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 전략/시황/퀀트 @shstrategy Channel on Telegram

신한 전략/시황/퀀트

@shstrategy


신한 전략/파생/퀀트 채널입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Korean)

신한 전략/시황/퀀트 채널은 금융 및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신한은행에서 전략, 시황, 그리고 퀀트 투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러분들이 최신 시황 정보를 받아보고 투자 전략을 세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채널은 전문가들의 분석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러분들의 투자 결정을 지원하고, 재무 상황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신한은행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 지식을 통해 여러분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채널은 퀀트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어, 정량적인 데이터와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채널 구독자들끼리의 정보 교류를 통해 다양한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채널을 통해 여러분의 투자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많은 경제적 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채널이니, 지금바로 구독해보세요!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Feb, 07:4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17일
『5일째 상승하며 4개월 만에 2,600p 안착』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610.42 (+0.75%), 코스닥 768.48 (+1.61%)

KOSPI 5일 연속 상승하며 2,600p 돌파

금일 KOSPI, KOSDAQ 각각 0.8%, 1.6% 상승했습니다. Trump의 상호관세 유예에 따른 안도가이어졌고, 미국의 1월 소매판매(-0.9% MoM) 둔화에 따른 영향이 나타났습니다. 한파·LA산불 등이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는 만큼 소비심리
위축 우려보다 인플레 압력 완화에 시장이 더 크게 반응했습니다. KOSPI는 5일 연속 상승하며 작년 10월 말 이후 약 4개월 만에 종가 기준2,600p를 돌파했습니다. 다만 자동차 산업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 기대가 있던 상황에서 Trump가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4/2)를 예고함에
따라 완성차(현대차 -3.0%, 기아 -0.7%)에 하방 충격 나타났습니다. 한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정책 미흡을 근거로DeepSeek의 국내 신규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이슈에 따라 엇갈린 헬스케어

오늘 KOSDAQ 헬스케어 상위 종목들(HLB +5.0%, 삼천당제약 +3.4%)및 의료AI 종목들이 강세였습니다.
토마토시스템(+12.9%)은 미국 의료 기관과의 서비스 계약을 체결, 쓰리빌리언(+26.8%)은 AstraZeneca와의 희귀질환 신속진단MOU 체결, 제이엘케이(+6.4%)의 뇌졸중 AI 솔루션 일본 인허가 획득 등 호재가 있었습니다. 반면 신풍제약(-8.7%)은 오너 2세가 검찰에
고발됐다는 소식에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특징업종: 1)유리기판: 삼성전자 유리기판 진출 소식 여파 지속(켐트로닉스 +5.5%, 필옵틱스 +5.3%)2)드론: 미국의 대중 드론 규제의 강화에 따른 반사수익 기대(에이럭스 +16.5%, 딥마인드 +9.5%) 3)보험: 삼성생명(+7.3%)의 삼성화재(+8.4%)
자회사 편입 신청 여파+주주환원 기대감

호실적이 뒷받침하는 신고가 종목들

오늘 45개 종목이 52주 신고가였고, 그 중 13개는 역사적 신고가를 보였습니다. 다수 종목은 호실적이 뒷받침되며
높아진 주가의 당위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불닭볶음면의 인기와 더불어 K-푸드 관련주(삼양식품 +1.6%, 에스앤디 +0.7%) 강세였고, 수주 실적등에 산업재(한화에어로스페이스 +8.3%, 한화오션 +0.0%) 강했습니다. 그 외 코웨이(+4.5%)는 최대 연간 실적 발표에 더해 주주환원
기대감에 신고가였고, SAMG엔터(+6.7%)는 흑자전환 성공 이후 신고가 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일정: 1)美 휴장(President’s Day) 2)美 Fed Harker·Bowman·Waller 연설3)英 12월 실업률(18일 16: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947
위 내용은 2025년 2월 17일 16시4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Feb, 03:49


마켓레이더(2월 1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업종 및 종목별 순환매』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7% 상승한 2,610p. 미 시장금리 하락에 주식시장 상승 지속. 업종 및 종목별 순환매 장세
- 미국 주식시장은 소매판매 부진 확인. 관세 여파 지속되며 혼조 마감
:미국 1월 소매판매 전월 대비 0.9% 하락. 예상치(-0.1%) 하회. 소매판매 부진에 시장금리도 하락
:10년물 국채금리 4.4%대 등락. 달러인덱스 106p. 금주 FOMC 의사록 공개 예정

- KOSPI는 이번주 외국인 선물 수급 지속 유입. 금리, 환율 진정세에 4거래일 연속 상승. 원전주, 금융업종 강세
:외인 오전 선물 2,200계약 이상 순매수/현물 순매도. 선물 3거래일 연속 순매수.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보험/증권, 석유/화학 업종 상승. 음식료, 방산(호수출), 금융 섹터(주주환원, 호실적) 52주 신고가 다수
:석유/화학) 트럼프 행정부, 중단됐던 LNG 수출, 텍사스 원유 수출 승인. 에너지가 하락→ 마진 개선 기대
:방산)한화에어로, 북유럽 국가 중 1곳 올해 상반기 협력 논의. (트럼프의 GDP의 5% 국방비 지출 압박)
:2차전지도 올해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낙폭 과대 인식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 에코프로그룹주 상승 ↑
:금주 FOMC 의사록 제외 특별한 이벤트 부재한 가운데, 업종 및 종목장세 지속될 전망

KOSDAQ은 0.9% 상승한 763p. 금리 안정 및 신용잔고 상승세에 성장주 강세 지속. 3거래일 연속 상승
- 레인보우로보틱스 차익실현에 약세 보이는 가운데 클래시스 등 의료기기 업종 양호한 실적 바탕으로 강세
:온디바이스AI(엔비디아, SOCAMM 상용화 가능성 협의), 유리기판(삼성전자 진출 소식 이후 랠리 지속)
:의료AI(쓰리빌리언, 아스트라제네카와 MOU 체결), 증강현실(버넥트, 2025 AI 바우처 사업 공급기업 선정)

원/달러 환율은 미국 1월 소매판매 큰 폭 부진하며 1,440원 선 등락. 1.2원 하락한 1,440.7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 대만(가권) +1%, 홍콩(항셍) +1.1%,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938
위 내용은 2025년 2월 17일 11시 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Feb, 07:58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14일
『상호관세 경계심 극복하며 2,600p 접근』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91.05 (+0.31%), 코스닥 756.32 (+0.94%)

KOSPI, 작년 10월 이후 첫 2,600p 고지 접근

금일 KOSPI, KOSDAQ 각각 0.3%, 0.9% 상승했습니다. Trump는 간밤 상호관세 부과를 담은 각서에 서명했습니다. 즉시 발효를 공언했던 기존 입장과 달리 4월로 시행이 유예되며 협상을 위한 시간이 생긴 점이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미국 1월 PPI는 이번 주 CPI 발표와 같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지만(+0.4% MoM), 시장 충격을 주지 않은 점에서 차이를 보였습니다. 연준이 관심을 갖는 PCE 물가 세부 항목인 서비스 중심으로 하락세를 시현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이에 KOSPI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작년 10월 30일 이후 처음으로 장중 2,600p를 터치하기도 했습니다. 외국인은 어제에 이어 현물 순매도&선물 순매수를 통해 대형주 중심 바스켓 매수로 대응했습니다.

KOSDAQ 제약바이오·로봇 강세

KOSDAQ은 에코프로 형제 부진(에코프로 -1.9%, BM -2.4%)에도 불구하고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알테오젠 +6.3%, HLB +9.4%)·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5.9% 장중 신고가) 종목이 강세를 보이며 KOSPI를 아웃퍼폼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시총(7.80조원)이 재차 에코프로 시총(8.08조원)에 근접하면서 지각 변동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알렸습니다.
#특징업종: 1)CXL: 삼성전자(+0.4%)·SK하이닉스(+0.7%), CXL 반도체 양산 임박 소식(티엘비 +30.0%, 코리아써키트 +24.5%) 2)보험: 삼성생명(+7.3%), 삼성화재(+9.3%) 자회사 편입 신청 3)원전: HD한국조선해양(-4.7%), SMR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모델 공개(두산에너빌리티 +12.4%)

과열됐던 산업재의 냉각

조선(미국 군함의 해외 건조를 금지한 번스-톨리프슨 수정법 보완)·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실적+600억원 방산펀드 조성) 등 호재로 이번 주 과열을 보였던 산업재가 순환매 과정에서 열기를 식혔습니다(HD현대중공업 -8.6%, LS ELECTRIC -8.2% 등). 한화 그룹주의 경우도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며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오늘은 흥분이 진정되며 종목별로 엇갈렸습니다(한화에어로 +3.3%, 한화오션 +0.5%, 한화갤러리아 -3.3%, 한화생명 -1.9% 등).
#주요일정: 1)EU 4Q GDP(19:00) 2)美 1월 소매판매(22:30) 3)日 4Q GDP(17일 08:50) 4)두산에너빌리티·대한해운 등 실적 발표(17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904
위 내용은 2025년 2월 14일 16시 5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Feb, 02:19


마켓레이더(2월 1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어느덧 2,600p를 바라보는 KOSPI』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4% 상승한 2,592p. 둔화된 생산자물가와 관세 우려 또 완화되며 주식시장 상승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①둔화된 생산자 물가 확인 ②트럼프 상호 관세 적용 연기 영향에 금리↓달러↓주식시장↑
:미국 1월 생산자 물가 전월 대비 +0.4%. 전월(0.5%)보다 둔화. 달러인덱스, 10년물 국채금리 하락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각서 서명. 다만, ①시기가 4/1로 유예된 점 ②행정명령이 아닌 각서 형식인점 주목

- KOSPI는 이번주 외국인 선물 수급 지속 유입. 금리, 환율 진정세에 4거래일 연속 상승. 원전주, 금융업종 강세
:외국인 오전 선물 2,400계약 이상 순매수. 달러 하락에 원/달러 환율도 1,440원대로 진정세
:업종은 금융, 기계(원전), 통신 상승. 방산, 조선, 원전, 금융지주 52주 신고가 종목 다수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하락. 종전에 대한 수혜 기대감 과도하다는 우려. HD현대건설기계 장중 5% 이상↓
:한화오션, 에버그린으로부터 2.5조 규모 초대형 선박 수주. HD현대중공업도 대형 수주 기대
:금융)삼성생명,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 신청. 금융주 24년 호실적 다수. 주주환원 및 배당 기대감
:KOSPI 12개월 선행 PER 9.1배, 후행 PBR 0.93배(전일 종가기준, LSEG)로 고평가 영역은 아닌 상황
:관세 우려 지속 완화, 금주 가지표도 완만히 통과. 호실적 수출주 및 주도주 강세 지속

KOSDAQ은 0.6% 상승한 754p. 금리 반락에 성장주 강세 보이며 750p 돌파. 실적 영향력 지속
- 제약바이오 업종, 금리 하락에 재차 반등. HLB(+6.7%), 알테오젠(+2.6%) 등 외국인 수급 유입에 강세
:미용기기(휴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 경신), 온디바이스AI(정부, K온디바이스 AI반도체 사업 지원)
:신규상장(오름테라퓨틱 금일 신규 상장, +20.5%), 로봇(구글,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투자) 강세

원/달러 환율은 러-우 전쟁 종전 기대 및 미뤄진 미국 상호 관세 발효 영향에 3.0원 하락한 1,443.6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6%, 대만(가권) -0.9%, 홍콩(항셍) +1.8%, 중국(상해) 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95
위 내용은 2025년 2월 14일 11시 1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Feb, 22:58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중국 회복 기대와 동행할 엔터』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간 Review: 관세 민감도 둔화 가운데 레거시 반도체 회복 기류
- 차주 Preview: 실적 시즌 막바지, 안심할 수 없는 Trump 행보
- Market Insight: 중국 회복 기대와 동행할 엔터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86
위 내용은 2025년 2월 14일 7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Feb, 22:44


『아직도 빅테크만 해? 새로운 주도주 B2C 테마 주목』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지수는 박스권인데, 신고가 경신하는 종목들은 늘어나고 있다?
- 빅테크에서의 확산을 지지하는 B2B → B2C S/W 흐름, 배경은 “초개인화”
- “개인 맞춤화” 수혜 B2C 테마: 영리 교육, 경험 소비, AI 응용 + IT 컨설팅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77
위 내용은 2025년 2월 14일 7시 3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Feb, 07:2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13일
『미국 발 3대 이슈 소화 - CPI·관세·종전』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83.17 (+1.36%), 코스닥 749.28 (+0.55%)

CPI 쇼크에 놀란 시장 진정되며 강세 지속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4%, 0.6% 상승했습니다. 간밤 미국 1월 CPI는 서프라이즈가 나오면서(Headline +0.5% MoM, Core +0.4%) 시장에 하방 충격이 나타났습니다. WSJ 기자이자 연준의 비공식 대변인인 Nick Timiraos는 1월 물가가 강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면서도 중반까지 추가적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지 않음을 시사했습니다. 다만 물가가 튀면서 적극적인 관세 정책에 대한 의구심이 든 점은 관세의 현실화 가능성을 낮추며 위험자산 선호 회복을 야기했습니다. 한국도 악재보단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 등 호재에 민감한 모습이었습니다. 외국인이 선물 8,428계약 대량 순매수했고 KOSPI 거래대금은 16.8조원으로 연내 최고치였습니다. 자동차, 반도체, 2차전지, 화학 등 대형주 위주 상승했습니다.

상호 관세 우려를 비껴간 자동차·헬스케어

미국은 오늘이나 내일 중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Trump는 협상 없이 즉시 발효를 공언한 바 있는데, 간밤 Mike Johnson 미국 하원의장은 자동차 및 의약품을 포함한 4개 분야에서 상호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국내도 미국 익스포저가 높은 만큼 오늘 현대차(+5.3%)·기아(+2.8%)·삼성바이오(+1.9%) 등 대형주 강세였습니다.
#특징업종: 1)우크라 재건: 트럼프의 푸틴/젤렌스키 통화에 종전 협상 개시 기대감(HD현대건설기계 +9.5%, 현대건설 +4.5%) 2)창투사: Meta, AI 설계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DSC인베스트먼트 +18.5%, TS인베스트먼트 +0.5%)3)한화:한화비전+30%,한화생명 +7.6%

임박해오는 러-우 전쟁의 마지막

간밤 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이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대통령과 회담했습니다. 미국의 군사 지원을 대가로 희토류 등 자원을 얻으려는 것으로 미국 우선주의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줬습니다. 한편 전쟁 직전인 2022년 2월 이후 3년 만에 미국-러시아 정상 간 통화도 성사됐습니다. Trump가 당선 전부터 러-우 전쟁의 종식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던 만큼 종전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고, 관련 테마 변동성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일정: 1)EU 12월 산업생산(19:00) 2)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美 1월 PPI(22:30) 3)美 30년물 국채 입찰(14일 03:00) 4)Applied Materials·Palo Alto Networks 실적 발표 5)韓 1월 실업률(14일 08:00) 6)LIG넥스원·씨앤씨인터내셔널 실적 발표(14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60
위 내용은 2025년 2월 13일 16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Feb, 06:39


『ESG; 밸류업 3가지 키워드: 상법 개정, 행동주의 그리고 기업 혁신』 
퀀트 이정빈 / 박우열 / 이민재 02-3772-2919

- 숫자로 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한국의 지배구조 개선 움직임
- 밸류업 상법 개정과 투자 아이디어: 이사의 충실의무와 행동주의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 밸류업의 본질, 증시 고평가의 기반은 기업 혁신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56
위 내용은 2025년 2월 13일 15시 1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Feb, 02:13


마켓레이더(2월 1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예상치 상회한 CPI를 만회한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0% 상승한 2,573p. 예상치 상회한 소비자물가에도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에 관련주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파월 청문회 소화. 통화정책 지연시사. 소비자물가 발표 앞둔 시장 관망세 속 혼조 마감
:미국 1월 소비자물가 전월 대비 0.5% 상승, 전년 대비 3.0% 상승. 핵심 소비자물가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3.3% 올라 예상치 상회하며 물가 상승 압력 재확대. 10년물 국채금리 4.6% 상회, 달러인덱스↑
:①파월, 하원 청문회에서 PCE가 중요하다 언급(선반영). ②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통화, 전쟁 종전 기대
:상기 두가지 사유에 주식시장 우려 완화, 낙폭 축소. 테슬라 애플 등 빅테크 매수세 유입 속 혼조 마감

- KOSPI는 외국인 선물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폭 확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기대감에 재건주, 화학주 상승
:외국인 오전 선물 4,700계약 이상 순매수. 소비자물가 예상치 상회했으나 주식시장 영향력 미미
:건설, 기계, 철강 등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업종 상승. 조선, 자동차, 화학 업종도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트럼프의 푸틴/젤렌스키 통화에 종전 협상 개시 기대감. 전진건설로봇 후진 없는 전진
:K-농기계)대동, 24년 북미 트랙터 시장 점유율 8.7%. 미국 수출에 TYM 등 우크라이나 재건 모멘텀까지
:LS일렉트릭, 미국시장 진출 기대감. 데이터센터향 전력 인프라 공급. 미 4대 빅테크와 협력중이라는 보도
:삼성전자, 이번주 외국인 3거래일 연속 대량 순매수. 레거시 반등 기대감과 파운드리 셧다운 해제 소식
:자동차) 트럼프 상호관세 조치에서 자동차 및 의약품 제외 가능성(공화당, 존슨 하원의장). 업종 상승
:화학)롯데케미칼 장중 10%이상 상승. 종전 기대감에 WTI 71달러(유가하락). 유가하락 →마진 개선 기대감
:예상치 상회한 소비자물가에도 악재보다 호재에 민감한 주식시장. 관세 우려 완화와 한국 업종별 모멘텀 지속 발생. 1분기 실적도 강달러 영향에 나쁘지 않을 전망. 호실적 수출주 및 주도주 강세 지속

KOSDAQ은 0.3% 상승한 747p. 소비자물가 시장 예상치 상회에도 자동차 상호관세 제외 기대에 강세
- 트럼프 행정부 자동차·의약품 상호 관세 부과 제외 기대에 2차전지 강세. 금리 부담에 제약바이오는 약세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의 전화 통화. 우크라전쟁 종전 협상 시작 합의 소식에 우크라 재건 테마 강세
:반도체소부장(K칩스법 국회 통과 기대) 강세, SOOP(실적 컨센서스 부합에도 트래픽 감소세 관찰) 약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월 CPI 컨센 상회에도 러-우 종전 기대에 상승폭 축소. 2.5원 하락한 1,453.5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2%, 대만(가권) +0.2%, 홍콩(항셍) +0.8%,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50
위 내용은 2025년 2월 13일 11시 1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Feb, 22:39


『국내주식전략; 혼란의 K칩스법, 소부장을 부탁해!』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노동길 02-3772-4455
 
-급물살을 탄 K칩스법, 2월내 통과 가능성 커져 
-여전히 지지부진한 반도체 소부장 주가, K칩스법에서 되찾은 기대감
-밸류에이션 매력 유효. K칩스법 통과시 장비주 상대적 매력 부각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40
위 내용은 2025년 2월 13일 0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Feb, 08:0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12일
『조선·방산이 이끈 KOSPI 속등』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48.39 (+0.37%), 코스닥 745.18 (-0.59%)

조선·방산·전력기기 강세 Vs. 로봇 차익실현

금일 KOSPI, KOSDAQ 각각 +0.4%, -0.6% 등락했습니다. 간밤 Powell 의장의 의회 증언에서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대한 입장을 재차 확인하면서 국내도 하락 출발했지만 산업재 강세에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KOSPI 지수기여도 상위 10개 모두 조선·방산 종목이었습니다. 조선(HD현대중공업 +15.4%, 한화오션 +15.2% 등)은 번스-톨리프슨 수정법 개정 기대감, 방산(한화시스템 +29.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4%)도 600억 규모 펀드 조성 소식에 강세였습니다. 특히 앞서 네 종목은 최근 밸류에이션 부담 논란에도 불구하고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반면KOSDAQ은 단기 급등 보였던 로봇주(레인보우로보틱스 -6.5%, 하이젠알앤엠 -11.0% 등)에서 차익실현 매도세 나오며 약보합에 그쳤습니다.

산업재 강세에 한화 그룹주 약진

국내 10대 그룹사 가운데 작년 시총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은 HD현대(+127.5%)였고 2위는 한화(+36.5%)였습니다. HD현대 그룹은 조선·전력기기에 집중돼있고, 한화는 조선·방산 외에도 금융 등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는 한화가 1등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오늘 하루에만 한화 그룹주 시총은 10%나 증가했습니다.
#특징업종: 1)창투사: Meta, AI 설계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DSC인베스트먼트·TS인베스트먼트 등 상한가) 2)엔터: 중국 한한령 완화 및 호실적 기대 지속(하이브 +1.8%, JYP Ent. +0.1% 신고가) 3)전력기기: LS ELECTRIC(+12.0%), 미국 데이터센터 수주 임박

대체거래소(ATS) 거래 종목 공개

내달 4일 출범 예정인 대체거래소(ATS)에서 거래 예정인 종목 리스트가 공개됐습니다. 첫 주는 유동성·저변동성 등을 고려해 선정한 10개 종목(KS 롯데쇼핑·제일기획·코오롱인더·LG유플러스·S-Oil 5종목, KQ 골프존·동국제약·에스에프아이·와이지엔터·컴투스 5종목) 대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순차적으로 거래 가능 종목이 확대될 예정입니다(2주차 110개 → 3주차 410개 → 4주차 800개). ATS 출범 시 프리마켓(08:00~08:50) 및 애프터마켓(15:30~20:00)으로 거래 시간이 12시간으로 늘어납니다.
#주요일정: 1)美 1월 CPI(22:30) 2)美 EIA 원유 재고(24:30) 3)美 Fed Bostic 연설(13일 02:00) 4)日 1월 PPI(13일 08:50) 5)두산로보틱스·카카오·클래시스·한국금융지주 등 실적 발표(13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826
위 내용은 2025년 2월 12일 16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Feb, 03:41


마켓레이더(2월 1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미 소비자물가 발표의 날에도 진격하는 산업재(조선, 기계, 방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상승한 2,543p. 소비자물가 대기 심리에 외국인 순매도. 산업재 오늘도 여러 호재에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파월 청문회 소화. 통화정책 지연시사. 소비자물가 발표 앞둔 시장 관망세 속 혼조 마감
:파월 의장, 금리 인하 서두르지 않겠다, 현재 물가 수준 다소 높다 발언. 경제 상황에 대해선 자신감 有
:테슬라(-6.3%), 중국& 유럽 전월 판매량 모두 감소했다는 소식과 머스크의 Open AI 인수 시도에 하락

- KOSPI도 미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관망세 속 강보합. (조선, 방산, 기계) 산업재 여러 호재 추가 발생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전환. 오전 현물 700억원 선물 2,500계약 이상 순매도. 소비자물가 경계감
:모멘텀 좋던 음식료(삼양식품), 엔터(하이브), 산업재(조선주), 금융(메리츠, NH) 52주 신고가 재차 경신
:방산)정부, 방산펀드 조성. 수출 유망 벤처기업에 집중 투자(연 200억). K9 이집트 사업도 진행 무리없음
:조선) 미 상원에서 동맹국서 미 해군 선박 부품 건조 허용 법안 발의. 한국에서 미 해군 함정 건조 기대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올해 필리조선소 흑자 전환 기대 및 실적 연결 반영에 상승폭 확대
:크래프톤, 호실적에도 성장 둔화 전망에 하락. 높아진 과금 피로도와 실적 기저로 밸류 확장 어렵다는 평
:파월 연설에서 물가 수준 높다 발언. 통화 정책 지연 우려에 현재 페드워치 기준 3월 금리인하 확률 4%.
연내 금리 추가 인하 시점 빨라질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금일 발표 소비자물가 둔화 여부 확인

KOSDAQ은 0.4% 하락한 746p.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대기 심리에 횡보. 개별 이슈에 따른 종목 장세
- 비상 계엄 이후 꾸준히 증가해온 KOSDAQ 신용잔고, 지난 11월 중순 이후 처음으로 7.2조 돌파
:메타의 퓨리오사AI 인수 추진 소식에 포바이포,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등 관련주 상한가
:신규 상장(금일 신규 상장한 아이에스티이 +92.1%), 올릭스(일라이릴리 기술 수출에 연일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대기 심리에 1,450원대에서 횡보. 1.4원 하락한 1,450.8원
아시아 증시 보합. 일본(니케이) +0.3%, 대만(가권) +0.5%, 홍콩(항셍) +0.8%,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18
위 내용은 2025년 2월 12일 11시 1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1 Feb, 23:46


『신한 속보; MSCI 2월 리뷰 발표』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2월 12일(한국 시간) MSCI 2월 리뷰 발표. 2월 28일 종가 부근에서 리밸런싱 진행 예정. 지수 발효일은 3월 3일
- 편입 종목 부재. 편출 종목은 삼성E&A, 엘앤에프, GS, 금호석유, 엔켐, 한미약품, 넷마블, SK바이오사이언스, 롯데케미칼, 포스코DX, LG화학우 등 11개 종목
- 편출 종목군, 리밸런싱일 60거래일 이전부터 당일까지 하락 패턴 반복. 비중 축소 통한 리스크 최소화 선호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811
위 내용은 2025년 2월 12일 8시 4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1 Feb, 07:48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11일
『관세 민감도 둔화 속 산업재 강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39.05 (+0.71%), 코스닥 749.59 (-0.01%)

Trump 관세에도 시장 충격은 제한적

금일 KOSPI, KOSDAQ 각각 +0.7%, -0.0% 등락했습니다. 간밤 중국의 대미국 보복 관세 발효 및 미국이 수입하는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공식 발표됐습니다. 다만 3월 12일 발효라는 점에서 협상을 위한 기간이 충분하고, 시장의 관세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 둔화에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한편 반도체·자동차 산업도 관세 부과 검토 리스트에 오르면서 한국도 영향권에 점차 들어오고 있습니다. 반도체(삼성전자 +0.2%, SK하이닉스 +0.8%)의 주가는 방어되는 가운데 OpenAI가 자체 칩을 TSMC 파운드리에 제작 의뢰한다는 소식(Reuters)은 다소 아쉬웠습니다. 다만 최근 Sam Altman과 이재용 회장이 회동하는 등 국내 기업의 협력 확대 과정에서 물량의 일부를 가져올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방산·조선 등 산업재 강세

전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실적 발표 이후 방산 투심이 고조됐습니다. 고환율로 우호적인 수출 환경이 조성된 가운데 한국의 방산 수요도 견조했던 영향입니다(LIG넥스원 +5.5% 등). 어제 LNG 벙커링선 수주에도 하락했던 HD한국조선해양(+1.4%)·HJ중공업(+4.1%)도 반등했습니다.
#특징업종: 1)엔터: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감+Trump 관세 영향 제한 및 에스엠(+2.9%) 실적 서프라이즈 등(하이브 +3.2%, JYP Ent. +6.1% 등 신고가) 2)유리기판: 삼성전자 유리기판 진출 소식 이후 종목별 순환매(HB테크놀러지 +10.7%, 필옵틱스 +3.2%) 3)양자: 과기부, 올해 양자과학기술 예산 전년비 54.1% 증가한 1,980억원 편성(에이엘티 +19.3%)

한화 그룹 사업 재편 구도

오늘 주목할 만한 그룹은 한화였습니다. 어제 놀라운 실적 서프라이즈를 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20.6% 신고가, 4Q 영업이익 8,513억원 Vs. 예상 5,261억원)는 이사회를 통해 한화임팩트파트너스와 한화에너지가 보유한 한화오션(+9.0% 신고가) 지분 7.3%를 매입하기로 결의했습니다. 한화(+7.3% 신고가) 그룹의 승계와 사업재편 과정에서 김동관 부회장의 방산 분야 강화와 함께 조선·해양까지 영향력이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일정: 1)美 1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20:00) 2)美 Fed Powell 증언(24:00) 3)美 Fed Hammack·Bowman·Williams 연설 4)美 Coca –cola 실적 발표 5)SK텔레콤·삼성화재·씨에스윈드 실적 발표(12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781
위 내용은 2025년 2월 11일 16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1 Feb, 02:17


마켓레이더(2월 1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주도하는 자와 반등하는 자』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5% 상승한 2,535p. 미 반도체 상승에 한국 반도체도 굳건한 가운데 산업재 강세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전일 경제지표 영향에 하락했으나 반발매수세 유입. 반도체 업종 중심 상승
:취업자, 소비자심리지수 모두 주식시장에 악재였으나 관세 불안 완화, 1월 기대인플레 3%로 보합에 반등
:내일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시장금리 제한된 움직임. 엔비디아(+2.9%), 마이크론(+3.9%) 등 반도체 ↑
: TSMC 등 대만 반도체 1월 실적 호조. 1월 매출 약 13조원(2932억 대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9%

- KOSPI도 트럼프의 관세 공포에서 어느정도 벗어나는 모습. 삼성전자 전일 상승분 미반납. 조선, 방산 강세
:트럼프, 상호관세 이틀내 발표. 자동차/반도체/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는 보도. 주식시장 영향력 미미
:오전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외국인 선물 매수 규모 확대. 2거래일 연속 순매수. 금일 오전 +4,500계약
:피팅/조선, 양자, 유리기판, 엔터, 인터넷/게임 테마 강세. 화장품, 음식료, 2차전지, 금융 약세
:삼성전자 전일 오후 외국인 대량 매집 3.5% 상승. 오늘도 외국인 2일 연속 순매수(최근 6일중 4일 순매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상 최대 실적(영업이익 예상치 +68% 상회) 및 한화오션 지분 매입 공시
:방산)폴란드로의 방산 수출 증가, 환율 수혜, 반복 생산에 따른 이익 극대화. 호수출+호실적+강달러 수혜
:조선) 산업통산자원부 K-조선 초격차 확보에 2,600억원 투입 예정 발표. 호실적에 정책까지 뒷받침
:금주 주요 기업 실적과 함께 미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등 둔화 여부 확인 필요(2P참고)

KOSDAQ은 0.5% 상승한 753p. 관세 노이즈에도 호실적 보인 업종 중심으로 강세. 6거래일 연속 상승
- 미용기기·엔터·게임·우주항공 업종, 대표주(에이피알·에스엠·펄어비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실적에 강세
:유리기판(삼성전자 유리기판 진출 수혜 기대), 올릭스(일라이릴리와의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연일 상한가)
:SOOP(분식 회계 의혹에 약세), 중소형 로봇(유일로보틱스 등 중소형 로봇 테마 차익 매물 출회에 반락)

원/달러 환율은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대기 심리에 1,450원대에서 횡보. 2.3원 상승한 1,453.6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0.8%,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67
위 내용은 2025년 2월 11일 11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0 Feb, 22:39


『국내주식전략; 관세의 추억(2018年作)』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트럼프 상호관세는 보편관세 가능성 낮추고 FTA 국가 관세 예봉 피할 기회
-2018년 관세는 상품 교역 내 헬스케어, 에너지, 통신장비에 차별적 영향력
-국내 투자자에도 관세 잡음 구간에서 서비스(소프트웨어, 미디어컨텐츠) 대안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54
위 내용은 2025년 2월 10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0 Feb, 07:3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10일
『삼성전자의 반격』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1.27 (-0.03%), 코스닥 749.67 (+0.91%)

삼성전자 시장 수급 흡수하며 지수 방어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0%, +0.9% 등락했습니다. KOSPI는 약보합 마감했지만, 삼성전자(+3.5%)가 지수를 +14.5p 끌어올린 점에서 삼성전자가 수급을 흡수하며 시장을 지탱했습니다. 검찰이 이재용 회장에 대해 상고를 결정하자 삼성 쇄신안이 연기된 점 등은 불확실성으로 작용했지만 1·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던 만큼 영향은 제한됐습니다. 오히려 Stargate 참여+빅테크 ASIC 반도체 HBM 공급+S25 국내·인도 등 판매 호조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반대로 SK하이닉스(-2.4%)·한미반도체(-6.0%) 등 기존 HBM 관련주 약세였고, 조선(한화오션 -6.1%, HD현대중공업 -3.2%)·전력기기(HD현대일렉트릭 -3.2%, LS ELECTRIC -4.1%) 등 외국인 차익 매물 출회 업종 중심 부진했습니다.

중국과의 해빙 분위기

지난 금요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시진핑 주석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회담 결과 1)올 가을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이 참석해 11년 만에 방한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여기에 2)양국 문화 콘텐츠 교류 확산에 대한 공감대 형성되며 엔터주 투심 호재를 이끌었고, 3)공급망·첨단산업 협력 논의도 오간 만큼 국내에도 우호적이었습니다.
#특징업종: 1)로봇: DeepSeek 로봇 서비스 확장 Vs. Tesla 로봇 양산체제 돌입 소식(씨메스 +6.9%, 클로봇 +2.8% 등 신고가) 2)엔터: 관세 피해 제한 + 한한령 해제 기대감(하이브 +1.5%, JYP Ent. +1.4% 등 신고가), 3)금융: 우리금융지주(+6.0%), 비과세 배당 기대감에 시간차 강세

Trump 관세 이슈

Trump의 통상정책은 이번 주초부터 변동성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주말 간 Trump-시진핑의 협상 부재로 오늘 중국의 대미국 보복 관세가 발효됩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의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도 발표될 예정으로 국내 철강주 약세(대한제강 -3.9%, 동국제강 -3.8%) 및 알루미늄주 강세(조일알미늄 +2.0%, 남선알미늄 +1.1%) 나타났습니다. 또한 Trump는 11~12일 상호관세의 즉시 발효도 예고했기에 경계감은 늦출 수 없지만 실제 부과가 불확실성의 해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월 NYFed 기대인플레이션(11일 01:00) 2)美 McDonald’s·Lowe’s 등 실적 발표 3)韓 한화에어로스페이스·CJ대한통운·엔씨소프트·크래프톤·BGF리테일 등 실적 발표(11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742
위 내용은 2025년 2월 10일 16시 2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0 Feb, 02:37


마켓레이더(2월 1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관세 불안에 익숙해지는 과정 속 주도 테마 등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상승한 2,523p. 트럼프발 관세 우려에도 반발매수세 유입& 지수 하방 견고
- 미국 주식시장은 견조한 고용지표와 트럼프발 관세 우려 확인하며 시장금리 상승, 달러 강세, 주식시장 하락
:비농가취업자 14.3만명 증가, 실업률 4.0%로 하락. 고용 견조 확인. 직전 2개월 수치도 10만명 상향조정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하락(67.8). 기대 인플레 급등. 10년물 국채금리 4.5%, 달러인덱스 108.4p
:트럼프, ①상호 무역에 대한 중대 발표 ②10일부터 수입하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시사

- KOSPI도 관세 우려에 하락 출발 했으나 반발매수세 유입. 하락폭 축소 및 상승 전환. 강보합 흐름
:오전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하나 거래대금은 KP+KQ 합산 10조원 수준으로 강한 수준
:로봇, 엔터, 방산, 산업재(조선, 기계), 우크라 재건 업종 및 테마 강세. 관세 부과 소식에 철강 약세
:로봇)애플, 가정용 로봇 개발 진행 소식. 로봇 테마 끊임 없는 모멘텀. 디아이씨, 테슬라 로봇 생산에 강세
:반도체) NAND 가격 반등 기대감에 2월내 K-칩스법, 반도체 특별법 등 지원 법안 통과 기대감. 소부장↑
:엔터) 우원식 국회의장, 시진핑에 한한령 해제 요구. 경주 APEC에 시진핑 방한 시사. 한한령 해제 기대감
:우크라 재건)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 보도. 14일 뮌헨안보회의 개막. 밴스 부통령 참석 예정
:트럼프 야기한 관세 불확실성? → 진짜 관세 전쟁보단 협상 카드구나(익숙해 지는 과정)라는 인식
:연초 이후 2,500p 하향 돌파에도 KOSPI 반발매수세 지속. 주가 견조. 업종, 종목별 순환매 지속
:금주 주요 기업 실적과 함께 미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등 둔화 중인지 확인 필요(2P참고)

KOSDAQ은 0.7% 상승한 748p. 외국인 매도에 대형주 부진한 가운데 종목 장세 지속. 로봇·엔터 강세
- KOSDAQ, 5거래일 연속 상승. 2차전지 부진에도 로봇, 엔터 등 새로운 테마 강세가 상승세 견인하는 모습
:우원식 국회의장,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회담서 한한령 해제 요청. 양국 문화 교류 확대 기대에 엔터 강세
:로봇 테마, 삼성·SK 등 대기업 진입에 따른 시장 개화 기대에 강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차익실현에 반락

원/달러 환율은 미국 1월 고용 둔화에도 실업률 하락 및 임금 상승률 가속에 1.2원 상승한 1,455.2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0.8%, 홍콩(항셍) +1%,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37
위 내용은 2025년 2월 10일 11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Feb, 07:58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7일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앞둔 숨고르기』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1.92 (-0.58%), 코스닥 742.90 (+0.35%)

KOSPI 지각변동 → 삼성바이오 3위 등극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6%, +0.4% 등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에서도 Amazon(시간외 -4.1%) 실적과 금융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나타났습니다. 중국의 대미국 보복관세도 10일에 발효되는 만큼 주말 간 Trump-시진핑의 협상 여부 및 내용을 두고 관망 심리 짙었습니다. 오늘 주목할 점은 KOSPI 지각변동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6.5%)는 시가총액 82.6조원을 기록해 LG에너지솔루션(-1.8%, 78.6조원)을 제치고 3위로 등극했습니다. KOSDAQ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9.6%, 7.96조원)가 상승세를 이어나가면서 KOSDAQ 시가총액 4위인 에코프로(+0.3%, 7.97조원)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밸류체인이 힘을 잃는 사이 헬스케어·로봇이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DeepSeek와 Trump 관세 사이의 빈틈

최근 업종전략의 변화를 유발한 두 가지 변수는 DeepSeek 모먼트와 Trump의 통상 정책입니다. DeepSeek는 AI S/W의 활용 측면으로 무게 중심 이동을 유발했고, Trump 관세도 수출 주력 제품에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관련해서 서비스업이거나(SW·엔터), 미국과 파트너십으로 일부 전가가 가능한 업종(방산·조선·기계)에 외국인 수급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특징업종: 1)유리기판: 삼성전자 유리기판 시장 진출(필옵틱스 +15.9%) 2)SiC(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 최태원 SK 회장, HBM을 이르 차세대 먹거리로 SiC 웨이퍼를 지목(어보브반도체 +30.0%) 3)동해 가스전: 1차 시추에서 경제성 없다는 결과에 실망매물 출회(한국가스공사 -13.8%)

미국 금융주 강세와 한국 증권주 강세

간밤 미국에서는 금융(+0.9%) 섹터가 가장 강했습니다. 한국은 우리금융지주(-1.5%)가 실적 발표(작년 당기순이익 3조860억원) 및 1,500억원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 공시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보였습니다. 주초 하나금융지주(+0.3%)를 제외하고 KB금융(+1.3%)·신한지주(-1.5%)와 같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한편 증권주는 두각을 드러냈습니다. NH투자증권(+3.7%)·한국금융지주(+1.4%)는 신고가를 경신했고, 1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공시한 교보증권(+8.7%)도 신고가였습니다.
#주요일정: 1) 美 1월 고용보고서(22:30) 2) 美 2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기대인플레이션(24:00) 3) 연준 Bowman·Kugler 연설 4) 中 1월 CPI·PPI(9일 10:30) 5) CJ제일제당·에스엠·에이피알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700
위 내용은 2025년 2월 7일 16시 5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Feb, 02:32


마켓레이더(2월 67,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미 고용보고서 대기하며 숨고르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하락한 2,531p.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고용보고서 관망심리 부각
- 주식시장은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고용보고서 경계감 속 관망세 불거지며 강보합 마감
:BOE 만장일치 금리 인하 후 달러 강세였으나 고용 경계감과 엔화 강세(금리 인상 우려)에 상승폭 축소

- 특별한 이슈 부재한 KOSPI도 뚜렷한 상승 동력, 순매수 주체 부재하며 약보합. 호실적 종목 장세
:오전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기계(방산),인터넷, 증권 업종 상승.종목/업종 장세 이어지며 실적 중요성↑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실패. 경제성 없다는 시추 결과 발표에 10% 이상 낙폭 확대(정부 지속 추진 시사)
:방산)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방산 수출 분야에서 수상, 잠수함으로 나눠서 원팀 협력 기대(시너지 효과)
:NAVER, 24년 연매출 10.7조(국내 인터넷기업 중 최초 10조 돌파), 영업이익 1.97조원. 장중 52주 신고가
:더존비즈온, 연 매출 4천억원 돌파(창사 이래 최초) 24년 매출 4,023억원 영업이익 881억원. AI SW 강세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엔솔 넘어 시총 3위. 외국인, 기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분식회계 사건 무죄 여파
:실적 영향력 지속. NAVER, 더존비즈온 등 호실적 종목 상승하며 소속 업종에 온기 불어 넣는 흐름
:미 고용보고서 경계감 지속. 한미 기업 실적에 따른 주가 영향력 확대. 업종, 종목별 모멘텀 확인 필요

KOSDAQ은 0.1% 하락한 739p. 고용보고서 대기 심리에 횡보. 주도 업종 부재에 종목 장세 시현
- 순환매 양상 보이며 SOOP, 하이젠알앤엠, 삼천당제약 등 단기 속등 종목 차익실현 매물 출회에 하락
:유리기판(삼성전자, 유리기판 시장 진출 소식), 스마트카(HL만도 호실적에 스마트카 관련 테마주 강세)
:화장품(아모레퍼시픽, 양호한 실적에도 주가 약세 보이며 동반 약세), 피팅/밸브(대왕고래 경제성 미달)

원/달러 환율은 1월 고용보고서 대기 심리에 크게 변동 없는 모습. 0.1원 상승한 1,447.6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3%,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683
위 내용은 2025년 2월 7일 11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Feb, 22:52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ISA·연금저축 전략 변화가 필요하다』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간 Review: 우려보다 덜한 통상마찰에 안도 랠리
- 차주 Preview: 지정학적 이슈가 포진한 한 주
- Market Insight: ISA·연금저축 전략 변화가 필요하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664
위 내용은 2025년 2월 7일 7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Feb, 22:43


『글로벌 주식전략; 엔비디아 주도주 대열 이탈에 대한 탑-다운 관점의 해석』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딥시크/관세 우려 속에 엔비디아가 겪은 주가 하락, 일견 과도해보이나 
- ‘주도주로서’ 엔비디아의 성장이 더 이상 특별하지 않다는 점이 진정한 도전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654
위 내용은 2025년 2월 7일 7시 4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Feb, 07:5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6일
『우호적 환경 지속에 2,500p 안착 시도』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36.75 (+1.10%), 코스닥 740.32 (+1.28%)

외국인 수급과 함께 3거래일 연속 상승

금일 KOSPI, KOSDAQ 각각 1.1%, 1.3% 상승했습니다. 간밤 시장금리 진정에 더해 반도체주 강세(SOX +2.3%) 등이 우호적으로 작용했습니다. Alphabet(-6.9%) 실적 발표에서 클라우드 등 매출은 기대를 하회했지만 CapEx 의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Nvidia(+5.2%)·Broadcom(+4.3%) 등 강세였고, 국내도 삼성전자(+2.1%)·SK하이닉스(+2.4%)가 오랜만에 KOSPI 지수기여 1·2위를 차지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현대로템(+17.0%)·삼양식품(+14.9%)·더존비즈온(+17.7%) 등 호실적 종목들도 수급이 몰리면서 시장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한편 은행주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하나금융지주(-0.7%) 실적 발표 이후 주주환원 모멘텀이 이어지지 못하면서 전날 KB금융(-6.7%)에 이어 신한지주(-1.4%)도 부진했습니다.

대왕고래, CCUS 등 에너지 이슈

산업부는 동해 가스전 1차 시추 결과 대왕고래 유망구조에서 경제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가스공사(-1.5%)와 함께 피팅/밸브(화성밸브 +1.9% 등) 실망 매물 출회가 예상됩니다. 한편 내일부터 탄소중립의 핵심 기술인 CCUS 관련 ‘이산화탄소저장활용법’이 시행됩니다. Trump 정부의 화석연료 촉진 정책과 맞물려 관심이 유효합니다.
#특징업종: 1)유리기판: 삼성전자, 유리기판 직접 제조 추진(필옵틱스 +25.0%, HB테크놀러지 +14.6%) 2)K푸드: 불닭볶음면 수출 호조(삼양식품, 에스앤디+29.8%) 3)우크라 재건: Trump, 다음 주 중에 러-우 전쟁 종전 구상 제시 소식(전진건설로봇 +12.4%, SG +8.8%)

아직 이어지는 DeepSeek 여파

DeepSeek가 초래한 주식시장 충격은 어느 정도 소화됐지만 여파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호주·대만 등 국가에서 DeepSeek의 보안 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해 이용에 제한을 가하고 있고, 국내도 유사합니다. 다수의 부처·기업에서는 DeepSeek 접속을 차단했고 과기부 등은 간담회를 통해 Sovereign AI(주권 AI) 개발 필요성을 논의했습니다. CrowdStrike(+2.4%) 등이 역사적 신고가를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도 사이버 보안주(모니터랩 +12.8%, 샌즈랩 +2.2% 등)는 SW 강세 테마 속에서 부각되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Fed Waller·Daly 연설 3)Amazon·Ely Lilly·AstraZeneca 등 실적 발표 4)우리금융지주·NAVER·F&F·한화시스템·CJ CGV 등 실적 발표(6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636
위 내용은 2025년 2월 6일 16시 5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Feb, 02:20


마켓레이더(2월 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트럼프만 생각하다 실적 중요성 잊진 말자』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7% 상승한 2,526p.금리•달러 약세에 아시아 주식시장 훈풍. 삼양식품 등 호실적 종목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관세 전쟁 우려 완화에 상승. 멕시코, 캐나다 협상 완료. 중국은 실제 부과에도 협상 기대감
:ISM 서비스업지수 52.8로 예상치(54.3) 하회 및 둔화. 10년물 국채금리 4.4%, 달러인덱스 107p로 하락
:알파벳 예상치 부합 실적, 25년 공격적 CapEx 투자 계획 발표에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AI 관련주 상승
:트럼프 취임 후 국채 발행 확대 우려 있었으나 베센트 재무장관, 4월까지 국채 발행 규모 유지(금리↓요인)

- KOSPI는 금리/달러 하락하며 상승. 호실적 발표한 음식료, 바이오 업종 등 강세. 산업재 주도 재개
:오전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미 시장금리, 달러인덱스 하락에 원/달러 환율은 1,450원 하회
:실적 영향력 지속. 삼양식품, SK바이오팜 등 호실적 종목 상승하며 소속 업종에 온기 불어 넣는 흐름
:전일 잠깐 쉬어갔던 조선, 우주/방산, 기계 등 산업재는 재차 상승. 조정 시 비중 확대하는 흐름(저가매수)
:삼양식품, 24년 매출 1.7조원 영업이익 3,442억원으로 전년대비 45%, 133% 폭증. 수출 호조 지속
:SK바이오팜, 사상 최대 연간 흑자 달성. 연매출 5,476억 영업이익 963억원. 실적 발표 지속 확인 필요
:우크라 재건)범양건영, 삼부토건 등 상승. 러우 전쟁 트럼프 특사, 우크라 종전 위한 청사진 발표 시사
:의료AI)셀트리온, AI 신약개발 전담팀 구성. AI모멘텀에 제약/바이오 업종도 협업 움직임 지속, 테마 강세
:전일 중국향 민감주, 2차전지 순환매 있었으나 재차 하락. 주도 업종 강세 지속. 미 고용보고서 및 한미 기업 실적에 따른 주가 영향력 확대. 업종, 종목별 모멘텀 확인 필요

KOSDAQ은 0.7% 상승한 736p. 금리 부담 완화에 KOSPI 대비 아웃퍼폼. 3거래일 연속 상승세
- 제약바이오, 금리 안정에 다시 상승 추세. 에이비엘바이오, 임상 성과 기대감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
:의료AI(뷰노, 실적 예상치 하회에도 주가 바닥 인식), K-뷰티(삼양식품 호실적에 수출주 투자심리 개선)
:반도체 소부장(구글 CapEx 가이던스 예상치 상회), 인터넷방송(후원경제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강세

원/달러 환율은 ISM 서비스업지수 시장 예상치 하회에 1,450원선 하회. 2원 상승한 1,445.9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4%,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4%,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628
위 내용은 2025년 2월 6일 11시 1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Feb, 07:1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5일
『통상마찰 우려 덜며 2,500p 회복』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09.27 (+1.11%), 코스닥 730.98 (+1.54%)

Trump-시진핑 협상 지연에도 이어진 기대감

KOSPI, KOSDAQ은 각각 1.1%, 1.5% 상승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은 Trump-시진핑 간 협상 기대감이 반영되며 3대 지수 모두 올랐습니다. 미중이 서로 관세를 부과했지만 1)중국의 보복 강도가 크지 않았고(관세 부과 품목 제한+Google 사실상 중국 사업 철수+10일부터 발효), 2)최근 캐나다·멕시코 사례에서 관세가 협상용 카드로 확인된 점에 충격이 제한됐습니다. JOLTs 구인건수(760만건)도 14개월래 가장 큰 폭 감소하면서 장기 국채수익률이 진정된 점도 우호적이었습니다. 삼성전자(+0.4%)·SK하이닉스(+4.0%) 강세 이어나가며 KOSPI 2,500p 회복했지만 Trump가시진핑과의 통화를 서두르지 않겠다며 테이블 외 협상을 해나가는 점과, 홍콩에도 10% 관세가 예고된 점은 불편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도 인터넷·SW 테마에 탑승

최근 미국 SW 강세와 함께 국내 인터넷·SW 종목들도 주가가 반응하고 있습니다. NAVER(+4.8%)는 이해진 창업자가 7년 만에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다는 소식과 함께 신고가를 경신했고, SOOP(+27.3%)도 꾸준한 후원경제 성장 기대감에 강세였습니다. Sam Altman과 회동한 카카오(+5.6%)는 DeepSeek 사용 금지 등 OpenAI와의 결속을 강화 중입니다.
#특징업종: 1)로봇: Sam Altman 방한 및 로봇 관련 협업 기대감(레인보우로보틱스 +9.1%, 클로봇 상한가), 2)카카오그룹: OpenAI와 전략적 제휴+뱅크(+7.3%) 최대 순이익+페이(+9.2%) 흑자전환 기대 3)공모주: 올해 첫 대형 공모주인 LG CNS(-9.9%), 상장 첫 날 약세

정부, 첨단산업 지원 기금 조성 계획

중국 DeepSeek가 추론 모형 R1을 공개하고, OpenAI의 Sam Altman이 한국을 방문해 협력을 모색하는 등 미중 AI 패권 경쟁의 본격화 가운데 정부는 오늘 최소 34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가칭)’ 신설 계획을 밝혔습니다. 배터리·바이오 등 첨단산업 대상 지원에 더해, AI 관련해서도 이번 달 중 ‘국가AI위원회’의 조속한 개최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반도체, 배터리(LGES +3.6%, 에코프로비엠 +2.7%) 및 헬스케어(삼성바이오 +1.2%, 삼천당제약 +21.7%) 등 투심 개선되는 모습이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월 ISM 서비스업지수(24:00) 2)美 EIA 원유재고(24:30) 3)Qualcomm·Arm·Walt Disney·Uber 실적 발표 3)Fed Goolsbee·Bowman 연설 4)신한지주·아모레퍼시픽·JB금융지주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96
위 내용은 2025년 2월 5일 16시 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Feb, 02:30


마켓레이더(2월 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전일 우려 만회 네카오 동반 상승』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0% 상승한 2,506p. 전일 오후 불거진 중국 관세 우려 완화. 로봇, AI 등 모멘텀 유효
- 미국 주식시장은 관세 전쟁 우려 완화에 상승. 멕시코, 캐나다 협상 완료. 중국은 실제 부과에도 협상 기대감
:멕시코, 캐나다 관세 부과 30일 유예 결정. 중국은 미협상. 관세 실제 부과 & 중국 보복 관세 적용 대응
:그럼에도 ①2월 10일을 보복관세 시작일로 적용(즉각X) ② 관세 부과 품목(석유, LNG, 농기구) 확인
:관세 전쟁인가? → 생각보다 보복 강도 낮다 는 흐름. JOLTs 구인 건수 예상치 하회하며 시장금리도 하락

- 전일 오후 중국 관세 실제 부과하며 낙폭 확대한 KOSPI는 우려 완화에 외국인 2거래일 연속 현선물 순매수
:오전 외국인 현물 900억원 선물 5,200계약 이상 순매수. 고용 부진에 달러인덱스 하락하며 환율 안정화
:전일 중국 관세 협상 진전 없이 정시 부과에 오후 시장 상승폭 축소. 조선&엔터등 미중갈등 수혜주 상승
: 업종별로 미•중 관세 영향에 낙폭 컸던 중국향 민감주, 2차전지(중국 탄산리튬 가격 상승)도 반등
:인터넷)AI 모멘텀 지속. 네이버, 이해진 창업자 이사회 의장 복귀. 카카오, 샘올트먼과 회동, 협력 기대감
:SK가스(흑자전환, 울산GPS 수익성), 금호석화(업황 악화에도 4분기 흑자, 합성고무 수익성)등 개별 호재
:로봇)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협력 본격화. 휴머노이드 개발 관련. 로봇 테마 상승폭 확대
:주도 업종 차익실현 및 낙폭 과대 업종 매수, 순환매 장세. JOLTS에서 확인했듯 금주 고용보고서도 예상 하회(Bad is Good, 시장금리 하락요인) 확인 필요

KOSDAQ은 1.1% 상승한 727p. 2차전지 저가매수, SW 업종 강세에 힘입어 2거래일 연속 상승
- 딥시크 발표 및 샘 알트먼 방한 이후 SW 양호한 주가 흐름. 게임, AI SW, 인터넷방송, 의료 AI 동반 강세
:전자결제(카카오페이, 올해 흑자전환 기대감), 로봇(샘 알트먼, 방한 중 로봇에 대한 관심 표명) 강세
:HPSP(매각 절차 본격화에 +6.2%), SOOP(생성형 AI 기술 도입+후원경제 산업 성장 기대감에 상한가)

원/달러 환율은 구인건수 시장 예상 하회·BOJ 매파적 발언에 1,450원선 등락. 0.1원 하락한 1,451.6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1.8%, 홍콩(항셍) -1%,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88
위 내용은 2025년 2월 5일 11시 2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Feb, 23:27


『신한 속보; 미·중 관세 마찰 재점화』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2/4(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공식 발효 
-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보복 관세 결정. 적용 시점은 2월 10일로 협상 여지 상존
- 2/4 홍콩H지수 +3.5%, 항셍테크지수 +5.1% 상승 마감. 관세 마찰 노이즈에도 딥시크 훈풍 속 IT 기술주 초강세
- 금일 본토 주식시장 춘절 연휴 이후 첫 개장. 연말연시 고율 관세 리스크 선제적 반영으로 가격 부담 완화. AI 밸류체인 및 기술주 중심 견조한 흐름 예상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78
위 내용은 2025년 2월 5일 8시 2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Feb, 23:09


『퀀트분석; CAN SLIM 업데이트(4Q24) - 컨센서스』 퀀트 이정빈 / 이민재 02-3772-2919   - 외국인은 지속적으로 매도하고 있으며 KOSPI PER은 낮은 상황 - 최근 국내 주식시장 변동성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CAN SLIM 알파 창출 - CAN SLIM 컨센서스 퀀트 스크리닝 종목군에 주목할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62 위 내용은 2025년 02월 05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Feb, 23:06


『글로벌 ETF; ETF Money Move: 소외된 지역과 스타일의 반격』
글로벌 퀀트 박우열 02-3772-2324

- 국가별 자금 이동: 일본, 유럽 순유입 및 신흥국 내 인도 유출
- 소외됐던 스타일의 반격: 가치주 아웃퍼폼과 시장 국면 전환
- 국내 ETF 시장 점검: 운용사별 ETF 시장 점유율과 특징 상품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73
위 내용은 2025년 02월 05일 07시 4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Feb, 07:4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4일
『미국 우선주의 파도에 출렁이는 시장』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1.69 (+1.13%), 코스닥 719.92 (+2.29%)
 
호재-악재 엇갈리며 상승폭 축소
 
KOSPI, KOSDAQ 각각 1.1%, 2.3% 상승했습니다. 미국이 캐나다·멕시코 대상으로 예고한 관세를 한 달 유예했고, 한국 수출과 밀접한 미국 1월 ISM 제조업지수(50.9p, 신규주문 55.1p)도 27개월 만에 확장 국면으로 진입하는 등 대외 여건은 우호적이었습니다. 삼성전자(+3.3%)도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해소되며 지수 강세에 기여했습니다(+12.8p). 다만 오후에 미국의 중국산 제품 대상 관세(10%)가 발효됐고, 중국도 1)일부 미국 제품에 10%(석탄·LNG는 15%) 보복 관세 부과 예고(10일부터)에 더해 2)WTO에 미국 제소, 3)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Google 조사 개시 등으로 대응하자 지수 상승폭 일부 반납했습니다. 앞서 Trump가 24시간 내로 중국과 대화 계획을 밝힌 만큼 오늘 밤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금융지주의 릴레이 실적 발표
 
오늘 하나금융지주(+3.7%)는 작년 역대 최대 순이익이라는 실적 발표와 함께 4천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결의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금융지주의 밸류업 참여가 적극적인 만큼 릴레이 실적 발표에 따른 금융주 투심 호조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2/5 KB, 2/6 신한, 2/7 우리 등).
#특징업종: 1)희토류: 미중 상호 관세 부과(유니온 +8.5%, 티플랙스 +1.7%) 2)방산: 폴란드, 현대로템(+5.1%)과의 계약 이행 의지 재확인 등(평화산업 +5.0%, 코츠테크놀로지 +4.0%) 3)양자: Bill Gates, Jensen Huang과 달리 향후 3~5년내 양자 상용화 전망(엑스게이트 +24.4%)
 
Sam Altman의 방한과 미국 파트너십
 
DeepSeek R1 공개 이후 미국과 중국 간의 AI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OpenAI의 CEO인 Sam Altman이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최태원 회장을 비롯한 SK 경영진이나 크래프톤(+0.7%)·카카오(-2.2%) 대표 등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패권 경쟁을 위한 우군 형성에 분주했습니다. 특히 이재용 회장과 손정의 Softbank 회장, Sam Altman의 3자 회동을 통해 한·미·일 AI 동맹이 가동될지에 대한 관심도 높은 상황입니다. 협력 구도가 형성되면 우리 기업들의 Stargate 생태계 참여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JOLTs 구인건수(24:00) 2)Alphabet·Merck·AMD 실적 발표 3)Fed Bostic·Daly 연설 4)韓 1월 CPI(5일 08:00) 5)삼성중공업·한화생명·키움증권·카카오뱅크 등 실적 발표(5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51
위 내용은 2025년 2월 4일 16시 2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Feb, 04:19


『글로벌 주식전략; 왜, 기술주는 항상 미국의 독차지란 말인가?』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지난 100년간 공식처럼 통한 관계, "기술주 = 미국". 기술혁신과 혁신의 과실 미국이 독차지
- 하지만 왜 기술혁신과 빅테크는 항상 미국의 독차지란 말인가?
  : ① 교육 인프라, ② 지속적인 인재 유입, ③ 거대 내수시장, ④ 창업금융시스템, ⑤ 주식시장이 이루는 선순환 시스템
  : 일시적 기술 추격 허용할 순 있지만, 선순환 구도에 흠집을 내지 못한다면 향후에도 기술혁신 질서는 미국이 주도
- AI가 주도하는 미국 중심 기술주 주도력, 3년은 더 이어질 전망. 비미국도 미국이 제시하는 기술질서를 따라가야 
- 미국이 주도하는 5대 테마 주목: AI S/W, 반도체, 에너지, 로봇, 우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39
위 내용은 2025년 2월 4일 13시 1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Feb, 02:02


마켓레이더(2월 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관세 전쟁 우려 덜었고 미국 제조업지수도 좋다!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8% 상승한 2,498p. ①관세 우려 완화 ②시총 상위 대형주(수출주) 상승폭 확대에 지수 반등
- 미국 주식시장은 관세 우려에 낙폭 확대했으나 장중 멕시코 관세 연기 소식에 낙폭 축소. 장후 캐나다도 연기
:멕시코, 캐나다 트럼프와 관세 협상 진행. 국경 경비 약속하며 관세 부과 30일 유예. 중국도 곧 협상 예정
:1월 ISM제조업지수 50.9로 예상치 상회. 확장국면 진입(금리 상승). 팔란티어, 예상치 상회 실적 발표

- 전일 최악의 상황(관세 전쟁) 가정하며 낙폭 확대한 KOSPI는 우려 완화에 외국인 재유입 되며 반등
:오전 외국인 현물 1,200억원 선물 9,000계약 이상 순매수. 관세 우려 경감에 원/달러 환율도 안정화
:전일 멕시코, 캐나다, 중국, EU 다음은 대만, 한국 등 무역 적자국도 영향권일수 있다는 우려 ↓
:대부분의 업종 반등하는 가운데 시총 1위 삼성전자 상승폭 확대하며 타 아시아 국가 대비 지수 강세
:삼성전자 1)이재용 회장 사법리스크 해소 2) 샘올트먼 오픈AI CEO와 금일 미팅 영향에 상승폭 확대
:방산)이재명 대표, K-방산 적극 지원 및 육성하겠다 공언. LIG넥스원, 전일 예상치 상회 호실적 발표
:양자테마) 빌게이츠가 양자 컴퓨터 향후 3~5년내 상용화 전망하며 젠슨황 의견에 정면 반박
:관세=협상 수단인 것 확인. ISM제조업지수도 긍정적. 금주 고용보고서 확인 필요(2P 참고)

KOSDAQ은 2.8% 상승한 724p. ISM 제조업 호조, 관세 유예에 투심 회복. 외국인·기관 순매수 전환
- KOSDAQ, 전일 낙폭 컸던 만큼 KOSPI 대비 더 크게 반등. 외국인·기관 순매수에 대형주 중심으로 강세
:레인보우로보틱스(+4.7%), 차기 MSCI 지수 편입 기대에 한 때 15.0% 상승. 차익실현에 상승폭 축소
:인터넷방송(SOOP, 별풍선 1월 역대 최고치), 양자컴퓨터(빌게이츠, 3~5년 내 상용화 가능성 발언)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대멕시코·캐나다 관세 1개월 유예 결정에 반락. 2.9원 하락한 1,459.1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5%, 대만(가권) +0.7%, 홍콩(항셍) +1.6%, 중국(상해) 휴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35
위 내용은 2025년 2월 4일 11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Feb, 22:44


『국내주식전략; (2월 KOSPI 전망) 관세 파고를 넘으면 보이는 것들』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KOSPI 압박하는 리스크 셋 1) 관세 2) 금리 3) 딥시크發 주도주 교체
-우려와 달리 급격한 이익 하향 피할 전망 1) 환율 2) 美 소비 3) 中 정책
-2월 KOSPI 2,400~2,650p 등락. 이익 상향 업종 프리미엄 부여할 증시 환경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23
위 내용은 2025년 2월 4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Feb, 07:4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2월 3일
『Trump 관세 포문 본격 개방』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53.95 (-2.52%), 코스닥 703.80 (-3.36%)
 
Trump 관세 강행에 하방 변동성 확대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2.5%, 3.4% 하락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시장은 양호한 12월 PCE 가격지수에 강세를 보였는데, 백악관에서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가 4일 발효됨을 공식화하면서 급반전이 나타났습니다(Nasdaq 고점 +1.5% → 종가 -0.3%). 오늘 중국 휴장인 가운데 아시아 시장들도 전반적으로 부진했습니다(Nikkei225 -2.7%, TAIEX -3.5%, HSCEI -0.6%). Trump는 관세 문제와 관련해 3일 멕시코·캐나다와 대화 예정임을 밝히며 여지를 남겼지만, 양국은 공화당 우세 지역 상품에 선별적으로 보복 관세를 예고하는 등 냉랭한 분위기를 보였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Trump가 다음 관세 타겟으로 EU를 지목한 점도 시장의 경계감을 불러일으키며 KOSPI는 2,500p를 이탈했습니다.
 
