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bioha1228 Channel on Telegram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bioha1228


본 채널은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의 정보나 행사,
그리고 협회 회원사들의 동향 및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채널입니다.

빠르고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여
회원사 및 투자자들의 효용을 높이는 데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협회 사무국: [email protected]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Korean)

안녕하세요!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의 새로운 텔레그램 채널, @bioha1228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의 정보, 행사 소식, 그리고 협회 회원사들의 다양한 동향 및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는 항상 빠르고 신속하게 최신 정보를 전달하여 회원사 및 투자자들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리 채널을 통해 협회의 다양한 활동과 이벤트 소식을 만나보세요. 또한 협회 회원사들의 혁신적인 동향과 산업 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궁금한 점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email protected]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더 나은 생명공학 산업을 위해 노력하는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와 함께 소중한 정보와 소식을 공유하고 소통해보세요. 감사합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22:20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지수 ETF는 1.49% 하락한 가운데 MSCI 신흥지수 ETF는 0.29% 하락에 그침.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28%, 러셀2000지수는 2.94%, 다우 운송지수는 2.62% 하락. KOSPI 야간 선물은 1.25% 하락. 지난 금요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34.3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시장에서는 1,433.70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33.60워을 기록.


*FICC: 달러, 엔화 강세, 채권 상승 등 안전자산 강세

국제유가는 미국 서비스업지수가 기준선인 50을 하회하는 등 소비 둔화를 가리키는 지표들이 나오자 향후 수요 둔화 우려를 자극하며 하락. 이런 가운데 오후 들어 신종 코로나 발견 소식이 전해지자 낙폭이 점차 확대되며 3% 하락. 미국 천연가스는 시추공 동결로 인한 생산 감소, 추운 날씨로 인한 수요 증가가 겹치며 최근 상승세가 지속. 유럽 천연가스는 독일등이 가격 안정을 우해 저장 요건을 완화한다는 소식에 하락

달러화는 미국 서비스업지수 둔화 등 미국 경기 위축 우려가 높아졌음에도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 대체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점이 달러화 강세를 자극. 엔화는 높은 물가에도 우에다 총재가 장기 국채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할 경우 국채 매입을 늘리겠다고 발표하자 달러 대비 약세를 기록하기도 했음. 그렇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달러 대비 강세. 유로, 파운드화를 비롯해 역외 위안화, 멕시코 페소 등 대부분 환율은 달러 대비 약세

국채금리는 서비스업지수 둔화로 경기 위축을 반영하며 하락한 가운데 소비자 심리지수 위축도 하락 지속 요인. 그런 가운데 오후들어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소식이 부각되자 경기에 대한 불안 심리를 더욱 자극하며 하락폭 확대. 한편, 최근 미국 재무장관 등이 장기 국채 발행이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금리 상승에 대한 불안이 완화된 점도 금리 하락 요인 중 하나. 물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이는 이미 월초에 반영돼 채권시장에 영향은 제한.

금은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지며 한 때 상승하기도 했지만 달러 강세를 반영하며 최근 상승에 따른 매물 소화하며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LME 시장에서 재고가 소폭 감소했지만, 중국에서 재고가 증가했다는 소식, 그리고 경기에 대한 불안과 그에 따른 달러 강세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다만, 주석과 납은 반등에 성공. 농작물은 밀이 숏포지션 청산에 힘입어 상승한 반면, 옥수수는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했고 대두는 중국과 신규 무역 협상 타결 기대로 상승 후 매물 출회되며 하락. 브라질에서 수확 확대 가능성이 부각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22:20


*특징 종목: 테슬라, 엔비디아, 테마주 하락 Vs. 중국 기업 상승

테슬라(-4.68%)는 리비안의 부진한 올해 차량 인도량 발표로 최근 불거지고 있는 테슬라 차량 인도량 감소 우려를 자극하자 하락. 여기에 경기 둔화 불안 심리가 높아지며 신규 차량 구매 욕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 또한 알루미늄, 철강 등에 대한 관세 부과 및 상호 무역법 관세 등은 결국 테슬라 투입 비용 증가로 이어져 실적 위축을 더욱 확대 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하락 지속. 리비안(-4.70%)은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예상을 하회한 올해 매출 전망과 차량 인도량 발표로 하락. 루시드(-7.55%)등도 부진. 퀀텀 스케이프(-2.81%), 앨버말(-1.59%) 등 2차전지 관련 종목군도 하락. 루미나 테크(-12.20%), 인디 세미컨덕터(-12.79%)등 라이다 관련 테마도 큰 폭 하락.

엔비디아(-4.05%)는 경기 침체 이슈를 이유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더불어 전일 나이스(+1.17%)에 이어 오늘은 아카마이 테크(-21.73%)등 클라우드 위축 이슈를 자극하는 개별 기업 실적 발표도 부담. 마이크론(-4.21%), AMD(-2.92%), 브로드컴(-3.56%), 인텔(-4.68%), 램리서치(-3.37%), AMAT(-2.29%), TSMC(-0.93%), ARM(-3.98%)등이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28% 하락.

애플(-0.11%)은 경기에 대한 불안 심리에도 불구하고 아이폰 16e가 아이폰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보합권 등락.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인 아카마이 테크(-21.73%)가 예상보다 부진한 전망을 발표하며 큰 폭으로 하락하자 알파벳(-2.71%), 아마존(-2.83%), MS(-1.90%)등이 하락. 아마존은 소비 둔화 이슈까지 유입되며 하락폭이 더욱 컸음. 틱톡이 애플 앱스토어에 복귀하 다운로드가 두배 증가했다는 소식에 메타 플랫폼(-1.62%)도 부진. 아카마이와 같은 업종인 아리스타 네트웍(-4.93%), 시놉시스(-3.87%)등도 하락.

알리바바(+5.72%)는 최근 AI에 대한 강력한 투자와 게임스톱 CEO인 라이언 코헨이 10억 달러 지분을 확보했다는 소식에 상승. 더 나아가 트럼프가 시진핑과의 전화통화, 미, 중 상무장관들간의 협상 등을 통해 미-중 관세 이슈가 완화된 점도 긍정적. 핀둬둬(+5.57%), 진둥닷컴(+2.99%)등 소비 관련 종목은 물론, 바이두(+1.82%)같은 기술주, KE 홀딩스(+3.36%)등 부동산 관련주, 니오(+1.60%), 샤오펑(+3.95%), 리오토(+4.13%)등 중국 전기차 업종 등 중국 기업들이 강세

팔란티어(-4.63%)가 지속적인 하락을 보인 가운데 오라클(-4.65%), 팔로알토(-3.91%), 클라우드스트라이크(-6.75%), 세일즈포스(-2.71%), 서비스나우(-3.05%)등 소프트웨어 업종이 경기 불안을 이유로 하락. GE(-4.27%), 캐터필라(-2.61%)등 산업재, 페덱스(-5.32%)등 물류회사도 경기 우려로 하락. GE버노바(-8.84%), 컨스텔레이션 에너지(-8.07%), 비스트라(-7.81%)등 전력망 관련 기업들은 전력시스템의 핵심인 변압기가 철강, 알루미늄 등에 대한 관세로 가격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전력망 투자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며 지속적으로 하락. 오늘은 경기 불안 여파까지 겹치며 낙폭이 컸음

노보노디스크(+5.18%)는 FDA가 오젬픽, 웨고비 공급 부족 문제가 해결됐다고 발표하자 큰 폭 상승. 힘스앤허스(-25.79%)는 큰 폭 하락한 반면, 일라이릴리(+0.06%)
는 강보합. 존슨앤존슨(+1.64%), 에브비(+0.60%), 머크(+2.08%)등 제약주는 경기 방어주 성격을 반영하며 상승. 화아자(+1.54%), 바이오엔텍(+1.81%), 모더나(+5.34%), 노바벡스(+0.88%)등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종목은 장 중 보도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소식에 상승. 유나이티드 헬스(-7.17%)는 법무부가 메드케어 청구 관행에 조사하고 있다는 소식에 15% 넘게 폭락했지만 유나이티드 헬스가 관련 소식에 대해 부정하자 낙폭 축소. 휴매나(-5.67%), CVS헬스(-2.47%)등도 동반 하락.

월마트(-2.50%)는 전일 실적 발표 후 향후 전망에 대한 불안을 이유로 크게 하락한 후 오늘은 소비자 심리지수 위축에 따른 소비 둔화 이슈로 하락 지속. 타겟(-3.01%)등도 전일에 이어 하락 지속. 코스트코(+0.02%)는 상승 전환. 펩시코(+2.95%), 코카콜라(+1.87%), 몬덜리즈 인터(+4.02%), 컨스털레이션 브랜즈(+2.11%)등 음식료 업종과 P&G(+1.81%)등 필수 소비재 종목은 강세. 그 외 넥스트라 에너지(+2.05%), 듀크에너지(+2.11%)등 유틸리티 업종, AT&T(+1.80%), 버라이존(+0.64%)등 통신주 등 경기 방어주도 강세

비트코인은 거래소인 바이비트가 이더리움 해킹 당했다는 소식에 하락. 이에 코인베이스(-8.27%), 마이크로스트레티지(-7.48%), 라이엇 플랫폼(-9.83%)등 관련 종목이 하락. 아이온큐(-5.96%), 리게티 컴퓨팅(-6.28%)등 양자 컴퓨터 관련종목과 템퍼스AI(-11.25%), 슈뢰딩거(-5.67%)등 AI 활용한 바이오 테크 종목, 로켓랩(-6.77%), 인튜이티브 머신(-8.34%), AST 스페이스모바일(-6.77%)등 우주개발 관련 종목, 팔라다인AI(-8.34%), 조비 에이베이션(-9.45%), 아처 에비에이션(-4.65%)등 드론 및 비행 택시 관련 종목 등 많은 테마주들이 위험자산 회피 현상 속 매물 출회되며 하락.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22:20


02/24 미 증시, 경제지표 부진과 코로나 이슈로 경기 침체 우려를 자극하며 하락

미 증시는 부진한 서비스업 지수로 인한 경기 위축 우려가 높아지자 하락 출발. 여기에 소비자 심리지수 하락폭이 더욱 확대되자 미국 경제를 견인하는 소비 둔화 이슈를 자극. 이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달러,엔 강세, 채권 상승, 그리고 주식시장에서는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상승했을 뿐 대부분 종목이 하락. 오후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소식에 낙폭을 더욱 확대. 이에 주요 테마주는 물론, 반도체 등 기술주, 전기차 등이 하락을 주도(다우 -1.69%, 나스닥 -2.20%, S&P500 -1.70%, 러셀2000 -2.94%,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28%)


*변화 요인: 미국 소비 둔화, 신종 코로나

미국 2월 제조업 PMI가 51.2에서 51.6으로 발표됐지만, 서비스업 PMI가 52.9에서 49.7로 큰 폭으로 하락. 기준선인 50.0을 하회해 서비스업 둔화로 전환된 점이 특징. 신규주문(-3.6p, 50.5) 증가 약화, 고용 불안(-5.0p, 49.3)등이 주요 요인. 이런 가운데 기존 주택판매 건수가 전월 대비 4.9% 감소하는 등 경기에 대한 불안 심리가 확대

한편, 미국 소비자 심리지수 확정치가 지난달 발표된 71.7은 물론, 월초에 발표된 예비치 67.8보다도 둔화된 64.7로 발표. 최근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9% 감소에 이어 장 시작 전 발표된 서비스업 PMI 위축. 더불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3%에서 4.3%로 상승으로 확정. 결국 관세 부과에 따른 높은 물가 우려가 높아진 점도 소비 둔화 이슈를 자극. 이에 안전자산 선호심리 확대

여기에 전일 중국 언론을 통해 보도된 중국 연구진이 코로나 19와 동일한 전염 위험이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는 소식이 장중에 미국 언론에 보도된 점도 부담. 관련 소식이 결국 2020년 코로나로 소비가 급격하게 위축돼 경기 침체 이슈로 전환된 점을 자극. 물론, 관련 전염이 발병되지 않았고, 소비심리 위축은 서부지역 대화재와 강추위 등에 의한 결과지만, 위축된 투자 심리를 더욱 자극. 이 여파로 장 중 주식시장은 낙폭을 좀더 확대 했으며, 국채 금리의 하락폭, 달러화의 강세폭도 확대.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9:21


오라클메디컬그룹이 올해 처음으로 ‘오라클 바이오헬스케어 IR 데이’를 개최하며,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서 투자자들과의 본격적인 소통에 나섭니다.

오라클메디컬그룹은 오는 4월 1일 오후 4시부터 7시 30분까지 서울 삼성2동 동사무소 7층 대강당(선정릉역)에서 ‘제1회 오라클 바이오헬스케어 IR 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라클 바이오헬스케어 IR 데이에는 △휴젤 △바이오플러스 △에스테팜 △피앤피바이오사이언스 △울트라브이 △텐바이오 △진우바이오 △비알팜 △스템온 △스몰랩 △미니쉬테크놀로지 △텐텍 △아이크로진 △스킨메드 △에스테르 △미토스테라퓨틱스 △툴젠 등 총 17개 기업이 IR 발표를 진행합니다. 각사는 10분씩 발표를 통해 회사 소개와 주요 사업 현황에 대해 발표합니다.

이날 행사에는 애널리스트, 벤처캐피탈(VC) 투자자, 의사, 개인투자자 등 200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0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7:1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10210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1:51


한경바이오인사이트포럼 2025

황만순 대표님 '2025 바이오 투자 전망'

-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나타남. 돈이 특정 기업에만 몰림. 투자심사역도 사람인지라 돈이 몰리는 곳에 투자해서 심리적 안정감을 갖으려는 경향도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한국바이오는 맨날 활주로만 달리고 비행기는 왜 뜨질 않냐라는 질문을 받음. 비행기가 뜨긴 뜰거지만 시간이 필요함. 노보 노디스크도 100년 전에 설립된 기업이며, 한국은 그에 비해 바이오 역사가 길지 않음. 에이비엘, 리가켐, 오름테라퓨틱 등이 글로벌 기술이전 실적을 내고 있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

- 어떤 바이오벤처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가? 핵심 개발 인력 + IP(주요 특허의 청구항 정도는 외울 수 있을 정도로 준비) + Data + Medical Unmet Needs + 단계별/품목별 회수기간 고려 + '소통능력' 등을 중요하게 평가함.
IR을 들으면 듣는 사람들이 아는 것 같지만 사실 대부분 아는척 하고 있음.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게 필요. 내 기업을 외부에 주기적으로 쉽게 설명하는게 중요.

- 아시아에서 보면, 한국 바이오 수준이 나쁘지 않음(McKinsey Consulting).

- AI가 현재도 중요하지만 앞으로는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임. 개별 기업들이 AI를 어떻게든 자체적으로 적용하거나 그게 어렵다면 AI 기업들과의 협업이 필수라고 생각됨.

- 코스닥 제도 개선. 물 흐리는 애들 빨리 없어질 것으로 보임.

- 바이오벤처들이 IPO에만 의존하는 것은 맞음. 따라서, M&A 등도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사회가 중요함. 각 기업들의 이사회가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는지 점검하는게 필요.

텔레그램 링크: https://t.me/biomoment
작성자: 박동영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1:42


일라이릴리(Eli Lilly)가 GLP-1 경구용 시장을 보는 시각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스케일인 것으로 보이며, 오는 2026년 비만약으로 ‘올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첫 출시를 앞두고 이미 5억5000만달러 규모의 ‘출시전 재고(pre-launch inventory)’를 확보했습니다. 이는 릴리가 지난 19일(현지시간) 공시한 내용을 통해 밝혀졌다.

업계에 따르면 이는 코로나19 백신과 맞먹는 수준의 출시전 재고 규모이고, 아직 올포글리프론 출시까지 1년이상의 시간이 남아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움직임입니다. 에버코어 에널리스트에 따르면 이는 매출기준으로는 100억달러 어치에 해당하는 재고량.

데이비드 릭스(David A. Ricks) 릴리 CEO는 최근 실적발표에서 올포글리프론의 생산에 대해 “일반적인 제약적 관점(normal pharma sense)에서 완전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일차진료 의약품의 공급 수준을 의미합니다. 릴리는 경구용 GLP-1 제제의 포지셔닝을 다르게 보고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37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1:24


더바이오 2월 21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19

●mOS 1년 이상 늘린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3월 학회서 구체적 수치 공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6

●오노 ‘롬빔자’, 다이이찌 ‘투랄리오’와 희귀 관절종양 ‘TGCT’ 시장 본격 경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5

●슈퍼누스 “치료 저항성 우울증 후보약, 임상2b상서 1차 평가변수 충족 실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3

●BMS, '옵디보+화학요법' 병용, 절제 가능 비소세포폐암 환자 전체 생존 개선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76

●셀트리온, ECCO서 램시마SC 임상 결과 발표..."의료진 호평 이어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7

●삼성바이오로직스·에피스, 국내 유수 대학과 바이오 인재 육성 맞손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9

●큐리언트 "MD앤더슨암센터 주관 '아드릭세티닙' 백혈병 임상, 첫 환자 투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5

●GC녹십자웰빙, 국내 최초 모발 건강 유산균 식약처 개별 인정형 원료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6

●동국생명과학, MRI 조영제 원료의약품 '가도부트롤' 日 수출…"첫 상업 수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0

●파마리서치, 손지훈 대표이사 선임…'단독 체제로 전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8

●아이빔테크놀로지, 글로벌 CRO 시장 진출 본격화…차세대 비임상 연구 혁신 선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4

●"넥시움, 국내 PPI 계열 치료제 중 가장 폭넓은 적응증 보유…25년간 입지 굳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2

●동아쏘시오그룹 신입사원, 취약계층 위한 ‘사랑의 김장 나눔’ 봉사 진행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8

●한국GSK, '2025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에 선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4

●한국오가논, GPTW '대한민국 부모가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수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2

●안국문화재단, AG갤러리 신진작가 공모전 설명회 개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1

●메디라마, 日 쇼난 아이파크 'K-바이오벤처 파트너링' 콘퍼런스 참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1

●샤페론, 차세대 면역항암 치료 기술 국제학술지 표지 논문 선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0

●케이메디허브, 코오롱생명과학·비케이이노텍과 맞손…공익 목적 의약품 개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75

●[부고] 황종식(영남지오영 대구지점장 부사장)씨 부친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9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0:36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성균관대, 고려대와 바이오 연구개발(R&D)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성균관대 생명공학대학과 고려대 생명과학대학 산하에 '바이오 인재 양성 트랙'을 신설해 바이오 산업 저변을 확대하고, 선제적으로 우수 인재를 양성한다는 구상입니다.

각 대학과 기업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협약식은 이틀에 걸쳐 각 학교에서 진행됐습니다. 19일 성균관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조재열 성균관대 학장, 김경규 성균관대 학과장이 참석했습니다.

20일 고려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조용성 고려대 학장, 김대성 고려대 부학장이 참석했습니다. 삼성 측에서는 이규호 삼성바이오로직스 피플센터장, 강대성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사팀장이 협약식에 참석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0:35


[오늘의 HIT_2월 21일 금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기사 중 궁금하신 점 있으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활성화 지원에 4년간 490억 투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2

🏢 고급 원료+고가 전략=대박... 철갑상어 건기식 인기 비결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6

🏢 국립대병원 소관부처 변경 '제자리' 타이밍 놓치면 불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5

💊 '넥시움', 미란성 식도염 치료율 98.9%… "P-CAB과 차이 없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7

💊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JAK-생물학적제제간 교체투여 급여 인정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52

🗣 비급여-건보 보장 비율은 반비례…공단, 합리적 의료이용 지원 추진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65

🏢 웨어러블 방광 모니터링 기기, 메디띵스 '메디라이트'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670

🖱 [HIT알공] 대원제약 1주당 300원 현금배당 결정...28일 주총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68

👨‍💼 [경력채용] 종근당, 제일약품, 리가켐바이오, 대웅펫, 애보트진단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80

🗞 Original Statin Market Slows as Lipitor, Livalo Pivot to Combinations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64

🗞 Genome & Company Licenses GENA-104 to Ellipses Pharma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60

🍀 서명옥 의원 "소외암 생존율 개선을 위한 신약 도입과 급여화 지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8

🍀 동아ST,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허가 신청..국내상륙 초읽기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1

🍀 JW중외제약 가나칸, 급여삭제 고시 집행정지 '기각'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70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Feb, 00:01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53104?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Feb, 23:29


일본 제약사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의 ‘롬빔자(Romvimza, 성분 빔셀티닙)’가 희귀 관절 종양인 ‘건활막거대세포종(TGCT)’ 치료를 위해 최근 FDA로부터 승인을 받으면서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의 ‘투랄리오(Turalio, 성분 펙시다르티닙)’와 경쟁 구도를 구축했습니다.

이와 함께 독일 머크(Merck KGaA)의 ‘피미코티닙(Pimicotinib)’도 임상3상에 성공하며 그 대열에 올라설 채비를 꾸리고 있습니다. TGCT는 관절의 윤활막, 활액낭 또는 힘줄이 과도하게 자라는 ‘희귀암’입니다.

-롬빔자, 투랄리오 대비 복용 편의성 개선…블랙박스 경고·REMS 요구사항 없어
-獨 머크 ‘피미코티닙’, 3상서 투랄리오·롬빔자 ORR 상회…치료제간 직접 비교 아냐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Feb, 23:20


존슨앤드존슨(J&J)이 다음 달 26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럽폐암학회(ELCC 2025)’에서 항암제 ‘아미반타맙(상품명 리브리반트)’과 ‘레이저티닙(상품명 라즈클루즈)’ 병용요법의 최종 mOS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어서 주목됩니다.

지난 달 J&J는 레이저티닙과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이 표준 치료제인 ‘오시머티닙(상품명 타그리소)’ 대비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을 1년 초과 연장하는 효과를 보였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J&J는 이번 연구를 통해 레이저티닙과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이 새로운 표준 치료옵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mOS에 대한 명확한 값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번 발표에서 확정된 mOS 수치가 공개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항암제의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경우, 중앙값(median)이 아직 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 구체적인 수치가 나오지 않더라도, 병용요법의 장기 생존 혜택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8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Feb, 23:1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09499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Feb, 23:1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0907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Feb, 23:0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20, THU) #전체기사

FNCT, ‘ICAM1-EGFR’ TNBC 전이촉진 ”新기전”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41

바실리아도, ‘인트론서 L/I’ 내성 항생제 “개발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57

셀트리온, '휴미라 시밀러' 상호교환성 3상 "논문 게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62

키트루다, 2024년 매출 295억弗.."머크 매출의 절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60

한미약품-GC, ‘월1회’ 파브리병 신약 "기존약 대비 우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69

모더나, '노로바이러스' 백신 3상 “신경부작용, FDA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50

큐로셀, CB발행 330억 결정.."적응증 확대·신규 CAR-T"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70

일동 애임스, 'CRO 디티앤씨알오'와 임상 협력 MOU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71

엑셀리시스, 'TKI+여보이+옵디보' 신장암 3상 "실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55

길리어드, 아커스 ‘HIF-2α저해제’ 옵션행사는 "포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45

동아ST, SK바팜서 L/I ‘세노바메이트’ 국내 허가신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72

삼성에피스, 이번엔 고려대서 ‘연구노트 경진대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7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20,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Feb, 23:00


릴리는 경구용 비만치료제 Orforgliron에 대해 벌써 $550mn의 재고 축적 중

헉ॱଳ‌ 3상 데이터도 공개 안했고.. 허가 받고 출시하려면 1년 넘게 남았는데..!

기사에서는 4월 데이터 공개라고 했는데, 최근 소식에 따르면 8월 데이터 확보하고 곧 발표한다고 햇슴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eli-lilly-bets-big-weight-loss-pill-with-550-million-inventory-stockpile-2025-02-2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9:2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46338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8:16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리가켐바이오)는 지난해 연결기준 잠정 매출액이 약 1259억원으로 전년 대비 268.7% 급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는 창사 이래 최대 매출 실적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209억원으로 2023년보다 적자폭이 599억원 축소됐습니다. 또 7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순이익은 2019년 첫 흑자 달성 이후 5년 만의 흑자 전환이라고 회사는 강조했습니다.

박세진 리가켐바이오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올해도 다수의 파트너사들과 논의 중인 신규 ADC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계약금 수령이 기대된다"며 "기존 기술이전 파이프라인들의 개발 진척에 따라 마일스톤 수령 및 제3자 기술이전에 따른 수익 배분 등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83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7:30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 2024년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 달성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당사의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공시가 발표됐습니다.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14일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25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8.7% 증가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20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적자 폭이 599억원 축소됐으며, 당기순이익은 7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당기순이익은 2019년 첫 흑자 달성 이후 5년만의 흑자전환이다.

2023년 12월 얀센과의 TROP2-ADC ‘LCB84’ 기술이전 당시 수령한 계약금의 기간인식 매출 반영, 2024년 10월 오노약품과의 패키지 기술이전에 따른 계약금 기간인식 매출 및 1차 단기 마일스톤이 반영됨에 따라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의 영향으로 연구개발비가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은 적자를 지속했으나, 계약금 및 마일스톤 매출 증가를 바탕으로 영업적자는 큰 폭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사상 최대 매출액 달성 및 보유현금에 대한 이자수익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2019년 이후 첫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리가켐바이오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박세진 사장은 “올해도 다수의 파트너사들과 논의 중인 신규 ADC 기술이전들을 통한 계약금 수령이 기대된다”고 전하며, “기존 기술이전 파이프라인들의 개발이 진척됨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및 제3자 기술이전에 따른 수익배분 등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감사합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7:25


바이오 섹터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히던 오름테라퓨틱이 코스닥 시장 상장 첫 날 9%대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은 14일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 공모가(2만원) 대비 9% 오른 2만1800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의 주가는 이날 오전 공모가 대비 49.75%(2만9950원)까지 급등했는데, 오후 들어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은 '표적 단백질 분해제(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에 대해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있는 국내 바이오텍입니다. 회사는 지난 2023년 11월 글로벌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 또 작년 7월 최초 유전자 가위 개발기업인 버텍스파마슈티컬스(이하 버텍스)와 연이은 기술수출(L/O) ‘잭팟’을 터뜨리며 '바이오 IPO 최대어'로 꼽혔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82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7:03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214134711848010405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5:5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31734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5:26


📌 셀트리온(시가총액: 38조 3,896억)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아이덴젤트(CTP42,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유럽연합진행위원회(EC) 최종판매허가 획득)
2025.02.14 14:22:57 (현재가 : 179,300원, +0.79%)

제목 : 아이덴젤트(CT-P42,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유럽연합진행위원회(EC) 최종판매허가 획득

* 주요내용
1) 판매 허가 품목명

- 아이덴젤트 (Eydenzelt, CT-P42,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Aflibercept)

2) 대상질환명(적응증)

- neovascular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신생혈관성(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 visual impairment due to macular oedema secondary to retinal vein occlusion (branch RVO or central RVO) [망막정맥 폐쇄성 황반부종]

- visual impairment due to diabetic macular oedema (DME) [당뇨병성 황반부종]

- visual impairment due to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myopic CNV)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3) 품목허가 신청일, 허가 획득일 및 허가기관

- 신청일: 2023년 11월 23일 (현지 시간 기준)

- 판매승인권고 획득일: 2024년 12월 12일 (현지 시간 기준)

- 최종판매허가 획득일: 2025년 2월 13일 (현지 시간 기준)

- 품목허가기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4) 허가 사항

- 유럽 30개국 대상 최종판매허가 획득

5) 기대 효과

- 상기 '2) 대상질환명(적응증)'에 기재한 적응증에 대하여 최종판매허가 획득하였으며, 추후 보다 많은 환자에게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6) 향후 계획

- 유럽 현지 법인을 통해 유럽 전역에 아이덴젤트(CT-P42)를 판매할 예정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80052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827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3:32


https://n.news.naver.com/article/584/000003090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2:47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1082406642070520&mediaCodeNo=25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4 Feb, 01:38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2121711206800101092&page=1&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3:5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41846642070520&mediaCodeNo=257&OutLnkChk=Y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3:06


★ 휴젤(145020): 밸류에이션 모래 주머니 푸는 중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4Q24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82억, 466억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무난한 수준이었습니다.

톡신 매출액은 미국, 중동, 브라질 등 지역 확장 모멘텀이 있고 중국 시장 우위가 지속되며 YoY +23% 성장을 전망합니다.

필러 사업 회복과 화장품 사업 채널/지역 다각화 전략을 통한 성장도 예상됩니다.

3공장 CAPA 가동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25년 OPM YoY +2.6%P 상승이 기대됩니다.

현재 주가는 상장 후 평균 PER 25배를 하회하며 밸류에이션 부담은 경감되는 중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38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3:06


★ 클래시스(214150): 이름값 하는 중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4Q24 매출액 744억, 영업이익 358억으로 시장 기대치를 각각 +1%, +6% 상회하였습니다.

매출액은 클래시스 627억, 이루다 117억으로 분류되며 각각 YoY +33%, -30%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이루다는 제품군 정리를 통해 역성장하였고, `25년부터 YoY +10% 이상의 성장을 예상합니다.

유럽 지역 확장, 미국 ‘Everesse’ 매출 본격화, 국내 ‘시크릿 맥스’ 출시 등 여러 실적 성장 모멘텀이 이어져 `25년 매출액 YoY +45%, OPM 49%를 전망합니다.

키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37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3:06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13, THU) #전체기사

'아이엠 파트너' 네이게이터, CEO·이사회 의장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88

셀트리온, 악템라 시밀러 '앱토즈마 SC' 국내 추가 허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92

BMS, CD19 CAR-T '브레얀지' 변연부림프종 2상도 "성공"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75

에이비엘, 키스톤서 'BBB셔틀' 비임상 차별성 "구두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93

현장서 본 “항암 新키워드” 'RPT' 부재영역과 방향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24

이엔셀, 동종 ‘MSC 줄기세포’ DMD 국내 1상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98

다안바이오, 리가켐에 'ADC용 항체' 기술이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00

애브비, 엑실리오와 '마스킹 TCE' 21.52억弗 옵션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95

온코닉, ‘PARP/TNKS 저해제’ 비임상 “AACR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01

한미사이언스, 송영숙 대표 선임..임종훈 대표 사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0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13,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2:41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지수 ETF는 2.16%, MSCI 신흥지수 ETF는 0.64%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29% 상승한 가운데 러셀2000지수도 1.17%, 다우 운송지수는 0.48% 상승. KOSPI 야간 선물은 0.41% 상승.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47.5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시장에서는 1,446.60원으로 마감. 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37.70원을 기록


*FICC: 달러, 국채 금리 큰 폭 하락

국제유가는 러시아의 제재 회피로 공급 증가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하기도 했으며, 하마스가 휴전 협정 재확인 소식도 하락 요인 그러나 장 중 달러 약세로 낙폭이 축소. 여기에 상호 관세 시행 4월 소식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보합권까지 반등. 미국 천연가스는 날씨 우려로 상승한 반면, 유럽 천연가스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기대를 반영하며 7% 가까이 급락

달러화는 생산자 물가지수를 통해 PCE 관련 품목의 둔화로 월말 발표되는 PCE 가격이 예상을 하회할 수 있다는 기대가 부각되자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 이런 가운데 트럼프가 우크라이나 종전과 관련된 언급, 푸틴과의 관계 등을 언급하자 유로화가 강세를 보였고 영국의 4분기 GDP성장률이 0.1% 감소 전망과 달리 0.1% 성장을 헀다는 소식에 파운드화가 강세를 보였던 점도 달러 약세 요인. 더불어 상호관세에 대해 4월 시행을 이야기 한 점도 엔화 강세를 촉발 한 점도 달러 약세 확대 요인. 역외 위안화를 비롯해 대부분 환율이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가운데 러시아 루블화가 5% 가까이 강세

국채금리는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 후 PCE 가격 지수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큰 폭으로 하락. 더불어 트럼프의 상호 관세가 4월 시행이라는 소식에 물가 부담도 완화된 점도 긍정적. 한편, 30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이 12개월 평균인 2.44배를 하회한 2.33배를 기록하는 등 채권 수요가 크지 않았지만, 관련 입찰보다는 생산자물가지수와 상호관세 이슈로 하락이 확대

금은 달러 약세, 금리 하락 등으로 상승. 구리 및 비철금속은 알루미늄과 아연이 하락한 반면, 여타 품목은 대부분 상승. 상호 관세에 대한 불안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제한된 점이 영향. 농작물은 물가지수 발표 후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자 대부분 상승. 브라질에서 옥수수 파종 속도의 지연 등이 영향.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2:41


*특징 종목: 엔비디아, 테슬라 상승

앤바다어(+3.16%)는 HP엔터프라이즈(+0.90%)가 블랙웰 제품군으로 구동되는 솔루션 출하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특히 액체 냉각 기술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고 있는 HPE의 관련 제품 출시는 향후 엔비디아 제품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높임. 경쟁 업체인 브로드컴(-0.23%)와 AMD(+0.08%)는 보합권 등락. TSMC(-2.20%)는 관세 부과 우려와 트럼프가 대만 반도체 업체가 미국것을 빼앗아갔다고 언급하자 하락 확대. 인텔(+7.34%)은 최근 반스가 AI 산업에서 미국내 기업 위주로 칩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 TSMC에 대한 피 인수설 등이 이어지며 오늘도 급등. 마이크론(+4.34%)은 웰스파고가 HBM의 도전과 전략적 성장 회복력을 이유로 매수 의견을 언급하자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29% 상승.

테슬라(+5.77%)는 최근 머스크의 정치 활동, OpenAI, 자율주행 경쟁, 부진한 실적, 위축된 1월 판매량으로 하락을 이어왔지만, 전일에 이어 주식옵션 거래 등 수급적인 요인에 힘입어 큰 폭 상승. 특히 미 행정부의 장갑전기차량 4억 달러 규모의 계약 검토 소식, 인도 모디 총리와의 회담에서 트럼프가 머스크와 동행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인도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장중 자동차 관세 면제는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에도 영향은 제한. 리비안(+6.57%), 루시드(+13.59%)도 큰 폭으로 상승. 특히 루시드가 구동장치와 배터리, 전력 전자 장치를 개발하는 Dlala를 수석 부사장으로 승진시키자 관련 부문에 대한 기대가 확대된 점이 영향.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던 퀀텀스케이프(+7.04%)와 앨버말(+3.46%)도 상승 하는등 2차전지 관련 기업들도 실적 발표 후 상승. 오로라 이노베이션(+46.05%)은 2025년에 무인트럭을 배치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큰 폭으로 상승.

애플(+1.97%)은 팀 쿡 CEO가 2월 19일 아이폰 SE 출시 암시하자 상승. 여기에 AI 산업에서 관련 자본지출이 확대되지 않은 가운데 AI 산업을 이용한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MS(+0.37%), 아마존(+0.63%), 알파벳(+1.32%)등은 클라우드 매출 부진 우려를 반영하며 하락하기도 했지만,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후 상승 전환.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기업인 패스트리(-20.85%)가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발표 및 분기와 2025년 전망을 발표하자 큰 폭 하락한 점이 대형 기술주 장 초반 하락 요인. 더불어 데이터독(-8.24%)도 부진한 올해 전망발표로 하락한 점도 영향. 메타(+0.44%)는 최근 상승에 따른 매물 출회되며 하락하다 장 후반 상호관세 우려 완화로 19일 연속 상승. ARM(+6.06%)은 새로운 반도체 프로젝트의 첫 고객으로 메타를 확보했다는 소식에 상승한 반면, 메타는 영향이 제한

클라우드스트라이크(+4.40%)는 트러스트가 강력한 AI 기반 성장을 언급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자 상승. 팔로알토(+2.62%), 포티넷(+2.12%), 클라우드플레어(+2.12%)등 사이버 보안회사들도 상승. 다만, 장 마감 후 팔로알토가 부진한 실적 발표로 5% 하락하자 대부분 부진. 시놉시스(+3.65%)는 차세대 반도체 및 설계 혁신 촉진을 위한 하드웨어 지원 검증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소식에 상승. 비트코인 하락에 마이크로스트레티지(-0.58%)는 하락한 반면, 코인베이스(+8.44%)는 로빈후드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급증했다는 소식에 큰 폭 상승. 라이엇 플랫폼(+9.59%)은 비트코인 채굴 자산을 AI로 전환한 경험이 있는 자문위원을 임명 했다는 소식에 급등. 이를 통해 AI 및 소성능 컴퓨팅 분야의 잠재적 기회를 얻을 것으로 시장은 기대.

노보노디스크(-3.62%)는 지난 일요일 슈퍼볼에서 GLP-1 기반 경쟁사 중 하나인 힘스 앤 허스 헬스케어(+27.71%)가 노보노디스크를 비판 후 지속적으로 하락. 힘스 앤 허스는 급등. 일라이릴리(-0.13%)는 소폭 하락. 체중 감량제에 비판적인 케네디의 보건복지부 장관 승인 소식도 영향. 화이자(+0.67%), 바이오엔텍(+9.73%), 모더나(+4.54%)등은 최근 케네디 보건복지부 장관 지명 우려로 부진을 보여왔지만 상원에서 통과됐음에도 상승. 시장에서는 백신에 대한 긍정적인 발언, 최근 하락에 따른 선반영 등을 기반으로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 여기에 모더나는 13F에서 일부 투자사가 신규 주식 매입 소식도 영향. 템퍼스AI(+13.36%)는 일부 연구기관과 연구를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슈뢰딩거(+2.39%), 깅코 바이오웍스(+9.98%)등 AI 활용한 바이오 관련 기업들도 동반 상승. 웨스트 파마슈티컬(-38.22%)은 부진한 실적과 전망 발표로 큰 폭으로 하락.

로빈후드(+14.11%)는 암호화폐 거래 매출이 700% 이상 상승하며 예상을 크게 상회한 실적 발표하자 큰 폭으로 상승. 반면, 개인투자자 중심의 SNS 플랫폼 회사인 레딧(-5.32%)은 양호한 실적에도 활성 유저수가 예상에 미치지 못하자 하락. 광고 기술회사인 트레이드 데스크(-32.98%)는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자 큰 폭으로 하락. 농기계업종 디어(-2.17%)는 전년 대비 급감한 실적 발표로 하락. 또 다른 기계 업종 캐터필라(+0.47%)는 상승. 록히드마틴(-1.64%), 제너럴 다이나믹(-2.06%)등 방위업종은 트럼프가 중국, 러시아와 군사비 지출에 관해 회담을 할 것이라고 언급하자 하락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2:40


02/14 미 증시, 물가 불안 완화 및 상호관세 4월 이후 시행 소식에 상승 확대

미 증시는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 후 국채 금리 큰 폭 하락과 달러 약세에 힘입어 상승 출발. 특히 최근 변화가 컸던 테슬라(+5.77%), 엔비디아(+3.16%)가 상승을 주도. 여기에 일부 언론에서 상호 무역의 실제 시행은 4월 1일이 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상승이 확대. 한편, 오후 들어 트럼프의 상호 무역 관련 부과가 아니라 연구에 대한 메모를 발표해 시장에 안도감을 높였고 여기에서 실제 시행이 4월 2일부터 시작할 것을 언급하자 상승이 확대(다우 +0.77%, 나스닥 +1.50%, S&P500 +1.04%, 러셀2000 +1.17%,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29%)


*변화 요인: 생산자 물가지수, 상호 관세 부과 관련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0.35%(전월 0.5%)로 둔화된 가운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생산자 물가지수도 전월 대비 0.30%(전월 0.4%)로 둔화. 주목할 부분은 세부 내용에서 헬스케어 부문이 전월 대비 0.10% 감소한 가운데 항공여객 서비스가 0.3% 하락하는 등 운송 서비스가 0.11% 상승에 그쳤고, 보험도 0.04% 상승에 그침. 여기에 중간수요에 대한 서비스 가격이 0.2% 감소로 전환하는 등 세부적인 생산자 물가가 약한 모습. 전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후 물가에 대한 우려를 높였지만 이를 약화 시켜 달러 약세, 국채 금리 큰 폭 하락, 주요 지수 상승

이런 가운데 징 초반 트럼프가 현지시각 오후 1시에 상호 관세에 대한 발표를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일부 언론에서 이번에 발표되는 새로운 관세는 즉각 발표가 되지 않고, 수개월의 유예기간을 가진 후 4월 1일에 시행될 것이라고 보도. 이에 달러화 약세, 국채 금리 하락, 주식시장 상승 확대

한편, 트럼프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이 아닌 연구를 위한 메모랜덤(대통령의 지시)에 서명. 이후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VAT(부가가치세)도 관세로 간주될 것이라고 발표. 루트닉 상무장관이 관련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언급. 이번 관세는 보조금과 환율 조작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 또한 철강과 알루미늄은 별개이며 자동차와 반도체, 제약도 별개의 사안이며 자동차 관세가 곧 부과될 예정이라고 언급. 이번 조치로 물가가 다소 오를 수 있지만, 일자리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금리는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 또한 '보편적 관세'는 배제하지 않지만 먼저 '상호관세'로 시작 할 것이라고 주장.

더불어 트럼프는 대만이 미국의 칩 사업을 앗아갔다고 언급하고 백악관 관계자는 EU, 일본, 한국이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 루트닉 상무장관은 VAT는 일종의 수출 보조금이라고 주장. 관련 사안은 4월 1일까지 모든 연구가 종료돼 4월 2일 이후 상호 관세가 시작 될 수 있다고 발표. 관련 내용에 상호 관세가 즉각적인 내용이 아니라 4월에 시작한다는 점에 안도. 결국 트럼프의 관세에 대해 집행보다는 협상 카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이번 발표로 더욱 확고히 했다고 볼 수 있음.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Feb, 22:40


(2/14)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기대감에 날아오른 나스닥, 테슬라와 엔비디아 주도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전체적으로 상승. 나스닥 1.5% 급등.
- 테슬라, 백악관 기자회견 후 주가 반등 기대감.
- 1월 PPI 예상 상회했지만 국채 금리는 하락

# Summary
미 증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기대감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언 영향으로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가 커지며 상승폭을 확대해 끝남. 나스닥 종합지수가 1.5% 상승하며 가장 큰 변화를 기록했고, S&P 500 지수는 1.04% 올랐음.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도 0.77% 상승하여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1.17% 오름.
오늘 시장에서는 테슬라와 엔비디아 같은 주요 종목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며 주도하는 모습을 보임. 특히, 일론 머스크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자율주행 규제 완화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인 이후 테슬라 주가는 4% 넘게 반등하며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았음. 이어, 엔비디아는 새로운 AI 칩 블랙웰의 성공적인 출하 소식에 주가가 3% 넘게 오름.
한편, 경제 지표로는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대비 3.5% 상승하며, 2023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함. 이는 시장 예상치와 이전 수치인 3.3%를 모두 상회한 결과.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PPI는 전년대비 3.6% 상승하며, 이는 예상치 3.3%와 이전 수치인 3.5%보다 높게 나옴.
다만, 연준의 물가 판단 기준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에 기여하는 서비스 부문의 월별 증가율 둔화에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미 국채 2년물과 10년물이 각각 전일대비 6bp, 11bp 하락함.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향후 경제 지표와 추가적인 기업 실적 발표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 (다우 +0.77%, 나스닥 +1.50%, S&P500 +1.04%, 러셀2000 +1.17%)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214064430130_3533

# 특징종목
크록스(+24%)는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주가가 급등함. 회사는 전체 연도 실적 전망도 밝게 제시하였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함. 로빈후드(+14%)는 최근 암호화폐 관련 실적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이는 트럼프의 암호화폐 관련 발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음. 반면 데이터독(-8.2%)은 2025년도의 약한 실적 전망이 발표되며 투자자들에게 실망을 안겨 주가가 하락함. 테슬라(+5.8%)는 미국 국무부가 테슬라 사이버트럭을 구매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인도 시장 진출 가능성까지 더해져 주가 상승세를 지속함. 엔비디아(+3.2%)는 강력한 반도체 수요 소식에 주가가 상승했으며, 특히 헤지펀드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한편 디어(-2.2%)는 농업 시장의 침체 속에서 반등 가능성을 보였으나, 글로벌 가격 문제와 관세 부담이 여전해 주가가 하락함. 시스코(+2.1%)는 AI와 클라우드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며 주가 상승을 기록함. 마지막으로 레딧(-5.3%)은 실망스러운 사용자 성장 보고가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조정 기회로 고려되고 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4.54%로 떨어졌으며, 이는 전일 대비 0.09% 하락한 수치임.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고려하면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결과로 해석됨.
외환 시장에서 달러 인덱스는 107.14로 0.74% 하락했으며, 유로는 대미달러 환율이 1.05로 0.74%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임. 이는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하여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 수요가 줄어든 영향임.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가 하루 동안 0.03% 상승한 71.39달러를 기록함. 금은 온스당 2,928.60달러로 0.78%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우려로 재차 주목받고 있음. 이러한 동향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무역 정책 긴장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임.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7:32


(1보)국내 바이오텍 올릭스가 대사이상 지방간염(MASH)과 비만(Obesity) 약으로 개발 중인 화학합성 후보물질 'OLX75016'에 대해 다국적제약사 일라이 릴리에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번 거래 규모는 6억3000만달러(약 9117억원)이며, 이는 선급금과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친 규모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2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7:24


올릭스

1) 계약상대방 : Eli lilly and company (이하 릴리)
- 국적 : 미국
- 설립일자 : 1876.05.10
- 최근사업연도(2023) 매출액 : USD 34,124M

2) 계약의 내용
- 올릭스는 OLX75016에 대한 임상 1상 활동을 계속하여 완료하고 릴리는 기타 연구, 개발, 상업화를 수행함.
- 계약체결 후 올릭스는 릴리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2월 7일

4)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제품 로열티 기간 만료일

5) 계약지역 : 전 세계

6) 계약금액 : 총 USD 630,000,000 (911,673,000,000원)
- 계약체결로 인해 받는 선급금 및 이후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과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한 금액임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2:41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7045600008?input=1195m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2:22


더바이오 2월 7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10

●‘킴리아’·‘졸겐스마’도 달랐다…FDA·EMA CGT 승인 기준 차이, 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9

●지투지바이오, 베링거인겔하임과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형' 개발 계약 체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5

●유방암 신약 실패에도…릴리, ‘스콜피온’ 인수로 PI3Kα 표적 유방암 재도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8

●GSK, 작년 매출 7% 증가한 56.4조…‘일등공신’ 항암제, 98% 급증한 2.5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5

●앱클론, CAR-T 'AT101' 임상2상 중간 분석 시작…"신속허가신청 준비 착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6

●셀트리온, 美 염증성 장질환 학회서 ‘짐펜트라’ 3상 102주 증량 투여 결과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0

●한국얀센 "다발골수종 치료제 '다잘렉스 4제 병용요법', 1차 치료제로 이달부터 보험급여 확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4

●안국약품, 김도경 생산부문장·최청하 연구개발부문장 전무 영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3

●시지바이오·시지메드텍,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와 '노보시스' 독점 공급 계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7

●[시가총액 모니터] 바이오 특례상장 기업 '톱 50'(2월 6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7

●베르티스, 혁신·지속가능경영 권위자 데이비드 베리 박사 SAB 위원 영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6

●알리스, 美·加서 siRNA 기반 'ALY-101' 원형탈모 적응증 임상2상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4

●클라리스 "원발성개방녹내장·안구고혈압 신약물질 美 임상2상 유효성 입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3

●이연제약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유전자 치료물질 'NG101', 임상1/2a상 순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2

●HLB, '암종 불문 항암제' 개발…내년까지 간암·선낭암·담관암 신규 항암제 목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1

●부광약품, 3년 만에 흑자 전환…"작년 하반기 출시 조현병 신약 '라투다' 효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0

●[부고] 신해곤(한미약품 상무)씨 부친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9

●릴리,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렘터네터그’ 2·3상 첫 참가자 등록 완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7

●노바티스, CDK4·6 억제제 ‘키스칼리’ 英 MHRA서 유방암 적응증 확대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4

●부광약품, 작년 영업익 16억원…'흑자 전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6

●U.S. legal professionals’ view on the BIOSECURE Act: Chinese CDMO shakes up, focus shifts to Korea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1

●SK Biopharmaceuticals makes history with first annual profit driven by cenobamate’s single performance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8

●Novo Nordisk Korea receives approval for 'Awiqli Prefilled Pen' for adult diabetes treatment, a weekly SC 'basal insulin'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2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0:55


.
토모큐브 관계자는 "2024년까지는 매출이 바이오에서 100% 발생했지만, 올해부터는 비바이오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올해는 비바이오 매출을 전체의 20%까지 확대하는 게 목표며, 회사 내부적으로는 3~5년 내 비바이오 매출이 바이오 매출보다 훨씬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토모큐브 관계자는 "상장 당시 밝혔던 빅파마들로부터 제안받은 공동 개발이나 국책 과제 등은 모두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존스홉킨스, MIT를 포함한 글로벌 연구기관과 바이엘, LG화학과 같은 기업들이 토모큐브의 제품을 채택해서 연구와 생산 현장에 활용하고 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2536

#토모큐브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0:50


지투지바이오는 지난 1월 24일 독일의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과 장기지속형 주사 치료제(주사형 펩타이드 제형) 개발을 위한 제형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이번 협약에 따라 자사의 독점적인 펩타이드 약물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투지바이오는 자사의 혁신적인 '이노램프(InnoLAMP)' 약물 전달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펩타이드의 장기지속형 주사 제형을 개발합니다.

