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kiwoomdisplay Channel on Telegram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kiwoomdisplay


디스플레이/IT 데일리 뉴스, 발간 보고서와 기업 공시 등을 수시로 공유합니다.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Korean)

안녕하세요!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디스플레이 및 IT 분야의 데일리 뉴스, 발간 보고서, 그리고 기업 공시 등을 수시로 공유하는 곳입니다. 김소원씨를 통해 더 많은 정보와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현재 IT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최신 소식과 업계 동향을 놓치지 마세요.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은 귀하를 위해 항상 최신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함께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의 멤버로 참여하여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정보를 공유해보세요!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3 Feb, 22:33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14)

1) ‘큰손’ 中 수요에 문전성시. 삼성전기, MLCC 가동률 90% 육박(아시아투데이)
- 1Q25 평균 가동률 90% 육박 추정. 작년 1분기 가동률은 84% 수준. 늘어난 고객사 다수가 중국 업체인 것으로 확인. 갤럭시S25 출시 효과와 중국 이구환신 영향 수혜 기대
- https://tinyurl.com/fpdb68cr

2) Japan Display, 미국에 OLED 생산 라인 구축 위해 OLEDWorks에 전략적 투자(OLED-info)
- 현재 OLEDWorks 지분 6.7% 소유. 두 회사는 미국에 첨단 OLED 생산 라인 건설 계획. 방산, 자동차, 의료 산업을 위한 고성능 디스플레이 생산 목표
- https://tinyurl.com/y424urxc

3) LGD·삼성D, 현대모비스 '롤러블 OLED' 입찰서 대격돌(THEELEC)
- GM, 현대차 등에 공급하기 위한 센터페시아용 18인치 롤러블 OLED 개발 계획. 이르면 1분기 납품업체 결정 예상. 출시 시점은 완성차 업체에 따라 2026년 말~2027년 초, 2028년 상반기 예정
- https://tinyurl.com/mptccepe

4)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전자신문)
- 갤럭시Z 폴드7에서 '디지타이저' 빼는 것으로 파악. 두께를 줄이기 위해 디지타이저를 빼고 '폴드SE'와 유사한 모습으로 출시 예정. 갤폴드 SE 넘어 역대 가장 얇은 삼성 폴더블폰 기대
- https://tinyurl.com/ykdsnpse

5) 아이폰 교체 주기, 이전보다 더 빨라진 것으로 확인(AppleInsider)
- 시장조사기관 CIRP 보고서. 작년 4분기에 새로 아이폰을 구매한 사용자의 36%가 이전 기기를 2년 이하 기간 동안 사용. 2023년 4분기에 조사됐던 31%에 비해 상승
- https://tinyurl.com/yzejkkua

6) ASE, AI 및 PC 수요 증가로 1Q25 강력한 실적 기대(Digitimes)
- AI 및 PC에 대한 긴급 주문 증가로 1Q25 강한 성장 전망
- https://tinyurl.com/r2w7pa3k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Feb, 23:09


덕산네오룩스 [BUY, 53,000원(상향)]

   : De-rating에서 Re-rating으로

1) 4Q24 영업이익 196억원, 사상 최대치 기록

   4Q24 매출액 522억원(-5% QoQ, +15% YoY), 영업이익 196억원(+56% QoQ, +68%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132억원) 상회

   아이폰16 시리즈 출시 효과는 전 분기 대비 감소했으나 중저가 모델향 수요가 견조했고, 갤럭시S25 시리즈의 양산 효과 반영

   4Q24 영업이익률은 37.6%(+14.7%p QoQ, +11.8%p YoY)로, 원/달러 환율 상승, 제품 믹스 개선 및 일회성 환입 효과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 기록

   일회성 요인을 제거해도 4Q 영업이익률은 약 30%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 2024년 연간 영업이익 또한 525억원(+59% YoY)으로 사상 최대치 기록

2) 2025년 영업이익 651억원, 시장 기대치 상회할 전망

   1Q25 매출액 401억원(-23% QoQ, -24% YoY), 영업이익 87억원(-55% QoQ, -15% YoY)으로, 이전 추정치(90억원) 부합할 전망

   갤럭시S25 출시 효과 감소 및 계절적 비수기로 인해 분기 실적 저점을 통과할 전망

   한편 2025년은 매출액 2,369억원(+12% YoY), 영업이익 651억원(+24% YoY), opm 27.5%으로, 시장 컨센서스(602억원) 상회 예상

   올해 아이폰 17시리즈의 전량 LTPO TFT 적용과 함께 동사의 점유율 확대가 예상되며, Black PDL의 채용 확대가 나타날 전망

   그간 Black PDL은 갤럭시 Z 폴드 및 일부 중국 폴더블 모델 중심으로 적용됐으나, 올해는 갤럭시 Z 플립, Oppo, Vivo의 일반 스마트폰 모델(3종), Lenovo의 롤러블 노트북 등 적용 모델 다변화가 본격화될 전망

3) 디레이팅 요소 해소 중. 업종 Top Pick 유지

   12개월 선행 P/E 14.4배(인수 효과 미반영)로, 실적 역성장 우려가 지속됐던 18년~19년 평균 19배 및 OLED 스마트폰 침투율이 둔화된 22년 이후의 평균 23배를 하회 중

   동사의 주가는 ‘OLED 스마트폰 침투율 포화에 따른 실적 성장에 대한 우려’ 및 ‘과거 대비 부진한 수익성’이 디레이팅 요소로 작용

   그러나 올해 고부가 제품 중심의 점유율 확대, 내년 폴더블 아이폰 및 8.6세대 IT OLED향 Black PDL의 침투율 확대 및 신규 소재 개발 모멘텀과 함께 최대 실적 랠리 전망. 주가 리레이팅이 마땅한 시점으로 판단

   목표주가 53,000원으로 상향, 디스플레이 업종 Top Pick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32.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Feb, 22:59


이수페타시스 [BUY, 52,000원(상향)]

   : 5공장 증설 가속화. 중장기 실적 눈높이 상향

1) 4Q24 영업이익 278억원, 시장 컨센서스 하회

   4Q24 연결 매출액 2,261억원(+10% QoQ, +30% YoY), 영업이익 278억원(+7% QoQ, +163% YoY), opm 12.3%로, 시장 기대치(298억원) 하회

   매출액은 AI 가속기와 네트워크 스위치 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페타시스의 G사향 매출액은 전 분기와 유사했으나,

   G사향 매출액 중 스위치 물량 비중이 1Q24 19% → 4Q24 63%까지 확대되며 제품 믹스 개선 지속. 한편 N사향 매출액은 점유율 확대 및 제품 다변화에 힘입어 +40% QoQ 증가

   4Q24 영업이익률은 12.3%로,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에도 불구하고 예상치를 하회. 이는 연말 일회성 성과급 비용과 800G용 신규 제품의 초기 수율이 예상 대비 부진한 영향. 일회성 요인 제외 시 영업이익은 300억원을 상회했을 것으로 추정

2) 2025년 영업이익 1,614억원(+55% YoY) 전망

   1Q25 연결 매출액 2,382억원(+5% QoQ, +19% YoY), 영업이익 353억원(+27% QoQ, +54% YoY), opm 14.8%로, 시장 기대치(346억원) 부합할 전망

   G사향 스위치 및 N사향 신규 물량 중심의 믹스 개선과 800G 신규 제품의 수율 안정화에 힘입어 수익성 개선이 나타나고, 중국 후난 법인 또한 고부가 제품 중심의 수주 확대 중

   2025년은 매출액 1조 351억원(+24% YoY), 영업이익 1,614억원(+55% YoY)으로, N사, M사, A사 중심의 성장 예상. 특히 800G 중심의 고부가 네트워크 제품 공급을 확대하며 수익성 확대가 지속될 전망

   더불어 동사는 페타시스 5공장 증설을 앞당기며 올해 Capex 규모를 기존 800억원에서 1,500억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 이를 반영한 2026년 페타시스의 연간 Capa는 약 1.1조원으로, 기존 계획(9,000억원)을 20% 상회할 전망

3) 2025년 증설 가속화로 중장기 실적 눈높이 상향

   AI발 MLB 수요가 공급을 크게 상회하는 가운데 다중적층 공정의 적용 확대가 Capa loss를 유발하며 공급 부족을 심화

   동사의 5공장 증설 가속화는 내년 및 중장기 실적 눈높이를 상향하는 요인으로 판단

   더불어 동사는 지난달 제이오 인수를 철회했으며, 유상증자 규모도 기존 5,500억원에서 2,500억원으로 축소

   이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52,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36.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Feb, 22:3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13)

1) Novatek, 1Q25 매출 과거 계절성 대비 나을 전망(YahooFinance)
- 1Q25 매출액 전년 대비 3~8% 성장 전망. 중국 보조금 정책과 관세 불확실성으로 선구매 수요 증가. 하이엔드 TV 및 노트북 시장 회복으로 대형 DDI 모멘텀 가장 뚜렷. 스마트폰 고객을 위한 OLED TDDI 양산은 예정대로 2분기부터 시작
- https://tinyurl.com/2u3e3acw

2) 中 정부, 전국민에 '쇼핑 지원금'. 스마트폰 교체 폭증(한국경제)
- 춘절 기간 휴대폰 판매량 전년 대비 182%, 가전 166% 급증. 이 기간 전자제품 총 판매량은 450만대. 보조금 관련 전자제품 판매 금액은 206억 위안(약 3조 8천억원)
- https://tinyurl.com/3rrb5e67

3) 노트북 ODM, 2025년 전망 긍정적(Digitimes)
- DeepSeek의 등장, Nvidia의 RTX 50 시리즈 판매 호조, Windows10 지원 중단 등에 따라, 2025년 노트북 시장 긍정적으로 전망
- https://tinyurl.com/mr8mm2m5

4) Japan Display, 아이폰 LCD 공장 매각 검토(NikkeiAsia)
- 2026년 3월부터 지바현 공장 생산 중단. 해당 시설에 대한 매각 고려 중. 또는 AI 데이터 센터로 전환할 수 있다고도 언급
- https://tinyurl.com/y3nckxpf

5) 美 슈퍼볼 주간, TV 가격 크게 하락하지 않았다. 왜?(THEELEC)
- 슈퍼볼 주간 최저가 갱신한 TV는 98인치 1종. DSCC, TV 판매량이 예상치 상회했거나, LCD 패널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
- https://tinyurl.com/mr4aed6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Feb, 08:09


▶️ 덕산네오룩스 4Q24 실적 발표

4Q24 매출액 522억원, 영업이익 196억원(opm 37.6%), 당기순이익 172억원

(컨센서스: 매출액 519억원, 영업이익 132억원, 당기순이익 129억원)

▶️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2900985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Feb, 06:57


이수페타시스 4Q24 실적 공시

4Q24 매출액 2,261억원, 영업이익 278억원(opm 12.3%), 당기순이익 220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2,213억원, 영업이익 298억원, 당기순이익 266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2800664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1 Feb, 22:34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12)

1) 2024년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출하량 11% 증가. OPPO가 처음으로 선두 차지(Canalys)
- 출하량 9,670만대 기록. OPPO는 전년 대비 14% 증가한 1,690만대 출하, 점유율 18%로 1위 차지. 삼성은 점유율 17% 기록하며 2위. Transsion, Xiaomi, Vivo가 뒤를 이어
- https://tinyurl.com/4fmmjxwz

2) OLED 맥북 에어는 2029년으로 연기. 맥북 프로는 2026년 출시 예정(AppleInsider)
- 맥북 에어는 2027년 업그레이드 예정. TFT를 기존 a-Si에서 옥사이드로 변경. OLED 맥북 에어 연기 이유는 높은 생산 비용과 기대에 못미쳤던 OLED iPad Pro 영향으로 관측
- https://tinyurl.com/7hdr48jh

3) 삼성디스플레이, IT 8세대 OLED 두번째 증착기 상반기 내 반입(THEELEC)
- 첫번째 증착기로는 애플 맥북 프로용 OLED, 두번째 증착기로는 애플 외 업체에 납품할 IT OLED 생산 전망. 8세대 IT OLED 연간 CAPA는 14.3인치 OLED 기준 1,000만대. 맥북 프로 출하량 전망치는 연 300~500만대 수준
- https://tinyurl.com/ystx32fz

4) 애플, 중국 아이폰에 AI 기능 제공 위해, 알리바바와 협력(Reuters)
- The Information 보도. 알리바바가 보유한 사용자들의 쇼핑 및 결제 습관 데이터가 협력 이유인 것으로 관측
- https://tinyurl.com/44bkndub

5) 2025년 패널 수요 급증 예상. 하반기엔 과제 당면(Digitimes)
- 4Q24부터 패널 조달 모멘텀 강화. 2025년에도 지속되는 중
- https://tinyurl.com/3v28zxwv

6) 낸드 가격 상승, 메모리 시장 회복 조짐 관측(Digitimes)
- 제조업체 감산과 중국 내 재고 해소에 따라, 낸드 현물 가격 반등
- https://tinyurl.com/34s9fnsw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0 Feb, 22:3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11)

1) 인도 스마트폰 시장, 2024년 4% 성장해 1억 5,100만대 도달(IDC)
-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Apple에게 4번째로 큰 시장으로 도약. 인도 내 아이폰 출하량 전년 대비 35% 증가한 1,200만대 기록. 4Q24 점유율 10% 도달하며, 상위 5대 브랜드에 진입
- https://tinyurl.com/2j24sbvt

2)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모니터 패널 재고 급증(Digitimes)
- 중국에 대한 보복 관세가 전체 시스템 비용에 상당한 영향 미칠 것으로 관측. 모니터 가격 잠재적으로 5% 상승 예상
- https://tinyurl.com/yc7wa3vd

3) 애플, 올해도 상반기 발주 물량 LG디스플레이에 집중 배분(Kipost)
- 올해 상반기 아이폰16 Pro, Pro Max용 OLED 발주 물량 대부분을 LG디스플레이로 배분할 것으로 예상. 올해 LGD 생산능력도 소폭 확대된 듯
- https://tinyurl.com/5sek2caw

4) “43만대 판매” 갤럭시 S25, 인도서 ‘대박’ 터진 비결은(이데일리)
- 인도 사전 판매량 43만대, 전작 대비 20% 증가. 공격적 마케팅 주효, 출고가 국내보다 높음에도 인기. 오프라인 유통망 강화, 소도시 수요 파악 통한 매출 성장 기대
- https://tinyurl.com/3axd56w4

5) LG이노텍, 전장 수주 사상 최대. 성장 발판 다졌다(데이터뉴스)
- 작년 전장부품 수주 잔고 13.6조원, 신규 수주 3.9조원으로 역대 최고. 자율주행 핵심부품 차량통신∙조명∙센싱 집중
- https://tinyurl.com/4basmstd

6) 애플, 베트남 맥북 생산 축소, 인도 확대할 듯(TrendForce)
- 트럼프 행정부 정책 변동성, 현지 시장 환경, 제품 포트폴리오 전략을 고려한 결정. 중국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 위한 전략에서 인도가 중요한 대안으로 부각
- https://tinyurl.com/5n72m2nx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0 Feb, 07:29


BOE가 2분기 애플 아이폰에 공급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량이 바닥 수준인 것으로 10일 파악됐다. 원인은 품질 문제 때문이다. BOE가 물량을 확보하지 못하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BOE에서 최근 품질 문제가 발생한 모델은 아이폰15(2023년 모델)와 아이폰16(2024년 모델) 일반 라인업용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박막트랜지스터(TFT) OLED다. BOE는 아직 아이폰 프로 라인업용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TFT OLED 양산 승인을 받지 못했다. LTPO OLED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Zps031X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9 Feb, 22:33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10)

1) 애플 첫 폴더블 아이폰, 2026년 하반기 출시 가능성(TrendForce)
- 초기 출하량 800~1,000만대로 추산. 2027년까지 출하량 2,000만대로 확대 계획
- https://tinyurl.com/mt6p2pvk

2) 삼성D, ‘폴더블 아이폰’ 초기물량 독점. 애플 파트너십 굳건(아시아투데이)
- 내년 5월 양산 돌입, 1,500만~2,000만대 패널 공급 예상. 완제품 출시는 같은 해 9월 예상. 폴더블 패널 핵심 경쟁력인 UTG 기술력 차별화
- https://tinyurl.com/2r5j5jmz

3) 中렌즈 테크놀러지, 애플 폴더블 UTG 퍼스트벤더 유력(THEELEC)
- 애플 폴더블 제품 UTG 물량 중 70% 전후를 렌즈가 담당 예상. 나머지 물량은 도우인시스, 유티아이와 같은 한국 업체가 담당. 렌즈, 연내 UTG 생산라인 증설 계획. 중국 스마트폰 업체에 폴더블폰용 UTG 납품 이력
- https://tinyurl.com/yck2rcsv

4) 애플, 다음주 초에 아이폰SE4 공개 예정(TrendForce)
- 디자인 면에서는 iPhone 14와 유사할 전망. Apple Intelligence 지원 예정
- https://tinyurl.com/2s3b94r2

5) "갤럭시S25 출하량 목표 4천만 대. 전작보다 10% 높아"(ZDNETKorea)
- 궈밍치 애널리스트 전망. 라인업 전반에 탑재한 퀄컴 칩 덕분
- https://tinyurl.com/y8vbffxx

6) 샤오미, AI 안경 상반기 출시 임박. 4월 공개 전망(조선비즈)
- 중국 AR·VR 기기 제조사 고어텍과 협력해 AI 안경 개발 중. 웨이보에 '샤오미 안경' 공식 계정 개설
- https://tinyurl.com/mr3upcmu

7) Apple, 홈 로봇 프로젝트 관련 인력 채용 가속화(AppleInsider)
- 현재 최소 2가지 로봇 프로젝트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 한 가지는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 다른 한 가지는 음성과 행동 인식 가능한 탁상형 스마트 램프
- https://tinyurl.com/5cn69t6a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7 Feb, 08:08


Taiyo Yuden 4Q24(FY3Q25) 실적 (단위: JPY)

매출액 86.9B(Flat QoQ, YoY), 영업이익 825M(-83% QoQ, YoY)

블룸버그 컨센서스: 매출액 86.3B, 영업이익 2.8B


* FY 3Q25 실적 세부 사항
커패시터 매출액은 전년 대비 8% 성장
SSD, 자동차, IT 인프라, 산업용 장비 등 전방위적으로 매출 증가

영업이익은 가동률 상승 효과에도, 판매 가격 하락 및 고정비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감소


* FY 2025 가이던스
저번 분기보다 매출액, 영업이익 가이던스 상향 조정

매출액 338.5B (이전 분기 가이던스 330B)
영업이익 10B (이전 분기 가이던스 7.6B)

엔/달러 환율 전망치를 149에서 152로 조정
전장, IT인프라, 산업용 장비향 수요는 성장 전망
통신 장비 관련 제품 수요는 약세 전망


* 위 내용은 공개된 자료의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6 Feb,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7)

1) Murata, AI 서버향 MLCC 수요 2배 확대와 2025년 시장 반등 전망(TrendForce)
- AI 서버 관련 MLCC 수요, FY2025 말까지 2배 이상 증가 전망. AI 서버 MLCC 탑재량은 기존 서버 대비 8배
- https://tinyurl.com/4z2dzp4x

2) 2025년 MLCC 수요 급증으로 Yageo, Walsin에 긍정적(Digitimes)
- 2025년 MLCC 수요 증가 예상. 대만 주요 수동 부품 기업들에 활력 제공할 것으로 기대
- https://tinyurl.com/mvr28r5h

3) 2024년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9% 성장(Canalys)
- 연간 출하량 1억 4,760만대, 전년 대비 9.2% 성장. 북미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성장 관측. 유통 채널 파트너들 중 52%가 2025년 태블릿 출하량 증가 예상
- https://tinyurl.com/5bfedc5k

4)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전자신문)
- 난도 높아 직접 개발 추진. 기술·장비는 주도, 제조는 외주 계획. 현재 유리기판 상용화 위해 복수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사들과 협력 추진
- https://tinyurl.com/bbyvwm9b

5) 삼성전자 'RGB 마이크로 LED TV'는 LCD 제품. 네이밍 효과 노린다(THEELEC)
- 백라이트 필요한 비자발광 제품. 후면광원으로 백색 LED 대신 RGB LED 적용
- https://tinyurl.com/yvux2wmb

6) 쿠쿠 '4도어 냉장고' 첫 도전. 대형 가전시장 진입(전자신문)
- 국내 중견 가전사 중 대기업이 장악한 4도어 냉장고 출시는 위니아 이후 처음. 올해 4도어 냉장고 출시 계획, 세탁기, 에어컨, TV 등 대기업이 주도하는 분야 진출 검토 중
- https://tinyurl.com/8syt3ynx

7) 화웨이 트리폴드폰, 글로벌 출시 임박. 첫 공략지는 중동(전자신문)
- 메이트XT 글로벌 출시 예고. UAE 통신규제청(TDRA) 인증 획득. 판매 시점은 올해 1분기 내로 관측
- https://tinyurl.com/dmbr895p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Feb, 22:51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이녹스첨단소재 [BUY, 40,000원(상향)]

   : 분위기 급반전

1) 4Q24 영업이익 250억원,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4Q24 매출액 1,042억원(+3% QoQ, +25% YoY), 영업이익 250억원(+36% QoQ, +1,115% YoY)으로, 시장 기대치(145억원) 상회

   원/달러 환율 상승 및 OLED TV 고객사 내 동사의 점유율 확대가 어닝 서프라이즈 견인. 갤럭시S25 시리즈 생산 효과도 호실적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

   4Q24 영업이익률은 24.0%(+5.7%p QoQ, +21.5%p YoY)로, 매출액 상승 및 인력 효율화에 따른 판관비 감소 영향으로 대폭 개선. 인력 효율화에 힘입어 올해 비용 축소 효과가 나타날 전망

2) 1Q25 영업이익 270억원, 일회성 서프라이즈가 아니다

   1Q25 실적은 매출액 1,095억원(+5% QoQ, +7%YoY), 영업이익 270억원(+8% QoQ, +72%YoY)으로 시장 기대치(155억원)를 상회하고, 실적 성장세 또한 이어질 전망

   주요 OLED TV 고객사 내 동사의 점유율이 3Q24 42% → 4Q24 50% → 1Q25 65% 이상으로 확대되며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판단

   높은 품질 경쟁력을 기반으로 WOLED 패널뿐 아니라 QD-OLED 패널용 소재 점유율도 ‘24년 55% → ‘25년 80%로 확대 예상

   2025년은 매출액 4,604억원 (+9%YoY), 영업이익 1,110억원 (+28%YoY)으로, 시장 예상치(684억원) 62% 상회할 전망. 올해 주요 성장 포인트로 ‘OLED TV용 소재 점유율 확대’와 ‘아이폰 내 점유율 확대’에 주목

   동사는 그간 아이폰의 LTPS 패널용으로만 소재를 공급했으나, 올해부터 LTPO 패널용 소재 공급과 함께 점유율 확대 예상

   세트 수요 개선이 더딘 상황 가운데서도 동사는 점유율 확대를 통해 차별화된 실적 성장을 보여줄 전망

3) 밸류에이션 저평가, 북미 세트 업체향 모멘텀 주목

   주가는 2025년 P/E 6.4배, P/B 1.0배로, 역사적 밴드 하단 하회 중

   전방 수요 불확실성으로 인해 IT 소부장 업체들의 단기 실적 모멘텀이 제한적인 가운데, 동사의 실적 성장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

   또한 동사는 삼성디스플레이향 폴더블 소재를 공급 중에 있어 폴더블 아이폰향 공급 모멘텀 기대

   목표주가 40,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99.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Feb, 22:3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6)

1) 퀄컴, 스마트폰 수요 강세로 실적 추정치 상회(CNBC)
- 4분기 핸드셋 부문 전년 대비 13% 성장(컨센서스 5% 상회). 중국 고객사향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 확인. 2025년 핸드셋 부문 매출액 10% 성장 전망. 딥시크 AI 모델 출시는 온디바이스AI 가속화 측면에서 퀄컴에게 긍정적이라 언급
- https://tinyurl.com/bdhdp4kj

2) 애플 M5 양산 개시. '신공정으로 AI 성능 업그레이드'(전자신문)
- 지난달부터 M5 칩 패키징 시작. 패키징은 대만 ASE, 미국 앰코, 중국 JCET이 담당. M5 반도체 기판은 ABF 성능 대폭 개선, 기판 제조는 유니마이크론과 삼성전기가 담당
- https://tinyurl.com/y7vrxtz9

3) 트럼프의 관세 폭탄은 미국 디스플레이 제품에 '직격' 우려(DSCC)
- 미국 스마트폰, 모바일 PC, 모니터의 약 80%가 중국에서 수입. 미국 TV 수입의 약 80%는 멕시코산. 미국 '관세전쟁'에 대응해, 중국 브랜드 지원 위한 '보조금 지급' 가능성도 제기
- https://tinyurl.com/yc5mwyhy

4) 공급 감소, 수요 급증으로 TV 패널 가격 상승(Digitimes)
- 2024년 하반기부터 시행된 중국 보조금 정책은 2025년까지 확대 계획. 또한 불안정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TV 패널 수요 증가
- https://tinyurl.com/2f9ac5rb

5) 미국 관세 파동으로 IT 패널 가격 상승 예상(Digitimes)
- 미국 관세 정책과 LCD TV 패널 가격 상승으로 모니터 패널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 1월 LCD 모니터 패널 가격 안정세
- https://tinyurl.com/4xmu9b4s

6) Yageo, 일본 Shibaura Electronics 인수 제안(Yageo)
- 인수 성사 시, Yageo의 센서 사업 확장 기대
- https://tinyurl.com/4uj4e5wv

7) 삼성전기, 자율주행 핵심장치 '라이다용 MLCC' 세계 최초 개발(ZDNETKorea)
- 1005 크기에 2.2uF 고용량, 10V 고신뢰성 세계 첫 구현. 전장용 MLCC 시장, 2028년까지 10조원 규모로 성장 전망
- https://tinyurl.com/mutpf69a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Feb, 00:45


PI첨단소재 4Q24 실적 공시

4Q24 매출액 551억원, 영업이익 27억원(opm 5%), 당기순이익 20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561억원, 영업이익 49억원, 당기순이익 42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5800072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Feb, 00:22


