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miraeelec Channel on Telegram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miraeelec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담당 박준서입니다. 투자 판단에 도움되는 데이터와 의견을 제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Korean)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전기전자 및 IT 하드웨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박준서님의 채널로, 최신 소식, 분석, 그리고 전문 지식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은 금융 분야에서 권위있는 기업으로, 전기전자 및 IT 하드웨어 분야의 전문가인 박준서님의 통찰력 있는 정보를 통해 투자 및 비즈니스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채널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식을 쌓아보세요. 임시로 업데이트되는 채널이지만, 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복구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채널을 구독하여 소중한 정보를 놓치지 마세요.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9 Feb, 00:42


탑머티리얼, 유럽 배터리사와 1.2兆 규모 공급계약

이번 계약은 2035년까지 이어지는 장기 계약으로, 매년 최소 600억 원에서 최대 1200억 원 규모의 소재를 공급한다. 프라임배터리는 유럽 최대 ESS 공급업체로, 탑머티리얼과의 기존 협력 관계를 소재 사업 분야까지 확대했다.

탑머티리얼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고품질 2차전지 소재를 공급할 예정이다. 프라임배터리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외곽에 기가팩토리 건설을 완료하며 안정적인 소재 공급을 위해 이번 계약을 체결했다.

탑머티리얼은 이번 계약이 2024년 잠정매출(1060억 원)의 절반을 상회하는 규모로, 실적 개선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기존 시스템엔지니어링 사업 중심의 매출 구조에서 소재 사업으로의 다각화를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계자는 “프라임배터리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과 품질을 입증받았다”며 “2차전지 시장 성장에 발맞춰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46691?rc=N&ntype=RANKING&sid=10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Feb, 23:11


애플 Pro/Pro Max 교체주기 및 프리미엄 견인

1. iPhone 사용자 교체 주기 차이
• Pro 모델 사용자는 일반 모델 사용자보다 iPhone을 더 자주 교체하는 경향이 있음.
• 평균 교체 주기:
• Pro 모델 사용자: 2.75년
• 일반 모델 사용자: 3.15년
• 프리미엄 제품군(Pro 모델)의 높은 사양과 혁신적 기능이 빠른 교체를 유도하는 요소로 작용.

2. 프리미엄화(Premiumization)가 Pro 사용자 증가 견인
• 프리미엄화가 iPhone의 연간 매출 증가에 기여.
• 향후 2~3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특히 인도 및 동남아시아 시장이 주요 성장 동력.
• Apple은 고급 모델 중심 전략을 강화하며 고급 기능과 가격 프리미엄을 통해 수익 증가를 도모.

3. 역확산 효과(Reverse Diffusion)
• Pro 모델 사용자의 45%는 innovators로, 신제품이 출시되면 가장 먼저 구매하는 경향.
• 25%는 early adopters로, 업계 리더로서 빠르게 새로운 기술을 도입.
• Pro 모델 사용자의 높은 혁신 수용도 → Pro 모델의 빠른 업그레이드 주기를 유도.

4. iPhone 사용자 성숙도 증가에 따른 업그레이드 패턴
• iPhone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궁극적으로 Pro 모델로 업그레이드하는 경향.
• Pro 모델을 선택하는 이유:
• 최신 기술을 더 빨리 사용하려는 욕구
• Apple의 프리미엄 경험을 최대로 누리기 위함
• 장기적인 관점에서 Pro 모델 사용자는 계속 증가할 가능성.

5. 중고 스마트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Pro 모델 판매량 증가 → 향후 2~3년간 중고 시장에서 Pro 모델 공급 증가 예상.
• 기존 리퍼비시(Refurbished) 시장의 공급 부족 문제를 완화할 가능성.
• 중고 Pro 모델의 수급 증가는 신제품 판매 전략에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음.

6. Android에서 iPhone으로의 전환 증가
• iPhone 신규 사용자 중 48%가 이전에 Android를 사용.
• Android → iOS 전환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iPhone의 시장 점유율 상승에 기여.
• 특히 프리미엄 Android 사용자가 iPhone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음.

7. Android 시장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브랜드: Samsung & Google
• Samsung과 Google이 Android → iOS 전환에서 가장 큰 손실을 보고 있음.
• 특히 Samsung의 S 시리즈 사용자 이탈이 가속화될 가능성.
• 이에 따라, Samsung, OnePlus, vivo 등의 브랜드는 차별화를 위해 GenAI(생성형 AI) 및 최고급 사양을 적극 도입 중.

출처: Counterpoint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Feb, 21:59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9(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PC) Acer, 트럼프 관세로 미국 노트북 가격 10% 인상
- Acer 노트북은 25년 3월부터 미국 내 판매 가격을 10% 인상할 것으로 밝힘. 이러한 가격 인상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에 따른 조치임. Acer는 중국 이외의 다른 공급망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https://han.gl/zFwrm (Tom's Hardware, 2.18)

(전망) 딥시크, 2025년 AI PC 및 패널 산업 성장 촉진
- 딥시크의 출시로 AI PC의 가격이 하락하고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또한, 이에 따라 전력 효율성이 높은 LTPS 패널의 성장이 예상됨. 추가적으로, 윈도우 10 지원이 25년 10월에 종료됨에 따라 AI PC로의 교체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
https://han.gl/cdzeF (Digitimes, 2.18)

(스마트폰) 분기별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 4Q24,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5% YoY, +9% QoQ 성장. 4Q24에는 Vivo가 중국 내 18%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 차지. 애플은 16.8%로 2위를 차지했으며, 화웨이와 샤오미는 각각 16.7%, 16% 차지하며 뒤를 이음. 25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낮은 한 자릿수 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https://han.gl/H8z5L (Counterpoint, 2.18)

(IPO) LG, 15억 달러 인도 IPO를 위한 로드쇼 시작
- LG전자가 인도 사업부의 IPO를 위한 투자설명회인 로드쇼를 개최했으며, 최근 비공개적으로 잠재 투자자들과의 만남을 시작했다고 전해짐. LG 전자는 해당 IPO를 통해 최대 10~15억 달러를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LG인디아의 기업가치는 최대 150억 달러에 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https://han.gl/TSLfl (Bloomberg, 2.18)

■ 디스플레이

(OLED) ‘초대형 스크린 열풍’이 TV 시장 강타, 패널 생산 감축 종료 신호
- TV 시장에서 초대형 스크린 수요가 급증하면서 패널 생산 감축이 종료될 신호가 보이고 있음.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면 29년까지 추가적인 감산 없이 패널 산업의 수요-공급 균형이 맞을 것으로 전망. 대형 TV 수요 증가로 24년 글로벌 TV 평균 크기는 52.4인치로 1.1인치 상승했으며, 중국 보조금 정책 영향으로 평균 출하 크기는 63.5인치로 4.2인치 증가했음. 25년에는 65.5인치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https://han.gl/Fx7ga (Digitimes, 2.18)

(OLED) '작년 OLED TV 출하량' 목표 달성률은 LG, 증가율은 삼성이 앞섰다
- 24년 OLED TV 출하량 목표 달성률은 삼성전자가 70%, LG전자가 90%로 나타났으며, 출하 증가율에서는 삼성전자가 42%로 LG전자 6%를 크게 앞섬. 24년 삼성전자의 OLED TV 출하량은 144만 대(+42% YoY)이고, LG전자의 OLED TV 출하량은 318만 대(+8% YoY)로 집계됨. 추가적으로, 글로벌 OLED TV 출하량은 607만 대로 전망치 소폭 하회함
https://han.gl/8sEOk (thelec, 2.1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7 Feb, 22:00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8(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전망) 수율 문제로 GB200 성장 모멘텀 둔화… 강한 출발로 2025년 서버 시장 전망은 긍정적
- 폭스콘과 Quanta의 1월 매출은 GB200 지연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서버 수요로 성장. 2025년 글로벌 서버 출하량은 3.9% 성장하여 1,526만 대에 이를 것이며, AI 서버 출하량은 1,970만 대(+54.87% YoY)로 전망됨. 서버 관련 부품 업체(InWin, JPP, Auras) 또한 25년 낙관적인 수요 전망하며 호실적 기록
https://han.gl/30Eq7 (Digitimes, 2.17)

(스마트폰) 프리미엄화가 지속되면서 2024년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점유율 25%로 상승
- 프리미엄 가격대 스마트폰 (도매가 600달러 이상)의 점유율은 2020년 15%에서 2024년 25%(+8% YoY)로 증가하며 동기간 전체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 5%를 상회. 프리미엄 스마트폰 내 판매 점유율은 애플 67%, 삼성 18% 차지했으며, 중국 OEM사 빠르게 성장하며 두 자릿수 연간 성장률 기록
https://han.gl/ZCFr5 (Counterpoint, 2.17)

(PC) Gurman: M4 MacBook Air 모델, '늦어도' 3월까지 출시 예정
- Mark Gurman에 따르면, 애플이 늦어도 3월까지 최신 M4 칩을 탑재한 신규 맥북 에어 모델을 판매할 예정. 이는 작년 M3 맥북 에어 출시 시기와 유사. M3 맥북 에어 모델의 기존 재고가 줄어들고 있어 새로운 모델 출시가 임박했을 것으로 예상
https://han.gl/YkhWS (MacRumors, 2.17)

(PC) MS, PC 제조사에 "윈도우11 PC에 최신 CPU 쓰라" 권고
- 마이크로소프트가 주요 PC 제조사 대상으로 윈도우 11 버전 24H2에서 인텔 8-10세대 코어 프로세서 지원을 중단할 것으로 보임. 하드웨어 개발자 포털에 등록된 '윈도우11 버전 24H2 지원 인텔 프로세서 목록' 문서에서 인텔 8-10세대 코어 프로세서가 제외됨. 이에 따라, 윈도우 11 PC는 인텔 11세대 코어 프로세서 이상을 탑재해야 할 것으로 전망
https://han.gl/uPzUG (ZDNET, 2.17)

(반도체) 키옥시아, 수익성 전망에도 불구하고 NAND 공급 과잉으로 인한 Capex 감축 발표
- 키옥시아는 AI 인프라 투자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데이터 센터와 엔터프라이즈급 SSD 제품 출하가 확대되며 전년 대비 56~58% 매출 증가가 전망됨. 다만, 높은 재고 수준과 NAND 판매 가격 하락으로 인해 감산을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Capex가 약 2,300억 엔(-25% YoY)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키옥시아는 NAND 시장이 2025년 후반까지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
https://han.gl/gduUj (Digitimes, 2.17)

■ 디스플레이

(OLED) 한국, OLED 및 MicroLED 산업 강화에 2650만 달러 배정
-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 디스플레이 산업 강화를 위해 387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 총 40개의 프로젝트 유형이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며, OLED, AR/VR, MicroLED 등의 분야가 포함됨
https://han.gl/ya2ht (Trendforce, 2.17)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7 Feb, 08:51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서는 2주마다 애널리스트 회의록인 "Mirae Asset Minutes"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섹터 아이디어와 하우스 탑픽, 회의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발간 자료 Top Stories는 1)조선(HD현대중공업), 2)IT서비스(더존비즈온), 3)IT하드웨어(삼성전기), 4)의류(F&F) 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Mirae Asset Minutes(2025년 4호, 2/17)
https://han.gl/aIcAh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7 Feb, 01:13


2025.02.17 10:09:35
기업명: 피엔티(시가총액: 9,925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3,891억(예상치 : 3,292억)
영업익 : 680억(예상치 : 510억)
순이익 : 689억(예상치 : 392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3,891억/ 680억/ 689억
2024.3Q 2,009억/ 310억/ 181억
2024.2Q 2,405억/ 261억/ 215억
2024.1Q 2,045억/ 381억/ 337억
2023.4Q 2,287억/ 374억/ 278억

* 변동요인
수주증가에 따른 매출 증대 및 원가절감을 통한 이익 증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790040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3740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7 Feb, 01:00


켐트로닉스, 'TTV 적용' 유리기판 삼성전기에 4Q 시제품 납품 개시...평탄도 잡는다

17일 IT업계에 따르면 켐트로닉스는 올해 4분기 중으로 삼성전기에 자사의 TTV(Total Thickness Variation) 컨트롤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유리기판 500*500 패널 레벨 사이즈 시제품을 납품한다.

현재 패널 레벨 사이즈의 개발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사이즈 확대가 원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양산품의 공급은 2027년을 목표로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이다. 

삼성전기 반도체 유리기판 컨소시엄에 속한 켐트로닉스는 글로벌 글라스 메이커로부터 반도체용 유리기판 소재를 공급 받아 양산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도체 유리기판은 소재 가공, TGV 공정, 구리도금, 에칭(ethcing), 슬리밍(slimming) 등 후가공을 거쳐 완성되는 프로세스를 거친다. 켐트로직스의 최종 목표는 TGV 공정 이후 후가공까지 이르는 밸류체인을 확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켐트로닉스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축적한 식각 기술을 바탕으로 유리기판 제조의 핵심 공정인 글라스관통전극(TGV)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레이저로 구멍을 뚫은 후 이를 식각하는 방식으로 TGV를 구현하고 있다. TGV 기술은 파트너사인 독일 레이저 솔루션 제조 기업 LPFK로부터 확보했다. 

TGV(Through Glass Via) 공정은 유리 기판에 미세한 전기적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 공정과 습식 식각 공정으로 구성된다. 관련 공정은 먼저 레이저를 통해 유리 기판에 미세한 구멍을 생성한다. 이후 습식 식각을 통해 홀 내부의 파티클 제거 및 평탄도(Total Thickness Variation, TTV)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고품질의 유리기판을 생산할 수 있다. 

https://www.finance-scope.com/article/view/scp202502170003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6 Feb, 22:0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7(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아이폰 SE 4, 다음 주 출시 앞두고 역대 최대 판매 기록 기대
- 궈밍치에 따르면, 아이폰 SE 4가 25년 상반기 1,000만 대 출하할 것이며, 하반기에는 1,200만 대가 추가로 출하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궈밍치는 새로운 아이폰 SE가 아이폰 16 시리즈 출시 이후와 올해 아이폰 17 모델 출시 사이의 아이폰 판매 감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함.
https://han.gl/E6Emb (tom's guide, 2.15)

(애플) 애플, 올해 중반까지 중국 아이폰에 AI 기능 대대적 개편 예정
- 애플은 중국 내 아이폰에 AI 기능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여 이르면 5월에 출시할 것으로 전망. 중국 내 데이터 보안 규정 준수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정. 애플은 기알리바바, 바이두와 협력하여 AI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 높을 것으로 예상.
https://han.gl/eVzTV (Bloomberg, 2.14)

(AR/VR) 애플, Vision Pro용 visionOS 2.4 업데이트…AI·공간 콘텐츠 강화
- 애플이 4월 중으로 비전 프로의 차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인 visionOS 2.4를 준비 중이며, 애플 인텔리전스와 공간 콘텐츠 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이 업데이트에는 AI 기반 이미지 생성, 실시간 번역, 음성 비서 개선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또한, 공간 영상 및 3D 콘텐츠 경험을 확장하는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
https://han.gl/H3bI1 (Bloomberg, 2.15)

(애플) 애플 인텔리전스 Siri 개편 일정 지연 가능성
- 애플은 iOS 18.4에서 새로운 Siri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지만, 다음주 출시될 iOS 18.4 베타에서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Siri 업데이트가 준비되지 않을 것으로 보임. 일부 기능들은 기존 애플이 계획했던 4월이 아닌 5월로 연기해야 할 가능성이 존재하여 iOS 18.5 업데이트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
https://han.gl/klSMF (Trendforce, 2.14)

(중국) 12월 중국 모바일 4년중 최대 출하 기록
- 24년 12월, 중국 핸드폰 출하량은 3,452만 8000대(yoy +22.1%). 이 중 5G 핸드폰은 2억 7,200만 대(yoy +13.4%)로 전체 출하량의 86.4% 차지. 24년 12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3,240만 8,000대(yoy +20.8%), 24년 전체로는 2억 9,400만대(yoy +6.5%). 24년 전체 신규 스마트폰 모델은 284종으로 yoy 20.2% 감소.
https://han.gl/bmL4b (CAICT, 2.14)

(로봇) 메타,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규모 투자 계획
- 메타는 AI 기반 휴머노이드 진출을 위해 Reality Labs 하드웨어 사업부 내에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고 있다고 전해짐. 또한, Unitree Robotics와 Figure AI를 포함한 로봇 기업들과 협력 논의 중에 있음.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Cruise)의 전 CEO 마크 휘튼이 팀을 이끌 것이라고 전해짐.
https://han.gl/XC6gM (Bloomberg, 2.15)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4 Feb, 08:51


쑤닝이거우, 6,000위안 이상 스마트폰 대상 최대 1,000위안 추가 보조금 실시

기간 및 적용 대상: 2월 14일~3월 16일,
쑤닝이거우 전국 직영점에서 1인 1대 한정

보조금 세부 내용:
• 애플 아이폰: 250~400위안 지원
• 안드로이드·훙멍OS 스마트폰: 500~1,000위안 지원
• 보조금 적용 후 6,000위안 이하로 내려가면 국가 보조금도 추가 적용 가능

대상 모델:
• 화웨이 메이트 시리즈, 아이폰 16 시리즈, 아너 매직 7, 비보 X200, 오포 리노13, 홍미 K80 등
• 행사 기간 내 출시되는 신제품도 보조금 적용

추가 혜택:
• ‘미봉카(蜜蜂卡)’ 멤버십 도입, 가입 시 365일 내 무료 교환·환불
• 무료 화면·배터리 교체, 보호필름 부착, 데이터 이용권 제공

기대 효과: 고가 스마트폰 교체 수요 촉진, 소비 시장 활성화 및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증가

출처: https://www.cs.com.cn/ssgs/gsxw/202502/t20250213_6474284.html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3 Feb, 22:0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4(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로봇) Apptronik,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 확대 위해 3억 5천만 달러 투자 유치
-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업 Apptronik이 3.5억 달러(약 4.6조 원) 투자 유치에 성공함. 이번 투자 라운드는 구글도 참여. 동사는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Apollo”를 개발 중임. CEO는 23년 LLM의 급격한 발전처럼, 25년에는 로봇 산업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함. Apollo를 물류뿐만 아니라 헬스케어·노인 돌봄 산업으로 확장할 계획
https://han.gl/H2hPA (Reuters, 2.13)

(전망) ASE, AI 및 PC 수요 증가로 2025년 1분기 강한 성장 전망
- ASE는 AI 및 PC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긴급 주문 증가로 1Q25 강한 성장 기대. 첨단 패키징이 총이익률 향상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ASE는 이에 맞춰 적극적으로 생산 능력 확대 투자. 2024년 첨단 패키징 및 테스트 부문 매출이 6억 달러(+140% YoY) 기록. 25년은 이 부문이 16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https://han.gl/7NTmE, https://han.gl/uD8H6 (Digitimes, Reuters, 2.13)

(AI) 퀄컴, 온디바이스AI 보급화…’스냅드래곤6 4세대’ 출시

- 퀄컴이 스냅드래곤 6 4세대 모바일 플랫폼을 13일 발표. 이는 시리즈 중 처음으로 생성형 AI를 지원. 이 플랫폼은 AI 및 게이밍, 촬영 기능이 크게 향상되어 보급형 스마트폰의 진보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함. 수개월 내 리얼미, 오포, 아너 등 글로벌 OEM 출시 스마트폰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
https://han.gl/Ozj3k (디지털데일리, 2.13)

(스마트폰) "아이폰 교체주기 짧아졌다…AI 기능 때문?"
- 시장조사기관 CIRP에 따르면, 4Q24 아이폰 사용자들의 제품 교체 주기가 짧아진 것으로 파악됨. 지난해 4분기 새로 아이폰을 구매한 사용자의 36%는 이전 기기를 2년 이하 기간 동안 사용한 것으로 조사됨. 아이폰15 출시 후 같은 기간 이 수치는 31% 수준이었음. 맥루머스는 이 같은 변화가 애플 인텔리전스의 도입 때문으로 봄
https://han.gl/lFuid (ZDNet, 2.13)

(로봇) “대당 2000만원, 45일 내 배송”… 대중화 속도 내는 中 휴머노이드 로봇
- 유니트리가 휴머노이드 로봇 2종을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출시함. H1은 65만위안(약 1억3,000만원), G1은 9.9만위안(약 2,000만원)에 판매됨. 이번 판매는 단시간 내 끝나긴 했지만,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중화 가능성을 엿봤다는 평가. 중국 내 수요는 충분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음
https://han.gl/edTui (조선비즈, 2.13)

■ 디스플레이

(DDI) Novatek, 1분기 반등 예상…자동차 수요는 부진 지속
- 노바텍은 1Q25 매출을 NT$26~NT$27.2B로 전망. 노바텍은 1Q25 중국 보조금 정책으로 인한 소비자 가전 수요 증가 기대감을 언급.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보조금 효과로 성장 예상. TV, 스마트폰, 태블릿용 등의 DDI의 수요는 성장을 기대하나 자동차 부문의 지속적인 부진을 예상. 동사는 Edge AI 시장 성장에 주목, AI 기능이 스마트폰 및 PC의 보급형 제품군까지 확산될 것으로 전망함
https://han.gl/AY9aY (Digitimes, 2.1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3 Feb, 00:06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이노텍(011070/매수) - 과도한 우려는 해소 중

■북미 고객사의 중국 판매 개선
-중국 판매 우려가 지속됨. 다만, 1월부터 중국 보조금 정책에 레거시 3개 모델이 포함되면서 판매량 개선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24년 11월과 12월 판매량은 각각 작년 대비 -28%, -19% 감소했으나, 춘절 기간(3일 제외)임에도 1월 중국 판매량은 -8%로 감소폭이 둔화될 것으로 추정. 25년 북미 고객사 4주차 잠정 판매량은 +12% YoY를 증가 예상, 이는 보조금 정책 효과로 판매가 개선되고 있기 때문

■다가오는 모멘텀
-북미 고객사의 중국 판매 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 이는 ① 알리바바와 협력하여 중국 아이폰용 AI 기능 출시를 위한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② 상반기 내 SE4 모델의 글로벌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기 때문임. 2026년에는 카메라 스펙 업그레이드,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를 통한 P, Q 성장 기대

■목표 주가 유지. 우려 대비 판매 성장 수혜 지속
-목표주가 230,000원 유지. 현재 주가는 5년 평균 P/E -1SD, P/B -2SD 구간에 위치. 상반기 SE4 판매 개시 및 중국 맞춤 AI 탑재로 판매 개선이 기대되는 만큼, 선제적 비중 확대를 권고

보고서 원문: https://han.gl/I2nL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Feb, 23:29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3(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로봇) 애플의 첫 번째 로봇 양산 시기
- 궈밍치는 애플이 미래의 스마트홈 제품으로 휴머노이드 로봇과 비휴머노이드 로봇을 모두 연구하고 있다고 보도. 애플의 로봇 프로젝트가 개념 증명 단계에 머물러있으며 대량 양산 시기는 2028년 이후로 예상함. 마크거먼은 지난해 테이블탑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음. 그는 어떠한 장애물이 없다는 가정 하에 빠르면 2026년이나 2027년에 이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QsXWr (Macrumors, 2.12)

(서버) 2025년 AI 서버 성장 불확실성에 직면… DeepSeek, AI 추론 점유율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24년 글로벌 AI 서버 출하량 46% 증가, 25년 28% 증가 예상. 다만, GB200/GB300 랙 공급망 준비 일정 연기, 딥시크 효과에 기인한 ASIC 및 AI 추론으로의 전환 추세, 대중 AI 칩 수출 제한으로 인해 AI 서버 출하량 불확실성 확대. 이에 따라, 25년 AI 서버 출하량 20~25%로 둔화될 가능성 존재.
https://han.gl/FLBxk (Trendforce, 2.12)

(AI) 폭스콘, AI 모멘텀에 힘입어 2025년 매출 7조 NT$ 목표
- 폭스콘은 12일 착공식에서 2025년 회사의 매출 7조 NT$(2,120억 달러) 초과 예상, 시장 상황에 따라 8조 NT$(2,430억 달러)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 이는 AI 서버 수요에 기인. 그는 이것을 회사의 “제2의 성장 단계”라고 묘사함
https://han.gl/qCeD3 (Digitimes, 2.12)

(PC) 2025년 노트북 ODM 긍정적 전망
-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라 선제적 재고 확보로 인해 1월 대만 ODM 업체 매출 감소했지만, 2월과 3월에는 회복될 것으로 전망. 엔비디아의 RTX 50시리즈 노트북 출시, 퀄컴의 저가형 스냅드래곤 X 출시로 인한 AI PC 가격 하락, 3분기 윈도우 10 지원 중단 등 노트북 시장 성장 모멘텀 존재
https://han.gl/5WAyR (Digitimes, 2.12)

(전망) 중국 스마트 글래스 시장, DeepSeek의 활약으로 연간 107% 성장 예상
- 딥시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AI 통합의 혁명을 일으키고 있음. 중국 업계 관계자들은 DeepSeek가 온디바이스 AI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AI 탑재 스마트 글라스, 스마트폰, PC의 채택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보도함. IDC는 25년 글로벌 스마트 글라스 출하량은 1,280만 대(+26% YoY) , 중국 시장은 280만 대(+107%YoY)로 전망함
https://han.gl/H0RBU (Reuters, 2.11)

■ 디스플레이

(TV) 트럼프의 관세는 중국 TV 제조업체들이 보조금을 받고 우위를 점하는 상황에서 삼성과 LG를 약화시킬 수 있음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TV의 약 88%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023년 기준, 멕시코는 미국 TV 수입의 78%를 차지. 이런 배경에서 중국 TV 제조업체들은 정부 보조금으로 경쟁력이 강화됨. 2024년 말, 중국 정부는 1.3억 위안규모의 장기 채권을 발행한다고 발표했는데, 시장에서는 가전제품을 포함한 소비재 보조금에 부분적으로 할당될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음
https://han.gl/3nYgT (Digitimes, 2.1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Feb, 04:55


중국 아이폰엔 ‘알리바바 AI’ 들어간다···애플과 협력

중국에서 판매되는 애플 아이폰에는 애플과 알리바바가 함께 만든 인공지능(AI) 모델이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보기술(IT)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애플이 중국에서 아이폰 등 자사 기기에 AI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 현지 IT 기업 알리바바와 협력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알리바바는 AI 영역에서도 텐센트·바이두 등과 함께 현지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회사다. 알리바바는 지난달 29일 새로운 AI 모델 ‘큐원(Qwen) 2.5-맥스’를 출시했다.

알리바바는 이 모델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V3는 물론, 오픈AI의 GPT-4o, 메타의 라마 3.1을 모든 영역에서 능가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50492?sid=00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1 Feb, 22:1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2(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Apple, Alibaba와 협력해 중국 아이폰용 AI 기능 도입
- 애플리 알리바바와 협력해 중국 아이폰 사용자들을 위한 AI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the information이 보도. 현재 애플과 알리바바는 공동 개발한 중국 AI 기능을 중국의 사이버 규제 기관에 승인을 요청한 상태라고 전함
https://han.gl/WLSJV (Reuters, 2.11)

(전망) GlobalFoundries, 관세 우려 및 스마트폰 시장 부진 속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 GlobalFoundries의 4분기 매출 18.3억 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 1분기 매출을 15.5~16억 달러 사이로 전망하며 컨센을 하회(컨센 16.6억 달러) 이러한 가이던스는 자동차 관세와 25년 스마트폰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됨
https://han.gl/VpCqw (Reuters, 2.11)

(AI) Baidu CEO, DeepSeek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추가 AI 투자 필요 강조

- 바이두 CEO Robin Li는 11일 회의에서 DeepSeek의 도전에도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는 여전히 필요하다고 밝힘. 더 많은 컴퓨팅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함. 바이두는 LLM 및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업 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로 확대할 예정
https://han.gl/WfIUz (Reuters, 2.11)

(관세) 중국, 미국 기술 기업 겨냥한 반독점 감시 목록 작성… Apple·Broadcom 포함 가능성
- 중국이 미국 기술 기업을 대상으로 한 반독점 조사 감시 목록을 작성하고 있음. 관세 문제 관련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의 일환. 엔비디아,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이미 개시했으며, 앞으로 Apple, Broadcom, Synopsys까지 조사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음
https://han.gl/0BvtP (Trendforce, 2.11)

(스마트폰) 2024년 동남아 스마트폰 출하량 11% 증가… OPPO, 첫 시장 1위 등극
- 2024년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이 반등하며 총 9,670만 대를 출하, 이는 2년 연속 감소세를 끝내고 YoY 11% 증가한 수치. 오포가 1,690만대를 출하(YoY +14%), 점유율 18%로 처음 1위 차지. 삼성이 2위를 차지했고 나머지 3~5위를 중화권 업체들이 차지함. 동남아시아에서 중화권 업체들과 프리미엄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추세
https://han.gl/ZpzCu (Canalys, 2.11)

■ 디스플레이

(OLED) 삼성디스플레이, IT 8세대 OLED 두번째 증착기 상반기 내 반입
- 삼성디스플레이 IT 8세대 OLED 라인 A6의 두 번째 증착기(2호기)가 상반기 중 반입 완료될 것으로 파악됨. 첫 번째 증착기(1호기)로는 애플 맥북 프로용 OLED, 두 번째 증착기로는 애플 외 업체에 납품할 IT OLED를 주로 만들 것으로 예상됨. 아이씨디는 지난 10일 일본 캐논토키에 납품키로 한 장비 공급계약 종료일을 5개월 미뤄 7월로 연기했는데 이 장비가 SDC 공급을 위한 IT 8세대 OLED 라인의 두 번째 증착기에 필요한 챔버로 추정됨
https://han.gl/dbwtA (The Elec, 2.1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1 Feb, 01:01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중국 내수 데이터에 주목 필요

■중국 보조금 정책으로 세트 판매 데이터 개선
-중국 향 익스포저가 높은 업체에 주목해야 함. 중국 판매 개선 → 세트 재고 부담 해소 → 부품 재고 증가의 사이클이 도래할 것으로 판단. 이미 일부 부품 오더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글로벌 수요 개선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판단하나, 보조금 정책 기반 중국의 내수 수요 증가는 지속되고 있음

■춘절 기간 데이터로 보조금 효과 확인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 정책 시행(1월 20일~2월 8일)으로 2,009만 명의 소비자가 2,541만 대의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을 신청. 특히 4,000 ~ 6,000위안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이 +108%를 기록하며 급증. 춘절 기간(1월 28일~2월 4일) 보조금 효과로 소비재 판매액 310억 위안을 돌파, 3.9조원 규모의 보조금 거래 발생. 가전 매출 166%↑, 휴대폰 매출 182%↑, 주문 건수 40% 이상 증가하는 등 중국 소비 시장이 활성화되었으며, 보조금 정책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글로벌 AP 업체, 1Q25 중국 내수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유지
-Qualcomm과 Mediatek 1Q25 가이던스 +9% ~ +19% YoY, +6 ~ +14% YoY를 제시. 양사 모두 1Q25 중국 보조금 효과 긍정적인 시각 유지. Mediatek은 1Q25의 강력한 가이던스 제시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 실적 또한 비관적이지 않다는 점을 강조. 이는 장기적 수요 증가를 암시

■중국 익스포저 높은 업체들 주목: 최선호주 삼성전기
-삼성전기를 최선호주로 유지. 삼성전기 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약 40%로 추정되며, 최근 보조금 정책을 기반으로 한 세트 판매량 개선 데이터가 도출되고 있음. 현재 중국은 글로벌 세트 수요와 다른 흐름을 보이며, 1월부터 세트 판매 개선 기대로 삼성전기 지속 수혜 예상

보고서 원문: https://han.gl/mu8Nr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0 Feb, 22:11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1(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ASIC) OpenAI, 올해 첫 맞춤형 칩 설계 완료 예정
- OpenAI는 향후 몇 달 안에 첫 자체 칩 설계를 마무리하고, 이를 TSMC에 위탁 생산할 계획. 초기 테이프 아웃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OpenAI는 올해 말부터 첫 자체 AI 칩의 대량 생산을 시작할 수 있음. 이번 칩은 OpenAI의 내부 팀이 설계하고 있으며, 이 팀은 최근 몇 달 동안 두 배로 확대되어 현재 40명 규모 수준
https://han.gl/vnm7a (Reuters, 2.10)

(실적) 폭스콘 1월 매출 전년 대비 3.16% 증가, 1분기 강한 성장 전망
- 폭스콘의 1월 매출은 YoY 3.16% 증가. 폭스콘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분기 강한 성장이 예상되며, 한 달 전보다 1분기에 대한 가시성이 더 나아졌다고 밝힘
https://han.gl/0mwS4 (Reuters, 2.10)

(보조금) 중국 소비자 전자제품 보조금, 플래그십 SoC 경쟁 촉진
- 퀄컴과 미디어텍 모두 중국의 보조금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며, 2025년 초부터 시장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에 따라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보조금 프로그램 시행에 맞춰 프리미엄 모델의 재고를 늘리고 있는 상황. 양사 모두 중국의 프리미엄 시장 성장을 긍정적으로 바라봄
https://han.gl/0gJm2 (Digitimes, 2.10)

(스마트폰) “43만대 판매” 갤럭시 S25, 인도서 ‘대박’ 터진 비결은
- 인도에서 갤럭시 S25 시리즈의 사전 판매량은 43만대로, 전작인 갤럭시 S24 대비 20% 증가함. 인도시장 갤럭시 S25 출고가는 256GB 기준 134만원~215만원으로 국내보다도 20만원 가량이 높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노태문 사장은 인도 시장에서 1위에 오르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 바 있음
https://han.gl/ufccD (이데일리, 2.10)

(생산) 애플, 베트남에서 MacBook 생산 축소… 인도에서 제조 확대
- 애플이 베트남에서 MacBook 생산을 축소하는 한편, 인도를 더욱 중요한 제조 거점으로 삼고 있음. 최근 애플은 베트남에서의 생산에 점점 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 반면, 아이폰 제조 역량은 지속적으로 인도에서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https://han.gl/iWEgE (Trendforce, 2.10)

