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cjdbj Channel on Telegram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담당 김철중 연구위원입니다.
산업 관련 데이터 공유 채널이며, 종목에 대한 투자 의견은 발간 완료된 보고서만을 통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이메일을 통해서 문의 부탁드립니다.

[email protected]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Korean)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담당 김철중 연구위원의 Telegram 채널인 '디배저'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산업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는 곳으로, 김철중 연구위원이 직접 관련 정보와 분석을 제공합니다. 여러분께서는 여기서 다양한 산업 관련 소식과 동향을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배저' 채널은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공간이지만, 투자 의견은 발간된 보고서를 통해서만 제공됩니다. 따라서 안전한 투자를 위해 꼭 관련 보고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아래 이메일 주소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김철중 연구위원이 친절히 답변해 드릴 것입니다

이제 '디배저' 채널을 통해 더 많은 산업 정보를 얻고, 투자에 도움을 받아보세요. 함께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를 느껴보세요!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30 Jan, 08:59


[1월 미국 자동차 판매 전망]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Source: JD Power, S&P, Cox Auto

주요 미국 자동차 시장조사기관의 1월 판매 전망 데이터가 모두 발표되어 공유드립니다. 실제 수치는 한국시각 2/4(화) 새벽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아래 3개 기관의 미국 1월 판매 전망 밴드는 +4~8%YoY. 영업일은 25일로 전년도와 동일. SAAR 연간계절조정 기준 +4~8%YoY, -4~9%MoM

기관들은 1월이 계절적으로 판매량이 적고, 24년 12월은 인센티브 확대 및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EV 수요 확대로 기저가 높음을 언급. 한편, 24년 1월 판매량의 기저가 낮은 것도 사실. 참고로 기관들의 25년 미국 연간 증가율 전망 밴드는 +1~3%YoY

◆ 기관별 1월 판매 전망치
  - 기관별 판매 기준 상이. %YoY 주목
  - 영업일수 25일로 전년/전월 동일
  - SAAR: 계절조정 연환산 판매대수

① Cox Auto: +5.2%YoY (113만대)
   - 영업일수 조정: +5.2%
   - SAAR +5%YoY, -6%MoM
- 25년 전망 +2.8%YoY

② JD Power: +4.4%YoY (110만대)
   - 영업일수 조정: +4.4%
   - SAAR +4%YoY, -9%MoM

③ S&P Mobility: +7.5%YoY (115만대)
   - 영업일수 조정: +7.5%
   - SAAR +8%YoY, -4%MoM
- 25년 전망 +1.3%YoY

◆ 기관별 전망치-발표치 괴리 (%YoY 기준)
Cox: 10월 -2.3%p, 11월 -3.6%p, 12월 -2.5%p
J.D:  10월 -1.3%p, 11월 -1.4%p, 12월 +0.6%p
S&P: 10월 -0.9%p, 11월 -4.1%p, 12월 -2.3%p

t.me/automira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30 Jan, 00:57


파월 의장 기자회견
Q.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요구 관련?
A.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한 응답은 하지 않겠음. 트럼프와의 직접적 접촉 없었다

Q. 통화정책이 상당히 제약적(meaningfully restrictive)이라는 평가에 변화가 있는지? 25bp 추가 인하한다면 정책이 덜 제약적일 것이라고 생각하나?
A. 평가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금리인하 시작 당시보다는 덜 제약적이지만 여전히 통화정책은 제약적. 인플레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것. 인플레와 고용시장은 균형 잡혔고, 통화정책은 잘 작동하고 있다.

Q. 성명문 변화에 대해? 신행정부 하 인플레 상방 리스크?
A. 문구 삭제는 큰 시그널을 주기 위한 것은 아니었음. 두 번 연속의 좋은 인플레 데이터가 확인. 우리는 2%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 아직 FOMC는 신행정부 재정정책과 규제를 지켜보자는 스탠스

Q. 현재 경제전망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인가? 통화정책이 제약적이라는 것은 추가 인하를 열어두고 있는 것인지?
A. 현재 관세, 재정, 이민, 규제 등 고려할 때 불확실성 존재. 통화정책과 경제 모두 좋은 포지션에 위치. 우리는 조정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음.

Q. 새로운 이민 정책이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
A. 여러가지 시나리오들을 염두에 두고는 있으나 행동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더 많은 것이 확인돼야 할 것

Q. 추가 금리인하는 인플레 전망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12월 견해에 대해?
A. 주거비가 꽤 꾸준히(pretty steadily) 하락하고 있음. 다만 인플레의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는 견해는 유지. 실업률 등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은 꽤 안정적이어 보인다

Q. 이민자 유입 감소가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
A. 이민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일자리수가 동반 감소하는 상황은 안정적인 실업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

Q. 중립금리와 얼마나 멀리 있나?
A. 현재 4.3%는 장기 중립금리보다 꽤 높은 수준. 우리의 통화정책은 인플레를 안정시키고 고용시장 균형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추가 정책 조정에 서두르지는 않을 것

Q. 현재 관세 위협이 과거 무역전쟁 당시 상황과 다른 점?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관세 관련 이벤트가 있다면?
A. 현재는 고인플레 상황. 소비자들은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기업들의 평가가 많음. 제조업 기반이 멕시코 등으로 이동하며 예전보다는 중국에 대한 직접적 의존도가 낮아졌음. 관세가 어떻게 경제와 소비자들로의 영향으로 이어질지 불확실성 높음

Q. QT 종료에 대한 논의?
A. 준비금은 충분함(abundant). 정확한 시점을 말하기는 어려움

Q. 금리를 인하하기 위해 인플레 목표 수준으로 떨어져야 하나?
A. 금리 인하를 위해 인플레가 목표 수준으로 내려와야 할 필요는 없다. 인플레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 현재 정책은 상당히(not highly but meaningfully) 제약적

Q. 현재 경기전망의 리스크?
A. 고용률이 낮은 상황에서 해고율이 높아지면 실업률이 급격히 높아질 가능성. 하지만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은 양호한 상황. 우리는 6개월간 견고한 상태를 유지했음

Q. 3월 인하가 테이블 위에 있나? 인플레 관련 데이터가 추가 확인돼야 하나?
A. 디스인플레가 울퉁불퉁하고 느리지만 진전되고 있다. 우리는 금리인하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결론. 꾸준한 인플레 진전이 이루어진다면 자신감이 높아질 것

Q. 2% 인플레 목표가 변경될 가능성?
A. 2% 인플레 목표는 잘 적용되어 왔음. 2% 인플레 목표 자체에는 변화가 없을 것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9 Jan, 23:57


https://www.nytimes.com/live/2025/01/29/us/trump-federal-freeze-funding-news/federal-freeze-grants?smid=url-shar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9 Jan, 23:41


https://www.teslarati.com/tesla-tsla-q4-fy-2024-earnings-call-live-blog/amp/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9 Jan, 09:44


https://www.afr.com/companies/transport/uk-to-subsidise-buyers-ev-loans-to-boost-sales-20250129-p5l85l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9 Jan, 09:15


[GM 4Q24 실적컨콜 정리]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 4Q24 실적 및 25년 가이던스 요약
https://t.me/automirae/289

◆ 발표/Q&A 중 주요내용 정리

- 25년 북미 EV 도매 목표 30만대(+59% YoY). 24년 북미 EV 도매 18.9만대, 북미 EV 소매 14.6만대, 미국 소매 11.4만대. 참고로 GM 캐나다 EV 소매 3.1만대(이쿼녹스EV 비중이 52%)

- 25년 EV EBIT 개선 목표는 3Q24에 제시했던 20~40억달러에서 하단으로 하향. 규모의 효과와 배터리/기타비용절감 효과는 균등할 것. EV 변동이익은 목표대로 4Q24 흑자전환. 참고로 GM 변동이익은 공헌이익+IRA혜택+배출크레딧 포함

- 현대차와의 협업에 관련해서는, 빠른대응/비용절감/자본효율성을 위한 제품 및 구매 관련 첫 계약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 코멘트. 협업은 글로벌로 특정 세그먼트와 사업영역 대상의 협업이 될 것이며 빠른 시일 내로 공유할 것

- 25년 조정EBIT 가이던스는 137~157억달러(-)8~(+)5%YoY. 중단값은 147억달러(-1%YoY). 25년 도매물량은 소폭 감소를 제시. EV가 11만대 증가임을 감안하면 ICE는 감소를 가정. 북미 ASP는 (-)1~(-)1.5%YoY 감소 제시. 다만 ASP는 1월에는 오히려 올랐고 향후 지켜봐야한다고 코멘트

- 관세 등 정책 변화는 25년 가이던스에 반영하지 않음. 관련 질문에 실제로 관세 부과 시 북미 내 생산 일부 이전 가능하다고 코멘트

- 25년 GMNA(북미사업부로 GM 전체 조정EBIT 중 비중 97%)의 마진 가이던스는 8~10%(24년 9.2%). 연말에 크루즈 관련 비용을 북미에 포함시킬 계획이며 영향은 50bps

- 24년 크루즈 조정EBIT 손실은 -17억달러로 23년 -27억달러 대비 개선. 크루즈 로보택시 자금 지원 중단으로 연간 10억달러 비용 절감 가능. 이중에서는 5억달러를 가이던스에 반영함

- 자율주행 시스템인 슈퍼크루즈는 현재 36만대 차량에 탑재. 이중 60%가 정기구독자 비율. 25년 탑재 규모 두배 증가 예상. 향후 레벨 4~5 개발 관련 내재화 및 외부구매 관련 질문에 관련 역량 확보하고 있으며 파트너십 체결 가능성도 언급함

- 슈퍼크루즈는 3년간의 체험기간 서비스를 제공중. 작년에 테스트 기간이 만료된 고객군 1.8만대 중 채택률은 20%. 올해는 3.3만대 기간 만료 예정으로 25년 구독 매출액 2배 증가 목표

- 연말 ICE 재고는 53일로 목표 50~60일 달성. 전기차는 3분기 100일에서 연말 70일까지 감소

◆ 경영진 발표

[CEO - Mary Barra]

북미 EV 도매/생산량 18.9만대 기록. 시장점유율 두배 증가.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달성. 발행주식수는 10억주 미만으로 목표 조기 달성

GM은 최근 크루즈 로보택시 개발 자금 지원 중단으로 개인 자율주행 집중 예정. 로보택시 개발 중단으로 연간 약 10억달러 비용 절감 가능

GM은 슈퍼크루즈 수십만마일 도로 주행. 약 36만명의 슈퍼크루즈 고객 중 정기사용자 비율이 60%. 25년 크루즈 탑재 규모 두배 증가 목표

슈퍼즈루즈 구독수익 중요함. 작년에 3년 체험기간이 끝난 고객군 1.8만대 차량 중 20%의 채택률을 기록함. 올해는 약 3.3만대가 체험기간이 종료될 예정으로 구독 매출액 2배 증가 목표. 향후 5년내로 슈퍼크루즈 매출액은 20억달러 예상

현대차와의 협업에 관련해서는, 빠른대응/비용절감/자본효율성을 위한 제품 및 구매 관련 첫 계약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 코멘트. 협업은 글로벌로 특정 세그먼트와 사업영역 대상의 협업이 될 것이며 빠른 시일 내로 공유할 것

추가로 정책/무역/규제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이기에 2025년 가이던스에는 정책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음. 관세 관련해서는 여러 조치를 통해 단기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음

[CFO: Paul Jacobson]

GM의 ASP 대비 인센티브 비중은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업계에서 가장 낮고 평균보다 3%P 낮게 유지중. ICE 재고 53일로 마감함 (목표 50~60일)

전기차 도매는 18.9만대, 소매는 14.6만대. 3분기에는 약 100일 수준의 딜러 재고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인도량이 증가하면서 연말 재고는 70일 수준

GM은 현재 전기차 수익성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음. 생산량 증가, 셀 비용 절감 등 재료비 개선, 신차 출시 등으로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20억달러 고정비 절감 프로그램도 완료함. 북미 마진은 연간 목표 8~10% 수준에 위치한 9.2%. 올해말에는 크루즈 비용을 북미 마진에 반영할 예정이지만 8~10%의 목표를 제시

25년 가이던스에는 신정부 정책 변화는 고려하지 않음. 북미에서는 재고 조절로 ICE 물량/믹스 감소 예상되지만 EV 판매 증가로 부분 상쇄 예상

북미 지역 ASP는 전년대비 1~1.5% 감소를 가정. 인센티브 상승과 ASP 둔화세를 고려함. EV EBIT 개선폭은 기존 목표인 20~40억달러에서 하단을 목표. 이는 약 30만대 도매판매 기준이며 규모 확대, 고정비 절감, 셀/차량비용 절감 등 효과 기대

◆ 질의응답

Q. 25년 미국 SAAR 가정 및 점유율 상승 지속성

A. 25년 미국 SAAR은 24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 12월은 전기차 때문이든 취임식이든 수요가 크게 올라온 것으로 보임.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1월은 날씨와 캘리포니아 화재 등으로 변동성 확대

Q.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철회한다고 밝혔기에 세액공제나 EPA 규제 변화가 예상됨. GM의 전기차에 대한 투자/전략 변화는?

A. 전기차 수요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자본 결정을 내리고 있음. 오리온 공장과 LG에 대한 3공장 지분 매각 등이 있음. 전기차 성장세가 직선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수요에 맞춰 포트폴리오 운영 예정

Q. 향후 주주환원 계획은?
A. 현재 이사회와 계획중. 향후 공유드릴 것

Q. 25년 ASP 가이던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

A. 1~1.5% 감소는 계획상의 수치임. 1월에는 가격이 오히려 올랐음, 그러나 1월은 변동성이 확대됐기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Q. 북미에서의 대형차 등 차량 생산 이전 가능성과 관세에 대한 단기적인 조치가 있을지?

A.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중. 현재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트럭을 생산하고 있는데 미국내로 일부 생산을 이전하는 것 자체는 가능함

Q. 레벨 4~5 자체 개발 or 외부 구매

A. GM 내부에서는 이러한 역량을 구축해오고 있음. 물론 향후 전략적인 파트너십이 있을 수 있음

Q. 25년 EV EBIT 개선폭 목표를 기존 20~40억달러에서 하단으로 수정한 배경은?

A. 24년 20~30만대 목표에서 20만대에 좀 못미쳤음에도 여전히 변동이익이 흑자전환한 것을 보면 규모효과가 예상보다는 더디게 나타나는중. 우선 전기차 도매 30만대 목표는 적절하다고 생각

Q. 25년 물량 감소를 언급하셨는데, EV는 10만대가 증가함. 즉, ICE 도매 물량이 감소하는 것인지

A. 현재 수요를 예측하기에 이른 시점임. 다만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면 ICE 물량 확대 가능

Q. 25년 북미 ICE ASP 가이던스는?
A. 가격 가정은 인센티브 상승도 같이 고려함

Q. 슈퍼크루즈 채택률 관련 소비자 수요

A. 현재 슈퍼크루즈를 설치한 고객 중 60% 이상이 정기사용자. 80%는 해당 기능이 없으면 차를 사지 않거나, 다음 차량에 탑재되기를 희망함

Q. 25년 EV EBIT 개선 목표 20억달러 상세내용

A. 규모와 비용 절감 효과는 균등하다고 보면 됨. 만약 전기차 수요를 감소 요인이 발생한다면, ICE 포트폴리오로 대응 가능한 유연성 확보

Q. 전기차 가격 책정 가이던스

A. 우선은 전기차 가격은 일관되게 책정될 것으로 예상됨. 현재 시장에서의 비합리적인 인센티브 행동은 규제 변화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Q. 판매량은 많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수익성이 낮은 중국 저가EV의 활용 방안

A. 개별 제품의 수익성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없으나 소비자들의 수요가 좋음. 우리는 우링과 협력하여 일부 차량을 다른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국가의 기준에 충족을 위해 협업 중

t.me/automira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8 Jan, 12:09


[GM BEV 판매 목표 변동 추이]
t.me/automira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8 Jan, 12:06


※ GM 4Q24 전기차 관련 내용

- 25년 EV 도매판매 목표 약 30만대
- 25년 EV EBIT 개선폭 20~40억달러 하단
(3Q24 밝힌 개선폭 목표는 20~40억달러)
- 1Q25 SUV급 Vistiq EV 출시 예정

-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달성
(3Q24 밝힌 목표 시점이 4Q24)
- 24년 미국 GM EV 소매 11.4만대
- 4Q24 Escalade IQ, Optiq EV 판매 개시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8 Jan, 11:43


[GM 4Q24 공시 주요내용]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t.me/automirae

※ 컨콜은 한국시각 28일(화) 22:30~

※ 4Q24 실적 요약

매출액: 477억달러(+11%YoY)
컨센 445억달러 +7% 상회

조정EBIT: 25억달러(+43%YoY)
컨센 24억달러 +5% 상회

조정EPS: 1.92달러(+55%YoY)
컨센 1.83달러 +5% 상회

※ 25년 연간 가이던스

조정EBIT 가이던스
(25년목표) 137~157억달러
(24년실제) 149억달러
(24년목표) 140~150억달러

조정EPS 가이던스
(25년목표) 11.0~12.0달러
(24년실제) 10.6달러
(24년목표) 10.0~10.5달러

Auto FCF 가이던스
(25년목표) 110~130억달러
(24년실제) 140억달러
(24년목표) 125~135억달러

※ CEO 주주서한

-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달성
(3Q24 밝힌 목표는 4Q24)
- 발행주식수 10억주 이하로 감소
(3Q24 밝힌 목표는 25년초)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4 Jan, 06:35


칠레 리튬 확장 지속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1-23/chile-keeps-faith-in-lithium-expansion-despite-worsening-glut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4 Jan, 01:42


https://electrek.co/2025/01/23/tesla-launches-new-model-y-in-north-america-and-europ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4 Jan, 01:41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announces-revamped-model-y-version-us-priced-59990-2025-01-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Jan, 23:52


[미래에셋 김철중]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월 24일, 금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계약) LG엔솔 '유럽 최대 규모' 폴란드 ESS 프로젝트 최종 수주
LG에너지솔루션이 폴란드 국영전력공사(PGE)가 발주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수주한다고 밝힘.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설계부터 운전까지 전 과정에 참여할 예정. LG에너지솔루션 브로츠와프법인은 폴란드 자르노익(Zarnowiec) 양수 발전소 인근에 263MW 출력·900MWh '유럽 최대 규모' 저장용량의 ESS 건설 사업을 담당.
[1월 23일/더구루]
https://han.gl/kr79Q