이녹스첨단소재 4Q24 실적 공시

4Q24 매출액 1,042억원, 영업이익 250억원(opm 24%), 당기순이익 265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924억원, 영업이익 145억원, 당기순이익 129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5900082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Feb, 00:08


Ibiden 4Q24(FY3Q25) 실적 발표 (단위: JPY)

매출액 88.8B(-4% YoY) 영업이익 6.3B(-51% YoY)

블룸버그 컨센서스
매출액 93.9B, 영업이익 9.6B

* FY 3Q25(4Q24) 패키지 부문 특이사항
- AI 서버향 수요 견조. 범용 서버, PC향 수요는 감소
- 가격 경쟁 심화
- 수익성 중심의 수주 방침으로 일시적인 가동률 하락
- 위 요인들이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

* FY 4Q25(1Q25) 가이던스
분기 순이익 전망치를 240억엔에서 250억엔으로 상향


* 위 내용은 공개된 자료의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4 Feb, 22:27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5)

1) '갤럭시S25' 국내 사전 판매 130만대. S시리즈 중 '최다'(ZDNETKorea)
- '갤럭시S25 울트라' 52% 차지. 삼성닷컴서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 가입률 30%
- https://tinyurl.com/mwtmbrac

2) “스마트폰·TV 가격 또 오르나” 트럼프 관세 직격탄 현실(이데일리)
- 미국 스마트폰·모바일PC·모니터 시장의 약 80%가 중국산. TV 수입은 주로 멕시코를 통해 이뤄져
- https://tinyurl.com/4y9bctj5

3) Corning, 유리 가격 인상으로 2025년 디스플레이 사업부 순이익률 25% 목표(Digitimes)
- 유리 가격 두자릿수 상승 효과에 기인
- https://tinyurl.com/ynjm7wc9

4) 파나소닉, 'TV 사업 매각 준비 완료' 발표(NikkeiAsia)
- 그룹 구조 조정 추진 중. 어려움 겪고 있는 TV 사업을 매각하거나 규모 축소 고려
- https://tinyurl.com/3uhba2cx

5) 삼성디스플레이, 퀄컴과 손잡고 '차량용 OLED' 시장 확대(ZDNETKorea)
- 스냅드래곤 탑재한 '콕핏 체험 데모 키트'에 OLED 공급하는 MOU 체결
- https://tinyurl.com/c9panhpt

6)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이투데이)
- 초고화질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상표권 출원. 중국 경쟁사 앞서기 위한 삼성 TV 기술력 강조. 다양한 크기와 해상도로 연내 출시 검토
- https://tinyurl.com/3xj3ynhh

7) 대만 정부, 사이버 보안 우려로 공공기관에서 DeepSeek AI 사용 금지(Digitimes)
- https://tinyurl.com/5n8a9ffz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3 Feb, 22:39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4)

1) 트럼프, 對멕시코 관세 한달 전격 유예. 加와도 막판 협의(연합뉴스)
- 관세 시행 13시간여 앞두고 합의. 캐나다와도 관세 1달 유예 합의. EU·반도체 등 추가 관세에는 여전히 의지 표명
- https://tinyurl.com/yck6wwny

2) iPhone15,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Counterpoint)
- iPhone15 Pro Max와 iPhone15 Pro도 나란히 2, 3위 차지. 갤럭시S24 울트라가 7위에 오르면서, 2018년 이후 처음으로 갤럭시S 시리즈 포함. 2025년에는 GenAI 스마트폰의 더 큰 존재감 기대
- https://tinyurl.com/bdha6s5m

3) 1Q25 디스플레이 팹 가동률 상승 전망(DSCC)
- 4Q24 가동률 둔화는 예상보다 일찍 종료. 11월 이후 가동률 상승. 1Q25에는 TV 및 IT 제품 수요 증가하면서 LCD 팹 가동률 상승 예상. OLED 가동률도 전년 대비 높아질 전망
- https://tinyurl.com/3ran4mpm

4) 공급업체들이 2025년을 대비하며, 2024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7% 성장(Canalys)
- 출하량 12억 2천만대 기록, 2년 연속 감소 후 반등. 애플과 삼성의 출하량은 1%씩 감소. Xiaomi와 Transsion이 전년 대비 15% 성장하며, 시장 성장 견인
- https://tinyurl.com/4t84se6m

5) 애플, 중국 아이폰에 '딥시크' 탑재할까(ZDNETKorea)
- 중국에서 아이폰에 딥시크 적용 검토 중. "통합 막바지 테스트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 실현될 경우 아이폰 판매 큰 힘 될듯
- https://tinyurl.com/44wx5tk2

6) 오픈AI, AI 전용 단말기 만든다. 넥스트 아이폰 나오나?(THEELEC)
- 음성입력 기반 새로운 단말기 모색. 아이폰 이후 20년 만에 폼팩터 변화 기대. AI 스마트폰 출시 업체들과 반도체 업계에도 지각 변동 예상
- https://tinyurl.com/yc297dah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3 Feb, 08:00


Murata FY3Q25(4Q24) 실적 (단위: JPY)

매출액 448B(-3%QoQ, +2%YoY), 영업이익 76B(-17%QoQ, Flat YoY)

블룸버그 컨센서스
매출액 453B, 영업이익 95B

* FY 3Q25(4Q24) 실적
매출액은 스마트폰향 부품 매출 감소에도, 견조한 AI 서버향 매출과 엔화 약세로 가이던스 부합
MLCC는 모빌리티향 증가,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향 감소

영업이익은 가동률 하락 등으로 전 분기 대비 감소

* 연간(2024년 4월~2025년 3월) 실적 가이던스 유지

자료 링크: https://tinyurl.com/4v6ex6nd

* 위 내용은 공개된 자료의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2 Feb, 23:09


월풀 코퍼레이션  (WHR US)

   : 2025년 가이던스, 시장 기대치 하회. 트럼프발 관세 정책은 또 다른 기회

1) 4Q24 실적 리뷰: 북미 지역 재고 조정으로 시장 기대치 하회

   4Q24 실적은 매출액 41.4억 달러(+4% QoQ, -19% YoY, 컨센서스 대비 -2%), EBIT 2.5억 달러(+6% QoQ, -7% YoY 컨센서스 대비 -19%), GAAP EPS -$7.1(적자전환QoQ, YoY, 컨센서스 $4.3)로, 시장 기대치 하회

   동사가 강조해 온 비용 축소를 지속하며 EBIT 마진 개선이 이어졌지만, 매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북미 지역에서 대규모(sizable) 재고 조정 영향이 나타나며 실적 부진

   한편 순이익은 영업 외 부문에서 Maytag의 손상차손이 발생하며 예상치 하회

   사업부별 EBIT 성장률(YoY)은 북미 MDA(대형 가전 제품) -19%, 남미 MDA +40%, 아시아 MDA 흑자 전환, 글로벌 SDA(소형 가전 제품) -4%로, 북미와 남미 지역의 온도차가 느껴지는 실적 기록

2) 보수적인 2025년 가이던스 제시

   동사는 2025년 매출액 $15.8B(-5% YoY), EBIT 마진 6.8%(+1.5%p YoY)의 가이던스 제시. 이는 이전 컨센서스(매출액 $16.2B, EBIT 마진 6.9%)를 하회하는 수치

   동사는 올해 10년 내 역대 최다 신제품을 출시하며 Blended ASP의 상승과 추가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전망

   그러나 2025년 매크로 환경의 개선이 제한적일 것이며, 미국 주택 시장에 대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이나 올해는 소폭의 개선 정도만 예상됨을 언급

   이로 인해 2025년 글로벌 가전 시장은 전년 수준일 것으로 전망하는 보수적인 가이던스 제시

3) 단기 모멘텀 부재하나, 트럼프 관세 정책의 중장기 수혜 가능성 주목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동사도 일부 제품을 멕시코 및 중국에 생산 중이며, 2025년 가이던스에는 해당 관세 정책 영향 미반영. 따라서 관세 정책으로 인한 비용 증가 시 단기 실적 모멘텀 부재

   그러나 동사는 생산 공장의 약 1/3이 미국에 위치해 있으며, 미국 판매 제품의 80% 이상을 미국에서 생산 중

   이는 여타 경쟁 업체들 대비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추정되며, 중장기로는 고율 관세로 인한 동사 제품의 가격 경쟁력 부각 시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

   더불어 2Q25부터 프리미엄 라인업 중심의 신제품 출시 확대와 함께 ASP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중장기 관점으로 접근할 것을 추천.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C791.pdf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2 Feb,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2.3)

1)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전자신문)
-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보편적 관세 부과. 가전, 미국 내 생산 확대 또는 베트남, 유럽 등에서 생산량 확대 검토. 자동차, 배터리도 악영향 우려
- https://tinyurl.com/227jwb3b

2) 4Q24 미국 스마트폰 판매, 전년 대비 3% 감소(Counterpoint)
- 저가형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전년 대비 3% 감소. 6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는 전년 대비 4% 증가. 아이폰16 시리즈 판매량은 같은 기간 아이폰 15 시리즈 대비 1% 증가
- https://tinyurl.com/ye23nzru

3) 애플,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사 선정 임박(ZDNETKorea)
- 2월말~4월초 결정 예상. 올해 연말부터 2027년 사이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
- https://tinyurl.com/5fbayz2d

4) 삼성D "1분기 실적 보수적 예상". 작년 영업익 33% 감소(THEELEC)
- 작년 연매출 29.2조원. 30조원 밑돈 것은 8년 만에 처음. 올해 1분기 중소형 사업, 작년 4분기에 이어 전반적인 스마트폰, IT 시장 수요 약세 예상
- https://tinyurl.com/5n6k5fxh

5) 삼성전자 "작년 스마트폰 판매량 2억 2,400만대. 올해 갤S25로 승부수"(ZDNETKorea)
- 올해 플래그십 매출 두자릿수 성장 목표. 갤럭시A 시리즈 고도화와 플래그십 중심 판매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 추진
- https://tinyurl.com/mwyj9fd2

6) 中 BOE '꿈의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양산 돌입(서울경제)
- BOE, LED 제조 업체 HC세미텍 인수, 지난해 말부터 마이크로 LED 생산 시작. 대만 AUO도 올해부터 양산 추진. 지난해부터 1.5조원 투자해 LCD 공장을 마이크로 LED 패널용으로 개조
- https://tinyurl.com/2ya3k7yj

7) '전장 키우기' LG이노텍, 차량용 반도체 모듈 내재화(전자신문)
- 기존 외주에 위탁생산하던 공정을 내재화. 물량 확대 대응과 전장 부품 사업 강화를 위한 포석
- https://tinyurl.com/mt5hxnpn

8) 저커버그 "'스마트안경' 올 500만대 판매 목표"(매일경제)
- 작년 100만대 판매 추정. 올해 판매 목표 5배로 설정
- https://tinyurl.com/yb7jecc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31 Jan, 07:13


대덕전자 4Q24 실적 공시

4Q24 매출액 2,065억원, 영업적자 -60억원(opm -3%), 당기순이익 44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2,174억원, 영업이익 56억원, 당기순이익 54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31800515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30 Jan, 22:44


삼성전기 [BUY, 180,000원]

   : AI가 끌고, 중국이 밀고

1) 4Q24 영업이익 1,150억원, 시장 기대치 하회

   4Q24 매출액 2조 4,923억원(-5% QoQ, +8% YoY), 영업이익 1,150억원(-49% QoQ, +1% YoY)으로, 시장 기대치(1,408억원) 하회

   컴포넌트(MLCC)는 연말 재고 조정으로 인해 IT 및 산업용 중심으로 예상 대비 부진. 이로 인해 MLCC 출하량은 -12% QoQ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

   그럼에도 Blended ASP는 전장용 MLCC의 매출 확대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 지난해 전장용 MLCC는 전방 수요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30% YoY 이상 성장

   광학솔루션은 연말 재고 조정 영향을 갤럭시 S25향 공급이 상쇄시킨 것으로 추정되며, 패키지 기판의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 이는 서버 CPU용을 비롯한 고부가 기판 수요 증가에 힘입어 FC-BGA 매출이 +16% QoQ, +62% YoY 성장했기 때문

   패키지 기판 시장의 공급과잉 속, 동사의 차별화된 실적 성장 고무적

2) 1Q25 영업이익 1,972억원, 예상치 부합할 전망

   1Q25 매출액 2조 6,586억원(+7% QoQ, +2% YoY), 영업이익 1,972억원(+71% QoQ, +7% YoY)으로, 시장 기대치(1,977억원) 부합할 전망

   MLCC가 실적 성장을 주도할 것이며, 특히 갤럭시S25 출시 효과와 중국 이구환신 정책의 수혜 기대. 최근 중국 정부가 스마트폰, 태블릿, 워치를 지원 제품으로 포함시키며 동사의 MLCC 및 카메라 모듈의 공급 확대 예상

   더불어 신규 AI 서버 출시 확대 및 MLCC 탑재량 증가 효과에 힘입어 MLCC 내 서버용 비중은 ‘23년 2% → ‘24년 6% → ‘25년 10%로 확대될 전망

   한편 패키지 기판 사업부는 1Q 비수기 영향으로 실적 감소 후, 2Q부터 AI 가속기용 FC-BGA 신규 공급 효과가 가속화될 전망

3) AI가 견인할 성장, 더해지는 중국 모멘텀

   주가는 2025년 P/B 1.1배로, 저평가 매력이 돋보이는 구간. 2025년 영업이익은 9,214억원(+25% YoY)으로, AI 서버/디바이스 출하량 확대 및 AI 가속기용 FC-BGA 공급 확대가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판단

   더불어 중국 이구환신 정책의 수혜와 2H25 AI 서버향 실리콘 커패시터 공급 또한 추가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

   연중 AI 및 중국발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비중확대를 추천하며, 업종 최선호주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79.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30 Jan, 22:31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31)

1) Whirlpool, 2025년 실망스러운 가이던스 제시로 주가 급락(BARRON's)
- 4분기 실적은 가이던스 소폭 상회. 2025년 매출액 158억 달러, 주당순이익 10달러 전망. 블룸버그 컨센서스는 매출 162억 달러, 주당순이익 11.5 달러. 월풀 CEO, 2025년에 2억 달러 이상의 비용 절감 목표 달성과 미국 주택 시장 회복에 대비할 것을 기대한다고 언급
- https://tinyurl.com/2s3m6hzr

2) 美상무장관 후보자 "韓가전·日철강이 우리 이용. 美에 생산 가져와야"(뉴시스)
- 반도체법 보조금은 미국 내 제조 복원 위한 훌륭한 착수금.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제품의 미국 내 생산을 늘리도록 요청하겠다고 언급
- https://tinyurl.com/28nnx2ex

3) 중국 패널 제조업체, 2025년 스마트폰 AMOLED 출하량 한국 경쟁업체 추월 예상(Digitimes)
- https://tinyurl.com/4pxuf6hz

4) "세탁기는 韓". 삼성·LG, 美 조사서 호평(ZDNETKorea)
- 컨슈머리포트 '올해 최고 대용량 세탁기' 9개 중 LG 8개·삼성 1개
- https://tinyurl.com/54kfj59t

5)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전자신문)
- 고가 '실리콘 인터포저' 대체. 내년 시생산 목표로 공급망 구축 중. 메인 기판도 유리 적용 관심
- https://tinyurl.com/3y5pc2xv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30 Jan, 22:0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Apple (AAPL US) 4Q24(FY 1Q25) 실적 리뷰

1) 4Q24 실적 리뷰

   매출액 $124.3B(+4%YoY), 영업이익 $42.8B(+6%YoY), EPS $2.40(+10%YoY) 으로 시장 컨센서스 상회

   (Bloomberg 컨센서스 매출액 $124.1B, 영업이익 $42.4B, EPS $2.35)

 
2) 사업 부문별 매출액

   iPhone $69.1B(-1%YoY) vs. 시장 예상치 $71.0B

   Services $26.3B(+14%YoY) vs. 시장 예상치 $26.1B

   Mac $9.0B(+16YoY) vs. 시장 예상치 $7.9B

   iPad $8.1B(+15%YoY) vs. 시장 예상치 $7.4B

   Wearables, Home and Accessories $11.7B(-2%YoY) vs. 시장 예상치 $12.0B

3) 지역별 매출액 증가율

   미국 +4%YoY, 유럽 +11%YoY, 중국 -11%YoY, 일본 +16%YoY, 기타 아시아 +1%YoY로, 중국 역성장 지속

실적 발표 자료 링크: https://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025-q1/FY25_Q1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Jan, 22:5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G전자 [BUY, 120,000원(하향)]

   : 악재만 반영된 주가

1) 4Q24 단독 영업이익 -1,139억원, 예상치 하회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8조원(+3% QoQ, flat YoY), 영업이익 1,354억원(-82% QoQ, -57% YoY)으로, 시장 기대치(4,171억원) 및 당사 추정치(3,148억원) 하회

   LG이노텍 제외 시 매출액 16.3조원(+6% YoY), 영업이익 -1,139억원(적자전환 QoQ, 적자지속 YoY)으로, 당사 추정치(-104억원) 대비 적자폭 확대

   전사 사업부 개편과 함께 재고 건전화에 집중하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HE(TV)를 제외한 모든 주요 사업부가 적자전환

   반면 HE(TV) 사업부는 견조한 webOS의 실적이 성수기 마케팅 비용과 LCD 패널 가격 부담을 상쇄시키며 양호한 실적 기록

2) 1Q25 단독 영업이익 1조 193억원, 가전이 견인할 실적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21.9조원(-4% QoQ, +4% YoY), 영업이익 1조 1,243억원(+730% QoQ, -16% YoY)으로, 시장 기대치는 하회할 전망

   LG이노텍을 제외한 실적은 매출액 17.9조원(+6% YoY), 영업이익 1조 193억원(-12% YoY) 예상

   H&A(가전)가 매출액 9.5조원(+10% YoY), 영업이익 9,907억원(+5% YoY)으로 성장하며, 전사 실적을 견인할 전망

   특히 가전 구독 사업의 누적 매출액이 지난해 +50% YoY 성장하며 H&A의 양적, 질적 성장에 기여

   한편 H&A를 제외한 사업부들은 당초 예상치를 하회할 전망. 이는 webOS나 신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비 증가와 전기차 등의 전방 수요 부진에 기인

3) 악재만 반영된 주가. 인도 IPO 및 로봇 사업 모멘텀 부각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P/B 0.7배로, 전방 수요 불확실성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만 반영된 수준

   동사는 기존 하드웨어 사업을 넘어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사업 확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가전 1등 업체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으며,

   현재 인도 IPO와 휴머노이드 로봇 등 로봇 신사업 확장을 적극 추진 중에 있어 연중 주가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

   실적 추정치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120,000원으로 하향하나, 현 주가에서는 비중 확대를 추천.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75.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Jan, 22:34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24)

1) 중국 스마트폰 시장, '국가보조금' 시대 돌입(TrendForce)
- 6,000위안 미만 제품에 대해 최대 15% 보조금 지급. 6,000위안 이상이었던 플래그십 모델들도 가격 할인을 통해 보조금 혜택 제공하는 추세. 3,000~4,000위안대의 중고급 스마트폰이 가장 높은 할인율 적용 가능
- https://tinyurl.com/552s6bpb

2) 중국 TV 브랜드, 2024년 처음으로 일본 시장 점유율 50% 돌파(NikkeiAsia)
- Hisense, TCL 등 중국 브랜드 제품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젊은 소비자층에서 인기
- https://tinyurl.com/2m7y4b2u

3) 국내기업, 사무용 PC → AI PC 교체 의향 68.2%(THEELEC)
- Dell과 한국 IDG에서 IT 구매 담당자 2,9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모바일보다 강력한 PC발 '온디바이스 AI' 열풍 조짐. IT 구매 담당자 45%가 윈도우10 지원 종료 시점에 맞춰 PC 교체 고려
- https://tinyurl.com/49amahk4

4) 출고가 동결 승부수 던진 노태문 사장 “갤S25 판매량 전작 이상 기대”(전자신문)
- 갤럭시S25 시리즈, 전작 이상의 판매 달성 기대. 갤럭시S24 시리즈 누적 판매량은 약 3,470만대로 추정. 최소 3,500만대 이상 판매 목표
- https://tinyurl.com/5x8n8sbx

5) 구글, 2억 5,000만달러 규모 HTC XR 사업부 인수, XR 야망 확대(TrendForce)
- HTC의 XR 팀 구성원 일부를 구글로 영입하고 HTC의 XR 관련 지적 재산에 대한 비독점적 라이선스 획득. 2025년 Google, Qualcomm, Samsung이 협업하여 Android XR과 새로운 HMD 출시 계획
- https://tinyurl.com/5n7znkxk

6) iOS 18.3 다음 주 업데이트 예상(ZDNETKorea)
- 개발자 대상으로 iOS 18.3 마지막 베타 버전 출시. 다음 주 중 일반 사용자 대상으로 정식 출시 기대. 뉴스 헤드라인 요약 개선, 젠모지 생성 등 일부 기능 업그레이드 예정
- https://tinyurl.com/4zh7245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Jan, 07:28


(유가)이수페타시스 -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23000376
2025-01-2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Jan, 07:22


(유가)이수페타시스 - [기재정정]주권관련사채권의취득결정(자율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23800577
2025-01-2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Jan, 07:22


(유가)이수페타시스 -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수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23000372
2025-01-2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Jan, 06:04


▶️ LG전자 4Q24 실적 발표

4Q24 매출액 22조 7,615억원, 영업이익 1,354억원(opm 0.6%), 당기순이익 -7,149억원

(컨센서스: 매출액 22조 4,912억원, 영업이익 4,171억원, 당기순이익 627억원)

▶️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3800280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Jan, 23:09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G이노텍 [Outperform(하향), TP 190,000원]

   : 2H25 경쟁 구도 변화가 관건

1) 4Q24 영업이익 2,479억원, 기대치 하회

   4Q24는 연결 매출액 6조 6,268억원(+17% QoQ, -12% YoY), 영업이익 2,479억원(+90% QoQ, -49% YoY)으로, 당사 추정치 (3,213억원) 및 시장 컨센서스(3,049억원) 하회

   원/달러 환율 강세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모듈의 경쟁 심화로 인해 제품 믹스와 수익성 악화

   기판소재 사업부는 반도체 기판의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향 공급이 확대됐으나, 디스플레이 소재가 고객사의 가동률 축소로 인해 부진

   전장 부품은 전기차 캐즘 여파로 수요 둔화가 나타났고, 연말 재고 조정과 평택 사업장 효율화 비용 재차 반영

2) 1Q25 영업이익 1,075억원, 시장 컨센서스 하회할 전망

   1Q25 연결 매출액 4조 2,173억원(-36% QoQ, -3% YoY), 영업이익 1,075억원(-57% QoQ, -39%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1,240억원) 하회할 전망

   올해 카메라 모듈의 기술 변화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점유율 경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

   기판소재 사업부는 반도체 기판의 비수기 영향을 디스플레이 소재 개선이 상쇄시키며 전 분기와 유사한 실적 전망. 전장 부품은 전기차 캐즘 영향이 지속되나, 일회성 비용이 제거되며 소폭의 수익성 개선 예상

   2025년 매출액 20.4조원(-4% YoY), 영업이익 5,816억원(-18% YoY)으로, 카메라 모듈의 경쟁 심화에 따른 역성장이 불가피할 전망

3) 단기 모멘텀 부재. 2H25 경쟁 구도 변화가 관건

   주가는 2025년 P/E 10배, P/B 0.7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그러나 올해는 카메라 모듈의 기술 변화가 제한적이고, 경쟁 심화가 지속 중임에 따라 단기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

   기판 소재와 전장 부품은 전년 대비로는 개선 되겠으나, 전방 수요 불확실성 지속

   2H25 아이폰 신형 모델에 경쟁 구도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경쟁사 축소 시 동사의 실적과 주가 모멘텀 회복 기대

   실적 추정치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190,000원으로 조정, 투자의견 Outperform으로 하향.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71.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Jan, 22:5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G디스플레이 [BUY, TP 13,000원]

   : 구조조정 효과 본격화

1) 4Q24 영업이익 831억원, 시장 기대치 하회

   4Q24 연결 매출액 7조 8,329억원(+15% QoQ, +6% YoY), 영업이익 831억원(흑자전환 QoQ, -37% YoY)으로, 당사 추정치(1,780억원) 및 시장 기대치(2,542억원) 하회

   모바일용 POLED 패널의 계절적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흑자 전환했으나, IT OLED 패널의 출하(-40% QoQ)가 예상 대비 더욱 부진

   또한 희망퇴직 비용은 약 1,500억원으로, 당사 예상 수준(800억원)을 크게 상회했을 것으로 추정

   한편 당기순이익은 -8,391억원으로 예상치 하회.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화 부채의 평가손실 증가에 기인

2) 1Q25 영업적자 -1,184억원, 구조조정 효과 본격화

   1Q25 연결 매출액 6조 1,306억원(-22% QoQ, +17% YoY), 영업적자 -1,184억원(적자전환 QoQ, 적자지속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2,045억원)를 상회할 전망

   모바일 사업부의 호실적과 인력 효율화가 수익성 개선을 주도할 것으로 판단. 동사의 1H25 모바일 패널 출하량은 아이폰 16 시리즈에 보급형 아이폰 출시 효과가 더해지며 +21% YoY 증가 예상

   2025년은 매출액 27.4조원(+3% YoY), 영업이익 5,432억원(흑자전환 YoY)으로, OLED 사업부 중심의 실적 성장이 이어질 전망

   모든 어플리케이션별 OLED 패널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그간 지속해 온 구조조정의 효과와 감가상각비 축소가 반영되며 3년 만의 턴어라운드 전망

3) 연중 실적 성장세 지속될 전망.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유지

   주가는 12개월 선행 P/B 0.7배로, 실적 적자가 지속됐던 최근 3년 평균 0.8배를 하회 중

   1H25 모바일 사업부 중심의 적자폭 개선이 나타난 후, 2H25는 모바일 성수기 효과와 OLED TV 사업부의 흑자 전환 효과가 맞물리며 연중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

   실적 안정화 흐름이 지속될 시 과거 OLED 중심의 사업 전환 기대감이 나타났을 때의 P/B 1.0배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

   이후 중장기 성장을 위한 신규 투자와 IT LCD 사업부의 효율화가 나타난다면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000원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67.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Jan, 22:3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23)

