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와소음 (투자) @studyhodl Channel on Telegram

신호와소음 (투자)

@studyhodl


투자마인드 확립 & 매크로와 크립토 등 다양한 투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Korean)

신호와소음 (투자) 채널은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공간으로, 투자마인드를 확립하고 다양한 투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은 studyhodl라는 사용자명을 가지고 있으며, 크립토통화를 비롯한 매크로와 크립토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투자 영역에 대한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채널을 통해 투자에 대한 지식을 쌓고 투자 마인드를 성장시키세요. 이 채널은 투자에 관심이 있는 누구에게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가들의 투자 전략과 팁을 공유함으로써 투자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금 바로 신호와소음 (투자) 채널을 구독하여 투자에 대한 지식을 늘리고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받으세요.

신호와소음 (투자)

10 Feb, 07:25


2024 미국 베스트 셀링 카 브랜드

신호와소음 (투자)

06 Feb, 03:57


비단 파나마 뿐일까? 그린란드나 가자지구에 대한 개입도 비단 미친소리만은 아니다.

많은 학자들은 2030~2035년 사이에 북극 빙하가 상당 부분 녹을 것으로 예측하며,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북극해를 경유하는 북극항로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가장 경제적인 물류망으로 부상할 것이다.

기존 수에즈 운하를 이용하는 항로보다 운송 거리가 최대 40% 단축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북극항로를 선점하려는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러시아는 군사기지와 항로개척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고,

중국 역시 ‘북극 실크로드’라는 구상을 통해 자원 확보와 항로 개척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은 덴마크 정부를 대상으로 공항과 인프라 투자 시도등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미국 역시 북극권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강력한 대응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또한 희토류등 지하자원들도 포기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린란드는 북극권 방어의 최전선이자, 러시아와의 대치 속에서 필수적인 군사 거점이기도 하다.

다섯군데의 군사기지가 미국의 자본으로 세워져있다.

덴마크는 NATO 회원국이지만, 국방비 지출은 GDP 대비 약 1.4% 수준으로, NATO가 요구하는 2%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린란드 방어를 자체적으로 감당할 역량이 부족한 덴마크는 실질적으로 미국의 군사적 보호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이 향후 그린란드에 대한 통제권 강화를 시도할 수 있는 명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린란드 내부 일부 주민들은 덴마크로의 완전한 편입을 지지하는 반면, 또 다른 세력은 자치권 확대를 통해 보다 독립적인 행보를 추구하고 있다.

이는 향후 미국과 덴마크의 전략적 결정에 영향을 미칠 변수 중 하나다.

현재 북극권을 둘러싼 국제적 역학관계는 그린란드를 단순한 덴마크령이 아니라, 글로벌 패권 경쟁의 최전선으로 만들고 있다.

신호와소음 (투자)

04 Feb, 08:32


포브스 외 다수기관 조사 바탕 가장 신뢰 할 수 있는 코인 거래소

1. cme
2. 코인베이스
.
.
4.바이낸스
7.업비트
16.바이빗
25.빗썸

신호와소음 (투자)

04 Feb, 01:39


이더리움 투자상품 순유입액 ‘제로’…투자심리 위축되나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52734?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조롱이 극에 달했다.

신호와소음 (투자)

04 Feb, 01:22


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687618?type=breakingnews&cds=news_edit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그들이 매우 가치가 있는 희토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지원을 희토류를 통해 보장(guarantee)받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수백억달러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엄청난 희토류를 가지고 있고 난 희토류를 담보(security)로 원한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는 그럴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서 “우리는 틱톡을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안보 우려로 미국에서 금지될 위기에 처한 틱톡의 미국 영업을 허용하되 지분 50%를 미국 측에 넘기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는데 이날 그의 발언은 국부펀드를 통해 틱톡 지분을 확보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신호와소음 (투자)

03 Feb, 15:17


미국의 최대 위기는 트럼프가 아니라, 심각한 재정적자다.

현재 미국의 연간 재정적자는 5조 달러(약 5,000조 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11월 한 달 동안에만 약 4,160억 달러(약 550조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이는 미국의 재정건전성이 얼마나 취약한 상태인지 명확히 보여준다.

바이든 행정부와 재무장관 재닛 옐런은 단기 국채 발행을 대폭 확대하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확보해왔으나, 이 전략은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최근 공화당이 부채한도 증액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 것도 이러한 구조적 위기의 심각성을 시사한다.

트럼프가 추진하려는 정책의 핵심은 이 막대한 재정적자를 줄이는 데 있다. 그가 효율부(DOGE)로 공무원들을 줄이고 관세 정책을 언급하는 이유도 결국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미 달러의 기축통화 역할을 조정하며, 새로운 형태의 금융 혁신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재정 건전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증시 조정과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트럼프 입장에서는 오히려 환영할 만한 시나리오다.

경기 둔화가 현실화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것이고, 이를 근거로 연준(Fed)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밖에 없다.

결국, 미 정부는 낮은 금리 환경에서 채권을 보다 저렴하게 발행할 수 있으며, 이는 재정수지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

트럼프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행할 의지도 갖추고 있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아직 이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신호와소음 (투자)

01 Feb, 02:44


🇺🇸 트럼프 예고대로 내일부터 멕시코, 캐나다에 25%, 중국에 10% 관세

신호와소음 (투자)

31 Jan, 02:02


리딩방 각종 사기는 금감원에 신고하세요.

텔레그램에서 리딩해준 답시고 돈 받는애들은

빡대가리 경계선 지능장애를 가진 정신나간 사기꾼입니다.

당신보다 가방끈 마저 짧은,
전자공시도 볼 줄 모르는 애들이란걸 잊지마세요. 😉

금감원 https://www.fss.or.kr/fss/minwon/search.jsp?query=&collection=simcase&searchField=ALL&sort=&pageNum=1&rgnlCd=&cvplCd=&cvplCd2=

신호와소음 (투자)

30 Jan, 07:10


[CES 젠슨황 -AI 기술 발전 단계]
"지각 AI" → "생성 AI" → "에이전트 AI" → "물리적 AI"

[지각 AI (Perception AI)]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추천 시스템 (Deep RecSys)
의료 영상 (Medical Imaging)

[생성 AI (Generative AI)]
디지털 마케팅 (Digital Marketing)
콘텐츠 생성 (Content Creation)

[에이전트 AI (Agentic AI)]
코딩 보조 (Coding Assistant)
고객 서비스 (Customer Service)
환자 관리 (Patient Care)

[물리적 AI (Physical AI)]
자율 주행 자동차 (Self-Driving Cars)
범용 로봇 (General Robotics)

신호와소음 (투자)

30 Jan, 06:56


[AI 혁명의 4단계]
1단계: 인프라(Infrastructure)
2단계: 엣지 AI(Edge AI)
3단계: 에이전틱 AI(Agentic AI)
4단계: 물리적 AI(Physical AI)

신호와소음 (투자)

30 Jan, 06:42


데이터의 Originality 와 Authenticity, 그리고 진입장벽
→ 베끼거나 훔치기 어려운 “양질의 데이터”를 가진 기업이 차별화가 될것이고, General AI로 나아가는 길목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을 갖게 될 것

신호와소음 (투자)

30 Jan, 03:09


https://youtu.be/xcBFh3QSzZQ?si=rltkYOitjL0NBVUR

신호와소음 (투자)

29 Jan, 11:14


저희 집 선산에 소나무를 오늘 찍어봤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하시는 일들 다 잘 되시고 투자에서 큰 수확을 얻어가시는 한 해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모두 화이팅 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9 Jan, 04:49


중국은 역시 보법이 다르다 🤮

신호와소음 (투자)

27 Jan, 08:21


Chamath Palihapatiya의 이번 중국 ai(딥시크등)관련 코멘트

1) 우선, 음모론에 대해 1%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이를 논의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만약 중국 또는 중국 기업들이 싱가포르나 다른 국가의 유령 회사를 이용해 Nvidia의 수출 통제 대상 칩을 구매하고 이를 AI 훈련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는 반드시 조사되고 판단이 내려져야 합니다.

2) 이제 AI 사용의 전장은 훈련(Training) vs 추론(Inference)으로 옮겨갔습니다.

이 순간이 언젠가는 올 것이라는 것을 모두 알고 있었지만, 아마도 이번 주말 이렇게 빨리 오게 될 줄은 몰랐을 것입니다.

이렇게 저렴한 모델을 통해 전 세계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는 많은 새로운 제품과 경험이 등장할 것입니다.

미국이 여기서 승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여전히 AI 훈련 칩의 수출을 통제하고 싶을 수 있지만, 추론 칩은 다르게 봐야 합니다.

추론 칩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의 솔루션이 다른 것들보다 더 많이 사용되도록 장려해야 합니다.
이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무기 등급의 우라늄 농축 지식을 다른 국가에 수출해서는 안 되지만, 미국의 우선순위와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다면 원자력 에너지 기술(상대적으로 덜 복잡한 기술)은 수출해야 합니다.

훈련(Training)과 추론(Inference)을 이와 비슷하게 비유할 수 있습니다.

3) 우리는 동맹국들(특히 중동 지역)과 협력해 전 세계적으로 추론을 가능하게 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합니다.

데이터 센터, 보조금 지원 에너지 등은 가능한 빨리 구축되어야 합니다.

그들은 이를 구축하는 비용을 부담하고, 우리는 추론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운영 소프트웨어를 공급합니다.

이러한 인프라 구축은 중국의 일대일로(Belt and Road)와 같은 우리의 버전입니다.

우리는 중국이 그들의 버전을 심각하게 받아들였던 만큼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4) 자본 시장이 이러한 정보를 소화하고 Mag7의 가치를 재평가하면서 주식 시장에서 변동성이 발생할 것입니다.

Tesla는 가장 덜 노출된 반면, 나머지는 공개적으로 발표한 설비 투자(CapEx) 규모에 따라 직접적으로 노출됩니다.

Nvidia는 명백한 이유로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하지만 Meta, Microsoft, Google 등이 매년 500억~800억 달러를 쓰지 않고도 승리할 수 있다면, 시장은 이를 환영할 것입니다.

5) 중국의 혁신은 지난 15년간 우리가 얼마나 “잠들어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큰 돈과 화려한 프로그램(AI가 처음은 아니며, 마지막도 아닐 것입니다)을 향해 달려왔고, 문제를 더 창의적으로 생각하거나 자원 제약을 기회로 삼으려는 노력은 부족했습니다.

우리는 정신을 차려야 합니다.

중간 관리자들을 제거하고, 이 작업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엔지니어들과 뛰어난 인재들에게 맡겨야 합니다.

더 많은 지출, 더 많은 회의, 더 많은 관리, 더 많은 주간 보고서는 더 많은 혁신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우리의 기술적 스타들이 그들의 마법을 펼칠 수 있도록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6) 스타트업들은 자신들이 기본적으로 “기본적으로 죽은 상태(default dead)“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이는 그들이 반드시 패배의 직전에서 승리를 쟁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 VC들은 이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평범한 아이디어에 과도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더 큰 목표를 겨냥하고, 자본을 최고의 아이디어에 배분하는 데 더 나아져야 합니다.

