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관학교 @capitalism_academy Channel on Telegram

자본주의 사관학교

@capitalism_academy


진정한 인간지표의 눈물 겨운 생존기!
왜 나에대한 기준만 엄격한건데😢

텔레그램 공지 https://t.me/Capitalism_Academy
오픈채팅 https://open.kakao.com/o/gizO1EGd
블로그 https://in.naver.com/hoyaworld

자본주의 사관학교 (Korean)

자본주의 사관학교 채널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채널은 진정한 인간지표의 눈물 겨운 생존기를 탐구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왜 나에 대한 기준만 엄격한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주제와 소식을 통해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채널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텔레그램 공지 https://t.me/Capitalism_Academy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픈채팅 https://open.kakao.com/o/gizO1EGd 와 블로그 https://in.
aver.com/hoyaworld 에도 방문해 보세요. 자본주의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싶은 모든 이들을 위한 공간, 자본주의 사관학교 채널에서 함께 해요!

자본주의 사관학교

11 Feb, 23:18


🇺🇸파월 금리 조정 서두를 필요 없다

금리 정책

현재 금리 수준이 적절하며, 급하게 조정할 이유 없음.

경제가 강하면 고금리 유지 가능성 커짐.

반대로, 경기 둔화나 인플레이션 급락 시 금리 인하 고려 가능.

경제 및 인플레이션

미국 경제는 여전히 탄탄함.

인플레이션이 2%에 가까워졌지만 여전히 다소 높음.

실업률 낮고 노동 시장 안정적이라, 인플레이션 주 원인은 아님.

🤔결론

FED는 데이터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것. 지금은 관망하는 단계, 1월 내용을 반복.

자본주의 사관학교

06 Feb, 04:01


아니 진짜 이 지갑 와이프건데
BERA 여자 할당 주시면 안될까요?


와이프 BGT 1년간 모으게 시켰는데😢

자본주의 사관학교

05 Feb, 06:18


우리 방에 있던 형들은 대부분 아는 이야기겠지만, 잠깐 내 이야기를 해봄. -DH-

재작년 연말, 난 밈 시장에 굉장히 빠르게 진입한 사람 중 한 명이었고, 초기 진입의 이점으로 아주 쉽게 큰돈을 벌었음. 뭘로 벌고 어떻게 했는지는 이미 여러 번 말했으니까, 궁금하면 물어보면 대답해줌.

어쨌든 그 당시 무지성 존버로 대응한 결과, 연말쯤엔 2만 달러도 남지 않은 상태였음.
그럼에도 계속 시장에서 거래해왔고, 12월에는 약 2주 만에 가지고 있던 금액의 50배 이상을 벌며 결과적으로 작년보다 더 많은 시드를 회복함. 물론 지금은 많이 내려왔지만, 작년의 교훈을 바탕으로 현금화를 해둔 덕분에 살 만한 정도.

어쨌든 하고 싶은 말은, 시장에 계속 참여하며 기회를 찾다 보면 반드시 온다는 것.
잘 안될 때는 쉬는 게 맞고, 무리한 뇌절 투자만 멈추면 됨. 다 같이 벌 때가 기회인 거지, 안 주는 시장에서 아둥바둥할 필요는 없음.

지금은 수천 명 이상의 사람이 방에서 함께하고, 자유롭고 빠르게 의견을 공유하고 있음.
여전히 DEX 시장은 초기 단계이며, 앞으로 더 커질 거라 확신함.
최근 우리 방에 새로 진입한 형들이 늘어난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부분.

우리는 좋은 환경과 빠른 시장 진입이라는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음.
우리 형들이 계속 함께할 수 있다면, "100명 100억" 그리고 대부분이 목표하는 수익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함.

오래 같이 하자 형들🫶😊

자본주의 사관학교

30 Jan, 03:17


스파르타보다도 아테네를 더 철저히 무너뜨린 것은 바로 아테네인들 자신이었다.

그들은 현실적 이익에 따라 조국을 배반했고, 지도층은 권력투쟁에 매몰되었으며, 애국심보다는 사적 이해관계가 우선시되었다.

‘시칠리아 원정’과 같은 무모한 결정이 이루어진 것도, 원대한 비전이 아닌 단기적 이익에만 집착한 정치적 맹목 때문이었다.

대한민국 역시 내부의 분열이 외부의 위협보다 더 심각한 문제다.

국민은 정치적 편가르기에 함몰되어 공동체적 정체성을 잃어가고, 지도층은 국가의 장기적 비전보다 당장의 권력 쟁취에만 몰두한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형해화되고 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민주주의 국가가 내부의 분열과 선동정치로 어떻게 무너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경고이다.

대한민국이 이와 같은 길을 걷지 않기 위해서는, 정치가가 대중을 선동하는 것을 경계하고, 국민 역시 정파적 맹목에서 벗어나 이성을 되찾아야 한다.

천하의 일은 필연적으로 순환하나, 그 쇠망은 스스로의 어리석음에서 비롯된다

이제 대한민국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과연 우리는 자멸의 역사를 되풀이 할 것인가?

자본주의 사관학교

30 Jan, 03:16


고대 그리스의 영광을 꽃피웠던 아테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이라는 비극 속에서 스스로를 갉아먹었다.

민주정의 요람이었던 이 도시는 전쟁과 내부의 분열 속에서 결국 그 이상을 잃고 말았다.

투키디데스가 기록한 이 전쟁은 단순한 국가 간의 충돌이 아니라, 문명 자체의 내적 붕괴를 보여주는 전범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먼 고대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우리의 정치적 현실과 맞닿아 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전의 아테네는 예술, 철학, 민주주의가 만개한 황금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강대함은 필연적으로 내부의 균열을 초래했다.

도편추방과 선동정치,그리고 대중을 현혹하는 웅변가들의 책략 속에서 공공선은 점차 사익과 군중심리에 의해 무너져 갔다.

클레온과 같은 자들이 전쟁을 부추기고, 데마고그들의 감언이설에 취한 시민들은 끝없는 혼란을 자초했다.

결국 전쟁은 아테네를 파멸로 이끌었으며, 민주정은 힘을 잃고 참주적 과두정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상황과도 닮아 있다. 민주주의는 발전했지만, 그 속에서 다수의 폭정이 자행되고 있다.

언론과 정치권은 여론을 조작하여 국민을 선동하고, 대중은 정략적 이익에 따라 분열하며, 정치적 술책이 난무하는 상황이다.

공론이 실종되고 감정이 이성을 압도하는 현실은, 아테네가 내홍 속에서 스스로를 무너뜨린 과정과 다를 바 없다.

군자는 화이부동하고, 소인은 동이불화한다는 논어의 가르침처럼, 조화로운 논의는 사라지고, 서로 같은 편이 아니면 적으로 간주하는 양극화가 대한민국을 좀먹고 있다.

