 미국 대통령 선서 결과에 대한 시장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
20일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UBS는 "가장 높은 확률은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의회는 공화당이 장악하는 경우"라며 "이 시나리오 하에
서 주식에 약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상했다.

◇ 해리스의 승리와 의회 분열
UBS는 해리스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의회가 분열될 확률을 40%로 예상했다.
이 시나리오는 주식 시장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며, 재생 가능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성에 중점을 둔 기업들의 주가를 끌어올릴 전망이다.

UBS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수혜자들이 안도 랠리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하
며, 반면 규제의 압박은 화석 연료 관련 기업들의 주가를 하락시킬 수 있다고 봤다.
UBS는 해리스가 "대형 금융 서비스 이데올로기 반대"를 고수할 것으로 보여 엄격
한 규제가 금융 부문을 제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한 이후 바이든은 더 강력한 감독을 요구
한 바 있다. 반대로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는 해리스가 산업 및 헬스케어 같은 주요 입법을 추
진하는 것을 제한할 것이다.

◇ 트럼프의 레드 스윕 승리
UBS는 해리스가 승리하지 못할 경우, 공화당이 백악관과 의회를 모두 장악할 확
률을 35%로 본다. 바이든이 출마 중일 때는 이 시나리오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
였다.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하고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할 경우, 트럼프는 2017년 법
인세 인하 연장 및 관세 인상을 공약으로 내세운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제한을 덜
받게 된다.
UBS는 이 시나리오에서 규제가 완화되고 인수합병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
며 이러한 요인들은 화석 연료 투자와 금융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
석했다.
다만, 초반에는 트럼프 승리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트럼프의 다
른 제안들이 초반의 흥분을 상쇄할 것으로 UBS는 내다봤다.
많은 경제학자는 높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해 왔
으나 트럼프는 이러한 경고를 무시하고 미국 전체 무역에 대한 보편적 관세 및 중국
수출에 대한 60% 세율을 요구하고 있다.

이 경우 금리와 달러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관세는 기술 부문, 특히
하드웨어 및 반도체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트럼프의 국제 의약품 가격 지수 제안과 같은 정책들이 헬스케어 부문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 해리스의 블루 스윕 승리
UBS는 민주당이 대통령직과 의회를 모두 장악할 가능성을 15%로 보며 이 경우 주
식 시장에 가장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시나리오 하에서는 2017년 세금 감면이 만료되고 규제가 강화돼 시장에 약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금융 및 화석 연료 관련 기업들은 가장 큰 타
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주 및 지방 세금 공제에 대한 제한과 함께 재산세가 인상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이 지속됨에 따라 성장률이 낮아지면서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봤다.

◇트럼프 승리와 의회 분열
UBS가 예상하는 가장 가능성이 낮은 시나리오는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하고 민
주당이 의회를 장악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발생할 확률은 10%로 추정됐다.
주식 시장의 영향은 복합적일 것으로 보인다. 레드 스윕과 마찬가지로 관세는 여
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하고 달러를 강하게 만들며 금리를 소폭 올릴 수 있다.
UBS는 녹색 에너지 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산업 부문의 투자 지출이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한편, 화석 연료와 금융 부문에 대한 규제 압박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금융 부문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증권거래위원회
(SEC)에서 새로운 규제 책임자가 임명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9 Aug, 03:55


2024.08.19 12:50:02
기업명: LS마린솔루션(시가총액: 5,756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보통주 : 3,962,073주(발행가격 : 17,884원)
우선주 :

발행비율 : 14%

* 투자자
LS전선(최대주주)

발표일자 : 2024-08-19
납입일자 : 2024-11-15
상장일자 : 2024-11-29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81900009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037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4 Aug, 05:24


2024.08.14 13:57:14
기업명: 와이씨(시가총액: 1조 2,873억)
보고서명: 반기보고서 (2024.06)

매출액 : 650억(예상치 : 411억/ +58%)
영업익 : 99억(예상치 : 50억/ +98%)
순이익 : 88억(예상치 : 50억/ +76%)

**최근 실적 추이**
2024.2Q 650억/ 99억/ 88억
2024.1Q 340억/ 1억/ 13억
2023.4Q 551억/ 56억/ 45억
2023.3Q 547억/ 5억/ 7억
2023.2Q 775억/ -1억/ 2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81400159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13 Aug, 01:13


2024.08.13 10:03:37
기업명: 실리콘투(시가총액: 2조 5,415억)
보고서명: 반기보고서 (2024.06)

매출액 : 1,813억(예상치 : 1,617억/ +12%)
영업익 : 389억(예상치 : 305억/ +28%)
순이익 : 333억(예상치 : 247억/ +35%)

**최근 실적 추이**
2024.2Q 1,813억/ 389억/ 333억
2024.1Q 1,499억/ 294억/ 255억
2023.4Q 1,057억/ 149억/ 100억
2023.3Q 1,010억/ 151억/ 131억
2023.2Q 782억/ 104억/ 8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813000194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9 Aug, 05:52


[속보] 코로나19 환자 4주간 6배 폭증…입원환자 65%는 65세 이상

https://v.daum.net/v/20240809144655295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9 Aug, 02:41


