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매카 - 포텐셜 @goldmap7 Channel on Telegram

유매카 - 포텐셜

@goldmap7


유매카(유일하게 매일 수익나는 카페)

유매카 - 포텐셜 (Korean)

유매카는 유일하게 매일 수익나는 카페입니다. 이 텔레그램 채널은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곳으로, 금융 시장에서의 포텐셜을 탐색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을 위해 디자인되었습니다. 채널에는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투자 팁, 시장 분석, 그리고 다양한 투자 전략에 대한 정보가 제공됩니다. '포텐셜'이라는 부가 제목은 이 채널이 당신의 잠재력을 키우고 미래의 성공을 위한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채널을 통해 투자에 대한 지식을 쌓고, 수익을 올리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goldmap7'라는 사용자명으로 운영되는 유매카는 신뢰할 만한 정보와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하여 투자자들에게 가치 있는 도움을 줍니다. 만약 당신도 투자에 관심이 있고, 금융 시장에서 성공을 이루고자 한다면, 유매카 - 포텐셜 채널을 구독하여 지식과 경험을 늘려보세요.

유매카 - 포텐셜

18 Feb, 22:43


📊 AI + 전력 관련주 - 50조 규모 전세계 최대 AI 데이터 들어선다...


[“한국에 50조원짜리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 WSJ]

한 투자 그룹이 한국에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전력 사용량만 3기가와트에 이르는 총비용 350억달러(약 50조원)짜리

한국에 들어설 AI 데이터센터는 계획이 그대로 실현될 경우 현재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추진하는 텍사스 데이터센터 복합단지의 3배 가까운 규모

스탁팜로드는 이미 전라남도와 투자계획에 서명했다면서 전남도는 무엇보다 에너지, 물 등 핵심 자원 접근을 지원하기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10269?sid=101

유매카 - 포텐셜

18 Feb, 22:36


✔️ 트럼프 관세, 자동차 25%에 의약품은 그 이상도...


[[속보]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정도…의약품은 그 이상”]

- 미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가 25% 수준일 것

- 다음 달 12일부터 철강, 알루미늄에 각각 부과하는 25% ‘관세 폭탄’과 같은 수준

-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협상의 여지도 남겨뒀다.

- 미국에 수입되는 의약품에 대한 관세에 대해서도 “25% 또는 그 이상이 될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16238?sid=104

유매카 - 포텐셜

18 Feb, 22:19


<주요 업종 및 산업별 동향>

11개 주요 업종 가운데 임의소비재와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종이 약보합을 기록했을 뿐 나머지 8개 업종은 모두 상승.

특이점은 주로 경기 민감 섹터인 에너지, 산업재, 원자재, 유틸리티 등의 강세를 기록하며, 기술주와 함께 시장 반등을 이끌었단 점.

메타는 장장 20일 간의 상승랠리를 마치고 -2.76% 하락 마감.

인텔에 대한 TSMC 및 브로드컴의 지분 투자와 기술 협력 가능성에 +16% 폭등.

더불어 마이크론에 대한 우호적인 실적 개선 가능성이 확대된 것과 13F 중 드라켄 밀러의 매수 소식이 더해지며 +7.3% 급등.

해서 엔비디아, 브로드컴이 상대적으로 부진했음에도 불구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6% 상승 마감.

미국 방산주들도 유럽 주요국들의 방위비 증액에 대한 기대감으로 양호하게 상승 마감했으며,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송유관 시설을 드론으로 공격했단 소식에 국제유가가 상승했고, 더불어 에너지 업종 상승을 견인.

천연가스 또한 한파로 인한 수요 급증과 생산 시설물이 추위에 얼면서 생산량 감소가 발생했단 소식에 미국 및 유럽 가스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도 특징.

차트 출처 : 핀비즈, 스톡차트

유매카 - 포텐셜

18 Feb, 22:19


💵 미국증시<02/18>, S&P500 사상최고가 기록


<주요 지수/상품별 등락률>

다우 : +0.02%
S&P500 : +0.25%
나스닥 : +0.07%
러셀2000 : +0.50%

CNN 공포&탐욕지수 : 44pt -> 49pt
CBOE VIX(공포지수) : 15.35(+3.93%)

WTI 국제유가 : 71.85달러(+1.51%)

달러 인덱스 : 107.05(+0.45%)

미 2년물 국채금리 : 4.3034% (+4.5bp)
미 10년물 국채금리 : 4.5523% (+7.6bp)


<주요 변화요인>

1. 미국 및 러시아 간 러-우 전쟁 휴전 협상(미국은 4월 20일 이전 휴전을 원한다)

-> 유럽 주요국과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협상이란 점에서 합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는 시각

-> 해서 유로화 하락 및 달러 강세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


2. 연준 위원들의 보수적(좀 더 매파적) 발언 릴레이

월러 연준 이사 또한 경제 탄탄 + 물가 불안정 등을 언급하며, 현 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향후 나올 데이터를 지켜보자는 중립적 의견을 시사(17일)

이 같은 의견은 파월의장의 상원 및 하원에서의 발언과 유사하며, 최근 발언을 이어온 연준 이사들의 발언과 비슷한 톤

-> 달러 및 국채금리 상승 배경이 된 것으로 추정


3. 미국 대표적 펀드가 현금 비중을 지난 15년 내 최저 수준까지 줄여놓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은 혼조.

그만큼 미국증시가 좋다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나, 시장 조정 시 매도 물량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도 상존.


4. 트럼프 관세에 대한 부담과 러-우 전쟁 휴전 기대감과 주식시장 상승에 대한 기대치가 상존하면서 장중 내내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기는 했으나,

장 막판 빅테크 등을 중심으로 한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주요 지수는 모두 상승했고, 특히 S&P500은 역대 최고가로 기록으로 마무리.

유매카 - 포텐셜

18 Feb, 04:33


✔️ 미국 우라늄 부족과 이를 타개하려는 트럼프의 속내(호주+우크라이나+그린란드)



[미·유럽, 우라늄 공급난 우려…원전 수요 증가로 인한 공급 부족]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4074


미국과 유럽의 에너지 기업들이 우라늄 공급난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원전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요 생산국인 카자흐스탄의 공급이 러시아와 중국으로 집중되면서 서방 국가로의 유입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


해서 미국(트럼프)은 급한대로...

[美 에너지부 장관 "호주, 우라늄 공급 늘려야"…생산량 확대 주문]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3383

美, 호주에 원자력 발전용 우라늄 공급 요청…에너지 안보 강화 포석

전 세계 우라늄 25% 보유한 호주, 美 에너지 전략 핵심 파트너로 부상


더불어 우크라이나(유럽 최대 우라늄 보유국)는 전쟁 지원금 반환을 5천억 달러 규모의 광물로 요구하고 있고,

그린란드 희토류 및 우라늄(세계 3대 희토류 매장지) 에 눈독 들이고 있는 중...

물론 우라늄만 보고 이러는 것은 아니겠지만...


[트럼프, 우크라이나 희토류에 '눈독'…5000억 달러 광물 요구 배경은?]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2171101356605fbbec65dfb_1/article.html


[그린란드 회토류 사업 재개 가능성…트럼프 美 편입 압박 커지나]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3141

다~ 이유가 있겠죠...

유매카 - 포텐셜

18 Feb, 03:12


✔️ 공매도, 3월부턴 슬슬 준비하셔야겠지요....


[기관·외국인도 공매도 상환기간 90일로 통일…3월31일 시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54759?sid=101

-> 롱숏을 같이 쓰는 헤지펀드 성격상...

어디를 숏하고, 어디를 롱 할지 잘 판단해 놓고 있는 것도 챙겨야할 듯...

유매카 - 포텐셜

18 Feb, 00:22


📊 조선주 - 끝이 아님을....


[트럼프 행정부, LNG 수출 허가 첫 승인]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79677

트럼프 행정부는 커먼웰스 LNG 수출 승인을 지난 14일에 서명했다고 발표.

연간 950만톤 규모라고 하며, LNG 생산 시점은 2029년 초라고 발표.

-> 당초 커먼웰스 LNG 생산 시점은 2031년이었는데, 이를 앞당긴 것.

그만큼 미국 행정부가 빠르게 LNG 수출 시점과 규모를 확대하겠단 의지로 읽히는 대목.

-> 현재 미국엔 총 19건의 대규모 LNG 수출 프로젝트와 3건의 소규모 LNG 벙커링 프로젝트가 기본설계단계에 있다고 알려짐.

총 22개의 LNG 수출 프로젝트에 필요한 대형 LNG 선박은 311척이라 하며,

이번 커먼웰스 LNG 수출 승인으로 18척의 운반선이 FID와 동시에 발주 후보에 들어간다고 함.


그럼.... 지난 16일(일)에 나온 기사가 하나 기억나실 듯.


[트럼프 복귀에 웃는다…'75조 잭팟' 예고한 한국 회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94697?sid=101

=> 글로벌 조선·해운 투자금융사 클락슨시큐리티스는 글로벌 LNG운반선 신조 수요가 2029년까지 최대 126척에 달할 수 있다고 분석

그럼 이것보다 더 커질 수 있단 뜻이 되겠지요.