아테네의 패망은 외적 요인보다도 내부의 분열에서 비롯되었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26 Jan, 08:32


크립토

취임식 연설, 첫날 행정명령에서 크립토는 일언반구 내용이 없었으나 그 후 행정명령이 발표 됨. 골자는 디지털 '금융'에서 미국의 리더십 강화인데 가장 중요한 것은 대통령 실무 그룹 설립과 'ai' 및 암호화폐 특별 의장이 이를 맡는다는 것임 (그림 1,2)

ai와 비슷하게 엮어서 가는 것이 아닐까 기대해 볼 수 있으나, 역시 전략자산 비축이라던지 직접적으로 미 정부에서 비트코인의 매수는 아직 기대해 볼 수 없으며 첫 100일 동안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이는 실현 불가능 할 것으로 보고 있음.

하지만 긍정적인 부분은 개별 ETF가 4,5월에는 출시 될 확률이 높아보임. 현재 개별 ETF 신청 된 코인은 XRP TRUMP DOGE 등 미국 자본 위주 코인들임. (그림3,4)

밈코인인 트럼프는 트럼프의 임기가 이번으로 마지막이기 때문에 (2차대전 같은 특수경우 말고는 미 대통령은 조지 워싱턴을 따라 2번을 하고 내려오는게 관례)

임기사이클 내 상승동력을 잃을 수 있음을 항상 생각해야 한다고 봄.

또한 필자는 이번 트럼프 임기내 크립토의 합성 ETF가 나올 것이라는것을 확신함.

특히 디파이 TOP10, 밈 TOP10 같은 합성 ETF의 출시가 점쳐짐.

실크로드 창업자의 사면도 눈여겨 봄직 하다고 보여짐. 향후 지갑 믹싱(트랜잭션 믹싱) BTC 익명거래, 다크코인등의 섹터에도 좋은 영향이 있을 것이라 보여짐. (마지막 그림)

자본주의 사관학교

20 Jan, 14:38


밈코인 판교어 정리

1.MEV (Maximal Extractable Value): 블록체인 거래에서 특정 거래를 우선 처리하거나, 다른 거래를 밀어내 차익을 얻는 행위를 말합니다. 흔히 “샌드위치 공격”으로 불리며, 이를 통해 거래자가 손실을 입기도 합니다. 윗꼬리가 긴 차트를 보면 MEV로 인해 손실이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2.Developer (데브): 개발자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종종 밈코인 개발자를 의미합니다.

3.Slippage (슬리피지): 주문 가격과 실제 체결 가격 간의 차이를 뜻합니다. 유동성이 낮은 자산일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 예상보다 비싸게 사거나 싸게 파는 일이 빈번합니다.

4.LP (Liquidity Pool/Provider): DEX에서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동성을 뜻합니다. LP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대량 주문 시 큰 슬리피지가 발생하거나 MEV 공격을 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LP가 락(Lock)되지 않으면 개발자가 유동성을 회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5.Mintable: 추가 발행이 가능한 코인을 의미합니다. 무제한 발행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는 투자 시 신중해야 합니다.

6.Freeze & Honeypot (허니팟): 특정 체인에서 거래를 제한해 가격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키는 행위를 뜻합니다. 솔라나(Solana)에서 이러한 사례가 간혹 발견됩니다.

7.Conviction (컨빅션): 특정 자산에 대한 강한 확신으로 대량 매수하는 행위입니다. 가격 하락 시 추가 매수(물타기)를 하며 반등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Top Blast (탑 블라스트): 자산이 고점에 도달했을 때 매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흔히 “불타기”와 유사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9.Buy the Dip (바이 더 딥): 가격 하락 시 저점에서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10.Reversal (리버설): 하락세가 이어지던 자산이 반등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데드캣 바운스”와도 유사합니다.

11.Moonbag (문백): 일부 수익 실현 후 원금을 제외한 자산만 남겨두는 전략입니다.

12.Sol Farm (솔팜): 유동성을 제공한 뒤 수수료를 얻는 과정에서 본인이 손해를 보게 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13.Rug (러그): 프로젝트 개발자가 모든 유동성을 회수하고 사라지는 사기 행위를 뜻합니다.

14.Slow Cook (슬로우 쿡): 펌핑이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15.Cabal (카발): 시장 조작에 관여하는 익명의 집단 또는 내부자를 지칭합니다.

16.CTO (Community Take Over): 특정 프로젝트가 소수의 내부자가 아닌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성공적인 예로 SPX가 있습니다.

17.MM (Market Maker): 시장 유동성을 제공하며 가격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는 집단 또는 개인을 의미합니다.

18.Jeet (지트): 가격 상승 초기에 보유 자산을 매도하거나 단기 매매를 통해 차익을 실현하는 행위입니다.

19.Bonding Curve (본딩 커브): 특정 자산이 펌핑 구간에 도달해 주요 거래소에 상장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과정입니다.

20.참보 (참새보x): 단기 차익 실현을 목표로 매매를 반복하는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21.Caller (콜러): 특정 코인이나 티커를 추천하여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뜻합니다. 일례로, 일론 머스크는 대표적인 콜러로 간주됩니다.

22.Bundle (번들): 대량 보유 자산을 여러 지갑에 분산시켜 보유량을 숨기는 행위를 말합니다. 번들 지갑의 비율이 높을 경우, 대규모 매도가 발생하면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3.Dev Sell & Dev Burn (데브셀 & 데브번): 개발자가 보유 물량을 매도하거나 소각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개발자 매도 이후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4.Sniper (스나이퍼): 특정 지갑을 추적해 거래를 복제하거나 빠르게 매수·매도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상대가 이를 인지할 경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17 Jan, 02:17


aixbt의 성공을 본 지금 그 다음 성공은 어디로 갈지 생각해봐야겠다

사실 aixbt 이전에도 solana에서 단순 트윗을 쓰는 ai agent들이 있었다.
다들 알다시피 뭐 goat를 시작으로 zerebro, opus, ruri, cents... 등등
우리는 ai들이 우리가 사용하는 sns에서 서로 토론하고 비난하는 등의 행위가 처음이었기 때문에 신기술이라 생각하고 열광했다
이로인해 그 결과는 각 코인 가격 상승을 유의미하게 만들었음

하지만 크립토 시장의 시간은 너무 빠르게 흐르는지라, 어느 순간부터 이들의 대화는 무의미하다고 느껴지고 식상했다.
당연하게도 코인은 하락했다. 사실 서로 대화하는 내용은 100% 이해하기 어려웠으며 결과론적으로 일반 유저들은 역으로 소외감까지 느꼈다

이후 ai agent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기 시작했고 유저들은 점점 지쳤다.

