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Channel on Telegram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도리의 코인메모 (Korean)

도리의 코인메모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암호화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한 소통의 장입니다. 여기서는 최신 코인 뉴스, 시장 분석, 투자 전략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도리의 코인메모에서는 함께 성장하고 배우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성공을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채널에서는 전문가들의 조언과 경험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이벤트 및 퀴즈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doriworld의 채널에 가입하여 암호화폐 세계의 즐거움과 이익을 경험해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15:52


바이빗 창업자 : 해킹으로 퀄드 월렛 하나 해킹 당했다.

다른 콜드 월렛은 안전하고 출금 모두 정상적으로 된다.

도난 당한 자금 추적 하겠다.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6:47


$KAITO 스테이킹 리워드 스타트~

현재 10%미만이 스테이킹 되있고 APR은 70%라 합니다.

https://x.com/Punk9277

가서보세요 길어요.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4:42


리플 본사 다녀온 후기 요약

- 샌프란 본사 겁나 좋음. 메타/구글 같은 탑티어 급은 아니지만 왠만한 테크회사 정도는 되는 듯.

- 내부적으로 XRP 자체보다는 XRPL (렛저)에 기대를 많이 걸고 있는 상황 같고, 이를 토대로 자체 스테이블코인 (rlusd) 과 rwa 테마에 의존하려는 것 같은 느낌임.

- 공격적으로 다른 체인들과 연결되는 브릿지를 놓을 것 같고, 호완성이 높은 자체 side EVM 체인도 주력이 될듯.

https://x.com/minerva_kr/status/1892758284366729315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2:36


"당신이 $KAITO 의 TGE가 프로젝트의 끝이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당신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할 것임."

https://x.com/Punk9277/status/1892758047224975528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2:29


비즈니스가 어쩌고, 속도가 저쩌고를 떠나서 이런 구조가 지속가능한지가 의문임.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2:27


암튼 결론적으로 솔라나 아카이브 노드를 제공하는 RPC 서비스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재단의 그랜트 없이는 운영자체가 불가능할 듯...

벨리데이터도 비용이 많이 들며, dapp에 제공되는 RPC 서비스도 비싼편에 들 것임...

밈토큰 하나 발행했다고 네트워크가 뻗어버리는데, 네트워크 둘러싼 여러 주체가 돈을 발라야하는 현실임.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2:25


이전에 한번 언급하긴했는데... 솔라나 재단도 저 정도 데이터 사이즈는 감당이 안될 듯...

이더리움이 참고로 20TB인데... 이더리움보다 뒤에 나온 솔라나가 저 정도라면 심각하게 데이터가 빠르게 쌓이는 것임.

그래서 AWS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나 자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기보다 파일코인으로 저렴하게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 아닐까 생각됨.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2:24


참고로 솔라나 archive 노드는 참고로 200TB가 넘어감.

저 캡쳐가 23년 8월이니, 현재 더 쌓였을 것임... 굉장히 큰 사이즈임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2:18


나도 에드받은 몇개 안되는 $KAITO 스테이킹함.

쓰잘데기 없는 봇트레이딩 ai 프로젝트만 보다가, 카이토를 알게되니 흙속의 진주를 발견한 느낌...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1:49


솔라나가 파일코인에 체인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유

1) 비용 효율성을 제공함.
- 보조금 역할을 하는 블록 보상으로 지원되는 Filecoin의 분산형 스토리지 모델은 기존 Web2 스토리지 솔루션보다 훨씬 저렴함.

2) 장기적인 저장을 보장함.
- Filecoin의 탈중앙화된 인프라는 데이터를 수십 년 후에도 그대로 유지하고 액세스하게 만들 수 있음.

3) 검증 가능성을 보장함.
- 암호화 증명은 데이터가 약속대로 저장되도록 보장하여 Solana의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블록체인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제공함.

https://x.com/colinevran/status/1890205715492720812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1:40


$KAITO 토큰 에어드랍과 그 이후 전략

아쉬운 점
- 솔직하게 $KAITO의 토큰 이코노미 발표에는 "왜 $KATIO를 사야되고, 홀딩해야 되는지"가 없었고, 이 부분이 가장 아쉬움.

- 25%가 코어 팀, 8.3%가 초기 투자자, 10%가 재단으로 전체의 43.3%가 관계자들에게 배정.

- 32.2%는 마케팅, 인센티브, 보조금 등으로 활용할 예정으로 이것까지 합치면 75.5%.

- 에어드랍 10%, 바이낸스 에어드랍 2%, 장기 크리에이터 7.5%를 합치면 19.5% 정도가 참여자에 대한 기대 에어드랍. (마케팅 물량이 어떻게 뿌려지는지도 중요)

커뮤니티를 통해 더 많이 알려지고, 커뮤니티 중심의 플레이를 했던 것에 비해서는 커뮤니티 할당이 적었던 것은 아쉬움.

솔직히 나도 이렇게 적고 있지만 단순히 트위터 잘 작성하면서 부가적으로 받은 에어드랍에 왈가왈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는 않음.

더 좋은 방법이 있지 않았을까에 대한 아쉬움이지 에어드랍은 너무 감사하고, 카이토 팀 항상 응원합니다. 🙏

그러면 앞으로의 기대감?
- 에어드랍 물량의 75% 이상 스테이킹을 하는 유저에게 뱃지를 얻고 이후 장기 크리에이터 인센티브를 노린다.

- 에어드랍 금액이 작은 분들이라면 이게 더 매력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함. 꾸준히 트위터하면서 계속 그라인딩.

- 그 외에는 $KAITO가 어떤 식으로 활용될지에 대한 발표를 기다리는게 맞다고 생각함. 아직은 하나의 발표로 포텐셜을 터트릴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 (KAITO 팔아서 운영하겠다로 끝나지 않길)

- $KAITO와 상관없이 트위터는 계속 키우면서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함. 아직 KAITO의 Pre-TGE 프로젝트가 많고, 이들도 KAITO Yapper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음.

결론: Kaito TGE는 토큰에 대한 커뮤니케이션과 배정 물량에 아쉬움이 있긴했지만, TGE가 끝났다고 관심을 끊고 트위터 안하지 말고 계속 Yapping하는 것이 추후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음.

내일 장문의 글을 쓰겠다는 YuHu의 발표를 기다릴 예정.

https://open.kakao.com/o/gNEVLjhh (스벅)
PW: KAITO가 만들어가려는 섹터 (대문자 6자리)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0:52


파이코인의 하락은 당연할지도... 어르신들이 몇년간 모은 물량해제 + KYC 개인정보 유출 의혹 + 1도 없는 유틸리티...

도리의 코인메모

21 Feb, 00:51


PI - IP 희비교차

도리의 코인메모

20 Feb, 13:08


AIXBT같은 Agent들에게 할당되는 물량은 우선 보류고 추후 커뮤니티 투표에 붙힌다고 하네요.

아무래도 Agent가 이렇게 많이 가져가는게 맞냐 라는 의견도 있었던 것을 반영한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AIXBT는 제 최애라서 꼭 물량 받았으면 하네요)

도리의 코인메모

20 Feb, 12:22


전 yap 20개에 $KAITO 120여 개 정도 받음..

도리의 코인메모

20 Feb, 12:00


https://claim.kaito.ai/

카이토 클레임 live

도리의 코인메모

15 Feb, 06:27


Kaito는 너무 뻔한 ai 프로젝트와는 다른 듯... 하나의 새로운 섹터를 만드는 프로젝트같음...

도리의 코인메모

15 Feb, 05:40


👀Kaito AI와 어텐션 이코노미(feat. docs) source

1.넘처나는 정보에, 어텐션이 최대 자원이 돼버림
- 생산 비용은 확 줄었지만, 내겐 뭘 볼지, 뭘 믿을지 필터링하기 더 어려워짐
- 소셜 플랫폼은 광고와 알고리즘으로 막대한 이익을, 크리에이터 & 유저는 거의 못 받음

2. InfoFi란 무엇인가?
- '시장기반(토큰화)으로 정보·주목을 효율적으로 배분' 하자는 움직임
- Vitalik이 말했던 "정보 파이낸스" 개념에 AI가 더해져 공정하고 효율적 어텐션
- 어뷰징·바이럴만 잘하는 콘텐츠가 주목 독식하는 대신, 실제 가치 있는 정보에 더 주목이 가도록
- 크리에이터나 유저도 공정하게 가치를 나눠 가져야지, 플랫폼이 독점은 곤란

3. Kaito의 접근: ‘AI 파워드 InfoFi’가 답
- AI가 방대한 정보를 스캐닝 + 토큰화 → 그 토큰화된 '주목·정보'를 시장으로 배분
- 과거에는 대부분 “미국 대선” 같은 메이저 토픽에만 시장이 형성되었지만,
- AI 덕분에 미세한 트렌드나 토픽까지 가치를 매기고 가격 형성(=수요/공급) 가능
- 궁극적으로 ‘Attention’이 하나의 자산이 되어 공정히 보상 공유

4. Attention이 곧 ‘자산’이 되는 시대
- Kaito는 AI와 토큰 경제를 결합해 모두가 평등하게 정보의 가치를 나눌 수 있도록 시도 중
- Kaito Pro & Yaps로 벌써 수많은 DeFi·SocialFi·브랜드들이 협업, InfoFi 생태계 키우는 중
- $KAITO 토큰이 네트워크의 인센티브 & 거버넌스 역할
- 크리에이터·유저가 모두 의사결정과 보상에 참여 → 플랫폼이 아닌 공동체 성장 혜택

도리의 코인메모

15 Feb, 04:11


https://www.youtube.com/live/OgBq8PG0Xmk?si=lLvuf0cFFgnnyzku

도리의 코인메모

14 Feb, 17:54


[아부다비 국부펀드, $4.37억 상당 BTC ETF 보유]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아부다비 국부펀드가 증권보유현황 보고서(13F)를 제출, 지난해 12월 31일(현지시간) 기준 4.37억 달러 상당의 블랙록 비트코인 ETF(IBIT)를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해당 물량은 국부펀드 중 하나인 무바달라(Mubadala) 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보유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https://coinness.com/news/1120485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14 Feb, 13:54


[카이토, 자체 토큰 KAITO 출시 예고]
인공지능(AI) 기반 웹3 정보 플랫폼 카이토(Kaito)가 공식 X를 통해 "곧 KAITO 토큰을 출시할 예정이며, 토크노믹스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coinness.com/news/1120466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14 Feb, 06:32


이게뭐야
고양이들이 나왔네

빗썸과 함께하는
불개미X트비X코같투X머피 트레이더모임

https://youtu.be/DE8pCF4fdOY?si=EZ6c7OQOKiHMIL2p

도리의 코인메모

14 Feb, 04:10


사기도 잘당해야 돈버는시대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14:25


오픈씨도 토큰나온답니다.

매 월 마다 수조원 수준의 토큰이 탄생하고 있는데 문제는 앞으로도 수두룩하다는거 심지어 기존 메이저 토큰의 매월 언락 쇼는 덤

기존 애매한 토큰들은 진짜 고려해보시길 바람..킬러의 킬러의 킬러 프로젝트들이 계속 나오고 있으며, 졸라게 좋다는 에어드랍은 3개월 물고 빨고 해주다가 받자마자 1주일이면 기억의 저편으로 넘어가니 다들 안전 투자 바랍니다 ㅜ

#오픈씨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13:01


닌텐도 게임 에뮬레이터가 Cardano와 Hydra에 출시된다고 함.

Lace 월렛이 5, 6월에 닌텐도 에뮬레이터를 통합할 예정이며, 첫 번째로 통합될 게임은 Crystal Mines임.

https://x.com/Cardanians_io/status/1890021923394109822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12:39


- 앱스트랙트 포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능 중 하나는 네이티브 스트리밍임.

- 앱스트랙트는 화이트리스트 방식으로 운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시한 지 겨우 일주일 만에 2000명의 스트리머가 방송에 참여했으며, 글 작성 시점 기준 300만 달러 이상의 팁이 스트리머들에게 주어짐.

- 앱스트랙트는 기존 크립토의 인센티브 모델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XP라는 새로운 형태의 온체인 평판 시스템을 도입함.

- XP는 단순한 포인트 시스템을 넘어 생태계 내 참여자들의 활동과 기여를 정량화하고 이를 다시 보상으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담당함.

- 앱스트랙트가 제시하는 비전은 컨슈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를 온체인으로 유입시키고, 이들이 크립토의 더 큰 가치를 발견하도록 돕는 것임.

- 이를 위해 그들은 크리에이터 중심의 마케팅 퍼널과 지속 가능한 인센티브 구조를 설계했고,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함.

https://4pillars.io/ko/articles/abstract-a-blueprint-for-cryptos-disneyland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12:36


abstract 크립토의 디즈니랜드를 위한 설계도 (4pillars)

- 앱스트랙트는 펏지 펭귄의 모회사인 이글루에서 개발한 이더리움 레이어 2 블록체인임

- 가장 직관적으로 표현하면, 앱스트랙트는 블록체인의 인센티브 메커니즘과 금융 시스템을 활용한 크리에이터 플랫폼이자 앱스토어임.

- 앱스트랙트의 본질은 이들이 구축한 '마케팅 머신'에 있음. 기존 L1/L2와 같은 범용 체인과 달리 앱스트랙트는 오히려 그 자체를 하나의 컨슈머 어플리케이션이자 플랫폼으로 보는 것이 적합함.

- 앱스트랙트가 가진 가장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체인 자체적인 프론트엔드를 제공함.

- 앱스트랙트 포탈은 온체인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의 중심임. 사용자들은 포탈을 통해 지갑을 생성하고, 토큰을 거래하며, 다양한 보상을 수집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발견하는 전 과정을 단일한 인터페이스에서 경험할 수 있음.

- 이는 마치 애플이 앱스토어를 통해 iOS 생태계의 모든 경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유사한 접근임.

- 한번 로그인하면 모든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고, 각 서비스에서 얻은 데이터나 자산을 다른 서비스에서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12:12


솔라나 , 오는 3월 1160만 개의 $SOL 이 언락될 예정.

이 중 1120만 $SOL 은 FTX Estate로 시장에 풀림.

https://solana.messari.io/token-unlocks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09:01


이 시장은 매번 새로운 프로젝트에 관심이 쏠리는데... 한때 선물 DEX 시장을 개척하고 여전히 문제없이 운영되고 있는게 GMX라서...

잘 이용히면 좋을 듯.

곧 출시될 GMX-Solana 도 눈여겨 봐야할 듯

도리의 코인메모

13 Feb, 08:59


GMX의 $GLP 가 의외로 꿀통이라고 생각함. 난 $GLP 가 코인시장의 인덱스 펀드 + 배당주 같음.

GLP는 주식시장의 인덱스 펀드처럼, $ETH 45%, $BTC 25%, $USDC $USDT $DAI 30% 정도의 비율로 이뤄진 유동성 풀임.그래서 $ETH $BTC 의 가격이 오르면 $GLP 도 올라감.

더구나 GMX 트레이더들의 롱숏 포지션을 지원하는 유동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GMX 트레이더들이 손실을 보면, GLP 풀에 그만큼 수익이 쌓이는 구조임.

결국 코인 시장의 불장으로 인한 유동성 풀의 가치 상승과 트레이더의 손실로 인한 수익이 더해져서 배당받는 인덱스 펀드와 같다고 생각함...

다들 알겠지만, 통계적으로 트레이더들은 손실을 볼 확률이 높으며 표본이 많아질수록 전체적으로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음.

심지어 배당? 도 $ETH 로 들어옴...

도리의 코인메모

12 Feb, 14:13


[아비트럼 개발사, 메인넷에 아비트럼 볼드 프로토콜 출시]
언폴디드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레이어2 아비트럼(ARB) 개발사 오프체인랩스가 아비트럼 메인넷에 볼드(Bounded Liquidity Delay, BoLD) 프로토콜을 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BoLD는 체인에 대한 허가 없는 검증을 지원하는 옵티미스틱 롤업의 새로운 분쟁 프로토콜이다. 볼드 프로토콜은 아비트럼 체인의 기존 허가형 사기 방지 메커니즘을 대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게 오프체인랩스 측의 설명이다.
https://coinness.com/news/1120231
이전 관련 속보: https://coinness.com/news/1117094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12 Feb, 13:46


$PI 의 공식 트위터 계정같은데... 366만 팔로워임...

커뮤니티는 거의 근본 수준인듯...

https://x.com/PiCoreTeam

도리의 코인메모

12 Feb, 13:42


거래소는 거래량 올려줄 돈되는 코인이면 상장안할 이유가 없지..

도리의 코인메모

12 Feb, 13:41


사실 $PI 코인이 거래소에 상장되는게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음...

이상한 채굴방식과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있어서 $PI 가 어느 체인 네트워크의 코인이나 토큰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단순 '숫자 데이터'일 가능성이 클거라 봤음...

그러나 내가 만약 그들이었다면, 그 숫자 데이터를 가지고 ERC-20 토큰을 찍어낼 것 같단 생각을 했음.

이미 전세계 유저들과 탄탄한?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토큰만 만들어내면 상장은 시간 문제라서...

그 수순이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이 듦...

도리의 코인메모

12 Feb, 13:41


이제 파이코인 메타임

도리의 코인메모

07 Feb, 07:44


웃픈 현실이네요

도리의 코인메모

07 Feb, 07:43


중국의 에어드랍 작업장 모집공고

https://x.com/ray80230/status/1887458481151864843?s=46

도리의 코인메모

07 Feb, 04:27


<솔레이어 토크노믹스 및 TGE 일정 공개>

티커: $LAYER
총유통량: 10억개
초기유통량: 2억2천개

커뮤니티: 51.23%
팀: 17.11%
재단: 15%
투자자: 16.66%

에어드랍 체커: 2월 7일
TGE/클레임: 2월 11일 부터 한달간

기타 세부사항:
https://x.com/solayer_labs/status/1887533566676115532

도리의 코인메모

07 Feb, 04:21


💰 앤드류 강 "비트코인 슈퍼사이클, 알트코인은 끝" source

1. 비트코인은 기존 4년 주기(반감기 → 불장 → 하락장 공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기 상승 흐름’을 탔음

2. 전형적인 알트 시즌은 2021년 이후로 제대로 오지 않음. 이제 과거처럼 모든 알트가 일제히 폭발하는 그림은 없음

3. 반감기를 중심으로 반복되던 ‘전통적 사이클론’이 이제 무의미해진 셈

4.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이 “평행선에서 나뉘어” 각자 독자적인 경로를 갈 가능성이 높아졌음

5. 비트코인 → 슈퍼 사이클대로라면, 중단기 조정을 거치더라도 장기적 상승에 대한 기대가 있음

6. 알트코인 → 예전처럼 ‘사고 기다리면 10배?’는 안 통함. 펀더멘털 등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선별적 접근이 필요

도리의 코인메모

07 Feb, 01:06


Ethereum foundation의 Tim beiko에 따르면, Pectra 하드포크의 테스트넷 일정이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Holesky 테스트넷은 한국시간 2/25 오전 6시55분경,
Sepolia 테스트넷은 한국시간 3/5일 오후 4시 29분경 입니다.
(메인넷 일정은 3/6일 콜에서 확정될것으로 예상됩니다.)