조선주들이 많이 올라 여기저기서 투자주의, 투자경고 먹으며, 다소 정체된 흐름이긴 하지만...

유매카 - 포텐셜

17 Feb, 23:45


📊 방산주 - 방위비 3% 목표가 끌어올린 축포...



1) 미국과 러시아가 사우디서 휴전 협상을 벌인다란 것에 대해...

[미·러, 18일 사우디서 장관급 회담…양국 정상회담 준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18500?sid=104

-> 미국은 유럽이 러시아-우크라 휴전 회담에 참여할 자리가 없으며,

향후 유럽 안보에 집중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전달


2)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는 반발하고,


3) 나토 사무총장은 EU회원들들이 GDP 대비 3% 이상 국방비 지출 필요성을 제기


4) EU 주요국들도 러-우 휴전에서의 패싱에 반발하며, 프랑스 마크롱 제안으로 '긴급회의'를 진행

[유럽 정상들, 파리서 '긴급 회의'…우크라 종전 패싱·유럽 안보 논의]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081832


이 자리에서 유럽 안보를 위한 방위비 증액과 휴전 후 우크라이나 파병을 논의

파병 논의는 국가 간 이견으로 합의를 보진 못했고(독일, 폴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반대 vs 영국, 프랑스 찬성),

방위비 대폭 증액은 모든 회원국들이 공감했으나, 극히 일부 국가는 그 시점 등에 대해 다소 이견이 존재했다고 함.

어쨌든 미국 패싱에 반발하면서 방위비 증액 논의가 본격화됐단 점과 이르면 상당수 유럽국가들이 올해부터 방위비 지출이 확대될 것이란 것 때문에 유럽 주요 방산 기업들의 주가 강세를 견인.


["생산보다 수주 증가속도 더 빨라"…K방산, 육·해·공 '전방위 축포']

- 방산기업 수주 잔액 100조 돌파, 3년치 일감 꽉찼다

- 각국 군비 증강, 최대 수혜주로

- K9 자주포, 전차, 전투기에 이어 이제 함정과 잠수함까지 러브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95408


[중동, 세계 무기 수입량 30% 빨아들이는 ‘방산 큰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88654?sid=101

유럽에서 슬슬 사우디+UAE로 무대를 넓혀 가려는 양상....


올해 국내 방산 업체들의 수주 파이프라인도 상당히 많음. 아직 끝이 아니다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대신에 폴란드에 준하는 수준의 대규모 수주 가능한 국가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할 듯.

유매카 - 포텐셜

17 Feb, 21:43


📊 방산주 - 유럽 방산 기업들도 폭등 중...


러-우 전쟁 휴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럽 주요국들은 미국과 러시아 주도의 휴전 협상에 불만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짐.

어쨌거나 EU 회원국들은 방위비 본격 증액 및 휴전 후 우크라 파병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럽 주요 방산 기업들인 라인메탈+티센크루프(독일), 탈레스(프랑스), 샤브(스웨덴), 레이나르도(이탈리아, +8.2%), 롤스로이스홀딩스(영국) 등의 주가 강세가 이어지고 있음.

최근 국내 방산 기업들만의 랠리는 아니란 점...

유매카 - 포텐셜

17 Feb, 04:03


📊 재건주 - 정부 하기 나름인 분야....


재건은 아직 시작도 안함. 제2의 마셜플랜이란 말이 많을 정도로 엄청난 시장인데,

재건은 B2B 주도 성격이 강함.

즉, 우크라 정부도 아직 준비단계인 상황에서 관련주들이 먼저 움직인 것은 어찌하면 당연한 것.

우리 정부도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움직일거라 봅니다.

그리고 재건주들도 결국 그 안에서 파이를 나눠먹을 수 있을거라 보고요.


[우리기업 우크라이나 난민촌 짓는다…산단 투자 검토도 착수]

우만시 난민촌, EDCF로 추진 고려…요청·협상 단계 남아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용역에 따른 추가 수주도 기대

우크라이나와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요청·협상 단계가 아직 남았지만 1299조 원에 달하는 우크라이나 재건시장에서 수주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의 승인이 무난히 이뤄질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079483?sid=101

유매카 - 포텐셜

17 Feb, 03:44


📈📊 지수 반등 지속에서 2013년의 향기가 모락모락~


코스닥 : 180일선을 강하게 뚫고 있음.

보통은 5~6일에서 길게는 3주 가량도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곤 하는데, 위축거림이 전혀 없이 강하게 뚫고 있는 중.

코스닥 시총 100위권 내 강세 종목...

젬백스, 피엔티, 레이크머티리얼즈, 동성화인텍, 클래시스, 성광벤드, 코오롱티슈진, 나노신소재, 태성, hlb 등이 +5% 이상

=> 바이오, 조선, 의료정밀, 반도체&2차전지 소부장 강세...

코스피는 더 강한 편. 어려움없이 180주선과 30개월선을 강하게 뚫고 있음.

코스피 시총 100위 내 종목 중...

에코프로머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화재, lg화학, 한화시스템, 카카오페이, SK이노베이션, 코웨이, 삼성생명

2차전지, 방산, 화재보험, 플랫폼...

=> 전체적으로 거래대금이 늘어나고 개인 매수도 활발하게 살아나고 있기도 함.

집 나간 개인들이 좀 돌아오고 계시다 싶음.

환율도 고민할 필요도 있으셨을테니까요.


보통 반도체가 반등세를 받쳐주고, 2차전지와 바이오 쪽도 변동성 없이 자리를 잡아주거나 점진적 상승을 하면,

시장은 부담없이 강세 섹터로 자금을 쏟아부음.

반도체 : 미국 관세 부담이 덜한편인 섹터

2차전지 : 바닥 다지기?

바이오 : 가는 종목 위주로만 움직이고 있으나, 분명한 것은 재료만 좋으면, 시장에서 관심을 충분히 가져줌.

현재 분위기가 딱 2009년부터 2015까지 이어진 중국 관련 산업의 마지막 피크구간에 들어갈 때(2013년)와 유사하다는 판단이 서네요.

반도체 등이 시장을 잘 떠받쳐주니~ 게임, 화장품, 마스크팩, 필수소비재, 패션의류 등 중국 소비 관련주들이 너나할 것 없이 초강세를 기록하는 것이나 현재 미국향 관련 산업 분위기나 비슷...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유매카 - 포텐셜

17 Feb, 02:04


📊 피팅주 강세 요인....


1) 일본에 이어 한국도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 및 공급사업에 참여 고려

[트럼프 공들이는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日 이어 韓도 참여 저울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079126?sid=101


2) 트럼프 행정부, LNG 수출 첫 승인...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중단 후 첫 LNG 수출 승인…텍사스 원유 수출항도 승인]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4058

유매카 - 포텐셜

16 Feb, 21:43


✔️📊 한미외교장관 및 회담 키워드...


1) 대북 공조

2) 조선, 반도체, 에너지 인프라(알래스카) 협력

3) 한국, 미국 LNG 수입

4) 중국 위협 대응 위해 한국과 협력

5) 첨단기술 분야 경제 안보 협력


[①北 ②조선·반도체·LNG ③신기술…트럼프의 첫 '키워드' [한미 외교장관 회담]]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4690?sid=100


[외교장관, 美 외교위 의원들도 만나…"조선·에너지 협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44391?sid=100

유매카 - 포텐셜

16 Feb, 21:13


📈📊 2025년 상반기 보유해야 할 종목...


[당장 1000만원과 1억으로 뭘 살까, 트럼프빨 받을 '상반기 종목']

- 지금 1천만원 있다면, 어디에 투자할까?

* K-엔터
* 비트코인
* AI 밸류체인(로봇 등)

- 지금 1억원이 있다면, 어디에 투자할까?

* 우주/항공
* 미중 주식, 비트코인, 금
* 트럼프 수혜주(에너지 인프라, 조선, 방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21137

유매카 - 포텐셜

13 Feb, 22:14


💵 미국증시<02/13>, 상호관세 예외는 없지만, 협상 여지에 반색...

<주요 지수별 등락률>

다우 : +0.77%
S&P500 : +1.03%
나스닥 : +1.50%
러셀2000 : +1.04%

필라델피아 반도체 : +1.29%
생명공학(BTK) ETF : +1.57%

공포지수(VIX) : 15.10(-4.97%)
CNN 공포&탐욕지수 : 44p -> 47p

미 달러 인덱스 : 107.09(-0.68%)

미 2년물 국채금리 : 4.3088% (-4.6bp)
미 10년물 국채금리 : 4.5347% (-8.6bp)


<미국증시 주요 변화요인>

장 시작 전 발표된 생산자 물가지수(PPI)는 전년대비, 전월대비 각각 3.5%, 0.4%로 예상치를 상회.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3만건으로 소폭 하회.

이로써 연준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 그리고 고용 관련 지표들이 모두 발표 마무리 되면서 일부 불확실성 해소로 시장은 판단.

물론 물가 관련 지표들이 시장 예상보다 올랐단 것은 향후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으나, 2월 혹은 3월 생산자 물가지수부터 기저효과가 나올 수 있단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을테고요.