이를 통해 펩타이드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한 혁신적인 제형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이번 협력은 베링거인겔하임의 펩타이드 약물 개발의 전문성과 지투지바이오의 약효 지속 기술의 전문성을 결합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0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Feb, 00:01


유방암 신약 개발에서 고배를 마신 다국적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 이하 릴리)가 바이오기업을 인수하며 반전을 노리고 있습니다.

앞서 릴리는 ‘PI3Kα’를 표적하는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인 ‘LOXO-783(개발코드명)’에 대한 개발을 중단한 바 있는데요.

이후 새로운 후보물질 확보에 나선 릴리는 지난달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2025 행사기간에 미국 바이오기업인 스콜피온테라퓨틱스(Scorpion Therapeutics, 이하 스콜피온)를 최대 25억달러(약 3조6237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릴리가 ‘피크레이(Piqray, 성분 알펠리십)’와 ‘아이토베비(Itovebi, 성분 이나볼리십)’가 양분하고 있는 PI3Kα 억제제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해석됩니다.

릴리가 스콜피온을 인수하면서 확보한 STX-478은 선택적 PI3Kα 억제제입니다.

향후 STX-478이 PI3Kα 억제제 유방암 시장에 진입하게 되면 노바티스(Novartis)의 피크레이와 로슈(Roche) 산하 제넨텍(Genentech)의 아이토베비와 경쟁이 이뤄질 전망입니다.

피크레이는 지난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 승인받은 PI3Kα를 억제하는 유방암 치료제이고, 지난해 아이토베비가 FDA로부터 승인받으면서 경쟁 구도가 형성된 바 있습니다.

- ‘STX-478’ 확보…건강한 세포도 표적하는 피크레이·아이토베비 한계 극복 가능성
- 브릿지바이오온콜로지테라퓨틱스·릴레이 등 PI3Kα 억제제 개발 경쟁 치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9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3:46


[미래에셋 김승민] SK바이오팜 (326030)
신약 비즈니스 모델의 첫 주자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6만원으로 상향(기존 14.5만원)

엑스코프리 미국 연간 매출 1조원 돌파가 예상되는 28년 EBITDA의 현가(할인율 8.5%) 4,488억원에 EV/EBITDA 27x를 적용했다. 27x는 동사가 롤모델로 삼는 Vertex Pharmaceuticals의 실적 고장기(19년~21년) 멀티플이다.

국내 제약/바이오섹터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장, 그 비즈니스의 상업성을 입증하는 이익성장이 나타나면서 팬덤이 형성되어 왔다. 신약 기술수출이 그랬고, 바이오시밀러가 그랬고, CDMO가 그랬다. 동사는 신약 개발, FDA 허가 획득, 직접 판매까지 아우르는 국내 유일 ‘바이오파마’다. ‘상업화’ 비즈니스 모델을 실적으로 증명해 나가고 있는 첫 주자다.

4Q24P Review

연결 기준, 4Q24P 매출액 1,630억원(+29% YoY), 영업이익 407억원(+175% YoY), 순이익 1,864억원(+2,031% YoY)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7%, +35% 상회했다. 순이익 급증은 흑자구조 정착에 따른 미인식 이연법인세자산(약 1,500억원)의 일시 인식 때문이다.

엑스코프리(미국) 1,293억원(+66% YoY, +14% QoQ), DP/API 5억원(-91% YoY), 용역수익 332억원(-24% YoY)을 기록했다. 엑스코프리의 4Q24 처방 수(TRx)는 102,792건으로 QoQ 성장속도가 증가세에 있고(QoQ 성장률: 1Q24 +6.8%, 2Q24 +9.1%, 3Q24 +8.0%, 4Q24 +9.6%). 경쟁 약품보다 빠르다. 저마진의 DP 매출 감소, 중국 이그니스 NDA 신청에 따른 마일스톤(약 210억원)이 발생하면서 매출총이익률이 96.4%(+7.4%p YoY, +8.5%p QoQ)로 상당히 개선되었고, 판관비 통제 기조, 엑스코프리의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확대로 영업이익 흑자가 확대되었다.

2025년 실적 전망

연결 기준, 2025년 매출액 6,829억원(+25% YoY), 영업이익 1,548 억원(+61% YoY)을 예상한다. 엑스코프리 미국 매출 $446mn으로 추정(vs.기존 $432mn), 회사 가이던스 $420~450mn의 상단을 달성할 전망이다. 엑스코프리 DTC 광고와 영업 조직 강화, 차세대 모달리티 투자 증가로 판관비는 4,856억원(+18% YoY)을 예상한다. 큰 비용의 증가이나, 엑스코프리 성장이 더욱 가파르다. 엑스코프리 성장 기반 기존 추정치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11%, +9% 상향조정했다.

텔레그램: https://t.me/bioksm
자료링크: https://han.gl/U9VMB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3:27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2051557520000109041&page=1&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43


(2/7)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기후 변화 멈춘 연준, 나스닥 상승의 견인차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혼조세: 다우↓, S&P500ㆍ나스닥 ↑
- Fed,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중단 결정
- 미 노동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증가 발표

# Summary
미 증시는 주요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함. S&P 500 지수는 0.36% 상승하여 6,083.57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51% 오르며 19,791.99에 마감함.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8% 하락하여 44,747.63을 기록함.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 지수도 0.39% 하락함.
이날의 주요 뉴스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후 변화와 관련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것이 있는데, 이는 대형은행을 대상으로 한 기후 시나리오 분석을 포함하여 환경 관련 규제를 축소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됨.
한편,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11,000건 증가한 219,000건으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고 발표함. 이는 미국 노동시장의 완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음. 고용 지표의 변화와 관련해 투자자들의 시선은 곧 발표될 1월 고용 보고서로 향하고 있음.
이밖에도 시장은 아마존이 장 마감 후 발표할 실적에도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 아마존 웹 서비스의 실적이 어떻게 나올지에 큰 관심을 가짐. 글로벌 증시는 영국 중앙은행이 0.25%p의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영향을 받았으며, 국제 유가는 상승세를 기록함. 전반적으로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와 연준의 정책 변화 등이 시장에 혼조세를 가져온 요인으로 작용함. (다우 -0.28%, 나스닥 +0.51%, S&P500 +0.36%, 러셀2000 -0.39%)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207065051220_3533

# 특징종목
아마존(+1.1%/시간외 -2.2%)은 월마트를 제치고 분기 매출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감에 주가가 상승했음. 이는 1,87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클라우드 부문이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을 초과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효했음. 일라이 릴리(+3.4%)의 주가는 2025년 매출 목표를 반복하며 투자자들의 자신감을 증대시킨 가운데 당뇨병 치료제 매출 증가와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초과한 결과로 상승. 엔비디아(+3.1%)는 최근의 주가 하락이 매수 기회로 인식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올렸고, 기술 및 반도체 업종 내에서의 주도적 위치 유지로 주가가 상승했음.
반면, 로블록스(-11%)는 일일 활성 사용자 수가 예상을 밑도는 실적 발표로 주가가 급락,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고 있음. 테이프스트리(+12%)는 2분기 실적이 예상을 뛰어넘으며 연간 수익 전망을 상향 조정했고, 코치 브랜드의 매출 증가로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음. 다른 한편, 포드(-7.5%)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주가가 하락, 투자자들의 불안이 반영됨.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44%로 약간 하락하며 금리 동결 정책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고 있음.
달러 인덱스(DXY)는 107.68로 상승, 이는 미국 경제와 무역 전쟁 관련 소식에 따른 것으로 보임. 주요 통화 중 유로 대비 달러는 1.0388로 하락, 이는 유로권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것임.
상품 중 WTI 원유는 70.56달러로 0.67% 하락했으며, 이는 에너지 시장의 수요 약세와 공급 증가 우려 때문임. 천연가스는 3.39 USD/MMBtu로 0.78% 상승했으며, 이는 겨울철 수요 증가 때문임. 금은 2855.82 USD/oz로 0.46% 하락, 이는 채권 수익률 상승에 대한 효과로 보임. 이러한 시장 변화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통화 정책 전망에 크게 영향을 받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42


(2/7)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4,747.63p (-125.65p, -0.28%)
- S&P500: 6,083.57p (+22.09p, +0.36%)
- NASDAQ: 19,791.99p (+99.66p, +0.51%)
- 러셀2000: 2,307.12p (-9.11p, -0.3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5.22 (+0.26, +0.47%)
- MSCI 이머징지수 ETF: $43.24 (+0.18, +0.42%)
- Eurex kospi 200: 334.25p (-0.25p, -0.07%)
- NDF 환율(1개월물): 1,444.35원 / 전일 대비 4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092.59 (+1.09, +0.02%)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7.679 (+0.100, +0.09%)
- 유로/달러: 1.0385 (-0.0018, -0.17%)
- 달러/엔: 151.47 (-1.14, +0.7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118% (+2.5bp)
- 10년물: 4.4342% (+1.6bp)
- 30년물: 4.6378% (+0.2bp)
- 10Y-2Y: 22.24bp (0.89bp 축소)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0.61 (-0.52, -0.73%)
- 브렌트유: 74.29 (-0.38, -0.51%)
- 금: 2,876.70 (-13.10, -0.45%)
- 은: 32.63 (-0.31, -0.94%)
- 구리: 446.10 (+1.35, +0.30%)
- 옥수수: 495.25 (+2.25, +0.46%)
- 밀: 587.75 (+16.00, +2.80%)
- 대두: 1,060.50 (+4.75, +0.4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42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2/7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Eli Lilly(LLY.US): 비만/당뇨 고성장을 기반으로 4Q24 매출액 $13.5bn(+45% YoY) 및 Non-GAAP EPS $5.32(+114% YoY) 기록. 비만/당뇨 외 매출 또한 +20% YoY 증가한 호실적. 25년 가이던스 매출액 $58~61bn 및 Non-GAAP EPS $22.50~24.00 제시.
https://han.gl/TtCdv

Eli Lilly, R&D 업데이트에서 알츠하이머 치료제 Ceperognastat 및 비만 치료제 DACRA 개발 중단 발표. Ceperognastat의 경우 2상에서 임상적 악화를 늦추는 데 실패했으며, DACRA의 경우 GLP-1 기반 치료제가 더 유망한 것으로 평가되었음.
https://han.gl/Bnoz9

Bristol Myers Squibb(BMY.US): 4Q24 매출액 $12.3%(+9% YoY on CER) 및 Non-GAAP EPS $1.67 기록. 25년 Legacy 제네릭 진입으로 18~20%의 매출 감소가 예상되나, Growth 강세로 부분 상쇄 기대. 연간 가이던스 매출액 ~$45.5bn 및 Non-GAAP EPS $6.55~6.85 제시.
https://han.gl/Mf6WC

Bristol Myers Squibb, 지난해 4월 $1.5bn 규모의 비용 절감 계획에 이어 27년까지 추가 $2bn 감축 계획 발표. 이는 Opdivo 및 Eliquis의 특허 만료와 IRA 약가 인하로 인한 조치에 해당. 불필요한 비용을 제거하는 동시에 재투자는 지속될 전망.
https://han.gl/Ifon7

AstraZeneca(AZN.US): 4Q24 매출액 $14.9bn(+25% YoY on CER) 및 Core EPS $2.09(+49% YoY on CER) 기록. Alliance 의약품의 지속적인 성장과 마일스톤 달성이 호실적에 기여. 25년 연간 가이던스는 매출액 높은 한 자릿수 증가 및 Core EPS 낮은 두 자릿수 증가 제시.
https://han.gl/lTIWJ

AstraZeneca, Alexion 인수 이후 성장 동력으로 기대했던 Vemircopan 개발을 중단하며 $753mn의 손실 반영. 2상에서 안전성과 효능 부족이 확인되었기 때문. 또한, 방사성의약품 FPI-2059의 개발 중단으로 추가 $165mn 손실 기록. 이외에도 총 6건의 2상 프로그램 종료.
https://han.gl/P5Dku

Sanofi(SNY.US): Regeneron, 뉴욕 연방법원에 사노피를 상대로 Dupixent 계약 위반 소송 제기. 소송의 핵심 쟁점은 사노피가 PBM 계약 정보를 공유하지 않아 Regeneron이 Dupixent의 상업화 전략에 관여할 관리를 박탈했다는 것.
https://han.gl/K12FS

Denali Therapeutics, 헌터 증후군 치료제 Tividenofusp Alfa(Tivi)가 임상1/2상에서 주요 안전성 지표를 충족하고 바이오마커를 감소시켰다 발표. 현재 54명 환자를 대상으로 2/3상 진행 중. 25년 말~26년 초 출시를 목표로 올해 초 FDA에 가속 승인을 신청할 계획.
https://han.gl/aAo3u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미국 병원 및 제네릭 제약사들은 필수 의약품 부족과 약가 상승을 우려하며 면제를 요구 중. 미국은 필수 의약품 원료의 30%를 중국에서 수입하며, 의료 장비 또한 상당 부분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
https://han.gl/dXy6V

<한국>
SK바이오팜(326030.KS):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호조에 작년 흑자 전환
https://han.gl/yCDGM

종근당(185750.KS): 종근당, 바이엘 코리아 ‘넥사바’ 및 ‘스티바가’ 독점 유통·판매
https://han.gl/QyiNv

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2심 승소…2031년까지 보호
https://han.gl/M7LsK

HLB "리보세라닙 내년까지 3가지 암종 적응증 목표"
https://han.gl/xBLjl

현대바이오, 베트남 보건부에 '제프티' 바스켓 임상 2/3상 최종 신청
https://han.gl/rsg1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41


『노보 노디스크(NOVOB.DC); 성장세에도 주도주에 밀리는 투심』
글로벌주식팀 하헌호 02-3772-1297

- 호실적 기록했으나 경쟁기업에 뒤쳐지는 경쟁력
- 비만/당뇨 견조한 실적 성장, 공급 우려 완화. 후속 약물 임상도 긍정적
- 주도주 일라이 릴리 대비 차별점 제한적. 상승 추세 어려울 전망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637

위 내용은 2025년 2월 6일 17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40


DS투자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김민정, RA 강태호

[제약/바이오] SK바이오팜_ 4Q24 Re: ‘25년은 영업 레버리지 극대화의 해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상향)
현재주가 : 127,000원(2/6)
Upside : 18.1%

1. 4Q24 Review: 2025년은 영업 레버리지 극대화의 해
- 4Q24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약 1,630억원(+28.5% YoY), 약 407억원(+166.9% YoY, OPM 25.0%)를 달성하여 컨센서스 매출액 1,537억원 및 영업이익 303억원 대비 큰 폭 상회
- 연간 US 엑스코프리 매출이 약 $321.6mn(힌화 약 4,387억원)으로 가이던스 상단을 초과 달성
- 2025년은 동사의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해로 광고선전비 확대 및 R&D 비용 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연간 매출액 7,385억원(+34.9% YoY), 영업이익 1,857억원(+92.9% YoY, OPM 25.1%)을 달성할 것
- ‘25년 US 엑스코프리 매출은 약 6,479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7.7% 증가할 전망

2.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 약 11% 상향하며 이는 고환율 기조 지속에 따른 환수혜 효과 반영에 따름
- 동사의 투자 포인트 핵심은 1) 블록버스터 약물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엑스코프리의 US 매출 확장과 이에 따른 영업이익의 고성장, 2) 2nd 파이프라인 도입으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 3) US 엑스코프리 전신발작 및 소아 적응증 확대
- 2025년부터 엑스코프리 영업 레버리지 효과를 직접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2nd 파이프라인 도입은 이르면 올해 상반기 진행될 것으로 기대
- 최근 트럼프 발언으로 인하여 관세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아직 구체화 된 정책이 없는 점 및 동사의 관세 우회 방안이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여 해당 우려는 과다하다고 판단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4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6, THU) #전체기사

"새해" 1월 비상장투자, 4곳 613억.."순조로운 출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90

화이자, 씨젠 ‘주요 에셋’ B7-H4 ADC “개발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4

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2심 승소..2031년까지 보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19

지씨셀, '이뮨셀엘씨' 9년추적 업데이트.."글로벌 확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22

'자금난' 턴스톤, 마지막 ‘TIL 세포’ 임상도 "모두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10

베르티스, 데이비드 베리 박사 과학자문위원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25

SK바팜, 작년 매출 5476억 전년比 54%↑"흑자전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26

로슈, ‘재출시 7개월만’ 안구임플란트 VEGF "FDA 확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14

GSK, 'B형간염' 1/2상 '실패' 치료백신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21

아이젠, 멥스젠과 ‘AI+생체조직칩’ 신약개발 MOU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3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6,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22:37


★ InMode(INMD US): OutMode, 역성장해버린 성장주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미국 에너지 기반 피부 미용 장비(EBD) 업체 InMode의 4Q24 실적은 시장이 기대치를 하회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매출액은 컨센서스 대비 -9.6%, 영업이익은 -13.0% 하회하면서 어려운 상황이 반영되었습니다.

금리가 높아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모두 문제가 생기고 있고, 이로 인한 악순환이 2H23부터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경영진도 금리 하락이 업황 반등에 필수적이라고 언급하고, 어디까지 상황이 안 좋아질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코멘트를 덧붙였습니다.

`25년 가이던스는 매출액과 이익 모두 YoY flat의 성장률로 제시하였고, 이는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805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12:12


$LLY | Eli Lilly Q4 FY24 실적 요약

주요 실적
주당순이익(EPS): $4.88 (예상: $4.94) 🔴 전년 대비 +102% 증가
매출: $13.53B (예상: $13.66B) 🔴 전년 대비 +45% 증가
순이익(Net Income): $4.41B 전년 대비 +101% 증가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Margin): 82.2% (예상: 81.62%) 🟢

FY25 가이던스
매출: $58.0B – $61.0B (예상: $59.22B) 🟡
EPS: $22.05 – $23.55 (예상: $22.86) 🟡
Non-GAAP EPS: $22.50 – $24.00
영업이익률(Operating Expense / Revenue):
보고 기준: 40.5% – 42.5%
Non-GAAP 기준: 41.5% – 43.5%
실효세율(Effective Tax Rate): 약 16%
기타 손익(Other Income / Expense): ($700M) – ($600M)

핵심 제품 Q4 실적
Zepbound: $1.91B (신규 제품)
Mounjaro: $3.53B 전년 대비 +60% 증가
Verzenio: $1.56B 전년 대비 +36% 증가
Jardiance: $1.20B 전년 대비 +50% 증가
Trulicity: $1.25B 전년 대비 -25% 감소 🔴
Taltz: $952M 전년 대비 +21% 증가
Humalog: $619.9M 전년 대비 +69% 증가

운영 지표
매출원가(COGS): $2.40B (예상: $2.51B) 🟢
매출총이익(Gross Profit): $11.13B (예상: $11.13B) 🟡
연구개발비(R&D): $3.02B (예상: $2.99B) 🟡 전년 대비 +18% 증가
판매관리비(SG&A): $2.42B (예상: $2.41B) 🟡 전년 대비 +26% 증가
운영비(R&D + SG&A): $5.44B (예상: $5.41B) 🟡

전략 및 비즈니스 업데이트
FDA 승인:
Zepbound, 비만 성인 대상 중등도~중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 승인
Omvoh, 중등도~중증 크론병 치료 승인
SURMOUNT-5 임상 시험:
Zepbound, Wegovy 대비 47% 높은 체중 감소 효과 입증
Scorpion Therapeutics의 PI3Kα 억제제 프로그램 인수 발표
위스콘신주 Kenosha 카운티 제조시설 확장에 $3B 투자
$15B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발표 및 분기 배당금 15% 인상

CEO 데이비드 A. 릭스(David A. Ricks) 코멘트

“2024년은 Eli Lilly에게 있어 매우 성공적인 해였습니다. 주요 임상 데이터 발표, 제조 확장, 핵심 제품 출시를 달성했습니다. 2025년에도 지속적인 재무 성과와 중요한 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집중할 것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12:00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2041524283120102185&page=3&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7:34


https://blog.naver.com/redserpent/22374994974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7:33


http://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01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5:40


더바이오 2월 6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09

●“中 CDMO 흔들리나, 韓으로 중심 이동”…美 전문가 ‘생물보안법’ 전망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95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단일 실적만으로 첫 연간 '흑자' 새 역사(종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0

●‘한국 VC’가 찜한 아드바크, 나스닥 상장 도전…非 GLP-1로 비만약 시장 승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0

●노보, 작년 매출 25% 늘어난 58조…비만·당뇨병 치료제 매출 비중 94% 육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9

●SK바이오팜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 올해 美 매출 최대 6100억원"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1

●종근당, 바이엘 코리아 ‘넥사바'·'스티바가’ 독점 유통·판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6

●HK이노엔 “위식도 역류질환 국산 신약 ‘케이캡’, 물질특허 2심서도 승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1

●웰스바이오, 메드랩 중동서 분자진단시약 수출계약…3년간 사우디 독점 공급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3

●KBIOHealth,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장에 남봉현 전 식약처 과장 임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7

●사노피, 신생아·영아 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 국내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5

●삼성서울병원, 디지털트윈 기술 'DOCC' 관련 특허 국내서 2건 등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4

●지씨씨엘, 프로스트앤설리반 ‘아태지역 고객가치 리더십 어워드’ 수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2

●엑셀세라퓨틱스, 세포배양배지 ISO9001·ISO13485 국제인증 획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3

●한독, 건기식 사업부문 분할…'신설법인' 설립 추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8

●한독 김영진 회장 대표 연임…오너가 父·子 나란히 사내이사 재선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7

●화이자 경구용 비만약 후보 ‘다누글리프론’, 다음 달 내 초기 연구 결과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2

●메디라마, 임상개발총괄에 한미약품 출신 김명진 전무 영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6

●"지씨셀 면역세포치료제 '이뮨셀엘씨', RFS 개선 간암 유일 보조요법 치료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3

●[시가총액 모니터] 바이오 특례상장 기업 '톱 50'(2월 5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5

●MSD, 작년 키트루다 매출 42조원…'포스트 키트루다' 20개로 500억달러 기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56

●Novo Nordisk Korea receives approval for 'Awiqli Prefilled Pen' for adult diabetes treatment, a weekly SC 'basal insulin'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23

●Celltrion’s anticancer drug ‘Vegzelma’ tops European ‘bevacizumab’ prescription market, ranks No.1 in prescription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0

●Sillajen secures Japanese patent for SJ-600 series, marking first overseas registration of anticancer virus platform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57

●Samsung Biologics appoints former Jazz Pharmaceuticals Diane Black as head of the quality management center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59

●CellBion Announces Clinical Trial Collaboration with MSD to Evaluate Lutetium (177Lu) DGUL in Combination with KEYTRUDA® (pembrolizumab) in Patients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4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2:07


[종합] SK바이오팜이 지난해 첫 연간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 엑스코프리®/XCOPRI®)의 지속적인 미국 내 성장세와 활발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바탕으로 세노바메이트 단일 매출로만 이룬 쾌거입니다.

SK바이오팜이 지난해 누적 매출액 547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보다 54.3% 증가한 규모입니다. 영업이익은 963억원으로 흑자전환했으며, 순이익도 2270억원으로 흑자전환했습니다.

지난해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한 규모입니다.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내 매출은 약 43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3% 성장하며 지난해 제시한 가이던스의 상단을 넘어섰습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매출 성과에 대해 “마일스톤과 같은 일회성 매출의 도움 없이 세노바메이트 매출 성장만으로 이룬 최초의 연간 흑자라 뜻깊다”며 “지난해는 대한민국 혁신 신약 상업화의 중요한 이정표가 된 한 해”라고 밝혔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8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1:18


(코스닥)케어젠 -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마이오키 (MyoKi), 미국식품의약국(USFDA)으로부터 NDI(New Dietary Ingredients) 로 승인)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206900087
2025-02-0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1:18


2025.02.06 10:17:12
기업명: 에스케이바이오팜(시가총액: 8조 5,91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1,629억(예상치 : 1,534억)
영업익 : 407억(예상치 : 302억)
순이익 : 1,863억(예상치 : 225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1,629억/ 407억/ 1,863억
2024.3Q 1,366억/ 193억/ 63억
2024.2Q 1,340억/ 260억/ 246억
2024.1Q 1,140억/ 103억/ 97억
2023.4Q 1,268억/ 148억/ 87억

* 변동요인
XCOPRI 미국매출 및 용역매출 성장으로 인한 연간 흑자 달성 및 손익구조 개선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68000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603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Feb, 00:10


[오늘의 HIT_2월 6일 목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기사 중 궁금하신 부분 있다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대체조제 약사법 시행규칙 개정, 수단 하나 더 명시하는 것"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42

💊 그 제약사는 왜, 안구건조증약 생산중단 날벼락 맞았나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24

🏢 '심사료 4억' 받은 식약처 '첫 신약허가 신청품목에 풀 서비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27

🧬 기술력 검증 완료... 코스닥 입성 남은 '혁신신약 개발 바이오텍 7'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38

💊 이뮨셀엘씨, 9년 추적 결과 간암 관련 사망 51% 낮춰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43

💊 NOAC에 치인다고? 클로피도그렐 처방량은 전혀 죽지 않았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393

📈 [투자리포트] 동국제약 영업이익률 개선 본격화… 올해 고성장 예상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09

🖱 [HIT알공] 한독, 작년 매출액 5074억…전년 대비 2.9% 감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28

👩‍💼 [경력채용] 일성아이에스, SK플라즈마, 지씨셀, 케어젠, 유유헬스케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18

🍀 GC녹십자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ICV'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32

🍀 화이자, B7-H4 ADC 개발 중단…10억달러 손실액 발생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10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3:46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 이하 노보)의 지난해 전체 매출은 2904억300만덴마크크로네(약 58조6149억원)로 2023년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매출이 2717억6400만덴마크크로네(약 54조8528억원)로, 작년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4%에 달했습니다.

노보는 올해 16%에서 24%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고, 특히 위고비 등 비만 치료제 매출에 대해 250억덴마크크로네(약 5조473억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차세대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카그리세마(CagriSema)’에 대한 새로운 임상3상을 올해 시작하고, 첫 번째 규제 승인 신청을 오는 2026년 1분기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카그리세마는 세마글루타이드와 장기 지속형 아밀린 유사체인 ‘카그릴린타이드(Cagrilintide)’ 복합제입니다. 현재 임상3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노보는 앞서 카그리세마가 비만 및 과체중인 341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3상(REDEFINE 1)에서 20%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6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3:46


지난해 LG그룹이 투자하면서 화제가 됐던 비만 치료제 개발사인 미국 아드바크테라퓨틱스(Aardvark Therapeutics, 이하 아드바크)가 최근 미 나스닥 시장에 1억달러(약 1400억원) 규모로 기업공개(IPO)를 신청했습니다.

GLP-1 기반의 비만 치료제들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차별화된 기전을 보유한 아드바크의 ‘비(非) GLP-1’ 기전의 치료제가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와 일라이릴리(Eli Lilly) 등 글로벌 빅파마와 경쟁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는데요.

아드바크의 IPO 도전은 한국 벤처캐피탈(VC) 업계에서도 주목받고 있죠.

LG그룹의 기업주도형벤처캐피탈(CVC)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지난해 아드바크의 시리즈 C 투자에 참여하며 국내에서도 관심을 끌었고, 사실 국내 VC들은 훨씬 이전부터 아드바크에 투자해왔습니다.

프리미어파트너스, BNH인베스트먼트, 코리아오메가투자금융 등 국내 투자사들은 2019년 시리즈 A(1500만달러 규모)와 2021년 시리즈 B(2900만달러 규모) 단계에서 투자했으며, 당시 리드 투자자는 싱가포르의 비커스벤처파트너스(Vickers Venture Partners)였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57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3:46


2025년 새해 첫달인 지난 1월 비상장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는 4곳, 61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마지막 두달동안 반짝 몰렸던 규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감소한 투자규모였네요. 그러나 긴 연휴기간, 새해들어 첫달이라는 시기적 측면과 불안정화 국내외 정세 등을 고려하면 비교적 순조롭게 출발했다는 평가입니다.
다만 현재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섣불리 투자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거나 올해 투자환경을 예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도 만만치 않네요.
특히 이번 새해 첫달에는 시리즈A부터 시리즈B, pre-IPO까지 단계별로 골고루 투자가 이뤄졌습니다. 그 중 가장 큰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큐어버스(Cureverse)로, 시리즈B 단계에서 253억원을 투자 받았네요.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9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3:17


[인터뷰] 올해 미국에서 '생물보안법'이 통과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더바이오>는 미국 로펌 ‘아이스밀러(Ice Miller LLP)’와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고 미국 생물보안법이 한국 제약·바이오업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미국 의회가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한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이 올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제약·바이오업계도 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과의 협력을 제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전망입니다. 이 법안에는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MGI테크(MGI Tech), 컴플리트지노믹스(Complete Genomics), 우시앱텍(WuXi AppTec) 및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 등 5곳이 ‘적대적 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마이 지마리스(Mai Zymaris) 아이스밀러 파트너 변호사는 올해 생물보안법 통과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특히 새로 취임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의 협력을 제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중국에 대해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국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의 ‘대체 제조 파트너’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중국 기업들의 미국 내 제조 제한이 현실화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같은 한국 CDMO 기업이 대체 생산기지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대형 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의 물량을 국내 기업들이 대체할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설명입니다.

김태수(TaeSoo Sean Kim) 아이스밀러 파트너 변호사는 생물보안법이 통과되면 국내 CDMO 기업들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바이오테크 공급망, 특히 중국 CDMO 기업에 의존하는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이 대체 제조 파트너를 찾으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같은 한국 기업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9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2:59


노보의 oral 위고비는 25mg으로 1분기에 허가 신청 예정. 공급문제와 내약성 때문. 50mg 가능성도 열려있음.

In the first half of 2025, we’re now expecting to submit oral semaglutide 25 milligram for people with obesity to the US regulatory authorities in the first quarte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2:46


보건복지부(HHS) 장관 후보로 지명된 Kennedy, 기존 백신 프로그램을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하며 상원의 주요 공화당 의원의 지지를 확보. 이에 따라 상원 재정위원회는 지명을 전체 상원 표결로 넘겼음. Kennedy는 오랫동안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에 의문을 제기해왔음.
https://han.gl/pewVQ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2:46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2/6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Amgen(AMGN.US): 4Q24 매출액 $9.1bn(+11% YoY) 및 Non-GAAP EPS $5.31(+13% YoY) 기록. Tezspire(+67%), Blincyto(+58%), Repatha(+45%) 등 10개 주요 제품이 두 자릿수 성장. 25년 매출액 가이던스 $34.3~35.7bn 및 Non-GAAP EPS $20.00~21.20 제시.
https://han.gl/Z2fwr

Amgen, 비만 치료제 후보 물질 MariTide의 임상3상이 1H25 내 시작 예정이라 언급. 지난 2상 데이터는 6월 美 당뇨병학회(ADA)에서 발표 예정. 후속 데이터와 당뇨병 환자 대상 데이터는 2H25 내 공개. 다만, FDA로부터 AMG 513 1상 중단 조치를 받아 논의 중.
https://han.gl/CapqI

Novartis(NVS.US): Kisqali, 영국 MHRA로부터 재발 위험이 높은 HR+/HER2- 초기 유방암 환자 대상 보조요법으로 승인 획득. 임상3상(NATALEE) 결과, Kisqali 병용은 아로마타제 억제제 단독 대비 침습적 무질병생존율(IDFS) 사건을 25.1% 감소시켰음.
https://han.gl/N1jNK

Novo Nordisk(NOVO.DK): 24년 연간 매출액 DKK 290bn(+26% YoY on CER) 및 영업이익 DKK 128bn(+25% YoY) 기록. 당뇨 및 비만 부문 DKK 272bn(+27%) 기록하며 호실적 기여. 25년 가이던스(CER)로 매출액 +16~24% 및 영업이익 +19~27% 성장 제시.
https://han.gl/dV4Lv

Novo Nordisk CEO,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으며, 노보는 전 세계적으로 공장을 운영해 관세 증가에 대한 대응 전략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음.
https://han.gl/XY8KG

보건복지부(HHS) 장관 후보로 지명된 Kennedy, 기존 백신 프로그램을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하며 상원의 주요 공화당 의원의 지지를 확보. 이에 따라 상원 재정위원회는 지명을 전체 상원 표결로 넘겼음. Kennedy는 오랫동안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에 의문을 제기해왔음.
https://han.gl/pewVQ

<한국>
셀트리온(068270.KS): 셀트리온 베그젤마, 유럽 동일성분 시장 처방 1위 등극
https://han.gl/sZuMq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KS): SK바이오 작년 4분기 매출 1568억원, IDT 인수·투자 확대로 적자폭 확대
https://han.gl/8nDmu

GC녹십자(006280.KS): GC녹십자,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ICV'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https://han.gl/iMJo6

셀비온, MSD 키트루다와 'Lu-177-DGUL' 병용 임상 협력 계약 체결
https://han.gl/mCTnv

HLB파나진, 폐암 ROS1 변이 동반진단 제품 식약처 허가
https://han.gl/XcA6C

한독 관계사 '레졸루트', RZ358 3상 임상 sunRIZE 연구 업데이트 발표
https://han.gl/J2PS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2:46


(2/6)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기업 실적에 웃은 증시, 러셀2000 선전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모두 상승. 다우 +0.7%, 러셀2000 +1.1% 가장 큰 상승률 기록
- 미중 무역 관련 관세 우려에도 기업 실적 발표로 투자심리 유지
- ADP 민간고용 증가세 이어짐, 경제 회복 기대감 반영

# Summary
미 증시는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71% 상승하여 44,873.28로 마감하였고, S&P 500 지수는 0.39% 오른 6,061.48을 기록하였음. 나스닥 종합지수는 0.19% 상승한 19,692.33에 종료하였으며, 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1.14% 상승하여 2,316.23로 마감했음. 이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이슈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기업 실적 발표에 주목하며 투자심리를 유지한 결과로 볼 수 있음.
특히 주요 경제 지표로는 ADP 보고서에 따른 1월 민간고용 증가세가 주목받으며 경제 회복 기대감을 상징하였음.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무역 정책과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에도 시장은 실적 발표를 통해 긍정적인 변동성을 보였음. 기술주 중심의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알파벳과 AMD 등 대형 IT 기업의 부진한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수의 상승세는 이어졌음.
오일 가격은 미국 재고 증가와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중국 수요 감소 가능성 등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음. 투자자들은 시장 내 다른 주요 경제 동향을 관찰하며 향후 변동성을 대비하고 있음. (다우 +0.71%, 나스닥 +0.19%, S&P500 +0.39%, 러셀2000 +1.14%)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206065949143_3533

# 특징종목
알파벳(-6.9%)의 주가는 인공지능(AI)에 대한 대규모 투자로 인한 비용 증가 우려로 인해 각각 하락함. 구글은 AI 관련 사업에 7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비용과 수익성에 대한 우려를 일으킨 것으로 보임. 다양성 기반 고용 목표 철회 소식도 기업의 인사 정책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추가로 가져옴.
반면, 엔비디아 (+5.2%)는 데이터 센터와 인공지능 솔루션 비즈니스에서의 성장성과 수익성에 대한 기대가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음. 월트 디즈니 (-2.4%)는 스트리밍 회원 수 감소와 실적 개선 기대의 조정으로 주가가 압박을 받았으며, AMD (-6.3%)는 데이터 센터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며 주가 하락세를 보임. 테슬라 (-3.6%)는 독일과 미국에서의 판매 부진 소식 등으로 하락했음. 아마존 (-2.4%)은 클라우드 및 AI 매출에서의 비용 우려가 주가에 부담이 되었으며, 노보 노디스크 (+3.8%)는 메디케어 가격 협상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 주가가 상승. 메타 플랫폼 (+0.1%)은 AI 투자 관련 낙관적인 전망을 반영해 소폭 상승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4.43%로 하락하면서 7주 저점을 기록했음. 이는 안전자산 선호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겹친 결과임. 특히, 서비스 업종의 활동 및 비용이 예상을 밑돌면서 이러한 기대를 뒷받침함.
외환 시장에서는 달러 인덱스가 107.62로 소폭 하락했으며, 유로/달러는 전일 대비 0.24% 상승한 1.04를 기록함.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달러에 압박을 가하는 가운데, 미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혼조세를 보였음.
한편,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가격이 하루 동안 2.12% 하락한 71.16달러를 기록했고, 금 가격은 0.74% 상승한 2861.86달러로 안전자산 선호를 반영함. 금속 시장에서는 구리가 2.03% 상승하며 주목을 받았고, 농산물 시장에서는 커피가 4.27% 크게 상승했음. 이러한 시장 동향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및 통화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을 보여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2:46


(2/6)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4,873.28p (+317.24p, +0.71%)
- S&P500: 6,061.48p (+23.60p, +0.39%)
- NASDAQ: 19,692.33p (+38.31p, +0.19%)
- 러셀2000: 2,316.23p (+26.03p, +1.14%)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4.96 (+0.61, +1.12%)
- MSCI 이머징지수 ETF: $43.06 (-0.11, -0.25%)
- Eurex kospi 200: 332.70p (+1.50p, +0.45%)
- NDF 환율(1개월물): 1,443.90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091.50 (+114.91, +2.31%)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7.665 (-0.295, -0.27%)
- 유로/달러: 1.0402 (+0.0023, +0.22%)
- 달러/엔: 152.61 (-1.73, +1.1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1868% (-2.7bp)
- 10년물: 4.4201% (-9.0bp)
- 30년물: 4.6378% (-10.8bp)
- 10Y-2Y: 23.33bp (6.35bp 축소)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03 (-1.51, -2.08%)
- 브렌트유: 74.61 (-1.49, -1.96%)
- 금: 2,893.00 (+7.90, +0.27%)
- 은: 32.98 (-0.27, -0.81%)
- 구리: 444.40 (+8.70, +2.00%)
- 옥수수: 493.25 (-1.25, -0.25%)
- 밀: 572.25 (-5.25, -0.91%)
- 대두: 1,057.00 (-16.25, -1.5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Feb, 22:46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5, WED) #전체기사

'비만' 아드바크, 나스닥 IPO 추진.."배고픔 경로 타깃"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5

엑셀러린, ‘난항 끝에’ IL-17 항체 “어피바디에 반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92

셀트리온, '베바시주맙 시밀러' 유럽 처방1위 "기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2

화이자, 가속승인 'BRAF 저해제' 대장암 "PFS∙OS 개선"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91

뷰노, 작년 매출 259억..전년比 2배 “역대 최고실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7

셀비온, 머크와 ‘PSMA RPT+키트루다’ 임상협력 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8

암젠 또, 후속 비만 "1상 중단"..'월1회' 상반기 "첫 3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3

GC녹십자, 헌터증후군 ‘ICV 대체요법’ 국내 ODD 지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9

'212Pb-RPT' 어드밴셀, 시리즈C 1.12억弗..사노피 리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0

HLB파나진, 폐암 'ROS1 동반진단' 식약처 허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06

메디라마, 김명진 임상개발 전무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1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5, WED)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8:40


바이오노트는 이민구 씨티씨바이오 전 대표가 보유한 이 회사 주식 약 143만주(5.92%)를 약 143억원 규모로 취득했다고 밝혔습니다. 매수 가격은 주당 1만원으로 3일 씨티씨바이오의 종가(7300원) 대비 36.9%의 프리미엄이 더해졌습니다.

이로써 바이오노트는 특별관계자인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의 기존 지분을 포함해 씨티씨바이오 지분 14.62%을 확보했습니다. 거래 후 이민구 전 대표의 지분은 6.05%(146만3696주)가 됐습니다.

바이오노트 관계자는 "이번 지분 취득을 통해 바이오노트와 파마리서치가 협력해 씨티씨바이오의 경영 정상화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그동안의 씨티씨바이오 경영권 분쟁 이슈가 해소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양사가 함께 씨티씨바이오의 회복과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8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7:13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8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6:11


셀트리온(Celltrion)은 cMET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CT-P70’의 글로벌 임상1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네요.
셀트리온은 IND가 승인되면 올해 중반 CT-P70의 첫 환자 투여를 목표로 임상1상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에 IND를 신청한 CT-P70은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 2025)에서 발표한 후보물질 중 하나로, 셀트리온은 CT-P70을 포함해 올해 ADC 후보물질 3건, 다중항체 후보물질 1건 등 총 4건의 IND 제출을 목표로 한다고 소개한 바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3:28


더바이오 2월 3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06

●“글로벌 제약바이오딜, 아시아 비중 20% 돌파…中 ‘바이오 굴기’ 여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0

●국내 혈액제제 최초 美 진출 ‘알리글로’, 작년 첫선…GC녹십자 곳간 채울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46

●“영화 ‘아이언맨’ AI 비서 ‘자비스’처럼 제약바이오 관련 모든 질문 해결할 것”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49

●‘다케다 첫 여성 CEO’ 줄리 킴 누구…‘서울 태생’ 한국계 첫 글로벌 제약사 수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47

●트럼프 美정부 '관세 폭탄' 시작…K-헬스케어에 미칠 영향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48

●셀트리온, 'ADC' 후보 첫 임상 절차…‘CT-P70’ 1상 美 IND 신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2

●지아이이노베이션 "차세대 알레르기 치료 물질 'GI-301', 유럽 물질특허 등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1

●큐로셀, CAR-T ‘림카토’ 심평원 약제급여평가 신청 완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4

●박셀바이오, 진행성 췌장암 대상 NK세포치료제 물질 연구자임상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5

●한국화이자, 한국백신판매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프리베나20' 공동판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6

●한국 노보 '아위클리프리필드펜', 성인 당뇨 국내 허가…주1회 SC '기저 인슐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1

●휴메딕스, '히알루론산 필러' 3종 태국 품목허가 획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71

●HLB '리보세라닙', 간암 색전술 병용 치료서 무진행 생존기간 3배 연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2

●한국AZ, 亞 골수 부전 심포지엄서 EVH 증상 개선 '보이데야' 임상 가치 조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8

●HK이노엔, R&D 허브 ‘HK이노엔 스퀘어’ 공식 오픈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7

●보령, 다발골수종 치료제 '포말리킨'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3

●루닛, 美면역항암학회 SITC와 맞손…회원 전용 'AI 암치료 연구지원' 독점 제공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7

●동국생명과학, 공모가 9000원 확정…17일 코스닥 시장 상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3

●팜젠사이언스, 이뮤노포지와 1개월 지속형 비만 치료제 관련 기술이전 계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73

●동국제약, 세계 첫 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합친 전립선 비대증 개량신약 허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70

●Lunit Partners with SITC to Offer Exclusive AI-Powered Cancer Research Support to Members

●Huons Meditech Showcases at Arab Health 2025 in Dubai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2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1:46


휴메딕스는 최근 태국 식품의약품청(TFDA)으로부터 '히알루론산(HA) 필러' 제품 3종에 대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 품목허가를 받은 제품은 △엘라비에 프리미어 소프트-L △엘라비에 프리미어 딥라인-L △리볼라인 하라-L입니다. 이들 제품의 현지 유통·판매는 협력사인 '엠앤비타이(MnB Thai)'가 맡습니다.

엠앤비타이는 태국 병·의원 1500개 이상의 거래처를 보유하고 있는 에스테틱 분야 전문 유통업체입니다. 휴메딕스는 엠앤비타이와의 협업과 차별화된 영업·마케팅 전략을 통해 태국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휴메딕스에 따르면, '엘라비에 프리미어' 및 '리볼라인'은 회사의 고순도·고정제 히알루론산 생산 원천 기술을 적용한 국산 필러 브랜드입니다. 유럽약전(EP) 규격을 준수하며, 국내 원료의약품(DMF)에 등록된 '무균 의약품 원료'로서 주사제·점안제 등에 쓰이는 것과 동일한 원료를 사용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7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0:56


HLB(에이치엘비)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간동맥 화학색전술(TACE)'과 병용 투여한 결과 간세포암(HCC) 환자의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3배 이상 연장했다는 임상 결과를 '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ASCO GI 2025)'에서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난징 동남대 부속 중다종합병원의 텅 가오중 박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ASCO GI 2025에서 TACE 치료를 할 수 있는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TACE+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을 'TACE 단독요법'과 비교한 임상 결과를 구두 발표했습니다.