IT·2차전지·화학 등 신저가 다수 출현
 
외국인은 지난 금요일 이후 이틀 연속 KOSPI 현선물 1조원 이상 순매도하고있습니다. 전기전자·운송장비 등 중심 매물 출회된 가운데 2차전지(POSCO홀딩스 -4.6%, LG화학 -6.5%, 삼성SDI -6.3%) 및 화학(롯데케미칼 -4.8%, 한솔케미칼 -5.1%) 등 다수 종목이 신저가를 보였습니다.
#특징업종: 1)희토류: 미국이 중국 등 관세 부과 강행(유니온 +27.3%, 티플랙스 +8.0%) 2)AI S/W: DeepSeek발 저비용 AI 보급 따른 SW 확산 기대감(플리토 +21.8%, 이스트소프트 +5.2%) 3)동해 석유전: 대왕고래(약 140억 배럴 규모)에 이어 ‘마귀상어(51.7억 배럴 규모, 성공률 20% 내외)’ 발견 소식(한국가스공사 +6.3%, 화성밸브 +8.9%)
 
수출 데이터 선방에도 짙어진 안개
 
1월 수출은 전년비 10.3% 감소했지만, 설 연휴에 따른 조업 일수 감소 및 중국 춘절 영향 등을 고려했을 때 일시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해 양호했지만 Trump가 우방국에 대한 관세 부과 위협이 커진 점이 우려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한편 가전(LG전자 -7.1%)·자동차(기아 -5.8%) 등 멕시코·캐나다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 낙폭이 컸습니다. 현지 진출한 기업들도 어느 정도 타격이 불가피하지만 한국 자체도 관세의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않아 불확실성에 노출됐습니다.
#주요일정: 1)美 1월 ISM 제조업지수(24:00) 2)美 Palantir 등 실적 발표 3)한미약품·하나금융지주·카카오페이 등 실적 발표(4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11
위 내용은 2025년 2월 3일 16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Feb, 02:18


마켓레이더(2월 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관세 전쟁 우려에 아시아 주식시장 동반 하락』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2.7% 하락한 2,450p. 트럼프발 관세 전쟁 발발 조짐에 주식, 비트코인 등 위험자산 동반 하락
- 미국 주식시장은 대 캐나다&멕시코&중국향 관세 부과 확정, EU도 대상이라는 소식에 위험자산 선호 축소
:한국시각 내일 오후 2시(미 동부 4일 0시)부터 캐나다-멕시코 25%, 대중 추가 10% 관세 부과
:트럼프, 다음 관세 부과 대상국은 EU라 예고(블룸버그), EU도 확실한 보복(respond firmly) 예고
:취임 이후 즉각적인 부과 없어 위험자산 동반 반등 했으나, 실제 부과-보복 관세 예고로 이어지는 흐름
:시장금리&달러인덱스 동반 반등. 10년물 국채금리 4.52%, 달러인덱스 109p. 3대지수 하락, 비트코인 급락

KOSPI도 관세 전쟁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한채 외국인 자금 이탈 & 원/달러 환율 급등. 대부분 업종 하락
:오전 외국인 현물 4,700억원 선물 7,800계약 순매도. 1,400원 초반까지 안정됐던 환율도 1,470원대 등락
:KOSPI 52주 신고가 종목 3개 Vs. 신저가 종목 89개. 상승 종목 92개 Vs. 하락 종목 826개.
:한국 뿐 아니라 일본,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식시장 모두 2% 이상 낙폭 확대하며 관세 전쟁 공포
:대부분의 업종 하락하는 가운데 음식료(호실적 호수출), 유틸리티(마귀상어 모멘텀) 등 일부 업종 상승
:유틸리티) 대왕고래 이어 마귀상어 모멘텀. 울릉분지 최대 51억 배럴 추가 매장 추정 가능성
:희토류)유니온, 티플랙스 등 희토류 테마 강세. 대중 관세 부과로 중국의 보복관세 수단으로 유력
:관세 협상 과정 확인 필요. 금일 ISM제조업지수, 금주 고용보고서 등 금리 영향 미칠 지표 확인(2P참고)

KOSDAQ은 2.9% 하락한 708p. 관세전쟁에 risk-off 확산. 외국인·기관 순매도에 대형주 중심 부진
- 트럼프 risk 재부각되며 IRA 폐지 우려에 2차전지 큰 낙폭. 대중 반도체 수출 제재 우려에 반도체도 약세
:동해가스전(동해서 추가 유망구조 발견), 희토류(미중 무역 분쟁 가능성에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 전망)
:로봇(삼성전자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계획 공개), 신규 상장(삼양엔씨켐(+13.1%), 개장 후 상승폭 축소)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risk-off 확산되며 1,470원 돌파. 16.6원 상승한 1,470.1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1.9%, 대만(가권) -3.5%, 홍콩(항셍) -1.2%, 중국(상해) 휴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504
위 내용은 2025년 2월 3일 11시 1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Feb, 22:41


『중국 주식전략; 2월 중국 주식전략: 승부처』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2월 효과’에 더해진 딥시크 파급력. 악재보다 호재에 민감한 국면
- 2월 상해종합 3,100~3,500p 예상. 포트폴리오 전략의 알파는 AI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487
위 내용은 2025년 2월 3일 7시 3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1 Jan, 07:5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31일
『DeepSeek 모먼트 소화하며 2,500p 수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17.37 (-0.77%), 코스닥 728.29 (-0.06%)
 
DeepSeek·FOMC·빅테크 실적 소화
 
KOSPI, KOSDAQ은 각각 0.8%, 0.1% 하락했습니다. 설 연휴 기간 간 1)DeepSeek 충격, 2)FOMC, 3)빅테크 실적 발표를 소화하며 전약후강을 보였습니다. DeepSeek V3를 미세조정한 R1 공개(비용은 GPT4의 1/4, 성능은 OpenAI o1과 유사) 이후 막대한 CapEx 투자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자 AI HW 중심 하방 충격이 나타났습니다(삼성전자 -2.4%, SK하이닉스 -9.9%, HD현대일렉트릭 -7.9% 등). 또한 Trump 정부가 Nvidia의 중국 저사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를 검토한다는 소식도 충격을 키웠습니다. Biden이 확정한 반도체법 보조금도 Trump 정부 상무장관 지명자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며 지급 시기의 불확실성을 더했고, 미국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가 임박한 점도 한국에 경계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금리 안정에 로봇·제약바이오 등 성장주 강세
 
KOSDAQ은 KOSPI 대비 선방했습니다. 반도체 소부장은 충격에서 자유롭지 못했지만(리노공업 -0.5%, HPSP -7.6%), DeepSeek 이슈에서 빗겨있으면서 시장금리 안정의 수혜를 받는 성장주가 지수를 이끌었습니다. 특히 지수기여도 상위 6개가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21.3% 신고가)·바이오(알테오젠 +2.6%, 삼천당제약 +7.0%, HLB +1.6%) 종목이었습니다.
#특징업종: 1)로봇: 삼성전자, 컨퍼런스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등 개발 계획 공개(하이젠알엔엠 +22.4%, 로보티즈 +12.6% 신고가) 2)AI SW: 저비용 AI 보급 기대감(플리토 +29.9%, 코난테크놀로지 +24.5%) 3)사이버 보안: DeekSeek 등 AI 모델 개인정보 보안 우려(샌즈랩 +14.4%)
 
DeepSeek발 무게중심 이동
 
1)DeepSeek의 비용 절감은 B2B→B2C로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고, 이는 AI SW·보안에 대한 관심을 키웁니다. 오늘 인터넷 대형주(NAVER +6.1%, 카카오 +7.3%) 뿐만 아니라 중소형 SW 주가가 움직인 원인입니다. 또한 2)저사양 칩의 활용 가능성을 보인 점에서 SK하이닉스 대비 삼성전자의 상대강도 약세가 주춤할 수 있고, 3)기술주에서 빗겨있으면서 시장금리 진정에 영향을 받는 성장주로 수급 이동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PCE 물가지수(22:30) 2)美 1월 시카고 PMI(23:45) 3)Exxon Mobil·AbbVie·Chevron·Eaton 등 실적 발표 4)韓 1월 수출입(1일 09:00) 5)韓 1월 CPI(2일 08:00) 6)韓 12월 산업생산·소매판매(3일 08:00) 7)포스코퓨처엠·제룡전기 등 실적 발표(3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460
위 내용은 2025년 1월 31일 16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1 Jan, 07:18


Shinhan Research Calendar 2월
리서치본부 02-3772-2329

안녕하십니까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입니다.
차월 주요 이벤트, 경제지표, 기업 실적 발표 일정을 담은 캘린더를 작성했습니다.
앞으로 매월 셋째주 금요일에 차월 일정을 공유드릴 예정이니, 투자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457
위 내용은 2025년 1월 31일 16시 1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1 Jan, 02:06


마켓레이더(1월 3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설 연휴 휴장으로 무마됐던 딥시크 여파 흡수 중』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0% 하락한 2,509p. 휴장기간 벌어진 다양한 이벤트 소화. 연초 이후 반등 추세 이탈 없음
- 설 연휴 한국 휴장기간 미국 주식시장 빅 이벤트 3가지 ①딥시크 ②빅테크 실적 ③1월 FOMC 3줄 요약
:①딥시크: 저렴한 AI 등장에 AI(반도체, 인프라) 급락. 이후 일부 반발매수세 유입됐으나 방향성 미정
:②빅테크 실적:테슬라(예상 하회) MS(상회) 메타(상회, 컨센 하회) 애플(상회, 아이폰, 중국 판매 부진)
:③1월 FOMC: 만장일치 동결. 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에도 인하 속도 조절론(트럼프 정책 여파)
:트럼프, 캐나다 및 멕시코향 관세 부과 행정명령 서명 보도. 2/1 토요일부터 25% 관세 부과 시작 재확인

- KOSPI는 딥시크 포함 연휴간 일어난 Big Event 소화. 반도체, 전력기기 등 관련 업종 하락 및 외국인 이탈
:한국 오전 외인 현물 7,800억 선물 1,100계약 이상 대량 순매도. 원/달러 환율도 금리 동결 여파 상승
:딥시크 영향에 반도체(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주가 엇갈림. 삼성전자, SK하이닉스(낙폭 확대) 동반 하락
:삼성전자, 최근 주가 바닥 인식(낮은 밸류, AI수혜 X)에 엔비디아향 HBM3E 8단 공급 보도,낙폭 상대적↓
:딥시크 등장 → AI모델 저렴하게 사용 가능 → 소프트웨어 업종 수익성 개선. HW→SW로 온기 이동 기대
:HD현대일렉, LS일렉트릭 등 AI인프라주 장중 8% 이상 하락. 카카오,네이버 장중 각각 8%, 6% 이상 상승
:외에 금융(분기 배당, 주주환원 확대 지속), 조선(한화오션 흑자전환, 미국 수혜 지속) 업종 상승
:BOJ(금리 인상), FOMC(금리 동결), ECB(금리 인하) 등 주요국 통화정책회의도 종료. 딥시크+트럼프 관세여파 당분간 지속될 전망. 차주 미국 제조업지수, 고용보고서 등 다음 FOMC 금리 영향미칠 지표 주목

KOSDAQ은 0.5% 하락한 725p. 딥시크 여파에 AI 밸류체인 부진. 그외 업종 양호한 흐름 보이며 약보합
- 연휴 간 있었던 딥시크 이슈 반영하며 반도체, 전력기기, 전선 등 AI 밸류체인 전반 약세. 지수 하락 견인
:딥시크 통한 상용화 가속 기대에 SW 강세. 마음AI, 딥시크 기반 온프레미스 LLM 출시 준비에 +17.2%
:일론 머스크의 올해 옵티머스 1천대 생산 발언 및 현대차 휴머노이드 공장 투입 소식에 로봇 모멘텀 지속

원/달러 환율은 딥시크 發 risk-off 및 트럼프 관세 부과 입장 재확인 영향에 22.1원 상승한 1,453.5원
일본 증시 보합, 중화권 휴장.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휴장, 홍콩(항셍) 휴장, 중국(상해) 휴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439
위 내용은 2025년 1월 31일 11시 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Jan, 23:10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DeepSeek가 촉발한 AI 스푸트니크 모먼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간 Review: DeepSeek 쇼크를 치유해가는 과정
- 차주 Preview: Trump 관세 포문 개방 속 수출 데이터 주목
- Market Insight: DeepSeek가 촉발한 AI 스푸트니크 모먼트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426
위 내용은 2025년 1월 31일 8시 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Jan, 22:45


『글로벌 주식전략; 딥시크 이후 기술주 투자전략의 재구성』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① AI 모델 가격 촉발할 가능성 → AI가 대중적으로 보급되는 경로의 개척
- ② 그러나 AI Capex가 끝났다고 볼만한 증거들이 쌓이진 않았다
- ③ 1월 27일 낙폭이 컸던 이유에는 수급적 이유도 묻어있다
- ④ 반도체, 단기적으로는 주도주에서 이탈 vs. 중기 관점에서는 바라볼 필요
- ⑤ 소프트웨어, 다음 주도주의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 높음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417
위 내용은 2025년 1월 31일 7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Jan, 07:5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24일
『연휴 관망세도 잊게 한 Trump발 호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36.80 (+0.85%), 코스닥 728.74 (+0.65%)
 
Trump의 금리·유가 인하 압박에 반색
 
금일 KOSPI, KOSDAQ 각각 0.9%, 0.7% 상승했습니다. 간밤 Trump가 세계경제포럼 연사에 나서면서 연준에는 금리 인하를, OPEC+에는 유가 인하를 요구하겠다고 발언했습니다. 물가 안정과 우호적 유동성 환경에 대한 기대감에 간밤 S&P500은 재차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설 연휴를 앞둔 한국 시장에도 훈풍이 불며 외국인 양 시장에 매수세 유입됐습니다. 1) 최근 Trump 보편관세 부과 이연 및 2) 오늘 BOJ의 25bp 기준금리 인상에 달러인덱스 108선 하회했고, 달러-원 환율도 1,430원대 부근까지 안정됐습니다. 오늘 KOSPI는 호실적(삼성바이오로직스 +3.2%, 한화오션 +10.1%), 경영권 분쟁(고려아연 +11.6%), Stargate 기대(HD현대일렉트릭 +8.9%, SK하이닉스 +0.7%) 관련주가 지수기여도 상위였습니다.
 
Stargate 조성에 다시 뛰는 전력기기
 
미국의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합작 벤처인 ‘Stargate’ 조성 관련 Elon Musk-Sam Altman 간 신경전이 여전한 가운데, 국내는 LS ELECTRIC 호실적 발표 이후 변압기·전선 주가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일진전기 +10.5% 신고가). 단기적으로는 LA에서 2주 만에 또 대형 산불(Hughes fire)이 발생하면서 재건 모멘텀도 가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징업종: 1)원전: 미국 데이터센터 가동 위한 전력 확보 부각 및 Team KORUS 기대감(두산에너빌리티 +3.6%, 비에이치아이 +12.7% 신고가) 2)정치 테마주: 이재명(오리엔트정공 +23.2%) Vs. 김문수(삼익악기 +21.1%) 3)경영권 분쟁: 고려아연, 영풍 의결권 제한에 임시 주총 승기
 
황금 연휴 기간 차익실현 매도세 유의
 
환율의 안정은 외국인의 수급 유입에 있어서는 우호적으로 작용합니다. 다만 연초 이후 반도체·조선·SW를 중심으로 외국인 매수세 유입이 컸고, 반도체·조선은 YTD 수익률도 높은 만큼 단기성 자금의 차익실현 매도세 가능성이 있습니다. 연휴 간 Microsoft·Apple·Amazon·Meta 등 빅테크의 실적 발표와 더불어 1월 FOMC도 예정되어 있는 등 쟁쟁한 이벤트가 대기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금요일은 일주일 간의 대내외 이슈가 동시에 반영되는 만큼 장중 변동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월 미시간대 기대물가·소비자신뢰지수(24:00) 2)美 12월 기존주택 판매(24:00) 3)American Express·Verizon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89
위 내용은 2025년 1월 24일 16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Jan, 07:34


『H4L(Higher for long); #5. 4Q 실적 시즌 Technical playbook』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퀀트 이정빈 02-3772-2919

1. 4Q 실적 시즌 Technical playbook

2. 잠재적 빅딜
- 아마존 (AMZN.US)
- 브로드컴 (AVGO.US)
- 앱러빈 (APP.US)
- 로빈후드 (HOOD.US)
- 비스트라 에너지 (VST.US)
- 클라우드플레어 (NET.US)
- 루멘텀 홀딩스 (LITE.US)
- 크레도 테크놀로지 (CRDO.US)
- 로블록스 (RBLX.US)
- 방코 BBVA 아르헨티나 (BBAR.US)
- 토스트 (TOST.US)
- 블룸에너지 (BE.US)
- 루브릭 (RBRK.US)
- 레딧 (RDDT.US)
- 소파이 테크놀로지 (SOFI.US)
- 캐피탈원파이낸셜 (COF.US)

3. 글로벌 금융시장 Technical Overview

4. 주도주 탐색기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83
위 내용은 2025년 1월 24일 16시 28분에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루어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Jan, 02:05


마켓레이더(1월 2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트럼프 연설 영향- 주도 업종 상승, 소외 업종 하락 지속』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8% 상승한 2,534p. 다음주 설 연휴 휴장에도 외국인 매수세 유입되며 주도주 위주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금리 인하 하겠다는 트럼프 다보스 포럼 연설에 주목. S&P500 신고가 경신
:트럼프, 다보스 포럼 연설. 국제 유가 하락(OPEC 압박) → 금리 인하(FED 압박) 촉구, 감세안 통과 시사
:SK하이닉스 호실적에도 AI 성장률 둔화 우려와 스마트폰 수요 부진 가이던스에 반도체 관련주 하락

- KOSPI는 설 연휴 앞두고도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Risk-off 심리 없음. 주도 업종 강세, 소외 업종 약세 지속.
:트럼프 금리 인하&유가 하락 촉구에 미 증시 반등. 한국 오전 외인 현물 1,700억 선물 2,500계약 순매수
:트럼프, 비미국에서 제조업 관세 부과 방침 재강조. 이에 기존 트럼프 수혜주, 주도 업종 강세 지속
:기계(전력기기), 방산, 조선, 원전, 엔터 등 기존 주도 업종 강세. 음식료, 화학, 2차전지 등 소외 업종 약세
:삼성SDI, 예상치 크게 하회한 실적 발표. 매출액 : 3.7조(예상 : 3.9조) 영업익 : -2,567억(예상치 : -444억)
:이수페타시스, 유증 발표 사유로 든 제이오 인수 철회 소식에 목표주가 대폭 상향. 장중 20%대 상승
:SK하이닉스, 호실적에도 전일 가이던스 우려에 하락. 1분기 실적 바닥 다지고 반등 기대감에 주가 회복
:금리 인상 가능성 높아진 BOJ통화정책회의 결과 발표 앞두고 경계감 잔존. 다음주부터 미 빅테크 실적

KOSDAQ은 0.6% 상승한 728p.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주목하며 산업재, 에너지 중심으로 강세
- 전일 차익실현 매물 출회됐던 LNG·원전·조선기자재, 트럼프의 발전소 건설 긴급 명령 선포 발언에 반등
:로봇(LG전자,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 우주항공(GE에어로스페이스 호실적 발표) 등 테마 강세
:와이즈넛(-26.4%)·데이원컴퍼니(-30.0%)·아스테라시스(+74.8%) 금일 신규 상장. 수익률은 차별화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의 금리 인하 촉구 발언에 1,440원 하회 지속. 2.7원 상승한 1,436.7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4%, 대만(가권) 휴장, 홍콩(항셍) +0.7%,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69
위 내용은 2025년 1월 24일 11시 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Jan, 22:59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다시 한 번 찌릿해질 시간』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간 Review: 격동의 Trump Trade 속 안도 심리 작용
- 차주 Preview: 모든 이벤트가 반영될 금요일 시장
- Market Insight: 다시 한 번 찌릿해질 시간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57
위 내용은 2025년 1월 24일 7시 5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Jan, 07:4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23일
『연휴 불확실성 앞에서 외인 매도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15.49 (-1.24%), 코스닥 724.01 (-1.13%)
 
설 연휴 앞둔 외인 매도세에 흔들린 시장
 
금일 KOSPI, KOSDAQ 각각 1.2%, 1.1% 하락했습니다. 설 연휴를 앞둔 차익실현 매물 출회가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외인은 KOSPI 현선물 1조원 이상 순매도 했고, 연초 이후 현물 수급도 순매도로 돌아섰습니다. 내일 예정된 BOJ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계감이 유입된 점도 투심을 흔들었습니다. 삼성전자(-1.1%)는 AI 기능을 탑재한 갤럭시S25 시리즈 공개에도 장중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았고, SK하이닉스(-2.7%)는 4분기 영업이익 8.1조원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그 외 현대차(+0.2%, 작년 매출 175조원 최대치이나 영업이익 5.9% 감소)·삼성바이오로직스(+3.9%, 연 매출 4.5조원 돌파)는 실적 발표 후 강세를 보였습니다.
 
KOSPI 대형주 중심 약세 연출
 
외국인 수급 이탈에 따라 대형주 약세 연출됐습니다. 특히 KOSPI는 2차전지 밸류체인의 약세가 이어졌고(LGES -1.8%), 조선(HD현대중공업 -5.9%)도 차익실현 매도세로 지수기여도 하위에 다수 포진했습니다. 다만 시장 약세 가운데 전력기기 및 금융지주·통신 등 강세가 부각됐습니다.
#특징업종: 1)수산주: 中 당국, 후쿠시마 오염수 샘플 채취 결과에 따라 일본산 수입 재개 전망(사조씨푸드 +29.8%, CJ씨푸드 +3.9%)  2)정치 테마주: 김문수, 범여권 대통령 적합도 1위(평화산업 +29.9%, 평화홀딩스 +30.0%)  3)경영권 분쟁: 고려아연(-0.3%), 임시주총 앞두고 손자회사(SMC)의 영풍 주식 10% 초과 취득 공시→영풍 의결권 제한
 
Stargate 갑론을박에도 갈 길 가는 전력기기
 
간밤 Stargate 관련 갑론을박이 있었습니다. Elon Musk는 X를 통해 주요 기업들이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금이 부족하다고 의구심을 제기했고, Sam Altman은 이에 반박하며 긴장이 형성됐습니다. 세부적인 자금 조달 방안이나 Trump의 언급은 부재했지만 여전히 기대감은 유효했습니다. 기술 파트너로 참여한 Microsoft(+4.1%)·Nvidia(+4.4%)는 상승세 이어갔고, 국내는 AI 반도체가 SK하이닉스 실적 발표 후 차익실현 나왔지만 전력기기 강했습니다(HD현대일렉트릭 +1.7%, LS ELECTRIC +8.2%).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 Texas Instruments·GE Aerospace 등 실적 발표 4)日 12월 CPI(24일 08:30) 5)BOJ 통화정책회의(24일 12:00) 6)기아·한화오션·삼성전기·S-Oil 등 실적 발표(24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36
위 내용은 2025년 1월 23일 16시 4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Jan, 02:13


마켓레이더(1월 2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금리&달러 반등에 외국인 이탈』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9% 하락한 2,524p. 별다른 이슈 부재한 가운데 금리, 달러 동반 반등하며 외국인 자금 이탈
- 미국 주식시장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영향력에 AI 관련주 주도 상승. 금리 & 달러인덱스는 반등
:최대 5,000억달러(초기 1,000억) 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한 스타게이트에 오라클 등 관련주 상승
:관세 보류 기대에 전일 진정됐던 금리, 달러 인덱스는 중국 등 관세 부과 지속 검토에 반등

- KOSPI는 별다른 이슈 부재한 가운데 금리&달러 동반 반등에 외국인 자금 이탈
:전일 금리&달러 인덱스 반락에 순매수 유입됐던 외국인, 반등하자 일제히 순매도 전환
:대부분의 업종 하락하는 가운데 그간 낙폭 과대 인식 제약/바이오, 건설 업종등 일부 업종 상승
:티웨이항공, 대명소노의 경영권 인수 도전 소식에 장중 52주 신고가 경신
:삼성바이오로직스, 전일 24년 연매출 기준 4.5조로 역대 최대 실적 발표. 장중 4% 이상 상승
:트럼프 영향력에 금리&달러 반등. 금주 기업실적에 따른 등락, BOJ 금리인상 여부 등 주목 필요

KOSDAQ은 0.9% 하락한 726p.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반락. 경제 성장률 부진에 투심 약화
- SK하이닉스, HD현대중공업 등 대표 종목 실적 호조에도 관련 밸류체인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반락
:트럼프 관련 테마(피팅/밸브, LNG, 우주항공, 조선기자재 등 트럼프 관련 테마 차익실현 매물 출회) 약세
:의료AI(루닛, 대장암 치료 예측 학술지 게재), 비만치료제(펩트론, 1개월 지속 비만치료제 해외 특허 취득)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구체화까지 대기하며 보합권. 0.8원 상승한 1,437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5%, 대만(가권) 휴장,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8%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24
위 내용은 2025년 1월 23일 11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Jan, 23:08


『글로벌 주식전략; 2월 미국 전략: 무릎을 꿇은 것은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다』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2월, 약간의 변동성을 감내하면서도 비중확대를 개시할 시기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96
위 내용은 2025년 1월 23일 7시 3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Jan, 08:0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22일
『Trump 불확실성 소화 국면』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47.06 (+1.15%), 코스닥 732.31 (+0.86%)
 
Trump 취임 영향력 지속되며 시장 반등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2%, 0.9% 상승했습니다. Trump 취임 전부터 1)마약 및 불법 이민 관련 중국·멕시코·캐나다 관세나 2)보편관세 즉시 발효를 주장해왔는데, 전자의 관세에 대해서는 2월 1일로 유예하며 신중한 움직임을 보였고, 보편관세에 대해서도 아직 준비되지 않았음을 밝히며 비미국 중심으로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중국도 다보스 포럼에서 미국 제품의 수입을 확대하겠다는 취지의 연설을 하면서 양국 간 관계의 보조를 맞추는 모습도 긍정적이었습니다. Trump 취임 후 경계감 보이던 외국인도 오늘은 양 시장 현선물 순매수 유입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2차전지는 전기차 의무화 철회가 악재였지만, 이미 시장이 예상했던 사안인 만큼 재료를 소화하며 바닥을 다지고 있습니다.
 
산업재·신산업 Trump Trade 지속
 
Trump는 제조업 부흥과 AI 초격차 유지를 통해 미국 우선주의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그런 점에서 저렴한 전기의 확보를 우선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화석연료와 함께 원전(두산에너빌리티 +8.6%, 우리기술 +5.8%) 협력 기대감이 작용했습니다. 또한 LNG 터미널 관련 기자재 관련주(SNT에너지 +7.9%, 비에이치아이 +13.3%)도 강세였습니다.
#특징업종: 1)양자: IBM, 양자컴퓨터 개발 계획 + Trump AI 규제 완화(한국첨단소재 +5.6%, 아이윈플러스 +30.0%) 2)우주: Trump, 취임사에서 화성 개척 언급(쎄트렉아이 +5.5%, 이노스페이스 +5.4%) 3)경영권 분쟁: 티웨이항공(+1.2%) 경영권 분쟁 본격화(티웨이홀딩스 +18.4%)
 
미국의 AI 초격차 유지 전략
 
Trump는 OpenAI·Oracle(+7.2%)·Softbank 등이 참여하는 민간 합작 AI 인프라 벤처 'Stargate' 출범을 예고했습니다. 최초 1,000억달러 자금을 모아 텍사스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것을 시작으로 앞으로 4년에 걸쳐 최대 5,000억 달러를 투자해 AI 초격차를 유지하려는 전략입니다. 설비투자 확대 과정에서 국내의 AI반도체(SK하이닉스 +3.4%, 한미반도체 +11.0% 등)나 전력기기(HD현대일렉트릭 +4.3%, LS ELECTRIC +3.6%) 등에 수혜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CB 경기선행지수(24:00) 2)P&G·Johnson & Johnson 등 실적 발표 3)韓 1월 기업신뢰지수(23일 06:00) 4)韓 4분기 GDP 성장률(속보, 23일 08:00) 5)SK하이닉스·현대차 등 실적 발표 5)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23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80
위 내용은 2025년 1월 22일 17시 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Jan, 02:04


마켓레이더(1월 2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보편적 관세는 아직? 트럼프 트레이드 지속』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7% 상승한 2,535p. 보편 관세 보류에도 트럼프 정책, 행정명령 따른 테마별 순환매 진행
-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의 온건한 행보에 주목(보편적 관세 부과 X)하며 금리&달러 동반 하락 영향에 상승
:전일 2/1일부터 캐나다, 멕시코향 관세 부과 시사하며 주식시장 위축시켰던 트럼프, 보편적 관세는 보류
:트럼프, 최대 5,000억달러(초기 1,000억) 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 하며 AI 테마 상승 모멘텀 부여
:관세 보류와 AI 투자 소식에 금리&달러 동반 진정, 기술주 상승.에너지 공급 확대 정책에 유가도 하락

- KOSPI는 1,430원 초반 등락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우호적 수급에 상승. 트럼프 영향에 원자력 강세 지속
:전일 미국, 캐나다 관세 부과 보도에 일제히 순매도 전환한 외국인 금일 현선물 동반 순매수
:대부분의 업종 상승하는 가운데 전일 낙폭 확대했던 2차전지 반발매수세 유입 & 트럼프 트레이드 진행
:원자력(트럼프 에너지), AI(트럼프 투자), 우주항공(트럼프 연설 화성 언급) 등 트럼프가 지매하는 테마장
:미국 테라파워, 와이오밍에서 원전 건설 허가 & 내년 착공. 국내 원전주가 핵심 부품 공급:
:트럼프 영향력 국내 테마 순환매 야기. 금주 기업실적에 따른 등락, BOJ 금리인상 여부 등 주목 필요

KOSDAQ은 0.7% 상승한 731p. 2차전지 저가매수+외국인·기관 순매수에 반등. 트럼프 트레이드 지속
- 알테오젠(+4.3%), JPMHC에서 큰 성과 기록. 1분기 중 키트루다SC 허가신청 등 호재 기대되며 강세
:AI SW(트럼프, 5천억 규모 AI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 우주항공(트럼프 정부 우주항공 산업 육성 기대)
:원전(원전 지재권 분쟁 타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양자컴퓨터(미국 양자컴퓨터 테마 반등)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약할 수 있다는 관측에 3.5원 하락한 1,432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4%, 대만(가권) +1%,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74
위 내용은 2025년 1월 22일 11시 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Jan, 23:34


『ESG Navigator(25-01); 한일 디스카운트 원인 비교 (ft. 일본 반면교사)』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 02-3772-1583

Part 1. ESG 이슈;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본질: 낮은 배당과 더블카운팅 [이정빈]
- 한국 5년 평균 배당 성향은 28.1%로 주주환원이 부족
- 한국 지배구조 문제로 발생한 복수 상장과 더블카운팅 영향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배당과 지배구조 개선 필요

Part 2. 글로벌 ESG; 일본인의 속마음: 밸류업에 진심이 없는 이유 [박우열]
- 문화적 영향이 중요한 이유: 인종과 종교에 따라 달라지는 의사결정의 차이
- 혼네(진심)와 다테마에(겉보기)의 분리적 사고가 기업 문화에 미치는 영향
- 밸류업 부진 이유: 은행주는 금리 상승에 영향받았을 뿐 근본적 성과는 부재

Part 3. ESG 채권; 2024년 발행시장 점검 [정혜진]
- ESG 채권 발행시장 동향
- ESG 채권 발행 추이

Part 4. 산업 이슈; 운송: 지속가능항공유(SAF)와 국내 기업의 준비 현황 [최민기]
- 탄소 중립의 흐름과 항공 산업
- 항공 업계의 탄소 중립 대응 방안
- 국내 항공 산업의 탄소 중립 대응 현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66
위 내용은 2025년 01월 22일 08시 3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Jan, 22:44


『패시브전략; MSCI 2월 정기변경,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 MSCI Korea 지수 11개 종목 편출, 편입 부재 예상
- 트럼프 당선 이후 신흥국 패시브 자금 이탈 확대 지속
- 편출 종목군은 우선 피하고, 다음 타자를 기다리자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62
위 내용은 2025년 1월 22일 7시 4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Jan, 07:4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21일
『격동하는 Trump Trade』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18.03 (-0.08%), 코스닥 726.07 (-0.22%)
 
Trump발 행정명령에 출렁인 한국 시장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1%, 0.2%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은 휴장이었지만 Trump의 취임 연설과 연이어 발효된 행정명령에 따라서 국내 시장도 출렁였습니다. 오늘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전기차 의무화 철회에 따른 2차전지 밸류체인 약세였습니다. 전날 2차전지 종목들이 시장을 방어해준 것과는 달리 오늘은 양 시장 하락 주도했습니다(LGES -4.3%, 에코프로비엠 -8.6%). 외국인의 매도세 가운데서도 KOSPI는 반도체(SK하이닉스 +2.8%, 삼성전자 +0.2%) 및 산업재(HD현대중공업 +6.0%, 한화오션 +5.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2%) 등 지수 하단을 방어했습니다. Trump가 에너지 관련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조선, 피팅/밸브(태광 +10.6%, 성광벤드 +3.7%) 등 관련주 강했습니다.
 
일단은 미뤄진 보편관세 우려
 
시장에서 가장 주목한 점 하나는 보편관세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간밤 Trump는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를 2월 1일로 언급하면서 기존 대비 2주 가량 유예했고, 보편관세 부과 방안도 구체적으로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대외수입청(External Revenue Service) 신설을 통해 관세 의지를 밝히고 있는 만큼 여전히 경계 요소는 남아있습니다.
#특징업종: 1)의료 로봇: 고영(+19.3%), 뇌 수술용 로봇 FDA 승인(엔젤로보틱스 +2.9%, 큐렉소 +0.8%) 2)우주항공: Trump, 취임 연설 중 화성 탐사 의지 피력(한화시스템 +6.5%, 쎄트렉아이 +7.0%) 3)가상자산: Trump 취임 가상자산 관련 언급·행정명령 부재(한화투자증권 -1.1%)
 
경영권 분쟁의 장이 된 한국 시장
 
고려아연(-8.6%)은 장 막판 가파른 낙폭을 보였습니다.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간 경영권 분쟁이 막바지에 다다른 가운데, 법원은 영풍 측의 의안상정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습니다. 고려아연은 집중투표 방식을 통해 열위였던 지분율을 극복하고자 했으나(영풍·MBK 46.7% Vs. 고려아연 우호 지분 39.2%) 이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해외 기관투자자(NBIM·CalPERS·CalSTRS 등) 등도 MBK 연합의 손을 들어주며 분쟁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티웨이항공(+9.6%) 관련 경영권 분쟁은 재점화됐습니다(대명소노시즌 +4.4%, 예림당 +16.9%).
#주요일정: 1)Netflix·Charles Shwab 등 실적발표 2)韓 1월 소비자신뢰지수(22일 06:00) 3)삼성바이오·삼성물산·현대건설·현대제철 등 실적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45
위 내용은 2025년 1월 21일 16시 3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Jan, 02:10


마켓레이더(1월 2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트럼프가 돌아왔다, 관세와 함께(feat. 2차전지의 눈물)』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4% 하락한 2,510p. 트럼프 연설, 행정명령에 따른 업종별 등락폭 확대. 관세 부과 시사
- 미국 주식시장은 마틴루터킹 데이로 휴장. 트럼프 취임 연설에 주목. 당일 관세 명령 보류로 달러, 금리 약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연설 ①국경강화 ②친환경 폐지 ③관세 부과 등이 주요 내용. 당일 관세 명령은 보류
:금리, 달러인덱스 하락. 그러나 조금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2월 1일부터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시사
:10년물 국채금리, 달러인덱스 일제히 반등. 반등했던 주식시장도 해당 보도 시간 기준 하락 전환

- KOSPI는 반등 시도에도 트럼프의 캐나다, 미국향 관세 부과 보도에 외인-기관 순매도 전환하며 하락
:순매수하던 외국인, 기관 트럼프 관세 보도 이후 일제히 순매도 전환하며 지수 하방압력 부여
:조선, 방산, 반도체, 원전, 전선, 재건 업종/테마 상승 Vs. 2차전지, 건설, 화학 업종/테마 하락
:2차전지)트럼프 취임연설에서 Ev mandate(전기차 의무 규정) 폐기 발언. 관련주 일제히 하락
:반 친환경)외에도 바이든의 그린뉴딜 폐지, 파리 기후협정 탈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등 발언
:경영권 분쟁)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에 관련주 상승. 대명소노, 경영개선 요구서 발송
:1월 1일~20일 수출데이터 발표 후 잠정 수출데이터 호조인 종목(경동나비엔, 티앤엘)도 신고가 랠리
:트럼프 영향력 금리, 업종 전반에 나타나는 상황. 금주 기업실적, BOJ 금리인상 여부 등 주목 필요

KOSDAQ은 0.9% 하락한 721p. 트럼프 트레이드 재발에 4거래일 만에 반락. 2차전지 밸류체인 속락
- 전거래일 지수 강세 견인한 2차전지, 트럼프 '그린 뉴딜' 폐지 발언에 반락하며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
:우주항공(트럼프, 취임사서 “화성으로 우주인 보낼 것”이라고 발언), 조선기자재(트럼프 트레이드) 강세
:의료로봇(고영, 뇌 수술용 로봇 FDA 승인), 남북경협(트럼프, 김정은과의 우호적 관계 강조 발언) 강세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취임 첫날 관세 행정명령 미시행 소식에 1,440원 하회. 0.1원 하락한 1,439.9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2%,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1%,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39
위 내용은 2025년 1월 21일 11시 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Jan, 22:37


『일본 주식전략; 일본 증시, 단기 매력 저하 구간』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모멘텀 상실해 버린 일본 증시, 주요국 중에서도 가장 부진
- 중장기 전망 긍정적이지만 단기 불확실성 불가피, 매력 저하 구간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26
위 내용은 2025년 1월 21일 7시 3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Jan, 08:0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20일
『Trump 취임식 앞둔 관망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0.05 (-0.14%), 코스닥 727.66 (+0.41%)
 
Trump 취임에 주목하는 시장
 
금일 KOSPI, KOSDAQ 각각 -0.1%, +0.4% 등락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시장이 반도체(SOX +2.8%) 등 기술주 강세를 보이며 국내 양 시장 상승 출발했지만, 외인 매도세와 함께 KOSPI는 2,520p대에 그쳤습니다. Trump가 SNS를 통해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 사실을 공개했고, 취임 후 중국을 방문해 회담을 희망한다는 보도가 나오며(WSJ) 미중 관계 우려가 일부 덜어진 점도 투심에 우호적이었습니다. 다만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는 점에서 KOSPI 부진은 다소 아쉬운 점이었습니다(Nikkei225 +1.2%, TAIEX +0.5%, Shanghai +0.1%, HECEI +1.8%). HD현대일렉트릭(-7.9%) 실적 발표를 명분으로 전력기기 일부 차익실현이 나왔고, Bitcoin 재차 사상 최고치 경신에도 관련주 부진했습니다.
 
 
양 시장을 지탱한 2차전지 밸류체인
 
오늘 양 시장을 지탱한 것은 2차전지 기업들이었습니다. 산업부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 관련 기업들이 2차전지 비상대책TF를 구성했다는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KOSPI 지수기여 상위 5개 모두 2차전지 밸류체인(LGES +5.7%, POSCO홀딩스 +4.2% 등)이었고, KOSDAQ에서도 에코프로형제(+3.9%, BM +6.1%)가 지수를 2.2p 끌어올렸습니다.
#특징업종: 1)의료용 로봇: 고영(+30.0%), 의료용 로봇 FDA 허가 획득(큐렉소 +13.9%, 엔젤로보틱스 +2.6%) 2)유리기판: 차세대 반도체 소재 주목(제이앤티씨 +8.1%, 켐트로닉스 +3.4%) 3)경영권 분쟁: 국민연금, 고려아연(+10.4%→-1.2%) 임시주총(23일)에서 집중투표제 등 찬성
 
Trump 취임 후 공개될 행정명령 주시
 
돌아오는 새벽 2시 Trump의 취임식이 예정되어 있고, 그는 취임 첫날 즉시 100여건의 행정명령을 발표하겠다 밝혀왔습니다. 불법 이민, 관세, 석유·천연가스 개발, 가상자산 관련 등 다양한 정책이 공개될 예정인데, 특히 국내와 민감한 관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간 관세의 적용을 받지 않는 서비스업(엔터 등)이나 경쟁력을 통해 일부 전가 가능한 산업들이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다만 시장의 우려보다 완화된 조치(선별적 or 점진적)는 경계감에 눌려있던 업종들에 반등 여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휴장(Martin Luther King Jr. Day) 2)Trump 취임식(21일 02:00) 2)세계경제포럼(WEF, ~24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17
위 내용은 2025년 1월 20일 16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Jan, 02:11


마켓레이더(1월 2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동튼 트럼프 취임의 날 실적 영향력 강화』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상승한 2,524p. 실적에 따른 업종별 등락 진행. 트럼프 취임 앞두고 숨고르기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시진핑 전화 통화 이후 차익실현 있었던 빅테크 전반 순매수세 유입되며 지수 반등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 전화통화. 양측 모두 문제 해결 위한 방안 마련에 동의, 무역갈등 우려 완화
:엔비디아(+3.1%), 테슬라(+3.1%) 포함 빅테크 전반 매수세 유입. 시장금리는 소폭 반등(경제지표 호조)

- KOSPI는 트럼프 취임에 따른 여파 속 외국인 순매도 & 숨고르기 지속. 지수 뚜렷한 상/하방 방향성 부재
:외국인 2거래일 연속 현선물 동반 순매도. 오전 현물 2,000억원 선물 680계약 수준
:반도체 등 대형주 포함 예상치 하회 실적 발표한 최근 주도주(전선)도 하락하며 지수 하방압력 부여
:트럼프 취임 첫날 200여개 행정명령 서명 보도(fox) 등 임기 첫날 이후 단기간 여파 클것으로 전망
:HD현대일렉트릭 예상치 하회 실적 발표. 매출액:8,157억(예상:9,897억) 영업이익:1,662억(예상:2,202억)
:최근 여러 모멘텀(데이터센터, LA산불)으로 신고가 경신 지속한 전력 관련주(기기, 전선 등) 동반 하락
:원전)트럼프, 취임 첫날 에너지비상사태 선포 보도(CNBC). 석유 생산 및 원전 규제 철폐 기대감
:주요 기업 실적(조선, 반도체 등), BOJ 통화정책회의도 예정(2P참고)된 가운데 종목장세 진행

KOSDAQ은 0.3% 하락한 723p. 트럼프 경계감에 보합권 등락. HD현대일렉트릭 실적 확인 후 하락 전환
- 주도 업종 부재에도 잔고 회복세 보이며 종목 장세 지속. KOSDAQ 신용잔고 10거래일 연속 증가
:원자력발전(웨스팅하우스와의 원전 지재권 분쟁 타결 후 강세), 조선기자재(삼성중공업 LNG 운반선 수주)
:HBM(SK하이닉스 실적 발표 앞두고 사상 최대 실적 기대), 전선(HD현대일렉트릭 실적 컨센 하회에 약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2월 산업생산 호조+트럼프 경계에 1,450원 후반대 유지. 0.8원 하락한 1,457.7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3%,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1.1%,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203
위 내용은 2025년 1월 20일 11시 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Jan, 22:51


『중국 경제지표; 내유외강(內柔外剛)의 한 해』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중국 4분기 GDP 전년동기대비 5.4% 성장, 연간 5.0% 성장 달성 
- [생산] 제조업 전반 증가세 확대. [수출] 저가 공세와 가수요 효과
- [소비] 내구재 소비진작 효과 유효. [투자] 부동산개발 부진 지속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90
위 내용은 2025년 1월 20일 7시 5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Jan, 08:0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17일
『숨고르기 속 종목장세 진행』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3.55 (-0.16%), 코스닥 724.69 (+0.06%)
 
Trump 대통령 취임 경계감에 숨고르기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2%, +0.1% 등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주식시장은 소비자물가 발표에 따른 급등 이후 되돌림이 있었습니다. 예상치 하회한 소매판매 지표와 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에도 다음주 Trump 대통령의 취임식에 Risk-off 심리가 강화됐습니다. 2거래일 연속 현물 매수세를 이어갔던 외국인은 현물 2,368억원 선물 1,626계약 순매도하며 이를 대변했습니다. 중국 실물경기지표는 생산과 수출 호조로 서프라이즈를 보였습니다. 2024년 GDP는 5% 성장하며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다음주는 BOJ통화정책회의(1/23~1/24) 역시 예정되어 있습니다. 최근 잇따라 매파적 발언을 쏟아내며 1월 금리 인상에 대한 경계감 역시 지속되는 가운데, 해당 이벤트도 주목해야겠습니다.
 
삼성전자 부진과 종목 장세
 
금주 KOSPI는 0.3% 상승하며 강보합 마감했습니다. 금주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8,173억원 순매도하며 삼성전자가 2.9% 하락하며 부진했던 점이 지수 상단을 제한했습니다. 한편 외국인은 KOSPI를 7,227억원 순매도해 삼성전자 외 종목에 대해서는 비중을 확대했고, 전거래일 기준 9거래일 연속으로 양시장 합산 신용잔고가 증가한 점은 종목장세를 촉발했습니다.
#특징업종: 1)원전: 한수원-美 Westinghouse 간 지재권 분쟁 마무리(두산에너빌리티 +4.6%, 비에이치아이 +0.4%) 2)전력기기: LS ELECTRIC(+15.1%)의 xAI 납품 호재(LS +5.3%, 가온전선 +1.6%) 3)여행항공: 설 황금 연휴 앞둔 기대감(대한항공 +4.1%, 진에어 +2.6%)
 
LS 그룹사의 약진
 
최근 전력기기 관련 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LS 그룹의 약진이 주목할만 합니다. LS는 Meta·Alphabet 등 자체 인터넷망 구축을 위한 해저케이블 관련주(LS전선, LS마린솔루션 +7.8% 등)로도 주목받았었는데, 최근 4대 빅테크(Microsoft·Apple·Google·Amazon) 중 3곳과 배전반 납품을 협의하고 있다는 소식에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LS ELECTRIC이 Elon Musk가 설립한 xAI에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를 공급한다는 보도에 그룹사 전반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LA 화재는 단기적인 모멘텀으로 볼 수 있지만, 빅테크 파트너십은 장기 이슈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건축허가·주택착공(22:30) 2)美 12월 산업생산(23:15) 3)中 LPR 금리(1·5년) 결정(20일 10:1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75
위 내용은 2025년 1월 17일 16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Jan, 02:05


마켓레이더(1월 1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트럼프 취임 대기하는 숨고르기 장세』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4% 하락한 2,518p. 미국 빅테크 동반 차익실현에 차주 트럼프 취임 앞두고 숨고르기
- 미국 주식시장은 연준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에도 빅테크 차익실현에 전일 상승분 반납하며 지수 하락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 올해 여러 차례 금리 인하 가능(could lower interest rates multiple times)하다 발언
:12월 미국 소매판매 전월 대비 +0.4%로 예상치 하회. 시장금리도 안정화. 10년물 국채금리 4.6% 초반
:그럼에도 전일 급등에 따른 피로감, 애플(-4%)의 중국 실적 악화 우려에 빅테크 위주 차익실현 매물 출회

- KOSPI도 전일 상승 이후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쉬어가는 흐름. 전선, 유리기판 등 일부 테마 강세 지속
:2거래일 연속 순매수 이어가던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전환. 현물 2,800억원 선물 1,500계약 이상
:미국 주식시장 하락에 아시아 주식시장 동반 약세. 차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앞두고 숨고르기 장세
:KOSPI 52주 신고가: 삼성중공업(조선, LNG선 기대) HD현대일렉트릭(AI향 수요 증가 기대, LA산불로 전력인프라 복구 필요), 메리츠금융지주(주주환원 확대),코웨이(주주행동), SNT(수주),LS에코에너지(머스크)
:해저케이블) 메타-구글 자체 인터넷망 구축 소식. 전력인프라와 더불어 AI 트래픽 증가에 대한 수혜 부각
:전력기기)LS일렉트릭, 머스크의 xAI향 데이터센터 전력기기 공급. LA산불과 더불어 AI도 꾸준한 모멘텀
:유리기판)SKC, CHIPs 7,500만 달러 보조금 확정 지급에 이어 미 정부로부터 1억 달러 추가 지원 소식
:차주 트럼프 대통령 취임(이후 행정명령) 주요 기업 실적(조선, 반도체 등), BOJ 통화정책회의 예정(2P참고)

KOSDAQ은 0.2% 하락한 723p. 전일 속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반락. AI 밸류체인 강세
- TSMC 호실적, SK하이닉스 HBM4 조기 공급 기대에 반도체 소부장 강세. 피에스케이홀딩스 +9.7%
:LS일렉트릭의 xAI에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 공급 소식에 전력설비·전선 테마, LS 그룹주 동반 강세
:원자력발전(한수원·웨스팅하우스, 원전 지재권 분쟁 타결 소식), 유리기판(AI반도체 강세에 동반 상승)

원/달러 환율은 미국 소매판매 컨센서스 하회, 연준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2.3원 하락한 1,455.2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1.1%, 대만(가권) -0.3%,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64
위 내용은 2025년 1월 17일 11시 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6 Jan, 22:57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감염병 확산 땐 코로나19를 돌아보자』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간 Review: 물가 안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2,500p 안착
- 차주 Preview: Trump 취임 후 행정명령 발동 영향 경계
- Market Insight: 감염병 확산 땐 코로나19를 돌아보자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48
위 내용은 2025년 1월 17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6 Jan, 07:4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16일
『물가 안도에 민감 반응, 2,500p 안착』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7.49 (+1.23%), 코스닥 724.24 (+1.77%)
 
미국 CPI 호재 가운데 외국인 양 시장 현선물 순매수
 
금일 KOSPI, KOSDAQ 각각 1.2%, 1.8% 상승했습니다. 그간 미국 물가 우려 등으로 장기 국채수익률 4.8%에 근접하면서 시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는데, 전날 미국 PPI에 이어 간밤 CPI가 양호하게 나오며 시장이 안도했습니다(Headline +0.4% MoM으로 컨센서스 소폭 상회  Vs. Core +0.2% MoM으로 전월비 둔화). 한편 이스라엘-하마스 간 휴전 합의로 지정학적 리스크는 다소 진정됐지만, 러시아 석유 제재 및 미국 내 일부 송유관 폐쇄 소식 등 공급 우려에 WTI는 배럴당 80$를 돌파했습니다. 한은 금통위에서는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환율 상방 압력을 우려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3.00%). 이에 달러-원 환율은 1,456.7원으로 소폭 진정됐고 외국인의 양 시장 현선물 유입에도 기여했습니다.
 
