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개코 @coingaeko Channel on Telegram

코인개코

@coingaeko


주인장이 재미있는 것만 다룸
채팅방 @gaekochat
주인장 @fromadistance1

코인개코 (Korean)

코인개코 채널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 제공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최신 가상화폐 시장 동향, 투자 전략, 코인 분석,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코인개코는 암호화폐 분야의 최신 소식을 신속하게 전달하여 사용자들이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또한, 코인개코는 사용자들 간의 의견 교환을 촉진하며, 함께 성장하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코인개코 채널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을 더 잘 이해하고,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나보세요!

코인개코

05 Feb, 08:59


Up only! 🤗 올해도 맨틀즈(MNT, mETH, COOK)는 간다..

12월 말, 맨틀을 리워드스테이션에 예치하고 MP를 ENA에 몰빵 했는데, 약 한 달이 지난 현시점의 MNT 가치는 그대로고 ENA 보상과 테더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가치가 상승함. (다른 포폴 자산은 다 개박살 난 상황)

적어도 우리에겐 토큰의 가치가 결국 프로토콜의 장래성을 기대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소가 아닌가 싶은데.. 장기적으로 MNT를 주요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이유를 어떻게든 찾고자 해당 글을 작성해 봄.

1. 기관 채택에 초점을 둔 전략 시행 예정
- 블랙록, 피델리티, 월드 리버티 펀드와 같은 기관의 15개 이상의 ETF에서 포트폴리오의 56% (58만 ETH)를 할당하는 등 글로벌 금융 자산으로서 이더리움의 채택이 가속화되고 있음.

- 많은 블록체인 기업들이 기관향 제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맨틀은 이미 크립토 친화적인 기관과의 관계를 일찍이 구축해 둔 상황. 이에 맨틀의 상위에 속한 그룹의 안정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동생 격인 COOK에게도 낙수효과가 이어지지 않을까 기대 중 (물려있음)

2. 인덱스 펀드를 통해 전략적인 수익률 극대화
- 맨틀에서 최근 인덱스 펀드 출시를 논의하면서 MIP-32을 공개했는데, 인덱스 펀드의 구성자산은 ETH, mETH 등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됨.

3. CeDeFi를 통해 mETH의 유즈케이스 및 접근성 확대
- 바이빗 Earn에선 $cmETH 홀더들이 연 9.5%의 수익을 얻고, 대출 및 마진 거래를 위한 담보로 $cmETH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클릭 OTC 서비스를 통해 stETH를 $cmETH로 전환할 수 있음.

4. 주요 온체인 지표
- mETH는 두 달 만에 TVL 6억 달러 달성, mETH 프로토콜은 4번째로 큰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제공자로 선정.

- 맨틀 관련 디파이 TVL은 8억 달러 + (첨부 메싸리 이미지 참조)

✍️ 결국 기업의 성장속도가 빠르고, 프로덕트의 방향성이 얼마나 진정성 있고 구체적이냐를 떠나서 토큰 가격을 잘 지켜주고 꾸준히 잘 먹여줄 수 있는 요소들이 매력적으로 다가옴.

또한 이더 가격이 박아서 물려있는 상황에 안정성 있는 유동성이 뒷받침되는 mETH를 통해 CEX에서 9%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것 또한 너무 매력적이라고 생각함.

코인개코

04 Feb, 04:27


왔다 드디어...

코인개코

22 Jan, 13:11


드래곤 플라이의 인베스팅 파트너가 만든 뉴스 + 프레딕션 마켓 알림 해주는 트윗 에이전트! - Link

최근 폴리마켓을 통합했다는데 예측 시장의 승률과 우세함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알려줘서 좋네용

뭔가 요즘 이런 봇들을 보면 드는 생각이, 뉴스속보 = 베팅 기회로 이어지는 느낌입니다.

미대선을 기반으로 예측 시장이 각광받으며 어느덧 폴리마켓의 인지도가 기존 매거진 앱을 뛰어넘었는데요, 예측 시장이 정말 새로운 미디어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닐까요?

특히 폴리마켓이 미대선 당일 집계된 앱스토어 순위(금융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고, 이는 웹3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예측 시장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기존 자본 시장은 단일 미디어가 여론을 장악했지만, 크립토에선 폴리마켓, 펌프펀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돈의 흐름과 대세를 조금 더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것 같네요.

너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서 몰랐지만, 미디어의 형태가 변해가고 있는 걸 보니 무서운 속도로 세상이 변하고 있다는 걸 체감합니다.

아무튼 요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에이전트를 찾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됐네요 ㅎㅎ

코인개코

22 Jan, 11:33


🤗 맨틀, 레이어 2를 넘어 하나의 그룹으로 재탄생한다!

