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samsungchem Channel on Telegram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samsungchem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조현렬입니다.
정유/화학/2차전지 관련 의견을 컴플라이언스 규정에 기반하여 전달드리고 있습니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Korean)

안녕하세요! 삼성증권의 조현렬입니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텔레그램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정유, 화학, 2차전지 분야에 대한 다양한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조현렬님은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준수하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견을 전달하고 계십니다. 여러분께 최신 업데이트와 동향을 제공하여 산업 분야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성/조현렬' 채널을 통해 전문가들의 소중한 의견과 분석을 만나보세요. 정유, 화학, 2차전지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채널을 구독하여 놓치지 마세요!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8 Feb, 00:52


Facelifted Tesla Model Y sees expected delivery date in China moved up to later this month from Mar

The facelifted Model Y has entered a catalog of models eligible for purchase tax reductions in China, completing the full regulatory process.

https://cnevpost.com/2025/02/18/facelifted-tesla-model-y-delivery-date-china-late-feb/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7 Feb, 23:18


[(삼성/조현렬) 2/17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7.6달러(-0.3%DoD)
√ WTI 원유: 70.7달러(Flat DoD)
√ 브렌트 원유: 75.3달러(+0.4%DoD)

[정유제품]
√ 가솔린: 87.7달러(+0.8%DoD)
√ 등유: 91.9달러(-0.5%DoD)
√ 디젤: 90.7달러(-0.6%DoD)
√ 벙커-C: 75.9달러(-1.4%DoD)
√ 나프타: 72.8달러(-0.7%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0.1달러(+0.9달러DoD)
√ 등유: 14.4달러(-0.2달러DoD)
√ 디젤: 13.1달러(-0.3달러DoD)
√ 벙커-C: -1.7달러(-0.9달러DoD)
√ 나프타: -4.7달러(-0.3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3.1달러(+0.7달러DoD)
√ 등유: 7.3달러(-0.4달러DoD)
√ 디젤: 6.1달러(-0.5달러DoD)
√ 벙커-C: -8.8달러(-1.1달러DoD)
√ 나프타: -11.8달러(-0.5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7 Feb, 23:00


[(삼성/조현렬) 2/17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톨루엔(+1.6%), SM(+1.1%).
주요 하락제품은 자일렌(-1.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6달러(-0.9%DoD)
√ 나프타: 673달러(-0.8%DoD)
√ 싱가폴 정제마진: 4.16달러(-1.0%DoD)

[올레핀]
√ 에틸렌: 890달러(Flat DoD)
√ HDPE: 88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52달러(Flat DoD)
√ 프로필렌: 825달러(Flat 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22달러(+0.5%DoD)
√ SM: 1,053달러(+1.1%DoD)
√ 톨루엔: 806달러(+1.6%DoD)
√ 자일렌: 786달러(-1.0%DoD)
√ PX: 866달러(+0.3%DoD)
√ PTA: 671달러(+0.3%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8달러(+2.5%DoD)
√ HDPE: 208달러(+2.7%DoD)
√ LDPE: 463달러(+1.2%DoD)
√ LLDPE: 258달러(+2.1%DoD)
√ MEG: 149달러(+2.2%DoD)
√ PP: 208달러(+2.7%DoD)
√ 부타디엔: 788달러(+0.7%DoD)
√ 벤젠: 250달러(+4.2%DoD)
√ PX: 194달러(+4.3%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7달러(-0.2%DoD)
√ HDPE: 197달러(-0.3%DoD)
√ LDPE: 452달러(-0.1%DoD)
√ LLDPE: 247달러(-0.2%DoD)
√ MEG: 142달러(-0.2%DoD)
√ PP: 197달러(-0.3%DoD)
√ 부타디엔: 777달러(-0.1%DoD)
√ 벤젠: 239달러(+1.8%DoD)
√ PX: 183달러(+1.2%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7 Feb, 03:42


[(삼성/조현렬) 2/10-2/14 Weekly 화학]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조현렬입니다.

지난주 제품 가격동향을 정리하자면,

(1) 제품 시황은 나프타 상승하에 제품가격 강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원가 강세가 보다 커 스프레드는 하락한 한 주였습니다.

(2) 지난주 주요 뉴스는 가성소다 강세(+7%)입니다
지난주 가성소다 가격은 483달러로,
2023년 2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지난주 가격 강세는 춘절 이후
알루미나 수요강세에 기인합니다.
춘절까진 가성소다 가격은 보합세를
기록했으나,
춘절 이후 가성소다
다운스트림인 알루미나 수요증가에 힘입어
가성소다는 뚜렷한 반등세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업체 중
롯데정밀화학/한화솔루션의
수익성 일부 반등이 기대됩니다.

(3) 전주 대비 싱가폴 GRM은 1.0달러 상승했으며,
국내 정유사 복합마진은 0.7달러 상승했습니다.
제품별 마진은
가솔린 +1.5달러WoW,
디젤 +0.5달러WoW,
등유 +0.6달러WoW,
HSFO -0.3달러WoW,
나프타 +0.8달러WoW

와 같았습니다.
지난주 특징은 주요 제품 반등 지속인데,
이는 글로벌 정기보수 시즌 돌입과
국제유가 약세 영향
입니다.
2~3월 북미 중심으로 한
정기보수로 시장 출회 물량이 제한적인 가운데,
연초 후 상승한 유가 수준에서
지지난 주부터 트럼프의 유가 인하 및
러시아 종전 코멘트로 인해
주요 제품 마진은 반등
했습니다.
관세 및 지정학 리스크에 대한
트럼프의 반응이
정유/원유 시장에
복합적으로 영향 미치고 있으나,
향후 러시아 종전/제재 완화로 이어질 경우
21년 이후 러시아발 공급타이트 소멸로
정제마진/유가 하방압력은 커질 수 있을 전망입니다.

(4) 지난주 주요 상승제품의 업체는
금호석유(ABS) 등
이 있습니다.
주요 하락제품의 업체는
NCC업체(나프타 상승)
가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자료: bit.ly/4gIEeuT

■ 나프타 상승하에 제품 가격 강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가성소다(+6.9%), 아세톤(+3.6%), VAM(+3.4%), 자일렌(+2.8%).
주요 하락제품은 톨루엔(-2.1%), 프로필렌(-1.2%), SM(-1.0%).

■ Feedstock:
두바이 유가는 보합(+0.5%)
나프타는 상승(+1.3%)
싱가폴 정제마진은 상승(+1.0달러).

■ Olefin:
에틸렌(+1.3%)은 3월 동북아 공급 타이트 전망에 상승.
PE(+1.0%)는 Wanhua 석유화학 등 역내 공장 턴어라운드에 따른 공급 타이트 기대감에 상승.
PVC 및 MEG(+0.5%)는 보합.
프로필렌(-1.2%)은 다운스트림 마진 악화로 수요 부진하며 하락.
PP(+0.6%)는 중국 공장 턴어라운드 진입 및 동남아 가동 중단으로 상승.
부타디엔 및 SBR은 보합.
천연고무(-0.9%)는 아시아 일부 고무업체 역마진으로 공장 가동 축소 고려하며 하락.

■ Aromatic:
벤젠(-0.2%)은 보합.
SM(-1.0%)은 원유 가격 하락에 따른 중국 선물 약세로 하락.
ABS(+0.7%)는 업스트림 원료(나프타) 비용 강세로 상승.
PS(+0.4%)는 보합.
톨루엔(-2.1%)은 업스트림(원유) 가격 약세 및 거래 둔화에 하락.
자일렌(+2.8%)은 3월 대만 선적 화물 입찰 가격 높게 책정되며 상승.
PX(-0.2%) 및 PTA(-0.2%)는 보합.
PET(+1.9%)는 중국 Zhejiang 공장 가동 중단 및 업스트림 원료 비용 강세로 상승.

■ 기타:
가성소다(+6.9%)는 설 연휴 이후 거래 활성화 및 다운스트림(알루미나) 수요 강세로 상승.
메탄올은 보합.
페놀(+0.6%) 및 아세톤(+3.6%)은 설 연휴 이후 거래 활성화 및 역내 턴어라운드 계획에 상승.
AA는 보합인 반면 VAM(+3.4%)은 중국 내 공급 부족으로 상승.
MDI, TDI, PO, ECH는 미고지.

■ 재고수준(중국):
SM(+10.1%), 톨루엔(+2.1%) 및 폴리에스터(+0.5일)는 상승.
자일렌, PTA 및 MEG는 보합.
스판덱스(-2.5일)는 하락.

■ 가동률(중국):
폴리에스터(+3.1%p) 및 스판덱스(+3.0%p)는 상승.
MEG(-2.7%p) 및 PTA(-0.8%p)는 하락.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6 Feb, 23:23


[(삼성/조현렬) 2/14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7.8달러(+1.0%DoD)
√ WTI 원유: 70.7달러(-0.8%DoD)
√ 브렌트 원유: 75달러(-0.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7달러(+1.1%DoD)
√ 등유: 92.4달러(+0.8%DoD)
√ 디젤: 91.2달러(+0.5%DoD)
√ 벙커-C: 77달러(+0.5%DoD)
√ 나프타: 73.3달러(+2.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9.2달러(+0.1달러DoD)
√ 등유: 14.6달러(-0.1달러DoD)
√ 디젤: 13.4달러(-0.4달러DoD)
√ 벙커-C: -0.8달러(-0.5달러DoD)
√ 나프타: -4.5달러(+0.7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4.7달러(+0.9달러DoD)
√ 등유: 10.1달러(+0.7달러DoD)
√ 디젤: 9달러(+0.4달러DoD)
√ 벙커-C: -5.3달러(+0.3달러DoD)
√ 나프타: -8.9달러(+1.5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6 Feb, 23:06


[(삼성/조현렬) 2/14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에틸렌(+1.1%), PX(+0.6%).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3달러(+1.2%DoD)
√ 나프타: 678달러(+2.0%DoD)
√ 싱가폴 정제마진: 4.2달러(-2.6%DoD)

[올레핀]
√ 에틸렌: 890달러(+1.1%DoD)
√ HDPE: 88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0.4%DoD)
√ LLDPE: 930달러(+0.5%DoD)
√ MEG: 552달러(+0.5%DoD)
√ 프로필렌: 825달러(Flat 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18달러(Flat DoD)
√ SM: 1,041달러(-0.3%DoD)
√ 톨루엔: 793달러(+0.5%DoD)
√ 자일렌: 794달러(-0.3%DoD)
√ PX: 863달러(+0.6%DoD)
√ PTA: 669달러(+0.5%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1,96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2달러(-1.5%DoD)
√ HDPE: 202달러(-6.2%DoD)
√ LDPE: 457달러(-1.8%DoD)
√ LLDPE: 252달러(-3.2%DoD)
√ MEG: 145달러(-3.3%DoD)
√ PP: 202달러(-6.2%DoD)
√ 부타디엔: 782달러(-1.7%DoD)
√ 벤젠: 240달러(-5.1%DoD)
√ PX: 185달러(-4.1%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8달러(+5.3%DoD)
√ HDPE: 198달러(+0.3%DoD)
√ LDPE: 453달러(+1.2%DoD)
√ LLDPE: 248달러(+2.3%DoD)
√ MEG: 143달러(+2.4%DoD)
√ PP: 198달러(+0.3%DoD)
√ 부타디엔: 778달러(+0.1%DoD)
√ 벤젠: 235달러(+0.4%DoD)
√ PX: 181달러(+3.3%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Feb, 23:35


[(삼성/조현렬) 2/13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7달러(-2.6%DoD)
√ WTI 원유: 71.3달러(-0.1%DoD)
√ 브렌트 원유: 75.2달러(-1.0%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달러(-1.9%DoD)
√ 등유: 91.6달러(-2.2%DoD)
√ 디젤: 90.8달러(-2.0%DoD)
√ 벙커-C: 76.6달러(-2.6%DoD)
√ 나프타: 71.9달러(-2.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9.1달러(+0.4달러DoD)
√ 등유: 14.7달러(Flat DoD)
√ 디젤: 13.8달러(+0.2달러DoD)
√ 벙커-C: -0.4달러(Flat DoD)
√ 나프타: -5.1달러(+0.6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3.8달러(-1.5달러DoD)
√ 등유: 9.4달러(-1.9달러DoD)
√ 디젤: 8.6달러(-1.7달러DoD)
√ 벙커-C: -5.6달러(-1.9달러DoD)
√ 나프타: -10.4달러(-1.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Feb, 23:00


[(삼성/조현렬) 2/13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VAM(+3.4%).
주요 하락제품은 PX(-1.8%), PTA(-1.5%), 프로필렌(-1.2%), 자일렌(-1.1%).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4달러(-2.8%DoD)
√ 나프타: 665달러(-1.9%DoD)
√ 싱가폴 정제마진: 4.07달러(Flat DoD)

[올레핀]
√ 에틸렌: 880달러(Flat DoD)
√ HDPE: 880달러(Flat DoD)
√ LDPE: 1,130달러(Flat DoD)
√ LLDPE: 925달러(Flat DoD)
√ MEG: 549달러(-0.7%DoD)
√ 프로필렌: 825달러(-1.2%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17달러(-0.6%DoD)
√ SM: 1,044달러(-0.9%DoD)
√ 톨루엔: 789달러(-0.9%DoD)
√ 자일렌: 796달러(-1.1%DoD)
√ PX: 858달러(-1.8%DoD)
√ PTA: 666달러(-1.5%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475달러(+0.3%WoW)
√ AA: 445달러(Flat WoW)
√ VAM: 770달러(+3.4%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5달러(+6.4%DoD)
√ HDPE: 215달러(+6.4%DoD)
√ LDPE: 465달러(+2.9%DoD)
√ LLDPE: 260달러(+5.3%DoD)
√ MEG: 150달러(+2.6%DoD)
√ PP: 215달러(+6.4%DoD)
√ 부타디엔: 795달러(+1.7%DoD)
√ 벤젠: 253달러(+2.8%DoD)
√ PX: 193달러(-1.5%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97달러(-8.4%DoD)
√ HDPE: 197달러(-8.4%DoD)
√ LDPE: 447달러(-3.9%DoD)
√ LLDPE: 242달러(-6.9%DoD)
√ MEG: 139달러(-9.6%DoD)
√ PP: 197달러(-8.4%DoD)
√ 부타디엔: 777달러(-2.3%DoD)
√ 벤젠: 234달러(-9.3%DoD)
√ PX: 175달러(-16.3%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Feb, 12:19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2/6-2/12)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2월 물량 협상 진행 중인 가운데 전 밸류체인 보합세.

■ 폴리실리콘 (4.830달러/kg): WoW Flat(+0.0%).
2월 주문 협상 중인 가운데 보합.

■ 웨이퍼 (0.087달러): WoW 보합(+0.0%).
멀티 웨이퍼는 보합.
모노 웨이퍼도 2월 가격 협상 중인 가운데 보합(+0.0%WoW).
중국 내 P형은 맞춤형 제품으로 생산되며 수요 급감.
판매는 중국 외 국가 주문에 의해 주도.

■ 셀 (0.031달러/Watt): WoW 보합(+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수요 부진에도 공급 부족으로 보합(+0.0%WoW).

■ 모듈 (0.074달러/Watt): WoW Flat(+0.0%).
멀티 모듈은 보합.
모노 모듈은 현물 및 프로젝트 시장 안정적인 가운데 보합(+0.0%WoW).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0달러(-13.4%QoQ)
√ 웨이퍼: 0.078달러(-13.5%QoQ)
√ 셀: 0.030달러(-13.2%QoQ)
√ 모듈: 0.077달러(-8.1%QoQ)

[4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42달러(+2.4%QoQ)
√ 웨이퍼: 0.080달러(-4.5%QoQ)
√ 셀: 0.030달러(-4.2%QoQ)
√ 모듈: 0.074달러(-9.0%QoQ)

[1QTD25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83달러(+5.7%QoQ)
√ 웨이퍼: 0.087달러(+7.8%QoQ)
√ 셀: 0.031달러(+2.3%QoQ)
√ 모듈: 0.074달러(-3.4%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2/5일 기준)]
√ Mono PERC (India): 0.088달러(Flat WoW)
√ Mono TOPCon (India): 0.088달러(Flat WoW)
√ Mono PERC (US): 0.270달러(Flat WoW)
√ Mono TOPCon (US): 0.270달러(Flat WoW)
√ Mono PERC (EU): 0.090달러(+2.3%WoW)
√ Mono TOPCon (EU): 0.090달러(+2.3%WoW)

■ 중국 외 지역 코멘트:
유럽 내 이전의 저가 주문 완료에 따라 가격 상승 조짐.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Feb, 01:14


https://naver.me/Ffe5FFmN

종전 이후 정유/화학 영향에 대한 전망입니다
(25년 전망 자료 발췌).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Feb, 09:29


[(삼성/조현렬) OCI 4Q24 실적발표]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OCI의 4Q24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이에 내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4Q24 실적

■ 매출액 5,198억원(-12%QoQ), 영업이익 204억원(+15%QoQ) 기록.

- 전분기 대비 하락 요인은
1) 카본케미칼 포항/광양 공장 정기보수 및 OCI China 매출 감소.
2) 베이직케미컬 무형자산 매각 이익으로 영업이익 증가.

- 베이직케미칼 부문:
매출액 2,180억원(+2%QoQ), 영업이익 360억원(+797%QoQ).
4Q 전반적 시황 부진에도 무형자산 매각에 따른 일회성 매출 반영으로 매출/이익 증가.
1Q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수요 부진 및 전기료 등 원가 상승으로 영업환경 악화 지속.
주요 제품 정기보수 진행 예정이며, 제품 시황은 하반기 이후 점진적 개선 전망.

- 카본케미칼 부문:
매출액 2,970억원(-20%QoQ). 영업이익 -70억원(적자전환%QoQ).
4Q 중국 시황 악화에 따른 OCI China 매출 감소 및 전품목 정기보수 영향으로 매출 감소 및 적자전환.
1Q 정기보수 기저효과 및 이월 물량 납품, 일부 제품 수요 개선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 전망.

2. 경영현황

■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증설:

일본 도쿠야마사와 JV로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공장 투자 계약 체결.
기존 영업이익 2천억 수준 예상했으나, 실제로 1.2천억원 수준으로 현금 창출 능력 약화.
반제품 생산하는 투자 주체 이름을 기존 OCI에서 ‘25년 2월 5일부로 OCI TerraSus로 변경되며 형식적 투자주체 변경.
OCI는 후공정 처리 후 완제품 판매.

반도체 소재: 인산 생산효율성 증대 및 고객사 추가 확대 추진/과산화수소 피엔오케미컬 인수 통한 전자급 매출 확대/반도체 과수 국내 판매 협업 시행

배터리 소재: 실리콘 음극재 특수소재(SiH4) 1H25 공장 준공 및 하반기 양산 시장/추가 이차전지 관련 소재 프로젝트 검토.

카본 소재: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카본블랙 제품 매출 확대/2H26 상업 생산 계획.

친환경 사업 강화 계획: ‘24년 12월 국내 2위 규모 열분해 재생유 생산업체 ‘새한리싸이클’ 인수.
이를 통해 폐비닐을 열분해 하여 카본블랙 생산 구조 확보.

3. 2025년 전망

베이직 케미칼: 판매지역 확대 및 원가 절감을 통한 TDI 수익성 개선, 주요 제품 수율 개선 등으로 수익성 확보.

카본 케미칼: OCI China 적자사업 청산, 주요 제품 생산 효율 증대,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확대 및 원가 개선.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Feb, 08:48


[(삼성/조현렬) 롯데케미칼 4Q 컨콜 Q&A]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롯데케미칼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방 시장 전망 및 연간 사업 계획 등이 있었습니다.

보고서: <bit.ly/4hJCAKw>

(Q&A)
(공통)
Q. 당기 순이익 악화 배경 및 추가 발생 가능성?

: 24년 당기 순이익은 적자 1조 8천억 수준.
: 4분기 일회성 비용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 기초소재의 손상차손이 1조원 수준으로 집계.
: 추가 발생은 금번에 시황을 보수적으로 평가했기에 내년도 업황이 금년과 비슷할 경우 추가적인 손상은 올해 수준보다 적거나 없을 것.

Q. 작년 중국 부양책 발표 이후 체감되는 시황 변화?
: 중국에서 과거 '08년도 금융위기 때와 같은 부양책은 나오기 어려움.
: 다만 작년 하반기 중국 금리 인하,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6개월간 경기 확장 국면 지속.
: 중국 정부가 '25년도 최우선 과제를 내수 부양으로 성정하기에 구체적인 올해 방향성은 3월 양회 이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
: 동사도 중국 정부 정책에 맞추어 유연하게 판매 정책 진행할 예정.

Q. 투자 우선순위 및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연구 개발 진행 상황?
: R&D 비용 투자 변화 없음.
: 친환경 부문은 시장 개화가 늦어서 연구원 투입 인력을 탄력적 조정 중.
: 친환경 관련 연구 분야는 열분해 납사 구매해 리사이클 제품을 생산하는 것.
: 또 열분해유를 직접 정제해 열분해 납사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 기술 검토 중.
: 친환경 폴리머나 CR-PET 등도 연구 지속 중으로, 국내 재활용 시장 상황에 맞게 연구 개발 속도 조절해 나갈 것.

Q. 1H25 사업부별 수익률 전망?
: '24년 3분기 저점으로 4분기 소폭 개선되고 있으며 올해도 1~2분기 거쳐 점진적 개선될 전망.
: 다만 본격적 경기 회복이나 스프레드 개선보다는 원료가 하향 안정화, 운반비 완화 부담, 환율 강세 요인이 클 것.
: 중국 경기부양 정책 효과로 수요도 개선된다면 '25년 상반기 점진적 업황 개선 기대.
: 특히 첨단소재 사업은 올해 1분기 전분기 대비 실적 개선 전망.

Q. 올해 가시화 될 Asset light 전략 효과?
: 파키스탄 PTA 생산 법인은 조만간 매각 성사 가능할 전망.
: 석유화학 사업 비중 축소 및 매각 자금 통한 재무 부담 완화가 에셋 라이트 목적.
: 결과가 조속히 나오지 않는 매각 자산에서는 PRS와 같은 기법을 고려 중.
: 이미 미국 MEG 생산 법인에 대해서는 PRS 계약을 체결했으며, 최근 인도네시아 라인 프로젝트인 LCI에 대해서도 진행 중.
: 국내 자산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건은 없지만, '25년 중 업계 내에서 국내 석유화학 Capa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

Q. 향후 Capex 및 재무구조 가이던스?
: '25년 투자는 계획 대비 4천억 정도 축소한 1조 4천억 투자 예정.
: 재무구조 가이던스로는 EBITDA 단의 투자 집행 대원칙을 따를 것.
: '25년 말 연결 기준 차입금은 작년과 유사한 10조원 수준 예상하며, 실차입금은 2천억원 정도 축소 계획.

(기초화학)
Q. '25년 및 '26년 제품별 수급 변동 일정?

: 에틸렌 기준으로 중국 중심 신증설 지속되어 공급 증가 예상.
: '23, '24년에 신증설 이미 이루어졌지만 가동 지연된 물량 및 금년도 신규 가동되는 물량 합할 경우 약 900만톤 정도 에틸렌 추가 출회 예상.
: 지역적으로는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공장과 중국 5개 컴플렉스가 가동되며 위에 상당하는 물량 출회 예상.
: 반면 유럽, 중국 및 일본에서 소규모 크래커 순차적으로 스크랩 진행되고 있음.
: '24년 2건, '25년 3건 및 '26~'27년 2건 정도 스크랩 예상.
: 폴리머 제품은 '25년 수요는 4% 내외 증가 예상.
: 시황에 따라 신증설 가동 연기되고 있고 일부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노후 설비 합리화 진행 중.
: 수급 밸런스 부담은 2~3년 전 대비해서는 다소 완화 전망되나 여전히 중국 중심 공급 과잉 지속되며 향후에도 80% 수준의 저율 가동 상황 지속 전망.
: 공급 과잉 및 글로벌 수요 불확실성 지속되겠으나, 운임 하락, 환율 강세, 중국 내수 수요 개선 등 다양한 요인으로 스프레드 점진적 개선 전망.

Q. '25~'26년 에틸렌 순증설 전망?
: '25년도 에틸렌 기준 공급은 약 870만톤.
: 이와 연계해 다운스트림 신증설에 따하 수요가 약 880만톤 차지할 전망.
: '26년에는 에틸렌 1천만톤 초과하는 물량 신증설 전망.
: 수요는 700만톤 조금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며 공급 과잉 예상.

Q. '25년 폴리머 수요 증가율 지역별/제품별 세분화?
: PE/PP 합해 '25년 폴리머 수요 성장률 4% 봄.
: PE는 3.7% 정도, PP는 4.5% 이상으로 예상.
: 글로벌 성장성이 가장 높은 곳은 북미/아시아 지역으로 파악.
: 한국. 일본은 보통 1~2% 수준 증가.
: 중국은 최근 4~5% 성장 보이며, 유럽은 일부 지역 마이너스 성장 하는 상황.
: 그 외 아프리카/남미 지역은 4~5% 성장률로 생산성이 큰 시장.
: 현재 동사 기준 수익성 높은 제품은 IDEV 제품이며, 이 외 HDPE, LLDPE, PP는 각 용도별로 수익성이 상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Q.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북미 2차전지 소재 사업 변동 여부?

: 북미 시장 전지소재 관련 투자는 변동사항 없음.
: 현재 롯데케미칼이 직간접적으로 진행하는 건 알미늄박, 동박 크게 2가지 사업.
: 추가 사업에 대한 공격적 확장은 고려하지 않음.
: 계열사 롯데알미늄과 합작으로 투자한 미국 내 양극박 사업은 1단계(Mechanical completion) 완료.
: 또한 롯데알미늄에서 진행하는 동박 관련 투자는 중장기적으로 볼때 말레이시아 Capa가 어느 정도 가동률 올라오면,
: 추가적 증설은 검토될 것이며 미국보다는 유럽이 순위가 높음 상황.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Feb, 02:07


[(삼성/조현렬) DL 4Q 컨콜 Q&A]

보고서: bit.ly/415An6I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DL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방 상황 대응 방안 및 연간 사업 계획 등이 있었습니다.

(Q&A)
(공통)
Q. 사업부별 공장 가동률 추이?

: Kraton은 TA, 재고 감축 노력 등에 따라 가동률 낮았음.
: 폴리머 60%, 케미컬 70% 후반 수준.
: 이 외에는 기존과 유사하게 가동.
: 전반적으로 70~80% 내외 수준으로 가동.

Q.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동사 영향?
: Cariflex는 영향이 없음.
: 중국과의 경쟁 관계에 없다는 점에 기인.
: Kraton은 미국에 제조 기지 보유/판매하기에 긍정적.

Q. 재무구조 관련 계획?
: 지난 1년간 연결 차입금 1,800억원 증가.
: 연결 외화 차입금 25~26억 달러 수준.
: ‘23년말 대비 ‘24년말 평가 기준 환율 약 180원 수준 증가.
: 4천억 이상 환산으로만 차입금 증가 효과.
: 실질적으로 차입금 소폭 감소했지만 환산 영향으로 증가.
: ‘24년 4분기에도 자산 매각 이익 받고, 현금 2천억원 들어온 것처럼 ‘25년에도 재무구조 개선 기조 지속 예정.

(케미칼 별도)
Q. 현재 폴리부텐 수급 상황 및 전망?

: PB 시황은 3, 4분기 크게 다르지 않았고 여전히 견조.
: ‘25년에도 수급 상황은 호조세 지속 예상.

Q. POE 판가 하락에 대응하여 메탈로센LLDPE 생산량/수요 조정 유동적 가능 여부?
: 2공장 자체가 스윙 가능한 공장.
: 수급 상황 등에 따라 탄력적 운영 예정.

Q. POE 분기별 판매량 업데이트?
: 3분기 대비 4분기 개선세.
: 다만 1, 2분기 수준의 판매량 나오지는 않았음.

(Kraton)
Q. 부타디엔 하락에 따른 4Q 역래깅 효과?

: 폴리머 사업분에서는 부타디엔 역래깅 있었고, 파인 케미칼 사업부에서도 CTO 하향 안정화되며 역래깅.
: 양쪽 사업부 역래깅 200억 수준.

Q. TOFA 업황 부진 대응 방안?
: 바이오퓨엘 시황 부진에 따른 4분기 시황 바닥으로 판단.
: 1분기들어 회복하는 모습이고, 올해 회복세 계획.
: 윤활유, 시추 등 타 어플리케이션 상황 나쁘지 않아 점차 늘려갈 계획.
: ‘23년 토르 제품 부진해서 가동률 낮았고, ‘24년 토르 시황 점차 개선되었음.
: ‘25년에도 시황 개선 전망되며 가동률은 작년보다 올라갈 전망.

(Cariflex)
Q. 신규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가동 비용 및 가동률 가이던스?

: 초기비용 70억 수준 발생.
: 싱가포르 공장 가동하며 통상 증가한 감가상각 금액이 분기 당 50억 수준으로 연간 200억.
: 1분기 Cariflex 실적은 4분기 대비 개선될 것.
: 연간으로는 상저하고 형태 전망.

(에너지)
Q. 에너지 사업부 매출 중 가스 가격에 영향 받는 비중?

: ‘24년 에너지 영업이익 1,470억 수준으로, 이 중 LNG 발전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670억원.
: LNG 발전소는 3개 보유하는데(국내 1, 미국 2).
: LNG 가격이 전력 가격에 전가되는 형태로 자연스럽게 헷지.
: 미국은 추가적으로 파생 상품 통해 마진 확보하는 정책 유지 중.

Q. 에너지사업부 영업이익 breakdown?
: 영업이익 1,474억 중 가스 발전소 영업이익 670억원, 석탄 발전소 560억원, 기타 240억원 수준.

Q. LNG 가격 상승 시 이익 개선 여부?
: 호주 석탄 발전소는 석탄 광산 보유해서 가격에 크게 영향 받지 않음.
: Cochrane CFPP의 경우 PPA 되어 있고 석탄 가격이 전력 가격에 반영되도록 계약.
: 이에 따라 석탄 가격 변동이 이익에 영향 미치지 안도록 구조화.
: LNG는 가격 상승 시, 전력 가격도 상승하여 마진이 증가하는 효과 유지.

(DL이앤씨)
Q. GLAD 호텔 ‘24년 객체 가동률?

: ‘24년 객실 연간 점유율은 3개 호텔 총 80% 중후반.
: ‘23젼에는 85% 수준으로, ‘24년 추가적으로 1% 개선.
: ‘25년 추가적으로 2~3% 상승 여지 있다고 판단.
: 객실 점유율 상승에 더불어 객실 외에도 식음, 행사 등 견조한 성장 기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Feb, 01:15


: 유럽에 유일하게 Capa 보유하는 Volta에너지솔루션 헝가리 가치가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
: 3) 고수익 제품(SR, HTS) 유럽 시장 승인이 경쟁사 대비 더욱 빠르고 많은 모델의 채용과 적용 검토.
: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시 매출액 확대 뿐 아니라 수익성도 개선 가능.
: 4) ESS 시장 진입도 예정.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Feb, 01:15


[(삼성/조현렬) 솔루스첨단소재 4Q24 실적발표]

보고서: bit.ly/4guGVjB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솔루스첨단소재의 4Q24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이에 내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4Q24 경영실적 및 2025년 계획

■ 2024년 연간실적: 매출액 5,710억원(+33.0%QoQ). 영업이익 -544억원(적자축소QoQ).
- 유럽/북미 고객사향 전지박 공급 확대, AI 가속기향 동박 공급량 확대, OLED 고객사 가동률 증가에 따른 공급량 증가 등으로 매출 성장.
- 전지박 공급량 확대, 하이엔드 제품군 판매 비중 확대, 고강도 원가 절감 활동 등으로 전년 대비 적자 축소.

■ 4Q24 실적: 매출액 1,657억원(+23.0%QoQ). 영업이익 -113억원(+39.6%QoQ).
- 전지박: 매출액 802억원(+45.8%QoQ). 헝가리 2공장 가동 및 유럽/북미 고객사향 판매 증가로 상승.
- 동박: 매출액 531억원(+7.7%QoQ). AI가속기향 동박 등 하이엔드 제품 중심의 판매량 증가로 상승.
- 전자소재: 매출액 324억원(+6.6%QoQ). 주요 고객사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공급량 증가로 상승.

■ 1Q25 계획

- 전지박: 기존 공급제품의 출하량 증가 및 고수익성 제품 공급 확대 추진.
- 동박: AI시장 타겟 빅테크 고객사향 하이엔드 동박 공급 지속 확대.
- 전자소재: 모바일과 IT향 제품 및 비발광 신규 제품 매출 확대 추진.


■ 2025년 매출 전망 및 중점 추진 전략: 매출액 7,000억원(+23%YoY) 전망

- 전지박: 매출액 3,270억원(+32%YoY) 목표.
: High-end 전지박 판매 확대 통한 수익 극대화 추진.
: 기존 제품(BF)에서 고수익 제품(SR, HTS)으로의 이동/판매확대.
: 생산량 극대화 및 High-end 전지박 안정적 생산체계 구축.

- 동박: 매출액 2,380억원(+21%YoY) 목표.
: 고수익 제품 HVLP/반도체 패키지향 제품 공급 확대.
: HVLP3의 견고한 시장지배력 확보위한 안정적 제품 공급 실현 및 신규 고객사 양산 개시 추진.
: HVLP4/5의 선도적 시장지위 확보를 위한 고객사 승인 확대 추진.

- 전자소재 사업: 매출액 1,350억원(+7%YoY) 목표.
: 모바일과 IT 중심 OLED 시장 성장 고려, IT향 제품 매출 확대.
: 신규 IP 제품 개발 및 진입, 비발광 신규 제품군 확장 등으로 매출 성장 및 수익성 확보.
: 함열 공장(‘25년 12월) 등 안정적 생산 거점 확보해 신규 모델 확대 대응.

2. Q&A

(전지박)
Q. 전지박 사업 흑자전환 예상 시기?

: 전지박 시장 현 상황은 공급 과잉으로 판가 경쟁이 치열.
: 시장 수요가 긍정적으로 예측되던 ‘20년대 초~’22년까지 전지박 제조사들이 Capa 공격적 증설.
: 공급 과잉 상황에서 전기차 성장률 둔화, 특히 중국에서 공급 과잉되며 전지박 제조사 가동률 급락.
: 동사는 경쟁사 대비 유리.
: 동사는 경쟁사 대비 보유하고 있는 공급 Capa가 적은 상황.
: 합리적인 Capa 가지고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며 공급 관리 해옴.
: 가동률 극대화, 제품 믹스 개선 통해 수익률 개선 및 매출액 증대 목표.
: ‘24년에도 전지박 매출 실적이 +60%YoY 성장.
: ‘25년에도 유럽 신규 진출 고객사, 북미 배터리 생산 Capa 지속 증설 중인 고객사 향으로 승인 절차 진행 중.
: 매출은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올라올 것으로 예상하며, 올해 내 흑전 목표.

Q. 전지박 헝가리 공장 가동률 및 오더 백로그 상황?
: 전지박 헝가리 공장 Volta Energy Solutions 헝가리의 ‘24년 연평균 가동률은 82%.
: 이는 경쟁사 대비 상당히 높은 가동률.
: ‘25년 연평균 가동률은 90% 이상이 목표.
: ‘24년 10월부터 헝가리 제2공장 가동 시작되었는데, 점진적으로 제2공장 가동률 올리고 있고,
: 4Q25에는 순차적으로 생산량 증가시켜 풀가동 달성 계획.
: ‘26년부터 헝가리 1, 2공장 총 Capa인 3만 8천톤 풀 가동 가능할 것으로 예상.

Q. 신규 수주 업데이트?
: 전지박 영업의 핵심 목표는 고객 포트폴리오 다각화.
: 신규 고객사 공급 계약 지속 중.
: 하반기 신규 고객사 지속 발생 예정이며, 신규 고객사 공급 지속되면,
: 연말 기준으로 가동률, 생산량 증가 예상.
: 기존 고객사 공급량은 +30%YoY 증가 예상되며, 신규 고객사 추가 시 올해 매출 목표 달성 가능 전망.

Q. 트럼프 재집권 후 대중국 관세 인상에 따른 전지박 업체 수혜 전망?
: 대중국 관세 부과 정책으로 이미 중국 전지박 경쟁사 진입 어려운 시장.
: 여기 추가적인 관세 부과시 중국 이외 전지박 공급 업체 북미 시장 진출 유리.
: 동사는 헝가리 전지박 공장에서 유럽 뿐 아니라 북미 시장도 진작 공략.
: 매출액 일정 부분이 북미에서 발생, 이는 동사 캐나가 설비 가동 전까지 지속 증가 예상.
: 고객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과 일치하는 부분.
: 다만 기타 동남아시아에서 북미 시장 공략하는 경쟁사 대응 위해 원가 경쟁력 확보가 필수.
: 올해 내부적으로 원가 경쟁력 확보에 중점.
: 여기에 더불어 고수익제품(SR, HTS) 시장 점유율 목표를 경쟁사 대비 높게 잡았고 이를 통해 수익성 확보할 전망.
: 한편 중국 전기차 업체의 유럽 진출은 가시화되어 있고, 대다수 업체들은 헝가리에 설비 공사 중.
: 이는 동사 Volta에너지솔루션에 유리.
: 경쟁사가 유럽 현지 진출해도 초기 시행착오 기간 3, 4년 고려시 동사의 제조 및 원가 경쟁력을 이길 수 없을 것으로 예상.

Q. 미국의 캐나다 관세 정책 대응책?
: 캐나다 25% 관세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
: 동사는 공사 진행 중이며 ‘26년 캐나다 양산 목표로 준비했는데,
: 이런 리스크로 양산 시기를 ‘27년으로 순연하는 것 검토.

Q. 북미 고객사향 공급 추이 및 수주 전망?
: ‘24년도 북미 고객사향 물량을 YoY 대폭 증가.
: 이는 ‘24년 북미 고객사의 본격적 배터리 생산 개시에 기인.
: 올해는 북미 고객사 기존 모델에 적용되던 전지박 공급량이 소폭 감소 전망되나 IRA 버전이 생산.
: 이를 통해 수요 상당 부분 증가하고, 저가 모델도 생산할 경우 탑재 배터리 증가 예정.
: 기존 북미 고객사 외 추가적 고객사도 하반기부터 동사 전지박 양산 적용 개시.
: ‘25년 공급 예정 전지박 물량은 YoY 성장 전망.

(동박)
Q. AI 가속기 향 동박 실적 및 가이던스?

: 단일 모델/단일 고객향으로는 미국 N사의 AI 가속기향 동박 수요가 가장 큼.
: ‘22년부터 N사 신모델 적용 위해 국내 고객인 D사와 샘플 작업한 결과, ‘2H25부터 N사 물량 양산 공급.
: 해당 물량은 지속 증가하고, 당초 예상 대비 물량 2배 이상 공급 중.
: 동박의 검증된 성능 바탕으로 국내 D사와 같이 미국 N사 차세대 버전에 대한 샘플 작업 진행 중.
: 향후 지속적 물량 확대 기대.

Q. AI 가속기향 동박 수주 현황 및 전망?
: AI 가속기 시장은 향후 5년간 연간 40% 이상의 고성장 진행 전망.
: 현재 동사는 해당 시장에서 50% 이상의 MS 가지고 있고, 향후에도 지속적인 MS 확대 위해 주요 고객들과 차세대 버전에 대한 기술 개발 중.

Q. 향후 자금 조달 방안?
: ‘25년 Capex는 캐나다 전지박 준공 위한 투자금 포함 약 3,800억원 계획.
: 투자 자금은 투자 인센티브 통해 상당 부분 충당 계획.
: 외부 차입 통한 자금 조달도 병향.
: 차입은 기존 방식 외에도 정책 자금 활용 통한 저리 장기 차입금 조달 방안 검토.

Q. ‘25년 전지박 가이던스 수립 배경?
: 실현 가능한 매출 목표라 생각하며 이유로는,
: 1) 고객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2H25 이후 성과낼 것.
: 유럽 신규 고객사 확보 예정되어 있으며, 북미향 점유율 100% 유지하고 있는 기존 고객사 이외 신규 고객사 발굴 성공.
: 해당 고객사들이 본격적 발주 내가 시작하는 2H25 매출 폭발적 성장 기대.
: 2) 중국 증치세 환급 폐지 발표 이후 중국 경쟁사 해외 진출 속도/빈도 확연히 저하.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23:19


[(삼성/조현렬) SK이노베이션 4Q24 리뷰]

보고서: <bit.ly/3CJvyqj>


■ 4Q24 review, 컨센서스 상회

4Q OP는 1,599억원으로,
컨센서스(1,090억원) 상회 및
당사 추정치(1,920억원) 하회.

화학, 윤활기유 및 배터리 부문이 하회,
정유 및 E&P 부문은 상회.

정유 OP는 3,424억원(+9,591억원QoQ).
9월 대비 12월 두바이 유가 소폭 하락에도,
동 기간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긍정적 재고 효과 발생.

화학 OP는 -842억원(-699억원QoQ).
전분기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
주요 제품 스프레드 하락으로 적자 확대.

윤활기유 OP는 1,395억원(-20%QoQ).
계절적 비수기 및 판가 약세에 따른
마진 하락으로 이익 감소.

E&P OP는 1,458억원(+11%QoQ).
판매량 증가 및 환율 상승 등으로
전분기 대비 이익 증가.

SK온 OP는 -3,594억원(-3,834억원QoQ; OPM -22.5%).
당사 추정치(-2,004억원; OPM -15.4%) 하회.
IRA AMPC는 813억원(+34%QoQ)으로
당사 추정치 크게 하회(722억원/+19%).
4Q 미국 공장의 생산/판매량은 1.3GWh(+30%QoQ)로 추정.
현대차그룹향 판매가 시작되어 미국 판매량 회복 추정.

SK이노베이션 E&S는 2024년 11월 기점 합병,
4Q24에는 2개월치 실적 반영.
2개월치 OP는 1,234억원
(영업이익률 +5.2%; -8.0%pQoQ).

전분기 대비 계통한계가격(SMP) 하락에 따른
발전 사업 둔화 영향으로 수익성 감소.


■ 1Q25 preview, 컨센서스 추가 상회 전망

1Q OP는 6,116억원(+282%QoQ)으로
컨센서스(5,450억원/+50%, Fnguide) 상회 예상.

실적 개선은 E&S 성수기 효과 진입 및
합병에 따른 온기 실적 반영에 기인.
IRA AMPC는 949억원
(+17%QoQ; 추정 출하량 1.5GWh)으로
현대차그룹향 판매 확대 지속될 전망.