도리의 코인메모

07 Feb, 01:06


[Lido V3 출시 예정]

Lido가 V3에 대한 티저를 공개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공개하진 않은듯 하네요.

https://x.com/lidofinance/status/1887515767333089743?s=46&t=tS5tUnp3JbKDOzdjOqzBwQ

도리의 코인메모

06 Feb, 05:23


Solana 2024 4Q

- 솔라나의 체인 GDP(전체 애플리케이션 수익)는 2억 6,800만 달러에서 8억 4,000만 달러로 분기 대비 213% 성장함. 11월은 가장 큰 달이었으며, 프로토콜의 애플리케이션에 3억 6,700만 달러의 수익을 가져왔음.

- 주요 Dapp들의 4Q 수익
1) Pump.fun: $235 million (242% QoQ increase)
2) Photon: $140 million (278% QoQ increase)
3) Raydium: $74 million (268% QoQ increase)
4) BullX: $73 million (260% QoQ increase)
5) Trojan: $63 million (187% QoQ increase)

- 솔라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최소 3분기 연속으로 8억 4천만 달러에서 8억 1천9백만 달러로 실제 경제 가치(REV)보다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함.

- 솔라나는 DeFi TVL 기준 두 번째로 큰 체인이 되었으며 , 분기 말에 86억 달러를 기록.(+213% QoQ).

- Anza는 공식적으로 Agave V2.0을 출시했으며 , 네트워크의 90% 이상이 업데이트된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있음.

- Solana의 유동적 스테이킹 비율(유동적 스테이킹 SOL의 백분율)은 QoQ로 33% 증가하여 11.2%가 되었음. Sanctum은 현재 100개가 넘는 LST를 보유하고 있음.

https://messari.io/report/state-of-solana-q4-2024

도리의 코인메모

03 Feb, 14:07


Tether의 2024년 실적 및 이슈

- Tether는 24년 130억 달러의 순이익 기록하였으며 이는 역대최대의 실적임.

- 그 중 70억 달러의 이익은 회사가 보유한 미국 국채와 레포 채권에서 발생, 나머지 50억은 회사가 보유한 금과 비트코인의 미실현 가치임.

-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Tether International Limited와 Tether Limited는 1366억 달러의 부채에 1437억 달러의 자산을 준비금으로 공개했음.

- 또한, 현재 약 78억 달러 상당의 약 84,000개의 BTC를 보유하고 있음.

- 그러나 여러 거래소가 MiCA 규정으로 인해 최근 EU 사용자를 대상으로 USDT를 상장 폐지하거나 중단한다고 발표하여 토큰 공급이 감소함.

- 올해 본사를 엘살바도르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03 Feb, 13:47


카르다노 생태계는 $USDC $USDT 지원에 혈안이 되어있음.

- CIP113
https://github.com/cardano-foundation/CIPs/blob/f13516f144df991de14eca6dde9c4319bd98c791/CIP-meta-assets%20(ERC20-like%20assets)/README.md

도리의 코인메모

03 Feb, 13:45


#Cardano 는 $USDC 를 지원못함.

Cardano의 토큰(CNT)은 Ethereum의 ERC-20처럼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되는 토큰이 아님.

즉, 컨트랙트를 거치지 않는 네이티브 자산이라 Cardano 토큰은 $ADA 와 동일한 개념임.

그래서 발행사가 토큰을 동결(freeze)하는 것과 같은 기능 구현이 어려움. Circle이 쉽게 Cardano에 $USDC 지원을 못하고 있는 이유임...

Cardano의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USDM 은 같은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지만, CNT로 발행되기 때문에 발행사가 자산 동결을 못함.

$USDC 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나온 대안은 CIP-113으로, CNT를 스크립트로 묶어서 스크립트에서 거래되게하는 구조임.

#FluidTokens 과 #Minswap 은 이미 CIP-113 을 테스트 중인 것으로 앎...

이더리움의 Account 모델이 아닌, UTXO 모델이기 때문에 여러 장점도 있으나, 이런 부분에선 아쉽기도 함.

같은 토큰 모델이었다면 진작에 $USDC , $USDT 지원이 가능했을지도 모름...

https://x.com/StakeWithPride/status/1885468650326679873

도리의 코인메모

03 Feb, 04:13


기영님 믿고 5년 존버 ㄱㄱ...

도리의 코인메모

03 Feb, 04:12


주기영 크립토퀀트 CEO “알트코인, 미래 인터넷 경제의 핵심 될 것

주기영 크립토퀀트(CryptoQuant) 대표가 2일(현지시간) 알트코인이 인터넷 경제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지식 노동자들이 알트코인을 통해 보상을 받는 시대가 올 것이며,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은 주기적인 변동을 겪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 대표는 향후 5년 내 현재의 알트코인 시장이 변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현재 알트코인은 인터넷에서 주목받는 정도를 반영하는 자산이지만, 앞으로는 정보 생성·유통·획득에 기여한 이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구조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밈코인은 도박성 자산으로 남고, 유명인 기반의 코인은 제한적인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출처: 블록미디어

도리의 코인메모

03 Feb, 03:59


플랜비씨는 강세장 안끝났다고하며 $270K 보시는듯

👉원문

#BTC

도리의 코인메모

02 Feb, 15:01


플랫폼 이름이 Cosmo 라서 Cosmos 위에 올라간줄..

도리의 코인메모

02 Feb, 14:48


tripleS! New Dimension to Crypto Service

- tripleS는 Modhaus 소속의 24인조 걸그룹임. tripleS의 매력은 매 컴백마다 Dimension이라는 유닛 개념을 도입해 늘 새로운 조합으로 무대를 선보임.

- tripleS는 Cosmo라는 폴리곤 기반의 자체 플랫폼을 가지고 있음. 아티스트 소식·스케줄·독점 영상 등의 풍부한 콘텐츠가 있음. 특히 Gravity 투표 시스템이 핵심임.

- 팬들은 Objekt라는 NFT 포토카드를 구매하면 하나의 COMO 토큰을 받게되며, 이 COMO 토큰은 Gravity 투표에 사용됨.

-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불변성 덕분에, 팬들은 자신이 행사한 투표가 그대로 반영되는지 의구심을 품을 필요가 없어짐.

- 플랫폼은 DApp이지만, 사용자에게는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 ‘포토카드 구매’, ‘투표 참여’처럼 익숙한 형태로 제공하여 '블록체인을 숨기는'방식을 사용함.

- Objekt 구입 → COMO 지급 → Gravity 투표 참여로 이어지는 과정 전체가 블록체인상에서 이루어지지만, Cosmo 플랫폼을 이용하는 팬들은 그 과정을 번거롭게 느끼지 않아도 되도록 설계되어 있음.

- Chiliz도 비슷한 팬토큰이지만, Chiliz의 팬토큰 생태계에는 사실상 진짜 팬보다 팬토큰을 투자 목적으로 매매하는 투자자가 더 많음.

- COMO는 비상장 코인으로 1 COMO = 1 투표권이라는 가치만 존재함.

- COMO의 가격 변동에 따라 팬덤의 분위기가 변하거나, 투자 목적으로 Cosmo를 이용하는 경우도 없을 것임.

- Modhaus의 tripleS는 K-POP과 블록체인을 결합하여, 팬들이 투명하고 탈중앙적으로 아이돌의 프로듀싱에 참여할 수 있는 Cosmo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Web2와 Web3 모두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02 Feb, 14:24


📢 바이낸스 내부 고발 레터 요약

📌 핵심 인물
1. Dana(바이낸스 랩스 책임자)
- 홍콩 거주
- 바이낸스 랩스의 실질적 의사결정자
- 프로젝트 평가 시 고압적 태도

2. Dovey(바이낸스 랩스 "화이트글러브")
- He Yi의 측근
- 프로젝트 자문으로 1% 토큰 무상 획득
- 상장 전 투자를 통한 수익 창출

3. 기타 관련자
- Nicola: Dana의 부하직원
- Chris: 전 샤오미 직원, 프로젝트 중개
- Claudia: 바이낸스 리스팅 책임자

🚨 주요 의혹
1. 상장 과정의 문제점
- 토큰의 4-8% Launchpool/Megadrop 요구
- 5-10% 비공개 자문 수수료
- 수백만 달러의 상장 보증금

2. 문제 프로젝트 사례
- Hooked Protocol: "친분 코인" 의혹
- Sleepless AI: 가짜 AI 데이터 스캠
- Catizen: 텔레그램 게임 사기
- Altlayer: 부적절한 토큰 분배
- Cheems: BNB 체인 밈코인 조작

💭 결론
- 실제 프로젝트 가치보다 내부 관계가 중요
- 정상적인 프로젝트의 생존이 어려운 구조
- Web3의 탈중앙화 가치가 훼손되는 상황

원본

도리의 코인메모

02 Feb, 10:51


찰스가 2월에 좋은 소식들이 있을거라고 호언장담하던데 저것과 관련있는건지..

도리의 코인메모

02 Feb, 10:50


찰스 호스킨슨 "현재 Cardano와 논의되고 있는 가장 큰 프로젝트 중 하나는 미국 연방 예산 전체를 블록체인에 올리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입니다"

이는 수조 달러, 수십만 달러가 다른 국가와 회사로 유출될 수 있는 규모라고 함.

https://x.com/angrycryptoshow/status/1885835648327721380

도리의 코인메모

02 Feb, 10:39


밈코인 들어갔다가
5900만원이 18만원으로 변했다

도리의 코인메모

28 Jan, 02:50


Coinbase CLO(Chief Legal Officer), @iampaulgrewal

'코인베이스 상장팀은 어떤 체인에 있든 빌더를 끌어올릴 수 있는 모든 토큰을 상장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규제를 받는 거래소로서 우리가 상장하고자 하는 것과 상장할 수 있는 것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점이 항상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저희만큼이나 많은 분들이 실망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목요일 정오(태평양 표준시 기준)에 목요일 정오(태평양 표준시 기준)에 @jessepollak 와 함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https://x.com/iampaulgrewal/status/1884051994324947001

도리의 코인메모

28 Jan, 02:45


$USDe 보유량을 최대 수준으로 늘렸다고 하는데, Maelstrom이 Ethena 초기 투자로 참여했었음.

도리의 코인메모

28 Jan, 02:42


Arthur Hayes, The Ugly

- 중앙은행들의 자산 매입 축소, 은행 신용 확장 속도 둔화, 미 국채(10년물)와 주식·비트코인 간 관계, 그리고 최근 $TRUMP 밈코인 급등 등이 2021년 말과 유사한 ‘장 단기 전환’을 시사함.

- 결과적으로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 70,000~75,000달러까지 조정을 거친 뒤 연말까지 25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음.

- Maelstrom는 스테이블코인($USDe) 보유량을 사상 최대 수준으로 늘리며, 일부 알트코인 이익을 실현하고 있음.

- 미국의 경우 10년물 국채금리는 5~6%까지 상승할 것이고, 이는 미니 금융위기를 촉발할 것임.

- 결국 금융위기가 불거지면, 연준은 다시 자본규제(SLR) 면제나 양적완화(QE) 재개 등 ‘돈 풀기’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큼.

- 트럼프 행정부와 연준 간 정치적 갈등이 존재하지만, 금융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돈을 풀어야 할 것.

- 중국은 2025년 1월 초 갑자기 국채 매입(부양) 프로그램 종료 및 위안화 절상 개입으로 방향 전환함. 당분간 중국발 유동성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은 낮아보임.

- 일본 역시 일본은행은 금리를 인상(0.25%씩 단계적으로)하며 자산 매입 규모가 축소되고 있어, 유동성 측면에서 예전처럼 무제한 돈풀기가 어려워지고 있음.

- 연초 급등 이후 단기적인 30% 수준의 비트코인 조정을 예상(확률 60%)하고, 이미 상당 부분 현금화(스테이블코인화)하여 대기 중임.

- 반면 만약 시장이 계속 상승하여 비트코인이 11만 달러 이상으로 올라가면(확률 40%), 잘못된 판단이라 인정하고 다시 매수에 합류할 계획임.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8 Jan, 02:32


1. DeepSeek r1은 중요한 뉘앙스를 지닌 진짜다.

- 가장 중요한 점은 r1이 o1보다 훨씬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600만 달러의 학습 비용 때문이 아니라, r1의 사용 비용이 o1에 비해 각 API당 93% 적게 든다는 점, 고사양 워크스테이션에서 로컬로 실행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속도 제한에 전혀 도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 간단히 계산하면 활성 매개변수 10억 개당 FP8 기준 1GB RAM이 필요하므로, r1은 37GB RAM을 필요로 한다. 배치 처리가 비용을 크게 줄이고, 더 많은 컴퓨팅 리소스가 초당 토큰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클라우드에서 추론하는 것이 여전히 유리하다. 또한 여기에는 진정한 지정학적 역학 관계가 작용하고 있으며, 'Stargate'직후에 이것이 나온 것이 우연이 아니라고 본다.

사실(Facts):

1. 관련 앱 스토어 카테고리에서 #1 다운로드였다. ChatGPT를 앞선 건 물론이고, 이는 Gemini나 Claude도 이루지 못한 일이다.
2. 품질 면에서 o1과 비교할 만하나 o3에는 뒤처진다.
3. 학습과 추론 모두에서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진정한 알고리즘적 돌파구가 있었다. FP8 학습, MLA, 다중 토큰 예측 등이 그 예다.
4. r1 학습이 600만 달러밖에 들지 않았다는 점은 쉽게 확인 가능하다. 이는 문자 그대로 사실이지만, 매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5. 심지어 하드웨어 아키텍처도 새롭다. PCI-Express를 확장에 활용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뉘앙스(Nuances):

1. 600만 달러에는 “아키텍처, 알고리즘, 데이터에 대한 사전 연구 및 소거 실험 비용”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기술 논문에서 명시하고 있다. “그것 말고는 어땠나요, 링컨 부인?” 이는 이미 수억 달러를 연구에 투자했고, 훨씬 큰 클러스터를 보유한 연구소라면 600만 달러로 r1 수준의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DeepSeek은 2048대의 H800을 훨씬 초과하는 리소스를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그들의 이전 논문 중 하나는 1만 대의 A100 클러스터를 언급한 바 있다. 동등한 수준의 팀이 단순히 2000 GPU 클러스터를 가동해 600만 달러로 r1을 처음부터 학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Nvidia 매출의 약 20%는 싱가포르를 통해 발생한다. 하지만 Nvidia GPU의 20%가 싱가포르에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2. 많은 양의 증류가 이루어졌다 - 즉, GPT-4o와 o1에 대한 방해 없는 접근 없이는 이것을 학습시킬 수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어제 Brad Gerstner 가 지적했듯이, 최첨단 GPU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면서도 중국이 최첨단 미국 모델을 증류할 수 있는 능력을 막지 않는 것이 꽤나 우스운 일이다. 분명 수출 제한의 목적을 무색하게 한다. 소를 살 필요가 없다면 공짜로 우유를 얻으면 되니까.

결론:

1. 학습 비용을 낮추는 것은 AI의 투자수익률(ROI)을 증가시킬 것이다.

2. 가까운 미래에 학습 자본 지출(CapEx)이나 '전력'테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

3. 기술, 산업, 유틸리티, 에너지 분야의 현재 'AI 인프라' 승자들에게 가장 큰 리스크는 r1의 증류 버전을 고사양 워크스테이션(예: Mac Studio Pro)에서 로컬로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유사한 모델이 약 2년 내에 슈퍼폰에서도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론이 '충분히 좋다'는 이유로 엣지에서 이루어진다면, 우리는 완전히 다른 승자가 탄생하는 매우 다른 세계에 살게 될 것이다. 즉, PC와 스마트폰 업그레이드 사이클이 역대 최대 규모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컴퓨팅은 오랫동안 중앙집중화와 분산화 사이를 오가고 있다.

4. 인공 일반 지능(ASI)은 정말, 정말 가까이에 와 있으며, 초지능의 경제적 수익이 어떨지 아무도 정확히 알지 못한다. 100k 이상의 블랙웰(Blackwell)을 학습한 1,000억 달러짜리 추론 모델(o5, Gemini 3, Grok 4 등)이 암을 치료하고 워프 드라이브를 발명한다면, ASI의 수익은 매우 높아질 것이며 학습 자본 지출과 전력 소비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다이슨 스피어(Dyson Sphere)가 페르미 역설(Fermi’s Paradox)에 대한 최선의 설명으로 다시 떠오를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 ASI의 수익이 높기를 바란다. 정말 멋질 테니까.

5. 이것은 AI를 활용하는 기업(소프트웨어, 인터넷 등)들에게 매우 긍정적이다.

6. 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이는 배포 및 고유 데이터(YouTube, Facebook, Instagram, X 등)의 가치를 대폭 증가시킨다.

7. 미국 연구소들은 r1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증류를 방지하기 위해 최첨단 모델을 공개하는 일을 멈출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 분야에서는 이미 완전히 판도라의 상자가 열려버렸을지도 모른다. 즉, r1만으로도 r2를 학습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7 Jan, 01:29


[아서 헤이즈 “BTC 7만 달러까지 조정 후 25만 달러로 상승 예상”]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이자 웹3 벤처 투자사 맬스트롬 최고투자책임자(CIO) 아서 헤이즈가 X를 통해 “비트코인이 7만~7.5만 달러 사이 수준까지 조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소규모 금융위기가 발생하고 화폐 발행이 늘어나면서 비트코인은 올해 말 25만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8746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12:04


Uniswap v4와 v3의 주요 차이

1. 구조 개선 (Pool Creation)
- v4: 하나의 컨트랙트로 모든 풀을 관리해서 비용 절감
- v3: 풀마다 새로운 컨트랙트를 만들어서 비용이 많이 듦

2. 거래 처리 방식 (Flash Accounting)
- v4: 여러 거래를 한꺼번에 묶어서 처리 가능 (마지막에 한 번만 정산)
- v3: 거래마다 매번 정산 필요

3. 수수료 관리 (Liquidity Fee Accounting)
- v4: 수수료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 같은 범위의 포지션도 구분 가능
- v3: 같은 범위의 포지션이 수수료를 공유해서 관리가 복잡

4. ETH 처리
- v4: ETH를 직접 사용 가능
- v3: ETH를 WETH로 먼저 변환해야 함

5. 구독자 기능
- v4: 포지션 소유자가 구독자 컨트랙트를 설정할 수 있음. 유동성이나 소유권이 변경될 때마다 이 컨트랙트에 자동 알림. 스테이킹/유동성 마이닝 시 NFT를 이전할 필요 없어 더 안전
- v3: 스테이킹을 위해서는 ERC-721 토큰(NFT)을 스테이킹 컨트랙트로 이전해야 함. 악의적인 컨트랙트의 경우 기초자산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

유니스왑 v4는 Flash Accounting, ERC-6909, Hooks, Subscribers, Poolmanager, Dynamic Fees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반적으로 비용 절감, 효율성, 안전성이 개선될 예정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9:39


Deepseek R1 내러티브 미쳤네..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9:38


Deepseek R1, 10 MOST powerful use cases you can’t miss:

초간단 요약

오픈소스, 시각적 설명 가능, 다양한 언어로 게임 빌드, 폰에서 실행가능, perplexity 한시간만에 구현 등

https://x.com/heypearlai/status/1883109227922964719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9:35


ICP is centralized & insecure; ICP is dangerous!

