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루 @molru Channel on Telegram

몰?루

@molru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몰?루 (Korean)

몰?루 채널은 전문가들의 의견과 투자 기록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이 채널은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의견과 기록을 제공합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으며 게시물의 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해당 게시물은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몰?루를 통해 다양한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투자에 도움을 받아보세요.

몰?루

11 Feb, 07:33


DB하이텍 부천 공장이 풀캐파로 돌아가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이구환신 정책 영향으로 1월 주문량이 폭발했다는 해석이 중론입니다.
가전, 자동차용 반도체 할 것 없이 폭증해서 고객사들이 주문표 뽑으며 대기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최근 DB하이텍 관련 Si Capacitor, SiC 사업 등에 대한 다양한 기사가 나왔는데, 이런 내용도 참고부탁드리겠습니다. 아, SK키파운드리도 가동률 80% 넘은 것으로 취재됩니다.

#DB하이텍 #8인치파운드리 #SK키파운드리 #가동률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9187?type=journalists

몰?루

11 Feb, 06:29


📌 피에스케이홀딩스(시가총액: 1조 350억)
📁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2025.02.11 15:27:28 (현재가 : 48,000원, -2.83%)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978억(예상치 : 769억)
영업익 : 431억(예상치 : 296억)
순이익 : 421억(예상치 : 283억)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4.4Q 978억/ 431억/ 421억
2024.3Q 391억/ 143억/ 198억/ -28%
2024.2Q 405억/ 156억/ 152억
2024.1Q 381억/ 154억/ 190억/ +75%
2023.4Q 395억/ 140억/ 206억/ +56%

* 변동요인
HBM 수요 확대 및 Advanced Packaging 시장 성장에 따른 매출 증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64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1980

몰?루

11 Feb, 05:13


금주 주간전략 내 신규 관심 종목으로 팔로우 시작한 #신테카바이오 딜이 나왔네요.

온코크로스 등 의료AI 애들 전주 시세 받았는데, 개인적으로는 신테카바이오의 슈퍼컴 및 딥매처 기술력이 좋아보여서 정리했던 내용 공유드립니다.


📌신테카바이오_간단내용


3차원 단백질 구조 및 유전체 빅데이터 처리 기술 통해 AI신약 플랫폼 및 개발 서비스기업.

독자 기술 AI신약개발플랫폼 DeepMatcher와 NEO-ARS 보유, 3bm-GPT는 신약 개발에 AI 언어모델 기술을 적용한 최초 사례 등록.
*DeepMatcher 통해 유효물질 스크리닝, 매출비중 약 70% 차지.

국내에서 ai신약개발 위한 슈퍼컴 설비 유일 보유
24.06 설비 확대구축 기존 대비 70% 성능 개선
*3천대 -> 5천대

ABS(Ai Bio Supercom)은 전력사용효율 1.1 수준 고효율 성능. 별도 항온,습 장비 없이 데이터센터 가동 가능, 특허 출원 심사 중.

24.11 미국 키메라 테라퓨틱스와 계약 체결. (~25.05)
3.2억 규모 조건부 계약이며, 키메라 테라퓨틱스에 히트 후보물질 발굴해 전달하여 최소 3개 이상 물질 검증이 완료되면 마일스톤 받는 구조.

몰?루

11 Feb, 05:13


2025.02.11 14:05:20
기업명: 신테카바이오(시가총액: 1,289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Kymera Therapeutics, Inc.
계약내용 : 신약 유효물질 발굴
공급지역 : 미국
계약금액 :

계약시작 : 2025-02-10
계약종료 : 2025-07-10
계약기간 : 5개월
매출대비 : 270.62%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485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263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26330

몰?루

11 Feb, 05:11


⚡️⚡️⚡️⚡️⚡️⚡️
백악관 "3월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

몰?루

11 Feb, 04:02


#애플 #하이비젼시스템

- 하이비젼시스템 어제 정관에 #로봇 신사업 추가해서 파악 중인데, 테슬라 수주 얘기가 많이 돌긴함. 근데 어제 오른건 애플 리서치 로봇으로 밸류체인이 다 강세였고, 애플 로봇 살펴보니 카메라가 명확하게 있네요. 집 스탠드처럼 사용하는거고, 스탠드 당 카메라 1개로 유의미한 이슈. 애플/테슬라 둘다 들어가나?
- 애플 개발중인 '리서치 로봇' 26년~27년 출시, 장비셋업은 올해나 26년내 시작 되지 않을까
- Siri & Apple Intelligence 활용
- 비디오/통화, 조명 조정, 대화형 지원

https://www.macrumors.com/2025/02/10/apple-hiring-home-robotics-devices/

몰?루

11 Feb, 03:44


#애플 #하이비젼시스템

- 리서치 로봇 개발 추진
- 카메라 제조/검사장비 新 수요
- 단순 카메라가 아닌 모션 인지 필요한 것으로 보임, 검사장비 필요
- 출시 앞두고 소문에 따르면 IPad에 로봇 arm 붙인 형태

Rumors surrounding the upcoming release have described the hub as “a robot arm with an iPad attached.”

https://techcrunch.com/2025/02/08/apples-new-research-robot-takes-a-page-from-pixars-playbook/

몰?루

11 Feb, 03:21


서버 제품 대량 출하 확대, 폭스콘 1월 매출 역대 두 번째… 1분기 전망 상향 조정

요약
폭스콘 1월 매출: 5,387억 대만달러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기록)
Nvidia GB200 AI 서버 출하 확대 → 1분기 전망 "강한 성장"으로 상향 조정
클라우드 네트워크 제품군 강한 성장, 부품·자동차 부품 출하 증가
설 연휴에도 5,000명 동원해 Nvidia 출하 목표 달성
상반기 실적, 전통적 비수기 영향 덜 받을 전망



폭스콘은 어제(10일) 1월 합병 매출이 5,387억 대만달러(TWD)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음력설 연휴로 인해 근무일 수가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17.74% 감소했지만, 연간 기준 3.16% 증가하며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Nvidia GB200 AI 서버 강력한 수요… 1분기 전망 상향 조정

Nvidia GB200 AI 서버의 강력한 출하 모멘텀에 힘입어, 폭스콘은 올해 1분기 전망을 "강한 성장"으로 상향 조정하며,
최근 5년 평균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습니다.

폭스콘은 "비록 2024년 4분기 합병 매출이 분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고, 전통적인 비수기에 진입했지만,
현재 1분기 전망은 이전 예상보다 긍정적이어서 이번 조정이 이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1분기가 전통적으로 IT 업계의 비수기이지만,
폭스콘의 GB200 AI 서버가 1월 하순부터 대량 출하되면서 매출 기여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라 상반기 실적이 비수기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 제품군 성장, 기타 부문은 감소

폭스콘에 따르면, 2024년 12월과 비교했을 때, "클라우드 네트워크 제품군"이 큰 폭으로 성장했으며,이는 AI 클라우드 제품의 강한 수요 증가가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부품 및 기타 제품군","컴퓨터 단말기 제품군","소비자 스마트 제품군"은 음력설 연휴로 인한 근무일 감소로 인해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클라우드 네트워크 제품군"은 강한 성장을 보였으며, "부품 및 기타 제품군"도 주요 관련 부품 출하 증가 및 자동차 부문 매출 확대에 힘입어 성장했습니다.

"컴퓨터 단말기 제품군"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고, "소비자 스마트 제품군"은 감소했습니다.


설 연휴에도 총 5,000명 투입해 Nvidia GB200 출하 목표 달성

공급망 관계자에 따르면, 폭스콘은 대만과 베트남 공장에서 설 연휴 기간 동안 5,000명 이상의 인력을 동원해 집중 생산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Nvidia의 GB200 서버 출하 목표를 1월 말 회계연도 마감 전까지 성공적으로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https://money.udn.com/money/story/11162/8539857?from=edn_subcatelist_cate

몰?루

11 Feb, 03:03


■ 반도체_25.02월 1~10일 수출데이터 기준 YoY Growth 1%대 까지 하락, 데이터도 충분한 조정 중인데 가격엔 많이 반영돼있겠다 싶음

- 우리나라 반도체 25.02월 1~10일 수출데이터 YoY +1.8% 성장, Growth 크게 하락 중
- 25.02월 1~10일 디램 YoY +8.1% 성장, 낸드 YoY -77.7% 역성장
- 반도체 데이터 충분히 조정 중인데 현 상황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어있지 않을까?​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관심섹터 포스팅 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반도체 수출데이터 부진합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25.02월 1~10일 수출데이터 기준 YoY Growth +1.8% 입니다. 작년 4Q에 +3~40% 씩 성장하였는데 결국 Growth 줄어듭니다. 과거 데이터 보면 이런 추세 아래에선 결국 YoY 역성장 할 것 같습니다.

디램과 낸드 따로 보면 디램 25.02월 1~10일 YoY +8.1% 성장하였습니다. 동기간 낸드 -77.7% 역성장합니다. 숫자가 이게 맞나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낸드 25.01월에도 YoY -64% 역성장하였습니다. 핸드셋 등 전자기기들의 폼팩터 변화 없고 성숙기 산업이니 당연한 결과일 수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중국의 레거시 반도체 공세도 무섭습니다.

반도체 가격뿐만 아니라 데이터도 충분히 조정 중입니다. 솔직히 손이 나갈 수 없는 상황이긴 합니다. 그런데 며칠 사이 스마트한 투자자들 사이에선 충분히 가격에 현 상황이 반영되어 있지 않느냐라는 의견 들립니다. 친한 후배도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의 효과가 보이는데 반도체 이젠 호재에 반응하지 않겠냐 합니다.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처럼 어느 순간 반도체의 시간이 돌아올 것 같습니다.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756395429

몰?루

11 Feb, 02:29


2025.02.11 11:28:31
기업명: 리노공업(시가총액: 3조 4,295억)
보고서명: 주식분할결정

분할전 : 500원
분할후 : 100원

발표일 : 2025-02-11
주총일 : 2025-03-26
정지일 : 2025-04-10
재개일 : 2025-04-2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3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8470

몰?루

11 Feb, 02:05


$RKLB $LUNR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17275O

몰?루

11 Feb, 01:58


2025.02.11 10:42:02
기업명: 에프에스티(시가총액: 4,186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780억(예상치 : -)
영업익 : 42억(예상치 : -)
순이익 : 72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780억/ 42억/ 72억
2024.3Q 585억/ 3억/ -15억
2024.2Q 513억/ 7억/ -7억
2024.1Q 496억/ -30억/ -82억
2023.4Q 410억/ -115억/ -87억

* 변동요인
DUV펠리클 및 장비 매출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20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6810

몰?루

11 Feb, 01:58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1/2025021100068.html

몰?루

11 Feb, 01:57


한국에 조용히 들어오는 중국 자본 그리고 사모펀드
https://blog.naver.com/stustu9988/223734307593

몰?루

11 Feb, 01:56


2025.02.11 10:50:04
기업명: 지투파워(시가총액: 1,519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243억(예상치 : -)
영업익 : 21억(예상치 : -)
순이익 : 20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43억/ 21억/ 20억
2024.3Q 120억/ 9억/ 9억
2024.2Q 94억/ 2억/ 5억
2024.1Q 97억/ 4억/ 6억
2023.4Q 214억/ -1억/ 10억

* 변동요인
1.매출액 변동요인 - 신제품출시(AI배전반)효과 및 관급시장 영업력 확대로 매출증가 2.영업이익 변동요인 - 전년대비 매출원가율 6.4% 감소 - 전년도 재고평가손실 당기 매출인식으로 원가 감소(환입) 3.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변동요인 - 잡이익 증가 4.당기순이익 변동요인 - 법인세비용 반영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21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88050

몰?루

11 Feb, 00:23


[속보] 테슬라 사이버캡 / 로보택시 모두 2025년 6월에 출시??

테슬라 디자이너 책임자(Senior Design Executive) 프란츠 폰 홀츠하우젠이

어제 Jay Leno's Garage 방송에 나와서

테슬라가 6월부터 텍사스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할것이라고 말했음.

또한 원래 2026년부터 나올줄 알았던 사이버캡이 6월부터 운행될 예정이라고 언급

📌원래 타임라인은
로보택시 서비스 : 2025년 6월
사이버캡 차량 : 2026년


이였습니다.

이걸 둘다 이번년도에 6월에 시작 한다는 얘기입니다.

몰?루

11 Feb, 00:14


Revance 피인수합병 및 상장폐지

- 2025.02.06 Crown Laboratories의 Revance 인수 완료. Crown Laboratories는 주로 중견 규모의 헬스케어 회사에 투자하는 Hildred Capital의 피부미용 포트폴리오 회사 중 하나

- 2024.08.11 합병 계약 체결 이후 진행된 공개매수에서 86,197,893주(발행주식수 대비 82%)를 1주당 $3.65에 매수 완료하였으며 상장폐지 (2025.01.21까지는 1주당 $3.10로 매입 진행, 이후 $3.65로 매입단가 상향)

Hildred Capital 포트폴리오: https://buly.kr/FsHtuOj
Crown Laboratories: https://buly.kr/YdyZQS
기사 원문: https://buly.kr/1GJ0UgG

몰?루

11 Feb, 00:08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40557

몰?루

08 Feb, 05:54


신토불이 우라늄 가공업이 필요해보이는 차트

몰?루

08 Feb, 05:54


어제 센트러스 4Q 실적발표에서 DOE의 HALEU 및 LEU 제조 관련 지원 법안 확정 소식이 나오면서 관련주들의 주가가 폭등하였습니다.

계약은 3건으로 HALEU 농축 계약, HALEU 전환 계약, LEU 농축 계약 입니다.

현재 미국은 LEU를 러시아를 포함 해외 국영 기업들로부터 100% 조달받고 있는 상황으로 미국내 회사의 농축 우라늄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한 발표였습니다.

기존의 대형원자력들은 LEU로 구동하는 반면, 뉴스케일을 제외한 X-enery, OKLO 등 소형원자로의 모델 구동에는 HALEU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미국 정부의 SMR(소형 원자로) 육성에 대한 의지를 한 번 더 확인해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센트러스 에너지(NYSE:LEU)는 24년 4월 '원자력 밸류체인 재건과 한국 원자력의 수혜' 자료에서 다룬 바 있는 기업입니다.

몰?루

08 Feb, 04:35


-트럼프는 다음주 다른 국가에 대해 동등한(reciprocal)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발표
-일례로 미국산 자동차에 대해 EU는 10% 관세를 부과하지만 미국은 EU 자동차에 2.5% 부과하는데이를 10%로 맞추겠다는 의미
-EU는 선제적으로 자동차 관세를 2.5%로 내리는 오퍼를 준비중(FT)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무부, 무역대표부 지명자들은 인도, 브라질, 베트남을 언급
-해당 국가들은 미국보다 높은 평균 관세율을 부과
-발표 전까지 관세 불확실성 지속. Reciprocal 형태가 부과될 경우 평균 관세율이 높은 EM 국가에 타격이 집중될 전망

몰?루

08 Feb, 04:34


https://m.blog.naver.com/great_nicnic/223729569856

몰?루

08 Feb, 04:29


로봇대장(찐)
-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40286?sid=101

몰?루

08 Feb, 04:02


https://x.com/pwnyrides/status/1886233129045590051?s=46&t=1aHEQJT_MTTfELYWFhNmGw

출처가 여기임

몰?루

08 Feb, 03:04


믿음의 관상

몰?루

08 Feb, 03:03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2515

전 오픈AI 수석 과학자인 일리야 슈츠케버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가 최소 200억달러 가치로 추가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는 지난해 9월 투자 유치 당시 인정 받았던 50억달러 보다 최소 4배 높은 가치로 투자 유치에 나섰다.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가  현재어떤 AI 제품을 개발하는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는 전 오픈AI 연구원 다니엘 레비, 전 애플 AI 프로젝트 리더 다니엘 그로스를 창업 멤버로 영입했고 현재까지 10억달러를 조달했다. 세콰이어 캐피탈, 앤드리슨 호로위츠, DST 글로벌이 투자사로 참여했다.