강세장 속 미국 금융주 호실적 발표
 
미국 금융주들은 강세장에 따른 수수료 수입 및 이자 수익 등에 힘입어 실적 서프라이즈를 보였습니다. JPMorgan(+2.0%)은 최초로 연간 순이익 500억달러를 넘겼고, Goldman Sachs(+6.0%)는 작년 4분기 대비 2배의 순이익을 보였습니다. 국내 금융주도 외국인 수급 유입과 함께 투심 개선되며 대체로 강했습니다(한국금융지주 +2.3%, 미래에셋증권 +2.2% 등)
#특징업종: 1)사이버보안: Trump, Microsoft와 AI 보안 논의(샌즈랩 上) 2)의료AI: 코어라인소프트(上), ‘Nature’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에 자체 AI SW 내용 게재(딥노이드 +7.0%) 3)양자: Microsoft, 기업용 양자컴퓨팅 솔루션 ‘Quantum Ready’ 공개(한국첨단소재 +22.5%)
 
AI반도체·전력기기 모멘텀 지속
 
간밤 미국 반도체지수 반등(+2.1%)에 더해 오늘 TSMC 4분기 호실적 및가이던스 서프라이즈로 반도체는 KOSPI 상승을 견인했습니다(삼성전자 +1.1%, SK하이닉스 +6.0%). 전력기기는 최근 LA전력청의 산불 피해 등 전력망 긴급 발주 소식에 더해 Elon Musk가 재차 전력 쇼티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는 소식에 강세였습니다(HD현대일렉트릭 +3.6% 신고가). AI반도체와 전력기기는 Trump의 정책과 관련해서도 관심이 유효합니다.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美 12월 소매판매(22:30) 3)美 1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22:30) 4)中 4Q GDP, 12월 산업생산·소매판매(17일 11:00) 5)United Health Group·Bank of America·Morgan Stanley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34
위 내용은 2025년 1월 16일 16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6 Jan, 02:04


마켓레이더(1월 1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예상치 하회 소비자물가에 안도!』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2% 상승한 2,526p. 예상치 하회한 소비자물가에 시장금리 하락 & 주식시장 자금 유입
- 미국 주식시장은 ①예상치 하회한 소비자물가 ②금융주 호실적 발표 ③지정학적 갈등 완화 영향에 상승
:12월 소비자물가 MoM 0.4% YoY 2.9% 상승. 핵심 소비자물가 예상치 부합하며 물가 안정세 유지
:10년물 국채금리 4.65%로 대폭 하락. 빅테크 일제히 반등. 실적발표 금융주 모두 호실적 발표하며 상승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470여일만 전격 휴전 합의. 트럼프 취임 후 러-우 갈등도 봉합 기대

KOSPI는 안정화된 시장금리에 외국인 자금 대규모 유입. 금리 하락+ TSMC 실적 기대감에 반도체도 강세
:한은 기준금리 동결. 12월 이후 정국 혼란, 연준 통화정책 등 대내외 요인 변화 속 금리 동결 선택
:1) 1,450원대 환율 부담 2) 나쁘지 않은 수출 지표 3) 연준 기준금리 인하 기대 후퇴가 동결 결정 요인
:외국인 2거래일 연속 현물 순매수. 금일 현선물 동반 순매수. 오전 현물 2,800억원 선물 5,000계약 이상
:소비자물가 예상치 하회 & 외국인 순매수세에 시장 하방압력 가중했던 원/달러 환율 1,450원 초반 등락
:미 빅테크 상승(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1%), TSMC 실적 기대감에 20만 닉스 복귀. 삼성전자도 상승
:KOSPI 52주 신고가: 한화오션 (조선, 엔진) HD현대일렉트릭, 일진전기(바이든, 데이터센터 건립 전력확보 행정명령, LA산불로 전력인프라 복구 필요), 메리츠금융지주(주주환원 확대),코웨이(주주행동)
:MS의 2025년 양자 컴퓨팅 준비 소식(2025년을 Quantum-Ready Year로 명명)에 관련 테마 상승
:1월 FOMC는 금리 동결 하겠으나 소비자물가 하회→ 국채금리 안정화 영향에 위험자산 선호도 상승
:금통위 동결에도 시장 반응 미미&외인 매수 지속. TSMC 실적 발표에 따른 반도체 업종 등락 확인 필요

KOSDAQ은 1.6% 상승한 723p. 금리 부담 완화에 위험자산 선호 회복.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수
-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도 금리 부담에 주가 상단 제한됐던 제약바이오, 미국 core CPI 안도에 반등
:월가 목표 주가 상향에 힘입어 속등한 테슬라 영향에 2차전지주도 동반 강세. 에코프로비엠 +3.3%
:양자컴퓨터(MS의 긍정적 코멘트에 반등), 로봇(삼성전자·레인보우로보틱스 기업결합 심사 요청)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2월 core CPI 둔화에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반영되며 3.8원 하락한 1,450.9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5%, 대만(가권) +2.2%, 홍콩(항셍) +0.9%,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28
위 내용은 2025년 1월 16일 11시 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Jan, 22:58


『중국 주식전략; 인바운드 여행 빗장을 푼 중국: OTA 업계 재편의 시사점』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문화·관광 부양 조치 강화. 무비자 정책 확대로 인바운드 여행 수혜
- 차별적 이익 성장이 기대되는 OTA. 공급과잉 업종에 주는 시사점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20
위 내용은 2025년 1월 16일 7시 5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Jan, 08:03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15일
『미국 CPI 발표 앞두고 전강후약』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96.81 (-0.02%), 코스닥 711.61 (-0.90%)
 
엎친데 덮친 격으로 작용한 BOJ의 발언
 
금일 KOSPI, KOSDAQ 각각 0.0%, 0.9%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12월 PPI가 시장 예상치 하회(+0.2% MoM)하는 등 안도 요인에도 불구하고 오늘 예정된 미국 12월 CPI 발표를 대기하며 관망세 나타났습니다. 특히 상승 출발한 양 시장은 BOJ 총재의 발언이 하방 충격으로 작용했습니다. 전날 부총재의 발언에 이어 오늘 장중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임금 관련 전국 상황이 긍정적이라며 다음 주(23~24일) 예정된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인상 여부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점에 시장의 경계가 확산됐습니다. 달러-엔 환율은 가파르게 하락하며 157선 위협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삼성전자(-0.4%) 약세에도 SK하이닉스(+1.6%)가 Nvidia HBM4 조기 공급 등 소식에 강세 보이며 지수 하단을 방어했습니다.
 
실적 신호탄 금융주에 기대감 유입
 
오늘부터 미국의 금융주를 신호탄으로 실적 시즌이 개막합니다. 간밤 JPMorgan(+1.3%)·Goldman Sachs(+1.5%) 등 은행주들이 상승하면서 간밤 미국 금융도 섹터 중 가장 강했습니다(+1.4%). 지난 비상계엄 이후 밸류업 관련 업종들을 강하게 매도해온 외국인도 오늘 금융 종목을 매수하면서 주가가 상승했습니다(KB금융 +1.2%, 신한지주 +1.6%)
#특징업종: 1)전력기기: LA전력청, 산불 피해 복구 등 전력망 긴급 발주(효성중공업 +6.4%, 대한전선 +4.1%) 2)해운: 해운 운임 상승 및 강달러 수혜 기대(HMM +6.4%, 흥아해운 +5.3%) 3)양자 기술: 단기 낙폭 과대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IonQ +5.9%, 한국첨단소재 +29.8%)
 
조선으로 집중되는 수급
 
조선주 다수 신고가였습니다(HD한국조선해양 +3.2%, 한화오션 +6.4%, 삼성중공업 +9.7%, 한화엔진 +9.8%, HD현대마린엔진 +3.7% 등). Trump 2기 출범을 앞두고 미국 에너지 정책에 발맞추기 위한 파트너십 수요 기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인데, Biden 정부가 중단시켰던 LNG 수출 허가가 Trump 출범 후 신속하게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고부가 에너지 운반선 중심 성장 가능성 부각되고 있습니다. MRO 등 방산 측면도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CPI(22:30) 2)美 1월 뉴욕 연은 제조업지수(22:30) 3)연준 Barkin·Kashkari·Williams·Golsbee 연설 4)JPMorgan·Wells Fargo·Goldman Sachs·Citi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102
위 내용은 2025년 1월 15일 16시 5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Jan, 02:10


마켓레이더(1월 1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오늘도 지속되는 조선왕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3% 상승한 2,506p. 소비자물가 발표 경계감에도 외국인 순매수 전환, 조선주 강세에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 하회한 생산자물가에도 소비자물가 우려, 금융주 실적 대기 등 관망세 속 혼조세
:미 생산자물가(PPI) 전월 대비 +0.2%(예상치 +0.3%, 전월 +0.4%)로 둔화 흐름. 소비자물가 금일 발표
:골드만삭스, JP모건, 블랙록, 웰스파고 등 금일 실적 발표. 호실적 전망에 금융주 전반 주가 견고
:국채금리, 달러인덱스 보합권 유지. 10년물 국채금리 4.78%, 달러인덱스 109.2p. 금리에 따른 변동성 지속

KOSPI는 원/달러 환율 안정화된 가운데 외국인 현물 순매수 전환에 반등. 최근 상승랠리 조선주 강세 지속
:외국인 현물 순매수(오전 700억)전환에 지수 반등 성공했으나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개인 순매도
:예상치 하회한 생산자물가에 달러인덱스 추가 상승 저지. 원/달러 환율 1,450원대 하락하며 외국인 순매수
:KOSPI 52주 신고가: 한화엔진,오션, HD현대마린엔진,한국조선해양, STX엔진, 삼성중공업(조선, 엔진)
산일전기, 금호전기(바이든, 데이터센터 건립 전력확보 행정명령, LA산불로 전력인프라 복구), 메리츠금융지주(주주환원 확대),코웨이(주주행동), 오리엔트바이오(이재명테마, 윤석열 대통령 체포 진행)
:조선) 삼성중공업,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글로벌 LNG투자, 생산 확대 전망에 목표주가 상향. 신고가 경신
:오늘 미 소비자물가 발표. 예상치 상회시 시장금리 상승으로 주식시장 하방압력 부여 가능. 경계 필요 .TSMC 실적 발표 역시 반도체 업종 등락에 영향 미칠 전망

KOSDAQ은 0.3% 하락한 716p. 주도주 부재에 순환매 지속. 제약바이오 약세 지수 하방압력으로 작용
- HLB, 리보세라닙 FDA CMC 실사 완료 소식에 상승 출발. 다만, 3가지 지적 사항 받은 점 부각되며 반락
:일라이릴리, FY4Q24 매출 가이던스 5% 하향에 6.6% 하락. 국내 비만약 테마도 투심 약화되며 약세
:조선기자재(연이은 호재에 모멘텀 지속), 자율주행(칩스앤미디어, 빅테크와의 협업으로 APV 개발 착수)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관세 정책이 기존 예상보다 완화될 가능성 거론되며 3.3원 하락한 1,458.7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 대만(가권) -0.5%,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91
위 내용은 2025년 1월 15일 11시 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Jan, 22:48


『퀀트분석; 신한 Earnings Guide: 2025년 실적 풍향계: 제한된 상승, 견고한 방패』
퀀트 이정빈 / 이민재 02-3772-2919

- 반도체 실적 둔화 우려와 함께 KOSPI 12개월 선행 EPS 하향 조정
- KOSPI 2024년 4분기 및 2025년 기업이익 Preview
- 실적 모멘텀이 가시화되고 있는 업종은 필수소비재, 조선, 기계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78
위 내용은 2025년 1월 15일 07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Jan, 07:5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14일
『물가 불안 요인들 속에서 찾은 희망』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97.40 (+0.31%), 코스닥 718.04 (+1.39%)
 
CPI 발표 앞두고 Trump 관세 + 중국 불안 완화
 
금일 KOSPI, KOSDAQ 각각 0.3%, 1.4% 상승했습니다. 내일 미국 CPI 발표를 앞두고 미 장기 채권 금리가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 경신했고, 달러인덱스도 2년 2개월 만에 110선을 돌파하기도 하는 등 매크로 하방 압력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다만 Trump의 경제팀이 보편관세를 매월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Bloomberg)이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고, 중국 시장 반등도 긍정적 요소였습니다(Shanghai +2.5%, HSCEI +2.15%). 앞서 통화정책 완화 전환 및 상무부 이구환신 정책 강화에 더해 증권감독관리위원회에서 올해 증시 부양 조치에 더 집중하겠다는 정책 기조를 밝히면서 기대감 유입됐습니다. 관련해서 화학(애경케미칼 +4.7%, 대한유화 +2.5%), 2차전지 밸류체인 등 강세였습니다.
 
엇갈리는 신산업의 성과
 
최근 테마장에서 강세였던 신산업의 성과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Jensen Huang에 이어 Mark Zuckerberg Meta CEO도 양자 기술 상용화에 오랜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발언에 양자 기술주 약세 보였고(한국첨단소재 -30.0% 등), 우주는 Blue Origin의 New Glenn 발사 연기 등에 하락세 나왔습니다(이노스페이스 -3.3%). 한편 레인보우로보틱스(+4.2%)는 삼성전자(-0.4%)와 결합 신고에 신고가 경신하는 등 로봇주 강세였습니다.
 #특징업종: 1)유리기판: CES 2025에서 차세대 소재로 주목(필옵틱스 +8.2%) 2)엔터: JYP Ent.(+7.1%) 신인 보이그룹 ‘킥플립(20일 데뷔)’, 에스엠(+6.9%)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2월 데뷔)’ 3)시멘트: LA 산불에도 콘크리트 건물 피해 상대적 미미(강동씨앤엘 +11.3%)
 
한국 조선업 호재 지속
 
오늘 한화오션(+6.2%)·태광(+0.3%) 등 조선/기자재 종목 신고가 보였고, HD현대중공업(-0.3%)·성광벤드(-1.7%)도 장중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작년 4월부터 진행해온 중국 조선·해운업 조사에서 중국의 불공정 경쟁이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는 보도(Reuter) 등의 영향입니다. 조선은 한국(28%)이 중국(51%) 외에 점유율이 가장 높은 만큼 반사 수혜 기대가 있어왔습니다. 여기에 더해 미 의회예산처(CBO)에서 해군이 향후 30년간 1조750억달러 예산을 투입해 총 364척 군함을 새로 구매해야 한다고 밝힌 점에서 국내 파트너십 기대도 유효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PPI(22:30) 2)연준 Schmid 연설(24:00) 3)韓 12월 수출입가격(15일 06:00) 4)日 12월 공작기계 주문(15일 15: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67
위 내용은 2025년 1월 14일 16시 5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Jan, 02:11


마켓레이더(1월 1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미 소비자물가 대기하는 외국인의 Risk-off 심리』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하락한 2,485p. 고금리, 강달러 영향에 3거래일 연속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 미국 주식시장은 내일 발표될 소비자물가 대기하는 가운데 고금리-강달러 여파 지속되며 혼조 마감
:10년물 국채금리 4.8%, 달러인덱스 110p 돌파하며 주식시장 하락. 예상치 상회 뉴욕연은 기대인플레 영향
:세부 수치 확인 후 금리 소폭 반락. 저가매수세도 유입되며 지수 낙폭 축소. 내일 밤 소비자물가 대기
:엔비디아(-2.0%), 블랙웰 랙에 과열문제 발생했다는 보도에 하락. 알파벳, MS등 주문 지연/연기 소식

- KOSPI는 외국인 3거래일 연속 현선물 동반 순매도 이어지며 약보합. 반도체, 금융 등 대형주 역시 부진
:높은 시장금리에 내일 미 소비자물가, 다음주 트럼프 취임까지, 불확실성 지속되며 외국인 Risk-off 지속
:외국인 3거래일 연속 현선물 동반 순매도. 오전 현물 2,000억원 선물 2,300계약 이상 순매도
:장초 저가매수세 유입 됐으나 반도체(블랙웰 결함), 바이오, 인터넷, 게임(고금리), 금융주 하락에 약보합
:조선) 한화오션, 엔진, HD현대중공업(필리조선소 등 미국 협력, 트럼프 취임 전 기대감) 52주 신고가
:조선) 산업부 장관, 트럼프 2기 인사와 조선업 협력 위한 방안 논의했다는 보도도 조선주 상승 모멘텀
: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고금리에도 2조 747억 규모 의약품 위탁생산계약 체결 공시에 소폭 상승
:고금리, 강달러 시장에 악재로 작용. 이번주 TSMC 포함 미국 실적, CPI(2P참고)등에 증시 방향성 결정

KOSDAQ은 0.3% 상승한 710p. 위험 선호 회복에 3거래일 만에 반등. 주도주 부재에 순환매 장세 지속
- 실적 시즌 돌입하면서 턴어라운드 기대 종목 매수세 유입. 신인 데뷔 및 대표그룹 컴백 기대되는 엔터 부각
:광고(모비데이즈, 틱톡 일론 머스크 인수설에 상한가), 조선기자재(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반사수혜 기대)
:젠슨 황에 이어 저커버그도 양자컴퓨팅 상용화에 10년 이상 필요하다고 발언하면서 양자컴퓨터 테마 속락

원/달러 환율은 미국 주식시장 반등에 위험 선호 회복되며 1,470원 하회. 2.6원 하락한 1,464.9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4%, 대만(가권) +0.3%,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57
위 내용은 2025년 1월 14일 11시 1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Jan, 22:36


『글로벌 주식전략; 연준 B/S만으로 미국 증시 전망할 수 없는 이유』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미국 증시 조정 이유로 지목받은 유동성 우려, 사실일까?
- '23년 말부터 축소된 유동성의 증시 영향력, 답은 뻔하지만 실적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43
위 내용은 2025년 1월 14일 7시 3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Jan, 07:53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13일
『시장을 무겁게 짓누르는 금리 압력』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9.56 (-1.04%), 코스닥 708.21 (-1.35%)
 
Good news is bad news
 
금일 KOSPI, KOSDAQ 각각 1.0%, 1.4% 하락했습니다. 아시아 주요국(Nikkei225 선물 -2.0%, TAIEX -2.3%, HSCEI -0.7% 등)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현재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 논의가 있는 상황에서 경기 관련 Good news가 Bad news로 작용한 영향입니다. 지난 금요일 발표된 미국 고용보고서의 서프라이즈(비농업 고용자수 25.6만명, 예상 16.0만명)에 장기 국채수익률 4.79%까지 오르면서 시장의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이번 주는 미국 CPI(1/15)·PPI(1/14) 등 물가 지표가 발표될 예정인 만큼 경계감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외국인이 KOSPI 현선물 1.3조원 가량을 순매도 한 가운데, 시총 상위 5개 중 삼성바이오로직스(+1.2%, JP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만 올랐습니다.
 
은행, 조선, 로봇 등 선방
 
시장 전반 조정 가운데서도 조선/기자재(한화오션 +0.3%, 성광벤드 +4.4%, 태광 +3.4%), 로봇(하이젠알앤엠 +14.3%) 등 신고가였습니다. 삼성전자가 인수한 레인보우로보틱스(+3.9%)도 상승세였습니다. 은행은 미국 금융주 실적 발표 앞둔 가운데 방어적 성격도 부각에 선방했습니다. 
#특징업종: 1)남북경협: 국정원, Trump-김정은 간 대화 추진 가능성 및 핵동결 등 스몰딜 가능 언급(일신석재 +4.1%, 양지사 +3.4%) 2)원전: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MOU 체결 등 영향 지속(우진엔텍 +17.4%, 일진파워 +8.2%) 3)우주: Blue Origin, ‘New Glenn’ 발사 임박 및 SpaceX 15일 Starship 발사 예정(에이치브이엠 +2.7%, 이노스페이스 +3.4%)
 
LA 화재 발 관련 테마 강세
 
LA에서 4건의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현재까지 건물 1만2,000여채가 소실된 것으로 보이고 피해 규모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관련 테마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실된 건물 및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력설비(제룡산업 +29.9%, 제일일렉트릭 +12.3% 등) 및 재건 관련주(범양건영 +5.5%, 전진건설로봇 +3.4% 등) 강세였습니다. 한편 화재로 대기질 우려도 나타나면서 공기청정기(위닉스 +7.8%), 황사마스크/필터(케이엠 +5.4%, 크린앤사이언스 +4.3%), 공기측정솔루션(케이웨더 +13.1% 등) 등 청정 공기 테마도 강세였습니다.
#주요일정: 1) 美 12월 뉴욕 연은 기대인플레이션(14일 01:00) 2) 美 국채(3개월·6개월) 입찰(14일 01:3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30
위 내용은 2025년 1월 13일 16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Jan, 06:54


『4Q24 실적 발표 일정』
퀀트 이정빈 / 이민재
☎️ 02-3772-2919

4분기 국내기업 실적 발표 일정 내역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캘린더 확인: https://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2025

현재 실적 발표 일정은 블룸버그 예정 일정이 많이 포함된 상태로 다소 부정확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Jan, 02:05


마켓레이더(1월 1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Bad 주식시장 Good 미국 경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0% 하락한 2,489p. 고금리 강달러 영향에 외국인 자금 이탈하며 낙폭 확대
-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 크게 상회한 고용지표 영향에 금리 인하 속도 둔화 우려 커지며 하락 마감
:비농가취업자 25.6만명(예상치 16만명) 증가, 실업률도 전월 4.2%에서 4.1%로 하락. 시장금리 반등
:10년물 국채금리 4.76%, 달러인덱스 109.7p, 1월 금리 동결 확률 97.3%(페드워치 기준)
:여기에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AI 반도체 추가 규제 보도(블룸버그) 까지 악재 추가. 빅테크 대부분 하락

- KOSPI는 금리 영향에 위험자산 선호 축소되며 하락 중인 아시아 주식시장과 동조화.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
:높은 시장금리에 위협받는 주식시장. 한국 뿐 아니라 아시아 주식시장 금일 동반 낙폭 확대
:외국인 2거래일 연속 현선물 동반 순매도. 금일 매도 규모 확대. 현물 3,280억원 선물 6,600계약 이상
:소폭 안정화 됐던 원/달러 환율도 달러 강세 영향에 재차 반등. 1,450원대에서 1,470원대로 복귀
:대부분 업종 하락. 미국 대중 반도체 추가 규제 소식에 국내 반도체도 약세. SK하이닉스 상대적 낙폭 확대
:한화오션(필리조선소, 조선업 기대감),전진건설로봇(LA산불+우크라 재건), 지누스(호수출) 등 52주 신고가
:밸류업(주주환원) 기대감도 지속. 금일 금융섹터도 상승. 메리츠금융지주 주주환원 기대감에 신고가 경신
:고금리, 강달러 시장에 악재로 작용. 이번주 TSMC 포함 미국 실적, CPI(2P참고)등에 증시 방향성 결정

KOSDAQ은 0.9% 하락한 711p. 고금리 부담에 2거래일 연속 하락. 개별 이슈에 따른 종목 장세 시현
- 외국인 6거래일 연속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수. 동기간 대형주 대비 중소형주 아웃퍼폼
:LA 산불 피해 규모 확대되는 가운데 건설기계(복구 수요 기대), 공기청정기(산불에 공기청정기 품절) 강세
:원자력발전소(한미 원자력 수출·협력 MOU 체결 후 상승세), 석유(미 행정부 러시아 제재안 발표)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2월 고용 호조에 금리 인하 기대 후퇴하며 1,470원 돌파. 0.6원 상승한 1,472.6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1.1%, 대만(가권) -1.4%, 홍콩(항셍) -1.2%,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018
위 내용은 2025년 1월 13일 11시 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0 Jan, 07:5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10일
『5거래일 연속 상승 후 쉬어가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코스피 2,515.78 (-0.24%), 코스닥 717.89 (-0.78%)
 
연속 상승에 따른 부담과 금리 압박에 따른 숨고르기 장세
 
KOSPI, KOSDAQ 각각 0.2%, 0.8% 하락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애도의 날로 휴장했습니다. 저가매수세 유입이 지속되며 신년 랠리가 지속된 한국 주식시장은 금일 쉬어가는 양상이었습니다.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미셸 보우먼 이사는 “12월 FOMC의 금리 인하가 마지막이어야 한다”고 발언했고 페드워치 기준 1월 금리 동결 확률은 93.1%, 10년물 국채금리는 4.7%에 도달했습니다. 금리인하 속도 둔화 우려가 위험자산 선호를 축소시켰고 5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던 외국인은 현선물 각각 372억원, 1,795계약 순매도 전환 했습니다. 오늘밤 고용보고서와 다음주 소비자물가 등 을 관망하며 주식시장은 금리 등락에 따른 영향권에 놓이겠습니다. 
 
자동차까지 확산되는 엔비디아 모멘텀
 
고금리 환경에도 엔비디아 모멘텀이 추가된 자동차, 한미 소통체계 구축 MOU 체결 소식에 원전주가 상승하며 KOSPI는 타국가 대비 양호한 상대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KOSPI-0.2%, NIKKEI -1.1%, 상해종합 -1.3%)
#특징업종: 1) 원자력: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MOU (비에이치아이 +10.5%, 두산에너빌리티 +6.2%) 2) 건설기계, 전력설비: 미국 LA 산불에 파괴된 전력망 복구 수요 기대(전진건설로봇 +21.7%, HD현대건설기계 +6.8%) 3)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4Q24 잠정실적 적자 전환에 투심 약화(LG에너지솔루션 -2.8%, 삼성SDI -2.1%)
 
조선만 보지 말고 자동차도 봐주세요
 
간만에 현대차를 필두로 자동차 업종이 강하게 반등했습니다. 현대차(+6.1%), 기아(+2.2%), 슈어소프트테크(+24.4%). ①현대차그룹이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소식과 ②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4.3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는 소식에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입됐습니다(현대차, 기아 외국인 각 3,845억, 3,442억원 순매수). CES에서 젠슨황 CEO는 로봇과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AI 개발을 위한 플랫폼인 ‘코스모스’를 공개하였고, 현대차와의 파트너십은 관련 기대감의 증폭제 역할을 했습니다.  
#주요일정: 1) 美 12월 고용보고서(10일 22:30) 2) 美 1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지수(11일 00: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81
위 내용은 2025년 1월 10일 16시 4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0 Jan, 02:13


마켓레이더(1월 1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미 증시 휴장에 신년 상승 랠리 쉬어가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하락한 2,517p. 외인 순매도 전환. 엔비디아 영향에 자동차, 한미MOU 영향에 원전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애도의 날로 임시 휴장
:10년물 국채금리 4.68%, 달러인덱스 109.1p, 1월 금리 동결 확률 93.1%(페드워치 기준)

- 신년 5거래일 연속 상승 성공한 KOSPI는 미국 휴장인 가운데 쉬어가기. 자동차, 원전주 각각 호재에 상승
:5거래일 연속 현물 순매수한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오전 현물 800억원 선물 1,100계약 이상 규모
:오늘의 상승 업종 중 자동차 주목. 현대차-엔비디아 모빌리티 혁신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소식
:전일 국내 24.3조원 투자 소식도 호재. 작년보다 20% 늘린 규모, R&D 투자로 내수 경기도 부양 기대
:52주 신고가: 조선(HD현대중공업,한화오션), 보일러(경동나비엔) 등 수출주 오늘도 신고가 경신 지속
:원전)한미, 제3국 원전 수출 관련 소통 체계 구축 MOU 체결. 24조원 규모 체코 원전 수주 확정 기대감
:금리, 달러인덱스 여전히 높은 상황. 다음주 TSMC 포함 실적, 미국 CPI(2P참고) 등 이벤트 대기

KOSDAQ은 1% 하락한 716p. 7거래일 연속 상승 부담감에 대형주 중심 차익실현 매물 출현하며 하락
- 투자심리 회복에 개인 중심 매수세 유입 지속됐지만 연초 이후 속등한 영향에 외국인 매도 확대되며 반락
:전일 패시브펀드 리밸런싱 수급 유입에 장막판 급등한 에코프로비엠 되돌림,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MOU 체결에 체코 원전 수출 분쟁 리스크 완화 기대에 원자력발전 테마 강세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미국 주식시장 휴일, 12월 고용보고서 대기심리에 횡보. 0.8원 하락한 1,459.2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1.3%, 대만(가권) -1%, 홍콩(항셍) +0.0%,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69
위 내용은 2025년 1월 10일 11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9 Jan, 23:18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Trump 조선업 협력 러브콜의 득실』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간 Review: 외국인 연속 매수세에 2,500p 안착
- 차주 Preview: 실적 시즌과 JP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막
- Market Insight: Trump 조선업 협력 러브콜의 득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44
위 내용은 2025년 1월 10일 7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9 Jan, 23:11


『(신한 팝업스토어 #1 로보틱스) 변방국 로봇의 개화는 중소형주로부터』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투자전략 노동길 / 스몰캡 이병화, 최승환, 허성규, 백지우

안녕하세요 신한투자증권 강진혁, 노동길, 이병화, 최승환, 허성규, 백지우입니다. 시장에서 주목받는 테마를 빠르게 포착하고, 트렌드를 해설해드리기 위해 '신한 팝업스토어' 시리즈를 발간하고자 합니다. 시장 대응 및 종목 선별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 기지개 켤 중소형주, 필요한 건 앙팡 테리블
- 올해 매크로 환경 속 중소형주 약진 예상되는 가운데 신규 주도 테마 출현 기대

II. 더 이상 막연한 미래가 아닌 메가트렌드, 로봇
- 빅테크, 중국이 주도하던 로봇 테마는 점차 국내로 확산. Trump 규제 완화 기조, Musk가 그리는 미래상 등을 통해 밸류에이션 확장 기대

III. Top Picks
- 범용성, 레퍼런스 보유 S/W(씨메스, 클로봇), 지능형 로봇 확대 수혜 H/W(하이젠알앤엠), 기술 내재화 의료(엔젤로보틱스, 피앤에스미캐닉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56
위 내용은 2025년 1월 10일 8시 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9 Jan, 22:59


『글로벌 주식전략; 유럽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버블을 만들 유동성 공급자』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성장, 기업이익 관점에서 좀처럼 의미를 갖기 어려운 유럽 증시
- 유동성 공급자라고 생각한다면, 유럽이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43
위 내용은 2025년 1월 10일 7시 4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9 Jan, 08:0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9일
『외국인 매수세에 KOSPI 2,500p 안착』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1.90 (+0.03%), 코스닥 723.52 (+0.54%)
 
아시아 주요국과 디커플링되며 선방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0%, 0.5% 상승했습니다. 간밤 미국은 Trump가 보편관세의 강행을 위해 경제비상사태 선포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CNN)에 경계감이 확산됐습니다. 그간 Trump 기대감이 반영되던 시장은 취임을 앞두고 리스크에도 시선이 이동하며 관망세가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아시아 주요국도 다수 부진했지만(Nikkei225 -0.9%, TAIEX -1.4%, Shanghai -0.6%), 국내 양 시장은 선방하며 상승 이어갔습니다. 외국인은 KOSPI를 5거래일 연속 사들이며 지수를 끌어올렸고, KOSPI도 5일 연속 올라 2,500p 안착했습니다. Jensen Huang이 최태원 SK 회장과 회동하면서 SK하이닉스(+5.3%) 올랐고, 현대차(-0.2%)·기아(+2.3%)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4.3조원의 투자 계획을 밝히며 주목받았습니다.
 
미국과의 파트너십 기대되는 산업재 강세
 
방산은 폴란드발 이슈에 소폭 위축됐지만, 조선·전력기기는 강세 이어갔습니다. 특히 산업부가 한미 조선 협력을 위한 범부처TF를 신설하고, 한미 협력 패키지를 마련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HD한국조선해양(+2.1%)·한화오션(+1.0%) 등 신고가였습니다. 전력기기도 미국 그리드 투자 지속 등 견조한 마진 전망에 강했습니다(HD현대일렉트릭 +3.5% 신고가)
#특징업종: 1)유리기판: CES 2025 행사에서 차세대 소재로 주목(필옵틱스 +7.9%, HB테크놀러지 +2.6%) 2)방산: 비상계엄 이후 폴란드 관계자 한국 방문 연기 소식(현대로템 -1.6%, 한화시스템 -1.4%) 3)양자: Jensen Huang, 양자 상용화 수십년 소요 발언(아이윈플러스 -20.7%)
 
출발을 알리는 중소형 로봇주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1.1%) 인수와 CES 2025 기대에 촉발된 로봇주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Jensen Huang이 로봇 개발용 플랫폼 ‘Cosmos’ 출시를 밝히면서 휴머노이드 로봇 라인업을 선보인 점 등이 투심을 자극했습니다. 특히 LG전자(-1.2%)가 휴머노이드 로봇에 진출한다는 소식에 하이젠알앤엠 상한가였고, 케이엔알시스템(+25.0%)은 Boston Dynamics 향 매출이 주목받으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글로벌 로봇 트렌드로부터 국내 중소형 부품주들의 성장세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휴장(Jimmy Carter 前 대통령 서거 따른 임시 공휴일) 2)Fed Harker·Barkin·Bowman·Schmid 등 연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40
위 내용은 2025년 1월 9일 16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9 Jan, 02:21


마켓레이더(1월 9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불안감보단 기대감이 지속되는 2025년』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4% 상승한 2,529p. 원/달러 환율 안정화. 호실적 기대 테마와 수출주가 지수 상승 견인
-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 하회한 고용 지표, FOMC 의사록 내용 영향에 상승했던 시장금리 안정화 속 혼조세
:트럼프, 보편적 관세 부과를 위한 국가경제 비상사태 선포 시사. 10년물 국채금리 4.7% 도달
:예상치 하회한 ADP민간고용,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영향에 재차 하향안정화. 4.6%- 금리 중요도 상승
:FOMC 의사록, 금리 인하 속도 완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이미 트럼프 리스크 선반영(하향안정화 요인②)

- KOSPI는 저가매수세 5거래일 연속 유입되며 상승. 조선, 전력기기, 음식료, 보일러 등 호실적 수출주 주도
:외국인 5거래일 연속 현물 순매수. 선물은 순매도. 반면 개인, 기관은 현물 순매도 양상. 거래대금도 회복
:CES서 유리기판 실물 공개한 SKC에 이어 앱솔릭스, 유리기판 생산물량 예약 완료 시사. 테마 강세 지속
:52주 신고가: 전력기기(HD현대일렉), 조선(HD한국조선해양,한화오션), 보일러(경동나비엔) 등 수출주
:음식료)호실적에도 쉬었던 삼양식품, 2025년 P, Q 동반 상승 기대. 수출 호조에 강달러 마진 개선 기대감
:반도체)미국, AI 수출통제 전세계 확대이나 한국 등 동맹국 제외. SK하이닉스 반사수혜 기대감 속 강세
:조선)산업부,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 마련. 트럼프의 조선 협력 기대감에 따른 방안. 실적에, 정책까지
:로봇)LG전자 휴머노이드 진출 소식. 로봇 솔루션 기업 씨메스, 최태원 회장-젠슨 황과 로봇 AI 협력 소식
:금리 불안 지속되는 가운데 금일 고용보고서 공개. 1월 FOMC 전 경제지표에 따른 변동성 확대 지속

KOSDAQ은 0.2% 하락한 718p. 금리부담에 7거래일 만에 반락. CES 2025 수혜주 옥석가리기 전개
- 외국인, 기관 매도세 이어지며 대형주 부진한 가운데 개별 이슈에 따라 수익률 차별화되는 종목 장세 시현
:CES 2025에서 유리기판 공개한 SKC, 엔비디아 공급 기대에 유리기판 테마 모멘텀 지속 연일 상승세
:양자컴퓨터 테마는 젠슨 황의 양자컴퓨터 상용화 멀었다는 발언에 미국 관련주 속락 연동되며 낙폭 확대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發 국가 비상사태 선포 검토 소식에 1,450원 상회. 3.6원 하락한 1,456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33
위 내용은 2025년 1월 9일 11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8 Jan, 22:48


『글로벌 ETF; 테마 ETF Guide Book: 암호화폐, 전통 금융을 포섭한 방법』
글로벌 퀀트 박우열 02-3772-2324

- 전통 금융의 입장 변화: 글로벌 IB, 운용사, 연기금, 국가 단위의 전향적 변화
- 암호화폐 가치평가: 밸류에이션과 자산 배분 이론가들을 포섭하게 된 배경
- 확장되는 상품군과 ETF 수급: 순유입 지속 중이며 솔라나, 리플도 ETF 예정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24
위 내용은 2025년 1월 09일 07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8 Jan, 07:4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8일
『Nvidia의 해명과 삼성전자 바닥 인식』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1.05 (+1.16%), 코스닥 719.63 (+0.19%)
 
대외 하방 압력에도 나흘째 상승세
 
KOSPI, KOSDAQ은 각각 1.2%, 0.2% 상승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이 금리 압박에 3대 지수 모두 하락세 나타났지만 KOSPI는 4거래일 연속 올랐습니다. 미국 12월 ISM 서비스업지수(54.1p)는  서프라이즈 보였고, 특히 하위지수 중 가격이 급등(64.4p)했습니다. JOLTs 구인건수도 809.8만 명으로 6개월래 최고치 보였고, 10년물 국채 입찰까지 부진하며 장기 국채수익률이 4.69%까지 근접했습니다. 한편 개장 전 삼성전자가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는데, 기대를 하회(영업이익 6.5조원, 컨센서스 7조원)했음에도 바닥 통과 인식에 매수세 유입됐습니다. CES 2025에서 Jensen Huang이 삼성전자의 HBM 퀄 테스트 성공을 확신한다는 발언과 RTX 50 시리즈 납품 관련 해명 등 발언도 안도 요인이었습니다.
 
외국인 KOSPI 4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작년 8월 16일 이후 약 5개월 만에 KOSPI를 4일 연속 순매수했습니다. 삼성전자도 2,738억원 순매수하면서 작년 같은 날 이후 최대 매수세였습니다. 작년 8월 16일은 Black Monday(8/5) 이후 KOSPI 최고점을 보인 날이기도 합니다. 저가 매수세 지속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징업종: 1)진단키트: 중국·인도 HMPV, 미국 쿼드데믹(독감·코로나19·노로바이러스·RSV) 등 감염병 확산(세니젠 상한가, 녹십자엠에스 +8.9%)  2)유리기판: SKC(+12.6%), CES 2025에서 유리기판 실물 전시(필옵틱스 +7.8%, HB테크놀러지 +4.8%) 3)양자: Jensen Huang, 양자 기술 초기 단계 제품 15년 이상 소요 발언(아이윈플러스 -12.9%)
 
Jensen Huang과 국내 반도체 업체
 
CES 2025에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술주의 동향 및 합종연횡 전망 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날 Jensen Huang의 기조연설에서 RTX 50 시리즈에 Micron 칩이 주력으로 언급되며 국내 종목들의 실망 매물이 출회됐었습니다. 다만 이후 Jensen Huang은 스스로의 발언을 해명하며 국내 양사도 주요 협력사임이 확인됐습니다. 한편 Jensen Huang은 이번 CES 행사에서 최태원 SK 회장을 만나기로 했고, 삼성전자 HBM과 관련해서는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며 퀄 테스트 장기화 원인을 밝혔습니다.
#주요일정: 1) 美 12월 ADP 민간고용(22:15) 2) 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3) 美 EIA 원유재고(24:30) 4) FOMC 회의록(9일 0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12
위 내용은 2025년 1월 8일 16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8 Jan, 02:12


마켓레이더(1월 8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금리 동결 가능성에도 굳건한 KOSPI』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예상치 하회한 삼성전자 실적, 강한 경제지표로 인한 금리 동결 가능성에도 저가매수세 유입
-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 상회한 ISM 서비스업지수, 고용건수에 시장금리 상승, 위험자산 선호 축소되며 하락
:ISM 서비스업지수 54.1, 예상치(53.4), 전월(52.1)대비 상승. JOLTs 구인건수도 810만건. 5월 이후 최다
:10년물 국채금리 4.7% 육박(4.69%), 달러인덱스 상승. 페드워치 기준 연내 금리 동결 확률 상승

- KOSPI는 신년 이후 저가매수세 4거래일 연속 유입. 삼성전자 예상치 하회 실적 발표에도 지수 상승
:삼성전자 4분기 실적발표. 영업이익 6.5조원으로 예상치(8.2조) 하회. 그럼에도 장중 상승. 주가 바닥 인식
:젠슨황, CES서 GDDR7 공급사로 마이크론만 언급했으나 아니라 해명. 하이닉스,삼성전자 모두 공급 전망
:CES서 유리기판 실물 공개한 SKC 영향, 테마 강세 지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된 미국과 다른 국내 반도체
:반면 양자컴퓨터 테마는 하락. 젠슨황이 ‘양자컴퓨터 상용화까지 긴 시간이 걸릴것’이라 발언한 영향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25년 현물 5,662억원 순매수한 외국인 금일도 순매수. 다만 매수 규모는 축소
:역대급 독감 유행에 관련주 상승.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앞두고 업종 훈풍 지속.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해당 행사에서 신약개발 전략 공개 예정. 유한양행 렉라자, NCNN에서 기존 치료법 대비 높은 생존율 입증
:한화엔진 전일 6,292억 규모 선박 엔진 수주 공시. 오늘도 끊임없는 K-조선의 상승세. 신고가 종목 속출
:금리 불안 지속되는 가운데 금일 FOMC의사록 공개. 1월 FOMC 전 경제지표에 따른 변동성 확대 지속

KOSDAQ은 0.1% 상승한 719p. 반도체 강세 속 6거래일 연속 상승. 금리 부담에 상승폭은 제한
- 마이크로소프트 CAPEX 확대에 이어 트럼프 데이터 센터 투자 확대 발언에 반도체 소부장 투심 회복
: ISM 서비스업 호조, JOLTs 구인건수 예상치 상회에 따른 금리 속등 영향에 로봇, 가상자산 등 테마 약세
:유리기판(SKC, CES 2025서 유리기판 공개), 진단키트(중국 HMBV, 미국AI, 한국 독감 등 감염증 확산)

원/달러 환율은 달러 인덱스 반등에도 국민연금 환헤지 경계에 1,450원선 등락. 3.3원 하락한 1,449.7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2%,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906
위 내용은 2025년 1월 8일 11시 1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Jan, 23:00


『퀀트분석; 금리 인하 가속화 국면 수혜 포트폴리오』
퀀트 이정빈 02-3772-2919

- 국고채 금리 방향성에 국내 상장사 부채 연동되는 경향 존재
- 금리 인하 국면에서 수혜 포트폴리오: 고부채비율, 저이자보상배수
- 고환율 국면에서 실적 모멘텀 가시화되는 조선과 전력기기 업종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92
위 내용은 2025년 1월 8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Jan, 07:3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7일
『젠슨 황이 끼얹은 찬물에 2,500p 미끌』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92.10 (+0.14%), 코스닥 718.29 (+0.05%)
 
아직 험난한 글로벌 반도체 파트너십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1% 내외 상승했습니다. KOSPI는 장중 2,500p를 돌파하기도 하면서 이번 주만 2,300p~2,500p대를 오가는 모습입니다. 전날 Foxconn의 4분기 호실적 발표에 더해 CES 2025에 대한 기대감에 Nvidia(+3.4%)는 종가 기준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CES 2025에서 Jensen Huang CEO가 8년 만에 기조연설을 하면서 RTX 신제품을 공개했지만, 국내 칩이 아닌 Micron의 GPDDR7을 탑재한다는 소식에 삼성전자(-0.9%)·SK하이닉스(-2.4%) 등에서 실망 매물이 출회됐습니다. 조선(한화오션 +12.6% 등)·바이오(삼성바이오로직스 +3.9%) 대형주가 지수를 방어했지만 KOSPI는 전강후약에 2,500p 안착에 실패했습니다.
 
시선은 JP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로
 
CES 2025 개막에 관련주 모멘텀은 둔화하는 가운데, 다음 주 JP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13~16일)에 대한 기대감에 제약바이오 강세였습니다. 오늘 양 시장 지수기여도 1위 종목 모두 헬스케어 종목(KS-삼성바이오, KQ-알테오젠 +3.3%)이었고, 특히 KOSDAQ에서는 지수기여도 1~3위 모두 헬스케어 종목이 차지했습니다(HLB +2.2%, 리가켐바이오 +4.9%).
#특징업종: 1)유리기판: CES 이후 차세대 반도체 기대(필옵틱스 +1.9%, HB테크놀러지 +11.5%)  2)주주환원: 코웨이(+9.7%), 현금배당·자사주 소각 발표. 두산(+0.7%), 주주환원 확대 기대 3)엔터: JYP Ent.(+7.9%), 신인 보이그룹 ‘킥플립’ 기대. 디어유(+9.2%), Berriz 출시에도 영향 제한
 
조선업 관련 미국 파트너십 강화 기대
 
미국 Jones Act(1920)는 자국 내에서 항해하는 배는 미국 조선소에서만 건조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선박 건조 역량 한계로 인해 그간 미국은 한국·일본에 손을 내밀었습니다. 간밤 Trump도 군함 건조 문제와 관련해 동맹국을 활용할 수도 있다는 발언을 내놓으며 조선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Philly Shipyard를 인수했고, 작년 최초로 MRO 수주를 한 한화오션을 비롯해 한화엔진(+3.5%), HJ중공업(+16.0%) 등 조선주와 기자재(성광벤드+4.4% 등) 다수 신고가였습니다.
#주요일정: 1)Thomas Barkin(Richmond) 연설(22:00) 2)美 JOLTs 구인건수(24:00) 3)美 ISM 서비스업지수(24:00) 4)CES 2025(~10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67
위 내용은 2025년 1월 7일 16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Jan, 02:23


마켓레이더(1월 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500p 돌파』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저가매수세 유입 지속되며 2,500p 돌파. 조선, 우크라이나 재건 등 트럼프 취임 기대감 지속
미국 주식시장은 폭스콘發 빅테크 랠리에 기술주 중심 강세. S&P500 +0.6%, Dow -0.1%, Nasdaq +1.2%
:폭스콘, 4Q24 매출 전년 대비 15% 성장한 639억 달러 기록하며 기술주 강세 촉발. 엔비디아 신고가 경신
:트럼프 행정부 선별적 보편관세 부과 가능 보도(WP)에 위험선호 촉발됐으나 트럼프 반박에 상승폭 반납
:미국 12월 서비스업지수 56.8로 33개월내 최고치 기록하면서 미국채 10년물은 4.6%선에서 등락 지속

- KOSPI는 신년 저가매수세 3거래일 연속 유입 지속. 외국인&기관 KOSPI 현물 3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수, 기관(연기금, 투신 위주) 현물 순매수 지속되며 저가매수세 유입
:원/달러 환율도 1,450원 중반 하락하며 안정세. 12월 외환보유액 4,156억 달러로 석달만에 반등(우려 감소)
:대부분의 업종 상승하는 가운데 업종은 조선, 헬스케어, 테마는 유리기판, 우크라이나 재건 등 상승
:헬스케어 업종 상승률 부각. 13일~ 16일 부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 국내 관련주 상승 모멘텀
:조선) 미 필리조선소 경영 정상화 착수. 숙련공 채용. 트럼프 취임 2주 앞두고 수혜 기대감 지속
:재건) 젤렌스키, 미국 팟캐스트 인터뷰서 취임(20일) 5일 후인 25일 종전 회담 기대. 관련 테마 상승
:다만 달러인덱스 여전히 108p 상회. 10년물 국채금리도 4.6% 대. 취임 이전까지 트럼프 발언에 주목

KOSDAQ은 0.5% 상승한 722p. 5거래일 연속 상승. 반도체 횡보 속 제약바이오, 조선기자재 속등
-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1/13~15) 차주 예정돼 있는 가운데 관련 기대감에 제약바이오주 강세
:조선 업종 속등 동조되며 일승(+4.9%), 현대힘스(+5.0%), 성광벤드(+1.2%) 등 조선기자재 일제히 강세
:미국 AI반도체 강세 및 CES 2025 개막에 HB테크놀러지(+18.0%), 와이씨켐(+13.1%) 등 유리기판 속등
:전일 카카오엔터 신규 팬덤 플랫폼 출시 소식에 속락했던 디어유(+10.7%), 제한적 영향 기대에 반등

원/달러 환율, 보편관세 선별적 부과 보도 트럼프 부인에도 하락폭 확대. 7.0원 하락한 1,453.0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2.2%, 대만(가권) +1.4%, 홍콩(항셍) -0.6%,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59
위 내용은 2025년 1월 7일 11시 2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Jan, 22:59


『글로벌 주식전략; 금리 인하가 멈출 경우, 미국 증시가 밟을 궤적』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금리 인하가 멈출 경우, 주가 일시적 숨 고르기 야기할 가능성
- 그러나 추세 전환이 발생하진 않을 것. 금리발 변동성은 매수 기회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50
위 내용은 2025년 1월 7일 7시 4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Jan, 07:4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6일
『AI 기대감과 제조업지수 반등 겹호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8.64 (+1.91%), 코스닥 717.96 (+1.73%)
 
대외 호재에 KOSPI 2,500p 목전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9%, 1.7% 상승했습니다. 미국 12월 ISM 제조업지수 서프라이즈와 Microsoft(+1.1%)의 AI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 등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미국 ISM 제조업지수는 지난달에 이어 서프라이즈를 보였고(49.3p), 선행지표인 신규주문도 2개월 연속 기준선 웃돌았습니다. 지난달의 경우 지표 발표 후 지수 반등이 나왔지만 당일 비상계엄 발생에 상승 추세로 이어지지 못했었습니다. Microsoft의 투자 발표 소식에 Nvidia(+4.5%) 등 강세 보이며 반도체지수(+2.8%) 상승세 이어나간 점도 국내 AI반도체 중심으로 우호적이었습니다(SK하이닉스 +9.8%, 한미반도체 +6.7%). KOSPI 및 삼성전자(+2.8%)에 대해 외국인 수급도 작년 10월 이후 약 2개월 만에 연속 순매수 유입됐습니다.
 
수출 실적 기대감 등에 화장품 호조
 
작년 화장품 수출 규모가 100억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한 가운데, 오늘도 화장품주 강세 보였습니다(아모레퍼시픽 +7.1%, 아모레G +7.5%). 여기에 마녀공장(+18.5%)도 지난주 국내 PEF와의 인수 계약 소식이 나오면서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특징업종: 1)진단키트: 중국 HMBV, 미국 AI, 한국 독감 등 감염증 확산(수젠텍·랩지노믹스 상한가) 2)양자: CES 2025에 양자 컴퓨팅 부문 신설(아톤 +11.6% 신고가, 아이윈플러스 상한가) 3)가상자산: Bitcoin 재차 99,000$ 돌파(우리기술투자 +9.5%, 한화투자증권 +3.9%)
 
CES 2025, JPMorgan 컨퍼런스 등 이벤트 플레이
 
내일 ‘DIVE IN’을 주제로 CES 2025가 개막합니다(현지시간 7~10일). Jensen Huang Nvidia CEO가 8년 만에 기조연설을 앞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HBM3E 16단 제품 샘플을 최초 공개하는 등 시장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양자·로봇·FSD 등 신산업 관련 주가의 변동성 확대되고 있지만, 행사 이후 Sell-on이 나오거나 실망 매물이 출회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편 다음 주 JP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막을 앞두고 제약바이오 종목들은 전약후강을 보였습니다.
#주요일정: 1)Lisa Cook 연설(23:15) 2)美 11월 공장주문(24:00) 3)美 국채 입찰(3개월·6개월·3년) 4)CES 2025(1/7~1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29
위 내용은 2025년 1월 6일 16시 3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Jan, 02:35


마켓레이더(1월 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ISM 제조업 호조에 상승세 이어가는 주식시장』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4% 상승한 2,476p. ISM 제조업 호조에 2거래일 연속 반등.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ISM 제조업 호조에 3대 지수 반등. S&P500 +1.3%, Dow +0.8%, Nasdaq +1.8%
:ISM 제조업 지수 시장 전망치(48.4) 크게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기록(49.3). S&P500 6거래일 만에 반등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되며 엔비디아(+4.5%), 비스트라(+8.5%) 등 AI밸류체인 전반 온기 확산
:차량 인도량 실망감에 약세 보였던 테슬라도 risk-on 및 월가 TP 상향에 8.2% 상승하며 하락폭 회복

- KOSPI는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 유입 지속되며 연일 상승. 2거래일 연속 1%대 상승하며 2,500p 목전
:ISM 제조업 지수 호조에 KOSPI도 반도체 중심으로 강세 지속. SK하이닉스 +6.1%, 삼성전자 +3.1%
:마이크로소프트 FY25 데이터센터 구축에 800억달러 지출 발표. 반도체 투자심리 개선되며 매수세 유입
:CES 2025(1/7~10),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1/8) 앞둔 가운데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2거래일째 지속

KOSDAQ은 1.2% 상승한 714p. 4거래일 연속 1%대 상승. 2차전지, 반도체, 화장품 업종 강세
- 중국 상무부 소재 수출 금지 및 전거래일 테슬라 강세에 힘입어 2차전지 밸류체인 강세. 에코프로 +4.0%
:리비안 4분기 차량 판매·인도량 컨센서스 상회에 리비안 테마 강세. 2차전지 밸류체인에도 우호적 작용
:반도체) 미국 AI반도체 강세 연동되며 국내 AI반도체 관련주도 양호한 주가 흐름. 피에스케이홀딩스 +8.5%
:화장품) 국내 사모펀드 케이엘앤파트너스, 마녀공장 경영권 1,900억원 인수 소식에 화장품 업종 동반 강세
:내일부터 시작되는 CES 2025에서 양자 컴퓨터 부문 신설+미국 양자 컴퓨터 관련주 강세에 연일 상승세

원/달러 환율은 ISM 제조업 호조+대내 정치 불확실성 지속에 1,470원 선 등락. 1원 하락한 1,468.7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2%, 대만(가권) +2%,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22
위 내용은 2025년 1월 6일 11시 3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Jan, 23:08


『국내주식전략; (1분기 투자 아이디어) Trump 초격차 전략의 수혜를 입을 한국 파트너십』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정치 리스크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
- America First 하에서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 잡기
- Trump 에너지 정책과 조선주
- 미국 천연가스 활황에서 파급될 이슈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16
위 내용은 2025년 1월 6일 8시 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Jan, 23:00


『국내주식전략; (1분기 KOSPI 전망)미워도 다시 한번』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금리 인하 후반부 가까운 세계 증시, 경착륙 아니면 추세 크게 바뀌지 않는다
- KOSPI, 이익 하향 우려 지나치게 반영. G2 정책 확인 후 회복 채널에 복귀
- 2025년 KOSPI 밴드 2,300~2,850p 하향 조정, 1Q25 2,300~2,600p 전망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814
위 내용은 2025년 1월 6일 7시 4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Jan, 07:5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3일
『외인 선물 중심 수급 유입에 시장 반등』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41.92 (+1.79%), 코스닥 705.76 (+2.79%)
 
외국인 KOSPI 1조원 순매수 유입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8%, 2.8% 상승했습니다. 미국 시장은 Apple(-2.6%, 중국 내 iPhone 할인 행사 진행)·Tesla(-6.1%, 4분기 차량 인도량 49.6만대로 컨센서스 미스) 악재에 더해 강달러가 부담으로 작용하며 첫 거래일 하락 마감했습니다(달러인덱스 2022년 11월 이후 2년여 만에 109선 돌파). 그럼에도 Nvidia(+3.0%), Micron(+3.8%) 등 반도체 종목들 강세 나타나면서 삼성전자(+1.9%), SK하이닉스(+6.3%)에도 훈풍으로 작용했습니다. 외국인 수급은 선물 중심으로 강하게 들어오면서 양 시장 크게 반등했습니다. 외국인이 KOSPI 현선물 1조원 이상 순매수한 것은 지난 12월 3일 이후 한 달 만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여전히 1,468.4원으로 부담스러운 수준이나 패닉은 진정되는 것 같습니다.
 
