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 유통/의류 유정현]
★ 롯데쇼핑 4Q24 컨퍼런스 콜 요약
▶️ 4Q24 실적 발표
- 매출액 3조 4,771억원(-4.3% yoy), 영업이익 1,472억원 (-27.3% yoy), 순이익 -1조 63억원 (-9,394억원)
- 매출액: 해외사업 성장에도 내수 부진 장기화 및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 비우호적 소비환경으로 연결 매출액 감소
- 영업이익: 일회성 비용 반영에 따른 연결 영업이익 감소
*통상임금 영향, 컬처웍스 대손비용 제외시 영업이익 2,113억원 (+4.4%, yoy)
- 당기순이익: 자산재평가에 따른 손상 인식 규모 증가로 영업외손익 및 당기순이익 적자 확대
*4Q24 자산손상 -1조 1,781억원
- 24년 실적: 사업 효율화 등으로 가이던스 미달했으나, 수익성 개선 집중 노력 및 리뉴얼 효과 가시화
- 매출: 연간 총매출 감소분 6,307억원 중 75%는 내부 효율화 및 폐점에 의한 감소
- 수익성: 24년 매출총이익률 48.2%(+1.7%p, yoy)
- 통상임금: 통상임금 기준에 대한 대법원 판례 변경으로 인건비 증가액 4Q24 일시 반영 (연결 기준 532억원)
- 자산재평가: 자산재평가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 (토지장부가 +9.5조원, 부채비율 -61.8%p)
- 25년 가이던스: 25년 연결기준 가이던스 매출액 14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
▶️ 부문별
1) 백화점
- 매출액 9,123억원 (-2.9%, yoy), 영업이익 1,472억원 (-27.3%, yoy)
1-1) 국내 백화점
- 매출액 8,798억원 (-3.5%, yoy), 영업이익 1,809억원 (-20.6%, yoy), 일회성 비용 제거 시 영업이익 2,017억원 (-11.5%, yoy)
- 24년 4분기 기존점 매출 신장률 (SSSG) : -0.1%
- 24년 기존점 매출 신장률 (SSSG) : +0.9%
- 잠실점 3조 달성 등 대형점 신장에도 고온 영향으로 패션 트렌드 둔화되며 매출 감소
- 명품/식품/생활가전 중심 신장 및 일시적 비용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 감소
1-2) 해외백화점
- 매출액 325억원 (+13.4%, yoy), 영업이익 -8억원 (+143억원, yoy)
- 베트남 : 매출액 270억원 (+43.3%, yoy), 영업이익 -11억원 (+86억원, yoy)
- 인도네시아 : 매출액 55억원 (+8.4%, yoy), 영업이익 3억원 (+1억원, yoy)
- 총매출 신장률: 베트남 +10.6%, 인도네시아 +8.8%
- 웨스트레이크 하노이(+28.9%) 및 동남아 기존점 전점 총매출 신장
-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영업이익 지속 개선 및 10~11월 2개월간 흑자 달성
2) 그로서리 사업 (국내 마트 & 슈퍼)
- 매출액 1조 2,655억원 (-3.3%, yoy) 영업이익 -253억원
- 기존점 매출 신장률(SSSG): 국내 마트 +1.0% / 슈퍼 +8.9%
- 리뉴얼 점포 중심 기존점 매출 신장에도, 일시적 비용 증가 요인으로 영업적자 확대
3) 할인점
- 매출액 1조 3,327억원 (-1.2%, yoy) 영업이익 -71억원 (-146억원, yoy)
3-1) 국내 할인점
- 매출액 9,629억원 (-3.7%, yoy), 영업이익 -175억원 (-186억원, yoy)
3-2) 해외 할인점
- 매출액 3,699억원 (+5.9%, yoy), 영업이익 105억원 (+40억원, yoy)
- 인도네시아 : 매출액 2,733억원 (+5.6%, yoy), 영업이익 30억원 (+5억원, yoy)
- 베트남 : 매출액 966억원 (+6.7%, yoy), 영업이익 75억원 (+35억원, yoy)
- 기존점 매출 신장률(SSSG): +1.7%(베트남 +4.2%, 인도네시아 +0.8%)
- 베트남: 안정적 성장 지속 및 매출총이익률 개선으로 영업이익 큰 폭 증가
- 인도네시아: 리뉴얼 점포 중심 트렌드 호조로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4) 이커머스
- 매출액 353억원 (-7.0%, yoy), 영업이익 -70억원 (+141억원, yoy)
