쩜상리서치 @upper_limit_price Channel on Telegram

쩜상리서치

@upper_limit_price


*본 채널은 주식 리딩 및 종목 추천하는 방이 아닙니다. 본 채널 운영에 영리를 추구하지 않으며 시장자료 및 공시, 재무제표, 뉴스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을수 있으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법적 처벌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쩜상리서치 (Korean)

쩜상리서치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본 채널은 upper_limit_price 님의 운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단지 주식 리딩이나 종목 추천을 하는 곳이 아닙니다. 우리의 목표는 영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며, 시장자료, 공시, 재무제표, 그리고 뉴스를 중심으로 분석된 내용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잘못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법적 처벌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저희 채널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얻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쩜상리서치 채널에서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성장해보세요!

쩜상리서치

16 Feb, 04:00


02.14일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k-온디바이스 투자 내용이 기사화되며 관련 반도체 기업들이 강세를 보임
- 어보브반도체, 퀄리타스반도체, 사피엔반도체, 칩스앤미디어 등 온디바이스 관련과 텔레칩스, 오로스테크놀로지 매수
- 아이팸은 콥데이에서 향후 사업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말해주면서 상승한 듯
- 그 외 로봇쪽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고영 등
- 바이오도 최근 주가 상승이 좋은 지아이이노베이션, 퓨쳐켐 등이 지속적으로 좋음. 그리고 펠로시의 템퍼스 ai 매수 소식 이후 미국 증시에서 AI 의료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지속적으로 강세인데 국내 사모는 관련하여 온코크로스를 좋아하는 듯
- PPI, 소매 판매 지표가 나오면서 금리가 하방으로 움직인 상황이라 바이오 투심은 유지될 것으로 보임
- 기타 산업재는 일진전기, 디케이티, 지엔씨에너지 등 매수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은 기판쪽 업체들에게 주목하고 있음
- 그리고 케미컬, 건설, 화장품 등 조정이 많았다가 최근 올라오는 섹터들을 가져가는 모습
- 최근 핫한 네트워크 장비쪽에서는 그동안 에치에프알이 잡히다가 RFHIC로 바뀌는 모습
- 다른 수급과는 달리 DGB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등 은행 증권 관련 기업들이 상위 포진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은 바이오와 IT쪽을 반반 정도로 매수
- 상위포지션에는 지아이이노베이션 제외하고 전부 CXL, AR, 온디바이스 등 금요일에 강했던 테마 위주의 테크 기업들이었음
- 제이앤티씨도 최근 유리기판 관련으로 업사이드 높다는 스터디 자료들이 올라오곤 하는데 평소에 가이던스 구라를 많이 치던 기업이라 열심히 공부해봐야 할 듯
- SAMG엔터가 영업이익 90억을 기록하면서 가파르게 턴어라운드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아직 사업보고서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추후 업데이트 필요함
- 바이오플러스는 호실적 발표 후 약간의 셀온 맞은 모습
- 두산테스나가 중국쪽 이구환신 관련으로 주목받고 있는 듯한데 실제로 어떨지 아직까지 잘 모르겠음. 오늘자로는 삼파 부진 관련 부정적인 내용 추가됨

4. 기타 시장 관련 코멘트
- 최근 국내 증시 거래대금이 매우 좋은 수준. 특히 코스피는 최근 1년간 가장 좋은 수준으로 지속되고 있음
- 다만, 예탁금 자체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순환매 강도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고 판단됨. 타이밍 잘못 맞추면 계속 헛발질 찰 수도 있고, 신용잔고는 조금씩 상승하고 있어서 트럼프나 미국 매크로 관련 노이즈 끼면 증시가 크게 하락할 수 있는 상황일 수도 있을 듯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너무 처져있던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은 점은 매우 고무적임
- PPI와 CPI 세부지표가 생각보다 완화적으로 나오고, 소매판매 지표가 부진함에 따라 10년물 금리는 4.5 언더로 내려옴
- 바이오 홀딩 관점이 계속 유효할 것이라고 생각됨 + 미국 AI 의료 기업들의 지속적인 초강세 영향으로 긍정적인 분위기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5 Feb, 04:45


#삼양식품
- 1월 수출액 기준 YoY +39%, MoM -5%
- 1월 수출단가 $4.39/KG (24년 2월 $4.41/KG이후 최고단가)
- 환율 차이 고려하면 사실상 최고단가
- 미국, 유럽 MIX 좋아짐에 따라 단가도 우호적인 상황

쩜상리서치

14 Feb, 13:02


https://youtu.be/SGmzI_qlCEA?si=i017EwV9TohzCCXY

쩜상리서치

14 Feb, 08:28


오늘은 코스피 코스닥 모두 거래대금 괜찮은 편
외국인 형님들이 코스닥 마니마니 사주심. 선물 5000억 순매수는 덤

코스피 13.7조
코스닥 9.9조

예탁금 53.9조 (조금 올라옴)
신용잔고 17.2조

쩜상리서치

13 Feb, 06:42


코스피 거래대금 폼 미쳤다

코스피 16.8조
코스닥 8.2조


예탁금 52.9조
신용잔고 17.1조


예탁금은 잘 안 늘어나는데 회전이 엄청 빠른 시장 지속

쩜상리서치

12 Feb, 23:59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9934?sid=101

쩜상리서치

12 Feb, 23:50


https://mining.com.au/ionic-to-collaborate-with-dna-link-for-rare-earths-supply-chain/

쩜상리서치

12 Feb, 11:51


#FTNT
https://m.blog.naver.com/pg5598/223758167470

쩜상리서치

10 Feb, 22:58


『SAMG엔터(419530.KQ) 이익 성장 궤도 진입』 
교육 주지은 ☎️) 02-3772-1575

▶️ 앞으로도 지속될 호실적
- 영화 흥행 이후, 티니핑은 키즈 IP에서 캐릭터 IP로 도약
- 완구 품절 지속과 티니핑 IP 활용한 라이선스 매출 고성장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효과 부각
- 구조조정, 체화재고 처리, 유통망 내재화로 비용 구조 개편되어 2025년 순이익 상향 조정. 긍정적 투자 관점 제시
 
▶️ 4Q24 Review: 라이선스 매출 증대로 이익 레버리지 부각
- 4Q24 연결매출 419억원(+22% YoY), 영업이익 90억원(흑자전환)으로 당시 추정이익(19억원) 큰 폭 상회
- 이익 개선의 주요인은 1) 라이선스 부문의 이익 레버리지, 2) 탑라인 성장에 따른 고정비 효과
- 라이선스 부문의 경우, 사업보고서 미발표로 부문별 매출 파악 어려움. 다만 추정치(49억원)를 상회하는 70억원 수준으로 파악
- 2025년 연결매출 1,406억원(+21%), 영업이익 174억원(흑자전환) 전망. 라이선스 매출 비중 확대 및 연내 대형 파트너사들과의 협업 예정으로 이익 레버리지 효과 지속될 것 
 
▶️ Valuation & Risk: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히 유효
- 당사 추정치 기준 2025년 PER은 10배
- IP 사업 영위하는 기업들의 평균 PER은 1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히 유효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758
위 내용은 2025년 02월 11일 07시 41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쩜상리서치

10 Feb, 21:26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엔터/미디어, 조선/LNG, 로봇
- 상대강도: 바이오, 2차전지, 테크, 미용, 엔터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테크, 미용, 엔터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테크, 미용, 엔터
- 특이적인 유동성: 글로벌텍스프리, 엠앤씨솔루션, 현대건설, 덕산네오룩스, 효성중공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801347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801272
- 세상에서 젤 짜릿한 마진 천장 뚫기 경신. 내수 마진 좋은 것과 환이 4Q 우호적이었다는 것을 고려해도 마진이 처음으로 전사 20%대를 기록.
- QoQ 마진 추이를 보면 1Q 0%(일시적)>2Q 12%>3Q 18%>4Q 21%. 환 영향이 꽤 유의미할 거라고 생각하는데, 마진이 다시 천장 뚫은거라서 환 제외해도 마진이 좋은 것 같음. 근데 추정치에도 환은 어느정도 반영은 되어 있음.
- 사실상 KAI 빼고 체계업체 모두 큰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것이기에 섹터로 액션 나오는데 큰 문제 없다고 생각. 다만, 내일 9시 웹캐스팅이기 때문에 듣고 조금 더 자세한 리뷰를 진행할 계획.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900912
- 탑라인 900억 제끼고 바로 1,000억대 달성. 4Q 보통 비용을 많이 떨구는 것을 고려하면 비용만 회귀되면 이익폭 훨씬 커질 수 있다는 가능성.
- 특히 의료기기 수출액이 컨센을 10% 이상 비트했는데, 바이오쪽 매출이 슬로우했던 것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더 서프라이즈.
- 꾸준한 성장세가 20~30%씩 나오는 회사이고 향후 5년 내 매년 20% 이상 성장에 대해 긍정하는 글로벌리 흔하지 않은 소비재.
- 25년은 최근 진출한 신규 지역이 확산될 것이고 2H25 본격 유럽 수출 추진하는 그림.

#SAMG엔터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900672
- 깜짝 실적 서프라이즈 기록하며 상한가 마감(시외 -1.5%).
- 이전에 영화 및 IP 관련 비용이 선집행된 것에 따라 4Q 흑자전환은 가시성이 높았으나 생각보다 마진이 더 좋았던 것으로 판단됨.
- 25년 같은 업종 내 다른 기업과 협력해 IP 확대 및 전환으로 연간 흑자달성 타겟.
- 숫자를 낼 수 있는 국면으로 전환될 경우 연간 숫자 확대를 기대해볼 수 있고 현재 시가총액은 매력적인 수준으로 생각됨.

#에이피알
- 실적은 어닝 시즌 지속적인 하향을 거쳐 결과적으로 컨센 부합.
- 마케팅 열심히 해서 매출액은 잘 성장하는데 그만큼 비용을 많이 써서 아직 이익이 따라오지 못하는 상황.
- 24년 회사에서 한 번 신뢰를 잃을 뻔한 사건 이후 어나운스 하는 것은 대부분 지키는 모습을 보였는데 25년 가이던스로 매출액 1조원, OPM 17~18% 제시. 현재 동사의 25년 추정치는 매출액 8,400억/OPM 18%. 즉, 매출액에서 큰 서프라이즈를 내면서 전체 영업이익도 올리겠다는 의지.
- 믿어준다면 현재 25E P/E 12~13배 수준.

#SNT에너지
- LNG 신규 수출 허가를 위한 참고 연구 및 논평이 18일까지. 해당 논평 이후 트럼프는 다시 LNG 관련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국내 에어쿨러 유일 기업이며 중동도 크게 경쟁 상황은 아님(사우디는 유일). 이에 최근 단가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일종의 쇼티지 상태.
- 북미쪽으로 다시 드라이브 거는데, 대선 전에 홀딩된 프로젝트가 많았고 4~5개 프로젝트 수주를 기대하고 있음.
- 최근 LNG 급락과 지속적으로 봐야한다는 관점.

#테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99
- 글로벌 테크들도 이구환신 수요를 강하게 느끼는 중이고 국내 업체들도 가동률을 통해 간접 확인 가능.
- 금일 발표한 레거시 테크도 실적이 좋고 외국인들의 수급도 계속 들어오는 중.
- 당분간 레거시 테크에 대한 우호적인 환경 조성 가능.

쩜상리서치

10 Feb, 06:20


#SAMG엔터

최근 중국 여행 다녀온 블로거들의 중국 현지 티니핑 근황. IP는 위생허가도 필요없고, FDA승인도 필요 없음. 파산핑aka등골핑의 신화가 중국에서 먹힐지 귀추가 주목.

https://blog.naver.com/ddozer/223748318891
https://blog.naver.com/blognaru/223745012627
https://blog.naver.com/bslily0603/223740865599
https://blog.naver.com/hannah1395/223739990958
https://blog.naver.com/yuso425/223725354708

쩜상리서치

10 Feb, 06:12


SAMG엔터 티니핑 글로벌 트렌드도 순항중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07 Feb, 07:56


[지누스 4Q24 실적발표 컨콜] #지누스

[4Q24 실적]

매출 2,890억 yoy +2.4%
영입이익 161억
순이익 200억

- 매트리스 스몰박스 판매 호조 속에 고객사 직매입인 DI 매출 비중 상승
- 작년 초부터 진행해 온 비효율 SKU 축소 등의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손익구조 개선 효과 반영
-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환 관련 이익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순이익 증가

[매출 카테고리]
매트리스 2,276억 YoY + 11.9%
비매트리스 614억
- 비매트리스 부문 부진 확대
- 매트리스 부문 분기 최대 실적 기록

[기타 주요 지표]
- 5월부터 생산량이 증가한 영향으로 매입 채무와 재고 자산이 전기 말 대비 증가

[공장별 가동률]

전체 96.1% / 매트리스 97.2% (인니 98.7%, 중국 94.8%, 미국 58.7%) / 비매트리스 92.6%
- 매트리스 스몰박스 공급이 본격화되고 고객사 직매입 디아 주문이 정상화된 2분기부터 개선이 지속
- 매트리스는 4분기에도 3분기와 유사한 생산량 기록
- 비매트리스 부문은 공급 감소로 인해 운영 캐파 조절되며 생산 실적 QoQ 감소로 이어짐

[2024년 경영 목표 달성 현황]
- 작년 당사는 비용 구조 슬림화를 목표로 함 (적자 SKU 생산 중단, 미국 창고 축소, 반덤핑 대응 등 전략)
- 적자 SKU 생산 중단은 2분기 부로 목표한 SKU의 생산 중단을 100% 완료함. 이에 따라 제조 과정의 효율성 확보
- 비효율 sku 생산 중단과 더불어 미국 내 장기 재고를 빠르게 소진시켜 미국 내에 운영 중인 당사 창고 4개를 운영 종료
-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반덤핑 소송 관련해서는 24년 5월에 미 상무부의 0% 최종 의견이 나온 이후 재판 과정을 거치며 12월 최종 구두 변론까지 마무리함
- 이제 최종 판결만 남은 상황이고, 내부적으로는 25년 1분기 내로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음
- 그에 앞서 작년 11월에 발표된 2차 연례 재심에서도 당사가 최종 0% 판정을 받음으로써 25년도 인도네시아산 매트리스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율 0%를 책정할 근거가 마련됨

[4분기 영업 성과]

- 작년 2분기부터 매트리스 부분이 적정 재고 수준에 도달
- 비매트리스 부문은 7월 고객사 대형 행사 등을 통해 상당 부분 기존 재고를 소진하는 등 전 품목에 걸쳐 적정 재고 수준에 도달하고 있어서 과잉 재고로 발주 감소가 발생하지 않게 됨
- 1분기 이후 3분기까지 주요 고객사 내 매트리스 부문 점유율 상승이 이어져 왔으나 4분기에는 하락함
- 4분기에 진행된 블랙프라이데이 등 대형 할인 행사를 과거 대비 참여도를 낮춰서임
- 이는 매트리스가 적정 재고 수준에 도달했고, 체화 재고가 상당 부분 소진되어 가격 할인이 동반되는 재고 떨이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웠기 때문임
비매트리스 부문은 반대로 대형 할인 행사를 통한 재고 감축 추진하여 직전 분기에 이어서 판매 점유율 상승함

[QnA]

Q. 매출 성장 부진 이유는 ?
- 비매트리스 부문 22% 역성장 한 것이 큰 이유
- 특히 4분기는 미국 정책 이슈 등의 이유로 아마존 등 주요 고객사들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비매트리에 대해서 신규 매입보다는 기존 재고를 축소하는 기조하여 비매트리스 셀인 매출 감소

Q. 분기별 DI/DO 비중 ?
- 올해 2분기 이후 DI 비중은 증가하고 있음
- 전년도에는 고객사 직매입 재고 축소로 DO 비중이 높았던 적도 있음
- 올해 3분기 부터는 DI비중이 역전
- 4분기에는 더 증가하여 현재는 DI 비중이 70% 정도 비중 차지함

Q. 중국에 대한 관세 10%로 확정한다면, 기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정책이 변화되는 게 있을지 ?
- 지난 11월부터 최악의 상황 가정하고, 중국에 생산 기반 둔 비매트리스 영향 받으리라 생각해 방안 소통해왔음
- 아시다시피,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은 오락가락함. 불확실성 최고조.
- 당사도 정책 변화에 맞춰, 보수적인 스탠스 속도 조절할 수 있음. 10% 추가 관세이지만, 하반기에 추가 관세 가능하긴 함
- 그 전에 비매트리스 재고 더 효율화해, 추가 관세 주문 축소 대응하고자 비용 투여해 재고 소진 계획 했으나, 관세 부과 정책에 따라 규모 조절 가능
- 생산 시설 조절 또한 관세 정책이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여러 가능성 두고 의사결정 고려 중
- 10% 관세 인상에 대해서도 가격 인상이나 원가 조절 등의 방안을 미국 주요 고객사들과 협의하고 있음

Q. 대표이사 변경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 및 투자자 관련 정책 변화가 있을지 ?
- 대표가 바뀌었다고 해서 밸류업으로 가는 길이 달라질 수 없음
- 최대한 가능 범위 내에서 주주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

Q. 미국 외 글로벌 진출 의지 피력하셨는데 올해 어떻게 되고 있는지 ?
- 중동, 아프리카 총판을 통해 진출하겠다고 말씀드림
- 총판 계약이 2주 전에 완료됨. 총판 업체는 하만 미들이스트 그룹 (하만파돈, AKG, 하만 인터내셔널 등 음향 기기 독점 공급 업체 + 삼성전자 브랜드 스토어 운영)
- 또한 해당 지역에 호텔 체인 전용 법인 조직망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 법인 영업과 관련한 사업적 논의해 볼 계획임
- 올해는 UAE를 시작으로 시장 테스트를 거칠 것이고, 내년에는 사우디 등 걸프만 지역 국가와 이집트, 27년에는 남아공 등 아프리카 지역으로 판로 확대. 3개년 29개국 판매 계획
- 추가적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은 인도네시아를 가장 큰 거점으로 삼아서 운영하고 있는데. 그동안 매출이 부족하거나 진출하지 않았던 필리핀, 태국 같은 곳에 직접 법인 설립하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쓰고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타 국가에서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임

Q. 신제품 개발 현황 및 출시 일자 ?
- 박스 인 소파 제품 25년도에 신제품 출시를 계속 추진 중에 있음
- 소파 같은 경우에는 웨이페어 쪽에 매출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웨이페어 쪽에 진출을 하는 것으로 검토를 하고 있고, 한국 시장 같은 경우에는 1인 소파를 출시하는 것을 계획 중

Q. 현재 연례재심 때문에 이제 관세 0% 적용 올해부터 된다고 하셨는데 어쨌든 최종 판결 받아서 확립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으로 일단 상반기에는 관세를 포함해서 비용을 차감시켜서 이제 반영하실 계획이신지 ?
- 저희가 아직 완전히 확정이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원가에 반영을 해서 진행을 하고 있음
- 판결 확정이 되면 이후에는 원가에서 조정을 하는 것으로 계획을 하고 진행 중임