기존에 바이빗과 관련된 네트워크로 인식되던 맨틀, 올해엔 조금 더 큰 비전을 가지고 한 해를 연다고 함.

단일 프로젝트를 넘어, '그룹'으로 탈바꿈
- 맨틀 네트워크(레이어2)를 주축으로 mETH프로토콜, 이그니션(FBTC) 등이 이 그룹에 포함되며 새로운 프로덕트라인이 이번 주에 공개될 예정

🛣 로드맵 주요 내용
- 기관향 상품(RWA) 확대 + 일반 유저들을 위한 페이파이(PayFi), 소셜파이(SocialFi), AI 기반 금융상품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

기존 레이어2의 인식이 강했던 맨틀의 브랜딩이 이젠 하나의 온체인 금융 허브로 자리매김하고자 함.

"온체인 금융 허브"라는 이름에 걸맞게 디파이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 라인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기관향 제품, 및 AI가 결합된 금융상품까지 추가된다고 함.

📝 코멘트
- 맨틀은 지난해 초만 해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이제 막 수면에 드러난 프로젝트였음.
- 올해 초 크립토 시장을 보는 사람에게 맨틀을 아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이 알 정도로 급성장을 함.
- 사업의 확장은 사실상 팀의 성공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 생각함.
- 마치 단일 게임 기업이 성공을 거두고 이후 확장을 통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듯, 웹3에서도 노하우를 기반으로 섹터 자체를 아우르려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음.
- 특히 맨틀은 mETH와 이그니션을 통해 쌓아온 디파이 관련 노하우가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 사실 트레저리만 40억 달러인데.. 뭔들 못할까 싶긴 함.. ㄷㄷ

🌐 네이버 블로그 | 맨틀 그룹 웹사이트

코인개코

21 Jan, 09:18


맛 없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고밸류로 데뷔했네요!

현재 FDV 1.38b 정도...!

토큰 스플래시라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인데, 기존에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데뷔한 토큰은 PENGU 정도가 떠오릅니다.

코인개코

16 Jan, 12:26


USDe, sUSDe가 스파크에 통합되며 SLL(Spark Liquidity Layer)에서 USDe 관련 자산을 직접 보유 가능해짐! - Link

Sky(구 메이커다오)가 운용하는 렌딩 프로토콜인 Spark, 그리고 스파크의 리퀴디티 레이어에서 USDe 및 sUSDe의 보유가 가능해짐!

이게 에테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헤쳐 보고자 함.

주요 내용
- 1.1b 상당의 USDC를 활용하여 USDe 및 sUSDe를 직접 민팅하게 됨
- 기존에는 Aave나 Morpho 등 렌딩 프로토콜을 중간에 끼고 USDe 및 sUSDe에 접근할 수 있었음.
- 이젠 SLL (Spark Liquidity Layer)에 통합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하였고, 직접 리저브 USDC를 활용하여 USDe와 sUSDe를 민팅할 수 있게 됨.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a) 이미 스카이는 USDe를 통해 $100m 상당의 수익을 예상한 바 있음.
b) 이게 Aave나 Morpho 렌딩 프로토콜을 통한 수익이라면 직접 수익으로 전환되는 경우 그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임.
c) USDC의 유통량은 현재 $46b인데 USDe의 발행량은 $5.8b 수준임. USDC를 따라가기엔 한참 모자란 액수지만, USDe에게는 전체 유통량의 19%가 늘어나는 셈이며, USDe의 발행량이 성장의 주요 지표인 에테나에게 있어선 상당히 기념비적임.
d)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게 됨과 동시에 에테나의 담보금의 규모가 늘어날수록 델타 뉴트럴 포지션의 수익률 또한 증가할 수 있음.

리스크 매니지먼트 관련 제안
Spark는 한 종류의 자산(USDe)만 너무 많이 보유하면 리스크가 커지므로, 전체 자산의 20%까지만 보유할 수 있는 규칙을 설정했다고 이해할 수 있음.

직접 보유 vs 간접 보유:
직접 보유(130% 리스크 가중치)는 Spark가 자산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기 때문에, 더 엄격한 제한이 적용됨. 기존엔 Morpho 같은 중개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유하면 책임과 리스크가 나뉘므로 더 많은 자산을 할당할 수 있었음.

이번 통합을 통해 직접 보유로 정책이 바뀌며....
Spark는 직접 보유만으로는 885m USD까지만 가능하지만, Morpho를 조합하면 최대 1.15bn USD까지 Ethena 자산을 활용할 수 있음.
추가적으로 260m~500m USD 정도의 자산을 Ethena에 할당할 여력이 생길 수도 있음.