현재의 혼란 속에서, 지난 12개월 또는 그 이전에 나온 차세대 모델들이 쉽게 대체할 수 있는 무의미한 기능에 수십억 달러를 낭비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많은 자본 손실이 우려됩니다

🤔차마스 팔리하피티야
실리콘 벨리, VC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페이스북 초기맴버이기도 함.
소셜 캐피털 CEO , SPEC의 왕이라고 불림

신호와소음 (투자)

26 Jan, 08:30


크립토

취임식 연설, 첫날 행정명령에서 크립토는 일언반구 내용이 없었으나 그 후 행정명령이 발표 됨. 골자는 디지털 '금융'에서 미국의 리더십 강화인데 가장 중요한 것은 대통령 실무 그룹 설립과 'ai' 및 암호화폐 특별 의장이 이를 맡는다는 것임 (그림 1,2)

ai와 비슷하게 엮어서 가는 것이 아닐까 기대해 볼 수 있으나, 역시 전략자산 비축이라던지 직접적으로 미 정부에서 비트코인의 매수는 아직 기대해 볼 수 없으며 첫 100일 동안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이는 실현 불가능 할 것으로 보고 있음.

하지만 긍정적인 부분은 개별 ETF가 4,5월에는 출시 될 확률이 높아보임. 현재 개별 ETF 신청 된 코인은 XRP TRUMP DOGE 등 미국 자본 위주 코인들임. (그림3,4)

밈코인인 트럼프는 트럼프의 임기가 이번으로 마지막이기 때문에 (2차대전 같은 특수경우 말고는 미 대통령은 조지 워싱턴을 따라 2번을 하고 내려오는게 관례)

임기사이클 내 상승동력을 잃을 수 있음을 항상 생각해야 한다고 봄.

또한 필자는 이번 트럼프 임기내 크립토의 합성 ETF가 나올 것이라는것을 확신함.

특히 디파이 TOP10, 밈 TOP10 같은 합성 ETF의 출시가 점쳐짐.

실크로드 창업자의 사면도 눈여겨 봄직 하다고 보여짐. 향후 지갑 믹싱(트랜잭션 믹싱) BTC 익명거래, 다크코인등의 섹터에도 좋은 영향이 있을 것이라 보여짐. (마지막 그림)

신호와소음 (투자)

26 Jan, 08:20


🇺🇸 first 100days의 중요성

첫 100일은 대통령의 리더십과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짐. 이는 미국 역사 속에서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New Deal) 정책처럼 대대적인 변화를 이룬 사례를 통해 더욱 강조됨

이 시기의 성과는 단순히 대통령 개인의 리더십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의회와의 협력 가능성을 시험하고, 미국 경제와 국제 관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고려하게 함. 이는 취임 초기에 정치적 자본이 가장 높은 상태에서 정책의 관철이 더 용이하다는 정치적 현실을 반영한 것임.

경제 정책

트럼프 정권의 경제 정책은 보호무역주의를 기반으로 한 관세 인상과 경제 자립 강화로 요약됨.관세는 과거 미국 정부가 수입원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한 바 있으며, 이를 재도입하려는 트럼프의 정책은 단순한 고립주의가 아닌 협상 전략으로 해석됨

중국과 캐나다 등 '협상카드'이지 고립주의는 절대 아니라는 말.

ai 분야

트럼프 정권은 인공지능(AI) 기술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혁신을 촉진하려는 의지를 보임. 바이든 정권 하에서 도입된 일부 규제는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았음.(상무부 보고등) 트럼프는 이를 철회하고 민간 부문의 주도적 역할을 강화하려는 방향을 제시.

특히 현재 중국의 딥시크가 78억의 개발비용으로 쳇 지피티를 상회하는등 중국의 ai굴기는 엄청남. (그림1)

최소 4년동안 트럼프+상하원을 가진 공화당은 대통령령이 아닌 법안 발의를 통한 ai정책을 쏟아 낼 수 있음.

미국의 700조 ai 정책은 미국 주식의 2차 랠리 기폭점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큼.
(브로드컴과 엔비디아의 동반상승이 기대심리 반영이라고 볼 수 있음)

smr과 원전, 데이터 보관관리등의 수혜주들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짐.

신호와소음 (투자)

24 Jan, 13:55


JP 모건 일본 기준금리 전망보고서

2025년 두 번의 금리 인상 예상

우리는 일본은행이 인플레이션 동력을 전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온건한 비하인드 더 커브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고 봅니다.

이 접근 방식은 결국 물가 상승 기대치를 더욱 높이는 압력을 가해, 추가 금리 인상을 뒷받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는 2025년 6월과 12월 회의에서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것이며, 정책 금리가 연말까지 1%에 이를 것으로 전망합니다.

다만 최근 물가 상승세 재확산과 엔화 약세 압력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 시기가 더 앞당겨질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4 Jan, 08:05


ㅁ AP : 계엄령은 한국의 정치와 금융시장을 혼란케 했으며 국제적 이미지도 손상

ㅁ Japan Times : 정치 불안 속 수출 전망 악화 등으로 경제의 하방 압력이 점증

ㅁ Bloomberg : 韓·美·日 3국 공조 약화로 아시아 안보체제 안정성 우려 제기

ㅁ AIIA : 정치 혼란은 사회적 가치 대립과 경제적 양극화에 주로 기인

ㅁ Reuters : 국내 정치 불안으로 신뢰 저하 및 성장 제약 우려

ㅁ Citi : 국내 정치 불확실성으로 경제 성장 위축

ㅁ Nomura : 정치 불안으로 인한 성장 위축은 단기적, 향후 성장은 완만한 회복 예상

ㅁ Barclays : 금년 성장률 1.7% 유지 전망,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하방 리스크는 잠재

ㅁ BofA : 현재 환율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성장 둔화 대응을 위해 금리 인하 예상

ㅁ Bloomberg :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중대한 시기에 한국은 정치적 불안정과 계엄 사태로 인한 심각한 리더십 공백에 직면

신호와소음 (투자)

24 Jan, 03:03


결국, 강렬한 서사의 힘은 단순히 누군가를 처벌하거나 격퇴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희생과 감동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에 있다.

인간이 정치를 대하는 심리는 시소와 같다. 한쪽을 강하게 누르면 반대쪽이 그만큼 올라간다.

국민의힘에 대한 미움을 강하게 드러낼수록, 그 반대편에서는 "이재명만큼은 안 된다"는 심리가 똑같이 작용한다.

만약 칼자루를 쥔 민주당이 조기 대선에서 승리를 원한다면, 이제부터라도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여론에서 최대한 언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포트라이트를 주지 않는 것이다.

그 대신에 사람들의 시선을 국민의힘과 그들의 지지자들까지도 포용하고 이해하려는 태도 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늘 그렇듯, 민주당은 이러한 감동의 서사를 써 내려가진 못할 것 같다.

사람들은 통쾌한 복수극을 응원하지만, 정작 그 복수 의 장면을 자세하고 길게 이어지면 끔찍하다고 생각 한다.

감동의 명작이 아닌 19금 느와르나 호러 영화로 기억에 남는다.

물론 민주당 입장에서는 분명 복수를 원한다고 했잖아? 그래서 열심히 했는데, 왜 이제 와 서 욕을 하지?"라는 당혹감을 드러내는 것도 이해는 한다.

그러나 결국, 진정한 승리를 원한다면 상대를 압도하려는 칼춤이 아니라, 포용과 화해의 탱고의 춤을 춰야 한다.

by 황준선 작가 (https://brunch.co.kr/@zeropartydata/195)

신호와소음 (투자)

22 Jan, 03:27


2023년 12월 기준, 주택 가격은 미국 주요 대도시 41곳에서 상승했으며, 이는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모든 대도시에서 가격이 오른 2024년 12월과 유사.

저렴했던 도시의 변화
클리블랜드와 밀워키 같은 전통적으로 저렴한 도시들이 팬데믹 동안 급격한 가격 상승 이후에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 중.

텍사스와 플로리다처럼 작년에 가격이 하락했던 지역도 다시 가격이 오르고 있음

렌트 수요 증가
집값과 이자율 상승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주택 구매 대신 렌트를 선택하고 있음.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렌트비 부담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

팬데믹 이후 가격 변화
팬데믹 당시 낮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주택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폭등했지만, 금리가 20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한 2023년에는 가격이 하락함.

2023년 4월에는 2012년 이후 가장 적은 도시(19곳)에서만 가격이 상승했지만, 이후 매수자들이 높은 금리에 적응하면서 가격이 회복되고 있음.

또한 주택 공급 부족이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도시별 가격 상승률
•클리블랜드: 15% (가장 큰 상승폭)
•밀워키: 14.5%
•필라델피아: 14%
•마이애미: 11.8%
•시카고: 11.1%

🤔한국 부동산 싸이클은 통상 미국 부동산 싸이클의 12~16개월 후행

신호와소음 (투자)

21 Jan, 14:50


이상우대표 2025 부동산전망

1. 서울 핵심지역이라 하더라도 학군지 자체가 사라지고 있다. 3~5년 뒤면 폐교된다.

2. 대구나 부산은 벌써부터 사라지고 있다.

3. 아이가 적어지니 묻어갈 수 없게 된다. 좋은 학군지는 티가 난다. 앞으로 아이 교육열은 더 불붙을 것.

4. 초등학교 3학년 이후에는 이사를 갈 만 하니, 좋은 학군지로 부모님들이 이사를 간다.

5. 좋은 학군지에는 빌라가 없고 아파트만 있다. 좋은 학군지의 아파트만 인기가 높아진다.

6. 좋은 학군지가 없는 지역의 주거지는 인기가 떨어진다.

7. 좋은 학군지의 신축만 인기가 많아지는 중..!

8. 길 하나를 두고 신축과 구축의 시세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중

9. (결국 아이가 태어나는 곳, 아이가 몰리는 곳의 신축 아파트의 시세가 올라갈 것)

10. 고령화 현상이 심해질수록 아침 점심을 주는 신축 대단지 아파트의 인기가 올라간다.

11. (결국 구축 아파트와 빌라 같은 곳은 수요가 사라지는 중, 집값 하락)

12. 노후에 자산이 있는 노인들은 실버타운을 좋아하지 않는다.

13. 여러 요소가 좋은 재건축은 현재 어렵다.

14. 재건축은 정치적 문제 + 분담금 이슈 등등으로 어려우니 기대X

15. 원주나 경주를 가보면 역이 개똥같이 지어져있다. 왜 그럴까? 누가 이득을 봤을까? 그 땅의 주인이 누구였을까? ㅋ

16. 역이 도심 인근이 아니라 도시의 외곽에 뜬금없이 지어져 있으니 도심지 활성화가 잘 안 된다.