빈 수급과 외국인의 바스켓 매매
 
그간 국내 주요 수급이 비어 외국인의 소폭 매도에도 시장 하방 충격이 컸던 점은 오늘만큼은 반대로 작용했습니다. 외국인의 순매수도 강하게 유입된 점도 있지만, 시장에서 이탈한 수급에 적극적인 매도 주체가 부재했던 점도 큰 폭의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상대적으로 KOSDAQ이 크게 반등한 가운데 Nvidia의 ASIC 반도체 시장 진출 소식에 관련주(에이직랜드 +9.6%) 강했고, 헬스케어(알테오젠 +6.2%) 등 폭넓게 올랐습니다.
#특징업종: 1)진단키트: 독감 2016년 이후 최대 유행(수젠텍 +9.2%) 2)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10.2%), 삼성전자 연결 자회사 편입 3)양자: CES 2025에 양자 컴퓨팅 부문 신설(한국첨단소재 +29.9%)
 
2차전지의 반격
 
양 시장 2차전지 종목들이 강세였습니다. 최근까지 52주 신저가 부근을 맴돈 만큼 저가매수세 유입이 있었고 관련 호재들이 나오면서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현대차(+0.7%)의 전기차 5종 및 Tesla의 Cybertruck 등이 미국 정부 IRA 세액공제 대상 차종에 포함되면서 불확실성 해소로 작용했습니다. 반도체 양대 대형주와 함께 LG에너지솔루션(+2.9%), SK이노베이션(+7.2%)이 KOSPI 상승을 견인했고, KOSDAQ에서 에코프로형제(+10.1%, 비엠 +7.1%)가 오랜만에 지수기여도 상위를 차지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ISM 제조업지수(2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93
위 내용은 2025년 1월 3일 16시 5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Jan, 02:02


마켓레이더(1월 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신년맞이 중국발 호재』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7% 상승한 2,439p. 6거래일 만에 반등하며 2,400p 상회. 외국인, 기관 순매수 전환
- 미국 주식시장은 업종 간 혼조 양상 보이며 3대 지수 보합. S&P500 -0.2%, Dow -0.4%, Nasdaq -0.2%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1만1천건) 시장 전망치 22만5천건 하회하며 장전 하락한 금리는 반등
:테슬라 4Q24 차량인도(49만5천대) 시장 전망치 49만8천대 하회하며 6.1% 하락. 시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
:테슬라 부진에도 엔비디아 등 AI반도체 강세 보이며 3대 지수 보합권 마감. S&P500, 5거래일 연속 하락

- KOSPI는 중국 경기 부양책 기대감, 중국의 핵심 광물 공정 기술 수출 제한 보도에 소재 섹터 중심 강세
:시진핑 주석 신년사서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실시 천명하며 중국 경기 부양책 기대감 유입. WTI +2.0%
:국내 주식시장도 중국 부양책 기대감 영향에 정유, 석유화학, 엔터, 여행 등 중국 관련주 중심으로 강세
:중국 상무부 배터리 핵심 광물 공정 기술 수출 제한 계획 공지 보도(로이터)에 2차전지 밸류체인 속등
:4거래일 만에 순매수 전환한 외국인 석유화학, 2차전지 등 소재 섹터 집중 순매수. POSCO홀딩스 +4.0%
:반도체)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1/8) 앞두고 있는 가운데 미국 AI반도체 강세 동조되며 지수 상승 견인
:로봇) 전일 강세 보였던 로봇 테마(두산로보틱스 -2.4%, LIG넥스원 -0.2%)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에 반락

KOSDAQ은 1.6% 상승한 698p. 3거래일 연속 1%대 상승하며 700p 목전. 대형주 중심 강세
- 2차전지 소부장 업종, 중국 핵심 광물 기술 수출 제한 소식에 더 민감하게 반응. 에코프로비엠(+7.2%)
:과기부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서 AI반도체·바이오·양자 투자 확대 소식에 관련주 강세
:전거래일 상한가 기록한 레인보우로보틱스(+4.7%)는 수급 유입 지속되며 KOSDAQ 시총 5위 안착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2기 경계감 속 달러인덱스 109p 상회에도 레벨 부담에 2.1원 하락한 1,467.0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휴장, 대만(가권) +0.8%,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88
위 내용은 2025년 1월 3일 11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Jan, 22:58


『중국 주식전략; 1분기 중국 주식전략: 적시타』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저금리 국면 부각되는 배당주 투자매력. 공급과잉 속 주도주 찾기
- 1분기 상해종합 3,200~3,650p. 승부처는 춘절과 3월 양회 사이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78
위 내용은 2025년 1월 3일 7시 5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Jan, 22:44


『글로벌 주식전략; 1분기 미국 주식시장 전략: 고지전』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2025년에도 낙관론이 공세(攻勢)를 이어 나갈 근거, 펀더멘탈
- 저항(抵抗): 2024년에 남겨두고 온 숙제들
- 1Q 미국 주식시장 전략: 고지전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72
위 내용은 2025년 1월 3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Jan, 07:5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월 2일
『첩첩산중 악재 속 중소형주 약진』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398.94 (-0.02%), 코스닥 686.63 (+1.24%)
 
아직 하방 압력 우위의 매크로 이슈
 
금일 KOSPI, KOSDAQ 각각 -0.0%, +1.2% 등락했습니다. 2,400p 돌파 시도를 하던 KOSPI는 결국 보합 마감했습니다. 전날 발표된 12월 수출 데이터는 시장 눈높이가 낮아져 있던 만큼 오히려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6.6% YoY, 예상 +4.0%). 반도체 수출은 31.5% 증가했고, 의약·화장품 등 수출이 약진했습니다. 다만 다음 주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1/8)를 앞두고 목표주가 하향이 이어지면서 외국인은 삼성전자(+0.4%)·SK하이닉스(-1.6%) 등 대형주를 순매도했습니다. 한편 중국의 후원을 받은 해커의 미국 재무부 해킹 사건 및 차이신 제조업 지수 쇼크(50.5p, 이전 51.5p) 등 복합적 요인으로 중화권 증시가 밀린 점도 국내 시장에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Shanghai -2.7%, HSCEI -2.6%).
외국인 양 시장 순매도
 
2025년 경제정책방향의 수혜 산업재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작년 하반기 내용과 유사하게 원전·방산·콘텐츠 등 신수출 사업 육성이 담겼습니다. 특히 G2G 사업으로 정치 리스크에 투심이 위축되어있던 원전(두산에너빌리티 +2.9%, 우진엔텍 +3.3%), 방산(LIG넥스원 +15.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1.3%)에 기대감 유입되며 강세였습니다. 또한 수출 주력 업종인 전력기기(HD현대일렉트릭 +6.5%, LS ELECTRIC +7.8%)도 강세였습니다.
#특징업종: 1)우주: 우주 경쟁 본격화(에이치브이엠 +11.8%) 2)화장품: 2024년 화장품 수출 최초 100억 달러 돌파(아이패밀리에스씨 +9.2%) 3)정치테마주: 이재명 당대표  대권주자 적합도 30%대(동원금속 +29.9%)
 
삼성전자가 쏘아 올린 로봇주 랠리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30.0%) 주식 콜옵션을 행사(12/31)하며 최대주주로 등극(지분 35%)했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 자회사로 편입됐습니다. Tesla의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나 Nvidia의 로봇용 소형 컴퓨터 Jetson Thor 출시 등 빅테크 중심으로 추진되던 로봇 산업은 해당 이슈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부각받기 시작했습니다. 다음 주 예정된 CES 2025(7~10)에서도 AI를 주축으로 로보틱스가 주요 화두로 논의되는 만큼 CES 개막 전까지 기대감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美 EIA 원유재고(3일 01:00) 3)獨 12월 실업률(3일 17:5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62
위 내용은 2025년 1월 2일 16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Jan, 02:25


마켓레이더(1월 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산업재의 힘찬 첫 출항』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하락한 2,396p. 산업재 섹터 강세에도 금리 부담에 따른 IT, 헬스케어 부진에 보합권 등락
- 미국 주식시장은 차익실현 매물 출회하며 3대 지수 하락. S&P500 -0.4%, Dow -0.1%, Nasdaq -0.9%
:3대 지수, 장초반 반등 출발했지만 금리 반등 영향과 차익실현 우세한 모습 보이며 오후 하락세로 반전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6% 하회했지만 여전히 주식시장 부담으로 작용하며 S&P500 4거래일 연속 하락

- KOSPI는 방산, 조선, 해운 등 산업재 강세 보이는 가운데 반도체, 2차전지 부진이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
:로봇)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상한가) 인수 소식에 로봇 관련주 일제히 약진(두산로보틱스 +17.0%)
:로봇 강세 온기가 확산되며 산업재 섹터 동반 강세. 외국인과 기관, KOSPI 순매도에도 산업재는 순매수
:산업재 섹터 중에서 특히 로봇과 관련이 깊은 방산(LIG넥스원 +10.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8.6%) 속등
:미국 기술주 약세 영향에 따른 외국인 매도 속 반도체, 2차전지 부진이 지수 상단 제한하며 보합권 등락
:지난해 수출은 8.2% 전년대비 증가한 6,838억불. 역대 최대 달성과 동시에 무역수지 흑자 전환 기록

KOSDAQ은 0.9% 상승한 684p. 2거래일 연속 상승에 700p 목전. 로봇, 화장품 테마 강세. 2차전지 약세
- 레인보우로보틱스 상한가 기록하며 KOSDAQ 시총 6위 안착. 로봇 테마 동반 강세 보이며 지수 상승 견인
:로봇 테마 강세에 힘입어 AI 소프트웨어(이스트소프트 +6.1%, 폴라리스오피스 +5.9%) 테마도 강세
:대주주 여부 판단일 직전 소폭 반락했던 신용잔고는 대주주 여부 판단일 소화하며 다시 상승 추세 복귀
:KOSDAQ도 에코프로비엠(-3.8%), 에코프로(-3.7%) 등 2차전지 부진한 모습 보이며 지수 상단 제한
:공개 직후 큰 변동성 보였던 오징어게임2 관련주(위지윅스튜디오 +14.8% 등)는 글로벌 1위 소식에 반등

원/달러 환율은 대내 정치 불확실성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채 금리 반락에 하락. 3.7원 하락한 1,468.6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휴장, 대만(가권) -0.5%, 홍콩(항셍) -1.7%, 중국(상해) -0.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52
위 내용은 2025년 1월 2일 11시 2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1 Jan, 23:10


『(1분기 주식시장 전망) Half time』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김성환 / 이정빈 / 신승웅/ 강진혁

I. 1Q25 주식시장 전망

- 작년 4분기 세계 주식시장은 수익률 확보에 가장 중요한 클러치 타임(Clutch time) 무사히 통과. 주식시장 수익률은 AI, 재정 부양책, 관세 키워드에 엇갈린 양상
- 미국 주식시장은 AI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에서도 주도력을 입증하며 순항. 유럽, 일본, 중국은 미국 대안으로 자리하지 못한 상황
- 올해 1분기 주식시장은 클러치 타임을 지나 하프 타임(Half time)에 돌입. 치열했던 수익률 공방전은 시장금리 상승,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라 속도 조절에 나설 전망
- 올해 세계 경기가 경착륙을 피할 가능성 높은 상황에서 추세적 하락 전환을 예상하지 않음. 하프 타임과 같은 일시적 소강기를 지나 기존 추세에 복귀할 수 있다고 판단

II. 1Q25 주식 투자전략

- 1분기 S&P500 밴드 5,700~6,300p. 미국은 고지를 두고 일진일퇴를 벌이는 고지전 양상 전망. 저항을 소화한 이후 재차 상승 추세를 재개할 수 있다고 판단. 기술주, AI와 금융, 대형주 스타일 선호
- 1분기 상해 종합 밴드 3,200~3,650p. 정책 기대감 가장 커질 구간에서 주도주 전환에 적극 대응 필요. 배당주(은행, 국유기업), 구조조정(2차전지, 전기차, 태양광), 소비주(음식료, 플랫폼)으로 투자 대상을 압축
- 1분기 KOSPI 밴드 2,300~2,600p. 연간 밴드를 2,300~2,850p로 조정. 주가에 반영된 이익 하향 폭이 과도해 재료 확인 이후 순차적 반등 기대. 업황 개선 중인 수출주(산업재, 대형 헬스케어), 국내 매출 업종에 주목
- 퀀트 전략으로 금리 인하와 고환율 구간에서 빛날 종목에 주목. 포트폴리오 아이디어로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할 AI, 조선, 로봇, CCUS(탄소포집)을 제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736
위 내용은 2025년 1월 2일 8시 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Dec, 07:5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30일
『금융위기 이후 최장 하락 KOSPI』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399.49 (-0.22%), 코스닥 678.19 (+1.83%)
 
끝내 2,400p 이탈 마감한 2024년의 KOSPI
 
KOSPI, KOSDAQ은 각각 -0.2%, +1.8% 등락했습니다. 양 시장은 올해 연초대비 각각 9.6%, 21.7% 하락해 부진한 성과로 마무리했습니다. 특히 KOSPI는 6개월 연속 내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장 하락기를 보였고,  KOSDAQ도 강보합 보인 6월, 정확히 전월과 종가가 같은 12월을 제외하면 9개월 중 7개월 내렸습니다. 미국 시장은 연말을 맞아 특별한 재료 부재했던 만큼 영향력 제한적이었고, 다만 장기 국채금리가 4.6%대에서 등락하는 점은 부담 요인이었습니다. 달러인덱스 약세에도 불구하고 달러-원 환율은 5거래일째 상승했습니다(1,472.5원). 외국인은 KOSDAQ의 순매수를 늘린 반면, KOSPI 매도세를 강화하며 지수도 대형주 중심 하방 압력이 가중됐습니다(누적순매수 상반기 22.4조원 → 연말 1.3조원).
 
신기술 기대감은 여전히 핫이슈
 
Tesla(-5.0%)는 차익실현성 매도세에 약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드론·FSD 등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은 지속되면서 관련주 강세 보였습니다. Musk가 X에 미국이 대량의 장거리 드론이 필요하다는 발언을 내면서 드론주가 강세였고(에이럭스 +3.1% 등), Tesla Korea가 국내 신호등 인식 기술을 마무리했다는 소식에 FSD 관련주 강했습니다(라이콤 +5.6% 등).
#특징업종: 1)로봇: Nvidia, 내년 상반기 휴머노이드 로봇용 차세대 소형컴퓨터 ‘Jetson Thor’ 출시 예정(레인보우로보틱스 +15.2%) 2)양자: 정부, 양자정보기술 최초 국가 표준 제정(케이씨에스 +13.8%) 3)CCUS: Trump 정부 CCUS 투자 지속 전망(켐트로스 +9.8%, 그린케미칼 +8.2%)
 
마지막 거래일 승자는 헬스케어
 
헬스케어 업종은 연말 마지막 주에 반등하는 패턴을 자주 보입니다. 연말 대주주 양도세 회피를 위한 차익실현 매도 이후 재차 매수세 유입되는데 더해 1월 JP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1/13~16)를 앞둔 기대감도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오늘 양시장 제약 업종에 외국인 수급 유입됐고, KOSPI 지수기여도 상위 4종목, KOSDAQ 지수기여도 상위 5개 중 3개 헬스케어 종목이 차지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2월 시카고 PMI(23:45) 2)美 11월 잠정주택판매(24:00) 3)美 12월 댈러스연은 제조업지수(24:30) 4)韓 12월 CPI(31일 08:00) 5)中 12월 국가통계국 제조업·비제조업지수(31일 10:3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99
위 내용은 2024년 12월 30일 16시 4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Dec, 02:12


마켓레이더(12월 3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2024년의 마지막 거래일, 저가매수세 유입』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2,400p 이탈시 저가매수세 유입되는 흐름. 바이오 상승폭 두드러지나 대부분의 업종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재차 4.6% 상회한 시장금리, 시장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며 차익실현 매물 출회
:10년물 국채금리 재차 4.6% 상회. 테슬라(-4.95%) 포함 M7 대부분 하락. 달러는 엔화 영향 소폭 하락

- KOSPI도 지난 주말 정치리스크(권한대행 탄핵)와 배당락 영향에 2,400p 이탈했으나 금일 저가매수세 유입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수, 기관(금융투자, 연기금 위주) 현물 순매수하며 저가매수세 유입
:원/달러 환율도 1,460원 후반대로 하락하며 안정세(당국 개입 추정), 시장 우호적 환경
:대부분의 업종 상승 중, 헬스케어 업종 상승률 부각. 25년 1월 13일부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
:밸류업)셀트리온, 주주가치 제고 위한 자사주 1,000억원 규모 추가 취득 결정. 장중 상승폭 확대
:2024년 마지막 거래일 저가매수세 유입된 가운데 다음주 미 중 제조업지수, 한국 수출 데이터 발표 주목

KOSDAQ은 1.7% 상승한 677p. 저가매수세에 4거래일 만에 외국인 순매수 전환하며 대형주 중심 강세
- 업종 간 순환매 및 저가매수세 유입에 제약바이오 업종 강세. 기술 개발 소식 등 다방면 호재도 우호적
:셀루메드(주사제형 피부이식재 개발 소식), 에스티큐브(내달 ASCO GI서 대장암 면역항암 치료 전략 발표)
:연일 52주 신저가 경신했던 2차전지 벨류체인(에코프로 +3.3%)도 외국인의 저가매수세에 힘입어 반등

원/달러 환율은 한덕수 총리 탄핵 표결 소화 이후 레벨 부담에 소폭 하락. 3.2원 하락한 1,467.3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82
위 내용은 2024년 12월 30일 11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7 Dec, 07:5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27일
『얼어붙은 경제주체 심리와 2,400p 턱걸이』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04.77 (-1.02%), 코스닥 665.97 (-1.43%)
 
오늘도 나홀로 소외되는 한국 시장
 
금일 KOSPI, KOSDAQ 각각 1.0%, 1.4% 하락했습니다. 이틀째 아시아 주요국에서 한국만 상승세에서 제외됐습니다(Nikkei225 +1.8%, TAIEX +0.1%, Shanghai +0.1%). 간밤 미국 장기 국채수익률이 4.6% 부근까지 오르는 등 펀더멘털 요인에 더해 대내 정치 리스크가 재부각되며 원화 약세 압력 나타났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금융위기인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9개월 만에 1,480원을 돌파해 1,486.7원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당국의 개입 등에 시초가로 마감했습니다. KOSPI는 2,400p 이탈하기도 하면서 저가매수세 유입됐습니다. 외국인은 KOSPI200 선물 순매수했고 시총 1~3위까지 상승해 5.8p 만회하며 하단을 받쳐줬습니다. KOSDAQ에서는 시총 상위 10개 중 HLB(+6.5%)·클래시스(+0.1%)만 올랐습니다.
 
2차전지 밸류체인 대거 신저가
 
오늘 88개 종목이 신저가를 보인 가운데 2차전지 종목이 다수 분포하고 있습니다. POSCO 그룹(홀딩스 -1.0%, 퓨처엠 -0.1%, DX -1.6%), 에코프로 그룹(에코프로 -2.9%, BM -1.7%, 머티 -2.4%)과 함께 엘앤에프(-3.6%)·금양(-1.5%) 등 포함됐습니다. 아직 Trump의 2차전지 관련 세부 정책이 나오지 않았음에도 시장의 이익 관련 우려가 크게 반영 중입니다.
#특징업종: 1)양자: 양자기술 관련 미중 간 경쟁 격화(아이씨티케이 +12.6%, 시큐센 +10.2%) 2)오징어게임2: 전날 공개 후 Sell-on 및 NYT 등 외신 실망 보도(아티스트스튜디오/유나이티드 하한가, 덱스터 -24.1%) 3)유통: 신세계-알리바바 합작법인 설립(CJ대한통운 +5.5% 등)
 
내우외환에 경제주체 심리 냉각
 
Trump의 통상정책 불확실성에 더해 내부 정치 리스크가 더해지며 국내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냉각되고 있습니다. 지난 화요일 소비자심리지수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12.3p)을 보이며 2년여 만에 최저치(88.4p)를 기록했는데, 오늘은 기업 부문입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의 전망치는 2년 10개월째 기준선을 하회하며 역대 최장기 연속 부진 기록 중입니다. 전월 대비로는 12.7p 하락하면서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4월(-25.1p) 이후 최대 낙폭을 보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상품 무역수지(속보, 22:30) 2)韓 11월 소매판매·광공업생산(30일 08: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55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7일 16시 4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7 Dec, 02:15


마켓레이더(12월 2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하락하는 원화가치에 배당락까지… 2,400p 붕괴』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금일 3시 권한대행 탄핵 표결이라는 초유의 정치리스크 지속되며 외인, 기관 자금 이탈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시장금리 상하방 요인 공존한 가운데 특별한 이슈 부재한 보합권 장세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감소, 21.9만건으로 예상치 하회 및 감소. 견조한 고용에 10년물 국채금리 4.6% ↑
:국채 7년물 입찰에서 강력한 수요 확인. 4.6% 상회한 시장금리 소폭 진정. 그럼에도 지수는 보합권 마감

- KOSPI도 핸들이 고장난 8톤트럭 같은 ①원/달러 환율 상승 ②배당락일로 인한 배당락 발생에 2,400p 붕괴
:민주당,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 소추안 발의. 외신, 정치리스크 우려 보도. 원화 가치 급락
:달러인덱스 108p로 연고점 수준이나, 원화 추가 약세 요인은 아님(달러 추가 상승 무). 정치리스크가 원인
:매일 매일 신고가 경신중인 원/달러 환율. 장중 1,480원 도달. 오전 KP,KQ 거래대금도 2.6조, 3조원 불과
:금일은 배당락일(해당 일자엔 주식 사도 배당권리 없음 → 배당락 발생). 배당기준일 미변경 배당주 하락
:삼성증권(-8%이상)키움증권(-8%이상)삼성생명(-3%이상) 등 배당락 발생하며 하락. 지수 하방압력 확대
:다만 현대차,기아(-1.6%)등 정관 변경 후 배당 기준일 변경한 기업들은 내년 1분기 배당. 배당락 없음
:외국인, 기관 현물 동반 순매도. 3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금융투자 위주 자금도 금일 순매도 전환
:대부분의 업종 하락하는 가운데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종 상승은 희망적. 전일 마이크론, 브로드컴 상승
:브로드컴의 주문형 반도체(ASIC) 수요 증가 기대에 새로운 고객사 확보 기대. 삼성전자도 지수 대비 강세
:금주 지수 상승 반전 시킬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되며 지수 상단 제약 흐름

KOSDAQ은 1.4% 하락한 666p. 대주주 판단 기준일 소화에도 정치적 불확실성 다시 부각되며 하락
- 브로드컴(+2.4%) 상승세 지속되는 가운데 삼전, SK하이닉스 브로드컴 HBM 공급 기대에 AI반도체 강세
:오징어게임2 외신 혹평에 관련주 일제히 약세(아티스트스튜디오 -29.8%, 덱스터 -22.5%, 쇼박스 -17.3%)
:미국 주식시장 양자컴퓨터 테마(아이온큐 +8.2%, 리게티 +36.0%) 속등 동조화되며 국내 관련주도 강세

원/달러 환율은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안 표결 앞두고 1,470원 돌파. 12.5원 상승한 1,482.1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 대만(가권) 0%,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45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7일 11시 1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6 Dec, 22:43


『신한 M.R.I: Trump 에너지 패권과 국내 밸류체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한산한 2024년 크리스마스 주간
-차주 Preview: 바닥다지기 이어질 2025년 연초
-Market Insight: Trump 에너지 패권과 국내 밸류체인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36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7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6 Dec, 08:0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26일
『한국을 비껴간 산타 랠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29.67 (-0.44%), 코스닥 675.64 (-0.66%)

정치 리스크 재부각과 달러-원 환율 급등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4%, 0.7% 하락했습니다. 미국 시장은 크리스마스 이브날 조기 폐장에도 불구하고 기술주 중심 강세를 보이며 S&P500·NASDAQ은 각각 6,000p선, 20,000p선을 회복했습니다. 훈풍은 아시아 시장에도 이어졌지만 한국은 소외됐습니다(Nikkei +1.1%, TAIEX·Shanghai +0.1%).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 논의 등 정치 리스크 확대되면서 관망 심리 나타났고, 달러-원 환율도 1,464.8원으로 마무리되는 등 시장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한은에서 내년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를 예고한 점도 원화 약세에 기여했습니다. 한편 배당기준일을 맞았음에도 배당 선진화 노력에 따른 기업들의 배당 정책 변경 영향에 관련 움직임은 이전에 비해 크지 않았습니다.

대주주 양도세 회피를 위한 개인 수급

오늘은 대주주 양도세 회피 마감일이기도 합니다. 후반으로 갈수록 개인투자자의 매도세가 확대되면서 개인 수급 중심의 KOSDAQ에서 더 큰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외국인의 KOSPI 수급은 오히려 순매수로 마감했습니다. 연초 이후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 중 성과가 높은 종목들(엔켐·한화오션·삼천당제약·펩트론 등)을 중심으로 개인 매도세가 나타났지만, 내일 이후 재차 수급 유입되는 종목들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특징업종: 1)오징어게임2: 오늘 17시 공개 앞두고 관련주 강세(아티스트유나이티드 +11.9%) 2)초전도체: 신성델타테크(+19.3%), 퀀텀에너지연구소와 신사업 협력 3)경영권 분쟁: 고려아연 +7.5%, 한미약품 +2.8%

조선주가 방어한 KOSPI 지수

미국 의회에서 발의된 ‘SHIPS for America Act’에 더해 모디 총리도 상선 건조 협력을 위해 한국 조선과의 협력을 모색한다는 소식 등에 조선주의 강세가 이어졌습니다.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달러-원 환율도 투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KOSPI 지수기여도 상위 10개 중 5개 종목이 조선주와 관련 지주였습니다(HD현대중공업 +9.6%, 한화오션 +4.9%). 조선과 함께 고환율의 수혜가 기대되는 자동차(기아 +2.3%, 현대차 +0.5%)도 오늘은 상승에 가담하며 KOSPI의 하락을 저지했습니다.
#주요일정: 1) 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 美 EIA 원유재고(27일 01:00) 3) 韓 12월 기업신뢰지수(27일 06:00) 4) 日 11월 소매판매·산업생산(27일 08:50) 5) 中 11월 산업이익(27일 10:3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1629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6일 16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6 Dec, 02:14


마켓레이더(12월 2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원화 약세 지속되며 원/달러 환율 1,465원 도달』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하락한 2,434p.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되며 하방압력 부여. 수출주는 마진 개선 기대감
- 미국 주식시장은 특별한 이슈 부재했음에도 산타랠리 진행. 산타랠리 진행되며 3대지수 상승 마감
:시장 방향성 결정지을 경제지표, 기업실적 부재했음에도 연말 산타랠리 진행. 국채금리도 소폭 진정
:테슬라(+7.4%)등 개별 종목 호재 부각. 현대차의 테슬라 충전기 연결 어댑터 무료 배포 소식(이익↑ 기대)

- KOSPI도 조선주 신고가 랠리 진행 중이나 원/달러 환율 연고점 재차 경신하며 시장 하방압력 부여
:KOSPI+KOSDAQ 최근 2거래일 연속 거래대금 12조원대로 연내 최저. 금일도 오전 2.6조, 3.1조원에 불과
:국내 정치리스크, 매파적 FOMC 등 영향 지속되며 원/달러 환율 장중 1,465원 도달. 연고점 재차 경신
:외국인 현선물 2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 고금리, 강달러 영향에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
:바이오) 정부, 25년 2월부터 국산 원료 사용한 제품 약가 우대 적용. 관련 제약주 수혜 기대감에 상승
:신고가)삼양식품, HD현대중공업(마린엔진,한국조선해양), 한화엔진 등 마진 개선 기대 수출(음식료+조선)
:인도 조선업 대표단 한국 조선사 방문 지속. 미국에 이어 인도향 조선업 협력 기대감. 모멘텀 끊임 없음
:22년 전고점 돌파 후 지속 상승중인 원/달러 환율에 시장 하방압력 지속. 외국인 수급 방향성도 없음
:금주 지수 상승 반전 시킬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되며 지수 상단 제약 흐름

KOSDAQ은 0.1% 하락한 680p. 주도 업종 부재에 초전도체, 양자컴퓨터 등 일부 테마주에 수급 집중
- 12월 들어 개인, 외국인, 기관 모두 뚜렷한 수급패턴 부재. 수급 공백에 지수도 700p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
:신성델타테크, 11/14 퀀텀에너지연구소 자회사 투자 공지 이후 상승세. 해당 기간 4만원→12만원대로 속등
:양자컴퓨터(IonQ(+7.9%) 등 미국 양자컴퓨터 테마주 강세 연동), 로봇(오픈AI, 휴머노이드 제작 검토)

원/달러 환율은 미국채 금리 강세와 대내 정치적 혼란 여진 지속되는 영향에 6.4원 상승한 1,463.9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4%, 대만(가권) +0.4%, 홍콩(항셍) 휴장,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21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6일 11시 1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5 Dec, 22:51


중국 주식전략; 중국 저금리 환경에서 주목받는 배당주와 ETF』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디플레이션 우려 속 통화정책 전환에 속락하는 중국 국채금리 
- 연말연시 불확실성 배당주로 대응. 유망 종목과 ETF 스크리닝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16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6일 7시 5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Dec, 07:28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24일
『한산한 2024 크리스마스 이브』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40.52 (-0.06%), 코스닥 680.11 (+0.13%)
 
외인 수급 유입된 삼성전자 반등에 KOSPI 하단 지지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1%, +0.1% 등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은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한산한 가운데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 해소에 3대 지수 모두 반등했습니다.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 유입됐고 IB들이 Nvidia(+3.7%)·Broadcom(+5.2%) 등 종목에 대해 호평을 하면서 반도체 지수 반등했습니다(+3.1%). 온기는 한국에도 이어졌습니다. 삼성전자(+1.7%)는 오랜만에 외국인 수급이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해 지수의 하단을 지지해줬습니다. 한편 미국 장기 국채수익률이 4.59%에 달하고 달러인덱스도 재차 108선을 돌파하는 등은 시장 부담 요인이었습니다. 달러-원 환율도 1,456.4원으로 마감하면서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외국인은 소액이나 양 시장 현선물을 순매도했습니다.
 
여전히 빛을 보는 산업재 경쟁력
 
산업재 종목들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모멘텀 이어나갔습니다. 양밍해운이 발주한 컨테이너선 13척에 대한 수주 기대감으로 HD현대중공업(+0.9%) 등 신고가 이어나갔고, 전력기기(HD현대일렉트릭 +1.6%, LS ELECTRIC +3.5%)도 안정적입니다. 방산은 내부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수리온 수출(KAI), 해군 신형 고속정 건조(HJ중공업) 등 차질 없이 진행 중입니다. 
#특징업종: 1)탄소포집(CCUS): 정부, 2030년까지 녹색금융 약 450조원 투입(켐트로스 +4.5%, 에코바이오 +0.8% 등) 2)로봇: CES 2025(1/7~10) 기대감(뉴로메카 +16.0%, 레인보우로보틱스 +8.1%) 3)가상자산: Bitcoin, 9만2000$대까지 조정(우리기술투자 -3.3%, 한화투자증권 -0.7%)
 
내우외환 가운데 소비자심리 큰 폭 위축
 
한국은행의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4p로 전월비 12.3p 떨어졌습니다.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12.6p) 이후 최대 폭이고, 지수는 2022년 11월(86.6p) 이후 약 2년 만에 최저입니다. 내부 정치 리스크가 존재할 때 소비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내수 업종에 타격이 생깁니다. 과거 2016년 탄핵 당시 업종별 등락을 살펴보면, 화장품/의류, 호텔레저 등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만 불확실성 해소(당시 헌재 판결) 이후에 강한 반등세가 나왔던 만큼 펀더멘털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조기폐장(24일)·휴장(25일)·韓 휴장(25일)·홍콩 휴장(~26일) 2)美 11월 건축허가(22:00) 3)美 11월 내구재 주문(22:30) 4)美 11월 신규주택판매(24:00) 5)MBA 모기지 금리(25일 21: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600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4일 16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Dec, 02:15


마켓레이더(12월 2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고개 들려는 KOSPI를 짓누르는 시장금리와 강달러』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하락한 2,439p.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되며 하방압력 부여. 수출주는 마진 개선 기대감
-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 하회한 소비 심리에도 달러, 금리 반등. 빅테크(반도체) 위주 상승하며 상승 마감
:12월 CB 소비자신뢰지수 104.7로 3개월내 최저. 관세에 대한 우려. 그럼에도 시장금리, 달러인덱스 강세
:매파적 FOMC 여진 지속. 엔비디아(+3.7%)의 대만 거점 설립 소식에 TSMC(+5.2%)포함 반도체 상승

- KOSPI는 높은 시장금리, 원/달러 환율이 지수 압박하며 강보합 흐름. 조선, K-뷰티, K-푸드 등 수출주는 강세
:미국 반도체 업종 훈풍에 삼성전자 상승. SK하이닉스도 보합권. 그럼에도 금리, 강달러 영향에 외국인 이탈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현물 900억, 선물 200계약).개인, 외인, 기관 모두 매수/매도 규모는 크지 않음
:10년물 국채금리 4.59%, 달러인덱스 108p(원/달러 1,452원). 매파적 FOMC에 주식시장 자금 유입 미미
:오늘도 조선은 신고가 랠리. K-뷰티(KOSDAQ 종목 다수)도 마찬가지. 강달러 수혜주(미국향) 주목 필수
:대만 선사 양밍해운, 컨테이너선 최대 13척 발주 전망.HD현대중공업(금일 신고가) 포함 조선업 수혜 기대
:조선+로봇) 조선소 인력 문제 해결 대안. 늘어나는 선박 발주 해결 기대감에 테마 상승요인 추가
:금주 지수 상승 반전 시킬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되며 지수 상단 제약 흐름

KOSDAQ은 0.3% 상승한 681p. 한산한 거래대금 속 업종 간 순환매 장세 시현. 화장품, 의료기기 강세
- 고환율 수혜 기대에 화장품, 의료기기 강세. 파마리서치, 이번달에만 31.5% 상승하며 52주 신고가 기록
:전거래일 52주 신저가 경신한 에코프로 그룹주는 순환매 장세에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소폭 반등하는 모습
:로봇(CES 2025 기대감에 연일 강세), 미디어(오징어게임 시즌2 공개 이틀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

원/달러 환율은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둔화에도 미국채 금리 상승세 지속되며 1.3원 상승한 1,452.2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3%,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87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4일 11시 1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Dec, 22:57


『글로벌 ETF; 테마 ETF Guide Book: 양자 컴퓨팅 ETF 투자 전략』
글로벌 퀀트 박우열 02-3772-2324

- 2025년 유엔 세계 양자 기술의 해: 양자 기술이 더 주목받을 이유
- 여전한 AI 혁신 기대감, 인공뇌 기능 개선에도 필요한 양자칩
- 양자 컴퓨팅 ETF 비교 분석: 국내에도 상륙한 양자컴퓨팅 ETF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85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4일 07시 5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Dec, 08:0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23일
『대외 호재에 바닥다지기 기대감』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42.01 (+1.57%), 코스닥 679.24 (+1.64%)
 
외국인 양 시장 현선물 순매수 유입
 
금일 KOSPI, KOSDAQ 1.6% 내외 상승했습니다. 최근 시장을 짓누르던 것은 FOMC 이후 물가에 대한 불안과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우려였습니다. 지난 금요일 발표된 미국 11월 PCE 물가지수는 Headline·Core 모두 이전치·예상치를 하회(+ 0.1% MoM)하면서 시장은 안도했습니다. 여기에 주말 간 미국 임시 예산안이 처리되면서 셧다운을 모면한 점도 시장의 Risk-on 심리 자극했습니다. 반도체 업종도 훈풍이 불었습니다. Morgan Stanley에서 Nvidia(+3.1%)를 내년 최선호주로 꼽으면서 반도체지수(SOX +1.5%) 반등했고, SK하이닉스(+0.7%)에 이어서 삼성전자(+0.9%)도 미국 반도체 보조금 확정에 불확실성 해소되며 올랐습니다.
 
해외 진출 기업들로 향하는 기대감
 
SBS(+30.0%)는 Netflix(+0.8%)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이틀 연속 상한가를 보였고, ‘오징어게임 시즌2’ 공개(12/26) 기대감에 아티스트스튜디오(+10.9%)도 강세였습니다. 삼천당제약(+30.0%)이 ‘Eylea’의 바이오시밀러 물질을 미국 등에 독점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자회사 옵투스제약(+29.8%)과 함께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징업종: 1)조선: 미국 의회, ‘SHIPS for America Act’ 발의(HD현대중공업 +3.5% 등 신고가) 2)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 Trump 대통령 대면(신세계 I&C +30.0%, 신세계푸드 +23.6 등) 3)로봇: CES 2025(1/7~10) 기대감(레인보우로보틱스 +5.4%, 에스비비테크 +4.5%)
 
미국의 초격차 유지 전략과 한국의 수혜
 
Trump 정부는 AI 초격차 유지, 제조업 부흥, 군사 패권 강화 등을 통한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한국은 미국이 필요로 하는 역할을 통해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Nvidia(GPU)나 Broadcom(ASIC) 등 AI 반도체 수요 전망이 양호한 가운데 전력기기도 고마진 환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조선의 경우 발아하고 있는 MRO(한화오션·HD현대중공업)에 더해 Trump의 LNG 등 비용 효율적 에너지 사용 기조에 따른 운반선 수주 기대감도 유효한 상황입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22:30)2)美 12월 CB 소비자신뢰지수(24:00) 3)韓 12월 소비자신뢰지수(24일 06: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76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3일 16시 5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Dec, 02:09


마켓레이더(12월 2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PCE 안도감에 저가매수세 유입』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5% 상승한 2,439p. 밸류에이션 매력 재차 부각되며 저가매수세 유입. 조선주 신고가 랠리
-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 하회한 PCE 물가 확인, 셧다운 우려 완화 후 안도감 속 금리, 달러 모두 안정되며 상승
:11월 PCE 물가 전년 동월 대비 2.4%, 전월비 0.1% 상승. 예상치 하회하며 달러, 시장금리 모두 안정화
:셧다운 정치리스크 역시 완화. 부차한도를 제외한 임시 예산안 가결. S&P500 +1.1%, NASDAQ +1%

- KOSPI는 PCE 물가로 환율, 금리 진정되며 외국인 자금 유입 재개. 오늘도 조선주는 신고가 랠리 진행 중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수 이나 규모는(현물 700억 선물 1,000계약 정도) 크지 않음. 기관 현물 순매수
:원/달러 환율 여전히 1,450원 부근 등락이나 PCE 영향과 외국인 매수세에 안정세
:20일 종가 기준 12개월 후행 PBR은 0.85배로, 2,400P 하회했던 12/9일보다 낮은 밸류에이션(LSEG 기준)
:12/9일(연저점) 이후 4거래일 연속 저가매수세 유입. 금일도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에 원/달러 환율도 안정
:HBM)미국 반도체 업종도 상승 마감. 브로드컴 HBM 수요 확대 기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반 상승
:조선, 피팅)트럼프 수혜 업종(강달러로 마진 개선 기대, 실적전망도 우호적), 한화그룹, 美 필리조선소 인수
:조선, 해운)美 의회, 미국 조선업 강화 위한 법안(SHIPS Act) 발의. 법안 통과 시 한국 조선업 수혜 기대
:SBS, 넷플릭스향 영상 콘텐츠 제공 파트너십. 6년이라는 계약 기간에 주목. 2거래일 연속 상한가
:금주 특별한 이슈 부재하나(2P참고) 26일 오징어게임2 공개. SBS 처럼 호재에 따른 업종별 등락 주목 필요

- KOSDAQ은 1.6% 상승한 679p. PCE 둔화에 따른 금리 우려 완화되며 반등. 반도체, 제약바이오 강세
브로드컴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러브콜 소식에 HBM 공급 기대감 확산되며 반도체 소부장 속등
:삼천당제약 미국∙중남미에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 공급 계약 소식에 상한가 기록. 시총 5위 안착
:양자암호(미국 양자암호 테마 반등), 미디어(오징어게임2 기대감+SBS, 넷플릭스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원/달러 환율은 미국 PCE 둔화와 일본당국 구두 개입에 달러인덱스 반락하며 0.7원 하락한 1,447.8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 대만(가권) +2%, 홍콩(항셍) +0.8%,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68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3일 11시 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Dec, 08:1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20일
『설상가상으로 2,400p 재차 위협』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04.15 (-1.30%), 코스닥 668.31 (-2.35%)
 
매파적 FOMC와 미국 셧다운 우려
 
KOSPI, KOSDAQ 각각 1.3%, 2.4%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경제지표들은 강세를 보이면서 전날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를 뒷받침했습니다. 3Q GDP는 전기대비 3.1%로 집계됐고,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도 22만명으로 전주 대비 감소했습니다. 한편 미국 셧다운에 대한 우려도 가중됐습니다. Mike Johnson 하원의장이 민주당과 협상을 통해 마련한 임시예산안에 대해 Trump와 Musk가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며 경계감 확산됐습니다. SK하이닉스(-3.7%)는 간밤 미국 정부로부터 6,600억원 보조금 수령을 확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매크로 불안을 이겨내지 못했습니다. Micron의 가이던스도 부진했던 만큼 반도체 대형주의 투심이 돌아서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천연가스 부각에 조선·CCUS 등 강세
 
최근 전력 시장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천연가스입니다. 전력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부가 에너지 운반선에서 경쟁력을 가진 조선(HD현대중공업 +2.2%, HD현대미포 +0.3%, HJ중공업 +12.7% 신고가), 탄소포집(CCUS) 테마가 시장 부진 가운데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징업종: 1)원전: 한수원, 루마니아 원전 설비개선사업 계약 체결(두산에너빌리티 -1.6%) 2)탄소포집: Trump,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분야 투자 지속 기대(에코바이오 +18.2%) 3)가상자산: 매파적 FOMC 이후 Bitcoin 조정 지속(우리기술투자 -7.1%)
 
강달러에 조급해진 외환 당국
 
금융 당국(기재부·금융위·한은·금감원)은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외환 수급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선물환포지션 한도 상향, 국민연금 외화 스왑 확대, 외화 대출규제 완화, 외화 조달여건 개선 등). 어제 약 15년 9개월 만에 1,450원을 돌파한 달러-원 환율은 매크로 불확실성 확대에 오늘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외국인은 양 시장에서 이탈했고 KOSPI 현선물을 1조원 이상 순매도 했습니다. 미국 경기, 국내 정치 리스크, 일본 통화정책 등 하방 경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선물옵션동시만기일 2)美 11월 PCE물가지수(22:30) 3)美 12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기대인플레이션(2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47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0일 17시 0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Dec, 01:55


마켓레이더(12월 2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매파적 FOMC가 옳았나? 미국 경기 견조함 재확인』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0% 하락한 2,411p. 매파적 FOMC 정당화하는 경제지표에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강한 경제지표 확인하며 달러, 금리 강세. 트럼프-머스크발 정치 리스크까지 부각되며 하락
:매파적 FOMC 결과를 뒷받침하듯 3분기 GDP 증가율 3.1%(예상치 2.9%)로 전망, 예상치 모두 상회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전주 대비 감소. 고용, 경기 모두 굳건. 10년물 국채금리 4.58%, 달러인덱스 108.5
:BOJ 우에다 총재 기자회견 불확실성 경계한 비둘기. 엔화 약세. 엔/달러 환율 157엔까지 상승

- KOSPI는 매파적 FOMC 영향 지속되며 외국인 자금 이탈. 하지만 조선주와 같이 호실적 수출주는 굳건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현물 3,600억 선물 2,000계약 이상), 기관 1,500억 이상 현물 순매도
:원/달러 환율 여전히 1,450원 부근 등락이나 엔화 약세 영향에 소폭 안정. 원/엔 환율도 920원 이하
:조선, 피팅)트럼프 수혜 업종(강달러로 마진 개선 기대, 실적전망도 우호적), 한화그룹, 美 필리조선소 인수
:조선, 해운)美 의회, 미국 조선업 강화 위한 법안(SHIPS) 발의. 법안 통과 시 미국 선박 한국 내 수리 가능
:재건)트럼프-독일 총리 담화. 러-우 전쟁 조기 종식 필요하다 대화. 전진건설로봇 등 재건 테마 상승
:탄소포집)트럼프, 일론머스크 모두 탄소 포집(CCUS) 분야 투자 지속 전망(세액공제 지속)에 테마 상승
:SM그룹 우오현 회장,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초청 보도. 남선알미늄 포함 그룹주 상승
:다음주 특별한 이벤트 부재한 가운데 전일 GDP도 주식시장 비우호적(고금리 유지) 영향. 금일 PCE 대기

KOSDAQ은 1% 하락한 677p. 금리 부담에 2거래일 연속 하락. 주도주 부재에 테마주 수급 쏠림 지속
- 외국인, 기관 순매도세 보이는 가운데 개인은 정치 불확실성 완화 이후 신용잔고 반등하며 투심 일부 회복
:탄소배출권(기재부, 탄소크레딧 시장 도입 검토 소식), ASIC(브로드컴 호실적 이후 ASIC 테마 모멘텀 지속)
:의료AI(루닛, 임원 및 주요주주 블록딜 공시 이후 투심 악화), 이전상장(듀켐바이오 이전상장 첫날 +37.0%)

원/달러 환율은 미국 3Q GDP 상향 조정, 경기선행지수 반등에 1,450원선 등락. 1.5원 상승한 1,448.8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0.7%,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33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0일 10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Dec, 23:06


『글로벌 주식전략; 금리 상승 發 조정 트리거 발동. 다만 추세 전환 예상하지 않음』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금리 상승 發 조정 트리거 조기 발동. 둔탁해질 단기 주가 행보
- 다만 추세 전환 예상하지 않음. 중기 우상향 기조는 지속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24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0일 7시 5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Dec, 22:45


『신한 M.R.I: LAM+로봇이 그리는 특이점 사회』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정치 리스크 이후 나타난 FOMC발 변동성
-차주 Preview: 투심 위축에 관망세 짙어질 크리스마스 주간
-Market Insight: LAM+로봇이 그리는 특이점 사회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21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0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Dec, 07:1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19일
『Powell은 산타가 아니다』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35.93 (-1.95%), 코스닥 684.36 (-1.89%)
 
12월 FOMC발 변동성 + Micron 가이던스 쇼크
 
오늘 KOSPI, KOSDAQ 각각 2.0%, 1.9% 하락했습니다. FOMC에서는 시장 예상대로 25bp 인하와 함께 내년 2회 인하 전망이 제시됐습니다. 그럼에도 물가 재반등 우려 등 경계감이 짙게 나타나면서 시장 변동성이 유발됐습니다. Dow는 열흘째 내리면서 11거래일 연속 하락했던 1974년 이후 50년 만에 최장기간 약세를 기록했고, VIX지수도 하루 만에 74% 급등했습니다. 한편 Micron(시간외 -16.2%)은 PC·스마트폰의 수요 둔화 전망에 가이던스 쇼크를 보였습니다. 삼성전자(-3.3%) 중심으로 반도체 대형주 실망 매물 출회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습니다. 한편 BOJ는 3번 연속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내년 춘투와 Trump 취임 후 정책 영향 등을 살펴보겠다는 뜻인데 금융 안정 측면에서는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조선·방산·음식료 강세 Vs. 바이오 부진
 
KOSPI 부진했지만 조선·방산·음식료 등 수출 업종이 지수 하단을 방어해줬습니다. 환율이 1,400원대를 이어나가면서 수혜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입니다. KOSPI 지수기여도 상위 10개 가운데 HD현대중공업(+5.2%)·삼양식품(+6.1%)·HD현대미포(+2.4%) 등 신고가 경신한 종목들 포함됐습니다. 반면 금리 민감도 높은 헬스케어 등은 양 시장에서 부진했습니다.
#특징업종: 1)양자: Alphabet ‘Willow’ 발표 이후 양자 기대감 확산(한국첨단소재 +30.0%, 아이씨티케이 +10.4%) 2)라면: 삼양식품(+6.1%), 中 현지 공장 증설 등(에스앤디 +19.8%) 3)우크라 재건: Zelensky 대통령, 돈바스·크림반도 수복 난항 언급에 종전 기대(전진건설로봇 +27.4%)
 
환율 15년 9개월 만에 1,450원 돌파
 
달러-원 환율은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9개월 만에 1,450원대를 돌파했습니다. 고환율은 조선·방산·전력기기 등 수출 업종에서는 수혜 요인이 될 수 있지만, 항공·유틸리티 등은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환율이 불안정해지자 국민연금은 해외투자 환헤지 비율을 최대 10% 상향하는 기간을 내년까지 연장했습니다. 국민연금이 환헤지(달러 선물환 매도)를 할 경우 시중에 달러 공급이 늘어나면서 외환시장이 진정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달 말 만료 예정이던 한은과의 외환스왑도 내년까지 연장됐습니다.
#주요일정: 1)美 Nike 등 실적 발표 2)美 3Q GDP(확정, 22:30) 3)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4)美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지수(22:30) 5)美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24:00) 6)日 11월 CPI(20일 08:3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08
위 내용은 2024년 12월 19일 16시 0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Dec, 02:14


마켓레이더(12월 19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산타는 없다는 파월, 위험자산 동반 하락』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8% 하락한 2,440p. 고금리, 강달러에 위험자산 선호도 축소. 마이크론 실적도 투심 악영향
- 미국 주식시장은 내년 점도표 상향조정한 매파적 FOMC에 대폭 하락. 마이크론 실적도 가이던스 부진
:12월 FOMC, 기준금리 25 bp 인하. 내년 금리 인하폭을 50bp로 기존(100bp)보다 50bp 축소(4→2회)
:달러인덱스 108p로 연고점 돌파. 10년물 국채금리 4.5% 돌파. S&P500(-3%), NASDAQ(-3.6%)
:예상보다 매파적인 FOMC에 위험자산 선호 축소(비트코인 포함). 마이크론 가이던스 부진에 시간외 -16%

- KOSPI는 ①위험자산 선호 축소(금리 영향)②외국인 자금 이탈+달러 강세→환율 급등③반도체 실적 부진 영향
:①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현물 2,000억 선물 8,000계약 이상), 기관 3,000억 이상 현물 대량 순매도
:②외국인 자금 이탈과 달러인덱스 상승에 원/달러 환율 22년 전고점 돌파. 1,450원 상회(2009년 이후 최고)
:③마이크론 가이던스 부진. 메모리칩 가격 약세가 이유중 하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반 낙폭 확대
:②에서 찾는 기회 주목.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호실적(수출 추이 호조) 수출주, 마진 개선 기대감에 상승
:조선, 피팅)트럼프 수혜 업종(미국과 협력 확대 기대), 호실적, 마진개선 기대에 최근 밸류업 공시까지
:음식료)삼양식품 전일 차익실현에도 재차 신고가 경신. 수출 호조에 따른 수혜와 최근 중국 공장 증설까지
:화장품,의료기기)미국향 수출 증가중인 K-뷰티 관련 업종 상승. 이 역시 강달러로 인한 마진 개선 기대
:엔터)관세 장벽으로부터 자유롭고, 해외 매출 많은 업종 특성상 강달러 수혜. 25년 실적(대형IP 컴백)기대
:성장주)금리 영향에 전반 약세. 바이오의 경우 반사수혜 기대했던 미 생물보안법도 연내 통과 불발
:양자암호)구글 양자컴퓨터 이후 상승 중인 테마. 내년 CES에 양자컴퓨팅 부문 추가 소식
:FOMC와 마이크론 실적, 두 빅이벤트 시장에 비우호적 결과로 종료. 지수 밸류상 하방은 비교적 견고

KOSDAQ은 2% 하락한 684p. 매파적 FOMC와 반도체, 제약바이오 비우호적 이슈에 투자심리 위축
- 성장주 중심으로 구성된 KOSDAQ, KOSPI 대비 더 큰 낙폭 기록. 시총 상위 20위 중 2개 종목만 상승
:마이크론 실적 가이던스 시장 기대치 하회,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불발 소식에 반도체, 제약바이오 약세
:남북경협(트럼프, 북 담당 특사 지명), 양자암호(한국첨단소재, 양자 얽힘 광자 기술이전 완료에 상한가)

원/달러 환율은 매파적 12월 FOMC에 따른 달러인덱스 속등 연동되며 11.2원 상승한 1,450.3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1.3%, 홍콩(항셍) -1.3%, 중국(상해) -0.8%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502
위 내용은 2024년 12월 19일 11시 1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Dec, 07:5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18일
『외국인·기관 삼성전자 동반 순매수』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4.43 (+1.12%), 코스닥 697.57 (+0.45%)

12월 FOMC 앞두고 외국인 수급 유입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1%, 0.5% 상승했습니다. 새벽 예정된 FOMC를 앞두고 간밤 미국 시장은 숨고르기 보였지만 KOSPI 시장은 외국인 수급 유입되며 강세 마감했습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현물 매도&선물 매수로 대응한 외국인(현물 -2.2조원, 선물 +1.5조원)은 지난 9일 이후 7거래일 만에 현선물 동반 순매수했습니다. 소액이긴 하지만 11월 15일 이후 약 한 달 만에 삼성전자(+1.3%)도 외국인·기관 동반 매수세 유입되며 KOSPI 지수 견인했습니다(+5.3p). 시장은 이번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하는 가운데, 내년 2차례 추가 인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 점도표는 4회 인하를 시사했는데, 미국 경기가 견조한 만큼 인하 횟수(폭)가 얼마나 조정될지 주목해야 합니다.

낙폭 컸던 자동차·금융 반등 연출

삼성전자와 함께 지수기여도 상위를 차지한 종목들은 자동차(현대차 +4.8%, 기아 +6.4%, 현대모비스 +5.2%)·금융(KB금융 +3.3%, 메리츠금융지주 +2.7%) 종목들이었습니다. 자동차는 1) 미국 소매판매 데이터가 견조했고, 2) 현대차가 연말 최대 생산 통한 위기 타개 의지를 보인 점과, 3) 경영난에 대규모 구조조정 중인 Nissan(+23.7%)이 Honda(-3.0%)와 합병을 추진한다는 소식 등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징업종: 1)유리기판: Broadcom발 수혜 기대감(필옵틱스 +13.8% 등) 2)양자: Quantum Computing(+51.5%)-NASA 간 계약(한국첨단소재 上) 3)정치테마주: 국회의장, 국민 신뢰도 설문 1위(한국정밀기계 上)

짙은 관망세를 뚫고 순항하는 조선주

Trump발 통상정책 우려 가운데서도 조선주 주가는 선방하고 있습니다. 대장주인 HD현대중공업(+1.3%)은 52주 신고가를 경신했고, HJ중공업(+28.3%)은 해군 독도함 창정비 사업 수주(677억원 규모) 소식에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1) Trump 관세발 교역 감소 우려에도 에너지 운반선 발주 증가 기대가 상쇄해주고 있고, 2) MRO 등 한미 협력 가능성, 3) 고환율 수혜 기대에 더해 4) HD현대그룹 조선 3사가 밸류업 공시(12/13) 통해 5년 만에 현금배당에 나선 점도 조선주 투심에 우호적 요인입니다.

#주요일정: 1)美 Micron 등 실적 발표 2)美 11월 건축허가·주택착공(22:30) 3)美 EIA 원유재고(24:30) 4)12월 FOMC 점도표(19일 0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480
위 내용은 2024년 12월 18일 16시 5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Dec, 08:1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6일
『급물살을 탄 대통령 탄핵 논의』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28.16 (-0.56%), 코스닥 661.33 (-1.43%)
 
탄핵 정국에 계속되는 진통
 
KOSPI, KOSDAQ은 각각 0.6%, 1.4%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은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둔 경계감에 숨고르기 보이며 약보합 마감했고, 한국은 대통령 탄핵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낙폭 확대됐습니다. 외국인·개인이 KOSPI 현물을 각 5,776억, 3,090억원 순매도하며 risk-off  심리가 돋보였습니다. 상승 출발한 KOSPI는 오전중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탄핵 찬성 발언과 2차 계엄령 가능성에 대한 보도가 이어지며 장중 2,400p가 붕괴됐고 달러-원 환율도 동반 급등하며 1,429원에 도달했습니다. 개인투자자 위주 수급 이탈에 KOSPI 대비 KOSDAQ 낙폭이 더 컸습니다. 오후들어 시장 우려 일부 진정됐고 연기금 위주 기관 자금이 유입됐으나 개인과 외국인 자금 이탈이 지속되며 낙폭을 축소하는데 그쳤습니다.
 
금융과 유틸리티, 엇갈린 저가매수세 유입 여부
 
계엄령 발발 이후 정부 정책 수혜 감소(밸류업) 및 횡재세 도입 우려에 따른 차익실현 매도세 출회됐던 금융주에는 저가 매수세가 재차 유입됐습니다. (신한지주+3.1%, 하나금융지주 2.0%) 다만, 9일 동해고래 시추선 ’웨스트카펠라’의 부산 도착 일정에도 유틸리티 업종 투심은 여전히 회복되지 못했습니다(한국가스공사 -6.6%, 한국전력 -1.9%).
#특징업종: 1)정치테마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대통령 탄핵 찬성 시사(이스타코, 오리엔트정공 상한가) 2)카카오: 윤석열 정권 내 잦은 사법 리스크(카카오+0.9%, 카카오페이+6.1%) 3)2차전지: Tesla, 25년 기대감에 BoA 목표주가 상향(LG에너지솔루션 +2.2%, SK이노베이션 +2.6% 등)
 
카카오 그룹주 최근 반등
 
정치테마주가 등락폭을 확대하며 시장을 흔드는 가운데 카카오 그룹주가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윤대통령 취임 이후 연이은 사법 리스크에 노출되었고 독과점 규제 이슈도 불거져 주가 하락을 면치 못했습니다. 최근 금리 인하에 따른 수혜, 트럼프 관세 장벽에서 먼 업종으로 소프트웨어가 각광받으며 업종에 매수세가 유입된데다 규제산업인 인터넷 업종의 특성상 정부와의 관계 개선 기대감도 추가된 영향입니다. 주가는 11월 14일 저점 대비 35.7% 상승하며 기대를 반영중에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고용보고서(22:30) 2)美 12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기대인플레이션(24:00) 3)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12/7 19: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230
위 내용은 2024년 12월 6일 17시 0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Dec, 02:15


마켓레이더(12월 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탄핵 정국 심화, 혼란의 한국 주식시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9% 하락한 2,422p. 정치 불확실성을 넘어선 대통령 탄핵 정국 위기에 개인 자금 이탈 심화
-미국 주식시장은 연이은 신고가 경신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와 고용보고서 대기에 따른 관망세 속 하락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2.4만건으로 예상치 상회 및 전주 대비 증가. 그럼에도 연속 청구건수는 감소 
:테슬라(+3.2%), 로보택시 기대감에 또 상승. 페드워치 기준 12월 FOMC 25bp 금리인하 확률은 71.8%
-KOSPI는 탄핵정국 진행, 정치불안에 따른 개인투자자 매도세 확대되며 장중 낙폭 확대. 2,400p 이탈 위기 
:금일 외국인 순매도 업종 상위: 금융, 대형주, 반도체 // 순매수 상위 업종 : 조선, 유틸리티, 통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국민 지키기 위해 윤 대통령 조속한 집무집행 정지 필요” 시사. 사실상 탄핵 찬성 
:탄핵 소추 국회 통과 요건은 국회 300석 중 200석 찬성. 기존 국힘(108석) 당론 반대여서 통과 어려웠음
:이후 하락 전환, 2,430p 이탈 이후 외국인 순매도액 감소에도 개인투자자 순매도액 확대에 지수 낙폭 확대
:정치테마주(한동훈, 이재명 등)만 등락폭 확대. 개인투자자 매도에 원달러 환율 장중 1,423원 까지 급등 
:12월 FOMC 금리 인하 여부에 영향 미칠 11월 고용보고서(금일), 정국 진행 상황과 더불어 주목 필요
 
KOSDAQ은 매수대금 자체가 매마르며 연저점 경신. 바이오 하락 지속 및 외국인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투자자 비중 높은 KOSDAQ, 개인 투자자 패닉셀 이어지며 낙폭 확대. 650p 붕괴되며 연저점 경신 
:장초 테슬라 상승 영향에 2차전지는 상승 출발했으나 투심 악화. 바이오 업종 포함 전업종 하락 
:과거 2차례 탄핵 정국 당시에도 KOSDAQ 낙폭 KOSPI 대비 컸음. 중소형주 투심에 더 취약한 상황
 
원/달러 환율은 한국 정치 불안 속 안전자산 선호 심화되며 달러 반등.3.7원 상승한 1,417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7%,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214
위 내용은 2024년 12월 6일 10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Dec, 00:26


『글로벌 주식전략; 자산가격 과열 리스크에는 이상할 만큼 침묵하는 연준』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과열 리스크에 대해선 이상할 만큼 침묵하는 연준과 채권시장  
- 1996년 12월 그린스펀의 ‘비이성적 과열’ 언급에도 끄떡없던 시장
- 금리 인상해도 주가가 오를 수 있는데, 금리를 더 인하한다면?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205
위 내용은 2024년 12월 6일 9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Dec, 22:50


『국내주식전략; 탄핵 정국,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자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반도체 리스크에 얹어진 정치 리스크
-차주 Preview: 짙은 경계감 속 탄핵 논의에 이목 집중
-Market Insight: 탄핵 정국,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자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97
위 내용은 2024년 12월 6일 07시 4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Dec, 22:35


『일본 주식전략; 세 가지 키워드로 보는 일본 증시 향후 방향성』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11월 일본 증시 부진 이유: 1) 트럼프 무역 분쟁 우려, 2) 금리 인상 경계
- 세 가지 키워드로 본 향후 방향성: 우려 있지만 강세 전제 유효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89
위 내용은 2024년 12월 6일 7시 2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Dec, 22:34


『중국 주식전략; 12월 중국 주식전략: 전환의 변곡점』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 내수주도형 경제성장 전환의 변곡점 - 12월 상해종합 3,150~3,500p. 기술주에서 내수주로 로테이션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92 위 내용은 2024년 12월 6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Dec, 08:0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5일
『여전히 짙게 낀 정치 리스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41.85(-0.9%), 코스닥 670.94(-0.9%)

여리박빙의 KOSPI
금일 KOSPI, KOSDAQ 모두 0.9% 내외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은 AI  반도체·소프트웨어 기업 호실적 발표에 AI 기대감이 재차 점화되면서 S&P500·NASDAQ 사상 최고치 경신했고, Dow도 45,000p를 돌파 마감했습니다. 일본(+0.3%)·대만(+0.1%) 등 파티에 동참했고, 국내 반도체 대형주도 선방했습니다(삼성전자 +1.1%, SK하이닉스 +3.0%). 그럼에도 정치 리스크가 짙게 낀 상황에서 적극적 매수세 부재하며 양 시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 키웠습니다. 과거 대통령 탄핵 정국 초기는 불확실성에 양 시장 하방 추세를 보였습니다(’04년 탄핵 정국~국회 의결 KS -1.8%, KQ -3.1%, ’16년 KOSPI +0.8%, KOSDAQ -4.9%). 주말 간 탄핵안의 표결이 실시되는 만큼 경계 심리는 내일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정책 연속성 불안
어제에 이어 오늘도 현정부가 드라이브를 걸던 정책 관련 업종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대통령 탄핵 등 정부의 공백이 우려됨에 따라 G2G 산업을 중심으로 하락했습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8.1%, 현대로템 -6.8%, 우리기술 -2.0%, 두산에너빌리티 -1.6%). 금융도 은행주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도세 출회됐습니다(KB금융 -10.1%, 하나금융지주 -3.3%).
#특징업종: 1)정치테마주: 대통령 탄핵안 본회의 보고(에이텍·동신건설 상한가) 2)여행·항공: 영국 등, 한국 내 여행 주의 권고(참좋은여행 -5.1%, 모두투어 -2.0%) 3)가상자산: Bitcoin 100,000달러 돌파(한화투자증권 +15.1% 등). 우리기술투자(-8.7%)는 두나무 지분 매각 소식


고려아연의 기묘한 움직임
시장이 혼란한 가운데 고려아연(+19.7%)은 역사적 신고가 경신을 이어갔습니다. 다음 달(1/23) 임시 주주총회를 앞두고 공개매수 경쟁이 장내 지분 매집 경쟁으로 옮겨붙은 영향입니다. 주가는 8거래일 연속 오르며 200만원이 됐고, 이번 주만 69.5%나 상승했습니다. 어제는 NAVER를 제치고 시가총액 10위로 올라섰는데, 오늘은 KB금융·기아(-4.2%)·셀트리온(-1.1%)을 제치고 KOSPI 6번째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Ulta Beauty·Dollar General 3)韓 10월 경상수지(12/6 08: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83
위 내용은 2024년 12월 5일 17시 0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Dec, 02:12


마켓레이더(12월 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길을 잃었다~ 어딜 가야 할까』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4% 하락한 2,453p. 정치 불확실성 지속되며 지수 방향성 부재. 일부 테마 단기성 자금 유입
-미국 주식시장은 올해 몇번째인지 세기 힘들만큼 또다시 신고가 경신. 파월 경기 확신과 호실적이 야기한 상승 
:파월, 미국 경기가 매우 호조(US economy is in very good shape)라 발언. 빅테크 상승(M7 신고가 다수) 
:ADP민간고용, ISM 서비스업지수 예상치 하회에도 파월 발언과 연준 베이지북 확인 후 경기 우려 감소
:마벨 테크놀로지(호실적), 세일즈포스닷컴(AI 수익화 기대) 등 기업 실적 역시 양호. 반도체 업종 상승 
-KOSPI는 오늘도 불확실성에 따른 뚜렷한 순매수 주체 부재. 방향성 없이 금융, 통신, 자동차 업종 하락 
:외국인 현물 순매도 지속되며 외국인 보유 비중 높던 업종 위주 차익실현 매물 출회. 선물은 소액 순매수
:민주당, 대통령 탄핵안 7일 표결.①강달러②정치 불확실성③연말 대주주 양도세 회피 물량 출회(하방요인)
:미국 반도체가 AI 수익화 기대감에 상승한 영향에 한국 반도체 업종 반등. 삼성전자는 외국인 순매도 지속 
:비트코인) SEC 위원장에 폴 앳킨스 지명. 비트코인 10만달러 직전까지 도달하며 신고가 경신. 테마주 상승
:엔씨소프트, 최근 인터넷/게임 업종 수익률 호조, 신고가 경신 했으나 신작 실망감에 장중 13%이상 하락  
:신고가를 연일 경신중인 미국과는 달리, 연말 하방압력 요인에 정치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상방 막힌 양상 
:정치테마(탄핵), 비트코인테마 등 단기성 테마 유입되는 자금 외 뚜렷한 주도 업종, 주도 매수주체 부재
:12월 FOMC 금리 인하 여부에 영향 미칠 11월 고용보고서, 정치 이슈 진행 상황과 더불어 주목 필요 

KOSDAQ은 0.3% 하락한 675p. 비상계엄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 IT소부장 저가매수세 유입은 주목
:HBM테스트 장비 수요 급증, 미국 AI 수익화 기대감 및 호실적(테크윙 포함 반도체 소부장주 상승)
:미디어/엔터, 게임 등 일부 상승률 높았던 업종 매도 후 IT소부장으로 순환매 양상. 정치테마주도 상승 

원/달러 환율은 프랑스도 한국처럼 정치 불확실성 가중되며 달러 반등.1.8원 상승한 1,415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6%,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7%,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42
위 내용은 2024년 12월 5일 10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Dec, 07:12


<신한생각>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4일
『정치리스크에 재차 얼어붙은 투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시장 반등 기대를 무색하게 한 정치리스크

KOSPI, KOSDAQ 각각 1.4%, 2.0% 하락했습니다. 전날 미국 ISM 제조업지수 서프라이즈에 반등이 나온 시장은 비상계엄이라는 정치리스크에 상승폭을 모두 반납했습니다. 간밤 한국 관련 지수들은 크게 하락했다가 낙폭을 일부 회복했습니다(EWY ETF 저가 -7.1% → 종가 -1.6%, 야간 선물 -4.6% → -0.9%). 무제한 유동성 공급 등 모든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경제부총리의 발언과 한은의 비정례RP 매입 소식, 그리고 국가 신용등급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S&P의 의견도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과거 탄핵 정국에서 탄핵소추안 발의 이후 시장 변동성이 다소 진정됐다는 점에서, 오늘 야6당이 신속하게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한 점도 시장 막판 외국인 수급의 일부 되돌림과 낙폭 회복을 이끌었습니다.

