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WATCH(deal, news) @mnawatch Channel on Telegram

M&A WATCH(deal, news)

@mnawatch


인수/합병/매각 딜 소식, 정책, 인사이트

M&A WATCH(deal, news) (Korean)

M&A WATCH(deal, news) 채널은 인수/합병/매각에 관련된 다양한 딜 소식, 정책,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M&A(인수 및 합병)에 관심 있는 개인 및 기업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최신 소식 및 동향을 신속하게 전달합니다. 또한, 채널 관리자들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련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하여 구독자들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M&A WATCH(deal, news) 채널은 M&A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된 비즈니스 결정을 돕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M&A WATCH(deal, news)

19 Feb, 01:06


마스턴투자운용은 마스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 제98호로 보유 중인 두산타워의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투자증권을 결정했다.

두산타워는 채권단 관리에 들어간 두산그룹이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2020년 마스턴투자운용에 매각한 오피스·쇼핑몰 복합시설이다.

한국투자증권이 제시한 인수가액은 9000억원대 초반 선으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45747

M&A WATCH(deal, news)

18 Feb, 02:36


자고 일어나니 최대주주
——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갖춘 인스파이어는 인천국제공항 인근에 1275실의 5성급 럭셔리 호텔 3개 동을 비롯해 1만5000석 규모의 국내 최초 공연 전문 아레나, 유리돔 형태의 실내 워터파크 등 엔터테인머트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코네티컷에 본사를 둔 프리미엄 복합리조트 개발·운영기업 모히건사가 100% 출자해 지난 2023년 11월 개장한 인스파이어 리조트는 글로벌 투자사 베인캐피탈과의 대출 약정 등을 지키지 못해 경영권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2171854529920

M&A WATCH(deal, news)

17 Feb, 09:31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종결… 예림당, 대명소노에 지분 팔고 나간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4584?sid=101

M&A WATCH(deal, news)

17 Feb, 09:23


웅진은 지난해 말부터 사모펀드 운용사 VIG파트너스의 프리드라이프 지분 전량을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해 왔다. 최근 가격조건 등에 관한 1차 합의에 도달했고, 이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웅진은 프리드라이프 실사를 진행한 후 5월 본계약을 체결하는 등 거래를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체적인 매각 금액은 실사 및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4621?sid=101

M&A WATCH(deal, news)

15 Feb, 00:41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UCK파트너스가 ‘설빙’ 인수금융 자본구조재조정(Recaptalization·리캡)을 검토 중이다. 인수금융을 처음 빌릴 당시보다 기준금리가 낮아진 만큼 차입금리를 낮추고, 리캡을 통해 출자자(LP)들에게 중간 배당을 진행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UCK파트너스는 복수의 증권사와 설빙 인수금융 리캡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리캡은 복수의 증권사가 먼저 UCK파트너스 측에 제안하면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캡 규모는 선순위 텀론(Term-Loan)과 한도대출(RCF)을 포함해 약 800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금리는 5%대 중후반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5/02/12/MXV3SKMNCZABXMLD43KTLBXQZ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M&A WATCH(deal, news)

14 Feb, 11:00


기사가 삭제되어 다른 기사로 대체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44096?sid=101

M&A WATCH(deal, news)

14 Feb, 11:00


[에스엠] 키이스트 보유지분 370억원에 매각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M엔터테인먼트는 손자회사인 키이스트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청담인베스트먼트·KNT인베스트먼트를 선정했다.

대상은 지분 33.71%로, 주당 가격은 5,000원 대로 알려졌다. 매각 주관사는 딜로이트안진이다.

배우 김서형과 배정남, 한선화 등이 소속된 엔터테인먼트 기업 키이스트가 370억 원에 매각된다.

SM엔터테인먼트는 이번 매각을 기점으로 SM C&C 등 음악 외 비핵심 계열사 정리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 참고로 키이스트의 오늘(2/14) 종가는 4,205원, 시가총액은 822억원입니다.

https://naver.me/xrSpyRrT

M&A WATCH(deal, news)

12 Feb, 23:03


HS효성첨단소재가 인수 후보군을 극도로 제한함에 따라 복수의 외국계 PE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대표적으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과 칼라일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IB 업계 관계자는 “HS효성 측이 ‘아무에게나 팔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폴리에스테르(PET) 타이어코드 글로벌 1위 업체인 만큼 기업가치를 충분히 인정받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9736?sid=101

M&A WATCH(deal, news)

12 Feb, 08:45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수처리·폐기물 자회사인 리뉴어스 지분 75%와 매립장 매립 자회사인 리뉴원 지분 100%를 매각하기 위해 국내외 주요 사모펀드(PEF) 등과 접촉하고 있다. 예상 매각가는 2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11월 리뉴어스를 어펄마캐피털로부터 1조500억원에 인수했다. 2022년까지 대원그린에너지, 새한환경 등 폐기물 매립 자회사 8곳을 8256억원에 인수한 뒤 리뉴원으로 합병했다. 하지만 연간 이자가 3200억원에 달할 정도로 차입금이 급격히 늘자 매각을 결정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3389?sid=101

M&A WATCH(deal, news)

11 Feb, 23:23


퓨리오사AI는 데이터센터 서버에 들어가는 AI 추론 연산 특화 반도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자체 생산 설비는 없이 설계만 하는 이른바 팹리스 업체다.

퓨리오사AI는 2017년 설립돼 2021년 첫 번째 AI 반도체인 워보이(Warboy)를 공개했고, 지난해 8월에는 차세대 AI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를 발표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06981?sid=101

M&A WATCH(deal, news)

11 Feb, 13:54


한화는 구본성 전 부회장, 구미현 회장을 비롯한 4명의 주주로부터 아워홈 주식 58.62%를 사들이기로 했다. 인수 가격은 주당 6만5000원으로 약 8700억원이다. 한화는 우선 아워홈 주식 50.62%를 사들여 경영권을 확보하고 구본성 전 부회장이 갖고 있는 8%의 주식을 2년 내에 매입하는 단계적 인수를 하기로 했다. 한화는 재무적 투자자인 사모펀드 운용사 IMM크레딧앤솔루션과 함께 이달 중에 아워홈 인수를 위한 회사(우리집에프앤비)를 설립하기로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87390?sid=101

M&A WATCH(deal, news)

10 Feb, 05:47


런던베이글뮤지엄 매각설은 지난해부터 불거졌는데 여전히 매각 측과 인수 측이 몸값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측인 엘비엠은 기업가치로 3000억원대를 원하고 있다. 회사는 2023년 기준 매출액 360억원, 영업이익 126억원, 당기순이익 113억원을 올렸다.

엘비엠은 지난해 기준 상각전영업이익(EBITDA)으로 200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억원의 EBITDA를 기록해도 EV/EBITDA 기준 15배로 몸값이 높은 수준이다. 통상 식음료(F&B) 업종의 EBITDA 배수는 10~12배로, 한창 몸값이 비쌀 때 14~15배를 형성했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5/02/10/UUWXI7LWFZDW5H5IAULRWEB5VM/?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M&A WATCH(deal, news)

10 Feb, 02:21


예보는 MG손해보험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포기할 경우 청·파산을 포함한 정리 대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MG손보가 실제 청산 절차를 밟게 되면 MG손보 보험계약자 124만 명에 피해가 갈 수 있다. 보험회사가 청산되더라도 보험계약자는 예금자보호법상 5000만 원까지 해약환급금을 보장 받는다. 하지만 이를 초과하는 금액은 손실을 볼 수 있다. 또 실손보험 등은 기존 보험과 같은 조건으로 다른 보험사에 재가입이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청산절차로 갈 경우 600여명의 MG손보 임직원은 일자리를 잃게 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310951?sid=101

M&A WATCH(deal, news)

09 Feb, 10:05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재무적투자자(FI)인 사모펀드 어펄마캐피탈과의 주식매수청구권(풋옵션) 분쟁에서 승기를 거머쥐었다. 교보생명의 풋옵션 가격이 당초 어펄마가 제시했던 가격의 절반 수준으로 정해지면서, 지분을 되사야 하는 신 회장의 부담이 예상보다 작아진 것이다.

이번 가격 결정은 신 회장의 다른 FI인 어피너티컨소시엄(어피니티·IMM프라이빗에쿼티·EQT파트너스·싱가포르투자청)과의 풋옵션 분쟁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40757

M&A WATCH(deal, news)

08 Feb, 04:44


대형 부동산 시행사 관계자는 “이제는 마트나 백화점 부지 매입을 보수적으로 보는 편”이라며 “장사가 안되는 마트나 백화점이라고 할지라도 주민 민원이 예상보다 거센 편이고, 오피스텔이라도 지으려고 하면 주민 반대가 더 심하다”고 했다. 다른 시행사 관계자도 “용도변경 인허가 문제부터 복잡해 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시행사 입장에서 시간지연은 가장 큰 위험 요소”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1640?sid=101

M&A WATCH(deal, news)

07 Feb, 03:35


[단독] 비욘드뮤직, '카카오엔터 자회사' IST엔터 인수

■ 음원 IP 전문 투자회사 ‘비욘드뮤직’,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산하 음악 레이블 IST엔터테인먼트를 인수


- 비욘드뮤직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한 IST엔터테인먼트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확정

- IST엔터의 음악 IP가 지닌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인수를 단행한 것으로 보임

IST엔터테인먼트는?

- 21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산하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와 크래커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해 출범

- 에이핑크, 허각, 빅톤, 더보이즈 등을 성공시켰고, 위클리, ATBO 등 데뷔

- 현재는 에이핑크 정은지, 위클리, ATBO가 잔류


비욘드뮤직은?