코멘트
결국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USDe 자산의 유통도 중요하지만, 이런 규모 있는 통합이 한 번에 가져다줄 수 있는 파급력은 상당히 큼.

USDtb의 Sky 그랑프리에 걸린 유동성도 공교롭게 $1b인데... Sky와의 깐부 플레이가 두 가지의 다른 스테이블 자산의 성장을 극대화시키고 있음.

팀의 비즈니스 능력이 빛을 발한 순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음.

코인개코

31 Dec, 15:00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코인개코

12 Dec, 07:41


메릿서클이었던 빔, 게이밍 L2 -> L1으로 피봇 선언 - Link

어제 오후 빔에서 굉장히 여러 가지 큰 소식들을 한 번에 터트림.

얼마 전부터 빔 파운데이션에서 뭔가 굉장한 것들을 발표할 것 같이 예고해서 눈여겨보고 있긴 했는데, 상당히 굵직한 소식들을 한 번에 발표함.

다만 좀 큰 소식치고 맛없게 발표하고 있는 것 같아서 아쉬움.. (트위터에 갑자기 빔 파운데이션 채용공고 많이 올라오고 있는데 마케팅 인력 빨리 뽑아야 할 것 같음..ㄷㄷ)

AI 디비전 설립, 아부다비 $150m 규모 펀드, 노드 관련 예고, 그리고 L1으로 독립 선언.

각 소식에 대해 세부사항을 전하진 않고 추후 하나씩 살펴볼 예정이라고 함.

그중 L1으로 피봇 선언과 아부다비에서 게이밍 중심의 벤쳐스를 설립한다는 내용이 핵심 발표.

아부다비는 최근 빠르게 게임 핫스팟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플레이어 커뮤니티의 성장 및 e스포츠 섬 개발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푸시하는 중.

대략 $150m 규모의 펀드로, 이전에 에이셔와 함께 발표한 $40m 규모의 AI 펀드와 함께 다소 파격적으로 출자하고 있음.

L1의 경우 함께 발표한 빔 노드와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발표되진 않았음. (다음 주에 발표 예정이라고 함 - Link

노드 관련해서는 내일 세부사항 공개 - Link

코인개코

02 Dec, 04:48


에테나, $1b 규모의 스카이 토큰화 그랑프리에 USDtb 제안 - Link

지난번 에테나는 Securitize와의 협업을 통해 블랙록의 BUIDL을 담보로 USDtb를 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더 나아가, USDtb를 Sky $1b 토큰화 그랑프리에 포함시키기 위해 신청서 제출.

그랑프리는 MakerDAO가 리브랜딩 하는 Sky 엔드게임의 일부로, 실물 자산 생태계를 성장시키기 위한 메이커다오의 오랜 계획 중 하나임.

주요 참여자
에테나: 블랙록 비들 펀드를 담보로 하는 USDtb

온도 파이낸스: OUSG, USDY 등 주식과 국채 기반의 토큰화 자산

심사 조건
- 자산의 신뢰도: 어떤 실물 자산을 토큰화했는지.
- 기술 구현: 블록체인 상에서 얼마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지.
- 시장 잠재력: DeFi에서 해당 토큰화 자산이 얼마나 활용될 수 있는지.

코멘트
USDtb가 12월 출시될 예정인 가운데 10억 달러의 유동성을 확보한다면, RWA 시장 파이의 압도적인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음.

이미 에테나는 USDe를 통해 SKY에 예상되는 연간 수익을 1억 2천만 달러 가량 창출할 수 있도록 해줌.

과거의 좋은 사례가 해당 그랑프리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언급하는 항목이 따로 있었음.

또한 에테나는 메이커가 USDe <> USDtb 간의 스왑을 거의 무료로 가능하게 하는 PSM(Peg Stability Module)을 구축한다고 함. 이를 통해 메이커는 비용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와 수익 창출이 가능해질 수 있음.

만약 에테나가 STGP를 따내면 RWA에서 온도를 큰 차이로 따돌리고 섹터내 일인자 포지션을 취할 수 있지 않을까 함.

코인개코

27 Nov, 22:44


오늘 올라온 에테나 관련 미담 - Link

1. 한 유저가 시즌 2 보상 베스팅 받는 도중에 드레인 당하고 있었음.

2. 에테나 파운더 @leptokutric_ 트위터에 DM

3. 오케이 해결 가능, 팀원들이랑 텔레그램 방 파줄게 -> 안전한 지갑으로 옮기게 됨

물론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대처가 GOAT 였다고 생각함.

드레인과 관련된 지갑 마이그레이션 사례는 꽤 있지만 에테나 처럼 대표가 직접 DM에 응답하고 해결해준 사례는 희박한 듯..