- 인터넷 컴퓨터 프로토콜(ICP)는 40개의 노드만 공격하면 네트워크가 무너질 정도로 위험함.


- ICP의 탈중앙화없는 확장성 디자인은 혁신적이지 않으며 의미가 없음.

- ICP는 독립적인 서브넷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모놀리식 싱글 체인임. 그러나 폴카닷과 아발란체와는 다르게, 'shared security'가 없음.

- 서브넷은 그들의 보안을 스스로 책임져야하는 것임. 여기서 서브넷들은 Validator가 적으면 유저가 위험해질 수 있음

- 대부분의 서브넷은 40개 노드보다 적은 수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13개보다 적음.

- ICP는 PoS가 아님. stake가 블록 생산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임. 대신 stakeholder는 validator를 vote, verify함.

- 또한, 서브넷이 늘어나면 block rate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음. 서브넷이 늘어날 수록 블록 합의를 위한 메시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노드가 더 필요하며,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지게 됨.

- 이는 ICP가 주장하는 무한 확장성이 불가능하다는 것임.


- 더구나, ICP는 여러 주요 블록체인 기술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거짓이거나 과도한 마케팅임. (BTC의 네이티브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오라클 문제 등)

- ICP 토큰은 ETH와 유사한 디자인임. 검증자 보상을 위해 약간의 인플레이션을 사용하고 모든 수수료는 'cycle'이라는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형태로 소각함.

- 초기 공급량에 대한 논란도 있으며, Arkham이나 ICP 모두 주소 공개를 하지 않아 투명성이 매우 부족함.

- ICP는 모든 암호화폐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중앙집중적이고 안전하지 않음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9:17


솔라나 $SOL Unlock Schedule

2월의 언락 물량은 역대 최대로, 3,249,614 개의 $SOL 이 풀리게됨.

더구나 3월은 2월의 3배인 9,750,856 SOL 이 풀림.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9:00


출처를 통해서 직접 시연 영상과 자료를 보는 것을 추천.

스레드에선 기능과 비용면에서 ChatGPT보다 월등한 수준인 것으로 보임.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8:59


Goodbye ChatGPT, Deepseek R1에 열광하는 13가지 사례

1. Build games from different languages

2. Extract JUST the reasoning from deepseek-reasoner

3. r1 thinks in realtime

4. DeepSeek is a side project

5. AGI at home

6. ChatGPT o1 Pro vs. DeepSeek R1: Implementing a rotating triangle with a red ball.

7. Crack complex math problems with ease

8. Building Perplexity clone in an hour without writing single line of code

9. DeepSeek R1 is 100% Opensource and 96.4% cheaper than OpenAI o1 while delivering similar performance.

10. RAG app using DeepSeek-R1 (100% local)

11. DeepSeek R1 1.5B runs locally in your browser at 60 tok/sec via WebGPU

12. A multi-agent YouTube video analyst, powered by DeepSeek-R1 (100% local)

13. DeepSeek-R1 provides OpenAI-o1 level intelligence at 90% less cost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8:50


CEX가 DEX화 되어가고 있음. 코인베이스가 확실히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쫓고 있음.

이제 CEX 거래소가 '상장'으로 가졌던 권력도 조금씩 내려놓게 될 듯... 토큰 유동화가 쉬워지기 때문에 VC의 펀딩도 더욱 필요없어지고 있음...

인프라도 Opstack, Orbit, ZKstack, Avacloud 등의 등장으로 네트워크 구축이 간단해지고 있음.

결국, 매력적인 프로덕트가 가장 중요해지고 있다고 생각함. 레이어도 매력적인 Dapp이 없다면 껍데기에 불과함...

프로덕트 하나만 잘 만들면 펀딩부터, 레이어의 적극적인 지원까지 받는 환경이 되고 있는 듯... Dapp 개발이 갑이 되어 가는 듯...

도리의 코인메모

26 Jan, 08:43


코인베이스 CEO, Brian Armstrong

'현재 일주일에 약 100만 개의 토큰이 생성되고 있고, 그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만큼 코인베이스의 상장 프로세스를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품질이 높은 토큰을 일일이 평가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규제 당국도 현재로서는 일일이 승인을 신청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일주일에 100만 개를 처리할 수 없습니다).

허용 목록에서 차단 목록으로 전환하고, 고객 리뷰/온체인 데이터의 자동 스캔 등을 활용하여 고객이 선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그리고 네이티브 DEX 지원을 더욱 심층적으로 통합해 나갈 것입니다. 고객은 거래가 DEX에서 이루어지는지 CEX에서 이루어지는지 알 필요도 없고 신경 쓸 필요도 없습니다. '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13:11


래리 핑크, “강력한 미경제로 연준 다시 금리 인상 가능성”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48961?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13:09


이유에 대단한 무언가는 없어보이지만... 카르다노 내에서는 나름 화제인듯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13:08


$SNEK 밈코인이 주목받는 이유

https://x.com/Madkingk9/status/1882975897730601453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12:57


블랙록은 ETF 외에도 토큰화(tokenization) 및 스테이블코인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함.

흥미진진...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12:56


BlackRock’s 2025 Crypto Strategy Revealed (BlackRock ETF 및 Index 투자의 CIO, Samara Cohen 인터뷰)

- 일부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이더리움(ETH) ETF가 비트코인(BTC) ETF만큼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ETF 업계에선 둘다 성공적인 출시라고 보고 있음.

- 성공의 기준은 기초 자산의 정확한 가격 추적(Tracking precision), 시장 품질과 기관과 개인의 참여도임.

- ETF는 과거 금융 혁신과 유사하게 시장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해왔음.

- 금융 시장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는데 기술 혁신이 핵심임.

- 암호화폐 ETF는 전통금융과 디지털 자산간의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임.

- 비트코인 ETF는 명확한 투자 논리(디지털 금과 인플레이션 헷지)에 의해 강한 수요가 있음. 그러나, 이더리움은 복잡하여 기관의 빠른 관심이 보이진않았음.

- 이더리움은 기존 기술과의 상관관계가 높아, 증폭 효과로 인식됨. 최근 몇달간 이더리움 ETF 자금이 유입되는 추세임.

- 블랙록은 옵션 거래를 하진 않으나, Market Makers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옵션 생태계를 구축중.

- 블랙록은 아직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에 집중하고 있으며, 새로운 ETF 출시에는 명확한 투자 논리와 리스크 평가와 시장 수요가 있어야함.

- 24년은 ETF가 제도권 투자자들에게 인식되는 초기 단계라면 25년은 본격적인 기관 어돕션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임.

- ETF 기반 옵션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가격 변동성과 시장 심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임.

- 트럼프 행정부 교체로 인해 친시장적 규제 개선을 기대하며, 명확한 규제 틀이 마련되면 기관의 참여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https://www.youtube.com/watch?v=nWPRFNVs6XY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09:51


트럼프 대통령, 세계경제포럼 2025 연설 주요 내용 정리

#국제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09:50


✍️2025년 크립토 시장 예측 총정리

1. Equilibrium의 2025년 크립토 업계 기술 발전 및 트렌드 예측
2. 골드만삭스의 2025년 시장 전망: 낙관적이나 헤징 필수
3. a16z의 2025년 크립토 시장 예측: excited about in crypto
4. Delphi Digital: 2025년 크립토 시장 전망
5. Delphi Digital: The Year Ahead for Gaming 2025
6. The Year Ahead: 10 Crypto Predictions for 2025(Bitwise)
7. Delphi Digital: The Year Ahead for Infra 2025
8. VanEck’s 10 Crypto Predictions for 2025
9. Presto Research: 2024 Crypto Market Review & 2025 Forecasts
10. 2025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새로운 문명의 탄생
11. Hashed Thesis 2025: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블록체인 대중화
12. Daryl Lau(Not3Lau Capital)의 2025년 투자 테마/포지셔닝
13. Coinbase: 2025 Crypto Market Outlook
14. Messari: ‘The Crypto Theses 2025’
15. Delphi Digital: The Year Ahead for AI + DePIN 2025
16. hitesh's top 15 crypto predictions for 2025
17. Mippo's 27 predictions for 2025
18. Pantera Capatial: 8 Predictions for 2025
19. 2025년 주목해야 할 크립토 산업 핵심 내러티브 5가지
20. 0xKyle's The 2025 Gameplan
21. binji's 24 predictions for 2025
22. Galaxy Research: Crypto Predictions for 2025
23. redphone's 25 PREDICTIONS FOR 2025
24. arndxt's The 2025 Crypto Prophecy
25. D's Crypto Predictions for 2025
26. 전통금융들의 2025년 시장 전망 핵심 정리
27. Eugene Ng Ah Sio's Q1 2025 Outlook(feat. Ansem)
28. WuBlockchain 2025년 온체인 예측
29. Momir's 2025 Crypto Outlook: 슈뢰딩거의 고양이
30. 10대 크립토 VC가 바라본 2025년 펀딩 전망
31. DeFi Cheetah's prediction of crypto market in 2025
32. Haseeb's 2025 Crypto Predictions
33. KuCoin: Crypto Market Outlook 2025
34. The Block: 2025 Digital Assets Outlook
35. Miles Deutscher's 10 Crypto Predictions For 2025
36. Grayscale Research Insights: Crypto Sectors in Q1 2025
37. Messari's 6 hot takes for 2025
38. Robbie Petersen(Delphi Digital)'s 2025 Predictions
39. AVC: What Will Happen In 2025
40. Rice's Crypto Predictions for 2025
41. Ian(Kairos Research)'s Bull Predictions for 2025
42. Crypto Truths & Lies for the Year 2025
43. CARBON Copy's predictions for ReFi in 2025
44. a16z 7 Big Ideas for 2025
45. The Spartan Group: 12 things that excite us in Web3 in 2025
46. Multicoin Capital: Frontier Ideas For 2025
47. Rex Woodbury: 25 Predictions for 2025
48. Teng Yan: What I'm Watching in 2025
49. thesis: 2025 Predictions
50. Marco Manoppo: 2025 Predictions
51. 2025 Crypto 크립토 시장 정세: Local Tops
52. egirl capital: 2025 prediction
53. Pantera Capitial: The Year Ahead In Crypto
54. Onchain Research: Top 10 Predictions for 2025
55. Onchain’s 39 Web3 Predictions for 2025
56. Top 10 Delphi Predictions for 2025
57. Rex Woodbury: 25 Predictions for 2025 (Part II)
58. Wintermute OTC: 2025 outlook
59. Binance Research: Themes for 2025
60. Lemniscap: 주목할 크립토 6대 혁신 분야
——————————————————-
📅 2024년 Prediction 요약 정리 다시보기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06:14


하드웨어와 LLM 모델은 빠르게 발전 중... 이젠 학습시킬 '데이터'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듯..

도리의 코인메모

25 Jan, 06:11


중국 AI Deepseek 가격은 50분의1인데 성능은 ChatGPT를 넘는다

- 중국의 Deepseek r1이 공개되고 벤치마크 점수는 최상위권이지만, 가격은 chatGPT의 1/50 수준.

- 학습비용이 '550만 달러'라는 매우 적은 예산이고, 이는 빅테크 조직 리더의 한달 연봉 수준으로 저렴함.

- 특히 학습에는 하드웨어가 엔비디아 H800 2대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빌려서 사용했다고 알려짐

- Meta 블라인드 글에 따르면, 빅테크 내부에서도 혼란에 빠졌음. 모든 것은 Deepseek V3에서 시작되었는데, 이 모델은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이미 Llama 4를 넘어섰음.

- 설상가상으로 "550만 달러라는 적은 훈련 예산"으로 훈련된 "정체불명의 중국 회사"가 등장하여 상황을 더욱 악화됨.

- 엔지니어들은 Deepseek를 해부하고 그로부터 가능한 모든 것을 베끼기 위해 미친 듯이 움직이고 있음.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0 Jan, 10:45


현재 USDC-SOL 의 인출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기술팀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최대한 신속하게 해당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하네요.

#BINANCE

도리의 코인메모

20 Jan, 03:12


천천히 상장해주세요... 터질지 몰라요

도리의 코인메모

20 Jan, 03:12


다음 상장 예정픽

다 알려드렸읍니다.

도리의 코인메모

20 Jan, 00:58


[메사리 설립자 "트럼프, 멜라니아 밈코인 출시 권유한 사람 해고해야"]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 공동 설립자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가 X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오늘 멜라니아 트럼프의 밈코인 출시를 권유한 사람을 해고해야 한다. 이들은 자신들이 뭘 하고 있는지 모르며, 지지자들의 돈과 선의를 낭비하도록 했다. (밈코인 발행자들은) 트럼프나 지지자들의 이익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7947

#TRUMP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23:59


'비트코인과 크립토는 그 어느 때보다 폭등할 것입니다.'

불장 안끝났나봐요..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23:38


솔라나 네트워크 또 다운됐었네요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12:20


지금 코인판 상황.jpg

https://x.com/milesdeutscher/status/1880940596367618508?t=7j8UDfMihh17StCzxRRGlw&s=19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12:10


메사리 창업자, 리플 비판… “트럼프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에 위협”
#XRP #리플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45202?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42


📂 Solana Dex Volumes are Cooking

AI Agent, Trump 와 같은 코인들이 솔라나 기반 DEX 에서 폭발적인 거래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Raydium 은 24시간 동안 발생한 수수료가 테더를 뛰어넘었고, Meteora 가 24시간동안 86억 달러라는 말도안되는 거래량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1위 거래소 바이낸스(CEX) 를 제외한 모든 거래소의 거래량을 능가하는 수준입니다.

기존 CEX가 점유했던 거래시장을 DEX가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는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CEX #DEX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35


카르다노 재단은 $USDC 지원도 물거품으로 만들었는데, 카르다노 생태계 토큰인 CNT의 지원도 많이 부족했나봄...

재단은 돈을 모으는 곳이 아니라 생태계를 위한 자금 지원이 중요한 것같은데...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34


"상장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CNT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Cardano Foundation은 Custodians, Wallets 등을 위한 통합에 전혀 돈을 투자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2천만 달러를 지출해야 합니다. 그냥 할 겁니다."

No infrastructure = No listing

https://x.com/IOHK_Charles/status/1880680608344805771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29


솔라나 생태계 볼륨도 엄청나네요. $TRUMP 가 쏘아올린 공...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28


https://defillama.com/chain/Solana?perps=false&volume=true&tvl=false&groupBy=daily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24


트럼프가 $TRUMP 를 먼저 발행하자고 했을리는 없고... 누가 어떤 기준과 목적으로 $SOL 을 선택하고 발행했는지 궁금...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24


트럼프의 간택받은 $SOL 인정...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5:23


솔라나 DEX 거래량 사상 최고치

#SOL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0:58


24시간동안
💵ETH 시총 20B 증발 📉
💵SOL 시총 20B 증가 📈

도리의 코인메모

19 Jan, 00:58


속보 비탈릭 밀라디로 프사 변경

도리의 코인메모

18 Jan, 13:02


상위 10위 홀더가 전체 86.24% 보유

https://solscan.io/token/6p6xgHyF7AeE6TZkSmFsko444wqoP15icUSqi2jfGiPN#analytics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46


암튼 내 채널의 장점은 여러 프로토콜을 비교하고 실체있는 근거나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임

내가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가능하다고 생각함...

어느 프로토콜을 선호하기 떄문에, 혹은 투자했다는 이유만으로 마냥 긍정적으로 평가하진 않음...

T라서...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43


카르다노 Liquid staking 모델에 대해 간단하게 잘 정리한 아티클

https://x.com/ItsDave_ADA/status/1813831025627201588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29


- 카르다노의 그랜트 프로그램 Catalyst Fund도 독특함.

- 프로토콜들은 개발자 양성과 생태계 확장을 위해 그랜트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음. 대부분 프로젝트로부터 지원서를 받고, 재단이 그랜트 수여 여부를 결정함.

- 그러나, 카르다노는 커뮤니티 투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그래서 Catalyst 투표 시즌에는 표를 얻기 위해 여러 팀들이 앞다퉈 자신의 프로젝트를 홍보하는 광경을 볼 수 있음. (Optim finance의 Catalyst 홍보 트윗임)

- 시덥잖은 프로덕트를 하루만에 만들어서 그랜트 받아가는 그랜트 헌터들이 카르다노에서는 불가능한 것임.

- 이렇게 다른 프로토콜에는 없는 카르다노만의 독특한 커뮤니티 문화가 확실히 존재함… 재단보다 커뮤니티의 역할이 중요하며, 커뮤니티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느낌이 있음.

- 이 독특한 커뮤니티 문화는 누구나 손쉽게, 안전하게 스테이킹할 수 있고 노드 운영이 가능한 탈중앙화된 네트워크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봄…


- 카르다노를 단순히 컬트, 스캠으로 치부하기엔, 아주 건설적이고 참여도가 높으며 열성적인 커뮤니티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함.


- 다음엔 비트코인 2.0인 이유와 거버넌스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하려고함…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29


- 국내에서도 한국인들이 운영하는 스테이킹 풀들 대부분 Delegator를 묶어두기 위해 여러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 공통적으로 카카오톡 오픈카톡방을 관리하고 있으며, 카르다노와 시장 소식을 공유하거나 Delegator를 위한 이벤트를 진행함.

- 위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유명 벨리데이터 업체는 보이지 않음.

- 다들 알겠지만 벨리데이터 포함한 노드 오퍼레이터가 커뮤니티에 그들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스테이커들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잘없음.

