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biospectatort Channel on Telegram

바이오스펙테이터

@biospectatort


국내 최초 바이오 전문언론사 '바이오스펙테이터'의 채널입니다.

바이오스펙테이터 (Korean)

🔬 바이오스펙테이터 🧪nn바이오스펙테이터는 국내 최초의 바이오 전문언론사로, 최신 바이오산업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바이오산업은 현재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이 산업의 동향을 놓치지 않고 싶은 사람들에게 최적의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채널에서는 바이오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련된 뉴스, 연구 결과, 기술 혁신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바이오스펙테이터는 전문가들의 분석과 통찰력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여 구독자들이 항상 최신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식을 보강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을 위해 바이오스펙테이터는 핵심적인 정보와 동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바이오스펙테이터 채널을 통해 여러분도 바이오산업의 세계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습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은 분들은 지금바로 바이오스펙테이터 채널에 가입하세요!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8:23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연결기준으로 지난해 매출 1조4955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0.3% 증가했네요. 하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162억원, 1435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 13.2%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업계 최고수준인 14.5%를 기록했으며, R&D에는 매출의 14.0%에 해당하는 2098억원을 투입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98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7:54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97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6:38


노바티스(Novartis)가 CD40 항체 ‘이스칼리맙(iscalimab, CFZ533)’으로 진행하던 쇼그렌증후군(Sjögren’s syndrome) 임상3상 개발을 포기하며 이스칼리맙에 대한 개발을 전면 중단합니다.

이번 쇼그렌증후군에서 중단은 이점 대비 위험 프로파일(benefit/risk profile)에서 경쟁약물에 비해 경쟁력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이로써 CD40 항체로 자가면역질환에서 개발은 끝맺었지만, 노바티스는 B세포활성화인자(BAFF)를 타깃하는 항체 ‘이아날루맙(ianalumab)’로 해당 질환분야에서 개발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쇼그렌증후군에 대한 임상3상결과가 올해 도출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추가로 노바티스의 지난해 4분기 CDK4/6 저해제 ‘키스칼리(Kisqali, ribociclib)’의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48% 증가했습니다. 또한 4분기 실적발표 어닝 콜에서 PD-1xVEGF 이중항체에 대한 관심도 드러낸 바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9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4:56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96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2:56


카고 테라퓨틱스(CARGO Therapeutics)가 인력의 50%에 해당하는 구조조정을 진행합니다. 리드에셋인 CD22 CAR-T의 임상2상에서 부작용으로 인해 환자가 사망하고, 효능 지속성이 떨어지는 이유로 개발을 중단하게 되면서 내린 결정입니다.

카고는 신규 타깃을 통해 기존의 CD19 CAR-T의 저항성을 극복하는 전략으로 큰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하는 등 긍정적인 행보를 이어왔었습니다. 지난 2023년 3월 시리즈A로 2억달러를 유치하고, 그로부터 6개월만에 2억8000만달러를 조달하며 나스닥 상장에도 성공했습니다.

카고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CI)로부터 들여온 CD22 CAR-T로 임상개발을 진행해왔으나 이번에 허가(pivotal) 임상2상 결과 안전성, 효능 모두에서 문제가 발생하며 결국 개발을 중단하게 된 것입니다. 이번 소식 이후 카고의 주가는 73% 이상 급락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6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1:23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94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1:16


J&J가 당장의 가장 중요한 이벤트인, 폐암 치료제 EGFRxcMET 이중항체 ‘리브리반트(Rybrevant, amivantamab)’ 피하투여(SC) 제형의 시판허가에 대해 유럽에서 먼저 허가승인 권고를 받아냈습니다.

미국에서 리브리반트 SC제형의 허가차질을 겪고 있는 가운데 숨통이 트이는 소식입니다.

J&J는 아미반타맙 SC제형의 미국 시판허가 차질을 겪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EGFR 변이 폐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이 OS 지표에서 '타그리소'를 이긴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상황이 유리하게 변하고 있으며 주요 에셋으로 이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88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1:07


로슈가 새해에도 초기 R&D 프로젝트를 정리하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번에는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 TCE) 임상에셋 3건을 중단했습니다.

이번에 중단한 T세포 인게이저는 고형암에서 FAPx4-1BB 이중항체 병용요법, 유방암에서 CD3xHER2 이중항체, 고형암에서 GPC3xCD3 이중항체 등 3건입니다. 모두 임상1상 단계 에셋들입니다.

또한 로슈는 5년전 젠코(Xencor)로부터 계약금 1억2000만달러에 사들인 IL-15 이중 사이토카인(bispecific cytokine) 약물 개발도 포기합니다.

여전히 로슈에게 이중·삼중항체 기반 T세포 인게이저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고 있지만, 이와 대조적인 모습으로 최근 딜로 확보한 ADC와 동종유래(allogeneic) CAR-T가 신규 에셋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54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1:00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93

바이오스펙테이터

04 Feb, 00:06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에서 또다른 돌파구일까요? 아케로 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cs)가 이전 실패를 알린 MASH로 인한 간경변 임상2b상의 장기추적 결과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확인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했습니다.

이는 예상치 못했던 반전의 결과로, 이날 주가는 105% 이상 급등했네요. 덩달아 같은 FGF21 기전의 MASH 치료제를 개발하는 89바이오(89bio) 주가도 50% 넘게 올랐습니다.

아케로에 따르면 MASH로 인한 간경변 환자에게서 간 손상을 역전시킨(reversal) ‘최초의(first-ever)’ 결과입니다.

현재 유일한 MASH 치료제인 마드리갈의 경구용 THR-β 작용제 ‘레즈디프라(Rezdiffra, resmetirom)’는 간경변 이전 MASH(F2-3) 치료제라는 라벨을 갖고 있고, 간경변 MASH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는 치료제는 없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50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23:43


씨어스테크놀로지의 실시간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인 ‘씽크(thynC)’가 국산 제품 중 최초로 원격 심박기술에 의한 감시(코드번호:EX871)에 대한 보험수가 획득한 것을 맞아 씨어스의 파트너사인 대웅제약은 어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씽크가 이번에 획득한 EX871 보험수가는 상급종합병원 단가 기준 4만4287원으로 기존에 획득한 수가보다 고부가 가치를 낼 수 있으며, 따라서 병원의 수익률(ROI) 향상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제품이라고 씨어스는 소개했습니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는 이영신 씨어스 대표는 씽크에 대해 소개하고, 임홍의 중앙대광명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진료 현장에서 씽크 활용 사례에 대해 발표를 진행하며 씽크에 대해 아리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이외에도 조병하 대웅제약 사업부장이 참석해 대웅제약의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에 대해 발표했네요.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3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22:14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3, MON) #전체기사

머크, ‘키트루다+TKI’ 위암 3상도 “OS실패, 전망 흐릿”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2

루닛, SITC와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연구지원 파트너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1

큐로셀, ‘림카토’ 심평원 약제급여평가 "신청완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2

셀트리온, 항암신약 'cMET ADC' 1상 "美 IND 신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3

지아이이노베이션, 알러지 ‘IgE 항체’ 유럽 특허등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8

HK이노엔, 판교에 R&D시설 ’HK이노엔 스퀘어’ 오픈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1

에자이, 레켐비 ‘월1회 IV’ 유지요법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7

HLB, '리보세라닙' 간암 색전술 병용치료서 "PFS 개선"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9

셀트리온제약, 고혈압·고지혈증 3제 '암로젯정' 판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0

사노피 “결국”, ‘차세대 IL-2’ 항암제 “개발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0

GC셀, 초기 간암 '이뮨셀엘씨' 9년추적 "이점" 업데이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66

獨ITM, '177Lu' RPT 3상 "PFS 개선"..'루타테라' 경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8

‘방사성’ 란테우스, CDMO 에버그린 10억弗 “인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7

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밴드하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5

큐어버스, 시리즈B 253억..‘NRF2 활성제’ AD 임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6

동국생명과학, 공모가 9000원 확정..오는 17일 상장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7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3, MON)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8:50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87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8:36


큐어버스(Cureverse)가 시리즈B로 253억원을 유치했습니다. 지난 2022년 81억원 규모의 시리즈A 등을 포함해, 현재까지 누적 투자금으로 340억원을 조달했습니다.

큐어버스는 이번 투자금을 리드에셋인 NRF2 활성제 ‘CV-01’의 알츠하이머병(AD) 임상1상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큐어버스는 지난해 10월 이탈리아의 안젤리니파마(Angelini Pharma)와 3억7000만달러 규모로 CV-01에 대한 라이선스 옵션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86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7:07


분해약물-항체접합체(DAC) 바이오텍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은 공모가가 주당 2만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오름은 오는 14일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를 시작, 이번 공모를 통해 250만주 총 500억원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85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7:06


란테우스(Lantheus)가 또다시 방사성의약품(radiopharmaceutical) M&A 딜을 체결했습니다. 이번에는 에버그린 테라그노스틱스(Evergreen Theragnostics)를 계약금 2억5000만달러, 총 10억250만달러 규모로 인수합니다.

란테우스는 바로 지난달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JPM 2025) 첫날에 라이프몰레큘러이미징(Life Molecular Imaging)을 계약금 3억5000만달러로 인수하며 알츠하이머병(AD) PET 제품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란테우스는 방사성의약품 치료제 및 진단제품에 계속해서 공격적으로 투자해오고 있습니다. 란테우스는 이번에는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에버그린을 인수해 복잡한 방사성의약품 제조역량을 강화하려고 나섰습니다. 또한 에버그린의 치료제 및 진단 에셋을 확보해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7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6:15


HLB는 항암제 후보물질인 VEGFR-2 저해제 ‘리보세라닙(rivoceranib)’과 항서제약의 PD-1 항체 ‘캄렐리주맙(camrelizumab)’을 간동맥 화학색전술(TACE)과 병용투여한 결과 간세포암(HCC)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PFS)을 3배 이상 연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연구자 임상결과는 지난달 8~1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ASCO GI 2025에서 구두발표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HLB는 이번 임상에서 TACE+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에서 PFS 11개월, TACE 단독요법은 3.2개월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네요.
HLB는 이번 임상 결과가 리보세라닙의 적응증 확장 등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9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6:11


셀트리온(Celltrion)은 cMET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CT-P70’의 글로벌 임상1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네요.
셀트리온은 IND가 승인되면 올해 중반 CT-P70의 첫 환자 투여를 목표로 임상1상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에 IND를 신청한 CT-P70은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 2025)에서 발표한 후보물질 중 하나로, 셀트리온은 CT-P70을 포함해 올해 ADC 후보물질 3건, 다중항체 후보물질 1건 등 총 4건의 IND 제출을 목표로 한다고 소개한 바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73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6:05


독일 ITM(Isotopen Technologien München)이 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방사성의약품(RPT) 후보물질 ‘ITM-11(177Lu-edotreotide)’의 임상3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 개선을 확인하며 1차종결점을 충족한 결과를 내놨습니다.

ITM은 이번 임상3상 결과 등을 바탕으로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ITM-11에 대한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ITM-11이 시판허가에 성공하게 되면 노바티스(Novartis)가 시판하고 있는 ‘루타테라’와 경쟁하게 될 전망이네요. 루타테라와 ITM-11 모두 소마토스타틴 유사체에 루테튬-177을 결합한 RPT입니다.

루타테라는 지난 2018년 위장췌장 신경내분비종양(GEP-NET) 2차치료제로 승인 받았으며, 이번 ITM의 ITM-11도 GEP-NET를 적응증으로 개발되고 있는 약물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58

바이오스펙테이터

03 Feb, 03:05


GC셀(GC Cell)의 사이토카인 유도 킬러(cytokine-induced killer, CIK) 세포치료제인 ‘이뮨셀엘씨(Immuncell-LC)’을 초기 간암에서 최장기간 평가한 9년 추적 결과가 업데이트됐네요.

GC셀은 이뮨셀엘씨를 간암 수술후요법(adjuvant therapy)으로 포지셔닝하고 있으며, 지난 2008년 임상3상을 시작해 2012년 완료했네요. 이어 2020년초까지 9년간 해당 임상을 팔로업한 결과가 새롭게 공개된 것입니다.

간암 1차치료제에서 PD-(L)1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이 치료옵션으로 등장했지만, 여전히 초기 수술후요법 세팅은 부재의 영역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이정훈 서울대병원 교수는 ASCO GI 2025에서 이뮨셀엘씨 9년 추적결과에 대해 “간암 수술후요법에서 CIK 세포치료제는 지속해서 무재발생존기간(RFS)과 재발까지 걸리는 시간 등 지표에서 이점이 확인됐다”며 “장기 추적에서 OS 지표에서 이뮨셀엘씨와 대조군 사이 차이는 없었지만, 전체 사망건의 절반은 암과 관련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66

바이오스펙테이터

27 Jan, 00:5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4, FRI) #전체기사

에이비엘, 'IGF1R' BBB 셔틀 '촉매'.."올 중반 1상 탑라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0

유한양행, 바이엘코리아와 ‘비판텐·카네스텐’ 국내공급 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6

그래디언트, 큐어버스와 뇌질환·항암제 개발 MOU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40

온코닉, ‘자큐보’ 추가 적응증 위궤양 “국내 허가신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9

노보노 “또 경구 SCD”, 임벤션서 ‘BACH1 저해제’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5

GCCL, 큐어버스와 ‘NRF2 활성제’ AD 1상 수탁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7

젠큐릭스, 작년 매출 51억 "전년比 97.4%↑"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3

트리스파마, '半마약성' 진통제 3상 "급성 통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3

뉴로핏, 중동 최대 전시회 '아랍헬스 2025' 참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41

인히브릭스, 'DR5 작용제 항체' 대장암 1상 "CR 1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7

아리벤트 “ADC 3rd 딜”, 中레푸서 12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6

루닛케어, 암맞춤 관리 ‘루닛케어+’ 무료 사전예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43

고한승 삼성전자 사장, 한국바이오협회장 ‘3연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46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4, FRI)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7 Jan, 00:31


애브비(AbbVie)가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degrader) 개발을 위해 네오모프(Neomorph)와 16억4000만달러 규모의 옵션딜을 체결했습니다.

애브비는 네오모프와 항암제, 면역질환 치료제 등의 분자접착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네요.

이번에 애브비가 분자접착제 파트너로 선택한 네오모프는 지난해부터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 바이오젠(Biogen) 등과 파트너십을 맺어온 기업입니다.

네오모프는 노보노디스크와 심장대사질환 등에 대해서, 바이오젠과는 알츠하이머병 등의 질환에 대한 분자접착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38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9:52


고한승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 사장이 한국바이오협회장에 세번째로 연임하게 됐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4일 개최된 정기총회에서 고한승 사장을 제9대 한국바이오협회장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고 회장의 리더십이 바이오산업계의 연대와 협력 강화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연임에 대한 회원사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잇따른 연임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46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7:53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43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5:09


아리벤트 바이오파마(ArriVent BioPharma)가 중국의 레푸 바이오파마(Lepu Biopharma)로부터 전임상 단계의 항체-약물접합체(ADC)를 총 12억700만달러에 사들였습니다. 계약금과 단기마일스톤 4700만달러가 포함된 딜입니다.

아리벤트는 지난해 1월 나스닥 시장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때부터 차세대 ADC 개발을 회사의 주요 전략 중 하나로 내세워왔으며, 특히 다중타깃(multi-target) ADC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아리벤트는 지난해 아르빅 테라퓨틱스(Aarvik Therapeutics), 중국의 알파맵 온콜로지(Alphamab Oncology)와도 다중타깃 ADC 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리벤트는 중국, 한국, 일본, 유럽 등의 전세계 국가에서 차별화된 약물을 들여와 개발 및 상업화한다는 사업개발 전략을 기반으로 지난 2021년 설립됐습니다. 회사의 리드에셋은 중국의 상하이 알리스트 파마슈티컬(Shanghai Allist Pharmaceuticals)로부터 사들인 3세대 EGFR 저해제인 ‘퍼모네티닙(firmonertinib)’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6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3:02


인히브릭스 바이오사이언스가 DR5 agonist 항체 ‘오제키바트(ozekibart)’로 진행한 대장암 임상1상의 예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인히브릭스는 CR 1명, PR 3명 등 고무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DR5는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발분야이며 아직 DR5 타깃 시판 약물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분야입니다.