■ 디스플레이

(OLED) BOE 이어 中 비전옥스도 8.6세대 OLED 투자…증착기 공급사 '촉각'
- 비전옥스는 지난해 9월 기공식을 열었으나 실제 설비 투자는 미뤄왔으나, 최근 장비 업체들과의 본격적인 협의를 시작함. 구체적인 사양과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단계로 접어든 것으로 파악됨. 비전옥스의 증착기 발주는 빠르면 올해 3월경 윤곽이 잡힐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UhH0v (디지털데일리, 2.10)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0 Feb, 06:20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BOE, 2분기 아이폰 OLED 공급 차질...삼성D·LGD '반사이익'

-BOE가 2분기 애플 아이폰에 공급할 OLED 물량이 바닥 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품질 문제가 원인

-품질 문제가 발생한 모델은 아이폰 15, 16 일반 라인업용 LTPS TFT OLED

-BOE가 해당 OLED 품질 문제를 해결하려면 최소 6주는 걸릴 것

-BOE가 담당하는 아이폰15·16용 OLED 물량은 700만~800만대 수준. 양산 차질로 소량이나마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반사 이익 기대

-BOE는 아직 아이폰 프로 라인업용 LTPO TFT OLED 양산 승인을 받지 못함. LTPO OLED가 LTPS OLED 대비 가격 2배 수준

-BOE 아이폰SE4용 OLED는 안정적인 양산 가능. SE4 OLED 퍼스트 벤더인 BOE 물량 비중은 50~70%로 추정

-애플은 올해 아이폰SE4를 2,000만대 내외 출하할 계획

-아이폰17 시리즈는 처음으로 4종 모두 LTPO OLED를 적용함으로써, 이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두 곳이 전량 납품할 가능성이 큼

- 지난해 아이폰 OLED 출하량 추정치는 2억 3,000만~2억 4,000만대
> 삼성디스플레이 물량 1억 2,000만~1억 3,000만
> LG디스플레이 물량 6,000만대 중후반
> BOE는 전량 LTPS에서 4,000만대 내외

출처: The Elec(https://han.gl/5L0iF)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0 Feb, 06:08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티에스아이 2차전지 믹싱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확정 계약금액: 328.2억원
-최근 매출액(2023년): 2,611.3억원
-매출액 대비: 12.6%
-계약 기간: 2025-02-07 ~ 2026-03-01
*USD 1,447.10 기준으로 산출

감사합니다
원문: Dart(https://han.gl/9jZtH)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0 Feb, 05:07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상무부: 새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 구매에 대한 국가 보조금 신청자 수가 2,000만 명을 넘음

-1월 15일, 상무부는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구매 보조금 시행 계획'을 발표

-춘절 수요 촉진을 위해, 지방에 정책 시행 속도를 높이도록 촉구. 1월 20일 전국 28개 성에서 보조금 정책을 시작했으며 다른 지역도 순차적으로 정책 도입

-전국 가전제품 교체 및 디지털 제품 구매 데이터 플랫폼에 따르면, 1월 20일~2월 8일까지 총 2,009.2만 명의 소비자가 2,541.4만 대의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을 신청함

-중국 유니온페이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6,000개 이상의 가맹점이 유니온페이를 통한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 활동에 참여. 626.84만건의 보조금 거래가 발생, 판매액은 약205.8억 위안(3.9조원) 기록

-보조금 정책 효과로, 춘절 직전 1주일간 휴대폰 판매량은 +74% MoM, +30% YoY, 매출액은 +65% MoM, +34% YoY 기록

-춘절 기간 동안 판매량
2,000위안 이하 제품: YoY 10% 증가
2,000~4,000위안 제품: YoY 52% 증가
4,000~6,000위안 제품: YoY 108% 증가

출처: 중국 정부(https://han.gl/848mU)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0 Feb, 04:26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춘절 기간 동안 자동차, 가전제품,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의 보상 판매액이 310억 위안 돌파

- 춘절 기간(2025년 1월 28일~2월 4일) 전국 소비재 보상 판매 활동이 진행으로 자동차, 가전제품,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의 보상 판매량이 860만 대(세트)에 달했고, 판매액은 310억 위안이 넘었음

- 가전제품 수익 +166% YoY, 휴대폰 판매 수익 +182% YoY

- 춘절 기간 동안 주문 건수는 YoY 40% 이상 증가

-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 판매량은 450만 대 기록, 전체 소비재 보상 판매량의 45%를 차지

- 춘절 기간 동안 교체 지원 보조금이 적용된 가전제품과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 중 휴대폰 판매액이 70%를 차지

출처: https://han.gl/hfRIS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Feb, 22:11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0(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갤럭시S25 출하량 목표 4천만 대…전작보다 10% 높아"
- 궈밍치는 올해 갤럭시S25 출하량 목표치를 약 4,000만 대로 전망. 퀄컴 칩 탑재 효과로 갤럭시S24 시리즈 대비 10% 증가 예상. 갤럭시S25 시리즈는 3일까지 사전판매량이 130만대로 갤럭시S24 시리즈 대비 7% 많기도 했음
https://han.gl/vYMtU (ZDNet, 2.7)

(폴더블) Apple의 첫 폴더블 아이폰, 2026년 가을 출시 예상…폭스콘이 제조
- 애플은 2026년 가을 첫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계획이며, 초기 출하량은 800만~1,000만 대로 예상됨. 또한, 애플은 2027년까지 출하량을 2,000만 대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제시.
-2026년 폴더블 아이폰은 폭스콘이 제조할 예정이지만, 2027년부터는 중국 럭스쉐어로 합류 예상
-UTG는 중국 Lens Technology의 기술 적용 예정
-전면 카메라는 폭스콘과 LG이노텍이 모듈을 개발할 예정. 후면 메인 및 초광각 카메라는 대만의 Largan이 개발 주도 예상
-힌지는 애플이 자체 설계했으며 생산을 Amphenol과 대만의 Shin Zu Shing 담당할 것이라고 강조
https://han.gl/Xhduo (Trendforce, 2.8)

(전망) 미디어텍 AI ASIC 칩, 2026년까지 매출 창출 전망
- 25년 전체 전망에 대해 현재로서 비관적이지 않다고 강조. 1분기 매출 42.9~46.3억 달러 전망. 이는 QoQ 2%~10%, YoY 6%~14% 증가한 수치. 4Q24 실적은 Dimensity 9400 칩 수요로 고성장했다고 밝힘.현재 ASIC 사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AI 가속기 ASIC 사업이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Q25는 중국의 스마트폰 보조금과 글로벌 관세 불확실성이 고객들의 선주문 촉진을 예상
https://han.gl/Z9bxm (Digitimes, 2.8)

(AR/VR) 샤오미, AI 안경 상반기 출시 임박… 4월 공개 전망
- 샤오미가 올해 상반기 AI 안경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7일 현지 매체들이 보도함. 샤오미는 전날 웨이보에 ‘샤오미 안경’ 공식 계정을 개설. 이 제품은 4월 발표될 것으로 전망됨. 중국 증권시보는 해당 제품이 이미 네트워크 진입 허가를 획득했으며 조만간 공개될 것이라고 전함. 딥시크로 인해 AI와 AR를 결합한 제품들의 경쟁은 심화될 것
https://han.gl/nMRMr (조선비즈, 2.7)

(AI) 딥시크 충격에도···빅테크, AI 인프라 구축에 돈 더 쓴다
- 아마존, MS, 알파벳, 메타 4개 기업이 밝힌 올해 자본 지출 예정 규모는 총 3,200억달러(약 465조원) 수준. 지난해 총자본 지출액보다 30% 증가. 대부분 AI 인프라 구축에 사용될 예정. 테크크런치는 증류 기법의 한계를 지적하며 현재 빅테크 수준의 투자는 여전히 AI 혁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데 필요할 수 있다고 전함
https://han.gl/CITGV (경향신문, 2.9)

■ 디스플레이

(UTG) 中렌즈 테크놀러지, 애플 폴더블 UTG 퍼스트벤더 유력
- 중국의 렌즈테크가 애플 폴더블 UTG의 퍼스트 벤더가 되는 게 유력한 것으로 7일 파악됨. 렌즈테크의 폴더블 관련 기술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파악됨. UTG 유리원장은 코닝이 공급할 것으로 예상됨. 렌즈테크는 애플 폴더블 제품 UTG 물량의 70% 전후를 공급. 세컨드 벤더는 한국의 유티아이, 도우인시스가 거론됨
https://han.gl/uwyo9 (The Elec, 2.7)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7 Feb, 00:34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전자, 로보티즈서 실외로봇 40대 도입

-LG전자가 조만간 로보티즈의 실외 자율주행로봇을 도입할 예정

-초도 물량은 약 40대, 대당 3,000만원 수준으로, 수주금액은 12억원이 넘을 전망

-LG전자는 이번 납품으로 자사의 배송로봇 사업 분야를 실내에서 실외로 확장할 계획

-양산과 납품 규격뿐 아니라 인증 등 테스트도 모두 마침

-LG전자는 로보티즈 지분 7.5%를 보유한 2대 주주로, 그동안 양사는 이동 로봇의 핵심인 자율주행모듈 개발 등에 협력해왔음

-현재 국내에서 실외 자율주행로봇의 상용화·양산 체계를 구축한 기업은 로보티즈가 유일. LG전자 외 서울 양산구청과도 약 20대 물량의 공급계약을 맺음

-로보티즈의 일개미 로봇은 실외에서 물품 배송 서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제품 단가는 옵션에 따라 2,500~3,000만원 수준으로 책정

-LG전자는 현재 AI 로봇과 로봇 관제 솔루션을 통해 배송·물류 등 B2B 분야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음

-LG전자 관계자는 로보티즈와 실외용 로봇 사업에 대한 협업을 진행 중이라고 언급

출처: Dealsite(https://han.gl/QP5De)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Feb, 23:50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자가 쏘아올린 유리기판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진출 모색.유리기판 사업이 중요해지고 있음
-최근 삼성전자가 여러 소부장 업체와 직접 미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유리 기판 사업 진출 가능성이 시사. 계열사 내 생산 또는 외주 생산이 검토될 가능성이 있는데, 계열사 간 이해 상충을 고려해 글라스 패키징은 삼성전기, 글라스 인터포저는 삼성전자가 맡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

■PLP 사업 인수 이후 유리기판 포함 차세대 패키지 확보에 집중
-삼성전자는 PLP 사업 인수 이후 유리기판 포함 차세대 패키지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삼성전기는 2019년 4월 PLP 사업을 7,850억 원에 삼성전자에 양도. 이는 인력, 영업권 포함 모든 사업 부문이 이전되는 영업양수도 방식이었음. 이후 최첨단 패키징 기술 개발을 지속해왔으며 유리기판 사업 투자 가능성도 높아짐

■유리기판, 차세대 기판으로 부각은 지속
-최근 버틀넥은 동 도금이 용이한 유기 기판과 달리 유리 기판은 물성이 매끄러워 동 도금이 어렵다는 점으로 판단. 이를 해결하기 위해 Ti/CU Seed Layer 증착 → 전해 도금 등의 공정이 필요하나 균일한 도금 품질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 이에 대한 해결책이 유리 기판의 사업성 시기를 단축시켜줄 것으로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han.gl/JQspn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Feb, 22:1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7(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MLCC) 무라타, AI 서버 관련 MLCC 수요가 두 배로 증가하여 2025년에 시장 회복을 촉발할 것으로 예측

- 무라타의 4Q24 영업이익은 QoQ 기준 17.2% 감소. 스마트폰과 커패시터 리튬이온 배터리의 판매 부진 때문. 그러나 2Q24~4Q24 실적은 YoY +8.9% 기록하며 3년만에 이익 반등. 이는 주로 AI 서버 효과. 4분기 수주액은 4,493억 엔으로 3분기 수준을 넘어섰고, 지속적인 사업 모멘텀을 예고. 1Q25 MLCC 생산량 확대할 계획. 향후 수요가 명확해졌다고 판단
https://han.gl/zrJ9Z (Digitimes, 2.6)

(PCB)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
- “삼성전자가 유리기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자체적인 공급망을 물색 중이며 이미 기술 논의는 시작됨. DS 사업부 내 첨단 패키징 관련 인력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됨.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개발 추진이 확인된 건 처음. 우선 반도체 패키징에 활용되는 인터포저 기판을 유리로 대체할 계획
https://han.gl/PQVtB (전자신문, 2.6)

(MLCC) 2025년 MLCC 붐으로 Yageo와 Walsin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됩니다
- 무라타는 25년 AI 서버 강세로 MLCC 수요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는 수동 부품 업계의 수혜로 이어질 것. Yageo는 2024년 매출이 YoY 13.1% 증가, Walsin은 YoY +5.9% 증가. 2025년을 내다보면, Yageo와 Walsin 모두 AI 서버와 AI PC가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 AI 서버의 평균 MLCC 수량은 기존 서버의 약 8배에 달함
https://han.gl/MLUGD (Digitimes, 2.6)

(PC) 2024년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9% 증가

- 2024년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은 1억 4,760만 대로 YoY 9.2% 증가. 북미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의 최저치에서 회복세를 보임. 2024년, 중국 업체들이 특히 태블릿 시장에서 강력한 성과. 그럼에도 애플은 4Q24 1,690만대를 출하, YoY 5.3% 성장하면서 선두 지위를 유지
https://han.gl/P0i9l (Canalys, 2.6)

(로봇) 전세계 로봇시장 2026년 107조… 팹리스 반도체 기업들 "로봇용 반도체 진출"[글로벌 파운드리 경쟁 격화]

- 팹리스 반도체 기업들이 로봇 사업진출 확대로 전략을 제시. 넥스트칩은 최근 로봇사업부를 출범. 자율주행 기능을 접목한 서비스 로봇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상용화할 방침. 픽셀플러스는 모바일과 보안, 자동차에 이어 로봇 분야로 이미지센서 적용 범위 확대를 추진. 텔레칩스는 로봇용 반도체 사업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관련 R&D 진행
https://han.gl/0U1VY (파이낸셜 뉴스, 2.6)

■ 디스플레이

(특허) 삼성D·BOE 美 특허분쟁 내달 결론…中 추격 제동 걸릴까
- ITC는 3월 17일 BOE의 SDC의 OLED 특허 침해 여부 등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 앞서 ITC는 지난해 11월 BOE가 삼성디스플레이 특허 3건을, 미국 수입·도매업체는 삼성디스플레이 특허 4건을 무단 사용했다고 판단하며 특허 침해를 예비결정. 이 결정이 바뀔 가능성은 낮다고 봄
https://han.gl/IRL4R (이데일리, 2.6)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5 Feb, 22:1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6(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규제) 중국, 애플의 정책과 앱스토어 수수료에 대한 조사 고려
- 중국의 시장 규제 국가 행정기관은 애플의 정책, 즉 앱 내 구매에 대한 최대 30% 수수료와 외부 결제 서비스 및 앱 스토어에 대한 제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또한 중국은 구글, 엔비디아에 이어 인텔의 반독점 조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h3c4P,
https://han.gl/2C976 (Reuters, Digitimes, 2.5)

(양산) 애플 M5 양산 개시…'신공정으로 AI 성능 업그레이드'
- 애플이 지난달부터 M5 칩 패키징을 시작함. 초도 생산 제품은 M5 일반 모델로 알려짐. 애플 M5 칩 패키징은 대만 ASE, 미국 앰코, 중국 JCET이 담당. M5 양산 물량 확대를 위한 장비 등 발주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음. 기판 제조는 대만 유니마이크론과 삼성전기가 맡아, 램프업 일정에 맞춰 기판 양산이 가능하도록 설비 투자가 진행됨
https://han.gl/1BZRY (전자신문, 2.5)

(로봇) 레인보우 '로봇개' 삼성전자 현장 투입...로봇사업 시너지 노린다
- 삼성전자는 삼성리서치아메리카에 레인보우로보틱스 사족보행로봇을 도입한 것으로 파악됨.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개가 삼성에 도입된 건 처음. SRA에서 쓰던 기존 로봇개도 이번에 레인보우 로봇으로 교체됨. 삼성의 레인보우 로봇개 확대 적용과 본격적인 양사 협업이 주목됨
https://han.gl/wSFYC (전자신문, 2.5)

(구독) AI 구독 생태계 확장 나선 삼성…구독클럽에 PC·태블릿 추가
- 삼성전자는 기존 TV·가전 제품 중심의 ‘AI 구독클럽’에 PC와 태블릿 제품을 추가한다고 5일 밝힘. PC의 경우, 요금제에 따라 16개 모델, 51개 모델 대상으로 나뉨. 태블릿의 경우에도 요금제에 따라 28개, 60개 모델 대상으로 나뉨. 삼성전자는 2분기 출시 예정인 AI 집사 로봇 ‘볼리’도 구독 서비스 대상에 포함시킬 계획
https://han.gl/7ngCj (매일경제, 2.5)

(로봇) 아마존 로봇, 2030년까지 연간 100억달러 절감 기대
- 2030년까지 미국 내 아마존 주문의 30-40%가 로봇 기반 차세대 물류 센터를 통해 처리되면 연간 최대 100억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현재 아마존 물류 과정 전반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봇은 75만 대 이상. 아마존은 24년 9월 슈리브포트에 최첨단 로봇을 모두 통합한 차세대 물류 센터를 개설. 아마존은 이 창고에서 물류비용 25% 절감 기대. 다만 시간은 걸림
https://han.gl/bdo2s (디지털투데이, 2.5)

■ 디스플레이

(전망)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IT 패널 가격이 상승 전망
- LCD 모니터 패널 가격은 1월에 안정화되었고, 2월에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 24년 말 미국의 관세 인상 예상에 따른 노트북 업체들의 패널 조달을 강화 기조는 1Q25에도 계속될 것으로 봄. 현재 노트북 패널 시장의 수급은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1Q25 팹 가동률 80~85% 예상
https://han.gl/OzU2T (Digitimes, 2.5)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5 Feb, 00:21


2025.02.05 09:18:45
기업명: 이녹스첨단소재(시가총액: 5,664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1,042억(예상치 : 927억)
영업익 : 250억(예상치 : 145억)
순이익 : 261억(예상치 : 12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1,042억/ 250억/ 261억
2024.3Q 1,007억/ 184억/ 82억
2024.2Q 1,157억/ 276억/ 186억
2024.1Q 1,022억/ 158억/ 149억
2023.4Q 836억/ 21억/ -38억

* 변동요인
고객사의 OLED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및 이익 상승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590008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229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4 Feb, 23:57


삼성전기, 자율주행 핵심장치 라이다용 MLCC 세계 최초 개발

삼성전기는 자동차 자율주행을 위한 초소형 고전압 MLCC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삼성전기는 자율주행의 핵심 장치인 라이다(LiDAR) 시스템에 탑재되는 MLCC를 개발하고, 고성능 전장용 시장 공략에 나선다.

MLCC는 전자제품의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부품으로 스마트폰, PC, IT기기, 가전제품, 자동차, 5G, IoT 관련 제품에 두루 사용된다. 자동차에는 동력전달, 안전, 주행, 인포테인먼트 등에 최소 3000~1만개의 MLCC가 탑재된다.

이번에 삼성전기가 개발한 MLCC는 1005크기(가로 1.0mm, 세로 0.5mm)의 2.2uF(마이크로패럿) 용량, 10V(볼트) 고전압을 가진 제품이다. 고전압을 기존 6.3V 대비 약 60% 높여 동일 규격에서 세계 최초로 전장제품 필수 신뢰성 규격인 AEC-Q200인증을 받았다.

AEC-Q200는 자동차 메이커와 미국의 전자 부품 메이커로 구성된 단체(AEC: Automotive Electronics Council)에서 제정한 자동차기기용 전자 부품 신뢰성 규격으로, Q200은 특히 수동 부품에 특화된 규격을 말한다.

https://naver.me/FbO4TWuG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4 Feb, 22:0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5(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AI) 이재용·손정의·올트먼 한자리에… “韓·美·日 주축 AI ‘드림팀’ 뭉쳤다”
- 이재용 회장, 샘 올트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한 자리에 모여 AI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에 대해서 논의. 이 자리에서 올트먼 CEO와 손 회장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삼성전자의 투자를 요청하며 모바일, AI 반도체 기술 협력과 생산 등의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추정됨. 향후에도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함
https://han.gl/5lK6F (조선비즈, 2.4)

(스마트폰) Omdia: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업계 회복세 속에서 2024년 7.1% 성장으로 반등
- 애플은 2년 연속 삼성을 제치고 출하량 1위를 차지. 24년 한해 동안 애플은 2억 2,59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 이는 YoY 1.4% 감소한 수치. 4분기에는 아이폰 16 시리즈가 이전 모델보다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전체 판매량은 전년비 감소. 글로벌 스마트폰의 2025년 출하량은 2024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2023년의 최저치로 다시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https://han.gl/HpMaL (Omdia, 2.4)

(로봇) 삼성, 휴머노이드 개발 본격화…레인보우와 TF 가동

-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본격화를 위해 최근 사무실을 임대하고 이달부터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협력 근무에 나섬. 50여명의 특별 조직을 꾸린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7IwqW (ZDNet, 2.4)

(스마트폰) AI폰 열풍 타고 130만대 갤S25, 사전판매 신기록
- 갤럭시S25 시리즈가 국내 사전 판매량 130만대를 기록(S24시리즈는 121만대). 이 중 갤럭시S25 울트라 비중이 52%로 가장 컸음. 삼성은 삼성닷컴에서 갤럭시S25 시리즈를 사전 구매한 소비자 가운데 약 30%는 '뉴 갤럭시 AI 구독클럽'에 가입했다고 전함
https://han.gl/WY1Sa (매일경제, 2.4)

(관세) 중국의 무역 전쟁 보복: 구글에 대한 독점 금지 조사; 특정 미국 수입품에 최대 15%의 관세 부과
- 2월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은 4일 구글에 대한 독점 금지 조사를 시작하고 미국산 제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함, 중국은 2월 10일부터 미국에서 수입되는 특정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 대상 예상 품목은 LNG, 원유, 농기계 등 다양함
https://han.gl/L1eoV (Trendforce, `.4)

■ 디스플레이

(전망) “스마트폰·TV 가격 또 오르나” 트럼프 관세 직격탄 현실
- Counterpoint에 따르면, 미국 ITC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국에 수입되는 디스플레이 관련 중국산 완제품의 80%가 관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 단기적으로는 유럽과 동남아시아에서 생산 물량을 늘려 대응하더라도, 관세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TV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담
https://han.gl/GyRKt (이데일리, 2.4)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Feb, 2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4(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애플, 중국 아이폰에 '딥시크' 탑재할까
- Phonearena는 애플이 중국에서 딥시크 적용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 중국 아이폰에 딥시크를 적용할 경우 중국 정부의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 현재 애플은 딥시크를 애플 기기에 통합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https://han.gl/X13cH (ZDNet, 2.3)

(가전) 英 BBC “트럼프 1기 '한 세탁기 관세' 결국 美소비자 부담”
- BBC는 트럼프 대통령이 2017∼2020년에 부과한 관세는 최종적으로 미국 소비자 부담으로 돌아갔다고 지적.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수입 세탁기에 50% 관세를 부과하자 세탁기 가격은 12% 상승. BBC는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도 경제적 부담을 져야 하는 대상이 달라질 이유는 없다고 진단
https://han.gl/VB7y2 (전자신문, 2.3)

(개발) 오픈AI, AI 전용 단말기 만든다··· 넥스트 아이폰 나오나?
- 오픈AI는 생성형 AI 전용 단말기 개발에 착수함. AI 전용 컴퓨팅 하드웨어 개발 계획을 공식화한 것은 처음임. 음성이 사용자 UI 수단이 될 것이라고 밝힘. 오픈AI는 단말기 시제품 공개까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함. 다만 NPU와 칩렛의 개발이 전무한 오픈AI가 제 시간에 칩 개발할 수 있을지 의문은 많음
https://han.gl/aBKPW (The Elec, 2.3)

(스마트폰) 2024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2025년 난관을 대비하는 업체들로 인해 7% 급증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024년에 7% 성장하여, 12억 2천만 대에 달하며,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인 후 반등. 시장의 프리미엄화 추세 지속. 신흥 시장은 2024년 업계의 성장 동력이었지만, 일부 시장이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서 성장이 둔화되고 있음. 애플의 경우, 16형 프로와 프로 맥스의 출하량은 2023년 15형 프로와 프로 맥스보다 11% 더 많은 5,500만 대를 기록함
https://han.gl/w8j0R (Canalys, 2.3)

(폴더블) 2번 접는 삼성폰, 갤Z폴드 아닌 '갤G폴드'로 오나
- IT팁스터 란즈크는 삼성전자가 자사 트리폴드폰을 '갤럭시 G 폴드'로 명명할 것이라고 밝힘. 갤럭시 G 폴드의 메인 스크린 너비는9.96인치, 무게는 약 298g으로 예상됨. 태블릿PC에 준하는 넓은 화면이 적용. 출고가는 2,500~3,000달러(약 366만~440만원)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고 있음(메이트XT는 400만원 수준). 출하량은 올 3분기 20만대 예상
https://han.gl/zsyvx (뉴시스, 2.3)

■ 디스플레이

(전망) 2025년 1분기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팹 가동률 증가
- 4Q24 팹 가동률 둔화는 예상보다 일찍 끝났고, 11월부터 가동률이 증가. 1Q25 가동률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 11월과 12월의 투입량 증가 속도에 근접할 것으로 보임. TV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며, 스마트폰 시장의 일반적인 계절적 둔화 현상은 올해는 약한 것으로 판단. 1Q25 LCD, OLED 팹 가동률 모두 전년비 상승할 것
https://han.gl/zqqow (DSCC, 2.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2 Feb, 22:0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3(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 2024년 4분기 전년 대비 3% 감소, 300달러 미만 제품이 하락세 견인

- 4Q24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저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인해 YoY 3% 감소. 반면, 프리미엄화 추세로 600달러 이상 스마트폰 판매량은 YoY 4% 증가함. iPhone 16 시리즈의 판매량은 출시일로부터 판매 첫해 말까지 iPhone 15 대비 1% 증가함. 통신사들은 2025년 매출 성장에 대해 다소 낙관적. 이는 가입자들이 계약 기간을 지나면서 그리고 교체 주기가 2024년에 정점을 찍은 이후, 기기 판매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https://han.gl/60d9p (Counterpoint, 1.31)

(로봇) "대당 2300만원, 테슬라 반값"…중국발 '2차 충격' 온다
- 업계에 따르면 로봇 산업이 ‘딥시크 모먼트’에 다가가고 있음. 유니트리가 최근 출시한 휴머노이드 로봇 G1의 가격은 1.6만 달러로 테슬라의 중장기 옵티머스 목표 가격 보다 20~50%가량 저렴. 가정용 로봇 또한 1,600달러로, PC 가격에 근접. 유니트리의 사례는 AI로봇이 예상보다 일찍 일상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증거로 꼽힘
https://han.gl/Xj5wG (한국경제, 2.1)

(폴더블) "애플,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사 선정 임박"
- 애플이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공급사를 아직 최종 결정하지 않았으나 2월 말~ 4월 초까지 결정할 가능성이 높음. 애플이 기존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와 크기, 경도, R 수치를 유지하면서 외부 충격과 보호 주름이 더 개선된 기술요구조건을 여전히 고수 중이라고 언급
https://han.gl/7iUwo (ZDNet, 2.1)

(AR/VR) 저커버그 "'스마트안경' 올 500만대 판매 목표"
- 메타가 2025년 '스마트 안경' 판매 확대에 주력할 계획. 메타의 스마트 안경 판매가 연간 100만대를 넘었을 것이라는 예상은 나왔으나 이를 공식 확인. 저커버그는 올해 200만대 판매를 예상하면서 목표치는 500만대로 설정함. 스마트 안경은 미국에서 약 48만원에 판매 중으로, 단순 계산 시 약 4,800억원 수준임
https://han.gl/SNsOI (매일경제, 2.2)

(가전)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 1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함. 삼성전자는 미국 세탁기 공장에서 건조기를 추가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LG전자는 미국 내 생산량을 확대하거나 유럽, 베트남에서 생산량을 늘려 북미로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임. 당장 추가 관세로 인한 현지 소비자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미결정 상태임
https://han.gl/aZbRy (전자신문, 2.2)

■ 디스플레이

(OLED) 비전옥스, 8.6세대 OLED 장비 입찰 시작…증착기 3월 결정할 듯
- 차이나비딩에 따르면 비전옥스는 이온 도핑 장비 입찰 공고를 게시. 비전옥스가 8.6세대 OLED 관련 장비를 발주 낸 건 처음. 증착기는 3월께 윤곽이 잡힐 전망. 비전옥스가 지방정부로부터 80%의 투자 자금을 지원받고 있어 설비를 결정해야 하는 기한이 정해져 있는 것으로 파악됨
https://han.gl/s3t0M (전자신문, 2.2)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1 Jan, 07:23


2025.01.31 16:13:27
기업명: 대덕전자(시가총액: 9,142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2,064억(예상치 : 2,167억)
영업익 : -60억(예상치 : 55억)
순이익 : 43억(예상치 : 5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064억/ -60억/ 43억
2024.3Q 2,327억/ 92억/ 52억
2024.2Q 2,382억/ 109억/ 122억
2024.1Q 2,148억/ -29억/ 20억
2023.4Q 2,344억/ 64억/ 61억

* 변동요인
- 반도체 시장 수요의 약세로 수익 감소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3180054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5320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1 Jan, 01:45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기(009150/매수) - 거를 타선이 없다

■4Q24 리뷰: 계절적인 재고 조정
-4Q24 실적은 매출액 2.47조 원(+7.3% YoY), 영업이익 1,150억 원(+4.2%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10%, -42%를 기록. 이는 MLCC 계절적 재고 조정에 따른 것. IT 수요 둔화에도, 전장, 산업용 MLCC와 같은 고부가 제품 비중 증가로 구조적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MLCC 재고도 4~5주로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 유지. AI 수혜에 주목해야 할 시기

■1Q25 프리뷰: AI 수혜로 증익 사이클 진입. 중국 보조금 정책 수혜도 기대
-1Q25 실적은 매출액 2.7조 원(+7.3% YoY), 영업이익 1,996억 원(+10.7% YoY, OPM 8%)으로 전망됨. 동사의 가동률은 1Q25부터 단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이는 AI 디바이스의 MLCC 탑재량 증가와 중국 이구환신 정책 효과로 인해 본격적인 증익 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임. 산업용(AI 서버, 파워) MLCC 비중은 4Q24 15%에서 1Q25 18%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보조금 정책으로, 중국 내수 시장 판매 개선과 세트 업체들의 선제적인 부품 재고 축적이 기대됨

■목표 주가 유지
-Top Pick 및 목표주가 200,000원 유지. 4분기 실적 아쉬우나 25년은 매분기 실적 개선 전망. MLCC 가동률은 1Q25 83% → 2Q25 86% → 3Q25 90%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또한 패키지 사업부에서는 Asic 기판 글로벌 고객사 유치가 기대됨

보고서 원문: https://han.gl/NJ3PM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1 Jan, 01:20


[Apple 1Q25 Earnings Call 주요 내용]

◆ 1Q25 실적 및 2025년 가이던스 요약

매출액: $124.3B (+4% YoY)
EPS: $2.40 (+10% YoY)
서비스 매출: $26.3B (+14% YoY)
활성 기기 수: 2.35B+ (역대 최고)

제품별 매출:
iPhone: $69.1B (전년과 유사, 주요 시장에서 성장)
Mac: $9.0B (+16% YoY, AI PC 성장 기대)
iPad: $8.1B (+15% YoY, 신제품 효과)
웨어러블, 홈, 액세서리: $11.7B (-2% YoY, Watch Ultra 2 출시 효과 비교)

◆ 발표/Q&A 중 주요 내용 정리

Apple Intelligence(AI) 도입 효과: AI 지원 시장에서 iPhone 16 판매가 비지원 시장보다 강세. 4월부터 추가 언어 지원 예정.
중국 시장: 매출 -11% YoY, 절반 이상이 채널 재고 조정 영향. 국가 차원의 소비 촉진 정책이 발표되었으나, 1Q25에는 반영되지 않음.

서비스 부문 성장: 10억 개 이상의 유료 구독 계정 보유, Apple TV+ 포함 모든 서비스 성장 지속.

Mac & iPad 판매 증가: Mac +16%, iPad +15% YoY로 성장. AI PC로서 Mac의 성장 가능성 언급.

Emerging Market 성장: 인도 iPhone 판매 1위, 4개 매장 추가 오픈 예정. 신흥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

주주환원: $30B+ 환원, 배당 $0.25/주 (2월 15일 지급). $23.3B 자사주 매입.

◆ 경영진 발표

[CEO - 팀 쿡 (Tim Cook)]
iPhone 16 AI 지원 시장에서 성과 우수. AI 기능 사용 증가.
Mac 및 iPad 시장 성장 지속.
신흥 시장(특히 인도)에서 성장 강세, 추가 매장 오픈 예정.
AI 및 Apple Intelligence가 차세대 혁신을 주도할 것.

[CFO - Kevan Parekh]
제품 매출 $98B (+2% YoY), 서비스 매출 $26.3B (+14% YoY).
총 마진율 46.9%, 제품 마진 39.3%, 서비스 마진 75%.
2Q25 매출 성장률은 한 자릿수 증가 전망, 서비스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 예상.

◆ 질의응답 (Q&A)

1. Apple Intelligence(AI) 영향
Q: AI가 iPhone 16 판매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A: AI 지원 시장에서 iPhone 16 판매가 더 강력했으며, 주요 기능(Genmoji, Siri 개선, Visual Intelligence 등)의 사용률이 높음.

2. 중국 시장 감소 원인
Q: 중국 시장 매출이 감소한 원인은?
A: 매출 -11% YoY, 절반 이상이 채널 재고 조정 영향. 국가 차원의 소비 촉진 정책이 발표되었지만 1Q25에는 반영되지 않음.

3. AI PC 시장과 Mac의 역할
Q: Mac이 AI PC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나?
A: Mac 매출 +16% YoY, M4 칩과 AI 활용으로 강력한 경쟁력 보유. AI PC 시장 성장 기대.

4. Emerging Market 전략
Q: 인도 및 신흥 시장에서의 성과와 전략은?
A: 인도 iPhone 판매 1위, 4개 매장 추가 오픈 예정. 신흥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

5. 주주환원 정책
Q: 향후 주주환원 계획은?
A: 1Q25 동안 $30B+ 환원. 배당 $0.25/주, $23.3B 자사주 매입.