다만, 시장을 돌려 세운 것은 경제지표가 아닌 상호관세에 대한 협상 여지 때문.

일부 언론사가 장 시작 직후 상호관세 부과 시점이 4월 1일로 미뤄질 수 있고, 이날은 계획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보도자료가 나오면서 강하게 반등.

오후엔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과 만나 상호관세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했으나, 이는 행정명령이 아닌 상호관세 연구를 위한 대통령 지시 문서에 서명한 것.

이후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교역국들의 불공정 무역 관련 세부내역을 4월 1일까지 검토할 것"이라며 실제 발효는 그 이후라는 점을 시사.

특히 비관세 장벽에 해당되는 부가세나 각종 정책과 규제 또한 관세로 보고 이를 상호관세에 적용할 것이라 설명했고요.

즉, 자동차 판매 인증의 복잡성과 부가세, 취득세 등까지 모두 수출 보조금 혹은 관세로 보고 대응하겠다란 것.

=> 그럼에도 4월 1일까지 연구를 마친 후 상호관세는 그 이후 확정 및 시행한다란 점과

그 전에 주요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하거나 관세율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단 점에서 시장 반등을 견인.


다만, 트럼프는 대만이 미국 반도체 기술을 훔쳐갔다고 주장한 것과 EU, 일본, 한국이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고 말한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을 듯

특히,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 변경을 추진 중이다라고 밝힌 것도 참고할 필요가 있을테고요.


<주요 업종 및 산업별 등락률>

S&P500 11개 업종 중 산업재, 헬스케어, 유틸리티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제한되기는 했으나,

그외 대부분의 업종은 비교적 강한 반등을 시현.

유매카 - 포텐셜

13 Feb, 05:54


📊 방산주 - 테슬라도 무기 만들겠다...


[테슬라, 방산 진출한다…“美 6000억 ‘전기 장갑차’ 수주 유력”]


- 美국무부 조달예측 문서에 '테슬라 장갑차' 등재

- 향후 5년간 4억달러 규모… 오는 9월 최종 계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93811?sid=104

유매카 - 포텐셜

13 Feb, 03:24


📊 2012년 ~ 2015년 게임과 화장품이 폭발적 랠리가 나올 때처럼...


OCI홀딩스(옛 OCI)의 2006년 말부터 2007년 10월 말까지 큰 상승이 나왔는데(태양광 때문에),

당시 초기 강세 흐름이 나왔을 때 흐름과 현재 트럼프 트레이드 관련 섹터주 하나가 거의 유사하게 나오고 있더군요.

무슨 종목이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이런 주가 강세가 나오고 있단 것은 그만큼 시장 괜찮다란 뜻.

반도체 쪽은 시장 하방을 지지해 주고 있고, 2차전지 쪽은 추가 하락하지 않고 바닥을 다지려 하는 흐름이 나오고 있으니...

이런 환경에서 갈 섹터들은 초강세가 나올만한 장이라 판단.


2012년~2015년 상반기까지 반도체가 시장 하방 압력을 낮춰줄 때

(적당히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면서)

중국 소비주(화장품, 패션의류, 게임 등)들이 폭등세를 보였던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지 않나 합니다.

유매카 - 포텐셜

27 Jan, 08:52


이걸로 보는 게 더 나으실듯

https://naver.me/57Vd125d

유매카 - 포텐셜

27 Jan, 08:51


https://naver.me/FXw7jjIt

유매카 - 포텐셜

24 Jan, 03:28


✔️ 일본은행 금리 인상 확정 - 엔캐리 트레이드 같은 것은 없을 듯


[속보] 일본은행, 기준금리 0.5%로 인상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48083i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악재는 더 이상 악재가 아님.

엔캐리 트레이드 확대로 인한 변동성 또한 그닥임...

유매카 - 포텐셜

24 Jan, 00:38


📊 초반 강세 섹터 - 미국향 수혜산업 강세...(트럼프 입에 따라)


원전+전력기기 : AI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트럼프 왈 'AI용 전력 두배 필요')

방산 : 트럼프 활 'NATO 회원국들과 중동 우방국들은 방위비를 GDP 대비 5%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해서

조선 : 전일 급락한 것도 있고, 트럼프 왈 '에너지 채굴 및 인프라 확장 신속 허용해서 유럽에 LNG 공급 보장 약속해줄께'라고 해서

반도체 : 미국을 AI와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해서

이 밖에.....

LG CNS 상장 임박하면서 하이젠알앤엠과 로보스타 주도로 일부 로봇주 강세


우리 증시도 결국 트럼프 입에 따라 섹터별로 출렁출렁~


#원전 #전력기기 #방산 #조선 #로봇 #반도체

유매카 - 포텐셜

24 Jan, 00:19


📈 이수페타시스 - 목표주가 상향조정(100% 포함)


☄️ 한국투자증권 : 기존 3.5만 -> 7.0만(돌아온 탕아)

SK증권 : 3.2만 -> 5만(AI기판 대장주가 다시 돌아왔다)

메리츠증권 : 3.2만 -> 3.9만원(올바른 결정)


커버리지 증권사 중 오늘 리폿을 내놓지 않은 증권사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음...

키움 4.5만
BNK 3.5만
KB 3.1만
흥국 2.5만

[이수페타시스, 이차전지 업체 제이오 인수 철회...美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국내 최대 수혜 기업 부각]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0660

유매카 - 포텐셜

23 Jan, 23:03


❤️🕯 존 디어(DE, 미국) - 최근 강세 이유는 결국 트럼프 때문...


[트럼프 “이란 암살단보다 1400만명 불법 이민자가 더 두렵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11960?sid=104

=> 첫날 행정명령을 시행한 후

23일 불법이민자 460명 체포 및 22일엔 국경에 정규군 1500명 파견 행정명령 서명.

불법이민자들은 주로 저렴한 노동력을 미국 경제에 제공하고 있고, 특히 농장 등으로 많이 유입됐다고 알려져 있음.

따라서 향후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농기계 구입은 물론 자율주행 및 자동화 농기계 시장 확대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는 중.

해서 1월에만 디어는 +12.0% 급등.


국내에선 대동TYM이 관련 기술 보유했으며, 둘 다 미국 시장에 중형 및 중소형급으로 잘 안착된 기업이기도 함.

유매카 - 포텐셜

23 Jan, 22:48


💵 뉴욕증시, 트럼프 발언에 주목한 랠리


23일 미증시는 초반 AI 반도체 및 테크주들을 중심으로 약세로 시작했지만,

장중 트럼프 발언과 행정명령들이 속속 시장을 우호적으로 변화시키며 상승 마감.

딱히 트럼프 발언이나 행정명령 중 새로운 것도 없었지만, 시장은 이런 발언들에 반응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

1) AI 데이터센터를 위해선 현재보다 두배의 전력이 필요하다며, AI 발전소 승인 필요성을 제기

2) 연준에 즉각적인 금리인하를 요구하며, 연준 및 파월의장과 대화를 고려중이라고 발언

3) 국가 가상자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다만, 시장이 기대했던 비축 자산 등과 관련된 내용은 미포함)

4) 법인세를 15%로 축소(다보스 포럼) 및 미국 내 생산 제품에는 법인세 혜택을 더 줄 것이라 발언

5) 러-우 전쟁 종식을 위해 조만간 푸틴과 만날 것이라 발언

6) NATO 회원국들은 자국 GDP 대비 5%까지 방위비를 증액해야 할 것이라 발언

7) 에너지 관련 행정명령 및 발언 여러가지 등

해서 위와 관련된 산업(바이오, 기계장비(산업재), 유틸리티, 네트워크 등)을 중심으로 강세 마감.


참조 : CNBC, CNN MONEY,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연합뉴스

유매카 - 포텐셜

23 Jan, 05:21


📊 AI 인프라 투자 수혜 산업] 스타게이트...


스타게이트 이니셔티브에서는 오라클(NYSE:ORCL) 창립자이자 파라마운트 글로벌의 미디어 거물인 래리 엘리슨, 소프트뱅크(TYO:9984) CEO 손정의, OpenAI CEO 샘 알트만이 공동 창업한 AI 인프라 투자 기업.

주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및 인프라 투자에 집중.


국내 수혜 산업은 당연히 잘 아시겠지만...

1) AI 반도체

=> HBM 관련주 및 유리기판 관련주(삼전+하이닉스, 한미반도체 등)


2) 필요한 전력 인프라

=> SMR 및 전력기기, 천연가스 복합발전소
(관련 종목이 차고 넘침)


3) 네트웍 장비

=> 한 종목 있긴 한데, 뻘짓거리를 하고 있어서 패스...


4) AI를 뒷받침해 줄 초고속 통신망

=> 에치에프알, 케이엠더블유, 쏠리드, RFHIC 등


5) 기계장비


등이 여기에 해당.

직전과는 달리 앞으론 확실한 수혜 여부가 가장 중요. 저기 오르니 우리도 오른다란 식으론 얼마 못감.

유매카 - 포텐셜

23 Jan, 04:02


📊 휴머노이드 로봇 - 순수 개인적인 사견이니 참고만...

국내 로봇주는...