Q. 미국 조제 공장 현황과 앞으로 턴어라운드 할 수 있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있을지 ?
- 미국 조지아 공장이 인도네시아에 비해 높은 원가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어려움 겪고 있는 것은 사실임
- 하지만 트럼프 정권이 들어서게 되면서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저희에게 어떠한 긍정적 요인을 끼칠 수 있을까 검토가 필요한 상황임
- 또한 자체적으로 조지아 공장에서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영업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게 있음
- 그 과정의 결과들도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상반기 정도까지는 조지아 공장의 퍼포먼스나 트럼프 정권에서의 미국 공장 보유한 것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지를 지켜본 후에 조지아 공장의 방향성 결정할 계획임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06 Feb, 06:57


25.02.05 기준
예탁금: 53조 (전일 대비 -4.4조)
신용: 16.8조 (전일 대비 -0.1조)

쩜상리서치

06 Feb, 02:15


- 한국산 K2 전차의 구매와 폴란드화는 올해의 우선순위 중 하나이며, 국방부 및 군 관리진의 연례 브리핑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 부총리이자 국방부 장관인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가 말했습니다.

https://defence24.pl/polityka-obronna/szef-mon-zakup-czolgow-k2-jednym-z-priorytetow-na-ten-rok

쩜상리서치

05 Feb, 17:53


02.05일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로봇이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와중에 사모 수급 상위에 클로봇이 새롭게 등장함
- 그리고 최근 자화전자가 계속계속 수급이 들어오고 있는 모습
- 여러 섹터에 전반적으로 걸쳐 있는 가운데 바이오가 꽤 강세를 보임. 그리고 ISM 서비스업 지수 하회로 인해 10년물 금리가 하락. 바이오 주가에 긍정적인 요소
- 사모가 매수한 바이오 종목들은 보로노이, 퓨쳐켐, 올릭스, 삼천당 등이 있음. 최근 보로노이 파트너사인 ORIC 파마의 주가가 좋은 모습 보여주고 있고, 퓨쳐켐은 임상 결과 발표 타임라인이 임박한 것으로 앎
- 그 외에는 고사양 네트워크 기판 관련 이수페타시스, 파미셀과 화장품 아이팸, 제닉 등이 올라옴
- 네트워크 장비쪽에서 에치에프알이 지속적인 강세 보여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은 소프트웨어쪽을 많이 샀는데. 더존비즈온, 한글과컴퓨터, 오토에버 등등. 해당 기업들은 AI를 활용한 수익화가 가능(?)한 기업들 ..
- 효첨소의 실적이 괜찮게 나오면서 효첨소와 대한유화, 롯데정밀화학 등 연기금 냄새 폴폴 나는 섹터들도 자금 유입
- 그리고 산일전기는 스트릿 컨센 미달 .. ? 이었던 것 같은데 일진과 산일 바스켓으로 가져가는 모습임

- 대상도 호실적으로 연기금 매수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헬스케어쪽이 많이 포진함. 바이오뿐만 아니라 의료 AI, 의료기기 등등 다양하게 가져가고 있음
- 그 중에서 듀켐바이오를 최근 투신이 되게 유의미하게 찍히고 있는데..알아보면 좋을 듯함
- 이외에는 테크쪽에서 자화전자, ISC, 이수페타 그리고 일부 로봇 강세
- 개별적으로는 풀무원, 세아제강, HD현대산업개발 등

4. 기타 시장 코멘트
- 최근 관세 이슈로 큰 폭의 하락 이후 천천히 회복하고 있는 모습
- 하락장에서 개인들의 매수 덕인지 예탁금과 신용잔고는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고, 거래대금도 최근 중에서는 높은 편에 속함
- 유동성 강화는 좋은 시그널일 수 있으나 당분간 지속될 미국발 노이즈 (트럼프 & 매크로 지표) 등등으로 인해 단기 스윙 및 트레이딩 자금들이 많이 들어오지 않았을까 싶음
- 적당히 먹고, 적당히 빠지는 것이 우월전략이 될 것으로 보임
- 그러면서도 펀더 탄탄하고 실적 서프 예상되는 종목들이 있다면 빠질 때 매수하는 것이 좋아보임
- 내일 주가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예를 들어 삼양식품과 같은 종목들 모아가면서 일정 비중은 장세에 맞춰서 트레이딩 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
- ISM 서비스업 지수 예상치 하회로 10년물이 4.4 부근까지 하락. 이로 인해 바이오 상승세 보여주고 있음. 말했듯이 금리도 계속해서 변동이 되겠으나 상방보다는 하방이 열려있던 상황이라고 판단되어 홀딩하기 좋은 섹터였다고 생각함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05 Feb, 16:27


삼양식품 매출액이 컨센 대비 +9% 상회했는데, 주 요인은 1) 미국 매출 증가, 2)유럽 매출 증가, 3) 환율 효과 입니다. 불닭 스플래시 일회성 마케팅 비용 제외하면 OPM도 20%대.

올해 기대해볼 만한 점은,
미국은 연내 코스트코 입점률 100% 목표 중(현재 50%대) 이며, 샘스클럽 추가 입점 예정. 그 외 신규 입점채널들 물량부족으로 MOQ정도만 입점, 확대 여력 큼. 유럽은 독일 중심 메인스트림 입점 중!

★삼양식품 4Q24 Re
매출액 4,808억원 (YoY 47.1%)
영업익 873억원 (YoY 141.5%)

(별도) 해외 매출 QoQ 23% YoY 42%
(별도) 내수 매출 QoQ 10억원
(연결) 해외 매출 3천억원 후반 추정(qq +500억원, 15%): 미국 +147억, 중국 -87억, 유럽 +273억원, 그 외 기타 지역 추산(연결 결산 진행 중이라 변동 가능성 있음)

미국 (별도 수출 기준)
매출 1,104억원 qq 15.4% , yy 140%
환율 제외 수량기준으로도 qq 증가

*매출 증가 요인
1) 메인스트림 매출 증가 (월마트 매대 이동 효과, 코스트코 입점률 증가)
2) 신규 메인스트림 입점 효과 (타깃/크로거/알버트/H-E-B)
3) 캐나다/멕시코 물량 출고 증가

채널별 비중) 메인스트림 52%, 캐나다/멕시코 20%, 그 외 23% (*에스닉 채널 물량 부족으로 출고감소)
(참고로 3Q는 메인스트림 47%, 캐나다/멕시코 7.7%, 그외 45.7%)

*올해 기대 요인
25년 하반기까지 코스트코 입점률 100% 목표 중
신규 입점 채널들은 물량부족으로 MOQ정도만 입점으로 확대 여력 큼.올해 샘스클럽도 입점 예정임

중국 (별도 수출 기준)
매출 1,088억원 qq -5.5%, yy 58.4%
11월초까지 재고 부족 이슈. 안전재고 슬림했던 상황. 춘절 매출은 1분기에 반영될 예정

유럽 (별도 수출 기준)
매출 299억원 qq +273억원
독일 Penny/Netto/REWE 등 메인스트림 채널 입점 효과
(유럽 매출 비중: 독일>네덜란드,폴란드)

*비용
(별도) 매출원가율 60%(qq -1.8%p)
>원재료단 안정적

(별도) 판관비율 18.1%(qq +2.5%p)
>대부분 광고선전비 증가, 일부 매출증가에 따른 물류비 증가

광고선전비 qq +123억 증가
>불닭 스플래시 행사 관련 비용 134억원 집행. 1분기도 코첼라 관련 비용 집행있으나, 전체 qq 감소 전망

*밀양공장 가동시기
5월말 준공 후 6월 ~7월 본격생산 전망

쩜상리서치

04 Feb, 09:03


전일 대비 거래량 100% 이상 증가 종목 스크리닝

테마
- 양자컴퓨터, 의료 AI, AI sw, 로봇, 중국 보복 관세 (희토류, 석탄, 알루미늄 등)

개별주
- 풀무원, 펨트론, 대한광통신, 잉글우드랩 등

쩜상리서치

04 Feb, 01:40


샘 알트먼의 택배크로스

쩜상리서치

04 Feb, 01:39


[단독]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검토…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논의 원해”
→멀티모달 AI로 갈수록 고성능 GPU와 전기는 더 많이 필요
→AI케펙스는 본격적인 투자 사이클 시작될것임

쩜상리서치

03 Feb, 23:01


🗺 Comments

- 2025년 들어 미 증시는 주요 지지선을 넘나들며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중. 전일에 그런 변동성을 만들어냈던 가장 큰 요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뉴스. 해당 소식에 나스닥 선물 지수는 월요일 장 개장과 동시에 -3% 가까이 급락하면서 12월 이후부터 이어져 온 저항선 라인(빨간색 대각선)까지 하락.

- 게다가 전일의 하락은 트럼프 당선 이후 자산시장 Risk On/Off의 척도라 생각되는 비트코인의 급락까지 동반하여 자산시장 내 투자자들의 투심을 극도로 악화시키는 모습. 다행히 오전 장에서부터 멕시코를 필두로 관세 이슈가 해결되기 시작하면서 나스닥 선물은 전일에 다시 한 번 상승채널 안으로 복귀하는 데 성공. 비트코인도 주요 지지선을 지키고 반등하는 데 성공하여 아직까지 Risk-On 전환의 불씨는 살아있다 생각됨.

- 장 종료 후 발표한 Palantir의 실적/가이던스 서프라이즈는 딥시크 이슈로 인해 AI HW가 애매해진 구간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AI SW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모멘텀을 제시해줌. AI SW 섹터는 AI HW 섹터 대장주인 Nvidia에 대한 투심이 살아나기 전까지는 큰 틀에서 AI 테마를 이끌어 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섹터라 생각.

쩜상리서치

03 Feb, 01:21


살려주세툐

쩜상리서치

03 Feb, 01:21


[2/3, 장 급락 때 생각, 키움 한지영]

1.

2월 첫거래일부터 살벌하게 시작하네요.

10시가 조금 넘은 시점인데도 국장은 3% 가까이 하락하고 있으며(낙폭은 축소중),

외국인이랑 기관도 양시장에서 동반 순매도로 지수를 같이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급락 원인은 알려진대로 트럼프 관세입니다.

주말 중 2월 4일부로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대상으로 관세 부과를 시행한다고 발표했고, 관세 맞은 이들 국가들도 맞대응 보복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오전 9시 30분경 트럼프라 EU에도 관세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여포처럼 관세를 방천극 마냥 휘두르고 다니고 있다보니, 주가는 매섭게 반응하고 있네요.

2.

하지만 하루에 2~3%씩 급락할 정도로 돌발 악재인가에 대해서는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시간입니다.

지난 11월 대선 이후 대부분 시장 참여자들이 트럼프가 2기에도 관세 정책을 쓰지 않을 거라고 인식하진 않았으며,

이를 금융시장 가격들에 지난 3개월간에 걸쳐 반영해온 측면이 있습니다.

관건은 관세의 수위(다른 국가들로 관세 확산 정도 등)와 지속성(관세 부과기간)인데,

상대국 스탠스를 보면 2018년 중국이 그랬던것처럼 맞대응의 연속이라는 카드를 쓸 것 같진 않습니다.

또 조금전 외신에 의하면, 트럼프가 캐나다랑 멕시코랑 통화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네요.

해당 통화를 통해 이번 관세발 주가 악재 일변도의 분위기 전환 가능성, 오후장 낙폭 축소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연휴가 다 끝난 월요일 아침부터 표독스러운 증시 환경에 놓여있긴 하지만, 화이팅하시길 바랍니다.

키움 한지영

쩜상리서치

02 Feb, 12:32


01.31일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금요일 이전까지 금리가 하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바이오 투심이 괜찮아진 상황에서 퓨쳐켐 매수
- 아마 1분기 내로 예정되어 있는 FC705의 임상 2상 발표에 대한 기대감 + 바이오라 선택한 듯
- 그외에 AI 효율성 향상이라는 빅 띔에 의한 의료 AI도 강세 (ex. 온코크로스). 뭔가 딱 사모가 좋아할 만한 띔과 종목임

- 그리고 기존 AI SW 기업들과 로봇 관련주들의 매수가 두드러졌음
- 개별적으로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아스테라시스, 한국화장품제조, 화신 등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한국무브넥스는 이틀 연속 기관 매수세가 강함
- 최근 장에서는 급락 섹터와 버티는 섹터, 그리고 상승 섹터가 명확했던 가운데 급락하는 종목들 가운데서 경동나비엔, 두산밥캣 등을 받쳐주는 모습
- 그리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로봇과 AI SW도 적절히 가져가는 모습
- 그 외 오버행 이슈로 조선 섹터 대비 언더퍼폼하고 있는 HJ중공업과 관세 수혜를 볼 수 있는 지누스 등 매수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전력기기 섹터 급락 + 오버행 이슈로 크게 빠졌던 산일전기를 투신이 다 받아가는 모습 하루만에 시총 대비 3% 가량 사들임
- 비슷하게 전력/에너지쪽 하락 종목인 SNT에너지를 매수함
- 그리고 다른 주체들과 달리 IT쪽 비중이 높게 나왔음. 그 중에는 최근에 강세였던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기업들 (ex. 에치에프알, RFHIC)과 그 외 개별적으로 자화전자, 유니테스트 등이 있음
- 바이오 종목들도 몇 개 정도 눈에 띄는데. 사모와 겹치는 퓨쳐켐과 최근 주가 흐름이 굉장히 좋은 지아이이노베이션 등

- 나머지는 로봇과 AI SW 강세

4. 기타 시장 코멘트
- DeepSeek가 쏘아올린 AI 효율성 논리로 인해 엔비디아를 비롯한 여러 AI 관련 HW 업체들의 주가가 굉장히 망가진 모습임
- 개인적으로는 빅테크 업체들의 실적발표가 연이어 있던 터라 당장 CapEx를 하향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우호적인 발언들로 인해 빠르게 메이크업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었으나. 주가 레벨이 너무 높았던 나머지 악재반응성이 굉장히 높은 구간에서 회복이 잘 되지 못하는 모습
- M7 중에서 AI Capex가 가장 높은 두 기업이었던 MS, META의 실적 발표 이후에도 돌아서지 못한 것을 보니 사실 알파벳과 아마존의 실적 발표로는 센티멘탈이 단기적으로 돌아설 수 있는 트리거가 되어주지 못 할 것으로 봄
- 다만, AI capex의 방향성이 훼손된 것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은 함. 딥시크가 너무 과장되었고, 그리고 엔비디아의 밸류가 그렇게 비싸지도 않다고 생각함
- 이와는 별개로 AI 업계에 굉장히 큰 효율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강화학습 인사이트를 던져준 것은 고무적인 일인 듯
- 이러한 발전의 연장선에서 META와 같은 광고 업계에 효율성 증대가 굉장히 가파르게 일어날 수 있지 않을까 싶음
- 또한 AI HW의 급락과는 상관관계가 낮은 사이버보안 업체들의 주가가 지속 우상향 추세에 있음. 그동안은 CRWD, PANW 등 클라우드 기반 보안 업체들이 하이퍼스케일러를 고객사로 두고 있었기 때문에 AI 고도화에 따른 보안 수요 증가를 더 크게 누릴 수 있었다고 생각함
- 그러나 정말 딥시크로 인해 AI Capex 효율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게 되었다면 하이퍼스케일러 외에 중소형 기업 및 스타트업들의 AI 개발 또한 가속화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듦
- 이러한 관점에서 FTNT의 장기적인 관점도 좋아질 수 있지 않을까 싶음. 게다가 FTNT는 네트워크 장비들까지 함께 판매함에도 불구하고 GPM, OPM 모두 경쟁 보안 업체들에 비해 높은 비즈니스를 하고 있고, 그 중심에는 자체 ASIC 칩을 활용한다는 것이 주요하였음
- 그러나 자사 HW 기반으로 구동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400G, 800G 네트워크까지 지원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하이퍼스케일러에게는 메리트가 되지 못했으나. 향후 스타트업 및 중소형 기업들을 대상으로 더욱 높은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 .. ?
- 그리고 시장 파이 자체가 확 커질 수 있기 때문에 ANET과 같은 고사양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 또한 계속해서 좋은 상황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 그리고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단기적으로 인플레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금리가 소폭 상방으로 움직이는 모습이고, 이번 주에도 여러 매크로 지표들의 발표 및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 바이오도 금리 팩터로 움직이기는 조금 제한적일 수 있을 듯
- 그러나 이미 금리는 이미 높은 레벨에서 상방 압력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바이오는 홀딩하기 좋은 섹터일 수 있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30 Jan, 23:42


삼성, 중국 AI 프로세서용 8단 적층 HBM3E 메모리 공급 승인 획득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앞서가며, 더 발전된 12단 적층 HBM3E 칩을 이미 대량 생산 중.

삼성, HBM4에 집중해 시장 입지 회복 및 엔비디아 최상위 공급업체 경쟁 노려.

쩜상리서치

24 Jan, 14:24


*ZUCKERBERG SAYS META 2025 CAPEX $60B TO $65B, EST. $51.31B

*ZUCKERBERG PLANNING TO GROW META'S AI TEAMS 'SIGNIFICANTLY'

쩜상리서치

24 Jan, 00:13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이수페타시스 (007660): 4Q24 Preview - 돌아온 탕아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DaNwdNW

● 제이오 인수 철회 확정!

- 본업과 무관한 이차전지 소재 기업 제이오 인수가 공식적으로 철회. 이에 따라 유상증자 예상 규모도 기존 5,500억원(시설 투자 2,500억원, 타법인출자 3,000억원)에서 2,500억원으로 축소.
-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204억원(+6.8% QoQ, +27.2% YoY), 영업이익 310억원(+19.7% QoQ, +193.6% YoY)으로 컨센서스 318억원에 부합할 전망. 종전 추정치 대비 영업이익을 4.5% 상향 조정했는데 페타시스 본사의 네트워크 매출 비중이 예상보다 컸다고 추정

● 페타시스 본업은 그야말로 황금기

- 북미 하이퍼스케일러의 AI가속기 내재화 의지는 분명하고, 기다리고 기다렸던 신규 GPU 프로젝트 양산도 작년 말에 승인. 올해도 AI가속기/GPU향 MLB 수주는 지속될 것
- 하이퍼스케일러의 CAPEX 확대, AI 모델 사이즈 증가 추세 등을 고려할 때 데이터센터향 800G 이상 고대역폭 스위치 수요는 올해부터 본격 증가할 것. 기본적으로 AI가속기/GPU 대비 네트워크 응용처의 수익성이 더 좋음. 네트워크 매출 비중 증가로 올해 전사 OPM은 전년 대비 2.7%p 증가한 15.6%를 기록할 것

● 목표주가 100.0% 상향 조정

- 목표주가를 70,000원(12MF EPS, 목표 PER 38.2배)으로 100.0% 상향 조정. 미국의 초대형 AI 인프라 확충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4년간 최대 5,000억 달러 투자 예상)가 지난 21일 공식화. 이수페타시스는 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GPU 제조사와 하이퍼스케일러를 주력 고객으로 두고 있음.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국내 최대 수혜 기업 중 하나라는 점에서 멀티플 리레이팅이 가능하다고 판단

쩜상리서치

23 Jan, 05:41


https://dnalink.com/newsletter/?bmode=view&idx=145224893&back_url=&t=board&page=

쩜상리서치

22 Jan, 04:18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브이티 주목 해야 할 부분들 리마인드

***25년 해외 확장 가능성에 주목 필요
1) 25년 1월 리들샷 중국 위생허가
2) 25년 1월 미국 얼타 온라인 판매 시작
3) 25년 2분기 미국 코스트코 오프라인 입점
4) 25년 1H 유럽 지역 확장
5) 25년 3Q 미국 얼타 오프라인 전점 입점 예상


***

쩜상리서치

22 Jan, 04:10


이번 허가 취득으로 브이티는 중국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판매가 가능해진다. 우선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다.