17. 지방은 도심지 활성화도 안 되고 재개발도 안 되고 더더욱 낙후되고 노후화되는 중.

18. 도심 재개발이라는 답이 있는데 귀찮고 어려우니 안 한다. 도시 외곽에 신규택지지구만 늘어나면서 인구가 쪼개지고 도시 활성화가 안 된다.

19. 공기업 입주해봤자 공기업이 땅만 넓게 쓰고 도시 활성화는 전혀 되지 않는다.

20. 지방자치제도를 택한 이상 지방 유지나 세력들의 말을 들어줄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이따구가 되었다.

21. 단순한 주택 호수는 의미가 없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주택이 늘어야 한다.

22. 잘못된 길을 너무 오래 걸어와서 이제는 고칠 수 없다. 답이 없다. 지방은 gg

23. (사람들이 서울이나 아이가 있는 동탄 같은 신도시로 몰리며 구도심은 죽어갈 수밖에)

24. 서울은 아직까지 기회가 있다. 수요가 있기 때문에.

25. 서울에 주택 호수가 많다 하더라도 신축은 반드시 필요하다. 신축이 필요 없다고? 신축 사는 사람들만 이런 말을 한다.(나는 이미 신축 살지롱)

26. 여러 정책 + 자금 사정 상 반 강제적으로 경기도에 사람이 몰린다.

27. (그치만 경기도도 구도심은 죽어가고 있으며 몰리는 지역에만 몰리는 중)

28. 서울에 집을 지을 공간이 없으니 재개발을 하는 게 맞으나 규제가 너무 심함.

29. 재개발조합장은 겸직 불가 >> 은퇴한 나이 먹은 사람이 조합장 >> 젊은 세대와 생각 차이가 크다 >> 재개발 안 된다.

30. 후진국 시대에 태어나서 자란 사람들과, 선진국일 때 태어나서 자란 사람의 시각 차이는 너무 크다.

31. 서울의 구도심 빌라, 오래된 아파트는 재건축 어렵다. 특히 대형교회가 알박기 한 지역은 정말 어렵다.

32. 재건축 되는 지역과 안 되는 지역은 정해져있다. 될 것 같아 보여도 안 된다. 사람들이 말이 많다.

33. 결국 모든 걸 다 따져보면 안 되는 이유는 지역 유지들과 정치적 문제가 강하다.

34. 96~2001년 사이에 지어진 택지지구는 답이 없다. 집 상태도 안 좋고, 용적률은 용적률대로 높고, 단지 부지는 작다.

35. 대한민국의 미래는 프랑스와 닮아있다. 큰 정부, 도심개발 절대 안 하고, 말도 안 되는 문화재 보존

36. 한국 산업 전망을 보면 금융 섹터를 가장 좋게 보고 있다. 금융이 좋다는 건? 기업들이 엄청나게 힘들거라는 거.

37. 마용성, 강남쪽은 좋을 수 있으나 그 외 지역은 음..

38. (위 내용들이라면 서울에 학생들이 몰리는 신축아파트가 가장 좋다. 강남, 마용성. 그 뒤가 경기도 젊은 세대가 아주 많은 동탄신도시, 광교신도시 등. 그 외 지방 구축 아파트와 빌라는 나락. 끝)

신호와소음 (투자)

21 Jan, 07:42


https://youtu.be/-nm47KFhNXY?si=VYTUoFYhQiUkKZUi

신호와소음 (투자)

21 Jan, 02:48


삼전 목표주가 52000 🙀

신호와소음 (투자)

20 Jan, 23:11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60584?sid=105

전략자산이나 비트코인으로 국채 빚 갚는건 솔직히 좀 무리수긴 했나..?

신호와소음 (투자)

20 Jan, 22:55


전국민 25만 원 지역화폐 지급과 20조 원 추가경정예산 편성은 단기적 소비 진작을 명분으로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재정 건전성을 훼손하고 경제 체질을 약화시킬 위험이 크다.

더더욱이 당 지지율 역전 상황에 이런 정책은 돈으로 지지율을 사려는 야박한 꼼수로 비춰질 뿐이다.

포퓰리즘적 접근 대신, 장기적 경제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에 집중해야 한다.

단기 처방이 아닌 근본적 대책이 절실하다.

신호와소음 (투자)

20 Jan, 22:39


🇺🇸 도널드 트럼프, 제47대 미국 대통령연설 요약

1️⃣ 내각에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을 극복하라고 지시
물가 안정과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 재정 긴축과 금리 정책이 조화를 이룰지가 관건.

2️⃣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
에너지 위기를 해결하고 에너지 독립을 강화하겠다는 의지 표명. 기존 석유·가스 산업 중심의 전략 예상.

3️⃣ 전략적 비축량을 다시 채우고, 에너지 수출 강화
미국 에너지를 글로벌 경쟁력으로 삼아 수출 확대를 목표로 설정. 국제 에너지 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됨.

4️⃣ 전기차 의무화 철회
내연기관차 산업을 보호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취지. 친환경 정책과의 충돌 우려.

5️⃣ 외국에 관세와 세금 부과
미국 산업 보호를 위해 외국산 제품에 추가 비용 부과. 글로벌 무역 갈등 가능성.

6️⃣ 국외수입청 설립
해외 자금 유입을 관리하고 세수 확대를 목표로 함. 운영 효율성이 중요한 도전 과제.

7️⃣ 정부 효율성 부서 설립
관료주의 축소와 행정 개선을 위한 새로운 기관 설립. 실제 성과 여부는 시간이 필요.

8️⃣ 파리 기후 협정 탈퇴
환경 규제를 완화하고 미국 산업 보호를 목표로 설정. 국제적 비판 예상.

9️⃣ 파나마 운하 되찾기 선언
미국의 전략적 요충지 지배력을 되찾겠다는 발언. 국제적 긴장 고조 우려.

🤔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들은 ‘미국 우선주의’를 극대화한 방향으로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산업 활성화와 경제 회복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으나, 국제 사회와의 갈등 및 장기적 환경 문제 대응 부족이 우려됩니다.

정책의 구체적 실행력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0 Jan, 14:38


밈코인 판교어 정리

1.MEV (Maximal Extractable Value): 블록체인 거래에서 특정 거래를 우선 처리하거나, 다른 거래를 밀어내 차익을 얻는 행위를 말합니다. 흔히 “샌드위치 공격”으로 불리며, 이를 통해 거래자가 손실을 입기도 합니다. 윗꼬리가 긴 차트를 보면 MEV로 인해 손실이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2.Developer (데브): 개발자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종종 밈코인 개발자를 의미합니다.

3.Slippage (슬리피지): 주문 가격과 실제 체결 가격 간의 차이를 뜻합니다. 유동성이 낮은 자산일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 예상보다 비싸게 사거나 싸게 파는 일이 빈번합니다.

4.LP (Liquidity Pool/Provider): DEX에서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동성을 뜻합니다. LP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대량 주문 시 큰 슬리피지가 발생하거나 MEV 공격을 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LP가 락(Lock)되지 않으면 개발자가 유동성을 회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5.Mintable: 추가 발행이 가능한 코인을 의미합니다. 무제한 발행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는 투자 시 신중해야 합니다.

6.Freeze & Honeypot (허니팟): 특정 체인에서 거래를 제한해 가격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키는 행위를 뜻합니다. 솔라나(Solana)에서 이러한 사례가 간혹 발견됩니다.

7.Conviction (컨빅션): 특정 자산에 대한 강한 확신으로 대량 매수하는 행위입니다. 가격 하락 시 추가 매수(물타기)를 하며 반등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Top Blast (탑 블라스트): 자산이 고점에 도달했을 때 매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흔히 “불타기”와 유사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9.Buy the Dip (바이 더 딥): 가격 하락 시 저점에서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10.Reversal (리버설): 하락세가 이어지던 자산이 반등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데드캣 바운스”와도 유사합니다.

11.Moonbag (문백): 일부 수익 실현 후 원금을 제외한 자산만 남겨두는 전략입니다.

12.Sol Farm (솔팜): 유동성을 제공한 뒤 수수료를 얻는 과정에서 본인이 손해를 보게 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13.Rug (러그): 프로젝트 개발자가 모든 유동성을 회수하고 사라지는 사기 행위를 뜻합니다.

14.Slow Cook (슬로우 쿡): 펌핑이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15.Cabal (카발): 시장 조작에 관여하는 익명의 집단 또는 내부자를 지칭합니다.

16.CTO (Community Take Over): 특정 프로젝트가 소수의 내부자가 아닌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성공적인 예로 SPX가 있습니다.

17.MM (Market Maker): 시장 유동성을 제공하며 가격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는 집단 또는 개인을 의미합니다.

18.Jeet (지트): 가격 상승 초기에 보유 자산을 매도하거나 단기 매매를 통해 차익을 실현하는 행위입니다.

19.Bonding Curve (본딩 커브): 특정 자산이 펌핑 구간에 도달해 주요 거래소에 상장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과정입니다.

20.참보 (참새보x): 단기 차익 실현을 목표로 매매를 반복하는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21.Caller (콜러): 특정 코인이나 티커를 추천하여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뜻합니다. 일례로, 일론 머스크는 대표적인 콜러로 간주됩니다.

22.Bundle (번들): 대량 보유 자산을 여러 지갑에 분산시켜 보유량을 숨기는 행위를 말합니다. 번들 지갑의 비율이 높을 경우, 대규모 매도가 발생하면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3.Dev Sell & Dev Burn (데브셀 & 데브번): 개발자가 보유 물량을 매도하거나 소각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개발자 매도 이후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4.Sniper (스나이퍼): 특정 지갑을 추적해 거래를 복제하거나 빠르게 매수·매도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상대가 이를 인지할 경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8 Jan, 06:20


『그는 "전국민에 지원금을 주면 잘 되는 자영업자만 더 잘 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어려운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고, 전국민 지원금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 국민들이 '전국민 XX만원'에 속아넘어 갈 정도로 어리석지 않기를 바랍니다.

처음 한번이 어렵지 일단 25만원 주면, 그 다음은 50만원 되는거고, 결국 100만원 주게 된다.

1. 배급 주기는 짧아지고,
2. 배급 액수는 높아지며,
3. 구매력은 매번 낮아질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3077?sid=101

신호와소음 (투자)

17 Jan, 08:45


미국 관련 코인에 대한 직관적인 이미지

코인베이스 인덱스, 그레이스케일 신탁,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미국에서 만들어졌는가

확실히 이렇게 보니깐 공통점이 보이는 종목들 판별이 괜찮네요.

신호와소음 (투자)

16 Jan, 16:08


한쪽 이야기만 듣는 위험성은 사회적 구조와 개인적 내러티브의 균열을 초래하는 본질적 함정이다.

한국 정치의 분극화 역시 동일한 맥락에 위치한다.