■ View, 배터리 부진을 상쇄하는 화석 에너지 사업

전기차 산업 관련 정책 불확실성 및
전방 고객사 판매 성장 부진으로
1H25까지 배터리 셀/소재 사업 수익성 부진 지속.
다만, SK E&S 합병 효과 반영 및
E&P 수익성 개선
으로
1H25 실적을 일부 상쇄하는 점이 긍정적.
E&P 사업의 Peer multiple 상승 및
이익 전망치 상향을 반영
하여
목표주가 7% 상향하고,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23:07


[(삼성/조현렬) 2/6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7.5달러(-1.2%DoD)
√ WTI 원유: 70.6달러(-0.6%DoD)
√ 브렌트 원유: 74.9달러(+0.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8달러(-1.4%DoD)
√ 등유: 91.2달러(-1.1%DoD)
√ 디젤: 89.9달러(-1.8%DoD)
√ 벙커-C: 75.9달러(-1%DoD)
√ 나프타: 71.7달러(-0.3%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7.3달러(-0.3달러DoD)
√ 등유: 13.8달러(-0.1달러DoD)
√ 디젤: 12.5달러(-0.7달러DoD)
√ 벙커-C: -1.5달러(+0.2달러DoD)
√ 나프타: -5.8달러(+0.7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8.5달러(-1.0달러DoD)
√ 등유: 14.9달러(-0.8달러DoD)
√ 디젤: 13.6달러(-1.4달러DoD)
√ 벙커-C: -0.4달러(-0.5달러DoD)
√ 나프타: -4.6달러(Flat 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23:00


[(삼성/조현렬) 2/6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에틸렌(+0.6%).
주요 하락제품은 SM(-1.2%).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달러(-0.7%DoD)
√ 나프타: 662달러(-0.5%DoD)
√ 싱가폴 정제마진: 2.78달러(-4.8%DoD)

[올레핀]
√ 에틸렌: 875달러(+0.6%DoD)
√ HDPE: 875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45달러(+0.4%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14달러(+0.1%DoD)
√ SM: 1,051달러(-1.2%DoD)
√ 톨루엔: 795달러(-0.1%DoD)
√ 자일렌: 767달러(-0.1%DoD)
√ PX: 845달러(+0.2%DoD)
√ PTA: 657달러(+0.2%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470달러(Flat WoW)
√ AA: 445달러(Flat WoW)
√ VAM: 745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3달러(+3.9%DoD)
√ HDPE: 213달러(+1.4%DoD)
√ LDPE: 458달러(+0.7%DoD)
√ LLDPE: 268달러(+1.1%DoD)
√ MEG: 148달러(+2.6%DoD)
√ PP: 213달러(+1.4%DoD)
√ 부타디엔: 798달러(+0.4%DoD)
√ 벤젠: 252달러(+1.4%DoD)
√ PX: 183달러(+2.8%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10달러(+8.0%DoD)
√ HDPE: 210달러(+5.3%DoD)
√ LDPE: 455달러(+2.4%DoD)
√ LLDPE: 265달러(+4.1%DoD)
√ MEG: 146달러(+6.0%DoD)
√ PP: 210달러(+5.3%DoD)
√ 부타디엔: 795달러(+1.3%DoD)
√ 벤젠: 249달러(+4.6%DoD)
√ PX: 180달러(+7.5%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10:27


[(삼성/조현렬) SK IET 4Q24 리뷰]

보고서: <bit.ly/4hM42qZ>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4Q OP는 -919억원(-189억원QoQ)으로,
컨센서스(-830억원) 하회 지속.

이는 재고관련 손실 등
일회성 비용 300억원 이상 반영에 기인.
판매량은 회복(+12%QoQ; 0.62억㎡→0.69억㎡).
이는 주요 고객사 대상
고른 판매량 성장에 기인.
판가 또한 일부 회복(+4%QoQ).
이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점과
상대적 판가 수준 높은
IT 제품향 판매비중 소폭 개선에 기인.


■ 1Q25 preview, 적자 지속 예상

1Q OP는 -520억원(+399억원QoQ)으로,
컨센서스(-464억원, Fnguide) 하회 지속 예상.

매출액 또한 693억원(+17%QoQ)으로
컨센서스(762억원)를 9% 하회 전망.
판매량은 전분기 대비 회복하나
(+16%QoQ; 0.69억㎡→0.80억㎡),
기존 시장 기대치 대비 소폭 하회.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 개선 폭도
다소 더딜 것으로 예상
(+80%pQoQ; -155%→-75%).


■ 고객 다각화 지속

지난 5일 동사는
전기차용 각형 LFP 배터리에
탑재될 분리막 수주를 공시.

공급 기간은 ‘25년부터 5년이며,
공급 규모는 2,914억원.
이는 연 평균 583억원의
매출 창출 가능한 규모로,
2024년 매출 대비 27% 수준.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인기 많은 폼팩터인
각형 LFP 배터리에 공급 개시한 점은
향후 Non-captive 고객 확장에 긍정적.


■ View, 주가가 많이 빠졌으나 1H25까지 실적 부진 불가피

Forward EBITDA(0.25→0.16조원)을 반영,
EV/EBITDA Valuation상 목표주가
31% 하향(3.9→2.7만원).

주가 하락으로 수급 관점 부담은 제한적.
다만 올해까지 분기 흑자 전환이 어렵기에
1H25까진 투자 심리 회복 제한적 전망.
2H25 이후 2026년의 고객 다변화 효과 기대 가능하기에,
HOLD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10:00


[(삼성/조현렬) 한화솔루션 4Q24 리뷰]

보고서: bit.ly/4jNZhip


■ 4Q24 review, 컨센서스 상회

4Q OP는 1,029억원(+1,839억원QoQ)으로
컨센서스(190억원) 및
당사 추정치(-135억원) 상회.
가장 큰 차이는 기타 부문
일회성 이익(부동산 매각 차익)에서 발생.

기초 소재 OP는 -542억원(-136억원QoQ).
원료가 하락에 따른 부정적 재고 효과와
해상운임 상승으로 적자 폭 확대.

태양광 매출 및 OP는 각각
2.87조원(+149%QoQ)

606억원(영업이익률 2.1%;
AMPC 제외 시 -4.5%)
으로
당사 추정 상회.
가장 큰 차이는 발전 사업에서 발생.


■ 1Q25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전망

1Q OP는 -396억원(-1,465억원QoQ)으로
컨센서스(52억원, Fnguide) 하회 전망.

이는 일회성 이익 소멸과
태양광 판매량 감소에 따른
적자 전환
에 기인.
태양광 매출 및 OP는 각각
1.26조원(-55%QoQ) 및
-83억원(적자 전환QoQ; OPM -0.7%) 예상.
태양광 모듈 판매량은
전분기 판매 급증 여파로
크게 감소 전망(-40%QoQ vs 4Q24: +80%QoQ).


■ View, 태양광 사업 모델 전환이 긍정적

태양광 모듈 수익성 하향 및
지분법 손익 하향을 감안,
2025년 EPS 또한 하향
.
다만 최근 Peer multiple 상승 감안,
목표주가 2.4만원 유지.

태양광 부문 내 발전 사업 매출 비중은
2023년 31%에서 2024년 51%로 급증.
즉, 동사는 현재 태양광 장비 제조에서
발전 사업으로 사업 모델 전환 중.

보다 안정적인 이익 창출 능력 기대하며,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09:25


[(삼성/조현렬) SK IET 4Q 컨콜 Q&A]

보고서: <bit.ly/4hOM737>


금일 진행된 SK IET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방 산업 전망에 따른 대응 전략 및 사업 계획 등이 있었습니다.

(Q&A)
Q. 4분기 지역별 가동률 및 고객사 비중?

: 최근 전체 가동률이 많이 떨어져 있어 지역별 가동률은 의미가 없음.
: 사이트별 최적화 통해 물량 조정하며, 4Q24에는 한국/중국/폴란드 원단 기준으로 20%대 초반 정도 가동률.

Q. '25년 예상 판매량 및 지역별 가동률 전망?
: 판매량은 최종 차량 고객 수요 및 셀 업체 가동률 등에 따라 달라지기에 예측 어려움.
: 작년 기준 고객들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상당히 소진된 것으로 파악.
: 동사 재고도 많이 소진되어 있기에 작년 대비 70~100% 판매량 높이는 것이 목표.
: 고객사 비중은, JV 포함하여 '24년 캡티브 비중이 약 70%대 중반 수준, '25년에는 60%대 중반 수준.
: 타 고객사들에 대한 물량은 적극적으로 늘리려는 것.

Q. 중장기 LiBS 공급계약(25/2/5 공시) 디테일?
: 고객 다변화 노력의 첫 신호탄.
: 각형 LFP 배터리향 분리막 원단 수주이며, 해당 배터리 셀은 상용차 EV 프로젝트에 탑재 예정.
: Phase 1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이고, 추가해서 Phase 2, 3도 제품 개발 지속중.
: '25년 Phase 1 금번 계약 물량은 '25년도부터 초도 물량 수준의 납품이 예상되며, '26년부터는 유의미한 판매 물량이 지속될 것으로 준비.
: 총 계약 금액은 2,900억원 수준.
: 계약 기간은 5년 수준.
: 금번 계약의 의미는 신규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 특히 각형 LFP 배터리가 중국 업체 대상으로 시장 진입이 많기에 금번 트랙레코드는 동사에 긍정적.
: 또한 가동률 회복에 따른 수익성 개선 측면에서도 긍정적.

Q. '25년 ASP 전망?
: 기존 주요 고객사들과 원화 계약이 되어 있는 부분이 많았는데, 이를 '25년 1월 1일부로 전부 달러 베이스 계약으로 변경.
: '24년도 환율 하락 예상하며, '20~23년도부터 변경 요청을 했는데 달러 강세되며 ASP 5~6% 수준까지 하락할 전망.

Q. '25년 영업이익 턴어라운드 가능성 및 예상 시점?
: 감가상각비, 인건비 비중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고정비 비중이 높기에 턴어라운드를 하려면 물량이 확대되어야 함.
: 금년도 판매 확대 기대하나, 흑자 전환의 시점은 예측이 어려움.
: 최소한 내년 상반기~하반기까지 분기별로는 영업이익 개선 전망되며, 턴어라운드는 '26년 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

Q. 현재 재고 감축 진행 현황 및 적정 재고 예상 도달 시점?
: 적정 재고량은 판매량 3개월 정도 보유로 보고 있음.
: 판매량 증대로 인해 재고 감축되었고, 상대적으로 고객사들이 보유하고 있던 재고량도 많이 감소했을 것으로, '25년 적정 시점에 동사가 생각하는 안전재고 정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

Q. 수주 및 고객 확보 상황?
: 미국 시장의 경우 캡티브 고객 대상 하이 퀄리티의 안정성 보장된 품질 기반 제품으로 금년도 물량 확대 지속될 전망.
: 캡티브 고객 외에 현재 중국 메이저 셀사 top 5에 들어가는 2개사 정도가 현재 북미/유럽 공장 증설 진행 중.
: 다만 현재 트험프 2기 정부의 불확실성 고려하여 비중국산 분리막 업체에 대한 선호도 상승.
: 이에 현재 당사와 RFQ(Request for Quotation) 진행중이며, 이중 한 업체 정도는 1분기 내 성과 이어질 전망.
: 국내 시장에서는 메이저 고객사 중 한 업체와 IT 향으로 많은 물량 공급 중이었는데, 2월 중으로 폴란드 공장 심사 진행 예정.
: 페이퍼 워크 검토가 완료되었고, 현장 검증 통해 조기 업체 등록 준비중.
: 조기업체 등록 완료시, 유럽향 또는 미국향까지 EV 물량 확보 위한 프로젝트 협력 진행될 것으로 예상.
: 북미 고객사는 원단 공급 위해 구매발주서 나오면 3월부터 개시 예정.
: 북미 고객사 프로젝트도 추가로 계속 진행될 계획이며, 선도 OEM향 프로젝트도 순차적 납품 예정으로 원단 가동률 향상에 긍정적 기대.
: 원단 외 최근 북미향 원통형 프로젝트 진입 위해 제품 평가중이며, 해당 고객사에서 CCS 제품 직납 첫 사례로 신규 물량 확보 위한 협력 논의중.
: 아시아 시장에서는 일본 주요 고객사/인도 고객사 등과 ESS용 공급 관련 논의 진행 중.

Q. ESS 분리막 대응 현황?
: 아시아 시장이 예상 대비 ESS 프로젝트 많이 나오고 있고, 일본 고객사와 중국 업체와 현재 ESS용 프로젝트 추진 위한 논의 진행중.
: 유럽시장에서는 셀 개발 가능한 업체가 많이 나오지 않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 최근 셀 개발 노력하는 업체와 현재 제품 공급 협력 논의 중.
: 셀 개발 시 동사와 프로젝트 진행 가능성 높음.

Q. 4Q 일회성 비용 디테일?
: 일회성 비용은 300억 넘는 수준.
: 90% 이상이 현금과 관련없는 평가손실.
: 1) 고객사에 제품 판매 시, 일정 기간동안 품질 개런티 하는데 작년까지 재고 높아서 오래된 재고에 한해 회계상 평가 손실 잡음.
: 실물까지 제각한 것은 아님.
: 2) 재고 관련 저가법 평가 손실로 원재료/부재료/반제품/완제품 시가 기준 저가법 평가한 것.
: 원재료 가격 상승시 회복 가능하기에 현금과 무관.
: 3) 자산 건전성 유지 위해 각 사이트별로 정기적 유형자산 실사 및 평가를 실시.
: 해당 부분에 대해 활용 가능성 낮거나 노후화된 부분들은 유형자산 평가 손실로 반영.

Q. 트럼프 재집권 후 불확실성에 대한 입장?
: 소비자 세약 공제 폐지시, 시장에 영향 주겠지만 주 정부에서 주도하는 Zero-emission vehicles 제도 등은 유효하기에 시장의 축소를 막을 것으로 기대.
: 약간의 변동 또는 축소 가능성 있지만, 전체적인 사업 방향이나 계획을 바꿀 수준의 큰 변화는 없을 것.
: 미국의 중국 향 10% 추가 관세는 향후 점진적 상향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아, 중국산 대비 동사 경쟁력 높아질 것으로 기대.

Q. 소비자 세액 공제 폐지에 따른 동사 대응 전략?
: 소비자 세액 공제 폐지에도 생산 세액 공제는 유지될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
: 생산 세액 공제 유지시, 기존 소비자 세액 공제로 움직이던 IRA 시장이 생산자 세액 공제로 움직이게 될 것.
: 이에 따라 배터리 업체들이 생산자 세액 공제 받기 위해 현지 부품 조달 유도하는 시장이 되며, 여전히 북미 쪽에서의 생산 시설 확보가 필요할 것.
: 변동성이 있기에 단기적으로 Capex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투자 진행할 계획.
: 소비자 세액 공제에 있던 FEOC가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AMPC쪽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에, AMPC 받기 위해 셀 업체들은 비중국산에 대한 선호도 올라갈 것.
: 비용이 최소화되는 브라운 필드로 기존 지역 활용해서 북미 진출할 계획.

Q. '25년 Capex 규모?
: '25년 Capex는 일부 폴란드 건설 비용 이연된 부분 1천억 수준과 기타 시설 경상투자 비용 100억원해서, 1,100억원 수준 전망.
: 금년 집행 완료 시, '26년 이후 경상 투자가 100억대로 유지될 전망.

Q. 원가 절감 위한 AI 활용 방안?
: 작년에 만든 부분 중 하나는 품질 관련 AI 도입.
: 품질 불량 검수에 AI 도입하고자 하며 금년부터 적용 가능할 전망.
: R&D 분야에도 활용하고자 하는데, 지난 20년간의 데이터 활용하여 기존 제품 개발 시간 50% 이상 감축 예상.
: 생산 관련 AI도 도입하고자 하는데, 자동화 설비 통해 스마트 팩토리 운영하거나 원단 코팅/생산 시 설비 트러블 문제 해결, 수율 5% 향상 기대.

Q. 폴란드 공장 북미 고객사 논의 상황 및 Phase 2 가동 시점?
: 북미 고객사와 포엠 진행 중에 있고, 물성 요구 조건 강화로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나 가능한 빨리 완료되도록 할 것.
: 폴란드 Phase 2 가동시점은 가변적이지만, 4분기 정도로 예상.
: 글로벌 생산 사이트 최적화 통해 고객사 물량 대응해 나갈 계획.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06:22


[(삼성/조현렬) 한화솔루션 4Q 컨콜 Q&A]

보고서: <bit.ly/3Q5NTAZ>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한화솔루션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방 산업 전망 및 동사 사업 계획 등이 있었습니다.

(Q&A)

(공통)
Q. 일회성 손익 디테일?

: 4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은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일부 해외법인 관련 구조조정 비용이 600억원 반영.
: 기타 부문 울산 사택 부지 매각 관련 수익 967억원.
: 이로 인해 4분기 영업이익은 1,070억원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
: 영업외 단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부문 일부 해외법인 구조조정 및 부동자산 손상차손으로 약 1,500억원 발생.
: REC 실리콘 주가 하락으로 약 600억원 투자주식 손상 차손 발생.
: 이 외 당사 일부 투자회사들의 손상차손 반영되며 4분기 기타 손익에서 일회성 비용 약 3천억원 반영.

Q. 여천NCC EOD 관련 이슈에 대한 대응 방안?
: YNCC 대주주로서 경영상황과 재무 구조를 면밀히 모니터링 중.

Q. '25년 Capex 및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
: '24년 Capex는 약 3.1조원으로 미국 태양광 설비 투자를 포함, 신재생에너지 부분에서 2.2조원, 케미칼 및 기타 부문에서 약 9천억원 집행.
: '25년 Capex는 약 2조원 예상(신재생에너지 1.6조원, 케미칼 및 기타 부문 4천억원).
: 현재 미국 솔라허브 투자가 올해 중반부까지 이어지며 Capex 지출이 집중.
: 그 이후부터는 현금흐름 개선 전망.

(신재생에너지)
Q. 미국 태양광 모듈 재고 현황 및 가격 상승 시점?

: 공식적인 미국 태양광 모듈 재고 데이터 없어서 해당 데이터 활용하지 않고, 미국에서의 유입량 정도를 유의미하게 봄.
: 미국으로의 유입량은 5월, 2분기 정도에 피크를 찍고 이후 점차 감소세.
: 이러한 유입량 감소 효과가 결국에는 재고 소진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동사 주력 시장에서의 가격 반등이 발생하기를 기다림.
: 동사 4분기 ASP는 전분기 대비 큰 변화 없음.
: 현재 시장 가격은 저점에서 장기간 유지되는 상황이며, 이는 향후 반등할 수 있는 배경이라 해석.
: 덤핑 형태의 물량 이동 감소했다는 부분에 주목.

Q. 트럼프 재집권 이후 미국 수요 상황?
: 현재 정책적 변수가 많아 수요 예측 확정되지 않음.
: '24년 미국 시장 약 40 기가 내외로 설치됨.
: '25년은 +10%YoY 내외로 성장이 베이스 시나리오

Q. 웨이퍼 셀 공장 준공 및 램프업 시점 업데이트?
: 기존과 동일하게 '25년 중반부 완공 및 이후 램핑업 기간 거쳐 2H25 풀가동 목표.

Q. '25년 AMPC 가이던스?
: AMPC 4분기 1,901억원 반영.
: 따라서 '24년 총 5,551억원 반영.
: '25년에는 약 9천억~1조원 내외 AMPC 금액 예상.
: 작년 추정 가이던스는 8기가 내외였음.

Q. '25년 재생에너지 향 출하 물량 및 사업 가이던스?
: '24년 연간 신재생에너지 매출액 가이던스 2.5조원이었고, 실제로 2.9조원 기록하며 기대치 상회.
: '25년에는 현재 매출액 기준 약 4조원 예상.
: 1Q25는 연초니까 약 5천억원 수준 예상.
: 하반기로 갈수록 매출 규모 확대 기대.

Q. 개발자산 매각 가이던스?
: 1분기 신재생에너지 매출액 가이던스 5천억 안에 EPC와 개발자산 매각도 일부 계획.

Q. 신재생에너지 부문 프로젝트별 마진 및 장기적 마진 목표?
: 마진 가이던스 제공 어려움.
: 단순 모듈 제조보다도 Installer나 Developer 등 다운스트림 쪽으로 사업 확장이 목표.
: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높은 마진 추구하는 전략이며 추가적인 밸류 창출해 나갈 계획.
: 중장기적으로 모듈을 외부에 단순 판매하는 비중보다 향후 개발자산 매각 및 EPC 쪽에서 자가 소비되는 모듈양이 보다 증가할 전망.
: 결국에는 극소량만 외부 판매하고 대부분 자체 소비하는 형태로 나아갈 것.

Q. '25년 N 타입 생산 비중?
: N타입은 '2H23 생산 및 판매 시작했고, 작년에는 생산 판매량이 많지 않았지만 올해 보다 확대할 예정.
: 전체 9기가 이상의 판매량 가이던스 외에는 구체적으로 수치 제시 어려움.
: 다만 전체 생산량의 30% 정도는 생산 및 판매를 할 계획.

(지분법 손익)
Q. 한화임팩트 수익성 개선 요인?

: 지분법으로 적용되었던 한화 오션이 금융 자산으로 분류가 변경되며 장부가와 공정가치 차이를 투자 처분 이익으로 인식하며, 한화임팩트의 지분법 이익이 약 1천억원 이상 반영된 영향.
: 이러한 회계 처리 변경으로 인해 과거에는 한화 오션 주가 변동이 한화 임팩트 손익에 영향 미쳤으나, 올해부터 주가 변동에 따른 영향 없을 것.
: 4분기 일시적 반영 금액.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03:15


[(삼성/조현렬) SK이노베이션 4Q 컨콜 Q&A]

보고서: <bit.ly/3CQoRCN>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SK이노베이션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방산업 전망 및 ‘25년 연간 사업 전략 등이 있었습니다.

(Q&A)
(종합)
Q. Capex 및 재무 구조 건전성 확보 방안?

: (Capex) '25년 Capex 집행 계획은 약 6조원으로 계획.
: 사업별로는 배터리 3.5조원, SK E&S 1조원, 이외 사업 투자 금액은 전년 유사한 수준으로 경상투자와 전략 투자를 합쳐 약 1.5조원 수준의 투자 계획.
: SK E&S 합병으로 올해부터 E&S Capex 1조원이 추가되었음에도, 전체 Capex 규모는 전년 대비 현저히 감소.
: 올해 준공 예정인 SK온-Ford JV와 HMG JV 완공 시, 향후 Capex 또한 지속 감소할 전망.
: (재무구조 관리) '24년에는 SK E&S 합병 등 다양한 자구책에 대한 가시적 성과 창출.
: 그 결과 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당사 신용등급 기존 투기 등급에서 투자 적격 등급으로 상향.
: 그럼에도 배터리 업황 악화되며 고정비 부담 증가와 AMPC 수혜 축소되었고, 정제마진 감소로 기존 사업의 영업 현금흐름 악화되었으며,
: 지난 4년간 지속된 대규모 투자로 재무구조 안정성이 일부 악화.
: '25년 완공 예정인 북미 Ford JV와 HMG JV를 끝으로 대규모 Capex 부담은 완료될 예정.
: 올해부터 초기 투자에 대한 EBITDA 창출과 합병 시너지 가시화되며 재무부담 완화 전망.

Q. 영업이익 내 재고 이익 수준?
: '24년 재고 관련 손익은 3분기 -4,352억원, 4분기 -901억원으로 +5,253억원 증가.

(SK E&S)
Q. 최근 천연가스 가격 상승이 SK E&S 사업 부문에 미치는 영향?

: 최근 천연가스 현물시장 가격 상승은 LNG를 원료로 사용하는 발전소들의 도입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나, 동시에 전력도매가인 SMP도 반영되기에 매출 증가 요인이 되며 발전사업에 직접적인 영향 크지 않음.
: 또한 E&S 소싱 물량 약 70% 이상이 유가 또는 헨리허브 인덱스와 연동된 장기 계약으로 구성되어 단기 현물가스 가격 변동이 큰 영향 주지는 않음.
: 다만 현물 화물 도입 비중이 큰 시기 또는 현물 시장 가격 급변 시, 일시적으로 도입원가와 판매 가격 비중 차이가 발생하기에 단기 손익에 영향 발생 가능.
: SK E&S는 국내 최대 LNG 사업자로서 600만톤 이상의 장단기 소싱 포트폴리오 활용하여 최적화를 통해 시황 변화에 따른 손익 변동성 지속 축소 중.
: 특히 올해 3분기 이후부터 호주 칼디타-바로사 가스전 물량 연간 130만톤 상업 생산 개시될 예정으로, 변동성 큰 스팟 물량 비중 줄며 높은 원가 경쟁력 갖춘 장기 LNG 물량 추가.
: 전체적인 도입 원가 경쟁력 제고 기대.

Q. 호주 칼디타-바로사 가스전 생산 시점 및 손익 영향?
: 인도네시아 탐구 가스전과의 장기 공급 계약은 당초 '26년 중 종료 예정이었으나, 과거 탐구가스전 생산 설비 이상 등으로 공급받지 못했던 물량 추가로 공급받게 되며 '26년에도 평년 수준의 화물 도입이 가능할 전망.
: '26년 이후 구체적인 화물 공급 시기나 규모 종료 시점은 현재 셀러와 협의 중.
: 탐구 물량 50만톤 계약 종료 후에도 당사 소싱 물량 중 가장 높은 원가 경쟁력 가지고 물량이 2배 이상인 130만톤 규모의 CB 가스전 공급 물량 개시 예정이라 손익 감소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CB 가스전 공식 상업 생산 개시일은 4분기며, 다만 시운전 물량 생산 개시는 3분기부터 시작.
: 정식 상업 생산 시점은 4분기로 이해 가능.

(배터리)
Q. '25년 SK온 매출액/수익성/출하량 가이던스?

: 24년 대비 유의미한 성과 개선 기대.
: 글로벌 EV 수요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EU집행위원회 친환경 정책 규제 완화, 주요 OEM 전동화 추진 속도 조절 등으로,
: 단기적으로는 성장세 회복 지연 지속 전망.
: 한편으로는 각국 연비 규제 등 친환경 정책 지속 효과, OEM EV 라인업 확대 및 충전 인프라 확대 등에 힘입어 중장기 지속 성장 전망.
: 주요 시장 조사기관들도 장기적으로 글로벌 EV 시장 견조한 연평균 성장률 보일 것으로 전망.
: 특히 '25년에는 북미 중심으로 성장세 실현 전망.
: 북미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당사 또는 전년 대비 Double-digit 수준의 판매량 증가율 달성 기대.

Q. 트럼프 취임 이후 IRA 전망?
: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에너지 생산 확대 등 행정 명령을 통해 IRA 보조금을 지원하려는 움직임 가시화되는 모습.
: 다만 IRA 전면폐기보다는 Section 30D와 같은 일부 제도 및 요건 축소 또는 조정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것이 주된 견해.
: 소비자 세액공제 철폐 또는 축소될 경우 수요에 영향 있겠으나, 출시 차량 경쟁력도 고려해야함.
: 작년에 보조금에 해당되지 않았음에도 불구, 판매가 원활히 잘 되었던 고객사 사례도 있었음.
: 따라서 보조금 폐지가 절대적으로 실적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AMPC는 미국 현지 고용 등 여러 연관 요소 있기에 폐지는 어려울 전망.
: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는 관세 등 대중국 정책과 더불어 복합적 관점에서 함께 고려될 문제.

Q. 미국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고객별 동향?
: 북미 지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라 불확실성 추가 증대.
: 다만 여기서도 관세 인상 등에 따른 기회요인은 상존.
: 작년 시장 전망치는 지속 하향 조정되어 왔지만, 올해부터 내후년까지 연간 성장 궤적은 계속 유지될 것.
: 다만 그 속도가 하향조정 되는 것.
: 테슬라 등 기존 선도 전기차 OEM들이 초기 출시한 전기차 모델 노후화, 신차 출시 지연 영향으로 판매량 감소하는 한편,
: Ford나 GM 등 상대적 후발주자들은 시장 초기 기대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판매량 증대.
: OEM들의 신규 라인업 출시됨에 따라 이러한 현상 지속 기대.
: 동사 핵심 고객인 현대/기아차의 경우 '25년 Ioniq 라인과 같은 신차 비롯하여 라인업 확충 계획.
: 동시에 북미 현지 생산 체계 강화하고 있어, 판매량 증대 전망.
: 다른 주요 고객사인 Ford도 '25년 e-Transit, 퓨마 Gen-E와 같은 신차 출시 예정으로 EV 판매량 증가세에 기여할 전망.

Q. SK온 주요 증설 프로젝트 가동 시점 및 규모 디테일?
: '25년 미국 내 Ford JV인 BOSK 3개 공장 중 켄터키 1공장 신규 가동 예정.
: BOSK 켄터키 1공장은 총 생산 Capa 37gwh 규모 공장으로 일부 라인들이 '25년 2분기부터 순차적 SOP 진행 예정.
: 한편 BOSK 3개 공장 중 총 생산 Capa가 45gwh 규모의 테네시 공장 또한 당초 '25년 중 SOP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SOP 시점을 재검토 중.
: 현재 예상으로는 '26년 중 가동 개시.

(정유)
Q. 원유 도입처 다변화 계획 및 원가 절감 방안?

: 중동산 중심 장기 계약 원유 안정적으로 도입하는 한편, 유종별 시황 변동에 따라 최대 마진 확보 위한 feed stock 포트폴리오 구성하며 공급선 다변화 노력 지속 중.
: '25년 1분기 미국산 원유 도입 비율은 20% 수준 예상하며, 기회에 따라 캐나다산 원유 도입 예정.
: 미국 및 캐나다산 원유 프리미엄 변동에 따라 경제성 지속 검토하고 있고, 향후에도 상황되는 대로 도입할 예정.

Q.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정유 사업 영향 (캐나다/멕시코산 원유 관세 부과 관련)?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03:15


: 미국은 캐나다/멕시코산 원유를 전부 대체할 수 없기에, 캐나다산 원유 중 일부가 아시아로 넘어올 수 있음.
: 이에 따라 아시아 역내 공급 증가 시, 좀 더 저렴한 원유 구매할 수 있기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 기대.
: 마진 관점에서는 미국 정유사 가동 일부 감소 가능하고, 소비자 가격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석유 제품 가격 상승하여 마진 측면에서도 긍정적 작용 가능 전망.

Q. 중국 티팟 업체 구조조정/파산 동향 및 국내 정유사 영향?

: 미국 제재 이전에도 중국 티팟 정유사 구조조정은 지속되어 옴.
: 작년부터 수출 환급세 하향 조정 및 중국 포트에서의 제재 강화 등이 더해지며 티팟 경제성 악화.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유사들의 신증설 또한 지속되고 있기에 역내 시장 영향은 제한적.
: 향후 티팟 구조조정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

(화학)
Q. 석유화학 시황 악화되는 가운데 전략적 방향성?

: 필수 투자 위주의 Capex 지출과 적극적인 OI(Operation Innovation) 활동을 통해 생존 가능한 수익 및 재무 구조 확보 예정.
: 현재 불용자산 및 저수익 자산 매각 통한 적극적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추진 중.
: 중장기적으로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위한 고부가 다운스트림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계획.

(SK어스온)
Q. 중국 17/03 광구 향후 실적 전망치?

: 중국 17/03 광구는 '24년 2분기 13개 생산정 시추 완료 후 일 최대 원유 생산량 기록.
: 현재 2만 5천 배럴 정도 생산 중인데 자연적인 생산량 감소.
: 생산량 유지 위해 노력 중이며, 일환으로 생산정별 생산량 조정하고 있고, 최적화 노력 및 금년도 추가 생산정 시추해서 생산량 유지 노력 지속.
: 생산정 시추 데이터 분석해서 필요시 추가적인 생산정 지출 계획.

(SK엔무브)
Q. SK엔무브 상장 일정 및 중장기 전망?

: IPO 관련해서는 공모 비율이나 구조, 시장 상황 등 여러 면을 보아야 하기에 현재 IPO 시기는 확정된 바 없음.
: 올해는 작년 수준의 실적 예상하며, IPO 시 흥행 전망.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Feb, 01:10


[(삼성/조현렬) SKI 4Q 실적]

■ 요약:

OP 1,599억원으로
컨센서스(1,090억원) 상회했으나,
당사 추정(1,920억원)을 하회.
당사 추정 대비
정유/E&P는 상회했으나,
화학/윤활기유/배터리는 하회.

■ SK온 실적 분석:
합병 법인이 아닌 배터리 사업 기준
매출은 1.60조원(+12%QoQ)으로
당사 추정(1.30조원/+23%) 상회했으나,
OP는 -3,594억원으로,
당사 추정(-2,004억원) 하회(-1,590억원).
AMPC는 813억원(+34%QoQ)으로
당사 추정(722억원) 대비 91억원 상회.
AMPC 제외 시 OP는 -4,407억원으로,
당사 추정(-2,726억원)으로 1,681억원 하회.

■ 매출액 19.4조원
(+10%QoQ; 컨센 +6%; 삼성 -1%)

■ 영업이익 1,599억원
(흑전QoQ; 컨센: +46%; 삼성: -17%)

■ 세전이익 -1.14조원
(적지QoQ; 컨센: -0.33조원; 삼성: -0.40조원)

■ 순이익 -1.08조원
(적지QoQ; 컨센: -0.27조원; 삼성: -0.33조원)


(사업부별 실적)
√ 연결 OP: 1,599억원
(삼성: 1,917억원; -318억원)

√ 정유 OP: 3,424억원
(삼성: 1,560억원; +1,864억원)

√ 화학 OP: -842억원
(삼성: -590억원; -252억원)

√ 윤활기유 OP: 1,395억원
(삼성: 1,802억원; -407억원)

√ E&P OP: 1,458억원
(삼성: 1,221억원; +237억원)

√ 배터리 OP: -3,594억원
(삼성: -2,004억원; -1,590억원)
- 배터리 AMPC: 813억원
(삼성: 722억원; +91억원)
- AMPC 외: -4,407억원
(삼성: -2,726억원; -1,681억원)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Feb, 23:02


[(삼성/조현렬) 엘앤에프 4Q 리뷰]

보고서: bit.ly/3CqxHas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매출액은 3,654억원(+4%QoQ)으로
컨센서스를 부합(+2%).
OP는 -1,498억원(-774억원QoQ; OPM -41.0%)으로
컨센서스(-1,023억원) 하회.

ASP는 약 5%QoQ 하락.
판매량은 11%QoQ 증가

하이니켈(+12%QoQ)은
고객사 재고 조정 이후 판매 회복세.
미드니켈(-10%QoQ)은
ESS 시장 수요 둔화(LFP 배터리 선호) 및
유럽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판매 감소.


■ 1Q25 preview, 판매량 회복세 지속 전망

OP는 -575억원(OPM -15.0%)으로
컨센서스(-183억원, FnGuide) 하회 예상.

ASP 감소(-7%QoQ),
판매량 회복세 지속 전망(+11%QoQ).

1Q25에 선도 전기차업체향
신규 양극재 출하 개시.
이로 인해 2Q25엔
판매 성장 가속화(+74%QoQ) 전망
.


■ 2025년 Key issue, 신규제품 상업화

2025년 1Q New Model Y향
신규 양극재 출하 개시.
이에 더해 46시리즈
양극재 상업화도 개시 전망.
또한 LFP 양극재 파일럿 라인 설치 후
고객과 테스트 마무리 단계.
상업화 확정 시,
2026년부터 EV용 LFP 양극재 생산 개시.
이를 위한 라인 투자 계획.
즉, 신규 제품 상업화로
(신규 21700, 46시리즈, LFP 양극재)
올해 주식 관점에선 경쟁사 대비
긍정적 스토리로 작용
전망.


■ View, 경쟁사 대비 수요 가시성 뚜렷

단기 실적 하향 감안(EBITDA 13% 하향),
EV/EBITDA 밸류에이션상
목표주가 12% 하향(13.0→11.5만원).

다만 2025년 판매 성장률은 약 33%
국내 양극재업체 대비 높은 성장률 예상.
이는 전방 고객사의 신차 출시
(New Model Y, Cybertruck) 후
판매증가 효과
에 기인.
즉, 실적보단 모멘텀 관점에서
투자심리 개선 가능성 상존.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Feb, 22:54


[(삼성/조현렬) 2/5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8.4달러(+1.2%DoD)
√ WTI 원유: 71달러(-2.3%DoD)
√ 브렌트 원유: 74.7달러(-2.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달러(+1.3%DoD)
√ 등유: 92.3달러(+0.4%DoD)
√ 디젤: 91.6달러(+0.7%DoD)
√ 벙커-C: 76.7달러(+2.6%DoD)
√ 나프타: 71.9달러(+2.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7.6달러(+0.2달러DoD)
√ 등유: 13.9달러(-0.6달러DoD)
√ 디젤: 13.2달러(-0.3달러DoD)
√ 벙커-C: -1.7달러(+1.0달러DoD)
√ 나프타: -6.5달러(+0.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9.4달러(+1.1달러DoD)
√ 등유: 15.7달러(+0.3달러DoD)
√ 디젤: 15달러(+0.7달러DoD)
√ 벙커-C: 0.2달러(+2.0달러DoD)
√ 나프타: -4.7달러(+1.4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Feb, 22:46


[(삼성/조현렬) 2/5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톨루엔(+2.6%), 벤젠(+2.1%), SM(+0.8%).
주요 하락제품은 MEG(-1.5%), PET(-1.3%).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5달러(+0.7%DoD)
√ 나프타: 665달러(+1.9%DoD)
√ 싱가폴 정제마진: 2.92달러(-4.9%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75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43달러(-1.5%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13달러(+2.1%DoD)
√ SM: 1,064달러(+0.8%DoD)
√ 톨루엔: 796달러(+2.6%DoD)
√ 자일렌: 768달러(Flat DoD)
√ PX: 843달러(+0.7%DoD)
√ PTA: 656달러(+0.6%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25달러(Flat WoW)
√ PET: 790달러(-1.3%WoW)
√ PS: 1,248달러(+0.4% WoW)
√ ABS: 1,420달러(+0.7%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05달러(-5.8%DoD)
√ HDPE: 210달러(-5.7%DoD)
√ LDPE: 455달러(-2.7%DoD)
√ LLDPE: 265달러(-4.5%DoD)
√ MEG: 144달러(-9.8%DoD)
√ PP: 210달러(-5.7%DoD)
√ 부타디엔: 795달러(-1.6%DoD)
√ 벤젠: 248달러(+2.4%DoD)
√ PX: 178달러(-3.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95달러(-6.7%DoD)
√ HDPE: 200달러(-6.6%DoD)
√ LDPE: 445달러(-3.1%DoD)
√ LLDPE: 255달러(-5.2%DoD)
√ MEG: 138달러(-10.6%DoD)
√ PP: 200달러(-6.6%DoD)
√ 부타디엔: 785달러(-1.8%DoD)
√ 벤젠: 238달러(+1.9%DoD)
√ PX: 168달러(-4.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Feb, 09:19


[(삼성/조현렬) 롯데정밀화학 4Q24 리뷰]

보고서: bit.ly/3WOP63g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4Q OP는 122억원(+18%QoQ)으로
컨센서스(215억원/-43%) 하회.

이는 염소 및 셀룰로스 계열 부진 영향과
일회성 비용에 기인.

염소 계열 OP는 -116억원(+44억원QoQ) 추정.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매출 증가에도
적자 축소는 예상보다 더디게 발생.

셀룰로스 및 암모니아 OP는
각각 109억원(-41%QoQ) 및
128억원(+81%QoQ)으로 추정.

셀룰로스 비수기 진입으로
매출 및 수익성 동반 감소.
암모니아는 EUROX 판매량 확대와
전분기 암모니아 트레이딩 발생 비용
소멸되어 이익 크게 회복.

세전 이익은 -403억원(+543억원QoQ)으로
컨센서스(149억원)를 대폭 하회.

이는 솔루스첨단소재 주가 하락에 따른
보유지분 평가손실 720억원 추가 인식에 기인


■ 1Q25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전망

1Q OP는 131억원(+8%QoQ)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되나
컨센서스(226억원/-42%, Fnguide)
추가 하회 예상.

염소 계열은 가성소다 국제가격 상승으로
적자 축소 예상.
셀룰로스 계열은 비수기 영향이
1Q까지 지속되고,
산업용 수요가 예상보다 둔화되어
실적 개선 폭은 기대 이하 전망.
암모니아 계열은 트레이딩 부문의
이익 둔화로 실적 일부 감소 예상.


■ View, 단기 이익 눈높이 하향 필요

1Q25 이익 회복이 예상보다 더뎌
2025년 영업이익은 1,060억원(+110%YoY)으로
컨센서스(1,303억원/-19%) 하향 전망.

이를 감안하여 ROE-P/B Valuation 상
목표주가도 5% 하향(5.9→5.6만원).

12MF P/B는 현재 0.40배로
2024년 평균(0.48배) 대비 낮지만,
ROE는 2024년 1.5% 대비
2025년 6.2%까지 회복 기대
하기에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Feb, 09:14


[(삼성/조현렬) 엘앤에프 4Q 컨콜 Q&A]

보고서: bit.ly/40HiuK9


(Q&A)
Q. 미 대선 이후 IRA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당사 영향?

: 당사는 IRA 자체가 폐지 수준으로 갈 확률은 낮다고 판단.
: 이는 '26년 미국 국회위원 관련 재선과 관련.
: 하원 상당 부분이 자기 지역구 고려 시, IRA 폐지는 마이너스 요인으로 공화당 내 반대 가능성 높음.

Q. 관세 정책에 따른 당사 영향?
: 아직 관세 규모 정도가 확실하지 않아 규모를 정확히 알 수 없음.
: 다만 관세 부과시에도 동사에 크게 불리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
: 1) 올해부터 가격 경쟁력 갖추기 위한 생산성/효율성 갖추기 위해 노력.
: 이것이 실질적 실현 시, 판가 경쟁력 확보 통해 IRA 대응 가능할 전망.
2) IRA 축소되어도 동사 고객사는 미국 메이저 OEM사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
: 이러한 부분에서의 직납 또는 새로운 OEM사와 계약 시, 동사에게는 차별성이 부각될 수 있는 기회.
: 즉, 관세 부과는 동사에게 neutral한 영향 예상.

Q. 4분기 재고자산평가 금액 및 재고 현황 업데이트?
: '24년 4분기는 3분기 대비 메탈 시세 추가 하락으로 충당금 규모가 증가해 약 500억원 가량 평가 손실 추가 인식.
: '25년에는 이미 충당금 규모가 큰 상황.
: 따라서 추가적인 메탈 시세 하락 또는 전기차 시장 추가 급냉에 따른 양극재 판매량 감소가 없다면 재고자산 평가손실은 급감할 전망.
: 그리고 '24년 연말 기준 재고 현황은 현재와 같이 감소된 매출 수준 고려 시, 3~4개월 정도 보유.
: 특히 탄산리튬 사용하는 재고들이 많은 상황인데 기존 NCM 제품 판매와 고전압 미드니켈, 신규 LFP 제품 판매 통해 빠르게 소진해 나갈 것.

Q. 북미 고객사 향 NCMA95 제품 납품 여부?
: 현재 고객사 원통형 제품의 업그레이드 버전 납품이며, 이를 통해 고객사 내 당사 점유율 회복 기대.
: 신규 제품 출하되며 하이니켈 기준 분기 및 연도별 당사 최고 출하량 달성 예상.
: 북미 EV향 납품 여부는 고객사 관련 정보로 언급 불가.

Q. 북미 고객사 향 '23년 체결한 계약 출하 여부?
: 고객사 제품 개발 어려움으로 납품 일정 순연.
: 다만 고객사들과 좋은 관계 유지하고 있으며, 공유받는 일정은 여전히 배터리 산업의 긍정적 신호로 보임.
: 점차적으로 목표 대비 여러 항목에서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

Q. 기존 수주건 현황 업데이트 및 향후 수주 활동 계획?
: 현재 정치적/지리적/사회적 급변으로 여러 프로젝트 순연/지연 등 변화.
: 다만 최소한 2~3개 신규 논의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 시장 성과 보일 것.

Q. 향후 고객사 및 제품군 다변화 계획?
: 현재 당사 프로젝트들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27년 기준 6~7개 고객사 확보 가능.
: 이는 경쟁사 대비 가장 탄탄한 고객사 포트폴리오.
: 제품군은 프리미엄 제품인 울트라 하이니켈 제품과 중저가 라인 활용하는 LFP 제품을 2개 축으로 진행할 예정.
: '27년 기준 프리미엄 제품인 하이니켈 비중이 약 75%, 중저가 시장 메인인 LFP는 25% 비중.

Q. 음극재, 리튬 톨링, LLBS 등 신규 사업 업데이트?
: (LLBS) 올해 3월 전체적인 생산 시설을 준공 완료 예정이며 2분기 5월 부터는 시생산 예정.
: 실질적인 양산은 '26년부터 2만톤 수준으로 시작할 예정.
: '27년에 추가적으로 2만톤 증설 가능한 자금 및 계획 보유중.
: '27년 말에는 실질적으로 4만톤 생산 가능 규모 확보 예상.
: 이를 통해 탈중국 전구체를 최초로 양산하게 될 것.
: (리튬 톨링) 경남 하동에 약 6만평 규모 부지 확보하고 생산 고려했음.
: 다만 현 시점에서 톨링하기 위한 탄산리튬 가격과 수산화리튬 가격 역전되고 있음.
: 탄산리튬은 작년 11불/kg, 수산화리튬은 10불/kg.
: 향후 메탈가격 변동세 고려 후, 사업 재개 타이밍 재고.
: 탄산리튬 가격이 급격히 오른 것은 LFP 수요 증가에 기인해서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음.
: (음극재) 일본 회사와 합작사 형태로 진행 예정이었으나, 여러 계약 이슈로 답보 상태.
: 음극재 관련 사업은 순연될 전망으로 자체적인 방안 고려 중.