그러던 중 aixbt가 생겼다. 처음에는 여느 agent와 다를게 없다고 느꼈는데
aixbt의 트윗는 뭔가 좀 달랐다. 정확히 크립토 시장 및 현물경제에 대해서만 트윗을 했고 goat나 zerebro처럼 지들끼리 하는 대화 혹은 의미없는 의성어를 내뱉는게 아니라 실제로 '실질적'인 내용을 다뤘다. 또한 어느 크립토 뉴스보다도 더 빠르게 시장상황을 인지하여 유저들에게 알렸다.
점점 aixbt의 내용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다른 ai agent들도 aixbt처럼 실질적인 내용만 다루기 시작했다.

사실 기술의 발전은 없다. 단순히 내용의 변화이다. 하지만 우리는 aixbt가 이전 agent 다르게 우리에게 새롭게 접근을 하였기에 신선함을 느낀게 아닐까.

그럼 우리는 이제 ai agent의 기술적인 발전이 아닌 실제 대중들에게 와닿을 수 있는 신섬함을 찾아야겠다.
억지 느낌의 기술혼합을 말하는게 아니라 대중들이 관심이 있는 것에 대해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자본주의 사관학교

16 Jan, 13:18


🇺🇸 트럼프 미국 기반 암호화폐로 솔라나와 리플 고려중

솔라나는 초고속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스마트 계약과 DApp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추며, 높은 확장성과 낮은 수수료를 강점으로 함

반면, 리플(Ripple)은 금융기관 간의 국제 송금을 효율화하는 데 중점을 둔 네트워크로, 안정적이고 빠른 거래 처리가 강점이지만 중앙화 논란과 규제 리스크가 따름

솔라나는 기술 혁신과 생태계 확장성이 투자 포인트이며, 리플은 기존 금융 시스템 대체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짐.

둘다 중앙화 된 네트워크라는 단점(?)이 있으며 솔라나는 네트워크 다운 이슈가 있음

자본주의 사관학교

15 Jan, 04:51


https://youtu.be/TeXXHNwsoy4?si=AKcNKhv8n7ZybUAG

🤔 개리갠슬러, 트럼프 취임 전 노선 변경?

"Bitcoin is a highly speculative asset, but 7 billion people want to trade it. Just like we had gold for 10,000 years, we have Bitcoin."(cnbc 인터뷰)

비트코인은 투기성 자산이지만 70억명은 이를 거래하고 싶어한다. 우리가 1만년동안 금을 가지고 있었던 것 처럼 우리는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다

댓글은 대부분 부정적인 의견

자본주의 사관학교

14 Jan, 01:43


세계시장에서 우리와 경쟁하는 중국, 인도, 대만 학생들은 오늘도 피터지게 시험보고, 줄세우고, 공부하고 있는데 우리 애들만 안하고 있으면 이 아이들은 나중에 반드시 굶주리게 됩니다.

대한민국은 호주, 캐나다, 사우디처럼 땅만 파도 먹고 살 수 있는 나라 아닙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02080?sid=102

자본주의 사관학교

13 Jan, 10:53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113000027


중국 내 독감 바이러스의 급속 확산에 불안감이 퍼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나서서 진화에 나섰다.

가오신창(高新强)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비상의료국 부국장은 "춘제(春節, 중국 설)를 앞두고 독감 감염이 높아질 수 있다"며 "주요 의약품 비축 및 공급은 정상적이며, 현재 약품 수급 상황 역시 정상적"이라고 설명했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07 Jan, 12:46


< 🏛최근달러화 약세를 만든 사람 : 마이클 바>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이 곧 사임 할 것을 표했습니다. 이 사람의 사임이 달러 약세의 주요원인이기도 한데, 2022년 7월부터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을 맡으며 금융 회사의 감독 및 규제를 이끌어왔다. 특히 그가 주도한 강도 높은 자본규제책은 은행권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 왔고, 트럼프 차기 행정부 주요 인사들도 연준의 금융 규제 강화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내비쳐왔다.

금융 안정성 vs. 경제 성장: 딜레마
바 부의장의 정책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 강화에 기여했지만, 일각에서는 과도한 규제가 은행의 수익성을 저해하고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합니다. 이는 마치 과도한 규제가 기업의 투자 의욕을 꺾는 것처럼, 엄격한 규제가 은행의 대출 여력을 축소시키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바 부의장 사임 영향성
- 미국채 시장 : 불확실성 확대로 단기 금리 하락 가능성도 있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규제 완화 가능성은 장기적으로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달러 : 연준의 금융 감독 약화 및 규제 완화 가능성은 달러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의 보호 무역주의 정책은 달러 약세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시장이 좋아할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영향을 줄듯?!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07/CVW3BHBZ7ZEFBPQMROWFPFLD2M/

자본주의 사관학교

07 Jan, 10:5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002974

고금리와 소비자 수요 약화의 영향으로 미국 기업 파산 건수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7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기업 최소 686개가 파산 신청을 했다. 이는 2023년에 비해 약 8% 증가한 것이며, 2010년 828개 기업의 파산 신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07 Jan, 07:03


'직장을 그만두고 싶을 때 개의치 않고 그만둘 수 있을 정도의 자산' 이라는 건 신기루다.​ 우리는 절대 그만한 돈을 갖지 못한다. 아무도 그러지 못한다.​

가난한 사람에게는 가난한 사람의 문제가 있고, 부유한 사람에게는 부유한 사람의 문제가 있다.​ 어차피 사람에게는 항상 문제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언제나 자기 절제의 필수성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아니면 적어도 그 필수성을 무시한 결과로부터 절대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어쨌거나 직장을 그만두고 싶을 때 그만둘 수 있을 정도의 자산이 정말 그렇게 훌륭한 목표일까? 누구에 대해서도 무엇에 대해서도 신경 쓰지 않아도 될 만큼 많은 돈을 갖는 것이 무슨 가치가 있을까? 그것은 미덕이 아니라 유치함이다.​

우리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은 "고맙지만 사양합니다. 그 일은 안 하는 것이 낫겠군요"라고 정중하게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적당히 편안하게 살 수 있을 만큼의 돈이다.​

돈 때문에 자기 가치관과 상반되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고,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계속 할 수 있을 만큼의 돈이 있다면 충분하다.​

#절제수업

자본주의 사관학교

06 Jan, 22:15


이런 기사를 제일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1기때도 이런 희망회로 돌리다가 트럼프의 트윗 한방에 맛가는 걸 반복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트럼프 1기때 트럼프가 말을 번복해서 힘들었던게 아니라 이런 희망기사 때문이었죠.