(계약) SK온, 닛산 미국 공장에 2.5조원 배터리 공급
SK온이 닛산 미국 공장에 20GWh 규모 배터리를 2028년부터 공급하기로 합의했으며, 이는 전기차 약 30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h당 배터리 셀 가격은 약 89달러로, 20GWh는 총 17억 8,000만달러(약 2조 5,000억원)로 추산.
[1월 24일/한국경제]
https://han.gl/SSTpy

(실적) 톈치리튬, 24년 순손실 최대 82억 위안 기록 예상
톈치리튬은 2024년 최대 82억 위안(약 1조 6,15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호주에 위치한 퀴나나 리튬 공장에서 두 번째 생산 라인 건설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동사는 또한 칠레 리튬 생산업체에 대한 투자로 인해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
[1월 23일/MINING]
https://han.gl/0jlT5

■ EV 완성차

(가격) 테슬라, 캐나다서 모든 모델 가격 대폭 인상
테슬라 캐나다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동사는 2월 1일부터 캐나다에 판매되는 모든 모델의 가격을 인상할 예정. 전 모델 최대 4,000캐나다달러(약 400만원) 인상될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하여 2월 1부터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캐나다는 이미 중국산 테슬라 수입품에 대하여 100% 관세를 부과하고 있음.
[1월 23일/Reuters]
https://han.gl/Cbw6k

(투자) 폭스바겐, 미국에서 투자 확대 예정
폭스바겐은 시장 점유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에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며, 수익성 있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유럽에서의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밝힘. 동사는 현재 약 4%인 미국 시장 점유율을 2030년까지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 판매할 모델을 확대할 계획.
[1월 24일/Reuters]
https://han.gl/VypK8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Jan, 23:31


Tianqi Lithium 호주 프로젝트 확장 중단https://www.mining.com/web/tianqi-lithium-issues-profit-warning-and-halts-expansion/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Jan, 23:28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6390?sid=101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Jan, 05:12


anglo american, 25년 상반기 내 브라질 니켈 광산 매각 발표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1-16/anglo-american-targets-deal-for-brazil-nickel-mines-in-1h-2025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Jan, 04:08


인도네시아 니켈 감산 고려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only-indonesia-can-help-nickel-recover-price-bust-andy-home-2025-01-22/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Jan, 00:00


[미래에셋 김철중]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월 23일, 목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정책) EU, 900만 유로 규모 광물 및 에너지 플랫폼 구축 예정
EU는 Price Waterhouse Coopers와 슬로바키아 소프트웨어 기업을 선정해 필수 광물과 에너지를 위한 900만 유로 규모의 광물 공동 구매 플랫폼을 개발하기로 결정. 해당 플랫폼을 통해 필수 광물을 더 나은 가격으로 레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운영할 계획이며, 올해 말에 첫번째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
[1월 22일/Reuters]
https://han.gl/Pfznv

(정책) 정부, 반도체·배터리 직접 투자, '50조 첨단산업기금' 조성
정부가 최대 50조원 규모 기금을 조성해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 직접 투자하기로 결정. ‘트럼프2.0 시대’를 맞아 국내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저리 대출 등 기존 방식 이상의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 기금은 추후 해당 공장에서 나오는 이익을 배당받는 방식 등으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고 설명.
[1월 22일/한경]
https://han.gl/vG0fm

■ EV 완성차

(정책) 미국, IRA 지급 일시 중단 명령 일부 프로그램에만 적용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기후 및 인프라 자금 지출을 일시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며, 이는 주로 화석 연료 개발을 억제하거나 전기차를 촉진하는 프로그램 등 정책 목표 목록을 위반하는 자금에만 적용된다고 밝힘. 즉, 교량, 대중교통, 고속도로 등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자금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명시.
[1월 23일/Reuters]
https://han.gl/uHFIT

(출시) 닛산, 미국에 전기차 SUV 출시 계획 철회
닛산은 올해 오하이오주 공장에서 전기 SUV를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28년까지 생산을 연기하기로 결정. 이에 새로운 전기차는 영국 공장에서만 생산될 예정이며, 28년부터 총 5종의 새로운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힘.
[1월 22일/Electrek]
https://han.gl/UwH2X

(판매) 독일, EU 배출 규제 준수하려면 BEV 판매 75% 증가해야
독일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독일의 자동차 업체들은 EU의 엄격해진 CO2 배출 규제를 준수하려면 올해 독일에서 BEV 판매가 24년 대비 약 75% 증가한 66만 5,000대를 판매해야 한다고 밝힘. PHEV 및 기타 대체 엔진 차량을 포함 시 약 53% 증가해야 함. 따라서 올해 독일 전기차 신차 판매량은 280만 대에 달성할 것으로 예상, 이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
[1월 22일/Clean Energy Wire]
https://han.gl/3DezH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Jan, 13:16


https://www.cleanenergywire.org/news/bev-sales-germany-must-rise-75-year-meet-eu-fleet-emissions-limits-german-car-industr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0 Jan, 06:22


모델Y 주니퍼는 중국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도 동시 출시인 듯 싶습니다. 배송 시점은 빠른 국가(중국, 일본 등)는 3~4월, 늦는 국가(대만 등) 6~7월로 보입니다. 한국은 아직 배송 시기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한국 https://www.tesla.com/ko_kr/modely

일본 https://www.tesla.com/ja_jp/modely

말레이시아 https://www.tesla.com/en_my/modely

호주 https://www.tesla.com/en_au/modely

대만 https://www.tesla.com/zh_tw/modely/design#overview

싱가폴 https://www.tesla.com/en_sg/modely

홍콩 https://www.tesla.com/en_hk/modely/design#overview

태국 https://www.tesla.com/en_th/modely/design#overview

뉴질랜드 https://www.tesla.com/en_nz/model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0 Jan, 05:48


https://cnevpost.com/2025/01/10/tesla-china-hints-3-row-model-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0 Jan, 02:04


https://news.metal.com/newscontent/103130751/%5BSMM-Cobalt-and-Lithium-Morning-Meeting-Summary%5D-The-Year-End-Market-Is-Relatively-Quiet-and-Purchase-Willingness-for-Refined-Cobalt-Spot-Is-Weak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0 Jan, 01:30


https://cnevpost.com/2025/01/10/tesla-launches-facelifted-model-y-china/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23:57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월 10일, 금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생산) 中 리튬 매장량, 세계 전체 중 16.5%로 증가, 2위 부상
중국 자연자원부 지질조사국은 중국 전력물자 리튬 매장량이 세계 6%에서 16.5%로 증대해 순위가 종전 6위에서 2위를 도약했다고 발표. 중국 리튬 매장량 증대 발표로 광저우 선물거래소에서 탄소리튬 선물가격은 이날 톤당 77,420위안(약 1,537만원, 10,559.91달러)으로 전장 대비 0.4% 상승 마감.
[1월 8일/뉴시스]
https://han.gl/r0Dx1


■ EV 완성차/부품

(전략) 닛산, CO2 배출량 풀링에 적극 나서
닛산은 유럽의 25년 CO2 배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협력하여 CO2 배출량 풀링에 적극적으로 나설 의향이 있다고 밝힘. 동사는 올해 전반적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 단기 풀링 옵션을 모색 중이며, 어떤 OEM과 협력할 지는 결정된 바 없다고 덧붙임. 동사는 지난 몇년 간 르노자동차와 CO2 배출 감축을 위해 협력한 바 있음.
[1월 10일/Reuters]
https://han.gl/uuB4k

(정책) 미국, 다음 주 중국 자동차 단속 규정 확정 예정
바이든 퇴임 행정부는 다음 주에 중국 자동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대한 단속 규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힘. 미국 국가 안보 우려로 인해 미국 도로에서 연결된 차량에 주요 중국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금지하는 것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 조치가 시행될 경우 중국 자동차와 트럭은 미국에서 사실상 금지되며, 주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는 향후 몇 년 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에서 주요 중국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거해야 함.
[1월 9일/Reuters]
https://han.gl/EqZy6

(정책) 중국, EU 반보조금 조사 종료, 보복 가능성 대두
중국 상무부는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반보조금 조사가 무역 및 투자 장벽이라고 주장하며, EU가 '역외 보조금 규정(FSR)' 규정에 따라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취한 관련 관행이 무역·투자 장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인정했다고 밝힘. 또한 조사 결과에 따라 당국은 만약 무역 장벽으로 판명될 경우 향후에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시사.
[1월 8일/Bloomberg]
https://han.gl/IN94y

(판매량) 테슬라, 중국 24년 12월 역대 최다 판매량 기록
CPCA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12월 중국에서 93,766대(-0.4% YoY, +18.91% MoM)를 판매하며 역대 최고치 기록. 상하이 공장에서의 수출량은 10,839대(-40.88% YoY, +101.99% MoM) 기록. 이에 테슬라4Q24 분기 판매량은 19만 6,902대(+15.87% YoY, +8.26% MoM) 기록.
[1월 9일/CNEVPOST]
https://han.gl/dHWuO

(충전) 벤츠, 북미에서 2월부터 테슬라 슈퍼차저 이용 가능
메르세데스 벤츠의 전기차는 오는 2월부터 미국과 캐나다에 있는 20,000개 이상의 테슬라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하며, 메르세데스-벤츠의 전기 지능을 갖춘 네이게이션에 테슬라 슈퍼파저가 통합될 예정.
[1월 9일/Electrek]
https://han.gl/BDv2z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9:18


https://cnevpost.com/2025/01/09/tesla-sells-82927-china-dec-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9:09


https://www.bnnbloomberg.ca/business/international/2025/01/09/china-says-eus-foreign-subsidies-law-amounts-to-trade-barrier/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8:59


[미래에셋 김철중] LG에너지솔루션 Review
 
[상저하고. 업황, 센티먼트 바닥을 다지는 구간]
 
■ 적자생존 구간 지속. 상위업체 매수 전략 유효
 
-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목표주가를 48만원으로 하향 조정. 26년 예상 EBITDA(AMPC 2.1조원 포함)에 Target EV/EBITDA 15배를 적용.
 
- 1분기 중 P(판가), Q(출하량) 바닥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 2분기 Tesla, 3분기 혼다/스텔란티스 신규 JV 가동이 시작되며 출하량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판단.
 
- 4680 셀 및 LFP로의 선행된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으로 경쟁사 대비 수주 우위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
 
■ 4Q24 Review, 판가/출하량 부진에 일회성까지 반영. 분기 바닥 통과 중
 
- 4Q24 매출액 6.4조원(-6% QoQ), 영업이익 -2,255억원(적자전환 QoQ) 기록(AMPC 3,773억원).
 
- 1) 유럽 고객 중심의 고객사 재고조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추정하며, 2) 영업이익 단에서도 불용 재고자산 손실 인식 등 일회성 비용 반영.
 
- 1Q25까지 부진한 실적 불가피할 것. 1Q25 매출액 5.9조원(-9% YoY), 영업이익 -1,061억원(적자지속) 예상. 일회성 비용 제거에도 비수기 및 전방 고객 재고조정이 지속되며 영업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
 
- 2분기 Tesla(2170 업그레이드, 4680 오창), 3분기 혼다 및 스텔란티스 JV 신규 라인 가동 시작으로 점진적인 출하량 개선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
 
■ 2월부터 섹터 센티먼트 점진적 개선 전망
 
- Q(수요) 관점에서 유럽 CO2 규제 시작, 미국 정책 변화 우려에 따른 Pull-in 효과로 시장 우려대비 수요 데이터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
 
- 작년 9월 이후 횡보하고 있는 주요 메탈 가격 역시 춘절 전 후 하방을 재확인할 것으로 판단.
 
보고서: https://han.gl/TYqd9

t.me/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0:43


4Q24 AMPC 3,773억원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0:42


2025.01.09 09:41:57
기업명: LG에너지솔루션(시가총액: 85조 59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4,512억(예상치 : 67,634억)
영업익 : -2,255억(예상치 : -1,868억)
순이익 : -(예상치 : -1,43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64,512억/ -2,255억/ -
2024.3Q 68,778억/ 4,483억/ 5,613억
2024.2Q 61,619억/ 1,953억/ -237억
2024.1Q 61,287억/ 1,573억/ 2,121억
2023.4Q 80,013억/ 3,382억/ 1,90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980017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73220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0:08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CES 2025’에서 SKC(011790) 유리기판의 엔비디아향 공급을 시사했다. SK는 CES에서 유리기판의 실물을 전시하며 자신감을 드러낸 데 이어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유리기판을 본격적으로 공급하기로 하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밸류체인을 공고히 하는 모습이다.

최 회장은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 중인 ‘CES 2025’에서 SK그룹의 부스를 찾았다. 이 때 최 회장은 부스 내에 전시된 SKC의 유리기판 모형을 들어올리며 “방금 팔고 왔다”고 했다.

주목할 점은 최 회장이 현지 시간으로 오전 11시께 SK그룹의 부스를 찾기 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는 점이다. 이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최 회장은 젠슨 황 CEO와 만났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어디서 어떻게 만났는지를 말하기는 그렇지만, 오늘 만났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를 상대로 직접 유리기판을 판매하고 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https://naver.me/GsjpC5dv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9 Jan, 00:05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월 9일, 목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생산) 노스볼트, 배터리 셀 지속 생산하기로 결정
노스볼트는 챕터 11에 따라 구조조정을 위한 자금을 모색하는 있는 상황 가운데 임시 주주총회에서 배터리 셀을 지속해서 생산할 계획이 승인됐다고 밝힘. 동사는 스웨덴 공장에서 배터리 셀 생산을 지속하며, 중기 자금 조달을 통하여 1분기 말까지 챕터 11을 종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힘.
[1월 8일/Bloomberg]
https://han.gl/CcXRm

(생산) 동박 산업, 작년 12월까지 높은 가동률 유지
SMM에 따르면, 24년 12월까지 동박 기업들의 평균 가동률은 75.94%(+6.66% YoY, +0.16% MoM)를 기록. 종류별로 전자회로박 가동률은 76.96%(+0.64% YoY, +1.23% MoM), 2차전지용 동박 가동률은 74.89%(+10.25% YoY, -0.43% MoM) 기록. SMM은 1월 전체 동박 산업의 평균 가동률은 72.55%로 작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
[1월 8일/SMM]
https://han.gl/qeble


■ EV 완성차/부품

(보조금) 중국, 이구환신 20,000위안 EV 보조금 갱신
중국 국가발전위원회 및 재정부는 25년 이구환신 정책에 따라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 20,000위안(약 400만원), 2리터 미만 내연기관차 구매 시 15,000위안(약 300만원)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 작년 중국은 이구환신 정책 도입으로 370만 대 이상의 전기차 신차가 판매되었으며, 판매액 9,200억 위안(약 183조원) 기록, 또한 290만 대 이상의 구형 자동차가 폐차됨.
[1월 8일/Bloomberg]
https://han.gl/a4Nqj

(생산) 현대차, 유럽 체코공장 생산량 10% 감축
현대차는 올해 체코 공장의 생산 목표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축소하기로 결정했으며, 유럽 전기차 수요 부진 지속으로 전기차 중심으로 생산량 10%를 감축할 예정. 체코 노쇼비체 공장(HMMC)에 따르면 올해 생산 목표량은 29만 5,000대. HMMC는 오는 10일 전기차 생산 라인 가동을 중단할 예정.
[1월 8일/더구루]
https://han.gl/O34ma

(판매량) 중국, 24년 12월 판매량 역대 최고치 기록
CPCA에서 발표한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12월 NEV 소매판매량은 137만 9,000대(+46% YoY, +10% MoM)로 5개월 연속 100만 대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 24년 연간 NEV 판매량은 1,098만 대(+42% YoY) 기록. 이에 중국 NEV 침투율은 12월 52.6%, 24년 연간으로는 47.97%를 기록.
[1월 8일/CNEVPOST]
https://han.gl/E8tC9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8 Jan, 14:11


https://www.bnnbloomberg.ca/investing/2025/01/08/northvolt-owners-back-battery-output-as-funding-search-continue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8 Jan, 05:55


https://www.businesstimes.com.sg/companies-markets/transport-logistics/china-renews-car-trade-subsidy-boost-hybrid-ev-sale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8 Jan, 04:34


2025년 '전방위적' 내수 촉진 정책 중에서
이구환신의 기준과 범위를 확대하는 세부안이 나왔습니다.
-----------------------------------------

국가발개위, 재정부, 상무부, 인민은행, 시장감독총국 연합
2025년 소비 촉진관련 브리핑 부처별 핵심 내용

1) 국가발개위 : 기존 이구환신정책에서 보조금을 받는 가전 카테고리를 8개에서 12개로 확대

2) 재정부 : 2025년 이구환신 관련 재정 810억 위안 하달 예고

3) 상무부 :자동차, 가전, 디지털제품 관련 이구환신 정책 시행 세칙을 빠르게 결정하고 질서있게 진행할 것을 보장

4) 인민은행 : 설비 교체 관련 재대출 프로세스 및 규모 확대
1000억 위안의 특별한도를 배정해 과학기술 혁신 기업의 대출 지원 예정

5) 시장감독총국 : 이구환신 정책의 기준과 범위를 늘리는 (两新) 정책이 효과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것


* 이구환신 범위 및 기준 확대 :
- 개인 소비자를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디지털 제품 관련 구매 보조금 지급 : 제품 판매가의 15%를 보조금으로 지급하며 인당 제품 1개, 500위안까지 보조금 지원


- 가전제품 이구환신 지원 지속및 범위 확대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컴퓨터, 온수기, 가스레인지, 주방후드 등 8가지 가전 카테고리의 이구환신 정책을 지속하면서 전자레인지, 정수기, 식기세척기, 전기밥솥 등 4가지 가전제품을 보조금 범위에 포함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은 판매가의 20%, 2등급 이상 판매가의 15% 지원)
제품 유형별 1개 (에어컨은 3대까지) , 최대 2000위안까지 보조금 수령 가능

2024년 일부 가전 제품 교체에 대한 이구환신 지원을 받은 소비자도 2025년 제품 교체 또한 보조금을 받을 수 있음


- 장비 업그레이드 지원 범위를 전자, 안전 생산, 농업시설 등 영역 확대 : 장비교체 관련 대출 확대 및 보조금 기준 상향 조정 예정

- 도시 공공교통의 배터리 교체 및 업그레이드, 농기계 폐기 등에 대한 보조금 기준을 높일 것 : 8년 이상된 도시 버스와 품질 보증기간이 지난 배터리를 교체하고 차량당 평균 보조금을 기존 6만위안에서 8만위안으로 상향 조정. 기본 보조금 외 지역별 보조금 기준을 독립적으로 결정 가능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8 Jan, 01:23


https://electrek.co/ev-tax-credit-rebate-states-electric-vehicle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8 Jan, 01:04


https://news.metal.com/newscontent/103125832/Copper-Foil-Industry-Maintains-High-Operating-Rates-in-the-Final-Month-January-2025-Is-Expected-to-Be-Significantly-Better-Than-the-Same-Period-Last-Year-%5BSMM-Analysis%5D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7 Jan, 03:33


[미래에셋 김철중]

안녕하세요. 미래에셋 김철중입니다.