오픈AI 공동 창업자인 일리야 슈츠케버는 AI 분야 대표적인 전문가들 중 1명으로 오픈AI에서도 챗GPT 개발을 가능케한 기술 접근 방식을 포함해 AI 관련한 돌파구들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OAI의 핵심 본체로 취급받던 사람

몰?루

08 Feb, 02:36


DOGE가 폐지한 미국의 쓸모없는 프로그램
첫주(2025.1.28~2.3) 폐지된 프로그램

1.전국 다람쥐 조사 프로젝트 연간 230만 달러 (다람쥐 개체 수 조사)
2.연방 샌드위치 기준 위원회 연간 500만 달러 (샌드위치의 법적 정의 연구)
3.울퉁불퉁한 보도 인식국 연간 180만 달러 (보도의 불균형 경고)
4.전국 비누 조각 챔피언십 보조금 연간 70만 달러 (비누 조각 예술 보존)
5.왼손잡이 가위 연구소 연간 25만 달러
6.전국 나방 감상의 날 연간 25만 달러
7.연방 치즈 굴리기 행사 연간 120만 달러
8.공기 주입식 수영장 규제 사무소 연간 50만 달러
9.오리 꽥꽥 소리 연구 기금 연간 400만 달러 (오리 소리가 메아리치는지 연구)
10.국가 대통령 헤어스타일 데이터베이스 연간 80만 달러 (대통령 헤어스타일 분류)
11.국가 호텔 베개 푹신함 검사 사업 연간 150만 달러 (호텔 베개가 적절히 푹신한지 검사)
12.엘리베이터 음악 표준 프로그램 연간 210만 달러 (엘리베이터에서 듣기 좋은 음악 연구)
13.연방 교통 콘 개수 조사국 연간 130만 달러 (도로에 배치된 교통 콘 개수 확인)
14.계절별 호박 관리 사무소 연간 80만 달러 (펌킨 스파이스 트렌드 조사)
15.국가 회전 의자 안전 위원회 연간 40만 달러
16.연방 카주 오케스트라 보조금 연간 200만 달러
17.미국 구름 감상 기금 연간 110만 달러
18.남은 음식 라벨링 부서 연간 60만 달러
19.얼음 조각 균일성 연구국 연간 250만 달러
20.벨크로 소리 연구 연간 170만 달러 (벨크로 소리 중 가장 만족스러운 소리 찾기)
21.국가 뽁뽁이 스트레스 해소 연구 연간 140만 달러
22.우체통 풍수지리 사무국 연간 90만 달러
23.연방 풍선 동물 제작 아카데미 연간 230만 달러 (광대들에게 풍선 동물 만드는 법 교육)
24.국가 프레첼 풀기 프로젝트 연간 60만 달러 (프레첼을 풀어보는 연구)
25.양말 짝 맞추기 부서 연간 180만 달러
26.연방 하이파이브 조정국 연간 120만 달러
27.국가 아이스크림 콘 구조 연구소 연간 70만 달러 (아이스크림 콘이 왜 새는지 연구)
28.물웅덩이 깊이 측정 사무소 연간 300만 달러 (도로의 빗물 고임 연구)
29.알람 시계 테스트국 연간 150만 달러
30.연방 반짝이(글리터) 청소 대응팀 연간 200만 달러
31.연방 고급 스테이플러 공학국 연간 170만 달러
32.국가 메모 서식 표준 연구소 연간 120만 달러
33.책상용 화분 배치 최적화국 연간 80만 달러
34.회의실 의자 동기화 위원회 연간 150만 달러
35.국가 문장부호 정확성 프로젝트 연간 200만 달러
36.연방 바인더 클립 내구성 테스트 보조금 연간 90만 달러
37.형광펜 색상 조정 사무소 연간 130만 달러
38.연필 깎기 효율성 연구 이니셔티브 연간 240만 달러
39.전략적 문진(종이 누름) 개발 프로젝트 연간 160만 달러
40.중복 문서 감소 사무소 연간 300만 달러
41.비어 있는 연방 건물 유지비 연간 100억 달러
42.라스베이거스 피클볼 단지 1200만 달러
43.우크라이나 인플루언서 지원 연간 480만 달러
44.빙상 드래그 쇼 1만 달러
45.고양이의 코로나19 연구 연간 224만 달러
46.쥐의 코카인 사용 연구 연간 42만 달러
47.브라질 소녀 중심 기후 행동 프로젝트 연간 300만 달러
48.멕시코 오리 습지 보전 사업 연간 42만 달러
49.브레이크댄싱 연구 연간 3만 3천 달러
50.파라과이 국경 보안 지원 연간 210만 달러
51.2003년 해외관계 인가법 연간 380억 달러
52.21세기 치료법 연간 480억 달러
53.1998년 주택 및 노동 책임법 연간 370억 달러
54.2017년 NASA 전환 인가법 연간 250억 달러
55.2005년 에너지 정책법 연간 70억 달러
56.2014년 노동력 혁신 및 기회법 연간 90억 달러

몰?루

08 Feb, 02:14


한남산성 푸르지오 자이가 푱당 4천이네 이게나라냐

몰?루

08 Feb, 02:08


오늘의실거래가(아파트미) TOP10+4
현대1차 42평 60.5억 신고가
잠실주공5단지 34평 31.27억 신고가
은마 34평 30.4억 신고가
트리지움 25평 22.55억 신고가
개포래미안포레스트 34평 29.75억 신고가
현대맨숀 31평 22.99억 신고가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24평 14.55억 신고가
공덕파크자이 34평 18.8억 신고가
당산센트럴아이파크 42평 23.5억 신고가
목동신시가지10 37평 21.5억 신고가

산성역자이푸르지오2단지 24평 10억 신고가
동탄역유림노르웨이숲 34평 13.27억 신고가
평촌엘프라우드 24평 8.9억 신고가
힐스테이트금정역 29평 9.75억 신고가

몰?루

08 Feb, 01:50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99213?sid=101

트럼프發 관세전쟁, 내주 '다수 국가 상호관세' 발표로 확전하나

10~11일 회의 후 발표

"그들은 미국 자동차나 농산물 등 거의 아무것도 수입하지 않는다. 우리는 EU에 약 3천억 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다"며 "그들이 우리 석유를 구매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관세를 통해 그것을 바로잡을 것"이라고 했다.
-

몰?루

08 Feb, 01:29


* 정말 수시로 바뀌는군요

=========================

~ 미국이 중국에서 수입되는 소액 상품에 대한 면세 조치를 일단 유지하기로 했다

~ 행정명령은 상무부가 완벽한 관세 징수 시스템을 갖출 때까지 중국에 대한 '최소 기준 면제'(de minimis)를 유지하는 내용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99119?sid=104

몰?루

07 Feb, 16:43


정부 일자리들 빼면 리세션급

몰?루

07 Feb, 16:43


1월 고용 143,000 (산불효과 미미했다고 BLS 의견)

2024년 월별 평균 고용 166,000

2023년 월별 평균 고용 216,000

코로나 전 2019년 월별 평균 고용 165,000

실업률 하락은 노동력이 이민 허들 높아지면서 덜 증가 > 분모가 줄면서 일어난 효과

임금이 좀 높게 나와서 금리가 좀 튀고 있지만

달러 강세 재료는 아닌것으로 보임

몰?루

27 Jan, 14:43


딥시크 프라이버시 약관

몰?루

27 Jan, 12:5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smcsamsungskhynix&no=15038&page=1

칩 산업으로 비유해 보자.
만약에 갑자기 오픈소스 기술이 나타나서 동일 면적의 반도체에 게이트 수를 2배로 늘릴 수 있게 되었다면, “TSMC 주문이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라 걱정할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이런 기술이 나오면, 인텔/AMD/퀄컴 등 모든 팹리스(fabless) 업체가 신나서 차세대 성능이 2배 오른 칩을 개발하려고 할 것이고, 그 결과 소비자 측면에서 PC/스마트폰 세대교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결국 AI 계산 자원 역시 마찬가지다.
AI 계산 자원은 본래부터 지수형으로 가격이 하락(디플레이션)하는 속성을 띠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보면 10년에 10^6배의 성능 향상이 일어난다.
이때 소프트웨어/알고리즘적으로 10^3배, 하드웨어적으로 10^3배의 가속이 합쳐져 이루어진다.
• 소프트웨어/알고리즘 측면의 가속이란, DeepSeek-R1처럼 동일한 리소스로도 같은 효과를 내거나, 혹은 더 적은 자원으로 동일한 성능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 하드웨어 측면의 가속은 반도체 공정 기술, 아키텍처 혁신, 대역폭/연결(인터커넥트), 규모 확장 등에 의해 총합적으로 계산 능력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지금 GPT-4급 모델을 훈련하는 비용은 2년 전에 비해 아마 10분의 1도 안 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듯 새로운 방법론들이 계속 개발되어, AI의 계산 능력이 지수적으로 올라가고 비용은 지수적으로 떨어지는 트렌드가 유지될 것이다. 이와 같은 흐름은 이전에도 여러 번 반복되었다. 이 흐름을 “연이은 S자형 곡선”들의 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각 단계마다 새로운 곡선이 등장하여 기존 법칙(scaling law)을 연장하는 형태다. 그 결과 겉으로 보면 꾸준한 지수 성장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성능이 높아지면 비용은 급격히 내려가고, 그로 인해 AI 활용의 진입장벽은 낮아져 생태계가 폭발적으로 성장한다. 더 많은 사용처가 생기고, 더 많은 수요가 창출된다.

결국 중요한 건 “지금도 10년 동안 10^6배 성능 향상이 계속될 수 있느냐”는 점이고, 만약 이것을 이어갈 만한 새 방법론이 안 보인다면, 그때가 AI 성장이 멈출 시점이 될 것이다.

몰?루

27 Jan, 12:26


💡💡💡
DeepSeek 관련 반응

JPMorgan(Sandeep Deshpande): AI 투자 주기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다고 시사하며, DeepSeek의 효율성이 더욱 효율적인 미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퍼리스(에디슨 리): DeepSeek 이후의 두 가지 전략을 제안합니다. 컴퓨팅 파워에 계속 투자하거나 효율성에 집중하여 2026년 AI 자본 지출을 줄이는 것입니다.

대조적인 견해:
번스타인(스테이시 라스곤): 공황 상태가 과장되었다고 생각함;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에 대한 아웃퍼폼 등급을 유지함.

시티(아티프 말릭): 미국의 지배력에 대한 도전을 인정하지만, 첨단 칩에 대한 접근성 이점을 강조하며, 엔비디아에 대한 매수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효율성과 비용:
레이먼드 제임스(스리니 파주리): DeepSeek의 혁신이 채택되면 학습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고 제안하면서, 대규모 GPU 클러스터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시장 동향:
캔터(CJ 뮤즈): DeepSeek의 개발을 컴퓨팅 수요에 대한 강세로 보고, GPU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고 시사하면서, 가격이 하락하면 엔비디아를 매수하라고 주장합니다.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https://t.me/insidertracking/3608 🖥

몰?루

27 Jan, 12:24


Deepseek 직원: "2024년의 마지막 작업 이후, 컴퓨팅 자원을 제외하고는 AGI(범용 인공지능)로 가는 길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현재 글 삭제)

DeepSeek의 설립자 Liang Wenfeng:
미국과 중국 간의 컴퓨팅 격차는 수출 통제로 인해 더욱 확대되었으며, 이는 DeepSeek의 주요 제약 조건으로 남아 있습니다. DeepSeek의 경영진은 효율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4배의 컴퓨팅 열세가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2배의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가로, 데이터 효율성에서도 약 2배의 격차가 있어, 동일한 결과를 얻으려면 2배의 훈련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종합하면 4배의 컴퓨팅 자원이 요구됩니다."
그는 이어서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우리는 단기적인 자금 조달 계획이 없습니다. 우리의 문제는 자금이 아니라, 고급 칩에 대한 금수조치(embargo)입니다."(https://blog.heim.xyz/deepseek-what-the-headlines-miss/)

( Deepseek가 블랙웰과 루빈이 필요없을까요? 그들의 말을 곧이 곧대로 믿어서 지금의 호퍼로 과소자원으로 성과를 낸게 사실이라면 지금의 호퍼와 성능격차가 수십배로 벌어지는 블랙웰과 루빈이 탐나지 않을까요? 이미 그들도 컴퓨팅 자원이 그들의 제약조건이라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몰?루

27 Jan, 11:31


해외음원 특이사항
Spotify 10억 스트리밍 소요일수

🩷로제(BlackPink)

100일만에 Spotify 10억 돌파
KPOP 1위 기록 경신(세계 2위)

🏵Fastest songs to 1B (days)
#1( 96) Die With A Smile
#2(100) APT.👉로제(BlackPink)
#3(108) Seven👉정국(BTS)

#4(112) Flowers
#5(117) Espresso
#6(118) Stay
#6(118) As It Was
#6(118) Who👉지민(BTS)
#9(119) BIRDS OF A FEATHER
#10(153) Shape of You

#엔터 #하이브 #SM #YG #JYP
#해외음원 #음원판매 #한류

몰?루

27 Jan, 11:25


• 깼네요 4.5%

몰?루

27 Jan, 10:44


저는 방금 55초 분량의 FSD 영상을 받았습니다. 주요 세부 사항은 모두 신중하게 블러 처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특정한 세부 사항이 이 영상이 중국에서 촬영되었음을 확인시켜줍니다. 이는 테슬라가 중국에서 FSD의 공공 도로 테스트와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몰?루

27 Jan, 10:08


https://blog.naver.com/chany2do/223739252485

몰?루

27 Jan, 09:31


"AI에 다 건다"…제약기업이 팔 걷어붙인 이유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존 신약 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긴 기간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성공 확률도 10% 미만에 불과했다. 그러나 AI를 활용하면 방대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후보 물질을 신속하게 도출하고, 임상시험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특히 JW중외제약은 AI 기반 신약 연구개발(R&D) 통합 플랫폼인 '제이웨이브(JWave)'를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제이웨이브는 회사가 기존에 운영하던 빅데이터 기반 AI 약물 시스템인 '주얼리(JWELRY)'와 '클로버(CLOVER)'를 통합한 플랫폼이다. 500여 종의 세포주와 4만여 개의 합성 화합물,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각종 질환 동물 모델 유전체 정보 등을 AI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웅제약은 2021년 'AI 신약팀'을 신설해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 후보 물질 가상 탐색, 약물의 체내 작용(ADME/T) 예측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약 개발에 필요한 리간드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맞춤형 가상 라이브러리'를 구축했다. 리간드는 특정 단백질이나 수용체와 결합해 생리학적 반응을 유도하거나 저해하는 분자로, 신약 개발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특히, 특정 질환의 표적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최적의 리간드를 탐색·설계함으로써 약물의 효능과 선택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AI 기술을 통해 개발 속도를 비약적으로 단축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따르면, 홍콩의 AI 기반 신약 개발사인 인실리코메디슨은 후보 물질 발굴 시간을 단 46일로 단축했다. 해당 물질이 임상 시험에 진입하기까지 30개월이 걸렸으며, 비용 역시 기존 방식 대비 90% 절감됐다. 일반적으로 후보 물질 발굴에는 최소 2년에서 최대 5년까지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획기적인 성과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04546?sid=101

몰?루

27 Jan, 09:25


가격이 싸지며 수요 증가의 가능성은 레딧에서 지금 가장 활발한 주제

Ex)자율주행

몰?루

27 Jan, 09:24


마이크로소프트 CEO Satya Nadella

제번스 역설이 다시 한번 닥쳐온다! AI가 더 효율적이고 접근 가능해짐에 따라, 우리는 그 사용이 급증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고, 우리가 충분히 얻을 수 없는 상품으로 변할 것이다


( 경제학에서 제번스의 역설(Jevons paradox) : 기술적 진보로 인해 자원의 효율성이 증가하면서 특정 용도에 필요한 자원의 양이 줄어들지만, 사용 비용이 감소하면서 수요가 증가하여 자원 사용량이 감소하기는커녕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몰?루

27 Jan, 09:23


OpenAI의 익명 연구원이 Reddit(Gwern이라는 닉네임)에다가 쓴 글도 화제가 되었다.

Gwern은 OpenAI의 “o4”나 “o5”와 같은 미래의 모델들은 AI 연구 개발을 자동화해 나머지 과정을 스스로 완료할 수 있는 수준일 것이라고 운을 뗐다.

o3 모델 이후의 때가 되면, OpenAI가 "재귀적 자기 개선"의 임계점을 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셈이다. 이는 2024년 11월, 샘 알트만은 "과거 3년간의 발전 속도가 몇 주 안에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한 것과 대동소이한 내용이기 때문에 더욱 그의 말에 힘이 실린다.

또한 Gwern은 OpenAI가 단기적인 수익 창출보다는 초지능 개발이라는 장기적인 목표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o1 모델의 주요 목적은 배포/서비스가 아니라 o3와 같은 후속 모델을 위한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것은 DeepSeek 사례에서 기술했듯 reasoning 모델을 보유한 기업들이 가지는 “효과적 증류”에 관한 특권이다.

다만, 훈련용 데이터 생성에만 MW급의 전력이 소모되고 3~6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생성되는 훈련 데이터의 양과 복잡성이 상당하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했다.

OpenAI 같은 선도적인 AI 회사들이 칩 확보에 얼마나 비장할 수밖에 없는 입장인지 여실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오라클과 소프트뱅크까지 껴안아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4년간 총 5,000억 달러 규모를 쏟아부어 10개의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겠다는 것은 다 이런 것의 일환이다.

상황의 긴박한 변화는 샘 알트만은 급격한 AGI 및 초지능에 대한 본인의 타임라인 예측을 바꾼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지난 몇 주 동안 샘 알트만의 말을 모아보면 아래와 같다.

"급격한 AI 도약이 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빠를지는 추론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10년이 아닌 몇 년 정도의 짧은 기간 내에 일어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GI가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개발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트럼프의 임기 종료일은 2029년 1월 20일이다. 알트만의 이 새로운 전망은, 약 1년 반 전만 하더라도 "AI의 느린 도약이 꽤 좋은 예측이 될 것"이라고 말했던 것과 딴 판이다.

또한 샘 알트만의 OpenAI는 불과 18개월 전만 해도 의회에 AI 규제를 촉구했지만, 최근에는 미국 정부가 규제를 통해 AI를 저해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다분히 기업 논리에 충실한 경제 청사진을 제시했다.

"AI in America"라는 제목의 OpenAI의 "경제 청사진"은 AI 우위를 위한 세 가지 전략적 자원 (칩, 데이터, 에너지)을 강조한다.

가장 주목할 점은, 미국이 중국과의 AI 초지능 경쟁에서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점을 중앙 포커스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칩, 데이터, 에너지, 그리고 인재는 AI에서 승리하기 위한 열쇠이며, 이것은 미국이 이길 수 있고 이겨야만 하는 경주라고 역설했다. 이는 앞서 살펴본 DeepSeek와 같은 중국의 AI 굴기와 관련된 내용과 연결된다.

(25.1.23 미래에셋)

몰?루

27 Jan, 08:34


트럼프, 콜롬비아에 관세 25% 즉시 적용후 50% 상향
콜롬비아가 빠르게 요구사항 수용후 관세 철회

몰?루

27 Jan, 08:32


* 많은 것들이 바뀌어가는 요즘

=========================

~ Volkswagen is open to allowing Chinese carmakers to take over its excess production lines in Europe, as it grapples with falling demand and rising competition from the very same companies eyeing its factories

https://www.ft.com/content/87ac3c34-905d-4379-a108-366a5fd20e0c

몰?루

27 Jan, 08:32


* 달 탐사 프로젝트에 민간기업 참여

=========================

~ 중국 민간기업 스타비전이 만든 인공지능(AI) 달 로봇 로버(탐사 차량)가 2028년 발사 예정인 달 탐사선 창어 8호에 실려 탐사 작업에 투입된다고 중국 저장일보가 25일 보도했다

~ 스타비전 최고기술책임자 왕춘후이(王春暉)는 이날 "이번 프로젝트는 중국 민간기업이 국가 달 탐사 프로젝트의 방관자에서 참여자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며 "우리는 상업적인 마인드로 우주에 대한 꿈을 현실로 바꾸는 데 도움을 주겠다"고 말했다고 저장일보는 보도했다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998

몰?루

27 Jan, 08:28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7089?sid=105

몰?루

27 Jan, 08:24


#원자력

NextEra 20년도 가동 중단된 600MW 원전 재가동 예정 (28년도 예상)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nextera-advances-toward-iowa-nuclear-plant-restart-2025-01-24/?utm_source=chatgpt.com

몰?루

27 Jan, 07:06


일론 머스크: Deepseek의 성공이 과소 자원으로 가능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음

DeepSeek이 미국의 수출 통제로 인해 공개적으로 언급할 수 없는 약 50,000개의 NVIDIA H100 GPU를 보유하고 있다는 글에 일론 머스크가 "당연하다"고 답변

몰?루

13 Jan, 15:08


데이터센터 간 통신이 광신호 →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있듯이

GPU 간 통신은 전기신호 → 광신호로 변해야 하는 명분이 확실히 주어진 사건이라고 생각

첫번째 Blackwell 결함은 내부 설계 요인인 프로세서 다이였으나 두번째와 이번 세번째는 모두 GPU 간 통신인 NVLink의 다량 연결에 의한 것

액체냉각 시스템을 도입했다해도 칩간 수준의 발열을 해결하기 적합하지 않음

이에 대한 해결책은 Silicon Photonics와 Co-Packaged Optics(CPO)라고 생각

광원소자인 Optical Engine을 탑재하게 되면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나 과열 해결에 따라 GPU 성능이 향상될 것을 고려하면 합리적인 가격전가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

GB300과 Rubin에 CPO 도입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는 이유가 이번 사건으로 증명된 셈

Source : Risk & Return

몰?루

13 Jan, 14:12


☁️ Nvidia Blackwell GB200 랙 공급 지연 문제 발생(The Information)

- The Information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최신 칩인 Blackwell이 장착된 랙의 첫 번째 출하가 칩간 연결 방식과 관련된 과열과 결함으로 인해 납품에 어려움을 겪는 중.