임상 결과에 따르면,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무진행 생존기간(mPFS)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는데 성공했습니다. TACE+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군은 mPFS가 11.0개월로, 대조군인 TACE 단독군의 3.2개월 대비 3배 이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습니다(HR=0.34, 95% CI=0.24-0.50, P<0.0001).

최근 수술을 통한 절제가 불가능한 간세포암 환자 중 색전술이 가능한 환자에서 TACE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 억제제,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이 새로운 치료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임상 결과는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는 게 회사의 평가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6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0:55


트럼프 2기 정부가 일찌감치 예고했던 '관세 폭탄'이 시작됐습니다. 그 시발점은 무엇이고, 다른 글로벌 기업들은 어떻게 등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앞으로 K-헬스케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

이번 주 이승우 상무의 <VC 인사이트> 코너 주제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4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0:38


의료 인공지능(AI) 개발기업 루닛이 세계 최대 규모의 면역항암 분야 학술단체인 '미국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이하 SITC)'와 손잡고 AI 기반 바이오마커 탐색 플랫폼을 글로벌 연구자들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합니다.

루닛과 SITC는 SITC 회원들을 대상으로 루닛의 AI 바이오마커 솔루션인 '루닛 스코프 IO(Lunit SCOPE IO)'를 한시적으로 무상 제공하는 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루닛 스코프 IO는 방대한 규모의 'H&E 슬라이드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한 AI 솔루션입니다.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예측의 주요 지표인 '종양침윤림프구(TIL)' 분포를 정밀하게 정량화하고, '종양미세환경(TME)'을 분석해 △면역활성(Inflamed) △면역제외(Immune-excluded) △면역결핍(Immune-desert) 등 3가지 면역표현형(IP)으로 분류합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SITC 회원 자격을 보유한 학술·비영리 연구기관 소속의 의사(MD) 또는 박사(PhD) 학위 소지 연구자라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책임자는 종양학·병리학·면역학 분야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연구 계획서와 책임자의 이력서를 바탕으로 한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됩니다. 지원 기간은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Feb, 00:2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28001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3:44


02/03 트럼프 관세 부과와 금융시장

트럼프가 펜타닐을 빌미로 1977년 발효된 국가 비상경제 권한법을 이용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 부과. 관련 법안은 전쟁 또는 국가 비상사태시기에 적용되는데 대통령이 자의적으로 조치가 가능하지만 의회에서 취소될 수 있음. 더불어 1962년 발효된 무역확대법 232조도 상무부가 대통령에 권고하고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지만 의회에서 이를 제한하는 법안이 있음.

특히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따르면 캐나다 국경을 통한 마약 단속 규모는 거의 없었고 멕시코도 관련한 강력한 조치를 현재 취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 실제 관세 행정명령 후 트럼프의 게시물 등에서는 펜타닐 관련 내용이 거의 없이 자동차, 목재, 그리고 보조금 등만 이야기 함. 결국 펜타닐을 이유로 진행된 관세 부과는 의회의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음. 그래서 주 초반 의회 행보를 지켜봐야 하는 이유이며 골드만삭스 등 일부 투자 회사들이 전망 하듯 이번 조치는 단기간에 끝날 수 있음을 보여줌

한편, 실제 발효는 2월 4일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은 아니지만 화요일까지 협상할 시간이 있음. 그럼에도 일단 시장에서는 즉각적인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데 외환 시장에서는 달러 인덱스가 109를 훌쩍 넘어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로화, 파운드화, 호주달러 등이 1% 내외 달러 대비 약세. 캐나다 달러는 1.4%, 멕시코 페소는 달러 대비 2%대 약세.

주식시장은 먼저 개장한 뉴질랜드와 호주는 1%대 하락 중이며 나스닥 100 시간외 선물이 3% 가까이 하락 중이며 S&P500 시간외 선물 또한 2% 가까이 하락 중. 암호화페 시장도 큰 폭의 하락을 보이고 있음. 비트코인이 4% 넘게 하락해 10만달러 미만으로, 이더리움도 12% 넘게 하락하는 등 대부분 큰 폭으로 하락.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3:41


중국의 기술이전 돌풍이 매섭습니다. 전세계 기술이전 '딜' 거래 사례를 AI로 분석한 결과 그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기술이전된 애셋(Asset, 신약 후보물질)의 개발기업이 속한 지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아시아 지역의 딜(Deal) 비중(이하 계약 규모 기준)이 2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중 80% 가까이가 중국에서 나왔습니다.

2014년 이전 세계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체결된 딜에서 0.28%에 불과했던 중국의 비중이 10년 만인 2024년에는 16.84%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중국만 놓고봐도 유럽 지역의 딜 비중 16.6%를 넘어선 규모입니다.

우리나라도 2014년 0.17%에서 작년 3.18%로 그 비중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AI 기반 제약바이오 인텔리전스 기업 바이오리서치에이아이 분석 자료
- 아시아 비중, 2014년 1.4%→2024년 21.9%…중국 비중, 0.28%→16.84%
- 한국의 경우, 0.17%→3.18%로 비중 확대…미국 비중 20%p 하락 불구 압도적 1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5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3:40


CAR-T 치료제 전문 기업 큐로셀(Curocell)은 CD19 CAR-T 치료제 후보물질 '림카토주(성분명 안발셀, anbal-cel)'의 건강보험 급여 등재를 위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 신청을 완료했습니다.

림카토는 또한 보건복지부의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에 선정돼 기존 절차보다 빠른 일정으로 허가검토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7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2:37


(2/3)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트럼프 관세 충격에 하락한 뉴욕증시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모두 하락 마감. 다우 지수 0.8% 하락.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결정이 시장에 대한 주요 불안 요인으로 작용.
- 딥시크의 AI 기술 발전이 시장 내 기술주와 AI 관련 주식에 큰 영향.

# Summary
미 증시는 하락세로 마감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월 1일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악화됨. 이로 인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75% 하락한 44,544.66에 거래를 마쳤고, S&P500 지수는 0.50% 내린 6,040.53을 기록. 나스닥 종합지수는 0.28% 떨어져 19,627.44로 장을 마감함.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도 0.86% 하락한 2,287.69로 마무리됨.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대로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재확인하면서 불안감을 증폭시킴. 이로 인해 국채금리와 달러 가치가 상승, 10년물 국채금리는 4.547%로 오르고 달러 인덱스는 108.48을 기록. 미국 주요 기술주에서는 애플이 0.67% 상승했으나, 엔비디아는 3.67% 하락하며 AI 시장 내 중국 '딥시크'의 영향이 여전히 반영되고 있음.
주요 경제지표로는 연방준비제도가 주목하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시장 예상에 부합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한 상황임. 이러한 경제적 불안 요소들로 인해 투자자들은 신중한 대응을 하고 있음. 다우, 나스닥, S&P500, 러셀2000 지수의 하락세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트럼프 관세 관련 뉴스는 향후 주식 시장 내 리스크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큼. (다우 -0.75%, 나스닥 -0.28%, S&P500 -0.50%, 러셀2000 -0.86%)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203065919517_3533

# 특징종목
데커스 아웃도어 (-20%)로, 이는 경기둔화 여파로 인한 실적 전망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급격한 주가 하락을 기록함. Hoka와 Ugg 제품의 판매 둔화가 주가 하락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함. 월그린 (-10%)도 주가 낙폭이 큰 가운데, 배당금 중단 발표가 시장에 충격을 주며 하락세를 지속함. 이는 회사가 구조 조정 일환으로 현금을 절약하려는 움직임 때문으로 분석됨. 반면 아틀라시안 (+15%)은 AI 부문에서의 성장과 2분기 실적 발표가 시장 예상을 상회한 것이 주가를 끌어올린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음. 애브비 (+4.7%) 또한 주요 의약품 매출 호조로 인한 긍정적인 실적 발표가 있었으며, 높은 배당 수익률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발했음. 아마존 (+1.3%)은 AWS 수익 증가와 AI 활용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음. 반면, Nvidia (-3.8%)는 기술주 전반의 변동성과 주가 과대평가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하락세를 보였고, 애플 (-0.7%)은 실적 부진과 AR 안경 프로젝트 중단 소식으로 하락을 면치 못함. 이러한 시장 반응은 각 기업의 최신 동향과 외부 경제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채권 시장에서는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약간 하락하며 4.54%를 기록, 이는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으며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을 강화한 결과임. 다른 주요국에서도 영국(4.54%), 독일(2.48%) 등 대부분 수익률이 소폭 변동하였음.
달러인덱스(DXY)는 108.51로 상승,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달러 강세가 주요 원인임. EUR/USD는 1.035로 하락하며 유로화 약세를 보였음.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가격이 0.97% 상승한 73.43 달러를 기록, 최근의 시장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수요 전망이 기여함. 금 가격은 0.15% 상승한 2800.30 달러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지속됨. 반면 천연가스 가격은 3.08로 1.12% 상승, 이례적인 추운 날씨가 수요를 높인 것으로 분석됨. 대체로 시장은 연준의 금리 정책과 미국 무역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런 동향은 글로벌 경제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2:36


(2/3)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4,544.66p (-337.47p, -0.75%)
- S&P500: 6,040.53p (-30.64p, -0.50%)
- NASDAQ: 19,627.44p (-54.31p, -0.28%)
- 러셀2000: 2,287.69p (-19.76p, -0.8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3.97 (-1.30, -2.35%)
- MSCI 이머징지수 ETF: $42.72 (-0.49, -1.13%)
- Eurex kospi 200: 330.55p (-1.95p, -0.59%)
- NDF 환율(1개월물): 1,456.05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015.85 (-14.68, -0.29%)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8.370 (+0.573, +0.53%)
- 유로/달러: 1.0234 (-0.0157, -1.51%)
- 달러/엔: 154.78 (+0.49, -0.3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1971% (-1.0bp)
- 10년물: 4.5387% (+2.2bp)
- 30년물: 4.7867% (+2.7bp)
- 10Y-2Y: 34.16bp (3.26bp 확대)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53 (-0.20, -0.27%)
- 브렌트유: 75.67 (-0.22, -0.29%)
- 금: 2,835.00 (-10.20, -0.36%)
- 은: 32.27 (-0.23, -0.70%)
- 구리: 427.90 (-2.85, -0.66%)
- 옥수수: 482.00 (-8.25, -1.68%)
- 밀: 559.50 (-7.00, -1.24%)
- 대두: 1,042.00 (-2.00, -0.1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2:36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2/3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AbbVie(ABBV.US): 24년 연간 매출액 $56.3bn(+ 5% YoY on CER) 및 조정 EPS $10.12(-9% YoY) 기록. Skyrizi와 Rinvoq의 고성장에 기반, 27년 합산 매출 전망을 $31bn 이상으로 상향 조정. 25년 EPS 가이던스 $12.12-12.32 제시. 29년까지 높은 한 자릿수 성장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 재확인.
https://han.gl/CHMpc

Biogen(BIIB.US): EU 규제 당국, Biogen-Eisai가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Leqembi의 안전성과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검토할 예정이며, 다음 달 회의를 통해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계획. 뇌부종 및 출혈 관련 부작용 위험과 관련해 기존 의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
https://han.gl/VrT8g

Novartis(NVS.US): 24년 연간 매출액 $50.3bn(+12% YoY on CER) 및 Core EPS $7.81(+24% YoY) 기록. Leqvio(+114%), Kesimpta(+49%), Kisqali(+49%) 등 주요 제품들의 호실적이 성장 요인으로 작용. 25년 가이던스 매출액 한 자릿수 중후반 및 핵심 영업이익 한 자릿수 후반~낮은 두 자릿수 성장 제시.
https://han.gl/tD7el

Novartis, 쇼그렌 증후군 치료제로 개발 중이던 항-CD40 항체 iscalimab의 개발 중단 발표. 현재까지 확보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익-위험 프로파일이 경쟁력 있는 치료제 요건에 부합하지 못했기 때문. 한편, 노바티스는 골관절염 치료제로 개발 중이던 LNA043의 개발도 중단되었다 언급.
https://han.gl/ORCpI

AstraZeneca(AZN.US): 영국 Speke 지역 백신 제조 공장에 대한 £450mn 규모의 투자 계획 철회. 이전 영국 정부에서 약속했던 지원금이 현 정부와의 협의 결과, £90mn에서 £40mn으로 줄어든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https://han.gl/g6CbE

Metsera, 공모가 $18 대비 $25.5에 거래를 시작하면서 나스닥 상장 첫날 주가 42% 상승. 강한 시장 반응을 보이며 $2.68bn의 기업 가치 기록. Metsera는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텍으로 이달 초 MET-097i 2a상에서 평균 -11.3%의 체중 감소를 기록했다 밝힌 바 있음.
https://han.gl/cVwrB

Vertex Pharmaceuticals, FDA로부터 경구용 비마약성(non-opioid) 진통제 Journavx 승인 획득. Journavx는 마약성 진통제의 중독 및 부작용을 극복한 최초의 치료제로, 이번 승인은 수술 후 통증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두 건의 3상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
https://han.gl/pR0of

Axsome Therapeutics, FDA로부터 편두통 치료제 Symbravo 승인 획득. Symbravo는 meloxicam과 rizatriptan 복합제로, 급성 편두통 통증을 완화하도록 설계. 다만, 처방 정보에는 심혈관 및 위장관 부작용 위험에 대한 박스 경고(Boxed Warning)가 포함.
https://han.gl/5nDBA

GE HealthCare, 아일랜드 Carrigtwohill의 fill-finish 공장에 $138mn을 투자해 27년 말까지 연간 조영제 생산량을 2,500만 도즈 추가할 계획. GE는 요오드 기반 조영제의 글로벌 수요가 고령화 및 만성 질환 증가로 인해 향후 10년 내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중.
https://han.gl/J01f2

<한국>
셀트리온(068270.KS):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 美 품목허가 승인
https://han.gl/JKjij

대웅제약(069620.KS):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사우디아라비아 출시
https://han.gl/SfL8v

HLB "캄렐리주맙 美 제조·품질관리 지적사항 보완 완료"
https://han.gl/tf17R

앱트뉴로사이언스-에이프로젠, 파킨스병 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
https://han.gl/pDzcK

바이넥스, 미국 FDA cGMP 승인 획득
https://han.gl/pudMo

인벤티지랩, CDMO 사업 본격화
https://han.gl/TPCgN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2:36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31, FRI) #전체기사

노보노, ‘후속 아밀린’ 36주 "체중 22%↓"..주가 반등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47

AZ '엔허투', HER2 "기준 더 낮춰" 'ultralow' 美허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49

셀트리온, 악템라 시밀러 '앱토즈마' "美 시판허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3

HLB, 中항서 '캄렐리주맙' CMC 지적사항 "보완 완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1

"업계 실패속" 비질, ‘저분자 TREM2’ AD 1상 "긍정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5

씨젠, 올해 책임경영∙도전과 혁신으로 “성과 창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4

노보노, GLP-1 ‘오젬픽’ 만성신장질환 “FDA도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1

다케다, 뇌전증 ‘CH24H 저해제’ 결국 "개발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6

머크, ‘윈리베어’ 초기 PAH 3상도 “히트, 조기종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9

버텍스, '비마약성' 진통제 美허가.."20년만의 新기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5

'비만' 멧세라, 2.89억弗 IPO 추진.."출범 9개월만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7

다케다 "12년만에" CEO 떠난다..후임에 '줄리 킴'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3

지노믹트리, ‘방광암진단’ 확증 'JAMA Oncology'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31, FRI)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2:35


[Spot/Tempus AI] 미국을 사로잡은 의료AI 기업 (feat. 루닛)

美 Stargate Project의 대표 헬스케어 수혜주로 주목받은 배경

[Event]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포함된 빅테크 CEO들은 AI 활용처로 바이오 언급. 비슷한 시기 전 하원 의장 펠로시의 Tempus AI 주식 콜 옵션 매입 뉴스도 공개, Tempus AI 시총 90억달러까지 상승

[기업 소개] 진단과 Data 사업 영위. 1)진단 사업부(3Q24 매출 1.2억 달러, GPM 48%)는 피어 Guardant Health, Natera 등과 유사. 2)Data 사업부(0.6억 달러, 77%) 통해 AI신약개발 위한 데이터 판매, 임상 최적화 서비스, AI 분석 등 제공해 피어와 차별화. 진단으로 확보한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활용해 AI 서비스 제공. 의료AI에 대한 높은 관심 속 아직 성과 도출을 기다리는 개별 AI신약개발사보다는 데이터를 통해 의료 AI산업을 지원하는 안정적인 Tempus AI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국면

[Takeaway] 미국의 의료AI 적극적인 활용은 바이든 정부 때부터 존재.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미국의 의료AI에 대한 일관된 방향성. 내부 모멘텀을 통해 기업가치 성장 기대되는 기업들 관심 권고

2025년 국내 의료AI 대장주로 여전히 루닛을 주목

국내 의료 AI 기업 중 대장주로 루닛 주목.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포함된 빅테크들은 이미 바이든 정부 당시 설립된 CancerX 멤버에 포함. 당시 첫 프로젝트에는 국내 기업 중에는 루닛만 선정

[관전 포인트] 루닛의 방향성은 Insight(영상진단) 매출(파트너사 → 미국 직판 확장)과 Scope(병리진단) 성과(Astrazeneca 본계약 및 암종 확장, 추가 빅파마 계약)에 달렸음. 중요한 단기 모멘텀은 Scope 성과, 이르면 AACR에서 연구 성과 발표 기대. 또한, 중장기로는 영상 및 조직 생검을 통한 병리 이미지 확보를 통해 멀티오믹스 바이오마커 차별화 포인트 구축 중. 4분기 주요주주 Guardant Health 지분 매각은 파트너사의 현금 확보 차원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ahf8k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2:11


데일리팜 모닝뉴스 02월 03일(월)
[Web발신]
[데일리팜 모닝뉴스 02월 03일(월)]

의원 진료과별 매출액을 지도로 검색하는 데일리팜맵-
대표님! 제약영업의 가이드맵을 영업본부와 꼭 공유하세요!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Event/dailyMap.html

1. 콜린알포 처방시장 6123억...이탈 확산에 판도 격변
http://m.dailypharm.com/News/320040

2. 해외약가 재평가 더 늦추나…"약가 사후관리 개선부터"
http://m.dailypharm.com/News/320041

3. 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전립선비대증 복합제 첫선
http://m.dailypharm.com/News/320037

4. 상장 릴레이·투자 활기...주목받는 해외 비만약 개발 기업들
http://m.dailypharm.com/News/320030

5. ROS1 표적항암제 '옥타이로', 국내 허가 임박
http://m.dailypharm.com/News/320042

6. 릭시아나 독주, 제네릭 약진...DOAC 시장 요동
http://m.dailypharm.com/News/320020


※ 팜리쿠르트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Mo/

※ 안드로이드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5lqs4b

※ 아이폰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tjceud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21:14


즐겨보는 채널인데 이번 멕시코, 캐나다 25%, 중국 10% 관세의 의미에 대해 잘 설명해 놓은 듯.
https://www.youtube.com/watch?v=mb4rwSSK2ZE&list=TLPQMDIwMjIwMjXeK2fc5Tmouw&index=3

요약하자면

-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의미: 펜타닐은 명목상의 이유고 실제 이유는 중국이 멕시코, 캐나다의 대 미국 0% 관세를 이용하여 중국산 제품의 수출 우회로로 이용해왔음.

- 멕시코, 캐나다는 25% 인데 왜 중국은 10%: 중국, 캐나다는 자유무역협정으로 그동안 관세 0% 였음. 따라서 이번 조치로 관세가 25% 가 된 것. 반면 중국은 이미 25%~100% 관세가 있었음. 여기에 추가로 10pp 를 붙여서 35~100%가 된 것.

- 멕시코, 캐나다 25%, 중국 35~100% 가 되면서 중국이 멕시코, 캐나다의 수출 우회로 이용 의미 퇴색.

- 관세가 물가에 영향 없을 것이다라는 트럼프의 자신감: 관세 부과로 멕시코 페소 가치가 절하되면 관세 부과 효과를 상쇄. 환율 효과로 미국의 대 멕시코 수출 감소 우려가 있으나 대체 불가 품목이라 가능성 낮음.

- 중국보다 우방을 더 강하게 때린 이유: 진짜 중요한 관세 정책은 4/20~30 경 나올 예정인 America First Trade Policy 무역정책 검토 보고서. 이 보고서가 나오기 전까지 우방도 예외가 아님을 중국과 EU에 과시하여 그전에 얻어낼 것을 얻어내겠다는 의도.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Feb, 06:08


https://v.daum.net/v/2025020214222485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8:11


다케다(Takeda)를 이끌어온 크리스토퍼 웨버(Christophe Weber) CEO가 12년 동안의 임기를 마치고 내년에 은퇴합니다. 그 후임으로 다케다 미국 사업부 사장을 맡고 있는 줄리 킴(Julie Kim)이 뒤를 잇게 됩니다.

웨버는 “지난 몇 년 동안 이사회와 승계 작업을 진행해왔다”며 “경제성장 전망과 내년 하반기부터 출시될 제품 등을 고려해, 지금이 후임자를 지목할 적절한 시점”이라고 말했습니다.

다케다는 변화의 시기에 서 있습니다. 다케다는 지난해 대대적인 인력과 R&D 구조조정을 시작했고, 올해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JPM 2025)에서는 오는 2030년에 최대 200억달러의 매출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하는 후기 신약 파이프라인 6건을 공개하면서, 상업화 회사로서의 변모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들 6개중 중 3개 에셋은 연내 임상3상 결과가 도출됩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6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3:3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15300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2:03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GLP-1 수용체 작용제(agonist)인 ‘오젬픽(Ozempic, 성분명: semaglutide)’이 만성신장질환(CKD)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지난달 동일한 적응증에 대해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은 이후 미국에서도 적응증 확대에 성공하게 됐습니다. 노보노디스크는 이번 승인을 통해 오젬픽이 GLP-1 계열 치료제 중에서 가장 넓은 적응증을 확보한 약물이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1:40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33713?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1:29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SGLT2 억제제인 '자디앙정(성분 엠파글리플로진) 10㎎'이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오는 2월부터 '박출률 보존 만성 심부전(HFpEF)' 환자 치료에 국민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고시에 따르면 심부전의 증상 및 징후가 있으면서 좌심실 박출률이 40%를 초과하는 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 중 △좌심실 이완기능 이상/좌심실 충만압의 증가(NT-proBNP≥125pg/㎖ 또는 BNP≥35pg/㎖)에 부합하는 심장 구조 또는 기능 이상의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12개월 이내 심부전 악화로 응급실을 방문했거나 입원한 경우 자디앙의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습니다.

앞서 자디앙은 지난해 2월부터 좌심실 박출률 40% 이하의 '박출률 감소 만성 심부전(HFrEF)' 환자의 치료에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됐습니다. 이번 고시를 통해 좌심실 박출률이 40%를 초과하는 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로 보험 급여 기준이 확대됨에 따라 국내 만성 심부전 환자는 심박출률에 상관없이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해 자디앙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2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1:22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5/01/24/000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Jan, 00:03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39603?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3:58


https://dealsite.co.kr/articles/13566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3:38


K-대표 톡신인 대웅제약의 ‘나보타’가 중동 진출을 본격화합니다. 대웅제약은 중동 최대 보툴리눔 톡신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 나보타를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대웅제약은 지난 24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Riyadh)의 페어몬트호텔(Fairmont Hotel)에서 론칭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약 300명의 현지 의료진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중동 지역의 핵심 오피니언 리더(Key Opinion Leader)인 하산 갈라다리(Hassan Galadari) 아랍에미리트 피부과 전문의가 연자로 나서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판도를 바꾸다(CHANGE THE GAME Prabotulinum Toxin)’를 주제로 현지 의료진에게 나보타의 글로벌 임상 결과와 시술 노하우를 공유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3:14


노보노디스크가 차세대 아밀린(amylin) 이중작용제 ‘아미크레틴(amycretin)’의 초기 임상에서 약물을 피하투여(SC)하자 36주차에서 최대 22%의 체중감량에 도달했다고 공개했습니다.

노보노디스크는 일단은 긍정적인 수치를 확보하는데 성공했으며, 이날 회사의 장중 주가는 최대 11%까지 급등하면서 간만에 분위기를 환기시켰네요. 노보노디스크가 주력하는 아밀린 접근법으로 가장 앞서가는 ‘카그리세마(CagriSema)’가 아밀린 작용제와 GLP-1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를 병용투여하는 방식인 것과 달리, 아미크레틴은 두 인자에 모두 작용하는 단일분자라는 점이 다릅니다.

다만 아밀린 접근법에 대한 첫 윤곽으로 지난해 12월 카그리세마의 비만 임상3상에서 체중감소가 회사의 목표치인 25%에 도달하지 못하면서, 기대감이 한층 꺾인 상태네요.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업계는 이번 아미크레틴의 임상 결과를 신중하게 바라보고 있고, 노보노디스크의 제한된 데이터 공개를 놓고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4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3:13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31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Merck(MRK.US): 이전 연구(ZENITH)에서 도출된 폐동맥 고혈압(PAH) 치료제 Winrevair의 긍정적 중간 결과에 따라 임상3상 HYPERION 시험도 조기 종료 결정. 이에 따라 등록 환자 약 300명 모두에게 Winrevair 치료를 제공할 예정. 한편, 머크는 Winrevair의 피크 세일즈를 $3bn으로 전망한 바 있음.
https://han.gl/rgCvB

Eli Lilly(LLY.US): 임상적 이점 부족에 따라 만성 신장 질환(CKD) 환자를 대상으로 한 volenrelaxin 임상2상 중단 결정. 해당 공지에는 심부전 연구에서도 이점이 없었다 언급되었음. 한편, 이번 중단 영향으로 동일한 기전의 후보물질인 TX45를 개발 중인 바이오텍 Tectonic 주가 폭락.
https://han.gl/vXs90

Tectonic Therapeutic, 릴리의 CKD 임상 중단 이후 PH-HFpEF 환자를 대상으로 한 TX45 임상1b상에서 긍정적인 중간 분석 결과 발표. 연구 결과, PCWP(폐모세혈관쐐기압) 17.9% 감소 및 CO(심박출량) 17.4% 증가. 현재 임상2상(APEX) 진행 중이며, 2H25 최종 데이터 발표 계획.
https://han.gl/J3BJq

Amgen(AMGN.US): 셀트리온과의 특허 소송에 대한 합의를 마쳤으며. 이를 통해 셀트리온은 6/1일부터 암젠의 골다공증 치료제 Prolia와 Xgeva(denosumab)의 바이오시밀러 미국 출시가 가능해졌음. 셀트리온은 23년 11월 FDA에 승인 신청을 제출한 상태.
https://han.gl/d8w6a

Biogen(BIIB.US): Biogen-Eisai의 Leqembi, FDA로부터 4주 1회 정맥주사(IV) 유지요법 승인. 기존에는 2주 1회 투여하는 초기 치료(18개월) 후에도 동일한 방식의 투여를 유지해야 했음. 한편, FDA는 Leqembi 피하주사(SC) 자동주사제 주 1회 유지요법에 대한 추가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PDUFA date 8/31).
https://han.gl/ZyClo

Roche(ROG.SW): 의약품 및 진단 부문의 성장세로 24년 연간 매출액 CHF 60.5bn (+7% YoY on CER) 및 핵심 영업이익 CHF 20.8bn(+14%), 핵심 EPS $18.80(+7%) 기록. 25년 가이던스 매출액 한 자릿수 중반 성장 및 핵심 EPS 한 자릿수 후반 성장 제시.
https://han.gl/0k6dw

Roche, Itovebi(inavolisib) 기반 치료법이 PIK3CA 변이 HR+/HER2- 유방암 환자에서 전체 생존율(OS) 개선을 보였다 발표. 이전에 발표된 Itovebi와 palbociclib 및 fulvestrant의 병용요법을 평가한 임상3상(INAVO120) 1차 분석 결과, 무진행 생존기간(PFS)이 2배 이상 연장되었음을 확인한 바 있음.
https://han.gl/l4XRi

AstraZeneca(AZN.US): FDA, HER2-low 또는 HER2-ultralow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최초의 HER2 표적 치료제로서 AZ-Daiichi Sankyo의 Enhertu 승인. 이번 승인은 DESTINY-Breast06 임상에 기반한 결정. 임상 결과, Enhertu는 화학요법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36% 감소시켰음.
https://han.gl/8Z0vY

Sanofi(SNY.US): 24년 연간 매출액 €41.1bn(+11% YoY on CER) 및 Business EPS €7.12(+4%) 기록하며 EPS 가이던스 초과 달성. Dupixent(€13bn) 호실적 및 Beyfortus(€1.7bn) 블록버스터 지위 확보 영향. 25년 가이던스 매출액 한 자릿수 중후반대 성장 및 EPS 두 자릿수 초반 성장 제시.
https://han.gl/Azz3h

Sanofi, 25년 €5bn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으며, 단기적으로 M&A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밝혔음. 이는 소비자 건강 부문(Opella) 지분 매각 추진 과정의 전략적 움직임으로 파악. Opella 지분 매각은 빠르면 2Q25 내 완료될 것으로 예상.
https://han.gl/PjwqN

Novo Nordisk(NOVO.DK): Ozempic, 만성 신장 질환 환자의 신장 기능 악화 및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용도로 FDA 승인 획득. 임상3상 결과, 신장 질환 악화 위험을 24%,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5% 감소시켰음. 이번 승인으로 Ozempic은 GLP-1 계열에서 가장 많은 적응증을 확보.
https://han.gl/3EtMx

Lonza, 24년 연간 매출액 CHF 6.6bn(-0.2% YoY on CER) 및 Core EBITDA CHF 1.9bn 기록. 론자는 One Lonza 전략을 도입해 Capsules&Health Ingredients(CHI)에서 철수하고 CDMO 전문 기업으로 전환할 계획. 25년 가이던스 CDMO +20% 및 CHI 한 자릿수 초중반대 성장 제시.
https://han.gl/tyhUh

Lantheus Holdings, 방사성 의약품 기업 Evergreen Theragnostics를 최대 $1bn(업프론트 $250mn 및 마일스톤 최대 752.5mn) 규모로 인수하기로 합의. Lantheus는 이번 인수를 통해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RLT) 제조 인프라를 내재화하고 Octevy 등 파이프라인을 확보할 계획. 2H25 거래 완료 예상.
https://han.gl/c42MQ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2:53


미국 바이오기업인 아케로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cs)는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신약 후보물질인 ‘에프룩시페르민(Efruxifermin)’이 간경변(F4, 간 섬유화의 진행 단계를 나타내는 등급) 동반 MASH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2b상(SYMMETRY)’에서 위약 대비 24%의 ‘간 섬유화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F4는 간경변증을 동반한 가장 심각한 섬유화 단계를 의미합니다.

이번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27일(이하 현지시간) 아케로 종가는 전영업일(24일) 종가인 26.18달러(약 3만7919원) 대비 약 97.5% 증가한 51.71달러(약 7만4897원)로 장을 마쳤습니다.

이번 임상 결과 발표는 지난 2023년 10월 동일한 임상2b상에서 1차 평가변수 달성에 실패한 지 약 1년 3개월 만입니다. 해당 임상의 1차 평가변수는 36주차에 MASH 악화 없이 섬유화가 한 단계 이상 개선된 환자 비율이었습니다. 아케로가 이번에 공개한 임상2b상 톱라인(Top line) 결과는 96주 동안의 연구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0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2:52


바이오젠(Biogen)은 에자이(Esiai)와 함께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신약인 ‘레켐비(Leqembi, 성분 레카네맙)’의 4주 유지요법(월 1회 유지요법)에 대해 FDA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4월 적응증 추가를 위한 ‘보충적 생물학적 제제 허가 신청(sBLA)’을 제출한 지 약 8개월 만입니다.

FDA는 지난 2023년 ‘2주 간격 유지요법’으로 레켐비를 처음 승인했는데요. 국내에서는 동일한 적응증으로 지난해 5월 허가받았습니다.

- 18개월간 2주 투여 후 전환…모델링 결과 전환 이후 임상적 효과 유지될 것으로 예측

- 올 8월 ‘레켐비SC’ 오토인젝터 자가투여 주사제 주 1회 유지요법 승인 결과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0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2:51


아스트라제네카(AZ)는 일본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와 함께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인 ‘엔허투(Enhertu, 성분 트라스트주맙 데룩스테칸)’가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HER2) 저발현 및 초저발현 유방암을 적응증으로 FDA로부터 확대 승인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초 엔허투가 ‘우선심사(priority review)’로 접수된 지 약 4개월 만입니다.

이번 승인으로 엔허투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HER2 저발현 및 초저발현 전이성 유방암 환자 치료를 위해 미국에서 승인된 ‘첫 번째’ HER2 표적치료제가 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0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2:50


미국 멧세라(Metsera)는 최근 약 2억8900만달러(약 4200억원)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중국 어센티지파마(Ascentage Pharma)에 이은 올해 두 번째의 나스닥 IPO 추진 사례입니다. 멧세라는 불과 2달 전인 지난해 11월 시리즈 B 투자 유치를 통해 약 2억1500만달러(약 3100억원)를 조달한 바 있습니다.

멧세라는 이번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MET-097i의 임상3상에 투입할 예정입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제출 자료에 따르면, 멧세라는 총 1718만7500주를 주당 15~17달러에 공모할 계획입니다. 나스닥 상장 후에는 ‘MTSR’이라는 종목코드로 거래될 예정입니다.

멧세라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RA) 기반의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인 ‘MET-097i(개발코드명)’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MET-097i는 피하주사(SC) 제형의 신약 후보물질로, 비만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2a상에서 12주 동안 최대 11.3%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인 바 있습니다.

또 MET-097i의 용량을 2배 또는 4배로 증량해 ‘월 1회 투여’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환자의 내약성도 양호했습니다. 멧세라는 올해 월 1회 투여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새로운 임상 연구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1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2:50


셀트리온은 악템라 바이오시밀러인 '앱토즈마(Avtozma, CT-P47, 성분 토실리주맙)'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최종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1월 26일 허가 신청한지 약 1년 만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1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Jan, 22:07


1/30 목요일
- 기업 실적 발표에 힘입어 3대 지수 + 러셀 2000 상승.
- 전 섹터 상승. 마소 $MSFT, 메타 $META, 테슬라 $TSLA, IBM $IBM, 램리서치 $LRCX, 셀레스티카 $CLS 등 AI 관련 기업들 실적 발표 후 AI 인프라에 대한 기대감 회복되며 AI 관련주/업종 엔비디아 $NVDA 제외 크게 상승. 특히 금리 하락의 겹호재를 맞은 원전 관련주/유틸리티 섹터 초강세. 금리 하락에 러셀 2000 강세.
- 장마감 직전 트럼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 부과 위협 발언하며 나스닥과 다우 지수가 잠시 하락 반전하는 등 장중 변동성 야기.
- 10년물 금리 세션 최저 4.484% 까지 하락하며 4.5% 주변에서 안정화. 그러나 달러지수는 장막판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상승 반전.
- 실적발표한 애플 $AAPL 애프터마켓에서 약보합. 컨퍼런스콜 이후 방향성이 나올 듯.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2:00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31445?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1:58


[오늘의 HIT_1월 24일 금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오늘만 지나면 긴 연휴입니다 ㅎㅎ 즐거운 명절 보내시고,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펠루비프로펜, 1위 진통제 재탈환… 약가가 서운한 아세트아미노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39

💊 'JAK억제제' 잇따른 급여확대 기회 생겨 매출 성장도 기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38

🗣 "무분별한 비대면진료? 플랫폼과 함께 의약사 직업윤리 문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42

🧬 ADC 강자 리가켐, 빅파마와 딜 지속할 올해 전략 뜯어보니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41

🏢 간암 효과 면역항암제, '양성자방사선치료' 병합 연구 돌입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33

📈 [투자리포트] 삼성바이오 고성장 유지… 목표가 120~135만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47

👨‍💼 [경력채용] 대웅제약, 삼일제약, 유한건강생활, 삼천당, 보로노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45

🖱 [HIT알공] 온코닉, '자큐보정' 위궤양 적응증 확대 신청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36

🍀 정부, 좌초 위기 '국가바이오위원회' 살려냈다…23일 정식출범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32

🍀 설 당일 문 여는 의료기관 공휴가산 확대...병원 9천원-약국 3천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23

🍀 한국휴텍스제약, GMP 적합판정 취소 소송 1라운드 패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26

🍀 건보공단, 직장가입자 부담 경감 위해 연말정산 자동처리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20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1:58


더바이오 1월 24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04

●비만 치료제 시장 ‘양대 산맥’ 릴리와 노보, 작년 한 해 시총 변화서 희비 엇갈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3

●MSD·켈룬 ‘TROP2’ 표적 ADC ‘Sac-TMT’, 길리어드 ‘트로델비’와 中 격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2

●아리반트, 1.7조원에 차세대 ADC 'MRG007' 도입…위장관 암 치료 박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6

●에이비엘바이오 "사노피 딜보다 클 것, 본계약 가까워져"…'BBB 셔틀'·'치매'가 단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0

●젠큐릭스, 지난해 매출 51억원, 97.4% 성장…"관리종목 리스크 해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0

●[JP모건] 샤페론, 빅파마들과 차세대 아토피 치료제 기술이전 논의 '본격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5

●지씨씨엘, 큐어버스와 알츠하이머병 신약 개발 위한 임상시험 협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9

●온코닉테라퓨틱스, P-CAB 신약 ‘자큐보정’ 위궤양 국내 임상3상 성공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1

●수젠텍,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 진단 키트 멕시코서 허가…"글로벌 공급 확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3

●노을, 아세안 최대 규모 시장 태국서 AI 의료기기 인허가 획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4

●뉴로핏, 중동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 아랍헬스 2025 참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2

●디엑스앤브이엑스, 원형·선형 mRNA 항암백신 후보물질 국내 특허 출원 완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8

●유한양행, 바이엘코리아와 ‘비판텐®연고’, ’카네스텐®’ 국내공급 계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5

●엘앤씨바이오, 중국 이어 미국 시장 공략 가속화…美 합작법인 설립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7

●시지바이오, 인도네시아 최고 국립대학과 의료기기 연구개발 산학 협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4

●[시가총액 모니터] 바이오 특례상장 기업 '톱 50'(1월 23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1

●신테카바이오, 데이터센터 운영·임대업·AI 등 사업 목적 추가…'IDC 사업' 확대 가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기증성소화불량증 약 임상3상 중단…"목표 약가 획득 어려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8

●노보, 美 임벤션과 BACH1 표적 '겸상 적혈구 질환' 경구 치료제 개발 협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3

●사노피, CD38 표적 '사클리사' 유럽서 다발골수종 1차 치료 승인 획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2

●GenBody inks deal to supply combined AIDS and syphilis diagnostic kits to Brazilian public institution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4

●AbClon presents clinical trial results of 'AC101' combination for HER2-positive esophageal cancer at ASCO GI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5

●Samsung Biologics achieves record sales of KRW 4.5 trillion in 2024, eyes KRW 5.5 trillion in 2025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61

●Lunit and Japan's National Cancer Center Publish Study on Predicting Treatment Outcomes for HER2-Positive Colorectal Cancer in ASCO Journal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4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1:5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4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1:57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1:54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29593?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 Jan, 00:08


국산 37호 신약인 ‘자큐보정’이 지난해 4월 신약 허가를 받은 지 1년도 안 돼 또 하나의 임상3상에 성공하며 적응증 추가에 나섰습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P-CAB 기전의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신약인 ‘자큐보정(성분 자스타프라잔)’에 위궤양을 적응증을 추가하는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장 전 신약 허가와 출시를 통한 자체 매출과 수익을 확보한 유일한 바이오기업인 소위 ‘돈 버는 바이오’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자큐보정의 두 번째 적응증인 위궤양 임상3상에 성공하며 신규 적응증 추가를 위한 허가 절차에 돌입했다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이는 지난해 4월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으로 허가 받은지 9개월, 10월 국내 출시 후 불과 약 3개월여 만에 적응증 추가에 나선 것으로, 자체 신약 기술력을 기반으로 빠른 상업화 성과를 입증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회사는 덧붙였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8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3:36


인체조직 재생의학 전문기업인 엘앤씨바이오가 중국에 이어 미국 시장 진출도 본격화합니다. 이를 위해 미국 현지에 합작법인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엘앤씨바이오는 최근 자사의 피부조직 이식재인 ‘메가덤플러스(MegaDerm Plus)’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성공적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미국 시장 진출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재생의학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현지화 전략과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로 성장을 본격화한다는 구상입니다.

중국의 엘앤씨차이나가 시장에 진출한 모델을 적용해 미국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고,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위한 GMP 시설을 구축하는 등 생산 기반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또 미국의 주요 의료기관 및 의사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임상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등 현지 시장에 빠르게 적응할 계획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5


(1/24)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트럼프의 금리 인하 발언에 시장 활기, AI 관련주 상승

# Key Takeaways
- 미국 주요 주가지수 모두 오름세, 다우지수 0.9% 상승
-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에 시장 긍정적 반응
- AI 관련주 강세, 넷플릭스 최고가 기록

# Summary
미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 발언과 AI 인프라 투자 소식에 따라 주요 지수들이 상승세로 거래를 마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92% 오르며 44,565.07에 마감했고, S&P 500 지수는 0.53%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갱신한 6,118.71에 장을 마쳤음. 나스닥 종합지수도 20,053.68로 0.22% 오름세를 보임.
이러한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완화 정책에 대한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에 기인함. 그의 금리 인하 요구는 또한 노동시장의 압박을 해소하고 주식 시장을 부양할 가능성을 키움. 특히, 넷플릭스는 신규 구독자 증가와 요금 인상에 힘입어 23년 만의 최고가를 기록하며 주식을 뒷받침했음.
반면, 전날 발표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3,000건으로 예상을 소폭 넘었으나, 시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경제지표 발표 후에도 연준의 긴축 정책 기조 불확실성은 실업 증가 우려를 상쇄시킴.
한편, 국제유가는 트럼프의 사우디와 OPEC에 유가 인하 압박 발언으로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음. 글로벌 증시는 AI 투자에 대한 높은 기대 속에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관련주들이 이에 힘입어 강세를 지속함. 트럼프 행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지속적으로 시장을 지지할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음. (다우 +0.92%, 나스닥 +0.22%, S&P500 +0.53%, 러셀2000 +0.47%)

# 특징종목
American Airlines(-8.7%)는 오늘 예상보다 저조한 1분기 실적을 경고하며 주가가 급락함. 이는 회사의 실적이 투자자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시장 전반에 충격을 주었음. Nvidia(+0.1%)는 SK하이닉스의 경고 이후 반도체 주식 전반의 하락세와 AI 수요 전망의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주가가 소폭 하락함. 이는 그동안 AI 칩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던 Nvidia에도 시장의 불확실성이 확산되고 있다는 신호로 판단됨. Alphabet(-0.2%)와 Apple(-0.1%) 모두 Epic Games가 자체 앱 마켓에서 타사 게임을 출시하기 시작하면서 증가한 경쟁 압력에 따른 여파로 주가가 하락함.
Epic Games의 행보는 이 두 기업의 기존 앱 생태계를 위협하며 경쟁 구도를 심화시키고 있음. Microsoft(+0.1%)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AI 및 사이버 보안 훈련을 진행하며 향후 2026년까지 100만명을 교육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애널리스트들의 기대감을 크게 넘어서지 못하여 주가가 소폭 하락함. 각 기업들의 주가 변동은 현재 시장 내 불안 요소와 맞물리며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65%로 상승하며 시장 참여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발표와 미 연준의 대응 가능성을 주시함에 따라 근래 최저치에서 반등함.
달러인덱스는 트럼프의 정책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108.12로 약세를 보였음. 주요
외환 시장에서는 유로가 달러 대비 1.04, 영국 파운드가 1.24를 기록하면서 각각 0.06%, 0.32% 상승했으며, 일본 엔은 155.98으로 하락함. WTI 원유 가격은 하루 동안 0.2% 하락한 74.15달러로, 트럼프 대통령의 유가 인하 촉구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보였음.
천연가스는 3.94로 0.43% 하락하였고, 금값은 2,752.95달러로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함. 전체적으로 에너지 및 금속 상품은 혼조세를 보이며, 구리가 4.30으로 0.65% 상승한 반면, 은은 30.44으로 1.06% 하락함. 이는 국제 정책 불확실성과 시장의 기대 변동성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5


(1/24)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4,565.07p (+408.34p, +0.92%)
- S&P500: 6,118.71p (+32.34p, +0.53%)
- NASDAQ: 20,053.68p (+44.34p, +0.22%)
- 러셀2000: 2,314.60p (+10.88p, +0.4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5.67 (-0.44, -0.78%)
- MSCI 이머징지수 ETF: $42.67 (+0.10, +0.23%)
- Eurex kospi 200: 334.90p (+0.90p, +0.27%)
- NDF 환율(1개월물): 1,434.55원 / 전일 대비 0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444.69 (-24.60, -0.45%)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8.124 (-0.043, -0.04%)
- 유로/달러: 1.0416 (+0.0007, +0.07%)
- 달러/엔: 156.06 (-0.47, +0.3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890% (-0.9bp)
- 10년물: 4.6436% (+3.3bp)
- 30년물: 4.8702% (+4.6bp)
- 10Y-2Y: 35.46bp (4.12bp 확대)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4.62 (-1.21, -1.60%)
- 브렌트유: 78.29 (-1.16, -1.47%)
- 금: 2,765.00 (-9.80, -0.35%)
- 은: 30.84 (-0.59, -1.86%)
- 구리: 432.85 (+2.60, +0.60%)
- 옥수수: 489.75 (+5.00, +1.03%)
- 밀: 554.00 (+0.50, +0.09%)
- 대두: 1,065.50 (+8.00, +0.7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5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3, THU) #전체기사

모더나, 美정부서 '조류독감 백신' 임상 5.9억弗 펀딩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4

"CF 베팅" 시오나, 1억弗 IPO 추진..'NBD1 타깃' 1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05

루닛-日국립암센터, 'HER2+ 대장암' 치료효과 예측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2

셀트리온, '스텔라라 시밀러' 유럽 주요 5개국 출시 완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4

삼성바이오에피스, 작년 매출 1.54조..”역대 최대실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8

펩트론, 1개월 세마글루타이드 "호주특허 취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9

OS테라피, 'HER2 타깃' 암백신 골육종 2상 "EFS 개선"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3

헨리우스, 앱클론 'HER2 병용' 2상 "최신결과 업데이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1

프리클리나, 스위스 abc biopply와 전략적 파트너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2

‘다케다 파트너’ 中어센티지, 1.49억弗 "나스닥 IPO" 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3,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5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24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Johnson&Johnson(JNJ.US): 계열사 Janssen, 항체 양성 성인 중증 근무력증(gMG) 환자를 대상으로 한 nipocalimab 임상3상 연구 결과 발표. Vivacity-MG3 연구 결과, nipocalimab은 24주 동안 질병 조절 효과를 입증했으며, IgG 및 자가항체 수치를 최대 75% 감소시켰음. FDA는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선 심사를 부여.
https://han.gl/wSzNS

AbbVie(ABBV.US): Neomorph의 분자 접착제 발견 플랫폼과 협력해 종양학 및 면역학 타깃을 대상으로 한 신규 분자 접착제 분해제를 개발할 예정. 이번 계약에 따라 Neomorph는 업프론트를 수령하고, 최대 $1.64bn 규모의 옵션 수수료 및 마일스톤을 지급받을 수 있음.
https://han.gl/oQ4Ye

Biogen(BIIB.US): 척수성 근위축증(SMA) 치료제 Nusinersen의 고용량 요법에 대해 FDA가 추가 신약 신청(sNDA)을 승인하고, 유럽의약청(EMA)이 검증 절차를 완료했다 발표. DEVOTE 연구 결과에 따르면 Nusinersen 고용량 요법은 기존 12mg 요법과 유사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였음.
https://han.gl/jl9Xv

AstraZeneca(AZN.US): 캐나다에서 $570mn을 투자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며, 캐나다 정부의 Invest Ontario 프로그램을 통해 약 $11mn의 지원금을 받았다 발표. 이번 투자에는 토론토 지역 내 시설 이전 계획도 포함. 23년 이후 AZ는 캐나다에서 $1.11bn 이상을 투자해온 바 있음.
https://han.gl/jCUql

FDA, Teva의 Copaxone을 포함한 일부 다발성경화증(MS) 치료제 사용과 관련해 드물지만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며, 이에 대해 가장 강력한 경고인 박스 경고(boxed warning)를 추가. FDA는 96년부터 24년까지 해당 약물 사용과 관련된 전 세계 82건의 사례를 확인.
https://han.gl/JUiTK

Purdue Pharma와 소유주 Sackler 가문이 진통제 OxyContin이 미국에서 오피오이드 중독 위기를 초래했다는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7.4bn 규모의 새로운 합의안 발표. 이번 합의에 따라 Purdue는 $900mn, Sackler 가문은 $6.5bn을 지급하며, 피해자들은 개별적으로 소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했음.
https://han.gl/0qv0C

CDMO Joinn Biologics, 지난 주말 Lonza의 중국 제조 시설 인수를 완료했다 발표. 이번 거래는 Lonza가 해당 공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으로, 인수 관련 계약 조건은 미공개. 한편, Lonza는 일부 시설을 폐쇄하는 동시에 전 세계 생산 역량을 확장 중.
https://han.gl/9AH6x

<한국>
셀트리온(068270.KS): 셀트리온, 유럽 5개국서 스텔라라 시밀러 시장 본격 공략
https://han.gl/m8Nxa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KS): SK바이오사이언스·사노피 "RSV·A형 간염 백신 공동판매"
https://han.gl/199Qq

GC녹십자웰빙 "태반주사제 '라이넥주', 어깨통증 완화 등 효과 확인"
https://han.gl/RM98e

앱클론 “AC101, HER2 양성 위식도암 생존률 향상…1차 치료제 기대감 고조”
https://han.gl/OM2B2

펩트론 "semaglutide 한달 지속형 비만, 호주서 특허 취득"
https://han.gl/Ldsbi

비보존, 경구용 비마약성 진통제 'VVZ-2471' 中 특허 등록
https://han.gl/frlUN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4


글로벌 빅파마들의 지난 한 해 성적은 어땠을까요. 글로벌 빅파마 각사의 실적이 아닌 이들이 시장에서 평가받는 기업가치로 비교해 살펴봤습니다.