다만 1명의 환자가 사망했으며, 또다른 1명은 치료를 중단하는 등 안정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호중구감소성 패혈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이에 대해 인히브릭스는 병용한 화학요법과 관련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오제키바트가 원인이 됐을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히브릭스는 이미 확장 코호트를 시작해 올해 3분기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7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1:31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40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1:30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7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0:31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임벤션 테라퓨틱스(IMMvention Therapeutix)로부터 겸상적혈구병(SCD)을 타깃하는 경구용 BACH1 저해제를 비공개 규모로 사들였습니다.

노보노디스크는 경구용 SCD 치료제 분야에 계속해서 투자해오고 있습니다. 회사는 3년전인 지난 2022년 포마테라퓨틱스(Forma Therapeutics)를 11억달러에 인수하며 PKR 활성제를 확보해 현재 SCD 임상3상을 진행중입니다.

더 앞서 지난 2018년 노보노디스크는 에피데스티니(EpiDestiny)로부터 DNMT 저해제 기반의 경구 약물을 비공개 계약금을 포함, 총 4억달러 규모로 사들인 바 있습니다. 해당 DNMT 저해제 약물은 임상2상에서 개발중입니다.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의 ‘카스게비(Casgevy)’ 등 1회치료 방식의 유전자치료제도 지난 2023년말 세계 최초로 시장에 나온 상황이지만, 노보노디스크는 여전히 경구용 약물에도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읽힙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5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0:28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9

바이오스펙테이터

24 Jan, 00:15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36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23:26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의 IGF1R 혈뇌장벽(BBB) 셔틀 플랫폼을 적용한 파킨슨병 이중항체 ‘ABL301’의 ‘first-in-human’ 임상1상 데이터에 대한 윤곽이, 올해 중반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ABL301은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응집체를 선택적으로 타깃하는 BBB 셔트리 부착된 항체로, 지금까지는 글로벌에서도 임상단계에서 개념입증(PoC)이 확인된 BBB 셔틀은 TfR 타깃에 국한돼 있는 상황이다.

ABL301은 에이비엘바이오가 3년전 사노피(Sanofi)에 비임상 단계에 라이선스아웃한 후보물질입니다. 올해 중반 임상1상 최종결과보고서(CSR)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하며, 계약에 따라 2상부터는 사노피가 개발을 이어나가게 되네요.

이상훈 대표는 “2025년 폭발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모멘텀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2~3년전과 달리 이제 BBB 셔틀은 반드시 있어야하는 시스템이 됐고, 글로벌 빅파마는 BBB 셔틀을 적용한 아밀로이드 약물 경쟁에 접어들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30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22:15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3, THU) #전체기사

모더나, 美정부서 '조류독감 백신' 임상 5.9억弗 펀딩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4

"CF 베팅" 시오나, 1억弗 IPO 추진..'NBD1 타깃' 1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05

루닛-日국립암센터, 'HER2+ 대장암' 치료효과 예측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2

셀트리온, '스텔라라 시밀러' 유럽 주요 5개국 출시 완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4

삼성바이오에피스, 작년 매출 1.54조..”역대 최대실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8

펩트론, 1개월 세마글루타이드 "호주특허 취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9

OS테라피, 'HER2 타깃' 암백신 골육종 2상 "EFS 개선"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3

헨리우스, 앱클론 'HER2 병용' 2상 "최신결과 업데이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1

프리클리나, 스위스 abc biopply와 전략적 파트너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32

‘다케다 파트너’ 中어센티지, 1.49억弗 "나스닥 IPO" 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3,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05:55


중국의 어센티지파마(Ascentage Pharma)가 1억4900만달러 규모의 나스닥 시장 기업공개(IPO)를 추진합니다.

어센티지는 다케다(Takeda)의 파트너사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케다는 지난해 6월 어센티지가 중국에서 시판중인 BCR-ABL 타깃 3세대 TKI ‘올베렘바티닙(olverembatinib)’에 대한 옵션권리를 계약금 1억달러, 총 13억달러에 사들였습니다. 또한 다케다는 어센티지의 지분 7.7%를 보유하고 있는 주요 주주입니다.

어센티지는 앞서 지난 2019년 홍콩증권거래소(HKEX)에 상장했습니다. 현재 어센티지의 시가총액은 17억3200만달러(134억9200만 홍콩달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어센티지는 혈액암 치료제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텍으로,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TKI 약물 등의 후기임상을 진행중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2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02:21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31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01:28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29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00:35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8

바이오스펙테이터

23 Jan, 00:19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22

바이오스펙테이터

22 Jan, 23:27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잠재적으로 팬데믹 위험이 있다고 여겨지는 조류 인플루엔자(pandemic influenza) 백신 임상개발을 위해, 모더나(Moderna)의 mRNA 기술에 5억9000만달러를 투자합니다.

BARDA가 모더나를 선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이미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백신 임상개발에 10억달러 가까이를 투입하면서 백신개발 선례를 만들어냈었습니다.

모더나는 지난 2023년부터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 ‘mRNA-1018’에 대한 임상1/2상을 시작해 ‘긍정적인 초기 데이터’를 확보했고, 조만간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이어 mRNA-1018의 임상3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모더나가 새해를 시작하며 매출 추정치를 10억달러 이상 낮추면서, 비용절감 조치를 확대하겠다고 밝히며 어려운 시간을 보내는 가운데 나온 소식이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114

바이오스펙테이터

22 Jan, 22:1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 WED) #전체기사

AZ, "J&J 철수한 영역"서 '첫 BTK 저해제' 美시판허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06

멥스젠, 최낙원 고대의대 교수 "CSO로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0

“스콜피온 창업자” 오디세이, ‘선천면역’ 1억弗 IPO 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02

뷰노, 아랍헬스 참가..‘심정지위험 AI’ 집중 홍보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5

자이메디, 獨에보텍과 천식·IPF '이중항체' 발굴 협력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08

'RTW' 프롤리움, 中키메드 'CD20 TCE' 사들이며 "출범"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04

J&J “기대”, NMDA 길항제 우울증 ‘단독요법’ “첫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1

진크래프트, 'AAV 기반' 폐암 ‘RX001’ 국내 IND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7

삼성바이오로직스, 작년 매출 4.5조 돌파.."업계 최초"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19

한올바이오, 작년 매출 1389억..PD 임상 ‘다음단계 진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12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 WED)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7:34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90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7:26


지난 2024년 국내 비상장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는 37곳, 투자금액은 5102억원으로 집계

2023년 4162억원에 비해 22.58% 증가한 수치이나 지난 2019~2022년 4년동안 매년 1조원 규모의 투자규모를 유지해온 것에 비하면 절반 정도에 그치는 수준으로, 여전히 차디찬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반영됐네요.

그럼에도 몇몇 기술성을 인정 받은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받기도 했던 한해였습니다.

특히 상반기 의료기기에 투자가 집중돼 신약개발 기업 투자가 더뎠지만 하반기 막판에 신약개발에 중점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져 신약개발 기업 투자는 총 3917억원을 기록하며 마무리했습니다.

가장 투자가 몰린 모달리티는 항체/ADC 5건, 1069억원이었으며 약물전달시스템(DDS), 표적단백질분해(TPD)도 각 765억원, 69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질환분야로는 암질환 관련 신약개발, 진단 등이 우세했습니다.

투자단계로는 시리즈B가 10건, 2176억원을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작년 최대규모의 투자인 473억원을 유치한 진에딧, 두번째로 큰 규모인 400억원을 유치한 에임드바이오 모두 시리즈B였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6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6:55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89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3:45


[JPM 2025] 크리스토퍼 비바커(Christopher A. Viehbacher) 바이오젠(Biogen) CEO는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인 ‘레켐비(Leqembi, 성분명: lecanemab)’ 피하주사(SC) 제형이 일라이릴리(Eli Lilly)와의 경쟁에 있어 강한 차별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바커 CEO는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JPM 2025)에서 기업발표를 통해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레켐비 SC제형의 경쟁력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비바커 CEO는 피하주사 요법이 올해부터 레켐비의 매출 가속화를 이끌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레켐비SC의 주1회투여 유지요법(maintenance)은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검토가 진행중으로 오는 8월31일 FDA 승인여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비바커 CEO는 향후 10년간 레켐비와 릴리의 도나네맙(제품명: 키순라)이 AD 치료제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5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1:05


[JPM 2025] 모더나(Moderna)가 올해 예상 매출액을 15~25억달러로, 기존 예상치에서 무려 10억달러나 큰폭으로 하향조정하면서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코로나19 백신의 매출 급락과 기대가 컸던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의 판매 저조로 인해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모더나는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JPM 2025)에서 진행한 비즈니스 및 파이프라인 업데이트 발표를 통해 이같은 올해 매출 가이던스를 밝혔습니다. 이는 회사가 지난해 9월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R&D데이(R&D Day) 자리에서 밝힌 가이던스 25억~35억달러와 비교해 10억달러를 낮춘 규모입니다.

모더나는 지난 2023년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매출액 또한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모더나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21억7100만달러로 전년 대비 44% 줄었습니다. 더욱이 코로나19 백신의 뒤를 이어 회사의 매출 성장을 이끌어줄 것으로 기대해왔던 RSV 백신도 판매 부진을 겪으면서 실적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3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1:00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글라이코토프(Glycotope)로부터 MUC1(Mucin1) 항체 ‘가티포투주맙(gatipotuzumab)’의 나머지 권리를 1억3250만달러에 완전히 사들였습니다.

다이이찌산쿄는 가티포토주맙에 DXd를 결합해 MUC1 ADC ‘DS-3939’을 개발하고 있으며 고형암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 시판허가를 받은 MUC1 항체의약품은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펩트론(Peptron)dl MUC1 항체 ‘PAb001’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6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1:00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86

바이오스펙테이터

17 Jan, 00:22


[JPM 2025]브릿지바이오는 오는 4월 BBT-877의 임상2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브릿지바이오는 이번 발표에서 IPF 환자 1000여명을 대상으로 BBT-877을 52주동안 평가하는 임상3상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84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22:15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6, THU) #전체기사

튠, 시리즈B 1.75억弗..‘후성유전편집’ HBV “첫 임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5

바이엘, 1상마친 '도파민 뉴런' 세포치료제 "3상 직행"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8

GC셀, ‘이뮨셀엘씨주’ 9년 추적결과 “ASCO GI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7

지아이이노베이션, ‘CD80-IL-2’ 식약처 희귀의약품 지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8

리젠엑스 "BLA 목전", 일본신약에 2개 'AAV' 8.5억弗 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5

한미정밀화학-우정바이오, '바이오텍 CDMO 지원' MOU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9

머크 CEO, 키트루다 "특허절벽아닌 언덕 불과" 이유?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2

진양곤 HLB 회장, CMC 실사後 계열사 지분 "또 매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80

티씨노바이오, 'ENPP1 저해제' 췌장암 "FDA ODD 지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81

‘ADC' 인투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통과"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8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6,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10:26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개발 바이오텍 인투셀(IntoCell)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았습니다.

인투셀은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 공동창업자이자 연구소장(CTO)을 맡았던 박태교 대표가 2015년 설립한 회사입니다.

파트너사로 삼성바이오에피스, 에이비엘바이오가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83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7:50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81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4:05


[JPM 2025]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LOE)는 빅파마에게 ‘큰 위기’로 받아들여지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며, 아마도 현 시점에서 미국 머크(MSD)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입니다. 머크의 PD-1 ‘키트루다’의 특허 만료는 오는 2028년으로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고, 키트루다는 2023년 250억달러 어치가 팔렸습니다.

그러나 머크의 생각은 달라 보이네요. 로버트 데이비스CEO는 “키트루다의 특허만료가 ‘절벽이 아닌 ‘언덕(a hill than a cliff)’에 가깝다”며 “2021년에 비해 지난해, 후기 임상개발 단계 에셋이 3배로 늘었다. 지난 3.5년동안 다각화된 에셋을 확보하기 위해 약 400억달러를 투자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면에서 최근 머크의 행보가 주시되며, 지난해말까지 PD-1xVEGF 이중항체, 경구용 GLP-1 등을 확보하며 바쁜 한해를 보냈습니다.

이 시점에서 궁금한 것은, '가장 핫한' 지점에 막 합류한 플레이어로서 바라보는 머크의 시각입니다. JPM에서 어떤 기회를 내다보고 있는지에 대한 전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72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1:35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79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0:44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8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0:36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7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0:16


바이엘(Bayer)이 파킨슨병(PD) 치료제로 1상을 성공리에 마친 도파민 뉴런 세포치료제 ‘벰다네프로셀(bemdaneprocel, BRT-DA01)’가 2상을 건너뛰어 곧바로 3상에 진입합니다.

원래 2024년 상반기 임상2상 진입을 계획했으나, 첨단재생의료치료제(RMAT)로 지정되며 FDA와 논의를 거쳐 올해 상반기내에 벰다네프로셀의 임상3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벰다네프로셀은 인간배아줄기세포(hESC)를 도파민을 분비할 수 있는 뉴런으로 분화시킨 것으로 파킨슨병 환자 뇌에 이식해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세포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약물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8

바이오스펙테이터

16 Jan, 00:06


튠 테라퓨틱스(Tune Therapeutics)가 시리즈B로 1억7500만달러를 유치했습니다.

튠은 후성유전 편집약물(epigenetic editor)을 개발하는 회사로, 지난해 11월 후성유전 편집약물로는 처음으로 감염질환을 적응증으로 임상에 진입했습니다. 후성유전 접근법은 유전자편집 보다 안전성에서 더 이점이 있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유전자편집 분야에 대한 투자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튠이 큰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업계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투자는 리제네론이 공동으로 리드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5

바이오스펙테이터

15 Jan, 22:14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5, WED) #전체기사

애브비, 中 GPRC5DxBCMA TCE 10.5억弗 "옵션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6

머사나, 'B7-H4 ADC' 1상 실망 결과에 "주가 반토막"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35

SK바팜, 유로파마와 美JV 설립..“美디지털헬스 진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4

존림 삼성바이오 대표 JPM서 "올 5공장·ADC 생산개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7

HLB파나진, '액체생검 암진단' 말레이시아 허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8

인텔리아, "새해 또" 구조조정 '27% 해고'..CSO도 퇴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4

바이오리버트, 테라자인 '新타깃' 항암제 공동연구 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3

Vetter파마, 新시린지 'V-OVS® next' "2027년 출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10

셀트리온, 2028년까지 'ADC·다중항체' 신약 "13개 IND"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71

머크 CEO, '키트루다SC' 시장침투율? "30~40% 전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6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5, WED)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15 Jan, 05:28


[JPM 2025]미국 머크(MSD)가 올해 미국 출시 예정인 PD-1 항체 ‘키트루다’의 피하투여(SC) 제형이, 향후 키트루다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4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처음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번 JPM 자리에서 머크는 연내 키트루다SC의 허가신청서를 제출하고,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이는 머크가 ‘예상했던 것보다 빠른’ 진행이라고 언급했네요.

로버트 데이비스(Robert Davis) 머크 CEO는 13일(현지시간) JPM 발표현장에서 “가능한 명확하게 얘기하자면, 우리는 키트루다 SC제형이 전체 키트루다 (시장에서) 약 30~40%로 채택(adoption)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이를 달성하는 데까지 걸리는 타임라인을 12~18개월이 걸릴 것으로 내다본다. 때문에 가능한 빠르게 시판허가를 받고 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데이비스 대표는 이 자리에서 향후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출시에 따라, 가격하락 조정이 수반될 것이라는 의견도 내놨​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069

바이오스펙테이터

15 Jan, 03:31


인텔리아 테라퓨틱스(Intellia Therapeutics)가 인력의 27%에 달하는 구조조정을 진행합니다. 또한 회사의 최고과학책임자(CSO)도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인텔리아는 지난해 1월에도 15%의 인력을 감원한 바 있으며, 2년 연속 구조조정을 겪게 됐습니다.