휴머노이드 :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스타, 현대차 보스턴 다이내믹스

액츄에이터 : 로보티즈, 하이젠알앤엠

정밀감속기 : 에스피지, 이랜시스, 에스비비테크

액츄에이터 구성은 정밀감속기, 고성능모터, 엔코더(알에스오토메이션 등으로 이뤄진 모듈로...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 원가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음.

해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종목들은 휴머노이드 로봇 레인보우와 액츄에이터의 하이젠알앤엠, 로보티즈였음.

물론 레인보우는 삼성전자 인수 이슈,

로보티즈와 하이젠알앤엠은 LG CNS IPO 영향을 받은 것도 사실이지만...

어쨌거나...

레인보우는 연일 투자주의 공시가 뜨고 있고,

하이젠알앤엠은 경고 받고 추가 급등한 상황에서 로보티즈는 LG CNS 상장이 임박.

좀 쉴 때가 되지 않았나 싶단 생각이 듭니다.

기술적으로나 단기모멘텀 부재로 보나 혹은 재료 노출로 봤을 때...

해서 그 기간동안은 협동로봇, 청소로봇, 로봇교육, 각종 부품주, 의료로봇(고용, 큐렉소) 등이 개별적으로 돌아가며 상승 가능성 높고,

그 이후 재차 주도군(휴머노이드로봇, 액츄에이터, 정밀감속기) 쪽이 추가 상승을 또 이끌지 않을까 합니다.

어차피 섹터는 대표주, 주도주들이 가야만 함.

이들이 쉴 때 그 하위 섹터주들이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로봇주가 계속 살아 있음을 알려주는 케이스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흐름이라 판단.

그래야 주도군을 떠받쳐주기 때문에...

개인적 생각입니다.

유매카 - 포텐셜

23 Jan, 00:35


🕯 SK하이닉스, 결국 최근 주가 상승에 따른 밸류에 걸려드는 모양새...


더불어 긴 연휴에 앞선 현금화 덫에서도...

#SK하이닉스 #HBM

유매카 - 포텐셜

22 Jan, 22:50


🕯 SK하이닉스 잠정실적 발표


[SK하이닉스, 사상 최대 실적… 작년 매출 66.1조원, 영업익 23.4조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9090?sid=105

#SK하이닉스 #AI반도체 #HMM

유매카 - 포텐셜

22 Jan, 00:58


📊 원전 + 전력기기 초강세 요인 - AI 인프라 5천억 투자

한미반도체 등 HBM 관련 수혜주 강세도 포함해서...

[트럼프 “美 AI인프라에 5000억 달러 투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83965?sid=104

유매카 - 포텐셜

22 Jan, 00:28


📈 시장이 반등폭을 확대하지 못하고 다시 쪼그라 드는 요인은 중국에 대한 관세 10% 부과 논의를 진행 중이란 소식 때문으로 판단.


[트럼프 "다음달부터 중국 10% 관세 부과 논의 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5328?sid=104

유매카 - 포텐셜

21 Jan, 23:39


📊 우주항공(위성) ] - 아마도 오늘이 기술적으로 중요할 듯...


지난해 오르다 말아버린 시세와 그리고 지난해 11월 강세를 이어가기 위해선 오늘 반등 여부가 중요할 듯.

특히 전일 갭상승 후 대부분의 종목들이 시초가 밑에서 끝났기 때문에...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는 트럼프…우주경쟁 패권 달아오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029205?sid=105

사실 트럼프가 취임 당일 쏘아 올린 것은 아니지요.

이미 지난해 여름부터 미국과 중국서 강한 의지와 정책으로 보여줘 왔으니까요.

어쨌거나 취임 당일 모든 투자자가 기대했던 암호화폐 발언은 쏙 빠지고, 화성에 가장 먼저 깃발을 꽂겠다고 단언한 트럼프.

우주패권 경쟁이 본격화한다고 봐도 될 듯.

해서...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 한마디에…우주 테마주 날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96059?sid=101

=> 미국 관련주들이 폭등을 함.

그럼 우리나라는 가만히 지켜만 볼까요?

[올해 발사체4건·위성 5건 우주궤도 진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60694?sid=105

당연히 지난해 출범한 우주항공청에서도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스타트했고, 향후 세부적인 계획과 함께 진행 이벤트들이 줄이어 이어질 듯.

아마도 누리호 4차 발사부터 재사용발사체 기술개발을 본격화한다고 하니 가장 중요한 이벤트가 될 듯(다만, 연말 발사한다 하니, 당장은 좀...)

유매카 - 포텐셜

21 Jan, 21:29


📊 트럼프 취임 후 첫 거래일 강세 테마...


1) 우주항공(레드와이어 +51%) 및 UAM(조비 에비에이션 +11% 등)

2) 생명공학

3) 방산 / 기계(산업재)

4) 원전(플루오르 및 SMR(오클로 +19.96% 등)

5) 일부 AI

유매카 - 포텐셜

21 Jan, 21:16


🕯 넷플릭스] 어닝 서프라이즈 + 시간외 급등

유매카 - 포텐셜

21 Jan, 03:16


🕯 HD현대미포조선 - 미국 전략상선단에서 가장 앞서 있는 기업(다올투자증권)


미포조선이 왜 이렇게 강한 급등이 나오나 싶었는데, 다올투자증권에서 미국 전략상선단의 진원선 수혜가 가장 크고 빠를 것이란 의견을 제시했더군요.

=> 앞으로 전략상선단 지원선 이슈에선 현대미포조선이 조선주들을 리드할 듯...


조선주들은 각 조선사 별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돌아가면서 강세를 이어가기 딱 좋은 섹터...


미국 MRO 및 함정 수주 가능성과 글로벌 잠수함 수주 : 한화오션

글로벌 함정 : HD현대중공업

FLNG : 삼성중공업

미국 전략상선 지원선 : HD현대미포

LNG 운반선 : 대표 조선주들 모두

유매카 - 포텐셜

21 Jan, 01:33


📈📊 코스피 지수와 3대 섹터 분봉 변화 흐름...

이 정도면 2차전지가 코스피 지수를 끌어 내렸고,

10시가 넘어서면서부터 반도체가 지수 하락을 제한하고 있다 해도 될 듯.

유매카 - 포텐셜

21 Jan, 01:12


📈📊 오전장 시장 하락 전환 요인 및 강세 섹터...


현재 양대 시장은 약세권으로 밀려난 상황.

약세권으로 밀린 요인은...


1) 국내증시가 시작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트럼프는...

- 중국이 트럼프 1기 때 합의한 1단계 무역 합의를 준수했는지 조사하란 명령을 내렸단 소식

- 주요 기관에 타국가의 환율조작에 대해서도 대응하란 지시

- 2월 1일부터 캐나다 및 멕시코에 보편적 관세 부과 생각중이란 외신 소식


2) 트럼프, 파리기후협약 탈퇴 소식으로 2차전지와 태양광 및 풍력주 등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고,

또 다른 피해산업인 철강, 화학 등도 꽤나 하락하면서 지수 하락 압력을 높인 것으로 판단.


더불어 장 초반 강하게 반등했던 반도체와 바이오, 인터넷 등에서 꽤나 강한 매도 물량이 출회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강세 섹터는 조선, 방산, 원전, 우주항공(위성통신), 기계장비, 피부미용, 게임, 엔터, 반도체 대표주 등에 불과

이들은 대체적으로 미국 트럼프 2.0 수혜 산업이거나 혹은 딱히 관세와 무관한 산업, 세계 독보적 산업 등.

참고할 필요가 있을 듯.

유매카 - 포텐셜

10 Jan, 04:50


☄️ 조선주 - 지난해 AI 반도체처럼....(가능한 이유)


지난해 AI 반도체 및 HBM이 어떻게 올랐는지요?

1) 엔비디아 주가 상승한다고 해서 오르고,

2) 장비 주도주인 한미반도체 & 테크윙 오른다 해서 오르고,

3)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오른다 해서 오르고,

4) HBM 일부 공정 국산화 성공한다 해서 오르고

5) 새로운 기술 혹은 상위 레벨 반도체 개발 성공 소식에 오르고..

2023년부터 24년 8월까지 돌아가면서 끊임없이 올랐었지요.


어쩌면 올해 조선주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미국 MRO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 미국 LNG 수출과 컨테이너 전략선 발주 기대감에 HD한국조선해양과 HD현대미포가...

- FLNG로 삼성중공업이...

- 함정과 잠수함으로 또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 더불어 LNG선 폐선박 확대와 전세계 컨테이너선 + LNG/암모니아 운반선 발주가 지속되는 것은 베이스로 깔고...


조선주 5인방은 모두 다 같은 선박을 만들기도 하지만 각각의 주력 선박이 있다보니 이렇게 서로 번갈아 가면서 상승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셈.

즉, 이쪽이 좀 쉰다 해도 저쪽이 오르니 쉬는 게 쉬는 것 같지 않은 그런 흐름이 나올 수 있다고 판단.


기자재는 그때그때 이슈에 따라 강세와 약세를 반복할 수 밖에 없을테고요. 기막힌 성장 스토리가 각 종목별로 돌아가면서 나올 듯.

=> 그럼 조선 기자재 종목을 볼 때 뭐가 톱픽이다? 이건 쉽게 추정 가능하실 듯.

