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리서치 @fsresearch Channel on Telegram

FS리서치

@fsresearch


FS리서치 (Korean)

FS리서치 채널은 금융 및 경제 분야에서 최신 정보와 분석을 제공하는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FS'는 금융(Finance)와 전략(Strategy)을 의미하며, '리서치'는 연구와 분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FS리서치는 금융 및 경제 관련 토픽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정보 제공 플랫폼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은 금융 시장의 동향, 주요 이슈, 투자 전략, 및 경제 예측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전문적인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FS리서치는 경제적인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금융 분야에서 업무를 하는 전문가들에게도 유용한 채널이며, 금융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 드립니다. FS리서치 채널을 팔로우하여 최신 금융 동향에 대한 정보를 놓치지 마세요!

FS리서치

15 Feb, 11:19


이상으로 25년 1월 수출데이터 확정치 업로드를 마치겠습니다.

FS리서치

15 Feb, 11:18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우양
★지역 : 충남 서천 + 서울 강남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7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경동나비엔
★지역 : 경기 평택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5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베트남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5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중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5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미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5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일본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2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삼양식품
★지역 : 네덜란드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2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삼양식품
★지역 : 미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0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삼양식품
★지역 : 강원 원주+ 경남 밀양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10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농심
★지역 : 경기 안양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9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백산
★지역 : 경기 시흥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8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에스엠, JYP, 하이브, 와이지엔터
★지역 : 전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7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한국항공우주
★지역 : 경남 사천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6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태웅
★지역 : 부산 강서구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6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태웅
★지역 : 부산 강서구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2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에스엘
★지역 : 전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1:01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현대차, 기아
★지역 : 유럽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0:54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현대차, 기아
★지역 : 미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Feb, 10:52


2025년 01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효성티앤씨
★지역 : 전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2 Feb, 02:16


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293

FS리서치

11 Feb, 23:18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1396

FS리서치

11 Feb, 23:04


[키움 혁신성장리서치/스몰캡 오현진]

▶️ 디케이티(290550)
: 온디바이스 AI 수혜주

◎ 온디바이스 AI 수혜 본격화 전망
- 주요 제품은 스마트폰 및 전장 모듈 FPCA. OLED 패널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용 FPCA가 매출 비중 50% 이상
- 배터리 동작 보호 회로 장치 PCM과 차량용 무선 충전기 등이 그 외 차지
- 갤럭시S25 모델 역대급 판매량 예상. 동사는 국내 주요 고객사 플래그십 모델 내 선도적인 입지 유지 중
- AI 기술 탑재 스마트폰은 실장 부품 증가 및 난이도 상승으로 제품 ASP 상승 효과도 기대

- 온디바이스 AI 제품은 전력 효율화 위해 높은 배터리 기술 요구. 동사가 개발한 S-PCM 제품은 배터리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발열에 강점
- 올해 플래그십 모델향 탑재 전망. 향후 적용 모델 확대 계획

◎ 신규 사업 기대되는 25년, 주가는 저평가 국면
- 스마트폰 외 IT OLED향으로 제품군 확대 추진 중. 2H25 매출 발생 기대
- 국내 배터리 셀 고객사향으로 ESS BMS 모듈 납품 중. 올해 관련 매출 확대 전망
- 2025년 매출액 4,949억원(YoY +23%), 영업이익 307억원(YoY +33%) 전망. 현재 주가는 25년 기준 PER 5.7배로, 현저한 저평가 국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R11226

FS리서치

11 Feb, 23:03


ISC: AI 훈풍으로 레벨업
 
▶️ 국내 대표 AI 수혜 업체로 도약, 2025년 성장 모멘텀 유효
- AI 매출 비중은 분기별(1Q24 25% → 4Q 70%) 확대
- 글로벌 AI 투자 가속화로 GPU에서 ASIC까지 성장 가속화 구간 진입
 
▶️ 4Q24 Review: 지나간 2024년, 2025년 성장 동력 주목
- 2024년 매출액, 영업이익 각각 24%, 317% 전년대비 성장
- ① AI 반도체 테스트 소켓 매출 비중↑, ② 비메모리 매출 비중↑, 성장 견인
- AI 투자 확대에 따른 서버 및 ASIC 성장에 주목할 시기
→ 2025년 ASIC 매출액 비중은 약 15%(+12%p) 전망
 
▶️ 목표주가 100,000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025년 EPS 2,885원에 Target P/E 34.7배 적용
- 본격적인 빅테크향 제품 수요 확대 구간 지입 판단
 
▶️ URL: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89
 
위 내용은 2025년 2월 12일 07시 3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S리서치

11 Feb, 22:47


최근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아들인 이진영 씨에게 보유주식 1만주를 처음으로 증여했다. 주식가치는 3억 8200만 원으로 직계존비속 5000만 원인 비과세 구간을 넘어선다. 업계에서는 이 씨가 무상으로 증여받은 사실에 주목한다. 무상증여의 경우 증여세·양도소득세 등 이중부담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증여세를 피하기 위해 비과세 한도를 활용하거나 가족 간 분산 증여 전략을 사용하는 이유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XE422PF

FS리서치

11 Feb, 20:57


제목 : 뉴욕 연은 총재 "2% 목표 달성 시간 걸려…무역 등 불확실성 커" *연합인포*
뉴욕 연은 총재 "2% 목표 달성 시간 걸려…무역 등 불확실성 커" (뉴욕=연합인포맥스) 최진우 특파원 = 존 윌리엄스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1일(현지시간) 2%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시간이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이날 뉴욕 페이스 대학교에서 열린 행사에서 "온건하게(modestly) 제약적인 정책 입장은 견조한 경제 성장과 노동시장상황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의 2% 복귀를 뒷받침할 것"이라면서도 이렇게 말했다. 그는 "경제 전망은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특히 잠재적인 재정, 무역, 이민 및 규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올해 인플레이션을 2.5%로 예상하면서 "향후 몇 년 안에(in coming years)" 2%로 내려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FS리서치

11 Feb, 11:19


SOOP CLSA

요약
(1) 매출 과대 계상? 있었다고 해도 회사 전체 매출의 3% 수준으로 고의성 및 동기부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움
(2) 2021년 감사인으로부터 해당 매출 처리에 대해서 회계법상 적법한 처리방식임을 확인 받았음 (감사보고서 적정의견 수취)

결론 : 오바 좀 하지마라, 서수길 형이 내일 썰 풀어준다

FS리서치

11 Feb, 11:18


비에이치아이, 1001억 규모 신한울 3·4호기 보조기기 공급계약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1_0003061349

FS리서치

11 Feb, 11:16


2025.02.11 15:27:30
기업명: 피에스케이홀딩스(시가총액: 1조 35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978억(예상치 : 769억)
영업익 : 431억(예상치 : 296억)
순이익 : 421억(예상치 : 28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978억/ 431억/ 421억
2024.3Q 391억/ 143억/ 198억
2024.2Q 405억/ 156억/ 152억
2024.1Q 381억/ 154억/ 190억
2023.4Q 395억/ 140억/ 206억

* 변동요인
HBM 수요 확대 및 Advanced Packaging 시장 성장에 따른 매출 증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64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1980

FS리서치

11 Feb, 11:14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food/2025/02/11/7E77YWV56JBRFOW5QDPKZZYVAQ/

FS리서치

11 Feb, 05:19


엔비디아 협력사 노타, 삼성전자와 전 세계 가장 빠른 온디바이스AI 기술 개발 '눈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06662?rc=N&ntype=RANKING&sid=001

FS리서치

11 Feb, 05:00


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211500824

FS리서치

11 Feb, 00:04


『SAMG엔터(419530.KQ) 이익 성장 궤도 진입』 
교육 주지은 ☎️) 02-3772-1575

▶️ 앞으로도 지속될 호실적
- 영화 흥행 이후, 티니핑은 키즈 IP에서 캐릭터 IP로 도약
- 완구 품절 지속과 티니핑 IP 활용한 라이선스 매출 고성장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효과 부각
- 구조조정, 체화재고 처리, 유통망 내재화로 비용 구조 개편되어 2025년 순이익 상향 조정. 긍정적 투자 관점 제시
 
▶️ 4Q24 Review: 라이선스 매출 증대로 이익 레버리지 부각
- 4Q24 연결매출 419억원(+22% YoY), 영업이익 90억원(흑자전환)으로 당시 추정이익(19억원) 큰 폭 상회
- 이익 개선의 주요인은 1) 라이선스 부문의 이익 레버리지, 2) 탑라인 성장에 따른 고정비 효과
- 라이선스 부문의 경우, 사업보고서 미발표로 부문별 매출 파악 어려움. 다만 추정치(49억원)를 상회하는 70억원 수준으로 파악
- 2025년 연결매출 1,406억원(+21%), 영업이익 174억원(흑자전환) 전망. 라이선스 매출 비중 확대 및 연내 대형 파트너사들과의 협업 예정으로 이익 레버리지 효과 지속될 것 
 
▶️ Valuation & Risk: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히 유효
- 당사 추정치 기준 2025년 PER은 10배
- IP 사업 영위하는 기업들의 평균 PER은 1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히 유효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58
위 내용은 2025년 02월 11일 07시 41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S리서치

10 Feb, 23:52


'역대급 분기실적' 산일전기, 트럼프 리스크 넘을까

4Q 영업익 340억, 전년비 609% 증가…과도한 미 의존도는 과제


산일전기가 전선업 호황기에 힘입어 역대급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부품인 인버터용 특수변압기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춘 만큼 향후 성장 가능성도 크다는 평가다.

다만 북미 시장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글로벌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제기된다. 현재는 전력망 교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슈퍼사이클’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이 사이클이 종료될 경우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서 보호무역 기조 강화와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가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영업이익률 30%대 유지

10일 업계에 따르면 산일전기의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084억원, 340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108.5%, 609.2% 증가한 수치다. 특히 분기 매출 1000억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간 실적도 호조를 보였다. 지난해 산일전기의 연결기준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40억원, 109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55.7%, 135% 증가했다. 이는 산일전기가 지난해 초 제시한 목표치인 매출 3200억원, 영업이익 800억원을 넘어선 수치다.

특히 4분기에는 2공장 설립 관련 비용, 전 직원 성과급 지급, 임원 퇴직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 31%를 유지했다.

전선업계에서 영업이익률 30%대를 기록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전선업계와 같이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경기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 특성상 두 자릿수 수익률을 유지하는 사례가 드물기 때문이다.

실적 성장의 주된 동력은 변압기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매출에서 변압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89%에 달했다. 북미 전력망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과 노후화된 전력망 교체 주기 도래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산일전기의 매출 구조는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2023년 4분기 기준 수출과 내수 비중은 각각 79.3%, 20.7%였으나 지난해 4분기에는 92.8%, 7.2%로 변화했다. 국가별 매출 비중도 다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2023년 4분기에는 미국 시장 비중이 91%를 차지했지만 지난해 4분기에는 미국 68.3%, 유럽 26.1%, 일본 3.1%, 기타 국가 2.5%로 분포가 확대됐다. 이는 유럽에 본사를 둔 고객사의 미국향 신재생에너지 주문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에 본사를 둔 고객사에 변압기를 납품하더라도 최종 사용지가 미국향인 주문이 증가하고 있단 뜻이다.

특히 산일전기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부품인 인버터용 특수변압기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글로벌 기업에 이를 공급하며 30년 이상 축적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현재 제너럴일렉트릭(GE), 도시바&미쓰비시(TMEIC) 등 글로벌 기업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인버터용 특수 변압기를 납품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다변화 과제

다만 일각에서는 리스크 요인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전선업계는 변압기 등의 수명이 20~30년으로 길어 호황기와 불황기가 반복되는 특성이 있다.

현재는 변압기 교체 주기에 따른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슈퍼사이클로 볼 수 있지만 이 사이클이 종료될 경우 특정 시장과 고객 의존도가 높은 기업의 성장 지속성이 도마에 오를 수 있단 것이다.

산일전기는 미국 시장과 신재생 에너지용 변압기 수주 비중이 높아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3년 4분기 미국 매출 비중은 91%였으며 지난해 4분기에도 68.3%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GE에 공급하는 몰드변압기는 풍력 발전 관련 산업에 납품되는 제품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축소되고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과거 2011년 미국 정부가 국내 변압기 제조업체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사례가 있어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경우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당시에는 미국 내 기업들이 수요를 충족할 수 있었던 반면 최근에는 AI 데이터센터(AIDC) 증가 등으로 인해 미국 기업들이 자국 내 수요를 모두 충족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재집권하더라도 한국 기업에 관세를 부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정부가 전력망 공급을 전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면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통제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작년 상반기 트럼프 집권 이전부터 대비하고 있었다"며 "신재생 쪽으로 수주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만 밝혔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2100837556980104032

FS리서치

10 Feb, 23:29


제니 5년 만의 웨이보 업데이트

제대로 해보자는 뉘앙스가 강하군요

#KPOP

FS리서치

10 Feb, 23:11


『SAMG엔터(419530.KQ) 이익 성장 궤도 진입』 
교육 주지은 ☎️) 02-3772-1575

▶️ 앞으로도 지속될 호실적
- 영화 흥행 이후, 티니핑은 키즈 IP에서 캐릭터 IP로 도약
- 완구 품절 지속과 티니핑 IP 활용한 라이선스 매출 고성장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효과 부각
- 구조조정, 체화재고 처리, 유통망 내재화로 비용 구조 개편되어 2025년 순이익 상향 조정. 긍정적 투자 관점 제시
 
▶️ 4Q24 Review: 라이선스 매출 증대로 이익 레버리지 부각
- 4Q24 연결매출 419억원(+22% YoY), 영업이익 90억원(흑자전환)으로 당시 추정이익(19억원) 큰 폭 상회
- 이익 개선의 주요인은 1) 라이선스 부문의 이익 레버리지, 2) 탑라인 성장에 따른 고정비 효과
- 라이선스 부문의 경우, 사업보고서 미발표로 부문별 매출 파악 어려움. 다만 추정치(49억원)를 상회하는 70억원 수준으로 파악
- 2025년 연결매출 1,406억원(+21%), 영업이익 174억원(흑자전환) 전망. 라이선스 매출 비중 확대 및 연내 대형 파트너사들과의 협업 예정으로 이익 레버리지 효과 지속될 것 
 
▶️ Valuation & Risk: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히 유효
- 당사 추정치 기준 2025년 PER은 10배
- IP 사업 영위하는 기업들의 평균 PER은 1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히 유효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58
위 내용은 2025년 02월 11일 07시 41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S리서치

10 Feb, 22:50


#하이비젼시스템 : 테슬라 / 애플 로봇

- 본업만으로 per 5-6배인데, 최근 유동화작업(자회사 퓨런티어 매각)은 인도증설 자금 추정, per 재평가 기대

- 전일 애플 관련주(비에이치, 파인엠텍, 세경하이테크, 하이비젼) 급등해 섹터 액션 시작 (애플 로봇 개발 뉴스)

- 전일 장 마감 이후 하이비젼 로봇 신규 사업 발표, 정황상 애플/테슬라향이지 않을까, 특히 테슬라쪽 생산 준비 이미 본격화, 시장 규모도 29경으로 추정, 매년 생산 10배씩 증설 계획 중

- 작년말부터 임직원 장내매수 건들이 있었음, 과연 우연일까?

https://blog.naver.com/dragonstock/223756138630

FS리서치

10 Feb, 12:54


*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

~ 블랙핑크의 제니가 약 4년 반 만에 중국 팬들에게 안부를 전했다

~ 10일 제니는 개인의 중국 계정에 짧은 인사를 올렸다. 그는 "사랑하는 중국 팬 여러분, 오랜만입니다! 드디어 다시 돌아와 여러분과 대화할 수 있어 너무 기쁘고, 변함없는 지지에 감사드립니다. 여러분과 공유할 흥미로운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앞으로 더 많이 소통할 수 있기를 바라며 곧 뵙기를 바랍니다"라고 전했다

~ 이에 네티즌들은 "드디어 나타났네요", "너무 보고 싶었어요", "이곳에 돌아와 더 많은 소통을 해줘서 고마워요" 등의 뜨거운 응원을 보냈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213/0001326642

FS리서치

10 Feb, 08:20


2025.02.10 17:06:12
기업명: 필옵틱스(시가총액: 1조 488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1,491억(예상치 : -)
영업익 : 120억(예상치 : -)
순이익 : 9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1,491억/ 120억/ 99억
2024.3Q 705억/ -28억/ -33억
2024.2Q 1,210억/ 65억/ 67억
2024.1Q 702억/ -20억/ -15억
2023.4Q 737억/ 63억/ 114억

* 변동요인
OLED 및 이차전지 장비 출하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90121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61580

FS리서치

10 Feb, 06:55


에스엠 “연결” 연간 875억
4분기 339억 서프네요...!

FS리서치

01 Feb, 01:58


보다폰의 대규모 통신망 업그레이드 투자 계획, 오픈랜 시작의 전조가 될 것
https://www.telecomtv.com/content/open-ran/vodafone-s-massive-network-refresh-will-be-a-bellwether-for-open-ran-52238/

- 보다폰은 유럽 17만개 사이트 RAN 장비 업그레이드 투자를 계획
- 24년 4월부터 RFP 받아, 평가 절차가 대부분 끝남
- 기존 공급계약들이 끝나는 25년 3월까지 대규모 신규 상업 계약 임박
- 2030년까지 전체 유럽의 최소 30% 이상을 오픈랜으로 가동한다는 계획
- 보다폰의 대규모 오픈랜 투자 결정은 산업 전체적으로 오픈랜의 잠재력에 대한 시그널을 줄 것

FS리서치

31 Jan, 09:10


2025.01.31 18:05:53
기업명: 안트로젠(시가총액: 2,151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결과) (Wagner grade 1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ALLO-ASC-SHEET 미국 임상 2상 Topline data수령)

* 임상명칭 :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에게 ALLO-ASC-SHEET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2상 임상시험 (A PHASE 2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ALLO-ASC-SHEET IN THE SUBJECTS WITH DIABETIC FOOT ULCERS)
* 대상질환 : Wagner grade 1 당뇨병성 족부 궤양
* 임상단계 : 미국 임상2상

* 승인기관 : FDA
* 임상국가 : 미국

* 시험목적 : 당뇨병성 족부궤양이 있는 대상자에서의 ALLO-ASC-SHEET의 12주 동안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
* 임상방법 : - 스크리닝 과정에서 선정 기준을 충족한 66명의 대상자가 등록하여 1:1 비율로 치료군과 대조군에 무작위 배정

- 각 대상자는 ALLO-ASC-SHEET 또는 Hydrogel SHEET 치료를 최대 12회 처치 받으며, Day 0부터 최대 12주 동안 평가

- 12회 처치 전에 완전한 상처 봉합(complete wound closure)을 달성한 경우, 추가 치료 없이 24주간 추적 관찰하여 장기적인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

- 12회 이내에 완전 상처 봉합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처치는 중단 후 24주간 추적 관찰하여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

* 임상결과
주분석인 mITT분석에서 12주동안 완전 상처봉합을 달성한 대상자 비율은 ALLO-ASC-SHEET군에서 45.7%, Hydrogel SHEET군에서 60.0%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503)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3190083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5660

FS리서치

31 Jan, 03:49


https://blog.naver.com/jw_research/223743063685

FS리서치

31 Jan, 03:49


"태양광은 멋진 산업"…트럼프 '석유 시대' 예고 했지만 태양광 '순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60468

FS리서치

31 Jan, 03:35


https://blog.naver.com/dkim0210/223743085429

FS리서치

31 Jan, 03:34


제목 : 일라이 릴리, 노보노디스크 Amycretin 임상 구체적 정보 결여 - *연합인포맥스*
현지시각 24일(금) 노보노디스크(NVO)가 신규 체중감량제 Amycretin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36주 동안 Amycretin을 투여한 집단에서 22%의체중감량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앞서 임상에서 68주간 투여 결과 22.7%의 체중감량 효능을 나타냈던 CagriSema 임상 결과를 상회하거나 그에 부합한 것이다.<br /> <br /> 그럼에도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일라이 릴리(LLY)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77달러를 유지했다. 팀 앤더슨 애널리스트는 “Amycretin 임상 데이터에는 해당 약물에 대한 내성, 임상 중도포기 비율, 시간 경과에 따른 체중감량 진전에 대한구체적인 정보가 결여되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기 요인은 임상 약물의 가능성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어 중대한 것으로 간주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노보노디스크는 오는 6월 개최 예정인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Amycretin 임상 데이터 전체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FS리서치

31 Jan, 02:52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3108405175509

FS리서치

30 Jan, 08:35


Tesla, 2025년 상반기 신규 저가 모델 출시 예정이며 6월부터(Texas) 유료 자율 주행 자동차 서비스 테스트를 시작

Tesla의 대당 전기차 제조 비용은 2년 전 약 3만 9,000달러에서 약 3만 3,000달러로 하락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s-fourth-quarter-profit-margin-misses-estimates-2025-01-29/

FS리서치

30 Jan, 04:16


■ 우산 X NNN Pick 연휴간 뉴스 정리(01.25~30)
연휴간 뉴스가 너무 많아 1/31 하루에 모두 다루기 어려울 것 같아 따로 정리하였습니다.