중국 위생허가는 해외 화장품 기업이 중국 내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필수 인증이다. 까다로운 심사 기준과 복잡한 등록 절차로 인해 허가 획득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이는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의 핵심 관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위생허가를 획득한 제품은 브이티의 대표 제품인 '리들샷100'을 비롯한 리들샷 주요 제품라인업이다. 리들샷은 브이티의 대표 제품으로, 중국 시장에는 ‘크리스탈 에센스’이라는 이름으로 진입한다. 중국 타오바오, T몰 국내관 입점과 동시에 현지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을 통한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출처 : 스마트투데이(https://www.smarttoday.co.kr)

https://www.smar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728

쩜상리서치

21 Jan, 23:54


넷플릭스 구독료 인상 발표 — 광고 포함 요금제 월 $7.99로 조정

1. 요금 인상
- 넷플릭스가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구독료 인상을 발표했다.
- 미국, 캐나다, 포르투갈, 아르헨티나에서 요금 조정이 즉시 적용됐다.
- 광고 포함 요금제는 월 $6.99에서 $7.99로 인상됐다.

2. 기타 요금제 변화
- 스탠다드 요금제는 월 $15.49에서 $17.99로 올랐다.
- 프리미엄 요금제는 월 $22.99에서 $24.99로 변경됐다.
- 추가 회원 요금은 월 $7.99에서 $8.99로 조정됐다.
- 광고 포함 추가 회원 요금은 변동 없이 월 $6.99로 유지됐다.

3. 회원 증가
- 넷플릭스는 단일 분기 최대 증가를 기록하며 전 세계 구독자가 3억 160만 명으로 늘어났다.

4. 투자와 가치 제공
- 넷플릭스는 콘텐츠 투자와 회원 가치를 높이기 위해 요금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 2024년 10월 제공된 2025년 가이던스에 해당 인상분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https://finance.yahoo.com/news/netflix-announces-price-increases-ad-215740486.html

쩜상리서치

21 Jan, 23:47


☁️ Netflix Earnings

시간외 +10% → 역사적 신고가 경신

4Q24

Rev $10.25B vs Cons $10.11B (Beat)
EPS $4.27 vs Cons $4.20 (Beat)
유료구독자 순증 18.91M vs Cons 9.6M (Beat) → 역대 최대치

1Q25G

Rev $10.42B vs Cons $10.49B (Miss)
EPS $5.58 vs Cons $5.98 (Miss)

FY2025G

Rev $43.5-44.5B vs Cons $43.64B (Beat)
Operating Margin 29%

- INTRODUCING EXTRA MEMBER WITH ADS OFFERING IN 10 OF 12 COUNTRIES WITH ADS PLAN TO GIVE MEMBERS ADDITIONAL CHOICE
- INCREASING PRICING OF STANDARD PLAN WITH ADS TO $7.99; STANDARD PLAN TO $17.99
- INCREASING PRICING OF PREMIUM PLAN TO $24.99; EXTRA MEMBER PLAN TO $8.99

쩜상리서치

21 Jan, 23:29


제노코, 노스롭그루먼과 레이저기뢰 탐색장비 공급계약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29287?sid=101

쩜상리서치

21 Jan, 06:16


‘나혼렙’ 애니 시즌2, 일본 아마존서 1위…힘 얻는 웹툰의 애니메이션화

지난해 시즌1에 이어 2도 글로벌 인기몰이
원작 IP 재현하며 고품질 작화로 팬층 공략
네이버웹툰 ‘여신강림’은 시즌2 제작 확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32422

쩜상리서치

20 Jan, 02:49


모멘텀이 계속 있나보네여

쩜상리서치

20 Jan, 02:49


24년 12월 23일 iM증권 보고서

<뇌수술용 의료로봇>
미국 FDA 심사 승인 25년 1분기
일본 PMDA 승인 25년 상반기

<디지털 엑스레이>
한국 식약처 승인 25년 2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11349?sid=101

쩜상리서치

20 Jan, 02:44


제목 :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강력한 예비 실적에 장초 상승 *연합인포맥스*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24년 4분기 예비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동사의 정규 실적발표는 1월 23일에 예정되어 있다. ▲ 4분기 매출이 약 24.1억 달러(+25% YoY)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컨센서스를 2.1억 달러 상회한다. ▲ ‘24년 전체 매출은 약 83.5억 달러(+17% YoY)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컨센서스를 2.1억 달러 상회한다. ▲ 4분기 da Vinci 수술기기는 493대 설치되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으며, 이를 이용한 수술 진행건수는 18% 증가했다. ▲ ‘24년 전체로는 da Vinci 수술기기 설치가 1,526대로 11% 증가했고, 수술 진행건수는 17% 증가했다. ▲ 경영진은 ‘25년 전체 수술 진행건수가 13~16%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같은 예비 실적 발표 이후, 인튜이티브 서지컬 주가는 15일 장초 3.7% 상승하고 있다.

쩜상리서치

20 Jan, 02:42


ISRG 잠정 실적 잘 나와서 의료 수술 로봇 시장 전망이 좋아보였는데 타이밍 좋네요 .. ISRG 컨콜은 1.23일인가 그럼

쩜상리서치

20 Jan, 02:41


2025.01.20 11:40:14
기업명: 고영(시가총액: 6,865억)
보고서명: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획득(뇌수술용 의료로봇))

제목 :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획득 (뇌수술용 의료로봇)

* 주요 내용
당사가 연구·개발한 뇌수술용 의료로봇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가. 제품 개요
- 제품명: 뇌수술용 의료로봇(Geniant Cranial)

나. 승인세부내용
- 승인일: 2025년 1월 17일 (현지시간)
- 승인기관: 미국 식품의약국(FDA)
- 규제등급: Class II(클래스 II)
- 규제번호: 21 CFR 882.4560

다. 기대효과
- 이번 승인을 통해 글로벌 최대 의료기기 시장인 미국 시장에서 뇌수술용 의료로봇(Geniant Cranial)의 판매가 가능합니다.

* 기타 사항 :
가. 상기 결정(확인)일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 서한을 당사가 수령한 일자입니다.

나. 본 승인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통용되는 다른 국가에서도 뇌수술용 의료로봇(Geniant Cranial) 판매가 가능합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090043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8460

쩜상리서치

20 Jan, 01:44


26년 상반기 완공은 뭐 헛소리일 줄 알고 있었고

북미 수주 멀쩡한 거 보니 업황 이슈는 아닌 것 같은데

매출 1500억이 넘어야 했을 종속법인이 -800억을 갈겼으니 탑라인이 멀쩡할 리가

결론 : 이연

쩜상리서치

20 Jan, 01:14


하방 VI

쩜상리서치

20 Jan, 01:04


바이오 올라가면서 테크 힘빠지는 중인 듯하군여

쩜상리서치

16 Jan, 13:03


01.16일 목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오늘은 다양한 테마가 돌아가면서 혹은 함께 상승한 가운데 비교적 잠잠했지만 꾸준히 올라갔던 자율주행 섹터를 사모가 매수 (에스오에스랩, 슈어소프트테크). 누누히 언급드리지만 자율주행은 가장 가까운 미래에 함께 할 New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매매 기회가 올 것임
- 바이오 강세 속에서 비만치료제 관련 기대감이 높은 디앤디파마텍도 좋은 모습 보여주었고, 그 외 바이오 중에서는 보로노이 정도 있었음
- 원텍은 노무라 Sell 레포트가 나왔지만 무시하고 양봉 마감. 사모가 10거래일 가량 계속 순매수. 원텍이 그동안 무덤 가있었을 때는 꿈도 못 꾸던 수급임. 확실히 데이터도 수급도 턴어라운드 되는 구간일 수 있겠다 싶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금은 로봇주가 상위 포진. 로보티즈와 에스피지 등
- 이녹첨, 세경하이테크 등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와 전력 관련 산업재들이 강세를 보임
- 한화솔루션은 개인적으로는 실제로 업황이 돌아서는 상황이라면 여전히 업사이드는 높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건드리고 싶지 않은 종목인 듯. 다만 연기금 색깔에는 잘 어울리는 종목이라고 생각됨
- 바이오쪽에서도 연기금과 어울리는 유한양행. 유한양행도 어제 오늘 수급적으로 돌아서는 모습 보여주고 있음. 현재 주가 자리와 향후 사업 전망을 고려했을 때 손익비가 괜찮다고 생각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테크 종목 다수 매수하는 모습. 디스플레이는 이녹첨. 반도체는 펨트론, 디아이티, 하나마, 두산테스나, 제우스, ISC, 유니테스트 등 다양하게 매수함
- 다른 주체와는 달리 엠로, 사이냅소프트 등 SW 업체 등이 보임
- 그외에는 바이오가 괜찮았는데 전일 주가 강세였던 컴패스 테라퓨틱스에 L/O한 에이비엘바이오 강세. 그리고 디앤디파마텍 강세였음

4. 기타 시장 코멘트
- 일단 CPI 하회로 미국 국채 금리가 강하게 하락하면서 한시름 놓을 수 있게 된 상황임. 그러나 계속계속 매크로 장세는 이어질 것이므로 일정이나 지표를 잘 활용해야함
- 그래도 금리 하락에 따라 시장에 훈풍이 불게 된 하루. 외국인 선물 순매수 오랜만에 들어옴. 규모가 크지는 않았지만, 선현물 모두 매수하는 모습
- 거래대금은 생각보다 올라오지 못한 모습이라 다소 아쉬움
- 예탁금과 신용잔고는 비슷한 수준에서 횡보하고 있는 상황
- 현재 나스닥 선물은 강보합 수준에서 거래중임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6 Jan, 00:51


NVIDIA의 차세대 루빈 AI 아키텍처,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

1. SK 하이닉스와의 협력
- SK 하이닉스가 HBM4 샘플을 2025년 6월까지 제공하며, 3분기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 NVIDIA가 SK 하이닉스의 독점 고객으로서 HBM4를 시장보다 앞서 사용할 예정이다.

2. HBM4 기술의 중요성
- HBM4는 메모리와 로직 반도체를 단일 패키지로 통합해 성능 효율을 극대화할 것이다.
- 24Gb 및 32Gb 레이어로 구성되며 최대 6.4Gbps 속도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3. 루빈 아키텍처의 주요 특징
- TSMC의 3nm 공정과 CoWoS-L 패키징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 AI 계산 수요 증가로 인한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능 대비 전력 효율을 우선시할 것이다.

4. 출시 일정
- 루빈 아키텍처는 2025년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경쟁사 제품보다 몇 분기 앞서 시장에 출시될 전망이다.
- NVIDIA는 이러한 기술 우위를 통해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욱 벌릴 것으로 예상된다.
https://wccftech.com/nvidia-next-gen-rubin-ai-architecture-now-rumored-to-launch-by-h2-2025/

쩜상리서치

15 Jan, 23:56


삼양식품

목표주가 970,000원으로 상향

이런 실적에도 안 삼양?



4Q24 Preview: 수요 대비 공급 부족 상황 지속과 원화 약세 수혜

• 4분기 연결 매출액 4,729억원(YoY 45%), 영업이익 899억원(YoY 149%), OPM 19% 추정. 미국은 24년 9~10월 타깃/크로거 입점 이후 초도물량 소진될 정도로 반응 긍정적. 10월 월마트 내 매대가 아시안푸드 → 인스턴트 누들로 이동되면서 수요 확대.

그 외 에스닉/캐나다/멕시코는 현재 캐파 부족으로 대응 못하고 있는 상황. 4분기 입점률은 월마트 95%+, 코스트코 50%대로 추정됨. 우호적인 환율도 긍정적인 상황. 마케팅 비용은 QoQ 증가할 전망이나, 우호적인 환율 및 영업일수 증가로 상쇄 가능할 전망


2025년 Preview: 밀양 제2공장 가동률은 기존 추정대비 빠르게 올라올 전망

• 2025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각각 2.3조원 (YoY 33%), 4.7천억원(YoY35%) 으로 추정. 밀양 2공장은 미국/유럽 물량 위주 대응 예정. 현재 미국 주요 채널 CAPA 부족으로 대응 못하는 상황. 그 외에도 에스닉/캐나다/맥시코 채널 대응 못하는 상황임. 코스트코 절반 수준 입점률 감안시 성장 룸 충분.

밀양 2공장은 3Q25에 수출 봉지면 Full CAPA, 4Q25에 수출 용기면 Full CAPA에 이를 것으로 전망. 또한, 유럽도 3Q24 네덜란드 판매 법인 설립 이후 보폭 확대 이어 나갈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및 목표주가 970,000원으로 상향

삼양식품의 목표주가를 기존 71만원에서 97만원으로 상향. 밀양 2공장 가동률 가정치를 상향 조정 기인. Target P/E는 20배로, 농심의 해외 확장 시기의 밸류에이션을 적용함.

밀양 2공장 외에도 27년 중국 생산공장 설립 등 공격적인 CAPA 투자 긍정적. 중국은 2선/3선 도시로 지역 커버리지 확대해 나갈 전망

(25.1.16 교보)

쩜상리서치

15 Jan, 23:39


이러다간 삼송빵집만도 못해질 듯

쩜상리서치

15 Jan, 23:38


TSMC, 삼성 엑시노스 칩 생산 제안 거절...기술 유출 우려도 영향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2153

쩜상리서치

15 Jan, 14:37


제목 :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강력한 예비 실적에 장초 상승 *연합인포맥스*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24년 4분기 예비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동사의 정규 실적발표는 1월 23일에 예정되어 있다. ▲ 4분기 매출이 약 24.1억 달러(+25% YoY)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컨센서스를 2.1억 달러 상회한다. ▲ ‘24년 전체 매출은 약 83.5억 달러(+17% YoY)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컨센서스를 2.1억 달러 상회한다. ▲ 4분기 da Vinci 수술기기는 493대 설치되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으며, 이를 이용한 수술 진행건수는 18% 증가했다. ▲ ‘24년 전체로는 da Vinci 수술기기 설치가 1,526대로 11% 증가했고, 수술 진행건수는 17% 증가했다. ▲ 경영진은 ‘25년 전체 수술 진행건수가 13~16%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같은 예비 실적 발표 이후, 인튜이티브 서지컬 주가는 15일 장초 3.7% 상승하고 있다.

쩜상리서치

15 Jan, 14:31


https://www.investing.com/news/company-news/intuitive-reports-robust-q4-and-full-year-2024-results-93CH-3814381

쩜상리서치

15 Jan, 13:32


급락

쩜상리서치

15 Jan, 13:31


CPI 양호!!
정말 다행이네요

쩜상리서치

15 Jan, 12:27


01.15일 수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테슬라 신규모델향 음극재 납품에 따른 목표주가 상향 레포트가 나온 대주전자재료 강세. 이차전지 잘 모르지만 그래도 꾸준히 실적이 찍히고 있고, 미래 먹거리도 잘 준비하고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되어 해당 섹터 내에서 눈 여겨볼 종목이긴 한 듯
- 지엔씨에너지, 에치에프알, 오스테오닉 등은 추세적으로 저점을 높여가는 상황 속에서 꾸준히 사모가 좋아하는 종목들임
- 테크 섹터가 종목수로는 많았는데 제우스, 유니트론텍, 펨트론, 이수페타시스 등 그동안 테크 내 주도 종목이 아니었던 종목들이 사모 수급이 좋았음
- 대양전기공업이 최근 주가가 굉장히 좋은데. 기자재로 묶여서 가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적으로는 조금 부담스러운 주가가 되지 않았나 싶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최근 전선 업체들이 신고가를 계속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그나마 주가 레벨이 가장 낮은 대한전선을 레거드로 수급 채움
- 현대마린엔진, 한화엔진 등 조선 업종 중에서도 엔진 관련 업체들이 최근 연일 신고가 기록 중인데 .. 단기적으로는 고점 수준이지 않나 싶음. 수급도 어느 정도 차있어서 차익실현 욕구가 강할 수 있는 구간에 들어오지 않았나 싶음
- 전체적으로 보면 오늘 섹터 액션이 나왔던 전력기기, 반도체, 조선, 엔터 등에서 골고루 매수하는 모습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사이냅소프트가 1등인데 최근 사모가 쫌쫌따리로 계속 모으고 있는 모습도 눈여겨봐야 할 듯. 무슨 기업인지는 잘 모름..
- 사모, 연기금, 투신 모두 대주전자재료를 공통적으로 매수함. 어제부터 강한 매수세가 들어오는 상황이라 단기를 넘어서는 추세 형성이 가능할지 판단해보면 좋을 듯
- ISC가 수출입데이터가 크게 튀진 않았지만 판가가 상승하고 있고, HBM 관련 제품 납품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기대감이 높아질 수 있는 상황인 듯
- 이외에는 비슷하게 전력기기, 반도체, 조선 등등 유동성 섹터 내에서 매수

4. 기타 시장 코멘트
- 전일 PPI가 예상치를 하회하였으나 금일 CPI라는 메인 이벤트 때문에 금리는 크게 움직이지 않았음
- 조금 후에 있을 CPI가 느낌적으로는 높게 나올 것 같지 않지만 ...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음
- 결국 상방으로 움직인 금리가 현재 증시에는 가장 중요한 팩터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매크로 지표들에 대한 트래킹 및 해석이 매우 중요해지는 상황. 일단 금일 나스닥 선물은 상승 중
- 지표에 대한 우려들로 인해 그나마 살아나고 있던 유동성이 다시금 잠잠해진 상황
- 외국인들이 국내 증시를 다시 떠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반전의 계기가 무엇이 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음 ..
- 다만, 미국 증시도 주가 레벨이 높았던 종목들이 10-20% 가량 조정이 나온 상황에서 국내 증시 또한 높은 주가의 종목들은 언제든 조심해야할 시기가 아닌가 생각이 듦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5 Jan, 07:41


#지누스 에 대해 금일 노무라 리포트를 쭉 읽어보고 적어봅니다

- 금일 노무라 리포트에서 투자의견을 하향하면서 주가 하락이 거센 것으로 보임.
- 리포트 내용은 전반적으로 내용 변화는 없고 좋은게 반영되었으니 업사이드가 제한적이다 이런 내용.
- 비매트리스 관세는 회사에서 상반기 내 재고를 최대한 줄여서 1개월 밑으로 떨궈놓을 것으로 소통하고 있음. 또한 생산공장 이전 등이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소통됨.
- 비매트리스 관세를 향후 상황을 보면서 판단해야 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어느정도 먼저 대응함에 따라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음.
- 매트리스 이익이 꾸준하게 올라오고 있고 25년에도 매우 긍정적인 모습이 예상됨.
- 비매트리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더라도 1) 매트리스 수익성 확대, 2) 비매트리스는 원래부터 이익 기여가 거의 전혀 없었고, 3) 회사와 주주와 이해관계가 어느정도 맞는 회사라는 점에서 단기 급락은 관심을 가져볼 필요 있음.

쩜상리서치

15 Jan, 02:51


매번 똑같은 레퍼토리 ..