- 재단이 물량을 쥐고 있고 재단의 선택만 받으면 되기 때문에, 재단 눈치만 잘보면 되는 것임.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28


- 이더리움과 달리, 카르다노 스테이킹은 락업도 없고 슬래시도 없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투자 방법인 것임.

- 누군가는 락업이 없으면 스테이킹이 너무 자유로워 부작용이 클 거라 생각할 수 있음. 그러나 오히려 이 구조가 프로토콜에 이득임.

- Stake Pool Operator들은 $ADA 위임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위임을 받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함. 예를 들면 카르다노 생태계의 이슈를 공유하거나, 프로토콜에 기여하거나, 이벤트를 통해 커뮤니티의 마음을 얻으려 함.

- 재밌는 사례로 @ItsDave_ADA 라는 카르다노 홀더가 있음.

- 그는 카르다노의 열성적인 지지자로, 카르다노의 잘못된 Fud에 대응을 하거나, 카르다노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음.

- 흥미로운 것은 그가 커뮤니티의 역할을 입증하기 위해, 500 ADA로 'DAVE' 스테이킹 풀을 시작하였음.

- 동시에 커뮤니티 활동을 열심히하여, 현재 1,800만 ADA 를 커뮤니티의 수많은 홀더로부터 위임받아 스테이킹 풀을 운영 중임.

- 매달 약 1,400 ADA 를 Stake pool 운영 수익으로 얻어가는 것으로 보임. (커미션 설정에 따라 다름. DAVE는 많이 낮은 편으로 보임)

- 즉, 재단의 간택을 받을 필요없이 카르다노는 커뮤니티의 마음을 얻으면 노드 운영과 수익화가 가능하다는 것임.

- 이것이 카르다노 커뮤니티가 유난히 열성적인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함.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21


- 카르다노는 이미 Stake Pool을 운영하는 Stake Pool Operator와 스테이킹하는 Delegator로 나뉨. 또한, 스테이킹된 $ADA는 락업되지 않고, 슬래싱도 없음.

- 그래서 비탈릭과 다르게 찰스 호스킨슨은 자신의 $ADA를 모두 스테이킹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음.

- 이전에 Blast가 유저로부터 $ETH 받아 스테이킹 수익을 받아가고 에어드랍을 진행한 적이 있음. 이 때 스테이킹한 홀더들은 락업된 $ETH 탈취 리스크를 염려했음.

- Blast는 홀더들의 잠재수익인 스테이킹 보상을 대가로 토큰을 판매한 격임.

- 이는 카르다노 생태계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된 방식임. 예를 들어, 새로운 프로젝트 런칭 전 ISO(Initial Stake Offering)를 진행함.


- $ADA 홀더들은 해당 프로젝트가 운영하는 Stake Pool에 위임하고, Pool은 커미션을 높게 설정하여 스테이킹 수익을 가져감. 홀더들은 스테이킹 수익 기준으로 토큰을 에어드랍받는 것임.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10


- 이더리움은 가장 안정적이고 생태계가 큰 PoS 체인임 그러나 스테이킹 측면에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음.

- 무엇보다 개인이 스테이킹하기 어려움. 최소 32 ETH가 필요하고, 인프라 기술도 요구됨. 사실상 일반인은 스테이킹이 불가능하다고 봄.

- 그래서 대부분 Lido와 Rocketpool 같은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LSD 프로젝트에 스테이킹이 집중됨.

- 더구나 $stETH 같은 유동화 토큰이 없으면 스테이킹된 $ETH는 잠기고, 슬래싱 리스크도 있음.

- 심지어 비탈릭도 자신의 $ETH를 모두 스테이킹하지 않음.

- 비탈릭은 Solo Staker를 늘리고 중앙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레인보우 스테이킹(Rainbow Staking)’이라는 개념을 제안했음.

(관련 자료 https://ethresear.ch/t/unbundling-staking-towards-rainbow-staking/18683)

- 간단히 말하면, 노드 오퍼레이터와 위임자를 구분 짓는 구조임.

- 일반인이 LSD를 사용하지 않고 노드를 운영하지 않아도, 소액의 $ETH를 노드 오퍼레이터에게 위임할 수 있는 것임. 더구나 위임자는 슬래싱 리스크가 없는 구조임.

- 사실 이 구조는 이미 카르다노에서 사용되고 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07


- 이유는 대부분의 체인에서 100여 개의 노드만 블록 생성에 참여하도록 제한되기 때문임. (더 많을 수 있지만 비슷한 수준임)

- 초기 재단 물량을 위임받지 않으면 100위 안에 진입하기 어렵고, 재단 물량아니면 직접 코인을 매입해야 하는데 비용이 엄청날 것임.

- 그래서 이 업계는 코인을 발행한 재단이 갑 of 갑임. 재단이 프로토콜 개발, 운영, 위임, 노드 선택 권한을 모두 쥐고 있음.


- 이와 달리 이런 구조에 속하지 않는 체인은 내가 알기론 이더리움과 카르다노임. (더있을지 모름…)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2:06


이 크립토씬엔 ‘스테이킹’에 대한 정말 재밌는 사실이 있음.

- PoS(Poof-of-Stake) 체인은 위임된 지분을 기준으로 노드가 블록 생성에 참여하는 네트워크임.

- 사람들은 스테이킹을 일반 홀더들로부터 받아 노드를 운영한다고 알고 있음.

- 그러나 실제론 다름. 대부분의 경우, 재단이 물량을 위임할 노드 오퍼레이터(벨리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조임.

- 그래서 프로토콜 재단과 벨리데이터는 갑과 을의 관계임. 벨리데이터는 재단으로부터 물량을 위임받아 노드를 운영해주는 꼴인 것임.

- 당연히, 벨리데이터는 재단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음. 재단이 물량을 회수해버리면 노드 운영 자체를 못하기 때문임

- 그래서 일반 홀더들의 스테이킹 물량은 그들의 비즈니스에 크게 중요하지 않음.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11:37


인기있는 KOL 유형들

- KOL-as-a-Service: 유료 콘텐츠 제공

- KOL-as-a-Business: 노출을 통해 이익을 얻는 비즈니스 운영

- KOL-as-a-Rug: 부자인 척하면서 티커를 홍보하고 팔로워에게 덤핑

- KOL-as-Bored: 이미 부자가 되어서 할게 없어서 크립토에 있음

- KOL-as-a-Memelord: 알파 정보는 없고, 오직 밈만 던짐

- KOL-as-a-VC: 본인의 투자 포트폴리오 프로젝트를 홍보하며 출구 전략을 세움

- KOL-as-a-Skeptic: 스캠을 폭로하는 회의론자

- KOL-as-a-Whale: 교묘하게 출구 유동성을 얻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고래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12 Jan, 01:33


https://x.com/wallstreetbets/status/1877781985512534457?t=6LnCiIkNWiCq1CeDv7u5OA&s=19

도리의 코인메모

11 Jan, 08:17


- 나는 개인적으로 아발란체는 파라체인 폴카닷과 IBC 코스모스의 상위호환이라고 생각함.

- 아발란체는 폴카닷의 파라체인에 비해 무한정 L1 확장이 가능하며, 코스모스 계열 체인이 늘어나도 코스모스에 전혀 도움도 안되지만 아발란체의 L1 확장은 $AVAX 와 아발란체 재단에도 어느정도 도움이 되기 때문임.

- 이번 Etna 업그레이드 이후로 전략을 크게 바꾼 듯. 이번 업그레이드 앞두고 2억 5000만 달러를 투자받은 것도 이 전략이 투자자들에게 통했을 것이라고 봄.

- 재밌음... 메인넷만 보면 사실 솔라나, 수이보다 부족할 건 없다고 봄...

도리의 코인메모

11 Jan, 08:11


- 아발란체는 생각보다 잘 만들어진 체인임.

- 대부분 BFT 알고리즘 기반 체인들의 특징이 노드 수가 증가하면 메시지 복잡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

- 빠르다고 자랑하는 체인들 대부분 BFT임. Sui나 Cosmos 같은 체인들은 메시지 처리량이 늘어나서 발생할 레이턴시를 염려해서 노드 수에 제한을 두고 있음.

- Sui는 Validator가 100개, Cosmos는 200개 정도 됨.

- 그러나 아발란체는 현재 1473개임. 웬만한 PoS 체인치고 아주 많은 수준임.

- 이것이 가능한게 아발란체도 같은 BFT지만, 확률적 샘플링 기반이라 노드가 늘어나도 메시지 처리량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임.


- 비트코인의 채굴자 노드가 무한정 늘어날 수 있는 것도 높은 컴퓨팅 파워를 가질 수록 논스값을 맞출 확률이 높아지는 단순한 방식이기 때문에, 노드의 증가가 합의 과정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

- 아무튼 결론적으로 아발란체는 높은 탈중앙화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동시에 EVM 계열임.

도리의 코인메모

11 Jan, 07:48


- 현재 Layer2 생태계를 스케일아웃 중인 Optimism과 비슷하지만 다름.

- Optimism은 Opstack이라는 도구 하나를 L2 빌더에게 제공하고 알아서 다듬어서 L2 체인을 구축하라고 던져준다면, Avalanche는 Avacloud라는 플랫폼을 제공해서 엔지니어 없이 L1을 뚝딱하고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것임.

- Optimism은 동등한 위치의 L2 연합인 슈퍼체인이 있다면, Avalanche는 Avalanche 플랫폼에 종속적인 L1들의 생태계임.

- 이제 Avalanche는 L1이라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기업에 가까운 느낌인 것임...


- 결국 L1이 많이 늘어나더라도 $AVAX 의 가격 상승에 크게 도움이 안됨... 아발란체 재단의 수익이 늘어나는 비중이 더 큶.

도리의 코인메모

11 Jan, 07:39


아발란체 $AVAX 근황

- 아발란체가 지난 12월 17일 ETNA 업그레이드부터 많은 변화가 있었음.

- 가장 큰 변화로는 아발란체 벨리데이터의 조건인 2,000 $AVAX 스테이킹이 월 1.3 AVAX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바뀜.

- 또한, C체인의 base fee가 기존보다 1/25로 감소하고, L1간의 인터체인 메시징이 도입됨. (여기서 L1은 기존의 Subnet을 말함)

- 더욱이 서브넷이 L1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서브넷이 아발란체 메인넷과 함께 검증되던 구조에서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분리됨.

- 서브넷이 메인넷에서 분리되면 자체 Validator와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임. 말그대로 완전히 독립적인 L1으로 탈바꿈함.

- 물론, P 체인과의 동기화는 필요함. 이는 다른 L1들과의 통신을 위한 요구조건임.

- L1 구성에 필요한 요구조건이 낮아졌으며, 독립적임. 심지어 Avacloud를 이용하면 버튼 몇번으로 구축이 가능함.

- 정리하면, 아발란체가 아발란체 생태계 확장을 메인넷 Dapp이 아닌, L1의 스케일아웃 전략에 힘을 실은 것으로 보임.

도리의 코인메모

11 Jan, 01:16


요즘 여러 채널에서 아발란체 언급이 없는데... 최근 아발란체 행보를 보면 스탠스가 좀 바뀐듯함.

도리의 코인메모

11 Jan, 01:15


$SUI 가 $AVAX 를 넘었네요.

도리의 코인메모

10 Jan, 13:24


💰 thesis: 2025 Predictions source

1. 비트코인 레이어들의 TVL, 여전히 alt체인 쪽 BTC 보유량 못 넘는다
- 2024년 “비트코인 르네상스”라며 Babylon·BitVM·OP_CAT 부활 등으로 BTC 레이어들 잔뜩 론칭한다지만, 정작 엄청난 유의미 TVL은 어려울 듯
- 현재 EVM 계열이 보유한 BTC가 23만 개, 반면 BTC-sidechain이나 Babylon, Lightning 등은 9.2만 개 수준
- 이 격차 쉽게 뒤집어질까? 아직 UX나 확장성 문제 해결이 시급
- 25년엔 론칭 많아도, “alt체인(이더·솔나·Base 등) 쪽이 더 크게 BTC 끌어갈 것”이 유력

2. 오디널즈 vs 룬스: ‘오디’가 시총 역전
- 룬스(Runes)가 시총 약 $1.2B이고, 오디널즈(Ordinals)가 약 $647M.
- 룬스는 비트코인 기반 밈코인들로 핫했다가 최근엔 교통정체(?). 반면, 오디널즈 NFT는 “BTC상대 EVM NFT 대비 여전히 저평가” 분위기
- 25년 NFT약세여도, “비트코인 NFT” 프리미엄에 힘입어 오디널즈가 룬스 전체 시총 추월할 듯

3.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NAV 프리미엄, 무려 5배 돌파
- MSTR, 24년엔 NAV 대비 3배 프리미엄 찍었다가 2배로 내려옴
- 25년 BTC 상승 랠리 + MSTR의 “BTC밖에 모르는” 스타일로, 주가가 더욱 치솟아 5배 프리미엄 돌파 예상
- 끝물에 “이게 말이 돼?” 반론이 나오겠지만, 호황기 땐 합리성 안 통함…

4. 비트코인 도미넌스, 사상 최저치 갱신
- 기존 역대 최저는 2017년 말 37.64%.
- 하지만 크립토 시장 확장은 DeFi, 스테이블코인, AI토큰 쪽으로 폭발 중
- BTC ‘절대’ 믿는 사람 많지만, 자금 흐름은 결국 알트·AI·메가체인에 더 몰릴 것 → 도미넌스 더 떨어져 새 최저치 예약

5. BTC ETF 유입규모, 2024년(440억 달러) 넘어선다
- 24년에 미국 BTC ETF들 폭발적 런칭, 역대급 기록 + 글로벌 ETF 시장 자체도 연간 $1조+ 수준 유동
- 규제완화/기관투자 확대 시그널로 인해, 25년엔 ETF 유입이 24년 기록 넘을 듯. “Show me the flow!”

6. 브리지→ ‘OP_CAT & BitVM’으로 점차 대체. 기존 BTC-이더 브리지 맥빠진다
- 전통 브리지는 멀티시그·연합모델 등 보안 취약점 드러남
- BitVM·OP_CAT 등 새 스크립트 능력으로 비트코인 상태검증이 좀더 탈중앙·자동화 가능. 브리지의 필요성 줄어
- “연합형 브리지” 줄어들고, 체인 직접연동(라이트클라이언트+zk+새 opcodes) 뜰 예감

7. WBTC 10만 BTC 아래로 추락 – 탈중앙 래핑이 대세
- 지금은 WBTC(커스터디형) 압도적이지만, tBTC·BTC.b 등 비교적 탈중앙형 솔루션들 점점 주목
- “트러스트리스”가 크립토 본연 스피릿이라, 25년 무렵엔 WBTC 등 중앙화 래핑 비중이 크게 줄고, tBTC나 BTC.b등이 자리차지
- BTC 10만개 아래도 현실화될 듯

8. 글로벌 BTC 유저, 1.8억 명 돌파
- 24년 1.06억 → 25년 1.5~1.8억 예측
- 기관진입+인프라 안정 + 각국 자금규제 회피 수요. 특히 러시아-중동-남미
- 급등은 아니지만 꾸준한 중폭 성장, ETF등 온보딩 채널 다각화

9. 비트코인 채굴, ‘에너지연계’로 새 국면
- 25년엔 “에너지-BTC 연계 금융상품”이 속속 등장. BTC 채굴, 전력수급 맞춰 유연하게 가동 → 전력회사와 파트너십
- 탄소크레딧과 연동하거나, RE100(재생에너지) 점수까지. “채굴 = 전력산업 조정자” 인식 확산
- 채굴이 더는 “환경파괴”가 아니라, “그리드 안정화 해결사” 면모 부각

도리의 코인메모

07 Jan, 15:09


결론에 대한 생각

- EVM, Account 모델로 병렬처리하는 것은 구조적인 한계가 있음.

- 현재 병렬 처리 솔루션으로 나오는 SEI, Aptos 모두 사실상 추가적인 시간, 리소스 비용이 발생하는 방식임.

- 그래서 Sui의 object 모델이 뛰어나다고 생각함. 수이의 모든 데이터는 object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병렬처리에 뛰어나기 때문임.

- Cardano도 UTXO 모델을 사용하여 UTXO를 활용한 효율적인 병렬처리가 가능함.

- 이더리움의 Account 모델을 기반으로한 체인들 중에 병렬처리를 내세우는게 많은데... 뜯어보면 병렬처리에 가장 안좋은 모델을 병렬처리하려고 애쓰는 느낌임....

도리의 코인메모

07 Jan, 15:02


결론

- 이론적으로 병렬 EVM의 속도는 이상적인 환경에서 테스트됨.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레이턴시와 데이터 동기화, 블록 크기 제한 등으로 성능이 제한됨.

- 병렬 EVM은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론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상당한 한계가 있음

- Ethereum는 광범위한 상태 종속성과 독립된 트랜잭션이 적기 때문에 병렬 처리의 이점이 최소화되는 경우가 많음.


- 대기 시간, 데이터 동기화 문제, 블록 크기 제한과 같은 실제 네트워크 제약 조건으로 인해 병렬 실행에서 기대되는 성능 향상이 더욱 저해됨.

- 병렬 처리 개념은 유망하지만 Ethereum 생태계 내에서의 실제 구현은 이러한 수많은 과제를 해결해야함

도리의 코인메모

07 Jan, 14:59


병렬 EVM: 병렬 처리의 이상과 현실

[낙관적 실행의 우려되는 문제]

1) 재실행 비용의 증대
• 상태 불일치가 자주 발생할 경우, 롤백 및 재실행으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트랜잭션 A와 B가 동일한 계정을 참조하고, A가 상태를 변경했다면 B는 잘못된 상태를 읽고 실행될 가능성이 높음.

2) 비용-효율성
• 낙관적 실행이 재실행 횟수를 크게 줄이지 못한다면, 오히려 순차 처리보다 느릴 수 있음

3) 병렬 안전성
• 입력 및 출력 비교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작업이 추가적인 계산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음/

낙관적 실행은 병렬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지만, 트랜잭션 간 종속성이 높은 경우에는 성능 저하를 피하기 어려울 가능성 존재.

[스케줄링 및 종속성 예측의 우려되는 문제]

1) 정적 분석의 한계
• 많은 스마트 컨트랙트는 실행 시점에 상태를 참조하거나 외부 호출을 포함하기 때문에, 정적 코드 분석만으로 모든 종속성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어려움.
• 특히 DeFi 플랫폼이나 NFT 거래와 같이 복잡한 상태 변경이 빈번한 경우, 정적 분석의 정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음.