- 음원 IP를 사들여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의 회사

- 21년 LF그룹으로부터 KNC뮤직을 인수하며 IP 확보에 시동. 이후 유명 드라마 OST를 다수 보유한 FNC인베스트먼트와 인터파크 음악사업부도 인수

- 3만곡 이상의 음악 IP를 보유

- 다만, 비욘드뮤직은 아티스트를 직접 발굴하고 개발하는 등 매니지먼트를 해오진 않음

- IST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 개발/ 매니지먼트 등은 전략적 파트너인 콘텐츠테크놀로지스와 제휴해 운영하는 것으로 가닥

M&A WATCH(deal, news)

06 Feb, 14:09


F&F는 테일러메이드 경영권 확보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 테일러메이드의 기업가치가 인수 당시보다 크게 상승한 점이 변수로 작용한다. F&F가 경영권 인수에 필요한 현금 규모와 현재 보유한 현금성자산을 고려했을 때 F&F가 경영권 인수를 위한 자금조달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39740?sid=101

M&A WATCH(deal, news)

06 Feb, 01:45


이번 사례는 여전업계 최초로 해외 신용등급 없이 순수 국내 신용등급(NICE신용평가/한국신용평가 기준 A+/Stable)만으로 성사된 해외 자금조달이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 조달 금리 역시 국내 회사채 발행 금리 수준으로 이뤄져 실익도 챙겼다는 것이 시장의 평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37530?sid=101

M&A WATCH(deal, news)

06 Feb, 01:10


대명소노그룹 지주사인 소노인터내셔널이 최대 5000억원 규모의 프리(pre)-IPO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증권사 두 곳을 대상으로 교환사채(EB)와 전자단기사채를 발행하기로 한 것이다. 소노인터내셔널은 빠르면 올해 하반기 중 기업공개(IPO)에 착수하기로 했는데, 이때 신주를 발행해 5000억원을 전액 상환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51638

M&A WATCH(deal, news)

04 Feb, 23:08


HPSP의 대주주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와 매각주관사 UBS는 연휴 직후 예비입찰을 실시해 MBK파트너스 등 약 5곳의 인수 적격후보(숏리스트)를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측은 조만간 두 달 간의 실사를 거친 뒤 올 4월 본입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실사는 가상데이터룸(VDR)을 통해 이뤄질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6680?sid=101

M&A WATCH(deal, news)

04 Feb, 14:52


베센트 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우리는 내년까지 국부펀드를 설립할 것"이라며 "미국의 자산 측면을 현금화하여 미국 국민에게 혜택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국부펀드는 연방준비제도나 재무부와는 별도로 운영될 예정이며 아직 이를 위한 자금 출처 등은 아직 불분명하다. 또한 국부펀드의 설립은 의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52163?sid=104

M&A WATCH(deal, news)

03 Feb, 07:58


매그나칩은 경북 구미 공장에서 TV, 스마트폰에 쓰이는 디스플레이구동칩(DDI), 차량용 전력반도체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반도체 전문기업이다. 매각 측은 두 사업 중 DDI 사업 부문만 우선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매그나칩 주가는 2022년 매각 당시 주당 30달러에 달했지만 최근 4달러 수준으로 급락했다. 시총 기준으로 2200억원에 불과하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하면 인수 가격은 3000억~4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중국 기업으로의 매각이 사실상 막혀 있어 이번 매각에서도 국내 기업과 PEF를 대상으로 원매자 물색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는 LX그룹이 꼽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8434?sid=101

M&A WATCH(deal, news)

03 Feb, 07:57


송현인베스트먼트는 2012년 설립된 중견 VC로 그동안 파두, 클로버추얼패션, 쏘카, 대성하이텍, 한국토지신탁, 신영 등 다양한 기업에 투자해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투자 환경이 악화하면서 신규 투자 확대가 어려워졌고, 무궁화신탁의 자본금 확충 실패가 겹치면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었다.

어려운 가운데에도 송현인베스트먼트는 작년 7월 200억원 규모 ‘송현-바로 스마트워터 지역혁신 투자조합’ 펀드를 결성하면서 재도약에 성공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33926642043296&mediaCodeNo=257&OutLnkChk=Y

M&A WATCH(deal, news)

02 Feb, 02:49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VIG파트너스가 카카오모빌리티 경영권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다만 VIG파트너스는 내부 스터디 내용이 외부로 유출되면서 과다 해석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VIG파트너스 관계자는 "전혀 진행되는 부분이 없다"고 반박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최대주주는 지분 57.2%를 가진 카카오다. 2대주주는 미국 사모펀드 운용사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이 설립한 카키홀딩스이며 칼라일그룹은 킬로미터홀딩스를 통해 6.17%를 보유하고 있다. 그외 주요주주로는 지분 5.34%를 소유한 한국투자증권과 오릭스PE 컨소시엄이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63142?sid=101

M&A WATCH(deal, news)

31 Jan, 09:31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가 SK그룹 계열사 티맵모빌리티로부터 서울공항리무진을 인수한다. 인수 금액은 580억원으로 정해졌다.

SK 측은 서울공항리무진과 함께 인수했던 ‘공항리무진’도 묶어서 매각하길 원했으나, 이는 이루지 못했다. 대부분의 노선이 서울 강남의 업무지구와 주요 상권을 관통하는 서울공항리무진과 달리 강남권을 지나는 노선이 별로 없는 공항리무진은 스틱이 보기에 매력적인 매물은 아니었을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해석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0187?sid=101

M&A WATCH(deal, news)

30 Jan, 05:36


MBK·광장 직원들, 공개매수 업무하며 수십억원 부당이득 취해 덜미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5/01/30/TIAUSFKUHVG3NPLI3GWJTR6WKY/

M&A WATCH(deal, news)

29 Jan, 11:00


리캡 배경으로는 지속적으로 호실적을 달성해온 점이 꼽힌다. 2023년 설빙의 매출액과 순이익은 261억원, 101억원이다. 전년 255억원, 81억원 대비 소폭 늘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도 2022년 105억원에서 2023년 114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도 전년 대비 10%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미국과 호주, 일본,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5개국에 진출한 상황인데, 미국의 경우 최근 현지 법인 설립에 드라이브를 거는 상황으로 현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1161036162720106271

M&A WATCH(deal, news)

27 Jan, 06:09


CNBC 방송에 따르면 이날 퍼플렉시티가 합병 제안서 수정안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측에 전달했다. 수정안에는 향후 퍼플렉시티와 틱톡 미국 법인을 결합하는 새로운 법인을 설립해 기업공개(IPO)를 할 때 미국 정부가 새 법인의 지분을 최대 50% 소유하도록 하는 방안이 담겨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4513?sid=104

M&A WATCH(deal, news)

26 Jan, 03:18


업계에서는 이례적인 M&A라고 평가한다. LVMH가 탐내기에는 규모가 매우 작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운영되는 단 13개의 매장. 의도적으로 제한하는 판매량. 데님에 한정된 사업 영역. 이미지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확대하지 않는 유통망. 캐피탈의 매출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LVMH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점들이 LVMH의 인수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됐다. LVMH는 마니아층이 확고한 ‘컬트 브랜드’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컬트 브랜드는 불황,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등과 상관없이 수요가 유지되는 명품만큼 많은 팬덤을 거느린다. 캐피탈 역시 고객이 자신의 정체성을 브랜드와 연결시킬 만큼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LVMH가 ‘일본의 작고 소소한 브랜드’에 꽂힌 이유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1158959b

M&A WATCH(deal, news)

25 Jan, 08:56


CVC캐피탈파트너스가 국내 컬러렌즈 1위 브랜드 오렌즈를 인수한다. 지난해 9월 국내 피부미용 의료기기 업체 파마리서치에 2000억원을 투자한 이후 K-뷰티 산업에 활발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30338?sid=101

M&A WATCH(deal, news)

24 Jan, 00:35


이번 인수는 소시어스의 이병국 대표가 추진했다. 산업은행에서 인수합병(M&A) 업무를 했던 이 대표는 2004년 사모펀드 소시어스를 설립했다. 2018년 웰투시인베스트먼트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HSD엔진(현 한화엔진)을, 2020년에는 유압회사 모트롤(현 두산모트롤, MNC솔루션)을 인수했고, 2022년에는 에어인천을 사들이며 항공 화물 시장에 진출했다. 이 대표는 “코로나 19 항공 물류 산업이 성장하는 것을 직접 눈으로 보며, 물류 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것에 확신을 가진 뒤 성장 가능성을 보고 인수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17015?sid=101

M&A WATCH(deal, news)

24 Jan, 00:34


신협중앙회는 총 3000억원 규모 PEF·VC 출자사업을 뷰티 콘테스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조율 중이다. 현재 내부 논의 마무리 단계로, 이르면 내달 초 출자사업 공고를 낼 예정이다.

3000억원 규모 출자 사업은 중형·소형 PE 2개 부문과 VC 1개 부문에서 각 3개사씩 총 9개사를 선발할 계획이다. 부문별 배정 금액은 중형 PE 부문에 각 500억원씩 1500억, 소형 PE 부문 300억씩 900억이다. VC 부문 3개사는 200억씩 총 600억원이 배정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31223?sid=101

M&A WATCH(deal, news)

23 Jan, 09:34


HS효성첨단소재는 타이어 스틸 코드 사업 부문을 떼어내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스틸코드 부문의 2023년 연간 매출은 약 8600억원(6억달러), 상각전영업이익(EBITDA)는 1400억원 수준이다. 이를 고려한 몸값은 1조5000억원 내외로 추산된다. 매각 측은 내달 말 예비입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공개매각에 착수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6172?sid=101

M&A WATCH(deal, news)

23 Jan, 06:25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와 에어프레미아의 경영권을 차례로 확보한 다음 두 회사를 합병해 새로운 항공사를 출범할 계획이다. 국내·아시아 등 중단거리 노선 위주의 티웨이와 유럽·미주 장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하는 에어프레미아를 결합해 '하이브리드 항공사'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소노인터내셔널 관계자는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의 중복 노선이 없다는 점을 통해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축과 외형적 성장까지 이룰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62954?sid=101

M&A WATCH(deal, news)

22 Jan, 10:19


IMM PE는 우리금융지주 지분 약 1.4%를 장내 처분하며 보유 지분을 모두 정리했다. 지난해 3월부터 블록딜과 장내매매를 섞어 지분을 정리하기 시작한 지 10개월 만이다. 이번에 현금화한 물량은 1660억원 수준이다. 10개월 동안 지분 매매로 회수한 현금은 총 4291억원으로 파악된다.

여기에 투자 기간 동안 리캡(자본재조정)과 배당금으로 중간 회수한 현금 4150억원을 합산하면 총 회수액은 8441억원에 달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18749?sid=101b

M&A WATCH(deal, news)

22 Jan, 03:09


블랙스톤은 호텔 투자에 관심이 많은 외국계 투자자로 꼽힌다. 올해 국내에서 SM(삼라마이다스)그룹 강남 사옥을 1200억원에 인수해 호텔로 탈바꿈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 건물은 원래 호텔이었는데 SM그룹에 인수되면서 오피스로 변경해 사용돼 왔다. 이를 다시 호텔로 바꾸려는 목적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4811?sid=101

M&A WATCH(deal, news)

21 Jan, 09:14


🤦🏻‍♂️
——
구다이글로벌-컴퍼니케이는 그러나 서린컴퍼니의 몸값이 지나치게 고평가됐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라운드랩 브랜드로 선보인 ’1025 독도 토너’가 인기를 끌면서 2023년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섰지만, 8000억원 수준 몸값은 지나치다는 계산이 깔렸다. 7000억원 중반 가격 제시도 사실과 달랐다.

구다이글로벌-컴퍼니케이는 지난해 10월 예비입찰에 참여하며 서린컴퍼니 기업가치로 6000억원 이하를 제시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서린컴퍼니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추정치가 약 8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약 7배 멀티플이 적용된 수준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8780?sid=101

M&A WATCH(deal, news)

20 Jan, 23:59


MKOF 6호와 국내 공동 투자자들과 조성하는 프로젝트 펀드를 활용한다. 올해 3월 투자 집행이 이뤄질 예정이며 규모는 3000억원 수준이다.