인텔리아 뿐 아니라 크리스퍼 테라퓨틱스(CRISPR Therapeutics), 에디타스 메디슨(Editas Medicine) 등의 다른 유전자편집 치료제 개발사들도 구조조정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에디타스도 이번달 인력의 65%를 해고했으며 최고의학책임자(CMO)가 퇴임했습니다.

인텔리아는 이번 구조조정과 함께 파이프라인 우선순위를 조정하면서 막 임상에 돌입한 희귀질환 프로그램 개발을 중단했습니다. 인텔리아는 업계의 어려운 상황속에서 이번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사는 후기 임상단계에 있는 주요 2가지 프로그램에 자원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054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7:23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94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6:26


아이맵(I-Mab)이 CLDN18.2 이중항체에서 기회를 보고, 모든 것을 걸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CLDN18.2x4-1BB 이중항체 ‘기바스토미그(givastomig, TJ033721/ABL111)’에 베팅합니다.

아이맵은 전략적 우선순위 조정에 따라 2010년대 후반부터 임상 개발을 이어온 CD73 면역항암제 개발을 중단한 데 따른 움직임입니다.

아이맵은 제한적인 펀딩 상황에서 단일 에셋의 임상개발에 집중하는 전략적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1억8440만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오는 2027년까지 운영가능한 자금으로 추산됐습니다. 이 소식에 당일 아이맵의 주가는 17.85% 올랐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88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4:12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93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2:19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91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1:40


이벨류에이트파마(Evaluate Pharma)가 꼽은 ‘2025년 유망 바이오파마 R&D 프로젝트 10개’ 가운데 한올바이오파마에서 개발한 FcRn 항체 에셋 2개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벨류에이트파마는 매년 새해를 시작하며, 현재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트렌드의 중심에 있는 분야에서 촉매가 될 약물 중 데이터 발표를 1~2년내 앞둔 에셋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올해 비만에서 인크레틴(incretin) 열풍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차세대 비만 에셋이 10개 중 4개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비만의 강풍 속에서 자가면역·염증 질환은 여전히 핫톱픽으로 R&D 프로젝트 4건을 차지했고, 나머지 2건으로 새로운 모달리티(modality)의 면역항암제가 등장했습니다.

미국 머크(MSD)가 2년반전 베팅한 모더나의 신항원(neoantigen) 암백신 ‘mRNA-4157’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첫 임상3상 결과가 올해말 도출될 예정입니다. 지난해부터 PD-(L)1xVEGF 이중항체 흐름을 만들고 있는 ‘이보네스시맙(ivonescimab)’의 OS에 대한 윤곽도 처음으로 드러날 것으로 예고됩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86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0:28


지난해 미국 FDA가 승인한 신약은 5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약물평가연구센터(CDER)가 승인한 신약은 47건, 바이오의약품평가연구센터(CBER)가 승인한 치료제는 10건이었습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큰 이슈가 됐던 FDA 신약승인 건으로는 유한양행(Yuhan)의 3세대 EGFR TKI인 ‘레이저티닙(lazertinib, 국내 제품명: 렉라자)’ 등이 있었습니다.

또한 그동안 약물개발이 어려웠던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에서도 첫 치료제가 시장에 나오게 됐습니다. 이 외에도 업계로부터 블록버스터 약물로 기대받고 있는 신규 유망제품들이 시판허가를 받는등 업계의 이목을 끄는 이벤트들이 있었습니다.

바이오스펙테이터는 지난해 FDA가 승인한 신약 57건에서 업계가 주목한 이슈를 5가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76

바이오스펙테이터

07 Jan, 00:01


화이자(Pfizer)가 아타비스틱 바이오(Atavistik Bio)와 신규 알로스테릭(allosteric) 기전의 항암제 개발 옵션딜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계약에 따라 아타비스틱은 회사의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화이자가 선택한 2가지 타깃에 대한 알로스테릭 바인더를 찾게 됩니다.

아타비스틱 지난 2021년 자레드 루터(Jared Rutter) 유타대 교수 등이 공동설립한 바이오텍입니다. 회사는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대사물질을 이용해 단백질에 숨겨져있는 알로스테릭 포켓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80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22:17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6, MON) #전체기사

노바티스, 펩티드림과 개발 '인테그린 RPT' 1상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6

삼성바이오로직스, 2025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7

대원헬스케어, 배문형 대표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83

HK이노엔, 호주 서든엑스피와 "케이캡 수출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82

뉴모라, '오피오이드 길항제' 우울증 3상 "실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4

영진약품, 셀트리온과 '도네리온패취' 판매계약 체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84

한올바이오,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R&D 19% 투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85

아이바이오, 아스트랄 비만 '마이오스타틴 항체'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8

리제네론, '新안과 전달기술' 임상 바이오텍 "인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5

GC녹십자, 시판 ‘고지혈증치료제’ 빅데이터분석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6, MON)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8:53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9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5:58


리제네론이 눈 안구벽 맥락막상(suprachoroidal) 약물을 주입하는 새로운 전달기술을 가진 영국 바이오텍 옥슐라(Oxular)를 인수했습니다. 오슐러는 해당 전달기술을 적용해 연1회 투여하는 안과 에셋의 임상2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제네론은 노인성 황반변성(AMD) 시장으로 치고 들어오려는 로슈의 ‘바비스모’를 견제하기 위해 지난 2023년 8월 투약간격을 늘린 고농도 ‘아일리아HD(Eylea HD)’를 출시했고, 지난해 3분기 미국에서 3억92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그러나 시장에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이후 회사의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이러한 가운데 리제네론이 최근 안과 회사 옥슐라를 인수했다는 것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75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4:42


아이바이오(iBio, Inc.)는 지난 2일(현지시간) 아스트랄바이오(AstralBio)로부터 마이오스타틴(myostatin) 항체 ‘IBIO-600’의 라이선스를 사들였습니다.

이번 라이선스인(L/I)에 대한 계약금으로 아이바이오는 75만달러 규모의 자사 주식을 아스트랄에 지급했네요. 개발, 상업화 등에 대한 마일스톤은 최대 2800만달러입니다.

이번 라이선스인은 지난해 체결한 파트너십의 연장선이며, 아이바이오의 AI기반 기술을 이용해 아스트랄이 발굴한 항체입니다. 아이바이오는 올해 초 전임상 데이터를 도출하고, 내년에 임상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이바이오가 비만치료제 타깃으로 개발하고 있는 마이오스타틴, 액티빈 항체 등은 비만 및 대사질환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일라이 릴리(Eli Lilly) 역시 주목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8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1:41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가 보건복지부로부터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을 받았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한올바이오파마는 지속적인 글로벌 R&D 인프라 강화를 통한 연구개발 혁신을 도모해 왔습니다.

지난 2004년 신약 개발로 사업영역을 확장한 한올바이오파마는 전문의약품 사업을 기반으로 연간 1000억원 수준의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체적인 자금조달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네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은 평균 19%에 달합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85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1:26


뉴모라 테라퓨틱스(Neumora Therapeutics)가 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kappa opioid receptor, KOR) 길항제(antagonist) 후보물질 ‘나바카프란트(navacaprant, NMRA-140)’로 진행한 주요우울장애(MDD) 임상3상에서 실패한 결과를 내놨습니다.

이번 임상3상결과는 뉴모라가 나바카프란트로 진행하는 MDD 임상3상 3개 중 첫번째로 공개한 데이터입니다.

뉴모라는 이번 결과가 위약과 비교해 나바카프란트가 이점을 보이지 못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여성환자에서 보인 효능 신호 등을 분석해 결과를 추가로 확인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다음주 열리는 JPM 2025 헬스케어컨퍼런스에 참여해 개발 등에 대한 추가 사항을 업데이트 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4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1:11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82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1:02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83

바이오스펙테이터

06 Jan, 00:10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77

바이오스펙테이터

05 Jan, 22:55


노바티스가 펩티드림(PeptiDream)과 파트너십을 통해 발굴한 인테그린(integrin) 타깃 방사성의약품(RPT) 후보물질의 임상1상을 중단했습니다.

노바티스는 펩티드림과 지난 2019년 펩타이드-약물 접합체(peptide-drug conjugate, PDC) 발굴딜을 체결했으며, 그 일환으로 이번에 중단된 인테그린과 비공개 타깃을 포함한 2개 프로그램이 임상개발로 진전됐습니다.

노바티스는 자체 시판한 RPT 의약품 ‘플루빅토(Pluvicto)’와 ‘루터테라(Lutathera®)’의 매출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4월 펩티드림과 방사성핵종(radionuclide) 개발을 위한 거대고리 펩타이드(macrocyclic peptide) 발굴하는 파트너십으로 확장하면서 계약금 1억8000만달러를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앞서가는 임상 RPT 프로그램에서 차질이 생긴 것이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46

바이오스펙테이터

05 Jan, 22:0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3, FRI) #전체기사

카스젠, 'CLDN18.2 CAR-T' 위암 "PFS 늘려..허가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3

동구바이오제약, 조용준 부회장 "회장 취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1

아이디야, 中항서 TOP1 ‘DLL3 ADC’ 10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8

GC셀, 김재왕 신임 각자대표 내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3

'유전자가위' 진코어, 인터베스트서 브릿지 100억 유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9

SG메디칼, ‘암 오가노이드’ 연구 네이처 자매지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4

베이진, ‘PD-1’ 결국 위암1차 마커제한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0

화이자, 3상 성공 ‘A형혈우병 AAV' 상가모에 "반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3

베이진, 中듀얼리티에 ‘B7-H4 ADC’ 권리 "옵션행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4

"폐암 진심" AZ, '종양진화 데이터·샘플' 1200만弗 구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3

노바티스 "기대", '졸겐스마' 연령↑ SMA 3상 “성공”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3, FRI)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03 Jan, 05:54


노바티스(Novartis)가 척수성근위축증(SMA) 유전자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의 척추강내주사(intrathecal, IT)제형 임상3상에 성공했습니다.

노바티스는 지난 2019년 졸겐스마를 1회투여 방식의 SMA 유전자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습니다. 현재 졸겐스마는 정맥주사(IV) 제형으로 시판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맥주사제형 졸겐스마는 간독성으로 인해 용량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2세미만 소아에게 라벨이 제한돼 있습니다.

노바티스는 더높은 용량을 필요로하는 2세이상 소아환자로 졸겐스마의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해 IT제형을 개발해 왔습니다. 회사는 졸겐스마IT로 한해 최대 20억달러 이상을 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2

바이오스펙테이터

03 Jan, 04:22


‘타그리소’의 아스트라제네카(AZ)가 아킬레스 테라퓨틱스(Achilles Therapeutics)로부터 대규모 종양진화(tumor evolution) ‘TRACERx®’ 비소세포폐암 연구에 대한 데이터와 샘플을 1200만달러를 주고 사들였습니다.

아킬레스가 TIL 세포치료제 임상결과에 따라 ‘상업적으로 실행가능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해’ 프로그램 개발을 중단하면서, 전략적 검토를 결정하겠다고 알린 지 3달만입니다.

해당 TRACERx 연구는 찰스 스완튼(Charles Swanton) 영국 UCL 교수가 주도한 가장 큰 규모의 종양진화 연구 중 하나입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800명 이상의 3200개 종양샘플에서 다중지역(multi-region), 딥시퀀싱과 다시점(multi-time-point) 유전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종양진화를 연구했습니다. 스완튼 교수는 아키렐스의 공동창업자(co-founder)로 참여했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33

바이오스펙테이터

03 Jan, 01:54


베이진(BeiGene)의 PD-1 항체 ‘테빔브라(Tevimbra, 성분명: tislelizumab)’가 결국 위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PD-L1 바이오마커에 제한된 범위에서 미국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9월 개최된 FDA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 위암 및 식도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PD-1 면역관문억제제(ICI)가 PD-L1 발현이 낮은 환자를 대상으로는 이점이 떨어진다고 만장일치에 가깝게 의견이 모아진 바 있습니다. 결국 테빔브라는 PD-L1≥1 발현 환자를 대상으로 시판허가 승인이 떨어지게 됐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0

바이오스펙테이터

03 Jan, 01:09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4

바이오스펙테이터

03 Jan, 00:16


초소형 유전자가위기술 바이오텍 진코어(GenKOre)는 최근 브릿지 펀딩으로 VC 인터베스트(InterVest)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또한 진코어의 초소형 유전자가위기술은 지난달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으로부터 ‘국가전략기술’로 인증받았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69

바이오스펙테이터

03 Jan, 00:02


아이디야 바이오사이언스(Ideaya Biosciences)가 중국 항서제약(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으로부터 DLL3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를 계약금 7500만달러, 총 10억4500만달러에 사들였습니다.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를 탑재한 에셋입니다.

아이디야는 앞서 지난해 7월 중국 바이오사이토젠 파마슈티컬(Biocytogen Pharmaceuticals)과 B7-H3xPTK7 타깃 이중항체 ADC에 대한 4억650만달러 규모의 옵션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이디야는 회사의 합성치사 파이프라인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으로 ADC에 투자를 시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이디야는 DNA 손상을 일으키는 TOP1 페이로드의 작용기전(MoA)에 기반해 회사의 합성치사 약물과 병용투여로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8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23:57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73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23:50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71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23:05


중국 카스젠 테라퓨틱스(CARsgen Therapeutics)가 클라우딘18.2(CLDN18.2) CAR-T 후보물질이 중국에서 진행된 임상2상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PFS)을 개선했다고 공개했네요.

카스젠은 지난달 30일 위암과 위식도암(GEJ) 대상 3차 치료제 세팅으로 진행한 CLDN18.2 CAR-T ‘사트리셀(satricabtagene autoleucel, satri-cel)’의 허가 임상2상에서 1차 종결점으로 설정한 PFS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했습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중국 의약품관리국(NMPA)에 허가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고,카스젠은 글로벌에서 CAR-T가 고형암 치료제로 첫 허가받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카스젠은 그 다음 임상개발 전략으로, 각각 위암과 췌장암 수술후요법(adjuvant) 세팅에서 CAR-T를 테스트하는중국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43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22:1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 THU) #전체기사

"푸른뱀의 해" 2025년 제약·바이오 '5가지 관전포인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63

BMS도, ‘옵디보 SC’ 키트루다 앞서 “美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5

12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4곳 880억..”막판 안간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1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R(연구) 글로벌화 첫 해"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1

J&J, 日카켄서 경구 ‘STAT6 저해제’ 12.5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7

J&J, '아미반타맙+레이저티닙‘ 폐암 1차 "유럽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4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따라하는 것 아닌 선도" 신년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5

로슈 "새해, 또 ADC", 中서 'DLL3 ADC' 11억弗 사들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9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 “전열 재정비..글로벌로 전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6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 "수익안정→연구 재투자 선순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7

아밀릭스 "또" 'GLP-1 길항제', 구브라와 "발굴 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2

[인사]보령,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8

[인사]유유제약,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0

[인사]셀트리온그룹,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1

김윤 삼양그룹 회장, 새 100년 “스페셜티·혁신솔루션" 강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2

GC녹십자, 최영일 Discovery&Explorer Unit장 영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4

일동제약그룹, 새해 "이기는 조직, 내실다지기" 당부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9

이장한 종근당 회장, 새해 “혁신적 변화" 강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7

큐리언트, 'Axl/Mer/CSF1R' GvHD 확대 "美 1b상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8:31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63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8:15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7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5:39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9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5:39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64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5:12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62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3:2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57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3:03


송영숙 한미그룹(Hanmi) 회장은 2일 ‘구각(舊殼)을 탈피(脫皮)하고 전열을 재정비해 글로벌로 힘차게 전진하자’는 제목의 신년사를 그룹사 전 임직원에게 전달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56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2:59


로슈가 새해 첫 딜을, 또다시 항체-약물접합체(ADC)를 도입하며 시작했네요. 로슈는 중국에서 소세포폐암(SCLC) 치료제 후보물질인 DLL3 ADC를 계약금 8000만달러 규모에 사들였습니다.