대왕고래·원전·AI교과서 등 현정부 사업 좌초

현정부에서 추진하던 대왕고래(한국가스공사 -18.8%, 포스코인터내셔널 -12.6%)·원전(비에이치아이 -17.9%, 한전기술 -15.8%)·AI교과서(비상교육 -8.2%) 등 관련 종목들 대거 약세 보였습니다. 계엄령 해제 이후 역풍으로 탄핵 가능성이 논의되면서 사업 연속성이 훼손된 영향입니다. 연말 배당 시즌임에도 금융업 실망매물 출회됐습니다(KB금융 -5.7%).
#특징업종: 1)정치테마주: 야당, 오늘 중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예정(에이텍·오파스넷 등 상한가) 2)여행·항공: 영국, 한국 여행 경보 발령 등 주요국 방한 경계(참좋은여행 -4.2%, 대한항공 -3.5%) 3)고려아연: 다음달 임시주주총회 앞두고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신고가 경신(+8.4%)

과거 탄핵 정국과의 비교

대통령 탄핵 논의가 나오면서 과거 사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탄핵 정국(’16년 10월 말~’17년 5월)에서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지배한 시장 하에 수출주보다 내수 업종의 타격이 컸습니다. 당시 외국인 수급도 해당 기간동안 약 8조원 가량 유입됐습니다. 올해는 반도체 기술력 의구심과 함께 정치리스크가 얹어지면서 IT 업종 부진한 가운데, 사회 혼란 확대로 내수 업종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시와 1:1 비교는 어렵지만 정치리스크 해소는 반등의 필요조건인 만큼 국회 논의를 주목해야 합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S&P Global 서비스업 PMI(23:45) 2)美 11월 ISM 서비스업지수(24:00) 3)美 EIA 원유 재고(24:30) 4)美 Dollar Tree 등 실적 발표 5)韓 3Q GDP(5일 08: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1153
위 내용은 2024년 12월 4일 15시 5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Dec, 06:41


『퀀트분석; 신한 Earnings Guide: 2025년 역실적 장세에서도 살아남을 3 대 업종』 
퀀트 이민재 / 이정빈 02-3772-1538

- 2025년 KOSPI 순이익 컨센서스 달성 가능성 제한적
- 수축 국면 진입 목전. 컨센서스 하회 가능성 경계 필요
- 2025년 이익 모멘텀 유효 섹터: 유틸리티, 산업재, 금융

※ 원문 확인: https://me2.kr/nrTsp
위 내용은 2024년 12월 4일 15시 3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Dec, 01:56


마켓레이더(12월 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계엄령발 정치 우려 확산된 현재의 KOSPI 방향성』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8% 하락한 2,454p. 장초 낙폭 축소 후 재차 낙폭 확대하는 등 뚜렷한 방향성 부재
- 미국 주식시장은 굳건한 고용지표 확인 후 경기 우려 축소. 고용보고서 대기하며 또다시 S&P500 신고가 경신
:JOLTs 구인이직보고서 발표. 10월 구인건수 774만건으로 예상치(751만) 상회 및 10월(737만) 대비 개선
:굳건한 경제지표에 6일 발표될 고용보고서에 대한 우려 역시 축소. 현재 12월 금리 인하 확률 72.9%

- KOSPI는 정치사태 여파로 상승 종목 105개 Vs. 하락 종목 800개. 52주 신고가 2개 Vs. 신저가 91개의 하락장
:지난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국회 계엄해제 결의→ 대통령 해제 요구 수용의 역사적 정치 이벤트 진행
:불확실성 확대에 야간 선물 4%대 하락, 원달러 환율 1,450원까지 속등. 현재 사태 진정되며 등락폭 축소
:금융위, 증시 안정 위한 10조원 규모 증안펀드, 40조 규모 채안펀드 가동 준비(무제한 유동성 공급 계획)
:그럼에도 ①지속될 정치 불확실성(탄핵 정국) ② 속등한 원달러 환율 영향 에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민주당, 비상계엄 선포는 헌법 위반이라며 탄핵 추진 공식화. 소추안 발의 → 5일 본회의 보고 예정
:전일 미(ISM)중(차이신) 제조업지수 반등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 자금 유입, 하루만에 정치 이슈로 물거품
:정부정책)레임덕, 탄핵 우려에 한국가스공사 장중 16%이상 낙폭 확대(동해고래). 원자력 등 테마 약세
:카카오(윤석열 정권 내 잦은 마찰), 고려아연(내달 임시주총) 등 일부 종목 상승. 방향성 탐색 필요
:12월 FOMC 금리 인하 여부에 영향 미칠 11월 고용보고서, 정치 이슈 진행 상황과 더불어 주목 필요

KOSDAQ은 2.1% 하락한 676p. 비상계엄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으로 전거래일 상승폭 모두 반납
- 개장 직후 반발 매수에 690p 근처까지 회복한 이후 외국인 매도세 확대되며 670p 중반까지 낙폭 확대
:전업종 약세 보이는 가운데 일부 정치 테마주 강세. 하락 종목수 1,400개 상회하며 상승 종목수 6배 수준
:원전(비에이치아이 -18.4%, 우진엔텍 -12.8%), 대왕고래(화성밸브 -20.5%) 등 정책 테마 일제히 약세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해제에 상승폭 일부 반납했지만 안전선호 확산에 반등. 10원 하락한 1,415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2%, 대만(가권) +0.5%, 홍콩(항셍) -0.1%,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42
위 내용은 2024년 12월 4일 10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Dec, 23:52


<신한생각>
『투자전략; 비상계엄과 금융시장 영향』

신한투자증권 투자전략부
02-3772-4456


[비상 계엄 경과] 3일 22:30경 ‘자유헌정 질서 수호’ 명분으로 전국 비상계엄령 선포. 비상계엄은 대통령이 선포(계엄법 제2조 제2항)하나,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으로 계엄 해제 요구 시 대통령은 이를 지체없이 해제해야 함(동법 제11조 제1항, 헌법 제77조 제5항). 계엄 선포 후 2시간 반 만인 25시경 의원 190명 재석, 찬성 190표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됐고, 6시간 만인 4시 30분 국무회의를 통해 비상 계엄 해제 의결. 국회에 모인 계엄군 해산


[금융시장 반응] NYT, Reuter 등 외신 보도 후 패닉셀 유발. 경제·금융 수장(경제부총리·한은 총재·금융위원장·금감원장)은 23:40 긴급 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 통해 “무제한 유동성 공급 등 모든 가능한 안정 수단 총동원” 발표하며 시장 진정. 오전 중 임시 금통위에서 시장안정화조치 논의 예정

① 주식: 간밤 iShares MSCI South Korea ETF(EWY) 최대 낙폭 -7.1% → 종가 -1.6%. KOSPI200 야간 선물 -4.6% → -0.9%. 삼성전자 최대 7.5% 하락했고, Micron 반사이익 기대에 최고 +5.2%까지 상승 후 +1.3% 마감. 메모리칩의 안정적 공급이 AI 밸류체인에서 중요한 만큼 국내 반도체 글로벌 평판 훼손 우려. 삼성전자 기술력 의구심 잔존 속 정치 리스크 더해져 외국인 수급 복귀 지연 예상. Coupang·POSCO·KB금융그룹도 각각 최대 6.9%·7.8%·6.4% 하락. Bitcoin 최대 낙폭 -33.9%로 김치역프리미엄 발생 후 차익거래 매수세에 회복


② 외환: 비상계엄 선포 직후 정치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해 자금 이탈 압력이 고조되며 1,400원 부근에서 등락하던 원/달러 환율은 1,450원까지 속등. 이후 국회 계엄 해제 의결,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계엄 해제를 받아들이면서 1,415원 내외로 상승폭 반납. 하루밤 사이의 해프닝으로 마무리되는 양상이나 외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단기적으로 정치 불확실성을 회피하기 위한 자금 이탈 압력은 잔존. 정황상 향후 탄핵 정국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이 과정에서 정치 불확실성 점차 해소 기대. 2016년 말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2016년 11월~2017년 3월) 기간 원/달러와 달러화지수 상승폭이 유사해 원화 자체적인 약세 압력 제한


③ 채권: 정부와 한은은 금융 및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무제한 유동성 공급책 발표. 한은의 발권력 동원하는 RP매입 통한 유동성 공급, FX 스왑 등 외환시장 적극 개입 등 예상. 특히 외환시장 경우 원화 가치 급락 시 주요 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왑 통한 안정 유도 가능한 시나리오. 긴박한 정치 상황 변화로 주요 외신, 외사들 모두 원화 표시 자산 약세 불가피 의견 제시. 단기적으로 환율, CDS, CP 3개월 - 7일물 스프레드(단기 유동성 위험 지표), 국고 3년 금리 흐름 관찰 중요


[과거 사례] 비상계엄 헌정사상 13번째이자, 1979년 10·26 사건 이후 약45년 만. 과거 여수·순천 10·19사건(1948년) 및 6·25 전쟁 당시(1950~51년) 같은 전시상황이나 대통령 암살(1979년)을 제외하면 위기상황보다는 정무적 판단에 따른 수단인 경우 다수. 특히 70~80년대 군사정권 하에서 전국 계엄령 선포를 통해 시민들의 기본권 제한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 만큼 부정적 인식 존재


[해외 사례] 외국 금융시장의 사례를 보면 계엄령 발동에 따른 영향은 길지 않았음. 태국 (2014년) 계엄령 발동 당시 SET 지수는 1.6% 하락에 그친 후 상승세를 이어갔고 바트화 환율도 1.2% 절하된 후 일주일만에 원래 가격 수준 회복. 터키 (2016년) 계엄령 발동 당시 BIST 지수는 13% 하락, 리리화 환율은 6% 절하됐으나 10일 이후 원 가격 추세로 복귀. 향후 탄핵 정국으로 비화할 경우 2016년 12월 한국 금융시장 사례 참고 가능한데, 당시 탄핵보다는 트럼프 트레이드의 영향이 더 컸음


[향후 전망] 정부 적극적 시장 안정화 조치 피력. 무제한 유동성 공급 계획 발표 및 4일 오전 한국은행 긴급 금통위 개최 예정. 국무회의 통한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철회 공식화와 유동성 지원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높이는 제어될 것으로 판단. 다만 연말 탄핵정국 진입 가능성 점증. 국정 불안 요인까지 잔존. 외환-채권-주식 트리플 약세 우려. 연말 금융시장내 불확실성 반복에 대비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35
위 내용은 2024년 12월 4일 8시 5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Dec, 23:32


『글로벌 ETF; 테마 ETF Guide Book: 크립토, 제도권을 넘어 초국가적 현상으로』
글로벌 퀀트 박우열 02-3772-2324

- 다시 찾아온 크립토의 봄: 트럼프 당선에 가속화되는 크립토의 제도권 편입
- 크립토 시계열의 계량적 특성: 다시 찾아온 반감기(T) 상승장은 끝나지 않음
- 알트코인 ETF 상장과 전략적 비축: 기관 투자자를 넘어 초국가적 현상으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31

위 내용은 2024년 12월 04일 08시 1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Dec, 07:5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3일
『미국 제조업 서프라이즈, 반등 계기 될지』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00.10 (+1.86%), 코스닥 690.80 (+2.21%)
 
반도체 규제에도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9%, 2.2% 상승했습니다. 간밤 Biden 행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추가 규제가 발표됐습니다. HBM이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국내 반도체 대형주 영향권에 들었지만, 1) 그간 언론 보도를 통해 주가에 반영되어왔고 2) 양국 정부가 협의해 온 사안으로 타격 제한적일 것이라는 정부 보도 등에 하방 충격은 제한적이었습니다.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시장은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재료는 간밤 미국 ISM 제조업지수 서프라이즈(48.4p, 예상 47.5p)였습니다. 특히 제조업지수 하위지표 중 한국 수출에 선행하는 신규주문이 50.4p로 개선된 점도 긍정적이었습니다. 외국인은 6거래일 만에 KOSPI 순매수했고 양 시장 현선물 동반 순매수했습니다.
 
연말맞이 고배당 스타일 강세
 
대다수 업종이 상승했습니다. 조선, 방산 등 기존 주도 업종과 함께 배당 기대감에 보험, 증권 등 금융주 강세였습니다. 외국인도 KOSPI 순매수 가운데 전기전자는 순매도한 반면 금융업을 가장 많이 사들였습니다. 삼성화재(+9.4%)·우리금융지주(+1.5%)·NH투자증권(+5.1%) 등 다수 종목 52주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특징업종: 1)항공: 美 법무부, 대한항공(+0.0%)-아시아나항공(+4.4%) 합병 최종 승인, 인수 공시 4년 만에 세계 10위권 FSD 탄생 2)드론주: 딥마인드(+10.1%), 대한민국 육군과 드론 MOU 체결(에이럭스 +14.7%) 3)SpaceX: SpaceX 기업 가치 상승 기대(아주IB투자 +12.9%)
 
Trump의 협상 무기로 활용되는 관세
 
Trump는 관세를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고 칭송하는 등 관세의 활용에 적극적입니다. 단순히 재정·무역수지 적자 해소 수단이라기보다는 주변국과의 협상을 위한 지렛대로 주로 활용됩니다. 취임 전임에도 불구하고 이민·마약 문제로 중국(10%)/캐나다·멕시코(25%)에 관세 부과 계획을 언급했고, BRICS 동맹국의 탈달러화 움직임을 견제하기 위해 100%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Trump는 한국을 ‘부유국(Money Machine)’으로 일컫습니다. 트리거가 방위비 분담금이 될지, 경상수지가 될지 알 수 없지만 통상정책에 민감한 한국은 Trump의 입에 더욱 긴장하게 됩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JOLTs 구인건수(24:00) 2)美 Salesforce·Marvell Technology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15
위 내용은 2024년 12월 3일 16시 4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3 Dec, 02:01


마켓레이더(12월 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제조업 비중 높은 한국, 제조업 지표 영향에 반등』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7% 상승한 2,496p. 금리 하락, 제조업지수 반등 영향에 외국인, 기관 동반 저가매수세 유입
- 미국 주식시장은 올해 들어 수십번째 신고가 경신. 11월 ISM 제조업지수 예상치 상회하며 빅테크 상승
:11월 ISM 제조업지수 48.4. 예상치(47.7) 상회 및 10월(46.5) 대비 개선. 금리 인하 + 정책 불확실성 해소
:대중 반도체 규제안 발표 후 빅테크 반등. ① 불확실성 해소 ② 예상보다 낮은 규제 강도 등이 상승 이유
:시장금리 역시 지속 하향 안정화. 10년물 국채금리 4.1%대로 하락. 윌러(매파), 12월 금리 인하 지지 발언

- KOSPI는 안정화된 시장금리, 반등한 제조업지수 영향에 외국인 자금 재유입되며 대부분의 업종 상승
:12개월 후행 PBR 0.89배(전일종가)의 딥밸류 영역 속한 KOSPI, 악재보단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간
:전일 아시아 증시 단독 약세, 차이신PMI에 이어 예상 상회한 ISM지수 확인.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전환
:주도하던 업종(조선, 방산, 금융 등)과 눌려있던 업종(화장품, 음식료 등) 모두 상대 수익률 강세
:화장품)올해 누적 수출액 93억달러(잠정), 기존 연간 최대치 21년(92억)을 이미 상회하는 실적
:화장품)최근 중국 실적 악화, 수출 피크아웃 우려에 주가 약세였으나 성장세 견조. 저가매수세 유입
:금융)①주주환원 확대로 배당 기대 ②밸류업지수 리밸런싱 ③ 관세 타격 미미 내수 업종 → 신고가 속출
:이수페타시스, 유상증자 기습 발표로 주가 연이은 약세였으나 금감원 정정신고서 제출(제동) 요청에 반등
:반도체 업종 경우 삼전, 하이닉스 모두 시장 대비 상대수익률 저조. 한국 HBM 역시 대중 수출 규제 대상
:여전히 1,400원 상회하는 원달러 환율은 경계요소. 현재 페드워치 기준 12월 금리인하 확률은 76% 수준
:6일 발표될 12월 고용보고서도 금일 ISM제조업지수만큼 시장금리에 중요한 영향(2P참고). 확인 필요

KOSDAQ은 1.6% 상승한 687p. G2 제조업 지표 호조+미국 국채 금리 안정에 투자심리 회복되며 강세
- 제약바이오 대장주 알테오젠 다이이찌산쿄로부터 기술수출 계약금 수령 소식에 업종 전반 투자심리 개선
:중국 경기지표 호조,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 역대 최대 전망에 눌려있던 화장품 업종도 반등하는 모습
:벤처투자(국민연금, 아주IB투자 등 벤처펀드 운용사 4곳 선정), 미용기기(수출 호조 지속) 등 테마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ISM 제조업지수 시장 예상치 상회에 소폭 상승. 1.8원 상승한 1,403.5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4%, 대만(가권) +1.7%,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1.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103
위 내용은 2024년 12월 3일 11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Dec, 22:36


『글로벌 주식전략; 12월 미국 주식시장 전략: 기세를 탔는데 머뭇거릴 수 없다』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내러티브와 펀더멘탈이 모두 맞물린 시황. 여기서 머뭇거릴 순 없다   
- 지수 전략: S&P 500 1분기 말 6,600pt 시도할 수 있다는 판단
- 스타일/업종 전략: 중소형주 상대우위. 소비재, AI 소프트웨어, 금융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093
위 내용은 2024년 12월 3일 7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Dec, 07:53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2월 2일
『한산한 12월 첫 거래일』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54.48 (-0.06%), 코스닥 675.84 (-0.35%)
 
통상 불확실성에 발목 잡힌 한국 시장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1%, 0.4% 하락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시장은 산타 랠리 기대감에 Dow·S&P500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고 오늘 아시아 주요국에도 온기가 돌았지만(Nikkei225 +0.8%, TAIEX +2.1%) 국내는 상승 출발에도 한산한 거래대금 가운데서 하락했습니다. 중국 시장도 11월 차이신 제조업 PMI가 서프라이즈(51.5p, 예상 50.5p) 보이며 강세였습니다(Shanghai +1.1%, HSCEI +0.7%). 반도체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 대한 경계감 지속되며 대형주 약세(삼성전자 -1.1%, SK하이닉스 -0.7%)였고, 조선주도(HD현대중공업 -4.1%, 삼성중공업 -6.0%) 차익실현 매도세에 다수 종목 하락했습니다. 주말 간 Trump가 BRICS에 관세를 무기로 압박을 한 점도 경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미국발 신기술 테마는 국내에서도 강세
 
미국에서 드론·FSD·양자 등 신기술 테마주 움직임 나오자 국내도 동조화했습니다. Tesla(+3.7%)가 자율주행 지원 SW v13.2 공개하자 FSD(퓨런티어 +16.6% 등) 강세였고, 미국 드론 부품업체 Unusual Machines가 Trump의 장남을 고문으로 영입하며 드론주(네온테크 +4.6% 등) 강세였습니다. 양자암호 관련 엑스게이트(+14.8%) 등도 크게 올랐습니다. 
#특징업종: 1)해저케이블: Meta, 100억달러 규모 해저 광케이블 구축 계획 발표(LS마린솔루션 +5.9%, LS +1.6%) 2)엔터: (여자)아이들 전원 재계약 확정(큐브엔터 +1.7%) Vs. 하이브(-2.8%), 내홍 지속  3)경영권 분쟁: 고려아연(+19.6%), 주총 앞둔 지분 경쟁(영풍정밀 +14.2%)
 
국회 이슈에 희비가 엇갈린 업종들
 
예산안 줄다리기 가운데 대왕고래·원전은 피해를 입었고 가상자산 관련주 반등했습니다. 지난주 국회 예결특위에서 헌정사상 처음으로 야당이 정부 예산안을 단독 처리했습니다(11/29). 그 과정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 예산은 505억원에서 8억원으로 98% 삭감됐고(한국가스공사 -10.3%), ‘민관합작 선진 원자로 R&D’도 70억원에서 7억원으로 약 90% 줄면서(우진엔텍 -4.9%, 한전산업 -3.0%) 관련 종목 실망 매물 출회됐습니다.한편 야당이 가산자산 과세 2년 유예안에는 동의(12/1)하면서 가상자산 관련주 강세였습니다(우리기술투자 +8.7%, 한화투자증권 +1.8%).
#주요일정: 1)美 11월 S&P Global 제조업 PMI(23:45) 2)美 11월 ISM 제조업지수(24:00) 3)韓 11월 CPI(3일 08: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082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일 16시 4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2 Dec, 02:11


마켓레이더(12월 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산타를 찾고 싶지만』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상승한 2,461p. 미국 시장 신고가에도 반도체 업종 투심 악화 지속되며 지수 강보합
- 미국 주식시장은 시장금리 안정화, 반도체 반등, 블랙 프라이데이 소비 호조 등 영향에 또다시 신고가 경신
:시장금리 하향 안정화. 10년물 국채금리 4.2%, 캐나다 트뤼도 총리와의 대화 진행→관세 불안 완화
:반도체 업종 반등. 바이든 정부의 대중 반도체 규제 방안, CXMT 제외 소식. 규제 완화 기대감
:블랙 프라이데이 소비 호조. 어도비 추산 온라인 매출 108억달러로 역대 최대규모 → 소비주 반등

- KOSPI는 특별한 지수 방향성 부재. 반도체 업종 하락 Vs. 소프트웨어, 미디어 업종 및 배당 스타일 상승
:한은 금리 인하로 정책금리 격차 축소. 원/달러 환율 재차 1,400원대 복귀. 오전 외국인 선물 순매수
:미국의 완화된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보도(블룸버그) → 타격 예상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반 약세
:D램, 낸드 11월 평균 고정거래가격 하락.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 지속되는 반도체 대형주= 지수 하방압력
:52주 신고가: 삼성화재, BNK금융지주(금융), KT(통신)로 최근 주도 업종(내수 + 배당) 유지
:미디어/엔터, 소프트웨어(인터넷/게임) 업종 지속 강세. 관세 불확실성에서 멀고, 금리 인하 수혜 기대감
:한국 11월 수출도 전년동월대비 1.4% 증가. 4개월 연속 증가세 감소. 수출 둔화 압력 추가 확대 우려
:경기 우려 지속되며 신고가 경신중인 미국과 디커플링 지속되는 양상. 금주 고용데이터 확인 필요

KOSDAQ은 0.5% 상승한 681p. 미국 주식시장 훈풍+금리 하락에 상승. 제약바이오, 2차전지, 엔터 강세
- 외국인과 기관 순매수에 시총 상위주 중심 강세. 연기금은 KOSPI와 KOSDAQ 순매수 이어가는 모습
:금리 인하 수혜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4분기 내내 강세 보이는 엔터, 엔화 강세 수혜 부각에 상승세
:대왕고래(야당, 예산안 심의서 대왕고래 예산 삭감) 약세, 가상자산(가상자산 강세 지속+과세 유예) 강세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리스크+국내 경기 둔화 우려에 1,400원선 등락 지속. 4.3원 상승한 1,400.8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4%, 대만(가권) +1.9%, 홍콩(항셍) +0.8%, 중국(상해) +0.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066
위 내용은 2024년 12월 2일 11시 1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9 Nov, 08:0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9일
『KOSPI 5개월 연속 하락 마감』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55.91 (-1.95%), 코스닥 678.19 (-2.33%)
 
겹악재에 KOSPI 2,500p 이탈
 
KOSPI, KOSDAQ은 각각 2.0%, 2.3%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은 추수감사절 휴장이었고, 1) Biden 행정부의 중국 반도체 추가 규제안, 2) 국내 경기 부진 우려, 3) 엔화 강세 등 시장 충격이 복합적으로 지수를 끌어내렸습니다. 내주 예상되는 미국의 중국 반도체 추가 규제안에서 제재 수위는 당초 예상에 미치진 못하지만(CXMT 제외 등), HBM에 대한 제재는 포함될 것(Bloomberg)으로 보이며 삼성전자(-2.3%) 중심 악재로 작용했습니다(SK하이닉스 -0.7%). 어제 금통위에서 경기 하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 오늘 10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생산·소비·투자 동반 부진하며 우려가 확대됐습니다. 여기에 일본 11월 근원 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엔화 강세 보인 영향 등에 KOSPI 2,500p 이탈했습니다.
 
화학 종목 중심 다수 52주 신저가 출현
 
KOSPI 종이목재(+1.1%)·섬유의복(+0.1%)·보험(+0.1%) 제외하고 다수의 업종이 하락했습니다. 종이목재는 중국 위생용품 이슈로 상승 보인 점을 고려하면 시장 전반이 부진했습니다(955개 중 722개 하락). 특히 한화솔루션(-5.1%)·코스모신소재(-7.6%) 등 화학 종목은 신저가를 경신했고 롯데그룹주(케미칼 -7.1%, 정밀화학 -4.6% 등) 다수 신저가였습니다.
#특징업종: 1)항공: 대한항공(+2.0%)-아시아나항공(-2.3%) 간 기업결합심사 EU 집행위원회 승인(11/28) 2)엔터: New Jeans, 하이브(-4.1%) 산하 ADOR와 전속 계약 해지 발표(11/28) 3)위생용품: 중국 생리대 품질 논란에 반사이익 기대(깨끗한나라 +30.0%, 모나리자 +13.7%)
 
수급 썰물에서 외국인·기관이 순매수한 종목들
 
외국인은 11월에 KOSPI를 4.3조원 순매도했고, 11월 마지막 거래일인 오늘 월중 가장 큰 금액을 순매도했습니다. 시장에서 수급이 이탈할 때 자금이 유입되는 종목들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외국인+기관 수급 상위 10위 중에는 인터넷(NAVER +1.0%, 카카오 +5.0%)이 최상위 차지했고, 게임(엔씨소프트 +2.2%, 시프트업 +0.7%), 산업재(두산에너빌리티 -1.4%, HD현대일렉트릭 +0.7%, 현대로템 -3.8%) 포진했습니다. 15일 연속 순매수중인 연기금은 인터넷·헬스케어(셀트리온·SK바이오팜·삼성바이오로직스) 중심 대한항공·SK이노베이션·한화오션 등 사들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Black Friday 2)中 국가통계국 PMI(30일 10:30) 3)韓 11월 수출입(12/1 09:00) 5)中 11월 차이신 제조업지수(12/2 10:4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03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9일 16시 5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9 Nov, 02:34


마켓레이더(11월 29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블랙 프라이데이, 지수까지 세일하는 이유』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8% 하락한 2,459p. 미국 휴장에도 한국 경기 우려, 엔화 강세 등 복합적 요인 영향
- 미국 주식시장은 추수감사절 휴장
- KOSPI는 ①한은이 야기한 경기 우려 ②엔화 강세 ③한국 지표 악화 등 복합적 우려감 작용. 장중 2,450p 이탈
:전일, 내년 및 후년 1%대 성장 우려에 ‘선제적’ 대응 시사하며 깜짝 금리 인하한 한국은행
:10월 산업활동동향 산업생산, 소비, 설비투자, 건설 모두 마이너스. ‘금리 인하 과연 선제적이었나’ 우려감
:엔화 강세. 엔/달러 환율 150엔까지 하락. 일본 CPI 상승(+2.2%)으로 BOJ 12월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
:최근 잊고 있었던 엔-캐리트레이드 청산에 대한 악몽 부각. 오전 외국인 현선물 동반 대량 순매도
:대부분의 업종 하락. 다만 엔화 우려에도 일본보다 약세? 영향력 적은 한국 지표 등 고려시 낙폭 과도
:52주 신고가: 지역난방공사(유틸), JB, BNK금융지주(금융), KT(통신)으로 최근 주도 업종(내수+배당) 유지
:대한항공(EC, 아시아나 합병 최종 승인) 등 개별 종목 이슈 부각되는 일부만 상승
:경기 우려 커지며 다음주 ISM제조업지수, 미국 고용보고서, 11월 한국 수출 등 중요성 강화된 상황(2P참고)

KOSDAQ은 2% 하락한 680p. 엔화 속등과 한국 경제지표 부진에 외국인, 기관 자금 이탈되며 하락
- 외국인과 기관 동시 순매도에 대형주 중심으로 약세 보이며 지수 하방 압력. 시총 상위 10개 중 9개 하락
:제약바이오, 2차전지 등 대부분 업종 약세보이는 가운데 이익턴어라운드 기대되는 엔터미디어 업종만 생존
:희토류(중국 규제에 중국의 희토류 보복 가능성 부각), 자람테크놀로지(뉴로모픽반도체 개발 과제 착수)

원/달러 환율은 미국 추수감사절 휴일 영향에 제한된 범위에서 등락 지속. 0.7원 상승한 1,395.2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02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9일 11시 3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8 Nov, 22:41


『국내주식전략; 신한 M.R.I: Elon Musk 가라사대』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Trump 내각 및 관세 이슈에 상단 제약
-차주 Preview: 매크로 지표 발표 가운데 소매기업 실적 주목
-Market Insight: Elon Musk 가라사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1004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9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8 Nov, 08:1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8일
『깜짝 금리 인하에도 상방 제약한 반도체』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04.67 (+0.06%), 코스닥 694.39 (+0.35%)
 
반도체 악재 이어진 KOSPI
 
KOSPI, KOSDAQ은 각각 0.1%, 0.4% 올랐습니다. 미국 추수감사절을 앞두고 적극적 매수는 부재했고, 반도체 악재가 상방을 제약했지만 간밤 미국 달러·금리 진정된 점과 한국은행이 깜짝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양 시장 상승 마감했습니다. 반도체는 1) 간밤 Dell(-12.3%)·HP(-11.4%)가 저조한 매출과 이익 가이던스 실망감에 하드웨어 업황 우려를 촉발했고, 2) 미국이 이르면 다음 주에 대중 반도체 추가 수출규제를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더해져 부진했습니다(삼성전자 -1.4%, SK하이닉스 -4.3%). 외국인은 전기전자(-3,740억원), 금융업(-853억원), 운수장비(-426억원) 등 순매도했습니다. 특히 현대차(-0.9%)는 1조원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에 약세 마감했습니다.
 
모처럼 반등한 헬스케어
 
최근 1) Trump Trade에 따른 시장금리 반등, 2) Trump의 ‘백신 음모론자’ Robert Kennedy Jr 복지부 장관 지명, 3) 알테오젠(-1.0%) 관련 루머 등 차익실현 재료로 작용하며 헬스케어 약세 보였습니다. 다만 금통위 금리 인하에 더해 개별 이슈 더해지며 대형주 중심 반등에 성공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4.9%)는 12거래일 만에 황제주 복귀했습니다.
#특징업종: 1)의료 AI: 노을(+30.0%), ‘마이랩’ 미국 FDA 첫 제품 등록 (셀바스헬스케어 +9.7%) 2)롯데 그룹: 롯데케미칼(+4.7%), 신용도 강화 위해 롯데월드타워 담보(롯데지주 +3.6%) 3)기타: ①고려아연(+12.2%) 임시주총 전 지분경쟁, ②에코프로비엠(+6.8%) KOSPI 이전상장 추진
 
금통위 깜짝 금리 인하 단행
 
오늘 시장의 예상과 달리 금통위는 깜짝 금리 인하를 단행했습니다(25bp, 3.00%). 가계대출이나 외환 변동성 같은 금융 불안에 대한 우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에 더 집중했습니다. 동결 소수의견이 2명이나 나온 이유입니다. 한국은행의 성장률 전망을 살펴보면 지난 8월 대비 올해(2.4→2.2%)와 내년(2.1→1.9%) 모두 하향됐고, ’25~’26년은 1%대로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추수감사절 휴장 2)EU 11월 경제심리지수(19:00) 3)韓 10월 산업생산·소매판매(29일 08:00) 4)日 11월 CPI(29일 08:50) 5)日 11월 소비자신뢰지수(29일 1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9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8일 17시 0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8 Nov, 02:08


마켓레이더(11월 28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깜짝 금리인하! 주식시장 반응은?』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상승한 2,506p. 지수 방향성 부재한 가운데 미국 실적 영향에 반도체 하락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실적 여파로 반도체, 소프트웨어 업종 동반 부진. 물가, 경제지표 확인 후 금리, 달러는 하락
:델(-12.3%), HP(-11.3%) 실적 하회, 가이던스 하향. AI 지출 축소에 대한 우려. 소프트웨어 업종도 하락
: PC 업황 부진 → 단기 우려 부각 →빅테크 차익실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1.5%) 4거래일 연속 하락
:PCE 물가 전년 대비 +2.3%로 예상치 부합. 12월 금리 인하 기대 유지. 페드워치 기준 인하확률 66.5%
:10년물 국채금리 4.2%대로 하락. 달러인덱스 역시 엔화 강세 전환에 106p로 고점 대비 하락

- KOSPI는 금리, 달러 안정화에도 외국인 자금 이탈. 반도체 하락 Vs. 조선, 통신, 금융 상승 컬러 지속.
:한은 기준금리 3.00% 인하. 10월에 이어 연속 금리 인하 개시. 내년 및 후년 1%대 성장 우려 선제적 대응
:두차례 연속 인하는 15년만. 발표 직후 금리 인하 수혜 바이오, 인터넷/게임 등 업종 상승세 부각
:외국인 순매도. 전일도 오후 매도폭 확대. 현물 1,500억원 선물 1,200계약 이상 순매도. 거래대금도 미미
:조선, 통신(배당), 금융(일부),바이오(금리인하) 업종 상승 Vs. 반도체(미국), 유틸리티(차익실현) 업종 하락
:52주 신고가: HD현대미포(조선), JB, BNK금융지주(금융), KT, SK텔레콤(통신)으로 최근 주도 업종 유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오늘도 동반 하락하며 지수 하방압력 부여. 전일 보조금 재검토에 이은 미국발 악재
:국내 반도체 투심 악화 지속. 삼성전자 외국인 지분율 49.7%(7/11) →45.2%(전거래일)로 지속 축소 중
:관세장벽 피해 적은 한국 소프트웨어(인터넷, 게임) 및 미디어/엔터 오늘도 수익률 우수
:신저가 경신하며 관심에서 소외됐던 엔씨소프트의 경우 8월 저점(160,400원) 대비 45% 조용히 반등
:금리, 달러 안정화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은 미미. 반도체 위주 매도우위 지속. 고배당, 호실적 종목 집중

KOSDAQ은 0.5% 상승한 696p. 예상 외 금리 인하에 제약바이오, 2차전지 등 성장주 강세 보이며 상승
- 금리 하락 수혜 제약바이오(셀트리온제약 +13.2%, 펩트론 +6.9%) 반등. 미국 제약바이오 반등도 긍정적
:에코프로비엠(+5.1%) KOSPI 이전상장 예비신청서 제출에 에코프로 그룹주(에코프로 +1.7%) 동반 강세
:의료AI(노을, 마이랩 미국 진출 본격화 기대감), 사료(트럼프, 우크라-러시아 특사에 키스 켈로그 지명)

원/달러 환율은 금리 인하에도 미국 10월 PCE 예상치 부합에 제한적 움직임. 0.4원 하락한 1,393.9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2%,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8%,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7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8일 11시 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7 Nov, 22:44


『중국 주식전략; 미국발 불확실성에 주춤한 중국 주식시장』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대중국 고율 관세 위협과 위안화 절하 압력에 주춤한 주식시장
-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 내수주도형 경제성장으로 전환 가능성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6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8일 7시 4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7 Nov, 22:38


『국내주식전략; 배당 전략으로 찾는 돌파구』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올해 최고 스타일 고배당, 연말 금융투자 매매 패턴 고려 시 투자 적기
-2024년 합산 KOSPI 당기순이익 71.5% 증가, 배당 서프라이즈 요소
-2024년 배당 투자 전략 1) 절대적 고배당률 2) 배당 서프라이즈 업종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6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8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7 Nov, 08:0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7일
『연기금이 받쳐준 KOSPI 2,500p』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03.06 (-0.69%), 코스닥 692.00 (-0.17%)
 
한국도 피해갈 수 없는 정부효율부(DoGE)의 손길
 
KOSPI, KOSDAQ은 각각 0.7%, 0.2%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은 양호했습니다. 11월 FOMC 의사록에서 점진적 금리 인하에 대한 지지를 확인하면서 시장금리 반락했습니다. 이에 Dow지수 3일 연속, S&P500은 약 2주 만에 역사적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갈 길 바쁜 KOSPI의 발목을 잡은 것은 따로 있었습니다. 정부효율부(DoGE)의 공동 수장인 Vivek Ramaswamy는 반도체법상 보조금이 매우 부적절하다고 평했는데, 삼성전자(-3.4%)·SK하이닉스(-5.0%) 등 아직 해당 보조금을 수령하지 못한 기업들이 부진했습니다. 외국인은 KOSPI 현선물을 순매도했지만 KOSDAQ 현선물은 순매수했고, 오히려 연기금이 KOSPI를 13일 연속 순매수하면서 지수 하단을 지지했습니다.
 
연말은 금융·통신 등 고배당으로
 
연말 배당 기대감과 시장 부진에 수급은 고배당·로우볼로 이동했습니다. 12월 20일 코리아 밸류업 지수 특별 리밸런싱 기대도 금융·통신주 관심 키웠습니다. 통신 3사 동반 신고가를 경신(SK텔레콤 +4.6%, LG유플러스 +2.9%, KT +4.6%)했고 보험(삼성생명 +4.2%)·금융지주(KB금융 +2.8%, 하나금융지주 +2.9%) 등 지수 미편입 종목들 강세였습니다.
#특징업종: 1)AI: AI 관련 사업 기대(NAVER +3.8%, 이스트소프트 +28.0%) 2)대왕고래: 동해 심해전 개발 첫 시추 지역 선정에 차익실현 출회(넥스틸 -13.4%, 한국가스공사 -3.7%) 3)남북경협: Trump,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직접 대화 추진(좋은사람들 +29.9%, 일신석재 +14.9%)
 
약발 없었던 삼성전자 인사
 
오늘 KOSPI 17.3p 하락했는데 삼성전자가 15.1p, SK하이닉스가 8.1p를 끌어내렸습니다. 즉 두 종목을 제외한 KOSPI는 비교적 양호했습니다. 대외 영향에 고군분투하는 가운데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가 발표됐습니다. 한종희 부회장 1인 대표 체제에서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이 대표이사를 함께 맡는 2인 대표 체제로 복귀하는 등 전반적으로 ‘안정 속 변화’의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시장의 반응은 대체로 냉담했는데, 외국인 어제 순매수한 하루 만인 오늘 2,800억원 가량 순매도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3Q GDP성장률(22:30) 2)美 10월 내구재주문(22:30) 3)美 10월 PCE물가지수(22:30) 4)美 10월 잠정주택판매(24:00) 5)美 EIA 원유재고(24:30) 6)韓 11월 금통위(28일 10: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5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7일 16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7 Nov, 02:10


마켓레이더(11월 2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관세, 트럼프의 첫날에 대한 두려움』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상승한 2,521p. 트럼프의 관세장벽에 대한 두려움 지속되며 업종별 차별화 전개
-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언급에 따른 일부(자동차) 업종 매물 출회에도 불구 피해 적은 업종 위주 상승
:트럼프, 취임 직후 중국 +10%,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추가 관세 부과 시사. 마약, 불법이민자 이유
:자동차와 반도체 등 해당국에 생산공장 포진한 기업 타격 불가피. 인플레 우려에 금리, 달러도 동반 상승
:그럼에도 마약, 불법이민자 등 사유 해결 시 관세장벽 복귀 기대감. 캐나다 트뤼도 총리, 트럼프와 통화
:FOMC 의사록, 점진적(gradually) 금리 인하 시사. 파월의 발언과 같은 궤. 12월 25bp 인하확률은 상승

- KOSPI는 트럼프 관세 우려와 보조금 노이즈 생긴 반도체 하락 Vs. 배당+호실적 기대 금융, 통신, 유틸 상승
:수급, 전 매수주체 뚜렷한 방향성 부재. 거래대금도 오전 KOSPI 3.3조원 KOSDAQ 2.7조원 수준 불과
:금융, 통신, 유틸리티 상승. 박스권 등락 지수에서 배당 매력 유효 업종. 12월 밸류업지수 리밸런싱도 예정
:라마스와미(DOGE 공동 수장), 반도체법 보조금 재검토 시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우려감에 동반 약세
:트럼프,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대화 추진 보도. 조기 북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 남북경협테마 상승
:HD현대미포, 한국조선해양 또 52주 신고가. ①트럼프 수혜 ②강달러(수출) ③호실적(수주 지속)은 지속
:트럼프 당선 이후 한국 소프트웨어(인터넷, 게임) 및 미디어/엔터 모두 수익률 우수→ 관세장벽 피해 적음
:문화 수출에 관세장벽은 없다.미국도 AI 반도체에서 소프트웨어로 온기 이동. 호실적 종목 발굴 필요

KOSDAQ은 0.1% 상승한 694p. 외국인 순매도에 반도체 쉬어가는 가운데 개별 이슈에 따른 테마장세
- 트럼프측 반도체법 보조금 재검토 발언에 반도체 부진한 가운데 글로벌 주도주로 부상한 AI SW 테마 강세
:남북경협(트럼프-김정은 직접 대화 검토 소식), 비만치료제(바이든 행정부, 비만 치료제 보험 적용 검토)
:드론(머스크, ‘미래는 드론의 시대’ 강조), 엔터(중국 우호 분위기+아티스트 월드투어 통한 실적 개선기대)

원/달러 환율은 시장 예상 내 FOMC 의사록에 1,400원선 하회. 1.3원 상승한 1,397.4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7%, 대만(가권) 0%,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4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7일 11시 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6 Nov, 22:38


『퀀트분석; 신한 Earnings Guide: 국내 상장기업 실적 하향 안정화』
퀀트 이정빈 / 이민재  02-3772-2919

- 유틸리티와 금융 호실적 기록하며 3분기 영업이익 서프라이즈
- 에너지와 유틸리티 이익 증가로 KOSPI 2024년 연간 순이익 하향 안정화
- 국내 상장기업 3분기 영업이익 서프라이즈 현황
 
※ 원문 확인: https://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40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7일 07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6 Nov, 07:5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6일
『불어오기 시작하는 Trump발 태풍』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20.36 (-0.55%), 코스닥 693.15 (-0.53%)
 
Trump의 관세 활용에 긴장하는 한국
 
KOSPI, KOSDAQ은 각각 0.6%, 0.5%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은 Scott Bessent 재무장관 지명 이후 안도감 확산되며 Dow·Russell2000이 신고가를 보였습니다. 주말 간 뉴스였기에 한국은 어제 선반영 후 오늘 일부 되돌림이 나타났습니다. Trump는 취임 첫날 관세 부과를 예고(중국 +10%, 멕시코·캐나다 +25%)했습니다. 불법 이민, 마약 등 비경제적인 이유를 밝힌 만큼 향후 협상을 위한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도 여기서 자유롭지 못하기에 경계 심리가 나타났습니다. 외국인은 양 시장 현선물 동반 순매도했고 삼성전자(+0.7%) 7일 만에 순매수했습니다. KOSDAQ은 1)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 후퇴 전망에 2차전지 장초 강세에도 상승폭 반납했고, 2) 헬스케어 투매 나오며 약세였습니다.
 
혼란한 시장 속 강자는 통신주
 
KOSPI 업종 중 통신업(+2.2%) 가장 강했습니다. 특히 KT(+1.6%)와 LG유플러스(+2.9%)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내달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리밸런싱과 함께 배당 등 주주환원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유입된 영향입니다. LG유플러스는 특히 중국의 유튜브인 ‘Bilibili’의 콘텐츠를 IPTV를 통해 독점 제공한다는 소식을 밝히며 크게 올랐습니다.
#특징업종: 1)항공: 대한항공(+4.3%), 아시아나항공(+3.6%)과의 합병 승인 임박에 52주 신고가(진에어 +9.8%, 제주항공 +3.3%) 2)희토류: 미국 대중관세 부과 등 갈등 조짐(유니온 +9.7%) 3)우크라 재건: Trump 정부 러-우 전쟁 조기 종식 추진 가능성(삼부토건 +6.0%, 대동 +7.0%)
 
정부효율부(DoGE) 칼날에 위축된 방산주
 
간밤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임박 소식에 WTI 3.2% 하락하는 등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됐습니다. 여기에 방산 투심을 더욱 악화시킨 것은 정부효율부 수장 Elon Musk였습니다. Musk는 Lockheed Martin(-3.8%)사의 F-35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올리면서 ‘드론의 시대’에는 유인 전투기가 무용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시장은 이를 국방 예산에 대한 개혁 의지로 해석했고 간밤 미국 방산주도 약세였습니다(ITA -1.1%). 국내는 방산주 약세와 반대급부로 드론주 강했습니다(네온테크 +21.1%, 코콤 +16.3%).
#주요일정: 1)美 10월 건축허가(22:00) 2)美 1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24:00) 3)美 FOMC 회의록(27일 0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2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6일 16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6 Nov, 02:00


마켓레이더(11월 2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방산에서도 확인한 머스크의 영향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5% 하락한 2,521p. KOSPI 수익률 최상위권 포진했던 방산주, 머스크 발언에 일제히 하락
- 미국 주식시장은 친시장적 재무장관 지명자 임명에 시장금리 하락, 테마별 순환매 지속되며 상승
:스캇 베센트, 신임 재무장관 지명. 헤지펀드 출신, 친 시장적 인물이라는 평가에 주식시장 우호적 반응
:10년물 국채금리 4.2%대로 하락. 12월 FOMC 25bp 금리 인하 기대감 역시 55% 수준으로 반등

- KOSPI는 방산, 금융 등 트럼프 수혜로 수익률 최상위권 포진했던 업종 차익실현 및 노이즈 발생
:외인 현선물 순매도 전환. 오전 현물 400억원 선물 3,800계약 이상 순매도. 다만 삼성전자는 장중 순매수
:외국인 삼성전자 12거래일 연속 순매도→ 11/15 순매수(1일)→ 지속 순매도 → 금일 순매수 전환
:15일 자사주 매입 발표이후도 순매도 지속. 전일 이재용 회장, “삼성 위기 반드시 극복하겠다” 발언
:삼성전자, 이르면 27일 이후 연말 인사 단행 전망. 현 AI 소외 사태 책임있는 임원진 교체 기대감
:연초 이후 KOSPI 누적 외국인 순매도 대금 삼성전자에 집중. 외국인 수급 반전시 지수에 우호적 흐름
:①트럼프 수혜 ②강달러(수출) ③호실적(수주 지속) 업종이었던 방산주 동반 약세. 일론머스크의 발언 영향
:머스크, “F-35같은 유인 전투기를 만드는 멍청이(idiots)들이 있다” 발언. 미국도 방산 약세 Vs. 드론 상승
:통신, 유틸리티 등 경기 방어 및 배당주는 강세. 연초 이후 배당주 수익률 최상위권. KT, U+ 52주 신고가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기대감과 스캇 베센트의 원유 공급 확대 발언 속 유가는 하락. 항공주 강세 배경
:내일 FOMC의사록 발표. 재무장관 영향에 소폭 하락한 시장금리의 의사록 이후 방향성에 주목해야

KOSDAQ은 0.5% 하락한 694p. 트럼프 관세 언급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제약바이오 반락에 지수 하락
- 제약바이오 변동성에도 탄산리튬 반등과 저가매수세 유입에 2차전지 소재 상승세 지속하며 지수하단 지지
:트럼프 관세 리스크 영향력 크지 않은 미디어엔터, 여행 등 중국 관련주 트럼프발 약세장에서도 강세 지속
:우크라 재건(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합의 근접), AI SW(플리토, MR 기반 AI 동시통역 앱 지원) 강세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의 관세 발언으로 불확실성 확대되며 1,400원대 재돌파. 5.1원 상승한 1,404.1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1.7%, 대만(가권) -1%,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91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6일 10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5 Nov, 22:37


『글로벌 주식전략; AI 소프트웨어 업황을 견인하는 키워드: ① 소비, 광고』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Top-down: 강한 소비가 견인하는 기업들의 본격적인 심리 개선    
- Bottom-up: 광고 기반 기업들의 광범위한 강세가 의미하는 것
- 강한 소비에서 파생되는 아이디어: 광고, 스트리밍 → AI 애드테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94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6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5 Nov, 07:5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5일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대형주 동반 호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34.34 (+1.32%), 코스닥 696.83 (+2.93%)
 
매력적 가격 수준에서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
 
KOSPI, KOSDAQ은 각각 1.3%, 2.9% 상승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시장은 M7 혼조세였지만 양호한 경기 지표에 S&P493에 온기 확산되는 모습이었습니다(Russell2000 +1.9%). 우호적 투심에 더해 반도체·2차전지 ·헬스케어 호재 겹치면서 양 시장 대형주 강세로 오랜만에 큰 폭 상승했습니다. 1) 주말 간 Jensen Huang이 삼성전자(+3.4%)의 HBM3E 8·12단 승인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고, 기관 수급이 받쳐주면서 SK하이닉스(+0.2%)·한미반도체(+1.0%)도 함께 올랐습니다. 2) M7 중 독보적 상승세 보인 Tesla(+3.8%) 영향(EU 판매 호조 등)에 국내 2차전지 강세였습니다(LGES +3.6%, 에코프로비엠 +4.8%). 3) 바이오는 지난주 루머에 급락했던 알테오젠(+13.4%) 중심 반발매수세 유입에 반등 성공했습니다.
 
Trump 물결 타고 수혜주 강세 지속
 
Trump 수혜 기대에 조선·전력기기 강했습니다. HD현대중공업(+2.1%)·한화엔진(+4.7%)·HJ중공업(+10.6%) 등 신고가였고, 전력주(HD현대일렉트릭 +6.5%, LS ELECTRIC +14.0%) 반등했습니다. 한편 우크라 재건주(삼부토건 +6.7%, 현대에버다임 +1.8%) 상승하자 반대급부로 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5.4%, LIG넥스원 -2.8%) 차익실현 나왔습니다.
#특징업종: 1)LG그룹주: 7개 계열사 동반 밸류업 계획 발표 후 주주가치 제고 기대감(LG유플러스 +1.4% 등) 2)여행: 중국 정부, 대한민국 국민 무비자 입국 기한 연장(15→30일)(참좋은여행 +6.2% 등) 3)엔터: 韓-中 문화·관광장관, 문화예술·컨텐츠 교류 확대 논의(에스엠 +3.0% 등)
 
미국 재무장관 Scott Bessent 지명
 
주말 간 또 하나의 이슈는 Trump 대통령이 재무장관에 Scott Bessent를 지명한 점입니다. 시장은 그가 1) Trump의 관세 정책에 대해 ‘단계적인 접근’을 시사했고 2) 재정적자는 억제하려는 입장을 지닐 것으로 인식(Bloomberg 설문조사)한 점에 안도했습니다. Trump Trade에 2년여 만에 108선을 돌파했던 달러인덱스는 107.0까지 내려왔고 10년물 국채금리는 4.3%까지 내렸습니다. 한편 Bessent는 대표적 가상자산 옹호론자이기도 한 만큼 국내 수급 측면에서 가상자산 정책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시카고연은 국가활동지수(22:30) 2)美 11월 댈러스연은 제조업지수(24:30) 3)韓 11월 소비자신뢰지수(26일 06: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8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5일 16시 4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5 Nov, 02:03


마켓레이더(11월 2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주도하는 업종과 많이 빠졌던 업종』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4% 상승한 2,536p.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지속하며 지수 상방압력 부여. 순환매 장세
- 미국 주식시장은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굳건한 경기 재확인한 순환매 장세
:S&P 글로벌 마킷 PMI, 종합 기준 55.3으로 2년 7개월만 최고치. 서비스업, 제조업 모두 예상치 상회

- KOSPI는 외국인 자금 유입이 주도한 지수 상승 장세 지속. 화학, 2차전지, 신재생 등 업종별 순환매
:외인 2거래일 연속 현선물 동반 순매수. 현물 매수 규모는 390억원 정도로 미미하나 선물 5,300계약 이상
:삼성전자 장중 3% 이상 상승하며 지수 상방압력. 다만, 외국인 매수세는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황
:연초 이후 KOSPI 누적 외국인 순매수 대금은 6조원 수준이나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13.7조원 순매수
:젠슨황 CEO, 주말 블룸버그 인터뷰 통회 삼성전자 HBM3E 8단, 12단 Qualifying 유의미한 진전 언급
:조선) 한화엔진 포함 다수 종목 신고가. 엔진 사업부 가동률 증가. ①호실적 ②강달러(수출) ③트럼프
:STO 테마 상승. STO 발행 법제화 법안 여야 의원 공동 발의 소식. 국회 통과 가능성 높은 상황
:엔터 테마 상승. 문체부 장관, 중국서 문화장관회담. 한한령 해제 기대감 모멘텀 추가
:2차전지, 신재생 반등. 테슬라(+3.8%), FSD 규제 완화 기대감에 상승한 영향과 수익률 하위권 업종 순환매
:외국인 순매수 전환에 지수 반등하는 흐름. 순매수 상위 업종인 헬스케어, 화학 업종 상승률 부각

KOSDAQ은 2.4% 상승한 693p. 금리 반락+제약바이오 반등+한한령 해제 기대에 5거래일 만에 반등
-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던 제약바이오 업종, 알테오젠 등 저가매수세 유입에 반등하며 지수 상승 견인
:중국 무비자 입국 기간 확대, 한중 문화·관광장관 회담으로 한한령 해제 기대 부각. 엔터미디어, 여행 강세
:의료AI(루닛, 북미영상의학회서 AI 진단 설루션 연구초록 발표), 대왕고래(금주 첫 시추지 확정 예정) 강세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트레이드 되돌림+위험 선호 심리 확산 영향에 7.8원 하락한 1,398.6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8%, 대만(가권) +0.9%, 홍콩(항셍) +0.4%,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7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5일 11시 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Nov, 08:0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2일
『8거래일 만에 KOSPI 2,500p 복귀』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01.24 (+0.83%), 코스닥 677.01 (-0.54%)
 
Nvidia 호실적 + 산업재·금융 강세 영향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8%, -0.5% 등락했습니다. 간밤 M7 대체로 하락한 가운데 Nvidia(+0.5%)만 상승했습니다. 가이던스 서프라이즈율 실망에 하방 충격 있었지만 호실적에 대한 옹호론이 힘을 입으며 강세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국내 HBM 관련주(SK하이닉스 +4.7%, 한미반도체 +3.4%)도 동조화하며 강세였습니다. 여기에 더해 방산주는 단기 낙폭 확대에 따른 반발매수세와 러시아의 IRBM 발사 소식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6.5% 등). 조선도 한화오션(+6.4%)의 HD현대중공업(+3.7%) 고발 취소 소식 등 호재에 강했습니다. 한편 중국 시장은 미중분쟁 불확실성 부각에 기관 자금 중심으로 이탈했고, 반도체·태양광 설비 등 하락했습니다(Shanghsi -3.0%, HSCEI -2.4%).
 