매출의 70% 이상이 의료기관, 노인 요양시설 등에 집중돼 있으며 환자복, 침대 시트 등 섬유 특수세탁을 통해 리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맥쿼리PE는 호주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성이 크다고 판단해 투자를 결정한 걸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31356?sid=101

M&A WATCH(deal, news)

20 Jan, 05:44


PE업은 잘한다는 가정하에 구조적으로 자본효율성이 높은 비즈니스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장기투자한다는 가정하에 S&P 500에 투자하는 것 보다 KKR에 투자하는 것이 더 높은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고도 생각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alay1&logNo=223731195590&navType=by

M&A WATCH(deal, news)

19 Jan, 08:50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기린(KIRIN)’ 브랜드로 전국 편의점 등에 유통되고 있는 제빵 사업의 생산 라인과 물류망 등 부문을 분리 매각하기로 하고 기업 현황을 담은 티저레터(투자안내서)를 지난해 말부터 주요 기업들에 배포했다. 매각 자문사는 KB증권이다.

이번 매각 대상은 제빵 사업 분야의 생산 시설인 수원 공장과 부산 공장, 증평 공장을 포함하며 희망 매각가는 약 1000억~1200억 원 안팎이다. 이들은 세븐일레븐과 GS25, CU 등 편의점과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에 공장 빵을 유통하고 있다. 또 롯데리아와 이삭토스트, 대기업 계열 급식 업체에도 기업간거래(B2B) 형태로 빵을 납품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41582

M&A WATCH(deal, news)

19 Jan, 07:26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임원회의 당부사항을 통해 “최근 사모펀드 중심으로 상장폐지 목적의 공개매수가 크게 증가하는 과정에서 일반주주 보호에 미흡한 측면이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특히 현금 교부 주식의 포괄적 교환을 이용하면 지배주주는 지분이 최소 33.4%(최대 66.7%)만 있어도 가격에 대한 공정성 평가 없이 소액주주 축출이 가능합니다.

상법에 도입된 지배주주 매도청구권(강제매수)과 비교했을 때 주식교환 대가로 지급되는 현금의 구체적인 산정 근거나 감정인 평가도 필요 없습니다. 주요국 사례를 살펴보면 관련 정보의 구체적인 공시와 적정한 가격산정이 이뤄지도록 제도를 갖춰놓았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1432?sid=101

M&A WATCH(deal, news)

17 Jan, 01:47


CVC가 왜 드롭했을까 궁금해지는 대목
——
칼립스캐피탈·메리츠증권은 서린컴퍼니 매각을 위해 새로운 원매자를 물색하고 있다. 앞서 CVC캐피탈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지만 양측이 거래 조건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태에서 협상 기한이 만료되면서 사실상 거래는 무산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0854?sid=101

M&A WATCH(deal, news)

16 Jan, 09:24


MG손해보험 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메리츠화재가 MG손보 노조 측의 반대로 실사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예금보험공사는 16일 "메리츠가 인수를 포게하게 될 경우 MG손보를 청·파산할 수도 있다"고 초강수를 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18997?sid=101

M&A WATCH(deal, news)

15 Jan, 11:28


현재까지의 M&A 진행 상황과 그 방식을 묻는 채권단의 질문에 조 관리인은 "기존에는 일괄 매각 방식으로 접근했었다"며 "다만 두 회사를 일괄 매각하는 것에 대해 시장 반응이 호의적이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현재는 개별 매각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며 "조사결과보고서를 바탕으로 투자제안 설명서를 만들고 있다"고 부연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95345?sid=101

M&A WATCH(deal, news)

15 Jan, 11:27


MG손보 매각 또 불발?…금융당국 "청산 배제 안해"(종합)

"예보는 2022년 4월 MG손해보험이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이후 약 3년간 3차례의 매각을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국내 금융지주, 은행, 보험사, 대형 사모펀드(PEF) 등에 인수 의사를 타진해왔다.

그러나 최종 인수 제안서를 제출한 회사는 메리츠화재와 사모펀드(PEF)인 데일리파트너스 뿐이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과 예보는 메리츠화재로의 인수가 무산될 경우 재매각 대신 청산도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풀이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4159751002

M&A WATCH(deal, news)

15 Jan, 11:26


M&A WATCH(deal, news) pinned «지난 2018년 FI를 유치할 때 기업가치 2조7000억원으로 평가받았던 11번가는 2023년 말 SK스퀘어와 큐텐이 매각 협상을 진행할 당시 1조원, 현재는 5000억원 수준으로 하락한 상태다. 매각 조건 및 절차를 두고 매도자 간 의견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업계의 분석도 나온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24877?sid=101»

M&A WATCH(deal, news)

14 Jan, 09:38


지난 2018년 FI를 유치할 때 기업가치 2조7000억원으로 평가받았던 11번가는 2023년 말 SK스퀘어와 큐텐이 매각 협상을 진행할 당시 1조원, 현재는 5000억원 수준으로 하락한 상태다. 매각 조건 및 절차를 두고 매도자 간 의견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업계의 분석도 나온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24877?sid=101

M&A WATCH(deal, news)

13 Jan, 12:09


IB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외국계 기관과 국민연금이 어느 편을 들어주느냐에 승패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현재 MBK-영풍의 지분율은 40.97%이며, 최씨 일가와 우호 주주들의 지분율은 34%대로 추산된다. 의결권이 없는 자사주는 전체 주식의 12.26% 수준이다.

자본시장 전문 변호사는 “특히 외국계 기관들의 표심은 ISS나 글래스루이스가 내놓는 의견을 거의 따라간다고 봐도 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한국에 투자하는 외국계 기관의 60~70%는 ISS, 나머지는 글래스루이스의 의견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7023

M&A WATCH(deal, news)

13 Jan, 02:01


[단독]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인수 재도전...'TF팀' 구성
https://www.ajunews.com/view/20250113102101591

M&A WATCH(deal, news)

12 Jan, 06:54


현대힘스는 조선 기자재 업체로 선박 블록 제작 사업을 주로 영위한다. 선박 블록은 선박을 여러 구획으로 나눈 단위를 뜻한다. 보통 수십~수백개의 선박 블록을 쌓아 선박 한 척을 건조한다.

현재 코스닥시장에서 현대힘스의 시가총액은 5100억원 수준이다. 제이앤PE의 보유 지분 가치를 시장 가치로만 계산한다면 약 2700억원이 된다. 제이앤PE는 앞서 상장 과정에서 이미 구주 매출을 통해 254억원을 회수했기 때문에, 이번에 경영권 지분을 시가로만 팔아도 약 3배의 멀티플을 기록하게 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6298?sid=101

M&A WATCH(deal, news)

12 Jan, 06:52


메리츠증권이 관련 조직을 신설하고 PE 투자를 본격화한다. 최근 종합금융본부를 새로 꾸리면서 영입된 BNK증권 인력들이 PE 투자도 담당한다. 크레딧 투자에 강점을 지닌 하우스 색채를 PE 투자에서도 살릴 수 있을 지 주목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1070926332400103054

M&A WATCH(deal, news)

11 Jan, 02:44


일본 기업이 관련된 2024년 M&A 건수는 전년 보다 17% 뛴 4700건이었다.

역대 최다였던 2022년 4304건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M&A 규모는 약 19조6000억엔(약 181조1000억)으로 전년 대비 8% 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07492?sid=104

M&A WATCH(deal, news)

10 Jan, 01:39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서울 강동구 '지웰홈스 라이프 강동'(133실)을 시작으로 금천구 독산동(195실), 성북구 안암동(60실) 등에서 임대주택을 매입 및 운영 중이다. 총 투자금액은 약 700억원으로 추정된다. 

글로벌 사모펀드들은 임대주택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KKR은 2024년 상반기 홍콩계 공유주거 기업 위브리빙과 손잡고 영등포구 양평동 호텔을 프리미엄 레지던스로 전환했고, 동대문구에는 '위브플레이스 회기'(98실)를 선보였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5010380068

M&A WATCH(deal, news)

09 Jan, 09:07


올해 주요 기관투자가가 진행한 사모펀드(PEF) 출자사업에서 프리미어파트너스와 프랙시스캐피탈이 두각을 나타냈다. 국내 최대 연기금인 국민연금을 비롯해 공무원연금과 중소기업중앙회 등 주요 출자사업을 휩쓸며 조(兆) 단위 펀드 결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내년에는 이들이 펀드 결성을 마무리하고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의 ‘큰손’으로 부상할 예정이다.

국내 1세대 PEF 운용사인 VIG파트너스는 올해 출자사업에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경쟁사에 밀려 국민연금 출자사업에서 2년 연속 낙방한 게 타격이 컸다. 대형 운용사는 국민연금 선정 여부가 다른 출자사업 선정에 보이지 않게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많다. VIG파트너스는 해외 펀딩에 집중해 펀드 결성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와 E&F PE도 올해 출자사업에서 쓴맛을 봤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6138?sid=101

M&A WATCH(deal, news)

08 Jan, 09:58


엔코스의 경영권 지분이 매물로 나왔다. 매각 대상은 최대주주 홍성훈 대표이사가 보유한 지분(61.02%)과 2대주주 프랙시스캐피탈이 보유한 지분 전량(21.5%)이다.

엔코스의 기업가치는 2500억원 수준이 거론되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엔코스의 실적이 꽤 선방했다"며 "엔코스는 프리IPO 당시 1500억원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매물"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엔코스는 매달 사상 최대 이익을 내고 있고 제품 개발력을 갖춘 K뷰티 매물"이라고 설명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62463?sid=101

M&A WATCH(deal, news)

08 Jan, 02:05


게티이미지가 7일(현지시간) 경쟁사인 셔터스톡과 합병해 37억달러(5조 3816억원) 규모의 회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미드저니, 달리(DALL-E)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도구들이 사용자들의 간단한 텍스트 입력만으로 영상과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면서 이들 기업들은 정면으로 도전을 받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20551?sid=101

M&A WATCH(deal, news)

07 Jan, 05:44


흥국생명과 흥국화재 등 금융계열사를 거느린 태광그룹이 인수합병(M&A) 본능을 깨우기 위한 채비에 나섰다. M&A 시장에서 다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최근 사모펀드(PEF) 운용사를 설립했다.