쩜상리서치

15 Jan, 02:51


엔비디아 GB200 서버 캐비닛 과열 문제 관련 협력업체는 영향 없다고 강조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NVIDIA의 최신 GB200이 장착된 AI 서버 캐비닛의 초기 버전에서 과열 및 칩 간 인터커넥트 방식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된 소식에 대해 대만의 GB200 공급망은 "몇 주 전에도 과열 문제가 한 차례 언급된 적이 있다"며 "같은 소문이 몇 번이나 반복되냐"고 불만을 표시했다. 또한, "GB200 출하는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490364

쩜상리서치

15 Jan, 02:09


https://www.fnnews.com/news/202501151049032900

쩜상리서치

07 Jan, 07:50


01.07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CES 영향으로 로봇 관련주와 디지털 트윈 관련주 부각
ex. 알에스오토메이션, 이에이트, 클로봇 등
- 씨에스베어링이 장내매수 공시를 내면서 일부 기관에서 미리 수급적으로 상승을 누리기 위해 매수하는 모습
- 오늘 강했던 조선 섹터 중에서는 기자재 세진중공업이 사모 수급 강세
- 바이오에서는 최근 바이럴이 많이 되고 있는 SK바이오팜
- 어제 카카오가 엔터 플랫폼 사업을 한다는 소식에 급락하였던 노머스와 킥플립 기대감으로 JYP가 좋은 모습 보여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은 오늘도 반도체를 대체로 많이 사는 모습이지만, 노머스와 마찬가지로 어제 카카오 영햐으로 빠진 디어유를 다시 사들임
- 크게 두드러지는 비중은 딱히 없었고, 최근 계속 팔던 HJ중공업을 다시 사들이면서 차트 정배열 & 신고가 안착시킴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은 어제에 이어 넥바메 매수 등 바이오 섹터와 반도체 위주로 사는 모습
- 프로텍이 연기금과 겹치는 종목인데 덜 오른 반도체 종목 스크리닝 하는 건가 싶음
- 이외에도 덴티움을 연기금과 투신이 같이 8거래일 연속 순매수 중. 바닥 대비 30% 정도 상승하였는데 일단 수급적으로는 최근 차고 있는 모습

4. 기타 시장 코멘트
- 장 초반 외국인이 선물을 매수해주다가 12시 기점으로 하락 추세 전환
- 그래도 코스피 현물은 사주면서 금일 거래대금 9.3조 수준으로 최근 기준 높은 수준에서 마감함 (물론 마이크론 영향으로 전닉 매도 물량 증가로 인한 대금 상승도 있을 것)
- 전체적으로 코스닥은 올해 거래대금 8조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부분이 유동성 측면에서 괜찮은 듯함 (테마 강세인 부분 고려)
- 다만, 예탁금이 57조를 넘어간 이후에 2거래일 연속 하락 전환. 잠시 쉬어가는 느낌
- 이번 주 미국 고용 관련 지표들이 발표될 예정들이기 때문에 다소 소강상태일 수 있는 부분은 있을 듯
- 그러나 미국 빅테크 위주의 강세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테크 업종에 훈풍을 불어넣고 있는 부분이 테크 위주의 국내 증시에도 지속적으로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07 Jan, 01:14


[단독]크래프톤, 엔비디아와 맞손...배그·인조이에 사람보다 유능한 AI 캐릭터 도입
엔비디아 SLM, 딥러닝 기술 적용한 CPC(Co Playable Character) 도입
'인조이'에 양사 기술 협업 첫 선...'배틀그라운드'에도 추후 적용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10708585521513

쩜상리서치

06 Jan, 16:03


미국 재무부, 청정 수소 생산 세액 공제에 대한 최종 규칙 발표 이후

PLUG, BE, FCEL 등 관련 기업들 연이은 상승세

https://home.treasury.gov/news/press-releases/jy2768

쩜상리서치

06 Jan, 14:39


모건스탠리, 버티브(VRT) OW로 이닛, PT $150

- MS "데이터센터 열 + 전력 솔루션에 집중하는 버티브는 미국 산업재 섹터 내에서 가장 성장성이 높은 테마에 대한 노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고객 점유율을 높이고 데이터센터 용량 추가 단위당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독보적인 입지를 갖추고 있습니다."

"As a near pure-play on Data Center thermal + power solutions, VRT brings outsized exposure to the best growth theme in US Industrials while also uniquely positioned to take share of customer wallets & generate higher revenue per unit of Data Center capacity added.

Despite the attractive positioning, the market is concerned on the durability of strength and remains unwilling to under-write sustained DD growth into the multiple w/ VRT trading at the low end of our coverage on growth adjusted valuation metrics.

We think the market fails to appreciate that VRT growth has materially lagged Data Center capex + construction spend over the last 2 years — this both provides catch-up opportunity in the coming years while also derisking forward growth as Data Centers will not be completed without Power + Thermal Solutions.

With attractive valuation, a de-risked multiyear growth outlook & positive revisions on the horizon, we initiate at Overweight."

👨‍💻 버티브/데이터센터 분석
- 버티브홀딩스 Investor Day 2024 : 모두가 생각해본 적 없던 숫자, 100GW & 1MW
- 버티브홀딩스 3Q24 실적발표 : 실적성장 가속화의 시작, 범지구적 AI 데이터센터 수요
- 데이터센터 CAPEX의 모든 것 : AI Boom의 숨겨진 승자들
- 2023년 8월 3일 / 버티브 기업분석 : 숨겨진 AI 수혜주, 데이터센터 열관리 1위 기업

쩜상리서치

06 Jan, 13:18


#거래대금 #매매동향

쩜상리서치

06 Jan, 13:18


01.06 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전체적으로는 당연히 반도체 섹터를 많이 매수함.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에스티아이, 인텍플러스, 엑시콘, 원익QnC, 오로스 등 수급적으로 더 여유가 있는 종목들을 좋아하는 모습
- 오로스테크놀로지의 닉스 벤더 진입 현황이 어느 정도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주가 상승 과도하지 않았나 싶음. 잠재력은 큼
- 그외에는 로봇, 양자 등 최근 강한 섹터 위주
- SBS를 최근 사모가 지속적으로 사고 있는데. 차트 정배열로 돌아서면서 기술적으로 좋아진 상황인 듯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거의 대부분 반도체였고, 디아이 > 오로스 > 하나머 > 케이씨텍 등 순서임
- 특이한 것은 아모레인데. 2거래일 연속 좋은 상승 보여줌. 턴어라운드 기대하고 있는 듯한데 그냥 연기금 주식이라 그런 것 같음 ..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쪽도 당연히 반도체 위주인데. 1위는 현대에너지솔루션임. 태양광 재고 조정 완료 후 턴어라운드 그림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전에 말했듯 개인적으로는 아직 본격적인 시점인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있음
- 금일 넥바메가 이돈행 대표 "확실한 임상 결과, 기업 성장 이끌 것"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이유로 큰 상승 보이다가 중간 가격이지만 신고가 마감함.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는 있는 종목임
- 드론 에이럭스, 우주 켄코아, 통신 에치에프알 등 최근 강한 섹터 내 대장 종목들 위주 매수세

4. 기타 시장 코멘트
- 기관들이 코스닥을 패고, 외국인은 코스피 테크 위주의 강한 매수세 보여주었으나 거래대금 측면에서 코스닥이 더 높았음
- 이는 개인들의 공포심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 고객예탁금 추이는 1월 2일 57조에서 3일 다소 하락하였으나, 금일 다시 신고가 수준으로 들어가지 않았을까 싶음. 그리고 신용잔고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장을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
- 거기에 트럼프 관세가 보편관세 -> 일부 품목 관세로 전환됨에 따라 환율이 빠르게 안정화되는 모습. 국내 증시에 우호적일 수 있음
- 다만, '일부 품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시장에서는 방위산업, 의료 용품, 에너지 생산 관련 수입품이 주요 대상이 될 가능성을 보고 있음
- 테크의 강세 추세 속 실질적인 수혜주는 제한적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ex. 하이닉스, 두산 등 ..) 단기적인 급등은 부담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함. 다만 그동안 조정폭이 컸었고, 워낙 빈집이었다는 점에서 어떻게 될지 예상이 어려운 듯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06 Jan, 08:42


[단독] SK, 올 HBM 캐파 月17만장까지 확대

6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경영진은 지난해 월 10만 장이었던 HBM용 D램 생산 능력을 올해 말까지 70% 늘리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4분기 중반께만 해도 올해 14만 장으로 늘리는 것이 목표였으나 최근 3만 장을 추가 증설하는 전략을 택한 셈이다. 연도별 생산 능력을 보면 2023년 3만 장→2024년 10만 장→올해 17만 장으로 매년 7만 장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4분기 SK하이닉스의 D램 웨이퍼 투입량이 월간 50만 장이 될 것으로 관측했다. 이 전망치대로라면 SK하이닉스는 전체 D램의 34%를 HBM용으로 제조하게 된다.

회사는 5세대 HBM(HBM3E)에 쓰이는 10㎚(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5세대(1b) D램 위주로 생산량을 늘릴 방침이다. 증설 목표치를 공격적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올해도 SK하이닉스에 HBM 주문이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AI 칩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엔비디아는 물론 최근 구글과의 반도체 협력으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브로드컴도 HBM 시장에서 독보적 1위를 달리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제품을 원하고 있다.

https://v.daum.net/v/20250106172519647

쩜상리서치

06 Jan, 08:36


#EMC #CCL #두산 #엔비디아

엔비디아 Hopper향 CCL 메인 벤더인 대만의 EMC 12월 매출도 MoM 성장
기존에 4Q가 QoQ 역성장 컨센이었는데 4분기에도 QoQ 성장 이어나가는 모습

B100 벤더 탈락에도 불구하고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여전히 엔비디아의 AI 가속기 수요가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임.

이를 비추어 볼 때, Blackwell 라인 독점 벤더에 선정된 두산전자가 향후 Blackwell 물량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 기대보다 더 큰 매출 & 이익 성장이 가능한 상황이 아닐까 싶음

쩜상리서치

06 Jan, 08:07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12월 대만 소켓회사 Winway 매출액 455.4백만대만달러(+4.5% MoM, +164.8% YoY) 발표

- 4Q24 매출액 1,539.0백만대만달러(-20.3% QoQ, +128.7% YoY) 기록

- 2024년 연간 매출은 2023년 대비 +57.5% 증가

- Winway는 11월과 12월 일부 고급 테스트 소켓에 대한 수요가 조기 납품으로 인해 둔화되었지만 수직 프로브 카드(VPC)에 대한 수요는 증가했다고 언급

- 2025년을 전망하며 1분기 비수기임에도 분기 성장 모멘텀이 재개됨과 동시에 연간 매출액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Wiwwany는 프로브카드 수요가 현재 월 500~600만개에서 2025년 800만개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현재 가오슝 2공장의 프로크바드 생산능력을 50% (월 300만개 → 월 450만개, 자체 공급 비율 50% 유지) 늘릴 계획

- 그 외 실리콘 포토닉 공동 패키징 부품(CPO)의 테스트 분야와 관련하여 현재 고객, 패키징 및 테스트 공장, 장비 제조업체와 지속적으로 협력 중임을 언급

(자료: Winway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쩜상리서치

06 Jan, 06:27


https://blog.naver.com/georgechae/223715174573

쩜상리서치

05 Jan, 23:57


#두산 #두산전자 #CCL

26년까지 고마진 하이엔드 제품군의 믹스가 압도적으로 좋아지며 증익이 크게 나오는 구간. 경쟁 강도에 따라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함

쩜상리서치

05 Jan, 13:33


전일 대비 거래량 100% 이상 상승 종목 (상승률 5% 이상)

쩜상리서치

05 Jan, 13:31


#거래대금
추세 올라가는 중

쩜상리서치

05 Jan, 13:29


01.03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사모는 이틀 연속 로봇 섹터 중 유니퀘스트를 매수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엔비디아 관련 재료라 좋기도 하고, 나름 실적도 잘 나오는 기업이라 모아가는 듯. 그 외에는 클로봇, 레인보우 정도
- JPM 헬스케어 이벤트 드리븐으로 연말 연초 전통적으로 바이오가 강세일 때가 있었는데. 일정에 맞추어 반등하는 모습. 특히 삼성증권 레포트에서 뽑은 25년 바이오 3선 종목에 해당하는 디앤디파마텍, 리가켐이 좋은 수급과 상승을 보여줌
- 그외 반도체쪽에서 반등이 의미있게 나오고 있는데. 사에이직랜드, 이수페타, 두산 등등 담고 있음
- 두산은 지속적으로 수출입데이터 트래킹 중인데 계속 좋은 모습이고, 향후 더 좋아지는 건 명확한 상황임
- 추가적으로 최근 네트워크 섹터의 훈풍이 강하게 불고있는데 처음 보는 종목인 네트워크 관련 업체인 삼지전자가 사모 수급에 잡힌 것이 재밌음. 시총 1400억인데 OP가 연간으로 800억 이상 나올 수 있는 회사... 자사주매입도 진행하고 있어서 거래량 없는 상황이어서 산술적으로는 평균 거래량의 15-20% 수준의 매일 사들여야 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은 반도체 소부장, 화학, 신재생 등 바닥에 완전 깔려있던 섹터를 대거 매수함
- 연기금 자금의 특성상으로는 괜찮은 매수일 것 같긴 함. 지금 사면 롱텀하게 먹을 수 있는 건 명확해지지 않았나 싶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
- 디아이, 피케홀, 이오, 등등 다양하게 매수했는데. 아무래도 HBM쪽으로 잘하고 있는 건 닉스 > 마이크론 > 전자 순서이기 때문에 피케홀이 강한 모습 보여주고 있는 것이 이해가 되고. 향후에 타 종목 대비 괜찮지 않을까 싶음
- 한화솔루션이 신재생 지옥 속에 있다가 꽤 의미있게 반등하기는 했으나. 아직까지는 회사 상황이 그렇게 좋은 상황으로 보이지는 않음. 명확하게 좋아질 때 사도 안 늦지 않을까 싶음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테슬라 에너지 설치량이 다시금 좋게 나오면서 ESS 종목인 한중엔시에스가 강세였음
- 휴메딕스는 장중 하락폭이 꽤 컸는데 그래도 투신에서 받아주면서 -5% 수준으로 마감하는 모습
- 전체적으로는 잡다하게 사는 모습인데. 조선기자재 중에서 비교적 상승폭이 적은 대양전기공업이 들어온 것이 눈에 띔
- 우주쪽 루미르, 에이치브이엠, 켄코아를 사는 것이 사모, 연기금과는 다른 움직임이었음

4. 기타 시장 코멘트
- 반도체쪽은 최근 주가적으로 상황이 좋아지고 있고, 주말간 나온 MSFT의 CapEx 가이던스 상향 등으로 인해 좋은 분위기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 것 같긴 함.
- 그러나 국내 소부장 업체들의 추세가 어떻게 형성될지 잘 모르겠음
- SK하이닉스, 두산 등 명확한 실수혜주 위주로 가져가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함. 굳이 소부장 봐야한다면 HBM 익스포저 높은 업체들을 잘 선별해서 매수해야할 듯함
- 로봇은 CES 이후 한 번 정리될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지속적으로 지켜볼 만한 섹터가 된 것 같음
- 아무래도 수급적으로 손바뀜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에 주가가 좋았던 기업들이 조정을 받게 되었는데. 브이티 같은 종목들 조정올 때 좋은 기회일 수 있지 않나 싶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04 Jan, 14:24


경동나비엔 :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2025년
https://t.me/Manager_Strategy_Note

투자포인트 정리
1.북미향 기존 제품 + 신제품 효과로 매출 상승 및 환율 상승 수혜
기존 신제품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와 차후 나올 히트펌프 기대감.

2.23년에 회사에서 제시한 25년 매출 2조원은 시간이 조금 더 걸리겠지만 머지 않아 달성 가능할 것. 단가가 높은 북미향 비중 확대는 전사 마진 확대 기여(21년 5.83% -> 24년 9.91%(컨센서스)
OPM 10% 가정하더라도 현재 시가총액 1.2조원은 메리트 있는 구간.

3.가장 큰 리스크는 관세 가능성.


기업개요
온수기 및 보일러 제조업체.

지루한 업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매년 매출이 꾸준하게 성장.
21년 1.1조 - 22년 1.16조 - 23년 1.2조 - 24년 1.4조(컨센)
매출이 커지며 영업이익률도 6% → 올해 9~10%까지 올라오며 영업이익도 643억 → 1384억(컨센)으로 성장

콘덴싱 보일러라는 개념을 시장에 제시하여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온수기 매출도 빠르게 성장.

미국 온수기 시장동향(KOTRA)
경동나비엔의 주력 제품인 순간 가열식 온수기는 설치비용이 높지만(평균 1천~3천달러, 저장탱크 온수기는 800~1700달러), 에너지효율이 24~34% 더 높고, 계속해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투자포인트 1 - 신제품 출시 안착화
기존 업의 성장과 신제품 출시로 HVAC 시장으로 진출.

경동나비엔, HVAC 시장 도전…2032년 매출 10兆 노린다

HVAC
Heating난방
Ventilation환기
Air conditioning공기제어
냉방, 난방,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Heating은 히트펌프와 퍼네스가 대표적. 퍼네스는 북미의 메인 난방 방식이지만 공기가 건조하고 불완전연소 등이 단점. 히트펌프는 전기로 작동하여 가장 친환경적이고 냉난방 겸용. 그러나 평균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퍼니스, 높은 지역에서는 에어컨으로 병용 가능성이 있고 설치 비용이 높은 편.

경동나비엔은 기존 콘덴싱 기술을 이용한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 제품을 출시. 추가로 현재 개발 중인 히트펌프를 연계해 겨울에 난방, 여름에 냉방을 제공 가능.

23년 말에 출시한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는 AS 및 설치 등에 대한 교육 기간을 거쳐가며 점차 성장 기대.

* 기사에 따라 HVAC 시장규모가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음. 아래 기사는 글로벌 HVAC 시장은 2028년 610억달러로 추산.

마동석 내세운 경동나비엔…"1억 투자했으면 8000만원 벌었다"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또한 국내 매출이 전체 4000억으로 여전히 적지 않은 편인데, 국내 시장과 비견되는 영국 진출 예정.
(국내 보일러 시장규모는 연간 130만대, 영국은 170~180만대)

경동나비엔, 북미 다음으로 ‘이곳’ 점찍었다…어디?


투자포인트 2 - 매출 성장과 OPM 상승
21년 1.1조 - 22년 1.16조 - 23년 1.2조 - 24년 1.4조(컨센)

단기 가이던스는 제시 되지 않지만, 중장기 실적은 2가지를 참고

1. 23년 회사 인터뷰 : 25년 매출 2조원, 32년 매출 10조원 목표

경동나비엔, HVAC 시장 도전…2032년 매출 10兆 노린다

25년 매출 2조원은 YoY +40%는 나와야 하는데 이건 좀 힘들지않을까 생각. 그러나 방향성이 맞다면 조만간 볼 수 있을 것. 2조원이라는 숫자만큼 중요한 것은 회사가 왜 이런 수치를 제시했는지.

1)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 출시로 HVAC 진출. 북미 주류 난방 방식인 퍼네스는 보일러 시장 대비 10배나 크다는 것도 매력적.
3) 서탄공장 확대 : 인터뷰 당시 200만대 생산량을 26년까지 439만대 수준으로 확대.(캐파로 보는게 좀 더 정확할 듯) .
3) 장기적으로 콘덴싱 에어컨 하이브리드도 출시

2.증권사 컨센서스

조금 더 보수적인 수치는 증권사 컨센서스.(네이버 컨센서스 기준)
25년 매출 1.6조 - 영업이익 1600억(OPM 9.95%)
26년 매출 1.85조 - 영업이익 1884억(OPM 10.19%)

25년 2조원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실적 추정. 그러나 여전히 가파른 성장을 추정하고 있음. 이 추세가 유지되면 멀티플 상향도 기대 가능.