- 버티컬 거래액 지속 신장했으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영향으로 배출 감소
- 롯데ON 상품이익률 개선 및 비용 효율화를 통한 영업적자 축소
* ‘24년 10월부 e그로서리 사업 이관 (e커머스 -> 마트) 영향 약 +70억원
5) 하이마트
- 매출액 5,564억원 (-3.8%), 영업이익 -163억원 (-62억원, yoy)
- 기존점 및 온라인 자사몰 매출 신장에도 불구하고, 가전시장 회복 지연되며 매출액 감소
- 체질개선 작업 효과로 매출총이익률 개선되었지만, 판관비 증가되며 영업이익 감소
6) 홈쇼핑
- 매출액 2,570억원 (-1.2%, yoy), 영업이익 139억원 (+38억원, yoy)
- 총매출 4Q24 -4.3% (라이브 TV -9.3%, 이커머스 +1.7%, T 커머스 +5.2%)
- Live TV 이익 중심 상품 포트폴리오 조정 및 비용 구조 개선 노력으로 영업이익 확대-
7) 컬처웍스
- 매출액 5,564억원 (-3.8%, yoy), 영업이익 -160억원 (-133억원, yoy)
- 베트남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 영화시장 회복 부진 및 주요 콘텐츠 작품 부재로 매출 감소
- 판관비 절감 노력에도, 일시적 비용 증가로 영업적자 확대
*4Q24 대손비용: -109억원
▶️ 영업외손익 관련
1) 외화 파생 손익
- 4Q24 외화예금 환산/실현 손익 13억 등
2) 지분법 손익
- FRL코리아 557억원 (+205억원, yoy), 한샘 -35억원(+73억원, yoy), 롯데카드 113억원 (+110억원, yoy),
3) 기타 영업외 손익
- 4Q24 자산손상 -1조 1781억원(-9,522억원 , yoy)
▶️ 배당현황
- 24년 주당 배당금: 3,800원
- 20년: 2,800원, 21년: 2,800원, 22년3,300원, 23년: 3,800원
- 24년 시가배당률 7.1%
▶️ 자산재평가 결과
- 토지 자산재평가로 재무구조 개선되었으나, 증가한 장부가액 대비 공정가치가 낮은 점포 손상 7,450억원 발생
▶️ QnA
1. 각 사업부문별로 1월, 2월 초까지 영업동향, 올해 전략적으로 가장 중시하고 있는 부분이 궁금함.
[백화점]
- 백화점 1월 매출 +10% yoy 성장, 대형백화점이 견인. 명품 브랜드 가격 인상 덕분에 럭셔리 부문에서 +16% yoy 성장이라는 큰 성장을 거둘 수 있었음.
- 백화점은 올해 주요점 중심 리뉴얼 집중할 예정. 그리고 크리스마스 이벤트를 집중할 계획
[국내 마트 슈퍼]
- 해외여행 위축됐었기에 명절 선물세트 크게 늘었었음, 또한 고물가로 외식보다는 가정 내 소비가 늘어나는 움직임 보이면서 마트 슈퍼 모두 두 자릿수 성장 거둠
-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PB와 신선식품 중심으로 어려움 극복해 나갈 계획. 또한 그로서리 온라인 상품군을 새롭게 선보이며 온라인 비즈니스 강화해 나갈 것
[이커머스]
- 온라인 휴일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 성장을 거둠.
- 올해는 수익성 낮은 부문들 구조조정 속도감 있게 진행할 예정, 특히 버티컬 조직을 집중할 예정
- 광고사업을 yoy로 30% 성장시킬 계획
2. 25년 해외사업 확장 계획 어떻게 되는지
- 싱가포르 법인을 설립한다는 기존 계획 차질없이 진행 중. 1분기 말에서 2분기 초에 법인 설립될 것.
- 해외 할인점: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24년 이상 성장 이어나갈 것. 하노이는 기존의 하이퍼포맷에서 하노이와 호치민을 중심으로 사이즈별 포맷을 다양화시킬 것. 인도네시아는 K-푸드를 중심으로 한 매장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예정이고 올해 말에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형태도 만들 예정
3. 24년도에 자산손상을 많이 진행했는데, 25년도에 감가상각비 얼마나 감소시킬 수 있을지
- 이번에 손상차손을 약 7,000억원 진행시켰는데, 덕분에 생기는 감가상각비 감소분을 25년 가이던스에 넉넉하게 반영해 매출 14조, 영업이익 6,000억 제시한 것임.
4. 이번에 e-그로서리 사업이 마트에서 이관되면서 70억원 반영이 변경됐는데, 앞으로도 분기별로 70억원 영향이 있는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