태광그룹이 PE를 설립하면서 2022년 8월 광복절특사로 복권된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의 경영 복귀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힘이 실린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8719

M&A WATCH(deal, news)

06 Jan, 02:51


한화의 아워홈 인수 시도를 두고 곳곳에서 ‘무리수’란 의견이 나오고 있다. 기업가치가 1조5000억원으로 지나치게 높을 뿐만 아니라, 인수를 통한 시너지도 불분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한화가 합의한 지분을 사들여도 경영권이 온전하지 않아 기업가치 제고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미 합의한 지분을 사들여도 주요 경영권 행사가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아워홈 정관에 따르면, 주요 의사 결정에는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2 이상에 해당하는 동의가 필요하다. 해당 요건은 증자와 감자, 합병과 분할, 영업양수도 등 주요 경영 활동 전반에 적용되는데, 인수 합의에 이른 지분은 58%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구지은 전 부회장의 경영 의지가 여전히 강한 점이 걸림돌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5125?sid=101

M&A WATCH(deal, news)

05 Jan, 02:16


수직계열화가 꼭 좋은건 아니죠
———
한화그룹이 미국에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에 이르는 모든 태양광 밸류체인을 갖추려던 계획을 접었다. 폴리실리콘 제조 계열사의 품질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아예 공장을 폐쇄하고, 경쟁사인 OCI홀딩스에서 납품받기로 해서다.

한화그룹은 2022년 REC실리콘에 2490억원을 투자해 최대주주에 오르면서 폴리실리콘부터 모듈에 이르는 태양광 밸류체인을 완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REC실리콘 설비 노후화와 핵심 인력 이탈 여파로 한화큐셀 납품이 무산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7742?sid=101

M&A WATCH(deal, news)

04 Jan, 01:56


복수의 PEF 운용사들이 크린토피아에 인수 의향을 나타내고 있다. JKL파트너스가 매각을 공식화한 것은 아니지만 인수한 지 3년이 지난 만큼 조만간 매물로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있다.

JKL파트너스는 지난 2021년 8월 크린토피아를 1900억 원에 인수한 바 있다.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세탁 프랜차이즈 시장이 더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결정한 투자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2089?sid=101

M&A WATCH(deal, news)

03 Jan, 08:13


[단독]마녀공장, '3700억 몸값'으로 케이엘앤파트너스에 팔린다[시그널]

🔺시간외 상한가 기록🔺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가 국내 코스메틱 브랜드 마녀공장을 인수

마녀공장의 최대주주인 엘앤피코스메틱의 보유 지분 51.87%를 190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

마녀공장의 기업가치는 약 3700억 원으로 평가
마녀공장 1월 3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508억원 규모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JTM1P3W

M&A WATCH(deal, news)

03 Jan, 02:45


글로벌 방산 기업 15개의 잉여현금흐름(FCF)이 새해에 약 500억 달러(약 73조 6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최근 들어서는 미래 첨단 기술 확보에 자원을 집중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방산 기업들이 곳간에 쌓인 현금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M&A에 나서는 배경이다. 인공지능(AI), 드론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무기 체계들이 속속 등장하는 상황에서 해당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4617?sid=104

M&A WATCH(deal, news)

03 Jan, 02:35


티몬 인수전에는 중국 국영 중핵집단유한공사(CNNC·중핵그룹) 계열의 사물인터넷(IoT)데이터그룹이 뛰어들어 매각 측과 협상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산업계에서 복수의 기업이 티메프 인수전에 뛰어들어 경쟁하고 있다.

현재 인수전 협상에선 익명을 요구한 국내 기업이 유리한 고지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139817?sid=101

M&A WATCH(deal, news)

02 Jan, 07:29


티맵모빌리티는 스틱인베스트먼트에 서울공항리무진 지분 100%를 600억원대 초반에 매각하는 데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는 오는 3월 마무리 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급매에 티맵모빌리티는 과거 투자비용도 회수하지 못하게 됐다. 티맵모빌리티는 지난 2022년 서울공항리무진을 650억원에 사들인 바 있다.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10210444025982

M&A WATCH(deal, news)

31 Dec, 23:11


현재 시장에 나온 호텔 자산들의 평가가치를 합산하면 3조원에 육박한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국내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호텔업이 호황기를 맞게 되자 우량 호텔 매물을 보유한 자산운용사·기업이 투자 차익을 실현할 시기라고 판단한 것이다. 우량 호텔을 선점하려는 투자사들의 발 빠른 움직임도 감지된다.

서울의 OCC는 85.5%로 전년 동기 대비 1.5%포인트 상승했다. 부산과 제주는 76.4%, 79.3%로 각각 2.7%포인트, 3.3%포인 올랐다. OCC가 상승했다는 건 그만큼 호텔 수요객이 늘어나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뜻이다.

일평균객실단가(ADR)는 서울 지역 호텔의 경우 21만9884원으로 1년 전(19만4457원)보다 2만5427원 상승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19188?sid=101

M&A WATCH(deal, news)

31 Dec, 02:08


롯데쇼핑이 롯데하이마트를 인수한 건 2012년이다. 당시 하이마트 지분 65.25%를 약 1조248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전자제품 유통업계의 선두주자였던 롯데하이마트를 통해 롯데그룹의 유통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행보였다.

관건은 눈높이 차이다. 롯데쇼핑 입장에서는 과거 인수 가격을 고려할 때 매각가를 지나치게 낮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롯데 측이 제시한 6000억원대 거래액은 과도한 수준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2301418147520107413

M&A WATCH(deal, news)

30 Dec, 03:02


태경그룹이 국내 3위 인조대리석 제조사인 라이온켐텍의 경영권을 인수한다. 코스피 상장사인 태경비케이와 태경케미컬이 인수 주체로 나섰다.

26일 태경비케이와 태경케미컬은 라이온켐텍의 대주주 지분 55.6%를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인수액은 약 1300억원 규모다. 인수 금액 중 태경비케이가 799억원을 태경케미컬이 49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5914?sid=101

M&A WATCH(deal, news)

28 Dec, 06:13


한화그룹은 아워홈 지분 100% 인수를 목표로 자금조달 계획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지분 인수 가격은 약 1조5000억원이다. 한화 측은 이 중 1조2000억~1조3000억원 가량을 보유한 현금과 인수금융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나머지 2000억~3000억원을 FI로부터 조달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현재 FI로는 IMM크레딧솔루션이 내정된 상태다. IMM크레딧솔루션은 내년 3월을 목표로 약 5000억원의 블라인드펀드를 조성 중이다. 거래 종결 시점에 맞춰 프로젝트펀드로 자금을 우선 조달한 뒤 블라인드펀드를 통해 나머지 자금을 충당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4724?sid=101

M&A WATCH(deal, news)

26 Dec, 06:35


신세계는 이마트를 통해 보유한 지마켓 지분 80%를 모두 출자하고, 알리바바그룹 측은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지분과 이와 별도로 현금 3000억원을 출자한다는 방침이다. 양측이 책정한 합작법인 기업가치는 약 6조원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19925?sid=101

M&A WATCH(deal, news)

25 Dec, 23:47


앵커PE는 프레시지에도 볼트온 전략을 적용해 같은 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M&A를 단행했다. 프레시지는 2021년 11월 건강·특수식 업체 닥터키친을 시작으로 간편식 업체 허닭, 물류업체 라인물류시스템, 밀키트 업체 테이스티나인 등을 연달아 인수했다. 

하지만 프레시지의 실적이 악화와 더불어 자회사들도 실적을 내지 못하며 볼트온 전략은 실패로 돌아갔다. 허닭과 라인물류시스템은 지난해 각각 95억원, 6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닥터키친과 테이스티나인도 프레시지에 인수된 이후 쭉 순손실을 내다가 지난해 프레시지에 합병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61456?sid=101

M&A WATCH(deal, news)

24 Dec, 08:13


지난 10월 이후 메가존과 바이낸스의 고팍스 매각 협상은 진전되지 않았다. 메가존 측은 고팍스와 인수 논의에 대해 확정된 바가 없으며 아직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지만 실질적인 논의나 차후 계획은 당장 없는 상태다. 그 사이 메가존과 바이낸스는 따로 교류도 없었으며 업계에서는 메가존이 사실상 인수를 포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4/12/24/5YSRH5U255HKVPNTUFBBY54CSM/?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M&A WATCH(deal, news)

23 Dec, 13:18


고운세상코스메틱은 2003년 피부과 전문의 안건영 박사가 설립한 화장품 기업으로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닥터지’를 보유하고 있다. 2018년 스위스 미그로스 그룹의 화장품 원료 자회사인 미벨AG가 지분 100%를 확보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2321?sid=101

M&A WATCH(deal, news)

23 Dec, 06:41


국내 20대 대기업이 올 들어 단행한 M&A 규모는 4조8192억원이었다. 바이아웃(경영권 인수)과 소수 지분 투자를 포함한 수치로, 2017년(3조6407억원) 후 7년 만에 가장 적다.

‘역대급 딜 가뭄’으로 불린 지난해(6조1736억원)와 비교해도 21.9% 감소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73270?sid=101

M&A WATCH(deal, news)

20 Dec, 23:54


‘1500억→2400억→8000억’…신고가 찍는 K뷰티 매물, 다음 타자는?

‘독도토너’ 라운드랩 운영사 서린컴퍼니
英 PEF CVC캐피탈에 8000억원에 매각
클래시스 최대주주 베인캐피탈도 매각 추진
지디케이·화성코스메 등 OEM사 매물로


내 인수합병(M&A) 시장에서 ‘K-뷰티’ 매물이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독도 토너’로 이름을 알린 라운드랩 운영사 서린컴퍼니가 해외 사모펀드(PEF)에 8000억원에 매각된 가운데 시가총액 3조원이 넘는 코스닥 상장사 클래시스(214150)의 경영권 매각설도 불거졌다.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높아진 K-뷰티의 위상에 힘입어 매각을 타진하는 최대주주들도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들어 국내 뷰티 기업들의 몸값은 빠르게 오르고 있다. 8000억원을 기록한 서린컴퍼니를 비롯해 △크레이버(2400억원) △티르티르(1500억원) △스킨이데아(1000억원) △라카코스메틱·힌스(각 425억원) 등 스킨케어와 색조를 넘나들며 경영권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신생 사모펀드인 칼립스캐피탈, 더함파트너스 등은 각각 서린컴퍼니와 티르티르를 매각하며 성공적인 엑시트(투자금 회수) 기록을 남겼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10860?sid=001

M&A WATCH(deal, news)

20 Dec, 09:08


매각에 긍정적인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의 지분을 합치면 57.84%로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구지은 전 부회장과 구명진씨가 보유 지분 40.27%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을 청구할 수도 있다. 우선매수청구권은 기존 주주들이 회사를 매각하려는 경우 다른 주주가 같은 조건으로 인수하는 권리다.