TVL ATH 수복하는 등 제품 측면에서의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운영과 관련해서도 훈훈한 소식이 들리니 좋네요 ㅎㅎ (ENA 0개 홀딩중..)

코인개코

26 Nov, 12:19


메인 스테이블 코인으로 자리잡은 에테나의 USDe - Link

Seven X Ventures의 Rui가 작성한 8가지의 메이저 스테이블 코인을 다룬 아티클, 에테나의 USDe를 고이율 스테이블 코인 군에 포함시켜서 소개함. 가장 높은 이율을 제공하며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고 언급하지만 그만큼의 우려 또한 아티클에 담겨 있음.

최근 에테나의 TVL은 지속적으로 고점을 갱신하고 있음. 이러한 상승세의 원인으로 불장에 강한 델타 뉴트럴 달러 모델임을 근거로 들음.

에테나는 베이시스 트레이딩을 기반으로 수익을 만들어내며, 지금은 다소 주춤하지만 비트 및 담보 자산의 숏 비율이 적을수록, 담보로 가지고 있는 숏 포지션에서 높은 수준의 펀딩비가 발생함. 이러한 원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유저들에게 높은 수준의 APY를 제공해 줄 수 있음.

해당 아티클에선 강세장에 유리한 자금 조달 방식, 지나친 CEX 의존성이라 표현하며 지속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함.

에테나는 기존부터 상승장에 강한 USDe 모델을 보완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약세장에 강한 UStb를 출시하기도 함.

물론 어느 정도의 약세장이냐에 따라 감당 가능한 리스크의 규모도 달라지겠지만, 헷징을 통해 이익을 만들어내고 있는 USDe를 위한 또 하나의 헷징 시스템이 될 수 있음.

UStb는 USDe의 리저브 펀드를 블랙록 크립토 펀드인 BUIDL에 할당하고, 이를 담보로 발행하는 새로운 종류의 스테이블 코인임.

USDe의 담보는 시장 상황에 따라 베이시스 포지션과 안정적인 자산(UStb)로 변동 가능하기에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담보구조를 손볼 것으로 보임.

요 며칠 비트가 좀 아프긴 하지만 최근 상승장에 힘입어 APY 25% 이상을 유지해주고 있으며 에테나의 자체 TVL은 지난 고점을 약 4개월 만에 탈환하기도 함.

코인개코

22 Nov, 07:44


$COOK 매도 압력에 대한 방어장치? COOK Feast 시작 - 블로그 링크

맨틀 mETH protocol의 거버넌스 토큰 $COOK이 40% 이상 상승했음.

오늘부로 Cook Feast(만찬) 캠페인이 시작된 영향이 큰 듯함.

$COOK의 경우 mETH, cmETH를 보유하거나 USDe, USDY, FBTC와 같은 주요 자산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파밍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매도 압력에 대한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다소 아쉬웠음.

이러한 아쉬운 점을 단기적으로나마 COOK Feast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는 것 같음. COOK Feast는 COOK 스테이커들에게 총 보상 풀 200 cmETH를 할당하는 캠페인으로 약 3개월간 진행될 예정.

구조적으로 다르지만, GMX가 초기 아비트럼, 아발란체 생태계에서 스테이커들에게 각 네트워크 토큰을 보상으로 주며 매도압력을 줄였던 전략과 다소 비슷하다고 생각했음.

해당 캠페인이 COOK의 신규 유틸리티가 공개되기 전, 메타모포시스로 풀릴 토큰을 묶어두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장치가 될 것으로 보임

코인개코

11 Nov, 05:30


에테나 파운더 트위터 암시, USDe APY 떡상 예정?

에테나 파운더 가이가 트위터에서 "꽤 많은 레버리지가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에테나 헷징 페이지의 Average Funding 비율 이미지를 업로드함.

현재 에테나 대시보드의 헷징 페이지를 살펴보면 BTC는 관련 거래소 에버리지 펀딩이 19.86%, ETH는 35.13%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변동성 엄청 강함)

USDe 이자의 일부는 에테나가 담보물을 중앙거래소에 반대 포지션을 잡아서 헷징하고 발생하는 펀딩비로부터 옴.

따라서 상승하는 시장 분위기에 따라 잠재적으로 USDe의 이율이 증가할 수 있음.

에테나 웹페이지 상의 APY는 12%로 명시되어 있는데, 해당 이자 명시는 1주일에 한 번씩 바뀐다고 함. 마지막 업데이트가 11월 6일이었으므로 13일쯤에 새로운 APY가 나타날 것으로 보임.

상승장에 접어들수록 반대 포지션의 펀딩비율이 상승하고 더 많은 수익을 USDe 예치자들에게 지급하므로 상승장이 길어질수록 USDe의 이자율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임.