中 AI 딥시크, 챗GPT 제치고 1위 앱 됐다.. 美 실리콘밸리 충격(파이낸셜뉴스)
: 설 연휴를 화려하게 강타한 DeepSeek 이슈. 이미 많은 내용들이 나오고 있으나 실제 Capex 규모 등에 대해서는 아직도 말이 많은 상황으로 새로운 소식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할 것

트럼프 "中 딥시크 AI 개발은 긍정적…미국에 경종될 것"(한국경제)
: 트럼프는 일단 싸게 만들 수 있다면 오히려 좋다는 입장. DeepSeek 관련 내용은 이미 어느 정도 알려졌었기 때문에 트럼프가 이를 알고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빠르게 진행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음

오픈AI·MS "中 AI 딥시크 조사…데이터 무단 수집 가능성"(연합뉴스)
: 상당한 증거가 이미 있다는 입장인데 추가적인 소식을 기다려야할 듯

진짜 딥시크 때문에 엔비디아·SK하이닉스가 위험할까?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서울경제)
: 결국 우리의 최대 관심은 DeepSeek로 인해 AI향 Capex가 줄어들 것인가의 문제. 대부분은 아직은 이러한 우려가 시기상조라는 이야기가 많은데 관련해서 가장 깔끔하게 정리된 강해령님의 기사

중국 AI 쇼크에 美국채 "사자"몰려…10년물 금리 4.5%로(한국경제)
: 우리에게 그나마 DeepSeek가 준 긍정적 영향이라면 덕분에 미국 국채 금리가 안정화되고 있다는 점

미국 FOMC 기준금리 4.25~4.5% 동결…"인하 서두르지 않는다"(뉴스원)
: FOMC도 일단은 예상 내로 무난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임. '인플레 목표 2%를 향한 진전' 문구가 사라져 큰 우려도 나왔었으나 파월이 단순히 문장을 줄이기 위함이었다고 언급하며 진정세. 다만 인플레가 결국 더 잡혀야 추가 금리인하가 나올 수 있을 듯

트럼프 달라졌나? 아니면 협상 전술? 中 제품에 관세 부과하고 싶지 않아(파이낸셜 뉴스)
: 취임 전과는 분명 다른 모습. 관세는 결국 협상의 도구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트럼프 "의약품·반도체·철강 등에 관세…군사용 필요 물품에도"(연합뉴스)
: 다만 미국 내에서 생산시설을 짓지 않을 경우에는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압박은 지속

예상치 웃돈 실적에도…AI로 엇갈린 MS·메타 주가(이데일리)
: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의 실적은 모두 컨센을 비트. 다만 MS의 에저 성장률은 예상치를 소폭 밑돌며 시간외 주가 하락. 메타/MS 모두 여전히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며 Capex 증액 재확인

테슬라, 실적 부진에 FSD·로보택시 등 '미래' 앞세워…시간외 4% 급등(한국경제)
: 테슬라는 실적이 컨센에 미치지 못하며 시간외 주가가 급락했었으나 FSD, 로보택시, 저가모델, 옵티머스 로봇 등 향후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반등

ASML,강력한 수요로 매출과 예약 예상 크게 앞질러(한국경제)
: 반도체 경기의 바로미터인 ASML도 AI로 인한 수요/수주 증가로 실적과 가이던스가 모두 컨센을 비트. DeepSeek 이슈에 대해서도 오히려 저가 반도체 수요를 자극하여 긍정적일 수 있다고 언급

백악관 "보조금 지출 일시중단"…대미투자 韓기업에 불똥튀나(연합뉴스)
: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는 부정적인 소식. 결국 다른 협상을 통해 받아낼 수도 있으나 일단 중단

엔비디아 젠슨 황, 삼성에 등돌리나...‘거래 불가’ 선언(중소기업투데이)
: 삼성전자에게는 추가로 나쁜 소식이 전해짐. 직설적으로 삼성전자의 엔지니어링을 신뢰할 수 없다고 언급하면서 이례적으로 강한 비판. 엔비디아향 HBM 납품 가시성이 또 다시 떨어지기 시작

"AI 메모리 수요 시작에 불과"…레거시 줄이는 메모리 업계 [소부장반차장](디지털데일리)
: 일단 AI를 제외한 범용 메모리에 대한 감산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음

중국 패키징 기업 통푸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HBM2 시험생산 착수(글로벌이코노믹)
: 통푸까지 성공한다면 HBM2 생산 기업은 중국에 총 3개사로 늘어남. 아직 기술 갭차이는 크지만 중국의 추격은 계속해서 체크해보아야 할 문제

독일,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 1.1%→0.3% 대폭 하향(연합뉴스)
: 유럽 경제의 최대국 독일도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정치적 불안 + 트럼프 관세 우려로 GDP 성장률 추정치가 계속 하향되고 있음

내달 MSCI지수 정기변경 '변동성 주의보'…"최대 16종목 편출"(연합뉴스)
: 편입 없이 최대 16개의 편출만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 나옴. 신흥국 내에서 상대 주가가 너무 좋지 못 했던 결과. 분위기가 나쁘지 않던 국내 시장에 수급적으로는 잠시 부정적일 수 있는 이슈

올해 주총 '행동주의' 바람 더 거세진다…상법 개정 '뒷배'(KPI뉴스)
: 올해 주총 시즌에도 여러 기업들이 이슈가 될 수 있음. 상법개정까지 된다면 이러한 움직임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고개 숙인 K팝 ‘1억장’ 시대…빗장 푸는 中 기회될까(스포츠서울) / ‘그들이 온다’ 300만 월드투어도 거뜬...BTS·블랙핑크 복귀(매일경제)
: 10년만에 앨범 역성장. 다만 중국이 열린다면 올해는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음. 또한 남돌/여돌 최대 그룹의 완전체 복귀도 올해 예정. 낙수효과가 분명이 있는 섹터

돈 모이는 시장, '숏폼'...게임사부터 OTT까지 참전한다(이코노미스트)
: 우리나라 기업들은 분명 숏폼에 매우 강함. 숏폼 콘텐츠 제작에도 강하며 숏폼 마케팅에도 강한 모습. 숏폼이 확대될 수록 K무언가에게는 기회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생각

서울 온 외국인 관광객 1천만명 넘겨…코로나 이전 회복(연합뉴스TV)
: 19년 대비 95% 수준까지 회복. 계엄령 사태 등으로 부침은 있으나 분명 외국인들은 한국 여행을 더 많이 오고 싶어 할 것이고 관련한 수혜 기업들도 꾸준한 체크 필요. 특히 중국이 좋아질 경우 숫자가 튈 수 있음

美 대형마트 타겟 1600여 매장에 K뷰티 섹션 생긴다(한국경제)
: 북미 최초 K뷰티 상설 섹션이 생김. 아직 국내 기사는 없으나 세포라도 K뷰티 입점 확대를 밝힘. 북미에서 더 큰 시장인 오프라인 시장 침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음


(요약에 활용된 기사는 블로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m.blog.naver.com/s1kkw/223742208176

FS리서치

29 Jan, 00:35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인터뷰 : 중국의 AGI를 향한 언더독의 비하인드 스토리
: https://naver.me/GwpuPErt

- 딥시크와 관련한 세 번째 자료입니다. Quick Take → 주간전략보고 이후의 생각에 대해서 정리했던 것을 앞부분에 주저리주저리 적어보고, 유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차트를 포함했습니다.

- AI 사이클의 기존 문법들에 대한 생각들을 쭉 적어봤습니다. 현재 서비스 중인 AI 모델별로 가격과 지능에 맞게 구분한 표, DeepSeek-R1 논문에서 찾은 것, 스케일링 차트도 함께 넣었습니다.

- 최근 있었던 량원펑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혁신가임은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파운데이션 모델에 집중하는 이유, 오픈소스를 택한 이유를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 딥시크(DeepSeek)
- 주간전략보고 : 투자의 생각 (1월 27일~1월 31일)
- Quick Take : 중국 딥시크는 미국의 스타게이트를 무너뜨릴까?
- 트럼프 2.0 첫 작품 "스타게이트" : 오픈AI, 오라클,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시사점 정리

FS리서치

28 Jan, 04:57


엔비디아 추락시킨 中딥시크가 뭐길래 [5분 Q&A]

Q. 딥시크는 무엇
Q. 딥시크 개발자는 누구?
Q. 딥시크가 저렴한 기술로 생성형 AI를 개발한 이유는
Q. 엔비디아 주가는 왜 하락
Q. 전력회사, 유틸리티 주가는 왜 빠졌나
Q. 치솟던 국채금리는 왜 하락
Q. 엔비디아 주가는 계속 빠질까
Q. 미국이 중국의 AI굴기에 대항한 수출규제를 강화할까

https://www.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1735126642042312&utm_source=taboola&utm_medium=editorial-push

FS리서치

26 Jan, 07:57


"美 수출통제에도 中 작년 반도체 수출액 228조원"

中 매체 마이드라이버스 중국 세관 데이터 인용 보도
2023년 194조원 대비 17.4% 증가...매년 느는 추세


https://www.inews24.com/view/1808059

FS리서치

26 Jan, 05:43


롬앤 일본 첫 단독 팝업에 현지 인플루언서 7,000여명 몰렸다

지난해 12월 말부터 올해 초까지 2주간 팝업 진행
예약권 수령일, 하라주쿠역부터 시부야역까지 긴 줄
주력 틴트 시그니처 제품부터 신제품까지 최초 소개
참가자 대부분이 현지 인플루언서들로 뜨거운 호응


https://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619

FS리서치

24 Jan, 03:30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9590

FS리서치

24 Jan, 01:21


회사와 통화해보니 금액이 적어서 이정도 주가 하락할 것을 예상하지는 못한 듯 함(60억 쓰고 시총 얼마를 날리는거냐.....).
내용 더 정확하게 파악 후 시장과 소통할 듯.

60억원에 미국 유통망 하나 활용할 수 있다면 나쁘지 않은 투자라고 생각.
비용에 포함되지 않고 자산화되는 '마케팅비'를 집행했다고 생각하면 60억 정도의 집행으로 그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을 듯.

비즈니스적으로는 그렇지만....시장의 판단은 보다시피....
과거 정철의 곤센 지분 30%를 인수하고 브이티코스메틱으로 사명을 변경하며 지엠피란 회사를 잡아먹는 과정, 그 전에는 로엔케이....

강승곤 회장의 큰 그림을 보는 능력과 그걸 이루어내는 수완에는 항상 감탄하는 바이지만
시장은 이러한 방식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는 것도 사실.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냐마냐를 떠나 감정적으로 좋게 느껴지지 않음.

그래도 정신을 차리고 최대한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면...
회사가 올해 해외 진출을 위해서 정말 많은 고민을 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도 들긴 함.

1분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중국 매출 발생. 그리고 2분기부터 미국으로 가는 물량들을 시장이 확인할 것이라 생각.
4Q 실적도 톱라인은 3Q보다 성장할 것. 영익단에서 눈높이가 낮아진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
해외 확장을 위해 스무명 정도의 직원을 새로 채용했고, 이와 관련된 인건비와 사무실 임대료 등이 반영되어 그정도 눈높이가 낮아짐.
(많아봤자 10억 언더라고 생각)
톱라인이 qoq로 성장한다는 것이 중요하고, 미국과 기타 지역 매출이
계엄과 제주항공 사고로 인한 12월 소비 감소를 커버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FS리서치

23 Jan, 23:29


**LS ELECTRIC : 신영증권

-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31.9%, 76.1% 증가한 1.36조원, 1,200억원을 기록

- 초고압변압기는 116.1% 증가, 반면 자동화부문 매출액은 6.5% 감소한 783억원 기록

- 부산공장은 증설 진행중이고 2025년 10월에 완공될 예정, 증설 공장은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예정, 이를 통해 창출되는 매출액은 5,000억원으로 추정

- 최근 xAI향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 공급계약을 체결, 이외에도 미국 빅테크 업체들과 배전반 납품 관련 협의를 진행중

FS리서치

23 Jan, 23:21


'메모리 왕국의 대관식'…SK하이닉스, HBM으로 실적 새 역사 썼다

SK하이닉스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9조 7670억 원, 영업이익은 8조 82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이며, 분기 영업이익률은 41%에 달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최고재무책임자(CFO·부사장)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매출 비중이 크게 늘고 메모리 산업이 고성능 고객 맞춤형 시장으로 변하면서 시황 조정기에도 메모리 업체가 안정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실제 SK하이닉스의 주력 상품인 D램에서 HBM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40%까지 치솟았다. HBM 매출은 지난해 전년 대비 4.5배 이상 늘었고 올해도 10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 20%에 달했던 범용 D램의 생산 비중은 올해 한 자릿수로 줄이기로 했다. 빅테크 업체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는 HBM4 12단 제품은 연내 공급을 시작하고 HBM4 16단은 내년 하반기부터 공급에 나서기로 했다.
올해 설비투자도 HBM 중심으로 이뤄진다. 회사는 올해 설비투자액(CAPEX)의 대부분이 HBM 라인을 확보하기 위한 청주 M15X, 2027년 첫 가동 예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쓰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10나노급 6세대 D램 “목표 수율 넘었다”6세대 D램의 개발 현황에 대한 질문에 “이미 개발 단계에서 초기 양산 목표 수율을 웃돌았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하반기 이 D램을 세계에서 최초로 개발했다. 최근 거세지는 중국 D램 업체의 추격 역시 기술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신 제품인 DDR5 제품에서는 확실한 격차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TFW8DKH

FS리서치

23 Jan, 22:55


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 "연내 3대 마일스톤 수령 목표"

디앤디파마텍
회사는 현재 보유한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성과 창출에 자신감을 보이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에서 글로벌 빅파마 약 20곳과 미팅을 진행한 사실도 공개했다.

출처 : https://dealsite.co.kr/articles/135476/068031

FS리서치

23 Jan, 00:21


2025.01.23 09:13:49
기업명: 엘에스일렉트릭(시가총액: 6조 8,40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13,596억(예상치 : 11,040억)
영업익 : 1,199억(예상치 : 908억)
순이익 : 628억(예상치 : 555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13,596억/ 1,199억/ 628억
2024.3Q 10,212억/ 665억/ 351억
2024.2Q 11,324억/ 1,096억/ 646억
2024.1Q 10,386억/ 937억/ 797억
2023.4Q 10,304억/ 681억/ 436억

* 변동요인
미국 전력망 효율화 및 기업 시설투자 증가에 따른 전력사업 매출 증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380005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0120

FS리서치

08 Jan, 00:03


#SPC삼립 #트럼프 취임식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8028700030?input=1195m

FS리서치

07 Jan, 23:55


2025.01.08 08:36:20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30조 7,26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50,000억(예상치 : 772,407억)
영업익 : 65,000억(예상치 : 81,694억)
순이익 : -(예상치 : 76,78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750,000억/ 65,000억/ -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2023.4Q 677,799억/ 28,247억/ 63,4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88000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FS리서치

07 Jan, 23:29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7008?sid=105

FS리서치

07 Jan, 06:56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107028542516

FS리서치

06 Jan, 23:29


아마존 프라임 1위 달성
- 일본 내에서 본작을 가장 빨리 방영하는 ott 서비스가 아마존 프라임이라서 먼저 순위 체크해봄

[1기]
- 2024년 1월 7일 방영

[성과]
#아마존프라임
- 일본에서도 아마존 프라임 순위 3위를 달성
- 1화도 초반에는 3위였다가 10위로 하락

[2기]
- 2025년 1월 5일 방영

#아마존프라임
- 방영후 1위 바로 달성

FS리서치

06 Jan, 23: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미국의 국가적 난제로 떠오른 해군 함정 건조 문제와 관련, "동맹국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6일(현지시간) 말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795997

FS리서치

06 Jan, 05:52


진양제약 상한가 이유

https://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7786

FS리서치

06 Jan, 05:41


한미반도체는 인천 서구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용 장비 TC 본더의 7번째 공장 기공식을 열었다고 6일 밝혔다.

공장은 연면적 1만4천400㎡ 규모 지상 2층 건물로, 올해 4분기 완공 예정이다.

브로드컴에 공급하는 HBM3E 12단 이상의 고사양 HBM을 생산하는 TC 본더 등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활용된다.

이번 공장이 완공되면 한미반도체는 총 8만9천530㎡ 규모 HBM TC 본더 라인을 확보한다. 이는 매출액 기준으로 2조원까지 생산 가능한 수준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6056700003?input=1195m

FS리서치

06 Jan, 04:47


#LLM #사이냅소프트

- LLM(거대언어모델) 도입한 "콜센터 생산성 30~35% 개선"

- 사이냅소프트 도큐애널라이저는 LLM 모델 학습에 필요한 맞춤형 데이터 생성 처리하는 기술. 현재 다수 업체들과 수주 추진 중. 다양한 산업별로 LLM 모델 학습이 필요한 상황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10612034578585

FS리서치

06 Jan, 04:40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24FW 아우터 매출 109% '껑충'

특히, '노블다운 하이퍼 구스 롱점퍼'는 지난달 한 달 동안 전체 판매량의 58% 이상을 차지했다.