매수 가격도 관건이다. 업계에선 아워홈의 가치와 경영권 프리미엄 가격을 두고 견해 차이를 보인다.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등을 고려한 아워홈의 기업 가치가 7000억~8000억원 정도로 추산되는데,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이 2배가량이 반영되면 예상 매각액은 1조4000억~1조6000억원 수준이다. 앞서 한화그룹은 조선사인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을 2조원대에 인수했는데, 양사의 사업 규모를 고려하면 '오버 베팅' 우려도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31625?sid=101

M&A WATCH(deal, news)

20 Dec, 00:31


하일랜드에쿼티파트너스(이하 하일랜드)의 바이아웃 포트폴리오이자 샐러드 프랜차이즈 업계 1위인 샐러디가 다운타우너 인수를 완료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볼트온 차원으로, 하일랜드의 추가 자금 수혈 없이 샐러디가 자체 보유 현금을 투입해 새 주인으로 올라섰다.

지분 100%에 대한 기업가치는 100억원대로 알려졌다. 이미 보유 현금으로 딜클로징을 완료한 상태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2181009063840108790

M&A WATCH(deal, news)

20 Dec, 00:06


롯데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일본 소재 핵심 부동산은 도쿄 신주쿠 공장과 우라와 공장 부지다. 신주쿠 공장(도쿄도 신주쿠구 햐쿠닌정)은 1950년 조업을 시작한 롯데의 첫 번째 본격적인 생산기지다. 

다만 이들 자산의 즉각적인 활용은 쉽지 않아 보인다. 가장 큰 걸림돌은 복잡한 지배구조다. 해당 부동산들은 모두 일본 롯데홀딩스 소속이다. 롯데그룹의 지배구조는 '광윤사→롯데홀딩스(일본)→호텔롯데→롯데지주(한국)'로 이어진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21380099

M&A WATCH(deal, news)

19 Dec, 10:08


헬스앤뷰티(H&B) 기업인 그레이스(전 그레이스인터내셔날)이 인수합병(M&A) 시장 매물로 나왔다. 회사 측에서 원하는 기업가치는 2000억 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그레이스는 미국·프랑스·독일·뉴질랜드·일본 등 전 세계 60여 개 국가에서 글로벌 유명 브랜드의 소비재 제품을 공식 수입해 국내 유통 채널에 공급한다. 무스텔라·바이오가이아·브리오신·이브로쉐·바디판타지 등 글로벌 브랜드 제품들을 론칭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렇게 수입한 제품들을 올리브영과 현대백화점·쿠팡·신라호텔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 공급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30146?sid=101

M&A WATCH(deal, news)

18 Dec, 05:21


국내 공모주 사상 최고 수준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데뷔한 맥스트는 3년이 지난 지금 활로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다. 기업 인수합병(M&A)으로 외형 확장을 시도하면서도 연달아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면서 2021년 11월 8000억원이 넘던 시가총액은 전날 400억원대까지 급감한 상황이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맥스트는 잠재 원매자들을 대상으로 티저레터를 배포하며 경영권 지분 매각 절차에 착수했다. 매각 대상은 최대주주 박재완 대표이사가 보유 중인 맥스트 지분 400만주(13.2%)다. 최근 국내의 한 IT 중견기업과 매각 협상을 진행하다가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40741?sid=101

M&A WATCH(deal, news)

18 Dec, 00:19


~ 일본 경제지 니혼게이자이(닛케이)는 17일 밤 혼다 자동차와 닛산 자동차가 합병을 위한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 궁극적으로는 닛산이 최대 주주인 미쓰비시자동차까지 합병사에 포함될 전망이다

~ 혼다, 닛산, 미쓰비시 등 일본 1위 도요타를 뺀 2~4위 업체들이 하나로 묶인다는 뜻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283923?sid=101

M&A WATCH(deal, news)

17 Dec, 09:04


K화장품 회사를 PE가 사서 성공한 케이스가 있다 없다? (Feat 에스티로더 & 로레알)
——
구다이글로벌·컴퍼니케이 컨소시엄도 인수전에 참여했지만 결국 CVC캐피털이 우선협상자로 낙점됐다.

CVC캐피털은 서린컴퍼니 밸류에이션으로 8000억원 수준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뷰티 업종에 대한 외국계 투자자의 관심이 큰 것으로 보인다. CVC캐피털은 지난 9월 국내 피부미용 의료기기 업체 파마리서치에 2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15296?sid=101

M&A WATCH(deal, news)

16 Dec, 09:36


KT가 이번에 매각하려는 유동화 대상에는 유휴 빌딩과 토지뿐만 아니라, 신라스테이 역삼, 강남구 신사동 소재 안다즈 서울 강남, 송파구 신천동의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노보텔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서울 중구의 르메르디앙 명동, 목시 명동 등 호텔들이 포함돼 있다. 이들 호텔은 KT와 KT에스테이트가 보유한 자산이다.

KT에스테이트는 부동산 사업을 주도하며 KT 전체 영업이익의 10%를 상회하는 수익을 창출해왔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KT에스테이트의 호텔 부문 매출은 2020년 297억원에서 2021년 497억원, 2022년 1279억원, 2023년 1836억원으로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호텔 부문 매출이 202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06602?sid=105

M&A WATCH(deal, news)

14 Dec, 23:34


지분을 절반씩 보유하고 있지만 에코비트 매각 대금은 반으로 나누지 않았다. 2조700억원 중 1조6440억원은 KKR이 자신의 몫으로 가져갔다. 남은 4260억원는 티와이홀딩스 몫으로 배정됐지만 이 역시 티와이홀딩스가 KKR에 빌린 차입금 4000억원과 이자를 갚는데 전액 사용했다. 2조700억원에 에코비트를 매각하고도 티와이홀딩스는 수중엔 한 푼도 들어오지 않은 셈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9635?sid=101

M&A WATCH(deal, news)

04 Dec, 01:09


소시어스-한투파PE, 아시아나 화물 인수 펀딩 '속도'

소시어스-한국투자파트너스PE본부 컨소시엄은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인수를 위한 자금을 모집하고 있다. 추가 펀딩 규모는 1500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이번 딜은 에어인천을 보유한 '소시어스 제5호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합자회사'(소시어스 제5호 PEF)의 규모를 키우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기존 1000억원 규모였던 소시어스 제5호 PEF에 3000억원을 증액해 4000억원 규모 펀드로 만드는 식이다. 이를 위해 한투파PE가 Co-GP로 붙어 함께 펀드레이징에 참여하고 있다.

컨소시엄은 이렇게 마련한 4000억원 중 3000억원을 특수목적법인(SPC) '소시어스 에비에이션'에 내려보낸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인수금융으로 3000억원을 끌어와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인수 대금 4700억원을 치를 방침이다. 남은 1300억원은 향후 유상증자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32620

M&A WATCH(deal, news)

03 Dec, 11:06


2003년 설립된 지디케이화장품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화장품 OEM 업체다.

마스크팩 OEM을 전문으로 하다가 JKL파트너스 등이 운영을 하면서 용기, 튜브류 등 기초화장품 등으로 제품군을 다변화했고 적극적인 설비투자를 통해 생산량을 늘렸다.

올 3분기 누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00억원, 65억원을 달성했다. 올해 전체 누적 영업이익은 80억원을 웃돌 것으로 IB업계는 전망한다.

https://www.mk.co.kr/news/stock/11184917

M&A WATCH(deal, news)

02 Dec, 10:08


어피니티가 인수하면 국내 렌터카 시장 점유율이 거의 40%가 됨.
(SK렌터카 16% + 롯데렌탈 21%)
———
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롯데렌탈(089860)을 인수할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국내 PEF인 MBK파트너스도 인수전에 참전했다. 다만 롯데그룹이 지분 100% 기준 2조 5000억 원에 달하는 매각가를 기대하고 있어 눈높이를 맞출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22138?sid=101

M&A WATCH(deal, news)

02 Dec, 10:04


빠른 결론
———
한국거래소가 하이브 상장 과정에서 주주 간 계약을 보고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상장 심사에 ‘구멍’이 있었다고 판단하고, 심사 서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보완하기로 했다. 하이브에 별도 제재는 취하지 않기로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4326?sid=101

M&A WATCH(deal, news)

01 Dec, 15:45


쟁점은 4번..

M&A WATCH(deal, news)

01 Dec, 15:45


① 4000억을 왜 방시혁 개인에게 줬나
② 신주 투자를 하며 맺은 계약인가
③ 풋옵션 계약, 이전 주주에게서 승계했나
④ 계약 내용을 증권신고서에 공개해야 했나
⑤ 사모펀드는 방시혁의 특별관계인인가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36040?sid=101

M&A WATCH(deal, news)

29 Nov, 10:02


지난해 카무르PE는 삼정 KPMG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제이제이툴스의 공개매각을 진행했다. 카무르PE는 2018년 12월 제이제이툴스의 경영권을 2000억 원에 인수했다. 지분 99.55%를 확보했고 나머지 0.45%는 자사주다. 제이제이툴스의 실적은 2018년 매출이 416억 원, 영업이익이 178억 원이었고 2022년엔 538억 원, 영업이익 280억 원을 기록했다. 카무르PE는 2022년에도 한차례 매각을 추진했지만 무산됐고, 지난해 말 다시 매각에 나섰다.

이번 투자를 통해 블랙스톤은 한국의 뛰어난 창업자, 우량한 가족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20073?sid=101

M&A WATCH(deal, news)

29 Nov, 08:33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티맵모빌리티는 스틱인베스트먼트와 서울공항리무진 매각을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양측은 내년 1월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매각 대상은 서울공항리무진 지분 100%다. 티맵모빌리티가 경영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공항리무진은 우선 협의 대상에서 빠진 상황으로 알려졌다.

서울공항리무진은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610% 증가한 231억원, 영업이익은 약 7억원을 거두며 흑자전환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03801?sid=101

M&A WATCH(deal, news)

28 Nov, 08:29


OK금융그룹은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기로 하고 삼일회계법인의 자문을 받아 실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실사는 내달 2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을 제외한 상상인저축은행만 인수할 계획으로 실사도 상상인저축은행에 한해 진행된다.

실사가 마무리되면 내년 상반기 내 인수 절차를 밟게 된다.

업계에서는 지난 우리금융이 인수를 시도했을 때와 비교해 몸값이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약 1년 여전 우리금융지주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했을 당시 제시했던 2000억원보다 낮은 가격대에서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보다 상상인저축은행의 부실이 심해진 까닭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895256?sid=101

M&A WATCH(deal, news)

27 Nov, 23:16


롯데는 자산 유동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내부 검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익명의 한 핵심 관계자는 “그룹 차원에서 대상 자산들을 모두 열어놓고 보고 있다”며 “인사 후 구체화되면 본격 매각 작업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롯데케미칼(011170)·롯데건설·호텔롯데·롯데쇼핑 등 핵심 계열사의 실적 부진과 차입금 부담이 가중되면서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롯데케미칼의 2조 원 규모 공모 회사채가 일시적으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20347?sid=101

M&A WATCH(deal, news)

27 Nov, 10:32


블랙스톤과 칼라일을 비롯해 국내 최대 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 등 4~5곳이 CJ제일제당 바이오 사업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이들은 한 달간 실사를 진행한 뒤 다음달 말로 예정된 본입찰 참여를 결정한다. 모건스탠리가 CJ제일제당 바이오 사업의 매각 주관사를 맡았다.