- 이로 인해 Microsoft, Amazon, Google, Meta 등이 최근 Nvidia의 Blackwell GB200 랙에 대한 일부 주문을 줄였으며, 이에 따라 Nvidia의 최대 고객사들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이 지연되고 있는 중.

- Microsoft의 직원에 따르면, 고객들 중 일부는 하반기에 출시될 후속 버전의 랙을 기다리거나 이전 AI 칩을 구매할 계획이라 코멘트.

https://www.theinformation.com/articles/nvidias-top-customers-face-delays-from-glitchy-ai-chip-racks?rc=kinzjq

몰?루

13 Jan, 12:37


https://youtube.com/shorts/GG_GnP38pI0?si=rZk2TlhZqUkaYMqw

지진 발생 원리 알려주는 모델

몰?루

13 Jan, 12:13


산불 -> 보험료 지급 필요 -> 들고 있던 장기물 매도 -> 금리 상승

몰?루

13 Jan, 11:50


https://t.me/c/1262314032/8176

중국은 왜 가는거지

몰?루

13 Jan, 11:12


다이이찌 산쿄가 이번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발표하는 내용에 엔허투SC 내용도 빠지지 않네요.

처음으로 단순 ‘특허방어 목적’이 아닌 ‘기존 IV의 부작용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알테오젠과 SC를 개발하는 것임이 공개됐습니다.

엔허투SC가 치료 관련 부작용, 치료 중단 등(treatment burden)을 줄이는 것이 증명될 경우 전세계 ADC는 SC전환 필수입니다.

이미 양사가 그 근거를 확인했기 때문에 계약을 했겠죠. JP모건에서 성과가 기대됩니다.

몰?루

13 Jan, 10:35


#하이닉스 #낸드 #감산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2260

* 하이닉스, 상반기중 낸드 10% 감산, 감산 대열 동참
* 삼성전자도 국내/중국 모두 가동률 조정, 마이크론 이어 한/일 생산량 감축 전망
* 지난해 상반기 기준 하이닉스는 웨이퍼 기준 우러 30만장 정도의 낸드 캐파를 보유 >> 10%가량 줄이면 연간 30만장 이상 줄어들 것
* 키옥시아도 같은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
* 마이크론도 공식화, CAPEX 줄이고, 노드 전환 속도 조정, 생산량 10%대 중반까지 줄이고
* 한편 메모리카드/USB향 범용 낸드 제품의 고정거래가는 네달 연속 하락
* 낸드 가격 하락세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세트수요 위축으로 풀이
* eSSD는 상대적으로 가격 안정세 보이긴 하지만, 지속될지는 의문
* eSSD, 트렌드포스는 올 1분기 5-10% 하락 예측

몰?루

13 Jan, 10:16


『조합원 분담금은 공사비 자체가 아니라 이 아파트 단지의 구조와 연관이 크다. 상계주공5단지는 재건축될 996가구 중 임대주택 152가구, 조합원 가구 840가구를 제외하면 일반분양 물량이 4가구밖에 되지 않는다. 사실상 1대1 재건축 방식이다. 또 조합원의 대지 지분도 낮다.』

→ 아비규환.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6952

https://t.me/guroguru/13006

https://t.me/guroguru/12654

몰?루

13 Jan, 10:11


저속노화 식단의 열풍을 몰고 온 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와 세븐일레븐이 함께 저속노화 컨셉의 간편식 출시.

렌틸콩, 귀리, 현미 등 대사질환과 성인병 예방에 좋은 잡곡과 닭가슴살, 야채를 주재료로 사용했고 나트륨을 일반 상품 대비 50% 낮췄다.

몰?루

13 Jan, 10:07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 국내 허가
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19545

몰?루

31 Dec, 13:38


https://m.mk.co.kr/news/politics/11207158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해 최 권한대행은 “하루라도 빨리 정치적 불확실성과 사회 갈등을 종식시켜 경제와 민생 위기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헌법재판관 임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그러면서 “다만 여야 합의를 통해 헌법재판관을 임명한다는 관행을 강조한 전임 권한대행(한덕수 국무총리)의 원칙을 존중해 그간 여야 간 합의가 있는 정계선·조한창 후보자를 즉시 임명하고, 나머지 한 분(마은혁 후보자)은 여야 합의가 확인되는 대로 임명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헌법재판관 구성은 기존 6명에 이어 2명이 추가돼 8인 체제가 될 전망이다.

몰?루

31 Dec, 09:31


https://blog.naver.com/energyinvestors/223709172212

몰?루

31 Dec, 09:24


Jim Fan: 엔비디아 선임 연구 매니저 및 GEAR Lab(Embodied AI) 공동 설립자.
Project GR00T(범용 로봇 공학 문제 해결)의 리더

우리는 고도화된 로봇이 모든 곳에 존재하지 않는 마지막 세대라는 사실이 많은 위안을 줍니다. 우리의 아이들은 "로봇 원주민"으로 자라날 것입니다. 그들은 휴머노이드가 미슐랭 요리를 만들어 주고, 로봇 곰인형이 잠자리 이야기를 들려주며, 자율주행차(FSD)가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세상에서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로봇 이민자" 세대로서, 물리적 AI가 보편화된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걷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우리의 부모 세대가 "디지털 이민자"로서 6인치의 터치 스크린에 삶을 적응시켜야 했던 것과 같습니다. 이 여정은 공상 과학 속 기술을 발명하는 동시에 스스로를 재발명하는 여정이기도 합니다.

움직이는 모든 것은 자율화될 것입니다.
지금부터 매년은 로봇의 해가 될 것입니다.


2025년의 대단한 여정을 기대합니다!


+아이폰보다 로봇이 훨씬 더 많아질 거예요, 확실히. 대규모로 확장될 세 가지 종류의 로봇이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왜냐하면 우리 모두 어디론가 가야 하니까;

드론, 왜냐하면 하늘은 한계가 없으니까;

그리고 휴머노이드 로봇, 왜냐하면 세상은 우리를 위해 만들어졌으니까요. 모든 시설과 기기들이 이를 위해 설계되었죠.

몰?루

31 Dec, 05:15


내란선동 ㄷㄷ

몰?루

31 Dec, 03:22


- AI 혁신 강도가 높고 그에 대한 미국의 주도력이 지속된다면, 달러는 쉽게 약해지지 않을 수 있음. 반면, AI 추가 혁신보다 글로벌 확산, 그리고 그에 따른 미국 외 성장 기회가 더 부각된다면 달러는 확실히 약해질 것.

- 따라서, 경기 순환적 회복이 부각되기 전까지는 강달러, 그 후로는(25년 중반 이후) 약달러 예상.

- 23년 초부터 24년 상반기까지 미국 증시는 테크 위주로 강세. 하지만 2024년 하반기에는 AI 수익화 논란 등으로 테크 주가 상승세 둔화. 2025년에도 빅텍들 이익 증가세는 견고할 것으로 보이나, 주가 상승세는 예전 같지 않을 전망.

- 금융 산업재 소비재 등으로 다변화 필요. 하지만, 이들 섹터의 주가 상승률은 미국 명목 GDP 성장률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음. 즉, 2025년 미국 증시 기대수익률은 지난 2년간에 비해 크게 낮춰 잡아야 할 듯함.

- 24년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강세를 보였던 것은 경기 흐름과 큰 상관 없었음. AI 관련 투자 확대가 기회 요인으로 작용. 하지만, 반도체도 전통적 수요처(PC 모바일폰 등)로는 수출이 그리 활발하지 못했고, 반도체 제외 시 전반적인 수출 또한 글로벌 경기 둔화에 연동되면서 정체된 모습을 보임.

- AI 생태계 확장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2025년 하반기 이후로는 글로벌 경기 반등에 따른 수출 회복이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한국 주식에게 기회가 될 것.

*미래 박희찬 위원님 자료 발췌 (24.12.23)

#전략

몰?루

31 Dec, 03:19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34268?sid=104

SCMP는 중국군의 5G 기술 활용이 '스마트 무기' 활용의 폭을 넓힐 것이라며 "중국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의 무인 군대를 건설 중이고, 강력하지만 저렴한 드론과 로봇 개 및 기타 무인 전투 플랫폼들은 미래 전장에서 인간 병사의 수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군수기업 록히드마틴과 통신사 버라이즌이 공동 개발 중인 '5G.MIL' 시스템은 약 100m 간격을 둔 군용 차량 험비 두 대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서 최대 30ms의 지연 시간을 기록했다.

중국 기술팀은 "이 결과는 미군은 만족시켰지만 중국군의 최소 요구사항에는 훨씬 못 미친다"고 주장했다.
-

몰?루

31 Dec, 03:16


241129-컴투스 콥데이
https://cafe.naver.com/ircall/20438

몰?루

31 Dec, 01:31


택배서비스사업과 소화물배송대행사업의 운송수단에 화물차와 이륜자동차 외에 드론과 로봇이 추가된다.
개정안 시행일은 내년 1월17일이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989786?sid=101

몰?루

31 Dec, 01:25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79557?sid=105

몰?루

31 Dec, 01:25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724267?sid=101

몰?루

31 Dec, 01:24


25년은 경기 침체가 아닌 지속적인 글로벌 경제 회복으로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는 오랫동안 글로벌 경기 침체의 문턱으로 글로벌 종합 선행 지표(CLI)에서 99를 표시해 왔습니다. 글로벌 경제는 그로부터 반등하여 계속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X @JeffreyKleintop

몰?루

31 Dec, 00:37


삼성전자, 2나노 파운드리 고객사 추가 수주… “초기 수율 확보 청신호”
출처 : 조선비즈 | 네이버

https://naver.me/xhz3oRcK

국내 + 2나노 + NPU면 리벨리온 일듯

몰?루

30 Dec, 21:00


#천연가스
가격 급등중

-1월 동부 한파 전망 원인


Natural gas surges 20% on expectations for colder-than-usual January on the East Coast https://www.cnbc.com/2024/12/30/natural-gas-surges-20percent-on-expectations-for-colder-than-usual-january-on-the-east-coast.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몰?루

24 Dec, 09:22


압류금지 ㅅㅂㅋㅋ

몰?루

24 Dec, 09:22


이재명 “1인당 1개 전국민 압류금지통장 허용法 추진”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4/12/24/7GI46MNDRVH2LHTR64ODTYKOAE/

몰?루

24 Dec, 08:09


#환율 #운임
4Q 실적 시즌의 숨겨진 묘미는 기초와 기말의 환율 및 운임 변동에 따른 수혜들.

몰?루

24 Dec, 06:55


[로봇] 액츄에이터 1등,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스 (HDS)
https://blog.naver.com/bigpicture-storage/223704155046

몰?루

24 Dec, 05:55


스마트레이더시스템 , 美 팔란티어·안두릴 스페이스X·오픈AI와 1200조 국방 컨소시엄 참여··안두릴 레이더 공급사↑

미국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와 자율드론 제조업체 안두릴 등이 일론 머스크의 우주 방산기업 스페이스X와 챗GPT 개발사 오픈AI 등과 손잡고 미국 국방 예산을 따내기 위해 본격 협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자율드론 안두릴에 레이더를 공급하고 있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424960)이 강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와 자율드론 제 조업체 안두릴 등 대표적인 IT 방산업체들이 다른 기술 기업들과 손잡고 미국 국방 예산을 따내기 위해 본격 협의 중이다.

미국 국방 예산은 8천500억달러(약 1천231조원)로, 지금까지는 대부분 록히드 마틴 등 전통 방산업체들에 돌아갔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팔란티어와 안두릴 등이 다른 IT 기업 10여곳과 컨 소시엄을 구성, 미국 국방부의 방위사업 입찰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고 23일 보도 했다.

컨소시엄에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 방산기업 스페이스X와 챗GPT 개발사 오픈AI, 자율 선박 제조업체 새로닉(Saronic), AI 데이터 기업 스케일AI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컨소시엄 구성 협상은 현재 진행 중으로, 이르면 내년 초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이 전했다.

한편,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미국 자율드론 기업인 안두릴에 드론용레이더를 납품하 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 드론 요격업체로 알려진 안두릴과 개발한 드론용 레이다는 2년간 협력을 통해 2021년부터 상용화에 성공했다. 또한 최근엔 안두릴의 롱레인지(Long Range) 드론용 레이다를 개발 중이다.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22537

몰?루

24 Dec, 05:27


How might NASA change under Trump? Here’s what is being discussed

- 6주 간 NASA와 탐사 계획을 평가해 온 다섯 명의 정통한 소식통을 통해 확인되는 내용으로, 이들이 정책을 수립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의 변화될 가능성이 있음.

- NASA와 민간 우주 정책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고려하고 있으며, NASA에서 "큰 변화"를 바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열망을 반영

- 인수팀의 회의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평소와 같은 비즈니스는 아닐 것"이라 말했음. 회의를 이끄는 사고방식은 결과와 속도에 초점

- 트럼프가 화성에 대한 관심을 포함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작업 중. 트럼프는 올해 9월 연설에서 "엘론은 제 임기가 끝나기 전에 화성에 도착하고 우주에서 큰 군사적 보호를 받고 싶기 때문에 로켓을 발사합니다."라고 말한 적이 있음.

- 인수팀이 논의한 행정명령, 정책 지침으로 이 내용은 변할 수 있음.
1) 28년까지 달, 화성에 사람을 보내는 목표 수립
2) 값비싼 우주 발사 시스템 로켓과 오리온 우주선 취소
3) 앨라바마 주 마샬 우주 비행 센터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와 에임스 연구 센터 통합
4) 워싱턴에 소규모 행정부, 나머지를 현장 센터로
5) 아르테미스 달 프로그램을 더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재설계하기.

- 백악관의 운영 및 자금 관련 부서와 변화 모색, NASA 자금 지원 관련 의회와의 협상 필요.

- Isaacman 인준 후 빛의 속도로 우주국의 주요 프로그램을 검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가능성이 높음.

- Isaacman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존재했던 민간 우주 방향을 이어나갈 것. 당시 행정관 Jim Bridenstine은 미국이 상업 우주 산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진출할 것을 촉구했음.

- 그 당시보다 상업용 우주 산업이 지금 더 자리 잡았기 때문에 우주 비행의 민영화 추진 가능성이 높음.

- NASA 센터를 보유한 주 정부도 우주 기업 유치에 더 많은 자금 투자 중. 이런 주 정부의 이니셔티브는 미국의 우주 비행 미래가 정부 주도의 아폴로, 우주 왕복선 시대를 벗어나 정부 및 상업 주체들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을 반영

몰?루

24 Dec, 05:06


2024.12.24 14:06:04
기업명: 제룡전기(시가총액: 7,565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
계약내용 : 미국 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이하 PSE&G사) 배전변압기 공급 계약 체결
공급지역 : 미국
계약금액 : 430억

계약시작 : 2024-12-23
계약종료 : 2026-12-01
계약기간 : 1년 11개월
매출대비 : 23.4%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24900263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3310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3100

몰?루

24 Dec, 05:06


팩폭...

몰?루

24 Dec, 05:0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17329?sid=101&id=news

LIG넥스원은 이의제기 문서에서 입찰 회의 당시 루마니아 측으로부터 공정하지 않은 대우를 받았다는 주장도 제기했습니다.

유럽 방산 기업인 MBDA, 독일 디엘 디펜스 등은 각각 4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이 회의에 참석했고, 이스라엘 군수 기업인 라파엘 어드밴스드 디펜스 시스템은 3명이 회의에 들어갔지만 LIG넥스원은 회의당 최대 2명까지만 회의에 참석해야 했다는 주장입니다.
-

몰?루

24 Dec, 04:31


#효성중공업
- 오늘 이슈였던 효중 채무 이슈는 금요일에 공시로 나옴
- 금요일 공시에 대해 월요일 밤에 JP에서 리포트가 나옴
- 금요일 공시 이후 월요일에는 반응이 없었으나 리포트 나오면서 뒤늦게 반영.
- 시장에서 건설에 -1조를 주시겠다는데 어떻게 할 도리는 없을 듯.
- 전력으로 땡기는 수밖에. 근데 최근 회사 소통 톤이 높아져서 추후에라도 땡길 수 있을 것 같긴함.
- 금일 슬프다가 그래도 나아진 슬피 우는 조류에게 바침. 메리 크리스마스!!

몰?루

24 Dec, 03:32


구글 웨이모(Waymo)가 샌프란시스코 택시 시장 접수중

샌프란시스코 내 웨이모 서비스 지역 안의 데이터라는 점은 꼭 참고해주세요🙏

산호세나 샌프 공항 같은 경우는 서비스 지역에서 벗어나 포함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 그럼에도 놀라운 데이터입니다💯

24년 11월에 들어서며 택시 시장의 22%를 점유하며 Lyft(인간 운전 택시회사)의 점유율을 넘어서버렸다고 하니,

🤔 이렇게 사람들은 자율주행 택시를 점점 선호하게 되고 로보택시가 시장에 확산이 되겠죠?

👉 원문 보기 👈

몰?루

24 Dec, 02:59


반미 믈브 느바충은 ㅆㅂㅋㅋ

몰?루

24 Dec, 01:50


(아래) '자사주 마법' 사라진다…31일부터 인적분할시 신주배정 금지

금융위원회는 상장법인 자사주 제도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오는 31일부터 시행된다고 24일 밝혔다.

개정안은 자사주 보유/처분 공시도 대폭 강화하도록 했다.

