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신년 여론조사(리서치앤리서치)]
- 조사기간 : 12/28-29(토-일)
- 조사방법 : 전화면접(무선 100% / RDD)
- 조사대상 : 만18세 이상 전국 남녀 1,000명
(보수진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 유승민 10.7%, 홍준표 8.5%, 한동훈 8.2%, 오세훈 7.6%, 이준석 4.9% 등의 順
· 보수층 : 홍준표 15.5%, 한동훈 15.3%, 오세훈 13.9%, 유승민 5.4% 등의 順
· 중도층 : 유승민 13.2%, 한동훈 8.1%, 홍준표 7.5%, 오세훈 6.6% 등의 順
(진보진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 이재명 39.4%, 김동연 8.5%, 우원식 5.7%, 김부겸 2.9% 등의 順
· 진보층 : 이재명 62.4%, 우원식 6.9%, 김동연 5.7%, 김부겸 1.0% 등의 順
· 중도층 : 이재명 41.9%, 김동연 9.9%, 우원식 7.6%, 김부겸 2.7% 등의 順
(차기 대통령 적합도)
- 이재명 39.5%, 홍준표 8.9%, 오세훈 8.7%, 한동훈 8.0% 등의 順
· 중도층 : 이재명 38.6%, 홍준표 8.0%, 오세훈 5.8%, 한동훈 5.8% 등의 順
(대통령 선거 시 양자대결 ① : 이재명 vs. 한동훈)
- 이재명 48.0%, 한동훈 16.7%, 이중엔 없음 23.6%, 잘 모름 11.7%
· 중도층 : 이재명 50.2%, 한동훈 13.0%
(대통령 선거 시 양자대결 ② : 이재명 vs. 홍준표)
- 이재명 47.6%, 홍준표 20.5%, 이중엔 없음 19.9%, 잘 모름 12.0%
· 중도층 : 이재명 50.3%, 홍준표 17.0%
(대통령 선거 시 양자대결 ③ : 이재명 vs. 오세훈)
- 이재명 48.7%, 오세훈 21.9%, 이중엔 없음 20.0%, 잘 모름 9.4%
· 중도층 : 이재명 49.9%, 오세훈 15.9%
(대통령 선거 시 양자대결 ④ : 이재명 vs. 이준석)
- 이재명 46.9%, 이준석 11.8%, 이중엔 없음 26.5%, 잘 모름14.8%
· 중도층 : 이재명 46.6%, 이준석 12.8%
(차기 대통령 해결 과제)
- 경제 42.6%, 국정안정 27.1%, 갈등조정 11.1%, 외교안보 6.8%, 도덕성 6.2% 順
(경제분야 일을 가장 잘할 것 같은 인물)
- 이재명 37.7%, 오세훈 9.4%, 홍준표 7.3%, 김동연 7.1%, 한동훈 4.4% 등의 順
(국정안정 가장 잘할 것 같은 인물)
- 이재명 36.3%, 홍준표 9.6%, 오세훈 7.8%, 우원식 7.3%, 한동훈 6.7% 등의 順
(갈등조정 가장 잘할 것 같은 인물)
- 이재명 28.1%, 우원식 11.6%, 오세훈 7.5%, 홍준표 6.7%, 한동훈 5.7% 등의 順
(도덕성 측면에서 가장 나은 인물)
- 이재명 20.9%, 우원식 10.5%, 오세훈 9.2%, 한동훈 8.3%, 안철수 7.4% 등의 順
(외교안보분야 일을 가장 잘할 것 같은 인물)
- 이재명 35.9%, 홍준표 10.4%, 오세훈 7.6%, 한동훈 6.8%, 유승민 3.2% 등의 順
(헌법재판소, 尹대통령 탄핵 심판)
- 인용돼야 70.4%, 기각돼야 25.4%, 잘 모름 4.2%
(尹대통령 하야 여부)
- 하야해야 70.8%, 하야하지 말아야 26.1%, 잘 모름 3.1%
(비상계엄 내란죄 적용 여부)
- 적용돼야 67.2%, 적용하지 말아야 27.8%, 잘 모름 5.0%
(반국가세력 척결 위해 계엄했다는 주장)
- 비동의 68.7%, 동의 28.25, 모름 3.1%
(부정선거 의혹 해소 위해 계엄 필요했다는 주장)
- 비동의 72.3%, 동의 23.5%, 모름 4.2%
(尹대통령 수사·심판 협조 거부)
- 협조해야 80.3%, 협조할 필요 없음 15.7%, 잘 모름 4.0%
(내란 특검 찬반)
- 찬성 67.7%, 반대 27.7%, 잘 모름 4.7%
(김건희 특검 찬반)
- 찬성 76.5%, 반대 17.9%, 잘 모름 5.6%
(한국경제 시급 과제)(중복응답)
- 물가 안정 59.6%, 경제성장세 회복 53.6%, 환율 안정 51.8%, 양질 일자리 28.1%, 집값 안정 26.4% 등의 順
(2026학년도(내후년) 의대 증원)
- 2000명 증원해야 19.8%, 규모 줄이되 증원해야 54.9%, 과거 정원대로 유지해야 14.6%, 과거 정원보다 줄여야 2.4% 順
(의료공백 사태 장기화 책임)
- 정부 책임 더 큼 29.3%, 의료계 책임 더 큼 23.3%, 양쪽 다 책임 46.4%
(정당 지지도)
- 더불어민주당 38.2%, 국민의힘 27.0%, 조국혁신당 9.7%, 개혁신당 3.5% 등의 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