CJ제일제당 바이오 사업은 식품 사업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회사를 글로벌 식음료 기업으로 밀어 올린 모태 사업이다. 미생물을 원료로 식품 조미 소재와 사료용 아미노산 등을 생산하는 그린바이오 사업이 주력이다. 라이신, 트립토판을 비롯한 사료용 아미노산 품목의 시장 점유율은 세계 1위다. CJ제일제당 바이오 사업 매출의 90% 이상이 그린바이오에서 나온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2288?sid=101

M&A WATCH(deal, news)

26 Nov, 07:23


최근 수년간 포모(FOMO·fear ofmissing out, 나만 뒤처진다는 불안감) 심리에 사로잡힌 대기업들의 대규모 M&A 투자가 그룹의 실적과 재무구조에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포모 투자로 발 빠르게 미래기술을 흡수한 기업집단이 있는가 하면, 업황 사이클을 잘 못 읽어 계열사 전반에 재무 부담을 안기고 기약 없는 침체에 빠진 기업집단도 눈에 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05965

M&A WATCH(deal, news)

25 Nov, 09:33


동화약품은 25일 공시를 통해 “주식매매계약 이후 진행한 실사 결과 매도인의 진술 및 보장 준수여부에 대한 이견이 존재함을 확인했다”며 “매도인들에게 주식매매계약에 대한 해제를 통지했다”고 밝혔다. 하이로닉 인수 계약 이후 실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돼 인수를 철회했다는 것이다. 다만 그 사유에 대해서는 비밀유지 계약에 따라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동화약품 측은 “기지급된 계약금 반환을 요청했으며 필요시 계약금반환청구의 소 제기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392779?sid=101

M&A WATCH(deal, news)

24 Nov, 11:45


신한금융지주는 이달 신한자산신탁에 유상증자 형태로 1000억원을 지원한다. 올해 상반기에만 1700억원 적자가 나면서 급하게 자금 수혈에 나선 것이다. 추가로 신한자산신탁이 발행하는 5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도 지주가 인수한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올해 신한자산신탁 누적 충당금은 2500억원 수준이다. 

지주가 소방수로 나서고 있지만 신한자산신탁 부실은 여전히 바닥을 가늠하기 힘들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해 자산 건전성이 악화하는 가운데, 다수의 책임준공형(책준형) 신탁 상품이 소송에 휘말리면서 부실채권이 급증하고 있어서다. 주요 소송으로는 세종시 호텔 신축사업을 포함해 창원시 멀티플렉스 신축, 인천 서구 물류센터 프로젝트 등이다. 책임준공 사업장이 100여곳에 이르다 보니 소송이 이제 시작이란 설명이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10580268

M&A WATCH(deal, news)

22 Nov, 10:15


같은 회사를 950억에 인수해서 2800억에 매각하고 다시 4000억대에 인수해서 8200억에 엑싯한 레전더리한 딜이 클로징됨

———
MBK 관계자는 "타사키 매각 건은 이달 말에 완전히 마무리 할 예정"이라며 "타사키 매각은 외국 회사 간의 딜이라 SPA 체결 이후 다소 시간이 지연됐다"고 전했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31776

M&A WATCH(deal, news)

21 Nov, 14:50


올해는 프리미어파트너스, 프랙시스캐피탈 등 특화된 전략을 가진 운용사가 좋은 회수 성과를 인정받았다. JKL파트너스는 최근 회수 성과가 아쉽다는 평가 속에도 저력을 보였다. 순항하던 MBK파트너스는 고려아연 분쟁이 본격화한 후 일부 출자 사업에서 고배를 마셨다. 경쟁이 치열했던 터라 선정이 유력하던 운용사가 탈락하는 등 이변도 있었다.
최근 대형사들의 블라인드펀드 결성 작업은 짧게는 1년, 길게는 2년 이상으로 장기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출자 콘테스트 한 자리를 잡아둔 것이나 마찬가지인 대형사들이 매년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고, 몇 안 남은 자리를 두고 중대형사들이 다투는 상황이 이어졌다. 유동성 부족과 경쟁 강화라는 이중고를 겪었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11980216

M&A WATCH(deal, news)

20 Nov, 11:11


유럽 곳곳에서 의무공개매수(상장사의 지배권을 확보할 정도의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주식의 일정 비율 이상을 지배지분 매입 가격과 유사한 수준에 공개매수로 취득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를 통한 사모펀드(PEF)운용사발 상장폐지 사례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르면 스웨덴에서도 최대 규모의 상장폐지 사례가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 계열의 한 사모펀드운용사가 특정 기업을 공개매수하기 위해 관련 기업 주요주주들로부터 72.5% 규모의 의결권을 확보하면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878489?sid=101

M&A WATCH(deal, news)

19 Nov, 09:59


wow
———
다수의 외신은 소니가 일본 거대 미디어 그룹 '카도카와'와 인수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협상이 진행될 경우 몇 주 안에 계약이 체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양사는 해당 보도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지만, 보도 후 카도카와의 주식은 약 23% 상승했다.

루머가 사실이라면 소니는 카도카와 인수를 통해 대형 IP 인수를 통한 포트폴리오 확장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니는 이전부터 IP 확장을 위한 인수합병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쳐 왔으며, 2022년에는 약 4조 원을 들여 '데스티니'라는 IP를 소유한 '번지'를 인수했다.

https://m.sports.naver.com/esports/article/439/0000029701

M&A WATCH(deal, news)

19 Nov, 03:00


이것보다 더 나은 회사를 살 수 있을지..
———
업계에서는 CJ제일제당이 신사업에 투자하기 위한 실탄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바이오사업부 매각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수·합병(M&A) 업계 관계자는 "CJ그룹은 바이오 부문을 매각해 확보하게 될 거액의 자금을 활용해 식품 본업의 경쟁력을 확대하거나 다른 업종의 기업을 인수해 신사업에 뛰어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CJ제일제당의 바이오 부문은 '캐시카우'로 꾸준히 수익을 창출해왔다. 지난해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5259억원에 달한다. 올 들어 3분기까지 EBITDA는 4875억원으로 집계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398751?sid=101

M&A WATCH(deal, news)

18 Nov, 06:42


원 본부장은 과거 대비 확연하게 소프트웨어 기업에 대한 PEF의 관심도가 높아졌다고 강조했다.그는 “데이터센터와 소프트웨어 서비스 회사를 제외하면 지난 5년 간 IT솔루션 회사 바이아웃 규모는 5000억원 수준으로 지금까지 큰 관심을 받지 못한 건 맞다”며 “올해 들어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 에이스에쿼티, 케이스톤파트너스 등 다수의 PEF들이 크고 작은 딜을 여러 건 진행하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에선 이미 대규모 거래가 일어나며 PEF들의 관심이 높은 영역에 속한다. 지난 9월에는 블랙스톤과 비스타가 소프트웨어 업체 스마트시트를 84억달러(약 11조8000억원)에 인수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396688?sid=101

M&A WATCH(deal, news)

17 Nov, 07:39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S사는 폴리프로필렌 생산업체 K사로부터 지난해 말 기준 97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장기차입금으로 빌려 쓰고 있다. 양사의 자금 거래는 2020년부터 시작됐다. S사는 2020년 K사로부터 70억원을 빌린 것을 시작으로 차입금이 2021년 말 102억원, 2022년 말 97억원으로 늘어났다.

양사 간의 자금 거래가 문제가 되는 건 두 회사 모두 PEF 운용사 C사의 포트폴리오 기업이기 때문이다. C사는 S사를 2017년 12월, K사를 2019년 12월에 인수했다. C사는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해 두 회사를 각각 인수했고, 두 프로젝트펀드의 LP는 서로 다르다. 한 기관투자가의 자금으로 인수한 회사가 다른 기관투자가의 자금으로 인수한 회사를 살리는 데 동원됐다는 얘기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57051?sid=101

M&A WATCH(deal, news)

15 Nov, 07:32


우리금융지주가 내년 8월 말까지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인수하지 못하면 계약파기와 함께 수천억 원 규모의 계약금을 날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말 중국 다자보험과 체결한 인수계약에 따라 한 차례 계약연장을 포함해 총 12개월 안에 인수절차를 완료하는 조항이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금융은 당초 올해 안이나 늦어도 내년 초 보험사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었지만 금융감독원이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을 계기로 정기검사에 돌입하면서 M&A(인수·합병) 절차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12422?sid=101

M&A WATCH(deal, news)

14 Nov, 06:39


신세계그룹은 ㈜이마트-㈜신세계가 SSG닷컴의 신규 투자자 '올림푸스제일차'(SPC)와 새로운 주주간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올림푸스제일차는 KDB산업은행, 신한은행, NH투자증권 등 은행권 6곳과 증권사 4곳이 참여한 특수목적법인으로, 기존 FI가 보유했던 SSG닷컴의 지분 30%를 양수하게 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907288?sid=101

M&A WATCH(deal, news)

14 Nov, 01:40


상대방이 헛점을 드러냈을 때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확실한 타격을 입히는.
———
영풍은 최근 고려아연 이사진이 선관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고 회사에 6733원 상당의 손해를 끼쳤다며, 해당 금액만큼의 배상금을 회사에 지급해야 한다는 취지의 주주대표소송 소장을 서울중앙지법에 제출했다.

고려아연 이사회가 1주당 56만원 정도인 고려아연 주식을 주당 89만원에 사들이는 자사주 공개매수를 진행했고, 이를 통해 자사주를 총 204만30주 취득한 과정에서 회사는 그 차액에 주식 수를 곱한 만큼의 손해를 입었다는 주장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85165

M&A WATCH(deal, news)

13 Nov, 08:52


올해 은행권 NPL 매각 규모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관련 업계에서는 올해 은행권 NPL 매각 규모를 미상환 원금잔액(OPB) 기준 약 9조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2년 2조4000억원, 2023년 약 5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큰 폭의 증가세다. 코로나 시기 만기연장과 상환유예에 나섰던 은행들이 금융지원을 종료하면서 억눌려왔던 부실이 터졌기 때문이다.
늘어난 물량으로 NPL 매입가 또한 예년에 비해 낮은 수준에 형성됐다.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아야 하는 투자사 입장에서는 올해가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였던 셈이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10980059

M&A WATCH(deal, news)

12 Nov, 05:22


전국 지자체 중에서 버스 준공영제를 최초 도입한 서울시는 20주년을 맞아 혁신방안을 마련했다. 기존 운송 적자분 전액을 시에서 보전하던 사후정산 방식을 미리 정해둔 상한선 내에서 재정을 지원하는 사전확정 체제로 전환하는 게 주요 골자다.