유매카 - 포텐셜

10 Jan, 03:28


금일 미국에선 중요한 매크로 두개가 발표 예정.

1. 12월 실업률

=> 실업률은 4.2%(소수점 반올림을 해도)에 붙잡아 두는 것이 좋고...

2. 고용보고서

=> 고용보고서는 'bad news is not bad' 논리가 적용될 수 있음.

즉, 전월 22.7만 건과 월가 예상 16.4만 건인데,

무조건 전월보단 낮아야 하며, 시장 예상치 부근에서 나와주는 것이 미증시에 좋다고 판단.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유매카 - 포텐셜

10 Jan, 00:11


📉 <<01월 10일 목표주가 하향조정 기업>>


[POSCO홀딩스] 어려웠던 시황(대신) / 47만 -> 41만

[한미약품] 4Q24 Pre: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일시적 부진(DS) / 44만 -> 38만

[포스코인터내셔널] 장기 이익 성장과 주주환원율 확대의 조합(하나) / 7.6만 -> 6.6만

[신한지주] 견고한 자본비율,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NH) / 7.6만 -> 7.3만

[대우건설] 4Q24 Preview: 약한 성장 동력(LS) / 4500원 -> 4000원

[현대건설] 4Q24 Preview: 언젠가 건너야 할 골짜기(메리츠) / 5만 -> 4만

[LG에너지솔루션] 4Q24 잠정 실적 - 시장 기대치 하회(삼성) / 43만 -> 41만

[한화솔루션] 기대감을 갖기에는 이른 시점(NH) / 2만 -> 1.7만

[현대건설] 4Q24 Preview: 마무리 짓는 중(현대차) / 4만 -> 3.5만

[한미약품] 4Q24 Pre: 부진한 실적 전망(LS) / 43만 -> 38만

[LG에너지솔루션] 올겨울 가장 추운 날씨(흥국) / 57.8만 -> 49만

[삼성SDI] 4Q24 Preview 컨센서스 큰 폭 하회(교보) / 48만 -> 31만

[포스코퓨처엠]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교보) / 30만 -> 19만

[포스코퓨처엠] 성장하지만, 여전히 남은 과제들(DB금융) / 29만 -> 17만

유매카 - 포텐셜

10 Jan, 00:09


📈 <<01월 10일 목표주가 상향조정 기업>>


[HD현대중공업] 밸류에이션 부담? 나는 엔진이 있잖아(교보) / 23.6만 -> 38만

[한화엔진] 목표주가 상향(신영) : 2.0만 -> 3.0만원

[HD현대마린엔진] 선박엔진 최선호주(신영) : 2.9만 -> 3.3만원

[HD현대미포] 25년에도 잔고 늘고 수익성 개선은 가장 빠르다(교보) / 16.2만 -> 20만

[한화오션] 상상력을 보태면 어디까지 갈지 몰라(교보) / 4.1만 -> 5.4만

[시프트업] 검열? 사전예약? 피어그룹?, 6가지 요소로 중국 니케 상세 분석(상상인) / 7.6만 -> 8.0만

[클래시스] 4Q24 Preview: 레벨업의 시작(한국투자) / 6만 -> 6.7만

[현대글로비스] 든든한 분기 실적, 높아진 올해 눈높이(상상인) / 18만 -> 19.3만

[에스원] 4Q24 Preview: 두드리고 가는 돌다리(LS) / 7만 -> 7.7만

[클래시스] 4Q24 Preview: 레벨업의 시작(한국투자) / +6만 -> 6.7만

[아모레퍼시픽] 이익 가시성 회복(미래에셋) / 14만 -> 16만


목표주가 20% 이상 상향조정 기업

HD현대중공업, 한화엔진, 한화오션, HD현대미포

목표주가 10%~20% 상향조정 기업

HD현대마린엔진, 클래시스, 에스원, 클래시스, 아모레퍼시픽

유매카 - 포텐셜

09 Jan, 20:43


📊 원전주 — 웨스팅하우스 족쇄풀다

다만 국내 이슈땜시...쯧

https://naver.me/x9BSv8nu

유매카 - 포텐셜

09 Jan, 01:57


📈 <<01월 09일 목표주가 상향조정 기업>>


[코스맥스] 한국과 동남아 모두 견조. 신규 탑픽(다올) / 18만 -> 21만

[현대모비스] 모듈 및 핵심부품 흑전!(IM) / 31만 -> 32만

[현대지에프홀딩스] 배당 늘려가는 구조. ROE P/B 회계적요인 감안해야(현대차) / 5100원 -> 5800원

[와이지엔터] 기반영된 4Q 실적, 2Q 턴어라운드에 베팅할 때(현대차) / 5만 -> 5.5만

[크래프톤] 2025년에 PUBG가 또 성장한다면?(NH투자) / 47만 -> 50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AM이 나에게 더 온다(다올) / 44만 -> 50만

[삼성중공업] 2025년에도 수익성 개선 지속될 전망(KB) / 12,000원 -> 14,500원

[피에스케이홀딩스] 분기 최대 실적 기록 전망(하나) / 5.9ㅏ만 -> 6.7만

[한국콜마] 4Q24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전망(하나) / 9.3만 -> 9.8만

[S-Oil] 컨센 상회 예상. 2025~27년 이익 정상화와 성장 기대(하나) / 77만 -> 92만

[HD한국조선해양] 수익성 개선 가속화 기대(KB) / 24만 -> 28만

[삼양식품] 믿음의 2025년(KB) / 75만 -> 88만

[삼양식품] 4Q24 Preview: 수출도 투자도 다 좋다(한국투자) / 77만 -> 92만


=> 투자의견 상향 조정 기업은 오늘은 없음.

유매카 - 포텐셜

09 Jan, 00:35


📊 해운주 - 미국 동부 항만파업(15일)이 중대 분수령이 될 수 있을 듯...


[2025년 ‘컨’시장, 홍해사태 및 美 항만파업 등 변수될 것]


https://www.dailylog.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471

#해운주

유매카 - 포텐셜

08 Jan, 23:14


📊 바이오 - 미국의 중국 압박은 계속...


[미국 국방부, 중국 '유전체'-'바이오' 기업 6곳 블랙리스트 지정]

유전체 분석장비 제조 분석서비스 기업 4곳- 바이오 관련 기업 2개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pmode=&cat=all&cat2=&cat3=&nid=304846&num_start=0


#바이오

유매카 - 포텐셜

08 Jan, 22:51


📊🕯 삼성전자 - 엔비디아 GDDR7 초도 공급사라는 공식 입장...

젠슨황이 마이크론이 공급한다고 한 것은 실언...


[젠슨 황 "RTX 50 GDDR7, 삼성이 초도 공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7531?sid=105

유매카 - 포텐셜

08 Jan, 04:41


📊 조선주] 미국 진출 성장스토리 - 2015년 한국한공우주(KAI)를 보는 듯...


신한증권 이동* / 이지* 연구원님께서 작성하신 '미국에서 불어오는 훈풍'이란 제목의 조선 산업 관련 리포트 중 일부를 발췌했습니다.

잘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별 표시 부분)...

1) 미국 군함 사업은 새로운 영역에 대한 사업 확장,

2) 미국을 발판으로 전세계 군함, 잠수함 수요 시장에 대한 지배력 확대

딱 와닿는 설명이지 않나 합니다.

ㄱ런데 어디서 많이 봤던 성장스토리 아닌지요?

2015년~2016년 한국항공우주가 미공군 고등훈련기 사업에 록히드마틴과 수주전 참여했을 때 스토리와 매우 비슷.

미공군 고등훈련기 사업을 수주하는 것은 천조국이란 별칭을 얻고 있는 곳에 새롭게 발을 들여 놓는 것이고,

이후 미공군 전술훈련기와 미해군 고등+전술 훈련기 사업 수주 가능성이 높아질거란 전망이 컸음.

더불어 미국 훈련기 수주를 발판으로 미국 전투기를 도입하는 글로벌 주요국들로 훈련기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다란 점도 크게 작용.

해서 한국항공우주 주가가 실로 폭발적 랠리가 당시에 나왔죠. 첨부한 주봉.

당시 한국항공우주 입장에서 주가로 보나 모멘텀으로 보나 폭발력이 엄청 났는데,

유사한 설명이 신한투자증권에서 나와 소개해 봤습니다.

유매카 - 포텐셜

08 Jan, 04:17


📊 LNG 운반선 관련주 - 폐선박 증가세...


[노후 LNG선 ‘폐선’ 시작되자…韓 조선사가 웃는다]

노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해체하는 폐선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

현재 전세계에서 운항하는 LNG 운반선은 700여 척이다. 이 가운데 200여 척은 증기터빈 방식의 1세대 선박이며, 이들 모두가 다 폐선될 가능성이 높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9505?sid=101


LNG 운반선 주력 조선사 :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삼호중공업)

LNG 보냉재 :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유매카 - 포텐셜

08 Jan, 04:15


🕯 실리콘투 - K-뷰티 성공 스토리의 대표주자


독보적인 K-뷰티 해외 유통 비즈니스로 지난 2년 간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줌.