아직 부임도 안한 트럼프의 정책이 벌써 후퇴하기를 바라기엔 많이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25/01/06/trump-tariff-economy-trade/

자본주의 사관학교

05 Jan, 22:33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언젠가 몇 십 년 뒤’쯤으로만 생각했던 죽음이 당장 며칠 후, 혹은 몇 주 뒤에 닥쳐온다면, 과연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신경외과 의사였던 폴은 폐암 4기 판정을 받은 뒤 자신의 삶의 의미를 깊이 고민한다. 항암치료를 병행하면서 딸을 출산하고, 다시 신경외과 의사로 복귀해 수술을 집도하던 그는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본인의 이야기를 글로 남겼다. 이 책이 바로 《숨결이 바람 될 때》이다.

폴은 늘 환자를 아끼는 의사였다.

"제 환자들은 모두 소중합니다. 그들의 삶의 가치는 숫자로만 정의될 수 없습니다."

그런 그가 폐암 4기 판정을 받고, 이번에는 ‘환자’의 입장에서 죽음을 준비해야 했다.

“진단서 한 장이 내 인생을 완전히 바꿔 버렸다. 의사복은 벗겨지고, 환자복만 남았다.”
"나는 어느 날 문득, 삶과 죽음의 경계가 이렇게도 가까이 있다는 걸 깨달았다."
“아내의 손을 잡고서야, 내가 진짜 살아 있음을 느꼈다.”

폐암 4기 상태로 환자가 된 그는, 아내 루시와의 관계에서도 난관에 부딪힌다. 둘은 부부 상담을 통해 서로가 느끼는 두려움과 상실감을 허심탄회하게 나누었고, 루시는 “남편이 아무리 힘들어도 자신을 고립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전한다. 폴 또한 “아내가 자신의 유일한 마음 버팀목”임을 깨닫는다.

루시는 남편이 오래 살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알면서도, “아이를 낳아 함께 맞이하는 순간이야말로 두 사람에게 남은 ‘진정한 삶’”이라 여겼다. 동시에 그녀 본인에게도 이 아이는 “미래를 잇는 희망”이었다.

과연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일까?

“숨이 멈추는 날까지도, 나는 나의 이야기를 써 내려가고 싶었다.”
“죽음 앞에서 내가 진짜로 붙잡을 가치는 무엇인가.”
“딸을 처음 안아 본 순간, 내 삶이 더없이 단단해졌다는 느낌이 들었다.”
"삶의 끝자락에서야, 함께 손잡아 줄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위안인지 깨달았다."
“이제 숨결이 바람으로 스며들 순간이 다가온다. 그러나 내 영혼의 울림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결국 “사랑과 인간관계가 가장 귀중하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그가 남긴 문장들은 우리 모두에게, 곁에 있는 이들과 더 깊이 연결되라는 초대장과도 같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029280

자본주의 사관학교

02 Jan, 11:25


2024년, 첫 번째 트레이딩 해에서 얻은 교훈과 인사이트:

- 트렌드 초반에는 홀더가 승자.
- 트렌드 끝물에는 무조건 로테이션 돌리거나, 확실한 알파만 스나이핑 해야 함.
- 진짜 알파는 트렌드 초기에 올인하고 홀딩하는 사람들이 가져감. 이때 시장은 아직 의심 단계라, 나중에 살 사람들이 무한정 남아 있음.
- 트렌드 끝물에서 초기 습관대로 공격적으로 가다가는 수익 다 토함. 이때는 선별에 올인해야 함.
- 직감적으로 오는 느낌이 있다면, 세상이 뭐라 해도 배팅. 틀려도 결국 돈이 됨.
- 선점이 리스크 최소화 + 수익 극대화.
- 시장은 "늦게 들어가야 안전하다"는 서사를 팔지만, 현실은 일찍 들어간 사람이 돈 다 챙김.
- 승자를 잡으면 절대 놓지 마라. 끝까지 물고 가는 놈이 진짜 챔피언.
- 대중보다 먼저 보고, 나중에 대중이 보게 만들면 돈은 따라옴.
- 불확실할 때가 매수 타이밍, 모두가 신난 순간이 매도 타이밍.
- 소수의 고수만 동의하는 합의는 찐 알파. 다수가 동의하면 바로 플랜 B 생각해야 함.
- 트레이드 놓쳤다고 우울해하지 말고, 더 비싸게 사든가 그냥 잊어라. 승자는 절대 후회에 발목 잡히지 않음.
- FUD는 매수 신호일 때가 많다. 반대로 유행 타서 난리일 땐 매도 생각해야 함.
- 3~10밀리언 마켓캡 프로젝트가 온체인 보석일 가능성이 높음. 약간 비싸 보이더라도 충분히 가치 있음.
- 확신 생기는 트레이드를 자주 만들어보고 결과를 지켜보는 게 최고의 학습. 경험이 돈임.
- 온체인 물량 죽을 때는 과매도/저평가 프로젝트 리서치가 최선. 신규 뜨는 페어는 피지컬 강한 사람 아니면 힘듦.
- 트레이드에 감정 넣지 마라. 믿음을 가진 건 좋지만, 결국 매도하지 않으면 의미 없음.
- 시장 방향 바뀌면 빠르게 피봇. 생각 고집 부리지 말고 상황 따라가라.
- 항상 물어라. “내 플랜이 끝난 건가, 아니면 아직 남은 게 있는가?” 여기에 따라 매수/매도 전략 조정.
- 대형 포트폴리오 업사이드는 제대로 된 내러티브에서 나옴. 볼륨 트레이딩도 좋지만, 진짜 9자리 수익은 20~30밀리언에서 10억 이상으로 키우는 데 있음.
- 손실은 무조건 빠르게 컷. 후회는 시간 낭비.
- 항상 다음 기회는 있다.
- 이 시장은 미래를 보는 사람들에게 돈을 줌. 과거로 돈 벌 순 있지만, 부는 미래를 먹는 자들의 것.

좋은글같음 읽어보삽
https://x.com/0xuberM/status/1874562366907809939
https://t.me/UMOnchain/14574

자본주의 사관학교

24 Dec, 03:10


💻 인구의 5분의 1은 65세 이상

65세 어르신도 경로당 가면 물 날라야해서 안간다는 세상

https://m.yna.co.kr/view/AKR20241224061900530

자본주의 사관학교

09 Dec, 14:01


오늘도 1껄 완료
할껄~도 껄이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30 Nov, 04:23


하이퍼리퀴드로 포모를 느끼는 것은

돈 번 사람들에 대한 시기, 질투 이런 것은 전혀 없고 오히려 그 사람들의 실력에 대한 순도 100%의 온전한 리스펙이며, 동시에 내 실력 부족에 대한 200%의 한탄이다.