6. iPhone 교체 주기와 판매 전망
Q: iPhone 교체 주기와 판매량 증가 전망?
A: iPhone 16이 15보다 더 좋은 성과를 기록. AI 도입 시장에서 성과가 두드러짐.

7. 향후 서비스 매출 성장 가능성
Q: 서비스 부문의 매출과 마진 향후 전망?
A: 1Q25 서비스 매출 +14% YoY, 구독자 증가 지속. 마진율 75%, 향후 지속적 성장 기대.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1 Jan, 00:00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AMD가 2028년 고성능컴퓨팅(HPC)용 반도체에 유리기판을 적용한다. 고가의 미세 회로 기판인 '실리콘 인터포저'를 대체하려는 목적으로, 내년 시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개화를 알리는 신호탄일 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AMD는 2026년 반도체 유리기판 시생산(파일럿), 2028년 제품 적용이라는 기술 로드맵을 수립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도체 업계에서 차세대 기판으로 꼽히는 유리기판 로드맵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AMD 사정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AMD가 빠르게 반도체 유리기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을 구축하고 현재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며 “내년 시생산 성과를 확인한 후 대량 생산체제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AMD는 말레이시아에 반도체 시생산 및 양산 거점을 두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접 라인을 구축하지 않고 패키징 협력사를 통해 위탁 생산할 예정이다. 이 패키징 협력사는 현재 국내외 주요 소부장 업계와 라인 조성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79826?sid=105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0 Jan, 22:15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 박준서

Apple 1Q25 공시 주요내용

※ 컨콜은 한국시각 31일(금) 07:00~

※ 1Q25 실적 요약

매출액: 1,243억 달러(+4% YoY)
컨센서스 1,250억 달러 대비 0.6% 하회

조정EPS: 2.40달러(+10% YoY)
컨센서스 2.36달러 대비 1.7% 상회

※ 제품별 매출 세부사항

iPhone 691.4억 달러(-0.8% YoY)
Service 263.4억 달러(+13.9% YoY)
iPad 89.9억 달러(+28.0% YoY)
Mac 80.9억 달러(+4.0% YoY)
Wearables 117.5억 달러(-1.7% YoY)

※ CEO 주주서한
1Q25 역대 최고 매출 및 EPS 달성
서비스 부문 사상 최대 매출 기록
활성화기기 수 전 제품/지역에서 사상 최고치 달성

※ 주주환원
분기 배당금 주당 0.25달러 선언
(2월 10일 기준 주주 대상, 2월 13일 지급 예정)

※ 2Q25F 컨센서스
매출액 +4% YoY
EPS +8% YoY 증가한 2.35달러로 전망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0 Jan, 22:0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1. 31(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실적)애플, 아이폰 매출 부족한 상황에서도 이익 목표치 상회
-
애플의 FY1Q25 매출액은 1,243억 달러로 월가의 목표치인 1,241.2억 달러를 소폭 상회, 주당 순이익은 2.40달러로 컨센 2.35달러 대비 상회하는 실적 기록. 아이폰 판매는 부진했으나 맥과 아이패드 판매가 기대치를 초과하여 아이폰 판매 감소를 상쇄. 서비스 사업이 13.9% 성장하여 컨센을 상회한 것으로 판단됨
https://han.gl/Ksqlc
(Reuters, 1.31)

(스마트폰) 2024년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1.5% 증가
- 24년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 브랜드 별로 실적 성장 차이가 커짐. 화웨이는 전년 대비 36%, 샤오미가 10%, 비보가 6%의 성장률을 기록. 반면, 애플은 전년 대비 13%, OPPO는 9%, HONOR는 3% 하락. 2025년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신중한 낙관 유지
https://han.gl/yrmMV (Counterpoint, 1.27)

(PCB)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 AMD는 2026년 반도체 유리기판 시생산(파일럿), 2028년 제품 적용이라는 기술 로드맵을 수립한 것으로 파악됨. 동사는 빠르게 반도체 유리기판 소부장 공급망을 구축하고 현재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이고 내년 시생산 성과를 확인한 후 대량 생산체제를 갖출 예정. AMD는 반도체 칩 인터포저에 유리기판을 첫 적용할 계획
https://han.gl/FWUZB (전자신문, 1.30)

(AI) 마크 저커버그 “딥시크 영향 말하기 일러… 대규모 AI 투자 지속”
- 마크 저커버그는 딥시크가 AI 관련 인프라와 자본지출 동향에 어떤 의미가 될지와 관련해 강한 의견을 가지기에는 너무 이른 단계라는 입장을 보임.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할 의지를 드러냈으며 올해 AI 인프라 구축에 600억∼6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 MS 또한 현재 회계연도에 AI에 800억 달러를 할당함
https://han.gl/2XDRR,
https://han.gl/L4Pj4 (Reuters, 조선비즈, 1.30)

(가전) 美, 현지 생산 늘리고 제품 변별력 낮추고…韓 가전 불확실성 고조
- 미국국제무역위원회는 트럼프1기의 세이프가드 조치로 미국 업계의 생산, 규모,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지만 결과적으로 가장 큰 수혜자는 미국 기업이 아닌 삼성전자와 LG전자라고 분석.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현지 생산에 더해 일부 가전 에너지 효율 규제 철회 또한 예고하고 있어, 고효율 에너지 가전제품 분야 선두 기업인 양사의 불확실성이 고조됨. 양사 모두 이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표함
https://han.gl/ZttPx (전자신문, 1.30)

(스마트폰) "애플, 아이폰 SE 4 3월 출시"
- 9To5Mac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 SE 4'를 3월 중 공개할 예정. 아이폰 16에 탑재된 칩셋 A18을 사용하며 AI 인텔리전스 지원, 48MP 카메라 탑재. 또한 애플이 자체적으로 설계한 5G 모뎀을 최초로 선보임. 아이폰16과 유사한 기능에도, 아이폰 SE 4의 출고가는 아이폰 16 대비 300달러 가량 저렴한 499달러로 책정됨
https://han.gl/lZmOb (디지털타임스, 1.30)

■ 디스플레이

(폴더블) 세경하이테크-삼성D, 폴더블 패널 보호필름·내충격층 특허 공동 출원
- 세경하이테크와 SDC가 폴더블 패널에 사용할 수 있는 보호필름·내충격층 특허를 공동 출원함. 두 업체의 특허 공동 출원은 이번이 처음. 이 기술은 폴더블 패널에 적용 가능하며, 해당 특허는 보호필름과 내충격층, 차광층을 포함. 현재 폴더블 패널 부품 협력사는 애플 폴더블 부품 공급망 진입 또는 주도권 확보를 노리고 있음
https://han.gl/I1Fg9 (The Elec, 1.30)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4 Jan, 05:37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기 4Q24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

■4Q24 실적
-매출액:2조 4,923억원(YoY +8%, 컨센 2조 3,537억원)
-영업이익: 1,150억원(YoY +0.8%, 컨센 1,408억원)
-순이익: 2,084억원(YoY +380%, 컨센 784억원)

■4Q24 사업부별 실적
-컴포넌트: 1조 818억원(YoY +11%, QoQ -10%)
-패키지: 5,493억원(YoY +24%, QoQ -2%)
-광학: 8,612억원(YoY -2%, QoQ +0.1%)

■사업부별 4Q24 리뷰 및 2025년 전망
-컴포넌트 사업부
: 연말 고객사 재고조정으로 IT/산업용 매출 감소
: 전장용은 견조한 수요로 매출 성장 지속
- 25년 전망: 산업/전장용은 AI 서버 및 xEV/ADAS 위주로 고성장 지속, IT용은 스마트폰, PC의 저전력 · 고효율화 추세 대응

-패키지솔루션 사업부 :
: BGA는 연말 스마트폰 재고조정에 따른 수요 약세로 매출 감소
: FCBGA는 High-end 기판 수요 확대로 매출 증가
- 25년 전망: 스마트폰/PC용 등 일부 응용처 관련 수요 개선이 예상되며, AI/서버향 고부가 패키지기판의 고성장세 지속 전망

-광학솔루션 사업부:
: IT용은 국내외 거래선향 신규 플래그십용 고성능 카메라모듈 적기 공급으로 매출 성장
: 플래그십 스마트폰 차별화를 위한 카메라 고성능화 요구 지속, 전장용 카메라 모듈도 지속 성장 예상
- 25년 전망: 플래그십 스마트폰 차별화를 위한 카메라 고성능화 요구 지속, 운전자 모니터링 강화 등 자율주행 고도화로 전장용 시장 지속 성장 전망

■시장 전망
- MLCC 시황 및 전망
4분기 MLCC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중국 광군제 행사 진행, 북미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연말 재고 조정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
-전장용 MLCC 수요는 지속 확대. AI 서버 관련 수요는 지속되었지만, 일반 스마트폰, PC 수요는 감소.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감소
-1Q25 전망
:전략 거래선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 AI 서버 수요 성장하면서 QoQ 비슷할 것
:IT용 MLCC 수요는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예상
중국 보조금으로 추가 수요 회복 기대
:산업용 MLCC는 AI 서버 수요 관련 호조 지속으로 QoQ 성장 예상전장용 MLCC는 완성차에 ADAS 확대 기조로 성장 지속

-기판 시황 및 전망
:4분기 BGA 수요는 스마트폰 고객사 재고 조정 & 메모리 재고 조정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
:FC-BGA는 서버 CPU,AI가속기, 전장 관련에 견조한 수요로 QoQ 소폭 증가
-1Q25 전망
:BGA 수요는 전략 거래선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모바일 AP, ARM CPU 용 기판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성장
:FC-BGA의 경우, AI 서버 꾸준한 확대로 AI 가속기, CPU용으로 수요 확대, PC는 계절적 수요 감소로 전분기 대비 감소 예상

-카메라모듈 시황 및 전망
4분기 중화권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로 3분기 수준 유지. 반면 전장용 카메라는 연말 재고 조정으로 QoQ 소폭 감소
-1Q25 전망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는 SLOW 예상. 그러나, 1) 플래그십, 2) 이구환신 보조금 효과로 당사 관련 카메라 모듈 수요는 증가 예상
:초박형 모델, 연속줌, 폴디드줌과 같은 고부가 제품을 위주로 확대할 것
:전장용 카메라는 24년말부터 자율주행향으로 확대되고 있음


Q&A
1. MLCC 4분기 출하량 & 재고 & ASP & 1분기 전망
- 전장용 MLCC는 전분기 대비 high single digit 수준으로 증가했으나, IT, 산업용 고객사 부진으로 MLCC 전체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감소, 재고는 소폭 증가
- Blended ASP는 소폭 상승
- 1Q25에는 전략 거래선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 AI 서버 수요 성장 지속으로, 전분기 대비 비슷한 수준 유지

2. AI가속기용 기판 현황 및 전망
- 글로벌 CSP 업체들은 AI용 자체 칩을 확대하는 추세, 이에 따른 AI 가속기 수요 확대 전망. AI 가속기용 기판은 기존 서버 CPU용과 동등한 수준의 어려운 기술 요구. 따라서 공급 업체 제한적. 동사는 기술 인정 받아 관련 매출 빠르게 늘고 있으며, 최근 다수의 메이저 고객사 신제품 개발에 참여 중으로 금년에는 AI 가속기용 매출 확대가 본격화될 전망임

3. 전기차 시장 부진에도, 24년 동사 전장용 MLCC 실적은 훨씬 견조했음. 가능했던 배경 및 전망
- 24년 ADAS용 고온, 고압, 고용량, 전제품 라인업 확대. 신규 거래선 추가 비딩 및 주력 거래선 점유율 확대로, 전년 대비 double digit 수준 성장의 매출 달성
- 25년 글로벌 업체들이 전장화 기능을 일반 차량까지 확대할 전망, EV 파워트레인 영역에도 대응하여 전장용 MLCC 매출 성장 추진. 해외 제조 경쟁력 강화도 진행할 것

4. 전장용 카메라 모듈도 의미있는 성장. 올해 전장용 카메라 모듈은 어떻게 보는지
- 24년 전장용 카메라 모듈 매출은 전년비 성장. 25년에도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법제화 등의 영향으로 전장용 카메라 모듈 수요 증가 예상

5. MLCC 사업의 전반적인 성장 & 전략
- 25년 MLCC 시장은 24년에 이어 성장세 지속 전망
IT- 중국 보조금 & Windows OS 교체로, 수요 증가 예상
산업- AI 서버 중심으로 시장 성장. 고객 요구 기종을 적기 개발하여 고온, 고용량 제품으로 대응
전장- 가장 큰 시장 성장 예상. 인포테인먼트, ADAS, EV 파워트레인용 고온, 고용량 제품 대응
결론적으로, 시장 성장을 초과하는 매출 성장을 지속해 나갈 것

6. 실리콘 커패시터가 가장 먼저 사업화될 가능성 높아 보임. 응용처별 프로모션 현황 & 향후 매출 전망
- 스마트폰 AP 및 AI 서버향 관련 전략 거래선, 글로벌 팹리스 고객사들 대상으로 판촉 활동 중으로 올해 안정적인 매출 성장 예상

7. 갤럭시S25 시리즈 출시되었고, 중화 신규 플래그십 모델 출시 예정. 고사양 카메라 공급 확대 계획
-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의 망원줌 성능 강화, 슬림화 지속 요구. 카메라 고사양화도 지속 전망. 카메라 모듈 렌즈, 엑추에이터 내재화 역량을 기반으로 플래그십 모델 요구 사항을 만족시켜 공급 확대 진행할 것

8. 서버용, ARM CPU용 기판. 24년 베트남 신공장 가동. 해당 부분에서 성장이 지속될지 & 전망
- 24년 베트남 생산 라인 본격 가동 & 고부가 기판 공급이 확대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두자릿수 성장함
- 25년 AI 서버, ARM CPU 등 당사가 집중하고 있는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추가 기술 개발 & 제조 경쟁력 확대 & 신규 거래선 확보로 성장 이어나갈 것

9. 기존 사업 내에서는 M/S 증가, 신성장 분야에서는 새로운 고객사 확보 측면에서 CAPEX 증가할 것 같음. 25년 CAPEX 전망
- 24년에는 스마트폰 등 주요 응용처 수요가 지연되면서 24년 초 예상했던 연간 CAPEX 대비 감축 . 25년에는 전장용 MLCC 해외 CAPA 증설, 차세대 기판 기술 확보 등 고객사 수요와 align한 대응으로 전년 대비 CAPEX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전장, AI 서버 등 고부가 중심으로 유연하게 투자

10. 24년 전사 매출액 10조 넘어섬. 전 사업부 고루 성장한 것 같음. 25년 1분기, 연간 전망
- 1분기 IT 세트 수요 계절적 약세에도 불구하고, 전략 거래선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 AI 서버 강세로, QoQ, YoY 실적 개선 가능할 것
- 25년에도 AI 서버 고성장세, PC, 스마트폰 등 AI 기능 확대, 자동차의 전장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고부가 제품 라인업 강화하여 고객사 다변화 및 AI ,전장 중심 사업을 고도화할 것. YoY 매출 성장 달성하도록 노력할 것임
- 실리콘 커패시터, 소형 전고치 전지 등 미래 신사업도 적기에 사업화
- 근본적인 원가 경쟁력 제고도 할 것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23:29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이노텍(011070/매수) - 탄탄한 기반 구축 중

■4Q24 프리뷰: 전방 수요 둔화, 환율 효과 제한적이나 일부 긍정적 영향
-4Q24 실적은 매출액 6.1조원(-19% YoY), 영업이익 2,644억원(-45%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4.1%, -18.2% 하회할 것으로 전망됨. 이는 1) 신모델 판매 둔화, 2) 경쟁 심화로 인한 Blended ASP 하락에 기인함. 동사는 현재 원가 절감과 수익성 방어를 위한 전략적 대응에 집중하고 있음

■탄탄한 내실 다지기 돌입
-동사는 ① 베트남 공장의 생산 능력 확대와 ② 2Q25 SE4 향 카메라 납품 개시를 통해 기존 M/S 방어에 주력. 베트남 생산 비중 확대, SE4를 기점으로 북미 고객사 판매량 개선 기대. 북미 고객사의 판매 부진으로 하드웨어 밸류체인 내 일부 기업들의 주가 조정이 진행되고 있으나, 동사는 시장 우려 대비 비용 절감과 신제품 효과를 통해 안정적인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

■목표 주가 하향 조정하나 하방 경직성에 주목
-목표주가를 230,000원(기존 280,000원)으로 하향 조정. 현재 주가는 5년 평균 P/E -1SD, P/B -2SD 구간에 위치. 북미 고객사 프리미엄을 제외해도 과도한 수준. 2Q25부터 북미 고객사 판매량 회복이 기대되는 만큼 선제적 비중 확대 권고

보고서 원문: https://han.gl/4vzOT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22:0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 10(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PC) 2024년 PC 시장, 소폭 성장하며 마감... 2025년 전망은 엇갈려
- 4Q24 글로벌 PC 출하량은 전년 대비 1.8% 증가하여 6,890만 대를 기록. 2024년 전체 출하량은 2억 6,270만 대로, 23년 대비 1% 증가함. 4분기에는 중국 보조금과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연말 행사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 25년은 여러 순풍과 역풍이 맞물려 있어 전망이 불확실
https://han.gl/0eBs1 (IDC, 1.9)

(규제) 바이든, NVIDIA AI 칩 수출 추가 제한 예정
- 바이든 행정부는 AI 칩 수출을 제한하는 추가 조치를 임기 종료 직전 마지막으로 시행할 계획임. 이 규정은 금요일에 발표될 수 있으며, 칩 거래 제한을 3단계로 나눌 것이라고 전함. 최상위 수준에서는 소수의 미국 동맹국이 미국 칩에 대한 접근을 사실상 제한 없이 유지. 한편, 적대국 그룹은 반도체 수입이 사실상 차단. 그리고 전 세계의 대다수는 한 국가에 공급할 수 있는 총 컴퓨팅 파워에 제한을 받게 될 것
https://han.gl/WkbT4 (Digitimes, 1.9)

(로봇, AI) Trendforce: 글로벌 로봇 LLM 시장, 2028년까지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 NVIDIA의 WFM 플랫폼이 성장을 주도할 것

- AI 훈련과 AIGC 솔루션을 포함한 로봇 공학 분야의 글로벌 LLM 시장은 25년부터 28년까지 CAGR 48.2%를 기록하며 28년에는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 TrendForce는 NVIDIA의 코스모스 플랫폼이 훈련 격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AI 대형 모델 시뮬레이션의 중요성을 강조. 이러한 발전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상용화하고 일상생활에 통합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
https://han.gl/s7AhM (Trendforce, 1.9)

(행사) [CES 2025] 조주완 LG전자 사장 “中 위협 대응해야… 구독 사업 3배 키운다”

- 조주완 CEO는 중국 기업들의 약진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책을 전함. 2030년 전체 매출에서 B2B가 차지하는 비중을 45%(24년: 35%)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같은 기간 LG전자는 구독 사업을 3배 이상 키우겠다는 목표 제시. 인도에서의 자신감도 표명함
https://han.gl/t9bRi (조선비즈, 1.9)

(반도체) Broadcom, 2nm 칩을 위해 Rapidus를 선택, 6월까지 샘플 제공 예정
- Rapidus는 2027년까지 2nm 칩의 대량 생산을 시작할 계획. Broadcom이 Rapidus의 2nm 칩의 고객이 될 것으로 예상됨. Rapidus는 6월까지 Broadcom에 2nm 칩 샘플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함. 또한 Rapidus가 2025년 4월에 2nm 칩의 시험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언급
https://han.gl/u7z3z (Trendforce, 1.9)

■ 디스플레이

(전망) 1분기 전세계 LCD 공장 가동률 70% 후반 기대

- 올해 1분기 전세계 LCD 공장 가동률이 70% 후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관세 부과에 대응해 현재 미국 유통업체들이 TV 재고를 비축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임. 1분기 전세계 LCD 공장 가동률 추정치 70% 후반은 전년 동기보다 높음
https://han.gl/PJ7io (The Elec, 1.9)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05:02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전고체 전지 내년부터 양산 돌입" [CES 2025]

삼성전기가 올해 소형 전고체 전지의 시제품을 공급하고 내년부터 양산에 돌입한다. 반도체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유리 기판은 오는 2027년 이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앙코르 호텔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미래(Mi-RAE) 신사업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Mi-RAE’ 신사업은 모빌리티(Mobility industry), 로봇(Robot), 인공지능(AI)·서버, 에너지(Energy) 분야다.

장 사장은 "전고체 전지는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와 용량 특성을 확보했다"며 "세상에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양산하기 전에는 모르지만, 내부적으로 테스트를 많이 하고 있고 고객과 얘기 중"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의 전고체 전지는 웨어러블 기기 등 소형 IT 기기에 탑재될 예정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96115i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04:13


삼성전기 결산실적 공시예정일
2025.01.24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01:22


LG전자 조주완 "로봇 확실한 미래…휴머노이드 진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로봇은 확실한 미래”라며 “가사 노동해방을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초기 버전인 인공지능(AI) 에이전트 ‘Q9’을 2~3월 ‘베타 테스트’를 거쳐 연말께 출시할 계획이다.

조 CEO는 CES2025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8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를 열고 “로봇의 핵심 승부처인 가정을 공략하기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준비하고 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기존 물류, 배송, 서빙용 로봇에 더해 ‘로봇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휴머노이드까지 내놓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Q9에서 이룬 인지·관절 기술 등을 바탕으로 손동작, 걸음걸이 등 휴머노이드 구현에 필수적인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휴머노이드를 중장기 프로젝트로 준비하는 한편 ‘가정용 비서’ Q9 등을 통해 초기 시장도 잡을 계획이다. Q9은 이르면 올 9월 국내에 출시된다. 구독 판매를 통해 진입장벽을 낮추거나, 최근 출시한 AI홈 ‘LG 씽큐 온’과 연계해 Q9을 대중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0082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01:11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Wiwynn의 2025년 비즈니스 모멘텀은 기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6-2027년에는 구조적 성장 예상

1. 2024년 4분기 핵심 수익 동력인 메타 오더:
시장 컨센서스는 Wiwynn의 4Q24 매출이 AWS Trainium 2 서버 출하량 효과로 봄. 그러나 Trainium 2 출하량은 4Q24에 아직 증가하지 않았음. 4Q24 매출의 실제 동인은 Half Dome(코드명) AMD 기반 모델과 같은 메타 서버에 대한 강력한 수요였음. 트레이니움 2의 출하량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기대치를 상회했다는 사실은 메타의 컴퓨팅 및 스토리지 서버 출하량이 2025년 2~3분기까지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메타의 강력한 주문 수요를 나타냄

2. 2025년 상반기 트레이니움 2 출하량 증가로 전년 대비 높은 성장률 예상:
Trainium 2 서버는 2025년 상반기에 대량 출하를 시작하여 Wiwynn의 비즈니스 모멘텀을 크게 향상시킬 것. 현재 Wiwynn의 생산 라인은 최대 용량으로 가동되고 있음. 1Q25 매출은 근무일 수가 적어 4Q24 수준에 근접하거나 살짝 낮을 것으로 예상. 이는 1Q25 매출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임을 의미

3. 2025년 4분기 액체 냉각 버전으로의 전환으로 인한 Trainium 서버의 ASP 증가:
현재 Trainium 서버는 공랭식,그러나 Wiwynn은 2025년 4분기에 액체 냉각 Trainium 서버의 대량 생산을 시작할 계획. 이 서버는 훨씬 더 높은 ASP가 특징이며 이는 수익 성장에 기여할 전망

4. 2025년 2분기부터 2025년 3분기까지 잠재적인 Omniva 주문:
Wiwynn과 중동 데이터 센터 고객인 Omniva는 GB200 NVL72 서버 주문에 대해 재협상 중.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5년 2~3분기 사이에 대량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초기 주문량은 약 1,000개 랙 예상

5. YTL 그룹을 위한 GB200 NVL72 데이터 센터의 전략적 배치:
2025년부터 Wiwynn은 말레이시아에 기반을 둔 YTL 그룹에 GB200 NVL72 서버를 공급할 예정이며, 초기 주문량은 100~200 랙. 이 주문은 시장에서 간과될 수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담음
(1) GB200 NVL72 서버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Wiwynn은 YTL의 데이터 센터 구축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는 서버 제조업체가 지금까지 진행한 가장 광범위한 수직 통합 노력 중 하나
(2) 데이터 센터는 SuperPOD 아키텍처를 채택할 것. 구축과 유지보수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 설정은 Wiwynn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6. OpenAI ASIC AI 서버 2026년 4분기~2027년 1분기 초에 출시 예정:
Wiwynn은 Broadcom이 설계한 칩인 OpenAI의 ASIC AI 서버를 2026년 4분기~2027년 1분기 초에 출시할 것으로 예상. 이 서버는 액체 냉각 설계가 특징이며, 공랭식 서버에 비해 훨씬 더 높은 ASP를 제공

7. 2026-2027년 ASP를 높이기 위한 ASIC AI 서버의 전력 수요 증가:
2026-2027년 컴퓨팅 성능의 업그레이드에 따라 ASIC AI 서버의 랙당 전력 소비량이 80-100kW 이상으로 증가하여 액체 냉각이 필요해질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ASP를 크게 증가시킴. 액체 냉각 서버는 일반적으로 공냉식 서버보다 몇 배 더 비싸며, 이러한 추세의 주요 수혜자인 Wiwynn은 ASIC AI 서버 사양의 업그레이드에 투자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음

8. 2025년과 2026년 전망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Wiwynn의 2025년 매출은 다음 세 가지 주요 요인으로 인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2025년 상반기 Trainium 2 서버의 대량 출하,
(2) 일부 GB200 NVL72 주문 이행
(3) 더 높은 ASP의 액체 냉각 Trainium 서버의 도입

-2025년 총 마진은 2024년과 비교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2026년에는 ASIC AI 서버의 향상된 연산 능력과 Wiwynn의 수직 통합 노력으로 인해 매출과 총 마진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Medium (https://han.gl/7EXsj)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00:33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전자(066570/매수) - 24년 최대 매출 달성. 아쉬운 운임 비용

■4Q24 잠정실적 Review: 별도 기준 외형 성장은 유의미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조 7,775억원(-1.4% YoY), 영업이익 1,461억원(-53.3% YoY)을 기록. 매출은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대비 -63.2% 기록. 수요 둔화에도 매출은 성장했으나, 마케팅 비용, 운임비, 패널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 악화

■오르는 운임비에 부담 존재. 조직 재편으로 신사업들의 성장이 중요할 것
-연말 운임지수 오르고 있으나 동사는 대형 고객사로서 협상력을 지니고 있음. 올해 실질 운임 계약이 우호적으로 끝나면 운임비 우려 안정화 가능
- 조직개편의 기대. HS [H&A+로봇], MS [HE+IT], ES [HVAC+EV충전기] 그리고 VS 사업부로 변경. 조직 개편 이후 본부별로 시너지 효과 기대

■목표 주가 하향 조정. 밸류에이션은 하단에 위치
-목표주가 120,000원(기존 150,000원)으로 하향 조정. Target P/B는 유지, BPS는 하향 조정. 1) 운임비 상승 비용 증가 반영, 2) 자회사 실적 하향 조정 반영

→ 현재 밸류에이션 역사적 최하단 수준. 조직 개편 후 HVAC 사업부 성장 및 운임비 우려 해소로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 점진적 비중 확대 추천

보고서 원문: https://han.gl/MMzoJ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9 Jan, 00:01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CES 2025’에서 SKC(011790)유리기판의 엔비디아향 공급을 시사했다. SK는 CES에서 유리기판의 실물을 전시하며 자신감을 드러낸 데 이어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유리기판을 본격적으로 공급하기로 하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밸류체인을 공고히 하는 모습이다.

최 회장은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 중인 ‘CES 2025’에서 SK그룹의 부스를 찾았다. 이 때 최 회장은 부스 내에 전시된 SKC의 유리기판 모형을 들어올리며 “방금 팔고 왔다”고 했다.

주목할 점은 최 회장이 현지 시간으로 오전 11시께 SK그룹의 부스를 찾기 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는 점이다. 이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최 회장은 젠슨 황 CEO와 만났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어디서 어떻게 만났는지를 말하기는 그렇지만, 오늘 만났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를 상대로 직접 유리기판을 판매하고 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7537?sid=10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8 Jan, 23:54


https://naver.me/xjg5z8HX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8 Jan, 22:07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 9(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규제) ITI, AI 칩의 글로벌 접근 제한 규칙 중단 촉구
- 아마존, 메타, MS 같은 기업을 대표하는 ITI는 바이든 대통령 행정부에 글로벌 AI 칩 접근을 통제하는 규제를 중단할 것을 촉구함. 이 같은 제한이 미국의 AI 리더십을 위협할 것이라고 경고. 이 그룹은 그러한 통제가 규칙으로 발표되기보다는 제안된 규정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
https://han.gl/UUdOL (Reuters, 1.8)

(서버) "엔비디아 블랙웰 생산량 급증"…여전한 AI 시장 독주에 날개 단 K-메모리

- 올해 1분기 블랙웰 GPU 생산량을 70만~80만 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이는 전 분기 출하량 대비 약 3배가량 증가한 수치. 당초 업계 예측 55만 개에서 상향 조정. 반면 1분기를 기점으로 기존 시장 주력 제품이었던 H100·200 및 H20 등 호퍼아키텍처 기반의 GPU는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
https://han.gl/FzFKb (이투데이, 1.8)

(실적) '현실화된 中 위협' 삼성전자·LG전자, 수익성 악화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부진한 4분기 실적을 기록. 수요 부진 속 스마트폰, 가전 등 전방위로 중국 기업들과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수익성이 떨어짐. LG전자는 중국 기업들의 공세로 인한 경쟁 심화와 마케팅 비용 증가로 TV 수익성이 악화됨. 신사업에서 투자 비용 증가, SCFI 상승 등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됨
https://han.gl/tCwJm (전자신문, 1.8)

(실적) Jarllytech, 폴더블 기기 수요로 12월 매출 신기록 달성
- Jarllytech은 12월 중국 고객들의 폴더블 스마트폰 수요가 급증하면서 12월 기록적인 매출을 기록함. 12월 매출은 MoM 10%, YoY 약 58% 증가함. 중국 고객사의 주요 폴더블 스마트폰 모델의 예상을 상회하는 수요와 노트북 및 LCD 부문의 미국 고객사의 꾸준한 기여에 힘입어 달성
https://han.gl/ma5gf (Digitimes, 1.8)

(PC) "맥북 프로, 2026년엔 확 바뀐다…역대 최대 업그레이드"
- 애플이 2026년에 맥북 프로를 전면 개편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됨. 애플이 맥북 프로를 대대적으로 재설계한 것은 2021년이 마지막이었음.더 얇고 가벼워지며, 노치 없는 OLED 디스플레이 탑재, M6 칩, 5G 지원, 터치 지원이 특징
https://han.gl/GaSwX (ZDNet, 1.8)

■ 디스플레이

(전망) 주요 경제국의 수요 증가로 패널 가격 회복 전망

- 중국 보조금 정책 연장은 중국 TV 브랜드가 패널 재고를 확보에 있어 더욱 공격적인 전략을 채택하도록 유도. 11월과 12월 현재 중국의 주요 패널 제조업체들은 2023년 말의 약 70%에서 개선된 약 80~85%의 가동률을 달성하고 있음. 2025년 1월 LCD TV 패널 가격이 12월과 flat 예상, 안정적이고 점진적인 가격 인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
https://han.gl/OLVQ7 (Digitimes, 1.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8 Jan, 07:57


삼성전자, 내년 갤S26울트라에 CoE 적용한다

삼성전자가 내년에 출시할 갤럭시S26울트라에 소비전력을 아끼고 빛 투과율을 높이는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기술을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8일 파악됐다. 삼성전자가 바 타입 스마트폰에 CoE를 적용하는 것은 처음이다. 

CoE는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편광판을 컬러필터로 대체하고, 일반 PDL(Pixel Define Layer·화소정의막)을 블랙 PDL로 바꾼 기술이다. 

편광판을 빼면 패널이 얇아지고 빛 투과율이 높아져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편광판 대신 컬러필터를 사용해서 색도 더 선명하게 표현된다. 블랙 PDL은 패널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적(R)녹(G)청(B) OLED 사이 격벽에 있는 주황색 계열 물질인 PDL의 원재료인 광감응성폴리이미드(PSPI)를 검은색 계열로 대체해서 블랙 PDL을 만든다.

