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dia, 2025년 소형 OLED 출하량, 10억 대 돌파 예상
1. OLED 기술의 성장 배경
- OLED 기술은 20년 전 10인치 이하의 소형 디스플레이로 시작해 큰 성장을 이루었다.
- 색 재현력, 슬림함, 무게, 유연성, 명암비에서 LCD를 능가하며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 특히 중국에서 생산 확대로 인해 OLED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 소형 OLED 출하량 전망
- 소형에서 중형 크기의 OLED 출하량이 2025년에 처음으로 10억 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출하량은 1인치에서 8인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게임 콘솔, AR/VR/MR 헤드셋, 안경형 디스플레이, 자동차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보조 디스플레이, 스마트워치, 산업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된다.
3. OLED 시장의 주요 기업
- BOE, ChinaStar, EverDisplay, Visionox, Tianma 등 중국 OLED 기업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기술적 진보를 통해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 AR/VR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OLED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4. OLED 기술의 강점
- OLED는 슬림한 디자인, 가벼운 무게, 뛰어난 화질, 효율적인 전력 소모, 유연성 등으로 소형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
- OLED는 기존 TFT LCD를 대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초경량 및 폴더블 등 혁신적인 폼팩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 2025년 소형 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은 1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5. OLED 생산 기술의 발전
- Gen8.6 공정, LTPO+ 백플레인, COE, 디스플레이 내 지문 인식, 화면 아래 카메라, 하이브리드 OLED, Tandem RGB OLED, 마스크리스 OLED 포토리소그래피, 잉크젯 프린팅 등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 이러한 혁신은 OLED의 가치를 단순한 출하량 증가를 넘어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6. Micro LED와의 경쟁
-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스트레처블 Micro LED 디스플레이를 도입했다.
- AUO와 Tianma 같은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는 소형 Micro LED 디스플레이를 대량 생산하기 시작했다.
- OLED 디스플레이는 2025년 이후 황금기를 누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Micro LED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그 자리를 내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