연말 연초 정책 불확실성으로 EV 수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정책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최근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들의 EV 수요 전망이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된 주요 시장 조사기관 데이터 공유드립니다.

시장 우려대비 견조한 북미 수요 전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주요 원인으로는

1) 15개 신규 모델 출시
2) 정책 변경 전 수요 Pull-in 효과
3) 잠재적 연방 보조금 삭감에 따른 주정부 단위 인센티브 증가
4) 충전 네트워크 확장

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25년 판매 증가율 전망
(12월 말 ~ 1월 초 업데이트 기준)

1) S&P
글로벌 BEV +30% YoY
(북미 BEV +36% YoY)

2) EV volume
글로벌 BEV+19% YoY
북미 BEV +34% YoY

3) Cox Automotive
북미 BEV +33% YoY

*미래에셋(11월 추정치)
글로벌 BEV +23% YoY
북미 BEV +32% YoY

감사합니다.

t.me/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7 Jan, 00:47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월 7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가격) 25년 리튬 공급 증가세 둔화될 것으로 전망
SMM은 25년 리튬 공급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 1차 리튬 공급량은 153만 톤(+14% YoY), 총 공급량은 1,595만 톤(+14% YoY)에 달할 것으로 전망. 수요 측면에서 25년 글로벌 NEV 판매량은 2,000만 대(+18% YoY), 중국은 1,372만 대(+19% YoY) 기록 전망. NEV에 대한 글로벌 리튬 수요는 88만mt(+22% YoY), ESS 배터리 수요는 390GWh(+34% YoY) 기록 전망.
[1월 6일/SMM]
https://han.gl/7Pa8d

(생산) Sigma Lithium, 24년 연간 생산량 목표치 상회 전망
Sigma Lithium은 24년 연간 리튬 농축물 생산량이 24만 톤을 달성할 것으로 추산, 이에 연간 생산 목표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 이에 4분기 실적 또한 목표치를 상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동사는 최근 두 번째 광산 개발을 계획 중에 있으며, 생산능력을 52만 톤으로 확장할 계획.
[1월 6일/MINING]
https://han.gl/LPhZE


■ EV 완성차/부품

(판매량) 영국 24년 BEV 침투율 19.5% 전망, EV 판매 목표 미달
SMMT에 따르면, 영국의 24년 신차 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2.6% 증가한 195만 대에 달할 전망, 12월 BEV 신차 등록은 월별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4년 BEV 침투율은 19.6%로 연간 의무 EV 판매량 목표인 22%를 밑돌 것으로 추산.
[1월 6일/Reuters]
https://han.gl/haGxL

(인도량) Lucid, 4Q24 3,099대 인도, 컨센서스 상회
Lucid는 24년 4분기에 3,099대(+78% YoY, +11% QoQ)를 인도하며 컨센서스를 상회. 24년 연간 생산량은 9,029대(+7% YoY)로 동사의 목표치 또한 상회. 연간 인도량은 10,241대(+71% YoY) 기록. 동사는 현재까지 차량 한 대당 수만 달러 손실을 보고 있어 인력 감축 등 비용 절감 노력 지속 중.
[1월 6일/Reuters]
https://han.gl/WGci2

(충전) 샤오펑, 폭스바겐과 중국서 초고속 충전 네트워크 구축
중국 샤오펑과 폭스바겐은 중국에서 초고속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힘. 양사는 중국에 420개 도시에 2만 개가 넘는 충전소를 구축하여 서로의 고객들에게 개방하여 제공할 계획. 폭스바겐은 지난 23년 샤오펑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지분 4.99%를 보유 중.
[1월 6일/Reuters]
https://han.gl/oE2vY

(가격) 중국 24년 가격 인하 차종 227개, 전년비 148개 증가
CPCA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24년 가격이 인하된 모델은 총 227개(+53% YoY)로 전년 대비 148개 증가하 것으로 나타남. HEV는 가격 인하된 모델이 17개, PHEV는 34개. 가격 인하된 모델의 평균 인하폭은 16,000위안, 즉 8.3% 인하했으며, 주로 2~4월, 7~9월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
[1월 6일/CNEVPOST]
https://han.gl/XMTVp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23:05


원문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22:50


https://m.yna.co.kr/amp/view/AKR20250107005400071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22:47


https://www.reuters.com/world/us-adds-tencent-catl-list-chinese-firms-allegedly-aiding-beijings-military-2025-01-06/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22:21


https://www.coxautoinc.com/news/cox-automotives-2025-outlook-market-growth-improving-affordability-and-higher-buyer-satisfaction-expected-in-year-ahead/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12:59


https://www.metal.com/en/newscontent/103121985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09:28


영국 12월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Jan, 00:19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월 6일, 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채굴) 인도네시아, 니켈 광석 채굴 할당량 검토 중
인도네시아 에너지 및 광물자원부 장관은 니켈의 추가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연간 니켈 광석 채굴 할당량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힘. 인도네시아는 26년까지 매년 2억 4,000만 톤의 니켈 광석 채굴 할당략을 승인했으며, 지난 12월 할당량을 1억 5.000만 톤으로 줄이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된 바 있음.
[1월 3일/MINING]
https://han.gl/t5wfp

(공장) SK온, ESS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추진
SK온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ESS 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해 셀투팩 기술 고도화 등 미래 기술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밝힘. 동사는 기존 ESS 사업부를 대표이사 직속으로 개편하고, ESS솔루션&딜리버리실을 신설함.
[1월 2일/연합뉴스]
https://han.gl/IyG8g

(생산) SAIC-GM-Wuling, 인도네시아서 EV 배터리 생산 시작
SAIC-GM-Wuling 3사 합작사는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한 첫 번째 전기차 배터리를 출고하였다고 발표. 이로써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한 첫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로 등극. Wuling은 24년에 인도네시아에서 13,492대(+27% YoY)의 NEV를 판매함.
[1월 2일/CNEVPOST]
https://han.gl/bKLpy

■ EV 완성차/부품

(판매량) GM, 24년 미국 판매량 전년 대비 4.3% 증가
GM은 24년 픽업트럭 및 SUV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힌입어 연간 전체 자동차 판매량 270만 대(+4% YoY) 기록 4분기 전기차 판매량은 42,000대(+23.8% QoQ) 기록. 모델 별로 Equinox EV 4분기 판매량은 QoQ 85% 증가 했으며, Lyriq의 판매 호조로 Chevrolet의 4분기 매출은 QoQ 17% 증가.
[1월 4일/Reuters]
https://han.gl/KmI2m

(판매량) 리비안, 4Q24 인도량 예상치 상회
리비안의 4분기 인도량은 14,183대로 시장 예상치인 13,472대를 상회, 연간 판매량은 51,579대(+2.9% YoY) 기록. 동사의 24년 연간 생산량은 49,476대(-13% YoY) 기록했지만, 지난 3분기부터 이어진 부품 공급 부족 이슈를 해소하여 연간 생산 목표를 상회.
[1월 3일/Reuters]
https://han.gl/FCTRk

(판매량) 테슬라, 24년 중국 판매량 역대 최고치 기록
테슬라는 24년 중국 판매량 65만 7,000대(+8.8% YoY)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 경신. 반면, 중국산 테슬라의 수출을 포함한 연간 출하량은 916,660대로 전년 대비 -3% 감소, 이는 20년 상하이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한 이래 최초로 마이너스 성장 기록. 이는 유럽 전기차 보조금 감소, 미국 저가 HEV 전환 추세 등으로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1월 3일/Reuters]
https://han.gl/ICrwp

(판매량) 노르웨이서 팔린 신차 10대 중 9대는 '전기차'
노르웨이도로연맹(OFV)에 따르면, 24년 노르웨이에서 신차 판매량은 12만 8,691대 중 전기차가 11만 4,400대로 88.9%(+6.5%p YoY) 차지. 개별 모델 판매량 순위 1, 2위는 모두 테슬라이며, 현대차 코나(11위)와 아이오닉5(19위) 기록. 노르웨이는 휘발유·경유차에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동시에 전기차 전환 유인을 제공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제공 중.
[1월 3일/뉴시스]
https://han.gl/b0hnl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4 Jan, 01:53


[미국 12월 소매판매 종합]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전체: 152.3만대(+4.0% YoY)
 영업일 25일, 전년비 1일 감소
영업일 조정 기준 +8.1%
SAAR(연간조정) 17.2백만대
(+7.3%YoY, +3.1%MoM)

(이하 %YoY)
  HEV: 17.1만대(+44.0%)
    침투율 11.2%
  BEV: 13.5만대(+16.9%)
   침투율 8.9%
  PHEV: 3.2만대(+7.2%)
   침투율 2.1%

▪️현대차그룹 종합
  점유율: 10.5%
(-0.7%pMoM, +0.8%pYoY)

  현대차: 86,657대(+5.7%)
    점유율: 5.7%
(-0.4%pMoM, +0.1%pYoY)
    HEV: 13,807대(+85.0%)
    BEV: 6,839대(+11.8%)

  기아: 73,303대(+21.6%)
    점유율: 4.8%
(-0.3%pMoM, +0.7%pYoY)
    HEV: 7,888대(+81.0%)
    BEV: 4,456대(+26.2%)

▪️인센티브 종합
산업 $3,952(+1%M, +46%Y)
현대차 $2,839(-3%M, +13%Y)
기아 $3,683(-4%M, +103%Y)
// EV 리스 보조금 포함되어
실제 지급분과 차이 있음

▪️주요 업체별 BEV 판매량:
  (*는 그룹 기준)

GM*: 16,351대(+153%)
Nissan: 3,159대(+73%)
Toyota*: 2,296대(+41%)
Ford: 13,091대(+29%)
기아: 4,456대(+26%)
Subaru: 1,165대(+22%)
현대기아*: 11,295대(+17%)
산업평균: 134,805대(+17%)
현대차: 6,839대(+12%)
Tesla: 57,700대(+2%)
Geely*: 1,395대(-22%)
Rivian: 3,795대(-22%)
BMW*: 5,419대(-26%)
VW*: 4,698대(-37%)
Benz: 2,338대(-53%)
VW: 1,363대(-67%)
Honda: 9,733대
Stellantis*: 319대
Lucid: 780대
VinFast: 750대
Tata*: 521대

t.me/automirae
Source: Autodata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15:44


https://www.mining.com/web/indonesia-reviews-nickel-ore-mining-quota-to-steady-price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14:48


https://www.yahoo.com/news/m/074b9400-bdfe-3bd8-b4b1-037f3e50a465/rivian-deliveries-beat-views.html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08:31


[기아 미국 12월 판매]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 전체: 73,303대(+21.6%YoY)
SUV: 55,753대, 비중: 76.1%
(+2.2%P YoY, +0.9%P MoM)

※ 모델별 데이터 (이하 %YoY)

EV9: 1,951대(+75%)
EV6: 2,111대(+69%)
K4/Forte: 11,911대(+24%)
K5: 5,639대(+16%)
Soul: 3,650대(+7%)
Niro: 1,792대(-27%)
Seltos: 3,737대(-16%)
Sportage: 15,427대(+39%)
Sorento: 9,432대(+22%)
Telluride: 12,488대(+32%)
Carnival: 5,165대(+43%)

※ 참고로 미국 주요 시장조사기관 3곳(JD, Cox, S&P)의 전망을 종합하면, 12월 미국 자동차 전체 소매판매는 flat~+3%YoY로 예상됨. 영업일수가 25일로 전년비 1일 감소함. 영업일 조정 기준은 +4~7%YoY, SAAR(연간계절조정)은 +4~7%YoY, flat~+4%MoM으로 양호함

※ 12월 자동차/전기차 판매량 및 인센티브 실제 수치는 한국시각 1월 4일 새벽에 발표될 예정.

자료출처: Kia America
채널링크: t.me/automira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06:41


https://www.reuters.com/world/china/china-will-sharply-increase-funding-treasury-bonds-spur-growth-2025-2025-01-03/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06:35


“헌 제품을 새것으로” 중국 보상 판매 올해도 계속된다

경기 침체에 빠진 중국이 올해도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이어간다. 중국에선 현재 헌 제품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이구환신 정책 일환으로 보상 판매를 실시 중이다. 올해도 각 지역에서 보상 판매 정책을 연장해 내수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는 “중국의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소비를 진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올해 보조금 정책을 연장할 것”이라고 3일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이구환신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기존 내연기관차를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로 바꾸면 2만위안(약 400만원)을 지급하고 있고 가전·가구 등도 보상 판매금을 지원하고 있다.

중국 남부 하이난성 상무부는 전날 웨이신 공식 계정을 통해 올해도 가전제품, 가구와 자동차 교체에 대한 보상 판매 보조금과 구형 전기 자전거 보조금 등을 연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중국 중부 후난성, 동부 장쑤. 남서부 구이저우과 상하이 등 중국 10개 이상의 지역이 올해도 보상 판매 정책을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https://naver.me/5vcp476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05:57


Week Ahead Snapshot
다음 주 주목할 금융시장 이슈(1/6~1/10)
 
팀 위클리 공유드립니다. 다음 주에 주목할 이슈와 연준인사 발언 등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eek Ahead(1/6~10)
https://han.gl/3WhkP
 
*미래에셋증권 선진국 주식전략
https://t.me/mirae_dm
 
S&P500은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12월 고점(12/24) 대비 2.8% 하락(M7 -5.9%, M7 제외 -1.9%). 에너지(+2.2%) 업종은 상승. 12월 ISM 서비스(1/7), 고용지표(1/10) 결과에 따른 금리 하향 안정화 가능성에 주목
 
S&P500 4Q24 EPS 증가율은 +11.6% YoY(3Q24: +5.6%, 1Q25F: +11.5%). 3개월간 4Q EPS 변화율은 -2.5%.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3.9% 상향조정 됐지만 소재(-12.7%), 에너지(-12.1%), 헬스케어(-7.1%)의 하향 조정폭이 확대. M7 중에서는 테슬라, 아마존, 메타, 엔비디아 순으로 이익 모멘텀이 양호
 
금일 예정된 존슨 하원의장 재임명 표결에도 주목. 이탈표가 다수 나왔던 셧다운 표결 이후 트럼프의 영향력을 재점검 해볼 수 있는 기회. 2023년처럼 수일내에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취임 후 트럼프 정책 집행 여부에 의구심이 커질 가능성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Jan, 02:19


https://cnevpost.com/2025/01/03/tesla-sales-china-dec-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4 Dec, 04:54


https://cnevpost.com/2024/12/24/china-ev-insurance-registrations-week-ending-dec-22-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Dec, 12:53


https://www.bnnbloomberg.ca/business/international/2024/12/23/lithium-suppliers-seek-to-rein-in-price-discounts-in-2025-talk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Dec, 11:34


<미국 셧다운 가능성과 시사점>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민주당과 공화당이 합의한 임시 예산안을 트럼프와 머스크가 반대하면서 미국 셧다운 가능성 상승

공화당 하원은 기존 임시 예산안에서 민주당 요구가 포함된 각종 추가 사항을 제외하고, 부채한도를 2년간 유예하는 새로운 임시 예산안을 공개

트럼프는 본인의 임기가 시작하기 전에 골치거리가 될 수 있는 부채한도 이슈를 해결하고 싶은 모습. 실제로 부채한도를 완전히 폐지하는 방안도 지지. 예정대로라면 23년에 유예된 부채한도는 25년 1월 2일부터 적용

그러나 한국 시간 기준 금일 오전 표결에서 과반수 확보에 실패(찬성 174표, 반대 235표). 상당수의 공화당 의원들(38명)도 반대하면서 예산안 최종 통과 가능성 하락. 2명의 민주당 의원은 찬성

공화당은 새로운 안건을 준비중이나 당내 의견 통합에 어려움을 겪는중. 소수의 이탈표를 감안하면 민주당과의 합의도 어느 정도 필요

아직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는 상원 통과 여부도 미지수.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양당 합의안으로 다시 추진하자는 입장

시사점
-셧다운 발생할 경우 주식 시장에 일시적 변동성 발생할 수 있음. 다만 과거 셧다운 발생후 주식 시장 흐름을 참고해 보면, 셧다운 영향이 오래가지는 않을 전망

-트럼프는 부채한도 폐지를 지지 함으로써 임기 중 제약 없이 정책 집행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출했다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번 표결을 통해 하원 Freedom Caucus 그룹이 트럼프의 재정 확장 정책을 제어할 가능성이 제기. 반대한 공화당 의원들 중 약 절반이 해당 코커스 멤버. 최종 투표에서의 반대표도 확인 필요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Dec, 00:53


[미래에셋 김철중]

12월 3주 차
주요 배터리 원재료/소재 가격 추이


데일리 발표되는 중국 스팟 가격으로 업체들의 실제 공급 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ource: ICC Batter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Dec, 00:14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20일, 금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투자) 전기차 시장 무한경쟁에…폭스바겐, 리튬 광산 직접 투자
폭스바겐은 배터리 자회사인 파워코와 함께 캐나다 리튬 채굴 업체인 '패트리어트배터리메탈스'의 지분 9.9%를 4,810만 달러(약 7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를 통해 폭스바겐은 패트리어트배터리메탈스로부터 10년간 매년 10만 톤의 스포듀민 농축액을 공급받을 것으로 전망.
[12월 19일/서울경제]
https://han.gl/zda4w

(충전) 中 CATL, 내년 전기차 배터리 교체소 1천곳 설치, 1만곳 목표
쩡위친 CATL 회장은 배터리 교체와 가정용 충전, 공공 충전이 2030년까지 전기차 배터리의 3대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언하며, 내년에 전기차 배터리 교체소 1천곳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밝힘. 또한 동사는 장기적으로 교체소를 1만 곳으로 늘릴 계획. CATL은 이와 함께 월 369위안(약 7만 3,000원)의 최대 3,000km 주행을 보장하는 구독형 상품도 공개.
[12월 19일/연합뉴스]
https://han.gl/SzITb


■ EV 완성차/부품

(자율주행) 테슬라, 텍사스 오스틴시와 자율주행 기술 논의 중
테슬라는 미국 텍사스주의 오스틴시 정부와 자율주행 기술 관련하여 초기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 텍사스주는 상대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규제가 덜 엄격하며, 동사는 현재 오스틴 지역에서 시범 테스트를 진행 중.
[12월 19일/Reuters]
https://han.gl/e1dGH