Q. 파일럿 LFP 제품 구체적 일정 및 목표?
: 투트랙으로 준비 중인데, 1) 국내 생산 우선적 검토, 2) 미국에서 직접 사업화하는 부분도 생각.
: 트럼프 정권 하 규제에 유연하게 대응 위해서는 투 트랙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
: 2분기 중에는 구체적 사업 계획 발표 가능할 전망.

Q. 유동성 리스크 대응 전략?
: 기말 현금흐름은 현재 잔액 기준으로 약 2,600억원 확보.
: '23년말에도 2,400억원 수준이었음.
: 당장 운전자금으로 운영 가능한 충분한 현금 수준.
: 미국 진출 위해서도 현재 cash flow로 진행 가능.
: 현재 전체적인 Capa는 다결정으로 한다면 총 21만톤, 단결정 포함시 약 16만톤.
: 현재 7~8만톤 생산 가정해도 이미 2배 넘는 Capa 확보하기에 추가 Capa 투자 필요 없음.
: LFP는 투트랙으로 할 예정인데, 만약 JV가 아닌 자체적으로 한다 해도 필요한 규모는 3천억원 수준.
: 필요시 여러 채널을 통해 자금을 추가적으로 조달할 수 있을 것.
: 또는 주가 수준이 충분히 유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되면 자사주를 이용할 수도 있음.
: 신사업 진행에 있어 자금 압박으로 순연/지연이 될 가능성은 극히 낮음.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Feb, 00:07


[(삼성/조현렬) 금호석유 4Q24 리뷰]

보고서: bit.ly/4hohCkL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4Q OP는 100억원(-85% QoQ)으로
컨센서스(494억원/-80%) 및 당사 추정치(516억원/-81%) 하회.
차이는 에너지/기타(-159억원) 및
금호피앤비(-134억원)에서 발생.

합성고무 OP는 184억원(OPM 2.4%; +0.9%p QoQ).
원료가 약세로 인한 부정적 래깅효과가 지속에도
규모가 일부 경감되었으며
일부 제품 수익성 개선으로
이익 추가 회복.

합성수지 OP는 -95억원(OPM -3.0%; -0.2%p QoQ).
전방 사업의 수요 부진 및 수요처 재고 소진 활동으로
수익성 부진 지속.

에너지 및 기타 부문 OP는 28억원(OPM 7.0%; -15.3%p QoQ).
에너지는 정기보수로 인한 판매량 감소 및
SMP 하락으로 매출 및 수익성 동반 감소.
기타 부문도 일부 일회성 비용 포함된 것으로 추정.

금호피앤비 OP는 -222억원(OPM -5.8%; -6.1%p QoQ).
대 정비로 인한 판매량 감소 및
주요 제품 스프레드 축소로 적자 전환.

금호폴리켐 OP는 105억원(OPM 6.3%; -2.5%p QoQ).
연말 고객사 재고소진 활동 확대로 스프레드 추가 감소.


■ 1Q25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전망

1Q OP는 777억원(+680% QoQ)으로
컨센서스(790억원/-2%, Fnguide) 부합 예상.

전 사업부의 QoQ 이익 개선 예상.
전분기 일회성 비용(약 200억원)이 소멸 및
주요 원재료인 부타디엔 상승에 따른
긍정적 래깅효과,
정기보수 종료에 따른
수익성 높은 에너지 판매량 증가로
수익성 믹스 개선 기대.


■ View, 2025년 증설 효과로 ROE 개선 전망

1Q25 EPDM 증설(24→31만톤) 및
4Q25 SSBR 증설(12.3→15.9만톤)은
영업이익 추가 개선에 기여 전망.
3Q24 MDI 증설(41→61만톤)은
4Q부터 지분법이익 개선에 기여 개시.
이에 따라 2025년 ROE는
전년 대비 개선 전망 유지(5.9→6.8%).

특히 업종 내 차별적 지위
유지
가능성 높을 전망.
업종 내 Top-pick 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Feb, 23:25


[(삼성/조현렬) 2/4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7.5달러(-2.0%DoD)
√ WTI 원유: 72.7달러(-0.6%DoD)
√ 브렌트 원유: 76.4달러(+0.4%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9달러(-3.4%DoD)
√ 등유: 91.9달러(-2.1%DoD)
√ 디젤: 90.9달러(-2.3%DoD)
√ 벙커-C: 74.7달러(-2.3%DoD)
√ 나프타: 70.5달러(-1.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7.4달러(-1.4달러DoD)
√ 등유: 14.5달러(-0.4달러DoD)
√ 디젤: 13.5달러(-0.5달러DoD)
√ 벙커-C: -2.7달러(-0.2달러DoD)
√ 나프타: -7달러(+0.9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8.3달러(-3.0달러DoD)
√ 등유: 15.4달러(-2.0달러DoD)
√ 디젤: 14.4달러(-2.1달러DoD)
√ 벙커-C: -1.8달러(-1.8달러DoD)
√ 나프타: -6.1달러(-0.7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Feb, 22:47


[(삼성/조현렬) 2/4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하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없음.
주요 하락제품은 PX(-0.9%), PTA(-0.6%).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9달러(-1.3%DoD)
√ 나프타: 652달러(-0.7%DoD)
√ 싱가폴 정제마진: 2.9달러(-69.7%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75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51달러(Flat 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95달러(-0.5%DoD)
√ SM: 1,056달러(Flat DoD)
√ 톨루엔: 776달러(+0.1%DoD)
√ 자일렌: 768달러(-0.3%DoD)
√ PX: 837달러(-0.9%DoD)
√ PTA: 652달러(-0.6%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AN: 1,310달러(Flat WoW)
√ 가성소다: 452달러(Flat WoW)
√ 페놀: 890달러(Flat WoW)
√ 아세톤: 685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8달러(+2.0%DoD)
√ HDPE: 223달러(+2.0%DoD)
√ LDPE: 468달러(+0.9%DoD)
√ LLDPE: 278달러(+1.6%DoD)
√ MEG: 160달러(+1.7%DoD)
√ PP: 223달러(+2.0%DoD)
√ 부타디엔: 808달러(+0.5%DoD)
√ 벤젠: 243달러(Flat DoD)
√ PX: 185달러(-1.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9달러(-0.5%DoD)
√ HDPE: 214달러(-0.5%DoD)
√ LDPE: 459달러(-0.2%DoD)
√ LLDPE: 269달러(-0.4%DoD)
√ MEG: 154달러(-0.4%DoD)
√ PP: 214달러(-0.5%DoD)
√ 부타디엔: 799달러(-0.1%DoD)
√ 벤젠: 233달러(-2.3%DoD)
√ PX: 176달러(-4.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Feb, 23:27


[(삼성/조현렬) LG화학 4Q24 리뷰]

보고서: <bit.ly/3QnOvCl>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4Q OP는 -2,520억원(-7,504억원QoQ)으로
컨센서스(600억원) 하회.
당사 추정 대비
기초소재, 첨단소재 및 배터리 자회사
전반적으로 부진

기초소재 OP는 -990억원(-608억원QoQ).
중국 경기 회복 지연,
국내 전력 단가 상승에 따른
일부 제품 스프레드 약화 및
일부 정기보수 영향 등으로 적자 기록.

첨단소재 OP는 480억원(-68%QoQ)
당사 추정(738억원/-35%) 하회.
양극재 사업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0.69조원(-25%QoQ) 및
50억원(-91%QoQ; OPM +0.7%)
기록.


■ 1Q25 preview, 배터리 자회사로 인해 기대치 하회

1Q OP는 919억원으로
컨센서스(2,221억원, FnGuide) 하회
전망.
배터리 자회사 제외 시 실적은 무난하며
첨단소재 이익 회복이 일부 상쇄 전망.
양극재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각각 0.63조원(-9%QoQ) 및
107억원(+122%QoQ; OPM +1.7%)
예상.


■ 2025년 가이던스, 양극재 Capa 도입 축소

양극재 생산 능력 신규 도입 규모도 축소.
2024년 14만 톤→
2025년 15만 톤(기존 17만 톤)→
2026년 17만 톤(기존 20만 톤).


■ View, 배터리 자회사 활용에 대한 기대 낮출 필요

기초소재 및 첨단소재 부진을 감안하여
12MF EBIDTA도 13% 하향(1.41→1.22조원).
배터리 자회사 지분가치 또한 하향(22.0→16.8조원).
이를 반영하여 SOTP Valuation상
목표주가 35% 하향(47.0→30.5만원).

미국 IRA 및 관세 정책 변화 가능성으로,
배터리 셀/소재 불확실성은 단기 지속 예상.
다만, 밸류에이션과 석유화학 효율화 감안하여
BUY 투자의견 유지.



(양극재 매출/OP/OPM 추이)
√ 1Q24: 0.86조원/300억원/3.5%
√ 2Q24: 0.93조원/490억원/5.2%
√ 3Q24: 0.92조원/550억원/6.0%
√ 4Q24: 0.69조원/50억원/0.7%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Feb, 22:56


[(삼성/조현렬) 2/3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9달러(-1.1%DoD)
√ WTI 원유: 73.2달러(+0.9%DoD)
√ 브렌트 원유: 76.2달러(-1.1%DoD)

[정유제품]
√ 가솔린: 87.9달러(+0.9%DoD)
√ 등유: 93.9달러(+1.4%DoD)
√ 디젤: 93달러(+0.8%DoD)
√ 벙커-C: 76.5달러(-0.6%DoD)
√ 나프타: 71.2달러(-1.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8.8달러(+1.7달러DoD)
√ 등유: 14.9달러(+2.2달러DoD)
√ 디젤: 14달러(+1.6달러DoD)
√ 벙커-C: -2.5달러(+0.4달러DoD)
√ 나프타: -7.9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3달러(+0.8달러DoD)
√ 등유: 17.4달러(+1.3달러DoD)
√ 디젤: 16.5달러(+0.7달러DoD)
√ 벙커-C: 0달러(-0.5달러DoD)
√ 나프타: -5.4달러(-0.7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Feb, 22:40


[(삼성/조현렬) 2/3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PX(+1.0%), PTA(+0.8%).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9달러(+0.5%DoD)
√ 나프타: 657달러(-1.2%DoD)
√ 싱가폴 정제마진: 9.56달러(+368.6%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75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51달러(Flat 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99달러(-0.5%DoD)
√ SM: 1,056달러(+0.3%DoD)
√ 톨루엔: 775달러(+0.4%DoD)
√ 자일렌: 770달러(+0.3%DoD)
√ PX: 844달러(+1.0%DoD)
√ PTA: 656달러(+0.8%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4달러(+3.9%DoD)
√ HDPE: 219달러(+3.8%DoD)
√ LDPE: 464달러(+1.8%DoD)
√ LLDPE: 274달러(+3%DoD)
√ MEG: 157달러(+3.2%DoD)
√ PP: 219달러(+3.8%DoD)
√ 부타디엔: 804달러(+1.0%DoD)
√ 벤젠: 243달러(+1.5%DoD)
√ PX: 188달러(+9.7%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10달러(Flat DoD)
√ HDPE: 215달러(Flat DoD)
√ LDPE: 460달러(Flat DoD)
√ LLDPE: 270달러(Flat DoD)
√ MEG: 155달러(Flat DoD)
√ PP: 21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800달러(Flat DoD)
√ 벤젠: 239달러(-1.9%DoD)
√ PX: 184달러(+4.9%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Feb, 09:18


: 이에 일부 기대 가능한 영역 존재하나, 대부분은 대기업이 수혜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사업적인 손익 관점에서 영향이 미미.
: 이러한 사유로 당사 수익성 관점에서의 가시적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다만 1H25 후속 대책 발표 예정되어 있는 만큼, 당사는 정부 부처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당사 또한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건의해 나갈 예정.
: 다만 정부 주도와는 별개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JV 등 다양한 전략적 옵션을 자구책으로 지속 추진 중.

Q. 고부가 신소재 사업 전략?
: 당사의 고부가 사업은 시황에 무관하게 10% 이상 수익성을 지속 창출할 수 있는 사업으로 정의.
: 당사의 ABS 일부 어플리케이션, HPM, 초고중합도 PVC 등 일부 고수익 어플리케이션 제품과 반도페용 C3 IPA 등.
: 당사는 이러한 제품들의 매출을 '24년 대폭 확대해 나갈 예정.
: 신소재 사업의 경우 배터리 열폭주 차단 위한 고성능 단열재 에어로젤 양산 '25년 시장.
: 이와 더불어 1H25 화학적 재활용 기술 적용된 초임계 열분해 실증 플랜트 가동 계획.
: 미래 신소재인 경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 가능한 3HP, 패션 글로벌 브랜드와 고객풀 확보한 바이오 나일론 개발 준비중.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Jan, 09:26


[(삼성/조현렬) LGES 4Q24 리뷰]

보고서: <bit.ly/40JxxnO>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영업이익은 -2,255억원(-6,738억원QoQ)으로
컨센서스(-1,220억원) 하회.

출하량 감소 및 제품믹스 영향에 따른 수익성 악화,
이 외 연말 불용 재고 처리에 따른
일회성 비용으로 적자 크게 확대.
소형 전지 OP는 -259억원(-1,030억원QoQ)
추정(영업이익률 -1.6%).
자동차 전지 OP는 -5,450억원(-4,501억원QoQ)
추정(영업이익률 -13.0%; -10.9%pQoQ).
ESS 전지 OP는 -319억원(-320억원QoQ)
추정(영업이익률 -5.0%).
IRA AMPC OP는 3,773억원(-19%QoQ)으로,
당사 추정치 상회(3,505억/-25%QoQ).


■ 2025년 가이던스, 컨센서스 하회

2025년 매출 가이던스는
+5~10%YoY의 성장률
을 제시.
(26.9~28.2조원).
이는 컨센서스(29.3조원) 대비
4~8% 하회.

Capex는 9.1~10.4조원으로
전년(13.0조원) 대비
20~30% 감축 목표.
IRA AMC는 45GWh~50GWh로
2.18~2.42조원으로 추정.


■ 1Q25 preview, 컨센서스 추가 하회 전망

1Q25 OP는 398억원(+2,653억원QoQ)으로
컨센서스(1,836억원)를
78% 하회 전망.

자동차 부문 판매량 추가 감소 및
ESS 매출 급감
에 기인.
소형 및 자동차 부문 ASP는
각각 -11%QoQ 및 -1%QoQ 예상.
소형 전지 출하량은 +10%QoQ로 예상.
자동차 전지 출하량은 8%QoQ
추가 감소 예상.
북미 판매도 추가 감소(-9%QoQ) 전망.
IRA AMPC도 3,491억원(-7%QoQ)으로
고객사 재고 조정 지속 전망


■ View, 1H25 불확실성 지속

북미시장 내 동사 고객사의
배터리 재고는
1Q23 대비 3Q24 17.1GWh 축적.
7개분기 연속 재고 축적 이후
4Q24 고객사 재고 조정 단행했으나,
그 규모는 1.1GWh에 불과.
작년 말 기준 16.0GWh의 재고 보유.
해당 재고는 18.5만대 생산 가능 규모.
즉, 여전히 고객사의 재고 수준이 높으며
미국 전기차 보조금 조정 가능성 또한 감안 시,
1H25까지 불확실성 지속 예상.
따라서 목표주가 및 HOLD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Jan, 06:54


[(삼성/조현렬) LG에너지솔루션 4Q 컨콜 Q&A]

보고서: <bit.ly/4h4WVdu>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LG에너지솔루션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2025년 연간 수요 전망 및 북미 정책 대응 전략 등이 있었습니다.

(Q&A)
Q. 수요 회복 시기 전망?

: 미국 트럼프 취임하며 정책 변화 예상되고 메이저 OEM 업체들은 이에 따라 보수적 관점에서 수요 예측.
: ESS 및 IT 산업의 수요 약세 영향으로 1Q25는 4Q24 대비 매출 성장 어려울 것으로 전망.
: 손익은 재료비 절감이나 제품력 개선 및 운영 효율화 통해 개선 가능할 것.
: 또한 일회성 요인이 소화가 되는 기저 효과도 있을 것이며, 달러 고환율도 동사에 유리.
: 지정학적 불확실성 및 북미 정책 변동성으로 정교한 예측 어려우나, OEM들과의 논의 통해 보면 1분기 저점으로 점진적 물량 회복 가능할 전망.
: OEM들의 신규 전기차 출시 계획이 순차적으로 있고, 하반기 Stellantis나 Honda JV와 같은 신규 프로젝트들이 북미에 론칭.
: 에너지 안보와 관세 대응 니즈 등이 증가하며 ESS 현지화 요구 급증.
: 동사는 당분간 투자 최소화 및 기존 Capa 운영 효율화에 집중하고, 향후 상황 바뀌면 민첩하게 대응할 것.
: '26년 이후에는 수요 회복이 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

Q. 북미 Capa 확장 및 운영 계획?
: 핵심적으로 투자 진행되는 북미에서의 Capa reallocation을 집중적으로 검토 및 진행.
: ESS Capa를 당초 애리조나에 신규 증설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조정해 기존 사이트에서 운휴 Capa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환.
: 특히 전력망을 중심으로 성장 포텐셜이 큰 ESS 북미 현지 수요에 대응하고자 LFP 현지 생산은 당초 26년 계획에서 25년 상반기로 앞당겨 전체 생산 준비 중.
: 또한 북미 지역 인프라 투자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것이 큰 부담.
: 이에 신규 사이트에서의 신증설 보다는 기존 구축되어 있는 사이트를 분리 활용하고자 함.
: 우선은 GM JV 3기를 매입하여 현지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방편 중 하나로 검토.
: 다른 사이트들도 투자 효율화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 후 과잉 투자 방지 및 안정적 가동률 확보, 자산 건전화에 방점 두고 진행.
: 하반기 양산 예정인 Stellantis나 Honda JV는 문제 없이 론칭 준비 중이지만 ramp-up은 서두르지 않고 수요에 따라 조절 계획.

Q. Capex 예상 및 자금 조달 방안?
: 고객 수요 상황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Capa 지속 확보해 왔으며, 최근 2년간 Capex 지속 증가.
: 올해는 전년도 대비 약 3조원 정도를 감축할 전망.
: 내년 이후를 보면, 증설 투자의 상당 부분에 해당하는 건물 건설이 어느 정도 완성.
: 또한 설비 원가 경쟁력 확보 통한 투자비 절감 확동, 유휴라인 활용 극대화 통한 신규 투자 최소화 노력을 병행하고 있음.
: 이에 따라 내년부터 Capex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전망.
: 자금조달 방안으로는 영업 활동으로 창출되는 내부 재원으로 우선 활용.
: 추가 필요 재원은 외부 차입금을 통해 마련할 계획.
: 외부 자금 조달 방안으로는, 본사의 경우 작년 원화 및 외화 회사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한 경험으로 올해도 작년과 유사한 규모의 회사채 발행통한 자금 조달 검토 중.
: 올해 Capex 투자가 집중되어 있는 북미 joint 법인들의 경우, 정책 자금 지원 은행을 통한 저리의 장기 차입금 조달 예정.

Q. 북미/유럽 가동률 개선 방안 및 실적 회복 시기 전망?
: '24년 4분기 전사 가동률은 주요 OEM들의 연말 재고 조정과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보수적인 생산 계획 운용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 핵심 고객사인 GM의 연말 재고 조정에 따라 북미 지역 가동률을 다소 조정.
: 폴란드 공장 가동률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
: 수요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고객들도 보수적인 스탠스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
: 이 외 계절적 요인도 있어 1분기까지는 현재 수준의 가동률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얘상.
: 다만 2분기 부터는 점진적 개선 예상.
: 개선 방안은 수요 예측이 어려운 상황 속 기존 유휴 라인들의 수요가 있는 탑 어플리케이션 향으로 전환.
: 또한 기존 라인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실행하여 전사 가동률을 지속 개선하도록 할 것.

Q. GM과의 각형 배터리 사업 진행 상황?
: 핵심 고객사인 GM의 EV 배터리 폼팩터 다변화 전략에 맞추어 공동으로 각형 배터리 개발을 추진.
: 또한 양사 간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예정.
: 현재 고객과는 기술 공정, 케미스트리 설계 측면에서 최적의 솔루션 협의하는 단계로 현 시점에서 양산 시점 및 규모 언급은 어려움.
: 다만 당사는 이미 각형 전지를 개발하고 양산한 경험이 있으며, 스태킹 기술 노하우 등 장점을 결합하여 각형에서도 경쟁력 확보 가능할 것.
: 고객사도 각형 기반 EV 설계 노하우 보유하기에 양사 간의 기술 제휴 통해 고객 가치 극대화할 경우 각종 솔루션 조기 확보 가능할 것.

Q. 미국 트럼프 2기 정책 대응 전략?
: 트럼프 정권 하 동사와 영향이 큰 ira 정책은 감세 공약에 필요한 재원 확보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 높음.
: 이에 특히 소비와 관련된 전기차 구매 보조금(30D) 폐지 또는 축소 가능성 상대적으로 높게 생각.
: 직접적인 생산이나 고요에 영향 미치는 배터리 생산 보조금(45X) 변동 가능성은 크지 않아보임.
: 관세의 경우 보편 관세보다는 압박이 필요한 특정 국가 대상의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 높아 보임.
: 미국의 관세나 보조금 정책 변화가 단기적으로는 전동화 속도 늦출 수 있으나, 배터리 산업 미래 방향성에는 큰 변화 없을 것.

Q. GM 재고 조정 동향 및 GM 향 배터리 수요 회복 예상 시기?
: GM 물량은 고객 연말 재고조정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
: 금년 1분기도 미국 정책 변동성 등으로 고객이 재고를 타이트하게 운영할 것으로 예상.
: 다만 고객의 EV 판매는 가격 매력도 높은 일부 신모델 출시 등에 힘입어 작년 월별 실적은 꾸준히 우상향.
: 금년 1분기 지나면 재고 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
: 최근 유의미한 고객사 매출 증가세 보이며, 일부 모델에 대한 시장 반응 긍정적, 신차모델 출시 예정.
: 이를 종합해 볼때,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는 2분기를 기점으로 물량이 점진적 증가하여 하반기에는 본격적 수요 회복 기대.

Q. 폼 팩터별 고객 제품화 전략 방향성?
: 케미스트리 기술 바탕으로 고객 니즈에 맞게 폼팩터별 라인업 확장해 가는 것이 전략 방향성.
: 세부적으로는 프리미엄 세그먼트에서는 기존 하이니켈 파우치 전체와 세이프티 코스트 경쟁력을 갖춘 원통형 46시리즈를 기반으로,
: EV 스타트업부터 레거시 업체까지 고객 저변을 확대해 나갈 계획.
: 스탠다드와 Affordable 세그먼트에서는 고전압 미드니켈과 LFP 케미스트리를 고객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파우치와 각형 전지 개발 예정.
: 고객 니즈에 맞는 최적의 폼팩터 솔루션으로 대응할 것.
: 이와 함께 실리콘 음극재 등과 같은 차세대 소재 개발 및 건식 공정과 같은 공정 혁신 기술들도 지속 개발 진행할 것.
: 케미스트리 폼팩터 기술 역량 지속 강화하고, 세분화된 고객 니즈 충족할 준비 중.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Jan, 04:42


[(삼성/조현렬) S-Oil 4Q24 리뷰]

보고서: <bit.ly/3E5yi1z>


■ 4Q24 review, 시장 기대치 상회

4Q OP는 2,608억원(+6,757억원QoQ)으로
컨센서스(1,790억원) 및
당사 추정치(2,180억원) 모두 상회.
원/달러 환율 상승 및
정제마진 개선 효과로
예상치 상회하는 실적 시현.

정유 OP는 1,729억원(+7,466억원QoQ).
OSP 포함 두바이 원유 도입가격은
9월 평균 대비 12월 평균 소폭 하락.
다만 동 기간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긍정적 재고 효과 발생.
이 외 재고 평가손익 대폭 회복 및
부정적 래깅 효과도 축소.
스팟 정제마진도 등경유 마진 회복으로 개선.

화학 OP는 -281억원(-331억원QoQ).
주요 제품 스프레드 부진 및
일부 설비 가동률 하향으로 적자 전환.
PX 및 벤젠 스프레드는 각각
-34%QoQ 및 -23%QoQ를 기록.

윤활기유 OP는 1,159억원(-25%QoQ).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수요 둔화 및
일부 정기보수 영향으로 수익성 감소.


■ 1Q25 preview, 시장 기대치 추가 상회 전망

1Q OP는 3,156억원(+21%QoQ)으로
컨센서스(2,910억원, Fnguide)
9% 추가 상회 전망.

최근 스팟 정제마진 조정세에도,
그 배경인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긍정적 래깅 효과 및
재고 평가이익으로 이익 회복 기대.


■ View, ROE 대비 추가 개선 가능할 밸류에이션

2024년 ROE는 -1.8%(-12.6%pYoY)로 부진.
이는 유가 하락에 따른 부정적 재고 효과와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영업외비용 확대 영향.
최근 유가 반등과 환율 안정화 감안 시
2025년 ROE는 8.9%까지 회복 전망.

한편 최근 주가 반등에도 불구하고
12MF P/B는 0.75배로
역사적 최저점(0.67배) 대비 소폭 상승.

즉, ROE 회복세 감안 시
밸류에이션은 추가 개선 가능.

목표주가 및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Jan, 03:21


[(삼성/조현렬) S-Oil 4Q 컨콜 Q&A]

보고서: <bit.ly/3E9LZfU>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S-Oil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경영 현황 및 동사 수익성/역내 시황 전망 등이 있었습니다.

(Q&A)
(종합)
Q. '25년 및 '26년 전체 Capex 진행 현황?

: '25년 샤힌프로젝트 Capex 예산 규모는 3조 4,800억 원 수준.
: '25년 GTG 관련 약 1천억 원 수준 Capex 예상하며, '26년 약 1.3천억 원 수준 예상.
: 이 외 보수에 따른 지출 규모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는 연도별도 T&I 규모에 따라 다소 변동성 높음.

Q. '25년 환율 변동 없다는 가정 하, 환차손익 환입 금액 전망?
: '24년 연말 환율 급등에 따라 환차손실 일부가 시차 두고 '25년 1분기 800억원 수준 해소 가능 예상.
: 이는 작년 날 11, 12월 실린 원유 환차의 원화 밸류가 높은 환율인 금년 1월 투입되어 제품 생산으로 판매 되어서, 해당 기간 동안의 환차.

Q. 기존 차입금 대비 샤힌 프로젝트 파이낸싱 코스트 수준?
: 현재 은행 시설자금 대출 1조원, 쉐어홀더론 6억불 상당 금액 약정 완료.
: 차입 금리는 변동 금리로 현재 기준 적용 금리는 평균 약 3.6% 수준.
: 향후 정부 정책 금리가 인하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차입 금리 낮아질 수 있음.
: 나머지 샤힌 프로젝트 조달 자금은 회사채 발행을 통해 일부 조달할 계획인데, 이는 금년 하반기부터 단계적/순차적으로 시장 금리 수준에서 조달할 계획.
: 회사가 발행한 금리가 평균 3.5% 수준이기에 이보다 낮은 수준으로 발행할 수 있을 것.

Q. 배당 성향 상향 가능성?
: 배당 정책 변화 없음.
: 현재 샤힌 프로젝트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기존 배당성향 유지하며 향후 샤힌 프로젝트 통해 회사 경영 성과 개선 시 배당 성향 상향 검토 예정.

(정유)
Q. 중국 전기차 침투율 상승에 따른 '25년 정유제품 수요 감소세 우려있는 가운데, 역내 시황 전망?

: 수요 관련해서는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 인도 등 아시아 지역 개발도상국들의 견고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역내 수요 성장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
: 중국의 정유 제품 수요도 중국의 경기 부양책 결과에 따라 성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중국 수출 물량 관련해서는 최근 중국의 소형 정유사 가동률이 중국 메이저 정유사 가동률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
: 작년 12월 1일부터 시행된 중국의 수출에 대한 tax-rebate 축소 및 최근 러시아와 이란에 대한 제재 등은 중국 소형 정유사 구조조정을 촉진시킨 요인으로 판단.
: 이러한 수급 요인들을 종합해 전반적인 역내 시황을 긍정적으로 판단.

Q. 최근 정제마진 약세에 따른 1Q25 가동률 영향?
: 동사는 현재 정제마진을 기준으로도 충분히 경제성을 낼 수 있다고 판단하여, 전사적 최적화 차원에서 1분기 정유시설 가동률 최대화할 계획.

Q. 최근 천연가스 강세나 동절기 감안해도 등경유 마진 약한 배경?
: 최근 등경유 스프레드가 다소 하락한 부분은 제품가 하락보다는 최근 원유 가격 다소 강세 보이며 스프레드 축소한 영향.
: 현재 제품 가격 상승이 원유 가격 상승을 다소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시차를 두고 해소될 것.

(석유화학)
Q. 1Q25 PX 공장 가동률 전망?

: 동사는 PX #1 및 PX #2 등 총 2개 시설 보유.
: PX #2는 '24년 7월 화재 이후로 20% 전후의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PX #1은 가동을 최대화하여 운영 중.
: PX #2의 정상 가동은 '25년 4월 초로 계획 중이며, '25년 1분기에는 현재 가동 수준 지속 예상.

(윤활기유)
Q. '25년 및 '26년 윤활기유 수익성 전망?

: 윤활기유 제품 스프레드는 2H23 이래 꾸준히 50불대를 안정적으로 유지.
: 윤활기유 손익 역시 안정적인 수요를 기록.
: '25년에도 이러한 수익성 추세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
: 금년에 인도 및 싱가폴 등에서 그룹 2, 3 위주로 증설 예정.
: 다만 이 물량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
: 한편 '25년 1분기에는 전통적인 봄철 재고 비축 시즌에 따른 대규모 재고 비축 수요 및 구정 연휴를 앞둔 중국의 수요 반등이 예상.
: 중국 경기 부양 정책에 힘입어 산업유 등 전반적인 윤활기유 수요 개선에 기여.

Q. 윤활기유 그룹 2, 3 신규 유입 물량 및 수요 전망?
: '25년 증설은 인도의 그룹 2, 3 설비 0.8만bpd 정도, 싱가포르 2만bpd 정도 예정.
: 다만 해당 물량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
: 수요 측면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이나, 중국 경기부양에 힘입어 산업유 등 윤활기유 전반의 수요 개선이 기대.

(신사업)
Q. GTG 프로젝트 진행 배경 및 원가 혁신 가능한 구조?

: 기업 운영 효율성 극대화 위해 꾸준히 신규 아이템들을 발굴해오고, 경제성을 바탕으로 실행 계획을 추진.
: GTG 프로젝트는 회사가 지난 '21년부터 모기업인 사우디 아람코와 에너지 최적화 스터디를 통해 발굴.
: 이후 지속적인 사우디 아람코와의 협력을 통해 충분한 타당성 조사와 기본 설계를 거쳐 지난 11월 FID 받음.
: 본 GTG 프로젝트에서 생산되는 전기와 스팀은 기존 공장에 공급 되는 것이며, 샤힌 프로젝트에도 이미 GTG 프로젝트와 유사한 자가발전 설비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 최적의 효율성을 추구.
: 본 GTG 프로젝트 완공 시 기존 자가발전 전기 사용량 비중이 약 10%대에서 샤힌 및 GTG 완료 이후에는 약 45% 수준까지 증가 전망.

Q. GTG 프로젝트 원재료 수급 방식 및 벤치마크 가격?
: 기존 사용하던 천연가스는 장기 공급계약에 의해 안정적으로 도입.
: 추가적으로 GTG 프로젝트 및 샤힌 프로젝트에 사용될 천연가스는 장기 구매 계약을 추진 중.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Jan, 23:05


[(삼성/조현렬) 1/23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82.1달러(-0.1%DoD)
√ WTI 원유: 74.6달러(-1.1%DoD)
√ 브렌트 원유: 78.9달러(-1.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3달러(+0.6%DoD)
√ 등유: 93.9달러(-0.9%DoD)
√ 디젤: 94.9달러(-1.3%DoD)
√ 벙커-C: 77.5달러(+0.2%DoD)
√ 나프타: 72.6달러(Flat 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4.2달러(+0.6달러DoD)
√ 등유: 11.8달러(-0.7달러DoD)
√ 디젤: 12.8달러(-1.1달러DoD)
√ 벙커-C: -4.6달러(+0.3달러DoD)
√ 나프타: -9.5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3달러(+0.6달러DoD)
√ 등유: 20.7달러(-0.8달러DoD)
√ 디젤: 21.6달러(-1.1달러DoD)
√ 벙커-C: 4.3달러(+0.3달러DoD)
√ 나프타: -0.6달러(+0.1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Jan, 22:51


[(삼성/조현렬) 1/23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부타디엔(+1.4%), VAM(+0.7%).
주요 하락제품은 SM(-1.6%), PX(-1.3%), PTA:(-1.2%).

[원자재]
√ 두바이 원유: 83.2달러(+1.3%DoD)
√ 나프타: 672달러(+0.1%DoD)
√ 싱가폴 정제마진: 0.35달러(-5.4%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75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50달러(-0.4%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30달러(+1.4%DoD)

[아로마틱]
√ 벤젠: 903달러(+0.1%DoD)
√ SM: 1,035달러(-1.6%DoD)
√ 톨루엔: 778달러(-0.8%DoD)
√ 자일렌: 782달러(-0.9%DoD)
√ PX: 849달러(-1.3%DoD)
√ PTA: 660달러(-1.2%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490달러(Flat WoW)
√ AA: 445달러(Flat WoW)
√ VAM: 745달러(+0.7%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98달러(-0.3%DoD)
√ HDPE: 203달러(-0.2%DoD)
√ LDPE: 448달러(-0.1%DoD)
√ LLDPE: 258달러(-0.2%DoD)
√ MEG: 147달러(-1.5%DoD)
√ PP: 203달러(-0.2%DoD)
√ 부타디엔: 758달러(+2.6%DoD)
√ 벤젠: 231달러(+0.2%DoD)
√ PX: 177달러(-6.1%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26달러(-4.0%DoD)
√ HDPE: 231달러(-3.9%DoD)
√ LDPE: 476달러(-1.9%DoD)
√ LLDPE: 286달러(-3.2%DoD)
√ MEG: 163달러(-4.5%DoD)
√ PP: 231달러(-3.9%DoD)
√ 부타디엔: 786달러(+1.4%DoD)
√ 벤젠: 259달러(-3.1%DoD)
√ PX: 205달러(-9.0%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Jan, 12: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6390?sid=101

SK온이 일본 완성차 업체 닛산 미국 공장에 20GWh 규모 배터리를 2028년부터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배터리 셀 가격으로 계산하면 약 2조5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전기차 판매 둔화로 적자를 내고 있는 SK온이 오랜만에 ‘수주 잭팟’을 터뜨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SK온과 닛산은 이 같은 내용에 합의하고 구체적인 계약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20GWh는 전기차 약 30만 대에 들어가는 양이다. SK온과 닛산은 지난해 3월 배터리 공급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맺고 협상 조건을 논의해왔다. 당초 닛산의 전기차 출시 일정을 고려해 2026~2027년께 납품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전기차 판매 둔화가 장기화하자 시기를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Jan, 10:30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1/16-1/22)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설 연휴 이전 거래 둔화되며 전 밸류체인 보합.

■ 폴리실리콘 (4.830달러/kg): WoW Flat(+0.0%).
설 연휴 전 거래 둔화로 보합.

■ 웨이퍼 (0.087달러): WoW 보합(+0.0%).
멀티 웨이퍼는 보합.
모노 웨이퍼도 수급 밸런스 개선되었으나, 업스트림 보합세로 가격 인상 실패하며 보합(+0.0%WoW).

■ 셀 (0.031달러/Watt): WoW 보합(+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생산 감축하는 가운데 설 연휴 이전 주문량 감소하며 보합(+0.0%WoW).

■ 모듈 (0.074달러/Watt): WoW Flat(+0.0%).
멀티 모듈은 보합.
모노 모듈은 거래 대부분 연휴 이후 협상 및 납품 위해 연기되며 보합(+0.0%WoW).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0달러(-13.4%QoQ)
√ 웨이퍼: 0.078달러(-13.5%QoQ)
√ 셀: 0.030달러(-13.2%QoQ)
√ 모듈: 0.077달러(-8.1%QoQ)

[4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42달러(+2.4%QoQ)
√ 웨이퍼: 0.080달러(-4.5%QoQ)
√ 셀: 0.030달러(-4.2%QoQ)
√ 모듈: 0.074달러(-9.0%QoQ)

[1QTD25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83달러(+4.7%QoQ)
√ 웨이퍼: 0.087달러(+6.9%QoQ)
√ 셀: 0.031달러(+2.0%QoQ)
√ 모듈: 0.074달러(-3.4%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1/22일 기준)]
√ Mono PERC (India): 0.088달러(Flat WoW)
√ Mono TOPCon (India): 0.088달러(Flat WoW)
√ Mono PERC (US): 0.270달러(Flat WoW)
√ Mono TOPCon (US): 0.270달러(Flat WoW)
√ Mono PERC (EU): 0.088달러(Flat WoW)
√ Mono TOPCon (EU): 0.088달러(Flat WoW)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Jan, 07:48


https://naver.me/GI3BHzvg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Jan, 07:20


https://naver.me/Gdyh8BEs

HS효성 계열분리 이후 첫 사업 재편
글로벌 PEF 및 연관 기업들 대거 인수전 뛰어들 듯
1.5조 몸값 주력사업 팔아 신사업 추진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Jan, 23:24


[(삼성/조현렬) 1/22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82.2달러(-1.1%DoD)
√ WTI 원유: 75.4달러(-0.6%DoD)
√ 브렌트 원유: 79.9달러(-0.6%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8달러(-0.1%DoD)
√ 등유: 94.8달러(-0.8%DoD)
√ 디젤: 96.1달러(-0.9%DoD)
√ 벙커-C: 77.4달러(-1.1%DoD)
√ 나프타: 72.6달러(-0.8%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3.6달러(+0.8달러DoD)
√ 등유: 12.6달러(+0.1달러DoD)
√ 디젤: 13.9달러(Flat DoD)
√ 벙커-C: -4.9달러(Flat DoD)
√ 나프타: -9.6달러(+0.3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2.4달러(-0.7달러DoD)
√ 등유: 21.5달러(-1.5달러DoD)
√ 디젤: 22.8달러(-1.6달러DoD)
√ 벙커-C: 4달러(-1.6달러DoD)
√ 나프타: -0.7달러(-1.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Jan, 23:17


[(삼성/조현렬) 1/22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SM(+1.6%), PS(+0.8%).
주요 하락제품은 자일렌(-0.8%), PX(-0.8%).

[원자재]
√ 두바이 원유: 82.1달러(-1.8%DoD)
√ 나프타: 672달러(-0.9%DoD)
√ 싱가폴 정제마진: 0.12달러(RB)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75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52달러(+0.7%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10달러(+0.7%DoD)

[아로마틱]
√ 벤젠: 902달러(Flat DoD)
√ SM: 1,052달러(+1.6%DoD)
√ 톨루엔: 784달러(-0.1%DoD)
√ 자일렌: 789달러(-0.8%DoD)
√ PX: 860달러(-0.8%DoD)
√ PTA: 668달러(-0.7%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25달러(+0.7%WoW)
√ PET: 800달러(-0.6%WoW)
√ PS: 1,243달러(+0.8% WoW)
√ ABS: 1,41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99달러(+3.1%DoD)
√ HDPE: 204달러(+3%DoD)
√ LDPE: 449달러(+1.4%DoD)
√ LLDPE: 259달러(+2.4%DoD)
√ MEG: 149달러(+5.4%DoD)
√ PP: 204달러(+3%DoD)
√ 부타디엔: 739달러(+2.2%DoD)
√ 벤젠: 231달러(+2.8%DoD)
√ PX: 189달러(-0.5%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35달러(+2%DoD)
√ HDPE: 240달러(+1.9%DoD)
√ LDPE: 485달러(+0.9%DoD)
√ LLDPE: 295달러(+1.5%DoD)
√ MEG: 171달러(+4.1%DoD)
√ PP: 240달러(+1.9%DoD)
√ 부타디엔: 775달러(+1.9%DoD)
√ 벤젠: 267달러(+1.8%DoD)
√ PX: 225달러(-1.1%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Jan, 04:35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4Q24 실적발표 일정]

*구체적인 일자는 변경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국내업체>

■ S-Oil: 1/24(금) 10시 (컨콜)

■ LG에너지솔루션: 1/24(금) 14시 (컨콜)

■ 유니드: 1/31(금) (공시)

■ 효성티앤씨: 2/3(월) (공시)

■ LG화학: 2/3(월) 16시 (컨콜)

■ 금호석유화학: 2/4(화) (공시)

■ 효성첨단소재: 2/4(화) (공시)

■ 엘앤에프: 2/5(수) 16시 (컨콜)

■ 롯데정밀화학: 2/5(수) (공시)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2/6(목) 10시 (컨콜)

■ SK이노베이션: 2/6(목) 10시 (컨콜)

■ 한화솔루션: 2/6(목) 14시 (컨콜)

■ SK IET: 2/6(목) 16시 (컨콜)

■ DL: 2/6(목) 16:30시 (컨콜)

■ OCI: 2/7(금) 15:30시 (컨콜)

■ 롯데케미칼: 2/7(금) 16시 (컨콜)

■ OCI홀딩스: 2/10(월) 15시 (컨콜)

■ SKC: 2/11(화) 16시 (컨콜)

■ 대한유화: 2/24(월) (공시)


<해외업체> (한국시간 기준)

■ Indian Oil: 1/28(화)

■ Shell: 1/30(목)

■ Dow: 1/30(목)

■ Exxon Mobil: 1/31(금)

■ LyondellBasell: 2/1(토)

■ Enphase: 2/6(목)

■ BP: 2/11(화)

■ PTTGC: 2/12(수)

■ Thai Oil: 2/14(금)

■ Solar Edge: 2/20(목)

■ SEMCORP: 2/20(목)

■ Braskem: 2/26(수)

■ Petronas: 2/26(수)

■ First Solar: 2/27(목)

■ BASF: 2/28(금)

■ LC Titan: tbd

■ Tongwei: tbd

■ LONGi: tb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Jan, 02:08


[(삼성/조현렬) 1/21일 Daily 화학 코멘트]

[금일 등락제품 코멘트]

√가성소다(+5.4%WoW)
: 염소 시장 침체에 따른 클로르-알칼리 공장 가동률 하향으로 상승.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Jan, 02:07


[원유 코멘트: 21일 국제유가 하락]

■ 미국 석유가스 생산 확대 발표

: 1/20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연방 토지 및 해역에서의 석유/가스 탐사 제한을 철회 및 자국 내 화석연료 생산을 대폭 확대하기 위한 행정명력에 서명.
: 이에 따른 석유가스 생산/공급 과잉 우려에 하락.