다만, 이같은 성장은 미국과 온라인 유통망 덕분.

미국도 지난 2~3년 간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판매가 확대된 것이 잘 맞물렸던 게 성장 원동력이 된게 아닌가 판단.

헌대, 이런 고성장이 올해부터 다소 꺽임.

실적표를 보면, 매출, 이익 모두 비교적 강한 성장세는 내년까지 이어지겠지만,

성장률 자체는 지난해가 정점이란 것이 컸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리콘투는 유럽 및 아시아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는데,

문제는 생각보다 유럽이나 아시아권 국가들은 여전히 온라인 판매보단 오프라인 판매가 더 크다고 함.

해서 회사측은 영국 법인 설립과 폴란드 내 물류센터를 통해 사업 가속화를 추진 중이며,

지난해 일부 성과를 보여주기 시작했다고 판단.

다만, 미국+온라인 판매를 통한 초고성장을 경험한 투자자들은 이미 눈높이가 너무 높아져 있단 것이 문제.

따라서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보기 위해 박스권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기본적으로 장기선 안에서의 조정은 평균 4개월 안팎이 소요.

현재는 만 2개월이 살짝 넘은 시점.

좀 더 기간을 두면서 20일선(5주선) 지지 여부를 1차적으로 챙겨고, 지지 실패 시에는 정석대로 4개월 박스권 조정 시 나오는 쌍바닥 2.5~2.6만 혹은 2.4만~2.5만원 찍후 반등하는 것을 챙겨보는 게 낫지 않나 합니다.

물론 이 구간에서 유럽향 실적을 챙기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고요.

이 모든 게 지난해 눈높이가 너무 높아졌단 것 때문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 정도면 정말 대단한 실적 개선세인데...

유매카 - 포텐셜

08 Jan, 01:59


🕯 삼성전자 - 기술적 반등은 어디까지?


기술적으로 연봉상 10년 선이 위치한 58,500원(1차)에 이어 5년 선 위치한 64,000원(2차)까지 가능하다고 봄.

물론 반등 시 HBM4 개발 이벤트 및 디램과 낸드 가격 반등 여부에 따라 좀 더 확대될 수 있다고도 판단.

10년 선을 이탈한 적은 IMF 외환위기 때인 1997년과 금융위기 때인 2008~2009년 밖엔 없었음.

그만큼 싸고 또 너무 많이 빠졌단 뜻이니 계속해서 실적이 저조해도 '이번이 마지막일 수 있다'는 심리가 발동되는 셈이겠죠.

삼성전자는 년봉 보면서 매수해야 한다고 꽤나 여러차례 설명...

결론적으로 10년 선이 깨졌단 것은 지난해 말기에 너무 많이 빠졌단 것이겠죠.

유매카 - 포텐셜

08 Jan, 00:01


🕯 삼성중공업 - 메리츠금융 리포트(목표가 상향)

주가 상승세가 국내 경쟁사들인 현대나 한화보다 뒤쳐지는 이유는 방산(함정과 잠수함)이 없어서도 일부 있다고 판단.

더불어 재무개선에 포커스를 맞추고, 수주의 질적인 부분에 맞춰서 대응한 것도 이유가 있을테고요.

대신에 해상플랜트 사업에 주력하는 것은 2025년 실적에서 증명해 줄거란 의견.

매출과 이익, 이익률 모두 2025년 크게 증가하게 되기 때문.

특히 주목할 부분은 이 리포트 가장 하단에 있는...

[2025년 이후 미국향 FLNG 최소 3기 이상 수주 파이프라인]

때문임.

즉, FLNG 3개 공사 스케쥴이 겹치며 2025년도 매출이 좋아지는 것은 향후 FLNG 수주 모멘텀이 중요하기 때문..

유매카 - 포텐셜

07 Jan, 23:58


🕯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익 6.5조···전분기 대비 3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44079?sid=101

유매카 - 포텐셜

07 Jan, 04:26


📊 지금 개인들은 고민 중 - 넷 중 뭘 매수할지에 대해...


1) 가는 말에 집중하자(조선, 로봇 등)

=> 차트 : HD현대중공업

2) 오랜 기간 많이 갔다가 좀 쉬고 다시 반등할 것 같은 말에 집중하다(방산)

=> 차트 : 한화에어로

3) 지난해 하반기 땅바닥서 반등 잘 나온 후 1~2개월 기간조정 잘 받고 다시 시동 걸 것 같은 섹터(엔터, 대형 바이오/헬스케어 등)

=> 차트 : JYP Ent

4) 많이 빠졌다, 이제 반등이닷(반도체 및 2차전지 등)

=> 차트 삼성전자


그럼 위 질문에 하나를 더해 봅니다.

=> 앞으로 국내 및 미국 정치, 외교, 산업정책과 통화정책 등을 모두 감안했을 때 뭘 살지를 고민한다면?

당연한 고민꺼리겠지요.

지난주 삼성증권 투자전략 리포트 내 추천주를 간단하게 코멘트한 적 있었습니다.

참고할 필요가 있지 않나 합니다.

유매카 - 포텐셜

07 Jan, 03:59


📊 엔터주 - 누가 더 잘하나...


JYP Ent - 스트레이 키즈 7년차 징크스 깨고 연 2회 앨범 낸다


와이지엔터 - 블랙핑크 완전체 활동과 빅뱅(지드래곤)+2NE1 활동 재개한다는...

BTS와 더불어 블랙핑크에 대해선 왕의 귀환이란 표현을 많이 씀. 그만큼 활동재개는 폭발적.

반면, JYP Ent에는 BTS와 블랙핑크는 없어도 꾸준함을 더해줄 아이돌 그룹들의 활동이 올해 왕성하다는 의견.

주가 면에서 최근 2~3개월 및 지난 1월 성과를 보면 와이지엔터가 더 나음.

다만, 오늘 하루만 비교해 보면 JYP Ent가 더 낫지만...

만약 엔터가 상승한다면, 어느 종목이 더 나을까요?

유매카 - 포텐셜

07 Jan, 03:40


📊 FLNG + 해양플랜트 + 선박 피팅 : 성광벤드, 태광 비교...


<태광>

세계 1위, 한국 2위, 사우디 등 중동에 강점, 미국엔 별도 법인 존재하며 수혜 가능


<성광벤드>

세계 2위, 한국 1위, 글로벌 매출 쪽으론 미국 매출이 상대적으로 큰 기업

유매카 - 포텐셜

07 Jan, 03:32


📊 조선주 - 이번 1월 및 1분기는 아마도....


=> 2021년부터 조선주들은 1월엔 약해 빠진 흐름이 반복돼 왔었음.

그러면서 수주는 항상 1분기가 가장 좋았고요.

현대미포는 40%, 그외 주요 조선사들은 36~37%가 1분기 때 집중됐던 경향이 큼.


이번에도 수주는 1분기 및 상반기에 몰릴 가능성이 높고, 1월 전패 흐름은 올해 바뀌지 않을까 합니다.



1) 1월 중 삼성중공업, 모잠비크 FLNG(3.2조원 규모) 계약 가능성 높음

2) 1~2월 중 한화오션, 미국 필리조선소에서 MRO 수주 가능성 높음.

=> 더불어 HD현대 계열의 미국 MRO 진출 본격화

3) 상반기 중 한화오션 및 HD현대중공업 컨소시엄 형태로 캐나다 잠수함(총 60조원대, 잠수정만 20조원 안팎) 사업 제안서 제출

4) 트럼프 취임 후 전략선박 구축 계획 및 함정 발주를 위한 행정명령과 한미일 간 협력 이벤트

5) LNG 및 컨테이너선 등은 항시 상반기 발주가 많음.


12월~2월까지 강세인 섹터는 4~8월까지 추가 랠리도 나올 가능성이 높아짐.

챙겨봐야할 섹터라 판단.

조선 + 엔진 + MRO + 피팅까지 4종 시리즈는 항시 챙겨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유매카 - 포텐셜

07 Jan, 00:45


📊 바이오 - 이번엔 JP모건 헬스케어 차례...


["이번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차례?"…삼바 5%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8775?sid=101

유매카 - 포텐셜

06 Jan, 23:57


📊 반도체 - 올해는 HBM3e 캐파 확장보단 HBM4 쪽을 슬슬 챙겨봐야 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단독] 삼성전자, HBM4 두뇌 ‘로직 다이’ 테스트 생산 개시… 올해 HBM 시장서 반격]

=> 지난 3일 조선비즈에서 나온 기사인데, 보실만 한 듯 싶어서...

=> 물론 SK하이닉스도 올해 하반기 양산 목표라고 하니...

- 삼성전자, ‘로직 다이’ 4나노 공정 통해 시제품 생산 진행

- 1c D램·하이브리드 본딩 등 첨단 공정 대거 활용

- HBM4 일정 앞당겨 고객사 대응 속도 높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4701?sid=105

유매카 - 포텐셜

06 Jan, 23:51


📊 조선주 이슈 코멘트...트럼프 & MRO 그리고 글로벌 LNG선 발주 확대


[트럼프 "미국 , 군함 더 필요하나 준비 안 돼…동맹국 이용할 수도"]

-> "우리는 해군과 관련해 좋은 아주 좋은 것을 발표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독(dock)이 없고 선박(건조) 준비가 안 돼 있다. 우리는 우리가 준비될 때까지 (다른 나라에) 주문을 할 것"

->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과 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우리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보수·수리·정비 분야에 있어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21324?sid=104


["필리조선소 경영 정상화"…한화, 美 인력 대거 채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8534?sid=101

=> 현지 인력을 대거 채용한다란 것은 현지화 및 미국 정부로부터 대규모 수주를 받기 위한 조치라 판단.