KOSPI200 편출입 영향
 
어제 KOSPI200 정기변경 결과가 발표됐습니다(12/13 적용). 통상 리밸런싱 15거래일 전부터 편입 종목들은 상승 추세를, 편출 종목들은 하락 추세를 보이다가 리밸런싱일 후 재료 소멸로 하락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오늘 KOSPI200편입 종목 대체로 강세(효성중공업 -7.2%, 에이피알 +4.7%, OCI +4.8%, 미원상사 +4.7%)를 보였습니다.
#특징업종: 1)원전: 산업부,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 초안 확정(비에이치아이 +13.0%, SNT에너지 +11.5%) 2)유리기판: SKC(+8.3%)의 자회사 앱솔릭스 컨소시엄, 美 반도체지원법 1억달러 보조금 선정 3)엔터: ROSE 신곡 ‘number one girl’ 공개(YG PLUS +13.1%, 와이지 +3.4%)
 
사업구조 개편 및 주주환원 이슈
 
두산 그룹이 추진하던 사업구조 개편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오늘 두산밥캣(+0.4%)을 두산에너빌리티(+5.7%)에서 인적분할해 두산로보틱스(+0.9%)에 합병하는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했습니다. 금감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청을 넘기까지 4개월이 걸렸고, 주총(12/12) 거쳐 합병안 승인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한편 일부 종목은 주주환원 발표에 강세였습니다. LG생활건강(+3.7%)은 향후 3년간 보유 중인 자사주 전량 소각 밝혔고, SK스퀘어(+8.8%)는 2,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기 매입 1,000억원 + 3개월 내 추가 매입 1,000억원) 계획 발표에 강세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S&P Global 제조업·서비스업 PMI(23:45) 2)美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기대인플레이션(2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3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2일 16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Nov, 02:07


마켓레이더(11월 2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외국인 드디어 컴백! 재회한 2,500p』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1% 상승한 2,508p.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전환에 대형주 주도 상승폭 확대
- 주식시장은 ①굳건한 경기 ② AI 이익 견조(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확인하며 상승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4월 이후 7개월만 최저 수준(21.3만건) →경기 견조 확인→ 시장금리, 달러 상승
:종목별 차별화. 알파벳(-4.7%) 미 법무부의 크롬 강제 매각 요청 소식에 하락. 스노우플레이크(+32.7%) 호실적과 컨센서스 상향에 급등. 빅테크 전반적으로 약세였으나 AI 소프트웨어 업종은 강세

- KOSPI는 오늘은 업종별 순환매가 아닌 외국인 자금 유입이 주도한 지수 상승 장세
:현물 11월 8일부터 10거래일 연속 순매도한 외국인, 금일 현선물 동반 순매수 전환하며 지수 상승
:외국인 선물 4,500계약 가량 순매수에 기관도 1,200억 가량 현물 순매수. 거래대금 반등은 여전히 미미
:정부, 한국 지수 부진에 개선방안 제시. 2년 연속 감사의견 ‘부적정’ 받은 상장사 즉각 상폐 추진
:대부분의 업종 상승하는 가운데 기계, 보험, 화학, 통신, 반도체, 건설 금융 업종 상승률 상위권 포진
:테마별로는 피팅, 원전, 조선 테마 상승. 산업부 장관, 중장기 원전 정책 발표 연내 발표 예정 등 이벤트
:통신) KT, LG U+ 52주 신고가. U+, 밸류업 계획 발표. 주주환원율 60% 목표. 밸류업지수 편입 기대감도
:지수 박스권 탈출 위한 Big Event 다음주 크게 없는 상황(2P참고). 고금리-강달러 등락폭 지속 확인 필요
:거래대금 반등이 여전히 미미. 뚜렷한 주도 업종 역시 부재. 다음주 대왕고래 등 유효한 테마 주목 필요

KOSDAQ은 0.7% 상승한 685p. 투자심리 개선에 4거래일 만에 반등. 제약바이오가 지수 상단 제한
- 알테오젠발 제약바이오 업종 노이즈로 반도체, 2차전지, 원자력 등 제약바이오 이외 업종, 테마로 수급 이동
:반도체 업종은 엔비디아 실적 소화하며 투심 개선. 저가매수+탄산리튬 반등으로 2차전지 밸류체인 강세
:AI SW(오픈AI, 삼성전자 제품에 AI 기능 탑재 방안 논의), 대왕고래(정부 차주 첫 시추지 확정 예정) 강세

원/달러 환율은 지정학적 우려 확대, 연준 위원 발언 영향에 1,400원대 유지. 1.9원 하락한 1,400.1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9%, 대만(가권) +1.7%,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20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2일 11시 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Nov, 22:53


『신한 속보; KRX 대표지수 12월 정기변경 발표』
패시브/파생전략 조민규 02-3772-2633 /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11월 21일 KRX 대표지수 정기변경 결과 발표. 정기변경일은 12월 13일
- KOSPI200 지수 신규 편입 종목은 효성중공업, 에이피알, OCI, 미원상사 등 4개 종목. 편출 종목은 롯데관광개발, 효성, 명신산업, KG스틸, 영풍 등 5개 종목
- KOSDAQ150 지수 편출입 종목은 각각 8개 종목. 편입 종목은 신성델타테크, 카페24 등. 편출 종목은 신라젠, 박셀바이오 등
- 지수 변경 활용한 이벤트 드리븐 전략은 패시브 자금과 거래대금 간 괴리로 유효할 전망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80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2일 7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Nov, 22:33


『신한 M.R.I: 서학개미의 세 얼굴 子·丑·卯』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시선은 Trump 정책 리스크로
-차주 Preview: 추수감사절·Black Friday에 한산할 주식시장
-Market Insight: 서학개미의 세 얼굴 子·丑·卯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0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2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Nov, 07:53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1일
『테마와 루머에 요동치는 시장』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0.63 (-0.07%), 코스닥 680.67 (-0.33%)
 
아시아 주요국 대비 선방한 한국
 
KOSPI, KOSDAQ은 각각 0.1%, 0.3% 하락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전날 미국이 지원한 ATACMS에 이어 간밤 영국과 프랑스의 Storm shadow로 러시아를 타격했습니다. 그럼에도 지정학적 우려는 시장에 크게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Nvidia(시간외 -2.5%) 실적(매출 351억$, EPS 0.81$) 및 4Q 가이던스(매출 375억$, GPM 73.5%)가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음에도 다소 밋밋한 영향을 미쳤고, 2,000억원 규모 밸류업 펀드 집행 등이 하단 지지해줬습니다. 삼성전자(+2.0%)가 지수를 8.2p 올리며 한국은 아시아 주요국 대비 선방했습니다(Nikkei225 -0.9%, TAIEX -0.6% 등). 주도주 역할을 하던 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6.2%, 한화시스템 -11.3%)·조선(HD현대중공업 -3.2%, 한화오션 -4.5%) 등 산업재 조정 나왔습니다.
 
엇갈린 전쟁 테마 Vs. 재건 테마
 
방산·사료주(고려산업 -7.8% 등) 차익실현 매도세 나왔고, 우크라 재건테마인 건설(삼부토건·범양건영 上)·농기계(대동기어·대동금속 上) 강세를 보였습니다. 간밤 유럽발 긴장감에도 불구하고 Putin이 Trump와의 휴전 협정 논의 의향을 밝힌 점이 부각되며 시장은 종전 임박에 베팅했습니다.
#특징업종: 1)2차전지: 탄산 리튬 가격 반등(POSCO홀딩스 +3.1%, 에코프로 +6.4%) 2)가상자산: Bitcoin 100,000달러 돌파 임박(우리기술투자 +3.7%, 한화투자증권 +2.2%) 3)경영권 분쟁: 고려아연(-5.1%), MBK·영풍 대상 금감원 진정+제련기술 국가핵심기술 지정 추진
 
루머에 흔들리는 한국 증시
 
지난 주말 유동성 위기 관련 풍문이 돌면서 낙폭 확대한 롯데 그룹주가 오늘은 소폭 반등에 성공했습니다(롯데케미칼 +2.0%, 롯데지주 +2.7%, 롯데쇼핑 +3.0%). 롯데케미칼이 회사채 재무특약 미준수로 특약 조정을 위한 사채권자와의 협의 소식을 밝혔지만, 롯데 그룹에서 안정적 유동성 환경을 적극적으로 밝히며 불안을 진정시켰습니다. 한편 알테오젠은 ALT-B4 특허권 소송 및 RCPS 발행 관련 루머가 돌면서 장중 -20.4%까지 하락했지만, 2대주주의 지분 확대와 더불어 -1.1% 마감했습니다. 수급이 비고 투심이 좋지 않은 만큼 시장이 루머에 취약한 상황입니다.
#주요일정: 1) 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 美 10월 기존주택판매(24:00) 3) 日 10월 CPI(22일 08:3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8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1일 16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Nov, 02:05


마켓레이더(11월 2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엔비디아 호실적도 못살린 밋밋한 시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상승한 2,488p. 거래대금 반등도, 외국인 자금 유입도 없는 업종/테마별 순환매 장세
- 미국 주식시장은 ①러시아-우크라이나 지정학적 갈등 고조 ②타겟 급락 ③엔비디아 실적 대기 속 혼조세
:러- 우 지정학적 갈등 지속. 미국의 군사 패키지 전달, 우크라의 대러(스톰 섀도) 본토 공격
:대형마트 타겟(-21.4%), 주가 급락. 수익과 매출 모두 부진. 엔비디아 실적 경계감 속 시장 혼조 마감
- [엔비디아 FY3Q25 실적]①매출액 351억달러 (컨센대비 +5.8%, +93.6% 전년대비) ②영업이익 233억달러 (컨센대비 +7.2%, +101.4% 전년대비) ③EPS 0.81달러 (컨센대비 +8.3%, +102.5% 전년대비)

- KOSPI는 통신, 에너지, 화학, 헬스케어 업종 상승 Vs. 조선, 방산, 기계, 음식료 업종 하락 → 또 순환매
:외국인 현물 10거래일 연속 순매도. 선물 동반 매도. 오전 현물 600억원 선물 1,800계약 이상 순매도
:오전 코스피, 코스닥 거래대금 각각 3.3조원 2.6조원 수준에 불과. 개인, 외국인, 기관 모두 유입자금 미미
:또다시 업종별 순환매. 11월 업종별 수익률 상위권 업종(조선, 미디어, 유틸리티, 기계 등) 차익실현
:반면 11월 업종별 수익률 하위권 업종(화학, 철강, 헬스케어, 에너지) 등은 저가매수세 유입에 상승
:올랐던 업종 매도→많이 빠진 업종 매수. 순환매 장세 지속. 우크라 재건, 동해고래 등 테마는 지속성 부각
:①트럼프, 국가에너지회의 신설 예고. ②동해 대왕고래 프로젝트 시추지 다음주 확정→12월 작업 시작
:엔비디아 예상치 상회 실적에도 시간외 -2.5%. 견조한 실적에도 그 이상의 기대치. 국내 반도체 강보합
:거래대금 반등이 여전히 미미. 뚜렷한 주도 업종 역시 부재. 테마장세 진행. 몇몇 유효한 테마 주목할 필요

KOSDAQ은 0.4% 하락한 680p. 개별 종목 장세 지속. 제약바이오 부진이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
- 알테오젠(-6.1%) 장중 급락(골드만의 할로자임과의 특허 이슈 언급) 후 반등. 11월 제약바이오 부진 지속
:2차전지(테마 간 순환매+탄산리튬 가격 반등), 신규상장(전일 신규상장한 위츠, 2거래일 연속 강세) 강세
:가상자산(비트코인 한때 9만4천 달러 돌파), 우크라이나재건(푸틴, 트럼프와 평화 협상 의향 보도) 강세

원/달러 환율은 연준 위원 발언에 따른 강세 이후 레벨 부담에 소폭 하락. 2.3원 하락한 1,398.6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7%,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8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1일 11시 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Nov, 22:34


『글로벌 주식전략; 이번 쇼핑 시즌이 괜찮을 의외의 이유』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연말 쇼핑 시즌 본격화 앞두고 또 다시 제기되는 우려 
- 이번 연말 쇼핑 시즌 분위기가 생각보다 더 괜찮을 이유
- 수혜 업종: 1) 온라인 플랫폼, 2) mass 소비자 타겟 업체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7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1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Nov, 08:00


『ESG Navigator(24-11); COP29 개최 영향 및 밸류업 ETF 점검』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 02-3772-1583

Part 1. ESG 이슈; COP29 개최와 국내 기업 영향 [이정빈]
- COP29 주요 의제 중에 중요한 부분은 개도국을 위한 기후 재정 마련
- 한국은 기후환경대사를 파견하며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추진
- COP29 국내 기업 영향: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제 규제 강화 가능성

Part 2. 글로벌 ESG; 성과를 위한 ESG ETF: COP29 및 밸류업 ETF 동향 [박우열]
- COP29: 11월 11일-22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개최
- 성과를 위한 ESG ETF: 주요 ESG ETF 성과 및 수급 점검
- 밸류업 ETF 본격 가동: 성과 우수 액티브 ETF 상품 분석

Part 3. ESG 채권; 10월 발행시장 점검 [정혜진]
- ESG 채권 발행시장 동향
- ESG 채권 발행 추이

Part 4. 산업 이슈; 반도체: 반도체, 수자원 관리에 앞장서다 [김형태]
- 공정의 미세화 + 첨단화 → 물 사용량 증가
- 반도체 기업의 수자원 관리 능력은 생산성과 적절

※ 원문 확인: https://me2.kr/BJKS0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16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Nov, 07:4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20일
『Nvidia 실적 발표 폭풍전야』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2.29 (+0.42%), 코스닥 682.91 (-0.47%)
 
관망세 가운데 업종별 순환매
 
KOSPI, KOSDAQ은 각각 +0.4%, -0.5% 등락했습니다. 1) 간밤 지정학 리스크 부각됐고, 2) Nvidia 실적 발표를 앞둔 경계감에 아시아 주요국은 약보합(Nikkei225 -0.2%, TAIEX -0.7%)이었고, 국내 및 중화권 시장은 강보합이었습니다(Shanghai +0.7%, HSCEI +0.1%).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타격(ATACMS) 및 러시아의 핵 사용 규칙 개정 등 유럽발 긴장은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삼성전자(-1.8%)와 SK하이닉스는 Nvidia 실적 발표 앞둔 관망세 보였고, 오히려 여타 대형주 강세였습니다(상위 10개 중 7개 상승). 업종 간 순환매 지속되는 가운데 조선이 주도력 보였습니다(세진중공업 +7.7%, HD현대중공업 +5.1%). KOSDAQ은 장 후반 알테오젠(-6.8%)·리가켐바이오(-4.4%) 등 급락하며 하락 반전했습니다.
 
엇갈린 Musk Trade
 
Trump 2기 행정부의 자율주행 관련 규제 완화 기대에 Tesla(+2.1%)는 순항하고 있습니다. 그 영향에 국내 자율주행 관련주(퓨런티어 +1.5%, 라이콤 +0.9%) 강세 이어갔습니다. 우주는(에이치브이엠 -19.7%, 컨텍 -11.5% 등) SpaceX의 Starship 6번째 시험비행 성공에도 불구하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큰 낙폭을 보였습니다.
#특징업종: 1)사료: 러-우 전쟁 격화(고려산업 +8.7%, 미래생명자원 +5.6%) 2)가상자산: Bitcoin 94,000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 경신 후 조정(우리기술투자 -7.3%, 한화투자증권 -2.6%) 3)하이브: 민희진 어도어 사내이사 사임, New Jeans IP 관련 불확실성 확대
 
다시 힘을 받는 밸류업 모멘텀
 
반도체 등 주도주가 쉬어가는 사이 밸류업 재차 부각됐습니다. 내일부터 2,000억원 규모의 ‘기업 밸류업 펀드’가 본격 개시될 예정이며, 연내 5,000억원까지 규모가 확대됩니다. 12월 20일 밸류업 지수에 신규 종목 편입을 위한 특별 리밸런싱도 추진됩니다. 이에 따라 과거 밸류업 지수에 편입이 유망했던 KB금융(+4.4%)·하나금융지주(+2.0%) 등 은행 종목과 KT(+3.7%)·SK텔레콤(+2.2%) 등 통신주, 음식료 등 강세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EIA 원유 재고(24:30) 2)美 Nvidia·Target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5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16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Nov, 02:07


마켓레이더(11월 2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오늘도 거래대금 반등 없는 테마별 순환매』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4% 상승한 2,480p. 거래대금 반등도, 외국인 자금 유입도 없는 업종/테마별 순환매 장세
- 미국 주식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지정학적 갈등 재개에도 큰 변동성 없음. 빅테크 저가매수세 유입
:러시아-우크라 간 지정학적 갈등 재개(핵 교리 업데이트)에도 장 후반 불안감 완화되며 시장 영향력 미미
:엔비디아(+4.9%), 실적 앞두고 기대감 속 매수세 유입. SMCI(+31.2%)도 상폐 위기에서 벗어나며 급등
:테슬라(+2.1%), FSD 규제 완화 기대감 지속. 비트코인 9.4만달러 돌파하며(지정학 이슈 영향) 신고가 경신

- KOSPI는 ①외국인 현물 순매도 지속 ②삼성전자 하락 전환 등에 지수 방향성 부재. 순환매 이뤄지는 흐름
:외국인 현물 9거래일 연속 순매도(매도대금은 800억원 수준으로 감소) 선물도 1,600계약 이상 순매도
:오전 KOSPI, KOSDAQ 거래대금 각각 3.5조원 2.8조원 수준에 불과. 개인, 외국인, 기관 모두 유입 미미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효과로 인한 반등 후 2거래일 연속 하락 재개. 외국인 순매수 전환은 1일 천하로…
:SK하이닉스는 반등. 미국도 반도체 SMCI 포함 반등,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내일 오전 7시!) 기대감
:음식료)K-푸드 이후 최근 주가 눌림. 저가매수세(순환매적 관점)와 CJ제일제당 바이오 매각 소식 등 호재
:금융)12월 밸류업 지수 리밸런싱 예정(편입만 진행). KB금융 등 주주환원+밸류업지수 편입 기대 종목 상승
:밸류업)거래소, 21일 2,000억원 밸류업 펀드 투자 개시. 연내 3,000억원 추가 조성 계획. 상승모멘텀 유효
:스페이스X 6차 발사 성공적. 그럼에도 K-셀온(재료소멸).최근 기대감에 상승 보였던 우주항공 테마 하락
:올랐던 업종 매도→많이 빠진 업종 매수의 테마/업종별 순환매 장세 지속. 지수보다 업종에 주목할 필요

KOSDAQ은 0.3% 상승한 688p. 지수 방향성 부재에 연일 테마 장세 전개. 테마 간 순환매 지속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타격에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되며 사료 테마 강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약세
:알테오젠 키트루다SC 성공적 임상 3상 결과에 강세. CJ바이오사이언스 모회사 바이오사업 매각설에 강세
:신규상장(위츠, 금일 신규상장. 100%대 상승률 기록), 우주(스페이스X 6차 시험비행 공중 회수 실패) 하락

원/달러 환율은 지정학 우려에도 트럼프 트레이드 주춤한 영향에 제한적 등락. 0.4원 상승한 1,393.4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3%, 대만(가권) -0.2%,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3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11시 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Nov, 22:35


『국내주식전략; KOSPI에 대한 소소하고 담담한 생각』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통상 마찰, 중국 저가 수출, 삼성전자 의구심으로 KOSPI PBR 0.85배 도달
-가격 보면 악재 최고조로 반영한 상황, 내년 1분기 추세적 반등 변곡점 모색
-반격 가능한 레벨, 올해는 마진 보호력 높은 내수+배당 →내년 수출 이동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2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0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Nov, 07:3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9일
『밋밋한 시장에서 엔비디아 실적을 기다린다』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코스피 2,471.95 (+0.12%), 코스닥 686.12 (-0.50%)
 
뚜렷한 매수 주체 부재, 트럼프 내각 결정에 따른 차별화 동반
 
KOSPI, KOSDAQ은 각각 +0.1%, -0.5% 등락했습니다. 자사주 매입 발표일 이후 7.2%, 6.0% 상승한 삼성전자가 2거래일 연속 외국인 순매도 지속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금일 주식시장은 뚜렷한 매수 주체와 방향성이 부재한 가운데 순환매가 이뤄지며 보합선에서 등락했습니다. ①트럼프 차기 정부 내각이 정해지며 관련 트레이딩이 지속됐고 ②한국시간 21일 오전 7시에 있을 엔비디아 실적발표를 앞둔 경계감도 있었습니다. 자율주행(FSD 규제 완화 기대), 로버트 케네디(바이오 우려) 등 트럼프 트레이딩과 소폭 반락한 금리에 따른 순환매가 호실적 기대 성장주에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은 현물을 3,311억원 순매도, 선물도 전일 대비 매수폭을 대폭 축소하며 반도체, 자동차 등 대형주들은 매도세가 재개됐습니다.
 
지수 상승 모멘텀 부재에 테마 장세 전개
 
엔비디아 실적 대기 심리와 매크로 이벤트 부재로 순환매 및 테마 장세가 전개됐습니다. 전거래일 지수 상승을 견인했던 삼성 그룹주(삼성전자-0.7%, 삼성생명 -3.7%, 삼성화재 -1.2%)는 쉬어 갔고, 인터넷∙게임, 엔터 업종과 로봇, 전선 테마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징업종: 1) 제약∙바이오: 백신 회의론자인 케네디 주니어의 트럼프 행정부 보건부 장관 내정 소식 이후 투심 위축(알테오젠 -7.7%, 리가켐바이오 -6.1%) 2) 엔터: 중국 비자 면제와 JYP Ent. 호실적 발표 이후 양호한 주가 흐름 지속(JYP Ent. +7.7%, 에스엠 +3.9%) 3) 의료AI: 루닛발 호재 이후 테마 전반 매기 확산(루닛 +5.1%, 뷰노 +7.0%)
 
요즘 눈에 띄는 상승세, 엔터
 
엔터 Big4의 수익률은 하이브(+2.1%), JYP Ent.(+7.7%), 에스엠(+3.9%), 와이지엔터(+5.3%)로 오늘도 좋았습니다. 23년 상반기 이후 음반 판매 피크아웃 우려, 아티스트-회사간 분쟁, 대형 IP(Bts, 블랙핑크 등) 부재 등 여러 우려감에 지속 하락하던 주가는 최근 실적 반전 기대감에 외국인, 기관 자금이 유입되며 반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JYP Ent. 3분기 실적도 매출액 1,705억원 영업이익 4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10% 성장하며 예상치를 상회했고, 최근 업종별 차별화를 야기하는 트럼프의 관세장벽에서도 미디어/엔터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에서 저가매수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일정: 1)유로존 10월 소비자물가지수(19일 19:00) 2)월마트 실적발표(19일 21:00) 3)팔레스타인 Vs.대한민국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0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9일 16시 1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9 Nov, 02:01


마켓레이더(11월 19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뚜렷한 방향성 없는 순환매』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상승한 2,472p. 뚜렷한 방향성 부재한 가운데 업종, 테마별 차별화 장세 전개
- 미국 주식시장은 뚜렷한 등락 재료 부재한 가운데 차기 트럼프 정부 인사 임명에 따른 트레이딩 진행
:미국 NAHB 11월 주택시장지수 46(전월 43)으로 상승. 경기 견조.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
:DOGE 수장 머스크, 교통부 수장 후보 에밀 마이클(우버 출신) 영향에 FSD(자율주행)규제 완화 부각
:테슬라(+5.6%)는 해당 이슈에 상승. 엔비디아(-1.3%)는 실적 앞두고 블랙웰 과열 이슈 부각에 하락

- KOSPI는 ①외국인 현물 순매도 지속 ②삼성전자 상승폭 축소 등에 지수 방향성 부재. 순환매 이뤄지는 흐름
:외국인 현물 8거래일 연속 순매도. 전일도 오전 순매수였으나 오후들어 순매도 전환하며 지수 상승폭 축소
:자사주 매입에 2거래일 연속 급등한 삼성전자, 전일 하루만 외국인 순매도 전환. 수급 유입 전환 실패
:인터넷/게임, 미디어/엔터 등 성장주, 우크라 재건, 자율주행 등 트럼프 수혜 테마주 위주 수급 유입
:게임도 크래프톤 등 예상치 상회 실적 발표. 연초 이후 주가 하락(저가매수세), 지스타 등 이슈에 상승
:4대 엔터 상승. 아티스트 Risk 있는 하이브가 상승률 가장 저조. 그럼에도 (문화 수출에 관세장벽은 없다)
:테마/업종별 순환매 장세. 금주 우에다 총리 연설, 엔비디아 실적, 중국 LPR 금리 등 주목 필요(2P참고)

KOSDAQ은 0.3% 하락한 688p. 엔비디아 실적 대기+지수 상승 모멘텀 부재에 테마 장세 전개
- 이벤트 부재 속 테마 장세 보이는 가운데 HLB 그룹주(HLB -8.6%) 차익실현 매물 출회에 약보합권 등락
:AI와 벨류업 장세 속 소외됐던 엔터, 중국 비자 면제와 JYP Ent. 호실적 발표 이후 양호한 주가 흐름 지속
:M&A(CJ바이오사이언스, 모회사 바이오 사업부 매각 소식에 상한가), 의료AI(루닛발 호재 이후 매기 확산)

원/달러 환율은 미국 주택시장지수 영향 제한 속 트럼프 트레이드 주춤하며 0.9원 하락한 1,392.6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0.2%, 대만(가권) +0.4%, 홍콩(항셍) +0.6%, 중국(상해) +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70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9일 10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Nov, 22:38


『글로벌 주식전략; 트럼프 트레이드의 유효 기간은 1월 중순』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대선 이후 뚜렷하게 구분되는 승자와 패자 구도, 얼마나 지속되나   
- ‘트럼프’ 테마의 경험적인 유효기간은 백악관 입성할 때까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69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9일 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Nov, 08:0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8일
『삼성전자를 둘러싼 나비효과』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69.07 (+2.16%), 코스닥 689.55 (+0.60%)
 
개인 투심 개선에 반등한 KOSPI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2.2%, 0.6% 상승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연준 인사들의 금리 인하 신중론 발언과 반도체(SOX -3.4%) 약세 등의 하방 요인에도 불구하고, 1) 삼성전자 호재와 2) 금융당국 부양 의지가 투심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장 마감 후 10조원 자사주 매입 소식을 공시한 삼성전자는 오늘 개인 수급이 몰리며 6% 상승했습니다. 외국인은 전일 순매수액보다 더 큰 금액을 순매도하는 등 이탈이 재차 나타났고, KOSPI 현물도 오전 중 순매수에서 순매도 전환했습니다. 한편 금융당국이 ‘국내 증시 낙폭이 과도하다’고 평가하며 변동성 완화를 위해 2,000억원 규모 밸류업 펀드를 이번 주부터 집행할 예정이며, 3,0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 조성 계획 밝힌 점도 투심 개선요인이었습니다.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의 파급효과
 
보험(+8.4%) 업종이 크게 올랐고 삼성생명(+11.5%)·삼성화재(+10.5%) 등 삼성 계열 보험사들이 강했습니다.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시 주주환원 여력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했습니다(3Q 기준 삼성전자 각각 8.5%, 1.5% 보유). 한편 이번 삼성전자의 자사주 소각은 삼성家의 상속세 납부를 위한 대출 담보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도 보입니다.
#특징업종: 1)FSD: Trump 인수委,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추진(퓨런티어 +24.6%, 라이콤 +13.6%) 2)의료AI: 루닛(+27.2%), AstraZeneca와 AI솔루션 공동개발 소식(셀바스AI +11.7%, 뷰노 +6.2%) 3)HLB그룹: HLB(+25.4%), ‘리보세라닙’ 임상시험 현장 실사 통과(HLB제약 +30%)
 
롯데 그룹주 수난시대
 
지난 주말 사이 롯데 그룹 유동성 위기가 촉발됐다는 풍문이 돌자 오늘 그룹주 전반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특히 롯데케미칼(-10.2%)·롯데지주(-6.6%)·롯데쇼핑(-6.6%)은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해당 기업들은 유동성 관련 루머가 사실무근이라며 동반 공시를 했지만 시장의 불안은 가시지 못했습니다. 2년 전 롯데건설 유동성 위기시 롯데케미칼이 5,000억원을 긴급 대여한 점이나,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자금을 지원했던 점 등 과거의 기억이 시장의 불안을 자극하는 것 같습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NAHB 주택시장지수(24: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68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8일 17시 0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Nov, 01:55


마켓레이더(11월 18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병주다 CPR 해준 삼성전자, 구사일생 KOSPI』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2.4% 상승한 2,476p. 삼성전자 10조 규모 자사주 매입 소식에 2거래일 연속 7%대 반등
- 미국 주식시장은 ①견조한 경기 또 확인 ②매파적 발언 ③빅테크(반도체), 헬스케어 하락에 나스닥 낙폭 확대
:①10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0.4%로 예상치 상회. ② 파월에 이어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매파적 발언
:정부효율부 수장 일론 머스크, 정부 예산 삭감 전망.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 내정(백신 회의론자)
:정부효율부 수장 영향에 방위비, IT 삭감 우려. 케네디 영향에 헬스케어 우려.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 하락

- KOSPI는 ①외국인 자금 유입(대형주 상승) ②삼성전자 상승 ③ 밸류업펀드 출시 ④강달러 안정화 영향에 상승
:지속됐던 외국인 자금 이탈. 코스피 외국인 지분율 33%로 연저점 수준. 원인은 삼성전자 위주 매도세
:금요일 발표된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소식에 외국인 13거래일만 순매수 전환. 이후 2거래일 연속 순매수
:반면 SK하이닉스는 상기 미국 이슈에 + 엔비디아(-3.3%)의 블랙웰 서버 과열 문제 부각된 영향에 하락
:수급)오늘 오전 현물 1,300억원 선물 12,000계약 이상 대규모 현선물 순매수. 대형주 위주 매수세 확대
:금융당국, 최근 증시 낙폭 과대 인식. 밸류업펀드 2천억 자금 집행 및 3천억 규모 추가 펀드 조성 계획
:금융, 자동차, 지주, 유틸리티 등 외국인 수급 우호적 전환에 상승하던 대형주의 상승폭 확대 배경 중 1
:삼성생명, 삼전이 자사주 소각시 삼생 지분율 상승(10% 초과 불과)→ 전자 지분 매각 후 배당 확대 기대
:한국전력, 3분기 양호한 실적 발표. 수익성 개선 및 배당 재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속 매수세 유입
:일본 재무장관의 구두 개입 후 강달러 안정세 보이며 원/달러 환율 1,390원 초반대로 하향 안정화
:3분기 양호한 실적 보였던 종목들 상승. 우에다 총리 연설, 엔비디아 실적, 중국 LPR 금리 등 주목(2P참고)

KOSDAQ은 1.5% 상승한 696p. HLB 호재+주식시장 투자심리 개선+트럼프 트레이드 되돌림에 강세
- 리보세라닙 FDA BIMO 실사 통과 소식에 HLB 그룹주(HLB +28.3%) 강세 보이며 지수 상승 견인
:트럼프 보건복지부 장관 케네디 주니어 지명에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등 일부 제약바이오 종목 반락
:2차전지(트럼프 트레이드 되돌림), 의료AI(루닛, 아스트라제네카와 AI 병리 솔루션 개발 협업) 강세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트레이드 되돌림과 국내 주식시장 투심 개선 영향에 9원 하락한 1,390.5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5%, 대만(가권) -0.5%, 홍콩(항셍) +0.9%,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675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8일 10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Nov, 22:46


『중국 경제지표; 소비 중심 제한적 회복, 대내외 불확실성 여전』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10월 동행지표 엇갈린 흐름. 소비는 양호, 생산과 투자 예상 하회 
- [생산] 제조업 양호, 유틸리티 약화. [수출] 3대 수출처 증가세 확대
- [소비] 재화소비 두 달 연속 개선. [투자] 부동산개발투자 부진 지속
- 정책 효과 확인에도 불확실성 여전. 신속한 부양책 집행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665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8일 7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Nov, 22:40


『[국내주식전략]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의 주식시장 영향』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자사주 매입 이벤트 발생, 과거 패턴 고려 시 KOSPI 하방 두껍게 만들 변수
- 주식수 감소에 따른 EPS 상승은 밸류에이션에 우호적. 추가 관건은 수급 영향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66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8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Nov, 08:0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5일
『반도체 반등이 무색한 KOSPI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16.86 (-0.08%), 코스닥 685.42 (+0.57%)
 
매크로·산업단 불확실성 확대
 
KOSPI, KOSDAQ 각각 -0.1%, +0.6% 등락했습니다. 간밤 Powell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히며 단기 국채수익률 반등했습니다. Trump 정권인수팀에서 IRA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가능성 언급하면서 Tesla(-5.8%)·Rivian(-14.3%) 하락했고, 여기에 더해 첨단제조세액공제(AMPC)에 대한 실질적 폐지설도 나오며 2차전지 종목 대거 하락했습니다(LGES -12.1%, 삼성SDI -6.8%). 반면, 삼성전자(+7.2%) 저가매수세 유입에 더해 전삼노가 10개월 만에 임금교섭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SK하이닉스(+3.0%)와 함께 KOSPI를 31.8p 올렸지만, 2차전지가 KOSPI 지수기여도 하위 10개 가운데 7개를 차지, 24.7p나 끌어내리며 반도체의 반등을 무색하게 만들었습니다.
 
2차전지 밸류체인 약세에도 KOSDAQ 선방
 
KOSDAQ에서 2차전지 소재(에코프로비엠 -7.9%, 에코프로 -4.8%)에 더해 SpaceX 테마 차익실현 매물 출회(아주IB투자 -9.5%, 미래에셋벤처투자 -14.5%) 등 하방 압력 가중됐지만, 헬스케어가 지수의 상승 이끌었습니다. KOSDAQ 3.9p 상승 가운데 제약이 2.2p 차지했습니다(펩트론 +13.3%, HLB +2.6%, 삼천당제약 +7.5% 등).
#특징업종: 1)희토류: 미중 분쟁 확대 우려(유니온 +5.5%, 동국알앤에스 +3.3%) 2)우크라 재건: Trump 러-우크라 전쟁 조기 종식 가능성(TYM +13.5%, 현대에버다임 +7.5%) 3)로봇: Musk Trade 순환매 지속(디아이씨 +24.5%, 레인보우로보틱스 +6.1%)
 
한국, 1년 만에 환율관찰국에 지정
 
미국 재무부는 하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중국 등 7개국을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습니다. 한국은 작년 11월에 보고서에서 삭제된 이후 1년 만에 재차 리스트업됐습니다. 6월 말 기준 한국의 연간 경상수지 흑자가 GDP의 3.7%를 기록한 점이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달러-원 환율이 1,400원을 상회하며 당국의 구두개입이 있기도 했는데, Trump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환율관찰국에 오르면서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요인이 되고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소매판매(22:30)·산업생산(23:15) 2)美 11월 NYFed 제조업지수(22:3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64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5일 16시 5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Nov, 02:34


마켓레이더(11월 1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파월과 트럼프가 야기한 KOSPI 2,400p 붕괴』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4% 하락한 2,413p. 장중 2,400p 붕괴, 낙폭 과대 인식에 삼성전자 저가매수세 유입에 반등
- 미국 주식시장은 ①예상치 상회한 생산자 물가②견조한 고용③파월의 매파적 발언 영향에 반도체 반등에도 하락
:10월 생산자물가 예상치 상회.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7만건. 견조한 고용 확인. 금리 상방압력 요인
:파월 의장,”현재 경제 강세이며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 신중하게 결정 가능하다” 발언, 금리 반등
:10년물 국채금리 여전히 4.467%, 달러인덱스도 106.8p로 고금리-강달러 기조 오늘도 유지
:다음주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에 약세였던 반도체 업종 반등했으나, 파월 발언 이후 금리 상승에 강보합

- KOSPI는 고금리 환경 진정 기미 안보이며 트럼프 정책 영향에 2차전지 낙폭 확대. 5만전자 회복에도 지수 약세
:외국인 매도세 지속.오전 현물 1,000억원 선물 1,000계약 수준으로 매도세는 축소. 원/달러 환율 1,406원
:트럼프 정권인수팀, IRA 전기차 보조금 폐지 시사. 2차전지 밸류체인 동반 낙폭 확대하며 지수 하방압력
:LG엔솔, 포스코홀딩스, 삼성SDI 등 2차전지 대형주 모두 장중 9% 이상 낙폭 확대. 트럼프 영향력 지속
:전일 4만전자까지 도달해버린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와 함께 저가 매수세 유입 속 6% 이상 장중 상승
:대북, 우크라 재건) 트럼프 트레이딩 순환매 지속. 젤렌스키, 내주 10가지 복원 계획 발표 예정
:조선)폴란드 해군참모총장, 한화오션 사업장 방문. 잠수함 건조 시찰. 트럼프 트레이딩+호실적 기대 업종
:2,400p 장중 붕괴. 이는 12개월 후행 PBR(LSEG) 기준 0.87배로 8월 5일 블랙먼데이 이하 수준 밸류
:다행히 삼성전자 13거래일만 외국인 순매수. 저가매수세 유입. 다음주 엔비디아 실발 이전 반도체 기대감
:물가, 고용과 파월 의장 발언에 12월 25bp 인하 확률(페드워치 기준) 48.3%로 하락(전일 80%대)
:트럼프 영향력 쉽게 사라지지 않을 상황. 파월 의장 역시 매파적으로 대응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 축소

KOSDAQ은 1% 하락한 675p. 트럼프 트레이드+실적 영향에 2차전지, 화장품 업종 중심으로 약세
- IRA 폐지 관련 소식에 2차전지 중심으로 큰 낙폭 기록. 반도체 업종은 저가 매수세 유입되며 강세
:화장품 업종은 실리콘투(-4.1%) 실적 부진에 투자심리 위축 지속되며 업종 전반 약세 흐름 지속
:우크라이나 재건(트럼프 트레이드 지속), 반도체(삼성전자 반등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 등 테마 강세

원/달러 환율은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따른 금리 상승 영향에 2.3원 상승한 1,404.8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1%,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63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5일 11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Nov, 08:19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4일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에 5만원 이탈』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18.86 (+0.07%), 코스닥 681.56 (-1.17%)

美 정치·환율 등 비우호적 환경은 지속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1%, -1.2% 등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10월 CPI가 예상치에 부합한 점은 시장에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Headline +0.2% MoM, Core +0.3% MoM). 다만 ‘Red Sweep’이 현실화되면서 반도체 산업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에 Nvidia(-1.4%) 등 반도체 약세(SOX지수 -2.0%)보였습니다. 오늘 SK하이닉스(-5.4%)·한미반도체(-1.2%) 등 HBM주 부진했고, 삼성전자(-1.4%)는 저가매수세 유입에도 불구하고 2020년 6월 이후 약 4년 5개월 만에 5만원선을 이탈했습니다. Trump Trade 강화되면서 달러인덱스 106.7선까지 상승하기도 했지만, 개장 전 당국의 구두개입성 발언이 나오면서 달러-원 환율은 1.4원 하락 마감했습니다(1,405.2원).

우주·SpaceX·DOGE까지 Musk Trade 확장

한편 Trump는 행정효율부(DoGE) 수장에 Elon Musk를 발탁했습니다. 여기에 국내에서도 우주(쎄트렉아이 +9.2%,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4.7%)·SpaceX(한컴위드 +29.8%, 아주IB투자 +29.9%) 등 Musk Trade 지속됐습니다. 한편 과거 Musk가 가장 선호하는 가장자산이라고 밝혔던 ‘DOGE’는 행정효율부 신설과 함께 이번 주만 60% 이상 급등했습니다.

#특징업종: 1)HD현대 그룹주: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수석부회장 승진(중공업 +9.4%, 일렉트릭 +7.4%, 건설기계 +1.7%) 2)가상자산: Bitcoin 90,000달러 돌파(SBI인베스트먼트 +4.1%, 우리기술투자 +0.6%) 3)엔터: JYP Ent.(+5.8%) 어닝 서프라이즈에 투심 개선(에스엠 +3.8% 등)

주가 부진에 ELS knock-in 발생

어제 연저점을 경신한 KOSPI200은 오늘 추가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보이고 있습니다(316.9p). 단기에 가파른 하락을 보이면서 KOSPI200을 기초자산으로한 일부 ELS 상품에서 knock-in 배리어를 터치한 상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부진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삼성전자를 기초자산으로한 ELS도 원금 손실 구간에 돌입하기 시작했습니다(13일 기준 165개 상품 중 7개, 총 39억원). 개인의 노출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9월 이후 삼성전자 15.2조원 순매수) 투심이 더욱 얼어붙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美 10월 생산자물가지수(22:30) 3)美 EIA 원유재고(11/15 01:00) 4)Walt Disney 실적 발표 5)中 10월 소매판매·산업생산(11/15 11:00) 6)CJ·삼성생명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60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4일 16시 5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4 Nov, 02:16


마켓레이더(11월 1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저가매수세 유입에도 경계감은 잔존』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8% 상승한 2,437p. 전일 2,417p까지 하락, 낙폭 과대 인식에 저가매수세 유입
- 미국 주식시장은 Red Wave 전망에 트럼프 트레이딩 강화되며 테슬라, 비트코인 등 관련 자산 상승폭 확대
:10월 소비자물가 MoM 0.2%, YoY 2.6% 상승. 핵심 소비자물가 MoM 0.3%, YoY 3.3% 올라 예상치 부합
:금리 하방압력 요인이나, 공화당의 상하원 다수당 확정 소식에 오히려 반등. 10년물 국채금리 4.48%
:미-중 무역갈등(반도체 규제)에 AMD 인력 감축 소식까지, 반도체 업종 하락.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2%

- KOSPI는 전일 낙폭 과대 인식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 속 반등. 거래대금은 여전히 미미. 뚜렷한 매수주체 부재
:외국인 매도세 지속. 오전 현물 1,700억원 선물 400계약 매도. 순매도 규모는 축소. 원/달러 환율 1,407원
:SK하이닉스, 미국 반도체 업종 하락에 영향. 삼성전자는 전일 5만전자 이탈 위기였으나 저가매수세 유입
:우크라 재건 테마(번양건영, 남광토건 등) 오늘도 상승. 트럼프, 우크라이나 평화 특사 임명한다는 소식
:전반적인 저가매수세 유입에 대부분의 업종 상승 중이나 Red-Sweep 확정되며 수혜주 상승률 부각
:재건 뿐 아니라 조선, 방산(우주), 전력기기 등 테마 매수세 지속. 중국 경기 민감 업종(화학)은 하락
:HMM과 같이 호실적 발표 종목은 상승폭 확대. 3분기 컨테이너 운송 단가 전분기 대비 33% 상승
:예상치 부합한 소비자물가는 안도 요인. 페드워치 기준 12월 금리 25bp 인하 확률 80%대로 반등
:하지만 Red-Sweep 확정과 함께 금리, 달러 강세는 지속되는 양상. 외국인 대형주 매도 우위 지속
:전일 종가 기준 지수 밸류에이션은 낙폭 과대. 삼전 저가매수세 유입 됐으나 외국인은 여전히 순매도

KOSDAQ은 0.7% 상승한 694p.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4거래일 만에 반등. 제약바이오, 엔터 업종 강세
- 2차전지 부진한 가운데 제약바이오 업종이 KOSDAQ 상승 견인. 펩트론, 알테오젠 각각 9.4%, 3.1% 상승
:JYP Ent.(+8.0%) 연결기준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10% 증가한 호실적 발표하며 엔터 업종 동반 강세
:카페24(+7.8%), 호실적 발표 이후 상승세 지속. 리노공업(-4.8%)은 3Q24 실적 컨센서스 하회에 약세

원/달러 환율은 10월 CPI 예상치 부합에도 연준 위원 중립 금리 관련 발언에 9.2원 상승한 1,406.7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5%,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1%,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8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4일 11시 1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Nov, 08:0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3일
『KOSPI·KOSDAQ 연저점 경신』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17.08 (-2.64%), 코스닥 689.65 (-2.94%)

미국 우선주의 강화 속 KOSPI 타격

KOSPI, KOSDAQ은 각각 2.6%, 2.9% 하락했습니다. 양 시장의 81.4% 종목(2,201개) 하락했고, 25.6% 종목(691개) 52주 신저가 기록하면서 양 지수 모두 종가 기준 연저점을 경신했습니다(KOSPI 1/17 2,435.9p, KOSDAQ 8/5 691.3p). Trump가 반중 인사 Marco Rubio를 국무장관에 발탁할 것으로 예상(NYT)되는 등 ‘미국 우선주의’를 강화하려는 움직임 보이자 간밤 채권·외환시장에서 Trump Trade 강화됐습니다. 달러인덱스 106p 돌파했고 달러-원 환율도 연고점 높여가면서 국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삼성전자(-4.5%)는 연일 신저가 경신 중인 가운데 오너일가의 평가액이 상속세 납부를 위한 주담대의 담보유지비율을 하회할 수 있다는 소식 등 대출 담보 부담 우려도 대두되고 있습니다.

설강가상 실적 악재까지 더해진 종목들

고려아연(-14.1%) 급락하며 철강금속(-8.1%) 업종 부진했고, 전기전자(-3.7%)·증권(-3.0%) 등 고베타 업종 중심으로 약세 보였습니다. 대다수 업종 하락한 가운데 전기가스업(+2.4%)·운수창고(+1.9%)·리츠(+1.2%)만 상승했습니다. 펄어비스(-5.3%)·시프트업(-15.8%) 등 게임주는 부진한 실적 발표 이후 낙폭이 더욱 확대된 모습이었습니다.
#특징업종: 1)원전: 원전 생태계 복원 관련 예산(2,139억원) 산자위 전체회의 통과(지투파워 +9.6%) 2)고려아연: 유상증자 계획 철회 3)SpaceX: 아주IB투자(+29.9%)·미래에셋벤처투자(+24.8%) SpaceX 투자

삼성전자의 지수 왜곡 현상

오늘 KOSPI의 시가총액이 Black Monday(8/5) 이후 약 3개월 만에 2천조원을 하회했습니다. 연고점인 7월 11일 대비 KOSPI의 시가총액은 16.7% 감소했는데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42.2%가 감소했습니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KOSPI는 9.4% 감소했습니다. 이는 외국인 수급에서도 나타납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본격적인 매도세가 나타난 9월 이후 외국인은 KOSPI를 14.3조원, 삼성전자 15.4조원 순매도해 삼성전자 제외 KOSPI는 1.2조원 순매수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CPI(22:30) 2)Cisco 등 실적 발표 3)LG·삼성화재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55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3일 16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Nov, 04:18


https://www.youtube.com/live/87WsjHQPkEI?si=LB_gpb-gmroe7o11

잠시후 13시 30분부터 시작됩니다!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Nov, 02:45


[신한투자증권 법인영업부]

안녕하세요. 2025년 신한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연간전망 포럼 첫째날 안내드립니다. 아울러 개별 세미나 등 필요하시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25년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참여방법: 신한투자증권 알파TV 라이브 방송
(www.youtube.com/@shinhansecurities)

1. 13:30 경제 및 외환시장_하건형 위원
자료 : https://bit.ly/4fB0TJO

2. 14:00 자산배분 전략_박석중 위원
자료 : https://bit.ly/3CpXVcE

3. 14:30 채권 전략_안재균 위원
자료 : https://bit.ly/4fGiH64

4. 15:10 해외주식 전략_김성환 위원
자료 : https://bit.ly/3YE4cJa

5. 15:40 글로벌 탑픽스_최원석 위원
자료 : https://bit.ly/3CmalSG

6. 16:10 국내주식 전략_노동길 위원
자료 : https://bit.ly/4fH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Nov, 02:45


신한투자증권

금융시장 포럼 초대

25년 금융시장 및 주요 산업 전망을 알려드리는 [신한금융시장 포럼]에 초대합니다.



해당 포럼은 신한투자증권 유튜브 공식채널에서 라이브로 진행될 예정이며,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세부 분야별 일정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1. 일정

-11/13(수) 오후 1:30 /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11/14(목) 오후 1:30 / 주요 산업 전망

* 일자별 약 3시간 진행 예정



* 세부 일정 확인 하기 (신한 SOL증권 앱)

  - http://shsc.co/202411_RESEARCH



2. 포럼 안내 영상 확인하기 (유튜브)

  - https://youtu.be/B2RcrAead70

신한 전략/시황/퀀트

13 Nov, 02:16


마켓레이더(11월 1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오늘도 고통받다』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1.4% 하락한 2,449p. 트럼프발 고금리, 강달러 지속되며 8월 블랙먼데이 수준 밸류에이션 도달
- 미국 주식시장은 연은 위원 매파적 발언에 10년물 국채금리 4.4% 상회. 반도체 중심 차익실현 지속
:닐 카시카리 미니애 연은 총재, 12월 FOMC 금리 동결 가능 시사. 금주 발표될 10월 소비자물가 예의주시
:페드워치 기준 12월 금리 동결 확률 41.3%까지 상승(한달전→1주전, 15%→22%)하며 국채금리 상승 야기
:트럼프발 강달러 지속. 달러인덱스 106p 돌파. 다만 테슬라는 별다른 이슈 부재한 가운데 차익실현(-6.2%)

- KOSPI는 2,450p선 까지 하락. 뚜렷한 상승동력 부재한 가운데 고금리, 강달러 영향에 고통받는 시장
:외국인 오전 현물 2,890억 순매도. 선물은 3거래일만 순매수나 소규모. 원/달러 환율 장중 1,410원 도달
:8/5일 종가 기준 KOSPI 12개월 후행 PBR 0.88배, 12개월 선행 PER 8.17배(LSEG 기준)
:금일 장중 도달한 2,450p 기준 KOSPI 12개월 후행 PBR 0.89배, 12개월 선행 PER 8.39배(LSEG 기준)
:삼성전자, 오늘도 52주 신저가 경신. 장중 5만 천원대 진입. 다만 오전 외국인은 11거래일만 순매수 전환
:삼성전자 전일 종가 기준 12개월 선행 PBR 0.88배. 외국인 저가매수 장마감까지 지속될지 확인 필요
:트럼프 수혜 업종서 언급안된 은둔고수 엔터 오늘도 강세. 25년 호실적 기대(문화 수출엔 관세장벽이 없다)
:로제 아파트, 미 빌보드 핫100 15위, 글로벌 3주째 1위 소식도 미디어/엔터 업종 저가매수세 유입 요인
:KOSPI 52주 신저가 종목만 189개. 어떤 업종, 종목이 내리는지 다 설명하기도 어려운 시장
:Red Sweep과 함께 다가오는 고금리, 강달러 공포.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되며 대형주 위주 매도우위 지속
:카시카리가 언급했듯 12월 FOMC 금리 인하폭 결정지을 지표(CPI, 동행지표)에 따른 위험자산 등락 주목

KOSDAQ은 1.8% 하락한 698p. 고금리 부담, 외국인 이탈에 약세. 연이은 하락에 700p선 하회
- 외국인 매도에 3거래일 연속 하락. 주도주 부재한 가운데 개별 이슈, 저가매수세에 따라 차별적 주가 흐름
:에이비엘바이오 실적 부진에 제약바이오 투자심리 약화. 화장품, 엔터&미디어는 저가매수세 유입에 반등
:아주IB투자, 지난해 상반기 스페이스X 투자 집행 소식에 상한가. 펄어비스, 3분기 적자 전환에 5.8% 하락

원/달러 환율은 CPI 발표 앞두고 1,400원대 돌파 이후 잠시 숨고르는 모습. 3.6원 하락한 1,406.3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8%,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9%,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3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3일 11시 1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Nov, 08:05


<신한생각>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2일
『Black Monday 종가 이탈한 KOSPI200』
시황 강진혁 02-3772-2329

KOSPI 2,483p(-1.9%), KOSDAQ 710p(-2.5%)

심화되는 미국과의 디커플링
KOSPI, KOSDAQ 각각 1.9%, 2.5%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S&P500, Dow지수는 각각 6,000p, 44,000p를 돌파하는 등 3대 지수 모두 역사적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반면 KOSPI는 Black Monday(8/5) 이후 약 3개월 만에 2,500p 이탈했고, KOSPI200은 당일 종가를 이탈해 연저점(1/17, 326.1p)에 근접했습니다. 양 시장 82.7% 종목 하락(2,235개)했고, 591개 종목이 52주 신저가를 경신했습니다. Trump의 보편관세 부과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영향 가능성, CHIPS법 관련 불확실성 등으로 반도체 대형주 낙폭 컸습니다(삼성전자 -3.6%, SK하이닉스 -3.5%). 일본(Nikkei225 -0.4%), 대만(TAIEX -2.3%) 등 반도체 밸류체인에 포함된 아시아 증시 대체로 부진했습니다.

양 시장 대다수 업종·종목 부진 
금일 건설업(+0.1%)을 제외한 KOSPI 전 업종이 하락했습니다. 특히 의료정밀(-4.0%)·의약품(-3.2%)·전기가스업(-2.6%) 등이 부진했습니다. KOSDAQ은 하락종목수 역대 5위 차지하면서(Black Monday 1,633개) 전업종 하락하는 모습 보였습니다. 양 시장 모두 금일 ADR 70 하회하며 하락 압력이 상당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징업종: 1)가상자산: Bitcoin 89,000달러 돌파(우리기술투자 +7.3%, 한화투자증권 +1.0%) 2)우크라 재건: Trump 러-우크라 전쟁 조기 종식 가능성(삼부토건 +3.6%, 다산네트웍스 +3.2%)  3)2차전지: Tesla·SpaceX 관련 호재에 일부 종목 선방(LGES +2.6%, 엘앤에프 +0.1%)

2년 만에 달러-원 환율 1,400원 돌파 마감
달러-원 환율은 전일 야간 1,400원대 진입했습니다. 주간 기준으로는 약 2년 만에 1,400원 돌파 마감했습니다(1,403.5원). Trump 당선에 더해 ‘Red Sweep’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지며 본격적으로 달러 강세가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환율의 지속적 상승에 더해 외국인 수급의 이탈은 국내 증시의 상승 여력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상반기 약 22.4조원을 순매수했던 외국인은 하반기 14.6조원을 순매도해 2/3가량 되돌렸습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NFIB 중소기업 낙관지수(20:00) 2)美 고위대출담당자 서베이(SLOOS)(11/13 04:00) 3)Home Depot·Occidental Petroleum 실적 발표 4)메리츠금융지주·한국전력·JYP Ent.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0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2일 16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Nov, 07:11


『H4L(Higher for long); #3. 연말연초 오버슈팅 구간의 도래』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퀀트 이정빈 02-3772-2919

1. 연말연초 오버슈팅 구간의 도래

2. 잠재적 빅딜 
- 반도체 ETF (SMH.US)
- 클라우드 ETF (SKYY.US)
- 에너지 인프라 ETF (EMLP.US)
- 자본시장 ETF (KCE.US)
- 테슬라 (TSLA.US)
- 로빈후드 (HOOD.US)
- 마벨 테크놀로지 (MRVL.US)
- 포티넷 (FTNT.US)
- 솔라리스 에너지 인프라 (SEI.US)
- 셰니에 에너지 (LNG.US)
- 앱러빈 (APP.US)
- 트윌리오 (TWLO.US)
- 힘스앤허스헬스 (HIMS.US)
- 시프트4페이먼트 (FOUR.US)

3. 글로벌 금융시장 Technical Overview

4. 주도주 탐색기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504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2일 15시 52분에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루어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Nov, 04:54


『2025년 퀀트 전망: 한국형 알파 맵핑 프로젝트 (PPT)』
투자전략부 이정빈 / 박우열 / 이민재 02-3772-2919
 
Part 1. 경기 국면 분류
Part 2. 국면별 스타일 성과
Part 3. 스타일/팩터 투자
Part 4. 글로벌 국면 진단
Part 5. 2025년도 실적 개선 유망 지역
Part 6. 2025년도 주목할 테마 ETF

※ 원문 확인: https://me2.kr/cBuCD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2일 13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2 Nov, 02:19


마켓레이더(11월 1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 원/달러 환율 1,400원-트럼프가 휩쓰는 시장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5% 하락한 2,520p. 오늘도 트럼프 트레이딩 진행되며 달러 강세. 장중 2,500p 이탈 후 반등
-미국 주식시장은 Red Wave 전망에 트럼프 트레이딩 강화되며 테슬라, 비트코인 등 관련 자산 상승폭 확대 
:4년만에 다수당 탈환한 상원에 이어 하원도 공화당 다수 예상되며 Red Wave 전망. 트럼프 트레이딩 강화   
:테슬라(+9%), 규제 완화 기대감 속 랠리 지속되며 신고가. 반면 TSMC는 중국 수출 금지 명령에 하락
:트럼프 트레이딩 영향에 테슬라 등 소수 수혜 종목 상승. 반도체 업종은 TSMC 이슈 부각되며 하락 

-KOSPI 오전 상승 종목 162개 Vs. 하락 종목 744개. 트럼프 트레이딩 진행되며 시장 컬러는 전일과 유사  
:외국인 오전 현물 620억 선물 2,100계약 이상 순매도하며 매도 규모는 소강.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오늘도 비트코인 역사상 신고가(8.7만 달러 돌파) 경신. 머스크 관련 도지코인 등 주간 수익률 100% 상회 
:우크라 재건(범양건영, 남광토건, TYM 상한가), 방산(우주), 조선, 금융 등 트럼프 수혜 업종 지속 강세  
:부양책 실망감에 예상치 하회한 실적 발표 이어지며 화장품은 오늘도 약세. NAVER은 호실적에 상승 
:삼전(52주 신저가), 닉스 또 하락. 미국 반도체가 TSMC의 중국향 수출 규제 영향에 동반 약세 보인 영향
:TSMC와 마찬가지로 삼성전자도 7나노 이하 파운드리 공정 대중 수출 규제 받을 것이라는 우려 
:LG에너지솔루션 강세 지속. 2차전지 약세에도 스페이스X, 테슬라 향 배터리 공급 기대감 속 차별화 
:Red Wave와 함께 다가오는 고금리, 강달러 공포.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되며 대형주 위주 매도우위 지속
:금주 12월 FOMC 금리 인하폭 결정지을 지표(CPI, 동행지표)에 주목. 환율, 금리는 경계 요소.   
 