각 진영은 자기 서사를 절대적 진리로 간주하며, 타자의 목소리를 배제하는 데서 갈등이 기인한다.

개인의 문제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인간관계의 본질은 상호성에 있으며, 상대방의 관점을 배척하는 순간 대화의 가능성은 소멸된다.

진리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다원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단일한 관점에 매몰되는 것은 세계의 복합성과 층위를 간과하는 오만에 불과하다.

우리는 이제 경청이라는 윤리적 행위를 통해 지적 성찰과 공존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다양성의 스펙트럼을 수용하며 다름 속의 진리를 발견하려는 태도만이 사회적, 개인적 성숙의 초석이 될 것이다.

신호와소음 (투자)

16 Jan, 13:13


🇺🇸 트럼프 미국 기반 암호화폐로 솔라나와 리플 고려중

솔라나는 초고속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스마트 계약과 DApp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추며, 높은 확장성과 낮은 수수료를 강점으로 함

반면, 리플(Ripple)은 금융기관 간의 국제 송금을 효율화하는 데 중점을 둔 네트워크로, 안정적이고 빠른 거래 처리가 강점이지만 중앙화 논란과 규제 리스크가 따름

솔라나는 기술 혁신과 생태계 확장성이 투자 포인트이며, 리플은 기존 금융 시스템 대체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짐.

둘다 중앙화 된 네트워크라는 단점(?)이 있으며 솔라나는 네트워크 다운 이슈가 있음

신호와소음 (투자)

16 Jan, 00:51


🇰🇷 금통위 금리 동결

신호와소음 (투자)

15 Jan, 07:28


http://youtube.com/post/UgkxtnwjAmVBbvpesg3TT5_bHw2gzudiRw0r?si=w0MegWtaVfxPVnXf

신호와소음 (투자)

15 Jan, 06:58


실제 경계선 지능장애를 가진 분들에게는 죄송합니다만 사기꾼들은 경계선 지능장애가 있다는 말에 공감이 갑니다.

자신의 행동이 법적,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기 행위에 가담하거나 이를 인지도 못하는 것은 머리가 개빡통이란 소리긴 합니다.

먼 지인 중 능치가 처참한데 어찌 나쁜짓을 저리도 할까 생각해보면 그냥 능지가 딸려서 하다가 도망다니거나 주변에서 뒷말로 욕 처먹는 인생이더군요.

오늘도 사기꾼과 리딩방 등 협잡꾼들을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

신호와소음 (투자)

15 Jan, 04:48


🇺🇸트럼프시대 소득세와 세금에 대한 새로운 정책 기관 발표

오랜 시간 동안, 우리는 IRS를 통해 우리 위대한 국민들에게 세금을 부과해 왔습니다.

무르고 초라한 무역 협정을 통해, 미국 경제는 세계에 성장과 번영을 제공해 왔지만, 우리는 스스로에게 세금을 부과해 왔습니다.

이제 그 상황을 바꿀 때입니다.

오늘 저는 ’외부 수익 서비스(EXTERNAL REVENUE SERVICE)’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합니다.

이를 통해 관세, 세금, 그리고 외국에서 오는 모든 수익을 징수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우리와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는 이들에게 그들의 ‘공정한 몫’을 지불하게 할 것입니다.

2025년 1월 20일은 외부 수익 서비스의 탄생일이 될 것입니다.

MAGA

신호와소음 (투자)

15 Jan, 04:40


https://youtu.be/TeXXHNwsoy4?si=AKcNKhv8n7ZybUAG

🤔 개리갠슬러, 트럼프 취임 전 노선 변경?

"Bitcoin is a highly speculative asset, but 7 billion people want to trade it. Just like we had gold for 10,000 years, we have Bitcoin."(cnbc 인터뷰)

비트코인은 투기성 자산이지만 70억명은 이를 거래하고 싶어한다. 우리가 1만년동안 금을 가지고 있었던 것 처럼 우리는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다

댓글은 대부분 부정적인 의견

신호와소음 (투자)

13 Jan, 10:42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113000027


중국 내 독감 바이러스의 급속 확산에 불안감이 퍼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나서서 진화에 나섰다.

가오신창(高新强)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비상의료국 부국장은 "춘제(春節, 중국 설)를 앞두고 독감 감염이 높아질 수 있다"며 "주요 의약품 비축 및 공급은 정상적이며, 현재 약품 수급 상황 역시 정상적"이라고 설명했다.

신호와소음 (투자)

12 Jan, 15:00


■ LA 산불화재 관련주 요약

-제일일렉트릭 : 전력설비
-파라텍 : 소방설비기업
-전진건설로봇 : 건설기계장비

-위닉스 : 공기청정기 미국판매 기대
-한솔홈데코 : 숲조성 조림산업
-제노코 : 산불감시 및 진압시스템
-TKG애강 : 소방배관재 제조
-한컴라이프케어 : 방독면
-현대에버다임 : 소방차 제조

-제룡산업: 전력설비
-비츠로테크 : 전력설비
-세명전기 : 전력설비
-제룡전기 : 전력설비
-대원전선 : 전력설비

-GH신소재 : 방화복
-HD현대건설기계 : 건설기계장비
-네온테크 : 드론 기반 소방솔루션
-케이웨더 : 화재,열감지
-케이엠, 웰크론 : 방진마스크
--이엔플러스 : 소방차, 소화전, 소화기 등의 소방 장비를 제조

*갭 따라가다 물리면 구조 안될수도 있는

*전체면적대비 현재 진압률 10%대수준

신호와소음 (투자)

12 Jan, 01:26


🇺🇸

1 천연가스 강세흐름 지속 (미국 한파)

2 유가 76불대로 반등중 (인플레 불안 촉발)

3 미국채10년물금리 4.76%로 작년이후 최고치

4 달러인덱스 109로 23년이후 최고치 기록

5 글로벌IB들은 올해 금리인하 예상을 2차례에서 한차례로 줄임

신호와소음 (투자)

07 Jan, 10:5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002974

고금리와 소비자 수요 약화의 영향으로 미국 기업 파산 건수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7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기업 최소 686개가 파산 신청을 했다. 이는 2023년에 비해 약 8% 증가한 것이며, 2010년 828개 기업의 파산 신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신호와소음 (투자)

04 Jan, 01:40


'직장을 그만두고 싶을 때 개의치 않고 그만둘 수 있을 정도의 자산' 이라는 건 신기루다.​ 우리는 절대 그만한 돈을 갖지 못한다. 아무도 그러지 못한다.​

가난한 사람에게는 가난한 사람의 문제가 있고, 부유한 사람에게는 부유한 사람의 문제가 있다.​ 어차피 사람에게는 항상 문제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언제나 자기 절제의 필수성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아니면 적어도 그 필수성을 무시한 결과로부터 절대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어쨌거나 직장을 그만두고 싶을 때 그만둘 수 있을 정도의 자산이 정말 그렇게 훌륭한 목표일까? 누구에 대해서도 무엇에 대해서도 신경 쓰지 않아도 될 만큼 많은 돈을 갖는 것이 무슨 가치가 있을까? 그것은 미덕이 아니라 유치함이다.​

우리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은 "고맙지만 사양합니다. 그 일은 안 하는 것이 낫겠군요"라고 정중하게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적당히 편안하게 살 수 있을 만큼의 돈이다.​

돈 때문에 자기 가치관과 상반되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고,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계속 할 수 있을 만큼의 돈이 있다면 충분하다.​

#절제수업

신호와소음 (투자)

04 Jan, 01:40


https://www.youtube.com/watch?v=WsjQlhCgIws

신호와소음 (투자)

31 Dec, 02:20


🚗 전기차 캐즘 끝난다

전기차 시장 전망 및 업계 동향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2025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30% 증가해 약 1,51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전체 신차 시장의 16.7%를 차지할 전망

-2024년 예상 점유율(13.2%) 대비 가파른 성장세로, 2025년을 기점으로 전동화 속도가 다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임.

지역별

🇺🇸2025년 EV 점유율 11.2%로 성장 예상. 다만, 관세 및 보조금 정책 등 행정부의 방향성에 따라 시장 변동 가능성 큼.

🇨🇳EV 시장 점유율 30%에 육박하며 내연기관차 판매량을 처음으로 추월할 전망. 가격 경쟁 심화 및 로컬 브랜드 도태 가능성 존재

🇪🇺2025년 시장점유율 20% 이상 예상. 보조금 축소로 일부 수요 둔화 가능성 있지만, 서·중부 유럽 중심으로 전기차 판매 43% 증가 전망.

완성차 업계 전략 변화

일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EV)와 하이브리드 투트랙 전략을 채택하며 전동화 로드맵을 조정 중.

🇩🇪EV 판매 부진으로 공장 폐쇄와 인력 감축 논의 중.
🇯🇵토요타와 혼다 등은 시장별로 하이브리드와 EV 모델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며 장기적 대응.
🇰🇷기아의 내년 ev4와 제네시스 마그마등 다양한 라인업 기대, erev 등도 개발중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나, 지역별 정책 및 업계 전략 변화가 시장의 단기 변동성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 됩니다.

2025년 이후 본격적인 확산 단계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6 Dec, 08:32


만족을 모르는 사람은 끝없는 욕망의 노예가 된다.

타인의 배려와 선의를 당연시하고 자신의 행동만 강조하는 태도는 자기중심적 사고의 극치이며, 이는 인간관계를 파괴하고 사회적 유대를 약화시킨다.

감사와 존중이 없는 마음은 공허함을 채우지 못하며, 결국 그 사람 스스로도 고립과 불만족에 갇히게 될 뿐이다.

이는 성숙하지 못한 심리적 발달의 결과이며, 타인을 도구화하는 위험한 행동 패턴이다

신호와소음 (투자)

25 Dec, 15:13


갈등을 잘 해결하려면 타인 중심(배려)과 자기 중심(자기 보호)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자기 중심이 지나치면 갈등을 일으키고, 주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자기 반성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며 성장합니다. 반대로, 반성이 부족한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거나 자신을 방치하며 실패를 초래합니다.

특히 내면의 빌런, 즉 스스로를 돌보지 않는 태도는 외부 갈등보다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성장은 타인과 조화를 이루되, 스스로를 깊이 이해하고 지키는 데서 시작됩니다. 자기 반성은 이 모든 과정의 핵심입니다.

유튜브 링크 https://youtu.be/TkF6s3-fXIs?si=sndSxc300lKnm5Ph

신호와소음 (투자)

23 Dec, 08:07


🇨🇳 중국 반도체 세계 시장에서 과연?

중국 반도체 수출의 기록적인 성장

- 수출 금액 및 물량 : 24년 1~11월 중국 반도체 수출은 1조 위안(약 200조)을 돌파, 사상 최고치를 기록, 물량 기준으로는 2710억개로 다소 감소 했으나, 단가 상승으로 인해 수출 금액 고점 도달

- 품목 다변화 및 고급화 : 주요 품목은 메모리 반도체로 YMTC가 저가 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 확대.