실제로 '프라임 구스 다운 블루종 점퍼'의 지난달 판매량은 지난해 10월 대비 약 14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06_0003021498

FS리서치

06 Jan, 03:24


서진시스템 : 25.01.06 IR 통화

금일 서진시스템과 관련하여 4Q24 영업이익 200억 원, 1Q25 영업이익 적자 등 여러 이야기가 시장에서 오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와의 소통 결과, 이러한 내용은 어불성설이며, 아직 4분기 결산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ESS 상황을 살펴보면, 기존 7ft 중소형 제품에서 20ft 중대형 제품으로 변화가 진행 중입니다. 이에 따라 중소형 ESS 주문은 감소했지만, 최근 공시된 915억 원 규모의 ESS 공급 계약과 같이 중대형 ESS로의 전환에 따라 중대형 ESS 주문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시장과의 소통에서 오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회사는 2025년 가이던스에 변동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ESS 및 반도체 부문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SS사업부문 25년 고객사별 회사 가이던스 :
1. 플루언스에너지 : 5,000억 원
2. 포윈에너지 : 2,500~3,000억 원
3. 삼성SDI : 1,500~2,000억
4. 신규고객사(GE, 허니웰 등) : 1,000억 원


OP마진은 15%~20% 추정.

FS리서치

05 Jan, 07:44


中경제 다지기 나선 시진핑 새 전략산업 양자기술 키운다

https://v.daum.net/v/20250105161249437

FS리서치

03 Jan, 07:58


[단독]'3700억 몸값' 마녀공장, 케이엘앤파트너스에 팔린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JTM1P3W

FS리서치

03 Jan, 01:25


신재생에너지 관련 종목들이 급등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펼칠 정책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부정적일 것이란 우려로 주가가 내리막을 타다가 급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동안의 하락에 대한 반발매수세가 유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트럼프 당선인과 각별한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테슬라의 3분기 에너지저장장치(ESS) 판매량이 호조를 보였다는 소식도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7499?sid=101

FS리서치

03 Jan, 01:25


에이직랜드 상승 이유

https://www.financial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446

FS리서치

27 Dec, 01:24


세스맷 (세경하이테크 자회사) : 베터리 단열소재 시장규모 2조 원(Feat. 키움증권 리포트)

금일 키움증권에서 세스맷(비상장)의 좋은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에 더불어서 저희 팀에서도 세경하이테크 탐방 및 지속적으로 팔로우업을 해왔기에 간단한 내용을 업데이트해보겠습니다.

보고서 요약
- 세스맷 창업자인 김기재 대표님은 LG화학 베터리 연구소 출신으로 단열소재 개발 6년간 진행.
- 전기차용 단열패드는 Cell-to-Cell 제품으로, 배터리 셀 사이에 삽입돼 단셀 발화 이후의 열전이 등을 억제시킴.
- 단열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물질 배합 등의 제품 구현 노하우도 다른 업체들에게 진입 장벽으로 작용
- 세경하이테크는 2023년 초 지분 70%를 확보. 이후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 진행 중.
- 동사는 기술 검증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셀 업체와의 양산을 위한 절차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파악.
- 25년 상반기 매출 발생을 목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단열소재 시장 규모는 약 2조원으로 추정.
- 전기차 외 ESS용 단열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건설 및 우주항공 등으로의 단열소재 제품 확장 가능성.

기술력? 실적전망? : 의심할 여지가 없다!
EV용 단열소재로 저가형에는 운모(MICA)라는 소재가 사용되었지만, 이 소재는 저렴한 단열소재로 열폭주 확산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반면, 고가형 소재로 에어로젤이 사용되었는데, 단열 기능은 뛰어나지만 단가가 높고 분진이 많이 발생해 EV용 양산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했습니다.
이에 비해 세스맷의 단열소재는 실리콘 계열로 단열 기능이 에어로젤만큼 월등하면서도 분진이 없고 단가가 더 저렴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최근 LG에너지솔루션에서 진행한 퀄 테스트에서는 셀과 셀 사이에 단열패드를 삽입하고 모듈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테스트 결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테스트는 자동차 부품이 아닌 배터리 구성품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자동차 OEM의 추가 테스트나 품질 검증 절차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세스맷의 단열소재는 화재 발생 시 20분 이상 화염이 더 이상 전파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림1]은 2021년 8월 특허 출원 당시 기록한 439초(7분 19초)보다 큰 폭으로 개선된 결과로, 세스맷의 기술력이 크게 발전했음을 보여줍니다.

세스맷의 단열소재는 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등 다양한 배터리 형식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EV뿐만 아니라 ESS, 항공, 선박, 방산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 적용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에서도 세스맷의 단열소재가 EV뿐 아니라 ESS 시장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며, 최근 LG에너지솔루션이 ESS 시장 대비를 위해 양산 속도를 높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ESS 시장에서도 세스맷 단열소재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또한, [그림2] 세스맷은 세경하이테크의 베트남 2공장에 양산 부지를 이미 확보한 상태로, 의미 있는 매출은 2026년부터 예상되지만, 회사는 2025년에도 고객사 물량을 확보하여 관련 실적이 반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스맷의 단열소재는 기술력과 경제성에서 경쟁력을 보이며 EV 및 ESS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 Aspen Aerogels
아스펜 에어로젤(Aspen Aerogels, 티커: ASPN)은 나스닥 상장사로, 현재 시가총액은 약 1.5조 원에 달하는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에어로젤 소재를 양산하여 주요 EV 제조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그림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20년 이후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림4]의 분기 실적 데이터를 보면 2024년에도 매 분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Aspen Aerogels 3Q24 실적 코멘트:
아스펜 에어로젤의 2024년 3분기 실적을 보면, 전환사채 상환과 관련된 2,750만 달러의 일회성 비용을 포함하여 1,30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3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하는 강력한 성장을 보여주었습니다. 회사는 3분기의 일회성 비용이 해소된 만큼, 4분기 실적에 큰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제시한 2024년 가이던스에 따르면, 연간 매출액 4억 5천만 달러와 순이익 900만 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Aspen Aerogels 실적 흐름 :
- 2022년 매출 1억 8000만 달러 / 순이익 -8200만 달러(손실)
- 2023년 매출 2억 3900만 달러 / 순이익 -4580만 달러(손실)
- 2024년 매출 4억 5000만 달러 / 순이익 900만 달러(흑전)

2024년에는 매출 4억 5천만 달러로 또 한 번의 큰폭의 매출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보이며, 흑자 전환이 예상됩니다. 이는 단열 소재 시장에서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실적지표입니다.

혜성처럼 등장한 세스맷을 아스펜 에어로젤사와 비교해 볼 때, 고성장 산업의 시장에서 세스맷의 활약이 매우 기대됩니다.


첨부자료(기사)
마지막으로 함께 보시면 좋은 기사까지 첨부드립니다.

[기사1]
Aspen Aerogels 3Q24 실적 및 컨콜 관련 뉴스
https://www.gurufocus.com/news/2587235/aspen-aerogels-inc-aspn-q3-2024-earnings-revenue-surges-to-1173m-eps-loss-at-017-exceeds-estimates

[기사2]
세스맷 대표이사 인터뷰 :세스맷 경쟁력, 17년 연구서 나온다
https://www.the-stock.kr/news/articleView.html?idxno=20812

[기사3]
세경하이테크, 자회사 고성능 단열소재 개발중...美아스펜 성장세에 모멘텀 부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61773?sid=101

FS리서치

26 Dec, 23:51


[키움 혁신성장리서치/스몰캡 오현진]

▶️ 세스맷(비상장)
: 배터리 안전으로 시작하는 단열소재 슈퍼 루키

◎ 배터리 화재 안전 지켜줄 단열소재 업체
- 동사는 2022년 설립된 최첨단 단열 필름 및 폼 개발 업체
- 동사의 단열 제품은 폴리머 소재 기반의 화재 억제제를 통해 열 폭주 등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역할
- 코스닥 상장사 세경하이테크가 2023년 초 지분 70%를 확보하였으며, 이 후 시제품 구현 등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 중
- 이에 설립 초기임에도 생산 단계에서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것으로 판단

◎ 동사 단열소재가 혁신적인 이유
- 전기차용 단열패드는 Cell-to-Cell 제품으로, 배터리 셀 사이에 삽입돼 단셀 발화 이후의 열전이 등을 억제
- 셀 팽창 등에 따른 적정 압축률 구현이 핵심 기술력인 것으로 파악
- 기술 검증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셀 업체와의 양산을 위한 절차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파악
- 상용화 이후 동사 제품에 대한 국내외 배터리 및 완성차 업체의 주목도가 빠르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

◎ ESS, 우주항공 등 높은 확장 가능성 주목
- 전기차 외 ESS용 단열제품 라인업 보유
- 향후 건설 및 우주항공 등으로의 단열소재 제품 확장 가능성 주목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I5215

FS리서치

26 Dec, 08:08


아크솔루션즈 (203690) - 테슬라도 탐내는 "기가다이케스팅" 사업 본격 진출
- (사명변경전 스피어파워)

- 비열처리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기술인 기가캐스팅은 열처리 없이 고강도의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소재를 고온·고압으로 금형에 밀어넣어 제품을 성형하는 주조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 독보적인 기술로 알려졌다.

- 특히 테슬라의 기가캐스팅 공정 도입으로 복잡한 형상을 얇은 두께로 정밀 가공이 가능해 제품을 경량화 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때문에 테슬라의 기가캐스팅 공정 도입 이후 현대자동차는 물론, 토요타, 폭스바겐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 역시 기가다이캐스팅 공법의 도입을 서둘러 검토하고 있다.

GAM의 합금기술은 자동차 업계는 물론 높은 물성의 금속소재를 사용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주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UAE,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미국 등의 다양한 기업들과 구체적인 사업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아크솔루션즈 관계자는 “GAM이 보유한 합금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술경쟁력을 충족하고 있다”며 “GAM과 합작법인(JV)을 설립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알루미늄 합금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글로벌 알루미늄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2298억5000만 달러(한화 약 305조)이고 2024년 2438억9000만 달러, 2032년까지 3937억 달러(한화 약 500조)로 꾸준한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특히 비철금속 가운데 연간 CAGR이 6.2% 예측될 정도로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는 큰 규모의 산업군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476649?sid=101

FS리서치

26 Dec, 02:18


서진시스템 : 24.12.26 IR 통화 및 업데이트

서진시스템은 지난해 매출액 대비 11.7%에 해당하는 규모의 ESS향 의미 있는 공시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글로벌 ESS 수요에 대한 의심을 불식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공시로 평가됩니다.

ESS사업부문 25년 고객사별 회사 가이던스 :
1. 플루언스에너지 : 5,000억 원
2. 포윈에너지 : 2,500~3,000억 원
3. 삼성SD : 1,500~2,000억
4. 신규고객사(GE, 허니웰 등) : 1,000억 원


OP마진은 15%~20% 추정.

금일 공시는 플루언스에너지와 포윈에너지 향으로, 저희 팀에서 확인한 바로는 계약기간이 2024년 12월 26일부터 2025년 9월 26일까지로 명시되었으나 910억 원의 규모는 내년 상반기 내에 모두 납품될 예정입니다. 이는 2025년 1, 2분기에 매출로 인식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삼성SDI의 SBB 1.5도 2025년 상반기부터 납품이 시작될 예정으로, 또 한 번의 의미 있는 공시가 기대됩니다.

추가적으로 반도체 부문에서도 램리서치 향으로만 2025년도에 4,000억 원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회사와 소통하였습니다. 웨이퍼 이송 장비, 파워박스, 검사 장비의 프레임 조립 및 제품 등 다양한 제품이 2025년 1분기를 시작으로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넘어가며 매출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외에도 AMAT, ASML, 매슨테크놀로지까지 납품을 기대하고 있어, 서진시스템의 체질은 확실히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사 :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41226_0003010493

공시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26900151

FS리서치

26 Dec, 01:4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981451

FS리서치

24 Dec, 05:59


스마트레이더시스템 , 美 팔란티어·안두릴 스페이스X·오픈AI와 1200조 국방 컨소시엄 참여··안두릴 레이더 공급사↑

미국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와 자율드론 제조업체 안두릴 등이 일론 머스크의 우주 방산기업 스페이스X와 챗GPT 개발사 오픈AI 등과 손잡고 미국 국방 예산을 따내기 위해 본격 협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자율드론 안두릴에 레이더를 공급하고 있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424960)이 강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와 자율드론 제 조업체 안두릴 등 대표적인 IT 방산업체들이 다른 기술 기업들과 손잡고 미국 국방 예산을 따내기 위해 본격 협의 중이다.

미국 국방 예산은 8천500억달러(약 1천231조원)로, 지금까지는 대부분 록히드 마틴 등 전통 방산업체들에 돌아갔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팔란티어와 안두릴 등이 다른 IT 기업 10여곳과 컨 소시엄을 구성, 미국 국방부의 방위사업 입찰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고 23일 보도 했다.

컨소시엄에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 방산기업 스페이스X와 챗GPT 개발사 오픈AI, 자율 선박 제조업체 새로닉(Saronic), AI 데이터 기업 스케일AI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컨소시엄 구성 협상은 현재 진행 중으로, 이르면 내년 초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이 전했다.

한편,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미국 자율드론 기업인 안두릴에 드론용레이더를 납품하 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 드론 요격업체로 알려진 안두릴과 개발한 드론용 레이다는 2년간 협력을 통해 2021년부터 상용화에 성공했다. 또한 최근엔 안두릴의 롱레인지(Long Range) 드론용 레이다를 개발 중이다.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22537

FS리서치

24 Dec, 01:51


[기업요약] #사이냅소프트

- 락업 해제 물량 50만주 출회 4일차
- 기관 누적 매도 총 40만주 완료

https://blog.naver.com/topnoname/223703476243

FS리서치

24 Dec, 01:23


젝시믹스 샤오홍슈 팔로워 수

FS리서치

24 Dec, 01:20


스마트레이더시스템 : 25년부터 기대되는 이유

작년 12월 저희 팀에서 인뎁스 리포트를 작성한 이후, 지속적으로 팔로우업 중인 기업입니다. 의미 있는 내용이 있어 간단하게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스쿨버스 진행 상황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플로리다주 내 카운티별 예산에 맞춰 예산 절차가 용이한 곳부터 진행 중입니다. 그중 한 곳이 세미놀 카운티(스쿨버스 : 414대)입니다.

회사와 소통하기로 스쿨버스 한 대당 $5,000이고 설치비 $1,000으로 총 $6,000입니다. 기존에 우려 사항은 ① 비용적 측면에서 설치 인부 교육비, 설치비가 추가로 들어가는 것. ② 해당 주 내 스쿨버스 설치 인력(technician)의 숫자가 제한적이기에 설치 속도 측면에서 우려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설치 대행 회사를 별도로 계약(버스 1대당 $1,000)함으로써 이러한 우려 사항이 우호적인 환경으로 변화하였습니다.

- 기존: 스쿨버스 대당 $5,000(레이더 21개). 설치비 포함.
- 변경: 스쿨버스 대당 $5,000(레이더 21개) + $1,000(설치비 별도 및 설치 대행사에서 설치).

플로리다 주 내 스쿨버스는 17,388대이며 카운티별로 발주가 나오겠지만 설치 속도는 굉장히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에 인캐빈과 아웃사이드 레이더의 원가를 고려했을 때 GPM은 약 70%였지만 우려 사항이었던 설치비와 인부 교육비를 고려하면 낮은 OPM을 예상했지만 현재 상황은 20~30% 정도의 마진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플로리다 주 이외에 진행 상황이 빠른 주는 워싱턴주(스쿨버스 10,345대), 미시간주(스쿨버스 15,000대), 오하이오주가 있습니다.

특히 플로리다주는 일부 하원 의원들이 법제화 추진 중으로 회사 입장에서는 사업하기 용이한 상황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자동차 : 카메라+레이더 결합제품
동사와 같은 소규모 벤처기업이 글로벌 완성차 벤더로 등록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매출에서도 볼 수 있듯이, 2022년과 2023년 동안 현대모비스에 레이더 샘플 정도 납품하는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SDIR(SW Defined Imaging Radar)을 선언하였습니다.

국내외 완성차 OEM 향으로 카메라(LG이노텍) + 레이더(스마트레이더시스템) 결합 제품으로 설계 및 영업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LG이노텍과 함께 SDIR을 기반으로 전방 탐지거리는 350m, 측·후방 탐지거리는 200m까지 설계를 완료하였습니다. 현대차 향으로 레이더는 동사의 제품과 카메라는 LG이노텍이 채택하여 개발이 진행 중이며, 현재 테스트 물량만 1,000세트 이상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내 최종 테스트가 예정되어 있으며, 테스트 기간을 마친 후 실질적인 매출은 2025년 하반기에서 2026년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 양산 시 LG이노텍의 공장을 사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LG이노텍의 고객사인 포드와도 협력하기로하였으며,
국내외 대형 OEM사 향으로 동사의 레이더와 LG이노텍의 카메라를 함께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동사는 모듈 제조를 담당하며, LG이노텍은 일부 통신 기능, 하우징, 품질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두 회사는 공동으로 영업을 진행하며, 향후 LG이노텍의 모듈 매출과 함께 별도 계약이 체결될 경우 러닝 로열티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외 소규모 기업은 다른 카메라 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동사는 모트렉스와 함께 베트남과 싱가포르 경찰차에 레이더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 협력에서 모트렉스는 카메라를, 동사는 레이더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외의 사업은?
1. ITS - 이스라엘과 한국 정부 간 공동 기금을 조성해 수행하는 국책 과제 수행 → 최근 공시(정부 출연금으로 동사는 16억 원 배분). 현재 MOQ 4배 UP.

2. 드론1 - ANDURIL 향 수비형 드론(100m 수비용 (ASP 70만 원)) 꾸준히 PO 나오고 있음.

3. 드론2 - 네바다주 + 한국 배터리사와 JV 사업. 동사는 레이더 독점 공급. 네바다주 정부 11,000대 수비형 드론 발주 기대.

4. 드론3 - 아마존프라임에어와 관련하여 최근 샘플 수량 정도 납품하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대표이사님과 지속적인 미팅 중.

5. LG전자 가전제품(에어컨) - 국내외 보급형 및 프리미엄 제품으로 절전형 기능(70%전력 감축)과 사람을 감지하여 사람이 있는 방향으로 에어컨 바람이 작동하는 AI 가전. 25년 국내향으로는 PO는 이미 확정받은 상황. 해외로는 미국, 캐나다, 태국, 브라질 등 11개국에 승인을 받아 25년 매출 확대가 기대.

6. 헬스케어 - 일본 요양병원, 가정 등에 납품되는 것으로 납품 중. 현재 MOQ가 3,000개까지 증가(4.5억)하여 국내에서 기존에 LGU+와 사업했던 ASP보다 높은 상황으로 추가적인 고객사 확보 중.