특이점은 다소 박한 OPM 추정. 조금 더 후하게 줘도 될 것. 매출 1.1조 → 1.3조로 올라오는동안 OPM이 5.8% → 10% 가까이로 올라오고 있음. 국내보다 ASP가 비싼 북미향이 올라오기 때문에 OPM도 꾸준히 상승 전망. 북미향 매출이 환율 수혜를 볼 수 있는 것도 긍정적.

또한 서탄공장은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24년 3분기까지 종업원 급여가 약 1920억이 잡혀있어 적지 않음. 차후 매출이 증가하더라도 비용 감축에 기여 기대.

[르포] 로봇이 불량 잡고 창고로 이송… 경동나비엔 서탄공장
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리스크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가능성 : 현재로서는 그다지 높은 가능성은 아니라고 하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리스크

신제품 안착에 걸리는 시간 :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의 안착과 히트펌프 출시까지 걸리는 시간

환율 조정


컴플라이언스
해당 코멘트는 시장에 공개된 뉴스 및 리포트, 블로그, 유튜브, 텔레그램 등의 정보만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여 최대한 객관적으로 작성하였지만 모든 내용을 교차 검증할 수 없어 작성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언급된 종목들은 보유중일 수 있으며 주가 변동에 관계없이 매수 또는 매도가 일어날 수 있고, 또한 해당 코멘트가 주가 상승이나 투자로 인한 수익을 담보하지 않습니다.

작성된 모든 내용들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법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쩜상리서치

04 Jan, 04:28


MSFT : 올해 CAPEX $80b

마소 부사장 Brad Smith의 금일 공식 블로그 포스팅에 따르면 FY25 동안 AI 모델 학습과 AI 서버를 구축하는데 약 $80b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현재 시장 컨센서스는 $60.69b이며 이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을 제시한 셈. 전년 대비 무려 약 80%나 높은 수준

무튼 이중 절반 이상이 미국에 투자될 예정.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는 건설사 / 철강사 / 전력장치 / 액체냉각 업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

특히 차기 트럼프 정권에서 AI 산업이 강화될 수 있다고 언급. 19년 트럼프 1기 당시 AI 분야의 미국 리더십 강화 위해 행정명령을 승인한 바 있음

https://blogs.microsoft.com/on-the-issues/2025/01/03/the-golden-opportunity-for-american-ai/

쩜상리서치

03 Jan, 23:06


[ISM PMI 요약]

“우리는 정상보다 더 많은 백로그에도 불구하고 기술 인력에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컴퓨터 및 전자 제품]
신규 주문 증가로 공장이 풀 캐파로 가동 중입니다.” [전기 장비, 가전 제품 및 부품]

■공급이 부족한 상품
전기 부품(51); 전자 부품(9); 노동 - 건설 서비스 및 기술.
참고: 각 상품이 나열된 연속된 개월 수는 각 항목 뒤에 표시됩니다.

■신규주문
6대 제조 부문 중 2개(식품, 음료 및 담배 제품, 컴퓨터 및 전자 제품)가 신규 주문이 증가했다고 보고
12월에 신규 주문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6개 제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 장비, 가전제품 및 구성 요소; 종이 제품; 식품, 음료 및 담배 제품; 기타 제조; 1차 금속; 컴퓨터 및 전자 제품.

■생산
12월 생산 증가를 보고한 5개 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섬유 공장,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목재 제품, 컴퓨터 및 전자 제품, 1차 금속.

■고용
18개 제조업 중 12월에 고용 증가를 보고한 두 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 장비, 가전제품 및 구성 요소;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재고
12월에 재고가 더 적었던 8개 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섬유 공장; 조립 금속 제품; 컴퓨터 및 전자 제품; 화학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식품, 음료 및 담배 제품; 기계; 운송 장비.

■고객 재고
12월에 고객 재고가 너무 낮다고 보고한 10개 산업은 순서대로 다음과 같습니다. 식품, 음료 및 담배 제품; 종이 제품; 가구 및 관련 제품; 전기 장비, 가전 제품 및 구성 요소; 기계; 1차 금속; 컴퓨터 및 전자 제품; 조립 금속 제품; 운송 장비; 화학 제품.

■백로그
18개 제조 산업 중 12월에 주문 잔고가 증가한 산업은 식품, 음료 및 담배 제품, 컴퓨터 및 전자 제품, 전기 장비, 가전 제품 및 구성 요소 등 3개

쩜상리서치

03 Jan, 07:55


#예탁금추이
25.01.02 기준 57조. 최근 상승 추세가 가파름
24.01.02 ~ 현재까지 고점은 24.04.02 60조 수준

쩜상리서치

02 Jan, 14:47


웨드부시 댄 아이브스- 테슬라의 Q4 납품 수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

"전반적으로, 이는 존중할 만한 납품 수치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FY25를 바라보면, 테슬라가 FY25에서 납품 성장률을 20%-30%로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높은 확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웃퍼폼(OUTPERFORM) 등급과 515달러 목표 주가를 유지합니다."

주가는 단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지만, 우리는 이를 존중할 만한 수치로 보고 있으며, 2025년 성장 스토리와 자율주행 비전에 모든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주가 하락 시 매수 기회로 간주합니다

쩜상리서치

02 Jan, 14:43


개인적으로 전기차 관련으로 인한 테슬라 조정은 매수 기회일 수 있다고 생각함 (전기차 잘 팔아서 올린 것도 아니면서 ..) 다만 차트가 망가져버린 건 유감

쩜상리서치

22 Nov, 04:20


코스닥 음전
코스닥 & 알테 분봉 차트

쩜상리서치

22 Nov, 03:09


10/30부터 어제까지 1.8% 정도 삼

쩜상리서치

22 Nov, 02:24


다른 프로그램인지 ? 다시 주워담고 있는데 이미 공포를 줘버림

쩜상리서치

22 Nov, 02:22


알테는 프로그램이 던진 듯

쩜상리서치

21 Nov, 13:00


1. 거래대금추이
2. 매매동향
3. 주체별선물매매동향 (외국인이 2시 이후에 팸)

쩜상리서치

21 Nov, 12:59


전일대비 거래량 100% 이상 급등 종목 스크리닝 (11월 21일 목요일)

쩜상리서치

21 Nov, 12:59


11.21 목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며칠 전부터 사모가 계속 대창을 사고 있고, 첫 날에 특이수급으로 언급하였음. 지속적으로 상승 중임
- 휴메딕스, 에이피알도 신제품 출시 이후로 수급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중
- 아이쓰리시스템은 110억 CB 할증 발행. 단기적으로 하방 지켜줄 수 있지 않을까 싶음. 8월 시설 투자 했던 자금에 더하여 8미크론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 설비에 쓰이지 않을까 싶음
- 자율주행 중 퓨런티어가 가장 좋은 수급 보여주고 있음
- 대현 특이수급. 9/23 사모가 사기 시작한 후로 계속 매집 & 우상향 & 현재 신고가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 자금 집행 중인 것으로 보이는데 롱텀하게 테크, 화장품 등 패대기 처진 섹터에 자금 뿌려주는 중임
- 또한 피엔에에치테크도 심폐소생 중인 모습. 꽤 긴 시간 계속 연기금 매수 들어옴
- SG글로벌과 대동 .. 도 매수함. 재건쪽 가능성을 높게 보는 것인가 ..?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도 자율주행은 퓨런티어 좋아함 + 에스오세으랩
- 그리고 순환매 장세이다 보니 루미르도 슬적 줍고, 전진건설로봇, SG 등 순환테마에서 하나씩 골라가는 모습
- 그 외에는 최근에 조정 많이 받았던 지누스, 한중엔시에스 등
- 개인적으로 지누스는 내년에 크게 주목받을 수 있는 종목이지 않을까 싶음

4. 기타 시장 코멘트
- 뭐라고 할 말이 딱히 없네요.. 지금은 코멘트도 사실 큰 의미가 없는 것 같고, 데이터 보면서 각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21 Nov, 05:00


도저히 못해먹겠어서 퍼플렉시티 매니저에게 자문을 구했습니다 ..

쩜상리서치

20 Nov, 23:18


엔비디아 3분기 실적 (시간외 -2%)

- 비GAAP EPS: $0.81 (예상: $0.74);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
- 매출: $351억 (예상: $331억); 전 분기 대비 +17%,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
- 총이익률: 75.0% (예상: 74.8%); 전년 동기 대비 +0.6%포인트 상승

4분기 가이던스:
- 매출: $375억 (예상: $371억); ±2% 범위
- 총이익률: 73.5% (예상: 73.5%)
- 운영비용: 약 $48억 (GAAP); 약 $34억 (비GAAP)
- 기타 수익: 약 $4억
- 세율: 16.5% ± 1%

3분기 부문별 매출:
- 데이터 센터: $308억 (예상: $291억); 전 분기 대비 +17%,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
- 게이밍: $33억 (예상: $30억); 전 분기 대비 +14%,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
- 전문 시각화: $4억8600만 (예상: $4억8000만); 전 분기 대비 +7%,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
- 자동차: $4억4900만 (예상: $3억6000만); 전 분기 대비 +30%,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

기타 3분기 지표:
- 영업이익: $218억7000만 (예상: $216억9000만); 전 분기 대비 +17%, 전년 동기 대비 +110% 증가
- 순이익: $193억1000만; 전 분기 대비 +16%,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

운영 하이라이트:

데이터 센터:
- AI 채택 증가로 $308억의 기록적 매출 달성
- NVIDIA Hopper H200 기반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AWS, CoreWeave, Microsoft Azure에서 출시, Google Cloud 및 Oracle Cloud에서도 곧 제공 예정
- 덴마크, 일본, 대만, 인도에서 NVIDIA DGX SuperPOD 및 NVIDIA Blackwell 플랫폼을 활용한 AI 슈퍼컴퓨터 구축
- Lenovo, Accenture, Deloitte, Google Cloud와 AI 솔루션을 위한 파트너십 확장

게이밍:
- GeForce RTX GPU 및 RTX AI 성능을 갖춘 신규 AI PC의 매출 증가로 $33억 달성
- 20개의 신규 RTX 및 DLSS 게임 타이틀 출시, 주요 프랜차이즈 포함
- GeForce GPU 25주년 기념

전문 시각화:
- NVIDIA Omniverse를 통한 산업 AI 및 디지털 트윈 도입으로 $4억8600만 매출
- Foxconn과 협력하여 Omniverse를 활용한 공장 개발 가속화
- 실시간 제작 및 AI 통합을 위한 NVIDIA Holoscan for Media 출시

자동차 및 로보틱스:
- 자율주행 및 전기차 기술 수요 증가로 $4억4900만 매출
- NVIDIA 플랫폼 기반 Volvo 전기 SUV 발표
- 인간형 로봇 개발 및 로보틱스 워크플로우를 위한 Project GR00T AI 도구 공개

CEO 의견:
"AI 시대가 도래하며 모든 산업과 국가가 변혁을 겪고 있습니다. NVIDIA는 Hopper와 Blackwell에 대한 엄청난 수요를 충족시키며 선두를 지키고 있습니다. 기업, 로보틱스, 국가들이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우리의 솔루션을 신속히 채택하고 있습니다."
— Jensen Huang, CEO

배당 및 주주 환원:
- 주당 $0.01의 분기 현금 배당은 2024년 12월 27일 지급 예정
- AI 인프라 투자 및 주주 환원을 위한 계획 승인

쩜상리서치

20 Nov, 23:18


엔비디아 3분기 어닝콜

클라우드 의존도 증가: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업체가 Nvidia 데이터센터 매출의 50%를 차지하는 비율은 3개월 전 45%에서 증가

블랙웰 칩은 현재 본격적인 생산 단계에 있으며, 3분기에 13,000개의 샘플이 모든 주요 파트너에게 배송되었습니다. Blackwell에 대한 수요는 "어마어마"합니다

올해 AI 엔터프라이즈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두 배'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CFO - 중국: "중국은 여전히 중요한 시장입니다. 수출 규정을 준수하는 Hopper 칩을 출하하고 있기 때문에 상황이 개선되고 있지만 이러한 규칙이 없을 때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입니다. 중국 시장은 경쟁력을 유지할 것입니다."

"수십억 달러" 상당의 블랙웰 AI GPU의 4분기 출하량에 대한 이전 추정치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FO는 생산 명확성이 개선되었다고 강조하며, 마진이 증가할 경우 70%대 중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CFO: 매출총이익률이 70%대 초반에서 시작해 내년 하반기에는 70%대 중반에 이를 것으로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생산 규모가 커짐에 따라 이를 빠르게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FO: 엔비디아가 고객들이 블랙웰 시스템 배포를 준비하는 동안에도 호퍼 칩을 계속 판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Hopper의 매출이 Blackwell의 출시와 함께 3분기에서 4분기로 전 분기 대비 증가 가능합니다. H200이 Nvidia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과 증가를 경험하고 있으며 "강력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Blackwell의 매출과 이익률 "Blackwell GPU의 매출은 2025년 4월 분기에는 Hopper GPU를 상회할 전망이다."

"앞으로의 기간에 제품의 수익성과 생산 효율(수율)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익률을 연말까지 75% 정도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젠슨황 CEO

젠슨 황 CEO: 규모 확장 관련 법률을 언급하며 현재 시행 중인 세 가지 확장 방안을 통해 이 법안이 굳건히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 결과, 우리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정말 많습니다"

젠슨 황 CEO: BW 수요에 대해 "블랙웰 생산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번 분기에는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Blackwell을 납품할 것입니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것은 우리가 생성형 AI와 물리적 AI 시대의 초입에 있기 때문이다.


추론 시장의 중요성과 전망 "추론(Inference)이 널리 보급되는 것이 AI의 성공의 열쇠이다. 모든 기업이 마케팅 부문, 예측 부문, 공급망, 법무, 엔지니어링, 코딩 등 모든 부문에서 추론을 활용하는 날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 네이티브 기업과 스타트업이 생성 AI를 활용하고 토큰을 생성함으로써 일상적인 컴퓨터 체험이 바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Outlook, PowerPoint, Excel의 조작이나 PDF의 열람 등 AI에 의한 토큰 생성을 수반하는 미래를 상정하고 있다.

물리 AI (Physical AI)의 대두 "물리 AI는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과 유사하지만,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구조의 의미와 현실적인 가능성을 예측한다. 능력을 가진다.”

"물리 AI는 산업 AI와 로보틱스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많은 AI 네이티브 기업과 로보틱스 기업의 흥성을 촉진하고 있다."

Omniverse의 역할 "Omniverse는 물리 AI를 개발하고 학습시키기 위한 플랫폼으로 구축되었다.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생성과 물리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Omniverse를 통해 물리 AI의 능력을 강화하고 토큰 생성과 추론의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이다."

추론의 어려움과 NVIDIA의 강점 "추론은 정밀도의 높이, 처리량의 향상, 저지연이라는 복잡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차원화하고 있기 때문에 혁신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NVIDIA의 아키텍처와 CUDA를 기반으로 한 에코시스템은 이러한 혁신에 이상적이며 전 세계 데이터 센터에서 에지, 로봇 시스템까지 널리 배포할 수 있습니다.

쩜상리서치

20 Nov, 05:15


우주기업 시총/수주잔고 현황 => 결국 실적에 따라 주가는 차별화 될 것!

쩜상리서치

20 Nov, 01:27


어제 수급 좋았던 애들은 오늘도 좋은 모습 보여주네요

쩜상리서치

19 Nov, 12:39


1. 거래대금추이
2. 매매동향
3. 주체별선물매매동향

쩜상리서치

19 Nov, 12:37


11.19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스타쉽 6차 발사 일정에 맞추어 사모가 에이치브이엠이 밑꼬리 다 먹으면서 올린 듯함
- 신규 상장 이후 급락나왔는데 오늘도 다른 매도세가 강했으나 그나마 사모가 받아낸 모습. 그냥 신규상장주 순환매 베팅인 것 같음
- 에이피알과 휴메딕스 모두 어제 신제품 출시로 인해 상승했었는데 오늘도 이어감. 최근에는 종목들이 추세 전환하면 며칠간 지속되는 경향이 있는 듯함
- 섹터 흐름과는 달리 삼화전기가 괜찮은 수급과 상승세 보여주었음
- 루닛은 여전히 선호하는 모습이고, 뭔가 또 해먹으려는 모습으로 아톤..풀매수 ..
- 그밖에 조선업 상승 추세 속 동성화인텍을 선택하는 모습인데. 개인적으로 천연가스 등 인프라 투자 + 조선이 같이 엮여있는 피팅 업체 그 중에서 성광벤드가 좋아보인다고 지속적으로 언급했었음
- 엔터중에서는 실적이 가장 괜찮았던 JYP 선택했고, 이외에는 대창 정도가 특이 수급으로 보임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이 성광벤드를 시총대비 가장 많이 매수하였음. 차트도 예쁘게 만들어진 모습
- 최근에 엔터를 계속해서 모으고 있었던 연기금인데 하이브 제외하고는 모두 많이 사들이는 모습임
- 대한항공은 호실적 + 유가 하방 움직임 + 합병 이슈 마무리 기대감 등으로 좋은 상승세
- 하나투어도 연기금이 최근 지속적으로 매수하는 모습임. 25년 바라보는 그림인 듯
- 메톡이 망해갈 것처럼 하락하더니 연기금 수급으로 반등
- 망해가는 바이오 속 리가켐 매수. 반대로 바이오를 갖다버린 제일제당도 매수
- 매도 종목군에서는 기존 주도주 중 하나였던 자율주행 퓨런티어가 1위 랭크. 윗꼬리 달리면서 상승폭 제한된 모습이었음. 추세 전환 조심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반대로 투신은 퓨런티어를 제일 많이 매수하는 모습 .. 기관들끼리의 손바꿈이 정신없이 이루어지는 모습임
- 또한 오늘 의료 AI 섹터에서도 옥석가리기가 계속 진행되었는데 기존 대장인 루닛 이외에 금일은 뷰노가 치고올라가다가 결국 신테카바이오가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여주었음
- 여전히 의료 AI, 엔터, 자율주행, AI SW를 주로 매수하고 있으며, 바이오 개별주로 인벤티지랩과 올릭스를 매수함. 아무래도 글로벌 빅파마와의 라이센스 계약 관련 기대감이 있는 종목들이기 때문에 수급 들어올 때 지켜볼 필요는 있음
- 투신은 루미 종목들과 비에이치아이를 매도하는 모습 보여주었음

4. 기타 시장 코멘트
- 어렵다 어려워... 2주 전까지의 주도섹터와는 완전히 바뀐 분위기는 맞는데. 향후에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는 전혀 모르겠음
- 위치상으로는 엔터가 가장 무난한 선택지일 것 같긴 한데 .. 모두 다 외치는 분위기라 또 모르겠음
- 또한 이번 주는 대망의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있는 주이기 때문에 이 날을 기점으로 또 한 번 시장의 방향성이 크게 바뀔 수도 있음
- 아무래도 비중을 높게 태우기 보다는 유동적인 매매가 효과적일 수 있는 듯함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5 Nov, 00:49


10월 수출입데이터*3 기반 대애충 때려놓은 4분기 예상실적

쩜상리서치

15 Nov, 00:48


#월덱스
요즘같은 장에 의미 없겠지만
월덱스 중국쪽 수출이 늘어나면서 ATH 기록
4분기 실적이 매우 잘 나올 것으로 기대됨

쩜상리서치

14 Nov, 08:10


2024.11.14 17:08:19
기업명: 한국화장품제조(시가총액: 3,068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482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93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73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82억/ 93억/ 73억
2024.2Q 481억/ 89억/ 70억
2024.1Q 351억/ 44억/ 41억
2023.4Q 265억/ 16억/ 6억
2023.3Q 282억/ 27억/ 1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2452

쩜상리서치

14 Nov, 06:03


스페이스X 투자 관련주
- 아주IB투자: 상한가
- 미래에셋벤처투자: -3%
=> 어제까지는 같이 올랐는데 오늘은 머선 일 ?