업계에선 OLED를 수분·산소에서 보호하는 박막봉지(TFE) 위에 컬러필터(CF)를 저온에서 인쇄하고, 블랙 PDL을 사용하는 기술을 CoE라고 통칭한다. 삼성전자가 2021년 북 타입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3에 CoE 기술을 가장 먼저 적용했다. 지난해 출시된 갤럭시Z폴드6에도 CoE 기술이 사용됐다. 

https://ift.tt/YhPc7B4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8 Jan, 05:55


2025년 '전방위적' 내수 촉진 정책 중에서
이구환신의 기준과 범위를 확대하는 세부안이 나왔습니다.
-----------------------------------------

국가발개위, 재정부, 상무부, 인민은행, 시장감독총국 연합
2025년 소비 촉진관련 브리핑 부처별 핵심 내용

1) 국가발개위 : 기존 이구환신정책에서 보조금을 받는 가전 카테고리를 8개에서 12개로 확대

2) 재정부 : 2025년 이구환신 관련 재정 810억 위안 하달 예고

3) 상무부 :자동차, 가전, 디지털제품 관련 이구환신 정책 시행 세칙을 빠르게 결정하고 질서있게 진행할 것을 보장

4) 인민은행 : 설비 교체 관련 재대출 프로세스 및 규모 확대
1000억 위안의 특별한도를 배정해 과학기술 혁신 기업의 대출 지원 예정

5) 시장감독총국 : 이구환신 정책의 기준과 범위를 늘리는 (两新) 정책이 효과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것


* 이구환신 범위 및 기준 확대 :
- 개인 소비자를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디지털 제품 관련 구매 보조금 지급 : 제품 판매가의 15%를 보조금으로 지급하며 인당 제품 1개, 500위안까지 보조금 지원


- 가전제품 이구환신 지원 지속및 범위 확대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컴퓨터, 온수기, 가스레인지, 주방후드 등 8가지 가전 카테고리의 이구환신 정책을 지속하면서 전자레인지, 정수기, 식기세척기, 전기밥솥 등 4가지 가전제품을 보조금 범위에 포함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은 판매가의 20%, 2등급 이상 판매가의 15% 지원)
제품 유형별 1개 (에어컨은 3대까지) , 최대 2000위안까지 보조금 수령 가능

2024년 일부 가전 제품 교체에 대한 이구환신 지원을 받은 소비자도 2025년 제품 교체 또한 보조금을 받을 수 있음


- 장비 업그레이드 지원 범위를 전자, 안전 생산, 농업시설 등 영역 확대 : 장비교체 관련 대출 확대 및 보조금 기준 상향 조정 예정

- 도시 공공교통의 배터리 교체 및 업그레이드, 농기계 폐기 등에 대한 보조금 기준을 높일 것 : 8년 이상된 도시 버스와 품질 보증기간이 지난 배터리를 교체하고 차량당 평균 보조금을 기존 6만위안에서 8만위안으로 상향 조정. 기본 보조금 외 지역별 보조금 기준을 독립적으로 결정 가능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8 Jan, 02:11


2025.01.08 10:59:57
기업명: LG전자(시가총액: 14조 2,21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27,775억(예상치 : 223,704억)
영업익 : 1,461억(예상치 : 3,946억)
순이익 : -(예상치 : 1,264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27,775억/ 1,461억/ -
2024.3Q 221,764억/ 7,519억/ 902억
2024.2Q 216,944억/ 11,961억/ 6,295억
2024.1Q 210,959억/ 13,354억/ 5,854억
2023.4Q 231,041억/ 3,131억/ -76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880016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657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7 Jan, 22:11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 8(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로봇)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파트너 '한국' 대신 '중국' 선택
- 엔비디아는 물리적 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출시한다"고 밝힘. 특히 젠슨 황 CEO는 코스모스 공개와 함께 휴머로이드 로봇을 선보일 애자일로봇·피규어 AI·뉴라 로보틱스·애질리티·힐봇 등 14개 업체를 공개. 이중 7곳이 중국 기업이었으며 한국 기업은 포함되지 않음
https://han.gl/xrszF (The Guru, 1.7)

(행사) 엔비디아, 로봇 훈련 기술 및 신규 게이밍 칩, 도요타 협력 발표
- 엔비디아는 CES에서 로봇 및 자동차 훈련을 향상시키는 AI 기술인 '코스모스', 고성능 게이밍 칩인 ' RTX 50 시리즈',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첫 데스크탑 컴퓨터 'Project DIGITS' 등 새로운 제품을 공개하며 사업 확장의 가능성을 설명함
https://han.gl/pzmzc (Reuters, 1.7)

(전망) 중국 정부, 소비자용 IC 수요를 늘리기 위해 보조금 지급
- 1월 3일 중국은 새로운 보조금 정책을 발표. 칩 관련 업체들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이 할인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함. 25년 스마트폰 보조금 시행으로 중화권 업체들은 전반적인 휴대폰 전망 낙관. 휴대폰 공급망도 새로운 정책의 후속 효과에 대해 낙관적.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이미 다양한 쇼핑 행사를 위한 프로모션을 준비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봄과 618 쇼핑 페스티벌은 상반기 주요 지표가 될 것
https://han.gl/j8yjF (Digitimes, 1.7)

(전망) 중국 내 서버 수요 감소로 인해 2025년 상반기 메모리 공급 과잉이 발생할 수 있음
-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내 서버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메모리 산업이 25년 상반기 공급 과잉에 빠질 가능성이 있음. 스마트폰과 PC 제조업체들이 주문량을 줄임에 따라, 관례적인 비수기 공급 과잉이 2025년 2분기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https://han.gl/BOxVJ (Digitimes, 1.7)

(PCB) 제이앤티씨, '꿈의 기판' TGV 반도체 유리기판 양산화 돌입
- 제이앤티씨 관계자는 TGV 유리기판에 대해, 상반기 중으로 첫 양산 라인을 구축하고, 하반기부터는 관련 매출이 조금씩 발생될 것으로 예상. 현재 일부 샘플은 유상으로 판매되고 있다고 전함. 스마트워치 백커버 고객사도 확대. 화웨이로 샘플을 공급 중임
https://han.gl/nWQrq (뉴스핌, 1.7)

■ 디스플레이

(폴더블) 삼성, CES 2025에서 세계 최대 접이식 OLED 패널 선보일 예정
- 삼성은 CES 2025에서 접었을 때 13.1인치, 펼쳤을 때 18.1인치의 세계 최대 폴더블 OL.ED 패널을 선보일 예정임. 삼성은 Z플립7 모델의 경우 300만 대, Z폴드7 모델의 경우 200만 대만 출하할 계획임. 이 예측치는 갤럭시 Z6 시리즈의 목표치인 820만 대보다 크게 감소한 수치
https://han.gl/PwDX4 (Trendforce, 1.7)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Jan, 2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 7(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로봇) Hon Hai, Nvidia와 협력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중
- 혼하이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힘. 로봇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기술과 하드웨어 플랫폼을 채택하고 있으며, 가오슝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리우 회장은 밝힘
https://han.gl/jPkOQ (TAIPEI TIMES, 1.6)

(개발)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하여 가정용 AI 구축
- LG전자는 CES에서 MS와 가정, 차량 등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공동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함. LG전자는 MS와 협력하여 자사의 소비자 가전 제품에 MS의 AI 기술을 사용할 예정임. 이와 별도로, MS는 AI 데이터 센터 분야에서도 LG와 협력할 예정임
https://han.gl/UhHhh (Bloomberg, 1.7)

(정책) 인도, 약 27억 달러 규모의 지원과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 계획
- 인도 정부는 전자 부품 제조업체에 대한 새로운 보조금과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고려하고 있음. 전자정보기술부는 배터리, 카메라 부품 등 부품 제조업체에 최소 2,300억 루피(27억 달러)의 지원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짐. 승인될 경우 2월에 있을 정부의 향후 예산에서 세부 사항이 발표될 수 있다고 전함
https://han.gl/NjMff (Bloomberg, 1.6)

(서버) AI 서버 수요가 ODM의 1분기 둔화 극복에 도움

- 전통적으로 ODM은 계절적 소비자 가전 제품에 의존해 왔지만, AI 서버는 이 비즈니스 모델을 재편. 대부분의 서버 ODM은 25년 AI 서버 시장을 낙관. Quanta, Wistron 모두 25년에 AI 서버가 핵심 동력이 될 것이며, 이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세 자릿수 성장률을 예상함
https://han.gl/UQA1j (Digitimes, 1.6)

(PC) 퀄컴의 새로운 칩으로 600달러짜리 개인용 컴퓨터에 AI 탑재 가능
- 퀄컴은 최신 AI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를 600달러라는 저렴한 가격에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칩을 선보임. 퀄컴은 PC 업체들이 “2025년 초”에 이 신제품을 기반으로 한 노트북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힘
https://han.gl/wrJet (Bloomberg, 1.7)

■ 디스플레이

(LCD) 코닝, LG전자·하이센스·CSOT 등에 美 ITC 특허분쟁 제기

- 코닝이 LG전자, 하이센스, CSOT 등 TV·패널 업체를 상대로 미국 ITC에 총 3건의 특허분쟁을 제기함. LCD 패널에 사용한 유리기판 특허가 쟁점 기술. 코닝이 미국 특허분쟁을 제기한 것은 디스플레이 기판유리 시장 점유율 감소, 그리고 기판유리 사업 수익성 악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추정됨
https://han.gl/7mDxB (The Elec, 1.6)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Jan, 07:43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TrendForce: AI Server Market Will Keep Growing Through 2025, with Related Industry Value Projected to Reach US$298 Billion

- TrendForce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전체 서버 산업의 가치는 2024년 미화 3,0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됨. 이 중 AI 서버와 관련된 산업 가치는 약 2,050억 달러(약 67%)로 추정됨

- 25년 AI 서버 가치는 2,980억 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1) 지속적인 수요, 2) 더 높은 ASP에 기인함. 또한, 25년에는 AI 서버가 전체 서버 산업에서 70%이상의 가치를 차지할 전망

- AI 서버 출하량을 살펴보면, 주요 성장 동력은 미국과 중국에 기반을 둔 서버 OEM 및 CSP를 포함한 고객들의 Hopper 칩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수요 확대

-그 결과, 24년 AI 서버 출하량은 YoY 46% 증가함. 25년에는 24년 대비 28%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전체 서버 출하량에서 AI 서버가 차지하는 비중도 15%를 초과할 전망

-주요 AI 칩 공급업체의 실적과 관련하여, 새로운 Blackwell 플랫폼에 속하는 칩은 2025년까지 NVIDIA의 하이엔드 GPU의 주요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됨

-GB 랙 시리즈는 공급망 내에서 추가적인 준비 시간이 필요할 것이며 25년 2분기까지 가시적인 증가 없을 것

- 3Q25에 B300과 GB300 솔루션 추시로 HGX와 GB 랙 시리즈와 같은 블랙웰 기반 제품의 출하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NVIDIA를 제외하고, 주요 CSP들은 자체적으로 설계한 ASIC에 대한 투자를 늘려 왔음

- 25년에는 AWS의 자체 AI 칩 출하량이 YoY 7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애플리케이션용 Trainium 칩 개발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임

출처: Trendforce (https://han.gl/HCui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Jan, 06:40


국민연금의 삼성전기 보유비율
9.81% ➡️ 9.9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5 Jan, 23:43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기(009150/매수) - 중국 내수 살리기 수혜 기대

■4Q24 실적 Preview
-4Q24 매출액 2조 2,767억원(-1.3% YoY), 영업이익 1,296억원(+17.4% YoY, OPM 5.7%)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4.4%, -17.7%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
-1) 연말 영업일 축소, 2) 재고 소진 영향 반영
-낮은 재고 주기와 선제적인 부품 재고 축적 기대감으로 25년 연간 추정치는 상향 조정

■중국 보조금 정책 강화
-세트 업체 대상인 26조원 규모의 중국 보조금 정책이 25년 초 실행될 확률 높음.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도 25년까지 연장됨. 이는 중국 내수 시장 스마트폰 판매량 성장으로 귀결되어 중국 익스포저가 높은 동사에 수혜 전망

■중국 MLCC 업체 M/S 우려
-중국 MLCC 업체들의 M/S 상승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 기존 MLCC 업체들의 수혜가 지속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지속(AI용 AP의 높은 MLCC 용량 필요, 산업용 MLCC 등)되기 때문임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 주가 200,000원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han.gl/hkkGh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5 Jan, 22:11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 6(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실적) 폭스콘, AI 수요로 4분기 매출 기록으로 예상치 상회

- 폭스콘의 4분기 매출은 647.2억 달러(+15.2% YoY)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함. 이러한 실적은 AI 서버 수요 강세로 비롯됨. 스마트 가전제품의 경우 전년 대비 FLAT한 수준. 폭스콘은 1분기에 들어 비수기에 진입했다고 말함
https://han.gl/gemvS (Reuters, 1.5)

(정책) 中, 스마트폰 구매 보조금 카드 꺼냈다…화웨이·샤오미 웃고 애플은 좌불안석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국채로 자금을 지원하는 전국적인 소비자 보상판매 프로그램을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으로 확대 발표. 그간 보조금은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 8가지 가전제품 한정이었으며 이번에 11개로 확대. 당국은 소비재 보상판매 확대 등 지원을 위해 "초창기 특별 국채 발행 규모를 대폭 늘릴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o3h1w (Reuters, 1.4)

(서버) MS, FY2025 AI 지원 데이터 센터에 800억 달러 투자 계획

- MS가 25년 AI 모델 훈련과 AI 및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데이터 센터 개발에 약 8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 중 절반 이상은 미국에 투자될 것이라고 말함. MS의 FY 1Q25 자본 지출은 5.3% 증가한 200억 달러를 기록함
https://han.gl/o3h1w (Reuters, 1.4)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 가열, 테슬라와 화웨이 2025년 생산 목표

- 옵티머스 로봇은 2025년에 한정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며, 수천 대가 테슬라 공장에서 데뷔할 것으로 예상됨. 이와 동시에 화웨이가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음. 화웨이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Kua Fu”도 2025년에 대량 생산될 예정. 테슬라와 엔비디아가 AI 로봇 공학을 추진함에 따라, 화웨이도 동관 지무에 대한 자본 투자를 확대함
https://han.gl/tHTnE (Digitimes, 1.3)

(PCB) "PCB, 2028년에도 중화권서 60% 이상 생산"
- 프리스마크에 따르면, 글로벌 PCB 매출에서 중화권 비중이 2023년 66.9%에서 2028년 64.8%로 소폭 줄것으로 예상됨. 중국산 PCB를 대체하려는 노력은 이어지겠지만 28년에도 여전히 60%를 웃돌것이며, 비용도 예상보다 많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 23년 글로벌 PCB 시장 규모는 700억 달러였으며 28년에는 900억 달러로 예상
https://han.gl/fxv50 (The Elec, 1.3)

■ 디스플레이

(전망) 중국과 미국의 정책으로 인해 2025년 1분기 패널 생산량 증가
- 중국의 보조금 지속과 북미 지역 관세 위협에 따라 현재 업계 전반에 걸쳐 재고 보충이 계속되고 있으며, 상위 TV 브랜드들은 2025년 1분기를 위한 공격적인 조달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 최근 초대형 TV 패널(65인치 이상)의 가격이 미화 1~2달러 상승했으며, IT 패널 가격도 안정화되었음
https://han.gl/aGoS4 (Digitimes, 1.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Jan, 08:06


샤오미(1810 HK)

중국 내수 살리기 프로젝트
- 11월 스마트폰 로컬 브랜드 출하 호조
- 이구환신 25년까지 연장
- 전기차 52주 6,700대 보험 등록
(역대 최대 기록)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1 Jan, 22:1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 2(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화웨이, 중국 내 판매 촉진 위해 고급 스마트폰 가격 인하
- South China Morning Post의 보도에 따르면, 화웨이는 중국 내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격을 인하하고 있음. Pura 70 Ultra의 가격을 1TB 버전의 경우 8,999위안으로 기존 대비 18% 인하, 512GB의 경우 20% 인하. MATEX5도 19% 인하하여 거래되고 있음
https://han.gl/ZFk6y (Trendforce, 12.31)

(규제) 바이트댄스, 미국 규제에도 불구하고 2025년에 엔비디아 AI 칩 70억 달러 규모 구매 계획
- 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들의 첨단 칩 접근을 제한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바이트댄스는 2025년에 70억 달러 규모로 엔비디아 칩을 중국 외 지역에서 구매할 계획이라고 알려짐
https://han.gl/ZWVFh (Trendforce, 12.31)

(로봇)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최대주주로… 미래로봇 사업 속도
-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고 31일 밝힘. 콜옵션을 행사하여 지분을 35.0%로 늘려 기존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가 됨.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도 신설함
https://han.gl/sAZ1P (조선비즈, 12.31)

(로봇) 中, 휴머노이드 로봇이 쏟아진다
- 중국 기업들이 하반기 들어 휴머노이드 로봇 대량 생산 시작함. 새해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시대 도래를 예고. 러쥐로봇은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라인을 26일부터 가동했다고 밝힘. 연간 200대 생산 가능, 풀가동시 생산액이 약 604억원 규모. 그 외 애지봇, 엔진AI, 유니트리도 올해 가격인하 및 대량생산을 예고
https://han.gl/0v4NJ (ZDNet, 12.31)

(전망) 재고 증가와 계절적 수요 약세로 인해 2025년 1분기 NAND 플래시 가격이 10% 이상 하락할 수 있음
- NAND 플래시 공급업체들은 25년 1분기 재고 수준이 증가하고 주문 수요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평균 계약 가격은 전 분기 대비 10-15% 하락할 것으로 예상. 소비자 가전 제품의 판매 부진과 구매자의 보수적인 심리로 인해 클라이언트 SSD 및 UFS 제품의 가격 하락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
https://han.gl/FEkXu (Trendforce, 12.31)

■ 디스플레이

(행사) CES 2025 미리 보기: 어떤 LED 제품이 전시될까요?

- CES 2025는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될 예정. TCL: 세계 최대 QD-Mini LED TV 전시, 하이센스: 새로운 ULED TV와 미니 LED 의료용 디스플레이, 삼성: 최신 Neo QLED TV 시리즈, Vuzix: 마이크로 LED 풀컬러 AR 스마트 글래스 등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임
https://han.gl/DbgRW (Trendforce, 1.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0 Dec, 04:13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12-29/nvidia-supplier-ibiden-weighs-faster-expansion-to-meet-ai-demand?utm_source=twitter&utm_content=business&utm_campaign=socialflow-organic&cmpid=socialflow-twitter-business&utm_medium=social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6 Dec, 22:30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27(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PC) 2025년 미국 PC 시장 2% 성장 전망

- 3Q24 미국 PC 출하량(태블릿 제외)은 YoY 7% 증가한 1,790만 대를 기록. 노트북이 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앞으로 미국 PC 시장의 회복 지속이 예상되나, Windows 교체 주기의 모멘텀 약화와 거시경제 정책과 관련된 역풍으로 인해 이전 예상보다 느린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 미국 총 PC 출하량은 24년 6% 성장, 25, 26년에는 각각 2%의 완만한 성장 예상
https://han.gl/eaNP9 (Canalys, 12.26)

(스마트폰) 같은 듯 다른 삼성-애플 超슬림폰 전략
- 삼성전자, 애플 모두 내년 슬림 모델을 선보일 예정. 삼성전자는 울트라급 고성능 스펙을 적용하면서, 두께를 줄여 가격을 높게 책정할 가능성이 있지만, 애플이 선보이는 아이폰17 에어는 중간 가격대였던 '플러스' 모델을 대체하는 제품으로 프로 모델보다 낮은 가격에 선보일 것이란 가능성이 큰 상태
https://han.gl/9wzg3 (ZDNet, 12.26)

(로봇) 대만 정부, 2025년 7월 배포를 위한 AI 로봇 이니셔티브 출범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가 2025년 “AI 기반 차세대 로봇 기술 프로젝트”를 공개함. 첨단 산학 협력을 추구하는 학술 기관은 2025년 7월 1일부터 2년 동안 프로젝트 실행을 시작하고, 직업 교육 기관은 2025년 6월 1일부터 시작 예정. 각 프로젝트는 약 미화 245,000~306,000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음
https://han.gl/QZyth (Digitimes, 12.26)

(ASIC) 대만 기업, ASIC 칩 붐에 대비
- ASIC 시장의 성장 곡선이 클라우드 GPU의 성장 곡선보다 더 가파르게 될 것으로 예측하며, 대만 기업들은 이러한 추세를 활용하기 위해 대비하고 있음. 첨단 공정 확장의 진전에 따라 2025년에서 2027년 사이에 생산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ASIC에 대한 광범위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준비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https://han.gl/8I4Y4 (Digitimes, 12.26)

(공개) 엔비디아, 최신 데이터 센터 워크로드를 위한 두 개의 그레이스 CPU와 네 개의 블랙웰 GPU를 탑재한 GB200 NVL4 공개

- 엔비디아는 GB200 NVL4를 공개. 2개의 Arm 기반 Grace CPU와 4개의 Blackwell GPU를 결합. 각 장치에는 72개의 Arm Neoverse V2 코어가 장착된 두 개의 Grace CPU가 탑재되어 있으며, 총 144개의 코어를 제공. 4개의 Blackwell GPU가 추가되어 AI, HPC 및 기타 컴퓨팅 집약적 작업에 대한 강력한 가속화를 보장
https://han.gl/52yk2 (Techrader, 12.26)

■ 디스플레이

(AR/VR) "메타, 레이벤 스마트 안경에 디스플레이 기능 탑재"
- 메타는 레이벤의 제조업체인 에실로룩소티카와 파트너십을 맺고 레이벤 글래스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장착할 예정임. 개발되는 레이벤 스마트 안경에는 간단한 텍스트와 이미지를 표시돼 사용자가 메타 AI 비서로부터 서비스 알림과 응답을 받을 수 있음
https://han.gl/bTbyC (조선비즈, 12.26)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5 Dec, 22:1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26(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AR/VR) 폭스콘, 2025년 4분기 마이크로LED 양산 계획으로 AR 안경 시장 진출
- 폭스콘은 Porotech와 파트너십을 통해 AR 안경 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함. 이 협력은 고성능 경량 AR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폭스콘의 AR 및 마이크로LED 기술의 전략적 발전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폭스콘은 타이중에 마이크로LED 웨이퍼 가공 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며, 2025년 4분기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할 전망임
https://han.gl/7XT2X (Trendforce, 12.24)

(로봇) 오픈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논의 시작

- 오픈AI가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방안 논의를 시작했다고 디인포메이션이 24일 보도함. 오픈AI의 휴머노이드 로봇 도입 시기,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음. 디인포메이션은 오픈AI가 지난 10월 투자받은 66억달러(약 8조7,500억원)를 휴머노이드 개발 관련 기업 인수에 사용할 수 있다고 내다봄
https://han.gl/i3Ggq (전자신문, 12.25)

(전망) 애플과 엔비디아의 악연은 수십 년간의 싸움 끝에 계속되고 있습니다

- 애플은 자체 AI 칩의 연구 개발을 강화하고 있음. 애플은 2026년에 코드명 Baltra라는 자체 AI 프로세서를 출시할 계획인 것으로 보임. 이는 TSMC가 N3P 공정에서 제조될 것으로 보임. 2024년 4월에 발표된 이 기술은 아이폰 17 프로용 프로세서에서 처음 선보일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inzN4 (Appleinsider, 12.24)

(애플) 투자자들이 AI 모멘텀에 베팅하면서 애플의 기업 가치가 4조 달러에 육박하다

- 애플의 11월 초 이후 주가가 약 16% 상승하여 시가총액이 약 5,000억 달러 증가함에 따라 기업 가치가 4조 달러에 육박함. 이는 “AI에 대한 투자자들의 열정과 아이폰 업그레이드 슈퍼사이클이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라고 봄
https://han.gl/VgHKb (Reuters, 12.24)

(AP) MediaTek, 샤오미의 레드미 시리즈와 함께 데뷔할 Dimensity 8400 출시
- 미디어텍은 dimensity 8400을 공개함. 이는 이전 세대 칩에 비해 멀티코어 CPU 성능이 41% 향상, 전력 소비가 44% 감소한 특징이 있음. 샤오미의 REDIMI가 이 칩을 탑재한 최초의 모델이 됨. 미디어텍은 24년 하반기 중국의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예상보다 더 많은 재고를 준비했다고 언급함
https://han.gl/oKeHF (Digitimes, 12.24)

■ 디스플레이

(OLED) 태블릿·노트북 OLED 뜬다…디스플레이업계 '투자 드라이브'
- Omdia에 따르면, 올해 9인치 이상 대형 OLED 출하량은 전년 대비 116.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애플의 OLED 적용 확대 기조에 따라, Omdia는 내년에도 9인치 이상 OLED 출하량이 32.7%의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디스플레이 업계는 8.6세대 투자를 가속화 하고 있음
https://han.gl/keu9g (이데일리, 12.24)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4 Dec, 07:53


제로베젤' 아이폰, 2026년 출시도 불분명

디스플레이 베젤을 모두 없앤(제로 베젤) 애플 아이폰은 언제쯤 볼 수 있을까. 애플 요청으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이 베젤이 없는 아이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양산 적용 시점은 아직 불분명하다. 당초 애플은 2025~2026년 제로 베젤 OLED 아이폰 출시를 계획한 바 있다. 

24일 업계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제로 베젤 OLED 아이폰 출시는 현재로선 2026년도 불투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베젤을 모두 없애기 위한 기술 개발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2026년 제로 베젤 OLED 아이폰을 출시하려면 국내 패널 업체와 기술 논의를 이미 끝냈어야 하는데 아직 논의 중"이라며 "현재로선 2026년에도 제로 베젤 아이폰 출시는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애플 요청대로 제로 베젤을 구현하려면 OLED를 수분·산소에서 보호하는 박막봉지(TFE) 기술, 그리고 투명한 양면접착 필름으로 합착할 때 사용하는 OCA(Optical Clear Adhesive·투명테이프) 기술 등을 디스플레이 측면 휘는 부분에 맞춰 개발하고, 안테나 공간 등도 확보해야 한다.

여러 기술 중에서도 OCA 기술 확보가 특히 더딘 것으로 알려졌다. OCA 공정 이후 측면 시야 왜곡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를 제품 옆면으로 흘러내리도록 디자인할 때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지는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https://ift.tt/KUenE9j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Dec, 08:19


금감원, 이수페타시스 '5000억 유증' 정정신고서 또 반려

금감원은 지난 11일 이수페타시스가 제출한 유상증자 정정신고사를 심사한 결과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정정을 요구한 날로부터 신고 효력은 정지된다. 제출 요구를 받은 뒤 회사가 3개월 이내 정정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철회된 것으로 간주된다.

금감원이 정정을 요구한 건 ▲증권신고서 형식을 제도로 갖추지 않은 경우 ▲증권신고서 중 중요사항에 관해 거짓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않은 경우 ▲중요사항 기재나 표시 내용이 불분명해 투자자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을 저해하거나 투자자에게 중대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https://naver.me/xJiBps8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Dec, 08:14


노스볼트 잃은 볼보차, 한국 기업 만나서 '협력' 요청

스웨덴 볼보자동차가 한국을 찾아 협력사를 만났다. 노스볼트와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인 노보에너지(NOVO Energy)의 사업 방향 논의를 위해서다. 노스볼트가 파산하면서 노보에너지의 배터리 공장 건설 추진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의 노보에너지 관련 인력이 이달초 방한해 소재, 부품, 장비 협력사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협력사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노르웨이 모로우배터리, 기존 노스볼트 협력사가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엔티, 한화모멘텀, 하나기술, 우원기술, 원익피앤이, 에스에프에이, 엠오티, 유일에너테크, 디앤에이(DnA), 씨아이에스, 엠플러스, 제일엠앤에스 등과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보인다.

노보에너지는 배터리 사업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스볼트를 대체할 새로운 파트너를 찾는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대한 빠르게 신규 파트너와 찾을 계획이고, 볼보자동차 이사회는 내년 1분기까지 (배터리 합작사) 일정을 수립해 공유할 것"이라며 "노보에너지는 배터리 사업을 포기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https://ift.tt/q1fiuKp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Dec, 06:14


2024.12.23 14:44:57
기업명: 유티아이(시가총액: 3,779억)
보고서명: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취득회사 : UTI VINA VINH PHUC Co.,Ltd(베트남)
주요사업 : 폴더블 커버글라스 가공 및 제조

취득금액 : 87억
자본대비 : 50.55%
- 취득 후 지분율 : 100%

예정일자 : 2024-12-23
취득목적 : 신규사업확장

* 취득방법
현금취득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2390026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7990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Dec, 01:07


하이비젼시스템, 파마리서치에 시약 이물 자동화 검사 설비 출하

시약 이물 자동화 검사 설비를 고객사인 파마리서치에 출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설비는 파마리서치의 강릉 공장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 설비는 바이알 시약병 제품을 고속으로 정밀 검사하는 설비다. 하이비젼시스템은 파마리서치와 협업해 설비를 개발했다. 의료 관련 설비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고 검사의 정밀성, 검사 속도를 비롯한 설비에 대한 기술적 요구도가 높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하이비젼시스템 관계자는 "이 설비에는 1시간당 6000개를 검사할 수 있는 전자동 초고속 연동 링크 캠 방식이 적용됐다"며 "검사의 정밀도도 10㎛(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수준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알 시약병 제품의 캡 부분, 스토퍼의 상단 및 옆면 부분, 액체 내용물 부분에 대한 다양한 이물, 오염, 파손 여부 등을 정밀하게 고속 검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336706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9 Dec, 22:1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20(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애플, 텐센트, 바이트댄스와 중국 내 AI 기능 출시를 위한 협의 진행 중
- 애플은 텐센트, 바이트댄스와 중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에 그들의 AI 모델을 통합하는 것에 대해 협의중인 것으로 파악됨. 중국에서는 챗GPT 사용이 불가능하여 현지 파트너가 필요. 애플의 텐센트와 바이트댄스와 AI 모델 사용 논의는 매우 초기 단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GTRbB (Reuters, 12.19)

(규제) 미국, 엔비디아에 자사 칩이 중국에 어떻게 유입되었는지 조사 요청
- 미국 상무부가 최근 엔비디아에 자사 제품이 지난 1년 동안 어떻게 중국에 유입되었는지 조사해 달라고 요청. 엔비디아 관계자는 "우리는 고객과 파트너들이 모든 수출 통제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할 것을 주장"한다고 말함.
https://han.gl/yWEhL (Reuters, 12.19)

(로보택시) 테슬라, 오스틴과 자율주행차 배치 논의 중
- 테슬라가 텍사스에 자율주행 기술을 배치하는 방안에 대해 텍사스 주 오스틴 시와 초기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 이메일에는 오스틴시가 우리의 로드맵에 포함되어 있지만 아직 어디에 먼저 배치할지는 미정인라는 내용이 있음
https://han.gl/UVnsa (Investing. Com, 12.19)

(AR/VR) 애플의 비전 프로, VR/MR 환경을 재편하고 엔터테인먼트에서 생산성 도구로 애플리케이션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
- 2024년 VR/MR 헤드셋의 글로벌 출하량은 약 960만 대(YoY +8.8%) 전망. 산업 트렌드는 3가지로 요약됨. 저가 기기의 지배, 엔터테인먼트 액세서리에서 생산성 도구로의 전환, 하이엔드 모델의 OLEDoS 선호. 애플은 빠르면 2026년에 차세대 VR/MR 기기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며, 하이엔드와 주류 세그먼트를 모두 겨냥한 두 가지 모델을 출시할 전략
https://han.gl/2XsdQ (Trendforce, 12.19)

(스마트폰) 아이폰17 시리즈, 가격 오를까

- IT매체 BGR이 내년 아이폰17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기. 다른 이유보다는 정체된 판매량 증가세 속에 수익을 늘리기 위한 방법임. WSJ는 최근 새롭게 추가되는 아이폰17 에어가 아이폰17 프로보다 가격이 저렴할 것이라고 입장을 변경함
https://han.gl/LyfW6 (ZDNet, 12.19)

■ 디스플레이

(TV) 중국과 미국의 정책으로 인해 TV 패널 제조업체의 가동률이 상승
- 중국 정부의 가전 제품에 대한 보조금 프로그램과 미국의 관세 인상 예상으로 중국과 미국에서 TV 수요가 급증함. 중국 TV 브랜드들은 재고를 늘리고 있음. 현재 보조금 프로그램은 만료될 예정이지만,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공식 성명 분석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이 25년까지 연장될 가능성 높음. 중국 전역의 12월 가동률이 80% 안팎으로 유지 예상
https://han.gl/doFBi (Digitimes, 12.19)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Dec, 23:20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전자(066570/매수) - 기업가치제고는 긍정적

■4Q24 실적 소폭 하향 조정. 내년 EPS 성장률은 +106% YoY
-4Q24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 대비 소폭 하향 조정. 이는 1) 연말 TV 수요 기대치 하회 예상, 2) 전장 향 회복 속도 둔화 반영. 다만 25년EPS 성장은 가시적. 1) 자회사 순이익 개선, 2) 올해 발생한 일회성 비용은 내년에 제한적인 영향으로보기 때문임

■기업 가치 제고 계획
-동사의 기업 가치 제고 노력은 주가에 긍정적인 작용할 것으로 판단. 이는 1) TSR(총주주환원율) 25% 이상의 주주환원 의지를 표출했다고 판단하고, 2) 인도 IPO 이후 추가 재원도 주주환원에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임. 동사는 올해 1치, 2차 기업가치제고계획을 발표한 바 있음

■인도 자금 활용이 관건. TSR 25% 이상으로 긍정적인 방향 기대
-동사는 인도 IPO로 2조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이는 향후 주주환원으로 쓰일 것으로 판단. 이는 올해 상향한 배당 성향, 추가 자사주 소각 발표에 따른 TSR 상향에 근거함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 주가 150,000원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han.gl/N7rt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Dec, 22:57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19(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pc) 중국 본토의 PC 시장은 강력한 공공 부문 부양책으로 2025년 6% 성장할 것으로 예상

- 3Q24 중국 본토의 PC 출하량은 YoY 1% 감소한 1,110만 대를 기록, 소비자 부문은 사전 시즌 재고 확보와 정부 인센티브에 힘입어 YoY 4% 성장. 특히, 게임용 PC와 AI PC 3Q24 각각 24%와 70%의 연속적인 증가세를 보임. 25년에는 소비자 지출과 기업 지출 모든 부문에서 부양책을 실행함으로써, 데스크톱과 노트북 시장 각각 9%, 4% 성장 전망
https://han.gl/O9DNa (Canalys, 12.18)

(로봇) 머스크 "테슬라 미래는 휴머노이드 로봇"
- 머스크가 TSMC 회장과 만나 AI 칩 사업 방향을 논의. TSMC가 테슬라에 공급하는 테슬라의 자체 개발 칩 '도조'의 중요성을 강조. 도조 칩은 테슬라의 신경망 훈련에 주로 사용되며, 완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위한 것으로 알려짐. 머스크는 이 회동에서 테슬라의 미래 발전 방향이 자동차가 아닌 휴머노이드 로봇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kBpFM (ZDNet, 12.18)

(실적) 마이크론 주가 하락, PC와 휴대폰 수요 부진으로 2분기 전망치 하회
- 마이크론은 FY2Q25 매출이 약 7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컨센 89억 달러). 마이크론은 AI 컴퓨팅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주문이 많지만, 여전히 휴대폰과 PC 제조업체의 수요가 부진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 데이터 센터 관련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00% 증가했지만 강력한 AI 성장이 다른 분야의 침체를 상쇄하지 못함
https://han.gl/xCQsB (Bloomberg, 12.19)

(전장) 웨이모, 첫 해외 진출지인 도쿄에서 테스트 시작 예정
- 웨이모는 2025년 초 도쿄에서 자율주행 차량 테스트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힘. 이는 해외 진출을 위한 첫걸음임. 테스트는 몇 분기 동안 지속될 것이며, 일본에 장기간 머물 것으로 예상. 일본 중앙정부와 도쿄도 정부는 고령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자율주행 기술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
https://han.gl/iCfFy (Yahoo Finance, 12.18)

(AR/VR) 메타 '스마트안경' AI 탑재하더니… “실시간 통역하고 질문에 대답도 척척”
- 메타는 Early Access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레이밴 메타 스마트안경 사용자를 대상으로 AI 기능을 업데이트한다고 밝힘. 이번 업데이트에는 대표적으로 '실시간 번역' 기능이 포함됨. 메타의 CTO는 업계 전반에서 AI 네이티브 하드웨어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며 안경이 가장 먼저 이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FSUlK (전자신문, 12.18)

■ 디스플레이

(OLED) TrendForce, 2027년까지 고성능 패널 생산으로 OLED 노트북 보급률 5% 돌파 예상

- 중국 노트북 브랜드의 대량 구매로 인해 2024년 노트북의 OLED 디스플레이 보급률이 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25년 성장세가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애플의 맥북 라인업에 OLED 디스플레이 도입으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봄. 이러한 움직임은 패널 제조업체의 고세대 OLED 생산 라인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27년까지 OLED 노트북 보급률을 5% 이상으로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
https://han.gl/omsUj (Trendforce, 12.1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Dec, 05:54


제이앤티씨, 인도에 첫 커버유리 생산기지 설립 계획

제이앤티씨가 인도에 첫번째 커버유리 생산기지를 설립한다.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 흐름에 맞춰 인도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모색한다.