블랙록 비들 펀드를 담보로 하는 UStb가 하락장에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위해 필요하다면, USDe는 상승장에 더 많은 이율을 가져다줄 수 있음.

그외 준비금 운용 현황 디뱅크에서 확인하기 - Link

코인개코

29 Oct, 02:30


$testME 클레임 열렸네요 - Link

자격여부에 따라 클레임 가능하고, 유저마다 받는 토큰 갯수도 다른거 보면 소소한 재미를 주지 않을까 기대됨!!
(WEN이나 mockJUP처럼..?)

클레임 기간 10월 31일까지

코인개코

24 Oct, 22:26


매직에덴, 10월 29일 클레임 테스트를 위한 토큰($TestME) 출시 - Link

10월 29일에서 31일 사이에 클레임 해야함.

$TestME는 $ME와 1대 1 가치를 가지지 않는 별개의 토큰.

주피터가 $WEN, $mockJUP을 테스트 밈 토큰으로 에어드랍 했던 것처럼, 근 몇 달간 온체인 활동이 있는 유저들 대상으로 클레임 권한을 부여한다고 함.

토큰은 거래 가능할 예정이지만, 테스트 목적 외에는 기능이나 가치가 없는 토큰이기 때문에 투기적인 거래를 자제하라고 함. (밈 코인)

테스트 클레임 기간이 10월 29일 - 31일 인걸로 보아 $ME의 TGE는 11월로 예상됨.

코인개코

24 Oct, 14:35


쿡($COOK) 개수 확인!!
- 확인 링크

맨틀 인턴은 파우더당 대략 1.5쿡 예상 했는데 과연..

코인개코

16 Oct, 06:31


에테나, 매운맛 + 건강한 맛을 동시에 갖춘 프로젝트..? (Feat. RWA)

에테나는 명실상부 가장 빠르게 궤도권을 뚫은 디파이 관련 프로젝트.

이런 빠른 성장세의 원인 중 하나는 시즌 1에서 맛있었던 에어드랍과 이를 기대하게 할 시즌 2 포인트 파밍..

최근 에테나 시즌 2가 끝나고 샛츠(Sats) 캠페인에서 파밍했던 포인트가 딱히 맛없었음. 이후 토큰 가격은 지속적인 매도압력으로 인해 하락하고 프로젝트는 유기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커뮤니티의 우려가 있었음.

하지만 우려와는 반대로 UStb, Ethereal 관련 소식을 순차적으로 발표하며, 해당 촉매제로 토큰 가격이 급상승하기 시작함.

거기에 인플루언서 피죤이 에테나의 상승세를 점쳤고, 이후 ENA 토큰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중.

이렇듯 위아래로 요동치는 토큰 가격, 초기 에어드랍 및 포인트 파밍 지원, 이더리얼과 같은 파생 프로젝트 에어드랍 예고 등 단기적인 수익 요소를 제공함에 따라 리테일 유저들의 인식 속에는 꽤나 매력적인 프로젝트로 자리 잡게 되었음.

하지만 에테나는 이런 자극적인 맛만 가진 게 아님. 블랙록의 BUIDL 펀드를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 자산인 UStb 빌딩을 발표했고, 거래소 담보로 UStb를 지원하는 점 등 RWA와 장기적인 사업측면에서도 나름의 빌드업을 해나가고 있음.

또한 자체 빌딩하는 에테나 네트워크를 통해 USDe 사용처 확장 -> 이더리얼과 같은 앱체인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만들며 ENA의 쓰임새도 생겨나는 중. (리테일 유저들과 기관 및 중앙거래소를 둘 다 겨냥하는 전략이 매력적)

한편 최근 그레이스케일이 올린 투자 고려 중인 자산 Financial 섹터에 Ethena의 ENA가 꼽히기도 함.

코인개코

03 Oct, 23:47


이더리얼, sENA 리워드 프로그램 시작 - Link

에테나 시즌 2가 종료되고 시즌 3가 시작됨.

에테나 생태계의 첫 앱체인인 이더리얼은 자체 토큰 발행이 약속되어 있음.

지난 프로포절에서 ENA 홀더들에게 15% 상당의 토큰을 할당하겠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sENA 포인트를 카운트하기 시작했다는 트윗이 올라옴.

하지만 지난 시즌 Sats 캠페인 보상이 풀리며, 시장 상황과 맞물려 토큰 가격이 하루만에 20% 정도 빠진 상황.

토큰 에드를 받기 위한 조건은 ENA 홀더라고 명시했지만, 스테이킹한 sENA 혹은 리스테이킹한 rsENA의 홀딩 기간에 따라 포인트를 파밍해야 함.