서울시는 지난 2004년 버스‧지하철 환승제도를 도입하면서 준공영제를 함께 시행했다. 버스회사들이 승객이 적어 수익이 나지 않는 노선을 자체 폐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실분을 시가 보전해 줬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31021

M&A WATCH(deal, news)

11 Nov, 02:14


사모펀드가 재차 외식 기업에 입맛을 다시기 시작한 시점은 올해 2분기부터다. 외식업 경기가 바닥을 치기 시작한 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는 75.6을 기록했다. 2023년 2분기 83.26에서 9%포인트(P) 하락했다. 외식산업경기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밑이면 매출이 감소한 곳이 증가한 곳보다 많다는 뜻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30139?sid=101

M&A WATCH(deal, news)

09 Nov, 03:35


금번 case를 넘어, M&A와 관련된 여러 tactic과 인사이트를 들어볼 수 있음. 두고두고 들을만한 퀄리티의 콘텐츠

https://youtu.be/21BNKUNmwvA?si=yvBE8sbDq4b87Ahk

M&A WATCH(deal, news)

08 Nov, 09:33


?? : 땡스 고려아연~!
——
한국투자증권은 2022년 11월 고려아연이 ㈜한화와 LG화학 등과 자사주를 교환할 때 재무적투자자(FI)로서 고려아연 자사주를 사들여 보유해왔다. 매입가격은 주당 65만7807원, 총 1045억원을 투입했다. 정확한 평균 매도단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90만원 안팎에 팔았다고 가정하면 400억원 안팎의 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54945?sid=101

M&A WATCH(deal, news)

07 Nov, 22:49


일본계 대체투자 자산운용사 ARA자산운용이 서울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를 3조원대에 인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콘래드서울에 이어 IFC 전체를 모두 사들이려는 것이다. 막대한 인수 자금을 모아야 하는 만큼 국내 기관투자가 참여 여부가 거래 성사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54543?sid=101

M&A WATCH(deal, news)

06 Nov, 12:37


F&B로 투자 대상을 확대한 PEF를 두고도 여러 뒷말이 나온다. F&B 품목은 서민물가와 직결되는 경우가 많은데, PEF가 대주주로 있는 F&B 프랜차이즈가 단기 수익을 높이기 위해 최근 수년간 여러 차례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최근 공정위가 PEF가 소유한 F&B 프랜차이즈를 정조준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실제로 올 초에는 공정위가 MBK가 운영하는 BHC 본사와 우윤파트너스 등이 운영하는 메가커피 본사에 대해 직권조사를 개시했다는 소식도 흘러나오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52981?sid=102

M&A WATCH(deal, news)

05 Nov, 10:06


요즘 조단위 매물들이 꽤 나오네요
——
HPSP의 최대주주인 크레센도는 경영권을 포함한 보유 지분 40.9%의 매각을 위해 이날 티저레터를 배포했다. 매각 주관사는 UBS이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인 PEF 보유 기간인 3~5년을 넘어 투자 7년 반 만에 추진되는 것으로 HPSP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심사숙고 중”이라고 말했다. 현 주가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하면 기업가치는 4조 원 이상, 매각가는 2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11431?sid=101

M&A WATCH(deal, news)

04 Nov, 06:26


이번 ROIC 인수전에는 베인 캐피털 등 다른 사모 펀드 운용사도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블랙스톤이 ROIC 인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약 34억 달러(4조6천600억 원)의 시장 가치를 지닌 ROIC는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약 1천50만 평방피트에 달하는 93개의 쇼핑센터를 소유하고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0860

M&A WATCH(deal, news)

02 Nov, 05:07


한앤컴퍼니가 보유중이었던 지분 중 23%를 매입하고 유상증자로 발행하는 신주를 전량 인수하는 방식이다. 투입 자금은 총 1조8277억원이며 확보하게 될 총 지분율은 54.77%다.

이번 거래로 한국앤컴퍼니그룹은 과반 이상의 한온시스템 지분과 함께 경영권도 쥐게 됐다. 그룹 자산 총액은 26조원 규모로 늘어나게 되며 국내 재계 30대 그룹에 진입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60025?sid=101

M&A WATCH(deal, news)

01 Nov, 03:20


젝시믹스 운영사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강민준 전 대표가 지분 30%를 매각하기 위해 잠재적 원매자와 접촉하고 있다. 현재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시가총액이 2448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주식의 시장 가치는 약 730억원 수준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50% 붙인다면 약 1100억원이 된다.

강 전 대표는 이수연 현 대표와 부부 사이였으나 1년 전 이혼했고, 이후에도 계속 대표이사직을 유지하다 올해 9월 사임했다. 사내이사직은 유지 중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28792?sid=101

M&A WATCH(deal, news)

31 Oct, 10:39


우체국보험은 지난 29일 총 1000억원 규모의 국내 PEF 위탁운용사 출자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VIG파트너스·JKL파트너스·프리미어파트너스 등 3곳을 선정했다. 이들은 우정사업본부의 실사를 거친 뒤 최종 GP로 선정된다.

최종 선정 후 6개월 내로 최소 5000억원 이상의 블라인드 펀드를 결성해야 한다. GP 출자 비율은 펀드 규모 대비 1% 이상이다. 우체국보험은 출자 금액 1000억원 중 정량·정성 평가 합산 결과에 따라 운용사별로 차등 분배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28652?sid=101

M&A WATCH(deal, news)

31 Oct, 10:38


이에 더본코리아는 공모자금(약 935억원)을 도소매전문 식품기업과 푸드테크 관련 기업 인수에 사용할 계획이다. 도소매전문 식품기업은 지분 100% 인수 구조로 추진할 예정이다.

백 대표는 “1차 소스류를 생산하는 기업과 소스 개발 능력에 강점이 있는 더본코리아가 만난다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며 “특히 1차 소스류를 직접 생산한다면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점주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했다. 또 “국내 외식매장 네트워크를 보유한 식품유통 기업과 협업한다면 가맹점 원가 부담도 최소화할 것으로 보여 투자대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871159?sid=101

M&A WATCH(deal, news)

30 Oct, 12:35


이쯤되니 살짝 무리하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드는

——
M&A로 사세를 키운 구다이글로벌은 최근 더욱 적극적인 행보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기초 화장품 브랜드 티르티르(거래가 890억 원), 색조 브랜드 라카코스메틱(425억 원), 스킨1004 운영사 크레이버코퍼레이션(약 3000억 원) 등을 잇달아 인수했다. 이 중 티르티르와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은 이번 서린컴퍼니 인수전과 마찬가지로 재무적투자자인 사모펀드(PEF) 운용사와 함께 자금을 모으는 방식으로 인수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09038?sid=101

M&A WATCH(deal, news)

29 Oct, 10:09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가 그간 여러 차례 추진하다 고배를 마신 SK해운 매각에 대한 재시동을 건다. 주관사 선정은 물론 경영권 인수 부호군을 선정해 이미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이다. 업계 내에서는 하나의 사업부가 아닌 회사 전체를 통매각해 4조원대에 달하는 매각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29/0000332965?sid=101

M&A WATCH(deal, news)

29 Oct, 10:07


SK넥실리스가 디스플레이 소재로 들어가는 박막을 제조하는 사업부를 사모펀드(PEF)에 매각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으로 본업인 동박 사업이 부진하며 재무적 어려움이 가중되자 내린 결정이다

매출 규모가 크지 않지만 수익성이 좋다. 박막사업부의 연 매출은 500억~600억원 수준이고,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100억원 안팎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50347?sid=101

M&A WATCH(deal, news)

28 Oct, 08:03


소식이 좀 늦었지만.. 중단되었군요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491016?sid=101

M&A WATCH(deal, news)

28 Oct, 08:03


MBK파트너스가 행동주의펀드 전략을 구사하자 토종 사모펀드(PEF) 운용사도 고민에 빠졌다. 최근 3년 사이 불안정한 매크로 환경 탓에 PE 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누적 운용자산(AUM) 기준으로 PE를 구별하는 것은 무의미해졌다. 유동성과 투자처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출자자(LP) 수익 제고를 위한 차별화된 ‘정체성’ 정립이 PE의 핵심 과제로 지목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379627?sid=101

M&A WATCH(deal, news)

27 Oct, 04:08


미국 패션 브랜드 코치의 모회사 태피스트리가 마이클코어스, 베르사체 등을 운영하는 카프리홀딩스를 85억달러(약 12조원)에 인수하려던 시도가 무산됐다. 연방법원이 합병 거래를 중단한다는 가처분 명령을 내리면서 카프리홀딩스 주가는 반 토막 났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8992?sid=101

M&A WATCH(deal, news)

27 Oct, 04:07


소식통은 보잉이 켈리 오토버그 현 최고경영자(CEO) 이전부터 미 항공우주국(NASA) 프로그램 매각을 위해 블루 오리진과 접촉해 왔다고 밝혔다.

블루 오리진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우주 기업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007711?sid=104

M&A WATCH(deal, news)

25 Oct, 07:58


에너지와 김의 만남.
신선하다 또는 낯설다.

———
‘독도 김’으로 알려진 국내 빅3 김 제조사 중 하나인 성경식품이 종합에너지기업인 삼천리를 새 주인으로 맞는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어펄마캐피탈은 성경식품을 인수한 지 7년 만에 매출을 두 배 가량으로 늘리며 수출 기업으로 기업가치를 높여 성공적으로 엑시트 할 전망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07144

M&A WATCH(deal, news)

24 Oct, 04:29


거래 규모는 구주 1200억원, 신주 400억원 등 총 1600억원이다. 1000억원은 지분투자금(Equity), 나머지는 인수금융(debt)으로 조달할 예정이다.

거래 후 포레스트파트너스의 명륜당 지분율은 70%가 된다. 도선애 명륜당 대표 등 특수관계인은 잔여지분 30%를 보유한다. 명륜당 기업가치(EV)는 약 2000억원으로 평가됐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02280246

M&A WATCH(deal, news)

24 Oct, 04:29


[단독] 에어프레미아, 500억원 유상증자 재차 불발… ‘이사회 과반’ AP홀딩스 측 ‘반대’ https://v.daum.net/v/20241024132720202

M&A WATCH(deal, news)

22 Oct, 03:50


기존 주주 간 계약에 따라 AP홀딩스와 대명소노그룹이 가격협상에 실패하게 되면 두 회사가 들고 있는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지분 66%가 공개 매각으로 시장에 나오기 때문이다.