제이앤티씨는 인도 웰스펀(Welspun BAPL)과 차량 커버유리 개발·양산을 위한 투자 유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웰스펀 본사는 인도 뭄바이에 있다. 웰스펀은 지난 1955년 설립한 다국적 기업이다.

제이앤티씨의 인도 커버유리 생산기지 설립도 MOU와 관련돼 있다. 제이앤티씨는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 흐름에 맞춰 인도 시장에서 중국산 부품을 대체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지에 설립하는 생산기지는 차량 커버유리부터 생산하지만, 앞으로 품목을 다변화한다. 제이앤티씨의 커버유리는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제이앤티씨는 "MOU 체결은 인도 차량 커버유리 시장 진출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MOU 체결의 직접적 투자효과는 앞으로 연 1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14억 인구의 인도는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이고,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이라며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덧붙였다.

출처 : https://ift.tt/16qL3yp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Dec, 00:18


삼성전기, 보스턴다이내믹스에 공급

현대자동차그룹 로봇 자회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의 눈에 해당하는 전용 카메라 모듈을 삼성전기가 개발한다. 현대차는 개발 중인 자율주행 칩 생산을 삼성전자 5나노 파운드리 공정에 맡기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2021년부터 본격화한 국내 1위 전자업체와 자동차 기업 간 협업이 단순한 부품 공급을 넘어 로봇, 반도체 등 첨단제품 공동 개발로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최근 아틀라스 후속 모델에 들어갈 전용 카메라 모듈을 개발할 파트너로 삼성전기를 선정했다. ‘눈’ 역할을 하는 카메라 모듈은 ‘뇌’에 해당하는 인공지능(AI)과 맞물려 휴머노이드 로봇이 각종 사물의 형태와 움직임을 인식한 뒤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부품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73180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7 Dec, 08:15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전자 기업가치 제고 계획(2024년 2차)

Ⅰ. 인도법인 IPO 추진
- 2024년 12월 인도법인 IPO를 위한 상장 예비 심사서류를 인도 증권거래 위원회에 제출
Ⅱ. 추가 주주환원계획
- 자사주 소각 : 배당가능이익 범위내 취득한 자사주 76.1만주 소각 추진 (2025년 內)
# 금일 종가 86,800원 기준 660억원 규모

출처: DART (https://han.gl/rhgHH)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6 Dec, 22:0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17(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폴더블) 애플, 2028년 출시 예정인 폴더블 아이패드를 아이패드 프로 2대 크기로 계획 중

- 애플은 2028년에 최초의 폴더블 아이패드를 출시할 계획. 펼쳤을 때, 이 기기의 크기는 약 20인치로, 두 대의 아이패드 프로를 합친 크기와 비슷함. 눈에 보이는 주름이 없는 것을 목표로 개발 진행. 2028년 제품 출시 무렵에는 iPadOS가 macOS 앱을 지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발전할 것으로 예상
https://han.gl/dP6WO (Trendforce, 12.16)

(스마트폰) 애플, 2025년 초에 AI 기반 아이폰 SE 출시 예정으로 주요 공급업체에 주문량 증가 예상
- 애플이 25년 3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 SE의 생산을 준비하도록 주요 공급업체에 지시했다고 밝힘. 이 기기는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원하며 가격은 499~549달러로 저렴한 가격대 형성. SE 시리즈 사상 가장 큰 화면인 6.1인치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이라는 루머가 있으며, 카메라 또한 스펙이 업그레이드 됨
https://han.gl/w018Z (Trendforce, 12.16)

(ASIC) AI 시장 격전지로 떠오른 맞춤형 반도체 ‘ASIC’… 앞서가는 美·日, 따라붙는 中
- 구글, 메타, 바이트댄스 등 빅테크 기업들이 ASIC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미국 브로드컴과 파트너십을 맺고 오는 2027년까지 100만개가 넘는 AI 칩을 데이터센터에 탑재할 것으로 관측됨. 해당 시장에서 최대 900억달러(129조원)에 달하는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 일본, 중국에서도 ASIC 투자 확대 추세에 있음
https://han.gl/0A0ds (조선비즈, 12.16)

(서버) 중국 AI 서버의 로컬 칩 채택 증가, 조달 정책으로 인해 Nvidia 위협
- 미국 수출 규제 대응으로, 중국 재무부는 정부 조달 기준과 국산 제품에 대한 시행 정책에 관한 공지를 발표하여, 입찰 평가에서 국산 제품에 20%의 우위를 부여할 것을 제안함. 현지 제품의 정의는 아직 명확하지 않음. 중국 AI 서버 시장에서 현지 칩 비중은 꾸준히 확대 추세에 있음(1H23 10% → 1H24 20%)
https://han.gl/rVdLL (Digitimes, 12.16)

(AR/VR) "애플표 AR 글래스, 제품 출시까지 3~5년 걸릴 것"
- bloomberg는 애플이 AR 기반 스마트 글래스를 계속 개발 중이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출시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 애플이 AR 글래스를 출시하기까지 약 3~5년이 더 걸릴 것 으로 전망. 애플 직원들로부터 스마트 안경 제품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하고 있으며, 곧 포커스 그룹도 모을 예정으로 알려짐
https://han.gl/SZ7w7 (ZDNet, 12.16)

■ 디스플레이

(업황)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기업 위상 커져
- 2024년 패널 시장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지만, 일부 기업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 TV용 LCD 패널 가격 상승과 OLED 패널 수요 회복으로 일부 대형 기업들의 실적이 개선되었으나, 중소형 LCD 패널 부문에서는 여전히 가격 경쟁이 심해 일부 기업의 실적 악화
https://han.gl/h5fCM (The Elec, 12.16)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6 Dec, 07:46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 인도 사업부 IPO를 통해 150억 달러(21조 5,670억 원)가치 평가 목표

- LG전자는 내년 인도 IPO 상장으로 가치를 150억 달러(21조 5,670억 원)로 높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 IPO 공식 로드쇼는 앞으로 두 달 안에 시작할 계획, 25년 상반기 상장 목표
- 심의가 진행 중이며, 세부 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
- LG전자는 12월 초 인도 당국에 1악 1,820만 주 매각 계획에 대한 초안을 제출. 신규 발행 주식은 X
- LG전자는 IPO를 통해 10~15억 달러(1.4~2.2조 원)를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인도는 올해 IPO 시장이 활발했으며 IPO를 통해 180억 달러의 자금이 모임

출처: Bloomberg (https://han.gl/6mWRy)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5 Dec, 21:5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16(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전망) “내년부터 초박형·폴더블 아이폰 출시 예정”... 애플 승부수 될까
- WSJ는 애플이 내년부터 초박형 아이폰을 선보일 예정이며, 두 종류의 폴더블 기기도 개발 중이라고 보도함. 초박형 슬림 모델은 두께가 6.25mm에 불과하며 현재 폭스콘의 NPI 프로세스에 들어간 상태. 폴더블 기기는 두 가지 버전으로 개발되고 있음. 큰 모델은 약 19인치 크기로 펼쳐지는 노트북형 디바이스이며 작은 모델은 아이폰16 프로 맥스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갖춘 폴더블 아이폰이 될 예정임
https://han.gl/IzBaZ,
https://han.gl/SLNlV (Digitimes, 조선일보, 12.15)

(스마트폰) "삼성 엑시노스 칩, 갤럭시S26 시리즈서 확대 적용"
- 삼성전자가 2026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S26 시리즈에 자체 개발 AP인 엑시노스를 대폭 확대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됨. 지난 10월 아이스유니버스는 갤럭시S26 시리즈에 퀄컴 스냅드래곤 칩이 구동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으나, 향후 상황이 안정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입장을 변경함
https://han.gl/d2qMP (ZDNet, 12.14)

(정책) 미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제3국을 통한 중국의 GPU 접근 제한 계획
- 미국은 중국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중동 같은 제3국을 통해 첨단 AI 칩을 확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올해 말 이전에 새로운 조치를 도입할 계획임. 새로운 조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여기에는 GPU 수출에 대한 국가별 할당량 설정과 보고 요건이 있는 글로벌 라이선스 시스템의 시행이 포함된다고 밝힘
https://han.gl/LzatN (Trendforce, 12.13)

(전장) 테슬라, 중국에서 '스마트 차량 호출' 기능 출시

- 테슬라는 13일 중국에서 '스마트 차량 호출' 기능을 출시함. 이 자율 주행 기능은 향상된 오토파일럿과 완전 자율 주행 기능을 갖춘 테슬라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주차장에서 운전자의 시야 내에 있는 인근 위치까지 자율 주행 기능을 제공함
https://han.gl/FgcdD (Reuters, 12.13)

(스마트폰) 갤럭시 슬림, 300만대로 '스타트'
- 삼성전자는 갤럭시S25 슬림 모델 생산계획을 300만대 수준으로 정함. 갤럭시S25 시리즈의 출시가 내년 1분기로 예정돼 슬림은 이후 별도로 나올 예정. 기존 제품들과는 다른 디자인과 폼팩터를 지향하는 만큼 시장 반응을 살피기 위해 소량을 우선 선보이려는 의도로 분석됨
https://han.gl/jvoJz (전자신문, 12.15)

■ 디스플레이

(전망) "디스플레이 기판유리 가격 내년 1분기까지 상승"
- DSCC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판유리 가격이 내년 1분기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디스플레이 수요는 둔화됐지만, 코닝이 올해 9월 기판유리 가격을 올리겠다고 밝혔기 때문임. 분기별로 기판유리 가격은 올해 3분기 3% 상승, 4Q24, 1Q25에 각각 10%, 4% 오를 것으로 전망됨
https://han.gl/nCXux (The Elec, 12.1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5 Dec, 08:55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이 반도체 유리기판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텔·AMD에 이어 주문형반도체(ASIC) 시장 1위인 브로드컴도 차세대 반도체 기판을 준비, 시장 확산이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브로드컴은 자사 반도체 칩에 유리기판(글래스코어)을 적용하기 위한 성능 평가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술 도입 초기 단계로 여러 유리 기판을 테스트하는 중이다.

사안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브로드컴이 미국 현지 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과 함께 반도체 유리기판 성능을 확인하는 등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가로·세로 10센티미터(㎝) 수준의 대형 기판도 테스트하며 고성능 반도체 칩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리기판은 기존 플라스틱 소재 대신 얇고 매끈한 유리를 활용한 기판이다. 신호 전달 속도를 높이고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미래 반도체 기판으로 꼽힌다. 그러나 미세 균열 등 기술 난도가 높아 아직 상용화되진 못했다.

브로드컴의 행보는 유리기판 시장 확대를 시사해 주목된다. 브로드컴은 고객이 특정 용도로 반도체를 주문하면, 이에 맞게 설계·제작하는 ASIC 반도체 기업이다. JP모건에 따르면 세계 시장 점유율 55~60%에 달해 브로드컴이 본격 도입하면 반도체 업계에 유리기판이 빠르게 확산될 전망이다.

https://v.daum.net/v/20241215165103499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3 Dec, 05:46


삼성, '탑머티리얼 양극재 공급' 美 배터리 전극제조 기술기업 투자

삼성그룹 기업벤처캐피털(CVC) 삼성벤처투자가 미국 배터리 기술기업 나노라믹 레보러터리즈(Nanoramic Laboratories, 이하 나노라믹)에 투자했다. 이 회사는 전극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이에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나노라믹은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보조금을 확정해 코네티컷주(州)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등으로 대규모 리튬인산철(LFP) 전극 제조 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나노라믹은 현재 탑머트리얼과 네오카보닉스 기술 상용화에 협력하고 있다. 앞서 양사는 지난 6월 공동 이익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평택에 있는 탑머티리얼 공장에서 생산할 LFP 양극재를 공급하고, 나노라믹이 미국에서 전극을 생산해 기존 고객사에 납품한다는 계획이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0906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Dec, 22:06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13(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전망) 애플, 아이폰과 스마트홈용 자체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칩으로 전환에 가까워져
- 애플이 자사 기기용 자체 부품을 만들겠다는 계획에 내년부터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연결을 위한 자체 칩으로 전환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음. 이 계획은 현재 브로드컴이 제공하는 일부 부품을 대체할 예정임. 코드명 Proxima로 불리는 이 칩은 수년 동안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관계자들에 따르면 2025년 제품에 탑재될 예정
https://han.gl/kkHZj (Bloomberg, 12.13)

(AR/VR) 구글, 삼성과 함께 혼합현실 헤드셋 공개, 애플과 메타에 맞서다
- 양사는 목요일 개발자 중심의 행사에서 잠재적 파트너들에게 안드로이드 XR을 공개함. 내년 중반에 최초로 안드로이드 XR 출시 예정임. 비전프로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것
https://han.gl/rl7zh (Bloomberg, 12.13)

(규제) 미국, 크리스마스 전에 중국에 새로운 AI 칩 제한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보도됨

- 미국 상무부 산하 BIS가 조만간 새로운 AI 규정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중국으로의 AI 칩 수출에 대한 추가적인 제한이 가해질 수 있음. BIS는 이미 관련 제한 규정을 검토를 위해 관련 기관에 제출한 상태이며, 새로운 규정은 “놀라운” 것이 될 것이라는 판단
https://han.gl/VGsO2 (Trendforce, 12.12)

(PC) AI 폰 선점 삼성, 인텔 손잡고 AI PC 대중화 나선다
- 삼성전자는 12일 행사에서 갤럭시북5 프로를 처음 공개. 갤럭시북5 프로는 인텔 코어 울트라 200V를 탑재. 삼성전자가 직접 개발한 갤럭시 AI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11 코파일럿+ 등 주요 AI 기능을 모두 탑재. 백남기 인텔 부사장은 과거 와이파이 탑재 노트북도 2년 만에 시장이 개화했으며 AI PC 시장은 그보다 더 빨리 개화할 것이라고 예상함
https://han.gl/ZqBGA (ZDNet, 12.12)

(폴더블) 더 얇고 가벼운 폴더블 휴대폰 디자인으로 공급망의 기술적 한계 극복
- 폴더블 스마튼폰은 최근 몇 년 동안 급속한 성장을 보였지만 2024년에는 성장세가 둔화될 조짐. DIGITIMES Research는 2024년에 1,960만 대의 폴더블 폰 출하 예상, 이는 23년보다 160만 대 감소한 수치. 그러나 개발이 더 가볍고 얇은 디자인으로 전환됨에 따라 브랜드 제조업체들은 소재 업그레이드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급망의 기술적 기준이 높아지고 있음
https://han.gl/84Q8F (Digitimes, 12.12)

■ 디스플레이

(LCD) 티엔마, 애플에 홈팟용 7인치 LCD 공급

- 티엔마가 내년에 출시될 애플의 스마트 홈팟용 7인치 LCD를 공급 예정인 것으로 파악됨. 애플 홈팟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적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애플에 납품하는 홈팟용 7인치 LCD 가격은 10달러 내외로 저렴함. 티엔마는 2022년부터 샤프와 경쟁한 끝에 지난해 애플 홈팟용 LCD 납품물량을 확보함
https://han.gl/G62Lg (The Elec, 12.12)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Dec, 07:38


삼성전기, 애플 'M5' 칩셋용 FC-BGA 라인 신설 추진

삼성전기가 애플의 최신형 프로세서를 전담할 신규 패키지기판 양산 라인을 구축하기로 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존 대비 향상된 수율로 제품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리겠다는 전략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최근 애플 'M5'용 FC-BGA(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 전용 양산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M5는 애플이 내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차세대 모바일 PC용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다. 대만 주요 파운드리 TSMC의 3나노미터(nm) 공정을 기반으로 한다. 해당 칩은 애플의 차세대 IT 제품인 아이패드, 맥북 등에 탑재될 예정이다.

삼성전기는 애플 M시리즈의 패키징 공정에 필요한 FC-BGA를 공급해 왔다. FC-BGA는 반도체 칩과 기판을 '플립칩 범프(칩을 뒤집는 방식)'로 연결하는 패키지기판이다. 기존 패키지에 주로 쓰이던 와이어 본딩 대비 전기적·열적 특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기는 애플 최신형 M시리즈에 대응하기 위해 전용 라인을 증축하기로 했다. 신규 라인은 세종사업장에 들어설 가능성이 유력하다. M4 등 애플의 이전 칩셋용 FC-BGA도 세종사업장에서 양산된 바 있다.

https://zdnet.co.kr/view/?no=20241212104849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Dec, 06:54


비에이치, 100억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Dec, 04:35


비에이치, 테슬라 손잡고 ‘무선충전’ 배터리까지 동행

2일 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1위 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기인 비에이치EVS는 테슬라 차량 무선충전기부터 시작해서 신규 사업인 전기차 배터리 무선충전기까지도 테슬라 납품을 노릴 것으로 예상된다.

비에이치EVS 최대주주 비에이치는 차량용 연성회로기판(FPCB)을 생산한다. FPCB 소재 배터리 케이블(ICB)은 배터리 업체가 배터리 셀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하네스를 대체 할 수 있다.

테슬라는 최근 가정용 전기차 무선충전 패드에 대한 새로운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다.

테슬라의 궁극적인 목표는 ‘로보택시’로, 로보택시는 극단적인 단순화를 통해 비용 절감을 실현할 것으로 보인다. 또 부품 수, 운전하는 사람, 차량 생산 비용을 가능한 한 줄여 생산 단가를 낮추는 것이 목표로 전해진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 차량에 필요 없는 운전대와 페달을 제거하고 뒷좌석 및 뒷문을 제거해 부품 수를 줄였다. 단순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차량 내부의 유선 충전 시스템을 없애고 무선 충전 시스템만 남기게 됐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16086639117864&mediaCodeNo=257&OutLnkChk=Y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Dec, 16:17


LG전자는 6일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인도법인 IPO와 관련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DRHP)를 제출하고 상장을 공식화했다.

DRHP 심사는 통상 3개월 정도 소요된다. 이후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와 공모일을 확정하고 최종 증권신고서(RHP)를 승인받는 절차를 거친다. 상장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절차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LG전자는 현대자동차에 이어 인도 증시에 상장하는 두 번째 한국 기업이 된다.

LG전자는 이번 공모 과정에서 신주 발행과 별도로 전체 보유 지분(100%)의 15%를 매각하기로 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LG전자가 이번 IPO를 통해 최대 18억달러(약 2조6000억원)를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업가치는 130억달러(약18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60448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6 Dec, 07:52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 박준서]

삼성, 25년 스마트폰 2.29억대 생산 계획
(1차 계획 2.37억대 대비 800만대 감소)

자체 생산 1.79억대, JDM 0.5억대
S25 3,700만대 (Vs. S24 3,500만대)
폴더블 700만대 내외(Vs. 24년 600만대 내외)

중저가
A16 4,960만대
A26 1,060만대
A36 1,420만대
A56 1,650만대

JDM
A06 2,370만대 등

25년 태블릿 생산 계획
2,400만대 (Vs. 올해 2,730만대)

25년 PC 생산 계획
310만대 (Vs. 올해 340만대)

원문:https://ift.tt/M0dgRkw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5 Dec, 21:5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6(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세일 시즌과 플래그십 출시로 3분기 스마트폰 생산량 7% 증가

- 주요 브랜드의 플래그십 모델 출시로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은 QoQ 7% 증가하여 약 3억 1,000만 대를 기록. 4분기의 스마트폰 생산량은 QoQ 7% 가까이 증가하여 작년 실적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 이는 애플의 최신 모델 생산이 정점에 달하고 안드로이드 브랜드들의 시장 점유율 확보 노력으로 시장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기 때문임. 그러나 브랜드들은 신중한 재고 전략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https://han.gl/SUOXA (Trendforce, 12.5)

(반도체, AI) 삼성, 2026년부터 아이폰의 저전력 DRAM 패키징 방식 변경 예정
- 삼성은 아이폰에 사용되는 LPDDR의 패키징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 이러한 조치는 애플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애플은 LPDDR 메모리가 별도로 패키징되기를 원한다고 전함. 애플은 2026년부터 이러한 조정을 적용할 계획. 애플이 PoP방식을 2010년부터 도입했지만 온디바이스 AI의 메모리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 더이상 PoP가 이상적인 선택이 아닐 수도 있다고 보고
https://han.gl/jM0pz (Trendforce, 12.5)

(서버) 엔비디아, 베트남 정부와 함께 베트남에 AI 연구 및 데이터 센터 구축

- 엔비디아와 베트남 정부는 목요일에 체결한 협약에 따라 동남아시아 국가에 AI 연구 개발 센터와 AI 데이터 센터를 공동 설립할 예정임. 이에 대한 재정적 세부 사항은 밝히지 않음. 지난 4월, 베트남 기술 기업 FPT는 엔비디아의 2억 달러 규모의 AI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https://han.gl/jM0pz (Trendforce, 12.5)

(AR/VR) Meta는 제임스 카메론의 기술 벤처와 협력하여 MR 콘텐츠를 강화
- Meta는 제임스 카메론의 기술 벤처인 Lightstorm Vision과 협력하여 메타 퀘스트를 위한 3D 엔터테인먼트 제작을 강화한다고 밝힘. 여기에는 라이브 스포츠, 콘서트, TV 시리즈 등이 포함됨. 퀘스트 헤드셋은 라이트스톰 비전의 독점적인 MR 하드웨어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LJYX4 (Reuters, 12.6)

(전장) LG전자-암바렐라, ‘인캐빈 센싱’ 솔루션 글로벌 완성차에 공급

- LG전자가 암바렐라와 협력해 성능을 향상 '인캐빈 센싱' 솔루션을 개발. LG전자의 인캐빈 센싱은 카메라와 센서 등으로 차량 내부를 감지∙분석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솔루션. LG전자는 고해상도 영상 처리에 특히 강점이 있는 암바렐라 SoC에 고성능 DMS 솔루션을 탑재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게 됨
https://han.gl/NptUe (The Elec, 12.5)

■ 디스플레이

(OLED) "비전옥스, IT 8G 장비업체 이르면 내년 1분기 선정 가능성"

-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비전옥스가 이르면 내년 1분기나 2분기에 IT 8세대 OLED V5 라인 장비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음. 이들이 예상하는 V5의 1단계 라인 장비 반입 예상시점은 26년 상반기이며, V5의 1단계 라인 규모는 월 16K수준. 26년 상반기에 장비를 반입하려면 25년 상반기에는 장비업체를 선정하고 발주해야 하는 상황
https://han.gl/r8uqP (The Elec, 12.5)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4 Dec, 2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5(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서버) Ibiden, 2025년 AI 서버 IC 기판 생산량을 40% 늘릴 계획 제시
- Ibiden은 AI 서버 IC 기판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강조, 표준 서버 회복은 기대치에 못미친다고 발표. CAPA 확장으로, 25년부터 AI 관련 IC 기판의 생산량이 현재보다 약 4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25년 AI 관련 기판의 매출은 FY2024에 비해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FY2025 설비투자 예상치를 900억 엔에서 1,000억 엔으로 상향
https://han.gl/Vowyb (Digitimes, 12.4)

(스마트폰) 애플, 중국용 바이두 AI 모델 적용 장애물 직면
- 에플은 중국에서 판매되는 iPhone에 AI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문제에 직면함. 아이폰 사용자를 위해 바이두의 LLM을 적용하고 있는 회사들은 LLM의 프롬프트 이해 및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응답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음
https://han.gl/S1pkR (Reuters, 12.5)

(반도체) 미국 칩은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중국 산업 기관 4곳이 공동 성명

- 중국 최고의 산업 협회 4곳이 중국 기업들은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은” 미국 칩 구매를 경계하고 대신 현지에서 칩을 구매해야 한다고 공동 성명 발표. 이 협회는 통신, 자동차, 반도체 등 중국 최대 산업을 아우르며 총 6,400개 기업 회원을 보유함
https://han.gl/BQRsS (Reuters, 12.4)

(AI) 오픈AI·구글·MS 이어 아마존도 ‘AI’ 패권 경쟁 참전… 200개 언어 지원 LLM ‘노바’ 공개

- AWS는 총 6종류의 LLM ‘노바’ 시리즈를 공개. 1년 8개월 만에 한국어를 포함한 200여개 언어를 지원하는 LLM을 선보이는 것. 타사 주요 모델들과 비교해 노바는 약 75% 더 저렴하며, 노바 시리즈와 GPT, 제미나이의 벤치마킹 결과에서 노바 시리즈의 성능이 더 우수함을 밝힘. 아마존은 25년부터 노바 시리즈를 ‘AI 비서’ 형태로 차츰 업데이트할 계획임
https://han.gl/dYaaW (조선비즈, 12.4)

(공개) "삼성, 내년초 갤S25와 함께 AR 글래스 공개"

- Phoenarena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내년 1월 갤럭시S25와 함께 현재 개발 중인 AR 글래스 시제품을 공개할 예정. 이 AR 글래스 갤럭시폰과의 연동은 물론, 타 안드로이드폰 연동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며, 일부 기능이 빠진 상태에서 아이폰에서도 작동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고 말함
https://han.gl/9TJaS (ZDNet, 12.4)

■ 디스플레이

(LCD) LCD TV 패널 가격은 단기간 하락 가능성 낮음
- 8월 말부터 중국의 '보상 판매' 정책으로 LCD TV 패널 수요가 점차 활성화되면서 가격 하락세가 완화되는 추세. 제조업체들은 25년 1월 또는 2월에 LCD 패널 가격 인상 가능성을 시사. 중국의 보조금이 2025년까지 지속될 수 있어 LCD 패널 재입고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
https://han.gl/7twGJ (Digitimes, 12.4)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4 Dec, 06:08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애플 스마트홈 관련 궈밍치 코멘트 정리
: Smart Home Market Becomes Apple’s Next Strategic Target; New HomePod with Display Set to Be Key Product in Apple’s Smart Home Strategy

-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HomePod의 양산 일정이 여러 차례 연기되었음. 처음에는 2024년으로 예상되었으나, 최근에는 2025년 WWDC 이후/3Q25 이후로 연기

- 생산 지연은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 때문임.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HomePod은 A18 프로세서, 6~7인치 디스플레이, Apple 인텔리전스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

- 현재 HomePod 라인업에 비해 디스플레이 탑재 HomePod은 스마트홈 기능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판단. 이는 Apple이 HomePod 제품군을 전략적으로 재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애플은 기존 제품을 성공적으로 리포지셔닝한 전례가 있음 (ex. 애플워치)

- 이전에 Apple이 2026년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HomePod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 홈 IP 카메라를 출시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음. Apple은 이 두 가지 신제품을 기존 에코시스템 및HomeKit와 긴밀하게 통합하여 원활한 스마트 홈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함

- Apple의 인증 관련 특허는 스마트 홈 시장에 대한 Apple의 강한 관심을 보여줌. Apple은 스마트 홈 공간에서 신원 인증을 위한 솔루션을 제안했으며, 이는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HomePod은 2H25에 약 50만 대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 시장 반응이 긍정적이면 이 제품의 연간 출하량은 100만 대 수준에 이를 수 있음

출처: Medium(https://han.gl/BFdoT)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Dec, 22:0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4(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서버) AWS 새로운 AI 서버 공개, 애플이 자사의 칩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함

- 아마존은 자체 AI 칩이 탑재된 새로운 데이터 센터 서버를 공개. 이는 AWS의 Trainium2 칩 64개를 기반으로 함. 애플 또한 Trainium2 칩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힘. 일부 AI 모델은 엔비디아 칩보다 40% 낮은 비용으로 훈련할 수 있다고 언급함. AWS는 또한 차세대 AI 칩인 Trainium3가 내년에 출시될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7SJMq (Reuters, 12.4)

(서버) Quanta, 2025년에 AI 서버가 정점에 도달한 후 둔화되지 않을 것
- Quanta는 25년 AI 서버 수요가 정점에 달할 것이라는 우려는 과도한 추측이라고 일축. GB200 출하가 차질을 빚고 있다는 소문에 대해 고객이 주문을 취소한 적이 없다고 언급. 칩 수요 대응을 위해, 용량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힘
https://han.gl/oLZzp (Digitimes, 12.3)

(폴더블) "폴더블폰 시장, 내년까지 정체…아이폰 나오면 바뀔 것"
- DSCC에 따르면, 19년부터 23년까지 매년 40% 이상 성장해 온 폴더블폰 시장이 올해 5% 성장, 25년에는 4%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결과적으로 26년 말 애플의 폴더블 출시로, 26년 폴더블폰 시장은 다시 30% 이상 성장하고 27년과 28년에도 20% 이상의 성장률을 예상함
https://han.gl/GrXnC (ZDNet, 12.3)

(반도체) [차이나 브리프] 애플, AI칩 M5에 SoIC 적용

- 지난해 4분기 AMD가 AI MI300 가속기에 SoIC+CoWoS 기술을 적용한 데 이어 최근 애플도 SoIC 기술 도입 의향을 내비쳤음.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AI 칩 M5를 3나노 공정과 SoIC 패키징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임
https://han.gl/6Dxnb (The Elec, 12.3)

(AI) 갤럭시S25에 새 AI 챗봇 적용될까… 삼성, 신기능 상표권 잇달아 공개
- 삼성전자가 모바일 기기, AI와 관련된 새로운 상표권을 잇달아 공개한 것으로 확인됨. 이를 보았을 때, 삼성전자는 최근 AI를 기반으로 기기 간 연계 기능 강화에 주력하고 있음이 파악됨. 현재 갤럭시 시리즈에는 AI 챗봇 기능이 적용돼 있지 않으며, 외부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체 기능 개발을 병행
https://han.gl/ZcVVK (조선비즈, 12.3)

■ 디스플레이

(전망) AR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효과로, 2028년까지 마이크로 LED 칩 매출 US$489.5M까지 끌어올릴 전망
- Trendforce에 따르면, 24년 마이크로 LED 시장 성장은 주로 대형 디스플레이가 기여할 것으로 전망. 향후 기술 병목 현상에 대한 돌파구가 마련되고,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애플리케이션과 풀컬러 AR 안경 솔루션의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24년 마이크로 LED 칩 매출 $388M에서 28년 US$489.5M에 달할 것으로 예상
https://han.gl/pPDxh (Trendforce, 12.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Dec, 01:04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1472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Dec, 00:22


https://naver.me/xNLA9MOq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2 Dec, 22:32


https://naver.me/x3jxgCjo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2 Dec, 22:0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3(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MLCC) Murata, AI, 스마트폰, 웨어러블에 집중하며 MLCC 시장 우위 공고화
- 무라타는 기술 중심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시장 점유율을 우선시하는 방식의 사업 계획 발표. FY2024에 MLCC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 30년까지 43%로 확대 목표 제시. 무라타의 중기 계획은 또한 증가하는 AI 서버 수요를 겨냥한 것임
https://han.gl/l1Phc (Digitimes, 12.2)

(정책) 미국, 새로운 규제로 중국 칩 산업 규제
- 중국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수출 단속이 공개됨. 새로운 규칙에는 중국의 Naura Technology Group를 포함하여 140개 회사를 대상으로 수출 제한. (24개의 중국 반도체 회사, 2개의 투자 회사, 100개 이상의 칩 제조 도구 제조업체). 최신 규칙은 'HBM 2'와 그 이상의 고급 버전에 해당하는 AI 칩에 사용되는 메모리를 제한하는데, 3사 중 삼성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됨
https://han.gl/EKVZR,
https://han.gl/Oxwak (Reuters,
Trendforce, 12.3)

(서버) 대만 서버 ODM, 트럼프의 관세 위협 속에서 멕시코 밖에서 생산 능력을 모색하다

- 트럼프가 멕시코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글로벌 CSP와 서버 브랜드가 대만 제조업체에 대체 생산 계획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힘. 이에 Foxconn, Quanta와 같은 제조업체들은 '플랜 B' 전략을 활성화하여 미국 내 운영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음
https://han.gl/ZzsZG (Trendforce, 12.2)

(HVAC) LG전자, AI 데이터센터용 ‘칠러’ 사업 강화… “산자부와 민관협력 확대”
- LG전자가 초대형 냉방기 칠러의 수출 확대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민관협력을 강화한다고 2일 밝힘. 정부는 올해 데이터센터 3대 핵심 수출 인프라 중 하나를 냉각 시스템으로 선정하고 업계와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해 옴
https://han.gl/CiQdz (조선비즈, 12.2)

(PC) [차이나 브리프] 엔비디아, ARM 기반 자체 SoC 내놓을 듯

- 최근 PC 공급망에서 엔비디아는 미디어텍과의 협력 외에도 독립적으로 ARM 기반 CPU 및 GPU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25년 9월에는 소비자용 고성능 플랫폼이, 2026년 3월에는 상업용 플랫폼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iQBfj (The Elec, 12.2)

■ 디스플레이

(LED) LED all-in-one 시장의 현재 발전에 대한 간략한 분석
- Trendforce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LED 일체형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YoY 11% 성장한 6,40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일부 LED 올인원 모델의 평방미터당 가격은 이제 LCD 디스플레이의 가격에 근접하고 있음.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함에 따라 LED 일체형 디스플레이의 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fSb6O (Trendforce, 12.2)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2 Dec, 04:36


https://zdnet.co.kr/view/?no=20241202104546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1 Dec, 22:0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2. 2(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아이폰17 pro에 대한 8가지 루머
- 아이폰17은 다음과 같은 잠재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알려짐. 알루미늄 프레임, 직사각형 카메라 모듈, A19 프로 칩(TSM 3세대 3nm 공정을 활용), Apple 설계 Wi-Fi 7 칩, 2,400만 화소 전면 카메라(아이폰 16은 1,200만), 4,800만 화소 후면 망원 카메라, 12GB RAM(아이폰16은 8GM RAM), 아이폰 17 프로 맥스를 위한 더 작은 Dynamic Island
https://han.gl/QgtaB (Trendforce, 11.29)

(pc) Acer 회장, 3Q25에 AI PC가 가격 적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지금까지 AI PC 판매는 초기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지만, 첸 회장은 AI PC가 주류 가격대인 699~799달러에 도달해야 판매가 활성화될 수 있고, 25년 3분기에 AI PC 가격이 이 범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함. 이러한 예상은 반도체 개발 추세에 근거한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mvqvm (Digitimes, 11.29)

(투자) 일본, 올해 칩과 AI에 99억 달러 추가 배정
- 일본 정부는 3월까지 회계연도 추가 예산안에 차세대 칩과 양자 컴퓨터 관련 분야에 1조 5,500억 엔, 국내 첨단 칩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4,714억 엔 추가 예산 배정. 이는 이시바 시게부 총리가 FY 2030까지 칩과 AI에 10조 엔 이상의 신규 지원을 약속한 것의 일부. 추가 예산은 29일 일본 내각에서 승인되었으며 연말까지 의회를 통과 예상
https://han.gl/sx54R (Bloomberg, 11.29)

(반도체) 11월 D램 가격 20% 이상 급락…DDR4·DDR5 동반 부진 영향

- 11월 PC용 D램 DDR4 8Gb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1.35달러로 전월 대비 20.59% 감소함. PC용 D램 평균 거래가격은 전월 대비 5~10% 하락, DDR5 가격도 동반 하락함. 중국 정부가 구형 노트북 교체 장려에 나섰지만 부진한 모습. 중국 CXMT의 공격적인 물량 확대도 문제로 작용. Trendforce는 12월에도 가격이 회복될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함
https://han.gl/7MhcH (뉴스1, 11.29)

(전망) 키옥시아, 낸드 플래시 시장의 어려움 속 감산 계획
- Commercial Times에 따르면, 2024년 12월 Kioxia가 감산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낸드 플래시 가격을 안정화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음. 또한, AI 서버, ASIC 및 하이엔드 네트워킹 제품을 위한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완성됨에 따라 CSP의 자본 지출이 엔터프라이즈 SSD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됨. Trendforce는 4분기 전체 낸드 플래시 업계 매출이 QoQ 10%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
https://han.gl/0AL4k (Trendforce, 11.29)

■ 디스플레이

(UTG)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폰 백플레이트 소재로 유리 추진

-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폰 백플레이트 소재로 유리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임. 이미 부품사들과 과제를 시작함. 유리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가벼운 무게와 저렴한 가격 외에 소재 수급 안정성도 있음. 폴더블폰 패널에 유리 소재 백플레이트를 양산 적용하는 시점은 불분명함, 빨라야 26년에나 양산 가능할 것으로 봄
https://han.gl/OoZIb (The Elec, 11.29)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9 Nov, 13:41


도요타 자체 배터리 생산 라인 구축

29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주 도요타와 파나소닉의 배터리 합작사인 프라임플래닛에너지&솔루션(PPES:Prime Planet Energy&Solutions)이 한국 협력사를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20여명 규모로 이루어진 방문단은 전국을 돌며 배터리 공장 구축에 필요한 장비를 주로 살펴볼 예정이다. 그간 국내외 배터리 셀, 완성차 기업 등에서 수 명 단위로 협력사를 방문한 적은 있지만, 이처럼 대규모로 방문단을 구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파악된 방문 기업은 우원기술, 원익피앤이, 피엔티, 필에너지, 톱텍 등이다. 우원기술, 필에너지, 톱텍은 조립공정과 물류 장비 등을 주로 만든다. 원익피앤이는 형태가 완성된 배터리를 충전과 방전해 활성화하는 포매이션 장비 전문이다. 피엔티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 전극공정 장비로 잘 알려져 있다.