KOSDAQ은 1.3% 하락한 719p. 바이오 굳건 & 2차전지 대형주 반등, 가상화폐 테마 상승에도…    
-전일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수급 유입 부재한 가운데 금리 압박 받으며 52주 신저가 종목 363개
:알테오젠 필두로 바이오주는 굳건. 그럼에도 고금리 강달러 환경에 비트코인 강세가 수급 유입 저지 
:비트코인(우리기술투자 신고가 경신), 비만치료제(펩트론 신고가, 신계약 체결 기대), 재건 테마 상승  

원/달러 환율은 공화당 상,하원 대통령 전부 우위 전망. 상승한 달러에 1,400원 돌파. 1,401원 .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0.7%, 대만(가권) -1.5%,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492
위 내용은 2024년 11월12일  11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1 Nov, 11:1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1일

『Trump 경계감 속 옥석 가리기』

시황 강진혁 02-3772-2329

KOSPI 2,531.66p(-1.2%), KOSDAQ 728.84(-1.96%)

지수는 재차 금투세 폐지 이전 수순으로
KOSPI, KOSDAQ은 각각 1.2%, 2.0% 하락했습니다. 11월 4일 금투세 시행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반등했던 양 시장은 미국 대선 이후 Trump 경계감에 상승폭을 반납했습니다. 양 시장 전체 종목 가운데 17.5%(476개)만 상승했는데 특히 반도체·2차전지가 지수 하락 견인했습니다. TSMC에 이어 삼성전자(-3.5%) 등 국내 파운드리도 대중국 수출 규제 적용 가능성이 보도되며 반도체 낙폭 컸습니다(HPSP -6.2%, 리노공업 -5.0%). 2차전지 다수 종목이 신저가 보이면서(삼성SDI -3.5% 등) 대체로 부진한 가운데 LGES(+4.4%)은 SpaceX 우주선에 전력 공급용 배터리 납품 소식에 선방했습니다. 337개 종목 신저가 가운데 공시 관련 논란 있었던 이수페타시스(-22.7%) 등 전기전자 다수 포함됐습니다.

Trump 당선 수혜인 산업재
Trump Trade 속 금융은 다소 주춤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주가 업종을 견인한 증권(+0.3%, 한화투자증권 +17.2% 등) 외에는 조선(한화오션 +3.0%)·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3.1%, 한국항공우주 +7.8%, 한화시스 템 +13.2%)·전력기기(HD현대일렉트릭 +7.3%, 효성중공업 +6.8%) 다수 신고가였습니다. 제약바이오 종목별 차별화 나타났습니다. 업종 지수 약 세에도 알테오젠(+2.0%)·리가켐바이오(+7.2%) 등 신고가였습니다
#특징업종: 1)우주: Musk Trade 지속(에이치브이엠 +5.5% 등) 2)우크라 재건: Trump 러-우크라 전쟁 조기 종식 가능성(현대에버다임 +9.1% 등) 3)가상자산: Bitcoin 81,000 돌파(우리기술투자 +8.2% 등)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중국 부양책
지난주 중국 전인대 상무위가 폐막했습니다. 시장의 관심이 재정정책의 규모에 집중됐던 가운데 장 마감 이후에 브리핑이 있었습니다. 10조위안 (신규 6조+기존 4조) 규모는 대체로 컨센서스에 부합했지만, 특별국채 발행이 아닌 지방정부 부채한도 증액이라는 점과 구체적인 내수 부양책 발표되지 않은 점이 시장의 실망감을 불러왔습니다. 여기에 더해 잉글우 드랩(-26.5%) 등 3분기 실적 부진이 겹치면서 화장품주 다수 약세였습 니다(코스메카코리아 -16.0%, 실리콘투 -7.4%, 코스맥스 -9.3% 등). 또 한 F&F(-10.2%) 등 섬유의복(-5.4%) 업종 가장 약세였습니다.
#주요일정: 1)中 광군제 2)CJ제일제당·한국가스공사 실적 발표(11/1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ld=33046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1일 16시 4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1 Nov, 02:56


마켓레이더(11월 1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 하방압력 요인이 많은 시장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9% 하락한 2,538p. ①외국인 수급 ②원/달러 환율 ③ 반도체 모두 시장 하방압력 요인 작용  
-미국 주식시장은 중국 부양책 실망감에도 트럼프 트레이딩과 굳건한 소비 심리 영향에 혼조세 
:중국 전인대 상무위 종료. 내수부양보다 구조적 리스크 해결에 집중하며 실망 매물 출회. 중국 증시 하락
:미 증시 중국 관련주 하락& 트럼프 트레이딩 진행. 테슬라(+8.2%)는 트럼프+중국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 

-오늘도 외국인 자금 대규모 이탈하며 하락하는 KOSPI. 트럼프 트레이딩 진행되며 수혜 업종은 상승 
:외국인 오전 현물 3,700억원 선물 6,300계약 이상 대규모 순매도. 원/달러 환율 1,400원 직전(하방압력)   
:트럼프 당선 이후 비트코인 역사상 신고가(8만 달러 돌파) 경신. 주식시장 자금 이탈 또 하나의 원인 추정
:부양책 실망감 영향에 화학, 화장품, 소매, 레저 등 중국향 경기 민감 업종 일제히 약세. 신저가 종목 속출
:삼전, 닉스도 동반 하락. 지수 하방압력. 미국 반도체가 AI 수익성 의구심, 의회 조사 등으로 하락한 영향
:52주 신고가)방산(한화에어로, 시스템), 조선(한화오션), 전력기계(현대일렉, 효성중공업). 트럼프 수혜 위주
:LG에너지솔루션 장중 5% 이상 상승. 2차전지 약세(트럼프 영향)에도 스페이스X 향 배터리 공급 소식
:한화오션, 트럼프 수혜+ LNG선(2척, 7,135억 규모) 수주 소식에 상승폭 확대. 개별 종목 호재에 집중 
:KT, Foreign room 감소로 MSCI 편출. 지수 추종 펀드 8일(편출일) 장마감 후 매도. 금일 수급 재유입   
:진행되는 트럼프 트레이딩& 고금리, 강달러로 인한 외국인 자금 이탈(로 인한 대형주 매도)에 속수무책 
:중국 경기 부양책까지 실망감으로 작용. 언급된 수혜 업종 외에도 우크라이나 재건 등 테마별 등락 
:뚜렷한 반등 트리거 부족한 가운데, 금주 12월 FOMC 금리 인하폭 결정지을 지표(CPI, 동행지표)에 주목    

KOSDAQ은 1.8% 하락한 730p. 전인대 상무위 실망감에 화장품 등 중국향 경기 민감주 낙폭 확대  
-중국 부양책이 왼쪽 뺨을(경기 민감주) 트럼프 트레이딩이 오른쪽 뺨을(2차전지) 때리는 양상 
:알테오젠을 필두로 바이오주는 굳건. 그럼에도 2차전지, 민감주 등이 낙폭 확대하며 지수 약세 
:비트코인(우리기술투자 등, 신고가 경신), 비만치료제(펩트론, 신계약 체결 기대감), 우크라 재건 테마 상승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트레이딩 재개. 굳건한 소비자심리지수에 1,400원 근접. 1,395원 .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4%, 대만(가권) -0.8%, 홍콩(항셍) -2.8%, 중국(상해) -0.6%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458
위 내용은 2024년 11월11일  11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0 Nov, 23:24


『중국 주식전략; 전인대 상무위원회 코멘트: 시장과 정부의 간극』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지방정부 음성부채 차환 규모 컨센서스 부합하나 내수 부양책 부재
- 조급한 시장과 느긋한 정부의 간극. 중기적 확장 재정 사이클 유효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44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1일 8시 2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8 Nov, 07:57


<신한생각>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8일
『상승이었다가 상승일 것이었다가』
시황 강진혁 02-3772-2329

KOSPI 2,561.15p(-0.14%), KOSDAQ 743.38(+1.34%)

외국인 수급 오후 들어 KOSDAQ으로 이동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1%, +1.3% 등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에서는 Trump Trade의 일부 되돌림과 함께 FOMC 기준금리 25bp 인하에 혼조세 보였습니다(NASDAQ +1.5% 신고가, S&P500 +0.7%, Dow -0.6%). 달러-원 환율은 1,400원 돌파 하루 만에 10원 내외 하락했고, 외국인도 오전 양시장 현선물 순매수하면서 강하게 출발했습니다. 다만 오후 들며 알테오젠(+15.0%)을 중심으로 KOSDAQ 제약바이오가 수급을 흡수했습니다. 외국인은 KOSDAQ 현선물 매수세 확대한(+2,844억원) 반면 KOSPI 선물 순매도(-2,780억원)했고 현물은 순매수·순매도 반복하면서 KOSPI 전강후약 마감했습니다. 한편 중국 전인대 상무위가 오늘 폐막하는데, 중국 증시 약보합 보이고 있습니다(Shanghai -0.5%).

알테오젠 훈풍에 제약바이오 강세
알테오젠(+15.0%)은 다이이치산쿄와 ‘ALT-B4’에 대한 독점적 기술이전 계약(계약금 약 2,000만달러, 총 마일스톤 2억8,000만달러)이 호재로 작용하며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제약바이오 투심 개선에 리가켐바이오(+4.3%)·펩트론(+10.2%)·보로노이(+8.8%) 등 오후 들어 상승폭 키웠습니다. LGES(+3.2%)은 Rivian향 4695 배터리 5년간 공급 소식에 선방했고, 에코프로 형제도 1% 내외 올라 지수 상승 기여했습니다.
#특징업종: 1)조선: 대미 협력 가능성(한화오션 +6.9%) 2)SpaceX: Musk Trade 지속(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6.6%, 에이치브이엠 +2.7%) 3)우크라 재건: Trump 러-우크라 전쟁 조기 종식 가능성(삼부토건 상한가)

끝이 보이는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은 장중 변동성 컸지만 결국 8% 하락하며 KOSPI를 2.6p 끌어내렸습니다. 영풍-MBK가 요구한 임시주총 소집허가의 법원 심문기일이 정해졌는데, 이르면 연말에 주총 소집 가능할 것이라는 예상에 경영권 분쟁 장기화를 기대한 시장의 실망 매물 출회됐습니다. 한편 금감원이 유상증자 관련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11/6)한 만큼 고려아연 측에서도 주말 간 토론을 거쳐 철회 여부를 다음 주 최종 결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기대인플레(24:00) 2)中 10월 CPI·PPI(11/9 10:30) 3)中 광군제(11/11) 4)GKL·한화손해보험·씨앤씨인터내셔널 등 실적 발표(11/1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378
위 내용은 2024년 11월 8일 16시 4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8 Nov, 02:24


마켓레이더(11월 8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 금리 인하? 트럼프? 실적 좋은 놈이 장땡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7% 상승한 2,582p. 반락한 금리 및 달러와 약화된 트럼프 트레이딩에 지수 반등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 당선으로 불확실성 해소되며 신고가 또다시 경신. 트럼프 수혜 업종별 차별화  
:11월 FOMC 25bp 금리 인하.파월, 현재 경제, 물가 흐름 의도대로 진행 중이라 발언{불확실성(대선) 잔존}
:금리 인하와 파월 발언의 친시장적 발언에 달러, 금리 하락 & 빅테크 상승폭 확대.  NASDAQ +1.5%
 
-금리 인하에 따른 원/달러 환율 안정, 시장금리 하락에 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수 하며 KOSPI 반등 
:전일 트럼프로 인한 금리 영향에 지수 강보합 마감했으나, 금일은 외국인 KP,KQ, 선물 모두 순매수 전환  
:외국인 오전 KOSPI 현물 500억원 수준 순매수이나 KOSDAQ 대형주 위주 1,000억원 이상 현물 순매수 
:금일 52주 신고가 종목 테마는 방산(우주), 변압기, 조선, 호실적+밸류업으로 호실적 모멘텀은 굳건 
:미국장 전일 트럼프 트레이딩 약화. 국내도 트럼프 영향에 하락했던 2차전지, 바이오 테마 저가매수 유입
:KT&G, 3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 예상치 상회. 기존보다 강화된 주주환원 정책까지 더해지며 10%대 상승
:변압기)역시 호실적. 산일전기, 미국 변압기 공사 수주 공시 이후 신고가 경신. 강달러 시대의 호수출 품목 
:우주)말그대로 ‘to the moon’중. 18일 스페이스X 6차 시험비행 예정. 머스크, 스타십 성장성에 강한 자신감 
:미 금리 인하로 돌아온 외국인과 약해진 트럼프 트레이딩에 지수는 반등. 실적 좋은 업종이 결국 승자
:오후 중국 전인대 상무위 폐막. 부양책 규모에 따른 중국시장 흐름에 한국 주식시장 영향 받을 가능성 큼
:부양책 규모에 따른 외국인 수급 이탈 유의해서 오후 시장 대응, 차주 미 CPI, 동행지표 등 관찰(2P참고)
 
KOSDAQ은 1.4% 상승한 743p. 전일 낙폭 과대 인식에 대형주 위주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수 
-2차전지, 제약바이오 등 대형주 위주 전일 낙폭 확대한 KOSDAQ, 금리 및 트럼프 트레이딩 완화되며 반등
:에코프로 그룹주(2차전지), 알테오젠(제약바이오) 등 전일 하락했던 대형주 모두 3% 이상 반등 
:상폐추진(코엔텍, 주당 9,000원 공개매수) 호실적(카페24, 예상치 상회 실적) 종목 강세 

원/달러 환율은 25bp 금리 인하 결정한 11월 FOMC 영향에 2.8원 하락한 1,383.1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2%, 대만(가권) +1.1%, 홍콩(항셍) +1.2%, 중국(상해) +0.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35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8일 11시 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Nov, 22:58


『[국내주식전략]신한 M.R.I: TrumProblem의 해(解)를 찾아서』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Trump 승리로 막 내린 슈퍼 선거의 해 Finale
-차주 Preview: 미국 대선 후 함께 살펴봐야 할 중국 이슈
-Market Insight: TrumProblem의 해(解)를 찾아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33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8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Nov, 22:57


『글로벌 주식전략; 투자전략 관점에서 AI 점검: ④ 차기 주도주와 기존 주도주』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주도 업종에 대한 고민: AI S/W, 강력한 차기 주도 업종 후보군  
- 주도주에 대한 고민: 반도체는 애매해도, 엔비디아는 애매하지 않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340
위 내용은 2024년 11월 8일 7시 5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Nov, 08:0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7일
『Trump Trade + Musk Trade』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66.96 (+0.13%), 코스닥 733.63 (-1.30%)

선명해진 Trump Trade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0%, -1.3% 등락했습니다. ‘Again 2016’이 실제 확인되면서 오늘도 온통 Trump Trade였습니다. 간밤 미국 시장은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했고, 중소형주 Russell2000도 5.8% 크게 올랐습니다. KOSPI는 조선·방산·금융·반도체 Vs. 2차전지·제약바이오 줄다리기 가운데 보합 마감했고, KOSDAQ은 시총 상위 종목들이 2차전지·헬스케어가 다수 차지한 만큼 약세 마감했습니다. 대선에 관심이 쏠린 사이 오늘 밤 11월 FOMC가 예정돼있습니다.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은 25bp 인하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습니다(96.8%). 최근 국채금리가 4.4%대(10Y)까지 올라간 점도 제약바이오·2차전지 등 성장 산업에 압력으로 작용하는 만큼 진정세를 보일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재차 Trump의 입에 주목하는 주식시장

Trump 1기와 유사하게 Trump의 입에 시장이 출렁이는 현상이 올해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개장 후 ‘한국 조선업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Trump 발언이 공개되면서 조선주가 수급을 흡수했습니다(HD현대중공업 +15.1%, 한화오션 +21.8%). 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4.5% 등)·금융(+0.1% 등 강세였고, 자동차는 오늘도 지지부진했습니다(기아 -1.1%).
#특징업종: 1)행동주의: 美 행동주의 펀드 Dalton Investment의 콜마홀딩스(+12.9%) 지분 5.02% 취득 소식 2)신규상장: 전날 상장한 더본코리아(+0.6%)와 달리 세포 이미징 장비·분석 S/W 개발 기업 토모큐브(-37.1%) 상장 후 약세 3)친환경: 대선 후 약세 지속(한화솔루션 -5.9%)

Elon Musk가 쏘아 올린 신산업 랠리

대선 과정에서 Trump 당선을 적극적으로 도운 Elon Musk 관련 신산업들이 랠리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기차·로봇·우주 등 대표적 사업 가운데 전기차는 친Trump 포지션을 통해 리스크를 헷지했고, SpaceX 통한 우주 사업이나, 최근 ‘We, Robot’ 행사에서 기대감 키운 로봇 사업 등 기대가 유입됐습니다. 국내에서도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9.3%, 엔젤로보틱스 +5.5%), 우주(AP위성 상한가, 쎄트렉아이 +5.0%) 등이 강세였습니다. 한국항공우주(+1.8%)의 경영권 인수 소식에 제노코도 상한가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2:30) 2)美 11월 FOMC(11/8 04:00) 3)韓 CJ CGV·F&F·KT·한국콜마·신세계 등 실적 발표(11/8)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30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7일 16시 5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Nov, 02:09


마켓레이더(11월 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트럼프(Trump) 카드에서 조커(Joker) 찾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4% 하락한 2,552p.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업종별 트레이딩 극명.금리, 달러 상승에 지수 약세
-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 당선으로 불확실성 해소되며 신고가 또다시 경신. 트럼프 수혜 업종별 차별화
:트럼프 당선→법인세/관세 인하→재정 적자 증가 우려. 10년물 금리 4.4% 상회. 달러인덱스 105 돌파
:그럼에도 주식시장은 트럼프의 자국 우선주의, 규제 완화 등에 따른 수혜 업종에 주목하는 모습
:트럼프의 오른팔이 되어버린 일론 머스크 영향, 테슬라(+14.8%) 급등. 엔비디아(+4.1%)도 시총 1위 유지

KOSPI도 트럼프 영향. 조선, 방산(우주) 상승 Vs. 2차전지, 신재생, 바이오 하락. 수혜 테마별 차별화 극명
:수급)오전 거래대금 KP,KQ 5.3조, 4.3조원으로 반등. 외국인 뚜렷한 현물 매수세 부재하나 선물은 순매도
:4.4%를 상회한 시장금리와 1,400원에 육박한 원/달러 환율에 외국인 자금 유입은 업종별로 차별화
:조선)오전 윤대통령-트럼프 통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조선업에 대한 한국의 협력 및 도움 요청’보도
:방산(우주).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 모두 우주 산업에 진심. 한화에어로, 한국항공우주 모두 52주 신고가
:반면 2차전지, 신재생) 전통 에너지 공급 시사한 트럼프와 결이 정반대인 테마. 52주 신저가 종목 속출
:바이오 하락 사유 1) 트럼프 보건/행정 참모 케네디는 평소 FDA 폐지 시사. 규제 관련 불확실성 발생
:바이오 하락 사유 2) 트럼프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한 피해 우려. 트럼프는 과거 미국내 수입 약품에 대한 최혜국 대우(Most-favored nation)를 주장한 바 있음. 글로벌 제약사의 미국 시장 진입장벽 확대 우려
:연내 가장 큰 이벤트 종료. 불확실성은 해소됐으나 확실해진 점에 대한 트레이딩 진행. 업종별 명암 부각
:11월 FOMC 대기. 페드워치 기준 25bp 인하 확률은 98.1%로 기정 사실. 연내 추가 인하 가능 여부 주목

KOSDAQ은 1.8% 하락한 730p. 금리 부담+트럼프 불확실성에 외국인과 기관 매도세 보이며 약세
- 2차전지, 제약바이오 등 성장주로 구성된 KOSDAQ, 금리 속등+트럼프 트레이드에 투심 위축되며 하락
:트럼프 당선에 우주산업(AP위성 +16.7%),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4.8%) 등 일론 머스크 관련주 강세
:AI SW(미국 AI 관련주 강세+팔란티어 호실적), 대왕고래(석유공사, 정부에 시추 계획안 승인 요청) 강세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당선과 레드스윕 가능성에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0.4원 상승한 1,402.1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0.7%, 대만(가권) +0.7%, 홍콩(항셍) -0.7%, 중국(상해) -0.7%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30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7일 11시 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7 Nov, 00:34


『신한속보; MSCI 11월 리뷰 발표』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MSCI Korea 지수 신규 편입 종목은 현대로템 1개 종목. 편출 종목은 코스모신소재, 한화솔루션, 현대건설, 현대제철, 금양, KT, 셀트리온제약 등 7개 종목
- 편입(편출) 종목군은 외국인 수급 영향에 리밸런싱일 60거래일 이전부터 당일까지 상승세(하락세). 해당 기간 편출입 종목군 간 롱-숏 전략 유효
- 현시점 차기 정기변경 편입 가능성이 높은 종목은 LIG넥스원, 리가켐바이오, 삼양식품 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295
위 내용은 2024년 11월 7일 9시 3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Nov, 08:14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6일
『Trump Trade 제외 융단폭격』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63.51 (-0.52%), 코스닥 743.31 (-1.13%)

슈퍼 선거의 해 Finale 폐막

KOSPI, KOSDAQ은 각각 0.5%, 1.1% 하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강세 보였고 채권·달러는 Harris Trade, 주식시장에서는 Trump Trade를 보이는 등 혼조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국은 오전 강보합 출발 후 Harris 우세 기대에 Harris Trade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오후에 들어서며 7개 Swing States 중 대부분의 주에서 Trump 우세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식시장은 Trump Trade로 급격하게 선회했습니다. 2차전지, 수출주 등이 약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견인했고, 금리와 달러-원 환율도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장 막판 일부 되돌림이 나타나 약보합 마감했고, 달러-원 환율은 1,400원 방어선으로 작용하며 1390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대선 발 변동성 확대

Trump 우세 발표 이후 투자자들은 Trump 관련주 찾기에 분주했습니다. 기계(+1.7%), 조선 등 산업재 섹터와 금융 섹터가 강세였고, 우크라이나 재건, 가상화폐 등 테마까지 매기가 확산됐습니다. 시장 변동성 확대 가운데 통신(+1.7%), 보험(+1.1%) 등 방어적 업종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징업종: 1) Trump Trade: 우크라이나 재건(삼부토건 상한가, SG +29.2%), 가상화폐(갤럭시아머니트리 +23.3%, 우리기술투자 +9.1%) 강세 2) Harris Trade: 대마(오성첨단소재 -14.6%, 우리바이오 -16.6%), 친환경(씨에스윈드 -8.7%, 한화솔루션 -8.2%) 부진 3) 신규 상장: 더본코리아(+51.2%), 상장 첫날 강세 보이며 시장 분위기와 별개 움직임

Trump Trade가 휩쓸고 간 국내 주식시장

Trump Trade가 국내 주식시장을 휩쓸고 가며 방산, 금융 등만 살아남았습니다. LIG넥스원(+6.4%)은 재차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다른 방산주 신고가 보이는 동안 숨죽여있던 한국항공우주(+2.9%)도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반면 2차전지, 친환경 등 Harris Trade 관련주는 투심 악화에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Trump 발 관세 우려에 자동차(현대차 -4.0%, 기아 -2.1%) 등 수출주도 부진했습니다.
#주요일정: 1) 美 Qualcomm·ARM·CVS헬스 등 실적 발표 2) 美 EIA 원유 재고(24:30) 3)클래시스·BGF리테일·GS·KT&G 등 실적 발표(11/7)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27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6일 17시 1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6 Nov, 02:25


마켓레이더(11월 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일단 끝난 점에 안도』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2% 상승한 2,582p. 대선 불확실성 해소 기대에 따른 글로벌 주식시장 강세 연동되며 반등
- 미국 주식시장은 대선 불확실성 해소 기대에 3대 지수 상승. S&P500 +1.2%, Dow +1.0%, Nasdaq +1.4%
:최근 11회 대선 중 9회 상승 경험하며 전통적으로 대선 당일 상승. 모든 업종 및 시총 15위까지 강세
:Nvidia 시총 1위 탈환, Palantir Technologies(+23.5 %) 호실적 및 긍정적 가이던스에 AI 관련주 강세
:Harris 우세론에 Trump Trade 되돌림 전개. 미국채 10년물 1.9 bp 하락, 달러인덱스도 0.4% 하락

- KOSPI는 외국인의 현선물 순매도에 지수 상단 제한되는 가운데 출구조사 영향에 장중 등락 지속
:AI 반도체, Jensen Huang CEO의 HBM4 공급 일정 단축 요청 이후 강세 지속. Nvidia 강세도 우호적
:원자력 발전) 산업통상자원부,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에 관한 기관 간 약정(MOU) 가서명 발표
:방산) LIG넥스원(+5.1%), 영국 방산 업체와의 MOU 체결 소식에 강세. 중동지역 지정학적 긴장감도 지속
:실적) 더존비즈온(+9.8%), 3Q24 연결 기준 실적 컨센 하회에도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 개선 부각되며 강세
:신규 상장) 더본코리아 금일 신규 상장. 최근 신규 상장 기업 흥행 저조에도 불구하고 71.7% 상승
:통신) KT(+2.2%), 전일 밸류업 공시. 기존 주주환원책에 더해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소각 약속에 강세

KOSDAQ은 0.5% 상승한 756p. KOSPI와 비교해 불확실성 해소 기대 더 반영. 대부분 업종 강세
- KOSDAQ, 금투세 폐지 결정, 중국 비자 면제 조치 이후 KOSPI 대비 아웃퍼폼 지속. 금리 반락도 우호적
:폴라리스AI(+11.6%), 한글과컴퓨터(+1.4%) 등 AI 소프트웨어 테마, Palantir Technologies 호실적에 강세
:게임 업종, 위메이드(+8.9%) 3Q24 영업이익 흑자 전환, G-STAR 2024 임박에 따른 기대감 반영되며 강세

원/달러 환율은 대선 불확실성 속 첫 출구 조사에서 트럼프 우세에 반등. 8.1원 상승한 1,387.4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4%, 대만(가권) +0.5%, 홍콩(항셍) -1.1%,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26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6일 11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Nov, 22:51


『[국내주식전략] 미국 대선을 바라보는 투자자의 시선』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주식시장, 대선 종료 자체를 불확실성 해소로 해석해 직후 상승 패턴 반복
- 재정지출 항목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트럼프, 해리스 공약 차이
- 뇌관 자격 갖춘 정책들은 현실화 가능성 높지 않을 전망, 투자자 시선 이동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25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6일 7시 4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Nov, 22:50


『글로벌 ETF; 테마 ETF Guide Book: 내년에 더 주목할 네 가지 테마』
글로벌 퀀트 박우열 02-3772-2324

- ① AI 확산: 실생활에서 체감할 서비스 확산의 원년
- ② 부채 대응: 가치 저장을 위한 대피처, 귀금속+비트코인
- ③ 지정학: 심화되는 지정학 갈등, 방위 산업 + 인도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249
위 내용은 2024년 11월 06일 07시 4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Nov, 07:5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5일
『2024 슈퍼 선거의 해 Finale』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76.88 (-0.47%), 코스닥 751.81 (-0.30%)

미국 대선 D-day 임박하며 관망세 확대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5%, 0.3% 하락했습니다. 오늘 밤부터 치러질 미국 대선을 앞두고 관망세 짙어졌고, 전날 금투세 폐지 결정에 반등한 시장이 숨고르기를 보였습니다. Trump-Harris 간 지지율 격차가 초박빙 상황을 보이면서(NYT - Harris 우위 4주, 박빙 2주 Vs. The hill - Trump 우위 4주, 박빙 2주) 선거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가능성 있습니다(2020년 Biden 당선시 나흘 소요). 한편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중화권 증시 강했습니다(Shanghai +2.3%, HSCEI +2.2%). 중국은 차이신 종합·서비스업지수 양호하게 나왔고, 어제 개막한 전인대 상무위(~11/8)에서 지방정부 부채한도 상향 검토 소식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한국은 중국 개장 후 낙폭을 줄이다 재차 약세 전환했습니다.

외국인 매도세 속 KOSPI 대형주 부진

KOSPI 시총 상위 대거 부진했지만 중소형주 선방에 약보합이었습니다. 어제와 달리 외국인이 대기 심리에 양 시장 현선물을 순매도하면서 약세 보인 영향입니다. 그 가운데 고려아연(+15.9%)은 추진 중이던 유상증자 관련 부정거래 의혹이 제기되면서 무산 가능성에 반등했습니다.
#특징업종: 1)미디어엔터: 하이브(+2.6%) 3분기 실적 선방, 에스엠(+3.2%) 내년 신인 걸그룹 데뷔 소식, 디어유(+13.6%) 텐센트 뮤직과 본격 협업 기대감 2)우주: 韓美 공동 개발 태양 코로나 관측 장비(CODEX) 발사(루미르 +7.4%, 인텔리안테크 +5.8%) 3)여행·항공: 중국, 대한민국 국민 무비자 입국 허용(참좋은여행 +4.5% 등)

외국인·기관 수급 특이 사항

외국인은 KOSPI 순매도였지만, 삼성전자 제외시 순매수였습니다(+368억원). AI 밸류체인(SK하이닉스·이수페타시스·HD현대일렉트릭), 2차전지(LG화학·에코프로), 고려아연 등 순매수 상위였습니다. 반면 기관은 엔터(하이브·JYP Ent.·에스엠) 및 2차전지(LGES·엘앤에프) 등 사들였습니다. 외국인의 삼성전자 순매도 이어지면서 지분율 연저점 지속 경신 중이고(52.5%), KOSPI 지분율은 연저점(31.4%)에 근접하고 있습니다(31.9%). 연초 이후 외국인은 은행·기계·상사/자본재 순으로 지분을 늘렸고, 미디어/교육·건설/건축·소매(유통) 순으로 지분을 줄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대선(21:00) 2)美 ISM 서비스업지수(24:00) 3)韓 SK텔레콤·두산로보틱스·에이피알·카카오게임즈 등 실적 발표(11/6)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235
위 내용은 2024년 11월 5일 16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5 Nov, 01:55


마켓레이더(11월 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모두가 숨죽이는 D-Day』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6% 하락한 2,573p. 미국 대선 경계 심리에 따른 글로벌 주식시장 약세 동조되며 하락
- 미국 주식시장은 금일 예정된 미국 대선 경계감에 약보합 마감. Dow -0.6%, S&P500 -0.3%, Nasdaq -0.3%
:Harris, 경합주에서 근소하게 우위. 좁혀진 양자 간 격차에 암호화폐 약세 및 금리 하락 반전. 금융주 부진
:OPEC+ 증산 연기 소식에 WTI 2.9% 속등하며 금융시장에 부담. 에너지 섹터에는 우호적으로 작용
:업종별로는 에너지, 부동산 상승. 유틸리티, 금융, 헬스케어 부진. 유틸리티는 원전 노이즈에 1.2% 하락

- KOSPI는 이벤트 경계 심리에 대부분 업종 부진한 가운데 실적 및 개별 이슈에 따라 차별적인 움직임
:SK하이닉스(+0.9%)는 Jensen Huang CEO의 HBM4 공급 일정을 앞당겨 달라고 요청한 사실에 선방
:현대건설(+2.1%), 불가리아 원자력공사와 코즐로두이 대형 원자력발전소 설계 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조선) 낙폭 과대인식과 WTI 상승에 조선주 반등. HD현대미포 +1.7%, HD한국조선해양 +1.4%
:실적)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8.5%), 3Q24 영업이익(4,702억원) 컨센서스(4,101억원) 14.7% 상회
:실적) 엔씨소프트(+2.1%), 3Q24 적자전환에도 저가매수세 유입에 강세. SKIET(-8.7%) 적자 지속 전망
:경영권분쟁) 고려아연(+8.9%), 금융감독원의 고려아연 유상증자 제동 시사 이후 무산 기대에 상승세 지속

KOSDAQ은 0.2% 상승한 755p. 금투세 폐지+중국 비자 면제 수혜+HBM 관련 호재에 상승세 지속
- 엔터&미디어 업종, 중국 비자 면제 수혜 기대와 오징어 게임 시즌2 개봉일 확정 등 호재로 상승세 지속
:하이드로리튬(+25.9%), 국내 대기업에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생산∙판매 본격화 소식에 리튬 관련주 강세
:대마(Harris, 여론조사서 경합주 근소하게 우위), 여행(중국 무비자 대상국 포함 수혜 기대) 등 테마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대선 앞두고 접전 예상되는 가운데 경계 심리에 반등. 2.8원 상승한 1,377.3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1%, 대만(가권) +0.2%, 홍콩(항셍) -0.3%,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22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5일 10시 5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Nov, 22:35


『글로벌 주식전략; 엔비디아 시총 1위 시대를 맞이하는 법』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엔비디아, 지금 속도라면 시총 1위 기업 등극은 시간문제
- 과거 사례 참고 시 시총 1위 기업 역전은 증시에 긍정적 요인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213
위 내용은 2024년 11월 5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Nov, 07:57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4일
『금투세 모래주머니는 풀었지만』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88.97 (+1.83%), 코스닥 754.08 (+3.43%)

대내 불확실성 해소와 HBM 호재 작용

KOSPI, KOSDAQ 각각 1.8%, 3.4% 상승했습니다. KOSPI는 9월 26일, KOSDAQ은 8월 6일 이후 가장 높은 일일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대내 불확실성 요인이던 금투세 시행 여부가 폐지로 가닥이 나며 시장이 반색했습니다. 10월 23일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기관 양 시장 동반 수급 유입됐고, KOSPI 상위 10개 가운데 KB금융(-1.2%), KOSDAQ 상위 30개 종목 가운데 주성엔지니어링(-0.9%) 외 모두 상승했습니다. HBM 호재도 있었습니다. Jensen Huang Nvidia CEO가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나 HBM4 공급 일정을 6개월 앞당겨 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전해지며 SK하이닉스(+6.5%)·한미반도체(+3.0%) 등 AI 반도체 관련주 강세였습니다.

하방 압력 완화되자 튀어오른 시장

더불어민주당은 오늘 금투세 관련 당론을 폐지로 기울였습니다. 금투세 시행 불확실성이 그간 시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던 만큼 리스크 해소는 양 시장 반등 재료로 작용했습니다. 개인 참여도 높은 KOSDAQ이 민감하게 반응했는데, 특히 헬스케어·미디어엔터·화장품 강했습니다. 불확실성 해소에도 불구하고 갈 길이 먼 만큼 추세 상승 여부는 지켜봐야 합니다.
#특징업종: 1)여행·항공주: 중국, 대한민국 국민 무비자 입국 허용(참좋은여행·노랑풍선 상한가) 2)대왕고래: 동해 심해가스전 첫 탐사 시추 계획안 마련(화성밸브 +17.9%) 3)AI 교과서: 서울시교육청, 내년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예산 편성(아이스크림미디어 +12.3%, 비상교육 +14.8%)

미국 대선 막판 변동성 확대

최근 여론조사에서 Harris가 7개 경합주 중 4곳에서 근소하게 우위 보인 결과가 나오며(NYT) 미국 대선 막판 변동성이 재부각됐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약 2주 만에 장중 1,370원 하회하기도 했고, 친환경주(씨에스윈드 +4.8%, 한화솔루션 +3.0%)·대마(화일약품 +4.5%, 오성첨단소재 +7.4%) 등 Harris Trade도 나타났습니다. 개인 비중이 높은 2차전지 종목은 금투세 폐지 영향도 함께 작용하며 상승폭 컸습니다(에코프로 +7.4% 등).
#주요일정: 1)美 Palantir Technologies·Realty Income 등 실적 발표 2)韓 10월 CPI(11/5 08:00) 3)中 차이신 서비스업지수(11/5 10:45) 4)韓 하이브·한화·제주항공·롯데칠성·에스엠 등 실적 발표(11/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207
위 내용은 2024년 11월 4일 16시 5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4 Nov, 02:28


마켓레이더(11월 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기다렸던 금투세 폐지』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2% 상승한 2,573p. 미국 주식시장 반등, 금투세 폐지 결론에 강세. 대형주 중심 상승
- 미국 주식시장은 고용 쇼크에도 시장은 실적에 주목하며 상승. Dow +0.7%, S&P500 +0.4%, Nasdaq +0.8%
:10월 비농업일고용 1.2 만명으로 예상치(11만명) 대폭 하회. ISM 제조업도 46.5로 예상치/전월 모두 하회
:그럼에도 허리케인 보잉 영향에 지표 왜곡됐다는 데 무게 실리며 10년금리 4.36%로 7.5bp 상승하는 모습
:Amazon(+6.2%) 호실적 영향에 경기소비재 2.4% 속등, 유틸리티는 2.3% 속락. 그외 업종은 대체로 보합

- KOSPI는 금투세라는 불확실성 요인 해소되며 4거래일 만에 반등. 2차전지, 제약바이오, 커뮤니케이션 강세
:민주당, 금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내 주식시장 상황 고려해 금투세 폐지에 동의. 양시장 크게 반등
:항공) 중국 무비자 대상국에 한국이 포함 소식에 제주항공(+6.3%), 티웨이항공(+5.4%) 등 항공주 강세
:해리스) PredictIt 사이트 기준 해리스 부통령 당선 가능성 트럼프 전 대통령 추월. 해리스 Trading 재부상하며 2차전지 밸류체인(에코프로머티 +8.0%), 신재생에너지(씨에스윈드 +5.1%) 등 관련주 강세
:대왕고래) 대왕고래 첫 시추위치 확정. 이르면 내년 상반기 시추 결과 발표 기대에 한국가스공사(+7.3%),
:금융) 금일 밸류업 ETF 패시브 9개 종목, 액티브 3개 종목 상장. 전거래일 선반영 인식에 하락하는 모습

KOSDAQ은 2.9% 상승한 750p. 금투세 폐지 결론에 전업종 강하게 반등. KOSPI 대비 아웃퍼폼
- 지수 하방 압력 요인으로 존재했던 금투세 폐지 결론에 개인 비중 높은 KOSDAQ이 KOSPI 대비 아웃퍼폼
:외국인과 기관 매수에 대형주 중심 강세(KOSDAQ100 +4.3%). 2차전지, 제약바이오, 엔터 업종 중심 강세
:여행(중국 정부, 무비자 대상국에 한국 포함, 11월 8일 시행), 강관업체(대왕고래 첫 시추위치 확정)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0월 비농업고용 예상치 하회에도 리스크온 심리 확산에 8원 하락한 1,370.3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휴장,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2%,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19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4일 11시 2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1 Nov, 08:03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1월 1일
『잘 쉬는 것도 중요해』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42.36 (-0.54%), 코스닥 729.05 (-1.89%)

짙게 끼인 안개 속을 지나는 글로벌 주식시장

KOSPI, KOSDAQ 각각 0.5%, 1.9% 하락했습니다. 1) 다음 주 미국 대선 앞두고 조사 기관마다 혼재된 결과 나오며 불확실성 확대됐고, 2) 오늘 미국의 ISM 제조업지수와 고용보고서 등 주요 매크로 지표 발표 앞둔 관망 심리 3) Microsoft·Meta 등 실적이 기술주 조정 빌미로 작용하며 아시아 증시 부진했습니다(Nikkei225 -2.6%, TAIEX -0.2%, Shanghai -0.1%). 양 시장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나왔고 약 2/3 가량 종목 하락(2,699개 가운데 1,777개)하면서 적극적인 매매가 어려운 장세였습니다. 한편 KOSDAQ 상대적으로 낙폭 컸습니다. 시총 상위 20개 가운데 에코프로(+1.4%)·삼천당제약(+2.5%)·HPSP(+7.6%) 세 종목만 올랐고, 헬스케어 및 반도체 소부장 업체들 매도세가 지수 하락 견인했습니다.

방어적 업종 살아남고, 실적 따른 종목별 차별화

보험(+1.5%)·통신(+0.2%) 등 방어적 업종 올랐고, 의료정밀(-4.5%)·건설(-1.7%)·의약품(-1.2%) 등 대부분 업종 하락했습니다. 특히 최근 시장 강세를 이끌었던 헬스케어(알테오젠 -5.3%, 리가켐바이오 -7.4%, 네이처셀 -24.0% 등) 낙폭이 컸습니다. 반면 다음 주부터 밸류업 ETF·선물 상장되는 만큼 금융 업종 다수 기대감 유입되며 강세였습니다(KB금융 +1.7%, 삼성생명 +2.3%, NH투자증권 +0.8% 등).
#특징업종: 1)석유·정유: 이란의 이스라엘 보복 가능성 부각(흥구석유 +4.9% 등) 2)경영권 분쟁: 한미사이언스(-24.1%), 소액주주연대 이탈 3)특허소송: 예스티(-30.0%), HPSP 상대 특허 소송 패소(10/31)

체코 원전 계약 불확실성 완화

체코의 경쟁 당국이 한수원과의 원전 신규 건설 계약을 일시 보류 조치했다는 보도(10/30)에 어제 원전주 크게 하락했습니다. 관련해서 단기적 노이즈 가능성 예상했었는데 바로 다음 날인 어제 저녁 체코 경쟁 당국에서 즉각 이의제기를 기각하며 원전주 일부 반등했습니다(비에이치아이 +4.2%, 한신기계 +0.8% 등). 다만 Westing House 등 항소시 최종 판정 확정 후 계약이 가능한 만큼 여진 가능성은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고용보고서(21:30) 2)美 ISM 제조업지수(23:00) 3)Exxon Mobil·Chevron 실적 발표 4)밸류업 ETF·선물 상장(11/4) 5)S-Oil·엔씨소프트 실적 발표(11/4) 5)Summer Time 해제(11/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162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일 17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01 Nov, 02:04


마켓레이더(11월 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미국 주식시장 아픔에 공감하는 한국 주식시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2% 하락한 2,551p. 미국 실적 영향에 장초반 매물 출회 있었으나 하락폭 축소중인 흐름
- 미국 주식시장은 실적, 회계이슈 영향에 반도체 업종 위주 낙폭 확대되며 NASDAQ -2.8%, S&P500 -1.9%
:M7 예상치 상회한 실적 에도 하락. MS(-6%), 메타(-4.1%) 가이던스 부진 및 AI 투자 확대에 대한 우려
:AMD도 가이던스 영향 연속 하락, SMCI 회계 조작 이슈로 낙폭 확대되며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4.0%
:BOJ 금리 동결 결정했으나 우에다 총재 매파적 발언(경제 전망 달성시 금리 재차 인상)에 달러 소폭 약세

- KOSPI는 미국 실적 영향에 장 초반 2,537p까지 급락했으나 낙폭 과대 인식속 일부 되돌림
:수급)오전 거래대금 KP,KQ 3.4조, 2.7조원 수준. 외국인 현선물 순매도 지속이나 매도량은 많이 감소
:한국 10월 수출 전년 대비 4.6% 증가(예상치 +7%). 수출액은 우상향. 대중 수출 증가 & 대미 수출 감소
:현재 원/달러 환율 상승했다는 점에서 수출, 수주 여전히 우호적인 업종(화장품, 방산 등) 기대감 유효
:실적 우려에도 장 마감 이후 실적 발표한 아마존, 인텔이 시간외 5.7%, 6.9% 반등. 애플은 중국 판매 부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반 하락. 지수 낙폭 추가 확대할 뻔 했으나 시간외 반등한 영향에 낙폭 축소
:업종별로 금융, 화학, 철강, 통신 상승. 2차전지, 방산 테마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일 호실적 발표
:대선 불확실성 영향에 거래대금, 외국인자금 유입 없으나, 다음주 드디어 Big Event 다수 결론 도출(2P참고)

KOSDAQ은 1.4% 하락한 732p. 미국 주식시장 기술주 약세에 투자심리 위축되며 대형주 중심 하락
- 아모레퍼시픽 어닝서프라이즈에도 추가 주가 상승 재료 부재, 에스티로더(-20.9%) 약세에 화장품 하락
: HPSP(+12.7%), 예스티와의 특허 무효 심판에서 승소.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에 강세. 예스티는 하한가
:유비케어(위고비 최다 물량 확보 소식) 강세, 신규상장(탑런토탈솔루션 -14.4%, 에이럭스 -26.6%) 약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9월 PCE 물가 예상치 부합에도 리스크 오프 확산에 상승. 1.6원 상승한 1,378.6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9%, 대만(가권) -1.4%,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131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일 10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1 Oct, 22:43


『[국내주식전략]신한 M.R.I: ‘곱버스도 국장’에 웃을 수만은 없는 이유』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내우외환에 2,600p 전후 좁은 폭 등락
-차주 Preview: 전 세계가 숨죽여 주시할 미국 대선 결과
-Market Insight: ‘곱버스도 국장’에 웃을 수만은 없는 이유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096
위 내용은 2024년 11월 1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1 Oct, 08:2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31일
『삼중바닥을 향해 가는 KOSPI』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2,556.15, -1.45%), 코스닥(743.06, +0.66%)

KOSPI 대형주 중심 부진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1.5%, +0.7% 등락했습니다. 간밤 미국 반도체 이슈는 다소 부담이었습니다. 전날 실적 발표 후 가이던스에 대한 실망감으로 AMD(-10.6%) 급락했고, SMCI(-32.7%)도 회계법인이 사임하면서 회계조작 의혹 재차 불거졌습니다. 변화는 삼성전자(+0.2%) 실적 컨퍼런스콜이었습니다. 최근 대만 언론에서 Nvidia향 HBM 공급 협력사 조건부 승인 보도 후 기대감에 외국인 유입됐는데, 오늘 ‘주요 고객사 등 퀄에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히며 강보합 보였습니다. 한편 오늘도 풍선효과 나타나며 SK하이닉스(-4.5%)·한미반도체(-4.5%) 내렸습니다. KOSPI 시총 상위 20개 가운데 삼성전자·현대모비스(+0.4%)·메리츠금융지주(+0.2%)만 상승하면서 대형주 약세가 지수 하락 견인했습니다.

KOSDAQ은 헬스케어·소부장 견조

여기에 고려아연(-7.7%)은 유상증자 발표 이틀째 5일 만에 황제주에서 내려왔습니다. 금감원은 고려아연의 공개매수·유상증자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1.8%)에 대한 현장조사에 착수했고, 관련 기자간담회도 진행중입니다. 반면 KOSDAQ은 헬스케어(삼천당제약 +6.2%, 보로노이 +7.7%)·소부장(HPSP +4.8%, 테크윙 +7.2%) 등 강세에 상승했습니다.
#특징업종: 1)드론: 北, 올해 첫 ICBM 도발 및 북한군 드론전 훈련 미흡 보도(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10.8%, 쎄트렉아이 +8.8%) 2)방산: 호실적 발표(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 풍산 +1.8%) 3)기타: 태영건설(-5.6%) 거래재개, 성우(-12.5%) KOSDAQ 상장 등

체코 원전 계약 일시정지

전날 체코의 경쟁당국이 한수원과의 원전 신규 건설 계약을 일시 보류 조치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프랑스전력공사(EDF)와 미국의 Westing House의 이의 제기를 받아들였다는 입장입니다. 내년 3월까지 최종 계약을 목표로 했었는데 지연 가능성 나오자 원전주 매도세가 나타났습니다(두산에너빌리티 -6.3%, 한전산업 -4.9% 등). 다만 지난 韓-체코 정상회담에서 한수원의 최종 수주에 낙관적이라는 입장과 더불어 11월 체코측 협상단 방한이 예정된 만큼 단기 노이즈에 그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요일정: 1)美 9월 PCE가격지수(21:30) 2)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1:30) 3)Apple·Amazon·Eaton·Intel 등 실적 발표 4)韓 10월 수출입동향(11/1 09:00) 5)호텔신라·에코프로비엠·에스티팜등 실적 발표(11/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080
위 내용은 2024년 10월 31일 16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Oct, 02:12


마켓레이더(10월 30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반등 못하는 거래대금과 심심한 시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3% 하락한 2,609p. 트럼프 트레이딩 지속되며 박스권 등락. Big Event 대기심리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트럼프 트레이딩 진행과 빅테크 상승 지속. 경제지표는 방향성 엇갈리며 금리 영향력 중립
: 9월 구인건수 예상치 크게 하회(고용 악화)-CB소비자 신뢰지수는 108.7로 급등(예상 99.5)
:AMD, 가이던스 예상치 하회에 시간외 7.6% 하락. 데이터센터 매출은 전년 대비 122% 상승
:알파벳, 예상치 상회 호실적 발표에 시간외 5.8% 상승. AI와 클라우드 부문 지속 성장. 실적 영향력 유효

KOSPI는 외국인 순매도 영향에 반도체, 금융 등 대형주 반등 어려운 모습. 여전히 저조한 거래대금
:수급)오전 거래대금 KP,KQ 4조, 3조원 수준, 반등 미미. 외국인 현선물 순매도(현물 3천억, 선물 4천계약)
:외국인 대형주, 전기전자, 금융 위주 순매도 상위. 지수 상승폭 축소되는 흐름에 약보합
:경영권분쟁)고려아연 등 다양한 주가 상승 사례에서 투자자 관심 증가. 동서, 52주 신고가 경신
:우크라이나 재건)윤 대통령, 우크라에 재건 지원대 파견 시사(+트럼프). 전진건설로봇 등 재건 테마주 상승
:방산)이젠 누구나 다 아는 K-방산 모멘텀(트럼프, 호실적…). 한국항공우주, 수출 기대감에 52주 신고가
:환율 1,380원 위에서 지속 등락. 지누스(52주 신고가) 등 북미 수출 모멘텀 있는 주식등은 우상향 추세
:삼성전자 전일까지 2거래일 연속 외국인 순매수. 오전 추정치 순매도이나 마감 후 순매수 여부 파악 필요
:빅테크 실적, BOJ 통화정책 회의, 고용 및 제조업지수등 시장 영향력 높은 이벤트 대기 속 박스권 등락

KOSDAQ은 0.1% 상승한 745p. 외국인 순매도에 대형주 쉬어가는 가운데 소프트웨어 등 중소형주 약진
- 금투세 폐지론 부각 이후 3거래일 연속 상승. 거래대금은 연중 최저 수준 지속, 신용잔고도 횡보
:호실적 발표한 구글, AI 바탕으로 클라우드 강력한 성장세. 추후 AI 적극 활용 계획 언급에 AI S/W 강세
:우주산업(항공항공우주 호실적+수출 기대감), 경영권분쟁(티웨이홀딩스+6.3%, 대명소노시즌+2.2%)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10월 소비자신뢰지수 전월대비 급등에 달러화 강세 지속. 1원 상승한 1,383.2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 대만(가권) +0.3%, 홍콩(항셍) -0.6%,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031
위 내용은 2024년 10월 30일 11시 1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Oct, 00:23


신한 전략/시황/퀀트 pinned «『(2025년 주식시장 전망) Brood War (PPT)』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김성환 / 신승웅/ 강진혁   I. 2025년 주식시장 전망 - 세계 경기 모멘텀 둔화에도 제조업과 서비스업 격차 축소, 서비스에서 재화로 넘어가는 소비 환경 고려 시 주식시장 우호적 - 미국 대선 앞두고 미뤄졌던 기업투자 2025년 재점화. 선진국 주도 리쇼어링은 설비투자 중심으로 향후 전개 전망 - AI, 2025년 뿐 아니라 3년 더 지배력…»

신한 전략/시황/퀀트

30 Oct, 00:23


『(2025년 주식시장 전망) Brood War (PPT)』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김성환 / 신승웅/ 강진혁
 

I. 2025년 주식시장 전망
- 세계 경기 모멘텀 둔화에도 제조업과 서비스업 격차 축소, 서비스에서 재화로 넘어가는 소비 환경 고려 시 주식시장 우호적
- 미국 대선 앞두고 미뤄졌던 기업투자 2025년 재점화. 선진국 주도 리쇼어링은 설비투자 중심으로 향후 전개 전망
- AI, 2025년 뿐 아니라 3년 더 지배력 행사. AI 투자 사이클은 B2B H/W → B2B S/W → 가격 파괴 → B2C로 진행
- 최선호 국가는 미국. 각종 불확실성과 의구심 있지만 이를 딛고 실적이 우상향 기조 뚜렷하게 형성해 줄 전망 
- 미국 컬러에 편승 가능한 한국, 밸류에이션 상 하방 위험이 낮고 부양책에 따른 상방 위험이 비대칭적인 중국 차순위 선호
 
II. 주식 투자전략
- S&P500 밴드 5,600~6,600p. 12MF PER 기준 19.0~22.3배 등락. 상반기 오버슈팅 → 주가 조정 → 연말 상승 추세 복귀
- 중국 상해종합 2,900~3,700p. 12MF PER 기준 10.5~12.5배 등락. 상반기는 매크로 정책, 하반기는 경기가 핵심 변수
- KOSPI 밴드 2,600~3,100p. 12MF PER 기준 9.0~11.5배 등락. 이익 추정치 하향 예상해 낮은 KOSPI PER로 선반영
- 미국은 AI 관련 벨류체인 등 최선두 주도주 , 연말연초 하이베타, 턴어라운드와 흑자 전환에 성공한 성장주에 주목
- 중국은 ROE와 순이익률이 높은 내수 1등주, 역사적 저평가 구간인 소비재, 업황 호황 지속되는 반도체에 주목
- 한국은 모멘텀, 배당 스타일의 우위를 전망하며 주도 업종군으로 헬스케어/2차전지/방산/미디어엔터/금융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027
위 내용은 2024년 10월 30일 9시 1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9 Oct, 22:53


『[국내주식전략] KOSPI 이익 추정치 하향을 해석하는 법』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KOSPI 이익 하향 조정, 미국과 한국 반도체 관계 고려 시 일시적 가능성
-중국 저가 수출 문제로부터 자유롭기 어려운 한국, 그리고 주식시장
-KOSPI 이익 추정치는 중국 경상수지 정책 기조 변화 때 하향 종료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022
위 내용은 2024년 10월 30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9 Oct, 07:4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9일
『삼성전자와 금투세 폐지론』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617.80 (+0.21%), 코스닥 744.18 (+0.50%)

삼성전자, 2개월 만의 외국인 연속 순매수

KOSPI, KOSDAQ은 각각 0.2%, 0.5% 상승했습니다. 최근 대만 매체는 삼성전자(+2.6%)가 Nvidia의 HBM 공급 협력사로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고 보도했는데 그 여파가 이어지면서 약 두 달 만에 이틀 연속 외국인 순매수 보였습니다. 다만 삼성전자측에서 별다른 대응을 하고 있지 않아 31일 세부 실적 발표에서 관련 언급이 나올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풍선효과로 SK하이닉스(-2.9%)·한미반도체(-3.0%) 하락했습니다. 그 외 간밤 Trump가 최근 반도체 보조금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는 보도가 나오며 경계감에 일본·대만·한국 모두 약보합 출발 했습니다. 다만 한국은 당정이 반도체 관련 지원 법안 정기국회 내 처리 의지를 밝히며 오후 들어 낙폭을 축소했습니다.

지주 최초 밸류업 공시 및 경영권 분쟁 이슈

SK(+0.9%)는 금융권을 제외한 지주사 중 처음으로 밸류업 공시를 했습니다. 지주는 밸류업 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종목군이기도 합니다. 시장 관심 보이며 4.2%까지 올랐다가 상승폭 줄였습니다. 고려아연은 삼성전자에 이어 KOSPI 기여도 2위(+6.3p) 차지했습니다. 경영권 분쟁이 주총 표 대결로 옮겨가면서 장내 매수 기대감 등이 가격을 받치고 있습니다.
#특징업종: 1)가상자산: Bitcoin 4개월 만에 7만달러 돌파(우리기술투자 +14.4%, 한화투자증권 +7.5% 등) 2)드론: 연내 첫 국산 자폭 드론 실전 배치(네온테크 +16.7%, 코콤 +8.1% 등) 3)경영권 분쟁: ①고려아연(+18.6%)·영풍(-2.4%) ②한미사이언스(+8.8%)·한미약품(+1.2%)

당정, 금투세 폐지론 입장 재확인

양 시장은 오후 들어 가파르게 상승하며 양전에 성공했습니다. 당정이 ‘민생 입법과제 점검 당정협의회’를 열고 반도체특별법,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법, K-칩스법 등의 입법과제를 이번 정기국회에서 추진하기로 밝혔습니다. 특히 야당 지도부에서 금투세 관련 입장 표명을 미루는 사이에 당정은 금투세 폐지 내용을 담은 소득세법 추진을 밝혔고, 기재부 장관도 ‘금투세 유예는 불확실성의 이연’이라며 폐지 방침 재확인했습니다. 정기국회를 지켜봐야겠지만 시장은 당정의 의지를 호재로 인식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9월 JOLTs 구인인원(23:00) 2)美 10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23:00) 3)美 Alphabet·Visa·AMD·McDonald’s·Pfizer 등 실적발표 4)韓 POSCO홀딩스·두산에너빌리티 등 실적발표(30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0009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9일 16시 4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9 Oct, 02:07


마켓레이더(10월 29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오늘도 관망세』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6% 하락한 2,599p. 전일 시장 상승 견인했던 대형주, 하루만 약세 전환하며 약세 전환
- 미국 주식시장은 중동 갈등 일부 봉합으로 인한 유가 하락에 상승. 트럼프 트레이딩 진행되며 종목장세
:미 국채 10년물 금리 4.3% 육박. 빅테크 실적 오늘 알파벳을 필두로 시작되는 가운데 개별 종목 장세
:폴리마켓 기준 트럼프 베팅 66.3%(해리스 33.8%). 트럼프 미디어(+21.6%), 비트코인 등 트럼프 트레이딩

- KOSPI는 전일 대형주 주도 상승장 이어지지는 못하는 모습. 금융주 재차 상승하며 순환매 장세
:수급)대선 이전 불확실성 축소 지속. 외국인 금일도 현물 순매도&선물 순매수. 거래대금 여전히 미미
:금융주 차익실현 하루만 반등. KB에 이어 금주 하나, BNK 등 금융주 실적 및 주주환원 정책 발표 기대
:반도체)전일 TSMC(-4.3%), 트럼프의 “반도체 보조금 외국 기업 지급 부당” 발언에 하락. SK하이닉스 ↓
:2차전지)전일 외사(번스타인) 마진율 지속 우려 제기하며 하락한 테슬라. 국내 밸류체인 동반 약세
:경영권분쟁)고려아연 오늘도 질주. 시총 POSCO홀딩스 추월. MBK의 임시주총 소집 요구. 준쟁 지속
:방산)러-우 전쟁 북한 파병으로 인한 모멘텀 추가. 트럼프 트레이딩(방위비 분담 증가) 등 모멘텀 다양
:삼성전자 외국인 순매수는 오전 지속되진 않는 흐름. 주요 일정 관망심리에 주가 방향성 부재
:실적과 함께 시장 부담 야기중인 금리(4.3%)에 영향을 줄 고용지표, BOJ(일본 금리) 모멘텀도 관찰 필요

KOSDAQ은 0.7% 하락한 736p. 2차전지 차익 실현에 하락. 외국인과 기관 순매도에 대형주 중심 약세
- 2차전지주, 테슬라 반락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 LGES 4Q24 적자전환 전망도 비우호적으로 작용
:커뮤니케이션 섹터 중국발 호재 지속. 게임 중국 판호 발급에 이어 디어유&텐센트 제휴 중국 진출에 강세
:드론(현대로템 호실적+자폭 드론 연내 배치 기대감), 가상화폐(비트코인, 한때 7만달러선 재돌파) 강세

원/달러 환율은 중동 불안 완화와 채권 금리 반락 영향에 1,380원대까지 하락. 5.1원 하락한 1,380.6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6%, 대만(가권) -1.2%, 홍콩(항셍) +1.1%,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002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9일 11시 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8 Oct, 22:34


『글로벌 주식전략; 투자전략 관점에서 AI 점검: ② AI 사이클, 3년은 더 간다』 
글로벌전략 김성환 02-3772-2637

- AI 사이클, 3년은 더 갈수 있다는 가격 정황들  
- AI 사이클이 이어진다면, 미국과 성장주의 우위도 구조적일 것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984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9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8 Oct, 08:1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8일
『34거래일만 외국인 순매수? 너 누군데?』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코스피 2,612.43 (+1.13%), 코스닥 740.48 (+1.80%)

34거래일만 삼성전자 순매수한 외국인, 2차전지-반도체 동반 상승

KOSPI, KOSDAQ은 각각 1.1%, 1.8% 상승했습니다. 9월 2일을 마지막으로 33거래일 연속 순매도 지속하던 외국인이 드디어 삼성전자를 순매수 전환하였습니다. 이번주 1)빅테크 실적 2)ISM제조업지수 3)미국 고용지표 등 주요 일정이 산재한 경계감에 대선까지 코 앞으로 다가온 영향에 거래대금은 KOSPI, KOSDAQ 각각 8.9조원, 4.8조원에 불과하여 뚜렷한 자금 유입, 순매수주체는 여전히 부재했습니다. 다만 낙폭 과대 인식(삼성전자, 전일 12MF PBR 0.92배)과 실적 모멘텀(테슬라)에 반도체, 2차전지 중심의 대형주에 외인과 기관 자금이 유입되며 양 지수 동반 상승했습니다. 주말 사이 이란과 이스라엘 간 중동 갈등이 진정되며 유가가 하락한 것도 우호적 영향이었습니다.