파운드리 시장에서 중국의 도약

- 글로벌 시장 점유율 : SMIC(6% 3위) , 화홍(2.2% 6위), 넥스칩(0.9% 10위) 등 상위 10위권 내 3개 중국 기업 진입, 특히 SMIC는 TSMC와 삼전에 이어 글로벌 3위를 확고히 함 (글로벌 파운드리 10위권에 중국 3, 대만 4)

- 가격 경쟁력 : 중국 파운드리 업체들은 28NM 이상의 레거시 공정을 중심으로 대만 팹리스 고객을 적극 공략, 약 40% 낮은 단가로 시장 점유율 확대, 이에 따라 대만 파운드리 업체(UMC,벵가드) 가동률은 70% 이하로 급락

생산 능력의 급성장

- 전 세계 반도체 생산 공장의 42%가 중국에 위치 레거시 공정에서도 시장 장악력을 확대중.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의 영향

- 미국은 범용 반도체에 대해 무역법 301조를 적용한 제재 검토중, 그러나 중국은 자국산 장비로도 범용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어 제재의 실효성은 의문

- 대만 업체들이 중국의 저가 공세에 직격탄을 맞는 중 우리는 과연..?

🧐중국의 반도체 전략은 레거시 공정 중심의 생산능력 확대와 가격 경쟁력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데 매진 중 입니다.

이런 확장은 사실 기술적 혁신 보다는 생산 효율과, 비용절감에 초점이 있어 첨단 기술 제재의 영향을 받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중국의 저가 공세가 한국과 대만 등 주요 반도체 강국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가시화 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단기적으로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3 Dec, 02:17


🇺🇸다시 금리인상론 대두

지난주 FOMC 회의 이후 아폴로의 토르스텐 슬록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강력한 미국 경제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효과를 이유로 연준이 내년 금리를 인상할 확률을 40%로 전망

토르스텐은 높은 관세, 세금 인하, 이민 규제 등 정책 조합이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분석하며, 내년 시장 환경이 2022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측

또한, 관세 인상이 물가 상승과 GDP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는 반면, 세금 인하는 물가 상승과 성장 촉진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민 규제는 임금 상승 압력과 성장 둔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

서틀이코노믹스의 필 서틀과 해리스파이낸셜그룹의 제이미 콕스도 연준이 인플레이션 완화 속도가 더뎌질 경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견해 밝힘.

실제로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내년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진적으로 반영하기 시작

결론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연준의 금리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은 점진적으로 긴축적 통화정책의 지속성을 반영하는 모습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3 Dec, 00:51


신호와소음 (투자) pinned «📣구글 크롬만 켜두면 채굴이 되는 프로젝트들 크립토 매매가 어려우신 분들은 이런식으로 경험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라스(상장되어 있음) https://app.getgrass.io/register/?referralCode=7fTcz7fMJFrArdo 노드페이 https://app.nodepay.ai/register?ref=ZB5IzdtZVsoI2Xg 던 -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dawn-validator…»

신호와소음 (투자)

22 Dec, 22:51


🇰🇷 환율 방어, 이제는 나설때?

최근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근접

제조업 중심 기업들은 원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

일부는 가격 인상을 시도했으나 소비 위축이 예상됨. 비용 절감에 나선 기업도 있으나 구조조정과 투자 축소가 우려.(일부는 이미 현실화)

중소기업은 환율 헤지 수단이 부족해 더 큰 타격이 예상.

장기적 환율 상승 시 수출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과 환위험 관리 지원 강화가 요구가 강화되는 시점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0 Dec, 18:28


블룸버그 )

삼성이 2024년에 NVIDIA에 HBM3E를 공급하지 못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는 삼성이 NVIDIA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0 Dec, 14:23


🇺🇸 BofA 미국 셧다운 FAQ

1.정부 셧다운 임박
-연방정부 자금은 20일 자정까지 확보된 상태.
-내년 3월까지 예산 연장 합의 무산, 현재 의회 협상 중.
-타협 실패 시 정부 셧다운 돌입 가능성 높음.

2.셧다운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방 공무원 강제 휴가 및 급여 지급 중단.
-GDP 성장률 매주 0.1%p 감소 예상.
-체불 급여 회복 시 경제적 영향은 빠르게 복구됨.
-주요 경제 데이터 발표 지연 가능성 있음.

3.금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리와 수익률 곡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리스크 오프” 상황 시 금리 변동 가능성 존재.
-더 큰 위험은 부채 한도 문제로 인한 디폴트 가능성(2025년 여름 예상).

4.외환(FX) 시장에 미치는 영향
-셧다운 리스크가 달러에 명확한 방향성을 주지 않음.
-성장 둔화(USD 부정적) vs. 위험 회피 심리(USD 긍정적).
-시장은 정치적 위기가 결국 해결될 것으로 봄.

5.주요 교훈
-내년 입법 과정은 더 큰 교착 상태(gridlock) 예상.
-공화당의 근소한 다수당 지위로 협상 어려움 높음.

신호와소음 (투자)

19 Dec, 03:10


일본은행은 19일 금융정책회의를 마치고 현재 0.25% 수준인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밝힘.

신호와소음 (투자)

18 Dec, 08:46


📣구글 크롬만 켜두면 채굴이 되는 프로젝트들

크립토 매매가 어려우신 분들은 이런식으로 경험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라스(상장되어 있음)
https://app.getgrass.io/register/?referralCode=7fTcz7fMJFrArdo

노드페이
https://app.nodepay.ai/register?ref=ZB5IzdtZVsoI2Xg


-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dawn-validator-chrome-ext/fpdkjdnhkakefebpekbdhillbhonfjjp?authuser=0&hl=en 설치

- 오른쪽 상단 확장 프로그램 고정 및 가입하기

- 가입시 코드 삽입 qlhr66sn

그라디언트
홈피참여링크 - https://app.gradient.network/signup?code=6Y3NV6

신호와소음 (투자)

18 Dec, 05:29


🇺🇸신시아 루미스 미 상원의원

“2025년은 디지털 자산의 해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최근 들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한 상원의원의 발언에서 더욱 힘을 얻고 있음.

그녀는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편입하고, 이를 통해 국가 부채를 줄이는 법안을 제안하며 이미 오래전부터 크립토 자산에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해왔음.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디지털 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인물임.

흥미로운 점은, 과거에는 그녀의 발언이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시장을 꽤 좌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임.

🤔특히 2025년은 비트코인의 반감기 사이클과 맞물리며 새로운 강세장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음.

이러한 기대감 속에서, 반감기는 역사적으로 비트코인 가치 상승의 촉매 역할을 해왔기에, 2025년의 시장 흐름이 단순한 기술적 분석을 넘어 거시 경제적 변화와 어떤 상호작용을 보일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결국,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전략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다질 수 있을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디지털 자산 전체 생태계가 어떠한 변곡점을 맞이하게 될지는 앞으로의 정책, 규제, 그리고 시장의 역학 관계에 달려 있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8 Dec, 01:55


세계 정부 부채를 나타낸 그래프 (노란색 일 수록 경제 규모 대비 부채율이 높음)

-102.1조 달러:전 세계 정부 부채 총액입니다.
2015년 당시 59.7조에서 무려 42.4조 증가

🇺🇸미국 (United States): 34.55%
정부 부채가 $36조에 달하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이는 중국의 2배

🇨🇳중국 (China): 16.12%
정부 부채 비율은 GDP의 90%로, 10년 전 40%에서 크게 상승

🇯🇵일본 (Japan): 10.01%
일본의 정부 부채 비율은 GDP의 260% 이상으로 매우 높음

🇰🇷 한국의 정부 부채는 세계 정부 부채에서 약 1% 미만을 차지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

신호와소음 (투자)

17 Dec, 08:09


📣 중국 자본 한국 렌터카 장악?

어피니티(홍콩 사모펀드)가 롯데렌탈(56.2%)과 SK렌터카를 인수하며,국내 렌터카 시장 점유율 40%를 장악.

쏘카와 그린카도 두 회사 아래 있어 렌트와 카쉐어링 두 채널을 통해 렌터카를 기반으로 자동차 시장 전체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국내에 전격 진출하는 BYD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가 어피니티와 협력할 경우, 렌터카를 통한 전기차 보급이 가속화될 전망.
소비자들은 렌터카를 통해 BYD 전기차를 경험하며 중국차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BYD는 삼천리등과 딜러 선정까지 마친 상태

BYD는 저가공세로 일반 소비자들에게 자사 차를 판매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렌트카 업체에는 다를 수 있음.

이를 통해 한국 내 자율주행 데이터 확보와 렌탈->경험->구매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 수 있음.

이미 르노 그랑 콜레오스, 폴스타등 중국차들이 한국에서 긍정적 이미지 구축이 완료 된 상태.

과연 BYD의 공세와 현기차의 미래는 어떻게 흘러갈 것 인가에 대해, 특히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만연한 이때 현기차 투자에 대한 숙고가 필요해 보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5 Dec, 05:13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이건 비단 투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도 그렇습니다.

더이상 "이랬으니깐 이럴거야"라는 말이 안 통하는 시대인 듯 합니다.
남이, 부모님이, 선배님이, 선생님이 하는 말씀 보다는 본인만의 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3 Dec, 14:48


군헬기도 오네요

신호와소음 (투자)

03 Dec, 14:35


여의도 근처라 국회 앞에 와봤습니다. 현장에 와보니

군 병력이 오는중이다. 국회 폐쇄다. 야권 인사들은 못들어오게 막는 중이다 여러 말들이 나오네요.

국회의원들은 입장이 되기는 해서 지금 막 다들 오고 있다곤 하네요

신호와소음 (투자)

03 Dec, 14:01


https://www.youtube.com/live/OsoX2NDwsow?si=oNW30TyYxzo300BO

이재명 야당대표 라이브스트리밍

정치적 견해는 없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3 Dec, 13:50


용산에는 사이렌이 울린다고 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9 Nov, 01:17


2000년과 2030년의 글로벌 산업 생산 구조의 변화

중국 4% -> 45%

신호와소음 (투자)

28 Nov, 05:41


📣 매도는 언제 해야 하는가?

윌리엄 오닐 (William O’Neil)

-주가가 200일 이동 평균 대비 100% 이상 상승했을 때 매도.
-거래량이 높지만 주가가 크게 움직이지 않을 때 매도.

피터 린치 (Peter Lynch)

-주가수익비율(P/E)이 예상 수익 성장률을 초과했을 때 매도.
-주식에 대한 추천이 매우 긍정적으로 쏠렸을 때 매도.
-“월가(Wall Street)가 주식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기관들이 60%를 보유하며, CEO가 잡지 3곳에서 찬사를 받을 때” 매도.
-주가수익성장비율(PEG)이 2배 이상일 때 매도.