PPES는 각형 배터리를 생산한다. 이번 방한 목적 가운데 하나는 일본과 북미에 마련할 각형 배터리 생산 공장에 적용할 장비를 살펴보기 위해서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핵심소재인 양극재는 LG화학을 통해 조달 받을 계획이다.

핵심은 북미 공장이 될 전망이다. 도요타는 미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 라인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다. 배터리 생산 능력을 2030년까지 280기가와트시(GWh)로 높일 계획이다.


https://ift.tt/2Bi3xoe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9 Nov, 00:00


https://ift.tt/ZtbCDwN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8 Nov, 22:0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29(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서버) Wistron의 세 자릿수 매출 증가를 견인하는 강력한 AI 서버 수요

- Wistron은 2024년에 AI 서버 매출이 triple-digit % 성장률을 기록한 데 이어, 25년에도 비슷한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2025년에는 AI 서버의 매출 비중이 5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함. Wistron은 AI 서버 구성 부품에서 전체 서버 랙 조립 작업으로 사업을 확장, 최근 NVL72 모델을 출하하기 시작함
https://han.gl/zX29U (Digitimes, 11.28)

(폴더블) 폴더블 아이폰, 드디어 나오나…"개발 본격 착수"

- IT매체 BGR이 27일 폴더블 아이폰 개발이 시작됐다고 보도함. 국내 IT팁스터 란즈크도 최근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 정식 개발에 들어갔다고 주장한 바 있음. 애플은 폴더블을 ‘클림셸’ 형태로 개발 중임. 최근 내구성, 주름 문제에 대해 최근 해결 방안을 찾은 것으로 파악됨
https://han.gl/5YSJG (ZDNet, 11.28)

(로봇) 2027년까지 20억 달러 이상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가치를 견인할 AI 및 interactive 수요
-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주요 로봇 제조업체들이 2025년까지 대량 생산을 계획하고 있어, 2027년까지 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24년부터 27년까지 CAGR 154% 수준으로 성장하는 것. 서비스 지향 로봇이 생성형 AI의 발전의 수혜를 받아 시장 매력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판단
https://han.gl/vLxer (Trendforce, 11.28)

(반도체) [차이나 브리프] 미디어텍, 신형 AP 중국 업체 주문 늘어나
- 디멘시티 9400은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중화권 업체들로부터 대량 주문을 받았음. 디멘시티 9400의 높은 수요로 공급 부족에 직면. 이 AP의 ASP는 약 150달러로 퀄컴의 '스냅드래곤 8 엘리트'의 200달러보다 낮아 중국 OEM사들에게 선호되고 있음
https://han.gl/YQlL3 (The Elec, 11.28)

(반도체) 유럽 수십억 유로의 새로운 칩 보조금 계획
- 독일 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에 수십억 유로의 신규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고 28일 밝힘. 보조금 규모는 약 21억 달러로 예상. 유럽 경제부 대변인은 “현재 기술 수준을 크게 뛰어넘는 최신 생산 능력을 구축하기 위해 자금이 제공될 것”이라고 언급
https://han.gl/kyP0q (Reuters, 11.29)

■ 디스플레이

(OLED) 삼성D 신임 사장 이청 "AI시대 OLED 초격차"
-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신임 CEO는 각 시장에 대해 언급함. 최근 미국의 대형 고객사가 폴더블폰 개발에 나섰다는 소식에, 점유율 1위를 가져갈 것이라고 언급. XR기기용 차세대 패널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고 밝힘. 중국의 추격 속도가 빠르지만 기술력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겠다고 언급
https://han.gl/lHi30 (한국경제, 11.2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8 Nov, 04:49


재고 부담 증가 지속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2,788만 대
10월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2,327만 대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7 Nov, 23:1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CAICT 중국 10월 출하량
: 애플 크게 감소
1) AI 부재, 2) 중국 로컬 브랜드 출시 효과

- 핸드셋 출하량 2,967만대
(+16.9% MoM, +1.7% YoY)
- 스마트폰 출하량 2,788만대
(+17.6% MoM, -1.1% YoY)
- 5G 출하량 2,672만대
(+19.7% MoM, +1.1% YoY)

중국 로컬 출하량
- 중국 로컬 출하량 2,345만대
(+15.2% MoM, +30.2% YoY)

Non-local 출하량
- 스마트폰 출하량 622만대
(+24.1% MoM, -44.2% YoY)

5G 출하량
- 5G 핸드셋 출하량은 2,672만대
(+19.7% MoM, +1.1% YoY)
- 스마트폰 신모델 내 5G 모델의 비중은 27.6%로 전월(72.2%) 대비 -44.6%p 하회
- 10월에 출시된 신모델은 핸드셋 37개(전월 35개), 스마트폰 29개(전월 18개), 5G 핸드셋 8개(전월 13개)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7 Nov, 22:0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28(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10월 중국 내 해외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44.25% 감소

- 10월 중국 전체 휴대폰 판매량은 YoY 1.8% 증가한 2,967만 대를 기록. 그러나 중국 내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YoY 44.25% 감소함(1,149만 대→622만 대). 중국 내 전체 외국 브랜드 휴대폰 판매량에서 애플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큼
https://han.gl/8ezmT (Reuters, 11.27)

(MLCC) 삼성전기 “AI용 MLCC 기술력, 日 무라타와 경쟁할 수준… 中 추격 매서워”
- 삼성전기는 그동안 일본 기업에 기술력이 밀렸던 것을 사실이지만, AI용 MLCC 시장에서 Murata의 기술 수준을 따라 잡고 있다고 밝힘. 국내 생산기지의 MLCC 가동률은 최대치에 이른 것으로 알려짐. 또한 중국 기업의 MLCC 기술력 성장이 가속화 되고 있다고 밝힘
https://han.gl/ysajr (조선비즈, 11.27)

(PC) HP, 델의 약한 전망으로 주가 하락, PC 시장 회복에 대한 의구심 촉발
- Dell, Hp 모두 예상치를 하회하는 분기 가이던스를 발표함. Pc 수요에 대해, 전통적인 PC 수요는 팬데믹 호황 이후 부진세 이어가며, AI PC는 기업 및 교육 부문의 일부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 대중적으로 채택되지 않고 있다고 전함. Windows 11 교체 주기 측면에서는, 이전의 업계 전환 주기보다 느리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2025년에 업그레이드의 영향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https://han.gl/USedq (Reuters, 11.27)

(AI) IDC, 향후 5년 내 AI 인프라 지1,000억 달러 돌파 전망
- IDC에 따르면, AI 인프라 시장은 전례 없는 성장세를 보이며 2028년까지 지출 규모가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주로 AI 서버 투자에서 비롯됨. 2028년까지 가속기가 포함된 서버가 서버 AI 인프라 지출의 60%를 넘어서며 CAGR 19%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함
https://han.gl/xsCGd (IDC, 11.27)

(스마트폰) 2024년 3분기에도 유럽 스마트폰 시장 회복세 지속, 출하량 YoY 8% 증가

- 유럽은 3분기 연속 회복세를 이어가며, 24년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이 YoY 8% 성장함. 2023년 3분기에 크게 저조했던 삼성과 Apple의 반등이 성장을 견인함. HONOR는 서유럽과 동유럽 모두에서 호조를 보이며 상위 5위권에 재진입함. 향후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함
https://han.gl/ixMAY (Counterpoint, 11.27)

■ 디스플레이

(OLED) LG디스플레이 “中에 태블릿용 OLED 기술력 3년 앞서… 문제는 저가 물량 공세”
- LG디스플레이는 태블릿용 OLED의 핵심인 저전력 LTPO 기술과 탠덤 구조는 아직까지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기술력이 없는 상태이며, 현재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 격차는 3년 정도 앞서 있다고 전함. 또한 아이패드 연간 총생산량인 5,000만~6,000만대가 전부 OLED로 전환되면 시장 규모는 2조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https://han.gl/IMh48 (조선비즈, 11.27)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7 Nov, 06:11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Murata FY 2027, 2030 경영 계획 발표 (11/25)

■ FY 2027 2조 엔 매출 목표, opm 18%, roic 12% 이상을 목표로 제시
- 2027년 경영 목표 매출 2조 엔 달성, 볼륨 존에 대응을 위해 영업이익률 목표 기존 20%(3년전 제시)에서 18%로 일시적으로 수정함
- 아시아 기업과 경쟁 심화로 시장 점유율 확대에 중점
- 2027년 경영 매출 2조원 제시하지만 여기서 10% 가량 더 성장할 가능성 있다고 봄. 25년부터 크게 확대 예상되는 온디바이스 AI 장비와 AI 서버를 포함한 데이터센터 투자에서, 현재 전망치보다 확대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임

■ FY 2030 일정 수준의 성장 아래 2조 5천억 엔의 매출 달성, opm 20% 이상, roic 15% 이상 목표 설정

■ 애플리케이션별 성장 시나리오
▶️엣지 디바이스 -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여전히 큰 성장 예상
▶️스마트폰 - 스마트폰 생산 대수는 11억 대 정도에서 정체되어 있지만, 6G, 5.5G, 5G의 설치율은 연평균 8.3%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모빌리티 - xEV의 비율은 연평균 13.4%씩 증가하고 있어 전자 산업에 큰 성장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IT 인프라 - AI 서버 연평균 3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커패시터 사업 - MLCC, 파워인덕터 관련
- AI 관련 사업이 커패시터 사업 업사이드의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
- 수요 대응 위해 27년까지 생산 능력 10% 증대 목표
- 가장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은 데이터센터, 특히 AI 서버에 대한 수요
: 2030년까지 AI 서버용 MLCC 수요는 24년 대비 CAGR 18% 성장 예상. 이를 대응하기 위한 고전압 커패시터와 초소형 고용량 커패시터가 필요함
- 2030년까지 자율주행 레벨2 이상 차량이 2023년 대비 1.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ADAS와 xEV의 성장은 고성능 MLCC 탑재 수를 늘려줄 것
- 2028년까지 현재 대비 ASIC의 수는 약 4배, 전력 총량은 약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power supply 제품 수요 증가 예상

*추정치는 모두 murata 추정
출처: Murata IR(information meeting FY2024)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6 Nov, 22:0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27(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24-29년 CAGR 3.6% 성장 전망
- Digitimes research에 따르면, 25년 스마트폰 시장은 YoY 3.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향후 5년 동안 인도, 동남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의 지역에서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업그레이드 수요가 예상되며, 이들 시장에서 5G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구축과 확장이 스마트폰 출하량을 더욱 견인할 것으로 예상함
https://han.gl/uUaWi (Digitimes, 11.26)

(폴더블) 삼성 신모델 출시에도 불구하고 2024년 3분기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 24년 3분기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YoY 1% 감소하여, 3분기 사상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함. 이는 갤럭시 Z6 시리즈의 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진했기 때문임. Counterpoint는 글로벌 폴더블 시장이 틈새 시장에서 주류로 발전하는 과도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이며, 높은 가격이 여전히 대중화를 막고있다고 판단함
https://han.gl/tPJFD (Counterpoint, 11.26)

(스마트폰) 화웨이, 미국의 새로운 칩 규제가 임박함에 따라 메이트 70 스마트폰 출시
- 화웨이가 11월 26일 메이트 70을 공개하는 동시에 미국 기술에 대한 의존을 완전 탈피하기 위한 자체 운영 체제를 선보임. 미국이 이르면 이번 주 최대 200개의 중국 칩 회사를 무역 블랙리스트에 추가하여 수출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함. 메이트 70 시리즈는 소프트웨어 독립을 위해 추진한 하모니OS NEXT의 첫 번째 주요 상용 출시작이며, 이전 모델 대비 성능 40% 향상되었다고 밝힘. 11월 26일 기준 선주문 수는 320만 대를 넘어섬
https://han.gl/RQGRm
https://han.gl/Q64vb (Reuters, Digitimes, 11.26)

(개발) Xiaomi, 자체 모바일 칩 준비, MediaTek 및 Qualcomm 압박
- 샤오미는 Qualcomm과 MediaTek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곧 출시될 스마트폰용 자체 설계 모바일 프로세서를 준비 중임. 관계자들은 25년 이 칩의 대량 생산을 예상함. 샤오미는 연구 개발 비용으로 올해 240억 위안에서 25년 300억 위안 투자 계획을 밝힘
https://han.gl/0hm6D (Digitimes, 11.26)

(투자) 인도, 전자 제품 제조를 촉진하기 위해 50억 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알려짐
- 인도는 기업들이 국내에서 전자 부품을 제조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최대 50억 달러 상당의 새로운 인센티브를 제공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 계획은 최종 개발 단계에 있으며 향후 2~3개월 내 시행 예정. 정책의 목표는 전자 제품 부문에서 인도의 입지를 크게 강화하는 것
https://han.gl/GC64D (Digitimes, 11.26)

■ 디스플레이

(OLED) TCL CSOT, DTC2024서 잉크젯 프린팅 OLED 양산 발표 [기고]

- TCL은 잉크젯 프린팅 OLED를 양산 발표함.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개발된 IJP OLED 프로토타입은 모두 탁월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해 IJP OLED 기술을 상용화의 새로운 단계로 성공적으로 진입에 성공. TCL CSOT의 첫 양산 제품은 21.6인치 4K 제품으로 공식적으로 양산 단계에 진입
https://han.gl/X4miD (The Elec, 11.26)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2 Nov, 05:3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pinned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2025년 전망] 전기전자 - 결국 성장은 AI로부터 ■ 2025년: 세트 전망 - 25년 전체 세트 수요는 무난한 성장 기대. 세트별로는 SP +3.2%YoY(이하 동일), TV +1.0%, PC +0.8%, 테블릿 +1.4%, TWS 6.7%로 추정 - 25년 스마트폰 교체 주기의 도래. 현재 스마트폰 교체 주기(48개월)에서 더 길어지는 상황은 제한적 25년부터 AI 스마트폰 출시와 OS 개선에…»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2 Nov, 05:30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2025년 전망] 전기전자 - 결국 성장은 AI로부터

■ 2025년: 세트 전망
- 25년 전체 세트 수요는 무난한 성장 기대.
세트별로는 SP +3.2%YoY(이하 동일), TV +1.0%, PC +0.8%,
테블릿 +1.4%, TWS 6.7%로 추정
- 25년 스마트폰 교체 주기의 도래. 현재 스마트폰 교체 주기(48개월)에서 더 길어지는 상황은 제한적
25년부터 AI 스마트폰 출시와 OS 개선에 따라 세트 수요의 방향 성은 긍정적으로 판단되기 때문
21년 코로나 시기 물량의 교체 수요도 기대됨
- 향후 스마트폰, PC 등 세트들의 P, Q를 견인할 것은 AI의 여부라고 판단
- 무난한 세트 성장 아래, AI 제품 출시로 수혜 받는 업체에 주목이 필요하다고 판단

■ 부품
- AI 대응을 위한 Bom Cost 내 AP 비중 증가 예상. AP 성능 강화에 따른 MLCC 탑재 용량 증가 수혜에 주목
- 전체 MLCC 판가 상승은 어려움. 일부 AI 및 산업 향 하이엔드 MLCC 제품만 판가 상승 기대
- AI 서버 및 PC 침투율 확대에 따른 MLCC 탑재량 증가 기대
- PCB 또한 레거시 수요는 더딘 회복, AI 서버 향 수요 지속 성장 기대

■ Top Pick - 삼성전기
- 목표주가 200,000원 유지. 현재 주가 기준, 24F, 25F P/B 각각 1.1배, 1배로 저평가 국면임
- AP 성능 강화 수혜는 MLCC. 전모델 대비 AI 스마트폰에 MLCC 용량 +30%
- 전체 MLCC 내 서버 비중 고성장 전망
- 25년 말 산업과 전장 향 MLCC 비중이 45%까지 확대되면서 안정적인 영업 마진이 기대됨
- 다수의 모멘텀이 포진. 1) 실리콘 캐퍼시터, 2) 산화물 전고체 배터리 생산, 3) AI 기판 기대감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han.gl/tRIQl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1 Nov, 2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22(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전망) SMIC, 불확실한 2025년 전망, 4분기 가이던스는 긍정적

- SMIC는 소비자 가전 수요의 부분적인 반등과 12인치 용량 가동률 개선에 힘입어 4Q24를 다소 낙관적으로 전망. 2025년을 보면, 최종 시장 수요 회복은 YoY 한 자릿수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 및 산업 부문의 회복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말함
https://han.gl/XSL2P (Counterpoint, 11.21)

(반도체) “화웨이, 내년 1분기 새 AI칩 양산… 낮은 수율 걸림돌”
- 화웨이가 내년 1분기부터 새로운 AI 칩을 생산할 계획임. 화웨이가 ‘Ascend 910C' 샘플을 일부 IT 기업에 보냈고, 이와 관련해 주문을 받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짐. 그러나 이 칩은 장비의 문제로 수율이 약 20%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JE0z2 (조선비즈, 11.21)

(폴더블) 화웨이, 폴더블폰 '메이트 X6' 예약판매 시작..."中 선두 굳히기"

- 화웨이가 신제품 플래그십 폴더블 스마트폰 '메이트 X6' 예약 판매를 시작함. 20일 오후 예약 판매를 시작한 지 10분 만에 6만 명, 21일 오전 8시 기준 예약자가 57만 명을 넘어섬. 아직 가격과 상세한 스펙이 공개되지 않은 상태
https://han.gl/hpKdc (ZDNet, 11.21)

(로봇) “이건 충격” 난리났다…BMW 조립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24시간 작업 가능”
- Figure는 20일 자사의 휴머노이드 로봇 ‘Figure02'의 기능을 보여주는 새로운 영상을 공개함. 이번에 공개된 영상에는 ‘피겨02’이 자동차 섀시용 금속 부품을 성공적으로 조립하는 모습이 담김. 피겨는 이 로봇에 대해 하루당 1,000건의 작업 처리가 가능하고, 전작보다 작업 속도가 400% 증가했으며 정확도도 7배 향상됐다고 설명함
https://han.gl/uv2hg (헤럴든경제, 11.21)

(투자) LG이노텍, 베트남 공장에 3759억원 투자… “광학솔루션 사업 역량 강화”

- LG이노텍은 21일 3,759억 원 규모의 신규 시설 투자를 공시함. 투자 목적은 “‘광학솔루션 사업 신모델 대응 및 경쟁력 향상’”이라고 밝힘. 이는 지난해 제시한 베트남 공장 증설의 일환이며 이번 증설로 베트남 공장의 카메라 모듈 생산능력은 2배로 늘어남
https://han.gl/Tjfbl (조선비즈, 11.21)

■ 디스플레이

(OLED) 3분기 스마트폰 OLED 출하량 27%↑...LGD, 50% '껑충'

- 시그마인텔에 따르면, 3분기 글롭벌 스마트폰 OLED 출하량이 전년대비 27.1% 늘어난 2억1,000만대로 집계됨. 3분기 스마트폰 OLED 출하량 1위는 삼성디스플레이로 9,700만대(점유율 46.0%) 기록. LG디스플레이의 3분기 스마트폰 OLED 출하량은 1,600만대로 전년비 +50% 기록. 양사 모두 애플향 플렉시블 OLED에서 호조를 보임
https://han.gl/YDyc1 (The Elec, 11.2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0 Nov, 22:16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21(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Singles’ Day 2024: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9% 감소
- 올해 중국의 광군제 스마트폰 판매량은 YoY 9% 감소함. 애플은 경쟁사의 다양한 플래그십 출시 효과에 밀려, 아이폰 판매량이 YoY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임. 반면, 화웨이가 YoY 7%의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했고, OPPO와 비보가 그 뒤를 이음
https://han.gl/lFRcd (Counterpoint, 11.20)

(전망) 퀄컴, “2029년까지 스마트폰 외 사업군서 연매출 30조원 목표”
- 퀄컴이 2029년까지 스마트폰 외 사업군에서 연매출 220억달러(약 30조원) 이상을 낼 것이라는 목표를 제시함. 스마트폰용 반도체 비중을 줄이려는 전략임. 산업용 IoT 부문·AI PC부문 각각 40억 달러(약 5조 5,900억원), XR부문 20억달러(약 2조8,000억원) 등으로 목표 제시
https://han.gl/zdC1j (The Elec, 11.20)

(반도체) "화웨이, 7나노 칩 설계…2026년까지 첨단 기술 못 써"

- SMIC이 ASML의 EUV 노광 장비를 쓰지 못해 화웨이 기술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됨. SMIC는 7나노조차 수율과 신뢰성 문제를 겪고 있음. 따라서 화웨이는 적어도 2026년까지 오래된 기술을 쓸 수밖에 없으며 TSMC가 내년 2나노 기술로 생산 시작시 중국의 첨단기술은 미국에 더 뒤쳐질 것으로 전망
https://han.gl/9nm4l (ZDNet, 11.20)

(로봇) 머스크 “전세계 모든 가정에서 옵티머스 로봇 한 대씩 두게 될 것”
- CCN에 따르면, 머스크는 옵티머스가 시판에 들어가면 초기 가격은 3만 달러 수준이 될 가능성이 크고 그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2만 달러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밝힘. 머스크는 지구상의 모든 가정에 옵티머스 로봇 적어도 한 대씩 보급되는 날이 올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냄
https://han.gl/8z0xK (글로벌 이코노믹, 11.20)

(투자) Foxconn, AI 붐 속에서 11억 달러 은행 대출 유치
- 폭스콘이 3년 동안 11억 달러를 대출로 조달할 예정임. 대만을 비롯한 국내외 17개 은행이 폭스콘에 이번 대출을 제공함. 이를 사업 자금에 주로 쓸 예정이며, 폭스콘은 서버를 포함한 클라우드·네트워킹 사업이 스마트폰 수익에 버금가는 폭스콘의 주요 제품이 될 것이라고 언급함
https://han.gl/MwIYU (Bloomberg, 11.20)

■ 디스플레이

(OLED) LG전자, 올레드 TV 점유율 52% 차지...12년 연속 1위

- Omdia에 따르면, LG전자는 올해 3분기 누적 전체 올레드 TV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점유율 약 52%를 차지함. 특히, 특히 75형 이상 초대형 올레드 TV 시장에서는 56%의 점유율 기록. 그리고 프리미엄(1,500 달러 이상) TV 시장 내 OLED TV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약 47%로 역대 최대를 기록. 작년 대비 12%p가 증가함
https://han.gl/V0sZQ (ZDNet, 11.20)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0 Nov, 05:08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63669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9 Nov, 21:5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20(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전망) Nichidenbo, 2025년 PC, 소비자 제품 출하량 안정적 유지, AI 서버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

- Nichidenbo는 2025년 PC 및 소비자 시장은 2~3% 성장 예상, AI 서버 부문은 상당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함. 기존 서버 마더보드에는 각각 약 2,000개의 MLCC가 사용되지만, AI 서버는 20,000개 이상, GB200 서버는 각각 200,000개 이상의 MLCC가 사용될 수 있음. 동사는 25년 하이엔드 mlcc가 주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함
https://han.gl/fXUkc (Digitimes, 11.19)

(AR/VR) 삼성 XR, ‘헤드셋’ 아닌 ‘안경’에 무게···내년에 나올 듯
- 삼성전자는 내년 3분기 출시를 목표로 스마트 글라스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짐. 초기 생산 목표량은 약 50만대, 무게는 50g, 제미나이 기반의 AI 기능도 탑재될 전망임. 25년 7월 폴더블 스마트폰 언팩 행사에서 공식 발표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음
https://han.gl/Zg8cl (경향신문, 11.19)

(폴더블) 폴더블 왕좌 탈환 삼성, 보급형으로 굳히기?… 中은 철수 고민
-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3·4분기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에서 점유율 51.2%를 기록함. 2위와 36.1%p 차이 존재. 중국에서 폴더블 수요 성장세가 위축되고 있고, 올 하반기 '갤럭시Z폴드6·Z플립6' 출시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됨. 삼성전자는 내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보급형 모델인 갤럭시Z플립7 FE를 개발 중으로 파이 확장이 기대됨
https://han.gl/IhXkb (파이낸셜뉴스, 11.19)

(스마트폰) 화웨이 '메이트 70' 흥행…예약구매 200만 건 돌파
- 19일 오전 7시 기준, 화웨이 공식 샵에서 메이트 70 시리즈의 예약구매 건수가 204만 건을 넘어섬. 출시 후 24시간도 되지 않아 200만 건을 넘어선 것. 메이트 70 시리즈는 자체 OS뿐 아니라, 자체 '치린 칩'을 장착한 첫 스마트폰임
https://han.gl/i0A23 (ZDNet, 11.19)

(로봇) 로보티즈, MIT와 '피지컬 AI' 개발 착수
- 로보티즈와 MIT는 신체 지능을 고도화한 로봇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19일 밝힘. 이번 협력은 최대 100억원 규모로 정부지원과 함께 진행됨. 이 기술은 로보티즈가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협동로봇 '오픈매니퓰레이터-Y'에 추후 적용할 예정
https://han.gl/8iw4Z (ZDNet, 11.19)

■ 디스플레이

(TV) 중국 보조금 정책으로 3분기 TV 출하량 10% 가까이 증가, 연간 출하량 성장세로 전환
- Trendforce는 중국에서 모멘텀 지속과 미국과 유럽의 연말 프로모션 효과로, 4분기 글로벌 TV 수요는 QoQ 2.5%, YoY 0.5% 증가하여 5,363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 2024년 연간 출하량은 연간 0.6% 증가한 1억 9,670만 대로 예상되며, 이는 5년 연속 출하량 감소세에서 벗어나는 수치임
https://han.gl/k7Vw7 (Trendforce, 11.19)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9 Nov, 04:55


https://ift.tt/wrBR9nh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9 Nov, 03:49


https://naver.me/FvEdd6lA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9 Nov, 01:25


[2025년 주식전략] K-프리미엄을 찾아서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유명간, 황지애입니다. 2025년 주식시장 전망 자료를 발간했습니다.

*주가 결정요인을 매크로 환경, 밸류에이션, 실적으로 구분했을 때 2024년은 실적이 가장 중요했습니다. 2025년 주식 시장도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입니다.

*[매크로 환경] 주요국의 완화적인 통화, 재정 정책으로 글로벌 경기는 상반기 저점 통과 후 중반 이후 회복을 전망합니다. 금리는 물가 둔화 흐름이 지속되며 하향 안정화를 기대합니다.

*트럼프 정책 강도(이민, 관세, 감세)는 변수입니다. 금리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밸류에이션] 할인율(=금리+ERP) 하락에 따른 밸류에이션 상승은 제한적입니다. 이익 증가율 및 리스크 프리미엄의 방향성은 2018년과 유사(12MF PER 평균값 8.7배)합니다.

*마찬가지로 관세, 이민 정책에 따른 실적 불확실성 확대와 인플레 상승 압력은 밸류에이션 하락 요인입니다.

*[기업실적] 2025년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에서 15% 하향 조정된 270조원 수준 예상합니다. 매출 컨센서스가 과도하다고 판단합니다.

*한국의 대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관세 정책은 매출 컨센서스 추가 하향 조정 요인입니다. 반면, 물가(↓), 환율(↑), 금리(↓) 방향성은 기업 마진에 우호적입니다.

*[코스피 전망] 내년 코스피 흐름은 밸류에이션보다 이익 경로와 유사할 전망입니다.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코스피 12MF EPS는 상반기 완만한 개선 후 하반기 조정 흐름 예상합니다. 주가는 상반기가 유리합니다.

*이익모멘텀 개선이 제한적인 연초에는 종목 장세, 4Q24 실적 시즌 전후 컨센서스 흐름 안정화와 하반기 경기 회복 기대로 주가 상승이 기대됩니다. 8월 이후 실적 하향 조정으로 주가 상승세가 둔화될 수 있습니다.

*[선호 업종] 2025년 선호 업종 선정 아이디어는 “K-프리미엄”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대체불가한 국내 업종들은 실적과 주가 모두 우상향이 기대됩니다.

*글로벌 경기 회복 국면에서 한국 증시는 상승 탄력이 높습니다. 올해는 글로벌 증시 대비 크게 부진했지만 내년 제조업 경기 회복 기대로 상대주가는 개선될 수 있습니다.

*주주환원도 K-프리미엄입니다. 밸류업 지수에 대한 실망도 컸지만 기업들은 주주환원을 확대하는 추세입니다.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 공시도 늘어났고, 주주환원을 적극적으로 펼친 기업들의 주가도 양호했습니다.

*선호 업종은 ①대체불가 K-섹터: 조선/방산/전력기기, ②경기+실적 턴어라운드: 반도체/ITHW/엔터/소비재, ③주주환원: 금융, 자동차입니다.

*Top Picks는 HD현대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IG넥스원, SK하이닉스, 삼성전기, 에스엠, 코스맥스, KB금융 등 18개 종목을 선정했습니다.