쩜상리서치

14 Nov, 05:55


2024.11.14 14:55:14
기업명: 실리콘투(시가총액: 2조 1,427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1,866억(예상치 : 2,073억/ -10%)
영업익 : 425억(예상치 : 451억/ -6%)
순이익 : 298억(예상치 : 354억/ -16%)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866억/ 425억/ 298억
2024.2Q 1,814억/ 389억/ 333억
2024.1Q 1,499억/ 294억/ 255억
2023.4Q 1,057억/ 149억/ 100억
2023.3Q 1,010억/ 151억/ 13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0973

쩜상리서치

14 Nov, 03:57


2024.11.14 12:57:25
기업명: 네오셈(시가총액: 4,233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332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104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82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332억/ 104억/ 82억
2024.2Q 99억/ -16억/ -3억
2024.1Q 285억/ 26억/ 36억
2023.4Q 249억/ 21억/ 9억
2023.3Q 204억/ 5억/ 1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0475

쩜상리서치

14 Nov, 01:09


[ 씨티, 두산 매수 등급으로 커버리지 시작, 목표 주가 33만원 ]

- 한국에서 블랙웰 직수혜 기업

- 블랙웰에 사용되는 CCL의 Sole 벤더로 두산의 수혜 기대

- 두산 전자의 엔비디아향 매출이 3630억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

- 해당 수치는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는데 블랙웰의 CCL TAM이 5830억~9330억 원으로 예상됨

- 두산 전자의 25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6% YoY, 90% YoY 증가할 것으로 기대

블랙웰 시대에서 가장 병목 현상이 예상되는 CCL 산업이 궁금하시면 아래 바바리안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오늘 2편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1011134012807mp

쩜상리서치

14 Nov, 01:01


2024.11.14 10:01:16
기업명: 티앤엘(시가총액: 5,519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487억(예상치 : 496억/ -2%)
영업익 : 178억(예상치 : 165억/ +8%)
순이익 : 132억(예상치 : 136억/ -3%)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87억/ 178억/ 132억
2024.2Q 548억/ 207억/ 173억
2024.1Q 248억/ 72억/ 71억
2023.4Q 219억/ 10억/ 19억
2023.3Q 300억/ 84억/ 7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0144

쩜상리서치

13 Nov, 13:36


소비자물가지수(CPI) 주요 내용

헤드라인 CPI
전월 대비 : 0.2% 상승
전년 대비 : 2.6% 상승

근원 CPI
전월 대비 : 0.3% 상승
전년 대비 : 3.3% 상승

🔥주거 비용 : 주거비 지수는 10월에 0.4% 상승하며, 월간 물가 상승의 절반 이상을 차지

🔥식품 지수: 전체 식품 지수는 0.2% 상승했습니다. 가정 내 식품은 0.1% 증가, 외식은 0.2% 상승했습니다.

🔥에너지 지수: 10월 에너지 지수는 변동이 없었음 전년도 대비 4.9% 감소했습니다.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지수 : 이 지수는 10월에 0.3% 상승했으며,
의료, 중고차, 항공 요금 등의 상승이 주요 요인

쩜상리서치

13 Nov, 13:22


SMR붐온 ..

쩜상리서치

13 Nov, 13:22


⚡️⚡️⚡️⚡️⚡️⚡️
🤩오클로는 데이터 센터 제공업체 두 곳과 최대 750MW의 저탄소 원자력 발전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총 파이프라인을 2,100MW로 늘렸다고 발표

이 의향서(LOI)는 아이다호, 오하이오, 텍사스, 와이오밍 등의 주에 있는 데이터 센터에 안정적인 현장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오클로의 첨단 핵분열 발전 설비에 대한 수요를 강조합니다.

15MW 및 50MW 단위의 모듈식 오로라 발전소를 사용하는 Oklo의 접근 방식을 통해 데이터 센터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관리하도록 설계된 단계적 배포를 통해 기존 그리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OKLO

쩜상리서치

13 Nov, 10:40


2410 CPI Preview

10월은 9월 실제값과 거의 차이가 없는 0.30%, 0.20%로 컨센이 잡혀있음. 이 수준이라면 PCE Price는 대강 +0.25%로 꽤 무난하게 정상화되는 경로에 부합함

사실 현재 물가 데이터가 중기적 경로에 있어서는 중요도가 매우 낮다고 생각하지만, 이번 데이터는 12월 인하 여부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음

최근 트럼프 트레이딩에 의해 시장금리가 급등했더라도, 민간의 금융 컨디션에는 제약적으로 작용. 결과적으로 일드 급등이 인하를 방해하는 요소는 아님

채권시장이 트럼프가 시행할 관세정책을 우려하고 있는 것은 다 아는 사실. 그러나 기대인플레가 2차적으로 상승하는 식으로 이어져야 관세에 의한 자생적인 인플레이션이 실현됨

이는 유류세를 인하한다고 해서 에너지 가격과 크게 관련 없는 인플레가 감소하지 않는 것과 비슷한 맥락임

현재 US 물가지표에서 기대인플레가 작용하는 부분이 얼마인지 추정하긴 어려우나, 지난 사이클에 비해서는 관세에 의한 인플레 자극 효과는 적을 것

결국 관세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중립금리는 높아야 3.50%, 베이스 케이스는 3.25%. 이와 다르게 현재 시장은 3.75%로 반영하고 있음

지금은 경제지표보다 트럼프 트레이딩에 의한 '인플레 재점화'가 반영된 US10Y, BTC, Gold와 같은 자산 가격에 더 집중하는 상황. 달리 말하면 현재 데이터의 영향력이 작은만큼 앞으로 커질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열려 있다는 것

https://naver.me/xZVRrZh8

쩜상리서치

13 Nov, 07:30


[대신증권 엔터 임수진]
https://t.me/limontage

⭐️JYP 실적발표 주요내용 요약⭐️

실적 주요 내용
매출액 957억원(YoY -31.5%, QoQ .%), 영업이익 93억원(YoY -78.8%, QoQ -.4%) 기록.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기록하며 컨센서스 상회한 호실적 기록. MD 매출 호조에 기인
- [음반] 545억원(YoY 27.3%, QoQ 301.9%) 기록. SKZ, 엔믹스, 쯔위, day6 신보 발매
- [음원] 138억원(YoY -7.2%, QoQ 8.%) 기록. Day6신보 및 구보 음원 흥행으로 국내 음원 분기 최대 매출인 31억원 기록
- [공연] 221억원(YoY 87.6%, QoQ 57.5%) 기록. Skz 월드투어, 니쥬 일본 팬미팅, 데이식스, itzy 반영
- [MD] 502억원(YoY 57.6%, QoQ 242.3%) 기록. 2분기 스키즈 온라인 MD 반영되었으며, 니쥬 팬미팅 및 트와이스 스타디움 MD 매출 반영으로 일본 최대 MD 매출 기록(245억원)
- [매출원가] 866억원(YoY 18.9%, QoQ 38.7%) 기록. 콘텐츠 제작비 126억원 증가
- [판관비] 355억원(YoY 54.3%, QoQ 48.3%) 기록. 인건비 43억원 증가 및 JYP360 지급수수료 포함 46억원 증가
[지배주주 순이익] 387억원(YoY 12.2%, QoQ 2607.2%) 기록. 포바이포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7억원 반영

JYP 아티스트별 활동 현황 및 계획
DAY6: 9월부터 3번째 월드투어(17개 도시 26회)진행 중. 미주 전석 매진으로 팬덤 확장 중
TWICE: 미사모 일본 돔투어 진행. 24년 단체 2번, 유닛 1회 솔로 2회 진행. 25년에도 활발한 활동 예정
SKZ: 24년 미국 내 앨범판매량 100만장 돌파. 3번째 월드투어 아시아 중심으로 진행. 2025년 북남미 및 유럽 공연 발표 예정
NMIXX: 10월 K팝 뮤지션 최초 빌보드 라틴 뮤직위크 참여 예정
NIZIU: 24~25 일본 내 아레나 투어 18회 전회차 매진
NEXZ: 11월 미니 1집 발매 계획
4Q24 공연: 트와이스 미사모 돔투어, 스키즈 월드투어, 니쥬 일본 아레나 투어, 엔믹스 팬콘서트, 데이식스 3번째 월드투어. XH 서울 콘서트 예정

향후 데뷔 일정 및 이벤트
- 2H24 LOUD, 2025년 L2K 라틴 걸그룹, PROJECT C(중국 현지화 그룹) 데뷔 예정
- 딴따라: 아티스트 유형 다양화 목표로 진행

쩜상리서치

13 Nov, 06:53


11월 13일 오늘 외국인 선물 포지션인데
장중 -1500억 까지 갔다가
장종료에 +2400억 까지 올림

쩜상리서치

13 Nov, 06:52


8월 5일 외국인 선물 포지션인데
당시 장중 -1조까지 갔다가
장종료에 +9천억까지 올림

쩜상리서치

13 Nov, 03:01


매국노 반도체들만 실적 성장 중

쩜상리서치

13 Nov, 03:01


2024.11.13 12:00:49
기업명: 넥스틴(시가총액: 6,315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347억(예상치 : 319억/ +9%)
영업익 : 143억(예상치 : 138억/ +4%)
순이익 : 91억(예상치 : 102억/ -11%)

**최근 실적 추이**
2024.3Q 347억/ 143억/ 91억
2024.2Q 147억/ 4억/ 10억
2024.1Q 342억/ 189억/ 147억
2023.4Q 190억/ 59억/ 53억
2023.3Q 144억/ 53억/ 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3000168

쩜상리서치

13 Nov, 01:52


성장하는 반도체 귀하네 ..

쩜상리서치

13 Nov, 01:51


2024.11.13 10:50:58
기업명: 에스앤에스텍(시가총액: 4,322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465억(예상치 : 451억/ +3%)
영업익 : 95억(예상치 : 82억/ +16%)
순이익 : 81억(예상치 : 83억/ -2%)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65억/ 95억/ 81억
2024.2Q 424억/ 85억/ 78억
2024.1Q 418억/ 74억/ 77억
2023.4Q 404억/ 61억/ 58억
2023.3Q 385억/ 57억/ 6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3000127

쩜상리서치

13 Nov, 01:25


#파마리서치

- 3Q24 의료기기 내수 360억, 2Q24 314억 대비 QoQ +14.7% 성장
- 3Q24 의료기기 수출 147억, 2Q24 116억 대비 27% 성장, 의료기기 수출 역사상 최대 매출 달성

쩜상리서치

11 Nov, 14:06


11.11 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스페이스X 테마 대장으로서 에이치브이엠 굳건함. 금일 신한벤처투자 엑싯 공시
- 펩트론은 지속적으로 사모가 좋아하던 종목. 오늘 다시 신고가 뚫음
- 퓨런티어는 테슬라 관련 자율주행주 중에서 가장 좋은 흐름
- 토모큐브는 상장 첫날 부진을 딛고 상승세 지속
- 최근 성우와 에스오에스랩을 사모 수급으로 들어올리는 모습. 수급적으로 지켜볼 필요 있어보임
- 코인 관련해서는 한화투자증권을 탑픽으로 보는 것 같음 - 브이티, 일진전기는 실적 기대감 및 4분기까지 바라보는 매수세인 듯함
- 일진전기는 전선에서 초고압변압기 회사로서 탈바꿈 하는 구간에 있기 때문에 지켜볼 필요가 있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바이오에서는 언급했듯 에이비엘바이오를 사랑하는 연기금 + 펩트론과 퓨쳐켐, 바이오다인도 주목하기 시작
- 오늘 조정 많이 받았던 화장품 섹터에서 꽤 주워가는 모습. 제닉과 코스메카코리아
- 최근 퍼포먼스가 괜찮은 자동차 섹터에서 HL만도가 좋은 흐름 보여주었음
- 전체적으로 산업재쪽을 많이 건들이고 있는데 원전 비에이치아이, 한중엔시에스, 그리드위즈, LS일렉, 산일전기 등 유틸리티 관련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보임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전체적으로 상위권 종목의 퀄리티가 다소 별로인 듯
- 그 와중에 펌텍의 수출입데이터는 타 화장품 대비 견조했기 때문에 많이 빠지던 구간에서 받은 듯함
- 다른 주체들과 유사하게 제닉, 펩트론, 퓨쳐켐, 바이오다인 등을 매수
- 우주섹터에서 라이프시맨틱스가 최근에 새롭게 주목받는 듯한 모습
- 기존에 셀온 맞았던 제노코와 우주 대형주인 한화시스템도 수급 들어오며 강세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1 Nov, 07:25


> 한국 테크 투자에 대한 회의론

1) 금일 모건 스탠리 리포트에서 메모리 다운사이클을 한 번 더 강조하는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내용보다 더 임팩트가 컸던 부분은 '중국 CXMT가 2026년 마이크론을 제치고 DRAM 점유율 3위(생산기준)로 올라설 수 있다(심지어 높은 수율로)'는 내용과 '이로인해 메모리 업체들의 생산 캐파가 DDR5로 집중되면서 DDR5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부분이었습니다.

2) 물론 아직 메모리 경쟁력 격차가 한국과 중국업체들 사이에 굉장히 큰 편입니다. 다만, 트럼프 시대에 있어 중국의 반도체 생산 자국화 의지가 그 어느때보다 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SMIC, CXMT, YMTC와 같은 반도체 생산업체들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그 어느때보다 강하게 실시할 것입니다. (주가는 이를 선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이는 결코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닙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쟁력 약화가 그 어느때보다 강해진 상황에서, 미국에 지은 공장들은 유명무실해져가고 있고 중국으로의 수출은 어려워진 상황에서 중국에서의 자체 반도체 개발 역량 및 생산 능력까지 올라오게 된다면 한국 메모리의 과거와 같은 경쟁우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전히 1~2위는 하겠지만, 그 격차가 축소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4) 삼성전자의 위기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컨트롤타워에서의 제대로된 방향 설정이 이뤄지지 못했고, 실무진단에서는 주52시간 등의 영향으로 과거와 같은 위기극복능력이 나오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5) 정말 단적으로, 엔비디아/TSMC보다 절대적인 업무시간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현재 구조상에서 경쟁력 회복이 단기간에 이뤄지긴 어려울 것입니다. 나아가, 우리나라 특성상 뛰어난 인재에 의존해왔던 성장 구도가 인재유출, 구조조정(효율화) 등의 이유로 인해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6) AI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더욱 심각합니다. HBM은 AI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인건 맞지만, HBM = AI라고 할 수 없습니다. HBM은 말 그대로 고대역폭메모리이고 철저하게 메모리 '제조기술 역량'이 발휘된 제품입니다. 즉, HBM만 잘만들어서는 국가적으로/기업단에서 AI 역량을 키우는건 애초에 불가능합니다.

7) 향후 5년간이 AI 발전이 궁극적으로 가장 압축되어 진행되는 시기입니다
. 생성형 AI를 통한 LLM과 AI 비서, 그리고 인간지능수준의 AI의 등장. 그리고 이러한 AI 성능을 탑재한 인간형 로봇과 자율주행, 우주/항공 등의 기술 발전이 향후 5년간 가장 빠르게 이뤄질 것입니다.

8) 특히 이런 향후 5년간의 발전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변화가 아닙니다. 철저하게 '미국 중심으로' 진행될 변화라는게 핵심입니다. 즉, 미국이 주도하는 거대한 테크 변화 트렌드에서, 테크 투자자일수록 이제는 한국이 아닌 미국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현실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9) 최근 발생한 이수페타시스의 문제라던지, 그 외 HPSP/예스티간의 특허분쟁, 한미반도체/한화인더간의 점유율 문제 등 국내 소부장들은 글로벌로 뻗어나가는 기술력 경쟁보다는 오히려 소모적이고 노이즈만 가득하거나 투자자들에게 불합리한 요소들만이 가득한 이슈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즉, 펀더멘털 관점에서 투자할만한 대상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10) '향후 5년 내지는 10년은 미국 주도의 AI 테크 발전 사이클' 입니다. 그리고 테크 투자자라면, 이 기회를 반드시 놓쳐서는 안됩니다. 단순히 국장 수익률이 안좋아서, 정치가 문제라서 등의 외부적 요인은 전부 배제하고 - 철저하게 테크 펀더멘털만 놓고 분석해보아도 미국 주도의 테크 사이클을 놓쳐서는 안된다는 판단입니다.

쩜상리서치

11 Nov, 07:10


#거래대금추이
- 코스피: 11조
- 코스닥: 6.8조
=> 회복 중이긴 하지만 아직 부족

쩜상리서치

11 Nov, 06:54


2024.11.11 15:54:23
기업명: 에이치브이엠(시가총액: 3,297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대표보고 : 신한벤처투자/대한민국
보유목적 : 단순투자

보고전 : 5.6%
보고후 : 0%
보고사유 : 장내매도에 따른 보유지분 변동

* 네오플럭스 기술가치평가 투자조합
2024-11-06/장내매도(-)/보통주/ -87,819주/특별관계자
2024-11-07/장내매도(-)/보통주/ -87,818주/특별관계자
2024-11-08/장내매도(-)/보통주/ -97,915주/특별관계자
2024-11-11/장내매도(-)/보통주/ -7,679주/특별관계자

* 신한-네오 소재부품장비 투자조합
2024-11-06/장내매도(-)/보통주/ -112,181주/특별관계자
2024-11-07/장내매도(-)/보통주/ -112,182주/특별관계자
2024-11-08/장내매도(-)/보통주/ -123,458주/특별관계자
2024-11-11/장내매도(-)/보통주/ -11,431주/특별관계자

* 신한캐피탈㈜
2024-11-07/장내매도(-)/보통주/ -12,995주/특별관계자
2024-11-08/장내매도(-)/보통주/ -12,996주/특별관계자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1000274
주요 지분공시(최근1년) : https://www.awakeplus.co.kr/board/notice/29531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5310

쩜상리서치

11 Nov, 03:52


미국은 MAGA인데 국장은 마가 꼈나 ..

쩜상리서치

11 Nov, 01:12


3002491000 기준
미국향 보톡스 10일 잠정치만로도 MoM 플랫 수준

쩜상리서치

10 Nov, 11:26


8월 2일 기준 트럼프 스터디 진행했었는데, 그 중 에너지 관련 내용 공유드립니다
https://share.evernote.com/note/c398b7e1-ff9d-38a4-1334-baf8eb4015cd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0 Nov, 11:16


#실적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금주 역시 실적시즌 서프/쇼크 업데이트 공유드립니다. 기준일은 11월 8일입니다. 해당 시트는 회사의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정량적인 시트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섹터 서프
- 조선, 금융, 제약/바이오, 방산

섹터 쇼크
- 자동차, IT, 반도체, SW, 2차전지, 화장품/미용, 엔터/미디어, 게임

섹터 서프, 개별 쇼크
- LIG넥스원, BNK금융지주, 대신증권, HK이노엔, 에스티팜 등.