비만 치료제로 작년 한 해를 뜨겁게 달궜던 일라이릴리(Eli Lilly)가 가장 큰 폭으로 시가총액(이하 시총)이 상승하며 대세임을 입증했습니다. 릴리는 시총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릴리와 양대 산맥을 구축하고 있는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는 비만 신약 후보물질이 임상3상에서 실패하면서 시총이 15% 넘게 하락하며 체면을 구겼습니다.

<더바이오>가 지난해 글로벌 제약기업들의 시총(2024년 12월 28일 기준) 변화를 조사한 결과, 상위 20개 제약사 중 15곳의 시총이 감소한 반면, 5개사는 기업가치가 상승하면서 눈에 띄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구체적인 시가총액 순위와 변화율을 살펴봤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7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3


https://v.daum.net/v/2025012406481198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2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는 0.78% 하락했지만, MSCI 신흥지수 ETF는 0.23%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45% 하락한 가운데 러셀2000지수는 0.47%, 다우 운송지수는 0.51% 상승. KOSPI 야간 선물은 0.27% 상승.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37.3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 시장에서는 1,433.7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34.50원을 기록


*FICC: 달러 약세

국제유가는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출발했으나 트럼프가 OPEC에 가격 인하를 촉구하고, 관세 부과로 인한 경기 위축 가능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하락 전환. 여기에 미 에너지 정보청이 지난 주 원유재고가 200만 배럴 감소에서 예상보다 큰 100만 배럴 감소로 발표됐지만 영향은 제한. 미국 천연가스는 보합권 등락, 유럽 천연가스는 상승

달러화는 트럼프가 다보스 포럼에서 공격적인 관세 부과 언급이 없었다는 점에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 특히 중국과의 관계 개선, 대 EU 관세 언급 없었다는 점을 반영하며 역외 위안화, 유로화가 강세를 보인 점이 달러 약세 영향. 여기에 엔화가 금리인상을 앞두고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점도 달러 약세 요인 중 하나. 역외 위안화는 트럼프 발언 후 달러 대비 강세로 전환 후 보합권 등락.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은 달러 대비 강세.

국채 금리는 뱅가드가 1분기 채권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인플레이션 진전이 정체될 것이라고 발표하자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 특히 트럼프 정책이 결국 인플레 우려를 자극하게 만들어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내용도 부담. 블랙록도 미국 장기채 약세를 전망한 가운데 핌코도 인플레가 약간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해 금리 상승에 기여. 다만, 단기물의 경우 하락하며 혼조 양상.

금은 달러 약세에도 금리 상승 여파로 부진. 구리 및 비철금속은 중국 정부의 부양정책 등에 기대 상승. 농작물은 건조한 남미의 날씨로 작황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소식에 전해지자 상승. 다만, 관세 이슈가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며 상승은 제한.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Jan, 22:42


*특징 종목: 대형 기술주 장 마감 직전 상승 전환, 낙폭 축소

엔비디아(+0.10%)는 SK하이닉스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스마트폰 수요 부진과 AI 지출의 잠재적 둔화를 경고한 여파로 하락 출발. 그러나 장 마감 직전 AI관련 행정명령 소식과 옵션 수급에 결국 상승 전환 성공. ARM(-7.43%), 마이크론(-4.02%), 브로드컴(-0.26%), AMAT(-2.46%), 램리서치(-2.43%), ASML(-2.67%)등은 SK하이닉스 여파로 부진. 퀄컴(+2.42%)은 삼성전자의 갤럭시S25 스마트폰에 칩을 탑재하고 있다는 점과 법인세 인하 기대로 상승. 이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 넘게 하락하다 결국 0.45% 하락으로 마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1.81%)은 장 마감 후 기대 매출 부진 여파로 시간 외 5% 하락. 이에 반도체 관련주가 대부분 시간 외 하락 중.

테슬라(-0.66%)는 IRA 폐지 가능성이 부각되며 하락. 여기에 캐나다 지역에 대한 가격 인상이 결국 수요 둔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부담, 더불어 비록 반유대주의 활동가들의 모임 중 하나가 나치 경례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독일 극우 정당을 지지한다는 최근 발언과 이스라엘 언론 등에서 나치 경례를 묘사하고 있다는 보도 등이 부담. 유럽에서의 보이콧 이슈가 부각된 데 이어 관련 행동에 독일 공장에서 대규모 시위 가능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추정. 과거 테슬라 공장 화재로 생산 중단 사례가 있었기 때문

MS(+0.11%)는 전일 큰 폭 상승 후 모건스탠리가 자본지출, GenAI 수익화 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며 목표주가를 소폭 하향 조정했지만 상승 전환. 애플(-0.08%)은 웨드부시가 중국 우려등은 과도하다고 언급했지만 하락. 영국이 구글과 애플의 모바일 생태계 관련 조사 소식도 영향. 알파벳(-0.22%)은 장중 에픽 게임즈가 타사 게임을 자사의 마켓플레이스에 추가함으로써 앱 스토어 수수료를 놓고 애플과 구글과 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소식에 하락 전환. 아마존(+0.17%)도 부진. 메타(+2.08%)는 웨드부시와 BOA가 목표주가 상향 조정에 상승. 다만, 대형 기술주는 장 마감 직전 옵션 수급에 힘입어 낙폭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하는 등 수급 요인이 영향

케터필라(+2.21%)는 상승 요인이 불확실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트럼프의 AI를 위한 발전소 건설 승인과 법인세 인하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 이에 디어(+3.26%)도 상승하는 등 기계 업종의 강세가 뚜렷. 트럼프의 관련 발언은 비스트라(+2.69%), 컨스텔레이션(+4.14%), GE버노바(+2.48%) 등이 전일에 이어 상승 지속. 여기에 에너지 정책 발언에 기대 파이프라인 업종의 강세가 뚜렷했는데 필립스66(+3.43%), 매러선 페트로이엄(+4.54%), 발레로 에너지(+4.17%) 등이 상승. 프리포트-맥모란(-1.51%)는 이익은 예상을 상회했지만, 매출이 예상보다 부진하자 하락.

엘리벤스(+2.72%)는 더 높은 보험료와 약국 보험 부문 성장 등으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자 상승. 유나이티드헬스(+1.93%), 시그나(+2.06%) 등도 동반 상승. 알래스카 에어라인(+2.15%)는 양호한 실적에 강세를 보인 반면, 아메리칸 에어라인(-8.74%)는 비용 증가로 다음 분기 손실이 예상보다 클 수 있다고 언급하자 큰 폭 하락. 이에 역대 최고 실적을 발표한 유나이티드 에어라인(-4.60%)도 상승 출발 후 하락. 부킹홀딩스(+4.31%)과 익스피디아(+1.87%), 도어대시(+3.07%)는 장중에 OpenAI가 용자의 항공편 예약, 음식 주문에 도움이 되는 AI 에이전트 출시하자 상승. 이를 통해 예약 증가 기대를 높인데 따른 것으로 추정. 우버(+0.71%), 리프트(+1.34%)도 상승

알코아(-3.69%)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에도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하면 경쟁력 둔화 가능성을 언급하자 하락. 유니온퍼시픽(+5.20%)은 견고한 실적과 향후 3년 동안 EPS 증가 언급, 그리고 트럼프의 철도 부문 규제 완화 주장에 상승. CSX(+1.29%), 노폭 사우스런(+1.70%) 등 여타 철도 관련주도 동반 강세. 게임업체인 EA(-16.70%)는 부진한 실적과 다음분기 기대 매출과 연간 전망을 하향 조정한 여파로 큰 폭으로 하락. CACI 인터내셔널(-9.35%)은 견조한 실적에도 정부효율성 부서가 향후 방위 IT 관련 기업들에 대한 비용 절감할 수 있다고 CEO가 언급하자 하락. 레이도스(-7.57%), 보츠 알렌(-4.80%), 사이언스 애플리케이션(-7.67%)도 동반 하락.

GE에어로스페이스(+6.60%)는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발표하자 큰 폭으로 상승. 특히 LEAP 엔진 납품이 15%~20% 증가할 것으로 전망. 관련 엔진은 보잉737맥스와 에어버스 A321에 들어간다는 점에서 보잉(+2.12%)과 유럽 시장에서 에어버스(+0.92%)도 강세. 보잉은 항공기 인도량 둔화로 하락 출발했지만, 관련 소식에 상승. 아이온큐(-1.64%), 리게티 컴퓨팅(-3.16%), 디웨이브 퀀텀(-3.52%) 등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은 특별한 변화 요인이 없는 가운데 수급적인 요인을 반영하며 하락 지속. AST스페이스모바일(-11.96%)은 4억 달러 규모의 전환사채 발행 소식에 큰 폭 하락. 인튜이비브 머신(-1.25%) 등 여타 우주개발 업종도 부진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8:39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162234476320102718&page=2&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7:3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07683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4:37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170922417160106439&page=2&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4:19


고용량 '위고비(Wegovy, 성분 세마글루타이드)'가 기존 위고비보다 더욱 큰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습니다.

노보는 최근 글로벌 임상3상(STEP UP)에서 피하 세마글루타이드 7.2㎎이 기존 세마글루타이드 2.4㎎ 및 위약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 1차 평가변수를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STEP UP은 비당뇨성 비만 성인 1407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임상인데요.

세마글루타이드 7.2㎎ 투여군은 평균 초기 체중 113㎏에서 72주 후 체중이 평균 20.7% 감소하며, 체중 17.5%를 줄인 세마글루타이드 2.4㎎ 군과 2.4% 감소에 그친 위약 군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마틴 홀스트 레인지(Martin Holst Lange) 노보 개발 담당 부사장은 "7.2㎎ 용량의 세마글루타이드가 20.7%에 달하는 놀라운 체중 감소 효과를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33%의 환자가 25% 이상의 체중 감소를 경험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4:19


더바이오 1월 20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00

●'고속 성장' 오스템임플란트, 4년새 부채비율 400%→200% '뚝'…비결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0

●노보, '고용량' 위고비, 3상서 체중 20.7% 감소…기존 위고비 대비 3.2%p 향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3

●[JP모건] ‘설립 15년’ 유바이오로직스 “콜레라 넘어 프리미엄 백신으로…‘Great·Global 기업’ 도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3

●[JP모건] 비만 약 자신감 美 바이킹, 글로벌 제약사와 손잡고 시장 나설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2

●JPM 2025, 파트너 혹은 경쟁자로 부상한 '중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4

●[JP모건] 지아이이노베이션-라노바메디신, 'GI-102+ADC' 췌장암 병용 협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9

●제일약품, 37호 신약 ‘자큐보’ 빅5 대형병원 처방권 입성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6

●일동바이오사이언스 BBR4401, ‘올해의 심혈관 건강 기능성 원료’로 선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0

●노을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 '마이랩MAL', AI 진단 정확도 비교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1

●삼성서울병원 "경피적 승모판막 재치환술 시행…중증 고난도 심장판막에 새로운 치료 옵션 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0

●휴온스메디텍, 스킨부스터 전용 ‘프리미엄 9핀 니들 31G’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7

●[JP모건] 디엑스앤브이엑스, 바이오텍 쇼케이스 참석…2025 글로벌 파트너링과IR 성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9

●아이빔테크놀로지, 美 매사추세츠 의대와 학술 워크숍 성공적 마무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4

●GC녹십자, 국제표준 정보보호 체계 강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3

●보령컨슈머헬스케어, 짜먹는 위장약 '겔포스엘' 신규 광고 캠페인 공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5

●카인사이언스, 기술특례상장 위한 기술성 평가 통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6

●파미셀, KSCI서 줄기세포 치료제 반응성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2

●뷰노, VUNO Med®-DeepECG® 관련 신기술 국내 특허 등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5

●플레이투큐어, 차 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과 발달 지연 아동 진단·치료 사업 분야 MOU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8

●알피바이오, 美FDA 적색 3호 합성색소 전면금지…"천연 비타민 시장 확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8

●Huons Meditech Launches ‘Premium 9-Pin Needle 31G’ for Skin Booster Treatment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1

●[JP Morgan] Bridge Biotherapeutics CEO James Jungkue Lee highlights potential breakthrough for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candidate 'BBT-877'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12

●[JP Morgan] Inventage Lab, returning for the third consecutive year, unveils DDS’s ‘secret weapon’: ADC platform in the early R&D stage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16

●[JP Morgan] Hugel Unveils Three-Year Mid- to Long-Term Goals and Growth Strategies Through 2028: "Aiming to Become a Top Global Compan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19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3:21


📌 고영(시가총액: 6,865억)
📁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획득(뇌수술용 의료로봇))
2025.01.20 11:40:13 (현재가 : 10,000원, +6.38%)

제목 :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획득 (뇌수술용 의료로봇)

* 주요 내용
당사가 연구·개발한 뇌수술용 의료로봇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가. 제품 개요
- 제품명: 뇌수술용 의료로봇(Geniant Cranial)

나. 승인세부내용
- 승인일: 2025년 1월 17일 (현지시간)
- 승인기관: 미국 식품의약국(FDA)
- 규제등급: Class II(클래스 II)
- 규제번호: 21 CFR 882.4560

다. 기대효과
- 이번 승인을 통해 글로벌 최대 의료기기 시장인 미국 시장에서 뇌수술용 의료로봇(Geniant Cranial)의 판매가 가능합니다.

* 기타 사항 :
가. 상기 결정(확인)일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 서한을 당사가 수령한 일자입니다.

나. 본 승인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통용되는 다른 국가에서도 뇌수술용 의료로봇(Geniant Cranial) 판매가 가능합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090043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846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3:18


이번 주 이승우 상무의 <VC 인사이트>는 높아진 '중국'의 위상을 주제로 다뤘습니다.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선 '중국' 기업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예년과 많이 달라진 모습이었는데요.

특히 바이엘의 Juergen Eckhardt 박사는 포브스(Forbes) 기고문을 통해 이번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의 5가지 중요한 인사이트 중 하나로 중국 혁신을 꼽았습니다.

지난해 제약 라이선스 거래의 1/3이 중국 바이오테크 기업에서 시작되었고, 이런 변화는 중국의 데이터가 신뢰성 이슈를 넘어서 현재는 혁신과 효율성의 상징으로 넘어가는 수순이라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중국 기업들이 우리에게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4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2:21


지아이이노베이션이 이번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중국 기업 라노바메디신과 병용요법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라노바메디신(LaNova Medicines)과 자사의 신약 후보물질 'GI-102'와 췌장암 대상으로 ADC(약물-항체 접합체)의 병용요법 개발에 나섭니다. 해당 ADC는 Claudin18.2를 표적하는 ADC 'LM-302'입니다.

라노바는 2023년 아스트라제네카에 다발성 골수종 후보물질 'LM-305'를 반환의무 없는 계약금 735억원을 포함해 총 80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한 바 있습니다. 또 지난해 11월 MSD에 PD-1·VEGF(혈관내피성장인자) 이중특이항체 LM-299를 임상1상 단계에서 반환의무 없는 계약금 8300억원을 포함해 총 4조6000조원 규모로 기술 이전해 전세계의 주목을 받은 회사다.

두 물질은 각각 임상1상을 완료한 신약후보물질로 신속한 임상2상 진입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1:23


제일약품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성분 자스타프라잔)’가 지난해 10월 1일 정식 출시 이후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의 약물심의위원회(D/C)를 통과하며 주요 대형병원 처방권에 들어섰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분당서울대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보라매병원을 포함한 수도권 주요 병원과 부산대병원, 고신대복음병원, 부산백병원, 천안 순천향병원, 충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등 전국 60여 개 종합병원에서도 처방 코드 오픈 및 D/C 승인을 받았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3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0:19


셀트리온(Celltrion)이 바이오시밀러를 넘어 신약개발사로 탈바꿈하겠다는 비전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이번 JPM 2025에서는 올해 IND 제출 예정인 4개 후보물질 중 3개에 대한 비임상 결과를 공개하며 실체적 진정성을 드러냈네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cMET ADC ‘CT-P70’, 넥틴-4(nectin-4) ADC ‘CT-P71’, HER2xCD3 이중항체 TCE ‘CT-P72’ 등이 올해 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셀트리온은 이번 발표에서 이들 3개 후보물질에 대한 in vitro, in vivo 데이터를 공개했습니다.

특히 CT-P72는 이번 발표를 통해 처음으로 타깃, 모달리티 등을 공개했습니다.

추가로 올해 IND 제출 예정이나 아직 구체적인 타깃을 공개하지 않은 후보물질로는, 종양관련항원(TAA)을 타깃하는 ADC 후보물질 ‘CT-P73’이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8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0:15


[오늘의 HIT_1월 20일 월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오전 기사 올려드리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고,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년만에 세상에 없던 약 '6개' 허를 찌른 유유의 허가 전략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49

💊 다발골수종 포말리스트 제네릭 나왔다... 보령 '포말리킨' 등재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84

💊 실리마린 급여삭제 소송, 판결 실마리는 3월에나 나올 듯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48

🏢 표제기 개정 '정장제 성분 제한 없애... 일반약 개발 기대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61

💊 '물먹는 하마'보다 싼 일반약, 왜? 제약사 가격인상은 딜레마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47

🏢 '화우' 매출 '고성장'... 바이오헬스센터도 '일조'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70

🗣 "실험실 밖에서 본 바이오, 온전한 가치를 알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81

🧬 12월 비상장 투자 1위 유빅스, TPD 기술로 기존 약물 내성 극복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79

📈 [투자리포트] 삼천당제약 리벨서스 제네릭 임상 앞둬… 성장 기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44

💊 [허가/임상] 대웅제약, '오페브' 2번째 후발약 '오페비아' 허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83

🗣 "아밀로이드 플라크 제거가 기쁨을 준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86

👨‍💼 [경력채용] 동아제약, GC지놈, 한독, 리가켐바이오, 케어젠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54

👨‍💼 [채용 원픽] 동국제약, PM·사업개발·분석·신제품기획(~1/22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78

🖱 [HIT알공] SK바이오사이언스, 폐렴구균백신 미국 임상 3상 승인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074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 Jan, 00:00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5/01/17/001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3:59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가 AI 기반 심전도 분석 소프트웨어 VUNO Med®-DeepECG®(이하 DeepECG) 관련 신기술인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국내 특허가 등록 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등록된 특허 기술은 정상 신호에 숨어있는 부정맥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딥러닝 알고리즘입니다.

특정 시점의 심전도를 측정했을 때 심방 세동이나 심방 조동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과거 심방 세동이나 심방 조동이 발생했을 가능성과 미래의 발생 가능성을 탐지한다는 게 뷰노의 설명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3:32


아이빔테크놀로지(IVIM Technology, Inc)가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UMass Chan Medical School)에서 진행된 첫 학술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지난해 11월 생체영상화 기술 협력을 위해 양측이 체결한 전략적 업무협약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학술행사입니다. 현지 연구진 6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참석하며 첨단 생체영상화 기술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성황리에 진행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3:32


미국 바이오기업 바이킹 테라퓨틱스(Viking Therapeutics)가 비만 치료제를 포함한 대사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성공적인 상용화를 위한 전략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바이킹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판매 네트워크를 보유하면서 대사질환 치료 경험이 풍부한 제약사와의 협력을 모색 중입니다.

최근 비만 치료제 시장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를 중심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임상3상을 앞둔 바이킹이 시장 침투력을 키우기 위해 이 같은 '판매 협력' 카드를 꺼내든 것인데요.

브라이언 리안(Brian Lian) 바이킹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2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3:12


[JPM 2025]리제네론이 오는 하반기 비만 환자에게서 마이오스타틴(myostatin) 약물이, GLP-1 약물 투여시 수반되는 근손실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개념입증(PoC) 임상2상 결과를 공개합니다.

아직까지 실질적인 GLP-1 약물투여시 수반되는 체중감량 질을 높이는 차세대 접근법의 개념입증 임상 데이터가 도출된 바는 없으며, FDA는 근육보존 임상 종결점(clinical endpoint)에 대해 다소 주저하는 스탠스를 보이고 있는데요. 바이오에이지 랩스(BioAge Labs)의 실패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리제네론은 지난해 10월 마이오스타틴 저해 항체 ‘트레보그루맙(trevogrumab)’의 유지요법을 평가하는 GLP-1 ‘세마글루타이드’ 병용투여 임상2상 규모를, 1000명으로 확대했습니다.

이어 하반기 드디어 해당 임상2상의 PoC 결과가 공개되며, 추가로 터제파타이드 복용을 중단한 이후 체중감소 유지(maintenance)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병용투여 임상2상 결과도 발표됩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7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3:11


★ [키움 허혜민/신민수/김승혁] ★2025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정리와 시사점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미국주식 협업 보고서

목차.
1. Summary
2. 2025 JPMHC와 헬스케어 산업 전망
3. 컨퍼런스 기간 중, 주요 기술 거래 현황
4. 빅파마와 바이오텍
; 주요 관전 포인트, J&J, Merck, Summit, Eli Lilly, Amgen, Viking, ADMA, Immunovant 등
4. 의료기기 (에스테틱/의료 비용 절감/ 의료AI/ 혈당)
; 클래시스, 휴젤, Galderma, RadNet, Intuitive Surgical, Recursion Pharma, Tempus AI, Dexcom, Masimo 등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23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2:36


★ [키움 허혜민] ★ 유한양행, 생명 연장 최소 1년+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목표가 19만 원. 최선호주 유지.

4분기 실적은 R&D 비용 증가로 기대치 하회 예상.

렉라자 유럽 출시 마일스톤은 ‘25년 상반기가 될 것으로 보임.

금년은 렉라자 매출 로열티 유입, API 공급으로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며, ’25.1Q내로 베링거인겔하임의 MASH 1b상과 알러지치료제 1b상 발표 예상.

’25.2Q 렉라자 병용요법의 전체 생존(OS) 결과 발표가 전망되며, 이로 인한 EGFR 폐암 치료제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 업종내 Top Pick으로 추천.

과거 타그리소의 FLAURA 임상에서 기존 1세대 EGFR TKI의 전체 생존(OS) 대비 타그리소가 약 6.8개월 연장의 차이를 나타내며, 표준치료제가 타그리소로 바뀌고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한 사례를 참고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55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2:22


(1/20)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트럼프 기대감에 나스닥 1.5% 급등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전반적 상승, 나스닥 1.5% 급등
- 트럼프 2기 취임 기대감 주가 견인
- 엔비디아, 테슬라 3%대 강세

# Summary
미국 주요 지수들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기대 및 물가 불안 완화에 대한 시장 심리에 힘입어 상승세를 기록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78% 상승하며 43,487.83에 거래를 종료하였고, S&P 500 지수는 1.0% 상승하며 5,996.66에 장을 마침. 나스닥지수는 1.52%의 급등세를 나타내며 19,632.40에 마감함.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도 0.48% 상승하여 2,277.75에 거래를 마침.
이번 주 발표된 주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7% 오르며 예상치에 부합했고, 이는 경기 과열 우려를 다소 진정시킴.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관련 긴장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도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어 시장 전반의 상승세를 견인함.
주요 기술주 애플은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일부 빠져나간 매도세가 차익 실현 기회를 제공하며 상승세로 전환하였고, 최근 강세를 보였던 엔비디아와 테슬라도 각각 3%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함. 그러나 일부 소매주인 타깃과, 물류 기업 JB 헌트는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과 산불 피해로 주가가 각각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전력 업계와 관련하여 '슈퍼사이클'의 전망이 밝은 가운데, 엔비디아와 협력 관계를 맺은 기업들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음.
유럽 시장도 동반 강세를 보였으며, 독일·영국 등 주요 지수들이 상승세를 보임. 국제 유가는 소폭 하락하며 배럴당 78달러 대로 거래됨. 시장은 20일에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이후 발표될 정책 변화와 더불어 적극적인 매수 전략에 대비 중임. (다우 +0.78%, 나스닥 +1.52%, S&P500 +1.00%, 러셀2000 +0.40%)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120064838007_3533

# 특징종목
애플(+0.8%)은 최근 iPhone 소프트웨어 베타 버전에서 AI 생성 뉴스 요약 기능을 제거했다는 발표와 함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Apple Pay의 Pay Later 기능이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소식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음. 엔비디아(+3.1%)는 AI 활용 블록체인 컴퓨팅 솔루션 향상 및 다가오는 행사에서의 AI와 에너지 관련 솔루션 강화가 긍정적 기대감을 형성하며 주가가 상승함. 알파벳(+1.6%)은 틱톡 금지로 인한 유튜브의 수혜 가능성과 유럽의 전 지도자들이 구글 광고 기술 분사를 요구하는 소식으로 시장 변화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음. 아마존(+2.4%)은 아르모기와의 협업 확대 소식과 클라우드 컴퓨팅 영역에서의 강력한 실적 전망이 주가에 도움을 줌. 테슬라(+3.1%)는 일론 머스크의 틱톡 인수 검토 소문 및 에너지와 AI 분야에서의 기대가 주가를 끌어올렸음. 인텔(+9.3%)은 최근 인수설로 주가 급등하며 반도체 기술의 강화된 전망과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에 따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채권 시장에서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62%를 기록하며 소폭 하락하였음. 이는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완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임.
미국 달러 인덱스(DXY)는 109.41로 0.4% 상승하여, 강세를 보였음. 주요 통화 대비 달러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나타냈으며, 일본 엔화 대비 0.7% 상승한 반면, 유로화 대비 0.3% 하락함.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 가격이 하루 동안 0.9% 하락해 77.95달러를 기록하며 최근 상승세를 일시적으로 멈추었음. 반면, 천연가스는 7.8% 급락한 3.93달러로 큰 변동성을 보였음. 금과 은 가격도 각각 0.6%, 1.6% 하락하여 약세를 나타냈으며, 철광석과 구리 가격은 소폭 상승함. 농산물 시장에서는 옥수수 가격이 2.1% 상승하는 등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음. 이러한 흐름은 시장 참여자들이 글로벌 경제와 연준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해 경계심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함.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9 Jan, 22:22


(1/20)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3,487.83p (+334.70p, +0.78%)
- S&P500: 5,996.66p (+59.32p, +1.00%)
- NASDAQ: 19,630.20p (+291.91p, +1.51%)
- 러셀2000: 2,275.88p (+9.09p, +0.4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4.83 (+0.29, +0.53%)
- MSCI 이머징지수 ETF: $42.09 (+0.33, +0.79%)
- Eurex kospi 200: 336.10p (+1.75p, +0.52%)
- NDF 환율(1개월물): 1,456.66원 / 전일 대비 3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309.74 (+146.78, +2.84%)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9.347 (+0.390, +0.36%)
- 유로/달러: 1.0286 (-0.0015, -0.15%)
- 달러/엔: 156.27 (+1.11, -0.7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826% (+5.3bp)
- 10년물: 4.6270% (+1.5bp)
- 10Y-2Y: 34.44bp (3.81bp 축소)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7.88 (-0.80, -1.02%)
- 브렌트유: 80.79 (-0.50, -0.62%)
- 금: 2,748.70 (-2.20, -0.08%)
- 은: 31.14 (-0.58, -1.84%)
- 구리: 436.85 (-7.25, -1.63%)
- 옥수수: 484.25 (+9.75, +2.05%)
- 밀: 538.75 (+1.25, +0.23%)
- 대두: 1,034.00 (+15.00, +1.4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Jan, 12:27


[미래에셋 김승민] JNJ의 Intra-Cellular Therapies 인수 발표

- 오늘아침 Bloomberg 보도는 사실이었음
- J&J는 Intra-Cellular를 주당 $132, 토탈 $14.6bn(약 20조원) 에 인수한다고 발표(전일 종가 대비 약 40% 프리미엄)
- J&J Intra-Cellular의 CAPLYTA의 Peak Sales는 $5bn이상 될 것으로 기대

* 일단 JPM 시작은 JNJ 뉴스부터 시작. 오랜만에 $10bn 규모 이상의 빅딜

https://www.investor.jnj.com/news/news-details/2025/Johnson--Johnson-Strengthens-Neuroscience-Leadership-with-Acquisition-of-Intra-Cellular-Therapies-Inc/default.aspx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Jan, 05:38


더바이오 1월 13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96

●비씨월드제약, 빚 717억 1년내 만기…보유 현금 45억원, 옥죄는 '금융비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39

●지난해 미국서 '바이오시밀러' 18건 품목허가…한국 5건 '최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2

●장내 미생물, 새 비만약 후보 가능성…美코넬대 "BA-MCY, 지방대사에 중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46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장 “국내 혁신신약 산실 대전, 이제 글로벌로 도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44

●Valo Health, 노보의 선택을 받은 AI 신약 개발회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7

●한미약품-GC녹십자,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승인…세계 첫 '월1회' SC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72

●화이자 "PD-1 항체 사산리맙SC+BCG, 비근침습성 방광암 임상3상 성공"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70

●[JP모건] 오스코텍 "글로벌 기업과 자가면역·알츠하이머 후보물질 협력 논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9

●대원제약, 신제품 ‘펠루비에스정‘ 출시…국산 12호 신약 ‘펠루비정‘ 명성 잇는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8

●길리어드, 레오파마와 2조5천억원 규모 경구용 'STAT6' 표적 프로그램 개발 파트너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5

●노을, 영국서 BCM·CER 등 주력 제품 AI 의료기기 등록 완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1

●동성제약-독일 라이프포토닉 암 치료 및 진단기 독점 계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6

●동아에스티-메쥬, CES2025 ‘하이카디’ 부스 운영…가정용 모니터링 장비 첫 공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4

●[JP모건] 젠큐릭스, 디지털 PCR 암 분자진단 '드롭플렉스' 공급·개발 논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9

●[JP모건] 신테카바이오, 파트너링 논의…언어모델 SaaS 첫 공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2

●이노큐브, 연세대학교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와 90억 규모 펀드 조성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6

●보령컨슈머헬스케어, 서정욱 신임 대표이사 선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0

●삼성서울병원, CAR-T 치료 200례 달성…치료 시작 4년 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3

●동아제약, 써큐란 아르기닌 6000 CU편의점 단독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7

●차바이오F&C, 뽀로로 극장판 맞춤형 콜라보 기획세트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8

●LG Chem to expand aesthetic business in Thailand with full launch of PN skin booster ‘VITARAN’ sale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35

●Samsung Biologics partners with LigaChem Biosciences to “dominate the global ADC market”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33

●Pfizer Korea hosts symposium celebrating 'Prevenar 20' approv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32

●GeneCraft Secures IND Approval in Korea for the World’s First AAV-Based Lung Cancer Therapy, RX001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3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Jan, 05:12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62060&ref=navermo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Jan, 03:37


이번 주 이승우 상무의 <VC인사이트> 코너는 지난 2023년 노보노디스크의 선택을 받았던 AI 신약개발사 발로 헬스(Valo Health)의 행보를 조명했습니다.

발로는 최근 노보와 심혈관 질환에서 비만, 2형 당뇨병으로 협력 및 프로젝트를 확대하기로 했죠.

대규모 환자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어느 나라보다 이 같은 대규모 데이터가 잘 구축돼 있는 우리나라의 많은 AI 기업들에도 좋은 길라잡이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를 모읍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6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3 Jan, 00:45


삼성서울병원이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 200례를 돌파했습니다.

지난 2021년 국내에서 최초로 CAR-T 치료를 시작한 지 약 4년 만입니다.

치료 결과도 고무적입니다. CAR-T 세포 관련 국제 임상2상에서 보고한 치료 반응율 52%와 비교해 삼성서울병원은 59%로 앞섭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5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3:3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20892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3:35


이번 주 <THE INTERVIEW> 코너는 바이오헬스케어협회(BHA)의 맹필제 회장을 만났습니다.

맹 회장은 사단법인 바이오헬스케어협회(Bio Healthcare Association) 설립부터 회장을 맡아 기관을 이끌어오고 있습니다.

올해로 설립 10년을 맞은 바이오헬스케어협회는 많은 기술수출 사례가 쏟아지고 있는 '대전'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대전 지역 산·학·연·관 멤버들이 주축이 돼 20년간 이어져온 대전 바이오 클러스터 내 비법정 모임이 지난 2015년 12월 28일 바이오헬스케어협회 설립을 계기로 법인격을 갖추며 공식화된 것입니다.

맹필제 회장은 “대전에 뿌리를 둔 바이오 벤처들은 지방에 있지만, 비즈니스는 글로벌로 한다”며 “대전 바이오 클러스터는 우리나라 바이오의약 산업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내로라 하는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기업들은 대전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대전 바이오 커뮤니티 사랑방 주인장 자처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장
- 바이오헬스케어협회, 올해 10년 맞아…설립부터 회장 맡아 활발한 네트워킹 추진
- 대전 바이오 클러스터 내 기업간 만남, 협업, 투자의 시작…바이오 창업 생태계 역할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4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3:01


[NH/한승연]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2025년 1월 1~10일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임플란트(9021.29.0000)
- 1,499.2만$ (1개월 환산 4,497.6만$, -35.8% y-y, -46.6% m-m)
※ 중국 749.1만$ (+6.8% y-y, -33.5% m-m)
※ 러시아 108.8만$ (-52.9% y-y, -72.8% m-m)
※ 튀르키예 86.1만$ (-53.9% y-y, -42% m-m)

톡신(3002.49.1000)
- 1,632.3만$ (1개월 환산 4,896.8만$, +151.1% y-y, +77% m-m)
※ 미국 552.3만$ (+98.4% y-y, +1,731.4% m-m)
※ 중국 302.9만$ (+154.6% y-y, +46.8% m-m)
※ 브라질 117.6만$ (N/A % y-y, N/A % m-m)

에스테틱 의료기기(9018.90)
- 1,700.6만$ (1개월 환산 5,101.8만$, -24.1% y-y, -54.6% m-m)
※ 일본 241.7만$ (+8% y-y, -30.9% m-m)
※ 미국 245.4만$ (+40% y-y, +27.6% m-m)
※ 브라질 11.1만$ (-61% y-y, -89.5% m-m)

홈뷰티 의료기기(8543.70.2020)
- 717.3만$ (1개월 환산 2,152만$, +31.7% y-y, +25.5% m-m)

치과영상 의료기기(9022.13.0000)
- 226.7만$ (1개월 환산 680만$, -67.1% y-y, -56.3% m-m)

의료용 디텍터(9022.90.9010)
- 406.1만$ (1개월 환산 1,218.2만$, -23.4% y-y, -57.5% m-m)

PCR 및 면역 진단키트(3822)
- 1,837.9만$ (1개월 환산 5,513.6만$, -11.8% y-y, -5.3% m-m)

바이오시밀러 완제(3002.15.0000)
- 4,331.3만$ (1개월 환산 12,993.8만$, -5.9% y-y, -28.4% m-m)

콘택트렌즈(9001.30.0000)
- 424.9만$ (1개월 환산 1,274.8만$, -13.3% y-y, -28.6% m-m)

체성분분석(9018.19.8000)
- 23.7만$ (1개월 환산 71.2만$, -89.5% y-y, -90.1% m-m)

혈액제재(3002.12.3000)
- 68.2만$ (1개월 환산 204.7만$, -78.7% y-y, -94.4% m-m)

필러(3304.99.9000)
- 6,794만$ (1개월 환산 20,382만$, +9.1% y-y, -16.1% m-m)

■ [NH/한승연(제약/바이오), 02-768-746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2:51


엔솔바이오는 2018년 미국 스파인바이오파마에 기술이전한 퇴행성 디스크치료제 P2K의 3상 결과 발표를 기대하고 있다. 임상이 성공하면 추가 마일스톤과 로열티를 수령하게 된다. 코스닥 상장의 핵심 키이기도 하다. 스파인바이오파마가 지난해 엔솔바이오로부터 P2K의 추가 적응증을 기술이전해 갔다는 점은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요인이다.  

엔솔바이오는 2020년 2021년 두차례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고배를 마셨다. 이후 2023년 기술성평가를 통과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지만 10개월만에 자진철회하기도 했다. 글로벌 기술이전, 효능있는 임상데이터 확보 등 코스닥 바이오기업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핵심 요건을 갖추었음에도 사업성을 의심받았다. 그러나 이번 임상 3상에서 성공하면 이 모든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32348?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2:45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0, FRI) #전체기사

텐비, 2억弗 유치 “출범”..디날리서 L/I '뇌질환 저분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16

삼성바이오로직스, 협력사와 '상생협력 데이' 개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22

갈라파고스, 2개社 쪼개기로..길리어드와 '헤어질 결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09

자이메디, 인세리브로와 ‘양자컴퓨팅' AI신약개발 MOU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27

사나, '면역억제 No' 췌도세포 1형당뇨 "C펩타이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15

LG화학, 필러 이어 스킨부스터 태국시장 본격 진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29

IGM, 인력 73% ‘해고’..자가면역 IgM도 “개발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25

베르디바 "中비만 도입後 또 빅펀딩", 시리즈A 4.1억弗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20

이수앱지스, 'ErbB3 CAR-NK' 유방암 마우스서 "효능"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30

리스큐어바이오, pre-IPO 200억 유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3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0, FRI)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2:45


https://m.medigatenews.com/news/333054317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2:45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에 대한 기대감이 국내 주식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다. 연말 경기 침체에 국내 정세 불안까지 겹쳐 장기간 얼어붙었던 투자심리가 점차 풀리는 모습이다. 국내 제약·바이오주의 주가를 반영하는 KRX헬스케어 지수가 행사 개막을 앞두고 약 2개월만에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발표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들의 희비는 엇갈린 모습이다. 작년 JP모간 특수를 톡톡히 누렸던 셀트리온은 올해 아직까지 큰 주가 상승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브릿지바이오, 클래시스 등은 글로벌 무대 참여 호재가 투자 확대로 이어지는 중이다.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10130234408010505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2:40


[미래에셋 김승민] JNJ의 Intra-Cellular Therapies 인수 가능성 보도

- Bloomberg는 Johnson&Johnson(JNJ US)이 Intra-Cellular Therapies(ITCI US) 인수를 검토중이라고 보도
- Intra-Cellular는 중추신경계(CNS) 신약 상업화 바이오텍. 상업화 아이템으로 2019년 조현병 적응증 FDA 허가 받은 CAPLYTA(lumateperone).
- CAPLYTA는 21년 양극성 장애로 적응증 확대, 24년 2월 주요 우울장애(MDD) 임상 3상 성공. 28F 매출 컨센 $2.5bn, Peak $4bn 수준
- Intra-Cellular 현재 시가총액 $10bn 수준

* 지난 룬드벡-롱보드, 오늘 바이오젠-세이지 등에 이어 CNS 빅딜 가능성
* 딜이 나온다면 오랜만에 $10bn을 초과하는 빅딜
* 1/13 오늘부터 샌프란시스코에서 JPM 컨퍼런스 시작. 맞춰서 딜은 나올것인가?

t.me/bioksm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1-12/johnson-johnson-exploring-bid-for-intra-cellula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22:40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13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Pfizer(PFE.US): 화이자의 PD-1 억제제 sasanlimab,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NMIBC) 임상3상에서 BCG와 병용한 1차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평가. sasanlimab을 투여받은 환자들은 BCG만 투여받은 환자들 대비 이벤트 없는 생존 기간을 연장하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 구체적인 데이터는 다가오는 컨퍼런스에서 공유할 계획.
https://han.gl/g7dFY

Eli Lilly(LLY.US): VC 회사 Andreessen Horowitz, 릴리와 $500mn 규모의 Biotech Ecosystem Venture Fund를 출범해 잠재적 치료 플랫폼과 최첨단 기술 기업에 투자할 예정. 해당 펀드는 릴리가 전액 출자 예정이며, 릴리는 자본 외에도 사전 임상 및 개발 인력, 자원을 포함한 추가 지원을 제공할 계획.
https://han.gl/JQk8N

Eli Lilly, 바이오텍 Mediar Therapeutics와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체결. Mediar는 이를 기반으로 1H25에 MTX-463을 특발성 폐섬유증(IPF) 임상2상으로 진전시킬 예정이며, 2상 완료 후 릴리는 이후 개발과 상업화를 주도할 권리를 가짐. 계약에 따라 Mediar는 업프론트와 단기 마일스톤 $99mn, 개발 및 상업화 마일스톤 최대 $687mn을 지급받을 수 있음.
https://han.gl/uHCCm

AbbVie(ABBV.US): 조현병 치료제 emraclidine의 2상 실패로 애브비는 $3.5bn의 손상차손을 입을 예정이며, 나머지 Cerevel 프로그램의 가치는 약 $3.6bn으로 평가. 애브비는 23년 12월 Cerevel을 $8,7bn에 인수했으며, emraclidine은 2상 실패 전까지 가장 주목받던 파이프라인.
https://han.gl/9Oe74

Gilead(GILD.US): 덴마크 LEO Pharma와 염증성 질환 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LEO는 업프론트 $250mn을 포함해 최대 $1.7bn을 지급받을 수 있음. 길리어드는 저분자 경구 STAT6 프로그램의 글로벌 개발, 제조, 상업화 권리를 확보하며, 이번 거래는 25년 주당 순이익을 약 $0.15~0.17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
https://han.gl/HrLNs

Biogen(BIIB.US): Sage Therapeutics의 남은 주식을 주당 $7.22에 매입할 예정이라고 공시. 바이오젠은 Sage의 지분 10.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매입가는 금요일 종가 대비 30% 프리미엄을 반영해 Sage의 지분 가치를 $441.7mn으로 평가한 것으로 확인.
https://han.gl/CA1mm

체중 감량 약물 개발사 Metsera, IPO 서류를 통해 순손실 공개. 24년 첫 9개월 동안 $156.26mn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34.18mn의 손실 대비 확대된 수치. 한편, Metsera는 작년 $290mn의 자금을 조달했으며, IPO를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해 MET-097i의 임상을 진행할 계획. MTSR 티커로 나스닥 상장 예정.
https://han.gl/Ahp3K

<한국>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KS): 삼성바이오에피스, 테바와 '에피스클리' 美 진출 파트너십
https://han.gl/nmpmy

이수앱지스 "ISU104-CAR-NK, 유방암 마우스 종양 크기 감소 확인"
https://han.gl/mr96I

올릭스,탈모치료제 호주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확보
https://han.gl/30tLA

리가켐바이오, LNCB74 美 1상 첫 환자 투여 완료
https://han.gl/omA92

HLB생명과학, 특수소재기업 ‘티니코’ 인수…“의료기기 사업 확대”
https://han.gl/UrDh4

지오릿에너지, 최대주주 에이프로젠으로 변경…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본격화
https://han.gl/d3AP6

리스큐어, 프리 IPO 투자 유치 성공…Brain 셔틀 플랫폼 파트너링 본격화
https://han.gl/Yu9pk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06:36


엄연구원님 코멘트입니다.

사노피가 이번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사클리사 피하주사는 OBDS(On Body Delivery System)를 사용합니다.

이상한 일이죠. 알테오젠과 피하주사 계약 후 갑자기 히알루로니다제 없이 주입장치만으로 해결해보겠다고 고집부리며 만들었으니까요.