1) 삼성,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5 공개. "진정한 AI 스마트폰"(연합뉴스)
- "쉽고 직관적 AI 경험 제공. AI가 이용자 상황 이해 취향 분석". 앱간 연결 강화, 대화하듯 명령어 입력 가능. 내달 7일부터 한국 등 전 세계 순차 출시, 가격은 전작과 동결
- https://tinyurl.com/4m8c75zb

2) '갤럭시S25 엣지' 깜짝 공개. 초슬림 스마트폰 시장 잡을까(ZDNETKorea)
- 갤럭시S 네 번째 시리즈 출시 예고. 두께 6.4mm 관측. 이름 외에 구체적은 사양은 아직 미공개
- https://tinyurl.com/53dpc56p

3) Pro 모델이 우위를 상실하며, iPhone 16 판매 급증(AppleInsider)
- 4Q24 미국 판매에서 iPhone16 모델 총 점유율 68% 기록. 동기간 Pro와 Pro Max 모델이 매출에서 차지한 비중은 39%, 지난 5년 중 가장 낮은 수준. Pro 모델과의 차별점 감소와 저렴한 가격에 대한 선호에서 비롯된 결과로 해석
- https://tinyurl.com/2hcp2eud

4) 대만 지진에 LCD 패널 품귀. OLED 판 깔리나(뉴데일리)
- 1분기 TV 패널 공급 부족 심화될 듯. 중국도 LCD 가격 인상 움직임, 난감한 삼성·LG. OLED와 가격 격차 좁혀지나
- https://tinyurl.com/2b29s6df

5) 지진 피해와 편광판 부족으로 패널 가격 상승 예상(Digitimes)
- 대만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Innolux에서 일부 생산 중단 발생. 편광판용 PET 소재 부족과 결합되어 공급 제약으로 이어질 가능성 제기
- https://tinyurl.com/532csm39

6) 인도네시아 내 iPhone 16 판매 금지가 곧 종료될 전망(AppleInsider)
- 해당 조치는 2024년 10월부터 지속.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 1~2주 안에 문제 해결 관측
- https://tinyurl.com/ycy7f5wk

7) 삼성디스플레이, 중국 Vivo 서브 브랜드 ‘iQOO’ 신제품에 OLED 패널 공급(Kipost)
- iQOO 플래그십 스마트폰 'iQOO14'는 올해 연말 출시 예정. BOE 제치고 독점 공급사로 선정
- https://tinyurl.com/4shtx2bb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Jan, 08:18


LX세미콘 4Q24 실적 공시

4Q24 매출액 5,026억원, 영업이익 305억원(opm 6.1%), 당기순이익 208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4,987억원, 영업이익 510억원, 당기순이익 381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2800512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Jan, 07:08


LG이노텍 4Q24 실적 공시

4Q24 매출액 6조 6,268억원, 영업이익 2,479억원(opm 3.7%), 당기순이익 1,069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6조 3,102억원, 영업이익 3,049억원, 당기순이익 2,077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2800336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Jan, 04:46


▶️ LG디스플레이 4Q24 실적 발표

4Q24 매출액 7조 8,329억원, 영업이익 831억원(opm 1.1%), 당기순이익 -8,391억원

(컨센서스: 매출액 7조 6,184억원, 영업이익 2,542억원, 당기순이익 -1,037억원)

▶️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2800194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1 Jan, 22:3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22)

1) 4Q24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3.2% 감소(Counterpoint)
- 연간 기준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1.5% 증가. Vivo가 시장 점유율 1위 수성. Huawei는 전년 대비 36% 성장하며 2위 등극. Xiaomi 3위, Apple은 4위로 추락
- https://tinyurl.com/4r5tajkj

2) AMOLED 증착소재 시장, UDC 선두, LG화학과 듀폰이 2위 두고 경쟁(DSCC)
- 2024년에는 UDC 1위, 듀폰 2위. LG화학은 공급 소재 및 고객 확대로 2위 등극이 기대됐으나, 아쉬운 WOLED 회복세와 iPad OLED 수요 감소로 3위. 중국 패널 업체들이 현지 조달 확대하는 추세도 변수
- https://tinyurl.com/2v5bmss2

3) "삼성, 올해 폴더블폰 4개 출시. 트리폴드도 준비"(ZDNETKorea)
- 갤럭시Z폴드7, Z플립7, 트리플 폴드, 갤럭시Z플립 FE. 트리플폴드는 생산량 20만대, 2분기 부품 생산 후 3분기 출시 기대
- https://tinyurl.com/3xz6u7xy

4) 삼성, '멕시코 건조기 생산 라인' 美 공장 이전 검토(한국경제)
-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대응 차원. 현재 美 공장에선 세탁기 생산 중, 건조기와 시너지 가능. LG전자 등도 멕시코, 캐나다 생산 전략 수정 검토
- https://tinyurl.com/4fmrh4j7

5) LX세미콘, OLED 아이패드 DDI 첫 진입할까. 3월 전후 판가름(THEELEC)
- 24년에는 삼성전자 시스템 LSI가 아이패드용 OLED DDI 전량 공급. 3월 전후로 양산 승인 시, 올해 4~5월 부품 양산 시 대응 가능할 전망
- https://tinyurl.com/mryrn6yv

6) 삼성전기, 유리기판 납품 기대. 외국계 A사 적극적(EBN산업경제)
- 파일럿 라인 구축 후 올해 2~3개사 샘플 공급 예정. 이 중 한 고객사가 외국계 전자 A사일 것으로 예상. R&D 박차, 2027년 이후 양산 돌입 계획
- https://tinyurl.com/6uhayu9f

7)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 자사주 1.2만주 매입. 실적 개선 자신감(ZDNETKorea)
- 작년 매입분 합해 총 5만주 보유
- https://tinyurl.com/bdexm2kz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1 Jan, 08:45


(코스닥)파인엠텍 -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21000346
2025-01-21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0 Jan, 22:4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21)

1) 2024년 출하된 노트북 PC 중 25% 이상이 AI 지원(Counterpoint)
- 4Q24 글로벌 PC 출하량, 전년 대비 3.7% 성장. 2024년 연간 출하량은 전년 대비 2.6% 성장한 2억 5,300만대. 2025년 노트북 출하량 중 AI 지원 노트북은 약 60%를 차지할 전망
- https://tinyurl.com/5frnukzv

2) 2024년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5% 성장. 애플은 4분기에 처음으로 상위 5위권 진입(Canalys)
- 2024년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1억 5,590만대. 팬데믹 이후 교체 사이클과 5G 업그레이드가 성장 견인. 2025년에는 완만한 한자릿수 성장 예상
- https://tinyurl.com/y7zps4w7

3) Apple, 중국 보조금 프로그램 앞두고 아이폰 가격 대폭 인하(Digitimes)
- 중국 보조금 프로그램은 1월 20일부터 공식적으로 시작. 기기당 6,000위안 보조금 기준에 맞춰 가격 하향 조정
- https://tinyurl.com/ydynu76t

4) 삼성, 갤럭시 S25 가격 동결할 듯. "115만 5,000원부터"(이데일리)
- 전 모델 256GB 제품은 전작과 가격 동일. 512GB 제품은 소폭 인상. 한국 시간 23일 오전 3시 공개 행사 예정
- https://tinyurl.com/3xfrt68r

5) LGD, 작년 OLED 매출 60%. 사업 재편 성과(전자신문)
- 스마트폰·IT OLED 제품 공급 확대. 올해 LCD→OLED 완전 전환 기대
- https://tinyurl.com/3pamj8ra

6) LG이노텍 “차량용 카메라 글로벌 1위 도전. 고부가 제품 확대”(전자신문)
- 차량용 카메라 매출도 조 단위로 육성할 계획. 현재 차량용 카메라 매출 비중은 약 5% 수준
- https://tinyurl.com/62bc8xvr

7) LG전자, 12년만에 日서 세탁기 판매 검토. 프리미엄 공략(ZDNETKorea)
- 현재 일본 시장에서는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등 일부 품목만 판매. 생활가전 시장 공략 위해 품목 확대 검토
- https://tinyurl.com/pr7ue23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9 Jan, 22:4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덕산네오룩스 [BUY, TP 50,000원]

   : 실적 및 멀티플 확장 국면 재진입

1) 4Q24 영업이익 141억원, 시장 기대치 상회할 전망

   4Q24 매출액 519억원(-5% QoQ, +14% YoY), 영업이익 141억원(+12% QoQ, +20% YoY)으로, 당사 추정치(126억원) 및 시장 컨센서스(130억원) 상회할 전망

   아이폰16 시리즈 출시 효과는 전 분기 대비 감소하나, 중저가 모델향 수요가 견조하고, 갤럭시S25 시리즈 양산 효과가 반영될 것. 일부 중화권 스마트폰 모델에 Black PDL 탑재 또한 시작될 전망

   4Q24 영업이익률은 27%(+4%p QoQ)로,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및 일회성 비용 영향이 제거되며 높은 수익성 예상

   이를 반영한 2024년 영업이익은 469억원(+43% YoY)으로, 아이폰 및 아이패드 수요 부진 우려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률 시현

2) 2025년 별도 영업이익 581억원, 사상 최대 실적 전망
   
   2025년은 별도 매출액 2,370억원(+12% YoY), 영업이익 581억원(+24% YoY) 예상

   올해 아이폰 17시리즈의 전량 LTPO TFT 적용이 예상됨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 확대 수혜가 전망되며, 동사의 발광 소재 또한 점유율 확대가 지속될 전망

   더불어 CES 2025에서 공개됐던 Lenovo의 롤러블 노트북에는 노트북 최초로 삼성디스플레이의 무편광 저전력 패널 탑재. 이는 Black PDL이 탑재된 기술로 추정되며, 해당 제품은 올해 4월 양산 예정임에 따라 IT OLED로의 Black PDL 침투율 확대 본격화

   한편 올해 3월 인수 완료 예정인 현대중공업터보기계의 실적 반영 시 2025년 연결 매출액 3,799억원(+79% YoY), 영업이익 786억원(+67% YoY) 예상.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인수를 통해 실적 안정성과 현금흐름이 더욱 강화될 전망

3) 실적 및 멀티플 확장 국면 재진입. 업종 Top Pick 유지

   인수 효과를 제외한 동사의 주가는 12개월 Forward P/E 14배로, OLED 스마트폰 침투율이 둔화된 2022년 이후의 평균 멀티플 24배를 크게 하회 중

   올해 노트북향 Black PDL의 침투율 확대가 본격화되며, 2026년은 고객사의 폴더블 아이폰 및 8.6세대 IT OLED 라인 양산이 예정됨에 따라 최대 실적 랠리 및 멀티플 확장 국면에 재진입할 것으로 판단

   디스플레이 업종 Top Pick을 유지하며, 1Q25 비수기를 활용한 적극적인 비중확대를 추천.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56.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9 Jan, 22:34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20)

1) 애플, '옥사이드 LCD' 맥북 에어 개발 돌입(THEELEC)
- 2027년 출시 목표. OLED 적용 연기에 따른 대안으로 추진. OLED 맥북 에어는 2027년 출시 예정이었으나, 개발 연기
- https://tinyurl.com/53hjtfv5

2) 아이폰17, 증기 챔버 방열판 탑재 예상(AppleInsider)
- 중국 IT매체 MyDrivers 보도. 모든 아이폰17 시리즈 모델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
- https://tinyurl.com/4e7uw4j2

3) Apple, 중국 내 AI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상하이 자회사 설립(Digitimes)
- 2025년 초 설립. 아이폰에 AI 도입을 위해 중국 내 데이터 처리 규정을 준수하려는 노력 강조
- https://tinyurl.com/2th792sv

4) “반값 갤럭시폰” vs “AI 안마의자”. 삼성·LG 구독사업 ‘신경전’(한국경제)
- LG전자, AI 안마의자, 로봇 등 신제품 대폭 보강하며 ‘선두 굳히기’. 삼성전자, AI 가전에 이어 갤럭시 스마트폰을 구독 라인업에 추가. 월 5900원 '갤럭시 AI 구독클럽' 시작
- https://tinyurl.com/2trrwbdy

5) 삼성전자·LG전자 “유럽 B2B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전자신문)
- 내달 초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25' 참여. TCL, 하이센스, 콘카, BOE 등 중국 기업들도 참가
- https://tinyurl.com/3t88ataa

6) 화웨이, BOE 내에 UTG 전용 라인 만든다(Kipost)
- 자체 UTG 생산라인 구축 추진. 내년 애플 폴더블 출시 앞두고 후방산업 경쟁력 강화 차원으로 풀이
- https://tinyurl.com/yc7hnrv9

7) '유리기판' SKC 앱솔릭스, 美 정부로부터 1억 달러 추가 지원금 확정(아이뉴스24)
- 추가 보조금은 미국 조지아주 코빙턴시에 가동 중인 유리기판 공장에 투입. 앱솔릭스는 해당 공장에 약 3억 달러 투자해 완공, 첫 보조금은 7,500만 달러
- https://tinyurl.com/uzvzkxh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 Jan, 08:48


(유가)LG이노텍 -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17800633
2025-01-1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6 Jan, 22:3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17)

1) 중국 스마트폰 시장, 2024년 연간 4% 성장(Canalys)
- 연간 출하량 2억 8,500만대 기록. Vivo가 점유율 17% 차지하며 1위. Huawei는 전년 대비 37% 성장하며, 2위 차지. Apple은 전년 대비 점유율이 4%P 하락하며, 3위 기록. 2025년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2억 9천만대 초과할 전망
- https://tinyurl.com/4syhrccn

2) 애플,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3위로 추락(Reuters)
- 연간 출하량 전년 대비 17% 감소하며, 점유율 3위로 추락. 4분기에는 1위 유지했으나, 출하량은 전년 대비 25% 감소
- https://tinyurl.com/sxuvwyvy

3) 패널 제조업체, 3개월 연속 팹 가동률 계획 상향 조정. 1Q25 분기 가동률 80% 유지(Omdia)
- 4Q24 가동률 계획은 11월 77%, 12월 79%로 상향. 1Q25 가동률 계획도 80%로 상향 조정. 특히, 25년 1월 가동률 계획은 이전 전망치 대비 6%P 상승. 중국 보조금 정책과 관세 부과 우려에 따른 재고축적 수요 때문인 것으로 풀이
- https://tinyurl.com/mxec9vtu

4) Acer, AI PC가 3Q25까지 Sweet spot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Digitimes)
- 3Q25 이전에 AI PC가 전성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 AI가 PC 교체수요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 24년 글로벌 PC 출하량 성장률은 1%였으나, 당사 성장률은 이를 상회하는 9.8% 기록
- https://tinyurl.com/4j3vnm33

5) 일본 MLCC 제조업체, AI 서버 수요로 매출 성장 예상(Digitimes)
- Murata, Taiyo Yuden, AI 서버 수요 증가로 MLCC 시장 성장할 것으로 낙관
- https://tinyurl.com/3zrmyftm

6) 삼성전자, 최상위 모델에도 WOLED 채택. LGD 패널 늘려(전자신문)
- 최상위 S95D 후속 모델에도 WOLED 적용. 2025년형 OLED TV 신제품에 WOLED 패널 채택 확대 계획. 24년에는 약 15만대 이상의 WOLED 패널 채택한 것으로 파악. 올해 삼성전자의 WOLED TV 물량은 80대 수준으로 예상
- https://tinyurl.com/yhpz6awz

7) LG디스플레이, '4세대 OLED' 상용화. 프리미엄 TV·게이밍 시장 공략(ZDNETKorea)
- 업계 최고 수준인 4000니트 달성. RGB(적·녹·청)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가 핵심 기술. 올해 양산하는 최상위 라인업에 적용, 게이밍용 OLED 패널에도 순차 적용 계획
- https://tinyurl.com/3b7j4zdd

8) ESS 사업 축소하는 LG전자. HVAC에 '선택과 집중'(SBS)
- LG전자는 2030년 전체 매출에서 B2B 비중 45% 수준까지 확대 목표
- https://tinyurl.com/ns9neu9v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5 Jan, 22:33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16)

1) 공급 과잉 지속되는 가운데, AI 인프라가 2025년 MLCC 수요 주도할 전망(TrendForce)
- 1Q25 MLCC 출하량, 전분기 대비 3% 감소 예상. 1월 ODM/OEM들의 재고 확충 움직임 관측되나, 2분기 수요에 대한 우려 잔존. 2025년 AI 인프라가 MLCC 수요 견인, 나머지 ICT 성장률은 10% 미만 예상
- https://tinyurl.com/mpmuhx4m

2) 글로벌 TV 출하량, 2026년까지 소폭 회복 후 2027년부터 하락할 것(THEELEC)
- 시그마인텔 전망. 2026년까지는 미국 금리 인하와 교체 수요로 TV 시장 회복 기대. 2026년 2억 1,870만대, 2027년 2억 1,650만대 전망. 출하량과 달리 TV 패널 출하면적은 꾸준히 상승 예상
- https://tinyurl.com/2wzrhnpr

3) 법인 세우고 韓 문 두드리는 샤오미, 스마트폰·TV 등 신제품 대거 출시(ZDNETKorea)
- 한국 시장을 겨냥한 스마트폰 2종, TV 4종, 웨어러블 3종, 로봇청소기 1종 등 신제품 대거 공개. 중저가 강점 내세워, "AS 등 소비자 기대에 부응 노력"
- https://tinyurl.com/y5mfnx74

4) Lenovo, 인도 내 스마트폰 및 노트북 생산량 2배로 확대 계획(Digitimes)
- FY 2024 생산량 640만대. FY 2025 생산량 1,200만대 이상으로 2배 이상 확대할 계획
- https://tinyurl.com/th2t936d

5) LG전자, 엑스박스와 파트너십 체결. webOS 게임 콘텐츠 대폭 강화(ZDNETKorea)
- LG 스마트 TV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이용 가능
- https://tinyurl.com/yc35rbwu

6) 삼성전자 'AI PC' 초강수. 가격 내리고 성능 올리고(전자신문)
- 갤럭시북 360·프로 등 16형 2종, 23만원 인하. AI 성능은 3배 향상
- https://tinyurl.com/4pp76jb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5 Jan, 08:39


(유가)이수페타시스 -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15000405
2025-01-1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5 Jan, 07:44


LG디스플레이 실적 공시

2024년 매출액 26조 6,153억원(+24.8%YoY), 영업적자 5,606원(적자지속), 당기순손실 2조 4,093억원(적자지속)

4Q24 매출액 7조 8,328억원, 영업이익 831억원(opm 1.1%), 당기순손실 8,391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7조 6,023억원, 영업이익 2,355억원, 당기순손실 134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15800405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4 Jan, 22:3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안녕하세요, 키움증권 김소원 연구원 입니다. CES 2025 리뷰 자료 공유 드립니다. 섹터 및 글로벌 담당자분들과 함께 IT,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 분야를 다뤘습니다.

IT 파트에서는 양자 컴퓨팅, 반도체, 가전 및 TV, PC, 디스플레이, 로봇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자료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ES 2025 리뷰]

AI Phase 2 : Monetization

1) CES 2025가 전한 메시지


   CES 2025, Dive in: 인류가 기술 혁신과 연결(Connect)되어 함께 글로벌 난제들을 해결(Solve) 해가고, 새로운 기회들을 발견(Discover)하는 탐구와 몰입(DIVE IN)의 과정으로 해석

   CES 2025를 통해 모든 산업에서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임을 확인. 단순히 어떤 AI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지의 경쟁을 넘어 AI가 어떻게 ‘수익화(monetization)’ 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경쟁 본격화

2) IT

   CES 2024의 IT 산업은 AI 인프라 구축 및 생성형 AI 기술 확보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면, CES 2025의 IT 산업은 확보한 AI 인프라와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AI 에이전트’와 이를 기반으로 한 ‘AI 수익화’에 집중

   AI 에이전트는 단순 데이터 분석을 넘어 독립적인 의사 결정과 문제 해결이 가능한 기술

   NVIDIA CEO 젠슨 황은 생성형 AI → Agentic AI → Physical AI로의 비전과 Cosmos 플랫폼 등을 소개. 향후 인간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과 자율주행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

   한편 CES 2025에서 ‘양자 컴퓨팅’ 또한 새로운 주제로 부각. 양자 컴퓨팅과 AI와의 융합은 화학, 소재, 금융, 물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불러일으킬 전망

   가전에서는 AI Home 컨셉이 구체화되며 각 가족 구성원에 맞춘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과 가전을 서로 연결하는 digital centralization 강조

TV와 PC는 뚜렷한 하드웨어 기술 변화가 부재한 가운데 AI 소프트웨어 중심의 업그레이드 지속

3) 모빌리티

   완성차 업체가 주류였던 CES 2024와 달리 CES 2025 모빌리티 부문은 차량, 자율주행, 건설, 농업, 첨단 항공 기술, 해양 기술까지 확장되는 생태계 구축

   CES 2025 모빌리티 부문 AI 기술 접목 수준은 파일럿 프로젝트 단계를 넘어 실물 전시 및 시연 영상 기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확대  

   모빌리티 업체들 대체로 자체적인 기술력 향상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인수와 기업간 협력 강화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모습

   모빌리티 자율주행의 전제는 ‘전동화’라는 점도 다시 한번 짚어볼 만한 포인트. 여전히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상황

4) 디지털 헬스

   헬스케어 분야 혁신상: 전체 수상작 중 헬스케어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 `23년 18.0% → `24년 16.9% → `25년 17.6%로 견고히 유지 중

   스마트 링: 트렌드가 손목 시계 → 반지형으로 퍼지는 중 → 월 구독 통해 지속적 매출 BM 현실화 → 의료기기 보험 수가 적용 사례 나타나며 사업성 입증 시작

   혈당 측정: 인슐린 미사용 환자 또는 전당뇨 환자들도 사용할 수 있는 OTC 제품, AI를 통해 향후 혈당을 예측하는 기능 등의 고도화 트렌드 진입

   BCI(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장기적 비전으로, 사람이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미래 기술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226.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4 Jan, 22:34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15)

1) 4Q24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3% 성장. 2024년 출하량은 전년 대비 7% 성장(Canalys)
- 애플은 4Q24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 1위. 연간 출하량 점유율도 애플이 2년 연속 1위 차지
- https://tinyurl.com/ynbf2ccn

2) 화웨이, 자체 칩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재도약 도전(NikkeiAsia)
- 자체 개발한 고성능 칩 장착된 스마트폰 판매 국가를 약 60개로 늘릴 예정. 홍콩, 두바이 등 주요 도시에 최신 폴더블폰 메이트X6 광고
- https://tinyurl.com/cze98cps

3) Nanya, DRAM 시장 2Q25부터 회복 예상(Digitimes)
- 디램 수요가 이미 저점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 2Q25부터 시장 회복 전망
- https://tinyurl.com/5n8d4bcn

4) 애플 폴더블 부품 공급망 여전히 '안갯속'. 하반기에나 확정(THEELEC)
- UTG·힌지 등 핵심부품 사양 및 업체 '안갯속'. "내년 출시하려면 올해 하반기에 결정해야"
- https://tinyurl.com/mvhrjway

5) 삼성전기, 솔브레인과 협업. '유리기판 동맹' 확대(서울경제)
- 공정 활용 식각액 공동 연구. LPKF 등 손잡고 공급망 넓혀. 2027년 양산 목표로 속도전
- https://tinyurl.com/9y2xyj2d

6)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 삼성전기에 글래스 코어기판용 스퍼터 공급(Kipost)
- 세종사업장 내 파일럿 라인에 2Q25 반입 예정. 삼성전기, 메탈 공정으로 건식-습식 모두 고려하는 듯
- https://tinyurl.com/yeahjkvh

7) 판매 주춤 '갤럭시 링'. 신규 제품 출시로 반등할까(THEELEC)
- 대형 사이즈 신규 출시, 총 11개 사이즈 운영. 생산 물량 약 100만개, 구체적인 판매 데이터는 확인되지 않은. 스마트링 시장 年 28% 고성장, 시장 경쟁 치열
- https://tinyurl.com/5dk8thsu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3 Jan,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14)

1) 2024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6.4% 증가(IDC)
- 4분기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2.4% 증가하며, 6개 분기 연속 증가세. 2024년 출하량 전년 대비 6.4% 증가한 12억 4천만대로 집계. 애플 점유율은 4Q24에 2.5%P, 24년 연간으로 1.4%P 하락
- https://tinyurl.com/235s48dv

2) 2024년 스마트폰 시장, 2년 간의 하락 후 회복(Counterpoint)
- 2024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4% 성장 전망. 상위 2개사인 삼성과 애플의 출하량 변동은 거의 없었으며, Xiaomi와 Vivo는 각각 12%, 9% 성장
- https://tinyurl.com/5n7ajd2b

3) 삼성전자, 2번 접는 폴더블폰 20만대 생산계획. 2분기 부품 양산 돌입(THEELEC)
- '트라이 폴드' 부품 안정적 확보 차원에서 갤Z폴드7 부품 생산일정 앞당길 듯. 신제품, 기존 제품 물량을 모두 더한 올해 폴더블폰 생산 계획은 700만대 내외
- https://tinyurl.com/yj76aktr

4)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2031년까지 3,460만대 규모로 성장 전망(Omdia)
- 마이크로LED 출하량, 2027년까지 170만대에 도달할 전망. XR, LEDoS 등이 성장 주도 예상. 높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일 것으로 예상
- https://tinyurl.com/4s9ckhwe

5) Yageo, 12월 매출 100억 대만 달러 이하로 감소. AI가 2025년 성장 주도할 전망(Digitimes)
- https://tinyurl.com/5cp93rev

6) LG전자, 프리미엄 디스플레이로 글로벌 B2B 시장 공략(뉴데일리경제)
- 美 라스베이거스 아토믹골프와 파트너십. 실내·실외용 LED 사이니지 250개 이상 설치. 2019년 이후 상업용 디스플레이 연평균 7% 성장
- https://tinyurl.com/2kjdrv8p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3 Jan, 00:52


PI첨단소재 실적 공시

2024년 매출액 2,513억원(+15.5%YoY), 영업이익 349억원(흑자전환), 당기순이익 234억원(흑자전환)

4Q24 매출액 551억원, 영업이익 27억원(opm 4.9%), 당기순이익 20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561억원, 영업이익 49억원, 당기순이익 42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13800081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Jan, 22:37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13)