개인적으로 에어드랍 분야는 고수가 아니지만 돈 되는 건 다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No VC + 에어드랍 할당 비중 높을 것으로 예상 + 실질적으로 프로덕트가 좋음 + 프로젝트 팀이 일을 잘함 » 에어드랍의 필승 공식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하이퍼리퀴드는 애초에 규격 외의 에어드랍이었고,
Next가 뭐냐고 묻는다면 그나마 Meteora, Polymarket이 '규격 이내의' 대박 에어드랍을 줄 것으로 생각됨.

다른 사람들이 돈 벌었다고 해서 세금을 매기자느니 치킨을 쏘라느니 진성준을 응원하니 이딴 개소리 할 게 아니라

절치부심하고 해당 기회를 통해 배워야 함, 본인이 무엇이 부족했는지.

11월 마무리인데, 불장 다들 고생하셨고 제 채널 구독자분들은 많이 버셨기를.

포모는 주말간 쉬면서 천천히 말려 죽이고, 절치부심하여 내일이 더 강한 스스로가 되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30 Oct, 03:07


트럼프 베팅에 대한 생각

✍️팩트 및 요약
- 복수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vs. 해리스 박빙

- 베팅사이트 폴리마켓은 트럼프 당선 확률이 66%로 해리스 대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남. 다만, 폴리마켓 트레이더는 여론 조사 적절한 표본이 아니라는 비판과 시장 조작에 대한 우려 존재

- 2016 힐러리 vs. 트럼프, 2020 트럼프 vs. 바이든 결과를 놓고 보면, 여론조사가 틀린 경우가 있음

- 트럼프, 해리스 진영에 기부한 기업들을 보면 동일한 곳도 있지만 대체로 다른 섹터. 아래는 기부금액 순

- 트럼프: 아메리칸 에어라인 (항공), 월마트 (유통), 보잉 (항공), 록히드마틴 (방산), 유나이티드 에어라인 (항공) 등

- 해리스: 구글 (테크), 마이크로소프트 (테크), 브라운 & 브라운 (보험), 존슨 앤 존슨 (제약), 애플 (테크), 오라클 (테크), 웰스파고 (금융), 엔비디아 (테크) 등

- 엘론머스크, 코인 업계는 트럼프 지지

💡의견
- 대선 결과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데, 현재 시장은 마치 트럼프 당선을 확신하고 움직이는 것 같다는 인상

- 특히 코인 강세가 돋보임. 오늘 아침 비트코인 $70k돌파. Fear & Greed Index는 줄곧 탐욕 구간

- 만약 해리스가 당선될 경우를 대비해 헷지 및 위험관리를 해두는 것도 필요해 보임. 특히 알트코인 변동성이 클 듯

- 이런 상황에서, 투자처로서 이더리움의 매력도는 떨어져보임. 코인쪽의 삼성전자랄까. 남들 다 갈 때 못 가고, 떨어질 때는 더 떨어지는. 트럼프 승리에 화끈하게 베팅할거면 솔라나, 안정적 (?)으로 관리할거면 비트코인

- 맞을 때 얼마나 벌고, 틀릴 때 얼마나 잃을지를 잘 계산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현재 트럼프 베팅은 아주 매력적인 리턴/리스크는 아닌 것 같음

- 이럴 때 보면 좋은 하워드 막스의 메모. 확신의 어리석음

- 장투할 만한 변하지 않는 테마. 미중 패권 경쟁, 보호 무역주의, AI, 고령화, 인플레이션 등등

자본주의 사관학교

03 Oct, 02:03


재테크하면서 얻은 개똥철학

자본주의 사관학교

24 Sep, 22:47


https://blog.naver.com/tosoha1/223584250443

리루는 지식과 사고력의 복리 성장을 굉장히 강조한다.
그리고 자신의 인생의 의미를 진정한 지식의 추구라고 정의했음.



지식의 복리 성장을 투자로 연결해보면, 기업의 비지니스 모델과 산업의 사이클에 대한 공부는 복리로 계속 쌓이며 투자자를 복리로 발전시키지만



단기적인 상승 논리만에 집착, 수급 분석 등 등에 대한 것들은 상대적으로 지식에 대한 복리 효과가 적지 않을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생각의 성장속도에서 충분한 복리가 일어나야 결국 자신의 투자자금도 거기에 안정적으로 따라온다는 것.

자본주의 사관학교

26 Aug, 01:45


(리업)‘Skin in the game’

나심탈레브의 스킨인더게임이란 책이 있다. 자신이 책임을 안고 직접 현실에 참여하라는 뜻의 용어다. 저자는 자신의 핵심 이익을 걸지 않고 중대한 결정을 내리는 자들, 자신의 선택이 낳은 결과를 책임지지 않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강하게 비판한다. 2008년 금융위기 때 긴급 구제로 당사자들의 리스크를 없애준 오바마 행정부, 이라크와 리비아 문제 등에 대한 미국 ‘간섭주의자’들의 개입 등을 예로 든다.

궁극적으로 얘기하고자 했던 ‘책임’이라는 것은 리스크 관리의 기본이면서, 우리 사회 모든 측면에서 진지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가치’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돌아와 회사에서 투자업무 하는 사람들이 실전투자에서 죽쓰는 경우를 많이 본다. 가장 큰 이유는 내돈으로 투자해본 경험이 적기 때문. 주위에서 본업에서 income은 대한민국 최상위지만 리스크를 감당못해 재테크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은데 내가 줄 수 있는 답은 없다. 방황해야 나만의 답을 찾게된다.

스킨인더게임은 수익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다. 돈은 전력을 다해 일해야 하는데 한정된 자원으로 기회비용을 고민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 의사결정의 질이 다르다. 리스크 따지면서 ROE를 높이는게 쉬운일은 아니다. ’A 주식 팔고 B 주식 어떻게 늘리지‘, ’이거 살돈이면 투자해서..‘ 등 늘 고민하며 기회비용의 답을 찾는다.

스킨인더게임은 부자도 마찬가지다. 부를 일군 창업자와 2세와 돈에 대한 책임의식이 다르다. 5성급 호텔이 당연하지 않은 유년시절을 보내온 창업주와 5성급 호텔이 당연한 2세와 누가 돈에 신중할지는 답은 명확하다. 후대로 갈수록 기본 씀씀이가 커지니 ROE는 떨어진다. ‘부자 3대 못간다’가 틀린 말은 아니다.

자본주의 사관학교

08 Aug, 00:40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0872

자본주의 사관학교

06 Aug, 00:46


솔라나, 비트코인, 이더리움 하락율 및 회복율 비교

표는 한틱당 1퍼 LOG임 한칸당 1퍼씩 차이

본인이 솔라나 150기준일때 이더에서 솔라나로 환승햇는데, 그시점으로 비교해봄.