로슈는 지난해초 cMET ADC를 인수하며, 그동안 움직임이 뜸했던 ADC 분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어 두번째 딜로, 이번에도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가 적용된 ADC를 확보했네요.

중국 이노벤트(Innovent)는 1일 로슈와 DLL3 ADC ‘IBI3009’에 대한 글로벌 독점권을 라이선스아웃하는 딜을 체결했습니다.

IBI3009는 지난달 막 임상1상 환자 투약을 시작한 후보물질로, 소페포폐암과 신경내분비 암종에서 호주, 중국, 미국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49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2:31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55

바이오스펙테이터

02 Jan, 01:27


J&J가 일본 카켄 파마슈티컬(Kaken Pharmaceutical)로부터 경구용 STAT6 저해제를 계약금 3000만달러, 총 12억4750만달러에 사들였습니다.

STAT6 저해제는 사노피(Sanofi)의 블록버스터 염증질환 치료제인 ‘듀피젠트(Dupixent)’의 경구용 버전으로 업계의 평가를 받고 있는 약물입니다. J&J에 앞서 사노피도 지난 2023년 7월 레클루딕스 파마(Recludix Pharma)로부터 STAT6 저해제를 총 13억2500만달러 규모로 사들인 바 있습니다.

J&J는 듀피젠트를 넘어설 수 있는 차세대 면역 및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J&J는 지난해에는 프로테오로직스(Proteologix), 누맙 테라퓨틱스(Numab Therapeutics) 등 2개 회사를 인수하며 이중항체 에셋을 확보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7

바이오스펙테이터

31 Dec, 06:16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2

바이오스펙테이터

30 Dec, 05:38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41

바이오스펙테이터

30 Dec, 02:54


큐로셀(Curocell)은 혈액암 림프종 치료제로 개발하는 CD19 CAR-T '림카토주(성분명 안발셀, anbal-cel)'의 품목허가를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네요. 국내 기업이 개발한 CAR-T 치료제 후보물질의 첫 품목허가 신청 사례입니다.

큐로셀은 지난 10일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허가신청-급여평가-약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품목허가 신청을 진행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40

바이오스펙테이터

29 Dec, 22:1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7, FRI) #전체기사

랩트 "실패후 탈바꿈", 中서 '반감기↑IgE' 7억弗 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19

BMS, TYK2저해제 '소틱투' 건선성관절염 3상 "성공"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4

셀트리온, '다잘렉스 시밀러' 3상 "美 IND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5

우시앱텍, 美투자사에 ‘세포·유전자치료제부문’ 매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2

셀트리온, 1000억 규모 자사주 "추가 취득 결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6

이모코그, 시리즈B 220억 유치.."MCI 디지털치료기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7

큐로셀, 보건복지부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8

[인사]종근당 계열사, 2025년 임원승진 인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7, FRI)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7 Dec, 08:52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9

바이오스펙테이터

27 Dec, 06:14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38

바이오스펙테이터

27 Dec, 06:08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37

바이오스펙테이터

27 Dec, 02:57


중국 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기업인 우시앱텍(WuXi AppTec)이 미국의 헬스케어 투자사인 알타리스(Altaris)에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사업부문을 매각합니다.

두 회사는 계약 규모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이번 계약은 내년 상반기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우시앱텍은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이외의 다른 모든 사업부문은 이전과 동일하게 글로벌 사업을 지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우시앱텍을 비롯한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 BGI그룹 등 중국의 글로벌 CDMO 기업들은 미국의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의 주요 제재 대상으로 지목된 상황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2

바이오스펙테이터

27 Dec, 02:01


BMS가 경구용 TYK2 저해제 ‘소틱투(Sotyktu)’로 진행한 건선성관절염(PsA) 임상3상 2건에서 모두 1차종결점을 충족했습니다.

소틱투는 건선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는 약물이며, 최초이자 유일한 FDA의 승인을 받은 TYK2 저해제입니다.

다만 BMS는 소틱투 성장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했으며, 여러 글로벌 제약사가 면역질환 개발에 집중하는 상황속에서 이번 임상 성공은 소틱투의 입지를 다질 수 있는 결과로 보이네요.

국내 기업 중에는 HK이노엔이 TYK2 저해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 임상1상 IND 신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4

바이오스펙테이터

27 Dec, 01:54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35

바이오스펙테이터

26 Dec, 23:38


랩트 테라퓨틱스(RAPT Therapeutics)가 음식 알러지 시장에서 반감기를 늘린 ‘best-in-class’ IgE 치료 접근법에서 기회를 보고, 그동안의 실패에서 탈바꿈하기 위한 베팅을 했습니다.

새로운 전략은 사모투자(PIPE)로부터 1억5000만달러 투자를 이끌어냈습니니다. 당장은 유일한 IgE 시판 제품을 보유한 노바티스와 경쟁하게 되네요. 랩트는 국내에서 한미약품이 항암제 후보물질인 CCR4 저해제를 도입한 회사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음식 알러지 시장은 노바티스의 IgE 항체 ‘졸레어’가 이제 막 진입한 시장으로, 졸레어가 미국에서 첫 시판된지 20여년만인, 올해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음식 알러지 치료제로 라벨을 넓혔습니다. 졸레어는 라벨을 넓힌지 2분기만에 3만명의 음식 알러지 환자가 투여받으면서, 가파른 시장 침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랩트는 올해 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던 CCR4 저해제의 임상개발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고,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찾은 것이 이번 IgE 에셋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19

바이오스펙테이터

26 Dec, 22:2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6, THU) #전체기사

NGM 'VC 피인수 10개월만', 첫 라이선스딜 "활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00

알테오젠, '아일리아 고용량' 제형특허 우선권 특허출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5

루닛, 응급실에 'AI 활용' 응급환자 분류시간 77% 단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7

큐로셀, ‘안발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9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5% 매각.."경영권분쟁 종결"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30

갈렉틴, '갈렉틴-3 저해제' MASH 3상 "실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02

아이오니스, ‘큰 기대’ ASO 희귀고지혈증 “美 첫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6,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6 Dec, 04:49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Ionis Pharmaceuticals)이 상업적으로 큰 기대를 걸고 있는 apoC-III 타깃 ASO 약물이 희귀 고중성지방혈증을 적응증으로 미국에서 첫 시판허가를 받았습니다.

아이오니스의 apoC-III ASO인 ‘트린골자(Tryngolza, 성분명: 올레자르센)’는 가족성 킬로미크론혈증 증후군(FCS) 치료제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첫 약물이 됐습니다. 특히 회사는 트린골자가 자체적으로 출시하는 첫 제품이며, 트린골자 시판을 통해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의 바이오텍으로 진입하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이오니스는 트린골자를 포함해 앞으로 3년안에 새로운 3가지 에셋의 자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3가지 제품을 합쳐 한해 수십억달러의 매출 잠재력이 있다고 회사는 보고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0

바이오스펙테이터

26 Dec, 03:28


갈렉틴 테라퓨틱스(Galectin Therapeutics)가 갈렉틴-3 저해제 '벨라펙틴(belapectin)'으로 진행한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임상3상에서 복합적 효능 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이 소식 이후 갈렉틴 주가는 54% 하락했고, 주당 가격이 1달러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갈렉틴 테라퓨틱스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으며, 36개월 추가 분석 등 업데이트된 결과를 내녀 1분기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MASH는 아직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대사질환으로 올해 4월에는 마드리갈 파마슈티컬(Madrigal Pharmaceuticals)이 경구용 THR-β 작용제(agonist) ‘레즈디프라(Rezdiffra, resmetirom)’를 세계 최초의 MASH 치료제로 승인받은 분야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02

바이오스펙테이터

26 Dec, 01:47


한미약품그룹(Hanmi)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장남 임종윤 한미사이언스(Hanmi Science) 사내이사가 지분 5%를 송영숙 회장 등 4인연합측에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공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미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사실상 종결된 것으로 보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30

바이오스펙테이터

26 Dec, 00:2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29

바이오스펙테이터

25 Dec, 23:59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27

바이오스펙테이터

25 Dec, 23:45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25

바이오스펙테이터

25 Dec, 23:30


NGM 바이오가 VC에 매각된 이후 10개월만에, ‘실패한 약물’로 낙인이 찍혔던 MASH 후보물질을 최대 6억800만달러 규모의 라이선스아웃(L/O)하는 딜을 체결했습니다. NGM은 비로소 활로를 찾아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해당 MASH 에셋은 FGF21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약물로, 임상2b상 완료후 미국 머크(MSD)가 지난해 4월 NGM에 반환한 바 있습니다.

NGM은 KdT벤처스(KdT Ventures)에 FGFR1c/β-Klotho 작용제(agonist) ‘NGM313’의 전세계 독점권을 라이선스아웃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독특하게 이를 사가는 KdT벤처스는 기존 개발영역인 대사질환이 아닌 희귀질환 약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새로운 회사(NewCo)를 설립해 해당 약물을 개발하는 구조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00

바이오스펙테이터

25 Dec, 22:04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4, TUE) #전체기사

‘버텍스 파트너’ 사이트원, 시리즈C 1억弗..“NaV 통증”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75

리제네론, 'FXI 항체' vs엘리퀴스 2상서 "비열등성 확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91

넥스아이, 오노와 '면역항암' L/O 성사 “3가지 포인트는?"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41

티움바이오, '혈우병 후보약물' 국내 1a상 “탑라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18

오름테라퓨틱, 증권신고서 재제출..'SAE 세부내용' 공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16

메조블라스트, ‘설립 20년만’ MSC 줄기세포 “美 첫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99

뷰노, 237억 규모 '영구 CB 발행' 결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3

한미약품, 저용량 고혈압 3제복합제 "국내허가 신청"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2/24, TUE)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4 Dec, 05:29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923

바이오스펙테이터

24 Dec, 05:22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22

바이오스펙테이터

24 Dec, 04:53


호주 메조블라스트(Mesoblast)가 2차례 시판허가를 거절당하고, 3번째 허가를 시도한 끝에 첫 중간엽줄기세포(MSC) 치료제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습니다.

메조블라스트는 지난 2004년에 설립된 이후 골수로부터 유래한 동종유래(allogeneic) MSC 치료제를 개발해왔습니다. 회사는 결국 설립 20여년만에 MSC 치료제의 미국 시판허가에 성공한 첫 회사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됐습니다.

메조블라스트의 MSC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SR-aGvHD)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됐으며, 특히 이 적응증에서 FDA의 승인을 받은 첫 치료제라고 회사는 강조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899

바이오스펙테이터

24 Dec, 01:20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이 23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시장(KOSDAQ)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다시 제출하면서, 리드 프로그램인 GSPT1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ORM-5029’와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SAE)에 대한 세부 내용이 업데이트됐습니다.

이에 따르면 해당 환자는 지난달 2일 ORM-5029 임상1상에 등록했고 이후 4일 약물을 투여받았고, 다음날인 5일 SAE가 발생했습니다. 이어 25일 FDA로부터 ORM-5029의 임상 부분보류(partial clinical hold) 조치를 통보받았습니다.

오름테라퓨틱은 부작용 우려에 대해 “ORM-5029의 SAE가 프로젝트 특성에 국한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네요.

또한 오름테라퓨틱은 이번에 재제출한 증권신고서에서 희망공모가액인 2만4000~3만원으로 제시했고, 지난달 제시한 것보다 20% 낮아진 수준입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916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8:53


결국 반전은 없었네요. 로슈(Roche)가 거의 모든것을 걸었던, TIGIT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베팅에서 완전히 실패한 결과를 내놨습니다.

로슈는 TIGIT 면역관문억제제 분야의 운명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이벤트인 폐암 SKYSCRAPER-01 임상3상 최종 분석결과에서, 26일(현지시간) 결국 전체생존기간(OS)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실패로 로슈가 지난 4~5년 동안 면역관문억제제 분야에서 PD-(L)1에 이은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활을 걸었던, 차세대 면역관문억제제 TIGIT 개발은 사실상 마침표를 찍게 됐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82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5:55


뇌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활성화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TREM2 약물개발 시도가 실패로 끝났네요.

최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분야에 진전이 일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아밀로이드베타(Aβ) 약물 이외에 치료 효능에 대한 임상적 단서는 나오지 않고 있는 모습이네요.

암에서 면역을 활성화하는 PD-1 면역항암제와 같은 아이디어로, 면역항암제 붐이 일던 2010년대 중후반 시작된 신경면역학(immuno-neurology)이라고도 불리는 접근법이다. TREM2는 특히 인간 유전체 분석에서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이 부각됐던 미세아교세포 타깃이었습니다.

그러나 면역신경학 키워드를 대변하던 TREM2 약물개발로 가장 앞서가던 알렉토(Alector)는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 대상 INVOKE-2 임상2상에서 TREM2를 활성화하는 항체(activating antibody) ‘AL002’이 1차 종결점으로 설정한 효능 지표에 도달하는데 실패했으며, 2차 종결점이나 어떤 기능적 종결점(functional endpoint)에서도 AL002를 선호하는 경향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68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5:47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3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4:26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스페인 에일릭스 테라퓨틱스(Aelix Therapeutics)와 공동개발을 진행해온 HIV 치료용 백신을 인수했습니다.

길리어드는 지난 2018년 에일릭스와 임상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해 에일릭스의 HIV 백신과 길리어드의 TLR7 작용제를 병용투여하는 임상2a상을 진행해 왔습니다. 에일릭스는 지난해 임상2a상의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으며 이후 길리어드가 이번 백신 인수를 결정했습니다.

에일릭스의 백신은 HIV의 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용 백신으로, HIV에 대한 T세포의 면역반응을 높여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더 이상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0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1:5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74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1:5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77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1:5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75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1:0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가 존스홉킨스의대 췌장암 외과의 마티 마카리(Marty Makary)를 FDA 국장으로 공식 지명했습니다. 마카리는 70억달러 이상의 예산을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규제기관, FDA를 이끌게 될 것으로 에상됩니다.

트럼프는 “FDA는 미국인의 신뢰를 잃었으며 규제기관으로서 주요 목표를 잃었다”며 “종양외과의이자 의료정책 전문가인 마카리가 기관의 방향을 바로잡고 목표에 재집중하도록 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마카리는 미국 보건시스템이 파괴됐으며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보는 인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그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때 정부의 의사결정 방식을 비판하며 정부를 “팬데믹 기간 동안의 가장 큰 허위정보 유포자”라고 저격하면서 이름이 알려졌으나, 스스로를 백신 찬성론자(pro-vaccine)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마카리가 상원에서 인준을 받게 되면 심장내과 전문의인 로버트 클리프(Robert Califf)의 뒤를 잇게 됩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59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0:22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71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0:21


미국 브릿지바이오파마(BridgeBio Pharma)가 다사다난했던 임상개발 과정을 거친 끝에 TTR 안정화 약물인 ‘아코라미디스(acoramidis)’를 심근병증 치료제로 미국 시판허가를 받는데 성공했습니다.

아코라미디스는 브릿지바이오가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주력 프로그램으로, 아밀로이드 심근병증(ATTR-CM) 치료제로 시판허가를 통해 한해 수십억달러의 매출을 예상해 왔습니다. 그러나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2021년 아코라미디스의 ATTR-CM 임상3상에서 운동기능에 대한 효능지표를 달성하는데 실패하며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당시 실패에도 회사는 아코라미디스의 임상3상을 지속하기로 결정했으며, 이후 구조조정, 다른 파이프라인 및 지분매각, 아코라미디스의 로열티 및 유럽권리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등 힘겹게 개발을 이어왔습니다. 이어 지난해 7월 임상3상에서 끝내 1차종결점 충족에 성공하며 허가신청을 진행했고 이번에 시판허가를 받게 됐습니다.