1) 궈밍치, 중국 시장 점유율 하락 등으로 2025년 아이폰 출하량 전망치 하향 조정(CNBC)
- 2025년 상반기 아이폰 출하량, iPhone SE4 출시에도 전년 대비 6% 감소 전망. 2025년 연간 출하량은 2억 2,000만~2억 2,500만대로 전망. 시장 컨센서스는 2억 4천만대 수준, 2024년 출하량은 2억 2,000만대로 전망
- https://tinyurl.com/bdy46zsj

2) 2024년 글로벌 PC 출하량 전년 대비 3.8% 증가한 2억 5,500만대(Canalys)
- 4Q24 출하량 6,740만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 2025년 Windows10 종료에 따른 교체 수요 확대 기대. 25년 AI PC 출하량 점유율은 35% 예상
- https://tinyurl.com/bdeds3cs

3)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OLED 아이패드 판매" 베스트 시나리오 대비 반토막(Kipost)
- 최대 1,000만대 판매 기대했으나, 당초 예상치 대비 절반 정도 판매된 것으로 추정. BOE, B16에서 스마트폰용 패널 생산할 수도
- https://tinyurl.com/3k4ku8b5

4)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글로벌 빅테크향 FC-BGA 양산 돌입"(THEELEC)
- “작년 12월부터 양산". 작년 FC-BGA 매출 500억원 이하 추정. FCBGA 매출액 2025년 4,000~5,000억원, 2030년 1조원 목표. 유리기판은 2~3년 후에는 통신 반도체용, 5년 후에는 서버용 양산 기대. 늦지 않게 대응 준비
- https://tinyurl.com/4zs38cjc

5) 삼성·LG, 가사용 휴머노이드 로봇에서 맞불. "투자 늘린다"(ZDNETKorea)
- 양사 모두 F&B·물류, 가사, 휴머노이드 로봇 동시에 개발. 삼성전자,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 레인보우로보틱스 투자. LG전자,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베어로보틱스 투자
- https://tinyurl.com/46m5yah7

6) 보급형 폴더블 '갤럭시 Z 플립 SE' 나오나, GSMA DB에서 포착(파이낸셜뉴스)
- 갤럭시 보급형 폴더블 준비하는 삼성. 폴더블 시장 정체기 상황에 깜짝 카드 준비. 내년 하반기 애플 폴더블폰 출시와 함께 폴더블폰 시장 재차 반등 전망
- https://tinyurl.com/5yvumwst

7) 이녹스첨단소재, 수산화리튬 공장 가동 연기. 전기차 캐즘 여파(전자신문)
- 수산화리튬 1호기 라인 가동 시점을 올해 3분기에서 2026년 하반기 이후로 연기하는 것에 대해 검토 중
- https://tinyurl.com/44dem4rx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9 Jan, 22:37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10)

1) IDC, 2024년 PC 시장 소폭 성장 마감. 25년은 엇갈린 전망(IDC)
- 2024년 글로벌 PC 출하량 2억 6,270만대. 전년 대비 1% 성장. 25년은 긍정적/부정적 요인이 뒤섞여 수요 전망 어려워. 전반적인 매크로 우려가 AI PC 기대감 일부 상쇄. 관세 인상 위협도 공급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전망
- https://tinyurl.com/yu9k8apy

2) 1분기 전세계 LCD 공장 가동률 70% 후반 기대(THEELEC)
-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 미국 관세 부과 대비한 재고 비축 수요 증가. 4월 이후 가동률은 불확실
- https://tinyurl.com/42u3w2az

3) 삼성전기 "내년 소형 전고체전지 양산. 갤럭시링부터 적용"(ZDNETKorea)
- 장덕현 사장, 신제품 양산 로드맵 공유. 소형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점은 미정. 예상 로드맵에 따르면, 올해 갤럭시링, 내년 갤럭시 버즈 등에 탑재될 전망. 유리기판은 올해 고객사 샘플 프로모션 후 2027년 이후 양산 계획
- https://tinyurl.com/bdcnfn3p

4) 조주완 LG전자 CEO "가정용 로봇 Q9·휴머노이드 준비중"(ZDNETKorea)
- 삼성 '불리'와 맞붙을 'Q9', 하반기 출시 예고. 중장기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도 준비 중
- https://tinyurl.com/mr2je6ka

5) 삼성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노트북용 롤러블 OLED 양산(ZDNETKorea)
- Lenovo 롤러블 노트북에 적용. 14인치 화면 터치 하면 16.7인치로 변신. 해당 제품은 올해 6월 글로벌 출시 계획
- https://tinyurl.com/mpsj434y

6) "車 유리에 모든 정보가". 현대모비스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이데일리)
- 물리적 디스플레이 없이 앞유리 '스크린'으로. 특수 필름 활용해 프로젝터 투사 영상 제시. 독일 자이스와 개발 협업 중
- https://tinyurl.com/msaxdzbd

7) 갤S25 나오고 단통법 폐지 눈앞. 갤럭시·아이폰 가격 착해진다(디지털타임스)
- 통신3사, 구형 모델 지원금 상향. 번호이동 구입시 비용 '0원' 근접. 신제품 출시 전 재고소진 움직임
- https://tinyurl.com/8bt7e2a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Jan, 23:59


https://m.sedaily.com/NewsViewAmp/2GNMJKEVEG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Jan, 22:4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9)

1) 주요 경제권 수요 증가에 따라 패널 가격 회복 예상(Digitimes)
- 중국 보조금 정책 2025년까지 연장 전망. 중국 TV 브랜드사들은 보다 공격적으로 재고 비축. 미국에서의 잠재적인 관세 인상 논의로 인해, 북미 IT 브랜드사들도 재고 확충
- https://tinyurl.com/4hs4u9de
- https://tinyurl.com/5zbebdp9

2) 중국, 국내 판매 촉진을 위해 68달러 스마트폰 보조금 프로그램 시작(NotebookCheck)
- 신규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구매에 최대 500위안(68달러) 할인. 각 카테고리별 1가지 기기에만 적용 가능
- https://tinyurl.com/443k5bhv

3) 삼성전자, 내년 갤S26울트라에 CoE 적용한다(THEELEC)
- 편광판을 컬러 필터로 대체하고, 일반PDL을 블랙PDL로 바꾼 기술. 바 타입 스마트폰 적용은 처음.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용 블랙PDL은 덕산네오룩스가 납품. BOE, CSOT이 사용하는 블랙PDL은 일본 도레이, 미쓰비시 등이 공급
- https://tinyurl.com/mpf55vyf

4) "맥북 프로, 2026년엔 확 바뀐다. 역대 최대 업그레이드"(ZDNETKorea)
- 9to5mac, 2026년 맥북 프로 제품 전면 개편 전망. 애플이 맥북 프로를 대대적으로 재설계한 것은 2021년이 마지막
- https://tinyurl.com/bdeaychn

5) 삼성전자, 내달 갤럭시폰도 'AI 구독'으로 판다(전자신문)
- 갤럭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도 자체 구독 서비스 'AI 구독클럽' 적용. 상반기 출시 확정한 AI 컴패니언 로봇 '볼리'도 구독 모델로 제공 예정
- https://tinyurl.com/yevyekj6

6) 레노버, 2026년까지 사우디 PC 공장 가동(NikkeiAsia)
- 사우디아라비아에 수백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PC 및 서버 공장 건설 계획. 사우디아라비아의 공공투자기금으로부터 지원 받을 예정
- https://tinyurl.com/48vxsydk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Jan, 08:07


삼성전자가 내년에 출시할 갤럭시S26울트라에 소비전력을 아끼고 빛 투과율을 높이는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기술을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8일 파악됐다. 삼성전자가 바 타입 스마트폰에 CoE를 적용하는 것은 처음이다. CoE는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편광판을 컬러필터로 대체하고, 일반 PDL(Pixel Define Layer·화소정의막)을 블랙 PDL로 바꾼 기술이다. 편광판을 빼면 패널이 얇아지고 빛 투과율이 높아져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편광판 대신 컬러필터를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YhPc7B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Jan, 07:37


(유가)LG전자 - 조회공시요구(풍문또는보도)에대한답변(미확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08800513
2025-01-0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Jan, 02:08


▶️ LG전자 잠정 실적 발표

4Q24 매출액 22조 7,775억원, 영업이익 1,461억원(opm 0.6%)

(컨센서스: 매출액 22조 5,055억원, 영업이익 3,970억원)

▶️ 실적 공시 링크: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08800162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7 Jan, 22:3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8)

1) 인텔 "올해 PC 시장 4% 성장 전망. 기업 교체 수요 기대"(ZDNETKorea)
- 작년 코어 울트라 200V(루나레이크), 150만개 이상 출하. "올해 출시 PC 5대 중 2대는 AI 기능 탑재" 전망. 2H25 출시 예정인 노트북용 프로세서 '팬서레이크' 시제품도 공개
- https://tinyurl.com/5b7etbwx

2) 삼성디스플레이, 'QD디스플레이' 승부수. "올해까지 13.1조"(뉴스웨이)
- 연내 QD디스플레이에 13조 1,000억원 투입 마무리 계획. 2019년 제시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의 일환. QD-OLED 패널 수율은 2021년 말 50% 수준에서 2H24 85%까지 상승.
- https://tinyurl.com/3vbmm5aw

3) LGD, 올해부터 4스택 W-OLED 적용. 휘도 높인다(THEELEC)
- 3스택→4스택으로. 광저우 OLED 공장에서 4스택 W-OLED 생산 예정. 삼성D는 모니터용 5스택 QD-OLED 생산
- https://tinyurl.com/mryvpy4p

4) Honor, 3월 말까지 인도네시아에서 스마트폰 출시 계획(CNBC)
- 11월 현재 인도네시아의 스마트폰 출하량에서 중국 기업인 Oppo, Xiaomi, Transsion이 상위 3위 차지. 애플은 국내 생산 요건을 이유로 아직까지 판매 금지
- https://tinyurl.com/56kk6z6p

5) 노바텍, 2025년 신제품 주문에 힘입어 성장 전망(Digitimes)
- 신제품 출시 및 주문 증가 덕분에 25년 매출 성장 예상. 2024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7% 감소
- https://tinyurl.com/23ee3p9f

6) SKC, ‘게임체인저’ 반도체 글라스 기판 실물 공개(매일경제)
- 기존 기판 대비 데이터 처리 속도는 40% 상승, 전력 소비와 패키지 두께는 절반 이상 감축
- https://tinyurl.com/yc8a3rre

7) 제이앤티씨, '꿈의 기판' TGV 반도체 유리기판 양산화 돌입(뉴스핌)
- 올해 상반기 중 첫 양산 라인 구축, 하반기부터는 관련 매출 발생 예상. 현재 일부 샘플은 유상으로 판매 중
- https://tinyurl.com/bdzd8uyp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7 Jan, 00:57


CES 2025 Nvidia CEO Jensen Huang Keynote Speech

한국 시간 기준 금일 오전 11:30부터 시작 예정입니다.

https://www.youtube.com/live/k82RwXqZHY8?si=OltSwc45PoBxL-E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6 Jan, 22:4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7)

1) 3Q24 OLED 패널 매출 전년 대비 28% 증가. 2024년 연간으로 16% 증가 예상(DSCC)
- 2024년 OLED 매출, 스마트폰, TV, IT용 패널들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 예상. 출하량 성장률은 28% 전망
- https://tinyurl.com/3nb3e3up

2) 중국 AMOLED 증착소재 시장, 2024년 58% 성장 전망(DSCC)
- 중국 내 현지 공급업체들의 성장으로, 중국 AMOLED 증착 소재 시장 규모 2억 5,200만 달러 도달 예상. 글로벌 AMOLED 증착소재 시장은 전년 대비 22% 성장
- https://tinyurl.com/bdhsvfz3

3) 중국 스마트폰 시장, 연간 성장세로 복귀 기대(Mobile World Live)
- 11개월 동안 출하량은 4.9% 성장한 2억 6,200만대 전망. 3년 만에 연간 성장 기대. 11월 출하량만 보면 전년 대비 6% 감소한 2,820만대
- https://tinyurl.com/445c77uy

4) 인도, 전자제품에 대한 30억 달러 지원 및 관세 인하 계획(BNN Bloomberg)
- 전자부품 제조업체에 신규 보조금 지급, 수입품 관세 인하를 통해 국내 제조업 진흥 계획. 애플과 같은 스마트폰 회사에 수혜 전망
- https://tinyurl.com/ukcvhd9e

5) 퀄컴 Snapdragon X 플랫폼, Copilot+ PC 가격 600달러 범위까지 인하(Forbes)
- 해당 프로세서 탑재한 PC 제품들이 2025년부터 출시 예정. 2026년까지 100개 이상의 모델 출시될 전망
- https://tinyurl.com/y4j5wkm4

6) MS와 손잡은 LG전자, 공감지능 더 강력해진다(ZDNETKorea)
- MS와 스마트홈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 및 AI 데이터센터 공조 솔루션 협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https://tinyurl.com/yc4hpc8u

7) 코닝, LG전자·하이센스·CSOT 등에 美 ITC 특허분쟁 제기(THEELEC)
- 코닝, LCD 유리기판 특허 3건 침해 주장. 中카이홍 유리기판 사용한 제품 겨냥해, 해당 패널을 사용한 LG전자 등 TV 업체 대상으로도 소송 제기
- https://tinyurl.com/4nzdvc6e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Jan, 22:3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6)

1) 中, 스마트폰 구매에 보조금 푼다. '프리미엄 시장 1위' 애플 '긴장'(뉴시스)
- 中 발개위, 소비재 지원 품목에 전자제품 3종(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포함. 화웨이 등 중국 기업 수혜 전망, 애플과의 격차 변화 주목
- https://tinyurl.com/5h9dpbr7

2) 중국 내 해외 스마트폰 판매, 4개월째 감소(Reuters)
- 24년 11월 중국 내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47% 하락. 지난 10월에도 전년 대비 44% 감소. 애플의 중국 내 입지에 대한 우려 지속
- https://tinyurl.com/2k5phj9w

3) 중국과 미국의 정책이 1Q25 패널 생산 증가 견인(Digitimes)
- 중국 내 보조금 정책과 관세에 대한 우려로 브랜드사들의 재고 보충 수요 지속
- https://tinyurl.com/mr3fj8s6

4) PCB, 2028년에도 중화권서 60% 이상 생산(THEELEC)
- 시장 조사 업체 Prismark 전망. 중국산 PCB 대체하기 위한 노력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 한국 점유율 10%, 동남아에선 태국 부상
- https://tinyurl.com/396995y4

5) Zhen Ding, 대만에 AI 생산기지 설립. 2H25까지 매출 성장 전망(Digitimes)
- 하드보드 생산라인과 R&D 센터 설립. 6,100만 달러 규모 투자
- https://tinyurl.com/mr45k6tb

6) 인도 스마트폰 시장 가치, 2025년 500억 달러 돌파 예상(Counterpoint)
- 지속적인 프리미엄화 추세에 힘입어 2025년에 500억 달러 규모 돌파 예상. 스마트폰 ASP도 처음으로 300달러 돌파 예상
- https://tinyurl.com/yc39z3h6

7) 미리보는 슬라이더블폰? 삼성D, OLED 신제품 대거 공개(ZDNETKorea)
- 펼치면 18.1형, 접으면 13.1형 IT용 폴더블 제품 공개. 차량용 신제품들도 대거 공개
- https://tinyurl.com/5fhvbbtt

8) '진짜 마이크로 OLED가 온다'. 삼성D 자회사 이매진 “RGB 패널 2분기 생산”(전자신문)
- https://tinyurl.com/mvhf3mdj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3 Jan, 04:58


https://m.ekn.kr/view.php?key=2025010302843137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2 Jan, 22:41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G디스플레이 [BUY, TP 13,000원(하향)]

   : 4Q24 아쉬운 흑자, 2025년에 거는 기대

1) 4Q24 영업이익 1,780억원, 예상치 하회할 전망

   4Q24 연결 매출액 7조 4,765억원(+10% QoQ, +1% YoY), 영업이익 1,780억원(흑자전환 QoQ, +35% YoY)으로, 당사 추정치(2,530억원) 및 시장 기대치(2,767억원) 하회 예상

   모바일 패널(POLED)의 계절적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4개 분기 만의 흑자 전환이 예상되나, ① IT OLED 패널의 출하가 예상 대비 더욱 부진하고, ② 희망퇴직 비용이 반영될 전망

   동사는 3Q 생산직에 이어 4Q 사무직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한 것으로 파악되며, 인력 구조조정을 통한 비용 감축을 지속할 계획

   한편 4Q24 국내 태블릿 및 노트북 OLED 수출액은 -37% QoQ 하락했으며, 동사의 IT용 패널 출하 또한 부진했을 것으로 추정

2) 2025년, 4년 만의 영업 흑자 전망

   2025년은 매출액 26.8조원(+2%YoY), 영업이익 5,348억원(흑전 YoY)으로, 4년 만의 흑자 전환 예상. 다만 IT용 패널 수요 부진 등을 반영하여 영업이익 추정치를 이전 대비 -13% 하향

   2025년은 그간 동사가 추진해 온 ‘OLED 사업 고도화’ 및 ‘인력 효율화’에 대한 성과가 가시화될 전망

   LCD TV 패널 라인 매각, 인력 효율화, POLED 생산 안정화를 통한 체질 개선이 결실을 맺으며 향후 연간 흑자 구조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 더불어 OLED 생산 라인의 감가상각비 축소 또한 전사 수익성 개선에 힘을 더할 것
 
3) 상저하고 실적 전망. 1Q25 실적 및 주가 바닥 통과 예상

   주가는 12개월 선행 P/B 0.7배로, 2025년 OLED 사업 고도화 및 실적 개선과 함께 주가 반등 기대

   1H25는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적자가 불가피하나, 보급형 아이폰 출시 효과 및 비용 축소에 힘입어 전년 대비 적자폭이 개선된다는 점에 주목

   더불어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 추가 및 언어 지원 확대(4월)와 함께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수요 개선 기대감이 나타날 전망

   이후 2H25에는 대규모 감가상각비 종료와 계절적 성수기가 맞물리며 강한 실적 개선 예상

   변경된 실적 추정치를 반영하여 목표 주가를 13,000원으로 하향하나, 1Q25 실적 및 주가 저점 통과가 예상됨에 따라 비중 확대를 추천.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26.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2 Jan, 22:32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3)

1) LGD, IT OLED 라인서 아이폰 OLED 혼용생산 계획(THEELEC)
- 아이폰 OLED 생산능력 확보 차원. OLED 아이패드 판매 부진도 원인. IT OLED 라인에서 아이폰 OLED 생산을 위해 추가로 필요한 장비는 터치 공정 일부에 불과
- https://tinyurl.com/77c3uj98

2) 中 BOE, 스마트폰용 '탠덤 OLED' 확대. 삼성·LGD 틈새 노린다(ZDNETKorea)
- 화웨이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양산 적용 전망. 국내와 기술 격차 추격 우려
- https://tinyurl.com/6eb8bwmb

3) 증착장비 가격 공세 나서는 캐논도키 '비전옥스 프로젝트마저 질 수 없다'(Kipost)
- 中 비전옥스, 상반기 8.6세대 OLED 투자 전망. 일본 캐논도키, 공세적 가격 정책 채택. 이번 프로젝트는 선익시스템, 캐논도키 외 다른 경쟁사도 가세하며 경쟁 양상 치열
- https://tinyurl.com/cjhxwzv3

4) 애플, 중국 내 경쟁 심화로 iPhone16 할인 혜택 제공(Reuters)
- 4일부터 7일까지 '위챗페이', '알리페이'로 구매 시 할인. iPhone16 Pro, Pro Max는 500위안, iPhone16, Plus 모델은 400위안 할인. '맥북·아이패드' 가격도 인하
- https://tinyurl.com/47t4jrjw

5) AI PC, 새해 노트북 중심으로 1억 대 이상 보급 전망(ZDNETKorea)
- 가트너, 올해 AI PC 보급 대수 1억 2천만대 상회 전망. 새해 출시되는 대부분의 PC용 프로세서에 NPU 내장. 소프트웨어 확보는 과제
- https://tinyurl.com/39338xuv

6) 中환리, 올해 삼성 갤Z플립7용 힌지 퍼스트벤더로 납품(THEELEC)
- 지난해 출시된 갤Z플립6용 힌지 점유율도 50% 초과. 북 타입 폴더블폰 힌지에선 KH바텍이 아직 우위
- https://tinyurl.com/58v6ax4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2 Jan, 07:15


(유가)이수페타시스 - 풍문또는보도에대한해명(미확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102800426
2025-01-0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1 Jan, 22:3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1.2)

1) "새해 AI 수요 준비". 반도체 기판업계 라인 증설 속도(ZDNETKorea)
- 삼성전기, 2H24부터 세종사업장 내 신규 FCBGA 라인 증설, AI PC용 신제품 대응 목적. 유니마이크론, 이비덴도 적극 투자
- https://tinyurl.com/cbda4ej3

2) LGD, 스마트폰 OLED에 더 힘준다(전자신문)
- 2025년 스마트폰용 OLED 생산 계획 7000만대 중후반으로 수립. 아이폰17 시리즈 전 모델에 LTPO 패널 탑재됨에 따라, 공급량 증가 기대. 아이폰SE4 납품 비중은 25~35% 수준 예상
- https://tinyurl.com/ycz8hamj

3) 애플 첫 폴더블폰 '아이폰18 폴드', 2026년 하반기 출시 전망(전자신문)
- IT매체 9to5Mac, WSJ 보도 인용해 보도. 현재 주름 최소화, 힌지 개선, 디스플레이 커버 소재 개발 등 문제 해결 위해 고심 중
- https://tinyurl.com/y58dc9zs

4) Huawei, 중국 판매 확대 위해 하이엔드 스마트폰 가격 인하(TrendForce)
- Pura70 울트라, 약 20% 가격 인하. Mate X5도 약 20% 인하. 기존 모델 재고 소진 및 점유율 확대 기대
- https://tinyurl.com/mu6j5v5

5) Luxshare, Wingtech ODM 자회사 9개 인수(Digitimes)
- 애플 주요 벤더인 Luxshare, Wingtech ODM 자회사 인수. 애플 공급망 내 입지 강화 기대. Wingtech은 현재 삼성전자 스마트폰 ODM 역할 수행 중, 공급망 중복
- https://tinyurl.com/yc4hjwmv
- https://tinyurl.com/b9p33t52

6) "올해 TV용 OLED 709만대 출하...전년비 34%↑"(THEELEC)
- 2022년 출하량 745만대 하회. 모니터 OLED 출하량은 209만대, 전년 대비 154% 성장
- https://tinyurl.com/mr2z2yuw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31 Dec, 03:42


어느 때보다 쉽지 않은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모두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내년에 더 좋은 투자 아이디어로 도움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올해도 감사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키움증권 김소원, 조재원 올림-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30 Dec, 04:53


Ibiden, AI 수요 대응 위해 생산능력 확대 가속화(YahooFinance)
- 현재 AI용 패키지기판 완판. 적어도 내년까지는 이 정도의 높은 수요 지속 전망
- 수요 대응 위해 신규 공장 건설 중, 2026년 3월까지 생산능력 50% 가동 예정. 나머지 50% 가동 시점 논의 중
- 그럼에도, 고객들이 공급에 대해 우려. 추가 투자 계획에 대한 요청 지속
- bit.ly/4gBtHm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6 Dec, 10:48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57783?sid=10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Dec, 22:4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24)

1) Wedbush, FY2025 iPhone16 판매량 2억 4천만대 상회 전망(YahooFinance)
- AI 기반 iPhone16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2025년 초까지 Apple 시장 가치 4조 달러 전망. FY2025 아이폰 판매량 2억 4천만대 이상 전망, 이는 역대 최고 판매량
- https://tinyurl.com/44txpn8t

2) 가격 낮춘 아이폰17 에어, 새 바람 일으킬까(ZDNETKorea)
- WSJ, 아이폰17 Air 가격이 Pro 모델보다 더 저렴할 것으로 전망. 이전까지는 아이폰17 Air 가격이 Pro Max보다 비쌀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
- https://tinyurl.com/y3zb4dhz

3) 글로벌 수요 감소로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세 둔화(SCMP)
- 2024년 중국 폴더블폰 출하량, 전년 대비 2% 증가한 910만대 전망. 이전 3년간 세자릿수 성장률과 대조.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도 6개 분기 연속 성장세 이후, 3Q24에는 전년 대비 1% 감소
- https://tinyurl.com/bdfrs8u3

4) LS전선, 애플 상대 美 특허소송 제기(THEELEC)
- "무선충전 특허 침해" 주장. 애플 상대 소송은 처음
- https://tinyurl.com/265urw2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Dec, 07:35


(유가)이수페타시스 - 정정신고서제출요구 ( 2024.12.11. 제출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23100079
2024-12-2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Dec, 22:3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23)

1) 삼성, 내년 갤럭시S 늘리고 Z폴드 줄인다(전자신문)
- 갤럭시S25 시리즈 목표 출하량 3,740만대, 전작 대비 7% 높은 수준. 갤럭시S25 슬림을 포함(300만대)하면 총 4,040만대. 갤럭시Z7 플립은 300만대, 폴드는 200만대 목표. 전작 목표치 820만대 대비 약 40% 감소
- https://tinyurl.com/y852crbr

2) 애플, 인니 아이폰16 공급 눈앞. 스마트폰 점유율 1위 변동 '촉각'(전자신문)
-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10억 달러 규모 투자 계획 승인. '에어태그' 생산 공장 설립 계획, 약 1,000명 고용. 투자 계획 승인에 따라, 인도네시아 내 아이폰16 판매 금지 해제 기대.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미정
- https://tinyurl.com/mux8d29e

3) "애플, 中 아이폰에 AI 기능 탑재 추진. 바이트댄스·텐센트와 협상 중"(ZDNETKorea)
- 해당 협상은 아직 초기 단계. 현재 중국에서는 바이트댄스의 '더우바오', 텐센트의 '훈위안', 바이두의 '어니봇' 등 여러 LLM 모델이 경쟁 중
- https://tinyurl.com/ze4fb8nw

4) 샤프, 오사카 LCD 공장 부지 일부를 소프트뱅크에 6억 3600만 달러에 매각(NikkeiAsia)
- 폐쇄된 LCD TV 패널 공장 토지와 시설 일부를 매각 결정. 소프트뱅크는 해당 부지에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 https://tinyurl.com/5n6mc7ww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Dec, 13:18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3270108?sid=10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9 Dec, 22:33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20)