7. 특장 차량 - 현대건설기계(신제품에 탑재), 두산인프라코어(신제품+기존 제품, 모델이 30개가 넘음) 외주 및 품질 최종 테스트 승인되어 포캐스팅까지 확정.

최근 노트래픽 향 레이더 모듈 공급 계약 체결 공시, ITS 관련 국책 과제 선정(ITS) 공시, 해외 쓰레기 수거 목적 특수 차량용 레이더 공급 계약 공시 등 의미 있는 공시가 나오고 있어 25년은 더욱 기대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회사에서 업데이트되는 사항은 다시 한번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FS리서치

24 Dec, 00:31


스마트레이더시스템 : 머니투데이 기사

기사내용 中
최근 머니투데이와 만난 김용환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대표이사는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19에 자사 제품을 처음 선보였을때 구글, 애플, 테슬라 등이 관심을 가졌다"며 "한때 자율주행사업을 추진했던 애플과 팀미팅을 진행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관심을 보였던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의 핵심 기술은 비정형 안테나 어레이다.

김 대표는 "창업 당시 내수용 회사가 아닌 글로벌 회사를 지향했기 때문에 전세계에 특허를 출원했다"며 "일본 오므론, 미국, 이스라엘 회사 등에도 제품을 납품하며 신용도를 쌓아갔다"고 했다.

최근 스마트레이더시스템에 주목했던건 미국 플로리다주 스쿨버스에 적용될 레이더 솔루션에 대한 활용범위를 확대하면서부터다. 지난 10월 플로리다주 교육위원회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의 레이더제품을 지역구 내 스쿨버스에 설치할 수 있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김 대표는 "레이더의 미래는 결국 비전과의 결합이 필수"라며 "B2B(기업간거래) 거래의 특성상 실적으로 전환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지금까지 결과적으로는 투자자에게 약속한 바를 이행했다.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적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4122314594656586

FS리서치

24 Dec, 00:30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3일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산업계·금융계와 연대와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도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힘껏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news1.kr/politics/president/5639950

FS리서치

24 Dec, 00:16


재생의료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이 코스메틱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전문기업 블리스팩 인수 절차를 모두 마무리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자회사 블리스팩 지분(100%) 인수를 완료하고,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224_0003008440

FS리서치

24 Dec, 00:15


머큐리, 북미향 무선 공유기 플럼 OS 5.4 인증 획득…내년 공급 본격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2409060827455

FS리서치

23 Dec, 23:12


(*) 스터닝밸류 리서치 기업탐방리포트 입니다.

"지역난방공사 (071320)" - Not Rated(미제시)
- 진정한 겨울 수혜주..

• 겨울에 실적 집중..
• 3년만에 다시 높은 배당 전망..(4.2%예상)

1. 열 판매하는 집단에너지사업 기업..
- 집단에너지사업(지역냉·난방사업), 전기사업, 신·재생 에너지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24년 9월말 기준 총 19개 사업장에서 1,866천호의
공동주택과 2,963개소(냉방 1,411개소 포함) 건물에냉·난방을 공급하고 있으며, 500MW급 이상의 중대형 발전소와 신재생설비를 포함한
2,712MW의 발전소를보유하고있다.

2. 겨울에 실적 집중..
- 동사의 성수기는 1분기, 4분기로 겨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26년까지 지속적인 요금인상도 예상된다. . 이를 통한 미수금 축소로 영업이익에도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3. 3년만에 다시 높은 배당 전망..(4.2%예상)
- ’15년 36.2%, ’16년34.7%, ’17년 46.7%, ’20년 40.0%, ’21년 43.0%로 평균 40.1%의 배당성향을 기록하였다. 올해
배당성향은 10%이상으로 예상된다. 동사의 올해 순이익 컨센서스는 2,300억원으로 보수적으로 배당성향10%를 감안하면 주당배당금은 1,986원으로 현재주가를 기준으로 시가배당율은 4.2%에 이를것으로 예상된다.


(*) 개인 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스터디 노트입니다. 매수/매도의 추천이 아니며, 투자 판단의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FS리서치

23 Dec, 05:49


지난 10월 보고서에서 IMF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내년 4분기에 끝나는 시나리오를 기본값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에서 2026년까지 전쟁이 이어지는 부정적인 시나리오를 추가한 것이다.

2026년 중반 종전될 것으로 예측한 시나리오는 다소 암울한 편이다. GDP 회복세 둔화, 인플레이션 상승, 2026년까지 20%를 초과할 재정 적자 등 더 심각한 경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IMF는 바라봤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88429?rc=N&ntype=RANKING&sid=105

FS리서치

23 Dec, 04:50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올해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량이 역대 최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유럽 각국은 앞에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비판하면서 뒤에선 러시아의 전쟁 비용을 대준 셈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자국산 LNG를 대량으로 수입하지 않으면 유럽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유럽 에너지 기업들 입장에선 정부의 별다른 규제가 없는 지금으로선 싼값의 러시아 가스 대신 미국산을 수입할 이유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

12월 중순까지 유럽의 러시아 LNG 수입 물량은 지난해 수입량은 1518만t보다 8.7% 많은 수준이다. 종전 최대치인 2022년 1521만t보다도 훨씬 많은 수준이다. 에너지경제 및 금융분석 연구소(IEEFA)의 아나 마리아 잘러-마카레비츠 애널리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놀랍게도 러시아산 LNG 수입을 점진적으로 줄이기는커녕 오히려 늘렸다"며 "유럽이 '당황한' 탓에 여전히 더 저렴한 러시아산에 대한 의존을 끊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후"라고 설명했다.

유럽은 전쟁 이전에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천연가스의 약 40%를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한 이후 EU는 2027년까지 러시아 화석 연료의 수입을 중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제재를 가했다. 다만 파이프라인 가스를 포함한 러시아로부터의 전체 가스 수입은 아직도 EU 가스 공급의 약 16%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럽 항구에 도착하는 LNG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라이스타드의 크리스토프 할서 천연가스 담당 애널리스트는 "러시아 야말 터미널에서 유럽으로 운송되는 LNG는 미국을 출발해 대서양을 건너오는 가스보다 가격이 상당히 낮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유럽으로 수입된 러시아산 LNG가 모두 유럽에서 소비되는 것도 아니다. 일부 에너지 기업은 러시아산 LNG를 재수출해 이익을 남겼다. 올해 프랑스로 들어온 LNG 물량은 2023년에 비해 거의 두 배로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부분 덩게르크항을 통해 들어왔다. 프랑스 에너지 기업인 EDF와 토탈에너지, 독일 국영 에너지 기업 세페가 이곳에 터미널을 운영한다. 벨기에도 러시아산 LNG의 두 번째로 큰 수입국이다. 벨기에 지브뤼헤항은 북극에서 사용되는 쇄빙선에서 일반 화물선으로 LNG를 환적하는 주요 거점이다. EU 집행부는 뒤늦게 러시아산 LNG를 비(比) EU 국가로 환적하는 것을 금지하기로 합의해 내년 3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33027i

FS리서치

23 Dec, 04:36


베리어프리 키오스크 의무화에…수혜업체 ‘관심집중’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위반시 시정명령 및 과태료 부과확정
베리어프리 선도업체 엘리비젼·마음AI 맞손 ‘눈길’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6일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장애인·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키오스크(무인정보단말기)이용 편의 제공을 의무화하고 미이행 시 시정명령 및 과태료 부과 등 법률에서 위임한 사항과 시행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규정하려는 것이다.

이번 개정안의 내용에 따르면, 키오스크 설치·운영자가 이용 편의 제공 의무를 준수하지 않는 경우는 과기정통부 장관이 기간을 정하여 시정명령을 하고,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과태료를 부과한다. 과태료 금액의 경우 1회 위반 900만원, 2회 위반 1500만원, 3회 이상 위반시 2400만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https://www.fnnews.com/news/202412230856363836

FS리서치

21 Dec, 04:57


세경하이테크

신사업과 관련하여 좋은 글이있어 링크 첨부드립니다.
내용에도 나와있듯이 세경하이테크의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기대해봅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ks200331022/223700983321

FS리서치

21 Dec, 04:11


#필러
- 20일 기준으로도 월별 수출 데이터 꾸준히 잘 증가하고 있음.
- 분기 데이터 기준 현재까지만으로도 ATH 기록. 4Q24 ATH는 확정.

FS리서치

19 Dec, 23:25


#사이냅소프트 첫 AI 서비스(베타)

다트공시 AI 엔진 : dartpoint.ai

- 기업 데이터 엑셀 표로 정리 기능
- 경쟁사 분석
- 뉴스플로우(긍정/부정/노출도) 분석
- 어시스턴트 기능

기업분석 글 :
https://m.blog.naver.com/dragonstock/223678577061

FS리서치

26 Nov, 14:20


S&P Global Mobility에 따르면 11월 미국 경차 판매량 +6% YoY 증가 전망

EV 모델의 점유율은 8.7%로 추정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대형 고급 모델 대비 저렴한 소형 크로스오버 및 픽업트럭이 선호되며 경차에 대한 수요 증가

또한 해당 기관측은 EV의 재고 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25년 연방 정부의 EV 지원 정책이 철회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11월과 12월 EV 판매량과 점유율이 상승할 수 있다고 언급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us-light-vehicle-sales-rise-6-november-report-says-2024-11-25/

FS리서치

26 Nov, 14:15


테슬라

2025년, FSD Unsupervised 시작

2025년, Robotaxi 파일럿 서비스 시작

2025년~2026년, ‘승차 하차 호출 배차’ 데이터 수집 및 훈련 진행

2025년~2026년, ‘승객관리 차량 관리 ’ 데이터 수집 및 훈련 진행

2026년 하반기, Cyber Cab 대량양산 및 Robotaxi 비즈니스 시작

2027년, Robotaxi 대중화 자동차 제조 가동률 하락 시작

2027-2030년, Optimus 대량 양산 및 범용 노동 대체 투입 시작

(24. 11. 26 메리츠)

FS리서치

26 Nov, 12:15


이번 Meta 어닝콜에서 3가지가 인상 깊었습니다.

1. Meta가 M7 중 유일하게 2025년 CapEx가 크게 성장할 것이라 예고했습니다.

2. Llama가 어떻게 Meta에 기여를 하는지에 대한 마크 주커버그의 설명입니다. 개발자들에게 널리 채택됨으로써, Nvidia, AMD 같은 칩 메이커들이 Llama에 최적화된 칩을 만들기 때문에 Meta의 전체적인 AI 성능이 개선된다고 답했습니다.

3. 미래 피드 경험이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 제시였습니다. 주커버그는 현재 피드는 창작자 컨텐츠와 알고리즘 추천 컨텐츠가 주를 이루는데, 미래에는 AI 생성 컨텐츠와 기존 컨텐츠를 요약/조합한 새로운 카데고리 컨텐츠가 추가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11월은 M7 실적 보는 데만 시간이 이렇게 많이 흘렀네요. 건강이 무엇보다 우선임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는데 다들 잠 푹 주무시고 건강식 잘 챙겨드세요!

#미국주식 #메타 #META #실적발표

FS리서치

26 Nov, 12:11


https://finance.yahoo.com/news/biden-proposes-medicare-medicaid-coverage-104108202.html

FS리서치

26 Nov, 12:11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정부가 체중 감량 약물에 대한 보험을 적용하도록 요구하는 규정을 제안했는데, 이는 비만인 수백만 명의 미국인에게 약물 접근성을 확대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에게 엄청난 새로운 의료비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FS리서치

26 Nov, 06:22


플루언스 에너지 3Q24 실적발표 : 울퉁불퉁한 성장 속에서 중요한 두 가지 지표
: https://naver.me/GJTwCjcc

- 플루언스의 3Q24를 요약하면 "또 한 번 중요해진 디테일"입니다. 플루언스는 이제 내년 가이던스로 FY25 매출성장률 YoY 33~63%, Adj EBITDA는 YoY 105~156%를 전망했습니다.

- 지난 4개 분기 평균 매출액은 $675M였고 앞으로 다가올 4개 분기 평균 매출액은 $1000M입니다. FY25는 매출증명을 넘어 이익증명의 시간임을 알린 실적발표였습니다.

- 그러나 FY25의 매출비중을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보면 울퉁불퉁함이 내년까지도 이어진다는 점이 보입니다. 따라서 흔들리지 않은 두 가지 포인트를 체크하는 게 중요했습니다.

🎁 첫 달 50% 쿠폰이벤트 (네이버 지원)
- 쿠폰대상 : 신규 구독자
- 할인규모 : 월 구독료의 50%
- 발행기간 : ~11월 30일 (이번주 마감)
- 채널링크 : https://naver.me/x9cMKubA

🐾 이전 글
-
주간전략보고 : 투자의 생각 (11월 25일~11월 29일)
-
엔비디아 3Q24 실적발표 : Blackwell is full steam ahead, 생각보다 빠른 블랙웰 램프업
-
버티브홀딩스 Investor Day 2024 : 모두가 생각해본 적 없던 숫자, 100GW & 1MW

FS리서치

26 Nov, 01:0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644296

FS리서치

26 Nov, 0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06130

FS리서치

26 Nov, 00:14


[IV Research]

큐리언트(115180)-ADC Payload의 혁신을 기대

ADC 내성 기전을 억제하는 Q901


다이이찌산코/아스트라제네카의 ‘Enhertu’가 큰 성공을 거둔 이후부터 머크, 길리어드 등 빅파마들의 ADC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대부분의 ADC는 주로 새로운 항체나 Linker를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Payload는 여전히 한정적인 상황이다. 이중 TOP1i(Topoisomerase1 inhibitor)는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Payload로, DNA 상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DPC(DNA-Protein Crosslink)를 만들어 DNA 손상을 유발하는 기전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암세포에서 DNA 손상 복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면 TOP1i의 기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ASCO 2024에서 다이이찌산쿄, 길리어드 등 주요 빅파마들은 ADC 불응 또는 내성 환자들의 암 조직을 분석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전반적인 DDR(DNA Damage Response) 유전자들의 변이 및 활성화가 ADC에 대한 반응과 연결된다는 내용이 공개되었다. 이는 어떤 하나의 DDR 유전자가 아닌 다양한 DDR 유전자 발현을 전반적으로 억제하는 Q901이 ADC 불응 환자들에게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Q901은 세계 최초로 ADC의 기능을 강화하고 내성을 극복할 2가지 기전을 제시한다.

​1H25 Q901 임상1상 종료 예상

동사는 현재 Q901 임상1상을 진행 중이며 안전성이 매우 높아 현재 Dose level 5인 126mg/㎡까지 용량을 확장하여 투약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1H25 임상1상 종료 및 RP2D가 확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ADC 약물을 개발하고 있는 빅파마로 License out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CDK7 저해제의 가장 큰 허들은 언제나 부작용 이슈였다. 그러나 Q901은 높은 선택성과 물성을 확보하며 Off-target, On-target 부작용 모두를 해결하였고, Q901은 임상1상 중간 결과, 효능을 보인 용량은 첫 Dose level인 18mg/㎡였다. 126mg/㎡까지 용량 증량을 진행한 것을 감안할 때 Therapeutic index가 매우 높은 약물로 신약으로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판단이다.

자금 관련

2024년 5월 동사의 최대주주는 동구바이오제약으로 변경되었다. 대형 제약사는 아니지만 자금력이 충분한 제약사로 인수되며 자금수혈을 완료하였다. 3Q24 기준 동사의 현금및현금성자산과 유동금융자산을 합친 금액은 약 470억원이다. 또한 지난 11월 19일 동구바이오제약 대상 60억원 규모 영구전환사채를 발행하며 자본을 확충, 법차손 리스크를 해소했다. 동구바이오제약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되며, 소형 바이오텍의 최대 리스크인 자금조달 이슈는 사실상 사라졌다고 판단한다.

​https://t.me/IVResearch

https://orangeboard.co.kr/insight/zACzr

https://blog.naver.com/ivresearch/223672499287

FS리서치

26 Nov, 00:10


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674072?type=breakingnews

FS리서치

24 Nov, 23:46


알테오젠 주주 분들께

이번 1년간 알테오젠은 좀 더 안정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기반과,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확장 기회를 마련하여 회사가 목표로 하고 있는 지속 성장 가능한 바이오 제약회사에 조금 더 가까워졌습니다. 기업가치도 부침이 있었으나 주주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성원에 힘입어 국내 바이오텍 중에서 가장 크게 되었습니다. 큰 감사를 드립니다.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알테오젠과 관련된 이슈들을 이 지면을 빌어 설명하고자 합니다.

1. ALT-B4(히알루로니다제)의 특허 이슈는 키트루다SC의 임상 3상 탑라인 발표에 맞춰 발표된 외국계 리포트로 촉발되었다고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 실제 내용은 경쟁사가 지난 컨퍼런스콜에서 발표하였던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내용을 기반으로 키트루다SC가 해당 플랫폼의 특허를 침해할 경우, 플랫폼을 가지고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을 설명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다시 말하여 키트루다SC가 특허를 침해하였다는 내용이 아닌, 키트루다SC 3상 탑라인 발표에 따라 이러한 시나리오도 가능하다는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주주 여러분들이 잘 아시다시피 당사의 ALT-B4는 당사 및 각 파트너사들의 심도 깊은 특허 분석 및 복수의 특허 전문 로펌을 고용하여 독립적인 물질이자, 알테오젠이 오롯이 특허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물질입니다.특히, 이번에 이슈가 점화된 키트루다SC 제형특허의 경우, 당사의 기본적인 특허 전략인 '주요국 특허 확보'가 아닌 백 개국 이상의 개별국에 특허 출원 및 등록이 이어지고 있으며, 인구 10만 명이 안되는 국가에도 당사의 이름으로 이를 진행하여 확고한 특허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파트너사인 MSD의 요청과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키트루다SC의 성공을 위한 조금의 리스크도 허용하지 않는 태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ALT-B4가 사용된 첫 피하주사제형 제품의 출시가 가시화되면서, 전세계 제약회사들에게 ALT-B4가 피하주사제 보조제로써 필수 불가결한 물질임을 다시 한 번 각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확보가 중요한 제약 바이오 산업에서 최고의 역량을 가진 기업들과 특허 이슈를 클리어하고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드리며, 당사와 주주 여러분의 성장을 위해 쉬지 않고 정진하겠습니다.

2. 당사의 수익 예측과 관련하여, 지난 2월 체결한 키트루다SC에 대한 계약 변경 후 로열티는 양사간의 합의로 인하여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알테오젠은 파트너사와의 합의를 준수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기업가치 증대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파트너사와의 계약을 준수하며, 해당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이에 대한 추측치에 대해서도 일체의 답변 및 평가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출시 후 3년 이내에 현재 공개된 마일스톤을 모두 수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앞으로도 회사와 주주를 위해 최선의 계약을 체결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각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기업가치 제고, 더 나아가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항상 주시는 성원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http://www.alteogen.com/ir_1/?uid=2429&mod=document

FS리서치

24 Nov, 22:32


美안보보좌관 내정자 "트럼프, 우크라 확전 우려…휴전협상해야"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64342

FS리서치

24 Nov, 21:56


브이티 : 만약 잘되면 업사이드 3배

https://blog.naver.com/dragonstock/223671337503

FS리서치

24 Nov, 13:18


테슬라 FSD 13 - 2024년에만 안전성이 1000배 향상(MPCI)?