상장사의 자사주 보유비중이 발행주식총수의 5% 이상인 경우 자사주 보유현황과 보유목적, 향후 처리계획(추가취득/소각) 보고서를 작성해 이사회 승인을 받아 공시해야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224039200002?input=1195m

몰?루

24 Dec, 01:42


https://blog.naver.com/dkim0210/223675762862

몰?루

24 Dec, 01:33


이제 애 낳으면 중국인 왕서방 발 마사지 하고 오천원씩 받으면서 살면댐 ㅇㅇ

몰?루

24 Dec, 01:33


스마트레이더시스템 : 25년부터 기대되는 이유

작년 12월 저희 팀에서 인뎁스 리포트를 작성한 이후, 지속적으로 팔로우업 중인 기업입니다. 의미 있는 내용이 있어 간단하게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스쿨버스 진행 상황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플로리다주 내 카운티별 예산에 맞춰 예산 절차가 용이한 곳부터 진행 중입니다. 그중 한 곳이 세미놀 카운티(스쿨버스 : 414대)입니다.

회사와 소통하기로 스쿨버스 한 대당 $5,000이고 설치비 $1,000으로 총 $6,000입니다. 기존에 우려 사항은 ① 비용적 측면에서 설치 인부 교육비, 설치비가 추가로 들어가는 것. ② 해당 주 내 스쿨버스 설치 인력(technician)의 숫자가 제한적이기에 설치 속도 측면에서 우려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설치 대행 회사를 별도로 계약(버스 1대당 $1,000)함으로써 이러한 우려 사항이 우호적인 환경으로 변화하였습니다.

- 기존: 스쿨버스 대당 $5,000(레이더 21개). 설치비 포함.
- 변경: 스쿨버스 대당 $5,000(레이더 21개) + $1,000(설치비 별도 및 설치 대행사에서 설치).

플로리다 주 내 스쿨버스는 17,388대이며 카운티별로 발주가 나오겠지만 설치 속도는 굉장히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에 인캐빈과 아웃사이드 레이더의 원가를 고려했을 때 GPM은 약 70%였지만 우려 사항이었던 설치비와 인부 교육비를 고려하면 낮은 OPM을 예상했지만 현재 상황은 20~30% 정도의 마진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플로리다 주 이외에 진행 상황이 빠른 주는 워싱턴주(스쿨버스 10,345대), 미시간주(스쿨버스 15,000대), 오하이오주가 있습니다.

특히 플로리다주는 일부 하원 의원들이 법제화 추진 중으로 회사 입장에서는 사업하기 용이한 상황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자동차 : 카메라+레이더 결합제품
동사와 같은 소규모 벤처기업이 글로벌 완성차 벤더로 등록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매출에서도 볼 수 있듯이, 2022년과 2023년 동안 현대모비스에 레이더 샘플 정도 납품하는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SDIR(SW Defined Imaging Radar)을 선언하였습니다.

국내외 완성차 OEM 향으로 카메라(LG이노텍) + 레이더(스마트레이더시스템) 결합 제품으로 설계 및 영업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LG이노텍과 함께 SDIR을 기반으로 전방 탐지거리는 350m, 측·후방 탐지거리는 200m까지 설계를 완료하였습니다. 현대차 향으로 레이더는 동사의 제품과 카메라는 LG이노텍이 채택하여 개발이 진행 중이며, 현재 테스트 물량만 1,000세트 이상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내 최종 테스트가 예정되어 있으며, 테스트 기간을 마친 후 실질적인 매출은 2025년 하반기에서 2026년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 양산 시 LG이노텍의 공장을 사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LG이노텍의 고객사인 포드와도 협력하기로하였으며,
국내외 대형 OEM사 향으로 동사의 레이더와 LG이노텍의 카메라를 함께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동사는 모듈 제조를 담당하며, LG이노텍은 일부 통신 기능, 하우징, 품질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두 회사는 공동으로 영업을 진행하며, 향후 LG이노텍의 모듈 매출과 함께 별도 계약이 체결될 경우 러닝 로열티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외 소규모 기업은 다른 카메라 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동사는 모트렉스와 함께 베트남과 싱가포르 경찰차에 레이더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 협력에서 모트렉스는 카메라를, 동사는 레이더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외의 사업은?
1. ITS - 이스라엘과 한국 정부 간 공동 기금을 조성해 수행하는 국책 과제 수행 → 최근 공시(정부 출연금으로 동사는 16억 원 배분). 현재 MOQ 4배 UP.

2. 드론1 - ANDURIL 향 수비형 드론(100m 수비용 (ASP 70만 원)) 꾸준히 PO 나오고 있음.

3. 드론2 - 네바다주 + 한국 배터리사와 JV 사업. 동사는 레이더 독점 공급. 네바다주 정부 11,000대 수비형 드론 발주 기대.

4. 드론3 - 아마존프라임에어와 관련하여 최근 샘플 수량 정도 납품하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대표이사님과 지속적인 미팅 중.

5. LG전자 가전제품(에어컨) - 국내외 보급형 및 프리미엄 제품으로 절전형 기능(70%전력 감축)과 사람을 감지하여 사람이 있는 방향으로 에어컨 바람이 작동하는 AI 가전. 25년 국내향으로는 PO는 이미 확정받은 상황. 해외로는 미국, 캐나다, 태국, 브라질 등 11개국에 승인을 받아 25년 매출 확대가 기대.

6. 헬스케어 - 일본 요양병원, 가정 등에 납품되는 것으로 납품 중. 현재 MOQ가 3,000개까지 증가(4.5억)하여 국내에서 기존에 LGU+와 사업했던 ASP보다 높은 상황으로 추가적인 고객사 확보 중.

7. 특장 차량 - 현대건설기계(신제품에 탑재), 두산인프라코어(신제품+기존 제품, 모델이 30개가 넘음) 외주 및 품질 최종 테스트 승인되어 포캐스팅까지 확정.

최근 노트래픽 향 레이더 모듈 공급 계약 체결 공시, ITS 관련 국책 과제 선정(ITS) 공시, 해외 쓰레기 수거 목적 특수 차량용 레이더 공급 계약 공시 등 의미 있는 공시가 나오고 있어 25년은 더욱 기대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회사에서 업데이트되는 사항은 다시 한번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몰?루

24 Dec, 01:28


모든 기사가 계엄이 원인이라고 하는데 새벽에 실패로 돌아간 계엄때문에 국민들이 다음날부터 갑자기 지갑을 이렇게 세게 닫았을까요? 약간 의문이 드는 데이터네요.

몰?루

24 Dec, 01:22


니들이 간첩한테 나라 바친거야 ㅋㅋ

몰?루

06 Dec, 01:22


■ 대통령 탄핵시 기간 체킹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시(12/7일.토요일저녁7시)
180일이내 헌법재판소는 탄핵심판
(박근혜때는 국회가결후 3개월만에 헌재가 심판)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시
60일이내 차기 대통령 선거
(이번 탄핵사유는 국회 가결이 되어 헌법재판소로 넘어가면 인용가능성은 매우 높다. )

몰?루

06 Dec, 01:02


실제 박근혜 전대통령이 탄핵된 시기는 제가 알기로는 2017년 3월입니다. 탄핵심판까지 시기가 몇달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17년 부터의 반등은 탄핵이 이뤄져서가 아니라, 17~18년 반도체/디스플레이 슈퍼 사이클이 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때 OLED까지 포함해서 강력한 IT 사이클이 왔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애플의 첫 OLED 아이폰인 아이폰X이 2017년 말에 출시 - 이로인한 A3~A4 OLED 증설 사이클)

즉, 글로벌 테크 트렌드 2가지 - 1) 하이퍼스케일러 중심의 데이터센터 증설 사이클(본격적인 FAANG의 등장)과 이로 인한 B2B 서버 DRAM 및 SSD라는 새로운 수혜, 2) 아이폰 OLED 채택으로 인한 OLED의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 사이클 (국내 SDC 밸류체인이 독주할 수 있는 환경)이 함께 조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2가지 글로벌 트렌드에서 국내 테크 업체들이 전폭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반대로 2025년은 글로벌 테크 트렌드는 여러가지 갈래로 확장되고 더 강력해지는 상황 속에서 (AI HW, AI SW, 자율주행, 우주항공, AI 국방, AI 핀테크 등) 국내 업체들이 수혜 받을 수 있는 영역이 많을지는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몰?루

06 Dec, 00:34


#지누스

- 10월 인도네시아 > 미국 수입데이터 발표
- 연중 최고치 갱신

몰?루

06 Dec, 00:33


전력기기 JPM

작성: 탐방왕(https://t.me/tambangwang)

유럽 전력 수요 증가로 아시아 수출업체들에게 구조적 순풍이 예상됨. 한국과 중국의 2024년 9월 누적 EU 변압기 수출은 각각 90% 이상, 45% 이상 증가하며 2023년 60%, 90% 급등 이후에도 성장세를 이어감


효성중공업

효성중공업의 2024년 9월 누적 유럽 주문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신규 설비 연결과 기존 설비 교체 수요가 주요 요인임. 특히, 노르웨이 Statnett(3,040억 원)와 덴마크 Orsted(2,190억 원)의 주요 주문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필요한 변압기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됨


HD현대일렉트릭

HD현대일렉트릭은 유럽을 주요 성장 시장으로 인식하며, 현지 전력 회사들이 공급업체 다변화를 추구함에 따라 큰 잠재력이 있다고 봄. 영국 국가 전력망으로부터의 계약 금액은 최근 2년간 73% 증가했으며, 고전압 변압기의 단가가 50% 이상 상승. EU 매출은 2026년까지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률이 예상됨


Huaming Equipment

Huaming은 터키 제조 공장을 유럽 변압기 부품 공급 거점으로 활용 중이며, 2024년 상반기 유럽 시장에서 매출의 약 30%를 차지함. 간접 수출 부문에서도 4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현지에서 점진적으로 입지를 확대 중


Sieyuan Electric

Sieyuan Electric은 유럽과 중동 시장에서 매출의 20-25%를 차지하며, 이탈리아, 영국, 벨기에, 덴마크 등 주요 국가에 고전압 장비를 공급. 유럽 전력 장비 수요 증가로 신규 주문 증가가 기대됨

몰?루

06 Dec, 00:02


헐.... 국회에서 계약갱신권을 무제한으로 만드는 법을 입법예고 했네요.

https://pal.assembly.go.kr/napal/search/lgsltpaSearch/view.do?lgsltPaId=PRC_X2X4V1W1V0V6D2D0C1A4B2Z3A6I3I7&searchConClosed=0&refererDiv=S
반대가 많아야(50000명?이상) 취소되는걸로알고 있어요. 반대의견 등록 내일 마감입니다. 많이 참여해 주세요.

이게 통과되면 누구도 전세를 주지 않아 부동산 시장에 전세가 씨가 마르고
월세로 모두 전환됩니다.

몰?루

05 Dec, 23:52


https://blog.naver.com/kk_kontemp/223684279280

몰?루

05 Dec, 23:39


세경하이테크

기사내용 中
전일 세경하이테크는 공장신축 및 시설투자 자금을 목적으로 종속회사 세경비나에 282억 6000만 원을 대여한다고 공시했다.
'세경비나(SEGYUNG VINA CO., LTD)'는 세경하이테크가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이다.
세경비나의 경우 2013년에 출자한 곳으로 산업용 테이프 및 데코필름을 생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CAPA? 타임라인?
저희 팀은 지난달 세경하이테크 탐방 당시, 회사와의 소통을 통해 애플 폴더블 전용 라인에 약 200~300억 원 규모의 투자가 집행될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부지는 이미 '베트남 박닌 옌퐁 공장(2공장)'에 마련되어 있으며, 공장 건설에는 약 5~6개월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2025년 중순에는 양산 라인에서 정식 샘플이 제출되어야 하는 일정이 있기 때문에, 이번 공시에서 발표된 대여 금액과 타임라인을 고려할 때 이번 공시는 시기적으로 적절한 발표로 판단됩니다.

세스멧?
세스멧 공장 역시 '베트남 박닌 옌퐁 공장(베트남 2공장)' 내 애플 전용 라인 바로 옆에 부지가 이미 확보된 상태입니다. 약 200억 원 규모의 시설 투자가 집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퀄 테스트 진행이 다소 늦춰진 감이 있지만, 회사와의 소통 결과 제품 품질이나 개발 과정에 문제는 전혀 없다는 확인을 했습니다.
회사는 이미 양산 부지를 준비한 상태이며, 20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예상하고 있는 만큼, 연내 또 한 번의 시설 투자 관련 공시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사 :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12060247316441cd1e7f0bdf_23

몰?루

05 Dec, 23:23


OpenAI, o1 추론 모델이 포함된 새로운 월 200달러 구독 서비스인 ChatGPT 프로 플랜 출시

‒ OpenAI가 고급 사용자(AI를 심층 활용하는 전문가)를 위한 ChatGPT Pro 구독 플랜 출시. 가격은 월 $200로 기존 Plus 요금제보다 10배 비쌈.

‒ Pro 구독자는 모든 OpenAI 모델(GPT-4o 포함)과 o1 reasoning 모델의 Pro 버전을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

‒ ChatGPT Pro는 Advanced Voice Mode(자연스러운 대화형 음성 기능)와 GPT-4o 무제한 사용을 포함하며, 특히 코딩, 데이터 과학, 법률 분석에서 탁월한 성능 제공.

‒ o1 모델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사실 검증을 하고 여러 단계를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reasoning 중심 AI 모델임.

‒ 주요 개선 사항:
• 이미지 분석 기능 추가.
• 응답 시간을 줄이며 “간결한 사고” 훈련으로 정확도 향상.
• 실세계 어려운 문제에서 오류 34% 감소, 일상 코딩 질문에서 오류 75% 감소(o1 Pro 기준).

source: TechCrunch

몰?루

05 Dec, 22:46


최근의 OpenAI는 현재 구글의 지위를 가져오는데 진심인 것으로 느껴진다. 우리가 마치 컴퓨터를 키면 구글과 네이버부터 들어가듯, 앞으로는 에이전트 먼저 들어오길 목표하는 것. 그리고 인프라 투자를 목적보단 수단으로 바라보는듯한 느낌이고.

"Many of the new team have an expertise in building and monetising consumer products. This has led to a dual focus: a long-term research vision and short-term product goals as it focuses on ramping up revenue-generating products to outpace its ballooning costs."

https://www.ft.com/content/e91cb018-873c-4388-84c0-46e9f82146b4

몰?루

05 Dec, 15:33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933

몰?루

05 Dec, 15:30


🤩기업들도 흥분한 AI 에이전트

Google Cloud CEO Thomas Kurian:
“AI 에이전트는 여러분이 컴퓨팅 기기 및 웹 자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Salesforce CEO Marc Benioff:
“우리는 내년까지 고객사들과 함께 10억 개의 에이전트를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ServiceNow CFO Gina Mastantuono:
“인간과 같은 추론과 이해력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문제와 작업, 다중 프로세스를 해결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팀을 갖는다는 것은 정말 놀랍습니다.”

ServiceNow CEO Bill McDermott:
“AI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것은 ‘사람들이 처음부터 하고 싶어하지 않았던 일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 인력을 고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World Wide Technology CEO Jim Kavanaugh:
“AI와 관련하여 모든 종류의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조언하자면, AI와 기술에 대해 배우고 두려워하지 말고 받아들이라는 것입니다.”

SAP CEO Christian Klein:
“비즈니스 AI 기술과 솔루션은 ‘기업들이 운영되는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꿀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survivaldopb/223683980435

몰?루

05 Dec, 13:28


그래서 금투세는?

몰?루

05 Dec, 13:26


xAI의 투자 계획에 포함된 NVIDIA GPU 100만 개 조달 비용은 약 300억 달러(각 GPU당 3만 달러로 환산)로, 이는 NVIDIA의 2024년 7~9월 분기 총 매출액 350억 달러에 맞먹는 수준

몰?루

05 Dec, 13:13


엔비디아, AI 의료기술 기업 빈브레인 인수 계획

ChainCatcher 뉴스에 따르면, NVIDIA CEO 젠슨 황은 NVIDIA가 Vingroup의 AI 의료 기술 기업인 Vinbrain을 인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빈브레인은 베트남 빈그룹 그룹이 투자한 의료 인공지능(AI) 기술 기업으로, AI 기술을 통해 의료 진단 및 병원 데이터 관리를 개선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www.chaincatcher.com/en/article/2155409

젠슨황 CEO 베트남 방문중

몰?루

05 Dec, 09:31


물론 이 언론사가 쌉극우언론사라서

내용의 신뢰도는 0% 에 가깝긴한데

0%에 가까운 계엄이 실제 발생한 2024.12에는 어떤 일이든 일어날거같긴하네

몰?루

05 Dec, 09:25


졸라 무서운건 이거를 애초부터 계획했던거임 ㄷㄷ

몰?루

05 Dec, 09:20


대 상 혁 ㅋㅋㅋㅋ

몰?루

05 Dec, 09:17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55243

5일 스카이데일리 단독 취재를 종합하면, 국가정보원은 지난해 7~9월 합동 보안점검 당시 중앙선관위 서버에 대한 일부 포렌식을 통해 전산 조작에 의한 부정선거가 자행된 기록을 발견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4일 오전 0시30분 계엄군 약 120명과 경찰 약 100명이 경기 과천시에 자리한 중앙선관위 과천청사에 진입했다. 이보다 앞서 특수요원 추정 인력 10여 명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2분 만인 3일 오후 10시30분 중앙선관위에 기습 투입됐다. 
 
또한 중앙선관위 관악청사에도 계엄군 약 50명, 경기 수원에 있는 선관위 선거연수원에도 계엄군 약 130명, 경찰 약 100명이 진입하는 등 국회보다 선관위를 먼저 장악한 사실이 새롭게 파악되고 있다. 
 
본지는 윤 정부가 지난해 부정선거를 확인한 결정적 첩보를 올여름 최초 입수했고 지난달 크로스 체킹을 통해 관련 정보가 사실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했으나 정부 보폭에 맞추려 내부 논의를 거쳐 보도를 유예해 왔다. 