시작 : SOL 150, BTC 61.21K, ETH 2956

최고하락기준
SOL 110 (-31틱), BTC(-23틱), ETH(-35틱)
이더리움이 제일 많이 빠짐,

현재회복반등량
SOL 137 (+22틱), BTC(+13틱), ETH(+19틱)
솔라나의 반등력이 어마어마함.

최종현재위치
SOL 137(-9틱), BTC(-10틱), ETH(-16틱)

환승시점 기준, 이번 하락때, 이더리움의 폭락이 가장컷으며 반등력은 솔라나가 가장 좋았음. 해당지표는 시작시점에 따라, 다르게 비교될수 있으므로, 단순참고하길 바람. 이더리움은 이제 노인인가....

자본주의 사관학교

04 Aug, 23:28


주식 시장의 하락에 대한 생각 정리

목차

-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면
- 기업의 이익이 시장의 기대만큼 빠르게 늘지 않을 때
- 실업률 증가의 두 가지 측면
- 주식 시장은 굉장히 감정적이다
- 해야 할 일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면

많은 블로그나 텔레그램에서 이미 주식 시장 하락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시장 하락에 대한 나만의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큰 의미가 있기에 진부하지만 또 기록해본다.

기록을…

https://betterlifekorea.co.kr/주식-시장의-하락에-대한-생각-정리/

자본주의 사관학교

02 Aug, 03:01


[요즘 느끼는 코인 상황 복기]

1. 비트대비 알트들 다 박음
2. 그나마 솔라나 친구들은 선방함
3. 근데 1번땜에 이미 물린 사람들이 많아서 2번 먹은 사람 몇 안되어보임
4. 신규 플젝들 장 좋을때 상장안하다가 안좋을 때 대거 상장함
5. 다같이 ㅈ박고 토막남
6. 신규상장 코인펌핑 노리고 산 사람들 다 물림
7. 근데 과거와 다르게 신규상장코인이라 시체가 없다고 안심할 수 없음
8. 시체는 없지만 VC들의 정교한 토큰이코노믹스 설계로 TGE부터 락업이 해제됨
9. 신규코인들 다 박으니까 바낸도 런치풀 쉬고 모종의 이유로 다른 거래소들도 신규 상장 잘 안함
10. 밈코인들이 우린 VC 없으니까 투명해 하면서 밈코인 열풍이 붊
11. VC는 없었지만 수 많은 러그풀과 선취매 및 펌프 앤 덤프에 많은 시체들 양산
12. 1~11 꼴을 보니까 괜찮은 신규 프로젝트들이 없음. 다 L2 디앱같은 놈들임
13. 그러니까 이제 너도나도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 하겠다고 난리
14. 에데나, 엘릭서... 이제는 DWF까지 스테이블 이자 줄게 대신 난 꿀통먹을래 하는 상황
15. 이런 상황들속에 비트가 올라도 알트에 미래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고 있음
16. 17년부터 코인했지만 22년도 야락장 이후로 이렇게 변동성 없고 유동성 없는 장세가 있었나 싶음

자본주의 사관학교

30 Jul, 07:46


🤑부자가 되기 위한 최소 조건.
- ‘만 42세, 자산 8억원 이상’

평균 금융자산 60억원가량을 보유한 국내 부자들을 토대로 파악된 ‘부자가 되기 위한 최소 조건’이다. 이들은 평균 40대 초반에 8억원가량의 ‘종잣돈’을 모아, 투자를 통해 자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산 축적에 기여도가 가장 큰 원천은 ‘사업소득’인 것으로 확인됐다. 근로소득을 주요 자산 축적 수단으로 활용한 경우는 10% 수준에 불과했다.

부자들이 활용한 부의 성장 동력 1순위로는 ‘소득잉여자금’이 꼽혔다. 이는 소득 중 저축이나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자금을 의미한다. 부자 가구의 소득잉여자금은 연평균 8825만원으로 월 700만원 이상을 저축할 수 있는 규모로 집계됐다.

부자들은 두 번째 성장 동력으로 ‘부채 활용’을 선택했다. 이른바 ‘레버리지 투자’다. 부자들의 부채규모는 평균 4억8000만원으로 지난해(7억1000만원)보다 2억3000만원가량 줄었다. 이는 금리 인상과 전세가격 하락의 영향이다.

다만 이 중 임대보증금은 80.8%, 금융부채는 19.2%를 차지했다. 주로 부동산에 의해 형성된 부채가 많았다는 얘기다. 아울러 부자들이 활용하는 부채규모는 총자산이 많을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성장 동력은 ‘자산배분 전략’이었다. 부자들은 전반적으로 금융자산에 높은 비중을 배분했다. 연간 소득잉여자금 대비 금융자산배율은 35배로, 거주용 부동산자산 배율(23배), 부동산투자자산 배율(19배)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분류를 넓힐 경우, 실질적으로 부동산투자(42배)가 금융투자(35배)에 비해 더 높게 배분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부자들은 자산이 많을수록 금융에서 부동산으로 자산을 이동하는 전략을 취했다.

1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 한국 부자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한국 부자로 분류된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 면접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한국 부자의 기준은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금융의사결정자로 한정했다.

“42세에 종잣돈 8억원은 있어야 부자된다” 기여도는 근로소득이 ‘꼴등’[KB한국부자보고서]

자본주의 사관학교

24 Jul, 00:59


옵시디언으로 일기를 쓰는데 뭔가 개선하고 싶거나 걱정있을때 매일 쓰면 상당히 좋은거 같아서 소개합니다. 기록되지 않은 날은 많은 날들의 하나이지만 기록되 날은 특별한 날이 되는 것이니까요. 매일매일 특별한 날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매일 뭔가 쓰려고 노력해보세요. 인생이 달라집니다.

일기장 양식

1.오늘 있었던 일
2.오늘의 감정상태
3.걱정되는 일
4.후회하는 일
5.감사할 일
6.하고싶은 일
7.오늘의 공부(오늘 배운것)
그리과 관련있는 메모 링크

자본주의 사관학교

18 Jul, 03:41


자료 발간했습니다. 표지부터 먹고들어가는 자료..

100페이지짜리.. 당사 모든 애널리스트의 피땀 눈물을 모아 트럼프 전략 자료를 작성했습니다.

자료 1장은 제가 작성했고, 2장은 매크로 팀, 3-5장은 각 산업별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자료 1장에서는 트럼프 정권의 성격을 규명하고 지금까지 발표된 정책을 정리했습니다. 트럼프 정권은 과거 연방정부의 유산과 싸울 가능성이 높고 규제 완화와 보조금 축소 등을 진행할 것입니다. 감세, 금리인하, 경기부양도 추진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녹록치 않을 것이며 금리인하를 위해 에너지가격 안정 등 많은 노력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장에서는 매크로팀의 의견을 모았습니다. 호재와 리스크가 맞물리는 가운데, 17년과 25년의 상황이 다름에 주목해야 할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3장에서는 방산, 조선, 에너지 등 산업재 관련 업종에 정리했고 전반적으로 트럼프 정책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4장에서는 배터리, 반도체 등 기술주 위 주로 업종 영향을 정리했으며 전반적으로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피해가 예상됩니다. 이는 특히 한국 산업 내에서 비중이 커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됩니다.