코인개코

01 Oct, 00:16


에테나 네트워크 생태계, 드디어 에어드랍 시작?
- 프로포절 살펴보기

에테나가 이전에 발표한 자체 네트워크에서 세틀링할 L3 앱체인 출시를 거버넌스 프로포절로 공개함.

이름은 이더리얼(Ethereal), 퓨처 Perp DEX 중심의 앱체인이며 에테나 네트워크의 dYdX 및 GMX와 같은 역할을 할 예정

자체 토큰 또한 발행할 예정이며 15%를 ENA 홀더에게 할당 (세부사항 기달려야 할 듯)

네트워크 및 거래소에서 사용될 주요 통화는 USDe로, 거래소 담보 및 가스토큰 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될 예정.

ENA는 에테나 네트워크 중심의 생태계가 확장되고, 첫 에어드랍 사례에 따라 과거부터 있어온 유틸리티에 대한 우려를 일부 해결

뿐만 아니라 기존 USDe 준비금과 연동되어 에테나 네트워크는 GMX 같은 생태계 유동성 허브를 자체적으로 갖출 수 있음.

최근 UStb까지 출시한 가운데 기관 자금을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할 수 있는 Perp DEX라는 메리트도 출발점에서 가지고 갈 수 있지 않을까 함.

다만 Perp DEX 사용량 및 인지도 자체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Ethereal이 첫 생태계 앱체인으로 등장한다면 게임체인저가 될지 악수가 될지..

코인개코

30 Sep, 23:47


매직에덴 토큰 TGE 관련 업데이트
https://x.com/MEFndn/status/1840770651784679682?s=19

10월 계획 요약
- 모바일 ME 월렛에서 토큰 클레임 할 수 있게 하려 함
- 10월에 테스트넷 토큰으로 클레임 테스트 진행
- 이후 토크노믹스 공개
- TGE

코인개코

26 Sep, 11:07


에테나, 신규 스테이블 코인 UStb 공개
https://x.com/ethena_labs/status/1839258925981642834

UStb는 Securitize와 BlackRock의 BUIDL 펀드를 담보로 하는 법정화폐 추종 스테이블 코인

기존 음펀비 담보에 대한 우려 사항을 개선하고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신규 스테이블 자산으로 온도에 OUSG가 있다면, 에테나엔 UStb가 비슷한 포지션을 차지할 것으로 보임

기존 USDe와는 별개의 스테이블 자산으로 필요에 따라 USDe 담보 구성을 베이시스 포지션과 유동성 안정 상품 사이에서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음

몇몇 중앙 거래소에도 UStb를 상장하고 담보로 지원할 예정이라 함

세부사항은 추후 공개

- 코인데스크 보도자료

코인개코

28 Aug, 14:06


가장 매력적인 수익률을 가져다줄 스테이블 자산 TOP 5 - Source

USDe 처럼 다양한 담보 구성 방식을 가진 스테이블 자산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스테이블 파밍 전략들이 생겨남

1. USDe (Ethena)
Sats 포인트 파밍 + 스테이블 파밍의 메타를 이끈 에테나의 합성달러 자산

최근 Infinex(신세틱스 Kain이 설립한 체인추상화 프로젝트) 같은 곳에선 아예 USDe를 스왑하여 가지고 있는 것 만으로 x200의 샛츠 파밍을 지원하며 sUSDe를 기반으로 수익을 제공하기에 유저들은 sUSDe에 대한 리얼일드와 언제든 유동화 가능하다는 장점을 동시에 누릴 수 있음

2. USD0 (Usual)
에떼나에 Sats가 있다면 유주얼엔 Pill이 있음. 에테나와 마찬가지로 CEX에서의 포지션을 담보로 하여 펀딩피를 통한 아비트라지 수익을 얻음

다른 신규 스테이블 자산들과 마찬가지로 Origami 및 Morpho Blue 등에서 매력적인 수준의 머니레고를 가능하게 함

3. USDz (Anzen)
RWA 지향 스테이블 자산. 위에서 소개한 자산들과 마찬가지로 지원하는 체인이라면 홀딩만으로 z-포인트 승수 및 이율을 챙길 수 있음. 현재 유니스왑 이더체인의 BTC 페어에 유동성 공급하는 것이 가장 높은 승수(50배)를 확보하는 방법이며 베이스, 하이퍼락, 블라스트 등에서 멀티 포인트 파밍 전략을 세울 수 있음

4. deUSD (Elixir)
USDe와 마찬가지로 stETH 같은 변동성 자산을 헤징하는 델타 뉴트럴 전략을 활용. 아브라캐다브라에서 레버리지 스테이킹을 통해 29.5배의 포인트파밍 지원