몰?루

05 Dec, 08:24


2024.12.05 17:20:02
기업명: 제테마(시가총액: 3,587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제테마더톡신주 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독소 A형)의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국내 품목허가 획득)

제목 : 제테마더톡신주 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독소 A형)의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국내 품목허가 획득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임상시험 약물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이 의약품규제기관의 최종적인 허가 결정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품목허가 심사 과정에서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상업화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투자자는 수시공시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된 투자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1) 품목명

- 제테마터톡신주 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독소 A형)


2) 대상질환명(적응증)

- 중등증 또는 중증의 미간주름


3) 품목허가 신청일, 허가 획득일 및 허가 기관

- 신청일: 2023년 10년 31일

- 허가일: 2024년 12월 05일

- 품목허가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4) 허가사항

- 상기 대상질환명(적응증)에 대해 제테마더톡신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독소 A형) 국내 품목허가 승인


5) 향후 계획

- 국내 제품 출시 및 해외 인허가 진행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590048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16080

몰?루

05 Dec, 06:00


S&P의 한국 계엄 관련 코멘트

1. 금번 한국의 계엄령 사태는 AA 등급 국가들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이벤트(very unexpected for sovereign at the 'AA' rating level)

2. 시장에 부정적 여파가 있을 것. 정치적 안정성에 대한 인식을 약화시킬 가능성도 존재

3. 그럼에도 동 사태가 향후 1~2년 동안 한국 신용등급 조정의 trigger로 작용하거나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판단(unlikely to trigger a rating change in the next year or two)

4. 계엄령이 질서있게 해제되었고, 심각한 폭력사태가 없었다는 점은 한국의 정치적 시스템이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방증

5. 사태가 마무리되면서 보여준 일련의 과정들은 투자자들의 우려를 감소시킬 것

6. 빠른 정국의 정상화는 왜 한국이 AA등급을 부여받고 있는지 증명한 부분으로 볼 수 있으며, 신인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수습할 수 있는 능력도 입증

7.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의 시장 관련 대응은 변동성 제어에 성공(lmited immediate volatility)했지만 투자자들의 안정까지는 시간 소요 전망

8. 계엄 관련 경제와 금융, 신인도 여파를 확인하는데 까지도 많은 시간이 걸릴 것. 영향의 최소화는 한국의 정치 시스템이 얼마나 빠르게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는지에 상당 부분 달려있음

몰?루

25 Nov, 01:37


아마존, AI 칩 분야에서 Nvidia에 도전

1. 기술 개발
- 아마존이 Austin의 엔지니어링 연구소에서 자체 AI 칩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자체 AI 칩 Trainium2를 올해 말까지 데이터 센터에 적용 목표로 개발 중이다.
- Trainium2는 이전 세대 대비 성능과 메모리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데이터 센터에 10만 개 이상 연결할 계획이다.
- 아마존의 Neuron SDK는 Nvidia의 소프트웨어와 비교해 아직 초기 단계다.

2. 산업 경쟁
- Nvidia는 AI 칩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유지하며 신제품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
- Google과 Microsoft도 자체 칩 개발을 가속화하며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 Microsoft는 Nvidia 칩과 병행해 자체 AI 칩 Maia와 CPU Cobalt를 활용 중이다.

3. 파트너십 및 협력
- AI 스타트업 Anthropic과 Databricks가 Trainium 칩 활용을 확장하며 아마존과 협력 강화했다.
- Anthropic은 비용 대비 성능이 뛰어나다며 아마존 칩 사용을 늘릴 계획이다.
- 아마존은 파트너와 고객 피드백을 통해 칩 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4. 시장 전망
- Trainium2는 아마존 내부 AI 작업을 처리하고 일부 대형 고객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Nvidia 칩 수요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 AI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복잡성 격차를 해결하는 것이 성공의 필수 조건으로 강조됐다.

5. 산업 동향
- Nvidia와 같은 강력한 경쟁자를 넘어설 가능성은 낮지만, 비용 절감과 데이터 센터 최적화로 차별화 가능성이 있다.
- Amazon Web Services는 18개월 주기로 새 칩을 출시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https://www.bloomberg.com/news/features/2024-11-24/amazon-plans-to-rival-nvidia-with-its-own-ai-chips

몰?루

25 Nov, 01:36


노머스(241017)

주가 : 19,100원
Pre-IPO 단가 : 21,200원(23.9)
장외주가 : 35,000원(24.10.22)
시총 : 1,959억원
유통가능주식수 2,740,720주(25.6%)

<가이던스>
-'24년 매출 690억 영업이익 110억 POR 17.8x
-'25년 매출 1,046억 영업이익 308억 POR 6.4x

<개요>
엔터테크 기업으로서 아티스트 IP활용한 종합 솔루션 제공
앨범 판매 및 공연 주최를 통한 아티스트의 직접 활동, 아티스 트의 콘텐츠 제작 권리, MD 제작 및 판매 권리, 유료 메시지 서비스 및 팬클럽과 같은 팬덤 플랫폼을 통한 IP 사용 권리 등을 계약 형태로 취득해 간접 활동을 지원
동사의 매출은 크게 공연(해외투어), 커머스(MD), 플랫폼으로 구분
2024년 반기 말 기준 동사의 매출비중은 공연(37%), 제품(25%), 플랫폼(20%), 상품 (17%), 기타(1%)로 구성되며, 매출의 69.39%가 국내, 30.61%가 국외 발생
아티스트 IP의 활동 분야 및 구매층의 특성 등에 따라 적합한 비즈니스 모 델로 협업을 진행 중임. fromm서비스에서 국내 외 공연, 프라이빗 메시지, 스토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Wonderwall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클래스를 제공하는 등의 수익 모델
동사의 플랫폼인 '프롬'은 아티스트와 팬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채널과 함께 다양한 팬클럽 서비스를 제공중, SM과 하이브의 팬덤 플랫폼은 자사 외의 중속형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들은 입점 불가하나 프롬은 별도의 제약 없음
fromm은 현재 K-pop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계약을 체결 중임. K-pop 아티 스트 이외에 배우, 텔런트, 인플루언서 등 다양한 IP의 입점과 글로벌 아티스트 확 보를 통해 지역 확장을 추진
2024년 차은우, 아이유 등 아티스트의 해외 공연 사업을 전개 중임. 기존 12,000석 규모의 Arena에서 2025년에는 30,000석 내외의 Dome/Stadium급의 공 연장을 섭외하여 공연사업 규모를 확대할 계획
동사의 '플랫폼' 기준 아티스트 1명이 차지하는 비중이 5%가 넘지않고 특정 아티스트 의존도 낮음, 동사는 북남미 지역에서 총 72건 진행했고 다수의 레퍼런스를 보유함

몰?루

25 Nov, 01:36


#노머스 #닷밀 #미디어

"환매청구권"으로 생각해본 아이디어.

노머스는 공모가 30,200원 (현재가 : 17,580원)
닷밀은 공모가 13,000원 (현재가 : 6,380원)

회사가 좋냐 안좋냐는 각자의 생각일텐데 두 회사는 시장이 뿌러지면서 공모가를 한번도 터치하지 못하고 내려앉음. 그런데 이 두 주식은 환매청구권을 달아놓고 상장했음. 따라서 상장 후 3개월 동안 공모가를 회복 못할시 주관사가 사줘야할 의무가 있음.

물론, 공모주주들이 안팔고 물려계신 물량이 어느정도일지는 가늠이 안됨. 그래서 환매청구권이 있더라도 공모가 첫날 상회한 몇몇 종목은 아이디어에서 제외함. 남은건 닷밀, 노머스.

(물론 무조건 올라야할 이유는 없음.)

몰?루

25 Nov, 00:58


#s&p500
- 미국 주식 밸류에이션 비싸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IT 제외하고는 모든 섹터는 10년 역사정 평균대비 싼 상태

몰?루

25 Nov, 00:51


일라이 릴리가 한국에서 cGMP 원료 생산 및 임상 담당 경력직 직원 모집
https://careers.lilly.com/us/en/job/R-73489/Person-in-Plant-APIEM-TS-MS-Scientist

1. Manager – RA (Regulatory Affairs, 규제 업무 담당자)

위치: 서울, 대한민국
부서: 연구 및 개발 (Research & Development)
고용 형태: 정규직 (Full Time, Regular)
업무 내용:
• 규제 업무 기능을 적절히 대표하여 현지 리드 팀(Affiliate Lead Team)과 신제품 계획(New Product Planning) 논의에 참여.
• 주요, 대체, 또는 위임된 현지 라벨링 책임자 역할 수행.


2. Person-in-Plant APIEM TS/MS Scientist

위치: 서울, 대한민국
부서: 제조 및 품질 관리 (Manufacturing/Quality)
고용 형태: 정규직 (Full Time, Regular)
업무 내용:
• 제조 공정에 대한 기술적 관리와 감독 제공.
• 제어 전략 및 제조와 관련된 문제를 포함한 기술적 문제 해결 주도.
• 기술적 절차 실행.


3. Clinical Research Lead (임상 연구 리더)

위치: 서울, 대한민국
부서: 연구 및 개발 (Research & Development)
고용 형태: 정규직 (Full Time, Regular)
업무 내용:
• 임상 시험과 관련된 임상 조사관 및 사이트 관리.
• 회사의 임상 시험(Lilly clinical trials) 또는 시판 후 안전성 연구(Post-Marketing Safety Study) 참여 및 검토.

몰?루

25 Nov, 00:39


코스닥: 거래대금의 반등은 계속 되는 중

몰?루

25 Nov, 00:29


좋은건지 나쁜건지 모르겠네

몰?루

25 Nov, 00:27


https://v.daum.net/v/20241125050356112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 쇄신의 일환으로 개각을 준비하는 가운데, 차기 국무총리 후보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급부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경제통' 총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다. 아울러 이 총재는 교육, 부동산, 저출생 등 각종 사회 현안에 꾸준히 목소리를 내오며 임기 후반기 국정 기조인 '양극화 타개'를 주도할 만한 인사라는 평도 나온다.

총리 후보로 이창용 급부상…트럼프 2기 대응, '양극화' 타개 감안
24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개각의 핵심인 차기 총리 후보군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포함됐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총리 후보로 '경제통'인 이 총재가 급부상하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커지는 미국 트럼프 시대에서 글로벌 감각이 있고 경제 전문가인 이 총재 지명 가능성이 높다"라고 밝혔다.
최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중남미 순방을 다녀온 윤 대통령에게 미국 트럼프 2기 대응 필요성에 대한 체감도는 더욱 높아진 상태다. 자국 중심주의 성향인 트럼프 당선인은 관세 인상 등을 예고해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또 미중 패권 경쟁과 무역 전쟁 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몰?루

24 Nov, 23:40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34688

NASA가 믿고 맡기는 발사 성공률 93%
-

몰?루

24 Nov, 23:38


테슬라

Tesla AI - 로보택시 및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제공하는 업무 담당자 구인

몰?루

24 Nov, 23:17


https://www.mk.co.kr/news/economy/11176698

몰?루

24 Nov, 16:56


늦은시간이긴한데, MSTR에 대해 작성해봤습니다!

https://m.blog.naver.com/giveme23_/223671638160

몰?루

24 Nov, 14:38


2024년 11월 22일 기준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189.17pt로
전주 대비 0.04pt(0.02%)
상승했습니다.

몰?루

24 Nov, 14:38


테슬라 FSD 13 - 2024년에만 안전성이 1000배 향상(MPCI)?

일론 머스크: 곧 출시

몰?루

24 Nov, 14:30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로켓 발사 횟수를 대폭 늘리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스페이스X가 발사 빈도를 늘리는 데는 지금껏 정부 안전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했는데 머스크가 이를 간소화하면 발사 확대에 힘을 받을 수 있다.

스페이스X의 전직 고위 관계자는 로이터를 통해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우주사업 규제를 없애는 도구로 여긴다”라고 평가.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3966

몰?루

24 Nov, 12:52


[AI 반도체의 본질은 (지금으로서는) 메모리 놀음이다]

반도체 뿐 아니라 저는 다른 분야에 있어서도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한 접근으로 강의를 듣거나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좀 더 나아가면 내가 해야할 ‘업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까지 가면 더욱 좋겠지요.
그런데 그 ‘본질’이라는 것이 굉장한 디테일을 동반하기도 하고, 서로 연결이 안될 것 같은 기초 분야들을 한 데 묶어서 연결지어서 볼 수 있는 ‘통찰력’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코 쉽게 얻어지는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제 짧은 견해이지만 그런 점에서, 아래와 같이 저는 이 AI 반도체 사업의 본질 측면으로 개인적인 고민과 시각, 결정사항들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1. 여러차례 여기에 이야기했는데 제 박사전공이 ‘메모리’ 회로와 아키텍쳐였습니다. 2015년 즈음부터 이미 저는 AI 반도체는 결국 메모리 싸움이 될 것으로 보았는데, 이 때 메모리 시장을 크게 좌지우지하면서도 소수의 집단이 지배할 수 밖에 없는 게 ‘메모리 컨트롤러’라는 영역이라고 봤습니다. 이 부분이 너무 중요한건 알겠는데.. 그렇다고 초고속 아날로그 회로를 그때부터 다시 시작하자는 것은 너무 싫고… 결국 그냥 초고속회로를 못할 바에는 반도체를 포기하고 AI 알고리즘을 초딩수준부터 시작하자고 결정하고, 바로 그날… 선형대수 책도 사고 AI 기초책도 사다가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아주 과감한 선택이었는데 30대 중반에 늦은 선택같았지만 지금보니 너무 현명했던 것 같습니다. 메모리를 아주 깊이 들여다보고 논문들도 써보니 오히려 더 과감하게.. 아 이건 내가 건드리기에 한계가 분명하다는식의 포기가 신속하게 가능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IBM에서든 구글에서든… 저처럼 기존에 했던 것들 과감하게 포기하고 AI 알고리즘쪽으로 뛰어든 분들이 박사들만으로도 상당히 많아서 용기를 과감하게 냈던 것 같기도 하네요 (박사받고 얼마 안되었는데 써먹지도 못하고 포기하는 심정이란...) AI에서는 반도체 뿐 아니라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을 버려야할 일들이 여러군데에서 너무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들도 피보팅이 자주 일어나고요.. 이 악물고 매일 새로운 각오를 해야하는게 전체 AI 생태계인듯.. 물론 8년간 알고리즘만을 하고나니 이제는 8년전까지 했던 반도체를 드디어 다시 꺼낼 수 있게 되었지만요... (8년을 기다렸다!)
2. ‘CPU의 신’은 AI 반도체쪽으로 오면 도움이 (뒷부분은.. 제가 살짝 과장좀 하겄습니다..) '1'도 안됩니다. CPU에서 보는 본질은 AI 알고리즘과 상관없는것들이 99.9% 라고 봐야합니다. IBM에서 CPU를 직접 다듬고 만들고 분석했지만 지금 봐도 도움되는 경험 별로 없습니다 (물론 반도체 만드는 과정 자체를 이해하는건 도움되지만 차별화 요소는 못만듭니다) 다만 ‘초고속 고속통신회로의 신’ 이라면 진짜 무섭게 AI 반도체에 공헌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반도체 분야 진짜 넓습니다. 반도체가 많다보니 반도체의 각종 ‘전설’ ‘신’들이 무속신앙의 신들 만큼 많긴하죠.. 그 중에 어떤 영역이 AI와 연결되는지를 보아가며 다르게 봤으면 합니다. AI 반도체는 지금으로서는 가장 필요한게 초고속 메모리와 초고속 통신회로인데, 이 부분에 대한 전설들을 소환하고 의견 들어보는게 훨씬 더 의미가 클 것 같은데 그런 분들은 정작 유투브나 뉴스에서 잘 뵙지를 못하네요…. 요즘 가끔 CPU의 전설이라는 분이 진짜 희한하게 거의 ‘한국에서만’ 특별한 대우와 취급을 받는 것을 보는데… 다시 말씀드리지만 반도체라도 같은 반도체가 아니죠. 똑같이 굴러가는 바퀴를 이용한거라고 오토바이 잘 만든 분에게 F1 자동차 설계를 의뢰할 수는 없잖아요? 왜 하필 그 많고 많은 반도체 분야중에서 (제가 했던 분야라 꼭 그런건 아니지만) CPU의 신이라는 분이 AI 반도체에서 신뢰를 얻는 것인지.... (웃기거나 실망이라는게 아니라 정말 신기해서 그럽니다. CPU와 AI가 연결되는게 있다고 다들 보시는건가)
3. 팹리스 라고 해도 굉장히 많은 종류의 회사들이 있는데 초고속 통신회로를 자체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리고 경량화쪽에서 nvidia와 현격한 다른 점을 보이는 칩이 아니라면… 어떤 차별화를 둘 것인지에 대해 심각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저는 그래서 어떤 IP를 차별화했고 어떤 IP는 그대로 들여온 것인지를 유심히 봅니다. 국내에도 HBM controller IP를 만들고 도전하는 회사들도 몇 들었는데 정말 잘됐으면 좋겠습니다.
메모리 놀음에서 회피하기 위한 방법도 물론 없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자면 지금까지 만든 적 없는 특이한 반도체 아키텍쳐를 가져야할 것은 분명하고 (경량화 중심이든 PIM이든요) 그래서 스스로 '무'에서 '유'를 창조할 각오를 해야겠죠. 그런 칩이 시장에 아직 없으니까요.
게다가 그런 새로운 컨셉의 칩을 만들어본다고 한다면 더더욱 수요기업들과의 협업은 필요합니다… 이렇게 완전 다르게, 기존에 없는 새로운 것들을 만들게 되면 사용법은 괜찮은건지, 정확도에서는 문제가 없는건지 등등 수십가지 근본적인 질문은 더 생기게 될겁니다. 이럴 때 AI 서비스 기업과 반도체 기업의 협업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그것이 포인트가 아닐까 합니다.

출처 :
https://www.facebook.com/share/15NcmY5nEp/

몰?루

24 Nov, 12:50


[팹리스 AI 반도체 스타트업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메모리 이슈]
...
전에도 사실 대부분의 반도체는 DRAM을 포함한 외부와의 통신부분이 대부분의 전력을 사용해 왔습니다 (CPU든 GPU든 모바일AP든 모두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고속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칩이라면 더욱 심각해서 전력의 절반 이상은 메모리 컨트롤러가 쉽게 소비를 하게 되죠.. 그래서 메모리 성능이 중요한 칩의 경우라면 (AI 반도체가 대표적이죠?) 어떤 메모리 기술을 선택하느냐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칩의 운명을 좌우합니다.
첨부한 그림을 보시면 HBM전까지는 반도체 핀 하나당 속도에서는 압도적으로 GDDR이 앞서가고 있었고 대신 전력 효율에서는 LPDDR이 선두에 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HBM은 독특한 패키지 기법을 기반으로 속도든 전력 효율면이든 기존 메모리들을 모두 이겨버립니다. 즉, 순수한 성능으로 봐도 그렇고 전력 효율성으로 봐도 그렇고.. 그렇게 다들 비싸고 복잡한 공정이라고 하는 지적을 받지만 HBM이 가장 우수합니다 (전력효율에서 최상단에 있다는 것은 이 칩을 가지고 오래 돌리는 서비스에서는 전기를 정말 효율적으로 쓴다는 얘기죠)

...