섹터 쇼크, 개별 서프
-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파트론, 디케이티, 삼성SDS, 카페24, 한미반도체, DB하이텍, 원익IPS, 크래프톤, 휴젤 등.

기타사항
- 2Q 대비해서 3Q는 쇼크 섹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아졌으며 서프 섹터는 현저히 줄어든 상황
- IT, 반도체는 2Q 서프=>3Q 쇼크 전환
- 조선/방산/전력기기 전반적으로 실적이 양하혼 상황이며 3개 섹터 2Q&3Q 호조 이어가는 중.
- 3Q 제약/바이오 섹터가 전반적으로 실적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쩜상리서치

10 Nov, 10:36


11.08 금요일 거래량 스크리닝
- 전일대비 거래량 100% 이상 증가
- 상승률 5% 이상

쩜상리서치

10 Nov, 09:48


11.08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토모큐브가 상장 첫날 약세를 딛고 상승세를 보임
- 에이치브이엠은 여전히 우주섹터쪽에서 스페이스X 실수혜주로 구분되는 모습
- 펩트론은 원래도 사모가 좋아하던 종목이었는데. 11월 8일이 확정발행가액 산정일 + 알테오젠에 의한 바이오 부활에 힘입어 다시금 좋은 상승세 보여줌
- 수출입데이터가 나올 타이밍에 맞추어서 오르는 단골 섹터인 화장품 섹터에 전체적으로 베팅 수급이 들어온 모습 (제닉, 코스메카, 브이티, 실투, 씨앤시, 펌텍 등등 두루두루 매수)
- 성우는 4680 밸류체인 기업으로서 테슬라 관련주로 부각받고 있고, 최근 밀고 있는 스피커들이 자주 보임
- 카페24는 시장에서 소외된 상태였다가 예상 외의 호실적을 발표하고 다시금 꿈의 크기를 셀링하고 있는 모습
- 순매도 상위 종목에는 루미르, 펨트론, 서진시스템, 현마솔, 씨에스윈드 등등 트럼프 트레이드 피해주와 차익실현 가능한 종목들을 처분하는 모습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그동안 원전쪽에서는 비에이치아이를 많이 사는 모습이었는데, 우진과 우진엔텍이 상위 종목에 포함됨
- 와이지엔터를 계속계속 사고 있음. 턴어라운드 기대하고 있는 듯
- 연기금은 바이오 중에 예전부터 에이비엘바이오를 선호하는 모습. 최근 유상증자 이외에 자금조달 측면에서 문제 일으킨 적도 없고, 이중항체 및 이중항체 ADC 등 이제 막 시작되는 시장에서의 퍼스트 인 클래스 가능성을 지닌 기업이라 장기적으로 좋게 보고 팔로우하는 듯함
- 산업재는 변압기/전선쪽에서는 기업 체질 변화 중인 일진전기, 피팅 성광벤드, 우주 한화시스템, 인텔리안테크, 디스플레이 선익, 피엔에이치테크 등등 각 섹터별 주요 종목들 매수 중임
- 이수페타시스는 한동안 계속 팔다가 다시 매수했는데 유감스러운 부분 .. 양아취 기업 ..
=> 여기서 느낀 건 국장은 내부 소문이 진짜로 잘 도는 시장이기 때문에 이유없어 보이는 대량 매도 시그널이 나오면 조심할 필요가 있음 ㅠ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최근 상장했으나 주목받지 못했던 AI 기반 로봇 솔루션 공급 업체 씨메스 담기 시작함
- 엠로는 좋은 실적을 보여주며, 향후 고성장할 AI SW 기업으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주었음
- GST는 연기금과 같이 매수. 성우는 사모와 함께 매수함. GST의 액침냉각은 찐인가 ?
- 디케이티도 다른 애플 벤더들과는 다른 주가 퍼포먼스 보여주었고, 사모와 함께 투신 순매수 상위 랭크됨. 디케이티는 애플향 뿐만 아니라 사업 다각화 + 경영권 이슈가 있기 때문에 업뎃할 필요 있어보임

4. 추가적인 시황 코멘트
- 단기적으로 마지막 불확실성 이벤트였던 FOMC에서 25bp 인하가 나오고, 트럼프 체제에서의 파월의 강경한 모습(?)을 내비치며 과거와 달리 대선 영향이 선반영되었던 시장에서는 금리가 빠르게 하락하기 시작함
- 이러한 영향으로 금리 팩터가 강한 바이오의 움직임이 괜찮았는데, 거기에다가 바이오텍의 대장인 알테오젠이 다이치산쿄와의 ADC 독점 계약 공시가 나오며 모든 수급을 단번에 빨아들임
- 최근 바이오 섹터의 조정이 꽤 지속되기도 했고, 여러 여건들이 우호적으로 변화된 상태에서 다시금 바이오 섹터 주요 종목들은 신고가 레벨을 높여가지 않을까 싶음

- 알테오젠은 개인적으로 30만 원대에 다시 오게 된다면 엄청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30 Oct, 08:24


와우

쩜상리서치

30 Oct, 08:24


[Advantest_FY2Q24 실적발표]

하나증권 IT 김민경

분기별 최대 실적 기록하며 가이던스 상향
타 장비사와 마찬가지로 대만/한국 고객사의 AI 수요가 실적 견인

*FY2Q24 실적: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23%, 영업이익 65% 상회

매출액 1,905억엔 (YoY +65%, QoQ +37%, 컨센서스 1,546억엔)
GPM 57.8% (컨센서스 52.4%)
영업이익 636억엔((YoY +245%, QoQ +103%, OPM 33.4%, 컨센서스 385억엔)

*FY2Q24 매출 세부내역
1) 부문별
Semiconductor & Component Test Systems 1,455억엔(YoY +79%, QoQ +44%)
-메모리 테스터 360억엔(YoY +93%, QoQ +13%)
-SoC 테스터 1,095억엔(YoY +75%, QoQ +58%)
Mechatronics Systems 172억엔(YoY +38%, QoQ +21%)
Services, Support & Others 277억엔(YoY +22%, QoQ +19%)

2)지역별
한국 450억엔 (YoY +72%, QoQ +35%)
대만 731억엔 (YoY +285%, QoQ +76%)
중국 427억엔 (YoY +9%, QoQ +19%)
미국 124억엔 (YoY +86%, QoQ +36%)
유럽 54억엔 (YoY +27%, QoQ +38%)
일본 46억엔 (YoY -19%, QoQ -13%)
기타 73억엔 (YoY -53%, QoQ -23%)

*FY24 가이던스
매출 6,400억엔(YoY +31.6%, 기존 가이던스 대비 +6.7%)
영업이익 1,650억엔(YoY +102.2%, 기존 가이던스 대비 +19.6%)

Semiconductor & Component Test Systems 4,700억엔(YoY +42%)
-메모리 테스터 1,460억엔(YoY +70%, 기존 가이던스 대비 30억엔 상향): 고객사 HBM 강한 투자 기조에 따라 Capa 확보 완료
-SoC 테스터 3,240억엔(YoY +32%, 기존 가이던스 대비 320억엔 상향): HPC/AI향 장비 수요 대응하기 위해 공급 속도 증가
Mechatronics Systems 172억엔
Services, Support & Others 277억엔

*CY24 시장 전망
SoC 테스터 시장: 35~38억달러(기존 추정치 32~35억달러)
메모리 테스터 시장: 17~19억달러(기존 추정치 16~18억달러)

https://www.advantest.com/document/en/investors/ir-library/result/E_BIZ_241030_slide.pdf

쩜상리서치

30 Oct, 06:36


암울한 시장

쩜상리서치

30 Oct, 06:33


그저께 거래대금보다 낮은 4.6조 ..

쩜상리서치

30 Oct, 01:18


이미 메모리쪽은 하이닉스/삼성전자 모두 퀄은 받은 상태이고, 승소하게 되면 바로 판매가 가능한 상황이 되는 것 (HPSP 장비 대비 10~30% 이상 싸게 들어갈 것)
파운드리도 전자향으로 테스트 이후 성능 문제가 아닌 커스터마이징 차원에서 개발 진행 중이라고 소통함

(24.03.07 예스티 컨콜 中)

쩜상리서치

30 Oct, 00:57


#예스티 무효 및 소극 심리 종결일이 결정됨. 11월 초 결과 나올것으로 예상되며 무효나 소극 둘중 하나만 승소해도 고압어널링 장비 영업가능.

출처-특허심판원, 쩜상리서치

쩜상리서치

30 Oct, 00:41


https://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07

쩜상리서치

29 Oct, 09:06


코스피 거래대금: 9.34조
코스닥 거래대금: 5.33조

ㅠㅠ

쩜상리서치

29 Oct, 09:01


10.29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 비에이치아이는 연기금 -> 투신 -> 사모 순으로 수급이 강하게 들어오는 흐름
- 보통은 사모가 빠른 편인데 원전쪽 흐름이 길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던 모양임
- 결국 세 주체 모두 비에이치아이를 좋아하고 있고, 오늘은 외인 프로그램도 강한 매수세
- 최근 3거래일 동안 코스메카코리아의 사모펀드 수급이 꽤 많이 들어오는 모습인데, 하반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 듯
-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은 3Q 400억이 넘는 추정치 레포트가 나온 전후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 전방 고객사들의 상황이 굉장히 좋은 상황. 실적 때마다 서프라이즈 보여주면서 가끔 상한가 한 번씩 가던 종목인데 이번 실적엔 어떨지 ..
- SNT다이내믹스가 K2 전차의 변속기 국산화 업체로 확정됨에 따라 매수세가 들어옴
- 주가 상승폭이 크지 않았는데, 기업 펀더멘탈에 장단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됨. 계속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 시프트업, 엔씨, 위메이드 등 게임 섹터 종목들을 많이 매수한 게 특징적
- 게임 섹터를 잘 알지는 못해서 패스 ..
- 섹터 단위의 공통적인 특징은 딱히 없는 것 같고, 비에이치아이를 계속해서 선호
- 송원산업, 앨엔에프 등 턴어라운드 기대할 수 있는 섹터 내 종목을 긴 호흡으로 매수하는 느낌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 테크 업체에 대한 관심이 큼 (GST, 한화인더, 피케홀 등)
- 그 외 바이오 종목들에 대한 수급이 강세. 금투세 폐지 & 반도체 지원 기대감으로 기존 주도 섹터와 반도체에 따라붙은 수급인가 싶음
- 실적 시즌인만큼 관련해서는 펌텍코리아가 투신에서 바라보는 탑픽으로 보임
- 유바이오로직스의 경우에는 쩜상에서 올렸던 내용을 참고해주면 될 듯. 요약하면 콜레라 백신 독점 공급업체 & 공급 쇼티지를 증명한 실적
https://t.me/upper_limit_price/2272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29 Oct, 04:04


2024.10.29 13:03:56
기업명: 씨에스윈드(시가총액: 2조 3,152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계약내용 : ( 상품공급 ) WIND TOWER 공급계약 체결
공급지역 : 미국
계약금액 : 2,330억

계약시작 : 2024-10-29
계약종료 : 2026-01-25
계약기간 : 1년 2개월
매출대비 : 15.3%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9800158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11261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12610

쩜상리서치

29 Oct, 03:55


유바이오로직스 +23.15% 급등 중

쩜상리서치

28 Oct, 23:47


🤑 의식의 흐름대로 보는 잡주 – 제노코 🤑

(6년 전 쎄트렉아이와 인텔리안테크가 생각남)

-우주항공 대표 주식인 쎄트렉아이와 인텔리안테크. 시총 5천억-1조 와따리가따리 하고있는데 이 놈들도 6년전엔 걍 천 억짜리 개잡주 였음.

-실적이 엄청 잘나서 이래 올랐나? 아님. 걍 요즘 실적 둘다 개판임. 그럼 대체 왜 이렇게 올랐을까 생각해보믄…

-1)어짜피 우주항공은 미래사업이다 걍 무조건 좋은거다. 2)둘 다 사실상 국내 독점 사업이고 수주잔고 쌓여간다. 3)해외 큰기업들의 공급계약을 통한 수출 성장. 뭐 대충 이딴식의 논리로 정리되는 듯함.

-근데 이런 비슷한 논리를 가지고 있는 제노코 라는 천억따리 개잡주가 하나있음

-한화시스템 따까리 하청.. 뭐 들춰서보믄 걍 하는건 위성본체 트랜스미터 장비랑 방위사업 쪽 간섭방지기 뭐 그딴거임… 위성&방산 통신 사업.... 근데 의외로 둘 다 사실 독점임. 어짜피 수주잔고 계속 졸라게 쌓여가고 매출도 계속 올라게 되이씀

-또 이딴 잡주가 노스롭그루먼, Viasat이나 다른 해외 기업 수주가 멀지 않음.

-결국 쎄트렉이나 인텔리처럼 우주항공 섹터에다가 독점이고 수주잔고 쌓여가고 해외기업들 공급가능하고 뭐 그런 느낌으로 고놈이 고놈임

-시총만만이에 앞으로 실적도 좀 안정적일거 가틈. 뭐 매출 올라갈수록 개발매출말고 제품매출 비중높아져 이익좋아진다캄.

-문제는 유통주식이 60%인데도 거래가 진짜 개같이 안됨. 물리면 노답임. 걍 강성주주들 졸라게 꿈꾸면서 버티고 있는 걸로 보임. 때되면 함 갈거라고 보는데 그게 언젠진 몰겠음.

작성자 - 쩜상리서치

쩜상리서치

28 Oct, 23:36


#SNT다이내믹스 폴란드 현지기사

대한민국 국방부는 K2 주력전차에 한국 변속기를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 덕분에 완전한 한국식 파워팩을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폴란드에도 제안될 것이다.

https://defence24.pl/przemysl/koreanska-przekladnia-dla-czolgu-k2

쩜상리서치

28 Oct, 22:57


⚡️⚡️⚡️⚡️⚡️⚡️
🤩TransMedics(시간외 -23.8%)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요약

“저는 다시 한번 기술이나 경쟁적인 역학 관계가 우리의 하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실히 하고 싶습니다.”

“명확히 하겠습니다. OCS(Organ Care System) 볼륨의 약간의 순차적 감소에서 근본적인 이유나 경쟁적인 역학 관계가 역할을 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이제 시작입니다. 우리는 2028년까지 10,000건의 이식 목표 달성을 위해 전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올해 전체 가이던스에 대해 높은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10월 초에 역학 관계가 정상화되기 시작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미래에 더 많은 장기를 추가할 것입니다.”

$TMDX

쩜상리서치

28 Oct, 07:28


쇼티지 = 돈 ..

쩜상리서치

28 Oct, 07:27


2024.10.28 16:27:24
기업명: 유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4,435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62억(예상치 : 325억)
영업익 : 170억(예상치 : 106억)
순이익 : 161억(예상치 : 105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362억/ 170억/ 161억
2024.2Q 79억/ -16억/ -16억
2024.1Q 152억/ 24억/ -37억
2023.4Q 269억/ 95억/ -130억
2023.3Q 114억/ -33억/ -3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890051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6650

쩜상리서치

28 Oct, 07:21


1) 기존 수출 국가에서의 추가 수주 물량
2) 독일 허가 필요성이 사라지며 중동향 수출 확대 가능성

=> 기존 본업도 성장하는 그림 + 추가적으로 TAM이 굉장히 커질 수 있는 그림

쩜상리서치

28 Oct, 07:10


#SNT다이내믹스

우리 군이 도입할 K2 전차에 국산 변속기가 장착되면서 전차의 '심장'으로 불리는 파워팩(엔진+변속기)이 모두 국산화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제164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 회의를 열고 'K2전차 4차 양산 1천500마력 변속기 적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제작된 K2에는 국산 엔진과 함께 독일산 변속기가 들어갔는데, 4차 양산계획에 따라 2028년까지 생산돼 우리 군에 공급될 150대의 K2에는 국내 방산업체 SNT다이내믹스에서 제작한 변속기가 장착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10988?sid=100

쩜상리서치

24 Oct, 06:23


한-폴란드, 연내 K2전차 2차 이행계약 포함 방산협력 지원키로

https://v.daum.net/v/20241024151944834

쩜상리서치

24 Oct, 01:48


엘앤케이바이오메드, '블루엑스 시리즈' 6종 美 FDA 승인 완료

지난 9월 FDA 신청 후 한달 만에 승인… 매우 이례적인 사례


http://www.bokuennews.com/news/article.html?no=250876

쩜상리서치

24 Oct, 00:42


[고려아연] by 범송공자

왜 오르냐?

아직 공개매수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고려아연 공개매수 100%를 가정

범 최씨가와 범 장씨가는 756만주 vs 796만주

만약 최씨가가 자사주를 활용한다면 796 vs 796이 되는 상황

결국 마지막 52만주를 차지하는 사람이 왕좌를 차지하게 됨

영화 고지전의 마지막 전투처럼 장내매수 전쟁이 벌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듯

한진칼이 유통물량이 없는 상황에서 치열한 장내매수 경쟁이 벌어졌던 것과 비슷할 수 있음

만약 들어온다면 아마 최씨는 자사주, 장씨는 장내매수로 들어올 듯

다만 영풍정밀은 최씨가 이미 지분율 70%로 경영권 획득, 영풍정밀은 고려아연과 상황이 다름. 그냥 품절주 테마로 장난치는 것

아이러니한 건 영풍정밀 주가가 급락하면 최씨의 담보가치 하락으로 인한 반대매매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런데 현재처럼 주가가 올라주면 고려아연 경쟁에 집중할 수 있게 됨

결론은 이제 롱도 숏도 애매한 상황

쩜상리서치

24 Oct, 00:21


어제 미리 땡긴 반도체는 약세
이차전지가 초반 강세였으나, 바이오가 반등 중

쩜상리서치

24 Oct, 00:14


- 상기 전기실적(2024.2Q)은 기 재무제표에 반영되었던 장기충당부채 설정액(손해배상추정액) 46,003백만원중 손해배상소송 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충당부채환입액 42,492백만원이 일회성 이익으로 반영된 금액입니다.

- 이에 따라 당기 영업이익(2024.3Q. 18,440백만원)의 증감율은 일회성 이익을 제외한 전기실적(2024.2Q. 14,950백만원) 대비 +23.3% 입니다.

- 상기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한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상기 실적은 투자자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잠정실적으로 향후 외부감사인의 검토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쩜상리서치

24 Oct, 00:13


2024.10.24 09:13:06
기업명: SNT다이내믹스(시가총액: 8,86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637억(예상치 : -)
영업익 : 184억(예상치 : -)
순이익 : 17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637억/ 184억/ 175억
2024.2Q 1,451억/ 574억/ 470억
2024.1Q 1,141억/ 110억/ 129억
2023.4Q 1,468억/ 76억/ 162억
2023.3Q 1,344억/ 154억/ 13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480004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3570

쩜상리서치

23 Oct, 23:53


GEV는 이걸로 보시는 게 맞을 것 같네여

쩜상리서치

23 Oct, 23:13


https://m.blog.naver.com/butterdaddy/223631265122

쩜상리서치

23 Oct, 23:07


테슬라 실적 vs. 가이던스 테이블: 전 사업에서 수익성 서프라이즈!