대명소노그룹은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지분 획득에 강한 의지가 있다. AP홀딩스 입장에서는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 최소 1000억원 이상 자금이 필요하기에 유증에 440억원(1000억원×지분율 44%) 규모로 참여하기가 꺼려졌다는 게 IB업계 시각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382812?sid=101

M&A WATCH(deal, news)

22 Oct, 00:17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854509?sid=102

M&A WATCH(deal, news)

21 Oct, 09:59


국내 미용 의료기기 선두기업 클래시스가 매물로 나온다.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 약 61%의 가격은 3조원대로 거론된다. 인수합병(M&A)이 성사되면 K뷰티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딜로 기록된다.

국내에서는 전자기기와 뷰티산업을 아우르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춘 LG그룹과 신성장동력을 찾는 삼성그룹이 잠재 인수 후보로 거론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7075?sid=101

M&A WATCH(deal, news)

18 Oct, 01:13


에코프로파트너스가 PE 라이선스를 목적은 이와는 달라 주목받는다. 에코프로파트너스 측은 "PE 라이선스를 이용해 지역의 사회기반시설 등 인프라투자에 나서는 걸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프라펀드는 대규모 자산운용사나 전문 PE들이 전유물로 여겨지던 분야다. 현재 VC 중 인프라투자 목적의 PE펀드를 운용하는 곳은 국내 최대규모 VC인 IMM인베스트먼트 정도다.

VC업계 관계자는 “인프라 투자는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VC들이 딜 소싱과 펀드레이징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인프라 투자를 도모하는 VC는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410101102140720108295

M&A WATCH(deal, news)

17 Oct, 06:51


마켓인사이트의 집계에 따르면 시가총액 3000억원 이상 국내 상장사 479곳 중 최대주주 지분율이 33% 미만인 기업은 212곳이다. 통상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이 전체의 3분의 1 미만이면 경영권이 취약하다고 평가된다. 다른 주주들이 규합해 주주총회 특별 결의 사안을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최대주주 지분율과 나머지 주요 주주의 합산 지분율(국민연금 제외) 간 격차가 10%포인트 미만일 정도로 작은 곳도 49개에 달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3400?sid=101

M&A WATCH(deal, news)

16 Oct, 01:47


JC파트너스는 에어프레미아 최대주주인 AP홀딩스의 지분(43.6%)에 대해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을 보유했다.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전량이 매도되기 전까지는 AP홀딩스가 보유한 지분도 함께 매각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에어프레미아의 주주 구성이 복잡한 만큼 향후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당 조건을 내걸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 계약이 발동되면 에어프레미아의 공개경쟁입찰(공개매각)이 개시된다. 공개매각 진행시 현 최대주주인 AP홀딩스를 비롯 2대주주인 소노인터내셔널, 제3의 인수후보 등이 지분 경쟁에 참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24621

M&A WATCH(deal, news)

15 Oct, 10:28


소노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인수는 단순한 항공산업 진출을 넘어 소노가 가진 폭넓은 국내외 인프라와 항공 산업의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45년간 쌓아온 소노만의 운영 노하우와 에어프레미아가 가진 시장 경쟁력을 통해 양사 모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가겠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840670?sid=101

M&A WATCH(deal, news)

15 Oct, 04:02


딜소싱부터 PMI, 매각까지 최근 가장 기세가 좋은 하우스인듯

M&A WATCH(deal, news)

15 Oct, 03:58


UCK파트너스는 이날 대상웰라이프와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매각 대상은 UCK가 보유 중인 지분 75%와 창업자인 김경옥 회장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 15%, 자사주 10%를 포함한 지분 전량이다. 전체 몸값은 비공개다. 앞선 예비입찰에서는 전략적투자자(SI)와 재무적투자자(FI) 4~5곳이 경쟁했다.

이로써 UCK의 1호 블라인드펀드는 포트폴리오가 스터디카페를 운영하는 토즈 한 곳 만이 남게 됐다. 1호 펀드는 지난 2014년 3074억 원 규모로 조성됐다. 이미 공차를 360억 원에 인수한 뒤 3500억 원에 팔아 6배의 대박을 냈던 만큼, 토즈 매각까지 순조롭게 완료된다면 펀드 내부수익률(IRR)은 2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02854

M&A WATCH(deal, news)

14 Oct, 06:09


해당 투자의향서에서 FCP는 KT&G(033780)가 보유한 인삼공사 주식 100%를 약 1조9000억 원에 인수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방경만 KT&G 사장이 지난해 인베스터 데이에서 적정가로 밝힌 'EV/EBITDA7~8배의 가치', 약 1조2000억~1조3000억 원의 150%에 달하는 금액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841346?sid=101

M&A WATCH(deal, news)

12 Oct, 01:03


릴슨PE는 2018년 워터베어캐피탈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중소형 PEF다. 스맥은 1989년 삼성중공업 공작기계 사업부를 시작으로 설립된 공작기계·산업용 로봇 제조업체다. 인수 자금의 약 70%를 릴슨PE가 대는 것으로 전해졌다. 초기 자금은 릴슨 PE가 더 대고, 전략적투자자(SI)인 스맥이 향후 우선매수권을 받는 구조를 짠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2802?sid=101

M&A WATCH(deal, news)

10 Oct, 09:31


아쿠아리아 컨소시엄은 GS이니마 매각 자문사인 골드만삭스에 법적 구속력이 없는 인수의향(Non-binding offer)을 전달했으며 인수 가격으로 10억유로(약 1조5000억원)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아쿠아리아 컨소시엄이 법적으로 구속력을 지니는 제안(Binding offer)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GS이니마의 몸값이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GS이니마는 스페인에 거점을 둔 종합 수(水)처리 회사로, 2012년 GS건설 품에 안겼다. 당시 GS건설은 약 2900억원을 투입해 GS이니마 지분 80%를 확보했고, 나머지는 IMMPE 등 재무적투자자(FI)의 도움을 받았다. 이후 2019년 GS건설은 FI측 지분을 매입해 GS이니마를 100% 자회사로 편입했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29101

M&A WATCH(deal, news)

09 Oct, 06:36


고려아연 경영권 전쟁을 벌이고 있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 매각 지연으로 1조원대의 인수금융(경영권 지분 담보 대출)을 리파이낸싱(재조달)했다. 롯데카드 인수 때 빌린 차입금을 상환하고 남은 자금을 투자자금 회수 용도로 사용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카드 매각 협상이 여러 차례 불발된 이후 인수금융을 5년간 연장해 매각 시기를 여유 있게 저울질할 수 있게 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480448?sid=101

M&A WATCH(deal, news)

09 Oct, 06:36


[단독]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경영권 공개매수 추진 | 아주경제

율촌 비롯한 법무법인 접촉 중, 공개매수 어려울 경우 장내 추가 지분 매입 계획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인수 작업에 나섰다. 지분 공개매수 또는 장내 매수까지 고려하고 있어 티웨이항공 최대주주인 티웨이홀딩스·예림당과의 갈등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m.ajunews.com/view/20241008154149374#_enliple

M&A WATCH(deal, news)

08 Oct, 13:53


글로벌 산업가스 업체 에어프로덕츠가 한국 자회사 경영권 매각을 취소했다. 에어프로덕츠코리아는 최근 예비입찰을 진행하고 적격예비인수후보(숏리스트) 선정을 앞두고 있었는데, 돌연 매각 작업을 중단했다. 에어프로덕츠코리아가 가스를 공급하기로 했던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5공장(P5) 건설이 전면 중단되면서 실적 전망치가 대폭 하향 조정됐고, 이에 M&A 계획도 재검토가 불가피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22383?sid=101

M&A WATCH(deal, news)

07 Oct, 03:35


국민연금의 3500억원 규모 국내 사모투자 크레딧 부문 위탁운용사(GP)에 글랜우드크레딧, IMM크레딧앤솔루션(ICS), 큐리어스파트너스가 이름을 올렸다.

신용펀드는 구조화 채권이나 부실 자산 등 보다 넓은 범위의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대출채권,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상환전환우선주(RCPS), 교환사채(EB) 등을 활용한 전략으로 8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4/0005249678?type=series&cid=1089712

M&A WATCH(deal, news)

05 Oct, 00:04


과거 삼성과 한화는 골드만삭스·씨티증권·JP모건이 현대차는 골드만삭스, SK그룹은 UBS가 합병한 크레디트스위스 등이 사실상 ‘인하우스(사내) IB’로 불리던 시절도 있었다. 이들은 그룹의 주요 의사결정에도 관여할 정도로 오랜 친분을 다졌지만, 점점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우수한 IB인력들이 대기업으로 자리를 옮겨가면서 오히려 IB보다 더 많은 경험과 역량을 가진 대기업 M&A 팀이 구성된 상황이다.

대신에 회계법인들이 대기업의 파트너로 각광받고 있다. 리그테이블 1위가 이미 회계법인으로 넘어간지 몇년이 되어가고 있으며,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나 구조조정 업무는 채무재조정 등 회계실사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회계법인과 함께 논의해야 할 부분이 많아지고 있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4100280121

M&A WATCH(deal, news)

04 Oct, 00:36


메리츠화재와 사모펀드(PEF) 운용사 데일리파트너스는 이날 예보에 수의계약을 위한 인수 의향서를 제출했다. 2곳 모두 3차 공고 재입찰에 참여한 전력이 있다.

MG손보를 인수하려면 8000억~9000억원이 넘는 돈이 필요할 전망이다. 추정 매각가액(2000억~3000억원)에 더해 추가 자본 확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21579?sid=101

M&A WATCH(deal, news)

02 Oct, 03:52


핵심은 임의적립금. 목적 전환이 주총결의 사항임.

MBK파트너스는 "고려아연의 자기주식 취득금액 한도가 기존에 알려진 바 대로 5조8497억원이 아니라, 실제는 586억원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어 "고려아연은 올해 초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2693억원만을 향후 중간배당 등 재원으로 남겨두고 나머지는 해외투자적립금 및 자원사업투자적립금 등 사용 목적을 제한해 적립해 둔 것으로 확인된다"며 "이 중 2055억원이 올해 8월 이미 중간 배당으로 지출됐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29/0000325736?sid=101

M&A WATCH(deal, news)

01 Oct, 10:03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플러스 사이즈 여성복 브랜드 공구우먼의 1·2대주주인 김주영 대표(33.03%)와 TS인베스트먼트(32.5%)의 지분에 대한 매각제한이 지난 23일 해제됐다. 2022년 3월 공구우먼이 기업공개(IPO)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데뷔한 지 2년 6개월 만이다.
  
이에 김 대표와 TS인베스트먼트는 공구우먼 경영권 지분을 동반 매각키로 하고 관련 작업에 착수했다. 당초 TS인베스트먼트는 지난 4월 김 대표의 지분과 무관하게 매각제한이 해제되는 하반기 중 주관사를 선정하고 보유 지분에 대한 엑시트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었다.

https://dealsite.co.kr/articles/128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