사실 HBM 메모리를 누가 잘 만드는지는 세간에 잘 알려져있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뉴스에 자주 나오죠?) 특이하게 AI 반도체에서는 더 중요한 HBM 컨트롤러를 만들 수 있는 회사들은 뉴스에 자주 나오지 않더라고요…. 사실상 두개 회사가 독점인데 그 회사가 바로 엔비디아, 그리고 브로드컴입니다 (다른 큰 회사들도 있을 것 같긴한데…) 특히나 브로드컴은 본인들이 독자적으로 만들기 보다 IP 사업에 치중하기 때문에 많은 빅테크들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등) 브로드컴에 협업을 의뢰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facebook.com/share/19j3Q5CbvB/

요약하자면 초고속 메모리의 효율화를 위한 HBM 컨트롤러 설게가 중요한데, 이러한 일을 NVDA (기존에 GDDR 사용하던 짬밥), AVGO (IP가 겁나 많음)이 잘한다

몰?루

24 Nov, 12:25


https://m.blog.naver.com/ustock_/223671435345?referrerCode=1

몰?루

22 Nov, 02:22


일단 홈피에도 올라오긴함.

http://www.alteogen.com/ir_1/?uid=2426&mod=document

오늘 매일경제를 통해 당사와 관련한 뉴스가 보도되어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은 H사의 플랫폼 기술에 대하여 당사의 파트너사가 특허무효심판을 제기했다는 내용입니다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당사와 각 파트너사들은 특허 전문 로펌을 활용한 분석 및 각 특허에 대한 면밀한 검토 및 확인을 거쳐,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술의 라이선스 계약 체결 및 이후 특허 전략을 준비하였습니다

참고하여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몰?루

22 Nov, 01:58


https://www.mk.co.kr/news/stock/11174599

효성그룹 폭탄돌리기중

몰?루

22 Nov, 00:08


https://v.daum.net/v/20241122090549272

렉자라 <~ 진짜로 돈 버는 중

몰?루

22 Nov, 00:05


알테오젠 조심스럽운 생각 기록

1. 엔허투 계약 공시 당일 큰 거래량 발생하며 상승 - 텔레, 블로그 모든 곳에서 긍정정 의견 도며 수급 유입 (이 날 긍정적인 뷰를 가졌다면 기다릴거 없이 다 들어옴)

2. 역설적으로, 이는 추가로 들어올 수급이 없어짐을 의미. 이미 엔허투 공시나온 날 다 들어갔을텐데, 돈은 무한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님

3. 들어온 수급은 매도 대기 수요가 됨 + 레버리지 비율이 높아짐에 변동성에 굉장히 취약해짐. 거기에 매크로 이슈로 바이오 투심도 안좋아짐. 네이키드 숏 수요가 커지고 + 현물 보유자도 파생 숏으로 헷지를 할 가능성이 커짐. 그럼 파생에 현물에 매도에 매도 부르는 어제같은 상황이.. 나옴

4. 근데, 2대주주께서 추매를 하셨죠? 공시대상이되면서 정확한 포지션이랑 평단이 공개됨

5. 또 근데,, 이 분께서는 8월 6일 반대매매 당하신 이력이 있으심(강제적 반대매매의 의미가 아님). 50만주. 매도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매도사유가 유동성확보라고 밝히셨으니까 레버리지 포지션 상태라는 것이 어느정도 공개된 것. 물론, 다른 이유로 돈이 필요해서 매도하셨을 수도 있음 (기사 참조 함)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4/10/31/VHXB4H2ZXRAJNFDICGDEZDIMXM/

6. 여기서부터.. 그럼 왜 공시대상에 대한 부담을 지면서 추매를 하셨을까. 8월 6일 50만주를 매도하시고 그 이후에 추매를 하셔서 4.99%를 꽉채워서 보유하고 계셨고 11/21일에 5만주를 추매하셔서 5%를 넘기면서 지분공시 의무가 발생하자마자 보고하심. 즉, 하락하면 안되기 때문에 추매를 하셨다라는 조심스러운 추측..

대주주(경영권목적이 아닌)의 포지션 규모 및 상태, 의도 이런 것들이 시장에 공개된 것이기 때문에 숏플레이어들한테 상당히 유리한 상황이다.. 라는 뇌피셜이었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5거래일안에 하락이 있지 않을까 싶은 두번째 뇌피셜

몰?루

21 Nov, 23:51


https://www.ajunews.com/view/20241122084512720

몰?루

21 Nov, 23:38


줬다 뺐음 못참죠

https://www.msn.com/en-ca/autos/news/automakers-urge-trump-to-preserve-ev-tax-credits-boost-self-driving-cars/ar-AA1uwt3M

몰?루

21 Nov, 23:32


바이오다인 주담 24.11.21
https://cafe.naver.com/ircall/19924

몰?루

21 Nov, 23:29


https://blog.naver.com/ranto28/223668532834

몰?루

21 Nov, 23:28


https://blog.naver.com/stockdiary24/223669091063

몰?루

21 Nov, 23:27


눈치게임 & 땅따먹기중

https://v.daum.net/v/20241122070941915

몰?루

21 Nov, 23:23


https://www.yna.co.kr/view/AKR20241122019300003?input=1195m

몰?루

21 Nov, 23:23


First Squawk
@FirstSquawk
U.S. NATURAL GAS FUTURES EXTEND GAINS, UP 7.7%, AFTER EIA REPORTS SURPRISE STORAGE DRAW

몰?루

21 Nov, 23:22


* 미 법무부 크롬 분사 추진설, 알파벳 -4%

몰?루

21 Nov, 23:20


Type 2 Diabetes Management: GLP-1 Medications and CGM Use
https://www.byramhealthcare.com/blogs/type-2-diabetes-management-the-relationship-between-glp-1s-and-cgms

몰?루

21 Nov, 22:59


241122_OpenAI Considers Taking on Google With Browser - The Information

(1) OpenAI가 자체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자사의 AI 챗봇과 결합하는 방향을 추진

(2) 또한 여행, 음식, 부동산, 리테일 관련 웹사이트에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Condé Nast, Redfin, Eventbrite, Priceline과 같은 업체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짐

(3) 한편 OpenAI는 삼성전자와도 협력해 인공지능 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했음

(4) 이는 OpenAI가 최근 애플과 체결한 계약과 유사할 가능성

(5) 삼성 또한 구글과 긴밀한 비즈니스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협상 과정에서 여러 기술 제공업체와 협력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6) OpenAI는 웹 브라우저 출시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으나, 올해 초 Google의 크롬 개발에 핵심적 역할을 했던 두 명의 인재를 채용한 바 있음

(7) 브라우저 출시가 이루어진다면 OpenAI는 구글이 지배하는 브라우저와 검색 시장 침투할 가능성이 농후함

(8) Google은 OpenAI와의 경쟁에 대비해 삼성에 AI 기술을 제공을 준비 중

(9) Gemini는 이미 삼성 기기에서 음성 녹음 텍스트 요약, 이미지 생성 기술을 통한 사진 편집 기능 등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10) 한편, 챗봇과 브라우저의 통합 가능성도 있음

(11) OpenAI의 ChatGPT는 이미 검색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 중

(12) ChatGPT는 주간 사용자 3억 명에 도달했으며, 이는 AI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차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브라우저 개발은 OpenAI가 웹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가능성 내포

(13) 그러나 브라우저 개발은 개인정보 유출 방지, 확장 프로그램 지원, 보안성 확보 등 많은 기술적 도전 과제가 있으며, 현재 OpenAI는 브라우저 출시와 관련해 여전히 초기 단계

(14) 브라우저는 Google과 OpenAI 같은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출시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 이러한 AI 에이전트는 브라우저를 통해 멀티스텝 작업(웹에서 리서치, 데이터 입력, 코딩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

(15) 크롬의 지위는 어제 나온 기사처럼 매각 판결이 나올 가능성을 100%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향후 포지셔닝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OpenAI, Perplexity 등의 업체 진입까지 견제해야 하는 상황

(16) 전일 Alphabet은 -4.6% 하락

몰?루

21 Nov, 22:50


#삼성바이오로직스
- 제목 너무해;;;

몰?루

21 Nov, 15:27


#알테오젠

내 주변 '알테오젠 매니아들' 근황

내 주변 소위 '강성 알테빠'들이 몇명과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오늘 기록적인 급락이 나오고 이들의 상황을 들었다.

사례1. 항상 떨어지면 먹여줬기 때문에, 최근 조정에 크게 질렀다가 오늘 계좌하나 반대매매나옴.
사례2. 늘 스탁론 달고다니는 형 있는데, -10%넘게 급락할때 쫄아서 두 계좌중 하나 전량매도.
사례3. 프랍하는애 손절컷나와서 다던짐 - 걔 말로는 이런 헷지나 프랍들 손절 많았을거라고 (해외 헷지 포함)
(물론, 그냥 무대응 or 추가매수 하신분들도 있으십니다.)

오늘 강성주주들이 털린분들이 꽤나 보이는듯. 근데 웃긴건 이들 알테 옹호하며 좋은얘기만 하다가, 이제 안좋은 얘기 막 하기 시작함(빠져야 더 살수 있어서 그러려나ㅋ). 그래서 안빠질거 같음.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뭐 알테가 이렇게 끝나는 것일수도 있다.

근데, 이렇게 펀더가 강한 주식은 절대 한번에 죽은 경우를 본적이 없음.
최소한 신고가 한번 뚫는 모습을 보여준다.

에코프로 에코프로하는데, 에코프로도 고점논란있고 거대 음봉 나오고 한번에 안죽었다. 신고가 뚫고, 신고가 이후에도 따블나고 끝났다.

https://m.blog.naver.com/kk_stone_/223668853396

몰?루

21 Nov, 15:05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tockdiary24&logNo=223668926434&navType=by

몰?루

21 Nov, 13:14


머크 Jefferies London 헬스케어 컨퍼런스 (24.11.21)

키트루다 SC 관련 내용



Unknown Analyst

알겠습니다. 이번 주 초 브리스톨 팀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Subcu(피하 주사) KEYTRUDA와 Subcu Opdivo에 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 점들이 보였습니다. 런던에서 브리스톨 팀의 논의 톤이 약간 변화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저는 Subcu 치료의 한 측면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50%가 Subcu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으며, 이것은 환자가 경구 요법을 받고 있는 적응증에서 아마도 보조적(adjuvant) 환경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KEYTRUDA의 제품 구성은 Opdivo와 매우 다르다는 점이 분명합니다. Opdivo는 많은 전이성 환경에서 승인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브리스톨의 입장에서 보면, 단지 보조적 치료(adjuvant)에 국한되지 않고, 병원에서의 주입(infusion) 용량을 줄이고, 의료 시스템에 가치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또한, 유럽에서의 Tencentric Subcu 출시와 관련해 우리가 본 내용으로 판단하건대, 이것이 미국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제품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가 보입니다.

Subcu KEYTRUDA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분명히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셨습니다.

KEYTRUDA가 승인된 고형암(solid tumor)의 모든 적응증에서, 단순히 보조적 경구 환경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

Marjorie C. Green

네. 임상적으로, 환자들이 반드시 전이성 여정(metastatic journey)의 전체 기간 동안 항암 화학요법(chemotherapeutics)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환자가 병원에서 주입센터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주입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며, 병원을 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환자와 임상의 모두에게 매우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치료로 인해 환자가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면, 자주 병원을 방문할 필요가 없다는 유연성은 전이성 환경뿐만 아니라 치료적(curative) 환경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종종 전이성 환경에서 KEYTRUDA 유지 요법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옵션은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합니다.

Joseph Romanelli

저는 이것이 세계 각 지역의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첫 출시를 살펴보고 여러 시장을 고려했을 때, 미국에서는 비교적 낮은 도입률을 보였습니다. 영국과 독일을 비교해 보면, 영국의 경우 NHS(국민건강서비스) 때문에 병원 밖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더 많은 환자를 Subcu(피하 주사) 환경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반면에 독일은 SIC(Social Insurance Contributions) 자금을 통해 더 많은 환자를 병원으로 유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의료 시스템에 크게 의존합니다. 초기 단계 또는 치료적(curative) 환경에서 우리가 9개의 적응증 중 4개에서 생존율(OS)을 포함한 데이터를 구축한 상황을 고려하면, 처음에는 그 부분이 주요 목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향후 다른 적응증으로 확장할 가능성도 있느냐고 물으신다면, 물론 가능합니다. 하지만 결국, 얼마나 많은 환자 도입이나 전환이 이루어질지는 의료 시스템의 목표와 방향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몰?루

18 Nov, 06:52


K-방산
- 24년 기수주잔고/매출액은 5배 이상. 27년까지 실적 성장궤도
- 무기 산업은 락인 효과가 뚜렷 > 후속 수주와 매출 확장
- 26년까지 CAGR+24.5%
- 1)미국 진출 / 2)중남미/중동 교체수요 / 3) 동남아 신무기 도입
- 25년은 먹거리 배수가 더 커지는 완벽한 호황기

한국항공우주
- 1)기대수주가 전대륙에 분호(필리핀, 우즈벡, 이집트, 페루, 루마니아, 미국 등)
- 2)기대수주/매출액(24E)은 약 4.1배
- 3)전사 매출액 24년 3.6조원 -> 26년 5.9조원 (CAGR+27.5%)
- 4)단/중/장기 파이프라인 확보

LIG넥스원
- 3Q기준 수주잔고 18.4조원 > 30년까지 실적 성장
- 기대수주>미국 비궁, 말레이시아 해궁 등
-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등 유도무기 수출 기대감 꾸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3Q 지상방산 OPM 26.6%
- 방산 매출의 국내/수출 비중 4:6, 방산 수주잔고 국내/수출 비중 3:7
- K9A2 성능개량(무인화)/한국형발사체(우주) 등 개발 꾸준히 진행
- 폴란드향. 누적 인도대수는 K9 96문, 천무 54대. 잔여물량은 K9 268문, 천무 234대
- 기대수주> K9 폴란드 잔여(5조원), 베트남(1조원) / 레드백 루마니아, 인도, 브라질 등
- 증설 발표한 장약 수출 기여도 증가 기대

현대로템
- 25E 5.8조/6,895억. OPM 11.8% 기대
- 폴란드향 K2(180대, 계열전차 81대), 루마니아 K2(250대)는 25년초 계약 기대
- 오만/인도/체코 등 다양한 국가 도입 논의 중
- 사우디(510대), 이라크(300대), UAE(300대) 등 중동 국가들의 노후화된 무기 재고

#방산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몰?루

18 Nov, 06:46


엠아이텍 주담통화 + 10월 스텐트 수출

https://m.blog.naver.com/chohon21/223661279138

몰?루

18 Nov, 06:40


동인기연 주담통 241114
https://cafe.naver.com/ircall/19815

몰?루

18 Nov, 05:49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X-에어버스 등 공급…미 현지 생산능력 2배 늘린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가 스페이스X를 비롯해 보잉, 에어버스 록히드마틴 등 주요 고객사들이 있는 미국 현지 생산시설을 2배 확장한 데 이어 추가 증설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의 1공장과 2공장 증설이 이르면 내년 2분기 완료된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1·2공장 유휴부지를 활용한 증설로 1공장에서 2300평이 증설되고 2공장은 2200평이 증설된다”라고 말했다.

기존 1공장이 2500평, 2공장이 2000평 규모로 운영 중으로, 증설로 인한 생산능력은 약 1만 평 수준으로 지금의 두 배가 된다.

게다가 미국 현지법인 켈리포니아메탈은 올해 1분기 이미 생산시설을 2배로 확장 완료했고, 조지아 공장도 증설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현재 항공기 산업은 공급망의 불안정으로 출하 지연을 겪고 있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의 경우 여객기를 화물기로 전환하는 사업 매출이 지연되면서 수익성이 감소했다.

그러나 1~2분기 영업이익 적자를 극복하기 위해 생산 효율화를 추진하면서 3분기의 경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향후 항공기 출하가 정상화되면 여객기-화물기 전환 수요가 증가하고, 공장 증설로 인한 생산 능력 확보, 생산 효율화 등이 맞물려 향후 성장의 발판이 될 전망이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는 2013년에 설립된 우주 항공 전문 기업으로, 원소재부터 가공, 조립, 정비 등을 하는 기업이다. 여객기-화물기 개조사업과 군용기 개조 창정비를 포함하는 항공 유지보수관리(MRO), 항공기 구조물 생산 및 항공기 부품의 가공, 우주 및 항공기에 사용되는 특수 원소재 공급, 우주 발사체 및 위성 관련 파트의 생산, 도심항공교통(UAM)/개인용 비행체(PAV)의 개발 등을 한다.

주요 고객사에는 보잉, 에어버스, 록히드마틴, 프랫&휘트니, 블루오리진 등이 있다.

우주 산업 원소재도 공급 중이다. 특히 우주산업에서 주목받는 스페이스엑스에 협력사를 통해 티타늄과 니켈, 알루미늄 등을 공급 중이라고 한다. 연 공급량은 꾸준한 것으로 전해졌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20502?id=news

몰?루

18 Nov, 05:39


델 CEO Michael Dell

세계 최초 엔비디아 GB200 NVL72 서버 랙이 이제 배송을 시작했습니다. 저희는 CoreWeave에 액체 냉각 방식의 PowerEdge XE9712를 제공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AI 로켓이 엄청난 추진력을 얻었습니다!