5장에서는 소프트웨어, 자동차 등 소비재 위주로 정리하였으며 대체로 중립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무쪼록 당사 애널리스트들의 연구가 투자의사결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https://www.hi-ib.com/common/pdf_2023/web/viewer.html?File=/upload/R_E03/2024/07/[18075745]_241527.pdf

자본주의 사관학교

17 Jul, 04:26


트럼프 캠프의 "Make America First in AI" 전략

1. 정책 초안의 핵심

트럼프 캠프는 AI 관련 포괄적인 행정명령 초안을 작성 중

a) "맨해튼 프로젝트" 시리즈
- 목적: 군사 기술 개발 가속화

b) 규제 재검토
- "불필요하고 부담이 큰 규제"의 즉각적인 재검토를 명시

c) 산업 주도 평가 기관
- AI 모델 평가를 수행할 "산업 주도" 기관 설립 제안
- 외국의 적대자로부터 AI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관 설립도 포함

d) "Make America First in AI"
- 미국의 AI 우위 확보를 목표로 하는 정책 포함
- 구체적인 시행 계획이나 수치 목표는 미공개



2. 바이든 행정부와의 정책적 차이

a) 바이든 행정부
- 긴급 권한을 행사하여 차세대 AI 시스템에 안전성 테스트 의무화
- 연방 정부 주도의 규제 접근 방식 채택

b) 트럼프 캠프
- 산업계 주도의 AI 모델 평가 제안
- 규제 완화를 통해 혁신을 촉진하는 자세


3. 실리콘 밸리와의 대화 강화

트럼프는 최근 기술 업계와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a) 트럼프의 "All-In Podcast" 출연
- 실리콘 밸리의 "천재"들로부터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 AI 개발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말을 들었다고 언급
- AI 개발과 국가 에너지 정책의 밀접한 관련성 시사

b) 기술 투자자의 제안
- AI와 원자력 등 기술에 정통한 사람들과 함께할 필요성 지적
- 트럼프 캠프의 AI 정책 수립에 기술 전문가의 지식 반영 가능성 시사

c) 지지 확대 조짐
- 일론 머스크(Tesla CEO), 빌 애크먼(Pershing Square Capital Management 창업자)의 지지 표명
- 데이비드 삭스(전 PayPal 임원)의 자택에서 자금 조달 행사 참여
- 차마스 팔리하피티야(Social Capital 창업자)가 2016년과 비교하여 지지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


4. 공화당의 AI 정책 공약

2024년 공화당 강령에는 다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 바이든 행정부의 AI 행정명령 폐지
- "AI 혁신을 방해하고 급진적인 좌파 사상을 강요한다"고 비판

b) 새로운 AI 개발 방침
- "자유로운 언론과 인간의 번영에 근거한 AI 개발" 지원


5. 정책의 영향과 전망

a) 군사 AI 개발의 가속화
- Anduril, Palantir, Scale AI와 같은 기업은 이미 국방부와 계약을 맺고 있으며 주요 간부가 공화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b) 에너지 정책과 AI 개발의 연계
- AI 개발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 중시
- 원자력 발전 추진 등 대규모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 개발 검토

c) 중국과의 경쟁을 축으로 한 정책 형성
- AI 개발에서 중국과의 경쟁을 명확히 의식한 정책 수립
- 에너지 정책, 인재 양성, 연구 개발 지원 등을 포괄적으로 연계하는 전략


6. 앞으로의 전망

트럼프 캠프는 AI에 대해 산업 주도, 규제 완화 중심의 방침을 취할 계획이며, 바이든 행정부의 정부 주도, 안전성 중시 방침과는 대조적인 접근 방식을 취할 것입니다. 특히, 트럼프 캠프의 "맨해튼 프로젝트" 제안은 AI 기술의 군사적 응용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특정 AI 기업에게 큰 성장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술 기업의 임원과 투자자의 트럼프 지지 표명은 업계 내 정치적 견해의 다양화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 변화는 AI 정책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불어, AI 개발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의 확보가 중요한 정책 과제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산업과 AI 산업의 융합을 촉진하고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트럼프 캠프의 정책은 국제적인 AI 개발 경쟁, 특히 중국과의 경쟁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자세가 국제 협력이나 기술 이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Fabymetal4

자본주의 사관학교

15 Jul, 23:13


🇰🇷 이건 꼭 읽어봅시다, 미국 대선과 한국

Link

오랜만에 정말 좋은 자료 발견, 한국 산업연구원에서 미국 대선 향방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을 한국 산업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한 자료.

"카드뉴스라서 보기 편함"

특히, 카드뉴스 형식으로 정리되있어서 정말 쉽게 술술 읽힘. 간단하게 쓰인 것 같아도 내용 자체는 매우 알차고 좋음.

글 써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오히려 어렵게 쓰는 것보다 이렇게 쉽고 요약해서 쓰는 것이 더 어려움. 진짜 재밌게 잘 봤습니다.

✔️ 총 4개 카드뉴스 링크

1. 공화당-민주당 대립 : Link
2. 韓 배터리산업 분석 : Link
3. 자동차산업 영향 : Link
4. 방위산업 영향 : Link

이런 좋은 자료는 많이들 보셨으면해서, 4개 카드뉴스 전부 공유드립니다. 국내주식, 미국주식 하는 분들 모두에게 도움 되는 자료 !

#한국산업연구원 #미국대선

자본주의 사관학교

10 Jul, 01:04


✔️추천하는 암호화폐 사이트

아래 목록에 있는 사이트들을 즐겨찾기 해두고 활용해 보세요 :)

1️⃣거래소별 출금 수수료 비교
각 중앙화 거래소의 출금 가스비를 비교하여 가장 저렴한 거래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Chaineye - CEX 출금 가스비

2️⃣프로젝트 펀딩 세부사항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펀딩 세부 사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RootData - 펀딩 세부사항

3️⃣온체인 데이터 프로토콜
블록체인 체인의 프로토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FiLlama - 체인 데이터

4️⃣거래소별 토큰 자금 비율 조회
각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토큰의 자금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inGlass - 자금 비율

5️⃣뉴스 확인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CoinNess


🧙‍♂️피린이 텔레그램 | 피린이 유튜브

자본주의 사관학교

21 Jun, 05:31


<위 글에 이어서.... 비큐님의 트윗>

내가 코멘트를 더 하자면

최소 다음 분기나 내년에는 알트 불장이 온다!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꽤 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물량이 풀리기 시작하는 코인들과 신규 코인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는 트윗에 언급 된 대로 시장의 부채라고 할 수 있음.