[수주 목표 올린 HD한국조선, 미 함정 MRO도 겨냥]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50004&inflow=N

=> HD한국조선해양 및 현대중공업도 이 분야에서 수주 목표치를 전년 대비 60% 가까이 상향했단 것을 잘 챙겨볼 필요가 있을 듯.


[수출입은행, 선박금융지원 12조원으로 증액…"고부가 선박 지원"]

-> 수은은 국내 조선사의 해외수주 및 함정 MRO(정기적 수리 및 점검) 분야 사업 확대 등에 적극적인 금융지원을 다할 계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000902?sid=101


[日해운3사 LNG선 47% 늘린다 … K조선사 수혜 기대]

=> 결국 미국 LNG 수출에 보조를 맞추기 위한 조치라고 판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24617?sid=104


=> 1월 기대할만한 수주 모멘텀...

삼성중공업, 모잠비크 FLNG(3조원 대 규모) 수주

유매카 - 포텐셜

06 Jan, 21:55


🕯 엔비디아 - 헤드앤숄더 패턴 가능성은 역시나 없음...

헤드앤숄더 가능성이 없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시장으로 보나~ AI 반도체 쪽으로 보나 아주 많음.

유매카 - 포텐셜

02 Jan, 05:02


📈 아직 CDS 프리미엄은 부담되지 않은 수준인데...


[CDS 프리미엄 "심상찮다"…이런 식으로 가다간 '헉']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216565

=> 2022년 11월 3일 74.9를 기록한 바 있었음.

미국 경기둔화 혹은 침체 가능성과 연준의 고강도 긴축 때문이었음.

그때에 비한다면....

더불어 정국 혼란에 우상향 지속은 맞긴 하지만...

이미 9월 말 31 수준부터 꾸준히 오르고 있었고, 비상계엄 당일은 34.615였음.

비상계엄 및 정국 혼란으로 우상향이 지속되고 있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 해서 위험수준으로 본다거나 매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도 아님.

간간히 저런 기사가 눈에 띄어서 차트 첨부(출처 - 국제금융)해 봅니다.

유매카 - 포텐셜

02 Jan, 04:54


🕯 삼성증권 추전주 10선 - 공통점은...

1) 미국 정책 수혜주 : LNG 쪽으로 조선과 피팅주 그리고 방산

2) 미국 관세, 달러, 금리 부담이 덜한 국내 독보적 산업 및 종목 : K-푸드, K-엔터, K-콘텐츠, 바이오


3) 트럼프 & 일론 머스크 수혜 산업 : 실질적으로 실적이 나올 수 있는 산업(로봇/자율주행)


헌대, KB, 한국투자증권, 신한 등 대다수 증권사들도 비슷함.

이 안에서 돌고 돌아가며 상반기 시장을 끌고 가지 않을까 하네요.

유매카 - 포텐셜

01 Jan, 00:58


https://naver.me/GBF7PxU9

유매카 - 포텐셜

01 Jan, 00:53


https://naver.me/5oE4mWRc

유매카 - 포텐셜

01 Jan, 00:50


https://naver.me/xs3Vc5Zo

유매카 - 포텐셜

30 Dec, 23:06


📈 LNG 관련주 - 미국 천연가스 가격 +16% 폭등


내년 1월 미국 동부 지역의 기온, 특히 플로리다주부터 메인주와 그레이트 레이크 일부 지역까지 기온이 평균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

미국 동부 지역의 한 달 전체 예보와 비교했을 때 평균보다 훨씬 낮을 것이라는 전망

우크라이나가 이달 31일부터 자국 영토를 통과하는 러시아산 천연가스의 유럽 공급을 중단하기로 함에 따라 수급 불안감이 확산


[러시아·우크라 전쟁에 새우등 터지네…비상사태 선포한 이곳]

우크라 '영토 관통' 러 가스관 잠근다
동유럽 비상사태 선포

유럽 가스 저장량 빠르게 줄고
美 LNG 수출확대 지연에 불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76125


[美 LNG 수출 열린다..韓 에너지업계 '반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15686


=> LNG 선박 관련주

=> LNG 다운스트림 관련주

유매카 - 포텐셜

18 Dec, 21:25


📊🕯 마이크론 - 실적은 부합 / 가이던스 미스로 시간외 폭락...

유매카 - 포텐셜

27 May, 22:57


📊 라니냐 관련주 - 세계는 이상기후 및 라니냐와 대차게 싸워야할지도...


["올해도 어김없이 당했다" 전세계 난리…'이상기후' 후폭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89640

[美 연휴 토네이도·폭풍 사망자 21명으로 늘어…남부 폭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385379


라니냐의 3단계...

1단계 : 4~6월 동남아 및 중국 남부 지역에 대한 물폭탄 폭우로 홍수 사태...

-> 2021년 중국 최대 댐인 산샤댐 봉괴루머를 떠올리시면 될 듯

-> 중국 남부 지역 농작물 맛가면서 돼지 등에 줄 사료가 부족해 대거 수입하면서 본격적인 농산물 가격이 오르기 시작


2단계 : 북반부 국가들의 한파로 인한 에너지 수요 폭증(특히 천연가스 및 석탄 등)

-> 또 에너지 안보가 부각될 수 있음


3단계 : 천연가스+선탄 가격 상승 등은 이를 원료로 하는 비료 등의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고, 피폐해진 경작지로 인해 농기계 등이 활황이 되는 마지막 라니냐 단계임.


애그플레이션이란 단어가 생겨난 것도 엘리뇨가 아닌 라니냐 때문에 생겨난 단어임.


#라니냐관련주 #애그플레이션

유매카 - 포텐셜

27 May, 22:36


📊 원전관련주 - 이미 세배 올랐는데 또 추천하며 투자의견 상향조정...

[모건스탠리 "커티스 라이트, 목표가 330달러"…원전 부활의 수혜주]

원자력 발전을 위한 부품 공급 업체인 커티스 라이트(NYS:CW)를 매수하라고 월가의 대형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가 권고했다.

인공지능(AI) 전성시대를 맞아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데 따라 원전이 탄소 배출 없는 전력 공급원으로 새삼 주목받고 있다는 이유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0881


#원전관련주

유매카 - 포텐셜

27 May, 01:11


📊 원전주 향후 일정 및 파이프라인 생각나는대로 적어봅니다.


1) 5/28 ~ 29일 : UAE 대통령 국빈 방문 시 원전 협력 이슈

2) 5/29 : 방폐법 통과 여부

3) 6월 첫째주 : 11차 전기본 발표

4) 6월 중순 : 영국 원전 관련 기업 임원 및 당국자 방한

5) 6월 15일~ : 체코 원전, 최종 후보자 선정 및 정부 제안

6) 7월 중 : 체코 정부의 최종 우선협정대상자 선정

7) 7~8월 중 : 11차 전기본 국회 보고 및 본격 시작

8) 7~8월 중 : SMR 관련 건설 및 주기기 등 공급계약 시작할 듯

9) 하반기 : 국내 신한울 3,4호기 관련 발주들이 후방 기업들을 중심으로 발주되기 시작하지 않을까 싶음...


<수주 가능 파이프라인>

1) 체코 4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7월 중)

2) UAE 2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일부 언론사는 올해 말이라고)

3) 가나 2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올해 연말)

4) 이밖에....

터키(4기, 올해나 내년 상반기),

영국(4기~6기, 내년),

네덜란드(내년),

스웨덴(1~2년 후),

사우디아라비아(올해 가능성 있긴함),

남아공(2기, 내년 상반기 중),

폴란드 민영 원전건설(2기~4기, 내년 1분기 중),

중앙아시아 2개국(각 2기씩),

동남아 2~3개 국가 및 인도(이쪽은 모름)


#원전관련주

유매카 - 포텐셜

26 May, 22:46


📊 [한국투자증권(출처)] 방산, 음식료, 자동차가 고금리 환경에서 유리하다...

개인적으로 세개의 섹터를 더 추가해 본다면...

1) 원전, 수소, 태양광, 풍력(풍력은 풍력법 통과 여부 중요) 등의 대체에너지 관련주와 전력 관련 기기 관련주

2) 뷰티(화장품, 화장품 부자재, 마스크팩 등)

3) 우주항공 관련주


그리고 일부 밸류업 관련주와 sk하이닉스 및 하이닉스향 일부 HBM 관련주


보고서 원본 링크: https://bit.ly/4bAq2Cs

유매카 - 포텐셜

26 May, 22:22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708487

유매카 - 포텐셜

26 May, 21:35


📊 우주항공 관련주 - 뉴 스페이스 시대 연다...