1) 중국과 미국의 정책으로 TV 패널 제조업체 가동률 상승(Digitimes)
-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과 미국의 관세 부과 예고가 맞물려 TV 패널 수요 급증
- https://tinyurl.com/mv2pb5fk

2) "IT 8세대, 6세대 대비 경제성 확보에 1.5~2년 필요"(THEELEC)
- TrendForce 예상. 복잡한 구조에 따른 낮은 생산 수율과 재료 비용 압박 등이 원인. 2H26에 삼성디스플레이의 IT 8세대 OLED 라인에서 제품 출하 전망
- https://tinyurl.com/mr48ptzk

3) 애플 Vision Pro, VR/MR 환경 재편 기대(TrendForce)
- 2024년 글로벌 VR/MR 헤드셋 출하량 약 960만대, 전년 대비 9% 성장. Meta 점유율 73%로 1위, 애플은 5%로 3위. 현재 산업 트렌드는 저가형 기기 선호, 엔터테인먼트 액세서리에서 생산성 도구로의 전환, OLEDoS 선호
- https://tinyurl.com/mtefn2a9

4) 아이폰17 시리즈, 가격 오를까(ZDNETKorea)
- 외신에서 아이폰17 시리즈 가격 인상 가능성 제기. 갤럭시S25도 일부 시장에서 가격 인상설 등장
- https://tinyurl.com/4bubx54r

5) 애플, 아이폰 하드웨어 구독 서비스 출시 계획 중단(Digitimes)
- 올해 초, 선구매후결제(BNPL) 서비스인 ‘애플페이 레이터’(Apple Pay Lter) 서비스도 종료
- https://tinyurl.com/y2kfyz7t

6) 삼성디스플레이-돌비, "차량 OLED 공동 프로모션"(THEELEC)
- '돌비 비전'에 삼성 OLED 최적화 계획. MOU 체결
- https://tinyurl.com/yc69sktc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8 Dec, 22:49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G전자 [BUY, TP 140,000원]

   : 4Q24 비용 증가 예상. 약속의 1분기 기대

1) 4Q24 단독 영업이익 -104억원, 예상치 하회할 전망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3조원(+1% QoQ, -3% YoY), 영업이익 3,148억원(-58% QoQ, +1% YoY)으로, 시장 기대치(4,728억원) 하회할 전망

   LG이노텍 제외 시 매출액 16.4조원(+4% YoY), 영업이익 -104억원(적자전환 QoQ, 적자지속 YoY) 예상. 원/달러 환율 강세에도 전방 수요 부진 및 비용 증가로 인해 LG전자 단독 영업이익의 적자 전환 전망

   가전(H&A) 수요는 볼륨존 전략을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하나, TV(HE) 및 PC(BS)의 수요 개선은 기대 대비 부진. 한편 재고 조정 및 마케팅 비용은 예상 대비 확대되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2) 2025년, B2B 및 플랫폼 사업 중심의 성장 지속

   2025년 연결 매출액 91.7조원(+5% YoY), 영업이익 4조 421억원(+12% YoY) 전망. LG이노텍 제외 시 매출액 72.2조원(+7% YoY), 영업이익 3조 3,457억원(+19% YoY) 예상. B2B 사업과 webOS 및 가전 구독 사업 등을 중심으로 양적, 질적 성장 지속

   특히 내년 webOS 및 가전 구독의 영업이익은 +32% YoY 증가하며 LG전자 단독 영업이익의 17% 비중을 차지할 것. 또한 LCD TV 패널 가격 안정화와 LG디스플레이의 2H25 광저우 OLED TV 라인 감가상각 종료도 수익성 개선에 힘을 더해줄 전망

   한편 2025년 연결 당기순이익은 2조 6,155억원(+83% YoY)으로 가파른 성장 예상. 이는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에 따른 지분법손익 증가에 기인
   
3) 밸류에이션 정상화 필요. 비수기 활용한 비중확대 추천

   동사는 17일 2024년 2차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인도 IPO 추진과 76.1만주의 자사주 소각 발표. LG전자가 보유 중인 인도 법인의 지분 15%를 매각하여 상장 추진할 전망

   향후 자사주 매입이나 주주환원 강화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행보 기대

   주가는 12개월 Forward P/B 0.75배로, 역성장이 나타났던 2019년 평균 0.84배를 하회 중. 2019년은 모바일(MC) 사업부의 적자 확대 및 LG디스플레이의 실적 악화로 인해 EPS가 -97% YoY 하락한 시기

   비수기를 활용한 비중 확대를 추천하며,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40,000원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119.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8 Dec, 22:2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19)

1) 중국 PC 시장, 강력한 부양책 효과로 2025년 6% 성장 전망(Canalys)
- 3Q24 PC 출하량 전년 대비 1% 감소한 1,110만대. 소비자 부문은 정부 인센티브에 힘입어 4% 성장. 2025년 PC 회복 지속 전망, 데스크톱 9%, 노트북 4% 성장 예상
- https://tinyurl.com/bdeh23w7

2) 8세대 패널 생산 확대로 2027년까지 OLED 노트북 보급률 5% 상회할 전망(TrendForce)
- 2024년 OLED 노트북 침투율 3%로 상승 전망. 2025년 완만한 성장 이후, 애플 MacBook 라인업에 OLED 적용됨에 따라 2027년 OLED 노트북 보급률 5% 상회 전망
- https://tinyurl.com/2a75mhm9

3) 삼성 갤럭시 AI, 더 똑똑해진다. "사용자 취향 분석"(ZDNETKorea)
- 데이터 기반 개인화된 AI 경험 제공. '나우바' 기능 등 주목. 퍼스널 데이터 엔진 개발해 보안도 강화
- https://tinyurl.com/54ktba8f

4) LG전자, 2025년형 'LG QNED evo' 공개. AI로 화질·음질 최적화(ZDNETKorea)
- 올레드∙QNED 앞세운 ‘듀얼 트랙 전략’. 진화한 인공지능 알파8 프로세서, 70% 더 향상된 AI 성능. 최신 webOS 통해, AI 기반의 초개인화 콘텐츠 경험 강화
- https://tinyurl.com/9z2jardy

5) LG디스플레이, OLED 제조 공정에 AI 도입. 연 2천억원 비용 절감 기대(ZDNETKorea)
- 디스플레이 제조 특화 'AI 생산 체계' 자체 개발. OLED 공정 제조 전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
- https://tinyurl.com/4nhk24kt

6) 삼성디스플레이, 8세대 LCD 장비 추가 매각한다(THEELEC)
- L8 라인 8층에 있던 LCD 장비 대상. 이미 중국 패널 업체들이 10세대 라인 가동 중, 8세대 장비에 대한 수요는 불확실한 상황
- https://tinyurl.com/4bsdhvz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 Dec, 22:2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18)

1) 3Q24 OLED 발광재료 구매량 32.7톤. 2024년 발광재료 구매량 역대 최대 달성 전망(유비리서치)
- 매년 4사분기에 가장 높은 사용량 기록하는 재료 특성 고려 시, 2024년 역대 최대 사용량 예상. 구매량 기준 점유율은 SDC 41%, LGD 21%, BOE 12%
- https://tinyurl.com/55uw6eym

2) 中 폴더블폰 시장 내년 8% 성장. AI폰 비중 40%(ZDNETKorea)
- IDC 차이나 전망. 2025년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올해 대비 2% 성장한 2억 9천만대 예상. 폴더블폰 출하량은 8% 성장한 약 1천만대 예상. 화웨이 하모니OS 비중 20% 넘어설 전망
- https://tinyurl.com/5y4zw9pv

3) 韓 스마트폰 시장 10.7% 역성장. 스마트폰 가격 인상 탓(뉴시스)
- 3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312만대, 소비자 가격 부담 커져. 매력 떨어진 폴더블폰도 기대 이하 성적. 내년에는 AI 스마트폰 중심으로 성장 기대
- https://tinyurl.com/458et574

4) '필기도 되면서 더 얇게' 삼성, 디지타이저 필요 없는 펜 입력 기술 추진(전자신문)
- 폴더블폰 슬림화 위해 차기작(갤럭시Z 폴드7)부터 디지타이저를 탑재하지 않는 계획 추진 중
- https://tinyurl.com/bdeme5k7

5) LG전자 2차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내년 자사주 약 76.1만주 소각"(THEELEC)
- 주주가치 제고 위해 내년 중 자사주 약 76.1만주 소각 추진. 전체 발행 주식수의 0.5% 수준. 인도법인 IPO 위한 상장예비심사서류 인도 증권거래위원회 제출
- https://tinyurl.com/3s8j89b7

6) 삼성전기 글래스 코어기판 사업은 메탈 공정부터. 비아홀 가공은 외주(Kipost)
- 2026년 글래스 코어기판 양산 추진 중. 메탈라이제이션 공정부터 양산라인 구축 예상. SKC 앱솔릭스 대비 내재화 범위 넓어
- https://tinyurl.com/2fps4yj5

7) LG이노텍,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 개발. "車센싱 사업 2조 육성"(ZDNETKorea)
- 룸미러, 보조석 상단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 가능. 화소 높이고 시야각 넓혀, 카메라 한 대로도 모니터링 가능. 차량 센싱 솔루션 라인업 강화
- https://tinyurl.com/3xhv4frz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 Dec, 08:11


(유가)LG전자 - 기업가치제고계획(자율공시) (2024년 2차)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17800582
2024-12-1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 Dec, 02:06


(코스닥)토비스 - 신규시설투자등(자율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17900126
2024-12-1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Dec, 09:02


(코스닥)세경하이테크 - 금전대여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05900280
2024-12-0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4 Dec, 22:3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5)

1) LCD TV 패널 가격, 내년 2월까지 변화 없을 전망(THEELEC)
- DSCC, 4분기 LCD 공장 가동률 77%로 예상. TFT 투입면적 전분기 대비 7% 감소 예상. 4분기 패널 가격 안정화 예상, 이 레벨이 내년 2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기대
- https://tinyurl.com/mry2rap8

2) Ibiden, 2025년 AI 서버 IC 기판 생산량 40% 확대 계획(Digitimes)
- 현재 시설을 개조해, AI향 제품 수요 증가에 대응할 계획
- https://tinyurl.com/3vpuef86

3) 삼성, 내년 초 갤S25와 함께 AR 글래스 공개 전망(ZDNETKorea)
- 내년 1월 갤럭시S25와 함께 현재 개발 중인 AR 글래스 시제품 공개 기대. 시제품 공개 이전에 AR글래스를 구동할 소프트웨어 'XR 플랫폼' 공개 예상
- https://tinyurl.com/26p6kn7n

4) 아이폰17 프로에 디스플레이 신기술 적용될까(ZDNETKorea)
- IT매체 안드로이드오쏘리티, iPhone17 Pro, Pro Max에 '저유전체(Low-Dielectric) TEE'라는 신기술 적용될 수 있다는 관측 제기. LTPO 패널 탑재를 예상하는 대다수 매체들의 전망과 배치
- https://tinyurl.com/yjud2asm

5) M5 iPad Pro,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상(AppleInsider)
- M5 탑재된 iPad Pro, 2025년 하반기 대량 생산 들어갈 전망. iPad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BYD와 협업할 예정
- https://tinyurl.com/4mb8zddc

6) '장덕현號 3년' 삼성전기, '유리기판·2.1D' 패키지로 퀀텀점프 노려(시장경제)
- 삼성전기 최근 5년간 설비투자 규모에서 패키지사업부가 투자 비중 80%로 1위. '유리기판·2.1D' 정조준
- https://tinyurl.com/bdf52u9m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3 Dec,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4)

1) 3Q24 소형 OLED 출하량, 전분기 대비 8% 성장. LGD 출하량 급증(유비리서치)
- 출하량 2억 4,700만대. 전년 대비 33% 성장. LGD, 3분기 아이폰용 패널 1,760만대 출하, 전년 대비 64% 성장. SDC, BOE의 출하량은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
- https://tinyurl.com/3xv6hyv4

2) 삼성디스플레이 Auto용 OLED 출하량 급증. Tablet PC용 패널 출하 감소에도 매출액 건재(유비리서치)
- 3분기 중대형 OLED향 출하량, 매출액은 전 분기와 유사. iPad Pro OLED 판매 부진에도, 차량용 OLED 등 타 어플리케이션에서 출하량 증가. 차량용 OLED 출하량은 2분기 약 20만대에서 3분기 약 50만대로 급증
- https://tinyurl.com/2mezb5u9

3) Micro LED 칩 수익, 2028년까지 4억 8,950만 달러로 성장 전망(TrendForce)
- AR,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이 성장 견인할 전망. 2024년 시장 규모는 약 3,880만 달러 예상
- https://tinyurl.com/bdfprdh9

4) BOE, 청두 B7 LTPO OLED 전환 투자 속도 낸다(Kipost)
- B7 내 LTPS OLED 라인들의 LTPO 전환 투자. 지난달 관련 프로젝트에 56건 장비 입찰
- https://tinyurl.com/9wpaae4p

5) 삼성전자, 美 스마트폰 점유율 감소. 연말 특수 반등 주목(THEELEC)
- 3분기 점유율 23%로 전년 동기 대비 2%포인트 감소. 하반기 미국 할인 행사로 실적 반등 노려, 이익은 줄 수도
- https://tinyurl.com/5e6kdyhv

6) 제이앤티씨, 연내 유리기판 양산라인 구축 돌입(더벨)
- 글로벌 고객사 3곳과 NDA 체결,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 물량 공급 계획
- https://tinyurl.com/3jnhnm5e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3 Dec, 06:10


(유가)이수페타시스 - 풍문또는보도에대한해명(미확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203800178
2024-12-0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3 Dec, 01:20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147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2 Dec, 22:4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3)

1)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정체 전망(DSCC)
- 2024년 폴더블용 디스플레이 시장, 전년 대비 5% 성장 예상. 2025년에는 전년 대비 4% 하락할 전망. 패널 수요는 약 2,200만대에서 정체
- https://tinyurl.com/4e7uthtk

2) 중국 시장에서 LED 올인원 디스플레이 부상(TrendForce)
- 2024년 LED 올인원 디스플레이 출하량, 전년 대비 11% 성장한 6,400만대 전망. 그간 LED 올인원 디스플레이 주요 고객은 정부 기관, 대형 국유 기업. 최근 상업용 시장에 침투 시작. 가격도 LCD 디스플레이에 근접하는 중
- https://tinyurl.com/428mmcac

3) 자동차용 LED 주문 가시성, 1년간 강세 유지 예상(Digitimes)
- Edison, 2025년 LED 조명 및 자동차 사업에서 두 자릿수 성장 예상. 완제품 애플리케이션 연평균 성장률 20% 달성 기대
- https://tinyurl.com/yytcdjbc

4) 97인치 TV 1년새 10배 성장. 거거익선 외친 삼성 못 웃어(IT조선)
- 올해 9월까지 미국 내 97인치 이상 TV 판매량은 38,100대. 전년 대비 877% 성장. 올해 80인치 이상 시장에서 삼성전자 점유율은 32.7%로, 전년 대비 8%P 하락. TCL, 하이센스 등 중국 기업들의 침투 확대
- https://tinyurl.com/5frcuv74

5) 데이터센터 필수품 '칠러' 장착. LG, 85조 시장 정조준(한국경제)
- 정부, 3500억 수출보험 지원. 냉각시스템 R&D엔 1,300억 투입. 현재 LG전자는 해당 시장에서 글로벌 5위
- https://tinyurl.com/msnavfzb

6) 삼성전기, 구글 AI가속기 TPU에 'FC-BGA' 공급 추진(ZDNETKorea)
- 올해 하반기부터 멀티벤더 진입 위한 테스트 진행 중. 내년 초 사업 성과 기대
- https://tinyurl.com/2ndn6uh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1 Dec, 22:32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2.2)

1) iPhone17 시리즈, 삼성과 LG디스플레이에서 패널 공급. BOE는 미지수(유비리서치)
- BOE, 2025년 내로 패널 승인 받기 어려울 전망. LTPO TFT, 저유전 TFE 등 기술력 부족. 2025년 애플향 패널 공급량은 SDC 1억 3,000만대, LGD 7,200만대, BOE 4,000~5,000만대 예상
- https://tinyurl.com/v5c69vbd

2) Acer, 내년 3분기에 AI PC 적정 가격대 도달 예상(Digitimes)
- AI PC 판매는 지금까지의 과대 광고 대비 부진했으나, 내년 3분기에 적정 가격대에 도달하며 교체 수요 촉발 전망
- https://tinyurl.com/2z4ahr6p

3) 미끄러진 수출증가율. 1%대로 하락했다(한국경제)
- 반도체, 컴퓨터 등은 성장했으나, 디스플레이 수출은 전년 대비 22% 감소
- https://tinyurl.com/2u83ejz2

4) 퀄컴 AP 단가 또 오른다. 내년 스마트폰 부품 업계 수익성에 악영향(Kipost)
- 갤럭시S25, '스냅드래곤8 엘리트' 전량 탑재 전망. 엑시노스 탑재는 불발되는 수순. 수익성 방어를 위해, 국산 부품 업체에 강도 높은 단가 인하 요구 우려
- https://tinyurl.com/2zahbktm

5) LCD 시장 내 중국 지배력 상승으로, 삼성과 LG의 조달 비용 급증(Digitimes)
- https://tinyurl.com/39kyxcsj

6)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폰 백플레이트 소재로 유리 추진(THEELEC)
- 유리, 무게·가격·수급 등에서 강점. 여러 부품 협력사와 개발 과제 착수. 백플레이트는 '내장 힌지'라고 불리는 부품. 지금까지는 플라스틱 소재나 금속인 티타늄 사용
- https://tinyurl.com/4bk6yzcs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8 Nov, 22:3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9)

1) 삼성D 신임 사장 이청 "AI시대 OLED 초격차"(한국경제)
- 디스플레이 전문가로서, '기술 경영'에 대한 의지 피력. OLED 기술력 강화, XR 기기용 차세대 패널 개발 등 강조
- https://tinyurl.com/nhcdhusc

2) 2025년 중대형 OLED 출하량, IT OLED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33% 성장 전망(Omdia)
-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17% 성장. 25년 노트북, 모니터 OLED는 전년 대비 각각 49%, 70% 성장 예상. 태블릿 OLED 성장률은 21%로 전년 대비 둔화. TV OLED 성장률 또한 1.4%로 둔화 전망
- https://tinyurl.com/5vbr9xet

3) Microsoft, HP, Dell, 트럼프 관세 인상 앞두고 중국 부품 비축 확대(TrendForce)
- Microsoft, 공급업체에 내년 말까지 중국 외부에서 Surface 노트북 생산 요청. HP와 Dell은 공급 업체에 11~12월 부품 생산 확대 요청, 2025년 중국 내 PC 생산 감축을 위한 조달 계획 검토 중
- https://tinyurl.com/2ytyfbks

4) 애플, 폴더블 아이폰 드디어 나오나. 빠르면 2026년 출시(전자신문)
- 디스플레이 업체들과 정식 개발 프로세스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 클림셸 형태의 제품과 더불어 아이패드 미니 크기의 폴더블 태블릿도 함께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 첫 번째 폴더블 제품 출시는 2026년 또는 2027년으로 전망
- https://tinyurl.com/3sfzwtrw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7 Nov, 22:2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8)

1) 10월 중국 내 외국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44% 감소(Reuters)
-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1,115만대에서 622만대로 감소. 10월 중국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은 2% 증가한 2,967만대
- https://tinyurl.com/4fuht9rf

2) 유럽 스마트폰 시장, 3Q24에도 회복 지속. 출하량 전년 대비 8% 증가(Counterpoint)
- 3개 분기 연속 회복세 지속. 4분기에도 계절적 성수기 효과, 경기 회복, 12월 영국 지역 Apple Intelligence 출시 등으로 성장 지속될 전망
- https://tinyurl.com/3e4ujvdd

3) 애플, 중국 정부 승인 문제로 애플 인텔리전스 출시에 어려움 겪을 전망(TrendForce)
- 현지 기업과 협력 부재 시, 승인 절차가 특히 어려울 전망
- https://tinyurl.com/27fy3pd9

4) 삼성전기 AI용 MLCC 기술력, 日 무라타와 경쟁할 수준. 中 추격 매서워(조선비즈)
- MLCC 가동률 높아, 생산능력 확대 필요. 필리핀에 증설 고려, 시장 수요 등을 감안해 결정할 예정. 中 기업, IT용 MLCC시장서 내수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 https://tinyurl.com/yc477cek

5) Huawei, 위성통신 및 AI에 초점을 맞춘 Mate70, X6 공개(Digitimes)
- 출시 전 Mate70 사전 예약 약 336만건 기록, Mate60 출하량은 약 1,400만대. Mate70 시리즈 전반적인 성능은 이전 모델 대비 40% 향상됐다고 주장. 통화 중 실시간 번역, 메시지 '시크릿 모드' 전환, AI 노이즈 캔슬링 등 AI 기능 공개
- https://tinyurl.com/4a7avk22

6) AI폰 칩 각자도생. 샤오미도 '독자 AP' 내놓는다(서울경제)
- 샤오미, 차기 스마트폰용 칩 자체 설계해, 내년부터 양산 계획. 삼성도 '갤럭시Z 플립7'에 엑시노스2500 탑재 계획
- https://tinyurl.com/m33akyw9

7) '갤럭시 신화' 이끈 노태문 사장 유임. "AI폰 흥행·폼팩터 혁신 이어간다"(아이뉴스24)
- 연말까지 2억대 제품에 '갤럭시 AI' 탑재 계획. 갤럭시A 시리즈에도 AI 주요 기능 탑재 예정
- https://tinyurl.com/bddnjf8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6 Nov, 22:58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7)

1) Dell, 기대치 하회한 4분기 가이던스에 주가 하락(CNBC)
-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 성장한 244억 달러 기록. PC 매출액은 전년 대비 1% 감소. 기업향 매출은 3% 성장했으나, 개인 소비자향 매출은 18% 역성장. 4분기 매출액 전망치는 240~250억 달러 제시, 컨센서스 255억 달러 하회
- https://tinyurl.com/44vxk2we
- https://tinyurl.com/3yfx2sa8

2) HP, PC 시장 수요 부진으로 다음 분기 이익 예상치 하회(CNBC)
- 이번 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 성장한 141억 달러. PC 매출액은 전년 대비 2% 성장. 기업향 매출은 5% 성장했으나, 개인 소비자용 매출은 4% 역성장. 다음 분기 EPS 전망치는 $0.7~0.76, 컨센서스 $0.86 하회
- https://tinyurl.com/28pykaxd
- https://tinyurl.com/apsyd4c5

3) 2024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6% 성장 전망(IDC)
- 24년 출하량 12억 4,000만대 전망. 신흥 시장과 중국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강력한 성장에 기인. 2025년부터는 성장률이 낮은 한자릿수로 둔화되며, 2023~2028년 CAGR 2.6% 전망
- https://tinyurl.com/58ez3kkw

4)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2024~2029년 CAGR 3.6% 전망(Digitimes)
- DIGITIMES Research 전망치. 향후 5년간 인도, 동남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에서 스마트폰 업그레이드 수요 지속될 전망. 2024년 출하량 성장률 4.9%, 2025년 3.6% 전망
- https://tinyurl.com/ymtmzpb4

5) 삼성 신모델 출시에도 불구하고, 3Q24 폴더블폰 출하량 감소(Counterpoint)
-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 전년 대비 1% 감소, 3개 분기 연속 하락세. 삼성은 56% 시장 점유율로 1위에 복귀했으나, 출하량은 전년 대비 21% 감소. Honor, Motorola, Xiaomi 출하량은 전년 대비 100% 이상 성장
- https://tinyurl.com/3udpjvea

6) 멕시코 공장 둔 삼성·LG전자 등 초비상. 생산지 다각화 검토(서울신문)
- 삼성전자, 멕시코에서 TV, 냉장고, 세탁기 생산 중. LG전자도 멕시코 내 레이노사(TV), 몬테레이(냉장고, 오븐 등 가전), 라모스(전장)에 생산 기지 보유. LG 관계자, 통상 정책 변화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책 마련 중
- https://tinyurl.com/5zb5d86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5 Nov, 23:0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6)

1) Murata, MLCC 점유율 확대 위해, 향후 마진율 하락 예상(NikkeiAsia)
- 아시아 기업들과의 MLCC 가격 경쟁 심화되는 가운데, 시장 점유율 확대에 주력한다는 목표 설정. FY 2027년까지의 중기 영업이익률 목표치를 18% 이상으로 축소. 3년 전 계획에서는 20% 이상 목표
- https://tinyurl.com/4vb5vrha

2) 2025년 글로벌 노트북 출하량, 전년 대비 4.9% 성장 전망. 비즈니스 수요가 핵심 동인(TrendForce)
- 2024년 출하량, 전년 대비 4% 증가 기대. 2025년 출하량은 전년 대비 약 5% 성장한 1억 8,300만대 전망. 정치적 불확실성 감소, 금리 하락, Windows10 종료 등으로 상업용 노트북 출하량 전년 대비 7% 성장 기대. 소비자용 노트북 출하량 증가율은 3%로 둔화되나, 제품 믹스 개선 기대
- https://tinyurl.com/bdfw62y2

3) 11월까지의 누적 iPhone16시리즈 패널 조달, 전작 대비 1% 낮을 전망(DSCC)
- 3분기 이후 패널 조달 둔화. 10월까지의 누적 조달량은 전작 대비 5% 증가. Pro 모델 누적 점유율은 66% 차지
- https://tinyurl.com/b3snjjvf

4) 2H24 디스플레이 팹 가동률 제한될 전망(DSCC)
- LCD 팹 가동률은 3분기부터 둔화, OLED 팹은 3분기 이후 가동률 하락. TV패널 재고 관리, iPad Pro 수요 약세 등이 원인
- https://tinyurl.com/4nx3p5dt

5) 3Q24 OLED 패널 출하량 전년 대비 32% 성장(DSCC)
- 스마트폰 OLED는 전년 대비 39% 성장, TV OLED는 전년 대비 48% 성장. 태블릿 OLED는 전 분기 대비 20% 감소했으나, 전년 대비 127% 성장
- https://tinyurl.com/yfefyk8r

6) 8.6G OLED라인 양산 앞당긴 삼성디스플레이, 추격하는 중국 패널 업체들(유비리서치)
- A6 8.6G OLED 양산 시점이 2025년 연말로 앞당겨질 것이라는 관측 제기
- https://tinyurl.com/yfhpvzuy

7) LG디스플레이, 대대적 조직 손질. CPO 폐지-중·대형 제조센터 통합(ZDNETKorea)
- 사업 운영 효율화, 제조 역량 강화 위해 개편 나서
- https://tinyurl.com/uxh4hjrn

8) AMAT, 삼성D에 '비-FMM 증착기' 공급한다(THEELEC)
- 삼성D A2 라인 R&D용. '비-FMM 방식 OLED' 양산성 검토할 듯. 8.6세대는 FMM 방식으로 투자 확정된 만큼,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을 염두에 둔 것으로 관측
- https://tinyurl.com/2znhnwjp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4 Nov, 22:52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5.)