(판매량) 중국 12월 NEV 판매량 역대 최고치인 140만 대 전망
CPCA에 따르면, 중국의 12월 NEV 소매판매량은 140만 대(+47.8% YoY, +10.4% MoM)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 이는 5개월 연속 월간 판매량 100만 대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이에 따른 중국 12월 전기차 침투율은 51.9%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
[12월 19일/CNEVPOST]
https://han.gl/cbgYP

(양산) 테슬라 기가상하이, 1월부터 모델 Y 페이스리프트 양산
테슬라 상하이 공장은 1월부터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내·외부, 배터리 용량, 모터 성능 및 자율주행 기능 등이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전망. 이 외에도 동사는 내년 4분기부터 6인승 버전의 모델 Y도 출시할 예정.
[12월 19일/CNEVPOST]
https://han.gl/KY3TP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Dec, 07:25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05093?sid=101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Dec, 05:28


https://electrek.co/2024/12/18/tesla-shanghai-starts-mass-production-of-model-y-refresh-in-jan-says-local-media/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Dec, 00:01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19일, 목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정책) 트럼프 자문위원, 중요 광물 프로젝트의 환경 검토 면제 촉구
트럼프 당선인의 자문위원들은 연방 자금 지원을 받는 중요 광물 프로젝트에 대한 환경 검토를 면제하는 법안을 권고. 트럼프 인수팀의 자문위원들은 중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가환경정책법(NEPA)에 따라 중요 광물 및 배터리 생산에 대한 허가 및 건설 검토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촉구.
[12월 19일/Reuters]
https://han.gl/2yC1P

(관세) 美 흑연 광산업체, 中 경쟁사에 920% 관세 부과 요청
북미 흑연 광산업체들은 미국 정부에 중국 전기차 산업을 견제하는 일환으로 중국 광물 공급업체들에 최대 920% 관세를 부과할 것을 요청함. 미국과 캐나다의 흑연 생산업체로 구성된 미국 활성 양극 소재 생산자 협회(American Active Anode Material Producers)는 미국 상무부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중국이 천연 및 합성 흑연을 미국에 불공정한 가격으로 수출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관세율을 부과할 것을 요청.
[12월 19일/Reuters]
https://han.gl/7bbEY


■ EV 완성차/부품

(정책) 美 EPA, 2035년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안 승인
미국 환경보호청(EPA)는 캘리포니아주의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안 2건을 승인. EPA는 조사결과 주 당국의 전기차 관련 법규와 환경오염 방지의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종전 차량에 관한 별도의 규제가 연방 대기청정법(Clean Air Act)에 저촉되는 것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힘.
[12월 18일/Reuters]
https://han.gl/EOomn

(정책) 캘리포니아, 26년부터 모든 신규 주택에 전기차 충전소 의무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새로운 건축법에 따르면 26년부터 모든 신규 주거 시설에 전기차 충전소 설치를 의무화할 예정. 규제에 따르면 각 세대마다 최소 1개의 전기차 충전 시설을 구축해야 하고, 호텔은 주차공간의 65%, 상업시설은 20%의 주차공간을 전기차 충전 시설로 사용될 것.
[12월 18일/Electrek]
https://han.gl/jf311

(출시) 토요타, 中서 1천만원대 전기차 출시, 저가 경쟁 가속화
토요타는 중국 시장에서 시작가가 10만 위안(약 1,900만 원)인 소형 전기 SUV bZ3X를 공개하고 내년부터 출고를 시작할 예정. bZ3X는 LFP 배터리가 탑재되며, 430 Air+, 520 Pro+, 620 Max 등 세가지 모델로 구성됨. 이번 출시는 중국 저가 전기차에 대응하는 전 세계 완성차 업체가 보급형 전기차를 출시하는 것에 발맞춘 것으로 풀이.
[12월 18일/ZDNET Korea]
https://han.gl/V6KrH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7 Dec, 23:56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18일, 수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협력) LG엔솔, 인도 JSW와 15억 달러 규모 배터리 JV 논의
LG에너지솔루션은 인도의 JSW Energy와 15억 달러 규모의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전기차 배터리 및 ESS 생산을 논의 중이라고 밝힘. 양사는 초기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까지 논의된 바로는 인도에 도합 10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설립할 예정.
[12월 17일/Reuters]
https://han.gl/Twic5

(자금) 호주 흑연 제조업체, 美서 7억 달러 대출 확보
호주의 흑연 제조업체인 Novonix Ltd는 미국 테네시주에 공장을 건서하기 위해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7억 5,500만 달러의 조건부 대출을 승인받았다고 밝힘. 동사는 연간 3.15만톤의 합성 흑연을 생산할 예정이며, 주로 북미의 전기차 제조업체들에게 납품할 계획.
[12월 17일/MINING]
https://han.gl/3feTO


■ EV 완성차/부품

(관세) 캐나다, 내년부터 중국 수입품에 추가 관세 부과
캐나다는 내년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힘. 현재까지 캐나다는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부과하였는데 재무부는 이전 관세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당국은 중국으로 인해 북미 시장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설명.
[12월 17일/Reuters]
https://han.gl/JpB0h

(전략) 혼다, 2030년까지 하이브리드 판매량 두 배로 늘릴 것
혼다는 2030년까지 HEV의 연간 판매량을 130만 대로 23년 대비 두 배 늘릴 계획이라고 밝힘. 이는 BEV가 완전히 보급되기 전까지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 단, 2030년 HEV 판매 목표에 중국 시장은 포함되지 않음. 동사는 26년부터 중소형 모델 대상으로 새로운 HEV 시스템을 설치할 예정.
[12월 18일/Reuters]
https://han.gl/WIjY0

(가격) 유럽 자동차 OEM, ICE 가격 인상하고 EV 가격 인하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르도 등 유럽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내년부터 시행될 CO2 배출 규제에 대비하여 내연기관차 가격을 인상하고 전기차 가격을 인하하는 전략을 채택. ACEA에 따르면 자동차 OEM들은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해 전기차 판매 비중을 현재 13% 수준에서 22%까지 올려야 하는 상황.
[12월 18일/Reuters]
https://han.gl/iiaAl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7 Dec, 07:37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europes-carmakers-discount-evs-hike-petrol-car-prices-new-emissions-rules-loom-2024-12-17/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7 Dec, 04:48


https://cnevpost.com/2024/12/17/china-ev-insurance-registrations-week-ending-dec-15-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6 Dec, 23:56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17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자금) 미국, SK·포드 J/V에 96억 3,000만 달러 대출 확정
미국 에너지부는 SK온과 포드의 합작법인인 블루오벌SK에 96억 3천만 달러의 대출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밝힘. 동사의 테네시주와 켄터키주에 위치한 3곳의 새로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는 데에 자금을 지원할 계획. 동사는 25년에 켄터키 공장의 생산을 먼저 시작하고 25년말에 테네시 공장의 생산을 시작할 계획.
[12월 16일/Reuters]
https://han.gl/Cdtxs

(정책) 트럼프 인수팀, 배터리 소재에 관세 부과 계획
트럼프 인수팀은 전기차 지원을 삭감하고 내연기관 규제를 완화할 것을 요구함. 또한 중국 전기차 산업을 견제하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도록 요구함. 이 외에도 모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하고 동맹국가만 개별적으로 관세 면제를 협상할 것을 권고함.
[12월 16일/Reuters]
https://han.gl/MweUP

(개발) 벤츠·美 연합,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첫 공개
미국의 전고체 배터리 셀 개발업체인 팩토리얼 에너지는 메르세데스-벤츠와 함께 공동 개발한 첫 번째 '솔스티스' 전고체 배터리셀을 공개, 해당 배터리 셀의 용량은 40Ah로 건식 코팅 공정을 적용. 특히 이번에 에너지 밀도를 최대 80%까지 높여 상업적 활용 가능성 제고.
[12월 16일/디지털타임스]
https://han.gl/DxKsH


■ EV 완성차/부품

(관세) 인도네시아, 모든 품목에 대한 VAT 인상
인도네시아는 기존 사치품에만 적용됐던 12%의 부가가치세율(VAT)을 내년부터 모든 품목에 부과하기로 결정.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VAT 인상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최대 25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 당국은 또한 전기차에 대해 기존 세금 인센티브를 연장했고, 하이브리드의 경우 6~12%에 달하는 고급판매세를 3%p 인하하기로 결정.
[12월 16일/Reuters]
https://han.gl/qgz58

(출시) Zeekr, 유럽에서 3번째 모델 출시, 3Q25부터 배송 시작
Zeekr는 유럽에서 세 번째 모델 Zeekr 7X SUV를 유럽에서 출시. 현재 네덜란드,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주문을 받고 있으면 25년 3분기부터 인도할 예정. 해당 모델의 프리미엄 모델은 75kWh의 LFP 배터리 셀이 탑재됐고, 롱레인지 및 퍼포먼스 모델은 100kWh의 NCM 배터리가 탑재됨.
[12월 16일/CNEVPOST]
https://han.gl/dGBpK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6 Dec, 10:11


https://www.ft.com/content/2ca1158f-c14e-48ee-986d-5d797daa48fb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6 Dec, 10:06


https://www.teslarati.com/tesla-cybertruck-foundation-series-inventory/amp/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6 Dec, 04:31


[미래에셋 김철중]

12월 2주 차
주요 배터리 원재료/소재 가격 추이


데일리 발표되는 중국 스팟 가격으로 업체들의 실제 공급 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ource: ICC Batter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6 Dec, 00:04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16일, 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공장) 테슬라, 미국 최초 대규모 리튬 정유 공장 준공
테슬라는 텍사스에 위치한 새로운 리튬 정제 공장이 준공하여 공식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힘. 해당 공장은 미국에서 배터리 등급의 리튬을 제조하기 위한 정유소로, 연간 약 50GWh의 배터리급 리튬을 생산할 것으로 추산.
[12월 15일/Teslarati]
https://han.gl/CLnFl

(공장) 中 Gotion Hightech, 또 유럽·아프리카에 배터리 생산거점
글로벌 8위인 중국 배터리 업체 Gotion Hightech는 15일 '슬로바키아 신에너지 배터리 슈퍼팩토리 투자건설 안건'을 심의하고 통과시켰다고 밝힘. 슬로바키아 공장은 연산 20GWh 규모의 고성능 리튬배터리 생산시설로 총 12억 3,400만유로(약 1조 8,603억원)를 투입. 이는 지난해 6월 가동을 시작한 독일 괴팅겐공장에 이은 유럽의 두 번째 생산기지가 될 예정\.
[12월 15일/디지털타임스]
https://han.gl/CLnFl


■ EV 완성차/부품

(충전) 테슬라, 모델 S 5천달러 가격 인상 후 무료 슈퍼차징 제공
테슬라는 미국에서 모델 S의 가격을 5,000달러 인상, 인상후 Long Range AWD의 가격은 79,990달러. 또한 동사는 모델 S 구매자 대상으로 무료 슈퍼차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힘. 해당 프로모션은 12월 13일 이후 구매자에 한해서 제공되며, 캐나다와 멕시코는 3개월 간 무료 슈퍼차징 제공.
[12월 14일/Teslarati]
https://han.gl/wWL1J

(자율주행) 트럼프 인수팀, 자율주행 차량 사고 보고 의무 규정 폐지 권고
트럼프 당선인의 인수팀은 자율주행 차량 사고 보고 의무 규정 폐지를 권고, 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반대해왔던 규정으로, 해당 규정 폐지될 경우 테슬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현재까지는 NHTSA에 따라 자율주행 시스템 작동 중 자동차 충돌 시 30초 내에 사고 보고를 해야 함.
[12월 15일/Reuters]
https://han.gl/AxsP2

(정책) 미국 EPA,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규정 승인 보류 중
미국의 환경보호청(EPA)는 캘리포니아주의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는 규정에 대한 승인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힘. 캘리포니아는 Clean Air Acrt에 따라 2035년까지 판매되는 신차의 80%가 BEV, 20%가 PHEV 모델이도록 규정하였으며, 트럼프 인수팀은 해당 규정을 폐지하도록 요구한 바 있음.
[12월 13일/Reuters]
https://han.gl/rG1IG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4 Dec, 05:02


https://www.washingtonpost.com/climate-environment/2024/12/13/epa-california-climate-cars-ev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3 Dec, 09:16


https://cleantechnica.com/2024/12/12/residential-energy-storage-installations-hit-all-time-high-in-usa/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3 Dec, 04:03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90&CONTENTS_NO=2&bbsGbn=254&bbsSn=254&pNttSn=222960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3 Dec, 02:40


https://www.autonews.com/manufacturing/automakers/ane-eu-co2-fines-emission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6 Dec, 00:47


-공화당의 Two-Step 예산 조정안 계획-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공화당 상하원 지도부는 트럼프 2기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는 중. 존 툰(John Thune) 상원 원내대표는 Two-Step 절차를 제안
 
트럼프 취임 후 30일 이내 에너지, 이민 분야에 대한 예산 조정안을 빠르게 통과시키고, 감세안은 그 다음에 통과시키려는 계획(Politico, http://bit.ly/3VpfP5U)
 
존슨 하원의원장도 해당 계획에 동의. 그러나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에너지, 이민, 감세 등의 공약들을 한번에 통과시키는 방안을 선호
 
공화당내 감세에 대한 의견차이가 더 큰 만큼 Two-Step 절차로 진행될 경우에 상대적으로 빠른 통과릋 기대해 볼 수 있을 전망

다만 30일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평가되고 있음. 2021년 코로나 부양책도 약 3개월 소요
 
반면 종합 패키지로 진행시에는 지체가 불가피. 특히 하원내 환경을 감안하면 당내 의견차이를 수렴하는 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
 
하원은 결과는 전일 최종적으로 공화당(220석), 민주당(215석)으로 공식적으로 확정. 마지막으로 남았던 캘리포니아주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200표 미만으로 당선
 
220석에서 사임한 의원(Gaetz), 트럼프 행정부 합류 예정 의원들(Stefanik, Waltz)을 제외하면 217대 215석으로 실질적으로 한명의 이탈자도 생기면 안되는 상황
 
25년중 특별선거로 공화당 의석수가 220으로 회복될 경우에도 최대 2명의 이탈자까지만 용인이 가능

트럼프 취임 후 공화당내 불협화음이 커질 경우 트럼프 정책 기대감이 약해질 가능성에 유의. 1월 3일 예정된 하원의장 투표가 단결력을 시험할 수 있는 첫 테스트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5 Dec, 07:52


이는 시장이 두개의 가격대가 형성되거나 전체 시장 가격이 그 수준으로 이동하는 방식일 수 있음

미래의 행정부가 공급망 개발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할지에 달려있을거 같음. 경제적으로 공급망이 개발될 수 있는 가격 수준이 되어야만 이 공급망에서 성공할 수 있음. 이를 위해서는 가격이 그 수준에 도달하여야 함


Q) 최근 리튬 분야에서 M&A 활동이 증가한 가운데, 리오 틴토의 아카디움 인수에 대한 뷰? 리오틴토와 같은 자금력이 풍부한 대형 플레이어가 리튬 산업에 참여하게 되면 어떤 의미가 있을지?

A) 리오틴토는 리튬 분야에 몇 년 동안 관심을 가지고 있어 소규모 투자들을 해왔음. 하지만, 지금 이 사이클에서 더 큰 베팅을 하기로 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님. 그들 입장에서 보면, 이 분야에 대한 오랜 관심을 고려했을 때 타당한 결정.

아카디움 입장에서도 이 인수는 타당. 반드시 필요한 규모나 현금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성장을 위한 규모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 더 자본이 잘 마련된 기업이 이러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음

당사가 취하고 있는 조치들이 이를 가능하게 하고 있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원에 대한 투자를 할 수 있게 해줌. 자원이 바로 지금 돈이 되는 분야. 고품질 저비용 자원에서의 전환에는 큰 수익이 없지만 당사가 보유하고 있거나 Kings Mountain과 같은 신규 자원을 개발할 수 있다면 그것들은 현재 가격에서도 수익성이 있는 프로젝트. 시행한 비용 절감 조치들은 이와 같은 투자를 가능하게 만들었음.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한 부분으로서, 현재 시장에서 도전적인 시기를 겪고 있는 작은 플레이어 사이에서 통합이 이뤄지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님

Q) 가격이 여기서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거나 더 하락한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운영 및 자본 계획 변화?

A) 가격 수준이 $8~9 이하로 하락 시 많은 기존 프로젝트의 경제성은 없게 될 것. 특히, 자원 단계에서의 신규 프로젝트가 아닌 운영 중인 프로젝트들 중심.

비용 곡선이 상향 조정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5,6,10년 전 가격이 $5, $6 이었으니 다시 이 가격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비용 곡선은 다른 상황. 또한, 이 시장에서 요구되는 자원들은 더 높은 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음

현재 이 시점에서 가격이 어느 정도 바닥에 도달. 만약 추가적인 하락 시 가장 큰 조치는 자본을 추가로 축소하는 것. 이렇게 되면 회복에 대응할 능력이 제한될 것. 특히, 자원 개발을 위한 성장 프로젝트들은 이 환경에서 속도를 늦추고 지출을 줄이게 될 것


Q) 가격이 약간 상승한다고 가정 시 Kings Mountain과 South Carolina을 포함한 리튬 프로젝트 개발 및 향후 진행 상황?

A) Kings Mountain 프로젝트는 허가 과정 및 지역 사회와의 관계 구축. 광산 개발을 위한 최종 투자 결정을 내리고 고정 자금을 지출하는 것과는 다름. 또한, 기존 pit 배수 작업도 진행 중. 이 모든 작업들은 몇 년이 걸리는 활동으로 가격 환경이 높든 낮든 지속해서 추진. 최종 투자 결정은 내리지 않았고 최소한 1년은 더 걸릴 것으로 보임

다운스트림인 South Carolina 공장은 서구식 전환과 관련. 경제성은 지금 가격 수준에서 맞지 않음. South Carolina에 있기 때문이거나 Albemarle 공장이기 때문이 아니라 서구에서 이뤄지는 어떤 작업에도 적용. 중국 전환 업체들은 수익성을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더 높아야 함


t.me/miraecy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5 Dec, 07:52


[미래에셋 최유진]
리튬 및 배터리 서플라이 체인 컨퍼런스

Albemarle 주요 질의응답 정리

Q) 리튬 수요?

A) 중국은 확실히 가장 강세. 유럽은 보합 or 하락세. 미국은 여러 어려운 이슈들에도 불구하고 견조.이 산업의 과제는 수요 변화에 따라 공급 초과. 가격이 영향을 받고 있으며 공급이 예상했던 속도로 줄지 않고 있음.