몰?루

18 Nov, 03:41


(**현재는 유료기사)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9909

몰?루

18 Nov, 01:54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118000248

몰?루

18 Nov, 01:53


삼성전자 지배구조 관련 주요 쟁점 및 전망


삼성전자-삼성에스디에스 소규모 합병 시나리오


삼성에스디에스 목표주가 22만원


1)클라우드 매출 비중 확대로 마진 개선
–3Q24 IT 서비스 영업이익률 13.7%(+2.6%p YoY)로 클라우드 매출 비중 확대가 마진 개선에 기여(OPM 7.1%, +1.1p YoY)
–특히 CPS와 MPS 매출이 HPC와 GPU 서비스 사용량 증가, 금융 제조 업종에서 생성형 AI 및 클라우드 전환/구축 수요 증가에 따라 각각 +41%, +38% YoY 증가
–생성형 AI 플랫폼 ‘Fabrix’의 경우 현재 관계사 26개사에 적용 완료했으며 BrityCopilot의 경우 9개사에 적용 완료
–Brity Copilot은 추가 수주 논의 중

2) 물류 부문도 안정적인 성장
–해상운임 상승에 따른 해상 운송 매출 증가(+YoY 14.2%)
–물류 플랫폼 Cello Square은 가입고객 17,900여개사(+YoY87%) 기록하며 매출 호조세 (3,203억원, YoY +112%)

3) 밸류업 공시 기대
–현금성 자산 약 5조원 보유 중으로 밸류업 계획 발표를 준비 중
–M&A 계획 및 주주가치제고 방안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추가적인 기업가치 상승 가능

(24.11.18 DS)

몰?루

18 Nov, 01:22


46000주로 막는중

몰?루

18 Nov, 01:14


삼생은 삼전소각이벤트 -> 삼생 삼전지분 일부 매각 -> 삼생 배당확대 이벤트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3362

몰?루

18 Nov, 00:51


스타링크 밑밥

몰?루

17 Nov, 03:49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986363?sid=100

몰?루

17 Nov, 03:09


Oklo 이사회 멤버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50946?sid=104

몰?루

17 Nov, 01:58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3125

17일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외신을 종합하면 바이든 정부는 앞으로 몇 주 이내에 첨단 메모리반도체 기술과 관련한 대중국 제재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 고사양 메모리반도체를 판매하거나 중국 반도체 제조사에 장비 공급을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하원 특별위원회는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와 램리서치, KLA 등 미국 주요 반도체 장비업체는 물론 일본 도쿄일렉트론과 네덜란드 ASML에도 중국 내 고객사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몰?루

16 Nov, 15:27


https://blog.naver.com/kk_kontemp/223663337922

몰?루

16 Nov, 13:47


[머스크가 트럼프에게 얻어갈 것들?]
(Feat. 4yrs Monopoly = 4년독점)
*이미 보여준 독점 = ‘슈퍼차저’*

☑️독점 = 프리미엄

✔️Tesla : 자율주행 규격 + 독점화
✔️Tesla : 휴머노이드 규격 + 독점화
✔️SpaceX : NASA + 독점화
✔️Starlink : 위성인터넷 + 독점화
✔️기타 : X(슈퍼앱), Xai(생성형AI), 뉴럴링크 등 + 독점화

<Tesla의 자율주행(FSD)>
자율주행은 결국 정부가 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허가를 해줘야만 상용화 가능

정부가 두려워하는 측면은 자율주행관련 규정을 입법화하고 시행하였을때 의외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정부의 책임여부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일단 상용화가되고 발생하는 예상치못한 이벤트에 대한 데이타 축적은 FSD의 비약적 발전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

결국 트럼프 행정부는 예상보다 빠르게 자율주행(FSD) 상용화를 허가해줄 가능성이 높으며, 여기에 더해 자율주행(FSD) 규격이 슈퍼차저와 유사하게 Tesla-Style(예컨대 라이다X / 비전O)을 기반으로 구축되면 테슬라의 자율주행산업에서의 상당기간 독점성이 인정될 수 있음
(웨이모는 라이다 기반)

<Tesla의 휴머노이드(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의 산업개화와 상용화(제품출시) 역시 정부의 가이드라인 설정과 허가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

사실상 의미있는 수준의 가정용/산업용 휴머노이드의 프로토타입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기업인 테슬라는 정부의 휴머노이드 규격을 역시 Tesla-Style을 기반으로 정립하여 휴머노이드 초기 개화시장을 독점할 수 있을 것

<SpaceX의 NASA아웃소싱 독점화>
SpaceX의 2023년 NASA의 아웃소싱프로젝트 금액 점유율은 11%수준으로 2위를(1위 Cal-tech 14%) 기록하여 민간항공기업중 1위를 차지했으나 절대 점유율 수준이 낮아 여전히 점유율확대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더해 트럼프 행정부가 NASA예산확대시 SpaceX는 성장하는 시장에서 점유율까지 확대하는 고속성장이 가능하며, 이를 발판으로 메가IPO 추진 동력 확대

<Starlink의 위성인터넷시장 독점화>
스타링크의 위성인터넷은 가정용의 경우 Fixed Location조건으로 220메가 속도의 인터넷망을 월$120에 서비스 중이며, 현재 유료가입자는 270만계정을 돌파하여 위성인터넷사업자중 압도적 시장지위 확보
(Comcast와 AT&T의 200메가속도 월 비용은 $50수준)

그러나 전체 인터넷사업자로 기준을 넓히면 AT&T/Comcast은 이미 1000만계정이상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Verizon역시 인터넷 회원수가 1000만계정에 육박해 Starlink는 경쟁사들 대비 상당한 열위

스타링크가 타겟하는 고객들은 상당수가 연방통신위원회(FCC)의 농촌 인터넷보급을 위한 보조금 혜택을 받고 있으며, 만약 정부가 보조금 혜택을 광범위하게 확장할 경우 기존 유선망 기반인터넷 서비스업체(Comcast, AT&T)의 점유율을 빠르게 뺏어올 수 있을 것

SMART한 주식투자

몰?루

16 Nov, 13:47


플러그파워 24.3q 실적발표 (1)어닝콜 요약

https://blog.naver.com/koboklove/223661599867

몰?루

16 Nov, 13:38


전일 AEP향 연료전지 공급계약 이후 +45% 급등중인 Bloom energy

BE는 데이터 센터 고객과 빠른 전력 공급이 필요한 기타 대규모 에너지 사용자를 위해 최대 1GW의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미국 전력생산업체 AEP 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

이번 계약에는 초기 100MW 구매 주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2025년에 추가 확장 주문이 있을 예정

발표 자료에서 AEP는 데이터 센터 개발로 인해 향후 3년간 연간 상업용 부하가 약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

AEP는 첫 번째 고객 프로젝트 계약을 마무리하는 중이며 다른 여러 고객과 연료 전지를 활용하여 현장에 추가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장기적인 부하 증가를 지원하기 위해 그리드에 투자하는중

(MS의 분석)

1. 이제 시작


전력 시장은 고객뿐만 아니라 전력 회사들도 전력 제약의 중요한 시기를 인식하고 새로운 부하를 공급하기 위해 대체 전력원, 이 경우 연료 전지로 눈을 돌리는 변곡점에 도달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

이번 발표는 BE의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발표된 120MW 규모의 신규 고객 계약과 최근 구역 재지정 신청서를 제출한 루던 카운티의 750MW 연료전지 데이터센터 개발 프로젝트에 이은 것으로, BE는 이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2. 이익에 미치는 영향

1GW 연료전지 수주는 서비스 계약을 고려하기 전에 약 30억 달러의 제품 수익 기회에 해당하며, 이는 연간 약 2억 5천만~2억 7천 5백만 달러의 반복적인 수익을 추가할 수 있어

데이터센터가 직면한 시간적 제약을 고려할 때 1GW 공급 계약에 대한 확정 주문 발표 속도는 2025년에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

이러한 물량이 가속화됨에 따라 BE의 비즈니스 모델 내 강력한 운영 레버리지로 인해 상당한 기여 마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이번 발표를 통해 EBIT가 최대 15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몰?루

16 Nov, 11:19


왤케 신났음?

몰?루

16 Nov, 09:41


* 러시아, 오스트리아 가스 공급 중단

=========================

~ Russia told Austria on Friday it will suspend gas deliveries via Ukraine on Saturday, in a development that signals a fast-approaching end of Moscow's last gas flows to Europe

~ Russia's oldest gas-export route to Europe, a pipeline dating back to Soviet days via Ukraine, is set to shut at the end of this year

~ "No home will go cold ... gas-storage facilities are sufficiently full," he told reporters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austrias-omv-informed-by-gazprom-that-deliveries-be-reduced-0-says-platform-2024-11-15/

몰?루

16 Nov, 08:01


※ 세액공제(AMPC) 폐지 추진, 한국경제 단독보도 관련 (그렇다면 First Solar 주가는 왜 올라갔나?)

한국경제는 단독보도를 통해 미국이 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7,500달러)와 첨단제조 세액공제(45X, AMPC)의 폐지 검토를 하고 있다는 보도를 하였습니다.

15일 새벽(한국시간) 로이터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7,500달러의 전기차 세액공제의 폐지가 석유업체인 Continental Resources의 설립자인 Harold Hamm과 노스다코타 주지사인 Doug Gurgum이 이끄는 에너지 정책 전환팀 회의에서 논의되었다는 외신보도는 있었지만, 한국경제에서 단독보도를 한 첨단제조 세액공제인 AMPC의 폐지도 논의되었다는 내용은 외신을 통해서는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The energy-focused transition team has determined some of Biden's clean-energy policies will be tough to end because they are popular and already funneling money to Republican-dominated states, the sources said.
오히려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트럼프 정부 인수팀은 Clean Energy 정책 중 일부가 인기가 있고, 이미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는 주들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없애기 어려울 것이라고 결정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한국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트럼프 인수팀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회사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 AMPC를 함께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 상원의 한 관계자는 “IRA 중 AMPC도 폐지 검토 대상”이라며 “제도의 혜택을 미국 기업이 아니라 한국 기업이 주로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기사 내용에서 보듯, 상기 AMPC 관련 내용은 한국경제 자체 취재결과로 보여집니다.

흥미로운 것은 AMPC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First Solar(+7.85%)와 같은 Clean Energy를 포함한에너지 기업들의 주가가 오히려 로이터의 보도가 있은 이후 크게 상승했다는 점입니다.
한국경제의 보도 대로 실제로 AMPC에 대한 말들이 있었다고 한다면, 미국에서 AMPC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기업인 First Solar의 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실제 당일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 리비안, 루시드 등 전기차를 판매하는 업체들의 주가는 크게 하락하였고, 이는 7,500달러 전기차 구매 보조금에 대한 로이터 기사의 여파였습니다.

AMPC를 수령하는 많은 업체들이 공화당 지역구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들이 큰 혜택을 받고 있는 정책이며, 이로 인해 고용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실질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 기업 뿐 아니라 미국 업체들이 주로 AMPC에 따른 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이며, 배터리 3사의 공장들도 대부분이 합작사의 형태입니다. 또한 AMPC는 신재생에너지나 배터리 뿐 아니라 많은 미국 석유 메이저 업체들도 수혜를 보고 있는 정책입니다.

AMPC를 폐지한다는 것은 트럼프 경제정책의 핵심인 리쇼어링을 통한 미국 제조업 부흥에 반하는 것입니다.

7,500달러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 폐지 역시 쉽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IRA를 폐지(상원 60명 찬성필요)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단지 일부 내용에 따라 IRA 법을 수정보완(과반 찬성 시 가능)은 있을 수 있지만, 이 또한 IRA를 통해 혜택을 받고 있는 많은 공화당 의원들을 설득해야 하며, 수정보완이 된다고 해도 매우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지난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처음 대규모 에너지전환 정책인 BBB(Build Back Better) 법안을 추진하였지만, 민주당의원 설득에 실패하였고, 결국 조 맨친 민주당 의원을 설득한 끝에 2022년 하반기에 BBB법안의 개정법인 IRA법안을 입법할 수 있었습니다. (법안이 통과되기 까지 거의 2년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IRA를 수정 보완하기 위해서 공화당 의원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쉽지 않은 과정으로 시간 또한 오래 걸릴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기 전에 당선인 신분으로 다양한 인사들을 등용되며, 정권 인수를위한 다양한 위원회에서 백가쟁명식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는 시기입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내각에 등용될 인사의 과거 발언과 위원회에서의 정제되지 않은 많은 말들이 언론을 통해 노출되면서 시장에 많은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한국 주식시장 유동성이 없다 보니, 작은 노이즈만으로도 시장이 크게 반응을 하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공식 출범하기 전까지 다양한 노이즈들이 생성될 것으로 보이지만 좀 더 중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대처를 한다면 오히려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comment/015/0005057636?sid=0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57820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rumps-transition-team-aims-kill-biden-ev-tax-credit-2024-11-14/

몰?루

16 Nov, 07:56


<트럼포비아(Trumphobia)>

1. 관세 공포는 과장됐다
2. 보편적 관세가 아닌 전략적 관세
3. 재정적자 괴담
4. 강달러 전망의 리스크
5. 위기에서 찾는 기회

트럼프 공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상당부분 과장됐다고 생각합니다. 관세의 영향은 예상보다 미미할 것이고, 재정적자 급증 가능성도 낮습니다. 국내 증시 부진의 본질은 트럼프 당선이 아니라 주력산업 경쟁 심화입니다. 트럼프 2기의 제조업 강화 및 공급망 재편에 적극 참여해야 합니다.

몰?루

16 Nov, 04:27


이게 실화냐 더워뒤지것다

몰?루

16 Nov, 03:54


https://v.daum.net/v/20241116060117669

몰?루

16 Nov, 03:30


리마[페루]=연합뉴스) 안용수 김영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5일(현지시간) 방한과 방중을 각각 제안했다.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페루에서 별도 양자 회담을 열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해당 질문에 "시 주석이 윤 대통령을 먼저 초청했고, 윤 대통령도 시 주석의 방한을 제안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내년 가을쯤에 우리가 APEC 경주 회의를 주최하기 때문에 시 주석께 자연스럽게 방한해 달라고 했다"며 "두 정상 모두 '초청에 감사하다'고 대답했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50014?rc=N&ntype=RANKING

내년 가을때 시진핑이 한국오는거니까

내년 초에 중국 한번 갈듯

몰?루

16 Nov, 02:39


코스닥엔 666의 저주가 있다

몰?루

15 Nov, 18:13


오늘 이 영상을 보고 반성을 많이 했다. 커다란 파도에 올라타기 위해선 깨지고 깨지면서 맷집을 쌓아야 될 것 같다.

“배는 항구에 정박해 있을 때 가장 안전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배의 존재 이유는 아닙니다.” - 김범수

https://youtu.be/tJwI1hCsqIg?si=LEzPNhsrqnfzp45w

몰?루

15 Nov, 16:15


If the consumer tax credit goes away, “the legacy automakers are going to fall further behind than they already are,” McDonald said. ‘In the end, it all benefits Musk and Tesla and hurts the [rest of the] U.S. auto industry.”

Tax credit이 제거되면, 레거시 오토메이커들은 현재 상태보다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 결국, 머스크와 테슬라에게만 이득이 되고 나머지 모든 자동차 업계는 피해를 볼 것이다.

#테슬라

https://www.politico.com/news/2024/11/14/elon-musk-gains-power-electric-vehicle-policy-00189326

몰?루

12 Nov, 03:10


[단독] 대왕고래 시추 2공부터 예타·신재생 2천억 증액…산자위 소위 통과

https://www.mk.co.kr/news/economy/11165825

몰?루

12 Nov, 02:53


* 애플 OLED 도입 연기 가능성

=========================

~ 12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최근 'OLED 및 신흥 디스플레이의 최신 기술 동향' 발표 자료를 통해 애플 일부 제품의 OLED 디스플레이 채택 시점이 오는 2028년으로 연기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디스플레이업계에선 2026년부터 아이패드 미니 버전과 맥북 에어 제품에도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 애플이 IT 제품의 OLED 적용을 미룰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높은 비용 때문이다. 애플은 올해 5월 OLED 디스플레이를 첫 적용한 태블릿인 'M4 아이패드 프로'를 출시했는데, 판매 대수가 시장 전망을 하회했다. 시장조사업체 DSCC는 올해 애플 아이패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출하량 전망치를 연초 1000만대 수준에서 최근 670만대로 크게 낮췄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915017?sid=101

몰?루

12 Nov, 01:22


이런 ㄴㄱㅁ새끼도 주식을하노 ㅋㅋㅋ

몰?루

12 Nov, 01:21


간스 운영자께 드리는 글

금투세 폐지로 시장의 환경이 좀 나아지셨습니까. 아닐것입니다.

금투세 폐지를 외치던 그 호기로움은 어디에 두셨습니까.

마치 모든 시장 하락의 원흉을 금투세인것처럼 외치던 호기로움을 이제는 상법개정과 투자자와 주주 알기로 호구로 여기는 대기업 오너들을 향해 성토해야하지 않나요?

장기투자자는 호구가 되고 코인 상위5개가 코스닥 거래대금을 넘어서고. 돈은 테슬라. 엔비디아 사러 미국으로 빠져나가기 바쁩니다.

이젠 장기투자를 위한 제도 정비. 대기업 오너들의 거수기 역할 하는 이사회등 견제하는 상법개정 하라고 이재명이 욕하던 그 기세로 한동훈이와 용산을 향해 샤우팅을 해야하지 않나요? 왜 침묵하고 계신지요?

정치성향을 떠나 국내서도 장기투자하는 투자자가 웃을수있는 환경조성. 연기금 돌아오고 연금 문제 해결할수있는 국내 증시 문제 해결하라고 1천만 투자자에게 고하는 실천을 빨리해야하지 않을까요?

오늘 시장보다..참다참다 의견 한번 드려봅니다.

몰?루

12 Nov, 01:00


52주 신고가 신저가

몰?루

12 Nov, 00:22


2024.11.12 09:14:30
기업명: 엠아이텍(시가총액: 2,793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154억(예상치 : 148억/ +4%)
영업익 : 60억(예상치 : 55억/ +9%)
순이익 : 43억(예상치 : 53억/ -19%)

**최근 실적 추이**
2024.3Q 154억/ 60억/ 43억
2024.2Q 128억/ 38억/ 48억
2024.1Q 133억/ 54억/ 56억
2023.4Q 155억/ 52억/ 49억
2023.3Q 84억/ 18억/ 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2000020

몰?루

12 Nov, 00:05


#US #IRA #Trump

트럼프는 바이든의 IRA 에너지 정책에 대해 완전한 폐지보다는 부분적으로 수정할 듯

2022년 IRA 법안은 10년 동안 미국의 청정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수십석 달러의 보조금, 대출 및 세금 조항을 풀어놓았음

바이든 행정부는 총 3,500억 달러 이상을 유해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는 프로젝트에 투자했으며, 이는 10년이 끝날 때까지 2005년 배출량 수준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음

공화당 의원 중 해당 법안을 찬성한 사람은 없지만, 그들의 유권자들은 신재생 에너지 투자와 관련된 조항에서 엄청난 혜택을 얻었음

에너지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투자 108억 달러가 레드 스테이트에 투자되었고, 블루 스테이트에는 41억 달러만 투자되었음

그리고 전기 자동차 지출과 관련된 350억 달러가 공화당 지구에 투자되었고, 220억 달러가 민주당 지구에 투자되었음

최소 18명의 공화당 의원이 하원 의장인 마이크 존슨에게 IRA를 폐지하지 말라고 경고했기 때문에 완전한 철회는 불가능할 것임

E2가 BW리서치와 함께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346만 명의 미국인을 고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20% 이상이 해고당할 것으로 답했음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가 10년의 기간을 대체하는 단축된 기간을 제시하거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세액 공제를 축소할 것이라고 예상

https://finance.yahoo.com/news/trump-likely-to-roll-back-but-not-dismantle-bidens-clean-energy-spending-160033134.html

몰?루

12 Nov, 00:04


#Insulet
PODD는 연초 가이던스대로 잘 성장하고 있네요. 올해 yoy +20%은 무난해 보입니다.