생각보다 코로나 환자가 주변에 늘고 있는데,
미국장대비 시원하게 반등해주지 못하는 국장을 보며 코로나 관련주를 프락시로 체크

씨젠, 휴마시스 등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809_000284424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23:09


ㄴ넥슨 실적 가이던스를 통한 넥슨게임즈 퍼스트디센던트 일매출 추정치 25-30억 유지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22:53


엘프 뷰티 2024년 1분기 실적 (시간외 -11%)

EPS: $1.10 (예상 $0.83)
순매출: $3억 2,450만 (예상 $3억 270만); 전년 대비 +50%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가격 인상 고려 중
총이익률: 71% (예상 70.6%)

2025년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
조정 희석 EPS: $3.36-$3.41 (이전: $3.20-$3.25) (est .$3.42)
순매출: $12.8억-$13.0억 (이전: $12.3억-$12.5억) (est $13억)
조정 EBITDA: $2억 9,700만-$3억 100만 (이전: $2억 8,500만-$2억 8,900만)
조정 순이익: $1억 9,800만-$2억 100만 (이전: $1억 8,700만-$1억 9,100만)
조정 유효 세율: 20%-21%

CEO
"이번 회계연도의 시작은 50%의 순매출 성장과 1분기 시장 점유율 260bp 증가로 강하게 시작했습니다."

"이는 22분기 연속으로 순매출 성장과 시장 점유율 증가를 기록한 것으로, e.l.f. 뷰티를 고성장 소비재 기업 그룹에 포함시켰습니다. 우리는 색조 화장품, 스킨케어 및 국제적으로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이러한 고유한 경쟁 우위가 2025 회계연도 및 그 이후의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기타 지표:
조정 EBITDA: $7,740만 (예상 $7,190만); 전년 대비 +4.2%
조정 SG&A 비용: $1억 6,440만 (예상 $1억 5,090만); 전년 대비 +95%
조정 순이익: $6,430만 (예상 $4,810만); 전년 대비 +2.3%

사업 하이라이트
:
순매출 성장은 주로 소매업체 및 전자상거래 채널의 강세에 기인
e.l.f. Cosmetics는 시장 점유율 260bp 증가

유동성:
2024년 6월 30일 기준, 회사는 $1억 900만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1억 5,920만의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의무를 보유, 2023년 6월 30일 기준 $1억 4,250만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5,960만의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의무와 비교됨

코멘트:
"1분기 강력한 성과로 인해 2025 회계연도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순매출이 전년 대비 25-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이전 예상치인 20-22% 증가와 비교됩니다."

(실적이 예상치 상회해서 잘나오고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했는데도 시간외 하락하는중인데 더 자세히 살펴봐야 되겠지만 아마 연간 가이던스 중간치가 예상치에 약간 못미쳐서인거같은데 보통 엘프뷰티는 가이던스는 보수적으로 발표해서 실적발표 후 하락하다가 나중에 상승 전환하는 경우도 있고해서 어닝콜이랑 추후 움직임을 좀 살펴봐야될거 같긴 합니다)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06:44


ㄴ퍼스트디센던트 출시일은 7월로 이번 실적과 관련이 없음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06:44


* 넥슨게임즈 2Q24 실적
매출액: 436억원 (컨센: 447억원, 하회)
영업이익: -84억원 (컨센: -67억원, 하회)
지배순익: -110억원 (컨센: -68억원, 하회)

당사 예상치
매출액: 429억원
영업이익: -85억원
지배순익: -99억원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01:28


2024.08.08 10:17:35
기업명: 씨에스윈드(시가총액: 2조 2,8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8,578억(예상치 : 7,306억)
영업익 : 1,303억(예상치 : 409억)
순이익 : 1,044억(예상치 : 22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2Q 8,578억/ 1,303억/ 1,044억
2024.1Q 7,367억/ -95억/ -400억
2023.4Q 3,737억/ -32억/ -281억
2023.3Q 3,805억/ 415억/ 179억
2023.2Q 4,155억/ 418억/ 2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80880013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12610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00:46


ㄴ장이 너무 약하니까 갑분 코로나주 강세..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8 Aug, 00:45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인데…팍스로비드 동났다
https://www.news1.kr/local/daegu-gyeongbuk/5504792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7 Aug, 02:41


이 내용이 진짜 일경우

제 개인적 추론은

블루아카이브(애도 업데이트 해서 저번달 엄청난 역주행) + 퍼스트디센던트 합쳐서

3분기 영업이익 800억도 가능합니다.

미친숫자.

머니스토리 (Stock & Investment)

07 Aug, 02:41


받) 넥슨게임즈 월매출 2000억 달성.

출시 이후 31일간 1달간 매출 2000억 일매출 약 65억

대화내용 요약

넥슨게임즈 직원 왈 2000억 넘겼다고 함.

넥슨 본사직원 왈 2000억은 아니고 비슷하다고( 1900억 정도?인가 일매출 약 60억)

일매출 65억 나올시

9월 10월(월마다 500억)업데이트 어느정도 나올시

약 3000억 매출 예상인가?

90일 기준 일매출 30억?

출처 : 블라인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