워렌 버핏 (Warren Buffett)

-경쟁 우위가 약화되기 시작할 때 매도.
-주가가 과대평가되거나 더 나은 투자 기회가 있을 때 매도.

조지 소로스 (George Soros)

-손실이 매수가 대비 7-8%에 도달하거나, 수익이 20-25%에 도달했을 때 매도.
-소로스는 장기 투자자보다는 트레이더에 가까움.

벤저민 그레이엄 (Benjamin Graham)

-시간 선택의 유일한 원칙은 주식이 분석 결과 저평가되었을 때 사고, 고평가되었을 때 매도하는 것이다.

추천도서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피터린치)
Buffettology (워렌버핏)
How to Make Money in Stocks
(윌리엄 오닐)
금융의 연금술 (조지소로스)
현명한 투자자 (벤저민 그레이엄)

신호와소음 (투자)

28 Nov, 00:51


📣

한은 금리인하 기준금리 3.00%

신호와소음 (투자)

27 Nov, 15:10


✔️컨센 부합

신호와소음 (투자)

27 Nov, 12:51


주택 담보 대출 연체율 급등
이는 10년 동안 경험 못한 수준

신호와소음 (투자)

27 Nov, 11:30


주요 IB PCE 전망 투자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신호와소음 (투자)

27 Nov, 11:09


업비트(두나무) 3분기 영업이익 839억 (2분기 대비 47.2% 감소)

코인베이스 3분기 영업이익 2320억

두나무 시가총액 5조원 / 코인베이스 시가총액 100조원

신호와소음 (투자)

27 Nov, 10:35


📣 트럼프 스테이블 코인 활용해 달러 지배력 확대?

스테이블 코인과 미국 국채의 연계성
usdt/usdc는 23년 9월 기준 담보자산의 80%이상이 미국 국채로 구성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량이 증가 할수록 미 국채 수요가 증가하며, 이는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

현재 정치적 상황은 공화당이 백악관/ 상-하원 마저도 모두 가져간 상황. 정핵 실행에 매우 유리한 환경

이로인해 규제 완화와 SEC에 크립토 친화적인 인물이 새로 임명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미 주도 시장으로의 빠른 가속화

미국이 스테이블코인을 달러 패권 강화 수단으로 적극 활용 할 가능성 높으며 향 후 미국이 디지털 자산의 주도권을 확고히 공고히 할 것

스테이블 코인은 규제 안에서 달러 중심 구조를 더욱 굳히며 폭발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보임.

🤔써클 스펙이 있었는데... 코인베이스/ 써클사의 성장이 더욱 두드러질 전망

신호와소음 (투자)

22 Nov, 02:15


90년대 중반 이후 반복된 자산 시장의 사이클

1. 자산 가격 급등
-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이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상승.

2. 새로운 혁신 기술 등장
- 인터넷, 스마트폰, AI 등 새로운 기술이 주목받으며 '미래의 기회'로 과대포장.

3. 돈 버는 방법의 확산
- "이렇게 하면 돈 번다"는 식의 강의, 책, 콘텐츠가 넘쳐남.

4. 사치스러운 젊은이들에 대한 신조어 등장
- 플렉스 문화, 호화로운 소비 생활을 조롱 또는 동경하는 단어 유행.

5. 주식, 부동산 대화의 중심
- 온라인, 오프라인 할 것 없이 온통 투자 얘기.

6. 사기꾼들의 참여
- "확실한 투자법"을 미끼로 주식, 부동산, 사업 등 다양한 사기에 가담.

7. 투자하지 않으면 '바보' 취급
- 모두가 투자 열풍에 뛰어들며 비투자자는 시대에 뒤처진 사람으로 간주됨.

8. 갑작스러운 사건으로 분위기 반전
- 금융 위기, 대형 스캔들 등으로 시장이 급랭.

9. 경기 하락과 불황의 시작
- 자산 시장 붕괴, 실물 경제에도 악영향.

10. 사기꾼들의 소멸
- 한때 활개치던 사기꾼들이 잠적 또는 사라짐.

11. 생을 달리하는 사람들 증가
- 경제적 절망 속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남.

12. 중소기업과 자영업의 위기
- 무너지는 소상공인들과 아우성치는 중소기업.

13. 투자와 대출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 "투자는 도박이고, 대출은 죄악이다"는 인식이 만연.

14. 직장인의 생존 경쟁 심화
- 직장 안정성에 대한 갈망이 커지며 직장에 목숨을 거는 분위기 형성.

15. 생존 관련 콘텐츠 유행
- 직장 처세술, 회사 내 생존 방법을 다룬 책들이 베스트셀러에 오름.

16. 회사 생활의 미화
- 직장인의 삶을 찬양하거나 이상화하는 콘텐츠 증가.

17. 정부의 대출 완화 정책
- 정부가 대출을 완화하며 소비와 자산 구매를 장려.

18. 사이클의 재시작
- 다시 자산 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며 첫 단계로 돌아감.

결국 이 사이클에 언제, 어떻게 참여할지는
개인의 선택에 달렸다.

하지만 참여와 탈출의 타이밍이
곧 운명과 같다는 것을 명심해야 함.

현선

신호와소음 (투자)

17 Nov, 00:42


여대는 빨리 폐지되어야합니다.
여대는 과거 여성의 사회 진출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립되었으나, 현재는 여성도 남성과 동일한 조건에서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남녀가 함께 공부하고 협력하는 환경에서 사회적 역량을 키우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서울에 여대가 너무 많습니다. 이런게 역차별입니다. (ex.약대)
약대에서 여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전체 학생 중 여학생 비율이 대체로 7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https://x.com/artkg5/status/1857750477171040285?s=46&t=MWoihUezOJ7_VnLPJP7S7A

신호와소음 (투자)

16 Nov, 01:29


우리는 아무것도 모른다.” 이것이 나의 첫 번째 논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겸손해져야 한다.” 이것이 두 번째 논지입니다.

모르면서 안다고 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세 번째 논지입니다.

이것이 내가 널리 퍼뜨리고자 하는 접근법입니다. 그러나 잘 되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습니다.

#삶은문제해결의연속이다 #칼포퍼

신호와소음 (투자)

14 Nov, 13:59


코인에 대한 소득세 폐지 검토

현실적으로 이뤄질지 모르겠으나,
실현시 엄청난 버블이 올 것이라고 생각.

신호와소음 (투자)

14 Nov, 13:25


📣트럼프 2기의 변화들 - 3 테슬라와 전기차 산업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 장관 자리에 임명되면서 두 사람의 이해관계가 더욱 밀접해졌고, 이로 인해 트럼프는 전기차 산업에 대해 현재 부정적 입장은 아닙니다.

다만,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폐지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전기차 브랜드에 대한 보조금 혜택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시장 점유율 1위인 테슬라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 내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는 5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연간 2천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어 보조금이 없어도 독보적인 가격을 유지 할 수 있으며, 마켓리더 이니 만큼 경쟁력과 시장 지배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가 예고한 모든 수입차에 대한 최대 20%의 보편적 관세 부과는 1930년대 관세법 338조에 따라 대통령이 독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권한에 기반하고 있으며, 실제 시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현대·기아차는 연간 약 5조 원에 달하는 관세 부담을 안게 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영업이익의 절반에 해당하는 큰 금액입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수익 구조에 상당한 압박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또한 한국의 미국 자동차 수출은 약 1,080억 달러로 한국 전체 수출의 17%를 차지합니다.

경제수석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시행시 한미 간 수출이 최대 304억 달러까지 감소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BYD는 바이든 정부 하에서 멕시코 공장을 통해 미국 수출을 우회하려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멕시코 내 중국 기업에 대해 최대 1,0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해 이러한 계획도 실현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이 다른 브랜드들에게 악영향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부과했던 CAFE(연비 규제)가 대폭 완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평균 연비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던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등이 규제로 인한 벌금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CATL은 최근 미국 내 배터리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며, 현대·기아차는 이미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확보해 정책 변화에 대응할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현 정책의 변화들은 테슬라만이 독자적 경쟁력을 바탕으로 IRA 폐지의 여파를 견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타 브랜드들은 관세 및 규제 변화에 대비한 다각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4 Nov, 11:24


25분께 약소한 커피 드렸습니다.

항상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3000명에서 뵙겠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4 Nov, 11:18


구독자 2600명 감사합니다.
선착 커피 20잔 드립니다!

비밀번호는 1515

신호와 소음 감사이벤트
https://open.kakao.com/o/ghtz30Zg

신호와소음 (투자)

14 Nov, 03:17


한은은 구두로 환율 안정에 대한 확고한 의지 밝힘.

신호와소음 (투자)

14 Nov, 03:09


노무라, 내년 5월까지 원달러
환율 1500원까지 예상

노무라증권은 한국은행이 현재 환율을 강하게 방어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외환 보유고 수준이 대외 충격을 견디기엔 다소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

미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 상승이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달러화에 민감하고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은 원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특히, 중국에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위안화와 원화 모두 약세 압력이 더욱 가중될 전망.

또한, 국민연금이 해외 자산의 환 헤지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음.

강달러가 지속될 경우 환 헤지에서 손실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

신호와소음 (투자)

13 Nov, 08:51


cpi 컨센. 트럼프 트레이드가 마켓의 주이나 아직 유심히 볼 지표입니다.

투자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3 Nov, 05:42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00217?cds=news_my


요 몇년 사이 급증한 주식과 코인 리딩방은 ‘특별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투자자들을 유혹하지만,

그 본질은 팔로워들을 이용한 사기입니다.

이들 자칭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을 조종해 자산을 부풀린 뒤 이익을 챙기는 ‘펌프 앤 덤프’ 등 다양한 수법을 씁니다.

그 피해는 오롯이 일반 투자자들의 몫이죠.

이제는 더 강력한 사법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사기꾼들에게 강력한 법적 제재를 가해, 다시는 금융 시장에서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더 많은 분들이 경각심을 갖고 리딩방의 위험성을 인식하길 바랍니다.

더러운 사기꾼들과 절대 엮이지 않도록 철저한 경계가 필요합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2 Nov, 13:27


최근 끝없이 신고가를 경신하는 미국 주식이나 비트코인과 극명한 대비를 보이며 신저가를 향해 질주하는 국내 주식 시장에 실망하고 어리둥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사실 국내 주식 시장이 이렇게 취약한 것은 너무나 당연하고, 개인적으로는 이 문제는 불변하리라 확신한다. 그 이유는 요즘 제기되는 기업 지배구조의 문제, 상법 개정 등의 기업 고유의 문제보다 훨씬 더 근본적인 문제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나라는 표면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정치인과 국민들은 사회주의 경제 체제를 열망하고 해당 정책을 지지한다는 것

기업을 살리기 위해 법인세를 감면하겠다는 정책을 제시하면, 부자 감세냐며 목에 핏대를 세우며 반대하고,

재벌은 사회의 악이라고 규정하고 삼성이 망하기를 바라면서,
정작 본인의 주식 계좌에 몇 주 담고 있는 삼성전자 주가는 올라야 하고,
공부 못하는 아들은 삼성전자에 입사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폭락하기를 원하면서
다주택자들에 대해서는 양도세를 중과세로 정의 구현하기를 원한다 (다주택자에 양도세 중과세를 하면 매도를 포기해서 오히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함. 문재인 정권 때 부동산 폭등)

내가 번 돈은 선한 것이고, 나는 세금을 내면 안되지만,
나보다 더 열심히 일해서 남이 크게 번 돈은 악이고,
그런 사람들에게는 '징벌적 과세' 로 정의를 구현해야 한다.