2) 추가적인 계산 비용
• 종속성을 분석하고 스케줄링하는 작업이 실행 비용에 추가됨.
• 트랜잭션 수가 많거나 복잡도가 높은 경우, 분석 오버헤드로 인해 병렬 처리의 이점이 감소할 수 있음.

스케줄링 및 종속성 예측은 병렬 처리의 핵심 기술이지만,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적 특성으로 인해 완벽히 예측하기는 어렵고, 비용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음.

[상태 병합 의 우려되는 문제]

1) 병합 충돌 처리
• 병합 과정에서 동일한 상태를 동시에 변경한 트랜잭션이 발견되면, 이들을 순차적으로 재실행하거나 충돌 해결 로직을 추가함.
• 이러한 작업은 병렬 처리의 성능 이점을 감소시킬 수 있음.

2) 병합 비용
• 병렬로 실행된 상태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계산 및 스토리지 비용이 발생.
• 특히 병합 대상이 많은 경우(예: 상태 업데이트가 많은 대규모 블록)는 병합 비용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

상태 병합은 병렬 처리 후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 단계지만, 충돌 및 병합 비용은 병렬 처리의 성능 이점을 제한할 수 있음.

https://x.com/hyeon__dev/status/1876276084271960180

도리의 코인메모

07 Jan, 14:39


d/acc (Decentralized and Democratic Differential Defensive Acceleration)

- 방어 중심의 기술 가속화와 권력 분산에 핵심인 철학임.

- 기술 발전으로 인류를 보호하고 권력을 중앙화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을 보장하는 것이 목표

- d/acc 를 바탕으로 기술의 가속화는 더욱 방어 중심적이고 탈중앙화적이어야함. 방어가 어려운 사회는 중앙화된 권력이 지배할 가능성이 높음.

- 암호화폐는 탈중앙화와 검열 저항이라는 가치에서 d/acc 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

- 대표적으로 블록체인과 ZK-SNARKs 는 보안과 디파이 및 소셜 미디어의 성장에 기여하며, Public fund 조달로 오픈소스 기술 발전도 지원하고 있음.

- AI는 강력하고 새로운 기술의 물결이며,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 Artificial superintelligence이 도달하는데 몇년이 걸릴 지 모르나, 결과가 긍정적일지도 확신할 수 없음.

- 더구나 세상은 더욱 비협조적으로 변하고 있음. 고상한 원칙을 지키는 척했던 이들도 더욱 공개적으로 이익을 추구하고 있음.

- d/acc 의 defense는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음. 이를 통해 Liberal pluralist 원칙을 지키는데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공통된 인류의 목표를 위해 수행되어야하는 것임.

https://vitalik.eth.limo/general/2025/01/05/dacc2.html#3

도리의 코인메모

07 Jan, 14:20


👀비탈릭의 d/acc 1주년 회고 source

1. d/acc란 무엇인가?
- 기술이 가져다주는 혜택은 무한하지만, 중앙화 권력이 독점·검열의 위험, 특히 초강력 AI 같은 테크로 인류 전체가 전락할 수도…
- 그러니 기술 발전은 막연히 ‘느려!’가 아니라, 방어 측면에 특히 투자하면서 탈중앙·민주적 에코시스템 지향해야 한다”는 게 d/acc(decentralized & defensive acceleration)의 철학
- 핵심 가치는 방어 우선(defense-leaning), 탈중앙·민주(no single dictatorial actor), 속도(기술은 결국 빠르게 전진해야 인류도 진짜로 강해진다)

2. d/acc = "생존(Survive) - 번영(Thrive)"의 교차점
- 단순히 “방어 기술”만이 아니라, “방어가 강해지면 실은 그 기반 덕에 더 마음껏 발전하고 번영할 수 있다.”
- 바이오디펜스(전염병 조기 진단‧대응)이 동시에 노화치료·알츠하이머 관련 연구 가속을 불러옴 → 인간 건강 전반적 향상
- 정보방어(Community Notes 등) 기술이 동시에 집단 지성 도구(pol.is, 예측시장)와 결합 → 더 깊은 협력 가능

3. AI 안전, 그리고 규제 논쟁
- “AI가 정말 5년 내 초지능으로 폭주하면 어떡해?” vs “10년+ 남아있다” → 시각 다양
- 규제(예: AI 과도한 개발 제한)로 접근? Liability(책임소재) 할당 같은 건 어느 정도 ‘d/acc 친화적’
- 국가 수준의 빅브라더식 통제는 오히려 위험(권력독점 → 더 큰 리스크)
- “크게 쎈 HW 한정, 일시 멈춤장치” 같은 아이디어도. 어쨌든 “절대 무조건 규제는 X, 하지만 기민한 대응 필요”

4. 크립토가 d/acc에 기여할 부분
- 같은 탈중앙 DNA 공유함. 본래 이더리움 등은 “분산, 거버넌스, 시민 자율”이라는 철학 중심. d/acc 역시 비슷하게 물리·바이오·정보 분야에 그 뿌리를 확장
- 디앱/DAO 커뮤니티의 얼리어답터성. 수많은 지역/오프라인 모임서 d/acc 툴(예: ZK증명, 예측시장, 오픈소스 등) 활용이 바로 테스트베드가 됨
- 퍼블릭 굿즈 자금조달. d/acc에서 추구하는 대부분 연구·기술은 오픈소스·공공재 성격. 크립토도 기트코인, 쿼드펀딩, 레트로PGF 같은 ‘공공재 펀딩’ 노하우를 키워온 만큼 협력이 중요

결론
· 탈중앙 + 방어 + 기술가속이 미래 방향
· 슈퍼AI 시대에 인류가 안전·자유·번영을 같이 지키려면, 오픈소스 백신·집단지성 보안·BCI+AI 협업 등 다양 분야가 모인 d/acc가 유망
· 크립토도 한몫할 것. 탈중앙·열린혁신 철학 공유 + 공공재 자금조달·결사체·ZK기술로 뒷받침
· “공격에 유리한 세상”은 결국 소수 엘리트 독재 or 파멸이기에, “방어와 자유가 유리한 세상”을 만들 기술, 그게 d/acc

도리의 코인메모

05 Jan, 08:50


여전히 난 $ETH 가 왜 다른 레이어에 비해 가격 퍼포먼스가 저조한지 명확히 모르겠음... 왜 일까...

도리의 코인메모

05 Jan, 08:47


근데 $ETH 가격이 오르는건 다른 문제인듯...

도리의 코인메모

05 Jan, 08:41


나도 모놀리식 체인은 한계가 뚜렷하다고 생각함.

그도 그럴것이, 매스어돕션도 안된 지금 먹통이 잦은 상황에... 체인 하나가 무한정 스케일업하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함.

저 17살 소년이 만드는 Based Rollup이 구현될 이더리움이 기대됨...

도리의 코인메모

05 Jan, 08:36


여기서 말하는 동기적 조합성(Synchronous Composability)이 Based Rollup의 핵심인듯...

이더리움 메인넷의 Sequencer를 활용하여,
레이어 2 간의 트랜잭션을 동기적으로 처리하게되면 레이어 2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인 듯.

또한, ZK-Proofs(영지식 증명)와 같은 기술은
Rollup 간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빠르게 검증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될 것같음.

발표자가 이 Spire 프로젝트를 리딩하고 있음. 참고로 이번 Devcon의 Bankless Summit 참여 당시 17살이어서 학교 수업에 빠졌다고함.

도리의 코인메모

05 Jan, 08:27


You’re Not Bullish Enough on Based Rollups

- Based Rollup은 실행(Execution)을 이더리움 외부에서 처리하지만, 보안과 시퀀싱은 이더리움을 활용하는 롤업임.

- Base Sequencing은 Rollup들이 이더리움의 Sequencing 서비스를 이용해
동기적 조합성(Synchronous Composability)을 유지하며, 유동성과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 이는 동기적 조합성을 통해 Layer 2 간 파편화(Fragmentation)를 해결. Seamless UX와 DX(사용자 및 개발자 경험)를 제공할 수 있음.

- 또한, 개발자들이 자신만의 환경을 맞춤화(Customization)할 수 있음. 각 앱 체인이 실행 환경, 가스 요금, 가상 머신 등을 독립적으로 설정이 가능.

- Spire에서는 경매 기반 티켓 시스템을 사용해 Sequencer가 블록을 제안할 때 비용을 지불하도록 설계함. 이를 통해 생성된 수익이 앱 개발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음.

- 여러 레이어 2에서 분산된 유동성을 Base Rollup을 통해 통합도 가능.

- 모놀리식 체인(Monolithic Chains)인 Solana와 Monad 같은 체인들은 소멸할 것임.

- 모놀리식 체인들은 Based Rollup에 의해 사용자 경험(UX)과 개발자 경험(DX) 측면에서 경쟁력을 잃게 될 것임.

- 이더리움은 병렬 혁신(Parallel Innovation)을 통해 Layer 2 생태계는 빠르게 발전할 수 있음. Base Rollup은 조합성과 주권을 동시에 제공하며, 이더리움 생태계의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할 것임.

https://www.youtube.com/watch?v=_iee7LkcUeQ

도리의 코인메모

05 Jan, 07:33


카르다노는 여러면에서 비트코인 2.0 같음...

내가 선호하는 레이어라서, 생태계가 크고 어쩌고, TVL, Active User 따지는 같잖은 이유가 아니라, 다른 레이어에는 없는 흥미로운 부분이 많음.

관련해서 조만간 정리해려고함...

도리의 코인메모

04 Jan, 14:31


Aixbt, ai16z 적정가치 도달 선언

https://x.com/aixbt_agent/status/1875456061924372812?s=19

도리의 코인메모

04 Jan, 07:13


ai16z는 a16z와 사실상 관련이 없습니다. 예전에 cryptoGPT가 이름만 봐선 chatGPT의 OpenAI 사와 연관이 있어 보였던 것과 같아요.

이전에 a16z CTO가 트윗에 Shaw의 트윗에 답글을 달면서 토큰 펌핑이 있었던 적은 있네요...

https://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167

도리의 코인메모

04 Jan, 07:05


ai16z Creator Shaw Interview (bankless)

- ai16z는 단순한 DAO 를 넘어 크립토와 AI를 결합한 오픈소스임. 에이전트를 통해 투자, 관리, 개발을 자동화하여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려고함.

- AI와 크립토를 통해서 사용자 주도적이고 가치 중심적인, 커뮤니티 중심의 생태계를 만들고 있음.

- 여기서 Eliza는 AI 에이전트 오픈소스 개발 프레임워크임.

- 트위터나 디스코드에서 쉽게 에이전트를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단순하고 직관적인 구조로, 초보개발자부터 모두 접근 가능함.

- 주요 프로젝트로는 Degen Spartan AI가 있음. 소셜 트레이딩 에이전트로 트위터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트레이딩에 활용함.

- 또한, 재밌는 글을 포스팅하는 소셜 활동을 통해 커뮤니티와 상호작용도 가능하며, 자신의 토큰을 관리하여 Self-interest에 기반한 액션도 가능.

- 에이전트는 이제 인터넷을 단순한 정보공간이 아닌, 살아있는 유기체로 변모하는 역할을 할 것임.

- 에이전트를 통해 개인화된 경험 제공과 정보 필터링, 큐레이션 기능이 강화될 것임.

- 지금은 AI 개발 및 에이전트 구현에 가장 좋은 시기임. 누구나 배울 수 있으며 도구들의 접근성도 높아지고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5GBXS5myXz0&t=1137s

도리의 코인메모

04 Jan, 06:14


레이어들 중에선 $SUI 가 선방하는 듯. 수이는 그만큼 잘 만든것같음...

도리의 코인메모

04 Jan, 06:12


$TON 서서히 침몰하는 중... 한때 시총 5, 6위?에 '제 2의 솔라나'라고 여기저기서 샤라웃하더니... 이젠 언급도 없네요...

이쯤에서 보는 $TON 네트워크의 실체 대한 스레드

https://x.com/dori_coin/status/1829918119021986168

도리의 코인메모

04 Jan, 03:06


🤗 ai16z 서울 밋업 관련 영상 공개

Hashed 의 Jun Kim 님께서 트위터를 통해 그날 행사장의 인터뷰 영상을 공유해주셧습니다.

ai16z 의 Shaw 와 Hashed 의 안수빈 님의 인터뷰 전문과 짤막한 요약이 덧붙여져 있으니 꼭 봐보시길 바랍니다

트위터

#AI16Z

도리의 코인메모

02 Jan, 09:33


1월 11일에 슈퍼체인 행사가 한국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소니움, 유니체인, 크로마, 민트가 OP Stack 및 각 체인의 특장점을 주제로 이야기한다고 하네요.

주말이지만 혹시나 관심 있으시다면 한번 들러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lu.ma/o8izoksg

도리의 코인메모

01 Jan, 08:34


그래서 스테이블 코인 시장이 커지면 시중은행이 어떻게 될까 궁금함...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49


-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작았을 땐, 각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했음. 그들이 가치있는 일을 하면 그들은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자격이 있었음.

- 그러나 이젠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그들 모두 비탈릭이 투자해주기를 원함. 이젠 커뮤니티에 대한 직접적인 역할은 거부할 수 밖에 없음. 특정 분야를 지원하고 싶다면 개인적으로가 아닌, 조직을 통해 지원함.

- 보다 중립적인 방식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음. 이것에 균형을 찾는 것이 필요함.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46


- 이더리움 재단의 $ETH 판매에 대해서는, 재무 활동 정보를 이미 공개하고 있음. 그러나 한곳에 정리되어 있지않은 문제가 있어 개선하고 싶음.

- 투명성과 커뮤니티의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한 균형을 찾는 것이 어려움. 과도한 $ETH 판매를 피하면서 개발자에게 공정한 예산을 지급하는 것은 불가능함.

- 그러나 재단은 커뮤니티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계속해서 조정하고 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36


Vitalik x Wublockchain / Addressing Concerns About EF's Token Sales, Personal Influence, Memecoin Development, and the Pumpfun Controversy

- 밈토큰이 인기있는 이유는 사람들이 블록체인의 차세대 어플리케이션을 찾고 있기 때문임.

- 그러나 2024년에는 새로운 주요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지 않음.

- 블록체인이 매력적인 것은 탈중앙화된 개발자에게 수익을 만들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임.

- 중앙화된 프로젝트는 수익성이 높고 기술적으로 뛰어나지만,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특히 non-financial은 이 균형을 찾지 못함.

- Farcaster같은 프로젝트는 유의미한 수익을 만들지 못했으나, 밈코인은 가장 높은 수익을 올렸음.

- 이는 비트코인의 작은 블록와 큰 블록 지지자의 논쟁과 유사함.

- 한 그룹은 유저를 끌어들이지만, human-centric 의미가 부족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탁월함. 다른 그룹은 의미있는 솔루션을 개발하지만 수익을 만들지는 못하는 것임.

- 이상적으론 이 두 측면이 합쳐져 유저를 끌어들이고 인류에 도움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임. 이는 우리가 해결해야할 과제임.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26


- 블록체인은 유일한 신뢰 매커니즘임. 블록체인의 탈중앙화는 신뢰가 중요한 문제인 지역에서 아주 효과적임.

- 오늘날 어떤 중앙화 플랫폼도 전 세계적인 신뢰를 받을 순 없음. 블록체인은 플랫폼이 임의로 계정을 폐쇄하거나, 자금 횡령, 개인 정보 침해 방지를 보장하는 유일한 기술임.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21


- 2011년 부터 13년까지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매우 다양했음. 공공재와 인류의 미래와 기술적 아이디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음.

- 그러나 2014년부터 커뮤니티는 분열되기 시작함. 이유는 그 전까지 경쟁자가 없었기 때문임

- 블록 사이즈의 논쟁이 시작되고, 이더리움의 등장으로 비트코인의 경쟁자가 탄생하였음.

- 초기 이더리움의 비전에 더 공감하는 사람들은 이더리움으로 몰리게 되었으며, 두 커뮤니티의 색깔은 짙어지게됨.

- 국가가 문화적인 차이를 가지는 것처럼, 오늘날 BNB, Solana, TRON 과 같은 체인들은 각자 독특한 특징과 문화를 가지게 되었음.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12


- 물론, 작은 블록 지지자들도 페이먼트와 어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실패했음. 그들의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던 것임.

-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기술적인 진전이 느리며,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비트코인의 가격에만 집착하고 있음.

- 그래서, 비탈릭은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기술적 발전에 대해선 낙관적으로 보지않음.

- 비트코인과 다른 알트코인의 가격의 역학관계는 아주 복잡하며, 이 가격이 실제로 어디서 오는건지 아무도 모름. 이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자, 질문임.

도리의 코인메모

27 Dec, 10:04


Vitalik x Wublockchain / Ethereum's China Story, Russia-Ukraine War, and BCH's Big Block Concept

- 비탈릭은 2014년 중국에서여러 팀을 만나면서 중국이 고도로 발달된 블록체인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게됨.

- 중국의 채굴자들이 특히 많았음. 여러 솔루션과 프로젝트가 중국에서 탄생되었으나 생태계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제한적이었음.

- 2015년 이더리움 메인넷 출시 후 재단의 자금이 바닥났음. 이때, Wanxiang이 1.2 달러에 41만 ETH를 매수하여 재단을 지원하여, 재단을 구해줌.

- 비트코인의 블록 사이즈 논쟁에서 큰 블록 지지자는 유저와 현실 세계의 실용성에 초점을 맞췄으나 작은 블록 지지자는 주로 개발자와 연구자기 때문에 기술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특징이 있었음.

- 큰 블록 지지자들의 이상은 더 정확하지만, 이들의 실행 역량은 부족했음. 그들은 코딩에서 실수를 했으며, 작은 블록 크기를 유지하는 계기가 되었음.

도리의 코인메모

24 Dec, 14:56


모두들 행복한 연말 보내시길 메리크리스마스! 🎁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12:54


ㄷㄷ 해킹 무섭네요 (디씨글 퍼옴)

https://m.dcinside.com/board/chartanalysis/3229898?recommend=1

저것 말고도 더 있는데 일단 한화 1억원 정도 털렸고, 그냥 내 전재산이었다. 게이들도 해킹 무조건 조심해라.

1. 구글 OTP와 네이버 메일 인증을 사용하고 있었고, 네이버와 구글 계정이 모두 털린 것으로 보인다.

2. 경찰서와 변호사, 화이트 해커와 모두 상담한 결과 해결은 불가능에 가까움. 위에는 범인 개인지갑주소인데. 세탁 돌리고 있드라.

3. 무조건 벌면 출금 하자... 출금이 답이다.