일론 머스크: 곧 출시

FS리서치

24 Nov, 03:02


韓中, 문화예술·콘텐츠 교류 확대키로… 한한령 해제 기대감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34533?sid=104

쑨 부장은 콘텐츠 등 분야에서 한국의 성공 사례를 배우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국 문화·관광장관 회담과 부처 간 교류의 정례화▲박물관·미술관·
도서관·극장 양국 문화기관과
예술단체 간 교류 ▲양국 기업 간 교류 심화 등을 제안했다.

이에 유 장관은 “게임·영화·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한중 간 투자와 협력이 이미 활발하다”며 “앞으로 대중문화 분야에서 한중 합작 등을 통해 양국이 힘을 모은다면, 세계 시장도 겨냥할 수 있다”고 했다.

이날 유 장관은 “중국 내 한국 영화 상영이나 공연 등이 활발해진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한령 해제 필요성에 대해 간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FS리서치

23 Nov, 12:46


오는 2033년까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건설에 대한 인허가는 물론 탠덤태양전지 효율을 26.1%에서 35%로 끌어올린다. 아울러 400MW급 수소 전소터빈 상용화와 함께 미활용 열에너지 활용률도 30%로 상향하는 내용의 국가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청사진이 나왔다.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4742

FS리서치

23 Nov, 09:12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30/0003260270?type=series&cid=2001288

FS리서치

23 Nov, 01:22


순대렐라님의 깔끔한 정리

[알테오젠] 유진투자증권 콥데이 개인적인 생각
https://blog.naver.com/goodoranc/223669995165

FS리서치

23 Nov, 00:22


[임상 업데이트] 디앤디파마텍, 먹는 비만약 북미 임상 첫 환자 투여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1640006639088672

FS리서치

22 Nov, 11:14


제목 : 바이킹 테라퓨틱스(VKTX), 중요한 다이어트약 시장교란자 B. Ri *연합인포맥스*
B. Riley의 Mayank Mamtani 애널리스트는 바이킹 테라퓨틱스가 당뇨, 비만 의약품 시장교란자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바이킹 테라퓨틱스의 VK2735는 2형 당뇨 및 비만으로 인한 대사기능장애 관련 지방간염 의약품 후보물질이며, 효용 유도 및 유지 패러다임을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유일한 GIP 작용제이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VK2735가 당뇨, 비만 의약품 시장에 장기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시장교란자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특히 “’24년 들어 진행된 연구 내용들을 살펴봤을 때, 바이킹 테라퓨틱스는 경구 투약이 가능하다는 자료를 충분히 수집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109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FS리서치

22 Nov, 07:3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290427

FS리서치

22 Nov, 07:36


이수페타시스가 급증하는 글로벌 고객사의 MLB(고다층 PCB)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설비투자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이수페타시스는 지난 8일 신규 공장 증설과 설비투자를 발표하며 약 4000억 원을 투입해 2028년까지 제5공장을 완공할 계획이라고 공시했다. 해당 투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지속적인 공급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특히, 4공장을 준공한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이번 5공장 투자를 단행해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고다층 PCB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회사 측의 신속한 조치로 풀이된다. 4공장에 앞선 3공장이 지난 2015년에 준공된 것을 감안하면, MLB 시장이 슈퍼사이클에 진입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41122000876

FS리서치

22 Nov, 07:28


최신 소식통에 따르면, 테슬라 FSD가 2025년 1분기에 중국에 진출할 것이라고 확신.

데이터 검토, 내부 교육, 일반화 테스트를 포함한 프로세스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 사용자에게 출시하는 데는 더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아마도 2분기까지 연장될 것입니다.

FS리서치

22 Nov, 07:24


로봇 전문 기업 로보티즈(ROBOTIS)는 다이나믹셀, ROS, 자율주행로봇(AMR) 등 혁신적인 로봇기술을 통해 지난 20년간 한국 로봇 산업 발전에 기여해 왔다. 올해 12월 출시 예정인 다이나믹셀-Y는 모듈형 구동장치로 고객 환경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향후 활발한 활용이 기대된다. 또한, AMR 개미는 호텔, 오피스 구역, 공원 등 실내외 전방위를 지원하고 있다. 로보티즈는 로봇기술로 사회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다.

https://robotzine.co.kr/entry/272103

FS리서치

22 Nov, 07:13


마트·편의점 '저가 PB' 가격까지 올랐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042511

FS리서치

22 Nov, 05:21


주주 분들께 드리는 글



㈜펩트론의 주주님들 안녕하십니까. 최근 당사의 유상증자에 보내주신 성원 덕분에 성공적인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하게 됐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금일 당사에 대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확산되어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 되는 상황에 대해 바로 잡고자 합니다.



어제(21일) 당사는 기업설명회 개최를 통하여 당사가 진행 중이며 향후 계획 중인 모든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설명 드렸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약 상대방과의 비밀유지 조항으로 인해 기술이전과 플랫폼 확대 적용에 대해 진행 중인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드리지 못한 점 깊은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다만, 당사의 기술은 1개월 이상 지속형 기술로서 해당 약물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로 평가 받았으며 상용화 및 생산을 위한 구체적인 사안들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향후 당사는 주주분들께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고, 충분히 소통함으로써 주주분들께서 보내주신 성원에 보답하고자 합니다. 그럼에도 여러 계약 상대방과의 계약 내용 및 논의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지 못하는 점에 대해 늘 송구하게 생각하며, 당사의 주주님의 이익이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주주님의 알 권리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http://www.peptron.co.kr/ds4_1_1.html?db=newsp&no=94&c=view&page=1&SK=&SN=&kind3=&idx=

FS리서치

22 Nov, 02:05


https://www.mk.co.kr/news/it/11175155

FS리서치

22 Nov, 00:52


2024.11.22 09:50:25
기업명: 디앤디파마텍(시가총액: 3,616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DD02S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제목 : DD02S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2023.04.25 Metsera, Inc.에게 기술이전된 DD02S(경구용 GLP-1 비만 치료제)의 단계별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수령 예정임

2) 상기 내용은 세부 마일스톤 중 하나인 "임상1상 첫환자 투약"의 달성으로 확정된 마일스톤임

3) 수령 금액 : USD 2,000,000 (약 28억원)

4) 상기 마일스톤 기술료 금액은 당사의 2023년 말 연결기준 영업수익(약 187억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229000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7850

FS리서치

21 Nov, 23:47


(*) 스터닝밸류 리서치 "솔트룩스" 보고서입니다.

솔트룩스 (304100) - Not Rated(미제시)

B2B 생성형 AI시장 대장주!

•Open AI의 기업용 ‘챗GPT’보다 장점 많아..

•올해를 기점으로 매년 창립 최대 매출 달성 전망..

1. '인공지능 AI 솔루션’ 전문 기업..

2. 세계 최초 생성형 AI 어플라이언스 '루시아온'..

3. Open AI의 기업용 챗GPT보다 장점 많아..

4. 3분기 흑자전환성공..

5. 신규사업확장으로 올해부터 향후 3년간 창립 최대 매출 기록 전망

(*) 개인적인 뷰이니 참고만 하세요.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입니다.

FS리서치

21 Nov, 23:19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이병화]

한글과컴퓨터(030520) - PER 10배의 AI S/W를 살 기회

▶️ 본업 S/W 성장 지속, 밸류에이션 매력 점증
- 25년 PER 10배의 AI S/W 기업, S/W 실적 내 클라우드 비중 32%로 매분기 확대
- 클라우드 기반 AI S/W 성장세, 글로벌 IT 기업과 온디바이스AI 협업 등 시장 다변화 시작

▶️ 3Q24 Review: AI S/W 실적 성장 지속
- 별도 기준 매출액 376억원(+32.8% YoY), 영업이익 122억원(+107.6% YoY), 클라우드 매출 118억원으로 실적 성장 견인
- 연결 기준 매출액 712억원(+24.9% YoY), 영업이익 85억원(+159.9% YoY), 한컴라이프케어의 안정적인 매출 유지와 수익성 개선세 긍정적
- 클라우드 SaaS 공공 및 민간부문 적용 확대, 생성형 AI 제품 구성 확대로 본업 실적 성장 지속

▶️ Valuation & Risk: 연결자회사 실적 변동성 축소 시 주가 재평가 가속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5,000원 유지, 25F EPS에 목표 PER 17.1배 적용
- EPS 적용 시점 24년도에서 25년도로 변경, 목표 PER은 과거 4개년 평균 PER에 13.6% 할인
- 연결 자회사 실적 변동성 축소 시 밸류에이션 정상화 기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0805

위 내용은 2024년 11월 22일 07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S리서치

21 Nov, 23:18


앱솔릭스, 美 상무부서 1억달러 보조금 받는다
https://www.etnews.com/20241121000422

FS리서치

21 Nov, 23:16


안녕하세요. 오늘 발간된 '스몰캡 25년 연간전망' 자료 보내드립니다.

🧿 유안타증권 권명준 (3770-5587)
🧿 유안타증권 손현정 (3770-5595)
🧿 유안타증권 백종민 (3770-5598)

2025 Yuanta Small cap - T.I.C

링크: https://bit.ly/4hYsrL0

■Part1. Tech① AI S/W 오랜 기다림, 실망에서 환호로
-관련기업: 코난테크놀로지, 뷰노
■Part2. Tech②ETC
-유리기판: 기대되는 시장 개화/ 사이버보안: 관심이 필요한 시점
■Part3. Industry①전력기기, 확장 사이클 속 차별화 전략
-관련기업: 일진전기, 산일전기
■Part4. Industry②로봇, 본격적인 확산
-관련기업: 로보티즈, 뉴로메카
■Part5. Consumer goods①필러, 다이어트와 동행
-관련기업: 휴메딕스, 제테마
■Part6. Consumer goods②패션, ASP 상승 시즌 진입
-관련기업: 폰드그룹, 감성코퍼레이션

FS리서치

21 Nov, 09:13


엔비디아 3Q24 실적발표 : Blackwell is full steam ahead, 생각보다 빠른 블랙웰 램프업
: https://naver.me/GlJ0KA45

- 엔비디아의 3Q24를 요약하면 "예상보다 더 좋았던 Blackwell"입니다. QoQ 기준 매출은 17%, EPS는 19% 성장했습니다. 초고속 성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체크해볼 것들이 많았습니다.

- 이번 분기에는 세 가지 포인트가 중요했습니다. GPM, Several Billion Dollars, 공급망입니다. 모두 기대보다는 좋습니다. Blackwell 램프업이 시장의 생각보다 더 빠릅니다.

- 이제 추론이 중요해졌습니다. OpenAI o1이 추론에서도 스케일링 법칙을 선보였고, 기업들의 AI 배포가 시작됐기 때문입니다. 추론의 시대에도 엔비디아가 앞서갈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 첫 달 50% 쿠폰이벤트 (네이버 지원)
- 쿠폰대상 : 신규 구독자
- 할인규모 : 월 구독료의 50%
- 발행기간 : 11월 18일~11월 30일
- 채널링크 : https://naver.me/x9cMKubA

🐾 이전 글
-
버티브홀딩스 Investor Day 2024 : 모두가 생각해본 적 없던 숫자, 100GW & 1MW
-
마이크로소프트 AI CEO, 무스타파 슐레이만 인터뷰 : 2025년은 또 다른 변곡점이 될 것
-
주간전략보고 : 투자의 생각 (11월 18일~11월 22일)

FS리서치

21 Nov, 05:13


에스와이스틸텍, SG에 이어 한미글로벌, 대동까지 재건주가 확대되고 시세가 유지되는 모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휴젠 협정을 논희할 의향이 있다는 내용으로 재건주가 오후까지 강세를 보이고 있네요

FS리서치

17 Nov, 02:47


브이티, 중국 온라인몰 리들샷 반응
https://m.blog.naver.com/garsis/223663637687

FS리서치

16 Nov, 10:02


< 개인투자자 사무실 인원 모집 공고 >

✔️ FS리서치 사무실에서 전업투자자 분을 모십니다.

- 현재 사무실 인원은 4명이고, 두분 정도 모실 예정이구요
- 위치는 여의도역 부근입니다.
- 아직까지 저희는 국내 주식 위주로 하다보니 시너지를 위해 국주 투자자시면 좋겠구요 탐방이나 기업미팅을 기반으로한 기본적 분석 투자자를 모십니다.
- 저희는 유사투를 비롯한 수익사업을 하고 있지 않아, 일반 전업사무실처럼 생각하시면 될것 같아요
- 자세한 사무실 운영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이나 지원을 하고 싶으신분은 아래의 메일로 간단한 소개와 기업분석 보고서 하나 보내주시면 검토해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 블로그나 채널을 운영하시는 분은 해당주소를 보내주셔도 됩니다.

[email protected]

FS리서치

16 Nov, 06:41


"운동은 장비발, 러닝화 이게 좋대" 우르르…실적·주가도 '껑충'


https://naver.me/5bV75ZZ1

FS리서치

15 Nov, 13:34


스페이스X, 2,500억 달러 평가 예상, xAI는 450억 달러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12월에 주당 약 135달러, 회사 가치를 2,50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올해 초 2,100억 달러에서 상승한 수치입니다.

한편,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는 최근 50억 달러를 조달하며 몇 달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45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기록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https://www.ft.com/content/342e304b-4c09-4951-8bba-bc9a27ddb726

FS리서치

15 Nov, 12:50


제목 : 테슬라(TSLA), 전기차 혜택 폐지 우려에 주가 하락했지만 경쟁 유리 *연합인포맥스*
Barron’s는 전기차 세금 공제 혜택 폐지 전망에 전기차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했지만, 테슬라의 경우에는 경쟁우위가 강화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14일 테슬라 주가는 5.8% 하락했으며, ▲ 리비안 오토모티브(RIVN) 주가도 14.3% 급락했다. 이와 같은 미국 주요 전기차 기업의 주가 하락을 촉발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전기차 구매 시 7,500달러의 세금 공제 혜택을 폐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언론 보도였다”고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유세 기간 중에도 여러 차례 전기차에 대한 혜택 폐지를 주장해왔다. 월가는 트럼프 2기 정부 중에 전기차세금 공제가 폐지되는 것을 이미 기정사실로 보고 투자전략을 구성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그리고 월가는 리비안과 같이 많은 전기차 기업들이 세금 공제 폐지로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테슬라의 경우에는 피해가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테슬라가 이미 세금 공제가 없어도 순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펀더멘털을 확보했기 때문이다”고 언급했다. “여러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세금 공제 폐지로 인해 영업지속이 어려워지는 상황으로 내몰릴 경우, 테슬라는 오히려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테슬라는 ‘24년 전체 28억 달러, ‘25년 54억 달러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FS리서치

15 Nov, 06:2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2345?utm_source=pwa&utm_medium=pwa&utm_campaign=recommendation1&utm_content=241115&utm_term=157105

FS리서치

15 Nov, 06:14


이상으로 24년 10월 수출데이터 확정치 업로드를 마치겠습니다.

FS리서치

15 Nov, 06:14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우양
★지역 : 충남 서천 + 서울 강남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4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경동나비엔
★지역 : 경기 평택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2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베트남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2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중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1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미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1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하이트진로
★지역 : 일본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1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삼양식품
★지역 : 네덜란드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1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삼양식품
★지역 : 미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0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삼양식품
★지역 : 강원 원주+ 경남 밀양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10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농심
★지역 : 경기 안양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08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백산
★지역 : 경기 시흥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07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에스엠, JYP, 하이브, 와이지엔터
★지역 : 전국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5 Nov, 06:06


2024년 10월 수출데이터(확정치) 입니다.

★관련종목 : 한국항공우주
★지역 : 경남 사천

- 수출액(발표일기준) : 달라($)기준 수출액
- 수출단가 : 금액(달러)/중량(kg)
- 일평균수출액: 영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
- 성장률(YOY, %) : 영업일수를 고려한 성장률

FS리서치 텔레그램 : https://t.me/FSResearch

FS리서치

13 Nov, 09:40


제목 : 쇼피파이(SHOP), 시장점유율 확대 추이 강력 - GS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는 쇼피파이 실적내용을 종합했을 때 시장점유율 확대가 가속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미국의 소비시장이 견고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쇼피파이는 우수한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쇼피파이는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었고, 마케팅 효율성 향상 등을 바탕으로 점유율 확대 모멘텀은 더욱 가속되고 있었다"고 평가했다. "쇼피파이 총거래액(GMV) 증가세는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GMV 증가세를 3배 이상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이제 5개 분기 연속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쇼피파이 성장 모멘텀을 자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발언했다. "당사는 쇼피파이가 미국 전자상거래 채널 내에서 입지를 확대하는 것은 물론, 이미 성숙한 유통채널에서도 도입이 확대되면서 그 입지가 강력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88달러에서 13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FS리서치

13 Nov, 08:37


루닛이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액 341억 4천만원(전년비 73.4% 증가), 3분기 매출액 167억 7천만원(전년비 413.4% 증가)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자회사 '볼파라'의 매출이 처음으로 전체 기간 반영되어 SaaS 매출 97%의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인했으며, 올해 4분기부터는 양사 통합 마케팅 및 제품 크로스셀링으로 북미 시장 공략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아울러, 루닛 인사이트 국내 매출 상승, 루닛 스코프 매출 상승 등 전 사업 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였으며, 올해 4분기 및 내년도 볼파라와의 시너지 강화 및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확대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이 기대됩니다.

FS리서치

13 Nov, 08:25


제목 : 엔비디아(NVDA), 정부 기관 등 인공지능 수요 낙관 - Mizuho *연합인포맥스*
엔비디아는 오는 11월 20일에 FY25 3분기(8~10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Mizuho의 Vijay Rakesh 애널리스트는 인공지능 프로세서 수요와 이에 따른 엔비디아 수혜 전망을 낙관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FY25 4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시장이 예상하고 있는 수준으로 제시될 것이다. 그리고 ‘25년 전반에 걸쳐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가속장치 사업이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자신감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수준일 것이다"고 보았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잠재력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기관들도 주목하고 있다. 각국 정부 기관으로부터의 인공지능 시스템 수요는 ‘25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할 것이고, 당사는 이것이 100억 달러 매출기회로 연결된다고 본다. 엔비디아 데이터센터 사업의 10% 전후가 정부 기관 수요로 발생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인공지능 서버 시장은 이미 그 총유효시장(TAM)이 4,000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23~’27년에 걸쳐 60% 이상의 성장세를 구가할 것으로예상된다. 경쟁사인 ▲ AMD(AMD)가 ‘28년 5,000억 달러 시장기회를 예상하고 있는 것처럼 그 성장세는 강력하다"고 발언했다. 투자의견을 outperform으로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40달러에서 16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FS리서치

13 Nov, 07:14


로켓랩 3Q24 실적발표 : Neutron 첫 상업적 발사계약 체결의 의미
: https://naver.me/52REvftW

- 로켓랩의 3Q24를 요약하면 "뉴트론 상업적 계약 체결"입니다. 실제 2025년 하반기 발사를 앞두고 이제 대략의 프로젝트 타임라인이 잡히기 시작했다는 의미였습니다.