일부 프로젝트는 진행되었지만 이번 사이클에서 기대했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 이로 인해 사이클이 예상보다 낮고 긴 상태가 오래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비용 절감 조치 취하게 되었음. 다만, 현 상황이 장기적 관점을 바꾸지는 않을 것. 정치적 변화 및 수요 조정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에너지 전환은 이미 진행 중이며, 비용이 낮은 자원 및 수직적 통합을 통해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느낌


Q) 비통합 광산 전환 자산이 수익성 없다고 3분기 어닝콜 통해 언급. 또한, 최소한 글로벌 리튬 자원 비용 곡선의 25%가 수익성이 없다고 언급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왜 시장에서 더 많은 공급이 줄어들지 않는지?

A) 초기 산업. 많은 신생 기업들이 최근에 진입하였고 공급이 증가하면서 22년 및 23년에 급속한 확장을 경험한 후 현재 다소 분산된 상태. 이에 따라,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 소요 예상.
현재 시장에서 약 50% 생산능력이 중국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는 점. 중국 업체들은 서구적인 관점에서 기대하는 방식으로, 즉 현금 비용을 기준으로 생산을 조정하지 않을 것임


Q)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공급 중 얼마나 중단되었거나 축소되었는지? 어느 가격 수준에서 공급이 다시 가동될 수 있는지?

A) 25년 잠재적 공급량 중 약 10%~12%가 시장에서 빠져나갈 것으로 추정. 중국 현물 가격은 제품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8~9 수준으로 현재 가장 효율적인 비통합 중국 전환 업체 비용 곡선에 근접. 25%에 해당하는 업체들은 비효율적 전환 업체, 레피도라이트 생산업체, 그리고 시장의 고비용 생산업체들은 BEP를 넘지 못하였음

당사는 모든 공급망을 개별적으로 검토. Talison의 경우, 관련 비용 곡선이 10개 정도 있을 수 있음. 직접 전환 및 외부 업체의 전환 여부에 따라 비용이 다름

서호주 스포듀민 생산업체들은 총 유지비에 포커스. 국제 회계 기준에 보고되는 비용 뿐만이 아닌 실제로 이들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노천 채굴 비용 연기 등) 존재. 여기에 전환비 추가 시 지금 환경에서도 수익성을 내기 어려운 상태

이에 따라, 가격이 상당 수준으로 상승해야만 상황 상쇄 가능. 특히, 서구권 확장 재개하려면 가격이 2배 이상 올라야 함. 공장 건설비 및 운영비는 중국 지역보다 훨씬 비싸고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


Q) 중국 레피도라이트 업체의 생산 지속 요인?

A) 최근 몇 달 동안 약 50% 미만의 가동률로 운영되고 있으며 잠재적인 생산 능력의 약 30% 정도만 줄어든 상태. 일부는 생산 중단되었지만, 이는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가동능력. 이러한 운영자들 및 해당 공급망에 통합된 기업들이 보이는 움직임은 아프리카 스포듀민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레피도라이트 생산을 점진적으로 축소. 레피도라이트는 고비용 및 비환경적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에서 공급 보안 유지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 EV 산업과 관련하여 중국 경제에 중요한 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손실을 보면서도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실질적으로 보조금을 받아 생산을 유지하고 있음


Q) 얼마나 많은 미래의 생산능력이 연기되거나 축소되었는지? 인센티브 가격이 현재의 2배 수준으로 $1만~2만 정도인데, 이 가격이 공급이 재개되기 위한 인센티브 가격이라고 볼 수 있는지?

A) 프로젝트에 따라 다르겠지만, 생산이 많이 중단된 상태. 전환 가능한 자원의 가용성이 실제로 공급량을 좌우한다는 점. 중국은 전환 생산능력이 과잉 상태.

약 10%~20% 공급이 시장에서 빠졌고, 이는 약 10만 톤에 해당. 앞으로 더 많은 공급이 줄어들어야 할 필요 있음. 예를 들어, 호주의 몇 프로젝트가 있음. Finnis와 같은 프로젝트가 중단되었고, Mt.Marion과 같은 다른 프로젝트들은 가동을 조정하고 있음

이들 프로젝트의 총 유지비는 스포듀민 현물 가격인 700~800/톤 수준으로 하락. 이에 따라, 현 가격이 유지된다면 U자형 회복 예상. 가격은 현재 바닥 수준에서 변동할 가능성이 있지만 더 많은 생산능력이 줄어들어야 함. 서구 운영자들은 손실을 감수하며 지속할 수 있는 기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결국 중단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


Q) 24년 리튬 수요 130만톤 ➡️ 30년 300만 톤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현재 글로벌 시장의 변화 감안 시 300만 톤 이상의 전망에 대한 리스크 요인?

A)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화 전환. PHEV는 중국,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행거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 이로 인해 차량 라인업에 PHEV 차량이 추가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완전히 전개되지는 않았음

중국에서는 PHEV가 EV수요를 잠식하지 않았다는 점은 흥미로움. PHEV에 대한 수요는 추가적인 수요로 작용하여 EV성장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음. 이는 EV의 kwh 당 비용 및 주행거리 불안이 주요 문제로 작용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수요

또한, kwh 당 $100라는 전환점에 도달하는 시점에 주목. 중국은 이미 달성된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시장도 몇 년 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이렇게 되면 EV가 ICE와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되고, 주행거리 및 충전 인프라는 점차 개선. 미국보다 다른 지역에서 더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상황

PHEV조차도 배터리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음. 중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주행거리 연장형 차량(ERV)은 순수 전기차 배터리만큼 크지는 않지만 40~50Kwh 정도로 대부분의 PHEV보다 훨씬 큰 배터리 탑재되고 있음

이 모든 요소들이 성장 동력을 만들어낼 것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전망 유지. 보조금은 단기적인 촉진제 역할을 하지만 이미 중국 및 유럽에서는 크게 축소되었음. 결국, 배터리의 경제성이 개선되면 보조금의 중요성은 줄어들고, 경쟁력 있는 비용 구조가 EV채택을 주도하게 될 것


Q) 미국의 보조금 철회 가능성 존재. 트럼프 정권 하의 EV 시장에 대한 초기 영향?

A) 두번째 임기 동안의 정책이 어떻게 될지 모니터링. 첫번째 임기에서는 중요 광물에 대해 지지적이었고, 당시는 EV 성장 과정이 지금과는 다른 단계에 있었음. 현재는 상황이 달라 예측 불가능

당사는 양당과 협력하는 정책 및 관행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가 퇴임하든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든 각 대통령의 의제에 중요한 부분을 지원하면서도 회사에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준비.

부정적인 관점에서 생각해 본다면, 수요에 대한 리스크 존재. 미국은 세 주요 EV시장 중 가장 작은 시장이기 때문. 물론 미국은 당사 본사가 위치한 곳이라 중요한 시장이나 주요 성장 시장인 아시아 및 유럽에 포커스. 이에 따라, 지켜보고 변화를 맞이할 준비 중


Q) 당사 모델을 기반으로 시장이 균형을 이루고 공급이 부족해지는 시점은?

A) 예측하기 어려움. 공급이 수요에 맞춰 조정되는 시점에 따라 달라질 것. 일부 감산이 빠르게 이뤄지면 당사가 예상하는 수요 전망을 고려했을 때 더 빨리 그 시점에 도달할 수 있음. 이는 U자형 회복 의미. 다만, 생산능력이 축소되지 않으면 더 긴 U자형 회복, 즉 U의 바닥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이는 V자형 회복과는 다름


Q) 향후 몇 년 간의 가격 전망?

A) 지나치게 낙관적이지 않으려 함. 현재 가격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성장을 위한 투자도 계속할 수 있다고 보고 있음. 당사가 최근 큰 자본 지출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부 자본을 새로운 자원 개발인 Kings Mountain 및 남미 DLE 개발, Talison 확장에 투자 중. 이는 당사가 사이클의 바닥을 지나면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

이 시장이 건강해지려면 가격이 2배 이상 상승해야 함. 특히, 지난 몇 년 동안 언급했던 서구로의 전환을 추진하려면, 가격이 그 수준에 도달해야만 함.


t.me/miraecy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5 Dec, 00:12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5일, 목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투자) EU·EIB,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10억 달러 투자 계획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와 유럽투자은행(EIB)이 합작으로 유럽연합의 배터리 생산 부문의 투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공식 성명을 발표. 이들은 유럽 혁신기금(IF)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셀의 생산에 10억 유로(약10.5억달러, 1조 4,922억 원)를 지원하고, 이 기금에서 투자 계획에 필요한 차관을 추가로 2억 유로(약 2,984억원) 더 지원할 예정.
[12월 4일/뉴시스]
https://han.gl/heiLN

(전망) BofA "리튬, 공급과잉에 내년 약세장 심화 전망"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내년 리튬 가격 약세장이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 고비용 리튬 생산업체들이 시장에 신규 공급이 증가해도 가동을 중단하고 있지 않아 27년까지 배터리 광물이 공급 과잉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BofA의 내년 리튬 가격 전망치는 톤당 750달러로 25% 하향 조정하고 26년 전망치는 800달러로 절반 이상 하향 조정.
[12월 4일/연합인포맥스]
https://han.gl/j7vf4


■ EV 완성차/부품

(출시) 테슬라, 사이버트럭 중국 판매 일정 없다고 밝혀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이 곧 중국에서 출시될 것이라는 추측에 대해 부인하며, 중국에서 판매할 계획이 없다고 밝힘. 중국에서 픽업트럭 차량에 대한 규정과 차체 안전 규정 등으로 인해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을 조정하는 데 상당한 비용을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판매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
[12월 4일/CNEVPOST]
https://han.gl/O2hlg

(판매) 포드, 11월 전기차 판매 호조 기록
포드는 11월 BEV 판매량 10,821대(+21% YoY) 기록, 모델별로 F-150 라이트닝 판매량은 3,643대(-17% YoY), Mach-E 모델은 5,938대 판매 기록. E-transit은 1,240대(+358%) 판매하며 동사의 전체 판매량 견인. 동사는 현재 72개월동안 무이자 및 5,000달러 인세티브 지급 등 여러 프로모션을 제공 중.
[12월 4일/Electrek]
https://han.gl/3MATc

(자금) GM, 중국 합작 사업으로 50억 달러 비용 발생
GM은 중국 합작 사업으로 50억 달러 이상의 비현금성 비용을 기로할 예정. 구조조정으로 26~29억 달러, 합작투자 가치 감소로 27억 달러 비용이 발생. 동사는 애널리스트 컨퍼런스에서 현재 구조조정 노력이 마지막 단계에 진입해 있다고 밝히며, 내년에 중국에서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12월 5일/Reuters]
https://han.gl/UMrF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4 Dec, 09:03


[Issue comment] 한국 정치 불안 대응 전략(12/4)_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이슈 전개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예상 가능: 1) 조기 대선 시행, 2) 정치적 교착 상태 장기화

*정치 불안 국면이 단기간 내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며, 달러환율은 당분간 높은 레벨에서 등락하는 흐름을 예상

*환 변동성에 따른 금리 조정 국면 예상. 연말~연초 국채금리 반락 시 원화채권 포지션은 일부 차익실현 전략을 추천

*FX시장 안정 회복 후 채권 포지션 확대 추천. 내년 상반기 금통위 금리 인하 기조 고려하면 국내 금리 추세적 상승 가능성 낮다고 판단

*금일 코스피 확정실적 기준의 PBR은 0.87배까지 하락. 현재 밸류에이션 수준에서 추가 하락 가능성보단 높은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전망. 트럼프 정책 이슈, 국내 기업 펀더멘탈 부진 지속

*1번 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빠르게 해소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탄핵으로 갈 경우에는 16년 사례에서도 확인됐듯이, 최종 결정까지 3개월 정도로 시간이 다소 소요

*16년 말~17년 조기 대선 사례에는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된 시점부터 수출 회복 흐름에 힘입어 상승세 재개. 그러나 현재는 국내 기업들의 수출 둔화와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국면으로 대내외 펀더멘탈 환경이 부정적

*4분기 실적 시즌인 내년 1~2월까지 이익모멘텀 개선 가능성은 없고, 원화 약세 압력 지속으로 외국인 순매수세도 당분간 제한

*국내 정치 불확실성에 더해 트럼프 정책에 대해 안도할 국면은 아님. 내년 트럼프 취임전까지는 수출과 서비스 업종을 적절히 안배하는 포트폴리오가 유망. 내년 실적 회복이 기대되는 조선, 전력기기 업종과 무역 분쟁 이슈에서 자유로운 IT 서비스, 엔터, 인터넷/게임, 헬스케어 업종이 해당

*더불어 트럼프 취임 이후 정책 불확실성 해소와 4분기 실적 발표 전후 기업들의 이익모멘텀 안정화를 기대. 물가/환율/금리 방향성은 기업 마진에 우호적. 내년 2월 이후 12개월 선행 EPS는 완만하게 우상향하는 흐름 예상. 제조업 경기 회복 기대에 따라 주식 시장 회복을 기대하는 기존 전망 유지

[Issue comment] 한국 정치 불안 대응 전략(12/4)
https://han.gl/EdXM3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자료 마지막 부분에는 저희 하우스 섹터애널리스트들의 업종별 영향 코멘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4 Dec, 01:17


https://cnevpost.com/2024/12/03/china-nov-nev-wholesale-1-46-million-cpca-estimate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4 Dec, 00:27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4일, 수요일)

■ 배터리 셀/소재

(수출) 중국, 미국에 갈륨, 게르마늄 등 중요 광물 수출 금지
중국 상무부는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의 미국 수출을 금지한다고 발표. 갈륨과 게르마늄은 반도체 산업에 상용되는 품목이며, 안티몬은 흑연의 가장 큰 구성 요소.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에 니켈, 코발트 등 기타 중요 광물을 타깃으로 삼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12월 4일/Reuters]
https://han.gl/Jhw5j

(수출) 中, 구리제품 수출 환급세 폐지, 'K-동박' 입지 커진다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대상으로 혜택을 주던 구리 제품 '수출 환급세' 정책을 폐지하면서 국내 관련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전망 제기. 구리 반제품과 알루미늄 반제품 수출에 적용됐던 최대 13%에 달하는 보조금이 폐지되는 것. 장기적으로 중국 업체가 진출해 있는 동박 시장을 재편해 국내 업체에 대한 입지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
[12월 3일/글로벌이코노믹]
https://han.gl/eQGG1

(수급) 포르투갈, 리튬 입찰 25년에 실시할 계획
포르투갈정부는 오랫동안 지연되어 온 리튬 탐사 라이선스 입찰을 25년에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전 사회당 정부는 본래 18년에 경매를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리튬 채굴 환경 등으로 여러 차례 연기된 바 있음. 포르투갈 환경부 장관은 중국으로부터 핵심 광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입찰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힘.
[12월 4일/Reuters]
https://han.gl/B1aIt


■ EV 완성차/부품

(판매) 테슬라, 11월 중국산 EV 판매량 전년비 4.3% 감소
CPCA에 따르면, 11월 테슬라의 중국산 전기차 판매량은 78,856대(-4.3% YoY, +15.5% MoM) 기록. 모델별로 중국산 Model 3과 Model Y의 배송량은 전월 대비 15.5% 증가. 테슬라는 일부 Model 3 및 Model Y 차량에 대해 최대 5년 무이자 할부 기간을 한달 더 연장해 12월 말까지 적용하기로 함.
[12월 3일/Reuters]
https://han.gl/HXHlc

(판매) 기아 주주환원율 35% 도입, EV 판매 목표 후퇴 없어
기아가 현재 30% 수준인 주주환원율(TSR)을 내년부터 35%로 끌어올리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발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EV 판매 목표치를 수정하고 있는 가운데 기아는 2030년 친환경차 비율 58%라는 목표치를 유지했으며, EV 판매 비중으로는 국내시장 41%, 북미 40%, 유럽 79%, 중국 53%를 목표로 함.
[12월 3일/매일경제]
https://han.gl/kfHyl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Dec, 23:26


[미국 11월 소매판매 종합]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전체: 136.9만대(+10.2% YoY)
 영업일수 26일, 전년비 +1일
영업일 조정 기준 +6.0%
SAAR(연간조정) 16.7백만대
+7.6%YoY, +3.0%MoM

(이하 %YoY)
  HEV: 15.8만대(+46.0%)
    침투율 11.6%
  BEV: 12.1만대(+17.6%)
   침투율 8.8%
  PHEV: 2.6만대(+9.6%)
   침투율 1.9%

▪️현대차그룹 종합
  점유율: 11.3%
(+0.3%pMoM, +0.4%pYoY)

  현대차: 84,011대(+10.4%)
    점유율: 6.1%
(+0.2%pMoM, flat%pYoY)
    HEV: 14,251대(+114.1%)
    BEV: 7,205대(+60.0%)

  기아: 70,107대(+20.2%)
    점유율: 5.1%
(flat%pMoM, +0.4%pYoY)
    HEV: 7,517대(+68.0%)
    BEV: 4,361대(+80.6%)

▪️인센티브 종합
산업 $3,902(+4%M, +53%Y)
현대차 $3,036(+10%M, +15%Y)
기아 $3,832(+7%M, +156%Y)
// EV 리스 보조금 포함되어
실제 지급분과 차이 있음

▪️주요 업체별 BEV 판매량:
  (**는 그룹 기준)

GM그룹*: 15,654대(+164%)
Nissan: 2,752대(+103%)
기아: 4,361대(+81%)
현대기아*: 11,566대(+67%)
현대차: 7,205대(+60%)
Ford: 10,821대(+21%)
산업평균: 120,740대(+18%)
Toyota*: 2,243대(+11%)
Tesla: 51,513대(-3%)
Honda: 8,140대(신차)

t.me/automirae
Source: Autodata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Dec, 08:00


[기아 미국 11월 판매]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 전체: 70,107대(+20.2%YoY)
SUV: 52,724대, 비중: 75.2%
(+3.9%P YoY, +2.3%P MoM)

※ 모델별 데이터 (이하 %YoY)

EV9: 2,155대
EV6: 1,887대(+46%)
K4/Forte: 11,005대(+12%)
K5: 6,378대(+25%)
Soul: 4,031대(+12%)
Niro: 1,624대(-31%)
Seltos: 3,778대(-10%)
Sportage: 14,051대(+28%)
Sorento: 8,705대(+27%)
Telluride: 11,568대(+31%)
Carnival: 4,925대(+45%)
Total: 70,107대(+20%)

※ 참고로 미국 주요 시장조사기관 3곳(JD, Cox, S&P)의 전망을 종합하면, 11월 미국 자동차 전체 소매판매는 +6~11%YoY로 예상됨. 영업일수가 26일로 전년비 1일 증가함. 영업일 조정 기준은 +2~7%YoY, SAAR(연간계절조정)은 +3~8%YoY, -1~+2%MoM으로 양호함

※ 11월 자동차/전기차 판매량 및 인센티브 실제 수치는 한국시각 12월 4일 새벽에 발표될 예정.