1) 2024년 폴더블 스마트폰, 전년 대비 22% 성장 전망(Digitimes)
- 전체 스마트폰 시장 예상 성장률인 5.8%를 크게 상회.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수요 견인
- https://buly.kr/FLXAgA7

2) 아프리카 스마트폰 시장 성장 속도 둔화, 2025년 1% 성장 예상(Canalys)
- 3Q24에는 전년 대비 3% 성장. 반면, 스마트폰 ASP는 6% 하락. 공급 업체들은 저렴한 가격과 현지 제조에 집중
- https://buly.kr/Chnnxxd

3) 3Q24 글로벌 TV 출하량, 전년 대비 11% 성장. 2개 분기 연속 성장 지속(DSCC)
- 프리미엄 TV 출하량, 전년 대비 51% 증가. 그 중 MiniLED TV 출하량이 전년 대비 102% 증가하며, OLED 출하량 상회. QD LCD도 50% 이상 성장, 분기 출하량 400만대 돌파. OLED TV 출하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
- https://buly.kr/2Uhr4gZ

4) 3분기 스마트폰 OLED 출하량 27%↑. LGD, 50% '껑충'(THEELEC)
- 3분기 출하량 2억 1,000만대로 집계. Flexible OLED는 23% 증가한 1억 6,000만대, Rigid OLED는 44% 증가한 5,080만대 기록. SDC는 출하량 9,700만대로 1위. BOE 출하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3,100만대. LGD는 전년 대비 50% 성장한 1,600만대 출하
- https://buly.kr/AEzB8ct

5) 2025년 기술 혁신의 새로운 기회 공개(TrendForce)
- AMOLED, 중형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 2025년 AMOLED 장착 노트북 시장 규모 600만대 상회, 예상 침투율 3% 전망
- https://buly.kr/CWt2zHX

6) Siri 엔진, 2025년 및 2026년 초까지 근본적으로 개편 예정(AppleInsider)
- 2025년 상반기에 예상되는 iOS 18.4부터 Siri와 앱 간의 더 나은 상호 작용, 개인 데이터와의 더 나은 통합 기능 업데이트 기대. 새로운 Siri 엔진에 대한 계획은 25년 6월 WWDC에서 공개될 것으로 전망
- https://buly.kr/APtxDXH

7)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FE·Z플립7에 엑시노스 넣는다"(파이낸셜뉴스)
- https://buly.kr/GkrEWZ6

8)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전자신문)
- 500Hz OLED 패널 개발 막바지
- https://buly.kr/BeJG5Hc

9) SKC 앱솔릭스, ABF 2단 적층 성공. 양산까지 먼길(Kipost)
- 일단 내년 상반기 양산 목표
- https://buly.kr/AaoiCOh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Nov, 02:09


(유가)LG디스플레이 - 기업가치제고계획(자율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22800088
2024-11-2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Nov, 00:35


(유가)LG이노텍 - 기업가치제고계획(자율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22800037
2024-11-2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1 Nov, 22:47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2)
 
1) 3Q 스마트폰 OLED 출하량, '시그마인텔'에 따르면 전년비 27% 늘어난 2억1000만대로 집계 (THEELEC)
- 스마트폰 OLED 출하량 1위는 9700만대(MS 46%)의 삼성D. LGD는 같은기간 1600만대(MS 7.6%) 기록하며 전년대비 50% 상승
- https://buly.kr/AEzB8ct
 
2) LG이노텍, 내년 카메라 모듈 시설투자에 3759억원 투입(전자신문)
- 광학솔루션 사업 신모델 대응 및 경쟁력 강화 목적. 한편, 올해 광학솔루션 시설투자액은 3830억원으로 내년은 올해보다1.9% 감소할 전망
- https://buly.kr/8805N3O
 
3) 4Q TV 판매량,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에 급증 (DIGITIMES)
- 중국 정부가 TV와 가전제품 대상으로 실시한 보상 판매 프로그램으로 4분기 LCD TV 수요가 증가하며 패널 가격 안정화
- https://buly.kr/6tamVQb
 
4) 화웨이, 폴더블폰 '메이트 X6' 예약판매 시작하며 中 선두 굳히기(ZDNET Korea)
- 하루 만에 예약자가 57만 명 돌파. 폴더블 스마트폰 메이트X6는 플래그십 모델인 '메이트70'과 함께 26일 정식으로 발표될 예정
- https://buly.kr/HHbUNeO
 
5) LG전자, 4개 사업본부 조직개편 대대적으로 진행하며 고객 지향 솔루션 체제 구축(ZDNET Korea)
- 4개의 사업본부를 각각 HS(Home Appliance Solution), MS(Media Entertainment Solution), VS(Vehicle Solution), ES(Eco solution)으로 재편. 전사 중장기 전략 가속화에 초점
- https://buly.kr/90ZsHMk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1 Nov, 07:58


(유가)LG이노텍 - 신규시설투자등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21800444
2024-11-21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0 Nov, 22:39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전기전자/디스플레이 2025년 산업 전망>

IT 디바이스

   : Of AI, By AI, For AI

1) IT 디바이스: Of AI, By AI, For AI

   2025년은 IT 디바이스가 단순 하드웨어를 넘어 소비자와 AI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전망. AI 스마트폰 침투율 31%(+12%p YoY), AI PC 침투율 43%(+26%p YoY)까지 확대되며 AI 디바이스 시장이 가장 크게 성장하는 원년

   특히 애플 인텔리전스와 함께 AI 스마트폰 패권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판단. 그간 애플은 하드웨어 시장의 1st mover가 되기 보단 완성도 높은 기술로 시장을 주도했으며, 시장의 경쟁과 침투율을 더 높이는 촉매제가 되어 왔음

   AI 스마트폰 차별화를 위해 AI 모델 구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AP, 메모리, 수동부품과 발열과 전력에 영향을 주는 방열 필름, 저전력 OLED 기술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판단. 한편 상대적으로 기술 변화가 제한적인 부품의 단가 압박 심화될 가능성 상존

2) OLED/폴더블: 2025년~2027년 New Era

   OLED 스마트폰 침투율이 60%를 돌파한 가운데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아이폰 점유율 확보에 집중. 2025년 출시될 아이폰 17 시리즈는 전 모델에 LTPO TFT 적용이 예상됨에 따라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점유율은 공고히 유지될 전망

   더불어 2025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준비 본격화. 2025년부터 서플라이 체인 구축 후 3Q26부터 양산이 시작되며, 초기 모델은 삼성디스플레이의 단독 공급 예상. 삼성디스플레이는 3Q26에 8.6세대 IT OLED 라인 양산도 예정되어 있어 ‘25년~’27년 새로운 성장 국면 진입

3) MLCC: AI가 이끌 수급 개선

   2025년에도 AI 서버용 MLCC가 가장 높은 성장세(+60% YoY)를 이어갈 전망. 더불어 2025년은 AI 디바이스 침투율이 가장 크게 확대되는 해로, 프로세서 및 램 업그레이드와 함께 MLCC의 탑재량 증가 예상. 이는 올해 부진했던 IT용 MLCC의 수급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

   MLCC 업체들의 AI 서버용 중심의 Capa 할당 및 보완 투자 예상. 한편 AI 수요 확대와 함께 고용량 MLCC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며 Capa 잠식 효과 발생 → 이는 전체 MLCC의 수급 개선을 이끌 것으로 판단

4) 업종 Top Picks: 삼성전기, 덕산네오룩스

  관심종목: LG전자, LG디스플레이,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PI첨단소재, 세경하이테크, 파인엠텍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183.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0 Nov, 22:3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1.)

1) 2024년 광군절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9% 감소(Counterpoint)
- Huawei와 Oppo는 전년 대비 각각 7%, 6% 성장. Xiaomi는 전년 대비 6%, Honor와 Apple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감소
- https://buly.kr/CWt1X35

2) 'LG·삼성' 3분기 누적 OLED TV 300만대 출하. 지난해와 비슷(THEELEC)
- 3분기 누적 글로벌 OLED TV 출하량, 전년 대비 7% 증가한 398만대. LG전자 207만대, 삼성전자 94만대 출하. LG전자 점유율 52%, 75인치 이상 초대형 OLED TV 시장 점유율은 56%
- https://buly.kr/90ZruG1

3) Huawei, 3분기 폴더블폰 판매량 전년 대비 97% 성장(SCMP)
- 3분기 폴더블폰 출하량 112만대 기록. 9월에 출시된 Mate X5 효과. 3분기 중국 내 폴더블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79% 성장한 354만대 기록
- https://buly.kr/GP1h76r

4) "보급형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 FE, 내년에 나온다"(ZDNETKorea)
- 갤럭시 Z플립7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사용 예상. 카메라, 칩셋은 구형 제품을 탑재해 원가 절감 전망. 엑시노스 2500 탑재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고 평가
- https://buly.kr/1c82ibt

5) 아이폰SE4, 2025년 3월 출시 예정(AppleInsider)
- 공급망을 통해 출시 일정 재확인. 애플에서 만든 자체 모뎀 탑재될 전망
- https://buly.kr/1xxYgG1

6) 퀄컴 "보급형 노트북용 스냅드래곤 칩 추가 투입 예정"(ZDNETKorea)
- 조만간 600달러(약 84만원) 내외 PC 시장을 위한 신제품 공개할 예정
- https://buly.kr/E77qMYz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9 Nov, 22:39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20.)

1) Qualcomm, 2029년 PC 칩 매출 40억 달러 도달 전망(CNBC)
- 신규 시장 진출을 통해, 2029년까지 연간 220억 달러의 추가 매출 기대. 자동차향 매출 연간 80억 달러, 산업용 칩 40억 달러, XR용 칩 20억 달러 등 예상. FY2024 핸드셋 사업 매출액은 249억 달러
- https://buly.kr/DlIK29A

2) 중국 보조금 정책으로, 3Q24 TV 출하량 전 분기 대비 10% 성장(TrendForce)
- 3Q24 글로벌 TV 출하량 5,233만대 도달. 보조금 마감일은 24년 12월, 연말까지 모멘텀 예상. 2024년 연간 출하량 1억 9,670만대로 전년 대비 0.6% 성장 예상. 5년간의 출하량 감소 후, 반등 전망
- https://buly.kr/4bguqAk

3) 삼성전자, 'XR 스마트안경' 내년 3분기 출시 전망. 애플과 맞대결(ZDNETKorea)
- 연내 MR 플랫폼 개발 완료, 내년 3분기 출시 전망. 내년 1월 CES나 '언팩' 행사에서 티저 공개 예상. 초도 물량 50만대 규모 전망
- https://buly.kr/58RBq7H

4) CSOT "TV 패널 시장서 OLED 가능성 감소"(THEELEC)
- LCD 화질 개선 중. TV 업체들도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을 LED 등 LCD 위주로 구성. 현재 글로벌 TV 출하량 중 약 97%가 LCD 제품
- https://buly.kr/BITiIzB

5) TCL이 글로벌 Top3로 진입하면서, 스마트폰 패널 가격 안정화(Digitimes)
- https://buly.kr/6ig0nn4

6) 대만 렌즈 제조업체 GSEO, 2025년 스마트폰 렌즈 주문 증가 예상(Digitimes)
- Genius Electronic Optical, 스마트폰 및 기타 어플리케이션에서 폴디드줌 렌즈 보급 확대 예상. 중국 스마트폰 고객사향 주문 확대 기대
- https://buly.kr/HSWEdar

7) "아이폰17 에어, 두께 6mm. 가장 얇은 아이폰될 것"(ZDNETKorea)
- 하이통증권 애널리스트 전망. 6.9mm인 아이폰6 기록을 깨고 역대 가장 얇은 아이폰이 될 전망
- https://buly.kr/4QmA2tG

8) 화웨이 '메이트 70' 흥행. 예약구매 200만 건 돌파(ZDNETKorea)
- 구글 앱과 호환되지 않는 자체 OS 탑재한 첫 모델. 11/26일 정식 출시 예정
- https://buly.kr/APtvGb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8 Nov, 22:49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9.)

1) 2024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1,180억 달러 전망(Digitimes)
- 전년 대비 9.8% 성장 전망. 2025년 성장률은 5.5% 전망. OLED와 AI가 주도
- https://buly.kr/B7YwxiD

2) 2024년 디스플레이 장비 투자, 전년 대비 47% 증가 예상(DSCC)
- 47% 증가한 73억 달러 전망. 2025~2027년 투자 규모도 70~80억 달러 전망, IT OLED 투자가 견인. IT OLED 수요는 2023~2028년까지 연평균 46% 성장 예상
- https://buly.kr/GvlxKg6

3) 中화웨이, 최신폰 메이트70도 흥행조짐. 사전예약 130만건 넘어(연합뉴스)
- 18일 사전 예약 시작 후 1시간여 만에 100만건 돌파. 11월 26일 Mate 브랜드 행사 개최, 신작 출시 예정
- https://buly.kr/3CMqj1n

4) 애플 브랜드의 TV 세트 제작 가능성 제기(AppleInsider)
- 최근 홈 에코시스템이라는 부서 신설하며,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홈 기기 적극 개발 중. 그 중, TV세트 제조 가능성도 제기
- https://buly.kr/2fcZsj2

5) 모토로라 중저가폰 또 나온다. 올해만 4종 출시(전자신문)
- 연내 중저가 스마트폰 '엣지 50 퓨전' 출시 예정. 가격은 약 50~60만원 예상.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 위해 노력
- https://buly.kr/GZwRNCY

6) 美 ITC "BOE, 삼성D 특허 3건 침해" 예비결정(THEELEC)
- 삼성D, BOE 상대 美특허침해분쟁서 유리한 고지 확보. 특허침해품 미국 수입·판매금지 처분은 받아들여지지 않아, 재검토 요청 예상. 최종 결론은 25년 3월 발표
- https://buly.kr/7bFnLcn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 Nov, 22:46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8.)

1) LGD, 베트남에 5년간 1.4조 추가 투자한다. "OLED 경쟁력 강화"(연합뉴스)
- 향후 5년간 10억 달러(약 1.4조원) 투자계획서 제출 후 승인
- https://buly.kr/Eds6DW8

2)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아이폰 가격 240달러 상승 압력(TrendForce)
- 아이폰 생산 비용의 45~50%가 수입 부품에 기인. 60% 관세 부과 시, 216~240달러의 추가 세금 부담에 직면한다고 분석
- https://buly.kr/NiilTu

3) 중동 스마트폰 시장, 2025년 낮은 한자릿수 성장 예상(Canalys)
- 3Q24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2% 성장. 석유 가격 하락 및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으로 수요 둔화. 2025년에도 완만한 성장 전망
- https://buly.kr/jYEj93

4) CSOT "21.6인치 의료용 잉크젯 프린팅 OLED 양산 돌입"(THEELEC)
- 5.5세대 잉크젯 프린팅 OLED 라인에서 정식 양산 시작. 27인치 모니터용 잉크젯 프린팅 OLED도 첫 공개
- https://buly.kr/GvlwyEh

5) CSOT "내년에 85,000니트 차량 마이크로 LED 공개"(THEELEC)
- 올해는 45,000니트 마이크로 LED 전시. 화면 구역별로 주사율 다른 LTPO OLED도 공개
- https://buly.kr/6XlF67S

6) 마이크로 LED 수직계열화 BOE, 웨이퍼 공장 가동(전자신문)
- 6인치 웨이퍼 기반 마이크로 LED 생산기지 건설 후 가동 시작. 연간 6인치 마이크로 LED 웨이퍼 24,000장 생산 가능. 현재 SDC와 LGD는 마이크로LED 외부 조달 중
- https://buly.kr/2Jn3YZH

7) M4 MacBook Pro, 디스플레이에 quantum dot 필름 사용(AppleInsider)
- 기존 적색 KSF 인광체 필름 대비 향상된 색상 및 모션 성능 확인. LED를 OLED 색상 범위와 성능에 더 가깝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
- https://buly.kr/AEz9hKP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4 Nov, 22:4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이수페타시스 [BUY, TP 45,000원(하향)]

   : 더할 나위 없는 본업, 주가는 신뢰 회복 필요

1) 3Q24 영업이익 259억원, 시장 컨센서스 하회

   3Q24 매출액 2,064억원(+1% QoQ, +24% YoY), 영업이익 259억원(-6% QoQ, +97% YoY), opm 12.6%로, 시장 기대치(314억원) 하회

   매출액은 AI 가속기와 네트워크 스위치 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지속. 페타시스의 AI 가속기용 매출액 비중은 48%(+3%p QoQ)로 역대 최대였으며, N사향 매출액 또한 점유율 확대에 힘입어 +29% QoQ 증가

   한편 중국 후난 법인은 주요 고객사의 신규 모델 변경에 따른 일시적인 매출 감소 발생

   3Q24 영업이익률은 12.6%로,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하회. 이는 800G용 신규 제품의 초기 수율이 63%로 부진했고, 설비 재배치 등의 일회성 비용 증가가 반영된 영향

2) 4Q24 영업이익 338억원, 역대 최대 수주를 향하여

   4Q24 매출액 2,304억원(+12% QoQ, +33% YoY), 영업이익 338억원(+30% QoQ, +219% YoY), opm 14.7% 전망

   3Q에 이어 AI 가속기와 800G 등 고부가 네트워크 제품의 실적 성장 지속

   한편 전분기 수익성 개선에 발목을 잡았던 신규 제품의 수율이 안정화되고, 일회성 비용 영향 또한 제거될 전망. 중국 후난 법인은 최근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수주 확대 중

   더불어 최근 N사의 차세대 GPU향 UBB 양산 승인을 받아 내년 1월부터 본격 양산 예정이며, 본업은 전례 없는 호황 지속

3) 더할 나위 없는 본업, 필요한 건 신뢰 회복

   동사의 2025년 영업이익은 1,783억원(+62% YoY)으로, AI 가속기 수요 강세에 800G 네트워크 시장 개화가 더해지며 역대 최대 실적 전망

   10월에만 791억원의 수주를 확보하며 3Q 월평균 대비 +28% 급증. 현재 다수의 고객사들과 차세대 제품 테스트 또한 진행 중에 있어 Capa 증설과 함께 중장기 실적 성장 이어질 것

   주가는 유상증자 발표 이후 급락하며 12개월 선행 P/E 13배 수준. 다만 동사와의 시너지가 제한적인 기업을 인수하고자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 것은 여전히 불확실성으로 남아있으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유상증자에 따른 지분가치 희석 영향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45,000원으로 하향, 투자의견 BUY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094.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4 Nov, 22:4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5.)

1) 中 하이센스·TCL,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 약진(전자신문)
- 3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TV 출하 점유율, 삼성전자 30%, 하이센스 24%, TCL 17%, LG전자 16%로 집계. 삼성전자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3%P 하락. 하이센스는 전년 동기 점유율 14%에서 24%로 상승, TCL도 11%에서 17%로 상승
- https://buly.kr/9XK6gML

2) 트럼프 효과. "내년 1분기까지 디스플레이 일시 수요 상승 가능성"(THEELEC)
- 시장조사업체 DSCC 전망. 관세 부과 전 '사재기' 가능성 전망. 다만, 실제 관세 부과 시 디스플레이 수요는 재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
- https://buly.kr/C08iPoJ

3) 日 의존하던 'OLED 핵심소재'. 삼성D, 국산화 성공(서울경제)
- 이엔에프와 'Ag(은) 에천트' 개발. 3분기부터 양산 라인에 적용. 17년간 日스미토모 자회사가 공급망 독점했던 소재 이원화 성공
- https://buly.kr/2qXJPSj

4) 구글, AI 음성 비서 'Gemini Live' 아이폰에 도입(Reuters)
- 앱스토어에 Gemini App 출시. 사용자가 챗봇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음성 기반 Gemini Live 기능도 포함
- https://buly.kr/Eds57Hr

5) 삼성, 내년 1월 23일 '언팩' 개최. '갤럭시S25 슬림' 베일 벗나(파이낸셜뉴스)
- 생성형 AI 기능 대폭 강화할 전망. 두께 얇아진 슬림 버전 공개 가능성도 제기
- https://buly.kr/7mAWsK6

6) 삼성, 낮은 3nm 수율 때문에 TSMC에 엑시노스 생산 아웃소싱 가능성 제기(TrendForce)
- 자체 3nm 노드로 엑시노스 2500 생산 계획했으나, 낮은 수율 개선이 과제. 반면 TSMC의 N3E 공정 수율은 90%에 근접했다는 분석 제기
- https://buly.kr/GE6twdj

7) 스마트폰 폼팩터 다시 진화. 삼성, 내년 두 번 접는 폴더블폰 출시(전자신문)
- 내년 출시를 목표로 두 번 접는 스마트폰 개발 착수. 이달 말 디자인, 출시 모델 최종 확정할 예정
- https://buly.kr/FWRs2Hl

8) LG전자 구독 매출 1조 돌파. "가전 패러다임 변화"(뉴시스)
- 3분기 누적 구독 사업 매출액, 1조 2,386억원으로 집계. 냉장고·가전 등 대형 가전으로 품목 지속 확대
- https://buly.kr/YdSexO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4 Nov, 07:38


이수페타시스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2,064억원, 영업이익 259억원(opm 12.5%), 당기순이익 145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2,144억원, 영업이익 314억원, 당기순이익 258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2025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3 Nov, 23:3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덕산네오룩스 [BUY, TP 50,000원(하향)]

   : 과도한 우려, 밸류에이션은 역대 최저

1) 3Q24 영업이익 125억원, 시장 기대치 부합

   3Q24 매출액 549억원(+4% QoQ, +17% YoY), 영업이익 125억원(+25% QoQ, +3% YoY)으로, 시장 기대치(128억원)에 부합

   아이폰16 시리즈 및 갤럭시 A 시리즈향 OLED 소재가 실적을 견인했으며, AI PC 출하 확대와 함께 노트북용 수요 또한 증가 중인 것으로 파악

   3Q24 영업이익률은 23%로, 중저가 OLED 소재 비중 확대 및 연구개발비와 일회성 비용 증가로 인해 전년(26%) 대비는 하락했으나 전분기(19%) 대비 4%p 개선.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영업이익률은 약 25%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

2) 4Q24 영업이익 126억원, opm 25% 전망

   4Q24 매출액 513억원(-7% QoQ, +13% YoY), 영업이익 126억원(flat QoQ, +7% YoY) 예상

   아이폰16 시리즈 출시 효과는 전 분기 대비 감소하나, 중저가 모델향 수요가 견조하고, 갤럭시S25 양산 효과가 반영되기 시작할 전망

   또한 신규 중화권 스마트폰 모델에 Black PDL이 탑재될 예정이며, 폴더블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스마트폰향으로는 첫 Black PDL 공급

   4Q24 영업이익률은 25%로, 일회성 비용 영향 등이 제거되며 수익성 개선 지속

   이를 반영 시 2024년은 매출액 2,113억원(+29% YoY), 영업이익 454억원(+38% YoY)으로, 고객사의 아이폰 점유율 하락에 따른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저가 스마트폰의 OLED 패널 채용 확대 및 IT OLED 시장 성장에 힘입어 높은 성장률을 시현할 전망

3) 실적 성장과 모멘텀 지속, 밸류에이션은 역대 최저

   주가는 12개월 Forward P/E 11.7배까지 하락하며 상장 이래 역대 최저 밸류에이션을 기록 중

   주가는 주요 고객사의 아이폰 점유율 하락, 아이패드 프로 수요 부진에 따른 OLED 시장 성장 둔화, 동사의 수익성 훼손 우려 등이 반영되며 급락

   그러나 2025년은 아이폰 17의 LTPO 적용 확대에 따른 고객사의 점유율 반등 가능성, 폴더블 아이폰 준비 본격화, 8.6세대 라인 테스트 가동 확대, 동사의 중국향 OLED 소재 공급 확대 등 다수의 모멘텀이 이어질 전망

   더불어 AI PC 시장 확대와 함께 저전력 기능이 더욱 부각되며 Black PDL 채택이 가속화되고, 폴더블 아이폰에 채택될 가능성에 주목

   과거 대비 둔화된 OLED 시장 성장률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50,000원으로 하향하나, 주가는 과도한 저평가로 비중확대를 추천.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089.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3 Nov, 22:59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4.)