- 단기적으로도 좋았습니다. 올해 15~18회 발사에 대한 전망을 유지했고 뉴트론 로켓과 엔진에 대한 QC를 끝내가면서 동시에 아르키메데스 엔진 대량생산을 준비합니다.

- 일렉트론의 계약가격은 계속해서 상향되고 있습니다. 원하는 궤도에, 원하는 발사일정, 원하는 미션을 조절할 수 있는 만큼 강력한 수요를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이전 글
-
엔비디아 3Q24 Preview : 더 높은 곳을 향해, 마침내 Blackwell의 시간이 온다
-
주간전략보고 : 투자의 생각 (11월 11일~11월 15일)
- 아리스워터솔루션 3Q24 실적발표 : 트럼프 시대 Unleash American Energy 수혜기업

FS리서치

13 Nov, 06:49


2024.11.13 15:46:57
기업명: JYP Ent.(시가총액: 1조 9,081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1,704억(예상치 : 1,569억/ +9%)
영업익 : 484억(예상치 : 373억/ +30%)
순이익 : 387억(예상치 : 288억/ +34%)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704억/ 484억/ 387억
2024.2Q 957억/ 93억/ 13억
2024.1Q 1,365억/ 336억/ 315억
2023.4Q 1,571억/ 379억/ 22억
2023.3Q 1,397억/ 438억/ 34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3000443

FS리서치

13 Nov, 05:37


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1131356097000103459

FS리서치

13 Nov, 04:28


ON 지역별 비중

중국/일본에서 빠르게 올라오며 APAC 지역 확대

FS리서치

13 Nov, 03:46


받)

FS리서치

13 Nov, 01:46


#서진시스템
#우려불식 #2025년 신사업과 실적성장 동반

실적 : 2025년에는 ESS, 반도체, 우주산업(기타), 자동차(기타) 부문의 큰 폭의 성장에 힘입어 2025년 2조 원 이상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ESS : 2025년에는 플루언스에너지 향으로만 5,000억 원 이상의 매출 목표. 삼성SDI와의 협력에서 SBB 1.5 버전부터는 부품 공급에서 완제품 독점 공급으로 전환되면서 매출액 1조원 이상 달성할 것.

반도체 : 램리서치 향 기존 조립사업 → 현재 부품까지 납품 중. 2025년 램리서치 향으로의 매출액은 4,000억 원 이상. 내년 상반기부터 신규 고객사 향으로 매출이 발생할 예정.

전기차&배터리 부품 : 2025년에는 매출 1,500억 원 이상 수준으로 BEP 달성이 기대된다.

우주사업 : 스페이스X를 대상으로 스타링크의 게이트웨이 장비 관련 매출이 발생 중. 발사체에도 동사의 제품과 소재가 쓰일 것으로 예상. 신규 사업으로 큰 매출이 기대.

다이캐스팅 (with 현대차+글로벌OEM) : 현대차는 1조 원 규모의 하이퍼캐스팅 전용 라인을 구축할 것으로 기사화 되었음. 개발 단계부터 양산 단계까지 외주를 서진시스템이 담당할 것으로 예상. 2025년 하반기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

https://blog.naver.com/modesty0710/223658508981

FS리서치

13 Nov, 01:39


비츠로셀(082920)

우주항공산업의진정한수혜주..
• 리튬일차전지국내1위업체..
• 올해와내년창립최대실적기록전망..

우주항공산업의진정한수혜주..
리튬일차전지 국내 1위업체인 동사는 국내 최초 우주항공용 배터리팩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6/7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차세대발사체 탑재용 국산화 배터리 DM개발 계약(11.7억원)을 체결하였다. 동사의 뛰어난 리튬일차전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위성발사, 우주탐사등국가의 자주적인우주개발 수요에 대응하고 미래 선도 기술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차기 47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트럼프가 우주항공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상업화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발맞추어 미국정부도 우주항공 분야에서 2년 연속 예산을 큰 폭으로 확대하며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흐름에한국정부도올해우주항공청을
개청하는 등 우주항공분야에 투자를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의 차세대발사체 탑재용 리튬일차전지 배터리DM개발 계약은 동사의 기술력을 입증함에 부족함이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것으로우주항공산업의진정한수혜를받을것으로전망된다.

FS리서치

13 Nov, 00:45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31645?sid=105

FS리서치

13 Nov, 00:37


금일 AI SW중에서도 이스트소프트가 가장 강한 모습이네요 관련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S리서치

12 Nov, 23:50


러닝화를 판매하는 온 홀딩 실적이 전일 발표되었는데 여전히 30%대의 고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호카도 마찬가지였구요 아디다스의 러닝화 라인도 이런 수혜를 받을수밖에 없고 화승엔터의 러닝화 비중은 현재 20%입니다. 계속해서 비중이 상승해왔고 내년에도 이 비중은 올라갈거구요 4분기부터는 아디다스의 스테디셀러 물량이 본격적으로 공급 시작하는 분기여서 내년에도 실적은 가파르게 성장할걸로 보여집니다.

FS리서치

12 Nov, 11:14


씨에스윈드 약세, 미국 풍력 끝인가?

-트럼프 해상풍력 반대의 의미는 임기 내 신규 단지의 입찰을 금지하겠다는 의미

-현재까지 바이든 정부로부터 낙찰을 받아 연방정부 관련 모든 절차를 완료한 단지만 15GW 수준. 올 연말까지 17GW로 늘린다는게 현정부의 목표

-연방정부 절차 완료하면 그 다음 절차는 주정부로 넘어가. 전력공급 계약도 주 관할 기관들을 통해 민간 사업자들과 맺음

-따라서 트럼프가 4년간 해상풍력 입찰을 하지 않아도 15~17GW의 충분한 일감이 있는 것. 현실적으로 4년간 하기에도 벅찬 물량

-만약 트럼프가 이미 확정된 해상풍력 계약을 무효화할 수 있고, 그럴 계획이 있다면 관련 비중이 높은 Orsted, Siemens Energy, GE Vernova의 주가가 폭락했을 것. 그런 일은 없어

트럼프 우려가 너무 심하네요. 그는 이미 2017~2020년 트랙 레코드가 있습니다. 환경청장 Scott Pruitt를 임명해 친화석연료 정책을 펼쳤습니다만, 풍력, 태양광 설치량은 크게 늘었고 석탄 발전소는 위축되었습니다

미국의 전력시장이 민영화 되어있어서, 단가가 낮은 전력원인 재생에너지가 우선적으로 건설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발전설비의 수명연한이 평균 30년인데, 4년의 정책 지원을 이유로 석탄, 천연가스발전을 대폭 늘릴수 없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으로 씨에스윈드의 미국 사업이 심각하게 훼손될 것으로 보는 논리는 지나친 비약입니다

FS리서치

12 Nov, 11:12


제목 : [실적 속보] 온 홀딩(ONON), DTC 채널 중심으로 성장세 견고 *연합인포맥스*
온 홀딩은 ‘24년 3분기 실적을 다음가 같이 발표했다. ▲ 매출 6억 3,580만 스위스프랑(+32.3% YoY)를 기록했다. ▲ 비GAAP EPS 0.15스위스프랑(-25% YoY)을 기록했다. ▲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45% 상승 중이다. DTC 채널 매출은 2억 4,670만 스위스프랑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7% 증가했고 / 도매 채널 매출은 3억 8,910만 스위스프랑으로 24.0% 증가했다. 조정 EBITDA는 1.2억 스위스프랑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7% 증가했다. 조정 EBITDA 이익률은 18.9%로 2%p 상승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7.5억 스위스프랑을 보유했다. ‘24년 전체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32%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 조정 EBITDA 이익률이 기존 가이던스 16.0~16.5%의 상단에 가까울 것이라고 발언했다.

FS리서치

12 Nov, 05:02


2024.11.12 14:00:10
기업명: 비에이치아이(시가총액: 3,936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두산에너빌리티(주)
계약내용 : LNG 복합화력 발전설비 공급계약
공급지역 : 국외
계약금액 : 1,221억

계약시작 : 2024-11-12
계약종료 : 2026-03-30
계약기간 : 1년 4개월
매출대비 : 33.2%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2900267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8365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3650

FS리서치

12 Nov, 02:2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4997?rc=N&ntype=RANKING&sid=001

FS리서치

11 Nov, 23:05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아나패스(123860.KQ): AI PC 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 전망 ★

원문링크: https://bit.ly/3UGk903

1.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9,000원 유지
- 아나패스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9,000원을 유지
- 아나패스는 1) 주요 고객사 삼성디스플레이의 IT OLED 출하 견조로 인해 동사는 3분기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며,
- 2) Microsoft사의 Copilot PC의 OLED 패널 채택률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 3) 스마트폰용 TED(TCON Embedded Driver IC) 역시 완연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
- 지난 7월 삼성디스플레이는 AI PC 수요 증가가 예상보다 가팔라 하이엔드 노트북 출하 목표를 상향한 것으로 파악
- 과거 글로벌 OLED 노트북 출하량은 2023년도까지 4~5백만대로 기대 대비 저조한 수준으로 파악
- 하지만, 최근 AI PC 수요 증가 및 전력 효율화 필요성 대두로 인해 2025년 글로벌 OLED 노트북 출하량은 7백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
- 하나증권 2025년도 실적 추정치는 AI PC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반영하지 않은 수치로 AI PC가 IT용 OLED PC 시장을 현재 추세로 견인한다면 추가 실적 상향 가능성 존재

2. 높아지는 IT OLED 침투율
- 아나패스의 3Q24 실적은 매출액 481억원(+198.5%, YoY), 영업이익 51억원(+280.4%, YoY, OPM 10.6%)으로 호실적을 시현할 것으로 예상
- 컨센서스 상회 주 요인은 모바일용 OLED T-Con이 7월 갤럭시 S24 Fe 라인 향 탑재 효과가 3분기부터 온기 반영되었으며, IT OLED 향 매출이 예상보다 견조하기 때문
- IT OLED T-Con의 고객사 향 출하량은 2023년 5백만대 수준이었으나, IT OLED 수요 증가로 인해 2024년 YoY +50%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니터/노트북용 OLED 글로벌 시장 점유율 1H23 기준 94% 수준. 이와 더불어 아나패스 T-Con 고객사 내 점유율 역시 70%를 상회
- LCD 대비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OLED T-Con에서 아나패스는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였기에 글로벌 경쟁사 진입이 제한적이며 향후에도 삼성디스플레이 밸류체인 내 점유율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 따라서 하이엔드 노트북(AI PC)이 성장을 지속한다면,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사업 확대에 따른 아나패스의 낙수효과가 기대

3. 2025년 매출액 2,923억원, 영업이익 578억원 예상
- 2024년 매출액 1,567억원(+119.2%, YoY), 영업이익 135억원(+200.0%, YoY)과 2025년 매출액 2,923억원(+86.5%, YoY), 영업이익 578억원(+328.2%, YoY)로 예상
- 올해 및 내년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은 IT OLED 향 매출 신장에 따른 제품포트폴리오 믹스 개선에 기인
- 3Q24 삼성전자 컨퍼런스 콜에 의하면, 삼성디스플레이는 8.6세대 IT OLED 시설에 주요 설비 반입을 완료했으며,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제시
- 일정 변동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북미 A사를 포함한 글로벌 PC 업체들의 AI PC 사업 진출로 보아 AI 기능을 탑재한 하이엔드 노트북의 방향성은 분명
- 아나패스의 End-user인 Microsoft사의 Copilot PC 또한 OLED 탑재율이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
- 한편 아나패스는 엔비디아, AMD, 퀄컴, 인텔 등 호환성인증평가 통과 레퍼런스를 보유하기에 향후 End-user 다변화 역시 기대할만한 포인트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FS리서치

11 Nov, 22:36


이스트소프트 : Perplexity AI 관련주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ragonstock&logNo=223654850284&navType=by

FS리서치

11 Nov, 02:00


Infineon, Stellantis 향 차세대 실리콘 카바이드(SiC) 반도체 공급 계약 체결

https://www.electrive.com/2024/11/09/infineon-to-supply-semiconductors-for-stellantis-future-electric-cars/

FS리서치

10 Nov, 09:36


LG에너지솔루션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이끄는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의 우주선에 전력 공급용 배터리를 공급한다. 자체 생산한 배터리를 주로 장착해온 스페이스X가 외부에서 장기 조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품질 및 성능 기준이 가장 높은 우주선을 뚫었다는 점에서 LG의 배터리 개발·제조 능력이 세계 최상급이라는 게 검증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선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납품하면서 쌓은 신뢰를 토대로 LG가 우주선, 휴머노이드 등 머스크 CEO가 그리는 미래 사업의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5365?sid=101

FS리서치

10 Nov, 08:43


화장품 미국 수출 모멘텀이 재료측면에서 약화되어 가는데 앞으로는 유럽이라는 새로운 모멘텀이 주가를 끌어 올릴수도 있겠네요

FS리서치

10 Nov, 08:42


10일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유럽 주요 10개국(수출액순)에서 화장품 수출 규모는 총 4억8882만달러(약 68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58.9%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폴란드 수출이 141.3%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리투아니아(128.6%), 에스토니아(126.6%), 체코(84.6%), 이탈리아(80.6%) 순이다.

실제 온·오프라인 매장 입점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달 조선미녀, 하루하루원더, 믹순, 스킨천사, 라운드랩, 이즈앤트리 여섯 개 브랜드가 글로벌 K뷰티 유통업체인 실리콘투를 통해 영국 최대 드러그스토어인 부츠에 입점했다. 바이오던스, 티르티르, 브이티, 메디큐브도 부츠 추가 입점을 검토 중이다. 더파운더즈가 운영하는 K뷰티 브랜드 아누아도 같은 달 영국 내 120여 개 부츠 오프라인 매장에 공식 입점했다.

유럽에서의 선전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3분기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 매출은 5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9% 급증했다. 라네즈가 유럽 뷰티 편집숍인 세포라에서 스킨케어 브랜드 5위에 오르며 선전한 덕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020571

FS리서치

10 Nov, 02:42


속도를 늦추지 않았다는건 정말 크네요 끼어드는 차량의 속도 움직임, 방향 등을 다 감안해서 결정을 했다는건데 사람보다 나은 주행능력입니다. 현재 레벨2보다는 현저히 높은 주행능력이구요

FS리서치

10 Nov, 02:40


FSD 12.5.6.2는 복잡한 도심 교통에서도 매우 매끄럽게 유지됩니다.

속도에 주목하세요. 여기서는 한 번도 속도를 늦추지 않습니다. 다른 차량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예측했습니다.

테슬라 공식x계정 코멘트)수십억 마일의 실제 주행 데이터와 초인적인 반응 속도로 제공되는 매끄러운 주행 경험

FS리서치

10 Nov, 02:34


[키움 허혜민] 위고비 얼마나 맞았나?

노보의 본사가 있는 덴마크.

덴마크 인구의 1.64%가 위고비 투약

덴마크 수치를 미국에 적용하면, 위고비 투약 미국인은 549만 명 되지만 실제 수치는 100만 명에 약간 못 미침

출처: Kim Nielsen

1.64%면 생각보다 아직 적은 듯..

FS리서치

10 Nov, 02:33


2일이면 사람처럼 걷는 법을 배운다는데?

로봇개로 많이 소개드렸던 Unitree에서 새로운 영상을 공개했는데요👍

이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2일이면 사람처럼 걸을 수 있도록 배운다고 합니다. 유니트리에서도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는 말을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을 배우는데 2일이면 충분하다는 건데...무서운 세상이 다가오고 있군요😱

👉 원문 보기 👈

FS리서치

09 Nov, 11:34


테슬라 한국인 보유종목 1위 탈환…국내 투자자 평가액 22조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296872

FS리서치

09 Nov, 02:49


#템퍼스AI
- 템퍼스AI는 의료AI 플랫폼 기업임.
- 유전자 검사를 통해 얻은 환자 데이터를 임상 정보와 합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이 데이터베이스를 판매하기도 하고, 이를 이용하여 AI를 만들기도 함.
- 데이터베이스 판매 사업은 매해 매출이 누적된다는 매우 큰 장점이 있음.
- 템퍼스AI는 개별 의료AI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닌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시간이 지날 수록 사업의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임.

https://blog.naver.com/mngny10/223652511595

FS리서치

09 Nov, 01:24


TSMC가 아주 빠르게 움직이네요

"트럼프 눈 밖에 나면 안돼" 대만 TSMC 中에 첨단 AI칩 공급 중단 - 파이낸셜뉴스

TSMC 11일부터 최첨단 AI칩 중국 공급 중단 통보
中 기술 대기업 바이두 등 AI 정책 차질 예상
업계 관계자 "TSMC 비협조적 대만 기업 낙인 원치 않을 것"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위탁생산)기업 대만 TSMC가 중국고객에게 7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의 최첨단 공정 기반 인공지능(AI) 칩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 제 47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의 눈 밖에 나지 않기 위한 선제 대응으로 풀이된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TSMC는 자신들의 중국 고객들에게 첨단 AI칩을 공급할 경우 미국 정부의 승인 절차를 따를 것이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411090817095787

FS리서치

09 Nov, 00:59


다음주 일정

11일: 제타 실적(장후)

12일: 쇼피파이, SEA, 온홀딩스 실적(장전), 스포티파이, 로켓랩 실적(장후)

13일: 미국 CPI

14일: 미국 PPI
디즈니, 탈렌에너지 실적(장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OKLO 실적 (장후)

15일: 미국 10월 소매판매

FS리서치

08 Nov, 15:15


제목 : 미국 11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2.6% : 예상치 10bp 하 *연합인포*
미국 11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2.6% : 예상치 10bp 하회 미국 11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실시간 중요도: 2.5/5.0 예상치 10bp 하회 실제치: 2.6% / 예상치: 2.7% 이전치: 2.7% <저작권자(c)연합인포맥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FS리서치

08 Nov, 12:00


주주대상 유증인데 왜 애널리스트 대상으로만 하나요 . 돈내야 하는 사람들이 바로 듣게 해줘야지

FS리서치

08 Nov, 11:32


(유가)이수페타시스 - 기업설명회(IR)개최(안내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08800871
(유가)이수페타시스 -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08000542
(유가)이수페타시스 - 주요사항보고서(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수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08000574

FS리서치

08 Nov, 11:24


컨센 하회 주 요인: 잉글우드랩 인천 실적 부진(ELWK 영업이익 39억원 yy -52%) 기인. 미국 주 고객사 용기 선적 이슈 2Q에 이어 3Q에도 영향 지속 영향ㅠㅠ. 4Q 현재에도 선적 지연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11월까지 데이터는 3Q보다는 나아진 듯. 매출이연 조금씩 반영되는 상황이라고 함.