자료출처: Kia America
채널링크: t.me/automira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Dec, 06:15


https://cnevpost.com/2024/12/03/china-ev-insurance-registrations-week-ending-dec-1-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Dec, 04:54


https://www.fleeteurope.com/en/new-energies/europe/article/european-commission-will-propose-law-electrify-corporate-fleets?a=FJA05&t%5B0%5D=Electrification&t%5B1%5D=Legislation&curl=1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3 Dec, 00:42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2월 3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

(지분) LG엔솔, 美미시간주 배터리공장의 GM 합작 지분 인수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얼티엄셀즈 3공장의 GM의 지분을 인수한다고 밝힘. GM은 이번 지분 매각으로 10억 달러 투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내년 초에 지분 매각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 오하이오와 테네시에서 배터리 공장을 운영하는 합작법인 Ultium Cells의 소유권 지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
[12월 3일/Reuters]
https://han.gl/RgZ2Z

(개발) LG엔솔, 美 GM과 각형 배터리 개발, 3대 폼팩터 업계 유일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각형 배터리 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개발되는 각형 배터리는 향후 GM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라고 밝힘. 동사는 각형 배터리 개발 계획을 공식함으로써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 등 업계 유일한 ‘3대 폼팩터’ 전략 체계를 갖추게 된 것.
[12월 3일/ZDNET Korea]
https://han.gl/RgZ2Z

(자금) 美,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법인에 10조5천억원 대출지원
미국 에너지부는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합작법인에 대해 최대 75억 4천만 달러의 대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힘. 해당 대출은 인디애나주에 스타플러스에너지의 LFP 배터리 및 모듈 공장 건설을 지원하기 위함으로, 향후 전기차 67만대에 해당하는 연간 67GWh 규모의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
[12월 3일/연합뉴스]
https://han.gl/GYNmz

(생산) CATL, 유럽에서 배터리 생산 확대
판지안 CATL 부회장은 유럽에서 배터리 생산과 관련한 소식을 곧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힘. 동사는 현재 독일 튀링겐에서 연간 14GWh 캐파를 갖춘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헝가리 데브레첸에도 최대 100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이 25년 가동을 목표로 건립되고 있는 중.
[12월 2일/Business Post]
https://han.gl/xb9Cx

■ EV 완성차/부품

(가격) 테슬라, 사이버트럭 리스 가격 인하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의 리스 가격을 10% 이상 인하, 인하 후 AWD 모델 가격은 36개월간 월 899달러. Tri-motor Cyberbeast 모델은 36개월간 월 999달러. 동사는 최근 리스 할인 등 구매 촉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사이버트럭 4~5만 대 인도한 것으로 파악.
[12월 2일/Electrek]
https://han.gl/ujKmb

(출시) BYD, 태국에서 Sealion 07 출시
BYD는 태국에서 전기 SUV 모델 Sealion 07을 출시하며 동남아 지역에서도 SUV 판매 확대. 태국에서 Sealion 07은 두 가지 트림으로 판매되며, 프리미엄 후륜구동 버전은 33,380달러부터 시작하고 퍼포먼스 사륜구동 버전은 36,195달러부터 판매 시작.
[12월 2일/CNEVPOST]
https://han.gl/7DCsb

(자율주행) 현대차·아마존 죽스 첫 협력, 탄력 붙는 자율주행 동맹
현대자동차가 아마존 자율주행 자회사 죽스(Zoox)와 로보택시 협력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파악. 현대차가 구글 자회사 웨이모에 이어 죽스를 자율주행 파운드리 고객으로 확보할 지 주목되는 상황. 죽스는 로보택시 사업 확대를 위해 현대차에 전기 기반 목적기반차량(PBV) 제작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짐.
[12월 2일/전자신문]
https://han.gl/5Jg4p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2 Dec, 21:56


https://electrek.co/2024/12/02/tesla-decreases-lease-prices-on-cybertruck/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2 Dec, 21:52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393687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2 Dec, 21:52


2024년 11월 중국 전기차 주요 브랜드 판매량

비야디는 2개월 연속 50만대 이상 판매 기록.


신흥브랜드 중 LEAP MOTOR와 샤오펑 성장세 뚜렷.
특히 샤오펑은 처음으로 월간 판매 3만대 돌파. 8월 출시한 저가형 모델 MONA M03이 3개월 연속 1만대 판매 돌파하며 판매량 증가 견인.

샤오미도 2개월 연속 2만대 이상 기록. 올해 전체 13만대가 목표. (12월에 약 3만대 가까이 팔아야 목표달성 가능)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2 Dec, 14:40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proposes-754-billion-loan-stellantis-samsung-sdi-battery-joint-venture-2024-12-02/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02 Dec, 14:34


https://www.energy.gov/lpo/articles/lpo-announces-conditional-commitment-starplus-energy-construct-lithium-ion-batter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Nov, 12:30


https://cnevpost.com/2024/11/21/cpca-expects-china-nov-nev-retail-1-28-million/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Nov, 08:53


[미래에셋 김철중]

유럽 10월 판매
BEV 169,525대 (+6.9% YoY)
PHEV 82,836대 (-7.2% YoY)
HEV 346,548대 (+15.8% YoY)
가솔린 316,618대 (-10.7% YoY)
디젤 100,863대 (-8.0% YoY)

1~10월 누적
BEV 1,602,711대 (-1.7% YoY)
PHEV 777,330대 (-4.1% YoY)
HEV 3,354,815대 (+18.9% YoY)
가솔린 3,654,502대 (-6.1% YoY)
디젤 1,157,973대 (-11.3% YoY)

Source: ACEA

t.me/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Nov, 05:59


2024년 10월 18일, SEMCORP America Inc.는 코팅된 폴리에틸렌 미크로포러스 시트의 원산지 판정을 요청했다. 이 제품은 전기차 배터리 분리기로 사용되는 고성능 코팅 분리기로, 중국에서 가공된 폴리에틸렌 시트에 헝가리에서 코팅이 추가된다.

원산지 표기 법률(19 U.S.C. 1304)은 수입되는 모든 외국산 제품에 원산지를 명확히 표시할 것을 요구한다. 원산지는 제조, 생산, 재배된 국가를 의미하며, 추가 가공이 제품의 이름, 특성, 용도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경우 가공 국가가 원산지로 간주된다. Texas Instruments Inc. v. United States 판례에 따르면, 제품이 이전과 다른 특성이나 용도를 가지면 실질적 변형이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해당 사항제품은 중국에서 폴리에틸렌 분말을 항산화제와 파라핀 오일을 혼합해 압출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해 기공을 만들어 미크로포러스 시트를 만든다. 이후 이 시트는 헝가리로 수송되어 전용 코팅이 적용된다. 헝가리에서의 코팅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여러 폴리머 바인더와 세라믹을 포함한 혼합물로 코팅된다. 코팅 후 시트는 건조와 냉각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완성된다.

코팅된 미크로포러스 시트와 코팅되지 않은 시트는 동일한 기능인 전기차 배터리 분리기로 사용되며, 미국 조화세관품목분류표(HTSUS)에서 서로 다른 제품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따라서 헝가리에서의 코팅은 제품을 실질적으로 변형시키지 않으며, 원산지는 중국으로 판정된다.

제99장 제20주석에 따라, 중국에서 제조된 제품은 3921.19.0000 항목으로 분류되며, 25%의 추가 세금이 부과된다. 수입 시 9903.88.02 코드도 함께 신고해야 한다. HTSUS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므로, 관련 법률과 규정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헝가리에서의 코팅은 성능 향상을 제공하지만, 원산지는 여전히 중국이다. 이 판정은 현재 제공된 정보에 기반한 것이므로, 향후 사실에 변동이 있을 경우 **미국 세관(CBP)**에 새로운 판정을 요청해야 한다.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Nov, 00:29


https://cnevpost.com/2024/11/20/china-nev-retail-581000-nov-1-17-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Nov, 00:23


SQM 주요 질의응답 정리

Q) 타 업체 대비 올해 판매 가이던스 19만~19.5만톤 유지. 가격 하락 지속에 따른 내년 감산 가능성? 업계 전체가 감산하지 않으면 가격 회복이 가능한지?

A) 올해는 약 195,000톤에 가까운 판매량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 그리고 내년 감산 계획은 없음. 생산 증가에 맞춰 판매량도 늘릴 계획

Q) 호주의 전반적인 상황? Mt.Holland 스포듀민 생산량 확대하는데 이번 분기에 판매가 있었는지? 가공 시설 가동이 임박한 상황에서의 가이던스 및 해당 프로젝트 수익성?

A) 5.5% 리튬 산화물 함유량의 스포듀민 농축액 약 11만~13만 생산 예정. 내년에도 생산량 확대 예정이며 지난 몇 달 동안 월간 생산량 꾸준히 증가. 가공 공장은 증설 완료. Kwinana 정제 시설 시운전 시작하였으며 수산화리튬 5만톤의 생산능력 확보. 1H25 양산 계획 유지

Q) 25년 리튬 시장 전망? 재고 축적 및 신규 공급 시기?

A) 글로벌 리튬 수요 강세 유지 예상. 올해 수요는 110만톤(+20% YoY) 예상. 향후 10년 동안 리튬 수요는 약 300만톤 예상되며 5개년 연평균 성장률 16~18%. 주요 동력은 전기차 시장. 글로벌 리튬 수요의 70% 이상이 EV에 집중되어 있으며 10년 후에는 약 80% 이상일 가능성 높음

현재 EV보급률은 약 20% 수준이며 30년까지 약 50% 예상되는데, 중국 비중은 약 80%. 현재 EV 침투율은 약 20%이며 30년까지 약 50% 예상. 24년 글로벌 EV판매량은 7천만대 중 중국 EV판매량은 1.1천만대 초과 예상.

공급 측면에서는 수요에 맞춰 성장 예상. 다만, 일부 경쟁사들이 발표한 신규 프로젝트는 현 가격 수준이 유지될 경우 진행이 느릴 가능성 있음

Q) Codelco와 계약 업데이트?

A) 예상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모든 조건 충족 시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

Q) 분기별 판매량은 감소하는데 생산량은 증가되고 연간 판매량 가이던스도 유지. 4분기 판매량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올해 예상되는 생산 수준 및 향후 생산-판매 잠재적 격차?

A) 칠레 염호 생산량 약 21만톤. 이 중 18만톤은 안토파가스타에 있는 화학 공장에서 생산, 나머지 3만톤은 중국 Dixin 공장에서 생산. 여기에 제 3자와 체결한 일부 톨링 계약 포함. 25년은 약 23만톤 생산 계획이며 대부분은 칠레 화학 공장에서 생산되고 나머지는 중국에서 처리될 예정. 판매는 생산량 증가에 맞춰 조정될 예정. Mt.Holland 생산량은 11-13만톤. JV 형태로 각 파트너가 50% 보유. 내년 예상 생산량은 16만-19만톤

Q) 3Q24 판매량 5.1만톤 중 리튬 비중?

A) 수산화리튬 900톤. 4분기는 1천~1.2천톤 예상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Nov, 23:52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1월 21일, 목요일)

■ 배터리 셀/소재

(공급) LG화학, 美 엑슨모빌에 리튬 공급, 최대 10만톤 확보
LG화학은 세계 최대 석유·에너지 기업인 미국의 엑슨모빌과 탄산리튬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협약으로 엑슨모빌로부터 탄산리튬을 30년부터 최대 10년간 10만톤의 물량 확보, 협약에 따라 엑슨모빌은 미국 텍사스 아칸소주 리튬 염호에서 생산된 리튬을 LG화학 테네시 공장으로 공급, LG화학은 공급받은 리튬으로 양극재를 생산 예정.
[11월 21일/연합뉴스]
https://han.gl/bJUPa

(가격) 11월 20일 리튬 선물 및 현물 시장 모두 급등
20일 에너지 금속 부문은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지수의 일중 상승률은 8%를 상회함. 탄산리튬 선물 중 가장 상승폭이 큰 계약은 3.96% 상승한 82,650위안/톤 마감. 현물 시장의 탄산리튬 가격은 19일 마감 기준 10월 25일 최저치 대비 7% 상승함. SMM에 따르면, 현재 리튬 수요 증가세 및 해외 광산의 생산 감축 소식에 가격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
[11월 20일/SMM]
https://han.gl/n7p6i


■ EV 완성차/부품

스텔란티스, 이탈리아 공장 다시 중단
스텔란티스는 이탈리아에 위치한 엔진 공장과 Cassino 자동차 공장 생산 중단 발표. 전기차 수요 부진 및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 재고 증가 등 여러 어려움들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 동사는 지난 주 노조와의 회담에서 공장 폐쇄 및 대규모 감원은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음.
[11월 20일/Reuters]
https://han.gl/h6cLj

(정책) 인도, 2030년 EV 전환 목표 HEV 우회로 추가
인도의 모디 행정부는 30년까지 전체 자동차 판매량 중 BEV의 판매량이 30% 이상 달성하는 목표를 세운 바 있는데, 최근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당국은 BEV 전환 목표를 도달하기 위해 HEV0 전략을 추가. 이에 3만 달러 미만의 신형 HEV에 대한 도로세와 등록세를 인하할 계획.
[11월 20일/Reuters]
https://han.gl/S5Xai

(무역) 시진핑, 독일 숄츠 총리에 EU 관세 관련 도움 요청
중국 시진핑 주석은 독일의 올라프 숄츠 총리에게 독일이 EU와 중국간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힘. 중국은 G20 회담에서 당국이 독일과 협력하여 전반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합"할 준비가 되었다고 밝히며, 해당 사안에 대해서도 독일이 중요한 역할을 해내길 바란다고 밝힘.
[11월 20일/Reuters]
https://han.gl/KpvLA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Nov, 23:32


[미래에셋 최유진]
SQM 3Q24 실적발표 정리

3Q24 Review

매출액 $1.0bn (-17% QoQ, -41% YoY)
조정 EBITDA $327mn (-18% QoQ, -57% YoY)
조정 EBITDA 마진 30% (-2% QoQ, -27% YoY)

리튬 부문

- 판매량 5.2만톤으로 증가 (+18% YoY)
- 평균 판매 가격 $9.7kg (-67% YoY) 하락

리튬 매출 지역별 비중(지난 1년 기준)

- 아시아 및 기타: 92%
- 북미: 5%
- 유럽: 3%

24년 글로벌 리튬 시장 전망

- EV 판매량 +20% YoY 증가에 따른 글로벌 리튬 수요 또한 약 +20% 증가 예상
- 리튬 및 배터리 소재 공급과잉 지속 예상

SQM 리튬 가이던스
- 판매량: 19만 ~ 19.5만톤
- 가격: 대부분의 판매 계약은 시장 가격 지수에 연동되어 있어 4Q24에는 가격 압박이 평균 실현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 예상

생산능력 & Capex
- 25년 말 기준 생산능력: 30.5만톤
- 2024~2025년 Capex: $1.7bn. 연간 유지보수비 $70mn 포함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Nov, 23:32


SQM 3Q24 어닝자료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Nov, 08:45


https://news.metal.com/newscontent/103049354/Lithium-carbonate-futures-and-spot-markets-along-with-lithium-sector-in-stock-market-soared-across-the-board%C2%A0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Nov, 08:01


[미래에셋 김철중] 2차전지 2025년 연간 전망
 
[위기회(危機會)]
 
■ 2차전지 투자 요약: 위기회(危機會)

- 미국 대선 결과는 한국 2차전지 섹터에 부정적임은 분명하나, 당사는이미 섹터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는 제한적이라고 판단. ‘예산안 조정’을 통한 EV 보조금 및 AMPC 축소도 상/하원의 동의가 필요한 시스템이므로 오랜 기간의 합의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 단기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주가 변동은 유효하나, 실제로 업황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확인이 필요. 특히, AMPC의 폐지는 공화당 내부 뿐만아니라 기 투자된 글로벌/미국 업체들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
 
- Tesla(4680), LFP 사업 확장 여부, 대 중국 관세 수혜 여부 등 감안하여 Top Pick을 선정. Top picks는 LG에너지솔루션(목표주가 51만원), 엘앤에프(목표주가 15만원), CATL(목표주가 380위안).

- 차세대 소재(최유진 연구위원)에서는 대주전자재료, 배터리 장비(박준서 연구위원)에서는 피엔티를 추천.

- 어려운 구간이 지속되고 있지만, 25년 중적자생존 구간이 마무리되며 선발업체 중심의 시장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판단.
 
■ 수요 전망: EV/ESS

- 당사는 최근의 극단적인 우려에도 25년 긍정적인 글로벌 EV 수요 전망을 제시. 25년 글로벌 EV 판매량은 2,017만대(+19% YoY), 시장 별로 중국 +13% YoY, 유럽 +26% YoY, 북미 +30% YoY, 기타 +32%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당사는 1)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 변화 통과되더라도 25년 중 시작되기 어렵다고 판단하며, 보조금 불확실성은 오히려 수요의 Pull-in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2) 금리 민감도가 높은 미국 시장 특성상오토론 금리 하락도 수요에 긍정적 요인이며, 3) Tesla의 신규 세그먼트EV 출시도 기대.

- 글로벌 EV 배터리 수요는 1,088Gwh(+28%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산업 평균 성장률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영역은 1) 유럽LFP(+63%), 2) 기타 시장 LFP(+50% YoY), 3) 북미 하이니켈(+45% YoY).
 
- 글로벌 하이니켈 배터리는 24년 성장이 없었던 유럽 시장의 25년 수요회복(유럽 하이니켈 +33% YoY)에 따라 +31%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LFP 배터리의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는 중, 25년은 하이니켈 배터리의 반격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
 
■ 판가 전망: 25년 상반기 바닥
 
- 25년 상반기 판가는 안정화될 것으로 판단. 지난 2년 정책 불확실성 확대로 리튬 등 공급과잉이 심했던 영역에서부터의 후발주자 중심 공급축소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배터리 셀을 포함한 주요 소재 제품군의 판가는 1H25 바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
 
- 25년 핵심 Keyword는 Tesla. 25년 Tesla의 EV 수요 증가율은 +26%로 시장 전체 성장률(+19%)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25년부터 Tesla 내하이니켈 배터리 수요 증가율(+65%)이 LFP 배터리 수요 증가율(+24%)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 대당 배터리 탑재량 100Kwh 수준의 사이버트럭 판매량이 Key Factor.
 