아코라미디스는 현재까지 시장을 독점해온 화이자(Pfizer)의 TTR 안정화약물 '타파미디스'와 본격 경쟁을 벌이게될 전망이며, 앨라일람(Alnylam)의 RNAi 약물 '암부트라(Amvuttra)'도 내년 FDA 승인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3

바이오스펙테이터

26 Nov, 00:17


일본 쿄와기린(Kyowa Kirin)이 쿠라 온콜로지(Kura Oncology)로부터 혈액암 임상2상 단계에 있는 메닌(menin) 저해제를 계약금만 3억3000만달러, 총 14억9100만달러에 사들였습니다.

쿠라가 급성골수성백혈병(AML)을 적응증으로 허가 임상2상을 진행중인 ‘지프토메닙(ziftomenib, KO-539)’의 미국내 50:50 공동권리, 미국외 지역에 대한 독점적(exclusive) 권리 등을 확보하는 계약입니다.

메닌저해제는 얼마전 시장진출에 성공한 새로운 AML 타깃으로, 쿠라의 경쟁사인 신댁스(Syndax)의 ‘레부포지(Revuforj)’가 지난 15일 첫 메닌저해제로 미국 시판허가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쿄와기린은 메닌저해가 전체 AML의 50% 가량을 타깃할 수 있으며, 지프토메닙과 표준치료제(SoC) 병용요법에 기반한 1차치료제 세팅을 통해 한해에 30억달러의 매출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6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22:1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5, MON) #전체기사

재즈 “HER2 침투시작”, BTC서 '첫 이중항체' 美가속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46

루닛, RSNA서 'AI 진단솔루션' "역대최다" 20건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2

삼양그룹, 바이오팜그룹장에 김경진 사장 "선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5

테라젠이텍스, 메드팩토 지분 16.65% "전량 매각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4

일동 아이리드, ‘항섬유화 약물’ 비임상 “美학회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58

노바티스도 ‘근육 AAV’ 확대, 케이트 “11억弗 인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48

제일약품, P-CAB ‘자큐보’ 3상 아시아 소화기학회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0

한올바이오, ‘Nurr1 신약’ “긍정적 1상..PD 임상 추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1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약물 1상 “美 첫 환자투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2

한미약품, '4-1BBxPD-L1 이중항체' 1상 "SITC 업데이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3

화이자, 플래그십 기업 2곳과 '비만·폐암' 등 타깃 발굴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47

"변화 꾀한" 할로자임, 에보텍 인수 "7일만에 철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6

머스트바이오, 'αPD-1/IL-2v' 비임상 "KDDF 과제선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7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5, MON)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6:39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67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4:59


화이자(Pfizer)가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설립한 회사 두 곳과 협력해 비만, 비소세포폐암(NSCLC) 등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할 예정입니다.

이번 딜을 통해 화이자의 비만 치료제 개발에 협력하게 될 회사는 암퍼샌드 바이오메디슨(Ampersand Biomedicines)이며, NSCLC에 대한 저분자 화합물 치료제 개발에 함께하는 회사는 몬타이 테라퓨틱스(Monatai Therapeutics)입니다.

이번 딜은 화이자와 플래그십이 지난해 7월 혁신의약품 개발을 위해 맺은 70억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이뤄진 계약이며, 플래그십과 플랫폼 기업은 화이자가 선택한 약물 1건에 대한 마일스톤 등으로 최대 7억달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47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4:31


피하투여(SC) 제형변경 기술의 대표주자 할로자임(Halozyme)이 에보텍(Evotec)을 인수해 영역을 넓히려고 했던 야망이, 불과 1주일만에 일단락됐네요.

앞서 할로자임은 공개적으로 에보텍을 주당 11유로, 총 20억유로 규모에 인수하기 위한 구속력이 없는 인수제안(non-binding proposal)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할로자임은 22일(현지시간) 에보텍이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참여의지 부족(unwillingness)으로 인해 이러한 제안을 철회한다고 밝혔습니다.

헬렌 토리(Helen Torley) 할로자임 대표는 “회사와 에보텍과의 합병이 차별화된 글로벌 서비스 회사를 만들 것이라고 계속해서 믿고 있다”라면서 “그러나 에보텍은 잠재적인 합병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와 논의하기를 꺼려왔으며, 에보텍 대변인은 독립적인 회사로 남겠다는 목표를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이에 따라 우리의 인수 제안을 철회한다”고 말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66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2:27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63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2:11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2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1:21


한올바이오파마가 파킨슨병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Nurr1 활성화약물(Nurr1 activator) ‘HL192(ATH-399A)’의 임상1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확보했습니다.

HL192는 뉴론 파마슈티컬즈(NurrOn Pharmaceuticals)가 발굴한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Nurr1을 활성화해 체내 도파민 수치를 높이고, 신경세포 사멸을 막는 기전의 약물입니다. 2023년 한올바이오와 대웅제약과 HL192의 공동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임상1상은 마이클 J.폭스 재단(Michael J. Fox Foundation, MJFF)으로부터 170만달러(약 23억원)의 연구 보조금을 지원받아 진행했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61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0:54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60

바이오스펙테이터

25 Nov, 00:51


노바티스(Novartis)가 케이트 테라퓨틱스(Kate Therapeutics)를 비공개 계약금을 포함, 총 11억달러에 인수했습니다. 케이트 인수를 통해 신경근육질환에 대한 AAV 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더 넓히게 됐습니다.

노바티스는 유전자치료제 분야 선두그룹으로, 희귀 신경근육질환인 척수성근위축증(SMA) 유전자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를 지난 2019년부터 시판하고 있습니다. 노바티스는 유전자치료제에 꾸준히 투자를 이어오고 있으며, 주로 보이저 테라퓨틱스(Voyager Therapeutics) 등과 신경질환에 대한 파트너십을 확대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케이트를 인수하며 현재 유전성 근육질환 분야에서 개발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뒤센근이영양증(DMD), 안면견갑상완형 근이영양증(FSHD) 적응증 등에 대한 전임상 단계 AAV 에셋을 확보했습니다. 노바티스는 케이트의 AAV 기술이 근육에 대한 선택성을 높여 오프타깃(off-target) 독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3648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22:24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1, THU) #전체기사

J&J “큰 기대”, ‘경구’ IL-23 저해제 건선 3상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0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 매입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0

리젠엑스, 차세대 DMD ‘AAV‘ 허가임상 “투약 시작”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5

릴리, "경쟁치열" Lp(a) 저해제 '경구용' 2상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3

GSK, ‘IBAT 저해제’ PBC 소양증 3상 결국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1

노바티스도 “합류”, ‘in vivo’ CAR-T 비리어드와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4

지아이셀, 튀르키예 TCT와 ‘동종 NK’ L/O MOU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8

한미약품, ‘GLP-1’ 비만 3상 모집완료..내년 ‘UCN2’ 1상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6

프로젠, 유한양행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4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1,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6:30


한미약품이 비만약으로 개발하고 있는 주1회 투여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의 국내 임상3상 환자등록을 완료했네요.

당초 예정했던 개발 타임라인과 비교해 임상개발 기간을 6개월 정도 단축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따라 상용화 목표 시점을 기존의 2027년에서 오는 2026년 하반기로 앞당겨 재조정했습니다.

국내에서 연간 1000억원 이상 매출을 내는 블록버스터 품목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웠네요.

한미약품은 비만 프로젝트의 개발 현황을 업데이트하면서, 오는 2025년 하반기 신규 비만에셋인 UCN2 유사체(analog) ‘HM17321’의 임상1상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공개했습니다. GLP-1 기반 인크레틴 약물의 한계점인 근손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접근법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6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5:57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8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5:26


노바티스(Novartis)도 비리어드(Vyriad)와 파트너십 딜을 체결하며, 점차 개발이 늘어나고 있는 인비보(in vivo) CAR-T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현재 애브비, 아스텔라스파마, 모더나 등이 인비보 기반 세포치료제 개발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으로, CAR-T의 투약편의성 및 제조절차를 개선할 수 있는 인비보 접근법에 점차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이번 딜을 체결한 비리어드는 지난 2015년 설립된 미국의 비상장사로, 국내 미래에셋벤처투자(Mirae Asset Venture Investment)가 펀딩에 참여한 회사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비리어드는 설립초기에 항암바이러스(OV)에 포커싱했으나, 올해 CAR-T로 치료제 영역을 본격적으로 확대한 이후 이번에 노바티스와 딜을 체결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4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3:37


GSK가 원발성 담즙성담관염(PBC)으로 인한 소양증(pruritus)을 적응증으로 진행한 IBAT 저해제의 임상3상에서 결국 긍정적인 결과를 거뒀습니다.

GSK가 개발중인 IBAT 저해제 ‘리네릭시배트(linerixibat)’는 4년전 임상2b상에서 1차종결점 달성에 실패했던 에셋으로, 당시 GSK는 리네릭시배트의 개발을 포기하지 않고 임상3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환자군에 포커싱해 개발을 이어나가 성공을 거두게 됐습니다.

PBC의 소양증은 치료제로 타깃이 어려운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서야 지난 8월 미국에서 PBC 치료제로 가속승인을 받은 길리어드(Gilead Sciences)의 PPARδ 작용제 ‘리브델지(Livdelzi)’가 3상에서 가려움증 개선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GSK는 PBC 환자의 최대 90%가 소양증을 앓고 있으며, PBC 환자의 절반정도는 치료가 필요한 수준의 가려움증을 겪는다고 설명합니다. 회사는 리네릭시배트가 PBC 소양증에 대해 효과적인 ‘첫 글로벌 치료제(first global therapy)’가 될 잠재력을 가졌다고 기대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1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1:34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경구용 Lp(a) 저해제(disruptor) 후보물질 ‘무발라플린(muvalaplin)’의 임상2상에서 혈중 Lp(a) 수치가 최대 85.8% 감소한 것을 확인하며 1차종결점을 충족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9월 발표한 무발라플린 임상1상에서 Lp(a)를 최대 65% 감소시킨 것보다 더 높은 수치입니다.

지난 10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무발라플린과 유사한 경구용 Lp(a) 저해제를 계약금 1억달러에 사들이며 경쟁에 합류했는데, 해당 약물은 전임상단계에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번 임상2상 성공으로 릴리는 AZ와 한 발 더 격차를 벌리게 됐습니다.

한편 릴리는 RNAi 모달리티의 Lp(a) 저해제 후보물질 ‘레포디시란(lepodisiran)’을 임상3상에서 개발하고 있으며, 버브 테라퓨틱스(Verve Therapeutics)와 파트너십을 통해 Lp(a) 타깃 in vivo 유전자편집 약물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3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0:20


리젠엑스바이오(Regenxbio)가 차세대 뒤센근이영양증(DMD) 유전자치료제의 임상1/2상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이와함께 허가임상에서 첫 환자투약을 시작했습니다.

리젠엑스가 AAV 기반 유전자치료제로 진행한 DMD 1/2상에서 5명의 소아 환자가 모두 운동기능 개선효능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9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평가한 바이오마커 테스트결과 디스트로핀 발현을 확인했으며, 특히 8세이상 환자군의 경우 경쟁사와 간접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고 회사는 강조했습니다.

리젠엑스는 1세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DMD 유전자치료제의 허가 임상3상을 진행중이며, 오는 2026년 미국에서 가속승인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앞서 DMD 유전자치료제의 시판에 성공한 경쟁사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의 ‘엘레비디스(Elevidys)’보다 더넓은 범위의 연령대를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리젠엑스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5

바이오스펙테이터

21 Nov, 00:09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30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23:59


J&J가 경구용 IL-23 수용체 저해제의 판상건선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한 긍정적인 결과를 거뒀습니다.

J&J는 이번 IL-23 저해제인 ‘이코트로킨라(icotrokinra, JNJ-2113)’에 높은 기대를 걸고 있으며, 기존 주사제형 IL-23 저해제보다 투약편의성을 개선해 한해 최대 5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J&J는 이번 임상3상의 효능, 안전성 결과를 함께 고려했을 때 ‘업계최고 수준(industry-leading)’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번 임상에서 더 나아가 현재 건선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는 BMS의 TYK2 저해제 ‘소틱투(Sotyktu)’와 이코트로킨라를 직접비교하는 임상3상 결과도 내년초 도출할 예정입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0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22:2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0, WED) #전체기사

머크 “마침내 손에” ‘키트루다 SC' vs IV 3상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19

진에딧, 시리즈B 3500만弗..“전달기술 ‘면역’ 본격확장”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17

삼성바이오, 창립이래 연누적 수주액 “첫 5조 돌파”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2

쓰리빌리언, 소마젠과 美희귀질환 유전자진단 MOU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4

딥바이오, PathAI 플랫폼에 '전립선암 진단' 통합 계약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5

종근당홀딩스, CKD '트러스트 파트너스 데이' 개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7

인텔리아, 'in vivo CRISPR' 1상 "긍정적"..TTR 90%↓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9

GSK, ‘BCMA ADC’ MM 3상 마침내 “OS개선 성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3

프로티나, JW중외 ‘STAT3 저해제’ 임상솔루션 계약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6

노바티스, 래시오와 ‘차세대’ SSTR2 RLT “7.5억弗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6

오름, 'GSPT1 DAC' 1상 "SAE 발생..환자모집 중단"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8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20, WED)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7:29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의 리드 프로그램인 GSPT1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ORM-5029’의 임상1상에서 1명의 환자에게서 심각한 부작용(SAE)가 발생하면서, 환자 모집이 중단됐네요.

오름은 이를 FDA에 보고했으며, ‘이번 부작용 원인을 상세히 조사하고 위험을 관리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ORM-5029는 HER2 항체 ‘퍼투주맙(pertuzumab)’에 페이로드(payload)로 GSPT1 분해약물(degrader)을 결합시킨 약물이며, HER2 발현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지난 2022년 10월부터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NCT05511844).

아직까지 ORM-5029의 임상1상 중간 결과는 공개된 바 없으며, 당초 오름은 오는 2025년 하반기 ORM-5029의 임상 데이터를 발표할 계획이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8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6:06


노바티스(Novartis)가 래시오 테라퓨틱스(Ratio Therapeutics)와 차세대 SSTR2 타깃 방사성리간드치료제(RLT) 개발을 위해 계약금을 포함 총 7억45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습니다.

노바티스는 이번 딜을 통해 베타방사체(β-emitter) 기반의 SSTR RLT인 ‘루타테라(Lutathera)’의 뒤를 이은 알파(α) 방사체 기반 약물개발에 투자하는 움직임입니다. 래시오는 알파 동위원소인 악티늄-225(225Ac)를 탑재한 방사성의약품치료제를 전문으로 개발하는 바이오텍으로, 바이엘(Bayer)과도 PSMA 타깃 약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노바티스는 현재 시판하고 있는 베타방사체 방사성의약품을 넘어 알파방사체 파이프라인도 계속해서 확대해가고 있으며, 지난 5월에는 거대고리 펩타이드 바인더와 알파방사체 에셋을 보유한 마리아나 온콜로지(Mariana Oncology)를 10억달러에 인수한 바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6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2:26


인텔리아 테라퓨틱스(Intellia Therapeutics)가 CRISPR/Cas9 기반 in vivo 유전자편집 치료제 후보물질 ‘NTLA-2001(nexiguran ziclumeran, nex-z)’을 평가한 트랜스티레틴(TTR) 아밀로이드증(ATTR) 임상1상에서 혈중 TTR 농도를 90%가량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습니다.

NTLA-2001의 개발은 인텔리아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후보물질은 인텔리아와 리제네론(Regeneron)이 파트너십을 통해 공동개발하는 최대 15개 타깃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인텔리아 이번 임상1상결과는 ATTR기반 다발성신경병증인 ATTR-PN, 심근병증인 ATTR-CM 모두 효과가 있었습니다. TTR 유전자 타깃 치료제 분야에서 앞서고 있는 앨라일람(alnylam)은 ATTR-PN 치료제인 ‘암부트라(Amvuttra)’를 ATTR-CM으로 적응증확대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9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2:00


단백질 빅데이터 기업 프로티나(PROTEINA)가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과 저분자화합물 기반 STAT3 저해제 ‘JW2286’의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 계약을 체결했네요.