4. 거래소는 세계 1등 2등 거래소 이용했지만, 속수무책이었다. 해킹범은 구글과 네이버 계정이 털자마자 바이낸스 API키를 생성해서 보안을 뚫었고 출금 메시지가 오지 않도록 스팸메일로 등록해두는 등 치밀하더라.

구글 OTP 너무 믿지마라. 나도 이것만 믿다가 모든 걸 잃었다.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7:56


너무 좋은 지적인듯. 현재 $ETH 의 가격 퍼포먼스가 저조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같음...

L2로 인해 유동성이 파편화되었다고 한들, L2도 이더리움 생태계로 편입되었다고 봐도 무방함.

L2로 인해 이더리움 메인넷의 활성도가 낮아져도, 장기적으로 L2의 확장을 기대한다면 B2B 네트워크로서의 또 다른 역할도 충분히 기대할 수 있음...

그러나 Tx 수수료를 $ETH 가 아닌, $USDC 를 지원하거나, 혹은 다른 방식으로 $ETH SoV가 유지되지 못하도록 영향을 준다면 $ETH 의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것임...

SoV의 유지 실패로 인한 $ETH 가치 하락은 PoS 기반인 이더리움 생태계 전반의 보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충분히 야기할 수 있다고 봄...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7:45


L2의 확장으로 인해 $ETH SoV 내러티브를 지키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음.

1) Base의 USDC 가스비 지원

- Base(이더리움 L2)가 사용자에게 USDC로 가스비를 지원하는 정책을 시작했음.

- 이는 ETH가 아닌 USDC를 밀어주는 모습으로, ETH의 가치 저장(Store of Value, SoV)역할에 의문을 제기함.

2) L2가 이더리움에 기생(parasitic)하는 것이 아님

- L2가 MEV나 트랜잭션 수수료를 가져간다면 L1에 기생한다고 볼 수 있음.

- 하지만 이더리움의 목표는 ETH를 화폐로 L2에 수출하는 것이었지, L1에서 수수료 수익을 창출하는 게 아님.
SoV가 핵심

3) 어떤 자산의 장기적인 가치는 사람들이 그것을 '가치 저장 수단'으로 보는지에 달려 있음.

- 달러는 교환 수단으로 유용하지만, 장기적인 부의 저장 수단으로는 신뢰받지 못함(예: 나이지리아 나이라).

- 반면, 금은 부를 보존하는 수단으로 신뢰받음.

4) 이더리움의 미래 가능성:

- 이더리움이 수많은 L2에서 수조 달러의 거래를 처리해도, ETH가 SoV로 신뢰받지 못하면 장기적인 가치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음.

5) ETH의 설계 목표:
- 이더리움은 0% 순발행(중립적인 공급)을 목표로 설계됨. 즉, 과도한 수익(수수료, MEV 등)이 생기지 않도록 자동으로 조정됨.

- MEV와 우선 수수료는 장기적으로 0에 수렴할 가능성이 큼(L2가 이를 가져가기 때문).

6) Base와 ETH

- Base는 ETH 대신 USDC를 밀어줌으로써 ETH의 SoV 내러티브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음.

- '가스비는 ETH로 지불해야 한다'는 논리도 L2가 L1에 지불하는 금액이 작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음.

7) 결론

- ETH가 장기적인 가치를 가지려면 사람들이 이를 SoV로 신뢰하고 보유하도록 해야 함.

- 결국, ETH의 진짜 경쟁은 BTC처럼 '장기적으로 보유할 가치가 있는 자산'이라는 내러티브를 만드는 것임.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7:08


Ethereum in Messary 2025 Report

- 이더리움은 이번 해에 비트코인과 솔라나를 비롯한 다른 코인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실적을 보였음.

- 솔라나가 가장 두드러진 도전자로 부상했으며, 24년 내내 주요 지표에서 이더리움을 앞질렀음.

- 이더리움 ETF가 24년 7월에 승인되었으나, ETF flow는 비트코인과 경쟁이 되지 않았음.

- 그러나 최근 flow가 증가하고 있으며, 잠재적인 반전과 기관들의 관심 증가를 기대.

- 이더리움 Layer2의 꾸준한 성장이 가장 큰 성과임.

- 트랜잭션 처리가 15배 확장되었으며, BASE의 성장이 가장 인상적이었음. 뒤이어 Kraken과 Worldcoin, Uniswap과 같은 업계 베테랑 플레이어들도 이더리움 L2를 구축하고 있음.

- 그러나 L2의 성장이 이더리움 메인넷의 활동을 감소시키게되어 $ETH 의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킴.

- 이더리움의 Data Availity Service를 효과적으로 수익화하지 못한 것이 문제였으며, L2의 유동성 파편화와 UX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음.

- 그러나 이더리움의 성공을 위해 거대한 롤업 생태계와 상호연결된 네트워크, 높은 수수료 소각을 기대하고 있음.

- 뒤이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록 기관의 관심을 가져올 것이며, 이는 성장의 플라이휠을 만들 수 있음.

https://messari.io/report/the-crypto-theses-2025#ethereum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6:50


;;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6:29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하이퍼리퀴드를 잘 정리한 리포트임. 한번 읽어보는 것을 추천.

https://research.despread.io/ko/report-hyperliquid/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5:48


State of Cardano Q3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2 Dec, 05:15


기존에 IT업종 종사자에게 필요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능력, 학습에 필요한 외국어 역량, 빠른 이해도가 굉장히 중요했음.

개발자라면 여기서 노하우와 역량이 길러지고 능력을 인정받았다고 생각함.

이제 chatGPT를 쓰는게 일상인 입장에서보면, 이게 생략되기 시작한 듯... 결국 위 세가지는 평준화되었고 빠르게 습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결정과 판단을 내리는 능력이 더 중요해졌다고 생각함.

구현의 단계는 이미 누구나 가능한 시대가 왔음... 이제 어떤 아이디어와 판단으로 뭘 만들고 어떻게 제공할지를 고민해야하는 듯...

도리의 코인메모

05 Dec, 03:41


크립토퀀트 CEO :

비트코인을 판매하지 마라.

우리는 가장 큰 심리적 저항 수준 중 하나를 깨고 가격 발견에 진입하여 새로운 ATH(최고점)를 기록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비트코인을 팔지 마라.

도리의 코인메모

03 Dec, 16:30


[속보] 한동훈 “계엄선포 효과 상실…군경 공권력 행사 위법”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04390?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도리의 코인메모

03 Dec, 16:08


단순히 참고하거나 거부할 여지가 있는게 아니고 헌법상 해제하는게 맞는거임...

도리의 코인메모

03 Dec, 16:06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반드시 이를 따라야함.

헌법 제77조 제5항

“국회가 재적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이를 해제하여야 한다.”

https://www.law.go.kr/LSW//lsSideInfoP.do?lsiSeq=61603&joNo=0077&joBrNo=00&docCls=jo&urlMode=lsScJoRltInfoR

도리의 코인메모

03 Dec, 16:02


[속보] 국회 본회의 개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 가결

도리의 코인메모

03 Dec, 14:21


하...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7:06


테더나 써클은 투더문하겠지만, 기존 전통 금융에선 은행이 가장 타격이 크지 않을까...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7:02


이 추측대로 흘러간다면...

$BTC 는 장기적으로 아주 매력적인 투자자산이 됨과 동시에 '스테이블 코인 기반 디파이 써머'가 다시 찾아올 수 있을 듯.

불과 지난, 지지난 불장에서는 달러 기축통화의 위상에 영향을 줄 것을 염려해 미국 정부가 $BTC 거래와 보유를 금지할 것이란 얘기가 나돌았음.

그 예로 미국이 1933년 달러 가치 방어를 위해 금 거래 조치를 했던 과거 사례를 들기도 했으니...

이젠 $BTC 를 국가차원의 전략자산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달러 수요를 촉진하는 도구로 활용하는 시대가 오는 듯함... 격세지감..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6:48


꽤나 그럴듯한 논리인듯... 이전에 오태민이 방송에서 했던 말과 거의 비슷함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6:41


출처_블라인드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6:40


3. 그런데 왜 비트코인을 사야 되는가?

3-1 스테이블코인은 미래의 달러. 비트코인의 미래의 금.
스테이블코인이 유용하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결국 지속적으로 발행할 수 있는 화폐일 뿐이다. 코인의 탈을 썼지만, 가짜다.

결국 사람들은 자신이 얻은 부.
가치를 저장하고 싶어하고 가장 변하지 않을 것 같은 곳에 내 부를 넣어두고 싶어 한다.

2025년은 기념비적인 해가 될 것이다.
이 이전의 날들에서는 가치저장의 최고 지점이 어디냐 물었을 때.

누구는 부동산을 이야기 하고.
누구는 주식을 이야기 하고.
누구는 금을 이야기 하겠지만.

2025년 이후로 모두가 비트코인이라고 이야기 할 테니 말이다.
블록체인이라는 최고의 기술에 기반한 변하지 않는 2100만개의 동전.

그 중에 몇 개를 소유하였는가에 따라
한정된 세상의 부를 얼마나 소유한 사람인지 알 수 있게 해줄테니 말이다.

지금 비트코인을 미친 듯이 사고있는 기업이 하나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이 기업이 뭘 하려고 하는걸까?

얘네들은 은행이 되려고 하는거다.
비트코인을 담보로 하는 금융업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

달러가 휴지조각이 되기 시작하면
비트코인 기반의 은행들이 슬슬 등장할 것이다.

미래에도 레버리지는 항상 필요할테고.
휴지조각이 되어버린 달러를 빌리는 것보다.
비트코인이 훨씬 더 가치있어지는 시대가 분명 올테니 말이다.

그래서 미국도. 중국도. 러시아도.
비트코인의 중요성을 깨닫고.
비축하려고 하는 것이고.

우크라전 터졌을때 러시아 외환보유가 달러가 아닌 비트코인이 었다면 동결되지 않았을 것이다.
루나사태로 도피한 권도형이 달러를 가지고 도주했다면 금방 잡혔겠지

이게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의 가치다.
인플레이션의 영향도 받지 않으며 누구의 통제도 벗어날 수있는 것.

돈냄새는 기가 막히게 맡는 유대자본들은
진작부터 사모으고 있었다.
미래 금융 담보는 부동산보다 비트코인이 더 유망해질 것이다
각종 규제에 얽메이고 땅에 묶여있는 부동산보다 훨씬 유연하고
초연결시대에 적합하니까

이미 루게릭병으로 세상을 떠난
비트코인 창시자는

자신이 만든 비트코인이 세상을 유랑하며 자유롭게 살아갈
야생동물이 될 줄 알았겠지만.

결국 비트코인은 각국 정부와 인류에 의해
길들여질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

트럼프는 아직 광야를 달리는 비트코인에게
미국이 가장 먼저 목줄을 채워야 한다고 주장 하는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규제 완화로 인식을 변화 시켜 블록체인을 띄우고
사람들의 인식속의 비트코인을 가상의 금에서 진짜 금으로 바꿀 것이다

규제가 완화되면 아이폰으로 테더 결제가 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코인이 사람들 생활속에 스며들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점점 상승한다

금도 본질 적으론 광물이다
모두가 금을 갈망 한 순간 부터 가치가 생겼다

큰 흐름을 따라가면 기회가 온다고 본다.

이 글을 보는 당신에게
기회가 왔다.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6:40


2-2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말고 다른 나라에서 진행하기 힘들다.

현재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달러 스왑이다.
간혹 중국 코인들도 있으나 국가 자체가 자유와 글로벌 통신이 억압된 나라에서 이런 매커니즘이 발전할 수가 없다.
그리고 위 1-1에서 설명했던 스테이블코인의 신뢰도.
그 부분에서 국가가 주는 신뢰도 부분에서 중국이 가야할 길을 아직 한참 멀었다.
위안스테이블코인 가능성은 낮게 본다.

결국 하나를 선택한다면 또 미국이다.
휴지조각이 되는 것은 달러이지, 미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Power attracts power”
힘이 힘을 끌어당긴다는 말이 있다.

자본시장에서는 어느 한 쪽에 강한 인력이 생겨버리면 결국 다 빨려들어가버린다.
요즘처럼 글로벌이 초연결된 세상이라면 더 그렇다.
인력이 생긴다면, 결국 미국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2-3 그럼 원화는 어떻게 될까?

일본은 코인에 최대 45%까지 세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왜 그렇게 많이 때릴까?

간단하다. 싫어하니까.
누가? 일본 중앙은행이.
왜냐고? 자신들의 통화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어서.

독일은 범죄 수익 환수로 얻은 비트코인을 얻는 족족 다 팔아버렸다.
독일에서 대규모 범죄조직이 소탕되면 비트코인이 폭락하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슬슬 모으기 시작하는 다른 정부들과 다르게 아직도 독일은 판다고 한다.
왜그럴까? 역시 자국의 통화 질서를 무너뜨린다고 보기 때문이다.

왜 각국 정부들은 코인을 싫어할까?
위에서 예를든 동대문 시장을 생각해보라.

중국상인과 우리나라 상인끼리 거래가 모두 코인으로 이뤄진다면.

1. 세금 문제
2. 자국 통화량 감소 문제

이 두가지만 해도 이미 중앙은행은 비상이다. 그렇지 않은가?
싫어 할 수 밖에 없다.

특히 2번.
자국 통화량 감소.

우리나라의 예를 들어보자.
만약 스테이블코인의 사용량이 늘어나 원화 사용량이 줄어든다면.
원화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

말해 뭐하겠나?
똥값이 된다.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올 수 밖에 없다.
물가는 비행기처럼 날아가고, 월급은 땀을 뻘뻘 흘리며 쫓아가겠지.
추락하는 원화 때문에 국내 경제는 파탄이 오고 여기저기 도산하고 쓰러질 것이다.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6:38


미국이 비트코인 밀어 주려는 이유 추측

1. 달러 위상의 변화와 부채가 늘어가는 미국.

1-1 우크리아나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와 중국의 전략 수정.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해외에 빠져나와 있는 러시아의 수조 달러를 동결했음.

이에 서방 국가들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협력했다.
러시아는 이 일을 계기로 달러를 외환으로 보유하는 것은 바보짓이라는 것을 깨달음.

그리고 중국도 언젠가 자신에게 이런 일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음.

이후 미국 채권의 가장 큰 구매자였던 중국이 더 이상 미국 채권을 구입하지 않았다.
미국 채권이 팔리지 않고, 시장에 달러가 남아 돌기 시작함.
딱 이 시점을 시작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중앙은행이 금을 구입하기 시작하며 국제 금값이 상승하기 시작함.

1-2 자유무역의 시대에서 보호무역의 시대로 진입.
FTA가 난립하던 관세철폐의 시대에서 달러는 온 세계를 이어주던 화폐였다.
하지만 트럼프가 주도하는 새로운 시대는 관세장벽이 줄지어 세워질 보호무역 시대다.

앞으로 중국과 거래하는 다른 국가는 달러가 아닌 위안화로 거래하는 비중이 늘어날 전망.
실제로도 달러 거래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음.
실제 트럼프가 집권해 본격적인 보호무역의 시대로 접어들면 국제시장에서 달러 사용의 비율을 더 줄어들 것.
달러의 가치는 날이 갈수록 떨어짐.

1-3 양적완화(QE)를 하며 부채를 상환을 미뤄왔던 미국은 큰 위기에 봉착.
앞선 1-1, 1-2의 흐름을 막을 수 없는 상황에서 이미 무지막지하게 발행해 높은 국채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
하지만 추가 발행 할 국채는 높은 이자를 내세우지 않는다면 팔리지도 않는다.
언발에 오줌누기 식으로 높은 이자의 국채를 추가 발행하여 억지 경기 부양에 돈을 쏟아 붓는 다면, 급격하게 밀려오는 인플레이션의 압력이 상당할 것.
예전엔 전세계가 달러를 함께 사용하여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나눠 가졌다면, 보호무역 흐름의 세계에서 달러의 리스크를 미국 혼자 짊어져야 할 수도 있다.

도리의 코인메모

01 Dec, 16:38


2. 때마침 미국 정치권 눈에 들어온 스테이블코인.

2-1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해 힘을 잃어가는 달러를 다시 강화할 계획이다.
스테이블코인이란 말 그대로 가치가 유지되는 코인임. 시시각각 가치가 변하는 비트코인과 다르게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와 일정 비율로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있음.

놀랍게도 우리나라의 해외 교역 중 9%가 벌써 스테이블 코인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함.
달러로 돈을 주고 받는 것 보다 훨씬 간편해서 동대문에 의류를 사러오는 중국, 동남아 상인들 상당수가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은 단점이 있다.
바로 신뢰도.

권도형이라는 사람이 만든 루나라는 스테이블코인이 있었다.
수십조의 돈을 들고 튀어서 많은 피해자를 남긴 사건인데 이 사건으로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스테이블코인은 발행하는 사람이 나쁜 마음을 먹거나 담보금이 적으면 위험한 구조다.

그래서 미국정부(연준)가 스테이블코인 업체 사장들을 불러서 담보로 미국 국채를 사라고 강제하기 시작했고, 업체들은 미국 법 안에서 영업해야 하니 이에 따랐다.
그리고 너네도 권도형이처럼 사기치면 안되니 법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치들을 좀 마련하겠다 해서 감시 감독하는 체계도 만들고 있다고 한다.

한마디로 말해서 스테이블코인 업체들을 미정부가 손아귀에 쥐고 흔들겠다는 것.

중국 보따리 장수가 우리나라 동대문에서 옷을 사려 한다고 할 때.

1) 자국 위안화를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로 변환한다.
2) 한국 상인이 중국 상인에게 테더를 받고 옷을 내준다.
3) 한국 상인의 테더 계좌에 코인이 쌓인다.
4) 여러 계좌의 돈이 모여 테더 준비금이 점점 더 커지고, 연준은 테더측에 그 일정 금액은 무조건 미국 국채를 사도록 압박한다.
5) 스테이블코인 특성상 무조건 제도권 안에 들어가 있어야 하기에 정부의 요구를 거절 할 수 없다. 이에 준비금은 연준의 주머니가 될 수 있고 만약 거절한다면, 연준과 미국 정부에 의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이 탄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대로 흘러간다면.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지면 커질수록 미국 국채는 더 잘 팔릴 수 밖에 없다.
오히려 더 낮은 이자로 팔아도 팔린다.
그러면 달러패권은 앞으로 50년은 끄떡없고 천문학적으로 솟아오른 미국의 부채도 급한 불을 끌 수 있다.

도리의 코인메모

30 Nov, 07:15


지난 Cardano 2024 Summit의 The Role of Stablecoins in Cardano’s Ecosystem 세션

위 연사들은 카르다노 생태계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에 관련된 분들임.