미국에서 yoy +23% 성장, 미국 외 글로벌리 yoy +35% 성장하는 모습 보여줬네요.

GPM/OPM 둘 다 yoy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
미국: 2형당뇨 환우 대상 옴니팟 5 판매허가 받으면서 고객 pool 넓히는 중
유럽: 옴니팟 신규 사용자들 증가
+) 혈당관리: CGM+인슐린 패치 조합의 우수성
----

몰?루

12 Nov, 00:03


GLP-1 우려로 주가 나락 갔던거 실적 우상향 보여주면서 다 회복했네요

몰?루

12 Nov, 00:01


[키움 허혜민] 로슈, 미국 자궁경부암 자가검사 출시

https://www.newsweek.com/first-hpv-self-tests-available-pap-smear-cervical-screening-1984012

#바이오다인

몰?루

11 Nov, 23:16


신흥시장과 선진시장 싸이클

신흥시장과 선진시장의 싸이클상 현재시점은 신흥시장이 역사적인 저평가 상태임을 알 수 있음.

원래의 싸이클이라면 신흥시장 강세로 전환 되었어야 했다고 생각하나, 코로나와 AI혁명이 달러강세를 연장시켰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생각함.

하지만 과연 언제까지 미국만 따로 좋은 상황이 계속될까? 밸류상으로 보면 미국은 역사상 최대 밸류인 상황이고 신흥시장은 역사상 최하단의 밸류인 상황임.

AI혁명의 주도가 미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으나, 고밸류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어닝모멘텀이 이어져야 함. 하지만 미국 12개월 EPS상승세는 추세적으로 둔화되고 있음. 결국 확률적으로 어떤 시장이 하방대비 상방이 좋은지는 답이 나와 있다고 생각함.

몰?루

11 Nov, 23:12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꼭 한번씩 보셨으면 좋겠네요

몰?루

11 Nov, 14:28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pandora-i&logNo=223654259701&navType=by

몰?루

11 Nov, 14:27


https://m.blog.naver.com/koziro815/223654629246

몰?루

11 Nov, 13:48


https://blog.naver.com/cybermw/223655905346

몰?루

11 Nov, 13:35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13814?type=journalists

몰?루

11 Nov, 13:25


#알테오젠

난 산도즈도 엄청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대 비밀조항때문에 회사에서 얘기를 안하는대 언제 그 정체가 드러날까 보니 내년 일월임 하나씩 나올듯 하다 첫 마일스톤이 들어옴 뭐가 첫 픔목일지 알게 될듯 그럼 이것도 프라이싱을 하게 될듯


해당 계약은 알테오젠의 ALT-B4와 다른 히알루로니다제 기술에 대한 공동개발 및 기술수출 계약입니다.

(2) 계약상대방 회사의 개발대상품목과 관련한 정보는 계약상 비밀로 약정하였습니다.

(3) 계약상대방 회사는 글로벌 주요 바이오시밀러 및 제네릭 회사 중의 하나로 글로벌 마케팅 및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한 회사입니다.

(4) 첫 마일스톤 대금은 계약체결 후 2025년 1월 이내에 수취할 예정입니다.

(5) 특정 품목이 임상을 실패하거나 판매금액이 적을 경우 금액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 개발대상품목의 판매 로열티는 별도)

(6) 사실발생(확인)일 및 결정일은 한국시간기준 최종 양사가 계약 체결한 날짜입니다.

https://m.blog.naver.com/shryankim/223656243587

몰?루

11 Nov, 13:20


https://blog.naver.com/smileru/223656362742\

몰?루

22 Oct, 15:02


업비트 업비트 ㅇㅈㄹ ㅋㅋ

몰?루

22 Oct, 14:26


Georgia Power,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그리드 강화를 위한 1억6천만 달러 확보

https://blog.naver.com/cybermw/223629464553

몰?루

22 Oct, 14:25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629306128

몰?루

22 Oct, 14:23


#ABB 3Q24 실적 (10/17 발표)
매출: US$8.15b (up 2.3% YoY)
순이익: US$942.0m (up 6.0% YoY)
Profit margin: 12% (in line with 3Q 2023).
EPS: US$0.51 (up from US$0.48 YoY)
※ 매출, EPS 소폭 하회

전기화 Electrification 부문
- 전방 산업
ㅁ 데이터센터
ㅇ 필요 전력량이 기하급수적 증가하면서 중기적으로 10%대 성장률 예상
ㅇ 주요 고객: Hyperscaler + Co-location 업체들
ㅇ ABB 사측에선 데이터센터 분야에서의 모멘텀이 점점 더 강해질 것으로 보았음
ㅁ 유틸리티, 인프라 쪽에서도 아주 강하게 긍정적인 시장 상황

- 지역별
ㅁ 북미
ㅇ 제일 업황 좋음
ㅇ 상업: 괜찮음
ㅇ 거주: 낮은 레벨에서 조금 개선
ㅁ 유럽
ㅇ 독일이 낮은 레벨에서 매우 강한 반등
ㅇ 상업: 괜찮음
ㅇ 거주: 낮은 레벨에서 유지
ㅁ 중국
ㅇ YoY 감소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적 (Stable)
ㅇ 상업: 조용함
ㅇ 거주: 안 좋은 환경 (tough)
ㅁ 기타: 호주 강했음, 인도 좋은 개선

몰?루

22 Oct, 13:48


엔비디아 사상 최고가라는데요

몰?루

22 Oct, 13:01


Rtx $RTX

Rtx는 방위업체 레이시온(Raytheon) + 항공부품 업체 United Techonologies가 합병해 만들어진 그룹

매출 구성은 항공부품(전자전) 35% + 항공엔진 36% + 미사일/레이더 32%로 각각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3분기 실적 결과 방위 제품의 수주잔고가 증가해 항공엔진의 다운턴에도 불구하고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Defense Backlog
■ 3Q24 : $90b
■ 2Q24 : $77b
■ 1Q24 : $77b
■ 4Q24 : $78b
■ 3Q24 : $75b

지난 1년 동안 거의 정체였던 방위 제품 수주가 이번 분기에는 17% QoQ나 증가해 방위 업계의 호황을 증명. 이에 따라 연간 가이던스 매출 · 순이익 모두 상향조정

몰?루

22 Oct, 12:50


https://www.sedaily.com/NewsView/2DFO47AB48

이 ETF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PLUS K방산’을 벤치마킹했다. 구성 종목과 종목별 비중을 비슷하게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PLUS 방산 ETF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21.41%), 현대로템(17.54%), 한국항공우주(16.62%), 한화오션(13.61%), LIG넥스원(11.19%), 한화(5.42%) 등을 담고 있다.
-

몰?루

22 Oct, 12:44


중국에서 만든 로봇경찰?

중국 저장대학교에서 만든 RTG라는 제품인데 우리의 미래는 과연 어떤 곳일까...?

RTG 알아보기
- 최고속도는 35km/h
- 트랙킹, 전투, 잡는 기능
- 그룹으로 구동 가능
- 하단에 무게중심이 있어서 안정적
- 지도나 네비가 필요하지 않음
- 곤충처럼 풀스크린 센서가 있음
- 프로펠러가 있어서 물에서도 이동 가능

🫣 옵티머스에 RTG까지. 오늘 저녁은 로봇파티네요🤖

👉 원문 보기 👈

몰?루

22 Oct, 12:38


K-후크송 <- 이게 다시 뜨려나

몰?루

22 Oct, 12:37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한중엔시에스(107640.KQ): ESS 시장 내 독보적인 플레이어 ★

원문링크: https://bit.ly/3BQYVX5

1. 국내 최초, 유일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생산 기업
- 한중엔시에스는 1995년 설립되었으며, 자동차 부품 및 ESS 냉각시스템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
- 자동차 부품은 EV 전용 부품 생산을 주력으로 공조 장치인 CFM(Cooling Fan Module), AAF(Active Air Flap) 등과 Bus-bar, BEV Pack 등 배터리 Module을 생산
- 동사의 핵심 성장 동력은 ESS 부문. 2015년 Portable ESS인 ‘큐브젠’ 개발을 통해 화재, 안정성, 냉각, 제어 등 기술적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R&D를 진행해 왔음
- 또한, 2018년 3, 4세대 공랭식 ESS 개발 및 수주를 시작으로 2022년 국내에서 최초로 5세대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상용화 및 양산 공급에 성공
- 수냉식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은 Cooling Plate, Chiller, HVAC 등을 주력으로 생산 중이며, 삼성SDI와의 협업을 통해 고성장을 지속 중
- ESS 부문 2020~2023년 매출액 CAGR은 172%이며, 매출 비중은 2020년 3.5%에서 2023년 40.9%, 1H24에는 48.3%까지 증가한 상황
- 3Q24는 50%를 상회할 전망. 가동률은 2020년 64.1% → 1H24 87.5%로 전방 수요 확대의 수혜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중
- 신재생에너지 및 데이터 센터 등 ESS 수요 중가에 따라 추세적인 성장 가속화가 전망

2. ESS 공랭식 대비 수냉식이 가지는 압도적인 이점
- ESS는 기본적으로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충방전 과정에서 상당한 열을 발생시킨다.
-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배터리는 결국 열 관리가 수명, 성능, 안정성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냉각 기술 적용이 필수적이며, ESS 냉각 기술은 공랭식 대비 수냉식이 지닌 이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전방 볼륨 확대가 예상
- 수냉식은 1) 액체를 냉각 유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아 냉각 효율이 높으며(전력 소모량 감소), 2) 부품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해주기 때문에 온도 편차가 낮고,
- 3)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4) 일정 부분에 열이 발생하는 핫스팟의 위험을 최소화 시킴
- 그리고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 수급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전력망, 데이터센터, 공장 등 다양한 설치 환경에 맞춰 대형화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중요
- 5) 공랭식은 공기의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해 운영 및 설계에 다소 제약을 받고, 대형화가 진행 될수록 냉각 하는 과정에서 팬의 기계적 소음이 발생
- 반면, 수냉식은 보다 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열을 제거하며, 상대적으로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에 적합

3. 본격적인 Capa 증설 진행 중, 신규 고객사 추가 전망
- 한중엔시에스의 ESS 수냉식 냉각시스템은 주로 ‘SBB 1.0’ 3.8Mwh 용량 제품에 탑재되는데, 최근 차세대 ‘SBB 1.5’ 5.3Mwh 용량 제품 개발 완료로 본격 양산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
- 기존 제품 대비 많은 양의 배터리를 적재함과 동시에 에너지 밀도는 약 37% 향상
- 늘어나고 있는 물량에 대비해 현재 Line 증설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며, 2025년은 연간 매출액 기준 약 3천억원까지 Capa를 확대할 계획
- 동사는 ESS 냉각시스템에 대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메이저 고객사 외에 추가적인 글로벌 셀메이커 고객사 확보가 가능하며 설계, 조달, 시공을 담당하는 EPC 기업들도 잠재적 고객사로 분류
- 현재 독일의 EPC 기업 ‘SMA’社와 샘플 및 제품 품질 검증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며, 내년부터는 추가적인 셀메이커 고객사 확보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몰?루

22 Oct, 12:35


GM 2024년 3분기 실적 (프리장 +0.8%)

주당 순이익(EPS): $2.96 (예상 $2.40); 전년 대비 +29.8% 증가
매출: $487.6억 (예상 $447.4억); 전년 대비 +10.5% 증가

2024년 연간 가이던스
조정 EPS: $10.00–$10.50 (예상 $9.97)
조정 EBIT: $140억–$150억 (예상 $130억–$150억)
자동차 영업현금흐름: $220억–$240억 (예상 $192억–$222억)
조정된 자동차 부문 자유현금흐름: $125억–$135억 (예상 $95억–$115억)
순이익: $104억–$111억 (예상 $100억–$114억)

부문별 실적:

북미:
조정된 EBIT: $39.8억; 전년 대비 +12.9% 증가
EBIT 마진: 9.7%

국제 부문:

조정된 EBIT: $4,200만; 전년 대비 -88.2% 감소

중국 사업:

자본 손실: $(1.37억) (전년 $1.92억 수익)

GM 파이낸셜:
조정된 세전이익(EBT): $6.87억; 전년 대비 -7.3% 감소

운영 하이라이트:

EV 32,000대 판매; 미국 EV 판매 2위
첫 분기에 쉐보레 이쿼녹스 EV 15,000대 판매
2024년 EV 생산 목표(~200,000대) 달성 전망
2025년 EV 수익성에서 $20억–$40억의 긍정적 영향 예상

중국 시장:
매출은 순차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도전 과제 존재
딜러 재고가 크게 줄어들어 판매율 개선

CEO 코멘트:
"2024년 EV 목표는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개선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입니다."

추가 정보:
2024년 자본 지출: $105억–$115억
2025년 초까지 10억 미만의 주식 발행량 목표 (자사주 매입 통해)

2024년 4분기 EV 이익 긍정적 전망, 슈퍼크루즈 및 볼트 EV 확장 목표

General Motors는 2024년 4분기에 EV 가변 이익이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5년에 생산된 차량의 약 15%가 Super Cruise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회사는 2024년 말까지 380K대의 차량을 도로에 투입할 계획이며, 2025년까지는 그 두 배로 늘릴 것입니다.

• 차세대 Bolt EV 출시는 2025년 후반으로 예정됨
2025년 EV 수익성이 20억~40억 달러 증가할 것이라는 확신
• $ 2B 고정 비용 감소는 연말까지 완료될 예정입니다.
• 2025년 초 10억주 이하로 예상되는 주주환원 지속

GM은 또한 6월 이후 월별 자율 주행 마일이 3배 증가했다고 보고했으며, 2025년 재무 실적은 2024년의 강력한 실적과 일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몰?루

22 Oct, 11:31


25F 기준 HBM3E 하이닉스 점유율 95%라고 가정한다면, HBM3E만으로 대충 50조 정도 매출이 나온다는거네요..

마진이 50%라 하면 HBM3E 순수 체급으로 25조

몰?루

22 Oct, 08:37


AI보다 에어컨이 문제 (2)

https://blog.naver.com/ginius94/223625432927

몰?루

22 Oct, 08:34


LG전자 기업가치 제고 계획

Ⅰ. 중장기 목표: 2030 미래비전

-
목표
. 2030년 매출 100조 달성
. 2030년 Triple7 달성
(매년 매출성장률 7%, 영업이익률 7%, EV/EBITDA 7×)
. 2027년 ROE 10% 이상 목표

- 중장기 사업 추진 전략 및 이행 계획
①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
: 하드웨어 기반 사업에서 webOS 사업,
스마트홈 사업 등 플랫폼 기반 사업으로 확대
② B2B 사업의 확대
: 공조(HVAC), 자동차 전장, 스마트 팩토리 사업 등
기업고객에게 차별화된 솔루션 제공
③ 신사업 발굴 (New-to-LGE)
: 미래 사업 전략과 align된 기술 개발을 통해
자사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신사업 발굴

- 이행계획에 따른 중장기 매출·영업이익 비중 예상
.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으로 상기 사업의
매출 비중은 2024년 39% → 2030년 52%,
영업이익 비중은 2024년 55% → 2030년 76%로 확대

Ⅱ. FY2024 ~ FY2026 주주환원

- 1차 주주환원정책 (FY2021 ~ FY2023)
. 배당성향 20%, 연 1회 결산배당 실시
- 2차 주주환원정책 (FY2024 ~ FY2026)
. 배당성향 25%, 반기배당실시,
연 1,000원의 최소배당금 설정
- 향후 추진계획
. 기보유 자사주 소각 검토, 추가 자사주 매입 검토,
분기배당 검토
(향후 추진계획은 수시 업데이트 예정)


원문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2800424

몰?루

22 Oct, 08:12


•태국 상무부장 : 엔비디아 태국 투자 계획중
(블룸버그)

>泰国商务部长Pichai:英伟达正计划在泰国投资。(彭博)

몰?루

22 Oct, 07:29


동서 야미털기 지리네 ㄷㄷ

몰?루

22 Oct, 06:50


5배 이상 오른 종목은 웬만해서 https://m.blog.naver.com/kinvestors/223629005567

몰?루

22 Oct, 06:02


주식시작하고 미국 대선을 2016년, 2020년 총 두번을 겪었었는데,
미 대선전까지는 차기 대통령의 정책과 그 영향을 미리 (과민)반영하며 장이 하락하다가, 막상 대선 직후에는 되돌리며 반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트럼프가 깜짝 당선되다보니 대선 당일에 사이드카가 걸릴 정도로 하락하다가 반등했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2016년 2월에는 중국증시/도이치방크 위기, 6월에는 브렉시트, 11월에는 미국 대선으로 사이드카가 여러번 발동되었었네요.)

지금 소위 트럼프 트레이딩이라고 하는 것을 매크로/섹터 단위로 구분해보면
** 매크로
--> 트럼프 당선시 재정적자폭 확대
--> 장기채 금리 지속 상승
--> 달러 강세 (원달러 환율뿐만 아니라 달러인덱스가 상승중)
--> 개복치 우리 증시 박살
** 섹터
--> 이차전지, 신재생 섹터등은 좋아질 것이라 생각해도, 대선 전까지는 관망
--> 반도체/기술주 (특히 삼성전자 밸류체인) 등은 그냥 박살
--> 트럼프 정책과 무관한 바이오 등 매우 제한적인 섹터에 자금 몰리는 상황
이런 상황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금투세, 북한 특수부대 파병 등으로 특히나 더 개복치인 상황이지만요...

그렇지만, 과거 주봉/월봉을 살펴보면, 2016년/2020년 대선 전까지는 거래량도 없고 지수든 종목이든 상승세가 거의 없었으나, 대선 이후에는 기다렸다는 듯 반등했다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선반영 후 악재해소(?) 스킴에 가까운 듯 합니다.

이번에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금투세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면, 수급 빈집인 섹터와 종목들은 충분히 반등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되기에, 미 대선 d-day를 기점으로 어떤 섹터와 종목의 비중을 늘리고 줄일지 고민해보는게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인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