■ 보호무역주의: 역내 생산
 
- 보호무역주의라는 Keyword에서는 1) 미국의 대 중국 관세 인상 여부(동박/분리막 수혜 예상), 2) 인도 정부의 Tesla 투자 유치에 주목. 보호무역주의 확대는 한국 배터리 밸류체인에 중립 이상의 긍정적인 영향을줄 것으로 판단.
 
보고서: https://han.gl/rYbxT
t.me/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Nov, 00:19


https://www.fastmarkets.com/insights/graphite-silicon-anode-development-promising-group14-ceo/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Nov, 23:50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1월 20일, 수요일)

■ 배터리 셀/소재

(ESS) 美 애리조나주, 200MW 규모 메가팩 설치 예정
미국 애니조나주는 최근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00MW/800MWh 규모의 테슬라 메가팩을 구축할 예정이며, 최대 4시간 동안 약 45,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 해당 플랫랜드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는 25년부터 가동할 예정이며, 약 2억 7,100만 달러 투자 예정.
[11월 19일/ZDNET Korea]
https://han.gl/2dNaM

(가격) 수산화리튬 탄산리튬 스프레드 확대, 탄산리튬 가격 급등
수산화리튬에서 탄산리튬으로 전화되는 추세에 따라 수산화리튬의 공급이 줄면서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의 가격 격차 확대. 11월 14일 기준 탄산리튬 가격은 수산화리튬 대비 톤당 15,700위안 상회. 한 거래 소식통에 따르면 최소 6곳의 주요 리튬염 생산업체가 수산화리튬 생산의 일부를 탄산리튬으로 전환했다고 밝힘.
[11월 19일/ZDNET Korea]
https://han.gl/28h7N

(개발) CATL, 25년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출시 예정
세계청년과학자서빗에서 CATL의 우카이 수석과학자는 동사에서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내년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해당 배터리는 영하 40도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방전된며 개발을 마친 상태. 동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체리자동차 모델에 'ENER-Q' 브랜드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바 있음.
[11월 19일/ZDNET Korea]
https://han.gl/p4UrR


■ EV 완성차/부품

트럼프, 내연기관 연비 규제 폐지 계획
트럼프 인수팀은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해온 내연기관 자동차 연비 규제를 폐지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 특히 이전 2032년까지 자동차 생산량의 최소 35%를 전기차로 전환하도록 한 규제를 철회할 계획 중인 것으로 파악.
[11월 19일/Reuters]
https://han.gl/QjvJy

(생산) 스텔란티스, Ram 전기 픽업트럭 생산 연기
스텔란티스는 ICE, HEV, BEV 생산이 모두 가능한 STLA 프레임 플랫폼을 공개. 이와 동시에 동사는 Ram 전기 픽업트럭의 생산을 25년 상반기로 연기한다고 밝힘. 동사는 현재 PHEV를 주로 생산 중이며, 30년까지 미국에 전기차 판매량을 50%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음.
[11월 19일/Reuters]
https://han.gl/KsLLq

(생산) 현대모비스,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26년 말 양산
현대모비스는 인베스터 데이에서 현대차그룹과 함께 26년 말 미국과 중국에서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양산 시작을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밝힘. 트럼프 2기 체제를 앞두고 EREV 등의 개발로 선제 대응도 나선 것으로 풀이.
[11월 20일/국민일보]
https://han.gl/dlo6T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Nov, 23:39


https://www.fastmarkets.com/insights/widening-lithium-hydroxide-carbonate-spread-tightens-supplies-of-hydroxid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Nov, 13:29


https://news.metal.com/newscontent/103047305/%5BSMM-Analysis%5D-Does-the-Significant-Price-Increase-Signal-Reversal-in-the-Lithium-Hydroxide-Market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Nov, 12:01


제안서

동박 산업의 심각한 경쟁 심화와 가격 하락으로 업계 전반에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전자재료산업협회(이하 ‘협회’)는 동박 업계의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가격 조정과 경쟁 환경 개선을 강력히 촉구하는 바, 합리적인 가격 조정과 업계 자율성 강화를 제안.

1. 원가 압력: 동박 주요 원재료인 동의 지속적인 가격과, 인건비 및 판관비의 지속적인 증가로 동박 기업들의 수익성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가격을 현실적으로 조정해 원가 부담을 완화하고, 업계의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할 것.

2. 시장 수급: 전기차, 에너지 저장 배터리 등 다양한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동박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이에 따라 동박 기업들이 연구개발과 품질 향상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격 조정이 필수. 이는 업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고, 품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

3. 동박 산업의 장기적 발전: 무질서한 가격 경쟁을 지양하고 제품 품질 저하를 방지할 것.

결론적으로, 협회는 동박 산업의 장기적이고 안정적 발전을 위해, 가격 조정과 자율적 경쟁 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업계 전반에 걸쳐 건전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것을 제안함.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Nov, 06:24


https://cnevpost.com/2024/11/19/china-ev-insurance-registrations-week-ending-nov-17-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9 Nov, 04:53


Australia's Sayona Mining buys US based Piedmont Lithium - https://www.reuters.com/markets/deals/australias-sayona-mining-buys-us-based-piedmont-lithium-2024-11-19/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8 Nov, 23:57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1월 19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

(수급) 서방 리튬 생산업체, 중국 의존도 낮출 수 없어
알버말의 CEO 켄트 마스터스는 북미와 유럽에서 중국으로부터 핵심광물 의존도를 낮출 수 없다고 분석. 그는 서방 국가들이 중국과 같이 핵심광물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며, 미국이 중국과의 리튬 경쟁에서 '절대적으로' 손실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덧붙임.
[11월 17일/FINANCIAL TIMES]
https://han.gl/wPq9Z


■ EV 완성차/부품

테슬라, 모델 Y 월 리스 가격 대폭 인하
테슬라는 모델 Y 롱레인지 RWD의 기본 월 리스 가격을 50달러 인하, 또한 유럽에서는 1년간 무료 슈퍼차징을 지원 중. 동사는 기존 모델 Y 대상으로 3년 간 1,800달러의 리스 할인을 지원하는데 이번 할인을 통하여 분기 판매량 51.5만 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11월 18일/Electrek]
https://han.gl/6EfZh

(생산) 현대차, GM 협력 강화하여 현지 생산 확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기차 지원 축소가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과 GM과의 협력으로 대응할 계획. 내년 초 가동하는 메타플랜트 포함하여 동사의 미국 연간 생산능력은 110만 대.
[11월 17일/뉴시스]
https://han.gl/eZ2MG

(판매) BYD, 왕조 라인 올해 200만 대 판매 전망
BYD는 올해 1~10월까지 왕조 라인의 전체 판매량이 158만 대를 돌파하며, 왕조 라인업의 연간 판매량은 200만 대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 같은 기간 해양 라인의 판매량은 전체 판매량 중 45.9% 차지. 또한 동사는 11월 왕조 라인의 판매량은 중국 내 폭스바겐 판매량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11월 18일/CNEVPOST]
https://han.gl/G1Vf6

(생산) 기아, EV3 내년 中 생산, 남미 등 신흥국 수출 포석
기아가 중국 옌청공장에서 EV3 생산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미국과 유럽 등 보호무역 강화 기조에 따라 중국 생산 물량은 남미 등 신흥국 전기차 시장에, 국내 생산 물량은 유럽 시장에 공급하는 '투 트랙 전략'을 펼칠 계획. 향후 EV3 고성능 모델 EV3 GT 생산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
[11월 18일/더구루]
https://han.gl/QF56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8 Nov, 10:46


미래에셋 박주연 연구원의 이니세이션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소비자금융(비중확대/신규)
2024년 결제: 두려움이 가라앉고 나면
[미래에셋증권 기타금융 박주연]

Key summary
-24년 1)C커머스 기대감 증발 및 2)티메프 사태라는 두 차례의 이슈를 겪으며 주가 하락 폭 확대. 악재 해소 차원에서의 접근 제시
-결제사 BM분석에 있어 제한적인 P&C(수수료 마진) 영향으로 Q(거래대금) 영향력 강화.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 거래대금은 이커머스 시장 향방에 연계
-펜데믹 시기 이커머스 성장세는 분명 이례적. 그러나 온라인으로의 소비패턴 변화는 비가역적. 향후로도 온라인 소비 성장세는 오프라인 소비 성장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티메프 사태로 인한 하반기 일회성 손실 반영은 불가피. 연말에 구체적 수치 확정 예정. 그러나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산업 건전성 강화 및 신사업 가능성도 제공
-본격적인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수익성 개선의 가능성이 필요

결제부문 Top Pick은 NHN KCP.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000원(Upside 41%)으로 커버리지 개시. 1) 밸류에이션 매력 2) 탄탄한 가맹점 계약들에 기반한 견조한 탑라인 성장 3) 시장 상위 업체로서 중장기적 티메프 수혜 가능성

Contents
1. 밸류에이션 및 투자전략
2. 온라인 거래대금(Q)은 더 늘어날 수 있을까
3. 티메프 사태가 가져온 효과
4. 제한적 수수료율(P)과 해외사례
Appendix

Coverage
NHN KCP (매수/TP 1만원)
카카오페이 (매수/TP 3만원)
KG이니시스 (매수/TP 1.2만원)

원문: https://bit.ly/40O5gwR

감사합니다
박주연 드림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8 Nov, 02:29


안녕하세요
저희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엔터 담당 김규연 연구원이 미디어 이닛했습니다 많관부🙌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엔터 김규연]

미디어(비중확대/신규): 미디어 믿어
https://han.gl/5CPGL

국내 미디어 지금이 바닥이다. 더 나빠질 것이 없고 기회는 찾아오고 있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 국내 미디어 산업 지형을 대변하는 말이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콘텐츠를 제일 잘 만드는 나라가 맞다. 숫자가 증명한다. 넷플릭스 전체 라이브러리 중 국내 작품 수는 6.8%, 그러나 시청 시간 점유율은 11.1%로 높은 성과를 보인다. 국내 TV시리즈 작품당 평균 시청시간은 1,626만 시간, 평균 조회수는 114만회로 시청시간은 미국보다도 47%가 많다.

9월 23일 모처에서 넷플릭스가 미국 유수 제작사들을 모아 IP 성과에 따른 Revenue share 수익 구조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매출 공유 수익 구조가 확립되면 국내 제작사에겐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스토리가 펼치진다. 쌀 때 사서 기회를 기다리자.

I. 투자 전략: 돈 버는 왕서방, 기회 잡을 곰을 찾아라

II. 돈 버는 왕서방 찾기
1) 콘텐츠 별 ▲사용자 이용행태, ▲사용자 특성, ▲산업 항목의 데이터 분석에 따른 투자 매력도 산정
2) Earning Key factor 정의
- 영상: 성숙한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거나 효율적인 콘텐츠 투자로 Sales to capex를 높이는 기업 투자 전략이 유효
- 음악: 기존 주도 사업자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
- 도서: B2B 또는 B2G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는 사업자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
- 웹툰/웹소설: 영상 스트리밍이나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콘텐츠 IP를 확장할 수 있는 사업자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

III. 곰에게도 기회는 온다
1) Q가 증가한다
- TV 채널 드라마 슬롯이 반등
- 스트리밍 플랫폼의 국내 콘텐츠 수요는 견조
2) C가 감소한다
- 드라마 제작비가 감소한다
- 해외 제작사 관련 비용 부담이 감소한다

IV. 커버리지 및 관심 종목
넷플릭스(NFLX US) TP 1,814USD
CJ ENM(035760) TP 80,000원
스튜디오드래곤(253450) TP 61,000원
콘텐트리중앙(036420) N/R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2 Nov, 00:39


https://www.forbes.com/sites/daneberhart/2024/11/11/president-elect-trump-seeks-level-playing-field-in-energy-polic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2 Nov, 00:33


미래에셋 정동호 위원님의 조선 섹터 이니세이션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조선(비중확대/신규)

Earnings Impact: 조선의 귀환

[미래에셋증권 조선/방산 정동호]

Key summary
-공급자우위시장 (Seller’s market) 환경은 지속될 것
-조선업은 회복기에 나타나는 스테디 사이클 (Steady cylce) 구간에 위치
-향후 슈퍼 사이클의 트리거는 경기회복 또는 재건수요에 따른 물동량 회복
-2025년은 조선업은 본격적인 실적 랠리 구간에 진입할 전망
-조선5사 건조선가 (ASP) 연평균 8.6%씩 개선, 영업이익률 2026F 10.1%, 2027F 11.5%로 추정
-이익 (Earnings)이 주가를 견인하는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

조선업종 Top-pick은 HD현대미포.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70,000원 (Upside 54.5%)으로 커버리지 개시. 2025년 인식물량의 60%가 고선가, 40% 초고선가 예상. 현대베트남조선 캐파증대가 미포의 실적성장에 힘을 더할 것

Contents
1. 투자전략 및 Valuation
2. 되짚어보는 사이클의 역사
3. 본 게임은 시작도 안했다
4. 패러다임 시프트: 친환경과 방산
5. 선종별 발주 시황

Coverage
HD현대미포 (매수/TP 17만원)
HD한국조선해양 (매수/28.8만원)
삼성중공업 (매수/1.5만원)
HD현대중공업 (매수/26만원)

원문: https://bit.ly/4fGpWeb

감사합니다
정동호 드림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2 Nov, 00:04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1월 12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

(샹선) 삼성SDI, 울산 LFP 라인 공급망 구축 윤곽
삼성SDI는 지난 9월부터 울산 사업장에 ESS용 LFP 배터리 마더라인 구축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는데, 최근 장비 공급사 선정을 마치며 26년 양산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 국내 장비사인 우원기술과 엠오티, 중국 항커커지 등 동사와 구매의향서를 체결했다고 밝힘.
[11월 11일/전자신문]
https://han.gl/q52WR


■ EV 완성차/부품

[/]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스티어링 휠과 페달이 없는 사이버캡 로보택시 테스트를 시작한 것으로 포착됨. 텍사스의 자율 주행에 대한 허가가 필요하지 않아 사이버캡 테스트 장소로 발탁됐으며, 향후 25년 2분기까지 FSD 시스템으로 60만 마일 이상 주행하는 것을 목표로 함.
[11월 11일/Electrek]
https://han.gl/Nzaou

(판매량) 중국, 10월 NEV 판매량 역대 최고치 기록
CAAM에 따르면, 10월 중국의 NEV 판매량은 143만 대(+49.6% YoY, +11.1% MoM)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 경신. 이중 BEV 판매량은 84.2만 대(+30.4% YoY, +8.7% MoM), PHEV는 58.7만 대(+89.7% YoY, +14.9% MoM)로 모두 역대 최고치 기록. 10월 중국의 NEV 침투율은 46.8% 기록.
[11월 11일/CNEVPOST]
https://han.gl/X5TMP

(관세) 인도, 테슬라 등 전기차 유치 위해 워크숍 개최
인도 정부는 테슬라를 포함한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투자 유치를 위해 이번 달 말에 워크숍을 개최하여 전기차 OEM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전기차 수입 관세에 대한 논의도 진행할 것으로 기대. 인도는 지난 4월 글로벌 자동차 OEM들과 화상 회의를 통해 회담을 진행한 바 있음.
[11월 11일/Teslarati]
https://han.gl/PQ3mc

(인도) BYD, 연간 인도량 포드보다 앞설 것으로 전망
블룸버그에 따르면, BYD가 연간 인도량이 포드보다 앞설 것으로 전망하며, 글로벌 자동차 OEM 상위 10위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BYD는 지난 3분기 최초로 분기 매출에서 테슬라를 앞질렀으며 연간 400만 대 생산 목표를 위해 생산능력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11월 11일/Electrek]
https://han.gl/yoegp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2 Nov, 00:01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서 2주마다 애널리스트 회의록인 "Mirae Asset Minutes"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섹터 아이디어와 하우스 탑픽, 회의록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번 발간 자료에서는 1) 조선(HD현대미포), 2) 바이오(SK바이오팜), 3) 2차전지(LG에너지솔루션) 업종을 탑섹터(탑픽)으로 선정했습니다.