최소 20-30분 투여시간이 필요하고 바늘을 계속 꼽고 있어야합니다. 상업화 성공 가능성 부분에서는 실패라고 봅니다.

거의 주먹만한 장치에 바이알에 든 약물을 직접 충전시켜 hands free가 가능하다고 고집부리지만 …5분만에 주입이 끝다는 경쟁약물 다잘렉스SC가 있는데 맞으시겠습니까?

(다잘렉스는 CD38타깃 다발성골수종 치료제로 사노피 사클리사과 동일 기전의 경쟁약물입니다.)

히알루로니다제를 대체할 피하주사 기술이 적용된 것 아니냐 하실 수 있을까하여 말씀드립니다.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sanofi-scores-its-subcutaneous-ve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01:19


01/13 주간 이슈 점검: ICR 컨퍼런스, 소비자물가지수, 실적시즌 시작

*고용시장과 ICR 리테일 컨퍼런스

12월 고용보고서 결과가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한 결과를 내놓으며 달러와 국채 금리 상승을, 주식시장은 하락하는 결과를 내놓음. 특히 이번 결과를 토대로 골드만삭스는 JP모건에 이어 올해 금리 인하가 두 번으로 낮추고, BOA는 금리 인하 없을 것으로 전망을 수정.

그러나 여기에서 주목할 부분이 있는데 소매업 관련 고용이 크게 상향 조정된 결과를 내놓은 점이며 그 결과가 지속될 지 여부가 중요. 시장은 이에 대해 추수감사절이 늦게 나오면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고 보고 있음. 그렇기 때문에 이번주 있을 소매판매와 ICR 리테일 컨퍼런스 내용이 주목 받을 수 있음. 과거 관련 컨퍼런스에서는 월마트를 비롯해 많은 소비 관련 기업들이 참석해 연말 쇼핑시즌 결과 및 연간 전망 지침을 발표해왔기 때문. 결국 이번 컨퍼런스에서 소매업종의 지침과 그에 따른 변화가 향후 고용시장에서 소매업 관련 고용의 증감 여부를 예측 할 수 있어 중요


*소비자물가지수 등
지난 금요일 소비자 심리지수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을 2.8%에서 3.3%로 상향 조정돼 물가에 대한 불안 심리가 확대. 그렇기 때문에 이를 좀더 확고히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를 비롯해 여러 물가지표들이 발표의 중요도가 확대. 시장은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8% 상승을 전망. 그러나 모건스탠리를 비롯한 주요 투자회사들은 근원 물가가 0.3%상승에서 0.1% 둔화될 것으로 기대. 다만, 연말이라는 점에서 의류, 자동차 보험, 주거비 등의 상승 변동성이 클 수 있어 주의해야 할 듯


*실적 시즌 시작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은 S&P500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1.7% 증가해 2021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다만, 현재 12m Fwd PER은 21.5배로 10년 평균인 18.2배를 큰 폭으로 상회하고 있어 밸류에이션이 너무 높다는 점이 부담. 이에 시장은 실적이 예상을 상회하는 것은 당연하고 향후 전망 또한 상향 조정을 해야 기본이라고 전망. 또한 그동안 시장 상승을 견인했던 기술주들의 실적 결과가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언급.

특히 목요일 발표하는 TSMC 결과가 중요한데 이미 금요일 12월 매출을 토대로 전년 대비 38.8% 성장한 것으로 추정. 그렇기에 결과와 함께 있을 컨퍼런스콜의 중요도가 높아졌고 특히 AI 관련 매출 추이에 주목. 그 외 수요일 발표하는 JP모건은 매출이 6.1%, 웰스파고는 0.1%, 씨티는 12.1% 증가 전망하고 있어 이를 상회하는지 여부에 주목. 이를 토대로 대형 금융주의 경우 매출은 3.3%, 이익은 4.4% 증가를 추정하고 있음.


*주요 지표 및 일정

01/13(월)
미국: 뉴욕연은 기대인플레이션
행사: ICR 리테일 컨퍼런스(~15): 연말쇼핑시즌 업데이트, 연간전망 발표
행사: 니드햄 그로스 컨퍼런스(1/09~17): 아이온큐 등 참석
행사: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16): 바이오 주요 행사
실적: KB홈(KBH)

01/14(화)
한국: 4분기 대출행태
유로존: ZEW 경기기대지수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NFIB소기업낙관지수
발언: 슈미트(경제, 통화정책, 캔자스시티), 윌리엄스(뉴욕)

01/15(수)
한국: 12월 금융시장 동향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유로존: 산업생산
독일: GDP 성장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뉴욕연은지수
보고서: 베이지북, OPEC 원유시장보고서, IEA 원유시장 보고서
발언: 바킨(리치몬드), 카시카리(미니애폴리스), 윌리엄스(뉴욕), 굴스비(시카고)
실적: JP모건(JPM), 웰스파고(WFC), 블랙록(BLK), 씨티그룹(C), 골드만삭스(GS), 킨더모간(KMI), 리오틴토(RIO)

01/16(목)
영국: 산업생산, GDP 성장률
유로존: 수출입통계
미국: 소매판매, 수출입물가지수, 필라델피아 연은지수, 주택시장지수
은행: 한국 통화정책회의
실적: TSMC(TSM), 유나이티드헬스(UNH), BOA(BAC), 모건스탠리(MS)

01/17(금)
중국: GDP성장률, 소매판매,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 국민경제성과
영국: 소매판매
미국: 산업생산, 건축 착공, 허가건수, 외국인 채권투자
실적: 트루이스트(TFC), 슐륨버거(SLB)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2 Jan, 01:19


(일라이 릴리, VC(a16z)와 $500M 규모 창업 지원 바이오 펀드 조성)

===========
일라이 릴리가 글로벌 VC, Andreessen Horowitz(a16z)와 함께 Biotech Ecosystem Venture Fund를 조성한다. 규모는 $500M이고, 일라이 릴리가 전체 자금을 댄다.

일라이 릴리와 a16Z는 다수의 공동 투자를 하면서 호흡을 맞추어 왔고, 이 펀드에 대해서 2023년부터 구상했다고 한다.

이 펀드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전문가들이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일라이 릴리는 자금 뿐 아니라 창업자들이 Catalyze360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atalyze360은 릴리의 CVC인 Lilly Venture, 인큐베이팅 센터인 Lilly Gateway Labs, 연구 및 임상 지원 서비스인 Lilly ExploR&D 로 구성되어 있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a16z.com/announcement-andreessen-horowitz-partners-with-lilly-to-launch-first-of-its-kind-biotech-ecosystem-venture-fund/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Jan, 05:05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0738?fbclid=IwZXh0bgNhZW0CMTEAAR1OoRe5xL-MGkyNq50HyxDzsYdePw1076O5cZgJKXvI2i13G51eOwP1TjI_aem_qyAjieehExWMMAvIIE9C2Q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23:08


https://blog.naver.com/onejejuwave/22372196052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23:08


Zepbound, 수면무호흡증에 대하여 medicare 적용

비만 단독은 몰라도 비만동반질환에 대해서는 medicare 적용이 무난할듯..

https://seekingalpha.com/news/4393567-lillys-zepbound-to-be-covered-by-medicare-for-sleep-apnea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23:08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지수 ETF는 1.47%, MSCI 신흥지수 ETF는 1.70%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42%, 러셀2000지수는 2.22%, 다우 운송지수는 1.14% 하락. KOSPI 야간 선물은 0.91% 하락. 지난 금요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65.00원을 기록. 야간시장에서는 1.472.0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72.40원을 기록.


*FICC: 금리, 달러화 큰 폭 강세, 원유, 천연가스, 옥수수, 대두 급등

국제유가는 미 재무부가 러시아 원유 산업관련 회사, 유조선, 임원들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자 공급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며 큰 폭으로 상승. 여기에 미국의 시추공 수가 감소해 미국 공급 둔화 우려도 영향. 미국 천연가스가 2년내 최고치를 기록. 향후 2주동안 추운 날씨가 진행된다는 예보에 난방 수요 증가 기대를 반영하며 난방유 가격과 함께 급등. 유럽 천연가스는 제한적인 등락에 그침.

달러화는 강력한 고용보고서 결과가 발표되자 2022년 높은 물가를 이유로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시기 이후 가장 강한 모습을 보임. 더 나아가 소비자 심리지수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한 점도 영향. 관련 변화에 유로, 파운드가 달러 대비 약세. 반면 엔화는 금리 인상 기대 등을 반영하며 달러 대비 강세. 역외 위안화를 비롯해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등 대부분 환율은 달러 대비 약세

국채 금리는 비농업 고용자수가 예상과 달리 큰 폭으로 증가하자 10년물 기준 4.8%에 근접하는 등 큰 폭으로 상승. 여기에 임금 상승도 견고해 향후 소비 증가에 대한 기대 심리를 높인 점, 그리고 소비자 심리지수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향 조정된 점도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 관련 소식에 CME FEDWatch에서는 12월까지 금리 동결 확률이 13.4%에서 30%로, 1회 금리인하 확률이 70%를 기록

금은 달러 강세와 금리 급등에도 상승.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향되는 등 물가에 대한 불안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구리 및 비철금속은 고용보고서 결과 후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으나 대부분 품목에서 상승. 시장 일각에서는 리밸런싱 중 일부 알고리즘에 의한 수급적인 요인에 의한 결과일 뿐이라고 주장. 농작물은 옥수수와 대두가 농무부의 세계 농업 공급 및 수요 전망 보고서(WASDE)에서 시장 예상치를 크게 하회한 수확량을 전망하자 큰 폭으로 상승. 밀은 달러 강세 여파로 하락.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23:08


*특징 종목: 앤비디아, 애플 부진 Vs. TSMC, 메타 강세, 헬스케어 시간외 상승

엔비디아(-3.00%)는 바이든 행정부가 대 중국 추가 규제 우려를 반영하며 하락. 여기에 국채 금리가 크게 상승하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점도 불안 요인. 투자의견 하향 된 AMD(-4.76%), 브로드컴(-2.18%), AMAT(-3.02%), 램리서치(-3.10%)등도 부진. 온세미컨덕터(-7.49%)는 수요추세가 악화되고 있다며 투자의견 하향에 하락. 그러나 TSMC(+0.60%)는 10~12월 월별 매출을 종합해 4분기에 전년 대비 33.9%나 매출 증가를 보여 예상을 상회한 결과를 내놓자 상승. 마이크론(-0.07%)은 약보합.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TSMC의 매출 발표가 긍정적이지만, 금리와 달러, 그리고 규제 이슈 등을 반영하며 2.42% 하락.

애플(-2.41%)은 궈밍치가 12월 중국내 아이폰 판매량이 전년 대비 10~12% 감소했다고 언급한 가운데 2025년 아이폰 출하량이 시장 예상 대비 8~10% 하회할 것으로 전망하자 하락. 메타 플랫폼(+0.84%)은 미 대법원이 틱톡의 미국 내 금지를 요구하는 법률에 합헌 판결을 내릴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반사이익 기대로 상승. 오라클(-5.06%)은 틱톡이 주요 고객사 중 하나라는 점에서 부진 틱톡 중단시 피해 가능성이 영향. 아마존(-1.44%)은 무역대표부가 연례보고서를 통해 온라인 약품 판매 거의 대부분이 불법 복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발표하자 하락. 알파벳(-1.14%)과 MS(-1.32%)도 하락.

테슬라(-0.05%)는 모델 Y 신형차 발표와 목표주가 상향 조정 등에 힘입어 상승 전환에 성공하기도 하는 등 변화를 보였지만 금리 상승 여파로 부진을 보이는 등 변동성이 지속되며 약보합 마감. 퀀텀 스케이프(-1.92%), 앨버말(-0.97%), 리튬 아메리카(-4.56%), 블링크차징(-3.11%)등 전기차와 관련된 종목군은 하락. 프로그레시브(-1.41%), 처브(-3.35%), 트레블러스(-4.26%)등 보험 회사는 LA 대규모 화재에 대한 비용 증가 우려로 하락.

월마트(+1.31%), 코스트코(+1.03%), 타겟(-2.46%)등 소비 관련 종목군은 고용보고서에서 관련 고용이 크게 증가하고, 4분기 임금 증가를 보여 소비에 대한 기대를 높이자 상승. 델타항공(+9.00%)은 양호한 실적 발표에 상승. 유나이티드 항공(+3.27%)등 관련 종목군도 강세. JP모건(-1.34%), BOA(-2.38%)등 대형 은행은 물론, 코메리카(-3.34%), 이스트웨스트 뱅코프(-1.93%), 키코프(-2.28%)등 지역은행들은 국채 금리 급등에 따른 미실현 손실 증가 우려로 하락.

아이온큐(+6.88%)는 피터 채프먼 CEO가 2025년에 차세대 시스템을 통해 점점 더 복잡해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단기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하고 있어 기대감이 크다고 주장하자 상승. 씰스큐(+8.63%)는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양자 관련 이베트를 개최한다는 소식에 상승. 그러나 일부 컨퍼런스에 참석한다고 알려진 리게티 컴퓨팅(-11.06%), CEO가 30년 후가 아닌 현재 서비스가 사용중이라고 언급한 디웨이브 퀀텀(-5.41%)는 물론 퀀텀 컴퓨팅(-9.38%)등 여타 양자 컴퓨터 관련 종목은 여전히 젠슨 황의 부정적인 발언과 금리를 반영하며 하락 지속.

로켓랩(-1.64%)은 나사와 협력 확대 소식에도 하락. 인튜이티브 머신(-4.90%), 새텔로직(-6.62%), 플래닛랩스(-4.38%)등 우주개발 관련 종목군과 조비 에비에이션(-7.90%), 아처 에비에이션(-14.41%),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4.73%)등 드론, 비행택시 관련 종목군 등도 금리 상승 여파를 반영하며 하락 지속. 컨스텔레이션 에너지(+25.16%)는 칼파인 인수되며 미국 최대 청정 에너지 공급업체로 변화했다는 소식에 급등. 비스트라(+3.68%)도 강세

핀둬둬(-5.62%), 알리바바(-3.78%), 진둥닷컴(-4.67%)등 중국 온라인 소비 관련 종목군은 미국 무역대표부가 연례보고서를 통해 온라인 약국에서 거의 모두 불법 복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발표하자 크게 하락. 반면 약국 체인점인 월 그린 부츠(+27.55%)는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함께 관련 보고서의 수혜 기대를 높이며 급등. CVS헬스(+4.35%)도 상승. 더불어 시간 외로 미 정부가 2026년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지불액을 4.3% 인상하는 제안을 했다는 소식에 CVS헬스는 물론 유나이티드 헬스(-0.73%) 등이 3% 내외 시간외로 상승 중이고 휴매나(+0.34%)는 7% 넘게 강세.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23:07


01/13 미 증시, 고용보고서 결과 반영하며 10년물 금리가 4.8% 근접하자 하락

미 증시는 고용보고서에서 예상과 다르게 큰 폭으로 고용이 개선되자 10년물 국채 금리가 4.8% 가까이 상승하자 대부분 종목이 하락하며 하락 출발. 여기에 소비자 심리지수가 예상과 달리 둔화되고 물가는 상향 조정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점도 불안 심리를 자극. 물론, 견고한 경기를 의미하기에 장중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지만, 국채 금리의 상승이 확대되자 악재성 재료가 부각된 애플(-2.41%)과 엔비디아(-3.00%)등이 하락을 주도하고 마감(다우 -1.63%, 나스닥 -1.63%, S&P500 -1.54%, 러셀2000 -2.2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42%)


*변화 요인: 고용보고서 결과

미국 12월 비농업 고용자수는 지난달 발표된 21.2만 건과 시장이 예상했던 15.7만 건을 크게 상회한 25.6만 건으로 발표. 실업률도 4.24%에서 4.09%로 하락. 시간당 임금은 전월 대비 0.28%로 발표돼 예상에 부합한 가운데 전분기 대비로는 4.9% 증가해 소비 증가 기대를 높임. 더 나아가 시장이 우려했던 27주 이상의 장기 실업자가 165.4만 건에서 155.1만 건으로 크게 감소한 점도 특징.

고용의 개선은 소매업이 2.9만 건 감소에서 4.3만 건 깜짝 증가한 점이 견인. 백화점이 1.2만 건 감소에서 8천 건 증가로 전환하고 창고형 마트(+5천 건)와 의류업종도 2.3만 건 증가로 전환 하는 등 예년에 비해 늦은 추수감사절 영향이 생각보다 강력했던 결과. 그 외 교육 및 의료가 8만 건, 레저 및 접객업이 4.3만 건, 정부도 3.3만 건 증가. 다만, 제조업이 2.5만 건 증가에서 1.3만 건 감소해 제조업 경기에 대한 우려는 여전. 특히 전자제품, 컴퓨터, 운송장비 등이 둔화

굴스비 총재는 고용시장이 안정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준 결과라고 언급. 그러나 데이터는 항상 변화가 있기에 좀 더 지켜봐야 하며 국채 금리의 상승은 경제 성장의 기대치가 높아진 결과라고 주장. BOA는 결과 후 올해 금리 인하는 없다고 전망했지만 모건스탠리는 그럼에도 3월에 금리 인하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 골드만삭스는 6,12월 인하로 기존 3회에서 2회로 수정. 지표 결과 후 10년물 국채 금리는 4.8% 가까이로 상승했으며 달러화가 강세폭을 확대해 109.8을 기록했고, 주식시장은 크게 하락

한편, 소비자 심리지수는 높은 금리를 반영하며 74.0에서 73.2로 둔화 됐는데 기대지수가 73.3에서 70.2로 위축된 점이 특징. 이런 가운데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2.8%에서 3.3%로, 5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3.0%에서 3.3%로 크게 상향 조정. 결국 고용과 소비는 견고해 미국 경제에 대한 기대를 높였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상향 되고 있음을 보여줌.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23:0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22616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7:27


https://www.etnews.com/2024122600026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5:41


최근 글로벌에서 잇달아 '루게릭병(ALS)' 신약 개발 실패 소식이 이어진 가운데, 릴리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공격적으로 ALS 애셋(Asset) 확보에 나서 주목됩니다.

일라이릴리(Eli Lilly, 이하 릴리)는 영국의 알케맙 테라퓨틱스(Alchemab Therapeutics, 이하 알케맙)와 함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루게릭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체를 개발한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에 따라 두 회사는 최대 5개의 새로운 항체를 공동 개발할 예정인데요. 알케맙이 받을 업프론트(선급금) 및 후보물질 발굴, 개발, 상용화에 따른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과 로열티(경상기술료) 등 계약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알케맙의 기술은 개인의 질병 상황에 따른 항체를 식별한다는 것입니다. 알케맙에 따르면, 이미 수백 개의 ALS 샘플을 확보했으며 이를 활용해 릴리와 함께 가장 유력한 치료용 항체 후보를 발굴할 예정입니다.

알케맙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천연 방어 항체 및 면역 레퍼토리를 활용하는 런던 소재 바이오기업으로 지난 2022년 영국에서 가장 강력한 엔비디아(Nvidia)의 슈퍼컴퓨터인 ‘캠브리지-1(Cambridge-1)’의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2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5:22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0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5:19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는 200억원 이상의 pre IPO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라운드에는 유안타인베스트먼트와 인터밸류파트너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 IBK증권, 이지스자산운용 등이 신규로 참여했고, 기존 투자자인 인트론바이오와 로이투자파트너스, 뮤어우즈벤처스, 유경PSG자산운용은 후속 투자를 이어갔습니다.

이번 투자금은 신약 개발에 집중적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미국 임상2상 시험계획 승인과 희귀의약품 지정, 패스트 트랙 지정을 받은 간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LB-P8'의 환자 투약을 개시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2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2:44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081622254160108648&page=3&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2:39


지난해 1월~11월 투자 실적이 전무한 벤처캐피털(VC)이 43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고금리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중소형 VC를 중심으로 보수적인 자금 집행에 나서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벤처투자조합을 신규로 결성하지 않은 VC도 18곳에 달해 벤처 투자 시장의 자금 경색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6493?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2:39


더바이오 1월 10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95

●네이처가 뽑은 올해 블록버스터 약물 10개…키워드는 'GLP-1·항암·면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4

●‘신약 2개 승인’·‘직원 급증’ …빅파마로 가는 길 올라탄 美 신닥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3

●로슈 산하 ‘쥬가이제약’, 아라리스와 1조원 규모 ADC 개발 협력 계약 체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0

●[JP모건] 파멥신, 황반변성 치료 후보물질 'PMC-403' 글로벌 파트너십 논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22

●에이프로젠, 지오릿에너지 경영권 지분 인수…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본격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21

●이수앱지스, ISU104·CAR-NK 유방암 마우스 종양 크기 감소 확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9

●베스펙스, CES서 AI 웰니스 혁신상 수상…AI 기반 건강 솔루션 제공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8

●GC녹십자, ‘탁센 레이디’ 대용량 30캡슐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7

●삼성바이오로직스, 협력사와 파트너십 강화 '상생 협력 데이' 개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6

●LG화학, 태국 에스테틱사업 확장 나선다…PN스킨부스터 '비타란' 판매 본격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5

●[시가총액 모니터] 바이오 특례상장 기업 '톱 50'(1월 9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2

●한국파스퇴르硏, 서울성모병원 바이오코어 퍼실리티 센터와 상호 협력 MOU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8

●일양약품, 故 위제 정형식 명예회장 서거 7주기 추모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20

●KBIOHealth, 노사 단체협약 체결…출산축하금 신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9

●비어바이오, T세포 인게이저 두 후보, HER2 고형암·전립선암 1상서 효능 확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7

●갈라파고스, 3.7조원 투자해 법인 분할…‘스핀코’ 혁신의약품 개발에 집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4

●콤패스 “에이비엘바이오서 도입 후보약, 담도암 2·3상 톱라인 결과 1Q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5

●디앤디파마텍, MASH 임상 최고 전문가 메이즌 누레딘 박사 '과학고문' 영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2

●한국릴리, 중등도·중증 아토피 피부염 신약 '엡글리스' 국내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1

●FDA, 화이자·GSK RSV 백신에 ‘길랭-바레 증후군’ 경고…인과관계 규명 아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0

●[JP Morgan] Celltrion unveils new drug development vision and strategy, advancing as a 'global new drug compan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6

●[JP Morgan] Alteogen joins first conference following the topline announcement of ‘Keytruda SC’ Phase 3 clinical trial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03

●Ildong Pharmaceutical’s Yun Paul Woong-sup and Lee Chae-joon present 'edible GLP-1' at JP Morgan in the U.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9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1:41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2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1:27


파멥신은 오는 13일부터 1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다양한 파트너십 논의를 이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올해로 16번째 참석입니다.

파멥신은 이번 행사에서 'PMC-403(개발코드명)'의 임상1상 진행 상황을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논의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현재 PMC-403은 국내에서 항VEGF 표준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1상 단계에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파멥신 창업자이자 전 대표인 유진산 부사장, 새로 부임한 심주엽 대표, 강병규 사내이사 그리고 미국 자회사 Wincal BioPharm의 최고과학책임자(CSO)인 이태원 박사가 참여해 다수의 미팅과 네트워킹 리셉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2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0:12


[오늘의 HIT_1월 10일 금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오전 기사 올려드립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비만관리 콘트롤타워 부재 "비만약 오남용 막을 정책수단 고민해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5

💊 카나브 제네릭, 미등재 특허회피로 소송 리스크 해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99

🧬 바이오의 힘? 의약품 허가 셀트리온 최고... 그 뒤에 삼성바이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7

💊 오페브·테빔브라·페마자이레 올해 첫 약평위 모두 통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2

🏢 동아참메드, 의료기기·진단·감염까지… 토탈 헬스케어 회사로 도약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1

🏢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서 '제약바이오'는 어디로 갔나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0

🧬 가장 기대되는 AD 치료제로 뽑힌 아리바이오 'AR1001' 비밀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4

🗣 편의점 그많은 물건 중 왜, 초코파이 情이 눈에 쏙 들어오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98

🏢 1·2세대 실손보험 '강제전환' 꺼냈지만… '이건 아니지' 이구동성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6

🗣 "바로팜, 약국과 함께 K헬스케어 시장에 새 패러다임 제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90

📈 [투자리포트] 대웅제약, 단기실적 최선호주 추천… 주가 21만원 예상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82

🖱 [HIT알공] 피씨엘, 사모펀드 젬일드바하마에 51억원 수수료 지급 청구 피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3

👨‍💼 [경력채용] 휴젤, 이니스트에스티, 환인제약, 부광약품, 차바이오텍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91

🍀 Surge in Illegal Marketing of Obesity Drug Wegovy Raises Concerns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09

🍀 피알지에스앤텍, 신경섬유종증 치료제 연구 성과 발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97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Jan, 00:12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선 상용화 시장에서 'GLP-1 작용제'의 시대가 왔습니다.

올해 글로벌 약물 시장에서 매출 상위 10개 제품 중 약 절반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의 비만·당뇨병 치료제가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선정한 올해 매출 상위 10개 약물 중 4개에 속합니다. 오젬픽-위고비(동일성분), 마운자로-젭바운드(동일성분)로 엄밀히 성분은 두 종류이지만 각기 다른 적응증에서 크게 활약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아울러 GLP-1 계열의 약물 외에도 항암제와 면역질환 치료제 등이 목록에 올랐습니다.

이들 상위 10개 블록버스터 약물들의 매출 총합은 1684억9000만달러(약 246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9 Jan, 22:21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10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Eli Lilly(LLY.US): 영국 Alchemab Therapeutics와 협력하여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치료용 항체 개발을 추진. 계약 조건에 따라 Alchemab과 릴리는 최대 5개의 새로운 항체를 공동 개발할 예정. Alchemab은 비공개된 업프론트와 추가 마일스톤 및 로열티를 받을 수 있음.
https://han.gl/YFWZ6

Novartis(NVS.US): Light Horse Therapeutics, BMS 등으로부터 $62mn 시리즈 A 펀딩을 확보하고 Novartis와 다중 타깃 계약 체결. 계약에 따라 Light Horse는 업프론트 $25mn과 최대 $1bn에 달하는 R&D 판매 및 마일스톤 및 로열티를 지급받을 가능성을 확보. Light Horse는 정밀 유전체 편집 기술을 활용해 소분자 약물 개발에 나설 예정.
https://han.gl/z0Uov

AstraZeneca(AZN.US): AZ의 Lynparza(olaparib), HER2 음성, BRCA1/2 돌연변이 유방암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의 권고를 받았음. 해당 권고는 OlympiAD 임상3상에 기반한 결정. 임상 결과, olaparib은 화학요법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연장하며 질병 악화 또는 사망 위험을 42% 감소시켰음.
https://han.gl/lVqXm

Sanofi(SNY.US): SC 제형의 온바디 전달 시스템(OBDS) enFuse를 활용해 다발골수종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을 보였음. 임상3상(IRAKLIA) 결과, Sarclisa SC는 객관적 반응률(ORR)과 혈중 농도 측면에서 IV 대비 비열등성을 입증. 사노피는 올해 상반기 중 미국 및 유럽 승인 신청을 계획 중.
https://han.gl/1JENQ

Lonza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전문 자회사 Synaffix, Boehringer Ingelheim과 새로운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맞춤형 ADC 기술을 제공하고, 비공개 업프론트와 최대 $1.3bn의 마일스톤 지급금 및 로열티를 지급받을 예정.
https://han.gl/poJhl

<한국>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KS): 삼성바이오·리가켐 "ADC 협력…올해 3건이상 프로젝트"
https://han.gl/b0Hpx

지엔티파마, 뇌줄중 치료제 ‘넬로넴다즈’ 다국적 임상3상 본격화
https://han.gl/uMR0L

리가켐바이오, JP모건 헬스케어 참석…"차세대기술 소개"
https://han.gl/7WtL4

디앤디파마텍 “MASH 임상 최고 전문가, 과학 고문으로 영입”
https://han.gl/RAIuj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9 Jan, 22:21


(1/10)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지미 카터 애도로 증시 휴장

# Key Takeaways
- 연준의 정책 변경 가능성 언급, 향후 금리 인하는 2025년에 두 번으로 제한될 것임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애도로 증시 휴장

# Summary
미 증시는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국가 장례식으로 인해 휴장했음. 1월 9일 카터 전 대통령의 국가 애도일로 지정되어 미국 증시와 나스닥이 임시 휴장하였고, 채권시장도 오후 2시에 조기 폐장함. 미국 주식시장의 임시 휴장은 전직 대통령의 장례일에 증시가 휴장되는 월가의 전통으로, 가장 최근에는 2018년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의 장례일에도 이루어졌음.
주요 경제지표 발표는 없었으며, 연준의 연설에서는 인플레이션 압력과 무역 및 이민 정책 변화 가능성이 언급됨. 위원들은 향후 금리 인하 속도가 현재보다 제한적으로 진행될 것임을 언급했고, 2025년에는 두 차례의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110063407000_3533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는 최근 상승을 멈추고 4.68으로 소폭 하락함.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속도 조절 신호와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관세 우려가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노동 시장 둔화 징후가 추가로 나타남.
통화 시장에서는 달러 인덱스(DXY)가 0.15% 상승한 109.17을 기록, 연준의 정책 전망과 경제 비상 선언 가능성에서 지지를 받음. 유로/달러는 0.19% 하락한 1.03로 마감.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가 하루 동안 1.13% 상승, 74.15달러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임. 이는 에너지 시장의 수요 증가와 공급 제약과 연관이 있어 보임. 금 가격은 0.25% 상승해 2,669.02달러, 은은 다소 감소하며 0.18% 하락한 30.08달러를 기록함. 이러한 경제 지표는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하면서 통화 및 상품 시장의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있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29


[오늘의 HIT_1월 8일 수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오전 기사 올려드립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풀미코트·풀미칸, 3년 제한 뚫고 1년여만에 약가인상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1

💊 국내 개발 신약 '이중약가'-국산원료 사용 국가필수약 '가산'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67

🧬 "Aβ만으론 부족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뉴' 플랜이 필요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09

💊 업계 200명이 경청한 '제약바이오 레전드들의 스타신약' 성공 스토리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4

🏢 AI기반 질환 예측 모델 개발... 심혈관·항생제 내성 등 정밀화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0

🏢 김유미 식약처 차장 후임은 '69년생' 가운데 누구인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6

🗣 "면역항암 치료의 한계를 넘어…넥스아이가 여는 2025년 새 지평"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51

📈 [투자리포트] 한올바이오, 美파트너사 임상결과·경쟁약물승인 관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2

🏢 "위기와 혼돈의 시대, 약업계 변함없는 저력으로 극복"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15

🖱 [HIT알공] 제넥신, 연구개발 우수기업 매출액 특례 요건 충족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08

👨‍💼 [경력채용] 대웅, 한미약품, 삼성바이오로직스, 메디톡스, HLB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03

🍀 김윤 의원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전공의 수련 혁신법 대표발의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88

🍀 건강보험 보장률 하락...정부, 비중증 과잉 비급여 집중 관리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06

🍀 엘엔로보틱스, '로봇 활용 관상동맥 중재술' 혁신의료기술 지정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97

🍀 이뮤노포지, DMD 치료제 'PF1804' FDA 2상 IND 승인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96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26


A사 관계자는 "RCPS는 부채로 잡히는 탓에 후속 투자유치 등 자금조달하는데 걸림돌이 된다"며 "기업공개(IPO) 단계에서 RCPS를 보통주를 전환하는데 주주 간 잡음도 많다"고 말했다.

상환권 행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도 A사의 이런 결정에 한몫 했다. 상환권은 회사가 배당가능한 이익 범위 내에서만 행사할 수 있다. 즉, 배당가능한 이익이 없으면 상환의무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성장 단계에 있는 스타트업에 상환권을 행사하는 건 어렵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7350?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25


https://healtho.co.kr/news/view.php?idx=145365&mcode=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13


유한양행

과거 미래에셋 레이저티닙 추정치


-피크 40% 가정시 29년 로열티 4800억 추정
-전일 생존율 데이터 발표로 추정치 올라갈 가능성
-피크 70% ~ 80%로 상향될시, 로열티 + 본업 포함 영업이익 7000~8000억대 바이오텍 등극 가능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11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는 미국 베리언트바이오(Variant Bio)와 대사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을 발견하기 위해 다년간의 연구 협력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가 성공하면 유전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이 가능해져 대사질환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를 모읍니다.

이번 협력은 대사질환, 특히 ‘비만’을 포함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을 발굴하고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노보와 베리언트는 유전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신약 개발을 시작할 수 있는 표적을 다수 확보해 보다 혁신적이고 정교한 치료법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노보는 베리언트에 초기 업프론트(선급금)와 연구개발(R&D) 자금으로 최대 5000만달러(약 730억원)를 지급합니다. 또 협력을 통해 발굴한 표적에 대한 옵션 비용과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지급 조건이 포함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5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07


미국 8개 주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다시 시행 (외신)

👉어제보다 주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msn.com/en-ca/health/medical/face-mask-mandates-make-a-comeback-in-eight-us-states/ss-AA1x7U7k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8 Jan, 00:06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318800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3:59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8254?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3:56


ADC·비만치료제 전면에…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13일 개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6604?sid=103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글로벌 투자자를 상대로 사업 전략을 발표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지난해처럼 메인 세션에서 발표를 진행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 휴젤, 클래시스, 브릿지바이오테아퓨틱스 등도 다른 세션에서 중장기 전략과 비전을 제시한다. 국내 업체와 파트너십 관계에 있는 존슨앤존슨, 아스트라제네카 등을 비롯해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우시엡텍 등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기업 550여 개, 관계자 8000명 이상이 모일 전망이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3:35


신년특집 7탄으로, 올해 바뀌는 정책에 대해 짚어봤습니다.

다음 달부터 세포치료제 등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내용의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생법)’ 개정안이 시행됩니다.

바이오 기업들은 막혀 있던 첨단재생 바이오의약품의 활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영리 활동과 R&D 동력 강화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약에 대한 허가 심사도 빨라질 전망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신약 허가를 위한 사전 검토 수수료를 크게 인상하고, 전문적이고 신속한 허가 절차 집행을 예고했습니다.

식약처는 신약 허가 신청 수수료를 기존 883만원에서 4억1000만원으로 증액하는 것으로 책정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4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3:34


[단독] '오리온+하이센스바이오' 합작사, 10월부터 베트남에 '기능성 치약' 판다

오리온그룹이 신약개발 사업에 뛰어들며 2022년 12월 국내 바이오기업 하이센스바이오와 합작 설립한 '오리온바이오로직스'가 오는 10월부터 '기능성 치약' 판매로 본격적인 사업 개시에 나섭니다.

이는 설립 이후 약 3년만인데요. 우선 베트남에서부터 빠른 상업화를 위해 하이센스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프리미엄 치약 판매를 시작으로 점차 신약으로도 판매 아이템을 확장한다는 계획입니다.

이 치약은 하이센스바이오가 구축한 핵심 기술 'CPNE7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셀코핀타이드, Selcopintide)'가 핵심 원료입니다. 치아의 대부분(약 70%)을 구성하는 상아질을 재생할 수 있는 후보인자로, 하이센스바이오는 셀코핀타이드 성분으로 시린이 치료제 후보물질 'KH-001’ 등의 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기도 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4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3:34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5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3:34


간밤에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이 '오시머티닙'보다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을 1년 넘게 개선할 것이란 데이터가 발표되면서 해당 임상(MARIPOSA) 제1저자인 조병철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조 교수는 '경이적인 사건'이라며 '더 이상의 논쟁이 필요없다'라고 치켜세웠습니다.

조 교수는 "EGFR NSCLC 치료에서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은 논쟁이 필요없는 가장 뛰어난 치료제"라며 "'No more monotherapy(더이상 단일요법은 필요없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4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2:40


★ [키움 허혜민] ★ 유한양행, 전체 생존기간 발표로 드러난 J&J의 확신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 다국적제약사들이 임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할 때, 사용하는 가장 좋은 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 의미 있는 개선”을 함께 쓰는 것임.

- 이는 곧 상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 국산 신약을 도입한 다국적 제약사가 이러한 표현을 쓴 것은 이번이 최초.

- 학회에서 세부 데이터 공개 될 것으로 보임. mOS는 4년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J&J 언급. (vs 타그리소는 약 3년)

- CRL 실망감은 주가에 이미 반영. 최선호주 추천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SN3553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2:40


★ [키움 허혜민] ★ 삼성바이오로직스, 예견된 4분기 비용부담. 6공장 착공 소식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목표가 130만 원 유지.

4분기 실적은 일회성 비용 반영 등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다만, 이는 이미 3분기 실적발표 이후부터 인지하고 있었던 바,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단기 실적보다는 탄탄한 수요와 중장기 성장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설 소식을 기다리고 있으며,

5공장 18만리터 증설에 24개월 소요된 점과 ‘27년 6공장 완공 계획을 감안하면 ’25.1Q 6공장 착공 소식이 있을 것으로 추측.

이하 생물보안법 등 코멘트는 아래 보고서 링크 참고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33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2:15


(1/8)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관세 논란 속 PMI 호조에도 증시 일제히 하락

# Key Takeaways
- 미국 주요 지수 S&P 500 1.1%, 나스닥 1.9% 하락
- 미 서비스업 PMI 54.1로 기대 이상 경기 호조
-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 논란 속 시장 불안 가중

# Summary
미 증시는 전반적인 하락세로 마감함.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89% 하락한 19,489.68에 거래를 마쳤고, S&P 500 지수는 1.11% 하락하여 5,909.03에 마감하며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음.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2% 내린 42,528.36을 기록함.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도 0.74% 하락하며 2,249.80에 마감함.
이날 시장 하락세의 주요 요인으로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4.1로 기대치를 상회하면서 서비스업 경기가 강한 확장세를 유지하였음. 그러나 이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으며, 미 연준이 상반기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시장 변동성이 커짐. 트럼프 당선자의 경제 및 관세 정책 발표도 시장 불안을 가중시킴. 특히, 관세 강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투자자들이 관망세로 전환, 채권 금리가 상승함.
더불어, 엔비디아의 주가는 CES 기조연설 후 5.19% 하락했고, 테슬라의 주가도 투자 등급 하향 소식에 2.98% 하락했음. 반면 조류독감 백신 개발로 모더나 주가는 12% 이상 급등함. 이러한 가운데 서비스업 강세와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향후 경제 지표와 트럼프의 정책에 따라 시장의 추가 변동성이 예상됨. (다우 -0.42%, 나스닥 -1.89%, S&P500 -1.11%, 러셀2000 -0.74%)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108064657270_3533

# 특징종목
이나리 메디컬(+22%)은 Stryker가 이 회사를 49억 달러에 인수하며 60% 프리미엄을 제안한 사실이 주가 급등에 크게 기여함. 이는 시장에서 강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낸 주요 이유가 됨. 셔터스톡(+15%)도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 Getty Images와의 합병 소식이 발표되며 주가가 급등함. 이러한 합병은 콘텐츠 제공 및 기술 혁신에 있어서 큰 전환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반면, 엔비디아(-6.2%)는 기록적인 고점 이후 하락세를 보였으며, 투자자들이 금리 인하 기대를 축소하면서 나스닥 지수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음. 테슬라(-4.1%)는 Bank of America의 주식 등급 하향 조정과 일부 기술의 연방정부 조사 소식에 주가가 하락함. 메타 플랫폼스(-2.0%)는 팩트 체크 중단 발표로 논란이 발생하며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음. 마이크론 테크놀로지(+2.7%)는 엔비디아의 신규 RTX 50 GPU 주요 공급업체로 지명되며 주가가 상승했으며, 이는 엔비디아 관련 긍정적 소식이 마이크론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예시임. 반면, 컴캐스트(-0.8%)는 파라마운트와의 계약에도 불구하고 스트리밍 시장 경쟁과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로 인해 주가 하락을 피하지 못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695로, 전일 대비 5.9bp 상승했음. 이는 경제 강세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감소하면서 채권 수익률이 증가했음을 반영함.
달러인덱스는 108.67로 0.30% 상승하면서 최근의 하락세에서 회복을 보임. 이러한 달러 강세는 미국 서비스 부문의 강한 성장에 의해 뒷받침되었음. 유로/달러는 1.034로 0.46% 하락했으며, 이는 유로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음을 나타냄.
상품 시장에서는 WTI 원유 가격이 하루 동안 0.98% 상승한 74.28달러를 기록함. 이는 원유 시장에서의 긍정적 전망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음을 시사함. 금 가격은 0.59% 증가한 2650.19달러로, 안전자산으로의 수요가 여전히 강세임을 보여줌. 이러한 채권, 외환 및 상품 시장의 변화는 글로벌 경제 상황과 연준의 통화 정책 기대에 큰 영향을 받으며,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조정에 주요 변수가 되고 있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2:15


(1/8)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2,528.36p (-178.20p, -0.42%)
- S&P500: 5,909.03p (-66.35p, -1.11%)
- NASDAQ: 19,489.68p (-375.30p, -1.89%)
- 러셀2000: 2,249.80p (-16.84p, -0.74%)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3.72 (-0.68, -1.25%)
- MSCI 이머징지수 ETF: $42.00 (-0.30, -0.71%)
- Eurex kospi 200: 329.35p (-2.20p, -0.66%)
- NDF 환율(1개월물): 1,453.05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212.25 (-97.90, -1.84%)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8.666 (+0.409, +0.38%)
- 유로/달러: 1.0341 (-0.0049, -0.47%)
- 달러/엔: 158.01 (+0.39, -0.2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849% (+1.0bp)
- 10년물: 4.6830% (+5.3bp)
- 10Y-2Y: 39.81bp (4.26bp 확대)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4.25 (+0.75, +1.02%)
- 브렌트유: 77.05 (+0.79, +1.04%)
- 금: 2,665.40 (+17.60, +0.66%)
- 은: 30.69 (+0.08, +0.27%)
- 구리: 419.55 (+1.80, +0.43%)
- 옥수수: 458.00 (0.00, 0.00%)
- 밀: 542.50 (+2.25, +0.42%)
- 대두: 997.25 (-0.50, -0.0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7 Jan, 22:15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8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Johnson&Johnson(JNJ.US): Rybrevant+lazertinib, AZ의 Tagrisso(osimertinib) 대비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생존율을 유의미하게 연장했다 발표. 다만, Tagrisso(38.6개월)와 비교한 생존 기간 연장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음. J&J는 중간 생존율 데이터가 1년 이상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언급.
https://han.gl/LGj1a

Pfizer(PFE.US): PostEra, 화이자와 새로운 ADC(항체-약물 접합체) 협업을 시작하고 기존의 $260mn 규모 AI Lab 협업을 확장한다 발표. 양사는 PostEra의 AI 플랫폼인 Proton을 활용해 저분자 치료제와 ADC를 포함한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 PostEra는 이번 계약에 따라 $12mn의 업프론트와 제품 승인 시 추가 마일스톤 및 로열티를 지급받을 수 있음.
https://han.gl/rzc7h

AbbVie(ABBV.US): 마일스톤 지급 및 연구개발 비용과 관련해 $1.6bn 규모의 인수 비용이 발생함에 따라 24년 조정 순이익 전망치 하향 조정. 연간 전망치는 이전 $10.90~10.94에서 $10.02~10.06으로 조정되었음. 4Q24 애브비 실적 발표는 1/31일 예정.
https://han.gl/5kVwV

Sanofi(SNY.US): 신약 개발 회사 Alloy Therapeutics와 협력해 중추신경계(CNS) 타깃을 겨냥한 합성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약물을 개발할 계획. 이번 계약은 여러 질환을 해결할 수 있는 단일 타깃을 대상으로 함. 이에 따라 사노피는 Alloy에 최대 $27.5mn의 업프론트 및 단기 마일스톤을 지급하고 최대 $400mn 이상의 마일스톤과 로열티를 지급할 예정.
https://han.gl/HcGTK

Novo Nordisk(NOVO.DK): Variant Bio와 최대 $50mn의 선불금 및 단기 R&D 자금을 포함한 협약을 체결하고, 치료 타깃에 대해 비공개 바이오벅스(biobucks)를 지급하기로 합의. 양사는 Variant의 VB-Inference 플랫폼을 활용해 새로운 타깃을 식별하는 데 협력할 계획.
https://han.gl/uBwU9

Metsera의 GLP-1 수용체 작용제 MET-097i, 12주 임상2a상에서 위약 대비 최대 11.3% 체중 감소를 달성하며 긍정적인 결과 발표. MET-097i는 용량 의존적으로 체중 감소를 유도했으며, 월 1회 투여 가능성도 확인. Metsera는 25년 중반에 2b상 주요 데이터를 발표하고, 월간 투여 등 추가 임상을 진행할 예정.
https://han.gl/EQtaL

Acelyrin, 갑상샘 눈병(TED) 치료제 lonigutamab이 임상1/2상에서 안구 돌출 및 이중 시야와 같은 주요 증상을 개선하며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발표. Acelyrin은 두 개의 임상3상(LONGITUDE)을 준비 중이며, 1Q25에 임상을 시작해 2H26에 주요 데이터를 발표할 계획.
https://han.gl/HF0Du

Denali Therapeutics,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치료제 DNL343이 임상2/3상에서 주요 목표(질병 중증도 변화 및 생존율 증가)와 2차 목표(근력 및 호흡 개선)를 달성하지 못했다 발표. Denali는 DNL343에 대해 하위 그룹 분석, 장기 효능 데이터 등을 추가적으로 평가한 후 다음 단계를 결정할 계획이라 밝혔음.
https://han.gl/Ba54Y

Vertex Pharmaceuticals, Orna Therapeutics와 겸상 적혈구병(SCD)과 수혈 의존성 베타 지중해빈혈(TDT)에 대한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력 계약 체결. Vertex는 Orna에 업프론트 $65mn을 지급하며, 일부는 전환사채 형태로 지급. 향후 Orna는 전임상, R&D, 규제 및 상업적 마일스톤으로 $635mn을 지급받을 수 있음.
https://han.gl/3cFcN

Avenzo Therapeutics, DualityBio와 EGFR/HER3 이중 표적 ADC AVZO-1418/DB-1418의 개발, 제조 및 상업화를 위한 글로벌 독점 라이선스(중국 제외) 계약 체결. 계약에 따라 DualityBio는 $50mn의 업프론트와 최대 $1.15bn의 개발, 규제 및 상업적 마일스톤을 지급받을 수 있음. 현재 IND 지원 연구가 진행 중이며, 올해 첫 임상에 진입할 계획.
https://han.gl/acipq

<한국>
에이프로젠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임상원료약 생산 성공"
https://han.gl/Myrcv

신라젠 "글로벌제약사 베이진서 병용임상 약 무상 지원"
https://han.gl/5zAl2

차바이오텍 美 자회사, 차일즈 큐어와 AAV9 벡터 생산 CDMO 계약
https://han.gl/U8BHu

네오이뮨텍 "JP모건 헬스케어서 기술이전 논의 본격화"
https://han.gl/BHfRd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12:04


트럼프 당선인의 보좌진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되 특정 핵심 수입품에만 관세를 적용하는 계획을 검토 중

1. 관세 계획 수정
- 트럼프 당선인의 보좌진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되 특정 핵심 수입품에만 관세를 적용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 방위산업, 의료 용품, 에너지 생산 관련 수입품이 주요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 기존 선거 공약보다 범위는 축소되었으나 글로벌 무역 질서를 뒤흔들 가능성이 있다.