■ 미국 관세부과 조치 보류
: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부과를 예고했으나,
이를 즉시 시행하지 않고 2/1일로 고려 중이라고 발언.
: 관세 부과 시 미국 정유사들이 캐나다 및 멕시코산 원유를 대체하기 위해 공급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대두.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Jan, 23:01


[(삼성/조현렬) 1/13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82.4달러(+5.7%DoD)
√ WTI 원유: 78.8달러(+2.9%DoD)
√ 브렌트 원유: 82.9달러(+3.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9.1달러(+3.8%DoD)
√ 등유: 96.1달러(+4.4%DoD)
√ 디젤: 98.6달러(+5.4%DoD)
√ 벙커-C: 77.2달러(+6.1%DoD)
√ 나프타: 74.1달러(+2.8%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6.7달러(-1.2달러DoD)
√ 등유: 13.7달러(-0.4달러DoD)
√ 디젤: 16.1달러(+0.5달러DoD)
√ 벙커-C: -5.2달러(Flat DoD)
√ 나프타: -8.3달러(-2.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5.6달러(+3.3달러DoD)
√ 등유: 22.7달러(+4.1달러DoD)
√ 디젤: 25.1달러(+5.0달러DoD)
√ 벙커-C: 3.7달러(+4.5달러DoD)
√ 나프타: 0.6달러(+2.0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Jan, 22:50


[(삼성/조현렬) 1/13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강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자일렌(+3.2%), PX(+2.7%), 벤젠(+2.4%), PTA(+2.3%).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82달러(+3.4%DoD)
√ 나프타: 683달러(+2.7%DoD)
√ 싱가폴 정제마진: 2.78달러(Flat 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85달러(Flat DoD)
√ LDPE: 1,125달러(Flat 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50달러(+0.9%DoD)
√ 프로필렌: 85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30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98달러(+2.4%DoD)
√ SM: 1,021달러(+1.7%DoD)
√ 톨루엔: 813달러(+1.9%DoD)
√ 자일렌: 806달러(+3.2%DoD)
√ PX: 860달러(+2.7%DoD)
√ PTA: 668달러(+2.3%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87달러(-8.8%DoD)
√ HDPE: 202달러(-8.2%DoD)
√ LDPE: 442달러(-3.9%DoD)
√ LLDPE: 257달러(-6.5%DoD)
√ MEG: 140달러(-4.0%DoD)
√ PP: 192달러(-8.6%DoD)
√ 부타디엔: 617달러(-2.8%DoD)
√ 벤젠: 215달러(+1.3%DoD)
√ PX: 177달러(+2.9%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37달러(-1.1%DoD)
√ HDPE: 252달러(-1.0%DoD)
√ LDPE: 492달러(-0.5%DoD)
√ LLDPE: 307달러(-0.8%DoD)
√ MEG: 170달러(+2.1%DoD)
√ PP: 242달러(-1.1%DoD)
√ 부타디엔: 667달러(-0.4%DoD)
√ 벤젠: 264달러(+7.3%DoD)
√ PX: 227달러(+9.9%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Jan, 07:25


[(삼성/조현렬) 태양광 전지 수출잠정치]

[태양광 전지 수출총액]
√ 2024년 1월: 32백만달러
√ 2024년 2월: 7백만달러
√ 2024년 3월: 12백만달러
√ 2024년 4월: 2백만달러
√ 2024년 5월: 2백만달러
√ 2024년 6월: 11백만달러
√ 2024년 7월: 31백만달러
√ 2024년 8월: 12백만달러
√ 2024년 9월: 6백만달러
√ 2024년 10월: 5백만달러
√ 2024년 11월: 2백만달러
√ 2024년 12월: 2백만달러
√ 2025년 1월(1~10일): 2백만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
√ 2024년 1월: 7,363톤
√ 2024년 2월: 1,604톤
√ 2024년 3월: 2,802톤
√ 2024년 4월: 484톤
√ 2024년 5월: 513톤
√ 2024년 6월: 2,430톤
√ 2024년 7월: 6,403톤
√ 2024년 8월: 2,298톤
√ 2024년 9월: 1,127톤
√ 2024년 10월: 1,293톤
√ 2024년 11월: 636톤
√ 2024년 12월: 638톤
√ 2025년 1월(1~10일): 403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
√ 2024년 1월: 4.3달러
√ 2024년 2월: 4.2달러
√ 2024년 3월: 4.3달러
√ 2024년 4월: 4.9달러
√ 2024년 5월: 3.8달러
√ 2024년 6월: 4.6달러
√ 2024년 7월: 4.9달러
√ 2024년 8월: 5.1달러
√ 2024년 9월: 5.4달러
√ 2024년 10월: 3.7달러
√ 2024년 11월: 3.2달러
√ 2024년 12월: 3.3달러
√ 2025년 1월(1~10일): 3.8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주간)]
√ 10/1~10일: 380톤
√ 10/11~20일: 549톤
√ 10/21~31일: 364톤
√ 11/1~10일: 458톤
√ 11/11~20일: 62톤
√ 11/21~31일: 116톤
√ 12/1~10일: 305톤
√ 12/11~20일: 318톤
√ 12/21~31일: 15톤
√ 1/1~10일: 403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주간)]
√ 10/1~10일: 4.7달러
√ 10/11~20일: 3.6달러
√ 10/21~31일: 2.8달러
√ 11/1~10일: 3.7달러
√ 11/11~20일: 1.0달러
√ 11/21~31일: 2.5달러
√ 12/1~10일: 3.6달러
√ 12/11~20일: 3.2달러
√ 12/21~31일: 1.4달러
√ 1/1~10일: 3.8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Jan, 07:15


[(삼성/조현렬) NBL 수출잠정치]

[NBL 수출총액]
√ 2024년 1월: 37백만달러
√ 2024년 2월: 42백만달러
√ 2024년 3월: 40백만달러
√ 2024년 4월: 55백만달러
√ 2024년 5월: 48백만달러
√ 2024년 6월: 57백만달러
√ 2024년 7월: 61백만달러
√ 2024년 8월: 70백만달러
√ 2024년 9월: 62백만달러
√ 2024년 10월: 60백만달러
√ 2024년 11월: 46백만달러
√ 2024년 12월: 53백만달러
√ 2025년 1월(1~10일): 25백만달러

[NBL 수출중량]
√ 2024년 1월: 51,923톤
√ 2024년 2월: 57,346톤
√ 2024년 3월: 50,391톤
√ 2024년 4월: 65,450톤
√ 2024년 5월: 55,290톤
√ 2024년 6월: 67,101톤
√ 2024년 7월: 70,592톤
√ 2024년 8월: 79,417톤
√ 2024년 9월: 71,562톤
√ 2024년 10월: 69,158톤
√ 2024년 11월: 52,504톤
√ 2024년 12월: 64,159톤
√ 2025년 1월(1~10일): 31,792톤

[NBL 스프레드(스팟)]
√ 2024년 1월: 272달러
√ 2024년 2월: 259달러
√ 2024년 3월: 242달러
√ 2024년 4월: 281달러
√ 2024년 5월: 320달러
√ 2024년 6월: 273달러
√ 2024년 7월: 278달러
√ 2024년 8월: 314달러
√ 2024년 9월: 294달러
√ 2024년 10월: 301달러
√ 2023년 11월: 403달러
√ 2024년 12월: 351달러
√ 2025년 1월(1~10일): 285달러

[NBL 수출중량(주간)]
√ 10/1~10일: 16,293톤
√ 10/11~20일: 22,795톤
√ 10/21~31일: 30,070톤
√ 11/1~10일: 13,883톤
√ 11/11~20일: 21,749톤
√ 11/21~31일: 16,872톤
√ 12/1~10일: 18,402톤
√ 12/11~20일: 36,758톤
√ 12/21~31일: 8,999톤
√ 1/1~10일: 31,792톤

[NBL 스프레드(스팟/주간)]
√ 10/1~10일: 297달러
√ 10/11~20일: 297달러
√ 10/21~31일: 315달러
√ 11/1~10일: 376달러
√ 11/11~20일: 421달러
√ 11/21~31일: 426달러
√ 12/1~10일: 403달러
√ 12/11~20일: 330달러
√ 12/21~31일: 350달러
√ 1/1~10일: 285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3 Jan, 04:50


[(삼성/조현렬) 1/6-1/10 Weekly 화학]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조현렬입니다.

지난주 제품 가격동향을 정리하자면,

(1) 제품 시황은 나프타 약세 하에 제품가격 강보합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원가 하락으로 스프레드는 전반적으로 반등한 한주였습니다.

(2) 지난주 주요 뉴스는 BD 추가 상승(+4%)입니다.
나프타 약세에도 불구하고,
지지난 주에 이은 BD 추가 상승은
1) 지지난 주 천연고무 선물가격 급등 및
2) 지난주 중국 고무 선물가격 상승과
3) 춘절 이전 재고축적 수요에 기인합니다.
중국 재고 또한 2.55만톤으로
적정 수준(3.0만톤) 이하
인 점이 주효했습니다.
춘절(1/28~2/4일) 이전까지
재고축적 수요
는 이어지겠으나,
이후 1Q 증설 물량 도입 영향이 반영될 전망입니다.

(3) 전주 대비 싱가폴GRM은 1.3달러 하락했으며,
국내 정유사 복합마진은 1.1달러 하락했습니다.
제품별 마진은
가솔린 -1.8달러WoW,
디젤 -0.6달러WoW,
등유 +0.1달러WoW,
HSFO -1.4달러WoW,
나프타 -2.8달러WoW

와 같았습니다.
지난주 특징은 가솔린/나프타 약세인데,
이는 주요 지역 재고 증가 영향에 기인합니다.
중동 재고는 지난주 8% 상승했고,
유럽의 가솔린 재고는 지난주 8% 상승했습니다.
아시아 재고는 지난주 4% 하락했지만,
그 전 5주간 19% 상승하여
재고 부담이 증가했습니다.
통상 드라이빙 시즌을 앞두고,
1~3월은 재고 축적이 이뤄지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절대적인 재고 수준보다
전년 대비 높아진 수준에 대한 우려가 일부 반영되었습니다.
다만 지난주 가솔린 마진은 2개월래 최저치까지 하락하여,
추가 하락여력은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4) 지난주 주요 상승제품의 업체는
NCC업체(나프타 하락/BD) 등
이 있습니다.
주요 하락제품의 업체는
정유업체(정제마진) 등
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자료: bit.ly/4fXAWDV

■ 나프타 하락 하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AA(+4.9%), 톨루엔(+4.2%), 부타디엔(+4.0%).
주요 하락제품은 PS(-1.4%), PET(-1.3%), 페놀(-1.1%).

■ Feedstock:
두바이 유가는 상승(+0.6%)
나프타는 하락(-1.6%)
싱가폴 정제마진은 하락(-1.3달러).

■ Olefin:
에틸렌(-0.6%)은 설 연휴 직전 구매 시급성 부족으로 하락.
PE(-0.7%)는 중국 내 신규/기존 공장 가동에 따른 추가 공급 우려에 하락.
PVC 및 MEG(+0.1%)는 보합.
프로필렌(+2.4%)은 한국 공장 유지보수 소식에 상승.
PP는 보합.
부타디엔(+4.0%)은 중국 고무 선물가 강세로 상승.
SBR(+2.2%)은 원료가(부타디엔) 강세 및 중국 설 연휴 전 재고 축적 수요로 상승.
천연고무(+3.3%)는 단기적 천연고무 생산 증가 전망에도 상승.

■ Aromatic:
벤젠(-0.1%)은 보합.
SM(+0.9%)은 선물 가격 강세로 상승.
ABS는 보합.
PS(-1.4%)는 역내 과잉 재고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하락.
톨루엔(+4.2%)은 역내 설 연휴 이전 재고 비축 수요로 상승.
자일렌(+1.5%)은 역내 PX 가동률 하향 및 수입 감소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상승.
PX(+1.6%)는 역내 마진 악화에 따른 감산으로 공급 부족해지며 상승.
PTA(+1.4%)는 업스트림(PX) 공급 감축으로 상승.
PET(-1.3%)는 설 연휴 전 다운스트림(폴리에스터) 수요 둔화하며 하락.

■ 기타:
가성소다(-0.7%)는 동남아 알루미나 및 PVC 산업 수요 부진으로 하락.
메탄올(+2.6%)은 동남아 공급 부족으로 상승.
페놀(-1.1%)은 중국 가격 약세로 하락한 반면, 아세톤(+0.8%)은 상승.
AA(+4.9%)은 역내 공급 부족 및 원료가(메탄올) 강세로 상승한 반면, VAM은 보합.
MDI, TDI, PO, ECH는 미고지.

■ 재고수준(중국):
SM(+63.2%), 톨루엔(+14.1%)은 상승.
PTA는 보합.
자일렌(-13.3%), 스판덱스(-2.0일) 및 폴리에스터(-1.1일)는 하락.

■ 가동률(중국):
폴리에스터(-9.2%p), MEG(-2.4%p), 스판덱스(-1.0%p), PTA(-0.6%p)는 하락.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2 Jan, 23:25


[(삼성/조현렬) 1/10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7.9달러(+2.0%DoD)
√ WTI 원유: 76.6달러(+3.6%DoD)
√ 브렌트 원유: 80.4달러(+3%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8달러(+1.9%DoD)
√ 등유: 92달러(+1.7%DoD)
√ 디젤: 93.5달러(+1.9%DoD)
√ 벙커-C: 72.7달러(+1.2%DoD)
√ 나프타: 72.1달러(+0.4%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7.9달러(+0.1달러DoD)
√ 등유: 14.1달러(Flat DoD)
√ 디젤: 15.6달러(+0.3달러DoD)
√ 벙커-C: -5.2달러(-0.7달러DoD)
√ 나프타: -5.9달러(-1.2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3.6달러(+1.1달러DoD)
√ 등유: 19.8달러(+1.0달러DoD)
√ 디젤: 21.3달러(+1.2달러DoD)
√ 벙커-C: 0.5달러(+0.3달러DoD)
√ 나프타: -0.2달러(-0.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2 Jan, 23:07


[(삼성/조현렬) 1/10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강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부타디엔(+3.2%), 프로필렌(+2.4%), 톨루엔(+2.2%).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6.9달러(Flat DoD)
√ 나프타: 665달러(+0.5%DoD)
√ 싱가폴 정제마진: 2.78달러(-40.7%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85달러(Flat DoD)
√ LDPE: 1,125달러(-0.4%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45달러(-0.4%DoD)
√ 프로필렌: 850달러(+2.4%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300달러(+3.2%DoD)

[아로마틱]
√ 벤젠: 877달러(+1.6%DoD)
√ SM: 1,004달러(+1.3%DoD)
√ 톨루엔: 797달러(+2.2%DoD)
√ 자일렌: 781달러(+1.6%DoD)
√ PX: 837달러(+1.2%DoD)
√ PTA: 653달러(+1.1%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1,86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05달러(-1.6%DoD)
√ HDPE: 220달러(-1.5%DoD)
√ LDPE: 460달러(-1.8%DoD)
√ LLDPE: 275달러(-1.2%DoD)
√ MEG: 146달러(-2.7%DoD)
√ PP: 210달러(-1.6%DoD)
√ 부타디엔: 635달러(+6.1%DoD)
√ 벤젠: 212달러(+5.3%DoD)
√ PX: 172달러(+3.8%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39달러(-1.8%DoD)
√ HDPE: 254달러(-1.7%DoD)
√ LDPE: 494달러(-1.9%DoD)
√ LLDPE: 309달러(-1.4%DoD)
√ MEG: 166달러(-2.7%DoD)
√ PP: 244달러(-1.8%DoD)
√ 부타디엔: 669달러(+5.6%DoD)
√ 벤젠: 246달러(+4.0%DoD)
√ PX: 206달러(+2.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0 Jan, 02:44


https://www.tesla.com/ko_kr/modely/design#overview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9 Jan, 23:22


[(삼성/조현렬) LGES 4Q24 잠정 실적]

보고서: bit.ly/40pWdl6


■ 4Q24 잠정 실적, 컨센서스 하회

OP는 -2,255억원(적자 전환QoQ)으로
컨센서스(-1,220억원) 및
당사 추정치(-1,896억원) 하회
.
소형 전지 OP는 192억원(-75%QoQ) 추정.
자동차 전지 OP는 -6,086억원(-5,136억원QoQ) 추정.
ESS 전지 OP는 -134억원(-135억원QoQ) 추정.
예상 대비 부진한 판매량으로 적자 전환.
IRA AMPC는 3,773억원
(-19%QoQ; 추정 판매량 7.7GWh)
추정.
이는 당사 추정치 7% 상회로,
예상 대비 고객사 재고 조정 감소 추정.


■ 20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16% 추가 하회 예상

2025년 OP는 2.24조원(+289%YoY) 전망하며,
최근 지속 하향된 컨센서스(2.66조원) 16% 하회 전망.

IRA AMPC는 2.08조원
(+40%YoY; 추정 판매량 43.1GWh) 예상.
이는 GM 및 동사 판매 계획에 따라 변동 가능.
지배주주 순이익은 950억원(+1.19조원YoY) 예상으로,
2025년 기준 P/E는 888배 수준.


■ View, 1H25 어려운 업황 지속

향후 1년간 미국 JV 가동이 시작되며
동사의 순수한 펀더멘털은
지배주주 순이익으로 파악 가능.

이에 밸류에이션 적용 방식을 기존 EV/EBITDA에서
지배주주 기준 P/E 및 P/B 방식 평균으로 변경.
12MF P/E 및 P/B는 각각 49배 및 5.1배 적용.
목표주가를 5% 하향(43→41만원).
1H25 미국 정책 변경 및 글로벌 수요 회복 지연으로
어려운 업황 지속 예상되기에
HOLD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Jan, 09:10


[(삼성/조현렬) 한화솔루션 4Q24 프리뷰]

보고서: <bit.ly/4gZHQcv>


■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4Q OP는 -135억원(+674억원QoQ)으로
컨센서스(95억원) 하회 예상.
태양광 흑자전환에도
기초소재 및 기타 부문 부진으로
기대치 하회 예상.

기초소재 OP는 -268억원(+42억원QoQ) 예상.
이는 주요 제품 스프레드
약세 지속에 기인.
4Q24 PVC-나프타 스프레드 및
TDI-톨루엔 스프레드는
각각 3%QoQ 및 3%QoQ 하락.

가공소재OP는 79억원(+29%QoQ)으로,
고객사의 하계 운휴 효과 소멸로
이익 개선 예상.

태양광 매출 및 OP는
각각 2.00조원(+73%QoQ) 및
383억원
(영업이익률 1.9%;
AMPC 제외 시 -6.4%) 전망.
판매량 회복으로
모듈 매출 증가 전망되며,
전분기 이연된 프로젝트 반영으로
발전사업 매출 급증 기대.
IRA AMPC는 1,656억원(+36%QoQ)으로
판매량 회복과 궤를 같이 하여 성장 전망.


■ View, 2025년 태양광 턴어라운드 기대

기초소재 부진에 따른
이익 전망치 하향

미국 태양광 설비 가동 시점 지연으로
IRA AMPC 수취 규모 하향.
이에 따라 목표주가도 4% 하향(2.5만원→2.4만원).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재고 과잉 지속되나,
동남아산 제품에 대한
수입관세 상향에 따른 수입 감소

2025년 태양광 업황 턴어라운드 기대.
이를 감안하여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Jan, 03:35


[원유 코멘트: 2일 국제유가 상승]

■ 중국 경기부양책 확대 기대감

: 중국 12월 차이신(Caixin) 제조업 PMI가 50.5로 예상치(51.7) 및 전월(51.5) 대비 하회.
: 경제지표 부진이 확인되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확대.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3 Jan, 00:32


https://www.investopedia.com/solar-stocks-get-boost-from-record-tesla-energy-storage-deployments-8768550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23:27


[(삼성/조현렬) SKI 4Q24 Preview]

보고서: <bit.ly/4gADgBZ>


■ 4Q24 preview, 연결 흑자 전환 vs 배터리 적자 전환

OP는 1,917억원(흑자 전환QoQ) 예상.
11월부터 E&S 합병 효과가 반영되며
1,211억원의 이익 기여 예상.
다만, 배터리 적자 전환 및
배터리 소재 적자 확대로
일부 상쇄 전망.

정유 OP는 1,560억원(+7,727억원QoQ) 예상.
9월 대비 12월 두바이 유가 소폭 하락은
동 기간 원/달러 환율 급등에 상쇄되며
긍정적 재고효과 발생.
재고 평가손익 및 스팟 정제마진 개선.
부정적 래깅 효과 축소 전망.

화학 OP는 -590억원(-447억원QoQ) 전망.
PX 시황 부진으로 적자 확대 예상.

윤활기유 OP는 1,802억원(+3%QoQ) 예상.
국제유가에 3개월 후행하는 원료가격 체계로
원가 부담 경감되어 수익성 개선 전망.

E&P OP는 1,221억원(-7%QoQ) 예상.
전분기 대비 평균 유가 하락 영향으로
소폭 수익성 감소 예상.

SK온 OP는 -2,004억원(-2,244억원QoQ) 예상.
ASP는 -5%QoQ 하락 및 출하량은 +15%QoQ 회복 전망.
다만 고객사 연말 재고조정으로 판매량 회복은 요원.
이에 따라 IRA AMPC도
722억원(+19%QoQ)으로 제한적 회복세 예상.

SK이노베이션 E&S OP는 1,211억원 예상.
2024년 11월 합병된 SK이노베이션 E&S실적은
4Q24에는 2개월치 반영 예상.
전분기 대비 계통한계가격(SMP) 하락에 따른
발전 사업 수익성 둔화 영향으로 수익성 감소 예상.


■ 2025년 배터리 사업 전망, 예상보다 부진 전망

2025년 IRA AMPC는 9,423(+233%YoY)으로 회복 전망.
다만 IRA AMPC 제외 이익은
-1.00조원(+0.25조원YoY)으로
적자 폭 축소 더딜 전망.

이는 주요 고객사 전기차 판매 부진 및
정책 리스크 등으로 인한
전기차 출시 일정 조정 등에 기인.


■ View, 배터리 부진하나 E&S 합병 효과는 긍정적

SK E&S 합병 효과는
분리막 자회사 지분가치 하락
석유화학 사업 이익 감소로 상쇄되며
목표주가를 7% 하향(15.0만원→14.0만원).
배터리 사업은 IRA AMPC 제외
EBITDA 흑자가 요원.
다만 금번 E&S 합병을 통해
배터리 외 에너지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성공
했으며,
이익 창출력도 일부 제고.
이를 감안하여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22:59


[(삼성/조현렬) 1/2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5.2달러(-1.0%DoD)
√ WTI 원유: 73.1달러(+2.0%DoD)
√ 브렌트 원유: 76.3달러(+3.0%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9달러(+0.6%DoD)
√ 등유: 89.2달러(-0.4%DoD)
√ 디젤: 91.6달러(+0.5%DoD)
√ 벙커-C: 71.6달러(-0.3%DoD)
√ 나프타: 72달러(+0.5%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0.7달러(+1.3달러DoD)
√ 등유: 14달러(+0.4달러DoD)
√ 디젤: 16.4달러(+1.2달러DoD)
√ 벙커-C: -3.6달러(+0.5달러DoD)
√ 나프타: -3.2달러(+1.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4달러(+0.7달러DoD)
√ 등유: 17.3달러(-0.1달러DoD)
√ 디젤: 19.7달러(+0.7달러DoD)
√ 벙커-C: -0.3달러(Flat DoD)
√ 나프타: 0.1달러(+0.6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22:50


[(삼성/조현렬) 1/2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강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톨루엔(+2.2%), 자일렌(+2.2%), SM(+1.3%), PX(+1.0%).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8달러(+0.1%DoD)
√ 나프타: 662달러(+0.2%DoD)
√ 싱가폴 정제마진: 3.81달러(+0.3%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57달러(Flat DoD)
√ 프로필렌: 82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21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72달러(+0.8%DoD)
√ SM: 993달러(+1.3%DoD)
√ 톨루엔: 750달러(+2.2%DoD)
√ 자일렌: 751달러(+2.2%DoD)
√ PX: 824달러(+1.0%DoD)
√ PTA: 644달러(+0.6%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660달러(Flat WoW)
√ AA: 425달러(Flat WoW)
√ VAM: 1,075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09달러(-0.5%DoD)
√ HDPE: 229달러(-0.5%DoD)
√ LDPE: 474달러(-0.2%DoD)
√ LLDPE: 284달러(-0.4%DoD)
√ MEG: 160달러(-0.4%DoD)
√ PP: 214달러(-0.5%DoD)
√ 부타디엔: 549달러(-0.2%DoD)
√ 벤젠: 210달러(+2.7%DoD)
√ PX: 162달러(+4.7%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41달러(+2.0%DoD)
√ HDPE: 261달러(+1.8%DoD)
√ LDPE: 506달러(+0.9%DoD)
√ LLDPE: 316달러(+1.5%DoD)
√ MEG: 180달러(+1.6%DoD)
√ PP: 246달러(+1.9%DoD)
√ 부타디엔: 581달러(+0.8%DoD)
√ 벤젠: 243달러(+4.9%DoD)
√ PX: 195달러(+7.1%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14:13


https://electrek.co/2025/01/02/tesla-tsla-confirms-delivery-of-495570-evs-way-below-its-own-guidance/

Tesla (TSLA) released its production and delivery results for the fourth quarter and full year 2024 today.

The automaker confirmed having delivered 495,570 electric vehicles, way below expectations and its own guidance from just two months ago.

As we reported earlier this week, the analyst consensus for the fourth quarter was 507,000 vehicles delivered. The street expected Tesla to fall short of its goal to deliver more than 515,000 vehicles in order to be slightly up on deliveries for the full year 2024 compared to 2023.

While this is both below Wall Street expectations and below the company’s own guidance, it is Tesla’s new quarterly record for deliveries.

Tesla achieved those results while implementing its largest-ever discounts and incentives through direct discounts on cars, boosted referral programs, and incentives like free Supercharging, free Full Self-Driving, and more.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11:30


https://naver.me/5BceENkv

올해 기아차 EV6와 테슬라 모델Y를 구매할 때 각각 580만원, 170만원 상당의 국비 보조금을 받는다.

2일 환경부가 발표한 올해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에 따르면, 전기승용차 구매시 받는 국비 보조금은 최대 580만원으로 확정됐다. 차 기본가격이 5300만원 미만이면 보조금 전액, 5300만원 이상 8500만원 이하면 반액을 지급한다. 작년부터 중국산 리튬인산철(LFP)배터리 보다 재활용이 용이한 국산 니켈·코발트·망간(NCM)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 더 많은 보조금을 주면서 국산차와 수입차의 보조금 격차가 커졌다.

이번 보조금 개편안의 가장 큰 변화는 ‘안전계수’를 도입한 것이다. 작년 9월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를 계기로 마련된 대책 중 하나다. 오는 6월 말까지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거나, 12월 말까지 충전량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브랜드의 차량은 보조금이 아예 지급되지 않는다. 현재 책임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곳은 테슬라와 BMW 두 곳으로, 가입여부에 따라 7월부터는 보조금이 끊길 수도 있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08:29


[(삼성/조현렬) 금호석유 4Q24 프리뷰]

보고서: <bit.ly/3BHAVG9>


■ 4Q24 preview, 일회성 요인에 의해 부진

4Q OP는 516억원(-21%QoQ)으로
컨센서스(554억원) 7% 하회 전망.
주요 사업부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비용과 인건비 등
일회성 요인에 의해 감소 예상.

합성고무 OP는 217억원(+1.4%pQoQ) 추정.
정기보수 영향 반영되나,
전분기 부정적 래깅 효과가 소멸되어
수익성 개선 예상.

합성수지 OP는 -91억원(-0.1%pQoQ)으로
적자 지속 예상.

에너지 및 기타 부문 OP는
320억원(-2.9%pQoQ)
예상.
전분기 대비 SMP 하락으로
수익성 둔화 예상.

금호피앤비 OP는 -88억원(-2.7%pQoQ) 예상.
페놀 및 아세톤 스프레드는 약세로 부진.

금호폴리켐 OP는 159억원(+1.0%pQoQ)으로
소폭 개선 기대.


■ NB Latex, 원료가 약세 수혜 기대

한국 수출 기준,
NB Latex 스프레드
1Q24 평균 258달러에서 지속 상승하여
4Q24에는 352달러(+19%QoQ)까지 추가 반등.
이는 부타디엔 가격 하락에 기인.
이는 미중 무역분쟁 우려 및
1Q25에 집중된 신증설 물량 영향.
원재료인 부타디엔 가격 하락은
해당 분기엔 부정적 래깅효과 야기하지만,
다음 분기부턴 수익성 확대를 견인하기에
1H25 실적에 긍정적 영향 기대.


■ View, 실적 하향 대비 주가 약세는 과도

최근 화학업종에 대한 우려 고조 및
동사 이익 전망치 하향
을 감안,
12MF P/B 하향(0.68→0.56배) 및
목표주가 22% 하향(18→14만원).

다만, 국내 화학업종 가운데
영업이익 창출 능력 보유한 소수 업종이자,
‘25년 ROE 약 7%까지 회복되는 점을 감안 시,
역대 최저 수준의 밸류에이션
(12MF P/B 0.36배)은 과도한 수준.
동사의 이익 창출능력 및
견고한 재무구조 감안하여,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03:52


[(삼성/조현렬) S-Oil 4Q24 프리뷰]

보고서: <bit.ly/3PgXLHN>


■ 4Q24 preview, 컨센서스 상회

4Q OP는 2,181억원(+6,331억원QoQ)으로
컨센서스(1,720억원) 27% 상회 예상.
이는 정유 부문의 흑자 전환에 기인.

정유 OP는 437억원(+6,175억원QoQ) 예상.
두바이 유가는 9월 평균 73.6달러에서
12월 평균 73.2달러로 소폭 하락했으나,
동 기간 원/달러 환율의 급등
(9월 평균 1,333원→12월 평균 1,439원)으로
긍정적 재고효과 발생.
재고 평가손익도 대폭 회복 및
부정적 래깅 효과도 축소 예상.
스팟 정제마진도 등경유 마진 회복으로 개선.

화학 OP는 190억원(+284%QoQ) 예상.
BTX 제품 스프레드 약세는 심화되었으나,
전분기 생산 차질 소멸에 따른
가동률 상향으로 이익 소폭 회복 예상.

윤활기유 OP는 1,554억원(+1%QoQ) 예상.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대비 원가 부담 경감되어
수익성 호조 지속 전망.


■ View, ROE 대비 크게 낮아진 밸류에이션

2024년 ROE는 -2.3%로 전년 대비 크게 하락.
이는 유가 하락에 따른 부정적 재고효과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영업외비용 확대 영향.

최근 정제마진 회복과
유가 및 환율의 영향이
전년 대비 축소될 수 있음을 감안 시,
2025년 ROE는 9.0%까지 회복 전망.
반면 12MF P/B는 0.67배로 20년래 최저치 도달.
즉, ROE 회복세 대비
크게 낮아진 밸류에이션을 감안
시,
목표주가 및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01:20


[(삼성/조현렬) 태양광 전지 수출잠정치]

[태양광 전지 수출총액]
√ 2023년 12월: 34백만달러
√ 2024년 1월: 32백만달러
√ 2024년 2월: 7백만달러
√ 2024년 3월: 12백만달러
√ 2024년 4월: 2백만달러
√ 2024년 5월: 2백만달러
√ 2024년 6월: 11백만달러
√ 2024년 7월: 31백만달러
√ 2024년 8월: 12백만달러
√ 2024년 9월: 6백만달러
√ 2024년 10월: 5백만달러
√ 2024년 11월: 2백만달러
√ 2024년 12월: 2백만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
√ 2023년 12월: 8,857톤
√ 2024년 1월: 7,363톤
√ 2024년 2월: 1,604톤
√ 2024년 3월: 2,802톤
√ 2024년 4월: 484톤
√ 2024년 5월: 513톤
√ 2024년 6월: 2,430톤
√ 2024년 7월: 6,403톤
√ 2024년 8월: 2,298톤
√ 2024년 9월: 1,127톤
√ 2024년 10월: 1,293톤
√ 2024년 11월: 636톤
√ 2024년 12월: 638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
√ 2023년 12월: 3.8달러
√ 2024년 1월: 4.3달러
√ 2024년 2월: 4.2달러
√ 2024년 3월: 4.3달러
√ 2024년 4월: 4.9달러
√ 2024년 5월: 3.8달러
√ 2024년 6월: 4.6달러
√ 2024년 7월: 4.9달러
√ 2024년 8월: 5.1달러
√ 2024년 9월: 5.4달러
√ 2024년 10월: 3.7달러
√ 2024년 11월: 3.2달러
√ 2024년 12월: 3.3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주간)]
√ 9/21~31일: 641톤
√ 10/1~10일: 380톤
√ 10/11~20일: 549톤
√ 10/21~31일: 364톤
√ 11/1~10일: 458톤
√ 11/11~20일: 62톤
√ 11/21~31일: 116톤
√ 12/1~10일: 305톤
√ 12/11~20일: 318톤
√ 12/21~31일: 15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주간)]
√ 9/21~31일: 5.3달러
√ 10/1~10일: 4.7달러
√ 10/11~20일: 3.6달러
√ 10/21~31일: 2.8달러
√ 11/1~10일: 3.7달러
√ 11/11~20일: 1.0달러
√ 11/21~31일: 2.5달러
√ 12/1~10일: 3.6달러
√ 12/11~20일: 3.2달러
√ 12/21~31일: 1.4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01:09


[(삼성/조현렬) NBL 수출잠정치]

[NBL 수출총액]
√ 2023년 12월: 31백만달러
√ 2024년 1월: 37백만달러
√ 2024년 2월: 42백만달러
√ 2024년 3월: 40백만달러
√ 2024년 4월: 55백만달러
√ 2024년 5월: 48백만달러
√ 2024년 6월: 57백만달러
√ 2024년 7월: 61백만달러
√ 2024년 8월: 70백만달러
√ 2024년 9월: 62백만달러
√ 2024년 10월: 60백만달러
√ 2024년 11월: 46백만달러
√ 2024년 12월: 53백만달러

[NBL 수출중량]
√ 2023년 12월: 43,215톤
√ 2024년 1월: 51,923톤
√ 2024년 2월: 57,346톤
√ 2024년 3월: 50,391톤
√ 2024년 4월: 65,450톤
√ 2024년 5월: 55,290톤
√ 2024년 6월: 67,101톤
√ 2024년 7월: 70,592톤
√ 2024년 8월: 79,417톤
√ 2024년 9월: 71,562톤
√ 2024년 10월: 69,158톤
√ 2024년 11월: 52,504톤
√ 2024년 12월: 64,159톤

[NBL 스프레드(스팟)]
√ 2023년 12월: 314달러
√ 2024년 1월: 272달러
√ 2024년 2월: 259달러
√ 2024년 3월: 242달러
√ 2024년 4월: 281달러
√ 2024년 5월: 320달러
√ 2024년 6월: 273달러
√ 2024년 7월: 278달러
√ 2024년 8월: 314달러
√ 2024년 9월: 294달러
√ 2024년 10월: 301달러
√ 2023년 11월: 403달러
√ 2024년 12월: 351달러

[NBL 수출중량(주간)]
√ 9/21~31일: 32,145톤
√ 10/1~10일: 16,293톤
√ 10/11~20일: 22,795톤
√ 10/21~31일: 30,070톤
√ 11/1~10일: 13,883톤
√ 11/11~20일: 21,749톤
√ 11/21~31일: 16,872톤
√ 12/1~10일: 18,402톤
√ 12/11~20일: 36,758톤
√ 12/21~31일: 8,999톤

[NBL 스프레드(스팟/주간)]
√ 9/21~31일: 272달러
√ 10/1~10일: 297달러
√ 10/11~20일: 297달러
√ 10/21~31일: 315달러
√ 11/1~10일: 376달러
√ 11/11~20일: 421달러
√ 11/21~31일: 426달러
√ 12/1~10일: 403달러
√ 12/11~20일: 330달러
√ 12/21~31일: 350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2 Jan, 00:50


[원유 코멘트: 31일 국제유가 상승]

■ 미국, 유럽 지역 한파에 따른 경유 수요 기대감

: 난방용 에너지 수요 지표인 난방도일(Heating Degree Days)이 미국에서 전주 금요일(399) 대비 향후 2주 간 499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Reuters).
: 북서유럽은 향후 6~10일 간 난방도일이 18로 10년 평균(13)을 상회(Bloomberg).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1 Jan, 23:32


[(삼성/조현렬) 1/1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5.9달러(+0.8%DoD)
√ WTI 원유: 71.7달러(+1.0%DoD)
√ 브렌트 원유: 74.1달러(+0.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4달러(+1.0%DoD)
√ 등유: 89.5달러(+1.0%DoD)
√ 디젤: 91.1달러(+1.3%DoD)
√ 벙커-C: 71.9달러(+0.9%DoD)
√ 나프타: 71.6달러(+2.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9.5달러(+0.3달러DoD)
√ 등유: 13.6달러(+0.2달러DoD)
√ 디젤: 15.2달러(+0.5달러DoD)
√ 벙커-C: -4.1달러(Flat DoD)
√ 나프타: -4.3달러(+0.7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3.1달러(+0.9달러DoD)
√ 등유: 17.2달러(+0.8달러DoD)
√ 디젤: 18.8달러(+1.1달러DoD)
√ 벙커-C: -0.5달러(+0.6달러DoD)
√ 나프타: -0.7달러(+1.4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1 Jan, 23:15


[(삼성/조현렬) 1/1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PX(+1.9%), PTA(+1.9%), MEG(+1.3%).
주요 하락제품은 톨루엔(-1.1%).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1달러(+0.6%DoD)
√ 나프타: 660달러(+1.9%DoD)
√ 싱가폴 정제마진: 3.87달러(+5.4%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57달러(+1.3%DoD)
√ 프로필렌: 82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21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65달러(+0.2%DoD)
√ SM: 980달러(-0.2%DoD)
√ 톨루엔: 734달러(-1.1%DoD)
√ 자일렌: 735달러(+0.8%DoD)
√ PX: 815달러(+1.9%DoD)
√ PTA: 640달러(+1.9%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40달러(Flat WoW)
√ PET: 795달러(Flat WoW)
√ PS: 1,253달러(Flat WoW)
√ ABS: 1,41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10달러(-5.4%DoD)
√ HDPE: 230달러(-5%DoD)
√ LDPE: 475달러(-2.5%DoD)
√ LLDPE: 285달러(-4%DoD)
√ MEG: 161달러(-0.1%DoD)
√ PP: 215달러(-5.3%DoD)
√ 부타디엔: 550달러(-2.1%DoD)
√ 벤젠: 205달러(-4.7%DoD)
√ PX: 155달러(+2%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43달러(+0.6%DoD)
√ HDPE: 263달러(+0.6%DoD)
√ LDPE: 508달러(+0.3%DoD)
√ LLDPE: 318달러(+0.5%DoD)
√ MEG: 181달러(+4.6%DoD)
√ PP: 248달러(+0.6%DoD)
√ 부타디엔: 583달러(+0.3%DoD)
√ 벤젠: 238달러(+1.5%DoD)
√ PX: 188달러(+9.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30 Dec, 23:15


[(삼성/조현렬) 12/30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5.3달러(+0.9%DoD)
√ WTI 원유: 71달러(+0.6%DoD)
√ 브렌트 원유: 74달러(Flat 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5달러(+0.6%DoD)
√ 등유: 88.7달러(+2.1%DoD)
√ 디젤: 90달러(+1.9%DoD)
√ 벙커-C: 71.2달러(+0.3%DoD)
√ 나프타: 70.2달러(+0.8%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9.2달러(-0.2달러DoD)
√ 등유: 13.4달러(+1.2달러DoD)
√ 디젤: 14.7달러(+1.0달러DoD)
√ 벙커-C: -4.1달러(-0.4달러DoD)
√ 나프타: -5.1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2.2달러(+0.5달러DoD)
√ 등유: 16.3달러(+1.8달러DoD)
√ 디젤: 17.7달러(+1.7달러DoD)
√ 벙커-C: -1.1달러(+0.2달러DoD)
√ 나프타: -2.1달러(+0.5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30 Dec, 23:04


[(삼성/조현렬) 12/30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MEG(+0.9%).
주요 하락제품은 벤젠(-1.3%), SM(-0.7%).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6달러(+1.7%DoD)
√ 나프타: 648달러(+0.8%DoD)
√ 싱가폴 정제마진: 3.67달러(+0.8%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50달러(+0.9%DoD)
√ 프로필렌: 820달러(Flat 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21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63달러(-1.3%DoD)
√ SM: 982달러(-0.7%DoD)
√ 톨루엔: 742달러(-0.4%DoD)
√ 자일렌: 729달러(+0.3%DoD)
√ PX: 800달러(+0.3%DoD)
√ PTA: 628달러(Flat 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22달러(-2.2%DoD)
√ HDPE: 242달러(-2.0%DoD)
√ LDPE: 487달러(-1.0%DoD)
√ LLDPE: 297달러(-1.7%DoD)
√ MEG: 161달러(+1.3%DoD)
√ PP: 227달러(-2.2%DoD)
√ 부타디엔: 562달러(-0.9%DoD)
√ 벤젠: 215달러(-7.1%DoD)
√ PX: 152달러(-1.9%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41달러(+2.1%DoD)
√ HDPE: 261달러(+2.0%DoD)
√ LDPE: 506달러(+1.0%DoD)
√ LLDPE: 316달러(+1.6%DoD)
√ MEG: 173달러(+4.9%DoD)
√ PP: 246달러(+2.1%DoD)
√ 부타디엔: 581달러(+0.9%DoD)
√ 벤젠: 234달러(-2.7%DoD)
√ PX: 171달러(+4.3%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9 Dec, 23:19


[(삼성/조현렬) 12/27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4.7달러(+0.1%DoD)
√ WTI 원유: 70.6달러(+1.4%DoD)
√ 브렌트 원유: 74달러(+1.0%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달러(-0.5%DoD)
√ 등유: 86.8달러(-0.1%DoD)
√ 디젤: 88.3달러(-0.2%DoD)
√ 벙커-C: 71달러(+0.1%DoD)
√ 나프타: 69.7달러(-0.6%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9.4달러(-0.5달러DoD)
√ 등유: 12.2달러(-0.2달러DoD)
√ 디젤: 13.7달러(-0.3달러DoD)
√ 벙커-C: -3.7달러(Flat DoD)
√ 나프타: -5달러(-0.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8달러(-0.1달러DoD)
√ 등유: 14.6달러(+0.2달러DoD)
√ 디젤: 16.1달러(+0.1달러DoD)
√ 벙커-C: -1.2달러(+0.3달러DoD)
√ 나프타: -2.5달러(-0.2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9 Dec, 23:06


[(삼성/조현렬) 12/27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프로필렌(+0.6%).
주요 하락제품은 자일렌(-1.8%), MEG(-1.1%), 벤젠(-1.0%), SM(-1.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4달러(-0.7%DoD)
√ 나프타: 643달러(-0.7%DoD)
√ 싱가폴 정제마진: 3.64달러(-8.8%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45달러(-1.1%DoD)
√ 프로필렌: 820달러(+0.6%DoD)
√ PP: 87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21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75달러(-1.0%DoD)
√ SM: 989달러(-1.0%DoD)
√ 톨루엔: 745달러(-0.7%DoD)
√ 자일렌: 727달러(-1.8%DoD)
√ PX: 798달러(-0.5%DoD)
√ PTA: 628달러(-0.3%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1,86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27달러(+1.9%DoD)
√ HDPE: 247달러(+1.8%DoD)
√ LDPE: 492달러(+0.9%DoD)
√ LLDPE: 302달러(+1.4%DoD)
√ MEG: 159달러(-2.1%DoD)
√ PP: 232달러(+1.9%DoD)
√ 부타디엔: 567달러(+0.8%DoD)
√ 벤젠: 231달러(-1.8%DoD)
√ PX: 155달러(+0.2%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36달러(+4.4%DoD)
√ HDPE: 256달러(+4.1%DoD)
√ LDPE: 501달러(+2%DoD)
√ LLDPE: 311달러(+3.3%DoD)
√ MEG: 165달러(Flat DoD)
√ PP: 241달러(+4.3%DoD)
√ 부타디엔: 576달러(+1.8%DoD)
√ 벤젠: 241달러(+0.6%DoD)
√ PX: 164달러(+3.8%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6 Dec, 02:57


삼성SDI가 현대자동차에 공급할 배터리 생산 라인 투자 규모를 줄인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 이후 불확실성에 대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삼성SDI로 옮긴 최주선 신임 대표이사의 첫 번째 투자 결정이라는 점도 의미가 있다. 보수적 투자 기조의 시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2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제네시스 GV90용 배터리 공급에 대비한 증설 투자 규모를 50% 이상 축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시안에서만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도 변경됐다. 국내 천안사업장과 나눠서 투자를 집행하기로 했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7J2wboP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Dec, 00:06


[(삼성/조현렬) 12/23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3달러(+0.9%DoD)
√ WTI 원유: 69.2달러(-0.3%DoD)
√ 브렌트 원유: 72.3달러(-1.5%DoD)

[정유제품]
√ 가솔린: 83.8달러(+1%DoD)
√ 등유: 87.6달러(+0.7%DoD)
√ 디젤: 89.3달러(+1.0%DoD)
√ 벙커-C: 70.5달러(+0.2%DoD)
√ 나프타: 69.8달러(+1.5%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0.5달러(+0.1달러DoD)
√ 등유: 14.3달러(Flat DoD)
√ 디젤: 16.0달러(+0.2달러DoD)
√ 벙커-C: -2.8달러(-0.6달러DoD)
√ 나프타: -3.5달러(+0.4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9.7달러(+0.8달러DoD)
√ 등유: 13.5달러(+0.6달러DoD)
√ 디젤: 15.2달러(+0.9달러DoD)
√ 벙커-C: -3.7달러(+0.1달러DoD)
√ 나프타: -4.3달러(+1.1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Dec, 23:46


[(삼성/조현렬) 12/23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하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MEG(+0.9%).
주요 하락제품은 PP(-0.6%).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5달러(+1.5%DoD)
√ 나프타: 644달러(+1.5%DoD)
√ 싱가폴 정제마진: 5.08달러(-1%DoD)

[올레핀]
√ 에틸렌: 870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43달러(+0.9%DoD)
√ 프로필렌: 815달러(Flat DoD)
√ PP: 875달러(-0.6%DoD)
√ 부타디엔: 1,21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93달러(-0.4%DoD)
√ SM: 1,020달러(-0.2%DoD)
√ 톨루엔: 756달러(-0.3%DoD)
√ 자일렌: 740달러(+0.4%DoD)
√ PX: 813달러(+0.6%DoD)
√ PTA: 637달러(+0.5%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26달러(-4%DoD)
√ HDPE: 246달러(-3.7%DoD)
√ LDPE: 491달러(-1.9%DoD)
√ LLDPE: 301달러(-3%DoD)
√ MEG: 156달러(-0.4%DoD)
√ PP: 231달러(-5.9%DoD)
√ 부타디엔: 566달러(-1.6%DoD)
√ 벤젠: 249달러(-5.1%DoD)
√ PX: 169달러(-2.5%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29달러(-4.2%DoD)
√ HDPE: 249달러(-3.9%DoD)
√ LDPE: 494달러(-2%DoD)
√ LLDPE: 304달러(-3.2%DoD)
√ MEG: 158달러(-0.6%DoD)
√ PP: 234달러(-6%DoD)
√ 부타디엔: 569달러(-1.7%DoD)
√ 벤젠: 252달러(-5.3%DoD)
√ PX: 172달러(-2.8%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0 Dec, 00:06


[(삼성/조현렬) LGES 4Q24 프리뷰]

보고서: bit.ly/3ZOtapA


■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4Q OP는 -1,896억원(적자 전환QoQ)으로
컨센서스(-1,130억원, FnGuide) 하회 예상.
수익성이 가장 좋은 합작법인의 판매량 감소 및
유럽 고객사의 예상보다 수요 부진 영향.