방산업종을 담당하던 정동호 위원이 조선업종 커버리지를 개시했습니다(아래 리포트 참조).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Mirae Asset Minutes(2024년 22호, 11/11)
https://han.gl/mI2RP

[비중확대/신규] 조선의 귀환_정동호(11/11)
https://bit.ly/4fGpWeb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1 Nov, 22:12


[미래에셋 김철중]

Tesla 한국 밸류체인 정리

1) Tesla 자체 4680
: 일부 업체 4큐 기 공급 중
: 1Q25 물량 증가 본격화

엘앤에프(양극재)
에코프로머티(전구체)
롯데에너지머티(동박)
SKIET(분리막)
엔켐(전해액)
피엔티(전극장비)

2) LG에너지솔루션 2170
: 중국 남경공장 양산 중
: 2170(업글) 1Q25 물량 증가 본격화

엘앤에프(양극재)
LG화학(양극재)

3) LGES 4680(오창)
: 양산 1Q25

엘앤에프(양극재)
대주전자재료(Si 음극재)

4) LGES 4680(애리조나)
: 양산 2026년(예상 밸류체인)

엘앤에프(양극재)
LG화학(양극재)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동박)
더블유씨피(분리막)
SKIET(분리막)
대주전자재료(Si 음극재)

5) 파나소닉 2170/4680
: 일본 4680 양산 진행 중
: 미국 4680 양산 2025년

포스코퓨처엠(양극재)
SK넥실리스(동박)
더블유씨피(분리막)
대주전자재료(Si 음극재)

6) CATL LFP
SK넥실리스(동박)

t.me/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1 Nov, 10:34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9596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1 Nov, 07:51


앨버말 11/13 탄산리튬 경매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1 Nov, 07:49


https://cnevpost.com/2024/11/11/china-nev-sales-oct-2024-caam/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1 Nov, 02:08


https://www.mining.com/web/liontown-resources-revises-kathleen-valley-lithium-plans-citing-low-price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1 Nov, 01:52


[미래에셋 김철중]

11월 1주 차
주요 배터리 원재료/소재 가격 추이


데일리 발표되는 중국 스팟 가격으로 업체들의 실제 공급 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ource: ICC Battery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0 Nov, 23:52


현재는 2170 원통형으로 사업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하였습니다. 향후 46으로의 변화 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021481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0 Nov, 23:51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1월 11일, 월요일)

■ 배터리 셀/소재

(공급) LG엔솔, 스페이스X 우주선에 전력 공급용 배터리 공급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스페이스X로부터 '스타십' 우주선에 탑재될 보조 동력과 전력 공급용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이 제품은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로, 이르면 내년 스페이스X의 우주왕복선에 들어갈 예정. 스페이스X는 기존에 자사가 제조한 배터리만 사용해 왔지만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긴 배터리가 필요해지면서 동사에 공급 요청을 한 것으로 파악.
[11월 10일/디지털타임스]
https://han.gl/3leY3

(공급) LG엔솔, 美 리비안과 8조원대 계약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 법인과 리비안이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히며, 향후 5년간 리비안에 총 67GWh 규모의 원통형 4695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함. 셀 가격을 ㎾당 100달러로 가정할 경우 최소 8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정. 공급 시작하는 시점도 미정이나 업계는 26년쯤으로 전망.
[11월 9일 /비즈워치]
https://han.gl/BN6H0

(협력) 중국·인니, 에너지 분야 100억 달러 규모 계약 체결
중국과 인도네시아는 비즈니스 포럼에서 공동 성명을 통해 식품, 신재생에너지, 생명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 10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 양국은 또한 신에너지 자동차, 리튬 배터리, 태양광 발전, 디지털 경제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
[11월 9일 /Reuters]
https://han.gl/BN6H0

(협력) 일본-페루, 광물 채굴 기술 협력에 합의
일본과 페루는 APEC 정상회의에서 광물 채굴 기술 협력에 대한 공동 성명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힘. 일본은 이번 협력을 통해 자국의 기술을 활용하여 핵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양국은 회담에서 향후 10년의 로드맵을 구상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
[11월 9일 /Reuters]
https://han.gl/dxt8L


■ EV 완성차/부품

[/]
도요타 관계자에 따르면 동사는 30년까지 중국에서 연간 최소 25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 관계자들은 동사가 일부 공급업체에 생산 증대 계획을 알렸으며, 이를 통해 중국 시장 진출 의지를 재확인하고 공급망을 확보하고자 했다고 밝힘.
[11월 10일/Reuters]
https://han.gl/21LMB

(생산) 리프모터, 폴란드에서 두 번째 EV 모델 생산 계획 취소
스텔란티스의 중국 협력사 리프모터는 폴란드 공장에서 두 번째 전기차 모델을 생산하기로 한 계획을 취소했다고 전해짐. 폴란드는 중국산 수입 전기차에 관세를 부과하는 EU의 결정을 지지한 회원국 중 하나로,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비공식적으로 추가 관세 부과를 지지하는 유럽 국가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중단하라고 자동차 OEM들에 지시한 이후 합작 투자의 생산 계획이 변경되었다고 밝힘.
[11월 9일/Reuters]
https://han.gl/HXESn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3 Oct, 09:21


https://cnevpost.com/2024/10/23/china-nev-retail-609000-oct-1-20-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Oct, 23:56


- 10월 23일 Election Daily –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Poll Data>

- 베팅 시장에 반영된 후보별 당선 확률(Predictit) : 트럼프 59%(전일 대비 +1%p), 해리스 45%(전일 대비 -4%p)

- 경합주별 지지율(Real Clear Politics)
1) 펜실베니아 : 트럼프 0.8%p 우위(47.9% vs 47.1%)
2) 미시간 : 트럼프 1.2%p 우위(48.4% vs 47.2%)
3) 위스콘신 : 트럼프 0.4%p 우위(48.3% vs 47.9%)
4) 조지아 : 트럼프 2.5%p 우위(48.9% vs 46.4%)
5) 애리조나 : 트럼프 1.8%p 우위(49.1% vs 47.4%)
6) 노스캐롤라이나 : 트럼프 0.4%p 우위(48.0% vs 47.6%)
7) 네바다 : 트럼프 0.9%p 우위(47.8% vs 46.9%)
Link: https://han.gl/lNHV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Oct, 23:56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0월 23일, 수요일)

■ 배터리 셀/소재

(투자) DOE, 미국 14개 청정 에너지 프로젝트에 4억 달러 투자
미국 에너지부(DOE)는 미국 2전역의 15개 석탄 지역에서 청정 에너지 제조를 가속화하기 위한 14개 프로젝트에 4억 2,8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 선정된 프로젝트는 그리드 구성 요소, 배터리, 저탄소 소재, 청정 발전 및 에너지 효율 제품 등 5가지 핵심 공급망을 중심으로 강화할 것으로 예상.
[10월 22일/MINING]
https://han.gl/cQfqS

(매장) 美 아칸소주 리튬 매장량 최대 1,900만톤 발견
미국 지질조사국의 연구진과 미국 아칸소주 주정부는 아칸소주 스맥오버 지층 일대에 매장된 리튬의 양이 약 500만~1,900만 톤에 달한다고 파악. 이는 현 시점, 전 세계 리튬의 수요를 감당하고도 남는 규모인 것으로 분석. 이에 지질조사국 국장은 이날 성명에서 리튬 수입을 대체하기 위한 미국 내 생산 증가 가능성은 고용 및 제조, 공급망 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발언.
[10월 22일/중앙일보]
https://han.gl/5d2Q6


■ EV 완성차/부품

(실적) GM, 3분기 실적 컨센 상회, 주가 8% 상승
GM의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여 주가 8% 상승하여 22년 2월 이후 최고치 기록. GM의 CFO는 트럭과 SUV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회복세를 보인 것이 실적을 견인했으며, 내년에 자금 조달 금리가 하락함에 따라 수요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 또한 동사는 내년에 가격이 인하될 수 있다고 밝히며, 전기차 비용 절감 및 중국 시장의 개선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함.
[10월 22일/Reuters]
https://han.gl/RRJji

(출시) 쉐보레, Chevy 이쿼녹스 EV 35,000달러 출시
GM에서 쉐보레 브랜드의 Chevy 이쿼녹스 EV LT를 출시. 이쿼녹스 EV는 7,500달러의 EV 세액 공제도 받을 수 있어 가격이 27,495달러까지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 2025년형 쉐보레 이쿼녹스 EV LT의 가격은 34,995달러로, RS FWD 트림 기준 가격은 45,790달러, 최대 주행거리는 513km이며, RS AWD 트림 가격은 49,090달러로 최대 주행거리는 494km.
[10월 22일/Reuters]
https://han.gl/6ntO3

(출시) 현대차, 인도서 새 전기차 출시, 생산·수출 거점될 것
현대차는 인도 증시 상장 기념식에서 전기차 4종을 출시할 계획이며,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배터리와 구동 시스템 등을 현지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해 고속도로나 가정 내 충전 등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힘. 현대차 인도법인 COO는 LFP 배터리 셀을 생산하기 위해 현지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힘.
[10월 22일/조선비즈]
https://han.gl/xi1sv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Oct, 12:00


[GM 3Q24 실적공시 주요 내용]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t.me/automirae

※ 3Q24 실적 요약

매출액: 488억달러(+11%YoY)
컨센 447억달러 +9% 상회

조정EBIT: 41억달러(+16%YoY)
컨센 34억달러 +23% 상회

조정EPS: 2.96달러(+30%YoY)
컨센 2.44달러 +21% 상회

※ 주요 가이던스 변동

24년 조정EBIT 가이던스 하단 상향
(기존) 130~150억달러
(신규) 140~150억달러(+13~21%YoY)

* 3Q24 누적 조정EBIT은 약 124억달러. 역산해보면 4Q24 가이던스는 16~26억달러로 전년비 하단 -10%, 상단 +47% 수준. 평균은 +18%. 이는 3Q24 누적 조정EBIT 증가율 +17% 수준임

24년 조정EPS 가이던스 하단 상향
(기존) 9.5~10.5달러
(신규) 10.0~10.5달러

24년 Auto FCF 가이던스 상하단 상향
(기존) 95~115억달러
(신규) 125~135억달러

※ 전기차 관련 내용

- 24년 북미 20만대 EV 생산/도매 목표 유지
-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목표 유지
- 25년 20~40억달러 EV EBIT 개선 목표 유지
- 배터리팩 비용 절감과 EV 수익성 개선 강조
- 25년말 차세대 Bolt 출시 목표 유지
- Escalade IQ, OPTIQ, VISTIQ 출시 예정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Oct, 08:09


[미래에셋 김철중]

유럽 9월 판매
BEV 213,443대 (+13.9% YoY)
PHEV 81,321대 (-11.7% YoY)
HEV 377,168대 (+12.3% YoY)
가솔린 329,207대 (-18.8% YoY)
디젤 93,304대 (-23.8% YoY)

1~9월 누적
BEV 1,433,225대 (-2.6% YoY)
PHEV 694,215대 (-3.8% YoY)
HEV 3,008,233대 (+19.2% YoY)
가솔린 3,337,265대 (-5.6% YoY)
디젤 1,058,545대 (-11.5% YoY)

Source: ACEA

t.me/cjdbj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Oct, 07:54


https://cnevpost.com/2024/10/22/china-ev-insurance-registrations-week-ending-oct-20-2024/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2 Oct, 00:01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0월 22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

(공급망) EU, 핵심 광물 구매 플랫폼 개발 기업 선정 중
EU는 자체 원재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일환으로 900만 유로를 투입하여 핵심 광물 및 에너지에 대한 공동 구매 메커니즘을 개발 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해당 플랫폼 개발을 위한 입찰자를 제안서를 제출한 8개 기업에서 선정할 예정. EU는 연말까지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초부터 플랫폼 개발을 시작할 계획으로 파악.
[10월 21일/MINING]
https://han.gl/pRUL0

(공장) 벤츠, 유럽 첫 배터리 재활용 공장 개소
벤츠는 21일 독일 남부 쿠펜하임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개소. 공장은 '기계식-습식야금' 통합 공정을 사용하며, 벤츠의 배터리 재활용 공장은 유럽 최초로 배터리 모듈을 분쇄하는 단계부터 활성 배터리 물질을 건조하고 가공하는 모든 단계를 포함함. 이로써 벤츠는 자체 시설로 배터리 재활용 과정을 전부 완성한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제조사로 등극.
[10월 21일/노컷뉴스]
https://han.gl/jriCK


■ EV 완성차/부품

(판매량) 테슬라 모델 Y, 9월 유럽 베스트셀러 등극
Automotive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가 9월 유럽에서 28,680대(-3.6% MoM) 판매되어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으로 등극. 2, 3위는 폭스바겐의 Tiguan과 르노의 Clio로 각각 20,763대, 20,306대 기록. 모델 Y는 지난 8월에 8위, 7월에 9위를 기록했는데 9월에 판매고를 기록.
[10월 21일/Teslarati]
https://han.gl/n1Mku

(기능)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FSD 전송 허용
테슬라는 기존 모델 Y/3 등 외에 사이버트럭에도 FSD 전송 기능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새 차를 구매할 때 신차로 전환이 가능하게 함. 해당 프로모션은 연말까지 사이버트럭을 인도받는 구매자 한정으로 제공이 되며, 신차 구매 시 8,000달러룰 추가로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
[10월 21일/Teslarati]
https://han.gl/wRAuX

(출시) BYD, 브라질서 픽업트럭 Shark 출시
BYD, 브라질에서 첫 픽업트럭인 Shark를 출시, 판매 가격은 66,700달러부터 시작. Shark는 PHEV 픽업트럭으로 29.58kWh의 BYD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돼있으며, 순수 전기 주행 거리는 100km. 브라질에서는 현재까지 내연기관과 디젤로 구동되는 트럭이 판매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하이브리드 픽업트럭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10월 21일/Electrek]
https://han.gl/lFdeG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Oct, 23:48


- 10월 22일 Election Daily –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Poll Data>

- 베팅 시장에 반영된 후보별 당선 확률(Predictit) : 트럼프 58%(전일 대비 +3%p), 해리스 46%(전일 대비 -3%p)

- 경합주별 지지율(Real Clear Politics)
1) 펜실베니아 : 트럼프 0.8%p 우위(47.9% vs 47.1%)
2) 미시간 : 트럼프 1.2%p 우위(48.8% vs 47.6%)
3) 위스콘신 : 트럼프 0.2%p 우위(48.0% vs 47.8%)
4) 조지아 : 트럼프 1.8%p 우위(48.8% vs 47.0%)
5) 애리조나 : 트럼프 1.6%p 우위(49.0% vs 47.4%)
6) 노스캐롤라이나 : 트럼프 0.5%p 우위(48.4% vs 47.9%)
7) 네바다 : 트럼프 0.8%p 우위(47.7% vs 46.9%)
Link: https://han.gl/lNHV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Oct, 06:19


https://news.metal.com/newscontent/102999779/%5BSMM-Analysis%5D-Chengxin-Lithium-Obtains-Mining-License-for-Million-Ton-Spodumene-Min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Oct, 03:38


앨버말 10/23 탄산리튬 경매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Oct, 00:15


India seeks critical mineral agreement with US, hopes for a trade pact, minister says -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india-seeks-critical-mineral-agreement-with-us-hopes-trade-pact-minister-says-2024-10-19/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1 Oct, 00:11


- 10월 21일 Election Daily –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Poll Data>

- 베팅 시장에 반영된 후보별 당선 확률(Predictit) : 트럼프 56%(전일 대비 +1%p), 해리스 48%(전일 대비 0%p)

- 경합주별 지지율(Real Clear Politics)
1) 펜실베니아 : 트럼프 0.8%p 우위(47.9% vs 47.1%)
2) 미시간 : 트럼프 1.2%p 우위(48.8% vs 47.6%)
3) 위스콘신 : 트럼프 0.2%p 우위(48.0% vs 47.8%)
4) 조지아 : 트럼프 1.8%p 우위(48.8% vs 47.0%)
5) 애리조나 : 트럼프 1.6%p 우위(49.0% vs 47.4%)
6) 노스캐롤라이나 : 트럼프 0.5%p 우위(48.4% vs 47.9%)
7) 네바다 : 트럼프 0.8%p 우위(47.7% vs 46.9%)
Link: https://han.gl/lNHVE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20 Oct, 23:49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0월 21일, 월요일)

■ 배터리 셀/소재

(공급) 인도네시아, 테슬라에 EV 배터리 전구체 공급 예정
인도네시아 에너지 장관은 인도네시아가 다음 달부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사용되는 니켈 기반 소재를 미국으로 수출할 계획이라고 밝힘. 당국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배터리 전구체를 테슬라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볼륨에 대한 세부 사항은 밝히지 않음.
[10월 18일/Reuters]
https://han.gl/ZMEEb

(실적) CATL, 3분기 역대 2번째 높은 순이익 기록
CATL의 3분기 매출은 922억 8,000만 위안(-12.48% YoY, +6.07% QoQ) 기록, 순이익은 131억 4,000만 위안(+25.97% YoY, +6.32% QoQ) 기록했는데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기록. 매출총이익률은 31.17%(+8.75% YoY, +4.53% QoQ) 달성하며 최초로 30% 돌파.
[10월 18일`/연합뉴스]
https://han.gl/4CXtr


■ EV 완성차/부품

(전망) 골드만삭스, 26년 EV 가격 내연차와 비슷할 것
골드만삭스는 26년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보조금을 받지 않고도 전기차 가격이 내연차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며 경제적 관점에서 26년에 전기차 수요가 강력하게 살아날 것이라고 전망. 골드만삭스는 올해 전기차 배터리 평균 가격이 111달러/kWh로 낮아지는 데 이어 26년에 82달러선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
[10월 21일/연합뉴스]
https://han.gl/YMEjD

(관세) 미국 교통안전국, 테슬라 FSD 적용된 차량 조사 착수
미국 교통안전국(NHTSA)는 테슬라의 FSD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240만 대의 차량에 대한 조사를 착수한 것으로 밝혀짐. NHTSA는 FSD가 도로 가시성이 낮은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 평가할 예정. 해당 조사는 2016~2024년형 모델 S와 X, 2017~2024년형 모델 3, 2020~2024년형 모델 Y, 2023~2024년형 사이버트럭 차량을 대상으로 함.
[10월 19일/Reuters]
https://han.gl/vfbTk

(개발) 소니·혼다, 26년 출시 EV에 AI 탑재, 자율주행 성능 향상
소니그룹과 혼다가 공동 개발 중인 전기차에 AI를 사용해 자율주행 성능을 높인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힘. 소니와 혼다의 공동 출자회사인 소니혼다모빌리티는 26년 미국과 일본에서 출시할 예정인 전기차 '아필라'에 독자 개발한 OS를 사용해 AI 진화에 맞춰 자율주행 성능을 높일 계획. 한편, BYD도 중국 화웨이와 손잡고 올해 안에 AI 탑재 전기차를 내놓을 예정.
[10월 20일/데일리안]
https://han.gl/SRBum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8 Oct, 16:48


https://cnevpost.com/2024/10/18/catl-q3-2024-earnings/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8 Oct, 02:33


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4/10/16/PKGQATLHOZAPBOMFRHG4WA7XPM/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18 Oct, 00:32


- 10월 18일 Election Daily –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News of the Day>

1. 새롭게 공개된 UMass Lowell/YouGov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펜실베니아 주에서 해리스는 트럼프에 1%p차 우세. 이는 전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해리스가 2%p차 우세한 것과 유사한 흐름으로 대선 직전까지 해당 주에서의 치열한 경쟁 예고(Politico)
Link: https://han.gl/L9l3k

2. 최근 수개월간의 여론조사에서 조지아 주의 일부 흑인 남성 유권자가 트럼프에게로 이동하고 있다는 결과 발표. 조지아는 2020년 바이든이 흑인 유권자의 88%를 득표하며 간신히 승리한 곳으로 현재 흐름은 트럼프의 4년 전보다 더 많은 득표 가능성 암시(Politico)
Link: https://han.gl/wa7TE

3. 트럼프는 팟캐스트에 출연하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배후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지목하며 푸틴 대통령에 대한 기존의 동정적인 수사 패턴 확대. 트럼프는 또한 바이든 대통령이 전쟁을 선동했다고 덧붙이며 전쟁에 대한 책임론 강조Politico)
Link: https://han.gl/wCSwv

<Poll Data>

- 베팅 시장에 반영된 후보별 당선 확률(Predictit) : 트럼프 55%(전일 대비 +0%p), 해리스 48%(전일 대비 -2%p)

- 경합주별 지지율(Real Clear Politics)
1) 펜실베니아 : 트럼프 0.5%p 우위(47.9% vs 47.4%)
2) 미시간 : 트럼프 0.9%p 우위(48.3% vs 47.4%)
3) 위스콘신 : 트럼프 0.1%p 우위(47.9% vs 47.8%)
4) 조지아 : 트럼프 0.9%p 우위(48.7% vs 47.8%)
5) 애리조나 : 트럼프 1.4%p 우위(48.8% vs 47.4%)
6) 노스캐롤라이나 : 트럼프 1.0%p 우위(48.5% vs 47.5%)
7) 네바다 : 트럼프 0.5%p 우위(47.7% vs 47.2%)
Link: https://han.gl/lNH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