삼성전자와 2차전지가 끌어올린 KOSPI

2차전지주는 테슬라 어닝서프라이즈 이후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LGES(+2.3%), 삼성SDI(+8.2%), 포스코퓨처엠(+7.1%) 등 2차전지 밸류체인이 큰 폭 상승했고 에코프로비엠(+9.1%), 에코프로(+5.4%) 등 KOSDAQ 대형주 역시 상승하며 양지수 상승 견인했습니다. 금융 섹터는 전일 신고가 경신 후 차익실현 흐름이었습니다.
#특징업종: 1)경영권분쟁: 고려아연(+3.8%), 자사주 9.85% 매수, 베인케피탈 지분 1.41% 취득. 4%). 2) 로봇: 정부, AI 로봇 산업 지원 정책발표(휴림로봇 +13.5%, 제우스 +8.7%) 3) 금융: 전거래일 속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우리금융지주 -6.0%, KB금융 -4.8%)

2차전지 상승폭 확대 트리거가 된 테슬라

자금과 방향성이 크진 않고, 대선 전까지 여러 노이즈에 등락을 거듭 하겠으나 결국 주가는 기업이익(실적)이 결정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지난주 테슬라 실적이 야기한 국내 2차전지 반등은 이번주 M7 실적의 중요성을 상기시킵니다. LG엔솔(+2.3%)은 금일 컨콜에서 4680배터리 양산 및 추가 수주 가능성을 구체화했고, 엘앤에프(+10.2%)는 테슬라향 신제품 출하 증가를 통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며 상승폭을 확대했습니다. 이번주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애플, 아마존의 실적이 모두 예정된 점에서 실적의 주식시장 영향력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 활동(28일 23:30) 2)포드 실적발표(29일 06: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973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8일 17시 1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8 Oct, 02:27


마켓레이더(10월 28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Big Event Week 출바알』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3% 상승한 2,588p. 중요 일정 및 실적 발표 앞두고 업종, 종목별 차별화 지속. 환율=경계요소
- 미국 주식시장은 M7 실적, ISM제조업지수, 고용지표 등 주요 이벤트 앞둔 경계감에 혼조세
:미시간대 10월 소비자심리지수 70.5로 4월 이후 최대치. 금리 인하에도 굳건한 경기에 대한 기대감
:엔비디아(+0.8%) 장중 시총 1위 등극. 금주 실적 발표 기대감에 M7 전종목 상승하며 빅테크 쏠림 지속

- M7 실적 외에도 KOSPI도 이번주 실적 모멘텀 지속. 업종 및 종목별 차별화 장세에 강보합
:수급)대선 이전 불확실성 축소 지속. 외국인 금일 현물 순매도&선물 순매수. 삼전 34거래일 연속 순매도
:미국 금융주 하락. 지난주 신고가 경신한 KB금융 등 국내 금융주도 차익실현. 주주환원 모멘텀은 유효
:원/달러 환율 1,390원 육박. 엔화는 약세. 한은 총재, 환율 급등에 11월 금통위 금리 인하 대응 시사
:자동차)현대차, 예상치 하회한 실적에 오늘도 약세이나 기아는 일회성비용 제외시 양호 실적 판단. 차별화
:테슬라(+3.3%) 주가 연일 강세. 실적 발표 후 모멘텀 지속. 국내 2차전지 밸류체인도 동반 상승
:산업재)전력기기, SMR 등 호실적 지속되는 장기 성장 종목들은 우상향 추세 지속되는 흐름
:이번주 M7 및 국내 주요기업 실적, ISM제조업지수, 고용 등 대기하는 가운데 호실적 발표 및 호재 발생 모멘텀에 집중하는 모습 지속

KOSDAQ은 1.2% 상승한 736p. 지정학 위험 후퇴에 투자심리 회복되며 반등. 시총 상위주 강세
- 2차전지주, 테슬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투자심리 개선되며 양호한 주가 흐름 지속. 지수 상승 견인
:글로벌 소비 둔화, 실적 부진 우려에 부진한 주가흐름 이어오던 화장품 업종도 저가 매수세 유입되며 반등
:엔터(단기 속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 3Q24 실적 우려), 로봇(정부, 로봇 관련 규제 완화) 강세

원/달러 환율은 9월 JOLTs 보고서, 9월 PCE 등 매크로 지표 대기하며 보합세. 0.2원 상승한 1,389.4원
아시아 증시 상승. 일본(니케이) +1.6%, 대만(가권) +0.3%, 홍콩(항셍) 0%,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961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8일 11시 2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5 Oct, 07:5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5일
『삼성전자 이은 Morgan Stanley 반성문』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83.27 (+0.09%), 코스닥 727.41 (-0.98%)

전강후약 가운데 종목별 차별화 장세

KOSPI, KOSDAQ은 각각 +0.1%, -1.0% 등락했습니다. 미국 국채수익률 반등세는 어느 정도 잠잠했고 실적 발표에 다른 종목별 장세 나타나면서 대외 영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Tesla는 전날 시간외(+12.1%) 상승폭보다 본장(+21.9%)에서 더 크게 상승하며 어제에 이어 오늘 2차전지 투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재무부에서 IRA에 따른 AMPC(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 최종 가이던스 발표한 점도 강세 요인이었습니다(LGES 시가=고가 +3.1% → 종가 +0.1%). 전날 호실적 발표한 SK하이닉스(+1.4%) 20만원 돌파했고, ‘반도체 겨울론’ 제기한 Morgan Stanley도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 상향했습니다. KB금융·현대모비스 등도 호실적 발표했지만 양 시장 전강후약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밀리는 모습입니다.

반도체 전망은 차주 빅테크 실적 발표 대기

Morgan Stanley는 SK하이닉스 목표주가 상향(12→13만원)에도 투자의견 및 메모리 반도체 업황에 대한 뷰는 유지했습니다. 삼성전자(-1.2%)도 외인 매도세 33일째 이어지며 부진한 모습입니다. 다음주 예정된 빅테크 실적 발표(10/29 Alphabet, 10/30 Microsoft·Meta, 10/31 Apple·Amazon) 통해 AI CapEx 가이던스나 반도체 수요 전망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징업종: 1)엔터: ①(G)I-DLE 소연 재계약 불발설(큐브엔터 -7.8%), ②BLACKPINK 로제 신곡 ‘APT’ 흥행(YG PLUS +5.6%) 2)경영권 분쟁: ①고려아연(+10.1%) 양측 공개매수 종료 후 장내 매수 기대감에 급등, ②티웨이항공(+7.8%)·예림당(+13.4%), ③한미사이언스(+4.0%) 등

KB금융·SK텔레콤 등 밸류업 공시

KB금융 등 금융지주사가 호실적과 함께 밸류업 공시를 발표하며 금융주 부각됐습니다. 은행(KB금융 +8.4%, 우리금융지주 +2.6%, JB금융지주 +4.0% 등)·증권(한국금융지주 +2.1%, 미래에셋증권 +1.3% 등) 다수가 신고가였습니다. 한편 밸류업 지수에 한 종목도 포함되지 못했던 통신주 가운데 SK텔레콤(+0.4%)이 전날 첫 밸류업 공시를 했습니다. 연말 리밸런싱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늦어도 내년 특례편입이나 리밸런싱에서 관련 종목들의 편입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요일정: 1) 美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기대인플레이션(23:00) 2) 中 9월 공업이익(10/27 10:30) 3) LG화학·DCG금융지주·HD현대인프라코어 등 실적 발표(10/28)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939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5일 16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5 Oct, 02:00


마켓레이더(10월 25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의심의 벽을 타고 오르는 밸류업, MVP는 금융』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3% 상승한 2,588p. 호실적과 밸류업, 두가지 모멘텀에 따른 업종, 종목별 차별화 지속 중
- 미국 주식시장은 경제지표 부담 완화되며 금리 진정 속 반등. 테슬라 급등 등 기업 실적 영향력은 지속
:마킷PMI 제조업 47.8로 전월 대비 개선. 서비스업 55.3으로 견고.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치 하회
:테슬라 주가 충격의 21.9% 상승. 호실적+ 로보택시 실망감 되돌릴 세부사항 발표. AI 기업 전환 기대감

- KOSPI는 주주환원과 호실적이 야기한 업종 및 종목별 차별화 장세 지속. 금리 진정되며 바이오 상승 재개
:수급)대선 이전 불확실성 축소 지속. 외국인 금일 현물 순매도&선물 순매수. 삼전 33거래일 연속 순매도
:오늘도 금융주 주도력 지속. KB금융, 전일 호실적 및 밸류업 계획 발표로 장중 10% 이상 ↑. 상승폭 확대
:실적발표 및 밸류업 공시 이어지는 가운데, 밸류업 공시 주역은 금융 섹터. 전체 발표 기업의 30% 이상
:KB금융, JB, 한국, 우리금융지주, 미래에셋 증권 모두 신고가 경신. 연내 밸류업지수 리밸런싱&ETF 출시
:경영권분쟁)고려아연 오늘도 질주. 시총 한때 POSCO홀딩스 추월. 장내매수 등 경쟁 지속될 것이란 기대
:경영권분쟁)티웨이, 최대주주(예림당)와 2대주주(대명소노)간 지분 확보 경쟁 재개. 관련주 상승
:호실적)현대모비스 호실적 발표에 ↑. 매출액 : 14조(예상치 : 13.9조) 영업익 : 9,086억(예상치 : 6,618억)
:바이오)금리 급등에 호실적, 호재 존재에도 주가 눌림. 금리 진정되며 반등. 삼성바이오로직스(호실적) ↑
:그 외 테슬라 호실적 및 가이던스 상향에 2차전지 밸류체인 동반 상승. 실적 따른 업종/종목 차별화 지속
:삼성전자 외국인 순매도 지속, 대선 불확실성(11/5)에 차주 BOJ, 고용, ISM제조업 등 주요 일정 대기하는 가운데(2P참고) 뚜렷한 주도주/업종 존재하기 보단 호실적 발표 및 호재 발생 모멘텀에 집중하는 모습 지속

KOSDAQ은 0.7% 하락한 729p. 제약∙바이오, 2차전지, 반도체, 화장품 등 시총 상위주 부진에 약세 지속
- 약화된 투자심리에 연일 하락세. 거래대금 연중 최저 수준 지속, 신용잔고도 반등하지 못하고 횡보 중
:화장품 업종 하반기부터 부진 지속. 3분기 수출 호조에도 실적 시즌 앞둔 불확실성이 비우호적으로 작용
:경영권분쟁(대명소노시즌 +8.7%, 영풍정밀 +2.5%) 강세, 비만치료제, 엔터(차익실현 매물 출회) 약세

원/달러 환율은 10월 PMI 양호하게 발표된 가운데 급등세에 숨고르는 모습. 1.6원 하락한 1,380.7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7%, 대만(가권) +0.7%, 홍콩(항셍) +0.4%,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921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5일 10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Oct, 22:49


『신한 M.R.I: 중국 공세 타개할 2025 수출 전략 』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미국 대선 불확실성 재점화에 2,600p 이탈
-차주 Preview: M7 실적과 함께 확인하는 AI투자와 반도체 전망
-Market Insight: 중국 공세 타개할 2025 수출 전략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906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5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Oct, 08:00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4일
『호실적을 짓누른 Risk-off 심리』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81.03 (-0.72%), 코스닥 734.59 (-1.42%)

Trump Trade에 하방 압력 강화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7%, 1.4% 하락했습니다. Nvidia 호재나 Tesla·SK하이닉스 양호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Trump Trade 발 시장금리 압박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Nvidia(-2.8%)는 Jensen Huang이 Blackwell 결함 해결 밝혔고, Tesla(시간외 +12.1%)는 EPS 서프라이즈에 더해 FSD, Cybercap 관련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SK하이닉스(+1.1%)도 매출·이익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미국 대선 불확실성발 위험자산 기피심리에 수급이 비우호적이었습니다. 어제 모처럼 외국이 현선물을 순매수했지만 오늘은 그 이상을 순매도(1조원 이상)했습니다. 자동차는 현대차(-5.2%) 3분기 영업이익 역성장(-6.5% YoY)하며 완성차(기아 -2.3%) 약세였지만 Tesla 관련 부품주는 강했습니다(HL만도 +8.3% 등).

로우볼 방어주 강세

고려아연 급등에 강세 보인 철강금속(+8.1%) 제외하면 전기가스업(+3.2%)·통신업(+1.5%)·음식료품(+0.5%) 등 로우볼 업종 강세였습니다. 시장금리발 하방 충격에도 LGES(+0.9%) 선방했지만 KOSDAQ 소재주(에코프로비엠 -3.5%, 에코프로 -2.5%) 및 헬스케어(HLB -3.8%, 삼천당제약 -3.2%) 등 성장주 약세에 KOSDAQ 상대 부진 확대됐습니다.
#특징업종: 1)유틸리티: 한국전력(+5.0%), 전날 산업용 전기요금 평균 9.7% 인상 발표 2)엔터: BLACKPINK 로제-Bruno Mars 신곡 흥행(YG PLUS +15.1%) 3)드론: 국방부, 자폭드론 실전배치 발표(베셀 +12.9%) 4) iPhone 관련주: 상반기 iPhone16 생산 축소 보도(LG이노텍 -11.9% 등)

경영권 분쟁 이슈들

경영권 분쟁으로 일부 종목 급등하며 KOSPI 지수기여도 상위 차지했습니다. 호실적에 강세 보인 SK하이닉스를 제치고 고려아연 1위였고, 한미사이언스도 7위였습니다. ①어제 고려아연의 자사주 공개매수가 종료된 가운데, 주총 표 대결을 위한 양측 장내 매수 기대에 매수세 몰리며 고려아연 상한가 보였고, 단숨에 황제주로 등극했습니다. ②한미사이언스(+19.5%)도 경영권 분쟁 재점화에 강세였습니다(한미약품 +4.6% 등).
#주요일정: 1)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1:30) 2)美 10월 S&P Global PMI(22:45) 3)美 9월 신규주택판매(23:00) 4)기아·우리금융지주·HD현대일렉트릭·한화엔진·HDC현대산업개발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894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4일 16시 5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4 Oct, 02:12


마켓레이더(10월 24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약세장에 황제주 등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3% 하락한 2,592p. 고금리 강달러 영향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되며 2,600p 돌파 실패
- 미국 주식시장은 4.2%대 금리 부담 지속되며 하락, 기업 실적에 따른 차별화도 지속되는 양상
:연준 베이지북 발표. 경기 경착륙 우려는 여전히 없었으나 대선 앞두고 소비, 투자 지연 우려 부각
:엔비디아(-2.8%)블랙웰 칩 설계 결함 관련 우려감에 하락. 테슬라, 호실적 발표에 시간외 +12.1% 상승

- KOSPI는 오늘도 고금리, 강달러로 외국인 자금 이탈 및 개별 기업 실적에 따른 종목별 차별화 양상 지속
:수급)외국인 현선물 오전 현물 2,400억원 선물 4천계약 이상 순매도 전환. 반도체, 자동차 등 대형주 위주
:삼성전자)전일 오후 순매수 전환했던 외국인, 마감 직전 재차 순매도 전환. 오늘도 32거래일 연속 순매도
:SK하이닉스)호실적 발표. 매출, 영업이익(7.3조원) 모두 분기 최대. AI수요 강세로 HBM이 이익 개선 주도
:경영권분쟁)갑자기 황제주가 되어버린 고려아연. 공개매수 종료에도 과반지분 확보 위한 경쟁 지속 전망
:한국전력, 산업용 전기 인상에도 전일 상승폭 대폭 반납 후 마감. 외국인, 기관은 5, 10거래일 연속 순매수
:방산)한국-폴란드 정상 회담 금일 개최. 방산 협력 기대감에 전일 차익실현 있었던 방산주 매수 재개
:금융)JB금융지주 연일 신고가. 밸류업 기대감에 예상치 상회한 호실적까지 발표. 기타 금융주는 차익실현
:그 외 테슬라 호실적 및 가이던스 상향에 2차전지 밸류체인 동반 상승. 실적 따른 업종/종목 차별화 지속
:전일 오후 민주당의 금투세 중단 시사 이후 외국인 자금 유입되며 대형주(반도체, 2차전지) 반등. 시장 컬러 변경 기대감 유발했으나 당내 이견도 확인. 금일은 전일 오후 컬러 유지 안된 종목 장세 재개

KOSDAQ은 1.0% 하락한 738p. 고금리 지속, 미국 주식시장 조정에 투심 위축되며 전일 상승폭 반납
- 외국인과 기관 순매도 전환하며 대형주 약세. 테슬라와 SK하이닉스 호실적에도 미국 주식시장 조정에 반락
:엔터(BLACKPINK 로제-Bruno Mars 신곡 MV 1억뷰 돌파), ESS(테슬라 3분기 실적 호조 영향) 강세
:드론(국산 자폭 드론, 연내 실전 배치 소식), 줄기세포(네이처셀, 미 FDA 첨단재생의료치료제 지정)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 대선 불확실성, 캐나다 빅컷에 달러인덱스 강세 유지. 0.1원 상승한 1,381.7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5%,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8%, 중국(상해) -0.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882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4일 11시 1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Oct, 07:34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3일
『감소한 외국인의 삼성전자 순매도』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코스피 2,599.62 (+1.12%), 코스닥 745.19 (+0.93%)

오후 들어 수급 개선되며 상승폭 확대한 KOSPI, KOSDAQ

KOSPI, KOSDAQ은 각각 1.1%, 0.9% 상승했습니다. 전일 트럼프발 고금리, 강달러 환경에 하락한 KOSPI는 낙폭 과대 인식에 저가매수세가 유입됐습니다. 오전은 강한 매수 주체가 부재한 가운데 밸류업 공시(LG전자), 요금 인상(한국전력) 등 개별 기업 및 업종에 따른 차별화 속 강보합 등락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폭을 확대했습니다. 1)민주당의 금투세 미시행 시사와 2)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앞둔 저가매수세 유입이 기관, 외국인 수급 요인으로 꼽힙니다. 외국인이 현물 2,115억원 선물 5,395계약 순매수하였고 수급이 유입된 대형주, 전기전자, 2차전지 위주로 반등폭을 확대했습니다.

양 지수를 끌어올린 IT, 소재 섹터 저가매수세 유입

오후부터 유입된 IT, 소재 섹터 저가 매수세가 KOSPI, KOSDAQ 양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동시 순매수에 삼성전자(+2.4%), SK하이닉스(+4.4%), LGES(+5.6%), 에코프로비엠(+3.5%) 등 시총 대형주 상승폭이 컸습니다. 보험, 통신 등 방어주는 위험 선호 심리 회복에 약세를 보였습니다(KT -3.0%, 삼성생명 -3.6%).
#특징업종: 1) 제약∙바이오: 고금리 부담에 약세 지속(유한양행 -5.8%, 한미약품 -4.4%). 2) 방산: Lockheed Martin(-6.1%) 하락 영향에 차익 실현 매물 출회(LIG넥스원 -6.2%, 현대로템 -3.5% 3) 엔터: BLACKPINK 로제-Bruno Mars 신곡 흥행(YG PLUS +10.5%)

외국인 자금 매도→유입 전환 트리거가 된 금투세와 상법 개정

세법, 상법 개정 관련 정치권 뉴스에 이목이 집중된 하루였습니다. 전일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에 여당(국민의힘)이 개정 반대로 입장을 정한 것이 보도되며 시장은 실망했지만 오후엔 야당(민주당)이 금투세 폐지(유예) 및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상법 개정을 시사한 것이 보도되며 13시 이후 외국인 및 기관 자금 유입을 야기했습니다. 내일도 SK하이닉스, 현대차를 포함한 호실적이 예상되는 주요 기업 실적발표가 예정된 점에서도 저가매수를 유인하기 좋은 트리거 였습니다. 다만 바이오, 방산 등은 차익실현에 나섰습니다.
#주요일정: 1)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24일 03:00) 2)테슬라 실적발표(24일 06:30) 3)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22: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8500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3일 16시 2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3 Oct, 01:59


마켓레이더(10월 2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하방은 비교적 견고하나 상방도 막힌 것이 문제』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5% 상승한 2,585p. 전일 낙폭 과대 인식에 일부 되돌림. 2,600p 돌파하기엔 부족한 호재
- 미국 주식시장은 높아진 금리 부담에 혼조세 지속 됐으나, 기업 실적에 따른 등락에 더 집중하는 모습
:10년물 국채금리 4.22%, 달러인덱스 104 돌파하며 고금리, 강달러 환경 지속. 트럼프 당선 베팅 62.6%
:GM(+9.8%), 호실적에 상승. 엔비디아 제외 빅테크 실적 발표 다음주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실적에 집중

- KOSPI는 오늘도 고금리, 강달러로 인한 불안감 지속되나, 전일 낙폭 과대 인식에 따른 저가매수 유입
:수급)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전환. 매수 규모는 미미하나 반도체 순매도 규모 대폭 축소, 상방압력 작용
:수급 불안 완화되며 지수 반등했으나 미 대선, 빅테크 실적 등 주요 일정 앞두고 큰 자금유입 부재
:금융)JB금융지주 장중 52주 신고가. 금융 모멘텀(밸류업 ETF, 주주환원 확대, 호실적)은 지속
:밸류업)LG전자, 밸류업 공시 발표에 장중 3% 이상 상승. 실적, 주주환원 확대 발표는 지속 주목할 지표
:한국전력, 산업용 전기료 평균 9.7% 인상. 적자 해소로 인한 수익성 개선에 장중 7%이상 상승폭 확대
:금리 영향) 개별 모멘텀 존재에도 바이오 약세. 인터넷, 게임 등 금리 인하 수혜 성장주 동반 약세
:고금리, 강달러 환경 단기 해소 어렵다는 전망에 지수 하방압력 가중. 아시아 증시 동반 약세 지속
:실적, 주주환원 확대 등에 따른 종목, 업종별 차별화는 지속되는 양상. 실적발표 일정(2P참고) 확인 필요

KOSDAQ은 0.8% 하락한 732p. 고금리에 성장주 약세 지속. 개별 이슈에 따른 종목 장세 시현
- 외국인 2거래일 연속 순매도. 매도세는 제약∙바이오에 집중되며 쉬어가는 흐름 지속. 테마별로는 차별화
:줄기세포(네이처셀, 미 FDA로부터 첨단재생의료치료제 지정), 치매(아이큐어, 셀트리온과 공급계약) 강세
:드론(국산 자폭 드론, 연내 실전 배치 소식), 우크라이나재건(SG, 실적 회복, 해외 진출 모멘텀 부각) 강세

원/달러 환율은 ECB 정책위원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달러 상대 강세 지속. 4.5원 상승한 1,384.1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0.8%, 홍콩(항셍) +0.1%, 중국(상해) +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843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1일 10시 5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Oct, 22:52


『ESG Navigator(24-10); ESG 팩터 및 ETF 점검』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 02-3772-1583

Part 1. ESG 이슈; ESG 팩터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이정빈]
- ESG 팩터에 주목하는 이유
- ESG 팩터 관련 코멘트
- MSCI ESG 팩터 포트폴리오

Part 2. 글로벌 ESG; 성과를 위한 ESG ETF: 밸류업 및 원자력 점검 [박우열]
- 밸류업 ETF 점검: 11월 4일 자본시장 콘퍼런스 맞춰 데뷔 예정
- 성과를 위한 ESG ETF: 주요 ESG ETF 성과 및 수급 점검
- 대체 에너지 ETF 점검: 빅테크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원전

Part 3. ESG 채권; 10월 발행시장 점검 [정혜진]
- ESG 채권 발행시장 동향
- ESG 채권 발행 추이

Part 4. 산업 이슈; 미디어: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선한 영향력 [지인해]
- 선한 영향력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문화를 선도

※ 원문 확인: https://me2.kr/XIkXl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3일 07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Oct, 07:5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2일
『2주 남기고 고개 든 대선 불확실성』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570.70 (-1.31%), 코스닥 738.34 (-2.84%)

Trump Trade, Again

KOSPI, KOSDAQ은 각각 1.3%, 2.8% 하락했습니다. 복수 여론조사에서 Trump 선전에 간밤 Trump Trade 나타났고 장기 국채수익률 4.2% 터치하기도 하면서 시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S&P500의 경우 빅테크 강세에 지수는 올랐지만 419개 종목 하락하는 등 약세였습니다. 외국인 양 시장 현선물 순매수가 하루 만에 순매도로 돌아섰고 기관도 양 시장 순매도하며 하방 압력 확대됐습니다. 양 시장 2,044개 종목 하락해 전방위적 약세 보인 가운데 KOSPI 시총 상위 10개 가운데서 금융지주(KB금융 +0.6% 등)만 올랐고, KOSDAQ 상위 20개 가운데 파마리서치(+1.8%)만 올랐습니다. 상대적으로 금리에 취약한 헬스케어·2차전지가 시총 상위에 포진한 KOSDAQ 낙폭이 더 컸습니다.

통신·유틸리티·보험 등 방어적 업종 강세

통신(+2.0%)·전기가스업(+1.9%)·보험(+1.5%) 등 대표적 방어 업종들이 강세였습니다. 한편 시장금리 반등하면서 그간 상승을 이끌었던 헬스케어 조정 나왔습니다(삼성바이오로직스 -2.9%, 알테오젠 -3.5% 등). 여기에 화학(-2.3%)·철강금속(-2.0%) 등 경기 민감 업종도 크게 내렸습니다.
#특징업종: 1)원전: 미국 빅테크 SMR 투자+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SMR 4기 포함(지투파워 +21.4%, 일진파워 +10.1% 등) 2)엔터: BLACKPINK 로제-Bruno Mars 신곡 호실적(YG PLUS +29.9%, 와이지엔터테인먼트 +6.2%) 3)Harris 관련주: 친환경(한화솔루션 -4.0% 신저가, 씨에스윈드 -5.1%)·대마(오성첨단소재 -4.1%, 우리바이오 -4.6%)

재차 불거진 미국 대선 불확실성

미국 대선 2주 가량 앞둔 상황에서 대선 불확실성이 재차 부각됐습니다. 국내에서도 금융주·방산주 강세였습니다. 방산은 러-우 전쟁에 북한 참여 소식도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고, 정부의 對우크라 무기·군수 지원 검토 소식이 더해지며 관련주 강세였습니다(파이버프로 +24.1%, LIG넥스원 +4.1% 신고가 등). 한편 가상자산 관련주(우리기술투자 -2.6%, 한화투자증권 -4.3% 등)는 Bitcoin 7만 달러 저항에 조정 보이자 약세였습니다.
#주요일정: 1)美 10월 리치몬드연은 제조업지수(23:00) 2)韓 10월 소비자신뢰지수(23일 06:00) 3)삼성바이오로직스·LG디스플레이·HD현대건설기계·JB금융지주·LS ELECTRIC 등 실적 발표(23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818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2일 16시 4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2 Oct, 02:01


마켓레이더(10월 22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원/달러 1,380원과 10년물 금리 4.2% by 트럼프』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6% 하락한 2,590p. 강달러, 고금리 환경이 지수 하방압력으로 작용. 방어주, 실적주 상승
- 주식시장은 트럼프 당선 확률 높아지며 상승한 금리가 지수 하방압력으로 작용. 엔비디아는 상승
:트럼프 당선확률 상승. 법인세 인하 등 정책으로 인한 재정적자 확대 우려에 10년물 국채금리 4.2% 육박
:대부분의 업종 하락하며 지수 하락했으나, 엔비디아(+4.1%), 외사(BoA) 목표가 상향에 신고가 경신

KOSPI는 트럼프가 야기한 금리 부담에 위험자산 선호 축소. 외국인 순매도 재차 증가하며 수급 악화
:수급)외국인 현선물 동반 순매도. 현물 1,800억원 선물 6,500계약 이상 대량 순매도. 대형/전기전자 위주
:환율)상승한 달러 인덱스 여파 원/달러 환율 장중 1,380원 돌파. 외국인 매도세도 환율 상방압력 요인
:수급 불안에 대부분의 업종 하락하는 가운데 금융, 유틸리티, 통신 등 주주환원 여력 있는 방어주 강세
:금융)한국금융지주 또다시 신고가 경신. 박스권 장세에서 모멘텀(밸류업 ETF, 주주환원 확대, 호실적)존재
:금리 영향 개별 모멘텀 존재(삼바 수주)에도 바이오 약세. 인터넷 등 금리 인하 수혜 성장주 동반 약세
:트럼프 트레이딩 영향에 신재생, 2차전지 등 해리스 트레이딩 업종 약세. 한화솔루션 다시 52주 신저가
:상승한 금리, 트럼프 우려에 아시아 증시 동반 약세. 적어도 오늘은 홀로 소외된 것은 아닌 KOSPI
:금투세 유예에 대한 민주당 당론 결정 지속 연기(불확실성)도 불안 요인. 고객예탁금, 거래대금 반등 無
:달러 강세 전환은 수출주 우호적 환경 재개 가능성 키워. 수급 불안 완화시 상승 가능성 주목해볼 필요
:실적)엔비디아가 보여 주듯 실적(+호재) 모멘텀은 지속. 금일 방산, SMR 관련주는 외국인 수급 유입에 ↑
:대선 이전 한국 실적, 미국 빅테크 실적 본격화. 실적에 따른 종목 및 업종별 차별화 양상 지속될 전망

KOSDAQ은 2% 하락한 745p. 금리 부담, 미국 대선 불확실성에 하락. 외국인, 기관 매도에 대형주 약세
- 금리 반등하며 성장주 일제히 약세.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 리가켐바이오(+2.4%) 제외 전종목 하락
:클래시스(-6.3%) 금일 이루다 합병에 따라 발행되는 150만주 추가상장. 매각설엔 사실무근 해명
:화장품(클리오, 미국과 일본 시장 매출 부진 전망에 목표주가 하향), 엔터(로제 신곡 흥행) 등 테마 강세

원/달러 환율은 미국 대선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승리 가능성에 강달러 유지. 1원 상승한 1,379.8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1.3%, 대만(가권) -0.6%, 홍콩(항셍) +0.4%,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806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2일 10시 5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Oct, 22:33


『글로벌 주식전략; 턴어라운드 모드 ON: 적자 성장주에서 투자기회 찾기』 
글로벌전략 오한비/김성환 02-3772-1525

- 이유 있는 적자 성장주들의 동시다발적 강세: 턴어라운드 기대감
- 턴어라운드 성장주에서 투자기회 찾기: 개별 종목이 ETF보다 유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800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2일 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Oct, 07:56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21일
『외인·기관 쌍끌이에 2,600p 회복』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604.92 (+0.43%), 코스닥 759.95 (+0.89%)

반도체 혼조세 가운데 2,600p 고지전

KOSPI, KOSDAQ은 각각 0.4%, 0.9% 상승했습니다. 크진 않지만 오랜만에 양 시장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유입되며 대형주 강세였습니다. 지난 금요일 Dow는 사흘 연속 신고가 경신했고, S&P500은 나흘 만에 재차 역사적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Apple(+1.2%, iPhone16 中 판매 호조) 및 Netflix(+11.1%,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 등 기술주도 역사적 신고가 보인 점도 위험자산 선호심리 개선시켰습니다. 중국은 LPR 금리 인하했지만 지난 금요일 이미 반영되면서 오늘 보합권이었습니다(Shanghai +0.2%). 삼성전자(-0.3%)는 외국인 매도세 그치지 않는 가운데 신저가 지속 경신했고, HBM주는 차별화 나타나면서 강한 반등은 제약됐습니다(SK하이닉스 +1.9%, 한미반도체 -2.6%).

KOSDAQ 제약바이오 대형주 강세 부각

오늘 양 시장 대형주 강세인 가운데, KOSDAQ 대형주 강세(+1.4%)가 압도적이었습니다. 2차전지(에코프로비엠 +1.1%, 에코프로 +0.4%)도 강세였지만, 알테오젠(+2.9%)·리가켐바이오(+5.5%)·보로노이(+3.0%) 등 헬스케어 종목이 다수 신고가 보이며 지수 견인했습니다.
#특징업종: 1)iPhone 관련주: iPhone16 시리즈 중국 판매량 호조 소식(LG이노텍 +2.8%, 비에이치 +3.6%) 2)엔터: 로제-Bruno Mars 신곡 기대감(YG PLUS +29.9%,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5%) 3)고려아연: 법원, 고려아연(+6.4%) 자사주 취득 금지 2차 가처분 기각(영풍 -2.8%)

사업구조 개편, 구조조정 등 기업 이슈

두산그룹이 사업구조 개편을 재추진합니다. 지난 8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두산밥캣(+1.3%)을 두산로보틱스(+9.8%)와 합병하려던 것에서 두산밥캣 지분을 보유한 신설법인을 인적 분할 후 이를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방안으로 재추진합니다. 방식은 기존에 알려졌지만 오늘 이사회 에서 합병 비율 재산정 안건 의결했습니다(로보틱스:신설법인=1:0.043). 한편 기업 인사 시즌 돌입과 더불어 삼성·SK 등에서 구조조정 논의가 나오는 가운데 엔씨소프트(+3.8%)는 구조조정 방안 발표에 강세였습니다.
#주요일정: 1)韓 9월 PPI(10/22 06:00) 2)현대건설 등 실적 발표(8/2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792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1일 16시 5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1 Oct, 02:12


마켓레이더(10월 2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순환매 속 수많은 이슈들에 따른 차별화』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8% 상승한 2,614p. 순환매 지속 되는 가운데 종목 이슈에 따른 순환매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특별한 이슈 부재한 가운데 호실적 종목별 종목장세. S&P500은 또다시 신고가 경신
:이번주 본격화 되는 빅테크 실적 발표, 11월 5일 미국 대선 앞두고 특별한 지수 등락 요인 부재
:넷플릭스(+11.1%) 호실적 및 가이던스 상향. 콘텐츠 다양화로 인한 광고 매출 성장. 애플, 중국 매출 호조

- KOSPI는 외국인 매도액 축소되며 상승 중이나 개별 종목의 호재/악재에 따른 차별화 심화
:수급)외국인 현물 매도 대폭 축소. 선물 3,200계약 이상 순매수. 삼성전자는 역사상 최장기간 순매도 지속
:대왕고래)넥스틸(급등), 특수 강관 공급 소식. 철강주 강세. 세계 1위 시추기업(슐럼버거)참여. 모멘텀 지속
:경영권 분쟁) 법원, '고려아연 자사주 취득금지' 가처분 기각 소식에 고려아연, 장중 하락→급반등(신고가)
:지배구조 개편) 두산, 내일 이사회 열고 사업구조 개편 추진.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편입
:애플)애플, 아이폰 16 중국 판매 아이폰 15 대비 20% 증가에 신고가. LG이노텍, 비에이치 등 관련주 상승
:방산)LIG넥스원, 실적 기대감에 신고가. 풍산, 북한 러시아 파병에 따른 국내 무기 지원 공급 증가 기대감
:밸류업)메리츠금융지주 또다시 신고가 경신. 박스권 장세에서 모멘텀(밸류업 ETF, 주주환원 확대) 지속
:순환매 이뤄지는 가운데 개별 이슈에 따른 종목 등락 부각. 외국인 삼성전자 순매도 지속되며 전자는 오늘도 반등하지 못하는 흐름. 금주 한국 실적, 미국 빅테크 실적 본격화된다는 점에서 실적에 따른 종목 및 업종별 차별화 양상 지속될 전망

KOSDAQ은 0.7% 상승한 758p. 매크로 이벤트 부재한 가운데 업종∙테마 간 순환매 장세 시현
- 제약∙바이오 쉬어 가는 가운데 엔터&미디어, 화장품 등 비주도 업종 강세 보이며 순환매 장세 지속
:소외주였던 엔터&미디어, 넷플릭스 사상 최고치 기록, 로제 신곡 흥행 영향에 투자심리 개선 되며 강세
:원전(정부, SMR 4개 건설 연말 발표 예정), 대왕고래(세계 1위 시추 기업 대왕고래 프로젝트 참여) 강세

원/달러 환율은 가파른 상승세에 따른 숨 고르기 양상, 1300원 후반대 유지. 2.4원 하락한 1,366.9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1%, 대만(가권) +0.7%, 홍콩(항셍) -0.4%, 중국(상해) +0.4%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780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1일 11시 1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Oct, 22:44


『중국 경제지표; 예상보다 양호한 지표에도 멀어진 ‘5%’ 성장 목표』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2024년 3Q GDP 컨센서스 상회. 9월 생산, 소비, 투자 공히 반등
- [생산] 5개월 만에 증가세 확대. [수출] 3대 수출처 증가세 둔화
- [소비] 이구환신 정책 효과 확인. [투자] 인프라, 제조업 중심 강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769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1일 7시 4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20 Oct, 22:41


『패시브전략; MSCI 11월 정기변경, 3번, 4번 타자 대기 중』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MSCI Korea 1개 종목 편입, 2개 종목 편출 예상
- 외국인의 한국 주식시장 소외 지속. 패시브 자금 유출은 제한적
- 11월 예상 편출입 종목군, 편입 후보군 모두 관심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768
위 내용은 2024년 10월 21일 7시 3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Oct, 08:05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18일
『반도체 뉴스에 울고 웃는 KOSPI』
시황 강진혁 02-3772-2329

하루 만에 끝난 TSMC 호실적 영향

KOSPI, KOSDAQ은 각각 0.6%, 1.6% 하락했습니다. TSMC 실적 발표를 반영하며 간밤 반도체(SOX +1.0%) 중심 강세였지만, 미국의 강한 경기지표(소매판매 +0.4% MoM,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4.1만명)가 상승폭 일부 되돌렸습니다. TSMC 호실적은 어제 장중에 반영됐던 만큼 한국의 반도체 대형주 오늘 약세였습니다(삼성전자 -0.8%, SK하이닉스 -4.4%). 전날 호실적을 발표한 한미반도체(-10.4%)도 최근 20일 평균 거래량의 3배가 실린 장대 음봉과 함께 급락했습니다. 세 종목이 KOSPI를 13.3p 끌어내리며 KOSPI 재차 2,600p 이탈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미국 Texas주 반도체 공장용 ASML 장비 수령 연기 소식(Reuters)도 나왔습니다. 다음 주 SK하이닉스 실적 발표(10/24)에서 투심을 돌릴지 지켜봐야겠습니다.

52주 신저가 종목 다수 출현

금일 헬스케어(알테오젠 +0.7%, 보로노이 +2.0%)·증권(메리츠금융지주 +2.2%, 한국금융지주 +0.7%)·통신(KT +0.2%) 종목들이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한편 52주 신저가 종목도 다수 발생했습니다. 종가 기준 11개 52주 신고가 보인 반면 88개가 신저가였습니다(한화솔루션 -1.2%, 솔브레인 -1.2%, 카카오게임즈 -1.6%, 에스에프에이 -3.0% 등).
#특징업종: 1)미디어: Netflix(시간외 +5.1%) 가입자 수 급증 소식(삼화네트웍스 +2.0%, 덱스터 +2.2% 등) 2)진단키트: WHO, 엠폭스 팬데믹 경고(미코바이오메드 +20.6%, 랩지노믹스 +9.7% 등) 3)경영권 분쟁: 고려아연(+3.8%) 자사주 공개매수 절차 중지 가처분 심문 개시

재차 반등 준비하는 중국

오늘 발표된 중국 실물지표는 예상보다 괜찮았습니다(3Q GDP +4.6%, 고정자산투자 +3.4%, 소매판매 +3.2%, 산업생산 +5.4%, 실업률 5.1%). 부양책 기대감에 있어 ‘Bad is Good’이 작용한다는 점에서는 다소 밋밋한 결과였습니다. 다만 오후 인민은행 총재 발언에 증시가 강세 보였습니다(Shanghai +2.9%, HSCEI +3.8%). 연내 지준율 25~50bp 추가 인하 검토 및 내주 LPR 20~25bp 인하 예상 등 완화적 발언 나온 영향입니다. 10월 말 전인대 상무위에서 추경 규모 공개되는 등 모멘텀 이어질 예정입니다.
#주요일정: 1)美 9월 건축허가·주택착공(21:30) 2)美 P&G·American Express 등 실적 발표 3)中 LPR 금리(21일 10:15)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755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8일 16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Oct, 07:10


『3Q24 실적 발표 일정』
퀀트 이정빈 / 이민재
☎️ 02-3772-2919

3분기 국내기업 실적 발표 일정 내역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캘린더 확인: https://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747

현재 실적 발표 일정은 블룸버그 예정 일정이 많이 포함된 상태로 다소 부정확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8 Oct, 02:18


마켓레이더(10월 18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본격적인 실적 발표 시작!』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3% 하락한 2,602p. 반도체 전일 상승분 반납. 밸류업 등 일부 업종 상승하며 순환매 지속
-미국 주식시장은 TSMC 호실적이 주도한 상승에도 시장금리 상승이 위험자산 선호심리 제한하며 전강후약 
:실적에 따른 업종 및 종목별 순환매 지속. TSMC 예상치 상회한 호실적 및 가이던스 발표, 반도체 강세
:9월 미국 소매판매 전월 대비 +0.4%로 예상치 상회. 신규 실업수당 청구 24.1만건으로 예상치 하회&하락 
:견조한 소비 지속 &고용 우려 감소=인플레 우려. 10년물 국채금리 4.1% 육박. 지수 상승 제한하는 흐름  

- KOSPI는 외국인 3거래일 연속 현선물 순매도 영향에 약보합 등락. TSMC 호실적은 전일 반영했다는 듯 
:수급)외국인 반도체, 대형주 위주 현선물 동반 순매도. 삼성전자 28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며 기록 경신 
:환율)전일 ECB 금리 인하 단행. 달러인덱스 103p 돌파. 원/달러 원/엔 환율 각 1,370원, 150엔까지 상승
:수출)주요국 금리 인하 지속되며 달러 강세 당분간 꺾이기 어려울 전망. 하지만 수출주 마진 개선 모멘텀
:반도체)전일 선반영 전자, 닉스 차익실현. 한미반도체, HBM 설계 변경 따른 매출 ↓ 우려 제기되며 하락 
:밸류업)금융, 통신↑. 수급 공백 박스권 장세에서 모멘텀(밸류업 ETF 출시, 주주환원 확대) 지속되는 업종 
:전일 넷플릭스 실적 호조에 국내 관련주 상승. 다음주 한미 기업실적 발표 본격화. 11월 초 미국 대선 이전 실적에 따른 차별화 가능. 이익변화율 최근에도 우호적인 업종, 호실적 발표하는 업종 및 종목에 주목 필요
 
KOSDAQ은 1.2% 하락한 755p. 미디어/콘텐츠, 제약/바이오 등 특정 업종 제외한 대부분 업종 하락 
-시총 상위인 제약∙바이오 반등과 넷플릭스 호실적에 따른 미디어 업종 상승에도, 반도체 소부장 약세  
:알테오젠, SC(피하주사) 제형 변경 수요 기대감 지속되며 할로자임 시총 추월. 금리 인하 수혜 업고 강세 
:넷플릭스 3분기 호실적 발표. 흑백요리사 흥행 이어 오징어게임2 등 국내 콘텐츠 공개 기대감에 강세
 
원/달러 환율은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미국 9월 소매판매 영향에 달러 강세 지속되며 상승. 1,371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3%, 대만(가권) +2.6%, 홍콩(항셍) +0.9%, 중국(상해) +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739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8일 11시 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Oct, 22:35


『[국내주식전략]신한 M.R.I: 新K-ISA가 가져올 수급 환경 개선』 
시황 강진혁 02-3772-2329 /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주간 Review: 미국 신고가 랠리와 2,600p 턱걸이 한국
-차주 Preview: 아직은 괜찮을 3분기 실적 시즌
-Market Insight: 新K-ISA가 가져올 수급 환경 개선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719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8일 0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Oct, 08:01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17일
『TSMC 호실적에 안도한 KOSPI』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609.30 (-0.04%), 코스닥 765.06 (-0.10%)

반도체 강세 상쇄한 자동차·헬스케어

금일 KOSPI, KOSDAQ 각각 0.0%, 0.1% 하락했습니다. 간밤 Dow 재차 신고가 랠리 이어갔고, 중소형주 Russell2000도 3년래 최고치였습니다. 전날 ASML이 야기한 투심 악화에도 AI 업황에는 긍정적인 코멘트였고, 과거 Nvidia를 전량 매도한 Druckenmiller의 AI·Nvidia에 대한 낙관적 관점이 AI 관련주 강세 이끌었습니다. 장중 실적 발표한 TSMC는 3분기 호실적 및 4분기 가이던스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반도체 종목들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삼성전자 +0.3%, SK하이닉스 +3.9%). 한미반도체(+7.0%), TC본더 수혜에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폭 확대했습니다. 다만 외국인은 오늘도 전기전자를 중심으로 KOSPI 순매도했고, 반도체 반등에도 불구하고 자동차·헬스케어 대형주 약세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KOSPI 방어의 선봉, 산업재

오늘 방산(한화에어로 +2.8%, 현대로템 +4.7%), 조선(HD한국조선해양 +2.2%, HD현대미포 +7.1% 등) 등 산업재가 KOSPI 지수기여 상위에 다수 포진했습니다. 오늘 NATO 국방장관회의에 한국 등 인·태 4개국이 처음으로 참여하며 방산 협력 기대감 유입됐고, 조선도 최근 HD한국조선해양이 오세아니아 선사와 VLAC 2척 계약을 체결하는 등 수주·실적 기대감이 재차 부각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징업종: 1)비만치료제: 비만치료제 품절 사태(펩트론 +3.2%, 제넥신 +14.4% 등) 2)초전도체: 연세대 연구진, 전자결정 발견(모비스 +23.6%, 서남 +5.2% 등) 3)티웨이 관련주: 티웨이항공(-4.7%)·예림당(-7.7%) 등

빅테크發 원전·전력설비 관심 재부각

지난달 Microsoft의 스리마일섬 원전 재가동 투자에 이어서 Alphabet이 이번주 SMR 기업과의 전력 공급 계약 체결했고 간밤 Amazon도 SMR 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AI 데이터센터 가동을 위한 전력 확보로 원전 주목받으며 SMR 관련주(NuScale Power +40.0% 등) 급등했고, 국내도 두산에너빌리티(+8.7%)·우리기술(+3.7%) 등 강세였습니다. 전력설비에 대한 관심도 재차 부각됐습니다(일진전기 +16.3%, 서전기전 +15.5%).
#주요일정: 1)ECB 10월 통화정책회의(21:15) 2)美 9월 소매판매(21:30) 3)美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1:30) 4)美 9월 산업생산(22:15) 5)Netflix 등 실적 발표 6)中 9월 광공업생산·소매판매, 3Q GDP(10/18 11:00)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709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7일 16시 5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7 Oct, 02:08


마켓레이더(10월 17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TSMC 실적 대기중입니다』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1% 하락한 2,608p. 반도체 영향 상승 동력 부재한 가운데 박스권 등락 및 순환매 지속
- 미국 주식시장은 ASML 실발 이후 연속 하락에도 엔비디아 반등 성공. 금융주 호실적 및 중소형주 강세
:스탠리 드라켄밀러, “엔비디아 매도 한 것을 후회한다” 발언. ASML, 컨콜에서 AI 수요는 견조하다 언급
:AI 투심+성장은 여전히 견조. 기대감 속 엔비디아(+3.1%) 반등. 모건스탠리(+6.5%)(IB 영향) 호실적 발표

- KOSPI는 장중 발표될 TSMC 실적 대기 중이나, 오전 반도체 순매도는 지속. 박스권+업종별 순환매 지속
:수급)외국인 반도체, 대형주 위주 현물 순매도. 선물은 순매수 전환. 삼성전자 27거래일 연속 순매도(기록)
:SMR)구글, AI용 전력 확보 위한 SMR 구매 계약 체결 소식. 두산에너빌리티 등 관련주 상승폭 확대
:SMR)아마존도 5억 달러 투자해 AI 전력 수요 감당키 위한 SMR 개발 시작. 장기 성장 및 고수요 산업
:수출)경동나비엔 최근 신고가 지속 경신. 북미 시장 꾸준한 매출 성장세. 수출 호조 및 신제품 출시 기대감
:미대선)폴리마켓 기준 당선확률 트럼프 58.3%Vs.해리스 41%. 신재생 동반 약세. 한화솔루션 52주 신저가
:외국인 반도체 순매도에도 한미반도체, 3분기 호실적 발표하며 강세. 실적발표 후 종목/업종별 차별화 양상
:장중 TSMC 실적, 금일 미국 주요 동행지표(2P 참고) 등에 따라 반도체 업종, 금리 등 영향 받을 전망
:10월 말까지 빅테크 실적 예정이며 다음주부터 한국 기업 실적발표 본격화. 박스권에 갇힌 KOSPI 지만 실적에 따른 차별화 가능. 이익변화율 최근에도 우호적인 업종, 호실적 발표하는 업종 및 종목에 주목 필요

KOSDAQ은 0.1% 하락한 765p. 4거래일 연속 외국인과 기관 순매도 이어지며 하락. 시총 상위주 약세
- 시총 상위인 제약∙바이오, 2차전지 업종은 주가 상승 재료 부재에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부진한 모습
:구글, MS, 아마존 등 빅테크의 원전 투자에 전력기기, 전선, 원자력발전 등 전력인프라 관련주 동반 강세
:엔터(저가매수, 4분기 턴어라운드 기대), 초전도체(국내 연구팀 전자결정 발견. 초전도체 단초 기대) 강세

원/달러 환율은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미국 9월 소매판매 대기심리에 보합. 전일과 같은 1,364.5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5%, 대만(가권) +0%, 홍콩(항셍) +0.9%, 중국(상해) +0.6%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697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7일 11시 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6 Oct, 23:12


『중국 주식전략; 미리 보는 10월 전인대 상무위원회 회의』 
신흥국전략 신승웅 02-3772-3175

- 4분기 주식시장을 결정할 핵심 변수는 전인대 상무위의 추경 규모  
- 재정확대-물가상승-ROE 반등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연결고리 기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691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7일 8시 1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6 Oct, 08:0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10월 16일
『하루 먼저 맞은 매』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610.36 (-0.88%), 코스닥 765.79 (-1.04%)

ASML 실적 유출에 가이던스 쇼크

금일 KOSPI, KOSDAQ은 각각 0.9, 1.0% 하락했습니다. 오늘 공개 예정이던 ASML의 실적이 하루 일찍 유출됐고, Biden 정부가 미국 기업들의 AI 반도체의 국가별 수출 상한선 검토 소식도 악재로 작용했습니다(SOX -5.3%). ASML(-16.3%)은 AI를 제외한 반도체 부문 고전을 언급하며 내년 매출 전망치를 예상보다 크게 낮췄고, 오늘 Nikkei225(-1.8%)·TAIEX(-1.2%) 등 반도체 밸류체인 국가들 전반적 약세였습니다. 국내도 삼성전자(-2.5%)·SK하이닉스(-2.2%) 등 대형 반도체주가 지수 하락을 견인했고, 헬스케어(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2.3%) 차익실현 매도에 KOSPI 약세였습니다. KOSDAQ은 시총 상위 20종목 가운데 펩트론(+24.7%)만 시총 2조원을 돌파하며 강세였고 나머지는 하락했습니다.

순항하는 방산주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진정되고 있음에도 국내 방산주 강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날 북한이 경의선·동해선 도로를 폭파해 육로가 완전히 단절됐는데, 해당 이벤트가 방산주 투심을 지지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2.3%), 최근 대규모 설비투자 계획 발표 후 신고가 랠리 보이고 있고 현대로템(+1.1%)도 연초부터 상승세 이어나가며 신고가 경신중입니다.
#특징업종: 1)석유·정유: 이스라엘, 이란 핵·석유 시설 공격 배제 방침 美 전달에 WTI -4.4% 하락(흥구석유 -4.8%, 중앙에너비스 -2.4%) 2)진단키트: WHO, 팬데믹 경고에 진단키트 강세(랩지노믹스 +17.2%, 수젠텍 +1.9%) 3)비만치료제: 펩트론 +24.7%, 대봉엘에스 +3.0% 등

반도체 중심 외국인 수급 이탈

외국인 오늘 KOSPI 현선물을 모두 순매도했고, 반도체·자동차·헬스케어 대형주 중심으로 순매도 상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통신(KT +4.2%, LG유플러스 +1.5%)·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1.8%)·자동차 부품주(현대모비스 +7.8%, 현대글로비스 +7.5%) 등 순매수했습니다. 상반기 KOSPI 23.7조원 순매수했던 외국인은 하반기 10.3조원을 순매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9월 이후 본격화 중인데(9월 -7.9조원, 10월 -1.3조원) 지수 방어를 위해 전기전자 중심 외국인 수급 이탈의 진정이 먼저 확인될 필요가 있고, 단기로 TSMC 실적(10/17)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주요일정: 1)美 Morgan Stanley·Lam Research 등 실적 발표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9676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6일 16시 5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6 Oct, 02:09


마켓레이더(10월 1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ASML 실적에 또다시 비틀대는 K-반도체』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KOSPI는 0.9% 하락한 2,610p. 미국 ASML 실적 실망매물 출회, 한국 반도체도 직격. 방어주만 강세
미국 주식시장은 전일 신고가 경신 이후 반도체 업종 위주 실망매물 출회되며 하락 마감
:반도체 악재 1) 미국 정부, 중국에 이어 중동에도 AI칩 수출 제한(수출 허가 건수 상한선) 시사
:반도체 악재 2) ASML(-16.3%), 신규 수주 및 가이던스 부진. 엔비디아(-4.7%) 포함 업종 약세

KOSPI는 ASML 실적 영향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 미 대선, 호실적, 달러 강세 등 수혜 업종 위주 순환매
:수급)외국인 반도체, 대형주 위주 매도폭 재차 확대. 외국인 오전 현물 4천억 선물 3천계약 이상 순매도
:미대선)폴리마켓 기준 당선확률 트럼프 57.6%Vs.해리스 42%. 신재생 동반 약세 한화솔루션 52주 신저가
:조선)원화 강세 인한 마진 감소 우려로 수익률 주춤했으나 여전히 수주 지속중인 조선, 호실적 기대감
:방산)조선과 같은(호실적+달러강세) 모멘텀. 대북 갈등, 트럼프도 상승 요소. 한화에어로, 현대로템 신고가
:에너지)중동 불안 완화(이스라엘의 이란 보복 대상에서 원유 시설 배제)에 국제유가 하락하며 약세
:2차전지)로보택시 실망감 영향 약세였으나, 테슬라의 독일 공장 승인, 9월 세계 전기차 판매량 호조에 반등
:바이오) SK바이오팜 오늘도 52주 신고가 경신. 금리 인하+ 반도체 약세 시기 바이오 주도 흐름 지속
:SMR)구글, AI용 전력 확보 위한 SMR 구매 계약 체결 소식. 두산에너빌리티 등 관련주 상승폭 확대
:박스권 등락 속 외국인 자금 이탈 최근 감소했으나, 반도체 실적 악화로 대형주 위주 자금 이탈 다시 진행

KOSDAQ은 0.7% 하락한 769p. 외국인, 기관 순매도 이어지며 하락. 시총 상위주 중심 약세
- ASML 실적 쇼크에 투자 심리 약화되며 반도체 소부장, 전선 등 AI 밸류체인 동반 약세. 지수 하락 견인
:실적 기대에 약세장에서도 의료기기주 강세. 비만약 품귀 조짐에 펩트론 등 비만약 관련주도 연일 상승
:진단키트(WHO, 코로나19 이후 또 다른 팬데믹 경고), 육계(예년보다 빠른 조류인플루엔자 검출) 강세

원/달러 환율은 기술주 약세에 위험회피 확산되며 1,300원 중후반대 유지. 0.8원 하락한 1,365.5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1.7%, 대만(가권) -1.3%, 홍콩(항셍) -0.5%,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671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6일 11시 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Oct, 23:48


『퀀트분석; 신한 Earnings Guide: 서프라이즈 포트폴리오 업데이트(3Q24)』
퀀트 이정빈 / 이민재  02-3772-2919

- KOSPI 실적 둔화 국면에 진입하며 추가 상승 모멘텀 부재한 상황
- 펀더멘털 기반 어닝 서프라이즈 포트폴리오는 초과 성과 기록 중
- 포트폴리오 구성 섹터 중 산업재와 금융 비중 높음
 
※ 원문 확인: https://me2.kr/8VUWx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6일 07시 3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전략/시황/퀀트

15 Oct, 22:44


『패시브전략; KRX 12월 정기변경, 거래대금 가뭄에서 알파 찾기』
파생상품 조민규 02-3772-2633

- 특례편입 관련 방법론 개정, 케이뱅크 지수 편입 점검
- KOSPI200 4개 종목, KOSDAQ150 9개 종목 편입 예상
- 패시브 자금과 거래대금 간 괴리로 인덱스 전략 유효 전망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9646
위 내용은 2024년 10월 16일 7시 3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