[2025년 주식전략] K-프리미엄을 찾아서
https://han.gl/ufKDs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miraequant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Nov, 23:07


https://ift.tt/Ftd1nRY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Nov, 22:10


미래에셋 박주연 연구원의 이니세이션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소비자금융(비중확대/신규)
2024년 결제: 두려움이 가라앉고 나면
[미래에셋증권 기타금융 박주연]

Key summary
-24년 1)C커머스 기대감 증발 및 2)티메프 사태라는 두 차례의 이슈를 겪으며 주가 하락 폭 확대. 악재 해소 차원에서의 접근 제시
-결제사 BM분석에 있어 제한적인 P&C(수수료 마진) 영향으로 Q(거래대금) 영향력 강화.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 거래대금은 이커머스 시장 향방에 연계
-펜데믹 시기 이커머스 성장세는 분명 이례적. 그러나 온라인으로의 소비패턴 변화는 비가역적. 향후로도 온라인 소비 성장세는 오프라인 소비 성장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티메프 사태로 인한 하반기 일회성 손실 반영은 불가피. 연말에 구체적 수치 확정 예정. 그러나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산업 건전성 강화 및 신사업 가능성도 제공
-본격적인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수익성 개선의 가능성이 필요

결제부문 Top Pick은 NHN KCP.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000원(Upside 41%)으로 커버리지 개시. 1) 밸류에이션 매력 2) 탄탄한 가맹점 계약들에 기반한 견조한 탑라인 성장 3) 시장 상위 업체로서 중장기적 티메프 수혜 가능성

Contents
1. 밸류에이션 및 투자전략
2. 온라인 거래대금(Q)은 더 늘어날 수 있을까
3. 티메프 사태가 가져온 효과
4. 제한적 수수료율(P)과 해외사례
Appendix

Coverage
NHN KCP (매수/TP 1만원)
카카오페이 (매수/TP 3만원)
KG이니시스 (매수/TP 1.2만원)

원문: https://bit.ly/40O5gwR

감사합니다
박주연 드림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Nov, 21:57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19(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화웨이'와 '샤오미' 중국 AI 스마트폰 시장 절반 이상 점유
- ITSB와 Sina Finance에 따르면, 3Q 중국 AI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와 샤오미는 각각 34.8%와 26.9%의 점유율로 절반 이상을 차지함. AI 스마트폰은 24년 초기에 비해 시장 성장이 둔화되고 있음. 중국의 AI 스마트폰 출하량은 1Q24 YoY 131% 급증, 2분기에는 60%, 3분기에는 38%만큼 성장함
https://han.gl/q5omN (Digitimes, 11.18)

(실적) Quanta 3Q24 실적, AI 서버와 환이익으로 사상 최고치 경신

- Quanta는 AI 서버와 환이익 효과로 매출은 YoY 약 50%, 영업이익은 YoY 55.2% 증가함. Quanta는 4분기 출하량이 레거시 플랫폼과 새로운 AI 플랫폼 간의 전환으로 인해 3분기대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 1Q25에도 지속적인 AI 서버 출하량에 힘입어 새로운 모멘텀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
https://han.gl/5b4hX (Digitimes, 11.18)

(전장) 트럼프 차기 행정부, 완전자율주행 규제 완화 우선과제로 추진

- 트럼프 대통령의 인수팀이 완전자율주행차량에 대한 규제 완화를 결정함. Bloomberg는 인수팀 구성원들이 자문위원에게 이 사안을 교통부의 우선 의제 중 하나로 삼을 것을 전달했다고 보도함
https://han.gl/4YHhQ (이데일리, 11.18)

(로봇) 아시아 최고 부자,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에 뛰어들다
- Ambani의 릴라이언스 그룹이 투자한 Addverb Technologies는 2025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개한다고 밝힘. 첫 해 약 100대만 소량 생산할 예정임. CEO는 전세계적으로 현재 휴머노이드 제작에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고 언급함
https://han.gl/zkAnb (Bloomberg, 11.18)

(AR,VR) Meta의 Ray-Ban, 누적 출하량 100만 대 돌파로 경량 AR 안경의 밝은 미래 제시
- RAY-BAN의 누적 출하량이 백만대를 돌파함. RAY-BAN의 성공으로 업계에서는 온디바이스 AI 및 클라우드 AI를 활용하여 대화형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벼운 스마트 글래스 개발에 관심이 커지고 있음. 업계는 무게를 40g 이하로 더 낮추는 데 성공했으며, 합리적인 제조 비용과 소매 가격까지 달성함
https://han.gl/glOWF (Counterpoint, 11.18)

■ 디스플레이

(전망) 2024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OLED와 AI에 힘입어 1,18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ITRI에 따르면, 24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은 YoY 9.8% 증가하여 1,180억 달러, 2025년에는 5.5% 증가하여 1,24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TV, 모니터, 노트북,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는 LCD가 여전히 지배적이지만, 중고가 시장에서는 OLED의 확장이 LCD 가치 성장을 제한할 수 있음
https://han.gl/liZnP (Digitimes, 11.1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Nov, 06:58


https://ift.tt/gthVaBE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8 Nov, 00:28


안녕하세요
저희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엔터 담당 김규연 연구원이 미디어 이닛했습니다 많관부🙌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엔터 김규연]

미디어(비중확대/신규): 미디어 믿어
https://han.gl/5CPGL

국내 미디어 지금이 바닥이다. 더 나빠질 것이 없고 기회는 찾아오고 있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 국내 미디어 산업 지형을 대변하는 말이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콘텐츠를 제일 잘 만드는 나라가 맞다. 숫자가 증명한다. 넷플릭스 전체 라이브러리 중 국내 작품 수는 6.8%, 그러나 시청 시간 점유율은 11.1%로 높은 성과를 보인다. 국내 TV시리즈 작품당 평균 시청시간은 1,626만 시간, 평균 조회수는 114만회로 시청시간은 미국보다도 47%가 많다.

9월 23일 모처에서 넷플릭스가 미국 유수 제작사들을 모아 IP 성과에 따른 Revenue share 수익 구조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매출 공유 수익 구조가 확립되면 국내 제작사에겐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스토리가 펼치진다. 쌀 때 사서 기회를 기다리자.

I. 투자 전략: 돈 버는 왕서방, 기회 잡을 곰을 찾아라

II. 돈 버는 왕서방 찾기
1) 콘텐츠 별 ▲사용자 이용행태, ▲사용자 특성, ▲산업 항목의 데이터 분석에 따른 투자 매력도 산정
2) Earning Key factor 정의
- 영상: 성숙한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거나 효율적인 콘텐츠 투자로 Sales to capex를 높이는 기업 투자 전략이 유효
- 음악: 기존 주도 사업자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
- 도서: B2B 또는 B2G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는 사업자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
- 웹툰/웹소설: 영상 스트리밍이나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콘텐츠 IP를 확장할 수 있는 사업자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

III. 곰에게도 기회는 온다
1) Q가 증가한다
- TV 채널 드라마 슬롯이 반등
- 스트리밍 플랫폼의 국내 콘텐츠 수요는 견조
2) C가 감소한다
- 드라마 제작비가 감소한다
- 해외 제작사 관련 비용 부담이 감소한다

IV. 커버리지 및 관심 종목
넷플릭스(NFLX US) TP 1,814USD
CJ ENM(035760) TP 80,000원
스튜디오드래곤(253450) TP 61,000원
콘텐트리중앙(036420) N/R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7 Nov, 22:2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18(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서버) 새로운 엔비디아 AI칩 서버 과열 문제에 직면
- 엔비디아의 Blackwell AI 칩을 동반한 서버가 과열 문제를 일으키면서 고객들이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준비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따라서 과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업체들에게 여러 차례 랙 설계를 변경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함
https://han.gl/ok8Cd (Reuters, 11.18)

(폴더블)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16일 IT 전문매체 기즈모차이나 등은 올해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YoY 성장률이 13.6%로 기대치를 하회하고 있고, 주요 휴대폰 브랜드가 폴더블폰 제품 라인을 중단하고 있다고 보도함. 화웨이, 삼성전자는 폴더블폰 제품에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수의 업체에 속하며 다른 브랜드의 경우 아직도 시험단계에 있다고 전함
https://han.gl/mzAll (조선비즈, 11.16)

(전망) Lenovo, 2025년 PC 전망 상향 조정
- Lenovo의 3분기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함. 2025년 글로벌 PC 출하량 전망치를 기존 5%에서 10%로 상향 조정함. AI 기능이 내년 수요를 촉진시킬 것이라고 말함. 또한 데이터 센터 부문에 관해, 수익성은 여전히 저조하지만 AI 서버 수주와 엔비디아의 GPU 공급 개선으로 잠재 성장력을 높게 평가함
https://han.gl/oNegE (Bloomberg, 11.15)

(서버) 차세대 냉각 시장 열린다…델, 서버 액침냉각 초읽기
- 델이 액침냉각에 대한 지원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내부적으로 보증 방침을 정했으며, 시기와 범위에 대해 최종 의사결정을 앞두고 있다고 알려짐. 델이 구체적으로 어떤 서버를 출시할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보증을 준비한다는 건 출시가 임박했다는 의미로 해석됨
https://han.gl/vnwjL (전자신문, 11.17)

(전망) Adata, 연말까지 재고 덤핑 지속
- Adata는 4Q24 NAND 가격이 single digit % 하락할 것으로 예상함. PC 부문의 DDR4 가격은 소폭 하락, 서버용 DDR 가격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 한편, DDR5 가격은 PC와 서버 시장 모두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거나 소폭 상승 전망. 2025년 하반기부터 AI PC의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함
https://han.gl/hmsCA (Digitimes, 11.15)

■ 디스플레이

(OLED) LG디스플레이, 5년간 베트남 1조4000억원 추가투자...OLED 생산 안정화 목적
- LG디스플레이는 2028년까지 하이퐁 공장에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LG디스플레이는 14일 하이퐁 인민위원회로부터 IRC를 받았음. 이번 베트남 공장 투자로 OLED 중심 사업 구조 개편에 주력한다는 입장임
https://han.gl/6E2wB (The Guru, 11.15)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4 Nov, 22:2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15(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서버) 폭스콘, 견고한 AI 서버 수요, 전기차 목표는 연기
- 폭스콘은 25년 AI 서버의 견조한 수요를 예상하며, 미국, 멕시코, 베트남을 포함한 국가에 대한 투자를 계속 늘릴 것으로 밝힘. 가전제품 수요 부진에도 AI 서버 사업의 견조한 매출 증가로 24년 가이던스를 유지함. 25년 AI 서버가 전체 서버 매출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함. 반면, EV 목표치는 하향 조정함
https://han.gl/0sBIz (Reuters, 11.14)

(전망) Pegatron 2025년까지 서버 운영을 대폭 확장
- 페가트론은 올해 노트북과 IT 제품은 보합세 예상하는 반면, 가전제품은 2023년에 비해 소폭 하락 예상. 통신 사업 역시 스마트폰 수요 약세와 2023년의 높은 기저효과로 소폭 감소 예상. 25년 서버 사업을 크게 확장할 계획을 제시. IT 제품은 AI PC 수요가 견인할 것이며, 가전제품은 24년이 바닥이라고 전함
https://han.gl/6LBOJ (Digitimes, 11.14)

(PCB) ZDT, 2025년까지 AI 애플리케이션 매출 70% 목표, 4개 주요 부문으로 확장 예정
- ZDT는 3분기 주요 부문에서 기록적인 매출 기록했으며, 4분기, 25년에도 성장 전망하며 낙관적인 view 유지. ZDT는 AI 관련 매출을 현재 45%에서 2025년 60~70%까지 확대 전망. AI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화로 PCB 구조 설계 및 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https://han.gl/vcUuc (Digitimes, 11.14)

(수출) 10월 ICT 수출 전년比 22%↑… AI 수혜로 ‘역대 1위’
- 10월 ICT 수출은 208억 달러로 YoY 2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휴대폰 수출은 중국, 베트남 중심으로 늘어 YoY 21.2% 증가함. 4개월 연속 두자릿수 성장세 보임. 디스플레이 수출은 18억달러로 21.5% 감소함. 가전제품 수요 부진의 영향임
https://han.gl/QTJ3B (조선비즈, 11.14)

(폴더블) 스마트폰 폼팩터 다시 진화…삼성, 내년 두 번 접는 폴더블폰 출시

- 삼성전자는 내년 출시를 목표로 두 번 접는 스마트폰 개발에 착수함. 11월 말 디자인과 출시 모델 최종 확정 예정. 펼쳤을 때 화면 크기가 9~10인치 정도가 될 것으로 알려짐. 애플 또한 올해 디스플레이 업체들과 폴더블 정식 개발 착수에 들어감
https://han.gl/2smBG (전자신문, 11.14)

■ 디스플레이

(전망) 트럼프 효과..."내년 1분기까지 디스플레이 일시 수요 상승 가능성"

- DSCC에 따르면, 올해 4분기부터 1Q25까지 디스플레이 수요의 일시적인 증가를 전망함. 트럼프 취임 후 중국산 제품에 관세가 부과되기 전 디스플레이를 비축하려는 경향이 커질 것으로 보기 때문임. 하지만 DSCC는 내년 1분기까지 디스플레이 수요가 늘어도 그 이후에는 다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https://han.gl/tK7cu (The Elec, 11.14)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4 Nov, 04:10


https://ift.tt/yDB6AW1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3 Nov, 22:06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14(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투자)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세계 각국, ‘AI 도로’ 깔아야... 日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세운다”
- 13일 양사는 일본 최대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짓는다고 밝힘. 이 데이터센터는 엔비디아의 AI 슈퍼컴퓨팅 플랫폼 DGX 시스템을 기반으로 25년 초에 설립될 예정임. 새로짓는 AI 인프라의 컴퓨팅 파워는 세계 최대 슈퍼컴퓨터 연산 능력의 25배에 달할 것이라고 언급함
https://han.gl/WAdoc (조선비즈, 11.13)

(PC) Quanta, Wiwynn PC 시장 침체에도 AI 서버로 성장
- 주요 ODM 업체들은 노트북 출하량 감소에도, AI 서버가 이를 상쇄하여 10월 매출이 상승함. 주요 ODM 업체들은 4분기 PC 시장은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AI 서버 부문은 MoM, QoQ 기준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며, 범용 서버 출하량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함
https://han.gl/5bGYu (Digitimes, 11.13)

(폴더블) "생각보다 안 팔리네"…中 업체, 폴더블폰 철수 고민
- 12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한 주요 스마트폰 브랜드가 대형 화면 폴더블폰 개발을 중단했다고 전함. 브랜드는 미공개. 현재 중국에서 샤오미가 지난 7월 선보인 믹스폴드4는 판매량이 10만대도 되지 않으며, 오포는 최신 폴더블폰 파인드N5 출시를 연기하기도 함. 트랜션 역시 폴더블폰 개발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짐
https://han.gl/Ie8Aq (ZDNet, 11.13)

(스마트폰) 중국 스마트폰 최신 출시작: 프리미엄 스마트폰 전략 강화

- HONOR Magic 7, iQOO 13 등 중국 OEM 업체들이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잇따라 출시하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중국의 프리미엄 세그먼트는 전체 스마트폰 시장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임. 2024년 상반기 600달러 이상 세그먼트의 매출은 YoY 8% 증가한 반면, 전체 시장의 매출은 4% 증가함
https://han.gl/jVSDG (Counterpoint, 11.13)

(AR/VR) 中 바이두, 말 알아듣고 영상 찍어주는 'AI 글라스' 발표
- 바이두가 '샤오두 AI 글라스'를 발표함. 내년 상반기 정식 출시될 예정임. 장착시 사진 및 영상 촬영을 지원하고, 보행 중 질문도 가능함. 이외에도 시청각 통역, 스마트 메모 등 기능이 있음. 무게는 45g이며 1,600만 화소 광각 카메라가 탑재됨
https://han.gl/5lqtw (ZDNet, 11.13)

■ 디스플레이

(OLED) LG디스플레이·선익시스템, 10년만에 특허 공동 출원

- LG디스플레이와 선익시스템이 10년 만에 특허를 공동 출원함. 해당 특허는 기판 처짐을 최소화하는 기술. 기술을 함께 연구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점은 LG디스플레이와 선익시스템이 IT 8세대 OLED 증착기를 개발하던 시기. 양사는 해당 특허를 미국과 일본에도 출원함. 선익시스템이 수주한 BOE의 IT 8세대 OLED 증착기에 해당 특허를 적용할지 여부가 주목받고 있음
https://han.gl/k4nkD (The Elec, 11.1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Nov, 23:39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솔루엠(248070/매수) - 마진 개선 확인. 업황 턴어라운드 주목

■3Q24 리뷰: 마진 개선
- 3Q24 매출액 4,722억원(-10.8% YoY), 영업이익 270억원(-40.4% YoY, OPM 5.7%)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함
- 1) 고객사 ESL 도입 시기 지연, 2) 물류비 인상이 낮아진 컨센서스 부합의 이유. ESL 마진은 지속 개선되는 추세. 물류비 인상 최소화, 4컬러 제품 비중 증가로 마진 지속 개선 전망

■2025년: 성장
- 2025년 매출액 1조 8,663억원(+20.8% YoY)과 영업이익 1,325억원(+59.6% YoY)으로 전망. 수주잔고 또한 커지고 있으며, 4Q24부터 수주 비딩 결과가 순차적으로 나올 것

■업황
- 25년 ESL 시장 가속화 전망. 글로벌 업체들은 다양한 산업에서 ESL의 확장성과 가속화 언급

■매수 의견 유지, 목표주가는 29,000원으로 하향 조정
- 목표주가를 29,000원(기존 38,000원)으로 하향 조정
- 동사의 25년 P/E는 8.8배로 글로벌 PEER 평균 대비 -48.6% 낮은 위치. 업황 반등에 따른 글로벌 피어 키맞추기로 솔루엠 비중 확대 권고

보고서 원문: https://han.gl/7QmjP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12 Nov, 2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13(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PC) Asus, 4분기 매출 감소 예상
- 3분기 Asus 매출은 QoQ 15%, YoY 24.2% 성장함. 블랙 신화: 오공의 인기에 힘입어 중국 시장에서 게이밍 노트북 판매가 크게 증가한 것이 이유임. 그러나 에이수스는 높은 기저 효과와 채널 파트너의 재고 축적 감소로 인해 4분기 PC 매출 QoQ 15% 감소 예상하나, 마더보드와 서버 부문은 5~10% 성장 예상
https://han.gl/evMkv (Digitimes, 11.12)

(스마트폰) 280만원 폰도 잘 팔리네…프리미엄폰 시장 경쟁 달아오른다
- Counterpoint에 따르면 연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중 6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로, 25년에는 26%에 달할 전망임. 이는 2018년 대비 두배 증가한 수치. 신흥 시장에서의 프리미엄폰 수요 확대와 AI 스마트폰 시대 개막이 이 같은 추세를 가속화함
https://han.gl/E7qG5 (조선비즈, 11.12)

(전장) Alphabet의 Waymo , 로스앤젤레스에서 모든 사람에게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 개시

- 알파벳은 12일 웨이모 원을 이제 로스앤젤레스에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고 밝힘. 웨이모는 올해 초 뉴욕에서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후 약 30만 명의 대기자를 확보했으며 이는 강력한 수요를 나타낸다고 언급함
https://han.gl/0yCHE (Reuters, 11.13)

(행사) 광군제 판매 급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수요 견인
- 광군제 기간 휴대폰과 통신 기기는 가장 많이 팔린 상품으로 기록. 야후 쇼핑은 11월 11일 하루 매출이 전년 대비 17배 급증함. 상위 5개 카테고리에 3C 제품, 주요 가전제품, 소형 가전제품이 포함됨. 스마트폰 부문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16 시리즈가 전년 대비 3배 이상 판매됨
https://han.gl/TZqdj (Digitimes, 11.12)

(전망) 2026년까지 글로벌 확장을 계획 중인 화웨이의 Harmony OS
- 화웨이는 2024년에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Harmony OS를 상용화하고, 2025년에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시스템으로 확장하며, 2026년에는 해외 시장에 진출하여 안드로이드와 직접 경쟁할 계획임. 그러나 해결할 문제점이 많아 현실적인 어려움 존재
https://han.gl/vvUVe (Digitimes, 11.12)

■ 디스플레이

(실적) Auo, Innolux 비수기로 10월 매출 감소
- AUO는의 10월 매출은 MoM -19% 이노룩스는 MoM -10% 기록함. 4분기 매출 감소 전망. 이노룩스는 중국 보조금 정책이 TV 패널 수요와 가격 안정화에는 도움이 되나, 4분기 IT 패널 수요 약화 예상
https://han.gl/5ZvFM (Digitimes, 11.12)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Nov, 22:0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Apple F4Q24 실적 관련 궈밍치 코멘트

1) 아이폰 16과 아이폰 15 생산량은 F4Q24(CY 3Q24)와 F4Q23(CY3Q23)에 각각 약 2,600만 대와 2,300만 대를 기록했으며, 프로 맥스 모델 생산량 증가가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

2) 새로운 iPhone의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F4Q24의 iPhone 생산/출하량과 판매량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약 4%, 6% 증가함. 이러한 생산량 개선은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소폭 상회하는 데 기여함

3) 새로운 iPhone은 일반적으로 출시 즉시 매진되기 때문에 Apple이 F4Q24의 iPhone 16 판매량이 작년 같은 기간의 iPhone 15에 비해 증가했다고 강조한 것은 주로 iPhone 16 수요 개선보다는 생산량 증가를 반영한 것으로 파악됨

4) 애플의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F1Q25 가이던스(YoY +3.5%)에 따르면, 제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 성장에 그쳐 사실상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이를 보았을 때, 하드웨어 혁신 없이 Apple Intelligence로만 아이폰 출하량에서 의미 있는 성장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것이 입장임

5) 애플의 F1Q25/CY4Q24 아이폰 16 주문량 감소가 3분기(FY4Q24) 매출과 이익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것을 감안시, 애플의 모멘텀이 1H25부터 압박에 직면할 수 있다고 강조

출처: https://han.gl/XMAPK (Medium)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3 Nov, 22:0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4(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2024년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2% 증가, 매출 및 ASP 3분기 사상 최대치 달성
- 3Q24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3억 7,000만 대(YoY +2%)의 출하량을 기록함. 4분기 연속 성장세를 보임. ASP는 YoY 7% 성장하면서 수익이 YoY 10% 성장함. 삼성이 출하량 점유율 1위(19%) 차지. 애플, 샤오미가 2, 3위를 차지함. 미국의 경우, 기록적인 낮은 업그레이드율로 인해 3분기 출하량이 YoY 기준 감소했으나, 인도, 중국, 동유럽 등 일부 시장에서는 회복세를 보임
https://han.gl/ygW4F (Counterpoint, 11.1)

(투자) 美 빅테크 빅4' 구글·MS·아마존·메타, 올해 AI에 288조 투자
- MS, Meta, 아마존, 알파벳의 올해 설비투자 합계가 전년 대비 42% 늘어난 2,0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이 가운데 약 80%는 데이터센터 부문에 투입될 것으로 파악됨. 이들은 내년에도 AI 부문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거나 더 늘리겠다는 입장을 유지함
https://han.gl/BVTdA (아이뉴스24, 11.3)

(PC) IDC: 2024년 3분기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YoY 20.4% 증가하여 3,960만 대 출하
- 3Q24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은 20.4% 성장하여 총 3,960만 대를 기록함. 공급 측면에서는 낙관론이 커지고 있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함. Apple은 1,260만대 출하하여 YoY 1.4% 성장함. 신제품 iPad Air 모델이 판매 증가에 기여함. 2~5위는 삼성, 아마존, 화웨이, Lenovo가 차지함. 아마존의 경우, AI와 행사 효과로 YoY 111.3% 성장함
https://han.gl/8f6p0 (IDC, 11.1)

(AR/VR) 디즈니, AI·VR 전담 부서 신설…미래 엔터테인먼트 기술 가속화
- 디즈니는 AI와 XR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기술 활성화 부서'를 신설함. 메타와 스냅이 경량 안경을 선보이는 가운데 디즈니도 이를 활용해 고객의 일상과 테마파크 경험을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 디즈니는 XR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음
https://han.gl/u8U7b (ZDNet, 11.3)

■ 디스플레이

(전망) "연내 폴더블 아이폰 스펙 확정"… 삼성디스플레이, 새 기회 맞는다
- 애플은 폴더블 아이폰용 부품 공급망의 최종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됨. 삼성디스플레이가 초기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 공급을 독점할 가능성이 높음. 시장에서는 애플의 예상 물량을 대응하기 위해, 삼성디스플레이도 베트남 후공정 라인의 추가 보완투자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https://han.gl/8l99X (뉴데일리경제, 11.1)

(전망) AUO, 10분기 연속 적자, 2025년 낙관적 전망

- AUO는 매출 성장에도, 3Q24 1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 AUO는 디스플레이 패널 부문의 통상적인 비수기 국면 진입으로 4분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유지함. 25년은 24년보다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의 전반적인 수요, 공급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함. 특히, 모빌리티 부문은 성장 가시성이 높음
https://han.gl/yjbrE (Digitimes, 11.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1 Nov, 08:39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CAICT 중국 9월 출하량
: 재고 부담 가중

-핸드셋 출하량 2,537만대
(+5.5% MoM, -23.8% YoY)
-스마트폰 출하량 2,371만대
(+12.4% MoM, -25.8% YoY)
-5G 출하량 2,232만대
(+13.0% MoM, -22.3% YoY)


중국 로컬 출하량
-중국 로컬 출하량 2,036만대
(-8.2% MoM, -18.4% YoY)
- 중국 업체들의 신모델 출시 지연

Non-local 출하량
-스마트폰 출하량 501만대
(+168.0% MoM, -39.8% YoY)
- 작년 대비 저조한 아이폰 판매

5G 출하량
-5G 핸드셋 출하량 2,232만대
(+13.0% MoM, -22.3% YoY)
- 스마트폰 신모델 내 5G 모델의 비중은 72.2%로 전월(87.9%) 대비 -15.7%p 하회
- 9월에 출시된 신모델은 핸드셋 35개(전월 47개), 스마트폰 18개(전월 33개), 5G 핸드셋 13개(전월 29개)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1 Nov, 07:57


https://naver.me/FV7DAEXQ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01 Nov, 00:40


2024.11.01 09:34:29
기업명: 비에이치(시가총액: 5,75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992억(예상치 : 5,711억)
영업익 : 526억(예상치 : 629억)
순이익 : -(예상치 : 578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992억/ 526억/ -
2024.2Q 4,685억/ 313억/ 276억
2024.1Q 2,989억/ 84억/ 170억
2023.4Q 5,167억/ 154억/ 127억
2023.3Q 4,561억/ 508억/ 48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180005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046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1 Oct, 22:01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1. 1(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실적) 애플, 예상치 상회, 아이폰 판매 실적이 다른 제품들의 실적 부진을 상쇄
- 애플은 FY4Q24 매출액 $94.9B(컨센 $94.3B)로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함. 아이폰 매출 $46.2B(YoY +5.5%, 컨센 $45.7B)을 기록함. 다른 제품 라인은 기대보다 낮았고, 중국 판매액도 예상치 하회함. 팀쿡은 아이폰 16 판매량이 1년 전 아이폰 15 판매량보다 빠르게 증가했다고 언급. 또한 애플 고객들이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이 포함된 새 버전의 아이폰 운영체제를 전년 대비 두 배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하고 있다고 전함
https://han.gl/FbcOn,
https://han.gl/Cjy11 (Reuters, 11.1)

(투자) 샤오미, 2025년까지 67억 달러 R&D 투자
- 샤오미의 레이쥔은 기술 확보를 위해, 2024년 R&D 지출 240억 위안(약 53억 4천만 달러)에서 2025년 300억 위안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함. 샤오미 15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 5,400mAh 배터리 등을 옵션으로 갖추고 있으며, 레이쥔은 샤오미15가 첨단 엣지 AI 기능을 지원한다고 강조함
https://han.gl/8ZxuV (Digitimes, 10.31)

(투자) Meta, 2025년 데이터 센터 지출의 “상당한 가속화” 예상
- Meta는 2024년 연간 자본 지출을 기존 370~400억 달러 범위에서 상향 조정된 380억~400억 달러 범위가 될 것으로 예상, 25년도 상당한 자본 지출 예상. 이는 주로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 및 서버 지출로 구성된다고 설명함. 지속적으로 이 분야에 상당한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함
https://han.gl/nDPGO (DCD, 10.31)

(스마트폰) 첨단 공정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스마트폰 가격 상승
- 퀄컴의 Snapdragon 8 Elite, 미디어텍의 Dimensity와 같은 주요 시스템 SoC 부품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지고 있음. 샤오미 또한 AP 가격 상승과 같은 이유로 곧 출시할 샤오미15 가격을 인상할 예정, Vivo 또한 칩 및 메모리 비용 상승을 가격 인상의 이유로 이전 세대 대비 300위안이 인상된 X200 시리즈 출시. 오포, FIND X8 또한 인상함
https://han.gl/AilFD (Digitimes, 10.31)

(반도체) UMC, 4분기 팹 가동률 및 매출 총이익 감소 전망
- UMC는 4Q24에 팹 가동률(67%~69%로 하락)과 총 마진이 모두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올해 자본 지출 전망(33억 달러 → 30억 달러)을 하향함. 재고 수준 측면에서, 4분기는 최종 시장 수요가 점차 정상화되어 재고 수준이 눈에 띄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https://han.gl/nAWjR (Digitimes, 10.31)

■ 디스플레이

(전망) 수요 약세로 연말까지 모니터 패널 가격 하락 전망
- 최근 중국의 '보상 판매' 보조금 정책으로 대형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LCD TV 패널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IT 수요 부진으로 모니터 패널 가격 지속 하락 추세. 수요 부진으로 패널업체들은 가동률을 낮추고 있으며 4분기까지 가격 하락 전망, 1Q25에 다소 안정 예상
https://han.gl/J8Hkd (Digitimes, 10.3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1 Oct, 04:12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1847&id=news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30 Oct, 21:5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31(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전망) Yageo, AI 수요 낙관적 전망, 산업용 제어 장치에 대한 신중한 입장 유지

- Yageo는 4분기 매출 소폭 감소, 25년 성장을 제시함. AI 수요는 낙관적 전망, 산업용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표명함. Yageo는 3분기 표준 제품의 가동률이 65%, 특수 제품의 가동률이 75%였다고 밝힘. 향후 컴퓨팅과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이 다른 분야에 비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함
https://han.gl/6Tvo2 (Digitimes, 10.30)

(스마트폰) 화웨이, 자체 OS 탑재한 '메이트 70' 11월 출시
- 화웨이의 '메이트 70' 시리즈가 11월 출시될 예정임. 9월부터 메이트 70 시리즈 부품 공급이 시작됐다고 전함. 메이트 70 시리즈 초기 재고 비축량을 '메이트 60 시리즈' 대비 3분의 1 이상 늘렸으며, 중국 일부 언론들은 11월 부품 수급량 기준 메이트 70의 부품 공급량이 메이트 60 대비 50% 이상 늘어났다고 전함
https://han.gl/Hzokw (ZDNet, 10.30)

(실적) Microsoft, AI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성장 촉진으로 FY1Q25 실적 예상치 상회
- Microsoft의 데이터 센터 용량 구축 노력과 AI 기반 수요가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강화하면서,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함. 현재 생산 능력보다 더 많은 수요가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AI는 초기 단계라고 말함. FY2025 하반기에 AI 역량을 크게 확대할 것이라고 전함
https://han.gl/cFwPf (Reuters, 10.31)

(PC) [차이나 브리프] PC 수요 회복, 대만 협력사 수혜
- Compal은 2분기부터 PC산업이 회복되고 있으며, 특히 상업용 모델이 가장 큰 판매 동력이라고 전함. Quanta는 3분기 노트북 출하량 소폭 증가, 25년 AI PC 교체 수요 커질 것으로 전망. Wistron, Compal, Quanta 모두 25년 AI PC 산업을 긍정적으로 전망함
https://han.gl/huJrU (The Elec, 10.30)

(PC) 애플, 10년 만에 M4 '맥 미니' 출시…"작지만 강하다"

- 애플은 10년만에 초소형 데스크톱 맥 미니 신제품을 출시함. 크기는 줄이고, M4 칩을 탑재하면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 애플은 신형 맥 미니가 M4칩을 탑재해 M1 맥 미니보다 최대 1.8배 더 빠른 CPU 성능, GPU 성능은 최대 2.2배 더 빠르다고 밝힘. iOS 18.1 출시와 함께 출시되어, AI 기능을 지원함
https://han.gl/N5ub5 (ZDNet, `10.30)

■ 디스플레이

(OLED) 삼성 갤럭시 25, OLED에 M13 소재 조합 채택
- SDC가 갤럭시 S25 OLED 생산을 위한 재료와 부품을 주문하기 시작했다고 밝힘. 삼성과 SDC 모두 곧 출시될 플래그십 시리즈에 M14가 아닌 M13 소재 조합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cJSgQ (Digitimes, 10.30)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9 Oct, 23:17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기 (009150/매수): 계절적 비수기 진입에도 넘치는 모멘텀

1. 3Q24 리뷰: 컨센서스 부합
3Q24 매출액 2.6조원(+11% YoY), 영업이익 2,249억원(+20% YoY)으로 컨센서스(1M)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함. 전분기 대비 MLCC P +6%, Q +2% 성장한 것으로 추정됨. IT 세트 수요 부진에도 전장과 산업 제품 믹스로 높은 판가를 실현한 것으로 파악됨

2. 4Q24 프리뷰: 계절적 재고 조정. 강도는 작년 대비 견조
4Q24 매출액 2.37조원(+3% YoY), 영업이익 1,726억원(+56%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8%, -17%로 전망함. 4분기는 계절적 재고 조정 국면 진입 시기로, 가동률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예상, 재고 주기는 4~5주로 낮게 유지될 전망

3. 목표주가 유지. 온디바이스 수혜와 신사업 기대감
목표주가 200,000원으로 유지
과거 5년 평균 P/B 1.5배 수준임. 현재 주가 기준, 24F, 25F P/B 각각 1.1배, 1배로 하방보다 상방이 더 기대되는 상황임. 향후 1) AI 디바이스 수혜, 2) 산화물 전고체 배터리 생산, 3) AI 기판으로, 다수의 모멘텀이 기대됨

보고서 링크: https://han.gl/Anrnv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9 Oct, 21:5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30(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실적) 삼성 폰 만드는 中 화친, 매출 '역대 최대'
- 화친은 3분기 매출은 YoY 45.4%, QoQ 58% 증가함. 삼성전자는 화친 매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오포, 샤오미 등 상위 5개 고객 매출 비중이 60%를 넘어섬. 화친은 실적 강세 배경으로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크게 늘었으며, 웨어러블 기기 성장폭도 컸다고 언급. AI 및 범용 서버 수요도 견조했으며 노트북PC 출하량도 강세였다고 말함'
https://han.gl/09VGZ (ZDNet, 10.29)

(전망) 소프트뱅크, Super AI가 다가옴에 따라 엔비디아는 여전히 저평가된 수준으로 평가
- 소프트뱅크의 손 마사요시는 AI 붐으로 시장 가치가 3조 달러 이상으로 치솟은 엔비디아가 여전히 저평가 되어있다고 연설하며, AI 버블에 대해 반박함. 엔비디아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AI의 미래는 훨씬 크다고 주장. 2035년까지 인간 지능보다 10,000배 더 발전된 슈퍼인공지능이 개발될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cHjdd (Bloombeg, 10.29)