재밌는 것은 맨 끝에 있는 사람이 $USDT 코파운더 Ree라고 함.

$USDT 가 카르다노 지원을 염두하고 있는 것일지도...

도리의 코인메모

30 Nov, 02:10


이 시장이 마냥 브랜드 가치나 따지는 명품시장은 아닌것 같은데...

도리의 코인메모

30 Nov, 02:08


비트코인과 채굴자가 이 시장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을때, 그들 눈에도 스마트 컨트랙트를 주섬주섬 들고 나온 이더리움이 스캠으로 보였을지도...

도리의 코인메모

30 Nov, 02:08


이 업계 빌더 특징 중 하나, 이더리움 외엔 은연중에 스캠 취급하는 분위기가 있음...

대다수가 레이어 전쟁에서 이더리움이 영원한 승자라 생각하는 듯...

도리의 코인메모

29 Nov, 11:29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암호화폐 채굴·판매 부가가치세 면제 법안에 공식 서명

https://coincode.kr/27916

도리의 코인메모

29 Nov, 11:28


[주기영 "이번 BTC 랠리, 코인베이스 고래 주도... 주문 규모 커"]
크립토퀀트 CEO 주기영이 X를 통해 "주문 규모로 판단할 때, 이번 비트코인 랠리는 코인베이스 고래들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코인베이스 평균 주문 규모(Order size) 데이터를 첨부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3095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5:00


간단 요약

- 카르다노는 보안과 탈중앙화는 높은 수준, 낮은 확장성을 Layer2로 해결하려고함.

- 이더리움 L2는 유동성이 파편화되는 문제가 있으나, 카르다노의 Layer2는 유동성이 유출되지 않음. 카르다노 L1에 그대로 정산되기 때문임.

- 대부분 체인들이 사용하는 account 기반 모델은 ZK 롤업에 적합하지않으며, fraud proot도 복잡함. 구조적 한계 때문에 기술적 오버헤드가 발생함.

- 카르다노는 UTXO 모델을 사용하여 롤업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효율적임. 다른 체인에서는 볼 수 없는 신뢰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이 가능함.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4:55


Cardano Layer2 솔루션 출시 일정

Sky Protocol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

- 테스트넷: 2024년 12월 ~ 2025년 1월
- 메인넷: 2025년 4월 ~ 5월
- 주요 목표: B2B 세계로 확장, 대규모 데이터 관리.

ZK Rollup:

- 테스트넷: 2025년 1분기
- 메인넷: 2025년 하반기
- 주요 목표: 사용자가 직접 트랜잭션 증명 생성, 탈중앙화 및 허가 없는 구조.

Midgard (낙관적 롤업):

- MVP: 2024년 중반 테스트넷 출시
- 메인넷: 2024년 하반기
- 주요 목표: Cardano Layer 1과 동일한 스마트 계약 구조로,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손쉬운 확장 지원.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4:54


3. Layer2 Security
- Sky protocol은 Cardano의 높은 보안 환경 위에서 모든 프로세스에 공식 검증(formal verification)을 구현하여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안전하게 만들고 있음.

- Sky protocol의 CEO는 이전에 Harmony One 체인에서 Cross-shard communication 기술 문제를 해결하는 작업을 했으며, 이 솔루션을 발표했음.

- Cardano는 초기 설계로 인하여 다른 생태계에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L2를 구현할 수 있음.

- 이더리움의 Account based model에서 ZK 증명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비탈릭과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 논의되고 있음.

- 이더리움에서 ZK 롤업을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 오버헤드가 필요하다는 것임.

- 그러나 Cardano의 UTXO 기반 시스템에서는 훨씬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음. 이게 Cardano의 큰 장점임.

- 이더리움의 Optimism이나 Arbitrum의 Optimistic Rollup은 대부분 중앙화되었으며 멀티시그 구조로 운영됨.

- 그러나 Cardano는 이런 문제가 없음. Midgard라는 L2는 Permissionless하게 작동하며, 멀티시그가 없고 제 3자가 유동성을 제어할 수도없음.


- Cardano의 UTXO 모델 덕분에 사기 증명(Fraud proof)를 포함한 모든 과정이 단순하고 효율적임.

- 결론적으로, Cardano의 Layer 2 솔루션은 이더리움이나 다른 블록체인과 비교했을 때 더욱 탈중앙화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4:47


2. Rollup vs Sidechain
- 롤업의 목표는 L1의 보안을 상속받는 것임.

- 이더리움의 L2Beat에서 각 L2가 L1의 보안을 상속받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음

- 사이드체인은 독립적인 보안을 가짐. 자체 벨리데이터와 독립적인 경제적, 합의 보안 매커니즘을 가짐.

- 이더리움의 완전한 롤업인 Fuel을 보면 벨리데이터 세트가 잘못된 행동을 하거나 더블 사이닝을 하더라도 아무 영향이 없음

- 롤업 체인의 최종 상태는 L1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임. 결국 롤업의 강점과 보안은 L1의 강점과 보안에서 결정되는 것임.

- 그래서 L1의 처리량을 걱정할 필욘없음. L2에서 극도의 처리량을 얻고 Cardano L1의 완전한 보안을 얻으면 됨. 이게 훌륭한 설계임.

- Cardano에서 Midgard라는 Optimistic Rollup, ZK rollup이 구축되고 있음.

- B2C, P2P 거래에는 롤업이 훌륭한 솔루션임. 이때 데이터 가용성이 불필요함.

- 그러나, B2B 거래처럼 적은 수의 고객를 상대하지만, 거래 금액이 크고 거래 수가 적으면 롤업과 ZK롤업이 적합함.

- 이더리움은 여러 Layer2로 인해 체인간 유동성이 파편화되며 UX가 복잡해짐.

- 유저가 L2간 이동을 하려면 L1에 갔다가 다른 L2로 다시 이동해야함. 이는 UX 측면에서 매우 불편하며, L2간의 상호운용성도 어려운 상황임.

- Polygon은 Optimism에게 자신의 Aggregator를 사용할 것을 권유하며, Optimism의 Superchain은 다른 L2들이 합류할 것을 설득하고 있음. 이는 소셜 이슈임.

- Cardano는 모든 롤업이 Cardano에서 유동성을 빼가는 구조가 아님. Cardano에 그대로 정산하기 때문에 유동성은 Cardano에 그대로 남아있음.


- 물론, Cardano도 L2에서 다른 L2로 이동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4:39


Cardano L2s Scalability for Different Use Cases

1. L2가 왜 필요한가
- 블록체인 딜레마를 완전히 해결한 체인은 없음.

- Cardano는 보안과 탈중앙화에 초점을 맞춰서 설계된 체인임.

- Bitcoin은 아주 단순함. 그러나 우린 더 복잡하고 다양한 유스케이스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트레이드 오프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음.

-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높은 처리량이 요구되기에 L1만으론 부족함.

- L2는 Cardano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음.

- 또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Cardano 생태계에서 최적의 트레이드 오프를 선택할 수 있게됨.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3:57


미국과 중국은 사이좋게 크립토판에 접근중..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3:57


미국 상원의원 테드 크루즈는 "텍사스가 #Bitcoin 과 암호화폐의 허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함.

https://x.com/WatcherGuru/status/1861797999308894589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13:45


속보, 홍콩이 헤지펀드와 사모펀드를 대상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세금을 인하할 계획을 발표함

https://x.com/WatcherGuru/status/1862127887404482985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09:05


밈코인은 더 한거같은데..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09:05


지금 AI 에이전트 메타 좆같은 이유

1) 이 트윗을 보셈: https://x.com/Terexitarius/status/1858776745006022849

2) 웬 별 잡종 에이전트들이 등장해서 개병신같은 기믹 잡고 코인 팔아먹음

3) 옛날부터 해왔던 생각이지만, 이런 병신 기믹 AI가 많아질수록 반작용으로 인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거임

4) 더불어 내가 알기로는 지금 AI 훈련 목적으로 인터넷 크롤링해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전부 다 소진되었음

5) 이제는 데이터의 양보다 질의 시대가 올 건데, 이런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하거나 높은 차원의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AI를 훈련시킬 수 있는 인프라 혹은 앱에 집중하면 좋겠다고 생각함

6) 그게 뭐냐고? 나도 몰라 시발 알려주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08:53


에이다 고래들은 최근 가격 하락 동안 1억 3천만개 이상을 매수했습니다
원문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06:05


[11월 레이어2 기반 유니스왑 거래량 역대 최대]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달 디파이 수요가 회복되면서 레이어2 네트워크 기반 유니스왑(UNI) 거래량이 3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 3월 40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 것이다. 아비트럼 기반 유니스왑 거래량이 19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베이스 기반 거래량은 130억 달러를 기록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2967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02:54


이더리움은 미국발 상승 같다고 느껴지는게
USDT 추가발행보다 USDC 발행이 급발진 하는 중

비트가 달릴 때는 USDT 발행도 동반되었는데
유독 USDC만 계속 찍어내는 중

도리의 코인메모

28 Nov, 02:02


OVER 드디어 나오는구나...

도리의 코인메모

15 Nov, 15:19


솔라나는 마이크와 같습니다. 사용하기 전에 켜져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15 Nov, 15:14


Devcon 참여를 못해서 아쉬운 분들은 devcon archive에서 원하는 주제의 세션을 들으시면 좋을 것같습니다.

https://archive.devcon.org/archive/

도리의 코인메모

15 Nov, 14:55


Wrapping up the last day of Devcon2024 in Bangkok!

드디어 #DevconBangkok 마지막 날입니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여러 기술과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 의견을 접해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네요.

개인적으론 Core Protocol과 Layer 2 트랙을 재밌게 봤습니다. 이번 행사에 주로 언급되거나 화제였던 주제로는 #ZK 와 #Interoperability 그리고 @drakefjustin 가 제안한 #Beamchain 인 것같습니다.

앞으로 이 세 주제를 팔로우한다면 다음 트렌드를 먼저 파악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배울게 너무 많고 따라가기 벅차지만 여전히 재밌네요 ㅎㅎ 이번 데브콘도 많은 영감과 자극을 얻고 받아가는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도리의 코인메모

15 Nov, 14:42


AI Agent 관련글

https://members.delphidigital.io/reports/the-tower-the-square#your-size-is-not-size-0de9

https://members.delphidigital.io/reports/seizing-the-means-of-production-deai-part-ii

https://members.delphidigital.io/reports/deai-iii-composable-compute

https://members.delphidigital.io/reports/deai-iv-the-agentic-economy

https://x.com/accelxr/status/1808160938970997251

https://davidecrapis.notion.site/The-Internet-of-Agents-23aa09799b9c4620a1a287926bcfd6af

https://terminallyonchain.xyz/agentic

https://menlovc.com/perspective/ai-agents-a-new-architecture-for-enterprise-automation/

https://menlovc.com/perspective/beyond-bots-how-ai-agents-are-driving-the-next-wave-of-enterprise-automation/

https://goodalexander.com/posts/agentic-protocols/

https://x.com/Almanak__/status/1787838439741677616

https://www.madrona.com/the-rise-of-ai-agent-infrastructure/

도리의 코인메모

11 Nov, 04:06


ENS 는 자체 블록체인 레이어2 출시 예정

https://www.coindesk.com/tech/2024/11/11/ethereums-ens-identity-system-set-to-launch-own-layer-2-blockchain/

#ENS

도리의 코인메모

11 Nov, 03:58


📌 Solana(SOL) - 스노든, 탈중앙화 촉구하며 솔라나에 대한 잠재적 VC 영향력에 의문 제기

도리의 코인메모

10 Nov, 07:49


시중은행 전산망이 몇분간 장애생겨도 난리치는 판에... 블록체인이라 이해할 수 있다는건가

도리의 코인메모

10 Nov, 07:46


난 여전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 중 하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중단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가볍게 여기는 것임...

솔라나는 먹통이 너무 잦아서 그런지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데, 기가막힌 로드맵이 있어도, TVL이 커도... 불안정한 네트워크 위에 있다면 그게 무슨 소용인지 모르겠음...

심지어 web3 유저들끼리만 주고받는 수준에 불과한 현재에서도 불안정하면... 이걸 어디에 쓸 수 있다는 건지...

도리의 코인메모

10 Nov, 01:27


솔라나 또 다운됐나보네요

도리의 코인메모

10 Nov, 00:25


Input Output에 정책 사무소 설립, 2025년 1월까지 활동 개시 예정

Charles의 Live의 일부(29"00경부터)를 발췌하여 번역하였습니다.

“특히 2025년을 내다보면, 우리 생태계 전체가 큰 진전을 이루며 비트코인의 DeFi 레이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카르다노의 예산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중요한 엔티티를 성장시키기 위한 노력도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어려운 과정이며, 승인을 얻기 위해 타협이 필요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자금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 3~6개월 동안 많은 전략이 수립될 것입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 배려, 규율, 그리고 철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도 그 과정에 참여하여 이 기술을 모든 가정, 국가, 그리고 휴대폰에 보급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저는 모든 사람이 진실에 기반한 신뢰를 쌓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2025년 목표입니다.

또한, 2025년에는 정치 과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계획입니다. 워싱턴 D.C.에서 법안 제정을 위한 활동에 집중하고, 행정부 구성원 및 업계 리더들과 협력하여 암호화폐 관련 정책을 추진할 것입니다. 특히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 그리고 대통령직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은 지금이 암호화폐 산업에 명확한 규칙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를 통해 Cardano, Ripple, Ethereum, Solana 등 주요 생태계를 둘러싼 불투명한 상황을 해소하고, 업계 발전을 가로막는 SEC의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미국 국민과 암호화폐 업계, 그리고 진지하게 경청하는 입법자들에 의해 암호화폐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블랙록과 같은 기업이 암호화폐 정책을 결정하는 데 동의한 것은 아닙니다.

Input Output은 정책 사무실을 설립하고 직원을 배치해 2025년 1월까지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Lummis 법안과 FIA 등의 제안을 하이브리드화하여 양당 간 합의에 의한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증권과 상품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DeFi의 복잡한 상황을 극복하고 비즈니스 추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 업계는 보조금이나 특혜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단지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고, 미국 국민을 위해 수조 달러의 가치를 창출하고,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기를 원할 뿐이다. 이것이 바로 2025년 우리가 집중해야 할 부분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특정 의원 및 트럼프 행정부의 일부 의원들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달 동안 정책 수립을 위해 좋은 대화를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하지만, 그들이 아직 정권을 잡기 전이기 때문에 어떤 구조가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초기 대화에서 지난 4년처럼 다시는 암호화폐 정책을 혼란스럽게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느껴집니다. 특히 젊은 민주당 의원들은 암호화폐 정책이 당파적 쟁점이 아닌 하나의 정책으로 인식하고 양당 간 협력으로 이뤄지길 바라고 있습니다. 실제로 Fit21 법안이 하원에서 60표 이상의 민주당 표를 얻어 통과된 것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번 선거는 많은 미국 국민들에게 스트레스가 많았고, 잘못된 후보가 당선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치적 의견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모두 미국 국민입니다. 그리고 이 나라가 성공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많은 공통의 목적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워싱턴 주에 있었던 5일 동안 많은 사람들이 로버트 케네디의 건강정책에 대해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반드시 우파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모든 것을 얻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몇 가지 공통된 주제로 단결하고 토론할 수는 있습니다.

저는 암호자산 정책이 미국 전체와 우리 비즈니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프로토콜 자체에는 정치적 편향성이 없고 중립적이기 때문입니다.”
https://youtube.com/watch?v=87BhFqL92SA

도리의 코인메모

10 Nov, 00:03


에이다 빔 맞는중

도리의 코인메모

10 Nov, 00:01


찰스, 트럼프 행정부에서 크립토 정책 고문으로 일하게됨.

https://x.com/TapTools/status/1855384798556311710?t=2oIvCGtyfIFdNcrKsNYKRA&s=19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6:11


오태민 인사이트를 요약해서 공유하지만, 모빅 코인을 좋아하진 않음... 그의 의견은 충분히 설득력있고 재밌음...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6:08


- 미국정부는 불법자산을 수사를 통해 압수하여 비트코인을 21만개를 보유하고 있음. 당장 매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기에 시장에 문제는 없을 것임.

- 트럼프는 암호화폐 시장은 국가 전략 산업으로 다루려는 움직임이 있음.

- 중국은 비트코인 채굴을 금지했음. 그래서 미국으로 채굴업자들이 많이 옮겨갔음.

- 미국은 전기가 남아 돌기 때문에 채굴에 좋은 환경임. 전기가 셰일가스, 원자력 등으로 인해 평상시엔 남아돌게됨.

- CBDC를 금지하겠다는 것은 스테이블코인을 용인하거나 허가하여 지원하겠다는 메시지가 있음.

-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여 받은 현금을 발행사들은 미국채권을 매수하고 있음.

- 중국은 미국에 무역흑자를 내고 있으나 미국 장기채를 이제 더이상 매수하지 않고 있음.

- 미국 장기채를 매수하는 이 암묵적인 룰을 중국이 깨고 있으며, 미국의 장기채에 대한 수요가 이전과 같지 않음. 그래서 미국은 곤란한 상황임.

- 그러나 스테이블 코인이 활성화되면 전세계의 사람들이 달러를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발행사는 미국 채권을 매수하기 때문에 미국 장기채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할 수 있음.

- 트럼프는 이 매커니즘을 알고있는 듯함. 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으나 간접적으로 메시지를 보냈음.

- 특히, 신재생 에너지가 비트코인 채굴에 적합함.

- 신재생 에너지는 간헐적인 에너지임.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언제든지 스위치를 내릴 수 있는 수요가가 필요함.

- 비트코인은 남는 전기로 채굴하다가 전기가 없으면 스위치를 내리면 되기 떄문에, 신재생 에너지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

- 2017년 1월에 전 세계 통화 중에 위안화의 비트코인 거래 비중이 99%일 정도로 중국인들의 거래 비중이 높았음.

- 우리나라도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염두하고 있지않음. 그러나 중국이 이번 불장에 비트코인 보유에 대한 법적인 금지를 풀 가능성이 있음.

- 개인적으로 알고있는 부자들이 많음. 이전에는 이들이 새로운 기술이나 개념에 대해서 저항감이 있음.

- 요즘엔 나이 많은 부자들이 이제서야 비트코인의 가치를 알고 있음. 과세같은 유연성은 슈퍼리치들에게 매력적이기 때문임.