1) 3Q24 AI 지원 PC 출하 점유율, 전체 PC의 20%로 상승(Canalys)
- 1,330만대 출시되며, 분기 전체 PC 출하량의 20% 차지. 전 분기 대비 출하량 49% 성장. Windows AI PC는 전 분기 대비 93% 성장, 전체 Windows PC 중 12% 점유
- https://buly.kr/8IunSJB

2) 2025년 스마트폰 패널 출하량, 1.7% 감소 예상. 중국 패널 업체 점유율 70% 초과 전망(TrendForce)
- 2024년 스마트폰 패널 출하량, 전년 대비 6.7% 증가한 20억 6,600만대 전망. 2025년에는 1.7% 감소 예상. 스마트폰 패널 출하량 상위 5개 업체 중, 4개가 중국 업체. 애플의 공급망 다각화로 인해, 2025년 SDC 패널 출하량 3.1% 감소 예상
- https://buly.kr/FAcLU2k

3) BOE, 충칭 B12에서 애플 향 IT OLED 패널 개발(Kipost)
- B16 8.6세대 라인 건설 이전, 패널 신뢰성 검증 차원. 실제 양산은 B16에서 이뤄질 전망. 투자 종료 후, 조기에 애플 IT 패널 양산 목표
- https://buly.kr/DaNWg0j

4) 3Q24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6% 성장(IDC)
- 3분기 출하량 4,600만대. 5개 분기 연속 성장. 애플은 400만대를 판매하며, 역대 최대 분기 출하량 기록
- https://buly.kr/NihJib

5) 3Q24 라틴아메리카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10% 성장(Canalys)
- 3분기 출하량 3,510만대. 200달러 미만의 저가 라인업, 전체 판매량의 49% 차지. 삼성은 전년 대비 16% 성장한 1,130만대 출하하며, 점유율 1위 유지. Motorola, Xiaomi가 뒤를 이어
- https://buly.kr/4FrMthX

6) "생각보다 안 팔리네". 中 업체, 폴더블폰 철수 고민(ZDNETKorea)
- 3분기 중국 폴더블폰 출하량, 전년 대비 14% 성장한 223만대에 그쳐. Xiaomi가 7월에 출시한 믹스폴드4, 판매량 10만대 하회. Oppo는 폴더블폰 출시 연기, 트랜션은 개발 중단
- https://buly.kr/7bFlXF5

7) 중국 스마트폰 OEM의 최신 출시 제품, 프리미엄화 트렌드 지속(Counterpoint)
- AI 기능 탑재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사양과 소프트웨어 기능 면에서 모두 발전. 1H24 프리미엄 시장 매출액은 전년 대비 8% 성장, 전체 시장은 4% 성장
- https://buly.kr/8802Tiq

8) "애플, 2028년까지 패드·맥북 OLED 적용 미룰 듯"(IT조선)
- 시장 조사 업체 Omdia 전망. LCD 대비 가격 경쟁력 낮다는 판단에 기인
- https://buly.kr/2fcY4TH

9) '슈퍼을' 日 미쓰이금속, 동박 가격 10% 인상. 국내 CCL·PCB 연쇄 타격 우려(전자신문)
- 미쓰이금속 동박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시장의 90% 이상 점유. 국내 반도체 패키지용 CCL 생산하는 두산전자, LG화학 영향권.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기판 제조사들도 영향권에 들어갈 전망
- https://buly.kr/GP1ea96

10) LG디스플레이·선익시스템, 10년만에 특허 공동 출원(THEELEC)
- '기판 처짐 최소화 기판 지지장치' 기술. 선익시스템이 수주한 BOE의 IT 8세대 OLED 증착기에 해당 특허를 적용할지 여부가 관심사
- https://buly.kr/8IunSf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Nov, 23:50


덕산네오룩스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549억원, 영업이익 125억원(opm 22.8%), 당기순이익 106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559억원, 영업이익 128억원, 당기순이익 119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3000016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Nov, 22:33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3.)

1) 광군제 판매 급증으로, 모바일 기기 수요 증가(Digitimes)
- 어려운 경제 환경에서도, 휴대폰과 통신 기기 판매 급증
- https://buly.kr/7mAW94g

2) Asus, 4분기 매출 전분기 대비 감소 예상(Digitimes)
- 3분기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과 '검은 신화: 오공' 인기로 게이밍 노트북 판매 크게 증가. 4분기 매출은 재고 조정 영향 등으로 감소 전망
- https://buly.kr/4bgsU2v

3) iOS 18.2 업데이트, 12월 9일 출시될 것이란 관측 제기(AppleInsider)
- 11월 11일에 세 번째 개발자 베타 공개. Image Playground, Genmoji, Visual Intelligence 및 ChatGPT 통합 등을 지원할 예정
- https://buly.kr/APtsrRX

4) 280만원 폰도 잘 팔리네. 프리미엄폰 시장 경쟁 달아오른다(이데일리)
- 프리미엄폰 시장, 내년 전체 26%로 커질 전망. 전체 스마트폰 판매액서 60% 차지하는 '알짜시장'. 중국 제조사들도 프리미엄폰 시장 '정조준'
- https://buly.kr/HSWC6Ap

5) "애플, 스마트홈 카메라·건강 기능 에어팟 내놓는다"(ZDNETKorea)
- 궈밍치, 2026년부터 애플이 스마트폼 카메라, 건강 관리 기능 포함된 에어팟 판매할 것이라 전망. 중국 업체 고어텍이 주요 공급업체가 될 전망
- https://buly.kr/15NisHQ

6) 삼성, 두번 접는폰 내놓을까. 美 특허 출원 문서 공개(ZDNETKorea)
- 2021년 7월 제출했던 특허가 이번 달에 공개. 내구성 개선하고 화면 부담 줄이는 특수층 포함
- https://buly.kr/6tajF9N

7) 삼성전기, 독일 일렉트로니카서 MLCC·FCBGA 전시(THEELEC)
- AI·서버용 MLCC와 FC-BGA, 전장용 MLCC와 카메라 모듈 등을 소개. 일렉트로니카는 전자부품 기업 3000곳 이상 참가, 방문객 8만명을 웃도는 세계 최대 전자부품 전시회
- https://buly.kr/3j75aZe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2 Nov, 06:46


LX세미콘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4,199억원, 영업이익 343억원(opm 8.2%), 당기순이익 254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4,092억원, 영업이익 259억원, 당기순이익 232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2800409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1 Nov, 22:43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2.)

1) 3Q24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15% 성장(Canalys)
- 출하량 2,500만대 달성. OPPO는 출하량 510만대, 점유율 21%로 1위 차지. 삼성은 시장 점유율 16%로 2위, 출하량보다 ASP 상승에 집중하는 프리미엄화 전략 지속. Transsion, Xiaomi 등이 뒤를 이어
- https://buly.kr/AaodTrN

2) 2024년 스마트폰용 Flexible AMOLED, 24% 성장 전망(OMDIA)
- 출하량 6억 3,100만대 예상.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내 점유율 42%까지 상승. Flexible AMOLED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출하량 성장 촉진. 올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 내 OLED 점유율은 53% 전망
- https://buly.kr/Ezha0J2

3) 2024년 국내 업체들의 OLED TV 패널 출하량 급증 예상(Digitimes)
- 2023년 530만대에서 22% 증가한 648만대 전망
- https://buly.kr/4xWO5pF

4) 아이폰 슬림, 폴드 모델의 장애물 중 하나로 배터리 문제 지목(AppleInsider)
- iPhone17 Slim 모델의 두께가 배터리 문제로 인해 6mm 이상일 수 있다는 관측 제기. 삼성도 비슷한 어려움에 직면. 슬림 모델의 성공은 애플의 폴더블 모델 성공으로 귀결될 전망
- https://buly.kr/E77n6JW

5) 비싸지는 스마트폰 두뇌. 깊어지는 삼성의 고민(ZDNETKorea)
- AI폰 탑재할 AP 가격 비싸져. 삼성, 상반기 AP 매입액만 6조원. 자체 AP 엑시노스 탑재 녹록지 않아
- https://buly.kr/3CMoHkg

6) "보급형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 FE, 예상보다 강력할 수도"(ZDNETKorea)
- 갤럭시Z 플립6보다 저렴한 보급형 폴더블폰 출시 가능성 제기. 갤Z플립 FE에는 엑시노스 2400칩 탑재 전망. 차세대 갤럭시Z플립7에도 엑시노스2500 탑재 전망
- https://buly.kr/NigajN

7) 삼성 '83형 QD-OLED TV' 내놓는다. 내년 CES 첫 선(뉴데일리)
- QD 라인업 중 가장 큰 모델, 신제품 명맥 끊겼던 QD서 초대형 승부수. "프리미엄 시장 공략 강화" 전략의 일환
- https://buly.kr/8TpXiH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1 Nov, 11:36


생산량 증가폭이 가장 큰 제품군은 정보기술(IT)용 리지드 OLED와 폴더블 제품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내년에 IT용 리지드 OLED 제품을 1250만 대 생산할 방침이다. 올해 총 생산대수인 800만 대보다 5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Z폴드’ 시리즈에 활용될 폴더블 디스플레이 생산 계획은 1250만 대다. 올해 전망치인 500만 대 대비 150% 이상 목표치를 올렸다.

삼성디스플레이가 IT용·폴더블 제품 생산량을 늘린 주요한 이유는 주력인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정체 여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패널의 90% 이상은 스마트폰용으로 생산한다.

https://m.news.nate.com/view/20241111n29489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1 Nov, 07:14


애플 OLED 맥북 에어 출시가 지연되는 원인이 가격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은 2026년 OLED 맥북 프로를 출시한 뒤, 2027년께 OLED 맥북 에어도 출시할 예정이었다.한 부품업계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를 지나면서 OLED 맥북 에어 출시 연기 추정이 나왔다"며 "부품 개발 일정이 밀렸고 지금으로선 제품 출시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사실상 지연되고 있는 셈이다.복수의 부품업계 관계자는 애플의 맥북 에어 OLED 적용 지연 원인으로 △높은 가격 △공급망 등을 꼽았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OLED를 적용하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bY9aq03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0 Nov, 22:46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이수페타시스 유상증자 코멘트

   : MLB는 전례 없는 호황, 제이오 인수는 단기 불확실성 확대

1) 이수페타시스, 5,498억원의 유상증자 결정. 기존 주식수의 31.8%에 해당하는 2,010만주 증자 예정

   이수페타시스의 MLB 시설투자 및 제이오 인수를 위해 유상증자 추진. 시설투자 2,500억원,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제이오 인수) 2,998억원으로 각각 활용할 계획

   신주 예정 발행가는 27,350원으로, 8일 종가 대비 14% 할인된 가격. 2025년 2월 28일 신주 상장 예정. 유상증자 방식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로 진행

2) 자금 사용 세부 계획

   시설자금 2,500억원: MLB Capa 증설에 활용
 
   2,500억원의 시설자금은 유상증자와 함께 발표한 신규 시설투자 자금(4,000억원)의 일부로 활용할 계획. 시설투자는 1차 투자(2025년)와 2차 투자(2026년~2028년)로 나눠서 진행

  -1차 투자: 기존 1~4공장의 라인 재배치 및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약 800억원 투입할 전망. 2025년 증설 완료 시 2026년 페타시스 별도 매출액 기준 연간 Capa는 9,000억원(vs. 현재 8,000억원)으로 확대 예상

  -2차 투자: 신규 5공장을 2026년에서 2028년까지 3년에 걸쳐 증설할 계획이며, 약 3,200억원 투입될 전망. 증설 완료 시 2029년 페타시스 별도 매출액 기준 연간 Capa는 1.5조원으로, 현재 대비 약 2배 확대 예상
 
   5공장 부지(6,500평)가 4공장(3,000평) 대비 2배 이상의 규모이며,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증설 예정임에 따라 4공장(1,200억원) 대비 높은 투자금 투입될 전망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제이오 인수) 2,998억원: PCB 단일 사업에서 CNT 소재로 사업 다각화 추진 목적

   제이오의 최대주주 지분과 신주 및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지분 33.3%(전환 기준)를 약 3,000억원에 확보 예정

   -최대주주의 575만주(지분 18.1%)를 약 1,581억원에 인수하고, 신주 및 전환사채 대금 약 1,420억원은 제이오의 Capa 증설 등 성장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

   -이수페타시스는 CNT 소재가 이차전지뿐 아니라 반도체 등 적용처 확대가 전망됨에 따라 제이오 인수를 결정

3) 유상증자 시사점 및 향후 전망

   AI 가속기 및 800G 네트워크 장비향 수요에 힘입어 본업(MLB)은 전례 없는 호황 사이클 지속

   -G사, N사, M사, A사 등 주요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일제히 추가 Capa를 요구하는 중이며,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는 페타시스의 Capa를 현재 약 8,000억원 → ‘26년 9,000억원 → ‘29년 1.5조원까지 확대하는 점은 긍정적

   -특히 최근 N사의 차세대 GPU향 양산 승인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며, 내년 1월부터 본격 양산 예정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제이오 인수를 결정했으나, 동사와의 시너지는 제한적이라 판단

   -이수페타시스와 이차전지 사업을 영위하는 제이오와의 시너지는 단기 내 기대하기 어려울 것. 특히 최근 이차전지 산업의 불확실성 확대 및 제이오의 특정 이차전지 고객사 의존도가 높은 점도 리스크

   주가는 유상증자를 반영해도 2025년 P/E 15배로, AI 수혜가 본격 확대된 2H23 이후 평균 21배 대비 급락

   -제이오 인수에 대한 불확실성 및 지분가치 희석에 따른 단기 주가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 그러나 N사향 신규 제품 공급 등 여전히 AI 시장 확대의 수혜가 가장 큰 국내 업체 중 하나로, 중장기 긍정적 시각은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SN3543.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0 Nov, 22:32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11.)

1) 스마트폰 ASP, SoC 및 메모리 가격으로 인해 상승(Counterpoint)
- 2024년 글로벌 스마트폰 ASP, 전년 대비 3% 증가한 365달러 기록 예상. 24년 상반기, 1,000달러 이상의 스마트폰 판매 전년 대비 18% 증가. 2025년에도 GenAI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가하며, 프리미엄화 지속될 전망
- https://buly.kr/FhMbYvo

2) '반도체 기판 업계' 이비덴, 신코, AT&S, 실적 전망치 하향(THEELEC)
- 고부가 반도체 기판 세계 1위인 이비덴, 내년 3월까지 6개월간 매출 전망치 10% 하향. 신코덴키, AT&S도 같은 기간 매출 전망치 하향 조정. 불확실한 범용 서버 수요, PC향 제품 범용화, 자동차 및 산업용 수요 약세가 원인
- https://buly.kr/uSxAT2

3) LG디스플레이, 화면 50%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최초 개발(ZDNETKorea)
- 12인치 화면이 최대 18인치까지 늘어나. 접기비틀기 자유롭게 변형 가능. 일반 모니터 수준의 고해상도 100ppi 구현
- https://buly.kr/8ekIKOO

4) LG디스플레이, 초대형 車 디스플레이로 SDV 시대 앞당긴다(ZDNETKorea)
- 10인치 이상 프리미엄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1위. 최근 세계 최대 크기인 57인치 LCD P2P 공개. 올해 2세대 대비 휘도와 소비전력을 더욱 개선하는 3세대 탠덤 OLED 개발 예정
- https://buly.kr/EI2XiWl

5) LG전자, 16조 5G 특화망 시장 공략한다(한국경제)
- 서울역·경기 시흥 차량기지 등 이음5G 솔루션 공급 추진. B2B 부문 고도화를 위한 새로운 사업으로 선택. 2030년 B2B 매출 10兆 목표
- https://buly.kr/1tAG0l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Nov, 12:55


https://www.petasys.com/upload/new_board/B1731060033948.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Nov, 09:45


2024.11.08 18:44:48
기업명: 이수페타시스(시가총액: 2조 81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증자방식 : 주주배정후실권주일반공모
증자비율 : 0.32주/1주당

발표일자 : 2024.11.08
기준일자 : 2024-12-17
청약일자 : 2025-02-07
납입일자 : 2025-02-14
상장일자 : 2025-02-28

시설자금 : 2,500억
영업양수 :
운영자금 :
채무상환 :
타법인 : 2,998억
기타자금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00054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766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Nov, 09:23


2024.11.08 17:57:25
기업명: 제이오(시가총액: 6,545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발행금액 : 420억(전체대비 : 6.8%)
발행방법 : 사모
전환가액 : 19,475원(현재가 : 20,600원)
최저조정 : 13,633원
표면이율 : 0.0%
만기이율 : 0.0%

납입일자 : 2025-03-07
청구시작 : 2026-03-07
청구종료 : 2030-02-07

* 투자자
이수페타시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0005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1855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Nov, 09:01


2024.11.08 17:47:54
기업명: 제이오(시가총액: 6,545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보통주 : 5,460,000주(발행가격 : 18,259원)
우선주 :

발행비율 : 17%

* 투자자
이수페타시스

발표일자 : 2024-11-08
납입일자 : 2025-03-07
상장일자 : 2025-03-1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00053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1855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Nov, 09:00


2024.11.08 17:47:41
기업명: 제이오(시가총액: 6,545억)
보고서명: 최대주주변경을수반하는주식양수도계약체결

* 양도인
강득주(변경 전 최대주주)

* 양수인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대한민국
- 주요주주 : 주식회사 이수
- 주요사업 : PCB사업

* 변경 후 최대주주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
- 계약금액 : 1,581억
- 예상지분 : 18.10%

계약일자 : 2024-11-08
변경예정 : 2025-03-07

* 대금 지급일정 및 조건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득주는 그 보유주식 기명식 보통주 5,750,000주를 주식회사 이수페타시스에게 양도하는 계약을 아래와 같이 체결하였습니다.


1. 계약체결일 : 2024년 11월 8일

2. 총양도금액 : 금 158,125,000,000원

3. 양도주식수 : 5,750,000주

4. 1주당 가액 : 27,500원

5. 거래상대방 : (주)이수페타시스

6. 대금지급일

1) 계약금 : 15,812,500,000원 (2024년 11월 8일)

2) 잔금 : 142,312,500,000원 (2025년 3월 7일)

7. 주식인도일 : 2025년 3월 7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890081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1855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8 Nov, 07:55


(유가)이수페타시스 - 신규시설투자등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108800694
2024-11-0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7 Nov,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8.)

1) iPhone15, 3Q24 글로벌 판매량 1위 기록(Counterpoint)
- iPhone15 Pro Max와 iPhone15 Pro가 뒤를 이어. 3Q18 이후 처음으로 Top10 안에 갤럭시S 시리즈 진입. 상위 10개 모델은 스마트폰 판매량의 19% 차지
- https://buly.kr/CWswolz

2) 3Q24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4% 성장(Counterpoint)
- 샤오미가 점유율 19%로 1위. Oppo는 200~399달러 부문에서 전년 대비 30% 성장. 삼성은 프리미엄(600달러 이상)에서 전년 대비 87% 성장, 점유율 42%로 1위
- https://buly.kr/7mAUKnS

3) OLED 탑재 맥북 에어, 2028년까지 출시 연기될 전망(AppleInsider)
- 2027년 출시 예정되었으나, 2028년으로 연기. OLED 아이패드 판매 부진, 제한된 공급사 등이 원인으로 관측
- https://buly.kr/B7YsyMZ

4) 노바텍, 4분기 약세 전망. 2025년에는 AI 기반 엣지 수요 증가로 성장 기대(Digitimes)
- 3분기 모바일 OLED DDI에 대한 높은 재고 축적 수요로 강력한 매출 성장 달성. 마진은 전 분기 대비 소폭 하락
- https://buly.kr/1RDD1Wa

5) 2025년 유럽 IT 지출, 8.7% 성장 예상(Gartner)
- AI 관련 IT 서비스 지출은 전년 대비 21% 증가 예상. 데이터센터 등 IT 지출 지속 성장 기대
- https://buly.kr/Eds2amG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7 Nov, 12:16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Taiyo Yuden 3Q24(FY 2Q25)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86.7B(+7% QoQ), 영업이익 ¥4.9B(+88% QoQ) 기록. 가동률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개선이 나타났으나, 가이던스는 하회

   중국 스마트폰, 전장, IT 인프라/산업용 장비 부문에서 수요가 예상 대비 부진했기 때문

   이로 인해 지난 5월에 제시한 FY2025(2024년 4월~2025년 3월) 가이던스 매출액 ¥350B(+9% YoY), 영업이익 ¥20B(+120% YoY)에서 매출액 ¥330B(+2% YoY), 영업이익 ¥7.6B(-16% YoY)로 하향 조정

   AI 서버향 수요는 확대 중이나 범용 서버, 산업용 장비 및 기타 제품의 수요는 여전히 부진하며 모멘텀 부재

   한편 전장용 부품의 수요는 지속 증가 중이나, EV 수요 영향으로 인해 성장 속도는 둔화. 통신 장비 부문은 중국 하이엔드 스마트폰향 수요가 부진한 상황

☑️ FY2025 사업부별 매출액 가이던스

   Capacitors ¥225.5B(+10% YoY), Inductors ¥56.5B(+2% YoY), Integrated modules & devices ¥23.0B(-34% YoY), Others ¥25.0B(-5% YoY)로 각각 전망  

   지난 5월 대비 전사 매출액 가이던스 -6% 하향. 사업부별로는 Inductors +1% 상향, Capacitors -5% 하향, Integrated modules & devices -21% 하향, 기타 사업부 -7% 하향

   Integrated modules & devices 사업부의 약세는 중국 스마트폰 수요 둔화 및 전자 회로 사업부의 축소 영향에 기인

☑️ 3Q24 사업부별 매출액

   Capacitors ¥58.3B(+6% QoQ): 스마트폰, 워치, 전장, IT 인프라, 통신 장비향 매출액 증가. 가동률은 80~85%로, 전분기(약 80%) 대비 증가

   Inductors ¥16.0B(+23% QoQ): 모든 어플리케이션향 매출액 증가했으며, 특히 스마트폰 중심으로 성장

   Integrated modules & devices ¥6.1B(-5% QoQ): 중국 스마트폰향 FBAR/SAW 필터 매출 감소

   Others ¥6.4B(-3% QoQ): 차량용 알루미늄 전해 커패시터 매출 감소

☑️ 3Q24 수주 관련

   3Q24 전사 수주액은 +5% QoQ 증가, Capacitors 수주액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

   3Q24 전사 BB Ratio(수주액/매출액)는 0.98로, 2Q24 1.01 대비 하락. Capacitor의 BB Ratio 또한 1.00으로, 2Q24 1.05 대비 하락

☑️ 4Q24 매출액 가이던스

   전사 매출액: -6 ~ -1% QoQ

   Capacitors: -4% ~ flat QoQ

Inductors: -6 ~ -2% QoQ

Integrated modules & devices: -16 ~ -12% QoQ

Others: -6 ~ -2% QoQ

*위 내용은 실적 발표 자료를 요약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실적 발표 자료 링크: https://pdf.irpocket.com/C6976/LXNk/Ivhr/wxBX.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6 Nov,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7.)

1) 퀄컴, 예상치 뛰어넘는 분기 실적 기록(CNBC)
- 매출액 $10.2B 기록하며, 전년 대비 19% 성장. 핸드셋 부문 매출액 $6.1B, 전년 대비 12% 성장. 안드로이드 매출액이 20% 이상 성장. 자동차 부문은 전년 대비 86% 급증.
- https://buly.kr/5q69AY7

2) Pro 모델 및 더 큰 저장 공간에 대한 수요 증가로, iPhone 평균 판매 가격 급등(AppleInsider)
- 기기당 평균 가격이 처음으로 1,000달러 돌파. 최근 분기에 판매된 iPhone 중 47%가 Pro 모델, 전년 동기간 38% 대비 상승
- https://buly.kr/44wZNGy

3) LGD, 5년만에 사무직 희망퇴직. "OLED 중심 인력 효율화"(파이낸셜뉴스)
- 책임급 직원 대상 희망퇴직 신청 받아. 기본급 30개월 치 분량의 퇴직 위로금과 학자금 지급
- https://buly.kr/6tah4P1

4) "퀄컴 칩 탑재한 갤S25 울트라, 전작보다 성능 30% 개선"(ZDNETKorea)
- IT매체 폰아레나에서 벤치마크 성능 테스트 결과 공개
- https://buly.kr/7QKy0mz

5) 갤럭시S25 플러스, 엑시노스 칩 탑재 가능성(ZDNETKorea)
- '엑시노스 2500칩 탑재' 갤S25 플러스, 벤치마크 사이트 긱벤치에 등장
- https://buly.kr/6tah4Ni

6) SKC 유리기판 시제품 제작 준비 중(헤럴드경제)
- 올해 상반기 완공된 공장, 모든 설비가 설치 완료. 고객사 인증용 시제품 제작 준비 중. 내년 고객사 양산 목표
- https://buly.kr/9t9ZkHq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6 Nov, 08:34


▶️ 심텍 2024년 영업실적 전망치 수정

정정 전: 매출액 1조 3,430억원, 영업이익 814억원
정정 후: 매출액 1조 2,069억원, 영업적자 505억원

이에 기반한, 4Q24 실적 전망치는
매출액 2,765억원, 영업적자 397억원

▶️ 영업실적 전망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6900290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조재원,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6 Nov, 08:34


▶️ 심텍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3,248억원, 영업이익 5억원(opm 0.2%), 당기순이익 214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3,235억원, 영업이익 124억원, 당기순이익 187억원)

▶️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690028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조재원,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6 Nov, 08:19


중국 비전옥스와 티엔마가 올해 삼성전자에 스마트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납품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미즈호는 지난달 하순 펴낸 '디스플레이 산업과 소비가전 2024년 이후 수요와 공급망 전망' 보고서에서 이처럼 밝혔다. 올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OLED 수요량은 1억6320만대로 추정됐다. 삼성디스플레이 물량이 1억5900만대(97%)로 절대적이다. 다음은 CSOT 220만대, 그리고 비전옥스와 티엔마가 각 100만대씩이다. BOE 물량은 없다. 티엔마는 과거 삼성전자 저가 스마트폰 갤럭시M 시리즈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6zj5KMQ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05 Nov, 22:31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1.6.)

1) 3Q24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전년 대비 11% 증가(Canalys)
- 11% 증가한 3,740만대 기록. 3개 분기 연속 성장. 개학 시즌 수요와 재고 축적 수요에 기인
- https://buly.kr/A44KMUo

2) 中 LCD 패널업체, 의도적인 생산 중단으로 가격 안정화(전자신문)
- 일반적으로 국경절에 1~2일 공장 가동을 멈췄던 것과 달리 올해는 1~2주 가동 중단. 4분기 LCD 패널 공장 가동률은 78%로, 전분기 대비 7%P 하락 전망
- https://buly.kr/7bFid5y

3) SDC, 8.6세대 IT OLED 양산 계획 2025년으로 앞당겨(Digitimes)
- 삼성전자 노트북 제품에 먼저 적용될 예정
- https://buly.kr/CntQqE

4) 광군절과 GenAI가 4분기 스마트폰 판매 촉진할 전망(Digitimes)
- 애플의 4분기 매출 성장률은 약간 둔화될 것으로 전망
- https://buly.kr/6XlAkEr

5) 삼성전자·LG전자, 내년 TV OS 확대. 보급형 라인업도 늘릴 듯(전자신문)
- 2025년 TV 사업 핵심 키워드로 'TV OS 확대' 제시. 삼성은 네오QLED와 QLED에 중보급형 모델 추가 계획. 글로벌 TV 제조사로 TV OS 공급 확대하는 방안도 타진
- https://buly.kr/7x5Ean6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7 Oct, 22:41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0.28.)