(pcb) 제이앤티씨, 대면적 TGV유리기판 첫 샘플 공급
- 제이앤티씨는 글로벌 패키징 3사에 TGV 유리기판 첫 샘플을 공급한다고 29일 밝힘. 지난 6월 TGV유리기판 첫 시제품을 출시한 이후, 약 4개월여 만에 대면적 TGV유리기판까지 개발 완료함. 금번 데모라인 구축에 이어 올해 4분기부터 베트남 4공장 잔여부지를 활용, 본격적인 양산공장 준비에 돌입할 예정임
https://han.gl/H4fZz (뉴시스, 10.29)

(개발) 애플, M5 칩 개발, TSMC의 첨단 공정에 대한 주문 증가 보도

- 애플은 AI PC 경쟁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차세대 M5 칩 개발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애플이 TSMC의 3나노 공정을 계속 채택하여 TSMC의 첨단 공정에 대한 주문을 늘릴 것이라고 강조함. 애플이 곧 출시할 M5 칩은 향상된 AI 성능과 컴퓨팅 파워 제공으로, 아이폰 교체 수요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lIIu0 (Trendforce, 10.29)

(스마트폰) 탈중국 속도내는 애플… "인도산 아이폰 수출 33% 증가"
- Bloomberg에 따르면, 올해 4~9월 인도산 아이폰의 수출액이 60억달러(약 8조 ,3010억원)에 달함. 이는 YoY 기준 33% 늘어난 수치임. 애플은 탈중국 방침을 가속화하며 인도의 제조 기반을 빠르게 늘리고 있음
https://han.gl/dUPV4 (조선비즈, 10.29)

■ 디스플레이

(OLED) BOE, 8.6세대 OLED 공장 조기 완공
- 25일 BOE 8.6세대 OLED 공장 상량식이 있었음. 중국 첫 8.6세대 OLED 생산라인으로 착공부터 완공까지 단 183일 소요, 조기완공에 성공함. 총 투자금 630억 위안으로, 쓰촨성 당일 프로젝트 중 사상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임. 주로 노트북, 태블릿 등의 OLED 패널 생산하며, 목표 CAPA 유리기판 기준 월 3만 2,000장으로 제시
https://han.gl/TXE9t (The Elec, 10.29)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9 Oct, 05:1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기 3Q24 실적 발표

3Q24 실적
매출액 2조 6,153억원 (+2% QoQ, +11% YoY)
영업이익 2,249억원(+6% QoQ, +20% YoY)

사업부문별
컴포넌트 1조 1,970억원(+3% QoQ, +9% YoY)
광학통신 8,601억원(-6% QoQ, +5% YoY)
패키지 5,582억원(+12% QoQ, +27% YoY)

[컴포넌트]
3Q24
- IT: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PC 수요로 성장
- 산업: AI서버, 네트워크, 파워 등 주요 산업용 공급처 증가
- 전장: 전장화 확산 추세 지속 등으로 전장용 매출 증가

4Q24
- 연말 재고 조정으로 소폭 수요 둔화 전망
- 전장용은 전장화 확대로 수요 증가 지속
- 전장용 고온 고용량 신기종 승인 확대
- AI 향 해외 거래선 중심 전자소자 공급 확대

[광학통신]
3Q24
- 중화권 카메라 공급 감소로 매출 감소
- 전략거래선 향 신규 폴더블폰용 고성능 카메라 공급 확대
- 글로벌 EV 거래선 향 전장용 카메라모듈 매출 증가

4Q24
- 계절적, 연말 재고 조정으로 전분기 대비 수요 감소
- 신규 플래그십 고성능화 요구(Slim OIS 등)로 카메라 대응
- ADAS 고도화/EV 시장 성장 대응을 위한 카메라 모듈 공급
- ADAS 향 고성능 라인업 확대 및 국내 OEM 신규 진입

[패키지솔루션]
3Q24
- 고부가 제품 중심 수요 증가로 매출 증가
- ARM CPU용 기판 공급 확대
- 대면적/고다층 AI/ 서버용 및 전장 ADAS용 하이엔드 기판 공급 확대

4Q24
- 전분기 대비 상승, 고부가 FCBGA 수요 견조할 것으로 예상
- AI PC 신제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고객사 재고조정으로 소폭 감소되나, 네트워크 용 등 고부가 중심으로 지속 확대
- 적기 승인 및 공급할 예정, AI 가속기용 본격 진입
- 실리콘 캡 등 신기술을 요구하는 바 조기 수주 확정 준비할 것
- 국내외 거래선향 AI/서버/네트워크/ 전장용 고부가 기판 공급 확대
- 해외 신공장 양산 안정화에 따른 생산 물량 지속 확대

질의 응답
Q1) MLCC 3분기 출하량, 재고, ASP와 4분기 전망
A1) 3Q24 출하량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 글로벌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와 주요 응용처, 전장 견조한 수요
재고일수는 전분기 유사 유사한 수준. ASP는 산업용과 전장용 비중 증가로 상승
4Q24 전체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전장용 등 고부가 수요는 견조하나, IT 향 계절적 재고 조정 요인

Q2) 내년 가동률과 어플리케이션별 전망
A2) 25년 가동률은 24년 대비 상승
IT: 1) 스마트폰, PC 점진적 수요 회복 기대, 2) AI 세트 고성능으로 MLCC의 소요원수 증가
산업: AI 서버 쪽 수요도 지속 견조할 것으로 기대
전장: 전장화, 전동화 추이로 시장 성장 대비 확대

Q3) 올해 AI 매출 비중과 내년 AI 비중 증가 여부
A3) MLCC: AI 서버 향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2배 증가
내년 AI 서버 관련 매출도 올해 매출 성장에 준하는 큰 성장
패키지 기판: 서버 FCBGA CPU 중심으로 올해 2배 성장. AI 서버용도 매출 시작
25년 AI 가속기 향도 더해지면서 올해 대비 큰폭의 성장 전망

Q4) 2분기 가동 시작된 베트남 사업 현황
A4) 베트남 공장은 하이엔드 잘 대응 중이며 FC-BGA는 두자리수 이상 증가, 향후에도 하이엔드 견조할 것으로 예상
당사는 주요 거래선 제품을 안정적으로 개발 및 차별화, 적기 대응해서 FCBGA를 성장시키겠음

Q5) 전장, AI 서버 향 전략 현황
A5) 전장용: 미드싱글 성장 가능. 전장용 거래선 및 승인 확대로 시장 대비 높은 매출 성장 기록 목표
AI 서버용: MLCC 소요원수가 큰 폭으로 증가. GPU 채용으로 전력 소모량도 급격하게 증가했기 때문.
보유하고 있는 IT용 기술 활용해서 소용, 초고용, 고온 제품 적기 대응

Q6) 전방 채널의 MLCC 재고 상황
A6) 채널들의 재고는 전분기와 유사하여 양호한 상황으로 판단.
현 재고 상황은 AI 서버 및 하이엔드 수요가 견조한 걸로 보아 연말은 일반적인 재고 조정만 발생
25년도 MLCC 수요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AI와 전장 수요 증가로 안전적인 재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Q7) 전장용 카메라 모듈 사업부 현황과 향후 전망
A7) 전분기 대비 매출 증가. 기술력과 안정적인 공급으로 글로벌 EV 밀착 대응
현재 전장 특화(고신뢰성, 하이브리드 렌즈) 라인 강화 중이며
5MP 카메라 공급 확대, 거래선 다변화로 전장 카메라 사업부 지속 성장시키겠음

Q8) 신사업에 대한 현황과 계획
A8) AI 패키지 기판: 하반기 양산 시작, 25년에 국내외 고객사 다변화로 공급할 예정
하이브리드 렌즈: 25년 양산 준비. 가격 경쟁 확대로 차별화 솔루션으로 대응
전고체 전지: 26년 양산 목표. 웨어러블 시장 타겟으로 현재 시제품 테스트 진행중.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로 안정성 우수, 각형, 원형 등으로 구현 가능한 장점이 존재.
자체 보유의 MLCC 적층 기술을 적극 활용
글라스 기판: 기술 확보와 준비로 차질 없이 대응중

Q9) 4분기 전망과 2025년 실적 전망
A9) 전분기 대비 약세 가능성이 있으나, 전장과 AI 서버 등 하이엔드 MLCC, FCBGA 공급 확대로 고부가 성장은 지속
25년 실적은 24년 대비 개선 1) AI 서버 고성장 지속, 2) 전장용 제품 사업확대 지속, 3) PC, 스마트폰, 온디바이스 확대가 기대되면서 관련 제품 확대가 전망됨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9 Oct, 03:27


2024.10.29 12:23:53
기업명: 삼성전기(시가총액: 8조 9,78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6,153억(예상치 : 26,753억)
영업익 : 2,249억(예상치 : 2,390억)
순이익 : 1,152억(예상치 : 1,872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26,153억/ 2,249억/ 1,152억
2024.2Q 25,801억/ 2,081억/ 1,814억
2024.1Q 26,243억/ 1,803억/ 1,865억
2023.4Q 23,062억/ 1,104억/ 480억
2023.3Q 23,609억/ 1,840억/ 1,64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98001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915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8 Oct, 21:57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29(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폭스콘이 애플로부터 3,180만 달러 규모의 장비를 구매

- 폭스콘이 애플과 기계 및 장비 일괄 인수를 위한 거래를 발표. 총 거래 금액은 3,180만 달러 수준으로, 공급망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인수는 인도 내 생산 능력의 지속적인 확장에 대비하기 위한 것. 이번 장비 투자로 인도에서 아이폰 16 프로 시리즈 생산을 시작할 예정임
https://han.gl/sMdez (Digitimes, 10.28)

(PC) 인텔, "내년 AI PC 1억대 출하 목표"… 올해보다 150% 성장

- 인텔은 올해 말까지 AI PC 출하량이 늘어날 것이며 올해 목표 출하량을 4,000만 대를 제시함. 대부분 메텡 레이크 기반이며, 올해 2,000만대 출하를 달성함. 내년에는 노트북과 데스크톱을 포함해 AI PC 1억대 출하를 목표로 제시함
https://han.gl/ZEmwV (The Elec, 10.28)

(스마트폰) 아이폰, 인도네시아 내 판매 중단

- 산업부가 애플이 현지 부품 사용에 관한 인도네시아의 규정을 충족하지 못해 인도네시아에서 아이폰 16 스마트폰을 판매할 수 없다고 밝힘. 인도네시아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특정 스마트폰에 현지에서 제조된 부품을 40% 이상 포함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아이폰 16은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함
https://han.gl/dN0CK (Reuters, 10.28)

(AI) 오픈 AI, 매출의 75%가 유료 사용자로부터 발생

- OpenAI 비즈니스 매출의 약 75%가 소비자 구독에서 발생한다고 말함. 특히 소비자의 성장 속도가 놀라운 수준이라고 언급. 현재 ChatGPT의 주간 활성 사용자가 2억 5천만 명에 달하며, 무료 사용자가 5~6%의 비율로 유료 제품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임
https://han.gl/rivnR (Bloomberg, 10.29)

■ 디스플레이

(LCD) 中 수요에 LCD TV 패널값 하락 멈춰… 모니터 패널은 저가 물량 공세 심화
- Omdia에 따르면, LCD TV 패널 가격은 올 하반기 들어 계속 하락하다 10월 들어 보합세로 돌아섬. 이 추세가 4분기에도 유지될 것으로 보임. 이는 중국 수요가 오른 영향임.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 소비에 15~20%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현지 TV 수요가 반등하기 시작함
https://han.gl/WMp7Z (조선비즈, 10.28)

(OLED) 올해 OLED TV 패널 출하량 648만대 전망… 22%↑
- 시그마인텔에 따르면, 올해 OLED TV 패널이 전년 대비 22% 성장하여, 648만대 출하될 것으로 전망. 지난해 OLED TV 패널 출하량은 530만대에 그침. 전체 TV 패널 시장에서 OLED 침투율은 23년 2.2%에서 올해 2.6%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됨
https://han.gl/l61uB (The Elec, 10.28)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8 Oct, 08:54


https://ift.tt/HR0vPBc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8 Oct, 06:11


2024.10.28 15:10:06
기업명: 선익시스템(시가총액: 4,178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Jiangsu Hantang International Trade Group Corp.,Ltd
계약내용 : Micro OLED 디스플레이 양산용 증착장비
공급지역 : 중국
계약금액 :

계약시작 : 2024-10-28
계약종료 : 2025-05-20
계약기간 : 6개월
매출대비 :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8900306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17109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7109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7 Oct, 22:00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28(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중국 내 애플의 3Q 스마트폰 판매량 감소, 화웨이의 급상승

- IDC에 따르면, 3Q, 애플의 중국 내 아이폰 판매량은 0.3% 감소한 반면 화웨이는 42% 성장함. 저가형 휴대폰을 주로 판매하는 Vivo가 18.6%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차지, 애플은 YoY 0.5%p 하락하여 2위(15.6%) 차지, 화웨이는 4.2%p 상승한 15.3%로 3위를 차지함
https://han.gl/0Aoly (Reuters, 10.26)

(PCB) TPCA 2024에 모인 PCB top players, AI 기반 성장에 주목하다
- 유니마이크론은 기판 수요가 예정보다 3~4개월 앞서 반등하면서 2025년 말에는 PCB 시장이 강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함. ZDT는 AI 관련 제품이 전체 매출 중 50%를 차지하고 2025년에는 70%에 달할 것으로 전망, 2025년 PCB 시장의 회복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 제시. AI 서버, LEO 위성, EV는 PCB 제조 업체의 주요 성장 분야로 부상중임
https://han.gl/sF8Fd (Digitimes, 10.25)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Agility, 1억 5천만 달러 투자 유치 계약 체결 임박
-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인 Agility는 1억 5천만 달러의 funding을 진행 중이며,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은 올해 로봇 펀딩이 급증하고 있다고 말함. 2년 전, 1억 5천만 달러의 펀딩 라운드에서 Agility의 기업 가치는 5억 5천만 달러로 평가됨
https://han.gl/mKS9y (Bloomberg, 10.25)

(전장) 알파벳의 웨이모,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 확대를 위한 56억 달러 펀딩 마감

- Waymo는 금요일 자율 차량 호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한 56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밝힘. 이 투자로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LA, 오스틴 및 애틀랜타에서 우버와의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Waymo One 차량 호출 서비스를 확장할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rwbz1 (Reuters, 10.26)

(스마트폰) 삼성 ‘갤럭시Z폴드 스페셜 에디션’, 출시 지연 뒤 10분 만에 완판
- 삼성전자가 25일 출시한 신제품 ‘갤럭시Z폴드 스페셜 에디션’이 예정된 시간보다 7시간 지연된 오후 4시에 판매를 시작했으나, 10분 만에 준비된 물량이 모두 소진됨
https://han.gl/fI8Wj (조선비즈, 10.25)

■ 디스플레이

(OLED) 갤럭시S25 울트라, 더 비싼 OLED 패널 쓸까...전망 엇갈려
- 25일 IT팁스터 Roland Quandt는 X를 통해 삼성 공급업체들이 갤럭시S25 시리즈의 부품을 만들기 시작했다고 밝힘. M14 신소재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함. 반면, Jukanlosreve는 갤럭시S25 울트라가 갤S24 울트라와 동일한 M13 소재를 사용할 것이라고 주장함
https://han.gl/eWP4M (ZDNet, 10.26)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4 Oct, 21:57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25(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애플, 아이폰에 AI 탑재 본격화…'챗GPT 버전' 시험 출시(종합)

- 애플은 다음 주 아이폰의 새 운영체제 iOS 18.1 버전을 배포한다고 공식 발표함. 애플은 또한 Chat-헷 기능 등을 지원하는 iOS 18.2 버전의 베타(시험) 버전을 일부 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미리보기 형태로 출시함. iOS 18.2 버전은 연내에 일반 이용자에게 배포될 예정
https://han.gl/siqGM (연합뉴스, 10.24)

(전장) 테슬라는 내년 유료 로보택시를 약속하지만 여전히 상당한 문제가 있음

- 머스크는 25년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대중에게 무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출시할 것이라고 밝힘. 그러나 이는 상당한 규제 및 기술적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음. 웨이모는 캘리포니아에서 허가를 받기 전까지 수년간 테스트를 거쳤는데, 테슬라는 캘리포니아에서 무인 테스트 허가를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tSMQX (Reuters, 10.25)

(가전) LG전자 "가전구독 올해 누적 매출 1.3조...인도 진출 예정"

- LG전자는 24일 가전구독 부문의 3Q24 누적 매출이 13,000억원으로, YoY 50% 성장, OPM은 두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가전 구독 매출 비중은 지난해 약 15% 비중에서 현재 20%를 상회함. 추가적으로 인도 및 기타 아시아 국가 진출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음
https://han.gl/Fmhko (ZDNet, 10.24)

(전망) 퀄컴 "온디바이스 AI, LLM 경량화로 중요성 더 커질 것"

- 퀄컴은 스냅드래곤서밋에서 온디바이스 AI의 중요성을 강조함. AI 모델 성능의 품질과 성능 개선이 패러미터 수와 정비례하지 않으며,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는 줄고 성능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소개함. 이는 LLM 구동시 클라우드에 의존하던 과거와 달리 기기상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임을 의미함
https://han.gl/aG5ie (ZDNet, 10.24)

(스마트폰) 중화권 스마트폰 브랜드 가격 인상 추세, iPhone만 안정적
- 중국 언론들은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들이 24년 가을부터 대대적인 가격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함.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추세임. 24년 10월 중순부터 11월까지 Vivo, Xiaomi, Oppo 등 10곳 이상의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가 최신 플래그십 모델을 공개하며 가격 인상을 확정함. PhoneArena에 따르면, 보급형 스마트폰 가격이 약 500위안 인상될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2b4BY (Digitimes, 10.24)

■ 디스플레이

(OLED) 갤럭시S25 M13 OLED 탑재…듀폰·UDC·덕산 소재 공급
- 삼성디스플레이가 내년 초 출시되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 M13 유기재료 세트를 적용한 OLED 패널을 공급함. 이미 준비를 시작하고 생산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짐. S25용 발광층 재료는 듀폰, UDC, 덕산네오룩스, 삼성SDI, 머크, SFC 등이 맡는 것으로 파됨
https://han.gl/LiUK3 (전자신문, 10.24)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4 Oct, 05:29


https://v.daum.net/v/20241024142700514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4 Oct, 05:07


LG전자 3Q24 정정공시
매출(억원) 221,769 → 221,764
영업이익(억원) 7,511 → 7,519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4800186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4 Oct, 0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이노텍 (011070/매수): 내실을 다질 시간

1. 3Q24 리뷰: 아쉬운 실적
3Q24 매출액 5.68조원(+19% YoY), 영업이익 1,304억원(-29% YoY)으로 추정치 대비 각각 +10%, -49%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
- 광학사업부의 물동량 증가로 외형 성장을 기록했으나, 1) 아쉬운 환율, 2)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
- 기판 소재 사업부는 모바일 신모델 출시로 견조
- 디스플레이향 수요는 유럽 올림픽 이후 패널 재고 부담이 지속되면서 부진

2. 4Q24 프리뷰: 추정치 하향 조정. 경쟁 심화 지속
4Q24 매출액 6.28조원(-17% YoY), 영업이익 2,970억원(-38% YoY)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 기존 추정치 대비 각각 -25%, -22%만큼 하향 조정함. 이는 1) 생산량(9,000만대 → 8,400만대)을 하향 조정했고, 2) 경쟁 심화로 Blended ASP를 소폭 하향 조정 반영한 것

3. 목표 주가 하향 조정
목표주가 280,000원 (직전 목표주가 350,000원)으로 하향 조정.
BPS 기존 대비 -10.9% 하향 조정한 221,845원과 Target P/B 1.2로 산출. 현재 LG이노텍의 주가는 12MF P/B 0.9배 수준으로 3년 평균 하단에 위치해 있음

링크: https://han.gl/p53T9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21:5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궈밍치 아이폰 16 생산, 수요 관련 코멘트 정리

1. 아이폰 16 주문은 4Q24-1H25에 약 1,000만 대 감소, 대부분의 감소는 non-pro 모델에 영향을 미침. 그 결과, 2H24의 iPhone 16 생산량은 8,400만 대(이전 약 8,800만 대에서 감소)로 추정됨

2. 4Q24, 1Q25, 2Q25 총 iPhone 생산량은 각각 약 8,000만대, 4,500만대, 3,90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할 것으로 예상
(4Q23, 1Q24, 2Q24 각각 약 8,400만대, 4,800만대, 4,100만대)

3. iPhone SE4 양산은 2024년 12월에 시작되며, 2024년 12월부터 1Q25까지 약 860만 대가 생산될 것으로 예상

4. 4Q23의 생산량과 판매량 간의 격차가 4Q24보다 컸고 4Q24의 제품 믹스(9~10월 프로 맥스 모델 생산 증가)가 좋기 때문에, 4Q24의 애플 아이폰 수익성은 감산의 영향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음

4. 대부분의 iPhone 공급업체는 4분기 말부터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1H25에는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5. 1H25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 감소와 SE4 출시로 인한 제품 믹스 악화로 인해 아이폰 수익이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

6. Apple이 온디바이스 AI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며, 장기적으로 Apple Intelligence가 인기 있는 유료 서비스가 될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해서도 확신을 가지고 있음. 그러나 iPhone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려면 이러한 AI 개발과 함께 추가적인 하드웨어 혁신이 필요함

출처: https://han.gl/lFRf3 (Medium)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21:5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24(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AR/VR) 애플, 비전 프로 생산량 대폭 축소
- 애플은 초여름부터 비전 프로 혼합 현실 헤드셋의 생산을 급격히 축소했으며, 연말까지 기존 버전의 생산을 완전히 중단할 가능성 높음. 이는 올해 초 애플이 2025년 말 출시를 목표로 현재버전(3,500달러)보다 저렴한 모델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로 한 결정에 따른 것으로 보임
https://han.gl/UY4ST (The Information, 10.23)

(서버) 엔비디아의 Blackwell 설계 결함 수정 완료

- 젠슨황은 블랙웰은 기능은 좋았지만 설계 결함으로 인해 수율이 낮았다고 전함. TSMC의 도움으로 수율 문제를 극복하고 놀라운 속도로 블랙웰의 생산을 재개할 수 있었다고 말함
https://han.gl/SjGJ8 (Reuters, 10.23)

(스마트폰) 中 샤오미도 곧 3나노 칩 양산…모바일 AP 시장판도 '격변'

- 샤오미가 현지 업체 중 최초로 첨단 3nm 공정의 모바일 AP를 자체 개발해 내년 양산에 나설 것으로 분석됨. 3nm 모바일 AP에 대한 시제품양산을 한 것으로 알려짐. 샤오미가 3nm 공정 모바일 AP 양산에 성공하면, 이를 화웨이 등 자국 스마트폰 제조사에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짐
https://han.gl/4merM (뉴시스, 10.23)

(스마트폰) "아이폰17, 애플 제품 중 최고 야심작"…근거는?
- 애플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부문 부사장이 최근 향후 아이폰 로드맵을 발표하며, 아이폰17에 대해 “역사상 가장 야심 찬 제품이 될 것”이라고 밝힘. 아이폰17 시리즈는 더 얇은 베젤과 향상된 광학 줌을 위한 잠망경 렌즈가 탑재될 예정, 개선된 카메라 성능, 더 큰 배터리, 향상된 프로세서 탑재가 기대됨
https://han.gl/oRlpd (ZDNet, 10.23)

(스마트폰) 삼성 노태문 "갤S24 판매 호조… 올해 매출 성장 예상"

- 노태문 사장이 갤럭시 S24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MX사업부의 매출이 3분기까지 YoY 성장세를 이어갔는데, 4분기 합산으로도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갤럭시가 모바일 AI 시대로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함
https://han.gl/O81Sx (조선비즈, 10.23)

■ 디스플레이

(OLED) LG디스플레이 “수요 부진에 IT용 OLED 출하 계획 조정될 것”
- LG디스플레이는 23일 실적 발표에서, IT 기기 전반의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특히 하이엔드 제품의 판매 부진이 나타나고 있다고 언급. 이에 따라 당초 목표한 출하 계획의 일부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말함
https://han.gl/72Uum (조선비즈, 10.23)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07:07


LG이노텍 3분기 실적 자료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06:46


2024.10.23 15:45:19
기업명: LG이노텍(시가총액: 4조 7,26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6,851억(예상치 : 51,469억)
영업익 : 1,304억(예상치 : 2,566억)
순이익 : 1,050억(예상치 : 1,89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56,851억/ 1,304억/ 1,050억
2024.2Q 45,553억/ 1,517억/ 989억
2024.1Q 43,336억/ 1,760억/ 1,385억
2023.4Q 75,586억/ 4,837억/ 3,508억
2023.3Q 47,636억/ 1,834억/ 1,29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29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107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04:40


2024.10.23 13:36:44
기업명: LG디스플레이(시가총액: 5조 2,60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8,213억(예상치 : 71,499억)
영업익 : -806억(예상치 : -946억)
순이익 : -3,552억(예상치 : -1,695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68,213억/ -806억/ -3,552억
2024.2Q 67,082억/ -937억/ -4,708억
2024.1Q 52,530억/ -4,694억/ -7,613억
2023.4Q 73,959억/ 1,317억/ 505억
2023.3Q 47,853억/ -6,621억/ -7,75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2380016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4220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00:32


https://ift.tt/ihGS2AH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3 Oct, 00:00


https://naver.me/IgJhoO4j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2 Oct, 21:5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23(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개발) 삼성, 갤럭시 S27 AP 개발 착수···파운드리·엑시노스 자존심 걸었다
- 삼성전자는 갤럭시 S27에 탑재할 예정인 차세대 엑시노스 개발을 연말부터 본격 착수할 예정임. 이 제품은 삼성전자의 2세대 2㎚ 공정인 SF2P 공정으로 생산될 예정임. SF2P 타깃 스펙은 전작 대비 성능 12% 향상, 전력 소비와 면적은 각각 25%, 8% 감소로 설정함
https://han.gl/RhGlP (서울경제, 10.22)

(스마트폰) 퀄컴 CEO, 5년 안에 모든 사람이 AI 스마트폰을 갖게 될 것
- 퀄컴 CEO는 22일 "향후 5년 안에 우리 모두는 AI 스마트폰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함. 여기서 쟁점은 사용 사례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것인데, 이는 스마트폰으로의 전환에서도 일어났던 일이라고 말함. 퀄컴이 22일 공개한 스냅드래곤8 엘리트는 전작 대비 CPU 성능은 45%, 전력 효율성이 44% 향상됨
https://han.gl/ArPYo (Bloomberg, 10.23)

(서버) “페가트론, 엔비디아 ‘차세대 AI칩’ 블랙웰 서버 올 12월 출하”
- 22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들은 페가트론이 3분기부터 멕시코 생산라인을 확대하고 있으며 오는 12월부터는 블랙웰 서버를 출하할 것이라고 보도함. 페카트론의 임원들은 지난 15~17일 OCP에서 젠슨황을 만난 바 있음
https://han.gl/qBWgB (조선비즈, 10.22)

(스마트폰) '스냅드래곤8 엘리트 탑재' 첫 스마트폰은? [스냅드래곤서밋 2024]
- 샤오미 수석 부사장은 샤오미 15 시리즈가 스냅드래곤8 엘리트 탑재한 최초의 스마트폰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로써 샤오미15는 전략 소비량이 전 세대 대비 30% 감소할 것이라고 말함. 삼성전자의 경우, 내년 초 출시 예정인 갤럭시S25 시리즈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RdaYC,
https://han.gl/kCFaY (아이뉴스24,
조선비즈, 10.22)

(AR/VR) 노태문 "갤럭시 AI 이점 XR 생태계서 확인할 때"
- 노태문 사장은 이제 AI의 이점을 XR 생태계를 통해 확인할 시간으로, XR 플랫폼에 '갤럭시 AI'를 접목하겠다고 예고함. 이미 갤럭시 AI는 스마트폰을 넘어, AI PC, 태블릿, 워치, 링과 같은 다양한 기기와 카테고리로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
https://han.gl/WV2JJ (매일경제, 10.22)

■ 디스플레이

(OLED) '갤럭시Z' 부진에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 역성장 불가피
- 올 하반기 기준, 삼성디스플레이는 폴더블폰용 OLED 패널의 R/P를 1,200만 장으로 하향 조정함. 이는 전년 출하량 추정치 대비 10% 감소한 수치임. 이번롤링 플랜은 특히나 조정폭이 큼. 주된 원인은 갤럭시Z폴드6·Z플립6'의 판매 부진으로, 기존 및 신규 모델을 합친 판매량이 전년 대비 1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https://han.gl/LjOaK (ZDNet, 10.22)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2 Oct, 08:45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전자 기업가치 제고 계획 (10.22)

- 기업개요

Ⅰ. 중장기 목표: 2030 미래비전
- 목표
. 2030년 매출 100조 달성
. 2030년 Triple7 달성
(매년 매출성장률 7%, 영업이익률 7%, EV/EBITDA 7×)
. 2027년 ROE 10% 이상 목표

- 중장기 사업 추진 전략 및 이행 계획
①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
: 하드웨어 기반 사업에서 webOS 사업, 스마트홈 사업 등 플랫폼 기반 사업으로 확대

② B2B 사업의 확대
: 공조(HVAC), 자동차 전장, 스마트 팩토리 사업 등
- 기업고객에게 차별화된 솔루션 제공

③ 신사업 발굴
: 미래 사업 전략과 align된 기술 개발을 통해 자사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신사업 발굴
- 이행계획에 따른 중장기 매출·영업이익 비중 예상
:매출 비중
24년 39% → 30년 52%
:영업이익 비중
24년 55% → 30년 76%

Ⅱ. FY2024 ~ FY2026 주주환원
- 1차 주주환원정책
(FY2021 ~ FY2023)
. 배당성향 20%,
연 1회 결산배당 실시
- 2차 주주환원정책
(FY2024 ~ FY2026)
. 배당성향 25%, 반기배당
연 1,000원의 최소배당금 설정
- 향후 추진계획
. 기보유 자사주 소각 검토,
추가 자사주 매입 검토,
분기배당 검토

원문 : https://han.gl/cgazo (DART)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1 Oct, 22:37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4. 10. 22(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퀄컴, AI용 휴대폰 칩 개선, 삼성과 계약 체결
- 퀄컴은 21일 노트북 칩용으로 처음 개발된 기술을 휴대폰 칩에 도입하여 생성형 AI 작업을 더욱 강력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퀄컴은 삼성전자, Asustek, 샤오미 등이 새 칩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힘
https://han.gl/0H1Vi (Reuters, 10.22)

(스마트폰) 2024년 광군제를 맞이하여 화웨이의 플래그십 메이트 70, 출시 준비 완료

- 22일에 열리는 화웨이 행사에서는 노바 13 시리즈와 최신 하모니OS NEXT OS를 선보일 예정으로, 모두 사전 주문이 가능함. 11월 출시를 앞두고 있는 화웨이의 메이트 70과 더불어, 10월에는 Vivo, Oppo, Honor가 새로운 플래그십 디바이스를 출시하며 중화권 스마트폰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https://han.gl/c3sSi (Digitimes, 10.21)

(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 스페셜 에디션, 국내 소비자 니즈 반영한 제품”
- 삼성전자가 갤럭시 Z 폴드 스페셜 에디션을 25일 국내 출시함. 이는 역대 가장 얇고 가벼운 모델임. 10.6mm의 두께와 236g의 무게는 ‘갤럭시 Z 폴드6’와 비교했을 때 1.5mm 얇고 3g이 가벼움. 갤럭시 Z 시리즈 최초로 2억 화소의 광각 카메라가 탑재, 16GB 메모리를 탑재해 최상의 AI 경험 제공함
https://han.gl/V3Qva (조선비즈, 10.21)

(PC, 서버) Lite-on, 25년까지 AI 서버 두자릿수 성장 전망
- IT 수요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개선, 특히 재고 문제가 해결된 후 25년은 24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 PC 시장은 AI PC와 Windows 11 교체 등으로 25년을 더 낙관적으로 전망. 서버 시장은 AI 관련 강력한 수요가 발생, 클라우드 부문도 하반기 두자릿수 성장 전망
https://han.gl/lE4Dt (Digitimes, 10.21)

(반도체) 낸드 시장 숨고르기 전망…“재고 상승 중”
- 낸드 플래시 재고량이 점점 늘어나 공급 과잉 수준에 임박한 것으로 나타남. 낸드 플래시 적정 재고 일수를 6~8주로 보는데, 최근 이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평가임. PC와 모바일용 낸드 수요 회복은 eSSD 대비 여전히 더딘 편인데,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재고가 늘어난 것으로 추측됨
https://han.gl/5frar (전자신문, 10.21)

■ 디스플레이

(힌지) 中환리, 아너에 납품한 폴더블 폰 힌지서 불량… KH바텍 반사이익?

- 아너가 출하를 앞둔 폴더블폰에서 힌지 불량이 발견돼 환리에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파악됨. 기존에도 불량 관련 해결 요구가 있었는데 환리가 개선되지 않은 힌지를 아너에 다시 납품. 이 문제로 환리의 힌지 사업과 기업공개 계획에 악영향을 미치면, KH 바텍 등 기존 삼성전자 폴더블 힌지 업체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됨
https://han.gl/WHaAO (The Elec, 10.21)

 
감사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21 Oct, 13:4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아이폰16, 중국 첫 3주 판매 관련 노트 공유

- 아이폰16, 첫 3주 작년 15 대비
중국에서 20% 판매 증가
- Pro/Pro Max 16,
작년 15 대비 44% 판매 증가

다만, 아이폰16 첫 3주 데이터는 기저 영향 존재
1) 아이폰15 생산 문제로 초기 재고 부족,
2) 아이폰15 첫 3주 데이터(17일),
3) 아이폰15 출시 시점 Mate60 흥행

전체 아이폰 전체 판매량은 2% 감소된 상황

코멘트: 4Q24까지 신중한 전망(Cautious outlook)을 유지. 중국 경쟁 플래그십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어려움이 예상이 된다고 언급

출처: Counterpoint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