*4분기 매출 가이던스
한국 qq 8-10%
미국 qq 20-25%
중국 qq 10-15%

FS리서치

08 Nov, 11:24


2024.11.08 18:44:48
기업명: 이수페타시스(시가총액: 2조 81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증자방식 : 주주배정후실권주일반공모
증자비율 : 0.32주/1주당

발표일자 : 2024.11.08
기준일자 : 2024-12-17
청약일자 : 2025-02-07
납입일자 : 2025-02-14
상장일자 : 2025-02-28

시설자금 : 2,500억
영업양수 :
운영자금 :
채무상환 :
타법인 : 2,998억
기타자금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00054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7660

FS리서치

08 Nov, 06:32


• 10월 TSMC 매출 +29.2% YoY, +24.8% MoM

台积电10月销售额3142.4亿元新台币,同比增长29.2%。

>> 참 잘해요

https://pr.tsmc.com/system/files/newspdf/attachment/3d3a392863ed8038d65ed7780db858d418b15c0b/October%202024%20%28E%29_final_wmn.pdf

FS리서치

08 Nov, 01:17


서진시스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와 우주항공 사업 등 신규 유망사업 부문에서 제품 공급이 시작될 예정으로 하반기 이후에도 외형성장과 수익성 측면 모두 개선폭이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9559

FS리서치

08 Nov, 01:03


🔴 Best Analyst 초청 2025 산업전망 세미나 안내 🔴

각 산업별 Best Analyst를 초청하여 2025년 산업의 흐름을 전망해봄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올바른 투자판단지표를 제공하고자 「Best Analyst 초청 2025 산업전망 세미나」 영상을 본회 유튜브 채널 IRTV에서 단독 공개합니다. (11/11~)

※ 본회 유튜브 채널 'IRTV' : www.youtube.com/irtvkorea
※ 본회 텔레그램 채널 : t.me/kirsofficial (업로드 당일 알림 제공)

많은 시청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FS리서치

04 Nov, 04:23


#파마리서치 #피부미용

혹시나 했던 일이 실제 일어나고 있습니다. 가성비 MTS 리쥬란힐러로 불리는 리안점안액으로 셀프 가성비 리쥬란 시술. 양귀비는 미용을 위해 오줌까지 마셨다는데, 이깟 점안액 쯤이야.

이 리안점안액 이용한 홈케어리쥬란 관련 글이 최근 많아지고 있는 추세. 참고로 오늘 리쥬비넥스는 겨우 삼. 약국에서 어떻게 입고된걸 아셨냐고 되묻는 상황.

https://blog.naver.com/sjsi_2001/223609980122

FS리서치

04 Nov, 00:48


https://v.daum.net/v/20241104094134453

FS리서치

04 Nov, 00:27


반도체 검사 장비 기업 펨트론이 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M사에 고대역폭메모리(HBM) 검사 장비의 첫 수주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초도 물량 이후 성능이 인정되면 향후 추가 공급도 가능하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15829

FS리서치

03 Nov, 23:58


고래 어디갔나 했음

'대왕고래' 시추 카운트다운 시작됐다…첫 시추 위치 확정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23398?sid=101

FS리서치

03 Nov, 23:52


김 대표는 유리기판 관련 매출이 내년에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 업체들이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유리기판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그전에 장비 매출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생산력으로는 월 14대의 장비를 만들 수 있다. 그는 "국내도 그렇고 일본도 급하게 서두르는 모습"이라며 "복수의 업체와 사양서를 주고받고 장비의 설명을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업체들의 사정에 따라 늦어질 수도 있지만, 연내에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차전지 관련 사업도 마찬가지다. 태성은 중국 배터리업체의 요청을 받아 2022년부터 복합동박 동도금 설비를 개발했다. 복합 동박은 필름막 양쪽 표면에 구리를 도금해 안정성이 우수하다. 기존 동박 대비 원가를 30%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고객사와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 그는 "고객사와 장비 양산 시점과 관련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장비도 연내에는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94240?sid=101

FS리서치

03 Nov, 23:27


노보노디스크가 GLP-1 블록버스터로, 이제는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영역으로 손을 뻗습니다. 2-3단계 간섬유화 MASH 환자에게서 주1회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가 간섬유화와 지방간염을 개선했네요.

이러한 소식은 바로 전날, 마드리갈 테라퓨틱스(Madrigal Pharmaceuticals)가 최초이자 유일한 MASH 치료제인 ‘레즈디프라(Rezdiffra)’의 깜짝 매출로 들뜬 분위기 속에서 전해졌습니다. 레즈디프라는 회사의 추정치나 시장의 예상치를 훨씬 넘어서, 올해 3분기 622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 소식 이후로 마드리가의 주가는 50% 이상 급등했네요.

한편으로 이번 세마글루타이드 임상3상 데이터 발표는 GLP-1이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오히려 시장에 먼저 출시된 레즈디프라에 대한 기대감을 강화하는 측면도 있어 보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76

FS리서치

03 Nov, 09:16


» Predict it에서는 해리스 당선에 대한 베팅이 트럼프를 다시 역전

FS리서치

03 Nov, 09:16


C&D가 실적발표를 하고 어닝콜을 했기 때문에 C&D 내용 중 HERO 관련한 것만 요약 정리
#티앤엘
- C&D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으며 4Q 역시 긍정적 전망을 제시
- HERO는 여드름 케어 부문에서 22% 시장 점유율로 1위 차지하며 카테고리 성장 대부분 리드.
- HERO 시장 점유율은 1.7%p 성장한 57%를 기록. 패치 제품은 여전히 높은 성장률 유지.
- HERO 다른 카테고리 확장보다는 패치 제품의 인지도 제고 및 가정 내 침투율 확대에 집중할 계획.
- 24년 말 HERO 40개국 등록 목표 달성. 25.01월 말 HERO에 대한 등록 국가 수, 기대치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
- 25년 초 C&D에서 유럽 유통망 어느정도 깔고 미국쪽 유통망 드라이브하면 회사의 키팩터가 될 수 있을 것. 내년 초 소통 관심.

FS리서치

03 Nov, 08:52


수요 증가로 TSMC, 내년 CoWoS 생산 능력 다시 두 배 증가 – NVIDIA가 절반 차지,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경쟁

TSMC의 CoWoS 첨단 패키징 기술을 겨냥하여 반도체 설계 및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들이 인공지능(AI) 칩 분야에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TSMC는 내년에도 생산 능력이 지속적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NVIDIA가 그 중 약 50%의 생산 능력을 차지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주요 대기업들도 TSMC의 CoWoS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첨단 패키징 시장을 전망하며, 산업기술연구원(ITRI) 산업기술 국제전략개발소는 2025년까지 글로벌 첨단 패키징 시장 비중이 51%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패키징을 처음으로 초과하는 것입니다. 이후 매년 비중이 증가하여 2028년에는 연평균 성장률이 10.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의 마크 리우 회장은 최근 투자자 설명회에서 고객들의 첨단 패키징 수요가 공급을 크게 초과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TSMC는 올해 2023년에 비해 CoWoS 첨단 패키징 생산 능력을 2배 이상 확대했지만 여전히 공급 부족 상태에 있으며, 2025년까지 CoWoS 생산 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는 대만 내 생산뿐만 아니라, 10월 초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패키징 대기업 앰코(Amkor)와 협력해 InFO(집적 팬아웃) 및 CoWoS 첨단 패키징을 확장해 AI 등 주요 고객의 수요를 충족하고 있습니다.

미국계 투자기관에 따르면 AI 칩 주요 기업으로는 NVIDIA, 브로드컴(Broadcom), AMD, 인텔(Intel)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CSP)들이 AI 특수 애플리케이션 칩(ASIC)을 자체 개발하며 TSMC의 CoWoS 생산 능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산 능력 발전과 관련하여 투자기관들은 올해 말까지 TSMC의 CoWoS 월간 생산 능력이 3만 2천 장을 초과할 수 있으며, 앰코 및 ASE 그룹 등을 포함할 경우 전체 CoWoS 월간 생산 능력은 약 4만 장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NVIDIA의 CoWoS 생산 능력 수요는 전체 공급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브로드컴과 AMD는 합산하여 약 27.7%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2025년 전망에 따르면, 미국계 투자기관들은 CoWoS 월간 생산 능력이 약 9만 2천 장까지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TSMC의 CoWoS 월간 생산 능력은 2025년 말까지 8만 장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부 국내 투자기관은 내년 CoWoS 월간 생산 능력이 10만 장에 이를 것으로 낙관하고 있습니다.

미국계 투자기관의 평가에 따르면 NVIDIA의 생산 능력 수요는 2025년에도 전체 CoWoS 공급량의 50%를 차지할 것이며, AMD의 TSMC CoWoS 패키징 주문량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 조사 기관 TrendForce는 NVIDIA가 CoWoS의 주요 수요 기업으로, 2025년 Blackwell 칩 시리즈의 양산이 증가함에 따라 CoWoS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가격 동향 전망에서는 미국계 투자기관이 2025년 TSMC CoWoS 가격 인상률이 10%를 초과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TSMC는 첨단 패키징이 TSMC 전체 매출의 약 7~9%를 차지한다고 밝히며, 관련 마진율도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투자기관은 TSMC의 올해 첨단 패키징 매출이 70억 달러를 초과하여 80억 달러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https://www.ctee.com.tw/news/20241103700285-430501

FS리서치

01 Nov, 04:37


[한국화장품제조] 스킨천사 3분기누적 1,876억!!!
https://blog.naver.com/ks200331022/223642509982?fromRss=true&trackingCode=rss

FS리서치

01 Nov, 04:29


세경하이테크, 자회사 고성능 단열소재 개발중...美아스펜 성장세에 모멘텀 부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61773?sid=101

세스멧은 이미 국내 배터리 회사의 퀄리티 테스트 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테스트가 통과되면 이차전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건축 단열소재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세경하이테크는 자회사 세스멧의 성장 가능성과 고성능 단열소재 시장의 잠재력을 감안할 때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라며 "아스펜 에어로겔이 미국에서 열폭주 방지 솔루션으로 단열소재를 공급하며 약 2조원 규모의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는 것과 비교했을 때, 세경하이테크의 현재 가치가 과소 평가된 측면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FS리서치

01 Nov, 04:01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연내 폴더블 아이폰 스펙 확정"… 삼성디스플레이, 새 기회 맞는다

- 애플, 폴더블 아이폰용 부품 공급망(서플라이체인)의 최종 테스트를 진행 중

- 애플은 연내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의 스펙과 물량을 확정 짓고 공급망 구축을 마무리할 계획

- 이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 독점 공급이 예상되며 부품업체들은 내년부터 후공정 장비 투자와 증설을 진행이 유력

https://buly.kr/AljKX9P (뉴데일리경제)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FS리서치

01 Nov, 03:04


리쥬란 인스타 트렌드

FS리서치

01 Nov, 00:20


✔️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한국 원익로보틱스와 함께 정교한 로봇 손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지난 31일 메타는 자사 블로그를 통해 차세대 알레그로 핸드(Allegro Hand) 개발을 위한 원익로보틱스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https://www.kpinews.kr/newsView/1065563801453808

FS리서치

31 Oct, 23:05


» 아마존, After Hours 거래에서 +5.9% 상승

FS리서치

31 Oct, 14:40


제목 : 10월 31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타겟(TGT): 월마트는 판매 추이 둔화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고 있으나, 이는 저가매수기회를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바이오젠(BIIB): 모간스탠리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Leqembi의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시장비중으로 하향 조정했다. ▲ 마이크로소프트(MSFT): 골드만삭스는 동사를 IT 섹터, 그리고 미국 증시 전반에서 가장 투자매력이 높은 종목 중 하나라고 꼽았다. 매수의견을 유지했다. ▲ KLA(KLAC): 오펜하이머는 실적 가이던스가 예상보다 우수하게 제시된 가운데,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을 marketperform에서 outperform으로 상향 조정했다. ▲ 코인베이스(COIN): 오펜하이머는 우수한 재무상태를 강조하면서, 이것이 성장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을 전개하는 기회가 된다고 언급했다. outperform 의견을 유지했다. ▲ 크래프트 하인즈(KHC): Deutsche Bank는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고, 중기적으로 수익성 전망도 밝지 않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 조정했다.

FS리서치

30 Oct, 11:38


일라이 릴리, 마운자로/젭바운드 판매 Miss 설명 (Pre Mkt -10%)

- 2Q24 당시 도매상 재고 수준이 높았기 때문에 재고 줄어드느라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발언. 이러한 재고감소로 영향 받은 부분은 Mid-single digit 만큼이라고 언급

Following higher wholesaler inventory levels at the end of Q2, Mounjaro and Zepbound sales in Q3 were negatively impacted by inventory decreases in the wholesaler channel. The company estimates this impacted Q3 sales of Mounjaro and Zepbound by mid-single digits as a percent of aggregate U.S. sales of these products.

FS리서치

30 Oct, 04:28


✔️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대응해 우리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방어 무기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이 쓰다 퇴역시킨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 ‘호크’(HAWK)가 최우선 지원 무기로 거론된다.

https://m.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3302966639058168&utm_source=taboola&utm_medium=taboola-push

FS리서치

30 Oct, 02:24


짐펜트라로 미국시장 진출 시작한 셀트리온에 대한 스터디 입니다.

셀트리온 : 짐펜트라가 케리해 줄까?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639423118

FS리서치

30 Oct, 01:17


제목 :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아직 도입률 낮아 *연합인포맥스*
CNBC는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코파일럿은 아직 도입률이 낮다”고 보도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코파일럿 인공지능(AI)을 기업용 솔루션으로 제공하기 시작한 지 약 1년이 지났다”고 전했다. 다만 “CNBC가 다양한 기술 리더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기업들이 아직 코파일럿 도입 시험 단계에 있으며, 해당 AI가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확신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이어 “기업들이 사용하는 다른 생성형 AI도구로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오픈AI의 기업용 제품과 메타 플랫폼스(META)의 라마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29일(화)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전일 대비 1.26% 상승 후 시간 외 거래에서 1.19% 추가로 오른 437.08달러를 기록했다.

FS리서치

23 Oct, 09:07


https://www.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4208246639055872&utm_source=taboola&utm_medium=taboola-push

FS리서치

23 Oct, 08:17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급락 관련 회사 업데이트 (공지사항) 올라왔네요.


주주 여러분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대한 시장 풍문과 관련하여, 당사는 올해 추가적인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고려하고 있지 않음을 명확히 전해드립니다.
 
당사는 앞서 4월 결의된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최종215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 및 사업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사업개발 활동을 바탕으로, 글로벌 임상 2상의 후반부에 접어든 BBT-877의 조단위 기술이전 성과를 앞당겨 연구개발 등 핵심 사업의 탄탄한 기반을 다지도록 하겠습니다.
 
경쟁력 있는 수준의 유효성 및 안전성이 기대되는 당사 핵심 과제들의 성과 가시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더욱 매진하겠습니다.
 
당사의 혁신신약 연구개발을 응원해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10월 23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주) 올림


https://www.bridgebiorx.com/board/board.php?bo_table=enotice&pn=4&sn=2&idx=177

FS리서치

23 Oct, 06:28


* 제발 부탁드립니다🙇‍♂️
- 앞으로도 저는 국내 주식 계속 하고싶습니다.


이재명 대선 준비조직 ‘집권플랜본부’ 출범…“금투세 시행 않겠다”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1023050463

FS리서치

23 Oct, 02:20


안녕하십니까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지난 해 9월 Synaffix 사와의 ADC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도입에 이어, 금일 IntoCell 사와 ADC 플랫폼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작년 Synaffix 사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이중항체 ADC 개발을 시작했으며,
도입한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당사의 이중항체와 접목하여 3개의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파이프라인들은 내년 말까지 최소 2개 이상의 미국식약처(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신청을 목표하고 있으며,
신속한 임상 진입을 통해 아직은 경쟁물질이 많지 않은 초기 이중항체 ADC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확보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우수한 ADC 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경쟁력과 Novel함을 갖춘 ADC 파이프라인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FS리서치

23 Oct, 02:09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제이엘케이] 신뢰의 표본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10/22): 11,500원
Upside : -

공격적으로 해외 진출 준비하는 제이엘케이

동사는 AI 기반 의료 영상 및 임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뇌졸중 조기 진단 및 판독 보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의료 AI 뇌졸중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2018년 8월 국내 최초로 AI 의료기기 식약처 3등급 허가를 받았으며, 작년 말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뇌경색 진단 보조 솔루션인 JLK-DWI가 AI분야 혁신 의료기술로는 최초로 비급여 적용을 승인받았다. 뇌졸중 환자의 입원, 치료, 퇴원, 재활의 전 주기를 대응 가능한 13가지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AI 기술이 국내 의료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현재 동사의 솔루션은 210여 개 병원에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170개 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55개의 병원이 등록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미국 FDA 및 일본 PMDA 승인 허가 및 신청도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美 FDA, 日 PMDA 적극 공략 중
국내 의료 AI 시장은 인구 구조와 보험 제도로 인해 확장성이 제한적이다. 이는 최근 의료 AI기업들의 주가 부진에도 영향을 미친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상황 속 매출 확장을 위해서는 해외, 특히 미국 시장 진출이 필수적이다. 미국은 보험 수가(P)가 높고, 영상 촬영 건수(Q)가 압도적으로 많아, 시장 규모는 국내에 비해 약 800배에 달한다. 따라서 동사는 국내 의료 AI 기업 중 가장 공격적으로 해외 시장 진출에 나서고 있다. 동사의 AI 뇌졸중 핵심 솔루션 JLK-VLO(대혈관폐색 탐지,5/24 신청, 9/27 승인), JLK-CTP(CT 관류영상 분석, 8/5 신청, 10/17승인), LJK-PWI(MR 관류영상 분석, 8/12 신청, 4Q 승인 예정)를 통해 미국 FDA 승인에 대응하고 있으며, 일본 PMDA에서도 JLK-CTP(9/5 신청, 10/21 승인), JLK-PWI(9/5 신청, 4Q 승인 예정)를 준비 중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AI 뇌졸중 솔루션이 추가적으로 美, 日 식약처 승인 및 신청을 대기 중이며, 이러한일정에 따라 하반기로 갈수록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연초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지난 10월 17일, JLK-CTP(CT 관류영상 분석)가 미국 FDA 510(k) 승인을 받았다. 또한 JLK-PWI(MR 관류 영상 분석)는 올해 4분기 중으로 승인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는 연초에 미국 FDA에 AI 뇌졸중 솔루션 5개 신청과 그 중 1개 솔루션 승인을 목표로 했으나, 현재 2개 솔루션이 승인되면서 이미 목표를 초과 달성한 상태이다. 이는 회사가 장기적인 적자 상황 속에서도 투자자들과의 신뢰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FDA 510(k) 허가 이후, 미국보험청(CMS)으로부터 NTAP 승인을 받아 미국 민간보험사 및 의료기기회사와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경쟁사 Viz AI는 ‘22년 NTAP 승인을 받고 $ 1,040의 보험 혜택을 적용하여 첫 해 1,1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미국에서 기업가치 1.5조로 평가받고 있는 경쟁사에 비해 1,800억원의 시가총액을 형성하고 있어 충분히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한다.