자본주의의 달콤한 과실은 공짜로 얻길 원하지만,
내 손에는 땀을 묻히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고,

내가 번 돈은 선이고, 남이 번 돈은 악으로 규정한다.

내가 가진 잡주들의 주가는 오르길 원하고,
나는 절대 세금을 내면 안되지만,
큰 손들이 주식으로 돈 벌었다는 소리는 너무 배가 아프기 때문에 금투세를 제안한 정당에 표를 준다.

이런 코메디가 없다.
국내 주식 시장이 오르길 바라면서 불평불만을 쏟아내는 사람들 중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이런 말도 안되는 이율배반적인 생각과 행동을 가지고 있다.

비단 경제 영역 뿐이라고 생각하는가?

상속세율이 60%다.
6%도 아니고
16%도 아니고, 60% 다.

사탄조차 울고 갈 세율이다.

상속세율을 60%로 규정한 것은, 상속을 하지 말라는 정부의 공식적인 지시이고, 기업가들은 정부의 지시에 충실히 따라서 해외로 이주하는 것이다.

정치, 경제, 문화, 에술 모든 분야에.. 따지고 보면 한도 끝도 없다
대한민국 국민들의 DNA에 각인된 근본적인 '배아파리즘' 이 해결되지 않는 한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변수가 아닌 상수로 남을 것이다.

"모든 사람은 시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다" (에드 세이코타)

신호와소음 (투자)

12 Nov, 01:39


루미스 상원이 미국 정부가 매년 20만 비트코인을 5년간 구매하는 법안을 발의.

총 100만 BTC에 달하며, 현재 시세로 약 870억 달러에 해당합니다.
(한화 약 120조)

신호와소음 (투자)

12 Nov, 00:34


지난 일주일 사이 주요 종목/지수/자산 가격 변화(11/5~11)

- 도지코인(Doge) +117.89%
- COINBASE(COIN) +74.07%
- Palantir Tech(PLTR) +45.47%
- Tesla(TSLA) +44.13%🔴
- 비트코인(IBIT) +29.59%🔴
- 은행업(KBE) +13.75%
- 중소형주(IWM) +9.82%
- Nasdaq(QQQ) +5.73%
- S&P500(SPY) +5.08%
- 달러(UUP) +1.64%🔴
- 장기국채(TLT) -0.23%🔵
- 중국(FXI) -1.26%
- KOSPI -1.75%
- 트럼프미디어(DJT) -2.71%
- KOSDAQ -3.06%🔵
- 금(GLD) -4.23%🔵
- 원유(USO) -4.51%
- VIX(VIX) -31.89%

신호와소음 (투자)

11 Nov, 16:35


우크라 재건주 상황

신호와소음 (투자)

10 Nov, 03:3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3836 (기사전문)

-현재 벤츠 S클래스와 마이바흐의 판매량은 한국이 중국에 이어 전세계 2위인데, 인구 대비로 따진다면 사실상 세계에서 제일 많이 팔리고 있는 셈입니다. 지난해 영국 벤틀리의 전세계 판매 대수에서도 한국시장은 아시아 1위, 전세계 5위를 차지했습니다.

한 40대 한국 남성이 최근 자신의 연봉보다 더 높은 가격의 고급 외제차량을 덜컥 구입하게 된 사연을 소개했습니다. 이 남성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가 친구들 차는 다 외제인데, 우리 차는 국산이라 창피하다고 했다” 며 “딸이 기죽는게 싫어 어쩔수 없이 바꿨다”는 변명인듯 변명 같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0 Nov, 02:44


러시아 보다 저조한 한국

신호와소음 (투자)

09 Nov, 03:49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하던 중 전화기를 머스크 CEO에게 건네줬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머스크 CEO에게 '통신 지원'에 사의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 CEO는 "스타링크 위성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테슬라...?

신호와소음 (투자)

07 Nov, 07:56


이런 상황에서 비트코인 같은 대안적 자산이 채무 상환 수단으로 거론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이는 1994년 브라질이 URV라는 가상 통화를 도입해 초고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 안정을 꾀했던 사례와도 비슷한 맥락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브라질의 URV와 달리 비트코인은 국제 시장의 수급과 전 세계 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큰 자산입니다.

따라서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부채 상환에 활용할 경우, 안정성 문제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이 전략 자산으로 편입되기만 해도 암호화폐 시장에는 엄청난 변화가 올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암호화폐 생태계의 확장 가능성도 큽니다.

최근 게리 겐슬러 SEC 의장의 해임설,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추진, 그리고 비트코인 현물 ETF 옵션 출시 예정 소식 등은

트럼프 2기 동안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7 Nov, 07:56


📣트럼프 2기의 변화들 -2 소득세 폐지 및 비트코인

트럼프 1기, 법인세 인하와 해외 유보금 송환세 인하로 나스닥 지수가 급등했던 것처럼, 이번 임기에서는 그보다 더 파격적인 소득세 폐지라는 급진적인 공약이 눈길을 끕니다.

소득세가 폐지되면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면서 소비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당장 부담이 줄어든 중산층과 고소득층은 소득 증가를 직접 체감하게 될 것이고, 이는 소비 지출을 늘리고 기업 매출을 촉진시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동시에 늘어난 소비는 물가 상승을 유발해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인플레이션 압력이 소비 여력을 다시 제한하는 부정적 결과를 낳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현재 미국 가계 예금이 사상 최대에 도달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팬데믹 이후 다양한 재정 지원과 소비 억제 효과가 겹쳐 이루어진 결과인데요(그림1).

만약 소득세가 폐지되고 가계가 얻는 실질 소득이 늘어나게 된다면, 많은 미국인이 예금 대신 비트코인과 같은 고수익 자산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큽니다.

특히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는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소득세 폐지로 생긴 추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된다면 디지털 자산 시장에 새로운 국면이 열릴 수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또한 지난 8월, 국가 부채를 상환하는 데 비트코인을 활용하는 방안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부채는 현재 소득세 수입의 약 70%가 부채 이자 지급에 쓰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7 Nov, 02:13


트럼프 당선인은 아울러 미국의 조선업에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과 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우리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보수·수리·정비 분야에 있어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며
"이 분야에 대해 앞으로 구체적으로 윤 대통령과 이야기를 이어가길 원한다"고 말했다.

오늘 대국민 사과까지..
윤대통령이 이제는 잘 하기를 기대해봅니다.

좌우 정치적 분란보다는 우리나라도 어지러운 국제정세 앞에서 단합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6 Nov, 13:28


📣 트럼프 2기의 변화들 -1 러우전쟁

우크라이나에 대한 주요 지원국 및 금액 현황

미국: 총 1280억 달러 (약 170조 원)
EU: 총 660억 달러 (약 88조 원)
영국: 총 230억 달러 (약 30조 원)
독일: 총 200억 달러 (약 26조 원)
기타 국가들: 약 70억 달러 (약 9조 원)

미국과 EU의 지원이 전체 우크라이나 재정 지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의 방위와 경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필수적인 재정적 뒷받침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전쟁 비용은 23년 145조원으로 gdp대비 65%이며,해외 지원이 없다면 향후 5년 내 채무/gdp비율이 100%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즉각 파산 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우크라이나 정부도 각국 정부에게 모라토리움 선언을 빌미로 전쟁에서 승리하게 도와달라는 입장입니다.

유럽연합은 러시아의 동결자산을 담보로 우크라이나에 차관을 내준 관계로 트럼프 집권이 시작되면 재동결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동결자산 예치 수익금이 소진되거나 사용 불가능할 경우 참여국 예산으로 상환해야 하므로 재정압박이 심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크라이나는 24년 국방세를 증세했고. 올해 지원 금액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67조원으로 승인했으나, 트럼프 당선인은 이를 10조원 또는 그 이하로 줄여버릴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더 이상 전쟁 할 남자가 없는 것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15~29세 남성인구는 30~59세 인구의 1/3 밖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인구구조는 급격하게 붕괴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저도 우크라이나의 참단한 현실에 동감하여 기부도 하고 했었지만, 미국 정치 변화로 우크라이나가 더 이상 전쟁을 수행 할 수 있을지는 모르곘습니다.

재건관련주 (DYOR이 필요합니다)

(국내)SY,HD현대건설기계,삼부토건,디와이디등
(미국) CAT,HAL,NSRGY,JPM,BLK

신호와소음 (투자)

06 Nov, 06:29


트럼프가 펜실베니아에서 승리.

총격 사건이 벌어졌던 펜실베니아에서 유권자들은 트럼프의 손을 들어줬네요.

신호와소음 (투자)

06 Nov, 04:10


연초 부터 현재까지의 메이저 자산군들의 수익률 변화.

비트코인이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준 주요 자산군

신호와소음 (투자)

06 Nov, 03:59


NYT 트럼프 당선 85%

며칠전 까지만해도 해리스의 우위를 점치던 NYT가 당선 확률을 85%까지 내다보고 있습니다.

선거 초반에 공화당 우세지역이 먼저 개표를 하는 만큼 아직 확정 할 수 없으나

NYT의 발표와 다른 매체 예측치로 봤을때 트럼프가 상당히 우세한 것으로 보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5 Nov, 21:37


마지막 예측치

출구조사 결과는 잠시 후 오전 8시부터 나올 것으로 예상.

대선투표 최종 마감은 오후 3시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05 Nov, 13:59


핵심 3 경합주(미시간,위스콘신,펜실베니아) 중 펜실베니아가 이번 대선의 바로미터 일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승리시 비트코인, 테슬라가 빠르게 오를 것으로 보이며

해리스 승리시 미국채 etf가 좋은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트레이드 역효과)

신호와소음 (투자)

05 Nov, 09:13


구체화 할 수 있기 때문.

- 레드웨이브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시장 움직임은 초기에 소강상태를 보일 것. 분열된 의회에서 경기 부양책이 통과될 가능성이 낮기에, 트럼프는 임기 초부터 행정명령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강경 외교정책(관세인상, 이민제한)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음. 이 경우 트럼프가 해리스보다 주식에 긍정적일지, 일드에 부정적일지 확실치 않음.