2. 기존 공약과의 차이
- 2024년 선거 캠페인 중 모든 수입품에 10~2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과 달리 특정 산업에만 관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 급격한 물가 상승과 정치적 반발을 고려한 수정된 방안으로 보인다.
- 관세 대상 산업은 국가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분야로 좁혀질 가능성이 있다.

3. 글로벌 반발 및 경제적 영향
- 새로운 관세 정책은 세계 각국의 보복을 초래할 수 있으며, 소비자와 기업의 비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 일부 경제학자는 관세가 수입 원자재 비용을 증가시켜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관세 부과는 제조업 일자리 회복을 목표로 하지만 실제로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4. 관세 정책 주도 인사
- 백악관 국내 정책위원회를 이끌 예정인 빈스 헤일리와 재무부 장관으로 내정된 스콧 베센트 등이 정책 수립을 주도하고 있다.
- 상무장관으로 지명된 하워드 러트닉도 관세 정책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5.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전망
- 트럼프는 관세를 통해 제조업을 미국으로 회귀시키고 국가 부채를 갚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과거 1기 행정부에서 중국산 제품 3600억 달러에 관세를 부과한 사례를 들어 관세 효과를 강조했다.
- 멕시코 및 캐나다와의 무역 갈등도 관세 정책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25/01/06/trump-tariff-economy-trade/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11:48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25/01/06/trump-tariff-economy-trade/

트럼프의 측근에 따르면, 새로운 관세는 모든 국가들에게 일괄 적용 될 예정이며 전방위적인 품목이 아닌, 일부 핵심 품목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부과 될 것이라고 한다.

* 트럼프 관세 공포 완화 🔥
달러지수 & 채권 금리하락 중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10:12


조영식 바이오노트 회장이 2023년 말에 이어 올해도 장녀인 조혜임 전무에게 증여를 단행했습니다. 슬하 1남 1녀를 둔 조 회장은 사실상 장녀를 후계자로 선정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바이오노트는 최대주주인 조 회장이 조 전무에게 481억원 규모 주식 증여를 진행한다고 공시했습니다. 증여 주식수는 총 1000만주(약 9.8%)이며, 증여를 위한 처분 단가는 4810원입니다.

이번 증여를 통해 조 회장의 바이오노트 지분은 34.99%(3571만2000주)로 줄어들게 되며, 조 전무의 지분은 16.49%(1672만9843주)로 변동될 예정입니다.

조 전무는 최대주주인 조 회장에 이어 2대 주주로 올라서게 됩니다. 조 전무의 동생인 조용기 바이오노트 이사는 바이오노트 지분율 1.57%(160만주)를 소유하고 있는데, 남매 간 지분 격차는 14.92%포인트(p) 벌어지게 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0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8:52


헬스케어 팀 Monthly 자료 25년 1월호입니다.

[글로벌 헬스케어 처방전 1월호]
JPM 컨퍼런스와 호실적에 주목

I. 미래에셋증권 헬스케어 처방전 1월호

Top Picks: SK바이오팜, 리가켐바이오, 클래시스

II. 제약/바이오 투자전략 및 Top picks

1. JPM Healthcare Conf. 효과 기대
2. 노보노디스크 CagriSema 임상3상 발표 (feat. 일라이릴리)
3. 머크-한소제약 경구용 GLP-1 계약 체결 (feat. 디앤디파마텍)
4. BMS-바이오아틱 BBB 셔틀 항체 라이선스 계약 (feat. 에이비엘바이오)
5. 사노피/테바 TL1A 항체 IBD 임상2b상 성공 (feat. 한올바이오파마)
6. 아이오니스 Tryngolza(olezarsen) FDA 허가 (feat. 에스티팜)
7. Dato-Dxd: EGFR 돌연변이 환자 대상으로 허가 진행 (feat. 리가켐바이오)
8. ASH 2024: 주요 하이라이트 (12/7-12/10)
9. 미래에셋증권 헬스케어 Corporate Day Note (12/3-12/5)
10. 주요 카탈리스트
11. 2024 글로벌 제약/바이오 주요 딜 질병/모달리티 구분

III. 의료기기/디지털헬스 투자전략 및 Top picks

1. 미용: 긍정적인 수출환경 vs. 외국인 환자 감소
2. 진단: 글로벌 확장에 의한 마진 턴어라운드의 원년
3. 디지털헬스: 진짜 옥석이 가려질 미국 시장
4. 치과: 환율은 우호적이나 실적개선이 더 중요
5. 글로벌 의료기기/디지털 헬스
6. 주요 Catalyst

IV. 글로벌 산업 데이터

주요 의약품 처방 데이터
관세청 수출 데이터
글로벌 의료서비스 관련 데이터

V. 글로벌 주가 Performance

제약/바이오 투자전략

지난 12월, 국내 비상계엄 및 대통령 탄핵 등 정치 리스크가 부각되었고, 미국 FOMC에서 금리 인하 전망이 축소됨으로써 섹터의 변동성 확대가 나타났다. 동시에 연말 대주주 양도세 회피 수급 이슈 해소 및 미국 10년물 금리 상승 제한 기대가 확대되며 연말/연초 섹터 센티멘트는 빠르게 개선되기도 했다.

1월에는 1/13~16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와 국내 기업 호실적에 주목하자. JPM 헬스케어컨퍼런스는 새해 첫번째 IR 행사이기 때문에 빅파마/바이오텍의 연간 마일스톤 및 사업개발 방향성 등이 발표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맞물려서 행사 기간 M&A 및 대규모 라이선스 딜이 발표되기도 한다. 센티멘트 개선 및 25년 투자 아이디어로 이어질 수 있다. JPM 행사에서 발표하는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브릿지바이오, 롯데바이오로직스, 휴젤, 클래시스 등이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국내 바이오텍들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업개발 및 파트너십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1월 하순 삼성바이오로직스부터 4분기 실적발표 시즌이 시작된다. 4분기 강달러가 지속되었기에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팜 등 수출기업들의 호실적 및 긍정적인 25년 가이던스 제시가 기대된다. 이외에 1월 주목할만한 이벤트로는 알테오젠의 19년 1차 계약사와의 임상시험 진입 여부, SK바이오팜의 2nd Product 도입 여부, 리가켐바이오의 ADC 기술수출 여부, 올릭스의 siRNA 기술수출 여부 등이다.

우리의 탑픽은 엑스코프리 기반으로 본격적인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고, 빠르면 올해 초 2nd Product 도입이 기대되는 SK바이오팜(326030), 최근 1조원의 대규모 수주를 또한번 기록, 올해 4월 5공장 가동을 앞두고 추가 수주, 미국 생물 보안법 중장기적 수혜가 기대되는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작년 10월 오노약품과의 패키지 딜 이후에도 여전히 추가적인 딜이 기대되는 리가켐바이오(141080)다.

텔레그램: https://t.me/bioksm
자료링크: https://han.gl/8vGFa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8:44


https://m.newsprime.co.kr/section_view.html?no=66997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4:42


아이바이오(iBio, Inc.)는 지난 2일(현지시간) 아스트랄바이오(AstralBio)로부터 마이오스타틴(myostatin) 항체 ‘IBIO-600’의 라이선스를 사들였습니다.

이번 라이선스인(L/I)에 대한 계약금으로 아이바이오는 75만달러 규모의 자사 주식을 아스트랄에 지급했네요. 개발, 상업화 등에 대한 마일스톤은 최대 2800만달러입니다.

이번 라이선스인은 지난해 체결한 파트너십의 연장선이며, 아이바이오의 AI기반 기술을 이용해 아스트랄이 발굴한 항체입니다. 아이바이오는 올해 초 전임상 데이터를 도출하고, 내년에 임상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이바이오가 비만치료제 타깃으로 개발하고 있는 마이오스타틴, 액티빈 항체 등은 비만 및 대사질환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일라이 릴리(Eli Lilly) 역시 주목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4:07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051434277973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2:30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99825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2:19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061022306960102432&page=1&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0:50


한올바이오파마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혁신형 제약기업은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연구개발(R&D) 능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 역량을 갖춘 우수 기업을 보건복지부가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혁신형 제약기업에 선정된 기업에는 정부 R&D 과제 참여 시 가점, 세액 공제 및 규제 완화 효과 등의 혜택을 받습니다.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은 2024년 12월 28일부터 2027년 12월 27일까지 총 3년간 유지할 수 있고, 이후 인증 연장을 통해 자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7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0:50


https://m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96144664203509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6 Jan, 00:15


[오늘의 HIT_1월 6일 월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오전 기사 올려드립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제네릭 준비태세, '동국제약'이 제일 빠르고 부지런했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61

🗣 "지엘팜텍 인수 9개월… 기술로 성공하는 제약사 일구겠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36

🧬 침체됐던 바이오텍, 올해 '회복 모드'… 중국 시장 '주목'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14

🧬 연말 바이오 투심 활활...알데바가 열고 애거슨바이오가 닫아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08

💊 [허가/임상] 퀴자티닙, FLT3-ILD 음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3상 승인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07

🗣 박소라 원장 "첨단재생의료 모멘텀의 해, 기폭제 될 것"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18

🗣 "실제 나이가 34, 60, 78세가 된다면 노화에 더 신경쓰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04

🍀 Cabometyx: A New Hope for Neuroendocrine Tumor Patients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06

🍀 Caregen Unveils Projects in Wet AMD, Fibrosis, and Dry Eye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12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Jan, 23:46


삼성바이오로직스가 9년 연속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공식 초청되었습니다.

이번에도 행사장 내 가장 큰 규모인 '그랜드 볼룸'에서 발표를 진행하는데요, 그랜드 볼룸은 550여개 초청 기업 중에서도 선별된 27개 기업만 발표할 수 있는 무대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일 차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일라이릴리(Eli Lilly), 아스트라제네카(AZ) 등 글로벌 빅파마들과 함께 발표할 예정입니다.

발표는 존림 대표가 직접 맡습니다. 존림 대표는 14일(화) 오후 3시 '4E(Excellence)'를 주제로 발표합니다. 취임 이래 매년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내실 있는 성장을 거둔 배경과 올해 사업 계획 및 중장기 비전 등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6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Jan, 23:45


올해 상반기에도 다국적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 이하 릴리)와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 이하 노보)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GLP-1) 기반 치료제의 다양한 적응증 개발 경쟁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이와 함께 유전자 편집과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의 개발 성과를 가늠할 주요 임상시험 결과들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더바이오>가 올해 상반기 주목해야 할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요한 5가지 임상시험을 살펴봤습니다.

- 릴리, ‘마운자로’ 심혈관 효과 임상 결과 6월 발표 예정
- 노보, GLP-1 계열 ‘세마글루타이드’ 대상 알츠하이머병 치료 가능성 탐색
- 빔테라퓨틱스, ‘4세대’ 유전자 편집 기반 신약 개발
- 버텍스·모더나, mRNA 기반 낭포성 섬유증 치료제 개발 6년 만에 임상 진전
- 버브테라퓨틱스, 심장마비 평생 예방 목표로 한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 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6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Jan, 23:45


이번 주 <THE FINANCE> 코너는 '보령'을 조명하였습니다.

보령이 지난해 말 오너 3세인 김정균 대표가 최대주주로 있는 보령파트너스를 대상으로 17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며 10년 만에 지분 승계를 위한 마지막 단추를 채웠습니다. 또 최대주주로 자리해있던 바이젠셀 지분 매각을 통해 약 80억원을 수혈했습니다.

이로써 보령은 지난해 말 기준 2000억원 이상의 현금성 자산을 쌓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두둑한 현금 곳간을 마련하면서 앞으로 투자할 신사업에도 자연스레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아울러 보령은 실적 성장까지 이끌어 내며 투자 확대를 위한 기반도 탄탄히 다졌는데요, 지난해 설립 이후 최초로 매출 '1조 클럽' 가입이 유력합니다.

이번 투자유치 활동을 비롯해 구체적인 재무까지 알아봤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6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Jan, 23:10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7118?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Jan, 22:36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6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Pfizer(PFE.US): 미국 생명공학 기업 Atavistik Bio, 화이자와의 연구 협력 계약 체결. 이번 협력에서 Atavistik는 자체 개발 AMPS 플랫폼을 활용해 화이자가 선정한 두 개의 비공개 타깃에 대해 새로운 알로스테릭 결합체를 발굴할 예정. 연구 기간 종료 후, 화이자는 도출된 프로그램을 라이선스할 선택권을 가짐.
https://han.gl/7ueSc

Novo Nordisk(NOVO.DK): FDA 시민 청원을 통해 liraglutide 기반의 Victoza를 조제 약국에서 제조하지 못하도록 요청. 앞서 무역 그룹 OFA는 liraglutide를 조제목록에 추가하자는 제안을 한 바 있음. 이에 대해 노보는 약물의 복잡한 제조 공정과 안전성 문제를 강조하며 제조 권한 제한을 주장.
https://han.gl/xDaUu

GSK의 Nucala(mepolizumab),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비강용종 동반 만성비부비동염(CRSwNP) 치료제로 승인. 이번 승인은 중국 내 세 번째 적응증이며, MERIT 및 SYNAPSE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 임상 결과, Nucala는 위약 대비 비강용종 감소, 삶의 질 후각 향상 등에서 효과를 보였음.
https://han.gl/8lxsB

iBio, AstralBio와 협력해 전임상 단계의 항마이오스타틴 항체 개발 계약 체결. 계약을 통해 확보한 IBIO-600 항체는 체중 감소를 유도하면서도 근육량을 유지시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전임상 결과는 25년 초, 임상 진입은 26년으로 예상.
https://han.gl/5lhaT

<한국>
케어젠 황반변성 신약, '아일리아' 대체 가능성 확인…4분기 2상 진입
https://han.gl/8N29O

바이오솔루션, 미국 임상 2상 48주 추적관찰 종료
https://han.gl/GYRDB

이엔셀, 국내 바이오 기업과 20억 규모 위탁개발생산 계약
https://han.gl/gXDsM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5 Jan, 22:2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3, FRI) #전체기사

카스젠, 'CLDN18.2 CAR-T' 위암 "PFS 늘려..허가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3

동구바이오제약, 조용준 부회장 "회장 취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1

아이디야, 中항서 TOP1 ‘DLL3 ADC’ 10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8

GC셀, 김재왕 신임 각자대표 내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3

'유전자가위' 진코어, 인터베스트서 브릿지 100억 유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9

SG메디칼, ‘암 오가노이드’ 연구 네이처 자매지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4

베이진, ‘PD-1’ 결국 위암1차 마커제한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0

화이자, 3상 성공 ‘A형혈우병 AAV' 상가모에 "반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3

베이진, 中듀얼리티에 ‘B7-H4 ADC’ 권리 "옵션행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4

"폐암 진심" AZ, '종양진화 데이터·샘플' 1200만弗 구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3

노바티스 "기대", '졸겐스마' 연령↑ SMA 3상 “성공”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3, FRI)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4 Jan, 00:59


올해의 미쉐린 쓰리스타는 리가켐바이오가 될지도 모릅니다.

지수가 뒷받침된다면, 리가켐바이오는 코스닥 최상위권에 진입하며 올해 안에 MSCI 지수 편입도 기대됩니다. 과거 국내 증시에서 5.5조 원에서 7조 원대로 수직 상승했던 사례를 떠올리면, 현재 시가총액 4.3조 원인 리가켐바이오의 성장 가능성은 충분히 주목할 만 합니다.

특히, 얀센과의 협력에서 2,600억 원 규모의 마일스톤을 확보한다면, 이는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더욱 견고히 하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줄 것입니다. 이를 통해 플랫폼의 가치와 각 파이프라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내러티브를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200억 원 규모의 주주 환원을 실천하며 바이오텍 업계에서는 드문 주주 친화적 경영을 보여준 바가 있고, 이러한 정책은 성과가 좋아질수록 기업 가치에 더 큰 상승 효과를 기대하게 만들 것입니다.

무엇보다 연평균 성장률(CAGR)이 두 자릿수에 달하는 ADC(항체-약물 결합체) 시장에서 리가켐바이오는 이미 글로벌 선두주자로 2025년에도 알테오젠의 뒤를 이어 한국 바이오텍의 저력을 다시 한 번 보여주며 투자자들을 열광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이이찌산쿄의 시가총액이 약 75조 원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현재 4.3조 원의 리가켐바이오가 앞으로 성장할 여지는 무궁무진해 보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8:3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33476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6:33


https://www.wide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556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4:24


‘타그리소’의 아스트라제네카(AZ)가 아킬레스 테라퓨틱스(Achilles Therapeutics)로부터 대규모 종양진화(tumor evolution) ‘TRACERx®’ 비소세포폐암 연구에 대한 데이터와 샘플을 1200만달러를 주고 사들였습니다.

아킬레스가 TIL 세포치료제 임상결과에 따라 ‘상업적으로 실행가능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해’ 프로그램 개발을 중단하면서, 전략적 검토를 결정하겠다고 알린 지 3달만입니다.

해당 TRACERx 연구는 찰스 스완튼(Charles Swanton) 영국 UCL 교수가 주도한 가장 큰 규모의 종양진화 연구 중 하나입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800명 이상의 3200개 종양샘플에서 다중지역(multi-region), 딥시퀀싱과 다시점(multi-time-point) 유전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종양진화를 연구했습니다. 스완튼 교수는 아키렐스의 공동창업자(co-founder)로 참여했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3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3:42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오는 20일 출범하는 가운데 제약바이오산업에 거대한 지형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미국 내 제조기업에 대한 특혜가 강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현재 미국 내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활동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는데요.

한국 기업이 미국 연방정부 조달 시장에 참가하는 사례가 드물다는 점에서 미국 내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미국 내 생산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4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2:02


베이진(BeiGene)의 PD-1 항체 ‘테빔브라(Tevimbra, 성분명: tislelizumab)’가 결국 위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PD-L1 바이오마커에 제한된 범위에서 미국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9월 개최된 FDA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 위암 및 식도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PD-1 면역관문억제제(ICI)가 PD-L1 발현이 낮은 환자를 대상으로는 이점이 떨어진다고 만장일치에 가깝게 의견이 모아진 바 있습니다. 결국 테빔브라는 PD-L1≥1 발현 환자를 대상으로 시판허가 승인이 떨어지게 됐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1:53


더바이오 1월 3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90

●[신년 특집⑥] 글로벌 제약사 CEO 30명…평균 59.7세·8.6년 경력, 다양성과 전문성으로 무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4

●[신년 특집⑤] 올해 美 FDA 허들 넘을 10호·11호 국산 신약 기대주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3

●ALL 표적 CAR-T 치료제 경쟁 치열…오토러스, 노바티스·길리어드와 3파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2

●노바티스 ‘졸겐스마’, 2형 SMA 임상3상서 척수강 치료로 환자 운동 기능 개선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1

●이예하 뷰노 대표, 한국공학한림원 신입 일반회원 선정…"의료 AI 혁신 인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8

●오스템카디오, 프랑스 '발트'와 총판 계약…뇌혈관 의료기기 시장 진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7

●지씨셀, 신임 각자대표에 김재왕 前 GC녹십자웰빙 본부장 내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6

●조용준 동구바이오제약 대표, 회장 취임…토탈 헬스케어 기업 도약 가속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5

●신신제약 "신신파스플렉스 시리즈·CDMO 경쟁력 강화…내실 다지는 한 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9

●[인사] 안국약품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43

●베라스템, KRAS 변이 희귀 난소암 신약 물질 FDA 우선 심사…첫 승인 기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0

●[시가총액 모니터] 2025년 1월 2일 바이오·헬스케어 특례상장 기업 Top 50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8

●제약바이오업계 을사년 핵심 키워드 '위기를 기회로'(종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4

●휴레이포지티브, 심평원·日 DX Care와 日 의료시장 디지털화 가속화 나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9

●中 이노벤트, 로슈와 DLL3 표적 소세포폐암 ADC 라이선스 계약…1.6조 규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19

●MSD, PAH 신약 '윈레브에어' 英 MHRA 승인…위약 대비 환자 운동 능력 향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15

●큐리언트 "면역항암제 신약물질,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美 임상1b상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2

●엘앤케이바이오메드 관계사 '루트락', 인공 무릎관절 '센트락' 美 진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16

●안국약품, 박인철 부사장 대표 선임…어진 부회장과 투톱 체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17

●GC녹십자, 최영일 RED 본부 Discovery&Explorer Unit장 영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18

●HLB Life Sciences’ human disposable syringe 'Sofjec' receives U.S. FDA 510(k) approval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7

●HK inno.N seeks approval for domestic phase 3 clinical trial of GLP-1 obesity drug candidate licensed from China's Sciwind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5

●KAHP, NewcureM sign MOU for AI-assisted dementia health checkup and diagnosis software demonstration project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6

●Shaperon to attend JPM Healthcare conference, discuss technology transfer for new atopic dermatitis drug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2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1:18


의료 인공지능(AI) 개발기업인 뷰노는 이예하 대표가 한국공학한림원의 2025년 신입 일반회원으로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1996년 설립된 국내 최고 권위의 공학기술 단체로, 매년 기업·대학·연구소 등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와 기술 혁신으로 국가 발전에 기여한 전문가를 추천받아 10개월간의 심사를 통해 회원을 선정합니다.

뷰노 창업자인 이예하 대표는 2014년 회사 설립 이후 생체신호와 의료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AI 솔루션을 개발하며 '국내 1호' 인공지능 의료기기 허가, 1호 '혁신 의료기기' 지정, 국내 첫 비급여 시장 진입 등으로 의료 AI 산업의 성장을 이끌었다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0:33


https://naver.me/xnhwKwR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0:19


초소형 유전자가위기술 바이오텍 진코어(GenKOre)는 최근 브릿지 펀딩으로 VC 인터베스트(InterVest)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또한 진코어의 초소형 유전자가위기술은 지난달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으로부터 ‘국가전략기술’로 인증받았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6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0:13


아이디야 바이오사이언스(Ideaya Biosciences)가 중국 항서제약(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으로부터 DLL3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를 계약금 7500만달러, 총 10억4500만달러에 사들였습니다.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를 탑재한 에셋입니다.

아이디야는 앞서 지난해 7월 중국 바이오사이토젠 파마슈티컬(Biocytogen Pharmaceuticals)과 B7-H3xPTK7 타깃 이중항체 ADC에 대한 4억650만달러 규모의 옵션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이디야는 회사의 합성치사 파이프라인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으로 ADC에 투자를 시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이디야는 DNA 손상을 일으키는 TOP1 페이로드의 작용기전(MoA)에 기반해 회사의 합성치사 약물과 병용투여로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3 Jan, 00:12


[오늘의 HIT_1월 3일 금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오전 기사 올려드립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탈 리베이트를 겨냥한 두 가지 햇볕 정책, 묵은 때를 벗긴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01

🗣 "다이빙 제대로 할 욕심에 폴댄스까지 입문했어요"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72

🏢 "새 도전, 더 큰 성장"... 제약사 시무식에서 본 2025년 각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29

💊 오테즐라 제네릭, 후발약 움직임 잠잠해 약가인하 위기 안전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64

💊 미국·유럽 돌파한 '렉라자+리브리반트', 다음은 韓ㆍ中ㆍ日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66

💊 생존율 개선 1차 치료 패러다임 바꾼 '키트루다·'파드셉'·'빌로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40

🏢 고가약 관리 '약제성과평가개발부' 신설... 업계, 이중 규제 우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55

🧬 "우리는 마이크로바이옴 상업화-ADC 신약, 투트랙 승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19

🏢 [경력채용] 제일약품, 대웅바이오, 씨티씨바이오, 하나제약, 차메디텍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62

🏢 [채용 원픽] 씨티씨바이오, 인사총무·생산·QA(~1/10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68

🖱 [HIT알공] 큐리언트 Q702, FDA로부터 임상 제1b상 승인 획득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42

🍀 식약처, 소아 연골무형성증 희귀약 '복스조고주' 허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34

🍀 제뉴원, R&D부문장 안병옥 -제천공장장 양호준 임명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47

🍀 GC녹십자, 최영일 Discovery&Explorer Unit장 영입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46

🍀 최수진 의원,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 선정..."산업·정책 발전 기여"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41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itnews_biohealth/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Jan, 23:59


올해도 국산 신약들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 진출에 도전합니다.

HLB(에이치엘비)의 간암 신약 후보물질인 ‘리보세라닙’과 HK이노엔의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그 주인공인데요.

각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 심사가 진행 중이거나 올해 신청할 예정입니다.

FDA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은 국산 신약은 현재까지 총 9개로 집계됩니다. 리보세라닙과 케이캡이 FDA 승인을 받으면 각각 10호, 11호 신약에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FDA는 오는 3월 20일까지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에 대한 승인 심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HK이노엔은 지난 2021년 미국 세벨라의 자회사인 브레인트리래보라토리스(이하 브레인트리)에 케이캡을 기술수출했습니다. 브레인트리는 ‘비미란성 식도염’을 적응증으로 임상3상을 완료했고, 올 상반기 해당 임상 결과를 발표할 전망입니다. 발표 직후에는 FDA 품목허가 신청이 이뤄질 것으로 업계에선 내다보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Jan, 23:31


더바이오는 글로벌 제약사 CEO 만의 공통점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여 총 30명의 CEO들의 이력을 살펴봤습니다.

CEO 평균 나이는 약 59.7세로, 의학과 분자생물학뿐만 아니라 경영학을 전공하는 등 다양한 학문 배경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30명 중 24명이 박사 학위를 소지했습니다.

이들의 평균 CEO 재직 기간은 약 8년 6개월로, 지속적인 리더십을 통해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이끌어왔습니다. 약 70%의 CEO들이 10년 이상 현직 회사에서 근무했습니다.

다만 여성 CEO 비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30명 중 3명에 그쳤습니다.

리제네론의 레너드 슐라이퍼(Leonard Schleifer)는 창업자이자 CEO입니다. 27년간 경영을 맡아왔습니다.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후베르투스 폰 바움바흐(Hubertus von Baumbach) CEO는 창업자인 알버트 베링거(Albert Boehringer)의 증손자입니다. 에자이(Eisai)의 CEO인 나이토 하루오(Haruo Naito)는 회사에 49년간 재직하며 21년 7개월 간 CEO로 재직 중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Jan, 23:31


(로슈, 새해 첫 딜은 DLL3 타겟 ADC)

============
로슈가 중국 바이오텍 Innovent BIologics와 $1bil. 규모의 딜을 체결하고, DLL3 타겟 ADC, IBI3009을 도입하였다. 업프론트는 $80mil. 이다.

IBI3009은 Topo1 저해제를 페이로드로 결합한 ADC이며, 지난 달에 1상을 개시하였다.

참고로 지난 주에 미국 바이오텍 IDEAYA도 중국 항서 제약(Hengrui Pharma)으로부터 “1상 단계 DLL3 타겟, Topo-1 페이로드 ADC “를 $1bil.에 도입하였다. (업프론트 $75mil.)

===========
참고로, 로슈는(정확하게는 자회사인 제넨텍은) 무려 2013년에 HER2 타겟 ADC, 캐싸일라’(Kadcyla)를 출시한 ADC의 원조 명가이다. 한편 외부에서 ADC 기술/제품을 도입하는데에는 소극적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좀 바뀌고 있는 듯 하다. 작년에 Moma Therapeutics 와 ADC 플랫폼 기술을 도입하는 $2bil. 규모 딜을 체결하였고, 중국 MediLink로부터 cMET 타겟 ADC 제품을 도입하는 $1bil. 규모 딜도 체결하였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nnovent-enters-into-exclusive-global-license-agreement-with-roche-for-novel-dll3-antibody-drug-conjugate-302340668.html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Jan, 22:23


(1/3)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테슬라 쇼크와 카바나 논란 속에 하락 마감한 증시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전반 하락, 다우 -0.4%로 가장 큰 하락
- 테슬라,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로 주가 6%대 급락
- 힌덴버그 리서치, 카바나 실적 부풀림 주장

# Summary
미 증시는 2025년도 첫 거래일을 약세로 마감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6% 내린 42,392.27로 150포인트 이상 하락하였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22% 하락한 5,868.55에 거래를 마침. 나스닥 종합지수는 0.15% 하락하며 19,281.04를 기록함. 반면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소폭 상승하며 0.09% 오른 2,232.20에 장을 마감함.
시장은 주로 테슬라의 실망스러운 지난해 실적 발표의 영향을 받아 약세를 보였으며, 테슬라 주가는 6% 넘게 급락함. 테슬라는 지난해 자동차 인도량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하였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시장의 예상을 밑도는 수치임. 또한, 힌덴버그 리서치는 카바나의 실적 개선이 실질적이지 않다고 지적하며, 내부자 거래 및 분식회계 의혹을 제기함. 이로 인해 카바나 주가는 약세를 보였음.
주요 경제지표로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이는 미국 고용시장이 여전히 탄탄함을 보여줌. 그러나 S&P 글로벌의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12월에 49.4로 지난달보다 개선됨. 이러한 경제 지표들은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의 여지를 제공함. (다우 -0.36%, 나스닥 -0.15%, S&P500 -0.22%, 러셀2000 +0.07%)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103064606303_3533

# 특징종목
유니티 소프트웨어(+9.1%)는 투자자이자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인 Roaring Kitty의 게시글 영향으로 주가가 급등함. 이는 투자자 사이에서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이끌어낸 것으로 해석됨. 비스트라(+8.6%)는 회사의 훌륭한 성장 가능성과 S&P 500 내에서의 안정적인 성과로 인해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임. 이는 투자자들에게 강력한 성장 스토리를 제공하고 있음. 그러면서 테슬라(-6.1%)는 4분기 차량 인도 실적이 기대치를 밑돌면서 시장의 실망감을 야기함. 이에 따라 경쟁업체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애플(-2.6%)은 중국 내 판매 부진과 최근의 소송 합의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임.
반면, 엔비디아(+3.0%)는 AI 칩 시장에서의 성과와 최근 발표된 블랙웰 아키텍처의 긍정적인 기대감으로 인해 지속적인 상승을 기록 중임. 이런 가운데, 휴메라 테라퓨틱스(-81%)는 우울증 치료제의 임상 시험 실패로 인한 주가 폭락 사태를 겪고 있으며, 이는 관련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음. 클라우드플레어(+4.5%)는 골드만 삭스의 '매수' 업그레이드와 AI 기술 혁신 등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상승함. 아마존(+0.4%)은 반독점 소송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며 소폭의 상승을 기록함. 이는 경기 불안 속에서 긍정적인 실적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됨.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56%으로 유지되며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기대를 반영하고 있음. 연준은 인플레이션 압력 속에서 금리 인하를 늦출 것이라는 신호로 투자자 사이에서 불안이 지속됨.
달러 인덱스(DXY)는 109.28로 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이는 미국 경제성장이 다른 국가보다 더 우위에 있다는 기대 속에 금리 상승을 반영함. 외환 시장에서 유로/달러는 1.03으로 0.9% 하락하며 달러 강세를 반영,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음.
상품 시장에서는 원유 WTI가 1.87% 상승하여 73.06달러로 거래, 미국 경제 회복과 글로벌 수요 증가를 반영하고 있음. 금 가격은 1.35% 상승한 2659.72달러로 위험 회피 성향 강화 및 인플레이션헤지 수요 증가를 보였음. 은 가격은 2.41% 상승한 29.58달러로 금과 같은 맥락에서 매수세가 증가함. 이러한 흐름은 세계 경제의 변동성과 관련하여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조정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Jan, 22:23


(1/3)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2,392.27p (-151.95p, -0.36%)
- S&P500: 5,868.55p (-13.08p, -0.22%)
- NASDAQ: 19,280.79p (-30.00p, -0.16%)
- 러셀2000: 2,231.67p (+1.51p, +0.0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1.12 (+0.23, +0.45%)
- MSCI 이머징지수 ETF: $41.76 (-0.06, -0.14%)
- Eurex kospi 200: 316.15p (-1.45p, -0.46%)
- NDF 환율(1개월물): 1,470.35원 / 전일 대비 0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021.50 (+41.57, +0.8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9.268 (+0.781, +0.72%)
- 유로/달러: 1.0268 (-0.0088, -0.85%)
- 달러/엔: 157.52 (+0.28, -0.1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415% (0.0bp)
- 10년물: 4.5610% (-0.8bp)
- 10Y-2Y: 31.95bp (0.79bp 축소)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13 (+1.42, +1.98%)
- 브렌트유: 75.93 (+1.27, +1.70%)
- 금: 2,669.00 (+29.70, +1.12%)
- 은: 29.90 (+0.75, +2.58%)
- 구리: 402.60 (+1.00, +0.25%)
- 옥수수: 459.50 (+1.00, +0.22%)
- 밀: 545.75 (-6.00, -1.09%)
- 대두: 1,012.00 (+1.75, +0.1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02 Jan, 22:2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 THU) #전체기사

"푸른뱀의 해" 2025년 제약·바이오 '5가지 관전포인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63

BMS도, ‘옵디보 SC’ 키트루다 앞서 “美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5

12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4곳 880억..”막판 안간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1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R(연구) 글로벌화 첫 해"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1

J&J, 日카켄서 경구 ‘STAT6 저해제’ 12.5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7

J&J, '아미반타맙+레이저티닙‘ 폐암 1차 "유럽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4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따라하는 것 아닌 선도" 신년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5

로슈 "새해, 또 ADC", 中서 'DLL3 ADC' 11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9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 “전열 재정비..글로벌로 전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6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 "수익안정→연구 재투자 선순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7

아밀릭스 "또" 'GLP-1 길항제', 구브라와 "발굴 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2

[인사]보령,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8

[인사]유유제약,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0

[인사]셀트리온그룹,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1

김윤 삼양그룹 회장, 새 100년 “스페셜티·혁신솔루션" 강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2

GC녹십자, 최영일 Discovery&Explorer Unit장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4

일동제약그룹, 새해 "이기는 조직, 내실다지기" 당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9

이장한 종근당 회장, 새해 “혁신적 변화" 강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7

큐리언트, 'Axl/Mer/CSF1R' GvHD 확대 "美 1b상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6:1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317957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3:36


<연말 특집 시리즈 1~7탄>

더바이오 취재기자들이 '연말특집'으로 꾸린 기획 기사들을 모아봤습니다.

●[연말 특집①] 내년 3월 임기만료 앞둔 제약바이오 ‘오너 CEO’ 누구?…대부분 재선임 유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484

●[연말 특집②] 올해 '글로벌 라이선스' 거래 107건, 총 117조원 규모…대형 계약 34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579

●[연말 특집③] 올해 주요 글로벌 제약·바이오 M&A 56건, 총 100조원 넘었다…‘소형 M&A’ 약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25

●[연말 특집④] FDA, 올해 63개 신약 승인…유한양행 ‘렉라자’, K-바이오 항암신약 탄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24

●[연말 특집⑤] ‘을사년 푸른 뱀의 해’ 제약·바이오 뱀띠 경영인 누가 있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26

●[연말 특집⑥] 글로벌 주요 바이오텍 76곳, 1억달러 이상 조달…차세대 모달리티 AI·ADC 주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91

●[연말특집⑦] 올해 기술수출 15건…이중항체·ADC·TPD '대박', SC제형 플랫폼 '초대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3:27


더바이오 12월 31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88


●[연말특집⑦] 올해 기술수출 15건…이중항체·ADC·TPD '대박', SC제형 플랫폼 '초대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5

●J&J '라즈클루즈' 병용요법, 유럽 허가…유한양행, 마일스톤 3천만달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7

●R&D 성과 척도 '파이프라인' 누가 많을까…빅파마 '톱10'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8

●호주 텔릭스, FDA에 첫 신장암 PET 방사성의약품 '지카익스' BLA 신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3

●휴온스, 송수영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80

●건협, 뉴큐어엠과 치매 건강검진 AI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실증사업 MOU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9

●CHA Meditech makes strong entry into China's HA filler market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4

●Curocell submits CAR-T 'Anbal-cel' product approval application to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2

●Abion’s c-MET targeted anticancer drug: Phase 2 change approved by FDA, Lazertinib combination kicks off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3:27


연말특집 7탄입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 한 해 총 15건의 기술수출(L/O)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래 총액 규모로는 8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전년보다 계약 건 수나 전체 거래 규모는 감소했지만, 올해는 피하주사(SC) 제형 변경 플랫폼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항체, 표적단백질분해제(TPD) 등 최근 글로벌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새로운 모달리티(치료 접근법)가 거래의 주를 이뤘다는 점에서 K-제약바이오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시켰다는 평가입니다.

올해 시장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끈 기술수출 주인공은 '알테오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알테오젠의 전일(30일) 코스닥 종가는 30만9500원으로 올 1월 2일 종가 9만1500원 대비 무려 238% 올랐습니다.

올해 어떤 기술수출 사례들이 있었는지 모아봤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2:38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2301201437200102267&page=4&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2:34


진시스템은 인도 대형 의료기기 유통기업인 제네틱스바이오텍과 '현지 생산설비, 진단장비, 진단키트 및 기타 소모품'에 대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 규모는 295억원으로, 지난해 매출액 대비 3286.6%에 달합니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27년 3월 28일까지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8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2:23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2291807599400106091&page=4&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2:20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2241331006560106430&page=2&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2:02


2024.12.31 10:59:14
기업명: 진시스템(시가총액: 594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Genetix Biotech Asia Pvt. Ltd.,
계약내용 : 현지 생산설비, 진단장비, 진단키트 및 기타 소모품 공급
공급지역 : 인도
계약금액 : 295억

계약시작 : 2024-12-30
계약종료 : 2027-03-28
계약기간 : 2년 3개월
매출대비 : 3286.63%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31900131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36325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6325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1 Dec, 00:55


릴리 모간스탠리

Mounjaro+Zepbound Script Tracker

Mounjaro 및 Zepbound 주간 처방 데이터 (12/20/2024 기준)

Mounjaro: 총 처방(TRx) 약 464,600, 신규 처방(NRx) 약 240,800
(전주 대비: TRx 460,000, NRx 238,400)

Zepbound: TRx 약 223,200, NRx 약 157,100
(전주 대비: TRx 213,300, NRx 150,700)

주요 요약

Mounjaro+Zepbound 성장 전망:

2025년 두 약물의 매출 전망치에 대해 약 30%의 상향 가능성이 제기됨.

4분기(4Q24) 매출 예상치: 약 $7B (Mounjaro $4.5B, Zepbound $2.5B), 컨센서스 대비 약간 상회.


GLP-1 카테고리 성장:

GLP-1(TRx, LLY+Novo) 연간 성장률 약 38%.
LLY GLP-1 제품군(Trulicity, Mounjaro, Zepbound)의 주간 신규 처방 시장 점유율: 51%로 안정적 유지.

4분기 목표 달성 가능성:

LLY의 가이던스 목표 달성을 위해 주간 TRx는 688k → 700k~750k로 증가해야 함.

지난 14주 동안 Mounjaro+Zepbound 주간 TRx는 약 500k → 600k 이상으로 증가.

Zepbound 처방 데이터 이슈:

IQVIA 데이터는 Zepbound 바이알 처방량을 완전히 포함하지 않음.

Amazon 및 Truepill을 통해 처방된 LillyDirect 스크립트도 일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제품 업데이트:

Zepbound 새로운 바이알(단일 사용, 2.5mg/5mg) 출시. 기존 자동 주사기 펜(2.5mg~15mg)과 병행 제공.

이번 주 바이알 처방 약 40건(전주: 50건).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23:49


*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 0.52%, MSCI 신흥 지수 ETF는 0.80%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8% 하락한 가운데 러셀2000 지수는 0.75%, 다우 운송지수는 0.90% 하락. KOSPI 야간 선물은 0.24% 하락. 올해 마지막 거래일인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장 마감 직전 수급 쏠림에 1,472.50원을 기록. 야간시장에서는 달러 강세 여파로 1,472.3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69.46원을 기록


*FICC: 미국 천연가스 큰 폭 급등

국제유가는 거래가 감소한 가운데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정책에 대한 기대 심리가 부각되며 상승. 특히 장 초반 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점도 우호적. 다만, 장 중 매물 소화하며 상승 폭 축소. 한편, 미국 천연가스가 한 때 24.2%나 폭등하며 4.2달러를 기록하는 등 2023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주말 후 1월 중순까지 큰 추위가 올 것이라는 소식과 수출 수요 급증, 생산량 감소 영향이 심리적인 영향을 줬다는 평가가 많음. 다만, 장 후반 상승폭을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등 변동성 확대가 진행. 유럽 천연가스는 대 미 수입 증가 기대로 제한적인 상승.

달러화는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출발했으나, 유로화와 파운드화의 약세 여파로 강세로 전환. 이후 엔화 강세 여파로 달러 인덱스 강세 폭이 축소. 유로화는 ECB의 금리인하 속도가 연준보다 빠르게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대비 약세를, 파운드화 또한 경제에 대한 우려로 달러 대비 약세를 보임. 반면, 엔화는 BOJ가 12월 회의에서 단기적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는 소식에 달러 대비 강세.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멕시코 페소는 달러 대비 1.5% 약세를 보였으나 브라질 헤알은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

국채금리는 최근 상승에 따른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특히 시카고 PMI 등 일부 지표 부진이 진행된 점, 그리고 장 초반 주식시장 큰 폭 하락에 따른 위험자산 회피 등이 겹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특히 12월 FOMC 이후 상승이 진행돼 왔던 점을 감안 연말을 앞두고 포트폴리오 조정에 따른 수급 영향도 컸음.

금은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졌음에도 새로운 모멘텀 부족으로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적은 거래량 속 연말 연초 미국과 중국 경제지표를 기다리며 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은 하락한 반면, 니켈, 주석은 강세. 한편, LME 시장에서 대부분 품목을 중심으로 재고가 감소했지만 영향은 제한. 농작물은 변화가 제한된 가운데 주간 수출 판매 보고서에서 밀과 옥수수는 예상을 상회했지만 대두는 소폭 부진. 그렇지만 가격은 밀과 대두가 상승하고 옥수수가 소폭 하락하는 혼조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23:49


*특징 종목: 엔비디아 상승 전환, 대형 기술주 낙폭 축소

엔비디아(+0.35%)는 올해 초에 인수 발표 후 반독점 조사를 받아왔던 이스라엘의 AI 인프라 기업인 런에이아이 인수 완료 소식과 로봇 산업 진출 소식을 빌미로 상승. 여기에 트럼프 관세 인상으로 GPU 가격이 최대 40%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자 대형 기술주 등 많은 기업들이 GPU 재고를 확대하고 있다는 소식도 우호적. 미국에서 생산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기대로 TSMC(-0.61%)는 제한적인 하락을 했지만, AMD(-2.20%), 브로드컴(-2.55%), 마이크론(-3.62%), AMAT(-1.91%), 램리서치(-1.70%), ASML(-2.44%) 등은 매물 출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8% 하락

테슬라(-3.30%)는 4분기 인도량 발표를 앞두고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하는 등 변동성 확대. 리비안(-0.51%), 루시드(-1.56%)는 오후에 낙폭 일부 축소. 물론 니오(-2.23%), 샤오펑(-6.02%), 리 오토(-4.79%) 등 중국 전기차는 하락 지속. 퀀텀스케이프(-7.73%)는 지난 목요일 Cobra 장비의 설치 완료로 2025년 초부터 상용 제품의 대량 샘플을 제공할 수 있는 궤도에 올랐다는 소식에 급등했지만 금요일에 이어 오늘도 차익 매물 출회되며 하락. 앨버말(-2.44%), 프레이 배터리(-10.89%) 등 2차전지주도 하락

애플(-1.33%)은 최근 AI 아이폰 슈퍼사이클 기대로 시가 총액 4조 달러 근접 후 지난 금요일에 이어 오늘도 매물 출회되며 하락 후 낙폭 축소. MS(-1.32%), 아마존(-1.09%), 메타(-1.43%), 알파벳(-0.70%)도 2% 내외 하락하다 낙폭 축소. 트럼프가 머스크의 조언으로 H-1B 비자 프로그램에 대해 지난 토요일 훌륭한 프로그램이라며 언급한 점은 대형 기술주에 긍정적. 비트코인이 하락하다 상승 전환하기는 했지만 코인베이스(-3.82%), 마이크로스트래티지(-8.19%), 라이엇 플랫폼(-4.46%), 마라 홀딩스(-6.24%) 등 여타 관련 테마주들은 차익 매물 출회로 하락.

퀀텀 컴퓨팅(+1.04%)는 8% 넘게 하락하다 상승 전환하고 리게티 컴퓨팅(-0.47%)은 15% 넘게 급락하다 장중 상승 전환하는 변화. 동반해서 큰 폭 하락했던 아이온큐(-2.62%), 디웨이브 퀀텀(-6.16%), 씰SQ(-5.62%)등도 낙폭 축소. 아처 에비에이션(-10.02%)은 보통주 두배 늘리고 이사회 구성원 요건을 변경한다고 발표로 큰 폭으로 하락. 조비 에비에이션(-6.05%),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19.23%)도 매물 출회되며 급락. 특별한 변화 요인이 없는 가운데 인튜이티브 머신(+2.99%)은 상승했지만 로켓랩(-3.31%), 세텔로직(-7.34%), 플래닛랩스(-3.88%) 등 우주개발 테마는 하락.