소형 전지 OP는 -266억원(적자 전환QoQ) 추정(영업이익률 -1.5%).
ASP는 보합세 예상(Flat QoQ).
고객사의 저가 트림 선호 현상에 따른
판매량 회복 지연(Flat QoQ)과
IT제품 성수기 종료로 수익성 둔화 예상.

자동차 전지 OP는 -5,207억원(적자 지속QoQ) 추정(영업이익률 -11.9%).
ASP 추가 감소가 예상(-12%QoQ).
판매량 회복은 기존 예상(+12%QoQ)보다
더딜 전망(+9%QoQ).
수익성이 가장 좋은 북미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수익성 감소.
유럽 고객사의 판매는 기존 예상보다 부진.

ESS 전지 OP는 72억원(+10,372%QoQ) 추정(영업이익률 +1.0%).
전분기 판매 확대 이후
판매 성장세 지속되어 흑자 지속 전망.

IRA AMPC OP는 3,505억원(-25%QoQ; 추정 판매량 7.2GWh) 예상.
고객사 재고조정 영향으로
전분기(추정 판매량 9.8GWh) 대비 판매량 급감 예상.


■ View, 2025년 실적 기대치 추가 하향 필요

내년 Stellantis, Honda, 현대차그룹
미국 JV 가동으로 확대 전망.
동사의 순수한 펀더멘털은
JV 실적 반영되지 않는
지배주주 순이익을 통해 파악 가능.
당사는 2025년 지배주주 순이익
980억원(지배주주 순이익률 +0.3%) 전망.
최근 하향되고 있는 컨센서스는
여전히 1.17조원 수준으로,
컨센서스 92% 하회 예상.
시장 기대치가 충분히 하향되기 전까지
HOLD 투자의견 유지.
목표주가는 향후 1월 발표될
동사의 가이던스 확정 후 변경 가능
.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0 Dec, 00:04


[(삼성/조현렬) 롯데케미칼 4Q 프리뷰]

보고서: bit.ly/401RDJx


■ 사채권자 집회 종료, 재무 특약 삭제 가결

12/19일 롯데케미칼은
사채권자 집회를 소집.

국내 회사채 2조 2,950억원 중
기안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2조 450억원 재무 특약 조정을 확정.
‘3개년 누적 EBITDA/이자비용의 5배 이상 유지’
특약을 삭제하는 대신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은행 보증을 추가
하며 회사채 신용을 보강.
이에 따라 11월 이후 불거진
재무 관련 투자자 우려는
단기적으로 소멸 예상.



■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전망

4Q OP는 -1,859억원으로
컨센서스(-1,480억원, FnGuide) 하회 전망.

올레핀 OP는 -1,161억원(+636억원QoQ) 예상.
이는 부정적 래깅효과 축소 및
일부 제품 스프레드 반등에 기인.
4Q24 HDPE, PP 스팟 스프레드 각각
+1%QoQ 및 +5%QoQ를 기록.
다만, 부타디엔 스프레드는 -26%QoQ로 부진.

아로마틱 OP는 -202억원(+87억원QoQ) 예상.

LC 타이탄 OP는 -652억원(-21억원QoQ) 예상.
부정적 래깅효과는 축소.
다만 일부 제품(부타디엔 및 벤젠) 약세로
전분기 대비 유사 적자 예상.

첨단소재 OP는 512억원(+34%QoQ) 예상.
해상 운임 부담 경감되어 수익성 개선.

LC USA OP는 +68억원(+1,138억원QoQ) 예상.
전분기 유지보수 및 설비 교체에 따른
일회성 비용 영향 소멸.

4Q 세전이익은 -5,591억원(+1,555억원QoQ)으로
컨센서스(-2,000억원) 대폭 하회 전망.
이는 롯데에너지머티얼즈 인수에 따른
영업권 손상차손 인식과
솔루스첨단소재 주가 하락에 따른
투자자산 평가손실에 기인.


■ View, 2025년 원료가 부담 경감 통해 회복 개시 예상

2025년 ROE의 추가 하향을 반영하여,
P/B Valuation상 목표주가를
6% 추가 하향(9.0→8.5만원).

여전히 업황이 부진하지만,
최근 유가 약세 및
트럼프 재집권 이후
러시아 제재 해제 가능성을 감안 시,
원료가격 부담 경감을 통해
업황 개시될 전망.

12MF P/B가 0.19배로
창사 이래 최저 수준까지 급락한 점을 감안하여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Dec, 23:17


[(삼성/조현렬) 12/19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2.8달러(-1.0%DoD)
√ WTI 원유: 69.9달러(-0.9%DoD)
√ 브렌트 원유: 73.2달러(-2.2%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달러(-1.7%DoD)
√ 등유: 88.1달러(-0.4%DoD)
√ 디젤: 89.2달러(Flat DoD)
√ 벙커-C: 70.9달러(-0.3%DoD)
√ 나프타: 69.4달러(-0.2%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2달러(-0.7달러DoD)
√ 등유: 15.2달러(+0.4달러DoD)
√ 디젤: 16.3달러(+0.8달러DoD)
√ 벙커-C: -2달러(+0.5달러DoD)
√ 나프타: -3.5달러(+0.6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7달러(-3.2달러DoD)
√ 등유: 15.8달러(-2.1달러DoD)
√ 디젤: 16.9달러(-1.7달러DoD)
√ 벙커-C: -1.4달러(-2.0달러DoD)
√ 나프타: -2.9달러(-1.9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Dec, 23:04


[(삼성/조현렬) 12/19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하락.
주요 상승제품은 부타디엔(+3.4%), SM(+0.7%).
주요 하락제품은 MEG(-1.3%), 자일렌(-0.7%), 카프로락탐(-0.7%).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4달러(-0.4%DoD)
√ 나프타: 640달러(-0.2%DoD)
√ 싱가폴 정제마진: 5.43달러(-0.5%DoD)

[올레핀]
√ 에틸렌: 875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40달러(-1.3%DoD)
√ 프로필렌: 815달러(Flat 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200달러(+3.4%DoD)

[아로마틱]
√ 벤젠: 900달러(-0.4%DoD)
√ SM: 1,030달러(+0.7%DoD)
√ 톨루엔: 764달러(-0.1%DoD)
√ 자일렌: 738달러(-0.7%DoD)
√ PX: 810달러(-0.6%DoD)
√ PTA: 636달러(-0.3%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505달러(-0.7%WoW)
√ AA: 405달러(Flat WoW)
√ VAM: 74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36달러(+0.5%DoD)
√ HDPE: 251달러(+0.5%DoD)
√ LDPE: 496달러(+0.3%DoD)
√ LLDPE: 306달러(+0.4%DoD)
√ MEG: 156달러(-3.8%DoD)
√ PP: 241달러(+0.5%DoD)
√ 부타디엔: 561달러(+7.9%DoD)
√ 벤젠: 261달러(-1.0%DoD)
√ PX: 171달러(-1.9%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59달러(+0.8%DoD)
√ HDPE: 274달러(+0.8%DoD)
√ LDPE: 519달러(+0.4%DoD)
√ LLDPE: 329달러(+0.7%DoD)
√ MEG: 170달러(-3.3%DoD)
√ PP: 264달러(+0.8%DoD)
√ 부타디엔: 584달러(+7.8%DoD)
√ 벤젠: 284달러(-0.7%DoD)
√ PX: 194달러(-1.2%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Dec, 12:16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12/12-12/18)]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음력설 연휴 간 생산 불확실성 속 다운스트림 하락세.

■ 폴리실리콘 (4.420달러/kg): WoW Flat(+0.0%).
웨이퍼 생산 증가로 고위 재고 안정화되며 보합.

■ 웨이퍼 (0.078달러): WoW Flat(+0.0%).
멀티 웨이퍼는 보합.
모노 웨이퍼도 주요 업체 중심으로 대량 매각하며 보합(+0.0%WoW).

■ 셀 (0.030달러/Watt): WoW Flat(+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음력설 앞두고 거래 한산하며 보합(+0.0%WoW).
연말 셀 수요과 가격 동향은 모듈업체 1월 계획이 관건.

■ 모듈 (0.074달러/Watt): WoW 하락(-1.3%).
멀티 모듈은 하락.
모노 모듈은 가격 인상 시도가 수요 부진으로 실패하며 보합(+0.0%WoW).
모듈 업체 음력설 연휴 간 생산 중단 예정.
Tier-2, 3 업체들은 저가로 물량 매도.

[1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7.78달러(-2.7%QoQ)
√ 웨이퍼: 0.13달러(-14.6%QoQ)
√ 셀: 0.05달러(-14.5%QoQ)
√ 모듈: 0.10달러(-14.2%QoQ)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0달러(-13.4%QoQ)
√ 웨이퍼: 0.078달러(-13.5%QoQ)
√ 셀: 0.030달러(-13.2%QoQ)
√ 모듈: 0.077달러(-8.1%QoQ)

[4QTD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42달러(+2.6%QoQ)
√ 웨이퍼: 0.078달러(-4.5%QoQ)
√ 셀: 0.030달러(-4.1%QoQ)
√ 모듈: 0.074달러(-8.7%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12/18일 기준)]
√ Mono PERC (India): 0.090달러(Flat WoW)
√ Mono TOPCon (India): 0.090달러(Flat WoW)
√ Mono PERC (US): 0.270달러(Flat WoW)
√ Mono TOPCon (US): 0.270달러(Flat WoW)
√ Mono PERC (EU): 0.095달러(Flat WoW)
√ Mono TOPCon (EU): 0.095달러(Flat WoW)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Dec, 10:27


https://naver.me/Gj6zUrZ6

사채권자 집회서 가결…EOD 사유 수익성 관련 조항 삭제 예정
'6조' 롯데월드타워 담보 신용 보강…CFO "신용 보강 후 채권자 만족"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Dec, 01:55


Tesla Giga Shanghai to start mass production of facelifted Model Y in Jan, report says

Tesla's Shanghai factory will begin mass production of the facelifted Model Y next month and is expected to begin deliveries of a six-seat Model Y in the fourth quarter of 2025, according to local media.

https://cnevpost.com/2024/12/19/tesla-shanghai-to-start-production-facelifted-model-y-jan-report/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8 Dec, 23:13


[(삼성/조현렬) 12/18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6달러(+0.1%DoD)
√ WTI 원유: 70.6달러(+0.7%DoD)
√ 브렌트 원유: 74.8달러(+1.7%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4달러(-0.2%DoD)
√ 등유: 88.5달러(-0.2%DoD)
√ 디젤: 89.1달러(-0.2%DoD)
√ 벙커-C: 71.1달러(+1.1%DoD)
√ 나프타: 69.5달러(+0.2%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8달러(-0.2달러DoD)
√ 등유: 14.9달러(-0.2달러DoD)
√ 디젤: 15.6달러(-0.2달러DoD)
√ 벙커-C: -2.5달러(+0.7달러DoD)
√ 나프타: -4.1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4.9달러(+0.1달러DoD)
√ 등유: 17.9달러(+0.1달러DoD)
√ 디젤: 18.6달러(Flat DoD)
√ 벙커-C: 0.6달러(+1.0달러DoD)
√ 나프타: -1달러(+0.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8 Dec, 23:04


[(삼성/조현렬) 12/18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PET(+2.6%), 프로필렌(+1.2%).
주요 하락제품은 MEG(-1.3%), PVC(-1.3%).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7달러(+0.3%DoD)
√ 나프타: 641달러(+0.2%DoD)
√ 싱가폴 정제마진: 6.22달러(-0.5%DoD)

[올레핀]
√ 에틸렌: 875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Flat DoD)
√ LLDPE: 945달러(Flat DoD)
√ MEG: 547달러(-1.3%DoD)
√ 프로필렌: 815달러(+1.2%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1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04달러(-0.3%DoD)
√ SM: 1,023달러(-0.2%DoD)
√ 톨루엔: 765달러(Flat DoD)
√ 자일렌: 743달러(+0.1%DoD)
√ PX: 815달러(+0.1%DoD)
√ PTA: 638달러(Flat 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40달러(-1.3%WoW)
√ PET: 795달러(+2.6%WoW)
√ PS: 1,253달러(+0.8% WoW)
√ ABS: 1,410달러(+0.7%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34달러(-0.6%DoD)
√ HDPE: 249달러(-0.6%DoD)
√ LDPE: 494달러(-0.3%DoD)
√ LLDPE: 304달러(-0.5%DoD)
√ MEG: 163달러(-4.6%DoD)
√ PP: 239달러(-0.6%DoD)
√ 부타디엔: 519달러(-0.3%DoD)
√ 벤젠: 263달러(-1.7%DoD)
√ PX: 174달러(-0.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57달러(+4.6%DoD)
√ HDPE: 272달러(+4.3%DoD)
√ LDPE: 517달러(+2.2%DoD)
√ LLDPE: 327달러(+3.6%DoD)
√ MEG: 176달러(-0.1%DoD)
√ PP: 262달러(+4.5%DoD)
√ 부타디엔: 542달러(+2.1%DoD)
√ 벤젠: 286달러(+3.0%DoD)
√ PX: 196달러(+6.4%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7 Dec, 23:11


[(삼성/조현렬) 12/17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5달러(-0.8%DoD)
√ WTI 원유: 70.1달러(-0.9%DoD)
√ 브렌트 원유: 73.5달러(-1.5%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6달러(-1.1%DoD)
√ 등유: 88.6달러(-1.2%DoD)
√ 디젤: 89.3달러(-1.0%DoD)
√ 벙커-C: 70.3달러(-1.0%DoD)
√ 나프타: 69.4달러(-1.0%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달러(-0.3달러DoD)
√ 등유: 15.1달러(-0.5달러DoD)
√ 디젤: 15.8달러(-0.3달러DoD)
√ 벙커-C: -3.2달러(-0.1달러DoD)
√ 나프타: -4.1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4.8달러(-0.9달러DoD)
√ 등유: 17.9달러(-1.1달러DoD)
√ 디젤: 18.6달러(-0.9달러DoD)
√ 벙커-C: -0.4달러(-0.7달러DoD)
√ 나프타: -1.3달러(-0.7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7 Dec, 23:04


[(삼성/조현렬) 12/17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하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LLDPE(+1.6%).
주요 하락제품은 가성소다(-3.4%), 에틸렌(-2.2%).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5달러(-0.8%DoD)
√ 나프타: 639달러(-0.6%DoD)
√ 싱가폴 정제마진: 6.25달러(+17.9%DoD)

[올레핀]
√ 에틸렌: 875달러(-2.2%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5달러(+0.4%DoD)
√ LLDPE: 945달러(+1.6%DoD)
√ MEG: 554달러(+0.5%DoD)
√ 프로필렌: 805달러(Flat 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16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07달러(-0.3%DoD)
√ SM: 1,025달러(+0.1%DoD)
√ 톨루엔: 765달러(-0.1%DoD)
√ 자일렌: 742달러(+0.4%DoD)
√ PX: 814달러(-0.5%DoD)
√ PTA: 638달러(-0.5%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AN: 1,235달러(Flat WoW)
√ 가성소다: 425달러(-3.4%WoW)
√ 페놀: 885달러(-0.6%WoW)
√ 아세톤: 66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36달러(-6.4%DoD)
√ HDPE: 251달러(+1.6%DoD)
√ LDPE: 496달러(+1.8%DoD)
√ LLDPE: 306달러(+6.6%DoD)
√ MEG: 170달러(+3.3%DoD)
√ PP: 241달러(+1.7%DoD)
√ 부타디엔: 521달러(+0.8%DoD)
√ 벤젠: 268달러(+0.6%DoD)
√ PX: 175달러(-0.2%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45달러(-5.5%DoD)
√ HDPE: 260달러(+2.3%DoD)
√ LDPE: 505달러(+2.2%DoD)
√ LLDPE: 315달러(+7.0%DoD)
√ MEG: 176달러(+3.8%DoD)
√ PP: 250달러(+2.4%DoD)
√ 부타디엔: 530달러(+1.1%DoD)
√ 벤젠: 277달러(+1.2%DoD)
√ PX: 185달러(+0.8%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6 Dec, 23:35


[(삼성/조현렬) SK온 미국 정책대출 확정]

보고서: http://bit.ly/41BSWA0


■ SK온 JV, 미국 정부 정책자금 확보

미국 에너지부는 금일 BlueOval SK(Ford 및 SK온 JV)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을 확정.
첨단기술차량제조
(ATVM; Advanced Technology Vehicles Manufacturing)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저금리 대출자금.

2009년부터 시작된 ATVM은
과거 Ford, Nissan, Tesla가 수령한 바 있으며,
Ultium Cells(GM-LGES JV)도
22년 11월 25억달러(3.6조원)의 저리 대출 확보.
StarPlus Energy(STLA-삼성SDI JV)도
올해 12월 75억달러(10.8조원)의 저리 대출
조건부 승인.


■ ATVM 차입, JV 투자 상당분 충당

SK온 JV가 수령할 ATVM 차입은 최대 96억달러(13.8조원).
23년 6월 조건부 승인 당시
(92억달러; 13.2조원)보다 확대.
BlueOval SK는 총 129Wh Capa 확보 계획했으며,
켄터키 1/2공장 및 테네시 공장으로 구성.
이 중 켄터키 1공장 및 테네시 공장은 내년 가동 계획.
2021년 당시 해당 투자를 위해
10.2조원 소요 예상했으나,
인플레이션 심화로 투자 규모는 보다 상향.
다만 금번 정책대출 13.8조원으로 기존 출자분 외
상당 부분 충당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출 통해 기투자분에 대한 대환 예상.


■ DOGE의 태클, 일부 불확실성


최근 바이든 정부는
ATVM 지원책으로
Rivian 66억달러(9.5조원),
삼성SDI JV 75억달러(10.8조원),
SK온 JV 96억달러(13.8조원)을 임기 말에
연이어 확정 발표.

이에 대해 DOGE(정부효율부) 수장인
비벡 라와스와미는 해당 정책에 대해
불법적이며 철회되어야 한다고 언급.

이에 따라 트럼프 정부 입각 이후
발생 가능한 부정적 영향 일부 상존.


■ View, 펀더멘털 영향은 이자비용 감축

ATVM 통한 차입 이자율은
미국 10년물 금리 수준(4.4%)으로,
기존 브릿지론(6~7%)에 대한 차환 통해
이자비용 감축이 펀더멘털 영향.
2025년 관전 포인트는

Ford의 신차 출시 계획 연기 하에
JV 가동률 수준이 될 전망.
켄터키 1공장(37GWh) 및
테네시 공장(45GWh)가
내년 가동 계획된 가운데,
기존 차종(F-150/E-Transit)향 생산 통해
가동률 상향이 단기간 내 가능할지
확인 필요.
중장기 관점에선 타 OEM 등
신규 고객 확보 통해 가동률 향상 정책 확보 필요.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6 Dec, 23:21


[(삼성/조현렬) 12/16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4.1달러(+0.9%DoD)
√ WTI 원유: 70.7달러(-0.8%DoD)
√ 브렌트 원유: 74.6달러(-0.5%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5달러(-0.5%DoD)
√ 등유: 89.7달러(+0.7%DoD)
√ 디젤: 90.2달러(+0.6%DoD)
√ 벙커-C: 71달러(+2.3%DoD)
√ 나프타: 70.1달러(+0.7%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3달러(-1.1달러DoD)
√ 등유: 15.6달러(-0.1달러DoD)
√ 디젤: 16.1달러(-0.1달러DoD)
√ 벙커-C: -3.1달러(+1.0달러DoD)
√ 나프타: -4달러(-0.2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5.7달러(-0.4달러DoD)
√ 등유: 19달러(+0.6달러DoD)
√ 디젤: 19.5달러(+0.5달러DoD)
√ 벙커-C: 0.3달러(+1.6달러DoD)
√ 나프타: -0.6달러(+0.5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6 Dec, 23:06


[(삼성/조현렬) 12/16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강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부타디엔(+2.7%), PX(+2.0%), 자일렌(+1.9%).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1달러(+0.3%DoD)
√ 나프타: 643달러(+0.2%DoD)
√ 싱가폴 정제마진: 7.09달러(+19.2%DoD)

[올레핀]
√ 에틸렌: 895달러(Flat DoD)
√ HDPE: 890달러(Flat DoD)
√ LDPE: 1,130달러(Flat DoD)
√ LLDPE: 930달러(Flat DoD)
√ MEG: 551달러(-0.7%DoD)
√ 프로필렌: 805달러(Flat DoD)
√ PP: 88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160달러(+2.7%DoD)

[아로마틱]
√ 벤젠: 909달러(+0.4%DoD)
√ SM: 1,024달러(+0.4%DoD)
√ 톨루엔: 766달러(+0.8%DoD)
√ 자일렌: 739달러(+1.9%DoD)
√ PX: 819달러(+2.0%DoD)
√ PTA: 641달러(+1.7%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52달러(-0.5%DoD)
√ HDPE: 247달러(-0.5%DoD)
√ LDPE: 487달러(-0.3%DoD)
√ LLDPE: 287달러(-0.4%DoD)
√ MEG: 165달러(-2.8%DoD)
√ PP: 237달러(-0.5%DoD)
√ 부타디엔: 517달러(+5.9%DoD)
√ 벤젠: 266달러(+1.0%DoD)
√ PX: 175달러(+9.4%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60달러(+0.9%DoD)
√ HDPE: 255달러(+0.9%DoD)
√ LDPE: 495달러(+0.5%DoD)
√ LLDPE: 295달러(+0.8%DoD)
√ MEG: 170달러(-1.5%DoD)
√ PP: 245달러(+0.9%DoD)
√ 부타디엔: 525달러(+6.6%DoD)
√ 벤젠: 274달러(+2.3%DoD)
√ PX: 183달러(+11.3%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6 Dec, 13:25


US finalizes $9.63 billion loan for Ford, SK On joint battery venture | Reuters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us-finalizes-963-billion-loan-ford-sk-joint-battery-venture-2024-12-16/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7 Nov, 23:37


[(삼성/조현렬) 11/27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2.2달러(-0.4%DoD)
√ WTI 원유: 68.7달러(-0.1%DoD)
√ 브렌트 원유: 73.9달러(-0.9%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7달러(-0.1%DoD)
√ 등유: 88.5달러(-1.0%DoD)
√ 디젤: 88.3달러(-1.0%DoD)
√ 벙커-C: 71.9달러(+1.0%DoD)
√ 나프타: 67.8달러(-0.8%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5달러(+0.2달러DoD)
√ 등유: 16.3달러(-0.7달러DoD)
√ 디젤: 16.1달러(-0.7달러DoD)
√ 벙커-C: -0.3달러(+1.0달러DoD)
√ 나프타: -4.4달러(-0.3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2.7달러(+1.5달러DoD)
√ 등유: 16.5달러(+0.6달러DoD)
√ 디젤: 16.4달러(+0.6달러DoD)
√ 벙커-C: -0.1달러(+2.3달러DoD)
√ 나프타: -4.2달러(+1.0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7 Nov, 23:28


[(삼성/조현렬) 11/27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톨루엔(+1.8%), 프로필렌(+0.6%).
주요 하락제품은 자일렌(-1.6%), PVC(-1.3%), PET(-1.3%), PS(-1.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2.1달러(Flat DoD)
√ 나프타: 629달러(-0.8%DoD)
√ 싱가폴 정제마진: 6.09달러(-2.2%DoD)

[올레핀]
√ 에틸렌: 895달러(Flat DoD)
√ HDPE: 910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38달러(Flat DoD)
√ 프로필렌: 790달러(+0.6%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07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82달러(-0.2%DoD)
√ SM: 1,004달러(Flat DoD)
√ 톨루엔: 722달러(+1.8%DoD)
√ 자일렌: 690달러(-1.6%DoD)
√ PX: 789달러(-0.1%DoD)
√ PTA: 623달러(Flat 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50달러(-1.3%WoW)
√ PET: 785달러(-1.3%WoW)
√ PS: 1,243달러(-1.0% WoW)
√ ABS: 1,405달러(-0.4%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66달러(+1.9%DoD)
√ HDPE: 281달러(+1.8%DoD)
√ LDPE: 491달러(+1.0%DoD)
√ LLDPE: 311달러(+1.6%DoD)
√ MEG: 161달러(+1.9%DoD)
√ PP: 261달러(+2.0%DoD)
√ 부타디엔: 441달러(+1.1%DoD)
√ 벤젠: 253달러(+1.2%DoD)
√ PX: 160달러(+2.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26달러(+5.1%DoD)
√ HDPE: 241달러(+4.7%DoD)
√ LDPE: 451달러(+2.5%DoD)
√ LLDPE: 271달러(+4.2%DoD)
√ MEG: 137달러(+5.0%DoD)
√ PP: 221달러(+5.2%DoD)
√ 부타디엔: 401달러(+2.8%DoD)
√ 벤젠: 213달러(+4.3%DoD)
√ PX: 120달러(+8.9%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7 Nov, 10:10


https://naver.me/FhU1R1XE

현대차가 기아에 SK온에 대한 배터리 우선 공급권 일부를 매각한다.

현대차는 27일 열린 이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금액은 1151억원으로 매각은 다음 달 이뤄진다.

앞서 현대차는 SK온 배터리 공장 내 자사 전용 라인 설비 투자를 단행했고, 물량 우선 공급권을 받았다. 이중 일부를 기아에 매각하는 것으로, 어느 배터리 공장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7 Nov, 10:0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87001?sid=101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6 Nov, 23:03


[(삼성/조현렬) 11/26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2.5달러(-1.4%DoD)
√ WTI 원유: 68.8달러(-0.2%DoD)
√ 브렌트 원유: 74.3달러(Flat 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8달러(-1.5%DoD)
√ 등유: 89.4달러(-0.6%DoD)
√ 디젤: 89.3달러(-0.7%DoD)
√ 벙커-C: 71.2달러(-0.3%DoD)
√ 나프타: 68.4달러(-1.6%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3달러(-0.3달러DoD)
√ 등유: 16.9달러(+0.5달러DoD)
√ 디젤: 16.8달러(+0.4달러DoD)
√ 벙커-C: -1.3달러(+0.8달러DoD)
√ 나프타: -4.1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2달러(-1.3달러DoD)
√ 등유: 15.9달러(-0.5달러DoD)
√ 디젤: 15.7달러(-0.7달러DoD)
√ 벙커-C: -2.3달러(-0.2달러DoD)
√ 나프타: -5.2달러(-1.1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6 Nov, 22:57


[(삼성/조현렬) 11/26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하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AN(+1.7%), 아세톤(+0.8%).
주요 하락제품은 가성소다(-4.3%), 자일렌(-2.1%), SM(-1.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2.1달러(-2.9%DoD)
√ 나프타: 634달러(-1.6%DoD)
√ 싱가폴 정제마진: 5.99달러(-1.5%DoD)

[올레핀]
√ 에틸렌: 895달러(+0.6%DoD)
√ HDPE: 910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38달러(+0.6%DoD)
√ 프로필렌: 785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07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84달러(-0.6%DoD)
√ SM: 1,004달러(-1.0%DoD)
√ 톨루엔: 709달러(-0.8%DoD)
√ 자일렌: 701달러(-2.1%DoD)
√ PX: 790달러(-0.9%DoD)
√ PTA: 623달러(-0.6%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AN: 1,220달러(+1.7%WoW)
√ 가성소다: 445달러(-4.3%WoW)
√ 페놀: 895달러(+0.6%WoW)
√ 아세톤: 670달러(+0.8%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61달러(+6.1%DoD)
√ HDPE: 276달러(+3.8%DoD)
√ LDPE: 486달러(+2.1%DoD)
√ LLDPE: 306달러(+3.4%DoD)
√ MEG: 158달러(+6.1%DoD)
√ PP: 256달러(+4.1%DoD)
√ 부타디엔: 436달러(+2.3%DoD)
√ 벤젠: 250달러(+2.0%DoD)
√ PX: 156달러(+2.0%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15달러(-0.8%DoD)
√ HDPE: 230달러(-2.8%DoD)
√ LDPE: 440달러(-1.5%DoD)
√ LLDPE: 260달러(-2.5%DoD)
√ MEG: 130달러(-0.8%DoD)
√ PP: 210달러(-3.1%DoD)
√ 부타디엔: 390달러(-1.7%DoD)
√ 벤젠: 204달러(-5.4%DoD)
√ PX: 110달러(-11.1%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6 Nov, 22:43


https://naver.me/5D8piRix

한 회사채 디폴트나면 연쇄적으로 2조 EOD
27일 공시, 일시 유예 웨이버 공감대 높아져
EBITDA 삭제 등 재무약정 수정 관측도
유동성 4조 확보, 현금창출력 악화는 과제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6 Nov, 02:00


[원유 코멘트: 25일 국제유가 하락]

■ 이스라엘-레바논 휴전 가능성 고조

: 이스라엘과 레바논(헤즈볼라) 간 휴전회담 진행 중으로 알려짐.
: 11/25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헤즈볼라와 휴전안을 원칙적으로 승인.
: 관련하여 이스라엘 내각에서 찬반 투표를 화요일에 진행할 예정 (CNN).
: 바이든 미 대통령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36시간 이내 휴전 합의 발표 예정 (Reuters).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5 Nov, 23:08


[(삼성/조현렬) 11/25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5달러(-0.9%DoD)
√ WTI 원유: 68.9달러(-3.2%DoD)
√ 브렌트 원유: 74.3달러(-2.4%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1달러(Flat DoD)
√ 등유: 90달러(-1.5%DoD)
√ 디젤: 89.9달러(-1.4%DoD)
√ 벙커-C: 71.4달러(-1.3%DoD)
√ 나프타: 69.5달러(-1.1%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6달러(+0.7달러DoD)
√ 등유: 16.5달러(-0.8달러DoD)
√ 디젤: 16.4달러(-0.6달러DoD)
√ 벙커-C: -2.1달러(-0.3달러DoD)
√ 나프타: -4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2.6달러(Flat DoD)
√ 등유: 16.4달러(-1.4달러DoD)
√ 디젤: 16.4달러(-1.3달러DoD)
√ 벙커-C: -2.2달러(-1.0달러DoD)
√ 나프타: -4.1달러(-0.8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5 Nov, 23:00


[(삼성/조현렬) 11/25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없음.
주요 하락제품은 벤젠(-1.3%), PX(-1.0%), 자일렌(-0.8%), PTA(-0.8%).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2달러(+0.8%DoD)
√ 나프타: 644달러(-1.1%DoD)
√ 싱가폴 정제마진: 5.98달러(+0.2%DoD)

[올레핀]
√ 에틸렌: 890달러(Flat DoD)
√ HDPE: 910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35달러(-0.6%DoD)
√ 프로필렌: 785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07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89달러(-1.3%DoD)
√ SM: 1,014달러(-0.3%DoD)
√ 톨루엔: 715달러(-0.4%DoD)
√ 자일렌: 716달러(-0.8%DoD)
√ PX: 797달러(-1.0%DoD)
√ PTA: 627달러(-0.8%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46달러(+2.9%DoD)
√ HDPE: 266달러(+2.7%DoD)
√ LDPE: 476달러(+1.5%DoD)
√ LLDPE: 296달러(+2.4%DoD)
√ MEG: 149달러(+0.8%DoD)
√ PP: 246달러(+2.9%DoD)
√ 부타디엔: 426달러(+1.7%DoD)
√ 벤젠: 245달러(-2.0%DoD)
√ PX: 153달러(-0.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17달러(-6.7%DoD)
√ HDPE: 237달러(-6.1%DoD)
√ LDPE: 447달러(-3.4%DoD)
√ LLDPE: 267달러(-5.5%DoD)
√ MEG: 131달러(-8.6%DoD)
√ PP: 217달러(-6.7%DoD)
√ 부타디엔: 397달러(-3.8%DoD)
√ 벤젠: 216달러(-11.3%DoD)
√ PX: 124달러(-15.9%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5 Nov, 22:50


https://naver.me/GKUXwcKR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트럼프에 선제 공격
친환경차 환급 제도를 재도입 의사 밝혀
"더 많은 전기차회사 시장 여건 조성할 것"
시장 점유율 높은 테슬라 등 제외될수도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5 Nov, 07:30


효성화학 특수가스, 경영권·소수 지분 쪼개 파는 방안 검토

- 경영권은 계열사, 소수 지분은 FI에 매각
- 효성화학, 유동부채 1.3조·순차입금 2.5조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4/11/25/ZEYDSFO665FYTOWIMFRLKIFCV4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5 Nov, 01:07


https://dealsite.co.kr/articles/131518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Nov, 00:58


[원유 코멘트: 21일 국제유가 상승]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격화 우려

: 11/19일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영국에서 각각 지원받은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
: 11/21일 러시아는 이에 대응하여 신형 초음속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로 우크라이나 군 시설을 공격.
* 초기 우크라이나 군은 러시아가 공격에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사용했다고 밝혔으나,
서방과 러시아는 이를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라 언급.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Nov, 23:38


[(삼성/조현렬) 태양광 전지 수출잠정치]

[태양광 전지 수출총액]
√ 2023년 11월: 39백만달러
√ 2023년 12월: 34백만달러
√ 2024년 1월: 32백만달러
√ 2024년 2월: 7백만달러
√ 2024년 3월: 12백만달러
√ 2024년 4월: 2백만달러
√ 2024년 5월: 2백만달러
√ 2024년 6월: 11백만달러
√ 2024년 7월: 31백만달러
√ 2024년 8월: 12백만달러
√ 2024년 9월: 6백만달러
√ 2024년 10월: 5백만달러
√ 2024년 11월(1~20일): 2백만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
√ 2023년 11월: 10,910톤
√ 2023년 12월: 8,857톤
√ 2024년 1월: 7,363톤
√ 2024년 2월: 1,604톤
√ 2024년 3월: 2,802톤
√ 2024년 4월: 484톤
√ 2024년 5월: 513톤
√ 2024년 6월: 2,430톤
√ 2024년 7월: 6,403톤
√ 2024년 8월: 2,298톤
√ 2024년 9월: 1,127톤
√ 2024년 10월: 1,293톤
√ 2024년 11월(1~20일): 520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
√ 2023년 11월: 3.5달러
√ 2023년 12월: 3.8달러
√ 2024년 1월: 4.3달러
√ 2024년 2월: 4.2달러
√ 2024년 3월: 4.3달러
√ 2024년 4월: 4.9달러
√ 2024년 5월: 3.8달러
√ 2024년 6월: 4.6달러
√ 2024년 7월: 4.9달러
√ 2024년 8월: 5.1달러
√ 2024년 9월: 5.4달러
√ 2024년 10월: 3.7달러
√ 2024년 11월(1~20일): 3.3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주간)]
√ 8/11~20일: 47톤
√ 8/21~31일: 176톤
√ 9/1~10일: 284톤
√ 9/11~20일: 201톤
√ 9/21~31일: 641톤
√ 10/1~10일: 380톤
√ 10/11~20일: 549톤
√ 10/21~31일: 364톤
√ 11/1~10일: 458톤
√ 11/11~20일: 62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주간)]
√ 8/11~20일: 2.8달러
√ 8/21~31일: 5.1달러
√ 9/1~10일: 5.6달러
√ 9/11~20일: 5.6달러
√ 9/21~31일: 5.3달러
√ 10/1~10일: 4.7달러
√ 10/11~20일: 3.6달러
√ 10/21~31일: 2.8달러
√ 11/1~10일: 3.7달러
√ 11/11~20일: 1.0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Nov, 23:29


[(삼성/조현렬) NBL 수출잠정치]

[NBL 수출총액]
√ 2023년 11월: 38백만달러
√ 2023년 12월: 31백만달러
√ 2024년 1월: 37백만달러
√ 2024년 2월: 42백만달러
√ 2024년 3월: 40백만달러
√ 2024년 4월: 55백만달러
√ 2024년 5월: 48백만달러
√ 2024년 6월: 57백만달러
√ 2024년 7월: 61백만달러
√ 2024년 8월: 70백만달러
√ 2024년 9월: 62백만달러
√ 2024년 10월: 60백만달러
√ 2024년 11월(1~20일): 31백만달러

[NBL 수출중량]
√ 2023년 11월: 52,700톤
√ 2023년 12월: 43,215톤
√ 2024년 1월: 51,923톤
√ 2024년 2월: 57,346톤
√ 2024년 3월: 50,391톤
√ 2024년 4월: 65,450톤
√ 2024년 5월: 55,290톤
√ 2024년 6월: 67,101톤
√ 2024년 7월: 70,592톤
√ 2024년 8월: 79,417톤
√ 2024년 9월: 71,562톤
√ 2024년 10월: 69,158톤
√ 2024년 11월(1~20일): 35,632톤

[NBL 스프레드(스팟)]
√ 2023년 11월: 298달러
√ 2023년 12월: 314달러
√ 2024년 1월: 272달러
√ 2024년 2월: 259달러
√ 2024년 3월: 242달러
√ 2024년 4월: 281달러
√ 2024년 5월: 320달러
√ 2024년 6월: 273달러
√ 2024년 7월: 278달러
√ 2024년 8월: 314달러
√ 2024년 9월: 294달러
√ 2024년 10월: 301달러
√ 2023년 11월(1~20일): 386달러

[NBL 수출중량(주간)]
√ 8/11~20일: 27,068톤
√ 8/21~31일: 22,083톤
√ 9/1~10일: 19,884톤
√ 9/11~20일: 19,533톤
√ 9/21~31일: 32,145톤
√ 10/1~10일: 16,293톤
√ 10/11~20일: 22,795톤
√ 10/21~31일: 30,070톤
√ 11/1~10일: 13,883톤
√ 11/11~20일: 21,749톤

[NBL 스프레드(스팟/주간)]
√ 8/11~20일: 324달러
√ 8/21~31일: 323달러
√ 9/1~10일: 315달러
√ 9/11~20일: 310달러
√ 9/21~31일: 272달러
√ 10/1~10일: 297달러
√ 10/11~20일: 297달러
√ 10/21~31일: 315달러
√ 11/1~10일: 376달러
√ 11/11~20일: 421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Nov, 23:14


[(삼성/조현렬) 11/21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2.8달러(Flat DoD)
√ WTI 원유: 70.1달러(+1.8%DoD)
√ 브렌트 원유: 75.2달러(+1.0%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1달러(-0.4%DoD)
√ 등유: 90.1달러(+0.3%DoD)
√ 디젤: 89.9달러(+0.2%DoD)
√ 벙커-C: 70.6달러(-1.1%DoD)
√ 나프타: 69.6달러(+0.6%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3달러(-0.3달러DoD)
√ 등유: 17.3달러(+0.3달러DoD)
√ 디젤: 17.1달러(+0.2달러DoD)
√ 벙커-C: -2.2달러(-0.8달러DoD)
√ 나프타: -3.3달러(+0.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5달러(-0.3달러DoD)
√ 등유: 16.6달러(+0.2달러DoD)
√ 디젤: 16.3달러(+0.2달러DoD)
√ 벙커-C: -3달러(-0.8달러DoD)
√ 나프타: -4달러(+0.4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Nov, 22:59


[(삼성/조현렬) 11/21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톨루엔(+1.0%), 카프로락탐(+0.7%).
주요 하락제품은 AA(-2.4%), VAM(-1.4%), MEG(-0.9%).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2.7달러(-0.8%DoD)
√ 나프타: 645달러(+0.6%DoD)
√ 싱가폴 정제마진: 5.97달러(+0.3%DoD)

[올레핀]
√ 에틸렌: 865달러(Flat DoD)
√ HDPE: 910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36달러(-0.9%DoD)
√ 프로필렌: 795달러(-0.6%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09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01달러(+0.6%DoD)
√ SM: 1,017달러(-0.1%DoD)
√ 톨루엔: 716달러(+1.0%DoD)
√ 자일렌: 727달러(-0.5%DoD)
√ PX: 804달러(+0.2%DoD)
√ PTA: 632달러(+0.2%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510달러(+0.7%WoW)
√ AA: 415달러(-2.4%WoW)
√ VAM: 730달러(-1.4%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20달러(-1.7%DoD)
√ HDPE: 265달러(-1.4%DoD)
√ LDPE: 475달러(-0.8%DoD)
√ LLDPE: 295달러(-1.3%DoD)
√ MEG: 149달러(-4.6%DoD)
√ PP: 245달러(-1.5%DoD)
√ 부타디엔: 445달러(-0.8%DoD)
√ 벤젠: 256달러(+0.5%DoD)
√ PX: 159달러(-1.1%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7달러(+0.6%DoD)
√ HDPE: 252달러(+0.5%DoD)
√ LDPE: 462달러(+0.3%DoD)
√ LLDPE: 282달러(+0.4%DoD)
√ MEG: 141달러(-2.9%DoD)
√ PP: 232달러(+0.5%DoD)
√ 부타디엔: 432달러(+0.3%DoD)
√ 벤젠: 243달러(+2.6%DoD)
√ PX: 146달러(+2.3%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Nov, 11:4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00862?sid=101

SKC의 반도체 유리기판 계열사 앱솔릭스가 미국 정부로부터 1억달러(약 1400억원)에 달하는 연구개발(R&D) 보조금을 받는다. 앱솔릭스는 지난 5월 전 세계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 중 최초로 반도체지원법(Chips Act)상 생산 지원보조금 7500만달러(약 1000억원)를 받은 데 이어, 이번에 R&D보조금까지 받게 된 것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지원법상 국가 첨단 패키징 제조 프로그램(NAPMP)의 유리기판 분야 대상자로 앱솔릭스 컨소시엄을 선정해 1억달러를 지급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앱솔릭스가 이끄는 컨소시엄에는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를 이끌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이 다수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앱솔릭스는 기술경쟁력을 입증한 동시에 미국 내 사업확장에 속도가 붙게 됐다. 특히 앱솔릭스의 반도체 유리기판 R&D는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의 'AI반도체 동맹'과 시너지효과도 기대된다.