쩜상리서치

23 Oct, 22:56


📌 SK하이닉스(시가총액: 142조 6,885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4.10.24 07:56:03 (현재가 : 196,000원, +4.37%)

매출액 : 175,731억(예상치 : 177,303억/ -1%)
영업익 : 70,300억(예상치 : 66,478억/ +6%)
순이익 : 57,487억(예상치 : 47,019억+/ 2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4.3Q 175,731억/ 70,300억/ 57,487억/ +6%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5%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56%
2023.4Q 113,055억/ 3,460억/ -13,794억/ +772%
2023.3Q 90,662억/ -17,920억/ -21,847억/ -9%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480000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쩜상리서치

23 Oct, 13:47


10월 23일 수요일
전일대비 거래량 100% 이상 상승 종목 (주가 5% 이상 상승)

쩜상리서치

23 Oct, 12:47


10.23 수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오늘은 바이오섹터가 조정을 꽤나 많이 받았음에도 장 중후반 이후부터 펩트론이 스물스물 올라왔고, 사모 수급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임
- 퓨쳐켐은 셀온을 세게 맞았지만 매수하였는데 .. 아마 물린 수급이지 않을까 싶음
- 이외에 내일 하이닉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일부 주요 소부장 업체들에 대한 수급이 많이 들어옴 (디아이, 테크윙, 이수페타시스, ISC)
- 개별적으로 바디텍메드, 네오팜, 지누스 등이 강세를 보였음
- 이 중 지누스는 지속적으로 사모 수급 들어오던 걸 언급해드렸었는데, 오늘 급등 나옴
- AO smith 어닝콜에서 미국 리모델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관련주(경동나비엔, 지누스 등)들이 상승함
- 어느 시점 이후로는 지누스의 상승세가 훨씬 커지며 마감 (지누스는 아레테님 블로그 내용 참고하시면 좋을 듯)

https://blog.naver.com/moon020101/223624596255?fromRss=true&trackingCode=rss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 수급 1,2등 종목은 와이지엔터와 엔씨소프트 ..
- 섹터로는 반도체 기업을 다수 담았음 (원익QnC, 테크윙, HPSP, 티에스이, 이수페타시스, 넥스틴 등)
- 테크 업사이드 리스크 줄이기 위한 바스켓 전략 선택한 것으로 보이고, 실적발표 스타트를 끊은 현대마린솔루션도 사는 모습
- 이외에는 지속적으로 원전(비에이치아이) 수급 들어오고 있으며, 사모와 마찬가지로 지누스를 지속적으로 매입하고 있음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도 마찬가지로 테크윙, 티에스이, 이수페타시스, 디아이, ISC 등으로 테크 비중을 채워넣음
- 또한 순매수에 셀비온 2위, 순매도에 퓨쳐켐 3위로 랭크된 것을 보니 퓨쳐켐 셀온 치고 RLT 피어 기업인 셀비온으로 손바뀜을 진행한 것 같음

4. 추가적인 시황 코멘트
- 금일 데이터센터 인프라 및 전력 관련주라고 볼 수 있는 미국의 VRT, GEV의 실적 자체가 좋게 나오지는 못하면서 현재 하락하고 있음
- 어닝콜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지만 숫자만 봤을 때는 오늘 미장에서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련 섹터의 힘이 다소 빠질 수도 있다고 생각함
- 그렇게 되면 내일 하이닉스 실적이 잘 나왔을 때 나올 수 있는 테크 상승 움직임과 다소 상충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음
- 또한, 금일 바이오 다수 종목이 조정폭을 키웠는데, 내일 보로노이의 영향으로 섹터 액션이 나올 수도 있고, 만약 하이닉스 실적이 예상보다 좋지 않다면 바이오로 다시 한 번 수급이 쏠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됨
- 그리고 이차전지의 경우에도 오늘 미장 마감 후 테슬라 실적발표에 따라 향방이 갈릴 수 있을 텐데, 월가에서는 하회를 예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나올지 모르겠음
- 다만, 반도체/2차전지/바이오 3대장 섹터가 모두 각각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는 이벤트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지극히 제한적인 수급을 가진 국장에서 유동성의 방향이 어디로 갈지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될 것임
- 따라서 내일 장의 수급 움직임은 단기적인 국내 시장의 방향성을 이끌 것이라고 생각됨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시나리오는 아래 정도이지 않을까 싶음
(오늘 미장 데이터센터 관련주들 움직임에 따라 테크 강세 정도가 줄어들 수 있음)
1) 하이닉스 기대 이하 & 테슬라 쇼크 => 바이오 수급 몰빵
2) 하이닉스 기대 이상 & 테슬라 쇼크 => 테크 > 바이오 > 이차전지
3) 하이닉스 기대 이상 & 테슬라 서프 => 테크 = 이차전지 > 바이오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23 Oct, 11:47


#보로노이
수급적으로 룸도 남아있는 듯

쩜상리서치

23 Oct, 06:02


중국 태양광 관련주 급등

미 상무부, 중국 태양광 전지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 일부 철회 검토

재련사 10월 23일 보도,
미국 연방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0월 21일부터 상황 변경 검토(CCR)를 시작하여 중국 실리콘 태양광 전지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AD/CVD)의 일부 철회를 검토 중.
이번 검토 대상 제품은 일부 소형, 저출력, 오프그리드용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CSPV) 전지

14:40 【美商务部拟部分撤消中国光伏电池的反倾销税和反补贴税】财联社10月23日电,据美国联邦官方网站消息,美国商务部10月21日起启动变更情况审查(CCR),考虑部分撤销中国晶体硅光伏电池的反倾销税和反补贴税(AD/CVD),并邀请相关各方发表意见,所涉产品为某些小型、低瓦数、离网晶硅光伏(CSPV)电池。(来自财联社APP)

쩜상리서치

23 Oct, 05:17


#지누스
2분기 실적발표 이후 급등하다가 조정 후 다시 신고가입니다. 길게 봐도 주목할만한 개별주라고 생각합니다. 이전에 적어둔 글 공개전환입니다.

[핵심요약]
• 보장된 수요+적극적인 'SKU 감소 및 비효율 자산에 대한 처리 정책'으로 이익이 빠르게 올라올 것.
• 인도네시아 CAPA의 대부분을 점유함에 따라 관세에 대해 자유로운 점이 미국 내 경쟁업체 대비 해자.
• 스몰박스 형태를 통해 타 업체 대비 낮은 가격에 동일한 마진을 낼 수 있어 Q 측면에서 큰 강점.
• 24년 매트리스 회복, 1H25 비매트리스 회복, 2H25 미국공장 회복 등 긍정적 이슈 이어달리기 가능.
• 회사에서 적극적으로 주주가치를 생각한 행보를 보이고 있음.
• 의외의 트럼프 수혜주.

https://m.blog.naver.com/moon020101/223624596255

쩜상리서치

23 Oct, 05:01


염상원 신성통상 이사가 오는 28일 진행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핵심 화두는 편법 증여와 자진 상폐가 될 것으로 보인다.

https://sports.chosun.com/life/2024-10-23/202410220100152680020600

쩜상리서치

23 Oct, 01:59


2024.10.23 10:55:37
기업명: 에이비엘바이오(시가총액: 1조 8,522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 상대방 : 인투셀(IntoCell, Inc., 대한민국)

2) 계약의 내용 : 인투셀의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플랫폼 기술을 당사 항체에 접목하여 ADC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권 도입 계약 체결

3) 계약체결일 : 2024-10-23

4) 기술의 내용 : ADC는 항체를 통해 암을 표적하여 치료 약물인 페이로드를 전달함으로써 종양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작용기전의 기술임

5) 계약기간 : 계약일 ~ 시판된 의약품의 로열티 만료일 (국가별, 제품별 상이)

6) 계약금액

- 계약금액에 해당하는 재무조건은 경영상 비밀과 영업상의 기밀에 따라 비공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380

쩜상리서치

23 Oct, 01:40


양사는 이미 수개월 전부터 기술적 논의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왔고 결국 기술력을 통해 T사의 관심을 이끌어내며 이번 실사로 이어졌다.

펨트론 관계자는 "이번 T사의 방문은 당사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나아가 양사 간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라며 “앞으로도 T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12114

쩜상리서치

22 Oct, 09:12


[단독] 'K방산 ETF' 美증시 상장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은 지난 9일 ‘PLUS 코리아 디펜스 인더스트리’ ETF 상장 신청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다. 약 두 달간의 심사 과정을 통과하면 내년 초 상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ETF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PLUS K방산’을 벤치마킹했다. 구성 종목과 종목별 비중을 비슷하게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PLUS K방산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한화오션, LIG넥스원 등을 담고 있다.

올 들어 이달 18일까지 67.61% 급등해 세계 주요국 주식형 ETF 가운데 수익률 1위를 달리는 중이다.

한화그룹은 ETF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자본시장에 K방산의 경쟁력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세계 최대 방산 시장인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 8월 연 20조원에 달하는 미국 해군 함정 유지보수(MRO) 사업을 수주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221451

쩜상리서치

22 Oct, 05:30


美, 대 중국 AI 투자 금지 규정 근시일 내 발표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반도체 등에 대한 미국 자본의 대 중국 투자 제한 규제를 이번주 중 발표할 전망이다.

21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이 중국의 AI·반도체·마이크로전자기술·양자컴퓨팅 기술에 대한 미국 자본 투자 금지 규정을 최종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규정은 2023년 8월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 명령을 토대로 한다. 미국 자본이 목록에 오른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집행할 시 미 재무부에 신고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로이터는 전 재무부 관료이자 워싱턴 로펌 에이킨 검프 변호사인 로라 블랙을 인용해 “11월 5일 대선 전에 규제를 발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1주일 내로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05521

쩜상리서치

22 Oct, 00:45


요새 느끼는 건데 경제심리학(?) 관점에서 장 빠지는 날에 날씨 흐리면 (비오면) 하락폭이 더 커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기상청&거래소 합작 논문 하나 안 써주나

쩜상리서치

21 Oct, 23:51


오라클, $1B 상당의 영국 정부 클라우드 계약 4건 수주 (자료: DCD)

- 노동연금부(DWP), 환경식품농촌부(DEFRA), 법무부(MOJ), 내무부(HO)는 10년 동안 $1B 계약을 통해 각종 플랫폼에 오라클 클라우드 도입할 것

- 250,000명 이상의 공무원 재무, 공급망, HR 데이터 표준화할 예정. DWP, IBM, Deloitt와 협력하여 시스템 구현할 것

쩜상리서치

21 Oct, 23:51


미국 에너지부, 송전망 인프라 업그레이드 위해 $2B 자금지원 (자료: UtilityDive)

- 전력망의 회복탄력성 및 안정성 개선을 위해 42개 주에 걸쳐 38개 프로젝트에 최대 $2b 자금지원하는 GRIP 프로그램. 7.5GW의 새로운 그리드 캐파 확대할 것

- 950마일 이상의 송전 인프라 업그레이드(신규 300마일 + 업그레이드 650마일), 2023년 10월부터 이어진 GRIP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7.6B 규모이며 1,650마일을 업그레이드할 예정

쩜상리서치

21 Oct, 23:31


2024.10.22 08:25:19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7조 6,508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아시아소재제약사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의약품 위탁생산계약
공급지역 : -
계약금액 : 17,028억

계약시작 : 2024-10-22
계약종료 : 2037-12-31
계약기간 : 13년 2개월
매출대비 : 46.09%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2800030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079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쩜상리서치

21 Oct, 22:59


폴란드, 5조원대 K-9·천무 '韓금융지원' 없이 자체구매할 듯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97750

쩜상리서치

21 Oct, 13:55


엔비디아만 한 달 반 전부터 들고있었으면 40% ㅋㅋ

쩜상리서치

21 Oct, 13:49


NVDA 신고가

쩜상리서치

21 Oct, 13:12


*월요일로 수정해씁니다

쩜상리서치

21 Oct, 12:39


10.21 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가장 많은 수급이 들어온 종목은 비에이치아이. 원자력에 대한 베팅은 비에이치아이로 가는 모양세 (사모, 연금, 투신 모두 매수 상위)
- 금일 사모는 중국향 화장품 수출입데이터 호조의 영향으로 화장품섹터 수급이 강세
- 그 중 제닉은 주말 간 말이 많았는데 ... 박은정 위원님의 TP 35,000원 레포트 나오며, 거의 시총 2,000억 까지 도달. 너무나도 보유자의 영역이라고 생각함
- 그 외에도 수출입 발표에 맞추어 녹십자, 두산 재편 관련으로 두산로보틱스 등을 매수하였음
- 녹십자는 기존 주가를 보면 수출입데이터 베팅 수급이 많아보였기 때문에 약간의 셀온으로 마무리된 듯한데, 알리글로 선적 동향에 대한 일관성이 생기기 전까지 수출입 플레이가 유효하는 구간이 올 것 같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마찬가지로 원전쪽 수급이 좋았고, 다른 산업재도 강세를 보임 (비에이치아이, 우진, 한전기술, 일진전기, 풍산 등)
- 전체적으로 무거운 산업재들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두드러졌던 종목은 한올바이오파마
- IMVT-1401 3상 효능 데이터와 IMVT-1402 다이렉트 3상 여부 및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있는 상황. 타임라인은 일단 1401 3상이 내년 상반기로 예상된 시점에서 바이오 장세가 생각보다 강함에 따라 수급이 꽉 찬 바이오 대신 더 나중 모멘텀을 가진 한올로 몰리고 있는 게 아닌가 싶음
- 그렇기 때문에 연기금만 의미있는 비중으로 매수하지 않았을까 (나름 시계열이 있기 때문)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은 반도체 업체들을 많이 매수하였음 (제우스, 디아이, 넥스틴, 에스티아이, 자람테크 등). 왜 샀지..
- 이외에는 크게 눈에 띄는 그림은 없고, 세경하이테크와 비에이치아이가 각각 1,2등을 차지함
- 개인적으로는 애플 판매 기대감으로 세경하이테크를 매수하는 것도 손익비 좋지 않은 상황이 아닌가 싶긴 함

4. 추가 코멘트
- 사모, 연기금, 투신 모두 헬스케어를 가장 많이 매도하는 모습을 보여줌
- 그러나 장 초반 이후에 바이오 섹터 급등했다는 것과 그동안 바이오를 이끈 메인 종목들이 바이오 상승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단기 차익 실현 후 또다시 상승 국면이 올 수 있는 게 아닌가 싶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21 Oct, 06:10


옴마 멋져부려

쩜상리서치

21 Oct, 01:06


[속보] 中, '사실상의 기준금리' LPR 0.25%p 인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94734

쩜상리서치

20 Oct, 11:22


10.18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얼라인이 두산밥캣에 주주환원 요구 서한을 보내며, 합병비율 개선에 대한 기대감
- 주말 간 사업재편 재시동 기사가 나오며 기대감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줌
-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바이오 섹터에 대한 수급이 강했음 (셀비온, 디앤디파마텍, 녹십자 등)
- 녹십자는 월요일 발표될 20일치 잠정 수출입 데이터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9월과 10.10일치 데이터가 거의 없었음)
- 바이넥스와 에스티팜 수급도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연말로 갈수록 생물보안법 이벤트 기대 수급이 많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는 곳이 있지 않나 싶음 (원리버 누님 유튜브 참고)
- 원전 섹터가 주도 섹터 중 하나로 부상함에 따라 연일 매수세가 들어오는 모습 (금요일 주가는 조정)
- 주말 동안 원전 관련해서도 좋은 뉴스플로우가 나왔기 때문에 월요일에 또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도 헬스케어 비중이 높았으나, 제약바이오 이외에 아이센스와 오스테오닉 등 의료기기 관련 기업을 매수
- CGM 대표 기업인 메드트로닉이 신고가. 그 외 미국 대표 의료기기 업체들인 보스턴 사이언티픽과 인튜이티브 서지컬 등이 나란히 신고가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는 있을 듯
- 아이폰 중국 판매 회복에 따른 계절적인 3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세경하이테크 매수세도 커진 듯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투신도 전체적으로는 헬스케어 섹터에 대한 비중이 가장 높았음
- 그러나 상위 종목들의 경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HD현대마린엔진, 세경하이테크, 프로텍 등 다양한 섹터로 분산된 모습
- 예스티도 타임라인상 소송 결과가 곧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살아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기관 매수가 들어옴
-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곽민정 위원님 레포트가 나왔음
- 미국 스쿨버스향 매출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인데, 내용 참고해보시면 좋을 듯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쩜상리서치

18 Oct, 13:29


리가켐바이오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시가총액 20조원을 넘는 두 번째 바이오텍이자, 첫번째 ADC 글로벌 바이오텍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ADC라는 바이오의 빅트렌드에 정조준하고 있는 기업이기에 충분히 이번 바이오 싸이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개인적으로 알테오젠이 키트루다SC 독점 계약을 통해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한 것처럼, 리가켐바이오에게도 LCB84의 임상1상 결과도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시킬 수 있는 요소로 보입니다. 함께 공부해보시죠..!

글이 깁니다. 한 호흡에 모두 다 읽어보시기 보다는, 천천히 호흡을 나눠서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목차]
1. ADC의 이해 : 항체(Antibody)+약물(Drug)+접합체(Conjugate)
2. 리가켐바이오 : ADC 글로벌 바이오텍
3. LCB84 - 거세지는 폐암 1차 치료제 경쟁 속 히든카드
4. LCB71 - 혈액암에서의 게임 체인져
5. LCB14 : 엔허투 효능에 부작용은 줄이고
6. LCB97 - 타겟, 오노 약품공업에 LO : 전임상이 계약금 1조..!
7. 글로벌 빅파마 ADC 수요 러쉬 + ADC 개발사 공급 숏티지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624507025

쩜상리서치

18 Oct, 06:41


>> 중국도 애플도 살아나나요

=========================

~ Sales of Apple Inc.’s newest iPhones in China are up 20% in their first three weeks compared with 2023’s model, a positive sign for a device that struggled this year to gain traction in the world’s largest smartphone market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10-18/apple-iphone-16-sales-soar-20-in-china-debut-as-demand-recovers

쩜상리서치

18 Oct, 02:11


[중국 9월 경제지표 : 전지표 예상 소폭 상회]

•3/4분기 실질GDP 성장률 YoY+4.6%
(예상 4.5%/ 2/4분기 4.7%)

•9월 산업생산 YoY+5.4%
(예상 YoY+4.6% / 8월 +4.5%)

•9월 소매판매 YoY+3.2%
(예상 YoY+2.5%/ 8월 +2.1%)

•1-9월 고정투자 YTD YoY+3.4%
(예상 YoY+3.3% / 1-8월 +3.4%)

•1-9월 부동산 개발투자 YoY-10.1%
(예상 YoY-10.0% / 1-8월 -10.2%)

•9월 도시 실업률 5.3%
(예상 5.2% / 8월 5.3%)

**3/4분기 성장률 시장 예상 소폭 상회(QoO+0.9%로 양호). 1-3분기 누적 4.8%로 4/4분기 재정 활용에 따라 5% 성장률 달성 가능성은 상승.

**9월 경제지표는 소매판매와 생산 서프라이즈 달성. 고정투자와 부동산 예상 부합. 생산은 7-8월 감산 이후 반등 효과, 소매판매는 내구재 보조금 효과 등 반영하며 높은 베이스 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