1) 3Q24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3.2% 성장(IDC)
- 전년 대비 3.2% 증가한 6,880만대 기록, 4분기 연속 성장. Vivo는 전년 대비 22% 성장하며 점유율 1위 유지. Apple은 2위 수성. Huawei는 전년 대비 42% 성장하며, 3위 차지
- https://buly.kr/6Xl7Aie

2) 2025년 글로벌 IT 지출, 9.3% 증가 예상(Gartner)
- GenAI 지출을 중심으로 한 서버 판매가 급증할 전망. 데이터센터 지출은 전년 대비 16% 성장 전망
- https://buly.kr/B7YozAq

3) 'LTPO·슬림'아이폰17 OLED, 삼성·LG가 맡는다(전자신문)
- 애플, 아이폰17 시리즈 전 모델에 LTPO 패널 적용 예상. SDC는 아이폰17 전 모델, LGD는 슬림과 프로 모델 담당할 전망
- https://buly.kr/4xWIefp

4) 갤럭시S25 울트라, 더 비싼 OLED 패널 쓸까. 전망 엇갈려(ZDNETKorea)
- "M14 신소재 쓸 것" vs "전작 M13 소재 쓸 것". 퀄컴 스냅드래곤 탑재 및 메모리 용량 증가 등으로 인한, 비용 절감 문제가 관건
- https://buly.kr/9t9W7bS

5) 보급형 iPad, 2025년 초 업데이트 예정(AppleInsider)
- https://buly.kr/5q65YmT

6) PlayNitride 회장, 마이크로 LED 비용이 2030년까지 매년 50% 감소할 것이라 언급(Digitimes)
- https://buly.kr/DwCwgOK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4 Oct, 22:46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G전자 [BUY, TP 140,000원]

   : 밸류에이션 매력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고무적

1) 3Q24 영업이익 7,519억원, 사업부별 세부 실적 발표

   3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2조원(+2% QoQ, +11% YoY), 영업이익 7,519억원(-37% QoQ, -25% YoY) 기록

   LG이노텍을 제외한 단독 영업이익은 6,202억원(-41% QoQ, -20% YoY)으로, 추정치(6,132억원) 부합

   H&A(가전)는 프리미엄과 중저가 제품 모두 수요가 견조했으며, 매출액 증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운임비 증가 영향을 상쇄

   HE(TV)와 BS(IT/ID)는 LCD 패널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이 예상 대비 부진했으며, BS의 신사업 관련 비용도 수익성 압박 요인

   VS는 전기차 수요 둔화 및 SDV 관련 R&D 인력 증가로 영업이익 급감

2) 4Q24 영업이익 4,579억원, 연말 비용 확대 시기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5조원(+1% QoQ, -3% YoY), 영업이익 4,579억원(-39% QoQ, +46% YoY)전망

   LG이노텍 제외 시 매출액 16.5조원(+5% YoY), 영업이익 1,284억원(-79% QoQ, 흑전 YoY), opm 1% 예상

   가전 시장 내 점유율 확대 및 OLED TV와 webOS 중심의 TV 매출 확대 등 주요 사업부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한편 4Q는 연말 성수기를 맞아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는 시기임에 따라 전 분기 대비 수익성 하락 불가피

   다만 7월 이후 운임비 부담이 완화되었다는 점은 긍정적이며, 4Q23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 영향 또한 제거되며 전년 대비로는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

3)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고무적, 비수기 활용한 비중확대 추천

   동사는 최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2027년 ROE 10% 이상의 목표와 주주환원 정책 발표

   자사주 소각 및 추가 자사주 매입 검토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과 ㈜LG의 LG전자 주식 매입 계획 또한 주주가치 제고에 긍정적

   주가는 12개월 선행 P/B 0.8배로,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 수준. 동사는 2025년에도 B2B 매출 확대와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매출 확대를 중심으로 전방 시장의 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세 이어갈 전망

   4Q 비수기를 활용한 비중확대를 추천.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40,000원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014.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4 Oct, 22:40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0.24.)

1) Whirlpool, 실적 개선과 가이던스 재확인으로 주가 상승
- 매출액 39.9억 달러로 예측치 40.9억 달러에 부합. 전년 대비 19% 감소. 인력 조정을 포함한 비용 절감 전략으로, 순이익은 전년 대비 31% 증가. 어려운 시장 환경에도, EBIT 마진은 전분기 5.3%에서 5.8%로 개선
- https://buly.kr/Awe2uqw

2) 갤럭시S25 M13 OLED 탑재. 듀폰·UDC·덕산 소재 공급(전자신문)
- 삼성디스플레이, 갤럭시S25 OLED 소재와 부품들에 대한 주문 시작. 덕산네오룩스는 레드 프라임, HTL 공급 추정
- https://buly.kr/GvloGcq

3)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 가격 상승. 아이폰 가격 동결과 대비(Digitimes)
- 10~11월 사이 Vivo, Xiaomi, Oppo를 포함한 10개 이상의 플래그십 모델 공개 예정. 생산 비용 상승 등으로 많은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 확정. 가격 동결한 아이폰의 경쟁 우위 강화 기대
- https://buly.kr/B7YntkF

4) 중국 스마트폰 OEM, 모바일 사진 혁명을 일으키다(Counterpoint)
- 업계를 선도하는 카메라 사양을 앞세워 동남아시아 프리미엄 시장 선도. 1H24 동남아시아 프리미엄 세그먼트는 전년 대비 13% 성장
- https://buly.kr/5fBJUWN

5) 다음 출시될 iPad mini, OLED 탑재 전망 제기(AppleInsider)
- 출시 시점은 2026년으로 관측
- https://buly.kr/BTOJrTK

6) 솔루스첨단소재, 전북에 OLED 신규공장 착공. "2배로 확장 이전"(연합뉴스)
- 내년 말 준공 목표로, 이달 착공 돌입. 2026년 초 양산 시작 계획
- https://buly.kr/ESxCXMo

7) Japan Display, 중국 지방 정부와 OLED 패널 공장 건설을 위한 협상 중단(NikkeiAsia)
- https://buly.kr/44wUfFp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4 Oct, 05:01


(유가)LG전자 - [기재정정]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024800186
2024-10-2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Oct, 22:50


LG디스플레이 [BUY, TP 14,000원(하향)]

   : 과거는 잊어줘요

1) 3Q24 영업이익 -806억원, 일회성 비용 제외 시 흑자전환

   3Q24 연결 매출액 6조 8,213억원(+2% QoQ, +43% YoY), 영업이익 -806억원(적자지속 QoQ/YoY)으로, 시장 기대치(-962억원) 상회

   모바일 POLED 및 TV OLED 패널 출하량 성장에 힘입어 실적 개선 지속. 그러나 당사 추정치(-530억원)는 하회했는데, 이는 태블릿 OLED를 포함한 IT 패널 출하가 계획 대비 부진했기 때문

   최근 시장조사기관 DSCC는 올해 아이패드 OLED 패널 출하량 전망치를 기존 1,000만대 → 670만대로 하향한 바 있음

   한편 기존 예상과 같이 희망퇴직 관련 일회성 비용이 약 1,800억원 반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제외 시 약 1,000억원 수준의 영업 흑자를 기록했을 것

2) 4Q24 영업이익 3,224억원, 4Q21 이후 최대 실적 전망

   4Q24 연결 매출액 7.7조원(+12% QoQ, +4% YoY), 영업이익 3,224억원(흑자전환 QoQ, +145% YoY)으로, 모바일 패널의 계절적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4Q21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

   그러나 시장 기대치(4,168억원)는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전분기에 이어 IT OLED 패널의 출하가 부진한 영향. 아이패드 수요 부진을 반영하여 2H24 동사의 IT OLED 패널 출하량을 기존 대비 42% 하향 조정

   한편 동사의 2H24 모바일 OLED 패널 출하량은 아이폰 16 수요 부진 우려에도 불구하고 예상치를 상회하고 있으며, 전사 실적 개선을 주도할 전망

3) 달라진 체질, 마땅한 재평가 필요

   2024년은 모바일 및 Auto 사업부의 흑자 전환, OLED TV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 등 사업구조 고도화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

   더불어 최근 추진한 LCD TV 공장 매각 및 인력 효율화를 기반으로 2025년부터 더욱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갖출 전망

   이를 반영한 2025년 실적은 매출액 27.9조원(+6% YoY), 영업이익 6,783억원(흑전 YoY)으로, 시장 기대치(5,901억원) 상회 예상

   주가는 2025년 P/B 0.8배로, 사업 구조 변화에 대한 리레이팅이 필요하다는 판단

   실적 추정치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14,000원으로 조정하나, 기업가치 재평가를 기대하며 비중확대 추천.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009.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Oct, 22:39


LG이노텍 [BUY, TP 230,000원(하향)]

   : 경쟁 심화 리스크 부각

1) 3Q24 영업이익 1,304억원, 시장 기대치 하회

   3Q24 연결 매출액 5조 6,851억원(+25% QoQ, +19% YoY), 영업이익 1,304억원(-14% QoQ, -29% YoY), opm 2.3%로, 시장 컨센서스(2,577억원) 크게 하회

   광학솔루션은 원/달러 환율이 예상치를 하회했고, 폴디드줌 중심으로 카메라 모듈 경쟁이 심화되며 ASP 하락

   기판소재 사업부는 반도체 기판의 북미 고객사향 신제품 공급 효과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소재 부문이 LCD 라인 가동률 축소 및 중국산 포토마스크 공급 확대 등으로 인해 부진

   전장 부품은 전기차 등 전방 수요 둔화와 평택 공장의 생산 효율화를 위한 일회성 비용이 맞물리며 예상치 하회

2) 4Q24 영업이익 3,255억원, 경쟁 심화 리스크 지속

   4Q24는 연결 매출액 6조 2,122억원(+9% QoQ, -18% YoY), 영업이익 3,255억원(+150% QoQ, -33%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4,521억원) 하회할 전망

   아이폰 16 출시 효과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실적 성장이 예상되나, 3Q에 일부 카메라 모듈 수요가 선반영되며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예년 대비 제한적일 것. 더불어 전분기에 이어 점유율 확보를 위한 가격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

   한편 반도체 기판은 중화권 세트 업체향 수요 확대와 FC-BGA 신규 공급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되며, 전장 부품은 연말 재고 조정 영향으로 하락할 전망

   2024년 실적은 매출액 20.8조원(+1% YoY), 영업이익 7,836억원(-6% YoY)으로, 전방 수요 부진 및 하반기 경쟁 심화에 따른 역성장 예상
   
3) 밸류에이션 매력 두드러지나, 성장 돌파구 필요

   주가는 12개월 선행 P/E 9.6배, P/B 0.9배로, 실적 부진 리스크를 반영

   우려했던 공급 경쟁 심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2025년 아이폰 수요 개선이 전망됨에도 동사의 실적은 매출액 20.1조원(-3% YoY), 영업이익 6,730억원(-14% YoY)로 역성장 예상

   고사양 제품 내 견고한 점유율 및 신사업 실적 등이 가시화될 시 실적 눈높이는 상향될 전망

   목표주가 230,000원으로 하향, 투자의견 Outperform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008.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Oct, 22:34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0.24.)

1) 궈밍치, 애플이 iPhone16 주문을 1,000만대 줄였다고 언급(CNBC)
- 2H24 iPhone16 생산량은 8,400만대로 추산. 당초 전망치인 약 8,800만대에서 감소. 1Q25 생산량 추정치는 4,800->4,500만대, 2Q25 생산량 추정치는 4,100->3,900만대로 하향
- https://buly.kr/EI2RBoz

2) 애플, Vision Pro 생산 대폭 축소, 조만간 전면 중단 가능성도 제기(AppleInsider)
- 헤드셋 조립을 담당하는 Luxshare는 생산량을 절반으로 줄여, 하루 약 1,000대 생산. 11부터는 생산 중단 가능성도 관측. 올해 비전프로 판매량은 40만~45만대 가량으로 추산되는데, 약 20만대의 헤드셋 재고가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
- https://buly.kr/FsHG1E3

3) 애플의 저가형 iPad와 MacBook Air 등은 2025년 초에 업데이트 예정(AppleInsider)
- https://buly.kr/2UhfTIK

4) 삼성 노태문 "갤S24 판매 호조. 올해 매출 성장 예상"(조선비즈)
- 갤럭시 S24 시리즈 판매 호조로 올해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
- https://buly.kr/1GIMbcq

5) 산업용 전기요금 10% 인상, 삼성전자 3500억 더 낸다(이투데이)
- 반도체-철강-디스플레이 등 전력 다소비 업종 직격탄 우려
- https://buly.kr/7x59sbN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Oct, 06:48


LG이노텍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5조 6,851억원, 영업이익 1,304억원(opm 2.2%), 당기순이익 1,050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5조 1,676억원, 영업이익 2,577억원, 당기순이익 1,907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292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3 Oct, 04:39


LG디스플레이 실적 발표

3Q24 매출액 6조 8,213억원, 영업손실 806억원(opm -1.2%), 당기순손실 3,381억원 기록

(컨센서스: 매출액 7조 2,662억원, 영업손실 962억원, 당기순손실 3,083억원)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163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Oct, 22:5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X세미콘 [BUY, TP 90,000원(하향)]

   : 주가 반등의 킥은 점유율 회복과 신사업

1) 3Q24 영업이익 251억원, 시장 기대치 부합할 전망

   3Q24 매출액 4,248억원(-12% QoQ, +3% YoY), 영업이익 251억원(-55% QoQ, +68% YoY)으로 시장 기대치(238억원) 부합할 전망

   Large DDI 매출액은 2,380억원(+1% QoQ, flat YoY) 예상. 2Q 중국 618 쇼핑 축제에 이어 3Q는 중국 정부가 가전제품 구매 시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이구환신 부양책’ 효과 및 10월 중국 국경절 연휴를 앞둔 재고 축적 수요가 반영될 전망

   Small DDI 매출액은 1,297억원(-33% QoQ, +5% YoY)으로, 동사의 점유율 하락 영향으로 인해 전 분기 대비 하락 예상

   동사의 주요 고객사 내 모바일 신제품용 DDI 점유율은 기존 100% → 50%로 큰 폭의 감소 예상. 3Q24 영업이익률은 6%(-6%p QoQ)로, 모바일 OLED DDI 매출 감소 영향이 나타날 것

2) 2025년, 점유율 회복과 신사업 방향성이 관건

   4Q24 매출액 4,810억원(+13% QoQ, -6% YoY), 영업이익 395억원(+58% QoQ, -41% YoY), opm 8% 전망

   매출액 및 수익성 모두 모바일용 DDI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개선이 예상되나, 점유율 하락 영향이 지속되며 전년 대비로는 하락할 것

   2025년은 매출액 1.9조원(+5% YoY), 영업이익 1,729억원(+4% YoY) 예상

   이는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LCD TV 공장 매각 영향 및 현재 수준의 모바일 DDI 점유율을 반영한 것으로, OLED DDI의 점유율 상승과 전장 부품 신사업 실적이 가시화 된다면 실적 눈높이는 상향될 전망

3) 주가는 12개월 선행 P/B 0.9배. 모멘텀 대기 구간

   동사의 주가는 OLED DDI의 경쟁 심화 우려가 반영되며 12개월 선행 P/E 7.5배, P/B 0.9배까지 하락

   향후 주가 반등의 트리거는 고객사 내 점유율 회복, 2H25 전장용 방열기판 공급, 2Q24부터 공급 중인 글로벌 XR 기기 고객사향 물량 확대 등이 될 것으로 판단

   2025년 실적 추정치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90,000원으로 하향, 투자의견 BUY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005.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Oct, 22:34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0.23.)

1) 중국 보조금 정책과 패널 생산 감축으로 10월 TV 패널 가격 보합세(TrendForce)
- 중국 보조금 정책으로 국경절 TV 판매 예상치 상회, 브랜드 업체들의 TV 패널 수요 지속. 65인치 이상 대형 패널들의 수요 급증. 모니터 패널은 비수기에 진입하면서 가격 하락 지속. 노트북 패널 가격은 아직 안정적이나, 4분기 가격 인하 압력은 잔존
- https://buly.kr/5q63kC7

2) '갤럭시Z' 부진에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 역성장 불가피(ZDNETKorea)
- 올해 폴더블폰용 OLED 패널 출하량 예상치 약 1,200만장으로 설정, 전년比 10% 감소 전망. 다만, 내년 폴더블폰용 OLED 패널 출하량 확대 계획. 삼성 폴더블 라인업 확대와 중국향 수요 확대에 기인
- https://buly.kr/5q63kF9

3)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폰SE 4세대'에 OLED 공급(데일리한국)
- BOE·LG디스플레이와 함께 패널 공급. 올해 하반기 아이폰16 시리즈 패널 공급량이 기대보다 적어, 이에 대한 보전적 성격이 있는 것으로 추정
- https://buly.kr/DPSdvLp

4) M4 Mac 업데이트, 10월 28일 경에 출시될 것으로 관측(AppleInsider)
- New Mac mini, 14인치 MacBook Pro, 16인치 MacBook Pro 업그레이드 예정
- https://buly.kr/4xWGqDW

5) LG전자 2027년 ROE 10% 목표, 자사주 소각·매입 검토(전자신문)
- 2030년 '7·7·7(연평균성장률·영업이익률 7%, EV·EBITDA 멀티플 7배)' 달성 목표 재확인. 배당 성향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25% 이상
- https://buly.kr/DaNOuDq

6) 삼성D, BOE 상대 美ITC 특허분쟁 1차 결론, 내달 나온다(THEELEC)
- 최종 결론은 내년 3월. 美 대통령 심사 후 최종 확정
- https://buly.kr/28s99E8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2 Oct, 08:07


(유가)LG전자 - 기업가치제고계획(자율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1022800424
2024-10-2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1 Oct, 22:42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0.22.)

1) 퀄컴, 'AI 전성비 45% 개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공개(전자신문)
- 3nm 공정 활용, '오라이온 CPU' 모바일 SoC 첫 적용. 전력 대비 AI 성능 45% 향상. CPU, GPU 전력 효율은 각각 44%, 40% 개선, 전반적인 전력 효율은 27% 향상
- https://buly.kr/2JmtlZW

2) 삼성 '갤럭시 Z 폴드 스페셜 에디션'으로 '폴더블 리더' 자존심 회복 나선다(TechM)
- 25일 국내 출시. 역대 시리즈 중 가장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 가장 넓은 대화면이 특징. '갤럭시 AI' 차별화로 시장 선도 예상. 279만원에 이르는 가격은 부담 요인
- https://buly.kr/jY4wGn

3) 인도, 2025년 이후 PC 수입 제한 계획. 애플이 가장 큰 타격(Digitimes)
- 국내 제조 촉직을 위해, 25년 1월부터 노트북, 태블릿, 개인용 PC 수입을 제한할 계획
- https://buly.kr/6ifqI1b

4) 한화이센셜, 전주도금 FMM 시제품 나온다. 車 OLED 시장부터 공략할 듯(Kipost)
- OLED용 FMM 양산을 위해 건설한 충남 아산공장 시험 가동 돌입. 다품종 소량 생산 시장인 자동차 OLED용 FMM부터 공략해 나갈 전망
- https://buly.kr/6BvZLbS

5) 中환리, 아너에 납품한 폴더블폰 힌지서 불량. KH바텍 반사이익?(THEELEC)
- 올해 갤럭시Z플립6용 힌지 물량 점유율 50%까지 상승. 내년 출시할 갤럭시Z플립7 물량에서도 퍼스트 벤더로 거론되었으나, 신뢰도 문제로 경쟁사에 기회가 될 전망
- https://buly.kr/4bgkVaw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0 Oct, 22:4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전기전자/디스플레이

   : 폴더블 아이폰, SCM 구축 움직임

1) 삼성디스플레이-애플, 폴더블 아이폰용 SCM 구축 움직임
   
   당사는 연내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의 스펙과 물량이 확정되고 서플라이 체인 구축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은 3Q26부터 양산 시작 후 1H27 출시될 것으로 예상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폴더블 아이패드가 먼저 출시될 가능성도 제기 되었으나, 당사는 올해 출시한 OLED 아이패드의 수요가 예상 대비 부진한 점과 아이폰의 폼팩터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폴더블 아이폰의 출시가 우선일 것으로 판단

   그간의 폴더블용 패널 양산 경험과 서플라이 체인의 안정화 등을 고려했을 때 삼성디스플레이가 초기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 공급을 독점할 가능성이 높으며, LG디스플레이는 차기 모델 혹은 이후 출시될 폴더블 맥북 생산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

2) 연내 서플라이 체인 확정 후 1Q25부터 투자 본격화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 출하량은 2H26 약 500~700만대, 2027년 약 1,500만대, 이후 1,500 ~ 2,000만대 이상 예상

   참고로 2023년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1,580만대 였으며, 폴더블 아이폰의 출시는 둔화되고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시장 성장을 다시 가속화 시킬 것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존 A3 라인에서 패널 전공정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 후공정 라인은 추가 보완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더불어 폴더블 아이폰의 예상 출하량과 전용 생산라인을 요구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관련 소재/부품 업체들의 증설도 필수적일 것

   현재 폴더블 아이폰용 서플라이 체인의 최종 테스트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며, 1Q25부터 후공정 장비 투자 및 소재/부품 업체의 증설이 본격화될 것으로 판단

3) 폴더블 아이폰향 예상 수혜 업체 주목

   과거 삼성디스플레이가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후공정 라인 투자를 집행했을 때 필옵틱스, AP시스템, HB테크놀러지, 로체시스템즈 등이 관련 장비를 공급

   해당 업체들은 반도체 유리기판용 장비 또한 개발 대응 중에 있어, 향후 유리기판 업체들의 신규라인 증설 수혜 기대

   더불어 소재/부품 업체 중에서는 기존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패널용 공급 업체인 파인엠텍, 세경하이테크, 덕산네오룩스의 수혜 예상.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152.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20 Oct, 22:35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10.21.)

1) 3Q24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9% 성장(Canalys)
- 전년 대비 9% 성장한 4,710만대 출하. Vivo 출하량 910만대, 점유율 19%로 1위. Xiaomi 780만대, 삼성 750만대 출하. 공급 업체들은 축제 수요 충족을 위해 적극적으로 출하했으나, 예상보다 약한 수요로 재고 상승 전망
- https://buly.kr/CB3KKZW

2) 애플 iPhone16 시리즈, 중국 판매량 20% 증가(AppleInsider)
- 출시 후 3주간 판매량, iPhone15 대비 20% 이상 판매 증가. Pro 모델 판매량은 전년 대비 44% 성장. 같은 기간 전체 iPhone 판매량은 전년 대비 2% 감소. 기존 모델 판매 감소와 경쟁 심화에 기인
- https://buly.kr/APtkWVL

3) Largan, 핸드셋 고객이 주문을 줄이고 있다고 언급. 4Q24 전망에 대해 신중한 입장 표명(Digitimes)
- https://buly.kr/7QKqqY4

4) 구글, Pixel 9 앞세워 역대 최대 스마트폰 판매 기록(Techopedia)
- 5월 Pixel 8a, 8월 Pixel 9 출시에 기인한 성과. 구글은 2023년 처음으로 연간 1,000만대의 Pixel 스마트폰 출하. 일본, 북미 지역에서 수요 확대
- https://buly.kr/DlI9A4c

5) TV시장 대세는 초대형. 삼성전자, 80형 이상 TV 판매 15% 늘어(전자신문)
- 국내 시장에서 3분기 누적 80형 이상 초대형 TV 판매량이 전년 대비 약 15% 증가. 98형 판매량은 전년 대비 약 50% 성장
- https://buly.kr/DPSdCTr

6) 삼성전자, 내년 100형대 TV 내놓는다(전자신문)
- 구체 라인업과 출시 시기 등은 아직 미정. 100형, 110형, 115형 가운데 새로운 모델을 선보일 전망. 중국이 주도하는 100형급의 '초초대형 TV' 경쟁에 진입
- https://buly.kr/5q631Q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 Oct, 22:4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LS에코에너지 [BUY, TP 36,000원(상향)]

   : 전력이 곧 힘이다

1) 3Q24 영업이익 125억원, 시장 기대치 부합

   3Q24 매출액 2,234억원(-4% QoQ, +33% YoY), 영업이익 125억원(-15% QoQ, +14% YoY)으로 시장 기대치(123억원) 부합

   LS-VINA는 베트남 내수 경기 회복과 함께 초고압 케이블 수주 확대 및 배전 물량이 증가하며 전년 대비 실적 성장 지속

   LSCV는 베트남 전력인프라 시장의 회복 및 북미향 통신 케이블(UTP) 판매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높은 성장세 기록. 특히 지난해부터 UTP 실적 증가가 지속되고 있는데, 북미 데이터센터향 중심의 수요 확대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

   특히 기존에는 수익성이 낮은 CAT.5 제품 중심으로 판매했으나, 최근에는 전송 속도와 대역폭을 높인 CAT.6와 CAT.7 판매 확대 중. 이에 힘입어 올해 UTP는 매출액 +28% YoY,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전사 영업이익 내 비중이 20%를 상회할 전망

2) 실적 눈높이 상향. 내년 희토류 및 해저케이블 모멘텀 주목

   4Q24 매출액 2,385억원(+7% QoQ, +19% YoY), 영업이익 130억원(+4% QoQ, +80% YoY)으로, 전분기에 이어 베트남 및 유럽향 초고압 케이블과 북미향 UTP 중심의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이를 반영한 2024년 매출액 8,744억원(+20% YoY), 영업이익 500억원(+69% YoY)로, 당초 기대치(매출액 7,490억원, 영업이익 334억원)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판단

   2025년은 매출액 9,513억원(+9% YoY), 영업이익 585억원(+17% YoY)으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전망

   2025년에도 베트남 제8차 국가전력개발계획 및 AI 데이터센터 등의 수혜에 힘입어 전력 및 통신케이블의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될 것

   더불어 그간 준비해온 희토류 실적이 본격화되고, 해저케이블 투자 계획이 가시화되며 중장기 성장 모멘텀 강화될 것으로 판단

   특히 AI발 전력 수급난으로 인해 해상 풍력의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 향후 동사의 해저케이블 신사업 착수와 함께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

   실적 및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36,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099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