로봇용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인 팔라다인AI(+13.08%)은 자사 기술을 사용한 드론이 최초로 이동 표적을 추적하는데 성공했다는 소식에 큰 폭 상승. 데본에너지(+2.47%), 코테라 에너지(+3.57%), EQT(+5.12%)등은 미국 천연가스 가격이 추운 날씨의 영향 등으로 수요 증가 기대 속 장중 24% 폭등하자 상승. 국제유가가 강세를 보였지만 엑손모빌(-0.68%), 셰브론(-0.65%) 등은 하락하고 코노코필립스(+0.18%), 킨더모간(+0.66%) 등은 상승하는 등 차별화가 진행. 비스트라(+0.29%), 커스털레이션 에너지(-0.10%) 등 전력망 관련 종목군은 하락 출발 후 추운 날씨 예보에 전력 수요 증가 기대 유입되며 보합권으로 전환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23:48


12/31 미 증시, 차익실현에 큰 폭 하락 후 낙폭 일부 축소했지만 대부분 종목 하락

미 증시는 올해 나스닥 기준 30% 넘게 급등했던 만큼 차익실현 매물 출회가 지난 금요일에 이어 오늘도 출회돼 3대 주요지수 모두 1.7~1.9% 내외 하락. 그러나 지난 금요일처럼 반발 매수세가 진행되며 낙폭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별한 요인보다는 단순한 수급의 영향으로 추정. 한편, S&500 중 상승 종목이 31개, 나스닥 100에서는 7개, 다우 30에서는 엔비디아(+0.35%)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으며 주요 테마주도 하락. 결국 미 증시는 지난 금요일처럼 큰 폭 하락 후 낙폭 축소했으나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한 점이 특징(다우 -0.97%, 나스닥 -1.19%, S&P500 -1.07%, 러셀2000 -0.75%,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88%)

*변화 요인: 장중 변동성 확대

2024년 미국 주식시장은 AI 산업을 기반으로 한 반도체 업종과 대형 기술주 등이 주도하며 지난 27일 기준 다우는 14.07% 상승한 가운데 나스닥이 31.38%, S&P500이 25.18% 상승. 특히 경기가 중국과 유럽과 달리 헤드라인 수치는 양호한 모습을 보이며 자신감이 높은 가운데 M2 증가율도 상승하는 등 유동성도 높아진 점도 영향.

그러나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로 통화정책을 전환한 후 지수 상승세는 여전히 진행되어 왔지만, 일부 투자사들이 현금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후 변동성이 확대. 특히 개인투자자들 중심으로 공격적인 매수세가 유입되는 등 헤지펀드에서 개인으로 수급의 전환이 진행된 점이 미 증시 하반기 특히 4분기 특징. 이에 중소형 테마주들이 급등하는 등 테마 장세가 진행.

이런 가운데 연준이 12월 FOMC에서 2025년 금리 전망을 상향 조정하는 등 통화정책의 변화가 진행되자 차익실현 욕구가 확대. 이 결과 연말 거래량이 감소한 가운데 차익 실현 매물 출회가 진행됐고, 이에 장중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임. 오늘도 주요 지수가 1.7~1.9% 하락하기도 했지만, 거래량이 크지 않은 가운데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자 낙폭이 축소되며 마감하는 등 장중 변동성 확대. 시장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다음 주 이후에는 온전한 거래량을 바탕으로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판단.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23:04


연말특집 7탄입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 한 해 총 15건의 기술수출(L/O)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래 총액 규모로는 8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전년보다 계약 건 수나 전체 거래 규모는 감소했지만, 올해는 피하주사(SC) 제형 변경 플랫폼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항체, 표적단백질분해제(TPD) 등 최근 글로벌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새로운 모달리티(치료 접근법)가 거래의 주를 이뤘다는 점에서 K-제약바이오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시켰다는 평가입니다.

올해 시장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끈 기술수출 주인공은 '알테오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알테오젠의 전일(30일) 코스닥 종가는 30만9500원으로 올 1월 2일 종가 9만1500원 대비 무려 238% 올랐습니다.

올해 어떤 기술수출 사례들이 있었는지 모아봤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11:4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307437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10:17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2271532028640109617&page=2&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10:0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307156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30 Dec, 04:56


더바이오 12월 30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87

●3700억 실탄 채우는 차바이오텍…"CGT CDMO·차헐리우드 사업 확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2

●'3~5분 투여' 옵디보 SC제형, FDA 허가…'PD-1 억제제' 중 최초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7

●'유전자 가위' 다음 타깃은 알츠하이머병?…美 연구팀, 아밀로이드 형성 억제 성공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3

●큐로셀, 식약처에 CAR-T '안발셀' 품목허가 신청(종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4

●첨단 바이오재생치료의 주목할 분야 '오가노이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9

●中 베이진 PD-1 '테빔브라', 위암 1차치료 FDA 추가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7

●다케다 "하이큐비아 SC제형, 무감마글로불린혈증·저감마글로불린혈증 日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8

●美 아이디야, 中 항서제약과 1.5조 규모 계약…DLL3 표적 ADC 글로벌 판권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6

●차메디텍, 중국 HA 필러 시장 본격 진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4

●용인세브란스병원 "박진영·박재섭 교수 연구팀, 정신건강 치료 목표 관리 솔루션 개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0

●한독, 만성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글로벌 신약 ‘도프텔렛’ 국내 허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9

●온코닉테라퓨틱스, 복지부 인증 '혁신형 제약기업' 신규 선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6

●KBIOHealth, 신약개발지원센터장에 한혜정 전 일리미스테라퓨틱스 상무 임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63

●삼양그룹,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이웃사랑성금 3억원 기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5

●美 연방법원, 테바 천식 흡입기 특허 오렌지북서 삭제 판결…항소심서도 패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1

●에이비온 "c-MET 표적항암제, 2상 FDA 변경 승인…레이저티닙 병용 본격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8

●유한양행, 퇴직 사우 모임 '유우회' 2024 정기 총회·송년 모임 개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9

●동아에스티 5년 만에 '혁신형 제약기업' 복귀…SK바이오팜 등 7곳 신규 진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7

●J&J, 日 카켄제약서 경구용 'KP-723' 포함 STAT6 표적 파이프라인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5

●[인사] 종근당그룹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50

●Curocell submits CAR-T 'Anbal-cel' product approval application to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2

●Abion’s c-MET targeted anticancer drug: Phase 2 change approved by FDA, Lazertinib combination kicks off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70

●Contera Pharma, a Bukwang Pharmaceutical subsidiary, appoints new board members to drive global growth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2

●Curocell’s CAR-T ‘Anbal-cel’ granted orphan drug designation in development stage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9

●ENCell secures new CMO agreement with leading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8

●Huons Meditech Surpasses 20,000 Units Sold in the Dermashine Product Line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8:22


연말특집 6탄입니다.

더바이오가 자체 집계한 결과, 올해 1억달러(약 1459억원) 이상의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주요 글로벌 바이오텍은 총 7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상위 51개 바이오텍의 투자 유치 규모를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AI)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암, 비만 등의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올해 10억달러(약 1조4592억원)를 조달하며 최대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한 기업인 ‘자이라테라퓨틱스(Xaira Therapeutics, 이하 자이라)’도 AI 신약 개발 기업입니다.

- 1위 ‘자이라’, AI 기반 신약 개발…포메이션바이오·테레이, AI 기반 파이프라인 구축
- 투자 유치 규모 '톱10' 중 5개 기업이 초기 단계서 자금 조달 성공
- 적응증엔 '비만·고형암' 주목…고형암 표적 14개 기업, 톱50에 이름 올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9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8:0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72647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3:36


더바이오 12월 27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86

●세계에서 가장 비싼 약 10종은?…‘렌멜디’, 주사 한 번에 62억원 '1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0

●美 제제 대상 中 우시앱텍, 알타리스에 세포유전자치료제 사업부 매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0

●랩트, 中 제민케어서 1조원에 항-IgE 항체 도입…식품 알레르기 치료제로 개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6

●바이오헬스케어협회 송년포럼 개최…“대전, 국내 바이오의약 산업 중심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1

●큐로셀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안발셀 상업화 긍정적 영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1

●‘의료 AI 스타트업’ 액티브레인바이오, 팁스 선정…뇌 건강 디지털 전환 가속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4

●아이빔테크놀로지, 中 레비티 첫 매출 발생 '3억원'…글로벌 시장 진출 박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3

●세브란스병원 연구팀 "근육에 지방 많을수록 유방암 치료 효과 '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7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CT-P44’ 임상3상 미국 IND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2

●에스티큐브, 내달 ASCO GI 참가…대장암의 새로운 면역항암 치료 전략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9

●휴온스메디텍, '더마샤인' 제품군 누적 판매 2만대 돌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4

●큐라클, 경구용 망막 치료 후보물질 'CU06' 결정형 특허 중국 등록 결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3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물질 'TLY012', 유럽 용도 특허 등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2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학생들, 美 세포생물학회서 포스터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5

●오스템임플란트, 디지털 심미보철 컨테스트 성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8

●안국약품, 건강기능식품 '두뇌엔 PS 포스파티딜세린 +징코' 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6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첫 '초격차 기술특례' 상장한다…코스닥 '예비심사'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9

●AZ·다이이찌산쿄, Trop2 표적 ADC 'Dato-DXd' 유럽서 NSCLC 승인 신청 철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0

●알테오젠, '아일리아 HD' 제형 우선권 특허 출원… 바이오시밀러 개발 준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09

●이엔셀, 글로벌 톱티어 제약사와 신규 CMO 계약 체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08

●Curocell’s CAR-T ‘Anbal-cel’ granted orphan drug designation in development stage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9

●ENCell secures new CMO agreement with leading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38

●Huons Meditech Surpasses 20,000 Units Sold in the Dermashine Product Line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5

●Medipost’s ‘Cartistem’ ankle treatment additional indication reject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lans to re-challenge for Phase 3 clinical trial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8

●AbClon develops ‘mRMab’: a distinctive antibody therapy platform integrating mRNA technolog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7

●Ubix Therapeutics raises KRW 25.7 billion in pre-IPO investment for TPD new drug development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6

●‘Tiumbio’s hemophilia novel drug candidate ‘TU7710’ achieves successful results in Phase 1a clinical trial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1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3:19


큐로셀이 보건복지부가 인증하는 ‘혁신형 제약기업’에 신규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 혜택은 △신규 등재 약제에 대한 약가 우대 및 실거래가 약가 인하율 감면 △정부 R&D 참여 시 가점 부여 △연구개발 비용에 대한 법인세액 공제와 의약품 품질 관리 개선 시설 투자비용 세액 공제 △연구시설 건축 시 입지 지역 규제 완화 및 부담금 면제 △기술특례나 성장성특례로 진입한 기업에 대한 코스닥 상장 요건 적용 완화 △매출액 기준 미달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면제 등이다.

특히, 약가 우대 및 규제 완화 등의 혜택은 큐로셀의 차세대 CAR-T 치료제 후보물질 ‘안발셀(제품명 림카토주)’의 내년 업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4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3:04


http://m.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nid=30437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1:55


아이빔테크놀로지, '연 매출 4조' 中 글로벌 기업 래비티와 독점 계약 후 첫 매출 '주목'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6892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0:53


[오늘의 HIT_12월 27일 금요일]

-'영업할만한 신제품'이 없다... 내년 제네릭 절벽 현상 본격화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83

-K약가 정책 흐름은 '사후관리 일색'에 '한줄기 육성책 예고'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69

-한미 4인연합에 임종윤도 손잡았다…경영권분쟁 종식 기미?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55

-셀레믹스, 사우디아라비아 보건부 입찰 수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85

-한국비엔씨, 덴마크 CNS 신약개발사 로포라에 100만달러 투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81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75

-파마리서치, 리쥬란 등 EU 의료기기 인증 획득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74

-알테오젠, '아일리아 고용량 제형특허 우선권' 출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72

-나이벡, 광반응성 콜라겐젤 적용 골재생 소재 국내 품목허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67

-큐로셀 CAR-T 치료제 '안발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58

-[경력채용] 일동바사, 한독, 비보존홀딩스, 차바이오텍, 한화제약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51

-[HIT알공] 현대바이오랜드 종속사, 391억 주주배정 유상증자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87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itnews_biohealth/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Dec, 00:15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pmode=&cat=all&cat2=&cat3=&nid=304374&num_start=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3:39


국내 바이오 산업의 성지로 꼽히는 '대전' 지역을 중심에 두고 있는 '바이오헬스케어협회'가 어제 저녁 '2024 BioHA 송년포럼’을 개최했습니다.

더바이오도 현장에 다녀왔는데요, 연말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분위기는 뜨거웠습니다.

특히 이날 미래에셋증권 기업금융2본부 IB3팀의 양지성 부장이 행사장을 찾아 ‘메자닌 증권 발행 시장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는데요.

양 부장은 “자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사주에 대한 활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신용도를 가진 대기업 집단, 유동성이 높은 교환사채,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영구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

또한 “내년 기업공개(IPO) 시장은 강세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연초 수급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난 1~2년간 고금리 환경을 견뎌내며 IPO를 순연해온 대기업 계열사 및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등 대형 IPO 후보들은 2025년 하반기 이후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3:03


유전자 치료제인 ‘렌멜디(Lenmeldy, 성분 아티다사진 오토템셀)’가 지난해까지 1위였던 ‘헴제닉스(Hemgenix, 성분 에트라나코진데자파르보벡)’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비싼 약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렌멜디는 올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면서 그 명성을 얻었는데요.

렌멜디는 영국 오차드테라퓨틱스(Orchard Therapeutics, 현재 쿄와기린)가 개발한 유전자 치료제로, 희귀 유전질환인 ‘이색성 백질이영양증(ALD)’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주사 한 번에 약 425만달러(약 62억원)에 달합니다. 유럽에서는 2020년 승인돼 일부 국가에서 출시됐지만, FDA 승인은 올해 획득했습니다.

고가 약 상위 10개 중 유전자 치료제가 9개를 차지했습니다.

나머지 2위부터 10위까지 치료제들도 알아봤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72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2:37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6, THU) #전체기사

NGM 'VC 피인수 10개월만', 첫 라이선스딜 "활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00

알테오젠, '아일리아 고용량' 제형특허 우선권 특허출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5

루닛, 응급실에 'AI 활용' 응급환자 분류시간 77% 단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7

큐로셀, ‘안발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9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5% 매각.."경영권분쟁 종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0

갈렉틴, '갈렉틴-3 저해제' MASH 3상 "실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02

아이오니스, ‘큰 기대’ ASO 희귀고지혈증 “美 첫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6,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2:02


데일리팜 모닝뉴스 12월 27일(금)
[Web발신]
[데일리팜 모닝뉴스 12월 27일(금)]

의원 진료과별 매출액을 지도로 검색하는 데일리팜맵-
대표님! 제약영업의 가이드맵을 영업본부와 꼭 공유하세요!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Event/dailyMap.html

1. 비만·MASH에 뇌질환도 정복…GLP-1신약 영토 확장
http://m.dailypharm.com/News/319051

2. 심사기간 4년새 '55→115일'...높아진 기술특례 상장 문턱
http://m.dailypharm.com/News/319053

3. 셀트리온 BDD성분 1위 간장약 '고덱스' 성장세 급제동
http://m.dailypharm.com/News/318649

4. GMP 적합판정 취소 2년차...식약처 제도 평가 '검토'
http://m.dailypharm.com/News/319052

5. 1월 유효기간 만료…팍스로비드 재고물량에 속앓이
http://m.dailypharm.com/News/319007

6. 씨투스정 제네릭 내달 첫 급여등재…다산 등 4개사
http://m.dailypharm.com/News/319047


※ 팜리쿠르트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Mo/

※ 안드로이드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5lqs4b

※ 아이폰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tjceud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1:51


(12/27)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애플 최고가 경신, 혼조세 속 다우 소폭 상승

# Key Takeaways
- 다우 지수 상승, S&P 500 및 나스닥 하락, 러셀2000 +1.0%
- 애플 시가총액 4조 달러 근접, 역사적 최고가 경신
- 미국 실업수당 청구 21.9만 건, 3년 만에 계속 청구 최대

# Summary
미 증시는 크리스마스 연휴 이후 혼조세로 마감함. 주말과 연휴로 인해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시장의 방향성이 명확하지 않은 가운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7% 상승하여 43,325.80으로 마무리됨. 그러나 S&P 500과 나스닥 종합지수는 각각 0.04%와 0.05% 하락하여 6,037.59와 20,020.36에 거래를 마침.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03% 상승함. 러셀 2000 지수는 상승세를 보여 0.96% 오른 2,281.53을 기록함.
한편 애플은 시가총액 4조 달러에 근접하며 역사적인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함. 경제 지표로는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전주보다 1000건 감소한 21만9000건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계속 실업수당 청구는 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여 노동시장의 둔화를 시사함. 이러한 가운데 주요 기술주는 혼조세를, 밈 주식인 게임스톱은 5.94% 상승함. 투자자들은 휴장을 앞두고 크리스마스 이후의 약세장을 두려워하면서도, 일부는 저가 매수 기회를 엿보았음. 하지만 전반적으로 크리스마스 연휴의 영향으로 시장은 평소보다 잠잠한 모습을 보임. (다우 +0.07%, 나스닥 -0.05%, S&P500 -0.04%, 러셀2000 +0.96%)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41227064418327_3533

# 특징종목
게임스탑 (+5.9%)은 유명 투자자인 'Roaring Kitty'의 크리스마스 축제 포스트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며 주가가 급등함. 이와 대조적으로 마이크로스트레티지 (-4.7%)는 Bitcoin 투자가 계속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Bitcoin 의존이 주요 리스크로 여겨지며 주가 하락을 피하지 못함. 테슬라 (-1.8%)는 정치적 논란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증폭시켰으며, 전략적 결정들이 모호하게 작용하여 계속된 주가 하락을 경험함.
반면, 보잉 (+0.6%)은 경영진 개편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함께 일론 머스크의 칭찬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가 상승을 견인함. 또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인 도요타 (+8.8%)는 미래 목표로 설정된 20%의 자본수익률(ROE)이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으며, 특히 미국과 중국에서의 판매 증대 소식이 글로벌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급등세를 보임. 메타 플랫폼스 (-0.7%)는 실험적 메타버스 전략 발표 후 단기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주가 하락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음. 마지막으로, 아마존 (-0.9%)도 남부 캘리포니아 창고 파업으로 인해 운송 및 물류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었음.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채권 시장에서는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59%로 지난주 연방준비제도의 매파적 금리 전망 이후 최고치에 근접하며 0.01% 올랐지만, 변동폭이 크지 않음. 이와 더불어 미국 외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본과 프랑스 등 주요국도 꾸준한 수익률 상승세를 유지함.
외환 시장에서는 미국 달러 인덱스(DXY)가 108.11로 소폭 상승했으며, 이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예측 축소와 더불어 미국의 경제 복원력으로 인해 달러 강세가 유지된 결과임.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강세로 유로/달러는 1.04, 파운드/달러는 1.25로 각각 0.17%와 0.11% 내렸음.
상품 시장에서는 WTI 가격이 69.62달러로 하루 동안 0.79% 떨어졌으며, 브렌트 등 다른 에너지도 유사하게 하락세를 보였음. 금은 최근의 불확실성에 0.71% 상승해 2633.77달러에 도달했으며, 은과 구리 또한 각각 0.42%와 0.76% 상승. 비농업 상품에서는 대두가 1.41% 올라 987.50달러를 기록했으며, 커피도 투기적 수요 증가로 인해 강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음. 이러한 채권, 외환, 상품들의 동향은 글로벌 경제 회복과 연준의 정책 변화 기대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1:51


(12/27)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3,297.03p (+390.08p, +0.91%)
- S&P500: 6,040.04p (+65.97p, +1.10%)
- NASDAQ: 20,031.13p (+266.25p, +1.35%)
- 러셀2000: 2,259.85p (+22.42p, +1.0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2.71 (-0.06, -0.11%)
- MSCI 이머징지수 ETF: $42.64 (+0.13, +0.31%)
- NDF 환율(1개월물): 1,455.85원 / 전일 대비 3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173.56 (+54.81, +1.0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8.257 (+0.220, +0.20%)
- 유로/달러: 1.0402 (-0.0005, -0.05%)
- 달러/엔: 157.25 (-0.08, +0.0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3324% (0.0bp)
- 10년물: 4.5887% (0.0bp)
- 10Y-2Y: 25.63bp (0.00bp 유지)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0.10 (+0.86, +1.24%)
- 브렌트유: 73.58 (+0.95, +1.31%)
- 금: 2,635.50 (+7.30, +0.28%)
- 은: 30.28 (+0.09, +0.31%)
- 구리: 411.00 (+2.50, +0.61%)
- 옥수수: 448.50 (+0.75, +0.17%)
- 밀: 534.75 (-5.75, -1.06%)
- 대두: 981.25 (+5.75, +0.59%)

*동 자료는 2024년 12월 2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1:51


*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는 1.40%, MSCI 신흥 지수 ETF는 0.35%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03% 상승에 그쳤지만 러셀2000 지수는 0.90% 상승했으며 다우 운송지수는 0.25% 상승. KOSPI 야간선물은 휴장.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64.8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시장에서는 1,469.6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67.00원을 기록


*FICC: 천연가스 급락, 국채 금리 하락 전환.

국제유가는 중국의 경기 부양 기대 등에 힘입어 상승하기도 했지만, 달러 강세가 진행되자 하락 전환. 더 나아가 중국의 전기차 보급이 목표와 예측보다 몇 년 앞서서 진행 중이라는 점이 부각된 점도 부담. 이는 중국의 원유 수요 감소가 확대될 수 있어 국제유가에 부정적. 미국 천연가스는 전 거래일 1월 중순 강추위 전망에 급등하며 4달러를 넘어서기도 했지만 오늘은 2년내 최고치에서 되돌림이 유입되며 급락. 유럽 천연가스는 소폭 하락.

달러화는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양호한 결과를 내놓자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로 출발 후 국채 입찰 후 약세로 전환하는 등 변화를 보이며 보합권 등락. 특히 엔화가 우에다 BOJ 총재의 1월 금리인상 언급 회피 발언 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인 점도 영향. 유로화는 되돌림이 유입되며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반면, 파운드화는 약세. 역외 위안화는 강세를 보인 가운데 멕시코 페소는 약세, 브라질 헤알은 강세를 보이는 등 보합권 등락

국채금리는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둔화되자 고용시장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상승. 특히 FOMC 이후 상승 요인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던 만큼 10년물 국채 금리는 4.6%를 상회하는 등 강한 모습이 진행. 그렇지만, 7년물 국채 입찰에서 간접입찰이 12개월 평균인 69.2%를 크게 상회한 87.9%를 기록하는 등 채권 수요가 급증했다는 소식에 10년물 기준 4.57%까지 하락

금은 지정학적 리스크 이슈를 반영하며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유입되며 상승. 구리 및 비철금속은 LME 시장이 휴장. 미국 CME에서 구리가격은 상승. 농작물은 브라질 헤알이 달러당 6.2헤알까지 상승하는 등 사상 최저치에 근접하자 대두 가격이 상승. 이는 수확 시즌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헤알 약세가 대두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다만, 전반적으로는 기록적인 대두 수확 가능성이 높아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평가가 많음. 밀과 옥수수도 이러한 대두 영향으로 강세.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1:50


*특징 종목: 양자컴퓨터, 우주개발, 드론주 급등 Vs. 테슬라, 엔비디아 부진

브로드컴(++2.37)은 새로운 내용은 없었지만, 지난 주 모건스탠리이 고객 확대, AI 분야에서 이더넷 확장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목표주가 상향 소식 등 긍정적인 내용을 반영하며 상승. 인텔(+0.20%)은 최근 미국 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제재 발표가 진행되자 수혜 종목으로 분류되며 상승 지속. 마이크론(+0.60%)은 지난 실적 발표 후 투자회사들이 목표주가 하향 조정이 진행되며 크게 하락했지만, HBM과 DRAM의 강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점이 부각되며 상승. 그러나 TSMC(-1.58%)가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이 뚜렷한 가운데 풋옵션이 급증한 AMD(-0.97%)도 하락이 뚜렷. 엔비디아(-0.21%), AMAT(-0.49%) 등도 부진.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03% 상승

테슬라(-1.76%)는 4분기 인도량 발표 기대에 전일 급등했지만, 오늘은 차익 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 특히 중국에서 일부 모델 가격인하 소식이 부정적으로 작용. 토요타(+8.78%)는 ROE 목표를 20%로 두배 늘릴 계획이라는 소식에 급등. 혼다(+4.11%)는 닛산과의 합병 협상 발표 후 지속적인 상승 진행. GM(+1.25%)과 포드(+0.50%)는 트럼프 취임 앞두고 기대 심리 유입되며 4일 연속 상승. 리 오토(+3.60%)는 AI, 로봇으로 사업 확장 추진 소식에 상승. 여기에 샤오미가 리 오토와 니오(+1.52%), 샤오펑(+2.16%) 충전 시설 이용 소식도 긍정적. 더불어 중국의 전기차 판매 속도가 시장 예측이나 중국 정부의 목표를 크게 상회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도 영향

애플(+0.32%)은 웨드부시가 AI 기반 아이폰 관련 성장을 시장이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자 시가총액 4조 달러에 근접. 2차전지 업체인 퀀텀스케이프(+14.34%)는 피델리티가 2001년 롱/숏 전략을 운영하기 설립했던 지오드 캐피탈이 최근 3분기 동안 지분을 3.9%p 늘렸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급등. 더 나아가 콜옵션이 평균을 크게 증가하는 등 수급적인 요인까지 유입되며 상승 확대. 프레이 배터리(+1.68%)등의 강세가 뚜렷. 다만, 앨버말(-0.93%), FMC(-1.23%)등은 하락하는 등 차별화 진행. 리튬 아메리카는 보합

양자컴퓨터 관련 업체인 실SQ(+60.15%)가 실퀀텀닷컴 LAB을 출범해 양자 안전 및 포스트 양자 기술 연구개발을 강화한다고 발표하자 급등. 이에 아이온큐(+8.21%), 리게티컴퓨팅(+36.04%), 디웨이브 퀀텀(+24.53%), 퀀텀컴퓨팅(+12.55%) 등 관련 기업들로 수급의 쏠림이 유입되며 급등 지속. 로켓랩(+6.92%)은 올해 16번째 발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위성을 배치했다는 소식이 최근 발표된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인튜이티브 머신(+14.56%)은 지난 주 NASA가 우주선-지구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임무 수행에 선정된 후 지속적으로 상승. 새텔로직(+18.24%), 플래닛랩스(+9.18%)도 상승. 저궤도 위성 이용한 위성 전화 업체인 글로벌스타(+8.120%)는 임원의 100만 주 매수 소식에 상승

드론 관련 업체인 언유주얼 머신(+20.22%)이 최근 주주서한을 통해 높은 수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고수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공급망을 강화하고 외국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언급. 더불어 공매도를 막기 위해 여러 조치를 주주들에게 요청하자 강세. 조비(+10.90%), 아처항공(+4.91%),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30.92%), 이항 홀딩스(+6.59%) 등 드론, 에어택시 관련 종목군들도 특별한 요인이 부재한 가운데 개인들의 쏠림이 이어지며 상승. 비트코인이 하락하자 코인베이스(-1.86%), 마이크로스트레티지(-4.78%), 마라(-4.22%)가 부진했지만, 갤럭시 디지털(+2.34%)은 상승하는 차별화 진행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21:49


12/27 미 증시, 금리 하락 전환에도 테슬라 등 일부 대형주 부진에 보합권 혼조 마감

미 증시는 고용지표 개선에 힘입어 달러 강세, 금리 상승이 지속되자 대부분 종목 부진으로 하락 출발. 그렇지만, 금리가 채권 경매 후 하락 전환하는 등 안정을 찾아가자 상승 전환에 성공. 이후 변화가 제한된 가운데 금리, 달러의 영향에 따라 변화가 진행되는 등 증시 주변에 따라 등락을 보이며 보합권 혼조 마감. 특히 테마주가 급등했지만, 대형주가 부진하며 지수에는 부담(다우 +0.07%, 나스닥 -0.05%, S&P500 -0.04%, 러셀2000 +0.9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03%)

*변화 요인: 달러, 금리, 그리고 쏠림 현상

연말을 앞두고 주식시장은 거래량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국채 금리와 달러화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가 진행. 국채 금리는 연준이 12월 FOMC를 통해 금리 전망을 상향 조정한 후 지속적으로 상승했는데,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감소를 통해 견고한 고용시장에 대한 기대로 10년물 기준 4.64%까지 상승. 이에 주식시장은 전 거래일 상승을 뒤로하며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

물론, 장중 7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이 12개월 평균인 2.56배를 상회한 2.76배, 해외 투자자 중심의 간접입찰이 69.2%를 크게 상회한 87.9%를 기록하는 등 강력한 수요가 유입되자 국채 금리는 하락 전환(10y 4.58% 하회). 이에 달러화도 되돌림이 유입되며 Index 기준 하락 전환하는 등 장 초반과 다른 양상을 보이자 하락하던 주식시장이 상승으로 전환하는 힘을 보임.

이렇듯, 최근 시장은 국채 금리와 달러의 영향에 민감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는 절대적인 수준이 높기 때문. 달러 인덱스는 108을 넘어서 지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높고 10년물 국채 금리도 지난 2024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이 흐름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이익에 부정적이라 주식시장에 부담. 물론, 미국 경제가 견고하면 기업이익이 양호할 수 있지만, 미-중 갈등, 유럽, 중국 경제 여파가 미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달러강세, 금리 상승 장기화 여부에 주목. 그렇기 때문에 이를 결정할 경제지표 결과에 따라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음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자 주식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이 없이 옵션시장의 수급적인 요인에 따라 개별 종목군의 상승/하락 변동성이 확대. 더 나아가 AI 관련 기업들의 급등이 그동안 시장을 주도했던 만큼 투자자들이 새로운 테마(양자컴퓨터, 로봇, 우주개발, 드론 등)에 주목하며 수급의 쏠림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 이어지고 있으며 오늘도 관련 흐름의 연장선이라 볼 수 있음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Dec, 1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291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Nov, 05:32


"항체약물접합체(ADC) 파이프라인을 확보하지 못한 글로벌 빅파마들이 얼마 남지 않은 ADC 전문 개발기업을 확보하기 위해 아시아에 있는 바이오 벤처를 인수합병(M&A)에 나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철웅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리가켐바이오) 연구소장은 27일 보건산업진흥원 주최로 서울 용산구 로카우스호텔에서 열린 '2024 제약바이오산업 혁신포럼 ADC 개발 동향 및 전략'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 연구소장은 "ADC는 항체뿐만 아니라 링커, 페이로드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회 요소가 있다"며 "이런 요인이 2010년대부터 많은 바이오기업들이 ADC 개발에 나서게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글로벌 빅파마는 항체와 링커, 페이로드의 각각의 조합으로 이어지는 ADC 허가 사례를 기초로 바이오 벤처와 중소 바이오기업을 인수하는 게 전략이 됐다"고 소개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2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Nov, 04:26


더바이오 11월 27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65

●삼성바이오에피스, 그룹 첫 여성 CEO 탄생…고한승 대표, 삼성 '미래먹거리' 발굴(종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23

●'경영권 표 대결 D-1' 한미사이언스, '3인연합 vs 형제' 지분 대결 포인트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4

●암젠, 월 1회 이상 투여 '마리타이드' 2상서 최대 20% 체중 감소…"장기 효과 기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7

●로슈, 2조원에 美 포세이다 인수…CAR-T 치료제 혁신 가속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5

●GLP-1 비만약 개발 '카일레라' 시리즈A 유치…10월 바이오 투자에 3.2조원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3

●루닛, 멕시코 최대 의료기관 '살루드 디그나'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8

●英 JP모건 시큐리티즈 피엘씨, 에이프릴바이오 지분 6.03% 보유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22

●대웅제약 엔블로, ‘인슐린 저항성’ 낮추는 효과…대사기능 개선 가능성 첫 확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7

●HLB제약, 경구용 척수소뇌변성증 치료제 '씨트렐린' 대규모 임상 결과 공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9

●지씨셀, 인도네시아 '비파마'와 이뮨셀엘씨주 기술이전 절차 본격 착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0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차세대 내시경용 지혈재' 식약처 품목허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2

●제이엘케이, 경막하 출혈 검출 솔루션 美 FDA 인허가 신청 ‘올해 5번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1

●로슈, TIGIT 표적 '티라골루맙'·'티쎈트릭' 병용요법 폐암 3상서 OS 개선 실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6

●길리어드, 스페인 에일릭스서 'T세포 면역 HIV 백신' 도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1

●오스템임플란트, 브라질 '맨딕대학'과 MOU…브라질 시장 공략 초석 마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5

●한국바이오협회, GFI APAC와 대체 단백질 산업 발전 목표 MOU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9

●세브란스 천근아 교수, '자폐스펙트럼장애' 이해 돕기 위해 교과서 출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3

●안트로젠, 웅선의원과 '지방줄기세포' 추출 기술 업무협약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4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이사 사장 승진 내정…'삼성그룹 첫 여성 CEO'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20

●고한승 대표,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바이오에 힘주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6

●[MediOpenLab Day]③ Genecast: “High-sensitivity liquid biopsy technology makes cancer a common disease, boosting ‘ADPS’ competitivenes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96

●"Key focus on 'environment' and 'investment' as we partner with the KAHP to support biotech startup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9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Nov, 02:42


암젠(Amgen)의 '월 1회' 또는 그 이하 빈도로 투여할 수 있는 비만 신약 후보물질 '마리타이드(MariTide, 개발코드명 AMG133)'가 임상2상에서 당뇨병이 없는 비만 및 과체중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52주차 시점에 최대 20%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마리타이드는 '위 억제성 폴리펩티드 수용체(GIPR)' 길항제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다중 특이적 신약 후보물질입니다. 긴 반감기와 이중 작용기전을 갖고 있어 치료 중단 후에도 체중 반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게 특징입니다.

분석 결과, 마리타이드는 제2형 당뇨병이 없는 참가자에서 평균 20%, 당뇨병이 있는 참가자에서 평균 17%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습니다.

'체중 감량 정체 현상(plateau)'은 관찰되지 않았고, 당뇨병 환자에서는 HbA1c 수치가 최대 2.2%포인트(p) 감소하는 효과도 확인됐습니다.

다만, 이는 미국 현지에서 기대했던 20~25% 감량에 미치지 못해 암젠의 주가는 26일(현지시간) 장중 한때 전날 종가 대비 최대 11%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Nov, 00:42


[오늘의 HIT_11월 27일 수요일]

🏛"일본, 양국 의약품 수출입 때 실사면제 논의하자 먼저 제안"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68

🧬3Q 더 두둑해진 삼바·셀트 실탄, 에스티팜·알테오젠 현금흐름 '굿'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66

💊엘지화학 시노비안 약가인하 소송... 2R 항소심도 정부 승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72

🏛"AI 빅데이터로 의료 소외계층 감소·빠른 질환 진단 가능"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70

🧬AZ '트루캅'-SoC 병용, 전립선암 3상 rPFS 개선… "SoC 단독 대비 우수"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47

💼[경력채용] 콜마BNH, 휴젤, 차메디텍, 파비스제약, 한국의약연구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73

💵[HIT알공] 파마리서치바이오, 전환사채 10억원 미리 갚았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74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itnews_biohealth/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Nov, 00:27


루닛이 또 한 번 영토를 넓힙니다.

루닛은 멕시코와 중남미 지역 최대 의료기관 체인 '살루드 디그나(Salud Dign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03년 설립된 살루드 디그나는 멕시코, 중남미 지역에 의료센터 230곳 이상을 운영하는 대규모 의료기관 체인으로, 연간 2000만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고 합니다.

루닛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살루드 디그나에 AI 영상진단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 및 '루닛 인사이트 MMG'를 공급합니다. 또한 살루드 디그나가 보유한 약 1000만장의 흉부 엑스레이 및 유방촬영술 영상 등 의료영상 데이터와 관련 임상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7 Nov, 00:00


미국 머크(MSD)가 이제는 폐동맥고혈압(PAH) 분야에서 치료 기준을 높이고, 시장내 입지 확대에 촉매가 될 수 있는 임상3상 데이터를 1년일찍 손에 쥐었습니다.

이에 따라 임상은 조기 종료되며,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위원회는 임상을 조기에 종료하고, 모든 환자가 오픈라벨 확장연구를 통해 윈리베어를 투여받을 기회를 제공하도록 권고했네요.

윈리베어는 오는 2028년 다가오는 PD-1 블록버스터 ‘키트루다’의 특허만료를 방어하기 위해 엑셀러론(Acceleron)을 115억달러에 인수하면서 확보한 핵심 에셋으로, 미국에서 첫 시판허가를 받은 지 불과 8개월만에 증거를 추가하며, 라벨 확장에 힘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번 라벨 확대의 의미는 남다르며
머크는 “지금까지 PAH 분야에 이러한 임상연구는 없었으며, 시판된 모든 약은 증상이나 질병진행을 개선했다“고 했습니다. 또한 딘리 회장도 “미국 라벨에는 없는, 사망률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넣을 수 있다”고 강조할 만큼 중요한 마일스톤이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7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3:59


지난달 주요 글로벌 바이오텍들이 '암'과 '면역 및 염증성질환', '비만' 등을 적응증으로 한 혁신 치료제 개발을 위해 활발한 투자 유치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바이오>가 자체 집계한 결과, 지난 달 18개의 주요 글로벌 바이오텍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는데, 이들 기업이 조달한 자금은 총 22억9880만달러(약 3조2133억원)에 달했습니다.

가장 큰 규모의 자금을 조달한 기업은 카일레라테라퓨틱스(Kailera Therapeutics,)로,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해 4억달러(약 5591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3:13


암젠, GIP antagonist 비만약 MariTide 임상2상 데이터

항체에 펩타이드를 접합시킨 구조로 높은 수준의 체중감량을 기대하였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GIP antagonist이기 때문에 AE가 높을 수 있다는 우려를 샀었는데, 중단률은 약 11%였으며 gi 관련 중단률은 약 8%였습니다

흥미로운점은 52주차에도 plateau가 없다는 점인데요, 저번에 한미약품의 HM15275는 전임상에서 마운자로로 인한 plateau를 깨면서 시장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Part2 결과를 추가로 지켜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www.amgen.com/newsroom/press-releases/2024/11/amgen-announces-robust-weight-loss-with-maritide-in-people-living-with-obesity-or-overweight-at-52-weeks-in-a-phase-2-study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43


12월의 바이오가 제일 중요한 3가지 이유와 트럼프의 바이오

https://www.youtube.com/watch?v=89ynPf88g-M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43


(11/27)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4,860.31p (+123.74p, +0.28%)
- S&P500: 6,021.63p (+34.26p, +0.57%)
- NASDAQ: 19,174.30p (+119.46p, +0.63%)
- 러셀2000: 2,424.31p (-17.72p, -0.73%)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8.60 (-0.14, -0.24%)
- MSCI 이머징지수 ETF: $43.13 (-0.18, -0.42%)
- Eurex kospi 200: 335.40p (-0.50p, -0.15%)
- NDF 환율(1개월물): 1,396.50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927.56 (-60.36, -1.21%)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6.883 (+0.066, +0.06%)
- 유로/달러: 1.0489 (-0.0006, -0.06%)
- 달러/엔: 153.14 (-1.09, +0.7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478% (-2.1bp)
- 10년물: 4.2984% (+2.5bp)
- 10Y-2Y: 5.06bp (4.60bp 확대)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8.77 (-0.15, -0.22%)
- 브렌트유: 72.81 (-0.16, -0.22%)
- 금: 2,646.30 (+14.90, +0.56%)
- 은: 30.83 (+0.27, +0.89%)
- 구리: 411.85 (-2.40, -0.58%)
- 옥수수: 428.00 (-5.00, -1.15%)
- 밀: 558.00 (+1.25, +0.22%)
- 대두: 983.50 (-2.75, -0.28%)

*동 자료는 2024년 11월 2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42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1/27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Eli Lilly(LLY.US), Novo Nordisk(NOVO.DK): 조 바디든 대통령이 메디케어/메디케이드의 비만 치료제 적용 범위 확대 방안을 제안하며, 릴리와 노보의 주가 상승. 백악관은 이번 정책 제안을 통해 본인 부담 비용을 최대 95%까지 줄일 것이라 밝혔음.
https://han.gl/WwOn5

Amgen(AMGN.US): 월 1회 혹은 격월 투여가 가능한 비만 치료제 주사제 MariTide가 1년 후 최대 20%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정체기 없이 효과가 지속되었다 발표. 기존 주사제 대비 투여 빈도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로 주가 하락.
https://han.gl/VGqmR

Roche(ROG.SW): tiragolumab과 Tecentriq의 병용요법이 임상3상(SKYSCRAPER-01)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주요 목표인 전체 생존율(OS)을 개선하는 데 실패. 상세 연구 데이터는 25년 의학 회의에서 공개 예정이며, 로슈는 연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필요한 경우 조정을 통해 연구를 이어갈 계획.
https://han.gl/GUHQF

Roche, 다양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복합 면역세포 치료제의 개발 강화를 목적으로 미국 협력사인 Poseida Therapeutics를 최대 $1.5bn에 인수. 이번 인수를 통해 CAR-T 세포 치료제를 파이프라인에 추가. 거래는 1Q25 중으로 완료될 예정.
https://han.gl/7XFCz

Shorla Pharma, FDA로부터 Gleevec(imatinib)의 음료 제형인 Imkeldi 승인. Gleevec은 노바티스의 표적 백혈병 치료제로, Imkeldi는 첫 경구용 액체 제형. Imkeldi는 위장관 종양(GIST),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등 암 치료에 사용.
https://han.gl/knZ4E

Sarepta Therapeutics, Arrowhead Pharmaceuticals와의 계약을 통해 RNAi 기술 기반의 임상 자산 4개와 전임상 자산 3개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스 권한 및 6개 타깃에 대한 공동연구 파트너십 확보. 이번 계약은 최대 $825mn 규모로, Arrowhead의 마일스톤 및 로열티 수익 기회를 포함. Serepta는 기존 유전자 치료 프로그램을 보안하며 새로운 타깃 치료 개발도 추진할 계획.
https://han.gl/IzKUO

독일 CDMO Adragos Pharma, 스위스 CDMO 업체인 Baccinex를 인수하며 전 세계에서 여섯 번째 제조 시설을 확보하게 되었음. Baccinex는 액체 및 동결건조 바이알의 충전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며, 주로 임상 시험 공급과 소규모 및 중규모 상업 생산에 초점.
https://han.gl/UxiiQ

<한국>
셀트리온(068270.KS): 셀트리온, 독일서 '스테키마' 출시…"현지 미디어 간담회"
https://han.gl/wX8n6

SK바이오팜(326030.KS): SK바이오팜 자회사, 美뇌전증 학회서 연구결과 9편 발표
https://han.gl/uTEmK

대웅제약(069620.KS): 대웅제약 "우루사, 임상 4상서 간수치 2.7배 감소 효과"
https://han.gl/Lxt47

한미약품(128940.KS): 한미약품,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 '업무방해 혐의' 고소
https://han.gl/XUyct

젬백스, PSP 2a상 톱라인 결과 국제 학회 포스터 발표
https://han.gl/4yI0h

CJ바이오사이언스, ‘염증성 피부 질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논문 국제 학술지 등재
https://han.gl/fv4EX

제넥신, 비소세포폐암 신약 개발 중인 'GX-BP1' 주요 기술 국제특허
https://han.gl/wyFzy

지아이이노베이션,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2건 선정
https://han.gl/saHmM

리비옴 미생물유전자치료제 LIV031,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https://han.gl/RhpJ4

알테오젠 헬스케어, LG화학 유착방지제 '프로테스칼' 국내 판권 계약
https://han.gl/UuvkC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4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6, TUE) #전체기사

쿄와기린, 쿠라서 AML ‘메닌저해제’ 17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6

美브릿지, ‘고군분투’ 심근병증 약물 “美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3

지아이이노, 'CD80-IL-2' 2상 등 2건 “KDDF 과제선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1

트럼프, FDA 국장에 '마카리 존스홉킨스 외과의' 지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9

티카로스, '스위처블 CAR-T' 기술 네이처자매지 "게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29

헨리우스, 앱클론 'HER2 항체' 위암 3상 "첫환자 투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5

알테오젠 헬케, LG화학 '유착방지제' 국내 판권 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7

제넥신, ‘SOX2 분해약물’ 항암제 “국제특허 출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4

길리어드, 에일릭스서 ‘완치 목표’ HIV 치료백신 “인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0

CJ바사, ‘마이크로바이옴’ 염증성 피부질환 연구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3

“신경면역” 알렉토, ‘TREM2’ AD 2상 "효능없어..실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8

로슈 "결국 반전없어", TIGIT 폐암 "OS 개선 실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8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6, TUE)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40


*한국 증시 관련:

MSCI 한국 지수 ETF는 0.24%, MSCI 신흥 지수 ETF는 0.42%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21% 하락한 가운데 러셀2000지수는 0.73%, 다우운송지수도 0.32% 하락. KOSPI 야간 선물은 0.15% 하락.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398.2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 거래에서는 1,396.10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96.30원을 기록


*FICC: 멕시코 페소, 캐나다 달러 큰 폭 약세

국제유가는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가 견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달러 강세 여파로 하락. 여기에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휴전 가능성이 부각된 점도 하락 요인 중 하나. 장 후반 이스라엘이 레바논과 일시적으로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지만, 변화는 제한. 미국 천연가스는 추운 날씨와 수출 증가 기대 등으로 최근 상승을 이어왔으나 오늘은 매물 소화 과정 속 약세를 보이기도 했음. 다만, 장 후반 매수세가 이어지며 재차 상승하는 등 변화가 진행

달러화는 트럼프가 멕시코와 캐나다, 그리고 중국 등에 대한 관세 부과가 첫번째 행정 명령이라고 발표하자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 특히 무역분쟁은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안과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를 자극한 점이 달러 강세 요인. 엔화는 안전자산 선호심리 등을 반영하며 달러 대비 강세. 멕시코 페소화는 달러 대비 2% 가까이, 캐나다 달러는 달러 대비 0.6% 약세를 보이는 등 변동성이 확대. 역외 위안화를 비롯해 브라질 헤알, 호주 달러 등도 달러 대비 약세.