[닻 올리는 ‘한국판 나사’ 우주청… ‘뉴 스페이스’ 시대 연다]

2032년 달 탐사·누리호 4차 발사 준비
나로우주센터 내 민간 발사장도 구축
윤영빈 “민간 우주시장 성장 힘쏟겠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36223


[보잉 빈틈 파고드는 에어버스 "UAM 등 韓과 협력 확대"]

국내기업 30여곳서 부품 구매
"韓 UAM 시장 잠재력 커 주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89130


#우주항공 #UAM

유매카 - 포텐셜

26 May, 21:32


📊 밸류업 & 외국인 수급

["밸류업 참여하면 투자 몰리게 지원"… 공매도 연내 재개 힘들듯]

'밸류업 공시' 오늘부터 시행
9월까지 지수 개발·연내 ETF 출시
글로벌마케팅 위한 해외IR도 지원
자금유입·기업가치 제고 인센티브
자율성 바탕으로 주주소통도 강화
공매도 전산화 구축엔 10개월 소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45174?sid=101


[日서 빠져나간 '뭉칫돈' 한국에 몰린다…외국인 돌변, 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89012


#벨류업

유매카 - 포텐셜

23 May, 22:59


📊 방산주 - 연내 1000조 시장 열린다...

미국과 국방상호조달협정(RDP-A)를 체결 시 방산주들 입장에서 거대 시장이 열리는 셈...

국내 무기류가 미국 등 서방국 무기와의 호환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더 기대가 큰 시장.


[韓·美 방산분야 FTA…‘국방상호조달협정(RDP-A)’ 신속 추진 합의] - 4월 12일자 언론기사

한미 양국은국방상호조달협정(RDP-A) 체결을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합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293922?sid=100


[화장품 이어 방산도 美훈풍...'1000조' 시장 열릴까]

현재 미국은 일본, 호주 등 28개국과 RDP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해당 국가들의 RDP MOU 협정 전후의 방산부문 무역수지를 살펴보면 대미 수출액은 체결연도에 91.2% 증가

=> LIG 넥스원 '비궁' 연내

=> 한국항공우주, 3분기 중 미해군 RFI를 시작으로 본격 수주전 스타트

=> 한화에어로, 무인차량 '아리온스멧' 미육군 사업 도전(2026~2027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89470?sid=101

유매카 - 포텐셜

22 May, 05:17


📊 수소 관련주 - 미국서 현대차 수소 사업 본격화

[현대차 수소 공급망 사업 본격화에…두산퓨얼셀 등 수소차株 '급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43798?sid=101

유매카 - 포텐셜

22 May, 04:31


📊 원전주(수소) 이슈 정리



✔️ 우선 장 시작 전에 화두가 된 해외 외신 보도자료...

[월스트리트 저널 : The Unlikely Stocks That Became a Hot Bet on AI]

https://www.wsj.com/finance/stocks/stock-market-hottest-industry-utilities-45907c48?st=cwgkismw77n9cp0&reflink=mobilewebshare_permalink


✔️ 체코 원전 이슈

[산업부, 체코와 경제협력 논의…"韓, 원전 사업 최고 파트너"]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559342


[체코원전 발주사 내달 15일 평가보고서 제출...체코 정부 최소 한달 '숙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6622


✔️ 해외 원전 파이프라인

[튀르키예 원전 프로젝트와 정책 현황]

=> 코트라에서 전일 발간한 자료인데, 현재 2차 원전 파이프라인에 대해 한국 팀코리아와 러시아가 각각 제안한 것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함.

읽어보실만한 자료라고 공유해 드림...

http://t2m.kr/ETUgI


[영국 원전 기업단 6월 방한..한전, 英수출 '가시권']

-영국원자력산업협회(NIA)·기업단, 6월 11일~14일 방한
-NIA "원자력 발전소와 공급 체인 투어 예정"
-영국 원전 수주 기대감 높아져

지난해 11월 '원전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모두 여섯 차례 대화체를 개최

특히 이달 열린 제6차 한영 원전산업 대화체에서 양측은 영국 신규 원전 개발과 건설 전망을 점검

현대 프랑스 EDF가 그 문제가 되고 있는 사이즈웰C 구역 원전 4기 건설을 추진중이고, 이게 끝난 후 신규 원전 추진될 예정...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052211160294133


#원전관련주 #수소관련주

유매카 - 포텐셜

19 May, 21:19


📊 원전주 - 체코 매체 "한수원 수주 가능성 높아"


[체코 매체 “한수원, 두코바니 원전 수주 가능성 높아”]


덤핑에 가까운 가격으로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한 한국수력원자력의 승리 가능성을 조금 더 높게

한국의 또다른 비장의 카드로 ‘두산스코다파워’를 꼽았다.

체코 입찰에서의 승리는 슬로바키아, 폴란드, 스웨덴, 튀르키예에서 추가 수주를 따내는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전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42511?sid=101


[외국인이 ‘싹쓸이’…순매수 지속 업종 살펴보니]

현대글로비스, 완성차 해상운송(PCC) 운임이 꺾이지 않으면서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

삼성화재(000810)도 올해 1분기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 장기 목표 주주 환원율을 50%로 제시하는 등 주주 환원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내비치면서 외국인의 ‘러브콜’장기 목표 주주 환원율을 50%로 제시하는 등 주주 환원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내비치면서 외국인의 ‘러브콜’

두산에너빌리티는 중장기적으로 전력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하반기 체코 원전 수주 가능성이 열려 있어 기대감

한국항공우주도 아랍에미리트(UAE)와 이라크 수리온 등 해외 수주와 미국 고등훈련기 사업 등이 부각

엔씨소프트가 올해 강도 높은 경영효율화를 진행하겠다고 밝힌데다 980억953만원(53만3417주)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내놓은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43548


[사우디 왕세자, 美안보수장 만나 방위조약 논의 “마무리 단계”]

사우디는 그 대가로 미국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수준의 고강도 상호방위 조약 체결과 민간핵 개발을 위한 우라늄 농축 허용 등의 지원을 요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451734

#원전주 #원전관련주

유매카 - 포텐셜

09 May, 05:19


https://v.daum.net/v/20240509140304205

유매카 - 포텐셜

06 May, 22:54


📊 SK하이닉스 + 삼성전자] 마이크론 초강세 예상...


[베어드,"메모리시장 초강세 예상"...마이크론 '초과성과"상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80989?sid=101


#SK하이닉스 #삼성전자 #HBM #DDR5

유매카 - 포텐셜

02 May, 22:23


🕯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 - 거스를 수 없는 흐름...


[반도체 ‘꿈의 기판’, 거스를 수 없는 흐름]

#SKC #삼성전기 #필옵틱스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https://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646

유매카 - 포텐셜

02 May, 22:15


애플, 역대 최대 자사주 매입 승인...아이폰 판매는 10% 줄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13752?sid=101

유매카 - 포텐셜

02 May, 22:11


📌 [속보]이라크 이슬람 무장단체, 이스라엘 수도에 미사일 공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29948?sid=101

유매카 - 포텐셜

02 May, 06:16


🕯 삼성전자, 노무라 목표주가 상향조정 10만원


"삼성전자, 2분기에도 호실적…목표가 10만원으로 상향"

(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노무라는 삼성전자가 메모리칩 가격 상승에 힘입어 2분기에도 강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2일 다우존스에 따르면 노무라는 4~6월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33% 증가한 8조8천억원, 반도체 사업 이익은 두 배 이상 늘어난 4조6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노무라는 2분기 삼성전자의 D램과 낸드 평균판매가가 전분기 대비 18%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노무라는 삼성전자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가를 10만원으로 5.3% 상향 조정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 https://news.einfomax.co.kr/ )

유매카 - 포텐셜

02 May, 05:42


📊 반도체 - 낸드에 이어 서버디램까지 가격 뛰면???


공급 부족까지 임박…SSD 이어 서버 D램 가격도 20% 뛴다
(서울경제)

서버 D램 가격 전망치 상향 조정
3분기 연속 두 자릿수 상승 기대
AI 서버에도 DDR5 등 활용 늘어
신규 캐파 HBM 집중돼 공급 제약
하반기부터 공급 부족 전망도 나와

=> 2017년인가 18년인가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영업팀 부서가 위치한 사무실 부근 호텔방이 없었다 하죠. 서버디램 가격은 뛰고 수요는 급증하다보니 줄서서 대기하니라...

그런 상황이 전개될지는 모르겠으나, 다시 한번 그런 기사가 나왔음 좋겠네요.

=> 헌대, 그땐 어떤 종목이 갔을까요? 제 기억으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독주하다시피 했고, 디램보단 낸드 쪽 소부장이 2017~18년까지 독무대였던 것은 확실히 기억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35898?sid=101

유매카 - 포텐셜

02 May, 01:43


📊 우주항공 관련주 - 5월 모멘텀 중 이것도 포함시켜야...


좀 지난 기사긴 하지만...

[위성통신 예타 결론 'D-1개월'…산업계 “우주강국 교두보 확보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달 저궤도 위성통신 연구개발(R&D)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결과를 발표

5월은 넘기지 않는 게 목표

-> 이번주 PM회의 후 최종 심사에 속도 낼 방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01401?sid=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