5. USDM (Mountain)
온도의 USDY와 마찬가지로 미국채권에 의해 백킹되는 스테이블 자산임과 동시에 stETH와 같은 리베이싱 토큰 (보상이 토큰 갯수로 쌓임)

콘탠고에서 돌러마이트 롱/숏 전략을 활용해 레버리지 파밍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아비트럼 생태계 프로그램에 의한 ARB 파밍율도 가장 높은 수준. USDz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에서도 활용 가능하기에 BASE 토큰에 대한 잠재적 스냅샷을 기대해볼 수 있음

코인개코

21 Aug, 03:38


제가 좋아하는 두 프로젝트가 만나서 한국 이벤트를 진행하네요!

개인적으로 아비트럼 생태계에 관심이 많았었는데, 좋은 아티클인 것 같습니다!

해당 아티클을 통해 펜들, 카멜롯, GMX와 같은 아비트럼 네이티브 프로토콜에서 USDe를 활용하여 매력적인 수익 + Sats 포인트를 얻을 수 있는 방법들을 함께 고민해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코인개코

26 Jul, 15:20


스테이블 파밍의 발전은 끝이 없다 - Link

1. 아직 인기가 없는 sUSDe/crvUSD 페어에 대해 커브 트윗에서의 쉴링이 시작됨

2. Ethena에서 USDe를 스테이킹하고 얻을 수 있는 sUSDe를 통해

3. 락업된 USDe에 대한 APY(현재 11%) + 20-100% 가량의 x30 샛츠 파밍 부스트 + base vAPY 27%를 얻을 수 있는 풀을 소개

리스크는 양쪽 스테이블에 대한 디페깅(1달러 완전 페깅은 잘 안되고 그 근처에서 변동성이 잦음)과 해킹 + 이자율의 유지기간(변동 금리)

Y2K 혹은 다른 스테이블 디페깅 볼트에서 스테이블 코인 헷징하면서 스테이블 파밍을 할 수 있다면 이율이 유지되는 동안 안전파밍 가능할 것 같은데 검증이 안됨 (PT와 YT를 쪼개서 YT를 판 후 만기일이 도래한 PT를 구매하는 것과 비슷한 전략일 수 있음)

Y2K에선 현재 유일하게 crvUSD와 USDe 헤징 볼트를 모두 지원함

리스크는 Y2K 디페깅 볼트는 유동성이 워낙 적고 플랫폼 자체의 신뢰도가 아직 충분하지 못하여 실용적일지는 미지수 + 베라로 마이그레이션 준비중이라 업데이트는 다소 잘 안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스테이블 치곤 마라맛 이율이라 커브의 본격적 쉴링으로 인해 금방 풀이 차고 이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그래도 충분히 매력적인 스테이블 파밍풀이라 소개

이럴때 확실히 지원해주는 페깅볼트 혹은 USDe와 crvUSD의 숏을 지원하는 거래소가 있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

반면 USDe나 USDY같은 새로운 형태의 스테이블 코인들을 사용하는 사용처도 늘어나고 있기에, 기존에 비해 스테이블 파밍이라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 수단이 늘어나는 것이 굉장히 고무적임

온도의 USDY는 최근 앱토스 등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며 이젠 거의 대부분의 체인을 지원하는 등 무한한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음

코인개코

16 Jul, 11:24


에이셔, 3600만 달러치 ATH 바이백 계획발표?

디핀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자랑하고 있는 에이셔가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현황을 보여주는 대시보드, 그리고 그 수익을 통한 ATH 바이백 소식을 전했습니다.

현재 디핀 생태계 내 주요 프로젝트인 IO.net과 아카시의 토탈 수익이 $1.5mil인데에 비해 에이셔 수익은 $36mil이라고 하네용

이 3600만 달러 상당의 수익을 월 300만 달러 수준으로 12개월 동안 ATH 바이백에 활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공지 소식 이후 ATH는 13%정도 상승했네요

- 자세한 내용 트윗에서 확인하기

코인개코

10 Jul, 02:09


에이서의 스테잌드 유동성 토큰 stATH, SP(소폰 포인트) 파밍 지원 - Link

소폰(Sophon)?
- 소폰은 빔(Beam, 구 메릿서클)과 젠트리(Zentry, 구 길드파이)가 공동으로 인큐베이팅 하는 ZKsync 기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소폰에서 파밍을 시작한건, 지난 6월 19일이며 BEAM/ETH 페어를 통해 파밍을 지원했음