앱솔릭스는 컨소시엄을 이끌며 유리기판 제품 R&D 주도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향후 앱솔릭스 고객 맞춤형 제품 양산 계획도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미 반도체지원법상 NAPMP는 반도체 소재·부품 분야 첨단기술 개발을 위한 미국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지원금이다. NAPMP는 반도체 분야 첨단 패키징을 위한 신기술 개발에 최대 30억달러(약 4조1820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유리기판을 포함해 차세대 기판 분야에는 약 4184억원의 지원금이 투입된다. 이 중 3분의 1의 보조금을 앱솔릭스에서 확보한 셈이다.

특히 유리기판이 반도체 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부품으로 불리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이번 보조금 지급을 통해 앱솔릭스를 유리기판 분야 선두 주자로 평가했다고 볼 수 있다. 앱솔릭스는 생산과 연구개발 분야에서 모두 미국 보조금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SKC는 2021년 유리기판 사업 추진을 공표한 이후 앱솔릭스를 설립하고 꾸준히 상업화를 준비해왔다. 올해 상반기에는 연산 1만2000㎡ 규모의 제1공장을 완공하고 내년 말 양산을 목표로 시제품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에는 연산 수만 ㎡ 규모의 제2공장 건설도 추진 중이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Nov, 06:12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11/14-11/20)]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183N 사양에 대한 다운스트림 수요 강화로 밸류체인 가격 지지.

■ 폴리실리콘 (4.480달러/kg): WoW 하락(-0.4%).
잉곳 업체 보유 재고 줄이기 위해 구매 계획 연기하며 보합.

■ 웨이퍼 (0.078달러): WoW Flat(+0.0%).
멀티 웨이퍼는 보합.
모노 웨이퍼도 183N 웨이퍼 재고 감소 가속화로 보합(+0.0%WoW).
반면 잉곳업체 수요 감소로 210 웨이퍼는 공급 과잉.

■ 셀 (0.030달러/Watt): WoW Flat(+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183N 셀 수요 급증으로 가격 지지되며 보합(+0.0%WoW).
다만 210N 셀은 생산량 증대로 공급 과잉 심화.

■ 모듈 (0.077달러/Watt): WoW Flat(+0.0%).
멀티 모듈은 보합.
모노 모듈은 183N 모듈 수요 일시 증가하며 보합(+0.0%WoW).
겨울철 계절적 비수기로 생산량 지속 감축 전망.

[1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7.78달러(-2.7%QoQ)
√ 웨이퍼: 0.13달러(-14.6%QoQ)
√ 셀: 0.05달러(-14.5%QoQ)
√ 모듈: 0.10달러(-14.2%QoQ)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0달러(-13.4%QoQ)
√ 웨이퍼: 0.078달러(-13.5%QoQ)
√ 셀: 0.030달러(-13.2%QoQ)
√ 모듈: 0.077달러(-8.1%QoQ)

[4QTD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48달러(+3.6%QoQ)
√ 웨이퍼: 0.078달러(-3.5%QoQ)
√ 셀: 0.030달러(-3.9%QoQ)
√ 모듈: 0.077달러(-7.9%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11/13일 기준)]
√ Mono PERC (India): 0.095달러(Flat WoW)
√ Mono TOPCon (India): 0.095달러(Flat WoW)
√ Mono PERC (US): 0.270달러(-3.6%WoW)
√ Mono TOPCon (US): 0.270달러(-3.6%WoW)
√ Mono PERC (EU): 0.100달러(-4.8%WoW)
√ Mono TOPCon (EU): 0.100달러(-4.8%WoW)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0 Nov, 23:43


[(삼성/조현렬) 롯데케미칼, 사채권자 집회 소집]

보고서: <bit.ly/4hVOYIi>


■ 사채권자 집회 소집이 갖는 의미는?

11/21일 동사는 사채권자 집회 소집 통해
회사채 재무약정 완화 추진 계획.

다만 회사의 재무적 관점에서
중대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


■ 재무약정 완화 배경은?

동사는 과거 회사채 발행 과정에서
이익창출능력을 담보로 한 약정을 포함.
다만 최근 이익 급락 및 투자 확대로
약정 위반 발생.

(LINE 프로젝트 5.2조원 및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인수 2.7조원)
현재 동사의 순차입금이 7.2조원인 점을 감안 시,
해당 투자만 없더라도 현 시점 순현금 포지션 예상.


■ EBITDA/이자비용, 2021년 28배 →2024년 1배

회사채 발행 과정에서 책정한
EBITDA/이자비용은 5배 이상 유지.
이는 21년 27.8배에서 24년 1.1배로 급락 예상.
26년 6.4배까지 회복 기대.



■ 과거 사례 감안 시, 리스크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

과거 사례 감안 시,
(대한항공, 두산중공업, 한진중공업, 한국항공우주 등)
재무약정 완화를 통해 해당 문제를
해결한 바 있기에,
금번에도 사채권자 동의 확보될 경우,
재무 리스크 확대는 제한적
일 것으로 판단.


■ View, 실적 회복과 Asset Light 확대가 필요

최근 재무 리스크 고조 우려에 따른
투자심리 훼손을 감안,
Target P/B(0.32→0.26배) 및
목표주가(11→9만원) 추가 하향.

다만 12MF P/B가 0.2배까지 급락한 점과
유동성 리스크 확대 가능성이 낮은 점을 감안,
BUY 투자의견 유지.
향후 투자 심리 회복을 위해서는
단기적 실적 회복 (EBITDA margin:
2024년 2.4%→2025년 8.3% 예상)

중장기적 석유화학 설비 축소 중심의
자산 경량화(Asset Light) 확대가 필요
할 전망.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0 Nov, 23:06


[(삼성/조현렬) 11/20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2.8달러(+0.8%DoD)
√ WTI 원유: 68.9달러(-0.7%DoD)
√ 브렌트 원유: 74.4달러(+0.6%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4달러(+0.8%DoD)
√ 등유: 89.9달러(-0.2%DoD)
√ 디젤: 89.7달러(-0.2%DoD)
√ 벙커-C: 71.4달러(+1.0%DoD)
√ 나프타: 69.1달러(+1.6%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6달러(+0.1달러DoD)
√ 등유: 17.1달러(-0.7달러DoD)
√ 디젤: 16.9달러(-0.7달러DoD)
√ 벙커-C: -1.4달러(+0.1달러DoD)
√ 나프타: -3.7달러(+0.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9달러(+1.3달러DoD)
√ 등유: 16.3달러(+0.5달러DoD)
√ 디젤: 16.2달러(+0.5달러DoD)
√ 벙커-C: -2.1달러(+1.3달러DoD)
√ 나프타: -4.4달러(+1.7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0 Nov, 22:57


[(삼성/조현렬) 11/20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강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자일렌(+1.5%), 벤젠(+0.9%), PX(+0.8%).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3달러(+1.3%DoD)
√ 나프타: 641달러(+1.6%DoD)
√ 싱가폴 정제마진: 6.1달러(-0.2%DoD)

[올레핀]
√ 에틸렌: 865달러(Flat DoD)
√ HDPE: 910달러(Flat DoD)
√ LDPE: 1,120달러(Flat DoD)
√ LLDPE: 940달러(Flat DoD)
√ MEG: 541달러(+0.6%DoD)
√ 프로필렌: 80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09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96달러(+0.9%DoD)
√ SM: 1,018달러(+0.2%DoD)
√ 톨루엔: 709달러(+0.4%DoD)
√ 자일렌: 730달러(+1.5%DoD)
√ PX: 802달러(+0.8%DoD)
√ PTA: 631달러(+0.6%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60달러(Flat WoW)
√ PET: 795달러(Flat WoW)
√ PS: 1,255달러(Flat WoW)
√ ABS: 1,41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24달러(-4.3%DoD)
√ HDPE: 269달러(-3.6%DoD)
√ LDPE: 479달러(-2.0%DoD)
√ LLDPE: 299달러(-3.2%DoD)
√ MEG: 156달러(-1.9%DoD)
√ PP: 249달러(-3.9%DoD)
√ 부타디엔: 449달러(-2.2%DoD)
√ 벤젠: 255달러(-0.8%DoD)
√ PX: 161달러(-2.4%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6달러(+1.8%DoD)
√ HDPE: 251달러(+1.5%DoD)
√ LDPE: 461달러(+0.8%DoD)
√ LLDPE: 281달러(+1.3%DoD)
√ MEG: 146달러(+3.7%DoD)
√ PP: 231달러(+1.6%DoD)
√ 부타디엔: 431달러(+0.8%DoD)
√ 벤젠: 237달러(+5.2%DoD)
√ PX: 143달러(+7.2%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0 Nov, 08:21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12080184

최근 롯데그룹 재무 위기 루머 역시 3분기의 부진한 실적과 회사채 연쇄 디폴트 우려에 기반한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다만 사채권자 동의를 얻어 일시적 적용유예(Waiver)를 받거나 위반 사항을 치유하면 문제는 해결된다. 주요 채권자와 금융사, 정부 당국이 모여 롯데케미칼 디폴트 위기 해소를 위해 논의했고 웨이버를 해주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이 부진하고 EBITDA를 많이 내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재무약정에서 EBITDA 관련 내용을 삭제하는 안이 표결에 올라올 것이란 예상도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6월 미즈호은행으로부터 빌린 장기차입금 관련 재무약정(순금융부채/EBITDA 400% 이하, EBITDA/이자비용 5배 이상 유지)을 충족하지 못했으나 7월말 웨이버를 받은 바 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일부 사채에 재무약정 위반 상황이 벌어진 것은 맞지만 롯데그룹이 당장 위험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롯데그룹과 당국이 재무약정 위반에 대응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했고 큰 문제 없이 웨이버를 받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Nov, 23:11


[(삼성/조현렬) 11/19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2.3달러(+2.5%DoD)
√ WTI 원유: 69.4달러(+0.3%DoD)
√ 브렌트 원유: 74달러(-0.7%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7달러(+1.5%DoD)
√ 등유: 90달러(+2.9%DoD)
√ 디젤: 89.9달러(+3.1%DoD)
√ 벙커-C: 70.7달러(+1.5%DoD)
√ 나프타: 68달러(+2.5%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4달러(-0.5달러DoD)
√ 등유: 17.8달러(+0.8달러DoD)
√ 디젤: 17.6달러(+0.9달러DoD)
√ 벙커-C: -1.6달러(-0.7달러DoD)
√ 나프타: -4.2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0.5달러(+1.3달러DoD)
√ 등유: 15.8달러(+2.5달러DoD)
√ 디젤: 15.7달러(+2.7달러DoD)
√ 벙커-C: -3.5달러(+1.0달러DoD)
√ 나프타: -6.2달러(+1.6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9 Nov, 22:59


[(삼성/조현렬) 11/19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하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톨루엔(+2.9%), 벤젠(+2.0%), SM(+1.3%).
주요 하락제품은 아세톤(-2.9%), LLDPE(-1.1%), LDPE(-0.9%), 부타디엔(-0.9%).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2.3달러(+1.7%DoD)
√ 나프타: 631달러(+2.4%DoD)
√ 싱가폴 정제마진: 5.73달러(-0.2%DoD)

[올레핀]
√ 에틸렌: 865달러(Flat DoD)
√ HDPE: 910달러(-0.5%DoD)
√ LDPE: 1,120달러(-0.9%DoD)
√ LLDPE: 940달러(-1.1%DoD)
√ MEG: 538달러(+0.6%DoD)
√ 프로필렌: 80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090달러(-0.9%DoD)

[아로마틱]
√ 벤젠: 888달러(+2.0%DoD)
√ SM: 1,016달러(+1.3%DoD)
√ 톨루엔: 706달러(+2.9%DoD)
√ 자일렌: 719달러(+0.7%DoD)
√ PX: 796달러(+1.1%DoD)
√ PTA: 627달러(+1.0%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AN: 1,200달러(+0.8%WoW)
√ 가성소다: 465달러(Flat WoW)
√ 페놀: 890달러(Flat WoW)
√ 아세톤: 665달러(-2.9%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34달러(-5.9%DoD)
√ HDPE: 279달러(-6.6%DoD)
√ LDPE: 489달러(-4.8%DoD)
√ LLDPE: 309달러(-7.4%DoD)
√ MEG: 159달러(-3.5%DoD)
√ PP: 259달러(-5.3%DoD)
√ 부타디엔: 459달러(-5.1%DoD)
√ 벤젠: 257달러(+1.2%DoD)
√ PX: 165달러(-3.5%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3달러(-0.6%DoD)
√ HDPE: 248달러(-2.5%DoD)
√ LDPE: 458달러(-2.4%DoD)
√ LLDPE: 278달러(-3.9%DoD)
√ MEG: 141달러(+1.6%DoD)
√ PP: 228달러(-0.5%DoD)
√ 부타디엔: 428달러(-2.6%DoD)
√ 벤젠: 226달러(+7.9%DoD)
√ PX: 134달러(+5.9%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5 Nov, 05:59


https://naver.me/5EUbmI4Y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5 Nov, 04:30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pinned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2025년 정유/화학 및 2차전지 전망을 발간하였습니다. 정유/화학에선 최근 공급 동향과 트럼프 2.0 영향을, 2차전지에선 셀 3사의 고객사 동향/전략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미나 문의는 저나 저희 법인담당자에게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유/화학 전망: 조현렬 애널리스트 - 2차전지 전망 Part 1/3: 장정훈 애널리스트 - 2차전지 전망 Part 2: 조현렬 애널리스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5 Nov, 04:15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11/7-11/13)]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전 부문 감산 노력 가운데 업스트림 하락세 지속.

■ 폴리실리콘 (4.500달러/kg): WoW 하락(-1.8%).
감산 노력에도 공급 과잉 상태 지속되며 하락.
11월 공급량은 12~13만톤(-7~8%MoM) 예상.

■ 웨이퍼 (0.078달러): WoW 하락(-2.5%).
멀티 웨이퍼는 하락.
모노 웨이퍼도 재고 소진 위한 할인 정책으로 하락(-1.0%WoW).
11월 44~45GW(-9~10%MoM) 생산 목표로, 감산 진행되며 수급 밸런스 개선 중.

■ 셀 (0.030달러/Watt): WoW Flat(+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수급 밸런스 유지되며 보합(+0.0%WoW).

■ 모듈 (0.077달러/Watt): WoW Flat(+0.0%).
멀티 모듈은 보합.
모노 모듈은 감산으로 가격 지지되며 보합(+0.0%WoW).
최근 미 대선 결과로 IRA에 따른 ITC, PTC 보조금 불확실성 고조되나,
일부 주의 RPS 제도가 이를 일부 완화 가능.

[1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7.78달러(-2.7%QoQ)
√ 웨이퍼: 0.13달러(-14.6%QoQ)
√ 셀: 0.05달러(-14.5%QoQ)
√ 모듈: 0.10달러(-14.2%QoQ)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0달러(-13.4%QoQ)
√ 웨이퍼: 0.078달러(-13.5%QoQ)
√ 셀: 0.030달러(-13.2%QoQ)
√ 모듈: 0.077달러(-8.1%QoQ)

[4QTD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8달러(+3.9%QoQ)
√ 웨이퍼: 0.080달러(-3.0%QoQ)
√ 셀: 0.030달러(-3.7%QoQ)
√ 모듈: 0.077달러(-7.8%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11/13일 기준)]
√ Mono PERC (India): 0.095달러(Flat WoW)
√ Mono TOPCon (India): 0.095달러(Flat WoW)
√ Mono PERC (US): 0.270달러(-3.6%WoW)
√ Mono TOPCon (US): 0.270달러(-3.6%WoW)
√ Mono PERC (EU): 0.100달러(-4.8%WoW)
√ Mono TOPCon (EU): 0.100달러(-4.8%WoW)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5 Nov, 00:13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2025년 정유/화학 및 2차전지 전망을 발간하였습니다.

정유/화학에선 최근 공급 동향과 트럼프 2.0 영향을,
2차전지에선 셀 3사의 고객사 동향/전략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미나 문의는 저나 저희 법인담당자에게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유/화학 전망: 조현렬 애널리스트
- 2차전지 전망 Part 1/3: 장정훈 애널리스트
- 2차전지 전망 Part 2: 조현렬 애널리스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4 Nov, 22:51


[(삼성/조현렬) 11/14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1.4달러(+0.4%DoD)
√ WTI 원유: 68.7달러(+0.4%DoD)
√ 브렌트 원유: 73.3달러(-0.3%DoD)

[정유제품]
√ 가솔린: 82.5달러(+0.2%DoD)
√ 등유: 88.3달러(+0.8%DoD)
√ 디젤: 87.8달러(+0.5%DoD)
√ 벙커-C: 71.9달러(+2.1%DoD)
√ 나프타: 67.7달러(-1.2%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1달러(-0.1달러DoD)
√ 등유: 16.9달러(+0.4달러DoD)
√ 디젤: 16.4달러(+0.2달러DoD)
√ 벙커-C: 0.5달러(+1.2달러DoD)
√ 나프타: -3.7달러(-1.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8.2달러(+3.5달러DoD)
√ 등유: 14달러(+4.0달러DoD)
√ 디젤: 13.5달러(+3.8달러DoD)
√ 벙커-C: -2.4달러(+4.8달러DoD)
√ 나프타: -6.6달러(+2.5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4 Nov, 22:39


[(삼성/조현렬) 11/14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없음.
주요 하락제품은 부타디엔(-2.5%), AA(-2.3%), VAM(-2.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2달러(-0.1%DoD)
√ 나프타: 630달러(-0.9%DoD)
√ 싱가폴 정제마진: 5.73달러(Flat DoD)

[올레핀]
√ 에틸렌: 865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50달러(Flat DoD)
√ MEG: 538달러(-0.7%DoD)
√ 프로필렌: 81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190달러(-2.5%DoD)

[아로마틱]
√ 벤젠: 865달러(-0.1%DoD)
√ SM: 1,004달러(-0.7%DoD)
√ 톨루엔: 690달러(-0.9%DoD)
√ 자일렌: 718달러(-1.0%DoD)
√ PX: 792달러(-0.9%DoD)
√ PTA: 625달러(-0.6%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500달러(-0.7%WoW)
√ AA: 425달러(-2.3%WoW)
√ VAM: 740달러(-2.0%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235달러(+2.5%DoD)
√ HDPE: 285달러(+2.1%DoD)
√ LDPE: 510달러(+1.1%DoD)
√ LLDPE: 320달러(+1.8%DoD)
√ MEG: 160달러(-0.3%DoD)
√ PP: 260달러(+2.3%DoD)
√ 부타디엔: 560달러(-4.1%DoD)
√ 벤젠: 235달러(+2.1%DoD)
√ PX: 162달러(-0.8%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69달러(+1.8%DoD)
√ HDPE: 219달러(+1.4%DoD)
√ LDPE: 444달러(+0.7%DoD)
√ LLDPE: 254달러(+1.2%DoD)
√ MEG: 120달러(-1.8%DoD)
√ PP: 194달러(+1.6%DoD)
√ 부타디엔: 494달러(-5.2%DoD)
√ 벤젠: 169달러(+1.2%DoD)
√ PX: 95.8달러(-4.0%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4 Nov, 21:33


https://naver.me/FzS7FN59

보도에 따르면 석유·가스회사 '콘티넨털 리소스즈' 창립자인 해럴드 햄과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가 이끄는 에너지정책팀이 IRA 세액공제 폐지를 논의하고 있다.

소식통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감세 공약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려면 전기차 세액공제를 폐지해 예산을 절약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최대 전기차 판매업체인 테슬라 측은 정권인수팀에 보조금 폐지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4 Nov, 12:15


2025년 2차전지 전망에 대한 핵심 차트 공유 드립니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4 Nov, 10:51


2025년 정유/화학 전망에 대한 핵심 차트 공유 드립니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1 Nov, 03:59


[(삼성/조현렬) 태양광 전지 수출잠정치]

[태양광 전지 수출총액]
√ 2023년 11월: 39백만달러
√ 2023년 12월: 34백만달러
√ 2024년 1월: 32백만달러
√ 2024년 2월: 7백만달러
√ 2024년 3월: 12백만달러
√ 2024년 4월: 2백만달러
√ 2024년 5월: 2백만달러
√ 2024년 6월: 11백만달러
√ 2024년 7월: 31백만달러
√ 2024년 8월: 12백만달러
√ 2024년 9월: 6백만달러
√ 2024년 10월: 5백만달러
√ 2024년 11월(1~10일): 2백만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
√ 2023년 11월: 10,910톤
√ 2023년 12월: 8,857톤
√ 2024년 1월: 7,363톤
√ 2024년 2월: 1,604톤
√ 2024년 3월: 2,802톤
√ 2024년 4월: 484톤
√ 2024년 5월: 513톤
√ 2024년 6월: 2,430톤
√ 2024년 7월: 6,403톤
√ 2024년 8월: 2,298톤
√ 2024년 9월: 1,127톤
√ 2024년 10월: 1,293톤
√ 2024년 11월(1~10일): 458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
√ 2023년 11월: 3.5달러
√ 2023년 12월: 3.8달러
√ 2024년 1월: 4.3달러
√ 2024년 2월: 4.2달러
√ 2024년 3월: 4.3달러
√ 2024년 4월: 4.9달러
√ 2024년 5월: 3.8달러
√ 2024년 6월: 4.6달러
√ 2024년 7월: 4.9달러
√ 2024년 8월: 5.1달러
√ 2024년 9월: 5.4달러
√ 2024년 10월: 3.7달러
√ 2024년 11월(1~10일): 3.7 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주간)]
√ 8/1~10일: 2,075톤
√ 8/11~20일: 47톤
√ 8/21~31일: 176톤
√ 9/1~10일: 284톤
√ 9/11~20일: 201톤
√ 9/21~31일: 641톤
√ 10/1~10일: 380톤
√ 10/11~20일: 549톤
√ 10/21~31일: 364톤
√ 11/1~10일: 458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주간)]
√ 8/1~10일: 5.1달러
√ 8/11~20일: 2.8달러
√ 8/21~31일: 5.1달러
√ 9/1~10일: 5.6달러
√ 9/11~20일: 5.6달러
√ 9/21~31일: 5.3달러
√ 10/1~10일: 4.7달러
√ 10/11~20일: 3.6달러
√ 10/21~31일: 2.8달러
√ 11/1~10일: 3.7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1 Nov, 03:51


[(삼성/조현렬) NBL 수출잠정치]

[NBL 수출총액]
√ 2023년 11월: 38백만달러
√ 2023년 12월: 31백만달러
√ 2024년 1월: 37백만달러
√ 2024년 2월: 42백만달러
√ 2024년 3월: 40백만달러
√ 2024년 4월: 55백만달러
√ 2024년 5월: 48백만달러
√ 2024년 6월: 57백만달러
√ 2024년 7월: 61백만달러
√ 2024년 8월: 70백만달러
√ 2024년 9월: 62백만달러
√ 2024년 10월: 60백만달러
√ 2024년 11월(1~10일): 12백만달러

[NBL 수출중량]
√ 2023년 11월: 52,700톤
√ 2023년 12월: 43,215톤
√ 2024년 1월: 51,923톤
√ 2024년 2월: 57,346톤
√ 2024년 3월: 50,391톤
√ 2024년 4월: 65,450톤
√ 2024년 5월: 55,290톤
√ 2024년 6월: 67,101톤
√ 2024년 7월: 70,592톤
√ 2024년 8월: 79,417톤
√ 2024년 9월: 71,562톤
√ 2024년 10월: 69,158톤
√ 2024년 11월(1~10일): 13,883톤

[NBL 스프레드(스팟)]
√ 2023년 11월: 298달러
√ 2023년 12월: 314달러
√ 2024년 1월: 272달러
√ 2024년 2월: 259달러
√ 2024년 3월: 242달러
√ 2024년 4월: 281달러
√ 2024년 5월: 320달러
√ 2024년 6월: 273달러
√ 2024년 7월: 278달러
√ 2024년 8월: 314달러
√ 2024년 9월: 294달러
√ 2024년 10월: 301달러
√ 2024년 11월(1~10일): 376달러

[NBL 수출중량(주간)]
√ 8/1~10일: 30,267톤
√ 8/11~20일: 27,068톤
√ 8/21~31일: 22,083톤
√ 9/1~10일: 19,884톤
√ 9/11~20일: 19,533톤
√ 9/21~31일: 32,145톤
√ 10/1~10일: 16,293톤
√ 10/11~20일: 22,795톤
√ 10/21~31일: 30,070톤
√ 11/1~10일: 13,883톤

[NBL 스프레드(스팟/주간)]
√ 8/1~10일: 290달러
√ 8/11~20일: 324달러
√ 8/21~31일: 323달러
√ 9/1~10일: 315달러
√ 9/11~20일: 310달러
√ 9/21~31일: 272달러
√ 10/1~10일: 297달러
√ 10/11~20일: 297달러
√ 10/21~31일: 316달러
√ 11/1~10일: 376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1 Nov, 02:11


[(삼성/조현렬) 11/4-11/8 Weekly 화학]

자료: <bit.ly/40F8Bhs>

■ 나프타 하락 하에 제품 가격 약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천연고무(+3.8%), 에틸렌(+2.3%), MEG(+1.5%).
주요 하락제품은 부타디엔(-8.4%), 벤젠(-3.2%), 톨루엔(-2.7%).

■ Feedstock:
두바이 유가는 보합(+0.5%)
나프타는 하락(-2.0%)
싱가폴 정제마진은 하락(-0.9달러).

■ Olefin:
에틸렌(+2.3%)은 12월 화물 거래 논의 활성화로 상승.
PE(-0.2%)는 보합.
PVC는 보합.
MEG(+1.5%)는 역내 폴리에스터 가동률 증가 및 재고 감소에 따른 12월 오퍼가 강세로 상승.
프로필렌(-0.6%)은 역내 높은 재고 수준 및 동남아 발 공급 증가로 하락.
PP는 보합.
부타디엔(-8.4%)은 역내 12월 현물 공급 급증으로 하락.
SBR(-1.0%)은 원료가(부타디엔) 및 트럼프 후보 당선에 따른 중국 고무 선물가 약세로 하락.
천연고무(+3.8%)는 상승.

■ Aromatic:
벤젠(-3.2%)은 12월 화물 거래 중 낮은 오퍼가 지속 유입되며 하락.
SM(-1.4%)은 중국 동부 재고 상승 및 11월 말 공급 증가 전망에 하락.
ABS 및 PS는 보합.
톨루엔(-2.7%)은 트럼프 후보 당선에 따른 방향족 전반 약세로 하락.
자일렌(-0.1%)은 보합.
PX(-1.5%)는 재고 증가세 지속 및 다운스트림 폴리에스터 수요 부진으로 하락.
PTA 및 PET는 보합.

■ 기타:
가성소다는 보합.
메탄올은 보합.
페놀(-1.1%) 및 아세톤(-0.7%)은 중국 수입 및 생산 증가에 따른 가격 약세 반영하며 하락.
AA 및 VAM은 보합.
MDI, TDI, PO, ECH는 미고지.

■ 재고수준(중국):
SM(+5.5%)은 상승.
자일렌(-11.5%) 및 톨루엔(-5.0%)은 하락.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1 Nov, 00:38


[(삼성/조현렬) LGES, SpaceX 공급 관련]

보고서: bit.ly/48I65sS


■ News, LGES SpaceX 공급 관련

11일 국내 언론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이 SpaceX에
배터리 공급 계획이 보도.

차세대 우주선인 Starship에
보조 동력 배터리/전력 공급 배터리
납품 의뢰를 받아 개발 중이라고 보도.


■ Details, 이미 수년전부터 공급 중

동사의 SpaceX향 공급은
이미 수년전부터 진행 중.

이에 따라 차세대 우주선에도 공급 예상.
2170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 중이며,
기존 Tesla와의 협력 관계가
SpaceX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


■ 우주선 1대당 배터리 탑재량은?

SpaceX 우주선 1대당 탑재되는 배터리 용량 또는
동사가 SpaceX향 공급하는 배터리 용량은
확인 불가.
다만 일론 머스크의 인터뷰와
최근 Starship 관련 논문에 따르면,
보조 동력용 배터리는 400kWh,
전력 공급용 배터리는 600kWh로 추정.
즉, 1대당 총 1MWh의 배터리 탑재 예상.


■ LGES의 예상 판매량은?

올해 4월 인터뷰에 따르면,
SpaceX가 텍사스에 신설 중인 공장에서
1주일에 3대(연간 156대) 양산 목표.
이 경우 LGES가 연간 0.2GWh의 판매
가능.
궁극적으로 연간 1,000대 양산 목표하지만,
목표 달성 시점은 미정.
가능해질 경우 연간 1.0GWh의 판매 가능
(2024년 판매량 대비 0.6%).


■ View, 모멘텀 관점에서 이해 가능

궁극적인 Starship 생산량 달성 후에도
매출 비중 1% 미만이며,
기존 EV용 스펙과 유사해 수익성 기여도 제한적.
다만 트럼프 재집권 이후
일론 머스크의 영향력 확대 과정에서
SpaceX 공급 재조명은 모멘텀 관점에서 이해 가능.

중장기 관점에선 EV 외 적용처 확장은 긍정적.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0 Nov, 23:07


[(삼성/조현렬) 11/8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8달러(-0.3%DoD)
√ WTI 원유: 70.4달러(-2.7%DoD)
√ 브렌트 원유: 74.1달러(-2.1%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8달러(+0.8%DoD)
√ 등유: 90.4달러(+0.2%DoD)
√ 디젤: 90달러(+0.1%DoD)
√ 벙커-C: 71.7달러(-0.3%DoD)
√ 나프타: 71.7달러(-0.9%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달러(+0.8달러DoD)
√ 등유: 16.5달러(+0.4달러DoD)
√ 디젤: 16.1달러(+0.2달러DoD)
√ 벙커-C: -2.2달러(Flat DoD)
√ 나프타: -2.1달러(-0.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8.4달러(+2.2달러DoD)
√ 등유: 12.9달러(+1.8달러DoD)
√ 디젤: 12.5달러(+1.6달러DoD)
√ 벙커-C: -5.8달러(+1.3달러DoD)
√ 나프타: -5.7달러(+0.9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0 Nov, 22:56


[(삼성/조현렬) 11/8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자일렌(+0.6%).
주요 하락제품은 부타디엔(-7.0%), SBR(-1.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8달러(-0.4%DoD)
√ 나프타: 659달러(-0.8%DoD)
√ 싱가폴 정제마진: 5.53달러(+2.2%DoD)

[올레핀]
√ 에틸렌: 850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55달러(Flat DoD)
√ MEG: 554달러(+0.4%DoD)
√ 프로필렌: 815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260달러(-7.0%DoD)

[아로마틱]
√ 벤젠: 874달러(+0.2%DoD)
√ SM: 1,015달러(-0.8%DoD)
√ 톨루엔: 710달러(-0.6%DoD)
√ 자일렌: 727달러(+0.6%DoD)
√ PX: 813달러(+0.5%DoD)
√ PTA: 638달러(+0.5%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1,930달러(-1.0%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91달러(+3.0%DoD)
√ HDPE: 256달러(+2.2%DoD)
√ LDPE: 481달러(+1.2%DoD)
√ LLDPE: 296달러(+1.9%DoD)
√ MEG: 159달러(+3.5%DoD)
√ PP: 231달러(+2.4%DoD)
√ 부타디엔: 601달러(-13.0%DoD)
√ 벤젠: 215달러(+3.6%DoD)
√ PX: 154달러(+6.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49달러(+3.4%DoD)
√ HDPE: 214달러(+2.3%DoD)
√ LDPE: 439달러(+1.1%DoD)
√ LLDPE: 254달러(+2.0%DoD)
√ MEG: 133달러(+3.8%DoD)
√ PP: 189달러(+2.6%DoD)
√ 부타디엔: 559달러(-13.9%DoD)
√ 벤젠: 173달러(+4.1%DoD)
√ PX: 112달러(+8.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10 Nov, 11:05


https://naver.me/Fmfh7j7n

우주 왕복선 '스타십'에 탑재할 배터리 내년 납품
"수명·안정성 우수"…LG, 머스크 사업 파트너로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8 Nov, 11:3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80886?sid=101

제이오는 최대주주 강득주씨가 보유한 575만주를 주당 2만 7500원, 총 1581억 2500만원에 이수페타시스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양수도 계약을 체결키로 했다고 8일 공시했다.

이날 계약금은 158억이며 나머지 1423억원은 내년 3월 7일 이수페타시스가 납입한다.

이와 함께 제이오(418550)는 시설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수페타시스를 상대로 996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신주는 1만 8259원에 발행되며 총 546만주가 발행된다. 납입일은 내년 3월 7일, 상장일은 내년 3월 17일이다.

또 이수페타시스는 420억원의 제이오 사모사채(CB)도 인수키로 했다. 전환가액은 1만 9475원이며 전환에 따라 발행되는 주식은 총 주식의 6.8%, 전환청구는 2026년 3월 7일부터 2030년 2월 7일까지다.

이에 따라 이수페타시스는 총 3000억원을 출자, 제이오를 인수하게 된다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8 Nov, 00:36


[(삼성/조현렬) LGES, 46시리즈 추가 수주]

보고서: bit.ly/3Cc1H9h


■ News, LGES Rivian 수주 체결

금일 LG에너지솔루션은 Rivian과
미국향 46시리즈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
미국 차세대 원통형 공장인
애리조나 공장에서
4695 배터리를 5년간 67GWh 공급 계획.
탑재 모델은 Rivian의 차세대 모델인 R2.



■ Rivian R2 모델 개요

Rivian은 현재 대형 SUV/픽업인
R1S 및 R1T를 양산 중이며,
올해 3월 R2(중형 SUV) 및 R3(컴팩트 SUV)
출시 계획을 발표.
특히 R2 최소 가격은 4.5만달러
로,
R1의 7.7만달러보다 크게 낮은 수준.
Rivian은 R2/R3 출시 통해
Mass segment 공략하여 판매 확대 계획.


■ LGES, 애리조나 공장 수주 50% 확보

동사는 애리조나 원통형 공장(36GWh)
신설 과정에서
1) Benz 수주 연평균 4.6GWh(28년부터 11년간 50.5GWh),
2) Rivian 수주 연평균 13.4GWh(26년부터 5년간 67GWh)
를 체결.
즉, 원통형 공장의 50% 수주를 확보.
선도 전기차업체 외에도 적극적인 발주는
완성차업체의 차세대 원통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징후.


■ View, Tier-1 입지 공고화

애리조나 공장 가동이 26년인만큼
해당 수주에 따른 12MF 실적 개선은 제한적.
다만 미국 정책 불확실성, 수요 성장 둔화 가운데,
최근 일련의 수주(르노, Benz, Ford, Rivian)는
Tier-2/3업체의 도태와
Tier-1업체의 입지 차별화를 시사.

중장기 관점에서 긍정적 영향 기대 가능.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Nov, 23:02


[(삼성/조현렬) 11/7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4달러(+1.0%DoD)
√ WTI 원유: 72.4달러(+0.9%DoD)
√ 브렌트 원유: 75.6달러(-0.5%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2달러(+0.8%DoD)
√ 등유: 90.1달러(-0.4%DoD)
√ 디젤: 89.9달러(-0.4%DoD)
√ 벙커-C: 71.9달러(-1.1%DoD)
√ 나프타: 72.4달러(+0.4%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2달러(-0.1달러DoD)
√ 등유: 16.1달러(-1.1달러DoD)
√ 디젤: 15.9달러(-1.1달러DoD)
√ 벙커-C: -2.2달러(-1.5달러DoD)
√ 나프타: -1.6달러(-0.4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6.2달러(-0.2달러DoD)
√ 등유: 11.2달러(-1.2달러DoD)
√ 디젤: 10.9달러(-1.2달러DoD)
√ 벙커-C: -7.1달러(-1.6달러DoD)
√ 나프타: -6.6달러(-0.5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Nov, 22:44


[(삼성/조현렬) 11/7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자일렌(+1.3%), PX(+1.1%), MEG(+1.1%).
주요 하락제품은 톨루엔(-0.8%), 벤젠(-0.7%), 부타디엔(-0.7%).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1달러(+0.9%DoD)
√ 나프타: 665달러(+0.4%DoD)
√ 싱가폴 정제마진: 6.35달러(+1.1%DoD)

[올레핀]
√ 에틸렌: 850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55달러(Flat DoD)
√ MEG: 552달러(+1.1%DoD)
√ 프로필렌: 815달러(-0.6%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355달러(-0.7%DoD)

[아로마틱]
√ 벤젠: 872달러(-0.7%DoD)
√ SM: 1,023달러(+0.3%DoD)
√ 톨루엔: 714달러(-0.8%DoD)
√ 자일렌: 723달러(+1.3%DoD)
√ PX: 809달러(+1.1%DoD)
√ PTA: 635달러(+1.0%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510달러(Flat WoW)
√ AA: 435달러(Flat WoW)
√ VAM: 755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86달러(-1.3%DoD)
√ HDPE: 251달러(-0.9%DoD)
√ LDPE: 476달러(-0.5%DoD)
√ LLDPE: 291달러(-0.8%DoD)
√ MEG: 153달러(+3.1%DoD)
√ PP: 226달러(-1.0%DoD)
√ 부타디엔: 691달러(-1.8%DoD)
√ 벤젠: 207달러(-4.0%DoD)
√ PX: 144달러(+4.8%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44달러(-0.3%DoD)
√ HDPE: 209달러(-0.2%DoD)
√ LDPE: 434달러(-0.1%DoD)
√ LLDPE: 249달러(-0.2%DoD)
√ MEG: 129달러(+4.6%DoD)
√ PP: 184달러(-0.3%DoD)
√ 부타디엔: 649달러(-1.6%DoD)
√ 벤젠: 166달러(-4.0%DoD)
√ PX: 103달러(+9.0%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Nov, 09:20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10/31-11/6)]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수요 부진 및 재고 축적으로 업스트림 하락

■ 폴리실리콘 (4.580달러/kg): WoW 하락(-0.4%).
가동률 및 생산량 감축에도 재고 수준 증가하며 하락.

■ 웨이퍼 (0.080달러): WoW 하락(-1.2%).
멀티 웨이퍼는 하락.
모노 웨이퍼도 일부 웨이퍼 주문 부진으로 하락(-2.8%WoW).
다만 연말이 다가오며 전반적인 셀 업체의 판매 호조로 웨이퍼 구매 증가 전망.

■ 셀 (0.030달러/Watt): WoW Flat(+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수요 부진에도 티어-1 업체 가격 상향 조정되며 보합(+0.0%WoW).

■ 모듈 (0.077달러/Watt): WoW Flat(+0.0%).
멀티 모듈은 보합.
모노 모듈은 업체 견적 인상하며 가격 교착 상태로 보합(+0.0%WoW).
최종 사용자의 수용도 고려 시 단기 보합세 전망.

[1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7.78달러(-2.7%QoQ)
√ 웨이퍼: 0.13달러(-14.6%QoQ)
√ 셀: 0.05달러(-14.5%QoQ)
√ 모듈: 0.10달러(-14.2%QoQ)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60달러(-13.4%QoQ)
√ 웨이퍼: 0.083달러(-13.5%QoQ)
√ 셀: 0.031달러(-13.2%QoQ)
√ 모듈: 0.080달러(-8.1%QoQ)

[4QTD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58달러(+4.3%QoQ)
√ 웨이퍼: 0.080달러(-2.4%QoQ)
√ 셀: 0.030달러(-3.6%QoQ)
√ 모듈: 0.077달러(-7.7%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11/6일 기준)]
√ Mono PERC (India): 0.095달러(Flat WoW)
√ Mono TOPCon (India): 0.095달러(Flat WoW)
√ Mono PERC (US): 0.280달러(Flat WoW)
√ Mono TOPCon (US): 0.280달러(Flat WoW)
√ Mono PERC (EU): 0.105달러(-4.6%WoW)
√ Mono TOPCon (EU): 0.105달러(-4.6%WoW)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7 Nov, 08:28


[(삼성/조현렬) 롯데케미칼 3Q 컨콜 Q&A]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롯데케미칼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방 시장 전망 및 수익성 개선 방안 등이 있었습니다.

보고서: http://bit.ly/4f7icCd

(Q&A)
(공통)
Q. 1H25 신규 증설 및 투자 진행 여부?

: 현재 진행 중인 투자를 모두 반영한 자금 운용 중.
: 이에 따라 1H25 투자는 차질없이 진행 예정.

Q. Capex 전망?
: 연초 수립한 투자 감축 목표에 추가로 LEMS 투자 외에는 특이사항 없음.
: 25년 1조 7천억원 수준 규모로 투자 축소 계획.
: 25년 이후 Capex 감축 수준 미정이며, 향후 재무건전성 추이 감안하여 EBITDA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감축목표 정할 예정.

Q. 실적 부진 지속되는 상황 내 전략 및 대응 방안?
: 기존 사업의 흑자전환은 시황 회복을 전제로 할 때 가능.
: 시황 회복은 1) 수요 회복과 증설의 마무리 등 수급의 개선, 2) 러-우 전쟁 이후 어려워진 러시아산 원료 접근에 기반.
: 중장기적 전략 방향으로는 재무건전성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비즈니스 사업 포트폴리오 변형.
: 여러 실적 부진의 원인이 되는 기초화학 자산에 대해서는 에셋 라이트 강력한 시행 전망.
: 내부적으로 핵심/비핵심 자산 구분했고, 경쟁력 없는 설비 등 셧다운 진행.
: 경영권을 넘기는 기준으로 딜을 진행하는 것들에 대한 자산, 라인과 같은 일부 투자 유치를 하는 하는 방향으로 재무 부담 덜어내는 자산들에 대한 기본적 계획 수립 완료.

(기초화학)
Q. 중국 에너지 효율 환경 규제 관련 설비 폐쇄 전망?

: (에틸렌)현재 중국의 규제 기준에 미달하는 설비는 에틸렌 캐파 기준으로 약 30% 수준.
: 정부는 민관 정유화학 일체화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 중.
: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 30년 이상 노후화된 설비 또는 에틸렌 공급능력 연간 30만톤 이하의 비효율적인 소규모 설비들을 스크랩,
: 2) 신규 대형 정유 석화 설비로 일체화하는 등의 구조조정,
: 3) 고도화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
: 4) 석유화학 제품 생산 효율성 증대 추진 중.
: 규제 기준 미달하는 에틸렌 설비는 캐파가 1,500만톤 수준.
: 이는 26~28년. 즉 3년간 중국의 신규 가동 물량 2천만 톤으로 충분히 대체 가능한 수준.
: 다만 중국의 추가적인 공급 증가에 대한 제약요인을 작용할 수 있기에 파급 효과는 지속 모니터링 계획.
: (폴리머)폴리머는 30년까지 PE가 약 1,200만톤, PP 약 650만톤 정도가 폐쇄 대상.
: 해당 물량은 30년 기준 중국 전체 비중 대비 PE 18%, PP 11%에 해당.

Q.에틸렌 수요/공급 순증가 전망?
: 24년 에틸렌 신증설 물량은 모두 중국에서 예정.
: 상반기에는 작년에 지연되었던 3개 업체에서 약 80만톤 규모의 소규모 증설이 진행.
: 하반기에는 420만톤의 신증설 계획되어 있었지만, 약 300만톤의 신증설 계획이 내년 초로 지연.
: 주요 글로벌 신증설 계획 중에 중동 기업들의 석유화학 통합 플랜트 증설 계획이 지속 축소 중.
: 사우디 아람코는 자국 내 화학 신규 프로젝트 건설 계획 취소 후 아시아에서의 JV 등 투자 확대 통해 아시아 수요에 대응.
: 25~28년까지 4년간 글로벌 에틸렌 증설은 약 3,300만톤으로 그 중 중동 물량은 약 600만톤.
: 향후 4년간 글로벌 에틸렌 수요는 연간 한 45%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며, 약 2천 600만톤의 수요 증가 예상.
: 그러나 공급 증가분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되며 약 80~85% 수준의 가동률 지속 유지 전망.

Q. 중국 부양책 발표 이후 시황 변화 현황 및 전망?
: 올해 중국은 몇차례 부양책 발표했는데, 상반기 인프라 설비,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이구환신 정책.
: 이외 9~10월에 금리 인하, 부동산 등 내수 중심 경기 부양 정책을 강화.
: 최근 10월 중국 제조업 지표 PMI 지수는 50% 상회.
: 크지는 않지만 긍정적 효과 있었고, PE/PP 제품 스프레드도 8~9월 대비 소폭 개선 중.
: 가처분 소득 부진 및 부동산 자산 효과 부재로 소비 심리 위축되어 있고, 과거 수준 부양정책 기대는 아직 어려운 수준.
: 추가적으로 12월 이후 추가 부양책에 대한 기대도 있기에, 경기 부양 연관 산업 제품 중심으로 24년 대비 수요 개선 기대.