- 따라서, 연초 취임연설이후 새 행정부의 구체적인 정책 제안과 우선순위가 전달될 때까지 투자자들은 포지션을 잡기 어려울 것. 우리는 이때부터는 대선이 아닌 다음 주요테마(미국 경제의 바닥 탈출과 연준 금리인하 종료)로 옮겨갈것으로 예상

- 11월까지는 25bp 인하를 한 후, 문제는 연준이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가임. 경제는 계속해서 서프라이즈를 기록하고, 주식시장도 신고가이며, 레드웨이브에 대한 투기 심리가 증가하면서, 12월 금리인하는 건너뛸수 있다는 소리가 나오기 시작함.

- 이런 상황에서 레드 웨이브까지 발생한다면, 우리는 Powell이 기자회견에서 "인하 종료"의 힌트를 던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보고 있음. 시장은 여전히 12월 금리인하 확률을 75% 보고 있으며, 2025년말까지 인하폭을 120bp로 보고 있기에, 이는 시장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

신호와소음 (투자)

05 Nov, 09:12


Nomura, Post-US Election Investment Strategies

- 선거가 단기적은 증시 랠리를 선동할 수 는 있지만, 경제 펀더멘털과 통화정책 기조에 맞춰진 시장 추세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는 아님.

- 현재 시장의 기본 기조는 미국 경제가 바닥을 치고, 연준의 금리인하가 길제 않게 종료될 것이라고 본다면, 레드 웨이브는 호재가 될 것이고, 다른 모든 결과는 좌절이 될 것.

- 우리는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의회가 분열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좌절로 인해 미국채 금리, 주식, 달러가 하락세를 보일 것이고, 이는 매수 기회를 주게 될 것으로 기본 시나리오를 짜고 있음.

- 레드 웨이브 발생시, 일드는 금리인하 종료를 프라이싱하며 10년물 기준 4.5%를 초과하고, 달러 강세, 주식시장 특히 시크리컬 주들의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16년에 보았듯이, 미정부는 경제 회복 보장을 우선순위에 두고 이를 달성한 후 강경한 대외정책을

신호와소음 (투자)

04 Nov, 01:19


이 대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전세계 주식시장은 상승곡선인데 유일하게 하향곡선을 긋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호와소음 (투자)

01 Nov, 02:45


CNN 기준 선거인단은 이렇습니다.

해리스 278
트럼프 241

신호와소음 (투자)

01 Nov, 02:44


NYT에 의하면 지난달 31일 기준 해리스의 전국 지지율은 49%로 트럼프를 1%p 차이로 앞서고 있다고 하네요.

사진의 기사는 뉴욕타임즈가 아닌 더 힐

신호와소음 (투자)

30 Oct, 01:03


압도적인 수치를 보여주는 미국과 중국

신호와소음 (투자)

29 Oct, 14:03


우리는 끝없는 연결 속에서 오히려 깊은 고독과 공허함을 느낀다.

누군가를 찾기 전에 나 자신을 온전히 채워야 한다.

진정한 만남은 스스로 온전해졌을 때, 그 깊이에서 피어나는 법이니까.

신호와소음 (투자)

25 Oct, 04:02


역상관 관계

국채 수익률과 S&P 500 지수는 역상관 관계를 보입니다.

즉,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 주식시장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프에서도 국채 수익률이 상승할 때 S&P 500 지수는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현재 10년 국채 수익률은 4.19입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24 Oct, 08:36


이란 카리지 핵발전소에서 대형화재

신호와소음 (투자)

23 Oct, 06:33


📣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가 시장의 주 흐름이다.

미국채,달러,비트코인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재정확대와 인플레이션 기대감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트레이드'라는 이름을 붙이게 됐던 16년은 4분기 동안 달러 환율과 미국채 10년물 금리 간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16년 4분기 달러 환율은 전 분기 대비 9.8%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고, 같은 시기 미국채 10년물 금리 또한 98포인트 상승하며 최고치를 찍었다.

현재도 비슷한 양상으로, 상승폭 확장이 조금 더 지속된다면, 10년물 금리는 4.4 원달러 환율은 1395~1400원까지 상승 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트럼프 트레이드가 그렇다면 과연 계속 이어질 수 있을까?
트럼프 집권 1기떄도 전혀 그렇지 않았다. 미국은 재정적자로 현재 골머리를 앓고있다.(그림2)

트럼프와 해리스 양 진영 모두 재정적자와 관련된 어떠한 구체적 해결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자비용은 국방비(천조국이라 할떄 천조는 국방비를 말한다)를 넘어섰다.(그림3)미국은 이자 부담을 해소해야 할 이유가 명백하고 축소를 위해선, 금리를 인하하거나, 채권 발행량을 줄여야만한다.

또한,상원의원 선거를 장담 할 수 없지만 현재로만 놓고 보자면 무소속 4석이 민주당 계열이기 떄문에 사실상 차이가 크진 않지만 보수적으로 접근, 여소야대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부분에서 정치적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는 트럼프 트레이드의 선반영이 꽤나 많이 되어있기 떄문에, 이 부분도 고려해야한다.

16년 미 대선 후 한달여 만에 미국채 금리는 폭등했다.(약 90bp 그림4) 하지만 이떄 여론조사나, 출구조사도 정확하지 않았으나, 현재는 트럼프의 승리 확률이 높아진 9월 말 부터 미국채 금리가 움직이기 시작했다.시장에 이미 충분한 선반영이 되어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약 2주~ 한달간 트럼프 트레이드는 대세적인 흐름 이겠으나, 대선랠리가 턴어라운드 하는 시점을 유의하며 리스크 관리를 지금부터 해나가는 것이 좋아보인다.

신호와소음 (투자)

22 Oct, 15:09


mz식 시위 😂
현대 x템이라고 하네요.

신호와소음 (투자)

22 Oct, 11:39


🇺🇸

폴리마켓에서의 트럼프 대선 승리 가능성이 소수 거래자들의 활동에 의해 크게 영향 받고 있음을 시사

이는 트럼프의 승세가 조작 된 것 아니냐는 의문점을 던짐

신호와소음 (투자)

22 Oct, 11:30


1) 첫 번쨰 금리 인하 전 현재 수익률(갈색) 과거의 경기침체 없는 기간(파랑)과 비슷하게 높은 상태, 하지만 금리 인하 이후 수익률 하락하여 경기 침체 없는 기간(파랑)과 차이가 나고 경기침체 시기와 더 비슷한 패턴을 보여줌

2)95,98년등에서 첫 번쨰 금리인하 후 채권시장에서 매도가 발생 24년 09월에는 금리인하 후 수익률 급등했다가 하락하는 양상 보여줄 것으로 보임.
이는 01년이나 07년과는 다름

결론적으로 현재 채권 시장은 리세션 가능성에 더 가까운 패턴을 보이고 있음

신호와소음 (투자)

21 Oct, 09:18


📣

그라디언트 노드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켜두기만 하면 채굴이 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라스,노드페이와 비슷하며, 크롬만 켜두면 자동 채굴이 되기에 업무나 웹서핑하며 쉽게 채굴 할 수 있습니다!

한번 같이 경험해 보시죠!

아래링크로 가입시 경험치와 부스트가 늘어납니다!

https://app.gradient.network/signup?code=6Y3NV6

신호와소음 (투자)

21 Oct, 02:52


🇺🇸

트럼프 해리스 당선시 세금정책이 s&p 500 EPS에 미치는 영향

해리스 : 법인세 28% 상향

S&P 500 전체 EPS는 4.7% 하락할 것으로 예상.

소비자재량주와 통신 서비스가 가장 큰 EPS 감소(각각 7.9%, 6%)를 겪으며, 유틸리티(Utilities) 섹터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0.1%)

트럼프 : 법인세 15% 인하

가장 큰 혜택을 받는 섹터는 금융, 기술, 소비자재량주로, 이들 섹터는 세금 부담이 크게 감소.

S&P 500 전체 EPS는 4.0%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재량주가 가장 큰 EPS 증가 혜택(6.8%)을 받습니다. 반면 유틸리티는 거의 혜택을 받지 않습니다(0.1%).

신호와소음 (투자)

19 Oct, 12:08


유튜브 지나가던 사람의 댓글

"그걸 왜 하냐고 할 겁니다.
성공하기 전까지는...
성공하고 나면 그걸 어떻게 했냐고 물을거에요.
파이팅 하세요."

신호와소음 (투자)

18 Oct, 10:42


🇨🇳

중국 정부가 경제와 주식시장 안정화를 위해 발표한 112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지원 계획

중국 경제가 성장 둔화, 부동산 시장 침체, 그리고 투자자 신뢰 하락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번 조치는 자본시장을 부양하고 투자 심리를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신호로 해석됩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번에 8000억 위안(약 1120억 달러)의 자금을 투입해 자본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이 중 500억 위안은 증권사와 펀드가 주식 매입을 지원받을 수 있는 스왑 시설에 할당되며, 3000억 위안은 상장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를 부양할 수 있도록 재융자 시설로 활용됩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시장 개입을 넘어, 중국 정부가 경제 전반에 걸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주택 구매 규제 완화나 주식시장 안정화 기금 조성 등 추가 조치들도 검토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장도 즉각 반응했습니다. 발표 직후 CSI 300 지수는 1.3% 상승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번 정책이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지 지켜봐야 합니다.

중국 경제의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인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소비 감소, 투자 둔화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발표는 중국이 경제와 금융 시장에 대해 얼마나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이 조치들이 중국 경제의 중장기 회복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는 신중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6 Oct, 01:26


기요사키는 "당시 연준과 재무부 관계자들은 재벌들만 구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버스 밑으로 던져버렸다"면서 "2008년부터 만들어진 '만물 버블(Everything Bubble)'이 이제 '만물 붕괴(Everything Crash)'로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비트코인을 예로 들며 "비트코인이 이번 폭락장에서 5,000달러까지 추락할 수 있지만 이후에 10만 달러, 25만 달러까지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현금이 준비된 사람들에게는 이번 폭락장이 다양한 자산을 헐값에 살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재미로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5 Oct, 14:39


🇺🇸

폴리마켓 미 대선 판도가 바뀌었습니다.

트럼프가 치고 올라오는군요

트럼프 관련 수혜주

👉🏻크립토/방산/달러/에너지/금융/반이민(인프라등)/제조업(자동차 조선등)

해리스 관련 수혜주

👉🏻친환경에너지/대마초/반도체/전기차(배터리)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신호와소음 (투자)

14 Oct, 09:58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 비탈릭이 거론 되었었는데요. (이더리움 창립자)

이미 유튜브 채팅창은 이더리움을 응원하는 팬보이들이 많이 보입니다.

아세모을루·존슨·로빈슨

이 세분이 올해 경제학상 후보라고 합니다.

비탈릭이 여러 경제학자들에게 추천 받은 것은 꽤나 흥미롭다고 생각합니다.

마이너하던 크립토가 점점 메이저로 올라오는 것이 격세지감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