자료 바로가기: https://bit.ly/4ffZkk0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FS리서치

21 Oct, 22:48


[유진 코스닥벤처 조태나]
02-368-6174

📈세경하이테크(148150)
:세경이는 복도 많지

투자의견 매수(신규) TP 1.1만원
'25E PER 9배 적용
필름, 폴더블 피어그룹 ‘25E 평균 PER 7.5배

투자포인트
-폴더블 보호필름의 신규 공급망 참여 기대
-자회사 ’세스맷‘ 의 2차전지 단열패드 셀사 퀄테스트 진행중. 승인 시 25년 의미있는 실적 기여 예상

https://vo.la/sbaYsX

*당사 컴플승인완료

FS리서치

21 Oct, 20:38


ITZY 컴백 정리 (Renova)
① 초동판매 반등 (31만 → 43만)
② 총판매 반등 (57만 → 70만*E)
③ 소폭 반등 했으나 음원이 문제

💋핵심요약 음반 SOSO, 음원 BAD
- 중국감소 영향권 두번째 앨범 순성장

#엔터 #하이브 #SM #YG #JYP #음반판매

FS리서치

20 Oct, 23:30


[상상인증권 신성장산업팀]

MZ탐방노트 주간 스몰캡 전략
화승엔터프라이즈 : 탈중국화 수혜 지속

#. 3분기 비수기에도 영업이익 QoQ 성장 예상
#. P, Q 모두 긍정적

보고서 : https://vo.la/knUWjr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상상인증권 신성장산업팀 링크
https://t.me/sangsangsmallcap

FS리서치

19 Oct, 09:36


신발이 이렇게 편할수가 있다니.. 앞으로 다른 신발 어떻게 신지

FS리서치

18 Oct, 07:56


와이즈리포트에서 신규 가입회원 대상으로 1+1 이벤트를 진행하네요 증권사 보고서 많이 보시는분들은 이번 기회 잘 활용해보시면 좋을거 같네요~

https://docs.channel.io/notice/ko/articles/6c0eff8f-WiseReport-%EC%8B%A0%EA%B7%9C%ED%9A%8C%EC%9B%90-11-%ED%98%9C%ED%83%9D-%EC%9D%B4%EB%B2%A4%ED%8A%B8-

FS리서치

18 Oct, 03:47


[현대차증권 스몰캡/방산 곽민정]
한미반도체(042700): BUY/170,000원 (유지/하향)
<한미반도체: 시장의 오해에 대해 정정합니다>
■ 투자포인트 및 결론
1. 동사의 3Q24 실적은 해외 고객사향 매출 비중의 증가로 인해 실제 영업이익률은 발표된 영업이익률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됨. 2025년에도 HBM 캐파 증설 확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동사의 Dual TCB주문이 증가될 것이므로, 동사의 핵심적인 경쟁력이 될 것임
2. SK하이닉스가 공급사 다변화 전략 차원에서 H사의 TC 본더 퀄테스트를 진행해왔으나, 실제 평가기준 미달로 인해 탈락되었음을 확인했으며, ASMPT 역시 동사의 TCB 기술력과는 매우 격차가 큰 상황임. 앞으로 동사는 HBM4E, HBM4X에서 적용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본더에 대해 독점적인 공급을 지속할 것이며, 2H26 하이브리드 본더까지 기술적인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회사의 근본적인 기술경쟁력에 대한 흔들림은 없음
3. 현재 클라우드 AI 가속기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2025년 글로벌 CoWoS (Chip-on-Wafer-on-Substrate) 패키징에 대한 수요가 연간 113% 증가할 것으로 파악됨. 주요 공급업체인 TSMC, ASE, SPIL, 앰코가 실제로 CoWos 캐파를 확대하고 있음. 4Q25 말까지 TSMC의 월 생산 능력은 65,000개 이상의 12인치 웨이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앰코와 ASE의 생산 능력을 합하면 17,000개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Digitimes에서도 밝혔음. 그에 따라 AI용 2.5D 패키지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동사의 Big Die Bonder가 2025년 실적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임. 그림 1과 같이 앰코와 TSMC가 미국내 팹에서 CoWoS 패키징에 대해 협력하기로 한점도 이러한 수요 증가를 뒷받침함

■ 주가전망 및 Valuation
- 동사의 압도적인 글로벌 기술경쟁력과 마이크론의 HBM 캐파 증설 확대에 따른 매출 증가 지속을 고려하여 빠른 시일내 동사의 목표주가를 재상향 조정할 예정

* URL: https://parg.co/lofT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FS리서치

18 Oct, 02:02


피앤에스미캐닉스(460940)
- 충성, 근무중 이상무

재활로봇 전문 기업: 피앤에스미캐닉스는 2003년에 설립되어 2011년 국내 최초로 보행재활로봇 시스템 개발에 성공한 기업이다. 성인용 S모델(2011년) 출시 이후 소아용 K모델(2012년), 글로벌 G모델(2015년), 고급형 P모델(2020년) 등을 출시했다. 주력 제품인 ‘워크봇’은 의료기기 3등급 로봇보조 정형용 운동장치로, 3-Joint(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훈련을 가능케 한다. 3-Joint 재활훈련을 함께 제공하는 보행훈련로봇 시스템은 전세계적으로 워크봇이 유일하다

높은 기술력과 해외 판로 확보: 피앤에스미캐닉스는 하지 재활로봇을 주력으로 100% 자립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최초로 워크봇을 국산화했다. 세계 최초로 족관절 구동시스템을 하지 재활로봇(워크봇)에 적용하여 인간형 로봇 보행재활 훈련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외에도 환자 맞춤형 보행훈련 패턴 생성기술, 착용형 보행재활로봇 임피던스 제어기술, 동적 역하중 보상기술 등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핵심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외 42건의 산업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2년 국내 판매를 개시, 2014년 스페인 수출을 기점으로 현재 러시아, 중국, 우크라이나 등 13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현재 유럽 CE MDR, 미국 FDA, NRTL, 중국 CFDA, 러시아 GOST 등 국내외 23건의 인허가를 획득했다. 고령
화 가속화 트렌드 및 치료사 부족 현상으로 인해 글로벌 재활로봇 시장 규모는 연평균 27.2% 성장할 전망이며, 국내 시장은 현재 도입 초기 단계이지만, 최근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면서 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 건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기술력은 물론 해외 판로까지 확보한 만큼 향후 해외 사업 강화를 통해 고성장세가 가능할 전망이다.

FS리서치

17 Oct, 23:33


제목 : TSMC(TSM), 자본지출 2nm 공정 구축에 집중될 것 - Needh *연합인포맥스*
Needham의 Charles Shi 애널리스트는 TSMC가 예고한 자본지출 계획을 분석하면서, 첨단 정밀공정 라인 구축에 대한 투자가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TSMC는 ‘24년 자본지출이 300억 달러를 소폭 상회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25년에는 더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24년 자본지출은 최초에 예상되었던 것에 비해서는 작은데, 이는 1~3분기에 각각 60억 달러 전후의 자본지출만이 이루어지면서 자본지출 집행이 느렸기 때문이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이번 가이던스는 4분기에는 자본지출이 전분기 대비 두 배에 달하는 120억 달러로 증가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하면서, “2nm 공정 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투자가 그 중심에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어 “TSMC 3분기 실적내용을 정리해보면, 3nm 공정 칩은 실적이 강력했지만 5nm 공정은 그만큼 강력하지 못했다. 3nm 공정의 경우에는 ▲애플(AAPL)로부터의 수요가 강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5nm 공정은 지난 6개 분기 연속으로 매출 성장세가 강력했고, 이제 둔화되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10달러를 유지했다.

FS리서치

17 Oct, 22:45


✔️ 실제로 릴리가 개발 중인 비만약 파이프라인은 11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꿈의 비만약' 마운자로가 전 세계를 점령하고 있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고 차세대 비만약 관련 임상과 후보물질 확보에 조단위 자본을 쏟아붓고 있다.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2054

FS리서치

17 Oct, 13:37


불장인가…

FS리서치

17 Oct, 10:53


[비올 - 중국 수출데이터 관련 코멘트와 앞으로 주목할 점]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어제 오늘 지인분들이 비올도 많이 물어보셔서... 관련하여 간단하게 코멘트 남깁니다.

일단 저는 다들 아시다싶이 몇년간 비올을 지속해서 계속 좋게 보는 입장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최근의 주가하락은 ITC 일정이 연기되면서 하락한 요소가 가장 큽니다.
해당기간 회사는 특별한 이슈 없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잘 하고 있었습니다.

2️⃣. 어제부터 비올의 중국향 소모품 수출데이터가 공유되면서 복수의 블로그와 여러 채널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었고 이로인한 트리거로 어제, 오늘 급등을 하였습니다.

3️⃣. 과거 비올의 수출데이터와 실제 매출의 상관관계를 따져보면 장비수출데이터와 실제 장비매출 데이터는 상관관계가 높으나 소모품수출데이터와 실제 소모품매출데이터는 상관관계는 낮습니다.

4️⃣. 다만, 시장에서는 수출데이터 자체가 가지는 숫자 그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실제 매출데이터와 수출데이터의 상관관계가 적거나 아예 관련이 없을지라도 일단 수출데이터가 좋게 나오면 주가상승측면에선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수출데이터에 대한 현시장의 특성이기에 로직상 맞지않더라도 이걸 무조건 맞지않다고 생각하는것 또한 돈을 버는 관점에선 거리가 멀어지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5️⃣. 이번 중국향 소모품 매출데이터가 실제 중국향 소모품 매출이 많이 발생했다고 가정하면(소모품 수출데이터와 실제 소모품 매출데이터의 상관관계가 낮아도 방향성은 어느정도 일치하므로) 기존 원텍이나 타 회사에도 목격이 되는 부분인데 해외 매출의 경우 소모품은 장비가 나간뒤에 특정 월이나 분기에 몰려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현지에서 정확하게 매달 얼마의 소모품 팁이 소비될지 예측할 수 없기에 재고를 쌓는다는 개념으로 기존 물량이 소비가 되고 수요가 늘어나는 낌새가 보이면 한 번에 많이 주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또는 회사에서 선재적으로 미리 수출을 많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6️⃣. 따라서 수출데이터 관련해서 앞으로 주목해야 할 점은 다음달 소모품 데이터가 현지에서 팁이 소비가 많이되면서 9월과 동일하게 수출데이터가 튀는 경향을 보일지 유무를 확인해야합니다.
만약 현지에서 재고 소진이 빠르지 않다면 10월 수출데이터는 기존과 비슷한 평균수준으로 나오거나 혹은 그 이하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8️⃣. 앞으로 비올 투자에 있어서 주목할 점은 크게 3가지로 보고있습니다.

✔️ 첫번째는 당연히 가장 중요한 미국향 장비매출이 지속적으로 올라가는지 유무이며(장비 : 소모품 비율이 현재 5:5수준으로 온상태라 성장성을 확인할려면 장비 매출이 늘어나서 장비 비율이 올라가야합니다.

✔️ 두번째로 ITC 소송입니다.
이번 세렌디아(비올의) ITC 소송의 가장 큰 목적은 제이시스메디칼과 세렌디아입니다.
합의금이나 로열티 금액도 이 두 기업이 가장 클것으로 예상이되기에 ITC소송이 끝나고나면 최근 휴젤처럼 비올 역시 제자리를 찾아갈것이라 생각합니다.


✔️ 세번째로 중국향 매출추이입니다.
기존 스칼렛이 잘 되고 있었고 올해 3월 실펌X 중국 NMPA승인이 되었기에 실펌X 또한 스칼렛과 비슷하게 중국에서 트렌드나 매출이 지속적으로 올라올것으로 예상합니다.


+
금일 에이피알과 비올로 인해 지인분들에게 문의가 정말 많이왔습니다.

저의경우 투자라는게 경제적 자유뿐만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자유를 위해서 선택한 이유가 매우 큰데 금일처럼 제가 언급한 기업들이 급등하거나(혹은 급락하거나) 공시가 나올때마다 약간 육체적, 정신적 자유감이 박탈당한 느낌이 드는 하루였습니다.
(주식은 늘 변동성을 가지고 있고 이런일은 비일비재함으로)

채널을 운영함에 있어서 부작용중의 하나라고 생각되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또 몇몇 지인분들은 저를 진심으로 생각하고 의무가 아니니 적정선에서만 하면된다고 말씀을 해주셔서 동시에 또 힘이나는 하루이기도 합니다.

FS리서치

17 Oct, 04:55


[KB: 스몰캡] 하이딥 (Not Rated) - 시장은 열리고, 니즈는 충족, 변화의 시그널 포착

권태우 선임연구원, 성현동 연구위원

■하이딥, 터치 솔루션 팹리스

- 하이딥은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로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터치 솔루션 개발
- 스마트폰의 3D Touch 상용화 했음, 현재 OLED 관련 터치 IC, 스타일러스 IC, 통합 IC 기술을 보유 중

■스타일러스 시장 수요 (CAGR +9%)

- 글로벌 스타일러스 펜 시장은 2023년 146억 달러에서 2032년 365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
-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정밀 입력 장치 수요가 급증하고, AI 기반 노트북과 디지털 교육의 확산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도 증가
- 터치 기술의 발전과 OLED 채택 확대는 스타일러스 사용을 촉진하는 요인이며 관련 IC 수요 역시 증가할 전망 (그림5)

■슬림화 트렌드에 대응하는 솔루션

- 성능과 배터리 수명을 유지하면서 더 얇은 설계를 구현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트렌드
- 특히 폴더블에서의 슬림화는 중요한 경쟁 요소이며, 글로벌 세트사들은 부품 개선을 통해 기기 두께를 줄여가는 중
- 이러한 기술적 요구에 맞춰, 하이딥의 통합 IC 기술은 고객사의 슬림화 요구에 대응 가능하며, 설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 기대 (그림9)

■ 생산비용 증가 추세 속 원가 절감의 키플레이어

- 특히 스타일러스 IC 및 터치 IC의 분리형 설계와 배터리 사용이 필수인 AES 구조는 부품 수 증가와 조립 공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원가 상승 초래
- 또한, OLED 패널 확산과 함께 디바이스 성능과 가격 측면에서 세트사들의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임
- 동사는 배터리가 필요없는 패시브 스타일러스를 통해 원가 절감에 기여하며, 경쟁력이 중요한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큼 (표10)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링크: https://bit.ly/3U9hrA9

FS리서치

17 Oct, 02:19


https://kr.investing.com/news/company-news/article-93CH-1233107

FS리서치

17 Oct, 01:47


✔️ 제이엘케이가 뇌졸중 솔루션 JLK-CTP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510(k) 승인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JLK-CTP는 뇌 CT 관류영상(CT Perfusion)에서 뇌혈류(CBF)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뇌경색 중심(Infarct core)과 뇌관류(Perfusion) 저하 영역의 부피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뇌경색 발병 부위는 물론 손상 정도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고 회복 가능한 뇌의 범위와 뇌경색 부피(ischemic core)를 제공해 촌각을 다투는 뇌졸중 환자의 수술·시술 시행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JLK-CTP는 지난 5월 국제 의료 학술지 프론티어스(Frontiers)에 발표된 'CT 관류영상 AI 솔루션 성능 비교 논문'에서 정밀도·일치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미국 Rapid AI 제품과의 비교에서도 더 정확한 뇌경색 중심 부피 예측률을 나타냈다. 제이엘케이는 지난 8월 JLK-PWI(뇌관류MR) 제품의 FDA 인허가 신청을 마쳤으며 올해 내 3개의 뇌졸중 솔루션을 추가 신청할 계획이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29717/068031

FS리서치

17 Oct, 01:39


셀비온(308430)

- 전립선암 치료제 방사성의약품 개발기업
- 주가 : 20,650원
- 시가총액 2,631억원

상장일
- 유통물량 4,329,769주
- 거래량 22,855,966주
- 유통물량 거래회전율 529%

상장 이후 동사 담당자 코멘트
- 임상 속도는 경쟁사 대비 동사가 가장 빠르다. 내년 1분기중 91명 환자 임상 2상 종료 스케줄
- 임상 2상 완료시 식약처의 조건부 허가를 통해 내년 하반기중 국내 출시 계획
- 신약 허가용 임상시험이기에 CSR이 나오고 국제 학회 발표 예정이며 굉장이 좋은 데이터가 확인되고 있음
- 아직 2상이 진행중인데 미국 동사가 단독임상을 진행하는 것이 전략적이지 못하다는 판단이며 내년 1분기 국내 2상 종료 이후 미국 파트너사와 간소화된 임상 1상 이후 임상 3상 진행 계획
- 미국 공동 임상 진행 파트너사는 연말연초 즈음에 결정될 예정이며 글로벌 TOP 10위 이내 빅파마 3곳과 NDA를 체결하고 정기적인 미팅을 진행중이며 유력한 업체는 글로벌 TOP5 안에 드는 빅파마
- 임상데이터는 국내 식약처의 ORR 산출 기준으로 노바티스의 플루빅토 대비해서 훨씬 높게 나오고 나오고 있다.

PEER기업 '퓨쳐켐'과의 비교
- 국내 임상2상, 미국 2a상 진행중. 시가총액 6,700억원
- 셀비온과 퓨처켐은 최근 말기 전립선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방사성의약품 'Lu-177-DGUL'과 'FC705'의 임상 2상 중간결과를 나란히 발표. 두 회사는 모두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해 내년까지 시험을 완료,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며. 혈액 속에 주로 존재하는 '알부민단백질'과 결합하느냐를 두고 상반된 전략
- 두 약물은 식약처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은 상태로 임상 2상 시험 결과만으로 조건부 승인을 신청할 수 있음
- 양사 모두 글로벌 제약사에 해당 파이프라인의 기술이전 논의 진행중
- 현재 전 세계에서 전립선암 치료제로 허가를 받은 유일한 방사성의약품은 노바티스의 '플루빅토'이며 연 매출액이 약 260% 성장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지만 침샘이나 신장 등 정상조직이 피폭되는 부작용으로 여전히 미충족 의료수요가 존재
- 셀비온과 퓨처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상반된 개발 전략을 접목하였고 양사 경쟁의 승부를 가르는 1차적인 요소는 약물의 효능과 부작용이 될 것임
- 퓨쳐켐은 링커에 특수한 알부민결합체를 추가해 플루빅토와 비교해 약물이 알부민과 강하게 결합하도록 설계. 알부민은 혈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 이를 링커와 연결하면 약물의 혈액 내 유지시간(반감기)을 증가시킴, 이를 통해 플루빅토보다 적은 용량으로 충분한 약효를 내고 정상세포 피폭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
- 반대로 셀비온은 링커에 알부민 결합 기능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치료제를 개발. 약물이 알부민과 결합하지 않으면 암세포로 더 빨리 이동하고 체내에 오래 머물지 않아 부작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임
- 두 회사 모두 치료제를 투약한 환자 절반 이상이 전립선암 세포에 발현하는 단백질(PSA)이 기존보다 50% 이상 감소한 것을 확인하고,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함.
- 방법의 차이로 약효나 부작용 등에서 누가 더 나은지는 최종 임상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