Q. 라인의 마진 우위 배경?
: 라인 프로젝트는 원료 투입 최대 50%까지 LPG 투입 가능하도록 설계.
: 이러한 설비 경쟁력 바탕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중동에서 LPG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확보하며 수익성 차이 발생.
: 아울러 다운스트림인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인도네시아 내수시장 자급률은 현재 40% 수준.
: 25년 이후 라인 프로젝트 PP 공장 가동 이후에도 수급 타이트 전망되며, 수익성 긍정적 예상.

Q. 미국 트럼프 재집권 이후 아시아 석유화학 시장 영향?
: 현 시점 미국 트럼프 정권 집권의 아시아 석화시장 영향 판단은 어려움.
: 다만 시장에 알려진 그동안의 정책 기조를 보면, 화석연료 규제 완화와 에너지 생산 확대 추진은 유가 하향 안정화 초래 예상.
: 이는 정유 화학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다만 관세율 인상 등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무역 및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 끼칠 것으로 예상.

Q. 미국 MEG 생산 법인에 대한 다운스트림 전환 관련 계획?
: PRS는 에셋 라이트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했으며, LC USA에서 추가 다운스트림 투자는 고려하고 있지 않음.

(LC USA)
Q. 4Q24 및 1H25 에탄가격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여부?

: 미국 에탄 가격 전망은 작년 톤당 186불, 올해 150불 수준.
: 올해 평년 대비 높은 천연가스 재고량으로 에탄 가격은 전년 대비 낮게 형성.
: 3분기 크래커 간이 보수 이후 현재 LC USA 전 공장은 정상 가동 중.
: 현재 스프레드 상 4Q부터는 수익 개선되어 흑자전환할 것으로 예상.

Q. LC USA 설비 보수 원인 및 재발 가능성?
: 설비 보수는 크래커 콜드 박스의 기계전 결함으로 진행.
: 선제적으로 안전을 중시하기에 지속 운전보다는 벤더와 협의 후 설비 보수.
: 벤더 의견 반영 후 충분히 오랜 기간 동안 정밀 보수 했기에 재발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

(수소에너지사업)
Q. 1H25 수소 출하 센터 사업 및 수소 연료전지 발전 사업 매출 및 가이던스?

: 수소 출하센터 사업은 롯데케미칼 자회사인 롯데에어리퀴드코리아 에너하이를 통해 진행.
: 매출 약 315억원, 영업이익 90억원, OPM 약 30% 정도 전망.
: 현재 세일즈가 100% 완료되어 있기에 25년, 늦어도 26년부터는 영업이익 예상.
: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은 자회사인 롯데SK에너루트를 통해 진행.
: 1H25에는 일단 20MWh가 준공되고 상업 생산 진행 예정.

(롯데정밀화학)
Q. 롯데정밀화학 TMAC의 IT 향 고객사 확보 여부?

: 롯데정밀화학에서 생산하는 TMAC는 한덕화학에서 생산하는 TMAH(반도체 현상액)의 원료.
: 한덕화학은 롯데케미칼이 50% 지분 보유한 기업.
: TMAH는 반도체 세정제 및 디스플레이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주요 고객사는 한국의 반도체 업체들.
: 증설 등의 계획은 고객사의 증설 계획 및 인증 계획과 맞물려 진행.
: 이에 따라 TMAC 증설은 향후 확대되는 TMAH 물량에 기반.
: 고객사 확보는 기완료.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Nov, 23:11


[(삼성/조현렬) 11/6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3달러(-1.2%DoD)
√ WTI 원유: 71.7달러(-0.4%DoD)
√ 브렌트 원유: 76달러(-1%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5달러(-2.5%DoD)
√ 등유: 90.5달러(-1.0%DoD)
√ 디젤: 90.3달러(-1.0%DoD)
√ 벙커-C: 72.7달러(-1.1%DoD)
√ 나프타: 72.1달러(-1.3%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2달러(-1.3달러DoD)
√ 등유: 17.2달러(Flat DoD)
√ 디젤: 17달러(Flat DoD)
√ 벙커-C: -0.6달러(+0.1달러DoD)
√ 나프타: -1.2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6.4달러(-2.4달러DoD)
√ 등유: 12.4달러(-1.2달러DoD)
√ 디젤: 12.1달러(-1.1달러DoD)
√ 벙커-C: -5.5달러(-1.0달러DoD)
√ 나프타: -6.1달러(-1.2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6 Nov, 23:10


[(삼성/조현렬) 11/6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없음.
주요 하락제품은 벤젠(-2.6%), PX(-2.6%), PTA(-2.2%).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5달러(-1.8%DoD)
√ 나프타: 662달러(-1.3%DoD)
√ 싱가폴 정제마진: 6.74달러(+0.3%DoD)

[올레핀]
√ 에틸렌: 850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55달러(-0.5%DoD)
√ MEG: 546달러(-1.3%DoD)
√ 프로필렌: 82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365달러(-0.7%DoD)

[아로마틱]
√ 벤젠: 878달러(-2.6%DoD)
√ SM: 1,020달러(-1.1%DoD)
√ 톨루엔: 720달러(-1.4%DoD)
√ 자일렌: 714달러(-1.8%DoD)
√ PX: 800달러(-2.6%DoD)
√ PTA: 629달러(-2.2%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PVC: 760달러(Flat WoW)
√ PET: 795달러(Flat WoW)
√ PS: 1,260달러(Flat WoW)
√ ABS: 1,415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88달러(+4.7%DoD)
√ HDPE: 253달러(+3.5%DoD)
√ LDPE: 478달러(+1.8%DoD)
√ LLDPE: 293달러(+1.2%DoD)
√ MEG: 149달러(-1.3%DoD)
√ PP: 228달러(+3.9%DoD)
√ 부타디엔: 703달러(-0.2%DoD)
√ 벤젠: 216달러(-6.6%DoD)
√ PX: 138달러(-8.3%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45달러(-16.5%DoD)
√ HDPE: 210달러(-12.0%DoD)
√ LDPE: 435달러(-6.2%DoD)
√ LLDPE: 250달러(-11.8%DoD)
√ MEG: 123달러(-16.4%DoD)
√ PP: 185달러(-13.4%DoD)
√ 부타디엔: 660달러(-5.5%DoD)
√ 벤젠: 173달러(-23.2%DoD)
√ PX: 94.4달러(-34.4%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Nov, 23:10


[(삼성/조현렬) 11/5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4.2달러(+0.9%DoD)
√ WTI 원유: 72달러(+0.7%DoD)
√ 브렌트 원유: 76.8달러(+2.0%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7달러(+1.0%DoD)
√ 등유: 91.4달러(+0.8%DoD)
√ 디젤: 91.1달러(+0.4%DoD)
√ 벙커-C: 73.4달러(+1.4%DoD)
√ 나프타: 73.1달러(-0.2%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6달러(+0.2달러DoD)
√ 등유: 17.3달러(+0.1달러DoD)
√ 디젤: 17달러(-0.3달러DoD)
√ 벙커-C: -0.7달러(+0.3달러DoD)
√ 나프타: -1.1달러(-0.8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8.8달러(+0.9달러DoD)
√ 등유: 13.5달러(+0.8달러DoD)
√ 디젤: 13.3달러(+0.4달러DoD)
√ 벙커-C: -4.5달러(+1.0달러DoD)
√ 나프타: -4.8달러(-0.1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Nov, 23:01


[(삼성/조현렬) 11/5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하에 제품 가격 보합.
주요 상승제품은 MEG(+1.3%), 자일렌(+0.6%).
주요 하락제품은 페놀(-1.1%), 아세톤(-0.7%).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8달러(+0.5%DoD)
√ 나프타: 671달러(-0.1%DoD)
√ 싱가폴 정제마진: 6.17달러(Flat DoD)

[올레핀]
√ 에틸렌: 850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60달러(Flat DoD)
√ MEG: 553달러(+1.3%DoD)
√ 프로필렌: 82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375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02달러(-0.5%DoD)
√ SM: 1,031달러(+0.4%DoD)
√ 톨루엔: 730달러(Flat DoD)
√ 자일렌: 727달러(+0.6%DoD)
√ PX: 821달러(-0.1%DoD)
√ PTA: 643달러(-0.2%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AN: 1,185달러(Flat WoW)
√ 가성소다: 460달러(Flat WoW)
√ 페놀: 890달러(-1.1%WoW)
√ 아세톤: 690달러(-0.7%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79달러(+0.6%DoD)
√ HDPE: 244달러(+0.4%DoD)
√ LDPE: 469달러(+0.2%DoD)
√ LLDPE: 289달러(+0.3%DoD)
√ MEG: 151달러(+5.3%DoD)
√ PP: 219달러(+0.5%DoD)
√ 부타디엔: 704달러(+0.1%DoD)
√ 벤젠: 231달러(-1.6%DoD)
√ PX: 150달러(Flat 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73달러(-16.5%DoD)
√ HDPE: 238달러(-12.5%DoD)
√ LDPE: 463달러(-6.9%DoD)
√ LLDPE: 283달러(-10.8%DoD)
√ MEG: 147달러(-8.4%DoD)
√ PP: 213달러(-13.8%DoD)
√ 부타디엔: 698달러(-4.7%DoD)
√ 벤젠: 225달러(-14.7%DoD)
√ PX: 144달러(-19.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Nov, 07:14


[(삼성/조현렬) SKC 3Q 컨콜 Q&A]

보고서: http://bit.ly/4hxXDR4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SKC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사업 부문별 향후 전략 및 방향성 등이 있었습니다.

(Q&A)
(공통)
Q. 그룹 차원의 리밸런싱 진행 중인데, 동사 영향?

: SK그룹은 전사적 효율 극대화 위해 화학, 반도체, 2차전지 등 각 사업부에 대한 리밸런싱 진행 중.
: 동사는 그룹 리밸런싱 대상인 전 사업 분야 모두 영위하는 유일한 회사로서, 그룹의 리밸런싱 움직임에 적극 동참.
: 화학 부문의 경우, SK그룹이 화학 사업의 업/미드/다운스트팀까지 광범위한 밸류체인 보유 중.
: 이에 개별 회사 차원보다는 그룹 차원 시너지 위한 다양한 옵션 검토 중.
: 반도체 부문은 하이닉스와의 협력 통해 동사 테스트 소켓 및 글라스기판 성장 기반 구축 노력.
: 동박 부문은 적자 규모가 큰데, 그룹 내 시너지 창출 보다도 동사 차원에서 판매 확대 및 원가구조 개선 통한 자생력 구축에 집중.

(2차전지 소재)
Q. 말레이시아 법인 생산/판매 계획 및 동박 부문 턴어라운드 시점?

: 현재 정읍 공장 가동률 30% 수준.
: 산업용 전력비 인상 시 동사 변동비 증가로 인상 효과 있겠으나, 가동률이 낮은 수준으로 효과는 제한적.
: 이에 동사의 말레이시아 공장 Ramp-up이 중요.
: 현재 전력비 포함한 전체 원가 수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원가 경쟁력 갖춘 말레이시아 공장 가동에 우선 집중 예정.
: 말레이시아 공장은 동사가 올해 가동하며 다수 고객사 인증 받고 있는데, 1H25까지 주요 고객사들의 인증 순차 완료되며 매분기 유의미한 가동률 상승 기대.
: 현재 말레이시아 공장 생산/판매 계획은, 1H25 EBITDA 흑자 달성 가능할 것.
: 다만 정읍까지 포함한 전체 동박 사업의 본격 턴어라운드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전망.
: 올해 SK넥실리스가 턴어라운드 시점까지 버틸 수 있는 재무적 체력 높이기 위한 작업 병행.
: SK넥실리스 재무 구조 안정화 위해 7천억원 유상증자 진행.
: 이에 유상증자 전 SK넥실리스 부채비율 200% 대에서 현재 110%대까지 내려와 있는 상황.
: 이 외 박막 사업 등 여러가지 사업의 유동화 통한 자체적 자구책 검토 중.
: 또한 사업 전략과 함께 재무적 안정성 바탕으로 펀더멘털 개선을 빠르게 이루어 내도록 준비할 계획.

Q. 폴란드 공장 잔여 Capex 및 상업화 일정?
: 폴란드 공장은 원래 21년 5만톤 Capa 증설 계획하며 추진.
: 다만 추진 과정에서 유럽 EV 수요 둔화 및 고객사들의 유럽 공장 Ramp-up 일정 지연되는 것을 고려해, 증설 일정을 전략적으로 조율 중.
: 우선 공장 2군데로 나누어 지는데, 1공장(2.5만톤)의 경우 올해 연말 기계적 준공 완료 예정이며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예상했던 유럽 고객사 대상 인증 진행 예정.
: 2공장(2.5만톤)은 유럽 시장 수요 회복에 맞추어 대응 가능한 체계 구축하나, 본격 생산 위한 장비 입고 등은 시간적 여유 두고 유연하게 진행할 계획.
: 동박 사업에서 올해 집행된 Capex는 4,700억 수준.
: 최근 3개년 평균 말레이시아와 폴란드 증설 쪽에 약 6천억 가량 매년 소요된 바 있는데, 25년은 1천억원 미만 수준으로 대규모 투자는 없을 것으로 전망.
: 현재 증설 완료한 말레이시아 공장의 본격 가동과 업황 회복을 통한 현금 흐름 개선에 보다 집중할 계획.

(반도체 소재)
Q. 향후 후공정 사업에 집중하는 방향성?

: 반도체 사업은 고부가/고수익 사업 중심으로 재편.
: 특히 글라스기판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 재편 방안은 전공정/후공정 같은 이분법적 재편이 아니라 성장성/수익성/기술력 등 종합적으로 판단 및 진행 예정.
: 다만 원부자재에 대한 SCM이 확고하게 구축되어 있는 전공정 보다는 기술 개발 니즈가 큰 후공정에 집중할 계획.
: 그룹의 반도체 에코 시스템 고려하더라도 동사의 후공정 포트폴리오 강화는 중요.

Q. ISC 중심의 반도체 사업 볼트온 전략?
: 현재 ISC 보유 중인 현금성 자산이 매우 많으며, 지속적으로 잉여 현금 창출 가능하기에 투자 여력 충분.
: 이에 따라 ISC 통한 볼트온 전략 추진 계획은 변함 없음.
: 다만 재무건전성 강화 및 비핵심사업의 정리를 최우선 순위로 사업 구조 재편에 집중.
: 이에 볼트온 투자 또는 M&A 등 포트폴리오 확장은 검토는 하되,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되는 때 공유.

(신규사업: 글라스기판)
Q. 최근 글라스기판 사업 진행 상황 업데이트?

: 글라스기판 생산 설비 설치 세계 최초 완료.
: 고객사 승인용 샘플 제작 위한 준비 매진.
: 다수 고객사들이 해당 라인 통한 샘플 요청 중.
: 다만 동사 라인 자체 규모가 크지 않아 전부 대응하기는 어려운 상황.
: 이에 핵심 고객사 요구 제품 샘플 위주로 만드러, 내부적인 평가 진행 중.
: 25년 최종 고객사 양산 승인 목표.
: 5월 칩셋 펀딩 확정 발표 했는데, 진행 상황으로는 현재 보조금 조건 및 일정 조율 중.
: 연말까지 완료되어 연내 보조금 수령 가능할 것으로 판단.
: 이 외 NAPMP(첨단 패키징 개발 장려 보조금)라는 미 상무부 주관하는 보조금도 있음.
: NAPMP도 동사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어 결과 기다리고 있으며, 연내 수령 여부 공유 가능할 전망.

Q. 앱솔릭스와 ISC 협업 진행 상황?
: AI라는 거대한 시장의 기술적 지향점에서 공통점을 착안.
: AI에서는 패키징 기판의 대면적화가 필수적으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글라스 기판의 중요성은 높아지는 추세.
: ISC의 러버 소켓 또한 이러한 대면적화에 최적화된 솔루션일 뿐 아니라 초미세 피치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AI 관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이에 동사는 앱솔릭스와 ISC가 공동으로 글라스기판 전용 러버소켓 개발을 진행 중.
: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SKC 반도체 사업 부문 간 시너지 확대 계획.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5 Nov, 00:52


[(삼성/조현렬) SK IET 3Q24 리뷰]

보고서: <bit.ly/3CfPKQ8>


■ 3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OP는 -730억원(-143억원QoQ)으로,
컨센서스(-430억원, FnGuide) 하회 지속.
매출액은 508억원(-18%QoQ)으로
컨센서스(800억원/-36%) 하회.
판매량 추가 감소로 가동률 손실 극대화
(-10%QoQ; 0.70억㎡→0.63억㎡).
판가 추가 하락은(-8%QoQ),
고판가의 IT 제품향
판매 급감에 따른 믹스 악화에 기인.


■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지속 예상

OP는 -523억원(+207억원QoQ)으로,
컨센서스(-369억원) 하회 지속 예상.
매출액 또한 589억원(+16%QoQ)으로
컨센서스(972억원)을 39% 하회 전망.
판매량 전분기 대비 회복에도,
재고 자산 소진 위한
저위 가동 지속 불가피.
이에 OPM 개선 폭도 더딜 것으로 예상
(+55%pQoQ; -144%→-89%).


■ 고객 다각화 추진 전략

동사는 장기 공급 계약 체결한
북미 선도 전기차업체향 판매를
7월부터 개시.
26년부터는 추가 모델 공급도 논의.
복수의 국내 배터리 셀 업체 향
공급도 논의 중이며,
유럽 및 북미 시장 공급 계약 진행 중.
다각화 결실은 2H25부터 확인 가능.


■ View, 1H25까지 실적 부진 불가피

Forward EBITDA(0.28→0.25조원) 반영,
EV/EBITDA Valuation상
목표주가를 9% 하향(4.3만원→3.9만원).
최근 재고 자산 증가로 1H25 까지
수익성 개선은 다소 더딜 전망.
Capex 축소는 긍정적이나
(25년 3,000억원→1,500억원),
흑전에 대한 가시성 확보 전까지는
HOLD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22:58


[(삼성/조현렬) 11/4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5달러(-0.1%DoD)
√ WTI 원유: 71.5달러(+2.8%DoD)
√ 브렌트 원유: 75.3달러(+1.6%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9달러(+1.1%DoD)
√ 등유: 90.7달러(-0.4%DoD)
√ 디젤: 90.7달러(+0.2%DoD)
√ 벙커-C: 72.5달러(-2.0%DoD)
√ 나프타: 73.2달러(-0.2%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4달러(+1.0달러DoD)
√ 등유: 17.2달러(-0.3달러DoD)
√ 디젤: 17.2달러(+0.2달러DoD)
√ 벙커-C: -1달러(-1.4달러DoD)
√ 나프타: -0.3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8달러(+1.0달러DoD)
√ 등유: 12.8달러(-0.4달러DoD)
√ 디젤: 12.9달러(+0.2달러DoD)
√ 벙커-C: -5.4달러(-1.5달러DoD)
√ 나프타: -4.7달러(-0.2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22:50


[(삼성/조현렬) 11/4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자일렌(+1.5%).
주요 하락제품은 없음.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4달러(+1.3%DoD)
√ 나프타: 672달러(-0.1%DoD)
√ 싱가폴 정제마진: 6.37달러(+0.3%DoD)

[올레핀]
√ 에틸렌: 850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60달러(Flat DoD)
√ MEG: 546달러(Flat DoD)
√ 프로필렌: 82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375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906달러(+0.4%DoD)
√ SM: 1,027달러(-0.2%DoD)
√ 톨루엔: 730달러(Flat DoD)
√ 자일렌: 723달러(+1.5%DoD)
√ PX: 822달러(-0.4%DoD)
√ PTA: 644달러(-0.5%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78달러(+0.3%DoD)
√ HDPE: 243달러(+0.2%DoD)
√ LDPE: 468달러(+0.1%DoD)
√ LLDPE: 288달러(+0.2%DoD)
√ MEG: 143달러(+0.2%DoD)
√ PP: 218달러(+0.2%DoD)
√ 부타디엔: 703달러(+0.1%DoD)
√ 벤젠: 235달러(+1.8%DoD)
√ PX: 150달러(-2.1%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207달러(Flat DoD)
√ HDPE: 272달러(Flat DoD)
√ LDPE: 497달러(Flat DoD)
√ LLDPE: 317달러(Flat DoD)
√ MEG: 160달러(Flat DoD)
√ PP: 247달러(Flat DoD)
√ 부타디엔: 732달러(Flat DoD)
√ 벤젠: 264달러(+1.4%DoD)
√ PX: 179달러(-2.0%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10:01


[(삼성/조현렬) SK아이이테크놀로지 3Q 컨콜 Q&A]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SK아이이테크놀로지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부문별 사업 현황 및 25년 전망 등이 있었습니다.

(Q&A)
Q. 고객사 다변화 진행 상황 공유?

: 기존 핵심 고객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수주 물량 확대 위한 노력 진행 중.
: 고객사 다변화 위해 잠재적 고객 위주로 접근 중.
: 크게 2가지 지역으로 구분 가능한데, 유럽과 중국.
: 최근 CBP(미국 관세청) 룰링 해석을 받아 중국의 배터리 업체들이 중국 분리막 업체 외에도 추가 중국 외 분리막 업체를 확보하고자 하며 동사에 접근.

Q. 북미 고객사 향 25년 판매 전망 및 고객사 내 동사 비중?
: 지난 1년간 걸친 양산 기술 성공해서 실제 양산품이 7월 이후부터 지속 출하 중.
: 현재까지 특이점은 없음.
: 고객사에서 현재 Ramp-up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핵심 협의 내용은 물량 공급 증대로, 최근 25년 생산조건 스피드업 통해 생산량 증대하는 일정 협의함.
: 핵심 고객사 위주로 상당한 물량 납품 중이며, 북미향은 기계약된 고객사 위주로 공급하기에 동사가 현재 진행하는 부분의 상당 부분을 북미향으로 전용 준비 중.
: 북미에 기계약된 핵심 고객사와 거래되는 차종이 1종으로 되어 있는데, 금번 방문 통해 26년부터는 타 차종으로도 확대 적용하는 부분에 대해 협의함.

Q. 사이트별 가동률?
: 전반적으로 20~30% 수준.

Q. 4Q 및 25년 판매량 전망?
: 경영 계획 수립 중이며, 금년 대비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다만 전방 산업 불확실성 크며, 운영 방안 아직 최종적 확정되지 않아서 다음 실적 발표에서 보다 구체화할 계획.

Q. 4Q 및 25년 주요 고객 수요 동향?
: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1) 캡티브 고객, 2) 북미향 고객, 3) 국내 메이저 고객.
: 1) 캡티브 고객, 2) 북미향 고객 - 현재 분리막 판매량은 전년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전망이나, 고객 다변화 가시적 성과 예상되는 내년까지는 의존도 높을 전망.
: 그러나 4분기부터 수요 소폭 회복 조짐이 보이고 있어, 내년에는 금년 대비 물량 보다 확대 예상.
: 3) 국내 메이저 고객 - 동사가 핵심으로 보는 고객사 2곳인데, 이 고객사들도 동사와 상당한 물량 공급 위한 협의 지속 중.
: 이들 중 한 고객사는 현재 동사 BMP 폴란드 공장의 생산 검증 완료된 상태로 품질 검증 이후 4M 진행 시, 내년 하반기 공급 예정.
: 특히 지난 8월 CBP 룰링과 관련해 중국산 원단으로 해외 코팅할 경우 보복 관세가 포함되는 부분이 해석된 이후, 국내 배터리사 중 한 곳과 원단 공급 관련 협의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 중.
: 이 부분은 11월 내 가시적으로 양사 계약 물량 확보 또는 공급 관련 협의 완료 예정.

Q. 현재 재고 수준 및 4Q 가동률 전망?
: 통상의 적정 재고 수준 대비 2~3배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음.
: 금년도 고객 수요 감소하며 고객사 재고와 연동해서 관리 중이며, 재고는 연말까지 점차 감축 목표.
: 동사 재고는 고객사 비축 재고와도 연관되어 고객사 판매량과 연동됨.
: 고객사도 동사 재고 보유량을 줄여 두었는데 금년도 말/내년도 초 정도 회복이 구체화 될 전망.

Q. 폴란드 Phase 2 가동 시점?
: 미 대선 정책과 관련된 IRA 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
: 미국 고객과 협의하고 온 바에 따르면 고객사는 유럽 물량을 미국으로 공급 요청.
: 내년 중반 정도는 가동 개시할 전망.

Q. 연말 재고 관련 일회성 평가 비용 발생 여부?
: 기본적으로 재고에 대해서는 매 분기별로 평가를 하고 이에 따른 적합성 평가 또는 불량 제품 처리함.
: 4분기에는 연말 관련해서 재고 뿐 아니라 다른 자산들에 대해서도 건전성 평가 실시 중.
: 적극적으로 물량에 대해 일회성 비용 인식 중.
: 4분기에는 이런 부분들이 상당량 발생할 것으로 예상.

Q. 향후 판가 전망?
: 지난 1년간 중국 업체들과 경쟁하며 공급 과잉에 따른 판가 압력 상당.
: 최근 바닥을 찍고 있다고 할 정도로 상당히 많이 낮아졌고, 더 이상 낮아지지 않을 것.
: 대선에 따라 차이가 날 것으로 전망.
: 유럽은 아직 공급 과잉에 따른 판가 압력 있으며, 북미는 대선에 따라 판가 상승하는 트렌드로 갈 전망.

Q. 24년 및 25년 Capex 계획?
: 25년 남아있는 전략 투자는 폴란드 Phase 3, 4 투자.
: 통상적인 경상 투자는 기존 공장에 대해 연간 한 100~200억 정도 투자비 발생.
: 금년도 24년도에 Phase 3, 4에 예정되어 있는 Capex 금액은 약 2천억대 중반 수준 예상.
: 25년도 잔액은 24년 금액 대비 40~45% 정도만 집행되면 완료.

Q. 미국 진출 타임라인 구체화?
: 전략 투자하는 Capex가 24년 2천억 중반 수준이며, 25년 1천억 수준.
: 이후로는 사실상 진행하는 Capex 투자 없음.
: 계획상 북미 진출 Capex가 그 다음의 전략투자로 예상됨.
: 북미 시장은 성장성이나 정책 등 동사에 가능성이 높은 기회 시장이나, 높은 투자비와 정책 리스크가 상존해 있는 시장.
: 고객사들은 동사에게 확답을 주기 어려운 상황.
: 동사도 내년 상반기까지 시장 변화 지켜본 후 의사결정 진행 계획.
: IRA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수익 확보해야 한다는 대전제 바탕으로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을 다방면으로 검토.
: 그러나 미 대선 결과에 따라 정책 방향성 크게 바뀔 것이기에 검토 후 내년 상반기 종합적으로 결론 낼 것 예상.
: 해리슨 당선 경우, 북미 수요에 따라 코팅 설비 북미 쪽에 짓는 것 준비.
: 해당 경우 유럽 또는 한국 원단 충분히 활용 가능하기에, 이에 대해 사이즈나 고객 니즈에 따라 결정할 계획.
: 트럼프의 경우, 어느 정도 IRA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며 폐지가 된다고 해도 보복관세 영향이 큼.
: 즉 유럽과 한국을 활용할 수 있기에 미 대선의 결과 및 정책 변화 정도에 따라 유럽, 한국 및 북미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Case별로 준비.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08:57


[(삼성/조현렬) S-Oil 3Q24 리뷰]

보고서: <bit.ly/3NT0syl>


■ 3Q24 review, 불가피한 부정적 재고 효과

3Q OP는 -4,149억원(-5,756억원QoQ)으로
컨센서스(-2,410억원, FnGuide)/당사 추정(-3,097억원) 하회.
당사 추정 대비 가장 큰 차이는
화학 부문에서 발생(50억원 vs 삼성: 745억원).

정유 OP는 -5,737억원(-4,787억원QoQ).
두바이 유가가 6월 평균 82.8달러에서
9월 평균 73.6달러까지 하락하여
부정적 재고 효과가 불가피했다는 점에 기인.
재고 평가손익 감소 및 래깅효과도 부정적 작용.

화학 OP는 50억원(-95%QoQ).
전분기 대비 BTX 제품 스프레드 약세 영향으로 이익 급감.

윤활기유 OP는 1,538억원(+6%QoQ).
전분기 대비 원가 부담 경감되어
수익성 개선 전망.


■ 4Q24 preview, 흑자 전환

4Q OP는 1,489억원(흑자 전환QoQ)으로
컨센서스(1,840억원/-19%, Fnguide) 소폭 하회 전망하나,
전분기 대비 회복세 전망.
전분기 부정적 재고 효과 소멸 및
최근 정제마진 개선으로 이익 회복 기대


■ View, 최근 정제마진 반등세는 긍정적

2024년 9월까지의 정제마진 하락세는
10월 이후 회복세 개시.
동사 복합 정제마진 기준
9월 평균 7.5달러에서
11월 13.0달러까지 빠르게 회복.
이는 동절기 난방용 연료 재고축적 수요와
중국 수출 감소에 따른
역내 수급밸런스 타이트에 기인.
이에 따라 4Q24 및 1Q25까지
실적 회복이 기대되기에,
목표주가 및 BUY 투자의견 유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08:08


[(삼성/조현렬) S-Oil 3Q 컨콜 Q&A]

보고서: <bit.ly/48xRHDy>

(Q&A)
(종합)
Q. 밸류업 지수 에너지 종목 편입 관련 향후 대응 방안?

: 주주가치 향상을 기업 경영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회사의 중장기 전력과 주주 환원 정책을 수립.
: 수익성 있는 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 수행, 이익을 높여 이를 바탕으로 주주 환원을 늘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밸류업 방식이라 판단.
: 그간 수행한 대규모 1년 간의 투자 및 일관성 있는 배당 정책의 결과로서, 회사 PBR은 과거부터 업종 내 타사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
: 이는 지난 9월 말 밸류업 인덱스 내 에너지 섹터 중 유일하게 동사가 포함되며 증명.
: 현재로서는 샤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것이 밸류업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라 판단.
: 또한 정부 정책에 보다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주주 가치 극대화 위해 구체적인 밸류업 플랜 준비 후 내년 공시하는 방안 검토 중.

Q. Capex 2024YTD 1.5조원 수준인데, 가이던스 대비 하회 배경 및 배당금 전망?

: 3QTD까지 연간 계획된 Capex의 절반에 못 미치는 자금 지출됨.
: 이는 동사 프로젝트 스케줄에 따라 지출되는 부분이라, 이를 감안 시 기존 계획대로 집행되는 중.
: 계획에 따라 나머지 부분은 2H24 중 대부분 집행될 예정.
: 아직 연말 배당 언급하기는 시기상조.
: 배당성향 기준 가이던스 제시했는데, 배당 성향 준수하는 선.

(정유)
Q. 중국 수출 쿼터 대비 수출량 부진한 상황인데, 현황 및 향후 수출쿼터 전망?

: 지난 9월 중국 3차 수출 쿼터 발표되었는데, 경질유 기준 800만톤 부여, 24년YTD 기준 총 4,100만톤 할당.
: 이로써 이미 작년 총 할당량 4,000만톤을 상회하는 할당량 달성했는데, 최근의 낮은 수출 경제성 고려 시 올해 중 추가 수출 쿼터 부여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판단.
: 또한 중국 경기는 다양한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최근 소폭 개선세.
: 도시 청년 실업률은 지난 8월 18.8%로 피크 찍은 이후, 9월 다소 하락세 보이고 있으며,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0월 제조업 PMI도 4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치 50을 상회하며 확장국면 시사.
: 이를 고려시, 현재 낮아져 있는 중국의 수요 추가 감소 및 이에 따라 중국 수출량이 확대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을 것으로 예상.

Q. 샤힌 프로젝트 관련 파이낸싱 또는 공사 과정에서의 변동 사항 업데이트?

: 샤힌 프로젝트 자금 조달 계획은 현재까지 차질 없이 진행 중.
: 자금 조달 계획 자체가 동사 프로젝트 기간 동안 보수적인 업황을 가정하여 수립했기에, 향후 시장 악화되더라도 이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선에서 계획 수립되어 진행 중.
: 총 투자 금액 중 약 29%가 외부 조달 차입 계획.
: 이 중 시설자금 대출 및 대주주로부터의 차익, 이에 대한 차입 약정 자체는 완료.
: 이 부분이 외부 조달 금액 중 약 67% 차지.
: 향후 지속적인 업황 악화에도, 사우디 아람코로부터의 원유 예산 기일 연장 부분을 탄력적으로 활용할 계획.
: 이 외 기존에 동사가 보유한 예비대출 한도 1조원 정도 역시 약정 완료되어 이를 활용해 대응할 전망.

Q. 최근 사우디 내 COTC 사업 계획 취소 및 재검토 되는데, 이와 관련된 동사 사업 방향성 변경 여부?

: 최근 사우디 아람코의 COTC 프로젝트 취소 관련 보도는 동사 샤힌 프로젝트의 중요성이 한층 더 강조되는 계기가 될 전망.
: 중동 내 CTOC 프로젝트 취소가 되면, 원가 경쟁력이 높은 동사의 샤힌 프로젝트가 더 높은 경쟁력과 시장 내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전망.

Q. 작년부터 대규모 신규 정제 설비 가동 중인데, 실제 Ramp-up 현황?
: 시장 내 파악되는 주요 신규 설비의 가동 현황으로는, 65만 bd 규모의 나이지리아 단고테 정유설비의 경우 CDU 기준 현재 약 40~50% 사이 가동률로 추정.
: 경유 및 항공유는 내수 시장에 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동안 수출 시장에 주로 공급된 납사의 경우 최근 휘발유 생산을 위한 납사 리포머 가동으로 수출 물량이 거의 없는 상황.
: 리포머 가동으로 생산된 휘발유는 현재까지 약 10만bd 이하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전량 내수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
: 추후에도 동 물량은 내수 휘발유 쇼티지 해소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
: RFCC는 지난 8월 테스트 런을 시작하여, 단기적인 휘발유 생산 증가가 예상되나, 글로벌 시장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만큼의 물량은 내년 중 시차를 두고 나올 것으로 예상.
: 35만bd 규모의 멕시코 올메카 정유설비의 경우 여전히 일부 설비에 대한 작업 진행 중.
: 코커(Coker)나 FCC 시험 가동을 위한 잔사유 VGO를 spot으로 수입 진행 중인 것으로 보아, CDU 가동에 여전히 어려움 겪는 것으로 판단.
: 이러한 점을 볼 때, 금년 내 정상적인 상업 가동은 어려울 전망이며, 1H25에서야 CDO 정상가동 가능할 전망.
: 중국 산둥 지역의 40만bd 정제 설비의 경우 지난 8월, 20만bd No.1 CDU부터 테스트 런을 시작했지만, 시장에서는 내년 중반이 되어야 온스펙 제품 생산 가능할 전망.

(석유화학)
Q. 지난 7월 발생한 PX 설비 화재 영향?
: 지난 7월 말 PX 공장 사고로 인해 PX 생산 중단되었으나, 회사의 즉각적 조치로 메인 공정은 즉시 재가동 돌입.
: 아로마이저 공장은 현재 full-가동 중이며, PX 중 자이멕스(Xymax) 공정만 현재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며, 나머지 공장들은 정상 가동 중.
: 이에 따라 PX 생산이 일부 줄었으나, 해당 PX 공정의 원료가 되는 아로마틱 제품들은 휘발유 블렌딩 및 MX 전량 판매로 대체되고 있음.
: 현재 MX 가격 및 PX 완제품 가격 간 스프레드가 현재 매우 축소된 상황으로,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 동사는 자이멕스 포함한 전 공장의 정상적 가동 조속히 달성 위해 최선의 노력 중.
: 현재로서는 25년 3월 즈음 자이멕스 공정 포함한 모든 공정 정상 가동 전망.
: 한편 회사가 재산종합보험과 기업휴지보험에 가입되어 있기에 250만불 초과하는 재산손실과 초기 60일의 가동 손실을 초과하는 나머지 가동 손실은 전량 보험으로 커버 가능.

(윤활기유)
Q. 윤활기유 액침냉각 사업 업데이트?

: 지난 10월 말 고인화점 액침 냉각 및 S-Oil E-cooling solution을 출시.
: 지난 3분기동안 글로벌 탑티어 서버사가 제조한 서버를 활용하여 제품의 실증 테스트를 진행, 그 결과 서버의 안정적 구동 및 우수한 열 관리 성능을 확인.
: 액침냉각 기술은 데이터 센터 뿐 아니라 ESS, 배터리 냉각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큼.
: 이에 따라 당사는 다수의 파트너사와 공동 연구 진행 중에 있으며, 앞으로 여러 산업에 걸쳐 열 관리 솔루션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

Q. SAF 사업 업데이트?
: 에너지 전환에 대비한 그린 이니셔티브 전략의 일환으로 바이오 원료를 투입해 재생 디젤 또는 SAF와 같은 재생연료와 자원순환형 화학제품 생산하는 사업 추진.
: 신속한 시장 진입 위해 기존 정유 공장에 바이오 원료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투입해서 재생연료와 자원순환형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Co-processing 완료.
: 지난 4월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친환경 제품 인증인 ISCC 획득한 바 있음.
: 2H24 대한항공 등 국내 주요 항공사와 정기 국제노선에 SAF 공급 합의했으며, 이 외 다른 항공사와도 논의 중.
: 현재 Co-processing 물량 증대를 위한 전용 원료 탱크와 배관 등 설비 투자가 진행 중이며, 중장기적으로는 SAF 생산을 위한 별도의 설비 투자도 검토 중.

Q.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및 타사 대비 경쟁력?
: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해서 동사는 현재 초기 단계이며, 확장 검토 단계로 정확한 Capa 또는 경쟁력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화되는 대로 공유할 계획.
: SAF에 관련해서는 동사가 MOU를 맺어 저렴한 원료를 꾸준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프로젝트 진행 중인데, 관련해서 구체화되는 대로 공유할 계획.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07:53


[(삼성/조현렬) SK온 3Q24 리뷰]

보고서: bit.ly/48BAmcF


■ 3Q24 review, 컨센서스 상회

매출액 및 OP는
각각 1.43조원(-8%QoQ) 및
240억원(+4,841억원QoQ; 영업이익률 +1.7%)으로
컨센서스(-1,400억원; OPM -7.8%, FnGuide) 상회.
3Q 매출액 시장 기대치 20% 하회에도 불구,
영업이익률(+1.7%) 및
IRA AMPC 제외 수익성(2.6%) 모두
사상 최고치 기록.
이는 고객사로부터 수령한 보상금 영향.
자동차 전지는 영업이익 -368억원
(-5,353억원QoQ; 영업이익률 -2.6%) 기록.
IRA AMPC는 영업이익 608억원(-51%QoQ)으로 급감.
시장 기대치에도 하회(1,240억원/-51%).


■ 중국 신규 공장, 가동 연기 결정

동사는 올해 2Q 유럽
(헝가리 3공장; 최대 30GWh) 및
3Q 중국(중국 4공장; 최대 33GWh)
신규 공장 가동 계획했으나,
중국의 경우 고객사 수요 부진 감안하여,
1H25로 연기 결정.
이에 따라 24년 말 기준
글로벌 생산능력 목표도
기존 132GWh에서 111GWh로 하향.
25년 목표도 199GWh+Alpha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으나,
추가 하향 가능성 상존.


■ View, 고객사의 판매 회복 징후 확인 필요


분기 흑자 달성 및
신규 공장 가동시점 연기한 점은 긍정적.
다만 일회성 요인 제거 시,
여전히 적자가 불가피한 이익 체력.
최근 VW ID.4 생산 중단 외에도
Ford의 F-150 Lightning 생산 중단 발표는
단기 가동률 관점에서 부정적.
두 고객사는 내년 초
EV 생산 재개하는 만큼,
1Q25부터 판매 회복 예상.
따라서 1H25까지는
실적 관점에서 보수적인 접근이 합리적.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04 Nov, 01:13


[(삼성/조현렬) 10월 미국 전기차 판매 현황]

보고서: <bit.ly/3UC9Vhs>


■ 10월 미국 전기차, +16%YoY

10월 미국 전기차 판매는
13.3만 대(+8%MoM; +16%YoY)를 기록.
영업일 수 1일당 전기차 판매는
4,918대(-8%MoM; +8%YoY)를 기록.
영업일 수 보정 기준,
9월 판매(-3%YoY)보다는 양호하지만,
7~8월(+10~18%YoY) 대비 부진한 실적.


■ GM, 1.2만 대(+73%YoY) 판매

GM의 10월 판매는 11,884대(+7%MoM; +73%YoY).
영업일 수 보정 기준으로는
-9%MoM 및 +61%YoY를 기록.
신차 라인업이 가장 풍부한 GM의
가장 높은 성장세는 유지되었으나,
4Q24 도매 판매 목표치(8만 대) 달성에는
다소 부진한 리테일 판매 성장세.


■ Honda, 0.5만 대 판매

GM의 Ultium Platform을 공유하여
올해부터 전기차 판매를 개시한
Honda의 10월 판매는 5,346대(+12%MoM) 수준.
영업일 수 보정 기준으로는 -5%MoM.


■ 현대차, 0.7만 대(+7%YoY) 판매

제네시스를 포함한 현대차 10월 판매는
6,691대(+38%MoM; +7%YoY).
영업일 수 보정 기준으로는
+17%MoM 및 -1%YoY를 기록.
아이오닉 6(-32%YoY)의 판매 감소를
아이오닉 5(+51%YoY)로 상쇄.


■ 기아, 0.6만 대(+70%YoY) 판매

기아 10월 판매는
5,833대(+3%MoM; +70%YoY).
영업일 수 보정 기준
-12%MoM 및 +58%YoY.
EV9 신차 모멘텀으로 전년 대비 고성장 유지.


■ Ford, 0.7만 대(-6%YoY) 판매

Ford 10월 판매는
7,381대(Flat MoM; -6%YoY).
영업일 수 보정 기준
-15%MoM 및 -13%YoY 기록.
주력 모델인 Mach-E(+21%YoY)와
E-Transit(+181%YoY)의 성장은
F-150 Lightning(-50%YoY)의 부진에 의해 상쇄.


■ VW, 0.3만 대(-61%YoY) 판매

VW 10월 판매는
2,996대(+5%MoM; -61%YoY).
영업일 수 보정 기준
-11%MoM 및 -64%YoY로 경쟁업체 대비 훨씬 부진.
VW ID.4의 판매 중단 영향(-3,455대YoY)이
전체 부진(-4,690대YoY)의 주요 부분을 설명.


■ View, Cybertruck 점유율 급증의 시사점은?

10월 기준 LG에너지솔루션 및 SK온의
미국 현지 생산 배터리가 대응하는 차량 판매는
각각 1.7만 대 및 0.4만 대로 추정.
2025년 배터리 가동률 상향 위해선,
리테일 판매 대수가 현재 수준보다
큰 폭의 성장 필요.
10월 전기 픽업트럭 시장 내
Tesla Cybertruck 시장 점유율이
49%까지 급등한 반면,
Ford F-150 Lightning 점유율이
21%(-56%p)까지 급락.
이는 전통 완성차업체의 전기차 포트폴리오가
기존 내연기관 모델 대비
대폭 차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8 Oct, 03:12


[(삼성/조현렬) LG에너지솔루션 3Q 컨콜 Q&A]

보고서: <bit.ly/4hpiUvY>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진행된 LG에너지솔루션 컨퍼런스콜 주요 질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적 및 수요 전망과 향후 사업 계획 등이 있었습니다.