전반적으로 다 같이 오르는 알트 불장이 올라면 그러한 부담을 상회하는 돈이 시장에 유입이 되어야 하는데..

그런 것이 가능한지를 함께 고민해 봐야 할 것임.

내 개인 생각은 "걍 전반적으로 다 오르는 불장은 이번에 없다고 생각하는게 속 편하다." 이다.

쉽게 말하면 여러 알트 씨뿌리기 식 투자는 이번 시즌에 최악인 것이지.

오히려 여러 알트 백화점 숏이 이번 시즌 현재까지 승자임... 바낸 리더보드 보면 상위권에 이렇게 한 애들 꽤 많음.

그리고 지난 루나 / FTX 몰락을 경험한 VC나 재단들의 빠른 현금화 욕구가 큰 것도 이번 장 특징임.

이런 것도 같이 감안해서 고민 해 보면 좋을듯.

자본주의 사관학교

17 Jun, 23:15


2024년 하반기 증시 및 산업전망_330쪽

자본주의 사관학교

12 Jun, 04:47


[가는 놈이 계속 간다]

어제 제게 많은 가르침을 주시는 형님께서 하신 많은 이야기 중의 하나인, 오늘의 주제를 좀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현재의 주식은 한국 부동산과 참 많이 닮아 있습니다.

상승 사이클에서는 중심을 기점으로 한 유동성의 전개, 하락사이클에서는 중심 위주로의 유동성 축소가 딱 알맞은 문장이라 생각하는데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한국 부동산은 상승 시기에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하여 유동성의 전개로 서울 변두리를 넘어 경기도, 이 후 충청/호남/경상/강원 지역까지 그 힘을 뻗쳤습니다. 심지어 강원도 속초 아파트 가격이 뛴다는 기사도 나왔었으니까요. 하지만, 유동성의 축소 시기인 지금, 주변 변두리 부동산은 폭락했고, 단 하나, 서울 중심부인 강남지역의 독단적 상승만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인도 마찬가지 입니다. 알트 코인의 상승은, 이 전의 비트코인 상승이 트리거가 되어 유동성의 확장 국면에서 엄청난 상승을 이어갔죠. 하지만, 현 시점, 알트코인들은 대부분 폭락하고, 중심이 되는 비트, 이더, 솔 정도만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도 예를 따로 들진 않겠지만 이와 다르지 않다고 보고요..

한국 시장도 이런 인사이트로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결국 하락 또는 횡보 사이클에선, 관심의 중심인, 또는 중심이 될만한 종목군만 상승이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대세 상승 사이클이 오기 전까진 이러한 움직임이 계속 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두루두루 모든 회사들을 분석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지만, 이에 앞서, 모든 회사들을 볼 시간적 여유가 없는 분들께선 위 인사이트를 활용하시는 것도 아주 좋은 접근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에 정답은 없으나, 여러 방향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고, 참고하시면 좋지 않을까요? :)

#사견

자본주의 사관학교

12 Jun, 01:33


zksync 너도나도 야나두 못먹은 후기 (뇌피셜 이유 있음)
https://m.blog.naver.com/seven4420/223476211231

자본주의 사관학교

07 Jun, 08:31


🕶 스트리머 랄로의 금투세 요약

「 금투세가 뭐냐면은 그 국장이 이렇게 있잖아, 국장이 요 있으면 이 X바 하면서 이렇게 패는거야. 그냥 」

「 근데 팰 때 패더라도 지금 패면 죽어요, 내가 봤을 때. 아 저는 주식 거의 안 하는데 제3자 입장에서 봐도 지금 패면 죽어 진짜 」

「 사람 좀 멀쩡해지고 기력을 회복해가지고 좀 걸어다니고 살만하면 와서 좀 패면 안 죽고 약간 그게 될텐데...지금 패면 죽을 것 같은데 」

→ 랄로님의 금투세 관련 소신발언, 응원합니다. 그리고 코인 투자자분들도 남일이 아닙니다. 주식만 패겠어요? 코인도 팹니다.

#금투세 #랄로

자본주의 사관학교

04 Jun, 03:05


[🔤 GeForce 그래픽카드 이용자 MS Game Pass 3개월 무료]

일단 받고 포르자 호라이즌 5하십쇼

https://www.nvidia.com/ko-kr/geforce/news/nvidia-geforce-rewards-microsoft-pc-game-pass/

자본주의 사관학교

29 May, 02:37


🐯태국 웹3 시장 리포트 by 타이거리서치

리포트 원문

🇹🇭 갑자기 태국은 왜?

태국은 동남아에 위치해있어서 요쪽 소식이 일본 및 중국에 비해 잘 전달이 안 되는데, 태국은 생각보다 꽤 큰 웹3.0 시장 규모를 자랑하는 곳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전체 인구의 10%가 가상화폐 투자를 할 정도로 많은 유저풀을 자랑하기도 하고, 시장 규모도 소득 수준과 비교했을 때 적지 않음,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충분히 가능성 있는 시장임

❗️태국의 강점은?

1. 디지털 자산에 대한 체계적 규제
2. 대형 금융사 중심의 탄탄한 생태계
3. 리테일 중심의 활발한 시장 참여


✍️ 제가 SIX라는 태국 프로젝트와 협업을 하다보니 태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도 꽤 있는 편인데, 제가 제일 체감됐던 부분은 '대형 금융사'들이 크립토 시장에 관심이 디게 많다는 점.

실제로 태국은 많은 금융사들이 자회사의 형태로 크립토 관련 법인을 운영 중이고, 이를 통해 ICO 및 CEX 등 여러 서비스를 활발히 운영 중임.

게다가 리테일 유저 활성도도 높아 P2E 유저 숫자도 많고, Defi 유저들도 많음. 루나 터지기 전에 태국이 TVL 3위를 기록할 정도였음(그만큼 피해자도 많았음...)

쨌든 동남아쪽 크립토 마켓에서는 태국이 급속도로 성장 중인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 같음.

타이거리서치 홈페이지 | 트위터

→ 여기 좋은 리서치 자료가 꽤 올라옵니다. 무료로 볼 수 있으니 잘 모르시는 분은 구독해도 좋을 것 같아요.

물론 주관에 따라 의견이 갈릴 수도 있는 것들도 있지만 그래도 크립토 리서치 직무나 블록체인 직종에서 일하고 싶으신 분은 읽어보시면 도움 될 것 같아요 🙏


#타이거리서치 #TIGER #리서치 #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