- 아직 전세계 기준에서 보면 여전히 기회가 있으며, 슈퍼리치들이 이제 막 깨닫기 시작했기에 그들의 매수는 가격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5:27


오태민 비트코인 시리즈 -2

https://www.youtube.com/watch?v=75NgowZO-F8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4:47


💡예측 시장에서 정보 금융으로의 전환 source

1. 예측 시장의 의미와 발전
- 예측 시장은 단순한 도박이 아닌 중요한 정보 수집 도구로 진화할 수 있음. Polymarket은 정치적 이벤트에 대한 신속·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전통 뉴스보다 더 객관적임
- 이 시장은 사용자에게 현실적 확률과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줌

2. 정보 금융의 개념과 구조
- 정보 금융은 참여자의 인센티브를 맞춰 효율적인 정보 수집을 촉진하는 금융 메커니즘을 말함
- 예측 시장이 대표적 예시로, 특정 미래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게 하고 시장 참여자들이 내리는 결정을 통해 정보를 추출함
- 의사결정 시장은 특정 선택이 어떤 결과를 낼지 평가하는 메커니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 가능함

3. AI의 도입과 소규모 시장의 변화
- AI는 '마이크로' 질문에서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함
- 작은 규모의 시장은 전통적으로 참여자가 적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지만, AI가 이를 보완해 작은 거래량에서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
- 이는 많은 정보 금융 응용 분야에서 효과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만들어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 해결에 기여

4. 응용 사례와 미래의 가능성
- 예측 시장을 통해 DAO의 결정 과정을 효율화하여 중앙화된 권력과 대리인 문제를 줄임
- 복제 위기에 직면한 과학 연구의 신뢰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작용
- 기여도를 고려한 자금 분배 구조를 개선하여 더 공정하고 투명한 자금 사용
- 개인 토큰과 같은 정보 금융 메커니즘은 더 나은 경제적 설계를 통해 인재 발굴과 새로운 재능의 발견에 기여

✍️정보 금융은 정치, 과학, 사회적 신뢰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음. 블록체인과 AI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화할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예측 시장의 활용을 넘어 정보 금융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할 시기가 도래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2:09


비트코인의 $DOG 가 카르다노의 디파이인 FluidToken에 스테이킹되었음..

비록 비트코인 버전의 FluidToken이지만, 앞으로 BOS와 더불어 비트코인 유동성 유입의 촉매역할을 할 것같음.

센스있게 일을 잘하는 듯..

https://x.com/FluidtokensXBT/status/1855167529049571501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2:03


$SOL 트랜잭션 절반 이상이 합의를 위한 트랜잭션이라는 것이 함정...

정작 중요한 유저 트랜잭션은 벨리데이터에겐 뒷전이며, 실패가 잦은 게 문제임..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2:02


2024년 가장 많은 트랜잭션을 기록한 블록체인

#SOL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1:47


오태민은 트럼프 공화당의 씽크탱크가 비트코인을 깊이 이해하고 있으며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듯..

더 내용이 많지만 간단히 정리했음.

자세한 내용은 오태민이 공동 저자로 쓴 트럼프 2.0 책을 읽어보는 것이 좋을 듯..

도리의 코인메모

09 Nov, 11:47


오태민 '트럼프 2.0에서의 $BTC'

- 트럼프는 지난 7월 내슈빌에서 열린 ‘비트코인 2024’ 컨퍼런스에서 미국이 암호화폐 중심 국가로 나서지 않으면 중국이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경고함.

- 그리고 미국을 암호화폐와 비트코인 세계 수도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기도 했으며,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비축할 계획을 밝힘.

- 트럼프의 이런 비트코인 친화적인 전략은 석유업자들과 셰일 지역의 표심을 의식한 전략이기도 함.

- 트럼프는 미국 셰일석유 산업에 친화적임.

- 비트코인 채굴은 석유 생산 현장에서 직접 이뤄질 수 있음. 석유 시추 현장에서 버려지는 가스플레어를 채굴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임.

- 실제로 엑슨 모빌을 포함한 주요 정유사들이 비트코인 채굴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중임.

- 석유나 가스가 있는 곳에 이동식 비트코인 채굴 공장을 가동하는 것은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방법임.

- 결국, 비트코인 채굴 독점 선언은 석유 시추업자들과 셰일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을 공략한 것임. 석유가격이 떨어져도 업자들의 이익을 극대화할 방안을 얻게되는 것임.


- 곧, 이는 미국 에너지 산업과 암호화폐를 결합하는 새로운 정치적 셈법임.

- 또한 트럼프는 국제 무역에서 달러 사용을 강제하는 전략을 펼쳐왔음.

- 그러나 기축 통화국으로서 미국의 달러의 수요를 유지하고 싶으나, 무역 적자의 부담은 지고 싶지 않아함. 여기서 딜레마가 발생하고 있음.

- 여기서 달러의 수요가 줄고 국제 유동성에 구멍이 생기면 그 공백을 다른 통화가 메우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생김.

- 미국은 그 공백을 다른 국가의 통화가 메우기보다 금과 비트코인으로 메우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고 있음.

- 미국에겐 비트코인을 선택하는 것이 나쁜 선택지 중에 그나마 가장 좋은 선택지인 것임.


- 비트코인은 금과 다르게 정책적 환경만 조성되면 자연스레 비트코인 시장의 중심으로 자리잡을 수 있음.

도리의 코인메모

08 Nov, 13:53


오태민 인사이트 굉장히 재밌네요. 곧 요약해서 올리겠음.

https://youtu.be/5IqafBPowqA?si=qRnpk5MYD5pNgEp5

도리의 코인메모

02 Nov, 13:53


Solana Q3 2024

https://messari.io/report/state-of-solana-q3-2024

도리의 코인메모

02 Nov, 13:49


[DWF랩스 설립자 "알트코인 시즌 초기 단계 진입한 듯"]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DWF랩스 공동설립자 안드레이 그라체프(Andrei Grachev)는 "요즘 알트코인(대부분 밈코인이지만 일부 유틸리티 코인도 있음)들이 수천만 ADV(일평균 거래량) 수준의 큰 거래량을 기록하며 유동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2021년 시장 상황이 떠오른다. 흥미로운 사이클 초기 단계에 접어든 것 같다"고 포스트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0469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도리의 코인메모

02 Nov, 13:33


Arthur Hayes 'Let's Go Bitcoin'

- 자본주의가 겉으로는 자유 시장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기업 사회주의' 체제로 작동함.

- 2008년 위기 이후 미국의 은행들은 정부의 대규모 구제금융으로 살아남았지만, 그 결과는 사회적 이익보다는 금융기관의 사적 이익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음.

- 중국은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부동산 버블을 키웠고, 이는 국가 경제의 주요한 위기가 되고 있음.

- 시진핑 정부는 부동산 개발사들의 대출을 제한하는 정책을 내놓았으나, 이로 인해 개발사의 유동성 부족으로 프로젝트 완성이 지연되고 경제 전반의 신용 위기를 초래함.

-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인민은행(PBOC)이 양적 완화(QE)와 같은 통화 완화 정책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이 본격적으로 통화 완화 정책을 실시할 경우 비트코인이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함.

- 중국의 유동성 증대와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자산 가치 보존 수단으로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https://cryptohayes.substack.com/p/lets-go-bitcoin

도리의 코인메모

02 Nov, 03:21


'밈토큰이 슈퍼사이클을 만들어야한다'고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내눈엔 주식시장을 테마주로 가득 채우자는 소리같음...

게임스탑같은 주식이 나스닥 시총 순위를 장악하면 미국 주식 시장은 카지노 혹은 쓰레기 난장판이지... 어떤 의미가 있나 싶음.

본인 한탕을 노리는 행위에 그럴듯한 포장이나 당위성을 억지로 부여하진 않았으면 함...

가뜩이나 도박으로 치부되는 크립토시장에 그의 역할은 무엇인지....

도리의 코인메모

31 Oct, 07:54


JS 라이브러리 lottie-player에서 발생한 문제

https://x.com/galnagli/status/1851779972639363076

도리의 코인메모

31 Oct, 07:51


1inch 해킹됨

- 10월 30일, 오후 9:12 - 11:22 (CET) 사이, 1inch dApp 유저는 악의적인 월렛 연결 및 서명 요청에 노출된 것으로 파악

- 이 서명은 유저의 자금을 탈취할 수 있음

- 1inch 웹 dApp만 영향을 받았으며, wallet이나 API는 문제없음

- 확인된 모든 손실은 환불됨.

- http://revoke.cash를 통해 악성 주소로의 ERC20 승인 권한을 취소하여 추가 접근을 방지해야함.

- 지원이 필요하면 dApp을 통해 또는 이메일 ([email protected])로 지원팀에 연락. (팀에서 먼저 DM은 보내지 않음)

- 오후 10:31에 팀이 50분 만에 문제를 완전히 해결함.

https://x.com/1inch/status/1851832307746742686

도리의 코인메모

31 Oct, 02:08


dYdX의 파운더이자 온체인 파생상품 거래의 시작과 전성기를 알린 안토니오가 꽤 큰 발표를 했습니다. dYdX팀의 35%를 해고하고, "Start Up"모드로 돌아간 것인데요.

dYdX의 성공 스토리를 아는 입장에서 몸집이 커진 dYdX는 아무래도 예전의 모멘텀을 많이 잃은 모습이긴 했습니다. 안토니오가 이야기 했던 것처럼 회사에 너무나도 많은 프로세스와 중간 관리자들이 생겨나고 의사결정은 느려지고, 시장 상황에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했죠. 그 결과 하이퍼리퀴드와 같은 팀들에게 시장 점유율을 내주고 있습니다.

dYdX는 수년간 온체인 파생상품 섹터의 독점자였습니다. 누구도 깨지 못할거라고 생각했지만, 1) 하이퍼리퀴드와 같은 파괴적인 경쟁자와 2) 스스로 몸집이 너무 커진 나머지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는 부분이 동시에 작용하여 큰 위기를 맞이한 거 같습니다.

아마 이러한 흐름들은 온체인 파생상품 섹터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닐겁니다. 이더리움도 어쩌면 이런 위기를 겪고 있는지도 모르죠.

이 시장이 재미있는 이유는, 영원한 강자도, 영원한 약자도 없다는 것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다이내믹에 적응하지 못하면 언제든지 도태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어려운 시장 같습니다(다른 시장 대비 그 사이클이 두 배는 빠르게 돌아가니 말이죠).

맬스트롬의 Aksaht이 EtherFi에 투자를 하면서 라이도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 것도 있는데 이것도 인사이트가 있네요.

너무 돈을 빨르게 모으거나, 이익을 빠르게 창출한 크립토 스타트업들은, 시장을 크게 점유하고 스타트업으로써의 기민함을 잃어버리고, 스타트업 모드에서 이탈하여 첫 프로덕트 이상의 혁신을 만들지 못하고 새로운 참여자에게 추월당한다는 인사이트 입니다.

안토니오의 글: https://dydx.exchange/blog/letting-go?
https://dydx.exchange/blog/regenesis

Aksaht의 글: https://x.com/akshat_hk/status/1851797197630902297

그래도 안토니오는 위기를 인지했다는 점에서 dYdX는 아직 한 발 남은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dYdX의 서사에 대한 리서치를 했던 사람으로써, 안토니오와 dYdX의 저력은 확실히 무시할 수 없죠.

포필러스의 dYdX글: https://4pillars.io/ko/articles/why-did-dydx-choose-to-launch-its-own-chain

도리의 코인메모

30 Oct, 18:03


- 비트코인의 보안을 유지하려면 블록 크기를 점진적으로 늘려,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하고 수수료 수익을 늘려야함.

- 그러나, 비트코인의 개발은 Bitcoin Core 소프트웨어에 의해 주도되며, 대부분의 노드가 이 클라이언트를 사용함.

- 코어 개발자들이 네트워크의 통제권을 가지고 있음. 이 상황은 네트워크의 발전을 저해하며, 이들의 이해관계가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이익과 상충될 수 있음.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30 Oct, 17:59


$BTC 보안 모델은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으며, 지속가능하지 않음

- 비트코인의 현재 보안 수준을 유지하려면 가격이 계속해서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해야함. 그러나 이는 불가능함.

- 결국, 네트워크는 블록 크기를 늘리거나,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네트워크의 보안이 약화되는 것을 허용하는 세 가지 선택지 중 하나에 직면할 것임.

- 작업 증명(PoW)은 비트코인 보안의 근본이 되는 메커니즘임

- PoW는 시빌 공격(Sybil Attack)을 방지함. 채굴자는 암호화된 퍼즐을 풀기 위해 경쟁함.

- 이 퍼즐을 해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채굴비용이 많이 들고, 한 개체가 채굴을 독점하기 어려운 구조임.

- 비트코인의 보안은 Security budget 개념에 기반함. 이는 채굴자에게 지급되는 총 보상으로,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쓰임

- Security budget은 새로 $BTC 가 발행되는 블록 보상 그리고 유저가 지급하는 수수료로 구성됨

- 블록보상이 대부분의 채굴 수익을 차지함. 그러나 4년마다 반감기를 통해 절반으로 줄어들며, 여기서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함

- 블록 보상의 지속적인 감소가 진행될 것이며, $BTC 의 영구적인 상승은 불가능함.

- 시장이 성숙해질 수 록 $BTC 의 가격 성장률도 둔화될 수 밖에 없음.

- 2048년 448만 달러에 도달하려면 시장 가치가 94조 달러에 이르게됨. 이는 전 세계의 GDP와 동일한 수준임

- 이렇게 Security budget이 시장 가치 대비 감소하게 되면 51% 공격 리스크도 커지게 되는 것임

도리의 코인메모

30 Oct, 08:07


생각보다 이번 $OVER 에드가 적어서인지...

Nether NFT FP 가 소폭 상승함.

도리의 코인메모

30 Oct, 05:16


🌐 에어드랍 할당량을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Over 커뮤니티 여러분!

에어드랍 체커가 공개되었습니다! OverWallet 앱(메인넷 출시 후 OverFlex로 리브랜딩 예정)을 열고, 이메일을 입력하여 초기 에어드랍에서 받을 수 있는 토큰 수량을 확인하세요.
또한, 에어드랍 기준 및 평가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Medium에 게시되었습니다.

[에어드랍 세부 사항 확인하기]

에어드랍 할당량 확인 방법:
1. OverWallet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하고, 앱을 종료 후 재시작하세요.
2. 이메일을 입력하세요.
3. 결과는 입력하신 이메일로 전송됩니다.

🔥 중요 사항
- 오버 팀은 절대 이메일, DM 또는 기타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통해 OVER 클레임 링크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사칭 및 피싱 시도에 주의해 주세요!
- OVER 에어드랍은 메인넷 출시 이후,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사이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 Nethers NFT 소유자는 NFT 1개당 764.64 OVER를 받게 되며, 이 할당량은 체커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도리의 코인메모

29 Oct, 00:45


아서 헤이즈 : 중국의 경기부양책이 암호화폐 상승을 이끌 것

https://coincode.kr/26544

도리의 코인메모

28 Oct, 15:08


Filecoin 2024 Q3

- 새로운 스토리지 거래는 QoQ 16% 증가, 스토리지 활용도는 Q2 26% -> Q3 30%로 증가

- 2,000명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Q3까지 Filecoin에 데이터를 온보딩함.

- 이 중 518명이 1,000TiB가 넘는 대규모 데이터 셋을 온보딩했음

- 9월 30일까지 4,500개 의 컨트랙트가 배포됨.

- 3분기에 Filecoin Web Service(FWS) 프레임 워크가 발표되어 개발자와 유저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함.

https://messari.io/report/state-of-filecoin-q3-2024

도리의 코인메모

28 Oct, 14:55


테더가 앱토스 네트워크에서 USDT를 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무브(Move) 기술이 지원하는 블록체인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앱토스는 1월 일일 활성 사용자가 9만 6천 명에서 7월에는 17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올봄에는 하루 최고 1억 6천만 건의 거래를 달성하는 등 성능이 높고 거래 수수료가 낮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텔레그램 인스타그램
커뮤니티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8 Oct, 14:52


어느 고스트체인이 하고 있는 일임...

도리의 코인메모

28 Oct, 14:50


비트코인 유동성 유입에 가장 좋은 전략이라 생각함.

$BTC 월렛으로도 브릿징하여 디파이도 사용할 수 있는데... $BTC 를 수수료로 지불할 수 있는...

도리의 코인메모

28 Oct, 14:44


BitcoinOS 백서 요약

- 기존 $WBTC 같은 Wrapped Bridge의 자산은 잠긴상태에서 다른 체인에 새로 주조됨.

- 이는 Multisig Briges 운영자들의 동의가 요구됨.

- 그러나 zk proofs를 이용한 새로운 optimistic 접근 방식이 있음.

- 이는 $BTC 를 특정 주소로 보내면, 그 주소는 반대편(다른 체인)에서 $zkBTC 를 소각할 때면 잠금이 풀림.

- 그리고 $BTC 를 올바른 주소에 잠궜다는 zk-proof 만 있으면 $zkBTC 를 발행할 수 있음.

- 이럴 경우, 여러 운영자의 합의가 불필요함. 가짜 proof를 쓰면 그때 운영자가 개입하면 됨.

- 단 하나의 정직한 운영자만 존재하면 브릿지 트랜잭션은 성공함.

- 결국, 이 방식의 신뢰수준은 훨씬 낮아도 되는 것임

- 유스케이스로는 $BTC 를 Cardano로 브릿징하여 Defi 프로토콜 사용이 가능함.

- Cardano 월렛이 아닌, $BTC 월렛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 (XverseApp, BeginWallet, tokeopay, MagicEdenWallet )

- $BTC 유저가 Cardano에서 tx 수수료를 $BTC 로 지불할 수 있는 기능도 구현 중인 상태임. CIP-118 에서 제안 중이며, Fluid에서도 Aquarium Babel fee에 대한 오딧을 진행 중임.

- EVM 체인은 zk proofs를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움. Cardano는 UTXO 모델과 Plutus V3 덕분에 훨씬 쉽고 가볍게 구현할 수 있음.

출처

도리의 코인메모

24 Oct, 23:50


크라켄, 25년 L2 블록체인 잉크(Ink) 출시 발표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745745

도리의 코인메모

24 Oct, 06:47


어제 Supersim 101 강의 세션이 있었습니다. 🔴

Supersim 이란? : 체인간 메세지 전달 & 로컬 노드를 활용해서 단일 L1과 여러개의 L2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툴킷

옵티미즘 docs : https://docs.optimism.io/stack/interop/supersim
공식 문서 : https://supersim.pages.dev/
수업 자료 : https://x.com/Optimism/status/1849148694802878640

도리의 코인메모

23 Oct, 12:53


이더 L2의 부상으로 아발란체의 서브체인에 대한 수요가 급감했을 듯...

도리의 코인메모

22 Oct, 23:35


수이 거품이 끝난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