국채금리는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가 12월 금리 인하가 합리적이라고 언급했지만 상승. 특히 트럼프의 관세 부과 언급과 함께 소비자 신뢰지수가 개선된 점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 다만, 트럼프의 발언은 협상용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소비자 신뢰지수 결과도 예상을 하회해 금리상승은 제한. 한편, 5년물 국채 입찰에서는 응찰률이 12개월 평균인 2.39배를 상회한 2.43배로 높아졌지만 영향은 제한. 이와 함께 FOMC 의사록을 통해 연준이 역레포 금리 5bp 인하를 논의했다는 소식에 단기물 중심으로 상승 반납

금은 전일 하락에 따른 되돌림이 유입되며 상승. BoA가 3,000달러 목표 제시한 점도 상승 요인 중 하나. 구리 및 비철금속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언급에 부정적인 심리를 반영하며 하락. 다만, 대부분 LME 시장에서 재고가 감소했다는 점을 반영하며 하락은 제한된 가운데 재고 감소폭이 컸던 아연은 상승하는 등 차별화 진행. 무역 분쟁 우려 등을 반영하며 대두와 옥수수가 하락한 가운데 밀은 상승하는 차별화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40


*특징 종목: 자동차, 반도체 업종 부진

아마존(+3.19%)은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부분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이지만, 같은 조건에서는 온라인 판매 중심의 아마존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이 부각돼 상승. 월마트(+2.02%)는 식료품 판매가 많다는 점, 그리고 매출 성장이 고소득층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점이 알려지자 연말 쇼핑 시즌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상승. 그러나 가전제품 소매업체 베스트바이(-4.89%)는 예상을 하회한 실적 기대매출, 동일 매장 매출 감소 소식에 하락. 백화점 업체 콜스(-17.01%)는 블랙프라이데이 앞두고 매출 감소에 이어 CEO가 갑작스럽게 사임에 큰 폭으로 하락. 타겟(-3.05%)은 투자의견 하향 조정 여파로 하락. 결국 소비 관련 종목군은 아마존과 월마트, 그리고 코스트코(+1.10%)같이 대형 유통업체들은 연말 쇼핑시즌에 대한 기대로 상승한 반면, 그 외 기업들은 부진한 차별화가 진행

일라이릴리(+4.55%)는 바이든 정부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며 보험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며 큰 폭 상승. 노보노디스크(+1.50%), 바이킹 테라퓨틱스(+2.75%)도 동반 상승. 암젠(-4.76%)의 비만 치료제 2상 결과 체중 감량에는 성공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다는 소식에 하락.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부과 의지를 표명(협상 전략일 수 있지만)하자 멕시코에 공장이 있는 GM(-8.99%)과 스텔란티스(-5.68%)가 하락했고, 포드(-2.63%), 혼다(-3.00%), 도요타(-1.88%)도 부진. 테슬라(-0.11%)도 전일 하락에 따른 되돌림에 상승하다 장 마감 앞두고 하락 전환. 리비안(-0.43%)은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제조 사업에 저리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ATVM 프로그램에서 최대 66억 달러 대출에 대한 조건부 약정 소식에 크게 상승하다 하락 전환하는 등 변동성 확대.

엔비디아(+0.62%)는 전일 하락에 따른 되돌림이 유입되며 상승. 애널로그디바이시스(-2.03%)는 긍정적인 실적 등으로 큰 폭 상승 출발했지만, 무역 분쟁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이 부각되자 하락 전환. 이외 AMD(-2.42%), 마이크론(-2.57%), 퀄컴(-1.19%), AMAT(-0.77%), TSMC(-0.67%)은 물론 자동차 반도체 관련주인 NXP 세미컨덕터(-2.22%), ON세미컨덕터(-2.13%)등도 부진.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21% 하락. 리게티컴퓨팅(-20.00%)은 1억 달러 규모의 유상 증자 소식에 큰 폭으로 하락. 디웨이브 퀀텀(-6.57%), 퀀텀 컴퓨팅(-13.64%)등도 동반 하락했지만, 상대적으로 재정적으로 안정된 아이온큐(-0.74%)는 상승하다 하락 전환.

관세 부과, AI 수익화 이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소프트웨어 업종의 강세를 견인. MS(+2.16%)가 강세를 보였고 오라클(+1.27%), 어도비(+1.27%), 세일즈포스(+1.20%), 서비스나우(+1.65%)등이 강세. 알파벳(+0.70%), 메타(+1.49%)등과 중국에서 AI 기능 승인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경고 소식에도 상승한 애플(+0.94%)등 대형 기술주도 강세. NRG에너지(+10.11)는 제프리스가 과소평가된 성장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자 크게 상승. 내부자의 주식 매도에도 불구하고 비스트라(+5.53%)도 강세를 보였고 GE 버노바(+3.01%)는 호주에 장비 공급하는 파워 링크와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하자 콘스텔레이션 에너지(+7.16%)도 강세를 보이는 등 전력 관련 기업들의 강세가 뚜렷.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39


11/27 미 증시, 트럼프발 관세 전쟁 우려에도 연말 쇼핑 시즌에 기대로 상승 전환

미 증시는 트럼프의 멕시코, 캐나다, 그리고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언급으로 관련 피해 종목군이 크게 하락하며 주요 지수에 부담.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도 관련 종목군에 부담. 그러나 지표 개선에 따른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는 한편 대형 기술주를 비롯 소프트웨어 종목 중심으로 위험회피성 매수세가 유입되자 나스닥은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 더불어 대형 유통회사들이 연말 쇼핑 시즌에 대한 기대로 강세를 보이자 다우도 상승 전환하는 힘을 보임(다우 +0.28%, 나스닥 +0.63%, S&P500 +0.57%, 러셀2000 -0.7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21%)

*변화 요인: 달러와 금리, 그리고 관세와 소프트웨어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는 지난달 발표된 109.6보다 개선된 111.7로(예상 112.3) 2년래 최고치를 기록. 이는 현재 상황지수가 4.8p나 상승한 140.9를 기록한 데 따른 것으로 35세 미만 소비자들의 고용시장에 대한 평가가 크게 개선된 것이 주요인.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고용시장이 더 나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주장한 가운데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

한편,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1월 20일 취임과 동시에 첫번째 행정명령으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 더불어 트럼프의 관세 부과가 비경제적인 요인 즉 마약과 이민 단속 등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향후 미국이 관세 정책을 중요한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시장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 이에 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하락이 크게 진행된 가운데 일부 반도체 기업들도 매물 출회. 관세 부과할 경우 미국 기업들의 투입 비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촉발.

이런 가운데 최근 미 증시의 특징 중 하나는 그동안 시장을 이끌어 온 하드웨어 대신 소프트웨어 업종으로 수급이 점차 전환되고 있다는 점. 이는 지난 7월 AI 수익화 논란 이후 나타난 변화 중 하나. 대규모 자본 투자 후 수익화 이슈에 대한 시장 관심이 높아 졌음을 보여준 것. 더불어 미국과 각국의 관세 전쟁이 진행될 경우 하드웨어 등에는 부정적인 반면, 소프트웨어는 그 부정적 영향을 일부 피할 수 있다는 기대 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추정. 여기에 대형 유통회사들은 견고한 소비심리를 바탕으로 연말 쇼핑시즌에 대한 기대가 높아져 관련 기업들이 양호할 것이라는 점이 부각되며 매수세가 쏠림. 결국 관세 부과 등 여러 불확실성에도 실적에 더 주목한 점도 특징.

장 후반 연준은 FOMC 의사록을 통해 일부 위원들이 고용과 경제의 하방 압력이 감소해 점진적인 금리인하를 선호했다고 발표. 다만, 경제가 침체될 경우 금리인하 속도를 빠르게 전개할 수 있다고 주장. 일부 위원은 높은 물가가 유지될 경우 인하를 중단하고 유지해야 한다고 발표. 또한 기술적인 조정을 위해 역레포 금리 5bp 이하를 검토했다고 발표. 의사록 공개 후 단기 금리는 상승 반납했지만 주식시장은 영향이 제한.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22:24


데일리팜 모닝뉴스 11월 27일(수)
[Web발신]
[데일리팜 모닝뉴스 11월 27일(수)]

의원 진료과별 매출액을 지도로 검색하는 데일리팜맵-
대표님! 제약영업의 가이드맵을 영업본부와 꼭 공유하세요!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Event/dailyMap.html

1. 4년간의 장기품절 사태...대체조제 활성화법 탄력 받나
http://m.dailypharm.com/News/317932

2. 수백억 속출...점점 커지는 콜린 환수 리스크 대책 비용
http://m.dailypharm.com/News/317928

3. 비비안트·투베로·아카브 등 대형품목 판권 연쇄 이동
http://m.dailypharm.com/News/317918

4. 국민연금의 '중립' 결정…한미 표대결 무승부 가능성↑
http://m.dailypharm.com/News/317946

5. "PIC/S 재평가·재인정 시작에 불과...일본 실사면제 시동"
http://m.dailypharm.com/News/317925

6. 시술 전 아스피린 등 항혈전제 복용여부 쉽게 확인 가능
http://m.dailypharm.com/News/317934


※ 팜리쿠르트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Mobile/

※ 안드로이드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5lqs4b

※ 아이폰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tjceud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6 Nov, 12:41


[미래에셋 김승민] 암젠의 웗1회 비만 치료제 MariTide 임상2상 탑라인 발표
 
- 암젠의 월 1회(또는 그보다 더 적게 치하주사) 비만 치료제 MariTide(AMG-133) 항체-펩타이드 접합체, 임상 2상 탑라인 데이터 발표

- 당뇨병이 없는 비만이나 과체중 환자의 경우 52주차 ~20%의 체중 감량
- 당뇨병이 있는 비만이나 과체중 환자의 경우 52주차, ~17%의 체중 감량, HbA1c 최대 2.2% 감소

- 두 그룹 모두 체중 감량이 정점에 도달하지 않아 더 감소할 가능성
- 심장대사 매개변수 전반에 걸쳐 상당한 개선
- dose escalation 군 부작용으로 인한 임상 중단 비율 11%,, GI 관련 이벤트 8% 미만
 
* 릴리의 weekly retatrutide가 48주차 최대 -24% 감량 수준
* 오늘 관련된 내용 컨퍼런스 콜 예정
* 임상3상 MARITIME 계획 발표 예정
 
* Pre-market 암젠 -8%, 릴리 +4%, 노보 +2%, 바이킹 +7%,
 
https://investors.amgen.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amgen-announces-robust-weight-loss-maritide-people-living

컨퍼런스 콜: https://amgen2.rev.vbrick.com/#/event-registration/1214505f-b30c-4242-b918-1ae4a0c137f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2 Nov, 00:03


[오늘의 HIT_11월 22일 금요일]

-첨단재생의료 정책 변화 시급… "전쟁하듯 온갖 수단 동원해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73

-한미사이언스 주총 D-7, '재단 지원금'까지 불붙은 경영권 분쟁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27

-레이크나-릴리, 비만치료제 'LAE102' 개발… "GLP-1R 작용제 병용"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97

-정부, 혁신적 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을 위한 규제 개선 추진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02

-지엘파마, 신경통약 '크라렉신에스'ㆍ제산제 '지엘알마게이트' 출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09

-[HIT알공] 셀트리온,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국내 허가 획득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12

-[채용 원픽] 한독, 이화학시험·인사교육·미생물시험(~12/1일)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25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itnews_biohealth/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3:40


CG인바이츠가 2026년 상반기 메신저 리보핵산(mRNA) 항암백신 후보물질의 임상1상 진입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성장의 핵심 축인 유전체 분석 사업에서는 지난 10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K-DNA 국책과제' 계약이 늦어도 12월 중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CG인바이츠는 어제(21일) 서울 마곡 본사에서 올해 세 번째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하고 현재 가동 중인 프로젝트의 진행 현황을 공개했습니다.

정인철 CG인바이츠 대표는 이날 IR에서 "지난해 6월 거버넌스가 바뀌고 저분자화합물 위주의 신약 개발에서 디지털 유전체 기업으로 전환했다"며 "기존 레거시를 청산하고 사업 재편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775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3:39


진에딧은 UC버클리에서 생명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이근우 대표와 박효민 수석부사장이 2016년에 공동 창업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벤처다. 두 창업자는 노벨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와 협력하여 진행된 유전자가위의 전달에 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정밀한 유전자 전달로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를 실리콘밸리에 설립했다.

https://m.mk.co.kr/news/it/1117286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3:38


화이자(Pfizer)는 비만 및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앰퍼샌드바이오메디슨(Ampersand Biomedicines, 이하 앰퍼샌드) 및 몬타이테라퓨틱스(Montai Therapeutics, 이하 몬타이)와 협력한다고 밝혔습니다.

앰퍼샌드와 몬타이 모두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벤처캐피탈(VC)인 플래그십파이어니어링(Flagship Pioneering, 이하 플래그십)이 설립한 바이오텍입니다.

화이자와 플래그십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으며 후보물질 10개를 발굴해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는데요.

이 파트너십에 따라 화이자는 플래그십에 최대 70억달러(약 9조6000억원, 프로그램당 최대 7억달러)에 달하는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과 순매출에 따른 단계별 로열티(경상 기술료)를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77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3:35


지난달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발표한 주요 라이선스(기술이전) 사례는 총 9건, 거래 규모는 129억4100만달러(약 18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최근 공개한 '2024년 10월 신약 개발 관련 주요 딜(Deal)' 현황에 따르면, 10월에 이뤄진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 간 기술이전 거래는 특정 적응증을 넘어 여러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다적응증'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커졌음을 보여주는데요.

다양한 적응증을 아우르는 후보물질이나 플랫폼 기술에 주목하며, 전임상이나 후보물질 발굴 단계에서 대규모 계약이 다수 체결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특히 '분자접착제'와 같은 플랫폼 기술은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아 제약바이오기업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0월에 어떠한 빅딜이 이뤄졌는지 조명해봤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78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3:11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668891986
[출처]The Rainmaker님 블로그

방금 마친 제프리스 런던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상당히 중요한 포인트가 다시한번 하이라이트됨.

컨퍼런스 발표 포맷은 진행자 (제프리스 증권 헬스케어 애널리스트) 가 준비한 질문을 하고, 머크 경영진 두명이 나와서 답변하는 형식이었고, 대략 5-6개의 질문이 나옴. 약 30분정도 길이의 짧은 인터뷰였고, 미리 준비한 질문으로 Q&A. 투자자/청중들의 질문은 따로 받지 않았음.



다행히도 그 중 한개가 얻그제 발표된 키트루다 SC 에 관한 질문이었고, 경영진의 답변이 상당히 구체적이었음. 종양부분 임상총괄 그린 박사는, 런칭초기에 어떤 국가에서, 어떤 증상을 가진 환자군을 공략할건지 설명하였고, 오늘 컨퍼런스 참석자중 다른 한명인 head of international business 는 국가별로 어떻게 다르게 펼쳐질것인가를 설명하여 대표이사가 공식적으로 언급한 50% 침투율에 대한 다소 구체적인 플랜을 얘기함.

임상 데이터에 대한 얘기는 질문도, 언급도 없음. 데이터 모으로 분석하고 리폿쓰는데 3개월은 걸리고, 아직은 내부정보라서 제약이 있다는건 이해해야함…

먼저, 제프리스 애널리스트가 상당히 날카로운 질문을 함.

애널리스트 질문

제가 이번주초에는 브리스톨마이어 경영진을 모시고 옵디보 피하제형에 대한 얘기를 나눴는데요, 지난번 인터뷰때하고는 톤이 바뀌었음을 (IV 제형대비 SC 제형의 효능 외적인, 즉 병의원입장 + 환자의 편의성 측면) 알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환자의 편의성, 병원의 효율성 입장에서 본 SC의 베네핏이 과소평가되거 같은데요.

머크 경영진은 SC 가 초기암 환자 및 경구요법 항암환자에게 투약되면서 전체 키트루다의 50%까지 점유율을 가져갈거라고 언급했죠. 옵디보 SC 와는 직접 비교는 힘들지만 (워낙에 키트루다가 적응증도, 콤비처방도 많아서), 환자의 편의성 및 병원의 효율성적인 관점에서는 어떤식으로 시장이 형성될거라고 보시나요?

또한, 제가보기엔 SC제형이 단순히 병의원의 주사실/시설의 Capacity 적인 부담을 덜어줄뿐 아니라, 헬스케어 시스템 전반에 가치를 창출한다고 봅니다. 마치 유럽에서 티센트릭SC 보여주었듯이요.

단순히 초기암 치료제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보는데, 경영진이 보실때 - 이런 관점에서 키트루다의 SC 는 어떻습니까?

머크 경영진 답변

(1) 고형암 환자들의 경우, 암의 종류에 따라 치료기간 항암을 받는 횟수 및 빈도가 환자 마다 다릅니다. 필요할때만 병원에 와서 항암 주사를 맞고, 병원에도 덜 자주 올수있다면 (SC 로 인해서) 환자입장에서는 상당히 매력적인 치료방법이죠. 예를 들어 환자가 병세가 빨리 호전되면, 굳이 병원에 오래 머물 필요가 없기때문에 병원입장에서도 주사실 캐파를 유연하게 쓸수있죠. 한편, 키트루다 외 추가로 다른 항암 및 기타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꽤 되는데, 이분들에게는 병원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서 (IV 대신 SC 로 맞아), 다른 치료를 받는데 좀 더 집중할수도 있고요.

(2) 침투율 관련해서는, 국가마다, 그리고 해당 국가의 보험 시스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는 침투율이 낮은 편이고 (아직 승인된 약이 몇개 없고, 초기여서), 유럽의 경우를 보면 영국은 침투율이 높고, 독일은 낮습니다. 각각의 헬스케어 보험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이죠. 영국에서는 최대한 병원에 짧게 있도록 권장하고, 독일은 그 반대죠.

그러나 SC 주사 런칭 초기에는, 머크가 그동안 수집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본 주요 타겟은, 초기암 및 치료가능한 9가지 암종 (고형암) 이 될겁니다. 다른 암종에도 적? 당연합니다. 다만 SC 침투율을 국가마다, 보험/헬스케어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3:10


머크 컨퍼런스 콜 (ft. 제프리스 증권 헬스케어 컨퍼런스)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66889198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2:39


BioPharma Dive에서 나온 바이오텍 VC 펀드 라운드 데이터 베이스 참고

바이오로직스는 늘고, 세포 치료제 분야랑 핵산분야는 좀 줄었네요.

https://www.biopharmadive.com/news/biotech-venture-capital-funding-startup-tracker/726829/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2:39


앨라일람 파마슈티컬(Alnylam Pharmaceuticals)이 승부를 걸고 있는 트랜스티레틴(TTR) 아밀로이드증(ATTR) 질환 영역에서, 치열한 경쟁속에서 갈수록 높아지는 기준을 돌파하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두 시판 제품에 이어 3번째 차세대 TTR RNAi 에셋에 대한 윤곽이 드러났으며, 긍정적인 임상1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네요.

일단은 의미있는 수치 개선을 확인했으며, 약물을 1회 투여하자 15일차부터 TTR이 90% 이상 감소하는 빠른 녹다운(knockdown) 효과를 봤습니다. 현재 데이터를 기준으로 6개월 시점에서 TTR은 최대 96%까지 줄었으며 약물 효능에 대한 환자간 차이(interpatient variability)를 줄였다는 점을 회사측은 강조했습니다. 약물 내약성도 우수했네요.

앨라일람은 차세대 TTR RNAi 에셋 ‘뉴크레시란(nucresiran, ALN-TTRsc04)’을 매년 또는 격년마다 피하투여하는 약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앨라일람에게 TTR 영역에서 승부를 보기 위해 사활을 걸어왔습니다. 그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자리로 앨라일람은 ‘특정 질환영역을 장악하는 것이 바이오텍 성장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는 생각을 드러냈습니다. 앨라일람은 버텍스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의 낭포성섬유증(CF) 치료제 프랜차이즈와 리제네론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의 VEGF 안과약 ‘아일리아(Eylea)’ 등 성공 케이스를 예로 들었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2:3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1, THU) #전체기사

J&J “큰 기대”, ‘경구’ IL-23 저해제 건선 3상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0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 매입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0

리젠엑스, 차세대 DMD ‘AAV‘ 허가임상 “투약 시작”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5

릴리, "경쟁치열" Lp(a) 저해제 '경구용' 2상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3

GSK, ‘IBAT 저해제’ PBC 소양증 3상 결국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1

노바티스도 “합류”, ‘in vivo’ CAR-T 비리어드와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4

지아이셀, 튀르키예 TCT와 ‘동종 NK’ L/O MOU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8

한미약품, ‘GLP-1’ 비만 3상 모집완료..내년 ‘UCN2’ 1상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6

프로젠, 유한양행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4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1, THU) #전체기사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2:39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11/22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Pfizer(PFE.US):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Hympavzi(marstacimab)를 중증 혈우병 A환자의 출혈 예방 치료제로 승인. Hympavzi는 EU에서 최초로 승인된 항조직인자경로억제제(anti-TFPI)이며, 사전 충전형 자동 주사 펜으로 주 1회 피하주사 투여 진행. 이번 승인은 3상 BASIS 임상에서 기존 예방 치료 대비 연간 출혈률을 35% 감소시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
https://han.gl/TkXxD

Novartis(NVS.US): 28년까지 중기 매출 성장률 목표를 연평균 6%(기존 5%)로 상향조정하며, Cosentyx, Kisqali, Kesimpta 등 주요 약물의 매출 전망 상향. 29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30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 밝혔으며, 25~26년의 주요 데이터와 암 치료제 성과가 목표 달성의 핵심이라 강조.
https://han.gl/HRZcg

Novartis, 초기 개발 단계 근육병 치료 프로그램에 주력하고 있는 Kate Therapeutics를 $1.1bn 규모로 인수. 이번 거래로 노바티스는 Kate의 DELIVER 플랫폼을 활용해 간을 우회하며 골격근과 심장 조직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을 확보. 이를 기반으로 근육병 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계획.
https://han.gl/tSijL

AstraZeneca(AZN.US): 연방 임상시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내용에 따르면,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OUD) 치료를 위한 AZD4041 임상 개발 프로그램의 중단으로 AZ는 진행 중이던 임상2상을 종료.
https://han.gl/soyyI

Pyxis Oncology, 현재 진행 중인 1상에서 항체-약물 접합체(ADC) PYV-201이 HNSCC, HR+/HER2- 유방암, TNBC 등 6가지 고형암 유형에서 RECIST 1.1 기준 26%의 객관적 반응률(ORR)을 보였다 발표. 1Q25에 NHSCC를 대상으로 한 단독요법 확장 연구와, 머크 Keytruda와의 병용임상 시작 예정.
https://han.gl/G7RJH

Kura Oncology, Kyowa Kirin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및 기타 혈액암 치료를 위한 경구용 menin 억제제 ziftomenib의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 Kura는 미국에서의 개발과 제조를 주도하며, 업프론트 $330mn과 최대 $1,161mn의 마일스톤을 지급받을 수 있음. 현재 AML 치료를 위한 임상이 진행 중이며, 25년에는 등록을 목표로 3상 시작 예정.
https://han.gl/K2A1k

Jazz Pharmaceuticals, FDA가 HER2 양성 담도암(BTC) 환자를 대상으로 Ziihera를 가속 승인했다 발표. HERIZON-BTC-01 임상 결과, Ziihera는 52%의 객관적 반응률(ORR)과 14.9개월의 중간 반응 지속 기간(DOR)을 기록했으며, 이중 HER2 타겟 이중특이성 항체로 최초 승인. 현재 3상 확인 시험(HERIZON-BTC-302) 진행 중.
https://han.gl/4Ak0F

Versant Ventures, GLP-1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중 표적 테트라-수용체 작용제 펩타이드를 보유한 바이오텍 Pep2Tango Therapeutics를 공개. Pep2Tango는 GLP-1, GIP, 아밀린, 칼시토닌 수용체를 단일 분자로 결합하여 GLP-1 치료제의 근육 손실 및 내약성 문제를 해결하려 함. 현재 비만 치료 후보물질에 대한 IND 준비 중이며 내년 중 제출 예상.
https://han.gl/7ErCG

<한국>
셀트리온(068270.KS): 셀트리온 "프롤리아·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 국내 품목허가"
https://han.gl/xV7PS

셀트리온, 1천억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올해 5번째
https://han.gl/gmBny

SK바이오팜(326030.KS): SK바이오팜, ‘제프리스 런던 헬스케어 콘퍼런스’서 미래 전략 발표
https://han.gl/CREVC

유한양행(000100.KS): 프로젠, 유한양행과 면역 치료 신약 개발 공동연구 계약
https://han.gl/Xmzuo

한미약품(128940.KS): 한미약품 “비만약 2026년 하반기 출시 목표… 연 매출 1000억 도전”
https://han.gl/tE9Vw

한미사이언스 "그룹 두 재단, 임시 주총서 중립 지켜야"
https://han.gl/tNjWy

지아이셀-튀르키예 TCT, 동종 유래 NK 세포치료제 기술수출 계약 의향서 체결
https://han.gl/t4TbB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1 Nov, 22:07


11/21 목요일
- 상승-하락-상승을 반복하며 3대 지수 + 러셀 2000 상승 마감.
- 장외 거래에서 엔비디아 $NVDA 실적 발표에 대한 센티먼트가 긍정적으로 바뀌며 3대 지수 상승 출발. 그러나 장시작 직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사일 발사로 하락 전환. 이후 미사일이 ICBM 이 아닌 중장거리 탄도 미사일이라고 밝혀지며 재차 상승 전환.
- 미 국채 금리, 달러 지수 상승. 국채 금리는 러시아 미사일 발사 후 상승폭 축소. 금 상승.
- 커뮤니케이션 섹터 제외 전 섹터 상승. 엔비디아 제외 매7 전종목 하락. S&P 493 이 상승세 주도. 유틸리티, 금융, 산업, 소재 강세.
- 엔비디아는 +4.85~-3.6% 사이의 큰 변동폭을 보이며 상승-하락-상승을 반복. 최종 +0.5% 상승으로 사상 최고가 경신.
- 알파벳 $GOOG 법무부가 크롬 브라우저의 분사를 추진한다는 월요일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임을 확인. 월요일 보도시에는 별 영향 없었으나 법무부 확인 후 -4.5% 하락.
- 스노우플레이크 $SNOW 실적 발표 후 32% 상승. 소프트웨어 센티먼트가 확연히 좋아지고 있으며 AI 수혜주가 AI 인프라에서 AI를 이용해 수익을 창출할 소프트웨어로 서서히 옮겨가는 중. 팔란티어 $PLTR 가 그 첫 주자였으며 스노우플레이크도 그 뒤를 따르는 분위기.
- SEC 의장 개리 갠슬러 본인 임기 2026년을 마치지 않고 트럼프 취임에 맞춰 내년 1/20 사임 발표. 증시 및 특히 크립토에 호재. 발표 후 고점 징후를 보이며 하락하던 비트코인 상승 전환.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6:59


ADC 테라퓨틱스(ADC Therapeutics)가 PBD 톡신 페이로드를 사용한 AXL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ADCT-601’의 개발을 중단합니다.

ADCT-601의 개발중단은 임상1b상에서 평가한 유익성-위험성 프로파일(benefit-risk profile)이 유망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것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ADCT는 아직 개발초기단계에 있는 ‘엑사테칸(exatecan)’ 페이로드를 사용한 ADC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구체적인 타깃을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클라우딘-6(claudin-6), PSMA(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NaPi2b, ASCT2 등에 대해 평가하고 있으며 타깃 하나를 선정해 내년에 IND 제출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6:58


https://search.app/jnSP3JNuoTc1wYW9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6:25


위고비, 젭바운드, 레즈디프라 이 세가지 약물 중 현재 단연 레즈디프라가

NASH/MASH 치료제의 대장으로 시장을 이끌어나가고 있는데요

그와중에 위고비와 젭바운드도 올해 임상 결과를 발표하며 더 뜨거워지고 있죠!

알기쉬운 바이오. '펑키사이언스'의 새 업데이트 영상을 소개합니다. 이 영상은 더바이오 홈페이지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6vG63vh8V9w?si=Mg9m_VwG9W65RqHK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5:27


리가켐바이오가 1세대 고리형 디뉴클레오티드(cyclic dinucleotide, CDN) STING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non-CDN STING 작용제(agonist)를 공개했습니다.

기존에 임상에서 제한적인 효능을 보이며 개발이 중단됐던 종양내 국소투여(IT) STIGN 작용제와 달리 전신투여가 가능한 형태입니다.

리가켐바이오는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진행된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non-CDN STING 작용제 ‘LCB39’의 비임상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리가켐바이오는 오는 2026년 상반기 글로벌 임상1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단독투여와 저분자화합물, 항체-약물접합체(ADC), 면역관문억제제 등과 병용투여 약물로서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2:20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1111005558360103855&page=1&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1:32


더바이오 11월 11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53


●지아이이노베이션, ‘CD73’x‘IL-2 변이체’ 임상1·2a상서 안전성·내약성 입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8

●지아이이노베이션, ‘CD80’x‘IL-2 변이체’ CAR-T 치료 병용시 항암 효능 향상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7

●영업이익률 하락에 수익성 개선 과제 떠안은 휴온스…돌파구는 ‘CDMO’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6

●오토러스, 백혈병 대상 CD19 표적 CAR-T 치료제 ‘오캇질’ 美 FDA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1

●트럼프 2.0 시대와 바이오텍의 대처 방안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0

●에스티큐브 “BTN1A1, 면역항암 바이오마커 될 것…유효성·안전성 검증 성공”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7

●인벤티지랩, '동결 보존제' 적은 양에도 'LNP 안정화' 시스템 개발…중기부 과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9

●엘앤씨차이나, 中서 피부·뼈·연골 등 원재료 특수 제품 수입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3

●셀트리온, ESG경영 활동 강화 일환으로 야생조류 보호 활동 전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5

●노벨티노빌리티, 233억 규모 프리 IPO 투자 유치…25년 코스닥 상장 목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4

●엔젠바이오, 서울아산병원과 차세대 유전체정보관리시스템 상용화 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6

●듀켐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희망 공모가 '1만2300원~1만4100원'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8

●루닛, 세계 최고 암병원과 'AI'로 희귀암 면역치료 예측...SITC 100대 초록 선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3

●에이비온, 바바메킵 2상 '레이저티닙 병용' 코호트 추가…美 임상 변경 신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2

●라메디텍 "룰루랩 AI 기반의 피부분석 기술 활용 레이저 미용기기 개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5

●GC녹십자, MSCI ESG평가 ‘A등급’ 획득…1년새 3단계 상승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4

●세브란스, 국내 병원 최초 14년 연속 국가고객만족도조사 1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6

●지놈앤컴퍼니, '유이크X라이즈' 콜라보 스팟 패치 사전 예약 판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9

●리가켐바이오 'LCB39', 비임상 저용량서 80%이상 종양성장 억제율·완전관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2

●리가켐 파트너 넥스트큐어 "B7-H4 ADC 'LNCB74', 낮은용량에도 완전관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3

●Lunit Shows Promise of AI in Predicting Immunotherapy Response for Rare Cancer Patients at SITC 2024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60

●Hugel runs facial filler workshop for Tunisian medical expert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12

●Huons accelerate biopharmaceutical development with human-derived hyaluronidase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1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1:20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차세대 FcRn 항체 ‘HL161ANS(IMVT-1402)’의 신규 적응증으로 류마티스관절염(RA)에 대한 임상을 추진합니다. 이뮤노반트는 내년 1분기까지 류마티스관절염에 대한 ‘잠재적인 허가임상(potentially registrational study)’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류마티스관절염에서 FcRn 약물의 가능성을 보여준 개념입증(PoC) 데이터로, J&J가 류마티스관절염 임상2상에서 FcRn 항체 ‘니포칼리맙(nipocalimab)’이 체내 병인성 자가항체(ACPA)를 감소시키며 약물 반응정도에 따라 증상을 완화시킨 결과를 발표한 바 있는데요.

이뮤노반트는 ACPA가 높은 환자에게서 IgG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더 큰 임상적 이점을 가질 것이라고 판단해 류마티스관절염 임상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1:1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12920i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0:32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1071955473280106743&page=3&sort=FREE_DTM&searchtxt=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0:24


[오늘의 HIT_11월 11일 월요일]

HIT 포커스 | '영업이익 30%'... 40년 한우물 명인제약의 '명인웨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44

🧬"차세대 신약물질 선점"...바이오벤처-대형제약 파트너십 '활기'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33

🧬"당뇨병성 신장질환 조기진단 제품 개발"…글로벌 L/O로 수익 창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37

💵"안 보이는 것을 미리 보는 한국거래소(KRX)가 되길 바란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45

🩺상급종병 65% 구조전환 참여... 일반병상 2500여개 축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43

🩺막말논란 임현택 의협회장 탄핵...6개월만 불명예 퇴진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38

💊DLBCL 치료제 '컬럼비' 연내 급여권에 다가갈 수 있을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42

💊[허가/임상] 암젠, 옵디보 시밀러 'ABP 206' 흑색종 대상 3상 승인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40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itnews_biohealth/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0:16


방사성의약품 전문기업 듀켐바이오가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이전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듀켐바이오는 총 143만주를 공모하며, 희망 공모가는 주당 1만2300원~1만4100원입니다. 이 달 20일부터 26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12월 2~3일 일반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1 Nov, 00:07


https://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618547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3:49


[미래에셋 김승민] 셀트리온 (068270)
짐펜트라는 속도의 문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5만원으로 하향(기존 28만원)

25년 EBITDA 2조원에 EV/EBITDA 27x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산출했다. 25년 짐펜트라의 매출액을 1조원에서 4,626억원으로 하향조정했고, 이에 따라 25년 EBITDA를 -13% 하향 조정했다. 다만, 타겟 멀티플의 하향 조정은 없다. 속도의 문제이지 미국 시장에서 짐펜트라의 블록버스터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기 때문이다. 27x는 미국 주요 신약 업체(릴리, 노보, 버텍스, 리제네론)들의 평균이다.

3Q24P Review

연결 기준, 3Q24 매출액 8,820억원, 영업이익 2,077억원으로 컨센서스를 -6%, -5% 하회했다. 유럽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램시마 SC 매출이 호조를 보였고, 신규 제품 베그젤마 및 유플라이마의 매출 성장이 가팔랐다.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낮아졌던 매출총이익율이 재고 소진과 신규 제품 생산으로 52.5%(+10.5%p QoQ)를 기록하며 빠르게 상승했고, 합병으로 인한 판권 상각(1H24 1,137억원)이 상반기에 마무리되며 영업이익률이 23.6%(+15.3%p QoQ)으로 개선되었다.
짐펜트라는 3Q24 매출액 64억원을 기록했다. 24년 연간 가이던스가 2,5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실망스럽다. 다만, 주요 PBM 등재 이후 보험사 환급이 개시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에(약 3개월) 4분기부터 본격적인 매출 발생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현재 3대 PBM 등재를 완료함으로써 90%의 PBM 커버리지를 달성했고, 대형 도매상뿐만 아니라 중소 도매상과의 계약도 체결중이다. 처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출하량은 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편, 분기 매출 4.5조원에 달하는 애브비의 면역질환 블록버스터 스카이리지도 출시 첫분기 매출은 600억원 수준이었다.

실적 전망

24년 매출액 3조 4,685억원, 영업이익 5,570억원, 25년 매출액 4조 4,292억원(+28% YoY), 영업이익 1조 6,992억원(+211% YoY)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성장 동력은 짐펜트라, 램시마 SC,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및 시밀러 신제품 등이다. 다만, 25년 짐펜트라 매출액을 기존 1조원에서 4,626억원으로 하향조정했고 이에따라 25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9%, -14% 하향조정했다.

텔레그램: https://t.me/bioksm
자료링크: https://han.gl/U7ivL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3:49


https://v.daum.net/v/20241111080054332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3:47


루닛(Lunit)은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된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희귀암 환자 대상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예측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미국 텍사스대 MD앤더슨 암센터(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와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10개의 희귀 암종 환자 84명의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500건 이상의 생검 조직에 대한 종양미세환경(TME) 변화를 분석했으며, SITC 학술위원회로부터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구두발표(rapid oral presentation) 세션 및 SITC 100대 연구초록(SITC TOP100 abstracts)에 선정됐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3:25


트럼프 2.0 시대를 맞이하는 '바이오텍' 환경은 앞으로 어떻게 바뀌어갈까요.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주 이승우 상무의 <VC 인사이트> 코너의 주제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3:24


이번 주 <THE FINANCE> 코너는 '휴온스'를 조명합니다.

휴온스의 수익성 악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3분기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지만, 이후 매분기 감소하며 올 3분기에는 6%대마저 무너졌습니다. 해마다 외형 성장을 이어가던 휴온스가 ‘수익성 하락’이라는 암초에 부딪힌 것이다. 송수영 휴온스 대표는 최근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수익성 회복이 (회사의) 최우선 목표”라고 언급, 현재 상황에 대해 위기의식을 드러냈습니다.

휴온스가 영업이익률 개선을 위해 선택한 첫 단추는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입니다. 휴온스는 최근 3년간 꾸준히 외형 확장을 이뤄온 만큼, 보유 자금도 넉넉한데요. 올 상반기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402억원으로, 이는 지난 2020년 말보다 63.4% 증가한 규모입니다. 같은 기간 전체 장·단기 차입금은 1130억원으로 28.4%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동비율은 199%로 자금 상환 여력도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3:23


[한투증권 위해주] SK바이오팜 3Q24 Review: 영향 받았는데 이정도

https://vo.la/Zomhae

매출 1,366억원(+51.2% YoY, 이하 모두 YoY), 영업이익 193억원(흑전, OPM 14.1%)을 기록했습니다. 컨센서스에는 부합했으며 당사 추정치 대비로는 영업이익 기준으로 4.9% 하회했습니다. 9월말 미국 남동부 허리케인 영향 등으로 영업일수가 줄었음에도 미국 엑스코프리 매출은 양호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4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입니다. 파트너의 해당국가 진출 액티비티로 마일스톤 수령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3분기 이연된 엑스코프리 매출이 4분기 매출로 추가 인식될 전망입니다. 한편 2025년부터는 마케팅 임상 비용을 지출할 예정이라 개발비는 증가하겠지만 투자는 결국 엑스코프리 매출 증가로 돌아올 전망이라서 오히려 긍정 요인입니다. 2027년 엑스코프리 매출을 4% 상향 조정하며 목표주가는 14.5만원으로 11.5% 상향합니다.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10 Nov, 22:56


오토러스, 백혈병 대상 CD19 표적 CAR-T 치료제 ‘오캇질’ 美 FDA 승인

오토러스테라퓨틱스(Autolus Therapeutics)는 지난 8일(현지시간) FDA로부터 ‘오캇질(Aucatzyl, 성분 오베캅타진 오토류셀(오베셀))’이 재발성·불응성 급성 B세포 림프구성 백혈병(r/r B-ALL) 치료제로 승인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오캇질은 자가 ‘CD19’ 표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인데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자체 세포 제조공정을 통해 과도한 T세포 활성화를 최소화하고, 표적세포를 더 잘 인식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FDA의 승인은 CD19 양성 r/r B-ALL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1b·2상(FELIX)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뤄졌습니다. 이 연구 결과, 효능 평가가 가능한 65명의 환자 중 42%인 27명이 3개월 이내에 종양이 소실된 ‘완전관해(CR)’에 도달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8:00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7:39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첫 연매출 4조원 돌파를 앞뒀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공장 매출 상승과 바이오시밀러 판매 확대 덕분에 올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했습니다. 이와 함께 수주 계약 규모가 지속해서 확대되며 누적 수주액은 154억달러(21조2935억원)를 돌파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적인 성과 달성으로 연간 매출 성장 전망치를 5%포인트(p) 상향 조정한 +15~20%를 제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최초로 연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결기준 부채 비율 51.3%, 차입금 비율 7.8%를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6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7:22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공장 매출 상승과 바이오시밀러 판매 확대 덕분에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올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액은 3조원을 돌파했습니다.

곧이어 종합 기사 올라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5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7:02


일본계 다국적 제약사인 오츠카파마슈티컬스(Otsuka Pharmaceutical, 이하 오츠카)는 22일(현지시간) '면역글로불린 A(IgA) 신병증' 치료제 후보물질인 '시베프렌리맙(sibeprenlimab)'이 임상3상(VISIONARY) 중간 분석에서 '소변 단백질 크레아티닌(uPCR)'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고 밝혔습니다.

오츠카는 시베프렌리맙의 효능과 안전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IgA 신병증 성인 환자 530명을 대상으로 임상3상을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무작위로 배정돼 시베프렌리맙 또는 위약을 투여했습니다.

독립적인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IDMC)가 진행한 중간 분석 검토 결과, 시베프렌리맙 투여군은 치료 9개월 이후 24시간 uPCR을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습니다.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56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6:58


2024.10.23 15:53:08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3,73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1,871억(예상치 : 10,953억)
영업익 : 3,386억(예상치 : 3,081억)
순이익 : 2,645억(예상치 : 2,43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2023.4Q 10,735억/ 3,500억/ 2,907억
2023.3Q 10,340억/ 3,185억/ 2,40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27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5:38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NHC)가 최근 비만 진단 및 치료를 표준화하는 첫 번째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중국 내 성인 과체중 및 비만 비율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입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서 발간한 이슈브리핑에 따르면 이번 NHC 지침은 지난 12일 제정돼 17일에 공개됐습니다. NHC는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이 오는 2030년까지 65.3%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NHC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서 과체중 및 비만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비만이 6번째로 큰 공중보건 문제가 되었음을 지적했습니다. 이로 인해 비만 진단 및 치료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NHC는 이번 지침을 통해 중국 내 비만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특히 과체중 및 비만 인구의 증가 추세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5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5:34


3차원 비표지(Label-free) 세포 이미징 전문기업 토모큐브(Tomocube)가 오는 11월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두고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향후 전략과 비전을 공개했습니다.

박용근 토모큐브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토모큐브가 보유한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은 3D 생물학, 재생의학 시대의 대체불가한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토모큐브의 기술력 널리 알리고 빠르게 성장하는 오가노이드, 세포치료제 시장에서 기술 표준을 제공하는 글로벌 바이오 이미징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를 말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3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5:17


"한독은 신약 개발 분야에선 후발주자였습니다. 2007년 남들보다 한발 앞선 연구개발(R&D)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채택하고, 지금까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김영진 한독 회장은 23일 서울 마곡 한독퓨처콤플렉스에서 열린 창립 70주년 R&D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현재 한독은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R&D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입니다.

한독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새로운 모달리티(치료접근법)로 신약 개발 분야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5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5: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26379?rc=N&ntype=RANKING&sid=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4:15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1022212708256010678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3:25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784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3:18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는 자사의 HIV-1 치료제인 ‘빅타비(빅테그라비르 50㎎/엠트리시타빈 200㎎/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 25㎎정, B/F/TAF)’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HIV-1 감염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을 확대 승인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승인으로 빅타비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경험이 없거나, 기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요법에 실패 없이 적어도 3개월 이상의 안정된 바이러스 수치 억제 효과를 보이며(HIV-1 RNA<50 copies/㎖), 이 약의 개별 성분에 대한 알려진 내성 관련 치환이 없는 성인과 6세 이상, 체중 25㎏ 이상인 소아 감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빅타비는 국내 2세대 통합효소억제제(Integrase Strand Transfer Inhibitors, InSTI) 계열 최초로 6세 이상 소아, 청소년, 성인 연령대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치료제로 인정받게 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3:18


더바이오 10월 23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240

●9.6조 '특발성 폐섬유증' 시장 경쟁 본격화…한발 앞선 베링거, 韓 기업 잰걸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2

●제넨텍, UCB와 항타우 알츠하이머 신약 후보물질 '베프라네맙' 협력 종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5

●카무루스, 말단비대증 신약 후보 美 FDA 승인 거절…제조시설 결함 해결 필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7

●[단독] 레이저티닙 원개발사 '제노스코', 코스닥 상장 예심 청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3

●에이비엘바이오, 인투셀 ADC 플랫폼 도입…"항체에 접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6

●리가켐바이오, ‘이뮤노젠 출신’ 로드리고 루이스 소토 박사 CMO로 영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7

●앱클론 "中 헨리우스에 기술이전한 'HLX22', 日서 임상3상 CNT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3

●퓨쳐켐, 유럽핵의학회서 'FC705' 국내 임상2상 중간 결과 구두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8

●에이프릴바이오, 월드 ADC 콘퍼런스 참석…ADC 사업 채비 본격화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1

●아크, 대웅제약과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9

●루닛, AI '암 조기 진단 성능' 입증…유럽 연구 2건 저널 게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0

●동국제약, '관절건강 개선' 나한과박추출분말 식약처 개별인정형 원료 인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4

●메디웨일, 미국신장학회서 만성콩팥병 환자 심혈관 위험 예측 연구 성과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8

●뷰노, 사우디 국가전략 과제 ‘헬스케어 샌드박스’ 공식 합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5

●바이오노트, 아시아·태평양수의사회 총회서 생화학 현장 진단 제품 중점 홍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3

●길리어드 코로나19 치료제 ‘베클루리주’, 25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0

●SK바이오사이언스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인도네시아 품목허가 획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1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헬스케어 스타트업 대상 '골든 시드 챌린지' 개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2

●메디컬아이피, kt wiz 선수단 건강 관리…'딥캐치 AI'로 부상 위험 조기 파악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29

●지니너스, 산업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국책과제 주관기업 선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34

●Lunit's AI proves cancer early diagnostic capability, with two European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42

●Samsung Biologics Signs KRW 1.7 trillion CMO Deal…Largest Ever, Breaking Record in 3 Months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11

●Celltrion’s Actemra biosimilar demonstrates equivalence to the original: Phase 3 result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12

●Dr. Jaroslav Slamecka from UCSD awarded the 11th KY Cha Award in Stem Cell Technology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19

●SK Biopharmaceuticals launches phase 4 clinical trial in the U.S. to assess complete seizure freedom of 'XCOPRI'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718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2:17


안녕하십니까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지난 해 9월 Synaffix 사와의 ADC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도입에 이어, 금일 IntoCell 사와 ADC 플랫폼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작년 Synaffix 사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이중항체 ADC 개발을 시작했으며,
도입한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당사의 이중항체와 접목하여 3개의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파이프라인들은 내년 말까지 최소 2개 이상의 미국식약처(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신청을 목표하고 있으며,
신속한 임상 진입을 통해 아직은 경쟁물질이 많지 않은 초기 이중항체 ADC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확보할 전망입니다.

앞으로도 우수한 ADC 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경쟁력과 Novel함을 갖춘 ADC 파이프라인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2:05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바이오텍 인투셀(IntoCell)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와 ADC 플랫폼 ‘OHPAS-Nexatecan’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네요.

에이비엘바이오는 해당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이중항체(BsAb) ADC를 포함한 차세대 ADC를 개발해 나갈 계획이며, 론자 시나피스(Synaffix)에 이은 추가 ADC 플랫폼 딜입니다.

인투셀은 리가켐바이오 공동창업자인 박태교 대표가 2016년 설립한 ADC 플랫폼 회사로, 지난 8월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1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3 Oct, 01:58


2024.10.23 10:55:37
기업명: 에이비엘바이오(시가총액: 1조 8,522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 상대방 : 인투셀(IntoCell, Inc., 대한민국)

2) 계약의 내용 : 인투셀의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플랫폼 기술을 당사 항체에 접목하여 ADC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권 도입 계약 체결

3) 계약체결일 : 2024-10-23

4) 기술의 내용 : ADC는 항체를 통해 암을 표적하여 치료 약물인 페이로드를 전달함으로써 종양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작용기전의 기술임

5) 계약기간 : 계약일 ~ 시판된 의약품의 로열티 만료일 (국가별, 제품별 상이)

6) 계약금액

- 계약금액에 해당하는 재무조건은 경영상 비밀과 영업상의 기밀에 따라 비공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90010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