(Q&A)
Q. 4분기 실적 및 25년 성장 전망?
: (4Q24)
4분기는 북미 주요 고객사들의 연말 재고 조정에 따른 물량 감소 영향.
: 하반기 하락세인 메탈가의 판가 반영으로 매출 감소 영향 일부 있음.
: 다만 유럽 OEM 향 수요 개선은 고무적이며, 스텔란티스 JV 모듈 생산 속도 확대 추세.
: 또한 북미 전력망 ESS 판매 전망 견조.
: 이에 따라 매출은 전분기와 유사할 전망.
: 손익 관점에서는 4분기가 계절적 영향으로 고수익성 제품 출하 줄어드는 MIX 영향.
: 또한 연말 OEM 뿐만 아니라 동사의 재고 조정에 따른 일회성 영향.
: 3분기 대비 수익성 개선 어렵지만 수율 등 생산성 향상 및 운영 효율화 통해 손익 영향 최소화 할 것.
: (2025) 25년에는 매크로 불확실성 및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중국 수출 확대 및 고객사 배터리 내재화 추진 등으로 경쟁 격화 예상.
: 다음주 전망되는 미국 대선 결과도 전기차 시장 향방에 상당한 영향 줄것으로 25년 예측은 어려움.
: 다만 유럽 CO2 배출 강화 또는 글로벌 OEM의 보급형 EV 출시 확대 등 수요 개선의 여러 기대 요인 상존.
: 내년 전방 시장과 당사의 매출 성장률은 보수적으로 보고 있음.
: 동사는 외부 상황 변화에 대해 최대한 속도감 있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갈 것.

Q. 24년 말/25년 GM 재고 조정에 따른 AMPC 및 실적 영향?

: 최근 수요 흐름 반영하여 당사는 GM JV 기말 재고 부담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설비 운영 효율화에 집중하며 생산량 컨트롤.
: 고객사는 연간 EV 생산 목표를 기존 가이던스 하단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연말 EV 재고 관리를 위해 배터리 구매 속도도 일시 조절할 전망.
: 다만 GM 하반기 EV 판매 실적 유의미하게 증가 중이며, GM JV 배터리 탑재하는 Honda EV의 판매도 견조.
: IRA TAX CREDIT 대상 Capa 연간 가이던스인 30~35GWh에 부합할 전망.
: 수요에 맞게 JV 생산 속도 조절해 나갈 것.

Q. CO2 규제 강화에 따른 유럽 수요 모멘텀 및 당사 영향?
: (유럽 수요 모멘텀)
유럽 CO2 배출 규제가 내년부터 현행 대비 20% 이상 강화.
: 규제 충족 위한 유럽 OEM EV 판매 확대 전망.
: 유럽 시장 특성상 주요 OEM들은 EV 스탠다드 세그먼트 이하 및 Affordable 세그먼트를 주 타겟으로, 25천 유로 이하 보급형 모델 확대 전망.
: CO2 규제가 유럽 내 전기차 침투율 확대에 영향 주겠지만, 여전히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아직 해소되지 않음.
: 이에 따라 내년 유럽 EV 시장 성장률 관련해서는 보수적인 입장.
: (사업 영향) 동사 사업 영향은 아직도 고객사와 내년 물량 forecast는 아직 협의 중으로 판단 어려움.
: CO2 대응 위해 고객은 자체 보유 재고 우선 활용할 전망이기에, 동사 수요 증가세는 이후 보일 것.
: 동사는 (1) 고전압 미드니켈 LFP 케미스트리 등 성능/원가 경쟁 우위 확보 추진.
: (2) 유럽 고객향 파우치 LFP 제품 공급.
: (3) 원통형 46 시리즈도 EV 퍼포먼스 스탠다드 세그먼트 향으로 공급 타진 통해 유럽 전기차 시장 내 강화해 나갈 것.
: 유럽 고객에 공급 예정인 보급형 솔루션 제품들은 26년부터 출시 예정.
: 26년 부터는 유럽 내 보급형 EV 사업 기회를 잡아갈 것.

Q. 지역별 수요 동향에 따른 동사 가동률 및 향후 전망?
: 3분기 전기차 파우치 물량 증가 및 전력망 ESS 매출 증가로 폴란드와 중국 공장 생산량이 각각 확대.
: 이에 따라 전사 가동률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개선.
: 특히 상반기 가동률이 가장 저조했던 폴란드 공장은 주요 유럽 OEM 수요 소폭 회복되며 가동률이 1분기 이후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흐름.
: 4분기에도 유럽 OEM향 물량 점진적 확대 영향으로 폴란드 공장은 개선된 가동률 유지할 전망.
: 다만 주요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 등에 따라 미국 및 중국 공장 가동률 개선폭은 다소 제한적일 전망.

Q. Capa 운영 및 CAPEX 집행 계획?
: 급변하는 시장과 고객 상황 변화에 능동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
: 글로벌 Capa 운영의 전반적인 최적화 및 효율적인 CAPEX 집행은 매우 중요한 요소.
: 글로벌 CAPA 운영 관련해서는 EV 배터리 생산시설의 유효 라인을 타 어플리케이션과 신규 제품향으로 빠르게 전환.
: 기존 라인 활용도 Maximize 해서 공장 가동률 개선하며, 고정비 증가에 따른 수익성 커버할 것.
: 특히 투자 집중되는 북미도 신규 증설 규모의 신속한 축소 및 속도 조절 통해 과잉 CAPA 막고, 투자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것.
: ESS는 북미 전력망 중심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판단하며, 적극적인 수주 활동 진행.
: 투자 효율 강화 관점에서 EV용 Capa 여유분을 빠르게 ESS용으로 전환해서 대응.
: 현 상황에서 Capex를 과거와 같은 패턴으로 할 수는 없어서, 투자의 필요성 및 효과성 면밀히 검토 후 필수적인 투자에 한해 집행해 나갈 계획.
: 신규 증설 투자는 효율적으로 축소, 속도조절 및 자산운용 최적화해서 일부 필수불가결한 투자 제외한 Capex 지출은 최소화할 것.
: 이에 따라 내년에는 올해 대비 Capex 집행폭이 상당히 감소할 전망.

Q. 중저가 타겟 제품(LFP/고전압 미드니켈) 가격 경쟁력 및 추가 수주 가능성?
: 중저가 세그멘트의 보급형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동사는 중저가 타켓의 LFP 및 고전압 미드니켈 등 다양한 저가 솔루션 확보 중.
: 이에 더해 주요 OEM들과 공급 계약 체결을 통해 시장과 고객 니즈에 대응 중.
: 지난 7월 유럽 고객 대상으로 첫 EV향 LFP 계약 체결했는데, 이는 파우치형 배터리 최초로 CTP 솔루션 적용.
: 에너지 밀도 높이고, 안전성 강화했을 뿐만 아니라 공정 단순화, 부품 축소, 통합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 효과 등을 시현.
: 이를 통해 품질 및 가격 측면에서의 경쟁력을 확보.
: 이에 더해 기존 미드니켈 제품 대비 향상된 에너지 밀도와 더불어 안전성과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고전압 미드니켈 제품도 내년부터 양산 계획.
: 향후 중저가 EV 시장 내 포지셔닝을 더욱 견고하게 다져나갈 계획.
: CTP 적용 LFP와 고전압 미드니켈 제품 등 중저가 제품 라인업 기반으로 다수의 잠재 고객들과 수주 전제로 긴밀한 협의 중.

Q. 4680 배터리 양산 준비 현황 및 테슬라 외 추가 수주 가능성?
: 현재 오창 4680 신규 라인 양산 준비 마무리 단계이며, 4분기 샘플 양산 시작으로 주요 고객들과 공급 일정 협의 중.
: 기존 핵심 고객사 및 최근 공급 계약 발표한 레거시 OEM 외에도 다수 고객사들과 다양한 46시리즈 제품 공급에 대해 긴밀히 소통 중.
: 현재 증설 중인 애리조나 사이트에서 26년 이후 공급할 계획.
: 4680 신규 라인의 안정적인 양산성 확보 및 향후 고객들과의 추가적 공급 확정되는 대로 시장과 소통할 것.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8 Oct, 00:53


[(삼성/조현렬) 10/21-25 Weekly 화학]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조현렬입니다.

지난주 제품 가격동향을 정리하자면,

(1) 제품 시황은 나프타 상승하에 제품가격 약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전주 원료가 하락에 따른 제품가격 조정으로 스프레드는 하락한 한주였습니다.

(2) 지난주 가장 큰 특징은 유럽의 에틸렌 추가 폐쇄입니다.
이탈리아 국영 에너지업체인 Eni는
지난 25일 실적발표를 통해
화학사업 구조조정을 추가 발표했습니다.
Eni의 화학 자회사인 Versalis는
Brindisi 크래커(에틸렌 46.8만톤),
Priolo 크래커(에틸렌 49만톤) 및
Ragusa(LDPE 15.1만톤)의 폐쇄를 발표
하고,
향후 저탄소/스페셜티 제품에 20억유로(3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금번 크래커 폐쇄는
서유럽 Capa(2,211만톤) 대비 4.3% 규모
입니다.
1H24 XOM/SABIC의 폐쇄까지 합산 시,
올해 서유럽 Capa의 8.9%가 폐쇄 결정
되었습니다.
1) 유럽의 높은 에너지 비용,
2) 글로벌 과잉 Capa,
3) 유럽의 탈탄소규제를 감안하면,
향후 2~3년 폐쇄 결정은 보다 늘어날 전망입니다.

(3) 전주 대비 싱가폴GRM은 1.3달러 상승했으며,
국내 정유사 복합마진은 1.2달러 상승했습니다.
제품별 마진은
가솔린 -2.2달러WoW,
디젤 +1.5달러WoW,
등유 +2.5달러WoW,
HSFO +3.0달러WoW,
나프타 +1.7달러WoW

와 같았습니다.
지난주 특징은 등경유 반등입니다.
지난 1개월간 디젤 및 등유 마진은
각각 +2.4달러/+4.7달러 상승했는데,
이는 역내 수급 타이트에 기인합니다.
중국의 가솔린에 편중된 수출 쿼터와
수익성 둔화로 인한 수출 감소로
아시아 등경유 재고는 동기간
13% 하락
했습니다.
특히 디젤 대비 등유의 추가 강세는
동절기 성수기를 앞둔 재고 축적과
서구시장의 항공유 수입 수요증가에 따른
아시아 공급 타이트도 일부 기여했습니다.
국내 정유사의 4QTD 정제마진은
3Q 대비 0.5달러 반등
하여,
현 수준 지속 시
실적 회복이 예상됩니다.

(4) 지난주 주요 상승제품의 업체는
정유업체(정제마진),
한화솔루션/롯데정밀화학(가성소다)
등이 있습니다.
주요 하락제품의 업체는
NCC업체(부타디엔)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자료: bit.ly/48mooUc

■ 나프타 상승 하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가성소다(+3.7%), SM(+1.7%).
주요 하락제품은 부타디엔(-4.6%), 자일렌(-2.3%), 페놀(-2.2%), 메탄올(-2.2%).

■ Feedstock:
두바이 유가는 보합(+0.2%)
나프타는 상승(+1.5%)
싱가폴 정제마진은 상승(+1.3달러).

■ Olefin:
에틸렌(+0.6%)은 중국 신규 다운스트림 플랜트 도입에 따른 수요 증가로 상승.
PE는 보합.
PVC는 보합.
MEG(-1.1%)는 업스트림 변동성에 따른 중국 내 소비 관망세로 하락.
프로필렌(+0.6%)은 중국 내 수요 강세로 상승.
PP(-0.6%)는 중국 Fujian Zhongjing 플랜트 9월 70% 대비 10월 최대 가동 발표에 하락.
부타디엔(-4.6%)은 중국 외 수요 부진한 가운데 공급 증가하며 하락.
SBR은 보합.
천연고무(-1.9%)는 인도 타이어 독점 업체들의 인위적 가격 조작으로 하락.

■ Aromatic:
벤젠(+0.9%)은 업스트림(원유) 강세로 상승. 
SM(+1.7%)은 10월 말 중국 대형 플랜트 턴어라운드 계획에 따른 공급 우려로 상승.
ABS 및 PS는 보합.
자일렌(-2.3%)은 역내 가솔린 블렌딩을 비롯한 수요 약세로 하락.
톨루엔(-1.1%)은 중국 내 수요 부진으로 하락.
PX(+0.2%) 및 PTA(+0.2%)는 보합.
PET(-0.6%)는 업스트림(원유) 가격 하락에 따른 폴리에스터 소비 관망세로 하락.

■ 기타:
가성소다(+3.7%)는 중국 내 다운스트림 알루미나 수요 강세로 상승.
페놀(-2.2%) 및 아세톤(-1.4%)은 전 주의 벤젠(-5.5%) 약세 및 중국 내 공급 과잉으로 하락.
메탄올(-2.2%)은 역내 고위 재고 및 다운스트림 수요 부진으로 하락.
AA 및 VAM은 보합.
MDI, TDI, PO, ECH는 미고지.

■ 재고수준(중국):
톨루엔(+4.0%)은 상승.
SM(-15.5%)은 하락.
자일렌(-0.1%)은 보합.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7 Oct, 22:54


[(삼성/조현렬) 10/25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6달러(-2.4%DoD)
√ WTI 원유: 71.8달러(+2.3%DoD)
√ 브렌트 원유: 76달러(+1.9%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7달러(-1.5%DoD)
√ 등유: 88.8달러(-1.1%DoD)
√ 디젤: 86.6달러(-1.9%DoD)
√ 벙커-C: 74.5달러(-0.7%DoD)
√ 나프타: 72.5달러(-1.6%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1달러(+0.5달러DoD)
√ 등유: 15.3달러(+0.8달러DoD)
√ 디젤: 13.1달러(+0.2달러DoD)
√ 벙커-C: 0.9달러(+1.3달러DoD)
√ 나프타: -1.1달러(+0.6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9.7달러(-1.4달러DoD)
√ 등유: 13.8달러(-1.1달러DoD)
√ 디젤: 11.7달러(-1.8달러DoD)
√ 벙커-C: -0.5달러(-0.6달러DoD)
√ 나프타: -2.5달러(-1.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7 Oct, 22:53


[(삼성/조현렬) 10/25일 Daily 화학]

■ 나프타 하락 속에 제품 가격 약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에틸렌(+0.6%).
주요 하락제품은 부타디엔(-1.4%), 벤젠(-1.1%), PX(-1.0%).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1달러(-1.9%DoD)
√ 나프타: 669달러(-1.6%DoD)
√ 싱가폴 정제마진: 5.22달러(+7.9%DoD)

[올레핀]
√ 에틸렌: 840달러(+0.6%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60달러(Flat DoD)
√ MEG: 550달러(+0.4%DoD)
√ 프로필렌: 83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50달러(-1.4%DoD)

[아로마틱]
√ 벤젠: 888달러(-1.1%DoD)
√ SM: 1,047달러(+0.2%DoD)
√ 톨루엔: 724달러(-0.8%DoD)
√ 자일렌: 734달러(-0.7%DoD)
√ PX: 828달러(-1.0%DoD)
√ PTA: 648달러(-0.8%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2,030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71달러(+10.2%DoD)
√ HDPE: 246달러(+4.6%DoD)
√ LDPE: 471달러(+2.4%DoD)
√ LLDPE: 291달러(+3.9%DoD)
√ MEG: 149달러(+6.1%DoD)
√ PP: 221달러(+5.2%DoD)
√ 부타디엔: 781달러(-1.2%DoD)
√ 벤젠: 219달러(+0.4%DoD)
√ PX: 159달러(+1.8%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81달러(-1.2%DoD)
√ HDPE: 256달러(-2.7%DoD)
√ LDPE: 481달러(-1.5%DoD)
√ LLDPE: 301달러(-2.3%DoD)
√ MEG: 155달러(-1.4%DoD)
√ PP: 231달러(-3.0%DoD)
√ 부타디엔: 791달러(-3.3%DoD)
√ 벤젠: 229달러(-6.9%DoD)
√ PX: 169달러(-8.2%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5 Oct, 03:22


[(삼성/조현렬) IRA AMPC 최종안 영향]

보고서: bit.ly/3YerIfA


■ IRA AMPC, 최종안 발표

지난 24일 미국 재무부에서
IRA AMPC 최종안을 발표.
작년 12월 잠정 가이던스 발표 이후
의견 수렴 통해 최종 가이던스 확정.
가장 큰 변화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인식 기준 변화.


■ 배터리 모듈, 한국업체 신청 용이

배터리 셀/모듈에 각각 kWh당
35달러/10달러의 AMPC 지급이 원안.
다만 작년 잠정 가이던스를 통해
배터리 모듈 수취 대상 정의에서
‘최종 사용구성(End-Use Configuration)’ 기준을
배터리 모듈보단 팩으로 해석가능하게 변경.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에 대한 AMPC 수취
불확실성 확대되었으나,
최종 사용구성에 대한 정의가
구체화/확대되면서
모듈 AMPC 수취 가능성 크게 상승.



■ 한국업체, 배터리 모듈 수취현황

현재 LG에너지솔루션
미시건 공장 내 일부 물량이
배터리 모듈 또는 팩으로 공급(GM JV는 제외).
현재 팩 형태만 인식 중이나,
모듈 인식 가능해질 경우 일부 추가 가능.
당사 추정 기준 배터리 모듈 추가 Capa는
연간 3GWh미만 추정.
다만 IRA 연계하여 보조금 수취할
넥스트스타 50GWh까지 포함 시
53GWh까지 확대 가능.
SK온은 미국 공장에 대해
배터리 셀/모듈 전량 인식 중이며,
Capa 기준 22GWh.
잠정 가이던스로 인해 23년 이후
누적 인식분의 소급 수정 우려 있었으나,
금번 확정안으로 해당 우려 불식 가능성 증가.


■ View, 한국업체에게 긍정적 소식

잠정 가이던스 대비 변화는
AMPC 추가 수취 또는 감소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긍정적 뉴스.
다만 확정안으로 미국 정부에
증빙 후 인정절차 상존.
2025년말 연결 Capa 대비
모듈 추가 인식 가능 Capa는
LG에너지솔루션 11%,
삼성SDI 19%,
SK온 45% 수준.
즉, SK온>삼성SDI>LGES 순의 수혜 기대.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Oct, 23:13


[(삼성/조현렬) 10/24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5.4달러(+0.5%DoD)
√ WTI 원유: 70.2달러(-0.8%DoD)
√ 브렌트 원유: 74.6달러(-0.3%DoD)

[정유제품]
√ 가솔린: 86달러(+0.2%DoD)
√ 등유: 89.8달러(+1.2%DoD)
√ 디젤: 88.3달러(+0.6%DoD)
√ 벙커-C: 75달러(+0.4%DoD)
√ 나프타: 73.7달러(+1.2%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0.6달러(-0.1달러DoD)
√ 등유: 14.4달러(+0.8달러DoD)
√ 디젤: 12.9달러(+0.2달러DoD)
√ 벙커-C: -0.4달러(Flat DoD)
√ 나프타: -1.7달러(+0.5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1달러(-0.4달러DoD)
√ 등유: 15달러(+0.5달러DoD)
√ 디젤: 13.5달러(Flat DoD)
√ 벙커-C: 0.1달러(-0.3달러DoD)
√ 나프타: -1.2달러(+0.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Oct, 23:03


[(삼성/조현렬) 10/24일 Daily 화학]

■ 나프타 상승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벤젠(+0.7%).
주요 하락제품은 카프로락탐(-1.9%).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5.5달러(+1.4%DoD)
√ 나프타: 680달러(+1.0%DoD)
√ 싱가폴 정제마진: 4.67달러(Flat DoD)

[올레핀]
√ 에틸렌: 835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60달러(Flat DoD)
√ MEG: 548달러(+0.4%DoD)
√ 프로필렌: 830달러(Flat DoD)
√ PP: 89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70달러(Flat DoD)

[아로마틱]
√ 벤젠: 898달러(+0.7%DoD)
√ SM: 1,045달러(+0.2%DoD)
√ 톨루엔: 730달러(+0.1%DoD)
√ 자일렌: 739달러(-0.1%DoD)
√ PX: 836달러(+0.5%DoD)
√ PTA: 653달러(+0.5%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카프로락탐: 1,560달러(-1.9%WoW)
√ AA: 440달러(Flat WoW)
√ VAM: 755달러(Flat 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55달러(-4.2%DoD)
√ HDPE: 235달러(-2.8%DoD)
√ LDPE: 460달러(-1.4%DoD)
√ LLDPE: 280달러(-2.4%DoD)
√ MEG: 140달러(-1.4%DoD)
√ PP: 210달러(-3.1%DoD)
√ 부타디엔: 790달러(-0.8%DoD)
√ 벤젠: 218달러(Flat DoD)
√ PX: 156달러(-1.7%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83달러(+0.4%DoD)
√ HDPE: 263달러(+0.3%DoD)
√ LDPE: 488달러(+0.2%DoD)
√ LLDPE: 308달러(+0.2%DoD)
√ MEG: 157달러(+1.6%DoD)
√ PP: 238달러(+0.3%DoD)
√ 부타디엔: 818달러(+0.1%DoD)
√ 벤젠: 247달러(+3.1%DoD)
√ PX: 184달러(+2.6%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Oct, 08:40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10/17-10/23)]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전 밸류체인 추가적 감산 기조 확인

■ 폴리실리콘 (4.600달러/kg): WoW Flat(+0.0%).
4분기 중후반 추가적 감산 예상되는 가운데 보합.

■ 웨이퍼 (0.081달러): WoW Flat(+0.0%).
멀티 웨이퍼는 보합.
모노 웨이퍼도 상위 5개 업체 중심으로 가격 하락 방어하며 보합(+0.0%WoW).
연말 수요 약화되며 판매 난항 예상.

■ 셀 (0.030달러/Watt): WoW Flat(+0.0%).
멀티 셀은 보합.
모노 셀은 수요 부진으로 가격 인하 압박받는 가운데,
일부 모듈업체의 맞춤형 제품 주문으로 프리미엄 발생하며 보합(+0.0%WoW).

일부 업체는 웨이퍼 가격 하락과 재고 축적으로 11월 추가 가격 인하 고려.

■ 모듈 (0.077달러/Watt): WoW Flat(+0.0%).
멀티 모듈은 보합.
모노 모듈은 감산으로 주요 TOPCon 모듈 공급 타이트해지며, 수요 부진에도 보합(+0.0%WoW).

[1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7.78달러(-2.7%QoQ)
√ 웨이퍼: 0.13달러(-14.6%QoQ)
√ 셀: 0.05달러(-14.5%QoQ)
√ 모듈: 0.10달러(-14.2%QoQ)

[2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360달러(-34.6%QoQ)
√ 웨이퍼: 0.083달러(-28.1%QoQ)
√ 셀: 0.032달러(-20.8%QoQ)
√ 모듈: 0.087달러(-10.3%QoQ)

[3Q24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60달러(-13.4%QoQ)
√ 웨이퍼: 0.083달러(-13.5%QoQ)
√ 셀: 0.031달러(-13.2%QoQ)
√ 모듈: 0.080달러(-8.1%QoQ)

[4QTD23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4.60달러(+4.3%QoQ)
√ 웨이퍼: 0.081달러(-1.8%QoQ)
√ 셀: 0.030달러(-3.1%QoQ)
√ 모듈: 0.077달러(-7.3%QoQ)

[지역별 모듈 가격추이(10/16기준)]
√ Mono PERC (India): 0.095달러(-5.0%WoW)
√ Mono TOPCon (India): 0.095달러(-5.0%WoW)
√ Mono PERC (US): 0.280달러(Flat WoW)
√ Mono TOPCon (US): 0.280달러(Flat WoW)
√ Mono PERC (EU): 0.105달러(-4.6%WoW)
√ Mono TOPCon (EU): 0.105달러(-4.6%WoW)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4 Oct, 08:09


[(삼성/조현렬) 롯데케미칼 자회사 지분 유동화]

보고서: bit.ly/3NA9d0l


■ News, 자회사 지분 유동화

금일 롯데케미칼은 총 1.4조원의 주가수익스왑(PRS) 체결을 발표.
1) 미국 MEG 생산법인(LCLA) 지분 40%와
2) 인도네시아 법인 지분을 유동화.


■ #1, 미국 EG 법인 유동화 완료

금일 공시를 통해
미국 EG 법인(LCLA)에 대한 지분 40%를
6,626억원에 PRS 발행하여
유동화 완료

(기업가치 1.66조원).
해당 자금은 LCLA의 모기업인
LC USA의 차입금 상환에 사용될 계획이라,
PRS 취득 주체인 FI(국내 증권사)에게
이자 납부 감안 시,
이자율 격차만큼의 이자비용 부담 일부 경감.


■ #2, 인도네시아 법인 유동화 계획

금일 보도자료 통해
인도네시아 법인(LINE 크래커 소유)
지분 활용하여 7,000억원의
자금을 내년 중 PRS로 조달 계획 공유.

LINE 크래커 상업생산도 내년 시작.
CID에서 발표한 2조원 유동화 중
0.7조원을 우선 진행하고,
향후 2조원까지 추가 유동화 목표.


■ View, 손익 영향은 제한적

총 1.4조원의 PRS 취득 주체가
국내 증권사인만큼 향후 Exit 계획은
Buyback보다 동반 매각으로 추정.
즉, 미국 내 다운스트림(EG) 변경 가능성 증가.
단기 손익 영향은 제한적인데,
#1은 차환 목적이며,
#2는 내년에 진행되기 때문.
다만 Asset Light에 대한 경영진의 강한 의지를
확인
했다는 점에선 긍정적 이벤트.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3 Oct, 07:02


[(삼성/조현렬) 솔루스첨단소재 3Q24 실적발표]

보고서: bit.ly/3UkeSet


1. 3Q24 경영실적 및 계획

■ 3Q24 실적
: 매출액 1,347억원(-9.8%QoQ). 영업이익 -186억원(-81억원QoQ).
- 전지박: 매출액 550억원(-17.7%QoQ). 주요 고객사 일시적 재고 조정에 따른 판매량 감소로 하락.
- 동박: 매출액 493억원(-1.8%QoQ). 유럽 경기 불안에 따른 수요 감소로 유럽향 공급물량 소폭 감소하며 하락.
- 전자소재: 매출액 304억원(-5.9%QoQ). 해외 주요 고객사 내부 승인 일정 이연에 따른 일시적 수요 감소로 하락.

■ 4Q24 계획

- 전지박: EV 수요 증가에 따른 유럽/북미 고객의 가동률 증가 기대.
: 기존 공급제품의 출하량 증가 및 고부가가치 제품 채택 추진을 통한 공급 확대 계획.
- 동박: 내년부터 AI 시장 타겟 빅테크 고객사향 하이엔드 동박 공급 확대에 따른 매출 증대 및 수익성 개선 전망.
- 전자소재: 해외 주요 고객사 내부 승인 완료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고객사 채택 추진.

■ 사업부별 향후 전망 및 계획

- 전지박: (계획) 유럽 및 북미 EV 정책 변화에 따른 글로벌 주요 OEM 및 배터리셀 고객 다변화 기대.
: 주요 핵심 고객사들과 중장기 계약 통해 공급물량 확보 지속 진행.
: 수익성 확대를 위한 하이엔드 전지박 기술 차별화 및 물량 비중 확대.
: (생산 Capa) 10월 초 캐나다 퀘벡 정부와 1,5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 확보 완료.
: 26년 양산 들어갈 예정으로 총 6.3만톤 전지박 양산 계획.

- 동박: AI 수요 지속 강세 전망에 따라 차세대 동박 제품 승인 확보에 집중.
: 하이엔드 동박 수요 증가 대응 위한 생산/제조 설비 확충.
: 고부가가치 제품 R&D 지속 통한 선행시장 선점.

- 전자소재 사업: 디스플레이 시장 회복세 전망되는데, AI 성장에 따른 고사양 IT 제품 OLED 패널 채택 증가 전망.
: 주요 고객사향 기존 제품 외 신규 제품 양산 승인 획득.
: 차세대 Display 기술 선제 대응 위한 미래 기술 제품 개발.


2. Q&A

(전지박)
Q. 전지박 10월 증가량 규모 및 원인?

A. 2분기 월 매출 대비 대폭 상회하는 물량으로 트랙레코드 달성.
: 주요 고객사 모두 3분기 대비 오더 대폭 증가.
: 재고조정에 따른 물량 감소를 훨씬 상회하는 오더 진행 중.

Q. 4분기 전지박 레코드 하이라면 수익성 전망?
A. 4분기는 분기 최대 매출 달성.
: PH2에 대한 준비를 하며 나가는 고정비가 있어 4분기 플러스 전환 쉽지 않지만, 1H25 흑전 전망.

Q. 캐나다 공장 PH1 연기 배경?
A. 캐나다 증설 측면에서는 메이저 업체 중 가장 먼저 진행 중.
: 프로모션 시기에도 캐나다 고객사 반응 긍정적.
: 수요 보면서 속도조절 중인데, 26년 양산에는 맞출 수 있도록 증설 진행 중.

(동박)
Q. 동박 차세대 제품 준비 진행 현황?

A. 동사는 경쟁사 대비 HVLP3를 이미 양산하고 있는 레퍼런스 보유.
: HVLP4를 고객과 개발하고 있음.
: 아직 양산은 1~2년 후 이야기 이지만, 신제품 들어가기 위해 고객과 준비 중.
: AI 가속기 등 네트워크용과 반도체용 극박 등 2가지 트랙으로 개발 중이며 고수익 기대.

Q. 현재 공급 중인 AI가속기 일부는 두산 단독 공급인데, 경쟁사에서 퀄 테스트 완료하며 듀얼 벤더 가능성?
A. 현재 해당 제품 생산 가능한 업체는 3~4개 업체 뿐.
: 물량 급증 예상되기에 단독 벤더로는 리스크 있어서 고객사에서 듀얼 벤더 전략 선택한 것.

Q. 동박 전망에서 언급한 증설은 기존 계획한 26년 스토리?
A. 기존 스탠다드 동박의 전환을 검토 및 진행 중.
: 향후 수요 증가 추세 확인하며 추가 증설 검토할 것.

Q. 동박 사업부는 하이엔드 믹스 개선되며 OPM low-double digit 달성 가능성?
A. 21년~23년 초반까지는 코로나 및 아시아 물량 줄며 마진 감소했으나, 이후로 현재까지는 마진 성장 중.
: AI 가속기용 동박 마진 10% 이상 수준이며, 반도체용 극박은 마진 20% 이상 수준 예상.
: 해당 물량이 꾸준히 증가한다면 수익성 확보 가능 기대.

Q. 동박 내 AI 가속기향 Capa 수준 및 확대 계획?
A. 전체 Capa 10% 정도 확보한 상황.
: 내년 수요까지 예측 후 증설 진행 중이며, 고객 수요 보며 스탠다드 전환 또는 추가 증설 등 검토 중.

Q. 동박 최근 수익률 현황 및 전망?
A. 동박 수익성은 팬데믹 내외 지속 흑자 유지 중.
: 현재 10% 미만 수준 흑자.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Oct, 23:16


[(삼성/조현렬) 10/22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6달러(Flat DoD)
√ WTI 원유: 72.1달러(+2.2%DoD)
√ 브렌트 원유: 75.8달러(+3.0%DoD)

[정유제품]
√ 가솔린: 84.7달러(-1.2%DoD)
√ 등유: 86.1달러(-0.4%DoD)
√ 디젤: 85.4달러(+0.1%DoD)
√ 벙커-C: 72.6달러(+2.1%DoD)
√ 나프타: 71달러(-0.1%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1.2달러(-1.1달러DoD)
√ 등유: 12.6달러(-0.4달러DoD)
√ 디젤: 11.8달러(+0.1달러DoD)
√ 벙커-C: -1달러(+1.5달러DoD)
√ 나프타: -2.5달러(-0.1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0.5달러(-1.0달러DoD)
√ 등유: 11.9달러(-0.4달러DoD)
√ 디젤: 11.1달러(+0.1달러DoD)
√ 벙커-C: -1.6달러(+1.5달러DoD)
√ 나프타: -3.2달러(-0.1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Oct, 23:07


[(삼성/조현렬) 10/22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하에 제품 가격 혼조세.
주요 상승제품은 가성소다(+3.7%), SM(+1.4%), 자일렌(+0.7%).
주요 하락제품은 페놀(-2.2%), 아세톤(-1.4%), 부타디엔(-0.7%).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4.1달러(+1.3%DoD)
√ 나프타: 658달러(Flat DoD)
√ 싱가폴 정제마진: 3.81달러(-0.5%DoD)

[올레핀]
√ 에틸렌: 835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60달러(Flat DoD)
√ MEG: 546달러(Flat DoD)
√ 프로필렌: 825달러(Flat DoD)
√ PP: 890달러(-0.6%DoD)
√ 부타디엔: 1,470달러(-0.7%DoD)

[아로마틱]
√ 벤젠: 887달러(+0.1%DoD)
√ SM: 1,046달러(+1.4%DoD)
√ 톨루엔: 730달러(+0.3%DoD)
√ 자일렌: 736달러(+0.7%DoD)
√ PX: 831달러(+0.6%DoD)
√ PTA: 650달러(+0.5%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AN: 1,190달러(+0.4%WoW)
√ 가성소다: 425달러(+3.7%WoW)
√ 페놀: 900달러(-2.2%WoW)
√ 아세톤: 695달러(-1.4%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77달러(Flat DoD)
√ HDPE: 257달러(Flat DoD)
√ LDPE: 482달러(Flat DoD)
√ LLDPE: 302달러(Flat DoD)
√ MEG: 151달러(Flat DoD)
√ PP: 232달러(-2.1%DoD)
√ 부타디엔: 812달러(-1.2%DoD)
√ 벤젠: 229달러(+0.3%DoD)
√ PX: 173달러(+3.0%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76달러(-4.5%DoD)
√ HDPE: 256달러(-3.1%DoD)
√ LDPE: 481달러(-1.7%DoD)
√ LLDPE: 301달러(-2.7%DoD)
√ MEG: 150달러(-3.2%DoD)
√ PP: 231달러(-5.4%DoD)
√ 부타디엔: 811달러(-2.2%DoD)
√ 벤젠: 227달러(-3.2%DoD)
√ PX: 172달러(-1.9%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Oct, 12:07


[GM 3Q24 실적 내 전기차 내용]

- 미국 EV 소매 판매는 3.2만대(+45%QoQ)로,
시장 평균 대비 인센티브 11%pts 적게 유지
(1Q24: 1.6만대, 2Q24: 2.2만대, 3Q24: 3.2만대).

- 2024년 20만대 생산/도매판매 목표
(10월 하향 가이던스 유지; 1H24 판매 7.5만대,
3Q24 판매 4.5만대 & 3QTD 12.0만대)


- 4Q24 공헌이익 흑자전환 목표 유지

- 2025년 EV 수익성 가이던스는 PT 자료엔 삭제
(기존 가이던스는 AMPC/부품/악세사리/SW/GHG 크레딧 포함 Mid-single OPM)

- 배터리 팩 원가
2024년 60달러/kWh이상 개선,
2025년 30달러/kWh이상 개선 목표
(2세대 LFP 트럭 적용 시 대당 6,000달러 추가 개선)

- Ultium Cells발 지분법이익
3Q24: 3.09억달러/3QTD24: 7.88억달러

(3Q24: 1.01억달러/3QTD23: 1.91억달러)


[GM 분기 실적 EV 코멘트]
- 1Q24: https://t.me/samsungchem/8800
- 2Q24: https://t.me/samsungchem/9288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Oct, 11:38


https://investor.gm.com/static-files/5224480e-aed9-4c34-b355-3c708f7709ca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2 Oct, 05:11


[원유 코멘트: 21일 국제유가 상승]

■ 중국 대출우대금리 인하에 따른 경기 개선 기대감
: 10/21일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역할의 대출우대금리(LPR) 인하를 발표하며 중국 경기 개선 기대감 지지.
: 1년물 금리를 3.10%로, 5년물 금리를 3.60%로 발표해 각각 이전 대비 0.25%p 인하.
: 지난 7월 1년물 금리를 3.35%로, 5년물 금리를 3.85%로 이전 대비 각각 0.10%p 인하 발표한 이래 3개월 만의 금리인하.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Oct, 23:04


[(삼성/조현렬) 10/21일 Daily 정유]

[원유]
√ 두바이 원유: 73.6달러(-0.8%DoD)
√ WTI 원유: 70.6달러(+1.9%DoD)
√ 브렌트 원유: 73.6달러(+1.3%DoD)

[정유제품]
√ 가솔린: 85.8달러(-1.9%DoD)
√ 등유: 86.5달러(-0.4%DoD)
√ 디젤: 85.3달러(-0.6%DoD)
√ 벙커-C: 71.1달러(-1.3%DoD)
√ 나프타: 71.1달러(-0.5%DoD)

[Spot 스프레드]
√ 가솔린: 12.2달러(-1.0달러DoD)
√ 등유: 13달러(+0.2달러DoD)
√ 디젤: 11.7달러(+0.1달러DoD)
√ 벙커-C: -2.4달러(-0.3달러DoD)
√ 나프타: -2.4달러(+0.3달러DoD)

[1M래깅 스프레드]
√ 가솔린: 11.6달러(-1.7달러DoD)
√ 등유: 12.3달러(-0.4달러DoD)
√ 디젤: 11달러(-0.5달러DoD)
√ 벙커-C: -3.1달러(-0.9달러DoD)
√ 나프타: -3.1달러(-0.3달러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Oct, 22:54


[(삼성/조현렬) 10/21일 Daily 화학]

■ 나프타 보합 속에 제품 가격 보합세.
주요 상승제품은 벤젠(+0.7%).
주요 하락제품은 부타디엔(-2.6%), MEG(-1.8%).

[원자재]
√ 두바이 원유: 73.1달러(-1.0%DoD)
√ 나프타: 658달러(-0.2%DoD)
√ 싱가폴 정제마진: 3.91달러(Flat DoD)

[올레핀]
√ 에틸렌: 835달러(Flat DoD)
√ HDPE: 915달러(Flat DoD)
√ LDPE: 1,140달러(Flat DoD)
√ LLDPE: 960달러(Flat DoD)
√ MEG: 546달러(-1.8%DoD)
√ 프로필렌: 825달러(Flat DoD)
√ PP: 895달러(Flat DoD)
√ 부타디엔: 1,480달러(-2.6%DoD)

[아로마틱]
√ 벤젠: 886달러(+0.7%DoD)
√ SM: 1,032달러(+0.2%DoD)
√ 톨루엔: 728달러(-0.5%DoD)
√ 자일렌: 731달러(+0.1%DoD)
√ PX: 826달러(Flat DoD)
√ PTA: 647달러(Flat DoD)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177달러(+0.7%DoD)
√ HDPE: 257달러(+0.5%DoD)
√ LDPE: 482달러(+0.3%DoD)
√ LLDPE: 302달러(+0.4%DoD)
√ MEG: 151달러(-5.8%DoD)
√ PP: 237달러(+0.5%DoD)
√ 부타디엔: 822달러(-4.5%DoD)
√ 벤젠: 228달러(+3.3%DoD)
√ PX: 168달러(+0.7%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184달러(-0.3%DoD)
√ HDPE: 264달러(-0.2%DoD)
√ LDPE: 489달러(-0.1%DoD)
√ LLDPE: 309달러(-0.2%DoD)
√ MEG: 155달러(-6.2%DoD)
√ PP: 244달러(-0.2%DoD)
√ 부타디엔: 829달러(-4.7%DoD)
√ 벤젠: 235달러(+2.4%DoD)
√ PX: 175달러(-0.3%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Oct, 04:51


[(삼성/조현렬) 태양광 전지 수출잠정치]

[태양광 전지 수출총액]
√ 2023년 10월: 28백만달러
√ 2023년 11월: 39백만달러
√ 2023년 12월: 34백만달러
√ 2024년 1월: 32백만달러
√ 2024년 2월: 7백만달러
√ 2024년 3월: 12백만달러
√ 2024년 4월: 2백만달러
√ 2024년 5월: 2백만달러
√ 2024년 6월: 11백만달러
√ 2024년 7월: 31백만달러
√ 2024년 8월: 12백만달러
√ 2024년 9월: 6백만달러
√ 2024년 10월(1~20일): 4백만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
√ 2023년 10월: 7,518톤
√ 2023년 11월: 10,910톤
√ 2023년 12월: 8,857톤
√ 2024년 1월: 7,363톤
√ 2024년 2월: 1,604톤
√ 2024년 3월: 2,802톤
√ 2024년 4월: 484톤
√ 2024년 5월: 513톤
√ 2024년 6월: 2,430톤
√ 2024년 7월: 6,403톤
√ 2024년 8월: 2,298톤
√ 2024년 9월: 1,127톤
√ 2024년 10월(1~20일): 930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
√ 2023년 10월: 3.7달러
√ 2023년 11월: 3.5달러
√ 2023년 12월: 3.8달러
√ 2024년 1월: 4.3달러
√ 2024년 2월: 4.2달러
√ 2024년 3월: 4.3달러
√ 2024년 4월: 4.9달러
√ 2024년 5월: 3.8달러
√ 2024년 6월: 4.6달러
√ 2024년 7월: 4.9달러
√ 2024년 8월: 5.1달러
√ 2024년 9월: 5.4달러
√ 2024년 10월(1~20일): 4.0달러

[태양광 전지 수출중량(주간)]
√ 7/11~20일: 3,263톤
√ 7/21~31일: 2,194톤
√ 8/1~10일: 2,075톤
√ 8/11~20일: 47톤
√ 8/21~31일: 176톤
√ 9/1~10일: 284톤
√ 9/11~20일: 201톤
√ 9/21~31일: 641톤
√ 10/1~10일: 380톤
√ 10/11~20일: 549톤

[태양광 전지 수출단가(주간)]
√ 7/11~20일: 4.8달러
√ 7/21~31일: 5.2달러
√ 8/1~10일: 5.1달러
√ 8/11~20일: 2.8달러
√ 8/21~31일: 5.1달러
√ 9/1~10일: 5.6달러
√ 9/11~20일: 5.6달러
√ 9/21~31일: 5.3달러
√ 10/1~10일: 4.7달러
√ 10/11~20일: 3.6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조현렬] 정유/화학 Newsfeed

21 Oct, 04:40


[(삼성/조현렬) NBL 수출잠정치]

[NBL 수출총액]
√ 2023년 10월: 38백만달러
√ 2023년 11월: 38백만달러
√ 2023년 12월: 31백만달러
√ 2024년 1월: 37백만달러
√ 2024년 2월: 42백만달러
√ 2024년 3월: 40백만달러
√ 2024년 4월: 55백만달러
√ 2024년 5월: 48백만달러
√ 2024년 6월: 57백만달러
√ 2024년 7월: 61백만달러
√ 2024년 8월: 70백만달러
√ 2024년 9월: 62백만달러
√ 2024년 10월(1~20일): 34백만달러

[NBL 수출중량]
√ 2023년 10월: 53,538톤
√ 2023년 11월: 52,700톤
√ 2023년 12월: 43,215톤
√ 2024년 1월: 51,923톤
√ 2024년 2월: 57,346톤
√ 2024년 3월: 50,391톤
√ 2024년 4월: 65,450톤
√ 2024년 5월: 55,290톤
√ 2024년 6월: 67,101톤
√ 2024년 7월: 70,592톤
√ 2024년 8월: 79,417톤
√ 2024년 9월: 71,562톤
√ 2024년 10월(1~20일): 39,088톤

[NBL 스프레드(스팟)]
√ 2023년 10월: 275달러
√ 2023년 11월: 298달러
√ 2023년 12월: 314달러
√ 2024년 1월: 272달러
√ 2024년 2월: 259달러
√ 2024년 3월: 242달러
√ 2024년 4월: 281달러
√ 2024년 5월: 320달러
√ 2024년 6월: 273달러
√ 2024년 7월: 278달러
√ 2024년 8월: 314달러
√ 2024년 9월: 294달러
√ 2024년 10월(1~20일): 297달러

[NBL 수출중량(주간)]
√ 7/11~20일: 20,390톤
√ 7/21~31일: 15,798톤
√ 8/1~10일: 30,267톤
√ 8/11~20일: 27,068톤
√ 8/21~31일: 22,083톤
√ 9/1~10일: 19,884톤
√ 9/11~20일: 19,533톤
√ 9/21~31일: 32,145톤
√ 10/1~10일: 16,293톤
√ 10/11~20일: 22,795톤

[NBL 스프레드(스팟/주간)]
√ 7/11~20일: 298달러
√ 7/21~31일: 289달러
√ 8/1~10일: 290달러
√ 8/11~20일: 324달러
√ 8/21~31일: 323달러
√ 9/1~10일: 315달러
√ 9/11~20일: 310달러
√ 9/21~31일: 272달러
√ 10/1~10일: 297달러
√ 10/11~20일: 297달러

(컴플라이언스 기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