이번 계약에 따라 프로티나는 임상1상 단계에 있는 JW2286의 효능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 및 바이오마커를 개발해 공급할 예정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6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1:54


GSK가 상업화에 재도전하고 있는 BCMA 항체-약물접합체(ADC) ‘블렌렙(Blenrep)’이 마침내 다발성골수종(MM) 임상3상에서 전체생존기간(OS)을 개선하는데 성공했습니다.

GSK는 블렌렙을 다시금 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해 다발성골수종 임상3상을 진행해 왔으며, 무진행생존기간(PFS)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데이터 등에 기반해 올해 중반부터 허가검토를 받아왔습니다. 블렌렙은 2년전 미국에서, 올해 유럽(EU)에서 시판허가가 철회된 상태입니다.

GSK는 블렌렙이 다시 시판허가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OS 개선이 중요하다고 봐왔으며, 이번 업데이트된 결과에서 유의미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으로 OS를 개선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3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1:1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7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1:10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5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0:13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4

바이오스펙테이터

20 Nov, 00:11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글로벌 제약사와 연이은 딜을 체결한 것에 잇따라, 창립 이래 최초로 연누적 수주금액 5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유럽소재 제약사와 총 9304억원(6억6839만달러)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한 것에 따른 기록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22

바이오스펙테이터

19 Nov, 23:53


유전자의약품 개발 바이오텍 진에딧(GenEdit)이 시리즈B로 3500만달러(약 473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완료했습니다. 이로써 진에딧은 누적투자금으로 총 9300만달러를 유치하게 됐네요.

이번 펀딩에 앞서 진에딧은 올해초 로슈 제넨텍(Genentech)과 핵심 기술인 나노갤럭시(NanoGalaxy) 기술을 기반으로 자가면역치료제를 공동연구하는 플랫폼 딜을 체결​했습니다.

이어 대규모 펀딩을 유치한 것으로, 진에딧은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면역질환을 비롯한 핵심 적응증에 대한 연구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진에딧의 질환 초점인 신경질환에서 확장하는 움직임이며, 자체 파이프라인 확장 및 글로벌 제약사와 추가 파트너십도 추진합니다.

이번 라운드는 DSC인베스트먼트가 우리벤처파트너스, 한국투자파트너스와 함께 리딩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17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6:34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9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5:12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601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4:56


J&J(Johnson & Johnson)가 유럽에서도 EGFR 변이 폐암 1차치료제 시장 진입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J&J는 EMA 산하 CHMP로부터 EGFR 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제로 EGFRxMET 이중항체 ‘아미반타’과 EGFR TKI ‘레이저티닙’의 시판허가를 권고받았습니다.

J&J는 올해 8월 FDA로부터 1차치료제로 먼저 침투하며, 니치시장인 EGFR 엑손20 삽입변이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있는 메인 시장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다만 아스트라제네카의 병용요법이 한발 빨랐으며, 앞서 올해 7월 EMA로부터 타그리소와 화학항암제 병용요법에 대해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제로 시판허가를 받아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3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3:13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8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3:0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7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3:04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6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2:39


에자이(Eisai)의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레켐비(Leqembi, 성분명: lecanemab)’가 유럽(EU)에서 시판허가를 위한 재심사를 진행한 끝에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승인권고 의견을 받았습니다.

레켐비는 앞서 지난 7월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ARIA 등 안전성 문제로 인해 이익위험 프로파일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승인거절 권고를 받은 바 있습니다.

이후 에자이는 EMA에 레켐비의 허가여부에 대한 재심사(re-examination)를 요청했으며, 결국 CHMP의 의견을 바꾸며 긍정적인 의견을 받는데 성공했습니다. 다만 레켐비는 ARIA 위험으로 인해 ApoE4 유전자를 동형접합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군은 처방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4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2:33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5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1:43


크로노스바이오(Kronos Bio)가 임상1/2상에서 다수의 난소암 환자에서 신경학적(neurological) 독성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남아있는 임상에셋인 CDK9 저해제 ‘이소티소시클립’ 개발을 중단합니다.

크로노스는 암과 자가면역질환에서 전사인자를 타깃하는 저분자화합물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으로, 지난해 1월 로슈 제넨텍과 항암제 발굴 딜을 체결한 회사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는데요.

그러나 최근 크로노스는 어려운 시간을 보내왔습니다. 지난해말 길리어드사이언스(Gilead Sciences)로부터 도입한 후속 SYK 저해제도 혈액암 환자에게서 효능부족 이슈로 추가 개발 중단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잇따라 인력 구조조정을 거쳤습니다.

크로노스는 CDK9 저해제의 임상에서 본 ‘초기 효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에 리소스를 집중하면서 돌파구를 찾으려고 했으나, 예상대로 흘러가지 않게 됐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5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0:41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3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0:34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9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0:28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90

바이오스펙테이터

18 Nov, 00:03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7

바이오스펙테이터

17 Nov, 23:3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5

바이오스펙테이터

17 Nov, 23:16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비소세포폐암(NSCLC) 대상 AI 기반 디지털 병리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은 루닛이 지난 2023년 초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글로벌 시장에 첫 출시한 이후, 글로벌 빅파마 본사와 직접 체결한 최초의 계약이네요.

양사 협업의 핵심은 루닛이 올해 초 개발을 완료한 AI 병리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지노타입 프리딕터(Lunit SCOPE Genotype Predictor)’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 솔루션은 병리 진단 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조직염색 방식인 H&E 슬라이드 이미지만으로 비소세포폐암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4

바이오스펙테이터

17 Nov, 23:03


할로자임(Halozyme)이 기회를 포착하고 에보텍(Evotec)을 20억유로 규모에 인수하겠다는 제안을 했네요.

할로자임은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기반 피하투여(SC) 제형변경 플랫폼의 대표주자이며, 오는 2027년 미국에서 해당 인핸즈(ENHANZE®) 플랫폼의 물질조성 특허만료를 앞두고 그 다음을 고심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바로 지난주 사모펀드회사인 트리톤 파트너스(Triton Partners)가 에보텍의 지분을 9.9%까지 늘리면서, 에보텍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업계의 소식이 나온 직후의 움직임입니다.

이 소식에 당일 에보텍의 주가는 21.32% 올랐으며, 할로자임의 주가는 15.40% 하락했네요. 할로자임은 올해 2분기말 기준으로 6억6600만달러의 현금, 현금성자산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2

바이오스펙테이터

17 Nov, 22:2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15, FRI) #전체기사

노바티스, 슈뢰딩거와 ‘非종양학’ 신약개발 “24억弗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4

대웅제약, 美비탈리서 ‘BTK/ITK 저해제’ 계약해지 통보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6

LG화학, ‘XO 저해제’ 통풍 3상 “1차 종결점 달성”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2

‘ARCH 설립’ 멧세라, 시리즈B 2.15억弗..”비만임상 가속”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6

머크까지 "빠르게", PD-1xVEGF에 계약금 5.9억弗 '베팅'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1

셀트리온, 스위스 제약유통사 '아이콘' 300억에 인수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7

동아ST, 중장기 항암·면역 “집중”..외부물질 도입 추진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8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105만주 블록딜 매각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15, FRI)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8:26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80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6:10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8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3:16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7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3:14


‘키트루다’의 미국 머크(MSD)까지 PD-1과 VEGF 이중항체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이제는 더이상의 수식어는 필요없어지게 됐습니다. 머크까지 참전하면서 앞으로 당분간 항암제 분야의 화두는 PD-(L)1과 VEGF 이중항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침내 지난 몇 년간 지속됐던 항암제 분야의 트렌트가 ADC에서, 오랜 타깃이라고 여겨졌던 VEGF 기반의 이중항체 키워드로 움직이고 있는 모습이네요.

주시할 것은 머크가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며, 시시각각 달라지는 경쟁 속에서 이제는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머크는 개발 경쟁에서 시간을 사기 위해 계약금으로만 5억8800만달러를 베팅하며, 중국 라노바 메디슨(LaNova Medicines)으로부터 ‘LM-299’을 인수했습니다. 1상에 들어간지 채 한달이 안 된 시점에서의 딜입니다.

머크는 일단은 말을 아끼고 있지만, 딘 리 머크연구소 회장은 “빠르고, 엄격하게(rigor) 개발을 진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1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2:27


비만치료제를 개발하는 멧세라(Metsera)가 시리즈B로 2억1500만달러를 유치했습니다.

올해 4월 시리즈A로 2억9000만달러를 펀딩하며 출범한 이후 불과 7개월만에 2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또 받으며 누적 투자금이 5억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멧세라는 지난 2022년에 파퓰레이션 헬스파트너스와 ARCH 벤처파트너스가 공동으로 설립했으며,국내 디앤디파마텍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회사로 멧세라가 디앤디로부터 비만 치료제를 라이선스인(L/I)하는 등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멧세라는 9월에 1상에서 36일만에 7.9%의 체중감소를 확인한 주사제형 GLP-1 작용제 ‘MET-097i’를 내년 상반기 결과도출을 목표로 비만 임상2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에셋 및 다른 비만 파이프라인 에셋의 임상 개발 가속화를 목표로 이번 투자금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6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0:39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2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0:31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6

바이오스펙테이터

15 Nov, 00:27


노바티스(Novartis)가 슈뢰딩거(Schrödinger)와 계약금만 1억5000만달러, 총 24억달러가 넘는 파트너십 딜을 체결하며, 슈뢰딩거의 분자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나섰습니다.

슈뢰딩거는 물리학과 화학에 기반한 분자모델링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바이오텍으로, 현재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붐 속에서도 회사의 물리기반 모델링 전략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슈뢰딩거는 앞서 BMS, 일라이릴리 등과도 신약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1억달러가 넘는 계약금으로 딜을 성사시켰습니다.

노바티스는 최근 AI 신약개발 분야에도 관심을 높여가고 있으며 올해초 구글의 아이소모픽 랩스, 2달전 플래그십의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과도 파트너십딜을 체결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4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22:0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14, THU) #전체기사

로슈, 플레어와도 ‘전사인자 타깃’ 항암제 18.7억弗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5

제일약품, 소화기 국제학술대회 'KDDW 2024' 참가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7

진에딧, '모더나 출신' 모라 CSO 영입.."면역학 확장"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4

넥스트큐어 "베팅", 리가켐 'B7-H4 ADC' "내년초 1상"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9

네오이뮨텍, ‘IL-7+CAR-T’ 림프종 1b상 “안전성 확인”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8

바이오엔텍 "키트루다 넘겠다", '이중항체社' 8억弗 인수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3

머스트바이오, ‘αPD-1/IL-2v’ 전임상 결과 “SITC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14,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6:56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70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3:19


마침내 바이오엔텍(BioNTech)이 PD-1 항체 ‘키트루다’의 아성을 넘을 기회를 포착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라이선스 딜을 체결한지 1년만에 PD-L1xVEGF 이중항체 파트너 바이오테우스(Biotheus)를 8억달러를 주고 아예 인수합니다.

좀처럼(?) 인수딜을 하지 않는 바이오엔텍이 지금까지 체결한 가장 큰 규모의 딜이며, 올해 3분기 기준 바이오엔텍은 178억유로의 현금을 쌓아두고 있습니다.

바이오엔텍은 mRNA 코로나 백신 개발사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까지 초점은 면역항암제에 맞춰져 왔으며 최근 ADC에도 잇따라 베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바이오엔텍은 계속해서 차세대 면역조절제를 찾고 있었고, 현재로서 사실상 임상3상에서 키트루다를 유일하게 이긴 VEGF와 PD-(L)1 저해 기전에 승부를 걸고 있습니다.

우구르 사힌 CEO는 “기존의 면역관문억제제를 뛰어넘어 새로운 표준요법(SoC)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3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2:34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8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1:38


넥스트큐어(NextCure)가 내년초 리가켐바이오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B7-H4 ADC의 임상1상 진입을 추진한다. 넥스트큐어는 지난 2022년부터 B7-H4 ADC ‘LNCB74(LCB41A)’를 공동개발하고 있으며, 올해말 FDA에 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앞서 넥스트큐어는 R&D 구조조정을 하면서, 우선순위와 리소스를 LNCB74에 베팅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넥스트큐어는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등 적응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임상1상 용량증량 코호트는 65명을 대상으로 5개 용량의 LNCB74를 3주간격으로 투여해 평가할 예정이다. 이후 용량확장부터는 2개 암종을 대상으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내년 4분기 LNCB74에 대한 개념입증(PoC) 데이터를 확보할 것으로 회사측은 전망하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9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0:20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바이오텍 진에딧(GenEdit)이 로드리고 모라(J. Rodrigo Mora) 박사를 최고과학책임자(CSO)로 영입했네요.

이번 영입은 진에딧의 ‘나노갤럭시(NanoGalaxy)’ 플랫폼을 활용해 조직 특이적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확대하기 위한 것입니다. 나노갤럭시는 기존 전달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비바이러스성(non-viral), 비지질성(non-lipid) 친수성 폴리머(hydrophilic polymer) 기반의 전달기술입니다.

진에딧에서 모라 CSO는 기존의 주력 분야인 신경질환에서 나아가, 면역학(immunology)과 면역항암제(immuno-oncology) 분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R&D 프로그램을 주도할 예정입니다.

이로써 올해 1월 체결한 제넨텍(Genentech)과의 공동연구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4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0:14


로슈(Roche)가 플레어 테라퓨틱스(Flare Therapeutics)와 전사인자를 타깃하는 항암제 개발을 위해 계약금 7000만달러, 마일스톤 18억달러 이상 규모의 파트너십 딜을 체결했습니다.

로슈는 기존에 약물개발이 어려운 전사인자 타깃에 관심을 이어오고 있으며, 지난해 1월 크로노스 바이오(Kronos Bio)와도 5억7400만달러 규모로 비공개 전사인자 타깃에 대한 항암제 개발 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로슈는 이번에는 전사인자 복합체의 ‘스위치사이트(switch site)’를 타깃한다는 플레어의 기술에 투자하며 전사인자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게 됐습니다. 또한 플레어는 전사인자 생화학 전문가로 알려진 스티븐 맥나이트(Steven L. McKnight) 교수가 지난 2021년 공동설립한 회사입니다.

맥나이트 교수는 전사인자 표적치료제 개발사인 펠로톤(Peloton), 툴라릭(Tularik)의 공동설립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펠로톤은 지난 2019년 미국 머크(MSD)에 피인수됐고 현재 블록버스터 치료제로 기대받고 있는 HIF-2α 저해제 ‘웰리렉(Welireg)’을 신장암 치료제로 시판하고 있습니다. 툴라릭은 지난 2004년 암젠(Amgen)에 13억달러 규모로 피인수됐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5

바이오스펙테이터

14 Nov, 00:11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7

바이오스펙테이터

13 Nov, 22:1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13, WED) #전체기사

길리어드, 'TROP2 ADC' 폐암2차 '결국' 중단.."패배 인정"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5

아이디야, Biocytogen ‘이중항체 ADC’ 650만弗 옵션행사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46

CJ바사, 면역관문억제제 ‘치료예측’ AI모델 “SITC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6

루닛, VIDI와 프랑스 400여개 기관 ‘AI’ 공급 파트너십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7

AZ "허가결정 목전에", 'TROP2 ADC' 폐암 BLA "철회"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3

알로진, ‘동종’ CD70 CAR-T 신장암 1상 “안전성 발목?”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7

스파크바이오, 동아에스티와 신약발굴 협업 MOU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9

동아 앱티스, ADC 파이프라인·링커 “월드ADC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8

뷰노, 3분기 매출 69억.."7분기 연속" 매출 증가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0

애브비, 세러벨 '무스카린 작용제' 조현병 2상 "실패"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2

루닛, 3Q누적 매출 341억.."볼파라 시너지, 全부문 성장"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13, WED)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13 Nov, 08:29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올해 3분기 누적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 341억원을 기록했네요. 이는 전년동기 대비 73.4% 증가한 수치입니다. 올해 3분기 매출은 16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13.4% 증가했습니다.