현재 파밍 4주차에 이르러 신규 풀 4가지가 추가됨
- 에이서(Aethir): stATH
- 다이(DAI): sDAI
- PEPE, USDC

에이서는 ZK 싱크 기반의 블록체인인 소폰의 ZK 체인에서 노드스왑 출시를 발표한 바 있으며 파트너십과 관련된 첫 활동으로 stATH를 SP 파밍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블로그에서 전문 읽기

코인개코

03 Jul, 07:40


에테나(Ethena) 시즌2 Sats 캠페인 관련 정보

📌 시즌2 Sats 캠페인
- ENA, USDe, SolvBTC, Bouncebit USD, Mezo BTC, USDe 스테이블 리퀴디티 페어 등 다양한 자산군의 예치, 파밍 작업을 통해 Sats 포인트 획득
- 이번 Sats 캠페인에 $ENA 전체 공급량 10%-15% 할당
- 9월 2일(예상) USDe 공급 $5B 도달 시 캠페인 종료

1. ENA 풀
- $ENA 공홈 락업 / 30배 Sats 포인트
- $USDe 공홈 락업 / 20배 Sats 포인트
- $ENA 심바이오틱 리스테이킹 / 30배 Sats 포인트
- $ENA 멜로우 리스테이킹 / 30배 Sats 포인트

2. BTC 풀
- SolvBTC 예치 / 10배 Sats 포인트
- 바운스빗 BBUSD 예치 / 5배 Sats 포인트
- Mezo BTC 예치 / 20배 Sats 포인트

3. USDe 리스테이킹 풀
- $sUSDe 심바이오틱 리스테이킹 / 10배 Sats 포인트
- $sUSDe 멜로우 리스테이킹 / 10배 Sats 포인트
- $USDe, $sUSDe 카락 리스테이킹 / 20배 Sats 포인트, 5배 Sats 포인트

최근 ENA 토크노믹스 업데이트에서 강조된 멜로우&심바이오틱과 BTC Yield 관련 특수 자산군에 대해서만 리스트업 했습니다.

이 외, USDe를 기반으로 한 Blast, Arbitrum, Mantle, Zircuit, Swell 등 레이어2 체인에서의 스테이블 페어 파밍.
Curve, Uniswap, Ether.Fi의 USDe/스테이블 LP 파밍.
Pendle Finance에서 ENA 및 USDe를 활용한 YT, PT 전략 등을 통해 Sats 포인트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식 웹사이트 | 트위터 | 디스코드
한국 공지채널 | 한국 커뮤니티

코인개코

01 Jul, 02:48


메타모포시스 (변태) - 트윗

MIP-30에서 제안된 맨틀 LSP의 스핀아웃 프로젝트, 신규 토큰 발행 및 cmETH(리스테이킹) 프로토콜 빌딩을 하는 프로젝트가 수면에 드러났습니다.

주요 제품인 mETH(Mantle Stake ETH)의 리스테이킹 토큰인 cMETH가 추후 출시될 예정이며 스테이킹을 통해 $COOK 토큰을 파밍할 수 있습니다.

cMETH가 출시되기 전, $COOK을 mETH로 사전채굴 가능한 메타모포시스(한국어로 변태) 시즌1이 시작되었는데, 해당 캠페인은 약 100일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많은 ETH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미있는 점은 심바이오틱, 캐락, 아이겐레이어 등과 협업하여 갈 곳 잃은 ETH들이 더 효율적으로 리스테이킹 전략을 짤 수 있도록 공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 외에도 이닛 캐피탈 등 맨틀 생태계 내 대부분의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파트너 프로젝트로 눈에 띄네요.

기존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및 LST를 지원하는 만큼 이더리움 L1에서의 파밍도 지원하지만, 공식 블로그 피셜 맨틀 L2에서 보유한 mETH를 활용하는 것이 파우더(포인트) 파밍에 가장 유리하다고 합니다.

- 블로그 링크

물론 재단에서 직접 밀어주는 만큼, 엄청난 양의 ETH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기에 리테일 입장에선 맛없을 거다라는 의견이 지배적인데 과연...?

코인개코

27 Jun, 21:50


렌조와 ezETH도 심바이오틱 생태계에 합류 - Link

멜로우에 이미 렌조 LRT 큐레이터가 생겼으며 ezETH를 예치할 경우 Symb + Renzo + Mellow Points를 얻습니다.

또한 멜로우에 에테나 USDe 볼트를 제외한 모든 풀의 리밋이 해제 됐습니다.

리밋해제 이후 멜로우 및 심바이오틱 전체 TVL 상승폭이 기대되네요

코인개코

26 Jun, 01:40


Mellow LRT 볼트로 Ethena도 참여

ENA 풀은 아직 덜 찼는데 sUSDe 풀은 벌써 다 찼네요 ㄷㄷ

Sats x30 + Symb Points + Mellow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