이번 3분기 실적에는 지난 5월 루닛이 인수 완료한 자회사 볼파라 헬스(Volpara Health)의 실적이 처음으로 전체기간 반영되며 시너지 효과가 본격화됐습니다. 특히 구독 기반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매출이 전체의 97%를 차지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익 기반을 구축했다는 자체 평가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2

바이오스펙테이터

13 Nov, 05:32


애브비가 M4 선택적 무스카린 작용제(muscarinic agonist)인 ‘엠라클리딘(emlaclidine)’으로 진행한 조현병 임상2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하며 실패했습니다.

엠라클리딘은 작년에 애브비가 세러벨 테라퓨틱스(Cerevel Therapeutics)를 87억달러에 인수하며 확보한 주요에셋이기도 합니다.

애브비는 BMS, 뉴로크린 바이오사이언스(Neurocrine Biosciences)와 함께 무스카린 작용제를 이용한 조현병 치료제 개발 경쟁구도에 있었습니다.

BMS가 올해 9월 FDA로부터 ‘코벤피(Cobenfy)’를 시판허가 받으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애브비는 이번에 경쟁에서 한발 더 뒤쳐지는 결과를 내놨네요.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52

바이오스펙테이터

13 Nov, 03:20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60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9:07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43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6:45


ADC 테라퓨틱스(ADC Therapeutics)가 PBD 톡신 페이로드를 사용한 AXL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ADCT-601’의 개발을 중단합니다.

ADCT-601의 개발중단은 임상1b상에서 평가한 유익성-위험성 프로파일(benefit-risk profile)이 유망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것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ADCT는 아직 개발초기단계에 있는 ‘엑사테칸(exatecan)’ 페이로드를 사용한 ADC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구체적인 타깃을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클라우딘-6(claudin-6), PSMA(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NaPi2b, ASCT2 등에 대해 평가하고 있으며 타깃 하나를 선정해 내년에 IND 제출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6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5:27


리가켐바이오가 1세대 고리형 디뉴클레오티드(cyclic dinucleotide, CDN) STING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non-CDN STING 작용제(agonist)를 공개했습니다.

기존에 임상에서 제한적인 효능을 보이며 개발이 중단됐던 종양내 국소투여(IT) STIGN 작용제와 달리 전신투여가 가능한 형태입니다.

리가켐바이오는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진행된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non-CDN STING 작용제 ‘LCB39’의 비임상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리가켐바이오는 오는 2026년 상반기 글로벌 임상1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단독투여와 저분자화합물, 항체-약물접합체(ADC), 면역관문억제제 등과 병용투여 약물로서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4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2:57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40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2:37


한미약품이 드디어 비만에서 ‘비(非) 인크레인(incretin)’ 약물이라는 패를 꺼내들었습니다.

그동안 한미약품은 GLP-1 계열 인크레틴 명가로, 2000년초부터 대사질환에서 약물개발을 진행해왔는데요. 이어 201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비만 인크레틴 약물의 붐 속에서 한미약품은 침착하게 이를 예의주시하며,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을 고민해왔습니다.

그런면에서 올해 비만 영역에서, 한미약품의 움직임은 남달랐다. 올해 ADA에서 비만 삼중작용제를 첫 공개한 이후, 내년 임상2상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CRF2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UCN2 유사체 ‘HM17321’을 첫 공개했습니다.

최인영 R&D센터장은 “우리는 기본적으로 명확한 차별화가 돼야 공개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작년말부터 약속드렸던 공개시점에 따라 발표를 진행하고 있으며, H.O.P 프로젝트와 관련해 경구용(oral) 제제, 패치(patch) 제제 등도 순차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05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1:00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차세대 FcRn 항체 ‘HL161ANS(IMVT-1402)’의 신규 적응증으로 류마티스관절염(RA)에 대한 임상을 추진합니다. 이뮤노반트는 내년 1분기까지 류마티스관절염에 대한 ‘잠재적인 허가임상(potentially registrational study)’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류마티스관절염에서 FcRn 약물의 가능성을 보여준 개념입증(PoC) 데이터로, J&J가 류마티스관절염 임상2상에서 FcRn 항체 ‘니포칼리맙(nipocalimab)’이 체내 병인성 자가항체(ACPA)를 감소시키며 약물 반응정도에 따라 증상을 완화시킨 결과를 발표한 바 있는데요.

이뮤노반트는 ACPA가 높은 환자에게서 IgG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더 큰 임상적 이점을 가질 것이라고 판단해 류마티스관절염 임상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7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0:52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8

바이오스펙테이터

11 Nov, 00:11


덴마크 젠맙(Genmab)이 B7-H4xCD3 T세포 인게이저(TCE)를 포함해 바이오엔텍(BioNTech)과 공동개발을 진행해오던 에셋 등 초기임상 단계의 3가지 이중항체의 개발을 중단했습니다.

젠맙이 이번에 중단하는 에셋은 B7-H4xCD3, CD30xCD3와 바이오엔텍과 공동개발을 진행중인 비공개 타깃의 이중항체 등 3가지 약물입니다. 젠맙은 해당 3가지 약물이 내부적으로 설정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개발을 중단하게 됐다고 설명했으며, 구체적인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젠맙은 이번 중단결정과 함께 현재 후기단계에서 개발하고 있는 3가지 에셋의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이 중에는 젠맙이 지난 4월 프로파운드바이오(ProfoundBio)를 18억달러에 인수하며 확보한 FRα 항체-약물접합체(ADC) 등이 포함됩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2

바이오스펙테이터

10 Nov, 23:31


루닛(Lunit)은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된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희귀암 환자 대상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예측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미국 텍사스대 MD앤더슨 암센터(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와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10개의 희귀 암종 환자 84명의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500건 이상의 생검 조직에 대한 종양미세환경(TME) 변화를 분석했으며, SITC 학술위원회로부터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구두발표(rapid oral presentation) 세션 및 SITC 100대 연구초록(SITC TOP100 abstracts)에 선정됐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3

바이오스펙테이터

10 Nov, 22:0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08, FRI) #전체기사

탱고, 합성치사 ‘PRMT5’ 1/2상 중단..“CNS 효능부족”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0

에이비엘, PEGS Europe서 ‘4-1BB 플랫폼’ “구두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1

듀켐바이오, '코스닥이전' 상장 예비심사 "통과"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3

노보노, KBP서 13억弗 L/I 'MR 길항제' 결국 "포기"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3

SK바팜, 3Q 매출 1366억.."4분기 연속흑자 기록"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9

사렙타, 차세대 DMD 엑손스키핑 개발 "전면 중단"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0

알테오젠, 다이이찌산쿄와 '엔허투 SC' 독점 "3억弗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08, FRI)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08 Nov, 04:24


알테오젠(Alteogen)이 이번엔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블록버스터 ‘엔허투(Enhertu, T-DXd)’에 대한 피하투여(SC) 제형 플랫폼 딜을 체결했습니다.

알테오젠은 앞서 올해 2월 미국 머크(MSD)와 ALT-B4를 PD-1 블록버스터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에 독점적용하는 것에 대한 변경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30

바이오스펙테이터

08 Nov, 01:30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9

바이오스펙테이터

08 Nov, 01:00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RA) ‘오세두레논(ocedurenone)’의 개발을 결국 포기했습니다.

노보노는 이번 포기 결정에 앞서 올해 6월 오세두레논의 고혈압 임상3상 중간평가에 실패했으며 해당 임상은 중단했습니다. 이후 다른 임상의 개발여부를 재평가하고 있었습니다.

오세두레논은 노보노가 지난해 KBP 바이오사이언스에서 13억달러규모로 라이선스인한 약물입니다. 인수 당시 바이엘(Bayer)의 MRA 시판약물 ‘케렌디아(Kerendia, finerenone)’와 경쟁할 것을 기대했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3

바이오스펙테이터

08 Nov, 00:18


탱고 테라퓨틱스(Tango Therapeutics)가 뇌종양을 주요 적응증으로 개발해온 CNS투과 리드 RPMT5 저해제의 개발을 중단했다. 고형암 임상1/2상에서 교모세포종(GBM) 환자군을 대상으로 저조한 효능결과를 확인한 후에 내려진 결정이다.

탱고는 지난 5월 또다른 합성치사 전략으로 개발해온 USP1 저해제의 고형암 임상1/2상도 안전성 문제로 인해 개발을 중단한 바 있으며, 이후 회사는 PRMT5 타깃에 집중해 파이프라인을 개발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리드 PRMT5 저해제의 개발에 실패하며 주가가 37.8%가량 급락했습니다. 다만 탱고는 PRMT5 타깃을 포기하지는 않았으며, 선택성과 저해효능 등을 개선한 후속 PRMT5 저해제의 개발을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0

바이오스펙테이터

08 Nov, 00:07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21

바이오스펙테이터

07 Nov, 22:13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07, THU) #전체기사

길리어드, “베팅” BCMA CAR-T MM 2상 “ORR 9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01

젠큐릭스, 한국로슈진단과 '암진단 개발·상업화' 협력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09

GC셀 아티바, 머크서 ‘CAR-NK 2종’ 라이선스인 계약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1

ESMO서 내다본 '아미반타맙' 넘어야할 "4가지 이슈"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97

지노믹트리, ‘대장암 조기진단’ 확증 임상시험 완료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2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중기부 '스케일업팁스' 과제 선정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4

빔, 'CRISPR' SCD 1/2상 1명 사망.."컨디셔닝요법 원인"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04

리가켐, World ADC서 ‘Best ADC 플랫폼’ 최고상 수상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5

아이엠비디엑스, 폐결절의 폐암예측 연구결과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6

시스톤, 'ROR1 ADC' ASH 업데이트 "림프종 ORR 43.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7

알토스바이오, 알테오젠헬스케어 흡수합병 결정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8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1/07,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07 Nov, 09:28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8

바이오스펙테이터

07 Nov, 06:34


시스톤이 내달 다가오는 ASH 2024에서 ROR1 ADC가 임상1상 B세포 림프종 환자에게서 ORR 43.5%를 확인한 결과를 업데이트하면서, 개발 전략을 더 구체화해가고 있습니다. 해당 ROR1 ADC ‘CS5001’은 국내 리가켐바이오와 에이비엘바이오가 공동개발해 라이선스아웃한 약물입니다.

바로 앞서 시스톤은 올해 6월 ASCO에서 CS5001의 ‘first-in-human’ 임상1상 결과를 글로벌 학회에서 첫 공개했으며, 혈액암과 고형암에서 초기 효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ASH에서는 추가 림프종 환자에게 최대 195μg/kg 용량을 평가한 최신 데이터를 업데이트합니다.

또한 ROR1 ADC 개발로 가장 앞서가는 미국 머크(MSD)도 MMAE 기반의 ROR1 ADC ‘질로베르타맙 베도틴’의 DLBCL 임상2상 결과를 업데이트합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7

바이오스펙테이터

07 Nov, 04:45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15

바이오스펙테이터

07 Nov, 03:04


빔 테라퓨틱스가 겸상적혈구병(SCD)을 대상으로 개발하는 CRISPR 기반 유전자편집 약물 ‘BEAM-101’의 임상1/2상 초기결과에서 사망 사례 1건이 보고됐습니다.

사망원이는 유전자편집 치료제의 전처리요법인 ‘부설판(busulfan)’에 의한 것으로 BEAM-101이 직접적인 사망원인은 아니었습니다. BEAM-101을 투여한 환자에서는 태아형 헤모글로빈(HbF) 수치가 예상을 상회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부설판은 사망위험, 불임위험 등을 가지고 있어 환자에게 유전자편집 치료에 대한 상당한 장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부설판 등 전처리요법은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빔 테라퓨틱스는 부설판을 대체하기 위해 CD117 항체를 사용하는 전처리요법에 대해서도 개발을 하고 있으며, ASH 2024에서 BEAM-101 임상1/2상과 함께 CD117 항체 전임상 등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504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22:08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8, MON) #전체기사

'블랙스톤 스위처블 CAR-T' 아벤셀, 시리즈B 1.12억弗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8

인텔리아, 'in vivo 편집' 혈관부종 2상 "발작 77%↓"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3

셀트리온, '휴미라 시밀러' 교차처방 3상 美학회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9

GC녹십자-노벨티, 황반변성 항체치료제 “공동개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1

나손, 파킨슨병·통증 ‘최신 CNS모델’ “SfN서 3건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5

JW중외, ‘헴리브라’ 국내 소아환자 "출혈감소 첫 확인"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4

에이비엘, 사노피에 ‘ABL301’ 제조기술 이전 “500만弗 수령”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5

네오이뮨텍, ‘IL-7+PD-1’ 바이오마커 분석 “SITC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8

퍼스트바이오, TPD연구센터장에 이상현 부사장 영입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8

"고군분투" 라이엘, 'CD19/20' 임팩트 인수..ROR1 중단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6

아이엠비디엑스, '액체생검' 담도암 임상결과 "논문"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6

앱클론, CB·CPS발행 310억 결정..데일리파트너스 리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30

HLB그룹, 효소 생산기업 ‘제노포커스’ 800억 인수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3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8, MON)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22:07


애브비(AbbVie)가 얼마전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 타깃 항체의 임상2상을 중단한 이유가 있었네요.

지난 7월 애브비는 경쟁약물인 '도나네맙(donanemab)‘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진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ABBV-916’의 임상2상을 중단한다고 밝히며, “진화하는 경쟁구도 속에서 충분히 차별화(sufficiently differentiated)되지 않기 때문에 개발을 중단한다”고 말하면서 그 다음 행보에 대해 궁금증을 자아냈었습니다.

역시나 ‘신경과학’의 애브비가 가만히 있을 리 없으며, 도나네맙과 비교해서도 경쟁력을 가지는 ‘best-in-class’ 아밀로이드베타 항체를 확보하기 위해 더 멀리 내다보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차별화를 위한 키워드는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 기술이었습니다.

애브비는 28일(현지시간) 알리아다 테라퓨틱스(Aliada Therapeutics)를 14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네요.

이번 인수로 애브비는 임상1상 단계 피로글루타메이트(pyroglutamate) 아밀로이드베타(3pE-Aβ) 항체 ‘ALIA-1758’와 BBB 투과기술을 확보하게 됩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32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8:38


앱클론(AbClon)은 28일 이사회를 열고 사모 전환사채(CB) 발행과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CPS) 발행 유상증자를 통해 310억원을 조달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네요.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데일리파트너스가 리드투자자로 참여하고, 웰컴자산운용, BNB자산운용, 포커스자산운용이 참여합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30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6:00


라이엘(Lyell Immunopharma)이 CAR-T 영역에서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해 CD19/20 CAR-T 임팩트바이오(ImmPACT Bio)를 인수합니다. 라이엘은 한때 주노 테라퓨틱스(Juno Therapeutics) 핵심 공동창업자 2명이 설립한 차세대 CAR-T 개발 바이오텍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이를 반영하듯 2021년 4억2500만달러 자금을 유치하며 IPO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 라이엘이 인수하는 임팩트바이오는 지난 2022년 시리즈B로 1억1000만달러 펀딩 당시, 국내 제약사인 부광약품, 한독 등이 투자한 회사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라이엘은 동시에 자체 진행하던 임상개발 프로그램 2건을 중단합니다. 올해 6월 폐독성 이슈가 불거진 ROR1 CAR-T ‘LYL797’의 임상개발을 결국 중단하며 “좁은 치료용량 범위”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후속 ROR1 CAR-T 개발은 계속됩니다.

또한 종양침투림프구(TIL) 프로그램은, 앞서가는 임상1상 에셋이 효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완전히 중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6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4:47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는 표적단백질분해(target protein degradation, TPD) 연구센터장에 이상현 부사장을 영입하고, TPD 신약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퍼스트바이오는 이번에 TPD 연구센터를 신설했다. 이 부사장은 신설된 TPD 연구센터장으로서 TPD 기반의 치료제 개발을 주도하게 되네요. TPD 기술은 질병유발 단백질을 분해해 제거하는 접근법이며, 표적에 대한 선택성(selectivity)를 높여 효능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8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2:0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8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2:01


오스코텍(Oscotec)이 3세대 EGFR TKI ‘렉라자(레이저티닙)’의 시판허가 성공을 이어가기 위한 키워드로, 항암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플로이디 사이클(ploidy cycle; 배수성 주기)’ 저해제 개발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오스코텍은 J&J가 렉라자와 ’아미반타맙‘ 병용전략으로 폐암 1차치료제 시장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배경도, 내성 극복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윤태영 오스코텍 대표는 ‘2024년 하반기 R&D Day’에서 이같은 중장기 비전을 첫 발표했으며, 4년전 합류한 이후 초기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소개하지 않았었는데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움직입니다.

이러한 전략의 시작점으로 오스코텍은 카나프에서 도입한 EP2/4 이중저해제 ‘OCT598’으로 내년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이어 플로이디 사이클과 관련된 발굴 프로그램 3~4개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두 ‘first-in-class’ 타깃(비공개)입니다. 윤 대표는 “앞서가는 항암·섬유화 프로젝트는 연내 개발 후보물질을 선정하고, 내년 봄 열리는 글로벌 학회에서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7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1:35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5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1:33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4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1:31


GC녹십자(GC Biopharma)와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가 항체 기반의 지도모양위축증(GA)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두 회사는 타깃 선정부터 임상 및 상업화까지 모든 개발 단계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해 약물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GA는 건성 연령관련황반변성(dry AMD)이 진행된 후기단계 질병으로, 노인 실명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GC녹십자는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혈액제제와 희귀질환분야를 넘어, 다른 개발영역으로도 활발히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21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1:10


중추신경계(CNS) 전문 CRO인 나손사이언스(Naason Science)는 신경과학 분야 최대규모 학회인 SfN(Society for Neuroscience)에서 최신 CNS 동물모델에 대한 연구결과 포스터 3건을 발표했습니다.

나손사이언스는 이번 SfN 2024에서 각각 파킨슨병(PD), 알츠하이머병(AD),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 비임상 모델에 대한 연구와 약리효능평가에 대한 포스터 발표 3건을 진행했으며, 부스를 통해 서비스 플랫폼을 소개하고 글로벌 연구자와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5

바이오스펙테이터

28 Oct, 01:05


인텔리아 테라퓨틱스(Intellia Therapeutics)가 CRISPR/Cas9 기반 in vivo 유전자편집 치료제 후보물질인 ‘NTLA-2002’로 진행한 유전성혈관부종(HAE) 임상2상에서 발작 발병을 최대 77% 낮춘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러나 이번 결과 발표 이후 인텔리아의 주가는 20% 급락했는데, 이는 발작 감소율이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인텔리아는 올해 6월 이번 임상과 관련된 HAE 임상1상에서 발작을 98% 낮춘 결과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다만 NTLA-2002는 단 1회 투여로 HAE 치료가 가능한 유전자편집 치료제라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으며, 현재 HAE 환자가 처방받는 C1-INH 성분의 치료제는 한달 용량이 약 3만달러로 알려진 고가의 약물입니다.

인텔리아는 이번 임상2상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달부터 HEALO 임상3상을 시작했으며, 결과는 오는 2026년에 도출될 예정이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3

바이오스펙테이터

27 Oct, 23:26


아벤셀 테라퓨틱스(AvenCell Therapeutics)가 시리즈B로 1억1200만달러를 유치했습니다. 아벤셀은 CAR-T의 활성을 스위치 처럼 on/off를 할 수 있는 스위처블(switchable) CAR-T를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스위처블 CAR-T는 어댑터로 CAR-T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4시간 내에 CAR-T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어 독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컨셉의 CAR-T입니다.

이번투자는 노보홀딩스가 주도했으며 단독 창업 투자자였던 블랙스톤라이프사이언스도 참여했습니다. 아벤셀은 지난 2021년 블랙스톤의 자본 2억5000만달러, 인텔리아의 유전자편집 기술력, 셀렉스의 세포치료제 제조역량, 셀렉스 자회사의 스위처블 CAR-T 기술력 등을 바탕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아벤셀은 이번 투자금을 임상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며, 현재 임상에 진입한 에셋으로 CD123 타깃 자가유래 세포치료제와 CD123 타깃 동종유래 세포치료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8

바이오스펙테이터

27 Oct, 22:11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5, FRI) #전체기사

'유전자편집' 에디타스, ex vivo 매각 추진.."in vivo 집중"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7

SK바사, 3Q 영업이익 "적자전환"..매출 73.4% 급감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1

익수다, ‘FRα ADC vs 엘라히어’ 전임상 결과 “공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0

큐리언트, ‘Axl/Mer/CSF1R 저해제’ AML “美1/2상 시작”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6

로슈도, ‘新타깃’ 만성기침 2상 “중단”..임상 9건 “정리”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7

셀트리온, 자사주 1천억 추가 매입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8

로슈, 다이노와 신경질환 ‘AAV발굴 확대’ 10억弗 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4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a상 "담도암 투약"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9

자이랩, DLL3 영역서 ‘ADC’ 초기 1상 “존재감 시작”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2

KASBP "AI시대, 신경질환 新접근" 가을 심포지엄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0

툴젠, ‘CRISPR’ 혈우병·CAR-T 전임상 “유럽학회 발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1

토모큐브, 공모가 1만6천원 확정.."밴드상단 초과"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5, FRI)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7:53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2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7:21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1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6:46


내달 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가 ‘인공지능(AI) 시대의 신경과학: 신경계 질환의 이해와 치료를 위한 혁신적 접근(Neuroscience in the Age of AI: Innovations in Understanding and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이라는 주제로 가을 심포지엄이 개최됩니다.

올해 노벨상 수상의 키워드는 AI였으며, 과학 분야에서 AI는 혁신적인 도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흐름에 따라, 이번 KASBP는 신경질환 신약개발 분야에서 AI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자리가 될 것으로 주최측은 전망합니다.

노바티스 스티븐 조(조성용) 박사가 기조발표를 진행하며, 리제네론, 애브비, 노바티스, 제넨테크 등 제약업계와 럿거스대, 스탠포드대, 하버드의대 등 AI 현장속에 있는 8명의 연자가 발표를 진행합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10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5:46


[ENA 2024]자이랩(Zai Lab)이 다시금 시작된 DLL3 표적치료제 영역에서 ADC 플레이어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어쩌면 암젠(Amgen)의 DLL3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에 위협이 될 만한 데이터를 내놨습니다.

자이랩 TOP1 페이로드 기반 DLL3 ADC ‘ZL-1310’의 확장기 소세포폐암(ES-SCLC) 임상1a상에서 ORR 74%를 공개했습니다.

다만 아직 초기 데이터로 19명 환자에게서 ZL-1310을 투여해 PR 14명이 보고됐다고 했으나, 9명이 미확정 부분반응(uPR) 환자였습니다. 주시할 점으로 뇌전이를 가진 환자 6명이 PR(또는 uPR)에 도달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2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5:25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9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3:43


로슈(Roche)가 다이노 테라퓨틱스(Dyno Therapeutics)와 계약금 5000만달러와 마일스톤 10억달러 이상 규모로 신경질환을 타깃하는 신규 AAV 캡시드 개발딜을 체결하며 파트너십을 확대했습니다.

로슈와 다이노는 앞서 지난 2020년 비공개 계약금을 포함, 18억달러 이상 규모에 신경질환과 간을 타깃하는 AAV 캡시드 개발 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로슈는 다이노와의 파트너십에서 진전을 거뒀다고 설명했으며, 이번에 더욱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로슈는 유전자치료제 분야 선두그룹으로, 지난 2019년 스파크 테라퓨틱스(Spark Therapeutics)를 43억달러에 인수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유전자치료제, RNA편집 등에 투자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4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3:32


로슈(Roche)가 만성기침에 대한 신규 타깃으로 개발해온 TRPA1 길항제 임상2상을 포함해, 올해 3분기에도 총 9건의 임상 프로그램을 중단했습니다.

로슈는 유망 프로젝트에 집중하기 위해 대대적인 파이프라인 구조조정을 진행해 오고 있으며, 지난 분기에 이미 전년동기 대비 신규 프로그램을 25% 축소한 바 있습니다.

로슈는 이번 분기에 만성기침 프로그램 외에도, KRAS 저해제 ‘디바라십(divarasib)’의 임상3상 1건을 중단했으며, PD1xLAG3, GPRC5DxCD3 이중항체 항암제 프로그램 등의 개발을 중단했습니다. 여기에는 며칠전 UCB와의 파트너십을 중단한 타우항체 ‘베프라네맙(bepranemab)’도 포함됩니다. 다만 타우 항체, TRPA1 길항제, KRAS 저해제 외에는 로슈가 지난달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R&D 설명회에서 이미 개발중단을 알린 바 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7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2:24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8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1:30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6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0:11


[ENA 2024]리가켐는 파트너사인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가 FRα ADC ‘IKS012’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익수다는 지난 2020년과 2021년 2차례에 걸쳐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에 대한 라이선스를 확보했으며, IKS012를 포함한 ‘best-in-class’ 또는 ‘first-in-class’ ADC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번 ENA에서 주요 데이터로 익수다는 IKS012와 앞서가는 경쟁약물인 애브비의 ‘엘라히어’와 에자이의 ‘MORAb-202’의 인비보(in vivo) 효능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IKS012는 FRα 항체(Isumab01)에 익수다의 접합기술 ‘퍼마링크(PermaLink)’와 리가켐바이오의 글루쿠로니다제(glucuronidase) 매개 약물방출 ‘컨쥬올(ConjuAll)’ 기술을 적용한 약물입니다.. 페이로드(payload)는 MMAE를 이용했으며, 항체-약물비율(DAR)은 4.1이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0

바이오스펙테이터

25 Oct, 00:00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401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23:23


유전자편집 치료제를 개발하는 에디타스 메디슨(Editas Medicine)이 겸상적혈구병(sickle cell disease, SCD) 후보물질 등 ex vivo 유전자편집 약물의 매각을 추진합니다.

매각 대상은 현재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ex vivo 유전자편집 약물 ‘레니셀(reni-cel, EDIT-301)’로 버텍스의 ‘카스게비’와 경쟁 후보에 있던 약물입니다.

이같은 결정은 에디타스가 in vivo 유전자 편집 약물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입니다.

에디타스는 하루전 제네반트와 2억3000만달러 규모의 in vivo 유전자 편집 약물 개발을 위한 LNP 플랫폼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7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22:12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4, THU) #전체기사

로슈 “타우 또 중단”, ‘2상 발표前’ UCB에 “권리반환”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0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67

길리어드-머크, ‘주1회 경구’ HIV 2상 "48주에도 효능"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74

오츠카, 4.3억弗 베팅 ‘APRIL 항체’ IgA신증 3상 “긍정”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3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ACG 직접 참석 "美시장 공략"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9

머크, 출범2년 ‘카멜레온 항암제’ 모디피 "3천만弗 인수"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6

아델, '타우항체 vs경쟁 임상약물' 차별성 연구 "논문"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7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4, THU) #전체기사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08:20


아델(ADEL)이 미국에서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는 타우 항체 ‘ADEL-Y01’의 경쟁약물 대비 차별성을 확인한 연구결과가 몰레큘러 뉴로디제너레이션(Molecular Neurodegenerations, IF 14.9)에 게재했네요. 해당 논문은 레터투더에디터(Letter to the Editor) 형식으로 발표됐습니다.

ADEL-Y01은 지난 2020년 오스코텍(Oscotec)과 공동개발 게약을 체결한 알츠하이머병 후보물질로, 올해 2월 미국 임상1a상의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습니다.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79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07:16


머크가 출범한지 2년이 된, 전임상 단계의 ‘DNA 손상반응(DDR)’ 저해제 개발 모디피를 계약금 3000만달러에 인수했네요. 향후 개발, 허가 등 마일스톤으로 최대 13억달러가 책정됐습니다.

머크가 이번에 사들인 항암제 후보물질은 1990년대 교모세포종(GBM) 치료제로 쓰이기 시작한 화학항암제 ‘테모졸로마이드(TMZ)’ 유사체(analog)이며, 모디피는 해당 물질을 ‘카멜레온과 같은 약물(chameleon-like molecule)’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모디피는 지난 2021년 예일대에서 스핀아웃(spinout)한 회사로, 2022년 사이언스(Science)에 해당 연구 내용을 발표와 함께 시드 라운드로 640만달러를 투자를 알리며 공식 출범했습니다.

데이비드 웨인스톡 머크연구소 항암제 발굴부문 부사장은 “DNA 복구결함은 종양세포에서 흔한 특징이며, 항암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주요 원인”이라며 “모디피 팀은 가장 불응성이 강한 암 타입을 해결할 가능성을 가진 혁신적인 접근법을 개발했다”고 말했네요.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96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04:48


일본 오츠카 파마슈티컬(Otsuka Pharmaceutical)이 6년전 비스테라(Visterra)를 4억3000만달러에 인수하며 확보한 APRIL 항체의 IgA신증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인 IgA신증(IgAN)은 노바티스(Novartis), 로슈(Roche) 등의 빅파마를 비롯해 약물 개발경쟁이 계속해서 치열해지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야 치료제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오고 있는 분야입니다.

오츠카도 지난 2018년 비스테라를 인수하며 IgA신증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타깃인 APRIL 항체의 임상을 진행해왔으며, 인수 6년만에 후기임상에서 성과를 거두게 됐습니다.

회사는 이번 발표에서 구체적인 데이터를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소변 단백질 비율을 줄인 1차종결점 결과에 기반해 미국 FDA의 가속승인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83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01:56


새책 『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의 내용을 미리보기(?) 하실수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67

바이오스펙테이터

24 Oct, 01:53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미국 머크(MSD)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 LEN)와 이슬라트라비르(islatravir, ISL) 병용요법으로 진행한 HIV 임상2상의 결과를 국제감염질환학회(IDWeek 2024)에서 업데이트했습니다.

지난 3월 투약 24주차 바이러스 억제효능 94%로 기준을 충족한 임상으로 이번에 48주차에서도 바이러스 억제효능이 94.2%에 달하는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미국 임상정보사이트에 따르면 길리어든느 LEN+ISL 병용요법을 표준치료요법(SoC)인 항바이러스제와 비교하는 임상3상을 이번달부터 시작할 예정입니다.

길리어드와 머크는 LEM+ISL 병용요법을 주1회 경구투여로 투약주기를 늘린 경구용 치료제로 개발해 낮은 복약 순응도를 가진 HIV 감염환자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374

바이오스펙테이터

23 Oct, 23:12


새책 <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바이오스펙테이터

23 Oct, 23:02


새책 『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서평 이벤트"
서평 이벤트에 참여하실 분을 모집합니다!

- 모집인원 : 총 10명
- 신청기간 : 2024년 10월 26일 23:59까지
- 신청방법 : 도서에 대한 '기대평' 또는 '읽고 싶은 이유'를 [email protected] 메일로 보내주세요.
- 선정자 발표 : 2024년 10월 28일(월) 예정
1) 추첨을 통해 선정되신 분에게 개별로 이메일 회신 드립니다.
2) 선정되신 분에게 도서를 보내드립니다.
- 서평 작성 방법
1) 도서를 받으시고 1주일 이내에 본인의 SNS(페이스북, 링크드인, 블로그, 인스타 등)에 서평을 남겨주시면 됩니다.
2) 센스있게 #좋은바이오텍에서위대한바이오텍으로 해시태그도 달아주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도서 소개
‘괴짜 과학자들이 돈만 잡아먹는다’는 비아냥거림의 대상이었던 버텍스 파마슈티컬스와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그러나 두 바이오텍은 어느 순간 시가총액 1,000억 달러의 빅 바이오텍이 되어 신약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이 어떻게 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이 될 수 있었는지 분석한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50402911